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세계표준 및 품질경영 유공」 정부포상 후보 공개검증 2024-08-01
「2024년 세계표준 및 품질경영 유공」 정부포상 후보의 주요공적을 공개하여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1. 추천 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2. 포상규모 : 미정(관계부처와 협의 중) 3. 포상후보자 명단 및 공적 요약 : 붙임 참조 4. 기타사항 ㅇ 국민들의 의견 수렴을 위해 포상 후보 주요 공적을 공개하오니 동 사항에 대한 의견이 있으신 경우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세계표준의 날) 윤남식 사무관 043-870-5348, nsyoon2@korea.kr - (국가품질경영) 김상태 사무관 043-870-5481, rad21@korea.kr - ...
>알림·뉴스>포상공개검증
`24년「세계표준 및 품질경영」유공 정부포상 후보 공개검증 1. 세계표준의 날 기념 유공 정부포상 후보 공개검증 1. 추천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2. 포상목적 ㅇ 세계 표준의 날(10.14)을기념하여 표준화 실적이 우수하고 국가산업 발전 및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유공자 및 유공단체의 노고를 치하하고 격려 3. 포상행사* 일자‧장소 : 2024. 10. 15.(화), 대한상공회의소(서울) * 포상행사는 일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4. 포상규모 : 미정(부처 간 협의 중) * '23년 포상규모 : 정부포상 10점(훈장 1, 포장 1, 대표 4, 국표 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30점 5. 포상 후보자 명단 및 공적요약 : [붙임1] 참조 6. 기타사항 ㅇ 국민들의 의견수렴을 위해 포상후보자 및 주요공적을 공개하오니 동 사항에 대한 의견이 있으신 경우,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표준정책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자 : 윤남식 사무관 (043-870-5348, nsyoon2@korea.kr) - 공개검증 기간 : ‘23. 8. 1.(목) ~ 8. 16.(금), 16일간 ㅇ 보내주신 의견에 대하여 별도 회신은 하지 않으며, 자체검증 후 공적심사 자료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붙임1] 2024 세계 표준의 날 기념 유공 정부포상 후보 명단 유공자 부문 후보 (성명 가나다순, 총 30인 내외 포상 예정) No 성명 소속단체·직위 (수공기간) 공 적 개 요 1 가호경 LG전자 책임연구원 (17년 5개월) ▪2019년부터 ISO/TC299 Robotics 국제 및 국내 대응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서비스 로봇 안전 국제표준(ISO 13482) 개정 참여 및 신규 chapter 제안을 통해 개정 결정에 이바지하는 등 국제 표준화 활동을 통해 국내 로봇 산업 발전과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 ▪자체 개발 로봇을 활용한 KS 개발 참여 및 적합성 평가 실시, 로봇의 기능 안전 모듈 설계·개발 및 해외인증을 취득하고 사례를 전파하여 국내 로봇 안전 표준화 활동 촉진 및 선진화에 기여 2 강재철 한국에너지기기산업진흥회 수석연구원 (29년 2개월) ▪1995년 한국가스석유기기협회(이전 진흥회 명칭)에 입사한 이래로 시험검사본부 소속으로 24년간 국가표준 인증과 관련된 시험·검사 업무에 수행하여 해당 분야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 ▪2020년부터 표준개발협력기관(COSD) 에너지기기 분야 실무자 및 책임자 역할로 KS 표준을 제·개정 작업등을 수행하고, ISO/TC 142, 161, 291 국제 표준화 회의에 참여하여 에너지 기기 분야 국가 및 국제 표준화 활동에 기여 ▪가스보일러의 CO경보장치 부착 의무화 및 케스케이드식 검사 입법과 관련된 KS표준을 개발하였고, 현재 CCU(탄소포집활용) 전략제품 생산기술 실증사업(표준화 및 제도개선) 책임자로 관련 KS 표준을 개발 추진 등 표준화를 통한 관련 분야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 3 김단비 한국표준협회 위원 (20년 3개월) ▪COSD 대표기관 총괄, ISO TC283/WG8 컨비너, TC23/SC6/WG5 간사, TC283 & TC211 전문가, 안전보건서비스 전문위원회 위원 활동으로 교육, 민간표준 활성화부터 국가표준개발 운영체계 개선까지 다양한 국내외 표준화 기반구축 및 성과확산에 기여 ▪2008년부터 표준개발 협력기관 등에 위탁 운영 중인 국가표준개발의 DB관리가 수기확인으로 진행되었던 부분을 개발기획-DB취합-성과 분석 웹기반 시스템으로 개선하여 국내 최초 국가표준 개발체계 선진화에 기여 ▪2004년부터 국내 최초 49개 대학(‘07년 기준) 표준화 강좌를 도입하여 연 5,000명의 표준인력 양성에 기여 ▪ISO TC 283 컨비너 수임으로 1건의 한국 제안 표준 진행, ISO TC 23 SC 6 WG25 세크러테리 수임으로 한국 제안 표준 2건을 개발 지원하였고, 안전보건서비스 국내 전문위원으로 참여하여 한국 주도 국제표준을 개발 지원 4 김병삼 한국전기산업진흥회 차장 (4년 5개월) ▪IEC/TC 57(전력시스템 및 관련정보교환)분야 표준개발협력기관 및 간사기관 담당자로 KS 3건 제정 및 31건 개정에 참여하였고, 국제 표준 1건(IEC TS 61850ー80-5) NP채택, CD안 개발에 기여 ▪IEC 61850(전력유틸리티 자동화 통신분야) 표준기술연구회 35회 운영, 관련 동향세미나 6회 개최로 최신국제기술 및 표준동향을 업계 전파 및 보급 확산에 기여 ▪갭리스형 금속 산화물 서지흡수기 단체표준 1건 제정 및 전기분야 7건 개정 작업 참여로 전기산업 기술 표준화 및 역량 강화에 기여 5 김수진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과장 (11년 5개월)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 재직하면서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관리를 포함한 지하수 조사, 평가, 모니터링 기술의 표준화에 기여 ▪ISO TC 113/SC 8 (지하수) 국내간사기관 운영 활동을 통해 국제 간사국 활동을 지원하고, 우리나라 지하수 분야 국제 표준기술 선도에 기여 ▪지하수 모델 개념화에 대한 신규 ISO 국제표준(안) 제안 등 ISO TC 113/SC 8 전문가 활동을 통해 지하수 산업 발전과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 ▪기술위원회 간사 활동 등 국내 물관리 정책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지하수 분야 표준개발 및 산·학·연 전문가 협업 체계를 구축하여 국가 지하수 자원관리에 기여 6 김승국 현대자동차 매니저 (24년 7개월) ▪1999년 입사 이후 당사(현대자동차) 품질관리 업무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추진중이며, 특히 최근 3년이내 MS/ES 표준화개정(90건) 및 특허개발(9건) 출원하여 추진 및 당사 표준화에 기여 ▪품질보증 담당자로 당사(현대자동차) 협력사의 부품기술지도 및 표준의 정합성을 검토하여 체계적인 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 ▪특허개발 사례발표를 바탕으로 제49회 국가품질경영대회(2023년) 제안부분 참석 및 총(10회)에서 전국대회 수상하여 지속적인 표준화활동에 기여 7 김영갑 세종대학교 교수 (17년 7개월) ▪ISO/IEC JTC1 SC41 (IoT and Digital Twins) 전문위원으로 표준 특허를 기반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상호운용 기술 표준안」을 신규로 제출하여 현재 최종안 회람 단계로, 향후 사물인터넷 분야의 활용 활성화 및 경제적 효과가 기대 ▪ISO/IEC JTC1 SC32 (Data Management and Interchange)의 전문위원으로 데이터 모델링, 교환에 대한 신규 표준안 다수 제안 및 국내 KS 표준 제·개정에 참여하여 해당 분야 표준화 및 선도에 기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지능형 CCTV프로젝트 그룹에서 표준 제·개정 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지능형 CCTV 주요 원천기술인 시놉시스 및 영상함호화 관련 4건의 표준제정으로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 8 김영래 주식회사 케이이에스 대표이사 (28년 6개월) ▪1996년부터 시험인증 관련 기업체에서 국내 전자파적합성(EMC)분야 표준을 활용하여 시험인증업무를 수행함으로써 표준 체계 확립에 기여 ▪2019년부터 5년간 산업표준(KS) 철도차량 분야에 대한 5건의 국제표준부합화/선진화 정비 용역 연구를 전문가로 수행하여, 해당 분야 KS표준의 선진화에 기여 ▪대학 표준고위과정 졸업자 주축의 표준전문가 그룹 「표준 아너스 소사이어티」를 창립, 초대 회장을 역임하며 표준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및 표준화 활동 확산에 기여 9 김용순 도담고등학교 교감 (5년) ▪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면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표준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하며 청소년들이 표준의 개념과 역할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미래의 표준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표준교육 사업을 추진 ▪학생들에게 실생활의 주제를 중심으로 표준화의 개념, 표준화 방안 탐색을 지도하여 표준화에 대한 의식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 10 김용운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책임연구원 (26년 4개월) ▪우리나라 K-방역 성과를 바탕으로 JTC 1/SC 41(IoT 및 디지털트윈)에서 ISO/IEC CDV 30180(자가격리자 관리체계 요구사항) 프로젝트 에디터로 활동하여 국제 표준화 제정에 주도적 기여 ▪JTC 1/WG 11(스마트시티) 전문위원회의 위원장으로, ISO/TC 268, IEC SyC-SC 국제표준화에 참여하여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기술을 국제 표준화로 제정하는데 기여 ▪ISO/TC 184/SC 4(산업데이터)에서 한국이 주도한 ISO 23247 (제조 디지털 트윈 프레임워크) 국제표준화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트윈의 꿈” 기술보고서 발간 등 해당 분야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 ▪JTC 1/SC 39/WG 2 (그린ICT) 국제표준화에 컨비너로서 한국의 데이터센터 관련 기술 표준화에 기여 11 김원형 한국산업기술 기획평가원 선임 (9년 9개월) ▪‘24년 과기부 일몰관리혁신사업 대응 “유지” 판정으로 국가표준기술개발 및 보급사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 ▪표준 R&D 성과를 수집하고 DB화하여 일몰·중간평가 및 대내외 활용에 기여 ▪민간 및 정책수요를 반영한 표준사업을 기획하기 위해 국가표준기술력향상 R&D사업 담당간사로서 기획회의 주관 및 각 단계별 평가위원회 주관 ▪「국가표준기술개발 및 보급사업」의 각 내역사업별 성과관리시스템과 정보교류를 통해 효율적인 성과 환류 및 보급·확산 체계 조성 12 김윤선 삼성전자 마스터 (25년 3개월) ▪25년간 3G/4G/5G 이동통신 국제표준 제정에 참여하였으며, 특히 3GPP RAN1* 의장/부의장으로 5G 표준 제정을 주도하여 우리나라의 5G 표준화 선도 및 세계 최초 상용화에 기여하였으며, 22년부터는 5G-Advanced 이동통신 국제표준 제정에도 참여하는 등 지속적인 차세대 기술개발 및 표준화로 우리나라의 기술력 제고 및 주도권 확보에 기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 시스템의 국제표준개발협력단체이며, RAN1(Radio Access Network)은 3GPP의 실무반 중 가장 규모가 큼 ▪현재 의장을 맡고 있는 RAN1 실무반은 5G 통신표준의 핵심인 무선접속 물리계층 기술을 담당하며, 3GPP가 설립된 1998년 이후 한국인이 실무반 의장에 최초로 당선된 사례 13 김창범 ㈜지앤지래드콘 연구소장 (17년 10개월) ▪ISO/TC85(원자력 및 방사선 방호)/SC2/WG22 컨비너 및 프로젝트 리더로 총 4건의 국제표준을 개발하였으며, 현재 탄소중립과제로 선정된 ‘의료용 가속기해체 (ISO8939) 및 ‘원자력발전소 해체표준’ 등 2건의 표준에 대해서도 개발 주도중 ▪ISO/TC85에서 세계최초로 원자력시설의 해체표준을 제안하여 현재 DIS단계 진행중으로, 향후 원전 건설·운영은 물론 해체까지 포함한 원전 전주기 완성을 통해 우리나라의 원전산업 기술경쟁력 및 수출 활성화에 기여 예상 ▪단체표준 KEPIC 방사선/원전해체위원회위원장, KS 방사선전문위원장,원자력/핵기술/방사선방호(ISO/TC85)전문위원회위원장, 동북아표준포럼(NEAS Forum) WG2(원자력) 컨비너 등으로 활동하면서 국내외적으로 표준제정 및 보급 활동에 기여 14 김태균 한국전력공사 본부장 (27년 7개월) ▪IEC 시장전략이사회(MSB) 정책이사로 활동하며 “MVDC 기술” 신규 백서 채택 등 미래 핵심기술의 국제표준화를 한국이 주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 ▪한국 대표로 활동하는 국제대전력망협의회(CIGRE)는 전력망 표준과 지침을 개발하고 기술적 검증과 발전에 기여하는 세계 최대 전력망 국제기구로서 103개 국가, 1300여 기관이 참여하여 글로벌 기업의 핵심역량 선진기술에 대한 구체화·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어, 한국 대표로서 국내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 ▪27년간 한전 기술기획처장, 전력연구원장을 역임하고, 최고기술책임자(CTO)인 기술혁신본부장으로 재직하고 있는 현재까지 세계 최고 품질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막중한 책무를 다해 왔으며, 전력 설비 국산화 연구 및 미래 전력망 핵심기술 개발 표준화를 통해 우리나라 전력계통기술 발전에 기여 15 류요엘 재단법인 한국로봇산업 진흥원 팀장 (11년 4개월)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로봇 표준 업무담당으로 입사하여 약 11년간 로봇 분야 IEC, ISO, ASTM, KS, KOROS(단체표준) 등 국내외 표준업무를 수행 ▪국제표준화 활동은 2013년 10월 ISO TC184 SC2(現 ISO TC299, Robotics)를 시작으로 꾸준히 수행 중이며, 로봇의 표준화 활동 범위 확대 및 표준기술 국내 보급에 기여 ▪국내 유일 산업부 산하 로봇산업 지원기관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국내 최초로 KOLAS 공인시험기관 인정에 기여했으며, 국내 1호 로봇 분야 KOLAS 시험 실무자 역할 수행 ▪인증제도 초기 인증스킴, 인증기준, 인증심사원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교육 전임강사로 활동하여 국내 협동로봇 시장 개척에 핵심적 기여 16 박승복 세방전지㈜ 품질경영실장 (24년 9개월) ▪1999년 기술팀 인증 팀원 및 2020년 품질경영실 실장으로서 KS Q ISO/IEC 17025 구축, 각종 사내표준 및 설계 표준 지속 개발하여 표준화 업무에 활용 ▪해외 글로벌 기업의 제품 안전성 시험 기준을 분석하여, 자사 캡, 전조, 배기변 등의 안전에 적합한 시험표준을 약 10건 제정 및 개정 ▪KS Q ISO/IEC 17025 국제시험기관 인정 (광주, 창원) 2개 시험소를 취득 및 운용 ▪EC 63056/알카리안, 비산성 전해액을 포함한 2차 전지 개정 참여 및 제 13회~18회 이차전지 표준 공동 워크샵, 국가표준 기술검토 위원회 참석 17 박원규 성균관대학교 산학교수 (17년) ▪IEC TC 113 (나노전기전자) P/L, WG 컨비너, TC 의장 역할을 맡아서 우리나라가 해당분야 국제표준 선도 국가로서 지위 확보에 기여 ▪산업표준기술심의회(화학일반) 위원, 국내 전문위원회(나노기술분야) 대표위원으로 참여, 국가표준(KS) 개발을 주도하고, 수출규제 대응 및 산업경쟁력 강화에 기여 ▪첨단소재 융복합 제품의 국제표준화 기반조성 사업을 총괄하여, IEC 2차원 물질의 전하운송자 농도 측정법 등 3편의 국제표준이 발간되었고, ISO 리튬복합산화물 양극소재의 화학분석법 등 7편이 CD 및 WD 단계(국제표준 초안 및 심의)에 진행하는 등 우리나라의 첨단소재 국제표준화 선도 및 국가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 18 박인성 한양대학교 연구교수 (19년 4개월) ▪2022년부터 IEC TC 47 내 반도체 공정장비 분야 표준화 기반 조성 및 신규 작업반 구성을 위한 연구회의 전문가로 활동중 ▪국가참조표준센터에 반도체 화학기상법/원자층증착법(CVD/ALD) 전구체의 포화증기압, 원자층증착법(ALD)의 증착율 관련한 다수의 참조표준의 등록을 심의하였고, 이는 반도체 소자 및 공정 분야 참조표준이 국내외적으로 최초 등록되는 데 보조적으로 기여 ▪「글로벌 역량 확보를 위한 소재부품장비 핵심표준기술 연구」 과제책임자로 23년 11월에 반도체 공정 및 측정장비 관련 IEC 표준 NP를 가장 먼저 제안하여, 현재 국제표준안 제정을 위한 위원회 단계에 진입하여 향후 우리나라 반도체 장비 분야 경쟁력 제고에 기여 예상 19 박준식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23년 5개월) ▪양자기술 (IEC/ISO JTC3) 분야에서 국내 최초 양자기술 국문 백서(‘20)와 세계 최초 영문 백서(’21)를 공동 발간, IEC SEG14 Report 공동 제출, 세계 최초 양자기술 IEC/ISO JTC3 설립 공동 제안하였으며, JTC3 1차 총회에서 양자센서 SC 설립 공동 제안 발표 및 Ad-hoc Group 3 (양자센서) 컨비너로 선임되어 해당 분야의 국제표준개발 주도에 기여 ▪MEMS (IEC SC47F (미세전기전자시스템)) 분야에서 MT1 컨비너 수임 중. 국내 최초“바이오 MEMS 표준화 로드맵” 공동 발간과 바이오 MEMS 분야를 세계 최초로 MEMS 표준 분야로 제안하였으며, 관련 공동 Project Leader 수임을 통해 국제표준 (IS, IEC62047-48)을 제정함 ▪IEC TC119(인쇄전자) 2대 부간사로 7년간 활동하면서 한국의 인쇄전자 분야 국제 표준화 주도에 기여함. 부간사 업무 공로로 IEC 사무총장으로부터 감사장 수여 받음 20 신외경 한국자동차연구원 수석연구원 (28년 2개월) ▪표준개발협력기관(COSD)인 한국자동차공학회 표준화이사, 표준위원회 위원 및 부위원장으로서 자동차 분야의 국내외 표준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국가표준개발, 국제표준화 활동, 표준화 연구개발(ISO 표준 2건 개발*) 등을 통하여 전기 동력 자동차 산업의 기술 및 국제경쟁력 향상에 기여 ▪전기이륜차 회생효율 측정방법 및 전기이륜차 성능측정방법에 대한 ISO 국제표준(안) 제안/제정 (ISO 19466(‘13), ISO 23280(‘18))으로 해당분야 국제표준 선점 및 기술력 확보에 기여 ▪산업표준심의회(수송기계기술심의회, 자동차구동전문위원회) 위원으로 다년간 활동하며 자동차, 전기자동차, 전기이륜차, 전기차 충전시스템 등의 표준화에 기여 21 심종성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22년) ▪ISO/TC71(콘크리트 관련 기술 표준화)에서 SC5 의장 및 SC6 컨비너 업무를 수행하며 총 7건의 국제표준 제정을 주도하여 우리나라가 해당분야 국제 표준 선도 및 기술 선점에 기여 ▪ISO/TC71에서 2003년부터 현재까지 한국대표(HOD) 역할을 수행하면서 국내외 국제표준 관련 전문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SC 그룹 생성 및 국제표준 제정 등의 다양한 국제 표준 활동을 22년간 수행하면서 우리나라의 국제표준화 경쟁력 제고에 기여 ▪KS 건설기술위원회 위원장 및 인증위원회 역임을 통해 KS F 국가표준 제정·개정 업무 수행 및 건설분야 제품 및 서비스의 인증 심의 및 결의를 진행하여 해당분야의 국내 표준화 주도 및 국내 산업 발전에 기여 22 심종인 한양대학교 교수 (30년 3개월) ▪ LED 성능평가 방법에 대한 10건의 IEC 국제표준 제안 및 제정 (IS 등록 7건, TR 등록 1건, 신규 NP 2건), IEC SC 47E/WG 9의 co-convenor 수임 등 국제표준화에 기여 ▪ 국가연구과제 주도를 통하여 국제표준( IS) 8건 제안/제정 완료, IS 2건 제안/제정 추진, 차세대 마이크로 LED 대상 관련 기술연구 및 표준화, 국제표준 부합 KS 국가표준 제정 ▪ IEC SC 47E 전문위원으로 다년간 활동하며 LED 웨이퍼 및 칩 성능평가 등의 표준화에 기여 23 안선호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팀장/책임 (14년) ▪2010년 5월부터 14년간,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분야 업무 담당자로 국내 기업의 애로 및 기술규제 해소를 위한 기술이전, 국제표준 기반의 적합성 평가 업무 및 국제표준화 활동 수행 ▪국내 무인비행체(드론)의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기술이 국제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도록, ISO TC 20/SC 16의 국제표준화 기구보다 앞선 KS 표준 개발을 통해 국내 기업의 기술력 인정 및 경쟁력 강화 기여 ▪산업 인공지능 신뢰성을 위한 국제표준협력체계 구축 및 국제표준(안) 공동개발 및 ISO/IEC 25024 데이터 품질평가방법 및 테스트케이스 개발로 공공부문 산업데이터 통합 활용 기반구축 사업 진행 ▪ISO/IEC PWI 42113 (Evaluation Metrics for AI usecase and applications) 국제표준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성능 평가 방법 연구 수행 24 유위선 ㈜제이엘케이 상무이사 (11년 3개월) ▪2013년-2022년 한국인 뇌 MR 영상데이터 센터장. 한국인 뇌경색 환자 MRI 데이터 13,000 명 수집, 표준판 등록, 뇌경색, 백질변성, 미세출혈 등에 대한 참조표준 세계 최초로 제작 ▪2022년 ~ 현재 의료 인공지능 개발 기업인 ㈜제이엘케이에서 표준화 데이터 활용, 뇌졸중 영상 진단 보조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 및 사업화. 