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성윤모 산업부 장관, 금년 수출 플러스 전환을 위해 모든 정책역량 집중 | |||||||||||||||||||
---|---|---|---|---|---|---|---|---|---|---|---|---|---|---|---|---|---|---|---|---|
담당자 | 이민호 | 담당부서 | 무역진흥과 | |||||||||||||||||
연락처 | 044-203-4017 | |||||||||||||||||||
등록일 | 2021-01-04 | 조회수/추천 | 1,934 | |||||||||||||||||
내 용 | ||||||||||||||||||||
※`20년 연간 수출액은 1.1(금) 수출입 동향 보도자료 참고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1.1.1일(금) 새해 첫 현장방문으로 수도권 관문항인 인천신항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을 방문하여, 수출물류 현장을 점검하고 현장 근로자들을 격려하였다.
□ 성 장관은 동남아로 향하는 수출화물의 통관・선적과정을 참관하면서, “지난해 코로나의 어려움 속에서 수출 반등을 통한 경제회복의 불씨를 되살릴 수 있었던 것은, 현장에서 노력해주신 여러분들의 덕분”이라고 현장 근로자들을 격려하고,
ㅇ “올 한해도 우리 기업들이 수출 물류에 어려움이 없도록 통관‧선적에 힘써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수출 평가 및 전망 >
□ 이어 성 장관은 작년 수출실적을 평가하며 “코로나19로 어려운 시기에 제조 강국의 저력이 빛난 한해로, 하반기부터 시작된 수출회복의 좋은 흐름은 IMF, 금융위기를 통해 쌓아온위기에 대한 내성과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생산을 지속해온 현장이 있었기에 가능했으며,
ㅇ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 등 IT품목이 강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바이오헬스・친환경차 등 신산업이 가파르게 성장하는 등 품목의 다변화와 고도화를 동시에 추진해온 성과였다“고 언급했다.
□ 아울러 올해는 “세계 경제 및 교역 경기가 점차 회복된다면, 우리 수출도 지난해보다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ㅇ “①코로나19 극복여부, ②글로벌 보호무역주의확대, ③미국 新정부 출범 등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에도 우리 수출이 회복 모멘텀을 이어갈 수 있도록 총력 대응할 계획“임을 밝혔다.
< 정책 추진방향 >
□ 성 장관은 하반기부터 시작된 수출회복세를 이어나가 21년 전체 수출을플러스로 전환하고 우리수출의 재도약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 추진방향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①우선, 포스트코로나 시대 이동제한의 한계 극복을 위한 디지털 무역기반 확충을 중점 추진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참여를 지원한다.
ㅇ연말까지 국내 3대* B2B 플랫폼의 속도감 있는 통합・글로벌화로 중소・중견기업 수출구심점을 확보하고,
* ①바이코리아(코트라), ②고비즈코리아(중진공), ③트레이드코리아(무협)
** (상반기) 기능적 통합·대형화 ⇒ (하반기) 글로벌 플랫폼 협업을 통한 글로벌화
ㅇ온라인을 통한 해외 바이어와의 매칭지원을 강화하여 국내 기업의글로벌 진출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 ① (업종별) 온라인 상설 전시관과 오프라인전시회 연계를 통해 글로벌 마케팅 확대
② (소부장) 글로벌기업 맞춤형 전용공간(온라인GP전용관) 구축 ③ (스타트업) 글로벌오픈이노베이션플랫폼 구축을 통한 상시매칭 지원 ②지난 11월에 발표한 「무역 디지털전환 대책」에서 밝혔던, 10만 수출기업 양성(∼‘30년)의 첫해 목표(1만) 달성을 위해 수출기업 발굴 체계를 구축하고, 발굴된 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연계한다.
ㅇ민관 합동으로 ‘수출유망기업 발굴 T/F’ 구성을 통해 각 기관별로 특화된 수출기업 발굴 체계를 구축하고,
ㅇ수출에 참여한 기업이 수출확대·유지 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을 병행하여맞춤형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 원스톱 온라인지원창구(무역투자24) 구축, 수출컨설팅 및 B2B 플랫폼 자동입점, 현지 지사역할 대행, 물류비 지원 추진 등
③외부 무역환경에 흔들림 없는 안정적 수출환경 조성을 위해 환율리스크를 완화하고, 수출입 물류의 적극적인 애로해소 대응체계도 더욱 강화한다.
ㅇ환변동보험 신규상품 등 확대무역보험을 통해 수출 중소기업 환변동위험관리 지원을 강화하고, 환위험에 대한 대응역량 제고를 위해 관리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계획이며,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2020년 12월 및 연간 수출입동향 |
---|---|
다음글 | 산업부, 2021년 할당관세 적용품목 60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