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통합검색

mi’에 대한 검색결과 386 건 입니다

알림·뉴스 ( 145 건)

  • 에너지슈퍼위크(APEC, WCE, CEM/MI) 주한 외국 대사관 설명회 개최 2025-07-08

    장관회의 (2일차) -   *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 World Climate Industry EXPO *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 : Clean Energy Ministerial *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MI) : Mission Innovation ①APEC 에너지장관회의*는 8월 27일부터 28일까지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 및 누리마루에서 개최되며, 전력망 인프라·에너지 안보 강화, 안정적인 전력공급, AI 활용 에너지 혁신 등이 주요 의제로 논의될 예정이다.   * APEC 에너지장관회의 경제체 : 21개   ②청정 및 미션이노베이션 에너지장관회의*는 8월 25일부터 27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며, 효율,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참고자료

    • 0708(09조간)에너지효율과, 에너지슈퍼위크 주한 외국 대사관 설명회 개최.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5. 7. 8.(화) 11:00 < 7.9.(수) 조간 > 배포 2025.7.8(화) 에너지슈퍼위크(APECžWCEžCEM/MI) 주한 외국 대사관 설명회 개최 - 8.25-29일 APEC 등 3개 에너지장관회의와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동시 개최 - EU, 영국, 인도, 호주, 베트남, 일본 등 약 43개 주한 외국 대사관 참석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7월 8일 오후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주한 외국 대사관을 대상으로 ‘에너지슈퍼위크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산업부는 새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과 행사의 주요내용을 설명하고 각 대 사관과 본 국의 관심과 참여를 요청하였다. 이번 설명회에는 EU, 영국, 베트남, 일본 등 약 43개 주한 외국 대사관이 참석하였다. 에너지슈퍼위크 기간인 8월 25일(월)부터 29일(금)까지 부산에서 4개의 주요 행사가 개최된다. 이 기간 제15차 APEC 에너지장관회의(8.27-28), 제 16차 청정에너지장관회의(8.25-27), 제10차 미션이노베이션장관회의(8.25-27) 등 3개 에너지장관회의와 함께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8.27-29)가 동시 개 최된다. 에너지슈퍼위크 기간 약 40개 회원국의 에너지장관 및 정부대표 단과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세계은행(World Bank,WB) 등 국제기구 주요인사 및 글로벌 기업 등이 참여해 미래 에너지 방향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 에너지슈퍼위크 세부일정 > 회의/행사 연계 개최 8.25(월) 8.26(화) 8.27(수) 8.28(목) 8.29(금) 청정에너지 및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 (부산 BEXCO) 부대행사 장관회의 (1일차) 장관회의 (2일차오전) -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부산 BEXCO) - - 개막식 전시회/ 컨퍼런스 전시회/ 컨퍼런스 APEC 에너지장관회의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 실무회의 실무회의 장관회의 (1일차오후) 장관회의 (2일차) - *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 World Climate Industry EXPO *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 : Clean Energy Ministerial - 2 - *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MI) : Mission Innovation ①APEC 에너지장관회의*는 8월 27일부터 28일까지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 및 누리마루에서 개최되며, 전력망 인프라·에너지 안보 강화, 안정적인 전력공급, AI 활용 에너지 혁신 등이 주요 의제로 논의될 예정이다. * APEC 에너지장관회의 경제체 : 21개 ②청정 및 미션이노베이션 에너지장관회의*는 8월 25일부터 27일까지 부 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며, 효율, 전력전환, 미래연료(수소), 에너지와 AI, 탄소저감 기술 등이 주요 의제로 논의될 예정이다. * 청정 및 미션이노베이션 에너지장관회의 회원국 : 31개 ③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부산 벡 스코에서 ‘Energy for AI & AI for Energy’를 주제로 IEA, WB와 공동개최 된다. 기후ž에너지 분야 관련 약 10개 정부부처*가 함께 준비하고 있다. * 산업부, 국조실, 외교부, 과기부, 중기부, 농림부, 해수부, 기상청, 산림청, 탄녹위, 부산시 등 올해 박람회에서는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과 마누엘라 페로 월드뱅크 부 총재의 축사와 기조연설이 진행된다. 글로벌리더십, 에너지žAI, 기후 3개 서 밋에서 12개 컨퍼런스가 진행될 예정이며, 삼성, LG, 두산에너빌리티, 한화 큐셀 등 주요 글로벌 기업이 최신․미래 기술도 풍성하게 전시할 계획이다. 채용설명회, 수출상담회 등의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조익노 산업부 에너지정책관은 인사말을 통해 “대한민국 새정부는 기후 위기 대응이라는 세계적 흐름에 따라 재생에너지 중심사회로 조속히 전환 할 것”이라고밝히고,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에너지고속도로 신속 구축, 에너지-AI 연계 등을 통해 에너지안보와 탄소중립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 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에너지슈퍼위크를 통해 새정부 정책방향을 글 로벌과 소통하는 장을 만들겠다.”고 언급하며, “에너지슈퍼위크는 에너지 장관회의와 기후산업국제박람회가 연계되어 약 40개국 장관급 인사와 글 로벌 기업이 참여하는 세계적인 행사인 만큼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 3 - 담당 부서 에너지효율과 책임자 과 장 김현철 (044-203-5140) 기후산업국제박람회TF팀 담당자 사무관 서주원 (044-203-5171) APEC및청정에너지장관회의TF팀 책임자 팀 장 유재영 (044-203-5125) 담당자 사무관 이듀정 (044-203-5706) 담당자 사무관 윤다은 (044-203-5131) 에너지기술과 책임자 과 장 서성태 (044-203-5150) 담당자 사무관 배승희 (044-203-5153) - 4 - 참고1 주한 외국공관 대상 에너지 슈퍼위크 설명회 개요 1. 행사개요 □ (일시ž장소) '25.7.8.(화) 14:00~15:15 / 프레지던트호텔브람스홀 □ (참여 대사관) EUž덴마크등 43개 주한 외국 대사관*, * EU, 프랑스, 영국, 브라질, 인도, 독일, 네덜란드, 호주, 베트남, 일본, 인도네시아, 폴란드 등 □ 주요내용 ①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소개 및 대사관 참여 요청 ② 회원국대상 APEC·CEM/MI 장관회의 설명 ③ 질의응답 2. 세부계획 시간 구분 주요내용 비고 14:00 ~14:05 모두발언 (5분) - WCE·APEC·CEM/MI 공동 개최 배경 소개 - 대사관 관계자들의 관심과 참여 요청 에너지 정책관 1부. 기후산업국제박람회 14:05 ~14:20 WCE 소개 (15분) - 기후산업국제박람회의 개요 및 주요 프로그램 소개 - 전시회 구성, 주요 컨퍼런스 및 부대행사 세부 내용 - 참가 방법 및 절차 안내 에공단 14:20 ~14:35 질의응답 (15분) - WCE 질의응답 산업부 14:35~ 14:40 Break Time (5분) - 비회원국 일정 종료/퇴장 - APEC 및 CEM/MI 회원국만 남아 이후 진행 2부. APEC·CEM/MI 장관회의 14:40~ 15:00 APEC& CEM/MI 소개 (20분) - APEC 에너지장관회의 개요 - 제16차 청정에너지 및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 개요 - 행사기간 로지스틱스 관련 소개 및 정부대표단 참가 유의사항 안내 에경연 15:00 ~15:15 질의응답 (15분) - APEC·CEM/MI 질의응답 산업부 15:15~ 폐회 - 폐회 및 마무리 - 5 - 참고2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요 1. 행사 개요 □ (일정) ’25.8.27.(수) ~ 8.29.(금), 부산 벡스코 □ (주최) 한국-IEA 공동개최 □ (주제) Energy for AI & AI for Energy 2. 행사 주요 구성 □ (컨퍼런스) 한-IEA 공동 컨퍼런스, 월드뱅크 컨퍼런스 등 주요국 정부인사, 국제기구, 해외 인사를 초청해 컨퍼런스 개최(12개) □ (전시회) 청정전력(원전, 수소, CCUS 등), 미래모빌리티, 환경, 해양, 기상, 산림 등 기후․에너지 분야 560개 이상 기업 전시 * Œ미래에너지관, 청정전력관, Ž탄소중립관, 기상기후산업관, 환경에너지관 □ (부대행사) 채용설명회(45개 이상 기관참여), 기후콘서트, 구매상담회, 수출상담회 등 50개 이상 부대행사 병행 개최 < 2025년 WCE 프로그램 구성(안) > 프로그램 주요내용 주최 1. 개막행사 모두발언 등 산업부 2. 컨퍼 런스 글로벌 리더십 서밋 AI 기반 에너지 관리 IEA, 산업부 스마트 탄소중립 에너지 시스템 WB/ADB, 산업부 청정에너지 대화 ADB, 에공단 청정에너지 세션 CEM 글로벌 에너지 라운드테이블 대한상의 에너지·AI 서밋 청정 수소 국제포럼 산업부 기후테크와 인공지능 탄녹위 AI와 에너지 전환 부산시 CFE 기술 & AI CF연합 기후 서밋 글로벌 기후기술 미래전략 과기부 우수 기상·기후 기술 기상청 산불과 탄소 산림청 3. 전시회 등 전시회 청정전력관, 미래에너지관 등 산업부, 관계부처 등 부대행사 채용설명회, 구매 상담회, 수출 상담회 등 약 50여개 참여 기관 - 6 - 참고3 2024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주요 사진 □ 2024년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주요 사진 개막식(9/4) 한-IEA 포럼(9/4) 라운드테이블(9/4) 전시회(9/4-6) 전시회(9/4-6) 채용설명회(9/5)

      닫기
    • 0708(09조간)에너지효율과, 에너지슈퍼위크 주한 외국 대사관 설명회 개최.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5. 7. 8.(화) 11:00 < 7.9.(수) 조간 > 배포 2025.7.8(화) 에너지슈퍼위크(APECWCECEM/MI) 주한 외국 대사관 설명회 개최 - 8.25-29일 APEC 등 3개 에너지장관회의와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동시 개최 - EU, 영국, 인도, 호주, 베트남, 일본 등 약 43개 주한 외국 대사관 참석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7월 8일 오후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주한 외국 대사관을 대상으로 ‘에너지슈퍼위크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산업부는 새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과 행사의 주요내용을 설명하고 각 대사관과 본 국의 관심과 참여를 요청하였다. 이번 설명회에는 EU, 영국, 베트남, 일본 등 약 43개 주한 외국 대사관이 참석하였다. 에너지슈퍼위크 기간인 8월 25일(월)부터 29일(금)까지 부산에서 4개의 주요 행사가 개최된다. 이 기간 제15차 APEC 에너지장관회의(8.27-28), 제16차 청정에너지장관회의(8.25-27), 제10차 미션이노베이션장관회의(8.25-27) 등 3개 에너지장관회의와 함께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8.27-29)가 동시 개최된다. 에너지슈퍼위크 기간 약 40개 회원국의 에너지장관 및 정부대표단과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세계은행(World Bank,WB) 등 국제기구 주요인사 및 글로벌 기업 등이 참여해 미래 에너지 방향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 에너지슈퍼위크 세부일정 > 회의/행사 연계 개최 8.25(월) 8.26(화) 8.27(수) 8.28(목) 8.29(금) 청정에너지 및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 (부산 BEXCO) 부대행사 장관회의 (1일차) 장관회의 (2일차오전) -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부산 BEXCO) - - 개막식 전시회/ 컨퍼런스 전시회/ 컨퍼런스 APEC 에너지장관회의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 실무회의 실무회의 장관회의 (1일차오후) 장관회의 (2일차) - *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 World Climate Industry EXPO *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 : Clean Energy Ministerial *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MI) : Mission Innovation ①APEC 에너지장관회의*는 8월 27일부터 28일까지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 및 누리마루에서 개최되며, 전력망 인프라·에너지 안보 강화, 안정적인 전력공급, AI 활용 에너지 혁신 등이 주요 의제로 논의될 예정이다. * APEC 에너지장관회의 경제체 : 21개 ②청정 및 미션이노베이션 에너지장관회의*는 8월 25일부터 27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며, 효율, 전력전환, 미래연료(수소), 에너지와 AI, 탄소저감 기술 등이 주요 의제로 논의될 예정이다. * 청정 및 미션이노베이션 에너지장관회의 회원국 : 31개 ③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Energy for AI & AI for Energy’를 주제로 IEA, WB와 공동개최된다. 기후에너지 분야 관련 약 10개 정부부처*가 함께 준비하고 있다. * 산업부, 국조실, 외교부, 과기부, 중기부, 농림부, 해수부, 기상청, 산림청, 탄녹위, 부산시 등 올해 박람회에서는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과 마누엘라 페로 월드뱅크 부총재의 축사와 기조연설이 진행된다. 글로벌리더십, 에너지AI, 기후 3개 서밋에서 12개 컨퍼런스가 진행될 예정이며, 삼성, LG, 두산에너빌리티, 한화큐셀 등 주요 글로벌 기업이 최신․미래 기술도 풍성하게 전시할 계획이다. 채용설명회, 수출상담회 등의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조익노 산업부 에너지정책관은 인사말을 통해 “대한민국 새정부는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세계적 흐름에 따라 재생에너지 중심사회로 조속히 전환할 것”이라고밝히고,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에너지고속도로 신속 구축, 에너지-AI 연계 등을 통해 에너지안보와 탄소중립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에너지슈퍼위크를 통해 새정부 정책방향을 글로벌과 소통하는 장을 만들겠다.”고 언급하며, “에너지슈퍼위크는 에너지장관회의와 기후산업국제박람회가 연계되어 약 40개국 장관급 인사와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는 세계적인 행사인 만큼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담당 부서 에너지효율과 책임자 과 장 김현철 (044-203-5140) 기후산업국제박람회TF팀 담당자 사무관 서주원 (044-203-5171) APEC및청정에너지장관회의TF팀 책임자 팀 장 유재영 (044-203-5125) 담당자 사무관 이듀정 (044-203-5706) 담당자 사무관 윤다은 (044-203-5131) 에너지기술과 책임자 과 장 서성태 (044-203-5150) 담당자 사무관 배승희 (044-203-5153) 참고1 주한 외국공관 대상 에너지 슈퍼위크 설명회 개요 행사개요 □ (일시장소) '25.7.8.(화) 14:00~15:15 / 프레지던트호텔 브람스홀 □ (참여 대사관) EU덴마크 등 43개 주한 외국 대사관*, * EU, 프랑스, 영국, 브라질, 인도, 독일, 네덜란드, 호주, 베트남, 일본, 인도네시아, 폴란드 등 □ 주요내용 ①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소개 및 대사관 참여 요청 ② 회원국대상 APEC·CEM/MI 장관회의 설명 ③ 질의응답 2. 세부계획 시간 구분 주요내용 비고 14:00 ~14:05 모두발언 (5분) - WCE·APEC·CEM/MI 공동 개최 배경 소개 대사관 관계자들의 관심과 참여 요청 에너지 정책관 1부. 기후산업국제박람회 14:05 ~14:20 WCE 소개 (15분) - 기후산업국제박람회의 개요 및 주요 프로그램 소개 - 전시회 구성, 주요 컨퍼런스 및 부대행사 세부 내용 - 참가 방법 및 절차 안내 에공단 14:20 ~14:35 질의응답 (15분) WCE 질의응답 산업부 14:35~ 14:40 Break Time (5분) - 비회원국 일정 종료/퇴장 - APEC 및 CEM/MI 회원국만 남아 이후 진행 2부. APEC·CEM/MI 장관회의 14:40~ 15:00 APEC& CEM/MI 소개 (20분) - APEC 에너지장관회의 개요 - 제16차 청정에너지 및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 개요 - 행사기간 로지스틱스 관련 소개 및 정부대표단 참가 유의사항 안내 에경연 15:00 ~15:15 질의응답 (15분) - APEC·CEM/MI 질의응답 산업부 15:15~ 폐회 - 폐회 및 마무리 참고2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요 1. 행사 개요 □ (일정) ’25.8.27.(수) ~ 8.29.(금), 부산 벡스코 □ (주최) 한국-IEA 공동개최 □ (주제) Energy for AI & AI for Energy 2. 행사 주요 구성 □ (컨퍼런스) 한-IEA 공동 컨퍼런스, 월드뱅크 컨퍼런스 등 주요국 정부인사, 국제기구, 해외 인사를 초청해 컨퍼런스 개최(12개) □ (전시회) 청정전력(원전, 수소, CCUS 등), 미래모빌리티, 환경, 해양, 기상, 산림 등 기후․에너지 분야 560개 이상 기업 전시 * 미래에너지관, 청정전력관, 탄소중립관, 기상기후산업관, 환경에너지관 □ (부대행사) 채용설명회(45개 이상 기관참여), 기후콘서트, 구매상담회, 수출상담회 등 50개 이상 부대행사 병행 개최 < 2025년 WCE 프로그램 구성(안) > 프로그램 주요내용 주최 1. 개막행사 모두발언 등 산업부 2. 컨퍼 런스 글로벌 리더십 서밋 AI 기반 에너지 관리 IEA, 산업부 스마트 탄소중립 에너지 시스템 WB/ADB, 산업부 청정에너지 대화 ADB, 에공단 청정에너지 세션 CEM 글로벌 에너지 라운드테이블 대한상의 에너지·AI 서밋 청정 수소 국제포럼 산업부 기후테크와 인공지능 탄녹위 AI와 에너지 전환 부산시 CFE 기술 & AI CF연합 기후 서밋 글로벌 기후기술 미래전략 과기부 우수 기상·기후 기술 기상청 산불과 탄소 산림청 3. 전시회 등 전시회 청정전력관, 미래에너지관 등 산업부, 관계부처 등 부대행사 채용설명회, 구매 상담회, 수출 상담회 등 약 50여개 참여 기관 참고3 2024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주요 사진 □ 2024년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주요 사진 개막식(9/4) 한-IEA 포럼(9/4) 라운드테이블(9/4) 전시회(9/4-6) 전시회(9/4-6) 채용설명회(9/5)

