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통합검색

tM’에 대한 검색결과 337 건 입니다

알림·뉴스 ( 131 건)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 실무안 공개 2022-08-30

    PV PPA PV 자가용 PV 자가용 PV   ㅇ 지난 전기본이 전력시장에서 시현되는 수요만을 전망하였다면,   ㅇ 총수요 전망체계는 전력시장內 수요에 한전PPA, 자가용(BTM) 태양광을 포함한 총수요를 전망한 뒤, 자가용 발전량을 차감한 사업용 전력수요를 기준수요로 한 점에서 9차와 차이가 있다.   * 한전PPA와 자가용 태양광발전은 전력시장 거래없이 한전과 직거래 또는 자체 소비되어 전력시장에서 전력수요를 상쇄하는 것으로 나타남   < 목표수요 도출식 > 목표수요 = 기준수요 (모형전망+4차산업혁명+전기화) - 수요관리량 * 9차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참고자료

    • 0830(31조간 14시엠바고)전력산업정책과,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 실무안 공개(수정).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문화체육관광부 보 도 자 료 보도 일시 2022. 8. 30.(화) 14:00 < 8.31.(수) 조간 > 배포 일시 2022. 8. 30.(화) 담당 부서 전력혁신정책관 책임자 과 장 강감찬(044-203-3880) 전력산업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박환준(044-203-3886)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 실무안 공개 -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균형있게 활용하여 2030 NDC 목표 달성 → ‘30년 발전량 비중 : 원전 32.8%, 신재생 21.5%, 석탄 21.2% 등 □ 전기본 자문기구인 총괄분과위원회*(위원장 유승훈)는 「제10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의 실무안을 8.30(화) 14시 언론브리핑을 통해 공개하였다. * 전력수요 예측 등을 위한 수요소위, 전력설비 계획 수립 등을 위한 설비소위와 이하 워킹그룹, 제주도 전력수급 계획 수립을 위한 제주수급 소위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분야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들 총 113명이 참여(‘21.12월 이후, 총 33회 회의 개최) ** 전기사업법 제25조에 따라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해 전력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전력설비와 전원구성을 설계하는 중장기(15년) 계획 (이하 전기본이라 함) 《 언론브리핑 개요 》 ‣ (일시) ’22. 8. 30.(화) 14:00 / ‣ (장소) 코엑스 307호 ‣ (주최) 총괄분과위원회 / ‣ (주관) 전력거래소 ‣ (참석) 총괄분과위 위원장 및 각 워킹그룹장, 언론사, 행사관계자 등 ※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다음의 작업을 수행한다. ① 15년(‘22~’36년)간의 연도별 최대전력(전력피크)을 기준수요로 전망하고, 수요관리 목표를 차감하여 목표수요를 산정 ② 목표수요에 기준 설비예비율(22%)을 반영하여 목표설비 산출 ③ 목표설비에서 발전설비 현황조사 등을 통해 조사된 확정설비를 차감 하여 신규 필요설비 물량 도출 및 연도별 설비계획 수립 기준수요 전망 ⇨ 목표수요 산정 ⇨ 목표설비 산출 ⇨ 신규 필요설비 도출 ⇨ 설비계획 수립 ↑ ↑ ↑ 수요관리 기준 설비예비율 반영 목표설비에서 확정설비를 차감 ④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한다. ⑤ 전력계통, 전력시장 제도 개선 등도 포함한다. ※ 실무안 내용 및 수치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경제성장률 전망 등 최신 입력전제 반영, 전략환경영향평가, 관계부처 협의, 기타 의견수렴 절차 등을 통해 변경 가능 수요전망 ‘36년 최대전력 수요(목표수요)는 117.3GW로 전망 □ 모형 전망과 데이터센터 및 전기화 영향을 반영하여, ’36년 최대전력수요는 117.3GW로 도출되었다. (’22∼’36년 연평균 1.4% 증가) < 목표수요 기준 전력소비량과 최대전력 전망 > ‘23 ‘30 ‘34 ‘36 10차 전력소비량(TWh) 544.9 565.6 579.8 589.1 사업용 최대전력(GW) 98.2 109.0 114.4 117.3 전력시장 최대전력(GW) 92.5 103.4 109.1 112.1 9차 전력소비량(TWh) 525.1 542.3 554.8 - 전력시장 최대전력(GW) 94.2 100.4 102.5 - □ 우선, 10차 전기본은 태양광발전의 증가*에 따른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수요전망 체계를 총수요 전망체계로 전환하였다. * 태양광 설비(GW, ’18→‘21년) : (시장內) 2.6→5.8, (PPA) 4.6→13, (BTM) 1.6→3.9(추정치) 9차 10차 사 업 용 < 전망체계 변경이유 > ‣ 전력시장外 태양광발전 증가 ‣ 자가용 태양광발전(BTM)은 수치 전망은 하지만, 사업용이 아니므로 설비계획에는 미반영 전력시장 內 전력시장 內 PPA PV PPA PV 자가용 PV 자가용 PV ㅇ 지난 전기본이 전력시장에서 시현되는 수요만을 전망하였다면, ㅇ 총수요 전망체계는 전력시장內 수요에 한전PPA, 자가용(BTM) 태양광을 포함한 총수요를 전망한 뒤, 자가용 발전량을 차감한 사업용 전력수요를 기준수요로 한 점에서 9차와 차이가 있다. * 한전PPA와 자가용 태양광발전은 전력시장 거래없이 한전과 직거래 또는 자체 소비되어 전력시장에서 전력수요를 상쇄하는 것으로 나타남 < 목표수요 도출식 > 목표수요 = 기준수요 (모형전망+4차산업혁명+전기화) - 수요관리량 * 9차 전기본의 수요관리 목표비율(12.6%) 적용, 최종 전망시 수요관리 목표 수정 □ 모형을 통한 수요전망은 지난 7~9차 계획과 동일한 전력패널 및 거시 모형을 활용하고, 경제성장률 전망, 산업구조 변화, 인구 전망, 기온 데이터 등을 반영하여 전망치를 도출하였다. * (경제성장률) KDI·기재부, (산업구조) 산업연구원, (인구) 통계청, (기온) 기상청 전망 반영 □ 지난 8, 9차에서 반영을 유보한 4차 산업혁명 영향은 논의 결과, 데이터 센터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인으로서 증가추세가 빠르게 증가할 것 으로 검토되어 이를 중심으로 반영하고, ㅇ 또한, 탄소중립 달성 등을 위해 산업, 수송, 건물 등 각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기화 수요도 모형(GCAM-KAIST)을 통해 추정한 결과를 반영하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일부 반영하였다. 발전설비계획 ‘36년까지 목표설비(실효용량) 143.1GW 확보 필요 < 발전설비계획 수립 > 신규 필요설비 = 목표수요 × 기준 설비예비율 - 확정설비 ┗──── 목표 설비 ────┛ □ ‘36년 기준 목표설비 용량은 ’36년 목표수요인 117.3GW에 기준 설비 예비율* 22%를 반영한 143.1GW로 산출되었다. * 목표수요 대응을 위해 정비, 고장, 수요변동, 건설지연 등을 감안하여 추가 필요한 설비 비율 □ ‘36년 기준 확정설비 용량은 설비 현황조사를 통해 운영중, 건설중, 폐지 예정 설비 등을 계산한 결과, 142.0GW(실효용량)로 전망되었다. ㅇ (원전) 사업자의 의향을 반영하여 ’36년까지 12기(10.5GW)의 계속운전*과 준공 예정 원전 6기(6기, 8.4GW)**를 반영하였다. * 계속운전 시행前 가동정지 기간 차등적으로 반영(최대 40개월, 최소 6개월) ** (’22∼’25년) 신한울#1‧2(2.8GW), 신고리#5‧6(2.8GW), (’32∼’33년) 신한울#3‧4(2.8GW) ㅇ (석탄) 석탄발전 감축기조를 유지하여, ‘36년까지 가동 후 30년이 도래 하는 26기(13.7GW) 폐지를 반영하였다. ㅇ (LNG) 폐지되는 석탄발전 26기(13.7GW)의 LNG전환과 신규 5기 (4.3GW) 예정 설비를 반영하였다. ㅇ (신재생) 사업자 계획조사에 기반하여 旣발전허가, 계획입지 등 실현 가능한 물량 수준으로 반영하였다. □ ’36년까지 신규 설비는 1.1GW(목표설비-확정설비)가 필요할 전망이다. 전원별 설비 비중 원전·LNG·신재생 확대, 석탄발전 감축 □ 피크기여도*를 감안한 목표설비(143.1GW)를 확보하였을 때, 전원별 설비 비중은 원전·LNG·신재생은 증가, 석탄은 감소 추세를 보인다. * 전력 피크수요 시간대에 설계상 설비용량 대비 실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의 비율 < 연도별 전원구성(실효용량 기준, 피크기여도 반영) 전망 (단위 : GW) > 연도 구분 원자력 석탄 LNG 신재생 양수 기타 계 2022 용량 24.7 37.7 41.2 5.4 4.7 1.1 114.8 비중 21.5% 32.8% 35.9% 4.7% 4.1% 1.0% 100% 2030 용량 28.9 31.7 57.8 10.3 5.2 0.5 134.4 비중 21.5% 23.6% 43.0% 7.7% 3.9% 0.3% 100% 2036 (하계) 용량 31.7 27.1 63.5 13.8 6.5 0.5 143.1 비중 22.1% 18.9% 44.4% 9.7% 4.5% 0.4% 100% 2036 용량 31.7 27.1 63.5 14.3 6.5 0.5 143.6 비중 22.0% 18.9% 44.2% 10.0% 4.5% 0.4% 100% * 기타는 유류, 폐기물, 부생가스 설비 등, ** ‘36년 최대전력은 하계에 발생 *** 신규설비 1.1GW의 발전원은 미정이나, 관례적으로 설비계획상 LNG로 잠정 반영 □ 실효용량 목표설비 143.1GW를 확보하기 위해 발전현장에 실제 설치되는 설비용량(정격용량)은 총 237.4GW이다. ㅇ 특히, 피크기여도가 낮은 신재생 설비는 ‘22년 28.9GW에서 ’30년 71.5GW, ‘36년 107.4GW(총 설비의 45.3%)로 큰 폭의 확대가 필요하며, ㅇ 재생에너지의 확대 수용을 위한 저장장치 등 유연성 백업설비 및 계통 안정화 설비의 신규 확충이 필요하다. < 전원별 설비용량 전망(정격용량, 연말기준) > < 원전 > < 석탄 > < LNG > < 신재생 > 온실가스 감축 원전·신재생 확대 등으로 ‘30년 NDC 배출목표 달성 □ 10차 전기본에 따르면 2030 NDC 상향안(‘21.10월)에서 제시한 전환 부문 온실가스 배출목표*(149.9백만톤) 달성이 가능할 전망이다. * ‘18년 전환부문 배출실적 269.6백만톤 → ’30년 배출목표 149.9백만톤(44.4% 감축) < 2030년 전원별 발전량 비중 전망 (단위 : TWh) > 원전 석탄 LNG 신재생 무탄소 기타 합계 9차 발전량 146.4 175.1 136.6 121.7 - 6.0 585.8 비중 25.0% 29.9% 23.3% 20.8% - 1.0% 100% NDC 상향안 발전량 146.4 133.2 119.5 185.2 22.1 6.0 612.4 비중 23.9% 21.8% 19.5% 30.2% 3.6% 1.0% 100% 10차 발전량 201.7 130.3 128.2 132.3 13.9 8.6 615.0 비중 32.8% 21.2% 20.9% 21.5% 2.3% 1.3% 100% * 무탄소 발전 반영 : (9차) 미반영, (NDC 상향안) 암모니아, (10차) 수소+암모니아 ㅇ 원전은 계속운전, 신규 원전 반영으로 발전량 비중 32.8%로 전망된다. ㅇ 신재생은 주민 수용성, 실현 가능성 등을 감안하여 합리적 수준인 21.5%로 조정 전망하였다. (NDC 상향안 30.2%, 9차 20.8%) ㅇ 수소·암모니아 혼소 발전은 현실적인 연료보급 수준과 기업의향을 최대한 반영하여 2.3%(수소 1.2%, 암모니아 1.1%)로 전망하였다. ㅇ 석탄은 가동정지, 상한제약(80%)를 적용하여 추가 감축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전력계통 원전‧신재생 확대를 적기 수용하기 위한 계통망 보강 추진 □ 신규 원전건설 및 계속운전,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 발전설비 계획 변화와 전력수요 증가를 반영한 전력망 건설을 확대한다. * 향후 절차를 거쳐 전력망 보강 수요를 구체화한 송‧변전설비 계획 수립 □ 재생에너지의 발전량 비중 20% 이상에 대비하여 유연하고 안정적인 전력망 체계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력시장 전력시장 다원화 등 추진 (일정은추후확정) □ 시장원리에 기반한 가격기능이 작동하도록 단계적 가격입찰로 전환하고, 수요측도 입찰하는 양방향 입찰제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 선도 계약시장을 개설하여 단일 시장의 리스크를 분산하고, 실시간 및 보조서비스 시장 등을 도입하는 등 전력시장을 다원화할 계획이다. □ 재생에너지 PPA가 가능한 규모 및 용도 제한을 완화하는 등 PPA 허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 전력시장·요금 및 규제 거버넌스의 독립성·전문성을 강화하여, 전력시장의 시장경쟁 여건을 조성할 예정이다. 향후 일정 후속절차를 거쳐 최종안 확정 □ 산업부는 금일 총괄분과위원회가 공개한 실무안을 기반으로 후속 절차*를 거쳐 제10차 전기본 확정을 추진한다. * 전기본 수립절차 : 총괄분과위 실무안 마련 → 전략환경영향평가 → 관계부처 협의 → 정부초안 마련 → 국회 상임위 보고 → 공청회 → 전력정책심의회 ㅇ 전략환경영향평가,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치고, 최신 경제성장률 및 기온 전망 등을 반영하여 정부 초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ㅇ 이후, 국회 상임위 보고·공청회 의견수렴 등 후속 절차를 진행하고, 전력 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참고 1 언론 브리핑 개요 □ (행사명)제10차전력수급기본계획총괄분과위실무안언론브리핑 □ (주최)총괄분과위원회 / (주관)전력거래소 □ (일시/장소) 8.30(화) 14:00~15:00(60분) /코엑스 307호 □ (목적)제10차전력수급기본계획주요내용브리핑 및 질의응답 □ (내용)제10차전력수급기본계획워킹그룹주요논의결과브리핑 □ (참석)브리핑발표자,패널(WG위원장등),언론사,행사관계자 순번 소 속 성 명 소속 분과 역 할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승훈 교수 총괄분과 발표자 ·패널위원 2 에너지경제연구원 이성인 박사 수요관리 패널위원 3 건국대학교 노재형 교수 신뢰도 패널위원 4 고려대학교 박호정 교수 전력정책·시장 패널위원 5 고려대학교 주성관 교수 신재생 패널위원 6 고려대학교 이병준 교수 전력망 패널위원 7 제주대학교 김세호 교수 제주소위 패널위원 8 전력거래소 김광호 처장 간사 패널위원 * 수요전망 분과는 유승훈 교수가 겸임 □ (진행순서)브리핑 → 언론사 질의 및 패널위원 답변 順 시 간 주요 내용 비 고 14:00~14:30 30‘ 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 주요 논의사항 브리핑 총괄분과위원장 14:30~15:00 30‘  질의응답 WG 위원장 등 참고 2 브리핑 말씀자료(총괄분과위위원장) 【인사 말씀 및 추진 경과】 안녕하십니까? 제10차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자문기구인 총괄분과위원회위원장을맡고있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유승훈교수입니다. 저희총괄분과위원회는 지난해 12월부터민간전문가워킹그룹을중심으로 33차례회의를통해 제10차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과관련한 주요사항들을검토·논의해왔습니다. 오늘그주요결과를여러분께 보고드리고자합니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전력수급의안정을위하여 전기사업법에따라수립하는행정계획입니다. 금번제10차전력수급기본계획의계획기간은 2022년부터 2036년까지로서 전력수급의장기전망, 전력수요관리, 발전및송변전설비계획에관한사항등을 주요내용으로포함하고있습니다. 그럼지금부터주요내용별로 상세히말씀드리겠습니다. 【전력수요 전망】 첫째, 전력수요전망입니다. 수요전망워킹그룹은 미래사회변화를반영하여수요전망체계를고도화하고, 경제성장률전망치, 중장기기온전망통계등을활용하여 전체계획기간(’22~’36년) 동안의전력수요를전망하였습니다. 수요전망워킹그룹에서 10차계획수요전망시 주요하게추진한사항들에대해말씀드리면, 먼저, 이번 10차계획에서는총수요전망체계로전환하였는데, 여기서총수요전망체계란, 자가용태양광등을포함한국가총수요를전망한뒤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대상이 되는 사업용 전력수요, 전력시장 내 전력수요를전망하는체계로서, 미래재생에너지증가에따른변동성확대에대응하기위해 수요전망체계를개선하였습니다. 그다음으로지난 8, 9차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유보한사항인 4차산업혁명의영향에대한검토도진행하였습니다. 검토결과, 4차산업혁명의영향중데이터센터는 4차산업혁명의핵심동인으로서, 최근증가추세가전망대비빠르게증가할것으로보고 이번 10차계획에서는 4차산업혁명의영향으로 데이터센터영향을반영하였습니다. 또한, 2030년 NDC 상향안및 2050년탄소중립목표달성을위한 전기화영향도검토하였는데, 전기화영향은글로벌기후정책평가모형인 GCAM-KAIST 모형을통해추정한결과에 불확실성을고려하여일부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전력수요전망에사용된주요변수를살펴보면, 먼저경제성장률과관련해 단기(’22~’25년)는기재부의전망치(2.7~3.1%)를 중장기(’26~’36년)는 KDI의 전망치(1.2~1.9%)를 적용하였습니 다. 중장기기온전망은 최근기상청에서발표한장기기후변화시나리오인 SSP 시나리오를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수요전망에사용된모형에대해말씀드리면, 수요전망워킹그룹은 지난 7~9차계획과동일하게 전력패널모형과거시모형을활용하였습니다. 먼저, 전력패널모형을설명드리자면 전세계 180여개국전력수요변화추세의분석결과를토대로, 1인당 GDP변화등에따른 전력소비량을도출하는모형입니다. 또한, 거시모형은 전력패널모형에서도출된전력소비량에 기온변화에따른변수를덧붙임으로써 최대전력을도출하는모형입니다. 이두가지분석모형및데이터센터영향, 전기화영향을통해, 2036년최대전력수요는 117.3GW로도출되었으며, (’36년기준수요 134.2GW, 수요관리량 : 16.9GW) 최대전력수요의연평균증가율은 1.4%로전망되었습니다. 이는지난 9차계획의 연평균증가율 1.1%보다 0.3%p 증가한수치입니다. 【수요관리 목표】 둘째, 수요관리목표에대해말씀드리겠습니다. 최근온실가스와미세먼지감축에대한 사회적관심이커짐에따라, 효율적인수요관리를통한전력수요절감의필요성이 어느때보다중요해지고있습니다. 이에, 수요관리워킹그룹은 기존수요관리수단의이행력을한층강화하는한편, 새롭고혁신적인수요관리수단도입을검토하였습니다. 에너지공급자효율향상의무화제도(EERS)의법제화, 현행에너지효율관리제도의강화는물론, 효율향상에대한교육, 홍보등소비자행동변화, 산업및건물부문효율관리강화등 신규수단도입으로수요관리를확대하기로하였습니다. 다만, 현재수요관리의세부목표량은산정중으로 이번언론브리핑에발표된수요관리량은제9차계획의 수요관리절감비율을준용하였습니다. 【발전설비 계획】 셋째, 발전설비계획에대해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금번 10차계획의기준설비예비율은 발전기정비나고장으로인한정지, 재생에너지의변동성대응, 수요예측오차, 그리고발전설비건설지연가능성을 종합적으로고려하여 지난 9차계획과동일한 22%로도출하였다는점을말씀드립니다. 또한, 원전비중확대와 합리적재생에너지보급목표수립을통해 실현가능하고균형잡힌전원믹스를정립하였고, 석탄발전의추가감축등 온실가스감축방안을검토하였습니다. 아울러, 재생에너지의확대수용을위한 저장장치등유연성백업설비및계통안정화설비를 신규확충할계획입니다. 그럼발전원별로구체적설비계획을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사업자의향에따라 원전은운영허가만료설비의계속운전과 신고리#5·6, 신한울#1~4의건설완료로 비중이확대될전망입니다. 2036년까지 12기(10.5GW)의 계속운전을추진하고 6기(8.4GW)는건설완료하여, 에너지안보및온실가스감축수단으로활용할예정입니다. 다음으로신재생에너지는 실현가능성, 주민수용성등을고려하여 합리적인보급목표를재정립하고, 2036년까지 107.4GW의설비를확보, 원전과함께에너지안보및탈탄소전원으로활용할예정입니다. 석탄발전은지난 9차계획에이어감축을확대할계획입니다. 2036년까지가동후 30년이도래하는 26기(13.7GW)를폐지, LNG 발전기로전환함으로써 안정적인전력수급과온실가스감축에기여할전망입니다. 이에따라, 2036년전체설비용량(하계)은 142.0GW(실효용량)로전망되며, 여기에 22%의기준설비예비율유지를위해서는 최종적으로 143.1GW의목표설비가필요할것으로전망됩니다. 이에대해서는 1.1GW의신규발전설비를확충함으로써 발전설비용량부족에대처할계획입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 달성 방안】 넷째, 2030년전환부문온실가스배출량목표달성방안입니다. 지난제9차계획(’20.12월)에서 2030년기준전환부문감축목표인 192.7백만톤달성을위한 온실가스감축방안을제시한바있습니다. 이후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상향안(’21.10월)에서 149.9백만톤의새로운온실가스목표와방안이제시되었습니다. 금번 10차계획에서는온실가스배출량목표는준수하되, 보다현실적인감축수단을마련하였습니다. 우선, 안전성확보를전제로 원전의계속운전을통해 2030년원전비중을확대하고, 신재생에너지는합리적보급목표를반영하여 실현가능성이높은온실가스감축방안을검토하였습니다. 또한, 지난 9차계획과같은방법으로 2030년기준설계수명 30년이도래한 노후석탄발전기 18기를폐지함으로써 온실가스감축을적극이행토록하겠습니다. 아울러, 남아있는 LNG와석탄설비에는 무탄소연료인수소와암모니아를혼소하여 화석연료총소비량을감축하는계획을마련하였습니다. 이러한감축방안에도불구하고, 전환부문온실가스감축이더필요한경우에는 추가적으로석탄발전제약운전을통해 온실가스감축목표를차질없이달성하도록하겠습니다. 【송‧변전설비 계획】 다섯번째, 송‧변전설비계획입니다. 이번, 제10차 계획에서는 선제적으로 전력망 보강 로드맵을 마련 하고, 각 워킹그룹간 상호 환류를 통해 발전설비계획 수립 등에 활용되도록하였습니다. 이 로드맵에는 원전 계속운전 및 신규 원전 수용을 위한 지역간 융통 송전선로 건설, 예측기반의 전력망 보강계획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송‧변전설비의 수용성을 제고하고 적기 안전건설을 위한 공정및사업관리를지속적으로개선해나아가겠습니다. 또한, 재생에너지수용성확대를위해 미래주력전원이될재생에너지의계통지원기능을강화하고, 유연성확보를위한계통운영기준을개선하는등여러가지 대응방안을준비하여적기보급에만전을기하도록하겠습니다. 이와함께, 주파수, 전압안정성확보를위해 관성등계통안정도 영향을평가하고, 동기조상기, ESS 등대응 자원별실효적이고비용효과적인확보방안도검토하였습니다. 【전력시장 개편방향】 마지막으로, 전력시장개편방안에대해말씀드리겠습니다. 시장원리에기반한가격기능이작동하도록 현전력시장의여건을고려하면서 단계적가격입찰로전환하고, 수요측도입찰하는양방향입찰제도입을추진할계획입니다. 최근에너지위기와같은비상상황에효율적으로 전력시장이대응할수있도록 선도계약시장을개설하여단일전력시장의리스크를분산하고 실시간시장및보조서비스시장등을도입하는등 전력시장을다원화할계획입니다. 또한, 재생에너지 PPA가가능한규모및용도제한을완화하는등 PPA 허용범위를점진적으로확대하고, 전력시장·요금및규제거버넌스의독립성·전문성을강화하여 전력시장의시장경쟁여건을조성할예정입니다. 【향후 계획】 여러분께서잘아시다시피 최근에너지공급위기및가격상승의영향속에서 해외주요국은에너지수급의안정성확보를위해 원전비중확대등에너지믹스정책을선회하고있습니다. 금번제10차전력수급기본계획은 글로벌에너지공급불안이지속됨에따라 에너지안보와탄소중립목표달성을위해서 원전과재생에너지을균형있게활용하는 실현가능한전원믹스를반영하였습니다. 금일발표한총괄분과위실무안을토대로, 조만간환경부와의전략환경영향평가협의가 시작될것으로알고있으며, 이후, 국회상임위보고·공청회의견수렴등 후속절차를진행하고, 전력정책심의회심의를거쳐최종확정될예정입니다. 이상으로 제10차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주요논의결과브리핑을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닫기
    • 0830(31조간 14시엠바고)전력산업정책과,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 실무안 공개(수정).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문화체육관광부 보 도 자 료 보도 일시 2022. 8. 30.(화) 14:00 < 8.31.(수) 조간 > 배포 일시 2022. 8. 30.(화) 담당 부서 전력혁신정책관 책임자 과 장 강감찬 (044-203-3880) 전력산업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박환준 (044-203-3886)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 실무안 공개 -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균형있게 활용하여 2030 NDC 목표 달성 → ‘30년 발전량 비중 : 원전 32.8%, 신재생 21.5%, 석탄 21.2% 등 □ 전기본 자문기구인 총괄분과위원회*(위원장 유승훈)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실무안을 8.30(화) 14시 언론브리핑을 통해 공개하였다. * 전력수요 예측 등을 위한 수요소위, 전력설비 계획 수립 등을 위한 설비소위와 이하 워킹그룹, 제주도 전력수급 계획 수립을 위한 제주수급 소위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분야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들 총 113명이 참여(‘21.12월 이후, 총 33회 회의 개최) ** 전기사업법 제25조에 따라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해 전력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전력설비와 전원구성을 설계하는 중장기(15년) 계획 (이하 전기본이라 함) 《 언론브리핑 개요 》 ‣ (일시) ’22.8.30.(화) 14:00 / ‣ (장소) 코엑스 307호 ‣ (주최) 총괄분과위원회 / ‣ (주관) 전력거래소 ‣ (참석) 총괄분과위 위원장 및 각 워킹그룹장, 언론사, 행사관계자 등 ※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다음의 작업을 수행한다. ① 15년(‘22~’36년)간의 연도별 최대전력(전력피크)을 기준수요로 전망하고, 수요관리 목표를 차감하여 목표수요를 산정 ② 목표수요에 기준 설비예비율(22%)을 반영하여 목표설비 산출 ③ 목표설비에서 발전설비 현황조사 등을 통해 조사된 확정설비를 차감하여 신규 필요설비 물량 도출 및 연도별 설비계획 수립 기준수요 전망 ⇨ 목표수요 산정 ⇨ 목표설비 산출 ⇨ 신규 필요설비 도출 ⇨ 설비계획 수립 ↑ ↑ ↑ 수요관리 기준 설비예비율 반영 목표설비에서 확정설비를 차감 ④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한다. ⑤ 전력계통, 전력시장 제도 개선 등도 포함한다. ※ 실무안 내용 및 수치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경제성장률 전망 등 최신 입력전제 반영, 전략환경영향평가, 관계부처 협의, 기타 의견수렴 절차 등을 통해 변경 가능 수요전망 ‘36년 최대전력 수요(목표수요)는 117.3GW로 전망 □ 모형 전망과 데이터센터 및 전기화 영향을 반영하여, ’36년 최대전력수요는 117.3GW로 도출되었다. (’22∼’36년 연평균 1.4% 증가) < 목표수요 기준 전력소비량과 최대전력 전망 > ‘23 ‘30 ‘34 ‘36 10차 전력소비량(TWh) 544.9 565.6 579.8 589.1 사업용 최대전력(GW) 98.2 109.0 114.4 117.3 전력시장 최대전력(GW) 92.5 103.4 109.1 112.1 9차 전력소비량(TWh) 525.1 542.3 554.8 - 전력시장 최대전력(GW) 94.2 100.4 102.5 - □ 우선, 10차 전기본은 태양광발전의 증가*에 따른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수요전망 체계를 총수요 전망체계로 전환하였다. * 태양광 설비(GW, ’18→‘21년) : (시장內)2.6→5.8, (PPA)4.6→13, (BTM)1.6→3.9(추정치) 9차 10차 사 업 용 < 전망체계 변경이유 > ‣ 전력시장外 태양광발전 증가 ‣ 자가용 태양광발전(BTM)은 수치 전망은 하지만, 사업용이 아니므로 설비계획에는 미반영 전력시장 內 전력시장 內 PPA PV PPA PV 자가용 PV 자가용 PV ㅇ 지난 전기본이 전력시장에서 시현되는 수요만을 전망하였다면, ㅇ 총수요 전망체계는 전력시장內 수요에 한전PPA, 자가용(BTM) 태양광을 포함한 총수요를 전망한 뒤, 자가용 발전량을 차감한 사업용 전력수요를 기준수요로 한 점에서 9차와 차이가 있다. * 한전PPA와 자가용 태양광발전은 전력시장 거래없이 한전과 직거래 또는 자체 소비되어 전력시장에서 전력수요를 상쇄하는 것으로 나타남 < 목표수요 도출식 > 목표수요 = 기준수요 (모형전망+4차산업혁명+전기화) - 수요관리량 * 9차 전기본의 수요관리 목표비율(12.6%) 적용, 최종 전망시 수요관리 목표 수정 □ 모형을 통한 수요전망은 지난 7~9차 계획과 동일한 전력패널 및 거시모형을 활용하고, 경제성장률 전망, 산업구조 변화, 인구 전망, 기온 데이터 등을 반영하여 전망치를 도출하였다. * (경제성장률) KDI·기재부, (산업구조) 산업연구원, (인구) 통계청, (기온) 기상청 전망 반영 □ 지난 8, 9차에서 반영을 유보한 4차 산업혁명 영향은 논의 결과, 데이터센터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인으로서 증가추세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검토되어 이를 중심으로 반영하고, ㅇ 또한, 탄소중립 달성 등을 위해 산업, 수송, 건물 등 각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기화 수요도 모형(GCAM-KAIST)을 통해 추정한 결과를 반영하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일부 반영하였다. 발전설비계획 ‘36년까지 목표설비(실효용량) 143.1GW 확보 필요 < 발전설비계획 수립 > 신규 필요설비 = 목표수요 × 기준 설비예비율 - 확정설비 ┗──── 목표 설비 ────┛ □ ‘36년 기준 목표설비 용량은 ’36년 목표수요인 117.3GW에 기준 설비예비율* 22%를 반영한 143.1GW로 산출되었다. * 목표수요 대응을 위해 정비, 고장, 수요변동, 건설지연 등을 감안하여 추가 필요한 설비 비율 □ ‘36년 기준 확정설비 용량은 설비 현황조사를 통해 운영중, 건설중, 폐지 예정 설비 등을 계산한 결과, 142.0GW(실효용량)로 전망되었다. ㅇ (원전) 사업자의 의향을 반영하여 ’36년까지 12기(10.5GW)의 계속운전*과 준공 예정 원전 6기(6기, 8.4GW)**를 반영하였다. * 계속운전 시행前 가동정지 기간 차등적으로 반영(최대 40개월, 최소 6개월) ** (’22∼’25년) 신한울#1‧2(2.8GW), 신고리#5‧6(2.8GW), (’32∼’33년) 신한울#3‧4(2.8GW) ㅇ (석탄) 석탄발전 감축기조를 유지하여, ‘36년까지 가동 후 30년이 도래하는 26기(13.7GW) 폐지를 반영하였다. ㅇ (LNG) 폐지되는 석탄발전 26기(13.7GW)의 LNG전환과 신규 5기(4.3GW) 예정 설비를 반영하였다. ㅇ (신재생) 사업자 계획조사에 기반하여 旣발전허가, 계획입지 등 실현 가능한 물량 수준으로 반영하였다. □ ’36년까지 신규 설비는 1.1GW(목표설비-확정설비)가 필요할 전망이다. 전원별 설비 비중 원전·LNG·신재생 확대, 석탄발전 감축 □ 피크기여도*를 감안한 목표설비(143.1GW)를 확보하였을 때, 전원별 설비 비중은 원전·LNG·신재생은 증가, 석탄은 감소 추세를 보인다. * 전력 피크수요 시간대에 설계상 설비용량 대비 실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의 비율 < 연도별 전원구성(실효용량 기준, 피크기여도 반영) 전망 (단위 : GW) > 연도 구분 원자력 석탄 LNG 신재생 양수 기타 계 2022 용량 24.7 37.7 41.2 5.4 4.7 1.1 114.8 비중 21.5% 32.8% 35.9% 4.7% 4.1% 1.0% 100% 2030 용량 28.9 31.7 57.8 10.3 5.2 0.5 134.4 비중 21.5% 23.6% 43.0% 7.7% 3.9% 0.3% 100% 2036 (하계) 용량 31.7 27.1 63.5 13.8 6.5 0.5 143.1 비중 22.1% 18.9% 44.4% 9.7% 4.5% 0.4% 100% 2036 용량 31.7 27.1 63.5 14.3 6.5 0.5 143.6 비중 22.0% 18.9% 44.2% 10.0% 4.5% 0.4% 100% * 기타는 유류, 폐기물, 부생가스 설비 등, ** ‘36년 최대전력은 하계에 발생 *** 신규설비 1.1GW의 발전원은 미정이나, 관례적으로 설비계획상 LNG로 잠정 반영 □ 실효용량 목표설비 143.1GW를 확보하기 위해 발전현장에 실제 설치되는 설비용량(정격용량)은 총 237.4GW이다. ㅇ 특히, 피크기여도가 낮은 신재생 설비는 ‘22년 28.9GW에서 ’30년 71.5GW, ‘36년 107.4GW(총 설비의 45.3%)로 큰 폭의 확대가 필요하며, ㅇ 재생에너지의 확대 수용을 위한 저장장치 등 유연성 백업설비 및 계통안정화 설비의 신규 확충이 필요하다. < 전원별 설비용량 전망(정격용량, 연말기준) > < 원전 > < 석탄 > < LNG > < 신재생 > 온실가스 감축 원전·신재생 확대 등으로 ‘30년 NDC 배출목표 달성 □ 10차 전기본에 따르면 2030 NDC 상향안(‘21.10월)에서 제시한 전환부문 온실가스 배출목표*(149.9백만톤) 달성이 가능할 전망이다. * ‘18년 전환부문 배출실적 269.6백만톤 → ’30년 배출목표 149.9백만톤(44.4% 감축) < 2030년 전원별 발전량 비중 전망 (단위 : TWh) > 원전 석탄 LNG 신재생 무탄소 기타 합계 9차 발전량 146.4 175.1 136.6 121.7 - 6.0 585.8 비중 25.0% 29.9% 23.3% 20.8% - 1.0% 100% NDC 상향안 발전량 146.4 133.2 119.5 185.2 22.1 6.0 612.4 비중 23.9% 21.8% 19.5% 30.2% 3.6% 1.0% 100% 10차 발전량 201.7 130.3 128.2 132.3 13.9 8.6 615.0 비중 32.8% 21.2% 20.9% 21.5% 2.3% 1.3% 100% * 무탄소 발전 반영 : (9차) 미반영, (NDC 상향안) 암모니아, (10차) 수소+암모니아 ㅇ 원전은 계속운전, 신규 원전 반영으로 발전량 비중 32.8%로 전망된다. ㅇ 신재생은 주민 수용성, 실현 가능성 등을 감안하여 합리적 수준인 21.5%로 조정 전망하였다. (NDC 상향안 30.2%, 9차 20.8%) ㅇ 수소·암모니아 혼소 발전은 현실적인 연료보급 수준과 기업의향을 최대한 반영하여 2.3%(수소 1.2%, 암모니아 1.1%)로 전망하였다. ㅇ 석탄은 가동정지, 상한제약(80%)를 적용하여 추가 감축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전력계통 원전‧신재생 확대를 적기 수용하기 위한 계통망 보강 추진 □ 신규 원전건설 및 계속운전,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 발전설비 계획 변화와 전력수요 증가를 반영한 전력망 건설을 확대한다. * 향후 절차를 거쳐 전력망 보강 수요를 구체화한 송‧변전설비 계획 수립 □ 재생에너지의 발전량 비중 20% 이상에 대비하여 유연하고 안정적인 전력망 체계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력시장 전력시장 다원화 등 추진 (일정은 추후 확정) □ 시장원리에 기반한 가격기능이 작동하도록 단계적 가격입찰로 전환하고, 수요측도 입찰하는 양방향 입찰제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 선도 계약시장을 개설하여 단일 시장의 리스크를 분산하고, 실시간 및 보조서비스 시장 등을 도입하는 등 전력시장을 다원화할 계획이다. □ 재생에너지 PPA가 가능한 규모 및 용도 제한을 완화하는 등 PPA 허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 전력시장·요금 및 규제 거버넌스의 독립성·전문성을 강화하여, 전력시장의 시장경쟁 여건을 조성할 예정이다. 향후 일정 후속절차를 거쳐 최종안 확정 □ 산업부는 금일 총괄분과위원회가 공개한 실무안을 기반으로 후속 절차*를 거쳐 제10차 전기본 확정을 추진한다. * 전기본 수립절차 : 총괄분과위 실무안 마련 → 전략환경영향평가 → 관계부처 협의 → 정부초안 마련 → 국회 상임위 보고 → 공청회 →전력정책심의회 ㅇ 전략환경영향평가,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치고, 최신 경제성장률 및 기온 전망 등을 반영하여 정부 초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ㅇ 이후, 국회 상임위 보고·공청회 의견수렴 등 후속 절차를 진행하고, 전력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참고 1 언론 브리핑 개요 □ (행사명)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 실무안 언론 브리핑 □ (주최) 총괄분과위원회 / (주관) 전력거래소 □ (일시/장소) 8.30(화) 14:00~15:00(60분) / 코엑스 307호 □ (목적)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주요 내용 브리핑 및 질의응답 □ (내용)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 주요 논의결과 브리핑 □ (참석) 브리핑 발표자, 패널(WG 위원장 등), 언론사, 행사관계자 순번 소 속 성 명 소속 분과 역 할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승훈 교수 총괄분과 발표자 ·패널위원 2 에너지경제연구원 이성인 박사 수요관리 패널위원 3 건국대학교 노재형 교수 신뢰도 패널위원 4 고려대학교 박호정 교수 전력정책·시장 패널위원 5 고려대학교 주성관 교수 신재생 패널위원 6 고려대학교 이병준 교수 전력망 패널위원 7 제주대학교 김세호 교수 제주소위 패널위원 8 전력거래소 김광호 처장 간사 패널위원 * 수요전망 분과는 유승훈 교수가 겸임 □ (진행순서) 브리핑 → 언론사 질의 및 패널위원 답변 順 시 간 주요 내용 비 고 14:00~14:30 30‘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 주요 논의사항 브리핑 총괄분과위원장 14:30~15:00 30‘ 질의응답 WG 위원장 등 참고 2 브리핑 말씀자료(총괄분과위 위원장) 【인사 말씀 및 추진 경과】 안녕하십니까?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자문기구인 총괄분과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승훈 교수입니다. 저희 총괄분과위원회는 지난해 12월부터 민간 전문가 워킹그룹을 중심으로 33차례 회의를 통해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과 관련한 주요사항들을 검토·논의해 왔습니다. 오늘 그 주요결과를 여러분께 보고 드리고자 합니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하여 전기사업법에 따라 수립하는 행정계획입니다. 금번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계획기간은 2022년부터 2036년까지로서 전력수급의 장기전망, 전력수요관리, 발전 및 송변전 설비계획에 관한 사항 등을 주요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주요 내용별로 상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전력수요 전망】 첫째, 전력수요 전망입니다. 수요전망 워킹그룹은 미래사회 변화를 반영하여 수요전망 체계를 고도화하고, 경제성장률 전망치, 중장기 기온전망 통계 등을 활용하여 전체 계획기간(’22~’36년) 동안의 전력수요를 전망하였습니다. 수요전망 워킹그룹에서 10차 계획 수요전망시 주요하게 추진한 사항들에 대해 말씀드리면, 먼저, 이번 10차 계획에서는 총수요 전망체계로 전환하였는데, 여기서 총수요 전망체계란, 자가용 태양광 등을 포함한 국가 총수요를 전망한 뒤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대상이 되는 사업용 전력수요, 전력시장 내 전력수요를 전망하는 체계로서, 미래 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수요전망 체계를 개선하였습니다. 그 다음으로 지난 8,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유보한 사항인 4차 산업혁명의 영향에 대한 검토도 진행하였습니다. 검토 결과, 4차 산업혁명의 영향 중 데이터센터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인으로서, 최근 증가추세가 전망 대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이번 10차 계획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데이터센터 영향을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2030년 NDC 상향안 및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전기화 영향도 검토하였는데, 전기화 영향은 글로벌 기후정책평가모형인 GCAM-KAIST 모형을 통해 추정한 결과에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일부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전력수요 전망에 사용된 주요 변수를 살펴보면, 먼저 경제성장률과 관련해 단기(’22~’25년)는 기재부의 전망치(2.7~3.1%)를 중장기(’26~’36년)는 KDI의 전망치(1.2~1.9%)를 적용하였습니다. 중장기 기온전망은 최근 기상청에서 발표한 장기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SSP 시나리오를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수요전망에 사용된 모형에 대해 말씀드리면, 수요전망 워킹그룹은 지난 7~9차 계획과 동일하게 전력패널 모형과 거시 모형을 활용하였습니다. 먼저, 전력패널 모형을 설명 드리자면 전세계 180여개국 전력수요 변화 추세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1인당 GDP변화 등에 따른 전력소비량을 도출하는 모형입니다. 또한, 거시모형은 전력패널 모형에서 도출된 전력소비량에 기온변화에 따른 변수를 덧붙임으로써 최대전력을 도출하는 모형입니다. 이 두 가지 분석 모형 및 데이터센터 영향, 전기화 영향을 통해, 2036년 최대전력수요는 117.3GW로 도출되었으며, (’36년 기준수요 134.2GW, 수요관리량 : 16.9GW) 최대전력수요의 연평균 증가율은 1.4%로 전망되었습니다. 이는 지난 9차 계획의 연평균 증가율 1.1%보다 0.3%p 증가한 수치입니다. 【수요관리 목표】 둘째, 수요관리 목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최근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감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짐에 따라, 효율적인 수요관리를 통한 전력 수요절감의 필요성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수요관리 워킹그룹은 기존 수요관리 수단의 이행력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새롭고 혁신적인 수요관리 수단 도입을 검토하였습니다. 에너지공급자 효율향상 의무화제도(EERS)의 법제화, 현행 에너지효율 관리제도의 강화는 물론, 효율향상에 대한 교육, 홍보 등 소비자 행동변화, 산업 및 건물 부문 효율관리 강화 등 신규 수단 도입으로 수요관리를 확대하기로 하였습니다. 다만, 현재 수요관리의 세부 목표량은 산정 중으로 이번 언론 브리핑에 발표된 수요관리량은 제9차 계획의 수요관리 절감 비율을 준용하였습니다. 【발전설비 계획】 셋째, 발전설비 계획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금번 10차 계획의 기준 설비예비율은 발전기 정비나 고장으로 인한 정지,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대응, 수요예측 오차, 그리고 발전설비 건설지연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난 9차 계획과 동일한 22%로 도출하였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또한, 원전 비중 확대와 합리적 재생에너지 보급목표 수립을 통해 실현 가능하고 균형잡힌 전원믹스를 정립하였고, 석탄발전의 추가 감축 등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검토하였습니다. 아울러, 재생에너지의 확대 수용을 위한 저장장치 등 유연성 백업설비 및 계통안정화 설비를 신규 확충할 계획입니다. 그럼 발전원별로 구체적 설비계획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사업자 의향에 따라 원전은 운영허가 만료 설비의 계속운전과 신고리#5·6, 신한울#1~4의 건설 완료로 비중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2036년까지 12기(10.5GW)의 계속운전을 추진하고 6기(8.4GW)는 건설 완료하여, 에너지 안보 및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다음으로 신재생에너지는 실현 가능성, 주민수용성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보급목표를 재정립하고, 2036년까지 107.4GW의 설비를 확보, 원전과 함께 에너지 안보 및 탈탄소 전원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석탄발전은 지난 9차 계획에 이어 감축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2036년까지 가동 후 30년이 도래하는 26기(13.7GW)를 폐지, LNG 발전기로 전환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수급과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2036년 전체설비용량(하계)은 142.0GW(실효용량)로 전망되며, 여기에 22%의 기준 설비예비율 유지를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143.1GW의 목표설비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1.1GW의 신규 발전설비를 확충함으로써 발전설비용량 부족에 대처할 계획입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 달성 방안】 넷째, 2030년 전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 달성 방안입니다. 지난 제9차 계획(’20.12월)에서 2030년 기준 전환부문 감축목표인 192.7백만톤 달성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이후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안(’21.10월)에서 149.9백만톤의 새로운 온실가스 목표와 방안이 제시되었습니다. 금번 10차 계획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는 준수하되, 보다 현실적인 감축 수단을 마련하였습니다. 우선,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원전의 계속운전을 통해 2030년 원전 비중을 확대하고, 신재생에너지는 합리적 보급목표를 반영하여 실현가능성이 높은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검토하였습니다. 또한, 지난 9차 계획과 같은 방법으로 2030년 기준 설계수명 30년이 도래한 노후석탄 발전기 18기를 폐지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을 적극 이행토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남아있는 LNG와 석탄 설비에는 무탄소 연료인 수소와 암모니아를 혼소하여 화석연료 총소비량을 감축하는 계획을 마련하였습니다. 이러한 감축방안에도 불구하고, 전환부문 온실가스 감축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석탄발전 제약운전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송‧변전설비 계획】 다섯번째, 송‧변전설비 계획입니다. 이번, 제10차 계획에서는 선제적으로 전력망 보강 로드맵을 마련하고, 각 워킹그룹간 상호 환류를 통해 발전설비계획 수립 등에 활용되도록 하였습니다. 이 로드맵에는 원전 계속운전 및 신규 원전 수용을 위한 지역간 융통 송전선로 건설, 예측기반의 전력망 보강계획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송‧변전설비의 수용성을 제고하고 적기 안전건설을 위한 공정 및 사업관리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아가겠습니다. 또한,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대를 위해 미래 주력전원이 될 재생에너지의 계통지원기능을 강화하고, 유연성 확보를 위한 계통 운영기준을 개선하는 등 여러 가지 대응방안을 준비하여 적기 보급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주파수, 전압 안정성 확보를 위해 관성 등 계통 안정도 영향을 평가하고, 동기조상기, ESS 등 대응자원별 실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확보방안도 검토하였습니다. 【전력시장 개편방향】 마지막으로, 전력시장 개편방안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시장원리에 기반한 가격기능이 작동하도록 현 전력시장의 여건을 고려하면서 단계적 가격입찰로 전환하고, 수요측도 입찰하는 양방향 입찰제 도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최근 에너지 위기와 같은 비상상황에 효율적으로 전력시장이 대응할 수 있도록 선도 계약시장을 개설하여 단일 전력시장의 리스크를 분산하고 실시간 시장 및 보조서비스 시장 등을 도입하는 등 전력시장을 다원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재생에너지 PPA가 가능한 규모 및 용도 제한을 완화하는 등 PPA 허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전력시장·요금 및 규제 거버넌스의 독립성·전문성을 강화하여 전력시장의 시장경쟁 여건을 조성할 예정입니다. 【향후 계획】 여러분께서 잘 아시다시피 최근 에너지 공급 위기 및 가격 상승의 영향 속에서 해외 주요국은 에너지수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원전 비중 확대 등 에너지믹스 정책을 선회하고 있습니다. 금번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글로벌 에너지 공급 불안이 지속됨에 따라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 원전과 재생에너지을 균형있게 활용하는 실현 가능한 전원믹스를 반영하였습니다. 금일 발표한 총괄분과위 실무안을 토대로, 조만간 환경부와의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가 시작될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후, 국회 상임위 보고·공청회 의견수렴 등 후속 절차를 진행하고, 전력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이상으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 주요논의 결과 브리핑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닫기
    • 0830(31조간 14시엠바고)전력산업정책과,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 실무안 공개(수정).hwp 미리보기
      미리보기