참조표준 데이터를 활용하여 세계최초로 MRI 영상 기반 뇌경색병변 탐지 및 뇌경색 유형 분류 알고리즘 사업화 25 유희천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7년 5개월) ▪ISO/TC 159 인간공학 전문위원으로 2017년부터 7년 5개월 동안 활동하며 사용성 평가, 인지훈련 및 평가, 디지털 인체 스캔에 대한 고유 KS국가표준 15종 제정, KS국가표준의 ISO국제표준화 1종 제정, 인간공학 관련 ISO국제표준의 KS국가표준 부합화 10종(6종 제정 완료, 4종 예고고시 완료)을 주도적으로 추진하여 산업 발전과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 ▪제정을 주도한 ISO 17097 (3D 인체 스캔 데이터 처리에 대한 표준)은 ISO/TC 159(인간공학) 국내 전문위원회에서 KS국가표준(KS A 5555-1)을 ISO국제표준화로 제정한 최초 사례이며, 해당 표준은 향후 3D 인체 스캔 데이터 분석 방법, 3D 인체 스캔 데이터 호환성(compatability)을 위한 고려사항 등과 같은 3D 인체 스캔 데이터 관련 후속 표준 개발에 중요한 마중물 역할 기대 26 윤동현 케이와이PC㈜ 품질관리실장 (13년 1개월) ▪경인레미콘공업협동조합 이사로 재직하면서 국가표준(KS) 인증, 절차 표준안 개정 및 조합원사 품질전문가 양성교육 및 제도 도입 등을 통해 국내 레미콘 국가표준 및 사내표준화 기반 향상에 32여년간 기여 ▪경인권역에 레미콘을 납품하고 있는 레미콘 표준화 활동 및 품질관리 담당업무를 총괄담당으로서 KS 인증, 환경마크 인증, KS기반의 품질경영시스템 구축 및 운영, 품질문서 표준화 및 기술규격 관리, 품질수준진단 등의 품질경영업무 총괄 27 이광호 고려대학교 교수 (13년 3개월) ▪ISO/TC 163 위원(WG 17 컨비너)으로 다년간(10년) 활동하면서 창호 및 일사조절장치 등의 시험방법에 대한 ISO 국제표준 개발을 주도하여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 ▪향후 10년간 국내 경제 파급효과가 17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창호의 태양에너지투과율 측정법 국제표준(ISO 19467)을 2021년 세계 최초로 제정하여 창호시스템 산업발전에 기여 ▪ISO/TC 163 WG 22 컨비너로서 친환경 기술로 인정받는 바닥공조 시스템의 성능 측정에 관한 국제표준 제정을 주도하여 우리 산업에 시장 선점 기회를 제공 28 이기석 한국산업기술 시험원 수석연구원 (24년 2개월) ▪IECQ WG 11 컨비너로서 원전기술 국제 평가 기준 및 체계 구축을 주도하고, IEC, IECEE 정책전략이사회 이사 및 다양한 국제 표준 관련 역할을 수행하며 국가 표준화 및 적합성평가 전략 수립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 ▪대한민국의 국제표준화기구 상임이사국 진출을 위한 기본 설계 및 추진방향을 구축하여 국가기술표준원의 국제표준 분야 발전에 기여 ▪IEC, IEC EE 정책전략이사회 이사로서 국제 표준 관련 정책 및 전략 수립에 참여하여 국가 표준화 및 적합성평가 전략 방향 설정에 기여 ▪기타 IEC NRG 위원, IECQ Treasurer (재무관), IECEE PSC WG 10 (기업지원작업반) 컨비너 등을 역임하며 국제 표준 제·개정 및 운영에 핵심적으로 참여하여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 29 이선홍 한국세라믹 기술원 센터장 (13년 6개월) ▪ISO/TC333(리튬)에서 WG6 설립 및 컨비너 수임, 국내 최초 리튬이차전지 양극 소재 시험분석법 국제표준 3건 제안으로 이차전지 소재 산업 발전과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 ▪ISO/TC206(파인세라믹스)에서 전력반도체 소재 결정성 평가법의 국제표준 제정으로 반도체 소재 산업 발전과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 ▪ISO/TC333 및 ISO/TC206에서 한국대표(HoD) 및 프로젝트 리더로 다년간 활동하면서 해당 분야의 국제표준 발전에 기여 ▪국내 최초 첨단 세라믹 소재 참조표준데이터 개발 및 보급/활용 ▪산업표준개발 협력기관(COSD) 세라믹 표준 간사로서 2015-2024년 동안 세라믹 관련 표준 160여 건에 대한 제·개정 작업을 통해 세라믹 분야 표준 선진화 주도 30 이학주 (재)FITI시험연구원 본부장 (26년 9개월) ▪입사 후 실무 업무 수행시 다양한 시험분석을 통하여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섬유 및 고분자 분야의 KS 표준의 검토 및 제정에 참여하였고 ISO 부합화에도 적극 참여하여 업무를 수행 ▪2015년부터 제품환경성분야 전문·기술위원으로 위촉되어 활동(40여개의 제품환경성 KS 표준 제·개정 참여) 및 물환경분야 표준협력기관(107개 KS 표준, 2022년 3월 지정/운영) 운영에 있어 기관의 운영책임자로서의 역할 수행 ▪KS 표준 제정(KS M 1993-4)을 통하여 유해물질 함량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시하여, 해당 표준을 활용 시 제품 경쟁력 확보에 기여 31 임석선 삼성정밀공업㈜ 차장 (16년 4개월) ▪2012년부터 품질관리부서장으로 KS인증업무를 총괄하면서 지속적인 시스템 개선, 표준화 활동을 통해 제품 품질 안정화에 기여 ▪ISO 품질경영시스템 구축 및 제품 KS인증(2퓸목) 유지를 통해 사내 표준·표준화 인식 제고에 기여 ▪사내 사규, KS, ISO 표준 관리 체계를 구축 및 운영하면서, 국내외 관련 업체에 전파하여 KS인증 및 품질경영시스템 인식 제고에 기여 32 정병찬 한화로보틱스 주식회사 센터장 (7년 5개월) ▪지능형로봇표준포럼의 운영위원 및 산업용 로봇 분과위원으로 활동하여 단체표준개발 내용을 검토하고 의견을 제시하여 실효성 있는 표준 개발에 기여 ▪ISO TC 299(Robotics) WG3(Industrial Safety) Expert Member 및 대응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여 국내 의견 수렴 및 반영에 기여 ▪국내 최초로 ISO 10218-1, ISO 13849-1 등의 표준을 적용한 양산형 협동로봇개발을 주도하여 국내 협동로봇 분야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 33 정진우 상명대학교 교수 (18년) ▪2006년부터 ITU-T SG13전문위원(Future Network전문가)으로 활동 중이며, ETRI와 KETI와 협업하여 5G, 6G, 메타버스 분야 표준제정에 메인 에디터로 참여하여 해당 산업 분야 활성화 및 발전에 기여 ▪ISO/IEC JTC1 SC41 전문위원으로 다년간 활동하면서 KEA와 협업하여 IoT 및 디지털트윈 분야 표준제정에 프로젝트 리더로서 참여하여 해당 산업 분야 활성화 및 발전에 기여 ▪IETF DetNet WG 전문가로 다년간 활동하면서 삼성전자 및 ETRI와 협업하고 다수의 확정적 네트워킹 관련 표준제정에 메인 에디터로 참여하여 관련 산업(5G, 6G, Industrial Internet, 스마트 팩토리, In-vehicle network, 메타버스 등) 활성화 및 발전에 기여 34 정혜선 KISC (Korea Institute of Smart Cities) 부소장 (11년 6개월) ▪2013년부터 ISO/IEC JTC1/SC22 위원회의 GD(Global Directory) 등록 위원으로서 활동하며 프로그래밍 언어, 시스템소프트웨어 표준제정에 참여하고, 2018년 우리나라 주도로 리눅스 국제표준 제정 그룹인 WG24를 창립하고 Secretary(Manager)로 선임되어,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 및 브랜드 제고에 기여 ▪2018년에 ISO/IEC JTC1 SC22 산하 WG24에서 리눅스 운영체제 표준제정 프로젝트 12건의 리더, 표준 에디터로 선임되어 성공적으로 표준제정을 완료함으로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 및 브랜드 제고에 기여 ▪2013년부터 ISO/IEC JTC1/SC22 대한민국 전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리눅스를 포함한 프로그래밍 언어, 시스템소프트웨어 표준화를 통해 국내 KS 표준 제·개정 및 선진화에 기여 35 채균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센터장 (33년 5개월) ▪국가참조표준개발 및 보급과제(‘21~) 총괄책임자로 분야별 데이터센터와 협력하여 국가참조표준 17,973건을 등록·보급하였으며, 공적기간 내에 2만 6천여건의 참조표준을 제개정하여 국내 산학연 기관의 연구개발 수요 대응으로 기술 및 제품 경쟁력 제고에 기여 ▪국가참조표준센터장으로 다년간 활동하면서 국가참조표준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으로 기반구축강화, 평가체계확립, 인력양성 등 국가참조표준체계룰 구축 운영하여 국내 산업체의 참조표준 활용성 제고에 기여 ▪참조표준 제정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기술문서 발간, 공인 표준데이터로서 신뢰성 확보 및 참조표준 이용협약, 유료회원제 운영, 벤쳐기업 설립 등 보급활성화에 기여해 왔으며, 보건의료 분야 참조표준 중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도판을 제정 및 보급하는 등 대국민 참조표준 활용성 제고에 기여 36 최광호 KTC 선임연구원 (10년) ▪2022년부터 KS인증지원사무국에서 KS인증기업 및 소비자 민원을 반영한 KS개정에 참여하였고, 중복성 및 타당성을 고려한 인증심사기준 제·개정, 폐지에 참여하여 KS 제도 발전에 기여 ▪KS인증기관협의회 홈페이지 운영을 통한 원활한 정보제공 및 인증 관련 민원 대응에 기여 ▪KS인증 시판품 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한 불량, 불법 KS인증제품의 유통 근절로 소비자를 보호 및 KS인증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 유공단체 부문 후보(단체명 가나다순, 총 10개 이내 기관 포상 예정) No 기업명 (대표자) 공적 기간 (업력) 공적개요 1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박종석) 29년 ▪금융결제원은 표준개발협력기관(COSD)로 지정되어 (2010.7 최초지정, 2018.4 재지정) 금융분야 표준 개발 및 정비 등의 국가표준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금융분야 표준화를 통해 우리나라 금융 서비스 이용 고객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노력 ▪국제표준과 국가표준 간 정합성을 증진시켜 국내 금융서비스의 국제적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키고 업무 효율성을 제고하는 전략을 추진 2 사단법인 한국유연인쇄 전자산업협회 (홍순국) 11년 ▪IEC 내 최초 TC 설립 및 간사국을 수임한 TC119 (인쇄전자분야)의 국내 간사 기관으로 국내 산업계 의견을 수렴한 표준이 국제표준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표준화 활동을 활발히 수행하여 한국의 국제표준화 활동과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 ▪COSD사업 참여로 국제표준 부합화를 통한 KS개발·정비 및 단체표준개발 등 국내 인쇄전자분야의 기술력 및 경쟁력 제고 기여 ▪인쇄전자 공정기술의 산업화 촉진을 위한 국제, 국가 표준화 활동을 통해 인쇄전자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국제적 우위 선점에 기여 3 (사)한국계량측정협회 (이호성) 34년 ▪2009년부터 표준개발협력기관으로서 산업체 품질관리 기반 표준인 양 및 단위, 정량표시상품, 통계적기법의 적용, 표준수, 표준물질 위원회 적합서평가 위원회 분야 171개 산업표준을 개발 ▪1981년부터 표준교정절차서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현재 433 품목을 개발하였고, 최근 5년간 34품목을 제정하고, 84품목을 개정 ▪2011년부터 단위, 통계적기법 및 적합성평가 분야에 관한 표준개발, 국제표준 이행확산 및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정체계 고도화연구 등 표준과 관련된 개발 사업을 총 65건을 수행 4 주식회사 대성 (박길홍) 27년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른 표준화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KS인증을 취득하고 있으며, KS C 8305, 8309, 8319 제품 표시율 95% ~ 100% 유지 중 ▪KS인증등을 통한 품질수 확보 및 개선으로 21년 대비 경상이익 2.5% 상승 ▪품질혁신 활동을 통하여, 직원역량 강화, 불량률 감소, 제품안전 관련된 포상, 매출액 증가 ▪제품안전협회 배선기구 협회장으로 연임하고 있으며, 차단기류 표준 개정에 참여하는 등 산업표준개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산업계의 의견을 반영 5 ㈜유니코하이테크 (차헌승) 20년 ▪동종업계 KS인증 최초 취득 이후 지속적인 품질혁신 노력으로 최근 3개년간 성장률 32.0% 달성 및 시장점유율 3계단 상승 ▪약 18년간 KS인증 유지 및 내수판매모델 80.4% KS인증 취득으로 완제품 및 필드 불량률이 매년 감소 추세로 안정적 품질 유지 ▪KS를 통한 사내표준 체계 정립, 대외 신인도 향상을 통한 매출액 증가 및 국내외 브랜드인지도 향상으로 글로벌유수기업과 제휴 체결 6 주식회사 이노플러스컴퍼니 (이후성) 7년 ▪당사의 표준화 전략은 정부 중앙부처, 정부 책임운영기관/산하기관 및 민간 협회/단체 등 사업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표준분야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표준화 연구용역 및 지원업무를 수행 ▪본사의 사업부서에서 수행하는 업무에서 표준 연계 연구용역 제안 및 수주를 위해 사업부서와 표준인증전략센터 협업을 통해 수주전략을 수립하고 제안을 통해 수주된 연구용역의 표준정보 활용을 추진 ▪표준연구가 단발성에 국한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발주기관과 협의를 통해 표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업 지원이 가능한 후속 연구 도출 7 주식회사 포스코와이드 (양원준) 30년 ▪2009년 한국 산업 표준인 KS인증을 취득한 이후, 빌딩관리 기업대상 KS 인증/혁신활동을 지속적으로 매진하여 국가 기술 표준의 저변을 넓히는데 기여 ▪‘KS S 1004’인증을 통한 체계적 지표관리로 건물 수명 연장과 지속적인 혁신 활동으로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며, 시설물의 유지, 운영에 필요한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표준화 및 활용하여 시설관리 전문화를 선도함으로써 국내 서비스 표준화 및 해당 분야 산업 발전에 기여 ▪‘KS S 1004’인증 이후 , 지속적인 품질 표준화 추진, 주요공공기관 및 해외 기술 교류 협약, 해외신규사업확대, 지적재산권등록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품질 확보 및 서비스 제공으로 공신력 있는 국내·외 기관으로부터 자산관리의 역량 인정 ▪품질 표준화를 통한 글로벌 벤치마킹 대상 1호 및 2023년에는 KS명가 선정을 통한 표준화 활동 선진화에 기여하였으며, 국가표준으로 서비스 산업을 선도함으로써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 8 주식회사 한실어패럴 (박연옥) 9년 ▪의류 제작에 사용되는 원자재의 품질을 관리하는 소비자의 의생활 발전에 기여하는 목표를 가진 품질리더십 과 품질방침에 대한 추진전략 전개 ▪ 교육훈련, 문서관리, 계약검토, 제품개발 등의 선행 프로세스와 고객 요구사항 및 불만사항을 기반으로 한 시정조치, 개선조치, 교육훈련 품질 관리 시스템 프로세스 구축 9 한국디스플레이 연구 조합 (최주선) 19년 ▪연구조합은 세계 1위 주력산업인 디스플레이와 웨어러블 산업의 표준화 추진 거점 기관으로 IEC 산하 TC110(전자디스플레이) 및 TC124(착용형 전자기기)분야 국내 전문위원회 간사 기관으로 활동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국제표준 제정과 대응을 위한 활동을 활발히 추진함으로, 해당 제품이 국제무대에서 기술경쟁력 확보에 기여 ▪표준개발협력기관(COSD)으로 선정되어 51종의 문건 개발, 매년 20건 이상의 국제표준 NP제안 및 IS 발간을 지원하고 있으며, 표준 경쟁력 강화를 위해 ICDM, VESA, ISO 유관 TC 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 ▪조합의 표준 전문인력 유입(포럼, 교육, 워크숍 등)을 통해 산업 활성화 기여하며, 현재 TC 110 및 TC124 국제표준 문건 누적 PL 수임 수 국가순위 1위 차지 10 한국상하수도협회 (강기정) 19년 ▪수도법 제56조에 근거한 물산업 전문 공공기관으로 수질 보전 및 상하수도 안전성 확보에 앞장서고 물산업 선진화를 위해 상하수도 기자재에 대한 합리적인 표준과 기준의 제정·보급하여 품질 고도화 및 효율 향상을 위해 노력 중 ▪상하수도시설에 사용되는 자재‧제품이 갖추어야 할 성능과 시험방법에 대해 표준 제개정 및 인증 등 단체표준 운영(현재까지 제품인증 표준 37종, 전달표준 13종, 방법표준 13종 등 총 63종의 표준을 제개정 등 관리중) ▪환경부 소관 금속관류(D) 9종에 대한KS인증으로 표준화된 자재와 제품 개발을 촉진하고, 소비자 보호와 공공의 안정성 확보, 제품에 대한 품질신뢰 향상 11 한국전기연구원 (김남균) 39년 ▪전기차와 전기선박, 전기항공 등 모빌리티 분야 및 배터리 분야의 표준개발을 통하여 국내 기업의 제품 개발 및 수출에 크게 기여하고자 노력중 ▪해외전력청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걸프지역 중동권) 시험기관 등록을 통해 KOLAS 시험 인증서 통용성 확대 및 국내 중전기기 제품 수출을 도모 ▪구성원의 IEC 의장 및 분야 대표단 WG 멤버, STL 기술그룹 의장, CharIN 기술그룹 팀 리더(IEC 의장급) 등 배출을 통한 국내 기업체의 의견 적극 반영 및 해외시장 진출 기여 12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최흥진) 15년 ▪순환경제, 유해물질관리 등 정책이행 지원과 산업계 경쟁력 강화, 국민 환경안전을 위한 표준 개발 및 성과확산·활용에 기여 등 국내 산업의 표준화 활동을 적극적 지원 ▪환경정책 이행 지원 및 산업계 및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한 표준 제정(안) 개발 활성화 및 국제표준화 추진 노력(고유표준 15종, 부합화 표준 49종 제정) ▪ISO 국내간사기관으로서 관리표준 분야 TC 연차총회 및 20여개 WG 등의 국내 표준전문가 참여 및 지원활동 활성화 2. 국가품질경영 유공 정부포상 후보 공개검증 1. 추천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2. 포상목적 ㅇ 품질경영*을 통한 산업경쟁력 향상에 공이 큰 유공자 및 단체를 포상·격려하고, 그 성과를 확산함으로써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 * 품질경영(Quality Management) : 제품, 서비스, 사람, 공정, 환경 등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경영활동 3. 포상행사 일자‧장소 ㅇ 국가품질경영대회 : ‘24. 11. 20.(수), 코엑스 오디토리움(예정) 4. 포상규모 : 미정(행정안전부와 협의하여 포상규모 결정) * ‘23년도 포상규모 : 정부포상 37점 (훈장3, 포장3, 대통령표창18, 국무총리표창13) 5. 포상 후보자 명단 및 공적요약 : [붙임2] 참조 6. 기타사항 ㅇ 국민들의 의견수렴을 위해 포상후보자 및 주요공적을 공개하오니 동 사항에 대한 의견이 있으신 경우,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표준정책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자 : 김상태 사무관 (043-870-5481, rad21@korea.kr) - 공개검증 기간 : ‘24. 8. 1.(목) ~ 8. 16.(금), 16일간 ㅇ 보내주신 의견에 대하여는 별도 회신하지 않으며 자체검증 후 공적심사 자료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붙임2] 2024 국가품질경영 유공 정부포상 후보 명단 유공자 부문 후보 (성명 가나다순) No 성명 소속단체·직위 (수공기간) 공 적 개 요 1 강성훈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상임이사 (25년11월) ▪ 품질혁신활동, 친환경 생산체계 구축, 원가혁신 활동을 통해 국내 먹는샘물 시장점유율 1위 달성과 업체 최초 먹는물 수질검사기관 지정, 제품의 신뢰성 확보 및 무라벨 출시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 약 2,200톤 저감 활동으로 사회적책임과 품질경쟁력 향상에 기여 - 제주삼다수 품질 경쟁력 최고화로 친환경 생산공정 혁신에 기여 * JPDC 품질표준서 발간·배포, 친환경 생산공정 혁신을 통한 ESG 가치경영 실현 * 매출액 : 2023년 3,612억원, 수출액 : 2023년 69억원 * 친환경 생산체계 전환 : 저탄소 인증적용 제품생산, 무라벨 제품생산, 용기 경량화 등 * 재활용 과정 검증하는 국제 인증 OBP 인증 획득(국내 식음료 업계 최초) * 보건복지부 주관 지역사회공헌인정제 3년 연속 최고등급 - 자원순환 혁신모델을 통한 환경가치 프로젝트와 품질혁신 성과창출에 기여 * 무색 폐페트병 수거 : 최근3년 2,787톤 * 연간 56억원의 PET 원가 절감 및 약 3,457톤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 효과 * 병마개에 QR코드 국내 먹는샘물 업계 최초 도입 * 환경부와 라벨없는 투명 페트병 사용 업무협약 및 무라벨 제품 출시(’21년) * ICQCC 국제품질분임조 3년 연속 금상 수상(’21년-’23년)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4년 연속 금상 수상(’20년-’23년) 2 강호찬 넥센타이어㈜ 대표이사 (23년02월) ▪ 혁신적인 제품 개발로 553건(최근5년)의 신기술 확보와 신시장 개척 및 프리미엄 완성차 업체 공급을 확대하며 해외 150개국 1조6천억원의 수출 성과를 이루었으며, 글로벌 고객 만족도 GCSI 국내 타이어 부문 14년 연속 1위 달성, 국가 기술력 확보와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 - 신기술·신제품 개발로 신시장 개척하며 타이어 발전에 기여 * 전 세계 150여개 국가에 수출, 4개 생산 사업장, 8개의 해외법인운영 * 국내 판매량 1위 : 이용 고객수 44만명 돌파, 판매수량 158만개 돌파 * 국내 투자 지속 확대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 1,100명 고용 창출 * 연간 매출액 1309% 상승 : 매출액 2,064억(00년) → 27,017억(’23년) * 세계 최대 타이어 전시회 SEMA Show 참가 · AI(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 타이어 제동거리 분석 기술 개발(’22년) · 넥센타이어, 업계 최초 VR 품평 시스템 구축(‘23년 12월) - 현장의 개선 혁신활동을 경쟁력제고와 성과 창출에 기여 * 지적재산권 : 특허 553건, 특허출원 610건, 디자인 등록 367건(최근5년) * 양산·창녕공장 제안도 실적(2033년) : 4,299건, 38,895백만원 * 양산·창녕공장 분임조운영 현황 : 176개, 분임조원 2,808명 활동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성과 : 금상 7팀, 은상 13팀, 동상 6팀 수상 * 국가품질경영상 대통령표창 수상(산업통상자원부,’14년) * 타이어 업계 최초 세계 4대 디자인 어워드 석권(’14년) 3 김경선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 차장 (14년11월) ▪ 연료전기설비 총괄자로 참여하여 신재생 및 석탄 발전에 신기술 도입・적용으로 221.7억원 예산절감하였으며, 기자재 국산화 및 전문 인력양성, 원가절감 성과 창출하며 전력산업 발전에 기여 - 발전설비 기자재 국산화 및 혁신활동 활성화로 대외 성과 창출에 기여 * 질 부적합 기자재 납품 민원 해결로 부적합 기자재 납품률 0% 달성 * 풍력 기자재 국산화 : 총 36억원 원가 절감(삼성 풍력기 Pitch Battery) * 발전설비 스마트 품질검사시스템 구축 : 발전사 최초 개발(’21년도) * 사무국 총괄 책임자로 사내경진대회 5회 개최 시행 : ‘22년도 단위 사업장 중 최다 팀 도전, 최다 수상으로 전국 1등 - 자격 인증 제도 운영 및 품질전문가 인력 양성으로 품질안정화에 기여 * 신입사원·전입직원 직무 능력 배양 : 총 300부 (재질 검사, 성능 검사 항목별 체크리스트 등 핸드북 제작 및 교육 시행) * 용접사 자격 인증 제도 마련 : 상주용접사 총 17명 시행 * 탈질 탈황 설비개선 건설사업 품질 전문가 양성 시행 : 총 10명 4 김계수 세명대학교 교수 (25년) ▪ 데이터기반 품질경영강의, 경제신문을 이용한 교수법 적용으로 품질경영 교육을 전파하고 있으며 국가품질상, 품질분임조 대회 심사 및 지도를 통하여 품질경영 우수기업 발굴과 국내 제조산업의 품질경쟁력 강화에 기여 -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품질경영연구와 데이터기반 품질경영 우수사례 전파를 통해 품질4.0 실현에 기여 * ANQ(Asian Network for Quality)학술대회에 참석하여 품질경영 연구논문 발표(영어논문 10여 편 발표), * Unikl 방문교수(Visiting Professor)시 대한민국의 품질 우수사례 전파(’22년) * ANQ에 참가하여 Best Paper Award을 수상함(Chaiman-ANQ,2010.10.19.) * 데이터 기반 통계분석과 품질경영(서비스품질) 저서 10편, 논문 27편, 기고 10회 - 품질경영 학술재회 및 진단·지도를 통해 산업발전에 기여 * 한국품질경영학회 부회장, 춘추계 학술대회 조직위원장 역임(’21년~’23년) * 머신러닝의 