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통합검색

보증 ⚒︎일등케어.com⚒︎ 보증F’에 대한 검색결과 12 건 입니다

알림·뉴스 ( 4 건)

  • 제60회 무역의 날 행사(포상 부문) 2023-12-04

      1. 무역‧진흥 유공자에 대한 포상   □ 포상개요   ㅇ 정부는 2023.12.5일(화) 서울 코엑스에서 제60회 무역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고, 무역‧진흥 유공자에 대한 포상을 실시함   ㅇ 올해에는 공급망 교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어려운 교역 여건 속에서도 역대 최고의 수출실적을 거둔 무역인들을 격려하기 위해 유공자 총 596명에게 정부포상을 수여함   < 2023년 무역의 날 유공자 포상현황 >   산업훈장 포장 표창 합계 구분 금탑 은탑 동탑 철탑 석탑 계 대통령 총리 산업부장관 전체 4 6 9 9 4 32 31 77 86 370 596 □ 포상현황   ㅇ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참고자료

    • 1204(5조간)무역정책과, 제60회 무역의날 행사 포상부문.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3. 12. 4.(월) 11:00 < 12.5.(화) 조간 > 배포 2023. 12. 4.(월) 제60회 무역의 날 행사 (포상부문) 담당 부서 무역정책과 책임자 과 장 정상용 (044-203-4020) 담당자 사무관 홍경태 (044-203-4022) 목 차 Ⅰ. 제60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1 Ⅱ. 수상자 명단············································································· 5 □정부포상수상자···································································· 6 □수출의탑수상업체··························································· 30 Ⅲ. 주요 수상자 공적내용···················································· 77 □정부포상수상자································································· 78 □수출의탑수상업체························································· 112 - 1 - Ⅰ. 제60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 2 - Ⅰ. 제60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1. 무역‧진흥 유공자에 대한 포상 □포상개요 ㅇ 정부는 2023.12.5일(화)서울코엑스에서제60회무역의날기념식을 개최하고,무역‧진흥유공자에대한포상을실시함 ㅇ 올해에는공급망교란,원자재가격상승등어려운교역여건속 에서도 역대 최고의 수출실적을 거둔 무역인들을 격려하기 위해유공자 총 596명에게 정부포상을 수여함 < 2023년 무역의 날 유공자 포상현황 > 산업훈장 포장 표창 합계 구분 금탑 은탑 동탑 철탑 석탑 계 대통령 총리 산업부 장관 전체 4 6 9 9 4 32 31 77 86 370 596 □포상현황 ㅇ (기업규모별)대기업종사자 65인,중견기업종사자 86인,중소 기업종사자 360인에대해포상함. -전체 포상의 약 75%는 중소·중견기업 종사자에 해당 ㅇ (기타)무역유관기관종사자 85인外,단체 2곳포상함. - 3 - □금년도 포상의 주요 내용 ㅇ 금탑산업훈장의경우,중소기업대표이사 2인,중견기업회장 1인, 대기업대표이사 1인등총 4명이수상함. 구 분 기 업 명 직 위 수상자 비 고 중소기업 ㈜메타바이오메드 대표이사 오석송 치과용의료원부자재 중소기업 ㈜비엠티 대표이사 윤종찬 산업용피팅․밸브 중견기업 ㈜심텍 회장 전세호 인쇄회로기판 대기업 ㈜엘엑스세미콘 대표이사 손보익 반도체설계 ㅇ 금탑산업훈장 이외에도 592명이 훈ㆍ포장, 대통령ㆍ국무총리ㆍ 산업부장관표창을수상함. ㆍ은탑산업훈장 :케이지모빌리티㈜ 대표이사 정용원 등 6명 ㆍ동탑산업훈장 :현대아이에프씨주식회사대표이사양국석등 9명 ㆍ철탑산업훈장 :삼성에스디아이㈜ 부사장 손미카엘 등 9명 ㆍ석탑산업훈장 :한국무역보험공사본부장 박진식 등 4명 ․산업포장 :㈜현대미포조선기장이상신등 31명 ㆍ대통령표창 :에스시디디㈜대표이사강병수등 77명 ㆍ국무총리표창 :영케미칼㈜공장장박경원등 86명 ㆍ산업부장관표창 :㈜피제이켐텍상무박영만등 370명 ㅇ 단체표창은지역수출지원을촉진하여최우수광역자치단체로선정된 「충청남도」에게대통령표창(단체)을수여하고, - 중소기업의수출지원에기여하여최우수중소기업지원센터로 선정된「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 수출지원센터」에게 대통령 표창(단체)을수여함. - 4 - 2. 수출의 탑 수여 ㅇ 「수출의 탑」은 ’73년 최초 1억불 수출 달성업체(한일합섬공업)의 출현을기념하여수여하기시작함. ㅇ 올해수상업체는 1,704개사로대기업 36개사,중견기업 113개사, 중소기업 1,555개사임 - 올해최고의탑인 300억불탑은현대자동차 (주)가수상하고,㈜엘지 이노텍등 74개사가 1억불탑이상을수상함. ※수상기준:당해기간(’22.7∼’23.6)에일정단위의수출실적을달성한업체 -㈜금광텍스타일등 390개사는 1백만불 수출의 탑을수상함. ◈ 수출의 탑 수상업체 내역 탑 종류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합 계 비 고 300억불 1 - - 1 현대자동차(주) 200억불 1 - - 1 기아 주식회사 100억불 1 - - 1 엘지이노텍(주) 60억불 1 - - 1 삼성에스디아이(주) 40억불 - 1 - 1 ㈜엘앤에프 30억불 1 2 - 3 엠코테크놀로지코리아㈜ 등 20억불 - 1 - 1 ㈜에코프로이엠 10억불 4 2 - 6 ㈜경신 등 8억불 1 - - 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7억불 2 1 - 3 (주)세아제강 등 6억불 - 2 - 2 (주)대동 등 5억불 1 3 - 4 ㈜에프앤에프 등 4억불 - 5 - 5 ㈜에스에이엠티 등 3억불 - 3 1 4 (주)휴스틸 등 2억불 2 7 3 12 (주)건화 등 1억불 3 13 13 29 (주)덴티움 등 7천만불 2 7 26 35 (주)넥스틴 등 5천만불 1 11 31 43 (주)강원엔티에스 등 3천만불 3 8 51 62 ㈜노바렉스 등 2천만불 6 13 80 99 (주)다원트레이드 등 1천만불 1 8 157 166 (주)골드크랩 등 7백만불 1 5 132 138 ㈜KLT 등 5백만불 2 5 175 182 (주)강한 등 3백만불 1 6 234 241 (주)금양산업 등 2백만불 1 6 266 273 ㈜경동냉열산업 등 1백만불 - 4 386 390 (주)금광텍스타일 등 총계 36 113 1,555 1,704 (단위:개사) - 5 - Ⅱ. 수상자 명단 - 6 - 정부포상 수상자 - 7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1 금탑산업훈장 ㈜엘엑스세미콘 대표이사 손보익 2 금탑산업훈장 ㈜심텍 회장 전세호 3 금탑산업훈장 ㈜메타바이오메드 대표이사 오석송 4 금탑산업훈장 ㈜비엠티 대표이사 윤종찬 5 은탑산업훈장 ㈜포스코퓨처엠 대표이사 김준형 6 은탑산업훈장 케이지 모빌리티(주) 대표이사 정용원 7 은탑산업훈장 남성해운(주) 선장 문판식 8 은탑산업훈장 (주)싱그린FS 대표이사 정호석 9 은탑산업훈장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대표이사 박종환 10 은탑산업훈장 에스트래픽(주) 대표이사 문찬종 11 동탑산업훈장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대표이사 양국석 12 동탑산업훈장 한국진공(주) 대표이사 이인우 13 동탑산업훈장 케이넷(주) 대표이사 서성남 14 동탑산업훈장 (주)포스코인터내셔널 상무보 김원영 15 동탑산업훈장 에이치에스엠(주) 대표이사 문안용 16 동탑산업훈장 삼성물산(주) 그룹장 임건순 17 동탑산업훈장 엑셀리스코리아(주) 사장 박영근 18 동탑산업훈장 동광무역상사(주) 대표이사 이상훈 19 동탑산업훈장 에스케이하이닉스(주) 부사장 김주선 20 철탑산업훈장 삼성에스디아이(주) 부사장 손미카엘 21 철탑산업훈장 세아상역(주) 대표이사 문성미 22 철탑산업훈장 (주)보명금속 대표 홍수식 23 철탑산업훈장 한화솔루션(주) 상무 김운회 24 철탑산업훈장 (주)흥아기연 부장 이승범 25 철탑산업훈장 (주)하나금속 전무 남정도 26 철탑산업훈장 현대삼호중공업(주) 직장 김선 27 철탑산업훈장 한국알프스(주) 책임매니저 신경영 28 철탑산업훈장 태광후지킨(주) 반장 신옥주 - 8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29 석탑산업훈장 한국무역보험공사 본부장 박진식 30 석탑산업훈장 (사)한국무역협회 본부장 김병유 31 석탑산업훈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 김윤태 32 석탑산업훈장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처장 정동호 33 산업포장 (주)현대미포조선 기장 이상신 34 산업포장 (주)두맥스 상무이사 김찬균 35 산업포장 (주)동보 과장 변천수 36 산업포장 (주)스누콘 대표이사 박영우 37 산업포장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팀장 염원우 38 산업포장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수석 문정주 39 산업포장 (주)윤성에프앤씨 대표이사 박치영 40 산업포장 (주)텔레칩스 상무 김성재 41 산업포장 (주)마스터 대표이사 김상훈 42 산업포장 (주)현대엘앤씨 상무 김순태 43 산업포장 (주)우신시스템 주임 김용준 44 산업포장 (주)대창식품 이사 김영화 45 산업포장 (주)삼진 지. 에프 상무이사 강종춘 46 산업포장 (주)메리테크 부사장 이광우 47 산업포장 주식회사 포스코 실장 엄기천 48 산업포장 일진전기 주식회사 대표이사 황수 49 산업포장 현대엔지니어링(주) 상무 김동준 50 산업포장 주식회사 포스코엠씨머티리얼즈 사장 김동원 51 산업포장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송경록 52 산업포장 케이로지 주식회사 대표이사 허문구 53 산업포장 삼성전자(주) 상무 양익준 54 산업포장 풍영비나 대표 김영환 - 9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55 산업포장 이구산업(주) 반장 김봉운 56 산업포장 뉴코리아진흥(주) 대표이사 홍광희 57 산업포장 한국진공(주) 대리 김기현 58 산업포장 넥센타이어(주) 책임 최병문 59 산업포장 (주)미라콤아이앤씨 전무 이종원 60 산업포장 (주)코인텍 전무이사 용석천 61 산업포장 (주)인터로조 차장 구진형 62 산업포장 (주)이엔플러스 대표이사 최용인 63 산업포장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이사 정상미 64 대통령표창 에스시디디(주) 대표이사 강병수 65 대통령표창 (주)우원 대표이사 조현용 66 대통령표창 아이에스케이바이오 사이언스코리아(주) 사장 정모세 67 대통령표창 (주)에스에이엠티 대표이사 박두진 68 대통령표창 (주)에이에스텍 대표이사 윤종배 69 대통령표창 (주)이노바스복합시설관리 상무 전부기 70 대통령표창 (주)이노와이어리스 부사장 박광호 71 대통령표창 (주)세라젬 조장 김태균 72 대통령표창 (주)그림 대표이사 곽만영 73 대통령표창 (주)이수페타시스 대표이사 최창복 74 대통령표창 피에스케이(주) 상무 강호길 75 대통령표창 린데코리아(주) 계장 윤만섭 76 대통령표창 (주)수산중공업 부사장 신수근 77 대통령표창 성일하이메탈(주) 대표이사 이기웅 78 대통령표창 (주)우신세이프티시스템 부장 조성일 79 대통령표창 (주)로드컴플릿 대표 배정현 80 대통령표창 현대제철(주) 책임매니저 장석운 - 10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81 대통령표창 한주라이트메탈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용진 82 대통령표창 (주)유라하네스 책임매니저 김인호 83 대통령표창 (주)종합정밀 직장 정연호 84 대통령표창 한전원자력연료(주) 부장 박호영 85 대통령표창 하이트진로(주) 부장 조성균 86 대통령표창 레이어시스템 대표 김종욱 87 대통령표창 (주)휴온스메디텍 대표이사 천청운 88 대통령표창 (주)유니온 책임 옥정환 89 대통령표창 (주)세아제강 부장 전우현 90 대통령표창 (주)수산씨에스엠 대표 양희준 91 대통령표창 제룡전기(주) 책임매니저 김하은 92 대통령표창 (주)디케이엔지 상무이사 양승윤 93 대통령표창 에스케이하이닉스(주) 팀장 김도형 94 대통령표창 (주)호원 직장 김장곤 95 대통령표창 (주)퓨런티어 상무이사 윤성민 96 대통령표창 (주)러시아 대표이사 이서훈 97 대통령표창 (주)경신 선임매니저 유순배 98 대통령표창 삼양식품(주) 팀장 오승용 99 대통령표창 에이티제이컴퍼니 대표 엄태준 100 대통령표창 (주)메가터치 대표이사 윤재홍 101 대통령표창 (주)영도벨벳 상무 이장열 102 대통령표창 (주)지맥스 팀장 이원석 103 대통령표창 기가비스(주) 과장 김남하 104 대통령표창 (주)디에이치라이팅 전무이사 김동춘 105 대통령표창 (주)쌤시크코스메틱 대표이사 유성혁 106 대통령표창 나이스텍(주) 대표이사 신두국 - 11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107 대통령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조성대 108 대통령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장 이강수 109 대통령표창 한국수출입은행 부장 권원협 110 대통령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정순이 111 대통령표창 (주)제일화성 대표이사 임종일 112 대통령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소장 하영옥 113 대통령표창 (주)국제로지스틱 대표이사 나승도 114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팀장 김정수 115 대통령표창 카페24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재석 116 대통령표창 (주)대한항공 팀장 김동훈 117 대통령표창 (주)샴스코 대표이사 김갑주 118 대통령표창 대상 주식회사 부장 김광일 119 대통령표창 (주)포스코인터내셔널 그룹장 김동일 120 대통령표창 남덕물산(주) 대표이사 용환주 121 대통령표창 한국무역보험공사 지사장 양상균 122 대통령표창 (주)영케미칼 회장 윤영현 123 대통령표창 ㈜포스코인터내셔널 부장 임채일 124 대통령표창 재단법인 경주화백컨벤션뷰로 사장 김용국 125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레코 대표이사 김영수 126 대통령표창 (주)화성금속 대표 원일봉 127 대통령표창 (주)삼보산업 대표이사 나무상 128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에이피테크 대표이사 박찬봉 129 대통령표창 충청남도 - 단체 130 대통령표창 인천지방 중소벤처기업청 - 단체 131 대통령표창 (주)제스코통상 이사 이동희 132 대통령표창 (주)알바이오 대표 최경호 - 12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133 대통령표창 (주)보부하이테크 대표이사 왕동민 134 대통령표창 (주)휴맥스네트웍스 대표이사 이승재 135 대통령표창 동아알루미늄(주) 회장 라제건 136 대통령표창 경북통상(주) 대표이사 김현규 137 대통령표창 세종기술(주) 대표이사 이시원 138 대통령표창 한국머신툴스(주) 대표이사 서정철 139 대통령표창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주) 대표이사 케네스 민규리 140 대통령표창 (주)서치 대표 문영필 141 국무총리표창 (주)영케미칼 공장장 박경원 142 국무총리표창 (주)모담글로벌네이처 대표이사 고은주 143 국무총리표창 (주)디에스이엔티 대표이사 최병수 144 국무총리표창 (주)신명 대표이사 이상욱 145 국무총리표창 (주)모피언스 대표이사 박병기 146 국무총리표창 (주)에이치알이앤아이 부장 김진필 147 국무총리표창 (주)헤스피마린 대표이사 임지환 148 국무총리표창 농업회사법인 한국한인홍(주) 대표이사 임재화 149 국무총리표창 (주)에스앤씨 코퍼레이션 대표이사 박형준 150 국무총리표창 (주)워너비코스메틱 대표이사 김보민 151 국무총리표창 제닉스(주) 상무이사 박준호 152 국무총리표창 소마상사 대표 문현성 153 국무총리표창 엘지이노텍(주) 팀장 김도형 154 국무총리표창 희성촉매(주) 상무보 김은석 155 국무총리표창 (주)케이지무역 대표 독토바에브 일리아즈 156 국무총리표창 (주)사이버메드 대표이사 김철영 157 국무총리표창 에스파워(주) 대표이사 류승호 158 국무총리표창 (주)제일메디칼 코퍼레이션 회장 박재일 - 13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159 국무총리표창 (주)탑코글로벌 대표이사 양승철 160 국무총리표창 (주)엔솔 대표 이미영 161 국무총리표창 (주)강한 대표 정의한 162 국무총리표창 케이지 모빌리티(주) 노동조합 위원장 선목래 163 국무총리표창 비엔스틸라(주) 부장 정병곤 164 국무총리표창 (주)대한이앤씨 회장 이규석 165 국무총리표창 (주)토르 대표이사 장정환 166 국무총리표창 희성전자(주) 사장 이석종 167 국무총리표창 신흥글로벌(주) 상무이사 박유성 168 국무총리표창 삼영잉크 페인트제조(주) 차장 정남준 169 국무총리표창 (주)와이지-원 차장 최경희 170 국무총리표창 주식회사 씨티알에코포징 책임매니저 이동원 171 국무총리표창 (주)에이텍에이피 전무 남궁준 172 국무총리표창 (주)두성테크 차장 김정배 173 국무총리표창 (주)피에프디 대표이사 남궁광 174 국무총리표창 (주)엔캣 대표이사 양진호 175 국무총리표창 다온패브릭 대표 김유현 176 국무총리표창 (주)에스텍시스템 대표이사 이병화 177 국무총리표창 (주)태상 기감 이세도 178 국무총리표창 삼성전자(주) 부장 황은주 179 국무총리표창 현대건설(주) 팀장 임영빈 180 국무총리표창 (주)코센 수석부사장 천성환 181 국무총리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윤용 182 국무총리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송혜숙 183 국무총리표창 (주)렉셀 코리아 대표이사 오정희 184 국무총리표창 (재)창원산업진흥원 차장 최병길 - 14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185 국무총리표창 (주)신한은행 센터장 최신철 186 국무총리표창 (주)우리은행 영업본부장 홍응기 187 국무총리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최창열 188 국무총리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장상식 189 국무총리표창 주식회사 마린테크노 대표이사 황재호 190 국무총리표창 (주)케이더블유 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진길원 191 국무총리표창 남성해운(주) 회장 김영치 192 국무총리표창 에코유로파워(주) 대표이사 이종환 193 국무총리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원장 이양일 194 국무총리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차장 이경우 195 국무총리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최강록 196 국무총리표창 (주)쏠리드 대표이사 우영미 197 국무총리표창 주식회사 포스코 상무 김형목 198 국무총리표창 메타 바이오메드 미국법인 법인장 윤은석 199 국무총리표창 재단법인 경상남도 관광재단 대표이사 황희곤 200 국무총리표창 (주)아프로산업 대표 김정순 201 국무총리표창 유니스낵 대표 하이드 하니퍼 202 국무총리표창 북경양자동력무역 유한회사 총경리 신성순 203 국무총리표창 쑤메이다 국제기술무역 유한회사 총경리 후하이징 204 국무총리표창 (주)두손 대표이사 최경용 205 국무총리표창 한-토 자동차 주식회사 이사장 최우영 206 국무총리표창 아이엔티상사 대표이사 손영일 207 국무총리표창 전략물자관리원 팀장 김희준 208 국무총리표창 삼성전자로지텍 주식회사 부장 김생일 209 국무총리표창 (주)아산 성우하이텍 대표이사 박병찬 210 국무총리표창 한국그런포스펌프(주) 이사 손민호 - 15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211 국무총리표창 (주)에스엠코어 반장 박점수 212 국무총리표창 (주)신흥정밀 부사장 이장화 213 국무총리표창 오스템올소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병일 214 국무총리표창 (주)금강쿼츠 대표이사 김창길 215 국무총리표창 한국호야전자(주) 대표이사 김인 216 국무총리표창 코스맥스바이오(주) 대표 김철희 217 국무총리표창 에스케이에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사장 강도연 218 국무총리표창 성도하이텍(주) 고문 조준호 219 국무총리표창 (주)신티에스 이사 김연호 220 국무총리표창 시엔에이전기(주) 대표이사 인웅식 221 국무총리표창 (주)제이앤에스 대표이사 김병수 222 국무총리표창 (주)에이아이코리아 사장 김종래 223 국무총리표창 유광무역(주) 회장 최광사 224 국무총리표창 (주)창환단자공업 회장 김환창 225 국무총리표창 (주)세고스 조장 오은순 226 국무총리표창 원창머티리얼 주식회사 대표이사 채영백 2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피제이켐텍 상무 박영만 2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시스템베이스(주) 대표이사 장연식 2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독기술(주) 차장 이병수 2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프엔디 부장 이정민 2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한세라믹 대표이사 강성호 2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일신플랜텍 대표이사 안병헌 2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수원케이엔피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남석 2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블유에프엔 대표이사 박재광 2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더빅코리아 대표이사 김장수 2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치알에스 이사 김주용 - 16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2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데크카본 부장 유태두 2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애플티 대표이사 이민근 2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인천폐차사업소 대표이사 박순용 2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스알티 대표이사 손영만 2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블유제이티 대표 전일덕 2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올 이사 이창선 2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해사기술 상무 박한채 2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토마토안경 대표 김승준 2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태하 대표이사 한기용 2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와토코리아 대표이사 유경선 2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노바코리아(주) 대표이사 유동석 2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린텍 부사장 유호정 2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경인정밀기계 부사장 김태훈 2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한팩 대표이사 박인호 2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핌스 상무이사 배성일 2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엘글로벌 대표이사 이창우 2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반장 정인채 2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웰마크(주) 대표이사 정병도 2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디클러스 대표이사 김경은 2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도산업(주) 반장 곽하나 2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테크노스 대표이사 김상윤 2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가야인터내셔널코퍼레이션 대표이사 오정호 2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혜성씨앤씨(주) 상무이사 이희충 2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티엔씨 퍼스트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광복 2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송정 대표이사 송종호 2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니텍상사 대표 임재승 - 17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2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금성제어기(주) 대표이사 한형섭 2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도원에이팩스 대표 한봉희 2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비원 대표이사 조범호 2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티진 대표이사 허율 2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아이엘(주) 대표 김시균 2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청안오가닉스 차장 박남열 2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파워 대표이사 이경규 2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인흥산업 대표이사 이선재 2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아라움 대표 김미선 2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싸이몬 대표이사 안재봉 2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삼원기계 대표이사 전순도 2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니온테크㈜ 대표이사 한기정 2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네이처케어 대표 권민찬 2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이엠테크 대표이사 이경복 2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만코푸드 대표 고재유 2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무아스 사장 문철우 2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아이엠 대표이사 양영은 2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우스 책임 임광택 2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프로타이 대표 김부원 2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아오일씰텍 대표이사 노재숙 2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앤디그룹 회장 이철 2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흥아기연 부장 전춘식 2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만 팀장 박광열 2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가파우더시스템(주) 이사 이기택 2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남성해운(주) 상무이사 조인환 2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엘오티베큠 실장 김진섭 - 18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2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만 부장 권선용 2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원 팀장 이태호 2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원 전무이사 최남기 2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아알루미늄(주) 차장 박영철 2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마스터 팀장 한완혁 2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모피언스 기술연구소장 이광원 2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이쓰리시스템(주) 수석 차철 2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아알루미늄(주) 부장 이경란 2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사장 한부남 2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알바이오 전무 이항영 2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포스코퓨처엠 부사장 정대헌 3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수산중공업 직장 김성진 3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화성금속 부장 유현진 3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와이앤케이글로벌네트웍스(주) 이사 고민경 3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이피테크 수석 전우남 3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삼호중공업(주) 책임매니저 조상선 3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남경 책임 고병욱 3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로드컴플릿 매니저 김창순 3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녹스 본부장 서영석 3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알멕 총괄사장 박준표 3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그림 부사장 조천우 3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보 이사 서정만 3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알프스(주) 상무이사 이수연 3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보부하이테크 차장 임채영 3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수석 윤경일 3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치에스오토모티브 실장 한소정 - 19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3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진화스너공업(주) 부사장 정상희 3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스틸 부장 오동호 3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명 팀장 김영권 3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신세이프티시스템 부장 김안수 3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경북통상(주) 차장 최상락 3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녹스 직장 신충열 3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나이스텍(주) 과장 전진우 3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일평기연 차장 정경숙 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퓨런티어 이사 오승훈 3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텍글로벌 부장 류혜정 3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기가비스(주) 부장 임홍삼 3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하이트진로(주) 차장 이태섭 3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엔에스하이텍(주) 반장 김미귀 3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현대엘앤씨 전문직2급 안성인 3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바이오프로테크 대표이사 김병전 3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라젬 상무 김성국 3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이코더스 대표이사 최새미 3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이씨이아이우방 주식회사 대표 이찬우 3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양식품(주) 팀장 최호준 3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터보파워텍(주) 차장 황성 3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두맥스 부장 전화식 3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나이스텍(주) 부장 유승완 3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천지산업(주) 상무 한만규 3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모텍(주) 사원 이명숙 3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원일전선(주) 차장 박성룡 3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현대미포조선 책임매니저 전성진 - 20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3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블유제이티 실장 권수형 3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바노바기 대표이사 반재용 3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에스엠(주) 공장장 문영배 3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피에프디 실장 권야나 3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타임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이재원 3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리얼게인 대표이사 박대영 3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리아나까조(주) 팀장 고영석 3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서치 차장 최세미 3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와이아이테크(주) 이사 신시영 3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블유에프엔 과장 서다영 3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브링코 실장 이형노 3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태흥라인 대표이사 동홍얀 3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창환단자공업 사원 정미선 3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이엠바이오텍 대표 장지영 3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차장 장준민 3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시스템베이스(주) 부장 송승주 3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책임 조봉현 3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바이오로직스 차장 정구영 3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스씨엘 차장 오진근 3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샬롬엔지니어링(주) 팀장 박은정 3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모텍(주) 부장 최형원 3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보명금속 부장 김광일 3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디메카 대표이사 이진 3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명연마 부장 김명기 3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주) 초록원 이사 박종석 3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흥 대표이사 윤효성 - 21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3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일신웰스 대리 오승호 3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엘앤엘트레이딩 대표 양진혁 3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토마토안경 과장 순쇼단 3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블루칩코리아컴퍼니 대표 김태환 3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인터원 차장 강보라 3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에프에프코리아(주) 지사장 송민규 3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아제강 과장 최현민 3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세일단조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수권 3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터보파워텍(주) 조장 임창주 3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포시스 대표 이태순 3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세영정보통신(주) 이사 고재완 3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플로우텍 부장 김영호 3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이아이코리아 차장 이광용 3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넥센타이어(주) 상무 김대중 3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닉스 주식회사 과장 안효배 3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양금속공업(주) 과장 유용재 3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후후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정만형 3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진영테크 대표이사 곽봉주 3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포스코 그룹장 이동은 3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엠비스틸 차장 김경선 3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글로쿼드텍 상무 조인영 3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가디뷰이 대표이사 한화란 3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케이엠엑스 전무 김영규 3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플로우텍 대표이사 공도경 3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베이인터내셔널(주) 대표 조인환 3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디파인켐 대표이사 박현진 - 22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3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태하 과장 이혜영 3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에스이엔지 부장 권상준 3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득영 과장 김문식 3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마크로케어 공장장 김영규 3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신스윈 실장 양다별 3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원산업(주) 차장 정재은 3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텔레칩스 부사장 송봉기 4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수산씨에스엠 반장 김진우 4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혜성씨앤씨 주식회사 차장 최형구 4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케이렌터카 주식회사 매니저 이상옥 4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제세 대표이사 김동희 4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지디케이화장품(주) 상무 명진승 4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수산씨에스엠 팀장 김성욱 4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원농산 영농조합법인 실장 이연숙 4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우르 대표이사 신중길 4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정화식품(주) 차장 이정훈 4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대표이사 황규관 4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려비철금속(주) 부장 한설웅 4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성무역 대표 박태성 4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제철 주식회사 기장 배지환 4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니온 책임 박성진 4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태림 대표 백명란 4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구일엔지니어링 부사장 이광노 4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쓰리케이에이치 주식회사 대표이사 허선미 4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알지 부장 전진영 4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쿨랜스코리아 주식회사 팀장 임대규 - 23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4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원농산 영농조합법인 본부장 박은규 4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득영 대표 이성욱 4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휴맥스네트웍스 본부장 강기원 4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투앤 계장 김운 4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더유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유호완 4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다이나믹오토 대표이사 김현철 4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프알메드코스 대표이사 조진만 4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솔아이엠비 과장 손평원 4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미전선(주) 대표이사 윤성욱 4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메이코더스 이사 김길태 4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레존텍 팀장 박범준 4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웰코 대표 오창희 4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푸드베리 차장 김진륜 4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엠씨케이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병채 4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웨덱스 대표이사 양승구 4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제세 팀장 조성욱 4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미코세라믹스 담당 송현석 4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량산업(주) 과장 장주영 4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누비콤 대리 송주연 4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쿨랜스코리아 주식회사 팀장 이웅희 4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메가터치 상무 지종훈 4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바크로 상무 노성환 4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바다명가 이사 장민석 4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엔솔 대리 김준영 4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아시안푸드컨넥트 대표이사 김효길 4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바크로 대표 김종호 - 24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4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싱그린에프에스 팀장 이대범 4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비스타릿 과장 이지예 4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송정 부장 이고려 4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티씨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준호 4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두성테크 차장 이은령 4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조은종묘 주식회사 이사 서주덕 4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엔에스브이 대표이사 윤준호 4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아에스엔에스 부장 손원익 4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알메디텍 부장 정회용 4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에스이엔지 팀장 박무범 4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전무 이철준 4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남경 책임 주형욱 4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무사이 이사 마이클공 4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티씨 주식회사 이사 문대민 4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리얼게인 부장 한일수 4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대표이사 손상열 4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서치라이트에이치앤비 대표 양성영 4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리빙케어 과장 정유진 4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명산업기술(주) 이사 이재영 4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도스코 대리 신은지 4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도산업(주) 팀장 김현영 4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명산업기술(주) 차장 김성봉 4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미전선(주) 부장 이석구 4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마크로케어 이사 한상욱 4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림엠티아이 부장 원경희 4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세양섬유 대표 김영식 - 25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4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스엠티 대표이사 한상효 4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영인바이오텍 대표이사 김영호 4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두산에너빌리티(주) 상무 김종봉 4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부장 이득주 4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남동훈 4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고범서 4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김승호 4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방위사업청 담당 임형진 4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관세법인 커스앤 부장 차유석 4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강지숙 4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부장 이봉걸 4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팀장 전태리 4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과장 반선화 4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서수민 4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박중태 4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과장 임재윤 4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과장 이보형 4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충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행정실무관 이윤서 4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수출전문관 신지식 4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대리 고아영 4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구은행 과장 장지훈 4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차장 김주형 4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재단법인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팀장 신미화 4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산은행 부지점장 정명섭 4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화성시수출업무지원센터 대리 임도희 4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재단법인 인천테크노파크 과장 최인구 - 26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4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수출입은행 부장 이원균 4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사무원 박원정 4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리 도승주 5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재단법인 경남테크노파크 선임연구원 김미성 5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한은행 센터장 권오헌 5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구은행 센터장 박찬성 5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대리 정원영 5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산은행 부지점장 박진규 5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릴리커버 대표이사 안선희 5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중앙회 대리 유혜선 5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팀장 진형석 5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박주호 5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단법인 한국시험인증산업협회 본부장 오기수 5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차장 정수미 5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원 조민 5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자동차㈜ 책임연구원 김경남 5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주항공 실장 박지헌 5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무역정보통신 차장 원준문 5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한은행 부부장 정진우 5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엔브이텍 주식회사 대표이사 강진희 5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엘에스 일렉트릭 상무 어영국 5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성크린후로텍(주) 부사장 김윤욱 5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다비다 대표이사 이은승 5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동서발전(주) 차장 유상협 5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 윤주한 5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엘지씨엔에스 담당 신재훈 - 27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5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이코퍼레이션닷제이피(주) 대표이사 염종순 5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헵시바(주) 대표이사 성차현 5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이희성 5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알리바바코리아 유한회사 과장 김경민 5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큐익스프레스(주) 차장 이용우 5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박희연 5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차장 박지연 5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네오지오 부장 윤지영 5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마존서비시스코리아 유한회사 팀장 한동민 5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대리 류지은 5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스토스 대표 이후정 5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린코스 이사 김성훈 5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땡큐파머 과장 남혜진 5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벤티지 주식회사 대표이사 송형진 5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엠엠(주) 책임매니저 서동진 5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엠엠(주) 부장 서정남 5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프로젝트 매니저 최한선 