      닫기
  • 「제2기 미션 이노베이션(MI 2.0)」 출범 2021-06-02

    이를 위해 행동분과의 정보분석‧연구협력‧기술상용화 작업 간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발표했습니다.   ㅇ 올해 MI 2.0 활동에 대해서는, COP26 내 MI 회원국 고위급 회의에 회원국의 NDC 상향 노력과 청정에너지 기술혁신 전략을 어젠다로 상정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ㅇ 주영준 실장은 “이 어젠다를 통해 청정에너지 기술혁신 추진 과정에서 새로운 경제성장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글로벌 NDC 상향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참고자료

    • 0601(3조간 14시엠바고)에너지기술과, 제2기 미션이노베이션 출범.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 1 - 보 도 자 료 http://www.motie.go.kr 2021년 6월 3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6. 2.(수) 14:00 이후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21. 6. 2(수) 담당부서 에너지기술과 담당과장 문양택 재생에너지산업과장 (044-203-5370) * 에너지기술과장 직무대행 담 당 자 이수정 사무관(044-203-5382) 「제2기 미션 이노베이션(MI 2.0)」 출범 - 제1기 미션 이노베이션의 성과를 바탕으로 제2기 출범 - - 청정에너지 기술혁신을 통한 파리협정 목표달성을 위해 국제 협력 강화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제6차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 (5.31~6.6일, 칠레 산티아고)」 (이하 MI-6) 3일차인 6.2일에 개최된 「제2기 미션 이노베이션」(이하 MI 2.0) 온라인 출범식에 참여 하였습니다. < MI 2.0 출범식 개요 > - 일시 : (한국) 6.2(수) 20:45-6.3(목) 02:20, (칠레) 6.2(수) 07:45-13:20 - 초청연사 : 존 케리 美 기후변화 특사, 안토니오 구테헤스 UN 사무총장, 빌 게이츠, 알록 샤마 COP26 준비위원장 등 - 진행순서 : ➀기조연설 → ②MI 2.0 → ③수소 기술분과 → ④전력 기술분과 → ⑤행동분과 → ⑥선박 기술분과 → ⑦폐회 * 상기 순서 사이에 23개 회원국 장관 MI 참여 영상연설 상영 - 참여방법 : 칠레 CEM12/MI-6 홈페이지(cem12mi6chile.com) 온라인 송출 ㅇ 출범식은 MI 2.0과 하위 기술분과(Missions) 및 행동분과 (Innovation Platforms)의 출범 선언, 23개 회원국 장관의 MI 2.0 참여 영상연설 및 기후변화 관련 인사‧기관의 축사로 구성 되었습니다. - 2 - □ 문승욱 장관은 참여연설을 통해, MI 1.0의 성과를 “청정에너지 기술혁신에 대한 공감대 확산 및 각국 정부와 민간의 네트워크 강화”라고평가하고, 한국도 MI 1.0에참여한 ‘15년이후공공부문 청정에너지 R&D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MI 회원국간 협력에 적극 참여하였음을밝혔습니다. *‘15년$4.8억→’20년$8.5억(75%↑),‘21년$10.2억(113%↑) ㅇ 이어서 MI 2.0 출범의 의의에 대해 “MI 2.0은 여러 국가들의 기술적 역량을 결집함으로써 탄소중립을 위한 청정에너지 기술 혁신을 가능케 할 중요한 협력 플랫폼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표시했습니다. ㅇ 한국의 MI 2.0 참여에대해서는 “한국의탄소중립기술혁신로드맵 수립및추진과정에서 MI 2.0과 연계한 기술협력과 투자를 더욱 강화할것이며, MI 2.0 활동 참여와 지원도 지속 확대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ㅇ 끝으로 “MI 1.0 탄생부터 함께한 국가로서 ‘청정에너지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국제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는 MI 2.0의 목표달성을위해지속 노력할 것”을강조했습니다. □ ‘15.11월 COP21 파리총회를 계기로 공공부문의 청정에너지 R&D 투자 확대와 정부‧공공기관‧기업 등의 국제협력 촉진을 위해 출범한 미션 이노베이션은 ’20년에 제1기(MI 1.0)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ㅇ MI 1.0을통해회원국의공공부문청정에너지 R&D투자액은 ‘15년 149억달러에서 ’21년에 207억달러로증가했으며,특히한국,캐나다, 칠레, 핀란드, 일본, 네덜란드, 노르웨이, 영국 8개국은 ‘21년 예산이 ’15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 3 - ㅇ 또한회원국간혁신적청정에너지기술개발을위한국제공동연구가 활성화되는 성과가 있었습니다. 한국의 경우 ‘18년부터 캐나다‧ 미국‧인도‧독일 등과 8건, 정부예산 18백만달러(총사업비 22백만 달러)규모의 공동 R&D를 진행 중입니다. □향후 10년간존속할 MI 2.0은,파리협정 목표달성을 위해 저렴한 청정에너지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도록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각회원국이 청정에너지기술혁신을위한전략인 ‘국가혁신경로’를 개발하는활동을추진하기위해출범했습니다. ㅇ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MI 2.0은 기술분과 (Mission)와 행동분과(Innovation Platform)를 신설하였습니다. 이날 출범한 기술분과는 수소‧전력‧선박이며, 향후 도시‧바이오 등신규기술분과를신설할예정입니다. ㅇ 한국은이날출범하는모든기술분과에참여할것을서약하였으며, 향후회원국간 공동연구 등 행동분과 활동에도 적극 참여할것 입니다. <MI2.0분과개요> 1.기술분과 -수소:분과명‘청정수소(CleanHydrogen)’,2030년까지청정수소비용을 $2/kg로줄여가격경쟁력을높이고,전세계적으로최소100개의 수소밸리구축목표 -전력:분과명‘녹색전력의미래(GreenPoweredFuture)’,2030년까지 태양광‧풍력과 같은 가변재생에너지를 다양한환경에서 효과적으로활용하고,경제성‧안정성제고 -선박:분과명‘탄소배출제로선박(Zero-EmissionShipping)’,2030년 녹색수소등친환경연료선박이전세계원양선박의5%이상 점유목표 2.행동분과 -①기술혁신진행상황분석②국제적공공‧민간부문의기술개발협력강화 ③기술개발주체‧투자자‧소비자와협력하여기술의상용화가속목표 - 4 - □한편이번출범식이포함된 MI-6에는회원국 장관급 라운드테이블 및 CCS확산‧청년활동가포럼등청정에너지 기술혁신 관련 다양한 사이드 이벤트가마련되었습니다. □ 5.31일에 개최된회원국 장관급 라운드테이블(비공개)에서는향후 10년간 MI 2.0이 달성해야 할 목표와 올해 COP26 등에서 MI 2.0이 전개할 활동에대한회원국의의견을공유하였습니다. ㅇ 한국은산업통상자원부주영준에너지자원실장이대표로참석하여, 향후 10년간 MI 2.0을 통해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청정에너지 기술의 신속한 상용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행동분과의 정보분석‧연구협력‧기술상용화 작업 간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는 의견을발표했습니다. ㅇ 올해 MI 2.0 활동에 대해서는, COP26 내 MI 회원국 고위급 회의에회원국의 NDC 상향 노력과 청정에너지 기술혁신 전략을 어젠다로상정할것을제안하였습니다. ㅇ 주영준실장은 “이어젠다를통해청정에너지기술혁신추진과정에서 새로운경제성장기회를확보할수있다는긍정적인비전을제시함 으로써, 글로벌 NDC 상향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술과 이수정 사무관(☎ 044-203-538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5 - 참고 제2기 미션이노베이션 출범식 개요 □ 개요 ㅇ 제2기미션이노베이션(MI 2.0, ‘21-’30년)및하위분과출범행사 ㅇ 회원국장관 MI참여영상연설(사전녹화) 상영 □ 일시(한국) : 6.2(수) 20:45 - 6.3(목) 02:20, CEM12‧MI-5 홈페이지 송출 □ 상세 시간표(안) 일 시 주요 일정 발언자 20:45-21:00 고위급 기조연설 존 케리 미국 기후변화 특사 21:05-21:30 MI 2.0 출범 선포 피녜라 칠레 대통령 축하메시지 상영 UN 사무총장, 빌 게이츠 등 21:30-21:40 회원국 장관 MI 참여 영상연설 상영(Ⅰ) 21:40-22:15 수소분과 출범 22:15-22:35 회원국 장관 MI 참여 영상연설 상영(Ⅱ) 22:35-23:10 전력분과 출범 23:15-23:50 회원국 장관 MI 참여 영상연설 상영(Ⅲ) 23:50-00:20 행동분과 출범 00:20-01:00 회원국 장관 MI 참여 영상연설 상영(Ⅳ) MI 협력기구 축사 상영 WEF, Breakthrough Energy 01:00-01:45 선박분과 출범 01:45-02:00 폐막식 민관협력부문 고위급 연설 폰 데어 라이엔 EU위원장, 빌 게이츠 COP26 준비위원장 연설 알록 샤마 영국 COP26 준비위원장 02:00-02:20 전문가 인터뷰 마리아나 마즈카토,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닫기
    • 0601(3조간 14시엠바고)에너지기술과, 제2기 미션이노베이션 출범.hwp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http://www.motie.go.kr 2021년 6월 3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6. 2.(수) 14:00 이후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21. 6. 2(수) 담당부서 에너지기술과 담당과장 문양택 재생에너지산업과장 (044-203-5370) * 에너지기술과장 직무대행 담 당 자 이수정 사무관(044-203-5382) 「제2기 미션 이노베이션(MI 2.0)」 출범 - 제1기 미션 이노베이션의 성과를 바탕으로 제2기 출범 - - 청정에너지 기술혁신을 통한 파리협정 목표달성을 위해 국제 협력 강화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제6차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5.31~6.6일, 칠레 산티아고)」 (이하 MI-6) 3일차인 6.2일에 개최된 「제2기 미션 이노베이션」(이하 MI 2.0) 온라인 출범식에 참여하였습니다. < MI 2.0 출범식 개요 > - 일시 : (한국) 6.2(수) 20:45-6.3(목) 02:20, (칠레) 6.2(수) 07:45-13:20 - 초청연사 : 존 케리 美 기후변화 특사, 안토니오 구테헤스 UN 사무총장, 빌 게이츠, 알록 샤마 COP26 준비위원장 등 - 진행순서 : ➀기조연설 → ②MI 2.0 → ③수소 기술분과 → ④전력 기술분과 → ⑤행동분과 → ⑥선박 기술분과 → ⑦폐회 * 상기 순서 사이에 23개 회원국 장관 MI 참여 영상연설 상영 - 참여방법 : 칠레 CEM12/MI-6 홈페이지(cem12mi6chile.com) 온라인 송출 ㅇ 출범식은 MI 2.0과 하위 기술분과(Missions) 및 행동분과(Innovation Platforms)의 출범 선언, 23개 회원국 장관의 MI 2.0 참여 영상연설 및 기후변화 관련 인사‧기관의 축사로 구성되었습니다. □ 문승욱 장관은 참여연설을 통해, MI 1.0의 성과를 “청정에너지 기술혁신에 대한 공감대 확산 및 각국 정부와 민간의 네트워크 강화”라고 평가하고, 한국도 MI 1.0에 참여한 ‘15년 이후 공공부문 청정에너지 R&D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MI 회원국간 협력에 적극 참여하였음을 밝혔습니다. * ‘15년 $4.8억 → ’20년 $8.5억(75%↑), ‘21년 $10.2억(113%↑) ㅇ 이어서 MI 2.0 출범의 의의에 대해 “MI 2.0은 여러 국가들의 기술적 역량을 결집함으로써 탄소중립을 위한 청정에너지 기술혁신을 가능케 할 중요한 협력 플랫폼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표시했습니다. ㅇ 한국의 MI 2.0 참여에 대해서는 “한국의 탄소중립 기술혁신 로드맵 수립 및 추진 과정에서 MI 2.0과 연계한 기술협력과 투자를 더욱 강화할 것이며, MI 2.0 활동 참여와 지원도 지속 확대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ㅇ 끝으로 “MI 1.0 탄생부터 함께한 국가로서 ‘청정에너지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국제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는 MI 2.0의 목표달성을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 ‘15.11월 COP21 파리총회를 계기로 공공부문의 청정에너지 R&D 투자 확대와 정부‧공공기관‧기업 등의 국제협력 촉진을 위해 출범한 미션 이노베이션은 ’20년에 제1기(MI 1.0)가 마무리되었습니다. ㅇ MI 1.0을 통해 회원국의 공공부문 청정에너지 R&D 투자액은 ‘15년 149억달러에서 ’21년에 207억달러로 증가했으며, 특히 한국, 캐나다, 칠레, 핀란드, 일본, 네덜란드, 노르웨이, 영국 8개국은 ‘21년 예산이 ’15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ㅇ 또한 회원국간 혁신적 청정에너지 기술개발을 위한 국제공동연구가 활성화되는 성과가 있었습니다. 한국의 경우 ‘18년부터 캐나다‧미국‧인도‧독일 등과 8건, 정부예산 18백만달러(총사업비 22백만달러) 규모의 공동 R&D를 진행 중입니다. □ 향후 10년간 존속할 MI 2.0은, 파리협정 목표달성을 위해 저렴한 청정에너지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도록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각 회원국이 청정에너지 기술혁신을 위한 전략인 ‘국가혁신경로’를 개발하는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출범했습니다. ㅇ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MI 2.0은 기술분과(Mission)와 행동분과(Innovation Platform)를 신설하였습니다. 이날 출범한 기술분과는 수소‧전력‧선박이며, 향후 도시‧바이오 등 신규 기술분과를 신설할 예정입니다. ㅇ 한국은 이날 출범하는 모든 기술분과에 참여할 것을 서약하였으며, 향후 회원국간 공동연구 등 행동분과 활동에도 적극 참여할 것입니다. <MI 2.0 분과 개요> 1. 기술분과 - 수소 : 분과명 ‘청정 수소(Clean Hydrogen)’, 2030년까지 청정수소 비용을 $2/kg로 줄여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전 세계적으로 최소 100개의 수소밸리 구축 목표 - 전력 : 분과명 ‘녹색 전력의 미래(Green Powered Future)’, 2030년까지 태양광‧풍력과 같은 가변재생에너지를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경제성‧안정성 제고 - 선박 : 분과명 ‘탄소배출 제로선박(Zero-Emission Shipping)’, 2030년 녹색수소 등 친환경 연료 선박이 전세계 원양선박의 5% 이상 점유 목표 2. 행동분과 - ① 기술혁신 진행상황 분석 ② 국제적 공공‧민간부문의 기술개발 협력 강화 ③ 기술개발주체‧투자자‧소비자와 협력하여 기술의 상용화 가속 목표 □ 한편 이번 출범식이 포함된 MI-6에는 회원국 장관급 라운드테이블 및 CCS확산‧청년활동가포럼 등 청정에너지 기술혁신 관련 다양한 사이드 이벤트가 마련되었습니다. □ 5.31일에 개최된 회원국 장관급 라운드테이블(비공개)에서는 향후 10년간 MI 2.0이 달성해야 할 목표와 올해 COP26 등에서 MI 2.0이 전개할 활동에 대한 회원국의 의견을 공유하였습니다. ㅇ 한국은 산업통상자원부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이 대표로 참석하여, 향후 10년간 MI 2.0을 통해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청정에너지 기술의 신속한 상용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행동분과의 정보분석‧연구협력‧기술상용화 작업 간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발표했습니다. ㅇ 올해 MI 2.0 활동에 대해서는, COP26 내 MI 회원국 고위급 회의에 회원국의 NDC 상향 노력과 청정에너지 기술혁신 전략을 어젠다로 상정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ㅇ 주영준 실장은 “이 어젠다를 통해 청정에너지 기술혁신 추진 과정에서 새로운 경제성장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글로벌 NDC 상향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술과 이수정 사무관(☎ 044-203-538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제2기 미션이노베이션 출범식 개요 □ 개요 ㅇ 제2기 미션이노베이션(MI 2.0, ‘21-’30년) 및 하위 분과 출범행사 ㅇ 회원국 장관 MI 참여 영상연설(사전녹화) 상영 □ 일시(한국) : 6.2(수) 20:45 – 6.3(목) 02:20, CEM12‧MI-5 홈페이지 송출 □ 상세 시간표(안) 일 시 주요 일정 발언자 20:45-21:00 고위급 기조연설 존 케리 미국 기후변화 특사 21:05-21:30 MI 2.0 출범 선포 피녜라 칠레 대통령 축하메시지 상영 UN 사무총장, 빌 게이츠 등 21:30-21:40 회원국 장관 MI 참여 영상연설 상영(Ⅰ) 21:40-22:15 수소분과 출범 22:15-22:35 회원국 장관 MI 참여 영상연설 상영(Ⅱ) 22:35-23:10 전력분과 출범 23:15-23:50 회원국 장관 MI 참여 영상연설 상영(Ⅲ) 23:50-00:20 행동분과 출범 00:20-01:00 회원국 장관 MI 참여 영상연설 상영(Ⅳ) MI 협력기구 축사 상영 WEF, Breakthrough Energy 01:00-01:45 선박분과 출범 01:45-02:00 폐막식 민관협력부문 고위급 연설 폰 데어 라이엔 EU위원장, 빌 게이츠 COP26 준비위원장 연설 알록 샤마 영국 COP26 준비위원장 02:00-02:20 전문가 인터뷰