      문화체육관광부 보 도 자 료 보도 일시 2022. 8. 30.(화) 14:00 < 8.31.(수) 조간 > 배포 일시 2022. 8. 30.(화) 담당 부서 전력혁신정책관 책임자 과 장 강감찬 (044-203-3880) 전력산업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박환준 (044-203-3886)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 실무안 공개 -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균형있게 활용하여 2030 NDC 목표 달성 → ‘30년 발전량 비중 : 원전 32.8%, 신재생 21.5%, 석탄 21.2% 등 □ 전기본 자문기구인 총괄분과위원회*(위원장 유승훈)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실무안을 8.30(화) 14시 언론브리핑을 통해 공개하였다. * 전력수요 예측 등을 위한 수요소위, 전력설비 계획 수립 등을 위한 설비소위와 이하 워킹그룹, 제주도 전력수급 계획 수립을 위한 제주수급 소위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분야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들 총 113명이 참여(‘21.12월 이후, 총 33회 회의 개최) ** 전기사업법 제25조에 따라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해 전력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전력설비와 전원구성을 설계하는 중장기(15년) 계획 (이하 전기본이라 함) 《 언론브리핑 개요 》 ‣ (일시) ’22.8.30.(화) 14:00 / ‣ (장소) 코엑스 307호 ‣ (주최) 총괄분과위원회 / ‣ (주관) 전력거래소 ‣ (참석) 총괄분과위 위원장 및 각 워킹그룹장, 언론사, 행사관계자 등 ※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다음의 작업을 수행한다. ① 15년(‘22~’36년)간의 연도별 최대전력(전력피크)을 기준수요로 전망하고, 수요관리 목표를 차감하여 목표수요를 산정 ② 목표수요에 기준 설비예비율(22%)을 반영하여 목표설비 산출 ③ 목표설비에서 발전설비 현황조사 등을 통해 조사된 확정설비를 차감하여 신규 필요설비 물량 도출 및 연도별 설비계획 수립 기준수요 전망 ⇨ 목표수요 산정 ⇨ 목표설비 산출 ⇨ 신규 필요설비 도출 ⇨ 설비계획 수립 ↑ ↑ ↑ 수요관리 기준 설비예비율 반영 목표설비에서 확정설비를 차감 ④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한다. ⑤ 전력계통, 전력시장 제도 개선 등도 포함한다. ※ 실무안 내용 및 수치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경제성장률 전망 등 최신 입력전제 반영, 전략환경영향평가, 관계부처 협의, 기타 의견수렴 절차 등을 통해 변경 가능 수요전망 ‘36년 최대전력 수요(목표수요)는 117.3GW로 전망 □ 모형 전망과 데이터센터 및 전기화 영향을 반영하여, ’36년 최대전력수요는 117.3GW로 도출되었다. (’22∼’36년 연평균 1.4% 증가) < 목표수요 기준 전력소비량과 최대전력 전망 > ‘23 ‘30 ‘34 ‘36 10차 전력소비량(TWh) 544.9 565.6 579.8 589.1 사업용 최대전력(GW) 98.2 109.0 114.4 117.3 전력시장 최대전력(GW) 92.5 103.4 109.1 112.1 9차 전력소비량(TWh) 525.1 542.3 554.8 - 전력시장 최대전력(GW) 94.2 100.4 102.5 - □ 우선, 10차 전기본은 태양광발전의 증가*에 따른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수요전망 체계를 총수요 전망체계로 전환하였다. * 태양광 설비(GW, ’18→‘21년) : (시장內)2.6→5.8, (PPA)4.6→13, (BTM)1.6→3.9(추정치) 9차 10차 사 업 용 < 전망체계 변경이유 > ‣ 전력시장外 태양광발전 증가 ‣ 자가용 태양광발전(BTM)은 수치 전망은 하지만, 사업용이 아니므로 설비계획에는 미반영 전력시장 內 전력시장 內 PPA PV PPA PV 자가용 PV 자가용 PV ㅇ 지난 전기본이 전력시장에서 시현되는 수요만을 전망하였다면, ㅇ 총수요 전망체계는 전력시장內 수요에 한전PPA, 자가용(BTM) 태양광을 포함한 총수요를 전망한 뒤, 자가용 발전량을 차감한 사업용 전력수요를 기준수요로 한 점에서 9차와 차이가 있다. * 한전PPA와 자가용 태양광발전은 전력시장 거래없이 한전과 직거래 또는 자체 소비되어 전력시장에서 전력수요를 상쇄하는 것으로 나타남 < 목표수요 도출식 > 목표수요 = 기준수요 (모형전망+4차산업혁명+전기화) - 수요관리량 * 9차 전기본의 수요관리 목표비율(12.6%) 적용, 최종 전망시 수요관리 목표 수정 □ 모형을 통한 수요전망은 지난 7~9차 계획과 동일한 전력패널 및 거시모형을 활용하고, 경제성장률 전망, 산업구조 변화, 인구 전망, 기온 데이터 등을 반영하여 전망치를 도출하였다. * (경제성장률) KDI·기재부, (산업구조) 산업연구원, (인구) 통계청, (기온) 기상청 전망 반영 □ 지난 8, 9차에서 반영을 유보한 4차 산업혁명 영향은 논의 결과, 데이터센터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인으로서 증가추세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검토되어 이를 중심으로 반영하고, ㅇ 또한, 탄소중립 달성 등을 위해 산업, 수송, 건물 등 각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기화 수요도 모형(GCAM-KAIST)을 통해 추정한 결과를 반영하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일부 반영하였다. 발전설비계획 ‘36년까지 목표설비(실효용량) 143.1GW 확보 필요 < 발전설비계획 수립 > 신규 필요설비 = 목표수요 × 기준 설비예비율 - 확정설비 ┗──── 목표 설비 ────┛ □ ‘36년 기준 목표설비 용량은 ’36년 목표수요인 117.3GW에 기준 설비예비율* 22%를 반영한 143.1GW로 산출되었다. * 목표수요 대응을 위해 정비, 고장, 수요변동, 건설지연 등을 감안하여 추가 필요한 설비 비율 □ ‘36년 기준 확정설비 용량은 설비 현황조사를 통해 운영중, 건설중, 폐지 예정 설비 등을 계산한 결과, 142.0GW(실효용량)로 전망되었다. ㅇ (원전) 사업자의 의향을 반영하여 ’36년까지 12기(10.5GW)의 계속운전*과 준공 예정 원전 6기(6기, 8.4GW)**를 반영하였다. * 계속운전 시행前 가동정지 기간 차등적으로 반영(최대 40개월, 최소 6개월) ** (’22∼’25년) 신한울#1‧2(2.8GW), 신고리#5‧6(2.8GW), (’32∼’33년) 신한울#3‧4(2.8GW) ㅇ (석탄) 석탄발전 감축기조를 유지하여, ‘36년까지 가동 후 30년이 도래하는 26기(13.7GW) 폐지를 반영하였다. ㅇ (LNG) 폐지되는 석탄발전 26기(13.7GW)의 LNG전환과 신규 5기(4.3GW) 예정 설비를 반영하였다. ㅇ (신재생) 사업자 계획조사에 기반하여 旣발전허가, 계획입지 등 실현 가능한 물량 수준으로 반영하였다. □ ’36년까지 신규 설비는 1.1GW(목표설비-확정설비)가 필요할 전망이다. 전원별 설비 비중 원전·LNG·신재생 확대, 석탄발전 감축 □ 피크기여도*를 감안한 목표설비(143.1GW)를 확보하였을 때, 전원별 설비 비중은 원전·LNG·신재생은 증가, 석탄은 감소 추세를 보인다. * 전력 피크수요 시간대에 설계상 설비용량 대비 실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의 비율 < 연도별 전원구성(실효용량 기준, 피크기여도 반영) 전망 (단위 : GW) > 연도 구분 원자력 석탄 LNG 신재생 양수 기타 계 2022 용량 24.7 37.7 41.2 5.4 4.7 1.1 114.8 비중 21.5% 32.8% 35.9% 4.7% 4.1% 1.0% 100% 2030 용량 28.9 31.7 57.8 10.3 5.2 0.5 134.4 비중 21.5% 23.6% 43.0% 7.7% 3.9% 0.3% 100% 2036 (하계) 용량 31.7 27.1 63.5 13.8 6.5 0.5 143.1 비중 22.1% 18.9% 44.4% 9.7% 4.5% 0.4% 100% 2036 용량 31.7 27.1 63.5 14.3 6.5 0.5 143.6 비중 22.0% 18.9% 44.2% 10.0% 4.5% 0.4% 100% * 기타는 유류, 폐기물, 부생가스 설비 등, ** ‘36년 최대전력은 하계에 발생 *** 신규설비 1.1GW의 발전원은 미정이나, 관례적으로 설비계획상 LNG로 잠정 반영 □ 실효용량 목표설비 143.1GW를 확보하기 위해 발전현장에 실제 설치되는 설비용량(정격용량)은 총 237.4GW이다. ㅇ 특히, 피크기여도가 낮은 신재생 설비는 ‘22년 28.9GW에서 ’30년 71.5GW, ‘36년 107.4GW(총 설비의 45.3%)로 큰 폭의 확대가 필요하며, ㅇ 재생에너지의 확대 수용을 위한 저장장치 등 유연성 백업설비 및 계통안정화 설비의 신규 확충이 필요하다. < 전원별 설비용량 전망(정격용량, 연말기준) > < 원전 > < 석탄 > < LNG > < 신재생 > 온실가스 감축 원전·신재생 확대 등으로 ‘30년 NDC 배출목표 달성 □ 10차 전기본에 따르면 『2030 NDC 상향안』(‘21.10월)에서 제시한 전환부문 온실가스 배출목표*(149.9백만톤) 달성이 가능할 전망이다. * ‘18년 전환부문 배출실적 269.6백만톤 → ’30년 배출목표 149.9백만톤(44.4% 감축) < 2030년 전원별 발전량 비중 전망 (단위 : TWh) > 원전 석탄 LNG 신재생 무탄소 기타 합계 9차 발전량 146.4 175.1 136.6 121.7 - 6.0 585.8 비중 25.0% 29.9% 23.3% 20.8% - 1.0% 100% NDC 상향안 발전량 146.4 133.2 119.5 185.2 22.1 6.0 612.4 비중 23.9% 21.8% 19.5% 30.2% 3.6% 1.0% 100% 10차 발전량 201.7 130.3 128.2 132.3 13.9 8.6 615.0 비중 32.8% 21.2% 20.9% 21.5% 2.3% 1.3% 100% * 무탄소 발전 반영 : (9차) 미반영, (NDC 상향안) 암모니아, (10차) 수소+암모니아 ㅇ 원전은 계속운전, 신규 원전 반영으로 발전량 비중 32.8%로 전망된다. ㅇ 신재생은 주민 수용성, 실현 가능성 등을 감안하여 합리적 수준인 21.5%로 조정 전망하였다. (NDC 상향안 30.2%, 9차 20.8%) ㅇ 수소·암모니아 혼소 발전은 현실적인 연료보급 수준과 기업의향을 최대한 반영하여 2.3%(수소 1.2%, 암모니아 1.1%)로 전망하였다. ㅇ 석탄은 가동정지, 상한제약(80%)를 적용하여 추가 감축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전력계통 원전‧신재생 확대를 적기 수용하기 위한 계통망 보강 추진 □ 신규 원전건설 및 계속운전,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 발전설비 계획 변화와 전력수요 증가를 반영한 전력망 건설을 확대한다. * 향후 절차를 거쳐 전력망 보강 수요를 구체화한 송‧변전설비 계획 수립 □ 재생에너지의 발전량 비중 20% 이상에 대비하여 유연하고 안정적인 전력망 체계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력시장 전력시장 다원화 등 추진 (일정은 추후 확정) □ 시장원리에 기반한 가격기능이 작동하도록 단계적 가격입찰로 전환하고, 수요측도 입찰하는 양방향 입찰제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 선도 계약시장을 개설하여 단일 시장의 리스크를 분산하고, 실시간 및 보조서비스 시장 등을 도입하는 등 전력시장을 다원화할 계획이다. □ 재생에너지 PPA가 가능한 규모 및 용도 제한을 완화하는 등 PPA 허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 전력시장·요금 및 규제 거버넌스의 독립성·전문성을 강화하여, 전력시장의 시장경쟁 여건을 조성할 예정이다. 향후 일정 후속절차를 거쳐 최종안 확정 □ 산업부는 금일 총괄분과위원회가 공개한 실무안을 기반으로 후속 절차*를 거쳐 제10차 전기본 확정을 추진한다. * 전기본 수립절차 : 총괄분과위 실무안 마련 → 전략환경영향평가 → 관계부처 협의 → 정부초안 마련 → 국회 상임위 보고 → 공청회 →전력정책심의회 ㅇ 전략환경영향평가,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치고, 최신 경제성장률 및 기온 전망 등을 반영하여 정부 초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ㅇ 이후, 국회 상임위 보고·공청회 의견수렴 등 후속 절차를 진행하고, 전력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참고 1 언론 브리핑 개요 □ (행사명)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 실무안 언론 브리핑 □ (주최) 총괄분과위원회 / (주관) 전력거래소 □ (일시/장소) 8.30(화) 14:00~15:00(60분) / 코엑스 307호 □ (목적)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주요 내용 브리핑 및 질의응답 □ (내용)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 주요 논의결과 브리핑 □ (참석) 브리핑 발표자, 패널(WG 위원장 등), 언론사, 행사관계자 순번 소 속 성 명 소속 분과 역 할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승훈 교수 총괄분과 발표자 ·패널위원 2 에너지경제연구원 이성인 박사 수요관리 패널위원 3 건국대학교 노재형 교수 신뢰도 패널위원 4 고려대학교 박호정 교수 전력정책·시장 패널위원 5 고려대학교 주성관 교수 신재생 패널위원 6 고려대학교 이병준 교수 전력망 패널위원 7 제주대학교 김세호 교수 제주소위 패널위원 8 전력거래소 김광호 처장 간사 패널위원 * 수요전망 분과는 유승훈 교수가 겸임 □ (진행순서) 브리핑 → 언론사 질의 및 패널위원 답변 順 시 간 주요 내용 비 고 14:00~14:30 30‘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 주요 논의사항 브리핑 총괄분과위원장 14:30~15:00 30‘ 󰋯질의응답 WG 위원장 등 참고 2 브리핑 말씀자료(총괄분과위 위원장) 【인사 말씀 및 추진 경과】 안녕하십니까?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자문기구인 총괄분과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승훈 교수입니다. 저희 총괄분과위원회는 지난해 12월부터 민간 전문가 워킹그룹을 중심으로 33차례 회의를 통해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과 관련한 주요사항들을 검토·논의해 왔습니다. 오늘 그 주요결과를 여러분께 보고 드리고자 합니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하여 전기사업법에 따라 수립하는 행정계획입니다. 금번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계획기간은 2022년부터 2036년까지로서 전력수급의 장기전망, 전력수요관리, 발전 및 송변전 설비계획에 관한 사항 등을 주요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주요 내용별로 상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전력수요 전망】 첫째, 전력수요 전망입니다. 수요전망 워킹그룹은 미래사회 변화를 반영하여 수요전망 체계를 고도화하고, 경제성장률 전망치, 중장기 기온전망 통계 등을 활용하여 전체 계획기간(’22~’36년) 동안의 전력수요를 전망하였습니다. 수요전망 워킹그룹에서 10차 계획 수요전망시 주요하게 추진한 사항들에 대해 말씀드리면, 먼저, 이번 10차 계획에서는 총수요 전망체계로 전환하였는데, 여기서 총수요 전망체계란, 자가용 태양광 등을 포함한 국가 총수요를 전망한 뒤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대상이 되는 사업용 전력수요, 전력시장 내 전력수요를 전망하는 체계로서, 미래 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수요전망 체계를 개선하였습니다. 그 다음으로 지난 8,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유보한 사항인 4차 산업혁명의 영향에 대한 검토도 진행하였습니다. 검토 결과, 4차 산업혁명의 영향 중 데이터센터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인으로서, 최근 증가추세가 전망 대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이번 10차 계획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데이터센터 영향을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2030년 NDC 상향안 및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전기화 영향도 검토하였는데, 전기화 영향은 글로벌 기후정책평가모형인 GCAM-KAIST 모형을 통해 추정한 결과에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일부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전력수요 전망에 사용된 주요 변수를 살펴보면, 먼저 경제성장률과 관련해 단기(’22~’25년)는 기재부의 전망치(2.7~3.1%)를 중장기(’26~’36년)는 KDI의 전망치(1.2~1.9%)를 적용하였습니다. 중장기 기온전망은 최근 기상청에서 발표한 장기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SSP 시나리오를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수요전망에 사용된 모형에 대해 말씀드리면, 수요전망 워킹그룹은 지난 7~9차 계획과 동일하게 전력패널 모형과 거시 모형을 활용하였습니다. 먼저, 전력패널 모형을 설명 드리자면 전세계 180여개국 전력수요 변화 추세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1인당 GDP변화 등에 따른 전력소비량을 도출하는 모형입니다. 또한, 거시모형은 전력패널 모형에서 도출된 전력소비량에 기온변화에 따른 변수를 덧붙임으로써 최대전력을 도출하는 모형입니다. 이 두 가지 분석 모형 및 데이터센터 영향, 전기화 영향을 통해, 2036년 최대전력수요는 117.3GW로 도출되었으며, (’36년 기준수요 134.2GW, 수요관리량 : 16.9GW) 최대전력수요의 연평균 증가율은 1.4%로 전망되었습니다. 이는 지난 9차 계획의 연평균 증가율 1.1%보다 0.3%p 증가한 수치입니다. 【수요관리 목표】 둘째, 수요관리 목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최근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감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짐에 따라, 효율적인 수요관리를 통한 전력 수요절감의 필요성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수요관리 워킹그룹은 기존 수요관리 수단의 이행력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새롭고 혁신적인 수요관리 수단 도입을 검토하였습니다. 에너지공급자 효율향상 의무화제도(EERS)의 법제화, 현행 에너지효율 관리제도의 강화는 물론, 효율향상에 대한 교육, 홍보 등 소비자 행동변화, 산업 및 건물 부문 효율관리 강화 등 신규 수단 도입으로 수요관리를 확대하기로 하였습니다. 다만, 현재 수요관리의 세부 목표량은 산정 중으로 이번 언론 브리핑에 발표된 수요관리량은 제9차 계획의 수요관리 절감 비율을 준용하였습니다. 【발전설비 계획】 셋째, 발전설비 계획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금번 10차 계획의 기준 설비예비율은 발전기 정비나 고장으로 인한 정지,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대응, 수요예측 오차, 그리고 발전설비 건설지연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난 9차 계획과 동일한 22%로 도출하였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또한, 원전 비중 확대와 합리적 재생에너지 보급목표 수립을 통해 실현 가능하고 균형잡힌 전원믹스를 정립하였고, 석탄발전의 추가 감축 등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검토하였습니다. 아울러, 재생에너지의 확대 수용을 위한 저장장치 등 유연성 백업설비 및 계통안정화 설비를 신규 확충할 계획입니다. 그럼 발전원별로 구체적 설비계획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사업자 의향에 따라 원전은 운영허가 만료 설비의 계속운전과 신고리#5·6, 신한울#1~4의 건설 완료로 비중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2036년까지 12기(10.5GW)의 계속운전을 추진하고 6기(8.4GW)는 건설 완료하여, 에너지 안보 및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다음으로 신재생에너지는 실현 가능성, 주민수용성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보급목표를 재정립하고, 2036년까지 107.4GW의 설비를 확보, 원전과 함께 에너지 안보 및 탈탄소 전원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석탄발전은 지난 9차 계획에 이어 감축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2036년까지 가동 후 30년이 도래하는 26기(13.7GW)를 폐지, LNG 발전기로 전환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수급과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2036년 전체설비용량(하계)은 142.0GW(실효용량)로 전망되며, 여기에 22%의 기준 설비예비율 유지를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143.1GW의 목표설비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1.1GW의 신규 발전설비를 확충함으로써 발전설비용량 부족에 대처할 계획입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 달성 방안】 넷째, 2030년 전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 달성 방안입니다. 지난 제9차 계획(’20.12월)에서 2030년 기준 전환부문 감축목표인 192.7백만톤 달성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이후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안(’21.10월)에서 149.9백만톤의 새로운 온실가스 목표와 방안이 제시되었습니다. 금번 10차 계획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는 준수하되, 보다 현실적인 감축 수단을 마련하였습니다. 우선,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원전의 계속운전을 통해 2030년 원전 비중을 확대하고, 신재생에너지는 합리적 보급목표를 반영하여 실현가능성이 높은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검토하였습니다. 또한, 지난 9차 계획과 같은 방법으로 2030년 기준 설계수명 30년이 도래한 노후석탄 발전기 18기를 폐지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을 적극 이행토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남아있는 LNG와 석탄 설비에는 무탄소 연료인 수소와 암모니아를 혼소하여 화석연료 총소비량을 감축하는 계획을 마련하였습니다. 이러한 감축방안에도 불구하고, 전환부문 온실가스 감축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석탄발전 제약운전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송‧변전설비 계획】 다섯번째, 송‧변전설비 계획입니다. 이번, 제10차 계획에서는 선제적으로 전력망 보강 로드맵을 마련하고, 각 워킹그룹간 상호 환류를 통해 발전설비계획 수립 등에 활용되도록 하였습니다. 이 로드맵에는 원전 계속운전 및 신규 원전 수용을 위한 지역간 융통 송전선로 건설, 예측기반의 전력망 보강계획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송‧변전설비의 수용성을 제고하고 적기 안전건설을 위한 공정 및 사업관리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아가겠습니다. 또한,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대를 위해 미래 주력전원이 될 재생에너지의 계통지원기능을 강화하고, 유연성 확보를 위한 계통 운영기준을 개선하는 등 여러 가지 대응방안을 준비하여 적기 보급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주파수, 전압 안정성 확보를 위해 관성 등 계통 안정도 영향을 평가하고, 동기조상기, ESS 등 대응자원별 실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확보방안도 검토하였습니다. 【전력시장 개편방향】 마지막으로, 전력시장 개편방안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시장원리에 기반한 가격기능이 작동하도록 현 전력시장의 여건을 고려하면서 단계적 가격입찰로 전환하고, 수요측도 입찰하는 양방향 입찰제 도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최근 에너지 위기와 같은 비상상황에 효율적으로 전력시장이 대응할 수 있도록 선도 계약시장을 개설하여 단일 전력시장의 리스크를 분산하고 실시간 시장 및 보조서비스 시장 등을 도입하는 등 전력시장을 다원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재생에너지 PPA가 가능한 규모 및 용도 제한을 완화하는 등 PPA 허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전력시장·요금 및 규제 거버넌스의 독립성·전문성을 강화하여 전력시장의 시장경쟁 여건을 조성할 예정입니다. 【향후 계획】 여러분께서 잘 아시다시피 최근 에너지 공급 위기 및 가격 상승의 영향 속에서 해외 주요국은 에너지수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원전 비중 확대 등 에너지믹스 정책을 선회하고 있습니다. 금번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글로벌 에너지 공급 불안이 지속됨에 따라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 원전과 재생에너지을 균형있게 활용하는 실현 가능한 전원믹스를 반영하였습니다. 금일 발표한 총괄분과위 실무안을 토대로, 조만간 환경부와의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가 시작될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후, 국회 상임위 보고·공청회 의견수렴 등 후속 절차를 진행하고, 전력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이상으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 주요논의 결과 브리핑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닫기
  • ‘디자인, 혁신을 주도하다 : 탄소중립’「디자인코리아 2021 개최」 2021-10-06

    6개 기업이 수상함 웨이브 아르떼뮤지엄     ② GD상품 시상에서는 오스템임플란트의 치과용 진료의자 K5 유니트체어가 대통령상을 삼성전자 비스포크 큐브 TM Air와 아르펠의 전동식 높이조절 세면대가 국무총리상을 받음 대통령상   오스템임플란트(주) K5 유니트체어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으로 환자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의사의 시술 편의를 제고한 치과용 진료의자 국무총리상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스포크 큐브™ Air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공간에 맞게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국무총리상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참고자료