5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세중해운 주식회사 대표이사 한명수 5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티씨쉬핑 대표이사 기영일 5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정동하 5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주동필 5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다이나톤 대표이사 도상인 5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제이제일제당(주) 부장 박지훈 5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관장 이승기 5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처장 양기모 5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한국배수출연합 주식회사 전무 김길동 - 28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5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팀장 성기주 5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콘텐츠진흥원 차장 남궁영 준 5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홈앤쇼핑 차장 홍기훈 5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승하이켐 대표이사 이병소 5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에이치케이 대표 이진혁 5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광해광업공단 차장 김기주 5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케이어스온(주) 프로젝트 매니저 홍윤기 5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포스코 부장 권영무 5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목포대학교 교수 최동오 5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모리타 카즈히 데 5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박은영 5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상공회의소 관세사 오수희 5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안산상공회의소 사원 이채윤 5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 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책임실무관 프레셀로 가브리엘 이그나시오 5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대한화장품협회 부회장 연재호 5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한다운에프에스엘 대표이사 류창열 5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콜마 주식회사 팀장 김용우 5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행정주사 김균우 5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주특별자치도청 사무관 고민정 5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공업주사 강민구 5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강원지방중소벤처기업청 팀장 서식원 5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부산광역시 지방 행정주사 백경수 5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주특별자치도청 지방농업 주사보 변재현 5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법무법인(유한) 민 변호사 오수원 5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기아(주) 기아캐나다 법인장 권성원 - 29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5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매니저 사라벤 수산 5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매니저 김봉화 5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서울메쎄 대표이사 박병호 5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팀장 조원강 5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티에스엠(주) 대표이사 서원준 5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엑스코 팀장 권현칠 5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미래전람 대표이사 문병관 5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실장 최기성 5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시스 대표이사 송석일 5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덕코 시니어 엔지니어 블레센 코시 5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오이서포트 대표 우치다 토시히토 5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미다스 파마 게엠베하 디렉터 벤야민 페터샬케 5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로우카본 대표이사 이철 5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건영테크 주식회사 대표이사 임진영 5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엔제이테크 대표이사 장우길 5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레오 대표이사 어정선 5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모닝바이오 대표 이광용 5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밀리웨이브 대표이사 한영하 5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에이랩 대표이사 이승욱 5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대표이사 박용하 5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권도영알로에 주식회사 대표 권도영 5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엑스바디 대표이사 김미숙 5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엘시시 대표이사 임부택 - 30 - 수출의 탑 수상업체 - 31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 현대자동차(주) 장재훈 대기업 300억불탑 2 기아 주식회사 송호성 대기업 200억불탑 3 엘지이노텍(주) 문혁수 대기업 100억불탑 4 삼성에스디아이(주) 최윤호 대기업 60억불탑 5 (주)엘앤에프 최수안 중견기업 40억불탑 6 (주)에코프로비엠 주재환 중견기업 30억불탑 7 SK인천석유화학(주) 최윤석 대기업 30억불탑 8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지종립 중견기업 30억불탑 9 (주)에코프로이엠 박종환 중견기업 20억불탑 10 (주)경신 이승관 대기업 10억불탑 11 (주)포스코퓨처엠 김준형 대기업 10억불탑 12 에스엘(주) 이성엽 중견기업 10억불탑 13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정용원 대기업 10억불탑 14 한국알프스(주) 강동완 중견기업 10억불탑 15 현대로템 주식회사 이용배 대기업 10억불탑 1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해상 대기업 8억불탑 17 (유)스태츠칩팩코리아 김원규 중견기업 7억불탑 18 (주)세아제강 이휘령 대기업 7억불탑 19 엘에스일렉트릭(주) 구자균 대기업 7억불탑 20 (주)대동 김준식 중견기업 6억불탑 21 (주)피엔티 김준섭 중견기업 6억불탑 22 (주)에코프로머티리얼즈 김병훈 중견기업 5억불탑 23 (주)에프앤에프 김창수 중견기업 5억불탑 24 에드워드코리아(주) 윤재홍 대기업 5억불탑 25 주식회사 세아엠앤에스 조규환 중견기업 5억불탑 26 (주)에스에이엠티 박두진 중견기업 4억불탑 27 명화공업(주) 문성준 중견기업 4억불탑 28 주식회사 디엔오토모티브 김인환 중견기업 4억불탑 29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 최창복 중견기업 4억불탑 30 주식회사 티와이엠 김희용 중견기업 4억불탑 31 (주)휴스틸 박훈 중견기업 3억불탑 32 더블유씨피 주식회사 최원근 중소기업 3억불탑 33 에이치라인해운 주식회사 서명득 중견기업 3억불탑 34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김영호 중견기업 3억불탑 35 (주)건화 제영섭 중견기업 2억불탑 36 (주)엠플러스 김종성 중소기업 2억불탑 37 (주)휴맥스네트웍스 이승재 중소기업 2억불탑 - 32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38 SK바이오팜(주) 이동훈 대기업 2억불탑 39 남성해운(주) 김용규 중견기업 2억불탑 40 아진산업(주) 서중호 중견기업 2억불탑 41 에이치엘홀딩스 주식회사 김준범 중견기업 2억불탑 42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최칠선 중견기업 2억불탑 43 주식회사 대유이피 양찬유 중견기업 2억불탑 44 주식회사 보림 박광호 중견기업 2억불탑 45 티이엠씨(주) 유원양 중소기업 2억불탑 46 한전원자력연료(주) 최익수 대기업 2억불탑 47 (주)덴티움 서승우 중견기업 1억불탑 48 (주)디에스시 조희선 중견기업 1억불탑 49 (주)디에스시동탄 조희오 중소기업 1억불탑 50 (주)부산케이블앤엔지니어링 또위롱 중소기업 1억불탑 51 (주)비츠로셀 장승국 중소기업 1억불탑 52 (주)실리콘투 김성운 중소기업 1억불탑 53 (주)알멕 신상호 중소기업 1억불탑 54 (주)에이치알이앤아이 박장현 중소기업 1억불탑 55 (주)에이치엘클레무브 윤팔주 중견기업 1억불탑 56 (주)에이치피에스피 김용운 중소기업 1억불탑 57 (주)엘오티베큠 오흥식 중견기업 1억불탑 58 (주)우원기술 김태완 중소기업 1억불탑 59 (주)윤성에프앤씨 박치영 중소기업 1억불탑 60 (주)일지테크 구준모 중견기업 1억불탑 61 (주)텔레칩스 이장규 중견기업 1억불탑 62 (주)현대엘앤씨 김관수 대기업 1억불탑 63 롯데웰푸드(주) 이창엽 대기업 1억불탑 64 산일전기(주) 박동석 중소기업 1억불탑 65 성일하이메탈(주) 홍승표 중소기업 1억불탑 66 엑셀리스코리아(주) 박영근 중견기업 1억불탑 67 인팩이피엠(주) 최장돈 중소기업 1억불탑 68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이만우 중견기업 1억불탑 69 주식회사 스맥 최영섭 중견기업 1억불탑 70 주식회사 코넥 공성황 중견기업 1억불탑 71 주식회사 코스알엑스 전상훈 중소기업 1억불탑 72 코오롱플라스틱(주) 허성 대기업 1억불탑 73 피아이첨단소재(주) 송금수 중견기업 1억불탑 74 한국진공(주) 이인우 중견기업 1억불탑 - 33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75 한주라이트메탈(주) 이용진 중견기업 1억불탑 76 (주)IEN한창 장연덕 중소기업 7천만불탑 77 (주)넥스틴 박태훈 중소기업 7천만불탑 78 (주)베스텍 이복선 중소기업 7천만불탑 79 (주)선진코리아 허수영 중소기업 7천만불탑 80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유대연 중소기업 7천만불탑 81 (주)우즈오토코리아 에샤노프바흐티 야르 중소기업 7천만불탑 82 (주)월덱스 배종식 중소기업 7천만불탑 83 (주)케이디에프 김영일 중소기업 7천만불탑 84 (주)클래시스 백승한 중소기업 7천만불탑 85 (주)탑코글로벌 양승철 중소기업 7천만불탑 86 (주)태상 김광표 중소기업 7천만불탑 87 (주)태성공업 유계희 중소기업 7천만불탑 88 (주)흥아 정성원 중견기업 7천만불탑 89 기가비스 주식회사 강해철 중소기업 7천만불탑 90 동일금속(주) 오길봉 중소기업 7천만불탑 91 삼신화학공업(주) 오봉균 중견기업 7천만불탑 92 세광인터내셔날네트워크(주) 박경수 중소기업 7천만불탑 93 영화금속(주) 최동윤 중견기업 7천만불탑 94 제룡전기(주) 박종태 중소기업 7천만불탑 95 주식회사 네오셈 염동현 중소기업 7천만불탑 96 주식회사 디앤티 박해일 중소기업 7천만불탑 97 주식회사 어패럴테크 김정욱 중소기업 7천만불탑 98 주식회사 인터로조 노시철 중견기업 7천만불탑 99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강동환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0 주식회사 티르티르 이보희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1 주식회사 펠릭스테크 이명희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2 케이넷(주) 서성남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3 케이비에스미디어(주) 김영삼 대기업 7천만불탑 104 코렉스 오토 트레이드 석로만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5 피엠씨바이오제닉스코리아 주식회사 뎁토시차크라바 르티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6 한국해상연료(주) 이창식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7 한국호야전자(주) 김인 중견기업 7천만불탑 108 한일단조공업(주) 박정영 중견기업 7천만불탑 109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양국석 대기업 7천만불탑 110 휴젤(주) 손지훈 중견기업 7천만불탑 - 34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11 (주)강원엔티에스 전창열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2 (주)건화이엔지 허용훈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3 (주)고려이노테크 허 혁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4 (주)구일엔지니어링 황성일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5 (주)금호에이치티 김진곤 중견기업 5천만불탑 116 (주)나인벨 최문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7 (주)디에이치라이팅 채희철 중견기업 5천만불탑 118 (주)마스터 김상훈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9 (주)부쉬매뉴팩처링코리아 유승화 중견기업 5천만불탑 120 (주)비엠티 윤종찬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1 (주)빅토리아텍스타일 임정묵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2 (주)성신알에스티 박계출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3 (주)성진아이앤씨 박용흠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4 (주)스마일게이트홀딩스 성준호 중견기업 5천만불탑 125 (주)씨앤씨인터내셔널 배은철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6 (주)알코판넬 김민한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7 (주)엠에스씨 김호석 중견기업 5천만불탑 128 (주)제일 윤홍현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9 (주)지앤비에스에코 박상순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0 (주)케이타운포유 송효민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1 (주)코윈테크 정갑용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2 (주)티앤엘 최윤소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3 (주)파워넷 이돈주 중견기업 5천만불탑 134 (주)한국알스트롬 심진화 중견기업 5천만불탑 135 (주)해광 김한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6 (주)흥국 류명준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7 주식회사 에이씨엠리서치코리아 김영율 중견기업 5천만불탑 138 기산전자(주) 장상환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9 대주전자재료(주) 임일지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0 린데코리아(주) 성백석 대기업 5천만불탑 141 새한해운(주) 이정남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2 서한이앤피(주) 정하식 중견기업 5천만불탑 143 성호해운(주) 박성훈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4 에스엔시스(주) 배재혁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5 에이치엔에스하이텍(주) 김정희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6 에코캡 주식회사 최영천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7 주식회사 레이크머티리얼즈 김진동 중소기업 5천만불탑 - 35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48 주식회사 로드컴플릿 배정현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9 주식회사 리버 김명환 중소기업 5천만불탑 150 주식회사 비. 엘. 아이 서경아 중소기업 5천만불탑 151 주식회사 에이피알 김병훈 중견기업 5천만불탑 152 주식회사 히타치에너지코리아 최석환 중견기업 5천만불탑 153 한상인터내셔날(주) 김상철 중소기업 5천만불탑 154 (주)노바렉스 권석형 중견기업 3천만불탑 155 (주)더한인터내셔날 전유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56 (주)덴티스 심기봉 중소기업 3천만불탑 157 (주)동아기업 박경헌 중소기업 3천만불탑 158 (주)디케이엔지 김대기 중소기업 3천만불탑 159 (주)렛잇뷰티 박준성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0 (주)메리테크 장병국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1 (주)미코세라믹스 여문원 중견기업 3천만불탑 162 (주)베스트부품 황대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3 (주)세양 신정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4 (주)스마트공작기계코리아 김종철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5 (주)아이스트로 박형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6 (주)에스이에이 신재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7 (주)에프엠 성석기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8 (주)이노메트리 이갑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9 (주)이노와이어리스 곽영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0 (주)이엔플러스 안영용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1 (주)제이디바이오 김진동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2 (주)지아이엠시스템 김장순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3 (주)지앤드에스인더스트리얼 김스타니슬라브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4 (주)창환단자공업 김환창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5 (주)케이에스티이 이두로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6 (주)클리오 한현옥 중견기업 3천만불탑 177 (주)하나금속 홍상우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8 (주)한성이에스 장욱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9 (주)한중엔시에스 김환식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0 DALEX INTERNATIONAL 리 드미트리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1 ISK바이오사이언스코리아(주) 호리에미키야 대기업 3천만불탑 182 건우메탈(주) 우태구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3 고려비철금속(주) 한설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4 기승공업(주) 송상훈 중소기업 3천만불탑 - 36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85 대진기계 곽노근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6 동방에프티엘(주) 정헌석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7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라제건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8 부산카플링 주식회사 노재원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9 삼덕통상(주) 문창섭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0 아시아첨가제(주) 김형웅 대기업 3천만불탑 191 아이쓰리시스템(주) 정한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2 에스아이그룹코리아(유) 에릭 사무엘 중견기업 3천만불탑 193 에스케이렌터카(주) 황일문 대기업 3천만불탑 194 에스트래픽(주) 문찬종 중견기업 3천만불탑 195 엔브이에이치플로어시스템 주식회사 유영진 중견기업 3천만불탑 196 오션브릿지 주식회사 이석규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7 오일허브코리아여수(주) 백종연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8 우성오토콘(주) 민삼환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9 원일전선 주식회사 이찬재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0 원창머티리얼(주) 채영백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1 원텍(주) 김종원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2 주식회사 네오인플럭스 김지훈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3 주식회사 디엠티 양병철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4 주식회사 레어마켓 정혜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5 주식회사 씨티알에코포징 김윤호 중견기업 3천만불탑 206 주식회사 아네시 천영근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7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권순식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8 주식회사 제테마 김재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9 주식회사 카본엑스리사이클링 (김천공장) 이옥란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0 주식회사 파두 남이현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1 주식회사 황조 문병태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2 케이비아이알로이(주) 김병제 중견기업 3천만불탑 213 주식회사 코만 김욱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4 하이콘(주) 황동원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5 한라IMS(주) 지석준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6 (주)S. F. C 홍정구 중소기업 2천만불탑 217 (주)가유 안필이 중소기업 2천만불탑 218 (주)구다이글로벌 천주혁 중소기업 2천만불탑 219 (주)굿띵 이종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0 (주)다원트레이드 이민재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1 (주)데스코 김은태 중소기업 2천만불탑 - 37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222 (주)동아 HI 정인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3 (주)동양피엘티 전성도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4 (주)두베코 최규대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5 (주)디어유 안종오 대기업 2천만불탑 226 (주)디에스이엔티 최병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7 (주)마녀공장 유근직 중견기업 2천만불탑 228 (주)메가터치 윤재홍 중견기업 2천만불탑 229 (주)미라콤아이앤씨 강석립 대기업 2천만불탑 230 (주)바이오프로테크 박익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1 (주)베리콤 김윤기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2 (주)보명금속 홍수식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3 (주)보부하이테크 왕동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4 (주)비엔씨글로벌 보조로브 파리둔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5 (주)비올 이상진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6 (주)삼아인터내셔날 이균희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7 (주)샤프테크닉스케이 백순석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8 (주)세바 김정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9 (주)스피덴트 안제모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0 (주)아름덴티스트리 이정현 대기업 2천만불탑 241 (주)아스트루멧 조용범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2 (주)아이캠퍼 박순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3 (주)에스디이앤씨 옥부만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4 (주)에스엠코어 최영상 대기업 2천만불탑 245 (주)에이아이코리아 안진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6 (주)에이에스텍 윤종배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7 (주)에이치케이이앤이 김병학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8 (주)에이텍에이피 김경환 중견기업 2천만불탑 249 (주)에코프로에이치엔 김종섭 중견기업 2천만불탑 250 (주)엑소코바이오 조병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1 (주)엑스모토 황민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2 (주)엘케이엔지니어링 이준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3 (주)유니락 유명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4 (주)이노디스 박해신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5 (주)이에스인터네셔널 김성은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6 (주)일신웰스 윤동훈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7 (주)제이피프로페셔널 전재윤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8 (주)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박재일 중소기업 2천만불탑 - 38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259 (주)케이디파인켐 박현진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0 (주)케이지무역 독토바에브일리 아즈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1 (주)코라이인터내셔날 이순오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2 (주)큐에스티아이콘 김은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3 (주)탑글로벌파츠 오민숙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4 (주)태흥라인 동홍얀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5 (주)티에이밸브 김기현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6 (주)퍼즐원스튜디오 이기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7 (주)퓨런티어 배상신 중견기업 2천만불탑 268 (주)플로원 문철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9 (주)한민 김재찬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0 (주)화신볼트산업 정순원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1 shenb Co., Ltd. 강선영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2 나노인텍(주) 박영식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3 대일공업(주) 문상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4 동광무역상사(주) 이상훈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5 동아스틸(주) 조진호 대기업 2천만불탑 276 루에랑(주) 김직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7 린노알미늄(주) 이세영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8 매그날 주식회사 현석정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9 삼성레진(주) 홍영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0 삼양금속공업(주) 서진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1 삼영잉크페인트제조(주) 박기출 중견기업 2천만불탑 282 삼익THK(주) 진영환 중견기업 2천만불탑 283 세영글로벌 주식회사 손태우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4 수성기체산업(주) 조준우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5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모은종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6 에스시디디(주) 강병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7 에이치제이코퍼레이션즈(주) 성현중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8 엔지유인터내셔날(주) 최민석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9 웅진식품(주) 이지호 중견기업 2천만불탑 290 제이에이치화학공업(주) 허제홍 중견기업 2천만불탑 291 주식회사 로한컴퍼니 최환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2 주식회사 성산기업 송인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3 주식회사 신성금속 전백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4 주식회사 싱그린에프에스 정호석 대기업 2천만불탑 295 주식회사 아이플랜트 황용한 중소기업 2천만불탑 - 39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296 주식회사 에스제이머티리얼즈 표지웅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7 주식회사 에치엠지(HMG) 최학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8 주식회사 이수앱지스 황엽 중견기업 2천만불탑 299 주식회사 이스트웨이홀딩스 리블라디슬랍 예브게니예비치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0 주식회사 인코아 황준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1 주식회사 인터트레이드 엘알라미페리샤 자파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2 주식회사 제이앤제이 이주천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3 주식회사 피에프디 남궁광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4 주식회사 화인 전익찬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5 청호나이스(주) 김성태 중견기업 2천만불탑 306 케이엠피 주식회사 이형집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7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주) 케네스민규리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8 코렉스 주식회사 석로만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9 타이요코리아(주) OTA YASUHARU 중소기업 2천만불탑 310 티핏클래스 주식회사 정내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 311 한울생약(주) 한영돈 중소기업 2천만불탑 312 한유에스케이이티에스 박기흥 중견기업 2천만불탑 313 혜성씨앤씨(주) 송영빈 중소기업 2천만불탑 314 희성폴리머(주) 한재동 중견기업 2천만불탑 315 (주)골드크랩 이인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 316 (주)구수중전기 김원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17 (주)그림 곽만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18 (주)나노인터페이스테크놀로지 이죠셉제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19 (주)나린코리아인터내셔널 민병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0 (주)누보 이경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1 (주)다스코 이근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2 (주)다이나테크 공영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3 (주)대석프로토 오판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4 (주)대창공업 홍영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5 (주)데이지크 연정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6 (주)득영 이성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7 (주)러쉬엔터프라이즈 신동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8 (주)러시아 이서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9 (주)리비콘 김경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0 (주)마블프로듀스 전현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1 (주)모피언스 박병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 - 40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332 (주)미미박스 하형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3 (주)바이비 박진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4 (주)바이오비쥬 양준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5 (주)버블언드 정순덕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6 (주)비에스팜코리아 양광모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7 (주)삐아 박광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8 (주)삼일엘텍 이양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9 (주)스누콘 박영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0 (주)스피드랙 민병오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1 (주)신명 이상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2 (주)신성엠엔에스 조석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3 (주)신스윈 양재부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4 (주)신한세라믹 강성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5 (주)쏠리드 우영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6 (주)씨엔루브 김화야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7 (주)아이브리지닷컴 최유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8 (주)에스씨솔루션케이알 송가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9 (주)에스이엠 정진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0 (주)에스제이엔터프라이즈 김용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1 (주)에어메이저 김영태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2 (주)에이티아이코리아 제갈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3 (주)에이피오토모티브 김명종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4 (주)에코프로에이피 허태경 중견기업 1천만불탑 355 (주)엔알에이치스틸 무하마드아스가 르알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6 (주)엠디에이치테크 장순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7 (주)엠아이티 최명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8 (주)엠에스티 이동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9 (주)엠투씨 이해광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0 (주)오브이코스 안정숙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1 (주)오토페르시아 카람바랑기알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2 (주)유연에이에프 안교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3 (주)익스팬더스 장성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4 (주)인터아시아 주성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5 (주)제니어스 이학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6 (주)제이케이글로벌 김경남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7 (주)조이포라이프 하기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8 (주)중원산업 김명구 중소기업 1천만불탑 - 41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369 (주)지아이텍 이인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0 (주)카츠코리아 이성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1 (주)칸인터내셔널 박규태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2 (주)케이에이치글로벌 정 경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3 (주)케이텍글로벌 채경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4 (주)코마테크놀로지 박성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5 (주)코코 최장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6 (주)크래비스 황준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7 (주)타임인터내셔널 이재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8 (주)태린홀딩스 조서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9 (주)티피엠엔 박도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0 (주)파마리서치바이오 백승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1 (주)평일 김승민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2 (주)포네스 임성빈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3 (주)포벨 김정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4 (주)푸드웨어 신동식 중견기업 1천만불탑 385 (주)풍산디에이케이 안동일 중견기업 1천만불탑 386 (주)프로 강선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7 (주)피앤엘 신관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8 (주)피엘특수강 임재근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9 (주)한국마이콤 오무라 토시오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0 (주)한도 김민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1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윤요현,박서영 중견기업 1천만불탑 392 (주)한바다 김덕종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3 (주)한웅메디칼 김봉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4 (주)현대정밀 오정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5 (주)홀리코리아 독토바에브 다니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6 (주)화성금속 원일봉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7 (주)훈인터내셔널 정승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8 경진단조(주) 고석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9 골드 심동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0 글로벌마린서비스 주식회사 정성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1 나이스텍(주) 신두국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2 농업회사법인 정우식품(주) 이한면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3 다본 주식회사 김현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4 대가파우더시스템(주) 최은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5 대건비철금속(주) 이상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 42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406 대영금속공업(주) 모성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7 동진C&C 우미광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8 두리화장품(주) 이병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9 디앤에이치인터내셔널(주) 홍화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0 먼데이오프 주식회사 강혁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1 (주)메디케어랩스 이두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2 부성스틸(주) 이철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3 브이피에스(주) 현철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4 삼미금속(주) 김경남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5 삼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엄성자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6 서북인터내셔널(주) 이민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7 선라이즈무역 예브그래브스카야 타티아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8 성진종합전기(주) 김정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9 시엔에이전기(주) 인웅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0 씨엔티지 주식회사 김정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1 아이세로미림(주) 임장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2 알제이씨홀딩스 주식회사 엄승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3 에스앤에스밸브(주) 안병헌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4 에스카 주식회사 진홍근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5 에스피씨케이(주) 장진화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6 에이스기계(주) 이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7 에이엠티씨 주식회사 김진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8 에이치디현대글로벌기술서비스(주) 임영호 대기업 1천만불탑 429 에이티제이컴퍼니 엄태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0 에코리빙 주식회사 한영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1 에코폴리텍 주식회사 허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2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강성희 중견기업 1천만불탑 433 와이앤케이글로벌네트웍스(주) 김영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4 와이케이메탈(주) 김민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5 주식회사 이엠비글로벌 김언빈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6 이코리아인더스트리(주) 정태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7 주식회사 경서산업 정철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8 주식회사 골든토드 김경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9 주식회사 긱(GIK CO.,LTD) 이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0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이규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1 주식회사 롬인터네셔널 유리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2 주식회사 리만코리아 김경중 중견기업 1천만불탑 - 43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443 주식회사 린텍 이형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4 주식회사 메타스크 황유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5 주식회사 베네코 김태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6 주식회사 브링코 김태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7 주식회사 블랑 양해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8 주식회사 비모뉴먼트 반성연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9 주식회사 성진기계 최재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0 주식회사 세와모터스 김지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1 주식회사 식스트레이드 김항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2 주식회사 애드위너 조양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3 주식회사 에스엘씨 김종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4 주식회사 에이비씨글로벌 허남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5 주식회사 에이피테크 박찬봉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6 주식회사 여수해양 정인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7 주식회사 영도글로발 김태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8 주식회사 오라스 김영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9 주식회사 올리브 서명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0 주식회사 와이엠케이 OGAWA KATSUMI 중견기업 1천만불탑 461 주식회사 이노렉스 이양자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2 주식회사 제로원글로벌 박영일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3 주식회사 제이알오토트레이딩 알제디오마르주 디오스만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4 주식회사 지씨엠 정재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5 주식회사 코루파마 베르니두브 로만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6 주식회사 퀴버메딕 우이화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7 주식회사 태하 한기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8 주식회사 피스 신경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9 주연티앤에스 주식회사 이광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0 지더블유인터내셔널(주) 김삼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1 지디케이화장품(주) 김태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2 천지산업(주) 한만오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3 케이티엠(주) 이순오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4 코어엔텍 주식회사 윤석찬 중견기업 1천만불탑 475 테크밸리 주식회사 김한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6 티에스모스트(주) 김춘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7 티지에스파이프(주) 서의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8 피떠불유인터내쇼날(주) 심준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 - 44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479 하나섬유 신승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80 한국머신툴스(주) 서정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81 (주)KLT 양윤종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2 (주)가온폴리머앤실런트 엄기선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3 (주)글로쿼드텍 장기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4 (주)금광케이엘 김문규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5 (주)누비콤 신동만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6 (주)다다씨앤씨 최민석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7 (주)더블유제이티 전일덕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8 (주)디앤큐국제무역 정초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9 (주)루리텍 이광순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0 (주)메디메카 이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1 (주)바텍엠시스 고영탁 중견기업 7백만불탑 492 (주)베스트디지탈 최병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3 (주)본코스메틱 신인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4 (주)비바웨이브 허재석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5 (주)삼영비앤에프 이선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6 (주)서원양행 이광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7 (주)서일퍼시픽 김계철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8 (주)서치 문영필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9 (주)성진전자 정미경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0 (주)신도피앤지 안도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1 (주)씨엠테크 김현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2 (주)아이지스 김남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3 (주)알케이코퍼레이션 박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4 (주)에스디옵틱스 서청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5 (주)에스제이케미컬 김현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6 (주)에스제이피 송승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7 (주)에스케이에이어드벤스드 김기홍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8 (주)에어레인 하성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9 (주)에이앰티 최종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0 (주)에이플러스엑스 심건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1 (주)영케미칼 윤한성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2 (주)오리엔탈정밀기계 김종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3 (주)오토모빌토탈솔루션 진재웅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4 (주)와토코리아 유경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5 (주)우리비앤비 박상협 중소기업 7백만불탑 - 45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516 (주)위드멤스 