      닫기
  • 산업부 제4차 미션이노베이션(MI4) 및 제10차 청정에너지장관회(CEM10) 참석 2019-05-28

    비중 ‘40년까지 30%로 확대, 분산전원 지원 계통체계 마련 등(ESS) 전기차 충전, V2G, VPP 등과 연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지원(’18년 4.9GW)(스마트그리드) AMI 2,250만호 보급(‘20) 등   □ 주 실장은 금번 회의를 통해 새롭게 제안된 수소이니셔티브*에 한국의 공식적인 가입을 선언하고, 수소경제 글로벌 선도를 위해 앞으로 한국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을 밝히고,   * 청정에너지원으로 수소 인지도 제고 및 수소․연료전지 기술 상업적 보급 확대를 목적으로 한국, 캐나다, 일본, 미국 등 18개 회원국 참여 예정   ㅇ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참고자료

    • 0527 (28일석간) 에너지혁신정책과, 청정에너지 장관회의.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 1 - 보 도 자 료 http://www.motie.go.kr 2019년 5월 28일(화) 석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5. 28.(화) 오전 6시 이후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19. 5. 27.(월) 담당부서 에너지혁신정책과 에너지기술과 담당과장 정종영 과장(044-203-5320) 이옥헌 과장(044-203-5380) 담 당 자 신승일 사무관(044-203-5124) 김형은 사무관(044-203-5385) 산업부 제4차 미션이노베이션(MI4) 및 제10차 청정에너지장관회(CEM10) 참석 - 한국, 글로벌 수소경제 확대를 위한 캐나다, 일본, 미국 등과 공조확대 - 스마트그리드 분야 글로벌 선도국으로 도약(한전 대상 수상)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은 5.28(화)∼29(수) 일간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되는 제4차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 및 제10차 청정에너지장관회의**에 참석 *COP21파리총회(‘15.11)를계기로청정에너지기술의 공공부문 R&D 투자를 5년 내 (~‘21년) 2배 확대하기로 한 선언으로, 현재미·영·일·중등23개국 참여중 ** 2010년 미국 주도로 22개국이 참여한 가운데 청정에너지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목적으로설립(한국 5차회의개최,’14년) □ 먼저 제4차 미션이노베이션(MI) 장관회의에서는 미션이노베이션 선언 에서 각 국이 약속*한 청정에너지 공공R&D 투자확대 계획**에 따른 회원국 들의 이행현황을 공유하고, MI 회원국과의 협력 성과를 발표함 *전체회원국투자규모:(기준)’16년,149억$ →(목표)’21년,300억$이상 **한국투자규모:(기준)’16년,약5,600억원(4.9억$) →(목표)’21년,1.12조원(9.8억$) ㅇ 주영준 실장은, 올해 한국의 청정에너지 공공R&D 투자금액*이 기준 금액 대비 61.1% 증가한 9,029억원으로 미션이노베이션 선언의 약속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ㅇ MI에서 중점을 두는 8개 기술협력분야*에 대해 회원국 간 공동 R&D 프로젝트를 통한 기술혁신성과 창출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힘 *①스마트그리드②오프그리드③CCUS④바이오연료⑤햇빛전환⑥청정재료⑦냉난방⑧수소 - 2 - ㅇ 아울러, 주 실장은 5.28일 개최되는 민-관 토론*에서 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기술 기반으로 한 에너지산업의 효율적 지능적 친환경적 발전방안에 대한 글로벌 공조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함 *Siemens,GE,SAP등이참석하며,태양전지생산효율성향상,에너지산업공정의 스마트화,산업부문온실가스감축방안등의논의전개 □ 올해 10주년을 맞이하는 청정에너지장관회의에서는 ‘청정에너지의 미래를 위한 노력 가속화’란 주제 아래 ‘청정 전력시스템 확산’, ‘도시지역의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짐 ㅇ 주 실장은, 한국 정부가 2017년부터 에너지전환 정책을 추진하여 깨끗 하고 안전한 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혁신 적인 기술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해 노력중임을 밝힘 ㅇ 또한 분산전원, 스마트그리드 보급 확대 노력*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 * (분산전원)발전량비중 ‘40년까지 30%로확대,분산전원지원계통체계마련등 (ESS)전기차충전,V2G,VPP등과연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지원(’18년 4.9GW) (스마트그리드) AMI 2,250만호보급(‘20) 등 □ 주 실장은 금번 회의를 통해 새롭게 제안된 수소이니셔티브*에 한국의 공식적인 가입을 선언하고, 수소경제 글로벌 선도를 위해 앞으로 한국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을 밝히고, * 청정에너지원으로 수소 인지도 제고및 수소․연료전지 기술 상업적 보급 확대를 목적으로 한국,캐나다,일본,미국등18개회원국참여예정 ㅇ 한국이 강점이 있는 수소차, 발전용 연료전지 분야 등에서 수소 선진 국가들 간 정책 공유 및 협력을 통해수소사회를 앞당기고 수소 산업시장을 확대해 나갈 것을 제안함 □ 한편 주 실장은 ISGAN* 글로벌 어워드 대상 수상자로 나서 이번 경연 에서 세계 최고 기술력을 인정받은 한전의 ‘오픈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에 대해 수상을 진행함 * International Smart Grid Action Network: 스마트그리드의보급․확산관련정부간 협력을위하여‘11.4월에 발족(’19년현재 26개국참여 중) - 3 - ㅇ 산업부는 한전의 대상 수상은 한국의 스마트그리드 기술력을 세계 적으로 인정받은 것일 뿐만 아니라 에너지신산업 육성정책의 성과 라고 덧붙임 □ 마지막으로 주 실장은 Francesco La camera 국제재생에너지(IRENA) 사무총장과 면담을 통해 글로벌 에너지전환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같이 하고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IRENA와의 공조 방안을 논의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혁신정책과 신승일 사무관(☎ 044-203-5124), 에너지기술과 김형은 사무관 (☎ 044-203-5385)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닫기
    • 0527 (28일석간) 에너지혁신정책과, 청정에너지 장관회의.hwp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 도 자 료 http://www.motie.go.kr 2019년 5월 28일(화) 석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5. 28.(화) 오전 6시 이후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19. 5. 27.(월) 담당부서 에너지혁신정책과 에너지기술과 담당과장 정종영 과장(044-203-5320) 이옥헌 과장(044-203-5380) 담 당 자 신승일 사무관(044-203-5124) 김형은 사무관(044-203-5385) 산업부 제4차 미션이노베이션(MI4) 및 제10차 청정에너지장관회(CEM10) 참석 - 한국, 글로벌 수소경제 확대를 위한 캐나다, 일본, 미국 등과 공조확대 - 스마트그리드 분야 글로벌 선도국으로 도약(한전 대상 수상)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은 5.28(화)∼29(수)일간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되는 제4차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 및 제10차 청정에너지장관회의**에 참석 * COP21 파리총회(‘15.11)를 계기로 청정에너지 기술의 공공부문 R&D 투자를 5년 내(~‘21년) 2배 확대하기로 한 선언으로, 현재 미·영·일·중 등 23개국 참여 중 ** 2010년 미국 주도로 22개국이 참여한 가운데 청정에너지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한국 5차 회의 개최, ’14년) □ 먼저 제4차 미션이노베이션(MI) 장관회의에서는 미션이노베이션 선언에서 각 국이 약속*한 청정에너지 공공R&D 투자확대 계획**에 따른 회원국들의 이행현황을 공유하고, MI 회원국과의 협력 성과를 발표함 * 전체 회원국 투자규모 : (기준) ’16년, 149억$ → (목표) ’21년, 300억$ 이상 ** 한국 투자규모 : (기준) ’16년, 약 5,600억원(4.9억$) → (목표) ’21년, 1.12조원(9.8억$) ㅇ 주영준 실장은, 올해 한국의 청정에너지 공공R&D 투자금액*이 기준금액 대비 61.1% 증가한 9,029억원으로 미션이노베이션 선언의 약속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ㅇ MI에서 중점을 두는 8개 기술협력분야*에 대해 회원국 간 공동 R&D 프로젝트를 통한 기술혁신성과 창출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힘 * ①스마트그리드 ②오프그리드 ③CCUS ④바이오연료 ⑤햇빛전환 ⑥청정재료 ⑦냉난방 ⑧수소 ㅇ 아울러, 주 실장은 5.28일 개최되는 민-관 토론*에서 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기술 기반으로 한 에너지산업의 효율적‧지능적‧친환경적 발전방안에 대한 글로벌 공조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함 * Siemens, GE, SAP 등이 참석하며, 태양전지 생산 효율성 향상, 에너지산업공정의 스마트화, 산업부문 온실가스감축방안 등의 논의전개 □ 올해 10주년을 맞이하는 청정에너지장관회의에서는 ‘청정에너지의 미래를 위한 노력 가속화’란 주제 아래 ‘청정 전력시스템 확산’, ‘도시지역의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짐 ㅇ 주 실장은, 한국 정부가 2017년부터 에너지전환 정책을 추진하여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혁신적인 기술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해 노력중임을 밝힘 ㅇ 또한 분산전원, 스마트그리드 보급 확대 노력*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 * (분산전원) 발전량 비중 ‘40년까지 30%로 확대, 분산전원 지원 계통체계 마련 등 (ESS) 전기차 충전, V2G, VPP 등과 연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지원(’18년 4.9GW) (스마트그리드) AMI 2,250만호 보급(‘20) 등 □ 주 실장은 금번 회의를 통해 새롭게 제안된 수소이니셔티브*에 한국의 공식적인 가입을 선언하고, 수소경제 글로벌 선도를 위해 앞으로 한국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을 밝히고, * 청정에너지원으로 수소 인지도 제고 및 수소․연료전지 기술 상업적 보급 확대를 목적으로 한국, 캐나다, 일본, 미국 등 18개 회원국 참여 예정 ㅇ 한국이 강점이 있는 수소차, 발전용 연료전지 분야 등에서 수소 선진 국가들 간 정책 공유 및 협력을 통해 수소사회를 앞당기고 수소 산업시장을 확대해 나갈 것을 제안함 □ 한편 주 실장은 ISGAN* 글로벌 어워드 대상 수상자로 나서 이번 경연에서 세계 최고 기술력을 인정받은 한전의 ‘오픈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에 대해 수상을 진행함 * International Smart Grid Action Network: 스마트그리드의 보급․확산 관련 정부간 협력을 위하여 ‘11.4월에 발족(’19년 현재 26개국 참여 중) ㅇ 산업부는 한전의 대상 수상은 한국의 스마트그리드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것일 뿐만 아니라 에너지신산업 육성정책의 성과라고 덧붙임 □ 마지막으로 주 실장은 Francesco La camera 국제재생에너지(IRENA) 사무총장과 면담을 통해 글로벌 에너지전환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같이하고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IRENA와의 공조 방안을 논의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혁신정책과 신승일 사무관(☎ 044-203-5124), 에너지기술과 김형은 사무관(☎ 044-203-5385)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닫기
더보기

정책·정보 ( 122 건)

  • 2025년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공고 2025-04-02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289호 2025년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공고 원전설비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위해 수출 전 과정에 대한 컨설팅 및 지원사업 등을 제공하는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참가기업 모집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5년 4월 2일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책·정보>정책게시판>전체