    • 1006(7조간)엔지니어링디자인과, 디자인, 혁신을 주도하다 탄소중립 디자인코리아 2021 개최.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 1 - 보 도 자 료 http://www.motie.go.kr 2021년 10월 7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0.6일(수) 오전 11시 이후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21. 10. 6(수) 담당부서 엔지니어링디자인과 담당과장 장근무 과장 (044-203-4550) 담 당 자 지영 사무관 (044-203-4552) ‘디자인, 혁신을 주도하다 : 탄소중립’「디자인코리아 2021 개최」 - 디자인으로 산업 혁신을 주도하는 국제적 디자인 비즈니스 플랫폼 - 대한민국디자인대상·우수디자인상품선정 시상 및 수상작 전시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가 주최하는 대한민국 대표 디자인 종합 박람회인「디자인코리아 2021」이 10.6(수) 부터 10.10(일) 까지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개최됨 ㅇ ‘디자인, 혁신을 주도하다 : 탄소중립’을 주제로 국내외 디자인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디자인 생태계를 모색하고 디자인의 사회경제적 역할을 조망함 ㅇ 디자인 비즈니스 매칭 프로그램, 디자인 스타트업 피칭, 주니어 디자이너 잡매칭 등 디자인 생태계의 건강한 선순환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며,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오프라인 실물 전시와 온라인(designkorea.kidp.or.kr) 가상 전시를 함께 운영함 □ (구성) 디자인 비지니스, 디자인 스타트업, 디자인 잡페어 등 온· 오프라인 전시관이 운영되며 690여개 기업이 참여하고 약 2,000여점의 제품 등이 전시됨 ㅇ 탄소 중립 주제에 맞는 대·중견기업 혁신 제품 50점, 우수디자인기업 및 스타트업 100개 기업, 우수디자인 선정 상품 80점, 대한민국디자인 전람회 수상작 80점, 정부사업을 통한 성과물 300여점 등을 볼 수 있음  디자인 비즈니스 주제관은 탄소중립 주제에 맞는 대·중견기업 및 해외기업 등의 혁신상품 전시를 통해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함 - 2 - < 디자인 비즈니스 주제관 > 오래된 대자연을 다시 경험하다: 디지털 경험 지속가능한 움직임: 모빌리티 착한 에너지: 에너지 효율 Flower, Jungle, Wave를 통해 탄소중립의 방향과 인류가 회복해야 할 자연을 경험 전기차로 태어난 헤리티지로 포니내연기관의 퇴장과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탄생의 변곡점을 경험 사물인터넷으로 주거공간의 에너지 사용을 제어하는 ‘스마트 홈 시스템’ ‚ 디자인 비지니스 기업관은 대한민국의 디자인 생태계를 주도하는 디자인 선도기업, 우수디자인(GD) 수상 상품 및 기업 등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B2B 비즈니스 매칭 등을 지원함 < 디자인 비즈니스 기업관 참가 기업 > 19 Celsius 가습기 Serration 토스터기, 전기주전자 LG gram Black Label 마우스 ㈜세컨드화이트社 파운드파운디드社 제이디자인웍스社 급변하는 현대 사회속에서 본질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디자인 에이전시로 한국과 중국을 시작으로 미국 유럽으로 진출 중 브랜딩, 기획, 디자인에서부터 개발, 제품 양산까지 모든 프로세스를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기업 아름답고 기능적인, 다르지만 친근한 그리고 고급스럽고 경제적인 접점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와 디자인을 하는 기업 ƒ 디자인 스타트업은 우수디자인 아이디어(상품)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및 바이어 연계 등으로 디자인 비즈니스 창출을 지원 < 디자인 비즈니스 스타트업 참가 기업 > 마스크 살균케이스·광촉매 마감재 올리데이 카고 전기 자전거 랩엠제로社 루플社 에코브社 특수 소재를 연구하여 마스크 살균케이스, 광촉매 실내 마감재 등을 디자인하는 제품디자이너와 소재연구원으로 이루어진 전문가 그룹 빛(Lux)과 사람(People)의 합성어로 행동인식 기반의 인공지능을 통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내장형 라이트·헬스케어 스타트업 자동차 생산 설비를 통해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디자인설계 제작 생산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기업 - 3 - „ 디자인 잡페어는 디자인대학 졸업(예정)자 및 미취업 디자이너의 취업활동 지원을 위한 쇼케이스 전시 및 지원 프로그램 등을 운영 < 디자인 잡페어 참가 학생 작품> 박재형 90º 김다빈 Dyson Sky 안해든 종묘대제 자투리 공간에 맞게 블루투스 스피커와 사이드 테이블을 결합한 가구 디자인 프로펠러 없이 조용하고 안전하게 비행하는 차세대 수직이착륙 공중이동 수단 유네스코 인류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종묘대제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 (시상식) 디자인의 가치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디자인 활용 확산을 위한 ‘대한민국디자인대상’과 ‘우수디자인(Good Design)상품선정’ 시상식도 개최됨 ① 디자인을 통한 창의적 경영으로 국가산업 발전에 공헌한 개인과 우수단체에게 수여되는 대한민국디자인대상 시상에서는, ㅇ 최고상인 은탑산업훈장은 제네시스(G80, GV80 등) 브랜드에 대한 디자인철학을 재정립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한단계 끌어올린 현대자동차(주) 이상엽 전무가 수상함 현대자동차㈜ 이상엽 전무 대표 작품명 : G80, GV80, GV70 ㅇ 제네시스와 현대 브랜드의 디자인철학 재정립 및 독자적 정체성을 구축하여 브랜드 가치제고와 성장을 도모 ㅇ 산업포장은 다양한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차별화된 감성적 디자인으로 세계시장에 K-뷰티의 혁신적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는 ㈜코리아나화장품 유학수 대표이사에게 돌아감 - 4 - ㈜코리아나화장품 유학수 대표이사 대표 작품명 : 라비다 ㅇ 세계 최초로 “셀 신호전달” 개념을 도 입한 스마트 스킨 사이언스 브랜드로 다수의 국제 디자인어워드 수상과 베 스트셀러 제품의 백신 후원 캠페인을 통해 지속적인 소통과 나눔을 실천하 고 있는 브랜드 ㅇ 근정포장은 대한민국국회, 서울해치브랜드, 순천만국제정원 박람회, 인천아시안게임 2014, 국가통합인증마크(KC) 등 기획 및 총괄책임자로 다수의 정부 및 지자체 브랜드 개발에 기여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은실 교수가 수상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은실 교수 ㅇ 디자인전문기업에서의 실무 경험을 기반으로 아이덴티티 디자인 교육에 헌신하고 정부, 지자체, 기업의 아이덴티티 개발로 국가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기여 ㅇ 대통령표창은 디지털 실감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공간경험 디자인을 선도하고 있는㈜디스트릭트홀딩스를 비롯해 총 6개 기업이 수상함 웨이브 아르떼뮤지엄 - 5 - ② GD상품 시상에서는 오스템임플란트의 치과용 진료의자 K5 유니트 체어가 대통령상을 삼성전자 비스포크 큐브 TM Air와 아르펠의 전동식 높이조절 세면대가 국무총리상을 받음 대통령상 오스템임플란트(주) K5 유니트체어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으로 환자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의사의 시술 편의를 제고한 치과용 진료의자 국무총리상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스포크 큐브™ Air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공간에 맞게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국무총리상 아르펠 전동식높이조절 세면대 간단한 터치 조작으로 다양한 신장과 신체에 맞게 세면대 위치 조절 □ (기타 행사) 국제컨퍼런스 및 세미나, 국내 대표 온라인몰(SSG.com)을 통한 디자인코리아 참가 상품 기획전 운영, 국내외 바이어 미팅 등이 온라인을 통해 진행됨 ㅇ (컨퍼런스) 현대자동차 이상엽 전무, TED 강연으로 유명한 레일라 아카로글루(Leyla Acaroglu) 등 국내외 디자인 전문가들이 ‘디자인, 지속가능성을 향하여(Design toward Sustainability)’를 주제로 미래 환경과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디자인 사례와 관점에 대한 강연 진행 ㅇ (디자인업계 간담회) 디지털화, 탄소중립 등 최근의 산업 트렌드에 걸맞는 디자인산업계의 새로운 역할 등에 대해 논의 - 박진규 산업부 제1차관, 대·중소기업 디자인 임원, 디자인전문기업 대표, 디자인기업협회장 등 10명 내외 참석 □ 이날 행사를 주최한 산업통상자원부의 박진규 차관은 지금의 시장 트렌드는 감성적 가치가 더해진 고객 맞춤형 제품과 서비스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역할은 더욱 중요 해지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ㅇ 정부는 디자인이 우리 산업의 혁신을 이끌수 있도록 디자인 산업계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힘 - 6 - 붙임1 「디자인코리아 2021」 개요 ◇’03년부터한국디자인의우수성홍보와디자인韓流의국제적확산, 디자인분야비즈니스창출및성과확산을위해매년개최 □ (주요행사 구성) ① 디자인 비즈니스 ② 디자인 스타트업 ③ 디자이너 잡페어 ㅇ 장소 : aT센터(양재동) / 기간 : 10.6(수) ~ 10.10(일) ㅇ 행사 형태 :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전시 《프로그램구성》 ㅇ【비즈니스】주제관(탄소중립주제에맞는대중견기업혁신상품전시),우수디자인기업관, 우수디자인(GD)상품등바이어매칭및비즈니스지원 ㅇ【스타트업】디자인스타트업기업관,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수상작피칭대회등디자인 아이디어의상품화연계및사업화지원 ㅇ【잡페어】대학졸업생및미취업영디자이너대상디자이너쇼케이스전시및취업 매칭,취업컨설팅등지원프로그램운영 ㅇ【컨퍼런스】국제컨퍼런스및세미나등을통해최신디자인트렌드공유확산 ① (비즈니스) “디자인 혁신을 주도하다: 탄소 중립”을 주제로 한국을 대표하는 대·중견기업 디자인혁신 사례와 디자인우수기업관 등으로 구성 ㅇ【주제관】‘디자인혁신을주도하다:탄소중립’이란주제로지속가능한사회를위해산업 전반에걸친디자인혁신사례및디자인의주도적역할을조명 ㅇ【디자인선도기업관】자체상품보유디자인전문회사,디자인우수기업의비즈니스매칭지원 ㅇ【우수디자인(GD)상품수상상품관】2021년도에선정된우수디자인상품수상상품전시 - 대한민국디자인대상, 우수디자인(GD)상품선정, 코리아+스웨덴 영 디자인 어워드 시상식 및 국제컨퍼런스, 세미나 등 진행 * COVID-19 방역 지침 및 사회적 거리두기에 맞춰 오프라인(양재동 aT센터) 전시 개최 * 웨비나, SNS를 통해 실시간 중계 및 주제관은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VR(실사) 전시 추진 ② (스타트업) 우수디자인 아이디어(상품)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및 바이어 연계 등 신규 디자인 비즈니스 창출을 지원 - 우수디자인 아이디어(상품) 전시 및 국내·외 바이어 온·오프라인 상담회 개최,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수상상품 피칭대회 개최 등 비즈니스 지원 ③ (잡페어) 디자인대학 졸업(예정)자 및 미취업 청년 디자이너들의 취업 활동 지원을 위한 쇼케이스 전시 및 지원 프로그램 운영 - 디자이너 쇼케이스 전시, 디자이너 및 기업간 취업 매칭, 취업 컨설팅 등 진행 - 7 - 붙임2 대한민국디자인대상 수상자 현황 훈 격 소속/성명/직위 사 진 공 적 요 지 은탑 산업훈장 현대자동차(주) 이상엽 전무 제네시스, G80, GV80 등 브랜드에 대한 디자인 철학을 재정립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이미지를 한단계 끌어올림 산업 포장 ㈜코리아나화장품 유학수 대표 다양한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차별화된 감성적 디자인으로 세계시장에 K-뷰티의 혁신적 디자인을 선보임 근정 포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은실 교수 대한민국국회, 서울해치브랜드, 순천만국제정원 박람회, 인천아시안게임 2014, 국가통합인증마크 (KC) 등 기획 및 총괄책임자로 정부 및 지자체 브랜드 개발에 기여 대통령 표창 ㈜아모레퍼시픽 40여 브랜드 및 기업 활동 전반에서 디자인경영 실천 으로 대한민국의 건축, 제품, 공간, 서체, 출판, 지속 가능 디자인 및 문화 발전에 기여함 대통령 표창 ㈜디스트릭트홀딩스 실감콘텐츠 디자인 산업에서 혁신적이고 선도 적인 결과물을 선보이며 지속 가능한 디자인 경영을 실천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며 산업 발전에 기여해 옴 대통령 표창 ㈜이지위드 기술과 디자인의 융합 제품인 피지컬미디어의 국산화 성공으로 시장 개척과 확장에 기여 대통령 표창 ㈜제이디자인웍스 디자인 컨설팅 사업 뿐 아니라 자체 브랜드 제품 개발을 통해 디자인 산업의 경계를 확대함 * ㈜인바디의 인바디 시리즈 디자인으로 매출액 1,000억 달성에 기여 대통령 표창 경상북도청 ‘공공디자인 혁신’과 ‘지역 디자인 산업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디자인 프로젝트 진행하는 등 디자인 저변 확대에 기여 대통령 표창 광주광역시 북구청 ‘삶과 도시를 바구는 힘, 디자인’의 정책이념을 바탕 으로 지역경제, 도시재생 등 구정 전반에 디자인정책 중점 실현 국무 총리 표창 ㈜보국전자 생활가전 전문기업으로 난방침구 시장 점유율 국내 1위 기업으로 2015 월드스타기업, 2017 디자인 혁신기업 100, 2018 스타기업 100에 선정 - 8 - 훈 격 소속/성명/직위 사 진 공 적 요 지 국무 총리 표창 ㈜국순당 ‘전통을 오늘에 맞게’라는 가치 중심의 디자인 경영으로 약주 및 막걸리 시장 성장을 주도, 전 세계 50여개국에 수출 국무 총리 표창 ㈜시트러스디자인 국내외 기업의 제품, 운송, 환경, 시각 디자인과 디자인 전략기획을 아우르는 토탈 디자인 컨설팅 제공으로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디자인 경쟁력 향상에 기여 국무 총리 표창 ㈜코리아세븐 세계최초 Hand-pay 결재 무인컨셉의 스마트 편의점 1호점(2017년)을 오픈하여 유통업계에 무인 편의점의 미래형 모델을 선도 국무 총리 표창 ㈜디자인뮤컴퍼니 국내 대중소기업 디자인 컨설팅 및 선행디자인 개발 수행, 9년 연속 우수디자인기업 선정, 국내외 디자인 어워드 다수 수상 등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 기여 국무 총리 표창 모트 UX연구를 기반으로 Total design solution 제공, 웹, 멀티미티어, IT, 메디컬, 모바일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주도하여 융합기술을 선도하는 디자인 전문기업 국무 총리 표창 광명시청 1996년 광명시이미지형성관리규정 제정, 경관 및 공공디자인 조례, 지침 등의 마련으로 정돈된 도시 디자인 형성에 기여 산업부 장관표창 광주디자인진흥원 홍건영 팀장 지역디자인산업의 진흥을 위해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개발, 디자인 개발 지원, 인력양성과 일자리 창출, 각종 디자인 관련 국내외 행사 등 디자인 산업 발전에 기여 산업부 장관표창 아이데틱코리아 정성민 대표 10년간 미·한·중 디자인법인 운영, 150억이상 해외매출달성, 17건 글로벌어워드 수상, 아태 지역내 한국계 디자인법인 창업 및 투자 지원으로 산업 발전에 기여 산업부 장관표창 가디언 이상원 대표 대전지역 최초의 제품디자인 공인전문회사를 설립으로 지역디자인 전문회사의 초석역할과 24년간 350여 중소벤처기업의 디자인개발 프로젝트 수행 산업부 장관표창 한국디자인진흥원 박익기 팀장 국내 최초로 디자인공지증명제도 시행의 기초 수립, 디자인 용역 표준계약서 제정, 디자인 분쟁조정위원회를 구성 운영 하는 등 디자인 권리보호에 기여 - 9 - 훈 격 소속/성명/직위 사 진 공 적 요 지 산업부 장관표창 한국디자인진흥원 윤홍남 팀장 디자인 R&D 및 기업지원을 통해 중소·중견기업 디자인 역량강화, 디자이너 일자리 창출, 디자인 분야 최초 국가기술자격 검정 제도를 운영(‘20년) 산업부 장관표창 오롬 주식회사 대한민국 정통 프리미엄 문구 브랜드로서 기업 부설연구소 설립을 통해 우수한 디자인 상품을 개발하고 디자인 전문 인력 양성에 기여 산업부 장관표창 주식회사 씨.월드 접이식의자 전문제조업체로 공간활용에 뛰어난 접이식의자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투자를 통해 약 30여건의 특허 출원 및 디자인상 다수 수상 산업부 장관표창 ㈜어뎁션 국내 중소 제조기업들의 디자인 역량 강화 비전을 제시, 인공지능 분야에서 선도적 디자인기업으로의 역량을 제고하는데 기여 산업부 장관표창 주식회사 아이엘 사이언스 세계최초 LED조명용 실리콘렌즈개발 등 IT기술이 기반된 디자인으로 사회적문제(미세먼지, 살균, 헬스 케어) 해결방안 제시 등 IOT 기반 친환경 융합제품 활성화에 기여 산업부 장관표창 ㈜하림펫푸드 반려동물 식문화를 재정의하기 위해 ‘17년 설립, ’20년 매출은 첫해 대비 약 8.5배 성장, ‘18년 ‘미국건축가협회상’을 시작으로 해외유명 어워드 에서 13개 수상 산업부 장관표창 주식회사 엠아이제이 세계최초 유양돌기형 골전도 헤드셋 개발로 약 50여건의 출원과 글로벌IP스타기업으로 선정 산업부 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국내 고출력 레이저 장비 업체로 디자인 불모지인 공작기계 업계에서 한국 레이저 가공기업체 최초로 굿디자인 어워드에 6년 연속 선정, 해외유명 어워드 선정 산업부 장관표창 ㈜메이데이파트너스 디지털 기반의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으로 국내외 기업의 온라인마케팅, 컨설팅, 멀티미디어, 디자인 등 최근 5년간 약 100개 기업, 200개 프로젝트진행 산업부 장관표창 의정부시청 공공디자인진흥조례제정,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가이드라인 제정, 유니버설디자인・경관디자인 계획, 도시디자인 매뉴얼 제작 등 디자인정책 추진으로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 - 10 - 붙임3 우수디자인상품 수상작 현황 수상내역 기 업 명 상 품 명 상품설명 이미지 대상 (Grand Prize) 대통령상 오스템 임플란트(주) K5 유니트체어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으로 환자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치과의사의 시술 편의 및 효율을 높여 진료의 정확성을 극대화한 치과 전문 의료기기 금상 (Gold Prize) 국무총리상 삼성전자 주식회사 BESPOKE 큐브™ Air (공기청정기)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공간이 가진 성격에 맞춰 전면 디자인 선택이 가능하며 모듈식으로 공간의 크기에 따라 분리·결합 하여 사용 가능 아르펠 전동식 높이조절 세면대 성인, 어린이, 노약자, 휠체어 사용자 등이 간단한 터치 조 작으로 원하는 최적의 높이로 세면대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높이조절 세면대 은상 (Silver Prize)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엘지전자(주) LG 클로이 안내 보안 로봇 2.0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 제공과 광고 홍보 역할을 수행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가 적용 된 로봇 삼성전자 주식회사 BESPOKE 제트 거치와 충전기능을 동시에 적용 하고 슬림한 브러쉬를 통해 무게를 가볍게 한 청소기이자 인테리어 소품 삼성전자 주식회사 갤럭시 워치 4 사용자의 활동량, 운동 등 건강 관련 개인 생체정보를 자동/ 기록, 스마트폰과 연동된 앱을 통해 분석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WATCH 엘지전자(주) 스탠바이미 어떤 자세에서도 콘텐츠를 감상 할 수 있도록 제작된 디스 플레이, 근거리 콘텐츠 감상에 최적화 삼성전자 주식회사 QN900A, Neo QLED 8K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의 매우 얇은 테두리의 ‘인피니티 스크린’으로 시청자의 몰입감을 극대화 - 11 - 수상내역 기 업 명 상 품 명 상품설명 이미지 코웨이 주식회사 코웨이 노블 시리즈 15/20/30평형의 타워형 프리미엄 공기청정기 시리즈로 기능을 넘어 오브제로서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 삼성전자 주식회사 BESPOKE 슈드레서 신발 속으로 제습 탈취된 공기가 투입되어 신발의 컨디션을 유지 계양전기 충전 원형톱 사용성을 고려한 그립부,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한 보조손잡이, 브러쉬가 없는 모터로 마모를 줄여 제품의 수명이 오래 지속 이누스 주식회사 워시 크로스 소변 후 씻은 물을 이용하여 소변기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제작된 친환경 제품 국제종합 기계(주) 네오글로 벌 국제종합 기계㈜ 15시리즈 트랙터 내수/북미 TIER4 및 유럽 STAGE V규제를 충족하는 엔 진이 탑재됨. 휴먼팩터를 통한 레버와 페달위치 설정이 가능 하여 편의성을 제공함 삼성전자 주식회사 BESPOKE 프리즘 360 팔레트 플랫폼과 도어 패널의 컬러와 소재를 소비자 취향에 맞추어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는 비 스코프 냉장고의 기존 22종 도어 패널 옵션에 새롭게 적 용된 360개 컬러의 주문제작 방식의 도어 패널 현대자동 차 현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아쿠아 디자인 심해의 바다에서 영감을 얻은 포인트 컬러와 미래지향적인 그래픽 모티브를 발굴한 디자인 롯데백화점 동탄점 더 테라스 휴식 특화 공간 디아이, 예술 특화 공간 연못 분수대, 아이들을 위한 공간 플레이그라운드로 구성 - 12 - 붙임4 글로벌생활명품 선정제품 현황 구분 상품명 기업명 이미지 상품 설명 1 고스트 클락 (ghost clock) 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체성이 달라지는 컨템포러리 타임피스 2 넥서포터 프리미엄 주식회사 퓨어플랜 목 관리 기구의 부재, 스마트폰 등 목 건강 관리의 필요성 중대에 따른 프리미엄 넥 서포터 3 다분할 휠 테이프 디스펜서 ㈜텐도 운영비용 최소 50% 절감 가능한 다분할 휠 디스펜서 4 더킹 라이트테이블 ㈜다나플레이 라이트 보드, 자석 보드, 화이트 보드, 일반 책상, 독서대까지 5가지 활용이 가능한 멀티성 제품 5 두즈 시즌3 핸즈프리 드라이기 (DUZ V3) 주식회사 아임 고정 가능한 호스를 사용하여 두 손을 자유롭게 드리아 할 수 있는 펫 드라이어 6 댕블러 펫투데이 간식통, 배변봉투를 상황에 맞춰 원하는 기능만 재조립 하여 휴대 할 수 있는 펫 비스포크 제품 7 모윰 실리콘 쪽쪽이 세트 ㈜쁘띠엘린 접착제 대신 초음파 융착을 통한 고정 및 열탕소독 가능한 의료용 실리콘 소재 사용. 여성의 유두와 유사한 형상으로 아기에게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는 쪽쪽이 세트 8 반려동물용 높이조절 식기 리틀팩토리 높이조절 기능으로 반려동물 키에 맞춰 활용하는 식기 9 브이가드 주니어 카시트 다이치 어깨 부분이 브이(V)자로 확장되는 제품 특성을 이름에 반영시킨 약 1~12세의 유아동이 사용하는 주니어 카시트 10 세이지폴 점보 부스터 ㈜쁘띠엘린 100일~36개월 미만 어린이의 성장을 위해 부스터부터 유아용 의자까지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베이비 체어 - 13 - 구분 상품명 기업명 이미지 상품 설명 11 스마트 브러쉬 주)모리스 아날로그 감성과 디지털 감성을 모두 충족하는 붓 형태의 전자 브러쉬펜 12 슬라이드 댕블러 펫투데이 슬라이드 물그릇, 누수방지 기능이 추가된 반려견 산책 텀블러 13 이아소 주식회사 웰스케어 세계 최초의 신체부착형 콜드레이저 셀프 통증 치료기기 14 작고 가벼운 휴대용 패브릭 독서대, 북패드 알리올라 작고 가벼운 휴대용 패브릭 독서대 15 커링온쉘 ㈜화진산업 남해안 여자만 일대에서 자생하는 꼬막 패각의 천연 항균 효과를 활용한 도마 제품 16 코코스타 선스크린 캡슐 마스크 ㈜퍼스트마켓 하트모양의 캡슐에 선블록 세럼과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오일이 함유되어 있는 신개념 자외선 차단제 17 클릭 네오플램 누구나 사용하기 쉬운 원터치 밸브를 통해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밀폐용기 18 캡슐에스 ㈜스마트름 뱅이 반구형 형태로 사방으로 건조 살균 가능한 신발관리기 19 테이프테이프 비스킷웍스 카세트(cassette))형태의 테이프 디스펜서 20 포켓 미스트 스프레이 세트 주식회사 팬그램 휴대용 미스트 공용기로 뷰티, 의약 외품 및 생활용품 등의 액체류를 소분하여 휴대 사용 - 14 - 구분 상품명 기업명 이미지 상품 설명 21 ‘프리아 핏’ 올인원 프리미엄 아기띠 동인기연 재활용 가능한 알루미늄 프레임을 넣어 공간활용 뿐만 아니라 자원의 순환을 통해 환경에 기여하는 아기띠 22 피카 더 포슬린, 원 네오플램 포슬린 용기로 기존의 사면 결착 방식에서 벗어난 혁신적인 방식 으로 실용성의 극대화와 디자인 성을 최대화 한 도자용기 23 헤라시스 엣지 실버팍스 신생아부터 36개월까지 태울 수 있는 휴대용 유모차 24 All in one 거치대 원플디자인 일반 키보드 사용 환경에 익숙한 각도 6도, 8도, 10도를 응용한 낮은 각도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노트북, 태블릿 올인원 거치대 25 A1 차량용 공기청정기 ㈜루메나 H13등급 3중 해파필터로 99.978% 초미세 먼지 정화 가능한 차량용 공기청정기 26 'Binatti' LED 보행 보조용 지팡이 ㈜아이온 LED 라이트 모듈을 통해 고령 자들이 어두운 곳을 보행할 때 전면을 환하게 밝히고, 위치를 인지시켜 사고를 미연에 예방 하는 보조 지팡이 제품 27 FAN C 휴대용 선풍기 ㈜루메나 주머니나 파우치에 넣을 수 있을 정도의 컴팩트한 사이즈의 휴대용 선풍기 28 N9-H3 듀얼 무선 가습기 ㈜루메나 필터 교체형 및 통세척 구조로 관리가 편리하고 쾌적한 가습기 29 포스처센스 (주)포스처360 사용자의 척추 기울기를 감지하여 실시간 자세 데이터를 제공하며, 즉각적인 신호를 보내 바른 자세 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자세 습관 교정기 30 UV. O3를 활용한 도마살균기 원플디자인 건강한 요리 환경을 선도하기 위해 UV(자외선), O3(오존)을 활용한 도마살균기 - 15 - 붙임5 디자인전람회 수상작 현황  일반 및 대학생 부문 수상내역 출품부분 출품명 출품자명 소 속 대통령상 시각/정보 국립고궁박물관을 소재로한 그래픽 및 불리온 디자인 민슬기 시그널커뮤니케이션 국무 총리상 서비스/경험 새벽배송 택배기사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김아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졸업(취업준비생) 디지털콘텐츠 한국의 종교들 황지민 국민대학교 산업통상 자원부 장관상 시각/정보 월드그래픽디자인데이 선병일 남서울대학교 산업공예 모으다 송신혜 예임글라스 제품 캠핑용 이동식 인덕션 이명훈등 4명 위니아전자 제품 이동형 판매대 최연승 서울디자인재단 시각/정보 서울5궁에서의 기록 김수연 국제방송교류재단 공간/환경 언덕위에서 낮잠 이민철등 2명 Glab 제품 쿨링필터시스템 변건우 청주대학교 제품 보안테이블 양준모 건국대학교 시각/정보 대한민국 한글 홍보 캐릭터 디자인 프로젝트 주영윤 동국대학교 시각/정보 나전, 한글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프로젝트 : 나전, 한글을 담아내다. 이예솔등 2명 남서울대학교 시각/정보 제주 자연을 그대로 담은 프리미엄 전통주 패키지 송세영등 2명 남서울대학교 시각/정보 문경 지역 활성화를 위한 천연 약초 비누 브랜드 한올 패키지 디자인 홍영기등 2명 남서울대학교  청소년 부문 수상내역 출품부분 출품명 출품자명 학교명 학년 국무 총리상 디지털미디어·콘텐츠 거침없이 피보팅 조용준 서울디자인고등학교 3 제품 투명 와이퍼 주혜성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 학부속이화·금란중학교 2 디지털미디어·콘텐츠 집콕장려를 위한 실내취미 생활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 조서연 서울가주초등학교 5 산업통상 자원부 장관상 제품 재활용 버스 박소연 예일디자인고등학교 3 시각·정보 간편하게 들고 마시는 캔 나박김치, 동치미, 오이냉국 조나영 서울디자인고등학교 3 제품 쇼핑메이트 버디 김은빈 백석중학교 3 제품 공기자가충전 수영복 김소정 서울언북초등학교 5 - 16 - 붙임6 2021 디자인계 간담회 개최 계획 □ 행사 개요 ㅇ (목적) 디자인계 발전방향 협의를 위한 기업 및 전문가 의견수렴 ㅇ (논의내용) 정부의 디자인정책 방향을 간략히 소개하고, 디자인 新시장 및 일자리창출, 디자인산업의 기반확대 방안 등 논의 ㅇ (일시·장소) ‘21.10. 6(수) 13:30~14:30 aT센터 미래로(소)2 (3F) ㅇ (주요참석자) 디자인 업계·학계 주요 인사 - 차관님, 디자인 전문기업 대표, 대기업 디자인 임원, 디자인계협 회장 등 10명 내외 □ 세부일정(안) 세 부 내 용 시 간(60‘) 비 고 ㅇ 참석자 소개 13:30~13:32 (2‘) 사회자 ㅇ 모시는 말씀 13:32~13:34 (2‘) 한국디자인진흥원 원장 ㅇ 인사말씀 13:34~13:36 (2‘) 차관 ㅇ 디자인정책현황 공유 13:36~13:41 (5‘) 산업부 담당과장 ㅇ 토론 13:41~14:29 (48‘) ㅇ 마무리 말씀 14:29~14:30 (1‘) 차관

      닫기
    • 1006(7조간)엔지니어링디자인과, 디자인, 혁신을 주도하다 탄소중립 디자인코리아 2021 개최.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 1 - 보 도 자 료 http://www.motie.go.kr 2021년 10월 7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0.6일(수) 오전 11시 이후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21. 10. 6(수) 담당부서 엔지니어링디자인과 담당과장 장근무 과장 (044-203-4550) 담 당 자 지영 사무관 (044-203-4552) ‘디자인, 혁신을 주도하다 : 탄소중립’「디자인코리아 2021 개최」 - 디자인으로 산업 혁신을 주도하는 국제적 디자인 비즈니스 플랫폼 - 대한민국디자인대상·우수디자인상품선정 시상 및 수상작 전시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가 주최하는 대한민국 대표 디자인 종합 박람회인「디자인코리아 2021」이 10.6(수) 부터 10.10(일) 까지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개최됨 ㅇ ‘디자인, 혁신을 주도하다 : 탄소중립’을 주제로 국내외 디자인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디자인 생태계를 모색하고 디자인의 사회경제적 역할을 조망함 ㅇ 디자인 비즈니스 매칭 프로그램, 디자인 스타트업 피칭, 주니어 디자이너 잡매칭 등 디자인 생태계의 건강한 선순환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며,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오프라인 실물 전시와 온라인(designkorea.kidp.or.kr) 가상 전시를 함께 운영함 □ (구성) 디자인 비지니스, 디자인 스타트업, 디자인 잡페어 등 온· 오프라인 전시관이 운영되며 690여개 기업이 참여하고 약 2,000여점의 제품 등이 전시됨 ㅇ 탄소 중립 주제에 맞는 대·중견기업 혁신 제품 50점, 우수디자인기업 및 스타트업 100개 기업, 우수디자인 선정 상품 80점, 대한민국디자인 전람회 수상작 80점, 정부사업을 통한 성과물 300여점 등을 볼 수 있음  디자인 비즈니스 주제관은 탄소중립 주제에 맞는 대·중견기업 및 해외기업 등의 혁신상품 전시를 통해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함 - 2 - < 디자인 비즈니스 주제관 > 오래된 대자연을 다시 경험하다: 디지털 경험 지속가능한 움직임: 모빌리티 착한 에너지: 에너지 효율 Flower, Jungle, Wave를 통해 탄소중립의 방향과 인류가 회복해야 할 자연을 경험 전기차로 태어난 헤리티지로 포니내연기관의 퇴장과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탄생의 변곡점을 경험 사물인터넷으로 주거공간의 에너지 사용을 제어하는 ‘스마트 홈 시스템’ ‚ 디자인 비지니스 기업관은 대한민국의 디자인 생태계를 주도하는 디자인 선도기업, 우수디자인(GD) 수상 상품 및 기업 등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B2B 비즈니스 매칭 등을 지원함 < 디자인 비즈니스 기업관 참가 기업 > 19 Celsius 가습기 Serration 토스터기, 전기주전자 LG gram Black Label 마우스 ㈜세컨드화이트社 파운드파운디드社 제이디자인웍스社 급변하는 현대 사회속에서 본질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디자인 에이전시로 한국과 중국을 시작으로 미국 유럽으로 진출 중 브랜딩, 기획, 디자인에서부터 개발, 제품 양산까지 모든 프로세스를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기업 아름답고 기능적인, 다르지만 친근한 그리고 고급스럽고 경제적인 접점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와 디자인을 하는 기업 ƒ 디자인 스타트업은 우수디자인 아이디어(상품)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및 바이어 연계 등으로 디자인 비즈니스 창출을 지원 < 디자인 비즈니스 스타트업 참가 기업 > 마스크 살균케이스·광촉매 마감재 올리데이 카고 전기 자전거 랩엠제로社 루플社 에코브社 특수 소재를 연구하여 마스크 살균케이스, 광촉매 실내 마감재 등을 디자인하는 제품디자이너와 소재연구원으로 이루어진 전문가 그룹 빛(Lux)과 사람(People)의 합성어로 행동인식 기반의 인공지능을 통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내장형 라이트·헬스케어 스타트업 자동차 생산 설비를 통해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디자인설계 제작 생산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기업 - 3 - „ 디자인 잡페어는 디자인대학 졸업(예정)자 및 미취업 디자이너의 취업활동 지원을 위한 쇼케이스 전시 및 지원 프로그램 등을 운영 < 디자인 잡페어 참가 학생 작품> 박재형 90º 김다빈 Dyson Sky 안해든 종묘대제 자투리 공간에 맞게 블루투스 스피커와 사이드 테이블을 결합한 가구 디자인 프로펠러 없이 조용하고 안전하게 비행하는 차세대 수직이착륙 공중이동 수단 유네스코 인류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종묘대제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 (시상식) 디자인의 가치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디자인 활용 확산을 위한 ‘대한민국디자인대상’과 ‘우수디자인(Good Design)상품선정’ 시상식도 개최됨 ① 디자인을 통한 창의적 경영으로 국가산업 발전에 공헌한 개인과 우수단체에게 수여되는 대한민국디자인대상 시상에서는, ㅇ 최고상인 은탑산업훈장은 제네시스(G80, GV80 등) 브랜드에 대한 디자인철학을 재정립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한단계 끌어올린 현대자동차(주) 이상엽 전무가 수상함 현대자동차㈜ 이상엽 전무 대표 작품명 : G80, GV80, GV70 ㅇ 제네시스와 현대 브랜드의 디자인철학 재정립 및 독자적 정체성을 구축하여 브랜드 가치제고와 성장을 도모 ㅇ 산업포장은 다양한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차별화된 감성적 디자인으로 세계시장에 K-뷰티의 혁신적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는 ㈜코리아나화장품 유학수 대표이사에게 돌아감 - 4 - ㈜코리아나화장품 유학수 대표이사 대표 작품명 : 라비다 ㅇ 세계 최초로 “셀 신호전달” 개념을 도 입한 스마트 스킨 사이언스 브랜드로 다수의 국제 디자인어워드 수상과 베 스트셀러 제품의 백신 후원 캠페인을 통해 지속적인 소통과 나눔을 실천하 고 있는 브랜드 ㅇ 근정포장은 대한민국국회, 서울해치브랜드, 순천만국제정원 박람회, 인천아시안게임 2014, 국가통합인증마크(KC) 등 기획 및 총괄책임자로 다수의 정부 및 지자체 브랜드 개발에 기여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은실 교수가 수상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은실 교수 ㅇ 디자인전문기업에서의 실무 경험을 기반으로 아이덴티티 디자인 교육에 헌신하고 정부, 지자체, 기업의 아이덴티티 개발로 국가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기여 ㅇ 대통령표창은 디지털 실감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공간경험 디자인을 선도하고 있는㈜디스트릭트홀딩스를 비롯해 총 6개 기업이 수상함 웨이브 아르떼뮤지엄 - 5 - ② GD상품 시상에서는 오스템임플란트의 치과용 진료의자 K5 유니트 체어가 대통령상을 삼성전자 비스포크 큐브 TM Air와 아르펠의 전동식 높이조절 세면대가 국무총리상을 받음 대통령상 오스템임플란트(주) K5 유니트체어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으로 환자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의사의 시술 편의를 제고한 치과용 진료의자 국무총리상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스포크 큐브™ Air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공간에 맞게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국무총리상 아르펠 전동식높이조절 세면대 간단한 터치 조작으로 다양한 신장과 신체에 맞게 세면대 위치 조절 □ (기타 행사) 국제컨퍼런스 및 세미나, 국내 대표 온라인몰(SSG.com)을 통한 디자인코리아 참가 상품 기획전 운영, 국내외 바이어 미팅 등이 온라인을 통해 진행됨 ㅇ (컨퍼런스) 현대자동차 이상엽 전무, TED 강연으로 유명한 레일라 아카로글루(Leyla Acaroglu) 등 국내외 디자인 전문가들이 ‘디자인, 지속가능성을 향하여(Design toward Sustainability)’를 주제로 미래 환경과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디자인 사례와 관점에 대한 강연 진행 ㅇ (디자인업계 간담회) 디지털화, 탄소중립 등 최근의 산업 트렌드에 걸맞는 디자인산업계의 새로운 역할 등에 대해 논의 - 박진규 산업부 제1차관, 대·중소기업 디자인 임원, 디자인전문기업 대표, 디자인기업협회장 등 10명 내외 참석 □ 이날 행사를 주최한 산업통상자원부의 박진규 차관은 지금의 시장 트렌드는 감성적 가치가 더해진 고객 맞춤형 제품과 서비스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역할은 더욱 중요 해지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ㅇ 정부는 디자인이 우리 산업의 혁신을 이끌수 있도록 디자인 산업계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힘 - 6 - 붙임1 「디자인코리아 2021」 개요 ◇’03년부터한국디자인의우수성홍보와디자인韓流의국제적확산, 디자인분야비즈니스창출및성과확산을위해매년개최 □ (주요행사 구성) ① 디자인 비즈니스 ② 디자인 스타트업 ③ 디자이너 잡페어 ㅇ 장소 : aT센터(양재동) / 기간 : 10.6(수) ~ 10.10(일) ㅇ 행사 형태 :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전시 《프로그램구성》 ㅇ【비즈니스】주제관(탄소중립주제에맞는대중견기업혁신상품전시),우수디자인기업관, 우수디자인(GD)상품등바이어매칭및비즈니스지원 ㅇ【스타트업】디자인스타트업기업관,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수상작피칭대회등디자인 아이디어의상품화연계및사업화지원 ㅇ【잡페어】대학졸업생및미취업영디자이너대상디자이너쇼케이스전시및취업 매칭,취업컨설팅등지원프로그램운영 ㅇ【컨퍼런스】국제컨퍼런스및세미나등을통해최신디자인트렌드공유확산 ① (비즈니스) “디자인 혁신을 주도하다: 탄소 중립”을 주제로 한국을 대표하는 대·중견기업 디자인혁신 사례와 디자인우수기업관 등으로 구성 ㅇ【주제관】‘디자인혁신을주도하다:탄소중립’이란주제로지속가능한사회를위해산업 전반에걸친디자인혁신사례및디자인의주도적역할을조명 ㅇ【디자인선도기업관】자체상품보유디자인전문회사,디자인우수기업의비즈니스매칭지원 ㅇ【우수디자인(GD)상품수상상품관】2021년도에선정된우수디자인상품수상상품전시 - 대한민국디자인대상, 우수디자인(GD)상품선정, 코리아+스웨덴 영 디자인 어워드 시상식 및 국제컨퍼런스, 세미나 등 진행 * COVID-19 방역 지침 및 사회적 거리두기에 맞춰 오프라인(양재동 aT센터) 전시 개최 * 웨비나, SNS를 통해 실시간 중계 및 주제관은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VR(실사) 전시 추진 ② (스타트업) 우수디자인 아이디어(상품)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및 바이어 연계 등 신규 디자인 비즈니스 창출을 지원 - 우수디자인 아이디어(상품) 전시 및 국내·외 바이어 온·오프라인 상담회 개최,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수상상품 피칭대회 개최 등 비즈니스 지원 ③ (잡페어) 디자인대학 졸업(예정)자 및 미취업 청년 디자이너들의 취업 활동 지원을 위한 쇼케이스 전시 및 지원 프로그램 운영 - 디자이너 쇼케이스 전시, 디자이너 및 기업간 취업 매칭, 취업 컨설팅 등 진행 - 7 - 붙임2 대한민국디자인대상 수상자 현황 훈 격 소속/성명/직위 사 진 공 적 요 지 은탑 산업훈장 현대자동차(주) 이상엽 전무 제네시스, G80, GV80 등 브랜드에 대한 디자인 철학을 재정립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이미지를 한단계 끌어올림 산업 포장 ㈜코리아나화장품 유학수 대표 다양한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차별화된 감성적 디자인으로 세계시장에 K-뷰티의 혁신적 디자인을 선보임 근정 포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은실 교수 대한민국국회, 서울해치브랜드, 순천만국제정원 박람회, 인천아시안게임 2014, 국가통합인증마크 (KC) 등 기획 및 총괄책임자로 정부 및 지자체 브랜드 개발에 기여 대통령 표창 ㈜아모레퍼시픽 40여 브랜드 및 기업 활동 전반에서 디자인경영 실천 으로 대한민국의 건축, 제품, 공간, 서체, 출판, 지속 가능 디자인 및 문화 발전에 기여함 대통령 표창 ㈜디스트릭트홀딩스 실감콘텐츠 디자인 산업에서 혁신적이고 선도 적인 결과물을 선보이며 지속 가능한 디자인 경영을 실천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며 산업 발전에 기여해 옴 대통령 표창 ㈜이지위드 기술과 디자인의 융합 제품인 피지컬미디어의 국산화 성공으로 시장 개척과 확장에 기여 대통령 표창 ㈜제이디자인웍스 디자인 컨설팅 사업 뿐 아니라 자체 브랜드 제품 개발을 통해 디자인 산업의 경계를 확대함 * ㈜인바디의 인바디 시리즈 디자인으로 매출액 1,000억 달성에 기여 대통령 표창 경상북도청 ‘공공디자인 혁신’과 ‘지역 디자인 산업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디자인 프로젝트 진행하는 등 디자인 저변 확대에 기여 대통령 표창 광주광역시 북구청 ‘삶과 도시를 바구는 힘, 디자인’의 정책이념을 바탕 으로 지역경제, 도시재생 등 구정 전반에 디자인정책 중점 실현 국무 총리 표창 ㈜보국전자 생활가전 전문기업으로 난방침구 시장 점유율 국내 1위 기업으로 2015 월드스타기업, 2017 디자인 혁신기업 100, 2018 스타기업 100에 선정 - 8 - 훈 격 소속/성명/직위 사 진 공 적 요 지 국무 총리 표창 ㈜국순당 ‘전통을 오늘에 맞게’라는 가치 중심의 디자인 경영으로 약주 및 막걸리 시장 성장을 주도, 전 세계 50여개국에 수출 국무 총리 표창 ㈜시트러스디자인 국내외 기업의 제품, 운송, 환경, 시각 디자인과 디자인 전략기획을 아우르는 토탈 디자인 컨설팅 제공으로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디자인 경쟁력 향상에 기여 국무 총리 표창 ㈜코리아세븐 세계최초 Hand-pay 결재 무인컨셉의 스마트 편의점 1호점(2017년)을 오픈하여 유통업계에 무인 편의점의 미래형 모델을 선도 국무 총리 표창 ㈜디자인뮤컴퍼니 국내 대중소기업 디자인 컨설팅 및 선행디자인 개발 수행, 9년 연속 우수디자인기업 선정, 국내외 디자인 어워드 다수 수상 등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 기여 국무 총리 표창 모트 UX연구를 기반으로 Total design solution 제공, 웹, 멀티미티어, IT, 메디컬, 모바일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주도하여 융합기술을 선도하는 디자인 전문기업 국무 총리 표창 광명시청 1996년 광명시이미지형성관리규정 제정, 경관 및 공공디자인 조례, 지침 등의 마련으로 정돈된 도시 디자인 형성에 기여 산업부 장관표창 광주디자인진흥원 홍건영 팀장 지역디자인산업의 진흥을 위해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개발, 디자인 개발 지원, 인력양성과 일자리 창출, 각종 디자인 관련 국내외 행사 등 디자인 산업 발전에 기여 산업부 장관표창 아이데틱코리아 정성민 대표 10년간 미·한·중 디자인법인 운영, 150억이상 해외매출달성, 17건 글로벌어워드 수상, 아태 지역내 한국계 디자인법인 창업 및 투자 지원으로 산업 발전에 기여 산업부 장관표창 가디언 이상원 대표 대전지역 최초의 제품디자인 공인전문회사를 설립으로 지역디자인 전문회사의 초석역할과 24년간 350여 중소벤처기업의 디자인개발 프로젝트 수행 산업부 장관표창 한국디자인진흥원 박익기 팀장 국내 최초로 디자인공지증명제도 시행의 기초 수립, 디자인 용역 표준계약서 제정, 디자인 분쟁조정위원회를 구성 운영 하는 등 디자인 권리보호에 기여 - 9 - 훈 격 소속/성명/직위 사 진 공 적 요 지 산업부 장관표창 한국디자인진흥원 윤홍남 팀장 디자인 R&D 및 기업지원을 통해 중소·중견기업 디자인 역량강화, 디자이너 일자리 창출, 디자인 분야 최초 국가기술자격 검정 제도를 운영(‘20년) 산업부 장관표창 오롬 주식회사 대한민국 정통 프리미엄 문구 브랜드로서 기업 부설연구소 설립을 통해 우수한 디자인 상품을 개발하고 디자인 전문 인력 양성에 기여 산업부 장관표창 주식회사 씨.월드 접이식의자 전문제조업체로 공간활용에 뛰어난 접이식의자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투자를 통해 약 30여건의 특허 출원 및 디자인상 다수 수상 산업부 장관표창 ㈜어뎁션 국내 중소 제조기업들의 디자인 역량 강화 비전을 제시, 인공지능 분야에서 선도적 디자인기업으로의 역량을 제고하는데 기여 산업부 장관표창 주식회사 아이엘 사이언스 세계최초 LED조명용 실리콘렌즈개발 등 IT기술이 기반된 디자인으로 사회적문제(미세먼지, 살균, 헬스 케어) 해결방안 제시 등 IOT 기반 친환경 융합제품 활성화에 기여 산업부 장관표창 ㈜하림펫푸드 반려동물 식문화를 재정의하기 위해 ‘17년 설립, ’20년 매출은 첫해 대비 약 8.5배 성장, ‘18년 ‘미국건축가협회상’을 시작으로 해외유명 어워드 에서 13개 수상 산업부 장관표창 주식회사 엠아이제이 세계최초 유양돌기형 골전도 헤드셋 개발로 약 50여건의 출원과 글로벌IP스타기업으로 선정 산업부 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국내 고출력 레이저 장비 업체로 디자인 불모지인 공작기계 업계에서 한국 레이저 가공기업체 최초로 굿디자인 어워드에 6년 연속 선정, 해외유명 어워드 선정 산업부 장관표창 ㈜메이데이파트너스 디지털 기반의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으로 국내외 기업의 온라인마케팅, 컨설팅, 멀티미디어, 디자인 등 최근 5년간 약 100개 기업, 200개 프로젝트진행 산업부 장관표창 의정부시청 공공디자인진흥조례제정,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가이드라인 제정, 유니버설디자인・경관디자인 계획, 도시디자인 매뉴얼 제작 등 디자인정책 추진으로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 - 10 - 붙임3 우수디자인상품 수상작 현황 수상내역 기 업 명 상 품 명 상품설명 이미지 대상 (Grand Prize) 대통령상 오스템 임플란트(주) K5 유니트체어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으로 환자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치과의사의 시술 편의 및 효율을 높여 진료의 정확성을 극대화한 치과 전문 의료기기 금상 (Gold Prize) 국무총리상 삼성전자 주식회사 BESPOKE 큐브™ Air (공기청정기)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공간이 가진 성격에 맞춰 전면 디자인 선택이 가능하며 모듈식으로 공간의 크기에 따라 분리·결합 하여 사용 가능 아르펠 전동식 높이조절 세면대 성인, 어린이, 노약자, 휠체어 사용자 등이 간단한 터치 조 작으로 원하는 최적의 높이로 세면대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높이조절 세면대 은상 (Silver Prize)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엘지전자(주) LG 클로이 안내 보안 로봇 2.0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 제공과 광고 홍보 역할을 수행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가 적용 된 로봇 삼성전자 주식회사 BESPOKE 제트 거치와 충전기능을 동시에 적용 하고 슬림한 브러쉬를 통해 무게를 가볍게 한 청소기이자 인테리어 소품 삼성전자 주식회사 갤럭시 워치 4 사용자의 활동량, 운동 등 건강 관련 개인 생체정보를 자동/ 기록, 스마트폰과 연동된 앱을 통해 분석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WATCH 엘지전자(주) 스탠바이미 어떤 자세에서도 콘텐츠를 감상 할 수 있도록 제작된 디스 플레이, 근거리 콘텐츠 감상에 최적화 삼성전자 주식회사 QN900A, Neo QLED 8K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의 매우 얇은 테두리의 ‘인피니티 스크린’으로 시청자의 몰입감을 극대화 - 11 - 수상내역 기 업 명 상 품 명 상품설명 이미지 코웨이 주식회사 코웨이 노블 시리즈 15/20/30평형의 타워형 프리미엄 공기청정기 시리즈로 기능을 넘어 오브제로서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 삼성전자 주식회사 BESPOKE 슈드레서 신발 속으로 제습 탈취된 공기가 투입되어 신발의 컨디션을 유지 계양전기 충전 원형톱 사용성을 고려한 그립부,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한 보조손잡이, 브러쉬가 없는 모터로 마모를 줄여 제품의 수명이 오래 지속 이누스 주식회사 워시 크로스 소변 후 씻은 물을 이용하여 소변기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제작된 친환경 제품 국제종합 기계(주) 네오글로 벌 국제종합 기계㈜ 15시리즈 트랙터 내수/북미 TIER4 및 유럽 STAGE V규제를 충족하는 엔 진이 탑재됨. 휴먼팩터를 통한 레버와 페달위치 설정이 가능 하여 편의성을 제공함 삼성전자 주식회사 BESPOKE 프리즘 360 팔레트 플랫폼과 도어 패널의 컬러와 소재를 소비자 취향에 맞추어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는 비 스코프 냉장고의 기존 22종 도어 패널 옵션에 새롭게 적 용된 360개 컬러의 주문제작 방식의 도어 패널 현대자동 차 현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아쿠아 디자인 심해의 바다에서 영감을 얻은 포인트 컬러와 미래지향적인 그래픽 모티브를 발굴한 디자인 롯데백화점 동탄점 더 테라스 휴식 특화 공간 디아이, 예술 특화 공간 연못 분수대, 아이들을 위한 공간 플레이그라운드로 구성 - 12 - 붙임4 글로벌생활명품 선정제품 현황 구분 상품명 기업명 이미지 상품 설명 1 고스트 클락 (ghost clock) 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체성이 달라지는 컨템포러리 타임피스 2 넥서포터 프리미엄 주식회사 퓨어플랜 목 관리 기구의 부재, 스마트폰 등 목 건강 관리의 필요성 중대에 따른 프리미엄 넥 서포터 3 다분할 휠 테이프 디스펜서 ㈜텐도 운영비용 최소 50% 절감 가능한 다분할 휠 디스펜서 4 더킹 라이트테이블 ㈜다나플레이 라이트 보드, 자석 보드, 화이트 보드, 일반 책상, 독서대까지 5가지 활용이 가능한 멀티성 제품 5 두즈 시즌3 핸즈프리 드라이기 (DUZ V3) 주식회사 아임 고정 가능한 호스를 사용하여 두 손을 자유롭게 드리아 할 수 있는 펫 드라이어 6 댕블러 펫투데이 간식통, 배변봉투를 상황에 맞춰 원하는 기능만 재조립 하여 휴대 할 수 있는 펫 비스포크 제품 7 모윰 실리콘 쪽쪽이 세트 ㈜쁘띠엘린 접착제 대신 초음파 융착을 통한 고정 및 열탕소독 가능한 의료용 실리콘 소재 사용. 여성의 유두와 유사한 형상으로 아기에게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는 쪽쪽이 세트 8 반려동물용 높이조절 식기 리틀팩토리 높이조절 기능으로 반려동물 키에 맞춰 활용하는 식기 9 브이가드 주니어 카시트 다이치 어깨 부분이 브이(V)자로 확장되는 제품 특성을 이름에 반영시킨 약 1~12세의 유아동이 사용하는 주니어 카시트 10 세이지폴 점보 부스터 ㈜쁘띠엘린 100일~36개월 미만 어린이의 성장을 위해 부스터부터 유아용 의자까지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베이비 체어 - 13 - 구분 상품명 기업명 이미지 상품 설명 11 스마트 브러쉬 주)모리스 아날로그 감성과 디지털 감성을 모두 충족하는 붓 형태의 전자 브러쉬펜 12 슬라이드 댕블러 펫투데이 슬라이드 물그릇, 누수방지 기능이 추가된 반려견 산책 텀블러 13 이아소 주식회사 웰스케어 세계 최초의 신체부착형 콜드레이저 셀프 통증 치료기기 14 작고 가벼운 휴대용 패브릭 독서대, 북패드 알리올라 작고 가벼운 휴대용 패브릭 독서대 15 커링온쉘 ㈜화진산업 남해안 여자만 일대에서 자생하는 꼬막 패각의 천연 항균 효과를 활용한 도마 제품 16 코코스타 선스크린 캡슐 마스크 ㈜퍼스트마켓 하트모양의 캡슐에 선블록 세럼과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오일이 함유되어 있는 신개념 자외선 차단제 17 클릭 네오플램 누구나 사용하기 쉬운 원터치 밸브를 통해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밀폐용기 18 캡슐에스 ㈜스마트름 뱅이 반구형 형태로 사방으로 건조 살균 가능한 신발관리기 19 테이프테이프 비스킷웍스 카세트(cassette))형태의 테이프 디스펜서 20 포켓 미스트 스프레이 세트 주식회사 팬그램 휴대용 미스트 공용기로 뷰티, 의약 외품 및 생활용품 등의 액체류를 소분하여 휴대 사용 - 14 - 구분 상품명 기업명 이미지 상품 설명 21 ‘프리아 핏’ 올인원 프리미엄 아기띠 동인기연 재활용 가능한 알루미늄 프레임을 넣어 공간활용 뿐만 아니라 자원의 순환을 통해 환경에 기여하는 아기띠 22 피카 더 포슬린, 원 네오플램 포슬린 용기로 기존의 사면 결착 방식에서 벗어난 혁신적인 방식 으로 실용성의 극대화와 디자인 성을 최대화 한 도자용기 23 헤라시스 엣지 실버팍스 신생아부터 36개월까지 태울 수 있는 휴대용 유모차 24 All in one 거치대 원플디자인 일반 키보드 사용 환경에 익숙한 각도 6도, 8도, 10도를 응용한 낮은 각도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노트북, 태블릿 올인원 거치대 25 A1 차량용 공기청정기 ㈜루메나 H13등급 3중 해파필터로 99.978% 초미세 먼지 정화 가능한 차량용 공기청정기 26 'Binatti' LED 보행 보조용 지팡이 ㈜아이온 LED 라이트 모듈을 통해 고령 자들이 어두운 곳을 보행할 때 전면을 환하게 밝히고, 위치를 인지시켜 사고를 미연에 예방 하는 보조 지팡이 제품 27 FAN C 휴대용 선풍기 ㈜루메나 주머니나 파우치에 넣을 수 있을 정도의 컴팩트한 사이즈의 휴대용 선풍기 28 N9-H3 듀얼 무선 가습기 ㈜루메나 필터 교체형 및 통세척 구조로 관리가 편리하고 쾌적한 가습기 29 포스처센스 (주)포스처360 사용자의 척추 기울기를 감지하여 실시간 자세 데이터를 제공하며, 즉각적인 신호를 보내 바른 자세 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자세 습관 교정기 30 UV. O3를 활용한 도마살균기 원플디자인 건강한 요리 환경을 선도하기 위해 UV(자외선), O3(오존)을 활용한 도마살균기 - 15 - 붙임5 디자인전람회 수상작 현황  일반 및 대학생 부문 수상내역 출품부분 출품명 출품자명 소 속 대통령상 시각/정보 국립고궁박물관을 소재로한 그래픽 및 불리온 디자인 민슬기 시그널커뮤니케이션 국무 총리상 서비스/경험 새벽배송 택배기사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김아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졸업(취업준비생) 디지털콘텐츠 한국의 종교들 황지민 국민대학교 산업통상 자원부 장관상 시각/정보 월드그래픽디자인데이 선병일 남서울대학교 산업공예 모으다 송신혜 예임글라스 제품 캠핑용 이동식 인덕션 이명훈등 4명 위니아전자 제품 이동형 판매대 최연승 서울디자인재단 시각/정보 서울5궁에서의 기록 김수연 국제방송교류재단 공간/환경 언덕위에서 낮잠 이민철등 2명 Glab 제품 쿨링필터시스템 변건우 청주대학교 제품 보안테이블 양준모 건국대학교 시각/정보 대한민국 한글 홍보 캐릭터 디자인 프로젝트 주영윤 동국대학교 시각/정보 나전, 한글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프로젝트 : 나전, 한글을 담아내다. 이예솔등 2명 남서울대학교 시각/정보 제주 자연을 그대로 담은 프리미엄 전통주 패키지 송세영등 2명 남서울대학교 시각/정보 문경 지역 활성화를 위한 천연 약초 비누 브랜드 한올 패키지 디자인 홍영기등 2명 남서울대학교  청소년 부문 수상내역 출품부분 출품명 출품자명 학교명 학년 국무 총리상 디지털미디어·콘텐츠 거침없이 피보팅 조용준 서울디자인고등학교 3 제품 투명 와이퍼 주혜성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 학부속이화·금란중학교 2 디지털미디어·콘텐츠 집콕장려를 위한 실내취미 생활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 조서연 서울가주초등학교 5 산업통상 자원부 장관상 제품 재활용 버스 박소연 예일디자인고등학교 3 시각·정보 간편하게 들고 마시는 캔 나박김치, 동치미, 오이냉국 조나영 서울디자인고등학교 3 제품 쇼핑메이트 버디 김은빈 백석중학교 3 제품 공기자가충전 수영복 김소정 서울언북초등학교 5 - 16 - 붙임6 2021 디자인계 간담회 개최 계획 □ 행사 개요 ㅇ (목적) 디자인계 발전방향 협의를 위한 기업 및 전문가 의견수렴 ㅇ (논의내용) 정부의 디자인정책 방향을 간략히 소개하고, 디자인 新시장 및 일자리창출, 디자인산업의 기반확대 방안 등 논의 ㅇ (일시·장소) ‘21.10. 6(수) 13:30~14:30 aT센터 미래로(소)2 (3F) ㅇ (주요참석자) 디자인 업계·학계 주요 인사 - 차관님, 디자인 전문기업 대표, 대기업 디자인 임원, 디자인계협 회장 등 10명 내외 □ 세부일정(안) 세 부 내 용 시 간(60‘) 비 고 ㅇ 참석자 소개 13:30~13:32 (2‘) 사회자 ㅇ 모시는 말씀 13:32~13:34 (2‘) 한국디자인진흥원 원장 ㅇ 인사말씀 13:34~13:36 (2‘) 차관 ㅇ 디자인정책현황 공유 13:36~13:41 (5‘) 산업부 담당과장 ㅇ 토론 13:41~14:29 (48‘) ㅇ 마무리 말씀 14:29~14:30 (1‘) 차관