기본(한국생산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2020.11.13) * 디지털 전환을 통한 고객 중심성 강화 전략(한국품질경영학회, 2021.5.21) 5 김광재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기술주임 (32년07월) ▪ 현장의 3정5행 활동과 품질실명제 운영, 현장 불합리 위한 즉개선활동, 품질정보판 운영을 통하여 후공정 유출불량을 사전에 방지하는 혁신활동에 앞장서며 자동차산업 품질경쟁력 향상에 기여 - 사내 분임조경진대회 주도 및 기술확보로 기업경쟁력 제고에 기여 * 국내 최초 성형용 금형 위치 맞춤 장치 개발 특허 (제10-1564048호) * 국내최초 프레스 소재감지 균일제어 시스템 개발 (절단시 주자재 감지 정확성 및 신뢰성 향상)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은상 2회 수상(’21년,’23년) - 차세대 품질 전문인력 육성과 지역사회 공헌으로 사회적책임 기여 * 협력사 대상으로 기초 품질교육 및 현장 기술노하우 강의 * 직업진로 멘토링 실시를 통해 차세대 인력 취업 진로 상담 (최근 3년 울산에너지 고등학교 15회/10명 배출) * 소재공장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 환경 개선과 현장개선 활성화 * 지역사회 사회공헌 활동 : 1365 자원봉사 1200여건, 3,600시간 봉사활동 6 김민중 ㈜엘지화학 책임 (24년08월) ▪ 혁신활동 지도벨트로 활동하며 최근 3년간 품질 및 공정개선 38건, 분임조 지도 18회를 수행하여 총 160억 8천만원의 유형효과 성과를 이루었으며, 분임조 중심의 현장 혁신활동 체제 확립과 협력사 품질관리 및 활성화를 통해 품질향상 및 동반성장에 기여 - 현장개선 활동으로 원가절감 및 제품의 품질경쟁력 향상에 기여 * 지역예선 및 전국품질분임조 경진대회 6회수상, 총40회 달성(’15~’24년) * 품질 및 공정개선을 통한 원가절감 : 최근3년 총 38건 개선, 160억원 절감(’21년~’23년) * 부적합품 유출률 감소 : 편광판 코팅공정 47.2%. OLED제품 68.3% * 우수제안 11,738건, 304억원 원가절감(소속사업장 최근5년) * 국가품질명장 선정(21년), LG화학명장 선정(’22년) - LG그룹만의 인재상 확립과 차세대 품질인재 육성에 기여 * 차세대 LG화학명장 및 LG화학전문가 육성 멘토진행 * TPM 사내컨설팅 진행(23년~24년 10회/60시간) * 6시그마 사내강사 및 현장안전 진단위원 활동(20년~24년 36회/260시간) 7 김병준 기아㈜ 책임엔지니어 (30년03월) ▪ 30년간 제조현장에서 프라이드 1세대부터 6세대(스토닉) 및 전기차 신차개발 참여와 현장의 조립 및 자동화 설비 노하우를 바탕으로 품질·공정개선 및 사내외 기술전수를 통해 개발기간을 단축하며 자동차산업 품질경쟁력 향상에 기여 - 신차 개발 개발기간 단축과 초기 품질향상 노력으로 성과 창출에 기여 * 생산설비 불합리시스템분석으로 생산합격률 목표 99.8% 달성에 기여 * 품질·공정개선 성과 : 26건, 64,000백만원 원가절감 * 혁신과제 테마 및 제안활동성과 : 1,903건, 63,000백만원 원가절감(최근5년) * 2024년 세계 올해에 자동차 수상, 2024 올해의 전기차 선정(EV9) * 2021년 기아, 美 내구품질조사 일반브랜드 1위 최초 달성에 기여 - 사내·외 분임조활동 활성화 및 기술전수를 통해 인력양성에 기여 * 전사대회 및 공장대회 성과 : 최우수상 5회, 대상 3회, 금상 2회 수상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성과 : 금상 2회, 은상 2회 수상(’18년~’21년) * 신차 주행 모니터링 실시로 신차 초기품질지수 향상 * 사내 품질경영 활동 : 지도·강의 36회, 총 700시간 * 사외 품질경영 활동 : 강의·우수사례전파 26회, 총 469시간 8 김봉빈 한국동서발전㈜ 처장 (32년08월) ▪ 동서발전형 설비관리체계 구축과 친환경 무고장 발전소 구현을 위한 품질관리로 4년 연속 발전사 최저 고장정지율 달성과 공정개선을 통해 2,400억원 절감하며 전력 산업발전에 기여 - 품질·공정 혁신으로 부품 국산화와 전력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 * 세계 최고 친환경 발전소, 음성복합발전소 건설(’21년) ·공업용수 공급방안 개선으로 공사비용 약 380억원 절감 * 발전산업 역대 최저 고장정지율(’22년 0.021%)달성에 기여 ·8년 연속 중대고장 Zero 및 OH 비용 77억원 절감 * 공정개선활동 성과 : 유형효과 약 2,300억원 성과 창출에 기여 * 대형 풍력발전기 핵심부품 국산화로 수입대체에 기여(’21년) - 자율적인 현장혁신 문화정착과 상생협력 활동으로 사회적책임 실현에 기여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14개 분임조 수상에 기여(’21년) * 국가품질대상 대통령표창 수상에 기여(산업통산자원부,’22년) * 창업지원프로그램 운영으로 기업육성과 일자리 창출: 창업지원 15개사 * 동서발전, 동반성장 평가 최다 10회 최고등급 달성에 기여(’21.4) 9 김상범 (유)충무타올 대표이사 (33년03월) ▪ 유해화학물질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 정련제 및 저온 소핑제를 사용, 타월제조 공정 시간 단축과 염색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수량을 획기적으로 감축한 EFD 공법을 개발하였으며, 섬유업계 최초로 환경오염저감 초절수 가공기술력을 통해 정부정책의 기여와 산업발전에 기여 - 첨단 기술개발을 통해 기업의 매출성장과 기술력 확보에 기여 * 국내 최초 타월에 디지털 프린터인쇄 기술을 적용한 연구개발 완료 · 파일(Pile)23.9T/90 타월용 DTP 공정기술 개발(’23년,특허출원) * 국내 최초 EFD 친환경 염색공법 개발(’20년, 특허출원) * 스타 기업지정, 유망중소기업(’23년 대전광역시) - 공정개선 및 정부 정책 참여하며 에너지 비용 절감과 경쟁력 확보에 기여 * 정련공정시간 40% 이상 단축, 에너지비용 30% 절감 * 제직공정 네트워크(ME)S) 연결을 통해 운전 효율화 구축사업 진행(’22년) * 월간 운전효율성 0.5% 증가 : 기존 75% → 80% , 예측정확도(성능) 0.9점(1점 만점) * 청원염색, 네스프와 3자 협약 후 국내 최초 천연 염색 대량 생산 성공(’23년) 10 김진현 ㈜금진 대표이사 (48년07월) ▪ 48년간 건축내장재 벽지산업의 친환경 선도하며 친환경원료사용 전환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신공법·신기술을 개발하며 제조 강소기업으로 성장시키며 국민의 주거문화와 건축내장 산업발전에 기여 - 친환경 건축자재 개발·보급하며 건축내장재 산업발전에 기여 * 수출 8개국, 친환경제품인증(5건), 품질경영인증(18건) * 단열재 소재의 재활용으로 순환경제활성화에 기여(2,800톤/년) * 벽지매출 5년간 17% 성장 : 267억(’19년) → 313억(’23년) * 국가품질경영 유공 동탑산업훈장 수훈(’07년) * 품질혁신우수기업 10회 선정(LX하우시스, ’14년-’24년) -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선제적 기술확보로 건축내장재 경쟁력 확보에 기여 * 품질개선 성과(최근3년) : 제안 1,542건, QSS개선 2.549건 * 벽지업계 최초 자동포장기 로봇시스템 도입(‘20년) * 세계최초 내스크래치성 방염펫벽지 개발(특허출원, ’23년) * 국내 유일 인쇄무늬와 엠보무늬가 일치된 데코시트 및 생산완성(22년) * 색차부적합율(년평균) 68% 감소 : ’22년 60건 → ’23년 20건 * 부적합품률 22.8%감소 : 5.7%(’19년) → 4.4%(’23년) 11 김창민 삼성전자㈜ 과장 (18년09월) ▪ 창의적인 품질분임조 및 제안활동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며 휴대폰 제조현장에서 제조 3대 문화를 축으로 하는 자율현장 구축을 통해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26년 연속 금상 수상의 성과 창출과 세계휴대폰 시장의 경쟁력 확보에 기여 - 품질경영 및 현장혁신 활상화를 주도하며 해외 법인 품질 수준 향상에 기여 * 휴대폰 제조현장에서 공정개선, 부적합품 감소활동 : 최근 5년간 개선제안 65건 등록, 고등급 제안 12건 작성 * 해외법인 횡 전개 시스템 구축 운영하여 5개국 품질수준 상향 평준화에 기여 *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한 총 11건의 프로젝트 진행 : 년간 344,421백만원의 효과를 창출하는데 기여 - 최고의 품질과 기술력으로 경쟁력 제고와 대외 수상 성과 기여 * 국가품질혁신상(생산혁신 부문) 대통령 표창 수상(’023년) *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 및 글로벌고객만족지수(GCSI) 15년 연속 1위 * 국가고객만족도(NCSI)와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26년 연속 1위 * 해외법인 QC, IE, 6시그마 관련 문제해결기법 교육으로 개선 문화 정착에 기여 12 김태호 콜마비앤에이치㈜ 상무 (24년03월) ▪ 품질관리 및 생산관리 본부장으로 재직하며 품질경영시스템 구축하였으며 현장에 품질분임조시스템을 최초 도입과 제안활동, 설비 자동화를 통하여 원가절감 및 노무비 절감하며 품질경쟁력 향상에 기여 - 전 직원의 개선활동 참여로 품질경쟁력 제고와 성과 창출에 기여 * 제안제도 고도화 및 활성화를 주도하며 혁신문화 정착에 기여 · 부서별 임원을 평가 패널로 구성하여 평가의 공정성과 우수 제안자 발굴 · 제안제도 개선 및 활성화에 기여 : 총2,575건, 전년대비 생산 43.3%의 증감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은상 수상(’23년,국가기술표준원) - 정부정책 참여 및 사회적책임을 실현하며 사회공헌에 기여 * 자동화 설비 도입으로 연간 11,088천원의 절감효과와 66백만원 노무비 절감 및 휴먼 에러감소, 작업자 업무만족도 전년대비 25% 향상에 기여 * 태양광설치로 연간 104,816kWh의 전력 생산과 15,930천원의 절감에 기여 * K-RE100 인증사업 진행으로 환경 보호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이용에 대한 기업의 책임과 정부차원의 캠폐인에 동참 13 김현규 서울우유협동조합 차장 (20년01월) ▪혁신관리자로서 조직문화 개선·혁신활동 및 스마트팩토리(POP등)를 위한 활동을 추진하며 원가절감과 업무표준 수립·시스템화를 통해 제조경쟁력 향상과 유가공 기술발전에 기여 - 품질경영활동을 통한 경쟁력 제고와 대외 수상에 기여 * 수출 및 R&D 투자 지속 확대에 기여: · 최근 3년 평균 59.4억원의 수출 실적 및 60.7억원 R&D 투자 실시 * 공장내 분임조활동을 지도, 에너지 CFT((Cross Functional Team) 활동으로 원가절감에 기여 * 경기도대회 대상(사군자 분임조),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금상 수상 * 원가절감 및 공정개선 활동에 기여 : 총 165건 9억1천6백만원의 절감 활동 * 국가품질혁신상 설비부문대통령표창 수상(국가품질경영대회,’15년,’17년) - 상생협력 활동을 통한 안전활동 지원과 사회적책임 실현에 기여 * 2023년 대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 3개 공장 지원 : 상생협력 매칭지원활동으로 사내 협력 업체 안전관리 강화 지원 * 협력업체 매칭지원 산업안전분야 2개 과제 실시 (위험성평가기법 전수, 8대 위험요인 중점 발굴 및 개선, 안전교육 등) 실시 14 김현수 육군 제3005부대 중령 (24년04월) ▪ 육군 제3005부대 부대장으로서 품질경영혁신 불모지인 중동부전선 야전부대에 품질경영혁신을 활성화하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였으며, 선진경영 기법인 6시그마도입 및 표준화 구축으로 200억원의 예산절감과 군수지원 효율성 극대화에 기여 - 중단없는 과제 추진 및 성과 달성으로 부대 경쟁력 향상에 기여 * 장비 및 수리부속 보급방법 개선 : 총 12건 과제수행, 200억원의 예산절감 * 혁신성과 : 정비 및 보급지원 공정 대기시간 단축, 안전품질 향상에 기여 * 품질분임조 및 제안활동의 인센티브 제도 도입으로 과제의 질향상에 기여 (제출건수 대비 채택율 85% 총20건 중 17건 입상('22년~'24년 전반기) * 정비 및 보급지원 시설 표준화 정립으로 군수지원 효율성 극대화에 기여 - 분임조활동을 통해 품질경쟁력 확보와 대외 성과 창출에 기여 * 품질분임조대회 개최 및 참가로 야전부대 품질경쟁력 제고에 기여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6회 수상에 기여(’16년부터~) * 문제해결 전문가와 발명전문가(TF) 지원으로 지식재산권 출원 * K-계열 자주포 포신 탈・부착 종합설비 개발 등 7건 출원 15 김형철 ㈜에이텍에이피 상무 (29년02월) ▪ 지폐 입출금기 국산화 프로젝트를 주도하여 세계에서 4번째, 국내 최초로 금융자동화기기(ATM) 국산화개발에 성공하였으며, 국내 금융 기술발전의 핵심적인 역할을 선도하며 해외 시장 개척을 통해 700억원 수출하며 제조 기술력 인정 및 금융산업 발전에 기여 - 신기술 제품 개발로 독자적인 금융 자동화 기술 발전에 기여 * 국내 최초, 세계 4번째로 지폐 환류 기술 보유에 기여(‘07년) * 최초의 국산화 ATM 제품개발을 주도하며 국내 출시 상용화 성공에 기여(’10년) * 제품 국산화 통해 100% 해외에 의존하던 부품을 수입 대체 효과 창출에 기여 * 2003년 기준 9,500만 달러에 달했던 외화 유출을 방지하고 역수출에 기여 * 금융자동화기기 국내 점유율 1위 달성, 세계 점유율 4위 (7%, ’22년) - 해외 신규 시장 개척으로 기업 성장과 경제발전에 기여 * 중국 시장 누적 매출액 1,670억 및 누적 1만대 수출 달성에 기여(‘10년~’20년) * 미국의 제일 큰 규모의 은행 시장 Tier1 진입 완료 및 점유율 확보 노력 * 지속적 투자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 258명(‘22년) → 349명(’23년) 16 류상우 ㈜풍산에프앤에스 대표이사 (40년04월) ▪ 자체 보유 기술을 응용하여 해외 의존도가 높은 지진계측기를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최신 기술을 적용한 신관 개발로 국내 군부대 공급과 해외 시장(중동·유럽) 개척을 통해 305억원의 수출성과와 방위산업 및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 - 글로벌 방위산업과 국제 인증 선제 도입을 통한 무결점 품질경영에 기여 *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최초 인증(’20) 및 품질경영시스템 인증(’22년) * 한·러 과학기술협력사업을 통하여 국내 최초 가속도계 국산화 성공에 기여 * 부적합품률 지속 감소 노력 : 2.0%(’21년) → 1.7%(’22년) → 0.9%(’23년) * 생산효율성 증대 및 품질개선으로 고객만족도 94점 획득 - 신기술 확보를 통한 방위산업 경쟁력 향상과 정부정책 기여 * 3년간 223명 교육 지원을 통한 전 직원 역량 진단 및 인력 양성 * 국내 유일의 유도무기, 전차, 장갑차에 들어가는 가속도계 생산에 기여 * 지진계측센서 독자 개발 국산화 성공에 기여(국토일보, ’19.03.10) * 해외 수주실적 192% 증가 : 40억원(’23년) → 327억원(’24년) * 내수 및 수출 물량 대규모 수주에 의한 신규공장 건설 및 일자리 창출: 500억원 투자, 55명 채용(’24년, 40명) 17 박영춘 에이치디현대삼호㈜ 기장 (39년11월) ▪ 39년간 현장에서 배운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품질혁신과 신기술개발, 인력양성을 수행해오면서 국가품질명장으로써 선박 41척의 세계 우수선박으로 선정하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였으며 무사고 31,000시간 달성으로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과 조선산업 발전에 기여 - 우수기술개선을 통한 품질경쟁력 제고와 성과 창출에 기여 * 세계인류상품 세계우수선박 41척 선정에 기여(‘97년~’23년) * 우수기술개발 활동 실적 : 29건 개선, 2억 5천만원 절감 * 개선 제안활동 및 분임조 테마 해결 : 125건, 113백만원 절감 * 조선해양 기량 검증단. 숙련 기술전수 교육 명장(‘23년) - 작업공법 개발로 기술력 확보와 무재해 실현과 기술전수로 인력양성에 기여 * 품질혁신 개선 활동 작업표준서 제정 : 16건 * 그랜드 조임툴(특허) : 협소공간작업으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 치구 * 사내 품질경영 확산 강의 및 기술전수 활동: 11건, 753시간 * 사외 품질경영 확산 및 기술전수 : 38건, 1,970시간(’19년-’23년) * 전남대불산학융합원 채용연계 맞춤형 기술지도(6개사, 986시간) 18 박세훈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기술기사 (21년05월) ▪ 현장의 제안분임조활동에 앞장서며 566건의 제안혁신활동(안전, 품질, 공정개선) 및 중대결함 문제점 개선을 통해 6억7백만원 유형효과를 창출하였으며 기술사원의 전문인력 양성하며 품질경쟁력 향상에 기여 - 품질·공정개선 추진 활동으로 원가절감과 품질향상에 기여 * 부적합품율 : ’17년(1,418 PPM) ~ ’21년(1,102 PPM) 향상 * C3=>C1 이재구간 브레이크슈 설치 개선(4,089만원 절감) * 고전압배터리 기준핀 이상 생산로스 방지개선(1,467만원 절감) * 현대차 사업부장 표창장(중대결함 사전발견, ’22년) - 사내·외 품질혁신 및 인력양성을 통해 대외 성과 창출 * 기술사원의 품질개선 마인드형성과 기술전문인력양성에 기여 * 국가고객 만족도(NCSI) 7년 연속1위 수상에 기여(’14년~’20년) *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 11년 연속1위 달성에 기여 (승용,SUV,자동차AS 전 부문) * 대한민국 기술대상/전기버스 일렉시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19 박용두 한전원자력연료㈜ 단장 (29년07월) ▪ 창의적인 혁신으로 설계, 생산, 품질 분야에서 총 1,106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방사성폐기물 처리기술 개발, AI기반 서류검증 시스템 개발을 통해 약 561억원의 예산 절감과 해외 수출 시장을 개척하며 원자력 산업발전에 기여 - 원자력연료 설계, 제조, 서비스 및 원천기술개발로 시장 선도 * 설계, 생산, 품질 등 총 1,106건의 특허 등록 및 출원의 기술력 확보에 기여 * 국내 원자력발전소(25기) 원자력연료 전량 제조 및 공급에 기여 * 원자력연료 해외 시장을 개척하며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 ·’17년부터 UAE원전(4기)에 원자력연료 제조 및 공급 ·브라질 INB사 원자력연료 핵심부품 공급계약 체결 ·혁신형 소형모튤원자로(i-SMR) 핵연료집합체 및 제어봉 개발 - 연구개발 주도와 혁신활동을 통한 경쟁력 확보에 기여 * 제안 활동을 통한 일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품질혁신 노력 * 고유 생산혁신시스템 KIPS 및 자체진단 제도 운영에 기여 * R&D 투자비 30% 확대 노력 : 192.7억원, ’22년 → 233.5억원, ’23년 * 국가품질경영상 대통령 표창 수상(산업통상자원부,’22년) 20 배성민 국립한밭대학교 교수 (20년02월) ▪ 정부 및 산업계 R&D 과제수행, 국가정책개발, 전문인력양성사업에 적극 참여하여 중소·중견기업의 생산성 및 품질경쟁력 향상에 노력하며 제조업의 전문 인력양성과 미래 기술확보에 기여 - 제조업 디지털전환 및 스마트팩토리 전환을 위한 선행 R&D 과제 수행 및 고급인력양성에 기여 * 국가플랫폼기술개발사업인 c-MES 핵심운영 플랫폼 기술개발(’09~’13년)사업: 중소·중견기업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필수 모듈 개발·보급 *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사업(’18~’21년) : 대전지역 유일의 스마트팩토리분야 전문인력양성사업 * 산업혁신전문인력양성사업 : 디지털제조장비의 최적 운영을 위해 기업들과 산학프로젝트 수행으로 현장 적응형 고급 인력을 배출(31명)하여 취업률 80% 달성 - 중소기업과 R&D 과제 추진을 통한 제조기업 미래기술 전파에 기여 * 한국품질경영학회 부회장직 수행(2024.1~현재) * 한·중 품질 심포지움 개최를 통한 품질전문가 학술 교류(’01년부터 매년 개최) *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해 기업이 작성한 보고서(텍스트문서)를 활용하여 사건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방법론 개발(㈜비큐리오, R&D) 21 여원현 한국신에츠실리콘㈜ 수석 (33년04월) ▪ 실리콘신소재 산업에 33년 근무하며 지속적인 품질경영과 기술혁신에 앞장서며 일본SEC연구소와의 상생협력 기술개발 교류로 국내최초 전기차방열시트 생산성 향상과 신소재분야 국산 내재화 양산 및 품질경쟁력 향상에 기여 - 사내·외적 품질활동으로 업계 최고의 품질활동과 위상강화에 기여 * 전국품질분임조대회 6개분임조 금상수상(2010년부터) * 품질분임조 지도를 통한 국내 최초로 공장직원 전원 금상수상에 기여 * 협력사 품질지도,강의 및 이상품발생 사전예방으로 부적합품률 제로화 달성에 기여 * 한국여성경제인 충북지회 지도 교육으로 품질경영확산에 기여 * 충청북도 품질경영학회 총무이사로서 품질교류와 협력으로 품질경영 전파 - 혁신적인 전기차 방열시트 생산을 통한 연간 100억원 효과 창출 및 국내 전기차시장 개척에 기여 * 신제품 양산 안정화를 통한 품질경쟁력 향상에 기여(신제품매출 연간220억원) * KS-66K등 신제품 국산화 양산시스템 구축으로 국가경제발전에 기여 * KS-537K등 9품목 수입품 내재화하여 공장가동율 연간 22%향상에 기여 22 유지연 ㈜에스지텍 전무이사 (17년03월) ▪ 품질경영시스템, 생산자동화 시스템 도입 등 끊임없는 품질개선과 경영혁신을 주도하며 세계최초 IOT와 ICT를 접목하여 안전과 보안에 최적화된 신개념 창호 개발로 국민의 안전한 주거문화 실현에 기여 - 신기술개발(IOT와 ICT를 접목)로 기업 경쟁력 강화 및 신시장 개척 * 세계최초 IOT와 ICT를 접목한 신개념 창호 개발(’15년) * 국내 최대 통신사 SKT와 제휴 : 스마트홈 IoT 제품군에 런칭 완료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은상, 동상 수상에 기여(산업통상자원부, ’16년) * 장영실상 수상(미래창조과학부 주관 ’16년) * 미래건축문화대상(조선일보 스마트방범안전창 부문, ’19년) - ERP와 WIN-PRO 도입으로 경영정보화 및 자원관리 고도화 * 구매·생산의 최적화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용으로 체계적인 자원관리 * 비자동화를 통한 생산량 증가와 유형효과 6.56억원 창출에 기여 * KS인증대상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18년) * 미래건축문화대상(조선일보 스마트방범안전창 부문, ’19년) * 스타브랜드평가(SBE) 2년 연속 인증(매일경제 매경닷컴) 23 윤성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공장장 (32년04월) ▪ 日 기업이 독점하던 초극박(UTC)을 국산화하여 국내 반도체, 2차전지 산업 발전의 밑거름을 마련하였으며,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해외 시장 개척하며 국산 일렉포일의 세계화 및 기업 성장으로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 - 제품 국산화로 국가 기술력 확보 및 신시장 개척 * 초극박(UTC)을 국산화 성공하여 삼성에 납품 실시(’21년02월) * 동박업체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주요 2차전지 시장 개척에 기여 * 글로벌 판매 비중 증가 : 아시아 36%, 유럽 48%, 미국 16% ·세계 베터리 1위 기업인 중국 CATL社 일렉포일 공급 ·삼성SDI社와 8조원 규모 2차전지용 일렉포일 공급 계약(’22년06월) -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매출 신장과 트너사의 경쟁력 강화 지원 * 5년간 매출액 32.9% 성장 (’19년 5,502억원, ’23년 8,090억원) * 인터배터리 유럽 참가 : 국내 유일 HIgh-end 동박을 전세계에 소개 * 말레이시아 쿠칭공장, 스페인 카탈루냐주에 동박 생산 공장 신설에 기여 * 친환경 설비투자와 제품개발 및 선제적인 안전보건 관리 체계의 강화 ·생산제품 15개에 대한 재활용 ECV인증 (미국 안전규격 UL) ·미세먼지 배출량 3.9ton으로 