    •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공고_250402.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289호 2025년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공고 원전설비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위해 수출 전 과정에 대한 컨설팅 및 지원사업 등을 제공하는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참가기업 모집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5년 4월 2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사업개요 □ 사업목적 ㅇ 수출잠재력을 갖춘 원전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수출 시작단계 부터 계약까지 전 주기에 걸쳐 수출 지원사업을 패키지로 제공 □ 지원대상 : (2차 2025년) 30개社 내외 □ 사업기간 : 최대 ‘27년까지 지원하며, 매년 계속지원 여부 심사 □ 사업 운영기관 : 사단법인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 주요 지원내용 ㅇ (컨설팅) 수출 및 원전기술 분야 컨설팅 전문가와 지원 대상 기업을 매칭하여 기업별 맞춤형 수출 포트폴리오 구축, 제공 ㅇ (마케팅) 시장조사, 바이어 발굴 및 1:1 매칭, 전시 참가 지원, 기업·제품 홍보물 제작 등 지원사업 제공 ㅇ (인증·등록) ISO, ASME, CE 등 국내·외 인증 컨설팅 비용 및 취득 비용 지원사업 제공 ㅇ (기타) 수출 에이전트사 연계, 입찰 전문가 자문, 수출보증보험, KOTRA 수출바우처, 통·번역 및 법률자문 등 지원사업 제공 <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지원사업 리스트 > ㅇ 5개 기관 35개 지원사업 - (분야별) 역량진단 1개, 정보제공 3개, 마케팅 11개, 인증·등록 8개, 입찰 2개, 기타 10개 - (방식별) 전용 지원사업 29개, 연계 지원사업 6개 * (전용) 별도의 심사과정 없이 지원, (연계) 신청시, 가점부여·한도상향·우대혜택 등 제공 분야 지원사업명 지원내용 지원기관 지원방식 전용 연계 역량진단(1) 첫걸음 진단 컨설팅 기업역량진단, 로드맵 제시 KNA ○ 정보제공(3) 해외입찰정보 분석 및 제공 기업별 입찰정보 제공 KNA ○ 맞춤형 원전수출정보지원 기업별 해외시장정보 제공 KNA ○ 원전 중점무역관 활용 기업별 해외정보 제공 KOTRA ○ 마 케 팅 (11) 해외 전시 (3) 국제 전시 및 B2B 미팅 참가, 공동전시지원 최대 1,000만원 KNA ○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 최대 800만원 한수원 ○ 해외 공동전시회 지원 최대 3,000만원 KONICOF ○ 바이어 발굴 (4) 해외바이어 초청 지원(원전특화) 바이어 발굴 및 1:1 매칭 KNA ○ 해외바이어 초청 지원 KOTRA ○ 해외시장개척단 한수원 ○ 원전 기자재 수출 특화사업 KOTRA ○ 홍보물 (2) 홍보자료 제작 지원 최대 300(홍보물), 1,000만원(웹) KNA ○ 방사선기업 해외 홍보물 개발 최대 500만원 KONICOF ○ 통·번역 (1) 통·번역 및 법률자문 최대 300만원 KNA ○ 세일즈 (1) 해외 세일즈 출장지원 최대 800만원 KNA ○ 인증 · 등록 (8) 컨설팅 (2) 유망기업 컨설팅 지원 최대 1,000만원 KONICOF ○ 해외 품질/인증취득 컨설팅 인증 및 건별 상이 KNA ○ 비용 지원 (6) 유자격/인증 취득비 지원 한수원과 유사수준 KNA ○ 유자격공급사 등록 지원사업 유자격 공급사 KEPIC 인증 해외 인증 지원 금액 취득비 전액 전액 전액 컨설팅 5백만원 1천만원 1천만원 기업 지원금 상한액(연간) 1억원 (ASME 해외인증 1.5억원) 한수원 ○ 국내인증 취득 한수원 ○ 국제인증 취득 한수원 ○ AEO 인증 취득 최대 3,700만원 한수원 ○ 방사선기업 해외인증 최대 800만원 KONICOF ○ 입찰 (2) 입찰 참여 (2) 수출 에이전트사 연계 해외 입찰참여/마케팅을 위한 수출에이전트사 소개/연계 KNA ○ 해외 입찰전문가 자문 해외 입찰참여 시 입찰전문가 자문/서류준비 지원 KNA ○ 기타 (10) 실증 지원 (1) 발주처 기자재 시범사용 지원 최대 1,600만원 한수원 ○ 보증 (1) 원전기업 수출보증보험 총한도 1,250억 무보 ○ 바우처 (2) 수출바우처 지원 건별상이 한수원/ KOTRA ○ 수출기업 수요 맞춤형 지원 최대 1,500만원 한수원 ○ 체계 (2) 첫걸음 지원센터 - KNA ○ 원전수출 중점무역관 워싱턴, 두바이 등 16개소 KOTRA ○ 기후안전쉼터 지원사업 최대 2억원 한수원 ○ 해외지사화 지원사업 건별상이 한수원 ○ 원자력 기술수출지원 교육 무역 실무 교육 KNA ○ 방사선 기업 원자력 기술수출단 교육 무역 실무 교육 KONICOF ○ ※ 상기 지원내용은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음 □ 진행절차 신청‧접수 평가‧선발 수혜기업 선정 시행 이메일 접수 ➡ 평가기준 적용·선발 ➡ 수혜기업 선정ㆍ발표 ➡ 지원 프로그램 시행 ∼ ‘25.4.16(수) ‘25.4~5월 ‘25.5.16(금) ‘25.5월~ ’27년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2. 신청자격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제2조에 따른 중견기업 중 아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기업 또는 심의회에서 특별히 인정되는 기업 ① 원자력 분야 중소·중견기업 * 최근 5년간 원전 관련 직수출*** 실적이 없거나 연간 10만불 미만인 경우 → 제한 없이 신청 가능 ** 최근 5년간 원전 관련 직수출*** 실적이 연간 10만불 이상인 경우 → 해당 국가를 제외한 타 국가를 목표로 하는 경우 신청 가능 *** (직수출) 관세청 통관실적 기준, 내국신용장 또는 구매확인서의 수취액은 제외, 원전과 관련 없는 분야와 간접수출 실적은 제외 ※ 지원 프로그램 수혜기업 선정 후 원전 관련 직수출 실적관련 확약서 작성 예정이며, 선정된 이후라도 자격요건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지원 중단 및 회수 조치 예정 ② 원자력 분야 중소·중견기업은 아래 기준 중 1개 이상 해당 업체를 인정 ㅇ 원전공기업 유자격 공급업체(접수마감일자 기준) ㅇ 원자력분야 매출 보유기업 ㅇ 원전 관련 연구ㆍ용역 실적 보유기업 ㅇ 기타 원전기업임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 □ 신청 제외대상 ※아래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 선정기업이라 해도 지원대상에서 제외 ㅇ 휴·폐업 기업 또는 가동 중에 있지 않은 기업 ㅇ 세무당국에 의해 국세, 지방세 등의 체납처분을 받은 기업 ㅇ 민사집행법에 의하여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되거나, 전국은행연합회 등 신용정보 집중기관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된 기업 ㅇ 보조금법 위반 등으로 정부지원사업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ㅇ 외부감사 기업의 경우 최근년도 감사의견이 “미반영” 또는 “부적정”인 경우 ㅇ 신청시점 기준 상시근로자 수가 20인 이하인 경우 ㅇ 최근 3년 내 임금체불, 산업재해 등이 발생한 경우 3. 신청 및 접수 □ 신청방법 : 신청서 다운로드 후 이메일 제출 ㅇ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KNA) 홈페이지(www.e-kna.org) ⟶ 동향/자료 ⟶ 협회소식 ⟶ 신청서 다운로드ㆍ작성 후 이메일 제출 ㅇ 접수기간 : 공고일~ 2025년 4월 16일(수) 18:00 ㅇ 제 출 처 : 4sme@e-kna.org < 제출서류 > No. 제출서류 비고 1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신청서 별지서식 제1호 2 수출추진계획서 별지서식 제2호 3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별지서식 제3호 4 사업 참여 및 기업정보 제공·활용 동의서 별지서식 제4호 5 신청기업 서약서 별지서식 제5호 6 중소·중견기업 확인서 7 국세 & 지방세 완납증명서 8 4대보험 완납증명서 & 가입자 명부 9 사업자등록증 10 법인등기부등본 11 표준재무제표증명원 (‘22~’24년) 12 신용평가등급 확인서 13 직수출실적증명원 (’21~‘25년) 한국무역협회 발급 14 원전분야 중소중견기업 입증서류 예) 원자력분야 매출실적 증빙, 원전공기업 유자격 공급자 등록증 등 ※ 모든 파일은 반드시 PDF로 변환하여 제출되어야 하며, 제출방법 및 기한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평가대상에서 제외함 ※ 신청서가 접수 후 3일 이내 접수가 완료되었다는 연락을 받지 못한 경우, 필히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통해 접수확인 요망 4. 선정기준 및 방법 □ 평가절차 시행 계획 공고 신청 접수 적격 심사 서면평가 (수출추진 계획서 등) 현장평가 (필요시) (5.7~9) 면접평가 (수출 의지) (5.13~14) 선 정 산업부 KNA 평가위원회 산업부 ㅇ 적격심사 : 제출서류, 신청자격 등 검토, 적격/부적격 기업 판정 ㅇ 서면평가 : 수출추진계획서를 중심으로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 (평가과정에서 평가위원회는 신청기업에 개별 질의 연락할 수 있음) ㅇ 현장평가 : 서면평가 통과 기업에 한해 필요시 기업 현장실사 시행 ㅇ 면접평가 : 서면・현장평가 통과 기업에 한해, CEO의 수출의지 평가 ㅇ 최종선정 : 심의회를 통해 최종 업체선정 □ 평가기준 (세부내용 붙임 2 참조) 평가항목 세부 평가지표 배점 기술역량(45) ① 품질 경쟁력 15 ② 가격 경쟁력 10 ③ 제품 생산능력/납품능력 10 ④ 국제인증 및 표준(기술, 규격) 10 수출역량(55) 수출계획(20) ① 수출 추진계획 20 수출기반(20) ① 수출 추진경험 10 ② 수출 전담 조직 및 인력 10 ③ 수출 정책 및 관리시스템 ④ 수출 교육 및 지원 홍보역량(5) ① 해외 시장 조사/분석 능력 5 ② 해외 마케팅 및 홍보 능력 ③ 해외 네트워크 보유 기대효과(10) ① 산업역량 강화 5 ② 외화획득 / 고용창출 5 수출의지(Pass/Fail) ① CEO의 수출의지 - 총계 100 5. 기타 사항 □ 다음과 같은 사항이 확인될 경우, 선정 및 지원이 취소될 수 있음 ◦ 신청기업의 제출 자료가 허위이거나 사실과 다른 경우 ◦ 제품을 해외에서 선적하는 등 한국에서 직수출 계획이 없는 기업 ◦ 신청 제외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 사업신청 및 선정 후 공고문 등을 숙지하지 않아 발생하는 불이익 및 그에 따른 책임은 신청기업에게 있음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6. 문의처 운영/관리기관 TEL FAX 이메일 한국원전 수출산업협회 (KNA) 김금민 대리 02-6284-8743 02-3416-3951 4sme@e-kna.org 박혜리 대리 02-6284-8744 붙임 1. 원전설비 품목 예시 2.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평가기준 세부내용 서식 1.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신청서 1부 2. 수출추진계획서 1부 3.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1부 4. 사업 참여 및 기업자료 제공·활용 동의서 1부 5. 신청기업 서약서 1부. 끝. 붙임 1 원전설비 품목 예시 분류 품목명 기계/구조 ASME QME-1 성능검증 대상 밸브 가동원전 보수용 원격 용접장비 및 자동화 장비 가스켓, 패킹 격납건물 라이너플레이트 비파괴검사 장비 댐퍼(Dampers : Fire/Smoke/Control Dampers) 로빈스 V1 ROVINS(Remotely Operation Vehicle + Inspection) V1 발전소 소방설비(FP) 패키지 배관 고주파 벤딩 Spool (배관 반조립품) 배관 동적 지지대(Hydraulic Snubber) 밸브 그라파이트재질 Pressure Seal 가스켓 송풍기 (Fan, Blower) 수직 및 수중 배수펌프 (Vertical/Submergible Sump Pumps) 안전등급 밸브 (게이트밸브/나비형밸브/제어밸브 등) 압력방출밸브 (Relief Valve, Safety Valve, Safety-Relief Valve) 압력용기 액체폐기물계통 처리 (역삼투압설비) 연료 UT검사용 프로브 열교환기 튜브 검사(ECT) 장비 열교환기류 원자로 볼트 텐셔너 (SST/SDT) 원자로건물 내 연료취급설비 / 크레인 포지셔너(PLP) 등 원전용 Glove 등 valve류 유체조절기/유량제어기 제어봉구동하우징 중수로형 원전 냉각재펌프(PHTP), Mechanical Seal 증기발생기 습분분리기(SG Seperator) 지지물 차폐용기 터빈 베어링/패킹/씰 판형 열교환기 (Plate Type Heat Exchanger) 펌프 전기 In-Core Flux Detector Amplifier (ICA) Integrated Circuit Breaker Test Set LED 등기구 Underwater Facility Inspection Robot 로드센터 발전기 여자시스템 모의진단 장치(RTS-7000) 배전용 변압기 변압기 유중가스 분석장치 분전반 비상조명등, 수중등 스위치야드 고장 기록계 스위치야드 보호반 스위치야드 제어 및 모니터링 계통 스위치야드 제어반 및 계전기반 (사고 기록계 포함) 안전급/비안전급 배터리 충전기 및 전압조정 변압기 전식방지설비 계측제어 내방사선 CCTV 디지털분산제어기(DCS) 방사능감시시스템(RMS) 안전급 스마트 전송기 (압력/레벨) 안전급 온도센서 (RTD, T/C) 안전등급 나비형밸브 안전등급 온도소자 원자력 계측기 (압력계, 유량계, 온도계 등) 원전 핵증기공급계통 건전성감시계통 설비 원전용 MI Cable 및 계측기 원전용 MMIS 정보처리 솔루션 설비 원전용 계측 및 제어 전원 설비 원전용 보조공정계통 설비 원전용 신뢰성등급 DCS 원전용 신뢰성등급 붕소농도 감시 설비 원전용 안전등급 제어기 원전용 핵연료 취급설비 진동감시시스템(VMS) 초음파형식 수위스위치 및 전송기 기타 발전소 내부용 무선 페이지폰 발전소 출입구 흡입매트 원전 방사선 작업종사자 실시간 모니터링 디바이스 기반 통합관제 시스템 패키지 필터교체 자동화 로봇 (정비용) 혁신적 통합관제시스템 패키지 ※ 상기 품목 외에도 원자력 관련 설비임이 확인될 경우 참여 가능 붙임 2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평가기준 세부내용 지표 세부내용 품질 경쟁력 · 수출하고자 하는 제품과 관련해 국내 납품 이력과 지적재산권의 보유 여부, 해외시장에서의 수요, 혹은 구체적인 수요처, 국내·외 주요 경쟁사 대비 기술적 우월성 등 · 해외시장 규격에 따른 수출용 제품의 설계 및 생산 역량과 포장이나 라벨의 변경 능력,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수출허가나 상대국의 수입허가 조건 부합 여부 등 가격 경쟁력 · 가격 대비 제품의 품질/성능, 기능서비스 등 가치, 가격 유연성, 경쟁사 대비 가격 변동성, 원가 및 생산성 비교우위 지수 등 제품 생산능력 /납품능력 · 수출이 성사될 경우에 대비한 추가 생산능력 확보 여부, 수출에 따른 수요 변동이나 대량 주문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과 효율성 등 제품 생산능력과 국제 운송, 보관, 포장, 배송 등에 필요한 물류 역량과 협력 관계 구축을 통해 수출을 위한 효율적인 물류 및 납품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지의 여부 국제인증 및 표준 · ISO 인증, ASME, CE, KEPIC, 한수원 유자격 등 표준화된 절차와 요구사항 등 수출 추진계획 · 수출의 추진목적, 목표국가, 실천계획, 주요일정 등을 기술하고 제품을 수출하기 위한 제반사항, 수출을 추진함에 있어 존재하는 제약점 등 수출 추진경헝 · 과거 수출 경험 및 경험에 비추어 기업 스스로 판단한 보유역량 및 부족역량과 필요역량,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계획, 수출애로사항과 정부지원 요청사항 등 · 과거 5년내 직접수출 경험이 있더라도 목표국가가 기존 수출국가와 다르다면 참여 가능 수출 인력 /전담조직 · 국제 무역 및 관세 관련 전문지식 보유 인력 확보 여부와 수출 관련 전담조직의 유무, 기업의 총 임원 수에서 해외 학위 또는 3년 이상 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임원의 수 등 수출 정책 /관리시스템 · 수출에 필요한 신용장, 제조사 선언서, 수출 허가서, 관세 및 통관 관련 문서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준비할 수 있는 능력 혹은 시스템의 확보 여부 수출 교육/지원 · 정부/유관단체에서 실시하는 무역실무, 시장진출전략, 국제인증, FTA활용, 품목분류, 원산지검증, 공급망관리, 물류, 통관, 관세, 보험, 전략물자 수출통제 등 각종 수출 관련 교육 이수 현황 및 교육 지원내용 해외시장 조사/분석 능력 · 수출목표국가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수출목표제품의 수요, 경쟁력, 향후의 성장가능성 등에 대한 파악 능력 등 해외 마케팅/홍보 능력 · 수출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해 해외 홍보와 마케팅 전략의 구축 여부 및 실천 능력 보유 여부 해외 네트워크 보유 · 해외 거래사와의 협력관계 형성 등 수출 활동의 기반 확보 여부 산업역량 강화 · 수출 국가/품목 등의 다변화, 해외에서의 경험/지식 기반의 국내 기술력과 혁신성 향상 여부, 그 외 국내 관련 산업 전반의 역량 강화 여부 등 외화획득 /고용창출 · 수출에 따른 국가 경제나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 외화 획득의 규모, 수출로 인한 고용 창출 효과 등 CEO 수출의지 · 면접평가를 통한 CEO의 수출추진의지, 참여의지 등을 평가 · 과락지표로 Pass/Fail로 평가 서식 1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신청서 회사정보 회사명 사업자등록증과 동일 사업자등록번호 업 종 사업자등록증 내 명시 법인등록번호 설립일자 예) ‘20.8.25 홈페이지 대표자명 연락처 담당자 정보 성명 연락처 부서ㆍ직위 E-mail 영업 현황 상시 종업원수 (4대보험가입자) 2023년 2024년 2025년(현재) ( )명 ( )명 ( )명 매출액 구분 2023년 2024년 2025년(예상) 총액 ( )백만원 ( )백만원 ( )백만원 원자력 매출액 ( )백만원 ( )백만원 ( )백만원 대표 품목 품목명 (국문/영문) 상세기재 (밸브 X, 버터플라이밸브 O) HS CODE 최소 6자리까지 기입 카테고리 □ 기계 □ 계측 □ 배관 □ 전기 □ 기타( ) 수출 추진 경험 수출 이력 有 □ 독자수출 □ 간접수출 수출대상국 無 □ 독자수출 추진 □ 간접수출 추친 □ 경험 없음 외국어 자료 홈페이지 □ 영어 □ 러시아어 □ 중국어 □ 일본어 □ 기타( ) 브로셔/카탈로그 □ 영어 □ 러시아어 □ 중국어 □ 일본어 □ 기타( ) 당사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하는 「중소ㆍ중견기업 원전수출 첫걸음」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본 신청서를 제출하며, 기재사항에 허위사실이 없음을 확약합니다. 2025년 월 일 기업명 : 대표이사 : (직인)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장 귀하 서식 2 수출추진계획서 1. 기업 일반현황 업 체 명 대 표 자 설립일자 상시근로자수 명 법인(주민) 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 업 종 표준산업 분류번호 소 재 지 전화번호 본 사 공 장 (면적: ㎡) 매출액 (백만원) 2023년 2024년 2025년(예상) 기업소개 ※ 회사의 성장과정 및 현황 ※ 회사의 기술개발 및 제품 혁신 역량 2. 기업 기술역량 가. 주요 생산제품 개요 순번 제품명 연간생산량(개) 국내 시장 점유율(%) 국문 영문 2023 2024 2023 2024 2025(예상) 1 2 3 - - 나. 원자력 설비(기자재, 부품 등) 납품 이력 순번 제품명 납품이력 납품처 납품년도 납품수량(개) 1 2 3 - - 다. 회사보유 지적재산권, 기술 및 규격 인증, 논문 등 ※ 증빙자료 첨부 必 항목 인증서명 취득년월일 비고 지적재산권 기술 및 규격 인증 논문 등 라. 수출추진품목 ※ 대상 품목이 다수일 경우, 품목별 작성 품목정보 품명 (한글) HS Code (최소 6단위) (영어) 주요 기술사양 ※ 제품의 구체적인 사양 및 성능(제품 사진 첨부) ※ 제품 기술소개서(카탈로그) 등이 있는 경우 별도 제출 요망 생산능력 ※ 현재 설비 기준 생산가능 수량 ※ 추가 생산능력 확보 가능여부 연간판매량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예상) 판매량(개) 점유율(%) 지적재산권 ※ 국내·외 지적재산권 출원 및 등록 현황 기술 및 규격인증 ※ ISO, ASME Code 등 기술 및 규격인증 현황(인증서명, 유효기간, 취득일) 기타 특장점 ※ 경쟁기술(제품, 서비스)와 차별화된 요소 ※ 경쟁기술에 비하여 우월한 부분 ※ 물류 및 납품체계 역량 3. 수출 추진계획 ※ 대상 품목이 다수일 경우, 품목별 작성 항목 내용 수출추진계획 ※ 수출추진을 위한 앞으로의 구체적인 계획 및 주요 일정 ※ 수출추진을 위해 활용하고자 하는 지원사업 ※ 수출추진시장 진출에 있어 예상되는 애로사항과 해소방안 ※ 수출추진을 위한 자체 계획(안)이 있는 경우 별도 추가 제출 - 해당 지원사업 신청과 별개로, 기업이 보유한 기존 자료 등 수출추진시장 국가 ※ 기본적으로 국가를 서술하되, 미국/중국의 경우 가급적 주, 성(城) 단위까지 기술 선정 사유 ※ 가능한 경우 구체적인 해외수요와 수요처 기입 ※ 수출추진시장 및 목표 고객군 선정사유 경쟁품/경쟁사 ※ 대표적 경쟁제품 및 경쟁사에 대한 분석과 차별화 전략 경쟁제품 대비 자체평가 품질경쟁력 ※ 수출추진시 경쟁해야 하는 대표적 제품 대비 및 기술적 우월성 등 가격경쟁력 ※ 경쟁상품 대비 제품의 품질과 성능, 가격 유연성, 경쟁사 대비 원가 및 생산성 비교우위 등 예상 수출량 예상 수출년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수량(개) 금액(USD) 독자 수출추진 경험 ※ 직접수출(한전·한수원 등에 납품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수출하는 경우를 일컫음) 추진경험과 실패 사유 ※ 실패 경험에서 얻은 교훈 혹은 함의 4. 수출기반역량 항목 내용 조직역량 ※ 수출 관련 보유인력 및 전담조직 유무 ※ 수출추진을 위한 인력 투입 계획 ※ 수출 업무 이행을 위한 기업 내 인프라 현황 ※ 정부/유관단체가 실시하는 수출/무역 교육 이수 현황 홍보역량 ※ 수출추진을 위한 해외 홍보 및 마케팅 역량 ※ 수출추진시장 및 목표고객군에 대한 조사·분석 역량 ※ 제품의 품질 및 가격 경쟁력, 향후 성장 가능성에 대한 조사 ·분석 역량 ※ 해외 네트워크 보유 여부 재무역량 (수출관련) ※ 수출추진 관련 자금 조달 능력 ※ 수출 관련 자금 투입 능력 5. 수출 기대효과 수출 기대효과 ※ 수출이 당사 및 국내 관련 산업 전반에 미치는 기술 혁신 등 산업 역량 강화 측면에서의 기여도 ※ 수출에 따른 기업/지역/국가에 미치는 경제효과 및 고용창출 기여도 ※ 핵심제품 수출로 파생되는 국제관계 강화 효과 및 국가 이미지 제고 기여도 서식 3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목적 개인정보취급방침을 통하여 기업에서 제공하는 개인정보는 신청하신 사업 수행의 용도에만 사용되며, 개인정보 제공자가 동의한 내용 외의 다른 목적으로 수집된 개인정보를 활용하지 않습니다. 2. 개인정보 수집항목 담당자 성명, 연락처, 휴대폰번호, 이메일주소, 기업정보 등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5년 (5년이 지난 개인정보는 폐기됩니다.) 4.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수집된 개인정보는 본 사업 수행업무 참고용으로 유관기관에 제공될 수 있습니다. 5. 동의 거부 시 불 이익 위에 명시된 개인정보의 수집·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경우, 본 사업 참여에 제한될 수 있습니다. 6. 정보 주체의 권리 개인정보 제공자가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에 제공된 개인정보의 이용을 거부하고자 할 때에는 개인정보보호책임자를 통해 열람, 정정 및 삭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 □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 개인정보 이용 동의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 개인정보 제3자 제공 동의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 「개인정보보호법」등 관련 법률에 의거하여 본인은 위와 같이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및 제3자 제공에 동의합니다. 2025 년 월 일 성명 : (서명)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장 귀하 서식 4 사업 참여 및 기업자료 제공·활용 동의서 동 의 서 기 업 명 : 사업자등록번호 : ○ 위 당사는 「중소·중견기업 원전수출 첫걸음 지원사업」의 사업내용에 동의하고, 본사업의 심의를 위해 채무불이행, 수출실적 확인 등을 위한 기업정보 이용, 조회, 제공에 동의합니다. ○ 위 당사는 「중소·중견기업 원전수출 첫걸음 지원사업」의 사업 관련 협약의 제반사항을 준수하면서 참여기업으로서 목적 달성을 위해 사업수행에 성실히 임할 것임에 동의합니다. ○ 위 당사는 지원사업 주관기관의 사업진행 현황 파악을 위한 중간점검 및 기타 자료 제출 요청에 적극 협조할 것이며 사업 종료이후 5년간 사업의 성과에 관련된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고 활용하는데 동의합니다. 2025 년 월 일 대표(이사) (인)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장 귀하 서식 5 신청기업 서약서 서 약 서 기 업 명 : 사업자등록번호 : 위 당사는 「중소·중견기업 원전수출 첫걸음 지원사업」에 참여함에 있어 신청자격에 부합하며 제출한 모든 서류와 증빙자료는 신의와 성실의 원칙에 입각하여 작성 하였습니다. 만일 제출한 서류 및 증빙자료가 부정한 방법으로 작성되었거나 허위로 기재한 사항 등이 확인 될 경우 이후여하를 막론하고 관계 법령 및 지침에 따라 책임질 것이며, 보조금 환수, 참여제한 등과 같은 제재 조치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임을 확약하고 이에 서약서를 제출합니다. 2025 년 월 일 대표(이사) (인)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장 귀하

