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통합검색

전기차 에너지등급’에 대한 검색결과 1,392 건 입니다

알림·뉴스 ( 587 건)

  • 전기차 에너지효율 등급제 전면 시행 2024-04-01

    효율을 비교할 수 있게 되어 고효율 전기차의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차 에너지효율 1등급에 해당하는 아이오닉6의 연간 충전요금은 약 78만원으로 5등급 전기차의 충전요금(약 162만원)에 비해 약 84만원 가량 저렴하며, 내연기관차(약 203만원), 하이브리드차(약 156만원)의 연간 연료비와 비교해도 절반 이하일 것으로 예상된다.   * 연평균 주행거리 13,323km, 완속 충전요금 364.5원/kWh, 휘발유 1,642.98원/L 가정, 내연기관차(10.8km/L)와 하이브리드차(14km/L)는 평균 연비 적용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제도 시행으로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참고자료

    • 0329(1조간)에너지효율과, 전기차 에너지효율 등급제 전면 시행.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3. 31.(일) 11:00 < 4.1.(월) 조간 > 배포 2024. 3. 29.(금) 전기차 에너지효율 등급제 전면 시행 - 4월 1일부터 국내 모든 전기차 278개 모델에 대해 에너지효율 등급제 적용 - 기존 에너지효율 표시제를 등급제로 전환해 소비자가 알기 쉽게 개선 2024년 4월 1일(월)부터 전기차 에너지효율 등급제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국내 신고된 시판 중인 모든 전기차(278개 모델)는 5단계 등급*으로 구분된 전기차 등급 라벨을 부착하게 된다. * 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 및 등급표시에 관한 규정(산업부 고시 제2023-157호) - ‘23.9.1~’24.3.31일은 신규 전기차모델만 적용, ‘24.4.1일부터 기존 전기차모델도 적용 전기차 에너지효율 1등급에 해당하는 전기차 모델은 현대차, 테슬라 등 6개 모델*(2.2%)이며, 2등급 54개 모델(19.4%), 3등급 73개 모델(26.3%), 4등급 83개 모델(29.8%), 5등급 62개 모델(22.3%) 순이다. * 현대자동차(3개 모델), 테슬라(2개 모델), 스마트솔루션즈(1개 모델) ** △1등급 5.8km/kWh 이상, △2등급 5.7~5.0km/kWh, △3등급 4.9~4.2km/kWh, △4등급 4.1~3.4km/kWh, △5등급 3.3km/kWh 이하 최근 전기차 등록대수(‘19년 8.9만대→’23년 54.4만대)와 등록모델(‘19년 27개 모델→’24년 278개 모델)이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등급제 시행으로 소비자가 쉽게 전기차 효율을 비교할 수 있게 되어 고효율 전기차의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차 에너지효율 1등급에 해당하는 아이오닉6의 연간 충전요금은 약 78만원으로 5등급 전기차의 충전요금(약 162만원)에 비해 약 84만원 가량 저렴하며, 내연기관차(약 203만원), 하이브리드차(약 156만원)의 연간 연료비와 비교해도 절반 이하일 것으로 예상된다. * 연평균 주행거리 13,323km, 완속 충전요금 364.5원/kWh, 휘발유 1,642.98원/L 가정, 내연기관차(10.8km/L)와 하이브리드차(14km/L)는 평균 연비 적용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제도 시행으로 고효율 전기차에 대한 업계의 기술 개발 촉진과 소비자 선호도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 전기차 시장동향, 제도 시행성과 등을 분석하여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담당 부서 에너지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현철 (044-203-5140) 에너지효율과 담당자 사무관 서주원 (044-203-5149) 참고1 전기차 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 설명자료 참고2 전기차 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 참고자료 □ 전기차 등급별 표시라벨 □ 표시라벨 디자인 개선사항 현행 변경 ⇒ 내연차(하이브리드차 포함) 전기자동차 □ 전기차 등급별 모델 비율 및 모델 수(‘24.3.26일기준) 구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전기자동차 복합에너지소비효율 (km/kWh) 5.8 이상 5.7 ~ 5.0 4.9 ~ 4.2 4.1 ~ 3.4 3.3 이하 모델비율(%) 2.16 19.42 26.26 29.86 22.3 모델수(개) 6 54 73 83 62 국산 4 25 24 16 14 수입 2 29 49 67 48 참고3 전기차 등급별 모델 현황(‘24.3.26일기준) □ 전기차 등급별 모델 현황 등급 연비 신고 모델명(km/kWh) 1등급 (5.8km/kWh 이상) 아이오닉 전기차(PE) (6.3) 아이오닉6 기본형 RWD 18인치 (6.2) Model 3 Standard Range Plus RWD (6.1) 아이오닉6 항속형 RWD 18인치 (6.0) SMART EV Z (5.8) Model 3 Standard Range Plus RWD (5.8) 2등급 (5.7~5.0 km/kWh) Model 3 RWD (5.7) Peugeot e208 (5.7) Model 3 RWD (5.7) EV6 기본형 RWD 19인치 (5.6) Model Y Standard Range (5.6) Model 3 Long Range (5.6) Model 3 Long Range (5.6) BMW i3 120Ah (5.6) 쏘울 전기차 (도심형, 39.2kWh) (5.6) Model 3 Long Range (5.5) 코나(SX2) 일렉트릭(항속형) 17인치 (5.5) 코나(SX2) 일렉트릭(기본형) 17인치 (5.5) 코나(SX2) 일렉트릭(항속형) 17인치(빌트인캠) (5.5) DS3 E-TENSE (5.5) 아이오닉6 항속형 AWD 18인치 (5.5) CHEVROLET BOLT EUV (5.5) CHEVROLET BOLT EV (5.5) 렉서스 RZ450e (5.4) Peugeot e-208 (5.4) EV6 항속형 RWD 19인치(빌트인캠 미적용) (5.4) Model Y Long Range (5.4) Model Y Long Range (5.4) CHEVROLET BOLT EV (5.4) 쏘울 전기차(기본형, 64kWh) (5.4) 이티밴 프로 (5.3) 이티4밴 프로 (5.3) 니로 EV 17인치 (5.3) 니로 플러스 EV 항속형 2WD 17인치 (5.3) EV6 기본형 4WD 19인치 (5.3) EV6 항속형 RWD 19인치(빌트인캠 적용) (5.3) Peugeot e2008 (5.2) Polestar 2 Standard Range Single Motor (5.2) 아이오닉5 항속형 RWD 19인치 (77.4kWh) (5.2) LEAF (5.2) Model Y RWD (5.1) Polestar 2 Long Range Single Motor (5.1) 레이 EV 밴 1인승 (5.1) 레이 EV 밴 2인승 (5.1) 레이 EV (5.1) Model Y RWD (5.1) 아이오닉6 항속형 RWD 20인치 (5.1) 아이오닉5 항속형 RWD 19인치 빌트인캠 (77.4kWh) (5.1) GV60 RWD 19인치 (5.1) 아이오닉5 기본형 RWD 19인치 (5.1) 아이오닉5 기본형 RWD 19인치 (5.1) 아이오닉5 항속형 RWD 19인치 빌트인캠 (5.1) 아이오닉5 항속형 RWD 19인치 (5.1) Model 3 Performance (5.1) LEAF (5.1) ID.5 Pro (5.0) Model Y Performance (5.0) 토레스 EVX 2WD 18인치타이어 (5.0) EV6 항속형 4WD 19인치 (5.0) Model 3 Long Range (5.0) 3등급 (4.9~4.2 km/kWh) ID.4 Pro (4.9) Model Y Long Range (4.9) ID.4 Pro (4.9) Mercedes-Benz EQA250 (4.9) DS3 CROSSBACK E-TENSE (4.9) Peugeot e-2008 SUV (4.9) 코란도 e-motion 2WD Non Heat Pump (4.9) EV6 항속형 RWD 20인치 (4.9) 코란도 e-motion 2WD Heat Pump (4.9) 아이오닉5 항속형 RWD 20인치 (4.9) 토레스 EVX 2WD 20인치타이어 (4.8) Q4 Sportback 40 e-tron (4.8) Model S AWD (4.8) 코나(SX2) 일렉트릭(항속형) 19인치 (4.8) 코란도 e-motion 2WD Heat Pump (4.8) 아이오닉6 항속형 AWD 20인치 (4.8) 아이오닉5 항속형 RWD 20인치 (77.4kWh) (4.8) Polestar 2 Long Range Single Motor (4.8) 비바 (4.8) 아이오닉5 기본형 4WD 19인치 (4.8) Model Y Performance (4.8) LEAF PLUS (4.8) Q4 45 e-tron (4.7) Q4 Sportback 45 e-tron (4.7) Q4 40 e-tron (4.7) ID.4 Pro (4.7) 아이오닉5 항속형 4WD 19인치 (77.4kWh) (4.7) 렉서스 UX300e (4.7) 아이오닉5 항속형 4WD 19인치 (4.7) Model 3 Performance (4.7) BMW i5 eDrive40 (19", 20") (4.6) Mercedes-Benz EQE 350 + (4.6) 볼보 C40 Recharge Twin (4.6) 비바 (4.6) GV70 Electrified 19인치 (4.6) BMW i4 eDrive40 (4.6) EV6 항속형 4WD 20인치 (4.6) Model S AWD (4.5) MINI Cooper SE (4.5) GV60 4WD 19인치 (4.5) 아이오닉5 항속형 4WD 20인치 (4.5) 볼보 XC40 Recharge Twin (4.4) 이티4밴 (4.4) 이티밴 (4.4) 아이오닉5 항속형 4WD 20인치 (77.4kWh) (4.4) Model S Long Range Plus (4.4) LSEV (4.4) G80 Electrified 24MY (4.3) Polestar 2 Long Range Dual Motor (4.3) Mercedes-Benz EQE350 + (4.3) Q4 e-tron 40 (4.3) Model X AWD (4.3) Model X AWD (4.3) Model X AWD (4.3) GV70 Electrified 20인치 (4.3) GV60 4WD 20인치 (4.3) G80 Electrified (4.3) MG ZS EV (4.3) Model S Performance (4.3) Model S Long Range (4.3) Model S 75D (4.3) Mercedes-Benz EQS 450 + (4.2) Model X AWD (4.2) Model X AWD (4.2) Model X AWD (4.2) EV9 2WD 19인치 7인 (4.2) EV9 2WD 19인치 6인 (4.2) BMW iX1 xDrive30 (4.2) Q4 e-tron 40 (4.2) Q4 Sportback e-tron 40 (4.2) Mercedes-Benz EQE300 (4.2) GV70 Electrified 무선충전 (4.2) Model S Performance (4.2) 4등급 (4.1~3.4 km/kWh) Mercedes-Benz EQB 300 4MATIC (4.1) BMW i5 eDrive40 (4.1) Model S Plaid (4.1) EV9 2WD 20인치 6인 (4.1) EV9 2WD 20인치 7인 (4.1) Q4 Sportback e-tron 40 (4.1) Mercedes-Benz EQB300 4MATIC (4.1) Model X Plaid (4.1) Model X Plaid (4.1) 브라보 (4.1) Mercedes-Benz EQB300 4MATIC (5 Seater) (4.1) Model S Plaid (4.1) BMW i4 M50 (4.1) BMW iX3 M Sport (4.1) GV60 4WD 무선충전 (4.1) Mercedes-Benz EQA250 (4.1) GV60 성능형 4WD 21인치 (4.1) Mercedes-Benz EQE 350 4MATIC (4.0) Mercedes-Benz EQS 450 4MATIC (4.0) Mercedes-Benz EQE350 4MATIC (4.0) Mercedes-Benz EQS350 (4.0) Mercedes-Benz EQA250 (4.0) Mercedes-Benz EQA250 (4.0) Model X Long Range Plus (4.0) Model X Long Range Plus (4.0) Model X Long Range Plus (4.0) Model S 100D (4.0) 캐딜락 Lyriq (3.9) Mercedes-Benz EQE350 4MATIC SUV (3.9) EV9 4WD 21인치 6인 (3.9) EV9 4WD 21인치 7인 (3.9) BMW iX xDrive40 (3.9) EV6 GT (3.9) GV60 성능형 4WD 무선충전 (3.9) BMW iX xDrive40 (3.9) Model X Long Range (3.9) Model X Long Range (3.9) Model X Long Range (3.9) BMW i5 M60 xDrive (3.8) BMW i7 eDrive50 (3.8) SE-A2밴 (3.8) Model X Plaid (3.8) EV9 GTL 4WD 21인치 6인 (3.8) EV9 GTL 4WD 21인치 7인 (3.8) Model X Plaid (3.8) EV9 4WD 19인치 6인 (3.8) EV9 4WD 19인치 7인 (3.8) Mercedes-Benz EQE500 4MATIC SUV (3.8) Mercedes-Benz EQS450 + (3.8) MASADA 3세대 4밴 (3.8) MASADA 3세대 2밴 (3.8) MASADA 4밴 (3.8) MASADA 2밴 (3.8) Polestar 2 Long Range Dual Motor (3.8) Mercedes-Benz EQS450 + (3.8) Model X Performance (3.8) Model X Performance (3.8) Model X Performance (3.8) 썬라이즈-T01 (3.7) 아이오닉5 N (3.7) BMW iX xDrive50 (3.7) BMW i7 xDrive60 (3.7) e-tron GT quattro (3.7) Model X Performance (3.7) Model X Performance (3.7) Model X Performance (3.7) Mercedes-AMG EQE 53 4MATIC +(Race Start +) (3.6) Mercedes-AMG EQE 53 4MATIC + (3.6) Mercedes-Benz EQS450 4MATIC SUV(5seats) (3.6) Mercedes-Benz EQS450 4MATIC SUV (3.6) BMW iX xDrive50 (3.6) 다니고VAN (3.6) Mercedes-AMG EQE 53 4MATIC + SUV (3.5) Mercedes-Benz EQS580 4MATIC SUV(5seats) (3.5) Mercedes-Benz EQS580 4MATIC SUV (3.5) MASADA 픽업 (3.5) Mercedes-Benz EQS450 4MATIC (3.5) 파워프라자 라보 ev PEACE (3.5) 젤라 피이백 (3.4) 다니고C2 (3.4) BMW iX M60 (3.4) BMW iX M60 (3.4) RS e-tron GT (3.4) 5등급 (3.3km/kWh 이하) BMW i7 M70 xDrive (3.3) 테라밴키즈11 (3.3) 테라밴 (3.3) 테라밴키즈 (3.3) Mercedes-AMG EQE53 4MATIC + (3.3) Rolls Royce Spectre (3.2) Rolls Royce Black Badge Spectre (3.2) Mercedes-AMG EQS 53 4MATIC + (3.2) Mercedes-AMG EQS53 4MATIC + (3.2) 타이칸 GTS (5인승) (3.2) 타이칸 GTS (3.2) 벤츠 EQC 400 4MATIC (3.2) 포터일렉트릭 24MY (3.1) Mercedes-AMG EQS53 4MATIC + (3.1) 다니고C (3.1) 봉고 전기차 (22) (3.1) Mercedes-Benz EQC400 4MATIC (3.1) 포터 일렉트릭 22MY (3.1) 타이칸 (5인승) (3.1) 타이칸 (3.1) e-tron Sportback 55 quattro (3.1) 봉고 전기차 (3.1) 포터일렉트릭 (3.1) 이엔플러스EV1톤 롱바디트럭 (3.0) Q8 55 e-tron quattro (3.0) Q8 50 e-tron quattro (3.0) e-tron 55 quattro (3.0) 타이칸 (High) (3.0) 타이칸 (High, 5인승) (3.0) 타이칸 4S (3.0) 타이칸 4S (5인승) (3.0) e-tron Sportback 50 quattro (3.0) * (‘24. 3. 26일 조회 기준) 전기자동차의 등급은 한국에너지공단 수송통합운영시스템에서 확인 가능 (https://min24.energy.or.kr/trans_hp/AHP/home.do) e-tron 55 quattro (3.0) Q8 Sportback 55 e-tron quattro (2.9)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4S (5인승) (2.9)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4S (2.9)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5인승) (2.9)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2.9) 타이칸 터보 (5인승) (2.9) 타이칸 터보 (2.9) 타이칸 4S (High) (2.9) 타이칸 4S (High, 5인승) (2.9) e-tron 50 quattro (2.9) 한국쓰리축1톤롱 바디EV트럭(포터 ) (2.8) 한국쓰리축1톤롱 바디EV트럭(봉고 ) (2.8) 이엔1톤롱바디카 고 (2.8)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터보 (5인승) (2.8)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터보 (2.8) 타이칸 터보 S (5인승) (2.8) 타이칸 터보 S (2.8) e-tron S Sportback (2.7) e-tron S (2.7) SQ8 Sportback e-tron (2.6) T4K (2.6) 젤라 (2.6) 플러스2.0(카고) (2.5) 플러스2.0(카고) (2.5) 플러스(PLUS) (2.5) 파워프라자 봉고3ev PEACE (2.4) 제인모터스칼마 토EV1톤내장탑차 (2.3) 파워프라자 봉고3ev PEACE 더블캡 (2.0) EV SAVER(파워테크 닉스 세이버 KNCSZ76ADK80 3665) (1.6)