구황섭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7 (주)유엠트레이딩 이스마이로브 우란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8 (주)윤영테크 이종윤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9 (주)이너프 이월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0 (주)이노맥스 선시욱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1 (주)이앤아이티홀딩스 김현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2 (주)이지디에스 최한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3 (주)이지테크론 하명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4 (주)이화 정윤식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5 (주)익성 이봉직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6 (주)인천폐차사업소 박순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7 (주)인터원 나정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8 (주)일신오토클레이브 김현효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9 (주)일진 마하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0 (주)자비스 김형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1 (주)제이앤씨 배천배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2 (주)제이엘글로벌 정동섭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3 (주)제이와이써키트 이준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4 (주)제이이씨 요한게릿후느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5 (주)제이케이트레이딩코리아 권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6 (주)주영메카트로닉스 이승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7 (주)지엠피콥 최정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8 (주)천지인화 로림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9 (주)코밸 최영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0 (주)퀸스인터네셔널 최윤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1 (주)탑드릴 김정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2 (주)티에이치무역 박희출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3 (주)티엠비스틸 박승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4 (주)파인스킨 서담혜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5 (주)플랜텍 김선태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6 (주)픽플러스 임정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7 (주)해성 용석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8 (주)호강상사 장효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9 (주)후후인터내셔널 정만형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0 경원기계공업(주) 정의화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1 농업회사법인 한국한인홍(주) 임재화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2 다온패브릭 김유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 46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553 대덕에프알디(주) 박현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4 대연화학(주) 김연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5 대천김 주식회사 최현정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6 대천맛김 주식회사 김태복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7 대화제약(주) 김은석 중견기업 7백만불탑 558 덕지산업 주식회사 김종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9 데스틴 파워(주) 오성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0 디에스씨이앤지(주) 이동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1 디엑스앤브이엑스(주) 이용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2 리맥스개발(주) 이두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3 미주정밀(주) 이중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4 성하에스이 주식회사 이상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5 세일단조(주) 김수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6 세지케미칼 주식회사 김희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7 슈퍼센트(주) 공준식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8 신바테크(주) 김공섭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9 아이타즈(주) 정지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0 알에프머트리얼즈(주) 남동우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1 애니솔라(주) 소명섭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2 어반스퀘어(주) 김재우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3 에스 알 씨 주식회사 윤형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4 에스에프에프코리아(주) 토레크리스티안 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5 에이치에스엠(주) 문안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6 오씨아이파워 주식회사 장형규 대기업 7백만불탑 577 우신공조(주) 남효우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8 우진물산 주식회사 이수천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9 이일산업(주) 박병재 중견기업 7백만불탑 580 자일자동차(주) 백병수 중견기업 7백만불탑 581 제닉스(주) 배성관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2 조르고무역 이재경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3 주식회사 광명산업 목진영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4 주식회사 그린빌 장탁중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5 주식회사 단디글로벌 이명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6 주식회사 대원단조 하명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7 주식회사 더블유에프엔 박재광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8 주식회사 동남 김성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9 주식회사 바노바기 반재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 47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590 주식회사 바이오템 이영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1 주식회사 스틸앤 김지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2 주식회사 신대양리텍 김형석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3 주식회사 알제이아이 유제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엔 신재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5 주식회사 에어로코텍 최주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6 주식회사 엘가베 김부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7 주식회사 와이케이무역 캠 야쿱코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8 주식회사 유니온모터스 글라스코바올레 시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9 주식회사 이스턴에프티씨 이용구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0 주식회사 익태 하은실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1 주식회사 인사이롭 신현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2 주식회사 전진레일테크 전진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3 주식회사 정코리아 정성협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4 주식회사 제이앤코슈 장유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5 주식회사 종합정밀 유귀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6 주식회사 지비즈 이창범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7 주식회사 지에스테크 이명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8 주식회사 코리아나바이오 유학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9 주식회사 코릴 오현규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0 주식회사 크리켐 하상대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1 주식회사 피비코스 박기범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2 주식회사 한미중기 박철규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3 주식회사 현글로벌 김태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4 주식회사 휴온스메디텍 천청운 중견기업 7백만불탑 615 케이에스콤프레샤(주) 윤영석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6 켐솔루션(주) 김영록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7 코마렉스 주식회사 문애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8 태양 3C(주) 황창순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9 (주)SC ISP 서석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0 (주)강한 정의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1 (주)길코퍼레이션 김성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2 (주)노벨리스인터네셔날네트웍스 최한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3 (주)다모아코스메틱 박종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4 (주)달마전자 안해광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5 (주)대일시스템 김광산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6 (주)더아이엠 권영상 중소기업 5백만불탑 - 48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627 (주)두림 박병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8 (주)듀만 방병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9 (주)디와이폴리머 최창배 대기업 5백만불탑 630 (주)로프캠프 윤강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1 (주)리텍 이형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2 (주)리하온 황재윤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3 (주)모노텍스 장두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4 (주)미주파워텍 김명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5 (주)베스트켐인터내셔널 김천덕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6 (주)비알팜 김석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7 (주)비트라코 백상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8 (주)성보산업 하득룡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9 (주)승건코스메틱스 류수빈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0 (주)신우산업 이정연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1 (주)심스인터내셔널 홍석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2 (주)씨제이피파츠 이경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3 (주)아그네스메디컬 안성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4 (주)아이비코퍼레이션 홍창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5 (주)아이유닉 김미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6 (주)알리 김기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7 (주)에스비이엔지 임민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8 (주)에스에이치트레이딩 신용래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9 (주)에이에프티 최대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0 (주)에이치에스엘시스템 허지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1 (주)에이치케이세미텍 노석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2 (주)엘스브릿지 이지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3 (주)엘앤엘트레이딩 양진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4 (주)엘에이티 박강일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5 (주)엠케이원스틸 김종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6 (주)엠케이케미칼 박철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7 (주)엠텍코퍼레이션 박면구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8 (주)오르비텍 정성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9 (주)온세미 이형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0 (주)우창 박민숙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1 (주)워너비코스메틱 김보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2 (주)유창종합식품 장대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3 (주)이녹스에코엠 오은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 49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664 (주)이원 머티리얼즈 최광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5 (주)이지함화장품 김상명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6 (주)일레븐코퍼레이션 백창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7 (주)전성 연경섭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8 (주)정광 김정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9 (주)제스코통상 이동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0 (주)제이앤선즈코리아 박원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1 (주)제이티 김종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2 (주)제일진공펌프 전찬일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3 (주)지앤이글로벌 김호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4 (주)지오실크 정병국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5 (주)진성무역 박성찬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6 (주)차메디텍 김석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7 (주)청우씨에프씨 한명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8 (주)코디박 이헌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9 (주)터보링크 하현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0 (주)토르 장정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1 (주)트래볼루션 배인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2 (주)티비원 모영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3 (주)티티에스 유우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4 (주)프로세이브 김영만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5 (주)플로우텍 공도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6 (주)피에프네이처 양지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7 (주)하본인터내셔널 윤동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8 (주)하이셈테크놀로지 백윤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9 (주)한국금시장그룹 조태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0 (주)한라글로벌 김재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1 (주)한신인더스 박태종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2 (주)한주 한창복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3 (주)항도에스티 정의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4 (주)해담트레이드 김희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5 (주)헤스피마린 임지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6 (주)협신금속 이장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7 (주)협신하이드로릭 노병무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8 815생활건강 이선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9 이엔엘 인터내셔널 이상윤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0 주식회사 에이치와이지 정다혜 중소기업 5백만불탑 - 50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701 피피아이 파이프 주식회사 이종호 중견기업 5백만불탑 702 강원산업(주) 정우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3 경인리싸이클링(주) 배한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4 경진기전(주) 김영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5 그루포안톨린코리아(유) 에르네스토안톨 린아리바 대기업 5백만불탑 706 금월씨푸드 주식회사 안세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7 나가세엔지니어링서비스코리아(주) 김재구 중견기업 5백만불탑 708 농업회사법인 (주)더기반 한원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9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애플리즈 한임섭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0 농업회사법인 (주)현농프레쉬 이나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1 농업회사법인 에버팜 주식회사 임종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2 대동고려삼(주) 최성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3 동구텍 주식회사 김진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4 디에스메탈 주식회사 박상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5 레이어시스템 김종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6 리메세 주식회사 한득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7 벤처메탈스아시아 크리스 정 중견기업 5백만불탑 718 삼주환경산업(주) 노영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9 삼진제약(주) 최용주 중견기업 5백만불탑 720 서진텍스타일(주) 김문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1 선일물산(주) 김태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2 송암시스콤(주) 이지학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3 스페이스다옴(주) 박현정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4 시냅스이미징(주) 김재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5 신성소재(주) 김광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6 아시아마린(주) 백흠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7 아야나앤드컴퍼니 주식회사 한득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8 아이홀랜드아시아(주) 최민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9 알파메디칼 주식회사 이명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0 앤비비네트웍스 주식회사 최형섭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1 에이치비티(주) 김상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2 에이치앤와이코퍼레이션 송화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3 오리시스이앤씨(주) 성마룡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4 요코트레이드 심찬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5 우리와 주식회사 최광용 중견기업 5백만불탑 736 원창진공 주식회사 김미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7 월드비엠씨(주) 조강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 51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738 유나이티드보더스(주) 이존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9 인세미텍 주식회사 이성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0 일평기연 이광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1 주식회사 H. K스틸 김희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2 주식회사 강원수출 함승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3 주식회사 골드필드 조경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4 주식회사 다른 남승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5 주식회사 대인트레이드 송경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6 주식회사 딥웨이브 김신남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7 주식회사 메디안스 강문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8 주식회사 멕스코인터내셔널 정병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9 주식회사 문교 남기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0 주식회사 비마 임진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1 주식회사 비피도 신용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2 주식회사 송정 송종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3 주식회사 스마트랩 백승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4 주식회사 스카이상사 김태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5 주식회사 신광이엔지 서준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6 주식회사 신화 김길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7 주식회사 알바이오 최경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8 주식회사 앤피티아이글로벌 박규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9 주식회사 야다 강은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0 주식회사 에스엔피텍 박창국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1 주식회사 에이랜드 정기남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2 주식회사 에즈원글로벌 민석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3 주식회사 에픽코퍼레이션 김사랑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4 주식회사 엔솔 이미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5 주식회사 엔캣 양진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6 주식회사 엠이케이 문상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7 주식회사 엠지택 이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8 주식회사 예리코코리아 박종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9 주식회사 오디패션 표승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0 주식회사 오션엔텍 송해화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1 주식회사 우리플라 이희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2 주식회사 웰테크글로벌 정진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3 주식회사 제스코 심재은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4 주식회사 제이비앤아이 조병남 중소기업 5백만불탑 - 52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775 주식회사 제이에스비 김조슈아정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6 주식회사 지엔 이현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7 주식회사 청정화푸드 김재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8 주식회사 카니어스 함성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9 주식회사 코리아툴파르 오스모나리예바 누르자말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0 주식회사 토리든 권인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1 주식회사 티엠지코리아 김성광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2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조영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3 주식회사 플로닉스 이상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4 주식회사 해농 조명추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5 주식회사 헬로글로벌 김상효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6 주식회사 현대메디텍 송미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7 주신수산식품(주) 김동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8 컨버즈 주식회사 곽종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9 케이에스성선국제(주) 왕이엔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0 케이오토24 주식회사 최승학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1 큐에이치바이오 이해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2 토마토안경 김승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3 패스웨이인터미디에이츠인터내셔날 황일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4 피엑스지어패럴월드와이드(유) 신재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5 하나금속(주) 김덕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6 한미전선 주식회사 성병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7 한일너클프레스(주) 서영대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8 헤베코리아 공규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9 현대코퍼레이션 주식회사 강종구 중소기업 5백만불탑 800 홀섬코리아 이재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801 (유)지호 농업회사법인 송미령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2 (주)가야인터내셔널코퍼레이션 오정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3 (주)금양산업 조 동엽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4 (주)기어세컨드 김민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5 (주)기주 김기태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6 (주)길인터내셔널 김성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7 (주)나바켐 김종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8 (주)대아에스엔에스 손원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9 (주)대진 하태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0 (주)더스탠다드 김성남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1 (주)덕산코트랜 강환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 53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812 (주)덱스터스튜디오 김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3 (주)덴탈맥스 김진동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4 (주)동신하이텍 이성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5 (주)드림코스 강호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6 (주)디엠피테크 김성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7 (주)땡큐파머 남규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8 (주)라벨리 최선웅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9 (주)레보메드 신봉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0 (주)레존텍 박수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1 (주)리얼게인 박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2 (주)마스테코 오주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3 (주)마임테크 CO 신영남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4 (주)메드비 동원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5 (주)메디클러스 김경은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6 (주)메디포인트 이기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7 (주)명정보기술 이명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8 (주)목양기술 허명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9 (주)무사이 이인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0 (주)미라클 박광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1 (주)바로스튜디오 김준형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2 (주)바이오지 동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3 (주)블루칩코리아컴퍼니 김태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4 (주)비더스킨 성준제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5 (주)비씨상사 한경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6 (주)비에이치아이 박윤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7 (주)사이버메드 김철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8 (주)성연상사 박성준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9 (주)성원아이엔디 김호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0 (주)세토파 이도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1 (주)스타팜텍 서광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2 (주)씨에이엘 이준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3 (주)아즈라 이상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4 (주)액션핏 박인후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5 (주)에스더블유 밸브 박정헌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6 (주)에스비케이엔지니어링 고영완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7 (주)에스엠에스바이오 이반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8 (주)에스엠티 이승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 54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849 (주)에스제이엠아이 이재갑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0 (주)에이치알엠 안성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1 (주)에코월드팜 오석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2 (주)에프엘와이인터내셔널 이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3 (주)엔에스브이 윤은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4 (주)엘라이트 이 정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5 (주)영재철강 최익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6 (주)오르비타 심종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7 (주)옵티플렉스 서혁준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8 (주)우림하이테크 노병관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9 (주)원진알미늄 원경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0 (주)원테크엔지니어링 이승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1 (주)원텍솔루션 이인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2 (주)월포트 김대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3 (주)유니메탈 김경욱 중견기업 3백만불탑 864 (주)유니비스코리아 장동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5 (주)유성 양주열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6 (주)유열산업 박병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7 (주)유일무역 김성배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8 (주)이레테크 양준화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9 (주)제넨텍 정기정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0 (주)제론텍 김진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1 (주)제이엠바이오텍 장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2 (주)제이엠테크 이경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3 (주)제이케이알앤알 천인숙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4 (주)지엠디소프트 김현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5 (주)지오엘리먼트 신현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6 (주)지유테크 김성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7 (주)코머신 박은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8 (주)코스코티알 윤경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9 (주)티씨엠에스 신태용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0 (주)티앤에스이앤씨 유영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1 (주)파비스 김종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2 (주)포렌코즈 정춘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3 (주)프로티아 임국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4 (주)하트만 김동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5 (주)한국알테코 조정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 - 55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886 (주)한국오지케이 박수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7 (주)한국해사기술 신홍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8 (주)한준스펙스인터내셔널 장소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9 (주)한팩 박인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0 (주)헬로우메디 이동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1 (주)홈에디션명진 서철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2 (주)휴온스푸디언스 이충모 중견기업 3백만불탑 893 (주)히스트레이드 한확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4 광성강관공업(주) 박태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한형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6 농업회사법인 (주)초록원 송점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7 농업회사법인 (주)한우물 최정운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8 농업회사법인 정우에프씨(주) 이한면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9 뉴오토정밀 주식회사 문학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0 닥터킴 김기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1 대양스트랩(주) 김동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2 대정테크(주) 정주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3 대한약품공업(주) 이승영 중견기업 3백만불탑 904 디이에프 박희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5 디플러스(주) 김정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6 리오엠엔씨(주) 이영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7 명진텍스타일 황재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8 미농바이오(주) 이충일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9 바임글로벌 주식회사 김종왕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0 부성에버텍(주) 윤성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1 비엘에스 주식회사 김은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2 비오케이메탈 주식회사 방희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3 빌더스켐코리아 김창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4 상진기업(주) 송승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5 서울금속공업(주) 윤재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6 서울인터네셔널 주식회사 백성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7 선진건기 주식회사 최정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8 섬전복 영어조합법인 황상범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9 소마상사 문현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0 슝크카본테크놀로지(유) 최동균 중견기업 3백만불탑 921 시스템베이스(주) 장연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2 신세기메디텍(주) 백승관 중소기업 3백만불탑 - 56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923 신흥기업 주식회사 김용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4 씨앤씨코퍼레이션 조은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5 씨에이페이퍼(주) 유창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6 어드밴스드디지털솔루션(주) 박정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7 어빌리티코리아(주) 김진웅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8 에스케이인터내셔널 손성강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9 에스파워 주식회사 류승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0 에이시스 주식회사 김준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1 에이치앤비파마인터내셔널 이상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2 에코클리어 주식회사 정철화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3 엠씨케이 주식회사 김병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4 영남기계(주) 예병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5 오션씨엔아이 주식회사 윤종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6 오스템올소 주식회사 김병일 중견기업 3백만불탑 937 오티씨 주식회사 이준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8 웰너스코리아(주) 정영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9 웰마크(주) 정병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0 유앤씨인터내셔널 유수권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1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황규관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2 유한회사 에스더블유코퍼레이션 이세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3 이소이비 이강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4 이에이오토그룹(주) 김에브제니바디 모비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5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김주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6 인셀(주) 정창권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7 재단법인 행복커넥트 이준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8 정우화인(주) 김유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9 정화식품(주) 최규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0 제이에스 트레이딩 김병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1 제이케이엠지코리아 김용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2 주식회사 거성인더스 정창윤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3 주식회사 건웅기계 박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4 주식회사 그래피 심운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5 주식회사 그랜드서플라이 임에브게니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6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김구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7 주식회사 네오테크 고경삼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8 주식회사 누비스코리아 이장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9 주식회사 뉴퐁 이재용 중소기업 3백만불탑 - 57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960 주식회사 다스 이춘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1 주식회사 대한오토텍 김대형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2 주식회사 더빅코리아 김장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3 주식회사 데크카본 김광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4 주식회사 도원팩 홍유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5 주식회사 동방미인코리아 조성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6 주식회사 두인 강태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7 주식회사 드림케이텍 도형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8 주식회사 디앰코리아 임은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9 주식회사 디즈글로벌 한바다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0 주식회사 레메디 이레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1 주식회사 만텍 정만협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2 주식회사 미라클넷 최은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3 주식회사 미코명진 이명효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4 주식회사 바다명가 김자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5 주식회사 바이로 노지숙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6 주식회사 브이이에스 김진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7 주식회사 블루망고커머셜 임상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8 주식회사 비엔무역 김대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9 주식회사 비햅틱스 곽기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0 주식회사 삼광 김광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1 주식회사 서원글로벌 윤종만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2 주식회사 세양섬유 김영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3 주식회사 세한 정광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4 주식회사 셀아이콘랩 성민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5 주식회사 송림피앤피 조상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6 주식회사 아이디어브리지 이윤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7 주식회사 아이씨케이(ICK) 이승결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8 주식회사 알비이엔씨 조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9 주식회사 에스앤비 이승지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0 주식회사 에스엔제이 장태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1 주식회사 에스제이 이노텍 송종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2 주식회사 에코프린 강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3 주식회사 에프알메드코스 조진만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4 주식회사 엠제이루스코 박근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5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손상열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6 주식회사 온세계 심성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 58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997 주식회사 용감한미녀들 장세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8 주식회사 위트콘 이황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9 주식회사 유니코리아 김영이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0 주식회사 이로텍스 이성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1 주식회사 이에스이 고형래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2 주식회사 이천 서윤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3 주식회사 제이티에스 정일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4 주식회사 제일유압 정근상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5 주식회사 지티툴링 최성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6 주식회사 짚이엔씨 임종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7 주식회사 초이스툴링 최희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8 주식회사 케이엘글로벌 이창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9 주식회사 케이엠엑스 김성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0 주식회사 케이티알파 조성수 대기업 3백만불탑 1011 주식회사 코라중공업 김행열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2 주식회사 코시스 김우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3 주식회사 크래프트맨 고영남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4 주식회사 클라시아 전정휘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5 주식회사 클레 