      닫기
  • 2025년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공고 2025-04-02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289호 2025년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공고 원전설비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위해 수출 전 과정에 대한 컨설팅 및 지원사업 등을 제공하는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참가기업 모집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5년 4월 2일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책·정보>정책게시판>에너지·자원

    •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공고_250402.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289호 2025년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공고 원전설비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위해 수출 전 과정에 대한 컨설팅 및 지원사업 등을 제공하는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참가기업 모집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5년 4월 2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사업개요 □ 사업목적 ㅇ 수출잠재력을 갖춘 원전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수출 시작단계 부터 계약까지 전 주기에 걸쳐 수출 지원사업을 패키지로 제공 □ 지원대상 : (2차 2025년) 30개社 내외 □ 사업기간 : 최대 ‘27년까지 지원하며, 매년 계속지원 여부 심사 □ 사업 운영기관 : 사단법인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 주요 지원내용 ㅇ (컨설팅) 수출 및 원전기술 분야 컨설팅 전문가와 지원 대상 기업을 매칭하여 기업별 맞춤형 수출 포트폴리오 구축, 제공 ㅇ (마케팅) 시장조사, 바이어 발굴 및 1:1 매칭, 전시 참가 지원, 기업·제품 홍보물 제작 등 지원사업 제공 ㅇ (인증·등록) ISO, ASME, CE 등 국내·외 인증 컨설팅 비용 및 취득 비용 지원사업 제공 ㅇ (기타) 수출 에이전트사 연계, 입찰 전문가 자문, 수출보증보험, KOTRA 수출바우처, 통·번역 및 법률자문 등 지원사업 제공 <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지원사업 리스트 > ㅇ 5개 기관 35개 지원사업 - (분야별) 역량진단 1개, 정보제공 3개, 마케팅 11개, 인증·등록 8개, 입찰 2개, 기타 10개 - (방식별) 전용 지원사업 29개, 연계 지원사업 6개 * (전용) 별도의 심사과정 없이 지원, (연계) 신청시, 가점부여·한도상향·우대혜택 등 제공 분야 지원사업명 지원내용 지원기관 지원방식 전용 연계 역량진단(1) 첫걸음 진단 컨설팅 기업역량진단, 로드맵 제시 KNA ○ 정보제공(3) 해외입찰정보 분석 및 제공 기업별 입찰정보 제공 KNA ○ 맞춤형 원전수출정보지원 기업별 해외시장정보 제공 KNA ○ 원전 중점무역관 활용 기업별 해외정보 제공 KOTRA ○ 마 케 팅 (11) 해외 전시 (3) 국제 전시 및 B2B 미팅 참가, 공동전시지원 최대 1,000만원 KNA ○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 최대 800만원 한수원 ○ 해외 공동전시회 지원 최대 3,000만원 KONICOF ○ 바이어 발굴 (4) 해외바이어 초청 지원(원전특화) 바이어 발굴 및 1:1 매칭 KNA ○ 해외바이어 초청 지원 KOTRA ○ 해외시장개척단 한수원 ○ 원전 기자재 수출 특화사업 KOTRA ○ 홍보물 (2) 홍보자료 제작 지원 최대 300(홍보물), 1,000만원(웹) KNA ○ 방사선기업 해외 홍보물 개발 최대 500만원 KONICOF ○ 통·번역 (1) 통·번역 및 법률자문 최대 300만원 KNA ○ 세일즈 (1) 해외 세일즈 출장지원 최대 800만원 KNA ○ 인증 · 등록 (8) 컨설팅 (2) 유망기업 컨설팅 지원 최대 1,000만원 KONICOF ○ 해외 품질/인증취득 컨설팅 인증 및 건별 상이 KNA ○ 비용 지원 (6) 유자격/인증 취득비 지원 한수원과 유사수준 KNA ○ 유자격공급사 등록 지원사업 유자격 공급사 KEPIC 인증 해외 인증 지원 금액 취득비 전액 전액 전액 컨설팅 5백만원 1천만원 1천만원 기업 지원금 상한액(연간) 1억원 (ASME 해외인증 1.5억원) 한수원 ○ 국내인증 취득 한수원 ○ 국제인증 취득 한수원 ○ AEO 인증 취득 최대 3,700만원 한수원 ○ 방사선기업 해외인증 최대 800만원 KONICOF ○ 입찰 (2) 입찰 참여 (2) 수출 에이전트사 연계 해외 입찰참여/마케팅을 위한 수출에이전트사 소개/연계 KNA ○ 해외 입찰전문가 자문 해외 입찰참여 시 입찰전문가 자문/서류준비 지원 KNA ○ 기타 (10) 실증 지원 (1) 발주처 기자재 시범사용 지원 최대 1,600만원 한수원 ○ 보증 (1) 원전기업 수출보증보험 총한도 1,250억 무보 ○ 바우처 (2) 수출바우처 지원 건별상이 한수원/ KOTRA ○ 수출기업 수요 맞춤형 지원 최대 1,500만원 한수원 ○ 체계 (2) 첫걸음 지원센터 - KNA ○ 원전수출 중점무역관 워싱턴, 두바이 등 16개소 KOTRA ○ 기후안전쉼터 지원사업 최대 2억원 한수원 ○ 해외지사화 지원사업 건별상이 한수원 ○ 원자력 기술수출지원 교육 무역 실무 교육 KNA ○ 방사선 기업 원자력 기술수출단 교육 무역 실무 교육 KONICOF ○ ※ 상기 지원내용은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음 □ 진행절차 신청‧접수 평가‧선발 수혜기업 선정 시행 이메일 접수 ➡ 평가기준 적용·선발 ➡ 수혜기업 선정ㆍ발표 ➡ 지원 프로그램 시행 ∼ ‘25.4.16(수) ‘25.4~5월 ‘25.5.16(금) ‘25.5월~ ’27년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2. 신청자격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제2조에 따른 중견기업 중 아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기업 또는 심의회에서 특별히 인정되는 기업 ① 원자력 분야 중소·중견기업 * 최근 5년간 원전 관련 직수출*** 실적이 없거나 연간 10만불 미만인 경우 → 제한 없이 신청 가능 ** 최근 5년간 원전 관련 직수출*** 실적이 연간 10만불 이상인 경우 → 해당 국가를 제외한 타 국가를 목표로 하는 경우 신청 가능 *** (직수출) 관세청 통관실적 기준, 내국신용장 또는 구매확인서의 수취액은 제외, 원전과 관련 없는 분야와 간접수출 실적은 제외 ※ 지원 프로그램 수혜기업 선정 후 원전 관련 직수출 실적관련 확약서 작성 예정이며, 선정된 이후라도 자격요건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지원 중단 및 회수 조치 예정 ② 원자력 분야 중소·중견기업은 아래 기준 중 1개 이상 해당 업체를 인정 ㅇ 원전공기업 유자격 공급업체(접수마감일자 기준) ㅇ 원자력분야 매출 보유기업 ㅇ 원전 관련 연구ㆍ용역 실적 보유기업 ㅇ 기타 원전기업임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 □ 신청 제외대상 ※아래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 선정기업이라 해도 지원대상에서 제외 ㅇ 휴·폐업 기업 또는 가동 중에 있지 않은 기업 ㅇ 세무당국에 의해 국세, 지방세 등의 체납처분을 받은 기업 ㅇ 민사집행법에 의하여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되거나, 전국은행연합회 등 신용정보 집중기관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된 기업 ㅇ 보조금법 위반 등으로 정부지원사업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ㅇ 외부감사 기업의 경우 최근년도 감사의견이 “미반영” 또는 “부적정”인 경우 ㅇ 신청시점 기준 상시근로자 수가 20인 이하인 경우 ㅇ 최근 3년 내 임금체불, 산업재해 등이 발생한 경우 3. 신청 및 접수 □ 신청방법 : 신청서 다운로드 후 이메일 제출 ㅇ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KNA) 홈페이지(www.e-kna.org) ⟶ 동향/자료 ⟶ 협회소식 ⟶ 신청서 다운로드ㆍ작성 후 이메일 제출 ㅇ 접수기간 : 공고일~ 2025년 4월 16일(수) 18:00 ㅇ 제 출 처 : 4sme@e-kna.org < 제출서류 > No. 제출서류 비고 1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신청서 별지서식 제1호 2 수출추진계획서 별지서식 제2호 3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별지서식 제3호 4 사업 참여 및 기업정보 제공·활용 동의서 별지서식 제4호 5 신청기업 서약서 별지서식 제5호 6 중소·중견기업 확인서 7 국세 & 지방세 완납증명서 8 4대보험 완납증명서 & 가입자 명부 9 사업자등록증 10 법인등기부등본 11 표준재무제표증명원 (‘22~’24년) 12 신용평가등급 확인서 13 직수출실적증명원 (’21~‘25년) 한국무역협회 발급 14 원전분야 중소중견기업 입증서류 예) 원자력분야 매출실적 증빙, 원전공기업 유자격 공급자 등록증 등 ※ 모든 파일은 반드시 PDF로 변환하여 제출되어야 하며, 제출방법 및 기한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평가대상에서 제외함 ※ 신청서가 접수 후 3일 이내 접수가 완료되었다는 연락을 받지 못한 경우, 필히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통해 접수확인 요망 4. 선정기준 및 방법 □ 평가절차 시행 계획 공고 신청 접수 적격 심사 서면평가 (수출추진 계획서 등) 현장평가 (필요시) (5.7~9) 면접평가 (수출 의지) (5.13~14) 선 정 산업부 KNA 평가위원회 산업부 ㅇ 적격심사 : 제출서류, 신청자격 등 검토, 적격/부적격 기업 판정 ㅇ 서면평가 : 수출추진계획서를 중심으로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 (평가과정에서 평가위원회는 신청기업에 개별 질의 연락할 수 있음) ㅇ 현장평가 : 서면평가 통과 기업에 한해 필요시 기업 현장실사 시행 ㅇ 면접평가 : 서면・현장평가 통과 기업에 한해, CEO의 수출의지 평가 ㅇ 최종선정 : 심의회를 통해 최종 업체선정 □ 평가기준 (세부내용 붙임 2 참조) 평가항목 세부 평가지표 배점 기술역량(45) ① 품질 경쟁력 15 ② 가격 경쟁력 10 ③ 제품 생산능력/납품능력 10 ④ 국제인증 및 표준(기술, 규격) 10 수출역량(55) 수출계획(20) ① 수출 추진계획 20 수출기반(20) ① 수출 추진경험 10 ② 수출 전담 조직 및 인력 10 ③ 수출 정책 및 관리시스템 ④ 수출 교육 및 지원 홍보역량(5) ① 해외 시장 조사/분석 능력 5 ② 해외 마케팅 및 홍보 능력 ③ 해외 네트워크 보유 기대효과(10) ① 산업역량 강화 5 ② 외화획득 / 고용창출 5 수출의지(Pass/Fail) ① CEO의 수출의지 - 총계 100 5. 기타 사항 □ 다음과 같은 사항이 확인될 경우, 선정 및 지원이 취소될 수 있음 ◦ 신청기업의 제출 자료가 허위이거나 사실과 다른 경우 ◦ 제품을 해외에서 선적하는 등 한국에서 직수출 계획이 없는 기업 ◦ 신청 제외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 사업신청 및 선정 후 공고문 등을 숙지하지 않아 발생하는 불이익 및 그에 따른 책임은 신청기업에게 있음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6. 문의처 운영/관리기관 TEL FAX 이메일 한국원전 수출산업협회 (KNA) 김금민 대리 02-6284-8743 02-3416-3951 4sme@e-kna.org 박혜리 대리 02-6284-8744 붙임 1. 원전설비 품목 예시 2.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평가기준 세부내용 서식 1.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신청서 1부 2. 수출추진계획서 1부 3.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1부 4. 사업 참여 및 기업자료 제공·활용 동의서 1부 5. 신청기업 서약서 1부. 끝. 