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22년 7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동월 대비 9.7% 증가 | |||||||||||||||||||||||||||||||||||||||||||||||||||||||||||||||||||||||||||||||||||||||||||||||||||||||||||||||||||||||||||||||||||||||||||||||||||||||||||
---|---|---|---|---|---|---|---|---|---|---|---|---|---|---|---|---|---|---|---|---|---|---|---|---|---|---|---|---|---|---|---|---|---|---|---|---|---|---|---|---|---|---|---|---|---|---|---|---|---|---|---|---|---|---|---|---|---|---|---|---|---|---|---|---|---|---|---|---|---|---|---|---|---|---|---|---|---|---|---|---|---|---|---|---|---|---|---|---|---|---|---|---|---|---|---|---|---|---|---|---|---|---|---|---|---|---|---|---|---|---|---|---|---|---|---|---|---|---|---|---|---|---|---|---|---|---|---|---|---|---|---|---|---|---|---|---|---|---|---|---|---|---|---|---|---|---|---|---|---|---|---|---|---|---|---|---|
담당자 | 박진현 | 담당부서 | 유통물류과 | |||||||||||||||||||||||||||||||||||||||||||||||||||||||||||||||||||||||||||||||||||||||||||||||||||||||||||||||||||||||||||||||||||||||||||||||||||||||||
연락처 | 044-203-4385 | |||||||||||||||||||||||||||||||||||||||||||||||||||||||||||||||||||||||||||||||||||||||||||||||||||||||||||||||||||||||||||||||||||||||||||||||||||||||||||
등록일 | 2022-08-30 | 조회수/추천 | 1,371 | |||||||||||||||||||||||||||||||||||||||||||||||||||||||||||||||||||||||||||||||||||||||||||||||||||||||||||||||||||||||||||||||||||||||||||||||||||||||||
내 용 | ||||||||||||||||||||||||||||||||||||||||||||||||||||||||||||||||||||||||||||||||||||||||||||||||||||||||||||||||||||||||||||||||||||||||||||||||||||||||||||
1. 전체 매출 동향
□ (전체 매출) 전년 동월 코로나 확진자 폭증으로 인한 기저효과와 전년보다 이른 추석 기획전 등으로 오프라인 부문(12.1%)과 온라인 부문(7.3%)이 고른 성장세를 보이며, 전체 매출은 전년동월 대비 9.7% 상승
ㅇ (오프라인) 실외활동 증가로 따라 패션·스포츠 분야 매출 증가세가 이어졌으며 가전/문화를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매출 상승
ㅇ (온라인) 화장품・식품 등 온라인 구매와 서비스(공연·레저 상품 예약) 수요가 지속되며 대부분 품목에서 매출 상승
* 오프라인/온라인 매출규모(조원) : (‘22.5월) 7.48 / 6.97 ⇒ (’22.6월) 7.00 / 6.50 ⇒ (’22.7월) 7.42 / 6.75
<주요 유통업체의 전년동월 대비 월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 (상품군별 매출) 가전/문화(△5.8%)를 제외한 해외유명브랜드(29.1%), 패션/잡화(20.8%) 등 대부분 상품군 매출 상승
ㅇ (오프라인) 가전/문화(△7.8%) 분야는 하락했으나, 아동/스포츠(41.6%), 패션/잡화(32.4%)와 해외유명브랜드(29.1%) 분야가 큰 폭으로 상승
ㅇ (온라인) 가전/문화(△5.5%), 아동/스포츠(△1.3%) 수요가 다소 하락하였으나, 서비스/기타(20.4%), 식품(14.7%) 등의 수요증가로 판매호조세 지속
<’22년 7월 전년동월 대비 상품군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 (구매건수ㆍ구매단가) 백화점·편의점 방문객 증가, 대형마트·SSM 방문객 감소 추세는 지속(`22.4월~7월), 전체 구매건수(7.9%) 증가와 함께 전체 구매단가(3.8%)도 증가
<’22년 7월 오프라인 부문 구매건수ㆍ단가 증감률 (단위 : %)>
* 온라인은 구매건수를 집계하지 않고 있어 통계자료에 미포함
□ (업태별 매출 비중) 전년 동월 대비 오프라인·온라인 매출 비중은 유사
ㅇ 오프라인 업태 중 백화점(2.8%p)·편의점(0.1%p)의 매출 비중은 늘고, 대형마트(△1.4%p)·SSM(△0.4%p)은 감소
2. 유통업체별 매출 동향
□ 대형마트(0.2%)ㆍ백화점(31.6%)ㆍ편의점(10.4%)의 매출은 증가하고, SSM(△3.6%)의 매출은 감소하였으며 전체 매출은 12.1% 증가
ㅇ (대형마트) 가전/문화(△7.8%), 가정/생활(△0.7%)에서 매출이 하락하였으나, 잡화(12.5%), 의류(11.9%) 등의 매출증가로 전체 매출은 0.2% 증가
ㅇ (백화점) 방문객수 증가(구매건수 34.5%)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전 품목의 판매호조(아동/스포츠 48.5%, 여성캐주얼 41.3% 등)에 따라, 전체 매출이 31.6% 증가
ㅇ (편의점) 정상 등교·근무 등으로 이용객수가 늘며, 생활용품(26.5%), 잡화(17.2%) 등 전 품목 판매호조로 전체 매출 10.4% 증가
ㅇ (준대규모점포) 가공식품(0.5%)을 제외한 일상용품(△6.7%), 농·수축산(△5.7%) 등 대부분 품목의 판매 부진으로 전체 매출은 3.6% 감소 |
||||||||||||||||||||||||||||||||||||||||||||||||||||||||||||||||||||||||||||||||||||||||||||||||||||||||||||||||||||||||||||||||||||||||||||||||||||||||||||
태그 | ||||||||||||||||||||||||||||||||||||||||||||||||||||||||||||||||||||||||||||||||||||||||||||||||||||||||||||||||||||||||||||||||||||||||||||||||||||||||||||
첨부파일 |
![]() ![]() ![]() |
이전글 |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 예산안 10.7조원... |
---|---|
다음글 | 산업부, 숨은 규제 개선에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