업종 평균 9.6ton의 약 40.63% 수준으로 낮음 24 이경수 한국수력원자력㈜ 시니어전문 (40년02월) ▪ 40년간 원자력발전소의 핵심설비 운영·정비 및 품질혁신을 통해 부품 국산화, 정비 주공정 최적화 및 설비 제작과정 개선으로 700억 절감하였으며, 원전의 안정적 전력생산과 해외 원전수출로 국가 산업발전에 기여 - 부품 국산화 및 기술력 확보와 신뢰성 제고하며 해외시장 개척에 기여 * 세계 최초 발전소 품질수준 평가지표 개발에 기여 * 방사선감시계통 제어설비 전원공급기 국산화로 신뢰성 제고에 기여 * 품질증빙서류 블록체인 기술 적용으로 서류 위·변조 방지로 신뢰성 확보 노력 * 공정제어계통 전자카드(전자회로 핵심 부품) 국산화 공급 안정화에 기여 * 이집트 엘다바 원전 4호기 터빈건물 등 건설사업 계약에 기여(약 3조원) - 협력사 상생경영 사회적책임을 실현하며 품질경쟁력 강화에 기여 * 한국원자력품질협의회(KNQA) (40개 회원사) 신설에 기여 * 협력사 평가지표 개발 : 65개 협력사 진단 및 멘토링 추진 노력 * 품질 인사이트(총 442건)를 발굴하여, 발전소 및 협력사 전파 노력 * 협력사 교육 : 516개사, 3,574명 협력사 교육 실시 * 동반성장 유공 등 대통령표창 4회 수상 25 이동석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33년03월) ▪ 신기술,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통해 총 421.7만대 생산, 현대차 그룹 전세계 자동차 생산 3위 달성, 부품·기술 국산화로 해외 168개국 46조6천억원의 수출성과와 매출액 163조원을 달성하며 자동차산업의 위상과 국가경제발전에 기여 - 고객안전을 최우선으로 품질관리체계 고도화로 세계시장 선도에 기여 *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객불만 예측, 안전관리 제어 시스템 개발 운영 * 매출 연평균 16.2%성장 : 116조 4,482억원(’21년) → 162조 6,636억원(’23년) * 해외시장 168개국 수출실적 연평균 26.3% 증대 : 46조 6,401억원(’23년) * 수소전기차 제 세계 점유율 38% 1위 달성에 기여(23년) · 세계 10대 엔진 및 동력시스템 수상(’22년, 미국 워즈오토) - 새로운 기술과 공법으로 자동차 트랜드를 선도하며 사업장 선진화에 기여 * 현대차그룹 생산 총 730.4만대 2년 연속 세계 3위 달성에 기여(’22년~현재) · 세계 3대 자동차 어워즈에서 최근 10년간 누계 19회 수상 실적 1위 달성 * 협력사 지원으로 원가절감 성과 : 반도체분야 3,995억원, 신소재·공법분야 1,556억원, 생산최적화분야 9,220억원(’21년~현재) * 국내 자동차 산업계 최초 스마트팩토리 이-포레스트(E-FOREST) 런칭 *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 추진으로 국가 기술인력 총 40,255명 확보 26 이성열 강원도레미콘 공업협동조합 이사장 (35년07월) ▪ 강원도레미콘산업의 발전과 레미콘 원자재인 혼화제, 슬래그미분말, 교정검사, 시험기기에 대한 공동구매사업을 시행하여 제조원가 절감 실현과 품질교육·검사, 원자재 시험검사 시행으로 강원도 레미콘업의 발전과 품질향상에 기여 - 품질관리교육 및 교정지원을 통한 레미콘 산업경쟁력 향상에 기여 * 교정지원 : 총 264개사, 327백만원(KORAS 공인교정기관 ’20년~’21년) * 레미콘 품질관리책임자 품질경영세미나 지원 : 191명, 총 110백만원 * KS 경영간부를 위한 품질경영교육 개최 : 108명, 총 45백만원(’20년) * 최고경영자 국내·외 경영혁신연수 지원 : 200명 총 441백만원(’22년) * 레미콘 원자재인 혼화제 54개 공급업체 대한 품질검사를 시행(’18년~’23년) - 지역사회공헌을 통한 사회적 책임 및 사랑나눔문화 확산에 기여 * 레미콘 제조업체 230개사 직접생산확인 공장실태 점검(’19년~’21년) * 강원도내 저소득층과 사회소외 계층 사랑나눔 이웃돕기성금 5천만원 기탁(’17년) * 독거노인 주거안정과 사랑의 연탄 전달 봉사(’17년~’18년) 27 이재주 ㈜삼양패키징 대전1공장 기사 (31년08월) ▪ 창의적 업무개선을 통해 설비 보전파트에서 페트보틀(PET Bottle) 제조 공정에서 불합리한 제도 개선을 추진하며 총 2,798건의 제안을 통해 유형효과 1,176백만원 성과와 생산성 향상, 원가절감에 기여 - TPM, 제안, 분임조 혁신활동 활성화로 경쟁력 확보에 기여 * 제안, 분임조 활동 운영프로그램 관리로 품질 혁신활동의 활성화 기여 * 실시제안 실적 429% 증가(대전1공장) : 1,439건(’19년) → 6,186건(’23년) * 분임조 완료테마 428% 증가(대전1공장) : 14건(’19년) → 60건(’23년) * 품질 및 공정개선 및 실시제안 실적 : 총 2,121건, 2,386백만원 원가절감(최근 5년) * 창의적 업무를 통해 신기술 확보 : 스트레칭 스토퍼, 특허청, 2021.7.16. - 우수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사례 공유 및 품질문화 정착에 기여 * 삼양그룹대회 참가 실적 : 금상2회, 은상 1회, 동상2회 수상 * 사내강사로 PET 보전기술전수 및 품질분임조지도(476시간, ’19년~’23년) 28 이재철 ㈜구구 대표이사 (31년) ▪ 정품/정량의 정직한 제품공급으로 방위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품질방침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설계기술을 확립하여 군사 장비의 현대화와 군력 강화를 위해 무기체계 핵심 부품을 개발·공급하고 있으며, 차별화된 재품개발로 수출시장 확대와 방위산업발전에 기여함 - 품질경영시스템의 선진화로 매출 성장과 방위산업발전에 기여 * 국방품질경영체제 인증(방위사업청,’15년) * 간접 수출액 346% 증대 : 1,079백만원(’22년) → 4,821백만원(’23년)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고품질의 제품과 서비스 제공으로 수출에 기여 * 매출실적 53% 증대 : 192억원(’21년)→ 295억원(’23년) * 정밀생산 부적합품률 제로달성 : 0.07%(’21년) → 0%(’23년) * 군사장비 현대화 기여 : 이동 및 발사시스템 등 핵심부품 개발·공급 - 현장의 혁신활동 지원과 연구개발과 기술력 확보로 경쟁력 제고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금상4회, 은상 1회수상에 기여(최근5년) * 우수품질분임조 산자부장관상 수상(국가품질경영대회.’23년) * 한화디펜스(주) 협력사 정기평가 S등급 수상(’18년, ’21년)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주) 협력사 정기평가 S등급(’22년) 29 이정재 에이치디현대삼호㈜ 반장 (16년03월) ▪ 자동화혁신센터에 재직하며 신기술(자동용접개발, 자동화 장비개발)과 작업 효율화를 통해 현장 업무 자동화 조성으로 안전하고 편한 일터 만들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사내 기술전수를 통해 품질경쟁력 향상과 인력양성에 기여 - 신기술 장비개발 및 기술전수를 통한 전문인력 양성에 기여 * 내업공장 지능형 2층 캐리지 164대 적용으로 용접제 절감 및 생산률 10% 향상 * 국내 최초 경량 무레일 일렉트로 가스 용접 캐리지 개발 * 조선소 최초 경량 무레일 EGW 캐리지 개발 및 갭 대응 SAW 캐리지 개발에 기여 * 실시간 갭 대응 캐리지 및 2D 스캐너 캐리지 개발 * 사내 품질경영 기술 전수 확산 : 19회, 198시간(최근3년) * 사외 품질경영 기술 전수 확산 : 33회, 197시간(최근3년) - 창의적 사고를 통해 업무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 * 제안 실적 : 총 118건, 유형효과 267백만원 창출 : 엘엔지선 멤브레인시트 용접장비 기존 레일 타입을 레일이 없이 흡착판을 이용해서 자율이송이 가능하도록 개발 및 특허등록 * 제49회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현장개선 금상 수상 30 임동석 성일기업㈜ 대표이사 (24년03월) ▪ 39년간 재직하며 자동차 시트 부품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시켜 왔으며, 중소기업 최초 CO2 로봇용접기 도입과 차별화된 시트부품 핵심기술 개발로 해외시장 수출을 확대하며 자동차 부품 산업발전에 기여 - 중소기업 기술개발 No.1 회사로 시트 부품 핵심 기술 개발에 기여 * 자동차 시트 프레임 생산 전문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에 기여 * 현대자동차 국내/해외 사업장 납품으로 수출 증대기여(’23년, 91억원) * 기가스틸급 초고강도 강판 성형 기술 국내 최초 적용 * 중소기업 융합 대전 대통령 표창(’17년, 중소벤처기업부) * 기술혁신형중소기업(’20년), 경영혁신형 중소기업(’21년) 선정 * 국가품질혁신상 생산부문 대통령표창 수상(’23년, 산업통상자원부) - 선제적 자동화 공장 만들기를 통하여 생산성 혁신과 품질 고도화에 기여 * 동종업체 최초로 CO2 용접 로봇기를 도입하여 용접로봇과의 협업하는 시스템 설비 49대 구축과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도입 * 외부 클레임 1290% 감소 : 307억원(’21년) → 22억원(’23년) * 냉간 다단 성형 기술 적용하여 생산성 향상과 에너지 절감 효과 31 임양수 한국중부발전㈜서울발전본부 본부장 (37년09월) ▪ 37년 간 발전분야에 재직하며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품질혁신 및 전력설비 기술혁신을 선도하고 있으며 디지털혁신을 접목한 기술개발과 계절관리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출력저감으로 친환경 발전소 운영으로 국민생활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가치 구현에 기여 - 현장의 기술혁신 소통협의체 운영과 분임조활동 활성화에 기여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2팀 금상 수상에 기여 * 국제품질분임조대회 탄소중립분야 공공부문 금메달 획득(중부발전 최초) * 분임조활동 성과 : 총 77건 주제, 총 90.6억의 유형효과 창출에 기여 * 설비개선 제안 실적 : 총 283건 제안·개선활동 시행(최근 5년) : 우수제안 추천과제 발굴로 약 140억원의 유형효과 창출에 기여 - 품질·공정개선 시행으로 무결점 품질 완벽관리 및 성과 창출에 기여 * 연료전환 이후 잔존경유를 신서천화력발전소로 이송을 통한 연료비 33억원 절감 * 서울복합 탈질공정 설비개선으로 품질실패비용 12억원/일 절감 및 질소 산화물 배출량 연간 55톤 감축효과에 기여(’23년) * 서울발전본부 무재해 31배수 달성에 기여(’23.08. 대한산업안전협회) * 평가기관 최초 9년연속 동반성장평가 최우수 수상에 기여 32 장성호 두산에너빌리티㈜ 기술부장 (36년10월) ▪ 원자력운영혁신추진팀 현장혁신활동추진담당자로 원자력 발전설비 국산화 모델인 OPR 1000(한빛3,4호기) 원자로 국산화 제작 참여와 해외 첫 수출인 아랍에미레이트 BNPP 1,2,3,4호기 제작에도 참여하며 국가 기간산업 발전에 기여 - 기술 국산화로 수입 대체효과 창출 및 해외시장 개척에 기여 * OPR1000 한국표준형 원자로 국산화 초도품 개발, 제작에 기여 * APR1400 한국표준형 개량형 신형 모델 원자로 초도품 개발, 제작참여 * APR1400 원자로냉각재펌프(RCP) 개발, 제작 참여 * 미국 WEC AP1000 신형 원자로 초도품 개발 참여 및 해외 수출에 기여 * 기술표준화 활동 : 원자력발전설비 주기기 전 제품 표준화 자료제작 - 품질혁신 및 기술전수하며 인력양성과 품질경쟁력 확보에 기여 * 손끝기술 전수로 현장사원 양성 및 사전 품질불량 요인 제거, 품질 안정화 * 무결함 혁신활동 : 과제 20건 수행, 약 2.3억 원의 품질손실비용 점감 * 제작공법 개발 및 공정개선 : 10건 과제수행, 1.2억 원의 원가절감과 원자로 제작라인 품질 및 공정안정화를 시키는데 기여 33 전병열 현영기업 대표 (36년11월) ▪ HD현대중공업 28년간의 기술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영기업을 창업하여 모기업과 협업을 통한 엔진기계생산방식 시스템 도입과 무결점 생산활동으로 대형 선박엔진 재공품의 품질경쟁력 강화와 조선 엔진산업발전에 기여 - 분임조활동 및 인재육성을 통해 품질경쟁력 확보에 기여 * 매출실적 68% 성장 : ’21년 34억원 → ’23년 50억원 * 품질분임조활동 첫 도입과 활성화에 기여(’17년)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은상1회, 금상2회수상(’21년~’23년) * 분임조 및 제안 활동 인센티브 제도, 포상제 실시로 활성화 기여 - 차별화된 연구개발과 기술력으로 경쟁력제고와 고객만족 향상에 기여 * 선박엔진 크랭크 축 탑재방법 개선으로 세계 일류기업 달성 * 국내 최초 가스엔진 시운전 결과 최고의 품질로 기술력 인증 * 신기술 선박엔진재공품 전문화 전용 권상 지그픽쳐 개선하여 5개 타입 적용으로 원가 절감 품질 개선 혁신적업 공법 개선 * 주요 고객사 소비만족도 1위. 최고품질 일등 제품 1위(현대중공업외 7개사) 34 정영교 부산산업㈜ 대표이사 (30년01월) ▪ 전사적 품질경영을 전개하며 고객요구 사항을 최우선으로 실시하며 고객만족 향상과 연구개발전담부서 설치 및 기술개발을 통한 레미콘믹스 차량 운송시간 통합적 시스템관리로 적자 기업을 매출액 260억원의 흑자 전환 달성하는데 기여 - 품질경영 혁신을 통해 경상이익 흑자 전환의 경영성과 창출에 기여 * 품질경영 추진을 통한 매출 260억 달성 및 경상이익 전환 * 매출액 11% 증대 : 240억원(’22년) → 268억원(’23년) * 공정불량률 33% 개선 : 0.3%(’21년) → 0.2%(’23년) * 레미콘차량 운송시간 단축 : 평균 58분(’22년) → 53분(’23년) * 국가품질경영 유공 국무총리 표창(2016년, 국가품질경영대회) - 레미콘 임직원 품질경영 교육 지원 강화 및 마인드 향상에 기여 * 인재양성 교육 확대 : ’22년 174명, 694시간 → ’23년 268명, 1,360시간 * 임직원 교육 특별과정 개최로 우수사례 수평전개에 기여(’23년) * 품질경쟁력우수기업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인증(’23년) * 1인당 교육비 19배 확대 지원 노력 : ’21년 4만원 → ’23년 82만원 증가 35 조현제 에스앤티다이내믹스㈜ 팀장 (29년05월) ▪ 품질경영팀장으로 29년간 현장개선활동 활성화를 주도하며 제안 및 품질분임조 운영, 선진 경영시스템 도입, 표준화, ESG 경영기반 구축으로 기업의 품질경쟁력 확보와 매출 신장에 기여 - 끊임없는 공장혁신운동을 통한 지속가능한 경영 환경을 조성에 기여 * MB 모델 기반 경영시스템 도입(’05년~’12년) * 업무 프로세스 성과지표(KPI) 지속적 개선에 기여(’13년~현재) * 국가품질명장 양성 및 지원을 통한 제조현장의 품질경쟁력 제고 * 항공부문 특수공정에 대한 NADCAP 품질인증 획득으로 제조품질 신뢰성 확보 및 수출향상에 기여 (NADCAP : 열처리, 비파괴시험, 나이탈 에칭 시험 공정에 대한 인증) - 전사적 품질경영 및 혁신활동 성과에 대한 대외 인지도 제고에 기여 * 아이디어 및 개선테마 발굴에 기여 : 1,005건, 효과금액 828백만원(’23년) * 부적합 발견 신고제 도입을 통한 고객불만 감소 및 안정화에 기여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상생협력부문 금상 1팀, 은상 1팀 수상(’22년) 36 최규남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책임매니저 (38년06월) ▪ 38년간 현장의 품질혁신과 차세대 품질전문가 양성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국가품질명장으로써 1,075건의 제안관리를 통해 52억원의 원가절감, 20억원 수입대체 효과 창출을 통해 미래 기술확보와 자동차 산업발전에 기여 - 트럭 신차개발 참여와 품질문제 560건 개선으로 유형효과 창출에 기여 * 트럭 신차개발 참여 및 주요 품질문제 560여건 개선에 기여 * 품질개선, 공정개선 : 5년간 34건 12.5억 유형효과 실현에 기여 * 쏠라티 그랩핸들 재질변경, 부적합품률 20% 완전해소 * 핸들 정 위치 부적합 개선, 부적합품률 감소 9%P 감소 - 부품 국산화 및 전문가 육성을 통한 품질경쟁력 확보에 기여 * 에어콘 인버터 국산화 : 2.8억원 원가절감, 내수업체 년 매출 13% 증가에 기여 * 수입자재 국산화 : 수입대체 20억원 효과 및 국내업체 기술력 확보에 기여 * 포상제도 실시 성과 : 1,427건 채택, 6,102백만원 절감(최근5년) * 품질 개선 전문가 육성 사내 지도·강의 활동(2,000시간, ’00년~현재) * 신입 및 현장 종업원 제안, 분임조 기법교육 : 20여명/년간 37 최현규 한국콜마㈜ 대표이사 (31년04월) ▪ 31년간 화장품업계에 재직하며 세계 최대 화장품 ODM 제조 전문기업으로 성장시켜왔으며, 친환경 신기술, 신제품 개발로 전 세계 900여개 고객사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며 8천5백억원의 매출 신장과 대한민국 K-뷰티 화장품산업 발전에 기여 - 국내 최초 글로벌 화장품 산업 국제인증 도입과 품질경영시스템 고도화 운영에 기여 * 업계 최고 수준 R&D 투자(년1,200억) 및 기술력으로 매출 8,508억원 달성 * 국내 최초 제1, 2호 화장품 GMP 적합업소 증명서 획득 * 화장품 업계 최초 ISO37001&37301 통합인증 취득 및 유지 * 제 47회 국가품질경영대회 국가품질혁신상 대통령표창 수상(’21년) * 전국품질분입조경진대회 6년 연속 수상(금상 2회, 은상 2회, 동상 7회) - 친환경 연구개발 및 사회적책임 실현으로 산업 발전에 기여 * 미래 신제품, 신기술력 보유에 기여 : 특허 528건, 특허출원 1,031건 * 세계 최초로 종이튜브 상용화 및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석권에 기여 * 국내 최초 자외선 전문 연구소 UV테크 이노베이션 연구소 설립(’22년) * ESG A등급 실현에 기여(23년,한국ESG기준원) * 환경 친화적인 경영활동: 재생에너지 발전 및 사용량 증가율 27.7% · 대기오염물질 저감율 39.2%, 환경친화적 기술특허(출원18건, 등록17건) 38 한광석 기아㈜ 책임엔지니어 (28년10월) ▪ 완성차 수정 및 전장 품질담당파트장 업무를 수행하면서 신차 개발(카니발, K9, 스팅어, EV9, 카니발) 참여와 품질 안정화로 32만대 생산규모의 공장으로 성장하는데 일조하며 자동차산업 발전에 기여 - 현장의 불합리를 찾아 선제적 공정개선으로 재작업비용 및 원가절감에 기여 * 신차 개발 프로젝트 품질개선·제안 70건, 유형효과 107,928천원 * 품질 분임조 활동 16건 테마해결 월 유형효과 63,379천원 * 양산차 품질·공정개선 34건 년 유형효과 91,220천원의 원가절감 * 가동률 목표(광명 1공장) 99% → 99.7% 실적, 생산합격률 목표 98.23% 달성 - 사내·외 품질경영활동 활성화 주도와 수상 성과에 기여 * 국가기술자격실기시험 감독위원 참여(산업인력관리공단, 424시간) * 제45회 전국품질분임조 발표대회 은상 수상(’19년,산업통상자원부) * 진로상담 멘토 역할 : 안양공업고등학교(’24년) 39 한승용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책임매니저 (24년03월) ▪ 엔진기계사업부에 재직하며 독자적 엔진 개발에 매진한 결과, 수입에 의존하던 선박용 중형엔진을 독자적인 우리기술로 개발, 상용화를 실현하며 선박용 엔진시장 세계 1위 달성에 기여 - 혁신적인 제품생산으로 시장 경쟁력 우위 확보와 성과 창출 * 세계 시장 점유율 35% 이상 세계1위 달성에 기여 * 친환경 이중연료(DF) 기술 적용 된 힘센엔진 개발에 기여 * 세계 최대출력 힘센엔진(H54DF) 시운전 성공에 기여(’19년 9월) * 21건 특허 출원 중 8건 등록과 부품 국산화 성공에 기여 - 생산현장 혁신활동 지원을 통한 생산품질 고도화 실현 * 최근 5년간 제안실적 696건, 유형효과 143백만원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금상1회, 은상1회, 동상1회 수상 * 퇴직 전문인력을 활용한 기술전담 조직 파견 및 현장 맞춤형 기술지도 * 품질분임조활동 지원 : 사내 협력사 2팀 및 사외 협력회사 지원 · 사내협력사 지원성과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금상3회, 동상2회 수상 40 한영복 한국중부발전㈜ 보령발전본부 부장 (31년04월) ▪ 보령복합 계측제어설비 유지관리 총괄업무를 수행하며 4차산업 기술을 현장 시스템과 융복합하는 기술접목을 통해 자동화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전력생산 과정의 품질향상에 기여 - 개선제안 활동으로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 성과 창출 * 가스터빈 기동시간 예측 프로그램 개발 적용으로 기동시간 단축(16.2억원) * 탈기기 가열스팀 공급방식 개선으로 발전효율 향상(3.3억원/년) * 가스터빈(GT24AB 기종) 퍼지타임 개선으로 원가절감(3.7억원/년) * 가스터빈에 대한 전문도서 발간(2건)으로 발전제어 기술향상 확산에 기여 * 기술력 향상위한 강의(46회) 및 세미나 발표(18회) - 품질경영체계 구축과 프로세스 개선으로 품질경쟁력 제고 * 핵심설비 정비품질 검사 개선으로 40개분야 검사절차 설정에 기여 * 기자재 품질등급 재설정 활동으로 138개 분류등급 설정에 기여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금상, 은상 4회 수상(’20년~’23년) 41 허은기 삼성에스디아이㈜ 부사장 (28년02월) ▪ 혁신적인 신제품 개발로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업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며, 중대형 배터리(전기차, ESS) 핵심 기술혁신과 기술경쟁력 확보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초격차 1위 달성 및 수출 성과 창출로 배터리 산업발전에 기여 - 전기차 배터리 혁신 기종 개발로 시장 경쟁력 확보 * 전기차 매출비중 증가(16년 18%→19년 30%) 및 2조원 매출 달성에 기여(19년) * 전기차용 5세대 고성능 셀 개발 : BMW사와 21년 장기 공급계약 체결 * 신소재 적용으로 에너지 밀도 20% 이상 향상, 600km 이상 주행 가능한 제품 양산 * 셀 개발 시에는 신규 공법 적용을 통해 공정 생산성 50% 향상 유도 * 전기자동차용 고성능 PHEV 셀개발로 IR52 장영실상 수상(’20년) - 신기술력을 통한 기업 경쟁력과 고객 만족도 제고 * 전기차 배터리 관련 기술 특허 기여 : 최근 5년 총 38회 특허출원 * 샘플링 로스 비용 절감 : 7,762 → 3,927셀/일 감소('23년, 109억원) * 공정 관제 범위 확대, 자동 검사 도입 등을 통한 공정 효율화 달성에 기여: · 23년기준 헝가리법인 공정 효율화 유형효과 : 70억/년 절감 * 전기차 배터리(소형) 검사 공정 및 데이터 관제 강화로 고등급 이상발생 감소에 기여 : 고등급 공정 이상발생 감소 성과 : '22년 96 → '23년 72건 42 황상곤 기아㈜ 책임엔지니어 (24년04월) ▪ 셀토스 완성차 조립라인의 불합리 공정, 품질개선과 제안 개선활동으로 원감절감하며 조립라인 가동율 향상과 수익성 개선하였으며 협력사 기술전수로 동반성장의 사회적책임 실현에 기여 - 제안관리 운영과 품질·공정관리 개선으로 제조 품질경쟁력 제고 * 제안 실적(최근 5년) : 704건/3,799백만원 절감 * 품질·공정개선 실적(최근 5년) : 59건, 3,074백만원 원가절감 * SP2 QTR INR LH/RH NUT 볼트체결불량 개선 등 10건, 662백만원 절감 * EV 앵커피트 브라켓 언더토크 개선 품질향상 등 12건, 503백만원 절감 * 리어 필라트림 공정 이동 통로개선 안전사고 예방 등 12건, 503백만원 절감 - 사내외 품질경영 확산과 기술력 확보에 기여 * 사외 품질경영 확산 활동에 기여(48회, 324시간) * 스마트 산단 명장 멘토링, 전남대LINC3.0 재직자 교육 실시 * 제10-2022-0100763/문 체류(2024.02.08.