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통합검색

🥂𝟬𝟭𝟬.𝟮𝟲𝟱𝟱.𝟱𝟴𝟴𝟮🥂‎🍷강남 트렌드 강남트렌드🥂𝟬𝟭𝟬.𝟮𝟲𝟱𝟱.𝟱𝟴𝟴𝟮🥂🍷강남 트렌드 강남트렌드🍷강남 트렌드 강남트렌드🍷강남 트렌드 강남트렌드’에 대한 검색결과 377 건 입니다

알림·뉴스 ( 173 건)

  • 2024코리아세일페스타 할인을 시작합니다 2024-11-01

    2024코리아세일페스타 할인을 시작합니다 - 공식 일정은 11.9~30일까지 22일간 추진, 11.8일까지 참가 접수 - 자동차·가전 등 일부 업종 11.1일부터 자율적으로 할인 행사 착수 - 생필품·내구소비재·문화·레저는 높은 할인율로 소비심리 회복 추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국가대표 쇼핑축제 2024 코리아세일페스타」가 11월 9일(토)부터 30일(토)까지 22일간 공식 개최되며, 자동차·가전 등 일부 업종은 공식 개막에 앞서 11월 1일(금)부터 코세페 할인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수출의 온기를 내수경제 활성화로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참고자료

    • 1031(1석간)유통물류과, 2024코리아세일페스타 할인을 시작합니다(수정).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11. 1.(금) 06:00 < 11.1.(금) 석간 > 배포 2024. 10. 31.(목) 2024코리아세일페스타 할인을 시작합니다 - 공식 일정은 11.9~30일까지 22일간 추진, 11.8일까지 참가 접수 - 자동차·가전 등 일부 업종 11.1일부터 자율적으로 할인 행사 착수 - 생필품·내구소비재·문화·레저는 높은 할인율로 소비심리 회복 추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국가대표 쇼핑축제 2024 코리아세일 페스타」가 11월 9일(토)부터 30일(토)까지 22일간 공식 개최되며, 자동차· 가전 등 일부 업종은 공식 개막에 앞서 11월 1일(금)부터 코세페 할인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수출의 온기를 내수경제 활성화로 이어 질 수 있도록 수출 호조세인 자동차·가전 등 내구소비재를 중심으로 할인폭을 확대하고 문화·레저 분야의 할인도 실시한다. 금년에는 역대 최대규모인 2,600개사 이상*의 유통·제조·서비스 기업이 ▲생필품(식품·패션·의류·완구·생활용품), ▲내구소비재(자동차(11.1~)·가전 (11.1~)·타이어), ▲문화·레저(숙박·놀이공원·학습지·외식업·영화관) 등 다수 품목에서 높은 할인율로 위축된 소비심리 회복에 나선다. * 10.31 기준 참가신청 기업수 2,515개사 (전년 + 89개, 유통 1,351개, 제조 1,093개, 서비스 71개) 또한, 이색할인으로 ▲편의점 코세페 국가대표 도시락(11.1~), ▲식음료 8개사 ×네이버 타임딜, ▲우체국쇼핑 팔도마켓, ▲지자체의 e-몰 코세페 특가전 등이 준비되어 있으며,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코세페 장바구니, ▲온라인 플랫폼의 중소기업 상생기획展, ▲코세페 키비주얼 배포 등이 준비 되어 있다. 이외에 방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코리아듀티프리페스타 (관세청, 11.9~30)도 함께 개최된다. 코세페 개막식은 11월 8일에 명동에서 거리행사로 진행된다. 홍보모델인 이상화 선수, 유통업계 관계자 및 정부인사 등 100여명이 참석하여 코세페 선물박스 증정 퍼포먼스, 공연, 경품 이벤트(LG스탠바이미GO, 삼성 갤럭시 워치7, 코세페 장바구니 배포) 등으로 코세페의 공식 시작을 선포할 예정 이다. - 2 - [생필품 할인] 온·오프라인 유통업계는 2024 코리아세일페스타 기간에 위축된 소비심리 회복을 위해 식품, 패션·의류, 주방·생활용품 등 생필품 분야 대규모 할인행사를 추진하여 생활물가 안정에 나선다. 또한 11월 초부터 해외 할인행사 (광군제, 블랙프라이데이 등)에 대응하여 전사적으로 할인행사*를 추진 중이다. * 신세계 쓱데이(11.1~10, 주요 계열사), 롯데 땡큐절(10.31~11.13, 롯데마트), 슈퍼 엘데이(10.28~11.6, 롯데百 온라인몰) 등 대형마트·준대규모점포 등은 코세페 기간 중 고물가 식품군(딸기·귤 등 제철 과일채소류), 겨울시즌 상품(방한복, 내의 등)을 중심으로 할인판매하고, 김장철을 맞아 김장재료(배추·무, 쪽파·마늘 등 부재료)를 집중 할인한다. 백화점은 겨울 정기세일(11.15~12.1, 업계공통) 外 다수 할인·사은행사와 더불어 인기식품관 특가전, 팝업매장, 문화 이벤트 등을 준비해 쇼핑과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복합공간을 준비 중이다. 대형마트 ▸홈플러스(11월 한달 내내 주말특가, 간편식 할인 등) ▸이마트(식비 안정 위해 겨울 인기 간편식 할인 등) ▸롯데마트(산지 직송 초겨울 먹거리 첫선, 아동 방한복 할인 등) ▸하나로마트(통배추, 무, 양파·쪽파·마늘 등 김장 부재료 집중 판매) SSM ▸GS THE FRESH ▸롯데슈퍼 ▸이마트everyday▸홈플러스express 백화점 ※ 코세페 기간 중 정기세일(11.15∼12.1, 업계공통) 外 패션그룹 초대전(삼성 물산, 아이디룩, LF 등), 화장품, 겨울 아우터·침구류 등 다수 행사 추진 ▸롯데百 ❶수퍼엘데이(10.28~11.6, 온라인 기획전) ❷아우터 페어(10.17~11.27, 全점) ❸크리스마스 마켓(잠실 11.20~/수원 11.28~) 등 다수 ▸신세계百 ❶쓱데이(11.1~10, 전사적 할인), ❷아케인 체험형 팝업(11.8~17, 강남점) ❸크리스마스 팝업(11.1~12.25, 강남점) 등 다수 ▸현대百 ❶코세페 Black Week(11.22~24, 다양한 사은행사 및 초특가 행사 집중) ❷크리스마스 마켓(11.1~, 더현대서울 등 全점, 다양한 볼거리, PB상품 판매) 등 ▸AK PLAZA AK멤버스 페스티벌(11.7~21, 회원 대상 최대 15% 사은행사) 등 다수 ▸갤러리아 갤러리아몰 할인전(11.22~30, 온라인몰 할인, 겨울정기세일+코세페) 등 다수 - 3 - 온라인 플랫폼은 입점 판매자 대상 할인쿠폰 확대 발급, 라이브커머스 제작 등을 추진하여 판매제품의 추가할인 등을 지원한다. 올해는 소비자의 인기를 끄는 가구·인테리어, 식품, 배달 분야 버티컬플랫폼(특정분야 전문몰)이 코세페에 신규 참여하여 소비자의 이목을 끌 예정이다. [자동차, 가전, 타이어 등 내구소비재] 자동차·가전업계는 코세페를 기다려 구매하는 소비자의 기대에 맞춰 전년보다 많은 차종과 품목, 높은 할인율로 행사를 진행한다. 특히, 내수 판매가 부진한 자동차 업계는 국민차종, 친환경차 등을 중심으로 높은 할인에 나섰다. 현대차는 ’23년보다 할인차종을 확대(24종)하고 할인율을 크게 높였다. ’24년에 확대된 코세페 할인차종은 쏘나타(최대 200만원), 싼타페(최대 200만원) 등이며 연중 최대 할인폭을 선보인다. 또한 포터EV(최대 500만원), 코나EV(최대 400만원), 파비스(최대 1,000만원) 등은 ’23년 코세페 할인보다 할인폭을 더 높였다. 기아도 할인차종을 확대(8종)하고 ’24년 신규 코세페 할인차종으로 니로 HEV(최대 3%), K8 HEV(최대 7%) 등 친환경차를 판매한다. 특히, 현대· 기아차는 자영업자의 주력차종인 포터, 봉고 등을 크게 할인하여 소상공인 지원에 나선다. 한국지엠(5종)은 주력차종인 트래버스, 타호 등을 ’23년보다 더 높은 할인율(최대 15%)로 판매한다. 르노코리아(3종), KG모빌리티도 코세페 할인에 참가한다. 온라인 ▸SSG.COM(중소기업·소상공인 우수상품 선정 및 할인쿠폰 제공) ▸G마켓(할인쿠폰 발급, 라이브커머스 제작 등 입점사 지원) ▸롯데쇼핑e커머스(❶小中한마켓 ❷롯데온세상×코세페 할인, 11.11~17) ▸11번가(그랜드십일절 연계 코세페 할인 추진) ▸쿠팡(코세페 배너 운영 및 관련 상품 노출) ▸네이버(❶중기지원 상생마켓, ❷식음료 8개사 타임딜 등) ▸Hmall, 공영쇼핑몰(小中한마켓) 외 다수 온라인 신규참여 ▸오늘의집(가전·인테리어 분야 코세페 기획전) ▸마켓컬리(「라이프&패션 특가전(11.18~12.2)」 ❶시즌아이템(겨울이불, 후리스) ❷데일리아이템(섬유유연제, 바디워시 등) ▸배달의민족(11.25~12.1, 입점 중소상공인 배달수수료 할인 이벤트) - 4 - 삼성전자, LG전자 등 가전 업계는 TV, 냉장고, 세탁기, 모바일 기기, 오디오, 조리기기, 청소기 등 다양한 품목에서 할인에 나선다. 삼성전자는 총 15개 품목, LG전자는 총 12개 품목을 대상으로 하며, 품목당 할인율이 전년보다 크게 높아졌다. 또한 다품목 구매시 우대정책도 진행하여 신혼 가전, 이사가전 구매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외에 금호, 넥센 등 타이어 업계는 공식 홈페이지 구매 할인 이벤트를 확대 진행한다. [문화·레저] 작년 영화관 3사의 참여에 이어 올해는 한화리조트·대명소노펠리체 등 숙박업계, 롯데월드 등 놀이공원, 교원·윙크 등 학습지 업계가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외식업계의 참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코세페 외연확대는 가족단위의 외부활동 소비증가와 연관 소비(외식, 명승지 구경, 선물구매 등)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차 ▸현대차 총24종 할인, 국민차종 중심 연중최대 할인 (쏘나타, 싼타페, 코나EV, 포터(내연,EV) 등) ▸기아차 총8종 할인, 친환경차 중심(니로 HEV, K8 HEV, 봉고(내연,EV) 등) ▸한국지엠 트래버스·타호 등 5개 차종, 최대 15% 할인 + 3% 추가 ▸르노코리아 3개 차종(Arkana하이브리드, QM6, SM6) ▸KG모빌리티 별도확인 (*자세한 할인 차종 및 할인조건은 각사 문의) 가전 ▸삼성전자 총15개 품목 할인, 누적구매시 최대 559만 포인트 제공 ▸LG전자 총12개 품목 할인, 누적구매시 최대 520만 캐시백 제공 타이어 ▸금호타이어, 넥센타이어 2개사, 온라인 구매시 할인 (11.9 공개) 숙박 ▸한화리조트 리조트 9곳, 호텔 3곳 등, 숙박할인·조식제공 판매기간(11.9~30) 사용기간(~’25.1월) ▸대명·소노펠리체 전국 15개 지점, 온라인 최저가 대비 20% 할인 (예시) 소노문 단양 3인(객실+조식) 178천원 → 143천원 놀이공원 ▸롯데월드 어드벤처(잠실·부산), 아쿠아리움, 서울스카이, 워터파크 김해 등 /2~4인권 최대 56.5% 할인/ 판매기간(11.9~23) 사용기간(11.9~12.8) 학습지 ▸윙크 추첨으로 1년 무료 학습권 제공 등 ▸교원 아이캔두·도요새 빨간펜 구매시 할인 혜택 영화관 ▸CGV‧메가박스‧롯데시네마 영화+콤보 3,000원 할인 외식업 ▸베스킨라빈스, 텐센트커피, 고피자, 자담치킨, 샐러디, 얌샘김밥 등 - 5 - [코세페 이색할인] ❶ [편의점 국가대표 도시락(11.1~)] 바쁜 직장인과 주머니가 가벼운 학생이 주로 찾는 4,000~6,000원 사이의 가성비 상품으로, 편의점 5개사는 「코세페 국가대표 도시락」을 출시하여 구매 후 QR코드 스캔시 경품 증정 이벤트 등을 추진한다. 이외에 빼빼로데이 할인, 편의점 이색상품인 주류 할인 및 다양한 품목에 N+M 할인* 등이 준비되어 있다. * 1+1, 2+1 등 편의점 대표 할인방식 편의점 코세페 국가대표 도시락 ▸CU 도시락 2종에 코세페 스티커 부착, (행사 제품 가격 할인 : 30%) ▸GS25 도시락 5종에 코세페 스티커 부착 * 표어 : “코세페 도시락 먹고 코리아 여행가자!!” ▸세븐일레븐 도시락 3종에 코세페 스티커 부착 * 표어 : “세븐 APP 적립하면 아이폰부터 시그니엘 숙박권 선물까지!!” ▸이마트24 도시락 전상품 구매 후 APP 응모 시 이마트24 쿠폰 증정 ▸CSPACE24 도시락 1종 대상, 컵라면(진라면 소컵) 무료 증정 ❷ [식음료 특가전] 식음료 업계(8개사)는 최초로 공동기획을 추진하여 네이버와 타임딜을 진행한다. 즉석밥, 음료수, 과자, 라면, 식용유 등 대표 식음료가 매일 한정수량으로 판매되어 소비자의 이목을 끌 예정이다. 구매를 희망하는 사람은 네이버 검색창에 “네이버코세페”로 검색*하면 된다. * “네이버코세페”로 검색하면 특별행사장 배너가 생성 식음료 (8개사) × 네이버 ▸CJ제일제당(햇반, 식용유 등) ▸동서식품(카누 캡슐커피) ▸롯데웰푸드(호빵, 몽쉘 등) ▸코카콜라 (코카콜라 등) ▸농심(신라면, 카프리선 등) ▸웅진식품(초록매실 등) ▸롯데칠성(펩시콜라, 사이다 등) ▸동아오츠카(포카리스웨트, 생수 등) ❸ [우체국쇼핑 팔도마켓(11.11~)] 우체국쇼핑 팔도마켓은 코세페 기간에 맞춰 별도 예산을 편성하여 「팔도특산물 더블 할인」을 추진한다. 참여기업 자체 할인에 우체국쇼핑 할인이 더해져 평소보다 저렴하게 팔도특산물이 판매된다. 팔도마켓 ▸강원 춘천 수제 닭갈비 등 ▸충청 대천조미김 등 ▸경남 건나물 세트 등 ▸전남 수산물(꽃새우, 다시마) 세트 등 ▸경기 황잣·백잣 기획 세트 등 ▸경북 안동소주 21도·40도 세트 등 ▸전북 현미·찰보리 잡곡 세트 등 ▸제주 옥돔·갈치 세트 등 - 6 - ❹ [지자체 e-몰] 지자체도 코세페 기간에 맞춰 e몰 특판전(31개)을 추진 하여 지역특산물과 소상공인 판촉을 지원한다. 강원곶간·칠갑마루 쇼핑몰·e 홍성장터 등의 「김장철 맞이 김장용품 할인전」, 인천e몰의 참여기업 제품 최대 80% 할인, 청주On시장(전통시장 모바일 마켓)의 무료 장보기 배달 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중기/소상공인 판촉 지원] ❶ [코세페 장바구니] 작년부터 대형 사이즈로 제작된 코세페 장바구니는 참여기업과 소비자의 호응이 좋아, 올해도 전통시장과 동네 슈퍼를 대상으로 83,000장을 제작·배포*하여 지역주민의 골목상권 방문을 유도한다. * 전국 전통시장 916개소, 동네슈퍼 299개소 배포 ❷ [e플랫폼-中企·소상공인 상생] 주요 온라인 플랫폼은 우수제품을 선정하여 中企·소상공인 전용관(상생마켓·小中한마켓)*을 개설하여 판촉을 지원한다. 코세페 참여 중소기업 등은 코세페 홈페이지, SNS 채널 외에도 온라인플랫폼의 코세페 전용관에서 판매가 가능하다. * 상생마켓(네이버) 小中한마켓(롯데온·Hmall·공영쇼핑몰) ❸ [코세페 키비주얼] 비용 부담으로 유명인을 홍보모델로 활용하지 못하는 中企·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이상화 선수의 모습 등이 담긴 코세페 키비주얼*과 사용 가이드가 무료로 배포되며, 참여기업은 키비주얼에 자사 제품을 담는 방식 등으로 제품홍보에 나설 수 있다. * 소비자의 눈길을 끄는 홍보물로 이상화 선수의 모습이 담긴 모델형 8종, 문자형 10종 등 총 18종 배포 [코리아듀티프리페스타] 訪韓 관광객 증가에 따라 작년부터 코듀페(Korea Duty-Free Festa)*의 하반기 개최는 코세페와 같은 기간에 맞춰 진행된다. 유명쇼핑몰을 관광 코스에 포함하는 요즘 관광트렌드에 따라 면세점 업계와 인기 관광상품인 화장품 업계가 중심이 되어 訪韓 관광객 대상 코세페 홍보와 판촉을 강화한다. * 상·하반기 2회 개최, 면세점 13개사 및 아모레퍼시픽 등 참여 - 7 - [참여기업과 할인내용 확인] 참여기업과 할인내용(품목, 할인율, 사은행사 등 프로모션)은 코세페 공식 홈페이지(koreasalefesta.co.kr)에서 확인가능하다. 다만, 참여기업별 세부 적인 할인내용은 기업이 정한 시점부터 공개되며, 참여기업의 여러 온·오프 라인 홍보물*을 통해 구체적인 할인행사 내용 확인이 가능하다. 참여 접수는 11월 8일까지 코세페 공식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 신문지면, 인터넷 포털 광고, 오프라인 매장의 벽면광고, 카탈로그, 전단지 광고, 문자·SNS 알림 등 담당 부서 중견기업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정기 (044-203-4380) 유통물류과 담당자 사무관 서민경 (044-203-4385) - 8 - < 지자체 e-몰 코세페 특별할인 및 지역행사(11월) > 구분 주요 행사(안) 지자체 지역 구분 주요내용 및 기간 품목/내용 경기 · (지역행사) 광명세일페스타(~11.30) 소상공인 상품 강원 · (e-몰) 강원더몰 특별할인전(11월) 못난이 상품 기획전 강원곳간 김장철 기획전(11월) 절임품목, 김장용품 · (지역행사) 강원상품권 경품행사(11.1~30) 소상공인 상품 충북 · (e-몰) 청주몰(11.12~28) 소상공인 라이브커머스 청주온시장(11.1~30, 전통시장 6개소) 모바일 전통시장 청주페이플러스샵(11.1~30) 소상공인 상품 온라인판매 청원생명쇼핑몰(11.1~30) 청원생명쌀, 전통주 등 충주씨샵(11.9~30) 농산물(10%할인) 진천몰(11.9~30) 농산물(8%할인) 음성장터(11.1~25) 농산물(최대30%할인) 충남 · (e-몰) e홍성장터(11.1~30) 김장 칠갑마루쇼핑몰(11.1~30)) 절임배추 충남농사랑쇼핑몰(11.1~25)) 농사랑 전상품 · (지역행사) 희망드림판매전(11.8~11.10) 현장행사 경북 · (e-몰) 사이소 특별전 소상공인 상품 공공배달앱(먹깨비) 할인소비전 배달 서비스 · (지역행사) 전통시장 소비진작(울진 바지게시장(11.2)) 전통시장 상품 전통시장 소비진작(경주 성동시장(11.8)) 전통시장 상품 경남 · (e-몰) e경남몰 세일페스타(11.9~30) 소상공인 소상공인온라인 기획전(11.9~30) 롯데쇼핑 온라인판매 산엔청쇼핑몰(11.9~30) 농축수임산물, 가공식품 김해온몰(11.9~30) 농축수임산물, 가공식품 · (지역행사) 산청군 직거래장터 농축수임산물, 가공식품 전북 · (e-몰) 무주 농산물 특화마켓 농산물 무주 반딧불 나이트마켓(11.2~3) 야시장 · (지역행사) 무주라움페스타 지역행사 전남 · (e-몰) 영암몰 할인전(11.9~30) 햅쌀, 김치 등 제주 · (e-몰) e제주물 탐나는 특별할인전 제주 특산물 · (지역행사) 누웨마루문화축제(미정) 골목상권 골목에서쇼핑하기(6월~예산소진시) 골목상권 부산 · (지역행사) 국제수산EXPO(11.6~8) 수산물 동백상회 할인행사(11월) 40개사(20~30%할인) 영호남 전통시장 박람회(11.8~10) 부산·전남 전통시장 우수상품 대구 · (e-몰) 다채몰(11.9~30) 패션, 가구, 스포츠, 가전 쉬메릭몰(11.9~30) 의류, 잡화 약령몰(11.9~30) 식품, 화장품, 약재 등 소담스퀘어(11.9~30) 디지털커머스 제작지원 · (지역행사) ‘힘내라 대구’(11.1~30) 전통시장·소상공인 특판전 인천 · (e-몰) 인천e몰 코세페 특가전(11.9~30) 의류, 침구, 캠핑용품 등 광주 · (e-몰) 광주기획전(11.9~30)(11번가 등 5개 온라인몰) 김치, 밀키트, 떡갈비, 음료 등 대전 · (e-몰) 대전사랑몰(할인쿠폰 추가발행) 소상공인 상품 울산 · (e-몰) 울산몰(11월) 할인쿠폰, 반값행사 울산페달(11월) 할인쿠폰, SNS댓글이벤트 세종 · (지역행사) 세종축제, 소상공인의날 행사 등 연계 홍보 -