      닫기
  • 전통의학 국제표준, 한(韓)의학이 주도 2011-05-18

    질병의 예방․진단과 치료 뿐아니라 건강  유지에 사용되는 상이한 문화에 토착된 이론, 경험에 근거한 지식과 기술에 의한   시술행위 총체를 뜻함 (WHO의 TM(Traditional Medicine) 정의)   - 시장동향 : 전통의학은 한국의 한의학(韓醫學)과 중국의 중의학(中醫學), 일본의   한방의학(韓方醫學, Kampoe)주도로 세계시장 규모 2천450억(‘06년)달러로 빠른   성장세(년간 7.4%)를 보이고 있어 시장선점을 위하여 자국의 전통의학을 국제  표준으로 삼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음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의 ‘한의학   기술 및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참고자료

    • 0518 (19일조간) 신산업표준과, 전통의학 국제표준, 한(韓)의학이 주도.hwp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http://www.mke.go.kr ’11년 5월 19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문의 : 안종일 신산업표준과장, 송주영 연구관(509-7296) 전통의학 국제표준, 한(韓)의학이 주도 - 전통 의료기기, 의료정보 2개분야 국제표준제정 의장 수임 - □ 급신장되고 있는 전통의학 관련 국제표준화기구(ISO) 기술위원회TC249(잠정명칭:중의학)총회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한, 중, 일 등 15개국 70여명의 국제표준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개최 되었으며,우리나라는 주요핵심인 전통의료기기, 의료정보 2개 분야 국제표준제정을 총괄할 의장국 수임과 2012년도 총회 유치가 지난주에 확정되었다고 기술표준원(허경 원장)은 발표하였다. * 전통의학의 정의 및 시장동향 - 전통의학 이란 : 신체적이거나 정신적인 질병의 예방․진단과 치료 뿐아니라 건강유지에 사용되는 상이한 문화에 토착된 이론, 경험에 근거한 지식과 기술에 의한 시술행위 총체를 뜻함 (WHO의 TM(Traditional Medicine) 정의) - 시장동향 : 전통의학은 한국의 한의학(韓醫學)과 중국의 중의학(中醫學), 일본의 한방의학(韓方醫學, Kampoe)주도로 세계시장 규모 2천450억(‘06년)달러로 빠른 성장세(년간 7.4%)를 보이고 있어 시장선점을 위하여 자국의 전통의학을 국제표준으로 삼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음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의 ‘한의학 기술 및 정책동향’(2010)) ㅇ (의료정보) WHO 전통의학 표준개발을 우리나라가 주도하여 2004년부터 2009년간 한·중·일 협업을 통해 이루어낸 경험과 「의료정보분야 표준개발 방향」을 제시함으로 ISO 표준제정 의장국으로 능력을 인정받게 되었다. * 의료정보분야 : 질병명 분류, 진료지침, 치료행위, 경략위치, 약물분류 등에 사용되는 진료행위의 지침서. ㅇ (의료기기) 전통의료기기 국제표준개발 과정과 「의료기기 국제표준 개발 비전」발표에 회원국들의 큰 지지를 받았음 - 또한, 우리나라가 국제표준으로 제안한 “일회용 멸균 호침”은 품질과 안전성(세포독성, 급성독성 ,멸균 등)이 확보된 한국산업표준(KS)을 제안 * 전통의료기기분야 : 진단을 위한 맥진 및 경략 진단기와 치료목적인 침, 뜸, 부황, 의료용 부속 장비 등 ⇒ 의장의 역할은 제안된 국제표준(안) 내용 수정․보완을 위한 회의 주제 등 실무 작업반의 모든 운영이나 활동을 주도함 ㅇ 또한, 2012년 총회를 한국에서 개최하게 되어 우리나라 한의학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주도권을 확보하여 국제표준 선점에 더욱 유리한 계기가 마련되었음 □ 전통의학시장의 급팽창은 초 고령화 사회가 진전되면서 의료비 지출급증과 신기술발전에도 불구하고 만성․난치성 질환이 확산되고 있어 그 대안으로 다효능․저비용 치료방식인 전통의학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ㅇ 이에따라, 정부는 신설 기술위원회(TC)에서 국제표준 선점이 유리한 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관련기업, 한국한의학연구원, 대한한의사협회와 공동으로 한의학 중장기 국제표준개발 로드맵을 수립하여 전략적으로 지원 할 계획임 〔참고〕 □ 전통의학 의료기기 종류 일회용 멸균 호침 이침 뜸 부황 전침기 레이져 치료기 맥진기 □ 네덜란드 국제표준화 총회 참가규모 ㅇTC249 회원 P-member(14국 참석/22개국 중), O-member(1국 참석/9개국 중), WHO(1인), ISO CS (1인), ISO/TC215(1인), WFCMS(1인), WFAS(1인) 총 15개국 71명 참석. *P-member :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스페인, 오스트리아, 독일, 네덜란드,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핀란드, 노르웨이, 타일랜드*O-member: 홍콩 ※ ISO/TC249 회원국 현황 - 31개국(P회원 : 21/ O회원 : 10) 정회원(P)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독일, 네덜란드, 호주, 캐나다, 프랑스, 가나, 인도, 이스라엘, 몽골, 노르웨이, 남아프리카, 스페인, 태국, 튀니지 , 베트남, 오스트리아, 핀란드 준회원(O) 브라질, 이탈리아, 리투아니아, 뉴질랜드, 폴란드, 싱가폴, 스웨덴, 스위스,

      닫기
    • 전통의학 국제표준, 한의학이 주도.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 1 - 보도자료 http://www.mke.go.kr 년 월 일 목 조간 ’11 5 19 ( ) 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문의 : 안종일 신산업표준과장 송주영 연구관 , (509-7296) 전통의학 국제표준 한 의학이 주도 , ( )韓 - 전통 의료기기 의료정보 개분야 국제 , 2 표준제정 의장 수임 - □ 급신장되고 있는 전통의학 관련 국제표준화기구 기술위원회 (ISO) 잠정명칭 TC249( :중의학)총회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한 중 일 , , 등 개국 여명의 국제 15 70 표준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개최 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주요핵심인 전통의료기기, 의료정보 개2 분야 국제표준제정을 총괄할 의장국 수임과 년도 총회 유치가 2012 지난주에 확정되었다고 기술표준원 허경 원장 은 발표하였다 ( ) . 전통의학의 정의 및 시장동향 * - 전통의학 이란 : 신체적이거나 정신적인 질병의 예방진단과 치료 뿐아니라 ․ 건강유지에 사용되는 상이한 문화에 토착된 이론 경험에 근거한 지식과 , 기술에 의한 시술행위 총체를 뜻함 의 (WHO TM 정의 (Traditional Medicine) ) - 시장동향 : 전통의학은 한국의 한의학 과 중국의 중의학 ( ) ( 韓醫學 中醫學 일본 ), 의 한방의학(韓方醫 주도로 , Kampoe) 學 세계시장 규모 천 억 년 2 450 (‘06 )달러로빠른 성장세 년간 를보이고있어 ( 7.4%) 시장선점을 위하여 자국의 전통의학을 국제표준으로 삼기위한경쟁이 치열하게전개되고있음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의 한의학 기술 및 정책동향 ‘ ’(2010)) ㅇ (의료정보) 전통의학 표준개발을 WHO 우리나라가 주도하여 20 년부터 04 년 2009 간한 중 일 — — 협업을 통해 이루어낸 경험과 의료정보분야 「 표준개발 방향 을」 제시함으로IS 표준제정의장국 O 으로능력을인정받게되었다. 의료정보분야 * : 질병명 분류 진료지침 치료행위 경략위치 약물분류 , , , , 등에 사용되는 진료행위의 지침서. - 2 - ㅇ 의료기기 ( ) 전통의료기기 국제표준개발 과정과 의료기기 「 국제표준 개발 비전」발표에 회원국들의 큰 지지를 받았음 - 또한 우리나라가 , 국제표준으로 제안한 일회용 멸균 호침 은 품질과 안전성 “ ” 세포 ( 독성 급성독성 멸균등 , , )이확보된 한국산업표준(KS)을제안 전통의료기기분야 * : 진단을 위한 맥진 및 경략 진단기와 치료목적인 침, 뜸, 부황 의료용 , 부속장비등 ⇒ 의장의 역할은 제안된 국제표준 안 내용 수정보완을 위한 회의 주제 등 ( ) ․ 실무 작업반의 모든 운영이나 활동을 주도함 ㅇ 또한, 년 총회를 한국에서 개최하게 되어 2012 우리나라 한의학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주도권을 확보하여 국제표준 선점에 더욱 유리한 계기가 마련되었음 □ 전통의학시장의 급팽창은 초 고령화 사회가 진전되면서 의료비 지출급증과 신기술발전에도 불구하고 만성․난치성 질환이 확산되고 있어 그 대안으로 다효능저비용 치료방식 ․ 인 전통의학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ㅇ 이에따라 정부는 , 신설 기술위원회 에서 국제표준 선점이 유리 (TC) 한 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관련기업 한국한의학 , 연구원 대한한의사협회와 , 공동으로 한의학 중장기 국제표준개발 로드맵을 수립하여 전략적 으로 지원 할 계획임 - 3 - 참고 〔 〕 전통의학 의료기기 종류 □ 일회용 멸균 호침 이침 뜸 부황 전침기 레이져 치료기 맥진기 - 4 - 네덜란드 국제표준화 총회 참가규모 □ ㅇ 회원 국 참석 개국 중 국 참석 TC249 P-member(14 /22 ), O-member(1 /9 개국 중), WHO 인 (1 ), ISO C 인 인 인 S (1 ), ISO/TC215(1 ), WFCMS(1 ), 인 총 개국 명 참석 WFAS(1 ) 15 71 . *P-member :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스페인 오스트리아 독일 , , , , , , , 네덜란드 캐나다 , ,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핀란드 노르웨이 타일랜드 , , , , 홍콩 *O-member: 회원국 현황 ISO/TC249 ※ - 31개국 회원 회원 (P : 21/ O : 10) 정회원(P)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독일 네덜 , , , , , 란드, 호주 캐나다 프랑스 가나 인도 , , , , , 이스라엘, 몽골, 노르웨이, 남아프리카, 스페인, 태국, 튀니지, 베트남 오스트리아 핀란드 , , 준회원(O) 브라질 이탈리아 리투아니아 뉴질랜드 폴란드 싱가폴 스웨덴 스위스 , , , , , , , , 영국 바베이도스 ,

      닫기
더보기

정책·정보 ( 104 건)

  •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 제정 2025-03-12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25-028호「산업융합 촉진법」제13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16조에 따른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을 제정하여 아래와 같이 고시합니다.2025년 3월 12일산업통상자원부 장관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 제정(태양광·열(PVT) 복합모듈(무창형))

    >정책·정보>정책게시판>전체

    •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25-028호(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 제정).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통상자원부고시제2025-028호 「산업융합 촉진법」제13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16조에 따른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기준및인증심사기준을제정하여아래와같이고시합니다. 2025년3월12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산업융합신제품적합성인증기준및인증심사기준제정 1.산업융합신제품적합성인증기준및인증심사기준고시목록 구분 기준명 타겟인증 제정 태양광·열(PVT)복합모듈(무창형) 국가표준(KS) 2.제정사유 산업융합촉진법제11조에따른산업융합신제품적합성인증심사대상 3.주요내용 o 태양광·열(PVT)복합모듈(무창형) - 시험 방법 : 구조 및 겉모양, 내압시험(정압누설), 고온저항, 외부 열충격시험, 내부 열충 격시험, 빗물침투시험, 해체검사, 최대출력 결정시험, 절연시험, 옥외노출 시험, 열점 내구 성시험,UV전처리시험, 온도사이클시험,습도-동결시험, 고온고습시험,단자강도시 험, 습윤 누설전류시험, 기계적 하중 시험, 우박시험, 바이패스다이오드시험, 염수분무 시 험,표시사항 ※ 적합성 인증 기준(안) 세부 내용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의 고시를 통해확인가능 4.적합성인증의절차및방법 ◦ 인증 신청 후, 산업융합촉진법 시행령 제13조에 의한 적합성 인증 관련 협의, 제14조에 의한 적합성 인증 기준 등의 마련, 제15조에 의한 인증심사를 거쳤으며, 제13조제3항에 따른허가등의근거법령에서정한정기심사등사후관리예정 부칙 고시일로부터시행한다. 끝. 황국진 / 산업표준혁신과 / 2025-03-06 10:10:54