붙임 1 원전설비 품목 예시 분류 품목명 기계/구조 ASME QME-1 성능검증 대상 밸브 가동원전 보수용 원격 용접장비 및 자동화 장비 가스켓, 패킹 격납건물 라이너플레이트 비파괴검사 장비 댐퍼(Dampers : Fire/Smoke/Control Dampers) 로빈스 V1 ROVINS(Remotely Operation Vehicle + Inspection) V1 발전소 소방설비(FP) 패키지 배관 고주파 벤딩 Spool (배관 반조립품) 배관 동적 지지대(Hydraulic Snubber) 밸브 그라파이트재질 Pressure Seal 가스켓 송풍기 (Fan, Blower) 수직 및 수중 배수펌프 (Vertical/Submergible Sump Pumps) 안전등급 밸브 (게이트밸브/나비형밸브/제어밸브 등) 압력방출밸브 (Relief Valve, Safety Valve, Safety-Relief Valve) 압력용기 액체폐기물계통 처리 (역삼투압설비) 연료 UT검사용 프로브 열교환기 튜브 검사(ECT) 장비 열교환기류 원자로 볼트 텐셔너 (SST/SDT) 원자로건물 내 연료취급설비 / 크레인 포지셔너(PLP) 등 원전용 Glove 등 valve류 유체조절기/유량제어기 제어봉구동하우징 중수로형 원전 냉각재펌프(PHTP), Mechanical Seal 증기발생기 습분분리기(SG Seperator) 지지물 차폐용기 터빈 베어링/패킹/씰 판형 열교환기 (Plate Type Heat Exchanger) 펌프 전기 In-Core Flux Detector Amplifier (ICA) Integrated Circuit Breaker Test Set LED 등기구 Underwater Facility Inspection Robot 로드센터 발전기 여자시스템 모의진단 장치(RTS-7000) 배전용 변압기 변압기 유중가스 분석장치 분전반 비상조명등, 수중등 스위치야드 고장 기록계 스위치야드 보호반 스위치야드 제어 및 모니터링 계통 스위치야드 제어반 및 계전기반 (사고 기록계 포함) 안전급/비안전급 배터리 충전기 및 전압조정 변압기 전식방지설비 계측제어 내방사선 CCTV 디지털분산제어기(DCS) 방사능감시시스템(RMS) 안전급 스마트 전송기 (압력/레벨) 안전급 온도센서 (RTD, T/C) 안전등급 나비형밸브 안전등급 온도소자 원자력 계측기 (압력계, 유량계, 온도계 등) 원전 핵증기공급계통 건전성감시계통 설비 원전용 MI Cable 및 계측기 원전용 MMIS 정보처리 솔루션 설비 원전용 계측 및 제어 전원 설비 원전용 보조공정계통 설비 원전용 신뢰성등급 DCS 원전용 신뢰성등급 붕소농도 감시 설비 원전용 안전등급 제어기 원전용 핵연료 취급설비 진동감시시스템(VMS) 초음파형식 수위스위치 및 전송기 기타 발전소 내부용 무선 페이지폰 발전소 출입구 흡입매트 원전 방사선 작업종사자 실시간 모니터링 디바이스 기반 통합관제 시스템 패키지 필터교체 자동화 로봇 (정비용) 혁신적 통합관제시스템 패키지 ※ 상기 품목 외에도 원자력 관련 설비임이 확인될 경우 참여 가능 붙임 2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평가기준 세부내용 지표 세부내용 품질 경쟁력 · 수출하고자 하는 제품과 관련해 국내 납품 이력과 지적재산권의 보유 여부, 해외시장에서의 수요, 혹은 구체적인 수요처, 국내·외 주요 경쟁사 대비 기술적 우월성 등 · 해외시장 규격에 따른 수출용 제품의 설계 및 생산 역량과 포장이나 라벨의 변경 능력,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수출허가나 상대국의 수입허가 조건 부합 여부 등 가격 경쟁력 · 가격 대비 제품의 품질/성능, 기능서비스 등 가치, 가격 유연성, 경쟁사 대비 가격 변동성, 원가 및 생산성 비교우위 지수 등 제품 생산능력 /납품능력 · 수출이 성사될 경우에 대비한 추가 생산능력 확보 여부, 수출에 따른 수요 변동이나 대량 주문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과 효율성 등 제품 생산능력과 국제 운송, 보관, 포장, 배송 등에 필요한 물류 역량과 협력 관계 구축을 통해 수출을 위한 효율적인 물류 및 납품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지의 여부 국제인증 및 표준 · ISO 인증, ASME, CE, KEPIC, 한수원 유자격 등 표준화된 절차와 요구사항 등 수출 추진계획 · 수출의 추진목적, 목표국가, 실천계획, 주요일정 등을 기술하고 제품을 수출하기 위한 제반사항, 수출을 추진함에 있어 존재하는 제약점 등 수출 추진경헝 · 과거 수출 경험 및 경험에 비추어 기업 스스로 판단한 보유역량 및 부족역량과 필요역량,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계획, 수출애로사항과 정부지원 요청사항 등 · 과거 5년내 직접수출 경험이 있더라도 목표국가가 기존 수출국가와 다르다면 참여 가능 수출 인력 /전담조직 · 국제 무역 및 관세 관련 전문지식 보유 인력 확보 여부와 수출 관련 전담조직의 유무, 기업의 총 임원 수에서 해외 학위 또는 3년 이상 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임원의 수 등 수출 정책 /관리시스템 · 수출에 필요한 신용장, 제조사 선언서, 수출 허가서, 관세 및 통관 관련 문서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준비할 수 있는 능력 혹은 시스템의 확보 여부 수출 교육/지원 · 정부/유관단체에서 실시하는 무역실무, 시장진출전략, 국제인증, FTA활용, 품목분류, 원산지검증, 공급망관리, 물류, 통관, 관세, 보험, 전략물자 수출통제 등 각종 수출 관련 교육 이수 현황 및 교육 지원내용 해외시장 조사/분석 능력 · 수출목표국가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수출목표제품의 수요, 경쟁력, 향후의 성장가능성 등에 대한 파악 능력 등 해외 마케팅/홍보 능력 · 수출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해 해외 홍보와 마케팅 전략의 구축 여부 및 실천 능력 보유 여부 해외 네트워크 보유 · 해외 거래사와의 협력관계 형성 등 수출 활동의 기반 확보 여부 산업역량 강화 · 수출 국가/품목 등의 다변화, 해외에서의 경험/지식 기반의 국내 기술력과 혁신성 향상 여부, 그 외 국내 관련 산업 전반의 역량 강화 여부 등 외화획득 /고용창출 · 수출에 따른 국가 경제나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 외화 획득의 규모, 수출로 인한 고용 창출 효과 등 CEO 수출의지 · 면접평가를 통한 CEO의 수출추진의지, 참여의지 등을 평가 · 과락지표로 Pass/Fail로 평가 서식 1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신청서 회사정보 회사명 사업자등록증과 동일 사업자등록번호 업 종 사업자등록증 내 명시 법인등록번호 설립일자 예) ‘20.8.25 홈페이지 대표자명 연락처 담당자 정보 성명 연락처 부서ㆍ직위 E-mail 영업 현황 상시 종업원수 (4대보험가입자) 2023년 2024년 2025년(현재) ( )명 ( )명 ( )명 매출액 구분 2023년 2024년 2025년(예상) 총액 ( )백만원 ( )백만원 ( )백만원 원자력 매출액 ( )백만원 ( )백만원 ( )백만원 대표 품목 품목명 (국문/영문) 상세기재 (밸브 X, 버터플라이밸브 O) HS CODE 최소 6자리까지 기입 카테고리 □ 기계 □ 계측 □ 배관 □ 전기 □ 기타( ) 수출 추진 경험 수출 이력 有 □ 독자수출 □ 간접수출 수출대상국 無 □ 독자수출 추진 □ 간접수출 추친 □ 경험 없음 외국어 자료 홈페이지 □ 영어 □ 러시아어 □ 중국어 □ 일본어 □ 기타( ) 브로셔/카탈로그 □ 영어 □ 러시아어 □ 중국어 □ 일본어 □ 기타( ) 당사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하는 「중소ㆍ중견기업 원전수출 첫걸음」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본 신청서를 제출하며, 기재사항에 허위사실이 없음을 확약합니다. 2025년 월 일 기업명 : 대표이사 : (직인)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장 귀하 서식 2 수출추진계획서 1. 기업 일반현황 업 체 명 대 표 자 설립일자 상시근로자수 명 법인(주민) 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 업 종 표준산업 분류번호 소 재 지 전화번호 본 사 공 장 (면적: ㎡) 매출액 (백만원) 2023년 2024년 2025년(예상) 기업소개 ※ 회사의 성장과정 및 현황 ※ 회사의 기술개발 및 제품 혁신 역량 2. 기업 기술역량 가. 주요 생산제품 개요 순번 제품명 연간생산량(개) 국내 시장 점유율(%) 국문 영문 2023 2024 2023 2024 2025(예상) 1 2 3 - - 나. 원자력 설비(기자재, 부품 등) 납품 이력 순번 제품명 납품이력 납품처 납품년도 납품수량(개) 1 2 3 - - 다. 회사보유 지적재산권, 기술 및 규격 인증, 논문 등 ※ 증빙자료 첨부 必 항목 인증서명 취득년월일 비고 지적재산권 기술 및 규격 인증 논문 등 라. 수출추진품목 ※ 대상 품목이 다수일 경우, 품목별 작성 품목정보 품명 (한글) HS Code (최소 6단위) (영어) 주요 기술사양 ※ 제품의 구체적인 사양 및 성능(제품 사진 첨부) ※ 제품 기술소개서(카탈로그) 등이 있는 경우 별도 제출 요망 생산능력 ※ 현재 설비 기준 생산가능 수량 ※ 추가 생산능력 확보 가능여부 연간판매량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예상) 판매량(개) 점유율(%) 지적재산권 ※ 국내·외 지적재산권 출원 및 등록 현황 기술 및 규격인증 ※ ISO, ASME Code 등 기술 및 규격인증 현황(인증서명, 유효기간, 취득일) 기타 특장점 ※ 경쟁기술(제품, 서비스)와 차별화된 요소 ※ 경쟁기술에 비하여 우월한 부분 ※ 물류 및 납품체계 역량 3. 수출 추진계획 ※ 대상 품목이 다수일 경우, 품목별 작성 항목 내용 수출추진계획 ※ 수출추진을 위한 앞으로의 구체적인 계획 및 주요 일정 ※ 수출추진을 위해 활용하고자 하는 지원사업 ※ 수출추진시장 진출에 있어 예상되는 애로사항과 해소방안 ※ 수출추진을 위한 자체 계획(안)이 있는 경우 별도 추가 제출 - 해당 지원사업 신청과 별개로, 기업이 보유한 기존 자료 등 수출추진시장 국가 ※ 기본적으로 국가를 서술하되, 미국/중국의 경우 가급적 주, 성(城) 단위까지 기술 선정 사유 ※ 가능한 경우 구체적인 해외수요와 수요처 기입 ※ 수출추진시장 및 목표 고객군 선정사유 경쟁품/경쟁사 ※ 대표적 경쟁제품 및 경쟁사에 대한 분석과 차별화 전략 경쟁제품 대비 자체평가 품질경쟁력 ※ 수출추진시 경쟁해야 하는 대표적 제품 대비 및 기술적 우월성 등 가격경쟁력 ※ 경쟁상품 대비 제품의 품질과 성능, 가격 유연성, 경쟁사 대비 원가 및 생산성 비교우위 등 예상 수출량 예상 수출년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수량(개) 금액(USD) 독자 수출추진 경험 ※ 직접수출(한전·한수원 등에 납품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수출하는 경우를 일컫음) 추진경험과 실패 사유 ※ 실패 경험에서 얻은 교훈 혹은 함의 4. 수출기반역량 항목 내용 조직역량 ※ 수출 관련 보유인력 및 전담조직 유무 ※ 수출추진을 위한 인력 투입 계획 ※ 수출 업무 이행을 위한 기업 내 인프라 현황 ※ 정부/유관단체가 실시하는 수출/무역 교육 이수 현황 홍보역량 ※ 수출추진을 위한 해외 홍보 및 마케팅 역량 ※ 수출추진시장 및 목표고객군에 대한 조사·분석 역량 ※ 제품의 품질 및 가격 경쟁력, 향후 성장 가능성에 대한 조사 ·분석 역량 ※ 해외 네트워크 보유 여부 재무역량 (수출관련) ※ 수출추진 관련 자금 조달 능력 ※ 수출 관련 자금 투입 능력 5. 수출 기대효과 수출 기대효과 ※ 수출이 당사 및 국내 관련 산업 전반에 미치는 기술 혁신 등 산업 역량 강화 측면에서의 기여도 ※ 수출에 따른 기업/지역/국가에 미치는 경제효과 및 고용창출 기여도 ※ 핵심제품 수출로 파생되는 국제관계 강화 효과 및 국가 이미지 제고 기여도 서식 3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목적 개인정보취급방침을 통하여 기업에서 제공하는 개인정보는 신청하신 사업 수행의 용도에만 사용되며, 개인정보 제공자가 동의한 내용 외의 다른 목적으로 수집된 개인정보를 활용하지 않습니다. 2. 개인정보 수집항목 담당자 성명, 연락처, 휴대폰번호, 이메일주소, 기업정보 등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5년 (5년이 지난 개인정보는 폐기됩니다.) 4.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수집된 개인정보는 본 사업 수행업무 참고용으로 유관기관에 제공될 수 있습니다. 5. 동의 거부 시 불 이익 위에 명시된 개인정보의 수집·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경우, 본 사업 참여에 제한될 수 있습니다. 6. 정보 주체의 권리 개인정보 제공자가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에 제공된 개인정보의 이용을 거부하고자 할 때에는 개인정보보호책임자를 통해 열람, 정정 및 삭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 □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 개인정보 이용 동의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 개인정보 제3자 제공 동의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 「개인정보보호법」등 관련 법률에 의거하여 본인은 위와 같이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및 제3자 제공에 동의합니다. 2025 년 월 일 성명 : (서명)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장 귀하 서식 4 사업 참여 및 기업자료 제공·활용 동의서 동 의 서 기 업 명 : 사업자등록번호 : ○ 위 당사는 「중소·중견기업 원전수출 첫걸음 지원사업」의 사업내용에 동의하고, 본사업의 심의를 위해 채무불이행, 수출실적 확인 등을 위한 기업정보 이용, 조회, 제공에 동의합니다. ○ 위 당사는 「중소·중견기업 원전수출 첫걸음 지원사업」의 사업 관련 협약의 제반사항을 준수하면서 참여기업으로서 목적 달성을 위해 사업수행에 성실히 임할 것임에 동의합니다. ○ 위 당사는 지원사업 주관기관의 사업진행 현황 파악을 위한 중간점검 및 기타 자료 제출 요청에 적극 협조할 것이며 사업 종료이후 5년간 사업의 성과에 관련된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고 활용하는데 동의합니다. 2025 년 월 일 대표(이사) (인)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장 귀하 서식 5 신청기업 서약서 서 약 서 기 업 명 : 사업자등록번호 : 위 당사는 「중소·중견기업 원전수출 첫걸음 지원사업」에 참여함에 있어 신청자격에 부합하며 제출한 모든 서류와 증빙자료는 신의와 성실의 원칙에 입각하여 작성 하였습니다. 만일 제출한 서류 및 증빙자료가 부정한 방법으로 작성되었거나 허위로 기재한 사항 등이 확인 될 경우 이후여하를 막론하고 관계 법령 및 지침에 따라 책임질 것이며, 보조금 환수, 참여제한 등과 같은 제재 조치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임을 확약하고 이에 서약서를 제출합니다. 2025 년 월 일 대표(이사) (인)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장 귀하