      닫기
    • 1031(1석간)유통물류과, 2024코리아세일페스타 할인을 시작합니다(수정).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11. 1.(금) 06:00 < 11.1.(금) 석간 > 배포 2024. 10. 31.(목) 2024코리아세일페스타 할인을 시작합니다 - 공식 일정은 11.9~30일까지 22일간 추진, 11.8일까지 참가 접수 - 자동차·가전 등 일부 업종 11.1일부터 자율적으로 할인 행사 착수 - 생필품·내구소비재·문화·레저는 높은 할인율로 소비심리 회복 추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국가대표 쇼핑축제 2024 코리아세일페스타」가 11월 9일(토)부터 30일(토)까지 22일간 공식 개최되며, 자동차·가전 등 일부 업종은 공식 개막에 앞서 11월 1일(금)부터 코세페 할인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수출의 온기를 내수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수출 호조세인 자동차·가전 등 내구소비재를 중심으로 할인폭을 확대하고 문화·레저 분야의 할인도 실시한다. 금년에는 역대 최대규모인 2,600개사 이상*의 유통·제조·서비스 기업이 ▲생필품(식품·패션·의류·완구·생활용품), ▲내구소비재(자동차(11.1~)·가전(11.1~)·타이어), ▲문화·레저(숙박·놀이공원·학습지·외식업·영화관) 등 다수 품목에서 높은 할인율로 위축된 소비심리 회복에 나선다. * 10.31 기준 참가신청 기업수 2,515개사 (전년 + 89개, 유통 1,351개, 제조 1,093개, 서비스 71개) 또한, 이색할인으로 ▲편의점 코세페 국가대표 도시락(11.1~), ▲식음료 8개사×네이버 타임딜, ▲우체국쇼핑 팔도마켓, ▲지자체의 e-몰 코세페 특가전 등이 준비되어 있으며,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코세페 장바구니, ▲온라인 플랫폼의 중소기업 상생기획展, ▲코세페 키비주얼 배포 등이 준비되어 있다. 이외에 방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코리아듀티프리페스타(관세청, 11.9~30)도 함께 개최된다. 코세페 개막식은 11월 8일에 명동에서 거리행사로 진행된다. 홍보모델인 이상화 선수, 유통업계 관계자 및 정부인사 등 100여명이 참석하여 코세페 선물박스 증정 퍼포먼스, 공연, 경품 이벤트(LG스탠바이미GO, 삼성 갤럭시 워치7, 코세페 장바구니 배포) 등으로 코세페의 공식 시작을 선포할 예정이다. [생필품 할인] 온·오프라인 유통업계는 2024 코리아세일페스타 기간에 위축된 소비심리 회복을 위해 식품, 패션·의류, 주방·생활용품 등 생필품 분야 대규모 할인행사를 추진하여 생활물가 안정에 나선다. 또한 11월 초부터 해외 할인행사(광군제, 블랙프라이데이 등)에 대응하여 전사적으로 할인행사*를 추진 중이다. * 신세계 쓱데이(11.1~10, 주요 계열사), 롯데 땡큐절(10.31~11.13, 롯데마트), 슈퍼엘데이(10.28~11.6, 롯데百 온라인몰) 등 대형마트·준대규모점포 등은 코세페 기간 중 고물가 식품군(딸기·귤 등 제철 과일채소류), 겨울시즌 상품(방한복, 내의 등)을 중심으로 할인판매하고, 김장철을 맞아 김장재료(배추·무, 쪽파·마늘 등 부재료)를 집중 할인한다. 백화점은 겨울 정기세일(11.15~12.1, 업계공통) 外 다수 할인·사은행사와 더불어 인기식품관 특가전, 팝업매장, 문화 이벤트 등을 준비해 쇼핑과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복합공간을 준비 중이다. 대형마트 ▸홈플러스(11월 한달 내내 주말특가, 간편식 할인 등) ▸이마트(식비 안정 위해 겨울 인기 간편식 할인 등) ▸롯데마트(산지 직송 초겨울 먹거리 첫선, 아동 방한복 할인 등) ▸하나로마트(통배추, 무, 양파·쪽파·마늘 등 김장 부재료 집중 판매) SSM ▸GS THE FRESH ▸롯데슈퍼 ▸이마트everyday▸홈플러스express 백화점 ※ 코세페 기간 중 정기세일(11.15∼12.1, 업계공통) 外 패션그룹 초대전(삼성물산, 아이디룩, LF 등), 화장품, 겨울 아우터·침구류 등 다수 행사 추진 ▸롯데百 ❶수퍼엘데이(10.28~11.6, 온라인 기획전) ❷아우터 페어(10.17~11.27, 全점) ❸크리스마스 마켓(잠실 11.20~/수원 11.28~) 등 다수 ▸신세계百 ❶쓱데이(11.1~10, 전사적 할인), ❷아케인 체험형 팝업(11.8~17, 강남점) ❸크리스마스 팝업(11.1~12.25, 강남점) 등 다수 ▸현대百 ❶코세페 Black Week(11.22~24, 다양한 사은행사 및 초특가 행사 집중) ❷크리스마스 마켓(11.1~, 더현대서울 등 全점, 다양한 볼거리, PB상품 판매) 등 ▸AK PLAZA AK멤버스 페스티벌(11.7~21, 회원 대상 최대 15% 사은행사) 등 다수 ▸갤러리아 갤러리아몰 할인전(11.22~30, 온라인몰 할인, 겨울정기세일+코세페) 등 다수 온라인 플랫폼은 입점 판매자 대상 할인쿠폰 확대 발급, 라이브커머스 제작 등을 추진하여 판매제품의 추가할인 등을 지원한다. 올해는 소비자의 인기를 끄는 가구·인테리어, 식품, 배달 분야 버티컬플랫폼(특정분야 전문몰)이 코세페에 신규 참여하여 소비자의 이목을 끌 예정이다. 온라인 ▸SSG.COM(중소기업·소상공인 우수상품 선정 및 할인쿠폰 제공) ▸G마켓(할인쿠폰 발급, 라이브커머스 제작 등 입점사 지원) ▸롯데쇼핑e커머스(❶小中한마켓 ❷롯데온세상×코세페 할인, 11.11~17) ▸11번가(그랜드십일절 연계 코세페 할인 추진) ▸쿠팡(코세페 배너 운영 및 관련 상품 노출) ▸네이버(❶중기지원 상생마켓, ❷식음료 8개사 타임딜 등) ▸Hmall, 공영쇼핑몰(小中한마켓) 외 다수 온라인 신규참여 ▸오늘의집(가전·인테리어 분야 코세페 기획전) ▸마켓컬리(「라이프&패션 특가전(11.18~12.2)」 ❶시즌아이템(겨울이불, 후리스) ❷데일리아이템(섬유유연제, 바디워시 등) ▸배달의민족(11.25~12.1, 입점 중소상공인 배달수수료 할인 이벤트) [자동차, 가전, 타이어 등 내구소비재] 자동차·가전업계는 코세페를 기다려 구매하는 소비자의 기대에 맞춰 전년보다 많은 차종과 품목, 높은 할인율로 행사를 진행한다. 특히, 내수판매가 부진한 자동차 업계는 국민차종, 친환경차 등을 중심으로 높은 할인에 나섰다. 현대차는 ’23년보다 할인차종을 확대(24종)하고 할인율을 크게 높였다. ’24년에 확대된 코세페 할인차종은 쏘나타(최대 200만원), 싼타페(최대 200만원) 등이며 연중 최대 할인폭을 선보인다. 또한 포터EV(최대 500만원), 코나EV(최대 400만원), 파비스(최대 1,000만원) 등은 ’23년 코세페 할인보다 할인폭을 더 높였다. 기아도 할인차종을 확대(8종)하고 ’24년 신규 코세페 할인차종으로 니로 HEV(최대 3%), K8 HEV(최대 7%) 등 친환경차를 판매한다. 특히, 현대·기아차는 자영업자의 주력차종인 포터, 봉고 등을 크게 할인하여 소상공인 지원에 나선다. 한국지엠(5종)은 주력차종인 트래버스, 타호 등을 ’23년보다 더 높은 할인율(최대 15%)로 판매한다. 르노코리아(3종), KG모빌리티도 코세페 할인에 참가한다. 자동차 ▸현대차 총24종 할인, 국민차종 중심 연중최대 할인 (쏘나타, 싼타페, 코나EV, 포터(내연,EV) 등) ▸기아차 총8종 할인, 친환경차 중심(니로 HEV, K8 HEV, 봉고(내연,EV) 등) ▸한국지엠 트래버스·타호 등 5개 차종, 최대 15% 할인 + 3% 추가 ▸르노코리아 3개 차종(Arkana하이브리드, QM6, SM6) ▸KG모빌리티 별도확인 (*자세한 할인 차종 및 할인조건은 각사 문의) 삼성전자, LG전자 등 가전 업계는 TV, 냉장고, 세탁기, 모바일 기기, 오디오, 조리기기, 청소기 등 다양한 품목에서 할인에 나선다. 삼성전자는 총 15개 품목, LG전자는 총 12개 품목을 대상으로 하며, 품목당 할인율이 전년보다 크게 높아졌다. 또한 다품목 구매시 우대정책도 진행하여 신혼가전, 이사가전 구매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외에 금호, 넥센 등 타이어 업계는 공식 홈페이지 구매 할인 이벤트를 확대 진행한다. 가전 ▸삼성전자 총15개 품목 할인, 누적구매시 최대 559만 포인트 제공 ▸LG전자 총12개 품목 할인, 누적구매시 최대 520만 캐시백 제공 타이어 ▸금호타이어, 넥센타이어 2개사, 온라인 구매시 할인 (11.9 공개) [문화·레저] 작년 영화관 3사의 참여에 이어 올해는 한화리조트·대명소노펠리체 등 숙박업계, 롯데월드 등 놀이공원, 교원·윙크 등 학습지 업계가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외식업계의 참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코세페 외연확대는 가족단위의 외부활동 소비증가와 연관 소비(외식, 명승지 구경, 선물구매 등)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숙박 ▸한화리조트 리조트 9곳, 호텔 3곳 등, 숙박할인·조식제공 판매기간(11.9~30) 사용기간(~’25.1월) ▸대명·소노펠리체 전국 15개 지점, 온라인 최저가 대비 20% 할인 (예시) 소노문 단양 3인(객실+조식) 178천원 → 143천원 놀이공원 ▸롯데월드 어드벤처(잠실·부산), 아쿠아리움, 서울스카이, 워터파크 김해 등 /2~4인권 최대 56.5% 할인/ 판매기간(11.9~23) 사용기간(11.9~12.8) 학습지 ▸윙크 추첨으로 1년 무료 학습권 제공 등 ▸교원 아이캔두·도요새 빨간펜 구매시 할인 혜택 영화관 ▸CGV‧메가박스‧롯데시네마 영화+콤보 3,000원 할인 외식업 ▸베스킨라빈스, 텐센트커피, 고피자, 자담치킨, 샐러디, 얌샘김밥 등 [코세페 이색할인] ❶ [편의점 국가대표 도시락(11.1~)] 바쁜 직장인과 주머니가 가벼운 학생이 주로 찾는 4,000~6,000원 사이의 가성비 상품으로, 편의점 5개사는 「코세페 국가대표 도시락」을 출시하여 구매 후 QR코드 스캔시 경품 증정 이벤트 등을 추진한다. 이외에 빼빼로데이 할인, 편의점 이색상품인 주류 할인 및 다양한 품목에 N+M 할인* 등이 준비되어 있다. * 1+1, 2+1 등 편의점 대표 할인방식 편의점 코세페 국가대표 도시락 ▸CU 도시락 2종에 코세페 스티커 부착, (행사 제품 가격 할인:30%) ▸GS25 도시락 5종에 코세페 스티커 부착 * 표어 : “코세페 도시락 먹고 코리아 여행가자!!” ▸세븐일레븐 도시락 3종에 코세페 스티커 부착 * 표어 : “세븐 APP 적립하면 아이폰부터 시그니엘 숙박권 선물까지!!” ▸이마트24 도시락 전상품 구매 후 APP 응모 시 이마트24 쿠폰 증정 ▸CSPACE24 도시락 1종 대상, 컵라면(진라면 소컵) 무료 증정 ❷ [식음료 특가전] 식음료 업계(8개사)는 최초로 공동기획을 추진하여 네이버와 타임딜을 진행한다. 즉석밥, 음료수, 과자, 라면, 식용유 등 대표 식음료가 매일 한정수량으로 판매되어 소비자의 이목을 끌 예정이다. 구매를 희망하는 사람은 네이버 검색창에 “네이버코세페”로 검색*하면 된다. * “네이버코세페”로 검색하면 특별행사장 배너가 생성 식음료 (8개사) × 네이버 ▸CJ제일제당(햇반, 식용유 등) ▸동서식품(카누 캡슐커피) ▸롯데웰푸드(호빵, 몽쉘 등) ▸코카콜라(코카콜라 등) ▸농심(신라면, 카프리선 등) ▸웅진식품(초록매실 등) ▸롯데칠성(펩시콜라, 사이다 등) ▸동아오츠카(포카리스웨트, 생수 등) ❸ [우체국쇼핑 팔도마켓(11.11~)] 우체국쇼핑 팔도마켓은 코세페 기간에 맞춰 별도 예산을 편성하여 「팔도특산물 더블 할인」을 추진한다. 참여기업 자체 할인에 우체국쇼핑 할인이 더해져 평소보다 저렴하게 팔도특산물이 판매된다. 팔도마켓 ▸강원 춘천 수제 닭갈비 등 ▸충청 대천조미김 등 ▸경남 건나물 세트 등 ▸전남 수산물(꽃새우, 다시마) 세트 등 ▸경기 황잣·백잣 기획 세트 등 ▸경북 안동소주 21도·40도 세트 등 ▸전북 현미·찰보리 잡곡 세트 등 ▸제주 옥돔·갈치 세트 등 ❹ [지자체 e-몰] 지자체도 코세페 기간에 맞춰 e몰 특판전(31개)을 추진하여 지역특산물과 소상공인 판촉을 지원한다. 강원곶간·칠갑마루 쇼핑몰·e홍성장터 등의 「김장철 맞이 김장용품 할인전」, 인천e몰의 참여기업 제품 최대 80% 할인, 청주On시장(전통시장 모바일 마켓)의 무료 장보기 배달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중기/소상공인 판촉 지원] ❶ [코세페 장바구니] 작년부터 대형 사이즈로 제작된 코세페 장바구니는 참여기업과 소비자의 호응이 좋아, 올해도 전통시장과 동네 슈퍼를 대상으로 83,000장을 제작·배포*하여 지역주민의 골목상권 방문을 유도한다. * 전국 전통시장 916개소, 동네슈퍼 299개소 배포 ❷ [e플랫폼-中企·소상공인 상생] 주요 온라인 플랫폼은 우수제품을 선정하여 中企·소상공인 전용관(상생마켓·小中한마켓)*을 개설하여 판촉을 지원한다. 코세페 참여 중소기업 등은 코세페 홈페이지, SNS 채널 외에도 온라인플랫폼의 코세페 전용관에서 판매가 가능하다. * 상생마켓(네이버) 小中한마켓(롯데온·Hmall·공영쇼핑몰) ❸ [코세페 키비주얼] 비용 부담으로 유명인을 홍보모델로 활용하지 못하는 中企·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이상화 선수의 모습 등이 담긴 코세페 키비주얼*과 사용 가이드가 무료로 배포되며, 참여기업은 키비주얼에 자사 제품을 담는 방식 등으로 제품홍보에 나설 수 있다. * 소비자의 눈길을 끄는 홍보물로 이상화 선수의 모습이 담긴 모델형 8종, 문자형 10종 등 총 18종 배포 [코리아듀티프리페스타] 訪韓 관광객 증가에 따라 작년부터 코듀페(Korea Duty-Free Festa)*의 하반기 개최는 코세페와 같은 기간에 맞춰 진행된다. 유명쇼핑몰을 관광코스에 포함하는 요즘 관광트렌드에 따라 면세점 업계와 인기 관광상품인 화장품 업계가 중심이 되어 訪韓 관광객 대상 코세페 홍보와 판촉을 강화한다. * 상·하반기 2회 개최, 면세점 13개사 및 아모레퍼시픽 등 참여 [참여기업과 할인내용 확인] 참여기업과 할인내용(품목, 할인율, 사은행사 등 프로모션)은 코세페 공식 홈페이지(koreasalefesta.co.kr)에서 확인가능하다. 다만, 참여기업별 세부적인 할인내용은 기업이 정한 시점부터 공개되며, 참여기업의 여러 온·오프라인 홍보물*을 통해 구체적인 할인행사 내용 확인이 가능하다. 참여 접수는 11월 8일까지 코세페 공식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 신문지면, 인터넷 포털 광고, 오프라인 매장의 벽면광고, 카탈로그, 전단지 광고, 문자·SNS 알림 등 담당 부서 중견기업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정기 (044-203-4380) 유통물류과 담당자 사무관 서민경 (044-203-4385) 구분 주요 행사(안) 지자체 지역 구분 주요내용 및 기간 품목/내용 경기 · (지역행사) 광명세일페스타(~11.30) 소상공인 상품 강원 · (e-몰) 강원더몰 특별할인전(11월) 못난이 상품 기획전 강원곳간 김장철 기획전(11월) 절임품목, 김장용품 · (지역행사) 강원상품권 경품행사(11.1~30) 소상공인 상품 충북 · (e-몰) 청주몰(11.12~28) 소상공인 라이브커머스 청주온시장(11.1~30, 전통시장 6개소) 모바일 전통시장 청주페이플러스샵(11.1~30) 소상공인 상품 온라인판매 청원생명쇼핑몰(11.1~30) 청원생명쌀, 전통주 등 충주씨샵(11.9~30) 농산물(10%할인) 진천몰(11.9~30) 농산물(8%할인) 음성장터(11.1~25) 농산물(최대30%할인) 충남 · (e-몰) e홍성장터(11.1~30) 김장 칠갑마루쇼핑몰(11.1~30)) 절임배추 충남농사랑쇼핑몰(11.1~25)) 농사랑 전상품 · (지역행사) 희망드림판매전(11.8~11.10) 현장행사 경북 · (e-몰) 사이소 특별전 소상공인 상품 공공배달앱(먹깨비) 할인소비전 배달 서비스 · (지역행사) 전통시장 소비진작(울진 바지게시장(11.2)) 전통시장 상품 전통시장 소비진작(경주 성동시장(11.8)) 전통시장 상품 경남 · (e-몰) e경남몰 세일페스타(11.9~30) 소상공인 소상공인온라인 기획전(11.9~30) 롯데쇼핑 온라인판매 산엔청쇼핑몰(11.9~30) 농축수임산물, 가공식품 김해온몰(11.9~30) 농축수임산물, 가공식품 · (지역행사) 산청군 직거래장터 농축수임산물, 가공식품 전북 · (e-몰) 무주 농산물 특화마켓 농산물 무주 반딧불 나이트마켓(11.2~3) 야시장 · (지역행사) 무주라움페스타 지역행사 전남 · (e-몰) 영암몰 할인전(11.9~30) 햅쌀, 김치 등 제주 · (e-몰) e제주물 탐나는 특별할인전 제주 특산물 · (지역행사) 누웨마루문화축제(미정) 골목상권 골목에서쇼핑하기(6월~예산소진시) 골목상권 부산 · (지역행사) 국제수산EXPO(11.6~8) 수산물 동백상회 할인행사(11월) 40개사(20~30%할인) 영호남 전통시장 박람회(11.8~10) 부산·전남 전통시장 우수상품 대구 · (e-몰) 다채몰(11.9~30) 패션, 가구, 스포츠, 가전 쉬메릭몰(11.9~30) 의류, 잡화 약령몰(11.9~30) 식품, 화장품, 약재 등 소담스퀘어(11.9~30) 디지털커머스 제작지원 · (지역행사) ‘힘내라 대구’(11.1~30) 전통시장·소상공인 특판전 인천 · (e-몰) 인천e몰 코세페 특가전(11.9~30) 의류, 침구, 캠핑용품 등 광주 · (e-몰) 광주기획전(11.9~30)(11번가 등 5개 온라인몰) 김치, 밀키트, 떡갈비, 음료 등 대전 · (e-몰) 대전사랑몰(할인쿠폰 추가발행) 소상공인 상품 울산 · (e-몰) 울산몰(11월) 할인쿠폰, 반값행사 울산페달(11월) 할인쿠폰, SNS댓글이벤트 세종 · (지역행사) 세종축제, 소상공인의날 행사 등 연계 홍보 - < 지자체 e-몰 코세페 특별할인 및 지역행사(11월) >

      닫기
  • 글로벌 섬유패션 강국으로 재도약 추진 2024-08-13

    글로벌 섬유패션 강국으로 재도약 추진 - 산업부,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발표 - 첨단 산업용 섬유 육성, 친환경 밸류체인으로 전환, 섬유패션에 AI 확산 - 2030년, 산업용 ․ 친환경 섬유 글로벌 점유율 확대(2%→10%) 목표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8월 13일(화) 14시 섬유센터에서 안덕근 산업부장관과 섬유패션 기업,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우리 섬유패션산업의 현안과 향후 방향을 논의하고,「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하였다.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은 ▲ 산업용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참고자료

    • 0813(14조간, 13일(화) 14시엠바고)섬유탄소나노과, 글로벌 섬유패션 강국으로 재도약 추진.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8. 13.(화) 14:00 < 8.14.(수) 조간 > 배포 2024. 8. 13.(화) 글로벌 섬유패션 강국으로 재도약 추진 - 산업부,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발표 - 첨단 산업용 섬유 육성, 친환경 밸류체인으로 전환, 섬유패션에 AI 확산 - 2030년, 산업용 ․ 친환경 섬유 글로벌 점유율 확대(2%→10%) 목표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8월 13일(화) 14시 섬유센터에서 안덕근 산업부장관과 섬유패션 기업,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우리 섬유패션산업의 현안과 향후 방향을 논의하고,「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하였다.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은 ▲ 산업용 섬유시장의 급속한 성장 ▲ EU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가속화되는 친환경 전환 요구 ▲ 제품 기획·생산· 유통 등 전방위로 확산되는 디지털 전환(DX)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금번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을 통해 산업부는 ❶첨단 산업용 섬유 육성, ❷섬유패션 밸류체인의 친환경 전환, ❸AIㆍ디지털 적용 확산, ❹섬유 패션산업 기반 강화 등 4대 분야를 중점 추진한다. 이를 통해 중국, 인도 등 후발국의 추격 등으로 국내 생산기반이 위축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2030년까지 산업용․친환경 섬유 분야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현재 2~3%)하고 디지털 전환 수준을 60%(현재 35%)까지 높임으로써 섬유패션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제시하였다. 먼저, 첨단 산업용 섬유 분야를 육성하여 섬유패션산업의 고도화를 추진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고성능 아라미드, 고강도 탄소섬유, 내극한 해양 수산 섬유, 해외 의존 중인 환경용 첨단 섬유, 차세대 전자통신 섬유 등 첨단 산업용 섬유의 핵심기술을 2030년까지 세계 최고수준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금년 하반기부터 「산업용 섬유 얼라이언스」를 운영하여 유망제품과 기술발굴을 진행하고, 산업용 섬유의 품질과 성능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지원하기 위한「테크섬유 제품 인증평가 지원센터」도 내년에 구축하기로 하였다. 이와 함께 의류기업의 산업용 섬유로의 품목 전환시 기술 컨설팅과 함께 설비투자도 정책금융(’24년 2.9조원) 등을 활용하여 지원하기로 하였다. 둘째, 섬유패션산업 밸류체인의 친환경 전환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폐의류를 재활용(Fiber to Fiber)하는 리사이클 섬유, 버섯 등 식물 기반의 비건 가죽 소재 등 바이오매스 섬유, 자연환경에서 90% 이상 분해되는 생분해 섬유 제조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또한, 물을 사용하지 않는 염색기술 개발 등 3대 오염 배출 공정인「염색, 가공, 복합재 제조」분야의 폐수 감축, 에너지 효율 개선에 310억원을 투입하여 섬유패션 생산공정을 친환경·저탄소 공정으로 전환을 지원하고, ‘26년까지 200개 이상의 중소기업에 폐열 회수 설비 등을 보급하여 공정 개선을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섬유패션 기업의 공정 특성을 반영한 ‘탄소배출량 측정 표준모델’을 ’26년까지 구축· 보급하고, 섬유패션 제품의 친환경 소재 사용과 재활용을 유도하는 「K-Eco Design 가이드라인」을 ’25년에 도입(’26년까지 제도 안내 후 ‘27년 시행 추진)하는 등 친환경 규범도 마련하기로 하였다. 셋째, AI 기술 적용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한다. 신제품 기획을 데이터와 AI를 활용해 시장수요를 예측하고, 디자인 기간을 80% 이상 단축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26년까지 개발하고, 기업 간 협업으로 신속 생산이 가능한 「커넥티드 마이크로 팩토리*」구축을 위한 기반도 금년부터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반복 공정, 인력부족이 심한 공정을 대상으로 자동화 설비를 ’28년 까지 250개 이상의 기업에 보급을 추진한다. 아울러 메타패션(가상의류) 시장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체험·창작 공간인 ‘메타패션 플레이그라운 드’도 확대(1→3개소)해 나가기로 하였다. * 커넥티드 마이크로 팩토리(Connected Micro Factory) : 인근 공장들의 설비, 재료, 인력 현황 등 생산정보를 통합시스템으로 연결 → 생산량, 재료 활용, 공장간 협업 등에 AI‧디지털 기술을 활용 넷째, 섬유패션산업의 기반도 지속 강화해 나간다. 섬유패션 분야에 확산 되는 친환경·디지털 등 하이테크 분야의 인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석‧박사급 전문인력을 ‘28년까지 1,000명을 양성한다. 또한,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한 글로벌 환경인증 획득,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 확대 등과 함께 공공분야에 우수한 국산섬유 사용을 확대하는 방안도 관계부처와 지속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안덕근 장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우리 섬유패션산업은 6만개의 기업이 44조원을 생산하고, 26만명을 직접 고용하며 50만명 이상이 연관 도·소매 업에 종사하는 민생산업이며, 첨단산업의 핵심소재를 공급하는 미래산업 임”을 강조하고 “정부는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담당 부서 첨단산업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종주 (044-203-4280) 섬유탄소나노과 담당자 사무관 양영훈 (044-203-4283) 참고 1 섬유패션 업계 간담회 개요 □ 간담회 개요 ㅇ (일시) ’24. 8. 13.(화) 14:00~15:00 / 섬유센터 대회의실(강남구 대치동) ㅇ (목적) 산업부가 섬유패션 업계 등과 함께 마련한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하고, 업계 의견 청취 및 향후 방안 논의 * (배경) 글로벌 섬유패션산업의 친환경 전환 요구에 대응하고, 섬유산업의 디지털 전환, 첨단 산업용 섬유 등으로의 전환을 통한 경쟁력 회복을 지원 ㅇ (참석자) 산업부(장관, 산업정책실장, 첨단산업정책관), 업계(주요기업 및 협단체 대표, 7명), 학계‧연구기관(3명) 등 15명 내외 < 간담회 주요 참석자 > ▪ (협단체) 섬산련 최병오 회장, 화섬협회 전해상 회장 등 ▪ (기업) 코오롱인더스트리 김영범 대표, 효성티앤씨 김치형 대표, 헴펠 명유석 대표, 클로버추얼패션 김광일 수석부사장 ▪ (학‧연) 건국대 고준석 교수, 섬유개발연구원 호요승 원장, KEIT 전윤종 원장 □ 세부 일정 * 모두 발언까지 대외공개 시 간 주요 내용 비 고 14:00~14:05 (5‘) • 참석자 소개 및 기념사진 촬영 14:05~14:10 (5‘) • 모두 발언 장관 14:10~14:20 (10‘) •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발표 첨단산업정책관 14:20~14:57 (37‘) • 참석자 발언 및 토의 참석자 전원 14:57~15:00 (3‘) • 마무리 발언 장관 참고 2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주요 내용 I 추진 배경 ㅇ 섬유패션산업은 우리의 전통 주력산업이나, 원가 경쟁력 취약, 생산시설 해외이전 등으로 인해 경쟁력은 하락 추세 . * 국내 업체 6만개(제조업의 10.2%), 종사자 26만명(제조업의 6.0%), 부가가치율 43%(제조업 36%) ** 수출(억불) : (’00) 188 → (’10) 140 → (’23) 109, 생산(조원) : (‘10) 42.8 → (’22) 43.9 ㅇ 급속히 진행되는 친환경·디지털 전환은 섬유산업 생존과제이자 재도약 발판 * (EU) 2050 탄소중립 목표 법제화, 탄소 국경세 도입 * (업계) 글로벌 패션기업 75개사 ‘30년까지 친환경 섬유 사용 협약(`19년, G7 정상회담) ㅇ 섬유의 사용처가 다양해지고, 우주·항공, 방산 등 첨단 산업용 섬유 시장이 지속 성장 중이나, 미국, 일본 등의 선도기업이 시장을 장악 * 산업용 섬유의 시장규모(억불): (‘21) 1,467 → (’27) 1,922 (연평균 4.7%↑) * 미국·일본이 고성능 탄소섬유 생산시장의 87%, 아라미드 시장의 80% 이상 점유 II 국내 섬유패션산업 현황 □ (산업현황) 원사·원단·염색·봉제 등 공정별 제조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나, 생산·수출 등이 급속히 위축 ㅇ 의류·생활용 섬유 중심의 생산(75%, 32.9조원) 구조 속에서 선도국과 후발국 사이의 넛크래커 상황 심화 <국내 섬유산업 변화 추이> 구 분 ‘10년 '22년 연평균 증감률 제조업 전체 대비 종사자수(명) 287,812 261,464 -0.8% 6.1% 생산액(10억원) 42,753 43,855 +0.2% 2.1% 수출액(백만불) 13,980 10,922 -1.8% 1.8% ㅇ 산업용 섬유도 성장세*를 보이나, 고품질 산업용 섬유는 기술력 열위 * 산업용 섬유는 ’00년 전체 생산의 13%에 불과했으나, ‘22년 25% 비중으로 성장 □ (친환경 전환) 필요성 인식은 확산 중이나, 핵심기술과 대응역량 부족 ㅇ 대기업 중심 ESG 경영이 확산 중이나, 염색·가공 분야는 오염 배출 지속 ㅇ 친환경 섬유 제조기술은 초기 단계, 재활용 등 사회 기반 시스템은 미흡 □ (디지털화) 디자인·유통 분야는 진전 중이나, 생산 분야 디지털화는 미흡 ㅇ 디지털 디자인, 온라인 유통 등의 기반은 마련되고 있으나, 제품 수요 예측, 제조 공정의 자동화‧지능화는 지연 ㅇ 섬유패션-IT 융합 기술력 등 패션테크 신시장 성장 잠재력은 보유 ☞ 첨단 산업용 섬유를 육성하고, 신속·과감한 친환경 전환과 디지털화를 통해 규제환경 변화를 재도약 발판으로 삼는 체질 개선이 시급 III 비전 및 추진전략 비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섬유패션 강국 목표 첨단 산업용 시장 육성 ▶글로벌 산업용섬유 점유율 : (‘23) 3% ➔ (’30) 10% 친환경 시장 확대 ▶ 글로벌 친환경 시장점유율 : (‘23) 2% ➔ (’30) 10% AI‧디지털 혁신 선도 ▶디지털 전환 수준 : (‘23) 35% ➔ (’30) 60% 2+2 추진 전략 글로벌 경쟁력 확보 1 첨단 산업용 섬유 육성을 통한 구조 고도화 ➕ 2 섬유패션산업 밸류체인의 친환경 전환 + 산업 체질개선 3 섬유패션산업의 AI‧디지털 적용 확산 4 섬유패션산업의 기반 강화 전략1 첨단 산업용 섬유 육성을 통한 구조 고도화  첨단 산업용 섬유 핵심기술 확보 ◈ 미래차, 항공 등 미래산업 수요 확대로 고성장이 기대되는 첨단 산업용 핵심섬유 기술을 고도화 ㅇ 수요가 증가하는 고성능 아라미드 섬유, 고강도 탄소섬유 등의 기술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고도화(‘24~’30년) * 아라미드 섬유(예시): (현재) 강도 3.0GPa, 세섬도 1.5de → (‘30년) 강도 3.6GPa, 세섬도 1.0de ㅇ 해외 의존 중인 첨단 환경용, 전자통신 섬유 제조기술 확보(‘24~’30년)  산업용 섬유 수요 창출 지원 ◈ 산업용 섬유 수요업계와의 협력체계 구축, 품질 평가 등 신뢰성 확보 지원 ㅇ (수요-공급 매칭) 수요가 확대되는 항공·방산, 자동차 분야 유망제품, 기술 발굴을 위한 「산업용 섬유 얼라이언스」 구성·운영(‘24.11~) * 수요기업(자동차, 항공·방산 등) + 공급기업(아라미드, 탄소섬유 등) + 연구소·협회 등 참여 ㅇ (신뢰성 확보 지원) 산업용 섬유의 성능·품질 평가·인증, 품질 정보 제공을 지원하는 「테크섬유 제품 인증평가 지원센터」 구축(‘25~) ㅇ (수출 지원) 유망품목 전시회, 시제품(3D+현물), 수출상담 등 지원(‘24~)  산업용 섬유 사업화 기반 강화 ◈ 산업용 섬유로의 품목 전환, 사업화, 설비 투자 지원 ㅇ (의류용 섬유기업의 전환지원) 의류·생활용 섬유 제조기업들이 산업용 섬유로 품목 전환 시 기술·투자 컨설팅, 설비개체 지원(‘24~) ㅇ (사업화 지원) 산업용 섬유 제품 사업화 및 마케팅 통합 지원(‘25~) ㅇ (투자 지원) 산업용 섬유 R&D, 설비 투자에 대한 세액, 금융 지원(‘24~) 전략2 섬유패션산업 밸류체인의 친환경 전환  글로벌 수준의 친환경 섬유소재 기술개발 ◈ 원료, 재활용 등 친환경 소재의 원천 기술 및 상용화 기술 확보 ㅇ (기술개발) 리사이클, 바이오매스, 자연분해 섬유 등 기술 확보(‘24~’30년) * 바이오 매스 섬유(예시) : (현재) 바이오 원료 함량 50% 이하 → (‘30년) 90% 이상 ㅇ (원료 확보) 친환경 섬유 원료 확보의 안정화를 위한 기업 시설투자 등에 대한 세제‧금융 지원, 애로 모니터링 및 해소(‘24~)  친환경‧저탄소 생산 공정으로 전환 지원 ◈ 염색가공 등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 등 오염물질 감축, 에너지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 개선 및 설비개체 지원 ㅇ (공정 개선) 3대 오염 공정(염색‧가공·복합재)의 폐수 감축, 효율 개선(‘25~) * (염색공정 개선효과) 에너지 20%↓, 물 99%↓, 화학물질 및 공정비용 20%↓(’30년) ㅇ (설비 개체) 온실가스 규제 대응을 위한 폐열 회수설비(염색가공기업), 에너지 계측·관리 설비(직물·봉제기업) 설치 지원(‘24~) ㅇ (탄소 저감)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지원하는 기술, 인증 지원(‘25~)  자원 순환형 섬유패션산업 기반 구축 ◈ 섬유패션이 처음부터 친환경적으로 개발되도록 하고, 친환경 제품여부 입증, 폐의류의 재사용 촉진 등 자원 순환형 섬유산업 기반 조성 ㅇ (거버넌스) 자원 순환형 섬유산업 지원을 논의·추진하는 산·학·연·관 협의체인 「섬유패션 산업 순환경제 포럼」운영(‘24~) ㅇ (친환경 규범) 섬유 제품이 친환경적으로 디자인 및 생산되도록 ‘K-Eco Design 가이드라인’ 도입(‘25~) * ‘26년 제도 안내 → ’27년 시행 추진 ㅇ (사업화 지원) 친환경 섬유 제품의 제조 및 마케팅 통합 지원(‘24~), 폐의류 재사용·업사이클링 등 재활용 시범사업 추진(‘25~) 전략3 섬유패션산업의 AI‧디지털 적용 확산  섬유패션 기획·디자인·생산에 AI 기술 적용 확대 ◈ 수요에 대한 신속한 반응생산(Quick Response)을 위한 제품기획 - 디자인 공정에 AI 접목을 확대하고 기업간 협업생산 체계 구축 ㅇ 수요예측 - 디자인 등 AI 기술 적용 확산으로 생산성 향상 지원 < 단계별 AI 기술 도입 방향 > 수요 예측(‘24~’26년) 신속·저비용 디자인(‘25~’28년) 신속·유연 생산(‘24~’29년) 감(感)에 의한 기획 → Data에 기반한 기획 확산 AI 수요 예측 서비스 + 반복 스케치, 패턴 제작 → AI 기반 솔루션 활용 + 소규모 봉제공장 → 커넥티드 팩토리 구축  제조 현장의 자동화 및 지능화 ◈ 노동력 부족분야, 반복적 노동력이 요구되는 공정을 자동화하고, 공정 복잡도가 높은 분야는 설비를 지능화하여 생산성을 획기적 개선 ㅇ (자동화) 염색, 가공 등 인력부족 공정에 자동화 장비 보급(‘24~’27년) * 우선 적용분야(예시): 인력부족, 단순반복 공정 (1순위염색‧가공‧봉제, 2순위제직‧편직) ㅇ (지능화) 공정 복잡도가 높은 업종에 AI 기반 디지털트윈 표준모델 시범공장을 구축하고, 설비 지능화 컨설팅 등 지원(‘26~’29년)  패션테크 新시장 선점 ◈ 메타커머스* 환경의 패션시장 성장을 지원하고, 건강 · 레저 · 안전 용도의 스마트 의류 기술 · 서비스 발굴을 통한 패션 신시장 확대 * Metaverse+eCommerce ㅇ (메타패션) 체험‧창작 공간(플레이그라운드) 확대 운영, 실물 제작‧판매 플랫폼 구축, 저작권 보호기준 마련 등 성장 지원(‘24~’27년) ㅇ (스마트 의류) 성장성과 수요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 의류 기술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증 등 상용화 촉진 기반 조성(‘24~’29년) * 안전보호 워크웨어, 건강관리 헬스웨어, 스포츠 레저웨어 등 전략4 섬유패션산업의 기반 강화 □10 현장 생산인력 확보 및 전문인력 양성 ◈ 섬유패션 제조업의 현장 인력 부족 해결과 글로벌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ㅇ (현장인력) 구직·재직자 훈련 확대를 통한 현장인력 역량 강화(‘24~) * (구직자) 섬유 특화지역 구직자 직업훈련 및 특성화고, 전문대 졸업자 취업 지원 확대 * (재직자) 3D 패션디자인, 친환경·디지털 공정 등 신규도입 직무 교육 확대 * (외국인력) 고용 허용한도 20% 상향 유지 등 안정적인 외국인력 고용 지원 ㅇ (전문인력) 지속가능, 디지털 등 하이테크 분야 인력 양성(‘24~) * (지속가능) 글로벌 환경규제·인증 분석 분야의 인재 양성(360명) * (디지털) 3D 디자인, AI 활용 기획·디자인·유통 분야 교육 확대(460명) * (하이테크) 탄소섬유, 스마트섬유 등 제조 분야 석·박사 양성(180명) □11 수출역량 제고 및 내수시장 창출 ◈ 국내 섬유패션산업의 수출 감소 및 내수시장 위축 문제 해결을 위해 국내외 시장 진출 확대 및 스트림간 협력 지원 강화 ㅇ (수출 지원) 新시장 개척을 위한 전시회 참가 및 인증획득 지원(‘24~) * K-패션 전시·수출상담회 참가(연간 500개사), 글로벌 환경 인증 획득(연간 120건) 등 지원 ㅇ (내수 확대) 국방 섬유제품* 등 국산 섬유 공공조달 확대 추진(‘24~) * 사용 품목 확대(전투복→방한복 등), 국산 원자재 조달 확대를 위한 국방부 협의 등 ㅇ (스트림간 협력) 우수 국산품 수출 확대를 위해 디자인-소재-봉제 등 국내 업체가 참여하는 「All in Korea」 사업 추진(‘24~) ㅇ (생산역량 개선) 생산 현장의 전문기술이 사장되지 않도록 지식자산 DB를 구축, 생성형 AI를 통한 현장 애로 솔루션 제공(‘25~)

