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보도/해명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보도/해명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태그, 첨부파일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21년부터 국내에서도 재생에너지 구매가 가능해진다!
담당자 장민재 담당부서 신재생에너지정책과
연락처 044-203-5363
등록일 2021-01-05 조회수/추천 8,812
내   용

‘21년부터 국내에서도 재생에너지 구매가 가능해진다!

 

1.5, 3자 전력구매계약(PPA) 도입을 위한 전기사업법 시행령 국무회의 통과

 

1.5, ‘21년 녹색 프리미엄 입찰 공고 (한국전력공사)

 

1.11,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범사업 공고 (한국에너지공단)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이하 산업부’)는 기업 등 전기소비자가 재생에너지 전기를 선택적으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한국형 RE100(K-RE100) 제도올해부터 본격 도입한다고 밝혔다.

 

* RE100 : 사용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자발적 캠페인

 

산업부는 지난해 그린뉴딜 정책간담회(9.2)를 통해 국내 RE100 이행 지원방안을 발표하였으며, 이후 법령 정비, 시스템 구축 등 제도 시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왔다.

 

이와 함께, 국내 기업,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RE100 참여를 위한 홍보 활동 및 설명회 등을 병행한 결과, 국내 기업 최초로 글로벌 RE100 캠페인에 공식 가입한 사례가 나타나는 등 재생에너지 사용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어가고 있다.

 

* 현재 280개 이상 글로벌 기업이 글로벌 RE100 캠페인에 참여, 이중 국내 기업은 6개사

올해부터 시행될 한국형 RE100(K-RE100) 제도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참여 대상) 글로벌 RE100 캠페인은 연간 전기사용량이 100GWh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참여 권고하나, 국내 제도전기사용량 수준과 무관하게 국내에서 재생에너지를 구매하고자 하는 산업용, 일반용 전기소비자에너지공단 등록을 거쳐 참여가 가능하다.

 

* 글로벌 RE100 캠페인 참여기업 + 그 외 산업용, 일반용 전기소비자 모두 활용 가능

 

(에너지원) 재생에너지 사용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에너지원태양광, 풍력, 수력, 해양에너지, 지열에너지, 바이오에너지이며, 이는 글로벌 RE100 캠페인 기준과 동일하다.

 

(조달 수단) 녹색 프리미엄제, 3PPA,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구매, 자가 발전을 통해 재생에너지 조달이 가능하며, 직접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 참여하는 지분 투자의 경우는 해당 발전소와 별도의 제3PPA 체결 또는 REC 구매가 필요하다.

 

(사용 목표) 국내 제도는 재생에너지 100% 사용 선언 없이도 참여가 가능하나, 산업부는 참여자에게 글로벌 RE100 캠페인 기준과 동일한 2050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권고한다. 다만, 2050년까지 중간 목표는 참여자의 자율에 맡길 예정이다.

 

(사용 확인서) 에너지공단은 기업 등이 제출한 재생에너지 사용 실적에 대해 확인을 거쳐 재생에너지 사용 확인서발급할 예정이며, 확인서를 발급받은 참여자는 해당 확인서를 글로벌 RE100 이행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참여 지원) 재생에너지 사용시 온실가스 감축 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현재 환경부에서 구체적인 에너지원, 감축수단 및 방법 등에 대한 관련 지침을 개정 중이다. 또한, 라벨링 부여 등 인센티브 지원을 위한 재생에너지 사용 최소기준을 20%로 설정하고, 지속적인 재생에너지 사용 촉진을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태그
첨부파일 pdf 파일  0104(5석간 11시엠바고)신재생에너지정책과, '21년부터 국내에서도 재생에너지 구매가 가능해진다!.pdf [496.1 KB]
hwp 파일  0104(5석간 11시엠바고)신재생에너지정책과, '21년부터 국내에서도 재생에너지 구매가 가능해진다!.hwp [614.9 KB]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세요?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세요?
  • 담당부서 : 홍보담당관
  • 담당자 : 지재민 주무관
  • 연락처 : 044-203-4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