허영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6 주식회사 태화아이엔씨 최태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7 주식회사 티씨에프씨 진 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8 주식회사 티지와이 최용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9 주식회사 팀코리아 손상범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0 주식회사 포시스 이태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1 주식회사 풋스톤 박두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2 주식회사 피엘코리아무역 부 반 마오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3 주식회사 한스아이앤씨 이한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4 지에스코리아 정써니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5 지에프칼라 유재신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6 진영테크 곽봉주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7 진하무역 김진하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8 진흥식품 성열갑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9 케이케이엘 유한회사 김규광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0 코리아와이에스(주) 유기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1 텍스에드 주식회사 이경선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2 토에이산교 코리아 주식회사 황인걸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3 하나로테크 안승배 중소기업 3백만불탑 - 59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034 하이젠알앤엠 주식회사 김재학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5 한결메탈 한상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6 한국비앤에이치 주식회사 태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7 한국전광(주) 유해귀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8 한수원케이엔피 주식회사 이남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9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함흥규 중견기업 3백만불탑 1040 해광씨앤아이(주) 정승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41 휴리오 박재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42 (유)영가실업 권종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3 (주)감로파인케미칼 우병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4 (주)경동냉열산업 여성동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5 (주)그레이스클럽 장준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6 (주)글로벡스텍스타일 권혁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7 (주)금호쉽빌딩엔지니어링 오정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8 (주)기전툴 정형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9 (주)남광식품 조선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0 (주)네버엔뷰케어 차은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1 (주)농업회사법인 휴먼웰 석용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2 (주)뉴아이디 박준경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3 (주)대단한형제들 정정엽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4 (주)대주메디테크엔지니어링 김종숙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5 (주)대통무역 조지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6 (주)대한특수강 김성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7 (주)더블윈 유도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8 (주)더블유엘폴리머 서호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9 (주)더존케미칼 김태억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0 (주)도우상사 박성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1 (주)동신이에프 유지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2 (주)동아코퍼레이션 김성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3 (주)동진티아이 이상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4 (주)디에스피미디어 김진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5 (주)레드애로우 김경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6 (주)레드원컴퍼니 엄태국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7 (주)레인보우로보틱스 이정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8 (주)로우템 이상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9 (주)리빙케어 권택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0 (주)마일즈인터내셔널 송은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 60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071 (주)맘스트레져 박용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2 (주)메딕프로코리아 윤부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3 (주)멕트론 김준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4 (주)모먼츠컴퍼니 정윤진 중견기업 2백만불탑 1075 (주)미도화학 김영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6 (주)버드뷰 이웅 중견기업 2백만불탑 1077 (주)비앤에스코리아 차호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8 (주)비에스이엔지 조차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9 (주)삼경이엔씨 김동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0 (주)삼성특수브레이크 피은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1 (주)삼성피팅코퍼레이션 김지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2 (주)상봉코포레이션 김경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3 (주)성일기공 김성묵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4 (주)세민무역 김선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5 (주)세종메디칼 김병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6 (주)솔비트 강화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7 (주)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우종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8 (주)써키트플렉스 윤기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9 (주)씨에스씨 이청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0 (주)씨엔원 정재학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1 (주)씨엘팜 장석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2 (주)씨유스킨 김현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3 (주)씨티에스 이동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4 (주)씨플 조윤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5 (주)아시아오토트레이딩 고근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6 (주)아시안푸드컨넥트 김효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7 (주)아이피아코스메틱 최재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8 (주)아트페이스 안경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9 (주)알가 문상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0 (주)에스비씨원 윤영복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1 (주)에스에스케이 이지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2 (주)에스에스테크 신정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3 (주)에스에이 심완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4 (주)에이원텍 이승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5 (주)에이치앤에이치 김형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6 (주)엔클로니 이경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7 (주)엔트라쥬얼리 이병훈 중소기업 2백만불탑 - 61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108 (주)엘트라글로벌 맹찬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9 (주)엠도씨 이석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0 (주)엠오티 마점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1 (주)올데어코리아 김정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2 (주)와이에이치글로벌 김하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3 (주)우리메카 우용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4 (주)우신스틸 도병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5 (주)원바이오젠 김원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6 (주)원씽 최유미 대기업 2백만불탑 1117 (주)원일산업 이원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8 (주)유지에이프레스 유대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9 (주)유창로보텍 황명숙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0 (주)유티케이 정찬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1 (주)이노하이텍 김동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2 (주)이엘라이즈 김혜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3 (주)이호아이엔씨 김민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4 (주)인포시스콤 정찬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5 (주)잠언의료기 최봉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6 (주)제니아 김성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7 (주)제세 김동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8 (주)제이에이치코프 김연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9 (주)중산기업 정광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0 (주)지브이엑스 김신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1 (주)지성엔지니어링 조훈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2 (주)지에스일렉트로닉스 김찬옥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3 (주)지에스티산업 육영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4 (주)지에스티지 이효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5 (주)지오엠에스 김민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6 (주)지와이씨 서금옥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7 (주)진용엔지니어링 박진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8 (주)진일엠브이씨 백승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9 (주)케이아이씨 신충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0 (주)케이에스엠트레이딩 미로넨코이네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1 (주)케이엠일렉트론 송용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2 (주)케이파워 이경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3 (주)코엔지 김충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4 (주)코웰 김계자 중소기업 2백만불탑 - 62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145 (주)탑세이프 심영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6 (주)티오엠 하우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7 (주)페이즈 김은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8 (주)하영에스엠씨 이근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9 (주)하이더스 정문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0 (주)하이원플러스 정화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1 (주)한성옵틱스 박현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2 (주)한성테크글로벌 최유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3 (주)한진오토모티브 송미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4 (주)해랑 김연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5 (주)헉스엔지니어링 주정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6 (주)현대건장 임수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7 (주)호이스트코리아 박수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8 코리아가스엔지니어링 강도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9 가루알 윤영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0 경남산업전자 양순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1 고려바이오(주) 김영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2 교촌에프앤비(주) 윤진호 중견기업 2백만불탑 1163 남도전기공업(주) 백민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4 농업회사법인 보령무역 주식회사 정옥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5 농업회사법인 조은종묘(주) 안경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아이엠 양영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7 대동수산 주식회사 임종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8 대성엔터프라이즈(주) 박연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9 대원이엔티(주) 강대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0 더블유에스피 주식회사 임종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1 동신관유리공업 주식회사 서한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2 동양베톤(주) 모영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3 디케이엠 주식회사 이현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4 멤프로 주식회사 권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5 모어랩스코리아 노병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6 민 테이블 민상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7 바이온 주식회사 김병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8 비씨태창산업 유한회사 지영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9 비엠솔루션 김영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0 삼보텍스 박금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1 서도비엔아이(주) 김원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 63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182 선보 윤건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3 성우플랜트 주식회사 박귀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4 세양폴리머(주) 윤성업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5 세종기술 주식회사 이시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6 스킨애플코스메틱 류지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7 스털링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임완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8 신강수산 영어조합법인 임수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9 씨앤엠로보틱스(주) 주묘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0 아시아파인테크 주식회사 모리 쇼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1 아이븐 김명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2 알리코제약(주) 이항구 중견기업 2백만불탑 1193 애트폴리(주) 김재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4 어업회사법인 경영수산 유한회사 최경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5 에스브이테크 황철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6 에스알지엠 김장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7 에스와이티앤엘 주식회사 문양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8 에스티케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김주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9 에이앤피컴퍼니 김수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0 에이치아이티글로벌(주) 이순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1 에이치알메디텍 이현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2 에이텀 한택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3 엘제이인터내셔널 김은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4 엠테크노(주) 김영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5 영어조합법인 마리솔 이상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6 와이아이테크 주식회사 송영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7 우란트레이딩 이스마이로브 우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8 위아글로벌 김상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9 유씨엘(주) 이지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0 인터에쓰유(주) 심현섭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1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이장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2 일신프라스틱(주) 전동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3 일양정밀 김영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4 자유로해운항공(주) 신중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5 제네톡스(주) 안종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6 제이마린 김재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7 제이에스이앤엘 주식회사 류재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8 제이원글로벌 주식회사 정재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 64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219 제이케이이커머스 이정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0 제일머신 주식회사 김지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1 주식회사 가온상사 김윤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2 주식회사 가이오 여동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3 주식회사 게임듀오 최재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4 주식회사 고위더스 이낙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5 주식회사 글로벌탑스 이민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6 주식회사 금성글로벌 배일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7 주식회사 뉴타이어월드 오재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8 주식회사 닷 김주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9 주식회사 더모멘트 안현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0 주식회사 도비즈 염장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1 주식회사 도우엔 황정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2 주식회사 도이프 윤성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3 주식회사 동양정밀가스켓 이기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4 주식회사 동일제약 김세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5 주식회사 동주금속 손동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6 주식회사 디에스원 나한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7 주식회사 디오에프로보틱스 이장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8 주식회사 리브유 정주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9 주식회사 리에스티 김병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0 주식회사 마루 하명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1 주식회사 마스콤 정연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2 주식회사 맥파이테크 신웅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3 주식회사 메이니코코 포미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4 주식회사 메이코더스 최새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5 주식회사 모담글로벌네이처 고은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6 주식회사 목양에프원 이재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7 주식회사 바크로 김종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8 주식회사 브이벨 김채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9 주식회사 비브로 신상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0 주식회사 비스타릿 이정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1 주식회사 비티엔프 수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2 주식회사 세일 최문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3 주식회사 소마 조정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4 주식회사 싼카 조태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5 주식회사 씨스리 김혜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 65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256 주식회사 씨지테크 안중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7 주식회사 아이젤 김범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8 주식회사 아토즈솔루션 박상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9 주식회사 알씨테크 임태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0 주식회사 알토켐 강진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1 주식회사 업스테어스 장영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2 주식회사 에스알티 손영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3 주식회사 에스제이오토모티브 정우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4 주식회사 에스지엘 송진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5 주식회사 에스티케이 김상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6 주식회사 에이빌코리아 노현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7 주식회사 에이치앤제이 노홍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8 주식회사 에이치와이무역 윤진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9 주식회사 에코에너젠 윤종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0 주식회사 엘라스켐 김영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1 주식회사 연화엠텍 김종엽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2 주식회사 와이이오 최원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3 주식회사 요크헤이븐 박봉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4 주식회사 우르 신중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5 주식회사 원강 강태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6 주식회사 원유니버스 고세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7 주식회사 위블링 김성경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8 주식회사 위즈인터내셔날 김재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9 주식회사 이든에프앤씨 김진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0 주식회사 이원 정한교 중견기업 2백만불탑 1281 주식회사 이케이엘 곽대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2 주식회사 이퓨쳐 이기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3 주식회사 지에이스 박규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4 주식회사 캡쳐 윤영복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5 주식회사 케미원스 신현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6 주식회사 케이씨엘 김익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7 주식회사 케이아이티 엄성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8 주식회사 케이팩 강석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9 주식회사 태진mc 차정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0 주식회사 테크피아 정명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1 주식회사 티아이이엘 이창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2 주식회사 포메데시 박기상 중소기업 2백만불탑 - 66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293 주식회사 하신무역 신원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4 주식회사 하이웰글로벌 김정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5 주식회사 한국폴리텍 최중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6 주식회사 해신 김운봉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7 진진테크 주식회사 오재명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8 청청인터내셔날(주) 신우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9 칸가와코리아(주) 코바야시노보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0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이노베이션 김혜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1 케이테크 김동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2 코리아나까조(주) CHOI JONG MOON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3 코스맥스바이오(주) 김철희 중견기업 2백만불탑 1304 크레스트 정미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5 트레이드웨이즈인터내셔널(주) 사르와르무하마 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6 플렉스폼코리아 유한회사 박찬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7 한국나크 주식회사 박준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8 한성정밀 이정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9 한정식품 한상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0 해마수산 영어조합법인 곽상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1 홍무역 정재홍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2 화연물산(주) 김어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3 화이버텍(주) 이택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4 휴비오(주) 이준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5 (주)금광텍스타일 허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16 (주)나노레이 박재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17 (주)나노젠 이성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18 (주)나노하이테크 김병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19 (주)나비텍스타일 조정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0 (주)나우로보틱스 이종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1 (주)다이나믹오토 김현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2 (주)다이아몬드씨푸드 박세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3 (주)다하우스 김다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4 (주)대우경금속 김도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5 (주)대원파사드 계성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6 (주)대정알파 배기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7 (주)대흥소프트밀 김대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8 (주)더유인터내셔널 유호완 중소기업 1백만불탑 - 67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329 (주)데코엔지니어링 김재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0 (주)동원롤 전우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1 (주)동원엔텍 신승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2 (주)듀이트리 박남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3 (주)듀크린 이경옥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4 (주)디앤씨퓨쳐스 김학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5 (주)디앤푸드 박성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6 (주)디에스브이 오상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7 (주)맛찬들백미식품 양동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8 (주)메드로드 이은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9 (주)메탈팀 김영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0 (주)명진종합건설 이명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1 (주)뮤드메이트 남궁미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2 (주)미라클산업 김영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3 (주)벨르글로벌 이정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4 (주)봉화산업 백준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5 (주)부산어묵 이규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6 (주)부흥 윤효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7 (주)브이엘에프 홍성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8 (주)블루파운틴코리아 이종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9 (주)비나카 정문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0 (주)삼호나노텍 정세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1 (주)서울클릭 이용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2 (주)서치라이트에이치앤비 양성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3 (주)선양인터내셔널 이태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4 (주)성안미크론 심보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5 (주)소트론 정진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6 (주)수산기계이엔지 김성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7 (주)스킨나인코스메틱 김창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8 (주)시트라인터내쇼날 남기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9 (주)신화에프에스 이정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0 (주)싸이몬 안재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1 (주)씨티씨엠에스 김주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2 (주)아라움 김미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3 (주)아마존컨설팅그룹 정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4 (주)아이넥스코리아 최은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5 (주)아이비에스에프에이 이상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 68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366 (주)아이콘비엑스 김현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7 (주)아이티씨 김민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8 (주)아이티씨 문정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9 (주)아이피아이테크 이태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0 (주)어센드코퍼레이션 이신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1 (주)에스브이엠테크 김기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2 (주)에스아이디메디코스 홍상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3 (주)에스앤엠코리아 황성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4 (주)에스에스엘케이에이치 김여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5 (주)에스엔지아이시티 주진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6 (주)에스텍시스템 이병화 중견기업 1백만불탑 1377 (주)에스피에스글로벌 이상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8 (주)에쓰엔티코리아 박희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9 (주)에어로피에치이 문형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0 (주)에이씨엘시스템 문성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1 (주)에이에스이 최규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2 (주)에이치나인 최우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3 (주)에코엘앤씨 윤정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4 (주)에프그라운드 김재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5 (주)에프에스 최명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6 (주)엑세스바이오코리아 이민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7 (주)엔바이로코리아 박성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8 (주)엔케이코퍼레이션 김형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9 (주)엔피코어 한승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0 (주)연합기업 유청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1 (주)영인바이오텍 김영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2 (주)오토네이션 김봉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3 (주)오피솔류션 조웅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4 (주)올담 최병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5 (주)올인닷컴 김찬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6 (주)와이디인터내셔널 고영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7 (주)와이제이글로벌 서국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8 (주)우리회사 박태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9 (주)웰코 오창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0 (주)웰코멧아시아 류용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1 (주)위림 박준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2 (주)위트코 허준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 69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403 (주)유성화학 류창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4 (주)유원플렛폼 황철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5 (주)유진유체 이기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6 (주)이노켐 박선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7 (주)이디야 문창기 중견기업 1백만불탑 1408 (주)이수에코테크 백경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9 (주)이즈람엔터프라이즈 하산 알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0 (주)이지산업 설호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1 (주)이트론 이재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2 (주)인터컴 최태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3 (주)인흥산업 이선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4 (주)제이피에스코스메틱 선일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5 (주)지니텍스솔루션 김도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6 (주)지앤푸드 정태용 중견기업 1백만불탑 1417 (주)지엠더블유 이용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8 (주)지엠티에이 신수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9 (주)창보 김정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0 (주)천명메탈 서호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1 (주)치드케누 이미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2 (주)케이비알 이남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3 (주)케이씨아이 장동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4 (주)케이에이치엔지니어링 이광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5 (주)케이오토트레이더스 기도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6 (주)코리아오일씰텍 노재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7 (주)코아센컴퍼니 배정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8 (주)코코인터내셔날 한방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9 (주)퀀타매트릭스 권성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0 (주)큐리오시스 윤호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1 (주)큐빅스 박용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2 (주)타스코 위성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3 (주)텍스마스타 강석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4 (주)토포실크 신원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5 (주)티앤비인터내셔날 전해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6 (주)틸트프로 민병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7 (주)파즈코리아 노대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8 (주)포투나코퍼레이션 최은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9 (주)프레넬팩토리코리아 김명중 중소기업 1백만불탑 - 70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440 (주)피닉스엔지니어링 배금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1 (주)픽톤 이병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2 (주)핏투게더 윤진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3 (주)하나웰무역 이동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4 (주)하스코글로벌 정보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5 (주)하이테크디젤 이재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6 (주)한국노텍 권광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7 (주)한국유체기계 유건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8 (주)한맥아이티 최예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9 (주)한미양행 정명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0 (주)한서켐 오민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1 (주)허리우드 홍승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2 (주)현대엘앤씨보닥 박종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3 (주)현대포리텍 김해 심명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4 F&B Solution Company 배일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5 경성무역 김준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6 그레이스인터콤 백승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7 그린기계 최영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8 그린테크교역 노만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9 나노팀 주식회사 최윤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0 나이프플러스(주) 김태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1 네오마(주) 이강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2 노바코리아 주식회사 유동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3 노바트레이드 김드미트리아카 드비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4 노벨정밀금속(주) 박진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5 농업회사법인 (주)금하 김봉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6 농업회사법인 (주)한스팜 한만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7 뉴문 네트웍스 이동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8 다원테크 강재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9 대명산업기술(주) 김당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0 대성컴퍼니 오준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1 대신엔터프라이즈(주) 김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2 대유단조 백해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3 대일테크 김규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4 더블유제이팩키징솔류션스코리아(유) 이수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5 데이빗아쿠아시스템 김범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6 도전테크 이무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 71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477 동명테크 김주습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8 동보정밀강관(주) 김경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9 동우T&C 서승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0 디알인터네셔널 백다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1 디에이치씨 문재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2 (주)디와이글로벌네트워크 조영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3 라구 트레이드 이상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4 라이언뷰티(주) 하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5 라이프코어인스트루먼트(주) 임동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6 렉스피드 이영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7 로보링크 주식회사 홍창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8 마스 주식회사 박청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9 마하나임(주) 이상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0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정용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1 모리로쿠 케미칼즈 한국 주식회사 정경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2 모비유 코리아 이혜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3 미래정밀화학 주식회사 장정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4 미르스텐 주식회사 이민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5 바론코리아 박최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6 베이인터내셔널(주) 조인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7 보성ENG 박경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8 비스타 일렉트로닉스 신은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9 비엔피전자 주식회사 김영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0 비엠에스파워 김정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1 비욘드코리아 신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2 비케이에프글로벌 윤창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3 삼성비즈테크 유영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4 삼솔정공 주식회사 전의종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5 삼원기업 정점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6 선샤인 이종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7 성도하이텍 주식회사 정법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8 세븐케이무역 김태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9 세양섬유 손금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0 세영정보통신(주) 이세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1 소니메디 이정복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2 솔루텍코퍼레이션(주) 성기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3 스크랩박스 안지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 72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514 시도테크 곽윤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5 신일제약(주) 홍재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6 신호기업 신철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7 쓰리케이에이치 주식회사 허선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8 씨. 