      닫기
    • 0813(14조간, 13일(화) 14시엠바고)섬유탄소나노과, 글로벌 섬유패션 강국으로 재도약 추진.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8. 13.(화) 14:00 < 8.14.(수) 조간 > 배포 2024. 8. 13.(화) 글로벌 섬유패션 강국으로 재도약 추진 - 산업부,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발표 - 첨단 산업용 섬유 육성, 친환경 밸류체인으로 전환, 섬유패션에 AI 확산 - 2030년, 산업용 ․ 친환경 섬유 글로벌 점유율 확대(2%→10%) 목표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8월 13일(화) 14시 섬유센터에서 안덕근 산업부장관과 섬유패션 기업,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우리 섬유패션산업의 현안과 향후 방향을 논의하고,「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하였다.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은 ▲ 산업용 섬유시장의 급속한 성장 ▲ EU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가속화되는 친환경 전환 요구 ▲ 제품 기획·생산·유통 등 전방위로 확산되는 디지털 전환(DX)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금번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을 통해 산업부는 ❶첨단 산업용 섬유 육성, ❷섬유패션 밸류체인의 친환경 전환, ❸AIㆍ디지털 적용 확산, ❹섬유패션산업 기반 강화 등 4대 분야를 중점 추진한다. 이를 통해 중국, 인도 등 후발국의 추격 등으로 국내 생산기반이 위축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2030년까지 산업용․친환경 섬유 분야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현재 2~3%)하고 디지털 전환 수준을 60%(현재 35%)까지 높임으로써 섬유패션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제시하였다. 먼저, 첨단 산업용 섬유 분야를 육성하여 섬유패션산업의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고성능 아라미드, 고강도 탄소섬유, 내극한 해양 수산섬유, 해외 의존 중인 환경용 첨단 섬유, 차세대 전자통신 섬유 등 첨단 산업용 섬유의 핵심기술을 2030년까지 세계 최고수준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금년 하반기부터 「산업용 섬유 얼라이언스」를 운영하여 유망제품과 기술발굴을 진행하고, 산업용 섬유의 품질과 성능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지원하기 위한「테크섬유 제품 인증평가 지원센터」도 내년에 구축하기로 하였다. 이와 함께 의류기업의 산업용 섬유로의 품목 전환시 기술 컨설팅과 함께 설비투자도 정책금융(’24년 2.9조원) 등을 활용하여 지원하기로 하였다. 둘째, 섬유패션산업 밸류체인의 친환경 전환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폐의류를 재활용(Fiber to Fiber)하는 리사이클 섬유, 버섯 등 식물기반의 비건 가죽 소재 등 바이오매스 섬유, 자연환경에서 90% 이상 분해되는 생분해 섬유 제조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또한, 물을 사용하지 않는 염색기술 개발 등 3대 오염 배출 공정인「염색, 가공, 복합재 제조」분야의 폐수 감축, 에너지 효율 개선에 310억원을 투입하여 섬유패션 생산공정을 친환경·저탄소 공정으로 전환을 지원하고, ‘26년까지 200개 이상의 중소기업에 폐열 회수설비 등을 보급하여 공정 개선을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섬유패션기업의 공정 특성을 반영한 ‘탄소배출량 측정 표준모델’을 ’26년까지 구축·보급하고, 섬유패션 제품의 친환경 소재 사용과 재활용을 유도하는「K-Eco Design 가이드라인」을 ’25년에 도입(’26년까지 제도 안내 후 ‘27년 시행 추진)하는 등 친환경 규범도 마련하기로 하였다. 셋째, AI 기술 적용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한다. 신제품 기획을 데이터와 AI를 활용해 시장수요를 예측하고, 디자인 기간을 80% 이상 단축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26년까지 개발하고, 기업 간 협업으로 신속 생산이 가능한「커넥티드 마이크로 팩토리*」구축을 위한 기반도 금년부터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반복 공정, 인력부족이 심한 공정을 대상으로 자동화 설비를 ’28년까지 250개 이상의 기업에 보급을 추진한다. 아울러 메타패션(가상의류) 시장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체험·창작 공간인 ‘메타패션 플레이그라운드’도 확대(1→3개소)해 나가기로 하였다. * 커넥티드 마이크로 팩토리(Connected Micro Factory) : 인근 공장들의 설비, 재료, 인력 현황 등 생산정보를 통합시스템으로 연결 → 생산량, 재료 활용, 공장간 협업 등에 AI‧디지털 기술을 활용 넷째, 섬유패션산업의 기반도 지속 강화해 나간다. 섬유패션 분야에 확산되는 친환경·디지털 등 하이테크 분야의 인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석‧박사급 전문인력을 ‘28년까지 1,000명을 양성한다. 또한,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한 글로벌 환경인증 획득,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 확대 등과 함께 공공분야에 우수한 국산섬유 사용을 확대하는 방안도 관계부처와 지속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안덕근 장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우리 섬유패션산업은 6만개의 기업이 44조원을 생산하고, 26만명을 직접 고용하며 50만명 이상이 연관 도·소매업에 종사하는 민생산업이며, 첨단산업의 핵심소재를 공급하는 미래산업임”을 강조하고 “정부는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담당 부서 첨단산업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종주 (044-203-4280) 섬유탄소나노과 담당자 사무관 양영훈 (044-203-4283) 참고 1 섬유패션 업계 간담회 개요 □ 간담회 개요 ㅇ (일시) ’24. 8. 13.(화) 14:00~15:00 / 섬유센터 대회의실(강남구 대치동) ㅇ (목적) 산업부가 섬유패션 업계 등과 함께 마련한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하고, 업계 의견 청취 및 향후 방안 논의 * (배경) 글로벌 섬유패션산업의 친환경 전환 요구에 대응하고, 섬유산업의 디지털 전환, 첨단 산업용 섬유 등으로의 전환을 통한 경쟁력 회복을 지원 ㅇ (참석자) 산업부(장관, 산업정책실장, 첨단산업정책관), 업계(주요기업 및 협단체 대표, 7명), 학계‧연구기관(3명) 등 15명 내외 < 간담회 주요 참석자 > ▪ (협단체) 섬산련 최병오 회장, 화섬협회 전해상 회장 등 ▪ (기업) 코오롱인더스트리 김영범 대표, 효성티앤씨 김치형 대표, 헴펠 명유석 대표, 클로버추얼패션 김광일 수석부사장 ▪ (학‧연) 건국대 고준석 교수, 섬유개발연구원 호요승 원장, KEIT 전윤종 원장 □ 세부 일정 * 모두 발언까지 대외공개 시 간 주요 내용 비 고 14:00~14:05 (5‘) • 참석자 소개 및 기념사진 촬영 14:05~14:10 (5‘) • 모두 발언 장관 14:10~14:20 (10‘) •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발표 첨단산업정책관 14:20~14:57 (37‘) • 참석자 발언 및 토의 참석자 전원 14:57~15:00 (3‘) • 마무리 발언 장관 참고 2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주요 내용 I 추진 배경 ㅇ 섬유패션산업은 우리의 전통 주력산업이나, 원가 경쟁력 취약, 생산시설 해외이전 등으로 인해 경쟁력은 하락 추세 . * 국내 업체 6만개(제조업의 10.2%), 종사자 26만명(제조업의 6.0%), 부가가치율 43%(제조업 36%) ** 수출(억불) : (’00) 188 → (’10) 140 → (’23) 109, 생산(조원) : (‘10) 42.8 → (’22) 43.9 ㅇ 급속히 진행되는 친환경·디지털 전환은 섬유산업 생존과제이자 재도약 발판 * (EU) 2050 탄소중립 목표 법제화, 탄소 국경세 도입 * (업계) 글로벌 패션기업 75개사 ‘30년까지 친환경 섬유 사용 협약(`19년, G7 정상회담) ㅇ 섬유의 사용처가 다양해지고, 우주·항공, 방산 등 첨단 산업용 섬유시장이 지속 성장 중이나, 미국, 일본 등의 선도기업이 시장을 장악 * 산업용 섬유의 시장규모(억불): (‘21) 1,467 → (’27) 1,922 (연평균 4.7%↑) * 미국·일본이 고성능 탄소섬유 생산시장의 87%, 아라미드 시장의 80% 이상 점유 II 국내 섬유패션산업 현황 □ (산업현황) 원사·원단·염색·봉제 등 공정별 제조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나, 생산·수출 등이 급속히 위축 ㅇ 의류·생활용 섬유 중심의 생산(75%, 32.9조원) 구조 속에서 선도국과 후발국 사이의 넛크래커 상황 심화 <국내 섬유산업 변화 추이> 구 분 ‘10년 '22년 연평균 증감률 제조업 전체 대비 종사자수(명) 287,812 261,464 -0.8% 6.1% 생산액(10억원) 42,753 43,855 +0.2% 2.1% 수출액(백만불) 13,980 10,922 -1.8% 1.8% ㅇ 산업용 섬유도 성장세*를 보이나, 고품질 산업용 섬유는 기술력 열위 * 산업용 섬유는 ’00년 전체 생산의 13%에 불과했으나, ‘22년 25% 비중으로 성장 □ (친환경 전환) 필요성 인식은 확산 중이나, 핵심기술과 대응역량 부족 ㅇ 대기업 중심 ESG 경영이 확산 중이나, 염색·가공 분야는 오염 배출 지속 ㅇ 친환경 섬유 제조기술은 초기 단계, 재활용 등 사회 기반 시스템은 미흡 □ (디지털화) 디자인·유통 분야는 진전 중이나, 생산 분야 디지털화는 미흡 ㅇ 디지털 디자인, 온라인 유통 등의 기반은 마련되고 있으나, 제품 수요 예측, 제조 공정의 자동화‧지능화는 지연 ㅇ 섬유패션-IT 융합 기술력 등 패션테크 신시장 성장 잠재력은 보유 ☞ 첨단 산업용 섬유를 육성하고, 신속·과감한 친환경 전환과 디지털화를 통해 규제환경 변화를 재도약 발판으로 삼는 체질 개선이 시급 III 비전 및 추진전략 비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섬유패션 강국 목표 첨단 산업용 시장 육성 ▶글로벌 산업용섬유 점유율 : (‘23) 3% ➔ (’30) 10% 친환경 시장 확대 ▶ 글로벌 친환경 시장점유율 : (‘23) 2% ➔ (’30) 10% AI‧디지털 혁신 선도 ▶디지털 전환 수준 : (‘23) 35% ➔ (’30) 60% 2+2 추진 전략 글로벌 경쟁력 확보 1 첨단 산업용 섬유 육성을 통한 구조 고도화 ➕ 2 섬유패션산업 밸류체인의 친환경 전환 + 산업 체질개선 3 섬유패션산업의 AI‧디지털 적용 확산 4 섬유패션산업의 기반 강화 전략1 첨단 산업용 섬유 육성을 통한 구조 고도화 첨단 산업용 섬유 핵심기술 확보 ◈ 미래차, 항공 등 미래산업 수요 확대로 고성장이 기대되는 첨단 산업용 핵심섬유 기술을 고도화 ㅇ 수요가 증가하는 고성능 아라미드 섬유, 고강도 탄소섬유 등의 기술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고도화(‘24~’30년) * 아라미드 섬유(예시): (현재) 강도 3.0GPa, 세섬도 1.5de → (‘30년) 강도 3.6GPa, 세섬도 1.0de ㅇ 해외 의존 중인 첨단 환경용, 전자통신 섬유 제조기술 확보(‘24~’30년) 산업용 섬유 수요 창출 지원 ◈ 산업용 섬유 수요업계와의 협력체계 구축, 품질 평가 등 신뢰성 확보 지원 ㅇ (수요-공급 매칭) 수요가 확대되는 항공·방산, 자동차 분야 유망제품, 기술 발굴을 위한 「산업용 섬유 얼라이언스」 구성·운영(‘24.11~) * 수요기업(자동차, 항공·방산 등) + 공급기업(아라미드, 탄소섬유 등) + 연구소·협회 등 참여 ㅇ (신뢰성 확보 지원) 산업용 섬유의 성능·품질 평가·인증, 품질 정보 제공을 지원하는 「테크섬유 제품 인증평가 지원센터」 구축(‘25~) ㅇ (수출 지원) 유망품목 전시회, 시제품(3D+현물), 수출상담 등 지원(‘24~) 산업용 섬유 사업화 기반 강화 ◈ 산업용 섬유로의 품목 전환, 사업화, 설비 투자 지원 ㅇ (의류용 섬유기업의 전환지원) 의류·생활용 섬유 제조기업들이 산업용 섬유로 품목 전환 시 기술·투자 컨설팅, 설비개체 지원(‘24~) ㅇ (사업화 지원) 산업용 섬유 제품 사업화 및 마케팅 통합 지원(‘25~) ㅇ (투자 지원) 산업용 섬유 R&D, 설비 투자에 대한 세액, 금융 지원(‘24~) 전략2 섬유패션산업 밸류체인의 친환경 전환 글로벌 수준의 친환경 섬유소재 기술개발 ◈ 원료, 재활용 등 친환경 소재의 원천 기술 및 상용화 기술 확보 ㅇ (기술개발) 리사이클, 바이오매스, 자연분해 섬유 등 기술 확보(‘24~’30년) * 바이오 매스 섬유(예시) : (현재) 바이오 원료 함량 50% 이하 → (‘30년) 90% 이상 ㅇ (원료 확보) 친환경 섬유 원료 확보의 안정화를 위한 기업 시설투자 등에 대한 세제‧금융 지원, 애로 모니터링 및 해소(‘24~) 친환경‧저탄소 생산 공정으로 전환 지원 ◈ 염색가공 등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 등 오염물질 감축, 에너지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 개선 및 설비개체 지원 ㅇ (공정 개선) 3대 오염 공정(염색‧가공·복합재)의 폐수 감축, 효율 개선(‘25~) * (염색공정 개선효과) 에너지 20%↓, 물 99%↓, 화학물질 및 공정비용 20%↓(’30년) ㅇ (설비 개체) 온실가스 규제 대응을 위한 폐열 회수설비(염색가공기업), 에너지 계측·관리 설비(직물·봉제기업) 설치 지원(‘24~) ㅇ (탄소 저감)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지원하는 기술, 인증 지원(‘25~) 자원 순환형 섬유패션산업 기반 구축 ◈ 섬유패션이 처음부터 친환경적으로 개발되도록 하고, 친환경 제품여부 입증, 폐의류의 재사용 촉진 등 자원 순환형 섬유산업 기반 조성 ㅇ (거버넌스) 자원 순환형 섬유산업 지원을 논의·추진하는 산·학·연·관 협의체인 「섬유패션 산업 순환경제 포럼」운영(‘24~) ㅇ (친환경 규범) 섬유 제품이 친환경적으로 디자인 및 생산되도록 ‘K-Eco Design 가이드라인’ 도입(‘25~) * ‘26년 제도 안내 → ’27년 시행 추진 ㅇ (사업화 지원) 친환경 섬유 제품의 제조 및 마케팅 통합 지원(‘24~), 폐의류 재사용·업사이클링 등 재활용 시범사업 추진(‘25~) 전략3 섬유패션산업의 AI‧디지털 적용 확산 섬유패션 기획·디자인·생산에 AI 기술 적용 확대 ◈ 수요에 대한 신속한 반응생산(Quick Response)을 위한 제품기획 – 디자인 공정에 AI 접목을 확대하고 기업간 협업생산 체계 구축 ㅇ 수요예측 - 디자인 등 AI 기술 적용 확산으로 생산성 향상 지원 < 단계별 AI 기술 도입 방향 > 수요 예측(‘24~’26년) 신속·저비용 디자인(‘25~’28년) 신속·유연 생산(‘24~’29년) 감(感)에 의한 기획 → Data에 기반한 기획 확산 AI 수요 예측 서비스 + 반복 스케치, 패턴 제작 → AI 기반 솔루션 활용 + 소규모 봉제공장 → 커넥티드 팩토리 구축 제조 현장의 자동화 및 지능화 ◈ 노동력 부족분야, 반복적 노동력이 요구되는 공정을 자동화하고, 공정 복잡도가 높은 분야는 설비를 지능화하여 생산성을 획기적 개선 ㅇ (자동화) 염색, 가공 등 인력부족 공정에 자동화 장비 보급(‘24~’27년) * 우선 적용분야(예시): 인력부족, 단순반복 공정 (1순위염색‧가공‧봉제, 2순위제직‧편직) ㅇ (지능화) 공정 복잡도가 높은 업종에 AI 기반 디지털트윈 표준모델 시범공장을 구축하고, 설비 지능화 컨설팅 등 지원(‘26~’29년) 패션테크 新시장 선점 ◈ 메타커머스* 환경의 패션시장 성장을 지원하고, 건강 · 레저 · 안전 용도의 스마트 의류 기술 · 서비스 발굴을 통한 패션 신시장 확대 * Metaverse+eCommerce ㅇ (메타패션) 체험‧창작 공간(플레이그라운드) 확대 운영, 실물 제작‧판매 플랫폼 구축, 저작권 보호기준 마련 등 성장 지원(‘24~’27년) ㅇ (스마트 의류) 성장성과 수요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 의류 기술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증 등 상용화 촉진 기반 조성(‘24~’29년) * 안전보호 워크웨어, 건강관리 헬스웨어, 스포츠 레저웨어 등 전략4 섬유패션산업의 기반 강화 현장 생산인력 확보 및 전문인력 양성 ◈ 섬유패션 제조업의 현장 인력 부족 해결과 글로벌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ㅇ (현장인력) 구직·재직자 훈련 확대를 통한 현장인력 역량 강화(‘24~) * (구직자) 섬유 특화지역 구직자 직업훈련 및 특성화고, 전문대 졸업자 취업 지원 확대 * (재직자) 3D 패션디자인, 친환경·디지털 공정 등 신규도입 직무 교육 확대 * (외국인력) 고용 허용한도 20% 상향 유지 등 안정적인 외국인력 고용 지원 ㅇ (전문인력) 지속가능, 디지털 등 하이테크 분야 인력 양성(‘24~) * (지속가능) 글로벌 환경규제·인증 분석 분야의 인재 양성(360명) * (디지털) 3D 디자인, AI 활용 기획·디자인·유통 분야 교육 확대(460명) * (하이테크) 탄소섬유, 스마트섬유 등 제조 분야 석·박사 양성(180명) 수출역량 제고 및 내수시장 창출 ◈ 국내 섬유패션산업의 수출 감소 및 내수시장 위축 문제 해결을 위해 국내외 시장 진출 확대 및 스트림간 협력 지원 강화 ㅇ (수출 지원) 新시장 개척을 위한 전시회 참가 및 인증획득 지원(‘24~) * K-패션 전시·수출상담회 참가(연간 500개사), 글로벌 환경 인증 획득(연간 120건) 등 지원 ㅇ (내수 확대) 국방 섬유제품* 등 국산 섬유 공공조달 확대 추진(‘24~) * 사용 품목 확대(전투복→방한복 등), 국산 원자재 조달 확대를 위한 국방부 협의 등 ㅇ (스트림간 협력) 우수 국산품 수출 확대를 위해 디자인-소재-봉제 등 국내 업체가 참여하는 「All in Korea」 사업 추진(‘24~) ㅇ (생산역량 개선) 생산 현장의 전문기술이 사장되지 않도록 지식자산 DB를 구축, 생성형 AI를 통한 현장 애로 솔루션 제공(‘25~)

      닫기
  • 「제37회 섬유의 날」, 섬유패션 산업 재도약 다짐 2023-11-10

    「제37회 섬유의 날」, 섬유패션 산업 재도약 다짐 - 패션그룹형지(주) 최병오 회장 금탑산업훈장 등 총 47점 포상 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와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11. 10.(금) 16시 서울 강남구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섬유패션업계 관계자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7회 「섬유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였다.   「섬유의 날」은 섬유패션산업이 국내 제조업 중 최초로 수출 100억 불을 달성한 1987년 11월 11일을 기념하여 매년 개최되고 있는 행사로, 이날 제37회 섬유의 날 행사에서는 총 47명의 유공자가 산업 발전에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참고자료

    • 1110(11조간)섬유탄소나노과, 제37회 섬유의 날, 섬유패션 산업 재도약 다짐.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3. 11. 10.(금) 11:00 < 11.11.(토) 조간 > 배포 2023. 11. 10.(금) 「제37회 섬유의 날」, 섬유패션 산업 재도약 다짐 - 패션그룹형지(주) 최병오 회장 금탑산업훈장 등 총 47점 포상 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와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11. 10.(금) 16시 서울 강남구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섬유패션업계 관계자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7회 「섬유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였다. 「섬유의 날」은 섬유패션산업이 국내 제조업 중 최초로 수출 100억 불을 달성한 1987년 11월 11일을 기념하여 매년 개최되고 있는 행사로, 이날 제37회 섬유의 날 행사에서는 총 47명의 유공자가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금탑산업훈장 및 산업포장 등의 정부포상*을 수상하였다. * 금탑산업훈장 1점, 산업포장 2점, 대통령표창 3점, 국무총리표창 3점, 산업부 장관표창 38점 최고 영예인 금탑산업훈장은 크로커다일 등 여성 평상복 상표(캐주얼 브랜드) 1세대 경영자로서 41년간 패션의류사업에 종사하며 일자리를 새로 마련하고, 폐페트병으로 만든 의류 상품을 출시하는 등 친환경 전환에 이바지해 온 패션그룹형지(주) 최병오 회장이 수상하였다. 산업포장은 우수한 봉제 기술력 및 제품의 품질 경쟁력을 토대로 매출액의 약 95% 이상을 수출하고 있는 호전실업(주) 박용철 회장과 국내 원료회사와의 상생 협력 및 적극적인 기술개발 투자를 통해 그간 수입에만 의존해오던 원료를 국산화하여 불에 잘 타지 않는 방염 원사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신한방직(주) 문형태 대표가 수상했다. 행사에 참석한 장영진 1차관은 축사를 통해 최근 국회 통과한 노조법(소위 ‘노란봉투법’)이 현장에 적용될 경우 그간 어렵게 쌓아온 노사관계의 토대를 뿌리째 흔들고 산업현장의 무분별한 파업을 일으키는 등 우리 경제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밝히는 한편, 수출부진·미국발 고금리 등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분투하고 있는 섬유패션산업인들의 노고를 격려하며, “정부와 업계가 하나 되어 친환경·디지털 등 세계적인 추세(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고, 첨단산업용 섬유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섬유패션 산업의 재도약 계기를 만들어나가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답했다. 【붙 임】 1. 제37회 「섬유의 날」 개요 2. 주요 수상자 명단 담당 부서 첨단산업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종주 (044-203-4280) 섬유탄소나노과 담당자 사무관 윤지수 (044-203-4285) 붙임1 제37회 「섬유의 날」 기념식 개요 □ 개요 ㅇ 일시 /장소 : 11.10(금) 16:00∼17:40 /섬유센터(삼성동) 3층 ㅇ 의의 : 국내 단일업종 최초로 섬유산업이 수출 100억불을 달성한 ’87.11.11일을 기념하기 위해 매년 11.11일 「섬유의 날」 행사 개최 ㅇ 참석자 : 장영진 산업부 1차관, 섬유산업연합회 회장 및 섬유패션 협·단체장, 기업대표, 수상자 및 수상자 가족 등 총 500명 내외 ㅇ 주요내용 : 섬유패션산업 유공자 포상* 및 업계 노고 격려 * 금탑 1, 포장 2, 대표 3, 국표 3, 장관표창 38, 섬산련 회장상 36 (총 83점) ㅇ 주최 /후원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산업통상자원부 □ 세부 일정 시간 행사내용 비고 16:00~16:05 (’05) ㅇ 개회, 국민의례 및 내빈소개 섬유센터(3층) 16:05~16:10 (’05) ㅇ 기념사 섬산련 회장 16:10~16:19 (09‘) ㅇ 축사 산업부 차관 등 16:19~16:43 (’24) ㅇ 유공자 포상 시상식 * 훈·포장(3명), 대표·국표(6명), 장관표창(대표수상 6명) 산업부 차관 ㅇ 섬산련 회장상 / 공로패 시상 섬산련 회장 16:43~16:50 (07‘) ㅇ 수상소감 * 훈·포장 및 공로패 수상자 수상자 16:50~17:40 (50‘) ㅇ 기념만찬 및 폐회 사회자 붙임2 정부포상 및 장관표창 수상자 □ 정부포상 수상자 (9점) □ 장관 표창 수상자 (38점) 구분 소속 직책 성명 구분 소속 직책 성명 1 ㈜영도벨벳 부장 최상집 20 ㈜성안 부장 박병칠 2 삼일방직㈜ 대표 노현석 21 원창머티리얼㈜ 연구소장 유구근 3 (주)영원무역 부사장 김진국 22 ㈜비전월드 이사 권준모 4 (주)우양통상 대표 이현수 23 도레이첨단소재㈜ 책임 최원정 5 ㈜득금티앤씨 대표 박명수 24 ㈜부천 차장 노창래 6 ㈜성림섬유 전무 윤성식 25 ㈜효성티앤씨 사원 정형근 7 ㈜정연 대표 김권자 26 케이투코리아 부장 정원일 8 ㈜엔라인 전무 박재홍 27 ㈜국도섬유 과장 임삼진 9 ㈜아이디모드 대표 임대빈 28 ㈜대농 반장 연병옥 10 명천자수 대표 박원호 29 일신방직㈜ 주임 김귀자 11 정화실업㈜ 대표 이인호 30 ㈜삼원일모 실장 김옥술 12 ㈜한성하람 회장 고위한 31 ㈜우주글로벌 팀장 김웅한 13 ㈜반짇고리 대표 김조은 32 ㈜콜핑 부장 정미정 14 이노경영기술원㈜ 고문 권영록 33 파츠파츠 실장 김영애 15 ㈜마일즈인터내셔널 대표 송은선 34 전방㈜ 과장 오승현 16 비에니끄 대표 이윤정 35 (재)한국의류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박재호 17 ㈜휴비스 부장 최세환 36 (사)KOTITI시험연구원 수석연구원 정한규 18 (유)덕양무역 대표 김기상 37 ECO융합섬유연구원 센터장 최낙훈 19 ㈜신한산업 이사 성재규 3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선임기술원 이현주 구 분 유공자 소속 직위 주요 공적 금탑 산업훈장 최병오 패션그룹형지(주) 회장 여성 캐주얼 브랜드 1세대 경영자로 ESG 경영, 친환경, 협력사와의 상생협력 등 지속가능 경영선도 산업포장 박용철 호전실업(주) 회장 무봉제고주파접합법, 스마트팩토리 등 기술혁신으로 아웃도어 및 스포츠의류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 산업포장 문형태 신한방직(주) 대표 난연방염, 리사이클 등 방적산업 분야의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으로 글로벌 경쟁력 향상 및 상생경영 선도 대통령 표창 김동인 ㈜동인섬유 대표 염색전문 엔지니어 출신으로 염색 경쟁력 강화를 위해 R&D, 에너지 절약 및 오염물질 환경개선에 기여 대통령 표창 김문탁 서진텍스타일(주) 대표 오가닉코튼, 리사이클 원사 등 친환경 R&D 분야의 집중 투자를 통한 제품 품질 고급화에 기여 대통령 표창 이승혜 ㈜약진통상 상무 Old Navy, Banana Republic 등 유명 브랜드와의 협업 및 기능성 레깅 Capacity 확보를 통해 수출증대에 기여 국무총리 표창 오관훈 태광산업(주) 기장 생산관리시스템의 혁신으로 품질경영, 생산성 향상,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기여 국무총리 표창 박정주 ㈜신원 대표 해외법인 및 수출 부문을 진두지휘해온 해외 수출 영업 전문가로서 매출 1조원의 중견 패션기업 육성에 기여 국무총리 표창 남정호 한세실업(주) 이사 니트의류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세계 유명 글로벌 패션 브랜드에 우수한 제품 공급을 통해 수출증대에 기여