      닫기
    •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태양광·열(pvt) 복합모듈(무창형)).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 기준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최종의결일 2022년 8월 10일 목 차 1 적용범위 1 2 인용표준 1 3 용어와 정의 1 4 기호와 단위 2 5 성능 및 품질기준 4 6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및 품질시험 방법 7 6.1 일반 7 6.2 내압 시험(정압누설시험) 7 6.3 고온 저항 시험 8 6.4 외부 열충격 시험(시수 분무 시험) 10 6.5 내부 열충격 시험(냉수 주입 시험) 12 6.6 빗물 침투 시험 14 6.7 열성능 시험 15 6.8 최종 해체 검사 16 7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전기성능 및 품질시험 방법 16 7.1 외관 검사 16 7.2 최대 출력결정 시험 16 7.3 절연 시험 17 7.4 온도계수의 측정 17 7.5 낮은 조사 강도에서의 특성 17 7.6 옥외노출 시험 18 7.7 열점 내구성 시험 18 7.8 UV 전 처리 시험 18 7.9 온도 사이클 시험 19 7.10 습도-동결 시험 19 7.11 고온 고습 시험 21 7.12 단자 강도 시험 21 7.13 습윤 누설전류 시험 21 7.14 기계적 하중 시험 22 7.15 우박 시험 22 7.16 바이패스 다이오드 열 시험 22 7.17 염수분무 시험 23 8 검사 23 9 표시사항 23 9.1 일반사항 23 9.2 제조 및 사용 표시 23 9.3 카탈로그 또는 사용설명서 기재사항 24 해 설 25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 기준(안)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적용범위 이 기준은 태양에너지를 전기 및 열에너지로 변환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액체식 태양광발전·태양열 융합제품으로서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이하 “무창형 PVT 복합모듈” 이라 한다)에 적용된다. 인용표준 다음의 인용표준은 이 기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용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한다.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을 포함)을 적용한다. KS A IEC 60410, 계수 값 검사를 위한 샘플링 계획과 절차 KS B 8295, 태양열 집열기 — 평판형, 진공관형, 고정집광형 KS B ISO 9060, 태양에너지 — 반구 전 태양복사 및 직달 태양복사 측정 기기의 시방과 분류 KS B ISO 9488, 태양에너지 — 용어 KS B ISO 9806, 태양에너지 — 태양열 집열기 — 시험방법 KS B ISO 9806-1, 태양열 집열기 시험방법 — 제1부: 집열창이 부착된 압력 강하가 발생하는 액체식 집열기의 열적 성능 KS B ISO 9806-2, 태양열 집열기 시험방법 — 제2부: 품질시험 절차 KS B ISO 9806-3, 태양열 집열기 시험 방법 — 제3부: 집열창이 없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는 액체식 집열기(현열만 이용)의 열적 성능 KS B ISO 9845-1, 태양에너지 — 상이한 흡수 조건 하에서 지표면의 기준 태양 스펙트럼 일사 — 제1부: 공기 질량이 1.5일 때 법선면 직달 일사와 반구 전 태양 일사 KS B ISO 9847, 태양에너지 — 기준 수평면 일사계와의 비교에 의한 현장 수평면 일사계의 교정 KS C 8561, 결정질 실리콘 – 태양광발전 모듈(성능) KS C 8563, 태양광발전(PV) 모듈(안전) KS C IEC 61215, 지상 설치용 결정계 실리콘 태양전지(PV) 모듈 — 설계 적격성 확인 및 형식 승인 요구사항 KS Q ISO/IEC 17025, 시험기관 및 교정기관의 자격에 대한 일반 요구사항 ISO/TR 9901, Solar energy — Pyranometers — Recommended practice for use 용어와 정의 이 기준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와 정의는 KS B 8295 및 KS C 8561 인용표준에서 규정한 용어와 정의 그리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3.1 무창형 PVT 복합모듈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제조사에서 제시한 제품명으로, 전면에 커버유리가 없고 태양광발전(PV)모듈과 집열관(열매체 파이프)이 용접된 흡열판을 라미네이션하여 하나의 모듈에서 전기와 온수 생산이 가능한 태양광․태양열 융합장치 3.2 흡열판 태양광모듈(PV)에 입사된 태양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금속판 3.3 집열관 흡열판의 열을 열매체에 전달하기 위한 유체관로 3.4 유효 집열 면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서 태양에너지가 입사되어 통과하는 투영면적 3.5 무창형 PVT 복합모듈 전면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돌출부를 제외한 외장을 포함한 투영면적 3.6 흡수면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 흡열판의 투영면적 3.7 정격출력(rated power) 지정된 조건에서 제조자가 보장하는 출력 기호와 단위 이 표준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의 기호와 단위를 적용한다. a1 (Tm - Ta) = 0 상태의 열손실 계수 Wm-2K-1 a2 열손실 계수의 (Tm - Ta)의 온도 상관성 Wm-2K-2 AA PVT 복합모듈의 흡수부 면적 m2 Aa PVT 복합모듈의 투과부 면적(투과 면적) m2 AG PVT 복합모듈 전면적 m2 AM 광학적 대기 질량 bu 집열 효율 계수(바람 상관성) m-1s b0 입사각 수정 계수 모델식의 상수 b1 (Tm - Ta) = 0 상태의 열손실 계수 Wm-2K-1 b2 집열 효율 계수 Wsm-3K-1 c1 (Tm - Ta) = 0 상태의 열손실 계수 Wm-2K-1 c2 열손실 계수의 온도 상관성 Wm-2K-1 c3 열손실 계수의 풍속 상관성 Jm-3K-1 c4 열손실 계수의 하늘 온도 의존성 Wm-2K-1 c5 유효 열용량 Jm-2K-1 c6 최고 효율에서의 바람 상관성 sm-1 cf 열전달 유체의 비열 Jkg-1K-1 C PVT 복합모듈의 유효 열용량 JK-1 D 일자 YYMMDD EL 장파 복사량(λ>3 μm) Wm-2 Eb 옥외 경사면 상의 장파 복사량 Wm-2 ES 장파 복사량 Wm-2 F 복사 투영 계수 F¢ 집열 효율 계수 G 천공 일사량(일사계 수감부 상부 180도 반구상) Wm-2 G* 집열면 전 일사량 Wm-2 G² 순 복사량(net irradiance: 입사 에너지와 반사된 에너지의 총 복사량) Wm-2 Gb 직달 일사량 Wm-2 Gd 산란 일사량 Wm-2 LT 지방시 Kq 입사각 수정 계수 Kq b 직달 일사에 대한 입사각 수정 계수 Kq d 산란 일사에 대한 입사각 수정 계수 Kq L PVT 복합모듈 종축에 대한 입사각 수정 계수 Kq T PVT 복합모듈 횡축에 대한 입사각 수정 계수 m PVT 복합모듈의 열전달 유체(열매체) 질량 kg {dot{m}}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유량 kgs-1 {dot{Q}} PVT 복합모듈의 순간 취득 열량 W {dot{Q _{L}}} PVT 복합모듈의 순간 열손실량 W SF 안전 계수 t 시간 ta 외기 온도, PVT 복합모듈 주위 대기 온도 ℃ tdp 대기 이슬점 온도 ℃ te PVT 복합모듈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출구 온도 ℃ tin PVT 복합모듈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입구 온도 ℃ tm PVT 복합모듈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평균 온도 ℃ ts 대기 온도 ℃ tstg PVT 복합모듈 정체 온도 ℃ T 절대 온도 K Ta 주위 또는 주변 공기 온도 ℃ T _{m}^{*} 수정 온도차 (=tm - ta) / Gx m2KW-1 Ts 대기 온도 K U T _{m}^{*}에 상관하여 측정된 PVT 복합모듈의 전체 열손실 계수 Wm-2K-1 UL PVT 복합모듈의 흡열판 평균 온도 tm에 대한 PVT 복합모듈의 전체 열손실 계수 Wm-2K-1 υ 주변 공기 속도 ms-1 Vf PVT 복합모듈의 유체 용량 m3 ∆p 열매체의 PVT 복합모듈 입구와 출구 간 압력차(입, 출구 차압) Pa ∆t 시간 간격 S ∆T PVT 복합모듈 열매체의 입, 출구 온도차(tβ - tin) K α 일사 흡수율 β 집열면의 경사각 ° gamma 집열면의 방위각 ° ε 반구상(천공) 복사 에너지 방사량 ω 태양의 시간각 ° θ 입사각 ° Φ 위도 ° λ 태양 에너지 파장 mm τ T _{m}^{*}에 관한 집열 효율 η0 PVT 복합모듈의 최고 집열 효율(=0에서 η) σ 스테판-볼츠만 상수 Wm-2K-4 ρ PVT 복합모듈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밀도 kg·m-3 τ0 PVT 복합모듈 시간 정수 S τ 투과율 (τα)e 유효 투과 흡수율 (τα)ed 산란 일사에 대한 유효 투과 흡수율 (τα)en 법선면 일사에 대한 투과 흡수율 (τα)eθ 입사각 θ에서의 직달 일사에 대한 투과 흡수율 성능 및 품질기준 5.1 성능 5.1.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성능 및 품질기준은 표 1(열적 특성), 표 2(전기적 특성)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5.1.2 시험은 그림 1 인증시험절차에 나타낸 순서에 따라 실시한다. 시험순서의 변경은 의뢰자와 평가기관 및 시험기관의 협의로 가능하며, 시험결과와 함께 제출되어야 하고 변경 사유를 제시하여야 한다. 5.1.3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전달 매체와 독립적으로 PV 작동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태양광 발전 특성은 시험성적서에 상세히 기술되어야 하며, 열특성 관련 모든 시험에서 전력 작동 모드(최대전력생산 상태와 개방회로 상태)는 모든 시험에 대해 보고되어야 한다. 표 1 —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집열성능 및 품질시험 항목 성능 시험방법 집열 성능 시간 정수 -1) 6.7 입사각수정계수 압력 손실 집열 성능 품질시험 내압(정압 누설) 1) 열매체의 누설이 없을 것 2) 정압 누설 시험 시, 압력강하가 1 % 이내일 것 3) PV모듈부와 틀 사이의 봉입재 돌출이 3 mm 이내일 것 4) PV모듈부와 틀 사이의 틈이 3 mm 이내일 것 5) 흡열판과 집열관 사이의 틈이 없을 것 6) 단열재의 변형이 없고 부풀림 등이 3 mm 이내일 것 7) 무창형 PVT 복합모듈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여 단열재가 젖지 않을 것 8)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구조 변형이나 구성품의 파손 및 손상이 없을 것 9) 시험 중 이상 소음의 발생 또는 진동이 없을 것 6.2 고온 저항 6.3 시수 분무 6.4 냉수 주입 6.5 빗물 침투 6.6 해체 검사 이상 유무가 없을 것 6.8 1) 해설 참조 표 2 —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전기성능 및 품질기준 시험항목 시험 방법 품질기준 외관 검사 태양전지, Glass, J-Box, 프레임, 접지단자, 출력단자 등 평가 (KS C IEC 61215, 10.1 참조) 7.1 최대출력 결정 개방 전압(Voc), 단락 전류(Isc), 최대 전압(Vmax), 최대 전류(Imax), 최대 출력(Pmax), 곡선율(FF), 효율(Eff) 등의 발전 성능을 시험 (KS C IEC 61215, 10.2 참조) 7.2 절연 시험 출력단자와 모듈 또는 접지단자 사이의 절연 시험 (KS C IEC 61215, 10.3 참조) 7.3 온도계수 측정 모듈의 온도계수 측정 (KS C IEC 60904-10, KS C IEC 61215, 10.4 참조) 7.4 저방사 조도 특성 태양전지 온도 25 ℃, NOCT, KS C IEC 60904-3의 기준 태양광 분광 방사 조도 200 W/m2에서의 성능(KS C IEC 61215, 10.7 참조) 7.5 옥외노출 시험 총 방사조도 60 kWh/m2에서의 성능(KS C IEC 61215, 10.8 참조) 7.6 열점 내구성 시험 태양 전지의 성능 불균형, 크랙 또는 국부적인 그림자 영향에 의해 발생되는 열점 내구성 시험(KS C IEC 61215, 10.9 참조) 7.7 UV 전처리 시험 자외선 노출에서 태양광발전 모듈 재료의 열화정도 시험, 자외선 조사(KS C IEC 61215, 10.10 참조) 7.8 온도 사이클 시험 환경 온도의 불규칙한 반복에서 구조나 재료 간의 열전도나 열팽창률에 의한 스트레스의 내구성 시험(KS C IEC 61215, 10.11 참조) 7.9 습도-동결 시험 고온, 고습, 영하의 저온에서 열팽창률의 차이나 수분의 침입, 확산, 호흡 작용 등의 구조나 재료의 영향을 시험 (KS C IEC 61215, 10.12 참조) 7.10 고온고습 시험 고온, 고습 상태의 열적 스트레스와 접합재료의 밀착력 등의 적성 시험(KS C IEC 61215, 10.13 참조) 7.11 단자강도 시험 단자 부분이 부착, 배선 또는 사용 중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강도 시험(인용표준: KS C IEC 61215, 10.14 참조) 7.12 습윤 누설전류 시험 강우에 노출되는 경우의 적성 시험(KS C IEC 61215, 10.15 참조) 7.13 기계적 하중 시험 바람, 눈 및 얼음에 의한 하중에 대한 기계적 내구성 시험 (KS C IEC 61215, 10.16 참조) 7.14 우박 시험 우박의 충격에 대한 태양광발전 모듈의 기계적 강도 시험 (KS C IEC 61215, 10.17 참조) 7.15 바이패스 다이오드 열 시험 모듈의 열점현상 등으로 발생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장기 내구성을 위한 적정 온도 설계 시험(KS C IEC 61215, 10.18 참조) 7.16 염수분무 시험 모듈의 구성 재료 및 패키지의 염분에 대한 내구성 시험 (KS C IEC 61701 참조) 7.17 그림 — 인증시험 절차 5.2 구조 및 겉모양 구조 및 겉모양은 다음 각 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사용 중 열매체가 누출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각 부분은 사용상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열매체의 출입이 용이한 구조이어야 한다. 배관 접속부는 외부배관과 용이하게 접속되는 구조이어야 한다. 동파가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사용 중 소음 및 진동을 내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흡열판과 집열관은 용접 혹은 압착되어 이탈 및 틈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빗물의 침입이 없고 바람 등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한 구조이어야 한다. 부식 및 녹방지를 위해 방청처리를 하여야 한다. 마감 상태 등 겉모양이 미관 상 심각할 정도로 거칠지 않아야 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모든 부품은 설치과정에서나 외기조건(태풍, 적설 등)하에서 그 형상이 변화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지녀야 한다. 5.3 재료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재료는 다음 각 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1)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은 각 부의 목적에 적합한 KS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갖는 것으로 내구성 및 강도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2) 태양복사 일사에 노출되는 재료는 자외선 등 내후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3) 단열재는 단열재에 접하는 온도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성능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가스발생 등의 반응이 없어야 한다. 4) 외장재는 부식이 없는 재료이거나 부식을 방지 코팅 처리되어야 하며, 내후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및 품질시험 방법 6.1 일반 6.1.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시험은 최대 전력 생산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내구성 및 품질시험은 태양광발전 모듈이 냉각되지 않는 상태로 만들고 최악의 작동 조건을 모사하기 위해 어떤 부하에도 연결되어서는 안된다(개방회로). 6.1.2 시험 종류에 따라, 어떤 시험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일부분을 변경하여 처리해야 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흡열판에 온도센서를 부착하기 위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바닥면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발생된 손상 부분이 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6.1.3 재료 심사는 시험절차에 의해 입증할 수 없는 각 부품의 재질과 관련한 부분은 서류로 제출되어 평가되어야 한다(흡열판, 집열관, 단열재 등). 6.2 내압 시험(정압 누설 시험) 6.2.1 목적 내압(정압누설) 시험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 작동 중, 흡열판의 집열관이 받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정도를 확인한다. 6.2.2 장치 및 절차 6.2.2.1 시험 장치는 그림 2와 같이 수압식 압력원(hydraulic pressure source-펌프, 고압탱크 등), 안전 밸브, 공기빼기 밸브(air-bleed valve)와 5 % 이상의 정확성을 가진 압력계로 구성된다. 6.2.2.2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가압하기 전에 공기빼기 밸브를 사용하여 공기를 빼낸다. 6.2.2.3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상온에서 물로 채워져야 하고, 시험압으로 일정 시간 가압되어야 한다(6.2.3.2 참조). 압력은 흡열판의 부품 변형 및 파손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식별부호 1 수압식 압력원 2 안전밸브 3 압력계 4 열매체 출구 주관 봉입, 5 무창형 PVT 복합모듈 6 공기빼기 밸브 그림 2 —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내압(정압 누설) 시험 장치 6.2.3 시험조건 6.2.3.1 온도 금속 흡열판은 5 ℃ ~ 30 ℃ 범위의 외기온도 조건에서 가압되어야 한다(6.2.3.2 참조). 6.2.3.2 압력 시험압은 제작자가 제시한 최대 작동압력의 1.5배가 되어야 하며 15 분간 유지되어야 한다. 6.2.4 시험결과 확인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누수 및 부품 변형(팽창, 비틀림 등)에 대해 조사한다. 검사결과는 사용된 압력 값과 온도, 시험 시간과 함께 보고되어야 한다. 6.3 고온저항 시험 6.3.1 목적 이 시험은 강한 태양 복사 일사나 고온의 외기조건 하에서, 무창형 PVT 복합모듈 전면유리(PV모듈)의 파손, 손상 또는 무창형 PVT 복합모듈 내부의 가스 발생으로 인한 전면유리(PV모듈)의 침전, 변색 등의 결함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다. 6.3.2 장치 및 절차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실외 또는 인공태양장치 안에서 시험되어야 한다. 6.3.2.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매체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열매체 주관의 한쪽은 공기의 순환에 의한 냉각을 막기 위해 봉입하고 다른 한쪽은 흡열판 내의 공기의 자유로운 팽창이 가능하도록 개방시켜 설치한다(그림 3 참조). 6.3.2.2 온도센서는 시험 중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흡열판에 부착되어야 한다. 센서는 흡열판 높이의 2/3지점, 너비의 중간에 위치해야 하고, 흡열판의 온도가 잘 감지되는 부위에 단단히 부착시켜야 한다. 이때 센서는 태양복사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6.3.2.3 시험은 정상상태에 도달한 이후 1시간 이상 지속시켜야 하며, 6.3.4에서 언급한 손상에 대해 즉시 검사되어야 한다. 식별부호 1 집열면에 설치된 전 일사량계 2 열매체 입구 주관 봉입 3 무창형 PVT 복합모듈 4 온도센서 부착(흡열판) 5 열매체 출구 주관 일부 봉입 6 태양복사 일사(태양 또는 인공태양의 광원) 7 외기온도 센서 그림 3 — 고온 저항 시험 장치 6.3.3 시험조건 시험 시 외기조건은 표 3과 같아야 한다. 표 3 — 고온저항 시험에 대한 기상 조건 기상온도 기상 등급의 수치 집열면의 전 일사량 강도 G 1 000 W/m2 외기온도 ta 25 ℃ ~ 40 ℃ 외부 공기 속도 1 m/s 이하 6.3.4 시험결과 확인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저하, 부피 수축, 가스 누출 및 부품의 변형에 대해 조사한다. 6.3.5 무창형 PVT 복합모듈 정체온도 결정 일사량 Gs(= 1 000 W)과 외기 온도 t_{as}(= 30 ℃)에 의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정체 온도 t_{stag}는 빈쪼이기 상태에서 무창형 PVT 복합모듈 표면온도가 정체되어 정상상태에 도달했을 때 측정된 일사량 G_{m}과 외기 온도 t_{am} 및 정체 온도 t_{sm}에 의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t_{stag}=t_{as}+ { G_{s}} over {G_{m} }(t_{sm}-t_{am})t_{stag}=t_{as}+{ G_{s}} over {G_{m} }(t_{sm}-t_{am}) ···························· (1) 여기에서 t_{stag} : 정체 온도 t_{as} : 30 ℃ G_s : 1 000 W G_m : 정상 상태 도달 시 측정된 집열면 일사량 t_{am} : 정상 상태 도달 시 측정된 외기 온도 t_{sm} : 정상 상태 도달 시 측정된 무창형 PVT 복합모듈 흡열판 온도 주 의 정체온도 결정을 위한 데이터는 노출시험 기간 중 정상상태로 간주되는 상태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평균을 취한다. 6.4 외부 열충격 시험(시수 분무 시험) 6.4.1 목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강한 일사에 노출된 기후 조건에서 때때로 심각한 외부 열충격을 일으킬 수 있는 갑작스런 비, 폭풍 등에 노출될 수 있다. 이 시험은 그러한 열적 충격을 견딜 수 있는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6.4.2 장치 및 절차 6.4.2.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매체를 채우지 않은 상태로 실외 또는 인공태양 아래 설치한다. 열매체 주관의 한쪽은 공기의 자연 순환에 의한 냉각을 막기 위해 봉합하고, 다른 한쪽은 집열관 내부의 공기 팽창이 가능하도록 개방한다(그림 4 참조). 6.4.2.2 온도센서는 선택 사항으로, 시험 중 온도를 파악하기 위해 흡열판에 부착할 수 있다. 센서는 흡열판 높이의 2/3 지점, 너비의 중간에 설치해야 하고, 흡열판의 온도가 잘 감지되는 부위에 단단히 고정시켜야 한다. 이때 센서는 태양복사로부터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6.4.2.3 물 분무기의 배열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 전체에 걸쳐 물을 균등하게 뿌릴 수 있도록 위치해야 한다. 6.4.2.4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물 분무기가 작동되기 전에 1시간 이상 높은 일사량 상태에 노출 시킨 후, 15분 동안 물 분무기에의해 냉각된다(6.4.3 참조). 6.4.2.5 6.4.4의 검사를 한다. 이 시험은 2회 실시해야 한다. 식별부호 1 시수 분무기 2 출구 주관 일부 개방 3 태양 복사 일사 4 외기온도 센서 5 일사계 6 온도센서 부착(흡열판) 7 열매체 입구 주관 봉입 8 무창형 PVT 복합모듈 그림 4 — 외부 열충격 시험(시수 분무 시험) 장치 6.4.3 시험 조건 표 4에 주어진 조건이 사용되어야 한다. 규정된 작동조건은 다음과 같다. a) 집열면의 전 일사량 강도 G가 표 4의 값보다 커야 한다. b) 외기온도가 표 4의 값보다 커야 한다. 분무되는 물의 온도는 25 ℃ 이하이어야 하며, 유량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 유효 면적당 0.03 kg/s ~ 0.05 kg/s으로 한다. 주 의 - 시수 분무기의 배관이 외부의 태양복사에 노출되어있는 경우, 배관 내에 고인 물의 온도가 25 ℃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물의 기준온도인 25 ℃가 될 때까지 고인 물을 빼낸 후 시험을 수행하여야 한다. 표 4 — 노출 및 내·외부 충격시험에 대한 기상조건 기상온도 기상 등급의 수치 집열면의 전 일사량 강도 G 850 W/m2 집열면의 1일 적산 일사량 H 14 MJ/m2 외부 공기 온도 ta 10 ℃ 이상 6.4.4 시험 결과 확인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발생하는 모든 흠, 변형, 응축, 누수에 대해 조사한다. 일사량, 외기온도, 흡열판 온도(측정하였을 경우), 분무되는 물의 온도와 유량의 측정값을 기록한다. 6.5 내부 열충격 시험(냉수 주입 시험) 6.5.1 목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강한 일사에 노출된 기후 조건에서 심각한 내부 열충격(예를 들어, 장기간 작동 중지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이 정체 온도에 있는 상태에서 열매체 순환 작동을 시작하려고 할 때)을 일으킬 수 있는 차가운 열매체의 유입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다. 이 시험은 그러한 열적 충격을 견딜 수 있는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6.5.2 장치 및 절차 6.5.2.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매체를 채우지 않은 상태로 실외 또는 인공 태양 아래 설치한다. 열매체 주관의 한쪽은 개폐 밸브를 통해 열매체 공급원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다른 쪽(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대각선 방향)은 집열관에서 공기의 자유 팽창이 가능하도록 초기에 개방시켜 두고 열매체가 흡열판을 통과하도록 한다(그림 5 참조) 6.5.2.2 온도센서는 선택 사항으로 시험 중 온도를 파악하기 위해 흡열판에 부착될 수 있다. 센서는 흡열판 높이의 2/3 지점, 너비의 중간에 위치해야 하고, 흡열판의 온도가 잘 감지되는 부위에 단단히 부착시켜야 한다. 이때 센서는 태양복사로부터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6.5.2.3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매체를 공급하기 전 1시간 동안 높은 일사량 상태에 노출시킨 후, 5분간 차가운 열매체를 공급하여 냉각한다(6.5.3 참조). 6.5.2.4 6.5.4의 검사를 한다. 식별부호 1 태양 복사 일사 2 외기 온도 센서 3 집열면에 설치된 일사계 4 냉수 공급원 5 유량계 6 온도센서 부착(흡열판) 7 무창형 PVT 복합모듈 8 열매체 입구 주관 봉입 그림 5 — 내부 열충격 시험(냉수 주입) 장치 6.5.3 시험 조건 표 4에 주어진 조건이 사용된다. 규정된 작동 조건은 다음과 같다. a) 태양열(인공 태양)의 일사량 강도 G가 표 4의 값보다 커야 한다. b) 외부 공기의 온도가 표 4의 값보다 커야 한다. 열매체는 25 ℃ 이하의 온도이어야 한다. 권장 유량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유효 면적당 최소 0.02 kg/s로 한다(만약, 제작자가 규정한 사항이 없을 경우). 6.5.4 시험 결과 확인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발생하는 모든 홈, 변형, 뒤틀림, 누수 등에 대해 조사한다. 일사량, 외기온도, 흡열판 온도(측정하였을 경우), 열매체의 온도와 유량의 측정값을 기록한다. 6.6 빗물 침투 시험 6.6.1 목적 이 시험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대해 수행하며, 전면유리(PV모듈)의 틈 등을 통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빗물이 침투되는지에 대해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비에 의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나 수분 등의 침투가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6.6.2 장치 및 절차 6.6.2.1 일반 6.6.2.1.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그림 6과 같이 입·출구 배관을 하여 설치한다(다만, 온수가 집열관을 통해 순환하지 않은 상태로, 6.6.2.2 참조). 6.6.2.1.2 또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제작자가 권장하는 설치 경사각 중 가장 낮은 각도로 설치한다. 이 경사각이 규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30° 이하의 경사각을 취한다. 6.6.2.1.3 지붕 일체형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인공 지붕에 설치하고 아래쪽 면이 외기와 차단되도록 보호되어 야 한다. 기타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개방형 지지를 또는 인공 지붕에 일반적인 방식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6.6.2.1.4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스프레이 노즐이나 샤워기를 통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 설치면에 수직으로 전면에 걸쳐 4시간 동안 분무한다. 6.6.2.2 물의 침입 감지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모듈의 흡열판이 최소 50 ℃로 유지되는 동안 위에서 설명한 대로 분무되어야 한다. 이것은 흡열판을 통해 약 50 ℃의 온수를 순환하거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태양 복사 일사에 노출시켜 가능하다. 빗물 침투는 육안 검사(물방울 또는 전면유리(PV모듈)위의 응축 등의 징후)로 판단하거나 다음 중 하나의 방법으로 판단한다. a)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무게를 잰다(저울의 정확도는 ±1 g 이하이어야 한다). b)습도 측정의 방법을 통한다. c)응축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을 통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가열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이 시험 전 건조 상태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물 분무 시험 전에 시작되어야 한다. 식별부호 1 분무장치 2 출구 주관 봉입 3 지붕재 일체로 설계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경우, 바닥면 보호 4 경사각지지 5 무창형 PVT 복합모듈 그림 6 — 빗물 침투 시험 장치 6.6.3 시험 조건 분무되는 물의 온도는 30 ℃ 이하이어야 하고, 유량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 유효면적당 0.05 kgㆍs-1으로 한다. 빗물침투 검사방법으로 무게를 잴 경우,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시험 시작 전 저울로 무게를 달아야 하며, 시험 후의 무게는 ±1 g 이상 변화해서는 안된다. 6.6.4 결과 무창형 PVT 복합모듈 내부에 물이 침투되었는지를 조사한다. 물이 침투되었을 경우 물 침투의 범위 및 침투 위치가 기록되어야 한다. 6.7 열성능 시험 6.7.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시험은 KS B 8295의 8절 열성능 시험 중 정상 상태에서의 태양열 집열기 시험조건에서 액체식 태양열 집열기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6.7.2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태양광발전 작동모드(개방 및 단락회로)는 열성능에 영향을 미치며 시험성적서에 설명되어야 한다. 열성능 시험은 실제 작동상태인 최대전력생산 상태와 개방회로 상태에서 각각 측정되어야 하며 집열 효율을 각각 구분하여 표기한다. 이때, 최대전력생산 상태는 마이크로인버터 또는 전자부하장치 등을 이용한 최대전력점추종제어(MPPT)에 의한 부하가 연결된 상태를 말한다. 6.8 최종 해체 검사 모든 시험이 끝났을 때, 마지막으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해체해서 이상 유무를 검사하여야 한다. 이상한 점이 발견되었을 경우 사진과 함께 시험 성적서에 그 내용이 기록되어야 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전기성능 및 품질시험 방법 7.1 외관 검사 7.1.1 검사 방법 1 000 lux 이상의 광 조사상태에서 모듈외관, 태양전지 등에 크랙, 구부러짐, 갈라짐 등이 없는지를 확인하고, 태양전지 간 접속 및 다른 접속부분에 결함이 없는지, 태양전지와 태양전지, 태양전지와 프레임상의 접촉이 없는지, 접착에 결함이 없는지, 태양전지와 모듈 끝부분을 연결하는 기포 또는 박리가 없는지 등을 검사하며, KS C IEC 61215 에 따라 시험한다. 7.1.2 품질기준 태양전지, Glass, J-Box, 프레임, 기타사항(접지단자, 출력단자) 등의 이상이 없을 것. a) 모듈외관: 크랙, 구부러짐, 갈라짐 등이 없는 것. b) 태양전지: 깨짐, 크랙이 없는 것. c) 태양전지 간 접속 및 다른 접속부분에 결함이 없는 것. d) 태양전지와 태양전지, 태양전지와 프레임의 접촉이 없는 것. e) 접착에 결함이 없는 것. f) 태양전지와 모듈 끝부분을 연결하는 기포 또는 박리가 없는 것 등. 7.2 최대 출력결정 시험 7.2.1 결정 방법 이 시험은 환경시험 전후에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최대출력을 결정하는 시험으로 KS C IEC 6121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인공광원법에 의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Ⅰ-Ⅴ 특성 시험을 수행하며, AM 1.5, 방사조도 1 kW/m2, 온도 25 ℃ 조건에서 기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시험을 실시하여 개방전압(Voc), 단락전류(Isc), 최대 전압(Vmax), 최대 전류(Imax), 최대 출력(Pmax), 곡선율(FF), 효율(Eff)을 측정한다. KS C IEC 61215에서 정하는 KS C IEC 60904-9의 솔라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KS C IEC 60904-1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7.2.2 품질기준 a) 해당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최대 출력을 측정하되, 시험시료의 평균 출력은 정격 출력 이상일 것. b) 시험시료의 출력 균일도는 평균 출력의 ±3 % 이내일 것. c) 시험시료의 최종 환경시험 후 최대출력의 열화는 최초 최대출력의 -8 %를 초과하지 않을 것. 7.3 절연시험 7.3.1 시험방법 a) 절연내력 시험은 최대 시스템 전압의 두 배에 1 000 V를 더한 것과 같은 전압을 최대 500 V/s이하의 상승률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출력단자와 모듈 또는 접지단자(프레임)에 1분간 유지한다. 다만 최대 시스템 전압이 50 V 이하일 때는 인가전압은 500 V로 한다. b) 절연저항 시험은 시험기 전압을 500 V/s를 초과하지 않는 상승률로 500 V 또는 모듈 시스템의 최대 전압이 500 V 보다 큰 경우 모듈의 최대 시스템 전압까지 올린 후 이 수준에서 2분간 유지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이때,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시험 환경온도는 60 ℃를 유지한다. 7.3.2 품질기준 a) 7.3.1의 시험 동안 절연파괴 또는 표면 균열이 없어야 한다. b) 모듈의 측정 면적에 따라 0.1 m2 미만에서는 400 MΩ 이상이어야 한다 c) 모듈의 시험 면적에 따라 0.1 m2 이상에서는 측정값과 면적의 곱이 40 MΩ·m2 이상이어야 한다. 7.4 온도계수의 측정 7.4.1 측정 방법 모듈 측정을 통해 전류의 온도계수(α), 전압의 온도계수(β) 및 피크전력(δ)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결정된 계수는 측정한 방사조도에서 유효하다. 다른 방사조도 수준에서의 모듈의 온도 계수 계산은 KS C IEC 60904-10을 참조하며, KS C IEC 6121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7.4.2 품질기준 별도의 품질기준에 따르지 않고, 해당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온도계수를 측정한다. 7.5 낮은 조사 강도에서의 특성 7.5.1 특성 시험 이 시험은 모듈의 전기적 특성이 25 ℃ 및 200 W/m2(적절한 기준 기기로 측정)의 방사 조도에서, 부하와 함께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자연광 또는 KS C IEC 60904-9의 요구에 적합한 B등급 이상의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KS C IEC 60904-1에 의해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KS C IEC 6121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7.5.2 품질기준 별도의 품질기준에 따르지 않고, 해당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낮은 조사강도에서의 성능특성을 측정한다. 7.6 옥외노출 시험 7.6.1 시험방법 이 시험은 모듈의 옥외 조건에서의 내구성을 일차적으로 평가하고 또 시험소의 시험에서는 검출될 수 없는 복합적 열화의 영향과 장기간 사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문제점 유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적산 일사량계로 측정한 적산 일사량이 60 kWh/m2에 도달할 때까지 시험하며, 외부공기온도 10 ℃ 이상 조건에서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이때, 집열관은 열매체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모든 열매체 주관의 한쪽은 관로는 공기의 순환에 의한 냉각을 막기 위해 봉입하고, 다른 한쪽은 집열관 내의 공기의 자유로운 팽창이 가능하도록 개방시켜 설치하며 KS B 8295 노출시험 장치 및 절차에 따른다. 7.6.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d) 집열부의 손상 및 성능 감소에 대해 조사. 7.7 열점 내구성 시험 7.7.1 시험방법 무창형 PVT 복합모듈이 과열점 가열의 영향에 대한 내구성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결함은 태양전지의 부정합, 균열, 내부접속 불량, 부분적인 그늘 또는 오손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시험은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7.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8 UV 전 처리 시험(UV preconditioning test) 7.8.1 시험방법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태양광에 노출되는 경우에 따라서 유기되는 열화정도를 시험한다. 제논아크등을 사용하여 모듈온도 (60 ± 5)℃의 건조한 조건을 유지하고 파장범위 280 nm에서 320 nm까지 방사조도 5 kWh/m2 또는 파장범위 280 nm에서 385 nm까지 방사조도 15 kWh/m2에서 시험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8.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9 온도 사이클 시험(시험 a: 200사이클, 시험 b: 50사이클) 7.9.1 시험방법 환경온도의 불규칙한 반복에서 구조나 재료간의 열전도나 열팽창률의 차이에 의한 스트레스 내구성을 시험한다. 고온측 (85 ± 2) ℃ 및 저온측(-40 ± 2) ℃로 10분 이상 유지하고 고온에서 저온으로 또는 저온에서 고온으로 최대 100 ℃/h의 비율로 온도를 변화시킨다. 이것을 1사이클로 하여 6시간 이내에 하고 특별히 규정이 없는 한 UV 전처리 시험 후 온도 사이클 시험 b 50회, 습윤 누설전류 시험 후 온도 사이클 시험 a 200회를 실시한다. 최소 1시간의 회복시간 후,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9.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d) 시험 도중에 회로가 손상(open circuit)되지 않을 것. 7.10 습도-동결 시험 7.10.1 시험 방법 고온·고습, 영하의 저온 등의 가혹한 자연환경에 반복 장시간 놓았을 때, 열팽창률의 차이나 수분의 침입·확산, 호흡작용 등에 의한 구조나 재료의 영향을 시험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냉각 챔버에 설치한다(그림 7).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매체 입·출구를 완전히 밀폐시키고, 제작자가 권장하는 설치 경사각 중 가장 낮은 경사각으로 설치한다. 제작자가 이러한 경사각을 규정하지 않았을 경우 모듈은 30°의 경사각으로 설치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물을 채워 작동압력으로 맞춘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 내부의 압력이 떨어질 경우 작동압력으로 물이 재충전되어야 하며 시험과정 중의 물의 온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단, 부동액을 열매체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무창형 PVT 복합모듈 시험조건은 적용하지 않는다. 고온측 온도 조건을 (85 ± 2) ℃, 상대습도 (85 ± 5) % R.H.에서 20시간 유지하고, 저온측 온도 조건을 (-40 ± 2) ℃에서 0.5시간 유지한다. 위의 조건을 1사이클로 하여 24시간 이내에 하고 10회 실시한다. 2시간에서 4시간의 회복시간 후,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식별부호 1 시수원 2 배수구 3 냉각챔버 4 온도센서 5 압력계 6 무창형 PVT 복합모듈 7 경사설치 8 출구 주관 일부 봉입 9 공기 밸브 그림 7 — 내동결 시험장치 7.10.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d) 집열부의 누수, 파손, 변형과 뒤틀림이 없을 것. 7.11 고온고습 시험 7.11.1 시험방법 고온·고습 상태에서의 사용 및 저장하는 경우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적 스트레스와 적성을 시험한다. 이때 접합 재료의 밀착력의 저하를 관찰한다. 시험조 내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출력단자를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방수를 위하여 염화비닐제의 절연 테이프로 피복하여, 온도 (85 ± 2) ℃, 상대습도 (85 ± 5) % R.H.로 1 000시간 시험한다. 2시간에서 4시간의 회복시간 후,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11.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습윤 누설전류 시험: 7.13을 만족시킬 것. d)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12 단자강도 시험 7.12.1 시험방법 모듈의 단자 부분이 모듈의 부착, 배선 또는 사용 중에 가해지는 외력에 충분한 강도가 있는지를 시험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12.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13 습윤 누설전류 시험 7.13.1 시험방법 모듈이 옥외에서 강우에 노출되는 경우의 적성을 시험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13.2 품질기준 a) 모듈의 측정 면적에 따라 0.1 m2 미만에서는 절연저항 측정값이 400 MΩ 이상 일 것. b) 모듈의 측정 면적에 따라 0.1 m2 이상에서는 절연저항 측정값과 모듈 면적의 곱이 40 MΩ·m2 이상일 것. 7.14 기계적 하중 시험 7.14.1 시험방법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대하여 바람, 눈 및 얼음에 의한 하중에 대한 기계적 내구성을 시험하며, KS C IEC 6121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7.14.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시험 도중에 회로가 단선되지 않을 것. d)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e) 구조체에 발생하는 모든 결함을 검사할 것. 7.15 우박 시험 7.15.1 시험방법 우박의 충격에 대한 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시험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15.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16 바이패스 다이오드 열 시험(Bypass diode thermal test) 7.16.1 시험방법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점(hot-spot) 현상에 대한 유해한 결과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열에 대한 내성설계가 얼마나 잘 되어 있는지 그리고 유사한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신뢰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STC 조건에서 단락전류의 1.25배와 같은 전류를 적용한다. 시험은 KS C IEC 61215에 따른다. 7.16.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d) 시험이 끝난 후에도 다이오드의 기능을 유지할 것. e) 다이오드 접합 온도는 다이오드 제조자가 제시한 정격 최대 정션 온도를 초과하지 않을 것. 7.17 염수분무 시험 7.17.1 시험방법 염해를 받을 우려가 있는 지역에서 사용되는 모듈의 구성재료 및 패키지의 염분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한다. 시험품은 이상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연선의 단자부 봉지 등 실사용 조건과 같은 단자처리를 하거나 또는 보호하여 둔다. 소정의 염수분무실에서 15 ℃ 에서 35 ℃ 사이의 온도에서 염수농도 (5 ± 1) %의 무게비로 하여 2시간 염수분무 후 온도 (40 ± 2) ℃, 상대습도 (93 ± 5) % R.H.의 조건에서 7일간 시험하고, 위의 시험을 4회 반복한다. 소금 부착물을 상온의 흐르는 물로 5분간 세척한 후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로 씻고 부드러운 솔을 사용하여 물방울을 제거하고 (55 ± 2)℃의 조건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 표준상태에서 1시간 ∼ 2시간 이내로 방치하고 냉각한다. KS C IEC 61701에 따라 시험한다. 7.17.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검사 5.1 ~ 7.17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시사항 9.1 일반사항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소비자가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야 한다. 9.2 제조 및 사용 표시 9.2.1 인증 설비에 대한 표시는 최소한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업체명 및 소재 2) 설비명 및 모델명 3) 제품의 주요 사양(최대출력 및 열성능) 4) 제조일 및 제조 번호 5) 인증부여 번호 6) 인증 표지 7) 기타 사항 9.3 카달로그 또는 사용설명서 기재사항 카달로그 또는 사용설명서 등에는 표 5와 같은 사항을 기재 한다. 표 5 — 카탈로그 표 시 항 목 카탈 로그 취급 설명서 공사 설명서 기술 자료 표 시 내 용 단 위 종류 및 형식 O O O O 모델명 또는 모델코드 외형치수 O O O O 너비×길이(안길이)×높이 스케치도에 의한 외형 치수 포함 mm 집열 매체 용량 O O O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채워지는 집열매체의 용량 또는 질량 L, g 중량 O O O 제품의 중량(빈무게 및 전열매체를 채운 후 총 중량) 집열 매체 O O 명칭 또는 종류 최고 사용압력 O O O O 사용할 수 있는 최고 압력 Pa 외형도 O O O 평면도, 측면도 또는 이에 준하는 도면 mm 부착 치수 O O 부착 또는 설치 등의 치수 mm 접속관 구경치수 O O 접속관 구경은 KS호칭 또는 mm로 표시한다. 구성 부재 O O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구성하는 주요 부재를 표시한다. (1) 흡열판 재료: 재질, 두께 (2) 단열재: 재질, 두께 (3) 외장재: 재질, 두께 (4) 집열매체 관: 재질 최대 출력 O O 전기성능의 결과에 의거하여 표시한다. 집열 성능 O O 집열성능의 결과에 의거하여 표시한다. 압력 손실 O O 압력손실 특성도를 표시한다. 운전상의 주의사항 O O O 운전상의 주의사항을 표시한다. 설치상의 주의사항 O O 설치상의 주의사항 및 동결 방지에 관한 사항 등을 표시한다. 보수 점검상의 주의사항 O O O 보수 점검에 관한 사항을 표시한다. 재검토 기한 인증기준은 「훈령ㆍ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2025년 3월 X일(발령한 날)을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을 조치를 하여야 한다. 해 설 이 해설은 본체에 규정된 사항 및 이와 관련된 사항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기준의 일부는 아니며,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 해설을 추가하였다. 1 적합성 인증 기준 제정의 취지 ‘KS B 8295 태양열 집열기 – 평판형, 진공관형, 고정집광형’ 시험방법으로는, 태양에너지를 전기 및 열에너지로 변환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액체식 태양광발전·태양열 융합제품으로서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대해서 열성능 및 전기성능을 적합하게 평가할 수 없어 본 적합성 인증 기준을 제정하게 되었다. 적합성 인증 기준은 기존 KS B 8295에서 규정한 열성능 시험방법, 내압(정압누설), 고온저항, 노출시험, 외부열충격, 내부 열충격, 빗물침투, 내동결, 구조체 강도 및 투과체 내충격 시험의 품질시험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기존 KS C 8561(‘결정질 실리콘 – 태양광발전 모듈(성능)’)의 전기성능 및 품질시험의 모든 항목들을 추가하되, KS C 8561 표준과 중복되는 노출시험, 내동결, 구조체 강도 및 투과체 내충격 시험은 대체ㆍ강화된 시험방법으로 추가되었다. 2 기존 태양열 집열성능 및 전기성능의 합부기준과의 차이점 KS B 8295, KS C 8561에서 요구되는 집열성능 및 전기성능은, 집열성능의 경우 평판형 530 Wm-2, 진공관형 560 Wm-2 이상, 집열량(전면적) 7.64 MJm-2 이상이며, 전기성능의 경우 태양광발전 모듈 효율은 17.5 % 이상으로 합부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경우 관련 산업 및 시장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 인증표준과 유사한 성능기준을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결정지을 수 없다(국내외 참고규격도 부재). 따라서 적합성 인증 기준은 표준화된 시험방법으로 집열 및 전기성능을 규명하여 소비자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합부기준 및 요구 성능을 규정하지 않았다. 3 NOCT 측정 시험, STC 및 NOCT에서의 성능 시험 제외 KS C 8561 개정 계획에서 국제 표준(IEC 61215-2:2021) 최신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NOCT 측정 시험, STC 및 NOCT에서의 성능 시험을 삭제할 예정임에 따라 적합성 인증 기준에서도 미적용하였다.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심사기준 산업융합신제품명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최종 의결일 2022년 8월 10일 ○ 본 적합성인증 업무에 대한 처리 절차와 방법은 「산업융합 촉진법」,「산업표준화법」및「KS Q 8003, KS인증제도 – 신재생에너지설비인증에 대한 요구사항」에 따른다. ○ 이 인증심사기준은 산업융합 촉진법 제13조제3항에 따라 산업표준화법 시행규칙 별표8(인증심사기준)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KS Q 8003 부속서(공장심사보고서) 작성 등 인증심사에 대한 판단 기준으로 활용한다. 가. 품질경영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의 추진 가) 경영책임자는 표준화 및 품질경영을 합리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나) 기업의 사내표준 및 관리 규정은 한국산업표준(이하 “KS”라 한다)과 적합성 인증기준을 기반으로 회사 규모에 따라 적합하게 수립하고 회사 전체 차원에서 적용해야 한다. 다) 품질경영의 추진계획은 해당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의 요구 수준 이상으로 보증할 수 있도록 입안해야 한다. 2) 사내표준화와 품질경영의 도입 및 확산을 위한 활동 가) 품질경영을 총괄하는 품질경영부서(임직원이 20인 이하 기업은 인증유지담당자)는 독립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나) 제안 활동 또는 소집단 활동 등을 통해 품질개선 활동을 실시하고, 사내표준화와 품질경영 활동 전반에 대해 자체점검을 1년 이내의 주기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경영에 반영해야 한다. <비고> 1. 신청품목에 대해 공인인증기관*으로부터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인증을 받은 기업의 경우 이 항목은 평가를 생략할 수 있다. 인증심사원은 공장심사 시 ISO 9001 인증서(인증범위, 유효기간, 인증기관 등) 진위여부 및 주요 항목(내부심사, 경영검토, 부적합 시정조치 등)의 유효성을 확인하여야 하며, 신청자가 해외기업인 경우, ISO 9001 인증서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등 이 항목에 대한 생략이 적절하지 않다고 심사반이 판단한 경우에는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 “공인인증기관”이라 함은 인증기관 인정제도를 운영하는 기관(인정기구 ; 한국 KAB, 중국 CNAS, 영국 UKAS 등)으로부터 ISO/IEC 17021-1 에 따라 인정(accreditation)을 받은 인증기관을 말한다. 나. 자재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검사항목 적합성 인증기준에 따른 주요 자재명 및 자재별 검사항목을 사내표준에 규정해야 한다. 다만, 주요 자재관리 목록(부품, 모듈 및 재료 등)은 인증기관에 심사 전 제출하여 적정성을 확인받아야 하며, 심사 후에도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인증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자재품질기준 자재의 품질기준은 생산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될 수 있도록 규정해야 한다. 3) 검사방법 자재의 검사방법은 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될 수 있도록 규정해야 한다. 4) 이행사항 사내표준에 따라 자재를 인수할 때에는 품질검사(이하 이 표에서 "인수검사"라 한다) 및 자재 관리를 해야 한다. <비고> 1. 자재는 KS 인증제품을 우선적으로 사용해야 하고, KS 인증제품 또는 양질의 자재라고 인정될 때에는 자재를 공급하는 업체의 시험성적서, 외부공인 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 부품을 자체 제조하는 경우에는 공정관리 기록 등으로 인수검사를 갈음할 수 있다. * “자재를 공급하는 업체”라 함은 자재를 제조하여 공급하는 업체(이하 “공급업체”라 함)를 말한다. 공급업체로부터 자재를 구매하여 납품하는 업체(이하 “납품업체”라 함)와 구별하여야 한다. 특히, 해외 제조자로부터 자재 또는 제품을 수입하여 납품 또는 판매하는 업체는 “수입자”라 칭한다. 2. 인증을 받은 기업은 제품의 종류, 공정의 특수성 및 제조기술의 개발에 따라 자재를 대체 또는 생략하거나 검사항목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변경사항을 인증기관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때, 성능에 영향을 주는 부품이나 자재가 변경된 것으로 인정될 경우 별도 모델로 간주하여 신규 인증 신청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변경사항을 인증기관에 제출하지 않고 자재를 대체하거나 생략한 경우, 인증기관은 해당 제품이 적합성 인증기준에 현저히 맞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인증을 취소할 수 있다. 3.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의 주요 자재는 다음과 같다. ① 투과유리(태양전지보호) ② 태양전지(결정질실리콘) ③ 봉합재료(Encapsulation): EVA(Ethyl Vinyl Acetate) 등 ④ 후면재료: 모듈 백시트(Polyolefin) ⑤ 정션박스(junction box): 바이패스 다이오드(bypass diode), 단자박스, 보호커버, 케이블, 커넥터, 포팅(potting) 재료 등 ⑥ 흡열판(티타늄코팅 알미늄) 및 집열관(동관) ⑦ 단열재(EPDM) ⑧ 프레임(알루미늄합금) ⑨ 프레임 백시트(칼라강판) ⑩ 기타(제조사가 주요 자재로 취급하는 것) 다. 공정·제조설비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검사 또는 관리항목 적합성 인증기준에 따른 주요 공정명 및 공정별 검사 또는 관리항목, 주요 제조설비명을 사내표준에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2) 검사 또는 공정관리 방법 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될 수 있도록 적절한 관리기법을 적용하여 중간검사 또는 공정관리 방법을 규정해야 한다. 3) 이행사항 공정관리자가 사내표준에 따라 중간 검사ㆍ관리를 하여 그 결과를 기록․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4) 제조 작업 표준 각 공정에 대하여 사용설비, 작업방법, 작업조건, 작업상의 유의사항 등을 규정하고, 이에 따라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비고> 1. 일부 공정에 대해서는 외주가공을 허용하되, 외주가공을 하려는 자는 그 공정에 대한 관리규정을 정하여 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인증기관은 공장심사 시 외주가공 업체에 대한 현장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2. 해당 제품을 생산하기에 적합한 제조설비를 보유하고, 설비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점검, 보수, 윤활관리 등의 관리규정을 구체적으로 정하여 이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다만, 공정관리에서 외주가공이 허용된 경우에는 제조설비를 보유하지 않아도 된다. 3. 지정된 설비관리자가 설비관리규정에 따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4. 제조자는 핵심공정(Tabbing & Stringing 공정, 태양전지(PV)와 흡열판 라미네이션 및 용접공정)을 보유하여야 하며, 그 외 공정에 대해서는 외주가공을 할 수 있다. 외주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외주업체(또는 중간제품 공급업체)에 대한 현장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현장확인 시 평가항목은 해당 공정 범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자재관리, 제조·공정관리 등 인증심사기준 준용). 5. 제조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중간검사는 다음과 같다. ① String 품질 검사 (Lamination 공정 전) ② 밀봉상태 및 외관 검사 (Lamination 공정 후) ③ 최대출력결정시험 검사 ④ 절연시험 검사 ⑤ EL 검사(외관에 이상이 없을 것) ⑥ 용접 검사 ⑦ 누설 검사 * 제조자는 해당 공정에 대한 중간검사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라. 제품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제품 설계 및 개발 절차․계획 제품의 설계 및 개발 절차를 사내표준에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2) 제품 품질 검사 항목 제품의 검사항목 및 품질기준을 구체적으로 사내표준에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하고, 제품의 품질기준은 적합성 인증 기준에서 정한 품질검사 항목을 포함하여 그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 3) 검사 방법 제품의 검사 방법은 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될 수 있도록 적합성 인증기준에 규정된 적절한 검사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4) 이행사항 가) 사내 표준에 따라 제품의 설계 및 개발을 이행하고, 관련 활동에 대한 계획을 수립․유지해야 한다. 나) 제품의 품질에 대한 사내 표준에 따라 검사를 실시하고 그 기록을 공정 개선 및 제품의 품질 향상에 활용해야 한다. 다) 제품시험 검사자가 적합성 인증기준 및 사내표준에 따라 시험검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비고> 1. 중간검사와 중복되는 제품검사의 항목은 중간검사로 갈음할 수 있다. 2. 제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일정한 주기를 정하여 시험한 자체 검사실적 또는 외부 공인시험기관에서 발행한 시험성적서를 보유한 경우 그 시험항목에 대하여는 제품시험을 생략 할 수 있다. 3. 심사원은 시험·검사자의 수행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제품의 주요 검사항목에 대한 현장 입회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현장 입회시험 항목의 결정은 “아. 제품시험 결과에 따른 결함 구분” 중에서 중결함 이상의 검사항목 중 1개로 한다. 마. 시험·검사설비의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주요 설비명(공통) 1) 치수측정기(스틸자, 버니어캘리퍼스, 마이크로미터 등) 2) 온도계, 습도계 3) 옥외노출 시험장치 2. 주요 설비명(집열특성) 1) 압력계 2) 전압계, 전류계, 전력계 3) 유량계 4) 수압시험기 5) 자동태양추적식 집열기거치대 6) 집열기 열매체 공급설비 7) 극한시험장치 8) 데이터로거 9) 개폐시험기 10) 기상측정설비 3. 주요 설비명(전기특성) 1) 인장력측정기 2) 절연저항계 3) 쏠라시뮬레이터 4) 옥외노출 시험장치 5) 열점내구성시험장치 6) UV 시험장치 7) 항온항습 시험장치 8) 단자강도 시험장치 9) 절연저항 시험장치 10) 습윤누설전류 시험장치 11) 기계적하중 시험장치 12) 우박시험장치 13) 온도계수 측정장치 14) 내전압시험장치 15)염수분무 시험장치 16) 바이패스다이오드 시험장치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에서 정한 주요 시험·검사설비를 포함하여 시험․검사설비명을 사내표준에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가) 적합성 인증기준에 규정되어 있는 품질의 특성과 자재 및 제품을 검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험·검사설비를 보유한 경우에는 설비의 정밀도·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국가표준기본법」 제3조제17호에 따른 교정을 실시하되, 사용빈도와 측정기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회사의 실정에 맞는 시험·검사설비의 관리규정을 정하고 이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나) 정밀도와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검사설비의 설치장소가 적정하고, 시험·검사설비의 사용상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어야 하며, 시험·검사설비 관리자는 시험·검사설비의 관리규정에 따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다) 시험ㆍ검사설비를 보유하지 않아, 외부설비를 사용한 경우에는 제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관리규정을 정하고 사용계약을 체결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라) 시험·검사설비의 성능(performance) 또는 규격(specification) 은 KS B 8295 및 KS C 8561의 태양열성능 및 품질시험, 태양광발전 모듈 시험항목 및 품질기준 등을 참고한다. <비고> 제품이 적합성 인증 기준 수준 이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일정한 주기를 정하여 외부설비를 사용하거나 외부공인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로 품질관리를 대신하는 경우 그 시험항목에 대한 시험․검사설비를 갖추지 않아도 된다. 단, 공인시험기관*을 제외한 외부설비를 사용한 경우 외부설비 업체에 대해 현장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 “공인시험기관”이라 함은 시험기관 인정제도를 운영하는 기관(인정기구 ; 한국 KOLAS, 중국 CNAS, 영국 UKAS 등)으로부터 국제표준(시험기관—ISO/IEC17025)에 의거한 인정(accreditation)을 받은 시험기관을 말한다. 바. 소비자보호 및 환경·자원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소비자보호 가) 소비자가 제기한 불만사례의 경로를 추적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및 재발방지 조치를 해야 한다. 나) 소비자에게 제품의 사용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의 불만 및 피해보상에 대하여 처리방법을 규정해야 한다. 2) 환경관리 가) 적합성 인증기준에 따른 제품 요구사항의 적합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 환경을 사내표준에 규정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나) 청정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활동이 회사 전체적으로 실행되고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다) 작업능률의 향상과 종업원의 안전 및 복지를 고려한 작업환경을 갖추어야 한다. 3) 자원관리 가) 연간 교육훈련계획에 따라 종업원(경영간부 포함)에게 표준화 및 품질경영에 관한 교육․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나) 품질경영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인증유지담당자를 확보해야 한다. 다) 인증유지담당자는 다음의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 다만, 기업 규모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담당자의 직무를 조정하되, 사내 표준에 이를 규정하여야 한다. (1) 사내표준화와 품질경영에 대한 계획의 입안 및 추진 (2) 사내표준의 제정․개정 등에 대한 총괄 (3) 제품 및 가공품의 품질수준 평가 (4) 각 공정별 사내표준화 및 품질관리의 실시에 관한 지도․조언 및 부문 간의 조정 (5)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과 조치, 개선대책에 관한 지도 및 조언 (6) 종업원에 대한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에 관한 교육훈련 추진 (7) 부품을 제조하는 다른 업체에 대한 관리에 관한 지도 및 조언 (8) 불합격품 또는 부적합 사항에 대한 조치 (9) 해당 제품의 품질검사 업무 관장 <비고> 인증받은자는 국내 A/S 및 소비자불만처리를 위한 3인 이상의 조직을 유지하여야 한다. 사. 제품시험을 위한 샘플링 방식 검사 항목 로트의 크기 시료의 크기 (n) 판정 기준 비고 Ac Re 적합성인증기준의 전 검사항목 인증구분별 재고량 ◦인증구분별 n = 1 (총 시료수는 11대) 0 1 <비고> 1. 시판품 조사시 시료채취는 인증받은 제품중 1개 모델을 무작위로 채취하며, 시료의 크기는 n=1로 한다. 2. 적합성 인증기준에 규정된 전체 시험 검사항목을 하는데 있어서, 시험항목의 특성상 추가 시료가 필요할 경우 이를 추가할 수 있다. 아. 제품시험 결과에 따른 결함 구분 검사항목 결함구분 경결함 중결함 치명결함 품질 구조 및 겉모양 ● 내압시험(정압누설) ● 고온저항 ● 외부 열충격시험 ● 내부 열충격시험 ● 빗물침투시험 ● 해체검사 ● 최대출력 결정시험 ● 절연시험 ● 옥외노출시험 ● 열점 내구성 시험 ● UV 전처리 시험 ● 온도사이클 시험 ● 습도-동결 시험 ● 고온고습 시험 ● 단자강도 시험 ● 습윤 누설전류 시험 ● 기계적 하중 시험 ● 우박시험 ● 바이패스다이오드 시험 ● 염수분무 시험 ● 표시사항 ● <비고> 적합성 인증기준 시험결과 표준 미달 시 행정조치 관련 규정 1. 산업표준화법 시행령 [별표 1의2] 인증표시의 제거․정지 또는 판매의 정지 등에 관한 처분 기준 (2. 개별기준 “위반행위 나(경결함에 해당), 다(중결함에 해당) 항목) 2. 산업표준화법 제22조 제1항 3호(치명결함에 해당) 자. 제품인증표시의 방법 상품의 단위 표시 장소 표시 방법 표 시 내 용 매 제품 마다 제품 표면의 보기 쉬운 곳 명판, 각인 또는 인쇄 1. KS마크의 크기 3mm 이상 2. 산업융합 신제품명 3. 인증번호* 4. 모델명 및 모델코드 5. 제품의 주요 사양(정격출력은 필수 기입) 6. 제조연월일 7. 제조자의 이름, 소재지, 연락처 등 (해당하는 경우 수입사 포함) 8. 인증기관명 9. 적합성인증기준의 표시사항 * 인증서 발급 이후 부여 <비고> 1.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 표시 권고(안) ㉿ 산업융합 신제품명 인증번호 인증일자 설비명 모델명 제조연월일   모델코드   정격출력(W) 사양 1(Spec.) 사양 2(Spec.) 사양 3(Spec.) 사양 4(Spec.) 사양 5(Spec.) 제조자 연락처(A/S) 사무소 : 공 장 : 수입자 (해당 경우) 연락처(A/S) 사무소 : 판매자 (해당 경우) 연락처(A/S) 사무소 : ※ 필요 시 표시내용의 조정ㆍ재구성할 수 있음 차. 제품의 인증구분(종류·등급 호칭 또는 모델)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 기준명 종류∙등급∙호칭 또는 모델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모델별 부속서 A (참고) 재검토 기한 이 인증심사기준은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2025년 3월 X일 (발령한 날)을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을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닫기
  •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 제정 2025-03-12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25-028호「산업융합 촉진법」제13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16조에 따른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을 제정하여 아래와 같이 고시합니다.2025년 3월 12일산업통상자원부 장관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 제정(태양광·열(PVT) 복합모듈(무창형))

    >정책·정보>정책게시판>에너지·자원

    •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25-028호(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 제정).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통상자원부고시제2025-028호 「산업융합 촉진법」제13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16조에 따른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기준및인증심사기준을제정하여아래와같이고시합니다. 2025년3월12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산업융합신제품적합성인증기준및인증심사기준제정 1.산업융합신제품적합성인증기준및인증심사기준고시목록 구분 기준명 타겟인증 제정 태양광·열(PVT)복합모듈(무창형) 국가표준(KS) 2.제정사유 산업융합촉진법제11조에따른산업융합신제품적합성인증심사대상 3.주요내용 o 태양광·열(PVT)복합모듈(무창형) - 시험 방법 : 구조 및 겉모양, 내압시험(정압누설), 고온저항, 외부 열충격시험, 내부 열충 격시험, 빗물침투시험, 해체검사, 최대출력 결정시험, 절연시험, 옥외노출 시험, 열점 내구 성시험,UV전처리시험, 온도사이클시험,습도-동결시험, 고온고습시험,단자강도시 험, 습윤 누설전류시험, 기계적 하중 시험, 우박시험, 바이패스다이오드시험, 염수분무 시 험,표시사항 ※ 적합성 인증 기준(안) 세부 내용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의 고시를 통해확인가능 4.적합성인증의절차및방법 ◦ 인증 신청 후, 산업융합촉진법 시행령 제13조에 의한 적합성 인증 관련 협의, 제14조에 의한 적합성 인증 기준 등의 마련, 제15조에 의한 인증심사를 거쳤으며, 제13조제3항에 따른허가등의근거법령에서정한정기심사등사후관리예정 부칙 고시일로부터시행한다. 끝. 황국진 / 산업표준혁신과 / 2025-03-06 10:10:54

