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설명자료)월성1호기 경제성을 조작하였다고 단정하는 보도는 매우 부적절함(7.19일자 한국경제 보도에 대한 설명) | |||
---|---|---|---|---|
담당자 | 주현동 | 담당부서 | 원전산업정책과 | |
연락처 | 044-203-5326 | |||
등록일 | 2021-07-19 | 조회수/추천 | 1,664 | |
내용 |
1. 보도내용
□ 문재인 정부는 가동 중인 원전은 멈추고, 신규원전은 완공을 미루거나 건설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탈원전을 밀어 붙임. 이 과정에서 억지와 탈법이 적잖아 거센 논란이 이어지고 있음
ㅇ 월성 1호기는 안전성에 문제가 없자 정부와 한수원은 경제성을 조작
ㅇ 고리 1호기는 탈원전을 선언한 2017년 6월까지 운영되었으며, 원전을 60년 이상 쓰는 미국에서는 최소 20년 연장되었을 원전임
ㅇ 신한울 3·4호기는 별도의 절차 없이 공사를 중단
ㅇ 신고리 4호기는 예상보다 18개월 지체된 2019년 2월 가동되어 똑같은 방식으로 설계·건설된 신고리3호기 대비 지나치게 미뤄졌음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산업부의 입장
□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은 대선 공약을 거쳐 국정과제 반영(‘17.7), 에너지전환 로드맵의 국무회의 심의·의결(`17.10) 등 합법적 절차를 통해 추진되었음
□ 근거 없이 월성 1호기 경제성 평가가 조작되었다고 단정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며, 감사보고서 상에도 월성1호기 계속가동의 경제성 평가가 조작되었다는 표현이나 판정은 전혀 없음
ㅇ 감사 보고서에 ‘월성1호기 경제성이 불합리하게 낮게 평가’되었다는 지적에 대하여 산업부는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20.11.18일 재심의 청구를 한 바 있음
□ 고리 1호기 영구정지 결정은 에너지전환 정책 이전인 ’15.6월에 이뤄졌음
□ 신한울 3·4호기의 경우, 한수원은 정부의 정책방향을 고려하여 당시 진행중인 건설허가 등 인허가 진행을 잠정 중단(’17.7~)하였고,
ㅇ 정부는 신한울 3·4호기 건설계획 백지화 등이 포함된 에너지전환로드맵을 확정(‘17.10)한 바 있음
□ 신고리 4호기는 운영허가 심사 중 리콜부품 교체, 경주·포항 지진 발생으로 원전 운영에 있어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방향에 따라 안전성평가 실시 등으로 심사가 길어졌음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산업부 장관, 산업단지 코로나19 확산 차단... |
---|---|
다음글 | (참고자료)계획예방정비 등으로 정지 중인 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