      닫기
    • 1110(11조간)섬유탄소나노과, 제37회 섬유의 날, 섬유패션 산업 재도약 다짐.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3. 11. 10.(금) 11:00 < 11.11.(토) 조간 > 배포 2023. 11. 10.(금) 「제37회 섬유의 날」, 섬유패션 산업 재도약 다짐 - 패션그룹형지(주) 최병오 회장 금탑산업훈장 등 총 47점 포상 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와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11. 10.(금) 16시 서울 강남구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섬유패션업계 관계자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7회 「섬유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였다. 「섬유의 날」은 섬유패션산업이 국내 제조업 중 최초로 수출 100억 불을 달성한 1987년 11월 11일을 기념하여 매년 개최되고 있는 행사로, 이날 제37회 섬유의 날 행사에서는 총 47명의 유공자가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금탑산업훈장 및 산업포장 등의 정부포상*을 수상하였다. * 금탑산업훈장 1점, 산업포장 2점, 대통령표창 3점, 국무총리표창 3점, 산업부 장관표창 38점 최고 영예인 금탑산업훈장은 크로커다일 등 여성 평상복 상표(캐주얼 브랜드) 1세대 경영자로서 41년간 패션의류사업에 종사하며 일자리를 새로 마련하고, 폐페트병으로 만든 의류 상품을 출시하는 등 친환경 전환에 이바지해 온 패션그룹형지(주) 최병오 회장이 수상하였다. 산업포장은 우수한 봉제 기술력 및 제품의 품질 경쟁력을 토대로 매출액의 약 95% 이상을 수출하고 있는 호전실업(주) 박용철 회장과 국내 원료회사와의 상생 협력 및 적극적인 기술개발 투자를 통해 그간 수입에만 의존해오던 원료를 국산화하여 불에 잘 타지 않는 방염 원사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신한방직(주) 문형태 대표가 수상했다. 행사에 참석한 장영진 1차관은 축사를 통해 최근 국회 통과한 노조법(소위 ‘노란봉투법’)이 현장에 적용될 경우 그간 어렵게 쌓아온 노사관계의 토대를 뿌리째 흔들고 산업현장의 무분별한 파업을 일으키는 등 우리 경제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밝히는 한편, 수출부진·미국발 고금리 등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분투하고 있는 섬유패션산업인들의 노고를 격려하며, “정부와 업계가 하나 되어 친환경·디지털 등 세계적인 추세(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고, 첨단산업용 섬유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섬유패션 산업의 재도약 계기를 만들어나가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답했다. 【붙 임】 1. 제37회 「섬유의 날」 개요 2. 주요 수상자 명단 담당 부서 첨단산업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종주 (044-203-4280) 섬유탄소나노과 담당자 사무관 윤지수 (044-203-4285) 붙임1 제37회 「섬유의 날」 기념식 개요 □ 개요 ㅇ 일시/장소 : 11.10(금) 16:00∼17:40/섬유센터(삼성동) 3층 ㅇ 의의 : 국내 단일업종 최초로 섬유산업이 수출 100억불을 달성한 ’87.11.11일을 기념하기 위해 매년 11.11일 「섬유의 날」 행사 개최 ㅇ 참석자 : 장영진 산업부 1차관, 섬유산업연합회 회장 및 섬유패션협·단체장, 기업대표, 수상자 및 수상자 가족 등 총 500명 내외 ㅇ 주요내용 : 섬유패션산업 유공자 포상* 및 업계 노고 격려 * 금탑 1, 포장 2, 대표 3, 국표 3, 장관표창 38, 섬산련 회장상 36 (총 83점) ㅇ 주최/후원 : 한국섬유산업연합회/산업통상자원부 □ 세부 일정 시간 행사내용 비고 16:00~16:05 (’05) ㅇ 개회, 국민의례 및 내빈소개 섬유센터(3층) 16:05~16:10 (’05) ㅇ 기념사 섬산련 회장 16:10~16:19 (09‘) ㅇ 축사 산업부 차관 등 16:19~16:43 (’24) ㅇ 유공자 포상 시상식 * 훈·포장(3명), 대표·국표(6명), 장관표창(대표수상 6명) 산업부 차관 ㅇ 섬산련 회장상 / 공로패 시상 섬산련 회장 16:43~16:50 (07‘) ㅇ 수상소감 * 훈·포장 및 공로패 수상자 수상자 16:50~17:40 (50‘) ㅇ 기념만찬 및 폐회 사회자 붙임2 정부포상 및 장관표창 수상자 □ 정부포상 수상자 (9점) 구 분 유공자 소속 직위 주요 공적 금탑 산업훈장 최병오 패션그룹형지(주) 회장 여성 캐주얼 브랜드 1세대 경영자로 ESG 경영, 친환경, 협력사와의 상생협력 등 지속가능 경영선도 산업포장 박용철 호전실업(주) 회장 무봉제고주파접합법, 스마트팩토리 등 기술혁신으로 아웃도어 및 스포츠의류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 산업포장 문형태 신한방직(주) 대표 난연방염, 리사이클 등 방적산업 분야의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으로 글로벌 경쟁력 향상 및 상생경영 선도 대통령 표창 김동인 ㈜동인섬유 대표 염색전문 엔지니어 출신으로 염색 경쟁력 강화를 위해 R&D, 에너지 절약 및 오염물질 환경개선에 기여 대통령 표창 김문탁 서진텍스타일(주) 대표 오가닉코튼, 리사이클 원사 등 친환경 R&D 분야의 집중 투자를 통한 제품 품질 고급화에 기여 대통령 표창 이승혜 ㈜약진통상 상무 Old Navy, Banana Republic 등 유명 브랜드와의 협업 및 기능성 레깅 Capacity 확보를 통해 수출증대에 기여 국무총리 표창 오관훈 태광산업(주) 기장 생산관리시스템의 혁신으로 품질경영, 생산성 향상,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기여 국무총리 표창 박정주 ㈜신원 대표 해외법인 및 수출 부문을 진두지휘해온 해외 수출 영업 전문가로서 매출 1조원의 중견 패션기업 육성에 기여 국무총리 표창 남정호 한세실업(주) 이사 니트의류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세계 유명 글로벌 패션 브랜드에 우수한 제품 공급을 통해 수출증대에 기여 □ 장관 표창 수상자 (38점) 구분 소속 직책 성명 구분 소속 직책 성명 1 ㈜영도벨벳 부장 최상집 20 ㈜성안 부장 박병칠 2 삼일방직㈜ 대표 노현석 21 원창머티리얼㈜ 연구소장 유구근 3 (주)영원무역 부사장 김진국 22 ㈜비전월드 이사 권준모 4 (주)우양통상 대표 이현수 23 도레이첨단소재㈜ 책임 최원정 5 ㈜득금티앤씨 대표 박명수 24 ㈜부천 차장 노창래 6 ㈜성림섬유 전무 윤성식 25 ㈜효성티앤씨 사원 정형근 7 ㈜정연 대표 김권자 26 케이투코리아 부장 정원일 8 ㈜엔라인 전무 박재홍 27 ㈜국도섬유 과장 임삼진 9 ㈜아이디모드 대표 임대빈 28 ㈜대농 반장 연병옥 10 명천자수 대표 박원호 29 일신방직㈜ 주임 김귀자 11 정화실업㈜ 대표 이인호 30 ㈜삼원일모 실장 김옥술 12 ㈜한성하람 회장 고위한 31 ㈜우주글로벌 팀장 김웅한 13 ㈜반짇고리 대표 김조은 32 ㈜콜핑 부장 정미정 14 이노경영기술원㈜ 고문 권영록 33 파츠파츠 실장 김영애 15 ㈜마일즈인터내셔널 대표 송은선 34 전방㈜ 과장 오승현 16 비에니끄 대표 이윤정 35 (재)한국의류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박재호 17 ㈜휴비스 부장 최세환 36 (사)KOTITI시험연구원 수석연구원 정한규 18 (유)덕양무역 대표 김기상 37 ECO융합섬유연구원 센터장 최낙훈 19 ㈜신한산업 이사 성재규 3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선임기술원 이현주

      닫기
    • 1110(11조간)섬유탄소나노과, 제37회 섬유의 날, 섬유패션 산업 재도약 다짐.hwp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3. 11. 10.(금) 11:00 < 11.11.(토) 조간 > 배포 2023. 11. 10.(금) 「제37회 섬유의 날」, 섬유패션 산업 재도약 다짐 - 패션그룹형지(주) 최병오 회장 금탑산업훈장 등 총 47점 포상 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와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11. 10.(금) 16시 서울 강남구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섬유패션업계 관계자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7회 「섬유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였다. 「섬유의 날」은 섬유패션산업이 국내 제조업 중 최초로 수출 100억 불을 달성한 1987년 11월 11일을 기념하여 매년 개최되고 있는 행사로, 이날 제37회 섬유의 날 행사에서는 총 47명의 유공자가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금탑산업훈장 및 산업포장 등의 정부포상*을 수상하였다. * 금탑산업훈장 1점, 산업포장 2점, 대통령표창 3점, 국무총리표창 3점, 산업부 장관표창 38점 최고 영예인 금탑산업훈장은 크로커다일 등 여성 평상복 상표(캐주얼 브랜드) 1세대 경영자로서 41년간 패션의류사업에 종사하며 일자리를 새로 마련하고, 폐페트병으로 만든 의류 상품을 출시하는 등 친환경 전환에 이바지해 온 패션그룹형지(주) 최병오 회장이 수상하였다. 산업포장은 우수한 봉제 기술력 및 제품의 품질 경쟁력을 토대로 매출액의 약 95% 이상을 수출하고 있는 호전실업(주) 박용철 회장과 국내 원료회사와의 상생 협력 및 적극적인 기술개발 투자를 통해 그간 수입에만 의존해오던 원료를 국산화하여 불에 잘 타지 않는 방염 원사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신한방직(주) 문형태 대표가 수상했다. 행사에 참석한 장영진 1차관은 축사를 통해 최근 국회 통과한 노조법(소위 ‘노란봉투법’)이 현장에 적용될 경우 그간 어렵게 쌓아온 노사관계의 토대를 뿌리째 흔들고 산업현장의 무분별한 파업을 일으키는 등 우리 경제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밝히는 한편, 수출부진·미국발 고금리 등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분투하고 있는 섬유패션산업인들의 노고를 격려하며, “정부와 업계가 하나 되어 친환경·디지털 등 세계적인 추세(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고, 첨단산업용 섬유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섬유패션 산업의 재도약 계기를 만들어나가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답했다. 【붙 임】 1. 제37회 「섬유의 날」 개요 2. 주요 수상자 명단 담당 부서 첨단산업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종주 (044-203-4280) 섬유탄소나노과 담당자 사무관 윤지수 (044-203-4285) 붙임1 제37회 「섬유의 날」 기념식 개요 □ 개요 ㅇ 일시/장소 : 11.10(금) 16:00∼17:40/섬유센터(삼성동) 3층 ㅇ 의의 : 국내 단일업종 최초로 섬유산업이 수출 100억불을 달성한 ’87.11.11일을 기념하기 위해 매년 11.11일 「섬유의 날」 행사 개최 ㅇ 참석자 : 장영진 산업부 1차관, 섬유산업연합회 회장 및 섬유패션협·단체장, 기업대표, 수상자 및 수상자 가족 등 총 500명 내외 ㅇ 주요내용 : 섬유패션산업 유공자 포상* 및 업계 노고 격려 * 금탑 1, 포장 2, 대표 3, 국표 3, 장관표창 38, 섬산련 회장상 36 (총 83점) ㅇ 주최/후원 : 한국섬유산업연합회/산업통상자원부 □ 세부 일정 시간 행사내용 비고 16:00~16:05 (’05) ㅇ 개회, 국민의례 및 내빈소개 섬유센터(3층) 16:05~16:10 (’05) ㅇ 기념사 섬산련 회장 16:10~16:19 (09‘) ㅇ 축사 산업부 차관 등 16:19~16:43 (’24) ㅇ 유공자 포상 시상식 * 훈·포장(3명), 대표·국표(6명), 장관표창(대표수상 6명) 산업부 차관 ㅇ 섬산련 회장상 / 공로패 시상 섬산련 회장 16:43~16:50 (07‘) ㅇ 수상소감 * 훈·포장 및 공로패 수상자 수상자 16:50~17:40 (50‘) ㅇ 기념만찬 및 폐회 사회자 붙임2 정부포상 및 장관표창 수상자 □ 정부포상 수상자 (9점) 구 분 유공자 소속 직위 주요 공적 금탑 산업훈장 최병오 패션그룹형지(주) 회장 여성 캐주얼 브랜드 1세대 경영자로 ESG 경영, 친환경, 협력사와의 상생협력 등 지속가능 경영선도 산업포장 박용철 호전실업(주) 회장 무봉제고주파접합법, 스마트팩토리 등 기술혁신으로 아웃도어 및 스포츠의류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 산업포장 문형태 신한방직(주) 대표 난연방염, 리사이클 등 방적산업 분야의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으로 글로벌 경쟁력 향상 및 상생경영 선도 대통령 표창 김동인 ㈜동인섬유 대표 염색전문 엔지니어 출신으로 염색 경쟁력 강화를 위해 R&D, 에너지 절약 및 오염물질 환경개선에 기여 대통령 표창 김문탁 서진텍스타일(주) 대표 오가닉코튼, 리사이클 원사 등 친환경 R&D 분야의 집중 투자를 통한 제품 품질 고급화에 기여 대통령 표창 이승혜 ㈜약진통상 상무 Old Navy, Banana Republic 등 유명 브랜드와의 협업 및 기능성 레깅 Capacity 확보를 통해 수출증대에 기여 국무총리 표창 오관훈 태광산업(주) 기장 생산관리시스템의 혁신으로 품질경영, 생산성 향상,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기여 국무총리 표창 박정주 ㈜신원 대표 해외법인 및 수출 부문을 진두지휘해온 해외 수출 영업 전문가로서 매출 1조원의 중견 패션기업 육성에 기여 국무총리 표창 남정호 한세실업(주) 이사 니트의류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세계 유명 글로벌 패션 브랜드에 우수한 제품 공급을 통해 수출증대에 기여 □ 장관 표창 수상자 (38점) 구분 소속 직책 성명 구분 소속 직책 성명 1 ㈜영도벨벳 부장 최상집 20 ㈜성안 부장 박병칠 2 삼일방직㈜ 대표 노현석 21 원창머티리얼㈜ 연구소장 유구근 3 (주)영원무역 부사장 김진국 22 ㈜비전월드 이사 권준모 4 (주)우양통상 대표 이현수 23 도레이첨단소재㈜ 책임 최원정 5 ㈜득금티앤씨 대표 박명수 24 ㈜부천 차장 노창래 6 ㈜성림섬유 전무 윤성식 25 ㈜효성티앤씨 사원 정형근 7 ㈜정연 대표 김권자 26 케이투코리아 부장 정원일 8 ㈜엔라인 전무 박재홍 27 ㈜국도섬유 과장 임삼진 9 ㈜아이디모드 대표 임대빈 28 ㈜대농 반장 연병옥 10 명천자수 대표 박원호 29 일신방직㈜ 주임 김귀자 11 정화실업㈜ 대표 이인호 30 ㈜삼원일모 실장 김옥술 12 ㈜한성하람 회장 고위한 31 ㈜우주글로벌 팀장 김웅한 13 ㈜반짇고리 대표 김조은 32 ㈜콜핑 부장 정미정 14 이노경영기술원㈜ 고문 권영록 33 파츠파츠 실장 김영애 15 ㈜마일즈인터내셔널 대표 송은선 34 전방㈜ 과장 오승현 16 비에니끄 대표 이윤정 35 (재)한국의류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박재호 17 ㈜휴비스 부장 최세환 36 (사)KOTITI시험연구원 수석연구원 정한규 18 (유)덕양무역 대표 김기상 37 ECO융합섬유연구원 센터장 최낙훈 19 ㈜신한산업 이사 성재규 3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선임기술원

      닫기
더보기

정책·정보 ( 95 건)

  • 2025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시행계획 공고 2025-04-25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344호2025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시행계획 공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분야의 사업화에 필요한 공동활용 연구시설·장비구축 지원을 위한「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시행계획을 공고하오니,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아래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4월 25일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책·정보>정책게시판>전체