      닫기
    • 0329(1조간)에너지효율과, 전기차 에너지효율 등급제 전면 시행.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3. 31.(일) 11:00 < 4.1.(월) 조간 > 배포 2024. 3. 29.(금) 전기차 에너지효율 등급제 전면 시행 - 4월 1일부터 국내 모든 전기차 278개 모델에 대해 에너지효율 등급제 적용 - 기존 에너지효율 표시제를 등급제로 전환해 소비자가 알기 쉽게 개선 2024년 4월 1일(월)부터 전기차 에너지효율 등급제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국내 신고된 시판 중인 모든 전기차(278개 모델)는 5단계 등급*으로 구분된 전기차 등급 라벨을 부착하게 된다. * 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 및 등급표시에 관한 규정(산업부 고시 제2023-157호) - ‘23.9.1~’24.3.31일은 신규 전기차모델만 적용, ‘24.4.1일부터 기존 전기차모델도 적용 전기차 에너지효율 1등급에 해당하는 전기차 모델은 현대차, 테슬라 등 6개 모델*(2.2%)이며, 2등급 54개 모델(19.4%), 3등급 73개 모델(26.3%), 4등급 83개 모델(29.8%), 5등급 62개 모델(22.3%) 순이다. * 현대자동차(3개 모델), 테슬라(2개 모델), 스마트솔루션즈(1개 모델) ** △1등급 5.8km/kWh 이상, △2등급 5.7~5.0km/kWh, △3등급 4.9~4.2km/kWh, △4등급 4.1~3.4km/kWh, △5등급 3.3km/kWh 이하 최근 전기차 등록대수(‘19년 8.9만대→’23년 54.4만대)와 등록모델(‘19년 27개 모델→’24년 278개 모델)이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등급제 시행으로 소비자가 쉽게 전기차 효율을 비교할 수 있게 되어 고효율 전기차의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차 에너지효율 1등급에 해당하는 아이오닉6의 연간 충전요금은 약 78만원으로 5등급 전기차의 충전요금(약 162만원)에 비해 약 84만원 가량 저렴하며, 내연기관차(약 203만원), 하이브리드차(약 156만원)의 연간 연료비와 비교해도 절반 이하일 것으로 예상된다. * 연평균 주행거리 13,323km, 완속 충전요금 364.5원/kWh, 휘발유 1,642.98원/L 가정, 내연기관차(10.8km/L)와 하이브리드차(14km/L)는 평균 연비 적용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제도 시행으로 고효율 전기차에 대한 업계의 기술개발 촉진과 소비자 선호도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 전기차 시장동향, 제도 시행성과 등을 분석하여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담당 부서 에너지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현철 (044-203-5140) 에너지효율과 담당자 사무관 서주원 (044-203-5149) 참고1 전기차 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 설명자료 참고2 전기차 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 참고자료 □ 전기차 등급별 표시라벨 □ 표시라벨 디자인 개선사항 현행 변경 ⇒ 내연차(하이브리드차 포함) 전기자동차 □ 전기차 등급별 모델 비율 및 모델 수(‘24.3.26일 기준) 구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전기자동차 복합에너지소비효율(km/kWh) 5.8 이상 5.7 ~ 5.0 4.9 ~ 4.2 4.1 ~ 3.4 3.3 이하 모델비율(%) 2.16 19.42 26.26 29.86 22.3 모델수(개) 6 54 73 83 62 국산 4 25 24 16 14 수입 2 29 49 67 48 참고3 전기차 등급별 모델 현황(‘24.3.26일 기준) □ 전기차 등급별 모델 현황 등급 연비 신고 모델명(km/kWh) 1등급 (5.8km/kWh 이상) 아이오닉 전기차(PE) (6.3) 아이오닉6 기본형 RWD 18인치 (6.2) Model 3 Standard Range Plus RWD (6.1) 아이오닉6 항속형 RWD 18인치 (6.0) SMART EV Z (5.8) Model 3 Standard Range Plus RWD (5.8) 2등급 (5.7~5.0 km/kWh) Model 3 RWD (5.7) Peugeot e208 (5.7) Model 3 RWD (5.7) EV6 기본형 RWD 19인치 (5.6) Model Y Standard Range (5.6) Model 3 Long Range (5.6) Model 3 Long Range (5.6) BMW i3 120Ah (5.6) 쏘울 전기차 (도심형, 39.2kWh) (5.6) Model 3 Long Range (5.5) 코나(SX2) 일렉트릭(항속형) 17인치 (5.5) 코나(SX2) 일렉트릭(기본형) 17인치 (5.5) 코나(SX2) 일렉트릭(항속형) 17인치(빌트인캠) (5.5) DS3 E-TENSE (5.5) 아이오닉6 항속형 AWD 18인치 (5.5) CHEVROLET BOLT EUV (5.5) CHEVROLET BOLT EV (5.5) 렉서스 RZ450e (5.4) Peugeot e-208 (5.4) EV6 항속형 RWD 19인치(빌트인캠미적용) (5.4) Model Y Long Range (5.4) Model Y Long Range (5.4) CHEVROLET BOLT EV (5.4) 쏘울 전기차(기본형, 64kWh) (5.4) 이티밴 프로 (5.3) 이티4밴 프로 (5.3) 니로 EV 17인치 (5.3) 니로 플러스 EV 항속형 2WD 17인치 (5.3) EV6 기본형 4WD 19인치 (5.3) EV6 항속형 RWD 19인치(빌트인캠적용) (5.3) Peugeot e2008 (5.2) Polestar 2 Standard Range Single Motor (5.2) 아이오닉5 항속형 RWD 19인치 (77.4kWh) (5.2) LEAF (5.2) Model Y RWD (5.1) Polestar 2 Long Range Single Motor (5.1) 레이 EV 밴 1인승 (5.1) 레이 EV 밴 2인승 (5.1) 레이 EV (5.1) Model Y RWD (5.1) 아이오닉6 항속형 RWD 20인치 (5.1) 아이오닉5 항속형 RWD 19인치 빌트인캠 (77.4kWh) (5.1) GV60 RWD 19인치 (5.1) 아이오닉5 기본형 RWD 19인치 (5.1) 아이오닉5 기본형 RWD 19인치 (5.1) 아이오닉5 항속형 RWD 19인치 빌트인캠 (5.1) 아이오닉5 항속형 RWD 19인치 (5.1) Model 3 Performance (5.1) LEAF (5.1) ID.5 Pro (5.0) Model Y Performance (5.0) 토레스 EVX 2WD 18인치타이어 (5.0) EV6 항속형 4WD 19인치 (5.0) Model 3 Long Range (5.0) 3등급 (4.9~4.2 km/kWh) ID.4 Pro (4.9) Model Y Long Range (4.9) ID.4 Pro (4.9) Mercedes-Benz EQA250 (4.9) DS3 CROSSBACK E-TENSE (4.9) Peugeot e-2008 SUV (4.9) 코란도 e-motion 2WD Non Heat Pump (4.9) EV6 항속형 RWD 20인치 (4.9) 코란도 e-motion 2WD Heat Pump (4.9) 아이오닉5 항속형 RWD 20인치 (4.9) 토레스 EVX 2WD 20인치타이어 (4.8) Q4 Sportback 40 e-tron (4.8) Model S AWD (4.8) 코나(SX2) 일렉트릭(항속형) 19인치 (4.8) 코란도 e-motion 2WD Heat Pump (4.8) 아이오닉6 항속형 AWD 20인치 (4.8) 아이오닉5 항속형 RWD 20인치 (77.4kWh) (4.8) Polestar 2 Long Range Single Motor (4.8) 비바 (4.8) 아이오닉5 기본형 4WD 19인치 (4.8) Model Y Performance (4.8) LEAF PLUS (4.8) Q4 45 e-tron (4.7) Q4 Sportback 45 e-tron (4.7) Q4 40 e-tron (4.7) ID.4 Pro (4.7) 아이오닉5 항속형 4WD 19인치 (77.4kWh) (4.7) 렉서스 UX300e (4.7) 아이오닉5 항속형 4WD 19인치 (4.7) Model 3 Performance (4.7) BMW i5 eDrive40 (19", 20") (4.6) Mercedes-Benz EQE 350 + (4.6) 볼보 C40 Recharge Twin (4.6) 비바 (4.6) GV70 Electrified 19인치 (4.6) BMW i4 eDrive40 (4.6) EV6 항속형 4WD 20인치 (4.6) Model S AWD (4.5) MINI Cooper SE (4.5) GV60 4WD 19인치 (4.5) 아이오닉5 항속형 4WD 20인치 (4.5) 볼보 XC40 Recharge Twin (4.4) 이티4밴 (4.4) 이티밴 (4.4) 아이오닉5 항속형 4WD 20인치 (77.4kWh) (4.4) Model S Long Range Plus (4.4) LSEV (4.4) G80 Electrified 24MY (4.3) Polestar 2 Long Range Dual Motor (4.3) Mercedes-Benz EQE350 + (4.3) Q4 e-tron 40 (4.3) Model X AWD (4.3) Model X AWD (4.3) Model X AWD (4.3) GV70 Electrified 20인치 (4.3) GV60 4WD 20인치 (4.3) G80 Electrified (4.3) MG ZS EV (4.3) Model S Performance (4.3) Model S Long Range (4.3) Model S 75D (4.3) Mercedes-Benz EQS 450 + (4.2) Model X AWD (4.2) Model X AWD (4.2) Model X AWD (4.2) EV9 2WD 19인치 7인 (4.2) EV9 2WD 19인치 6인 (4.2) BMW iX1 xDrive30 (4.2) Q4 e-tron 40 (4.2) Q4 Sportback e-tron 40 (4.2) Mercedes-Benz EQE300 (4.2) GV70 Electrified 무선충전 (4.2) Model S Performance (4.2) 4등급 (4.1~3.4 km/kWh) Mercedes-Benz EQB 300 4MATIC (4.1) BMW i5 eDrive40 (4.1) Model S Plaid (4.1) EV9 2WD 20인치 6인 (4.1) EV9 2WD 20인치 7인 (4.1) Q4 Sportback e-tron 40 (4.1) Mercedes-Benz EQB300 4MATIC (4.1) Model X Plaid (4.1) Model X Plaid (4.1) 브라보 (4.1) Mercedes-Benz EQB300 4MATIC (5 Seater) (4.1) Model S Plaid (4.1) BMW i4 M50 (4.1) BMW iX3 M Sport (4.1) GV60 4WD 무선충전 (4.1) Mercedes-Benz EQA250 (4.1) GV60 성능형 4WD 21인치 (4.1) Mercedes-Benz EQE 350 4MATIC (4.0) Mercedes-Benz EQS 450 4MATIC (4.0) Mercedes-Benz EQE350 4MATIC (4.0) Mercedes-Benz EQS350 (4.0) Mercedes-Benz EQA250 (4.0) Mercedes-Benz EQA250 (4.0) Model X Long Range Plus (4.0) Model X Long Range Plus (4.0) Model X Long Range Plus (4.0) Model S 100D (4.0) 캐딜락 Lyriq (3.9) Mercedes-Benz EQE350 4MATIC SUV (3.9) EV9 4WD 21인치 6인 (3.9) EV9 4WD 21인치 7인 (3.9) BMW iX xDrive40 (3.9) EV6 GT (3.9) GV60 성능형 4WD 무선충전 (3.9) BMW iX xDrive40 (3.9) Model X Long Range (3.9) Model X Long Range (3.9) Model X Long Range (3.9) BMW i5 M60 xDrive (3.8) BMW i7 eDrive50 (3.8) SE-A2밴 (3.8) Model X Plaid (3.8) EV9 GTL 4WD 21인치 6인 (3.8) EV9 GTL 4WD 21인치 7인 (3.8) Model X Plaid (3.8) EV9 4WD 19인치 6인 (3.8) EV9 4WD 19인치 7인 (3.8) Mercedes-Benz EQE500 4MATIC SUV (3.8) Mercedes-Benz EQS450 + (3.8) MASADA 3세대 4밴 (3.8) MASADA 3세대 2밴 (3.8) MASADA 4밴 (3.8) MASADA 2밴 (3.8) Polestar 2 Long Range Dual Motor (3.8) Mercedes-Benz EQS450 + (3.8) Model X Performance (3.8) Model X Performance (3.8) Model X Performance (3.8) 썬라이즈-T01 (3.7) 아이오닉5 N (3.7) BMW iX xDrive50 (3.7) BMW i7 xDrive60 (3.7) e-tron GT quattro (3.7) Model X Performance (3.7) Model X Performance (3.7) Model X Performance (3.7) Mercedes-AMG EQE 53 4MATIC +(Race Start +) (3.6) Mercedes-AMG EQE 53 4MATIC + (3.6) Mercedes-Benz EQS450 4MATIC SUV(5seats) (3.6) Mercedes-Benz EQS450 4MATIC SUV (3.6) BMW iX xDrive50 (3.6) 다니고VAN (3.6) Mercedes-AMG EQE 53 4MATIC + SUV (3.5) Mercedes-Benz EQS580 4MATIC SUV(5seats) (3.5) Mercedes-Benz EQS580 4MATIC SUV (3.5) MASADA 픽업 (3.5) Mercedes-Benz EQS450 4MATIC (3.5) 파워프라자 라보 ev PEACE (3.5) 젤라 피이백 (3.4) 다니고C2 (3.4) BMW iX M60 (3.4) BMW iX M60 (3.4) RS e-tron GT (3.4) 5등급 (3.3km/kWh 이하) BMW i7 M70 xDrive (3.3) 테라밴키즈11 (3.3) 테라밴 (3.3) 테라밴키즈 (3.3) Mercedes-AMG EQE53 4MATIC + (3.3) Rolls Royce Spectre (3.2) Rolls Royce Black Badge Spectre (3.2) Mercedes-AMG EQS 53 4MATIC + (3.2) Mercedes-AMG EQS53 4MATIC + (3.2) 타이칸 GTS (5인승) (3.2) 타이칸 GTS (3.2) 벤츠 EQC 400 4MATIC (3.2) 포터일렉트릭 24MY (3.1) Mercedes-AMG EQS53 4MATIC + (3.1) 다니고C (3.1) 봉고 전기차 (22) (3.1) Mercedes-Benz EQC400 4MATIC (3.1) 포터 일렉트릭 22MY (3.1) 타이칸 (5인승) (3.1) 타이칸 (3.1) e-tron Sportback 55 quattro (3.1) 봉고 전기차 (3.1) 포터일렉트릭 (3.1) 이엔플러스EV1톤롱바디트럭 (3.0) Q8 55 e-tron quattro (3.0) Q8 50 e-tron quattro (3.0) e-tron 55 quattro (3.0) 타이칸 (High) (3.0) 타이칸 (High, 5인승) (3.0) 타이칸 4S (3.0) 타이칸 4S (5인승) (3.0) e-tron Sportback 50 quattro (3.0) e-tron 55 quattro (3.0) Q8 Sportback 55 e-tron quattro (2.9)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4S (5인승) (2.9)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4S (2.9)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5인승) (2.9)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2.9) 타이칸 터보 (5인승) (2.9) 타이칸 터보 (2.9) 타이칸 4S (High) (2.9) 타이칸 4S (High, 5인승) (2.9) e-tron 50 quattro (2.9) 한국쓰리축1톤롱바디EV트럭(포터) (2.8) 한국쓰리축1톤롱바디EV트럭(봉고) (2.8) 이엔1톤롱바디카고 (2.8)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터보 (5인승) (2.8)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터보 (2.8) 타이칸 터보 S (5인승) (2.8) 타이칸 터보 S (2.8) e-tron S Sportback (2.7) e-tron S (2.7) SQ8 Sportback e-tron (2.6) T4K (2.6) 젤라 (2.6) 플러스2.0(카고) (2.5) 플러스2.0(카고) (2.5) 플러스(PLUS) (2.5) 파워프라자 봉고3ev PEACE (2.4) 제인모터스칼마토EV1톤내장탑차 (2.3) 파워프라자 봉고3ev PEACE 더블캡 (2.0) EV SAVER(파워테크닉스 세이버 KNCSZ76ADK803665) (1.6) * (‘24. 3. 26일 조회 기준) 전기자동차의 등급은 한국에너지공단 수송통합운영시스템에서 확인 가능 (https://min24.energy.or.kr/trans_hp/AHP/home.do)

      닫기
    • [별첨] 전기차 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 전면시행 그림자료.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해당 파일은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더보기

정책·정보 ( 301 건)

  •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4차)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2024-05-14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4차) 신규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정보>정책게시판>전체