      닫기
    •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태양광·열(pvt) 복합모듈(무창형)).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 기준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최종의결일 2022년 8월 10일 목 차 1 적용범위 1 2 인용표준 1 3 용어와 정의 1 4 기호와 단위 2 5 성능 및 품질기준 4 6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및 품질시험 방법 7 6.1 일반 7 6.2 내압 시험(정압누설시험) 7 6.3 고온 저항 시험 8 6.4 외부 열충격 시험(시수 분무 시험) 10 6.5 내부 열충격 시험(냉수 주입 시험) 12 6.6 빗물 침투 시험 14 6.7 열성능 시험 15 6.8 최종 해체 검사 16 7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전기성능 및 품질시험 방법 16 7.1 외관 검사 16 7.2 최대 출력결정 시험 16 7.3 절연 시험 17 7.4 온도계수의 측정 17 7.5 낮은 조사 강도에서의 특성 17 7.6 옥외노출 시험 18 7.7 열점 내구성 시험 18 7.8 UV 전 처리 시험 18 7.9 온도 사이클 시험 19 7.10 습도-동결 시험 19 7.11 고온 고습 시험 21 7.12 단자 강도 시험 21 7.13 습윤 누설전류 시험 21 7.14 기계적 하중 시험 22 7.15 우박 시험 22 7.16 바이패스 다이오드 열 시험 22 7.17 염수분무 시험 23 8 검사 23 9 표시사항 23 9.1 일반사항 23 9.2 제조 및 사용 표시 23 9.3 카탈로그 또는 사용설명서 기재사항 24 해 설 25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 기준(안)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적용범위 이 기준은 태양에너지를 전기 및 열에너지로 변환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액체식 태양광발전·태양열 융합제품으로서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이하 “무창형 PVT 복합모듈” 이라 한다)에 적용된다. 인용표준 다음의 인용표준은 이 기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용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한다.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을 포함)을 적용한다. KS A IEC 60410, 계수 값 검사를 위한 샘플링 계획과 절차 KS B 8295, 태양열 집열기 — 평판형, 진공관형, 고정집광형 KS B ISO 9060, 태양에너지 — 반구 전 태양복사 및 직달 태양복사 측정 기기의 시방과 분류 KS B ISO 9488, 태양에너지 — 용어 KS B ISO 9806, 태양에너지 — 태양열 집열기 — 시험방법 KS B ISO 9806-1, 태양열 집열기 시험방법 — 제1부: 집열창이 부착된 압력 강하가 발생하는 액체식 집열기의 열적 성능 KS B ISO 9806-2, 태양열 집열기 시험방법 — 제2부: 품질시험 절차 KS B ISO 9806-3, 태양열 집열기 시험 방법 — 제3부: 집열창이 없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는 액체식 집열기(현열만 이용)의 열적 성능 KS B ISO 9845-1, 태양에너지 — 상이한 흡수 조건 하에서 지표면의 기준 태양 스펙트럼 일사 — 제1부: 공기 질량이 1.5일 때 법선면 직달 일사와 반구 전 태양 일사 KS B ISO 9847, 태양에너지 — 기준 수평면 일사계와의 비교에 의한 현장 수평면 일사계의 교정 KS C 8561, 결정질 실리콘 – 태양광발전 모듈(성능) KS C 8563, 태양광발전(PV) 모듈(안전) KS C IEC 61215, 지상 설치용 결정계 실리콘 태양전지(PV) 모듈 — 설계 적격성 확인 및 형식 승인 요구사항 KS Q ISO/IEC 17025, 시험기관 및 교정기관의 자격에 대한 일반 요구사항 ISO/TR 9901, Solar energy — Pyranometers — Recommended practice for use 용어와 정의 이 기준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와 정의는 KS B 8295 및 KS C 8561 인용표준에서 규정한 용어와 정의 그리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3.1 무창형 PVT 복합모듈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제조사에서 제시한 제품명으로, 전면에 커버유리가 없고 태양광발전(PV)모듈과 집열관(열매체 파이프)이 용접된 흡열판을 라미네이션하여 하나의 모듈에서 전기와 온수 생산이 가능한 태양광․태양열 융합장치 3.2 흡열판 태양광모듈(PV)에 입사된 태양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금속판 3.3 집열관 흡열판의 열을 열매체에 전달하기 위한 유체관로 3.4 유효 집열 면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서 태양에너지가 입사되어 통과하는 투영면적 3.5 무창형 PVT 복합모듈 전면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돌출부를 제외한 외장을 포함한 투영면적 3.6 흡수면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 흡열판의 투영면적 3.7 정격출력(rated power) 지정된 조건에서 제조자가 보장하는 출력 기호와 단위 이 표준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의 기호와 단위를 적용한다. a1 (Tm - Ta) = 0 상태의 열손실 계수 Wm-2K-1 a2 열손실 계수의 (Tm - Ta)의 온도 상관성 Wm-2K-2 AA PVT 복합모듈의 흡수부 면적 m2 Aa PVT 복합모듈의 투과부 면적(투과 면적) m2 AG PVT 복합모듈 전면적 m2 AM 광학적 대기 질량 bu 집열 효율 계수(바람 상관성) m-1s b0 입사각 수정 계수 모델식의 상수 b1 (Tm - Ta) = 0 상태의 열손실 계수 Wm-2K-1 b2 집열 효율 계수 Wsm-3K-1 c1 (Tm - Ta) = 0 상태의 열손실 계수 Wm-2K-1 c2 열손실 계수의 온도 상관성 Wm-2K-1 c3 열손실 계수의 풍속 상관성 Jm-3K-1 c4 열손실 계수의 하늘 온도 의존성 Wm-2K-1 c5 유효 열용량 Jm-2K-1 c6 최고 효율에서의 바람 상관성 sm-1 cf 열전달 유체의 비열 Jkg-1K-1 C PVT 복합모듈의 유효 열용량 JK-1 D 일자 YYMMDD EL 장파 복사량(λ>3 μm) Wm-2 Eb 옥외 경사면 상의 장파 복사량 Wm-2 ES 장파 복사량 Wm-2 F 복사 투영 계수 F¢ 집열 효율 계수 G 천공 일사량(일사계 수감부 상부 180도 반구상) Wm-2 G* 집열면 전 일사량 Wm-2 G² 순 복사량(net irradiance: 입사 에너지와 반사된 에너지의 총 복사량) Wm-2 Gb 직달 일사량 Wm-2 Gd 산란 일사량 Wm-2 LT 지방시 Kq 입사각 수정 계수 Kq b 직달 일사에 대한 입사각 수정 계수 Kq d 산란 일사에 대한 입사각 수정 계수 Kq L PVT 복합모듈 종축에 대한 입사각 수정 계수 Kq T PVT 복합모듈 횡축에 대한 입사각 수정 계수 m PVT 복합모듈의 열전달 유체(열매체) 질량 kg {dot{m}}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유량 kgs-1 {dot{Q}} PVT 복합모듈의 순간 취득 열량 W {dot{Q _{L}}} PVT 복합모듈의 순간 열손실량 W SF 안전 계수 t 시간 ta 외기 온도, PVT 복합모듈 주위 대기 온도 ℃ tdp 대기 이슬점 온도 ℃ te PVT 복합모듈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출구 온도 ℃ tin PVT 복합모듈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입구 온도 ℃ tm PVT 복합모듈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평균 온도 ℃ ts 대기 온도 ℃ tstg PVT 복합모듈 정체 온도 ℃ T 절대 온도 K Ta 주위 또는 주변 공기 온도 ℃ T _{m}^{*} 수정 온도차 (=tm - ta) / Gx m2KW-1 Ts 대기 온도 K U T _{m}^{*}에 상관하여 측정된 PVT 복합모듈의 전체 열손실 계수 Wm-2K-1 UL PVT 복합모듈의 흡열판 평균 온도 tm에 대한 PVT 복합모듈의 전체 열손실 계수 Wm-2K-1 υ 주변 공기 속도 ms-1 Vf PVT 복합모듈의 유체 용량 m3 ∆p 열매체의 PVT 복합모듈 입구와 출구 간 압력차(입, 출구 차압) Pa ∆t 시간 간격 S ∆T PVT 복합모듈 열매체의 입, 출구 온도차(tβ - tin) K α 일사 흡수율 β 집열면의 경사각 ° gamma 집열면의 방위각 ° ε 반구상(천공) 복사 에너지 방사량 ω 태양의 시간각 ° θ 입사각 ° Φ 위도 ° λ 태양 에너지 파장 mm τ T _{m}^{*}에 관한 집열 효율 η0 PVT 복합모듈의 최고 집열 효율(=0에서 η) σ 스테판-볼츠만 상수 Wm-2K-4 ρ PVT 복합모듈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밀도 kg·m-3 τ0 PVT 복합모듈 시간 정수 S τ 투과율 (τα)e 유효 투과 흡수율 (τα)ed 산란 일사에 대한 유효 투과 흡수율 (τα)en 법선면 일사에 대한 투과 흡수율 (τα)eθ 입사각 θ에서의 직달 일사에 대한 투과 흡수율 성능 및 품질기준 5.1 성능 5.1.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성능 및 품질기준은 표 1(열적 특성), 표 2(전기적 특성)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5.1.2 시험은 그림 1 인증시험절차에 나타낸 순서에 따라 실시한다. 시험순서의 변경은 의뢰자와 평가기관 및 시험기관의 협의로 가능하며, 시험결과와 함께 제출되어야 하고 변경 사유를 제시하여야 한다. 5.1.3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전달 매체와 독립적으로 PV 작동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태양광 발전 특성은 시험성적서에 상세히 기술되어야 하며, 열특성 관련 모든 시험에서 전력 작동 모드(최대전력생산 상태와 개방회로 상태)는 모든 시험에 대해 보고되어야 한다. 표 1 —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집열성능 및 품질시험 항목 성능 시험방법 집열 성능 시간 정수 -1) 6.7 입사각수정계수 압력 손실 집열 성능 품질시험 내압(정압 누설) 1) 열매체의 누설이 없을 것 2) 정압 누설 시험 시, 압력강하가 1 % 이내일 것 3) PV모듈부와 틀 사이의 봉입재 돌출이 3 mm 이내일 것 4) PV모듈부와 틀 사이의 틈이 3 mm 이내일 것 5) 흡열판과 집열관 사이의 틈이 없을 것 6) 단열재의 변형이 없고 부풀림 등이 3 mm 이내일 것 7) 무창형 PVT 복합모듈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여 단열재가 젖지 않을 것 8)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구조 변형이나 구성품의 파손 및 손상이 없을 것 9) 시험 중 이상 소음의 발생 또는 진동이 없을 것 6.2 고온 저항 6.3 시수 분무 6.4 냉수 주입 6.5 빗물 침투 6.6 해체 검사 이상 유무가 없을 것 6.8 1) 해설 참조 표 2 —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전기성능 및 품질기준 시험항목 시험 방법 품질기준 외관 검사 태양전지, Glass, J-Box, 프레임, 접지단자, 출력단자 등 평가 (KS C IEC 61215, 10.1 참조) 7.1 최대출력 결정 개방 전압(Voc), 단락 전류(Isc), 최대 전압(Vmax), 최대 전류(Imax), 최대 출력(Pmax), 곡선율(FF), 효율(Eff) 등의 발전 성능을 시험 (KS C IEC 61215, 10.2 참조) 7.2 절연 시험 출력단자와 모듈 또는 접지단자 사이의 절연 시험 (KS C IEC 61215, 10.3 참조) 7.3 온도계수 측정 모듈의 온도계수 측정 (KS C IEC 60904-10, KS C IEC 61215, 10.4 참조) 7.4 저방사 조도 특성 태양전지 온도 25 ℃, NOCT, KS C IEC 60904-3의 기준 태양광 분광 방사 조도 200 W/m2에서의 성능(KS C IEC 61215, 10.7 참조) 7.5 옥외노출 시험 총 방사조도 60 kWh/m2에서의 성능(KS C IEC 61215, 10.8 참조) 7.6 열점 내구성 시험 태양 전지의 성능 불균형, 크랙 또는 국부적인 그림자 영향에 의해 발생되는 열점 내구성 시험(KS C IEC 61215, 10.9 참조) 7.7 UV 전처리 시험 자외선 노출에서 태양광발전 모듈 재료의 열화정도 시험, 자외선 조사(KS C IEC 61215, 10.10 참조) 7.8 온도 사이클 시험 환경 온도의 불규칙한 반복에서 구조나 재료 간의 열전도나 열팽창률에 의한 스트레스의 내구성 시험(KS C IEC 61215, 10.11 참조) 7.9 습도-동결 시험 고온, 고습, 영하의 저온에서 열팽창률의 차이나 수분의 침입, 확산, 호흡 작용 등의 구조나 재료의 영향을 시험 (KS C IEC 61215, 10.12 참조) 7.10 고온고습 시험 고온, 고습 상태의 열적 스트레스와 접합재료의 밀착력 등의 적성 시험(KS C IEC 61215, 10.13 참조) 7.11 단자강도 시험 단자 부분이 부착, 배선 또는 사용 중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강도 시험(인용표준: KS C IEC 61215, 10.14 참조) 7.12 습윤 누설전류 시험 강우에 노출되는 경우의 적성 시험(KS C IEC 61215, 10.15 참조) 7.13 기계적 하중 시험 바람, 눈 및 얼음에 의한 하중에 대한 기계적 내구성 시험 (KS C IEC 61215, 10.16 참조) 7.14 우박 시험 우박의 충격에 대한 태양광발전 모듈의 기계적 강도 시험 (KS C IEC 61215, 10.17 참조) 7.15 바이패스 다이오드 열 시험 모듈의 열점현상 등으로 발생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장기 내구성을 위한 적정 온도 설계 시험(KS C IEC 61215, 10.18 참조) 7.16 염수분무 시험 모듈의 구성 재료 및 패키지의 염분에 대한 내구성 시험 (KS C IEC 61701 참조) 7.17 그림 — 인증시험 절차 5.2 구조 및 겉모양 구조 및 겉모양은 다음 각 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사용 중 열매체가 누출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각 부분은 사용상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열매체의 출입이 용이한 구조이어야 한다. 배관 접속부는 외부배관과 용이하게 접속되는 구조이어야 한다. 동파가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사용 중 소음 및 진동을 내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흡열판과 집열관은 용접 혹은 압착되어 이탈 및 틈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빗물의 침입이 없고 바람 등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한 구조이어야 한다. 부식 및 녹방지를 위해 방청처리를 하여야 한다. 마감 상태 등 겉모양이 미관 상 심각할 정도로 거칠지 않아야 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모든 부품은 설치과정에서나 외기조건(태풍, 적설 등)하에서 그 형상이 변화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지녀야 한다. 5.3 재료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재료는 다음 각 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1)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은 각 부의 목적에 적합한 KS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갖는 것으로 내구성 및 강도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2) 태양복사 일사에 노출되는 재료는 자외선 등 내후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3) 단열재는 단열재에 접하는 온도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성능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가스발생 등의 반응이 없어야 한다. 4) 외장재는 부식이 없는 재료이거나 부식을 방지 코팅 처리되어야 하며, 내후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및 품질시험 방법 6.1 일반 6.1.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시험은 최대 전력 생산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내구성 및 품질시험은 태양광발전 모듈이 냉각되지 않는 상태로 만들고 최악의 작동 조건을 모사하기 위해 어떤 부하에도 연결되어서는 안된다(개방회로). 6.1.2 시험 종류에 따라, 어떤 시험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일부분을 변경하여 처리해야 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흡열판에 온도센서를 부착하기 위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바닥면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발생된 손상 부분이 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6.1.3 재료 심사는 시험절차에 의해 입증할 수 없는 각 부품의 재질과 관련한 부분은 서류로 제출되어 평가되어야 한다(흡열판, 집열관, 단열재 등). 6.2 내압 시험(정압 누설 시험) 6.2.1 목적 내압(정압누설) 시험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 작동 중, 흡열판의 집열관이 받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정도를 확인한다. 6.2.2 장치 및 절차 6.2.2.1 시험 장치는 그림 2와 같이 수압식 압력원(hydraulic pressure source-펌프, 고압탱크 등), 안전 밸브, 공기빼기 밸브(air-bleed valve)와 5 % 이상의 정확성을 가진 압력계로 구성된다. 6.2.2.2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가압하기 전에 공기빼기 밸브를 사용하여 공기를 빼낸다. 6.2.2.3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상온에서 물로 채워져야 하고, 시험압으로 일정 시간 가압되어야 한다(6.2.3.2 참조). 압력은 흡열판의 부품 변형 및 파손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식별부호 1 수압식 압력원 2 안전밸브 3 압력계 4 열매체 출구 주관 봉입, 5 무창형 PVT 복합모듈 6 공기빼기 밸브 그림 2 —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내압(정압 누설) 시험 장치 6.2.3 시험조건 6.2.3.1 온도 금속 흡열판은 5 ℃ ~ 30 ℃ 범위의 외기온도 조건에서 가압되어야 한다(6.2.3.2 참조). 6.2.3.2 압력 시험압은 제작자가 제시한 최대 작동압력의 1.5배가 되어야 하며 15 분간 유지되어야 한다. 6.2.4 시험결과 확인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누수 및 부품 변형(팽창, 비틀림 등)에 대해 조사한다. 검사결과는 사용된 압력 값과 온도, 시험 시간과 함께 보고되어야 한다. 6.3 고온저항 시험 6.3.1 목적 이 시험은 강한 태양 복사 일사나 고온의 외기조건 하에서, 무창형 PVT 복합모듈 전면유리(PV모듈)의 파손, 손상 또는 무창형 PVT 복합모듈 내부의 가스 발생으로 인한 전면유리(PV모듈)의 침전, 변색 등의 결함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다. 6.3.2 장치 및 절차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실외 또는 인공태양장치 안에서 시험되어야 한다. 6.3.2.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매체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열매체 주관의 한쪽은 공기의 순환에 의한 냉각을 막기 위해 봉입하고 다른 한쪽은 흡열판 내의 공기의 자유로운 팽창이 가능하도록 개방시켜 설치한다(그림 3 참조). 6.3.2.2 온도센서는 시험 중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흡열판에 부착되어야 한다. 센서는 흡열판 높이의 2/3지점, 너비의 중간에 위치해야 하고, 흡열판의 온도가 잘 감지되는 부위에 단단히 부착시켜야 한다. 이때 센서는 태양복사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6.3.2.3 시험은 정상상태에 도달한 이후 1시간 이상 지속시켜야 하며, 6.3.4에서 언급한 손상에 대해 즉시 검사되어야 한다. 식별부호 1 집열면에 설치된 전 일사량계 2 열매체 입구 주관 봉입 3 무창형 PVT 복합모듈 4 온도센서 부착(흡열판) 5 열매체 출구 주관 일부 봉입 6 태양복사 일사(태양 또는 인공태양의 광원) 7 외기온도 센서 그림 3 — 고온 저항 시험 장치 6.3.3 시험조건 시험 시 외기조건은 표 3과 같아야 한다. 표 3 — 고온저항 시험에 대한 기상 조건 기상온도 기상 등급의 수치 집열면의 전 일사량 강도 G 1 000 W/m2 외기온도 ta 25 ℃ ~ 40 ℃ 외부 공기 속도 1 m/s 이하 6.3.4 시험결과 확인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저하, 부피 수축, 가스 누출 및 부품의 변형에 대해 조사한다. 6.3.5 무창형 PVT 복합모듈 정체온도 결정 일사량 Gs(= 1 000 W)과 외기 온도 t_{as}(= 30 ℃)에 의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정체 온도 t_{stag}는 빈쪼이기 상태에서 무창형 PVT 복합모듈 표면온도가 정체되어 정상상태에 도달했을 때 측정된 일사량 G_{m}과 외기 온도 t_{am} 및 정체 온도 t_{sm}에 의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t_{stag}=t_{as}+ { G_{s}} over {G_{m} }(t_{sm}-t_{am})t_{stag}=t_{as}+{ G_{s}} over {G_{m} }(t_{sm}-t_{am}) ···························· (1) 여기에서 t_{stag} : 정체 온도 t_{as} : 30 ℃ G_s : 1 000 W G_m : 정상 상태 도달 시 측정된 집열면 일사량 t_{am} : 정상 상태 도달 시 측정된 외기 온도 t_{sm} : 정상 상태 도달 시 측정된 무창형 PVT 복합모듈 흡열판 온도 주 의 정체온도 결정을 위한 데이터는 노출시험 기간 중 정상상태로 간주되는 상태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평균을 취한다. 6.4 외부 열충격 시험(시수 분무 시험) 6.4.1 목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강한 일사에 노출된 기후 조건에서 때때로 심각한 외부 열충격을 일으킬 수 있는 갑작스런 비, 폭풍 등에 노출될 수 있다. 이 시험은 그러한 열적 충격을 견딜 수 있는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6.4.2 장치 및 절차 6.4.2.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매체를 채우지 않은 상태로 실외 또는 인공태양 아래 설치한다. 열매체 주관의 한쪽은 공기의 자연 순환에 의한 냉각을 막기 위해 봉합하고, 다른 한쪽은 집열관 내부의 공기 팽창이 가능하도록 개방한다(그림 4 참조). 6.4.2.2 온도센서는 선택 사항으로, 시험 중 온도를 파악하기 위해 흡열판에 부착할 수 있다. 센서는 흡열판 높이의 2/3 지점, 너비의 중간에 설치해야 하고, 흡열판의 온도가 잘 감지되는 부위에 단단히 고정시켜야 한다. 이때 센서는 태양복사로부터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6.4.2.3 물 분무기의 배열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 전체에 걸쳐 물을 균등하게 뿌릴 수 있도록 위치해야 한다. 6.4.2.4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물 분무기가 작동되기 전에 1시간 이상 높은 일사량 상태에 노출 시킨 후, 15분 동안 물 분무기에의해 냉각된다(6.4.3 참조). 6.4.2.5 6.4.4의 검사를 한다. 이 시험은 2회 실시해야 한다. 식별부호 1 시수 분무기 2 출구 주관 일부 개방 3 태양 복사 일사 4 외기온도 센서 5 일사계 6 온도센서 부착(흡열판) 7 열매체 입구 주관 봉입 8 무창형 PVT 복합모듈 그림 4 — 외부 열충격 시험(시수 분무 시험) 장치 6.4.3 시험 조건 표 4에 주어진 조건이 사용되어야 한다. 규정된 작동조건은 다음과 같다. a) 집열면의 전 일사량 강도 G가 표 4의 값보다 커야 한다. b) 외기온도가 표 4의 값보다 커야 한다. 분무되는 물의 온도는 25 ℃ 이하이어야 하며, 유량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 유효 면적당 0.03 kg/s ~ 0.05 kg/s으로 한다. 주 의 - 시수 분무기의 배관이 외부의 태양복사에 노출되어있는 경우, 배관 내에 고인 물의 온도가 25 ℃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물의 기준온도인 25 ℃가 될 때까지 고인 물을 빼낸 후 시험을 수행하여야 한다. 표 4 — 노출 및 내·외부 충격시험에 대한 기상조건 기상온도 기상 등급의 수치 집열면의 전 일사량 강도 G 850 W/m2 집열면의 1일 적산 일사량 H 14 MJ/m2 외부 공기 온도 ta 10 ℃ 이상 6.4.4 시험 결과 확인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발생하는 모든 흠, 변형, 응축, 누수에 대해 조사한다. 일사량, 외기온도, 흡열판 온도(측정하였을 경우), 분무되는 물의 온도와 유량의 측정값을 기록한다. 6.5 내부 열충격 시험(냉수 주입 시험) 6.5.1 목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강한 일사에 노출된 기후 조건에서 심각한 내부 열충격(예를 들어, 장기간 작동 중지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이 정체 온도에 있는 상태에서 열매체 순환 작동을 시작하려고 할 때)을 일으킬 수 있는 차가운 열매체의 유입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다. 이 시험은 그러한 열적 충격을 견딜 수 있는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6.5.2 장치 및 절차 6.5.2.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매체를 채우지 않은 상태로 실외 또는 인공 태양 아래 설치한다. 열매체 주관의 한쪽은 개폐 밸브를 통해 열매체 공급원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다른 쪽(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대각선 방향)은 집열관에서 공기의 자유 팽창이 가능하도록 초기에 개방시켜 두고 열매체가 흡열판을 통과하도록 한다(그림 5 참조) 6.5.2.2 온도센서는 선택 사항으로 시험 중 온도를 파악하기 위해 흡열판에 부착될 수 있다. 센서는 흡열판 높이의 2/3 지점, 너비의 중간에 위치해야 하고, 흡열판의 온도가 잘 감지되는 부위에 단단히 부착시켜야 한다. 이때 센서는 태양복사로부터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6.5.2.3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매체를 공급하기 전 1시간 동안 높은 일사량 상태에 노출시킨 후, 5분간 차가운 열매체를 공급하여 냉각한다(6.5.3 참조). 6.5.2.4 6.5.4의 검사를 한다. 식별부호 1 태양 복사 일사 2 외기 온도 센서 3 집열면에 설치된 일사계 4 냉수 공급원 5 유량계 6 온도센서 부착(흡열판) 7 무창형 PVT 복합모듈 8 열매체 입구 주관 봉입 그림 5 — 내부 열충격 시험(냉수 주입) 장치 6.5.3 시험 조건 표 4에 주어진 조건이 사용된다. 규정된 작동 조건은 다음과 같다. a) 태양열(인공 태양)의 일사량 강도 G가 표 4의 값보다 커야 한다. b) 외부 공기의 온도가 표 4의 값보다 커야 한다. 열매체는 25 ℃ 이하의 온도이어야 한다. 권장 유량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유효 면적당 최소 0.02 kg/s로 한다(만약, 제작자가 규정한 사항이 없을 경우). 6.5.4 시험 결과 확인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발생하는 모든 홈, 변형, 뒤틀림, 누수 등에 대해 조사한다. 일사량, 외기온도, 흡열판 온도(측정하였을 경우), 열매체의 온도와 유량의 측정값을 기록한다. 6.6 빗물 침투 시험 6.6.1 목적 이 시험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대해 수행하며, 전면유리(PV모듈)의 틈 등을 통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빗물이 침투되는지에 대해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비에 의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나 수분 등의 침투가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6.6.2 장치 및 절차 6.6.2.1 일반 6.6.2.1.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그림 6과 같이 입·출구 배관을 하여 설치한다(다만, 온수가 집열관을 통해 순환하지 않은 상태로, 6.6.2.2 참조). 6.6.2.1.2 또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제작자가 권장하는 설치 경사각 중 가장 낮은 각도로 설치한다. 이 경사각이 규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30° 이하의 경사각을 취한다. 6.6.2.1.3 지붕 일체형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인공 지붕에 설치하고 아래쪽 면이 외기와 차단되도록 보호되어 야 한다. 기타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개방형 지지를 또는 인공 지붕에 일반적인 방식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6.6.2.1.4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스프레이 노즐이나 샤워기를 통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 설치면에 수직으로 전면에 걸쳐 4시간 동안 분무한다. 6.6.2.2 물의 침입 감지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모듈의 흡열판이 최소 50 ℃로 유지되는 동안 위에서 설명한 대로 분무되어야 한다. 이것은 흡열판을 통해 약 50 ℃의 온수를 순환하거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태양 복사 일사에 노출시켜 가능하다. 빗물 침투는 육안 검사(물방울 또는 전면유리(PV모듈)위의 응축 등의 징후)로 판단하거나 다음 중 하나의 방법으로 판단한다. a)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무게를 잰다(저울의 정확도는 ±1 g 이하이어야 한다). b)습도 측정의 방법을 통한다. c)응축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을 통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가열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이 시험 전 건조 상태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물 분무 시험 전에 시작되어야 한다. 식별부호 1 분무장치 2 출구 주관 봉입 3 지붕재 일체로 설계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경우, 바닥면 보호 4 경사각지지 5 무창형 PVT 복합모듈 그림 6 — 빗물 침투 시험 장치 6.6.3 시험 조건 분무되는 물의 온도는 30 ℃ 이하이어야 하고, 유량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 유효면적당 0.05 kgㆍs-1으로 한다. 빗물침투 검사방법으로 무게를 잴 경우,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시험 시작 전 저울로 무게를 달아야 하며, 시험 후의 무게는 ±1 g 이상 변화해서는 안된다. 6.6.4 결과 무창형 PVT 복합모듈 내부에 물이 침투되었는지를 조사한다. 물이 침투되었을 경우 물 침투의 범위 및 침투 위치가 기록되어야 한다. 6.7 열성능 시험 6.7.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시험은 KS B 8295의 8절 열성능 시험 중 정상 상태에서의 태양열 집열기 시험조건에서 액체식 태양열 집열기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6.7.2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태양광발전 작동모드(개방 및 단락회로)는 열성능에 영향을 미치며 시험성적서에 설명되어야 한다. 열성능 시험은 실제 작동상태인 최대전력생산 상태와 개방회로 상태에서 각각 측정되어야 하며 집열 효율을 각각 구분하여 표기한다. 이때, 최대전력생산 상태는 마이크로인버터 또는 전자부하장치 등을 이용한 최대전력점추종제어(MPPT)에 의한 부하가 연결된 상태를 말한다. 6.8 최종 해체 검사 모든 시험이 끝났을 때, 마지막으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해체해서 이상 유무를 검사하여야 한다. 이상한 점이 발견되었을 경우 사진과 함께 시험 성적서에 그 내용이 기록되어야 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전기성능 및 품질시험 방법 7.1 외관 검사 7.1.1 검사 방법 1 000 lux 이상의 광 조사상태에서 모듈외관, 태양전지 등에 크랙, 구부러짐, 갈라짐 등이 없는지를 확인하고, 태양전지 간 접속 및 다른 접속부분에 결함이 없는지, 태양전지와 태양전지, 태양전지와 프레임상의 접촉이 없는지, 접착에 결함이 없는지, 태양전지와 모듈 끝부분을 연결하는 기포 또는 박리가 없는지 등을 검사하며, KS C IEC 61215 에 따라 시험한다. 7.1.2 품질기준 태양전지, Glass, J-Box, 프레임, 기타사항(접지단자, 출력단자) 등의 이상이 없을 것. a) 모듈외관: 크랙, 구부러짐, 갈라짐 등이 없는 것. b) 태양전지: 깨짐, 크랙이 없는 것. c) 태양전지 간 접속 및 다른 접속부분에 결함이 없는 것. d) 태양전지와 태양전지, 태양전지와 프레임의 접촉이 없는 것. e) 접착에 결함이 없는 것. f) 태양전지와 모듈 끝부분을 연결하는 기포 또는 박리가 없는 것 등. 7.2 최대 출력결정 시험 7.2.1 결정 방법 이 시험은 환경시험 전후에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최대출력을 결정하는 시험으로 KS C IEC 6121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인공광원법에 의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Ⅰ-Ⅴ 특성 시험을 수행하며, AM 1.5, 방사조도 1 kW/m2, 온도 25 ℃ 조건에서 기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시험을 실시하여 개방전압(Voc), 단락전류(Isc), 최대 전압(Vmax), 최대 전류(Imax), 최대 출력(Pmax), 곡선율(FF), 효율(Eff)을 측정한다. KS C IEC 61215에서 정하는 KS C IEC 60904-9의 솔라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KS C IEC 60904-1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7.2.2 품질기준 a) 해당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최대 출력을 측정하되, 시험시료의 평균 출력은 정격 출력 이상일 것. b) 시험시료의 출력 균일도는 평균 출력의 ±3 % 이내일 것. c) 시험시료의 최종 환경시험 후 최대출력의 열화는 최초 최대출력의 -8 %를 초과하지 않을 것. 7.3 절연시험 7.3.1 시험방법 a) 절연내력 시험은 최대 시스템 전압의 두 배에 1 000 V를 더한 것과 같은 전압을 최대 500 V/s이하의 상승률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출력단자와 모듈 또는 접지단자(프레임)에 1분간 유지한다. 다만 최대 시스템 전압이 50 V 이하일 때는 인가전압은 500 V로 한다. b) 절연저항 시험은 시험기 전압을 500 V/s를 초과하지 않는 상승률로 500 V 또는 모듈 시스템의 최대 전압이 500 V 보다 큰 경우 모듈의 최대 시스템 전압까지 올린 후 이 수준에서 2분간 유지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이때,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시험 환경온도는 60 ℃를 유지한다. 7.3.2 품질기준 a) 7.3.1의 시험 동안 절연파괴 또는 표면 균열이 없어야 한다. b) 모듈의 측정 면적에 따라 0.1 m2 미만에서는 400 MΩ 이상이어야 한다 c) 모듈의 시험 면적에 따라 0.1 m2 이상에서는 측정값과 면적의 곱이 40 MΩ·m2 이상이어야 한다. 7.4 온도계수의 측정 7.4.1 측정 방법 모듈 측정을 통해 전류의 온도계수(α), 전압의 온도계수(β) 및 피크전력(δ)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결정된 계수는 측정한 방사조도에서 유효하다. 다른 방사조도 수준에서의 모듈의 온도 계수 계산은 KS C IEC 60904-10을 참조하며, KS C IEC 6121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7.4.2 품질기준 별도의 품질기준에 따르지 않고, 해당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온도계수를 측정한다. 7.5 낮은 조사 강도에서의 특성 7.5.1 특성 시험 이 시험은 모듈의 전기적 특성이 25 ℃ 및 200 W/m2(적절한 기준 기기로 측정)의 방사 조도에서, 부하와 함께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자연광 또는 KS C IEC 60904-9의 요구에 적합한 B등급 이상의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KS C IEC 60904-1에 의해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KS C IEC 6121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7.5.2 품질기준 별도의 품질기준에 따르지 않고, 해당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낮은 조사강도에서의 성능특성을 측정한다. 7.6 옥외노출 시험 7.6.1 시험방법 이 시험은 모듈의 옥외 조건에서의 내구성을 일차적으로 평가하고 또 시험소의 시험에서는 검출될 수 없는 복합적 열화의 영향과 장기간 사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문제점 유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적산 일사량계로 측정한 적산 일사량이 60 kWh/m2에 도달할 때까지 시험하며, 외부공기온도 10 ℃ 이상 조건에서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이때, 집열관은 열매체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모든 열매체 주관의 한쪽은 관로는 공기의 순환에 의한 냉각을 막기 위해 봉입하고, 다른 한쪽은 집열관 내의 공기의 자유로운 팽창이 가능하도록 개방시켜 설치하며 KS B 8295 노출시험 장치 및 절차에 따른다. 7.6.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d) 집열부의 손상 및 성능 감소에 대해 조사. 7.7 열점 내구성 시험 7.7.1 시험방법 무창형 PVT 복합모듈이 과열점 가열의 영향에 대한 내구성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결함은 태양전지의 부정합, 균열, 내부접속 불량, 부분적인 그늘 또는 오손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시험은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7.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8 UV 전 처리 시험(UV preconditioning test) 7.8.1 시험방법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태양광에 노출되는 경우에 따라서 유기되는 열화정도를 시험한다. 제논아크등을 사용하여 모듈온도 (60 ± 5)℃의 건조한 조건을 유지하고 파장범위 280 nm에서 320 nm까지 방사조도 5 kWh/m2 또는 파장범위 280 nm에서 385 nm까지 방사조도 15 kWh/m2에서 시험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8.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9 온도 사이클 시험(시험 a: 200사이클, 시험 b: 50사이클) 7.9.1 시험방법 환경온도의 불규칙한 반복에서 구조나 재료간의 열전도나 열팽창률의 차이에 의한 스트레스 내구성을 시험한다. 고온측 (85 ± 2) ℃ 및 저온측(-40 ± 2) ℃로 10분 이상 유지하고 고온에서 저온으로 또는 저온에서 고온으로 최대 100 ℃/h의 비율로 온도를 변화시킨다. 이것을 1사이클로 하여 6시간 이내에 하고 특별히 규정이 없는 한 UV 전처리 시험 후 온도 사이클 시험 b 50회, 습윤 누설전류 시험 후 온도 사이클 시험 a 200회를 실시한다. 최소 1시간의 회복시간 후,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9.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d) 시험 도중에 회로가 손상(open circuit)되지 않을 것. 7.10 습도-동결 시험 7.10.1 시험 방법 고온·고습, 영하의 저온 등의 가혹한 자연환경에 반복 장시간 놓았을 때, 열팽창률의 차이나 수분의 침입·확산, 호흡작용 등에 의한 구조나 재료의 영향을 시험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냉각 챔버에 설치한다(그림 7).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매체 입·출구를 완전히 밀폐시키고, 제작자가 권장하는 설치 경사각 중 가장 낮은 경사각으로 설치한다. 제작자가 이러한 경사각을 규정하지 않았을 경우 모듈은 30°의 경사각으로 설치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물을 채워 작동압력으로 맞춘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 내부의 압력이 떨어질 경우 작동압력으로 물이 재충전되어야 하며 시험과정 중의 물의 온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단, 부동액을 열매체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무창형 PVT 복합모듈 시험조건은 적용하지 않는다. 고온측 온도 조건을 (85 ± 2) ℃, 상대습도 (85 ± 5) % R.H.에서 20시간 유지하고, 저온측 온도 조건을 (-40 ± 2) ℃에서 0.5시간 유지한다. 위의 조건을 1사이클로 하여 24시간 이내에 하고 10회 실시한다. 2시간에서 4시간의 회복시간 후,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식별부호 1 시수원 2 배수구 3 냉각챔버 4 온도센서 5 압력계 6 무창형 PVT 복합모듈 7 경사설치 8 출구 주관 일부 봉입 9 공기 밸브 그림 7 — 내동결 시험장치 7.10.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d) 집열부의 누수, 파손, 변형과 뒤틀림이 없을 것. 7.11 고온고습 시험 7.11.1 시험방법 고온·고습 상태에서의 사용 및 저장하는 경우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적 스트레스와 적성을 시험한다. 이때 접합 재료의 밀착력의 저하를 관찰한다. 시험조 내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출력단자를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방수를 위하여 염화비닐제의 절연 테이프로 피복하여, 온도 (85 ± 2) ℃, 상대습도 (85 ± 5) % R.H.로 1 000시간 시험한다. 2시간에서 4시간의 회복시간 후,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11.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습윤 누설전류 시험: 7.13을 만족시킬 것. d)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12 단자강도 시험 7.12.1 시험방법 모듈의 단자 부분이 모듈의 부착, 배선 또는 사용 중에 가해지는 외력에 충분한 강도가 있는지를 시험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12.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13 습윤 누설전류 시험 7.13.1 시험방법 모듈이 옥외에서 강우에 노출되는 경우의 적성을 시험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13.2 품질기준 a) 모듈의 측정 면적에 따라 0.1 m2 미만에서는 절연저항 측정값이 400 MΩ 이상 일 것. b) 모듈의 측정 면적에 따라 0.1 m2 이상에서는 절연저항 측정값과 모듈 면적의 곱이 40 MΩ·m2 이상일 것. 7.14 기계적 하중 시험 7.14.1 시험방법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대하여 바람, 눈 및 얼음에 의한 하중에 대한 기계적 내구성을 시험하며, KS C IEC 6121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7.14.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시험 도중에 회로가 단선되지 않을 것. d)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e) 구조체에 발생하는 모든 결함을 검사할 것. 7.15 우박 시험 7.15.1 시험방법 우박의 충격에 대한 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시험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15.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16 바이패스 다이오드 열 시험(Bypass diode thermal test) 7.16.1 시험방법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점(hot-spot) 현상에 대한 유해한 결과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열에 대한 내성설계가 얼마나 잘 되어 있는지 그리고 유사한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신뢰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STC 조건에서 단락전류의 1.25배와 같은 전류를 적용한다. 시험은 KS C IEC 61215에 따른다. 7.16.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d) 시험이 끝난 후에도 다이오드의 기능을 유지할 것. e) 다이오드 접합 온도는 다이오드 제조자가 제시한 정격 최대 정션 온도를 초과하지 않을 것. 7.17 염수분무 시험 7.17.1 시험방법 염해를 받을 우려가 있는 지역에서 사용되는 모듈의 구성재료 및 패키지의 염분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한다. 시험품은 이상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연선의 단자부 봉지 등 실사용 조건과 같은 단자처리를 하거나 또는 보호하여 둔다. 소정의 염수분무실에서 15 ℃ 에서 35 ℃ 사이의 온도에서 염수농도 (5 ± 1) %의 무게비로 하여 2시간 염수분무 후 온도 (40 ± 2) ℃, 상대습도 (93 ± 5) % R.H.의 조건에서 7일간 시험하고, 위의 시험을 4회 반복한다. 소금 부착물을 상온의 흐르는 물로 5분간 세척한 후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로 씻고 부드러운 솔을 사용하여 물방울을 제거하고 (55 ± 2)℃의 조건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 표준상태에서 1시간 ∼ 2시간 이내로 방치하고 냉각한다. KS C IEC 61701에 따라 시험한다. 7.17.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검사 5.1 ~ 7.17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시사항 9.1 일반사항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소비자가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야 한다. 9.2 제조 및 사용 표시 9.2.1 인증 설비에 대한 표시는 최소한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업체명 및 소재 2) 설비명 및 모델명 3) 제품의 주요 사양(최대출력 및 열성능) 4) 제조일 및 제조 번호 5) 인증부여 번호 6) 인증 표지 7) 기타 사항 9.3 카달로그 또는 사용설명서 기재사항 카달로그 또는 사용설명서 등에는 표 5와 같은 사항을 기재 한다. 표 5 — 카탈로그 표 시 항 목 카탈 로그 취급 설명서 공사 설명서 기술 자료 표 시 내 용 단 위 종류 및 형식 O O O O 모델명 또는 모델코드 외형치수 O O O O 너비×길이(안길이)×높이 스케치도에 의한 외형 치수 포함 mm 집열 매체 용량 O O O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채워지는 집열매체의 용량 또는 질량 L, g 중량 O O O 제품의 중량(빈무게 및 전열매체를 채운 후 총 중량) 집열 매체 O O 명칭 또는 종류 최고 사용압력 O O O O 사용할 수 있는 최고 압력 Pa 외형도 O O O 평면도, 측면도 또는 이에 준하는 도면 mm 부착 치수 O O 부착 또는 설치 등의 치수 mm 접속관 구경치수 O O 접속관 구경은 KS호칭 또는 mm로 표시한다. 구성 부재 O O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구성하는 주요 부재를 표시한다. (1) 흡열판 재료: 재질, 두께 (2) 단열재: 재질, 두께 (3) 외장재: 재질, 두께 (4) 집열매체 관: 재질 최대 출력 O O 전기성능의 결과에 의거하여 표시한다. 집열 성능 O O 집열성능의 결과에 의거하여 표시한다. 압력 손실 O O 압력손실 특성도를 표시한다. 운전상의 주의사항 O O O 운전상의 주의사항을 표시한다. 설치상의 주의사항 O O 설치상의 주의사항 및 동결 방지에 관한 사항 등을 표시한다. 보수 점검상의 주의사항 O O O 보수 점검에 관한 사항을 표시한다. 재검토 기한 인증기준은 「훈령ㆍ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2025년 3월 X일(발령한 날)을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을 조치를 하여야 한다. 해 설 이 해설은 본체에 규정된 사항 및 이와 관련된 사항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기준의 일부는 아니며,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 해설을 추가하였다. 1 적합성 인증 기준 제정의 취지 ‘KS B 8295 태양열 집열기 – 평판형, 진공관형, 고정집광형’ 시험방법으로는, 태양에너지를 전기 및 열에너지로 변환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액체식 태양광발전·태양열 융합제품으로서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대해서 열성능 및 전기성능을 적합하게 평가할 수 없어 본 적합성 인증 기준을 제정하게 되었다. 적합성 인증 기준은 기존 KS B 8295에서 규정한 열성능 시험방법, 내압(정압누설), 고온저항, 노출시험, 외부열충격, 내부 열충격, 빗물침투, 내동결, 구조체 강도 및 투과체 내충격 시험의 품질시험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기존 KS C 8561(‘결정질 실리콘 – 태양광발전 모듈(성능)’)의 전기성능 및 품질시험의 모든 항목들을 추가하되, KS C 8561 표준과 중복되는 노출시험, 내동결, 구조체 강도 및 투과체 내충격 시험은 대체ㆍ강화된 시험방법으로 추가되었다. 2 기존 태양열 집열성능 및 전기성능의 합부기준과의 차이점 KS B 8295, KS C 8561에서 요구되는 집열성능 및 전기성능은, 집열성능의 경우 평판형 530 Wm-2, 진공관형 560 Wm-2 이상, 집열량(전면적) 7.64 MJm-2 이상이며, 전기성능의 경우 태양광발전 모듈 효율은 17.5 % 이상으로 합부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경우 관련 산업 및 시장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 인증표준과 유사한 성능기준을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결정지을 수 없다(국내외 참고규격도 부재). 따라서 적합성 인증 기준은 표준화된 시험방법으로 집열 및 전기성능을 규명하여 소비자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합부기준 및 요구 성능을 규정하지 않았다. 3 NOCT 측정 시험, STC 및 NOCT에서의 성능 시험 제외 KS C 8561 개정 계획에서 국제 표준(IEC 61215-2:2021) 최신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NOCT 측정 시험, STC 및 NOCT에서의 성능 시험을 삭제할 예정임에 따라 적합성 인증 기준에서도 미적용하였다.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심사기준 산업융합신제품명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최종 의결일 2022년 8월 10일 ○ 본 적합성인증 업무에 대한 처리 절차와 방법은 「산업융합 촉진법」,「산업표준화법」및「KS Q 8003, KS인증제도 – 신재생에너지설비인증에 대한 요구사항」에 따른다. ○ 이 인증심사기준은 산업융합 촉진법 제13조제3항에 따라 산업표준화법 시행규칙 별표8(인증심사기준)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KS Q 8003 부속서(공장심사보고서) 작성 등 인증심사에 대한 판단 기준으로 활용한다. 가. 품질경영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의 추진 가) 경영책임자는 표준화 및 품질경영을 합리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나) 기업의 사내표준 및 관리 규정은 한국산업표준(이하 “KS”라 한다)과 적합성 인증기준을 기반으로 회사 규모에 따라 적합하게 수립하고 회사 전체 차원에서 적용해야 한다. 다) 품질경영의 추진계획은 해당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의 요구 수준 이상으로 보증할 수 있도록 입안해야 한다. 2) 사내표준화와 품질경영의 도입 및 확산을 위한 활동 가) 품질경영을 총괄하는 품질경영부서(임직원이 20인 이하 기업은 인증유지담당자)는 독립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나) 제안 활동 또는 소집단 활동 등을 통해 품질개선 활동을 실시하고, 사내표준화와 품질경영 활동 전반에 대해 자체점검을 1년 이내의 주기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경영에 반영해야 한다. <비고> 1. 신청품목에 대해 공인인증기관*으로부터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인증을 받은 기업의 경우 이 항목은 평가를 생략할 수 있다. 인증심사원은 공장심사 시 ISO 9001 인증서(인증범위, 유효기간, 인증기관 등) 진위여부 및 주요 항목(내부심사, 경영검토, 부적합 시정조치 등)의 유효성을 확인하여야 하며, 신청자가 해외기업인 경우, ISO 9001 인증서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등 이 항목에 대한 생략이 적절하지 않다고 심사반이 판단한 경우에는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 “공인인증기관”이라 함은 인증기관 인정제도를 운영하는 기관(인정기구 ; 한국 KAB, 중국 CNAS, 영국 UKAS 등)으로부터 ISO/IEC 17021-1 에 따라 인정(accreditation)을 받은 인증기관을 말한다. 나. 자재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검사항목 적합성 인증기준에 따른 주요 자재명 및 자재별 검사항목을 사내표준에 규정해야 한다. 다만, 주요 자재관리 목록(부품, 모듈 및 재료 등)은 인증기관에 심사 전 제출하여 적정성을 확인받아야 하며, 심사 후에도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인증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자재품질기준 자재의 품질기준은 생산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될 수 있도록 규정해야 한다. 3) 검사방법 자재의 검사방법은 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될 수 있도록 규정해야 한다. 4) 이행사항 사내표준에 따라 자재를 인수할 때에는 품질검사(이하 이 표에서 "인수검사"라 한다) 및 자재 관리를 해야 한다. <비고> 1. 자재는 KS 인증제품을 우선적으로 사용해야 하고, KS 인증제품 또는 양질의 자재라고 인정될 때에는 자재를 공급하는 업체의 시험성적서, 외부공인 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 부품을 자체 제조하는 경우에는 공정관리 기록 등으로 인수검사를 갈음할 수 있다. * “자재를 공급하는 업체”라 함은 자재를 제조하여 공급하는 업체(이하 “공급업체”라 함)를 말한다. 공급업체로부터 자재를 구매하여 납품하는 업체(이하 “납품업체”라 함)와 구별하여야 한다. 특히, 해외 제조자로부터 자재 또는 제품을 수입하여 납품 또는 판매하는 업체는 “수입자”라 칭한다. 2. 인증을 받은 기업은 제품의 종류, 공정의 특수성 및 제조기술의 개발에 따라 자재를 대체 또는 생략하거나 검사항목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변경사항을 인증기관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때, 성능에 영향을 주는 부품이나 자재가 변경된 것으로 인정될 경우 별도 모델로 간주하여 신규 인증 신청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변경사항을 인증기관에 제출하지 않고 자재를 대체하거나 생략한 경우, 인증기관은 해당 제품이 적합성 인증기준에 현저히 맞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인증을 취소할 수 있다. 3.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의 주요 자재는 다음과 같다. ① 투과유리(태양전지보호) ② 태양전지(결정질실리콘) ③ 봉합재료(Encapsulation): EVA(Ethyl Vinyl Acetate) 등 ④ 후면재료: 모듈 백시트(Polyolefin) ⑤ 정션박스(junction box): 바이패스 다이오드(bypass diode), 단자박스, 보호커버, 케이블, 커넥터, 포팅(potting) 재료 등 ⑥ 흡열판(티타늄코팅 알미늄) 및 집열관(동관) ⑦ 단열재(EPDM) ⑧ 프레임(알루미늄합금) ⑨ 프레임 백시트(칼라강판) ⑩ 기타(제조사가 주요 자재로 취급하는 것) 다. 공정·제조설비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검사 또는 관리항목 적합성 인증기준에 따른 주요 공정명 및 공정별 검사 또는 관리항목, 주요 제조설비명을 사내표준에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2) 검사 또는 공정관리 방법 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될 수 있도록 적절한 관리기법을 적용하여 중간검사 또는 공정관리 방법을 규정해야 한다. 3) 이행사항 공정관리자가 사내표준에 따라 중간 검사ㆍ관리를 하여 그 결과를 기록․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4) 제조 작업 표준 각 공정에 대하여 사용설비, 작업방법, 작업조건, 작업상의 유의사항 등을 규정하고, 이에 따라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비고> 1. 일부 공정에 대해서는 외주가공을 허용하되, 외주가공을 하려는 자는 그 공정에 대한 관리규정을 정하여 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인증기관은 공장심사 시 외주가공 업체에 대한 현장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2. 해당 제품을 생산하기에 적합한 제조설비를 보유하고, 설비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점검, 보수, 윤활관리 등의 관리규정을 구체적으로 정하여 이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다만, 공정관리에서 외주가공이 허용된 경우에는 제조설비를 보유하지 않아도 된다. 3. 지정된 설비관리자가 설비관리규정에 따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4. 제조자는 핵심공정(Tabbing & Stringing 공정, 태양전지(PV)와 흡열판 라미네이션 및 용접공정)을 보유하여야 하며, 그 외 공정에 대해서는 외주가공을 할 수 있다. 외주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외주업체(또는 중간제품 공급업체)에 대한 현장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현장확인 시 평가항목은 해당 공정 범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자재관리, 제조·공정관리 등 인증심사기준 준용). 5. 제조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중간검사는 다음과 같다. ① String 품질 검사 (Lamination 공정 전) ② 밀봉상태 및 외관 검사 (Lamination 공정 후) ③ 최대출력결정시험 검사 ④ 절연시험 검사 ⑤ EL 검사(외관에 이상이 없을 것) ⑥ 용접 검사 ⑦ 누설 검사 * 제조자는 해당 공정에 대한 중간검사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라. 제품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제품 설계 및 개발 절차․계획 제품의 설계 및 개발 절차를 사내표준에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2) 제품 품질 검사 항목 제품의 검사항목 및 품질기준을 구체적으로 사내표준에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하고, 제품의 품질기준은 적합성 인증 기준에서 정한 품질검사 항목을 포함하여 그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 3) 검사 방법 제품의 검사 방법은 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될 수 있도록 적합성 인증기준에 규정된 적절한 검사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4) 이행사항 가) 사내 표준에 따라 제품의 설계 및 개발을 이행하고, 관련 활동에 대한 계획을 수립․유지해야 한다. 나) 제품의 품질에 대한 사내 표준에 따라 검사를 실시하고 그 기록을 공정 개선 및 제품의 품질 향상에 활용해야 한다. 다) 제품시험 검사자가 적합성 인증기준 및 사내표준에 따라 시험검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비고> 1. 중간검사와 중복되는 제품검사의 항목은 중간검사로 갈음할 수 있다. 2. 제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일정한 주기를 정하여 시험한 자체 검사실적 또는 외부 공인시험기관에서 발행한 시험성적서를 보유한 경우 그 시험항목에 대하여는 제품시험을 생략 할 수 있다. 3. 심사원은 시험·검사자의 수행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제품의 주요 검사항목에 대한 현장 입회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현장 입회시험 항목의 결정은 “아. 제품시험 결과에 따른 결함 구분” 중에서 중결함 이상의 검사항목 중 1개로 한다. 마. 시험·검사설비의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주요 설비명(공통) 1) 치수측정기(스틸자, 버니어캘리퍼스, 마이크로미터 등) 2) 온도계, 습도계 3) 옥외노출 시험장치 2. 주요 설비명(집열특성) 1) 압력계 2) 전압계, 전류계, 전력계 3) 유량계 4) 수압시험기 5) 자동태양추적식 집열기거치대 6) 집열기 열매체 공급설비 7) 극한시험장치 8) 데이터로거 9) 개폐시험기 10) 기상측정설비 3. 주요 설비명(전기특성) 1) 인장력측정기 2) 절연저항계 3) 쏠라시뮬레이터 4) 옥외노출 시험장치 5) 열점내구성시험장치 6) UV 시험장치 7) 항온항습 시험장치 8) 단자강도 시험장치 9) 절연저항 시험장치 10) 습윤누설전류 시험장치 11) 기계적하중 시험장치 12) 우박시험장치 13) 온도계수 측정장치 14) 내전압시험장치 15)염수분무 시험장치 16) 바이패스다이오드 시험장치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에서 정한 주요 시험·검사설비를 포함하여 시험․검사설비명을 사내표준에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가) 적합성 인증기준에 규정되어 있는 품질의 특성과 자재 및 제품을 검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험·검사설비를 보유한 경우에는 설비의 정밀도·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국가표준기본법」 제3조제17호에 따른 교정을 실시하되, 사용빈도와 측정기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회사의 실정에 맞는 시험·검사설비의 관리규정을 정하고 이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나) 정밀도와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검사설비의 설치장소가 적정하고, 시험·검사설비의 사용상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어야 하며, 시험·검사설비 관리자는 시험·검사설비의 관리규정에 따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다) 시험ㆍ검사설비를 보유하지 않아, 외부설비를 사용한 경우에는 제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관리규정을 정하고 사용계약을 체결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라) 시험·검사설비의 성능(performance) 또는 규격(specification) 은 KS B 8295 및 KS C 8561의 태양열성능 및 품질시험, 태양광발전 모듈 시험항목 및 품질기준 등을 참고한다. <비고> 제품이 적합성 인증 기준 수준 이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일정한 주기를 정하여 외부설비를 사용하거나 외부공인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로 품질관리를 대신하는 경우 그 시험항목에 대한 시험․검사설비를 갖추지 않아도 된다. 단, 공인시험기관*을 제외한 외부설비를 사용한 경우 외부설비 업체에 대해 현장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 “공인시험기관”이라 함은 시험기관 인정제도를 운영하는 기관(인정기구 ; 한국 KOLAS, 중국 CNAS, 영국 UKAS 등)으로부터 국제표준(시험기관—ISO/IEC17025)에 의거한 인정(accreditation)을 받은 시험기관을 말한다. 바. 소비자보호 및 환경·자원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소비자보호 가) 소비자가 제기한 불만사례의 경로를 추적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및 재발방지 조치를 해야 한다. 나) 소비자에게 제품의 사용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의 불만 및 피해보상에 대하여 처리방법을 규정해야 한다. 2) 환경관리 가) 적합성 인증기준에 따른 제품 요구사항의 적합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 환경을 사내표준에 규정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나) 청정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활동이 회사 전체적으로 실행되고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다) 작업능률의 향상과 종업원의 안전 및 복지를 고려한 작업환경을 갖추어야 한다. 3) 자원관리 가) 연간 교육훈련계획에 따라 종업원(경영간부 포함)에게 표준화 및 품질경영에 관한 교육․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나) 품질경영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인증유지담당자를 확보해야 한다. 다) 인증유지담당자는 다음의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 다만, 기업 규모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담당자의 직무를 조정하되, 사내 표준에 이를 규정하여야 한다. (1) 사내표준화와 품질경영에 대한 계획의 입안 및 추진 (2) 사내표준의 제정․개정 등에 대한 총괄 (3) 제품 및 가공품의 품질수준 평가 (4) 각 공정별 사내표준화 및 품질관리의 실시에 관한 지도․조언 및 부문 간의 조정 (5)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과 조치, 개선대책에 관한 지도 및 조언 (6) 종업원에 대한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에 관한 교육훈련 추진 (7) 부품을 제조하는 다른 업체에 대한 관리에 관한 지도 및 조언 (8) 불합격품 또는 부적합 사항에 대한 조치 (9) 해당 제품의 품질검사 업무 관장 <비고> 인증받은자는 국내 A/S 및 소비자불만처리를 위한 3인 이상의 조직을 유지하여야 한다. 사. 제품시험을 위한 샘플링 방식 검사 항목 로트의 크기 시료의 크기 (n) 판정 기준 비고 Ac Re 적합성인증기준의 전 검사항목 인증구분별 재고량 ◦인증구분별 n = 1 (총 시료수는 11대) 0 1 <비고> 1. 시판품 조사시 시료채취는 인증받은 제품중 1개 모델을 무작위로 채취하며, 시료의 크기는 n=1로 한다. 2. 적합성 인증기준에 규정된 전체 시험 검사항목을 하는데 있어서, 시험항목의 특성상 추가 시료가 필요할 경우 이를 추가할 수 있다. 아. 제품시험 결과에 따른 결함 구분 검사항목 결함구분 경결함 중결함 치명결함 품질 구조 및 겉모양 ● 내압시험(정압누설) ● 고온저항 ● 외부 열충격시험 ● 내부 열충격시험 ● 빗물침투시험 ● 해체검사 ● 최대출력 결정시험 ● 절연시험 ● 옥외노출시험 ● 열점 내구성 시험 ● UV 전처리 시험 ● 온도사이클 시험 ● 습도-동결 시험 ● 고온고습 시험 ● 단자강도 시험 ● 습윤 누설전류 시험 ● 기계적 하중 시험 ● 우박시험 ● 바이패스다이오드 시험 ● 염수분무 시험 ● 표시사항 ● <비고> 적합성 인증기준 시험결과 표준 미달 시 행정조치 관련 규정 1. 산업표준화법 시행령 [별표 1의2] 인증표시의 제거․정지 또는 판매의 정지 등에 관한 처분 기준 (2. 개별기준 “위반행위 나(경결함에 해당), 다(중결함에 해당) 항목) 2. 산업표준화법 제22조 제1항 3호(치명결함에 해당) 자. 제품인증표시의 방법 상품의 단위 표시 장소 표시 방법 표 시 내 용 매 제품 마다 제품 표면의 보기 쉬운 곳 명판, 각인 또는 인쇄 1. KS마크의 크기 3mm 이상 2. 산업융합 신제품명 3. 인증번호* 4. 모델명 및 모델코드 5. 제품의 주요 사양(정격출력은 필수 기입) 6. 제조연월일 7. 제조자의 이름, 소재지, 연락처 등 (해당하는 경우 수입사 포함) 8. 인증기관명 9. 적합성인증기준의 표시사항 * 인증서 발급 이후 부여 <비고> 1.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 표시 권고(안) ㉿ 산업융합 신제품명 인증번호 인증일자 설비명 모델명 제조연월일   모델코드   정격출력(W) 사양 1(Spec.) 사양 2(Spec.) 사양 3(Spec.) 사양 4(Spec.) 사양 5(Spec.) 제조자 연락처(A/S) 사무소 : 공 장 : 수입자 (해당 경우) 연락처(A/S) 사무소 : 판매자 (해당 경우) 연락처(A/S) 사무소 : ※ 필요 시 표시내용의 조정ㆍ재구성할 수 있음 차. 제품의 인증구분(종류·등급 호칭 또는 모델)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 기준명 종류∙등급∙호칭 또는 모델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모델별 부속서 A (참고) 재검토 기한 이 인증심사기준은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2025년 3월 X일 (발령한 날)을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을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닫기
  •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 제정 2025-03-12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25-028호「산업융합 촉진법」제13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16조에 따른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을 제정하여 아래와 같이 고시합니다.2025년 3월 12일산업통상자원부 장관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 제정(태양광·열(PVT) 복합모듈(무창형))

