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경제뉴스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MOTIE 뉴스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신남방‧신북방 정책 4년의 성과는?
담당자 이경수 담당부서 홍보담당관
연락처
등록일 2021-12-27 조회수/추천 1,429
내   용

 

 

정부가 지난 4년간 공들여 추진해 온 신남방신북방 정책. 우리나라 대표 외교통상 정책입니다.

 

신남방 정책은 201711월 문재인 대통령이 인도네시아를 방문해 발표한 것으로, 사람(People)평화(Peace)상생번영(Prosperity) 3P 전략을 통해 아세안(ASEAN)과 인도를 미국일본중국러시아(4)와 동등한 수준의 파트너로 격상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신북방 정책은 2077월 문재인 대통령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동방포럼에 참석해 천명한 것으로, 유라시아와의 연계 강화와 미래 한반도의 성장동력 창출, 평화정착 기반 마련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신남방 정책과 신북방 정책은 4년 동안 어떤 성과를 거뒀을까요?

 

신남방 지역(아세안 10개국과 인도)으로의 수출은 2017년 최초로 1000억 달러를 돌파한 이후 올해엔 11월까지 1119억 달러를 기록, 역대 최대치 달성이 기대됩니다.

 

 

 

투자도 신남방 정책이 시작된 이후 3년간(2018~2020) 실적이 이전 3년간보다 73% 증가했습니다. 분야도 전기자동차, 배터리, 전자기기 등 다양하고 미래지향적 산업 생태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FTA)인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 서명했고, 인도네시아캄보디아필리핀 등과 양자 FTA를 체결해 신남방 지역에서의 FTA 네트워크를 고도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신북방 지역의 경우도 201672억 달러에 불과했던 수출이 2019년에는 138억 달러로 2배 가까이 늘었고 올해엔 역대 최대치 달성이 예상됩니다.

 

우리 기업들의 진출과 관련해서도 러시아의 경우 선박자동차 분야의 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카자흐스탄과도 포괄적 경제협력 프로그램을 공동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과는 에너지, 자원, 디지털, 그린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가고 있습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코엑스에서 무역협회와 공동으로 신남방신북방 통상협력 포럼을 개최해 지난 4년간의 성과와 정책방향을 확인하고 통상협력에 공로가 큰 주한대사관 관계자, 기업인 등 16명에게 장관상을 수여했습니다.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신북방통상총괄과 정홍곤 서기관(044-203-5684)에게 문의 바랍니다.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세요?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세요?
  • 담당부서 : 홍보담당관
  • 담당자 : 이경수 주무관
  • 연락처 : 044-203-4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