      닫기
  • 2025년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공고 2025-04-02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289호 2025년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공고 원전설비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위해 수출 전 과정에 대한 컨설팅 및 지원사업 등을 제공하는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참가기업 모집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5년 4월 2일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책·정보>정책게시판>무역·투자

    •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공고_250402.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289호 2025년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공고 원전설비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위해 수출 전 과정에 대한 컨설팅 및 지원사업 등을 제공하는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참가기업 모집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5년 4월 2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사업개요 □ 사업목적 ㅇ 수출잠재력을 갖춘 원전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수출 시작단계 부터 계약까지 전 주기에 걸쳐 수출 지원사업을 패키지로 제공 □ 지원대상 : (2차 2025년) 30개社 내외 □ 사업기간 : 최대 ‘27년까지 지원하며, 매년 계속지원 여부 심사 □ 사업 운영기관 : 사단법인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 주요 지원내용 ㅇ (컨설팅) 수출 및 원전기술 분야 컨설팅 전문가와 지원 대상 기업을 매칭하여 기업별 맞춤형 수출 포트폴리오 구축, 제공 ㅇ (마케팅) 시장조사, 바이어 발굴 및 1:1 매칭, 전시 참가 지원, 기업·제품 홍보물 제작 등 지원사업 제공 ㅇ (인증·등록) ISO, ASME, CE 등 국내·외 인증 컨설팅 비용 및 취득 비용 지원사업 제공 ㅇ (기타) 수출 에이전트사 연계, 입찰 전문가 자문, 수출보증보험, KOTRA 수출바우처, 통·번역 및 법률자문 등 지원사업 제공 <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지원사업 리스트 > ㅇ 5개 기관 35개 지원사업 - (분야별) 역량진단 1개, 정보제공 3개, 마케팅 11개, 인증·등록 8개, 입찰 2개, 기타 10개 - (방식별) 전용 지원사업 29개, 연계 지원사업 6개 * (전용) 별도의 심사과정 없이 지원, (연계) 신청시, 가점부여·한도상향·우대혜택 등 제공 분야 지원사업명 지원내용 지원기관 지원방식 전용 연계 역량진단(1) 첫걸음 진단 컨설팅 기업역량진단, 로드맵 제시 KNA ○ 정보제공(3) 해외입찰정보 분석 및 제공 기업별 입찰정보 제공 KNA ○ 맞춤형 원전수출정보지원 기업별 해외시장정보 제공 KNA ○ 원전 중점무역관 활용 기업별 해외정보 제공 KOTRA ○ 마 케 팅 (11) 해외 전시 (3) 국제 전시 및 B2B 미팅 참가, 공동전시지원 최대 1,000만원 KNA ○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 최대 800만원 한수원 ○ 해외 공동전시회 지원 최대 3,000만원 KONICOF ○ 바이어 발굴 (4) 해외바이어 초청 지원(원전특화) 바이어 발굴 및 1:1 매칭 KNA ○ 해외바이어 초청 지원 KOTRA ○ 해외시장개척단 한수원 ○ 원전 기자재 수출 특화사업 KOTRA ○ 홍보물 (2) 홍보자료 제작 지원 최대 300(홍보물), 1,000만원(웹) KNA ○ 방사선기업 해외 홍보물 개발 최대 500만원 KONICOF ○ 통·번역 (1) 통·번역 및 법률자문 최대 300만원 KNA ○ 세일즈 (1) 해외 세일즈 출장지원 최대 800만원 KNA ○ 인증 · 등록 (8) 컨설팅 (2) 유망기업 컨설팅 지원 최대 1,000만원 KONICOF ○ 해외 품질/인증취득 컨설팅 인증 및 건별 상이 KNA ○ 비용 지원 (6) 유자격/인증 취득비 지원 한수원과 유사수준 KNA ○ 유자격공급사 등록 지원사업 유자격 공급사 KEPIC 인증 해외 인증 지원 금액 취득비 전액 전액 전액 컨설팅 5백만원 1천만원 1천만원 기업 지원금 상한액(연간) 1억원 (ASME 해외인증 1.5억원) 한수원 ○ 국내인증 취득 한수원 ○ 국제인증 취득 한수원 ○ AEO 인증 취득 최대 3,700만원 한수원 ○ 방사선기업 해외인증 최대 800만원 KONICOF ○ 입찰 (2) 입찰 참여 (2) 수출 에이전트사 연계 해외 입찰참여/마케팅을 위한 수출에이전트사 소개/연계 KNA ○ 해외 입찰전문가 자문 해외 입찰참여 시 입찰전문가 자문/서류준비 지원 KNA ○ 기타 (10) 실증 지원 (1) 발주처 기자재 시범사용 지원 최대 1,600만원 한수원 ○ 보증 (1) 원전기업 수출보증보험 총한도 1,250억 무보 ○ 바우처 (2) 수출바우처 지원 건별상이 한수원/ KOTRA ○ 수출기업 수요 맞춤형 지원 최대 1,500만원 한수원 ○ 체계 (2) 첫걸음 지원센터 - KNA ○ 원전수출 중점무역관 워싱턴, 두바이 등 16개소 KOTRA ○ 기후안전쉼터 지원사업 최대 2억원 한수원 ○ 해외지사화 지원사업 건별상이 한수원 ○ 원자력 기술수출지원 교육 무역 실무 교육 KNA ○ 방사선 기업 원자력 기술수출단 교육 무역 실무 교육 KONICOF ○ ※ 상기 지원내용은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음 □ 진행절차 신청‧접수 평가‧선발 수혜기업 선정 시행 이메일 접수 ➡ 평가기준 적용·선발 ➡ 수혜기업 선정ㆍ발표 ➡ 지원 프로그램 시행 ∼ ‘25.4.16(수) ‘25.4~5월 ‘25.5.16(금) ‘25.5월~ ’27년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2. 신청자격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제2조에 따른 중견기업 중 아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기업 또는 심의회에서 특별히 인정되는 기업 ① 원자력 분야 중소·중견기업 * 최근 5년간 원전 관련 직수출*** 실적이 없거나 연간 10만불 미만인 경우 → 제한 없이 신청 가능 ** 최근 5년간 원전 관련 직수출*** 실적이 연간 10만불 이상인 경우 → 해당 국가를 제외한 타 국가를 목표로 하는 경우 신청 가능 *** (직수출) 관세청 통관실적 기준, 내국신용장 또는 구매확인서의 수취액은 제외, 원전과 관련 없는 분야와 간접수출 실적은 제외 ※ 지원 프로그램 수혜기업 선정 후 원전 관련 직수출 실적관련 확약서 작성 예정이며, 선정된 이후라도 자격요건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지원 중단 및 회수 조치 예정 ② 원자력 분야 중소·중견기업은 아래 기준 중 1개 이상 해당 업체를 인정 ㅇ 원전공기업 유자격 공급업체(접수마감일자 기준) ㅇ 원자력분야 매출 보유기업 ㅇ 원전 관련 연구ㆍ용역 실적 보유기업 ㅇ 기타 원전기업임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 □ 신청 제외대상 ※아래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 선정기업이라 해도 지원대상에서 제외 ㅇ 휴·폐업 기업 또는 가동 중에 있지 않은 기업 ㅇ 세무당국에 의해 국세, 지방세 등의 체납처분을 받은 기업 ㅇ 민사집행법에 의하여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되거나, 전국은행연합회 등 신용정보 집중기관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된 기업 ㅇ 보조금법 위반 등으로 정부지원사업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ㅇ 외부감사 기업의 경우 최근년도 감사의견이 “미반영” 또는 “부적정”인 경우 ㅇ 신청시점 기준 상시근로자 수가 20인 이하인 경우 ㅇ 최근 3년 내 임금체불, 산업재해 등이 발생한 경우 3. 신청 및 접수 □ 신청방법 : 신청서 다운로드 후 이메일 제출 ㅇ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KNA) 홈페이지(www.e-kna.org) ⟶ 동향/자료 ⟶ 협회소식 ⟶ 신청서 다운로드ㆍ작성 후 이메일 제출 ㅇ 접수기간 : 공고일~ 2025년 4월 16일(수) 18:00 ㅇ 제 출 처 : 4sme@e-kna.org < 제출서류 > No. 제출서류 비고 1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신청서 별지서식 제1호 2 수출추진계획서 별지서식 제2호 3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별지서식 제3호 4 사업 참여 및 기업정보 제공·활용 동의서 별지서식 제4호 5 신청기업 서약서 별지서식 제5호 6 중소·중견기업 확인서 7 국세 & 지방세 완납증명서 8 4대보험 완납증명서 & 가입자 명부 9 사업자등록증 10 법인등기부등본 11 표준재무제표증명원 (‘22~’24년) 12 신용평가등급 확인서 13 직수출실적증명원 (’21~‘25년) 한국무역협회 발급 14 원전분야 중소중견기업 입증서류 예) 원자력분야 매출실적 증빙, 원전공기업 유자격 공급자 등록증 등 ※ 모든 파일은 반드시 PDF로 변환하여 제출되어야 하며, 제출방법 및 기한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평가대상에서 제외함 ※ 신청서가 접수 후 3일 이내 접수가 완료되었다는 연락을 받지 못한 경우, 필히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통해 접수확인 요망 4. 선정기준 및 방법 □ 평가절차 시행 계획 공고 신청 접수 적격 심사 서면평가 (수출추진 계획서 등) 현장평가 (필요시) (5.7~9) 면접평가 (수출 의지) (5.13~14) 선 정 산업부 KNA 평가위원회 산업부 ㅇ 적격심사 : 제출서류, 신청자격 등 검토, 적격/부적격 기업 판정 ㅇ 서면평가 : 수출추진계획서를 중심으로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 (평가과정에서 평가위원회는 신청기업에 개별 질의 연락할 수 있음) ㅇ 현장평가 : 서면평가 통과 기업에 한해 필요시 기업 현장실사 시행 ㅇ 면접평가 : 서면・현장평가 통과 기업에 한해, CEO의 수출의지 평가 ㅇ 최종선정 : 심의회를 통해 최종 업체선정 □ 평가기준 (세부내용 붙임 2 참조) 평가항목 세부 평가지표 배점 기술역량(45) ① 품질 경쟁력 15 ② 가격 경쟁력 10 ③ 제품 생산능력/납품능력 10 ④ 국제인증 및 표준(기술, 규격) 10 수출역량(55) 수출계획(20) ① 수출 추진계획 20 수출기반(20) ① 수출 추진경험 10 ② 수출 전담 조직 및 인력 10 ③ 수출 정책 및 관리시스템 ④ 수출 교육 및 지원 홍보역량(5) ① 해외 시장 조사/분석 능력 5 ② 해외 마케팅 및 홍보 능력 ③ 해외 네트워크 보유 기대효과(10) ① 산업역량 강화 5 ② 외화획득 / 고용창출 5 수출의지(Pass/Fail) ① CEO의 수출의지 - 총계 100 5. 기타 사항 □ 다음과 같은 사항이 확인될 경우, 선정 및 지원이 취소될 수 있음 ◦ 신청기업의 제출 자료가 허위이거나 사실과 다른 경우 ◦ 제품을 해외에서 선적하는 등 한국에서 직수출 계획이 없는 기업 ◦ 신청 제외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 사업신청 및 선정 후 공고문 등을 숙지하지 않아 발생하는 불이익 및 그에 따른 책임은 신청기업에게 있음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6. 문의처 운영/관리기관 TEL FAX 이메일 한국원전 수출산업협회 (KNA) 김금민 대리 02-6284-8743 02-3416-3951 4sme@e-kna.org 박혜리 대리 02-6284-8744 붙임 1. 원전설비 품목 예시 2.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평가기준 세부내용 서식 1.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신청서 1부 2. 수출추진계획서 1부 3.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1부 4. 사업 참여 및 기업자료 제공·활용 동의서 1부 5. 신청기업 서약서 1부. 끝. 