    >정책·정보>정책게시판>통상·FTA

    •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25-028호(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 제정).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통상자원부고시제2025-028호 「산업융합 촉진법」제13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16조에 따른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기준및인증심사기준을제정하여아래와같이고시합니다. 2025년3월12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산업융합신제품적합성인증기준및인증심사기준제정 1.산업융합신제품적합성인증기준및인증심사기준고시목록 구분 기준명 타겟인증 제정 태양광·열(PVT)복합모듈(무창형) 국가표준(KS) 2.제정사유 산업융합촉진법제11조에따른산업융합신제품적합성인증심사대상 3.주요내용 o 태양광·열(PVT)복합모듈(무창형) - 시험 방법 : 구조 및 겉모양, 내압시험(정압누설), 고온저항, 외부 열충격시험, 내부 열충 격시험, 빗물침투시험, 해체검사, 최대출력 결정시험, 절연시험, 옥외노출 시험, 열점 내구 성시험,UV전처리시험, 온도사이클시험,습도-동결시험, 고온고습시험,단자강도시 험, 습윤 누설전류시험, 기계적 하중 시험, 우박시험, 바이패스다이오드시험, 염수분무 시 험,표시사항 ※ 적합성 인증 기준(안) 세부 내용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의 고시를 통해확인가능 4.적합성인증의절차및방법 ◦ 인증 신청 후, 산업융합촉진법 시행령 제13조에 의한 적합성 인증 관련 협의, 제14조에 의한 적합성 인증 기준 등의 마련, 제15조에 의한 인증심사를 거쳤으며, 제13조제3항에 따른허가등의근거법령에서정한정기심사등사후관리예정 부칙 고시일로부터시행한다. 끝. 황국진 / 산업표준혁신과 / 2025-03-06 10:10:54