특허청) * 제10-2023-0030723/테일 케이트 지지대(2023.03.08.,특허청) *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호랑이분임조)_지도3회(2023년) 유공단체 부문 후보 (단체명 가나다순) No 기업명 (대표자) 공적기간(업력) 공 적 개 요 1 구리도시공사(유동혁) 11년7월 ▪ 고객중심경영 플랫폼 혁신을 통한 서비스 혁신문화 조성으로 시민 만족의 즐거운 변화와 행복한 도시 구현에 기여 - 선진 시민행복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고객중심경영 플랫폼 혁신 및 선도적 ESG고도화 추진 * 고객중심경영 플랫폼 혁신을 위한 15개 인증 취득 * 고객서비스 혁신을 위한 중장기 고객중심경영전략 기반 32개 KPI지표 설정 후 담당 업무별 P-D-C-A 기반 지속과제 추진 전사적 실현 노력(외부만족도 전년대비 4.6점 상승, 내부만족도 전년대비 8.8점 상승) * ‘24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K-SDGs 연계한 중장기 ESG전략 기반 20대 중점추진과제 설정 후 담당 업무별 ESG실천 강화 * ESG우수기업 동반성장상 수상 -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발전의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도시가치 창조의 개발사업 추진 * 4차산업 기반 테크노밸리 조성, 갈매지식산업센터 건립, 구리 아이타워 건립, 구리랜드마크타워 건립, 토평동 주차빌딩 건립 등 개발사업추진 2 금호미쓰이화학㈜(박찬구) 35년1월 ▪ 글로벌 표준을 충족하는 ESG 전략 체계 실행과 원료 재생 기술 도입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경영 체계 구현 - 국내 최대 규모의 MDI 61만톤 생산체제 구축으로 경영실적 개선 * ‘22년 창사 이래 최고 실적인 1조 3,324억원의 최대 매출 실적 달성 * 친환경 기술 개발·도입, 바이오 원료 사용 비중 확대로 친환경 경영 실천 ·고염도 폐수 전기분해 기술로 폐수 재활용 및 배출량 저감 기대 * 공급망 관리 역량 강화로 이해관계자에 대한 사회적책임 확대 ·분기별 위험성 평가 진행, 안전관리체계 강화 ·인권영향평가 실시 및 협력사 행동강령의 내재화 및 공급망 실사 진행 - 국제기준을 충족하는 ESG 전략 수립과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 대응을 통해 세계적인 화학업계 ESG 리더로 성장 * UN 산하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가입을 시작으로 지속가능경영 지속 * 세계 최대 규모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 기관 에코바디스 (EcoVadis) 평가에서 상위 5%의 ‘골드메달’ 등극 3 달성군 시설관리공단(김정화) 10년0월 ▪ 고객 서비스 혁신을 통한 고품질 서비스 제공 및 고객만족 활동을 힘쓰며 지역상생·사회적 책임 실현에 기여 - 혁신경영을 통한 고객서비스 혁신 선도 * 2년 연속(22~23년) 행정안전부 주관 경영평가 최우수(가등급) 획득 * 행정안전부 주관 경영평가 고객만족도 부문 7년 연속 1등급 획득 * 고객·현장 중심 소통, 창의적 의견수렴을 통한 서비스 개선 * 문제해결 인큐베이팅, 직·간접 참여 활성화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으로 재난·안전관리 서비스 강화 및 ESG경영 실현을 통한 지역상생·사회적 책임 강화 * 4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우수기관 선정 * 7년 연속 안전사고 10% 이상 감소 및 안전 전담조직 이사장 직속기구화 추진 * 전담조직의 컨트롤타워 기능과 역할 강화 * 직무역량 강화목표 대비 성과 초과달성 4 대전교통공사(연규양) 19년3월 ▪ ESG경영 선제적 추진을 통한 사회적 가치 구현 및 시민지향 서비스 혁신경영 추진하며 대국민 삶의 질 향상과 교통복지 실현에 기여 - ESG경영 추진을 통한 지속가능 책임경영 실천 * E : 기지 태양광 발전 설치, 전기차 충전기설치 등 녹색교통 선도 * S : 교통약자 VR콘텐츠 개발, 장애인 프리패스 개찰구 운영, 장애인 고용 지속 확대, 교통 소외 복지시설 개보수 등 시민생활의 질적 향상 기여 * G : 대국민 정보공개 확대, 인권경영 선포를 통한 인권경영 추진, 시민 경영참여 확대등을 통해 시민행복․고객만족 서비스 제공 - 공사 특화 시민지향 서비스 창출을 통한 고객감동서비스 제공 * 적극행정우수사례경진대회 행안부 장관상 수상(’23년) * 국내 최초 하이패스 개찰구 도입, 스마트 태그리스 시스템 전면 도입, 스마트 안심화장실 구축 등 교통약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으로 약자와의 동행을 통한 포용 가치 실현 * 역무직원 CPR 실시로 승객 구조, 재난․안전관리 전담조직 구성 및 인력 투입, 공사 창립이래 18년간 철도사고 ZERO 등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안전한 일상을 위한 빈틈없는 전사적 안전경영 확립 5 부산광역시 기장군 도시관리공단(김윤재) 14년9월 ▪ 새로운 시각을 통한 운영 혁신으로 고객 맞춤형 공공서비스 제공하며 사회적 책임 이행 및 지역주민 복리 증진에 기여 - 새로운 시각을 통한 운영 혁신으로 군민 편의 제고와 성과 창출 *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4년 연속 우수(나) 등급 및 고객만족도 92.5점 달성 * 불편사항 24시간 실시간 접수 시스템 라이브셈 운영 * 국민신문고 도입 및 운영을 통한 국민권익위 선정 민원처리 우수기관 선정 * 노인복지관 과밀운영 개선을 통한 이용편의‧안전 확보 * 요금수납 전산화를 통한 운영 투명성‧이용편의 확보 -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활성화 및 상생경영 활동 추진 * 스포츠동계 전지훈련, U-15 전국 유소년 야구 대회 유치 → 지역 내 경제적 파급효과 80.6억 * 사회적기업·중소기업·중증장애인생산품 공공구매 추진(연간 4,927백만원) * 양질의 일자리창출을 통한 지역사회 공적기능 강화 ·장애인 의무고용비율 7년 연속 초과 달성(‘17~‘23) ·북한이탈주민 자립을 위한 자격증 취득 지원 6 삼성전자㈜ SIEL-P(N) 법인(김이수) 27년10월 ▪ 체계적인 현지화 생산 전략 및 글로벌 공급 확대를 통한 제조 경쟁력 극대화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산업발전에 기여 - 인도 문화와 환경에 맞는 현지 특화제품 생산 및 Flagship모델 등 고품질 제품 안정적 공급 추진 * 내수,글로벌 물량 확대공급으로 영업이익 급성장 (‘22년 1,356억원 →‘24년 전망 7,052억원) * ESG 경영 중심의 제조공정 인프라 구축으로 환경 친화적 무재해 사업장 운영 : Global EHS 평가 RBA Platinum 등급 취득('24년) - Global 제조 트렌드 기반 미래형 생산체계 구축 및 인재양성 * AI기반 지능화/자동화/정보화 (NEW 제조 플랫폼 구축) * 기술혁신을 통한 공정 자동화 확대 및 고도화(로봇,비젼,검사,조립공정 자동화) * 생산, 품질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인력개발 프로세스 구축 ·법인 특화교육 인프라 구축 및 맞춤형 커리큘럼 운영 ·생산혁신 우수 인재 양성 : 지역대학 협력 교육과정 운영 * 외주 및 협력업체의 동반성장을 위한 상생협력 활동으로 지역산업 발전 기여 ·체계적인 외주/협력업체 교육,지도를 통한 100% 적기공급 프로세스 정착 7 성남도시 개발공사 (박민우) 26년11월 ▪ 공정과 상식의 시민중심 최우수 공기업으로서 4차 산업혁명 기반 공공서비스 시스템 고도화 및 시민권익 증진 기여 - 소통과 공감의 열린 경영환경 서비스혁신 추진 및 상생 성장 * VOC 통합 관리프로그램 구축을 통한 고객중심 서비스 혁신 * 고객참여위원회 주민참여예산제도, 시민서비스 평가단 등 운영 * 교육문화공간 청소년 문화의집 조성, 고용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백현마이스 도시개발사업 추진, 행정복지센터, 복합청사 신축 건립 등 * 중소기업 신기술공법 개발사업 적용으로 기업상생 지역경제 발전 도모 - 4차 산업혁명 기반 공공서비스 시스템 고도화 및 사회적 책임 실현 * 고객편의 제공 비대면 자격확인 서비스프로그램 자체개발 (주차장, 체육시설 이용자 자동할인 서비스) * 시민체감 디지털 서비스 체육시설 예약시스템 자체 개발 * ICT 기술 활용 도서관 실감형 체험 공간 조성으로 디지털 체험형 독서 콘텐츠 제공 * QR코드 활용 노상주차장 간편 결제시스템 도입 및 사전정산 시스템 자체 개발 * 지역사회 고용 증진을 위한 청년채용 확대, 소상공인 임대료 및 관리비 감면 등 8 수원특례시 (이재준) 29년 ▪ 적극적인 품질경영 지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시민의 풍족한 삶에 기여하고 타 지자체의 품질경영활동 선도 - 기업 품질경영 활성화를 위한 시책 추진 및 인프라 지원 * 대기업·첨단기업 유치시책: 수원시 기업유치 촉진 조례 제정, 기업 유치 투자협약 체결 등 * 환상형 첨단과학 혁신클러스터 조성 추진: 탑동 이노베이션밸리, R&D사이언스파크 조성계획 추진 등 * 창업지원센터, 창업보육센터,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기업지원센터, 수원일자리센터 운영 * 기업애로 해소지원, 기술개발 및 판로개척지원, 기업자금지원 등 - 산학연 연계협력을 통해, 인재양성, 기술개발, 창업생태계 활성화 지원 * 지식재산 창출, 창업촉진 지원, 경기도GRRC 연구센터 지원사업 * 창업중심대학,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 지원 등 * 품질경영 확산을 위한 전국 규모 행사 개최 및 네트워크 구축 ·‘24년 제50회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개최 ·제1회 수원시 기업인의 날, 제27차 세계한인경제인대회, 생생 수출마당 행사 개최 등 9 에이치엘비㈜(진양곤) 38년6월 ▪ 선도적·진정성 있는 ESG경영 활동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모델 제시 - 영국의 Financial Times와 독일의 ESG평가 기관 Statista 주관 2024 Asia Pacific Climate Leaders 선정 * K-RE100 가입 및 온실가스 배출 전년대비 17% 저감 * 재생에너지 전환비율 5% 달성(6개월 운영실적) *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조류충돌방지활동 시행 - 지배구조의 투명성과 이사회의 독립성 강화를 위한 이사회 중심의 경영 * UN SDGs 목표의 조기달성을 위한 Forward Faster 이니셔티브 가입 및 활동 강화 * 인권영향평가 실시 및 여성직원비율 50%, 여성관리자비율 30% 이상 달성 * 지역사회 환원을 위한 ‘늘봄어린이공원’ 개선 사업 * 이사회 산하 보상위원회 신설 * 보수의 적정성 검토를 위한 이사회 평가제도 도입 * 계열사간 거래 투명성을 위한 내부거래위원회 신설 10 유한킴벌리㈜(진재승) 54년1월 ▪ 40년간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숲환경 공익 캠페인 전개, 기업사회공헌 및 생활/건강/지구환경을 위한 비전 실천과 지속가능경영 선도 - ESG경영 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및 지속가능경영 고도화 * 전략적 ESG 대응체계 구축 및 CEO 직속 ESG 위원회 출범(‘21~) * ESG 10개 분야 66개 과제 도출·이행과 노동·인권·공급망관리·생물다양성 정책 구축점검 * 2030 지속가능성 목표(숲/사람/제품) 수립·이행 ·숲 :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 통해 6,000만 그루의 나무를 심고 가꾸기 ·사람 : 5,600만 명 삶의 질 개선(누적 3,750만, ’23) ·제품 : 지속가능제품으로 매출 95% 달성(60%, ‘23) * 국내외 약 16,500ha(여의도 56배)에 5,700만 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고 가꿔왔으며, 약 17만명의 일자리 창출 기여 - 지속가능한 공급망 생태계 구축을 위한 그린 액션 얼라이언스 출범(‘22~) * 소재·원부자재·제조·물류·유통·소비 전 과정의 자원 순환 경제 전환을 위한 기업간 연대 추진(삼성 등 40곳 이상) * 핸드타월 재활용으로 ‘23년 약 50,842kg 재활용 (온실가스 48,954 kgCO2eq 감축, 5,380그루 식재 효과) * 취약 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헌(~‘23, 누적 기부 2,600만 개) 11 인천광역시 연수구 시설안전 관리공단 (박희경) 6년11월 ▪ 디지털플랫폼 기반의 공공 무료서비스 활용 등 고객참여 경영을 통한 고객만족 우수 공기업 도약하며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외부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2023년 공단 설립 이래 최고점수인 89.8점 달성 * 사업별 현장접점에서 면대면 고객간담회를 통한 고객동행경영 실현 ·‘23년 고객간담회 중 도출된 개선과제 총 38개 개선 완료(100% 달성) * 디지털플랫폼 기반의 공공 무료서비스 활용을 통한 공단 이용객의 접근성 향상 * 공단 카카오톡 비즈니스 채널에 연계하여 이용방법 문의 등 단순문의사항 챗봇 서비스를 통하여 전화 문의 감소(공단 전체 VOC 감소) - CS전문가 및 연수구 주민으로 구성된 고객참여추진단 운영 * 공단 시설이용 개선방안 제안(총 22건 발굴) * 전화친절도 모니터링(2023년 총점 93.0점 전년대비 5.1점 상승) 12 인천시설공단(김종필) 22년1월 ▪ 내부고객 만족을 통한 혁신 공공서비스 개발·제공으로 시민 행복을 실현과 지역 중소기업 협업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 행정안전부 주관 고객만족도 조사 3년 연속(‘21-’23) 광역시설공단군 1위 달성 * 조직문화 개선을 통한 내부고객 만족도 및 업무 몰입도 제고 * 고객접점직원 직위명 부여로 소속감 증진 * 임금 실무협의체 운영으로 상생 노사관계 구축 * 시민참여와 민간협업 혁신 플랫폼 I.S 리빙랩 운영공공서비스 혁신 패러다임 정착 * 시민 스스로 지역사회 문제를 발굴하고 민관 협업으로 해결 : 수요자 주도 공공서비스 장출 (블루카본 서식지 조성 6,000평, 노인일자리 904명 창출, 맨발길 매개 지역 공동체 회복 등) - 지역 중소기업 협업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 공동연구 개발 성과공유(12건), 테스트 베드 제공 및 실증사업 제품 구매(3억원) * 스포츠 창업지원센터 운영지원(18개사 보육, 9개 제품 실증 지원, 청년일자리 24개 창출) 13 ㈜보광산업 (김윤수) 19년8월 ▪ 고품질 제품 신뢰 제공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사회 공헌 등으로 지역사회 및 산업발전에 기여 - 지역 최고 생산능력과 고성능(고강도)레미콘 기술역량 보유로 건설업계 호황 선도 * 고성능(고강도)레미콘 출하 비중 확대(‘21년 6.5%, ’22년 13.2%, ‘23년 15.1%) * 지역 유일 KS인증 골재 생산으로 레미콘 품질 향상에 기여 ·지역 유일의 골재 KS인증(23년 12월 31일 기준 전국 15개, 대구 1개: 당사) * 친환경 제품 개발로 탄소 배출 저감에 기여 ·자원재활용 제품 및 비가열 방식으로 대구 유일 순환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우수재활용제품(GR인증) 완료 ·석산단지: 환경부 주관 제4회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 우수사례 선정(우수상) - 기술 개발을 통한 품질경쟁력 제고 및 산업 발전에 기여 * 고강도, 고유동, 저탄소 추세에 따른 레미콘 사용자재 개선 및 배합설계 개발(최근3년: 3건) * 연구 개발을 통한 석분슬러지 함유 일반강도용 초유동 콘크리트 제조 기술 확보(특허등록), 습식 석분슬러지 함수비 측정 기술 확보(특허등록) 14 ㈜에스텍시스템(이병화) 25년3월 ▪ 보안, 시설관리, 방제, 미화 등 고객 안전, 안심 분야의 혁신을 통해 해외 시장 개척과 건물종합관리 부문 선도 - 경호, 공공안전 강화 및 2차 범죄 예방 및 대외 성과 창출 * 민간경호 질적 향상 및 공공안전 발전 기여 * 피해자 대상 만족도 조사 불만족 0% * 업계 최초 <백만불 수출탑>수상 ·소방, 방제 베트남 해외법인 운영(에스텍비나, 새니텍베트남) 업계 최초 백만불 달성 * 에스텍비나 베트남 소방 제품 수출입 인증기관 지정(양질의 소방제품 수출입 기여) * 시설종합서비스관리부문 <FM대상> 2년 연속 대상 수상 ·FM학회 주관 시설경영부문 대상 및 공로상 (관리비 비용절감, 시설물 가치상승, 시설물 관리 강점 적용) - 고용노동부 2023년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 고령자 채용활성화로 계열사 에스텍세이프 고용노동부 으뜸기업 선정 15 ㈜원익큐엔씨(백홍주) 20년5월 ▪ 중견기업의 선도적 ESG경영 실천으로 고객만족 및 수출을 통해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 - 중견기업에 적합한 ESG경영체계 도입과 환경분야에 대한 지속적 투자하며 사회적책임 실현 * ESG컨설팅(‘21.12), 대응조직 구축(’22.4) * ESG평가(’22.5~; 한국ESG기준원, CDP) 내부역량을 고려한 단계별 미흡 사항 개선 * ECO 세정기술 개발/폐수재활용 설비 투자 등 * FEMS(Factory Energy Managenent System)투자(35억원) - 안전한 일터 제공을 위한 안전환경 조성과 협력사와의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 * 통합방재실(19억) 및 건강관리실 등 시설투자 * 임직원 정신건강 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 유해위험설비 개선을 위한 지속적 투자진행 * 공정거래협약 이행평가의 자발적 신청(‘22.10)(’23년 평가결과 우수) * 유턴기업으로 국내 신공장 건립(993억) * 지속적인 사회공헌활동(2.1억→3.5억) 16 ㈜케이디파인켐(박현진) 45년6월 ▪ 친환경 지속가능한 기술개발과 혁신적인 제품개발을 통하여 정밀화학 기업으로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 - 신기술, 신제품 개발을 통하여 품질경쟁력 제고와 산업발전 기여 * 국내 최초 장수명 부동액 개발(10년 보증 제품 보급) * 친환경 자동차 냉각시스템 향상 ·세계 최초 수소연료전지 스택 냉각액 개발 ·국내 최초 배터리 냉각액 개발 및 국가핵심기술 선정(18년) ·국내 최초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냉각액 개발 * 부동액 분야 최초 환경성적 공개 ·부동액 13개 제품 ‘환경성적표지’인증 취득 ·탄소발자국 저감 ‘저탄소제품’인증 추진 - 정부정책 참여 및 친환경 제설제 개발, 소비자 만족에 기여 * 친환경 제설제 개발을 통한 사회적책임 실현 ·영하 10도 이하에서도 안정적인 제설 및 토양 오염 예방 ·국내 제설제 최초 ‘환경표지’인증 취득 ·요소수 사태에서도 안정적인 요소수 공급 17 ㈜케이티씨에스(김현수) 22년10월 ▪ 끊임없는 품질경영 혁신 활동을 통한 안정적 서비스 공급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서비스 산업 발전에 기여 - 고객만족 실천으로 대한민국 서비스 산업 개발 및 혁신 선도 * KS-SQI 서비스 품질지수 우수 콜센터 연속 선정 * 이동통신 및 초고속인터넷 전 산업 KS-CQI 연속 우수 콜센터 선정 * 사옥 투자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제공 및 직원 근무 만족도 개선 주도 * 휴먼상담-AI 간 결합을 통한 AICC 고객센터로의 패러다임 변화 주도 ·KT의 우수한 AICC 기술에 당사의 고객센터 운영 노하우를 적용 고품질의 표준화된 서비스와 고객만족 제공 ·고객에게 옴니채널 상담AP/보이스봇/챗봇/상담Assist 등 AI솔루션 제공으로 고객만족도 향상 및 업무처리시간 단축 등의 개선 기여 - 체계적인 품질경영시스템 구축과 인재양성을 통해 경쟁력 제고 * ISO 27001, ISO 45001인증 획득: 컨택센터-AICC우수기업으로서의 신뢰성 입증 *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을 통한 HR 부문 패러다임 변화 주도 ·AI 인재 육성에 전사 역량을 집중하여 중장기 사업전략 및 혁신성장 달성 18 한국남동발전㈜(김회천) 23년 ▪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지속가능한 미래성장을 선도하며 전력산업 발전에 기여 - 발전 운영기술 최적화로 국가 전력공급사업 안정화에 기여 * 전력공급 변동성에 최적대응으로 설비운영 신뢰성 확보 (발전사 최저 발전원가 및 최저 고장정지율 달성) * 에너지절감 혁신활동 시너지(C+nergy) 운동 추진: 발전효율 0.12% 향상 및 연료비 169억원 절감 - 신성장동력 확보로 정부 에너지전환 및 탄소중립 목표달성에 선도적 역할 수행 * 국내최초 해상풍력(탐라해상풍력) 운영노하우 공유로 국내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 확장에 주도적 역할 * 석탄재 업사이클링 및 폐기물(음식물 쓰레기 등) 연료화로 지속가능 순환경제 생태계 조성 * 발전운영분야 최신기술 적용으로 전통적인 전력산업의 디지털 전환 ·발전기술과 ICT 기술이 융합된 지능형 디지털 발전소 구축 (영흥 5,6호기, 신재생에너지 운영분야) ·KOEN 표준 디지털 재난·안전 플랫폼 구축·운영으로 안전한 일터 조성 19 한국부동산원(손태락) 55년 ▪ 기관 맞춤형 e-HRD 플랫폼 도입·운영관리와 맞춤형 직무 역량 강화로 인적자원관리 연계 실현 및 상시 학습문화 조성, 혁신 조직 및 사회적 책임 구현 - 기관 맞춤형 인재육성체계 구축 및 교육성과 평가 환류 체계 활용, 역량진단에 기반한 다양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운영 * 38개 직무별 사내 전문강사(THE REB MAESTRO) 체계적 양성․관리, 경력개발 지원(원내․외 다양한 학습경험 기회 제공) * 4단계 교육평가(과정만족도→현업적용도→종합교육만족도→조직몰입도)를 통한 교육운영 환류체계 강화 * 전문가 지향 경력개발 지원체계 구축, 경력개발 유형별 역량강화 교육체계 구축: 부동산 직무 전문가(Specialist) 양성체계 기반 교육 혁신 지속 추진 * 인재개발통합플랫폼 구축, 맞춤형 역량개발 솔루션 제공, 자기주도 학습성장 문화 조성 - 역량 중심 직무 기반의 인적자원관리와 지역사회 동반성장 및 일자리 창출 * 직무급 비중 확대로 ’22년 직무급 평가 우수기관 선정 및 기관 직무급제 운영 전략 공유로 직무급 확산에 기여 * 지역사회 동반성장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부동산개발 전문인력 양성 ·‘13~’23년 총 26회 교육실시, 총 796명 전문인력 양성 20 한미약품㈜ (박재현) 50년10월 ▪ 인간존중, 가치창조의 경영이념을 바탕으로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ESG경영 확대하며 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 - 2017년 제약업계 최초로 사회책임위원회(CSR위원회) 신설하여 ESG경영과 글로벌 비즈니스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전략 수립 * 17년 ESG전담조직 신설 및 사회책임위원회인(CSR위원회)를 신설 * 2018년 국내 제약업계 최초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국내외 정책 등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를 기반으로 탄소중립 및 환경영향 최소화를 목표로 수립하고 세부사항을 매년 보고 * 2030NDC/2040 NetZero 전략 수립 및 Scope3 관리체계 고도화 실시 - 의학적 미충족 수요 높은 분야의 혁신창출 위한 R&D전략 수립 및 실행 * 희귀의약품 총 21건 지정 (미국FDA 10건, 유럽EJMA 8건, 한국신약처 3건/국내 제약업계 중 최다) * 국내 비만약 개발사 중 최초 임상 3상 진입(에페글레나타이드). * 자체기술(Lapscovery)통해 약효 지속시간 늘린 신약(롤론티스) 2022년 항암분야 국내 제약업계 최초 미국 FDA 승인 및 출시 21 현대트랜시스㈜(여수동) 24년4월 ▪ 고객 중심 품질경영 및 전동화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자동차 부품 산업 선도하며 글로벌OEM 파트너십 강화 및 수주 확대로 산업 경제발전 기여 - 최고 제조 프로세스 기반 제품 경쟁력 확보 및 전략적 연구개발 추진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대 선제적 리딩 * 세계 유일 변속기 전 라인업 생산능력 구축 및 글로벌 공급 확대(폭스바겐/스텔란티스 등) * ’19년 통합 출범 후 매출 기존 대비 53% 증가: (‘19년 7.7조 → ’23년 11.7조) * 세계 최초 전기차용 디스커넥터 시스템 개발: 동력 효율 전비 효율 향상(약 6~8%) * 차세대 하이브리드 구동시스템 독자 개발 및 기술 내재화 - 협력사 대상 동반성장, 상생협력을 통한 자동차 부품 산업발전 기여 * ’23년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부문 대통령 표창 *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 최초 9년 연속 동반성장 지수 최우수 * ’23년 현대/기아자동차 클레임 비용 절감 최우수 분과 선정 * 초기(3M) 필드클레임 ’21년 대비 54% 개선 3. 