    •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4차)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문.hwp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4-399호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4차)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4차) 신규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4년 05월 14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목 차 > 1. 사업개요 1-1. 사업목적 1-2. 연구개발비 지원 규모 및 기간 2. 사업추진체계 3. 연구개발비 지원기준 및 기술료 징수기준 3-1. 연구개발비 지원기준 3-2. 기술료 징수 여부 및 방법 3-3. 연구개발비 산정시 유의사항 4. 지원분야 및 신청자격 등 4-1. 지원분야 4-2. 신청자격 4-3. 지원제외 처리기준 5. 평가 절차 및 기준 5-1. 평가절차 5-2. 평가기준 6. 근거법령 및 규정 7. 신청방법, 신청서 제출기한 및 접수처 8. 제출 서류 사항 9. 기타 지원 내용 및 유의 사항 10. 문의처 등 1. 사업개요 1-1. 사업목적 ◦제조업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소재의 해외의존도 완화, 기술고도화 및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소재·부품 기술개발 지원 1-2. 연구개발비 지원 규모 및 기간 세부사업명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 패키지형 생태계 (R&D 협력지원) 개발형태 혁신제품형 지원대상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2조 (소재·부품 및 장비의 범위)에 해당되는 소재·부품 및 장비 업종 분야 2024년 공고예산(안) (투자연계형) 209억원 내외 (패키지형) 236.3억원 내외 ▪특화단지2) : 135억원 내외 4억원 내외 지원규모 연구개발과제별 특성에 따라 달리함 (지원대상 사업 및 과제(RFP, 품목) 목록(첨부파일 참조) 지원기간 (투자연계형) 5년 이내 (1차년도 6개월) (연구개발과제별 특성에 따라 달리함, 연구개발과제 제안요구서(품목) 참조) (패키지형) 7년 이내(1차년도 6개월) (연구개발과제별 특성에 따라 달리함, 연구개발과제 제안요구서(RFP) 참조) 자격 주관 연구 개발 기관 연구개발과제별 제안요구서(RFP·품목) 상의 주관연구개발기관 유형 참고 비영리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제한없음 (단,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신청자격 참조) 중소‧중견기업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배분 비율 70% 이상(권고) 50% 이상(필수) (단, 대기업, 제한 없음 주관 연구개발과제는 예외로 함) 해당없음 연구개발과제 구성의무사항 수요기업3)은 1차년도부터 참여필수 해당없음 ▪ (투자연계형) 한 개 이상의 수요기업은 통합형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 필수(총괄연구개발과제 제외) * 총괄 및 세부연구개발과제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신청 ▪ 투자기간 내 투자신청(KITIA) 필수(5월 14일~6월 14일까지) ▪(통합형) 한 개 이상의 수요기업은 통합형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 필수(총괄연구개발과제 제외) * 총괄 및 세부연구개발과제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신청 ▪(병렬형) 세부연구개발과제별 수요기업 참여 필수 (총괄연구개발과제 제외) * 총괄 및 세부연구개발과제가 각자 신청하여 평가 후 선정된 연구개발과제로 컨소시엄 구성 ▪해외연계 R&D는 국외 소재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이 연구개발기관 또는연구개발기관 외 기관으로 참여필수 협약유형 일괄협약 기술료 영리기관별 징수 해당없음 1) 지원예산과 규모는 예산 상황 및 평가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2) “특화단지”는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이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해야 하며, 소부장 특화단지 내 기업이 수요기업으로 참여 필수 * 충북 오송, 광주, 대구, 부산, 경기 안성(제1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23.7) 3) “수요기업”이란 개발제품 및 기술에 대한 구매 또는 실시를 희망하여 개발과정에서 성능 평가 및 검증 역할을 하는 참여기업을 말함 * 수요기업은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할 경우에 한해서 기업 유형에 관계없이 정부지원연구개발비, 기관부담연구개발비 비중을 중소기업 수준으로 조정가능(필요시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없이 연구개발과제 참여가 가능) * 수요기업이 참여하는 연구개발과제는 접수마감일까지 수요기업 확약서 제출필수 2. 사업추진체계 ◦추진체계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 통합형 산업통상자원부 사업심의위원회 전 문 기 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개발과제평가단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 (총괄연구책임자) … 세부주관 연구개발기관1 (세부연구책임자) 세부주관 연구개발기관2 (세부연구책임자) … 세부주관 연구개발기관N (세부연구책임자) 공동연구 개발기관1 (공동연구 책임자1) 공동연구 개발기관N (공동연구 책임자N) 공동연구 개발기관1 (공동연구 책임자1) 공동연구 개발기관N (공동연구 책임자N) … 공동연구 개발기관1 (공동연구 책임자1) 공동연구 개발기관N (공동연구 책임자N) -패키지형 : 통합형 산업통상자원부 사업심의위원회 전 문 기 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과제평가단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 (총괄연구책임자) … 세부주관 연구개발기관1 (세부연구책임자) 세부주관 연구개발기관2 (세부연구책임자) … 세부주관 연구개발기관N (세부연구책임자) 공동연구 개발기관1 (공동연구 책임자1) 공동연구 개발기관N (공동연구 책임자N) 공동연구 개발기관1 (공동연구 책임자1) 공동연구 개발기관N (공동연구 책임자N) … 공동연구 개발기관1 (공동연구 책임자1) 공동연구 개발기관N (공동연구 책임자N) -패키지형(생태계) 산업통상자원부 생태계과제 운영위원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생태계별 분과위원회 <바이오> 협력지원과제 <디스플레이> 협력지원과제 <이차전지> 협력지원과제 <조선해양> 협력지원과제 R&D 총괄1 R&D 총괄2 R&D 총괄3 R&D 총괄4 세부1 세부2 세부3 세부4 - “주관연구개발기관”이라 함은 해당 연구개발과제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기관 - “공동연구개발기관”이라 함은 해당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하여 주관연구개발기관과 공동으로 수행하는 기관 - “연구책임자”라 함은 해당 연구개발과제를 총괄하여 수행하는 책임자 - “과제참여자(책임자 및 연구원 등)”는 해당 과제에 실질적 참여자로 국한 할 것 ◦추진절차 -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시행계획 수립 및 통보 산업통상자원부 → 전문기관 사업공고 및 접수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연구개발기관 투자심사 신청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 사전검토 전문기관 투자심사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 선정평가 및 협약체결 전문기관↔주관연구개발기관(공동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과제 수행 주관연구개발기관(공동연구개발기관) 최종평가 주관연구개발기관→전문기관 →산업통상자원부 기술료 징수·성과조사 등 사후관리 연구개발기관→전문기관 - 패키지형 시행계획 수립 및 통보 산업통상자원부 → 전문기관 사업공고 및 접수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연구개발기관 사전검토 전문기관 선정평가 및 협약체결 전문기관↔주관연구개발기관(공동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과제 수행 주관연구개발기관(공동연구개발기관) 최종평가 주관연구개발기관→전문기관 →산업통상자원부 기술료 징수·성과조사 등 사후관리 연구개발기관→전문기관 3. 연구개발비 지원기준 및 기술료 징수기준 3-1. 연구개발비 지원기준 □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 및 기관부담연구개발비 부담 조건 ① 공통사항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개발비는 정부지원연구개발비와 기관부담연구개발비, 그 외 기관·단체·개인이 지원하는 연구개발비(지방자치단체 등이 보유한 현금 및 현물)로 구성 ◦연구개발기관 중 영리기관의 경우 기관부담연구개발비 중 현금을 개별 부담하여야 함 - 수요기업의 경우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 없이 참여가 가능하며 이 경우 기관부담연구개발비 중 현물(참여연구자 인건비 등)로 구성할 수 있음 ◦연구개발비 구성 시 수요기업, 과제 특징(초고난도과제, 챌린지트랙, 대형통합형, 서비스형, 국제공동연구개발과제 등), 핵심전략기술 관련 기술개발 등 유리한 조건 적용 가능 (단, 중복 적용 불가) ②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 기준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비율은 아래의 표와 같이 연구개발기관 및 연구개발과제 유형에 따라 달리 적용 가능 - 수요기업으로 참여하는 공동연구개발기관은 기업 유형에 관계없이 중소기업 수준으로 정부지원연구개발비를 지원할 수 있음. 단, 연구개발과제평가단 심의를 거쳐 수요기업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연구개발기관 유형에 따라 연구개발비를 재산정하여야 함 - 산업위기지역 소재기업* 중, 중소기업이 수행하는 연구개발과제는 예외적으로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비율을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80% 이하로, 중견기업이 수행하는 혁신제품형 연구개발과제는 65% 이하로 할 수 있음 * ‘산업위기지역 소재기업’이란, 「지역 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제8조제2항, 제9조제2항, 제10조제6항 및 제8항, 제13조와 같은 법 시행령 제6조제3항, 제7조제4항, 제8조제3항 및 제6항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고시한 “지역 산업위기대응 제도의 지정기준 등에 관한 고시”에 따라 지정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의 주된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임(지정 기간에 한함) 연구개발기관1) 유형 연구개발과제 유형 원천기술형 혁신제품형 중소·중견기업이 아닌 기업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50% 이하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33% 이하 중견기업2)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70% 이하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50% 이하 중소기업3)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75% 이하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67% 이하 그 외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100% 이하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100% 이하 1) ‘연구개발기관’이란 과제수행을 위하여 선정된 주관연구개발기관 및 공동연구개발기관임 2) ‘중견기업’이란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제2조 1호의 기업임 * 단,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시행령 제7조에 따라 산정한 평균매출액 등이 3천억원 미만인 중견기업은 중소기업 수준으로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 가능 3) ‘중소기업’이란 「중소기업기본법」제2조제1항에 따른 기업임 ◦ 과제 특징이 ‘초고난도과제와 챌린지 트랙, 대형통합형, 서비스형, 국제공동연구개발과제(해외연계‘에 해당할 경우 과제 유형과 상관없이 원천기술형 기준으로 연구개발비를 산정할 수 있음(붙임1.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4차) 공고대상 목록(총괄 기준)” 참조) ③ 기관부담연구개발비 중 현금부담비율 기준 ◦연구개발기관에서 부담하여야할 기관부담연구개발비 중 현금부담비율은 아래의 표와 같이 연구개발기관 유형에 따라 달리 적용 가능 - 수요기업으로 참여하는 공동연구개발기관,「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시행령 제7조에 따라 산정한 평균매출액 등이 3천억원 미만인 중견기업은 기업 유형에 관계없이 중소기업 수준으로 현금부담 비율을 적용할 수 있음. (단, 연구개발과제평가단 심의를 거쳐 수요기업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연구개발기관 유형에 따라 연구개발비를 재산정하여야 함) 연구개발기관 유형 기관부담연구개발비 현금부담비율 연구개발과제 유형 : 원천기술형/ 혁신제품형(공통) 중소·중견기업이 아닌 기업 해당 연구개발기관 기관부담연구개발비의 15% 이상 중견기업 해당 연구개발기관 기관부담연구개발비의 13% 이상 중소기업 해당 연구개발기관 기관부담연구개발비의 10% 이상 그 외 필요시 부담 ◦국외기관(기업, 대학 및 연구소 등)의 경우는 위 표에서 ‘그 외’를 적용함 ④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제24조제2항 및 제25조제4항의 “핵심전략기술* 관련 기술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은 기관 유형에 관계없이 중소기업 수준으로 정부지원연구개발비의 지원 및 기관부담연구개발비 중 현금을 부담할 수 있음. 신청과제의 참여기업은 ‘3-1. 연구개발비 지원기준’ ②항 및 ③항 기준으로 연구개발계획서를 우선 신청하며, 선정평가 결과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경우 협약 체결 이후 신청기업에 한하여 별도 위원회 심의를 거쳐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4조제2항 및 제25조제4항의 “핵심전략기술 관련 기술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에 해당 여부를 확정하여 지원비율을 협약 시 변경할 수 있음 * 「핵심전략기술 및 핵심전략기술과 관련된 품목, 핵심전략기술 선정・재검토 세부절차 등에 관한 고시」제4조제1항에 따른 [별표] 핵심전략기술 목록 참조 * 핵심전략기술 관련 기술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기준은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제27조(협약의 변경)에 따라 적용함 ⑤ 중소․중견기업에 배분하여야 하는 정부지원연구개발비 비율은 아래와 같음 ◦(패키지형) 50% 이상(필수) (단, 주관연구개발기관 유형이 ‘대기업, 제한 없음 등’의 연구개발과제는 예외로 함) ◦(이종기술융합형) 70% 이상(권고) 3-2. 기술료 등 징수 기준 □ 기술료 징수 대상 및 기준 ◦기술료 등 징수 대상 - ‘기술료 징수 및 관리에 관한 통합요령 제5조 제1항 제1호부터 제5호까지 해당되는 연구개발기관’은 실시계약을 체결하고 기술료를 징수하거나, 직접 연구개발성과를 실시하는 경우, ‘기술료등납부의무기관’으로 기술료를 납부해야 함 - 국외기관은 국내기관에 성과를 이전하기로 하는 경우, 정부납부기술료를 면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단, 국내법인의 지사인 경우 국내기관과 같은 기준으로 처리함 * 상기내용이 해당하는 경우 국제공동계약에 관련 내용을 반영하여야 함 ◦기술료 상한 연구개발기관 유형 중소기업인 경우 중견기업인 경우 중소·중견기업이 아닌 기업 기술료 상한 정부지원 연구개발비의 10% 정부지원 연구개발비의 20% 정부지원 연구개발비의 40% □ 기술료 산정기준 및 납부기한 ① 기술료 산정 기준 연구개발기관 유형 중소기업인 경우 중견기업인 경우 중소·중견기업이 아닌 기업 ① 실시계약 체결한 경우 실시기관으로부터 징수한 기술료의 5% 실시기관으로부터 징수한 기술료의 10% 실시기관으로부터 징수한 기술료의 20% ② 직접 실시할 경우 (수익금액X기술기여도)의 5% (수익금액X기술기여도)의 10% (수익금액X기술기여도)의 20% ※ ‘기술기여도’는 선정된 과제에 대해 협약시 정하며, 직접 기술실시를 한 날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 6월30일까지 매년 재무제표 및 재고자산수불부 등 매출액 관련 자료를 제출해야 함 ② 기술료 납부 기한 ◦연구개발성과소유기관이 실시기관과 기술실시계약 체결하고 기술료를 징수할 경우 - 처음 기술료를 징수한 날이 속한 해의 다음 해부터 5년이 되는 날 또는 연구개발과제가 종료된 날부터 7년이 되는 날 중 먼저 도래하는 날까지 납부 ◦연구개발성과소유기관이 직접 실시할 경우 - 직접실시로 수익이 처음 발생한 날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부터 5년이 되는 날 또는 연구개발과제가 종료된 날부터 7년이 되는 날 중 먼저 도래하는 날까지 매년 수익이 발생한 해마다 납부해야 함 3-3. 연구개발비 산정시 유의사항 □ 영리기관 소속 참여연구원의 인건비는 현물계상이 원칙이나 다음 기준에 따라 현금으로 산정 가능 ◦영리기관의 경우, 해당 연구개발과제 수행을 위해 신규로 채용하는 연구자의 인건비계상률에 따른 인건비를 현금으로 산정할 수 있음 - 사업공고일 기준 6개월 이전(2023년 11월 14일)부터 각 연구개발과제 종료 시점 사이에 채용한 연구원은 전체 연구개발기간에 걸쳐 신규인력으로 간주하며, 신규 참여연구자 인건비 금액만큼 기존 참여연구자의 인건비 현금 산정 가능. ◦창업초기 중소기업(사업개시일로부터 연구개발기간 시작일까지 7년이 지나지 아니한 중소기업) 소속 기존인력의 인건비 현금 산정 가능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별표 제4호의 인건비 현금 인정 분야의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는 영리기관 소속 연구자의 인건비계상률에 따른 인건비 <인건비 현금 인정 분야의 구체적 산정기준> ◇ 연구개발과제의 전체 연구내용이 지식서비스, 소프트웨어 및 설계기술 등 인건비 현금 인정 분야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 중소·중견기업인 연구개발기관(주관연구개발기관 또는 공동연구개발기관)은 연구개발계획서 표지에 해당 기술분류 코드번호를 기입하고 소속 연구자의 인건비를 현금으로 산정가능 ◇ 또한, 주관연구개발기관 및 공동연구개발기관 중 어느 하나만 지식서비스, S/W 및 설계기술 등에 해당되는 경우에도 해당 중소·중견기업 소속 연구자의 인건비는 현금으로 산정가능 - (예시)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연구개발내용은 자동차 차체 및 경량화 기술에 속하고,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연구개발내용은 자동차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인 경우에,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연구개발내용만 인건비 현금 인정 분야에 속함. 따라서, 중소·중견기업인 공동연구개발기관은 해당 코드번호(100212, 자동차/철도차량 관련 IT·SW)를 연구개발계획서 표지에 기입하고, 참여연구자의 인건비를 현금으로 산정가능 ◇ 단, 인건비 현금 인정분야로 신청된 경우라 하더라도 평가단에서 인정하지 않는 경우 현금으로 산정할 수 없음 ◇ 인건비 현금인정 분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별표4]을 참조하고, 해당 기술분야에 대한 코드번호는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별표1]을 참조 ◦「연구산업진흥법」제2조 제1호 가목 및 나목의 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자 중 동법 제6조 제1항에 따른 전문연구사업자로 신고된 연구개발기관 소속 참여연구자의 인건비(단, 연구개발기간 시작일 이전 신고한 경우에 한하며, 연구개발과제가 단계로 구분된 경우 해당 단계 시작일을 기준으로 함) ◦육아부담으로 시간선택제(통상 근무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주당 15~35시간 범위에서 정한 시간을 근무하는 것)로 근무하는 영리기관 소속 여성연구자의 인건비 현금계상 가능 ◦「산업디자인진흥법」제9조, 동법 시행규칙 제9조에 따른 산업디자인전문회사가 해당분야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할 경우 그 기업 소속 참여연구자의 인건비 현금계상 가능 ◦산업위기지역에 소재한 영리기관의 경우, 정부지원연구개발비의 50% 이내로 해당기업 참여연구자의 인건비계상률에 따른 인건비 현금계상 가능 ◦국제공동과제의 경우, 인력교류 협력을 위해 연구인력 파견 비용을 연구활동비에 계상 가능 □ 청년인력 추가채용 혜택 (연구개발기관 중 기업만 해당) ◦청년인력(채용시점 기준 만 34세 이하, 군 복무 기간만큼 월 단위로 계산(1개월 미만은 올림)하여 추가로 인정하되 최대 만 39세까지 한정) 일자리 창출을 위해 참여기업이 전체연구개발기간 동안 채용할 인원수(기본채용 인원*)를 초과하여 청년인력을 신규채용하는 계획을 연구개발기간 개시 시점에 제시하거나 계획하지 않았더라도 연구개발기간 중 실제 채용한 경우, 추가채용인력의 해당 연도 인건비 액수만큼 해당 연도 기관부담연구개발비 현금을 감액하고 동액 상당의 현물을 추가로 부담할 수 있음. 이때, 기관부담연구개발비 현금을 납부한 경우 기관부담연구개발비 현금의 감액 범위는 해당 연구개발기관이 추가 채용 사실을 소명하여 감액 승인을 요청한 시점의 연구개발비 현금 잔액을 한도로 함. * 기본채용 인원 : 전체 연구개발기간에 걸친 각 참여기업의 정부지원연구개발비 합계액(계획금액 기준)이 5억원 이상인 경우 청년인력은 1차년도에 1명 이상 배정하여야 하며, 정부지원연구개발비 합계액이 5억원의 배수에 달할 때마다 해당 연도 말까지 채용하여야 할 인원을 1명씩 가산 * 예시) 연구개발기관 중 3개의 기업이 나누어 받는 총 정부지원연구개발비 13.8억원인 경우, 참여기업의 연차별 기본채용 인원수 구분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해당연도 누적 해당연도 누적 해당연도 누적 정부지원연구개발비 3.8억 3.8억 5억 8.8억 5억 13.8억 기본채용 인원 1명 1명 1명 2명 0명 2명 □ 참여연구원 출산전후 휴가기간 인건비 지급 허용 ◦참여연구원의 출산전후휴가 기간 동안에도 연구개발기관이 해당 연구원에 대하여 지급 의무를 부담하는 급여(고용보험법 등에 따라 정부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액수는 제외)는 인건비로 계상·집행 가능 □ 영리기관 대상 연구지원전문가 지원제도 ◦영리기관에서 과제 지원을 위해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에서 실시하는 소정의 연구지원전문가 교육을 수료할 경우(단, 연구지원전문가 교육 수료일이 포함된 해당 월부터 인건비 지급 가능), 1명에 한해 연구개발비 중 간접비에서 해당 인력의 인건비를 현금 산정할 수 있음 - 신규채용인력은 사업공고일 기준 6개월 이전(2023년 11월 14일)부터 채용한 경우에 인정 - 기존인력은 해당인력 인건비의 50%까지 현금으로 산정 가능(타 과제 포함 실제급여총액의 50%를 초과할 수 없음) □ 참여연구원 중 박사후연구원에게 인건비를 지급한 경우에는 연구개발비 정산 시 근로계약서를 반드시 제출하여야 함 □ 비영리 연구개발기관의 당해연도 직접비 집행비율이 50% 이하인 경우, 간접비 집행비율 중 직접비 집행비율을 초과하는 부분은 반납하여야 함 □ 외주 용역비는 해당 과제의 핵심공정·기술개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며, 시제품·시작품·시험설비의 단순 가공·조립·제작, 시험·분석·검사 및 시설물(산업기술혁신 촉진법 제19조 제1항 각호의 사업 수행을 위한 시설물에 한함)의 건축 등을 연구개발기관이 아닌 제3자에게 위탁하는 용도로 산정할 수 있음. 이때, 3,000만원(부가가치세 포함) 이상 외주 용역의 경우 협약시 또는 다음단계 연구개발기간 시작시 연구개발계획서에 해당 용역의 내역 및 금액을 명시하여야 함 □ 연구개발과제별 안전관리 강화 ◦지원대상 과제 중 별도의 위원회를 통해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조 제1항 제40의3호에 따른 “안전관리형 과제”로 지정되는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과제별 안전관리계획’을 제출하고 적절한 안전조치 및 점검을 실시하여야 함 ◦연구실 안전관리비 산정 : 간접비 내에 인건비 합계의 1%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13조(안전 관련 예산의 배정)에 따른 연구실 안전관리비로 책정하여야 함 * 대학, 국·공립연구기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특정연구기관에 한함 4. 지원분야 및 신청자격 등 4-1. 지원분야 ◇ 연구개발과제는 유형별로 3가지 항목(가~다)으로 분류되며, 각 항목별 1개 이상 해당함 구분 연구개발과제유형 가. 추진체계 나. 개발형태 다. 