    • 붙임1. 2025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시행계획 공고문.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344호 2025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시행계획 공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분야의 사업화에 필요한 공동활용 연구시설·장비구축 지원을 위한「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시행계획을 공고하오니,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아래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4월 25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사업개요 가. 사업목적 ㅇ 소부장 핵심전략기술분야의 사업화 과정에 필요한 연구기반시설 구축 지원을 통해 관련 기술 내재화로 첨단산업의 지속적 초격차 확보 - (장비구축) 국내 소재부품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제품의 시험·분석 및 실증 등에 필요한 연구시설·장비 구축 - (기업지원) 구축된 장비를 활용하여 신뢰성 기준 제·개정, 고장분석, 인증 지원 및 시제품 제작과 양산을 위한 공정 검증지원 등 실시 < 기반구축 사업 개념> ☞ 최종 수혜자인 기업에 대한 간접지원 ☞ 연구소, TP, 대학교 등의 수행기관을 ‘중간조직’으로서 지원하고, 해당 수행기관이 장비운용을 통해 기업의 R&D, 사업화 등 혁신활동을 지원 2 상세 지원내용 가. 지원분야 ㅇ 공모방식 : 지정공모 ㅇ 지원대상 : 8개 과제 (과제별 제안요청서(RFP) 참조) < 지원대상 과제 목록 > No 분야 과제명 별첨(RFP) 1 반도체 3D 반도체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 기반구축 2 디스 플레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실증기반 핵심기술 기반구축 3 기계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전달 핵심모듈 실증 인프라 구축 4 기초 화학 지속 가능한 엘라스토머 소재 공급망 강화를 위한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5 친환경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열가소성 복합재(CFRTP) 제조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6 전기 전자 차세대 친환경에너지부품의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 기반구축 7 자동차 미래차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실증 및 기술지원 기반구축 8 금속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소재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 구축 * 과제별 상세 요구내용은 붙임2 과제별 제안요청서(RFP) 참조 * 안전관리형 과제 해당 없음 나. 지원규모 및 기간 ㅇ 지원규모 : 과제당 총 정부지원연구개발비 100억원 이내 * 과제별 정부지원연구개발비(국비)는 개별 제안요청서(RFP) 참조 ** 지원규모는 정부 예산 사정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ㅇ 지원기간 : 2025. 5 ~ 2028. 12 (44개월 이내) * (디스플레이 분야) 지원기간: 2025. 5. ∼ 2027.12 (32개월 이내) ** 1차년도 수행기간은 8개월(’25.5월~’25.12월), 2차년도 이후는 12개월로 회계연도와 일치 *** 총 연구개발기간은 평가위원회에서 조정될 수 있음 다. 신청자격 및 조건 ㅇ 주관연구개발기관 단독 또는 컨소시엄의 비영리기관* *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19조 제2항에 의거한 연구기관, 대학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단체 - 신뢰성시험법 등을 개발하여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비영리기관으로 융합혁신지원단* 구성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되, 신뢰성 실시기관** 1개 이상 포함 (단독과제이면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융합혁신지원단이면서 실시기관이어야 함) * (융합혁신지원단) 38개 공공硏으로 구성된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 및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이하 “소부장 특별법”)상 소부장 기업지원 협의체로 ’23년부터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사업의 소부장 실증기반강화 대상기관으로 확대 (참고1) ** (신뢰성 실시기관) 소부장 특별법 제33조(신뢰성향상기반구축사업) 제2항의 신뢰성향상기반구축사업의 실시기관을 의미(‘24년 지정 16개 기관) (참고2) - 과제별 RFP에서 지정하는 연구기반구축 및 기업지원 역량을 보유할 것 라. 추진체계 산업통상자원부 전문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획위원회, 전문위원회 연구개발과제평가단(평가위원회) 장비관리전담기관 중앙장비심의위원회 주관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 운영위원회, 장비심의위원회 공동연구개발기관 1 … 공동연구개발기관 N 결과활용기관 N 마. 지원조건 구분 내용 지원방식 ㅇ 전체 연구개발기간에 대해 일괄 협약 체결 ㅇ 정부지원연구개발비(국비)는 회계연도에 따라 연차별 지급 * 정부 예산 사정에 따라 지급시기 조정 및 분할 지급될 수 있음 연구개발비 ㅇ 정부지원연구개발비는 연구개발비(건축비 등 제외)의 70% 이내에서 지원 * (예시) 정부지원연구개발비를 100억원 신청하는 경우 기관부담연구개발비(현금·현물, 지자체 포함) 합계가 43억원 이상이어야 함 (100억원 / 143억원 = 70%↓, 연차별 비율 준수)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4조 및 25조 참조 *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인정기준은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별표4 참조 ㅇ 장비구축비는 정부지원연구개발비의 65% 이상으로 편성(연구개발과제 기준) ㅇ 기타 연구개발비 편성시 아래 규정 준수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30조 및 별표5, 별표6, 별표7 *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사업 평가관리지침 제33조 연구시설ㆍ 장비통합관리 ㅇ “연구시설ㆍ장비비 통합관리기관”으로 지정된 기관의 경우 수정직접비의 5% 이내에서 통합연구시설ㆍ장비비 계상 가능 * 수정직접비 : 직접비 현금 총액에서 국제공동연구개발비를 제외한 금액 *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기준」 제7장 (연구시설ㆍ장비비 사용의 특례) 및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30조 제11항 참조 연구수당 ㅇ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수당은 수정인건비의 10% 이내로 산정 * 수정인건비 : 인건비(현물 포함) 및 학생인건비 포함, 연구근접지원인력 인건비 제외 간접비 ㅇ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직접비(현금) 합계의 5% 이내로 산정 기술료 ㅇ 비징수 3 지원제외 처리기준 ◾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제23조(사전검토) 및 별표3(제출서류 및 신청자격 검토, 사전지원제외 대상 및 처리기준) 구 분 내 용 공고내용과의 부합성 ㅇ 신청과제가 공고된 과제제안요청서(RFP)의 목표 및 내용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기존과제와의 차별성  ㅇ 연구개발과제가 기 지원된 연구개발과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의무사항 불이행 ㅇ 주관연구개발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 등이 접수마감일 현재 각종 보고서 제출, 기술료/정산금/환수금 납부 등 의무사항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참여제한 여부 ㅇ 주관연구개발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장,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장, 연구책임자가 접수 마감일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총 인건비계상율 및 참여과제수 ㅇ 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자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총 인건비 계상률 및 참여 과제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본 사업 지원제외 대상과제로 처리 - 다만 他 사업 지원 시에는 본 사업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참여과제 수에서 제외 가능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0조제2항 및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별표3 참조 * 기타 사전지원제외 기준은 「7. 관련법령 및 규정」에 따름 4 평가절차 및 기준 가. 평가절차 및 추진일정 공고 (산업통상자원부) ⇨ 연구개발계획서접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연구개발계획서 사전검토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연구개발계획서 선정평가 (연구개발과제평가단) ‘25. 4월 25일 ∼‘25. 5월 26일 ‘25. 5월 ∼ ‘25. 6월 ∼ ⇨ 평가결과 확정 (산업통상자원부) ⇨ 평가결과 통보 및 이의신청 ⇨ 협약체결 및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지급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5. 6월 ∼ ‘25. 6월 ‘25. 6월∼ * 상기 일정은 추진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나. 평가방법 ㅇ (사전검토) 전문기관(한국산업기술진흥원) 담당자는 신청기관의 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류, 신청자격, 공고 내용과의 부합성 등을 검토 ㅇ (연구개발계획서 평가) 연구개발과제평가단은 연구개발계획서를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하며, 신청기관은 평가위원회에 참석하여 대면 발표하고 질의응답 진행 다. 감점 기준 ㅇ 접수마감일 기준으로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평가 시 감점함 - 최근 3년 이내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31조제1항의 부정행위로 협약해약 또는 제재처분된 연구책임자나 기관이 새로운 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3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12조제5항제1호 관련) - 최근 3년 이내에 연구개발과제 선정 후 또는 연구수행 중 정당한 사유 없이 협약을 포기한 경력이 있는 연구책임자나 기관이 새로운 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2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12조제5항제2호 관련) * 단 2024년 예산 감액으로인한 중단(포기) 과제의 경우 감점 미해당 라. 평가기준 구분 평가항목 평가내용 사업목표 명확성 (20) 사업목표 명확성 ㅇ 목표 설정의 타당성 및 구체성 추진전략 적정성 ㅇ 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의 구체성 및 적정성 추진체계 및 보유 역량 (20) 추진체계 적절성 ㅇ 주관 및 공동 연구개발기관별 역할 및 협력체계 적정성 기반구축 역량 ㅇ 연구책임자, 참여연구자 및 연구시설장비 전담인력의 전문성 ㅇ 전담조직 구성 및 전담인력 확보 등 운영계획의 적정성 ㅇ 기존 관련 연구시설ㆍ장비 보유 및 기술지원 역량 사업내용 타당성 (40) 추진전략 적정성 ㅇ 연차별 추진전략 구체성 및 계획의 적정성 ㅇ 활용기업에 대한 수요조사 등 사전 기획의 충실도 장비구축 타당성 ㅇ 사업목적과 장비 부합성 ㅇ 연구시설ㆍ장비 구축계획 적정성(종류, 예산, 사양, 중복성 등) ㅇ 장비구축 전용공간 확보 여부 또는 계획 적절성 ㅇ 구축된 연구장비의 활용 계획의 적절성 등 연구개발비 적절성 ㅇ 연구개발비 연차별 편성 및 운용계획의 적절성 성공 가능성 ㅇ 사업추진단계별 계획에 대한 성공적인 추진가능성 성과확산 효과 (20) 사업지속 가능성 ㅇ 과제 종료 후 해당 센터의 지속 가능성 및 사업의 향후 활용성 파급효과 ㅇ 산업 생태계에 미치는 효과 5 신청방법 및 서류 가. 신청방법 구 분 내 용 접수기간 ▪2025. 4. 25(금) 09:00 ∼ 2025. 5. 26(월) 18:00 서식교부 ▪서식은 아래 시스템에서 다운로드 가능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iat.or.kr, 홈페이지 → 사업·자료 → 사업공고)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 접 수 처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에 온라인 등록 - 2025. 4. 25(금) 09:00 ∼ 2025. 5. 26(월) 18:00 * 접수 마감일 18:00 이후 접수 및 서류 제출이 불가함 * 별도 오프라인 서류 제출 불가함 접수절차 접수 전 필수 이행사항 신청 연구과제 신청완료 연구자는 NRI 가입, 연구자전환 동의 및 정보 등록·갱신 (학력, 경력 등) IRIS 기관등록, 기관총괄담당자 신청 (기관담당자 권한 부여), 기관대표자 등록 등 온라인 입력정보 작성 및 연구계획서 등 등록 연구개발기관의 온라인 등록사항 확인・승인 연구자 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 연구개발기관장 (연구자) ① IRIS 회원가입 ② IRIS 내 NRI(국가연구자정보시스템)로 이동하여 연구자전환 동의(국가연구자번호 발급) ③ NRI 내 학력/경력* 및 주요 연구수행 실적** 정보 등록 필수 * 경력정보에서 근무(소속)부서 등록 필수 ** 최근 5년간 수행완료 과제, 수행 중/신청 중 과제 목록 작성 ※ ① 및 ②: 연구책임자 포함 참여연구자 전원 필수(학생인건비 통합관리 기관의 학생연구자는 제외) ③: 연구책임자 필수(공동·위탁연구개발기관 책임자 포함) (연구개발기관) IRIS 기관등록, 기관총괄담당자 신청(기관담당자 권한부여), 기관대표자 등록 등 ※ 기관대표자 및 기관(총괄)담당자도 IRIS 회원가입 및 연구자전환 동의(국가연구자번호 발급)가 필수이며, 대표자 정보 미등록 시 연구자가 과제접수를 완료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필수 이행사항 사전 조치 ※(유의사항) IRIS 관련 접수절차 및 최신 정보는 신청기관이 IRIS 홈페이지내 매뉴얼, 콜센터 등을 통해 확인이 필요함 ☎ IRIS 문의처: 콜센터 1877-2041 또는 IRIS 홈페이지 사용문의 게시판 활용 ① 통합회원가입 - 연구책임자 및 연구개발기관이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www.iris.go.kr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등록이 되어 있지 않는 경우 신규 회원 가입 ② 온라인 등록 - 주관연구개발기관 로그인→사업공고→공고조회→동 사업 공고 선택 - 주관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가 내용 입력 ③ 파일 업로드 - 첨부된 문서 양식을 다운받아 해당내용을 오프라인으로 작성한 후,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www.iris.go.kr에 업로드 - 연구개발계획서는 HWP파일로 제출하되, 맨 앞장에 필요한 인감 날인 후 스캔하여 파일에 포함 - 연구개발계획서 이외의 첨부서류는 작성 후 스캔하여 PDF파일로 제출 ④ 온라인제출 최종확인서 출력 - 접수 확인을 위한 온라인제출 최종확인서를 출력한 후, 신청접수 완료 확인 및 보관 유의사항 ① 마감일에는 접속자 과다로 인해 전산등록이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드시 시간적 여유를 갖고 준비할 것 ② 접수 마감일 18:00까지 ‘완료 및 제출’하지 않는 경우 접수 불가 - 마감일에는 전산폭주로 인하여 등록이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시간적 여유를 갖고 준비(마감시간에 작성중인 경우도 등록 불가) ③ 온라인 등록시 과제 내용 및 연구개발비(단위)에 대한 오기가 없도록 주의 ④ 필수 입력사항을 공란 또는 허위로 작성하는 경우 사전 지원제외 처리 가능 ⑤ 전산등록한 연구책임자 및 실무자의 E-mail 및 휴대폰번호를 통해 평가일정 등의 안내가 실시되므로 회원정보에 입력된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 필요 ※ 잘못된 담당자, 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기재하여 발생한 평가 안내, 결과 통보 등 미수신(연락 불능)의 책임은 신청기관에 있음 ⑥ 필요시 온·오프라인 추가서류 제출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제출서류는 반환하지 않음 기 타 ▪온라인 등록 시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www.iris.go.kr)의 주관연구개발기관 매뉴얼 참조(사이트 내 다운로드 가능) 나. 제출서류 No 제출서류 파일형태 필수여부 대상 1 연구개발계획서 HWP 필수 주관연구개발기관 2 연구개발기관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서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3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동의서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4 연구윤리·청렴 및 보안서약서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5 현금·현물 납입확약서(지방자치단체) PDF 해당시 해당 지자체 6 현금·현물 납입확약서(연구개발기관) PDF 해당시 해당기관 7 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8 전용공간 확보계획서 PDF 필수 해당기관 9 연구자의 동시수행 과제수 확인서 PDF 필수 주관·공동(기관별) 10 감점 사항 확인서 PDF 필수 주관연구개발기관 대표 제출 11 법인등기부 등본, 사업자등록증 사본, 연구책임자 재직증명서 사본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12 실시기관 지정증 PDF 필수 해당기관 6 유의사항 ㅇ 본 사업은 실시간통합연구비관리(RCMS)적용 대상 사업임 ㅇ 참여연구자의 인건비계상률은 10% 이상으로 하여 이에 따른 인건비를 계상 ㅇ 토지, 건물, 건축조성비는 정부지원연구개발비로 산정 불가 - 기관부담연구개발비 또는 그 외 기관·단체·개인이 지원하는 연구개발비의 현금(매입) 및 현물(임차 또는 기보유)로 필요시 산정 가능 ㅇ 안전관리형 과제*는 ‘연구실안전환경조성에관한법률’ 및 ‘산업안전보건법’등의 관련 규정에 따라 안전관리 이행계획이 포함된 안전관리 계획을 제출해야 함 * 연구개발 장소 및 외부환경의 안전 확보를 위해 재해유발 위험이 높거나 위험물질 취급하는 등 사람의 신체, 재산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과제의 수행기간 및 과제 종료 후 일정기간 동안 특별한 점검 및 관리가 필요한 과제 ㅇ 지원 대상과제 중복성 제기 - 지원 대상과제가 정부에 의해 旣 지원ㆍ旣 개발되었거나 민간에 의해 旣 개발된 사실을 발견한 경우에는 중복성을 제기할 수 있음 - 확인방법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 상단 검색창 사용 - 제기기간 : 2025. 4. 25(금) ~ 5. 12(월) - 제기방법 : 제기기관 대표자 명의의 공문 제출(관련 근거자료 첨부) - 제 기 처 : (06152)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305 한국기술센터 5층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공급망협력실 ㅇ 산업기술개발장비 통합관리요령 개정(‘24.6)에 따라, 3천만원 이상 1억원 미만 장비는 전문기관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심의하고, 1억원 이상 장비는 국가연구시설장비심의위원회(NFEC)에서 심의 * 선정 확정 이후 수정연구개발계획서 검토위원회 및 장비심의위원회 실시 예정 ㅇ 기타 사항은「7. 관련법령 및 규정」을 준수 7 관련법령 및 규정 가. 근거법령 ㅇ 산업기술혁신촉진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ㅇ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ㅇ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 및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나. 관련규정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ㅇ 산업기술개발장비 통합관리요령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연구윤리․진실성 확보 등에 관한 요령 ㅇ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기준 ㅇ 국가연구개발 시설‧장비의 관리 등에 관한 표준지침 ㅇ 기타 산업기술혁신사업 및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관련한 제반 법령 및 규정 ※ 해당 공고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련 법령 및 규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름 8 문의처 과제접수/평가/절차 등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공급망협력실 정수민 연구원 (☎ 02-6009-3936) 전산등록/ 사업관리시스템(IRIS)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 1877-2041) 참고 1 융합혁신지원단 구성기관 현황 ('25년 38개) 분과 연번 기관명 특화분야 비 고 기초 소재 (12) 1 한국화학연구원 화학 대표기관 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섬유 등 3 FITI시험연구원 섬유 4 다이텍연구원 섬유 5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화학/바이오 6 한국섬유소재연구원 섬유 7 한국소재융합연구원 화학 8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화학 9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탄소 10 KATRI시험연구원 섬유 11 KOTITI시험연구원 섬유 1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섬유 응용 소재 (5) 13 한국재료연구원 재료 대표기관 14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금속 15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 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 17 고등기술연구원 경량/비철금속 전자 부품 (6) 1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자부품 대표기관 19 한국광기술원 LED 20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기계/전기/전자 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도체/정보통신 22 나노종합기술원 반도체 23 차세대융합기술원 반도체 모듈・ 부품 (6) 24 한국자동차연구원 스마트카 대표기관 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복합생산기술 26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요소부품 27 대구기계부품연구원 자동차부품, 지능형로봇 28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기계/자동차부품 29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섬유공정/기계부품 시스템‧ 장비 (9) 30 한국기계연구원 기계 대표기관 31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32 한국전기연구원 전기 3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기술 3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IT플랫폼 3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분석·평가 장비개발/지원 36 한국나노기술원 나노 인프라 37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기 38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타 * 「소재부품장비 특별법」 상 소부장 기술력 향상을 위한 연구기관 협의체 참고 2 신뢰성 실시기관 현황 ('25년 16개) No 분야 기관명 1 반도체, 전기전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2 디스플레이, 기초화학 한국화학연구원 3 자동차 한국자동차연구원 4 기계 한국기계연구원 5 금속 포항산업과학연구원 6 기초화학 FITI시험연구원 7 반도체 한국세라믹기술원 8 기초화학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9 반도체, 자동차, 기계, 전기전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10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11 기계 건설기계부품연구원 12 금속 한국재료연구원 13 기초화학 KOTITI시험연구원 14 기초화학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15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한국광기술원 16 자동차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닫기
    • 붙임2.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3D 반도체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14. 반도체 증착 부품·장비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3D 반도체 소재 및 부품, 공정 실증 지원 체계 구축 * 3D 반도체: 전통적인 2D 구조 대신, 3차원 수직구조 형태의 전공정 및 2.5/3D 패키징이 적용된 반도체 (3D NAND, 3D DRAM, 2.5/3D 패키징 등) * 3D 반도체 장비: 3D 반도체 전공정, 후공정 (패키징 & 검사) 장비 (필요성) 첨단 반도체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 과제 목표 (최종목표) 12인치 구축장비를 이용한 3D 반도체(TGV, NAND, 어드밴스 패키징 등)의 공정, 분석 기술 확보 *ALD 단차율>90% @ HAR>1:6 *3D 패턴결함평가 @HAR: >1:6 *첨단 패키징 - Warpage 정확도 평가 *첨단 패키징 - Overlay 정확도 평가 (TSV, Bump 등) (지원 대상 및 범위) 반도체 관련 기업 과제 내용 (기반 구축) 공정, 검사, 실증을 위한 장비 구축 (핵심 요소기술) 3D 반도체 공정 실증, 성능평가, 고신뢰성 평가 및 분석 기술 개발 - (1) 3D 구조를 위한 원자층 증착(ALD) 기술 - (2) 3D HAR(High Aspect Ratio) 검사, 3D 패키지검사, TSV 식각 결함 기술 - (3) 첨단 패키징의 Warpage 검사 기술 - (4) 첨단 패키징의 Overlay 검사 기술 (기반 활용) 공정 실증, 성능평가, 고신뢰성 확보 등 기술지원 (보급 및 확산) 첨단 반도체 실증기반 기술 보급/확산 주요 구축 인프라 ALD 장비 3D HAR(High Aspect Ratio) 식각 검사장비 첨단 패키징 Warpage 검사장비 웨이퍼 적층 overlay 검사장비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첨단 반도체 및 관련 소재·부품 특성 검증, 공정 실증 및 고신뢰성 확보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차량용 디스플레이 실증기반 핵심기술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3. 점·접착 소재 제조 기술 4. 디스플레이용 코팅 소재 제조 기술 5. 디스플레이용 필름 소재 제조 기술 15. 커버 윈도우 소재 및 부품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차량용 디스플레이* 소재 및 부품의 공정 실증과 패널의 고신뢰성 향상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한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 *차량용 디스플레이: 주행 중에 필요한 다양한 내‧외부 정보를 운전자나 탑승자 또는 외부 도로 이용자(보행자, 이륜차, 주변 차량 등)에게 제공하거나 공유하는 형태의 장치 (필요성) 디스플레이 산업의 시장점유율 위기 극복을 위해 미래 자동차 디스 플레이 시장에 대한 선제적 고신뢰성 기술경쟁력 확보 필요 - 디스플레이의 자동차 부품 확대 적용을 위해서는 장기 내구성, 파손 안정성 등에 대한 검증과 타 부품과의 융합이 필수이며, 이에 대한 부품화 및 실증 기술에 대한 인프라 구축 필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는 연평균 8% 이상 성장해 2028년에는 128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 과제 목표 (최종목표)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항온항습, 광내구성, 내진동·내충격성 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고신뢰성 성능평가 기술 확보를 통한 디스플레이 소재‧부품 기업의 활성화 (지원 대상 및 범위) 차량용 디스플레이 관련 중소·중견기업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자동차 적용 디스플레이의 고온고습, 태양광, 진동, 충격 등 극한 환경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합적인 스트레스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장비구축 *기 구축, 보유한 장비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성능 평가 지원 (핵심 요소기술) 차량용 디스플레이 소재 및 부품 개발을 위한 공정 실증 기술, 성능 평가, 고신뢰성 평가 및 분석 기술 개발 - (1) 초고온/저온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고신뢰성 확보 기술 - (2) 초고속 운행 및 가속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고신뢰성 확보 기술 - (3) 극한 환경하에서의 안전성 및 고신뢰성 평가 기술 (기반 활용) 구축한 인프라를 활용하여 기업의 고신뢰성 관련 시험/평가 및 제품 신뢰성 개선 등 지원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소재‧부품의 물성 및 신뢰성 평가 결과에 대한 DB 수집 및 공유를 통해 기업의 중복연구 방지 (보급 및 확산) 디스플레이와 자동차의 이종 연구기관 간 고신뢰성 관련 기술 교류 및 산업 협력, 고신뢰성 평가 기반 기업지원 프로그램 활성화 - 전시회 참가, 세미나 및 교육 등을 통하여 구축된 고신뢰성 기반 기술 보급 및 확산 주요 구축 인프라 온습도, 기계적, 동적 특성의 변화에 의한 복합적인 스트레스와 진동 소음/내구성능 및 기계적 특성을 동시에 평가/분석할 수 있는 다축 복합 가변 멀티환경 진동 내구 통합 고신뢰성 시험기 *시험기는 Sine Force ∼30,000kgf, Random force ∼24,000 kgf, Shock force ∼90,000kgf, 온도 -50∼150℃, 습도 30∼98%, Solar Unit의 테스트가 가능하여야 함 *신뢰성 평가 기준은 85℃에서 500시간 동작(95℃에서 100시간 보존), -40℃에서 240시간 동작, 60℃ & 90% 습도에서 500시간 동작, 제시된 기계적 충격 등이며 이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함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디스플레이와 자동차 관련 선진 기술 융합을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한 완성도 높은 기술 확보와 시장 선점 가능 ㅇ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고신뢰성 확보로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증대로 해외 진출 확산 및 매출 증대 ㅇ 대기업 위주로 진행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개발 분야에 대한 중소‧중견 기업의 적극적인 연구개발 참여 유도 가능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7년 (3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4,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전달 핵심모듈 실증 인프라 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13. 고정밀 구동부품 제조 기술 16. 정밀모터 부품 제조 기술 26. 동력전달 부품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산업 로봇용 정밀 제어를 위한 동력 전달 모듈의 공정장비 지원 및 신뢰성 향상 지원체계 구축을 통한 산업 로봇 산업의 기술력 제고 *고성능 동력전달 모듈(정밀감속기, 모터, 구동 모듈, 정밀가동 등) (필요성) 세계 최고의 로봇 밀도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은 세계 5위의 로봇 시장 규모를 갖고 있으나 동력 전달을 위한 핵심 및 정밀 부품의 수입 비중이 높은 실정 특히, 드라이브 트레인(모터, 드라이브, 정밀감속기 등) 부품은 2022년 세계 시장에서 로봇 전체 매출의 42%인 51억 달러를 차지하며 2027년까지 7.7%로 빠른 성장을 예상함 *(日) 산업 로봇용 부품의 가장 큰 시장은 현재 일본으로 세계 감속기 시장의 75%, 서보모터 시장의 59%를 점유 *(中) 2027년이면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로봇 부품시장의 1위로 부상 예상 - 로봇산업은 제조, SW, 서비스, 콘텐츠 등 각 산업별 가치사슬이 다층적으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고, 전·후방산업의 동반성장 및 고부가가치화를 견인 하고 있어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과제 목표 (최종목표)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 전달 핵심 모듈의 개발을 위한 공정 장비, 신뢰성 검증을 위한 평가·시험 장비 등 실증 인프라 구축을 통해 소재부품기업 육성 및 기술경쟁력 확보 (지원 대상 및 범위) 산업 로봇의 정밀 구동 및 제어를 위한 동력 전달 부품 및 모듈 제작·개발 공정장비 지원, 동력전달 구동 시스템의 성능과 내구성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시험·분석·평가용 실증 인프라 구축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전달 모듈 및 부품 공정장비 지원 및 신뢰성을 위한 실증평가 인프라 구축을 통해 소재부품 기업의 신제품 개발, 경쟁력 확보, 품질개선 및 구동핵심부품의 신뢰성 향상 (핵심 요소기술) 로봇 구동 부품의 고정밀, 고성능화에 따른 소형, 경량화 기술, 시스템 성능, 내구성 확보 등을 위한 공정 실증, 성능 평가, 시험·분석법 개발 - (1) 고성능·고정밀 부품 및 모듈 제조·가공 공정(HW/SW) 실증 *Multi-Axis CNC Machine tool 등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2) 성능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시험·분석·평가 기술| *구동 성능시험, 부품의 기계적 특성 분석 및 평가, 품질 검증, 형상 정확도 등 - (3) 내구성 검증을 위한 시험·분석·평가 기술 *장시간 가동 및 반복 하중 시험, 진동 및 충격에 대한 안정성 평가, 기능안전시험, 열적 안정성 및 열관리 성능 평가, 소음 및 전기적 안정성·효율성 분석, 시험 데이터 수집 및 DB화하여 활용 가능한 환경 구축 연계 등 (기반 활용) 국내 모터, 감속기 등 고성능 동력 전달 모듈 개발을 위한 원천 기술과 신뢰성 확보 인프라가 부족한 강소기업 육성을 위해 공정장비, 시험 평가, 신뢰성 검증, 기술지도 및 수요기업과의 네트워크 지원 * 실증 과정에서 취득된 DB를 활용한 맞춤형 기술지원 및 성능향상 연계 추진 (보급 및 확산)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 전달 핵심 모듈 개발 및 실증 기반 기술 구축, 세미나, 교육 등 인프라 지원으로 실증화 촉진 주요 구축 인프라 (제조·가공 공정장비) 시제품 제작, 핵심 모듈 제조, 고정밀 부품가공 등 산업 로봇용 동력 전달 핵심 모듈의 원천기술 확보 및 국산화 개발을 위한 기반 구축 (성능·신뢰성·내구성 실증기반 시험·분석·평가 장비)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 전달 모듈의 요소 부품(감속기, 모터 등) 내환경 성능 평가, 한계 시험, 기계적 특성 분석 등 내구성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실증 기반 인프라 기반 구축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로봇 구동 부품 제조공정기술, 신뢰성 향상을 통한 기술경쟁력 확보로 산업 로봇 시장 공급망 확산에 기여 및 기반조성 ㅇ 로봇용 핵심 구동 부품의 제조공정, 실증인프라 구축을 통하여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 및 국산화에 기여하고, 핵심기술 선점의 기회 확보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지속 가능한 엘라스토머 소재 공급망 강화를 위한 핵심 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128. 기초화학, 탄성소재 및 부품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지속 가능한 엘라스토머 소재·부품 핵심기술 실증 기반 지원 - 순환 원료와 미래 모빌리티용 엘라스토머 기반 부품화 - 순환 경제 제품 인증 - 탄소배출계수 산정시스템 기반 구축 *엘라스토머: 가교사슬 구조로 구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갖는 고분자 재료로써 모빌리티, 이차전지, 반도체, 전기전자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 내구성, 기밀성 유지를 위해 사용 (필요성) 글로벌 환경 규제 강화 및 자원 순환활용 요구 증대에 따라 친 환경, 고내구성 부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엘라스토머 부품에 대한 수명 예측, 신뢰성 평가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 *EU는 Black Cycle Project(‘20~’24)를 지원하여 폐타이어 순환활용을 통하여 친환경 원료와 저탄소 핵심 부품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동일 목적의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기술 선점이 절실함 *친환경, 고성능 엘라스토머 소재의 시장성장률은 연 5% 수준으로, 국내 관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 기술 내재화 필요 과제 목표 (최종목표) 순환 원료, 지속 가능 고성능 탄성소재 부품 공정 기술 실증 및 인증을 통해 타이어, 모빌리티, 전기전자, 이차전지, 반도체 등 관련 제품의 초격차 확보 (지원 대상 및 범위) 타이어, 모빌리티, 전기전자, 이차전지, 반도체 관련 중소·중견기업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순환활용 기반 카본블랙과 고성능 엘라스토머 소재의 실증 및 인증 체계 개발과 품질 평가, 분류를 위한 기구축 장비와 연계한 장비구축 운용 (핵심 요소기술) 산업 트렌드와 수요를 반영한 순환 원료와 엘라스토머 소재, 부품의 핵심 제조 공정 실증 및 전주기적 신뢰성 인증 체계 구축 - (1) 순환 원료 표준 분석·분류 체계 확립 - (2) 순환 원료 활용 엘라스토머 배합 공정 실증 및 database 구축 - (3) 순환 원료 활용 고성능 엘라스토머 부품 제조 공정 실증 - (4) 지속 가능한 엘라스토머 순환 경제 제품 인증* 및 전주기 탄소배출계수 산정 시스템 구축**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생산∼소비 등 전 과정에서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폐기물 발생 최소화를 위해 천연자원과 대비되는 순환 원료를 주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한 제품 **전과정평가 (LCA) 방법론 및 국제표준, 제품범주규칙(PCR) 연구를 통한 전과정평가 방법론 개발 (기반 활용) 핵심 요소기술과 구축 장비 등을 활용하여 순환 경제 생태계 확대를 위한 표준 분류, 시험평가, 순환 경제 제품 인증 등 기술지원 (보급 및 확산) 인프라 확산 및 홍보를 통한 순환 원료와 지속 가능한 엘라 스토머 기술 보급, 연구기관 간 연구 협력을 위한 기술교류회 추진 주요 구축 인프라 (지속가능 엘라스토머 소재의 핵심기술 실증, 기업지원을 위한 공정 장비 및 특성 평가 장비 구축) 순환 원료 불순물 제거 장비, 자동 혼련용 Roll-mill, 카본블랙 분산용 인터널 믹서, 탄성 소재 성형용 가열 프레스 등 (엘라스토머의 고사양 물성 측정 장비 및 신뢰성 평가 장비구축) 만능재료 시험기, 순환원료 BET 표면 분석기, Multi-axial tester, Tire tread compound tester, 타이어 트레드 동적 마찰 거동 분석기, 엘라스토머 모폴로지 분석기, 화재 안전 시험 장비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지속 가능 엘라스토머 소재의 요소기술 확보를 통한 국내 순환활용 산업 생태계 확장 및 경쟁력 강화에 기여 ㅇ 요소기술 개발 및 확산을 통한 해외 의존도 감소, 핵심 산업 분야의 소재 연구 기반 마련 및 개발 능력향상, 기관-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강화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8,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친환경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열가소성 복합재(CFRTP) 제조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47. 자동차, 카본 복합 소재 제조 기술 141. 기초화학, 경량 내구성 복합소재 제조 기술 172. 우주 항공, 항공용 초고강도 탄소복합재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친환경 산업 트렌드를 대응하는 고부가가치 소재 업사이클 기술 부족 해결 및 CFRTP 소재 국산화 기술 지원 기반구축 *CFRTP(Carbon Fiber Reinforced Thermo Plastic): 탄소섬유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가 결합된 강화 복합 소재 (필요성) 높은 기술 의존도를 보이는 고부가가치 소재 업사이클 기술 부족과 관련 기업의 적시 산업전환을 위해 연구시설·장비를 구축하여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 필요 *차세대 섬유 소재 중 하나인 탄소섬유와 고분자가 결합된 탄소섬유 복합재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경량성을 동시에 갖고 있어 항공우주, 자동차,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의 핵심 소재임 -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매립 및 소각 차단, 수송기기의 경량화 추세, 재 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의 수요 증가, 고품질 리사이클 시장 확대, 고성능 제품군 확대로 향후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열가소성 탄소섬유 복합재(CFRTP) 수요 산업은 더욱 광범위해질 것으로 예측 과제 목표 (최종목표)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CFRTP에 대한 공정·신뢰성 확보를 통해 자동차, 우주항공방산 등 수요 산업 제품의 초격차 확보 (지원 대상 및 범위)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CFRTP 제조 중소·중견기업 등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친환경 산업 트렌드 대응 재활용 탄소 섬유 기반 고성능 CFRTP 제조를 위한 탄소 섬유 표면처리 장비, 열가소성 탄소 섬유 중간재 제조 공정 장비, 열가소성 탄소섬유 복합재 제조 공정 및 신뢰성 평가 기술 기반 구축 (핵심 요소기술)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CFRTP 소재 요소기술 도출 - (1) 재활용 탄소섬유의 표면 활성화 및 계면 물성 평가 지원 - (2) 고성능 복합소재 산업군용 중간재 제조 기술지원 및 성능 평가 지원 - (3) 경량 자동차 부품용 저가형 CFRTP 소재의 물성 확보 및 평가기술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4) 친환경 업사이클 CFRTP 적용 소재의 물성 확보 및 평가 기술 (기반 활용) 신규 장비구축을 통해 업사이클 제품 핵심기술, 시험·평가·인증, 시제품 제작, 공정 및 고신뢰성 확보 등 기술 지원 (보급 및 확산) 재활용 탄소 섬유 기반 고성능 CFRTP 제조 기술 보급·확산 - 관련 기업 대상 인프라 설명회 등 홍보를 통해 구축된 공정기반 기술 보급 및 확산, 이종 분야 연구기관 간 교류·협력을 위한 기술교류회 추진 주요 구축 인프라 (재활용 탄소섬유 표면처리 및 업사이클 장비) 재활용 탄소섬유 연속식 건식 표면처리 장비, 재활용 탄소섬유 리사이징 기능이 도입된 방향성 제어 습식 부직포 제조설비, 재활용 탄소섬유 방향성 제어 건식 부직포 연속식 제조설비 등 (재활용 탄소섬유 업사이클 중간재 제조 장비) 연속식 더블벨트 프레스, 고함 량의 재활용 탄소섬유 적용이 가능한 고성능 수지 컴파운딩 제조설비, 재활용 탄소섬유 및 고성능 열가소성 수지 기반 CFRTP용 고온 Hot Press 장비 등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CFRTP 적용 부품의 성능 확보를 위한 분석 평가 장비) 재활용 탄소섬유와 고성능 열가소성 수지간의 계면 신뢰성 측정 시스템, 광대역 전자파 차폐 시험기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고성능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CFRTP 제조 구축 인프라 및 기술 확보를 통한 국내 소재·화학산업 경쟁력 강화 기여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8,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차세대 친환경에너지부품의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105. 이차전지 전극 소재부품 제조 기술 106. 이차전지 분리막 제조 기술 120. 차세대전지용 리튬금속 전극 제조 기술 121. 차세대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IT기기, 에너지저장장치, 드론, 개인형 이동수단 등에 탑재되는 친환경 에너지부품 및 관련 소재의 신뢰성 요소기술 확보를 위한 전주기 평가 및 실시간 분석 지원체계 구축으로 K-Battery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 (필요성) 친환경에너지부품은 친환경화의 글로벌 트렌드 속에서 지속 가능 성장의 핵심 수단이지만 원료와 소재부품의 해외 의존도가 높음 - 해외 의존도 탈피 및 핵심 소재부품 자립화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체물질을 적용한 차세대 이차전지, 고안전고체전지 등의 신뢰성 확보 및 양산 성능 개선 등 체계적인 지원 필요 과제 목표 (최종목표) 친환경에너지부품 관련 소재산업의 기술개발, 사업화 기반 조성을 통한 기업 육성으로 친환경에너지부품·소재 산업의 가치사슬 연결 강화 (지원 대상 및 범위) 친환경에너지 관련 기업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전고체전지 등 대체물질을 적용한 차세대 이차전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장비 구축 및 친환경 에너지 소재와 부품의 신뢰성과 수명 관련한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필수장비 구축 (핵심 요소기술) 친환경 에너지 부품의 소재 신뢰성, 특성, 성능, 안정성 향상을 위한 시험평가 분석 기술 - (1) 차세대 에너지 부품 소재 신뢰성 분석 기술 - (2) 비대기노출 실시간 분석 기술 - (3)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및 부품 안정성 평가 설계 기술 - (4)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및 부품 열화 메커니즘 분석 기술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기반 활용) 고가의 장비 구축이 어려운 관련 기업 대상으로 기존 장비와 신규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하여 시험·평가·분석 및 인증, 기술지도, 세미나 등 기술정보 교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기업 육성 지원 주요 구축 인프라 (친환경에너지부품 생산성 향상 및 핵심소재부품 자립화) 친환경에너지 부품 개발을 위한 드라이룸, 친환경에너지부품 전극 제조 장비 등 (친환경에너지부품 소재와 부품의 신뢰성과 수명 향상) 초고분해능 구면 수차보정 주사투과전자현미경(TEM) 등, TEM 실시간 관찰용 홀더, 접속 이온빔 주사전자현미경(SEM)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친환경 에너지부품소재 기업에 대한 기술지원 및 사업화 지원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미래차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실증 및 기술지원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6. 고정밀 고안전성 지원 차량 제어시스템 기술 9. 전기자동차(xEV) 구동 모터용 소재 및 부품 제조 기술 14. 자동차용 고효율 파워트레인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미래차를 대상으로 하는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의 사업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실증 기반구축 및 기업 사업화 지원을 목표로 함 (필요성)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미래차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다지기 위해 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전장부품의 역할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 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부품에 대한 실차 주행 조건을 적절히 반영한 서브 시스템 및 부품 레벨에서의 평가 방법과 제품생산에 필요한 관련 기술 확보 필요 *구동안전계 전장부품: 구동모터, 인버터, 지능형 조향·제동 시스템, 능·수동 안전 전장부품 등 연비 향상 및 안전을 위한 차량 부품 *편의계 전장부품: 스마트기기, 무선충전시스템, 블랙박스 등 운전자 편의 지원 차량 부품 과제 목표 (최종목표) 미래차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공급능력 향상을 위한 핵심부품 평가와 제품 공정에 필요한 장비구축 및 관련 패키지 기업지원 *패키지기업지원분야: 설계기술, 고장 메커니즘 해석기술, 수명평가기술 등 제품개발 및 상용화 필수 기술 (지원 대상 및 범위) 미래차에 사용되는 주요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과 그 구성 소재의 생산 및 성능개선 분야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전압전동화 부품, 제조능력 수월성 향상, 고성능 전수검사장비 등 소재부품산업의 공급망 측면에서 공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용장비 (핵심 요소기술) 미래차 대상 핵심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의 사업화에 영향을 주는 부품평가와 제품생산 기반 구축 등 실증 지원 - (1) 복합환경 노출 모니터링 전장품의 신뢰성 검증기술 - (2) 액추에이터 기밀성능의 검증 및 정밀분석 기술 - (3) 다기능 편의안전 전장부품의 멀티스케일 분석기술 - (4) 미래차 전장부품 공급능력 향상을 위한 제조·공정 지원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기반 활용) 개발한 요소기술과 구축 장비를 활용하여 핵심 전장부품(구동 안전계 및 편의계) 관련 기업을 대상 제조 기술지원, 시험평가, 성능 개선, 수명 예측, 기술지도, 재직자 교육(장비운영 기술교육 등) 등 기술지원 (보급 및 확산) 미래차 핵심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관련 기업 대상 기술설명회, 전문인력 양성 등을 지원하고, 이종 분야 연구기관간 기술 교류와 협력 연구를 통한 보급 및 확산 주요 구축 인프라 (공정분야 공동장비) 전장부품 개발 공정 시스템(레이저 마커, 자동 광학 검사, 솔더 페이스트 검사 등), 후공정(라우터, 수삽, 검사 등), 패키징 장비 등 (전장부품 및 구성소재 성능 시험/분석 장비) 자율주행 실차 데이터 측정 시스템, 전도내성시험기, 소자 휨 분석기, 전력기반 실차 전자파 챔버 및 구동용 샤시다이나모미터, 적외선조사 항온항습기, 네트워크분석기+픽스처 (20∼140) Ghz 등 (S/W 중심분야 대응) ADAS 등 실차장착 후 성능 분석 실차, 자율차량 부품 비교 성능 평가 실차, 센서 검교정 장비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미래차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의 공급능력을 향상시키고, 국내 관련 기술의 성능개선 및 기술력 강화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소재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 실증 및 기반 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41. 알루미늄 합금 제조 기술 169. 항공기용 가스터빈 소재부품 기술 37. 고경량, 고강도, 내열성 비철금속 소재 제조 기술 174. 항공기 구조물 체결 패스너 제조 및 마찰교반용접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우주항공용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의 제조공정 실증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공급망 강화 지원 *우주 항공용 저비용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우주탐사선, 통신위성, 달착륙선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소재 및 부품으로, 부품화 단계에서 공정 수를 절감하여 생산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한 금속 소재부품 (필요성) 우주항공용 소재 자립화는 항공, 우주, 국방 등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의 해외 의존도를 해소하며 국내 금속소재산업 기술 고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항공용 금속 소재 수요 증대에도 불구하고, 우주항공용 금속소재(Al, Ti, Ni, Steel 등)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경쟁력 제고 필요 과제 목표 (최종목표) 우주항공용 맞춤형 대형 경량 금속소재 공정실증, 성능평가, 고신뢰성 기술 확보 및 인증 대응을 통한 공급망 강화 지원 (지원 대상 및 범위) 우주항공용 저비용 경량 금속 소재 관련 기업 등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공정 실증, 성능 시험, 고신뢰성 평가 장비구축 (핵심 요소기술)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개발을 위한 공정 실증, 성능시험, 고신뢰성 평가 기술 지원 - (1) 우주항공용 국산소재 신뢰성 평가 기술 - (2) 우주항공용 금속 소재/부품 경량·일체화 공정 실증 - (3) 우주항공용 소재부품 저비용 제조 공정 실증 - (4) 소재부품 설계-제조 신뢰성 향상 기술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기반 활용) 개발한 실증 기반 요소기술과 구축 장비를 활용, 고신뢰성 기술 확보 및 인증 대응 기술 지원 (보급 및 확산) 우주항공 분야 수요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신뢰성 기술 보급 및 확산, 이종 분야 연구기관과의 정기적인 기술 세미나 주요 구축 인프라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공정 실증 및 성능시험 장비구축) 선형마찰용접기, 전략금속전용 PBF 3D printer 등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고신뢰성 평가 장비구축) 환경 (고온)피로시험기, 환경(부식)피로시험기, 디지털 투영기, 전략금속 표면 마찰마모 시험기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소재 제조 공정 기술 확보 및 적시 공급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 기대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닫기
    • 붙임3. 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식.zip
    • 붙임4. 관련 법령 및 규정 등.zip
  • 2025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시행계획 공고 2025-04-25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344호2025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시행계획 공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분야의 사업화에 필요한 공동활용 연구시설·장비구축 지원을 위한「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시행계획을 공고하오니,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아래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4월 25일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책·정보>정책게시판>에너지·자원