계량측정산업발전 유공 정부포상 후보 공개검증 1. 추천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2. 포상목적 ㅇ 경제혁신의 기반기술인 계량측정 기술개발로 품질을 향상시키고 계량측정 산업 진흥과 법정계량 선진화에 기여한 유공자 및 기업(단체)를 포상하여 계량측정산업 발전 촉진 및 국가 경쟁력을 강화 3. 포상예정일 : 제54회 계량측정의 날 행사에서 포상 ㅇ 일시·장소(예정) : 2024. 10. 30.(화), 서울 4. 정부포상종류 : 미정(행정안전부와 협의하여 포상규모 결정) * ‘23년도 규모 : 정부포상 8점(훈장 1, 대통령표창 3, 국무총리표창 4),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표창 17점 5. 포상 후보자 명단 및 공적요약 : 붙임3 참조 6. 기타사항 ㅇ 포상 추천 대상자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수렴을 위해 포상 후보자에 대한 주요공적을 공개하오니, 동 사항에 대한 의견이 있으신 경우에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계량측정제도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자 : 지민호 연구사, 전화: 043-870-5531, 이메일: mhjee@korea.kr - 공개검증 기간 : ‘24. 8. 1(목) ~ ’24. 8. 16.(금), 17일간 ㅇ 보내주신 의견에 대하여는 별도 회신하지 않으며 자체검증 후 공적심사 자료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붙임3] 정부포상 추천대상자 공적개요(가나다 순, 후보자 포함) 번호 성명 소속단체·직위 (수공기간) 공적개요 비고 1 강웅 한국표준 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13년 8개월) ▪국내 최초 수소충전소-수소전기차간 계량상거래용 수소유량 헌장교정시스템 개발하고, 지역별 수소충전소 현장실증연구를 수행하여, 수소충전량 계량상거래 공정성 확보를 통한 국내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기여 - 정부의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에 따라 ‘25년 예정된 수소전기차 충전기 법정계량제도 이행시 요구되는 수소유량 현장교정시스템의 해외기술 및 제품의 대체효과 발생 - 수소충전소에서 수소전기차외에 안전 및 계량성능에 관한 장치들도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법령제정에 관한 업무에 기술전문가로 참여하여 최종적으로 2022년 2월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로 ‘수소자동차 충전소의 안전성능 및 계량성능 평가장치 운용에 관한 특례기준’제정에 기여 ▪세계 최고 수준의 전국 도시가스 계량용 온압보정계수 산출 고도화 기법 개발을 통해 국민소비생활 보호 및 공정한 계량 상거래유지 기여 - 매년 산출하는 도시가스 온압보정계수의 정확성 제고를 위해 계수적용 지역의 확대(기존 28개 지역 → 54개지역), 보정계수 산출주요인자 업데이트(매월/매일/매시간 가스사용량, 가스계량기 설치고도, 가스계량기의 난방용 및 취사용 비율, 가스계량기의 실내와 실외 설치비율), 가스 계량기 설치 조건분석(계량기 설치 공간 온도 및 배관길이) 등의 산출 고도화 기법 개발 ▪가스계량분야 측정기술 전문가로서 SCI 논문게재, 국내외 특허출원, 기술이전, 언론홍보, 기술교육 참여, 법정계량 국제협력 참여,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등을 통해 국내 계량측정기술 선진화에 기여 2 길해근 한전원자력 연료(주) 기술차장 (28년 1개월) ▪제조 및 설계 분야 계량기술 자립을 선도하여 국가발전에 기여 - 2022년부터 업무혁신 및 프로세스 개선의 일환으로 다측정포인트를 가진 계측기에 대해 삼차원측정기 CNC프로그램을 활용한 측정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연 23일 측정시간 단축 - 최근 5년간 국가전략사업의 일환인 UAE 수출용 원자력연료의 적기 수출을 위한 운반용기 주기검사와 계측기 교정 및 성적서를 제공하여 연료 해외 수출 기여 - 최근 3년간 한국형 녹색 분류체계(K-택소노미)에 따라 개발중인 사고저항성연료의 계측기 교정(40개)과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미래형공장(3공장)의 최초 가동을 위한 측정 및 교정(300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국가 기술개발에 기여 ▪교정기술 지원, 적기 인수검사 등을 통해 국민만족도 상승에 기여 - 협력회사 품질확보를 위한 교정기술 지원으로 상생 도모 - Flange 나사 검사 게이지 등 전용게이지 대여와 계측기 교정 지원을 통한 협력업체 교정 만족도 향상 및 지속적 개선 수행 ·협력회사: KWN, 대덕정밀, 세형 ·실적: 2019년 131건, 2020년 96건, 2021년 215건, 2022년 169건, 2023년 47건 ▪ 원자력품질요건(ASME NQA–1) 및 KS Q ISO/IEC 17025 요건을 만족하는 교정시스템 구축 및 운용 - 매년 67건의 교정용표준기 대외 교정 및 553종 계측기의 자체 교정 안정적 수행 3 김광철 ㈜에이치시티 차장 (15년 1개월) ▪ 국내 최초로 주파수 30~300 GHz 범위의 초고주파 mmWave 시험에 사용되는 장치의 공인교정기술을 개발 및 셋업하였고, 해외에서만 점검으로 받아오던 분야의 교정을 국내에서 진행함으로써 수입대체효과를 발생시켜 국내 측정 품질과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기여 - 2023년 7월에는 약 6개대만 시험기관의 mmWave 장비 교정수요를 적극 대응하였고, 국내 기술을 해외에도 보급하며 기술 선진화에 기여 - 기존에는 미국 OML, NIST 등 해외에서만 진행했던 점검 및 교정을 국내 민간기관 최초로 셋업하여 서비스하며, 국내 시험기관의 평균단가 절감 및 수입대체효과를 얻었으며, 평균 납기도 6~10주 걸리던 것을 국내에서 2주 이내로 서비스로 보급 - 특히, 대만 시험기관은 mmWave 교정기술로 2021년 ~ 2024년까지 약 12.3억원의 외화 매출 발생에 기여함 ▪ 2016년 측정종합솔루션 글로벌 미국회사인 National Instrument(NI)에서 세계에서 8번째, 국내 최초로 NI 모듈타입 계측기의 공인교정센터로 지정되어 국내 기술 선진화에 기여 - 국내에 있던 NI 계측기들은 공인 교정을 위해 아시아권 또는 미국 NI 본사로 가서 교정해야 되었지만, HCT에서 이를 가능하게 시스템 구축 및 셋업 그리고 공인교정센터로 지정되어 국내 계량측정산업의 진흥과 선진화에 기여 ▪ 2018년 당시 국내 민간기관 최초로 표준안테나& 전계프로브 교정시스템 기술개발 및 시스템 구축하여 국내 시험기관의 안테나와 필드프로브를 공인교정함으로 써 국내 시험산업 발전에 기여 4 김동후 HD현대일렉트릭㈜ 기장 (28년 1개월) ▪ 후보자는 약 30년간 국내·외 전력기기 공급을 통해 전력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였으며, 가상증강현실(AR) 검사를 통한 검사 혁신을 도입하여 검사 방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 - 변압기의 제관부품 품질검사를 통해 국내·외 발전소, 전력공사 및 전력 인프라 구축과 운영과 관련하여 연간 5천억 원 이상 매출실적에 기여하고 있으며, 원자력 발전소용 전력변압기의 제관부품 검사를 통해 신고리 5, 6호기(새울 3,4) 주변압기 및 대기보조변압기, 소내보조변압기의 품질관리에 기여하였음 - 국내 주요 산업 시설(삼성전자, SK하이닉스, 포스코 등) 공급용 전력변압기의 제관부품 검사를 통한 품질관리에 기여 - 영국의 National Grid, 캐나다 BC Hydro, Hydro One, 사우디 전력청, 인도네시아 등 주요 국가별 전력설비 운영사 대상으로 전력변압기의 안정적인 공급에 기여하여 연간 3천억원 이상의 수출에 기여 5 김명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 기술원 (39년 5개월) ▪후보자는 길이표준의 소급에 가장 중요한 표준기인 게이지 블록, 표준자 등의 교정업무를 39년간 수행하여 산업체의 길이표준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게이지 블록 비교측정기, 수준기 교정장치, 선형 교정장치 개발에 참여하여 기술이전을 통해 산업체에 보급하였다. 길이 표준의 소급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내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기여 - 길이분야의 가장 상위 표준인 게이지 블록, 표준자, 스텝 게이지의 교정을 전담하면서 국가교정기관이나 기업체에 길이표준을 보급하여 길이표준소급체계를 확립하여 산업체 품질향상에 기여 - 해외표준기관의 게이지 블록, 표준자, 스텝 게이지 등 기관의 표준기 교정 등을 통해 외국의 표준 소급에 기여를 하였으며 높은 국가의 기술력을 보여주었음 - 국가교정기관의 순회측정(숙련도 시험) 및 측정심사의 기준 시험소 담당자로 기준값 제공을 통해 국내 측정 능력 향상에 기여함 - 길이 표준의 유지와 보급·향상을 위한 연구 업무를 지원해 왔으며 소속기관의 기본사업에 해당하는 연구지원 외에도 기술개발 업무를 지원하여 관련 기술을 국내 산업체에 이전 6 김종윤 한국기계전기 전자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24년3개월) ▪ 계량기 국산화 및 국내외 진흥활동으로 계량측정 선진화 활동 및 국민불편감소, 국민소비생활 보호에 기여함 - 국내최초로 2 t분동을 국산화 개발하여 대형저울 검사 효율성 증대하는 사업에 참여하여 대형분동의 수입 대체 효과 및 설비투자 확대에 기여함 - 국내 최초로 계량기에 QR코드 기반의 법정계량기 이력정보 시스템 구축 사업에 참여하여 계량측정분야에 기여함. - 국내 최초로 ICW (International Conference of Weighing) 학회에서 비자동저울 분야 발표를 통하여 국내 계량기 수출에 기여함. - 비자동저울(대형저울)의 검정 기준 및 관리체계 정립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여 계량측정분야에 기여함. - 계량분야 무상 원조 사업(ODA)에 참여하여 수원국의 계량산업분야의 발전에 기여와함께 계량기 수출확대 및 국내 계량업체의 매출향상에 기여함(불리비아,에콰도로,코스타리카) - 질량계량기 작업반 간사로 활동하면서 중소기업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여 중소기업 운영에 개선함. ▪ 지방자치단체의 정기검사 시 활용할 수 있는 S/W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정확한 검사 및 지자체 업무 편의를 혁신적으로 도모함 ▪ 불법계량기 신고 센터 및 경찰업무에 협조하여 계량기 관려하여 국민불편 및 국민소비생활 보호에 기여함. ▪ 불법계량기 행정조치(형식승인 취소) 및 추석/설 명절 특별점검을 통하여 국민소비 생활 보호 및 불편감소에 기여함. 7 김진택 삼성 계기공업 대표 (34년 4개월) ▪ 계량계측 분야에서 34년간 첨단 기술 개발 및 설비의 현대화를 위해 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해 친환경, 품질 경영을 실천하고 있으며 수도미터, 전자유량계, 계측관련 기기 생산 및 공급 전문 기업으로 성장시켜 국가 수자원 관리에 기여함. - 수도미터의 계량 품질향상과 유해물질 원천차단을 목표로 주물, 사출부품 및 연산부 국산화율 100%의 제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동 보정이 가능한 시험대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차별화된 수도미터 생산이 가능해짐. 또한 친환경 폴리머 신소재(폴리케톤)를 활용한 수도미터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녹색인증 기술을 취득, 2020년부터 서울시를 비롯한 지자체에 10만개의 폴리케톤 수도미터를 공급해 중금속 용출에 대한 국민적 불안 해소에 기여함. - 수입의존도가 높은 상하수도 시설용 전자유량계 제품군의 국산화를 위해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 기술로 직접 개발, 생산한 제품을 갖추고 국내 시장에서 누적 판매 300억 원의 실적을 기록하는 등 수입대체 효과를 창출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방식 보편화 및 효율적 업무 수행을 위해 원격검침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후보자는 86만대의 디지털 수도미터를 공급해 스마트미터 보급 확대에 기여함. 또한 최근 4년간 21만대의 원격검침단말기를 설치하고 운용해 국내 각 지자체의 스마트 원격검침 환경 조성사업 도입에 앞장서고 있음. 8 김현준 삼성 디스플레이 (14년 9개월) ▪ 세계 최초 생성형 AI 기반 가상 이미지 활용 배선 폭 계측 기술을 디스플레이 패널 발광영역에서 패널 상부 터치 영역까지 확대 적용하여 패널 전체 영역을 계측할 수 있게 계측 기술을 고도화하고 계측 Recipe用 Run을 제거하여 개발 비용 저감에 기여 - 당사 全 제품 및 全 라인에 확대 적용하였고 제품 17種 검토 결과 계측 성공률 100%로 계측 오류 및 운영 관련 이슈 사항 없음을 확인하여 기술 검증 강화 - 계측 기술 고도화로 계측 Run에서 발생 되는 제품 개발 기간을 최대 8日 이상 단축하여 제품 경쟁력 강화로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 - 가상 이미지를 활용한 기술을 계측 분야 外 생산 中 계측 되는 이미지와 배선 폭을 매칭하여 실시간 불량 모니터링까지 기술을 확대 적용하여 당사 생산성 향상 - 제품 적용에 따른 가상 이미지 DB 확대로 계측 안정성 및 정밀도 향상하여 당사 계측 기술 고도화에 기여 - AI 기술 적용 계측 기술로 계측 인력 AI 역량 및 전문성 강화하고 분석 등의 他 분야까지 업무 범위 확장함 9 박주철 구미전자 정보기술원 책임연구원 (30년 1개월) ▪ 세계 최초로 전자에너지손실 참조표준데이터 DB를 개발하여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이차전지 등 핵심산업에 필요한 핵심소재의 전자구조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련 제품의 품질향상과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기여 - 2017년 국가참조표준 데이터센터로 지정되었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이차전지 등 핵심산업에 필요한 핵심소재의 전자구조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에너지손실 참조표준데이터 310건을 생산하였으며, 세계최초로 전자에너지손실 참조표준 DB를 개발하여 검색 홈페이지 운영하고, 데이터북 발간 7회, 관련학회 발표, 포럼 및 부스 운영 등 보급 활동을 통해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기여 ▪ 30년간 LG반도체/SK하이닉스/삼성종합기술원/삼성전자/서울대학교/구미전자정보기술원의 계량측정분야에 근무하면서 반도체관련 투과전자현미경 전문가로서 국제표준 1건, SCI논문 85건, 특허출원 10건 등을 통해 국내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기여 ▪ 25년간 한국현미경학회, 국가과제 및 기관 활동을 통하여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투과전자현미경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계량 측정분야 인력양성 및 고용창출 기여 ▪ 국가참조표준데이터센터 및 우수 논문게재로 투과전자현미경 전문가로서 언론에 수차례 보도가 되었음. - 전자에너지손실 참조표준데이터센터, 소재구조분석서비스와 투과전자현미경 분석결과로 인해 5가지 이슈로 11번 언론보도가 됨. 10 서영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교수 (9년 2개월) ▪ 후보자는 이비인후과 청각분야에 종사하며, 2019년 ‘한국인 청각 데이터센터’의 센터장으로서 기기 소급성을 위한 교정 절차와 데이터 수집 및 평가 절차를 수립하고 2023년도까지 순음청각역치 참조표준 1,089건, 청성뇌간반응 참조표준 72건을 생산 - 청각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라이프로그 빅데이터 플렛폼’의 ‘청각 빅데이터센터’를 수주 받아 방대한 순음청력검사 결과 이미지 파일을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한-스웨덴과학기술공동연구사업’ 중 ‘국내 청각첨조표준인공뼈(skull simulator) 개발’과제에 기기 교정 및 데이터 생산 절차서를 활용하는 등 국내 계량 측정산업 발전에 기여 11 송정우 STX엔진㈜ 과장 (14년 10개월) ▪ 후보자는 경남지역 중소기업체 미 당사 협력업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밀측정기술 및 3차원 측정기술, 화학 및 역학 시험 기술을 제공하여 품질수준을 향상시키는 등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방산기술에 접목시켜 방산무기 선진화에 기여 - 육/해군에 공급하는 방산용 엔진 품질관리를 통해 K9(국산자주포), K2(차세대전차), K1A1(한국형전차), 잠수함(안창호함), 한국형 이지스함(KDX-III) 등에 우수한 품질의 엔진을 공급하여 육/해군의 조기 전력화 및 안정적인 전략 구축에 기여하고 있으며, 국산 무기 수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함. - 방산엔진 관련 기술을 통해 관련 산업발전 및 회사 사회적 인지도를 향상에 기여. - 지역 중소기업에 기술 지원을 통해 에로 사항 해결에 기여. 12 오세헌 한국산업 기술시험원 책임연구원 (17년 4개월) ▪ 국내 최초로 대용량 토크측정기 교정시스템을 개발하여 최대 2 kN·m 까지만 가능했던 토크 측정기 교정용량을 최대 50 kN·m 까지 확대한 Kolas교정시스템을 구축하여 국내측정능력향상과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2023. 10) - 조선, 중공업 등에 사용중인 2 kN·m 이상 대용량 토크 측정기는 기존 해외교정에 의존하여 교정기간 약 60일 이상 소요되었던 것을 대용량 토크교정시스템 개발하여 국내교정기간 약 10일로 획기적 단축과 교정 비용 50 %절감으로 국가경제발전에 기여 ▪ 자동차, 조선, 중공업 등 중요한 조립공정에 사용되는 너트러에 대한 국내 공인 교정 서비스가 전무한 실정에서 해외 자료 및 다년간 산출한 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 최초로 너트러너 KOLAS교정(전자제어, 전기, 공압, 유압) 신규지정을 획득함(2021.11.3) 연간 약2,300대 kolas교정성적서 국내 유일 발행중 - SK, LG 배터리 조립공정, HD현대인프라코어 등 중요 조립공정 등에 사용되는 너트러너에 대한 KOLAS교정서비스를 국내 최초로 실시함으로서, 기술경쟁력 향상 및 국가핵심사업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기업운영 개선에 크게 기여 13 유인성 공군 제85정밀 표준정비창 원사(진) (22년 3개월) ▪ 국방측정표준기관인 공군 85창의 품질책임자로서, 전軍 유일 美공군 정밀측정시험소(AFMETCAL) 및 한국인정기구(KOLAS) 인정평가를 성공적으로 수검하여 공인교정기관 자격 및 군1급 시험소 자격을 유지하는데 공헌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관으로서 군 2·3급 시험소 인정평가를 수행하며 군 교정기관 인정체계를 유지함으로써 군 무기체계 정밀측정장비의 신뢰도 향상으로 국가안보 유지와 계량측정 산업 발전에 기여함 - 美공군 정밀측정시험소 및 한국인정기구 인정평가 수검(美공군, KOLAS 격년제 수검) - 군 2·3급 정밀측정시험소(2급 7개소, 3급 5개소) 인정평가 수행(육·해군, 공군 격년제수행) ▪ 공군 내 신규 도입 장비(항공기 발전기용 시험대)의 국외교정 시 발생하는 예산 절감을 위해 군창정비(교정) 능력개발 완료 - 국외 교정비 약 2.6억원의 예산절감 효과(연 1,726만원, 수명주기 15년 고려) - 정비기간의 획기적 단축(6개월→1개월)으로 작전수행능력 향상 14 이갑조 ㈜한국 투엠 대표이사 (43년 2개월) ▪ 세계 최초로 정밀측정의 가장 기본이 되는 나사측정 자동연산프로그램이 적용된 표준측장기를 개발하여 기존 제품 대비 측정시간의 단축 및 측정오차의 최소화로 관련 제품의 품질향상과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기여 - 나사측정시 측정과 동시에 자동연산으로 나사유효경 값을 계산하는 나사측정 자동연산프로그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기존 측정기에 비해 30%이상의 측정시간 단축과 측정오차를 없앤 측정기를 국내 보급 ▪ 산업체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길이분야 초정밀측정기기의 국내 최초(세계 3번째)로 개발하여 기존 제품 대비 측정시간의 단축 및 측정오차의 최소화로 관련 제품의 품질향상과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기여 -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정밀측정기 4종(나노급 높이측정장치, 길이 변위계 시험기, 다이얼 비젼 시험기, 3차원 공간오차측정장치)을 국산화하여 연간 약 500만불의 수입대체효과 및 기술 선진화에 기여 ▪KOLAS 공인교정기관을 운영하면서 43년간 계량·측정·교정 기술, 측정 전문인력 양성, 표준교정 절차서 및 교정 ERP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실량검사시스템 구축과 법정계량단위 정착 활동 등 국내 계량측정산업의 진흥과 선진화를 위해 기여 15 이재호 ㈜에프엠테크 이사 (19년 6개월) ▪ 후보자는 약 20년간 계량측정분야에 종사하며 유체·유동분야 이동식 교정설비 자체제작 및 산업체에 보급하여 측정의 정확도가 보증될 수 있도록 함 - 교정실무자, 기술책임자, 품질책임자 업무를 수행하며 측정기의 점검 및 작동상태, 영점조정, 정밀정확도 노하우를 SK에너지 외 13개社에에 전수하였으며, 제품의 성능보장 및 측정결과의 대외 신뢰도를 확보함으로써 소급성 확보에 기여 - 고정표준실에서만 이루어지는 유체유동분야 교정시스템을 개선하여 산업체 현장에 직접 찾아가는 현장교정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일자리 및 매출증대를 통해 국가경제발전에 기여 16 임선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12년 5개월) ▪후보자는 광도복사도 분야에서, 중적외선 반사율 일차표준을 확립하고, 적외선 위성영상 검보정 핵심측정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이는 수입대체가 불가한 기술로, 일부를 국내업체에 이전하여 1년 만에 약 20만 불의 매출달성에 기여 - 중적외선 위성영상 검보정을 위한 기준물은 분광 복사율을 균일하게 가지도록 설계한 것으로 매우 독창적인 기술이며 해외에는 없는 유일한 중적외선 분광 복사율 기준물임. (국내 업체에 제작기술이전, 선급기술료 3천만 원, 경상기술료 3 %, 23년 기준 관련 매출 약 1.8억 원, 25년 관련 매출 약 10억 원 예상) - 지상 관측 중적외선 복사온도계는 적외선 위성영상 검보정에 필수적인 현장관측 장비로서 세계적으로 상용화된 제품이 없음. Lock-in 측정 기술을 접목하여 개발을 완료함. (국내 업체에 기술이전 예정(25년), 선급 기술료 약 1억 원, 경상 기술료 5 % 추진) - 중적외선 우주관측 위성 탑재체의 지상 평가용 대형 적분구 광원을 미국 NASA의 요청으로 개발을 완료함. (22년, 업체를 통하여 미국 Caltech에 납품, 제품가격 약 2억 원) ▪후보자는 2023년 최우수저널(상위 5 %)에 논문을 게재하는 등 광측정, 광기술과 관련 총 17편의 SCI 논문(주저자/교신저자 11편)과 40여 편의 국내외 학술발표를 수행하여 전문가로 인정 17 전진현 대구광역시 동구 지방공업 주사보 (5년 1개월) ▪ 대구시 최초로 계량기 정기검사의 행정상 관행을 개선하여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검사를 실시하고 업무효율을 향상시켜 예산 절감 - 소요예산 23,000천원 정도 → 20,000천원 정도 감소, 3,000천원 절감 (인건비 : 계약기간 전체 지급 → 실제 검사일만 지급하여 예산절감) ▪ 계량기 자체정기사업자, 수리업, 제조업 등록업체 소속 전문기술자 참여로 검사방법 개선 - 불합격 저울 기존 : 42대 → 개선 : 9대로 감소 - 검사주기가 2년으로, 공백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저울을 정기검사 중 무상점검 및 수리 실시 : 237대 - 검사에 불합격하게 되면 영업이 불가능한 상황과, 검사기관에 별도로 방문하는 이동경비, 시간과 기회비용 등을 줄여 약 10억원 이상*의 사회적 효과 발생 - 검사시간 약 53% 이상 감소(1대당 150초 정도 → 70초 정도) - 고정되어 있거나 몸이 불편하여 이동이 어려운 현장 등에 방문검사 실시 : 128대 - 계량기 정기검사에 정보처리기사, 전자공학과 학사 등 현 계량기의 기술상황에 맞는 이공계 인력을 투입하여 참여 자격 및 기준 수립(규정 및 기준 없음) - 타 지자체(대구광역시 중구 등)에 계량기 자체정기사업자, 계량기 수리업, 계량기 제조업 등 전문업체와 전문 기술자를 계량기 정기검사에 참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음. 