공모형태 A과제 일반형 혁신제품형 지정공모형 통합형 원천기술형 품목지정형 병렬형 □ 연구개발과제 유형 - 가 (추진체계 ◦일반형 : 총 1개 연구개발과제로 구성되어 주관연구개발기관과 공동연구개발기관이 공동으로 수행하는 연구개발과제 - “주관연구개발기관”이라 함은 연구개발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하는 기관(기업 포함) - “공동연구개발기관”이라 함은 해당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하여 주관연구개발기관과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기관(기업 포함) - ”연구책임자”라 함은 해당 연구개발과제를 총괄하여 수행하는 책임자 ◦통합형 :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기술개발결과가 상호연계되어 사업화 또는 상품화되는 과제로 총괄연구개발과제,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컨소시엄으로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개발과제(과제 신청 시 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 간 협의를 통하여 전체 컨소시엄을 구성) ◦병렬형 :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기술개발 결과가 독립적으로 사업화 또는 상품화가 가능하면서 상호연계도 가능한 연구개발과제로 총괄연구개발과제, 세부연구개발과제가 평가 후 컨소시엄으로 구성되어 수행하는 연구개발과제(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는 각각 단독으로 신청하여 경합평가 후 선정된 연구개발과제들이 협약을 통해 컨소시엄을 구성) -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이라 함은 연구개발과제가 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로 구분되는 경우에 총괄연구개발과제의 관리를 수행하는 주관연구개발기관 - “세부주관연구개발기관”이라 함은 연구개발과제가 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로 구분되는 경우에 세부연구개발과제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주관연구개발기관 - “총괄연구책임자”라 함은 연구개발과제가 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로 구분되는 경우에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에 소속되어 연구개발과제 전체를 관리하는 연구책임자 □ 연구개발과제 유형 - 나 (개발형태) ◦원천기술형 : 제품에 적용 가능한 독창적․창의적인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연구개발과제의 유형 ◦혁신제품형 : 산업원천기술을 접목한 제품을 개발하는 연구개발과제의 유형 □ 연구개발과제 유형 - 다 (공모형태) ◦지정공모형 : 개발이 필요한 대상기술과 도전적 기술목표(RFP)를 제시 ◦품목지정형 : 필요 기술의 구체적 스펙(RFP) 제시 없이 품목(제품, 제품군)만 제시(지정공모와 자유공모의 중간 형태) □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목록 : 각 “공고대상 목록 및 품목정의서/과제별 제안요구서(RFP)” 참조 ◦패키지형 : 총괄과제 기준 10개, 일반과제 기준 5개(지정공모) *과제별 세부내용은 RFP참조 * 선정된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은 공급-수요 기업간 협업 및 과제 성과관리 등을 위하여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에서 지원 중인 산업별 협력단에 적극 협조해야 함(대상과제는 추후 안내 예정)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 총괄과제 기준 11개(품목지정) *과제별 세부내용은 RFP참조 ※ 평가결과에 따라 지원 연구개발과제별 총 연구개발비 및 연구개발 내용 등은 연구개발과제평가단 심의를 통해 조정될 수 있음 ※ ‘R&D 자율성트랙(舊R&D 샌드박스)’ 과제의 신청자격 및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세부 신청자격, 심의기준 등은 별첨(R&D 자율성트랙 제도 안내) 및「연구자율성 촉진을 위한 특별요령」참고 R&D자율성트랙 신청 □ R&D자율성트랙 ㅇ ‘R&D자율성트랙’이란 우수 R&D 기관에 대해 연구수행 과정의 여러 규제를 대폭 완화해 주는 제도로 연구개발과제 협약 후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선택적으로 신청할 수 있음 ㅇ ‘R&D자율성트랙’ 유형은 R&D자율성트랙(일반)과 R&D자율성트랙(지정) 2가지가 있으며, 각 유형별 신청자격은 별첨(R&D자율성트랙 제도안내) 참조 ㅇ ‘R&D자율성트랙’ 선정은 신규과제의 연구개발기관이 확정된 이후 별도의 신청과 심의절차를 거쳐 확정되며, 세부 내용은 별첨(R&D자율성트랙 제도 안내) 참조 ㅇ 위 연구개발과제의 신청조건과 ‘R&D자율성트랙’의 신청조건은 별개이고, ‘R&D자율성트랙’은 선택사항이며, ‘R&D자율성트랙’으로 선정되지 않더라도 연구개발과제의 선정 및 수행에는 영향이 없음 4-2. 신청자격 □ 주관연구개발기관 및 공동연구개발기관 ◦기업, 대학, 연구기관, 연구조합, 사업자단체, 의료기관 등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11조 제2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조제1항제3호, 제4호 및 제4의2호, 9의2부터 9의5, 제58호에 해당하는 기관 ◦주관연구개발기관이 기업인 경우는 접수마감일 현재 법인사업자이어야 하며, 선정평가 개최일 이전에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어야 함 * 기업부설연구소는 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발급된 인증서가 있는 경우로 한함 ※ 국외기관(기업, 대학 및 연구소 등)의 경우 연구개발기관 또는 연구개발기관 외 기관으로 참여 가능 4-3. 지원제외 처리기준 □ 아래의 경우 지원대상에서 제외 처리되나, 선정평가일의 3영업일 전 18:00까지 공문으로 별첨(사전지원제외 기관 변경 요청서)을 제출하여 연구개발기관 변경 등으로 사전지원제외 사유를 해소할 경우 선정평가에 상정할 수 있음. 단, 주관연구개발기관 및 연구책임자의 변경은 허용되지 않음 ◦주관연구개발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장,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장, 연구책임자가 접수 마감일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을 받고 있는 경우 ◦접수마감일 현재 연구개발기관(단, 비영리기관 및 공기업(공사)은 적용 예외), 연구개발기관의 장(단, 공직자윤리법 제3조의2에 따라 공직유관단체로 지정된 기관은 적용 예외), 연구책임자(공동연구책임자 제외)가 아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1. 기업의 부도 2. 세무당국에 의하여 국세, 지방세 등의 체납처분을 받은 경우(단, 중소기업진흥공단 및 신용회복위원회(재창업지원위원회)를 통해 재창업자금을 지원받은 경우와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재도전기업주 재기지원보증을 받은 경우는 예외로 한다) 3. 민사집행법에 기하여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되거나, 은행연합회 등 신용정보집중기관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된 경우(단, 중소기업진흥공단 및 신용회복위원회(재창업지원위원회)를 통해 재창업자금을 지원받은 경우와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재도전기업주 재기지원보증을 받은 경우는 예외로 한다) 4.파산·회생절차·개인회생절차의 개시 신청이 이루어진 경우(단, 법원의 인가를 받은 회생계획 또는 변제계획에 따른 채무변제를 정상적으로 이행하고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5. 최근 3개 회계연도 말 결산 재무제표*상 부채비율이 연속 500% 이상(자본전액잠식이면 부채비율 500% 이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인 기업 또는 유동비율이 연속 50% 이하인 기업(단, 기업신용평가등급 중 종합신용등급이 'BBB' 이상인 경우, 기술신용평가기관(TCB)의 기술신용평가 등급이 “BBB” 이상인 경우 또는 외국인투자촉진법에 따른 외국인투자기업 중 외국인투자비율이 50%이상이며, 기업설립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외국인투자기업인 경우, 또는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제2조제9의7호의 산업위기지역 소재 기업은 예외로 한다.) 이때, 사업개시일로부터 접수마감일까지 5년 미만인 기업의 경우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 상기 부채비율 계산시 한국벤처캐피탈협회 회원사 및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으로부터 최근 2년 간 대출형 투자유치(CB, BW)를 통한 신규차입금 및 상환전환우선주(RCPS)는 부채총액에서 제외 가능 - 상기의 신용등급 ‘BBB’에는 ‘BBB+’, ‘BBB’, ‘BBB-’를 모두 포함함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함에 따라 부채비율 및 유동비율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일반기업회계기준(K-GAAP)을 적용하여 부채비율 및 유동비율 판단 가능. 이 경우, 연구개발기관은 부채비율 및 유동비율 판단을 위해 추가적인 회계기준에 따른 자료를 전문기관에 제출하여야 하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을 혼용할 수 없음. 6. 최근 회계연도 말 결산 기준 자본전액잠식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함에 따라 자본전액잠식이 발생한 경우에는 일반기업회계기준(K-GAAP)을 적용하여 자본전액잠식 여부 판단 가능. 이 경우, 연구개발기관은 자본잠식 여부 판단을 위해 추가적인 회계기준에 따른 자료를 전문기관에 제출하여야 하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을 혼용할 수 없음. 7.외부감사 기업의 경우 최근 회계년도 말 결산감사 의견이 “의견거절” 또는 “부적정” ※ 상기 5호, 6호 및 7호 결산 재무재표 기준은 종속회사가 있는 기업은 별도 재무제표, 종속회사가 없는 기업은 개별 재무제표를 말함(연결 재무제표 기준 실적 불가) ※ 선정평가에서 지원대상이더라도 협약과정 혹은 과제수행 중에 본 항목에 해당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해당과제의 선정 취소 또는 협약을 해약할 수 있음 - 협약단계에서 ‘23년 결산 재무제표를 적용하여 지원제외 여부 재검토 예정 ◦연구개발과제의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접수마감일 기준으로 최근 3개 회계연도 말 결산 *재무제표상 이자보상비율이 연속으로 1미만인 한계기업일 경우 * 종속회사가 있는 기업은 별도 재무제표, 없는 기업은 개별 재무제표를 말함(연결 재무제표 기준 실적 불가) - 단, 한계기업의 기업신용평가등급 중 종합신용등급이나 기술신용평가기관(TCB)의 기술신용평가등급이 ‘BBB’이상인 경우 또는 사업개시일로부터 접수마감일까지 5년 미만인 기업의 경우 적용하지 아니함 ※ 선정평가 이후 상기 사전지원제외 항목에 해당되는 항목이 확인된 경우, 해당과제의 선정 취소 또는 협약을 해약할 수 있음 □ 다음의 경우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신청과제가 해당사업의 기본목적에 부합되지 않은 경우 ◦신청과제가 접수기간 내 신청 필수서류를 제출하지 아니하였거나, 제출양식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 및 전산 업로드가 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신청서류가 허위이거나 거짓인 경우 ◦신청과제의 기술개발 목표 및 내용이 기지원, 기개발된 과제와 동일한 경우 ◦신청과제가 공고된 기술범위에 부합하지 않은 경우 ◦주관연구개발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 등이 접수마감일 현재 각종 보고서 제출, 기술료/정산금/환수금/제재부과금 납부 등 의무사항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참여연구원이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율 및 참여 과제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 사업을 신청하는 참여연구원의 과제 인건비계상률은 10% 이상이고 동시에 수행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는 최대 5개 이내여야 하며, 이 중 연구책임자(세부주관책임자 포함)로서 동시에 수행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는 최대 3개 이내여야 함 - 단, 「공통운영요령」제20조2항 1호부터 4호, 6호, 7호에 따른 연평균 연구비 6천만 이하의 소규모 과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과제는 연구개발과제 수에 포함하지 아니 하나 참여연구자의 인건비계상률에는 포함 ․참여연구자(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개발기관책임자도 포함)의 과제 인건비계상률은 기관 기본사업(연구기관만 해당)에 참여하는 비율을 포함하여 100%를 초과할 수 없으며, 정부출연연구기관, 특정연구기관,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등 인건비가 100% 확보되지 않는 기관에 소속된 연구원의 총 과제 인건비계상률은 기관 기본사업을 포함하여 130% 이내에서 산정 가능 ◦국제공동과제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64조 2항에 따라 외국법인인 연구개발기관(연구개발과제협약에 따라 연구개발비를 부담하는 연구개발기관으로 한정한다)과 연구개발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하는 국내 연구개발기관의 연구자에 대해서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 수를 최대 6개로, 그 중 연구책임자로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 수를 최대 4개로 제한할 수 있음 ◦안전관리형 과제로 지정된 과제가 「공통운영요령」제2조 1항 40의3호에 따라 수립한 안전관리 계획이 미흡한 경우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개발기관책임자의 소속기관이 신청기관과 상이한 경우(단, 소속기관장이 겸임 또는 겸직을 허가한 경우와 산업기술연구조합육성법에 따른 산업기술연구조합이 신청기관인 경우 및 기업에 근무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업지원연구직은 예외) ◦과제기획 단계에 참여한 실무작업반 전문가(담당PD 포함)가 기획에 참여한 해당 과제에 대하여 참여연구자로 참여하는 경우(붙임10. “2024년 소재부품기술개발(4차) 신규 연구개발과제 실무작업반” 참조) ◦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소재·부품)가 외주가공 또는 외주생산에 의한 것일 경우(단, 설계기술이 포함된 기능성 반도체 분야의 개발은 지원 가능) ◦연구개발계획서 평가결과 지원대상이더라도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계약이 이행되지 않는 경우(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에 한함) ◦투자심사 시 제출된 투자계약서가 기지원된 국가연구개발과제에 제출된 경우(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에 한함) 4-4. 과제 차별성 제기 ◦지원대상 과제가 정부에 의해 기 지원ㆍ기 개발되었거나 민간에 의해 기 개발된 사실을 발견한 경우에는 차별성 미흡을 제기할 수 있음 ※ 정부에 의한 기 지원ㆍ기 개발 여부 확인 방법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소관사업 기 지원과제 자료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 사이트(itech.keit.re.kr) > 알림·정보 > 정보검색(기술분야, 키워드, 보고서 검색) - 타기관 공개자료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 > 사업과제 > 세부과제 > 세부과제검색 ◦제기기간 : 2024. 5. 14(화) ~ 2024. 6. 12(수) ◦제 기 처 : (41069) 대구광역시 동구 첨단로 8길 32(신서동 1152)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공급망총괄실(☎ 053-718-8434) ◦제기방법 : 제기기관 대표자 명의의 공문 제출(관련 근거자료 첨부) 5. 평가 절차 및 기준 5-1. 평가절차 □ 평가절차 및 평가일정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공고 (산업통상자원부, 5월) → 신청 서류 접수 (주관연구개발기관, 5~6월) → 투자심사 신청 (주관연구 개발기관, 5~6월) → 사전검토 (KEIT, 6월) → 투자심사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 기관협의회, 6~7월) → 연구개발계획서 평가 및 연구개발비 적정성 검토 (연구개발과제평가단, 7월) * 서면평가 실시가능 → 신규 연구개발과제 확정 (산업통상자원부, 사업별 심의위원회, 7월) → 평가결과 통보 및 이의신청 (7월) → 협약체결 및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지원 (7월) ※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음 ※ 평가방식, 평가절차는 내·외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사업별 심의위원회 : 평가결과 조정․심의(사업별 심의위원회 생략될 수 있음) - 투자심사* 신청 : 연구개발과제를 신청(예정)한 과제의 최소 1개 이상의 참여기업은 투자심사를 신청해야 함(주관/참여 무관) * 투자심사 신청은 투자계약서 체결일 기준 사업공고일로부터 12개월 이전(2023년 5월 14일)부터 체결된 투자계약을 체결하였거나 투자심사 기한 내 투자계약 체결 예정 기업이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https://www.kitia.or.kr)에 투자심사 신청 가능 - 사전검토 : 전문기관은 신청기관의 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류, 공고 부합성 등을 검토 - 투자심사*를 통하여 투자계약 체결이 완료된 연구개발과제에 한하여 평가를 거쳐 최종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를 선정함 ※ 투자심사란 투자심사 신청기업을 대상으로 투자계약서 검토 및 투자적격성 심의 등을 통해 연구개발계획서 평가대상을 선별하는 것 * 통합형 연구개발과제는 최소 1개 이상의 참여기업이 투자계약을 체결하고, 투자금액 기준은 해당 참여기업이 신청한 정부지원연구개발비의 30%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해 투자계약을 체결해야 함 ※ 연구개발계획서 평가결과 지원대상이더라도 정당한 사유없이 투자계약이 이행되지 않는 경우 지원제외될 수 있음(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에 한함) - 연구개발계획서 평가 : 평가단은 연구개발계획서를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하며, 신청기관은 평가단 질의에 대하여 답변을 제출하여야 함 - 연구개발비 적정성 검토 : 연구개발과제별 연구비의 적정성 검토를 통해 연구개발계획서의 구체화 및 내실화 ※ 인건비, 연구장비비, 재료비 등 단가, 소요량의 적정성·필요성 등 검증 강화 - 이의신청 :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선정방법 및 절차에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 1회에 한하여 신청할 수 있음 ◦패키지형 공고 (산업통상자원부, 5월) → 신청 서류 접수 (주관연구개발기관, 5~6월) → 사전검토 (KEIT, 6월) → 연구개발계획서 평가 및 연구개발비 적정성 검토 (연구개발과제평가단, 6~7월) * 서면평가 실시가능 → 신규 연구개발과제 확정 (산업통상자원부, 사업별 심의위원회, 7월) → 평가결과 통보 및 이의신청 (7월) → 협약체결 및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지원 (7월) ※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음 ※ 평가방식, 평가절차는 내·외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사업별 심의위원회 : 평가결과 조정․심의(사업별 심의위원회 생략될 수 있음) - 사전검토 : 전문기관은 신청기관의 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류, 공고 부합성 등을 검토 - 연구개발계획서 평가 : 평가단은 연구개발계획서를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하며, 신청기관은 평가단 질의에 대하여 답변을 제출하여야 함 * 외부 상황에 따라 온라인 형태로 평가를 실시할 수 있음 - 연구개발비 적정성 검토 : 연구개발과제별 연구비의 적정성 검토를 통해 연구개발계획서의 구체화 및 내실화 ※ 인건비, 연구장비비, 재료비 등 단가, 소요량의 적정성·필요성 등 검증 강화 - 이의신청 :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선정방법 및 절차 등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 1회에 한하여 신청할 수 있음 5-2. 평가기준 □ 평가항목 ◦연구개발과제 유형에 따라 평가항목을 달리 정함 과제 유형 평가항목 세부 항목 혁신제품 기술성(40) ▪목표 및 연구개발의 도전성 및 창의성(35) : 정부지원필요성, RFP/품목 부합성, 목표의 구체성 및 정량 정도, 목표의 수준 및 도전성, 질적 우수 지재권 창출 가능성,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의 창의성 ▪연구방법 및 추진전략 관련 계획의 충실성(5) : 개발 내용 및 방법의 적정성, 연구개발비 규모 및 계상내용의 적정성, 외부기술 도입 적정성 연구역량(20) ▪연구책임자 등 연구조직 역량(20) :연구책임자의 전문성⋅연구윤리, 참여연구진의 역량/역할의 구성, 연구시설장비 등 연구 인프라, 연구인프라 활용계획 적절성, 지재권 관리인력의 운용 및 관련 지재권 보유정도 사업화 및 경제성(40) ▪사업화 실적(15) : 연구팀의 과거 사업화 실적 적정성, 과거 관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실적 적적성 ▪사업화 계획 및 의지(10) : 사업화를 위한 투자계획 적정성, 시장분석 및 표준화, 인증 대응 등 사업화 추진전략의 타당성 ▪경제성(10) : 기술개발을 통한 추가적인 가치 창출 가능성(기술이전, 매출, 수익, 수입대체, 수출효과, 고용창출 등) ▪지역적파급효과(5) : 연구개발과제를 통해 지역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의 적정성(지역 내 직·간접적 고용 증대, 생산성 향상 및 매출 증대 등) ※ 사회문제해결형 과제의 경우, 사회적 효과를 반영한 과제의 목표 및 성과지표 검토 - 생태계형 과제 유형 구분 평가항목 세부 항목 생 태 계 형 지원과제 운영계획 및 추진전략의 적정성 (80) 사업화 촉진계획의 적정성(40) 사업화 로드맵 수립 및 공유, 과제별 전략 컨설팅 계획의 적정성 생태계 총괄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제 통합 관리 계획의 적정성 산업수요 기반 수요-공급 매칭 등 공급망 강화 계획의 적정성 현장수요를 반영한 법·규제 개선 제안계획의 적정성 네트워킹 활성화, 산업통계지원, 성과관리계획의 적정성(30) 운영위원회, 분과위원회, 얼라이언스 등 운영 계획 적정성 산업별 GVC 도출, 통계 DB 지원계획의 적정성 성과관리 체계구축 및 BP 발굴 계획의 적정성 사업비 편성의 적정성(10) 사업비 편성의 적정성 지원과제 운영능력 (20) 총괄책임자의 전문성(10) 총괄책임자의 전문성 및 기획·관리 능력 주관기관의 전문성(10) 주관기관의 해당 산업분야 네트워킹 역량 - 표준 과제 유형 평가항목 세부 항목 표준 사업계획의 적절성(20) 목표의 구체성 및 명화성 창의성 및 수행계획의 충실성 추진능력 및 연구개발비 적정(20) 연구자 또는 소속기관 단체의 연구개발역량 신청연구개발비의 적정성 결과활용 가능성 및 파급효과(60) 최종목표 달성가능성 결과활용가능성 결과물로 인한 파급효과 ◦지원대상 과제 : 신청과제의 평가점수가 70점 이상인 과제는 “지원가능과제”로 하며, 종합평점이 70점 미만인 과제는 “지원제외”로 분류함. 단, 70점 이상인 과제의 경우에도 해당 분야의 예산 범위가 초과한 경우에는 평가점수가 높은 순위에 따라 우선 지원되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 동일한 최고점을 받은 과제가 발생할 경우 ①사업화 및 경제성, ②기술성, ③감점 항목 순으로 개별 항목 점수가 높은 과제를 우선 선정 - 통합형 : (총괄연구개발과제 평가점수 x 30%) + ((세부연구개발과제별 평가접수 합계 / 총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수) x 70%)로 종합평점을 계산 ※ (통합형) 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 중 일부과제가 평가점수에 따라 ‘지원제외’된 경우 평가단 심의를 통해 전체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지원대상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음 □ 접수마감일 기준으로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평가 시 감점함 ◦최근 3년 이내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32조제1항제3호에 따른 사유로 제재처분을 받은 제재대상자(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기관의 장, 연구자 등)가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3점) ◦최근 3년 이내에 정당한 사유 없이 연구개발과제 수행을 포기한 자(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기관의 장, 연구자 등)가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3점) * ‘24년 예산 감액으로 인한 중단(포기)과제의 경우 감점 미해당 ※ 최종 점수 산출 시 상기 감점 기준에 따라 감점을 제하되, 총 5점을 초과하여 감점할 수 없음 6. 