스마트산단
정책개요
개요
- 산업단지는 제조업과 중소기업의 요람이자 지역경제의 중추 역할을 하고 있으나 기업 경쟁력 약화 및 제조업 둔화로 활력 저하
* ’17년 말 기준 전국 제조업 생산 70.3%, 수출 73.9%, 고용 48.5% 차지
- 데이터 기반의 첨단기술을 산단에 접목하여 중소기업 제조혁신 지원 및 산단 중심의 지역 일자리 창출
[스마트 산업단지 개념]
개별기업의 스마트화를 넘어, 산업단지내 기업간 데이터 연결·공유로 동일 업종·밸류체인 기업들이 스스로 연계·스마트화되는 산업단지
추진경과
-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보고회」개최(’18.12)
- 스마트 선도산단 2곳(반월시화, 창원) 선정(’19.2)
- 민간 전문가를 단장을 하는 사업단 구성(’19.3)
-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에서 ’30년까지 스마트산단 20개 조성 발표(’19.6)
- 스마트산단 개념정립과 확산을 위한 표준모델(안) 마련(’19.9)
- 스마트 선도산단 2곳(남동, 구미) 추가 선정(‘19.9)
추진경과
- 산단 내 스마트공장 확산 및 데이터 공유型 제조혁신 촉진
- 쾌적한 근로‧정주환경을 통해 산단 근로자 만족도 제고
- 신기술‧신산업 활성화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 촉진
추진전략 (‘19~’22년)

정책 상세내용
선도산단 선정
- 산업적 중요성이 있고 조기 성과창출이 가능한 국가산업단지를 선도산단으로 선정하여 스마트산단 성공모델 실증
표준모델 구축
- 스마트산단 핵심과제별 사업(32개사업, 8개부처)을 표준화하여 사업추진 실행력을 담보하고, 산단별 특화사업 발굴 유도
- 산단특성(업종, 벨류체인)을 감안한 제조혁신에 중점(Core), 환경개선 등을 통한 산단 고부가화(부가)로 효과 극대화
<스마트산단 표준모델(사업)>
구분 | 핵심과제 | 사업명 | 소관부처 | |
---|---|---|---|---|
제조혁신 | 개별기업 스마트공장 확산 |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신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 중기부 |
스마트공장 수준확인제도 | ||||
선도공장 | 업종 기업 벤치마크형 공장 구축 | 산업ㆍ중기부 | ||
혁신데이터생태계 조성 | 데이터 공유‧연계 기반구축 | 혁신데이터센터 구축 | 산업·중기ㆍ과기부 | |
제조데이터 공동활용 플랫폼 | ||||
인프라보안 컨설팅 | ||||
데이터 연계사업 추진 | 현장 솔루션(SW) 도입 시범사업 | 과기부 | ||
스마트MC 구축 확대 | 산업부 | |||
수요맞춤형 R&D | 산업ㆍ중기부 | |||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센터 구축 | 산업부 | |||
산단 내 공유경제 모델 활성화 | 산업부 | |||
인력양성 및 연관제조산업 육성 | 현장 전문인력 양성 | 스마트산단 구축 운영 인재 육성 | 산업부 | |
스마트공장 전문인력양성(스마트랩) | 중기부 | |||
전문교육 과정 운영 | 중기부 | |||
스마트제조산업 육성 | 노후설비 리뉴얼 R&D | 산업부 | ||
공정단위 스마트화 사업 | 산업ㆍ중기부 | |||
지능형 로봇 보급 및 확산 | 산업ㆍ중기부 | |||
산단 고부가가치화 | 근로자 친화공간 | 일터혁신 | 일터혁신 컨설팅 및 이행지원 | 고용부 |
근로환경 |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강화 | 환경부 | ||
IoT기반 CCTV‧가로등 설치 | 산업부 | |||
지능형 교차로 교통 인프라 구축 | 국토부 | |||
정주여건 | 행복주택 건립 | 국토부 | ||
기숙사비 지원, 직장어린이집 지원 | 고용부 | |||
도시숲 조성 | 산림청 | |||
복합문화센터, 스마트도서관 건립 | 산업ㆍ문체부 | |||
아름다운 문화거리 조성, 스마트 부스 | 산업부 | |||
창업ㆍ신산업 | 창업기업 투자환경 활성화 사업 | 중기부 | ||
창업허브(온라인 플랫폼 및 건물) 구축 | 산업부 | |||
신재생에너지보급, FEMS보급 지원 |
관련자료
유관기관 연락처
한국산업단지공단 스마트산단추진팀 문문철 팀장(070-8895-7390)
- 담당부서 : 입지총괄과
- 담당자 : 정초원 사무관
- 연락처 : 044-203-4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