에스 에프(주) 이동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9 주식회사 씨아이알에스그룹코리아 임항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0 아성정밀화학(주) 최병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1 주식회사 아트앤디자인인터내셔널 추혜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2 알루스 주식회사 정종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3 에스더블 트렌드 정주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4 에스더블유(주) 김보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5 에스디스피드(주) 연진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6 에스에프마리나코리아(주) 이욱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7 에스엠스위치 주식회사 왕영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8 에스원테크 석진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9 에스제이테크 장일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0 에이셀테크놀로지스(주) 김형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1 에이치메디칼(주) 한희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2 에이치아이켐 주식회사 서진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3 에이텍(주) 김진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4 에코니 최지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5 에코스마트 주식회사 이현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6 엑스빔테크 주식회사 박창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7 엔지유 수리믹스(주) 최재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8 엠케이프리시젼(주) 민병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9 영원 김영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0 영진산업(주) 나연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1 영창이엔지(주) 이한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2 우진기계 남혁모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3 원그램솔루션 주식회사 김경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4 원농산 영농조합법인 박혜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5 웰바이오 김선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6 위로 이동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7 위케이이앤지 김위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8 위플라이 김민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9 유광무역(주) 최성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0 유니온테크 주식회사 조도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 73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551 유니온테크(주) 한기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2 유성케이엔(주) 최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3 유한회사 예원 강동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4 유한회사 제이엘브리지 장윤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5 이노크리시스템(주) 김상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6 인프로이엔씨(주) 김기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7 (주)일광엠티에스 윤정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8 일신기계제작소 강신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9 재성산업 김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0 쟈스민 무역 아부하디드이야 스살렘호레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1 제네시스 솔루션 코리아 조은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2 제네시스에너지솔루션(주) 박건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3 제니텍상사 임재승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4 제이엔에이 트레이딩 주식회사 조지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5 제일에스엘산업 주식회사 장창익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6 주식회사 가람코 손양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7 주식회사 경아로지스틱스 채순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8 주식회사 교동물산 전종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9 주식회사 굿모닝바이오 황의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0 주식회사 그랩실 허 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1 주식회사 글로리어스 오재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2 주식회사 금호조침 김 화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3 주식회사 기베스트 기서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4 주식회사 까사델파로 박철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5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6 주식회사 나우인터내셔널 이영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7 주식회사 네이코 이기동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8 주식회사 다가 박정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9 주식회사 다묘인 이건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0 주식회사 대신에스티에스 홍종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1 주식회사 더넥스트 강희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2 주식회사 동원코퍼레이션 김경동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3 주식회사 디아룩스 남승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4 주식회사 라임(LIME) 박지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5 주식회사 마이커머스 문성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6 주식회사 모윰 김명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7 주식회사 무아스 문철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 74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588 주식회사 미그림 이찬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9 주식회사 미래로드 서정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0 주식회사 바인코리아플러스 이종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1 주식회사 보고신약 남경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2 주식회사 보나쥬르 김다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3 주식회사 비엘엠콘택트 유종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4 주식회사 서현푸드코리아 이수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5 주식회사 성현퍼라이트 장석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6 주식회사 세림정공 이정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7 주식회사 수퍼코스 이유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8 주식회사 스완코스메틱 김영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9 주식회사 시크릿팜 손미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0 주식회사 신영엔지니어링 박 고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1 주식회사 신원인더스트리 권용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2 주식회사 실라서울 신인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3 주식회사 씨마켓 성덕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4 주식회사 씨엠엘글로벌 박재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5 주식회사 씨엠코어 김민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6 주식회사 씨웨이글로벌 강영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7 주식회사 씨케이피앤피 함춘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8 주식회사 아리셀 박순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9 주식회사 아원파트너스 임광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0 주식회사 아이솔루션 박종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1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황윤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2 주식회사 아이투스글로벌 김동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3 주식회사 애니테이프 박성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4 주식회사 액트 박맹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5 주식회사 양명 김보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6 주식회사 얼레디덱 김세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7 주식회사 에끌라두 송지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8 주식회사 에스아이씨 백진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9 주식회사 에스엠티 한상효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0 주식회사 에이에이치엔 안창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1 주식회사 에이월드 이동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2 주식회사 에이치 트레이딩 이혜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3 주식회사 에이티움 장영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4 주식회사 에이티인더스 신승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5 주식회사 엔바이오 고화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 - 75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626 주식회사 엔클루 김상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7 주식회사 엘브이이코리아 서나함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8 주식회사 엘에프테크 이용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9 주식회사 엘엔에스바이오 윤성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0 주식회사 열성 김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1 주식회사 영신식품 양태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2 주식회사 영트레이딩 김임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3 주식회사 오스코리아 이병장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4 주식회사 오아시스 글로벌 김용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5 주식회사 올도완 심재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6 주식회사 올위메이크이즈 남수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7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티 김윤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8 주식회사 와이티씨글로벌 이윤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9 주식회사 우즈코코스메틱 김도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0 주식회사 웨덱스 양승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1 주식회사 웨이버스 김학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2 주식회사 웨이브트랙 김용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3 주식회사 유티어 황성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4 주식회사 이지코리아 유성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5 주식회사 정광산업 전재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6 주식회사 제이디글로벌 이용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7 주식회사 제이디지 이승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8 주식회사 제이에스피글로벌 박상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9 주식회사 제이엠티 김지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0 주식회사 제트글로벌 윤해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1 주식회사 케이컨 박아나스타시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2 주식회사 케이티알 김창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3 주식회사 케이티앤이 박노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4 주식회사 코리엘 조신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5 주식회사 코솔케 김형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6 주식회사 코스비즈 민석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7 주식회사 쿨파인더 홍민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8 주식회사 키본커머스 오정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9 주식회사 키쿠보 류영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0 주식회사 타이거일렉 이경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1 주식회사 태양글로발 김경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2 주식회사 토니텍 양해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3 주식회사 토모큐브 홍기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4 주식회사 퍼스트글로벌 김사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 - 76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665 주식회사 폴리팀 왕철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6 주식회사 프로디젠 심수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7 주식회사 피앤씨텍스타일 권기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8 주식회사 하경산업 이동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9 주식회사 한욱21홀딩스 장춘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0 주식회사 해도화학 노승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1 주식회사 해리 여혁종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2 주식회사 해미로 김삼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3 주식회사 혜승물산 이원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4 주식회사 호건에프에이 김명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5 주식회사 화미무역 이강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6 주식회사 후로벨 최귀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7 준무역 박준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8 지맥스정보통신(주) 윤영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9 지엠 인터내셔날 아머르 아바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0 지엠폴리머 박재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1 지와이서울 주식회사 심태웅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2 진양유압 윤종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3 케이시시정공(주) 박덕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4 케이엔티 주식회사 나카무라 쇼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5 케이엠코리아 주식회사 강지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6 콜마유엑스 주식회사 변성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7 큐로테크(주) 이병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8 키테크 정순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9 타이탄리 이동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0 톰스코(주) 최용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1 트라이픽스 주식회사 양원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2 트리톤 주식회사 송상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3 티엔씨퍼스트 주식회사 김광복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4 프로켐 주식회사 구장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5 주식회사 프리메디텍 김종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6 프링커코리아(주) 윤태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7 플랙스카코리아 홍석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8 피닉스 권지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9 피코맥스(주) 송종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700 하늘바다컴퍼니 진아령 중소기업 1백만불탑 1701 주식회사 해솔모터스 알알루스모스타파 아흐메드모하메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702 호연테크(주) 진두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703 환인제약(주) 이원범 중견기업 1백만불탑 1704 희운 주식회사 정순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 77 - Ⅲ. 주요수상자 공적내용 - 78 - 정부포상 수상자 공적내용 - 79 - 1.금탑산업훈장(주)엘엑스세미콘/ 손보익대표이사·······················································80 2.금탑산업훈장(주)심텍/ 전세호회장···············································································81 3.금탑산업훈장(주)메타바이오메드/ 오석송대표이사···················································82 4.금탑산업훈장(주)비엠티/ 윤종찬대표이사···································································83 5.은탑산업훈장(주)포스코퓨처엠/ 김준형대표이사·······················································84 6.은탑산업훈장케이지모빌리티(주)/정용원대표이사·················································85 7.은탑산업훈장남성해운(주)/ 문판식선장·······································································86 8.은탑산업훈장(주)싱그린FS/정호석대표이사·····························································87 9.은탑산업훈장주식회사에코프로이엠/박종환대표이사············································88 10.은탑산업훈장에스트래픽(주)/ 문찬종대표이사···························································89 11.동탑산업훈장현대아이에프씨주식회사/양국석대표이사········································90 12.동탑산업훈장한국진공(주)/ 이인우대표이사·······························································91 13.동탑산업훈장케이넷(주)/ 서성남대표이사···································································92 14.동탑산업훈장(주)포스코인터내셔널/김원영상무보·················································93 15.동탑산업훈장에이치에스엠(주)/ 문안용대표이사·······················································94 16.동탑산업훈장삼성물산(주)/ 임건순그룹장···································································95 17.동탑산업훈장엑셀리스코리아(주)/ 박영근사장························································· 96 18.동탑산업훈장동광무역상사(주)/ 이상훈대표이사····················································· 97 19.동탑산업훈장에스케이하이닉스(주)/ 김주선부사장················································· 98 20.철탑산업훈장삼성SDI/손미카엘부사장····································································· 99 21.철탑산업훈장세아상역(주)/ 문성미대표이사·····························································100 22.철탑산업훈장(주)보명금속/ 홍수식대표·····································································101 23.철탑산업훈장한화솔루션(주)/ 김운회상무·································································102 24.철탑산업훈장(주)흥아기연/ 이승범부장·····································································103 25.철탑산업훈장(주)하나금속/ 남정도전무·····································································104 26.철탑산업훈장현대삼호중공업(주)/ 김선직장·····························································105 27.철탑산업훈장한국알프스(주)/ 신경영책임매니저·····················································106 28.철탑산업훈장태광후지킨(주)/ 신옥주반장·································································107 29.석탑산업훈장한국무역보험공사/박진식본부장························································108 30.석탑산업훈장(사)한국무역협회/ 김병유본부장·························································109 31.석탑산업훈장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김윤태부사장················································110 32.석탑산업훈장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정동호처장····················································111 - 80 - 1. 손보익(孫保翼) 금탑 / (주)엘엑스세미콘 대표이사 ▲수출품목:반도체설계 ▲수출실적:10억불 ▲담당자:이희상(☎010-2655-1099) 공적내용 상기인은 40년간 시스템반도체 단일 분야에 종사하면서 반도체 개발 초기부터 최근 시스템반도체기술개발까지,국내반도체全단계(아날로그→디지털→모바일)의기술발전에 기여함. 2019년 6.9억불이던 수출을 2022년 10.2억불까지 성장시키며 국내 시스템반도체 팹리스 기업최초3년연속10억불수출을달성하여국내기술중심수출에기여함. 2021년에는매출중수출의비중이99.1%에달했고,(1.88조원/1.89조원) 지난3년간의수출 비중의경우매출액평균98%를기록하며 국내반도체 팹리스 1등 기업으로서해당 분 야수출을주도함. 반도체 분야 국가 핵심기술(2023년 3월 산업통상자원부) 및 국가첨단전략기술(제1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육성기본계획)에포함된첨단산업기술확보를통한수출경쟁력확대 에기여하였으며, 애플, MS, 구글등, 글로벌IT기업으로부터기술력을 인정받아(시스 템반도체팹리스세계12위,DisplayIC세계3위)관련품목매출(수출)의지속적인증 가를주도함. 1997년 세계 최초 DTV 칩 개발을 시작으로 2014년 UHD TV용 HEVC(고압축) 디코 더 및 고화질 변환 칩 개발에 이르기까지 시스템반도체 단일 분야에서 40년간 수공하 며한국TV산업경쟁력을세계최고수준으로견인하고세계최초북미모바일방송수신 칩개발에기여함.(2015년반도체의날동탑산업훈장) 2016년 말700여명이던 직원규모를 2022년말 1,600여명으로 성장시켰으며, 전체 근 무 직원의 평균 연령은 35세로, 최근 3년 간의 채용 중 95%가 30세 미만으로 구성 되는 등, 청년 중심 일자리창출에기여함. - 81 - 2. 전세호(全世鎬) 금탑 / (주)심텍 회장 ▲수출품목:인쇄회로기판(PCB) ▲수출실적:7억불 ▲담당자:송수진(☎043-269-9439) 공적내용 상기인은 35년간 적극적인 R&D 투자와 글로벌 마케팅을 진행하여 모바일용 PCB (인쇄회로기판) 제품을 개발 및 양산하여 ㈜심텍을 세계 1위 기업으로 성장시켜 국내 반도체산업과국가산업발전에기여함. 1990년 당시 국내 생산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SIMM PCB 독자 기술 국산화에 성 공하여 현재 반도체 및 모바일용 PCB 세계 점유율(30%) 1위 기업으로서 국내 기술 진화를선도함. 기술경쟁력 강화 및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재 국산화 개발 노력으로 PCB 원재료 CCL(동박적층판)의 국내 양산을 위해 LG화학, 두산전자와 3자 공동 개발에 성공하였 으며, 이 결과로 일본에서 전량 수입하던 CCL 국산화율은 75% 수준을 달성함.(’22년 말기준1,400억수입대체효과발생) 2004년 개발된 BOC 제품은 세계시장 점유율 40%를 달성하며 세계시장에서의 지위를 높여 수출 증대에기여하고 있으며, 2008년개발된 메모리 모듈 PCB, DRAM 패키지용 BOC 기판, 2016년 패턴 매립형 기판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되며 일본, 대만, 중국 등으로 수출시장을 확대함. 글로벌 Big 5 메모리칩 메이커(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키옥시아 등) 및 Big5패키징전문기업(AES,Amkor,JCET등)을고객사로확보하여3년연속매출1조원, 수출약8억불을달성함.2022년매출의92.6%를수출로달성, 해당분야수출을주도하고 주요수출품목(PCB)의선택과집중을통해단일품목으로11억불이상수출달성에기여함. 2001년 직원 수 500여 명에서 현재 국내 고용 2,800명으로 20여 년간 460%의 인력 증 가와일자리창출공로를인정받아2022년충청북도고용우수기업으로선정됨. - 82 - 3. 오석송(吳碩松) 금탑 / (주)메타바이오메드 대표이사 ▲수출품목:치과용의료원부자재 ▲수출실적:4천만불 ▲담당자:윤종필(☎043-230-8881) 공적내용 상기인은치과용근관충전재시장에서세계점유율1위를달성하고, 세계에서7번째로 생분해성 봉합사를개발하는 등 독보적인기술력을 바탕으로 4천만불 수출을 달성하여 한국의료자재산업발전및세계시장진출에기여함. 세계일류상품3종개발,105개국수출, 세계시장점유율1위달성(점유율23%, ’23년현재) 등의 성과를 바탕으로 전체 매출 대비 높은 수출 비중을 달성하며 ㈜메타바이오메드 가 수출중심 강소기업으로 성장하는데기여함.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 노력을 통해 105개 국가 대상 수출실적을 기록 중으로(아시아 43%, 아메리카 19%, 유럽 16%, 아프리카 9% 등, ’22년 말 기준), 20여 년간 지속적인 수출실적증가를달성하여(’07년1천만불→’16년3천만불→‘22년4천만불)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함.(350만마일, 지구140바퀴를거리를돌며국제전시회참가및영업활동전개) 수술용 녹는 실로 알려진 생분해성 봉합사 기술은 현재까지도 전 세계에서 7개 기업만 이 생산 가능하며, 항균성 봉합 원사는 세계에서 2번째로 개발에 성공하여 수출 확대 를위한기술력확보에기여함. 중소기업으로서는 이례적으로 공학박사 3명을 포함, 총 35명의 연구원이 기술 개발에 매진하여 국내 특허 69건, 해외 특허 24건을 등록하였고, 봉합사 원료인 글리콜라이드 의 국산화 성공(2018년)을 통해 수입대체효과(24억원/년)를 창출하여 소재의 자급화를 완성함. 선도적인 중소수출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기 위해 30여 년간 자체 발굴한 200여 명의 바이어를 국내 전시회에 직접 초청하여 국내 바이오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 을 지원하고, 후배 기업인 육성을 위해 지역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는 등, 선도적인 역 할을수행함. - 83 - 4. 윤종찬(尹鍾贊) 금탑 / (주)비엠티 대표이사 ▲수출품목:산업용피팅‧밸브 ▲수출실적:5천만불 ▲담당자:장성원(☎051-780-5151) 공적내용 상기인은 35년간 금속 임가공 분야 기술개발에 앞장서며 정밀배관의 이음재(피팅)와 밸브의 국산화, 세계적인 품질기준 충족을 이루었으며, 수출시장 확대와 더불어 국내 산업의 수입대체효과를 창출하였고,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주력 전방 산 업해외수주의핵심부품을공급함. 1988년 인원 3명, 연 매출 150만원 기업으로 창업하여 2023년 현재, 연 매출 1,414억, 약 6천만불 수출실적(27개국 대상)을 달성한 기업으로 성장하였음. 이는 전년 대비 수 출액18백만불(44%), 매출액35억원(31%)의성장임. 2018년 기존 일본이 선점하던 반도체 가스용 UHP(Ultra High Purity) 피팅·밸브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 국내외 반도체 공장, 조선/해양플랜트, 석유화학, 발전, 항공, 방산 산업등에공급하며수출증진에기여함.(해당부품연500만불이상수출) 2020년 에너지기술 개발 국책과제(산업통상자원부) 수행기업으로 선정, 초고압 수소용 배관 밸브 등의 부품과 시스템 개발을 통해 피팅 밸브, 중고압용 관이음쇠 등을 개발 하고수소인프라부품의국산화를주도함.(연간수입대체효과150억원이상발생) 직접수출외에도, 국내반도체(초고순도피팅), 해양플랜트/조선(초저온밸브), 석유화학 (아이피팅), 발전(매니폴드밸브) 등, 주력 전방 산업의핵심부품 공급을통하여 해외수 주에기여함. 사우디 아람코, 엑손모빌, 셰브론 등, 23개 글로벌 오일·가스 기업의 정식 공급사로 선정되어협력파트너인국내플랜트대기업의부품품질을보증,해외사업수주에직· 간접으로 기여함.(원전: UAE 바라카 원전(‘12~) 등 4건, 해양/플랜트: 현대중공업 LNG선등148건, 석유화학:사우디자푸라가스개발등31건) - 84 - 5.김준형(金俊亨)은탑/ (주)포스코퓨처엠대표이사 ▲수출품목:이차전지소재 ▲수출실적:17억불 ▲담당자:김보민(☎02-3457-4474) 공적내용 상기인은지난37년간관련업종근무경험을바탕으로이차전지소재(양극재·음극재) 통합법인인 포스코퓨처엠을 출범시킴으로써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및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이차전지소재국산화로국내배터리산업의안정적인공급망확보에기여함. 2018년도 포스코ESM(배터리 양극재)과 포스코켐텍(배터리 음극재)의 통합을 주도하여 포스코퓨처엠이라는 통합법인을 출범시킴으로써 기업경쟁력 강화를 통한 이차전지소재 사업진출및수출확대에기여함. 2019년 이후 포스코퓨처엠의 매출 2.2배(2019년 1.5조원 → 2022년 3.3조원), 수출실적 8.1배(2019년 1.55억불/2,015억원 → 2022년 12.6억불/1조6,380억원)로 각각 성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고, 2022년 美 GM 社와의 14조원 중장기 계약체결 주도를 통해 국내 이차전지산업의도약에기여함. 2023년3월배터리안전성과에너지밀도가높은단결정양극재를국내최초로양산에성 공하였고, 전구체 생산성을 3.5배 향상할 수 있는 연속 순환 농축 상용화에도 성공하 여 수출 확대를위한기술력을확보함. 전구체제조시스템 국산화에 성공하고(2018년, 수입대체효과 7,975억원/년), 전량중국에 의존하던인조흑연음극재의국산화에도성공함.(’23.4월,수입대체효과585억원/년) 美 IRA 발효 대응을 위해 배터리 제조 기술 확보 및 국내 생산 확대 추진으로 배터리 양극재생산공장을준공(광양9만톤규모) 및건설(포항10.6만톤) 중이며, 안정적인공급 망확보를위해아프리카산흑연광산지분투자및내재화를추진함. - 85 - 6. 정용원(鄭鏞元) 은탑 / 케이지 모빌리티(주) 대표이사 ▲수출품목:자동차 ▲수출실적:10억불 ▲담당자:강명수(☎031-610-1365) 공적내용 상기인은 적극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수출 확대를 위한 토레스 등의 맞춤형 신차를 출시함으로써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전년 대비 60.2% 성장한 10억불 수출을 달성하는 데기여함. 수출판매증대를위하여기존차량의상품성개선,신차출시,해외소비자선호사양구성 적용및적기생산과운송기일준수를통해해외판매를증대할수있도록적극지원함. 전년 대비 괄목할 만한 수출액 증가(2022년 기준 전년 대비 60.2% 상승한 10.6억불)와 매출액성장(1조원,41%증가)을통해국가경제발전에기여함.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 활동을 통해 그간 수출이 부진했던 벨기에, 헝가리, 폴란드, 호주 시장 등의 수출실적 개선에 기여함. 금년도 기준, 벨기에 1.44억불(+129.4%), 헝 가리 2.21억불(+104.7%), 폴란드 0.48억불(+69.6%)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고, 2018년 호 주 시장에 진출한 이래 역대 최고 실적인 1.74억불 수출을 달성하는 등, 꾸준한 수출 확대를진행중임. 회생절차 중에도 신기술 개발을 위해 관련 인력 578명을(전체 종업원의 13%) R&D에 배치하였으며, 지속적인연구개발비투입을(’22년1,201억원→’23년1,645억원)통해최근 3년간 109건의 특허 등록을 비롯하여 신차 토레스를 출시(’22.7월)하여 8천만불의 수출 실적을달성하는데기여함. 223개의1차협력사,1,090개의2차협력사와동반성장및상생협력활동을강화해왔으며, 성 공적인M&A와회생절차종결로82,000명의협력사임직원의고용안정화에기여함. 노사 간 상생 문화를 정착시켜 14년 동안 0건의 쟁의 발생이라는 해당 업계에서 보기 드문무분규사업장을유지함. - 86 - 7. 문판식(文判植) 은탑 / 남성해운(주) 선장 ▲수출품목:화물운송업 ▲수출실적:2억불 ▲담당자:박정우(☎02-772-8855)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2년 실습 항해를 시작으로 약 40년간 오로지 수출의 선봉장인 해기사를 천직으로 삼아 해양 직원으로만 근무하였고, 2001년 이후에는 선장으로서 우수한 해기 능력,안전관리능력을바탕으로수출선박의안전·적기운항에기여함. 남성해운(주)은 1953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외항선사로 컨테이너 화물선을 포함한 20대의 선박, 60개 아시아 지역의 주요 물류 기지를 통해 총 46개의 노선을 서비스하며 수출물류확보에기여함.이를통해최근3년간2020년2.2억불, 2021년3.1 억불,2022년2.7억불에달하는수출성장에기여함. 상기인은 1982년 부산해양고등학교 항해과를 졸업한 이후 한진상운에서 실습을 시작하였고, 보창선박 및 천경해운, 청운상사, 부산중앙해운, 새한해운에서 항해사로 근 무함. 1994년이등항해사로항해를시작한후현재까지무사고경력을유지하며 우수한해기 능력을 입증함. 2008년 유가 급등으로 급증한 운항경비의 절감을 위해 운항 일정을 고 려한 연료유 전환, Port to Port 간 경제속도 운항모델 등을 회사에 제안하여 선박의 안전운항및정시운항, 비용절감에기여함. 선장 진급 대상자에게 선장에게 필요한 이론 및 자력도선 교육 등을 적극적으로 이행 함으로써최근5년사이에4명을선장으로진급시키는등, 후배양성에크게공헌함. - 87 - 8. 정호석(鄭湖錫) 은탑 / (주)싱그린FS 대표이사 ▲수출품목:가금류가공업 ▲수출실적:2천만불 ▲담당자:김준현(☎063-861-7568) 공적내용 상기인은 베트남의 성수기 기간과 환율 변동에 주목하여 제품 재고 없이 생산량을 모두 판매하는 전략으로 2021년 대비 자본금은 73억 11백만원에서 2022년 8% 증가한 79억11백만원,매출액은2021년300억93백만원대비2022년523억95백만원으로74% 증가시킴으로써수출증진을통한성장에기여함.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생산공정의 관리를 통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원료를 수급하기 위해 농가에서부터 엄정한 관리를 거치는 등, 제품 품질 관리를 위한 노력의 결과 2007년 3월 HACCP 인증을 획득하였고, 2023년 현재까지 HACCP 인증을 유지하고있음. 상기인은 품목 다양화와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기존의 냉동 닭고기 수출에 더하여 새로운 닭고기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기존 베트남 위주의 냉동 닭고기 중심 수 출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국가와 품목을 개척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2023년 9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K-food fair 2023에서 가공식품을 선보이며 대한민국 농수산식 품의 베트남수출확대에기여함. 당사의 수출실적은 2020년 1,040만불, 2021년 1,746만불, 2022년 2,224만불으로, 3년 간평균47%라는높은성장률을주도하였으며, 외화가득률또한99%로무역수지개선 에기여함. 산업 연수생 기숙사, 생일자 상품권 지급, 동아리 활동 지원, 익산 내 기업 및 협업 근 로자 할인 등, 직원 개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함과 동 시에근로자의복지를위한노력도꾸준히기울이고있음. - 88 - 9. 박종환(朴鍾煥) 은탑 /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대표이사 ▲수출품목:이차전지소재 ▲수출실적:24억불 ▲담당자:황은성(☎054-720-4013) 공적내용 상기인은 33년간 배터리, 이차전지 양극소재 분야에 종사하며 양극활물질 개발 및 양산 기술 확보 등을 통해 해당 분야의 수출경쟁력 강화 및 국내 이차전지 해외시 장 선점에 기여함. 2020년 2월 ㈜에코프로비엠과 삼성SDI㈜의 합작법인 설립을 총괄하고 지난 3년간 양극소재 공장을 순차적으로 준공한 결과, 국내 최대규모 생산력을 갖추며 양극재 개발 및 양산체계를 확보하는 데 기여함. (2020년 11월 CAM6 年産 3.6만톤, 2021년 10월 CAM7 年産 5.4만톤, 2023년 1월 CAM8 年産 3.6만톤) 급속한 수요 증가에 적기 대응(양산체계 조기 확보)함으로써 수출 성장에 기여하였 으며, 사전 설비 검증, 제품 특성 사전 검증, 소재 동질성 평가 Tool 확보 등을 통해 당초 계획 대비 3개월 이상 조기 양산 돌입하는 데 기여함. 2021년 0.5억불의 수출 대비 2022년 2.4억불 수출을 달성하고, 2021년 118억원의 매출 실적 대비 2022년 2조원으로 초고속 성장하는 성과 달성에 기여함. 2023년 상반기 수 주실적은 13억불로 2022년 상반기 대비 108% 증가하는 성과 달성에 기여함. 연구전담부서 설립과 적극적 기술개발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제품 품질개선을 바 탕으로 양극재 공급 단가를 낮추는 데 성공하여 하이니켈계 고용량 양극소재의 세계 시장 점유율 향상에 기여함. (전 세계 2.2%, 2022, SNE리서치) 공장설립에 필요한 양극 소재 규격화를 추진하여 안정적인 설비 구축을 통해 공장 시험 운전 기간 단축(2개월→1개월), 2021년 1,500톤/월 생산에서 2022년 1,650톤/월 생산으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기여함. - 89 - 10. 문찬종(文贊鍾) 은탑 / 에스트래픽(주) 대표이사 ▲수출품목:교통소프트웨어 ▲수출실적:3천만불 ▲담당자:신미희(☎031-601-3501) 공적내용 상기인은 25년간 교통인프라 사업 분야에 종사하며 2013년 삼성SDS의 교통사업 부문 을 분리 독립하여 에스트래픽을 설립하고 기존 국내 사업을 확장, 해외시장에 적극적 으로진출하여국내교통시스템수출을개척하는데기여함. 수입에 의존하던 회수용 통행권 시스템을 ’94년 국산화하였으며, 해당 기술을 발전시켜 현재 사용되는 하이패스 시스템 구축 및 무정차 스마트 통행료 징수 시스템을 개발 및 상용화하는 데 기여함. 해당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주력 수출 품목으로 전체 수출 의70%를차지하고있음. 2004년 경부고속철도 KTX 신호 시스템 사업에 참여하여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수도 권 고속철도, SRT 사업등의참여경험을바탕으로스페인, 프랑스등의철도사업에참 여함과더불어미국 워싱턴 역무 자동화 설계시스템 구축사업을 수주하는 등, 해당 수 출분야를개척하는데기여함.(2019년수출프론티어기업인증, 산업통상자원부) 최근 3년 수출실적은 2020년 4.3백만불, 2021년 9.5백만불, 2022년 30백만불 순으로 급속 성장하였으며, 2023년 4월 샌프란시스코 철도역무자동화 시스템 수주(향후 5년간 총610억원규모)를통해향후수출실적확보에기여함. 방글라데시 도로/교통 시스템 수주를 통해(약 454억원 규모) 서남아와 동남아의 추 가 시장진출에기여함. 수출의핵심기술인시스템구축및설계, 개발을위해연구인력중심의인력구조(근무 인원 중 23% 비중)를 유지 중이며, UAM 등의 신규 모빌리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선제적인투자를진행,국가교통인프라기술발전에기여함. - 90 - 11. 양국석(梁國錫) 동탑 /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대표이사 ▲수출품목:산업기계부품 ▲수출실적:8천만불 ▲담당자:김현지(☎061-760-7152) 공적내용 상기인은 제철/철강/단조 분야에 약 27년간 종사하며 설비투자와 R&D를 통해 원가 절감 및 기술경쟁력 제고를 통한 수출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매출 및 수출증대에기여함. 단조 사업의 특이성을 장점화하고 다양한 산업군의 수출을 목표로 하기 위해 현대제철로부터 분사 결정을 주도하였고, 이후 지속적인 수출 성장을 통해 국내외 산업군의요구에부응하는탁월한제품을공급하는데기여함. 수출실적의 경우 2020년35백만불, 2021년 62백만불, 2022년 82백만불 순으로 최근 3년 간꾸준히성장하는데기여함. 주력 사업 분야인 조선·엔진 분야와 관련하여 국내 대형 선박 건조회사와의 거래로 선 박건조지원을통해수출에간접적으로기여함. 지속적인 기술개발, 품질개선, 원가 개선을 통해 최근 3개년 동안 2020년 2,379억 -> 2021년3,499억원->2022년4,889억원으로매출증가를달성하는데기여함. 불법파견 문제의 결과 회사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TF를 구성하였고, 그 결과로 협력사 인력을 직영으로 채용하는 단호한 조치를 하여 그동안 직영과 협 력사간심리적거리와소통의문제를해소하여합리적인운영에기여함. - 91 - 12. 이인우(李仁雨) 동탑 / 한국진공(주) 대표이사 ▲수출품목:진공펌프·압축기 ▲수출실적:1억불 ▲담당자:배재숙(☎053-591-7720) 공적내용 상기인은 1998년 경제위기로 부도에 이른 한국대아진공을 전 직원들과 공동 출자를 주도, 한국진공주식회사를 설립하고 기술 투자와 적극적인 수출을 통해 연간 매출 1,250억원의기업으로성장시켜국가경제발전에기여함. 설립 초기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외 학술 및 연구단체와 협업하여 선진 진공 기술개발에 전력하였고, 동남아 시장을 시작으로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에 기 여함.(2002년산업포장) 모바일 외관 증착용 및 자동차 램프용 코팅 설비의 국산화에 성공하고, 일본 수입에 의존하던 모바일용 이차전지 건조 장치(Vacuum Dryer)를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 하여수입대체효과를통한국가경제발전에기여함. 주요수출국이었던 중국에국한되지 않고10여년 전부터유럽시장 수출확대를 노력 하였으며, 5년 전부터 이차전지 생산설비 수요를 예측하고 미국 시장진출에 노력한 결과, 최근 3년간 높은 수출 성장을 기록함. 2007년(이차전지 수출 이전) 495억원이던 매출은2022년1,249억원으로약2.5배성장함. 최근 3년 수출실적이 2020년 34백만불, 2021년 46백만불로 성장하고, 2023년 1억불을 기록,전년대비117%증가하는데기여함. 현 주요 수출 품목인 이차전지 관련 Vacuum Dryer 설비는 독보적인 기술로 국내 대기업은물론 글로벌이차전지생산업체에공급중임. 2020년전체 매출중수출의 비 중이 10%에서 2023년 30%까지 증가하였으며, 금년 내 50%를 초과하여 외화 가득에 기여할것임. - 92 - 13. 서성남(徐成南) 동탑 / 케이넷(주) 대표이사 ▲수출품목:통신케이블 ▲수출실적:7천만불 ▲담당자:서일기(☎02-2063-5413) 공적내용 상기인은 기업 설립 후, 광통신망 구축에 필수적인 고효율의 Microduct(마이크로관) 및 관류, 토탈 솔루션의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세계의 일류기업들과 함께 경쟁할 수있는기술경쟁력을확보하고이를바탕으로수출증대에기여함. 단순 제품 수출이 아닌 엔지니어링 바탕의 컨설팅 영업을 토대로 바이어에게 가장 경제적인수출을지원하며수출시장다양화(69개국)및실적상승에기여함. 전년대비당해연도수출은140%상승, 2020년19.3백만불→2021년27.9백만불→2022년 67.1백만불로 성장하였고, 매출은 2022년 450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에만 555억원을 달성하는데기여함. 2022년 수출/매출 비중 95.1%에서 2023년도 상반기 98.9%를 달성하며 수출 비중 확대 달성에기여함. 해외수출에 초점을두며 세계선두기업들과 경쟁하고자글로벌 시스템 인증확보를 위 해 노력한결과, 특허 15건 및실용신안 5건을 등록함. 글로벌 시스템 인증인ISO9001, ISO 14001, TL9000을 매해 획득하였고, 해외 UL과 Telcordia 인증을 취득하여 글로벌 경쟁력강화에기여함.(글로벌강소기업2회선정) 생산라인 확대 및 신성장산업에 부합하는 생산설비 구축을 통해 하루 컨테이너 출고량이 기존 하루 5~6대 수준에서 총 8대의 컨테이너로 60% 상승, 2022년 기존 노후 생산설비들을 교체하여 관련 생산능력이 투자 전 617,760km에서 1,166,400km로 약1.88배증가하는데기여함. - 93 - 14. 김원영(金沅永) 동탑 / (주) 포스코인터내셔널 상무보 ▲수출품목:종합무역업 ▲수출실적:95억불 ▲담당자:박용석(☎02-759-3080) 공적내용 상기인은 철강 제품의 글로벌 시장개척 및 판매 확대를 통해 수출 증대에 기여하였 고,풍력에너지관련수요를예측하여신재생에너지용강재수출시장발굴에기여함. 해외 조선소, 산업기계 제작사, 단압밀, 유통 등, 다양한 고객사를 개발하여 한국산 철강 제품시장을 개척하였고, 철강 본부의 전략 수립을 통하여 전반적인 한국산 철강 제품판매및수출확대에기여함. 단순스테인리스철강제품수출을고부가가치제품인탄소철강제품사업및이차전지 사업의 핵심 소재인 동박, 동 스크랩 사업 / 식량 자원 사업 / 화학 원료 사업 등으로 전환하는데주도적인역할을수행한결과, 2022년연간매출38조원으로사상최대실적 을달성하는데기여함. 친환경 에너지 시장의 선제적 분석을 통해 포스코産 및 한국産 풍력용 강재 수출의 신시장 개척에 기여하였으며, 풍력 부문 실적은 2022년 매출액 4,835억, 영업이익 89억 이며, 2023년 상반기 매출액은 3,381억, 영업이익은 142억을 달성함. 수출실적의 경우 최근3년간 2020년68억불, 2021년99억불, 2022년95억불로성장하는 데 기여함. 2023년 3월, 글로벌 풍력 터빈 제작사 Nordex 社와 2023년 상반기 40천톤, 하반기 풍 력타워제작용후판50천톤에대한장기공급계약체결에기여함. 풍력용 후판의 안정적인 장기 공급을 통해 풍력타워 생산 국내 중소기업이 세계 풍력 타워시장점유율1위를달성할수있도록기여함. - 94 - 15. 문안용(文顔龍) 동탑 / 에이치에스엠(주) 대표이사 ▲수출품목:산업용기계 ▲수출실적:8백만불 ▲담당자:문희(☎031-984-0295) 공적내용 상기인은 45년간 기계 및 부품 수리/제작 분야에 수공하며 꾸준한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수입 기계를 대체하고, 아시아 시장으로의 수출을 통해 국가경제발전에기여함. 국내 압출 라미네이팅 기계 분야는 고가의 수입 제품과 열악한 국산 기계로 양분화됨. 이를 타개하고자 라미네이팅 기계의 주요 수출 부품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 국가 경제 발전에기여함. 라미네이팅 기계는 바이어의 개별 요구를 맞추기 위해 주문생산으로 제작되는 특성상 까다로운 요구와 납기일 단축이 수출계약 성사의 쟁점임을 파악하고, 3D 입체 설계 방식을 도입하여 시제품을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주요 수출품의 납기일을 단축시 키는 데 성공하였고, 이를 통해 라미네이팅 라인 5개를 14개월 이내에 완성하여 수출 하는데기여함. 인도네시아 바이어와 20년간 거래하며 쌓인 신뢰를 바탕으로 말레이시아 및 기타 동남아시아 국가로의 수출을 확대 중이며, 2020년 10만불 수준의 수출이 2022년 8.3백만 불로급상승하며수출기업으로변신하는데기여함. - 95 - 16. 임건순(任健淳) 동탑 / 삼성물산(주) 그룹장 ▲수출품목:종합무역·유통업 ▲수출실적:39억불 ▲담당자:박정민(☎02-2145-2758) 공적내용 상기인은 삼성물산에 32년간 재직하며 종합 무역 영업을 담당, 국내산 반도체 설비 및철강제품의고부가가치화를통해구주및중동수출확대에크게기여함. 국산 철강 제품의 수출 및 삼국 간 영업을 담당하여 열연류 제품의 수출 규모가 전 년도 303천톤(3,965억원)에서 당해년도 489천톤(4,846억원)으로 162% 증가하는 데 기 여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른 유럽 Mill의 경쟁력 약화로 인한 유럽 소재 고객들의 역외지역 소싱 확대 움직임을 포착하여 신규 고객을 적극 발굴하였고, 유럽-미국의 세이프가드 쿼터를 활용하여 고가의 한국산 철강 제품의 수출 확대에 기여함. 이란의 원화 결제 시스템 같이 제한적인 영업환경에서 본인의 철강 영업뿐만 아니라 화학,선박/병원등의대형프로젝트수주영업에도기여함. 국산 철강 제품의 동서남아, 구주, 아중동 및미주지역 수출 영업을 확대하였으며, 특히 전기강판 수출 영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스터디 그룹을 구성, 담당자별 주요 수출국의시장조사및현지출장을통해판매시장을확대하는데크게기여함. 포스코, 대양금속의 스테인리스 제품을프랑스와 유럽 고객사 대상 판매하였으며, 국내 중견기업이생산한자동차알로이휠제품을프랑스자동차부품유통업체에게판매하는 데기여함. - 96 - 17. 박영근(朴泳謹) 동탑 / 엑셀리스코리아(주) 사장 ▲수출품목:반도체부품 ▲수출실적:1억불 ▲담당자:김휘철(☎031-695-8700) 공적내용 상기인은 국내 반도체 제조의필수 부품인 이온주입기를공급하는 반도체 장비회사에 근무하며 미국 본사로부터 국내 생산 시설 투자 결정을 주도, 일자리 창출 및 수출에 기여함. 1980년대부터 반도체 부품의 공급 및 서비스를 위해 국내에 지사를 운영 중이던 엑셀리 스본사(美보스턴)를설득,국내생산시설투자(570만불규모)에기여함. 국내 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에 최신 사양의 반도체 장비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반 도체산업 발전에기여함과 더불어해외로직접 수출을병행하여국가 경제발전에 기 여함. 생산설비 완료에 따라 매출은 2021년 679억원에서 2022년 2,196억원으로, 고용인원은 104명에서145명으로증가하며경제발전및일자리창출에기여함. 중국, 대만, 일본 등의 시장을 개척하여 2020년 15백만불이던 수출실적은 2022년 1.7억 불로크게성장하는데기여함. 국내업체들과의 동반성장을 위해 글로벌 수준의 품질관리시스템에 기반한 각종 스펙과 시스템을20여 개의국내 업체육성에활용하고 이를통해중장기적인 부품국산화 및 핵심경쟁력강화에기여함. 국내 소싱 및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여 2021년 약 20억원의 국내소싱실적이 2023년 상반기에만190억원으로성장하는데기여함. - 97 - 18. 이상훈(李相勳) 동탑 / 동광무역상사(주) 대표이사 ▲수출품목:종합무역·유통업 ▲수출실적:2천만불 ▲담당자:조현동(☎051-255-7428) 공적내용 상기인은창사 후신시장개척 전문무역상사로30년간 약3억불을 수출함과더불어 카 자흐명예영사로서한국의22년도카자흐수출115%증가에기여함. 1990년대 신시장인 러시아를 중심으로 시장을 개척하며 자동차 필터 및 윤활유(일본 라이센스 브랜드 미쓰비시, ENEOS)를 수출함. 1994년 수출실적 72,357불을 시작으로 28년간 매년꾸준히 수출을성장시켜 2023년약 27백만불의 수출실적을달성하며 국가 경제발전에기여함. 지속적인 해외 마케팅과 영업 현지화 활동을 통해 매년 약 15%의 수출액 증가를 기록 중으로, 최근 3년간 2020년 14백만불, 2021년 18백만불, 2022년 27백만불 수출을 달성함. 러-우 사태로 어려워진 자동차 윤활유 수출 판로를 타개하기 위해 기존 일본 라이센스 제품 대신 국내 협력사와 국산 윤활유 및 브랜드를 개발하여 수출함으로써 해외 라이센스비용절감에기여함. 전문무역상사제도를 건의하여 현재 한국무역협회에서 운영하는 전문무역상사제도가 2010년 정식으로 발족하도록 기여하였고, 부산의 50여 개 사로 구성된 부산 전문무역 상사협의회를구성하여국내내수기업의수출지원에기여함. 한-러 정상회담 시 경제사절단 참여(2004년)하는 등, 러시아와 CIS 시장개척을 선도한 바를 인정받아 2021년 10월 주한카자흐스탄 명예 영사로 임명되어 양국의 민간외교 및 경제교류에 기여함. - 98 - 19. 김주선(金柱善) 동탑 / 에스케이하이닉스(주) 부사장 ▲수출품목:반도체 ▲수출실적:188억불 ▲담당자:김세형(☎031-8093-4643) 공적내용 상기인은 최근 메모리 반도체의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기술경쟁력 기반 제품을 통한 시장/수출경쟁력강화에기여하였고,시장점유율과매출확대에기여함. 약 33년간 국내 반도체의 세계시장 개척에 매진하여 국내 전자산업의 글로벌 위상을 대폭 강화하는 데 이바지하였으며, 정확한 시장 분석과 고객 발굴을 통해 HBM 및 고용량DDR5 제품이 2023년 상반기 압도적인 세계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는 데 기여 함. ‘AI용 DRAM은 SK hynix’라는 시장 내 인식 각인을 통한 국내 반도체 산업의 가치를 격상시키는데기여함. 전략거래처와장기공급계약체결을통해안정적인사업모델구축과수출확대에기여 함. 특히, 주요 고객인 Microsoft를 대상으로 2021년 35억불에서 2022년 50억불로 매출 을 확대하였고, nVidia 대상으로는 2021년 매출 8억불에서 2022년 매출 11억불로 매출 증대시키며수출확대에기여함. 2022년의IT공급망내전반적인재고일수증가와전방위수요경색의미증유사태에 도 불구하고 적기 시장 대응 전략 수립을 통해 메모리 제품의 매출 ’22년 300억 불 달 성및시장점유율20%대수성에기여함. 최신 AI 서버 요구 조건에 부합하는 메모리인 HBM과 128GB 이상 DDR5 제품을 조기 개발,압도적인시장점유율1위를달성하고,국내기술력이AI기술을선도하는데기여함. 세계 최초 HKMG를 적용하여 업계 최고의 사양인 CP LPDDR5X Mobile 제품의 적극적인 판매 확대로 ’23년 상반기 중국 내 모바일 반도체 시장점유율(42%) 1위를 달성하는데기여함. - 99 - 20. 