    • 붙임1. 2025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시행계획 공고문.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344호 2025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시행계획 공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분야의 사업화에 필요한 공동활용 연구시설·장비구축 지원을 위한「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시행계획을 공고하오니,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아래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4월 25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사업개요 가. 사업목적 ㅇ 소부장 핵심전략기술분야의 사업화 과정에 필요한 연구기반시설 구축 지원을 통해 관련 기술 내재화로 첨단산업의 지속적 초격차 확보 - (장비구축) 국내 소재부품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제품의 시험·분석 및 실증 등에 필요한 연구시설·장비 구축 - (기업지원) 구축된 장비를 활용하여 신뢰성 기준 제·개정, 고장분석, 인증 지원 및 시제품 제작과 양산을 위한 공정 검증지원 등 실시 < 기반구축 사업 개념> ☞ 최종 수혜자인 기업에 대한 간접지원 ☞ 연구소, TP, 대학교 등의 수행기관을 ‘중간조직’으로서 지원하고, 해당 수행기관이 장비운용을 통해 기업의 R&D, 사업화 등 혁신활동을 지원 2 상세 지원내용 가. 지원분야 ㅇ 공모방식 : 지정공모 ㅇ 지원대상 : 8개 과제 (과제별 제안요청서(RFP) 참조) < 지원대상 과제 목록 > No 분야 과제명 별첨(RFP) 1 반도체 3D 반도체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 기반구축 2 디스 플레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실증기반 핵심기술 기반구축 3 기계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전달 핵심모듈 실증 인프라 구축 4 기초 화학 지속 가능한 엘라스토머 소재 공급망 강화를 위한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5 친환경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열가소성 복합재(CFRTP) 제조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6 전기 전자 차세대 친환경에너지부품의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 기반구축 7 자동차 미래차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실증 및 기술지원 기반구축 8 금속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소재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 구축 * 과제별 상세 요구내용은 붙임2 과제별 제안요청서(RFP) 참조 * 안전관리형 과제 해당 없음 나. 지원규모 및 기간 ㅇ 지원규모 : 과제당 총 정부지원연구개발비 100억원 이내 * 과제별 정부지원연구개발비(국비)는 개별 제안요청서(RFP) 참조 ** 지원규모는 정부 예산 사정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ㅇ 지원기간 : 2025. 5 ~ 2028. 12 (44개월 이내) * (디스플레이 분야) 지원기간: 2025. 5. ∼ 2027.12 (32개월 이내) ** 1차년도 수행기간은 8개월(’25.5월~’25.12월), 2차년도 이후는 12개월로 회계연도와 일치 *** 총 연구개발기간은 평가위원회에서 조정될 수 있음 다. 신청자격 및 조건 ㅇ 주관연구개발기관 단독 또는 컨소시엄의 비영리기관* *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19조 제2항에 의거한 연구기관, 대학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단체 - 신뢰성시험법 등을 개발하여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비영리기관으로 융합혁신지원단* 구성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되, 신뢰성 실시기관** 1개 이상 포함 (단독과제이면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융합혁신지원단이면서 실시기관이어야 함) * (융합혁신지원단) 38개 공공硏으로 구성된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 및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이하 “소부장 특별법”)상 소부장 기업지원 협의체로 ’23년부터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사업의 소부장 실증기반강화 대상기관으로 확대 (참고1) ** (신뢰성 실시기관) 소부장 특별법 제33조(신뢰성향상기반구축사업) 제2항의 신뢰성향상기반구축사업의 실시기관을 의미(‘24년 지정 16개 기관) (참고2) - 과제별 RFP에서 지정하는 연구기반구축 및 기업지원 역량을 보유할 것 라. 추진체계 산업통상자원부 전문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획위원회, 전문위원회 연구개발과제평가단(평가위원회) 장비관리전담기관 중앙장비심의위원회 주관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 운영위원회, 장비심의위원회 공동연구개발기관 1 … 공동연구개발기관 N 결과활용기관 N 마. 지원조건 구분 내용 지원방식 ㅇ 전체 연구개발기간에 대해 일괄 협약 체결 ㅇ 정부지원연구개발비(국비)는 회계연도에 따라 연차별 지급 * 정부 예산 사정에 따라 지급시기 조정 및 분할 지급될 수 있음 연구개발비 ㅇ 정부지원연구개발비는 연구개발비(건축비 등 제외)의 70% 이내에서 지원 * (예시) 정부지원연구개발비를 100억원 신청하는 경우 기관부담연구개발비(현금·현물, 지자체 포함) 합계가 43억원 이상이어야 함 (100억원 / 143억원 = 70%↓, 연차별 비율 준수)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4조 및 25조 참조 *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인정기준은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별표4 참조 ㅇ 장비구축비는 정부지원연구개발비의 65% 이상으로 편성(연구개발과제 기준) ㅇ 기타 연구개발비 편성시 아래 규정 준수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30조 및 별표5, 별표6, 별표7 *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사업 평가관리지침 제33조 연구시설ㆍ 장비통합관리 ㅇ “연구시설ㆍ장비비 통합관리기관”으로 지정된 기관의 경우 수정직접비의 5% 이내에서 통합연구시설ㆍ장비비 계상 가능 * 수정직접비 : 직접비 현금 총액에서 국제공동연구개발비를 제외한 금액 *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기준」 제7장 (연구시설ㆍ장비비 사용의 특례) 및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30조 제11항 참조 연구수당 ㅇ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수당은 수정인건비의 10% 이내로 산정 * 수정인건비 : 인건비(현물 포함) 및 학생인건비 포함, 연구근접지원인력 인건비 제외 간접비 ㅇ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직접비(현금) 합계의 5% 이내로 산정 기술료 ㅇ 비징수 3 지원제외 처리기준 ◾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제23조(사전검토) 및 별표3(제출서류 및 신청자격 검토, 사전지원제외 대상 및 처리기준) 구 분 내 용 공고내용과의 부합성 ㅇ 신청과제가 공고된 과제제안요청서(RFP)의 목표 및 내용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기존과제와의 차별성  ㅇ 연구개발과제가 기 지원된 연구개발과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의무사항 불이행 ㅇ 주관연구개발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 등이 접수마감일 현재 각종 보고서 제출, 기술료/정산금/환수금 납부 등 의무사항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참여제한 여부 ㅇ 주관연구개발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장,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장, 연구책임자가 접수 마감일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총 인건비계상율 및 참여과제수 ㅇ 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자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총 인건비 계상률 및 참여 과제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본 사업 지원제외 대상과제로 처리 - 다만 他 사업 지원 시에는 본 사업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참여과제 수에서 제외 가능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0조제2항 및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별표3 참조 * 기타 사전지원제외 기준은 「7. 관련법령 및 규정」에 따름 4 평가절차 및 기준 가. 평가절차 및 추진일정 공고 (산업통상자원부) ⇨ 연구개발계획서접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연구개발계획서 사전검토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연구개발계획서 선정평가 (연구개발과제평가단) ‘25. 4월 25일 ∼‘25. 5월 26일 ‘25. 5월 ∼ ‘25. 6월 ∼ ⇨ 평가결과 확정 (산업통상자원부) ⇨ 평가결과 통보 및 이의신청 ⇨ 협약체결 및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지급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5. 6월 ∼ ‘25. 6월 ‘25. 6월∼ * 상기 일정은 추진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나. 평가방법 ㅇ (사전검토) 전문기관(한국산업기술진흥원) 담당자는 신청기관의 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류, 신청자격, 공고 내용과의 부합성 등을 검토 ㅇ (연구개발계획서 평가) 연구개발과제평가단은 연구개발계획서를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하며, 신청기관은 평가위원회에 참석하여 대면 발표하고 질의응답 진행 다. 감점 기준 ㅇ 접수마감일 기준으로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평가 시 감점함 - 최근 3년 이내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31조제1항의 부정행위로 협약해약 또는 제재처분된 연구책임자나 기관이 새로운 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3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12조제5항제1호 관련) - 최근 3년 이내에 연구개발과제 선정 후 또는 연구수행 중 정당한 사유 없이 협약을 포기한 경력이 있는 연구책임자나 기관이 새로운 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2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12조제5항제2호 관련) * 단 2024년 예산 감액으로인한 중단(포기) 과제의 경우 감점 미해당 라. 평가기준 구분 평가항목 평가내용 사업목표 명확성 (20) 사업목표 명확성 ㅇ 목표 설정의 타당성 및 구체성 추진전략 적정성 ㅇ 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의 구체성 및 적정성 추진체계 및 보유 역량 (20) 추진체계 적절성 ㅇ 주관 및 공동 연구개발기관별 역할 및 협력체계 적정성 기반구축 역량 ㅇ 연구책임자, 참여연구자 및 연구시설장비 전담인력의 전문성 ㅇ 전담조직 구성 및 전담인력 확보 등 운영계획의 적정성 ㅇ 기존 관련 연구시설ㆍ장비 보유 및 기술지원 역량 사업내용 타당성 (40) 추진전략 적정성 ㅇ 연차별 추진전략 구체성 및 계획의 적정성 ㅇ 활용기업에 대한 수요조사 등 사전 기획의 충실도 장비구축 타당성 ㅇ 사업목적과 장비 부합성 ㅇ 연구시설ㆍ장비 구축계획 적정성(종류, 예산, 사양, 중복성 등) ㅇ 장비구축 전용공간 확보 여부 또는 계획 적절성 ㅇ 구축된 연구장비의 활용 계획의 적절성 등 연구개발비 적절성 ㅇ 연구개발비 연차별 편성 및 운용계획의 적절성 성공 가능성 ㅇ 사업추진단계별 계획에 대한 성공적인 추진가능성 성과확산 효과 (20) 사업지속 가능성 ㅇ 과제 종료 후 해당 센터의 지속 가능성 및 사업의 향후 활용성 파급효과 ㅇ 산업 생태계에 미치는 효과 5 신청방법 및 서류 가. 신청방법 구 분 내 용 접수기간 ▪2025. 4. 25(금) 09:00 ∼ 2025. 5. 26(월) 18:00 서식교부 ▪서식은 아래 시스템에서 다운로드 가능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iat.or.kr, 홈페이지 → 사업·자료 → 사업공고)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 접 수 처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에 온라인 등록 - 2025. 4. 25(금) 09:00 ∼ 2025. 5. 26(월) 18:00 * 접수 마감일 18:00 이후 접수 및 서류 제출이 불가함 * 별도 오프라인 서류 제출 불가함 접수절차 접수 전 필수 이행사항 신청 연구과제 신청완료 연구자는 NRI 가입, 연구자전환 동의 및 정보 등록·갱신 (학력, 경력 등) IRIS 기관등록, 기관총괄담당자 신청 (기관담당자 권한 부여), 기관대표자 등록 등 온라인 입력정보 작성 및 연구계획서 등 등록 연구개발기관의 온라인 등록사항 확인・승인 연구자 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 연구개발기관장 (연구자) ① IRIS 회원가입 ② IRIS 내 NRI(국가연구자정보시스템)로 이동하여 연구자전환 동의(국가연구자번호 발급) ③ NRI 내 학력/경력* 및 주요 연구수행 실적** 정보 등록 필수 * 경력정보에서 근무(소속)부서 등록 필수 ** 최근 5년간 수행완료 과제, 수행 중/신청 중 과제 목록 작성 ※ ① 및 ②: 연구책임자 포함 참여연구자 전원 필수(학생인건비 통합관리 기관의 학생연구자는 제외) ③: 연구책임자 필수(공동·위탁연구개발기관 책임자 포함) (연구개발기관) IRIS 기관등록, 기관총괄담당자 신청(기관담당자 권한부여), 기관대표자 등록 등 ※ 기관대표자 및 기관(총괄)담당자도 IRIS 회원가입 및 연구자전환 동의(국가연구자번호 발급)가 필수이며, 대표자 정보 미등록 시 연구자가 과제접수를 완료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필수 이행사항 사전 조치 ※(유의사항) IRIS 관련 접수절차 및 최신 정보는 신청기관이 IRIS 홈페이지내 매뉴얼, 콜센터 등을 통해 확인이 필요함 ☎ IRIS 문의처: 콜센터 1877-2041 또는 IRIS 홈페이지 사용문의 게시판 활용 ① 통합회원가입 - 연구책임자 및 연구개발기관이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www.iris.go.kr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등록이 되어 있지 않는 경우 신규 회원 가입 ② 온라인 등록 - 주관연구개발기관 로그인→사업공고→공고조회→동 사업 공고 선택 - 주관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가 내용 입력 ③ 파일 업로드 - 첨부된 문서 양식을 다운받아 해당내용을 오프라인으로 작성한 후,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www.iris.go.kr에 업로드 - 연구개발계획서는 HWP파일로 제출하되, 맨 앞장에 필요한 인감 날인 후 스캔하여 파일에 포함 - 연구개발계획서 이외의 첨부서류는 작성 후 스캔하여 PDF파일로 제출 ④ 온라인제출 최종확인서 출력 - 접수 확인을 위한 온라인제출 최종확인서를 출력한 후, 신청접수 완료 확인 및 보관 유의사항 ① 마감일에는 접속자 과다로 인해 전산등록이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드시 시간적 여유를 갖고 준비할 것 ② 접수 마감일 18:00까지 ‘완료 및 제출’하지 않는 경우 접수 불가 - 마감일에는 전산폭주로 인하여 등록이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시간적 여유를 갖고 준비(마감시간에 작성중인 경우도 등록 불가) ③ 온라인 등록시 과제 내용 및 연구개발비(단위)에 대한 오기가 없도록 주의 ④ 필수 입력사항을 공란 또는 허위로 작성하는 경우 사전 지원제외 처리 가능 ⑤ 전산등록한 연구책임자 및 실무자의 E-mail 및 휴대폰번호를 통해 평가일정 등의 안내가 실시되므로 회원정보에 입력된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 필요 ※ 잘못된 담당자, 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기재하여 발생한 평가 안내, 결과 통보 등 미수신(연락 불능)의 책임은 신청기관에 있음 ⑥ 필요시 온·오프라인 추가서류 제출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제출서류는 반환하지 않음 기 타 ▪온라인 등록 시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www.iris.go.kr)의 주관연구개발기관 매뉴얼 참조(사이트 내 다운로드 가능) 나. 제출서류 No 제출서류 파일형태 필수여부 대상 1 연구개발계획서 HWP 필수 주관연구개발기관 2 연구개발기관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서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3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동의서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4 연구윤리·청렴 및 보안서약서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5 현금·현물 납입확약서(지방자치단체) PDF 해당시 해당 지자체 6 현금·현물 납입확약서(연구개발기관) PDF 해당시 해당기관 7 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8 전용공간 확보계획서 PDF 필수 해당기관 9 연구자의 동시수행 과제수 확인서 PDF 필수 주관·공동(기관별) 10 감점 사항 확인서 PDF 필수 주관연구개발기관 대표 제출 11 법인등기부 등본, 사업자등록증 사본, 연구책임자 재직증명서 사본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12 실시기관 지정증 PDF 필수 해당기관 6 유의사항 ㅇ 본 사업은 실시간통합연구비관리(RCMS)적용 대상 사업임 ㅇ 참여연구자의 인건비계상률은 10% 이상으로 하여 이에 따른 인건비를 계상 ㅇ 토지, 건물, 건축조성비는 정부지원연구개발비로 산정 불가 - 기관부담연구개발비 또는 그 외 기관·단체·개인이 지원하는 연구개발비의 현금(매입) 및 현물(임차 또는 기보유)로 필요시 산정 가능 ㅇ 안전관리형 과제*는 ‘연구실안전환경조성에관한법률’ 및 ‘산업안전보건법’등의 관련 규정에 따라 안전관리 이행계획이 포함된 안전관리 계획을 제출해야 함 * 연구개발 장소 및 외부환경의 안전 확보를 위해 재해유발 위험이 높거나 위험물질 취급하는 등 사람의 신체, 재산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과제의 수행기간 및 과제 종료 후 일정기간 동안 특별한 점검 및 관리가 필요한 과제 ㅇ 지원 대상과제 중복성 제기 - 지원 대상과제가 정부에 의해 旣 지원ㆍ旣 개발되었거나 민간에 의해 旣 개발된 사실을 발견한 경우에는 중복성을 제기할 수 있음 - 확인방법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 상단 검색창 사용 - 제기기간 : 2025. 4. 25(금) ~ 5. 12(월) - 제기방법 : 제기기관 대표자 명의의 공문 제출(관련 근거자료 첨부) - 제 기 처 : (06152)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305 한국기술센터 5층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공급망협력실 ㅇ 산업기술개발장비 통합관리요령 개정(‘24.6)에 따라, 3천만원 이상 1억원 미만 장비는 전문기관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심의하고, 1억원 이상 장비는 국가연구시설장비심의위원회(NFEC)에서 심의 * 선정 확정 이후 수정연구개발계획서 검토위원회 및 장비심의위원회 실시 예정 ㅇ 기타 사항은「7. 관련법령 및 규정」을 준수 7 관련법령 및 규정 가. 근거법령 ㅇ 산업기술혁신촉진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ㅇ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ㅇ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 및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나. 관련규정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ㅇ 산업기술개발장비 통합관리요령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연구윤리․진실성 확보 등에 관한 요령 ㅇ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기준 ㅇ 국가연구개발 시설‧장비의 관리 등에 관한 표준지침 ㅇ 기타 산업기술혁신사업 및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관련한 제반 법령 및 규정 ※ 해당 공고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련 법령 및 규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름 8 문의처 과제접수/평가/절차 등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공급망협력실 정수민 연구원 (☎ 02-6009-3936) 전산등록/ 사업관리시스템(IRIS)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 1877-2041) 참고 1 융합혁신지원단 구성기관 현황 ('25년 38개) 분과 연번 기관명 특화분야 비 고 기초 소재 (12) 1 한국화학연구원 화학 대표기관 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섬유 등 3 FITI시험연구원 섬유 4 다이텍연구원 섬유 5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화학/바이오 6 한국섬유소재연구원 섬유 7 한국소재융합연구원 화학 8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화학 9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탄소 10 KATRI시험연구원 섬유 11 KOTITI시험연구원 섬유 1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섬유 응용 소재 (5) 13 한국재료연구원 재료 대표기관 14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금속 15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 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 17 고등기술연구원 경량/비철금속 전자 부품 (6) 1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자부품 대표기관 19 한국광기술원 LED 20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기계/전기/전자 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도체/정보통신 22 나노종합기술원 반도체 23 차세대융합기술원 반도체 모듈・ 부품 (6) 24 한국자동차연구원 스마트카 대표기관 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복합생산기술 26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요소부품 27 대구기계부품연구원 자동차부품, 지능형로봇 28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기계/자동차부품 29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섬유공정/기계부품 시스템‧ 장비 (9) 30 한국기계연구원 기계 대표기관 31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32 한국전기연구원 전기 3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기술 3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IT플랫폼 3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분석·평가 장비개발/지원 36 한국나노기술원 나노 인프라 37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기 38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타 * 「소재부품장비 특별법」 상 소부장 기술력 향상을 위한 연구기관 협의체 참고 2 신뢰성 실시기관 현황 ('25년 16개) No 분야 기관명 1 반도체, 전기전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2 디스플레이, 기초화학 한국화학연구원 3 자동차 한국자동차연구원 4 기계 한국기계연구원 5 금속 포항산업과학연구원 6 기초화학 FITI시험연구원 7 반도체 한국세라믹기술원 8 기초화학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9 반도체, 자동차, 기계, 전기전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10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11 기계 건설기계부품연구원 12 금속 한국재료연구원 13 기초화학 KOTITI시험연구원 14 기초화학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15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한국광기술원 16 자동차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닫기
    • 붙임2.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3D 반도체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14. 반도체 증착 부품·장비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3D 반도체 소재 및 부품, 공정 실증 지원 체계 구축 * 3D 반도체: 전통적인 2D 구조 대신, 3차원 수직구조 형태의 전공정 및 2.5/3D 패키징이 적용된 반도체 (3D NAND, 3D DRAM, 2.5/3D 패키징 등) * 3D 반도체 장비: 3D 반도체 전공정, 후공정 (패키징 & 검사) 장비 (필요성) 첨단 반도체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 과제 목표 (최종목표) 12인치 구축장비를 이용한 3D 반도체(TGV, NAND, 어드밴스 패키징 등)의 공정, 분석 기술 확보 *ALD 단차율>90% @ HAR>1:6 *3D 패턴결함평가 @HAR: >1:6 *첨단 패키징 - Warpage 정확도 평가 *첨단 패키징 - Overlay 정확도 평가 (TSV, Bump 등) (지원 대상 및 범위) 반도체 관련 기업 과제 내용 (기반 구축) 공정, 검사, 실증을 위한 장비 구축 (핵심 요소기술) 3D 반도체 공정 실증, 성능평가, 고신뢰성 평가 및 분석 기술 개발 - (1) 3D 구조를 위한 원자층 증착(ALD) 기술 - (2) 3D HAR(High Aspect Ratio) 검사, 3D 패키지검사, TSV 식각 결함 기술 - (3) 첨단 패키징의 Warpage 검사 기술 - (4) 첨단 패키징의 Overlay 검사 기술 (기반 활용) 공정 실증, 성능평가, 고신뢰성 확보 등 기술지원 (보급 및 확산) 첨단 반도체 실증기반 기술 보급/확산 주요 구축 인프라 ALD 장비 3D HAR(High Aspect Ratio) 식각 검사장비 첨단 패키징 Warpage 검사장비 웨이퍼 적층 overlay 검사장비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첨단 반도체 및 관련 소재·부품 특성 검증, 공정 실증 및 고신뢰성 확보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차량용 디스플레이 실증기반 핵심기술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3. 점·접착 소재 제조 기술 4. 디스플레이용 코팅 소재 제조 기술 5. 디스플레이용 필름 소재 제조 기술 15. 커버 윈도우 소재 및 부품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차량용 디스플레이* 소재 및 부품의 공정 실증과 패널의 고신뢰성 향상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한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 *차량용 디스플레이: 주행 중에 필요한 다양한 내‧외부 정보를 운전자나 탑승자 또는 외부 도로 이용자(보행자, 이륜차, 주변 차량 등)에게 제공하거나 공유하는 형태의 장치 (필요성) 디스플레이 산업의 시장점유율 위기 극복을 위해 미래 자동차 디스 플레이 시장에 대한 선제적 고신뢰성 기술경쟁력 확보 필요 - 디스플레이의 자동차 부품 확대 적용을 위해서는 장기 내구성, 파손 안정성 등에 대한 검증과 타 부품과의 융합이 필수이며, 이에 대한 부품화 및 실증 기술에 대한 인프라 구축 필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는 연평균 8% 이상 성장해 2028년에는 128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 과제 목표 (최종목표)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항온항습, 광내구성, 내진동·내충격성 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고신뢰성 성능평가 기술 확보를 통한 디스플레이 소재‧부품 기업의 활성화 (지원 대상 및 범위) 차량용 디스플레이 관련 중소·중견기업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자동차 적용 디스플레이의 고온고습, 태양광, 진동, 충격 등 극한 환경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합적인 스트레스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장비구축 *기 구축, 보유한 장비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성능 평가 지원 (핵심 요소기술) 차량용 디스플레이 소재 및 부품 개발을 위한 공정 실증 기술, 성능 평가, 고신뢰성 평가 및 분석 기술 개발 - (1) 초고온/저온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고신뢰성 확보 기술 - (2) 초고속 운행 및 가속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고신뢰성 확보 기술 - (3) 극한 환경하에서의 안전성 및 고신뢰성 평가 기술 (기반 활용) 구축한 인프라를 활용하여 기업의 고신뢰성 관련 시험/평가 및 제품 신뢰성 개선 등 지원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소재‧부품의 물성 및 신뢰성 평가 결과에 대한 DB 수집 및 공유를 통해 기업의 중복연구 방지 (보급 및 확산) 디스플레이와 자동차의 이종 연구기관 간 고신뢰성 관련 기술 교류 및 산업 협력, 고신뢰성 평가 기반 기업지원 프로그램 활성화 - 전시회 참가, 세미나 및 교육 등을 통하여 구축된 고신뢰성 기반 기술 보급 및 확산 주요 구축 인프라 온습도, 기계적, 동적 특성의 변화에 의한 복합적인 스트레스와 진동 소음/내구성능 및 기계적 특성을 동시에 평가/분석할 수 있는 다축 복합 가변 멀티환경 진동 내구 통합 고신뢰성 시험기 *시험기는 Sine Force ∼30,000kgf, Random force ∼24,000 kgf, Shock force ∼90,000kgf, 온도 -50∼150℃, 습도 30∼98%, Solar Unit의 테스트가 가능하여야 함 *신뢰성 평가 기준은 85℃에서 500시간 동작(95℃에서 100시간 보존), -40℃에서 240시간 동작, 60℃ & 90% 습도에서 500시간 동작, 제시된 기계적 충격 등이며 이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함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디스플레이와 자동차 관련 선진 기술 융합을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한 완성도 높은 기술 확보와 시장 선점 가능 ㅇ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고신뢰성 확보로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증대로 해외 진출 확산 및 매출 증대 ㅇ 대기업 위주로 진행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개발 분야에 대한 중소‧중견 기업의 적극적인 연구개발 참여 유도 가능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7년 (3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4,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전달 핵심모듈 실증 인프라 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13. 고정밀 구동부품 제조 기술 16. 정밀모터 부품 제조 기술 26. 동력전달 부품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산업 로봇용 정밀 제어를 위한 동력 전달 모듈의 공정장비 지원 및 신뢰성 향상 지원체계 구축을 통한 산업 로봇 산업의 기술력 제고 *고성능 동력전달 모듈(정밀감속기, 모터, 구동 모듈, 정밀가동 등) (필요성) 세계 최고의 로봇 밀도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은 세계 5위의 로봇 시장 규모를 갖고 있으나 동력 전달을 위한 핵심 및 정밀 부품의 수입 비중이 높은 실정 특히, 드라이브 트레인(모터, 드라이브, 정밀감속기 등) 부품은 2022년 세계 시장에서 로봇 전체 매출의 42%인 51억 달러를 차지하며 2027년까지 7.7%로 빠른 성장을 예상함 *(日) 산업 로봇용 부품의 가장 큰 시장은 현재 일본으로 세계 감속기 시장의 75%, 서보모터 시장의 59%를 점유 *(中) 2027년이면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로봇 부품시장의 1위로 부상 예상 - 로봇산업은 제조, SW, 서비스, 콘텐츠 등 각 산업별 가치사슬이 다층적으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고, 전·후방산업의 동반성장 및 고부가가치화를 견인 하고 있어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과제 목표 (최종목표)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 전달 핵심 모듈의 개발을 위한 공정 장비, 신뢰성 검증을 위한 평가·시험 장비 등 실증 인프라 구축을 통해 소재부품기업 육성 및 기술경쟁력 확보 (지원 대상 및 범위) 산업 로봇의 정밀 구동 및 제어를 위한 동력 전달 부품 및 모듈 제작·개발 공정장비 지원, 동력전달 구동 시스템의 성능과 내구성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시험·분석·평가용 실증 인프라 구축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전달 모듈 및 부품 공정장비 지원 및 신뢰성을 위한 실증평가 인프라 구축을 통해 소재부품 기업의 신제품 개발, 경쟁력 확보, 품질개선 및 구동핵심부품의 신뢰성 향상 (핵심 요소기술) 로봇 구동 부품의 고정밀, 고성능화에 따른 소형, 경량화 기술, 시스템 성능, 내구성 확보 등을 위한 공정 실증, 성능 평가, 시험·분석법 개발 - (1) 고성능·고정밀 부품 및 모듈 제조·가공 공정(HW/SW) 실증 *Multi-Axis CNC Machine tool 등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2) 성능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시험·분석·평가 기술| *구동 성능시험, 부품의 기계적 특성 분석 및 평가, 품질 검증, 형상 정확도 등 - (3) 내구성 검증을 위한 시험·분석·평가 기술 *장시간 가동 및 반복 하중 시험, 진동 및 충격에 대한 안정성 평가, 기능안전시험, 열적 안정성 및 열관리 성능 평가, 소음 및 전기적 안정성·효율성 분석, 시험 데이터 수집 및 DB화하여 활용 가능한 환경 구축 연계 등 (기반 활용) 국내 모터, 감속기 등 고성능 동력 전달 모듈 개발을 위한 원천 기술과 신뢰성 확보 인프라가 부족한 강소기업 육성을 위해 공정장비, 시험 평가, 신뢰성 검증, 기술지도 및 수요기업과의 네트워크 지원 * 실증 과정에서 취득된 DB를 활용한 맞춤형 기술지원 및 성능향상 연계 추진 (보급 및 확산)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 전달 핵심 모듈 개발 및 실증 기반 기술 구축, 세미나, 교육 등 인프라 지원으로 실증화 촉진 주요 구축 인프라 (제조·가공 공정장비) 시제품 제작, 핵심 모듈 제조, 고정밀 부품가공 등 산업 로봇용 동력 전달 핵심 모듈의 원천기술 확보 및 국산화 개발을 위한 기반 구축 (성능·신뢰성·내구성 실증기반 시험·분석·평가 장비)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 전달 모듈의 요소 부품(감속기, 모터 등) 내환경 성능 평가, 한계 시험, 기계적 특성 분석 등 내구성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실증 기반 인프라 기반 구축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로봇 구동 부품 제조공정기술, 신뢰성 향상을 통한 기술경쟁력 확보로 산업 로봇 시장 공급망 확산에 기여 및 기반조성 ㅇ 로봇용 핵심 구동 부품의 제조공정, 실증인프라 구축을 통하여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 및 국산화에 기여하고, 핵심기술 선점의 기회 확보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지속 가능한 엘라스토머 소재 공급망 강화를 위한 핵심 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128. 기초화학, 탄성소재 및 부품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지속 가능한 엘라스토머 소재·부품 핵심기술 실증 기반 지원 - 순환 원료와 미래 모빌리티용 엘라스토머 기반 부품화 - 순환 경제 제품 인증 - 탄소배출계수 산정시스템 기반 구축 *엘라스토머: 가교사슬 구조로 구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갖는 고분자 재료로써 모빌리티, 이차전지, 반도체, 전기전자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 내구성, 기밀성 유지를 위해 사용 (필요성) 글로벌 환경 규제 강화 및 자원 순환활용 요구 증대에 따라 친 환경, 고내구성 부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엘라스토머 부품에 대한 수명 예측, 신뢰성 평가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 *EU는 Black Cycle Project(‘20~’24)를 지원하여 폐타이어 순환활용을 통하여 친환경 원료와 저탄소 핵심 부품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동일 목적의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기술 선점이 절실함 *친환경, 고성능 엘라스토머 소재의 시장성장률은 연 5% 수준으로, 국내 관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 기술 내재화 필요 과제 목표 (최종목표) 순환 원료, 지속 가능 고성능 탄성소재 부품 공정 기술 실증 및 인증을 통해 타이어, 모빌리티, 전기전자, 이차전지, 반도체 등 관련 제품의 초격차 확보 (지원 대상 및 범위) 타이어, 모빌리티, 전기전자, 이차전지, 반도체 관련 중소·중견기업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순환활용 기반 카본블랙과 고성능 엘라스토머 소재의 실증 및 인증 체계 개발과 품질 평가, 분류를 위한 기구축 장비와 연계한 장비구축 운용 (핵심 요소기술) 산업 트렌드와 수요를 반영한 순환 원료와 엘라스토머 소재, 부품의 핵심 제조 공정 실증 및 전주기적 신뢰성 인증 체계 구축 - (1) 순환 원료 표준 분석·분류 체계 확립 - (2) 순환 원료 활용 엘라스토머 배합 공정 실증 및 database 구축 - (3) 순환 원료 활용 고성능 엘라스토머 부품 제조 공정 실증 - (4) 지속 가능한 엘라스토머 순환 경제 제품 인증* 및 전주기 탄소배출계수 산정 시스템 구축**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생산∼소비 등 전 과정에서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폐기물 발생 최소화를 위해 천연자원과 대비되는 순환 원료를 주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한 제품 **전과정평가 (LCA) 방법론 및 국제표준, 제품범주규칙(PCR) 연구를 통한 전과정평가 방법론 개발 (기반 활용) 핵심 요소기술과 구축 장비 등을 활용하여 순환 경제 생태계 확대를 위한 표준 분류, 시험평가, 순환 경제 제품 인증 등 기술지원 (보급 및 확산) 인프라 확산 및 홍보를 통한 순환 원료와 지속 가능한 엘라 스토머 기술 보급, 연구기관 간 연구 협력을 위한 기술교류회 추진 주요 구축 인프라 (지속가능 엘라스토머 소재의 핵심기술 실증, 기업지원을 위한 공정 장비 및 특성 평가 장비 구축) 순환 원료 불순물 제거 장비, 자동 혼련용 Roll-mill, 카본블랙 분산용 인터널 믹서, 탄성 소재 성형용 가열 프레스 등 (엘라스토머의 고사양 물성 측정 장비 및 신뢰성 평가 장비구축) 만능재료 시험기, 순환원료 BET 표면 분석기, Multi-axial tester, Tire tread compound tester, 타이어 트레드 동적 마찰 거동 분석기, 엘라스토머 모폴로지 분석기, 화재 안전 시험 장비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지속 가능 엘라스토머 소재의 요소기술 확보를 통한 국내 순환활용 산업 생태계 확장 및 경쟁력 강화에 기여 ㅇ 요소기술 개발 및 확산을 통한 해외 의존도 감소, 핵심 산업 분야의 소재 연구 기반 마련 및 개발 능력향상, 기관-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강화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8,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친환경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열가소성 복합재(CFRTP) 제조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47. 자동차, 카본 복합 소재 제조 기술 141. 기초화학, 경량 내구성 복합소재 제조 기술 172. 우주 항공, 항공용 초고강도 탄소복합재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친환경 산업 트렌드를 대응하는 고부가가치 소재 업사이클 기술 부족 해결 및 CFRTP 소재 국산화 기술 지원 기반구축 *CFRTP(Carbon Fiber Reinforced Thermo Plastic): 탄소섬유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가 결합된 강화 복합 소재 (필요성) 높은 기술 의존도를 보이는 고부가가치 소재 업사이클 기술 부족과 관련 기업의 적시 산업전환을 위해 연구시설·장비를 구축하여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 필요 *차세대 섬유 소재 중 하나인 탄소섬유와 고분자가 결합된 탄소섬유 복합재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경량성을 동시에 갖고 있어 항공우주, 자동차,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의 핵심 소재임 -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매립 및 소각 차단, 수송기기의 경량화 추세, 재 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의 수요 증가, 고품질 리사이클 시장 확대, 고성능 제품군 확대로 향후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열가소성 탄소섬유 복합재(CFRTP) 수요 산업은 더욱 광범위해질 것으로 예측 과제 목표 (최종목표)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CFRTP에 대한 공정·신뢰성 확보를 통해 자동차, 우주항공방산 등 수요 산업 제품의 초격차 확보 (지원 대상 및 범위)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CFRTP 제조 중소·중견기업 등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친환경 산업 트렌드 대응 재활용 탄소 섬유 기반 고성능 CFRTP 제조를 위한 탄소 섬유 표면처리 장비, 열가소성 탄소 섬유 중간재 제조 공정 장비, 열가소성 탄소섬유 복합재 제조 공정 및 신뢰성 평가 기술 기반 구축 (핵심 요소기술)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CFRTP 소재 요소기술 도출 - (1) 재활용 탄소섬유의 표면 활성화 및 계면 물성 평가 지원 - (2) 고성능 복합소재 산업군용 중간재 제조 기술지원 및 성능 평가 지원 - (3) 경량 자동차 부품용 저가형 CFRTP 소재의 물성 확보 및 평가기술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4) 친환경 업사이클 CFRTP 적용 소재의 물성 확보 및 평가 기술 (기반 활용) 신규 장비구축을 통해 업사이클 제품 핵심기술, 시험·평가·인증, 시제품 제작, 공정 및 고신뢰성 확보 등 기술 지원 (보급 및 확산) 재활용 탄소 섬유 기반 고성능 CFRTP 제조 기술 보급·확산 - 관련 기업 대상 인프라 설명회 등 홍보를 통해 구축된 공정기반 기술 보급 및 확산, 이종 분야 연구기관 간 교류·협력을 위한 기술교류회 추진 주요 구축 인프라 (재활용 탄소섬유 표면처리 및 업사이클 장비) 재활용 탄소섬유 연속식 건식 표면처리 장비, 재활용 탄소섬유 리사이징 기능이 도입된 방향성 제어 습식 부직포 제조설비, 재활용 탄소섬유 방향성 제어 건식 부직포 연속식 제조설비 등 (재활용 탄소섬유 업사이클 중간재 제조 장비) 연속식 더블벨트 프레스, 고함 량의 재활용 탄소섬유 적용이 가능한 고성능 수지 컴파운딩 제조설비, 재활용 탄소섬유 및 고성능 열가소성 수지 기반 CFRTP용 고온 Hot Press 장비 등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CFRTP 적용 부품의 성능 확보를 위한 분석 평가 장비) 재활용 탄소섬유와 고성능 열가소성 수지간의 계면 신뢰성 측정 시스템, 광대역 전자파 차폐 시험기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고성능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CFRTP 제조 구축 인프라 및 기술 확보를 통한 국내 소재·화학산업 경쟁력 강화 기여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8,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차세대 친환경에너지부품의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105. 이차전지 전극 소재부품 제조 기술 106. 이차전지 분리막 제조 기술 120. 차세대전지용 리튬금속 전극 제조 기술 121. 차세대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IT기기, 에너지저장장치, 드론, 개인형 이동수단 등에 탑재되는 친환경 에너지부품 및 관련 소재의 신뢰성 요소기술 확보를 위한 전주기 평가 및 실시간 분석 지원체계 구축으로 K-Battery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 (필요성) 친환경에너지부품은 친환경화의 글로벌 트렌드 속에서 지속 가능 성장의 핵심 수단이지만 원료와 소재부품의 해외 의존도가 높음 - 해외 의존도 탈피 및 핵심 소재부품 자립화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체물질을 적용한 차세대 이차전지, 고안전고체전지 등의 신뢰성 확보 및 양산 성능 개선 등 체계적인 지원 필요 과제 목표 (최종목표) 친환경에너지부품 관련 소재산업의 기술개발, 사업화 기반 조성을 통한 기업 육성으로 친환경에너지부품·소재 산업의 가치사슬 연결 강화 (지원 대상 및 범위) 친환경에너지 관련 기업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전고체전지 등 대체물질을 적용한 차세대 이차전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장비 구축 및 친환경 에너지 소재와 부품의 신뢰성과 수명 관련한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필수장비 구축 (핵심 요소기술) 친환경 에너지 부품의 소재 신뢰성, 특성, 성능, 안정성 향상을 위한 시험평가 분석 기술 - (1) 차세대 에너지 부품 소재 신뢰성 분석 기술 - (2) 비대기노출 실시간 분석 기술 - (3)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및 부품 안정성 평가 설계 기술 - (4)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및 부품 열화 메커니즘 분석 기술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기반 활용) 고가의 장비 구축이 어려운 관련 기업 대상으로 기존 장비와 신규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하여 시험·평가·분석 및 인증, 기술지도, 세미나 등 기술정보 교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기업 육성 지원 주요 구축 인프라 (친환경에너지부품 생산성 향상 및 핵심소재부품 자립화) 친환경에너지 부품 개발을 위한 드라이룸, 친환경에너지부품 전극 제조 장비 등 (친환경에너지부품 소재와 부품의 신뢰성과 수명 향상) 초고분해능 구면 수차보정 주사투과전자현미경(TEM) 등, TEM 실시간 관찰용 홀더, 접속 이온빔 주사전자현미경(SEM)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친환경 에너지부품소재 기업에 대한 기술지원 및 사업화 지원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미래차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실증 및 기술지원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6. 고정밀 고안전성 지원 차량 제어시스템 기술 9. 전기자동차(xEV) 구동 모터용 소재 및 부품 제조 기술 14. 자동차용 고효율 파워트레인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미래차를 대상으로 하는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의 사업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실증 기반구축 및 기업 사업화 지원을 목표로 함 (필요성)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미래차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다지기 위해 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전장부품의 역할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 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부품에 대한 실차 주행 조건을 적절히 반영한 서브 시스템 및 부품 레벨에서의 평가 방법과 제품생산에 필요한 관련 기술 확보 필요 *구동안전계 전장부품: 구동모터, 인버터, 지능형 조향·제동 시스템, 능·수동 안전 전장부품 등 연비 향상 및 안전을 위한 차량 부품 *편의계 전장부품: 스마트기기, 무선충전시스템, 블랙박스 등 운전자 편의 지원 차량 부품 과제 목표 (최종목표) 미래차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공급능력 향상을 위한 핵심부품 평가와 제품 공정에 필요한 장비구축 및 관련 패키지 기업지원 *패키지기업지원분야: 설계기술, 고장 메커니즘 해석기술, 수명평가기술 등 제품개발 및 상용화 필수 기술 (지원 대상 및 범위) 미래차에 사용되는 주요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과 그 구성 소재의 생산 및 성능개선 분야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전압전동화 부품, 제조능력 수월성 향상, 고성능 전수검사장비 등 소재부품산업의 공급망 측면에서 공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용장비 (핵심 요소기술) 미래차 대상 핵심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의 사업화에 영향을 주는 부품평가와 제품생산 기반 구축 등 실증 지원 - (1) 복합환경 노출 모니터링 전장품의 신뢰성 검증기술 - (2) 액추에이터 기밀성능의 검증 및 정밀분석 기술 - (3) 다기능 편의안전 전장부품의 멀티스케일 분석기술 - (4) 미래차 전장부품 공급능력 향상을 위한 제조·공정 지원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기반 활용) 개발한 요소기술과 구축 장비를 활용하여 핵심 전장부품(구동 안전계 및 편의계) 관련 기업을 대상 제조 기술지원, 시험평가, 성능 개선, 수명 예측, 기술지도, 재직자 교육(장비운영 기술교육 등) 등 기술지원 (보급 및 확산) 미래차 핵심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관련 기업 대상 기술설명회, 전문인력 양성 등을 지원하고, 이종 분야 연구기관간 기술 교류와 협력 연구를 통한 보급 및 확산 주요 구축 인프라 (공정분야 공동장비) 전장부품 개발 공정 시스템(레이저 마커, 자동 광학 검사, 솔더 페이스트 검사 등), 후공정(라우터, 수삽, 검사 등), 패키징 장비 등 (전장부품 및 구성소재 성능 시험/분석 장비) 자율주행 실차 데이터 측정 시스템, 전도내성시험기, 소자 휨 분석기, 전력기반 실차 전자파 챔버 및 구동용 샤시다이나모미터, 적외선조사 항온항습기, 네트워크분석기+픽스처 (20∼140) Ghz 등 (S/W 중심분야 대응) ADAS 등 실차장착 후 성능 분석 실차, 자율차량 부품 비교 성능 평가 실차, 센서 검교정 장비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미래차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의 공급능력을 향상시키고, 국내 관련 기술의 성능개선 및 기술력 강화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소재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 실증 및 기반 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41. 알루미늄 합금 제조 기술 169. 항공기용 가스터빈 소재부품 기술 37. 고경량, 고강도, 내열성 비철금속 소재 제조 기술 174. 항공기 구조물 체결 패스너 제조 및 마찰교반용접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우주항공용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의 제조공정 실증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공급망 강화 지원 *우주 항공용 저비용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우주탐사선, 통신위성, 달착륙선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소재 및 부품으로, 부품화 단계에서 공정 수를 절감하여 생산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한 금속 소재부품 (필요성) 우주항공용 소재 자립화는 항공, 우주, 국방 등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의 해외 의존도를 해소하며 국내 금속소재산업 기술 고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항공용 금속 소재 수요 증대에도 불구하고, 우주항공용 금속소재(Al, Ti, Ni, Steel 등)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경쟁력 제고 필요 과제 목표 (최종목표) 우주항공용 맞춤형 대형 경량 금속소재 공정실증, 성능평가, 고신뢰성 기술 확보 및 인증 대응을 통한 공급망 강화 지원 (지원 대상 및 범위) 우주항공용 저비용 경량 금속 소재 관련 기업 등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공정 실증, 성능 시험, 고신뢰성 평가 장비구축 (핵심 요소기술)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개발을 위한 공정 실증, 성능시험, 고신뢰성 평가 기술 지원 - (1) 우주항공용 국산소재 신뢰성 평가 기술 - (2) 우주항공용 금속 소재/부품 경량·일체화 공정 실증 - (3) 우주항공용 소재부품 저비용 제조 공정 실증 - (4) 소재부품 설계-제조 신뢰성 향상 기술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기반 활용) 개발한 실증 기반 요소기술과 구축 장비를 활용, 고신뢰성 기술 확보 및 인증 대응 기술 지원 (보급 및 확산) 우주항공 분야 수요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신뢰성 기술 보급 및 확산, 이종 분야 연구기관과의 정기적인 기술 세미나 주요 구축 인프라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공정 실증 및 성능시험 장비구축) 선형마찰용접기, 전략금속전용 PBF 3D printer 등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고신뢰성 평가 장비구축) 환경 (고온)피로시험기, 환경(부식)피로시험기, 디지털 투영기, 전략금속 표면 마찰마모 시험기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소재 제조 공정 기술 확보 및 적시 공급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 기대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닫기
    • 붙임3. 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식.zip
    • 붙임4. 관련 법령 및 규정 등.zip
  • 2025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시행계획 공고 2025-04-25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344호2025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시행계획 공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분야의 사업화에 필요한 공동활용 연구시설·장비구축 지원을 위한「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시행계획을 공고하오니,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아래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4월 25일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책·정보>정책게시판>무역·투자