붙임 1 원전설비 품목 예시 분류 품목명 기계/구조 ASME QME-1 성능검증 대상 밸브 가동원전 보수용 원격 용접장비 및 자동화 장비 가스켓, 패킹 격납건물 라이너플레이트 비파괴검사 장비 댐퍼(Dampers : Fire/Smoke/Control Dampers) 로빈스 V1 ROVINS(Remotely Operation Vehicle + Inspection) V1 발전소 소방설비(FP) 패키지 배관 고주파 벤딩 Spool (배관 반조립품) 배관 동적 지지대(Hydraulic Snubber) 밸브 그라파이트재질 Pressure Seal 가스켓 송풍기 (Fan, Blower) 수직 및 수중 배수펌프 (Vertical/Submergible Sump Pumps) 안전등급 밸브 (게이트밸브/나비형밸브/제어밸브 등) 압력방출밸브 (Relief Valve, Safety Valve, Safety-Relief Valve) 압력용기 액체폐기물계통 처리 (역삼투압설비) 연료 UT검사용 프로브 열교환기 튜브 검사(ECT) 장비 열교환기류 원자로 볼트 텐셔너 (SST/SDT) 원자로건물 내 연료취급설비 / 크레인 포지셔너(PLP) 등 원전용 Glove 등 valve류 유체조절기/유량제어기 제어봉구동하우징 중수로형 원전 냉각재펌프(PHTP), Mechanical Seal 증기발생기 습분분리기(SG Seperator) 지지물 차폐용기 터빈 베어링/패킹/씰 판형 열교환기 (Plate Type Heat Exchanger) 펌프 전기 In-Core Flux Detector Amplifier (ICA) Integrated Circuit Breaker Test Set LED 등기구 Underwater Facility Inspection Robot 로드센터 발전기 여자시스템 모의진단 장치(RTS-7000) 배전용 변압기 변압기 유중가스 분석장치 분전반 비상조명등, 수중등 스위치야드 고장 기록계 스위치야드 보호반 스위치야드 제어 및 모니터링 계통 스위치야드 제어반 및 계전기반 (사고 기록계 포함) 안전급/비안전급 배터리 충전기 및 전압조정 변압기 전식방지설비 계측제어 내방사선 CCTV 디지털분산제어기(DCS) 방사능감시시스템(RMS) 안전급 스마트 전송기 (압력/레벨) 안전급 온도센서 (RTD, T/C) 안전등급 나비형밸브 안전등급 온도소자 원자력 계측기 (압력계, 유량계, 온도계 등) 원전 핵증기공급계통 건전성감시계통 설비 원전용 MI Cable 및 계측기 원전용 MMIS 정보처리 솔루션 설비 원전용 계측 및 제어 전원 설비 원전용 보조공정계통 설비 원전용 신뢰성등급 DCS 원전용 신뢰성등급 붕소농도 감시 설비 원전용 안전등급 제어기 원전용 핵연료 취급설비 진동감시시스템(VMS) 초음파형식 수위스위치 및 전송기 기타 발전소 내부용 무선 페이지폰 발전소 출입구 흡입매트 원전 방사선 작업종사자 실시간 모니터링 디바이스 기반 통합관제 시스템 패키지 필터교체 자동화 로봇 (정비용) 혁신적 통합관제시스템 패키지 ※ 상기 품목 외에도 원자력 관련 설비임이 확인될 경우 참여 가능 붙임 2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평가기준 세부내용 지표 세부내용 품질 경쟁력 · 수출하고자 하는 제품과 관련해 국내 납품 이력과 지적재산권의 보유 여부, 해외시장에서의 수요, 혹은 구체적인 수요처, 국내·외 주요 경쟁사 대비 기술적 우월성 등 · 해외시장 규격에 따른 수출용 제품의 설계 및 생산 역량과 포장이나 라벨의 변경 능력,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수출허가나 상대국의 수입허가 조건 부합 여부 등 가격 경쟁력 · 가격 대비 제품의 품질/성능, 기능서비스 등 가치, 가격 유연성, 경쟁사 대비 가격 변동성, 원가 및 생산성 비교우위 지수 등 제품 생산능력 /납품능력 · 수출이 성사될 경우에 대비한 추가 생산능력 확보 여부, 수출에 따른 수요 변동이나 대량 주문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과 효율성 등 제품 생산능력과 국제 운송, 보관, 포장, 배송 등에 필요한 물류 역량과 협력 관계 구축을 통해 수출을 위한 효율적인 물류 및 납품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지의 여부 국제인증 및 표준 · ISO 인증, ASME, CE, KEPIC, 한수원 유자격 등 표준화된 절차와 요구사항 등 수출 추진계획 · 수출의 추진목적, 목표국가, 실천계획, 주요일정 등을 기술하고 제품을 수출하기 위한 제반사항, 수출을 추진함에 있어 존재하는 제약점 등 수출 추진경헝 · 과거 수출 경험 및 경험에 비추어 기업 스스로 판단한 보유역량 및 부족역량과 필요역량,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계획, 수출애로사항과 정부지원 요청사항 등 · 과거 5년내 직접수출 경험이 있더라도 목표국가가 기존 수출국가와 다르다면 참여 가능 수출 인력 /전담조직 · 국제 무역 및 관세 관련 전문지식 보유 인력 확보 여부와 수출 관련 전담조직의 유무, 기업의 총 임원 수에서 해외 학위 또는 3년 이상 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임원의 수 등 수출 정책 /관리시스템 · 수출에 필요한 신용장, 제조사 선언서, 수출 허가서, 관세 및 통관 관련 문서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준비할 수 있는 능력 혹은 시스템의 확보 여부 수출 교육/지원 · 정부/유관단체에서 실시하는 무역실무, 시장진출전략, 국제인증, FTA활용, 품목분류, 원산지검증, 공급망관리, 물류, 통관, 관세, 보험, 전략물자 수출통제 등 각종 수출 관련 교육 이수 현황 및 교육 지원내용 해외시장 조사/분석 능력 · 수출목표국가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수출목표제품의 수요, 경쟁력, 향후의 성장가능성 등에 대한 파악 능력 등 해외 마케팅/홍보 능력 · 수출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해 해외 홍보와 마케팅 전략의 구축 여부 및 실천 능력 보유 여부 해외 네트워크 보유 · 해외 거래사와의 협력관계 형성 등 수출 활동의 기반 확보 여부 산업역량 강화 · 수출 국가/품목 등의 다변화, 해외에서의 경험/지식 기반의 국내 기술력과 혁신성 향상 여부, 그 외 국내 관련 산업 전반의 역량 강화 여부 등 외화획득 /고용창출 · 수출에 따른 국가 경제나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 외화 획득의 규모, 수출로 인한 고용 창출 효과 등 CEO 수출의지 · 면접평가를 통한 CEO의 수출추진의지, 참여의지 등을 평가 · 과락지표로 Pass/Fail로 평가 서식 1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신청서 회사정보 회사명 사업자등록증과 동일 사업자등록번호 업 종 사업자등록증 내 명시 법인등록번호 설립일자 예) ‘20.8.25 홈페이지 대표자명 연락처 담당자 정보 성명 연락처 부서ㆍ직위 E-mail 영업 현황 상시 종업원수 (4대보험가입자) 2023년 2024년 2025년(현재) ( )명 ( )명 ( )명 매출액 구분 2023년 2024년 2025년(예상) 총액 ( )백만원 ( )백만원 ( )백만원 원자력 매출액 ( )백만원 ( )백만원 ( )백만원 대표 품목 품목명 (국문/영문) 상세기재 (밸브 X, 버터플라이밸브 O) HS CODE 최소 6자리까지 기입 카테고리 □ 기계 □ 계측 □ 배관 □ 전기 □ 기타( ) 수출 추진 경험 수출 이력 有 □ 독자수출 □ 간접수출 수출대상국 無 □ 독자수출 추진 □ 간접수출 추친 □ 경험 없음 외국어 자료 홈페이지 □ 영어 □ 러시아어 □ 중국어 □ 일본어 □ 기타( ) 브로셔/카탈로그 □ 영어 □ 러시아어 □ 중국어 □ 일본어 □ 기타( ) 당사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하는 「중소ㆍ중견기업 원전수출 첫걸음」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본 신청서를 제출하며, 기재사항에 허위사실이 없음을 확약합니다. 2025년 월 일 기업명 : 대표이사 : (직인)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장 귀하 서식 2 수출추진계획서 1. 기업 일반현황 업 체 명 대 표 자 설립일자 상시근로자수 명 법인(주민) 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 업 종 표준산업 분류번호 소 재 지 전화번호 본 사 공 장 (면적: ㎡) 매출액 (백만원) 2023년 2024년 2025년(예상) 기업소개 ※ 회사의 성장과정 및 현황 ※ 회사의 기술개발 및 제품 혁신 역량 2. 기업 기술역량 가. 주요 생산제품 개요 순번 제품명 연간생산량(개) 국내 시장 점유율(%) 국문 영문 2023 2024 2023 2024 2025(예상) 1 2 3 - - 나. 원자력 설비(기자재, 부품 등) 납품 이력 순번 제품명 납품이력 납품처 납품년도 납품수량(개) 1 2 3 - - 다. 회사보유 지적재산권, 기술 및 규격 인증, 논문 등 ※ 증빙자료 첨부 必 항목 인증서명 취득년월일 비고 지적재산권 기술 및 규격 인증 논문 등 라. 수출추진품목 ※ 대상 품목이 다수일 경우, 품목별 작성 품목정보 품명 (한글) HS Code (최소 6단위) (영어) 주요 기술사양 ※ 제품의 구체적인 사양 및 성능(제품 사진 첨부) ※ 제품 기술소개서(카탈로그) 등이 있는 경우 별도 제출 요망 생산능력 ※ 현재 설비 기준 생산가능 수량 ※ 추가 생산능력 확보 가능여부 연간판매량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예상) 판매량(개) 점유율(%) 지적재산권 ※ 국내·외 지적재산권 출원 및 등록 현황 기술 및 규격인증 ※ ISO, ASME Code 등 기술 및 규격인증 현황(인증서명, 유효기간, 취득일) 기타 특장점 ※ 경쟁기술(제품, 서비스)와 차별화된 요소 ※ 경쟁기술에 비하여 우월한 부분 ※ 물류 및 납품체계 역량 3. 수출 추진계획 ※ 대상 품목이 다수일 경우, 품목별 작성 항목 내용 수출추진계획 ※ 수출추진을 위한 앞으로의 구체적인 계획 및 주요 일정 ※ 수출추진을 위해 활용하고자 하는 지원사업 ※ 수출추진시장 진출에 있어 예상되는 애로사항과 해소방안 ※ 수출추진을 위한 자체 계획(안)이 있는 경우 별도 추가 제출 - 해당 지원사업 신청과 별개로, 기업이 보유한 기존 자료 등 수출추진시장 국가 ※ 기본적으로 국가를 서술하되, 미국/중국의 경우 가급적 주, 성(城) 단위까지 기술 선정 사유 ※ 가능한 경우 구체적인 해외수요와 수요처 기입 ※ 수출추진시장 및 목표 고객군 선정사유 경쟁품/경쟁사 ※ 대표적 경쟁제품 및 경쟁사에 대한 분석과 차별화 전략 경쟁제품 대비 자체평가 품질경쟁력 ※ 수출추진시 경쟁해야 하는 대표적 제품 대비 및 기술적 우월성 등 가격경쟁력 ※ 경쟁상품 대비 제품의 품질과 성능, 가격 유연성, 경쟁사 대비 원가 및 생산성 비교우위 등 예상 수출량 예상 수출년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수량(개) 금액(USD) 독자 수출추진 경험 ※ 직접수출(한전·한수원 등에 납품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수출하는 경우를 일컫음) 추진경험과 실패 사유 ※ 실패 경험에서 얻은 교훈 혹은 함의 4. 수출기반역량 항목 내용 조직역량 ※ 수출 관련 보유인력 및 전담조직 유무 ※ 수출추진을 위한 인력 투입 계획 ※ 수출 업무 이행을 위한 기업 내 인프라 현황 ※ 정부/유관단체가 실시하는 수출/무역 교육 이수 현황 홍보역량 ※ 수출추진을 위한 해외 홍보 및 마케팅 역량 ※ 수출추진시장 및 목표고객군에 대한 조사·분석 역량 ※ 제품의 품질 및 가격 경쟁력, 향후 성장 가능성에 대한 조사 ·분석 역량 ※ 해외 네트워크 보유 여부 재무역량 (수출관련) ※ 수출추진 관련 자금 조달 능력 ※ 수출 관련 자금 투입 능력 5. 수출 기대효과 수출 기대효과 ※ 수출이 당사 및 국내 관련 산업 전반에 미치는 기술 혁신 등 산업 역량 강화 측면에서의 기여도 ※ 수출에 따른 기업/지역/국가에 미치는 경제효과 및 고용창출 기여도 ※ 핵심제품 수출로 파생되는 국제관계 강화 효과 및 국가 이미지 제고 기여도 서식 3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목적 개인정보취급방침을 통하여 기업에서 제공하는 개인정보는 신청하신 사업 수행의 용도에만 사용되며, 개인정보 제공자가 동의한 내용 외의 다른 목적으로 수집된 개인정보를 활용하지 않습니다. 2. 개인정보 수집항목 담당자 성명, 연락처, 휴대폰번호, 이메일주소, 기업정보 등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5년 (5년이 지난 개인정보는 폐기됩니다.) 4.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수집된 개인정보는 본 사업 수행업무 참고용으로 유관기관에 제공될 수 있습니다. 5. 동의 거부 시 불 이익 위에 명시된 개인정보의 수집·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경우, 본 사업 참여에 제한될 수 있습니다. 6. 정보 주체의 권리 개인정보 제공자가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에 제공된 개인정보의 이용을 거부하고자 할 때에는 개인정보보호책임자를 통해 열람, 정정 및 삭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 □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 개인정보 이용 동의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 개인정보 제3자 제공 동의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 「개인정보보호법」등 관련 법률에 의거하여 본인은 위와 같이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및 제3자 제공에 동의합니다. 2025 년 월 일 성명 : (서명)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장 귀하 서식 4 사업 참여 및 기업자료 제공·활용 동의서 동 의 서 기 업 명 : 사업자등록번호 : ○ 위 당사는 「중소·중견기업 원전수출 첫걸음 지원사업」의 사업내용에 동의하고, 본사업의 심의를 위해 채무불이행, 수출실적 확인 등을 위한 기업정보 이용, 조회, 제공에 동의합니다. ○ 위 당사는 「중소·중견기업 원전수출 첫걸음 지원사업」의 사업 관련 협약의 제반사항을 준수하면서 참여기업으로서 목적 달성을 위해 사업수행에 성실히 임할 것임에 동의합니다. ○ 위 당사는 지원사업 주관기관의 사업진행 현황 파악을 위한 중간점검 및 기타 자료 제출 요청에 적극 협조할 것이며 사업 종료이후 5년간 사업의 성과에 관련된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고 활용하는데 동의합니다. 2025 년 월 일 대표(이사) (인)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장 귀하 서식 5 신청기업 서약서 서 약 서 기 업 명 : 사업자등록번호 : 위 당사는 「중소·중견기업 원전수출 첫걸음 지원사업」에 참여함에 있어 신청자격에 부합하며 제출한 모든 서류와 증빙자료는 신의와 성실의 원칙에 입각하여 작성 하였습니다. 만일 제출한 서류 및 증빙자료가 부정한 방법으로 작성되었거나 허위로 기재한 사항 등이 확인 될 경우 이후여하를 막론하고 관계 법령 및 지침에 따라 책임질 것이며, 보조금 환수, 참여제한 등과 같은 제재 조치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임을 확약하고 이에 서약서를 제출합니다. 2025 년 월 일 대표(이사) (인)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장 귀하

      닫기
더보기

예산·법령 ( 118 건)

더보기

민원참여( 0 건)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

직원검색 ( 0 건)

직원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테이블 입니다
이름 직위 부서 전화번호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

소개( 1 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