근거법령 및 규정 □ 근거법령 : 산업기술혁신촉진법 및 동법 시행령,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동법 시행령,「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및 동법 시행령 □ 관련규정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기술료 징수 및 관리에 관한 통합요령」, 「산업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산업기술혁신사업 연구·윤리 진실성 확보 등에 관한 요령」, 「산업기술개발장비 통합관리 요령」, 「산업기술혁신사업 기술개발 평가관리지침」, 「연구자율성 촉진을 위한 특별요령」 7. 신청방법, 신청서 제출기한 및 접수처 □ 연구책임자가 온라인에 접속하여 접수마감일 18시까지 모든 과제 정보(신청항목)를 전산에 입력하고 제출 대상 서류를 업로드를 완료하여 ‘제출완료’ 상태인 연구개발계획서(과제)만 접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전산 정보 입력 및 서류 업로드 시 최소 1시간 이상 소요될 수 있으며 기간 내에 완료되지 않은 과제에 대한 구제는 절대 불가 (접수 유예 없음). 구분 패키지형,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공고기간 2024. 05. 14(화) ~ 06. 12(수) 신청서 및 관련 양식 교부기간 ○ 양식교부 : 2024. 05. 14(화) ~ 계속 ○ 양식교부 및 접수안내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 접수기간 2024. 05. 21(화) ~ 06. 12(수) 18:00까지 * 접수마감시간 엄수 요망 (18시 이후 수정 또는 제출 불가) ◦기관·인력 신규가입 등을 위한 법인실명인증, 개인실명확인은 해당 인증기관(서울신용평가정보)의 사무처리 시간(~18:00) 내에만 가능하고 미인증으로 인한 기관·인력의 신규등록 불가 시 온라인접수 진행이 되지 않으므로 유의바람 ◦전산시스템 접수 중 문의사항은 사무처리 시간(~18:00) 내에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고객센터(☎1877-2041) 으로 문의 요망 ※ 접수 마감일에는 접속 과부하로 인하여 접수가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접수 요망. 또한, 접수 마감일 18시 이후 신규접수 및 수정 불가 ※ 제출된 서류 및 연구개발계획서 등이 허위, 위․변조, 그 밖의 방법으로 부정하게 작성된 경우 관련 규정에 의거, 사전지원 제외, 선정 취소 및 협약해약 등 불이익 조치함 ※ 접수 시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연구책임자가 로그인하여 입력·제출이 원칙 ※ 직인이 필요한 별첨 서식의 경우 스캔 업로드를 원칙으로 하나, 일부 온라인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서식의 경우는 전자서명 등으로 대체 가능 ※ 통합형은 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별로 연구책임자가 각각 온라인제출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접수마감일 18:00에 접수시스템이 폐쇄(18:00 이후 제출・수정・보완 모두 불가)되므로 18:00 이전까지 ‘제출완료’ 상태인 과제만 접수함 □ 신청방법 : 연구개발계획서 및 첨부서류 전체 온라인 접수 (오프라인 서류 제출 불필요) □ 연구개발계획서 접수처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 → 사업정보 > 사업공지 > 사업공고 메뉴(주관연구개발기관이 대표로 온라인제출)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접수 대상 사업의 경우, 접수 불가시 기존 산업기술 R&D 정보포털(itech.keit.re.kr)을 활용하여 접수 예정(추후 별도 공지) □ 투자심사 신청(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투자심사 신청, 1차) 과제 참여기관 중 최소 1개 이상의 참여기관은 투자심사를 신청해야 함 구분 주요 내용 비고 신청 기간 5/14(화) ~ 6/14(금), 18:00까지 접수 마감 시간 엄수 요망 신청 방법 KITIA 온라인 시스템 “KITIA Noblesse” https://invest.kitia.or.kr/ 신청 서류 투자심사 신청서 1부, 법인등기부 등본 1부 법인인감증명서 1부, 주주명부 1부,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IR 자료 또는 회사 소개자료 1부 제출일로부터 4주 이내 발급 본 ◦(투자심사 자료 제출, 2차) 투자심사를 신청한 기업은 투자심사를 위한 투자계약서 등 관련 자료를 제출해야 함 구분 주요 내용 비고 신청 기간 6/24(월) ~ 6/27(목), 18:00까지 접수 마감 시간 엄수 요망 신청 방법 KITIA 온라인 시스템 “KITIA Noblesse” https://invest.kitia.or.kr/ 신청 서류 투자계약체결 공문, 투자계약서 및 변경 투자계약서, 확약서 등 ※ 자세한 사항은 투자심사 절차 안내 참조 8. 제출 서류 사항 번호 서 류 명 제출방법(제출형식) 비고 1 온라인 제출 최종 확인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 - 2 연구개발계획서(필수) 온라인 업로드(hwp) - 기본정보에 대한 온라인 전산 입력이 완료되어야 함 IRIS 업로드 시, 과제접수용 연구개발계획서 (PART2)에 동일 파일제출 3 사업자등록증(필수) 온라인 업로드(PDF) - 영리기업만 제출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4 연구개발기관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 - 모든 신청 연구개발기관이 한 장에 날인 또는 개별 낱장 제출 가능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5 (국외기관용)산업기술혁신사업 참여의사 확인서(비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해당시 제출 6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동의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7 연구윤리·청렴 및 보안서약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8 주관연구개발기관의 기업부설연구소 인정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연구개발기관 9 연구개발기관 책임자의 재직증명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10 연구개발기관의 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11 감점사항 확인서(비필수) 온라인 전산 입력(첨부파일 자동생성) - 증빙서류는 필요시 온라인 업로드(PDF 스캔) 해당시 제출 12 연구수행총량 준수 확약서(비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연구개발기관이 한계기업인 경우 제출 13 연구자의 동시수행 과제수 확약서 (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책임자 모두 14 수요기업 확약서 (비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해당시 제출 15 비공개과제 신청서 (비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해당시 제출 16 연구개발기관의 회계감사보고서 또는 재무제표* * 종속회사가 있는 기업은 별도 재무제표, 없는 기업은 개별 재무제표를 말함(연결 재무제표 기준 실적 불가) 온라인 재무정보시스템으로 제출 (www.new.findsystem.co.kr 접속 후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선택) - 온라인 재무정보시스템 미활용 기관은 과제접수 기간 종료 후, 전문기관 담당자 안내에 따라 사전검토기간에 업로드 - 표지(회계사 직인 포함), 재무상태표(표준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표준손익계산서)를 PDF로 스캔한 파일 * 국세청에서 발급하는 표준재무제표증명은 회계사 직인 불필요 비영리와 상장사(거래소․코스닥) 미제출, 그 외 기업은 제출(직전년도로부터 최근 3년 결산 자료) 영리기관(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별도 사이트 내 재무정보 입력) ※ 과제참여자 : 연구책임자 및 연구자 모두에 해당 9. 기타 유의 사항 □ 신청 시 유의사항 ◦“기술료 징수” 과제는 영리기관이 반드시 연구개발기관으로서 과제에 참여해야 함 ◦수요기업이 참여하는 연구개발과제는 수요기업이 반드시 연구개발기관으로서 과제에 참여해야 함 ※ 수요기업은 접수마감일까지 수요기업 확약서를 제출하고 연구개발기관으로 전산입력을 완료해야함. 미준수시 지원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수요기업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지원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융합 R&D : 대내외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치창출형(산업고도화, 사회문제해결, 신산업(시장)창출) 연구개발과제 ◦IP R&D 연계 : 특허대응전략 수립을 위해 특허청 ‘IP R&D사업’과 연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특허전략 수립비를 계상(별도 안내 예정)하여야 하며, 특허전략 수립비는 다른 용도로 전용(변경)이 불가하나 전략수립 완료 후 잔액에 대해서는 연구비 변경 가능) ※ 세부연구개발과제별 주관연구개발기관(중소·중견기업)은 사업시작일로부터 2년 내에 특허대응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특허전략 수립비를 계상하여야함 ◦표준 연계 : 연구개발계획서 내에 표준화 관련 연구내용과 함께 국제표준화기구(ISO/IEC/JTC1)에 기고발표하는 것을 원칙(표준화 목표수립)으로 하며 상세내용은 표준화 과제별 동향 보고서(별첨) 참고 - 국제표준화기구에서 활동하는 전문가(국제의장단 등)가 참여하거나, 관련 TC의 COSD기관 등의 컨설팅 비용을 산정하여 추진계획에 반영 하여야함 - 표준연계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는 세부과제는 표준화과제(RFP관리번호 : 2024-패키지-표준-01) 연구개발과제와 표준화 활동 연계/참여 필수 - 표준연계 연구개발과제는 총 연구 개발기간 내 표준화 활동과 표준연계 전략수립에 소요되는 비용(1억원 이내)을 계상하여야 함 - ‘IP-R&D사업’과 연계한 특허전략 수립비와 별개임 - 다른 항목으로 전용(변경) 불가하나 전략수립 완료 후 잔액에 대해서는 전용(변경) 가능함 ◦표준화 지원 : 해당 과제 연구개발기관은 2024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표준연계 과제를 수행하는 연구개발기관과 유기적으로 협력하여야 함 ※ 2024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추가 공고로 표준연계 과제 추가 시, 해당과제 포함 ◦생태계(R&D 협력지원) : 해당 분야(생태계 R&D) 과제는 연구개발 및 생태계형 과제 지원 관련 제반 업무에 유기적으로 협력하여야 함 ◦“특화단지”는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이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해야 하며, 소부장 특화단지 내 기업이 수요기업으로 참여 필수 ※ 충북 오송, 광주, 대구, 부산, 경기 안성(제1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23.7) ◦디자인 연계 : 디자인 전문회사 등 전문 기관에 의한 연구개발 세부내용이 연구개발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함 ◦경쟁형 R&D : 선정평가를 통해 복수의 연구개발기관(n배수)을 선정·지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계평가 등을 통해 계속 수행 1개 과제를 최종 선별함 ◦국제공동 : 해외연계형 R&D(RFP 참고) 과제는 국외 소재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이 연구개발기관 또는 연구개발기관 외 기관으로 참여 필수 ◦복수형 R&D : 동일 연구개발과제에 복수의 연구개발기관(n배수)이 동시에 수행하는 연구개발과제일 경우 해당 ◦대형통합형 : 산업생태계 육성과 산업 밸류체인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복수의 세부연구개발과제로 구성된 연구개발과제가 해당됨 (5개 이상의 연구개발기관이 참여) ◦서비스형 : 공통운영요령 [별표4] 산업기술혁신사업 인건비 현금 인정 분야 해당 과제 ◦국가핵심기술 : 국내외 시장에서 차지하는 기술적·경제적 가치가 높거나 관련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높아 해외로 유출될 경우에 국가의 안전 보장 및 국민경제의 발전에 중대한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산업기술 ◦안전관리형 : 연구실, 연구개발 장소 및 외부환경의 안전 확보를 위해 재해유발 위험이 높거나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등 사람의 신체, 재산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연구개발기간 및 연구개발과제 종료 후 일정기간 동안 특별한 점검 및 관리가 필요한 연구개발과제 ◦Cascading과제 : 주관기업(최근 3년내 주관기관으로 산업기술 R&D 수행경험이 있는 대기업, 중견기업 및 우수평가를 받은 중소기업에 한함) 단독으로 과제를 신청(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신청 불가)하고, 선정평가시에는 기업역량 및 기술조달(공동연구·외주용역 포함) 계획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선정된 과제는 협약체결 이후 기업이 주도하여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식의 과제 유형임 ※ 산업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제9조에 따라 보안과제에 해당되므로 보안과제로 체크하여 연구개발계획서를 제출하고, 선정 시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야 함. ◦주관연구개발기관인 중소기업은 사업시작일로부터 2년 내에 특허대응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특허전략 수립비를 계상하여야 하며, 선진특허분류(Cooperative Patent Classification)에 따른 선행기술과의 중복 회피전략을 포함해야 함. 특허전략 수립비는 다른 항목으로 전용(변경)이 불가하나 전략수립 완료 후 잔액에 대해서는 연구비 변경 가능. 단,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자체 특허분석 조직을 보유한 경우에는 미계상 가능 - 중소기업이 주관하는 연구개발과제의 경우 특허청 ‘IP-R&D사업’과의 연계를 위한 비용 사용이 가능함 ◦혁신제품형의 경우,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중소·중견기업이면서 사업화 컨설팅을 희망하는 경우, 전체 연구개발기간 중 컨설팅을 희망하는 연차에 사업화 컨설팅 비용을 연구활동비에 계상 가능 ◦외부 기술을 도입 후 도입된 기술을 바탕으로 추가 기술을 개발하는 ‘기술도입비’는 현물(기술매매, 기술 라이센싱 비용) 또는 현금으로 산정할 수 있음 - 총 연구개발비의 30% 이내에서 계상 가능하나, 국내에 없는 국외기술 도입시에는 총 연구개발비의 50%까지 계상 가능. 다만, 평가단 심의를 거쳐 상기 기준액을 초과하여 계상 가능 * 현물 : 접수마감일 기준 2년 이내로부터 실제 지급한 도입비의 50% 이내 * 현금 : 목표달성을 위해 연구개발간 중 도입할 기술의 실지급 비용 ◦연구개발 수행에 대한 정보가 NTIS(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를 통해 공개됨으로 인해 직접적 피해가 우려되는 연구개발과제는 비공개과제 신청서를 제출하여 과제수행정보에 대한 비공개를 요청할 수 있음. 다만, 평가단 심의를 거쳐 비공개과제로 분류되지 않을 수 있으며, 비공개과제로 결정되었더라도 단계평가 시 비공개 지속여부를 별도로 판단함 * NTIS 공개정보 : 참여기관, 참여연구원, 과제명, 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효과 등 ◦연구개발과제별로 신청 가능한 정부지원연구개발비의 최대범위는 품목별, 과제제안요구서별로 명기된 지원 금액을 초과할 수 없음 ◦공고된 연구개발과제는 평가결과에 따라 선정되지 않을 수 있음 ◦3천만원 이상(부가가치세 및 구입·설치등에 필요한 부대비용 포함)의 연구시설·장비를 구매 또는 임차할 경우, 연구개발계획서에 기재 및 ‘연구시설·장비 구입 또는 임차활용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함 ◦총괄관리만 수행하는 총괄연구개발과제(통합형/병렬형)의 연구개발기관은 연구수당 산정이 불가함 ◦선정된 과제의 연구개발비(연구비) 및 연구개발기간은 평가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과제 추진 중 관련 규정에 따른 평가 등을 통해 과제가 중단될 수 있음 ◦기타 세부내용은 첨부의 지원대상 사업 및 과제(품목 및 RFP) 목록을 참조 ◦선정된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장은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의 장과 사후관리 지원계약을 체결하여야 하며, 관련 점검수수료(연간 150만원)를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연구활동비에 매년 계상해야 함(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에 한함) ※ 투자계약 사후관리 점검 수수료는 협약체결이 완료된 연구개발과제에 한하여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에서 개별적으로 안내 예정 ◦미응모 시 재공고(접수기간 연장)할 수 있음 - 접수결과 미응모인 RFP/품목에 대해서는 동일 RFP/품목으로 재공고 할 수 있음. 이 때,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접수 마감일 이후로부터 2주 내외로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을 통해 재공고하며, 재공고 기간은 15일 이내임 - 재공고는 미응모 된 RFP/품목에 대한 접수기한 연장을 의미하며, 재공고 기간 동안 추가 접수되는 과제의 유‧무에 관계 없이, 접수 마감일 이후에는 최초 공고(2024년 5월 14일 공고)와 동일한 평가 항목 및 평가 절차에 따라 평가 진행 ※ 자세한 사항은 재공고시 세부내용 참조 □ 지식재산권 및 발생품의 귀속 ◦연구개발성과를 연구개발기관이 각자 창출한 경우 해당 연구성과를 창출한 연구개발기관의 소유로 함 - 단, 주관연구개발기관은 국외에 소재한 기관(기관⋅기업⋅단체⋅외국인 등 포함)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 국외기관의 연구개발성과를 국내 소재 연구개발기관의 소유로 하거나 국내 소재 연구개발기관이 우선적으로 연구개발성과실시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여러 연구개발기관이 공동으로 연구개발 성과를 창출한 경우 연구개발기관별 기여도를 기준으로 소유비율을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연구개발기관 간의 협의에 따라 연구개발성과의 소유비율 및 연구개발성과 실시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한 경우 그 협의에 따름 □ 중소기업에 대한 IP 실시권 확산 ◦연구개발기관은 해당 연구개발과제를 통해 각자 개발한 성과물의 실시를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 동 과제의 다른 연구개발기관이 보유한 성과물을 실시할 수 있음. 이때, 성과물의 실시기간 및 조건에 대해서는 서로 합의하여 정함 ◦비영리기관은 참여기업 아닌 중소기업이 무형적 성과물에 대해 실시 허락을 요청한 경우 이에 응하여야함 -다만, 중소기업인 실시기업에 대한 기술료율은 「기술료 징수 및 관리에 관한 통합요령」에 따른 기술료율 이내에서 서로 합의하여 정함 ◦기타「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제37조 및 37조의2 참조 □ 보안등급 분류 ◦신청자는 신청 과제의 보안등급(보안/일반)을 분류하여 이를 연구개발계획서에 표기하여야 함 ◦보안과제는 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연구개발과제임 - 세계 초일류 기술제품의 개발과 관련되는 연구개발과제 - 외국에서 기술이전을 거부하여 국산화를 추진 중인 기술 또는 미래 핵심기술로서 보호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연구개발과제 -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제2조제2호의 국가핵심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과제 - 「대외무역법」제19조 1항 및 동법 시행령 제32조의2의 수출허가 등의 제한이 필요한 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과제 - 「방위사업법」 제3조제1호에 따른 방위력개선사업과 관련된 연구개발과제 ◦선정된 연구개발과제 중 외국에 소재한 기관ㆍ단체 또는 외국인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해당 연구개발과제가 「대외무역법」 제20조제2항에 따라 전략물자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판정을 신청하여 그 결과에 따라 그 연구개발과제를 보안과제로 분류할 수 있음 □ 참여연구자의 최소 인건비계상률 ◦연구책임자를 포함한 모든 참여연구자의 최소 인건비계상률은 10% 이상이어야 함 10. 문의처 □ 상세 품목 및 관련양식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IRIS사이트(www.iris.go.kr) 참조 ◦온라인 시스템 접수 및 규정 등 문의 :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고객센터(☎ 1877-2041), R&D상담콜센터(☎ 1544-6633) ◦공고 문의 :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공급망총괄실 (☎ 053-718-8434, 8416, 8451, 8460, 8449, 8421, 8446, 8285) ◦선정평가 일정 및 절차, 품목/RFP(기획의도) 문의 - 패키지형,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순번 분야 신규평가 일정 및 절차 품목/RFP(기획의도) 담당부서 연락처 담당PD 연락처 PD지원인력 연락처 1 금속재료분야 철강세라믹실 053-718-8459 053-718-8452 053-718-8427 053-718-8637 금속재료PD 053-718-8369 철강세라믹실 053-718-8481 2 디스플레이분야 배터리디스플레이실 053-718-8812 053-718-8365 053-718-8361 디스플레이PD 053-718-8653 배터리디스플레이실 053-718-8812 3 바이오분야 바이오헬스실 053-718-8484 053-718-8454 바이오PD 053-718-8562 바이오헬스실 053-718-8500 4 세라믹분야 철강세라믹실 053-718-8459 053-718-8427 053-718-8452 053-718-8637 세라믹PD 053-718-8263 철강세라믹실 053-718-8556 5 제조기술분야 화학산업실 053-718-8387 053-718-8443 뿌리기술PD 053-718-8468 화학산업실 053-718-8443 6 이차전지분야 배터리디스플레이실 053-718-8277 053-718-8324 053-718-8588 이차전지PD 053-718-8498 배터리디스플레이실 053-718-8277 7 조선해양분야 조선방산항공실 053-718-8651 053-718-8380 조선해양PD 053-718-8464 조선방산항공실 053-718-8654 8 자율주행차분야 미래자동차실 053-718-8473 자율주행차PD 053-718-8712 미래자동차실 053-718-8496 9 전기수소차분야 미래자동차실 053-718-8473 전기수소차PD 053-718-8713 미래자동차실 053-718-8491 10 시스템반도체분야 미래반도체실 053-718-8650 시스템반도체PD 053-718-8415 미래반도체실 053-718-8497 11 반도체공정장비분야 미래반도체실 053-718-8650 반도체공정장비PD 053-718-8528 미래반도체실 053-718-8650 12 로봇분야 기계로봇장비실 053-718-8477 로봇PD 053-718-8432 기계로봇장비실 053-718-8511 13 우주항공분야 조선방산항공실 053-718-8274 우주항공PD 053-718-8438 조선방산항공실 053-718-8482 14 탄소나노분야 섬유탄소나노실 053-718-8330 053-718-8428 탄소나노PD 053-718-8475 섬유탄소나노실 010-718-8428 15 특화단지 공급망총괄실 053-718-8460 공급망총괄실 053-718-8460 16 생태계 협력지원 공급망총괄실 053-718-8451 공급망총괄실 053-718-8451 17 표준화 지원 엔지니어링표준실 053-718-8231 엔지니어링표준실 053-718-8231 * 신청한 기술분야와 관계없이 모두 문의 가능하며, KEIT 인사이동으로 향후 문의처가 수정 될 수 있음 ◦소재부품기술개발(이종기술융합형) 투자심사 문의 -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 기술금융팀 : 02-6000-7943, 7947 - 카카오톡 1:1 상담 : http://pf.kakao.com/_eYZxkK/chat ※ 원활한 투자심사를 위해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와 사전협의 후 진행할 것을 권고 □ 사업설명회 ◦‘24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4차) 신규지원 대상 공고문 안내(추후 별도 안내) 【붙임】 01.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4차) 공고대상 목록(총괄 기준) 01-1.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패키지형)(4차) 과제별 과제제안요구서(RFP)(IRIS공고참조) 01-2.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이종기술융합형)(4차) 과제별 과제제안요구서(RFP)(IRIS공고참조) 02. 연구개발계획서 등 관련양식 03. 평가결과 이의신청서 양식 04. 관련 법령 및 규정 05. 온라인 과제접수 매뉴얼(IRIS) 06. R&D 자율성트랙 제도안내 07. 사전지원제외기관 변경 요청서