    • 붙임1. 2025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시행계획 공고문.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344호 2025년도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시행계획 공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분야의 사업화에 필요한 공동활용 연구시설·장비구축 지원을 위한「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시행계획을 공고하오니,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아래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4월 25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사업개요 가. 사업목적 ㅇ 소부장 핵심전략기술분야의 사업화 과정에 필요한 연구기반시설 구축 지원을 통해 관련 기술 내재화로 첨단산업의 지속적 초격차 확보 - (장비구축) 국내 소재부품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제품의 시험·분석 및 실증 등에 필요한 연구시설·장비 구축 - (기업지원) 구축된 장비를 활용하여 신뢰성 기준 제·개정, 고장분석, 인증 지원 및 시제품 제작과 양산을 위한 공정 검증지원 등 실시 < 기반구축 사업 개념> ☞ 최종 수혜자인 기업에 대한 간접지원 ☞ 연구소, TP, 대학교 등의 수행기관을 ‘중간조직’으로서 지원하고, 해당 수행기관이 장비운용을 통해 기업의 R&D, 사업화 등 혁신활동을 지원 2 상세 지원내용 가. 지원분야 ㅇ 공모방식 : 지정공모 ㅇ 지원대상 : 8개 과제 (과제별 제안요청서(RFP) 참조) < 지원대상 과제 목록 > No 분야 과제명 별첨(RFP) 1 반도체 3D 반도체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 기반구축 2 디스 플레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실증기반 핵심기술 기반구축 3 기계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전달 핵심모듈 실증 인프라 구축 4 기초 화학 지속 가능한 엘라스토머 소재 공급망 강화를 위한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5 친환경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열가소성 복합재(CFRTP) 제조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6 전기 전자 차세대 친환경에너지부품의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 기반구축 7 자동차 미래차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실증 및 기술지원 기반구축 8 금속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소재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 구축 * 과제별 상세 요구내용은 붙임2 과제별 제안요청서(RFP) 참조 * 안전관리형 과제 해당 없음 나. 지원규모 및 기간 ㅇ 지원규모 : 과제당 총 정부지원연구개발비 100억원 이내 * 과제별 정부지원연구개발비(국비)는 개별 제안요청서(RFP) 참조 ** 지원규모는 정부 예산 사정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ㅇ 지원기간 : 2025. 5 ~ 2028. 12 (44개월 이내) * (디스플레이 분야) 지원기간: 2025. 5. ∼ 2027.12 (32개월 이내) ** 1차년도 수행기간은 8개월(’25.5월~’25.12월), 2차년도 이후는 12개월로 회계연도와 일치 *** 총 연구개발기간은 평가위원회에서 조정될 수 있음 다. 신청자격 및 조건 ㅇ 주관연구개발기관 단독 또는 컨소시엄의 비영리기관* *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19조 제2항에 의거한 연구기관, 대학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단체 - 신뢰성시험법 등을 개발하여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비영리기관으로 융합혁신지원단* 구성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되, 신뢰성 실시기관** 1개 이상 포함 (단독과제이면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융합혁신지원단이면서 실시기관이어야 함) * (융합혁신지원단) 38개 공공硏으로 구성된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 및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이하 “소부장 특별법”)상 소부장 기업지원 협의체로 ’23년부터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사업의 소부장 실증기반강화 대상기관으로 확대 (참고1) ** (신뢰성 실시기관) 소부장 특별법 제33조(신뢰성향상기반구축사업) 제2항의 신뢰성향상기반구축사업의 실시기관을 의미(‘24년 지정 16개 기관) (참고2) - 과제별 RFP에서 지정하는 연구기반구축 및 기업지원 역량을 보유할 것 라. 추진체계 산업통상자원부 전문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획위원회, 전문위원회 연구개발과제평가단(평가위원회) 장비관리전담기관 중앙장비심의위원회 주관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 운영위원회, 장비심의위원회 공동연구개발기관 1 … 공동연구개발기관 N 결과활용기관 N 마. 지원조건 구분 내용 지원방식 ㅇ 전체 연구개발기간에 대해 일괄 협약 체결 ㅇ 정부지원연구개발비(국비)는 회계연도에 따라 연차별 지급 * 정부 예산 사정에 따라 지급시기 조정 및 분할 지급될 수 있음 연구개발비 ㅇ 정부지원연구개발비는 연구개발비(건축비 등 제외)의 70% 이내에서 지원 * (예시) 정부지원연구개발비를 100억원 신청하는 경우 기관부담연구개발비(현금·현물, 지자체 포함) 합계가 43억원 이상이어야 함 (100억원 / 143억원 = 70%↓, 연차별 비율 준수)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4조 및 25조 참조 *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인정기준은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별표4 참조 ㅇ 장비구축비는 정부지원연구개발비의 65% 이상으로 편성(연구개발과제 기준) ㅇ 기타 연구개발비 편성시 아래 규정 준수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30조 및 별표5, 별표6, 별표7 *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사업 평가관리지침 제33조 연구시설ㆍ 장비통합관리 ㅇ “연구시설ㆍ장비비 통합관리기관”으로 지정된 기관의 경우 수정직접비의 5% 이내에서 통합연구시설ㆍ장비비 계상 가능 * 수정직접비 : 직접비 현금 총액에서 국제공동연구개발비를 제외한 금액 *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기준」 제7장 (연구시설ㆍ장비비 사용의 특례) 및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30조 제11항 참조 연구수당 ㅇ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수당은 수정인건비의 10% 이내로 산정 * 수정인건비 : 인건비(현물 포함) 및 학생인건비 포함, 연구근접지원인력 인건비 제외 간접비 ㅇ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직접비(현금) 합계의 5% 이내로 산정 기술료 ㅇ 비징수 3 지원제외 처리기준 ◾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제23조(사전검토) 및 별표3(제출서류 및 신청자격 검토, 사전지원제외 대상 및 처리기준) 구 분 내 용 공고내용과의 부합성 ㅇ 신청과제가 공고된 과제제안요청서(RFP)의 목표 및 내용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기존과제와의 차별성  ㅇ 연구개발과제가 기 지원된 연구개발과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의무사항 불이행 ㅇ 주관연구개발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 등이 접수마감일 현재 각종 보고서 제출, 기술료/정산금/환수금 납부 등 의무사항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참여제한 여부 ㅇ 주관연구개발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장,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장, 연구책임자가 접수 마감일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총 인건비계상율 및 참여과제수 ㅇ 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자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총 인건비 계상률 및 참여 과제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본 사업 지원제외 대상과제로 처리 - 다만 他 사업 지원 시에는 본 사업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참여과제 수에서 제외 가능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0조제2항 및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별표3 참조 * 기타 사전지원제외 기준은 「7. 관련법령 및 규정」에 따름 4 평가절차 및 기준 가. 평가절차 및 추진일정 공고 (산업통상자원부) ⇨ 연구개발계획서접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연구개발계획서 사전검토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연구개발계획서 선정평가 (연구개발과제평가단) ‘25. 4월 25일 ∼‘25. 5월 26일 ‘25. 5월 ∼ ‘25. 6월 ∼ ⇨ 평가결과 확정 (산업통상자원부) ⇨ 평가결과 통보 및 이의신청 ⇨ 협약체결 및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지급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5. 6월 ∼ ‘25. 6월 ‘25. 6월∼ * 상기 일정은 추진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나. 평가방법 ㅇ (사전검토) 전문기관(한국산업기술진흥원) 담당자는 신청기관의 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류, 신청자격, 공고 내용과의 부합성 등을 검토 ㅇ (연구개발계획서 평가) 연구개발과제평가단은 연구개발계획서를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하며, 신청기관은 평가위원회에 참석하여 대면 발표하고 질의응답 진행 다. 감점 기준 ㅇ 접수마감일 기준으로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평가 시 감점함 - 최근 3년 이내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31조제1항의 부정행위로 협약해약 또는 제재처분된 연구책임자나 기관이 새로운 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3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12조제5항제1호 관련) - 최근 3년 이내에 연구개발과제 선정 후 또는 연구수행 중 정당한 사유 없이 협약을 포기한 경력이 있는 연구책임자나 기관이 새로운 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2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12조제5항제2호 관련) * 단 2024년 예산 감액으로인한 중단(포기) 과제의 경우 감점 미해당 라. 평가기준 구분 평가항목 평가내용 사업목표 명확성 (20) 사업목표 명확성 ㅇ 목표 설정의 타당성 및 구체성 추진전략 적정성 ㅇ 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의 구체성 및 적정성 추진체계 및 보유 역량 (20) 추진체계 적절성 ㅇ 주관 및 공동 연구개발기관별 역할 및 협력체계 적정성 기반구축 역량 ㅇ 연구책임자, 참여연구자 및 연구시설장비 전담인력의 전문성 ㅇ 전담조직 구성 및 전담인력 확보 등 운영계획의 적정성 ㅇ 기존 관련 연구시설ㆍ장비 보유 및 기술지원 역량 사업내용 타당성 (40) 추진전략 적정성 ㅇ 연차별 추진전략 구체성 및 계획의 적정성 ㅇ 활용기업에 대한 수요조사 등 사전 기획의 충실도 장비구축 타당성 ㅇ 사업목적과 장비 부합성 ㅇ 연구시설ㆍ장비 구축계획 적정성(종류, 예산, 사양, 중복성 등) ㅇ 장비구축 전용공간 확보 여부 또는 계획 적절성 ㅇ 구축된 연구장비의 활용 계획의 적절성 등 연구개발비 적절성 ㅇ 연구개발비 연차별 편성 및 운용계획의 적절성 성공 가능성 ㅇ 사업추진단계별 계획에 대한 성공적인 추진가능성 성과확산 효과 (20) 사업지속 가능성 ㅇ 과제 종료 후 해당 센터의 지속 가능성 및 사업의 향후 활용성 파급효과 ㅇ 산업 생태계에 미치는 효과 5 신청방법 및 서류 가. 신청방법 구 분 내 용 접수기간 ▪2025. 4. 25(금) 09:00 ∼ 2025. 5. 26(월) 18:00 서식교부 ▪서식은 아래 시스템에서 다운로드 가능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iat.or.kr, 홈페이지 → 사업·자료 → 사업공고)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 접 수 처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에 온라인 등록 - 2025. 4. 25(금) 09:00 ∼ 2025. 5. 26(월) 18:00 * 접수 마감일 18:00 이후 접수 및 서류 제출이 불가함 * 별도 오프라인 서류 제출 불가함 접수절차 접수 전 필수 이행사항 신청 연구과제 신청완료 연구자는 NRI 가입, 연구자전환 동의 및 정보 등록·갱신 (학력, 경력 등) IRIS 기관등록, 기관총괄담당자 신청 (기관담당자 권한 부여), 기관대표자 등록 등 온라인 입력정보 작성 및 연구계획서 등 등록 연구개발기관의 온라인 등록사항 확인・승인 연구자 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 연구개발기관장 (연구자) ① IRIS 회원가입 ② IRIS 내 NRI(국가연구자정보시스템)로 이동하여 연구자전환 동의(국가연구자번호 발급) ③ NRI 내 학력/경력* 및 주요 연구수행 실적** 정보 등록 필수 * 경력정보에서 근무(소속)부서 등록 필수 ** 최근 5년간 수행완료 과제, 수행 중/신청 중 과제 목록 작성 ※ ① 및 ②: 연구책임자 포함 참여연구자 전원 필수(학생인건비 통합관리 기관의 학생연구자는 제외) ③: 연구책임자 필수(공동·위탁연구개발기관 책임자 포함) (연구개발기관) IRIS 기관등록, 기관총괄담당자 신청(기관담당자 권한부여), 기관대표자 등록 등 ※ 기관대표자 및 기관(총괄)담당자도 IRIS 회원가입 및 연구자전환 동의(국가연구자번호 발급)가 필수이며, 대표자 정보 미등록 시 연구자가 과제접수를 완료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필수 이행사항 사전 조치 ※(유의사항) IRIS 관련 접수절차 및 최신 정보는 신청기관이 IRIS 홈페이지내 매뉴얼, 콜센터 등을 통해 확인이 필요함 ☎ IRIS 문의처: 콜센터 1877-2041 또는 IRIS 홈페이지 사용문의 게시판 활용 ① 통합회원가입 - 연구책임자 및 연구개발기관이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www.iris.go.kr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등록이 되어 있지 않는 경우 신규 회원 가입 ② 온라인 등록 - 주관연구개발기관 로그인→사업공고→공고조회→동 사업 공고 선택 - 주관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가 내용 입력 ③ 파일 업로드 - 첨부된 문서 양식을 다운받아 해당내용을 오프라인으로 작성한 후,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www.iris.go.kr에 업로드 - 연구개발계획서는 HWP파일로 제출하되, 맨 앞장에 필요한 인감 날인 후 스캔하여 파일에 포함 - 연구개발계획서 이외의 첨부서류는 작성 후 스캔하여 PDF파일로 제출 ④ 온라인제출 최종확인서 출력 - 접수 확인을 위한 온라인제출 최종확인서를 출력한 후, 신청접수 완료 확인 및 보관 유의사항 ① 마감일에는 접속자 과다로 인해 전산등록이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드시 시간적 여유를 갖고 준비할 것 ② 접수 마감일 18:00까지 ‘완료 및 제출’하지 않는 경우 접수 불가 - 마감일에는 전산폭주로 인하여 등록이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시간적 여유를 갖고 준비(마감시간에 작성중인 경우도 등록 불가) ③ 온라인 등록시 과제 내용 및 연구개발비(단위)에 대한 오기가 없도록 주의 ④ 필수 입력사항을 공란 또는 허위로 작성하는 경우 사전 지원제외 처리 가능 ⑤ 전산등록한 연구책임자 및 실무자의 E-mail 및 휴대폰번호를 통해 평가일정 등의 안내가 실시되므로 회원정보에 입력된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 필요 ※ 잘못된 담당자, 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기재하여 발생한 평가 안내, 결과 통보 등 미수신(연락 불능)의 책임은 신청기관에 있음 ⑥ 필요시 온·오프라인 추가서류 제출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제출서류는 반환하지 않음 기 타 ▪온라인 등록 시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www.iris.go.kr)의 주관연구개발기관 매뉴얼 참조(사이트 내 다운로드 가능) 나. 제출서류 No 제출서류 파일형태 필수여부 대상 1 연구개발계획서 HWP 필수 주관연구개발기관 2 연구개발기관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서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3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동의서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4 연구윤리·청렴 및 보안서약서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5 현금·현물 납입확약서(지방자치단체) PDF 해당시 해당 지자체 6 현금·현물 납입확약서(연구개발기관) PDF 해당시 해당기관 7 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8 전용공간 확보계획서 PDF 필수 해당기관 9 연구자의 동시수행 과제수 확인서 PDF 필수 주관·공동(기관별) 10 감점 사항 확인서 PDF 필수 주관연구개발기관 대표 제출 11 법인등기부 등본, 사업자등록증 사본, 연구책임자 재직증명서 사본 PDF 필수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12 실시기관 지정증 PDF 필수 해당기관 6 유의사항 ㅇ 본 사업은 실시간통합연구비관리(RCMS)적용 대상 사업임 ㅇ 참여연구자의 인건비계상률은 10% 이상으로 하여 이에 따른 인건비를 계상 ㅇ 토지, 건물, 건축조성비는 정부지원연구개발비로 산정 불가 - 기관부담연구개발비 또는 그 외 기관·단체·개인이 지원하는 연구개발비의 현금(매입) 및 현물(임차 또는 기보유)로 필요시 산정 가능 ㅇ 안전관리형 과제*는 ‘연구실안전환경조성에관한법률’ 및 ‘산업안전보건법’등의 관련 규정에 따라 안전관리 이행계획이 포함된 안전관리 계획을 제출해야 함 * 연구개발 장소 및 외부환경의 안전 확보를 위해 재해유발 위험이 높거나 위험물질 취급하는 등 사람의 신체, 재산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과제의 수행기간 및 과제 종료 후 일정기간 동안 특별한 점검 및 관리가 필요한 과제 ㅇ 지원 대상과제 중복성 제기 - 지원 대상과제가 정부에 의해 旣 지원ㆍ旣 개발되었거나 민간에 의해 旣 개발된 사실을 발견한 경우에는 중복성을 제기할 수 있음 - 확인방법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 상단 검색창 사용 - 제기기간 : 2025. 4. 25(금) ~ 5. 12(월) - 제기방법 : 제기기관 대표자 명의의 공문 제출(관련 근거자료 첨부) - 제 기 처 : (06152)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305 한국기술센터 5층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공급망협력실 ㅇ 산업기술개발장비 통합관리요령 개정(‘24.6)에 따라, 3천만원 이상 1억원 미만 장비는 전문기관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심의하고, 1억원 이상 장비는 국가연구시설장비심의위원회(NFEC)에서 심의 * 선정 확정 이후 수정연구개발계획서 검토위원회 및 장비심의위원회 실시 예정 ㅇ 기타 사항은「7. 관련법령 및 규정」을 준수 7 관련법령 및 규정 가. 근거법령 ㅇ 산업기술혁신촉진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ㅇ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ㅇ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 및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나. 관련규정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ㅇ 산업기술개발장비 통합관리요령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연구윤리․진실성 확보 등에 관한 요령 ㅇ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기준 ㅇ 국가연구개발 시설‧장비의 관리 등에 관한 표준지침 ㅇ 기타 산업기술혁신사업 및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관련한 제반 법령 및 규정 ※ 해당 공고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련 법령 및 규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름 8 문의처 과제접수/평가/절차 등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공급망협력실 정수민 연구원 (☎ 02-6009-3936) 전산등록/ 사업관리시스템(IRIS)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 1877-2041) 참고 1 융합혁신지원단 구성기관 현황 ('25년 38개) 분과 연번 기관명 특화분야 비 고 기초 소재 (12) 1 한국화학연구원 화학 대표기관 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섬유 등 3 FITI시험연구원 섬유 4 다이텍연구원 섬유 5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화학/바이오 6 한국섬유소재연구원 섬유 7 한국소재융합연구원 화학 8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화학 9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탄소 10 KATRI시험연구원 섬유 11 KOTITI시험연구원 섬유 1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섬유 응용 소재 (5) 13 한국재료연구원 재료 대표기관 14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금속 15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 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 17 고등기술연구원 경량/비철금속 전자 부품 (6) 1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자부품 대표기관 19 한국광기술원 LED 20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기계/전기/전자 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도체/정보통신 22 나노종합기술원 반도체 23 차세대융합기술원 반도체 모듈・ 부품 (6) 24 한국자동차연구원 스마트카 대표기관 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복합생산기술 26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요소부품 27 대구기계부품연구원 자동차부품, 지능형로봇 28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기계/자동차부품 29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섬유공정/기계부품 시스템‧ 장비 (9) 30 한국기계연구원 기계 대표기관 31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32 한국전기연구원 전기 3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기술 3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IT플랫폼 3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분석·평가 장비개발/지원 36 한국나노기술원 나노 인프라 37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기 38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타 * 「소재부품장비 특별법」 상 소부장 기술력 향상을 위한 연구기관 협의체 참고 2 신뢰성 실시기관 현황 ('25년 16개) No 분야 기관명 1 반도체, 전기전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2 디스플레이, 기초화학 한국화학연구원 3 자동차 한국자동차연구원 4 기계 한국기계연구원 5 금속 포항산업과학연구원 6 기초화학 FITI시험연구원 7 반도체 한국세라믹기술원 8 기초화학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9 반도체, 자동차, 기계, 전기전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10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11 기계 건설기계부품연구원 12 금속 한국재료연구원 13 기초화학 KOTITI시험연구원 14 기초화학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15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한국광기술원 16 자동차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닫기