대구 지역의 계량기 정기검사 방법을 이전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방식을 전파함으로써 타 지자체의 계량기 정기검사 예산을 개선된 방안으로 수립 완료에 기여 18 조상호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책임연구원 (7년 10개월) ▪ 후보자는 전기차 충전기의 안정적인 제도정착을 위해 형식승인/검정기관 추가지정 및 검정장비 공인교정 서비스를 확대하여 개발기간 단축 및 계량신뢰도를 향상시킴. 또한 전문가협의회를 운영하여 기술기준 개정안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업계 종사자 대상 계량·측정 교육을 하는 등 국내 계량산업 발전에 기여 - 형식승인/검정기관 운영을 통한 법정계량 인증제도 지원 - 단일 형식승인/검정기관에 의존하던 인증업무를 추진함으로써 제조사의 인증기간의 대폭 단축에 기여 - 법정계량 관련 운영제도 개선, 이해관계자 민원처리 등의 역할을 하여 실질적인 대국민 서비스 개선에 기여하였으며, 오랜 기간 단독으로 운영되던 법정계량기 형식승인/검정기관을 다수 기관 운영 체계로 변화 - 계량기 제조사의 인증관련 편의 제공, 제도 운영 시 각 기관의 다양한 의견 제출 및 교정업무와 더불어 법정계량 업무도 함께 수행함에 따라 제조사 인식 개선 및 각 업무 간 시너지 효과 발휘 19 차준희 ㈜대신정밀 이사 (35년4개월) ▪ 35년간 계량측정업계에 종사하며 해외기술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건설관련 계측장비(재료시험기, 토목시험기 및 콘크리트 스크류믹서 등)의 국산화에 전념하여 수입대체효과, 매출향상, 소프트웨어 개발에 기여 ▪ 측정기 디지털화를 통해 대한민국 건설업계가 기존의 산업시스템을 혁신하여 높은 수준의 자동화와 디지털화,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에 기여 - 콘크리트 스크류믹서는 특허출연(특허 제10-1410945호) - 기존 사람의 감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레미콘, 아스콘 등의 측정값을 디지털화하여 보다 정확한 계량 및 측정에 기여 ▪ 최근, 건설업계의 철근누락 등 비도덕적인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해 레미콘협동조합, 콘크리트 산업체, 아스콘업체에 주기적으로 참석하여 계량과 측정의 중요성을 지도하여 건설업계 관행을 개선하였으며 불량률 감소효과 극대화에 기여 - 레미콘, 아스콘업체에서 사용하는 자동호퍼저울, 만능재료시험기 사용자가 교정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함으로서 그동안의 업계관행을 개선하고, 또한 해당장비의 측정불확도 및 보정값 등을 정확히 적용함으로서 제품의 불량률 감소에 기여 20 추연국 한국기계 전기전자 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9년 2개월) ▪ 후보자는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의 법정계량 형식승인 담당자로 약 9년간 근무하며 관련 법률(계량에관한법률) 및 KS표준(TC30, TC48) 제·개정 및 해당 분야 정부과제기술개발사업 및 정책과제에 참여하였고 다수의 계량기 성능평가(형식승인시험, KS인증시험, 의뢰시험 등)를 적극적으로 수행함. 주유기 및 LPG미터 보안기술(전자봉인) 개발에 따른 조작 및 변조 차단기술을 국내 시장에 적용하였으며, 해당 보안기술을 고도화 하여 주유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소비자 신뢰도 확보 및 공정한 상거래 확립에 기여 - 법정계량분야 정부 사업에 대하여 실무책임자 및 참여연구원으로 참여하여 계량분야의 기술고도화와 표준화에 기여 - 정부 및 관련 협단체 사업 수행을 통한 국내 계량 산업 분야의 경쟁력 강화와 인프라 지원을 통한 국위 향상 및 수원국의 계량산업분야 발전에 기여 - 사업자 및 소비자 등 계량기의 요금분쟁에 따른 공급자-수요간 요구사항으로 의뢰시험을 통해 국민 소비생활보호 및 공정한 상거래 질서 유지에 기여 21 황승욱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3년 1개월) ▪후보자는 형식승인 및 검정기관에 종사하며, 전기자동차 충전기 등 법정계량기의 형식승인·검정 시스템 개선으로 첨단 계량기의 국제적인 모범이 되는 관리기법 개발 - 형식승인·검정 수요급등 및 인프라 부족으로 3개월 이상의 소요기간이 필요한 어려움을 2개월 이하로 가능하게 하여, 관련 업계에 겪었던 부담을 줄이는데 기여 ▪OIML(국제법정계량기구) 및 APLMF(아·태 법정계량포럼) 등에 참여하여 국제협력 활동을 하여, 국내의 현안을 해외 우수기관과 협력하여 문제해결을 추진하였고, 계량측정 정부과제 기술개발 등을 통한 신뢰성을 확보하여 계량측정 제도 보급·확산 등 국내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기여 □ 유공자 부문 후보 □ 유공기업(단체) 부문 후보 번호 기업명 (대표자) 공적기간 공적개요 비고 1 ㈜케미다스 (한원희) 14년 ▪표준물질 생산분야에 종사하며, 핵심 기술(제품)인 인증표준물질(Certified Reference Materials)을 2022년도에 국내 최초 개발하여 연간 1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창출하였고, 기존 제품 보다 특성값 관련된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켜 불확도를 2 % 까지 감소시키는 등 국내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 - 전량 수입품인 표준물질을 개발, 개척하여 연간 10억의 수입대체 기여 - 미국, 일본에 전량 의존하던 인증표준물질 제조기술을 국산화하여 수입대체율 10 % 달성 - 표준물질 제조설비 등 설비투자확대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였으며 국가경제발전에 기여 - KOLAS인정을 통한 ISO 17034 표준물질 생산시스템을 구축하여 측정분야 정밀도 향상 2 ㈜코메츠 (김재헌) 15년 ▪국내 최초 자동화 노점 시스템 보급과 해외 각국의 온도, 습도, 수분 분야의 검증된 정밀급 설비와 기술을 국내에 도입하여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기여 하였고, KS ISO/IEC 17025 규격과 고객 리즈에 맞춘 맞춤형 계측기기 자동화업무 관리 프로그램(ERP)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자동화 계측관리 시스템과 공정한 상거래를 실현 ▪배터리 생산 개발의 안정성을 검증하는 배터리 폭파 챔버를 국내 기술로 개발하여 실용화에 성공하였으며, 현재 국내 최대 배터리 생산기업에 보급하여 국내 배터리산업과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기여 - 국내 최초 자동화 노점 시스템 보급 - 계측기기 자동화 업무관리프로그램(ERP) 자체개발 - 배터리 폭파 챔버 국내기술 자체개발 실용화 및 보급 - 국내 KOLAS 공인교정기관 기술 및 해외 설비 보급 ▪4차산업의 전기차보급 확산에 따른 배터리산업 발전으로 배터리 생산기업에 안전성을 검증하는 배터리 폭파 시스템을 국내 기술로 개발하여 실용화에 성공 및 배터리 생산기업 또는 연구기관에 보급하여 국내 계량측정 기술 고도화에 기여 3 삼성SDI (최윤호) 54년 ▪초격차 기술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친환경 미래 사회 구현 실현을 지향하는 업체로서, 전지 제조 핵심 공정 설비의 제조 및 검사시 사용되는 측정값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전지 특성 검사용 저항 지시기의 교정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최초로 교정용 AC 표준 저저항을 개발(0.5∼ 100) mΩ 및 적용 하였으며, 검사用 설비 신뢰성 확보를 위한 표준시료(Master JIG) 583대를 개발하고 표준 교정 절차서를 제정및 보급하여 국내 3개사업장과 해외법인(중국,말레이,헝가리) 수평전개로 생산 설비의 신뢰성을 확보하여‘23년 기준으로 제품 특성 불량률 60 % 향상으로 전지 제조 경쟁력을 향상시켜서 세계 1등 기업으로 도약하는데 기여 - 1970년 진공관(브라운관) 생산을 시작으로 PDP와 Mobile Display, 2차 전지, 전자재료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사업영역 확대와 변화로 성공 DNA를 사업 전 분야에 이식하여 Global Top-tier로 성장 - 퀵스타트 브라운관 및 컬러 브라운관 개발, 국내 최초 액정표시소자(LCD)와 PDP, 26만 풀컬러 AMOLED 개발, 세계 최초 원형 2600 mAh 전지 개발 등 초격차 기술 경쟁력과 최고의 품질,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을 통해 진정한 1등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도전하는 기업문화로 성장 - 삼성SDI가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es, DJSI)에 13번째 DJSI World 회원사로 선정 되었으며, 2003년 부터 지속가능경영(Sustainability Management) 추진을 위해 SM 운영위원회를 운영 - 매출액은 연평균 30 % 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2023년 매출 22.7조원을 달성하였음 - 1976년 흑백 브라운관 수출을 시작으로 수출 주도의 Global 사업영역 확대를 추진하여 2020.12월 제57회 무역의 날에 ‘30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함 4 한국전기 안전공사 (박지현) 50년 ▪국내 최초 “한국형 전원품질분석기” 개발 및 상용화 - 전원품질분석기는 유ㆍ무효전력, 고조파 함유율 등 전력사용 상태와 전압, 전류의 순간 변화 상태를 분석하여 트러블을 사전에 예방하는 전기 안전장비 / 대부분 외산으로 구입 및 유지보수에 어려움 발생하여 기존 아날로그 방식에 디지털 기술 접목시켜 고주파 대역의 이상신호 분석 및 High sample rate의 고품질 국산장비 개발 ▪신재생 부문 국산화 장비 개발 지원 - 해상풍력발전의 해외 의존 100%, 시장규모(1,060억), 신재생 성장성에 따라 관련 기술 중요성 대두하여 중소벤처기업부 「소부장 스타트업 사업」 정부과제 공모를 통해 선정 - 중소기업과의 협업으로 해상풍력 전원품질 모니터링 RMU 개발 - 신재생발전설비의 국산화를 통해 외화 234억원 절감 효과 예상 ▪세계 최초 IoT기술 활용 ESS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디지털검사 전환으로 대용량사업장 정전사고 손실 2800억원 예방 효과 5 한국전력 거래소 (정동희) 21년 ▪국민의 편리한 전기 사용과 고품질 전력공급으로 산업경쟁력 제고에 기여함. - 전력거래소에서 취득하는 계량데이터의 양은 연간 약 11억개(약 3백만개/일)이며, 재생e사업자가 증가함에 따라 취득데이터는 계속 증가중임. (취득데이터 산출식 : 10,724대('23년말 전력량계 대수) X 288개(5분단위/日)= 3,088,512개 * 태양광 등 소규모사업자의 경우 정산금을 적기에 받아야 금융기관 대출금 및 이자 등을 상환 가능 * 수정정산 발생 시 과다 계량이면 정산금 환수, 과소 계량이면 정산금 지급 등의 조치 시행 ▪계량데이터 신뢰성 강화활동을 추진하여 연간 수정정산 건수 전년 대비 52% 감소(89만건→42만건),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통한 계량모뎀 신규 개발('23.5월) 및 독점구조 완화로 국민불편 해소 ▪민간기관 오검정시험 역할 부여로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 - 오차시험은 전력시장운영규칙에 근거하여 매 3.5년마다 시행해야 하며, 기존 수검 방법은 오차시험 인정기관 2개 기관에서 시행해 왔음(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 발전사업자가 기한내 원활하게 오차시험 수검을 받게 하기 위해서 기존 2개 기관외에 추가로 2개 기관(서창전기통신, 남전사)을 지정·운영하여 오차시험 적기 시행 및 민간 일자리 창출에 기여 6 K-water (윤석대) 57년 ▪수문관측기기 분야의 국제표준 제정 등 국가 표준화 사업에 기여하고 중소기업 해외진출 판로 개척 선도 및 .인증센터 설비를 활용한 중소기업과 공동 연구개발 수행, 중소기업 개발 신제품의 검증 등 계량분야 국가 정책 수립 지원으로 기업 운영 개선에 기여 - 2001년 유량계 KOLAS 공인교정기관 등록 이후 K-water 유체성능시험센터 건립(2007년),수위계 교정설비, 수도미터 성능시험 설비 및 수차‧밸브 성능시험 설비 등 지속적인 설비 확충을 통한 국내기업의 성장 및 고용창출 견인 - 민원성 수도미터 성능시험, 먹는물 환경측정기기 정도검사, 수위‧우량계의 교정 등을 통해 다음과 같이 국민의 만족도 상승에 기여 4. 제품안전관리 유공 정부포상 후보 공개검증 1. 추천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2. 포상목적 ㅇ 제품안전*을 통해 산업경쟁력 향상에 공이 큰 유공자 및 단체를 포상·격려하고, 성과를 확산함으로써 국가경쟁력에 기여 * 제품안전: 설계·제조·표시 등 안전한 제품을 생산하는 활동 3. 포상행사* 일자‧장소 : 2024. 11. 12.(화), 엘타워(서울) * 포상행사는 일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4. 포상규모 : 미정(부처 간 협의 중) * '22년 포상규모 : 정부포상 6점 (훈장1, 포장1, 대표2, 국표2) 5. 포상 후보자 명단 및 공적요약 : [붙임4] 참조 6. 기타사항 ㅇ 국민들의 의견수렴을 위해 포상후보자(예정)에 대한 주요공적을 공개하오니 동 사항에 대한 의견이 있으신 경우에는 `24.8.16.(금)까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책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자 : 박상규 주무관 (043-870-5411, upperstar@korea.kr) - 공개검증 기간 : ‘24. 8. 1.(목) ~ 8. 16(금), 16일간 ㅇ 보내주신 의견에 대하여 별도 회신은 하지 않으며, 자체검증 후 공적심사 자료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붙임4] 2024 제품안전관리 유공 정부포상 후보 명단 유공자 부문 후보 (성명 가나다순) 소속 직위 성명 (연령) 공 적 개 요 레이어슬립 (Layer sleep) 대표 고규철 (만 36세) ▪차별화된 강성을 갖는 매트리스 및 난연 매트리스 개발 - 구역에 따라 차별화된 강성의 스프링을 배치하여 제품의 꺼짐 및 근골격게 질환 예방 - 전체 난연 매트리스 개발 및 보급을 통해 안전한 침실문화 조성 ▪제품안전성 특허 및 친환경 인증 취득을 통해 제품안전성 강화에 기여 - 침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물질을 엄격하게 관리하며 이를 통해 환경표지 인증(친환경) 취득 - 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KS 제품 인증서 획득, ISO 인증서 획득 ▪현장 제품안전 교육 진행 - 제조 공장 내 실제 업무 공간에서 매월 1회씩 제품안전 교육 지속적으로 수행 (재)한국화학융합 시험연구원 책임 연구원 권덕준 (만 41세) ▪KC 어린이제품 및 생활용품 분야 안전기준 개발(4건 완료, 3건 진행중) - 매년 2~3회 안전기준 개정 연구과제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안전기준 발전에 노력 ▪유해물질 시험 분석(KC 분야 및 일반 유해물질 분야) - KC 분야 유해물질 분석 및 상담 진행 및 유해물질 (RoHS/REACH SVHC) 분석 실무 연간 4,000건 이상 수행 ㈜트레스웍스 본부장 김다진 (만 43세) ▪산업계 관리 수준 함양을 위한 등록 특허 공개와 가이드 보급 활동으로 제품안전성 강화에 기여 - 금속장신구 무니켈 제품 유통을 위한 안전기준 마련 및 산업 기반 조성 - 제품안전관리를 위한 체계 구축과 데이터 베이스의 통합 분석과 처리를 위한 솔루션을 개발 - 감열지 및 스포츠용품에 대한 독성물질인 BPA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안전기준 마련 - 미국 에너지라벨, 완구 등 국제 제품 안전 규제 대응 가이드 개발 - 제품안전성 증진을 위한 학회 논문 발표 및 기업 세미나 및 교육 활동 (재)한국어린이 안전재단 책임 매니저 김다희 (만 29세) ▪송파안전체험교육관에서 어린이제품 안전교육을 담당하여 제품 안전교육과 홍보에 기여 - 한국제품안전관리원과 함께하는 송파안전체험교육관 어린이제품안전교육강사 역량강화교육 실시 - 온라인 안전체험관을 통한 VR 어드랙션 16종의 안전사고 콘텐츠 제작 및 최근 3년간 3,640명 방문 - 제품안전 GUIDE BOOK(가정, 학교 안전편) 등 비대면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 및 최근 3년간 비대면 교육 9,441명 실시 사단법인 KOTITI 시험연구원 팀장 김민섭 (만 47세)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에 따른 적합성평가를 위한 내부심사원 활동 등 소속기관의 제품안전 시험역량 개선 노력 - 기관 내 시험방법의 유효성 확인 및 검토, 불확도평가 등을 위해 18년부터 기관 내부심사원 활동을 통한 평가 진행 중 - 정부의 생활, 어린이제품에 대한 안전성조사 적극 참여로(2,668건) 시중 유통되는 제품의 안전성 확보 기여 ▪교육강사 활동을 통한 섬유관련 업계의 역량확보 기여 - 섬유관련 유해물질, 시험방법 등 주제로, 관련 학과 학생 및 업계 대상 안전교육 추진하여 업계 전반의 역량확보에 기여 - 기타, 피부접촉제품 시험분석사업 자문회의 등 최근 5년간 7건의 전문가 회의 참석하여 제품안전성 향상 의견 제안 주식회사 세홍 대표이사 김성찬 (만 65세) ▪국내 최고 기술력의 옥내 배선시스템 개발 및 기업운영으로 안전한 환경(산업/자연) 조성에 기여 - 국내 최초로 배관·배선·접속구 일체형 제품 ‘엑셀라인’을 개발 - 국내 최초로 이중바닥 전열 시스템 ‘빌트인 박스’ 및 세계 최초로 스마트 IoT 컨트롤 시스템 ‘엑세이버’를 PLC (전력선통신) 기반으로 개발을 통하여 전기 안전사용 및 스마트 시스템으로 독거인들 대상 사회 안전 관리망 구축 - 국내 최초 레이스웨이·배선·접속구 일체형 제품 및 세계 최초 조명설비 시스템 개발 등으로 일반 가정환경을 넘어서 산업현장 및 재난 안전성까지 확보 (재)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선임 연구원 김수연 (만 36세) ▪안전인증 및 안전확인 업무 수행 - KC 안전 인증 시험자 자격을 부여받아 정보통신 사무기기 및 오디어 비디오 기기에 대한 시험 및 KC 성적서 668건 발행 - 정보통신 사무기기에 대한 안전성 시험 58건 수행, 불법불량 제품 19건 적발 - 세관 및 한국제품안전관리원 주관 불법제품 동일성 조사 73건 수행 ▪정부 과제 수행을 통한 제품안전관리 수준 향상에 기여 - 안전기준 정비·개발 4건 및 무선충전기 안전성 확보 방안 개발 1건의 정부과제 수행 삼성전자㈜ 책임 연구원 김자영 (만 38세) ▪국내외 전기 안전 및 에너지 규격 관련 참여를 통한 제품 안전성에 기여 - 북미 공기청정기 EnergyStar 2.0 개정에 따른 제품 영향도 분석 및 개정 규정에 따른 재등록 진행 - 사우디 에어컨 SEER 규제 도입에 따른 규제 정보 파악 및 SASO 등록 완료 ▪사내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제품 안전 수출에 기여 - 생활가전 안전 규격 커뮤니티 운영 및 게시물 관리를 통한 개발 업무 효율화 - 규제 인증 인프라 열악 지역 국내 시험 및 인증 대체 주식회사 위메프 팀장 김형우 (만 42세) ▪국내 오픈마켓 최초 RPA 도입 운영 등 온라인시장에서의 위해 제품, 불법제품 유통차단 활동으로 소비자 안전성 확보 - 국내 오픈마켓 최초 위해제품 차단 RPA을 구축(도입)하여 자동 감시 모니터링시스템을 운영 - 위해제품으로부터 국민생활 안전 확보를 기여한 기업 등에 포상하는 G-PIS(제품안전정보활용우수기업)에 `22년 기업 선정에 기여 - 온라인 위해,불법제품 차단 정책 전문가로 인정받아, 제품안전정보 쇼핑분과위(`22-현재)와 무역관련 소비자보호분과위(`24년-현재)의 위원장으로 위촉, 온라인상의 위해제품 차단 정책 수립 등 발전에 기여 (사)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전북지회 사무국장 김효영 (만 43세) ▪전북지역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관리를 통한 안전성 확보 - 전북테크노파크,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근무를 통해 전북지역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 대한 제품안전 연구개발 지원 - 다방면의 홍보로 제품안전에 대한 전북지역 기업의 관심 제고 한국제품 안전관리원 선임 김희준 (만 34세) ▪시중유통 불법·불량제품 차단을 통한 제품안전성 확보 기여 - 불법의심 제품 약 2,248건에 대한 조사 및 1,205건 고발 등 조치하여 불법·불량제품의 시장 유통 차단 기여 - 통관현장의 안전성조사 8,248건을 통해 불법·불량 수입제품 2,403건의 국내 유통 사전 차단 - 불법제품 DB관리를 통해, 지자체 담당 공무원 42명 대상 교육 실시 등 불법제품 전주기 업무관리 ▪제품 안전성조사, 부적합제품 리콜이행 점검, 연구개발 사업 참여 등 안전한 시장환경 조성 노력 - 시중 유통된 제품 4,654건에 대한 안전성조사를 통해, 위해제품 유통방지 및 DB분석을 통한 안전성조사 사각지대 해소 - 80건의 현장 직접 점검을 통한 위해제품 리콜회수율 향상 기여 - 기타, 융복합 신제품 안전기준 재개정 등 연구개발 사업 3건 참여 경기도 소방학교 팀장 남성우 (만 55세) ▪화재사고 조사를 위한 국가 지정 화재감정기관 지정 추진 - ‘소방청 1호 화재감정기관’지정을 추진하여 화재사고 분석을 위한 공신력 확보 ▪화재 사고 예방 환류를 위한 업무 개발 수행 - 화재 예방 환류 방향성 제시 및 화재사고 모니터링 및 사고분석을 통한 화재 사고 발생 방지 ▪PL(제조물책임) 프로세스 업무 개발 추진으로 실질적인 피해자 구제 방안 제시 - 제품화재 원인을 관련 법규와 연계하며 직접적 민원 해소 및 원인 분석 제공을 통한 소비자와 제조사와의 갈등 중재 ▪제품화재 발생시 실험과 연구 활동 수행 - 배터리의 화재 폭발 위험성 실험 및 연구를 통해 제품의 화재사고를 예방하는 데에 기여 주식회사 카카오 수석 마동욱 (만 30세) ▪온라인 플랫폼 위해제품 유통차단 및 안전한 구매환경 조성 - 위해상품 차단 시스템 도입으로 기준 시간 이내 위해 상품 차단에 노력 - 온라인플랫폼 상품 등록 시 안전한 상품이 등록될 수 있도록 기술적 조치를 취함 ▪위해상품 판매차단 시스템 도입 및 운영을 통한 위해제품 시장 유통 예방 - 위해제품 유통차단을 위한 별도의 전담팀에 소속되어 실시간 위해제품 유통차단을 진행 ▪판매자 및 내부 담당자 대상 교육 다수 진행 - 카카오 커머스 안전거래센터 내 판매자 대상 KC인증 동영상 제작 및 내부 담당자 대상 KC인증 교육 진행 ▪자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위해제품 모니터링 진행 - KC 인증 대상 상품 및 위해 상품 모니터링 진행 및 위해 상품 차단 시스템으로 인입되는 위해상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진행 ㈜위드프렌즈 대표이사 문영철 (만 57세) ▪1세대 전자상거래 사업자로서 대형쇼핑몰과 경쟁 및 협력으로 위해제품 유통차단 및 안전한 제품구매 환경 조성 -‘98년 5월경 e-커머스 시스템을 구축하여 1세대 전자상거래 유통업체로 출발, 26년간 전자상거래 유통, 경쟁력 강화 - 안전기준이 미비한 신제품*을 국내 시험기관 및 해당 제조업체와 협업하여 