      닫기
    •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태양광·열(pvt) 복합모듈(무창형)).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 기준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최종의결일 2022년 8월 10일 목 차 1 적용범위 1 2 인용표준 1 3 용어와 정의 1 4 기호와 단위 2 5 성능 및 품질기준 4 6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및 품질시험 방법 7 6.1 일반 7 6.2 내압 시험(정압누설시험) 7 6.3 고온 저항 시험 8 6.4 외부 열충격 시험(시수 분무 시험) 10 6.5 내부 열충격 시험(냉수 주입 시험) 12 6.6 빗물 침투 시험 14 6.7 열성능 시험 15 6.8 최종 해체 검사 16 7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전기성능 및 품질시험 방법 16 7.1 외관 검사 16 7.2 최대 출력결정 시험 16 7.3 절연 시험 17 7.4 온도계수의 측정 17 7.5 낮은 조사 강도에서의 특성 17 7.6 옥외노출 시험 18 7.7 열점 내구성 시험 18 7.8 UV 전 처리 시험 18 7.9 온도 사이클 시험 19 7.10 습도-동결 시험 19 7.11 고온 고습 시험 21 7.12 단자 강도 시험 21 7.13 습윤 누설전류 시험 21 7.14 기계적 하중 시험 22 7.15 우박 시험 22 7.16 바이패스 다이오드 열 시험 22 7.17 염수분무 시험 23 8 검사 23 9 표시사항 23 9.1 일반사항 23 9.2 제조 및 사용 표시 23 9.3 카탈로그 또는 사용설명서 기재사항 24 해 설 25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 기준(안)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적용범위 이 기준은 태양에너지를 전기 및 열에너지로 변환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액체식 태양광발전·태양열 융합제품으로서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이하 “무창형 PVT 복합모듈” 이라 한다)에 적용된다. 인용표준 다음의 인용표준은 이 기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용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한다.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을 포함)을 적용한다. KS A IEC 60410, 계수 값 검사를 위한 샘플링 계획과 절차 KS B 8295, 태양열 집열기 — 평판형, 진공관형, 고정집광형 KS B ISO 9060, 태양에너지 — 반구 전 태양복사 및 직달 태양복사 측정 기기의 시방과 분류 KS B ISO 9488, 태양에너지 — 용어 KS B ISO 9806, 태양에너지 — 태양열 집열기 — 시험방법 KS B ISO 9806-1, 태양열 집열기 시험방법 — 제1부: 집열창이 부착된 압력 강하가 발생하는 액체식 집열기의 열적 성능 KS B ISO 9806-2, 태양열 집열기 시험방법 — 제2부: 품질시험 절차 KS B ISO 9806-3, 태양열 집열기 시험 방법 — 제3부: 집열창이 없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는 액체식 집열기(현열만 이용)의 열적 성능 KS B ISO 9845-1, 태양에너지 — 상이한 흡수 조건 하에서 지표면의 기준 태양 스펙트럼 일사 — 제1부: 공기 질량이 1.5일 때 법선면 직달 일사와 반구 전 태양 일사 KS B ISO 9847, 태양에너지 — 기준 수평면 일사계와의 비교에 의한 현장 수평면 일사계의 교정 KS C 8561, 결정질 실리콘 – 태양광발전 모듈(성능) KS C 8563, 태양광발전(PV) 모듈(안전) KS C IEC 61215, 지상 설치용 결정계 실리콘 태양전지(PV) 모듈 — 설계 적격성 확인 및 형식 승인 요구사항 KS Q ISO/IEC 17025, 시험기관 및 교정기관의 자격에 대한 일반 요구사항 ISO/TR 9901, Solar energy — Pyranometers — Recommended practice for use 용어와 정의 이 기준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와 정의는 KS B 8295 및 KS C 8561 인용표준에서 규정한 용어와 정의 그리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3.1 무창형 PVT 복합모듈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제조사에서 제시한 제품명으로, 전면에 커버유리가 없고 태양광발전(PV)모듈과 집열관(열매체 파이프)이 용접된 흡열판을 라미네이션하여 하나의 모듈에서 전기와 온수 생산이 가능한 태양광․태양열 융합장치 3.2 흡열판 태양광모듈(PV)에 입사된 태양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금속판 3.3 집열관 흡열판의 열을 열매체에 전달하기 위한 유체관로 3.4 유효 집열 면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서 태양에너지가 입사되어 통과하는 투영면적 3.5 무창형 PVT 복합모듈 전면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돌출부를 제외한 외장을 포함한 투영면적 3.6 흡수면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 흡열판의 투영면적 3.7 정격출력(rated power) 지정된 조건에서 제조자가 보장하는 출력 기호와 단위 이 표준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의 기호와 단위를 적용한다. a1 (Tm - Ta) = 0 상태의 열손실 계수 Wm-2K-1 a2 열손실 계수의 (Tm - Ta)의 온도 상관성 Wm-2K-2 AA PVT 복합모듈의 흡수부 면적 m2 Aa PVT 복합모듈의 투과부 면적(투과 면적) m2 AG PVT 복합모듈 전면적 m2 AM 광학적 대기 질량 bu 집열 효율 계수(바람 상관성) m-1s b0 입사각 수정 계수 모델식의 상수 b1 (Tm - Ta) = 0 상태의 열손실 계수 Wm-2K-1 b2 집열 효율 계수 Wsm-3K-1 c1 (Tm - Ta) = 0 상태의 열손실 계수 Wm-2K-1 c2 열손실 계수의 온도 상관성 Wm-2K-1 c3 열손실 계수의 풍속 상관성 Jm-3K-1 c4 열손실 계수의 하늘 온도 의존성 Wm-2K-1 c5 유효 열용량 Jm-2K-1 c6 최고 효율에서의 바람 상관성 sm-1 cf 열전달 유체의 비열 Jkg-1K-1 C PVT 복합모듈의 유효 열용량 JK-1 D 일자 YYMMDD EL 장파 복사량(λ>3 μm) Wm-2 Eb 옥외 경사면 상의 장파 복사량 Wm-2 ES 장파 복사량 Wm-2 F 복사 투영 계수 F¢ 집열 효율 계수 G 천공 일사량(일사계 수감부 상부 180도 반구상) Wm-2 G* 집열면 전 일사량 Wm-2 G² 순 복사량(net irradiance: 입사 에너지와 반사된 에너지의 총 복사량) Wm-2 Gb 직달 일사량 Wm-2 Gd 산란 일사량 Wm-2 LT 지방시 Kq 입사각 수정 계수 Kq b 직달 일사에 대한 입사각 수정 계수 Kq d 산란 일사에 대한 입사각 수정 계수 Kq L PVT 복합모듈 종축에 대한 입사각 수정 계수 Kq T PVT 복합모듈 횡축에 대한 입사각 수정 계수 m PVT 복합모듈의 열전달 유체(열매체) 질량 kg {dot{m}}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유량 kgs-1 {dot{Q}} PVT 복합모듈의 순간 취득 열량 W {dot{Q _{L}}} PVT 복합모듈의 순간 열손실량 W SF 안전 계수 t 시간 ta 외기 온도, PVT 복합모듈 주위 대기 온도 ℃ tdp 대기 이슬점 온도 ℃ te PVT 복합모듈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출구 온도 ℃ tin PVT 복합모듈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입구 온도 ℃ tm PVT 복합모듈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평균 온도 ℃ ts 대기 온도 ℃ tstg PVT 복합모듈 정체 온도 ℃ T 절대 온도 K Ta 주위 또는 주변 공기 온도 ℃ T _{m}^{*} 수정 온도차 (=tm - ta) / Gx m2KW-1 Ts 대기 온도 K U T _{m}^{*}에 상관하여 측정된 PVT 복합모듈의 전체 열손실 계수 Wm-2K-1 UL PVT 복합모듈의 흡열판 평균 온도 tm에 대한 PVT 복합모듈의 전체 열손실 계수 Wm-2K-1 υ 주변 공기 속도 ms-1 Vf PVT 복합모듈의 유체 용량 m3 ∆p 열매체의 PVT 복합모듈 입구와 출구 간 압력차(입, 출구 차압) Pa ∆t 시간 간격 S ∆T PVT 복합모듈 열매체의 입, 출구 온도차(tβ - tin) K α 일사 흡수율 β 집열면의 경사각 ° gamma 집열면의 방위각 ° ε 반구상(천공) 복사 에너지 방사량 ω 태양의 시간각 ° θ 입사각 ° Φ 위도 ° λ 태양 에너지 파장 mm τ T _{m}^{*}에 관한 집열 효율 η0 PVT 복합모듈의 최고 집열 효율(=0에서 η) σ 스테판-볼츠만 상수 Wm-2K-4 ρ PVT 복합모듈 열전달 유체(열매체)의 밀도 kg·m-3 τ0 PVT 복합모듈 시간 정수 S τ 투과율 (τα)e 유효 투과 흡수율 (τα)ed 산란 일사에 대한 유효 투과 흡수율 (τα)en 법선면 일사에 대한 투과 흡수율 (τα)eθ 입사각 θ에서의 직달 일사에 대한 투과 흡수율 성능 및 품질기준 5.1 성능 5.1.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성능 및 품질기준은 표 1(열적 특성), 표 2(전기적 특성)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5.1.2 시험은 그림 1 인증시험절차에 나타낸 순서에 따라 실시한다. 시험순서의 변경은 의뢰자와 평가기관 및 시험기관의 협의로 가능하며, 시험결과와 함께 제출되어야 하고 변경 사유를 제시하여야 한다. 5.1.3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전달 매체와 독립적으로 PV 작동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태양광 발전 특성은 시험성적서에 상세히 기술되어야 하며, 열특성 관련 모든 시험에서 전력 작동 모드(최대전력생산 상태와 개방회로 상태)는 모든 시험에 대해 보고되어야 한다. 표 1 —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집열성능 및 품질시험 항목 성능 시험방법 집열 성능 시간 정수 -1) 6.7 입사각수정계수 압력 손실 집열 성능 품질시험 내압(정압 누설) 1) 열매체의 누설이 없을 것 2) 정압 누설 시험 시, 압력강하가 1 % 이내일 것 3) PV모듈부와 틀 사이의 봉입재 돌출이 3 mm 이내일 것 4) PV모듈부와 틀 사이의 틈이 3 mm 이내일 것 5) 흡열판과 집열관 사이의 틈이 없을 것 6) 단열재의 변형이 없고 부풀림 등이 3 mm 이내일 것 7) 무창형 PVT 복합모듈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여 단열재가 젖지 않을 것 8)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구조 변형이나 구성품의 파손 및 손상이 없을 것 9) 시험 중 이상 소음의 발생 또는 진동이 없을 것 6.2 고온 저항 6.3 시수 분무 6.4 냉수 주입 6.5 빗물 침투 6.6 해체 검사 이상 유무가 없을 것 6.8 1) 해설 참조 표 2 —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전기성능 및 품질기준 시험항목 시험 방법 품질기준 외관 검사 태양전지, Glass, J-Box, 프레임, 접지단자, 출력단자 등 평가 (KS C IEC 61215, 10.1 참조) 7.1 최대출력 결정 개방 전압(Voc), 단락 전류(Isc), 최대 전압(Vmax), 최대 전류(Imax), 최대 출력(Pmax), 곡선율(FF), 효율(Eff) 등의 발전 성능을 시험 (KS C IEC 61215, 10.2 참조) 7.2 절연 시험 출력단자와 모듈 또는 접지단자 사이의 절연 시험 (KS C IEC 61215, 10.3 참조) 7.3 온도계수 측정 모듈의 온도계수 측정 (KS C IEC 60904-10, KS C IEC 61215, 10.4 참조) 7.4 저방사 조도 특성 태양전지 온도 25 ℃, NOCT, KS C IEC 60904-3의 기준 태양광 분광 방사 조도 200 W/m2에서의 성능(KS C IEC 61215, 10.7 참조) 7.5 옥외노출 시험 총 방사조도 60 kWh/m2에서의 성능(KS C IEC 61215, 10.8 참조) 7.6 열점 내구성 시험 태양 전지의 성능 불균형, 크랙 또는 국부적인 그림자 영향에 의해 발생되는 열점 내구성 시험(KS C IEC 61215, 10.9 참조) 7.7 UV 전처리 시험 자외선 노출에서 태양광발전 모듈 재료의 열화정도 시험, 자외선 조사(KS C IEC 61215, 10.10 참조) 7.8 온도 사이클 시험 환경 온도의 불규칙한 반복에서 구조나 재료 간의 열전도나 열팽창률에 의한 스트레스의 내구성 시험(KS C IEC 61215, 10.11 참조) 7.9 습도-동결 시험 고온, 고습, 영하의 저온에서 열팽창률의 차이나 수분의 침입, 확산, 호흡 작용 등의 구조나 재료의 영향을 시험 (KS C IEC 61215, 10.12 참조) 7.10 고온고습 시험 고온, 고습 상태의 열적 스트레스와 접합재료의 밀착력 등의 적성 시험(KS C IEC 61215, 10.13 참조) 7.11 단자강도 시험 단자 부분이 부착, 배선 또는 사용 중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강도 시험(인용표준: KS C IEC 61215, 10.14 참조) 7.12 습윤 누설전류 시험 강우에 노출되는 경우의 적성 시험(KS C IEC 61215, 10.15 참조) 7.13 기계적 하중 시험 바람, 눈 및 얼음에 의한 하중에 대한 기계적 내구성 시험 (KS C IEC 61215, 10.16 참조) 7.14 우박 시험 우박의 충격에 대한 태양광발전 모듈의 기계적 강도 시험 (KS C IEC 61215, 10.17 참조) 7.15 바이패스 다이오드 열 시험 모듈의 열점현상 등으로 발생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장기 내구성을 위한 적정 온도 설계 시험(KS C IEC 61215, 10.18 참조) 7.16 염수분무 시험 모듈의 구성 재료 및 패키지의 염분에 대한 내구성 시험 (KS C IEC 61701 참조) 7.17 그림 — 인증시험 절차 5.2 구조 및 겉모양 구조 및 겉모양은 다음 각 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사용 중 열매체가 누출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각 부분은 사용상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열매체의 출입이 용이한 구조이어야 한다. 배관 접속부는 외부배관과 용이하게 접속되는 구조이어야 한다. 동파가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사용 중 소음 및 진동을 내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흡열판과 집열관은 용접 혹은 압착되어 이탈 및 틈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빗물의 침입이 없고 바람 등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한 구조이어야 한다. 부식 및 녹방지를 위해 방청처리를 하여야 한다. 마감 상태 등 겉모양이 미관 상 심각할 정도로 거칠지 않아야 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모든 부품은 설치과정에서나 외기조건(태풍, 적설 등)하에서 그 형상이 변화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지녀야 한다. 5.3 재료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재료는 다음 각 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1)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은 각 부의 목적에 적합한 KS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갖는 것으로 내구성 및 강도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2) 태양복사 일사에 노출되는 재료는 자외선 등 내후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3) 단열재는 단열재에 접하는 온도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성능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가스발생 등의 반응이 없어야 한다. 4) 외장재는 부식이 없는 재료이거나 부식을 방지 코팅 처리되어야 하며, 내후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및 품질시험 방법 6.1 일반 6.1.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시험은 최대 전력 생산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내구성 및 품질시험은 태양광발전 모듈이 냉각되지 않는 상태로 만들고 최악의 작동 조건을 모사하기 위해 어떤 부하에도 연결되어서는 안된다(개방회로). 6.1.2 시험 종류에 따라, 어떤 시험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일부분을 변경하여 처리해야 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흡열판에 온도센서를 부착하기 위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바닥면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발생된 손상 부분이 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6.1.3 재료 심사는 시험절차에 의해 입증할 수 없는 각 부품의 재질과 관련한 부분은 서류로 제출되어 평가되어야 한다(흡열판, 집열관, 단열재 등). 6.2 내압 시험(정압 누설 시험) 6.2.1 목적 내압(정압누설) 시험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 작동 중, 흡열판의 집열관이 받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정도를 확인한다. 6.2.2 장치 및 절차 6.2.2.1 시험 장치는 그림 2와 같이 수압식 압력원(hydraulic pressure source-펌프, 고압탱크 등), 안전 밸브, 공기빼기 밸브(air-bleed valve)와 5 % 이상의 정확성을 가진 압력계로 구성된다. 6.2.2.2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가압하기 전에 공기빼기 밸브를 사용하여 공기를 빼낸다. 6.2.2.3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상온에서 물로 채워져야 하고, 시험압으로 일정 시간 가압되어야 한다(6.2.3.2 참조). 압력은 흡열판의 부품 변형 및 파손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식별부호 1 수압식 압력원 2 안전밸브 3 압력계 4 열매체 출구 주관 봉입, 5 무창형 PVT 복합모듈 6 공기빼기 밸브 그림 2 —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내압(정압 누설) 시험 장치 6.2.3 시험조건 6.2.3.1 온도 금속 흡열판은 5 ℃ ~ 30 ℃ 범위의 외기온도 조건에서 가압되어야 한다(6.2.3.2 참조). 6.2.3.2 압력 시험압은 제작자가 제시한 최대 작동압력의 1.5배가 되어야 하며 15 분간 유지되어야 한다. 6.2.4 시험결과 확인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누수 및 부품 변형(팽창, 비틀림 등)에 대해 조사한다. 검사결과는 사용된 압력 값과 온도, 시험 시간과 함께 보고되어야 한다. 6.3 고온저항 시험 6.3.1 목적 이 시험은 강한 태양 복사 일사나 고온의 외기조건 하에서, 무창형 PVT 복합모듈 전면유리(PV모듈)의 파손, 손상 또는 무창형 PVT 복합모듈 내부의 가스 발생으로 인한 전면유리(PV모듈)의 침전, 변색 등의 결함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다. 6.3.2 장치 및 절차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실외 또는 인공태양장치 안에서 시험되어야 한다. 6.3.2.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매체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열매체 주관의 한쪽은 공기의 순환에 의한 냉각을 막기 위해 봉입하고 다른 한쪽은 흡열판 내의 공기의 자유로운 팽창이 가능하도록 개방시켜 설치한다(그림 3 참조). 6.3.2.2 온도센서는 시험 중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흡열판에 부착되어야 한다. 센서는 흡열판 높이의 2/3지점, 너비의 중간에 위치해야 하고, 흡열판의 온도가 잘 감지되는 부위에 단단히 부착시켜야 한다. 이때 센서는 태양복사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6.3.2.3 시험은 정상상태에 도달한 이후 1시간 이상 지속시켜야 하며, 6.3.4에서 언급한 손상에 대해 즉시 검사되어야 한다. 식별부호 1 집열면에 설치된 전 일사량계 2 열매체 입구 주관 봉입 3 무창형 PVT 복합모듈 4 온도센서 부착(흡열판) 5 열매체 출구 주관 일부 봉입 6 태양복사 일사(태양 또는 인공태양의 광원) 7 외기온도 센서 그림 3 — 고온 저항 시험 장치 6.3.3 시험조건 시험 시 외기조건은 표 3과 같아야 한다. 표 3 — 고온저항 시험에 대한 기상 조건 기상온도 기상 등급의 수치 집열면의 전 일사량 강도 G 1 000 W/m2 외기온도 ta 25 ℃ ~ 40 ℃ 외부 공기 속도 1 m/s 이하 6.3.4 시험결과 확인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저하, 부피 수축, 가스 누출 및 부품의 변형에 대해 조사한다. 6.3.5 무창형 PVT 복합모듈 정체온도 결정 일사량 Gs(= 1 000 W)과 외기 온도 t_{as}(= 30 ℃)에 의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정체 온도 t_{stag}는 빈쪼이기 상태에서 무창형 PVT 복합모듈 표면온도가 정체되어 정상상태에 도달했을 때 측정된 일사량 G_{m}과 외기 온도 t_{am} 및 정체 온도 t_{sm}에 의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t_{stag}=t_{as}+ { G_{s}} over {G_{m} }(t_{sm}-t_{am})t_{stag}=t_{as}+{ G_{s}} over {G_{m} }(t_{sm}-t_{am}) ···························· (1) 여기에서 t_{stag} : 정체 온도 t_{as} : 30 ℃ G_s : 1 000 W G_m : 정상 상태 도달 시 측정된 집열면 일사량 t_{am} : 정상 상태 도달 시 측정된 외기 온도 t_{sm} : 정상 상태 도달 시 측정된 무창형 PVT 복합모듈 흡열판 온도 주 의 정체온도 결정을 위한 데이터는 노출시험 기간 중 정상상태로 간주되는 상태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평균을 취한다. 6.4 외부 열충격 시험(시수 분무 시험) 6.4.1 목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강한 일사에 노출된 기후 조건에서 때때로 심각한 외부 열충격을 일으킬 수 있는 갑작스런 비, 폭풍 등에 노출될 수 있다. 이 시험은 그러한 열적 충격을 견딜 수 있는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6.4.2 장치 및 절차 6.4.2.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매체를 채우지 않은 상태로 실외 또는 인공태양 아래 설치한다. 열매체 주관의 한쪽은 공기의 자연 순환에 의한 냉각을 막기 위해 봉합하고, 다른 한쪽은 집열관 내부의 공기 팽창이 가능하도록 개방한다(그림 4 참조). 6.4.2.2 온도센서는 선택 사항으로, 시험 중 온도를 파악하기 위해 흡열판에 부착할 수 있다. 센서는 흡열판 높이의 2/3 지점, 너비의 중간에 설치해야 하고, 흡열판의 온도가 잘 감지되는 부위에 단단히 고정시켜야 한다. 이때 센서는 태양복사로부터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6.4.2.3 물 분무기의 배열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 전체에 걸쳐 물을 균등하게 뿌릴 수 있도록 위치해야 한다. 6.4.2.4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물 분무기가 작동되기 전에 1시간 이상 높은 일사량 상태에 노출 시킨 후, 15분 동안 물 분무기에의해 냉각된다(6.4.3 참조). 6.4.2.5 6.4.4의 검사를 한다. 이 시험은 2회 실시해야 한다. 식별부호 1 시수 분무기 2 출구 주관 일부 개방 3 태양 복사 일사 4 외기온도 센서 5 일사계 6 온도센서 부착(흡열판) 7 열매체 입구 주관 봉입 8 무창형 PVT 복합모듈 그림 4 — 외부 열충격 시험(시수 분무 시험) 장치 6.4.3 시험 조건 표 4에 주어진 조건이 사용되어야 한다. 규정된 작동조건은 다음과 같다. a) 집열면의 전 일사량 강도 G가 표 4의 값보다 커야 한다. b) 외기온도가 표 4의 값보다 커야 한다. 분무되는 물의 온도는 25 ℃ 이하이어야 하며, 유량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 유효 면적당 0.03 kg/s ~ 0.05 kg/s으로 한다. 주 의 - 시수 분무기의 배관이 외부의 태양복사에 노출되어있는 경우, 배관 내에 고인 물의 온도가 25 ℃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물의 기준온도인 25 ℃가 될 때까지 고인 물을 빼낸 후 시험을 수행하여야 한다. 표 4 — 노출 및 내·외부 충격시험에 대한 기상조건 기상온도 기상 등급의 수치 집열면의 전 일사량 강도 G 850 W/m2 집열면의 1일 적산 일사량 H 14 MJ/m2 외부 공기 온도 ta 10 ℃ 이상 6.4.4 시험 결과 확인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발생하는 모든 흠, 변형, 응축, 누수에 대해 조사한다. 일사량, 외기온도, 흡열판 온도(측정하였을 경우), 분무되는 물의 온도와 유량의 측정값을 기록한다. 6.5 내부 열충격 시험(냉수 주입 시험) 6.5.1 목적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강한 일사에 노출된 기후 조건에서 심각한 내부 열충격(예를 들어, 장기간 작동 중지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이 정체 온도에 있는 상태에서 열매체 순환 작동을 시작하려고 할 때)을 일으킬 수 있는 차가운 열매체의 유입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다. 이 시험은 그러한 열적 충격을 견딜 수 있는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6.5.2 장치 및 절차 6.5.2.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매체를 채우지 않은 상태로 실외 또는 인공 태양 아래 설치한다. 열매체 주관의 한쪽은 개폐 밸브를 통해 열매체 공급원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다른 쪽(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대각선 방향)은 집열관에서 공기의 자유 팽창이 가능하도록 초기에 개방시켜 두고 열매체가 흡열판을 통과하도록 한다(그림 5 참조) 6.5.2.2 온도센서는 선택 사항으로 시험 중 온도를 파악하기 위해 흡열판에 부착될 수 있다. 센서는 흡열판 높이의 2/3 지점, 너비의 중간에 위치해야 하고, 흡열판의 온도가 잘 감지되는 부위에 단단히 부착시켜야 한다. 이때 센서는 태양복사로부터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6.5.2.3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열매체를 공급하기 전 1시간 동안 높은 일사량 상태에 노출시킨 후, 5분간 차가운 열매체를 공급하여 냉각한다(6.5.3 참조). 6.5.2.4 6.5.4의 검사를 한다. 식별부호 1 태양 복사 일사 2 외기 온도 센서 3 집열면에 설치된 일사계 4 냉수 공급원 5 유량계 6 온도센서 부착(흡열판) 7 무창형 PVT 복합모듈 8 열매체 입구 주관 봉입 그림 5 — 내부 열충격 시험(냉수 주입) 장치 6.5.3 시험 조건 표 4에 주어진 조건이 사용된다. 규정된 작동 조건은 다음과 같다. a) 태양열(인공 태양)의 일사량 강도 G가 표 4의 값보다 커야 한다. b) 외부 공기의 온도가 표 4의 값보다 커야 한다. 열매체는 25 ℃ 이하의 온도이어야 한다. 권장 유량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유효 면적당 최소 0.02 kg/s로 한다(만약, 제작자가 규정한 사항이 없을 경우). 6.5.4 시험 결과 확인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발생하는 모든 홈, 변형, 뒤틀림, 누수 등에 대해 조사한다. 일사량, 외기온도, 흡열판 온도(측정하였을 경우), 열매체의 온도와 유량의 측정값을 기록한다. 6.6 빗물 침투 시험 6.6.1 목적 이 시험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대해 수행하며, 전면유리(PV모듈)의 틈 등을 통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빗물이 침투되는지에 대해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비에 의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나 수분 등의 침투가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6.6.2 장치 및 절차 6.6.2.1 일반 6.6.2.1.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그림 6과 같이 입·출구 배관을 하여 설치한다(다만, 온수가 집열관을 통해 순환하지 않은 상태로, 6.6.2.2 참조). 6.6.2.1.2 또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제작자가 권장하는 설치 경사각 중 가장 낮은 각도로 설치한다. 이 경사각이 규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30° 이하의 경사각을 취한다. 6.6.2.1.3 지붕 일체형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인공 지붕에 설치하고 아래쪽 면이 외기와 차단되도록 보호되어 야 한다. 기타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개방형 지지를 또는 인공 지붕에 일반적인 방식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6.6.2.1.4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스프레이 노즐이나 샤워기를 통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 설치면에 수직으로 전면에 걸쳐 4시간 동안 분무한다. 6.6.2.2 물의 침입 감지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모듈의 흡열판이 최소 50 ℃로 유지되는 동안 위에서 설명한 대로 분무되어야 한다. 이것은 흡열판을 통해 약 50 ℃의 온수를 순환하거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태양 복사 일사에 노출시켜 가능하다. 빗물 침투는 육안 검사(물방울 또는 전면유리(PV모듈)위의 응축 등의 징후)로 판단하거나 다음 중 하나의 방법으로 판단한다. a)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무게를 잰다(저울의 정확도는 ±1 g 이하이어야 한다). b)습도 측정의 방법을 통한다. c)응축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을 통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가열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이 시험 전 건조 상태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물 분무 시험 전에 시작되어야 한다. 식별부호 1 분무장치 2 출구 주관 봉입 3 지붕재 일체로 설계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경우, 바닥면 보호 4 경사각지지 5 무창형 PVT 복합모듈 그림 6 — 빗물 침투 시험 장치 6.6.3 시험 조건 분무되는 물의 온도는 30 ℃ 이하이어야 하고, 유량은 무창형 PVT 복합모듈 유효면적당 0.05 kgㆍs-1으로 한다. 빗물침투 검사방법으로 무게를 잴 경우, 무창형 PVT 복합모듈은 시험 시작 전 저울로 무게를 달아야 하며, 시험 후의 무게는 ±1 g 이상 변화해서는 안된다. 6.6.4 결과 무창형 PVT 복합모듈 내부에 물이 침투되었는지를 조사한다. 물이 침투되었을 경우 물 침투의 범위 및 침투 위치가 기록되어야 한다. 6.7 열성능 시험 6.7.1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성능 시험은 KS B 8295의 8절 열성능 시험 중 정상 상태에서의 태양열 집열기 시험조건에서 액체식 태양열 집열기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6.7.2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태양광발전 작동모드(개방 및 단락회로)는 열성능에 영향을 미치며 시험성적서에 설명되어야 한다. 열성능 시험은 실제 작동상태인 최대전력생산 상태와 개방회로 상태에서 각각 측정되어야 하며 집열 효율을 각각 구분하여 표기한다. 이때, 최대전력생산 상태는 마이크로인버터 또는 전자부하장치 등을 이용한 최대전력점추종제어(MPPT)에 의한 부하가 연결된 상태를 말한다. 6.8 최종 해체 검사 모든 시험이 끝났을 때, 마지막으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해체해서 이상 유무를 검사하여야 한다. 이상한 점이 발견되었을 경우 사진과 함께 시험 성적서에 그 내용이 기록되어야 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전기성능 및 품질시험 방법 7.1 외관 검사 7.1.1 검사 방법 1 000 lux 이상의 광 조사상태에서 모듈외관, 태양전지 등에 크랙, 구부러짐, 갈라짐 등이 없는지를 확인하고, 태양전지 간 접속 및 다른 접속부분에 결함이 없는지, 태양전지와 태양전지, 태양전지와 프레임상의 접촉이 없는지, 접착에 결함이 없는지, 태양전지와 모듈 끝부분을 연결하는 기포 또는 박리가 없는지 등을 검사하며, KS C IEC 61215 에 따라 시험한다. 7.1.2 품질기준 태양전지, Glass, J-Box, 프레임, 기타사항(접지단자, 출력단자) 등의 이상이 없을 것. a) 모듈외관: 크랙, 구부러짐, 갈라짐 등이 없는 것. b) 태양전지: 깨짐, 크랙이 없는 것. c) 태양전지 간 접속 및 다른 접속부분에 결함이 없는 것. d) 태양전지와 태양전지, 태양전지와 프레임의 접촉이 없는 것. e) 접착에 결함이 없는 것. f) 태양전지와 모듈 끝부분을 연결하는 기포 또는 박리가 없는 것 등. 7.2 최대 출력결정 시험 7.2.1 결정 방법 이 시험은 환경시험 전후에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최대출력을 결정하는 시험으로 KS C IEC 6121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인공광원법에 의해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Ⅰ-Ⅴ 특성 시험을 수행하며, AM 1.5, 방사조도 1 kW/m2, 온도 25 ℃ 조건에서 기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시험을 실시하여 개방전압(Voc), 단락전류(Isc), 최대 전압(Vmax), 최대 전류(Imax), 최대 출력(Pmax), 곡선율(FF), 효율(Eff)을 측정한다. KS C IEC 61215에서 정하는 KS C IEC 60904-9의 솔라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KS C IEC 60904-1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7.2.2 품질기준 a) 해당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최대 출력을 측정하되, 시험시료의 평균 출력은 정격 출력 이상일 것. b) 시험시료의 출력 균일도는 평균 출력의 ±3 % 이내일 것. c) 시험시료의 최종 환경시험 후 최대출력의 열화는 최초 최대출력의 -8 %를 초과하지 않을 것. 7.3 절연시험 7.3.1 시험방법 a) 절연내력 시험은 최대 시스템 전압의 두 배에 1 000 V를 더한 것과 같은 전압을 최대 500 V/s이하의 상승률로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출력단자와 모듈 또는 접지단자(프레임)에 1분간 유지한다. 다만 최대 시스템 전압이 50 V 이하일 때는 인가전압은 500 V로 한다. b) 절연저항 시험은 시험기 전압을 500 V/s를 초과하지 않는 상승률로 500 V 또는 모듈 시스템의 최대 전압이 500 V 보다 큰 경우 모듈의 최대 시스템 전압까지 올린 후 이 수준에서 2분간 유지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이때,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시험 환경온도는 60 ℃를 유지한다. 7.3.2 품질기준 a) 7.3.1의 시험 동안 절연파괴 또는 표면 균열이 없어야 한다. b) 모듈의 측정 면적에 따라 0.1 m2 미만에서는 400 MΩ 이상이어야 한다 c) 모듈의 시험 면적에 따라 0.1 m2 이상에서는 측정값과 면적의 곱이 40 MΩ·m2 이상이어야 한다. 7.4 온도계수의 측정 7.4.1 측정 방법 모듈 측정을 통해 전류의 온도계수(α), 전압의 온도계수(β) 및 피크전력(δ)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결정된 계수는 측정한 방사조도에서 유효하다. 다른 방사조도 수준에서의 모듈의 온도 계수 계산은 KS C IEC 60904-10을 참조하며, KS C IEC 6121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7.4.2 품질기준 별도의 품질기준에 따르지 않고, 해당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온도계수를 측정한다. 7.5 낮은 조사 강도에서의 특성 7.5.1 특성 시험 이 시험은 모듈의 전기적 특성이 25 ℃ 및 200 W/m2(적절한 기준 기기로 측정)의 방사 조도에서, 부하와 함께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자연광 또는 KS C IEC 60904-9의 요구에 적합한 B등급 이상의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KS C IEC 60904-1에 의해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KS C IEC 6121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7.5.2 품질기준 별도의 품질기준에 따르지 않고, 해당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낮은 조사강도에서의 성능특성을 측정한다. 7.6 옥외노출 시험 7.6.1 시험방법 이 시험은 모듈의 옥외 조건에서의 내구성을 일차적으로 평가하고 또 시험소의 시험에서는 검출될 수 없는 복합적 열화의 영향과 장기간 사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문제점 유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적산 일사량계로 측정한 적산 일사량이 60 kWh/m2에 도달할 때까지 시험하며, 외부공기온도 10 ℃ 이상 조건에서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이때, 집열관은 열매체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모든 열매체 주관의 한쪽은 관로는 공기의 순환에 의한 냉각을 막기 위해 봉입하고, 다른 한쪽은 집열관 내의 공기의 자유로운 팽창이 가능하도록 개방시켜 설치하며 KS B 8295 노출시험 장치 및 절차에 따른다. 7.6.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d) 집열부의 손상 및 성능 감소에 대해 조사. 7.7 열점 내구성 시험 7.7.1 시험방법 무창형 PVT 복합모듈이 과열점 가열의 영향에 대한 내구성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결함은 태양전지의 부정합, 균열, 내부접속 불량, 부분적인 그늘 또는 오손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시험은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7.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8 UV 전 처리 시험(UV preconditioning test) 7.8.1 시험방법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태양광에 노출되는 경우에 따라서 유기되는 열화정도를 시험한다. 제논아크등을 사용하여 모듈온도 (60 ± 5)℃의 건조한 조건을 유지하고 파장범위 280 nm에서 320 nm까지 방사조도 5 kWh/m2 또는 파장범위 280 nm에서 385 nm까지 방사조도 15 kWh/m2에서 시험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8.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9 온도 사이클 시험(시험 a: 200사이클, 시험 b: 50사이클) 7.9.1 시험방법 환경온도의 불규칙한 반복에서 구조나 재료간의 열전도나 열팽창률의 차이에 의한 스트레스 내구성을 시험한다. 고온측 (85 ± 2) ℃ 및 저온측(-40 ± 2) ℃로 10분 이상 유지하고 고온에서 저온으로 또는 저온에서 고온으로 최대 100 ℃/h의 비율로 온도를 변화시킨다. 이것을 1사이클로 하여 6시간 이내에 하고 특별히 규정이 없는 한 UV 전처리 시험 후 온도 사이클 시험 b 50회, 습윤 누설전류 시험 후 온도 사이클 시험 a 200회를 실시한다. 최소 1시간의 회복시간 후,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9.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d) 시험 도중에 회로가 손상(open circuit)되지 않을 것. 7.10 습도-동결 시험 7.10.1 시험 방법 고온·고습, 영하의 저온 등의 가혹한 자연환경에 반복 장시간 놓았을 때, 열팽창률의 차이나 수분의 침입·확산, 호흡작용 등에 의한 구조나 재료의 영향을 시험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냉각 챔버에 설치한다(그림 7).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매체 입·출구를 완전히 밀폐시키고, 제작자가 권장하는 설치 경사각 중 가장 낮은 경사각으로 설치한다. 제작자가 이러한 경사각을 규정하지 않았을 경우 모듈은 30°의 경사각으로 설치한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물을 채워 작동압력으로 맞춘다. 무창형 PVT 복합모듈 내부의 압력이 떨어질 경우 작동압력으로 물이 재충전되어야 하며 시험과정 중의 물의 온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단, 부동액을 열매체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무창형 PVT 복합모듈 시험조건은 적용하지 않는다. 고온측 온도 조건을 (85 ± 2) ℃, 상대습도 (85 ± 5) % R.H.에서 20시간 유지하고, 저온측 온도 조건을 (-40 ± 2) ℃에서 0.5시간 유지한다. 위의 조건을 1사이클로 하여 24시간 이내에 하고 10회 실시한다. 2시간에서 4시간의 회복시간 후,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식별부호 1 시수원 2 배수구 3 냉각챔버 4 온도센서 5 압력계 6 무창형 PVT 복합모듈 7 경사설치 8 출구 주관 일부 봉입 9 공기 밸브 그림 7 — 내동결 시험장치 7.10.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d) 집열부의 누수, 파손, 변형과 뒤틀림이 없을 것. 7.11 고온고습 시험 7.11.1 시험방법 고온·고습 상태에서의 사용 및 저장하는 경우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적 스트레스와 적성을 시험한다. 이때 접합 재료의 밀착력의 저하를 관찰한다. 시험조 내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출력단자를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방수를 위하여 염화비닐제의 절연 테이프로 피복하여, 온도 (85 ± 2) ℃, 상대습도 (85 ± 5) % R.H.로 1 000시간 시험한다. 2시간에서 4시간의 회복시간 후,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11.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습윤 누설전류 시험: 7.13을 만족시킬 것. d)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12 단자강도 시험 7.12.1 시험방법 모듈의 단자 부분이 모듈의 부착, 배선 또는 사용 중에 가해지는 외력에 충분한 강도가 있는지를 시험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12.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13 습윤 누설전류 시험 7.13.1 시험방법 모듈이 옥외에서 강우에 노출되는 경우의 적성을 시험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13.2 품질기준 a) 모듈의 측정 면적에 따라 0.1 m2 미만에서는 절연저항 측정값이 400 MΩ 이상 일 것. b) 모듈의 측정 면적에 따라 0.1 m2 이상에서는 절연저항 측정값과 모듈 면적의 곱이 40 MΩ·m2 이상일 것. 7.14 기계적 하중 시험 7.14.1 시험방법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대하여 바람, 눈 및 얼음에 의한 하중에 대한 기계적 내구성을 시험하며, KS C IEC 6121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7.14.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시험 도중에 회로가 단선되지 않을 것. d)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e) 구조체에 발생하는 모든 결함을 검사할 것. 7.15 우박 시험 7.15.1 시험방법 우박의 충격에 대한 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시험하며, KS C IEC 61215에 따라 시험한다. 7.15.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7.16 바이패스 다이오드 열 시험(Bypass diode thermal test) 7.16.1 시험방법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열점(hot-spot) 현상에 대한 유해한 결과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열에 대한 내성설계가 얼마나 잘 되어 있는지 그리고 유사한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신뢰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STC 조건에서 단락전류의 1.25배와 같은 전류를 적용한다. 시험은 KS C IEC 61215에 따른다. 7.16.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d) 시험이 끝난 후에도 다이오드의 기능을 유지할 것. e) 다이오드 접합 온도는 다이오드 제조자가 제시한 정격 최대 정션 온도를 초과하지 않을 것. 7.17 염수분무 시험 7.17.1 시험방법 염해를 받을 우려가 있는 지역에서 사용되는 모듈의 구성재료 및 패키지의 염분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한다. 시험품은 이상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연선의 단자부 봉지 등 실사용 조건과 같은 단자처리를 하거나 또는 보호하여 둔다. 소정의 염수분무실에서 15 ℃ 에서 35 ℃ 사이의 온도에서 염수농도 (5 ± 1) %의 무게비로 하여 2시간 염수분무 후 온도 (40 ± 2) ℃, 상대습도 (93 ± 5) % R.H.의 조건에서 7일간 시험하고, 위의 시험을 4회 반복한다. 소금 부착물을 상온의 흐르는 물로 5분간 세척한 후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로 씻고 부드러운 솔을 사용하여 물방울을 제거하고 (55 ± 2)℃의 조건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 표준상태에서 1시간 ∼ 2시간 이내로 방치하고 냉각한다. KS C IEC 61701에 따라 시험한다. 7.17.2 품질기준 a) 최대 출력: 시험 전 값의 95 % 이상일 것. b) 절연저항: 7.3을 만족시킬 것. c) 외관: 두드러진 이상이 없고, 표시는 판독할 수 있으며 7.1을 만족시킬 것. 검사 5.1 ~ 7.17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시사항 9.1 일반사항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소비자가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야 한다. 9.2 제조 및 사용 표시 9.2.1 인증 설비에 대한 표시는 최소한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업체명 및 소재 2) 설비명 및 모델명 3) 제품의 주요 사양(최대출력 및 열성능) 4) 제조일 및 제조 번호 5) 인증부여 번호 6) 인증 표지 7) 기타 사항 9.3 카달로그 또는 사용설명서 기재사항 카달로그 또는 사용설명서 등에는 표 5와 같은 사항을 기재 한다. 표 5 — 카탈로그 표 시 항 목 카탈 로그 취급 설명서 공사 설명서 기술 자료 표 시 내 용 단 위 종류 및 형식 O O O O 모델명 또는 모델코드 외형치수 O O O O 너비×길이(안길이)×높이 스케치도에 의한 외형 치수 포함 mm 집열 매체 용량 O O O 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채워지는 집열매체의 용량 또는 질량 L, g 중량 O O O 제품의 중량(빈무게 및 전열매체를 채운 후 총 중량) 집열 매체 O O 명칭 또는 종류 최고 사용압력 O O O O 사용할 수 있는 최고 압력 Pa 외형도 O O O 평면도, 측면도 또는 이에 준하는 도면 mm 부착 치수 O O 부착 또는 설치 등의 치수 mm 접속관 구경치수 O O 접속관 구경은 KS호칭 또는 mm로 표시한다. 구성 부재 O O 무창형 PVT 복합모듈을 구성하는 주요 부재를 표시한다. (1) 흡열판 재료: 재질, 두께 (2) 단열재: 재질, 두께 (3) 외장재: 재질, 두께 (4) 집열매체 관: 재질 최대 출력 O O 전기성능의 결과에 의거하여 표시한다. 집열 성능 O O 집열성능의 결과에 의거하여 표시한다. 압력 손실 O O 압력손실 특성도를 표시한다. 운전상의 주의사항 O O O 운전상의 주의사항을 표시한다. 설치상의 주의사항 O O 설치상의 주의사항 및 동결 방지에 관한 사항 등을 표시한다. 보수 점검상의 주의사항 O O O 보수 점검에 관한 사항을 표시한다. 재검토 기한 인증기준은 「훈령ㆍ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2025년 3월 X일(발령한 날)을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을 조치를 하여야 한다. 해 설 이 해설은 본체에 규정된 사항 및 이와 관련된 사항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기준의 일부는 아니며,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 해설을 추가하였다. 1 적합성 인증 기준 제정의 취지 ‘KS B 8295 태양열 집열기 – 평판형, 진공관형, 고정집광형’ 시험방법으로는, 태양에너지를 전기 및 열에너지로 변환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액체식 태양광발전·태양열 융합제품으로서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PVT 복합모듈)에 대해서 열성능 및 전기성능을 적합하게 평가할 수 없어 본 적합성 인증 기준을 제정하게 되었다. 적합성 인증 기준은 기존 KS B 8295에서 규정한 열성능 시험방법, 내압(정압누설), 고온저항, 노출시험, 외부열충격, 내부 열충격, 빗물침투, 내동결, 구조체 강도 및 투과체 내충격 시험의 품질시험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기존 KS C 8561(‘결정질 실리콘 – 태양광발전 모듈(성능)’)의 전기성능 및 품질시험의 모든 항목들을 추가하되, KS C 8561 표준과 중복되는 노출시험, 내동결, 구조체 강도 및 투과체 내충격 시험은 대체ㆍ강화된 시험방법으로 추가되었다. 2 기존 태양열 집열성능 및 전기성능의 합부기준과의 차이점 KS B 8295, KS C 8561에서 요구되는 집열성능 및 전기성능은, 집열성능의 경우 평판형 530 Wm-2, 진공관형 560 Wm-2 이상, 집열량(전면적) 7.64 MJm-2 이상이며, 전기성능의 경우 태양광발전 모듈 효율은 17.5 % 이상으로 합부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무창형 PVT 복합모듈의 경우 관련 산업 및 시장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 인증표준과 유사한 성능기준을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결정지을 수 없다(국내외 참고규격도 부재). 따라서 적합성 인증 기준은 표준화된 시험방법으로 집열 및 전기성능을 규명하여 소비자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합부기준 및 요구 성능을 규정하지 않았다. 3 NOCT 측정 시험, STC 및 NOCT에서의 성능 시험 제외 KS C 8561 개정 계획에서 국제 표준(IEC 61215-2:2021) 최신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NOCT 측정 시험, STC 및 NOCT에서의 성능 시험을 삭제할 예정임에 따라 적합성 인증 기준에서도 미적용하였다.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심사기준 산업융합신제품명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최종 의결일 2022년 8월 10일 ○ 본 적합성인증 업무에 대한 처리 절차와 방법은 「산업융합 촉진법」,「산업표준화법」및「KS Q 8003, KS인증제도 – 신재생에너지설비인증에 대한 요구사항」에 따른다. ○ 이 인증심사기준은 산업융합 촉진법 제13조제3항에 따라 산업표준화법 시행규칙 별표8(인증심사기준)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KS Q 8003 부속서(공장심사보고서) 작성 등 인증심사에 대한 판단 기준으로 활용한다. 가. 품질경영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의 추진 가) 경영책임자는 표준화 및 품질경영을 합리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나) 기업의 사내표준 및 관리 규정은 한국산업표준(이하 “KS”라 한다)과 적합성 인증기준을 기반으로 회사 규모에 따라 적합하게 수립하고 회사 전체 차원에서 적용해야 한다. 다) 품질경영의 추진계획은 해당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의 요구 수준 이상으로 보증할 수 있도록 입안해야 한다. 2) 사내표준화와 품질경영의 도입 및 확산을 위한 활동 가) 품질경영을 총괄하는 품질경영부서(임직원이 20인 이하 기업은 인증유지담당자)는 독립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나) 제안 활동 또는 소집단 활동 등을 통해 품질개선 활동을 실시하고, 사내표준화와 품질경영 활동 전반에 대해 자체점검을 1년 이내의 주기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경영에 반영해야 한다. <비고> 1. 신청품목에 대해 공인인증기관*으로부터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인증을 받은 기업의 경우 이 항목은 평가를 생략할 수 있다. 인증심사원은 공장심사 시 ISO 9001 인증서(인증범위, 유효기간, 인증기관 등) 진위여부 및 주요 항목(내부심사, 경영검토, 부적합 시정조치 등)의 유효성을 확인하여야 하며, 신청자가 해외기업인 경우, ISO 9001 인증서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등 이 항목에 대한 생략이 적절하지 않다고 심사반이 판단한 경우에는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 “공인인증기관”이라 함은 인증기관 인정제도를 운영하는 기관(인정기구 ; 한국 KAB, 중국 CNAS, 영국 UKAS 등)으로부터 ISO/IEC 17021-1 에 따라 인정(accreditation)을 받은 인증기관을 말한다. 나. 자재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검사항목 적합성 인증기준에 따른 주요 자재명 및 자재별 검사항목을 사내표준에 규정해야 한다. 다만, 주요 자재관리 목록(부품, 모듈 및 재료 등)은 인증기관에 심사 전 제출하여 적정성을 확인받아야 하며, 심사 후에도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인증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자재품질기준 자재의 품질기준은 생산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될 수 있도록 규정해야 한다. 3) 검사방법 자재의 검사방법은 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될 수 있도록 규정해야 한다. 4) 이행사항 사내표준에 따라 자재를 인수할 때에는 품질검사(이하 이 표에서 "인수검사"라 한다) 및 자재 관리를 해야 한다. <비고> 1. 자재는 KS 인증제품을 우선적으로 사용해야 하고, KS 인증제품 또는 양질의 자재라고 인정될 때에는 자재를 공급하는 업체의 시험성적서, 외부공인 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 부품을 자체 제조하는 경우에는 공정관리 기록 등으로 인수검사를 갈음할 수 있다. * “자재를 공급하는 업체”라 함은 자재를 제조하여 공급하는 업체(이하 “공급업체”라 함)를 말한다. 공급업체로부터 자재를 구매하여 납품하는 업체(이하 “납품업체”라 함)와 구별하여야 한다. 특히, 해외 제조자로부터 자재 또는 제품을 수입하여 납품 또는 판매하는 업체는 “수입자”라 칭한다. 2. 인증을 받은 기업은 제품의 종류, 공정의 특수성 및 제조기술의 개발에 따라 자재를 대체 또는 생략하거나 검사항목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변경사항을 인증기관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때, 성능에 영향을 주는 부품이나 자재가 변경된 것으로 인정될 경우 별도 모델로 간주하여 신규 인증 신청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변경사항을 인증기관에 제출하지 않고 자재를 대체하거나 생략한 경우, 인증기관은 해당 제품이 적합성 인증기준에 현저히 맞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인증을 취소할 수 있다. 3.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의 주요 자재는 다음과 같다. ① 투과유리(태양전지보호) ② 태양전지(결정질실리콘) ③ 봉합재료(Encapsulation): EVA(Ethyl Vinyl Acetate) 등 ④ 후면재료: 모듈 백시트(Polyolefin) ⑤ 정션박스(junction box): 바이패스 다이오드(bypass diode), 단자박스, 보호커버, 케이블, 커넥터, 포팅(potting) 재료 등 ⑥ 흡열판(티타늄코팅 알미늄) 및 집열관(동관) ⑦ 단열재(EPDM) ⑧ 프레임(알루미늄합금) ⑨ 프레임 백시트(칼라강판) ⑩ 기타(제조사가 주요 자재로 취급하는 것) 다. 공정·제조설비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검사 또는 관리항목 적합성 인증기준에 따른 주요 공정명 및 공정별 검사 또는 관리항목, 주요 제조설비명을 사내표준에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2) 검사 또는 공정관리 방법 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될 수 있도록 적절한 관리기법을 적용하여 중간검사 또는 공정관리 방법을 규정해야 한다. 3) 이행사항 공정관리자가 사내표준에 따라 중간 검사ㆍ관리를 하여 그 결과를 기록․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4) 제조 작업 표준 각 공정에 대하여 사용설비, 작업방법, 작업조건, 작업상의 유의사항 등을 규정하고, 이에 따라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비고> 1. 일부 공정에 대해서는 외주가공을 허용하되, 외주가공을 하려는 자는 그 공정에 대한 관리규정을 정하여 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인증기관은 공장심사 시 외주가공 업체에 대한 현장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2. 해당 제품을 생산하기에 적합한 제조설비를 보유하고, 설비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점검, 보수, 윤활관리 등의 관리규정을 구체적으로 정하여 이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다만, 공정관리에서 외주가공이 허용된 경우에는 제조설비를 보유하지 않아도 된다. 3. 지정된 설비관리자가 설비관리규정에 따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4. 제조자는 핵심공정(Tabbing & Stringing 공정, 태양전지(PV)와 흡열판 라미네이션 및 용접공정)을 보유하여야 하며, 그 외 공정에 대해서는 외주가공을 할 수 있다. 외주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외주업체(또는 중간제품 공급업체)에 대한 현장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현장확인 시 평가항목은 해당 공정 범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자재관리, 제조·공정관리 등 인증심사기준 준용). 5. 제조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중간검사는 다음과 같다. ① String 품질 검사 (Lamination 공정 전) ② 밀봉상태 및 외관 검사 (Lamination 공정 후) ③ 최대출력결정시험 검사 ④ 절연시험 검사 ⑤ EL 검사(외관에 이상이 없을 것) ⑥ 용접 검사 ⑦ 누설 검사 * 제조자는 해당 공정에 대한 중간검사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라. 제품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제품 설계 및 개발 절차․계획 제품의 설계 및 개발 절차를 사내표준에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2) 제품 품질 검사 항목 제품의 검사항목 및 품질기준을 구체적으로 사내표준에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하고, 제품의 품질기준은 적합성 인증 기준에서 정한 품질검사 항목을 포함하여 그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 3) 검사 방법 제품의 검사 방법은 제품의 품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보증될 수 있도록 적합성 인증기준에 규정된 적절한 검사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4) 이행사항 가) 사내 표준에 따라 제품의 설계 및 개발을 이행하고, 관련 활동에 대한 계획을 수립․유지해야 한다. 나) 제품의 품질에 대한 사내 표준에 따라 검사를 실시하고 그 기록을 공정 개선 및 제품의 품질 향상에 활용해야 한다. 다) 제품시험 검사자가 적합성 인증기준 및 사내표준에 따라 시험검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비고> 1. 중간검사와 중복되는 제품검사의 항목은 중간검사로 갈음할 수 있다. 2. 제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일정한 주기를 정하여 시험한 자체 검사실적 또는 외부 공인시험기관에서 발행한 시험성적서를 보유한 경우 그 시험항목에 대하여는 제품시험을 생략 할 수 있다. 3. 심사원은 시험·검사자의 수행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제품의 주요 검사항목에 대한 현장 입회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현장 입회시험 항목의 결정은 “아. 제품시험 결과에 따른 결함 구분” 중에서 중결함 이상의 검사항목 중 1개로 한다. 마. 시험·검사설비의 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주요 설비명(공통) 1) 치수측정기(스틸자, 버니어캘리퍼스, 마이크로미터 등) 2) 온도계, 습도계 3) 옥외노출 시험장치 2. 주요 설비명(집열특성) 1) 압력계 2) 전압계, 전류계, 전력계 3) 유량계 4) 수압시험기 5) 자동태양추적식 집열기거치대 6) 집열기 열매체 공급설비 7) 극한시험장치 8) 데이터로거 9) 개폐시험기 10) 기상측정설비 3. 주요 설비명(전기특성) 1) 인장력측정기 2) 절연저항계 3) 쏠라시뮬레이터 4) 옥외노출 시험장치 5) 열점내구성시험장치 6) UV 시험장치 7) 항온항습 시험장치 8) 단자강도 시험장치 9) 절연저항 시험장치 10) 습윤누설전류 시험장치 11) 기계적하중 시험장치 12) 우박시험장치 13) 온도계수 측정장치 14) 내전압시험장치 15)염수분무 시험장치 16) 바이패스다이오드 시험장치 적합성 인증기준 및 인증심사기준에서 정한 주요 시험·검사설비를 포함하여 시험․검사설비명을 사내표준에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가) 적합성 인증기준에 규정되어 있는 품질의 특성과 자재 및 제품을 검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험·검사설비를 보유한 경우에는 설비의 정밀도·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국가표준기본법」 제3조제17호에 따른 교정을 실시하되, 사용빈도와 측정기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회사의 실정에 맞는 시험·검사설비의 관리규정을 정하고 이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나) 정밀도와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검사설비의 설치장소가 적정하고, 시험·검사설비의 사용상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어야 하며, 시험·검사설비 관리자는 시험·검사설비의 관리규정에 따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다) 시험ㆍ검사설비를 보유하지 않아, 외부설비를 사용한 경우에는 제품이 적합성 인증기준 수준 이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관리규정을 정하고 사용계약을 체결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라) 시험·검사설비의 성능(performance) 또는 규격(specification) 은 KS B 8295 및 KS C 8561의 태양열성능 및 품질시험, 태양광발전 모듈 시험항목 및 품질기준 등을 참고한다. <비고> 제품이 적합성 인증 기준 수준 이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일정한 주기를 정하여 외부설비를 사용하거나 외부공인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로 품질관리를 대신하는 경우 그 시험항목에 대한 시험․검사설비를 갖추지 않아도 된다. 단, 공인시험기관*을 제외한 외부설비를 사용한 경우 외부설비 업체에 대해 현장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 “공인시험기관”이라 함은 시험기관 인정제도를 운영하는 기관(인정기구 ; 한국 KOLAS, 중국 CNAS, 영국 UKAS 등)으로부터 국제표준(시험기관—ISO/IEC17025)에 의거한 인정(accreditation)을 받은 시험기관을 말한다. 바. 소비자보호 및 환경·자원관리 심사사항 심사기준 1) 소비자보호 가) 소비자가 제기한 불만사례의 경로를 추적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및 재발방지 조치를 해야 한다. 나) 소비자에게 제품의 사용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의 불만 및 피해보상에 대하여 처리방법을 규정해야 한다. 2) 환경관리 가) 적합성 인증기준에 따른 제품 요구사항의 적합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 환경을 사내표준에 규정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나) 청정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활동이 회사 전체적으로 실행되고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다) 작업능률의 향상과 종업원의 안전 및 복지를 고려한 작업환경을 갖추어야 한다. 3) 자원관리 가) 연간 교육훈련계획에 따라 종업원(경영간부 포함)에게 표준화 및 품질경영에 관한 교육․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나) 품질경영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인증유지담당자를 확보해야 한다. 다) 인증유지담당자는 다음의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 다만, 기업 규모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담당자의 직무를 조정하되, 사내 표준에 이를 규정하여야 한다. (1) 사내표준화와 품질경영에 대한 계획의 입안 및 추진 (2) 사내표준의 제정․개정 등에 대한 총괄 (3) 제품 및 가공품의 품질수준 평가 (4) 각 공정별 사내표준화 및 품질관리의 실시에 관한 지도․조언 및 부문 간의 조정 (5)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과 조치, 개선대책에 관한 지도 및 조언 (6) 종업원에 대한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에 관한 교육훈련 추진 (7) 부품을 제조하는 다른 업체에 대한 관리에 관한 지도 및 조언 (8) 불합격품 또는 부적합 사항에 대한 조치 (9) 해당 제품의 품질검사 업무 관장 <비고> 인증받은자는 국내 A/S 및 소비자불만처리를 위한 3인 이상의 조직을 유지하여야 한다. 사. 제품시험을 위한 샘플링 방식 검사 항목 로트의 크기 시료의 크기 (n) 판정 기준 비고 Ac Re 적합성인증기준의 전 검사항목 인증구분별 재고량 ◦인증구분별 n = 1 (총 시료수는 11대) 0 1 <비고> 1. 시판품 조사시 시료채취는 인증받은 제품중 1개 모델을 무작위로 채취하며, 시료의 크기는 n=1로 한다. 2. 적합성 인증기준에 규정된 전체 시험 검사항목을 하는데 있어서, 시험항목의 특성상 추가 시료가 필요할 경우 이를 추가할 수 있다. 아. 제품시험 결과에 따른 결함 구분 검사항목 결함구분 경결함 중결함 치명결함 품질 구조 및 겉모양 ● 내압시험(정압누설) ● 고온저항 ● 외부 열충격시험 ● 내부 열충격시험 ● 빗물침투시험 ● 해체검사 ● 최대출력 결정시험 ● 절연시험 ● 옥외노출시험 ● 열점 내구성 시험 ● UV 전처리 시험 ● 온도사이클 시험 ● 습도-동결 시험 ● 고온고습 시험 ● 단자강도 시험 ● 습윤 누설전류 시험 ● 기계적 하중 시험 ● 우박시험 ● 바이패스다이오드 시험 ● 염수분무 시험 ● 표시사항 ● <비고> 적합성 인증기준 시험결과 표준 미달 시 행정조치 관련 규정 1. 산업표준화법 시행령 [별표 1의2] 인증표시의 제거․정지 또는 판매의 정지 등에 관한 처분 기준 (2. 개별기준 “위반행위 나(경결함에 해당), 다(중결함에 해당) 항목) 2. 산업표준화법 제22조 제1항 3호(치명결함에 해당) 자. 제품인증표시의 방법 상품의 단위 표시 장소 표시 방법 표 시 내 용 매 제품 마다 제품 표면의 보기 쉬운 곳 명판, 각인 또는 인쇄 1. KS마크의 크기 3mm 이상 2. 산업융합 신제품명 3. 인증번호* 4. 모델명 및 모델코드 5. 제품의 주요 사양(정격출력은 필수 기입) 6. 제조연월일 7. 제조자의 이름, 소재지, 연락처 등 (해당하는 경우 수입사 포함) 8. 인증기관명 9. 적합성인증기준의 표시사항 * 인증서 발급 이후 부여 <비고> 1.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 표시 권고(안) ㉿ 산업융합 신제품명 인증번호 인증일자 설비명 모델명 제조연월일   모델코드   정격출력(W) 사양 1(Spec.) 사양 2(Spec.) 사양 3(Spec.) 사양 4(Spec.) 사양 5(Spec.) 제조자 연락처(A/S) 사무소 : 공 장 : 수입자 (해당 경우) 연락처(A/S) 사무소 : 판매자 (해당 경우) 연락처(A/S) 사무소 : ※ 필요 시 표시내용의 조정ㆍ재구성할 수 있음 차. 제품의 인증구분(종류·등급 호칭 또는 모델)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 기준명 종류∙등급∙호칭 또는 모델 태양광ㆍ열(PVT) 복합모듈(무창형) 모델별 부속서 A (참고) 재검토 기한 이 인증심사기준은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2025년 3월 X일 (발령한 날)을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을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닫기
더보기

예산·법령 ( 102 건)

더보기

민원참여( 0 건)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

직원검색 ( 0 건)

직원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테이블 입니다
이름 직위 부서 전화번호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

소개( 0 건)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