      닫기
    • 붙임 01~04.zip
    • 붙임 05~11.zip
    • 붙임 12.zip
  •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4차)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2024-05-14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4차) 신규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정보>정책게시판>에너지·자원

    •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4차)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문.hwp 미리보기
      미리보기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4-399호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4차)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4차) 신규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4년 05월 14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목 차 > 1. 사업개요 1-1. 사업목적 1-2. 연구개발비 지원 규모 및 기간 2. 사업추진체계 3. 연구개발비 지원기준 및 기술료 징수기준 3-1. 연구개발비 지원기준 3-2. 기술료 징수 여부 및 방법 3-3. 연구개발비 산정시 유의사항 4. 지원분야 및 신청자격 등 4-1. 지원분야 4-2. 신청자격 4-3. 지원제외 처리기준 5. 평가 절차 및 기준 5-1. 평가절차 5-2. 평가기준 6. 근거법령 및 규정 7. 신청방법, 신청서 제출기한 및 접수처 8. 제출 서류 사항 9. 기타 지원 내용 및 유의 사항 10. 문의처 등 1. 사업개요 1-1. 사업목적 ◦제조업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소재의 해외의존도 완화, 기술고도화 및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소재·부품 기술개발 지원 1-2. 연구개발비 지원 규모 및 기간 세부사업명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 패키지형 생태계 (R&D 협력지원) 개발형태 혁신제품형 지원대상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2조 (소재·부품 및 장비의 범위)에 해당되는 소재·부품 및 장비 업종 분야 2024년 공고예산(안) (투자연계형) 209억원 내외 (패키지형) 236.3억원 내외 ▪특화단지2) : 135억원 내외 4억원 내외 지원규모 연구개발과제별 특성에 따라 달리함 (지원대상 사업 및 과제(RFP, 품목) 목록(첨부파일 참조) 지원기간 (투자연계형) 5년 이내 (1차년도 6개월) (연구개발과제별 특성에 따라 달리함, 연구개발과제 제안요구서(품목) 참조) (패키지형) 7년 이내(1차년도 6개월) (연구개발과제별 특성에 따라 달리함, 연구개발과제 제안요구서(RFP) 참조) 자격 주관 연구 개발 기관 연구개발과제별 제안요구서(RFP·품목) 상의 주관연구개발기관 유형 참고 비영리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제한없음 (단,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신청자격 참조) 중소‧중견기업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배분 비율 70% 이상(권고) 50% 이상(필수) (단, 대기업, 제한 없음 주관 연구개발과제는 예외로 함) 해당없음 연구개발과제 구성의무사항 수요기업3)은 1차년도부터 참여필수 해당없음 ▪ (투자연계형) 한 개 이상의 수요기업은 통합형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 필수(총괄연구개발과제 제외) * 총괄 및 세부연구개발과제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신청 ▪ 투자기간 내 투자신청(KITIA) 필수(5월 14일~6월 14일까지) ▪(통합형) 한 개 이상의 수요기업은 통합형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 필수(총괄연구개발과제 제외) * 총괄 및 세부연구개발과제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신청 ▪(병렬형) 세부연구개발과제별 수요기업 참여 필수 (총괄연구개발과제 제외) * 총괄 및 세부연구개발과제가 각자 신청하여 평가 후 선정된 연구개발과제로 컨소시엄 구성 ▪해외연계 R&D는 국외 소재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이 연구개발기관 또는연구개발기관 외 기관으로 참여필수 협약유형 일괄협약 기술료 영리기관별 징수 해당없음 1) 지원예산과 규모는 예산 상황 및 평가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2) “특화단지”는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이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해야 하며, 소부장 특화단지 내 기업이 수요기업으로 참여 필수 * 충북 오송, 광주, 대구, 부산, 경기 안성(제1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23.7) 3) “수요기업”이란 개발제품 및 기술에 대한 구매 또는 실시를 희망하여 개발과정에서 성능 평가 및 검증 역할을 하는 참여기업을 말함 * 수요기업은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할 경우에 한해서 기업 유형에 관계없이 정부지원연구개발비, 기관부담연구개발비 비중을 중소기업 수준으로 조정가능(필요시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없이 연구개발과제 참여가 가능) * 수요기업이 참여하는 연구개발과제는 접수마감일까지 수요기업 확약서 제출필수 2. 사업추진체계 ◦추진체계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 통합형 산업통상자원부 사업심의위원회 전 문 기 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개발과제평가단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 (총괄연구책임자) … 세부주관 연구개발기관1 (세부연구책임자) 세부주관 연구개발기관2 (세부연구책임자) … 세부주관 연구개발기관N (세부연구책임자) 공동연구 개발기관1 (공동연구 책임자1) 공동연구 개발기관N (공동연구 책임자N) 공동연구 개발기관1 (공동연구 책임자1) 공동연구 개발기관N (공동연구 책임자N) … 공동연구 개발기관1 (공동연구 책임자1) 공동연구 개발기관N (공동연구 책임자N) -패키지형 : 통합형 산업통상자원부 사업심의위원회 전 문 기 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과제평가단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 (총괄연구책임자) … 세부주관 연구개발기관1 (세부연구책임자) 세부주관 연구개발기관2 (세부연구책임자) … 세부주관 연구개발기관N (세부연구책임자) 공동연구 개발기관1 (공동연구 책임자1) 공동연구 개발기관N (공동연구 책임자N) 공동연구 개발기관1 (공동연구 책임자1) 공동연구 개발기관N (공동연구 책임자N) … 공동연구 개발기관1 (공동연구 책임자1) 공동연구 개발기관N (공동연구 책임자N) -패키지형(생태계) 산업통상자원부 생태계과제 운영위원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생태계별 분과위원회 <바이오> 협력지원과제 <디스플레이> 협력지원과제 <이차전지> 협력지원과제 <조선해양> 협력지원과제 R&D 총괄1 R&D 총괄2 R&D 총괄3 R&D 총괄4 세부1 세부2 세부3 세부4 - “주관연구개발기관”이라 함은 해당 연구개발과제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기관 - “공동연구개발기관”이라 함은 해당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하여 주관연구개발기관과 공동으로 수행하는 기관 - “연구책임자”라 함은 해당 연구개발과제를 총괄하여 수행하는 책임자 - “과제참여자(책임자 및 연구원 등)”는 해당 과제에 실질적 참여자로 국한 할 것 ◦추진절차 -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시행계획 수립 및 통보 산업통상자원부 → 전문기관 사업공고 및 접수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연구개발기관 투자심사 신청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 사전검토 전문기관 투자심사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 선정평가 및 협약체결 전문기관↔주관연구개발기관(공동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과제 수행 주관연구개발기관(공동연구개발기관) 최종평가 주관연구개발기관→전문기관 →산업통상자원부 기술료 징수·성과조사 등 사후관리 연구개발기관→전문기관 - 패키지형 시행계획 수립 및 통보 산업통상자원부 → 전문기관 사업공고 및 접수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연구개발기관 사전검토 전문기관 선정평가 및 협약체결 전문기관↔주관연구개발기관(공동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과제 수행 주관연구개발기관(공동연구개발기관) 최종평가 주관연구개발기관→전문기관 →산업통상자원부 기술료 징수·성과조사 등 사후관리 연구개발기관→전문기관 3. 연구개발비 지원기준 및 기술료 징수기준 3-1. 연구개발비 지원기준 □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 및 기관부담연구개발비 부담 조건 ① 공통사항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개발비는 정부지원연구개발비와 기관부담연구개발비, 그 외 기관·단체·개인이 지원하는 연구개발비(지방자치단체 등이 보유한 현금 및 현물)로 구성 ◦연구개발기관 중 영리기관의 경우 기관부담연구개발비 중 현금을 개별 부담하여야 함 - 수요기업의 경우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 없이 참여가 가능하며 이 경우 기관부담연구개발비 중 현물(참여연구자 인건비 등)로 구성할 수 있음 ◦연구개발비 구성 시 수요기업, 과제 특징(초고난도과제, 챌린지트랙, 대형통합형, 서비스형, 국제공동연구개발과제 등), 핵심전략기술 관련 기술개발 등 유리한 조건 적용 가능 (단, 중복 적용 불가) ②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 기준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비율은 아래의 표와 같이 연구개발기관 및 연구개발과제 유형에 따라 달리 적용 가능 - 수요기업으로 참여하는 공동연구개발기관은 기업 유형에 관계없이 중소기업 수준으로 정부지원연구개발비를 지원할 수 있음. 단, 연구개발과제평가단 심의를 거쳐 수요기업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연구개발기관 유형에 따라 연구개발비를 재산정하여야 함 - 산업위기지역 소재기업* 중, 중소기업이 수행하는 연구개발과제는 예외적으로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비율을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80% 이하로, 중견기업이 수행하는 혁신제품형 연구개발과제는 65% 이하로 할 수 있음 * ‘산업위기지역 소재기업’이란, 「지역 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제8조제2항, 제9조제2항, 제10조제6항 및 제8항, 제13조와 같은 법 시행령 제6조제3항, 제7조제4항, 제8조제3항 및 제6항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고시한 “지역 산업위기대응 제도의 지정기준 등에 관한 고시”에 따라 지정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의 주된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임(지정 기간에 한함) 연구개발기관1) 유형 연구개발과제 유형 원천기술형 혁신제품형 중소·중견기업이 아닌 기업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50% 이하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33% 이하 중견기업2)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70% 이하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50% 이하 중소기업3)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75% 이하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67% 이하 그 외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100% 이하 해당 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비의 100% 이하 1) ‘연구개발기관’이란 과제수행을 위하여 선정된 주관연구개발기관 및 공동연구개발기관임 2) ‘중견기업’이란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제2조 1호의 기업임 * 단,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시행령 제7조에 따라 산정한 평균매출액 등이 3천억원 미만인 중견기업은 중소기업 수준으로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 가능 3) ‘중소기업’이란 「중소기업기본법」제2조제1항에 따른 기업임 ◦ 과제 특징이 ‘초고난도과제와 챌린지 트랙, 대형통합형, 서비스형, 국제공동연구개발과제(해외연계‘에 해당할 경우 과제 유형과 상관없이 원천기술형 기준으로 연구개발비를 산정할 수 있음(붙임1.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4차) 공고대상 목록(총괄 기준)” 참조) ③ 기관부담연구개발비 중 현금부담비율 기준 ◦연구개발기관에서 부담하여야할 기관부담연구개발비 중 현금부담비율은 아래의 표와 같이 연구개발기관 유형에 따라 달리 적용 가능 - 수요기업으로 참여하는 공동연구개발기관,「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시행령 제7조에 따라 산정한 평균매출액 등이 3천억원 미만인 중견기업은 기업 유형에 관계없이 중소기업 수준으로 현금부담 비율을 적용할 수 있음. (단, 연구개발과제평가단 심의를 거쳐 수요기업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연구개발기관 유형에 따라 연구개발비를 재산정하여야 함) 연구개발기관 유형 기관부담연구개발비 현금부담비율 연구개발과제 유형 : 원천기술형/ 혁신제품형(공통) 중소·중견기업이 아닌 기업 해당 연구개발기관 기관부담연구개발비의 15% 이상 중견기업 해당 연구개발기관 기관부담연구개발비의 13% 이상 중소기업 해당 연구개발기관 기관부담연구개발비의 10% 이상 그 외 필요시 부담 ◦국외기관(기업, 대학 및 연구소 등)의 경우는 위 표에서 ‘그 외’를 적용함 ④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제24조제2항 및 제25조제4항의 “핵심전략기술* 관련 기술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은 기관 유형에 관계없이 중소기업 수준으로 정부지원연구개발비의 지원 및 기관부담연구개발비 중 현금을 부담할 수 있음. 신청과제의 참여기업은 ‘3-1. 연구개발비 지원기준’ ②항 및 ③항 기준으로 연구개발계획서를 우선 신청하며, 선정평가 결과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경우 협약 체결 이후 신청기업에 한하여 별도 위원회 심의를 거쳐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4조제2항 및 제25조제4항의 “핵심전략기술 관련 기술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에 해당 여부를 확정하여 지원비율을 협약 시 변경할 수 있음 * 「핵심전략기술 및 핵심전략기술과 관련된 품목, 핵심전략기술 선정・재검토 세부절차 등에 관한 고시」제4조제1항에 따른 [별표] 핵심전략기술 목록 참조 * 핵심전략기술 관련 기술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기준은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제27조(협약의 변경)에 따라 적용함 ⑤ 중소․중견기업에 배분하여야 하는 정부지원연구개발비 비율은 아래와 같음 ◦(패키지형) 50% 이상(필수) (단, 주관연구개발기관 유형이 ‘대기업, 제한 없음 등’의 연구개발과제는 예외로 함) ◦(이종기술융합형) 70% 이상(권고) 3-2. 기술료 등 징수 기준 □ 기술료 징수 대상 및 기준 ◦기술료 등 징수 대상 - ‘기술료 징수 및 관리에 관한 통합요령 제5조 제1항 제1호부터 제5호까지 해당되는 연구개발기관’은 실시계약을 체결하고 기술료를 징수하거나, 직접 연구개발성과를 실시하는 경우, ‘기술료등납부의무기관’으로 기술료를 납부해야 함 - 국외기관은 국내기관에 성과를 이전하기로 하는 경우, 정부납부기술료를 면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단, 국내법인의 지사인 경우 국내기관과 같은 기준으로 처리함 * 상기내용이 해당하는 경우 국제공동계약에 관련 내용을 반영하여야 함 ◦기술료 상한 연구개발기관 유형 중소기업인 경우 중견기업인 경우 중소·중견기업이 아닌 기업 기술료 상한 정부지원 연구개발비의 10% 정부지원 연구개발비의 20% 정부지원 연구개발비의 40% □ 기술료 산정기준 및 납부기한 ① 기술료 산정 기준 연구개발기관 유형 중소기업인 경우 중견기업인 경우 중소·중견기업이 아닌 기업 ① 실시계약 체결한 경우 실시기관으로부터 징수한 기술료의 5% 실시기관으로부터 징수한 기술료의 10% 실시기관으로부터 징수한 기술료의 20% ② 직접 실시할 경우 (수익금액X기술기여도)의 5% (수익금액X기술기여도)의 10% (수익금액X기술기여도)의 20% ※ ‘기술기여도’는 선정된 과제에 대해 협약시 정하며, 직접 기술실시를 한 날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 6월30일까지 매년 재무제표 및 재고자산수불부 등 매출액 관련 자료를 제출해야 함 ② 기술료 납부 기한 ◦연구개발성과소유기관이 실시기관과 기술실시계약 체결하고 기술료를 징수할 경우 - 처음 기술료를 징수한 날이 속한 해의 다음 해부터 5년이 되는 날 또는 연구개발과제가 종료된 날부터 7년이 되는 날 중 먼저 도래하는 날까지 납부 ◦연구개발성과소유기관이 직접 실시할 경우 - 직접실시로 수익이 처음 발생한 날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부터 5년이 되는 날 또는 연구개발과제가 종료된 날부터 7년이 되는 날 중 먼저 도래하는 날까지 매년 수익이 발생한 해마다 납부해야 함 3-3. 연구개발비 산정시 유의사항 □ 영리기관 소속 참여연구원의 인건비는 현물계상이 원칙이나 다음 기준에 따라 현금으로 산정 가능 ◦영리기관의 경우, 해당 연구개발과제 수행을 위해 신규로 채용하는 연구자의 인건비계상률에 따른 인건비를 현금으로 산정할 수 있음 - 사업공고일 기준 6개월 이전(2023년 11월 14일)부터 각 연구개발과제 종료 시점 사이에 채용한 연구원은 전체 연구개발기간에 걸쳐 신규인력으로 간주하며, 신규 참여연구자 인건비 금액만큼 기존 참여연구자의 인건비 현금 산정 가능. ◦창업초기 중소기업(사업개시일로부터 연구개발기간 시작일까지 7년이 지나지 아니한 중소기업) 소속 기존인력의 인건비 현금 산정 가능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별표 제4호의 인건비 현금 인정 분야의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는 영리기관 소속 연구자의 인건비계상률에 따른 인건비 <인건비 현금 인정 분야의 구체적 산정기준> ◇ 연구개발과제의 전체 연구내용이 지식서비스, 소프트웨어 및 설계기술 등 인건비 현금 인정 분야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 중소·중견기업인 연구개발기관(주관연구개발기관 또는 공동연구개발기관)은 연구개발계획서 표지에 해당 기술분류 코드번호를 기입하고 소속 연구자의 인건비를 현금으로 산정가능 ◇ 또한, 주관연구개발기관 및 공동연구개발기관 중 어느 하나만 지식서비스, S/W 및 설계기술 등에 해당되는 경우에도 해당 중소·중견기업 소속 연구자의 인건비는 현금으로 산정가능 - (예시)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연구개발내용은 자동차 차체 및 경량화 기술에 속하고,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연구개발내용은 자동차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인 경우에,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연구개발내용만 인건비 현금 인정 분야에 속함. 따라서, 중소·중견기업인 공동연구개발기관은 해당 코드번호(100212, 자동차/철도차량 관련 IT·SW)를 연구개발계획서 표지에 기입하고, 참여연구자의 인건비를 현금으로 산정가능 ◇ 단, 인건비 현금 인정분야로 신청된 경우라 하더라도 평가단에서 인정하지 않는 경우 현금으로 산정할 수 없음 ◇ 인건비 현금인정 분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별표4]을 참조하고, 해당 기술분야에 대한 코드번호는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별표1]을 참조 ◦「연구산업진흥법」제2조 제1호 가목 및 나목의 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자 중 동법 제6조 제1항에 따른 전문연구사업자로 신고된 연구개발기관 소속 참여연구자의 인건비(단, 연구개발기간 시작일 이전 신고한 경우에 한하며, 연구개발과제가 단계로 구분된 경우 해당 단계 시작일을 기준으로 함) ◦육아부담으로 시간선택제(통상 근무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주당 15~35시간 범위에서 정한 시간을 근무하는 것)로 근무하는 영리기관 소속 여성연구자의 인건비 현금계상 가능 ◦「산업디자인진흥법」제9조, 동법 시행규칙 제9조에 따른 산업디자인전문회사가 해당분야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할 경우 그 기업 소속 참여연구자의 인건비 현금계상 가능 ◦산업위기지역에 소재한 영리기관의 경우, 정부지원연구개발비의 50% 이내로 해당기업 참여연구자의 인건비계상률에 따른 인건비 현금계상 가능 ◦국제공동과제의 경우, 인력교류 협력을 위해 연구인력 파견 비용을 연구활동비에 계상 가능 □ 청년인력 추가채용 혜택 (연구개발기관 중 기업만 해당) ◦청년인력(채용시점 기준 만 34세 이하, 군 복무 기간만큼 월 단위로 계산(1개월 미만은 올림)하여 추가로 인정하되 최대 만 39세까지 한정) 일자리 창출을 위해 참여기업이 전체연구개발기간 동안 채용할 인원수(기본채용 인원*)를 초과하여 청년인력을 신규채용하는 계획을 연구개발기간 개시 시점에 제시하거나 계획하지 않았더라도 연구개발기간 중 실제 채용한 경우, 추가채용인력의 해당 연도 인건비 액수만큼 해당 연도 기관부담연구개발비 현금을 감액하고 동액 상당의 현물을 추가로 부담할 수 있음. 이때, 기관부담연구개발비 현금을 납부한 경우 기관부담연구개발비 현금의 감액 범위는 해당 연구개발기관이 추가 채용 사실을 소명하여 감액 승인을 요청한 시점의 연구개발비 현금 잔액을 한도로 함. * 기본채용 인원 : 전체 연구개발기간에 걸친 각 참여기업의 정부지원연구개발비 합계액(계획금액 기준)이 5억원 이상인 경우 청년인력은 1차년도에 1명 이상 배정하여야 하며, 정부지원연구개발비 합계액이 5억원의 배수에 달할 때마다 해당 연도 말까지 채용하여야 할 인원을 1명씩 가산 * 예시) 연구개발기관 중 3개의 기업이 나누어 받는 총 정부지원연구개발비 13.8억원인 경우, 참여기업의 연차별 기본채용 인원수 구분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해당연도 누적 해당연도 누적 해당연도 누적 정부지원연구개발비 3.8억 3.8억 5억 8.8억 5억 13.8억 기본채용 인원 1명 1명 1명 2명 0명 2명 □ 참여연구원 출산전후 휴가기간 인건비 지급 허용 ◦참여연구원의 출산전후휴가 기간 동안에도 연구개발기관이 해당 연구원에 대하여 지급 의무를 부담하는 급여(고용보험법 등에 따라 정부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액수는 제외)는 인건비로 계상·집행 가능 □ 영리기관 대상 연구지원전문가 지원제도 ◦영리기관에서 과제 지원을 위해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에서 실시하는 소정의 연구지원전문가 교육을 수료할 경우(단, 연구지원전문가 교육 수료일이 포함된 해당 월부터 인건비 지급 가능), 1명에 한해 연구개발비 중 간접비에서 해당 인력의 인건비를 현금 산정할 수 있음 - 신규채용인력은 사업공고일 기준 6개월 이전(2023년 11월 14일)부터 채용한 경우에 인정 - 기존인력은 해당인력 인건비의 50%까지 현금으로 산정 가능(타 과제 포함 실제급여총액의 50%를 초과할 수 없음) □ 참여연구원 중 박사후연구원에게 인건비를 지급한 경우에는 연구개발비 정산 시 근로계약서를 반드시 제출하여야 함 □ 비영리 연구개발기관의 당해연도 직접비 집행비율이 50% 이하인 경우, 간접비 집행비율 중 직접비 집행비율을 초과하는 부분은 반납하여야 함 □ 외주 용역비는 해당 과제의 핵심공정·기술개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며, 시제품·시작품·시험설비의 단순 가공·조립·제작, 시험·분석·검사 및 시설물(산업기술혁신 촉진법 제19조 제1항 각호의 사업 수행을 위한 시설물에 한함)의 건축 등을 연구개발기관이 아닌 제3자에게 위탁하는 용도로 산정할 수 있음. 이때, 3,000만원(부가가치세 포함) 이상 외주 용역의 경우 협약시 또는 다음단계 연구개발기간 시작시 연구개발계획서에 해당 용역의 내역 및 금액을 명시하여야 함 □ 연구개발과제별 안전관리 강화 ◦지원대상 과제 중 별도의 위원회를 통해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조 제1항 제40의3호에 따른 “안전관리형 과제”로 지정되는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과제별 안전관리계획’을 제출하고 적절한 안전조치 및 점검을 실시하여야 함 ◦연구실 안전관리비 산정 : 간접비 내에 인건비 합계의 1%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13조(안전 관련 예산의 배정)에 따른 연구실 안전관리비로 책정하여야 함 * 대학, 국·공립연구기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특정연구기관에 한함 4. 지원분야 및 신청자격 등 4-1. 지원분야 ◇ 연구개발과제는 유형별로 3가지 항목(가~다)으로 분류되며, 각 항목별 1개 이상 해당함 구분 연구개발과제유형 가. 추진체계 나. 개발형태 다. 