선제적으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는 등 유통제품 안전성 확보 - 당사에서 유통되는 수입제품의 안전관리를 위한 제조공장 및 수업업자와 협력 강화 및 선투자 - 정부에서 운영하는 위해상품 판매차단 시스템과의 연계 구축으로 소비자의 안전한 제품 구매 환경 조성에 기여 즐거운 ABA 대표 민정윤 (만 41세) ▪발달장애아동 응용행동분석(ABA) 교육자료 안전성 확보 - 친환경 자석, 재료를 활용하여, 시·청각적 제한이 많은 발달장애아동 안전교육 교재의 안전성 확보 - 제품안전성을 인정받아 21년 대비 22년 매출 2배 확대 ▪오티즘 엑스포 등 전시회 참가를 통한 제품안전성 홍보 - `22년 양재 오티즘 엑스포 참가를 통해, 안전성 확보된 ABA 교육자료 홍보를 통한 발달장애아동의 안전사고 예방 기여 주식회사 넴코 코리아 상무 박재홍 (만 54세) ▪CB, NEMKO N-Mark 승인 등 약 6천여 건의 규격승인을 통해 국내 전기용품 사업자의 원활한 수출사업 지원 - `03년부터 국외 인증에 대한 규격 승인 약 6천여 건 진행 및 시험소의 전기안전 관련 균등품질 평가 44건 심사 - 기타, 국제전기기기 인증제도(IECEE) 기술심사원 활동을 통한 CBTL 시험소 심사 2건, IECEE CTF심사 37건, CIG 공장심사 5건 등 ▪IECEE에 규격해석의 정확한 판정을 위한 CTL 결정문 제안 - 냉장고 단열재 접촉부 관련 PCB case의 절연등급 5VA 필수여부 검토 등 3건의 결정문 제안하여 최종 채택 ▪사내 전기안전 직원역량 확보를 위한 교육 및 세미나 추진 - 가정용기기, 냉온정수기, 에어컨 등 KC/IEC 60335 규격에 대해 최근 3년간 40시간의 사내 직원교육 및 세미나 추진 한국제품 안전관리원 팀장 범귀원 (만 41세) ▪불법제품조사, 면제 확인, 공급자 적합성 확인 업무 수행을 통해 제품안전에 기여 - 5,569건의 불법불량제품 신고건에 대한 현장조사, 행정조치를 통해 제품안전 확보 - 111,618건의 면제확인서 발급을 통해 연구개발 및 전시회 출품 등의 활동 지원, 면제 받은 제품 시중 유통 방지 - 공급자적합성 미신고 불법 전기용품 유통 방지를 위한 5,765건의 신고 증명서 발급 등 부적합 제품이 소비자에게 유통되지 않도록 제품 안전에 기여 ▪안전실태조사를 통한 취약계층보호 - 시중 유통 제품의 취약계층 사용여부, 유통량, 부적합률 등을 고려한 안전실태조사 실시를 통해 위해제품으로부터 소비자 보호 ▪안전기준준수 제도 홍보를 통한 제품안전문화 확산 - 가이드북 제작, 옥외광고 등을 통해 안전기준준수제도에 대한 사업자의 인식 및 이해도 고취 - 대상품목 및 사업자 준수사항 안내 등을 통한 제품안전 문화 확산 ㈜ KOREA BOARDGAMES (코리아보드게임즈) 부사장 성경모 (만 47세) ▪잠재적 위해제품 유통차단을 위한 자체적 방지시스템 구축 - 유해물질 검사 등 총 5단계의 잠재적 위해상품 유통방지 시스템 구축으로, `23년 기준치 이상 납 함유된 위해제품 7천개 유통 차단 - 연평균 117건의 안전검사, 66건의 위해요소 선별검사 추진 ▪적극적인 자발적리콜 조치로 제품안전 사후관리 철저 - 기 유통제품에도 안전성검사 지속 실시하여, 선제적 자발적리콜 진행 (최근 3년간 자발적 리콜 4회 추진) 한국제품 안전협회 부장 신동인 (만 40세) ▪품목별 제조업체 협의회 간사 활동을 통한 안전기반 조성 - 전기매트, 폴리염화비닐관 등 4개 품목(약 120개 업체)가 참여한 협의회 간사활동을 통해 안전정보 교류 및 안전성 확보 독려 ▪온라인 불법·불량제품 유통방지를 위한 오픈포럼 실무 추진 - 쿠팡 등 30여개 이커머스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제품안전정보 오픈포럼 실무를 담당하며 정보교류 등 활동 지원 - 또한 리콜·불법제품 등을 24시간 모니터링하는 ‘온라인 패트롤’ 시스템 개발하여 매달 약 40만건 이상의 제품 모니터링 ▪기타, 제품안전 연구개발 사업 참여 - 표시사항 부적합률 개선을 위한 사업자 가이드라인 개발 등 최근 3년간 17건의 제품안전 사업참여로 안전기반 조성에 기여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책임 연구원 안태원 (만 45세) ▪생활용품과 어린이제품 관련 시험ㆍ검사업무와 정책개선을 위한 정부 연구용역 수행 및국제표준(완구)활동 등으로 제품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 - 생활ㆍ어린이제품 인증업무 및 정부 안전성조사(약 500여건) 업무 수행 - 유모차, 어린이 침대, 완구 등 안전기준 개정ㆍ개발을 위한 정부 용역과제(8건) 수행 -‘23년부터 ISO/TC 181(Safety of toys) 회의 참가 및 전문위원회 활동 등 수행 - 소비자단체, 관세사회 및 1381 인증표준정보센터 등 전문상담위원 등 수행 주식회사 미소테크 사장 오대욱 (만 47세) ▪소형가전제품 관련 안전인증 및 표준화 공적을 쌓았으며 ‘미소테크’ 설립 후 비관리제품인 ‘중문’의 안전성 확보에 기여 - 소형가전제품 제조사에서 제품개발 및 품질보증 업무로 근무하여 16개 품목에 대한 안전성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및 특허 등록 -‘17년 미소테크를 설립 끊임없는 연구개발, 품질경영과 전략적인 마케팅 으로 현재 108%의 성장률 및 최근 5년간 533%의 고용증가율을 기록하며 국가 경제에 이바지 - 손끼임 방지 댐퍼 개발, 중문 슬라이딩 오일 자동 주유 장치 개발로 사용자 안전 확보 주식회사 시헌테크 대표 유재천 (만 45세) ▪대용량 공기청정기 자체 기술 개발을 통한 실내 교육 환경 개선에 기여 - 교육청 소음기준 충족 동급 최저 49.3dB 구현으로 에너지 효율 1등급 충족 및 KC 전기안전 인증 제품 구현 ▪ 교육기관 공기청정기 공급을 통한 학생 및 교직원 건강 증진 도모 - 교육청 대상 9만여대의 공기청정기 공급을 통한 학교보건법의 준수와 함께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 및 학생 건강을 증진하고 보호하는데 기여 장난감 발전소 소장 윤대진 (만 45세) ▪온라인 활동, 교육 활동 전개를 통해 제품 위해성 증가 차단에 기여 -‘완구콘텐츠 브랜드 개발’,‘완구콘텐츠 스마트토이 개발’등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 모듈 완구 콘텐츠 분야 집필 ▪심사위원 역임 및 어린이 안전인증 제품에 대한 선별 작업에 기여 - 국내외 토이어워드 완구 분야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어 출시되는 장난감의 안전성과 유해성을 감안하여 점수를 책정하고 제품을 시상함으로써 소비자 안전 확보에 기여 ▪안전한 장난감 선택을 위한 소비자 교육 진행 - 장난감 발전소 인스타그램 및 Thread 개소를 통한 장난감 안전 홍보 및‘23~’24년에 걸쳐 약 40여건의 안전한 장난감을 위한 상담 진행 - 당근칼로 인한 어린이 소비자 피해에 대한 영상 제작 및 장난감 사용 연령에 대한 칼럼 게재 -‘24년 한국완구협회 정기 총회에 참석하며 장난감 트랜드와 안전한 장난감의 중요성에 대한 강의 진행 (재)FITI 시험연구원 선임 윤돈희 (만 35세) ▪시장감시활동을 통한 제품 안전성 강화에 기여 - 시중 유통제품, 생활화학제품, 어린이제품 등의 안전성 조사,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등을 실시하여 제품의 위해성, 안전성 여부 확인 ▪사업자의 제품 안전기준 및 시험을 통한 제품안전성 강화에 기여 - 시험분석 및 관련 법령에 대한 유·무선 상담, 자문, 국민신문고 민원 의견 검토 등 사업자의 제품 안전기준 및 시험에 대한 이해도 향상 및 소비자 만족도 향상에 이바지 ▪국제 제조 물질 제한 프로그램의 시험항목 세팅 및 확대 - ZDHC MRSL, REACH 등 국제 제조 물질 제한 프로그램의 시험 항목 세팅 및 확대를 통해 의류제품 내 유해물질 시험 강화로 자연환경과 국민들의 건강 보호에 기여 한국화재보험 협회부설 방재시험연구원 부장 이길용 (만 55세) ▪화재 안전 시험방법 구축을 통해 제품 화재 안전성을 높여 국민 생활 안정에 기여 - 화재안전성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 시험평가 방법을 KS 고유표준으로 제정함으로써 제품의 화재안전성을 향상시켜 국민 생명 보호 및 재산 피해 경감에 기여 - 전기레인지 및 후드 화재위험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화재 위험도 평가자료 활용에 기여 - 화재 안전 기준 요건 강화를 통한 화재 안전 제품의 시장 유통 한국환경 산업기술원 전임 연구원 이미혜 (만 31세) ▪약 14,000개 제품의 법 준수 여부 조사를 통해 불법제품에 대한 유통 차단을 진행 -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시중에 유통 중인 불법 생활화학제품의 시장 퇴출 - 국민신문고를 통한 불법 의심 생활화학제품 위반여부 사실 조사 ▪위해성이 높은 사회적 이슈 제품에 선제적 조치를 하여 안전한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도록 기여 - 온라인 유통사 협의체를 구성하여 온라인 유통 생활화학제품의 표시기준 준수 및 불법제품의 유통차단에 적극 동참 - 국민과 함께하는 생활화학제품 시장감시단 운영함으로써 온오프라인을 통해 연간 13,000개 이상의 생활화학제품의 표시 기준 모니터링 진행 사단법인 한국완구협회 회장 이병우 (만 65세) ▪관세청 산하 각 세관(인천, 부산)에서 불법제품 유통차단을 위한 제품안전 교육 활동을 전개 - 전국 각 세관원들 대상으로 불법 복제 상품, 진품과의 구별법 등을 교육하며 제품 안전성에 기여 ▪완구제품안전 교육 및 불법 완구 유통차단을 위한 홍보에 기여 - 회원사 및 완구 기업을 대상으로 KC 안전인증 세미나, 완구안전 간담회 개최를 통한 제품 안전 교육 및 홍보에 기여 - 해외직구 불법 완구 유통에 대한 칼럼 기재를 통한 완구 안전의 중요도 강조 (재)KATRI시험연구원 주임 연구원 이빛나리 (만 33세) ▪해외 직구 제품 안전성 조사 참여하여 안전기준대상 제품 시험, 검사 업무 협력을 통한 제품안전관리 강화에 기여 - 소비자에게 초저가 대량 공세로 인한 무분별한 해외 직구 제품 구입에 경각심을 제고를 위한 업무 지원 - 서울시 소상공인 안전검사 지원사업에 안전기준의 시험·검사업무 지원 - 어린이제품 작은부품 시험 관련업계 및 소비자가 육안으로 쉽게 작은 부품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투명한 모의시험용 작은부품 실린더와 사용방법에 관한 QR 안내스티커제작 주식회사 마크로밀 엠브레인 부장 이수혁 (만 48세) ▪소비자제품 위해도평가를 통한 제품별 위해요인 도출 - 소비자의 제품 사용 중 위험요인 파악을 위해, `20년부터 매년 약 10~15종의 소비자 제품 총 1.9만개에 대한 위해도 평가 -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소비자 제품 사용행태 및 사용 중 위해사례를 유형화하여 정부 보고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책임 연구원 이창윤 (만 43세) ▪유럽식 가정용 디딤대(Step Stool) 및 가정용 사다리 안전기준 개발 - 국외 안전기준과 부합하는 디딤대 및 가정용 사다리 안전기준 개발로 안전성 향상 및 사업자 인증비용 부담 완화 - 그 외, 풀페이스마스크, 이륜자동차 승차자용 눈보호구, 보호장구 안전기준 개정(안) 개발 제안 및 사업 참여 ▪물놀이기구 용적계량 표준시험절차 마련 및 안전모 등 안전기준 개정(안) 마련하여 소비자 안전 확보 기여 - 물놀이기구 용적계량 표준시험절차를 통한 시험기관간 데이터 편차 감소 도모 및 측정데이터의 신뢰성 향상 - 물놀이기구 및 승차용, 스포츠용 안전모 안전기준 개정(안) 3건 개발하여 소비자 보호성능 향상 및 업계 애로 해소 - 기타, 동 제품에 대한 안전성조사 86건 및 1,100건의 생활용품 안전검사를 수행하여 소비자 제품안전 확보 기여 ㈜피치케이블 대표 이사 임동욱 (만 57세) ▪안전한 전기난방을 위한 탄소발열보드 개발 진행 - 기존 전기난방 방식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및 층간소음 개선을 위해 탄소발열보드, 발열체 개발 진행(R&D 수행) - 기타, 생산현장 안전성 확보 및 제품 완성도 향상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냉온벤치 및 CFRP 신호등주 개발 기여 ▪겨울철 블랙아이스, 제설재로 인한 손실 저감 노력 - 니켈, 크롬 등 탄소계열 소재로 재해석한 스노우멜팅을 통해 발열성능 개선 및 안전성 확보된 기술 상용화 기여 (재)한국기계 전기전자시험 연구원 센터장 정이석 (만 42세) ▪제품안전기준 정비를 위한 연구개발과제 지속 추진(5건) - 어린이 및 생활제품 관련 연구개발과제 5건 추진하여 최종 안전기준 개정(안) 2건 제시 예정 - 안전관리제도정비를 위한 모델구분 개선(안)과, 효력상실제도에 따른 파생모델 관리방안 제안을 위한 과제 1건 연구 중 ▪기타, 정부 안전성조사 및 제품안전교육 강사 활동 - 어린이, 생활제품에 대해 연평균 약 2.3천건의 안전성조사 추진 - 관세청, 중학교 학생 등 대상별 제품안전교육 2회 및 맞춤형 컨설팅 및 세미자 2회 지원 주과장스포테리어 주식회사 대표 이사 주형렬 (만 46세) ▪안전성이 확보된 조명디자인 11건 출원 - 투광용 스포트라이트, 천장등 등 안전성이 확보된 조명류 디자인 11건 출원 ▪자체 조명 안전성 확보를 위한 KS C 7653 인증 취득 - 조명 안전성 확보를 위해, KC 취득 외 KS C 7653(KILT-2023- 0047호) 추가 취득하여 소비자 안전성 확보 주식회사 금성침대 책임 천영범 (만 37세) ▪지속적인 연구 개발 및 실험으로 생활가구의 침대 생산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침대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수행, 5건의 관련 특허 취득 - 우수상용품 시범 사용 적합제품 지정 및 우수제품 등 4건의 신규 인증 취득 - 제품안전, 품질 시험의뢰 74건 진행, 5년간 약 6,866만원 투자 ▪참여하는 제품안전 교육 자체 진행을 통한 제품안전의식 고취 - 각 제조 공장 내 실제 업무 공간에서 참여하는 제품안전 교육 매월 1회 자체 진행 - 협력사를 대상으로 직접 제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연 2회 진행 ㈜호원이피에스 대표이사 최성복 (만 48세) ▪골프카트 내구성, 제동력 강화 등 제품안전성 기술 개발을 위한 노력 - 골프카트 내구성 및 제동력 강화를 위한 초음파 센서, 마그넷 센서, 추돌 방지 센터 등을 통해 제품 안전성 강화에 기여 ▪제품 안정성 기술 차별화 - 지정된 경로를 설정하여 차량 제한 구역 이탈 방지 및 내리막길 등에서 카트의 속도 조절 기능으로 자동 감속하도록 주행 안전성 확보에 기여 에이치제이산전(주) 상무 최창환 (만 55세) ▪화재 또는 정전시 비상전원 자동공급 및 제어장치가 내장된 안전한 분전반류 제품 개발 기여 공로 - 모선차폐 방식 등이 적용되어 정전, 재난 상황에도 작동 가능한 신기술이 도입된 분전반류 제품 개발에 기여 - 안전성을 인정받아, 성능인증서 및 재난안전제품인증서, 혁신제품 지정 인증서, LH우수 신기술 선정확인서(`22) 등 취득 ▪비상시 안전확보를 위한 배터리내장형 분전반 개발 및 특허 취득 기여 - 정전시 필요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내장형 주택용 분전반 개발 및 특허 취득을 위한 시험품 제작(`22) - 경기도 이천병원, 평택 119안전센터, 김해공항 국제선 등 제품의 안전성을 인정받아 제품 납품 기여(약 4억원 규모) (재)KATRI 시험연구원 선임 연구원 한소영 (만 37세) ▪유해물질 시험법 개발 및 규격화를 통한 안전성 확보 - 국내외 신규 유해물질에 대한 시험방법 개발 및 유효성 검토를 통한 신속한 안전성확보에 기여 - 기존 건당 10분의 소요시간을 8분으로 단축하여, 일평균 20업체 240건에 대한 유해물질 분석체계 마련 ▪유해물질 안전성조사 및 시험을 통한 섬유제품 안전성향상 기여 - 아릴아민, 알킬페놀 등 20여종의 유해물질 분석 및 정부 안전성조사 참여로 섬유제품 안전성 확보에 기여 - 분석결과에 대한 연 5회의 동종기관 교류를 통한 신뢰도 제고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안전연구원 선임 연구원 홍성준 (만 39세) ▪제품 사고 조사를 통해 자발적 리콜에 기여 - 사고 원인 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278만대, 식기세척기 23.7만대, 전기레인지 4.5만대 자발적 리콜에 기여 ▪제품사고조사센터 대표기관 운영 - 전기제품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제품사고조사센터 대표기관 운영을 통해 사회적 이슈의 전기제품 사고 원인조사와 대책 수립 한국제품 안전협회 팀장 홍지영 (만 31세) ▪제조물책임공제(PL) 가입 독려 및 유치를 통해 제품안전관리 수준 향상에 기여 - 연간 10회 이상의 제조업체 협의회와 연간 약 400여사의 제조물책임공제 가입 독려를 통한 기업의 제품안전 의식 함양 ▪품목별 제조업체 협의회 운영을 통한 기업 지원 - 제조물책임 사례집 및 제품사고 발생 보고 업무 기준 개발 지침서 발간함으로써 기업 제품사고 발생 보고에 있어 자발적 분위기 조성에 기여 ▪사례집 및 지침서 개발을 통한 미래 세대 제품안전 인식 함양에 기여 - 특성화고 학생 및 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제품안전교육 실시 ▪찾아가는 제품안전교육 수행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 제품안전인식 함양 - 제품안전정보 활용기업 간담회 개최를 통해 제품안전정보활용 현황 공유 및 애로해소 기회 제공 유공단체 부문 후보(단체명 가나다순) 단체명 대표자 공 적 개 요 루미컴(주) 이복수 ▪탄소소재 기반의 초경량 고내식성을 갖는 타소산업 융복합 제품인 LED가로등 개발을 통한 제품 안전성에 기여 - 탄소소재 기반의 초경량 고내식성을 갖는 150W급 LED가로등 개발 정부과제 수행 - 탄소섬유 LED가로등기구 전기적 안전시험, 무게와 염수분무 시험을 한국조명ICT연구원,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ICT융합기술센터등의 연구기관을 통해 시험결과로써 결과 확인 - 탄소섬유 엘이디 가로등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특허 취득 - 이를 통해 기존의 가로등 무게 6.11kg에서 4.96kg 으로 무게를 줄여, 바람의 강도가 높고 태풍 등 자연재해 발생시 등기구 낙하시 위험을 줄였으며, 알루미늄과 탄소섬유의 360시간 염소분무 비교시험을 통해 탄소섬유 LED가로등의 표면에는 부식 발생이 나타나지 않아, 기존 바닷가 근처 및 해안도로의 가로등의 부식문제 해결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지성규, 김흥석 ▪공정관리 상세 프로세스 구축을 통한 QC 강화 및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에 대한 철저한 자발적 리콜 추진으로 사고예방에 기여 - `22년 배터리 소손 이슈가 발생한 제품에 대해, 판매된 1,777건 중 1,721건 자발적 회수(96.8%)로 안전성 확보 - 적극적 리콜 추진을 위해 언론보도 70건 이상 수행 및 회수 제품 전량 폐기 및 환불, 교환처리 비케이시(BKC) 김근식 ▪ AC직결형 옥외형 LED 조명 기술 개발을 통한 혁신제품지정 및 우수제품 지정 확보로 제품 안전성에 기여 - 특허[10-1885559] 기술을 적용하여 독립된 전원부 구성이 가능한 장수명 옥외용 LED 조명 개발 - 1년 1회 정기적 A/S 실시를 통해 유지보수 비용 기존 대비 1/10이하로 감소 ▪ R&D 시스템 구축을 통한 제품안전성 확보에 기여 - 설립년도부터 매출액 대비 10%이상을 연구개발비로 투입하여 현재까지 평균 15% 이상 연구개발비 투자 주식회사 아이더(EIDER) 정영훈 ▪유해물질 안전에 관한 기준을 성인용 의류와 아동용 의류로 2원화 업무 프로세스적용으로 제품안전성 확보 - 섬유 및 가죽 제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 3종이었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내부 기준을 7종으로 확대하여 시험 추진 - 최근 4년간 총 21,560건 중 기준부적합 67건, 0.003%) 불합격 섬유의 제품화 제한 등 사전 조치 강화 ▪어린이 제품 금속 기질에 대한 규제 기준 변경 관리 강화 - 최근 4년간 총 15,715건 중 기준 부적합 23건, 0.001%) 기준치 미달의 건에 대한 자재의 제품화 제한 및 사전 조치 강화 ▪섬유제품 중 플리스제품의 모우부착 TEST기준 추가 반영 및 관리 강화 - 폴리에스터의 미세플라스틱 탈락의 대한 내부 기준 변경 적용 (`20) 주식회사 아이오이 박금순 ▪제품설명서 등 주의사항에 대한 가독성 확보 및 접근성 높은 소통 채널 마련으로 소비자 안전성 확보에 기여 - 제품 패키지, 라벨, 설명서 등 주의사항의 가독성 확보를 위한 자체 평가 진행 및 SNS를 통한 배포 - 유선, SNS 등 소통채널 확대로 소비자 접근성 강화 및 주1회 VOC(소비자의 목소리) 관련 회의 추진으로 소비자 불만접수 전년대비 15% 감소 ㈜에스에스라이트 조정진 ▪고연색 백색 발광소자, 광조사 기능을 개선한 투광등 조명부 거치대 구조 개선 등을 통한 산업현장 내 조명기기 안전사고 예방 - 조명부 고정 거치대 구조 개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 등을 통해 인체 유해성 제거 및 안전사고 예방, 특허 취득 - 기타, LED기판의 과열방지 및 방열성,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LED 모듈 기술개발 및 특허 취득 등 연구개발 지속 추진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박정민 ▪T커머스 최초 위해상품차단시스템을 도입하였으며, RPA, AI모니터링을 통한 시스템 고도화 운영으로 위해제품 유통차단에 기여 - T커머스 최초 RPA(로봇자동화프로세스)를 활용한 위해상품차단시스템 도입, RPA 연계 고도화 운영 - 이를 통해 대한상공회의소 위해상품차단시스템 집계 우수 운영사 선정 (홈쇼핑사 1위)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한 불법·불량상품 판매 차단 - 최근 7년간 제품안전 온라인 모니터링 29,645건 점검 및 암행주문을 통한 12,885건의 불법, 불량제품 판매 차단 - 최근 7년간 협력업체 제품안전 컨설팅 262건 을 통한 불법·불량상품 판매 차단 및 제품안전 지도 ▪온라인몰 금칙어 시스템을 통한 불법상품 유통 사전 차단 - 금칙어 120개 운영 및 블랙키워드 상품등록 원천 차단 진행 - 기타, Google AI, Chat GPT를 활용한 AI 상품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운영 ㈜엔트리연구원 김홍수, 박정서 ▪국내최초 국제공인시험소(KOLAS)로써, 다양한 산업분야별 협단체 등의 임원활동을 통한 기술교류 등으로 전기제품 산업발전에 기여 - 14년 이후 9개 내외의 협단체 임원활동을 통해 전기제품 업계 산업발전을 위한 시험검사, 인증 관련 정보교류 활동 수행 - 연평균 약 1.7천건의 전기안전, 5.3천건의 신뢰성성적서 발급 주식회사 엠에이치앤코 오상흔 ▪자체 3단계 안전성 확보 프로세스로, 불량제품 유통 감소 및 사고 예방 - 3단계 Q.C.P.(Quality Control Project)를 통한 제품 안전성 확보로, 불량제품 반환률 감소 및 연 3~4억의 폐기비용 절감 - 제조사, 유통사, 공인시험기관 3단계의 전도테스트를 통해 서랍장류 안전사고 및 리콜건수 제로화 - 안전성 확보 노력을 인정받아 8년 연속 브랜드파워 1위 달성 주식회사 프로티앤씨 김종태 ▪열확산 방지를 위한 난연재질의 안전도어 및 일체형 후드시설 설치된 F&B 자동화로봇 개발로 주방기기 화재사고 예방에 기여 - LG전자와 협업을 통핸 F&B자동화로봇 개발 및 안전도어, 비상스위치로 근무자 화상 및 화재사고 예방 - 그 외, 불량조립분해부를 갖춘 스마트 공장시스템 등 제품안전성 확보를 위한 주요 특허 11건 취득 한국소비자원 윤수현 ▪국내 최초 C2C거래 소비자안전확보를 위해 해외 및 중고거래 온라인플랫폼과 자율 안전협약체결 등을 통한 위해제품 유통차단에 기여 - 해외 온라인 플랫폼(알리, 테무)과 자율안전협약을 체결을 통한 국내 최초 C2C 거래 소비자 제품안전 확보(`24.5월) - 중고거래 플랫폼 4개사(당근마켓, 번개장터, 세컨웨어, 중고나라)와 국내 최초로 자율 제품안전협약 체결(`23.6월) ▪지능형 위해정보 통합처리 플랫폼 구축 기반 마련 및 온라인 위해제품 차단 강화 - 정보화사업 추진 절차에 따라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23년) 및 지능화 1기반 구축 1차년도 사업 착수(`24년) - 주요 구매대행플랫폼 3개사(인터커머스코리아 등) 대상 해외 위해제품 안전협의회 신규 구성
닫기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이름 | 직위 | 부서 | 전화번호 |
---|---|---|---|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