    • 붙임2.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3D 반도체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14. 반도체 증착 부품·장비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3D 반도체 소재 및 부품, 공정 실증 지원 체계 구축 * 3D 반도체: 전통적인 2D 구조 대신, 3차원 수직구조 형태의 전공정 및 2.5/3D 패키징이 적용된 반도체 (3D NAND, 3D DRAM, 2.5/3D 패키징 등) * 3D 반도체 장비: 3D 반도체 전공정, 후공정 (패키징 & 검사) 장비 (필요성) 첨단 반도체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 과제 목표 (최종목표) 12인치 구축장비를 이용한 3D 반도체(TGV, NAND, 어드밴스 패키징 등)의 공정, 분석 기술 확보 *ALD 단차율>90% @ HAR>1:6 *3D 패턴결함평가 @HAR: >1:6 *첨단 패키징 - Warpage 정확도 평가 *첨단 패키징 - Overlay 정확도 평가 (TSV, Bump 등) (지원 대상 및 범위) 반도체 관련 기업 과제 내용 (기반 구축) 공정, 검사, 실증을 위한 장비 구축 (핵심 요소기술) 3D 반도체 공정 실증, 성능평가, 고신뢰성 평가 및 분석 기술 개발 - (1) 3D 구조를 위한 원자층 증착(ALD) 기술 - (2) 3D HAR(High Aspect Ratio) 검사, 3D 패키지검사, TSV 식각 결함 기술 - (3) 첨단 패키징의 Warpage 검사 기술 - (4) 첨단 패키징의 Overlay 검사 기술 (기반 활용) 공정 실증, 성능평가, 고신뢰성 확보 등 기술지원 (보급 및 확산) 첨단 반도체 실증기반 기술 보급/확산 주요 구축 인프라 ALD 장비 3D HAR(High Aspect Ratio) 식각 검사장비 첨단 패키징 Warpage 검사장비 웨이퍼 적층 overlay 검사장비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첨단 반도체 및 관련 소재·부품 특성 검증, 공정 실증 및 고신뢰성 확보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차량용 디스플레이 실증기반 핵심기술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3. 점·접착 소재 제조 기술 4. 디스플레이용 코팅 소재 제조 기술 5. 디스플레이용 필름 소재 제조 기술 15. 커버 윈도우 소재 및 부품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차량용 디스플레이* 소재 및 부품의 공정 실증과 패널의 고신뢰성 향상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한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 *차량용 디스플레이: 주행 중에 필요한 다양한 내‧외부 정보를 운전자나 탑승자 또는 외부 도로 이용자(보행자, 이륜차, 주변 차량 등)에게 제공하거나 공유하는 형태의 장치 (필요성) 디스플레이 산업의 시장점유율 위기 극복을 위해 미래 자동차 디스 플레이 시장에 대한 선제적 고신뢰성 기술경쟁력 확보 필요 - 디스플레이의 자동차 부품 확대 적용을 위해서는 장기 내구성, 파손 안정성 등에 대한 검증과 타 부품과의 융합이 필수이며, 이에 대한 부품화 및 실증 기술에 대한 인프라 구축 필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는 연평균 8% 이상 성장해 2028년에는 128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 과제 목표 (최종목표)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항온항습, 광내구성, 내진동·내충격성 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고신뢰성 성능평가 기술 확보를 통한 디스플레이 소재‧부품 기업의 활성화 (지원 대상 및 범위) 차량용 디스플레이 관련 중소·중견기업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자동차 적용 디스플레이의 고온고습, 태양광, 진동, 충격 등 극한 환경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합적인 스트레스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장비구축 *기 구축, 보유한 장비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성능 평가 지원 (핵심 요소기술) 차량용 디스플레이 소재 및 부품 개발을 위한 공정 실증 기술, 성능 평가, 고신뢰성 평가 및 분석 기술 개발 - (1) 초고온/저온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고신뢰성 확보 기술 - (2) 초고속 운행 및 가속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고신뢰성 확보 기술 - (3) 극한 환경하에서의 안전성 및 고신뢰성 평가 기술 (기반 활용) 구축한 인프라를 활용하여 기업의 고신뢰성 관련 시험/평가 및 제품 신뢰성 개선 등 지원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소재‧부품의 물성 및 신뢰성 평가 결과에 대한 DB 수집 및 공유를 통해 기업의 중복연구 방지 (보급 및 확산) 디스플레이와 자동차의 이종 연구기관 간 고신뢰성 관련 기술 교류 및 산업 협력, 고신뢰성 평가 기반 기업지원 프로그램 활성화 - 전시회 참가, 세미나 및 교육 등을 통하여 구축된 고신뢰성 기반 기술 보급 및 확산 주요 구축 인프라 온습도, 기계적, 동적 특성의 변화에 의한 복합적인 스트레스와 진동 소음/내구성능 및 기계적 특성을 동시에 평가/분석할 수 있는 다축 복합 가변 멀티환경 진동 내구 통합 고신뢰성 시험기 *시험기는 Sine Force ∼30,000kgf, Random force ∼24,000 kgf, Shock force ∼90,000kgf, 온도 -50∼150℃, 습도 30∼98%, Solar Unit의 테스트가 가능하여야 함 *신뢰성 평가 기준은 85℃에서 500시간 동작(95℃에서 100시간 보존), -40℃에서 240시간 동작, 60℃ & 90% 습도에서 500시간 동작, 제시된 기계적 충격 등이며 이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함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디스플레이와 자동차 관련 선진 기술 융합을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한 완성도 높은 기술 확보와 시장 선점 가능 ㅇ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고신뢰성 확보로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증대로 해외 진출 확산 및 매출 증대 ㅇ 대기업 위주로 진행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개발 분야에 대한 중소‧중견 기업의 적극적인 연구개발 참여 유도 가능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7년 (3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4,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전달 핵심모듈 실증 인프라 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13. 고정밀 구동부품 제조 기술 16. 정밀모터 부품 제조 기술 26. 동력전달 부품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산업 로봇용 정밀 제어를 위한 동력 전달 모듈의 공정장비 지원 및 신뢰성 향상 지원체계 구축을 통한 산업 로봇 산업의 기술력 제고 *고성능 동력전달 모듈(정밀감속기, 모터, 구동 모듈, 정밀가동 등) (필요성) 세계 최고의 로봇 밀도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은 세계 5위의 로봇 시장 규모를 갖고 있으나 동력 전달을 위한 핵심 및 정밀 부품의 수입 비중이 높은 실정 특히, 드라이브 트레인(모터, 드라이브, 정밀감속기 등) 부품은 2022년 세계 시장에서 로봇 전체 매출의 42%인 51억 달러를 차지하며 2027년까지 7.7%로 빠른 성장을 예상함 *(日) 산업 로봇용 부품의 가장 큰 시장은 현재 일본으로 세계 감속기 시장의 75%, 서보모터 시장의 59%를 점유 *(中) 2027년이면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로봇 부품시장의 1위로 부상 예상 - 로봇산업은 제조, SW, 서비스, 콘텐츠 등 각 산업별 가치사슬이 다층적으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고, 전·후방산업의 동반성장 및 고부가가치화를 견인 하고 있어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과제 목표 (최종목표)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 전달 핵심 모듈의 개발을 위한 공정 장비, 신뢰성 검증을 위한 평가·시험 장비 등 실증 인프라 구축을 통해 소재부품기업 육성 및 기술경쟁력 확보 (지원 대상 및 범위) 산업 로봇의 정밀 구동 및 제어를 위한 동력 전달 부품 및 모듈 제작·개발 공정장비 지원, 동력전달 구동 시스템의 성능과 내구성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시험·분석·평가용 실증 인프라 구축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전달 모듈 및 부품 공정장비 지원 및 신뢰성을 위한 실증평가 인프라 구축을 통해 소재부품 기업의 신제품 개발, 경쟁력 확보, 품질개선 및 구동핵심부품의 신뢰성 향상 (핵심 요소기술) 로봇 구동 부품의 고정밀, 고성능화에 따른 소형, 경량화 기술, 시스템 성능, 내구성 확보 등을 위한 공정 실증, 성능 평가, 시험·분석법 개발 - (1) 고성능·고정밀 부품 및 모듈 제조·가공 공정(HW/SW) 실증 *Multi-Axis CNC Machine tool 등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2) 성능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시험·분석·평가 기술| *구동 성능시험, 부품의 기계적 특성 분석 및 평가, 품질 검증, 형상 정확도 등 - (3) 내구성 검증을 위한 시험·분석·평가 기술 *장시간 가동 및 반복 하중 시험, 진동 및 충격에 대한 안정성 평가, 기능안전시험, 열적 안정성 및 열관리 성능 평가, 소음 및 전기적 안정성·효율성 분석, 시험 데이터 수집 및 DB화하여 활용 가능한 환경 구축 연계 등 (기반 활용) 국내 모터, 감속기 등 고성능 동력 전달 모듈 개발을 위한 원천 기술과 신뢰성 확보 인프라가 부족한 강소기업 육성을 위해 공정장비, 시험 평가, 신뢰성 검증, 기술지도 및 수요기업과의 네트워크 지원 * 실증 과정에서 취득된 DB를 활용한 맞춤형 기술지원 및 성능향상 연계 추진 (보급 및 확산)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 전달 핵심 모듈 개발 및 실증 기반 기술 구축, 세미나, 교육 등 인프라 지원으로 실증화 촉진 주요 구축 인프라 (제조·가공 공정장비) 시제품 제작, 핵심 모듈 제조, 고정밀 부품가공 등 산업 로봇용 동력 전달 핵심 모듈의 원천기술 확보 및 국산화 개발을 위한 기반 구축 (성능·신뢰성·내구성 실증기반 시험·분석·평가 장비) 산업 로봇용 고성능 동력 전달 모듈의 요소 부품(감속기, 모터 등) 내환경 성능 평가, 한계 시험, 기계적 특성 분석 등 내구성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실증 기반 인프라 기반 구축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로봇 구동 부품 제조공정기술, 신뢰성 향상을 통한 기술경쟁력 확보로 산업 로봇 시장 공급망 확산에 기여 및 기반조성 ㅇ 로봇용 핵심 구동 부품의 제조공정, 실증인프라 구축을 통하여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 및 국산화에 기여하고, 핵심기술 선점의 기회 확보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지속 가능한 엘라스토머 소재 공급망 강화를 위한 핵심 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128. 기초화학, 탄성소재 및 부품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지속 가능한 엘라스토머 소재·부품 핵심기술 실증 기반 지원 - 순환 원료와 미래 모빌리티용 엘라스토머 기반 부품화 - 순환 경제 제품 인증 - 탄소배출계수 산정시스템 기반 구축 *엘라스토머: 가교사슬 구조로 구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갖는 고분자 재료로써 모빌리티, 이차전지, 반도체, 전기전자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 내구성, 기밀성 유지를 위해 사용 (필요성) 글로벌 환경 규제 강화 및 자원 순환활용 요구 증대에 따라 친 환경, 고내구성 부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엘라스토머 부품에 대한 수명 예측, 신뢰성 평가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 *EU는 Black Cycle Project(‘20~’24)를 지원하여 폐타이어 순환활용을 통하여 친환경 원료와 저탄소 핵심 부품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동일 목적의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기술 선점이 절실함 *친환경, 고성능 엘라스토머 소재의 시장성장률은 연 5% 수준으로, 국내 관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 기술 내재화 필요 과제 목표 (최종목표) 순환 원료, 지속 가능 고성능 탄성소재 부품 공정 기술 실증 및 인증을 통해 타이어, 모빌리티, 전기전자, 이차전지, 반도체 등 관련 제품의 초격차 확보 (지원 대상 및 범위) 타이어, 모빌리티, 전기전자, 이차전지, 반도체 관련 중소·중견기업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순환활용 기반 카본블랙과 고성능 엘라스토머 소재의 실증 및 인증 체계 개발과 품질 평가, 분류를 위한 기구축 장비와 연계한 장비구축 운용 (핵심 요소기술) 산업 트렌드와 수요를 반영한 순환 원료와 엘라스토머 소재, 부품의 핵심 제조 공정 실증 및 전주기적 신뢰성 인증 체계 구축 - (1) 순환 원료 표준 분석·분류 체계 확립 - (2) 순환 원료 활용 엘라스토머 배합 공정 실증 및 database 구축 - (3) 순환 원료 활용 고성능 엘라스토머 부품 제조 공정 실증 - (4) 지속 가능한 엘라스토머 순환 경제 제품 인증* 및 전주기 탄소배출계수 산정 시스템 구축**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생산∼소비 등 전 과정에서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폐기물 발생 최소화를 위해 천연자원과 대비되는 순환 원료를 주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한 제품 **전과정평가 (LCA) 방법론 및 국제표준, 제품범주규칙(PCR) 연구를 통한 전과정평가 방법론 개발 (기반 활용) 핵심 요소기술과 구축 장비 등을 활용하여 순환 경제 생태계 확대를 위한 표준 분류, 시험평가, 순환 경제 제품 인증 등 기술지원 (보급 및 확산) 인프라 확산 및 홍보를 통한 순환 원료와 지속 가능한 엘라 스토머 기술 보급, 연구기관 간 연구 협력을 위한 기술교류회 추진 주요 구축 인프라 (지속가능 엘라스토머 소재의 핵심기술 실증, 기업지원을 위한 공정 장비 및 특성 평가 장비 구축) 순환 원료 불순물 제거 장비, 자동 혼련용 Roll-mill, 카본블랙 분산용 인터널 믹서, 탄성 소재 성형용 가열 프레스 등 (엘라스토머의 고사양 물성 측정 장비 및 신뢰성 평가 장비구축) 만능재료 시험기, 순환원료 BET 표면 분석기, Multi-axial tester, Tire tread compound tester, 타이어 트레드 동적 마찰 거동 분석기, 엘라스토머 모폴로지 분석기, 화재 안전 시험 장비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지속 가능 엘라스토머 소재의 요소기술 확보를 통한 국내 순환활용 산업 생태계 확장 및 경쟁력 강화에 기여 ㅇ 요소기술 개발 및 확산을 통한 해외 의존도 감소, 핵심 산업 분야의 소재 연구 기반 마련 및 개발 능력향상, 기관-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강화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8,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친환경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열가소성 복합재(CFRTP) 제조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47. 자동차, 카본 복합 소재 제조 기술 141. 기초화학, 경량 내구성 복합소재 제조 기술 172. 우주 항공, 항공용 초고강도 탄소복합재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친환경 산업 트렌드를 대응하는 고부가가치 소재 업사이클 기술 부족 해결 및 CFRTP 소재 국산화 기술 지원 기반구축 *CFRTP(Carbon Fiber Reinforced Thermo Plastic): 탄소섬유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가 결합된 강화 복합 소재 (필요성) 높은 기술 의존도를 보이는 고부가가치 소재 업사이클 기술 부족과 관련 기업의 적시 산업전환을 위해 연구시설·장비를 구축하여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 필요 *차세대 섬유 소재 중 하나인 탄소섬유와 고분자가 결합된 탄소섬유 복합재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경량성을 동시에 갖고 있어 항공우주, 자동차,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의 핵심 소재임 -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매립 및 소각 차단, 수송기기의 경량화 추세, 재 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의 수요 증가, 고품질 리사이클 시장 확대, 고성능 제품군 확대로 향후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열가소성 탄소섬유 복합재(CFRTP) 수요 산업은 더욱 광범위해질 것으로 예측 과제 목표 (최종목표)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CFRTP에 대한 공정·신뢰성 확보를 통해 자동차, 우주항공방산 등 수요 산업 제품의 초격차 확보 (지원 대상 및 범위)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CFRTP 제조 중소·중견기업 등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친환경 산업 트렌드 대응 재활용 탄소 섬유 기반 고성능 CFRTP 제조를 위한 탄소 섬유 표면처리 장비, 열가소성 탄소 섬유 중간재 제조 공정 장비, 열가소성 탄소섬유 복합재 제조 공정 및 신뢰성 평가 기술 기반 구축 (핵심 요소기술)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CFRTP 소재 요소기술 도출 - (1) 재활용 탄소섬유의 표면 활성화 및 계면 물성 평가 지원 - (2) 고성능 복합소재 산업군용 중간재 제조 기술지원 및 성능 평가 지원 - (3) 경량 자동차 부품용 저가형 CFRTP 소재의 물성 확보 및 평가기술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4) 친환경 업사이클 CFRTP 적용 소재의 물성 확보 및 평가 기술 (기반 활용) 신규 장비구축을 통해 업사이클 제품 핵심기술, 시험·평가·인증, 시제품 제작, 공정 및 고신뢰성 확보 등 기술 지원 (보급 및 확산) 재활용 탄소 섬유 기반 고성능 CFRTP 제조 기술 보급·확산 - 관련 기업 대상 인프라 설명회 등 홍보를 통해 구축된 공정기반 기술 보급 및 확산, 이종 분야 연구기관 간 교류·협력을 위한 기술교류회 추진 주요 구축 인프라 (재활용 탄소섬유 표면처리 및 업사이클 장비) 재활용 탄소섬유 연속식 건식 표면처리 장비, 재활용 탄소섬유 리사이징 기능이 도입된 방향성 제어 습식 부직포 제조설비, 재활용 탄소섬유 방향성 제어 건식 부직포 연속식 제조설비 등 (재활용 탄소섬유 업사이클 중간재 제조 장비) 연속식 더블벨트 프레스, 고함 량의 재활용 탄소섬유 적용이 가능한 고성능 수지 컴파운딩 제조설비, 재활용 탄소섬유 및 고성능 열가소성 수지 기반 CFRTP용 고온 Hot Press 장비 등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CFRTP 적용 부품의 성능 확보를 위한 분석 평가 장비) 재활용 탄소섬유와 고성능 열가소성 수지간의 계면 신뢰성 측정 시스템, 광대역 전자파 차폐 시험기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고성능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CFRTP 제조 구축 인프라 및 기술 확보를 통한 국내 소재·화학산업 경쟁력 강화 기여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8,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차세대 친환경에너지부품의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105. 이차전지 전극 소재부품 제조 기술 106. 이차전지 분리막 제조 기술 120. 차세대전지용 리튬금속 전극 제조 기술 121. 차세대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IT기기, 에너지저장장치, 드론, 개인형 이동수단 등에 탑재되는 친환경 에너지부품 및 관련 소재의 신뢰성 요소기술 확보를 위한 전주기 평가 및 실시간 분석 지원체계 구축으로 K-Battery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 (필요성) 친환경에너지부품은 친환경화의 글로벌 트렌드 속에서 지속 가능 성장의 핵심 수단이지만 원료와 소재부품의 해외 의존도가 높음 - 해외 의존도 탈피 및 핵심 소재부품 자립화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체물질을 적용한 차세대 이차전지, 고안전고체전지 등의 신뢰성 확보 및 양산 성능 개선 등 체계적인 지원 필요 과제 목표 (최종목표) 친환경에너지부품 관련 소재산업의 기술개발, 사업화 기반 조성을 통한 기업 육성으로 친환경에너지부품·소재 산업의 가치사슬 연결 강화 (지원 대상 및 범위) 친환경에너지 관련 기업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전고체전지 등 대체물질을 적용한 차세대 이차전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장비 구축 및 친환경 에너지 소재와 부품의 신뢰성과 수명 관련한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필수장비 구축 (핵심 요소기술) 친환경 에너지 부품의 소재 신뢰성, 특성, 성능, 안정성 향상을 위한 시험평가 분석 기술 - (1) 차세대 에너지 부품 소재 신뢰성 분석 기술 - (2) 비대기노출 실시간 분석 기술 - (3)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및 부품 안정성 평가 설계 기술 - (4)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및 부품 열화 메커니즘 분석 기술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기반 활용) 고가의 장비 구축이 어려운 관련 기업 대상으로 기존 장비와 신규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하여 시험·평가·분석 및 인증, 기술지도, 세미나 등 기술정보 교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기업 육성 지원 주요 구축 인프라 (친환경에너지부품 생산성 향상 및 핵심소재부품 자립화) 친환경에너지 부품 개발을 위한 드라이룸, 친환경에너지부품 전극 제조 장비 등 (친환경에너지부품 소재와 부품의 신뢰성과 수명 향상) 초고분해능 구면 수차보정 주사투과전자현미경(TEM) 등, TEM 실시간 관찰용 홀더, 접속 이온빔 주사전자현미경(SEM)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친환경 에너지부품소재 기업에 대한 기술지원 및 사업화 지원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미래차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실증 및 기술지원 기반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6. 고정밀 고안전성 지원 차량 제어시스템 기술 9. 전기자동차(xEV) 구동 모터용 소재 및 부품 제조 기술 14. 자동차용 고효율 파워트레인 제조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미래차를 대상으로 하는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의 사업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실증 기반구축 및 기업 사업화 지원을 목표로 함 (필요성)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미래차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다지기 위해 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전장부품의 역할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 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부품에 대한 실차 주행 조건을 적절히 반영한 서브 시스템 및 부품 레벨에서의 평가 방법과 제품생산에 필요한 관련 기술 확보 필요 *구동안전계 전장부품: 구동모터, 인버터, 지능형 조향·제동 시스템, 능·수동 안전 전장부품 등 연비 향상 및 안전을 위한 차량 부품 *편의계 전장부품: 스마트기기, 무선충전시스템, 블랙박스 등 운전자 편의 지원 차량 부품 과제 목표 (최종목표) 미래차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공급능력 향상을 위한 핵심부품 평가와 제품 공정에 필요한 장비구축 및 관련 패키지 기업지원 *패키지기업지원분야: 설계기술, 고장 메커니즘 해석기술, 수명평가기술 등 제품개발 및 상용화 필수 기술 (지원 대상 및 범위) 미래차에 사용되는 주요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과 그 구성 소재의 생산 및 성능개선 분야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전압전동화 부품, 제조능력 수월성 향상, 고성능 전수검사장비 등 소재부품산업의 공급망 측면에서 공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용장비 (핵심 요소기술) 미래차 대상 핵심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의 사업화에 영향을 주는 부품평가와 제품생산 기반 구축 등 실증 지원 - (1) 복합환경 노출 모니터링 전장품의 신뢰성 검증기술 - (2) 액추에이터 기밀성능의 검증 및 정밀분석 기술 - (3) 다기능 편의안전 전장부품의 멀티스케일 분석기술 - (4) 미래차 전장부품 공급능력 향상을 위한 제조·공정 지원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기반 활용) 개발한 요소기술과 구축 장비를 활용하여 핵심 전장부품(구동 안전계 및 편의계) 관련 기업을 대상 제조 기술지원, 시험평가, 성능 개선, 수명 예측, 기술지도, 재직자 교육(장비운영 기술교육 등) 등 기술지원 (보급 및 확산) 미래차 핵심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 관련 기업 대상 기술설명회, 전문인력 양성 등을 지원하고, 이종 분야 연구기관간 기술 교류와 협력 연구를 통한 보급 및 확산 주요 구축 인프라 (공정분야 공동장비) 전장부품 개발 공정 시스템(레이저 마커, 자동 광학 검사, 솔더 페이스트 검사 등), 후공정(라우터, 수삽, 검사 등), 패키징 장비 등 (전장부품 및 구성소재 성능 시험/분석 장비) 자율주행 실차 데이터 측정 시스템, 전도내성시험기, 소자 휨 분석기, 전력기반 실차 전자파 챔버 및 구동용 샤시다이나모미터, 적외선조사 항온항습기, 네트워크분석기+픽스처 (20∼140) Ghz 등 (S/W 중심분야 대응) ADAS 등 실차장착 후 성능 분석 실차, 자율차량 부품 비교 성능 평가 실차, 센서 검교정 장비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미래차 전장부품(구동안전계 및 편의계)의 공급능력을 향상시키고, 국내 관련 기술의 성능개선 및 기술력 강화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제안요청서(RFP) 세부사업 내역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소재부품기술개발혁신 내내역사업 소부장실증기반강화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기술지원 기반구축) 과제명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소재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 실증 및 기반 구축 안전관리형과제 X 보안 과제 X 관련 핵심전략기술 41. 알루미늄 합금 제조 기술 169. 항공기용 가스터빈 소재부품 기술 37. 고경량, 고강도, 내열성 비철금속 소재 제조 기술 174. 항공기 구조물 체결 패스너 제조 및 마찰교반용접 기술 개요 및 필요성 (개요) 우주항공용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의 제조공정 실증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공급망 강화 지원 *우주 항공용 저비용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우주탐사선, 통신위성, 달착륙선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소재 및 부품으로, 부품화 단계에서 공정 수를 절감하여 생산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한 금속 소재부품 (필요성) 우주항공용 소재 자립화는 항공, 우주, 국방 등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의 해외 의존도를 해소하며 국내 금속소재산업 기술 고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항공용 금속 소재 수요 증대에도 불구하고, 우주항공용 금속소재(Al, Ti, Ni, Steel 등)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경쟁력 제고 필요 과제 목표 (최종목표) 우주항공용 맞춤형 대형 경량 금속소재 공정실증, 성능평가, 고신뢰성 기술 확보 및 인증 대응을 통한 공급망 강화 지원 (지원 대상 및 범위) 우주항공용 저비용 경량 금속 소재 관련 기업 등 과제 내용 (기반 구축)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공정 실증, 성능 시험, 고신뢰성 평가 장비구축 (핵심 요소기술)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개발을 위한 공정 실증, 성능시험, 고신뢰성 평가 기술 지원 - (1) 우주항공용 국산소재 신뢰성 평가 기술 - (2) 우주항공용 금속 소재/부품 경량·일체화 공정 실증 - (3) 우주항공용 소재부품 저비용 제조 공정 실증 - (4) 소재부품 설계-제조 신뢰성 향상 기술 * 상기 정부출연금은 예산 현황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기반 활용) 개발한 실증 기반 요소기술과 구축 장비를 활용, 고신뢰성 기술 확보 및 인증 대응 기술 지원 (보급 및 확산) 우주항공 분야 수요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신뢰성 기술 보급 및 확산, 이종 분야 연구기관과의 정기적인 기술 세미나 주요 구축 인프라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공정 실증 및 성능시험 장비구축) 선형마찰용접기, 전략금속전용 PBF 3D printer 등 (우주항공용 맞춤형 경량 금속 소재 및 부품 고신뢰성 평가 장비구축) 환경 (고온)피로시험기, 환경(부식)피로시험기, 디지털 투영기, 전략금속 표면 마찰마모 시험기 등 성과지표 ※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참고 필수지표 ㅇ 장비 구축 건수 ㅇ 장비 가동률 55% 이상 (최종 연도 기준) ㅇ 장비 활용 기업 수 ㅇ 장비 활용 수익금 ㅇ 제시된 핵심 요소기술 개발 ㅇ 기술 서비스 건수 (공정지원, 애로기술지원, 시험·평가, 시제품 제작 등) ㅇ 수혜기업 만족도(80점 이상) 자율지표 ㅇ 신뢰성인증기준(R-Mark인증) 개발, 표준 제안(IEC, ISO 등), 공인인정 체계 구축, 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출원 등 기대효과 ㅇ 소재 제조 공정 기술 확보 및 적시 공급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 기대 전체 연구개발기간 2025년 ∼ 2028년 (4년 이내) 총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0,000백만원 (1차년도: 1,253백만원) 주관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공동연구개발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닫기
    • 붙임3. 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식.zip
    • 붙임4. 관련 법령 및 규정 등.zip
더보기

예산·법령 ( 109 건)

더보기

민원참여( 0 건)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

직원검색 ( 0 건)

직원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테이블 입니다
이름 직위 부서 전화번호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

소개( 0 건)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