공모형태 A과제 일반형 혁신제품형 지정공모형 통합형 원천기술형 품목지정형 병렬형 □ 연구개발과제 유형 - 가 (추진체계 ◦일반형 : 총 1개 연구개발과제로 구성되어 주관연구개발기관과 공동연구개발기관이 공동으로 수행하는 연구개발과제 - “주관연구개발기관”이라 함은 연구개발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하는 기관(기업 포함) - “공동연구개발기관”이라 함은 해당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하여 주관연구개발기관과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기관(기업 포함) - ”연구책임자”라 함은 해당 연구개발과제를 총괄하여 수행하는 책임자 ◦통합형 :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기술개발결과가 상호연계되어 사업화 또는 상품화되는 과제로 총괄연구개발과제,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컨소시엄으로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개발과제(과제 신청 시 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 간 협의를 통하여 전체 컨소시엄을 구성) ◦병렬형 :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기술개발 결과가 독립적으로 사업화 또는 상품화가 가능하면서 상호연계도 가능한 연구개발과제로 총괄연구개발과제, 세부연구개발과제가 평가 후 컨소시엄으로 구성되어 수행하는 연구개발과제(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는 각각 단독으로 신청하여 경합평가 후 선정된 연구개발과제들이 협약을 통해 컨소시엄을 구성) -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이라 함은 연구개발과제가 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로 구분되는 경우에 총괄연구개발과제의 관리를 수행하는 주관연구개발기관 - “세부주관연구개발기관”이라 함은 연구개발과제가 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로 구분되는 경우에 세부연구개발과제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주관연구개발기관 - “총괄연구책임자”라 함은 연구개발과제가 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로 구분되는 경우에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에 소속되어 연구개발과제 전체를 관리하는 연구책임자 □ 연구개발과제 유형 - 나 (개발형태) ◦원천기술형 : 제품에 적용 가능한 독창적․창의적인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연구개발과제의 유형 ◦혁신제품형 : 산업원천기술을 접목한 제품을 개발하는 연구개발과제의 유형 □ 연구개발과제 유형 - 다 (공모형태) ◦지정공모형 : 개발이 필요한 대상기술과 도전적 기술목표(RFP)를 제시 ◦품목지정형 : 필요 기술의 구체적 스펙(RFP) 제시 없이 품목(제품, 제품군)만 제시(지정공모와 자유공모의 중간 형태) □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목록 : 각 “공고대상 목록 및 품목정의서/과제별 제안요구서(RFP)” 참조 ◦패키지형 : 총괄과제 기준 10개, 일반과제 기준 5개(지정공모) *과제별 세부내용은 RFP참조 * 선정된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은 공급-수요 기업간 협업 및 과제 성과관리 등을 위하여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에서 지원 중인 산업별 협력단에 적극 협조해야 함(대상과제는 추후 안내 예정)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 총괄과제 기준 11개(품목지정) *과제별 세부내용은 RFP참조 ※ 평가결과에 따라 지원 연구개발과제별 총 연구개발비 및 연구개발 내용 등은 연구개발과제평가단 심의를 통해 조정될 수 있음 ※ ‘R&D 자율성트랙(舊R&D 샌드박스)’ 과제의 신청자격 및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세부 신청자격, 심의기준 등은 별첨(R&D 자율성트랙 제도 안내) 및「연구자율성 촉진을 위한 특별요령」참고 R&D자율성트랙 신청 □ R&D자율성트랙 ㅇ ‘R&D자율성트랙’이란 우수 R&D 기관에 대해 연구수행 과정의 여러 규제를 대폭 완화해 주는 제도로 연구개발과제 협약 후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선택적으로 신청할 수 있음 ㅇ ‘R&D자율성트랙’ 유형은 R&D자율성트랙(일반)과 R&D자율성트랙(지정) 2가지가 있으며, 각 유형별 신청자격은 별첨(R&D자율성트랙 제도안내) 참조 ㅇ ‘R&D자율성트랙’ 선정은 신규과제의 연구개발기관이 확정된 이후 별도의 신청과 심의절차를 거쳐 확정되며, 세부 내용은 별첨(R&D자율성트랙 제도 안내) 참조 ㅇ 위 연구개발과제의 신청조건과 ‘R&D자율성트랙’의 신청조건은 별개이고, ‘R&D자율성트랙’은 선택사항이며, ‘R&D자율성트랙’으로 선정되지 않더라도 연구개발과제의 선정 및 수행에는 영향이 없음 4-2. 신청자격 □ 주관연구개발기관 및 공동연구개발기관 ◦기업, 대학, 연구기관, 연구조합, 사업자단체, 의료기관 등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11조 제2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조제1항제3호, 제4호 및 제4의2호, 9의2부터 9의5, 제58호에 해당하는 기관 ◦주관연구개발기관이 기업인 경우는 접수마감일 현재 법인사업자이어야 하며, 선정평가 개최일 이전에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어야 함 * 기업부설연구소는 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발급된 인증서가 있는 경우로 한함 ※ 국외기관(기업, 대학 및 연구소 등)의 경우 연구개발기관 또는 연구개발기관 외 기관으로 참여 가능 4-3. 지원제외 처리기준 □ 아래의 경우 지원대상에서 제외 처리되나, 선정평가일의 3영업일 전 18:00까지 공문으로 별첨(사전지원제외 기관 변경 요청서)을 제출하여 연구개발기관 변경 등으로 사전지원제외 사유를 해소할 경우 선정평가에 상정할 수 있음. 단, 주관연구개발기관 및 연구책임자의 변경은 허용되지 않음 ◦주관연구개발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장,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장, 연구책임자가 접수 마감일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을 받고 있는 경우 ◦접수마감일 현재 연구개발기관(단, 비영리기관 및 공기업(공사)은 적용 예외), 연구개발기관의 장(단, 공직자윤리법 제3조의2에 따라 공직유관단체로 지정된 기관은 적용 예외), 연구책임자(공동연구책임자 제외)가 아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1. 기업의 부도 2. 세무당국에 의하여 국세, 지방세 등의 체납처분을 받은 경우(단, 중소기업진흥공단 및 신용회복위원회(재창업지원위원회)를 통해 재창업자금을 지원받은 경우와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재도전기업주 재기지원보증을 받은 경우는 예외로 한다) 3. 민사집행법에 기하여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되거나, 은행연합회 등 신용정보집중기관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된 경우(단, 중소기업진흥공단 및 신용회복위원회(재창업지원위원회)를 통해 재창업자금을 지원받은 경우와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재도전기업주 재기지원보증을 받은 경우는 예외로 한다) 4.파산·회생절차·개인회생절차의 개시 신청이 이루어진 경우(단, 법원의 인가를 받은 회생계획 또는 변제계획에 따른 채무변제를 정상적으로 이행하고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5. 최근 3개 회계연도 말 결산 재무제표*상 부채비율이 연속 500% 이상(자본전액잠식이면 부채비율 500% 이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인 기업 또는 유동비율이 연속 50% 이하인 기업(단, 기업신용평가등급 중 종합신용등급이 'BBB' 이상인 경우, 기술신용평가기관(TCB)의 기술신용평가 등급이 “BBB” 이상인 경우 또는 외국인투자촉진법에 따른 외국인투자기업 중 외국인투자비율이 50%이상이며, 기업설립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외국인투자기업인 경우, 또는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제2조제9의7호의 산업위기지역 소재 기업은 예외로 한다.) 이때, 사업개시일로부터 접수마감일까지 5년 미만인 기업의 경우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 상기 부채비율 계산시 한국벤처캐피탈협회 회원사 및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으로부터 최근 2년 간 대출형 투자유치(CB, BW)를 통한 신규차입금 및 상환전환우선주(RCPS)는 부채총액에서 제외 가능 - 상기의 신용등급 ‘BBB’에는 ‘BBB+’, ‘BBB’, ‘BBB-’를 모두 포함함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함에 따라 부채비율 및 유동비율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일반기업회계기준(K-GAAP)을 적용하여 부채비율 및 유동비율 판단 가능. 이 경우, 연구개발기관은 부채비율 및 유동비율 판단을 위해 추가적인 회계기준에 따른 자료를 전문기관에 제출하여야 하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을 혼용할 수 없음. 6. 최근 회계연도 말 결산 기준 자본전액잠식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함에 따라 자본전액잠식이 발생한 경우에는 일반기업회계기준(K-GAAP)을 적용하여 자본전액잠식 여부 판단 가능. 이 경우, 연구개발기관은 자본잠식 여부 판단을 위해 추가적인 회계기준에 따른 자료를 전문기관에 제출하여야 하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을 혼용할 수 없음. 7.외부감사 기업의 경우 최근 회계년도 말 결산감사 의견이 “의견거절” 또는 “부적정” ※ 상기 5호, 6호 및 7호 결산 재무재표 기준은 종속회사가 있는 기업은 별도 재무제표, 종속회사가 없는 기업은 개별 재무제표를 말함(연결 재무제표 기준 실적 불가) ※ 선정평가에서 지원대상이더라도 협약과정 혹은 과제수행 중에 본 항목에 해당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해당과제의 선정 취소 또는 협약을 해약할 수 있음 - 협약단계에서 ‘23년 결산 재무제표를 적용하여 지원제외 여부 재검토 예정 ◦연구개발과제의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접수마감일 기준으로 최근 3개 회계연도 말 결산 *재무제표상 이자보상비율이 연속으로 1미만인 한계기업일 경우 * 종속회사가 있는 기업은 별도 재무제표, 없는 기업은 개별 재무제표를 말함(연결 재무제표 기준 실적 불가) - 단, 한계기업의 기업신용평가등급 중 종합신용등급이나 기술신용평가기관(TCB)의 기술신용평가등급이 ‘BBB’이상인 경우 또는 사업개시일로부터 접수마감일까지 5년 미만인 기업의 경우 적용하지 아니함 ※ 선정평가 이후 상기 사전지원제외 항목에 해당되는 항목이 확인된 경우, 해당과제의 선정 취소 또는 협약을 해약할 수 있음 □ 다음의 경우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신청과제가 해당사업의 기본목적에 부합되지 않은 경우 ◦신청과제가 접수기간 내 신청 필수서류를 제출하지 아니하였거나, 제출양식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 및 전산 업로드가 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신청서류가 허위이거나 거짓인 경우 ◦신청과제의 기술개발 목표 및 내용이 기지원, 기개발된 과제와 동일한 경우 ◦신청과제가 공고된 기술범위에 부합하지 않은 경우 ◦주관연구개발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 등이 접수마감일 현재 각종 보고서 제출, 기술료/정산금/환수금/제재부과금 납부 등 의무사항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참여연구원이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율 및 참여 과제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 사업을 신청하는 참여연구원의 과제 인건비계상률은 10% 이상이고 동시에 수행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는 최대 5개 이내여야 하며, 이 중 연구책임자(세부주관책임자 포함)로서 동시에 수행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는 최대 3개 이내여야 함 - 단, 「공통운영요령」제20조2항 1호부터 4호, 6호, 7호에 따른 연평균 연구비 6천만 이하의 소규모 과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과제는 연구개발과제 수에 포함하지 아니 하나 참여연구자의 인건비계상률에는 포함 ․참여연구자(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개발기관책임자도 포함)의 과제 인건비계상률은 기관 기본사업(연구기관만 해당)에 참여하는 비율을 포함하여 100%를 초과할 수 없으며, 정부출연연구기관, 특정연구기관,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등 인건비가 100% 확보되지 않는 기관에 소속된 연구원의 총 과제 인건비계상률은 기관 기본사업을 포함하여 130% 이내에서 산정 가능 ◦국제공동과제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64조 2항에 따라 외국법인인 연구개발기관(연구개발과제협약에 따라 연구개발비를 부담하는 연구개발기관으로 한정한다)과 연구개발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하는 국내 연구개발기관의 연구자에 대해서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 수를 최대 6개로, 그 중 연구책임자로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 수를 최대 4개로 제한할 수 있음 ◦안전관리형 과제로 지정된 과제가 「공통운영요령」제2조 1항 40의3호에 따라 수립한 안전관리 계획이 미흡한 경우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개발기관책임자의 소속기관이 신청기관과 상이한 경우(단, 소속기관장이 겸임 또는 겸직을 허가한 경우와 산업기술연구조합육성법에 따른 산업기술연구조합이 신청기관인 경우 및 기업에 근무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업지원연구직은 예외) ◦과제기획 단계에 참여한 실무작업반 전문가(담당PD 포함)가 기획에 참여한 해당 과제에 대하여 참여연구자로 참여하는 경우(붙임10. “2024년 소재부품기술개발(4차) 신규 연구개발과제 실무작업반” 참조) ◦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소재·부품)가 외주가공 또는 외주생산에 의한 것일 경우(단, 설계기술이 포함된 기능성 반도체 분야의 개발은 지원 가능) ◦연구개발계획서 평가결과 지원대상이더라도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계약이 이행되지 않는 경우(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에 한함) ◦투자심사 시 제출된 투자계약서가 기지원된 국가연구개발과제에 제출된 경우(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에 한함) 4-4. 과제 차별성 제기 ◦지원대상 과제가 정부에 의해 기 지원ㆍ기 개발되었거나 민간에 의해 기 개발된 사실을 발견한 경우에는 차별성 미흡을 제기할 수 있음 ※ 정부에 의한 기 지원ㆍ기 개발 여부 확인 방법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소관사업 기 지원과제 자료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 사이트(itech.keit.re.kr) > 알림·정보 > 정보검색(기술분야, 키워드, 보고서 검색) - 타기관 공개자료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 > 사업과제 > 세부과제 > 세부과제검색 ◦제기기간 : 2024. 5. 14(화) ~ 2024. 6. 12(수) ◦제 기 처 : (41069) 대구광역시 동구 첨단로 8길 32(신서동 1152)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공급망총괄실(☎ 053-718-8434) ◦제기방법 : 제기기관 대표자 명의의 공문 제출(관련 근거자료 첨부) 5. 평가 절차 및 기준 5-1. 평가절차 □ 평가절차 및 평가일정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공고 (산업통상자원부, 5월) → 신청 서류 접수 (주관연구개발기관, 5~6월) → 투자심사 신청 (주관연구 개발기관, 5~6월) → 사전검토 (KEIT, 6월) → 투자심사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 기관협의회, 6~7월) → 연구개발계획서 평가 및 연구개발비 적정성 검토 (연구개발과제평가단, 7월) * 서면평가 실시가능 → 신규 연구개발과제 확정 (산업통상자원부, 사업별 심의위원회, 7월) → 평가결과 통보 및 이의신청 (7월) → 협약체결 및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지원 (7월) ※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음 ※ 평가방식, 평가절차는 내·외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사업별 심의위원회 : 평가결과 조정․심의(사업별 심의위원회 생략될 수 있음) - 투자심사* 신청 : 연구개발과제를 신청(예정)한 과제의 최소 1개 이상의 참여기업은 투자심사를 신청해야 함(주관/참여 무관) * 투자심사 신청은 투자계약서 체결일 기준 사업공고일로부터 12개월 이전(2023년 5월 14일)부터 체결된 투자계약을 체결하였거나 투자심사 기한 내 투자계약 체결 예정 기업이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https://www.kitia.or.kr)에 투자심사 신청 가능 - 사전검토 : 전문기관은 신청기관의 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류, 공고 부합성 등을 검토 - 투자심사*를 통하여 투자계약 체결이 완료된 연구개발과제에 한하여 평가를 거쳐 최종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를 선정함 ※ 투자심사란 투자심사 신청기업을 대상으로 투자계약서 검토 및 투자적격성 심의 등을 통해 연구개발계획서 평가대상을 선별하는 것 * 통합형 연구개발과제는 최소 1개 이상의 참여기업이 투자계약을 체결하고, 투자금액 기준은 해당 참여기업이 신청한 정부지원연구개발비의 30%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해 투자계약을 체결해야 함 ※ 연구개발계획서 평가결과 지원대상이더라도 정당한 사유없이 투자계약이 이행되지 않는 경우 지원제외될 수 있음(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에 한함) - 연구개발계획서 평가 : 평가단은 연구개발계획서를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하며, 신청기관은 평가단 질의에 대하여 답변을 제출하여야 함 - 연구개발비 적정성 검토 : 연구개발과제별 연구비의 적정성 검토를 통해 연구개발계획서의 구체화 및 내실화 ※ 인건비, 연구장비비, 재료비 등 단가, 소요량의 적정성·필요성 등 검증 강화 - 이의신청 :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선정방법 및 절차에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 1회에 한하여 신청할 수 있음 ◦패키지형 공고 (산업통상자원부, 5월) → 신청 서류 접수 (주관연구개발기관, 5~6월) → 사전검토 (KEIT, 6월) → 연구개발계획서 평가 및 연구개발비 적정성 검토 (연구개발과제평가단, 6~7월) * 서면평가 실시가능 → 신규 연구개발과제 확정 (산업통상자원부, 사업별 심의위원회, 7월) → 평가결과 통보 및 이의신청 (7월) → 협약체결 및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지원 (7월) ※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음 ※ 평가방식, 평가절차는 내·외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사업별 심의위원회 : 평가결과 조정․심의(사업별 심의위원회 생략될 수 있음) - 사전검토 : 전문기관은 신청기관의 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류, 공고 부합성 등을 검토 - 연구개발계획서 평가 : 평가단은 연구개발계획서를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하며, 신청기관은 평가단 질의에 대하여 답변을 제출하여야 함 * 외부 상황에 따라 온라인 형태로 평가를 실시할 수 있음 - 연구개발비 적정성 검토 : 연구개발과제별 연구비의 적정성 검토를 통해 연구개발계획서의 구체화 및 내실화 ※ 인건비, 연구장비비, 재료비 등 단가, 소요량의 적정성·필요성 등 검증 강화 - 이의신청 :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선정방법 및 절차 등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 1회에 한하여 신청할 수 있음 5-2. 평가기준 □ 평가항목 ◦연구개발과제 유형에 따라 평가항목을 달리 정함 과제 유형 평가항목 세부 항목 혁신제품 기술성(40) ▪목표 및 연구개발의 도전성 및 창의성(35) : 정부지원필요성, RFP/품목 부합성, 목표의 구체성 및 정량 정도, 목표의 수준 및 도전성, 질적 우수 지재권 창출 가능성,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의 창의성 ▪연구방법 및 추진전략 관련 계획의 충실성(5) : 개발 내용 및 방법의 적정성, 연구개발비 규모 및 계상내용의 적정성, 외부기술 도입 적정성 연구역량(20) ▪연구책임자 등 연구조직 역량(20) :연구책임자의 전문성⋅연구윤리, 참여연구진의 역량/역할의 구성, 연구시설장비 등 연구 인프라, 연구인프라 활용계획 적절성, 지재권 관리인력의 운용 및 관련 지재권 보유정도 사업화 및 경제성(40) ▪사업화 실적(15) : 연구팀의 과거 사업화 실적 적정성, 과거 관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실적 적적성 ▪사업화 계획 및 의지(10) : 사업화를 위한 투자계획 적정성, 시장분석 및 표준화, 인증 대응 등 사업화 추진전략의 타당성 ▪경제성(10) : 기술개발을 통한 추가적인 가치 창출 가능성(기술이전, 매출, 수익, 수입대체, 수출효과, 고용창출 등) ▪지역적파급효과(5) : 연구개발과제를 통해 지역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의 적정성(지역 내 직·간접적 고용 증대, 생산성 향상 및 매출 증대 등) ※ 사회문제해결형 과제의 경우, 사회적 효과를 반영한 과제의 목표 및 성과지표 검토 - 생태계형 과제 유형 구분 평가항목 세부 항목 생 태 계 형 지원과제 운영계획 및 추진전략의 적정성 (80) 사업화 촉진계획의 적정성(40) 사업화 로드맵 수립 및 공유, 과제별 전략 컨설팅 계획의 적정성 생태계 총괄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제 통합 관리 계획의 적정성 산업수요 기반 수요-공급 매칭 등 공급망 강화 계획의 적정성 현장수요를 반영한 법·규제 개선 제안계획의 적정성 네트워킹 활성화, 산업통계지원, 성과관리계획의 적정성(30) 운영위원회, 분과위원회, 얼라이언스 등 운영 계획 적정성 산업별 GVC 도출, 통계 DB 지원계획의 적정성 성과관리 체계구축 및 BP 발굴 계획의 적정성 사업비 편성의 적정성(10) 사업비 편성의 적정성 지원과제 운영능력 (20) 총괄책임자의 전문성(10) 총괄책임자의 전문성 및 기획·관리 능력 주관기관의 전문성(10) 주관기관의 해당 산업분야 네트워킹 역량 - 표준 과제 유형 평가항목 세부 항목 표준 사업계획의 적절성(20) 목표의 구체성 및 명화성 창의성 및 수행계획의 충실성 추진능력 및 연구개발비 적정(20) 연구자 또는 소속기관 단체의 연구개발역량 신청연구개발비의 적정성 결과활용 가능성 및 파급효과(60) 최종목표 달성가능성 결과활용가능성 결과물로 인한 파급효과 ◦지원대상 과제 : 신청과제의 평가점수가 70점 이상인 과제는 “지원가능과제”로 하며, 종합평점이 70점 미만인 과제는 “지원제외”로 분류함. 단, 70점 이상인 과제의 경우에도 해당 분야의 예산 범위가 초과한 경우에는 평가점수가 높은 순위에 따라 우선 지원되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 동일한 최고점을 받은 과제가 발생할 경우 ①사업화 및 경제성, ②기술성, ③감점 항목 순으로 개별 항목 점수가 높은 과제를 우선 선정 - 통합형 : (총괄연구개발과제 평가점수 x 30%) + ((세부연구개발과제별 평가접수 합계 / 총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수) x 70%)로 종합평점을 계산 ※ (통합형) 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 중 일부과제가 평가점수에 따라 ‘지원제외’된 경우 평가단 심의를 통해 전체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지원대상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음 □ 접수마감일 기준으로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평가 시 감점함 ◦최근 3년 이내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32조제1항제3호에 따른 사유로 제재처분을 받은 제재대상자(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기관의 장, 연구자 등)가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3점) ◦최근 3년 이내에 정당한 사유 없이 연구개발과제 수행을 포기한 자(연구개발기관, 연구개발기관의 장, 연구자 등)가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3점) * ‘24년 예산 감액으로 인한 중단(포기)과제의 경우 감점 미해당 ※ 최종 점수 산출 시 상기 감점 기준에 따라 감점을 제하되, 총 5점을 초과하여 감점할 수 없음 6. 