손미카엘(孫미카엘) 철탑 / 삼성SDI 부사장 ▲수출품목:이차전지 ▲수출실적:60억불 ▲담당자:이희엽(☎010-4515-5393) 공적내용 상기인은 수주 확대와 주요 고객과의 조인트벤처 체결을 통해 매출 확대, 수출 성장, 국가경제발전,K배터리위상제고에기여함. xEV 및 ESS 배터리 매출실적을 2020년 대비, 2022년에는 두 배에 가까운 193% 규 모로 성장하는 데 이바지하였으며, 자동차용 배터리 수주를 지속 확보함으로써 미래 의안정적인성장기반을마련하는데이바지함. GM/Volvo 등의신규 고객발굴을 주도하여 비즈니스포트폴리오를 확대함은 물론, 주 요 고객과의 J/V 설립을 주도하여 미국 자동차 배터리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교두보 를 마련하는 데 기여함. 이에 따라 당해년도 수출실적은 지지난해 대비 120% 성장 하여(2020년50.6억불대비당해년도60.7억불)국가경제발전에기여함. 수출 위주의 에너지 부문 2022년 매출은 17.6조원으로 2020년 8.7조원 대비 2배 이상 급성장하여국가경제발전에기여함. 탁월한 시장 예측 및 전략적인 기획력을 바탕으로 이차전지 수주 확대를 통한 매출 성장에 기여한바 있으며, 최근의 실적 발표에서도’23년2분기기준 역대 최대매출을 기록하는 것과 동시에 4분기 연속 매출액 5조원을 돌파함으로써 K배터리 성장을 견인 하는데기여함. - 100 - 21. 문성미(文聖美) 철탑 / 세아상역(주) 대표이사 ▲수출품목:의류 ▲수출실적:12억불 ▲담당자:박현수(☎02-2019-8172) 공적내용 상기인은 글로벌 의류기업의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전략적인 영업활동을 전개한 결 과, 회사의성장을성공적으로견인하며수출신장을통한국가경쟁력제고에기여함. 해외바이어의주문을통한주문자제작방식(OEM)만을고수해오던방식을탈피하여 의류수출업계 최초로 디자인팀, R&D팀, Technical Design팀을 설립하여 디자인 및 초기 기획 단계부터 제품을 제작하는 생산자 제작 방식(ODM) 시스템을 정립하는 데 이바지함. 의류제조산업의수직계열화(원사-원단-봉제생산시스템)를달성하며글로벌섬유업계의 리더로 확고한 위치를 다지며 자사 수출경쟁력을 높임과 동시에 국내 의류 제조/수출 업계의동반성장에기여함. 상기인은 수공기간 중 세계적인 의류 브랜드 및 유통업체들을 담당하며 매출 증대 및 사업확장의 기회를 마련하였고, 세아상역만의 전략적인 영업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끌 어내며거래처중한곳인TARGET의경우2019년3억9천불에서2021년6억1천불까 지매출을성장시키는등, 코로나팬데믹으로 인한세계적인 경기침체 속에서도3년간 약156%의매출신장을기록하는성과를이루는데크게이바지함. 저가형브랜드를런칭하는바이어의신규니즈에맞추어수익성을높일수있는소싱을 선제적으로 제안함과 더불어 생산기간의 적극적인 단축과 생산 시설을 전략적으로 활 용하여3년연속12억불수출달성에기여함. 2014년에는 아이티에 KOICA와 함께 세아학교를 설립하여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아이티 최고의종합학교로 성장시킴과 함께 급식을무상으로제공하고있으며, 태권도 와 한글을정식교육과정으로채택해한류문화를전파하는데기여함. - 101 - 22. 홍수식(洪守植) 철탑 / (주)보명금속 대표 ▲수출품목:조선기자재 ▲수출실적:2천만불 ▲담당자:홍무진(☎051-266-4101) 공적내용 상기인은 1994년 창사 이래 국내 중공업 3사에 20여 년간 조선기자재를 납품하며 누 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10년부터 적극적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몰두한 결과, 현재 20 여개국가에조선기자재를수출하여국가경제발전에기여함. 지속적인 수출 노력을 바탕으로 2014년 3백만불, 2019년 1천만불, 2022년 2천만불 수출을달성하여수출증진에기여함. 기존 미국 제조사가 독점하던 美 해군 사양 제품을 자체 기술로 3년 만에 개발하여 2018년 첫 수출의 성과를 달성함. 미국 국적의 조선소에 동종업계 최초로 한국산 제품 을 납품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미국 조선소에 다른 한국 부품업체들이 진출하는 데 기 여함. 美 해군 납품을 계기로 다양한 국내외 해양 프로젝트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2022년 對美 수출 500만불에 이어 2023년 상반기에만 477만불 성과를 달성,對美수출확대에기여함. 공격적인 해외 진출과 시장다변화를 위해 노력한 결과, 2015년 기준 9개국에 불과 했던 수출국은 2022년 캐나다, 이탈리아, 베트남, 카타르, 오만, 인도 등, 20개 국 가로 확대됨. - 102 - 23. 김운회(金雲會) 철탑 / 한화솔루션(주) 상무 ▲수출품목:태양광·합성수지 ▲수출실적:34억불 ▲담당자:김진택(☎02-729-2612) 공적내용 상기인은 국내 최초, 세계 2번째로 XDI 상업화에 성공하여 국내 소재 개발산업의 경쟁력을높이고시장확대및신사업개발을통해수출에기여함. 생산/판매/신사업/ESG 등의 분야와 국내외 사업장 근무 중 2022년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된 Eco-DEHCH(에코데치, 친환경가소제), CPVC(염소화 폴리염화비닐), CP/TP, (코폴리머/터폴리머)총3개품목의수출을통해글로벌시장에서선전에기여함. 최근 3년 수출실적이 2020년 19.7억불 → 2021년 24억불 → 2022년 31.2억불로 지 속성장하는데기여함. 아프리카, 중남미를 포함한 세계 100여 개 이상의 수출국 다변화를 도모하여 수출시장 확대에기여하였음.또한,다이소시아네이트(TDI)생산량중80%이상을매년수출하여 국가 외환 가득과 수출 증대에 기여함. 2020년 78,703톤 수출(전체 판매량 95,886톤), 2021년94,131톤수출(전체판매량110,874톤),2022년76,334톤수출(전체판매량91,279톤) 일본의 수출 규제로 당면한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난관을 근본적으로 타개하기 위해 국가 주도 소부장 육성 사업에 적극 동참, 세계에서 두 번째, 국내 최초 고굴절 렌즈 원료인 XDI(Xylylene diisocyante)를 자체 기술로 상업화에 성공함. 2022년부터 생산 시설을전면가동하여생산량의98%를수출함으로써수출증가에기여함.(수출량증가 2021년212톤→2022년918톤) 세계 3개 기업만이 생산할 수 있는 크레졸(화학물질)을 개발, 미래산업인 헬스케어 소재 및 케미칼, 고기능/복합소재, 친환경 소재 등의 성장사업 영역을 타겟으로 상업화 준비,소재수출경쟁력강화에기여함. - 103 - 24. 이승범(李承範) 철탑 / (주)흥아기연 부장 ▲수출품목:자동포장기계 ▲수출실적:2천만불 ▲담당자:강동운(☎032-680-7514) 공적내용 상기인은 30년간 제약 포장 기계 제작과 수출에 수공하며, 70개국 800여 고객에 포 장기계를납품하여수출을증대시키며2021년5천만불수출을달성하는데기여함. 자사 최초 Cartoner(자동포장기기 부품)인 HANA 120을 개발하여 제약 포장 기계의 Line-up(기계 완성품) 판매 및 수출이 가능하도록 기여하였고, 이후 독자 모델 단속, 중속,고속제약포장기계를연속으로개발하여매출및수출증대에기여함. HC400Cartoner개발당시, 해외기업들의특허를피하고독자적인성형장치를개발하여 특허를등록(제10-1245602호)함으로써이후수출의기틀을마련하는데기여함. 바이오 후방산업인 부품/장비 분야의 기술 개발을 주도하여, 글로벌 품질 수준을 달성하고제약설비의수입을대체하는데기여함. 국내 메이저 제약회사에서 사용하는 제약용 블리스터와 카톤 기계를 개발 및 제작 납품하여 수입품 대비 제약회사들의 비용을 절감하고 의약품 수출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기여함. 세계적 제약회사인 노바티스, 사노피, 화이자, 글락소 등, 70개국 800업체에 제약 포장 기계를수출하여2020년5천만불,2021년2천8백만불수출을달성하는데기여함. - 104 - 25. 남정도(南廷道) 철탑 / (주)하나금속 전무 ▲수출품목:압연·압출제조 ▲수출실적:3천만불 ▲담당자:정영훈(☎032-812-3061) 공적내용 상기인은해외시장개척및최근말레이시아동박공장전기플랜트공사계약을성공적으 로성사시켜무역역조개선및비철금속분야의성장에기여함. 신소재 개발과 전기 플랜트 공사 업무를 총괄하여 특히 SKC 자회사 SK NEXILIS 2차 전지용 동박 생산 공장 증설을 위한 말레이시아 동박 공장 전기 플랜트 공사를 지휘하였고, 해당 공사를 통해 당사 제품 품질과 기술력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폴란드 공장공사계약수주도성공하는등, 2022년매출액으로전년대비51%증가한1,224억원 을달성하는데기여함. 총 18건의 특허와 실용신안을 등록하고 ISO 14001, ISO 9001 인증 취득을 주도했으며, 국내제련시장에서발생하는생산성저하와수명단축문제를해결하기위해콘택트바 개발에 성공하는 등, 기술력 향상을 통해 ㈜하나금속이 우수기술 개발업체로 인정 받고 일등상품화지원사업에선정되는데기여함. 공정 자동화 및 분석 시스템 개선을 통해 원가 절감과 품질 향상을 추진하여 2021년 부적합 발생 건수와 원가를 각각 2011년 대비 70%, 64% 절감함으로써 고품질과 합리 적인 가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고객사들의 주거래처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추 적인역할을함. 주력 상품인 동판/동부스바 판매 증가로 국내 시장 점유율을 높였으며, 대용량 동 부스바와구리전해정련용음극판국산화에성공함. - 105 - 26. 김선(金璿) 철탑 / 현대삼호중공업(주) 직장 ▲수출품목:선박건조·부품 ▲수출실적:31억불 ▲담당자:김혜창(☎061-460-3540) 공적내용 상기인은 약 26년 7개월간 선박 건조에 필요한 용접 기술 연구와 LNG 운반선 화물창공사분야에종사하며조선·해양산업의경쟁력향상과국가발전에기여함. 현대삼호중공업 최초로 LNG 운반선 건조에 참여, 화물창 건조 기술 기획 및 맞춤형 건조 공법을 수립한 결과, 현재는 연 8척의 LNG 운반선 건조 체제를 확고하게 구축 하는데기여함. 선박용 용접 기술 연구자로서 선박 및 해양 구조물에 대한 용접기술 개발, 용접 자동 화,특수용접사교육을통하여생산관리체계를발전시키고LNG운반선건조및수출 에 기여하였으며, 일반 상선 및 FPSO 해상설비의 용접 기술도 개발하여 성공적인 수 주및납품에기여함. 화물창 보온(CCS) 공기 준수, 화물창 공사 No Leak 연속 달성, 멤브레인시트 피해 최소화등,화물창공사의부서장으로핵심적인역할을수행함. ‘한국형 화물창’ 도입과 관련, 기존 프랑스 GTT사에 의존하던 CCS 공사 기술력을 국내 순수 기술로 대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중으로, 글로벌 LNG 운반선의 독보적우위점위및가격경쟁력확보에기여함. - 106 - 27. 신경영(申景榮) 철탑 / 한국알프스(주) 책임매니저 ▲수출품목:전자기기부품 ▲수출실적:10억불 ▲담당자:윤인근(☎062-950-2387) 공적내용 상기인은 30년간 차재전장품(Automotive Electronics), 통신관련품(Communication), 입력장치(Input device), 컴포넌트(Components) 등의 전자부품산업을 주력으로 우리 생활과 밀접한 생활기기들의 핵심부품을 개발/생산하여 수출을 통한 지역 발전과 성장 에기여함. 상기인은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관리 담당 업무를 수행하며 작업장의 위험요소 제거를 통한근로자안전및안정적인근무조건조성을달성하는데이바지함. 기존 R&D 센터 증축(100억 투자) 관련 해외자금조달과 해외 신제품에 대한 원가 개선 을통하여수출품의생산성향상에기여함. 국내수출용차량의신제품라인구축에참여하는등, 10억불수출실적에기여함. 생산 계획 부문 팀의 국내담당(수출)으로서 생산과정 개선 활동 프로젝트에 참가하 여 과제사항을발굴및해결하여원가경쟁력을확보함과함께매출증대에기여함. 신제품라인구축으로수출증대에기여함. -2020년:마츠다외20건(매출증대:59억원/년) -2021년:볼보외13건(매출증대:100억원/년) -2022년:마츠다2개라인구축(예상매출:약120억원/년) - 107 - 28. 신옥주(申沃周) 철탑 / 태광후지킨(주) 반장 ▲수출품목:가스공급장치부품 ▲수출실적:3억불 ▲담당자:신승연(☎051-970-6748) 공적내용 상기인은 반도체용 전해연마 최초 국산화 기술을 통해 초 청정 제품군 국산화 및 수출실적3억불을달성하여국가산업발전에기여함. 전략 수입에 의존하던 전해연마(Electro-Polished)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반 도체 부품 소재 국산화의 첫 발자국을 떼는 데 기여하였고, 이후 UHP(Ultra High Purity products) 부문의 Valve, Regulator, Gas Filter, MGC 등을 차례로 국산화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해당 기술의집약체로 불리는 IGS(Integrated Gas System)의 국산화 까지성공하여수입을대체하는데기여함. 생산라인 구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품질 문제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생산현장의 표준화 및 품질안정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입사 초기 10명 남짓의 생산현장직원 중 1인으로반도체생산라인의초기국산화에직접적으로기여함. 반도체 장비업계의 바이어가 요구하는 품질 기준검사를 통과함으로써 세계 1위 AMAT, 2위 사인 LAM, 그리고 일본 장비 업체 TEL, HIKE에 반도체 및 LCD 공정 장비에소요되는부품및기계모듈을공급하여2022년3억불수출달성에기여함. 현재 세계 20여 개국, 100여 개 고객사에 수출을 진행하고 있으며, 매년 200억 원 이상 의수출증가를주도하고있음. - 108 - 29. 박진식(朴鎭植) 석탑 / 한국무역보험공사 본부장 ▲수출품목:- ▲수출실적:- ▲담당자:전인수(☎02-399-5304) 공적내용 상기인은 29년간 무역보험 업무에 종사하면서 무역과 해외투자 촉진을 통한 국가경 쟁력강화에기여함. 보험·보증 인수심사, 보상, 신용조사 등, 무역보험 실무 경험을 지닌 무역보험 전문가로 서장기간효율적이고안정적인무역보험운영에크게기여함. 수출금융 지원을 위한 최후의 보루로서 보증기관의 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인수심사위원회의 중장기성 금융 종목 심사를 강화하고, 사전보고 양식 표준화 및 보고시기명확화를통해사전리스크리뷰기능을강화하는데기여함. 혁신성장 특례인수위원회 운영을 통하여 혁신성장기업, 수출초보기업, 수출급증기업, ESG 우수기업에 대한 특별지원을 활성화함으로써 수출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수출지원을 대폭강화하는데기여함. -특별지원실적:(’21)15건/258억원→(’22)17건/377억원(금액기준46.2%증가) - 특별지원 대상종목 및 대상기업 확대 : (’22.3월) 매입보증(1개사/98억원), ESG 우수 기업(2개사/40억원) 전국 18개 영업망을 통한 지역 수출 활성화 경험 및 역량을 바탕으로 ESG 기업 우대 등의정책금융지원을강화하여지역주력산업을적극육성함. (지역中企수출및해외진출지원확대:(’21)23.8조원→(’22)28.2조원(18.5%↑)) - 109 - 30. 김병유(金炳猷) 석탑 / (사)한국무역협회본부장 ▲수출품목:- ▲수출실적:- ▲담당자:김현수(☎02-6000-5084) 공적내용 상기인은 약 32년간 중소 수출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한중 통상협력 구축, 수출입 동향 및 대내외 무역환경 분석 연구, 청년 무역인력 양성 등에 힘썼으며, 수출중소기업 규제애로 및 금융 애로 타개, 무역현장 상담 지원 등의 활동을 통해 중소 수출기업의 해외진출지원에기여함. 지역별·업종별·조합별 수출기업애로간담회를 연중 수시로 개최하여이를통해도출한 제도개선 과제 200여 건을 산업부 및 원스탑수출지원센터, 국무조정실 등에 건의하여 수출기업과정부와의애로타개소통에기여함. 무역진흥자금의 이자율 인하, 이차재원을 활용한 긴급융자사업 등을 도입하여 중소 수출기업의 금융애로를 타개하고, 무역지원기관 최초로 디지털 무역상담 플랫폼 (TradePro)을구축하여채팅과 화상을통해중소 수출기업을위한무역 인프라개선에 공헌함. 최신 대내외 수출입 여건을 둘러싼 글로벌 동향 및 전망에 대한 정보를 적시에 기업들에게제공함으로써수출기업의글로벌역량강화를지원하였으며, ‘2030 무역비전’, ‘우리수출의선진국화지수’보고서등의작성을통해우리수출구조의고도화에기여함. 수출입관리분야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의 최초 개발작업에 참여하여 무역업을 독립 직업군으로 편성하는데 기여하였으며, GTEP, 글로벌청년무역인턴 등의 청년무역인력 대상 교육과정 운영, 특성화고등학생 및 대학생 무역캠프 운영을 통해 무역관심도 제 고및무역저변확대를위한노력을지속함. - 110 - 31. 김윤태(金潤泰) 석탑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 ▲수출품목:- ▲수출실적:- ▲담당자:송희원(☎02-3460-7039) 공적내용 상기인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으로서 복합위기 극복을 위한 수출 총력 지 원,디지털무역기반조성등에기여함. 2022년하반기우리기업의수출감소대응총력지원을위해‘수출더하기비상대책반’을 구성하고 반장으로서 사업을 진두지휘함. 러-우 사태로 인한 원자재 가격 급증,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봉쇄 등, 해외 복합 이슈 발생에 따른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애 로가 증가함에 따라 전사적 역량을 결집, 총력 대응하여 약 157억 달러의 수출 창출에 기여함. 우리 기업의 수출 감소, 물류 대란 등의 애로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테스크 포스를 구축하고집중사업을기획및주도함.(2022년중소중견기업8,682개사지원) 풍부한 공급망 이슈 대응 경험과 해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2023년 6월 소부장 특별법 개정에 따른 공급망 안정화 총괄기관으로 지정되어 기관 내 ‘소부장산업 공급망센터’를 설치함. 이를 기반으로 공급망 관련 정보수집 및 위기 징조 식별, 대체 수입처 발굴, 공급망지원데스크운영등, 우리산업의공급망안정화를위한주요역할을수행함. 다년간의 해외 무역관 근무 기간 중, 유럽지역 진출을 위한 중소중견기업의 해외마케 팅 지원사업을 강화하고, 미주지역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기업의 바이어 발굴 및 한국으 로의투자진출을희망하는투자자를발굴하여국내경제발전에기여함. - 111 - 32. 정동호(鄭東昊) 석탑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처장 ▲수출품목:- ▲수출실적:- ▲담당자:강규원(☎055-751-9332) 공적내용 상기인은 약 30년간 수출지원기관에 재직 중이며, 글로벌사업처, 수출마케팅사업 처, 베이징 수출인큐베이터 등, 중소기업 해외진출지원 사업부서 근무를 통해 중소 기업 수출지원 성과 창출에 기여함. 수출액 1,000만불 이상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강소+’ 트랙을 신설하여 바우처 한도 를 1.2억원까지 확대 지원하였고, 시중은행과 정책금융기관의 금융 우대, 해외마케 팅 사업선정 우대 등의 패키지 지원을 통해 수출혁신 성과 창출을 유도함. 중진공 정책자금 운용의 효율화를 위해 수출금융과 수출사업화 통합 및 시설자금 지원을 추가하였으며, 2023년 기금운용계획 변경을 통한 수출기업 글로벌화 직접융자 1,500억원 증액으로 수출유망기업의 글로벌화 및 수출 위기 극복에 기여함. 수출바우처사업을 기획 및 수행하여 신규사업의 안정적인 정착 및 사업확대를 이끌 어 중진공 대표 수출지원사업으로 자리매김하였고, 국정과제 달성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내수기업 수출 기업화 사업을 추진한 바를 인정받아 2017년 12월 중소벤처 기업부장관 표창을 수상함. 최근 3高(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리스크 등의 복합위기 장기화 대응을 위한 중소기 업 수출지원체계 고도화를 위해 수출바우처 무역보험 서비스 신설, 수출국·수출품 다 변화 지원 확대, 물류바우처 사업 정규화 및 물류비 지원 확대, 중소기업 전용 물 류센터 신설, 수출금융 이차보전 신설, 수출중소기업 투자유치 연계 등을 통해 글 로벌 불확실성에 대한 선제 대응을 추진함. - 112 - 수출의 탑 수상업체 공적내용 - 109 - 1.300억불탑현대자동차(주)····················································································112 2.200억불탑기아주식회사·····················································································113 3.100억불탑엘지이노텍(주)····················································································114 4.60억불탑삼성에스디아이(주)··············································································115 5.40억불탑(주)엘앤에프··························································································116 6.30억불탑(주)에코프로비엠··················································································117 7.30억불탑SK인천석유화학(주)············································································118 8.30억불탑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119 9.20억불탑(주)에코프로이엠··················································································120 10.10억불탑(주)경신··································································································121 11.10억불탑에스엘(주)······························································································122 12.10억불탑케이지모빌리티주식회사···································································123 13.10억불탑(주)포스코퓨처엠··················································································124 14.10억불탑한국알프스(주)······················································································125 15.10억불탑현대로템주식회사···············································································126 16.8억불탑도레이첨단소재주식회사·····································································127 17.7억불탑(유)스태츠칩팩코리아············································································128 18.7억불탑(주)세아제강····························································································129 19.7억불탑엘에스일렉트릭(주)················································································130 20.6억불탑(주)대동····································································································131 21.6억불탑(주)피엔티································································································132 22.5억불탑(주)에코프로머티리얼즈········································································133 23.5억불탑(주)에프앤에프························································································134 24.5억불탑에드워드코리아(주)················································································135 25.5억불탑주식회사세아엠앤에스·········································································136 26.4억불탑(주)에스에이엠티····················································································137 27.4억불탑주식회사이수페타시스·········································································138 28.4억불탑주식회사디엔오토모티브·····································································139 29.4억불탑명화공업(주)····························································································140 30.4억불탑주식회사티와이엠·················································································141 31.3억불탑더블유씨피주식회사·············································································142 32.3억불탑에이치라인해운주식회사·····································································143 33.3억불탑(주)휴스틸································································································144 - 110 - 34.3억불탑태광후지킨주식회사·············································································145 35.2억불탑(주)건화····································································································146 36.2억불탑(주)엠플러스····························································································147 37.2억불탑SK바이오팜(주)······················································································148 38.2억불탑남성해운(주)····························································································149 39.2억불탑아진산업(주)····························································································150 40.2억불탑에이치엘홀딩스주식회사·····································································151 41.2억불탑이래에이엠에스주식회사·····································································152 42.2억불탑주식회사대유이피·················································································153 43.2억불탑주식회사보림·························································································154 44.2억불탑(주)휴맥스네트웍스················································································155 45.2억불탑티이엠씨(주)····························································································156 46.2억불탑한전원자력연료(주)················································································157 47.1억불탑(주)덴티움································································································158 48.1억불탑(주)디에스시····························································································159 49.1억불탑(주)디에스시동탄····················································································160 50.1억불탑(주)비츠로셀····························································································161 51.1억불탑(주)실리콘투····························································································162 52.1억불탑(주)알멕····································································································163 53.1억불탑(주)에이치알이앤아이············································································164 54.1억불탑(주)에이치엘클레무브············································································165 55.1억불탑(주)엘오티베큠························································································166 56.1억불탑(주)우원기술····························································································167 57.1억불탑(주)윤성에프앤씨····················································································168 58.1억불탑(주)일지테크····························································································169 59.1억불탑(주)텔레칩스····························································································170 60.1억불탑(주)현대엘앤씨························································································171 61.1억불탑롯데웰푸드(주)························································································172 62.1억불탑(주)부산케이블앤엔지니어링································································173 63.1억불탑산일전기(주)····························································································174 64.1억불탑성일하이메탈(주)····················································································175 65.1억불탑(주)에이치피에스피················································································176 - 111 - 66.1억불탑엑셀리스코리아(주)················································································177 67.1억불탑인팩이피엠(주)························································································178 68.1억불탑주식회사동성케미컬·············································································179 69.1억불탑주식회사스맥·························································································180 70.1억불탑주식회사코넥·························································································181 71.1억불탑주식회사코스알엑스·············································································182 72.1억불탑코오롱플라스틱(주)················································································183 73.1억불탑피아이첨단소재(주)················································································184 74.1억불탑한국진공(주)····························································································185 75.1억불탑한주라이트메탈(주)················································································186 - 112 - 1. 300억불 탑 현대자동차(주) ▲수출품목 :완성차및자동차부품 ▲수출실적 :310.2억불 ▲담 당 자 :주혁기((02-3464-2855) 공적내용 현대자동차는 1967년 설립 이후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독자적 기술력을 확보하며, 전세계자동차시장내영향력을확대하고있는글로벌자동차제조업체임. 북미, 유럽, 중국, 인도 등 주요 시장 내 판매 거점, 생산 거점, 기술연구소 및 디자인 센터를 보유하고있으며,전세계200여개국6,200여개의판매네트워크및현지생산체제를 활용하여판매역량을강화하고있음. 2022년 투싼, 아반떼, 싼타페 판매 확대와 수익성 개선을 통해 매출액 143조 원, 영업이익 9조 8,000억 원이라는 역대 최고실적을 달성했음. 유럽에서 아이오닉 5와 투싼PHEV 등친환경차중심으로판매를확대했음. 미국에서는SUV 모델과제네시스 판매호조로시장점유율5.6%를기록하며영향력을확대하고있음. 현대자동차는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경쟁력 확보에 힘쓰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개발역량강화를통해전동화패러다임전환을리드하고있음.2016년‘아이오닉’ 개발을 시작으로 2018년 소형 SUV 전기차 코나 EV를 런칭하였으며, 2020년 최초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를 적용한 브랜드 ‘IONIQ’을시장에선보이며전동화리더십을공고히해왔음. 전용전기차모델‘IONIQ 5’ 와 ‘IONIQ 6’은 각각 2022년, 2023년 ‘세계 올해의 자동차(COTY : the Car of The Year)’로선정되며글로벌시장에서상품성과안정성을인정받았음. 현대자동차는 소비자 안전을 위한 제품 품질 강화 및 안전 분야 신기술 개발에 지속 투자하며, 품질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AI 기반 품질 검증 시스템 도입, VR 활용 버츄얼 개발 프로세스 적용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적극적인 품질개선 활동을 지속하고 있음. 이를 바탕으로 제네시스는 2021년, 2022년 2년 연속 신차 품질 (IQS), 내구품질(VDS) 지표에서 프리미엄 브랜드 1위를 달성하며 최고 수준의 품질, 안전기술력을입증받았음. 현대자동차는 전통적인 완성차 제조에 그치지 않고, 미래항공 모빌리티(Advanced Air Mobility), 목적 기반 차량(Purpose Built Vehicle) 개발에 앞장서며 새로운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선도하고 있음. 2020년 자율주행 합작법인 ‘모셔널’ 설립, 로보틱스 전문기업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 2021년 미국 UAM 독립법인 ‘슈퍼널’을 설립하는등미래모빌리티경쟁력강화를위해노력함. - 113 - 2. 200억불 탑 기아 주식회사 ▲수출품목 :자동차 ▲수출실적 :234.8억불 ▲담 당 자 :김지수((02-3464-5569) 공적내용 기아는 1944년 설립되어 전 세계에 22개 판매법인, 151개 대리점, 4,642개 딜러를 가지고 있으며, 견고한 판매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연 226억 불 수출을 이룬 글로벌 완성차업체임.2023년상반기글로벌판매최대실적을경신하였으며,자동차제조회사를 넘어지속가능한모빌리티솔루션을제공하는기업으로변화하고있음. 주요 수출 품목은 친환경차를 포함한 RV(76%), 승용(20%) 및 상용 차량(4%)으로 구성되어 있음. 스포티지ᆞ, 쏘렌토 등 글로벌 전역에서 인기가 높은 RV 모델의 최대 생산 및 적기 공급을 통해 수출실적을 크게 확대하였으며, 미래 친환경차 대중화를 선도하기위해2027년까지15개전기차차종을운영하여소비자들이모든세그먼트에서 전기차 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임. 또한 고객에게 차별화된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하기위해목적기반모빌리티차량(PBV, PurposeBuiltVehicle)및서비스사업을 미래사업의한축으로삼음으로써고객중심경영체계를공고히하고있음. 품질 향상을 위해 주력한 결과 2023년 미국 J.D. 파워 내구 품질조사(VDS)에서 3년 연속 1위를 달성하며 ‘최우수 일반 브랜드상’을 받은 바 있으며, 영국 오토카 주관 ‘2023 오토카 어워즈’에서 최고의 제조사로 선정됨. 또한 기술개발 노력의 성과로 기아 최초전용전기차모델인EV6는‘2022년유럽올해의차’및‘2023년북미올해의차’로 선정되었음.향후수출지역별초고속충전소와의전략적제휴및충전사업자와파트너십 체결등전기차수출증대를위해글로벌충전인프라확대도지속할계획임. 또한나눔을통해사회에기여하고자,전세계지역에기초인프라를제공하는‘그린라이트 프로젝트’, 교통 약자들에게 차량을 지원하는 ‘초록여행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글로벌 비영리단체인 ‘오션클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해양정화와지속가능한자원순환체계를구축하는데앞장서고있음. - 114 - 3. 100억불 탑 엘지이노텍(주) ▲수출품목 :반도체‧IT‧가전 ▲수출실적 :100.9억불 ▲담 당 자 :김선엽((010-6316-7669) 공적내용 LG이노텍은 1970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 종합 전자 부품기업으로,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통해매출20조규모글로벌소재·부품전문기업으로성장함.LG이노텍은모바일, 자동차, 디스플레이, 반도체, 사물인터넷등에적용되는소재·소자, 부품·모듈을생산하고 있음. 지난해 기준 19조 6,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18조 6,000억 원의 수출을 달성하며국가수출증대에기여했음. LG이노텍의최근3년추이를보면, `20년8.8조원, `21년14.1조원, `22년18.6조원으로 평균 39%의 비약적인 수출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음. 특히 LG이노텍의 `20년~`22년 평균매출액대비수출비중은94%로,대부분의 생산제품을글로벌시장에수출했음. 이 같은 수출 성과는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폴란드, 멕시코 등 5개 생산법인과 미국, 중국, 일본, 대만, 독일 등 8개 판매 거점을 통해, 글로벌 소재·부품 시장에서 존재감을키워왔기에가능했음.LG이노텍은국내에서도6개연구소와8개생산공장을 운영하며,제조경쟁력강화를위한기술혁신활동을지속해나가고있음. LG이노텍은 기판소재, 전장부품, 광학솔루션 부문에서 축적한 독보적인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세계가 주목하는 혁신 제품을 지속 선보이고 있음. 더불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진정성 있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을 확대·강화해 나가고 있음. 미래 유망 분야 신규사업 기회를 적극 탐색하고 육성하여,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하는 ‘글로벌 No.1 소재·부품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나가고있음. - 115 - 4. 60억불 탑 삼성에스디아이(주) ▲수출품목 :이차전지소재(양극재/음극재) ▲수출실적 :60.7억불 ▲담 당 자 :김지운((02-3457-4462) 공적내용 삼성SDI는1970년설립되어현재친환경에너지와첨단소재를양대축으로전기자동차, IT, ESS(Energy Storage System)용 2차 전지 사업과 반도체, 디스플레이용 전자재료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주요 수출국 비중은 미국 38%, 유럽 30%, 아시아 30% 등으로 글로벌 주요 시장에 모두 진출해 있으며, 2022년 매출 20조 1,241억 원, 영업이익 1조8,080억원으로매출,영업이익모두사상최대를달성했음. 삼성SDI는 2021년 업계 최초로 배터리 브랜드 'PRiMX(프라이맥스)'를 공개한 바 있음. 'PRiMX'는 'Prime Battery for Maximum Experience'를 함축시킨 이름으로 '최고 품질의 배터리로 고객에게 최상의 경험을 선사한다'라는 뜻임. '최고 안전성을 보유한 품질(Absolute Quality)', '초격차 고에너지 기술(Outstanding Performance)', '초고속 충전및초장수명기술(ProvenAdvantage)'이라는세가지핵심키워드를담고있음. 삼성SDI는 PRiMX 브랜드를 바탕으로 2022년 업계 최고 수준인 1조 764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며 미래 성장동력인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삼성SDI는 차세대 배터리의 핵심으로거론되는 전고체 배터리의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해 국내 유일의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셋업을 완료하고 개발 시제품을 생산했음. 또한 중장기 사업 전략을 기반으로 최근 스텔란티스와 JV, GM과 JV를설립하는등시장성장에걸맞는수주와투자활동을지속해나가고있음. 삼성SDI의 전 임직원은 '초격차 기술경쟁력', '최고의 품질',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이라는 경영 방침 아래 '2030년 글로벌 Top Tier 회사'를 목표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음. 또한 고객과 협력사. 임직원 등 이해관계자 가치 제고를 위해 ESG 경영에도최선을다하고있음. - 116 - 5. 40억불 탑 (주)엘앤에프 ▲수출품목 :양극활물질(리튬이온배터리소재) ▲수출실적 :42.9억불 ▲담 당 자 :박성훈((053-580-0880) 공적내용 엘앤에프는 2000년 LCD용 BLU를 제조, 판매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5년에는 자회사엘앤에프신소재를설립하여‘리튬이온이차전지용양극활물질’ 사업을개시하였음. 엘앤에프는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2006년 LCO 제품을 국내 최초로 양산하였고, 2007년 니켈 함량이 50%인 NCM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하며 양극재 분야의 Global 기술선도회사로자리매김하였음. 엘앤에프는2011년에 자회사제이에이치화학공업을 설립하여양극활물질기술력의핵심인 전구체사업을개시하였음.2013년니켈함량이70%인NCM제품을세계최초로양산하고, 2016년엘앤에프와엘앤에프신소재를합병하여Global성장의기반을구축하였음. 2020년니켈함량이90%인NCMA제품을세계최초로양산에성공하였으며2022년에는 니켈함량이92%인NCMA 제품을세계최초로양산하여뛰어난기술력을증명하였고, 시장경쟁력을강화하였음.현재엘앤에프는왜관공장,대구공장,구지1공장,구지2공장에서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김천에 있는 자회사 제이에이치화학공업에서는 전구체를 생산중에있으며,대구성서공단내별도의연구소를운영하고있음.생산능력확대를 위해구지3공장을건설중이며2023년4분기가동예정에있음. 세계최고의기술력, 우수한인적자원을바탕으로2020년매출3,561억원, 2021년매출 9,708억 원, 2022년 매출 3조 9천억 원을 달성하며 비약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음. 2023년6월말기준엘앤에프의종업원은1,718명으로전년동기대비31%증가함. 엘앤에프는 이차전지 소재 사업 강화를 위해 음극재 사업 진출, LFP 사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으며, Closed Loop 구축을 위해 2023년 10월, LS그룹과 합작을 통해 엘에스엘앤에프배터리솔루션을 설립하여 전구체 사업을 강화하였으며, 급격한 시장 성장이예상되는Recycling사업진출을검토하고있음. - 117 - 6. 30억불 탑 ㈜에코프로비엠 ▲수출품목 :2차전지용하이니켈 ▲수출실적 :31.7억불 ▲담 당 자 :최윤영((043-713-5667) 공적내용 주식회사에코프로비엠은주식회사에코프로의2차전지소재사업부문이물적분할돼신설된 회사로2차전지용하이니켈양극소재시장을선도하는혁신기업임.주요제품은하이니켈 NCA와 NCM 양극활물질로 니켈 함량을 최대화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원가가높은 코발트를 적게 사용해 안정성을 확대한 제품임. NCA, NCM 양극활물질을 동시에 생산하고각형,원통형,파우치형과같은모든배터리타입에대응이가능한게특징임. 에코프로비엠의 NCA 양극재는 니켈 함량 80% 이상의 제품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 및 고출력의 성능을 보유하고 있음. 고출력의 장점을 바탕으로 전동공구 시장에서 NCA 제품을 판매해 왔으며 최근 전기차용 배터리에 적용이 확대되며 전기차 시장에서의 성장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최근 3개년 별도 기준 매출액은 지난해 3조 4,153억 원, 2021년 1조 4,861억 원, 2020년 8,552억 원으로 3년간 연평균 81%의 매출 성장율을 기록해 왔음. 기업의 성장과 함께 종업원 수도 증가해 지난해 말 기준 1,278명으로 2021년말1,154명대비약10%증가했음. 수출실적은 2021년 약 8억 5,000만 불, 2022년 약 17억 2,000만 불로 집계됐고 올해에는 약 31억 7,000만 불를 달성할 것으로 보임. 주요 수출국으로는 미국(25%), 헝가리(19%), 중국(13%) 및 기타로 구성돼 있음. 시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능력 확대에 나서고있으며지난해말기준연간18만톤의양극활물질생산능력을갖추었음. 공동체 발전에도 기여하며 성과 기반의 제도를 통해 모든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차별 없는 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해당하는 보상 체계를 운영하고 있음. 공동복지기금사업단 을 운영해 자녀학자금, 의료비 지원 복지포인트, 건강검진 등을 지원하고 있음. 어린이 들의 호흡기 등 관련 질환 예방을 위해 초중학교에 미세먼지 알림판을 설치했고 대학 생봉사단‘에코브릿지’를지원해지역사회발전을유도하고있음. - 118 - 7. 30억불 탑 SK인천석유화학(주) ▲수출품목 :석유및석유화학제품 ▲수출실적 :33.8억불 ▲담 당 자 :김민재((032-570-5176) 공적내용 SK인천석유화학은 1969년 국내 세 번째 정유회사로 설립되어 수도권 에너지 공급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으며,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주요 제품은 LPG, 휘발유, 경유, 항공유, 선박용 중유 등 석유제품과 PX, 벤젠등화학제품임. 2006년SK그룹에편입되어공정효율화의기반을마련하였고, 2013년독립법인으로출범함. 2014년1조6,000억원의투자를통해페트병과합성섬유등의원료가되는PX(Paraxylene, 파라자일렌)생산설비를갖추고고부가가치제품군으로사업영역을다각화했음. 국내 정유/석유화학 회사 중 유일하게 상압증류공정 (CDU, Crude Distillation Unit)과 초경질원유 분리공정(CSU, Condensate Splitter Unit)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으며, 원유 도입 국가를 다변화함으로써 글로벌 시황 변화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차별적경쟁력을갖추었음. SK인천석유화학은 2022년 전체 매출액(8조 9,662억 원)의 48.6%인 4조 3,626억 원을 해외에 수출하는 등 매출액의 절반가량을 수출하고 있음. 주요 수출국은 중국과 일본, 대만과동남아시아국가등이며, 미국에도일부제품을수출중에있음. Energy Transition에 대응하기 위해 포트폴리오 혁신을 이어가고 있으며, 부생수소 공급을 통한 수도권 수소클러스터 사업 참여, 폐타이어/폐플라스틱 열분해유 Recycle,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 생산 등을 추진 중. 2050년 Net-zero 달성을 위해 공정효율개선, Low Carbon 운영 전략, 친환경 스팀도입, 전력사용 최적화 및 RE100 이행, Green biz를 통한 외부감축사업, CCUS 등 6대 핵심 탄소감축 전략을 수립하여착실히이행할계획에있음. - 119 - 8. 30억불 탑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수출품목 :반도체패키징 ▲수출실적 :36억불 ▲담 당 자 :김서정((032-728-5393) 공적내용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는 1968년 우리나라 기업 최초로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사업(OSAT ; 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 Test)을 시작한 아남반도체가 전신이며 1970년 처음 반도체 제품을 수출하기 시작하여, 1979년 반도체 품목 수출 1억불을달성,대한민국반도체산업의시작과성장의초석이되었음.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의 송도, 부평 3곳에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2년 12월 말 기준 매출액은 4조 5,420억 원, 수출실적(가득액 기준)은 36억 불, 매출액의 90% 이상을 해외 수출에서 창출하고 있는 반도체 후공정 전문수출기업임. 광주사업장과 글로벌 R&D 센터 및 자동화된 최첨단 반도체 후공정 생산라인을 보유한 인천 송도사업장 등을 통해 반도체 패키지 설계에서부터 패키징, 테스트에 이르기까지 토털솔루션을제공하고있음. 인천광역시 송도의 앰코 글로벌 R&D 센터에서는 차세대 컴퓨팅, 데이터 센터, 초고속 커뮤니케이션,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에 필요한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연구개발 (R&D)하고있으며세계적인전자및반도체회사들과함께5G안테나모듈,양면실장 RF 모듈, 레이저를 이용한 실장 장비 및 공정 개발, 고밀도 리드프레임 패키지 모듈을 세계 최초로 개발함으로써 반도체 후공정 기술력을 세계에 과시하고, 매출 증대 및 수출확대에도기여하고있음. - 120 - 9. 20억불 탑 ㈜에코프로이엠 ▲수출품목 :2차전지소재 ▲수출실적 :24.1억불 ▲담 당 자 :황은성((054-720-4013) 공적내용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은 하이니켈계 양극소재 제품을 개발/양산화하여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에코프로비엠과 고품질, 고성능 원료 확보가 필요한 삼성SDI와의기술협력을통해2020년2월에설립된합작법인으로하이니켈계양극소재인 NCA 제품 대량 생산체계를 구축하여 전기차(EV), 전동공구(Power Tool) 등의 리튬이 온 이차전지 분야에서 대한민국을 글로벌 선두 주자로 발돋움시키는 신성장 원천기술 을보유한핵심소재기업임. 세계적으로 전동공구 시장의꾸준한 성장과전기차(EV) 상용화에 따라 고에너지·고밀도 양극소재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하이니켈(High Nickel)계 양극 소재에대한시장의관심과수요도폭발적으로증가하고있음. 포항시 영일만 산업단지 내에 위치한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은 세계 최고 기술력으로 하이니켈 이차전지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생산량을 가졌음. (단일 공장 단위생산량기준총CAPA12.6만톤) 또한 설비, 품질 및 물류의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 효율성 을 높이고 리스크 방지를 위한 사고예방 설계를 반영해 가동 안정성 극대화를 확보한 최첨단라인을구성하였음. 2020년 2월 법인 설립 후, 2020년 10월 착공한 첫 번째 공장(CAM6)은 에코프로이엠 기술진과 삼성SDI 연구소 간의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조기 양산에 성공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21년 10월 연산 36,000t 규모로 양극재 공장을 가동하였음. 2021년10월착공한두번째공장(CAM7)은연산54,000t규모로2023년3분기에본격양산 예정이며,세번째공장(CAM8)은연산36,000t규모로2024년4분기에양산예정에있음. - 121 - 10. 10억불 탑 ㈜경신 ▲수출품목 :와이어링하네스, 정션블록,커넥터 ▲수출실적 :14.2억불 ▲담 당 자 :권우혁((032-714-7291),김현학(( 032-714-7133) 공적내용 주식회사 경신은 1974년 9월 1일 ‘경신공업’이라는 사명으로 출범하여 주력 제품인 와이어링하네스를 비롯한 커넥터, 정션블록, 친환경 자동차 전장부품인 고전압 와이어링하네스 등을 설계, 개발, 생산, 공급 전 단계에서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2005년신사옥및연구소건립을통해연구기술개발을위한토대를마련하였고 2010년‘경신공업’에서‘경신’으로사명을변경하여본격적인글로벌화도약을준비했음. 1997년 인도진출을 시작으로해외시장 진출을시작하여 2023년 필리핀공장 설립까지 국내사업장 6곳(본사, 송도공장, 인천공장, 화성공장, 군산공장, 경주공장) 해외사업장 12곳(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필리핀, 미국, 멕시코)에 진출하여 현재는 국내 1,405명 해외 32,190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매출 2조 5천억 원 기업으로 성장하였음. 그뿐만 아니라 3개년 수출실적이 2020년 9억 6천만 불, 2021년 11억 6천만 불, 2022년 14억2천만불을달성하며매년약22%증가율을기록했음. 기존 내연기관차에 적용되었던 와이어링하네스 뿐만 아니라 친환경 자동차 시대에 발맞춰고전압와이어링하네스사업에도진출하여전기차고전압유닛의전원과신호를 연결해주는HEV, PHEV, EV차량의모터,인버터등의전원공급과신호를연결해주는 제품을개발하여시대흐름에발맞춰성공적으로사업분야를확장했음. 또한 2013년 송도공장을 설립하면서 정션블록 사업에도 진출하였으며, 친환경 자동차 시대에 맞춰 고전압 정션블록에도 안정적으로 사업 분야를 확장하였음. 이외에도 FPC 모듈,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등 차량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들을 설계부터 공급까지 전과정에걸쳐관여하고있음. 2024년 주식회사경신은 창립50주년을 맞이하며급변하는 자동차 시장과예측 불가한 글로벌 시장 흐름에서 제품군의 다양화와 적극적인 해외 투자 및 시장 진출로 50년의 기간 동안 자동차 부품업계에서 꾸준히 성장하여 연평균 성장률 CAGR 6.7%, 2022년 수출액14억불달성이라는쾌거를거두었음. - 122 - 11. 10억불 탑 에스엘(주) ▲수출품목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11억불 ▲담 당 자 :황송호((053-850-8548) 공적내용 에스엘(주)는 글로벌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으로 1954년 회사 설립 후 국내 완성차 외 지엠,포드,스텔란티스,길리,동풍,장안,상해기차등해외완성차까지고객을확대하였고 최근들어BMW로부터수주를받아양산을준비하고있으며올해6월미국오토모티브 뉴스지가발표한세계100대자동차부품기업중73위에올랐음. 회사의 주요 제품은 자동차용 램프(헤드램프, 리어램프 등)와 전동화부품(E-shift, Wireless Charger, Charge Port Door, Flush Door Handle 등), 전기전자부품(BMS; 배터리관리시스템,SBCM;사이드바디컨트롤모듈,BuiltinCam등)이있음. 1980년대부터 수출시장 개척을 위한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현재 미국, 중국, 인도, 폴란드, 브라질등에17개현지법인을설립하여운영하고있음. 해외고객중 지엠과는 오랜 기간 동안 거래하고 있어 신뢰를 받고 있으며, 그 결과로 25년 연속 우수협력사로 선정되었음. 또한,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길리기차, 동풍기차, 상해기차등고객에에스엘기술이적용된제품을공급하고있으며, 연간총수출실적은 2019년 8.1억 불, 2020년 9.2억 불, 2021년 9.3억 불, 2022년 10.1억 불로 매년 상승 추세를이어가고있음. 1986년 자동차부품업계 최초로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현재 1,600여 명의 연구원들이 자동차 부품산업의 발전을 위해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그 결과 세계 최초로 보행자 보호를 위한 백업가이드램프, MLA(Micro Lens Array)를 이용한 헤드램프를 양산 적용하였고, 2018년과 2020년에는 신기술 제조공법으로 장영실상을 수상하는 성과를거두었음. - 123 - 12. 10억불 탑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수출품목 :자동차,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10.6억불 ▲담 당 자 :강명수((031-610-1365) 공적내용 케이지모빌리티는 1962년 12월 6일 설립되었으며 독보적인 기술로 소형부터 대형 그리고 밴과 픽업형까지 세그먼트별로 특화된 SUV를 출시하는 등 Full Line-up을 구축하며 SUV 대중화를 선도하고 있음. 또한 최근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EV 전용 플랫폼,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자율주행차, AI 등 모빌리티 기술 분야에 집중하고 있으며 커스터마이징 용품 및 특장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 등을 위해 특장 법인인 케이지 에스앤씨를 설립함. 그리고 고객가치 실현 및 브랜드 확립을위한 중고차사업 및대형 전기버스, 중소형트럭, 버스등 종합상용차사업을 위해 KGM Commercial(구, 에디슨모터스)을 인수하는 등 신규사업 진출을 통해 지속 가능한기업으로발전해나아가고있음. 케이지모빌리티의 수출실적은 완성차 기준 2020년 1만 9,436대, 2021년 2만 7,743대 그리고지난해는4만4,994대로코로나팬데믹이후매년50%이상의성장세를보이고 있으며 2023년도에도 이런 성장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2022년 출시한 신차 ‘토레스’와 함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뉴 렉스턴, 렉스턴스포츠(수출명 무쏘), 렉스턴 스포츠 칸(수출명 무쏘그랜드), 더 뉴 티볼리의 꾸준한 인기가 판매를 견인하고 있으며,지역별로는동유럽,중남미,호주시장에서의판매가성장세를유지하고있음. 케이지모빌리티가시장개척에어려움을겪던호주에서2018년직영법인설립후2019년 연간 1,636대 판매에서 2021년 2,967대, 2022년에는 5,899대로 판매량이 늘었으며, 이는직영판매법인설립의효과가큼.또한동유럽시장에서도판매가급증하며2022년 기준 1만 2,095대를 판매하는 성과를 올렸으며 당사는 이를 기반으로 향후 유럽 직영 법인설립을통해글로벌판매를확대할계획임. 케이지모빌리티는 2022년 9월 케이지그룹의 인수 후 빠른 경영 정상화를 통해 수출이 크게 확대되며, 2023년 상반기 턴어라운드 실적을 달성했고 지속적인 수출 성장세를 바탕으로디지털마케팅활성화등브랜드인지도를강화하는한편, 유럽직영판매법인 설립과 에이전시형 네트워크 및 온라인 판매 등 네트워크 다변화를 추진 중임. 또한 새로운 판매 물량 확대를 위한 지역특화 사양 운영, 신시장 진출 등으로 꾸준히 시장 점유율을확대해나갈계획임. - 124 - 13. 10억불 탑 ㈜포스코퓨처엠 ▲수출품목 :이차전지소재(양극재/음극재) ▲수출실적 :17.5억불 ▲담 당 자 :김지운((02-3457-4462) 공적내용 포스코퓨처엠은국내에서는유일하게전기차배터리의핵심소재인양극재와음극재를모두 생산하는기업으로글로벌전기차배터리성능향상과K-배터리산업발전을주도하고있음. 2010년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재 사업 진출에 이어 2018년 양극재 사업에도 진출하여 이차전지핵심소재인양극재와음극재를동시에생산하는국내유일의기업임. 제철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침상코크스를 원료로 한 인조흑연 제조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포스코그룹 내의 리튬과 니켈 전문회사가 있어 음극재, 양극재 등 이 차전지핵심소재의원료확보를위한풀밸류체인을갖추고있음. 포스코퓨처엠은 지속적인 R&D와 전기차 고성능화 및 주요 완성차 기업들의 전기차 라인업 다양화에 대응하여 니켈 비중을 극대화한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양극재를 주력 제품으로 양산하고 있으며, 보급형 전기차에 주로 채용되는 LFP(리튬인산철), 하이망간 양극재까지제품포트폴리오를확대할계획에있음. 또한국내에서는유일한흑연계음극재생산기업으로2011년천연흑연음극재국산화에 성공하고, 현재는 인조흑연 음극재까지 양산하여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SK온)를포함하여글로벌완성차·배터리기업에공급하고있음. 특히 인조흑연 음극재는 천연흑연 대비 배터리 충전 속도를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특성이 있어 글로벌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인조흑연의 핵심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자회사 포스코MC머티리얼즈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 원료부터 최종소재까지의 밸류체인을내재화했음. 향후SiOx(실리콘 산화물), Si-C(실리콘 탄소복합체) 등 실리콘 음극재까지 사업화하고 전고체 배터리용 리튬메탈음극재까지 개발하여 천연흑연· 인조흑연· 저팽창· 실리콘· 리튬메탈에이르는음극재‘풀포트폴리오’를구축할방침에있음. - 125 - 14. 10억불 탑 한국알프스(주) ▲수출품목 :전자부품 ▲수출실적 :10.2억불 ▲담 당 자 :윤인근((062-950-2387) 공적내용 한국알프스(대표이사 김규남)는 한국의 부품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대명제 아래 1987년 광주광역시에 설립되어, 차재전장품, 통신관련품, 입력장치, 각종 컴포넌트 등의 전자부품 산업을 주력으로 우리 생활과 밀접한 생활기기들의 핵심부품을 개발/생산하 고 있으며, 국내 토착형 다국적기업으로 국내 생산 및 해외 수출을 통한 지역 발전과 성장에기여하고있음. 당사의모회사인일본ALPSALPINE그룹해외법인중유일하게사내에일관대응체 제 [영업-제품설계(R&D) - 금형설계 및 가공 - Press 및 Mold - 도장 및 인쇄 - SMT - 조립 - 품질보증 - 출하]를 구축한 가장 경쟁력 있는 현지법인으로서, 고객 및 시장의 니즈에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해외사업 확대 및 21세기 전자산업을 선도하기위해노력하고있음. 수출은2022년10억불로전년대비114%의실적을달성함.안정된성능, 품질,공급능 력을 인정받아 각 고객사로부터 주문이 확대되고 주요 수출국으로는 중국(73%), 독일 (9%), 일본(7%), 미국 및 기타(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출 품목으로 VCM(H.S Code:Actuator,8501.10-1000)등이있음. 탈탄소 사회, 안전 성능 고도화,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 구축에 부응하기 위하여 , 감 동・안전・환경을 의식한새로운 가치창조의 제품을창출로 당사가 보유한다양한 핵 심기술을 적용한 프리미엄 HMI(Human Machine Interface의 기능을 갖춘 차재전장품 (Power window switch, 각종 편의기능의 입력장치, Sensing Device 등), 세계에서도 점유율이 높은 Tact switch를 비롯한 Components, 스마트폰의 진화에 공헌하는 액츄 에이터 등 고정밀,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한국은 물론 EU, 북미, 중국, 일본 등전세계적으로확대적용하고있음. - 126 - 15. 10억불 탑 현대로템 주식회사 ▲수출품목 :방산물자·철도차량·플랜트 ▲수출실적 :14.7억불 ▲담 당 자 :구태우((031-8090-8165) 공적내용 현대로템은 1977년 7월 1일 설립되어 철도차량 및 방산물자, 플랜트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종합중공업기업임.세계52개국에진출해글로벌네트워크를구축했으며,미국과 폴란드등주요거점에해외법인을설립운영함.철도차량및방산물자,플랜트부문의 수출확대를위해해외시장을적극적으로발굴하고있음. 실제현대로템은지난해8월폴란드군비청과약4조5,000억원(K2전차180대)규모의 K2 전차 수출 계약을 체결했음. 2008년 튀르키예에 K2 전차 기술 수출을 성사한 이후 최초로완제품전차수출에성공.K2전차는기동력과화력,방호력이동급해외전차와 비교해매우뛰어남. 해외에서최정상급전차로평가받고있어향후추가수출이기대됨. 현재폴란드와K2전차추가수출계약을논의하고있음. 또한현대로템은고속철도차량의첫수출을성사시키기위해해외시장을개척하고있음. 현대로템은2008년세계4번째로동력집중식KTX-산천을자체기술로개발함.2021년 국내최초동력분산식고속철‘KTX-이음’을성공적으로영업운행에투입했으며, 지난해 영업최고속도320km의EMU-320을출고했음.국내에서쌓은고속철의안정적인트랙 레코드를 바탕으로 해외시장에서 첫 고속철 수출을 성사시킬 계획임. 또한 현대로템은 해외주요 시장에서대규모 전동차수주에성공하였음. 지난6월호주 퀸즐랜드주(州) 정부가 발주한 약 1조 2,000억 원 규모의 전동차 제작 사업을 수주하였음. 현대로템은 세계 38개국에 전동차를 수출했으며, 해외시장 확대를 통해 전동차 수출을 확대할 계획에있음. 지구온난화로 탄소중립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현대로템은 친환경, 무인화, 자동화 흐름에 대응해 군용 다목적 무인차량(UGV), 스마트 물류솔루션 등을 개발하고 있음. 수소인프라와무인무기체계, 스마트물류솔루션등미래고부가가치사업을적극육성해 기술중심의수출기업입지를다질계획에있음. - 127 - 16. 8억불 탑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수출품목 :화학섬유, 필터,필름,부직포등 ▲수출실적 :8.4억불 ▲담 당 자 :김흥수((02-3279-1115) 공적내용 도레이첨단소재는 1972년 7월 회사의 모태인 삼성그룹 제일합섬의 설립과 함께 한국 화학소재산업의태동기를이끌며성장해왔음. 섬유와 필름 사업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과감한 투자를 통하여 탄소섬유, IT 소재, PPS 수지, 수처리 필터에 이르기까지 첨단소재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해 왔으며,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등 해외에 적극 진출하여 글로벌화에도 박차를 가하며 질적,양적으로괄목할만한성장을이루어옴. 최근에는 PPS, 탄소섬유 증설 등 기존 사업확장은 물론,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사업 진 출, 수처리 운영관리 사업 진출, 배터리 분리막 사업 진출 등 적극적인 M&A를 통해 친환경사업을중심으로사업포트폴리오를다각화해나가고있음. 이를통해작년2조7천여억원의매출액을기록하며출범당시보다6배이상성장하였음. 지난2001년2억불수출의탑을시작으로2011년5억불수출의탑수상에이번8억불탑을 수상하기까지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품질 혁신으로 차별화 제품을 확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오랜 기간 축적된 첨단 기술력과 탁월한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생활 기초 소재부터다양한산업의고부가가치첨단소재를공급하며경제활성화와일자리창출에 기여함으로써국가경제발전에이바지할계획임. 아울러 도레이첨단소재는 인프라 혁신과 사업고도화를 통해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디스플레이, 뉴 모빌리티, 친환경 소재, 수처리 솔루션, 헬스케어 솔루션 등의 신성장 분야에 역량을 집중하여 끊임없는 도전과 기술혁신으로 새로운 가치를 지속 창출하는 한편, ESG 경영을 적극 확대함으로써 전 지구적인 미래 문제 해결에기여하며지속가능한사회발전을위해일조해나갈것임. - 128 - 17. 7억불 탑 (유)스태츠칩팩코리아 ▲수출품목 :반도체소자 ▲수출실적 :7.6억불 ▲담 당 자 :임상혁((032-340-3012) 공적내용 스태츠칩팩코리아는 반도체 외주 조립및 테스팅 전문업체로 인천광역시영종도에 위 치하여 반도체 제품 제조 및 판매를 위하여 설립한 외국인 투자 기업으로 지난 2014년 경기도 이천에서 인천광역시 영종도로 공장 신설 및 이전하여 현재 가동 중에 있음. 꾸준한 성장 발전으로 올해 7억 불 이상을 달성하여 수출 강국 건설에 크게 기여를 하고있으며공자부지는약110,177㎡으로종업원은현재3,000여명이근무하고있음. 1984년도 현대전자 반도체조립사업부를 시작으로 약 39년간 반도체 후공정 및 TEST 서비스 기술을 제공하여 현재 세계 반도체 후공정 3위 업체로 성장하기까지 반도체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최근 반도체 시장은 더욱 효율적이고 고도화된 제품인 3D,Waferlevelpackage,fanoutpackagedevice등이급격한증가추세를보이고있고, 복잡한 디자인, 미세화, 저전력 소비 제품 등 고도화 반도체를 요구하고 있어 이를 충족시킬만한5G mmWave, HPC(고성능 컴퓨터),AI, Automotive 등신흥애플리케이 션 관련 최첨단 Packaging 기술개발을 위해 R&D에 대하여 매년 전체 투자 금액의 10%이상을투자함으로써세계적인반도체기술을확보하는데앞장서고있음. 스태츠칩팩코리아는 향후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차세대 반도체 기술 확보를 위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자율 주행자동차 등 유망 기술과의 결합으로전자제품에들어가는각종반도체의부품수요또한증가할것으로예상하고 있어 차세대 반도체 제품 기술개발 및 확보로 기존 고객 유치 및 신규 해외 고객을 확보하여해외시장을지속적으로개척해나가고있음. 또한 스태츠칩팩코리아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일하기 좋은 직장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지난 2020년 6월 기준 2,339명이었던 직원의 수가 2022년12월기준3,111명으로증가하여약33%의고용증가율을보여일자리창출에도 기여하고있음. - 129 - 18. 7억불 탑 (주)세아제강 ▲수출품목 :강관 ▲수출실적 :7.3억불 ▲담 당 자 :천지성((02-6970-1062) 공적내용 1960년 10월 19일 강관 산업의 초석 기업을 세운다는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세아제강은 강관업계 최초 수출을 이뤄내며 한국 강관 산업의 요람으로 자리 잡음. 이로부터 미국, 캐나다, 일본, 베트남, UAE, 이탈리아 등 해외 각국에 생산 판매법인, 사무소등을두며글로벌네트워크를구성했음. 강관시장에서의글로벌경쟁력을확보하고자강관외경별설비합리화및스마트팩토리 구축, 물류 및 IT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더불어 해상풍력, LNG, 수소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에 사용되는 강관의 우수한 기술력과 연구 인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자본은2020년5,953억원대비2023년8,290억원으로39%증가,매출액은2020년 1조1,505억원대비2022년1조8,018억원으로57%증가함. 주요 수출국이었던 미국에 국한되지 않고 수출 범위를 넓히고자 중동, 동남아시아, 유럽 등의 새로운 시장개척을 시도함에 따라 최근 3개년의 수출실적은 2020년 4.9억 불, 2021년6.7억불에이어2022년7.3억불을달성,2020년대비약49%의증가율을기록하며 수출확대에기여함.이러한고부가가치, 혁신제품의제작을위해서는지속적인R&D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품 제작, 제작 후 설치, 해외 교육을 담당할 기술지원 인원과 생산현장직등지속적인인력고용이필요함.이는곧채용확대로이어져2021년655명, 2022년673명에이어2023년6월말기준738명으로2021년대비13%의채용이증가했음. ㈜세아제강은지속가능한성장을위해다양한정책을실시하고있음.협력사와의상생을 위해 당월 발생 도급 대금을 익월 10일에 100% 현금 또는 어음으로 결제되도록 하는 금융지원과 함께 매년 한국폴리텍대학교와 연계하여 지역인재양성맞춤 산업교육을 진행하는 기술교육지원, 한국폴리텍대학교와 연계한 인재 채용을 지원하고 있음. 또한, 문화예술의 부흥을 위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예술지원금 기부, 저소득 농아인 가정의 따뜻한겨울나기와더불어경제적인안정을도모하고자서울시농아인협회에서개최하는 사랑 나눔 행사에 동참, 취약계층 청소년들을 위한 기부 및 도서 기증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에도최선을다하고있음. - 130 - 19. 7억불 탑 엘에스일렉트릭㈜ ▲수출품목 :전력기기, PLC, 인버터,ESS ▲수출실적 :7.7억불 ▲담 당 자 :권도엽((02-2034-4169) 공적내용 LS ELECTRIC은 1974년 7월 24일에 설립된 ‘럭키포장’을 모태로 하며, 1987년에 전력기기, 배전반 등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하면서 ‘금성산전’으로 출범하였음. 1995년 ‘LG산전’으로 사명을 변경, 금성계전과 금성기전을 합병하였으며, 이후 LS 그룹으로 분리되며 ‘LS산전’’으로 사명을 변경, 2020년 글로벌 전력·자동화·스마트에너지 기업으로의도약을위해‘LSELECTRIC’으로새로이출범했음. LSELECTRIC은전력기기및시스템사업과에너지최적화를실현하는산업자동화,스마트에너지 사업을통해국가기간산업전력망, 산업자동화구축에중추적인역할을담당하고있음. 전력 사업은발전소에서만들어진전력을수용가까지공급하고전력계통을보호하는전력기기제품을 생산하며,주요제품으로는중/저압기기,계량기,계전기,개폐기,배전반,진단시스템등이있음. 자동화 산업은 각종 전기와 신호체계를 설계하고 운영할 때 생산 현장 제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과 제품으로, 주요 제품으로는 산업용 PLC, 인버터, SERVO(서보), HMI 등이있음.이어스마트그리드,친환경자동차솔루션,태양광,HVDC(초고압직류송전)등을핵심 미래성장동력으로육성해글로벌스마트에너지분야를선도하고있음. 현재 총 3,500여 명의 임직원이 안양 본사와 연구소, 청주, 천안, 부산을 비롯한 국내 5개 사업장,해외3개생산거점,국내외9개연구소,세계각국20여개의법인,지사를운영중이며 미국 텍사스에북미첫생산거점을마련해R&D 센터도구축할예정임. 매년매출액 대비 약 5.5%를 연구개발에 투자 중이며, 현재까지 독자개발 산업용 이더넷 통신프로토콜 (RAPIEnet) 국제표준 채택, 세계 최초 메가와트급 ESS 미국 UL 인증, 청주 스마트공장 세계경제포럼(WEF)‘세계등대공장’선정등쾌거를이뤘음. 2021년 LS ELECTRIC은 국내를 넘어 글로벌 스마트에너지 리더로 도약하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의 가속 성장을 실현할 비전 ‘Drive Change for 2030’을 발표했음. 앞으로 10년 동안 매년 10% 이상 성장하고, 2030년 기준 사업 포트폴리오는 글로벌 사업 비중이 70% 이상, 디지털 신규 비즈니스는 50%를 넘는, 명실상부한 글로벌컴퍼니, 디지털엔터프라이즈로진화한다는목표를제시했음. - 131 - 20. 6억불 탑 ㈜대동 ▲수출품목 :농기계 ▲수출실적 :6억불 ▲담 당 자 :윤성근((02-3470-7437) 공적내용 대동그룹의 모회사인 미래농업 리딩기업 대동(공동대표이사 김준식, 원유현)은 1947년에 설립된국내1위농기계회사임.1962년업체최초로동력경운기를생산보급을시작하고 이후 60~70년대에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도 국내 최초로 보급하며 대한민국의 농업 기계화를 선도해 현재까지도 국내 1위 지위를 놓치지 않고 있음. 80년대부터는 해외 진출을본격화해현재세계70여개국에수출하는글로벌농기계회사로거듭났음. 2020년 대동은 ‘미래농업 리딩기업’ 비전을 선포했음. 자율작업과 원격조정이 가능한 ‘스마트 농기계’ 새로운 이동 및 운송 수단의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파밍 플랫폼 중심의 ‘스마트팜’ 그리고 농업/비농업 분야의 전문서비스 로봇을 개발하는 로보틱스 미래사업으로확정했음. 비전을 위한 최우선 핵심 과제로 농기계 사업의 글로벌화, 스마트화를 위한 양적/질적 성장에집중했음.그결과, 대동은연결기준매출21년1조1,792억원, 22년14,637억원 올리며 창사 이래2년 연속 매출 1조돌파라는 역사를썼음.올해 상반기도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지속 성장하고 있음. 상반기 수출액이 전년비 18.8% 증가하며 연결 기준 역대 최대 상반기 매출인 약 8,358억 원을 달성했음. 해외에서 제품 및 시장 다변화를 통해 전년비 24.5% 증가한 2만 2,900대의 트랙터를 판매해, 창사 최초로 상반기 트랙터 수출2만대기록과함께전년비2.6%증가한8,358억원의연결매출을달성했음. 대동은 올해 스마트 농기계와 스마트 팜 사업 관련 상품 컨텐츠를 본격 선보이며 ‘애그테크(Agtech)’ 전문 기업 도약의 해로 만들고자 함. 관련해 경작지 작업 경로 생성/추종, 안전감지, 작업기 설정 및 제어, 작업 데이터 관리 등의 자율주행 3단계에 해당하는 자율작업 기술을 자체 개발해 HX트랙터와 DH6135 콤바인에 채택했음. 대동은 이 제품으로 농기계가 자체 생성한 작업 경로를 오차 ±7cm 이내로 벗어나지 않고 직진하면서 선회 시 작업을 제어해야 하는 자율 3단계가 돼야 통과할 수 있는 정부 시험을 합격했음. 대동은 이 제품을 올해 4분기에 출시했음. 또 자율주행 4단계 트랙터를 26년까지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올해 초부터 농업 및 농경지 작업 환경 데이터를수집하기시작했음. - 132 - 21. 6억불 탑 (주)피엔티 ▲수출품목 :코팅기(도포기) ▲수출실적 :6.6억불 ▲담 당 자 :류기완(( 054-469-6915) 공적내용 ㈜피엔티는 2003년 Roll To Roll 기계 제작 기술력을 바탕으로 설립한 Roll To Roll 컨버팅 머신 제작 회사임. 창업 이후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Prisim Sheet생산라 인의 국산화성공”이란 업적을 바탕으로 국내 생산 제조라인의설비를 제작, 공급을 시 작함. 디스플레이 산업의 부흥에 따른 Prism 라인의 시장이 국내외 시장 규모의 확 대로 생산량 및 높은 비용에 대한 대기업의 투자 및 국가적인 핵심 산업 개발의 문 제로부각되어왔음. 이에 2003년 해외 수입 설비의 국산화 연구 투자로 특허 취득, 각종 인증서를 통한 검증 받은 “Prism Line”의 국산화에 성공하여, Prism 산업의 국내 생산시장에 안정화 기술을제공하기시작함.더불어동박제조Line국산화개발성공및“교토의정서”를 바탕으로 하여 2016년부터 2차전지 원소재 가공 설비 제작에 투자와 연구개발을 통해 2차 전지 전 공정 설비라인을 국산화하였고, 2차 전지 시장의 50% 이상 생산설비 국 산화와납품을실현하게되었음. ㈜피엔티가 추구하는 것은 사명에서 나타내듯 사람을 중요시하며, 기술을 존중하며, 사람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며, 기업의 이름을 바탕으로 “세계 제조 산업의 생산현장및최종제품을사용자도인정하는제품을제작하는“명품제작, 세계No.1” 회사로의도약‧비전을가지고있음. 2차전지 산업, IT 소재 산업 등 기반 구축 산업의 원재료 생산 및 임가공 생산설비를 국산화하여내수시장의활성화및해외무역활동을통하여국가발전에노력했음. - 133 - 22. 5억불 탑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수출품목 :2차전지 ▲수출실적 :5.9억불 ▲담 당 자 :조제욱((054-720-2253) 공적내용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2017년 4월 26일에 설립되어, 2차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를주사업분야로운영하는중소기업임. 구체적으로는리튬이차전지의핵심인양극 소재의원재료인전구체를생산하고있음.전기차시장의폭발적인성장과함께,양극재의 핵심소재인전구체에대한수요역시증가하였음.특히전방산업에서고성능하이니켈 전구체에대한수요가급증하여이에대응하는제품의판매량이지속적으로상승하였음. 최근3년간연평균성장률약80%로,지속적인수출실적증대가기대되고있음. 수출은주로간접수출로이루어지고있으며, 최종고객은SK온, 삼성SDI,TMM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중국, 미국, 유럽 등 다양한 해외기업으로 판로를 개척하고있으며, 전기차시장의성장과맞물려전세계시장으로부터큰수요가예상됨. 19년넘는전구체R&D업력과성과로증명되는업계최고의기술력,Non-China업체중 독보적인 하이니켈 전구체 생산능력 및 전구체 국산화의 선도주자라는 강점을 통해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전구체 제조사로 성장이 예상됨. 아울러 원재료 활용(RMP 공정) 부터전구체생산(CPM공정)까지포괄하는완전히통합된하이니켈전구체생산체제를 구축한것이시장에서경쟁적인지위를갖게해줄것으로보임. 또한 국가를 위해 헌신한 제대군인들을 위한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국가보훈부로부터 ‘2023년 제대군인 고용 우수기업’으로 인증받아 3년간 시중은행 여신 지원 시 금리우대, 관세 조사유예, 방사청 및 지자체 우수기업 선정평가 시 가점부여 등혜택을보장받게되었음. 아울러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을 위한 방안으로 본사가 소재한 경북 포항지역의 인재를 우선적으로 채용하고 타지역 출신 임직원들에 대해서도 주거지원비 등을 지원하여 지역에 주소를 이전하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음. 또한 장애인, 노인, 저소득층 등지역사회의 소외된 이웃을위한 다양한 후원및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추진하여기업의사회적책임을다하고있음. - 134 - 23. 5억불 탑 ㈜에프앤에프 ▲수출품목 :의류 ▲수출실적 :5.4억불 ▲담 당 자 :박재윤((02-520-0021) 공적내용 ㈜에프앤에프(F&F)는 MLB(엠엘비), MLB KIDS(엠엘비 키즈), DISCOVERY EXPEDITION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등의 브랜드를 전개하는 국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글로벌한경쟁력을갖춘패션전문회사임. 1992년패션사업을시작한이래다양한패션브랜드를운영하며30년간의패션비즈니스 노하우를 쌓아온 가운데 2017년 해외시장에 첫발을 내딛음. 프리미엄 스트릿 패션 브랜드 MLB(엠엘비)가 중국 홍콩으로 첫 진출했고, 이어 2019년 중국 본토로 영역을 확장함. 이어 동남아시아 시장으로도 진출해, 동남아시아 수출국이 2022년 4개국에서 2023년 7개국으로 수출 다변화에 기여했음. 그 결과 2023년 상반기 기준, 중화권(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대만) 및 동남아(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캄보디아)에 진출성공.2023년하반기필리핀과인도네시아까지진출완료했음. 이외에도, 2018년에는 이탈리아 프리미엄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DUVETICA (듀베티카), 2022년에는 테니스 헤리티지 기반의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SERGIOTACCHINI(세르지오 타키니)를 인수하여유럽, 북미 등으로도사업 확장하고 있는 중. 최근에는 스트리트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수프라(SUPRA)가 중국 시장진출의 신호탄을쏘아올리며,새로운수출활로가될것이라생각함. 이처럼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오고 있는 ㈜에프앤에프는 2022년 연결 기준 매출액 1조8,089억원,영업이익5,249억원,당기순이익4,427억원을달성.수출실적은약5억 3천만 불로, 전년 동기 대비 84% 신장 기록했음. 이 같은 성과는 디지털화가 미래의 필수 경쟁력이 될 것을 예측하고, 2017년부터 선제적으로 추진해 온 전사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이하DT) 덕분이라는분석. 성공적DT를위해 전담 조직인 디지털본부를 만들고 인프라 투자를 단행한 결과, 현재는 상품기획, 생산, 물류,디자인,마케팅등F&F의패션비즈니스전과정이DT프로세스를기반으로진행되고 있는 중. 커뮤니케이션 또한 협력업체에서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DT 프로세스 내에서 통합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내 커뮤니케이션용 메신저 도입, 다양한 디지털 업무 협업툴적용등스마트워크시스템을활용한일하는방식의변화도이끌어내고있음. - 135 - 24. 5억불 탑 에드워드코리아(주) ▲수출품목 :진공펌프 ▲수출실적 :5.1억불 ▲담 당 자 :최수철((041-520-9342) 공적내용 에드워드코리아(주)는전세계의반도체,디스플레이,자동차,화학등다양한산업군에 전공 펌프 및 진공 시스템을 개발, 공급하고 있음. 미국, EU, 중국, 일본, 대만, 싱가폴 등에 진공펌프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2022년 대비 14%의 수출 성장을 이룸. 에드워드코리아(주)는 지속적 연구개발을 통한 신제품 개발과 이를 통한 협력사의 혁신에 공헌하고, 국내 부품업체와의 협업을 통하여 해외 수입의 70% 이상을 국산화 제품으로 대체하고 원소재의 78% 이상을 국산화하는 등 반도체용 진공펌프의 수입대체효과 창출에 기여함. 특히, 한국에서의 Digitalization 전략을 통해 자동화 라인 등도입을위해80억원이상을투자하고있음. 해외시장에서 새로운 요구조건에 부응하기 위한 고온, 내부식성 강화, 소형화 및 고효율의 환경친화적인 신기술 펌프를 개발하였고, 최근 초미세 반도체 공정에서 필수적인 장비로서 각광받는 EUV(극자외선 노광장비)의 수소 공정가스 재생기술 (HRS, Hydrogen Recovery System), 수소 처리(H2D, Hydrogen Dilution) 기술 개발 도입등친환경방식기술의최초상용화기술개발을도입했음. 2022년 7월부터 2023년 6월의 수출실적은 코로나와 국제분쟁 등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자재공급 부족과 물류 공급망의 어려움 속에서도 전년도 대비 약 14% 성장을 이룸. 특히, 대만1.3억불,미국1.2억불,중국 8천만 불,싱가포르4천만불, 벨기에4천만불 등을수출하여전체수출의약85%를차지하고있음. 국내 10개 대학과 지속적 산학협력 체제를 구축하였고, 기술력 증진을 위한 지속적 교육을 진행함. 이와 더불어 전 임직원 복지향상을 위한 소통 및 지속적 노력, 지역사회의발전을위한사회공헌활동등을꾸준히진행하고있음. - 136 - 25. 5억불 탑 주식회사 세아엠앤에스 ▲수출품목 :합금철 ▲수출실적 :5.6억불 ▲담 당 자 :조성각((02-6970-0951) 공적내용 주식회사 세아엠앤에스는 국내 및 아시아 최초 선진기법의 배소로와 최첨단 탈황, 폐수 환경 설비를 갖춘 회사로 스테인레스강, 특수강 등의 제조에 쓰이는 합금철 중 산화몰리브덴,페로몰리브덴및페로바나듐을생산하고있음. 수입에 의존하던 몰리브덴 제품을 당사를 통해 국내 조달에 많은 기여를 해 왔으며 이제는해외에판매할수있는수출국으로탈바꿈할수있게되었음. 지속적인기술개발, 설비 및 환경 투자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이로 인해 타 경쟁사 대비 우수한 품질을확보할수있었음. 그결과지속적인GlobalM/S확대및수출확대를늘려가고 있으며 2017년 1억불 수출의 탑을 시작으로 2019년 3억 불, 2022년 4억 불 그리고 올해 2024년 5억 불의 수출을 달성할 수 있게 됨. 아울러, Global 몰리브덴 시장에서 약5%의시장점유율을차지하고있음. 당사는 원재료를 거의 100% 해외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제품 중 70% 이상 수출하고 있는 수출 주력 기업임. 또한 지속적인 발전과 Global 경쟁력 확보, 입지 강화 및 해외시장 확대를 위해 2025년에 베트남 제2공장 설립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추진하고있음.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자주 대두되는 ESG 경영 관련 환경분야 투자, 품질보증을 위 한 ISO9001 인증서 취득 등의 철저한 준비를 통해 수요가 니즈 충족 노력을 지 속하고있음. - 137 - 26. 4억불 탑 ㈜에스에이엠티 ▲수출품목 :반도체‧IT‧가전 ▲수출실적 :4.2억불 ▲담 당 자 :이승우((02-3458-9216) 공적내용 ㈜에스에이엠티는 1990년에 설립되어 국내 최대의 반도체 마케팅 전문기업으로 자리 잡으며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디스플레이, 매그나칩반도체 등으로부터 주요 제품을 공급받아, 국내 및 해외의 주요 IT 기업에 공급함으로써 국내 반도체 산업발전에기여함은물론해외수출을통해외화획득에도공헌하고있음. 2011년 대만 SUPREME 사와 공동기업의 형태로 TO-TOP ELECTRONICS 설립하여 중국을 주요 목표시장으로 반도체 및 LCD 판매를 진행하였고. 2021년 TO-TOP ELECTRONICS를 완전 자회사로 전환 후 중국 시장에서의 영업을 확대하여 2022년 매출액 6,352억 원, 순이익 103억 원을 달성하였음. 더 나아가 해외기업들을 유치하여 2019년에 대만계 글로벌 IT 제품 제조사인 리얼텍에 메모리 제품공급을 시작으로, 2020년에는 미디어텍에도 납품을 진행하여, 2022년까지 총 5,113억 원(리얼텍 3,235억, 미디어텍1,878억)의수출실적을기록했음. 당사는 SAMTSG PTE(싱가폴법인), SAMT VINA(베트남법인)을설립하고, 2022년 삼성전자의동남아시아반도체대리점권계약을체결하여현재베트남시장을시작으로 영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SAMT AMERICA를 설립하고 미국 내에서의 삼성전자 반도체 영업을 시작하고 2024년부터 가시적인 성과를 통해 회사 및 국가 공헌에큰기여가될것이라확신함. 또한 직원들의 일, 가정 양립 및 기업의 사회적 이미지 개선과 우수인력의 채용, 근로자의 사기 증가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하는 ‘가족친화기업’으로 인증받은 바 있음. 얼어붙은 청년 취업시장에 고용 창출을 위한 신규 인력 채용을 확대하여 매년 신규 인력 고용 규모를 늘려나가고 있으며, 해외 자회사설립등을통해추가인력을지속해서채용할계획에있음. 더불어 푸른나무재단(청소년폭력예방재단), 새말새몸짓(사회현안해결 학문연구 사단법인), 삼성병원 등에 기부활동을 지속하고 있으며, 장애인 운동선수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기업이되고자노력하고있음. - 138 - 27. 4억불 탑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 ▲수출품목 :고다층인쇄회로기판 ▲수출실적 :4억불 ▲담 당 자 :김도균((053-610-0376) 공적내용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는 1972년에 설립되어 네트워크 장비(스위치, 라우터) 및 서버/ 스토리지 장비, 슈퍼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초고다층 PCB 전문기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품질을 기반으로 세계적인 네트워크 장비 업체들을 주요 고객으로 하여지속적인협력관계를유지하고있음. 이수페타시스 주력인 네트워크 장비 시장은 온라인 비대면 서비스의 일상화로 데이터 전송속도 및 전송용량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고 이로 인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장비수요는꾸준히증가하고있음. 수년간네트워크, 5G와같이다양한애플리케이션의 신규고객을개발하였고안정적인매출포트폴리오를확보하였음. 최근 통신 관련 IT 산업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속적인 미국 및 유럽 중심의 신규고객 개발을 통한 매출 확대에 집중하고 있음. 지난해에는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시장의 수요 확대, Chat GPT로 대변되는 데이터 센터의성장으로연결기준영업이익1,166억원(별도기준964억원)의사상최대성과를 달성함. 자본금은 2020년 413억 원 대비 올해 632억으로 53% 증가, 매출액 2020년 3,351억원대비2022년4,972억원으로48%증가, 종업원수도2020년873명에서2022년 6월기준1,052명으로21%증가함으로써고용창출에크게기여하고있음. 이수페타시스는 현재 약 1,200억 원의 증설 투자를 진행 중에 있음. 2023년 5월 신규공장(4공장) 준공을완료하였고내년하반기부터는연간7천억 원 이상 생산능력을 확보하게될것임.아울러대구지역에100명이상의고용창출및외주처포함중소기업 지역경제활성화에기여할수있을것으로기대하고있음. 아울러 다양한 복리후생제도의 운영을 통해서 임직원들에게 일터에 대한 자긍심과 일과생활의적절한균형을유지할수있도록지원하고있음.최근에는구내임직원들의 편안한휴식과식사공간개선등을위해복지관을건설하고있음. 139 28. 4억불 탑 주식회사 디엔오토모티브 ▲수출품목 :차량용방진부품,차량용배터리 ▲수출실적 :4.7억불 ▲담 당 자 :김승민(( 055-380-5233) 공적내용 주식회사 디엔오토모티브는 종업원 수 1,140명에 달하는 중견기업으로 차량용 방진 부품을 전 세계 11개국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하여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여 지속적인성장을하고있는글로벌기업임. 최근3년간수출실적은2020년3억4천만불,2021년4억3천만불,2022년4억9천만불의 매출액을달성하였음.디엔오토모티브의방진사업은전세계10여개국가에생산공장과 테크센터를보유하고있으며,이로인해현지화를통한최적의원가율을달성하고있음. 또한 GM 등 북미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고객의 생산 확대 주문에 부응하기 위해 멕시코에생산공장을준공하였으며,이는북미고객에대한생산전초기지를구축한것임. 배터리사업은후발주자인만큼우수한기술인력을영입하기위해지속적으로노력중이며, 해외 대형 거래처 발굴을 통해 다품종 소량 생산에서 소품종 대량 생산으로 전환하여 생산효율성증대와원가절감그리고품질향상을위해지속적으로노력하고있음. 현재 전기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그에 맞는 기술개발을 진행 중에 있고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품질향상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전기차는 모터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진동이 심해 소음이 크며, 이로 인해 더 많은 방진 부품과 고성능 품목이 요구됨. 디엔오토모티브는 전기차에 맞는 방진 제품을 자체 개발하여, 테슬라, 리비안, 니오, GM 등 차세대 전기차에 납품하였음. 나아가 자율 주행차 시장에서도 자율주행을 위한 컨트롤러와 센서들이많이 장착됨에따라 그러한부품의 방진을 위한부품들이 추가로 필요하게 됨에 자율 주행차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해나 갈 계획임. 배터리사업부의 경우 AGM 라인을 추가하여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 중임. 기존 MF 배터리뿐아니라AGM을요구하는시장이확대됨에따라설비투자를통해라인을증설 중에 있음. 2022년 GM Supplier Quality Excellence Award 수상, 2022년 Supplier of theYearforFCA,SupplierQualityExcellenceAward등수많은성과를거두었음. 140 - - 29. 4억불 탑 명화공업(주) ▲수출품목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4.8억불 ▲담 당 자 :박소영((031-599-1383) 공적내용 명화공업㈜ 1957년 펌프 기술의 기계제조업을 시작하였으며, 이후에도 명화공업은 기계공업의 환경변화를 줄곧 예의주시하며 자동차 부품산업이 동반 성장할 것을 내다보고1972년산업용펌프사업에서자동차부품사업으로전환했음. 1987년 울산공장은 본격 가동에 들어갔고, 1992년 처음으로 ‘너클'을 처음으로 국산화하는개발생산을이루었음. 또한, 독자개발능력확보를위해1991년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꾸준한연구개발로글로벌기술경쟁력을확보하고있음. 뿐만 아니라, 연구 인력 양성사업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2022년부터 3개의 대학과 산학협력을 맺어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 사업을 지원하고, 단순히 기술개발 연구에 그치지 않고 도출해 낸 결과물을 실제 제품 양산에 활용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실무형인재양성을통한지역산업발전에도기여하고있음. 또한,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해외시장 개척에 나선 명화공업은 중국무석법인(‘02년),인도법인(’07년)중국북경법인(’10년),멕시코법인(’15년)총4개의 해외법인설립운영중에있으며, 최근3개년의수출실적은2020년3억6천만불, 2021년 3억8천만불,그리고2022년4억8천만불을달성하며평균15%의증가율을기록하였음. 코로나로 인한 물류 이슈와 반도체 및 각종 원자재의 글로벌 공급망 혼란 등 경영 악화에도불구하고 고객요구에 빠르게대처하여최근 3년간 4개사의 신규고객 유치 및 신규 매출을 창출하는 등 해외시장 개척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북미, 독일 지사에도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미국과 독일 각각 1개 업체로부터 OEM 생산을 진행하면서 해외시장의 고객 니즈에 따라서 유연한 수출 증대 및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음. 최근 스카니아와 계약 체결 후 10월 양산 제품 첫 수출 및 2023년에는 전년 대비21%의수출실적을기록하며지속적으로수출을증대하고있음. 141 - - 30. 4억불 탑 주식회사 티와이엠 ▲수출품목 :농업용트랙터등경작기계 ▲수출실적 :4.2억불 ▲담 당 자 :이상광((02-3014-2756) 공적내용 주식회사TYM은1951년설립되어영화및무역분야로사업을시작함.1962년복건기업과의 합병이후기업명을동양물산기업㈜으로변경하고건설사업을추진함.1970년대급격한사업화로 인한 농촌 인력 공백을 “농업의 기계화”로 메꿀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농기계 업계에 뛰어듦.이후1978년보행이앙기와소형경운기를개발하면서본격적으로농기계제품생산에 박차를가함. TYM은 제품의 품질과 기술, 디자인을 넘어 서비스 품질로도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고 있음. TYM-USA(전TYM북미법인)와브랜슨(Branson)이하나된TYMNorthAmerica로통합 출범한시너지효과로지난2020년부터올해까지4년간'북미딜러스초이스어워드(Dealer's ChoiceAward)’ 1위에선정되며브랜드경쟁력을입증했음. 지난2월에는미국남부의문화, 경제,교육,교동의중심지로알려진미국애틀란타에신규사무소를개설하여현지의우수한 인재를적극채용하고,지속적인글로벌사업확장에힘을줄수있을것으로기대하고있음. 또한사무소인근에위치한농기계조립공장다섯곳과시너지를낼수있도록운영중임. 최근 치열해진 자율주행 농기계 경쟁에서 TYM은 ‘농슬라’라 불릴 만한 쾌거를 얻었음. 지난 5월 업계 최초로 트랙터(T130)와 이앙기(GRO-690)의 자율주행 시스템 국가 검정을 동시에통과한것.이는직진뿐아니라자동선회및작업기제어가가능한자율주행농기계 로서, 현재 시범 서비스를 완료하고 2024년 양산 및 출시를 앞두고 있음. 또한 다중 RTK GNSS시스템기술을적용해정지오차2cm,작업오차7cm이내의정밀작업이가능함. 지속가능한발전을추구하는경영철학을기반으로,2021년업계최초로ESG(환경·사회·지배 구조)경영을선언한이후매년보고서를발행하며지속가능한경영과제및비전,실행계획, 성과관리등을구체화하고있음.이와함께전기트랙터,자율주행시스템을적용한트랙터와 이앙기등지속가능한제품을적극개발중에있음.케나프소재를활용한친환경부품사용, 친환경도금방식농기계업계최초도입등을통해친환경경영을꾸준히이어가고있음. 142 31. 3억불 탑 더블유씨피 주식회사 ▲수출품목 :2차전지용분리막 ▲수출실적 : 3억불 ▲담 당 자 :백진균(( 043-870-3353) 공적내용 더블유씨피(주)는리튬계열2차전지용분리막의수요증가에맞춰2016년10월충청북도 충주시에더블유씨피(주)를설립하였음.2016년부터2022년까지수차례유상증자를거쳐 현재의 자본금(13,334백만원)에 이르게 되었음. 당사는 전기자동차 및 2차전지의 수요에 맞춰대규모설비투자를진행하고있으며, 2019년하반기부터본격적인양산의시작으로 2020년 하반기부터 당사의 제품을 중국, 유럽, 기타 지역까지 수출이 확대되어 2022년 매출은 2,574억원을달성하였음. 증가하는 고객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지속적으로설비 투자를하고있으며,당사의제품은독자적인기술에의해개발된제품으로우수한강도와Low Impedance를실현하고있음.또한차별화된생산공정으로높은생산성을보유하고있음. 규격인증 사업으로는 IATF16949 인증을 취득함으로써 품질경영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ISO14001/ISO45001인증을취득하여환경과안전보건경영시스템또한갖추고있음. 기술개발에 있어서는 기업부설 연구소를 설치하여 분리막의 제조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 중이며, 분리막 제조와 관련된 특허는 국내 58건, 해외 16건이며 현재 출원을 진행 중인 건까지 포함한다면 이후 100건 이상의 특허를 보유할 것으로 예상됨. 연구 개발의 활동에서 2차전지의 안정성과 전력량을 높이는 제조 기술개발의 정부 과제 참여기관으로서역할을수행하고있음. 2020년 하반기부터 제품의 직수출이 발생하여, 2022년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2억8천 6백만불의 직수출과간접수출을포함하여3억불을달성하였음. 세계 각국에서 환경규제및국제유가의상승으로배기가스가저감되는친환경전기자동차에대한수요가 증가하여 고출력 대형리튬 2차전지는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각광을받고있음. 143 32. 3억불 탑 에이치라인해운 주식회사 ▲수출품목 :해상운송서비스 ▲수출실적 : 3.2억불 ▲담 당 자 :조성춘(( 02-6020-1856) 공적내용 에이치라인해운(주)은국내외초우량화주에게철광석,석탄,LNG등원자재및에너지를 수송하는 국내 최대 전용 선사로 한앤컴퍼니가 2014년 한진해운 전용선 사업부를 영업 양수도하여설립된이후,2016년현대상선의벌크전용선사업부를인수하며성장하여왔음. 2023년 상반기 현재 당사는 벌크선 46척, LNG선 6척을 운항하고 있으며, 호주, 캐나다, 브라질, 인도네시아, 카타르, 오만 등에서 철광석과 석탄, LNG 등 산업 필수 원자재 및에너지를안정적으로운송하여국가경제발전에이바지하고있음. 설립초기, 당사는기존보유했던POSCO, 한국전력공사, 현대글로비스, 한국가스공사와의 장기운송계약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안정적인 운항역량을 강화하였음. 이를 기반으로 2017년 세계 최대 원자재 공급업체 Vale와의 장기운송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비즈니스 영역을해외로확장하기시작함.Vale와의초기계약은이후13척의추가장기운송계약의 수주로이어졌으며해외시장에서탁월한운항역량을인정받았음.2019년,세계최대에너지 트레이딩업체Vitol의LNG선2척을수주하며LNG선신규계약을체결, 이는그동안의 주력사업인벌크사업외에LNG선운항에도고유의역량을세계적으로인정받는계기가 되었음.2020년말,세계최초LNG연료대형벌크선인HLECO,HLGREEN호도입후 이후 Petronas, Exxonmobil, QatarEnergy 등 글로벌 기업과의 계약을 체결하여 LNG선 신규 수주를 이끌어 냈고, GLOVIS PCTC 7척을 수주함으로써 탈탄소화 추세에 맞춘 친환경선박포트폴리오확대를통해시장내경쟁력을강화하고있음. IMO(국제해사기구)의 2050년 Net Zero 전략과 매년 강화되는 글로벌 기후변화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는 선대 포트폴리오 다변화 기조 아래, 맞춤형 운송 솔루션, 안정적 운항서비스제고를통해산업의본질적경쟁력향상에집중하고있음.미래성장모멘텀을 확보하기위해새로운기회와화주의요구를끊임없이발굴하여친환경해운을선도해나가며 더욱깨끗하고,안전하게효율적인서비스를고객에게제공하는“TotalSolutionProvider”로 성장을목표로하고있음. 144 - - 33. 3억불 탑 (주)휴스틸 ▲수출품목 :강관(ERWPIPE) ▲수출실적 :3.4억불 ▲담 당 자 :홍승현((02-828-9144) 공적내용 (주)휴스틸은1967년설립되어강관제조외길을걸어온강관전문제조업체로,1994년 대불공장,2005년당진공장준공에이어2015년대구공장인수를통해연산ERW강관 100만 톤과 STS 강관 4만 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한 국내 최고의 강관 메이커임. 미국, 캐나다의현지판매법인과국내수출팀을통하여전세계에강관을수출하며지난해에는 매출1조를달성하였고, 올해는3억불수출을달성했음. (주)휴스틸은끊임없는기술개발과품질향상을통해독자적인기술과노하우를보유하며, KS는 물론 일본 산업규격인 JIS와 API 모노그램 및 UL 표시 마크 등의 인증을 획득 하였고, DNV, GL, Lloyd 및 ARAMCO 등 유수의 규격도 획득하여 최고 품질의 강관 제품으로인정받고있음. (주)휴스틸의주력제품은북미시장을타겟으로하는높은그레이드의송유관과유정관으로 강관의 용접결함 발생의 억제와 충격인성을 확보하여 품질향상을 이뤄냈고, 기술을 인정받으며 대표 수출품목으로 자리매김함. 최근에는 수출 다변화를 꾀하며 다양한 해외 프로젝트에참여하여 까다로운품질 조건을충족시킬 수 있는해양플랜트용 강관 생산기술확보를통하여동남아지역에해양플랜트프로젝트를성공적으로수행했음. (주)휴스틸은글로벌 종합강관사로의도약을 위해약 3,000여억원의 자금을 들여창사 이래 최대 투자를 진행 중으로, 미국 휴스턴에 에너지용 강관 생산을 위한 공장과 전라북도 군산에 SAW 대구경강관 생산을 위한 공장 건축이 진행 중에 있음. 군산공 장은 2024년 시운전을 시작으로 본격 공장 가동을 앞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주)휴스 틸은 대구경 송유관 및 해상풍력 시장까지 진출할 예정. 본 투자가 완료되는 2025년에 (주)휴스틸은 연산 128만 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한 명실상부한 글로벌 종합강관사로 거 듭나고있음. 145 - - 34. 3억불 탑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수출품목 :반도체용피팅,밸브,레귤레이터, MFC, 필터,IGS, GasBox외 ▲수출실적 :3억불 ▲담 당 자 :신승연((051-970-6748) 공적내용 1995년 국내 최초 전해연마 기술개발을 통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UHP Fitting 제품을 시작으로 Valve, Regulator, Gas Filter, MGC, IGS (Integrated Gas System), Gas box, Gas panel, 등을 국산화한 기업으로써 현재 국내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UHP (Ultra High Purity) Market분야의시장점유율을약 95%이상차지하고 있으며, 동종업계로는 국내에서 No.1 업체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또한 국산화에 의한 국내시장 확대에만 안주하지 않고 수출 확대를 위하여 꾸준히 노력한 결과, 2020년 1억불에서올해수출의탑수출실적3억불로성장하는등기존시장의대체수요확보 및신규시장개척에주력해오고있음. 해외시장확대의 일환으로현재 아시아지역에 수출이 집중되어있으나, 미국 장비회사 L사, A사로부터 귀사의 제품 승인을 지난 8년간 지속해서 받음으로써 2021년 이후 급격한 수출 증대를이루고 있음. 향후 중동, 인도, 중남미 지역까지 그 범위를 넓히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고, 현재 신규시장에서의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있음. 앞으로도태광후지킨은지속적인고객의발굴및수요창출,신제품개발을통한적극적인 마케팅활동을통하여미개척지역으로의진출을확대하고있음. 당사는 대만, 일본, 중국 등 해외기업들로부터 브랜드 등록(Vendor Registration)을 통해 해외시장을 공략해왔으며, 국내외 글로벌 기업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한 결과 해외 EPC, End-user 등의 수출을 통해 인지도를 확대해왔음. 이러한 당사의마케팅및업체등록의노력에힘입어해외에서의당사브랜드의인지도가상당히 높은수준에이르렀고 이를바탕으로국내No. 1지위를차지하고 있는상황이며이를 통해 삼성, LG, SK-Hynix 외 Local 수출에 집중하였던 과거와는 달리 해외 직수출이 지속적으로증가하는결과를이끌어내었음. 신규사업으로 수소충전소, 수소모빌리티에 적용되는 고압 제품을 개발 및 양산함으로 써국내뿐만아니라미국, 유럽지역고객사로부터2024년부터가시화된매출을일으키고 2027년부터본격적으로매출향상을기대하고있음. 146 - - 35. 2억불 탑 (주)건화 ▲수출품목 :조선기자재및건설기계제관부품 ▲수출실적 :2.3억불 ▲담 당 자 :최대근((055-240-9123) 공적내용 ㈜건화는 조선해양사업부(거제공장)와 건설기계사업부(창원공장)로 구성되어 있고, 건설기계 및 산림장비의 제관 부품, 초대형 선박 블록 등을 주요 생산품으로 하며, 30년 이상의 생산 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기업임.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경영혁신으로 2022년매출4,377억원창출,연간수출2억불을달성했음. 조선해양사업부는 절단부터 도장 및 출하에 이르는 일관생산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조선3사를 제외하고국내 최대규모의 생산시설을보유하고 있어초대형 선박블록및 해양플랜트 등 선종이나 선형에 제한 없이 선주사의 요구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함. 이는 건화의 경영 철칙인 QCD(품질·가격·납기)경쟁력 확보를 더욱 견고하게 구축할 수있는기반이되었음. 건설기계사업부는 1998년 IMF 외환위기 이후 불안정한 내수 시장을 넘어 시장의 판로를 국내외로 다변화함. 외부 변수에도 흔들리지 않는 유연성을 확보하고자 해외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여 2000년 일본 굴착기 제조업체에 제관품 공급을 시작으로, 2009년 미국, 2010년 뉴질랜드, 2013년 중국, 2015년 캐나다로 해외 영업을 확장하고있음.그결과당사는2015년수출1억불탑을수상했음. 또한 ㈜건화는 기술혁신 및 생산효율 증대를 위해 끊임없는 교육과 연수를 통하여 VPS 등 세계적인 기업의 생산시스템을 학습하여 건화만의 독창적인 생산시스템을 확립하고, 2000년 이후 뿌리기술전문기업인증, KPIC 인증, 품질경영시스템인증, GL선급공장승인,월드클래스300기업선정및성공적국책과제수행등을순차적으로 이루어내고객만족과환경친화경영시스템을확립해나가고있음. 이와 함께(주)건화는 협력업체동반성장구현, 지역사회공헌 활동등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음. 2021년에는 당사와 협력업체를 모두 아우르는 윤리, 인권, 환경경영 정책을 공표하는 등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ESG 활동을 확대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어, 2022년 VOLVO Group Korea의 공급자 평가에서 Sustainability 부문 최우수 공급업체로 선정되고, 세계적인 ESG 수행 전문 평가 기관들로부터 중견기업 부문 최고수준의등급을인정받는성과로이어지고있음. 147 36. 2억불 탑 ㈜엠플러스 ▲수출품목 :이차전지조립장비 ▲수출실적 :2억불 ▲담 당 자 :최준호(( 031-235-7079) 공적내용 ㈜엠플러스는리튬이온배터리전지의국산화기술력을바탕으로2003년도설립되었음. 설립초FPD용초음파Scribesystem개발을기반으로하여2008년전기차태동시기에 GM 볼트에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을 하였던 개발 및 생산업체인 A123 시스템즈 사와 파우치형 조립 장비를 성공적으로 개발, 양산함으로써 이차전지 조립 장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함. SK이노베이션의 주요 파트너를 시작으로 해외공장(중국, 헝가리, 미국)및OurNextEnergy,EnvisionAESC등유수의해외글로벌고객사에납품하고 있음. 20년차의 중견기업인당사는본사와제1, 2공장을비롯해R&D 센터와 해외법인 3곳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 연간 1,000억 원에서 3,000억 원으로, 그리고 현재 5,000억원규모의생산능력을갖추고있음. 엠플러스의 주력 분야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조립공정’과 ‘각형 이차전지 조립공정’ 임. 배터리 셀의 제조공정은 전극 공정 → 조립공정 → 활성 공정 → 기타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그중 두 번째 조립공정 내의 노칭(Notching)→스태킹(Stacking)→ 탭 웰딩(Tab Welding)→패키징(Packaging)→디게싱(Degassing) 공정의 장비 일체에 대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대형 각형 전지에 대해서도 단자가 한쪽 방향으로만 나와있는탑터미널뿐만아니라, 양쪽으로단자가형성되는사이드터미널타입각형의 모든조립장비를한꺼번에공급할수있는턴키(Turn-Key)제작역량을보유하고있음. 독자 개발한 재산을 축적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외 등록된 특허는 69건, 출원 중인 특허는33건으로미래선두기술산업시장에선제적으로대응하고있음. 22년 1억 불, 23년 2억 불의 수출실적을 보유한 당사는 전체 매출의 90% 이상이 수출 매출이며, 매년 20% 이상씩 성장하여 2030년 수출 1조 원 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음. 급격한 매출 성장과 함께 임직원 숫자도 지속해서 늘어감에 따라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다양한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을실천해나가고있음. 148 - - 37. 2억불 탑 SK바이오팜(주) ▲수출품목 :의약품 ▲수출실적 :2.2억불 ▲담 당 자 :신지예((031-8093-0205) 공적내용 SK바이오팜은 1993년 사업의 태동 이래, 거대한 글로벌 신약 시장을 타깃으로 중추 신경계 분야, 특히 뇌전증 분야의 혁신 신약 개발에 집중했음. 국내 최초로 신약 임상 후보물질발굴부터글로벌임상을직접수행했으며,FDA신약판매허가까지자사에서 진행하여독자적으로뇌전증치료신약'세노바메이트'를개발및상업화했음. 2019년 11월 미국 NDA의 승인을 받아 제품명 XCOPRI®로 미국 시장에 출시했으며, 스위스 Angelini社로 기술 이전 및 완제의약품 공급계약을 체결하여, 2021년 3월 유럽 EMA 승인을 받아 제품명 ONTOZRY®로 유럽 시장에도 진출함. 뇌전증 신약 세노바 메이트 외에도 수면 장애 치료제 솔리암페톨을 기술 수출하였으며 FDA와 EMA의 승인을 획득함으로써 SK바이오팜은 국내 유일 FDA 승인 혁신 신약 2종을 개발한 제조사로써발돋움하였고, 글로벌혁신신약개발의프런티어가되었음. SK바이오팜은 원재료를 한국에서 캐나다 위탁제조처로 수출하여 완제의약품을 위탁 제조 및 위탁 포장하여 최종 완제품을 생산하고, 현지에서 바로 미국과 유럽 등으로 수출, 판매하는 위탁가공수출 형태로 수출 중임. 원재료 수출 금액과 임가공비용을 제외한2023년가득액은총$203,728,032.63US달러를기록했음. 글로벌임상 시험을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위해노력하고 있음. 뇌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글로벌 임상을 수행하여, 세노바메이트의 차별화된 발작억제 및 발작완전소실 효과를 확인함. 부작용에 대한 미국 FDA의 Black Box Warning(약물의 심각한 유해 반응 또는 주의 사항에 대해 경고)이 없어 안전성을 확보했고, 주요 경쟁 제품이 하루에 두 번 복용하는 데 비해 SK바이오팜의 '세노바 메이트'는하루한번복용으로복용편의성확보했음. 혁신신약 출시로환자와 보호자의삶의질 향상을도모하여사회적 가치증대에 기여 하고 있음. 또한 지역사회 일원인 기업 시민으로서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지역사회지원을필두로다양한지자체·사회적기관등내외부이해관계자들과 협업을통한사회공헌활동을펼쳐가며공동의행복추구하고있음. 149 - - 38. 2억불 탑 남성해운(주) ▲수출품목 :컨테이너운송 ▲수출실적 :2.7억불 ▲담 당 자 :박정우((02-772-8855) 공적내용 남성해운(주)는 1953년 8월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외항선사로, 70년 이상의 역사와 경험, 고객 중심의 편리한 물류 정보시스템과 아시아 60여 개 주요 물류거점을 바탕으로 한일항로 전문선사의 기반 위에 중국과 동남아 항로를 연계시키는 컨테이너 정기화물운송서비스를제공하고있음. 20년 11월 공표한 “BEYOND Shipping, Engineering the Future”라는 캐치프라이즈 아래, 기존의 강점인 Port to Port 서비스 기반으로 한 Extended Logistics 서비스로의 확장, 신사업 진입을 통한 지속 성장, 물류 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에힘쓰고있음.이를통한對고객서비스혁신및내부운영효율성혁신을바탕으로 최근 3년간의 수출실적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지난 3년간 각 2억 2천만불, 3억1천만불,그리고2억7천만불을기록하며약20%의수출성장률을달성함. 오랜해상운송네트워크경쟁력을기반국내외지역내륙거점/운송인프라와멀티모달 서비스를연계한End-to-End&One-Stop서비스제공, IoT장비및물류플랫폼도입 등을 통해 고객의 편의성, 접근성과 물류 가시성을 강화하고 보다 긴밀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또한, Cloud 기반의 당사 차세대 코어시스템 ICON+, RPA, SmartShip기술등을연계하여디지털화되어가는물류산업의미래에적극대응하고있음. 동시에 ESG 경영과 국내외 환경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노후 선박 5척을 매각후친환경선박으로대체하고있으며, 평균선령7년수준의젊은선대를활용하여 에너지및오염물질규제준수에선제적으로대응하고선박운영효율성을높여고품질의 해상운송 서비스를 제공함. 더불어 국내 조선소와 국내 금융만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및국내중소기자재업체의고용과매출확대등조선업발전에기여하고있음. 150 - - 39. 2억불 탑 아진산업(주) ▲수출품목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2.3억불 ▲담 당 자 :홍준호((053-859-9158) 공적내용 아진산업(주)은 1978년 설립되어 자동차 차체 부품과 전장부품을 개발, 생산하고 있으며국내및해외주요완성차업체에차체/섀시부품을공급하고있음. 글로벌사업망확충을위해2006년중국상해법인설립을필두로2008년미국알라바마 법인,2013년중국염성법인을설립했음.해외공장매출은설립이후매년13%이상의 매출증대를이루었으며국내와해외생산CAPA확충으로2022년5,970억원의매출과 2,670억원의수출실적을달성했음. 전기자동차, 고효율 자동차 및 친환경 자동차의 수요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하여 2004년부터친환경차체부품의개발을위한핵심기술개발및R&D에공격적인투자를 하고 있으며 160여 건의 차체/전장 관련 지식재산권 특허를 보유 중임. 친환경, 경량화 차체 부품의 핵심 보유 기술로서 하이브리드 탄소 복합재료 접합 및 성형의 최적화 설계기술, 고진공 다이캐스팅 성형, 초고장력강 차체 설계기술 등을 보유하고 중장기 목표로서친환경부품성형기술세계1위를위해전임직원이매진했음. 아진산업은 다양한 인재 육성 및 인재 채용 방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채용프로그램으로 대학생 해외 현장실습프로그램이 있으며 지역대학들과 산학 협약을 체결하고 졸업 전 6개월간 미국법인에서 실습 후 100% 채용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또한 특성화고 채용/육성 프로그램으로 지역 특성화고 학생을 채용하여 국내 1년 현장 실습을실시하고실습기간동안지역대학교에“아진금형학과”를개설하여학습을지원, 전문학사로졸업할 수있으며본인 희망시4년제대학편입하여 학업을할수 있도록 지원하고있음. 현재 미국 조지아주에 4,400억 원을 투자하여 전기차 부품공장인 JOON,조지아 공장을 착공 중이며 2024년 상반기 완공 예정임. 현대차 협력 부품기업으로 ‘현대차메타플랜트 아메리카’에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동반 진출하였고 완공이 후 본격적인 전기차 부품 양산예정에따라2025년2조원이상의매출증대가예상됨. 151 - - 40. 2억불 탑 에이치엘홀딩스 주식회사 ▲수출품목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2.4억불 ▲담 당 자 :장성훈((02-526-0643) 공적내용 HL홀딩스는 HL그룹의 기업가치와 주주가치 제고를 선도하는 사업지주회사로서, MobilityService,LogisticsService,ColdChainService등의비즈니스를영위하고있음. HL홀딩스비즈니스핵심은 “연결”로익숙한 것들을혁신하고미지의 것들을연결하여, 고객의한계없는Higher Life를실현해나가고있음. 