근거법령 및 규정 □ 근거법령 : 산업기술혁신촉진법 및 동법 시행령,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동법 시행령,「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및 동법 시행령 □ 관련규정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기술료 징수 및 관리에 관한 통합요령」, 「산업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산업기술혁신사업 연구·윤리 진실성 확보 등에 관한 요령」, 「산업기술개발장비 통합관리 요령」, 「산업기술혁신사업 기술개발 평가관리지침」, 「연구자율성 촉진을 위한 특별요령」 7. 신청방법, 신청서 제출기한 및 접수처 □ 연구책임자가 온라인에 접속하여 접수마감일 18시까지 모든 과제 정보(신청항목)를 전산에 입력하고 제출 대상 서류를 업로드를 완료하여 ‘제출완료’ 상태인 연구개발계획서(과제)만 접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전산 정보 입력 및 서류 업로드 시 최소 1시간 이상 소요될 수 있으며 기간 내에 완료되지 않은 과제에 대한 구제는 절대 불가 (접수 유예 없음). 구분 패키지형,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공고기간 2024. 05. 14(화) ~ 06. 12(수) 신청서 및 관련 양식 교부기간 ○ 양식교부 : 2024. 05. 14(화) ~ 계속 ○ 양식교부 및 접수안내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 접수기간 2024. 05. 21(화) ~ 06. 12(수) 18:00까지 * 접수마감시간 엄수 요망 (18시 이후 수정 또는 제출 불가) ◦기관·인력 신규가입 등을 위한 법인실명인증, 개인실명확인은 해당 인증기관(서울신용평가정보)의 사무처리 시간(~18:00) 내에만 가능하고 미인증으로 인한 기관·인력의 신규등록 불가 시 온라인접수 진행이 되지 않으므로 유의바람 ◦전산시스템 접수 중 문의사항은 사무처리 시간(~18:00) 내에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고객센터(☎1877-2041) 으로 문의 요망 ※ 접수 마감일에는 접속 과부하로 인하여 접수가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접수 요망. 또한, 접수 마감일 18시 이후 신규접수 및 수정 불가 ※ 제출된 서류 및 연구개발계획서 등이 허위, 위․변조, 그 밖의 방법으로 부정하게 작성된 경우 관련 규정에 의거, 사전지원 제외, 선정 취소 및 협약해약 등 불이익 조치함 ※ 접수 시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연구책임자가 로그인하여 입력·제출이 원칙 ※ 직인이 필요한 별첨 서식의 경우 스캔 업로드를 원칙으로 하나, 일부 온라인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서식의 경우는 전자서명 등으로 대체 가능 ※ 통합형은 총괄연구개발과제 및 세부연구개발과제별로 연구책임자가 각각 온라인제출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접수마감일 18:00에 접수시스템이 폐쇄(18:00 이후 제출・수정・보완 모두 불가)되므로 18:00 이전까지 ‘제출완료’ 상태인 과제만 접수함 □ 신청방법 : 연구개발계획서 및 첨부서류 전체 온라인 접수 (오프라인 서류 제출 불필요) □ 연구개발계획서 접수처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 → 사업정보 > 사업공지 > 사업공고 메뉴(주관연구개발기관이 대표로 온라인제출)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접수 대상 사업의 경우, 접수 불가시 기존 산업기술 R&D 정보포털(itech.keit.re.kr)을 활용하여 접수 예정(추후 별도 공지) □ 투자심사 신청(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투자심사 신청, 1차) 과제 참여기관 중 최소 1개 이상의 참여기관은 투자심사를 신청해야 함 구분 주요 내용 비고 신청 기간 5/14(화) ~ 6/14(금), 18:00까지 접수 마감 시간 엄수 요망 신청 방법 KITIA 온라인 시스템 “KITIA Noblesse” https://invest.kitia.or.kr/ 신청 서류 투자심사 신청서 1부, 법인등기부 등본 1부 법인인감증명서 1부, 주주명부 1부,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IR 자료 또는 회사 소개자료 1부 제출일로부터 4주 이내 발급 본 ◦(투자심사 자료 제출, 2차) 투자심사를 신청한 기업은 투자심사를 위한 투자계약서 등 관련 자료를 제출해야 함 구분 주요 내용 비고 신청 기간 6/24(월) ~ 6/27(목), 18:00까지 접수 마감 시간 엄수 요망 신청 방법 KITIA 온라인 시스템 “KITIA Noblesse” https://invest.kitia.or.kr/ 신청 서류 투자계약체결 공문, 투자계약서 및 변경 투자계약서, 확약서 등 ※ 자세한 사항은 투자심사 절차 안내 참조 8. 제출 서류 사항 번호 서 류 명 제출방법(제출형식) 비고 1 온라인 제출 최종 확인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 - 2 연구개발계획서(필수) 온라인 업로드(hwp) - 기본정보에 대한 온라인 전산 입력이 완료되어야 함 IRIS 업로드 시, 과제접수용 연구개발계획서 (PART2)에 동일 파일제출 3 사업자등록증(필수) 온라인 업로드(PDF) - 영리기업만 제출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4 연구개발기관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 - 모든 신청 연구개발기관이 한 장에 날인 또는 개별 낱장 제출 가능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5 (국외기관용)산업기술혁신사업 참여의사 확인서(비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해당시 제출 6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동의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7 연구윤리·청렴 및 보안서약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8 주관연구개발기관의 기업부설연구소 인정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연구개발기관 9 연구개발기관 책임자의 재직증명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10 연구개발기관의 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11 감점사항 확인서(비필수) 온라인 전산 입력(첨부파일 자동생성) - 증빙서류는 필요시 온라인 업로드(PDF 스캔) 해당시 제출 12 연구수행총량 준수 확약서(비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연구개발기관이 한계기업인 경우 제출 13 연구자의 동시수행 과제수 확약서 (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책임자 모두 14 수요기업 확약서 (비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해당시 제출 15 비공개과제 신청서 (비필수)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해당시 제출 16 연구개발기관의 회계감사보고서 또는 재무제표* * 종속회사가 있는 기업은 별도 재무제표, 없는 기업은 개별 재무제표를 말함(연결 재무제표 기준 실적 불가) 온라인 재무정보시스템으로 제출 (www.new.findsystem.co.kr 접속 후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선택) - 온라인 재무정보시스템 미활용 기관은 과제접수 기간 종료 후, 전문기관 담당자 안내에 따라 사전검토기간에 업로드 - 표지(회계사 직인 포함), 재무상태표(표준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표준손익계산서)를 PDF로 스캔한 파일 * 국세청에서 발급하는 표준재무제표증명은 회계사 직인 불필요 비영리와 상장사(거래소․코스닥) 미제출, 그 외 기업은 제출(직전년도로부터 최근 3년 결산 자료) 영리기관(주관+공동연구개발기관 모두 별도 사이트 내 재무정보 입력) ※ 과제참여자 : 연구책임자 및 연구자 모두에 해당 9. 기타 유의 사항 □ 신청 시 유의사항 ◦“기술료 징수” 과제는 영리기관이 반드시 연구개발기관으로서 과제에 참여해야 함 ◦수요기업이 참여하는 연구개발과제는 수요기업이 반드시 연구개발기관으로서 과제에 참여해야 함 ※ 수요기업은 접수마감일까지 수요기업 확약서를 제출하고 연구개발기관으로 전산입력을 완료해야함. 미준수시 지원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수요기업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지원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융합 R&D : 대내외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치창출형(산업고도화, 사회문제해결, 신산업(시장)창출) 연구개발과제 ◦IP R&D 연계 : 특허대응전략 수립을 위해 특허청 ‘IP R&D사업’과 연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특허전략 수립비를 계상(별도 안내 예정)하여야 하며, 특허전략 수립비는 다른 용도로 전용(변경)이 불가하나 전략수립 완료 후 잔액에 대해서는 연구비 변경 가능) ※ 세부연구개발과제별 주관연구개발기관(중소·중견기업)은 사업시작일로부터 2년 내에 특허대응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특허전략 수립비를 계상하여야함 ◦표준 연계 : 연구개발계획서 내에 표준화 관련 연구내용과 함께 국제표준화기구(ISO/IEC/JTC1)에 기고발표하는 것을 원칙(표준화 목표수립)으로 하며 상세내용은 표준화 과제별 동향 보고서(별첨) 참고 - 국제표준화기구에서 활동하는 전문가(국제의장단 등)가 참여하거나, 관련 TC의 COSD기관 등의 컨설팅 비용을 산정하여 추진계획에 반영 하여야함 - 표준연계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는 세부과제는 표준화과제(RFP관리번호 : 2024-패키지-표준-01) 연구개발과제와 표준화 활동 연계/참여 필수 - 표준연계 연구개발과제는 총 연구 개발기간 내 표준화 활동과 표준연계 전략수립에 소요되는 비용(1억원 이내)을 계상하여야 함 - ‘IP-R&D사업’과 연계한 특허전략 수립비와 별개임 - 다른 항목으로 전용(변경) 불가하나 전략수립 완료 후 잔액에 대해서는 전용(변경) 가능함 ◦표준화 지원 : 해당 과제 연구개발기관은 2024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표준연계 과제를 수행하는 연구개발기관과 유기적으로 협력하여야 함 ※ 2024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추가 공고로 표준연계 과제 추가 시, 해당과제 포함 ◦생태계(R&D 협력지원) : 해당 분야(생태계 R&D) 과제는 연구개발 및 생태계형 과제 지원 관련 제반 업무에 유기적으로 협력하여야 함 ◦“특화단지”는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이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해야 하며, 소부장 특화단지 내 기업이 수요기업으로 참여 필수 ※ 충북 오송, 광주, 대구, 부산, 경기 안성(제1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23.7) ◦디자인 연계 : 디자인 전문회사 등 전문 기관에 의한 연구개발 세부내용이 연구개발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함 ◦경쟁형 R&D : 선정평가를 통해 복수의 연구개발기관(n배수)을 선정·지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계평가 등을 통해 계속 수행 1개 과제를 최종 선별함 ◦국제공동 : 해외연계형 R&D(RFP 참고) 과제는 국외 소재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이 연구개발기관 또는 연구개발기관 외 기관으로 참여 필수 ◦복수형 R&D : 동일 연구개발과제에 복수의 연구개발기관(n배수)이 동시에 수행하는 연구개발과제일 경우 해당 ◦대형통합형 : 산업생태계 육성과 산업 밸류체인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복수의 세부연구개발과제로 구성된 연구개발과제가 해당됨 (5개 이상의 연구개발기관이 참여) ◦서비스형 : 공통운영요령 [별표4] 산업기술혁신사업 인건비 현금 인정 분야 해당 과제 ◦국가핵심기술 : 국내외 시장에서 차지하는 기술적·경제적 가치가 높거나 관련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높아 해외로 유출될 경우에 국가의 안전 보장 및 국민경제의 발전에 중대한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산업기술 ◦안전관리형 : 연구실, 연구개발 장소 및 외부환경의 안전 확보를 위해 재해유발 위험이 높거나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등 사람의 신체, 재산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연구개발기간 및 연구개발과제 종료 후 일정기간 동안 특별한 점검 및 관리가 필요한 연구개발과제 ◦Cascading과제 : 주관기업(최근 3년내 주관기관으로 산업기술 R&D 수행경험이 있는 대기업, 중견기업 및 우수평가를 받은 중소기업에 한함) 단독으로 과제를 신청(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신청 불가)하고, 선정평가시에는 기업역량 및 기술조달(공동연구·외주용역 포함) 계획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선정된 과제는 협약체결 이후 기업이 주도하여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식의 과제 유형임 ※ 산업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제9조에 따라 보안과제에 해당되므로 보안과제로 체크하여 연구개발계획서를 제출하고, 선정 시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야 함. ◦주관연구개발기관인 중소기업은 사업시작일로부터 2년 내에 특허대응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특허전략 수립비를 계상하여야 하며, 선진특허분류(Cooperative Patent Classification)에 따른 선행기술과의 중복 회피전략을 포함해야 함. 특허전략 수립비는 다른 항목으로 전용(변경)이 불가하나 전략수립 완료 후 잔액에 대해서는 연구비 변경 가능. 단,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자체 특허분석 조직을 보유한 경우에는 미계상 가능 - 중소기업이 주관하는 연구개발과제의 경우 특허청 ‘IP-R&D사업’과의 연계를 위한 비용 사용이 가능함 ◦혁신제품형의 경우,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중소·중견기업이면서 사업화 컨설팅을 희망하는 경우, 전체 연구개발기간 중 컨설팅을 희망하는 연차에 사업화 컨설팅 비용을 연구활동비에 계상 가능 ◦외부 기술을 도입 후 도입된 기술을 바탕으로 추가 기술을 개발하는 ‘기술도입비’는 현물(기술매매, 기술 라이센싱 비용) 또는 현금으로 산정할 수 있음 - 총 연구개발비의 30% 이내에서 계상 가능하나, 국내에 없는 국외기술 도입시에는 총 연구개발비의 50%까지 계상 가능. 다만, 평가단 심의를 거쳐 상기 기준액을 초과하여 계상 가능 * 현물 : 접수마감일 기준 2년 이내로부터 실제 지급한 도입비의 50% 이내 * 현금 : 목표달성을 위해 연구개발간 중 도입할 기술의 실지급 비용 ◦연구개발 수행에 대한 정보가 NTIS(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를 통해 공개됨으로 인해 직접적 피해가 우려되는 연구개발과제는 비공개과제 신청서를 제출하여 과제수행정보에 대한 비공개를 요청할 수 있음. 다만, 평가단 심의를 거쳐 비공개과제로 분류되지 않을 수 있으며, 비공개과제로 결정되었더라도 단계평가 시 비공개 지속여부를 별도로 판단함 * NTIS 공개정보 : 참여기관, 참여연구원, 과제명, 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효과 등 ◦연구개발과제별로 신청 가능한 정부지원연구개발비의 최대범위는 품목별, 과제제안요구서별로 명기된 지원 금액을 초과할 수 없음 ◦공고된 연구개발과제는 평가결과에 따라 선정되지 않을 수 있음 ◦3천만원 이상(부가가치세 및 구입·설치등에 필요한 부대비용 포함)의 연구시설·장비를 구매 또는 임차할 경우, 연구개발계획서에 기재 및 ‘연구시설·장비 구입 또는 임차활용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함 ◦총괄관리만 수행하는 총괄연구개발과제(통합형/병렬형)의 연구개발기관은 연구수당 산정이 불가함 ◦선정된 과제의 연구개발비(연구비) 및 연구개발기간은 평가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과제 추진 중 관련 규정에 따른 평가 등을 통해 과제가 중단될 수 있음 ◦기타 세부내용은 첨부의 지원대상 사업 및 과제(품목 및 RFP) 목록을 참조 ◦선정된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장은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의 장과 사후관리 지원계약을 체결하여야 하며, 관련 점검수수료(연간 150만원)를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연구활동비에 매년 계상해야 함(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에 한함) ※ 투자계약 사후관리 점검 수수료는 협약체결이 완료된 연구개발과제에 한하여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에서 개별적으로 안내 예정 ◦미응모 시 재공고(접수기간 연장)할 수 있음 - 접수결과 미응모인 RFP/품목에 대해서는 동일 RFP/품목으로 재공고 할 수 있음. 이 때, 상세 내용은 연구개발계획서 접수 마감일 이후로부터 2주 내외로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을 통해 재공고하며, 재공고 기간은 15일 이내임 - 재공고는 미응모 된 RFP/품목에 대한 접수기한 연장을 의미하며, 재공고 기간 동안 추가 접수되는 과제의 유‧무에 관계 없이, 접수 마감일 이후에는 최초 공고(2024년 5월 14일 공고)와 동일한 평가 항목 및 평가 절차에 따라 평가 진행 ※ 자세한 사항은 재공고시 세부내용 참조 □ 지식재산권 및 발생품의 귀속 ◦연구개발성과를 연구개발기관이 각자 창출한 경우 해당 연구성과를 창출한 연구개발기관의 소유로 함 - 단, 주관연구개발기관은 국외에 소재한 기관(기관⋅기업⋅단체⋅외국인 등 포함)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 국외기관의 연구개발성과를 국내 소재 연구개발기관의 소유로 하거나 국내 소재 연구개발기관이 우선적으로 연구개발성과실시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여러 연구개발기관이 공동으로 연구개발 성과를 창출한 경우 연구개발기관별 기여도를 기준으로 소유비율을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연구개발기관 간의 협의에 따라 연구개발성과의 소유비율 및 연구개발성과 실시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한 경우 그 협의에 따름 □ 중소기업에 대한 IP 실시권 확산 ◦연구개발기관은 해당 연구개발과제를 통해 각자 개발한 성과물의 실시를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 동 과제의 다른 연구개발기관이 보유한 성과물을 실시할 수 있음. 이때, 성과물의 실시기간 및 조건에 대해서는 서로 합의하여 정함 ◦비영리기관은 참여기업 아닌 중소기업이 무형적 성과물에 대해 실시 허락을 요청한 경우 이에 응하여야함 -다만, 중소기업인 실시기업에 대한 기술료율은 「기술료 징수 및 관리에 관한 통합요령」에 따른 기술료율 이내에서 서로 합의하여 정함 ◦기타「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제37조 및 37조의2 참조 □ 보안등급 분류 ◦신청자는 신청 과제의 보안등급(보안/일반)을 분류하여 이를 연구개발계획서에 표기하여야 함 ◦보안과제는 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연구개발과제임 - 세계 초일류 기술제품의 개발과 관련되는 연구개발과제 - 외국에서 기술이전을 거부하여 국산화를 추진 중인 기술 또는 미래 핵심기술로서 보호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연구개발과제 -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제2조제2호의 국가핵심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과제 - 「대외무역법」제19조 1항 및 동법 시행령 제32조의2의 수출허가 등의 제한이 필요한 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과제 - 「방위사업법」 제3조제1호에 따른 방위력개선사업과 관련된 연구개발과제 ◦선정된 연구개발과제 중 외국에 소재한 기관ㆍ단체 또는 외국인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해당 연구개발과제가 「대외무역법」 제20조제2항에 따라 전략물자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판정을 신청하여 그 결과에 따라 그 연구개발과제를 보안과제로 분류할 수 있음 □ 참여연구자의 최소 인건비계상률 ◦연구책임자를 포함한 모든 참여연구자의 최소 인건비계상률은 10% 이상이어야 함 10. 문의처 □ 상세 품목 및 관련양식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IRIS사이트(www.iris.go.kr) 참조 ◦온라인 시스템 접수 및 규정 등 문의 :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고객센터(☎ 1877-2041), R&D상담콜센터(☎ 1544-6633) ◦공고 문의 :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공급망총괄실 (☎ 053-718-8434, 8416, 8451, 8460, 8449, 8421, 8446, 8285) ◦선정평가 일정 및 절차, 품목/RFP(기획의도) 문의 - 패키지형, 이종기술융합형(투자연계형) 순번 분야 신규평가 일정 및 절차 품목/RFP(기획의도) 담당부서 연락처 담당PD 연락처 PD지원인력 연락처 1 금속재료분야 철강세라믹실 053-718-8459 053-718-8452 053-718-8427 053-718-8637 금속재료PD 053-718-8369 철강세라믹실 053-718-8481 2 디스플레이분야 배터리디스플레이실 053-718-8812 053-718-8365 053-718-8361 디스플레이PD 053-718-8653 배터리디스플레이실 053-718-8812 3 바이오분야 바이오헬스실 053-718-8484 053-718-8454 바이오PD 053-718-8562 바이오헬스실 053-718-8500 4 세라믹분야 철강세라믹실 053-718-8459 053-718-8427 053-718-8452 053-718-8637 세라믹PD 053-718-8263 철강세라믹실 053-718-8556 5 제조기술분야 화학산업실 053-718-8387 053-718-8443 뿌리기술PD 053-718-8468 화학산업실 053-718-8443 6 이차전지분야 배터리디스플레이실 053-718-8277 053-718-8324 053-718-8588 이차전지PD 053-718-8498 배터리디스플레이실 053-718-8277 7 조선해양분야 조선방산항공실 053-718-8651 053-718-8380 조선해양PD 053-718-8464 조선방산항공실 053-718-8654 8 자율주행차분야 미래자동차실 053-718-8473 자율주행차PD 053-718-8712 미래자동차실 053-718-8496 9 전기수소차분야 미래자동차실 053-718-8473 전기수소차PD 053-718-8713 미래자동차실 053-718-8491 10 시스템반도체분야 미래반도체실 053-718-8650 시스템반도체PD 053-718-8415 미래반도체실 053-718-8497 11 반도체공정장비분야 미래반도체실 053-718-8650 반도체공정장비PD 053-718-8528 미래반도체실 053-718-8650 12 로봇분야 기계로봇장비실 053-718-8477 로봇PD 053-718-8432 기계로봇장비실 053-718-8511 13 우주항공분야 조선방산항공실 053-718-8274 우주항공PD 053-718-8438 조선방산항공실 053-718-8482 14 탄소나노분야 섬유탄소나노실 053-718-8330 053-718-8428 탄소나노PD 053-718-8475 섬유탄소나노실 010-718-8428 15 특화단지 공급망총괄실 053-718-8460 공급망총괄실 053-718-8460 16 생태계 협력지원 공급망총괄실 053-718-8451 공급망총괄실 053-718-8451 17 표준화 지원 엔지니어링표준실 053-718-8231 엔지니어링표준실 053-718-8231 * 신청한 기술분야와 관계없이 모두 문의 가능하며, KEIT 인사이동으로 향후 문의처가 수정 될 수 있음 ◦소재부품기술개발(이종기술융합형) 투자심사 문의 -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 기술금융팀 : 02-6000-7943, 7947 - 카카오톡 1:1 상담 : http://pf.kakao.com/_eYZxkK/chat ※ 원활한 투자심사를 위해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와 사전협의 후 진행할 것을 권고 □ 사업설명회 ◦‘24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4차) 신규지원 대상 공고문 안내(추후 별도 안내) 【붙임】 01.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4차) 공고대상 목록(총괄 기준) 01-1.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패키지형)(4차) 과제별 과제제안요구서(RFP)(IRIS공고참조) 01-2.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이종기술융합형)(4차) 과제별 과제제안요구서(RFP)(IRIS공고참조) 02. 연구개발계획서 등 관련양식 03. 평가결과 이의신청서 양식 04. 관련 법령 및 규정 05. 온라인 과제접수 매뉴얼(IRIS) 06. R&D 자율성트랙 제도안내 07. 사전지원제외기관 변경 요청서

      닫기
    • 붙임 01~04.zip
    • 붙임 05~11.zip
    • 붙임 12.zip
더보기

예산·법령 ( 504 건)

더보기

민원참여( 0 건)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

직원검색 ( 0 건)

직원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테이블 입니다
이름 직위 부서 전화번호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

소개( 0 건)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