2022년연간기준매출1조2,533억원,영업이익858억원을달성하여코로나이후실적이 빠르게성장하고있음.2022년기준전체매출의약4,897억원의39%가해외에서발생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해외 매출 증대를 위해 자동차 부품 전시회 참가 및 글로벌 전기차 제조사와 협업을 확대하고 있음. 2023년 11월에는 국내 화성센터를 개소하여 기존의 보수용 자동차 부품 유통뿐만 아니라 출고 전 검사 및 재상품화 등의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여부품유통을넘어선서비스회사로사업모델과영역을지속확대하고있음. 또한HL홀딩스는직원들의복지를위해서도노력하고있음. 코로나기간에는전직원의 안전을 위해원격 근무제를빠르게 도입하였으며코로나 이후로도 원격근무제를 지속 운영하여 직원들이 효율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음. 이외에도 출근 및퇴근시간을자유롭게운영하는유연근무제를운영하여직원들이일과삶의균형을 유지할수있도록최선을다하고있음. ESG 경영을 위해 2023년부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체계화하여 탄소 배출량을 집계, 관리하는 노력을 시작하였으며, 향후 협력사들의 참여를 확대하여 기업의 전 밸류체인 상에서 온실가스 저감 활동을 지속해 나갈 예정임. 또한 공급망 ESG 관리의 경우도 다수의영세한협력사들의특징을고려하여다양한지원정책들과양방향커뮤니케이션 채널확대를통해눈높이에맞는HL만의상생모델을구축할계획에있음. 152 - - 41. 2억불 탑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수출품목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2.5억불 ▲담 당 자 :이현주((053-610-1446) 공적내용 1984년 대구 달성산업단지에서 세계 제일의 자동차 부품 회사를 실현한다는 야심 찬 목표를 가지고 출범하여, 국제 규모의 첨단 자동차 부품 연구 및 생산설비를 갖추고 구동장치, 제동및조향장치, 자율주행시스템, 전기차제어장치등자동차주요핵심부품 및모듈을생산하고있음. 당사는 수출 비중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으로 주요 수출국인 미주 고객 및 프로그램 신규 창출로 수출 물량 극대화가 되도록 노력하였고, 남미, 동남아, 동구권으로의 고객 및 지역 다변화를 통해 영업 확대를 시도함. 주요 수출국은 미국을 포함한 미주 (60%), 우즈벡을 포함한 동구권 (34%), 독일을 포함한 유럽권 (4%) 및 기타로 구성되어 있음. 주요 고객은 Stellantis, Rivian, Volkswagen, GM, Maserati, Porsche. Daimler Fuso 등이며, 주요 수출 품목은 구동 부품 (57%), 제동/조향 부품 (27%),그리고전장전자/자율주행부품(16%)으로구성되어있음.당사는'고객만족'을 우위에놓고가격/디자인/품질에서차별화된경쟁력에초점을두어적기내공급이될수 있도록노력하고있음. 당사가 개발한 자동차 부품,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에 대해 국내 전시회에서 기술력을 검증받음. 이를 새롭게 사업을 시작한 베트남 자동차 Vinfast에 여러 차례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선제 대응 및 차별화된 기술력을 통해 Vinfast 3개 차종에 대해 수주, 프로그램 기간 매출 1,000억 원 규모의 성과를 달성함. 일본 고객사, Daimler Fuso에 기술력,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타 업체(일본)가 공급하던 Halfshaft (차량 구동 시스템)을당사제품으로전환하는성과를이뤄당사제품이전기차에적용되는계기가됨. 또한자동차(승용,SUV,PickUpTruck)외에오프로드/레저차량부품사업에진출했고,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사양을 개발하고 Buyer와 적극적으로 협의하여 세계 굴지의 회사인Polaris로부터Alternator(발전기),Brake(제동장치)를수주하는성과를이루었음. 153 - - 42. 2억불 탑 주식회사 대유이피 ▲수출품목 :차량용플라스틱부품 ▲수출실적 :2억불 ▲담 당 자 :성영수((070-7775-4206) 공적내용 (주)대유이피는 1970년 오성화학공업으로 설립되어 2006년 ㈜신기인터모빌로 상호를 변경하여 사업을 영위하던 중2022년 대유위니아그룹과 지분거래를 통하여 대유위니아 그룹으로 편입되어 ㈜대유이피로 상호를 변경했음. 현대기아차 1차 협력업체로 플로어 콘솔, 인테리어트림,칵핏모듈, 프론트트렁크, 휠가드, 에어그릴셔터등을양산판매 중이며 친환경차 및 미래 차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전동화, 저소음, 지능화, 경량화, 다기능활용성의내장부품으로다변화하여향후전기차및자율주행차플랫폼전용내장 부품의글로벌선도기업으로성장하고자지속적인기술개발투자에노력하고있음. 2015년 수출탑 1억불 탑 업체로서 주요 수출국으로는 미국 및 유럽 90%, 베트남 1%, 기타8%로구성되어있음. 베트남의빈패스트와신규차종계약으로인한직수출증가를 기대하고 있으며, 푸조, 크라이슬러, 마세라티 등의 세계적인 자동차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는 다국적 자동차 회사인 스텔란티스와 수주거래를 위하여 2023년 협력사 자격을 획득하여 2024년 직수출 거래를 목표로 신규아이템 입찰을 위해 노력을 지속 중이며, 대유위니아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협력하여 글로벌시장 및 현지화 대응을 위한 체계를구축하고있음. 2005년기술연구소를설립하여전체인원의15%의전문연구원을구성하고있으며2021년 8건, 2022년9건의국내외특허를출원하였음.IATF16949,ISO45001,ISO14001등의 표준인증을 획득함과 동시에 현대기아차에서 주관하는 품질 5스타, 상생협력 5 스타, 납부 5 스타, 신차 품질 최우수 협력사 등을 수상하며 항상 최고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끊임없이노력하고있음. 대유위니아그룹 편입 후 신규설비 투자 및 직원고용 등을 통한 제품 내재화의 증가에 노력하고있으며이에따른품질향상및일자리창출에기여하고있음. 154 - - 43. 2억불 탑 주식회사 보림 ▲수출품목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2.1억불 ▲담 당 자 :최승현((041-580-4056) 공적내용 주식회사 보림은 1997년에 설립되어 국내 최대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 기아차에 납품하는 2차 공급사임. 자동차 전장부품인 WIRE HARNESS의 제조와 납품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업체로 충남 천안에 본사 및 사업장, 중국의 5개 생산법인, 필리핀의2개생산법인을운영하고있으며, 최근3년간수출실적은2020년1억2천만불, 2021년1억4천만불, 2022년2억불을달성했음. 노동집약적인공정의특수성을고려하여기업전반의성장전략수립과미래동력발굴을 위해 2002년중국에첫해외생산법인설립하였고, 안정적인인력수급 및사업 환경의 다각화를 목표로 2019년에는 필리핀에 진출하여 동남아시아로 사업영토를 확장함. 해외생산기반시설의투자를통해안정된고객대응및부가적인원가절감의노력등 지속적인외적성장과내실있는경영전략을추진해나가고있음. 2022년에는고객의해외판매실적과신규차종수주등에힘입어최대매출액을달성함. 더불어 수출단가가높은 고급브랜드와 친환경차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수출액 또한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음. 현재 기존 양산 차 외 신차 개발 및 상품성 개선 등을 진행 하고있으며이에따른매출확대가예상됨. “가족과 이웃에게 희망을 주는 기업”, “사회에 공헌하는 기업”이라는 경영이념을 실현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지역 특성화 고교와 인재 양성 및 취업 활성화를 위한 협약을 맺고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고 있으며, 인접 대학 장학금을 지원하는등지역사회와동행하는지속적인사회공헌활동을실천하고있음.내부적으로는 ‘직원이 먼저 행복해야 고객에 감동을 줄 수 있다’라는 믿음으로 임직원 모두가 일과 삶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복지제도를 운영하며 직원과 회사가 함께성장하고발전하는조직문화조성에힘쓰고있음. 155 44. 2억불 탑 (주)휴맥스네트웍스 ▲수출품목 :무선통신장비 ▲수출실적 :2.1억불 ▲담 당 자 :김두현(( 031-606-8459) 공적내용 휴맥스네트웍스는‘혁신적인솔루션을통해사업파트너및고객의새로운가치창출을 돕는다’라는 Mission과 ‘모든 사람, 모든 장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세상에서 가장쉽게이용할수있는Broadband장비의 공급’이라는Vision아래2019년 11월에 26일 설립되었으며, 우수한 글로벌 제조/유통망을 보유한 Top-tier 네트워크/AP 장비 제조/공급업체로써 특히 미국과 일본 등의 해외 주요 통신망 사업자를 대상으로 우수한납품실적을통해세계각국의새로운시장을개척하고있는글로벌 기업임. 휴맥스네트웍스의 주력사업인 브로드밴드 게이트웨이(Broadband Gateway) 산업은 5G 시장의 본격적인 투자 확대와 함께 초실감 UHC 영상 서비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서비스의 재개와 7세대 와이파이 등 대용량의 대역폭이 필요한 고품질 서비스의기반시설확보를위한투자확대로인해빠른속도로성장하고있는산업임. 이러한시장환경에서 미주,일본, 태국등다변화된지역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동시에 주요고객인통신 사업자각각의개별적인요구를충족시킬수있는기술력과합리적인 공급가격, 총매출의 8%에 이르는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 등의 노력한 결과, 2021년 매출액1,023억원에서2022년매출액3,666억원으로약258%증가시켰으며,2023년에는 매출액 약 6,000억 원을 예상하고 있음. 종업원 수 또한 2020년 131명에서 2023년 6월 기준189명으로44%증가시킴으로써국가경제발전및고용창출에크게기여하였음. 최근휴맥스네트웍스는휴맥스네트웍스미국, 일본, 태국법인설립에이어2023년하반기 유럽법인을독일에설립완료하여유럽의통신사업자를대상으로네트워크기기수출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 동시에 인도와 브라질의 브로드밴드 게이트웨이(Broadband Gateway)신시장개척에힘쓰고있음. 156 45. 2억불 탑 티이엠씨㈜ ▲수출품목 :산업용특수가스 ▲수출실적 :2.6억불 ▲담 당 자 :김규화((043-298-3333) 공적내용 티이엠씨㈜는 2015년 1월 26일에 설립되어, 반도체 공정용 특수가스를 전문적으로 제조하는 기업임. 가스 합성 및 수전해 기술, 희귀 가스를 추출 및 분리하는 기술, 특수가스를 정제ㆍ혼합ㆍ충전하는 기술을 비롯하여 특수가스 제조의 모든 공정을 내재화한기술을보유하고있음. 당사는특수가스생산에필요한Total 기술을이용하여 반도체공정에서사용하는특수가스제조를국산화하고있음. 2017년 1월에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 연구개발 체계를 갖추었음. 특히, 특수가스 개발및제품양산화와관련하여연구개발과생산의연계활동에강점을보유하고있음. 원료, 정제, 충전/패키지, 검사/측정까지 전 공정에서 경쟁력과기술력을 보유한 덕분에 물류대란, 미중 무역 분쟁 등 공급망을 위협하는 상황 속에서도 당사는 반도체 핵심 소재를안정적으로공급할수있었음. 특수가스의 경우 국내 생산량 제로,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으나, 당사의 “추출, 분리, 정제, 분석”까지의 전 프로세스 원천기술 확보와 제조공정 내재화로 진정한 국산화를실현하여, 글로벌업체대비80%수준의투자비절감및국내반도체기업에 공급가능한최고수준품질경쟁력을확보하였음. 개발및공급전략수립으로선제적기술을확보하고고객이필요로하는제품을원하는 시점에공급해상생할수있는모델을지속적으로만들어가고있음. 고객 요구사항에 맞는 제품을 만들기 위하여 ISO9001(품질경영시스템),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ISO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획득하였으며,핵심전략기술 분야에서 미래 성장 잠재역량을 갖춘 기업을 선정하는 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에 2023년3월22일부선정되었음. 157 46. 2억불 탑 한전원자력연료㈜ ▲수출품목 :원자력연료 ▲수출실적 :2.7억불 ▲담 당 자 :허지호(( 042-869-3736) 공적내용 한전원자력연료(주)는원자력연료설계및제조를동시에수행하는국내유일의기업으 로지난40여년동안원자력연료제조및설계기술을국산화하여고성능·고품질의연 료를 국내 원전은 물론 UAE 원전에도 공급하고 있음. 동시에 아랍에미리트 원자력 발전사(ENEC)에서 핵연료 공급 안정성 확보를 위해 추진하는 핵연료 공장 건설 및 O&M 입찰에 참여하여 수주를 위한 활동을 진행 중임. 고품질의 원자력 연료 제조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피복관, 상‧하단 고정체, 지지격 자, 연료봉 스프링 등과 같은 원자력 연료의 핵심부품과 원자력 연료 부품 제조 장 비, 사용 후 연료 성능검사 장비, 원자력 연료 공장 건설 관련 기술 등을 미국, 브라 질, 아르헨티나, 중국, 캐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일본 등에 수출하고 있으며, 이러 한 수출실적을인정받아 2.4억불의 수출실적을 기록함. 또한 해외사업 경험과 고유 기 술력을 바탕으로국내원전유관기관과함께TeamKorea의일원으로참여하여영국,사우 디아라비아, 체코등의 해외 신규원전 플랜트 사업을수주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음. 원자력 연료는 국제 기술표준과 인허가 요건, 안전 규제 요건을 만족하도록 설계 되며 개발된 제품은 기계적·수력적·열적 시험을 통해 건전성과 안전성 만족 여부 를 엄격히 검증함. 고성능 연료 개발을 위한 R&D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독자 기술 소유권이 확보된 원자력 연료(HIPER) 개발을 완료하고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 음. 한전원자력연료의 원자력 연료 설계·제조 역량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원전 운영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원전 이용률 달성에 기여하고 있음. 창립40주년을맞이하여새로운비전2035‘미래를위한원자력,NewGlobalStandard한 전원자력연료’을수립하여다가오는변화의시대에맞춰회사의새로운이정표를세움.또한 2035년까지의 경영 목표로 ▲매출액6,000억원달성(해외매출비중30%) ▲K-Taxonomy 선도원전연료기술개발▲지속가능경영실현을설정하여추진중임.대내외적으로원자 력산업이장려되는상황에서한전원자력연료는원자력이미래와후대를위한에너지원으 로 발돋움하도록 주도하는 데 이바지하고, 원자력 연료 분야의 미래 기술‧안전‧품질 등 의새로운기준으로도약하여글로벌원자력시장을선도하기위해앞으로도노력할것임. 158 - - 47. 1억불 탑 ㈜덴티움 ▲수출품목 :임플란트‧치과용의료기기 ▲수출실적 :1.9억불 ▲담 당 자 :박병준((070-7098-9126) 공적내용 덴티움은 치과 의사와 전문가들이 참여해 2000년 6월에 설립되었음. 임플란트 제품을 주력으로 치과용 의료기기 및 디지털 장비 등을 개발, 생산, 판매하는 기업임. 2003년 유럽 CE 인증을 시작으로 2004년 미국 FDA 등 제품의 안정성을 인정받아 국내 임플란트시장점유율2위, 전세계점유율6위로글로벌경쟁력을갖춘기업임. 2022년기준전체매출액은3,558억원이며,그중해외수출액은2,853억원으로80%가 해외에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수출 비중 중 중국이 약 50% 비중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 동남아시아, 일본, 러시아 등 전 세계 77개국에 임플란트 제품을수출하고있음. 덴티움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서 생산 비중의 91%가 자체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제품임. 주력 상품인 임플란트는 국내 최초 SLA 표면 처리 방식의 기술을 개발하여 제품의높은안정성을기반으로국내유일22년이상의장기임상데이터를보유하고있음. 임플란트 장기 생존율에 관한 논문은 SCI급 저널에 게재되며 우수성을 입증받았으며, 논문 내 총 242개의 임상 사례는 엄격한 심사 기준에서 97.9%라는 높은 생존율로 안정성이입증되었음. 매출액 1조 원 및 글로벌 2위 시장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개발을 추진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장기적인 목표로는 글로벌 생산시스템 수직 계열화를 통해 매출 성장과 글로벌 시장 MS 고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매년 국내/해외 고객 대상으로 대규모 자체 심포지엄 개최하고 있으며, 다양한 임상적 학술지원으로 좋은 제품 널리 사용될 수있도록활동영역을넓혀가고있음. 159 - - 48. 1억불 탑 ㈜디에스시 ▲수출품목 :시트프레임 ▲수출실적 :1.1억불 ▲담 당 자 :주윤정((031-8067-0104) 공적내용 ㈜디에스시는 1979년 4월 20일에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으로써 44년간 자동차 시트의골격을구성하는시트프레임을전문으로생산하고있는기업임. 그간 축적된생산 기법과노하우를 바탕으로끊임없는 연구개발과 기술첨단화를 실현 하여기업경쟁력을높여왔으며,국내자동차시트프레임업계의70%에해당하는시장 점유율을확보하는등국가기간산업인자동차산업의한축을담당하고있음. 국내 자동차시트프레임 시장을 넘어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함에따라 중국, 터키, 체코 해외 3개국에 4개 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본사인 ㈜디에스시동탄과 더불어 우리나라의선진기술력과위상을전세계에입증하고있음. 높은 기술력과 품질수준을 기반으로 고객 다변화 및 현지화 노력에 최선을 다하여 중국,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과 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 유럽, 미주 등으로 수출하고 있음. 그 결과 지속해서 수출액이 증가하여 2016년 7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한바있으며,금년도에는1억불탑을신청하게됨. 기업의 사회공헌에 대한 실천으로써 임직원의 50% 이상이 지역주민들로 구성되어 지역사회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진행하고있음.이와더불어임직원의즐거운회사생활을위해다양한복지제도를 시행하고있으며,각종사내캠페인진행을통해소통하는기업문화또한정착했음. 160 - - 49. 1억불 탑 ㈜디에스시동탄 ▲수출품목 :시트프레임 ▲수출실적 :1.8억불 ▲담 당 자 :주윤정((031-8067-0104) 공적내용 ㈜디에스시동탄은1979년4월20일에설립된자동차부품전문기업으로, 44년간자동차 시트의 골격을 구성하는 시트프레임을전문으로 생산하고 있는 기업인 디에스시그룹의 본사임. ㈜디에스시동탄을 본사로 둔 디에스시그룹은 경주, 광주, 아산 등에 각각 국내 법인이소재하고있으며,국내외총25개공장을운영하는글로벌기업임. 그간 축적된생산 기법과노하우를 바탕으로끊임없는 연구개발과 기술첨단화를 실현 하여기업경쟁력을높여왔으며, 국내자동차시트프레임업계의70%에해당하는시장 점유율을확보하는등국가기간산업인자동차산업의한축을담당하고있음. 해외 8개국 25개 기업을 대상으로 자동차 부품 수출에 전력을 다한 결과, 2020년도 1억 2백만 불, 2021년 1억 2천 9백만 불, 2022년 1억 8천 2백만 불의 수출실적을 달성 하며매년수출실적최고치를경신해오고있음. 경영의 핵심 가치인 인재 육성과 세계 일류의 독자적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2001년 기술연구소를설립하여기술및제품개발에혼신의노력을다하고있음.연구성과로는 자동차시트허리지지대,시트회전장치등의개발을완료하여양산중임.총271건의 특허와21건의디자인을포함한연구개발실적을쌓아왔으며,다수의특허출원이심사중임. 또한연비절감목적의차량경량화를위해알루미늄과신소재를이용한차량용시트프레임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 상용화를 실현하였으며, 연구개발과 투자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있음. 그뿐만아니라TS16949 / ISO14001 인증획득으로자동차시트분야에서 품질과기술력을인정받아왔으며, 최상의품질체계를구축하여운영하고있음. 이와 더불어 임직원의 즐거운 회사 생활을 위해 다양한 복지제도를 시행하고, 각종 사내 캠페인 진행을 통해 소통하는 기업문화를 정착했으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을꾸준히진행하고있음. 161 - - 50. 1억불 탑 ㈜비츠로셀 ▲수출품목 :리튬일차전지 ▲수출실적 :1.1억불 ▲담 당 자 :조희준((02-2024-3246) 공적내용 ㈜비츠로셀은 1987년 설립되어 35년 이상 리튬 일차전지를 연구, 개발해왔으며 세계 리튬 일차전지 시장(약 7천억 원)의 약 20%를 점유하고 있는 세계 3위, 국내 1위의 리튬일차전지및이차전지소재전문제조업체임. 전 세계 50여 개국 250여개의 고객사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미주, 유럽, 인도, 대한민국등에서는시장점유율1위를유지하고있음.2023년6월기준수출1억1천만불, 재무적 성과로는 매출액 1,719억 원, 영업이익 365억 원을 달성하였으며, 2022년 기준 전체매출의약80%가해외에서발생하고있음. 스마트 그리드 및 원격검침기 최적의 전원인 하이브리드 솔루션(리튬 일차전지 & 슈퍼캐패시터) R&D 및 양산을 내재화한 세계 유일한 기업이며, Oil&Gas 분야에 사용되는 고온전지 분야에서도 선도업체들이 사업화에 성공하지 못한 FAT-D 전지 (보다 Speedy하고 정확한 Drilling을 가능케 하는 RSS(Rotary Steerable System)이 적용된 Advanced 시추장비에 최적화된 전지) 개발 및 세계 최초로 사업화에 성공함. 앰플전지,열전지등군용특수전지시장에서의영향력도확대될전망임. 2008년부터 2022년까지 매출의 성장뿐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2008년 165명의 직원은 2022년 385명으로 약 2.3배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6% 이상, 매년 약 16명의 인력 고용, 설비투자 등을 통해 경제 유발효과를 창출하고 있음. 특히 연구 인력의 경우 2007년 17명에서 2022년 53명으로 3배이상증가(*Kota연구인력등록기준)하였음. 2018년 4월부터 당진시에 통합 신축공장(이하 스마트 캠퍼스)을 운영하기 시작하였고, 이는이전공장대비3배규모에생산CAPA는2배이상증가함.전세계스마트그리드 시장, 고온전지 시장, 군용 특수전지 시장 등의 성장에 적극 대응하면서, 필름형 전지, 특수목적용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소재 등 신제품에도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음. 지난 7월에는 한국거래소에서 선정하는 코스닥 ‘라이징스타’ 기업에 3년 연속 선정되어 우수한기술력과지속성장가능성을인정받았음. 162 51. 1억불 탑 ㈜실리콘투 ▲수출품목 :화장품, 식음료,음반 ▲수출실적 :1.3억불 ▲담 당 자 :이승호((031-789-3850) 공적내용 ㈜실리콘투는 K-Beauty 브랜드 제품을 자사 플랫폼인 'Stylekorean.com'을 통하여 전세계150여개의국가에E-Commerce역직구(Retail)판매및기업고객에게수출하고 있음. 해외 지사를 이용한 현지화 사업 및 국내 유통 회사 최초로 AGV(Automated Guided Vehicle) 물류 로봇 시스템을 기반으로 고도화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Retail/Wholesale플랫폼을운영하는기업임. ㈜실리콘투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투자 지원을 진행하고 있음. 지분 투자 한 브랜드의 성장을돕고, 투자사의성장에따른수혜를당사가공유할수있기에장기적 으로안정적인 매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음. 투자 브랜드 회사들은 당사의 투 자 이후 높은 매출액 성장을 기록하며, 브랜드 회사의 매출 상승은 스타일코리안 플 랫폼 내에서 이루어짐. 당사의 매출 또한 증가하는 효과를 기록하고 있으며, 장기적 으로는 투자 수익확보도가능하여유용한전략으로판단했음. 또한국내뷰티업계 최초로AGV(Automated Guided Vehicle 물류용자율주행로봇) 시스템을 도입하여 국내 브랜드 해외 수출 및 재고관리 향상에 기여함. 현재 일본의 마켓플레이스 큐텐 외 티몰, 라자다 등 다수의 K뷰티 정식 브랜드 관에서 풀필먼트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음. 풀필먼트 서비스를 통해 한 곳에서 주문부터 배송까지 ONE-STOP으로가능해신속하고정확한물류서비스를누릴수있으며,시간과비용을 절감함으로써 브랜드사에는 최적의 물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음. 중소기업들이 실제로 가장갖추기어려운인프라스트럭처를제공했음. 뿐만 아니라 롱테일 비즈니스를 통해 중소 브랜드 사들에게 해외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가능성 있는 브랜드에 소액 지분 투자를 통해 적극적 성장을 도모함으로써 자사의판매, 물류, 마케팅, IT시스템을통한K-Beauty 브랜드의해외퍼블리셔로써의 역할을 수행함. 내부 인력, 물류 센터, 자본 등이 부족해 해외 진출이 어려운 K-Beauty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브랜드 육성을 지원함. 현지 국가에서 원하는 화장 품 타입에 맞게 브랜드 소싱과 이에 맞는 소구포인트 분석 후, 국가별 판매 플랫 폼에 맞춘 전략을함께수립했음. 163 - - 52. 1억불 탑 ㈜알멕 ▲수출품목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1.1억불 ▲담 당 자 :김동하((055-276-0408) 공적내용 알멕은알루미늄 압출전문 업체로전기차 자체및 플랫폼부분에서 두각을나타내고 있으며, 현재 폭발적으로 성장 중인 해외의 전기차 시장을 대상으로 공급을 진행하며, 글로벌기업으로성장하고있음. 알멕은 1973년 창사 이래 국내 산업 발전에 발맞춰 건축자재에서부터 자동차부품으로 사업을 발전해 왔고 GM Korea 및 쌍용자동차 1차 협력사로는 유일하게 알루미늄 주조, 압출, 가공, 조립, 표면처리 공정까지 일관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다년간의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당사는2016년부터 전기차용 자동차 부품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였으며,매년꾸준한매출신장세를시현해오고있음. 알멕의 수출실적은 세계적으로 EV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당사의 압출 부문의 EV Components를 중점으로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전체 수출실적은 2021년도 대비 2022년 실적은 89% 증가하였고, 이 중 EV components 분야는전년대비200%이상증가하였음. 국내 2차전지 제조사인 LG에너지솔루션 및 SKON에 전기차 배터리 모듈케이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납품된 제품은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인 폭스바겐(Volkswagen), 아우디(Audi), 포르쉐(Porsche),재규어랜드로버(JLR), 포드(Ford)등에공급되고있음. 2022년에는 미국 NASDAQ 상장사인 Rivian Automotive, Inc의 협력사로 선정되어 전기차 자체 및 플랫폼 관련 대규모 사업을 수주 및 공급 중이며 지속가능한 전기차 플랫폼제조기업으로도약하고있음. 2023년 6월 알멕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발판 삼아 500억 규모의 투자 유치 및 4년간주관한IPO를완료하며,코스닥상장에성공했음. 164 - - 53. 1억불 탑 ㈜에이치알이앤아이 ▲수출품목 :특장 ▲수출실적 :1억불 ▲담 당 자 :권동욱((063-540-5562) 공적내용 국내 최초로 사다리차를 개발한 회사로 1990년에 (주)호룡을 설립하였으며, 2022년에 (주)에이치알이앤아이로 사명을 변경하였음. 해외기업과의 기술제휴 및 연구, 개발을 통해 현재의 알루미늄 붐 형태의 고가사다리차를 상용화하였으며, 이후 2002년에는 사람이 탑승하여 고소작업을 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 2013년에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미니 크레인, 2020년에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굴착기를 출시하는 등 기업의 미래 성장동력원을 친환경제품으로 정하고 제품군을 기존 디젤엔진 제품에서 친환경 제품으로까지확대중에있음. 1997년에 설립된 기업부설 연구소에서는 내부적으로 수립한 개발로드맵에 따라 자체 연구과제와 정부 R&D 과제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여 현재의 기술력에 안도하거나 안주하지 않고 시대가 필요로 하는 기술을 선제적으로 발굴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등록된특허권52종을보유하고있음. 해외 현지의 사용 용도, 사용 환경, 선호도 등에 맞는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2020년 1천 4백만 불, 2021년 3천만 불, 2022년 1억만 불의 수출을 하여 연평균 169%의 수출 신장을 이룰 수 있었으며, 글로벌 친환경 지능형 플랫폼 기업으로 변모하기 위해 지속적인 기술개발하고있는 한편글로벌 기업으로도약을 위해 친환경제품의북미 및 유럽시장 개척을 하고 있음. 또한, ISO9001, ISO14001 인증을 취득하여 제품에 대한 품질뿐만아니라환경까지기업의사회적책임을다하기위해노력하고있음. 나눔을실천하기 위해 2014년부터 임직원들과 함께 소년, 소녀가장에게 매월 장학금을 지원하고있으며, 연말불우이웃돕기성금기탁, 다문화가정친정나들이후원, 지역축제 후원과 같이 이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고 있음. 여기에 김제 사랑장학재단과 전북 대학교에후원금및발전기금을기탁하여지역인재양성에기여하고있음. 165 - - 54. 1억불 탑 ㈜에이치엘클레무브 ▲수출품목 :자동차용전자부품,자율주행솔루션및센서 ▲수출실적 :1억불 ▲담 당 자 :문형락((031-5179-8048) 공적내용 자율주행전문기업HL클레무브는미래자율주행및자동차전동화시장을선도하고자 지난 2021년 HL만도의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사업부를 분사한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와 전장품 제조기업 만도헬라 일렉트로닉스의 합병을 통해 설립되었음. 자율주행 및 ADAS에 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핵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차량 전동화에 필수적인 고품질의 자동차 전자부품의설계및제조를전문으로하고있음. HL만도ADAS사업부당시국내자율주행산업의태동기였던2014년부터국내최초로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ACC, Adaptive Cruise Control)’ 기능에 필요한 장거리 레이다 센서의 국산화를 성공시킨 데 이어 2018년에는 중거리 레이다, 2022년에는 근거리 레이다 독자개발에 성공하면서 자율주행 기능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Full Line-up 레이다를 보유하게 되었음. 여기에 2021년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와의 통합 시너지 효과로 소프트웨어 설계와 제품 개발, 생산으로 이어지는 자율주행과 관련한 완전한 벨류체인을 갖춘 몇안 되는 회사로 독보적인경쟁력까지 보유함. 현재는완전자율주행 을 위한 제품 중 하나인 3D 안테나를 적용한 초고성능 레이다 개발에 주력하는 중에 있음. 이렇듯 10년 넘게 자율주행 솔루션 사업을 이어오면서 ‘인지, 판단, 제어’라는 자율주행 구현을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요소 기술을 모두 보유하게 되었으며 2,200건 이상의 특허와 이를 바탕으로 2,000만 개 이상의 ADAS 제품을 공급해 온 독보적인 이력으로 글로벌시장에서도그기술력과경쟁력을높게인정받고있음. HL클레무브는 한국 본사를 중심으로 인도, 중국, 북미 등에도 연구 및 생산 거점을 구축해 지역별 맞춤형 자율주행 기술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며 해외시장을 활발히 개척하고 있음. 특히 자율주행 신흥 시장으로 주목받는 인도를 타겟으로 현지화된 자율주행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 현재 인도 현지 자율주행 시장 1위를 선점 중임. 회사의수출은2023년1억불을달성하였으며,최근3개년연평균수출증가율은14%로 안정적으로성장해왔음. 166 - - 55. 1억불 탑 ㈜엘오티베큠 ▲수출품목 :반도체진공펌프 ▲수출실적 :1.8억불 ▲담 당 자 :황진호((031-8036-5721) 공적내용 ㈜엘오티베큠은 2002년 창립 이래 Dray Vacuum Pump 제품의 개발,제조,판매 및 수리등모든LifeCycle과관련된사업을수행하고있는국내유일의진공펌프업체로, 보다 체계적이고 일원화된 관리를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만족을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음. 고객 만족을 위하여 현재 한국 본사 외, 미국과 중국에 현지법인설립및운영중에있으며.당사는반도체,Display,Solar,GeneralIndustry에 사용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DD, HD, RD, LD, GHD Series로 약 44,000대 판 매하였고, 대한민국 반도체/디스플레이/태양광 장비 산업의 기반 기술 확보를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건식 진공펌프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국내ㆍ외 총 30여 건의 특허를보유하고있음. 2003년 11월 미국으로의 첫 수출을 시작으로 20년간 꾸준히 해외시장 확장을 위하여 노력을 지속한 결과, 현재 해외 반도체, 태양전지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 고객에게 수출을 진행하고 있음. 자사에서 자체 개발한 HD 시리즈의 신규 모델이 해외시장에서 크게 각광을받으며, 최근 몇년간 수출실적 증대에지대한 기여를 하였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수출액 증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해외시장을 꾸준히 개척한 결과, 최근 3개년의 수출실적은 2020년 7천 5백만 불, 2021년 6천 2백만 불, 2022년에는1억7천9백만불이라는수출실적을기록하였음. 사회공헌은 엘오티베큠 자체 사회공헌 단체인 '디딤돌 사회봉사단'을 발족하여 운영 중임.2021년에는약6,000만원을기부하고,3월에는엘오티베큠자원봉사단체'디딤돌 사회봉사단' 발족을 하였고, 지역사회공헌 활동 '일산일천' 독산성 문화재 보호활동을 진행하였음. 2022년에는 연간 1억 2,430만원을 기부하였으며, 2023년 3월에는 지역사회 공헌 활동 '일산일천' 독산성 문화재 보호활동을 진행하였고, 5월에는 지역사회공헌 활동'일산일천'오산천환경정화활동을진행하였음. 167 - - 56. 1억불 탑 ㈜우원기술 ▲수출품목 :2차전지제조장비(Z-Stacking장비) ▲수출실적 :1.9억불 ▲담 당 자 :정준영((010-6373-4575) 공적내용 ㈜우원기술은 2015년 창립 이래 2차전지/자동화 장비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이 되고자 끊임없이노력하였음.2016년당사의주력제품인Z-Stacking장비의개발을시작으로고속 성장을이루었으며,2022년에는최대수주실적2,350억원,최대매출실적1,671억원,최대 영업이익 307억 원을 달성함.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매출액 성장률은 104.8%로 높은성장률을기록하였으며,2022년에는Notching장비의개발을통해제품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였음. 또한, 2차전지정밀부품/금형사업수직계열화를통해핵심역량을강화함 으로써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2차전지 배터리 팩 사업과 반도체 장비사업에진출하여사업다각화를통해안정적인사업포트폴리오를구축하였음. 주력 제품인 Z-Stacking 장비는 2차전지 제조공정 중 스태킹 공정을 수행하는 장비임. 스태킹공정은배터리분리막양면에양극재,음극재를부착해층층이쌓는공정임.당사의 Z-Stacking 장비는 분리막을 알파벳 ‘Z’형태로 접어 화재 위험을 줄이고, 독자적인 틸팅 기술로 고속화를 구현하여 분리막 1장에 양극재, 음극재를 붙이는 시간을 장당 1.2초에서 0.35초까지 단축함으로써 생산성을 3배 이상 향상시켰음.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Z-Stacking 장비의 경쟁력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2021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세계일류상품’으로선정되었으며,40여개의특허를등록/출원중임. 외형적인 성장과 함께 기업의 내실을 다지기 위해 품질경영시스템(ISO9001), 메인비즈, 이노비즈,경기도일자리우수기업인증등으로고객사로부터신뢰받는기업으로성장하고 있음.전기차시장성장에따른2차전지수요증가로전방산업의공격적인CAPEX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대규모 수주에 대응하기 위해 본사 포함 3개의 공장과 1개의 R&D CENTER를 보유하고 있음. 추가로 1개의 공장을 신축 중이며 미국, 중국, 헝가리에 해외 법인을운영중임. 세계 최고 수준의 Z-Stacking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확보함으로써 모든경쟁사업에서업계1위실현을통해글로벌리딩기업으로도약하고자함. 168 - - 57. 1억불 탑 ㈜윤성에프앤씨 ▲수출품목 :2차전지믹싱시스템 ▲수출실적 :1.5억불 ▲담 당 자 :차형진((031-350-4513) 공적내용 ㈜윤성에프앤씨는 1999년 12월 13일에 설립된 회사로 2차 전지 제조장비의 제작 및 수출사업을영위하고있음. 당사의2022년매출액은2,103억원이며2016년에5백만불수출탑과대통령표창,2019년에 3천만불 수출탑, 2020년에 7천만불 수출탑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각각 수상한 경력이있음.2022년외화가득률99%로1억5천만불수출을달성했음.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2차전지 제조설비의 핵심 장비인 PD 믹서를 10여 년 전부터 순수자체개발및공급해온점은믹싱시스템최대시장점유율확보를넘어수입품의 국산품 대체에도 상당 부분 기여함. 그리고 당사는 2차 전지 교반 장비 시장에서 리더가 되기 위해 연속식 믹싱 시스템, 건식 믹싱 시스템, 전 고체 전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있음. 당사가 개발 중인 신개념 전극 물질 혼합 믹싱시스템 CSM(Continus Slurry Mixing, 연속생산식슬러리 제조장치)은 기존장비대비200%향상된생산능력, 균등 품질의 슬러리생산,구축비용절감및설비투자필요면적축소등의특장점이있어전기자동차 보급속도에맞춰대폭활용될전망임. 이미당사는기존개발제품인이노믹서를통해최근3년동안10배이상의수출실적을 달성하였으며 설계, 장비 제작, 배관공사, 전기공사, 자동제어 및 시운전까지 가능한 EPC 수행 능력과 관리체제를 보유하고 있어 CSM 개발에 따른 추가 수주에 매우 유리한상황임. 따라서본장비가개발완료되면국내2차전지대표 제조사의 해외공장 건설프로젝트는물론유럽, 중국등해외업체의발주물량도급증할것이라예상됨. 최근2년동안에는약150명이상의정규직을신규채용하여경기도일자리우수기업에 선정된 바 있으며 정년 초과자(만 60세 이상) 7명을 촉탁직 등으로 지속 근무하게 함으로써 고숙련 노동자의 고용 안정을 도모하고 있음. 또한, 임직원 복지향상을 위해 지속적인제도개선및도입을추진중에있음. 169 58. 1억불 탑 ㈜일지테크 ▲수출품목 :자동차부품,금형 ▲수출실적 :1.4억불 ▲담 당 자 :한지선((053-859-1056) 공적내용 ㈜일지테크는 자동차 차체 산업의 미래 성장에 대한 설립자의 확신으로 1986년 11월 ㈜신아기공으로 설립된 자동차 차체용 부품 제조업체임. 이후 1997년에 지금의 ㈜일지테크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1992년 10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대구경북 지역경제에대표적인지역자동차부품업체로 자리매김함. ㈜일지테크는 2012년부터 R&D 투자를 지속 확대 및 강화하여 자동차 부품 생산기술의 우수한개발력을확보하였음.대표적인예로차체경량화로인한연비향상,배기가스절감, 차체 강도 증가 실현, 금형 기술의 우위를 선점하여 완성차 경량화에 기여하였으며 2014년 고강도 강재 용접재료, 시스템 기술(GPa 급)로 뿌리 기술 전문기업, 2015년 중소기업육성발굴사업으로 기술혁신형중소기업(INNO-BIZ)에선정되었음. 또한 고객이 요구하는 품질(무결점)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정 개선을 통한 생산혁신을 기반으로 한 품질향상 및 생산성 향상에 힘쓴 결과 ISO/TS 16949:2002(15~18sus) 품질시스템인증및2018년IATF16949(자동차품질경영시스템)인증을획득하였음.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 노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수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 2011년 1월 중국 현지법인 북경일지차과기유한공사를 설립한 뒤 2014년 AEO 인증 획득 후 지속 갱신 중이며 업체별 인증수출자 획득과 월드클래스 300 기업에 선정되는 등 글로벌자동차부품업체로 도약하게됨. 이 외에도 국내 제2공장과 경주공장 준공으로 매출이 고속 성장하였으며, 중국의 사드 보복 사태와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불안정한 해외시장 위기 속에서 해외영업 다각화 및 FT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출 위기에 대처해 나감. 현대자동차 러시아법인과 550억 원 규모의 기계설비 판매계약(지그, 금형, 로봇)을 체결하였으며 PETERFORM 으로부터 약 910억 원 자동화 설비계약을 수주하였음. 특히 2023년 6월부터 미국 앨러바마주의 자동차 차체부품 공장을 인수하여 미국 진출을 시작한 결과 수출량이 크게증가하여전년도수출실적대비올해수출실적을2배이상증가시킴. 170 - - 59. 1억불 탑 (주)텔레칩스 ▲수출품목 :차량용시스템반도체 ▲수출실적 :1억불 ▲담 당 자 :박찬정((02-3017-5720) 공적내용 (주)텔레칩스는 1999년 10월에 설립된 반도체 설계 및 제조 전문기업임. Caller ID 칩· MP3칩에머무르지않고차량용시스템반도체분야에진출후미국·중국·일본·독일등 해외시장을적극개척하고있으며특히전량수입하던차량용시스템반도체분야에서는 정확한 시장 분석 및 기술개발을 통해 국산화에 성공, 공급망 안정화 및 수출 증대로 국가산업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있고 이 덕분에 수출은 2020년 3,600만 달러, 2021년 7,800만불, 2022년8,400만불그리고올해는1억불수출탑의성과를이루고있음. 2000년대 중반만 해도 자동차 오디오에는 프리스케일(Freescale)·르네사스(Renesas)· NEC·NXP 등 외국산 칩이 주종이었으나 당사는 고객 맞춤형 칩 개발 및 원가절감 노력으로2007년4월현대차에서양산하는‘i30모델’을시작으로현대차그룹에자동차용 오디오 프로세스 및 모바일 방송 수신칩을 공급해 국산화의 기초를 닦는 성과를 이루었고 또한 JVC, 파이오니아(Pioneer) 등 외국 카오디오업체의 외산 칩 브랜드와의 경쟁에서도당당히실력을인정받아기존제품을대체하는성과를거뒀음. 이렇게 차량용 반도체 분야에 진출한 후 현대/기아차 카인포테인먼트의 80% 이상 점유로 수입대체효과를 내고 있으며 해외에 대한 지속적인 마케팅 영업으로 GM, 폭스바겐, 르노, 닛산, 혼다 등의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에 제품공급으로 중국과 일본 중심에서유럽과북미로해외시장다변화중임. 주요제품인디지털미디어프로세서수출을통하여차량용인포테인먼트시스템반도체,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지털 클러스터, 차량용 MCU까지 진출하고 있고 전 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의 흐름과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자 미국 2023 CES 전시회, 2023 독일 IAA 모빌리티 전시회 등에 참가하여 시장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피드백을 반영하여 제품의질을향상시키고자노력및바이어와의활발한소통을하고대한민국을대표하는 차량용 반도체 기업을 넘어 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주도하는 글로벌 수준의종합차량용반도체회사로발돋움하고자노력하고있음. 171 - - 60. 1억불 탑 ㈜현대엘앤씨 ▲수출품목 :필름, 인테리어스톤,바닥재 ▲수출실적 :1.5억불 ▲담 당 자 :박상건((02-6364-7434) 공적내용 ㈜현대L&C는 2014년 7월 설립된 창호, 바닥재, 인테리어스톤 등 종합 건축자재 제조 회사로 국내 세종 제조 사업장 및 해외법인(북미, 중국, 유럽, 인도)을 두고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현대백화점 그룹으로 편입된 이후 ‘고객에게 가장 신뢰받는 친환경 토탈인테리어기업’이라는비전을목표로고객을위한C/S관리확대및품질전시회 개최,친환경페트필름제품개발을통해ESG 활동을추진하고있음. ㈜현대L&C는수출주력제품중가구용표면마감필름을국내업계최초로국내에서 발생하는폐페트병을수거하여분쇄후재활용한리사이클페트를원료로제조한친환경 데코필름을 출시하였음. 해당 기술력과 제품으로 2019년 글로벌 친환경 인증인 GRS 인증을 취득하여, 일본 업체가 점유하고 있는 유럽 시장에 2021년 101억 원, 2022년 106억원의재활용데코필름판매를실현했음(IKEA등가구社). 또한, 건축외장재용필름부문에서기존일본산부자재를국내가공기술로대체하는데 성공하여, 2022년 약 60억 원의 수입대체효과를 달성함. 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건축외장재용 데코필름은 외국산 대비 우수한 가격 경쟁력으로 2022년 189억 원의 수출을달성함. 당사는단순한매출촉진뿐만아니라글로벌시장의트렌드및선진디자인을파악하여 장래의 수출 확대를 촉진하기 위해서 각종 해외 전시회 참가를 독려하여 글로벌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특히 ‘22년 독일창호전시회, ’23년 독일가구전시회, ‘23년 북미 최대 규모 주방 및 욕실 전시회 (KBIS) 등에 참가하여 당사의 우수한 제품을 해외 고객에게홍보했으며,신규수출매출창출에기여하고있음. 172 - - 61. 1억불 탑 롯데웰푸드㈜ ▲수출품목: 초콜릿과초콜릿과자, 아이스크림 ▲수출실적 :1억불 ▲담 당 자 :이수호((02-3469-3320) 공적내용 롯데 그룹의 모기업 롯데웰푸드는 1967년 설립 이래 고객들의 사랑과 신뢰 속에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해 왔음. 롯데웰푸드는 그동안 끊임없는 신제품 개발, 다양한 마케팅 전략과 앞선 유통 방식으로 제과 업계의 정상을 지키며, 미래 식품 기술개발로 국내 식품산업의 선진화, 국제화에 기여하고 있음. 나아가 2022년 롯데푸드와의 합병을 통해 기존의 제과 사업에HMR, 유지, 육가공 사업이 추가되어 고객 제공 가치를 향상 하고 있으며이를 통해유아층부터 중장년층에이르기까지 전 연령대의고객군을 형성 하여생애주기형브랜드를운영하고있음. 롯데웰푸드는현재서울,양산,평택,대전,등에17개대단위첨단공장을갖추고제과,제빵, 육가공,유가공,HMR등의제품을생산판매하고있음.또,중국,파키스탄,미얀마,인도, 싱가폴,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기에 8개국의 글로벌 현지법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현지법인 영업망을 활용한 수출 확대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것임. 2022년 기준 전체 매출액중해외매출은7,594억원으로전체매출의약20%의비중을차지함. 특히, 해외 수출액은 ‘20년 960억,‘ 21년 1,050억, ‘22년 1,330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임. 그중 주요 수출품목인 빼빼로는 ‘20년 290억, ‘21년 350억, ‘22년 480억 원으로 해외 매출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중. 빼빼로의 주요 수출국은 필리핀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 국가이고 미국, 중동 등 50여 개국에 판매되고 있음. 2023년에는 필리핀 최대 유통채널인 S&R과 MOU를 체결하며 빼빼로를 비롯 캔햄과 분유 및 다양한 K-Food 제품을지속적으로수출할계획임. 롯데웰푸드는 국민들의 건강을 위한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국내는 물론세계적으로인정받고있음.또한소비자들의요구에부응하기위해경영의효율성과 안정성을 검증받을 수 있는 각종 인증을 획득하고 있음. 이와 함께 롯데웰푸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사회공헌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고국민의건강과국가발전에기여하고있음. 173 - - 62. 1억불 탑 ㈜부산케이블앤엔지니어링 ▲수출품목 :알루미늄전력케이블 ▲수출실적 :1.2억불 ▲담 당 자 :박지은((051-717-3908) 공적내용 (주)부산케이블앤엔지니어링은 2019년 1월 중국 하북성 당산시 소재한 화통그룹이 100% 출자하여 설립된 알루미늄 및 동 소재의 전력케이블 제조업체임. 부산 강서구 지사과학단지 외국인 투자 지역에 설립되었으며 2023년까지 약 2,200만 불 투자를 이룩하였음. 2024년 추가 생산시설을 구축하여 약 150여 명의 지역 인재 고용은 물론 추가2,300만불을투자하여지역경제활성화를꾀하고있음. 국내에서는 소수의 공급업체에 한하여공급되고 있는 알루미늄 전력케이블을 생산하는 설비를갖추고있으며생산량대부분을미국등북미지역으로수출하고있음.2022년에는 자체적으로 알루미늄 로드를 제작하여 아프리카 전역으로 공급 시작하였음. 이와 같은 전폭적인 투자와 성장을 바탕으로 2020년 3천만 불, 2022년 7천만 불 이상의 수출을 달성하였으며금년2023년에는1억만불수출탑수상의쾌거를달성하였음.2024년에는설비 증설을바탕으로1,500만불/월생산CAPA를구축하여2억만불수출을목표로하고있음. 당사의 지속적인 투자, 영업 노하우, 기술개발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미국 발주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내 고객 개발에 끊임없이 투자하고 있음은 물론 EV cable, Wiring Harness, 해저케이블, 광통신 케이블 등 미래 지향형 고부가가치 제품을지속적으로연구개발하여미주,유럽시장을확대해나갈계획을가지고있음. 미국內당사주력생산제품인알루미늄전력케이블에대한수요가미국의노후전력선 교체계획에따라지속적인증가추세를보이고있고,또한태양력∙태양열∙풍력∙수력∙ 지열∙바이오 등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발전소 건립에 따른 신규 수요 역시 폭발적으로증가하고있음.전세계적으로기후변화대응을위한넷제로(net-zero)선언이 확산되며탄소배출관련규제와정책이강화되고있을뿐만아니라미국바이든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nflationReductionAct,IRA)」시행으로이러한추세가지속될것으로 전망됨. 이에 따른 고객사의 신재생 에너지 생산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 중임. 또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과 튀르키예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전 세계 원소재 수급에 불균형이 대두되고 있는데 이는 한국산 양질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질것으로예상됨. 174 - - 63. 1억불 탑 산일전기㈜ ▲수출품목 :변압기 ▲수출실적 :1억불 ▲담 당 자 :이종혁((031-319-3043) 공적내용 산일전기(주)는 1987년 8월 설립하여 1994년 3월 법인전환 후 변압기 및 리액터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1990년대 후반부터 일본과 중동, 유럽 등지로 거래처를 다변화하여 2009년에는 “1,000만불 수출탑”을 수상하였으며, 그 이후 로도 2,000만불 (2013년), 3,000만불(2014년)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음. “세계 1등 품목을 보유한기업”을목표로지난36년간지속적인발전을거듭하여세계시장에서인정받는 변압기제조회사로성장함. “세계 1등 품목을 보유한 기업”을 목표로 특수용도(조선해양, 신재생 등)의 변압기 기술개발을위하여2000년8월기업부설연구소를설립하여기술개발에힘쓰고있음. 수출액은 2020년 2천 6백만 불, 2021년 3천 7백만 불, 2022년 1억 불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174%의 큰 폭의 성장을 이루었음. 2022년 주요 수출국 비중은 미주 51%, 유럽 14%, 아시아35%이며, 22년매출액대비수출액은70%이상임. 전기차 보급이늘고 신재생에너지 인프라가확대되면서 새로운 전력망건설 필요성이 커져 변압기 수요 증가로 당사의 미주 수출량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미국의 경우기존에설치된변압기의70%가평균설치수명인25년을초과하면서교체수요도 증가하고있음. 산일전기는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 일본 TMEIC(도시바-미쓰비시 합작법인) 등 글로벌 인버터(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장치) 제조기업을 핵심 고객사로 두고 있음. 최근에는 풍력 발전 회사인 지멘스 에너지, 미국 천연가스 전기 공급회사인 PG&E 등으로거래처를확대하여향우수출량은더욱확대될전망임. 175 - - 64. 1억불 탑 성일하이메탈㈜ ▲수출품목 :금, 은,백금,팔라듐등(귀금속) ▲수출실적 :1.5억불 ▲담 당 자 :마대성((063-440-7518) 공적내용 성일하이메탈(주)는 2000년 2월 21일에 설립되어 1차 비철금속제련 및 금속재생재료를 처리하여1차금속(금,은,팔라듐,백금등)의제조및생산판매를주요영업으로하고 있음. 오랜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류 기업인 삼성전자와 Recycling Resource PartnerCertificate에선정됨.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 성일하이메탈(주)는 세계 시장에서 2022년약1억4천9백만불의수출실적을달성하였고이중직수출실적은1억4천7백만불임. 이는 2021년 대비 총 수출실적 69%의 성장을 이루어 낸 것이며, 5대 시장에 334만 불 기타시장(태국등)1억4천4백만불의실적을달성하였음. 화석연료 고갈 및 환경오염과 고유가로 인하여 자원의 무기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세계 각국은 주요 자원 확보에 전력을 쏟고 있는 실정으로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그간 선형경제에서 순환 경제로 전환하는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있음. 기술개발을 위하여 연구 전담 조직을 운영 중이며, 부설 연구소로 인가를 획득해 회수 기술과 관련한 제조 방법 등의 국내 특허 35건과 국외특허 총 4건을 출원 등록하였고, 신규 화합물 제조사업 부문신규 화합물인(초산팔라듐)을 23년양산 진행하여, 9월신규매출 실현 되었고,매출증대에기대감을갖고있음. 고순도의 귀금속 제품 제공을 위하여 품질관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비철금속 제련 및 금속원료 부문 ISO9001/ISO14001을 2017년 최초 취득하여 품질 및 환경 인증 유지 하고있음. 아울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하기 위하여 삼성전자 베트남사업장에 회수기 설치 및 투자 진행하였으며, 향후 기술개발 및 해외아웃소싱을 통하여 매출수익 증대에기대감을가지고있음. 176 - - 65. 1억불 탑 ㈜에이치피에스피 ▲수출품목 :반도체장비 ▲수출실적 :1.2억불 ▲담 당 자 :윤석현((070-7706-6070) 공적내용 ㈜에이치피에스피는고압어닐링반도체장비제조를목적으로2017년3월에설립되었으며, 동년 4월 ㈜풍산으로부터 장비 사업부문을 양수하여 반도체 장비 제조를 시작하였음.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을 선도하며 고객사의 요구에 대응하고 연구개발을 위한 목적 으로미국캘리포니아에지사를설치하여운영중임. ㈜에이치피에스피는 지속적인 연구 활동과 해외시장 판로 확장에 매진하여 아시아, 북미, 유럽의주요반도체제조사에고압수소어닐링장비를납품하고있으며, 설립첫해 수출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수출액 증가를 달성하여 2022년에는 7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으며,2023년에는1억불수출의탑을신청하게되었음. 당사의 핵심 제품인 고압 수소 어닐링 제품은 반도체 트랜지스터 소자 계면 상의 문제점을개선하기위한목표로연구개발하여제품화되었으며, 최초로고압수소어닐링 효과가검증된전공정장비로서글로벌독점적기술로서의지위를유지하고있음. 최근 반도체 회로 패턴 미세화로 인해 반도체 소자 계면 결함(Interface Defect) 등의 문제점이발견되어트랜지스터의성능개선은더욱해결하기어려운과제가되고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고압 수소 어닐링 기술은 미세화에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인 고온 공정을 회피하면서, 기존 공정 설계(process architecture)를 변형시키지 않고 트랜지스터 특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제공하고 있으며, 메모리 소자에서도 고유전막을 이용한 트랜지스터나 캐퍼시터의 공정에서도 표면 결함을 치유하여 소자 특성 개선의 니즈(Needs)가증가하고있음. ㈜에이치피에스피는 향후에도 기술격차를 확대하기 위해 기존 고압 어닐링 기술의 개선뿐만 아니라 고유전막이 사용되는 메모리 소자와 다른 소자의 Application에 적용 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술을 추가하고 있으며, 또한 안전을 강화시키는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수행하여신기능을구현한장비를출시하여시장을선도해나갈계획임. 177 - - 66. 1억불 탑 엑셀리스코리아㈜ ▲수출품목 :반도체 ▲수출실적 :1.7억불 ▲담 당 자 :이지윤((031-695-8700) 공적내용 엑셀리스코리아는 1996년 7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 1978년 미국 보스턴에 설립된 나스닥상장사AxcelisTechnologies의100%외국계투자법인임.현재미국,한국,중국을 비롯한 39여 개의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2021년 대비 224,7%의 매출 증가율, 2,196억 4,300만 원의 매출액을 기록한 글로벌 반도체 장비사임. 당사는 2021년 중장기적인 국산화를 통한 경쟁력과 수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 평택에 AAOC(아시아 오퍼레이션센터)을설립하였고이를통해고객서비스와생산능력을강화시키고있음. AAOC는 국내에서 고품질의 안정적인 설비를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보스턴 본사의 다년간 축적된 이온주입기 제조 기술을 국내 생산 기반에 도입하였음. 현재 국내의 소재·부품·장비 업체를 발굴하여 보다 나은 품질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주요모듈을 보스턴본사로 역공급하는판로를 확보하여 경제적인상생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 또한, 국내의 물류 및 포장 업체 등이 글로벌 공급망에 안정적인 자리 매김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국내 업체를 통해 구매된 금액은 2021년 약 20억 원에서 2023년 상반기 약 190억 원 달성, 2023년 총 370억원을 예상하고 있으며, 현재 주요 23개의 국내 업체가 글로벌 공급망에 편입되면서 한국 및 미국에서 제조되는 장비에 국내 부품들이 적용되는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 당해년도 수출실적은 약 1억 6,000만불로전년도대비약240%의증가율을기록함. 엑셀리스코리아는 지속적인 기술혁신과 고객 중심의 접근으로 무역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향후에는 국내에 R&D 센터와 트레이닝 센터를 설립하여 자부심을 높이고자 하며 이에 대한 추가 투자를 논의할 계획임. 2023년 6월 기준 종업원 수 또한 39.4% 증가하며 국가 경제 발전 및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해피프라이데이 프로그램 운영, 육아휴직 장려, Good Work Place 프로그램등을통해효율적이고수평적인근무환경을조성하고자하며노사간협의를 강화하는등직원의복지를증진하고기업의건전한발전을도모하고자노력하고있음. 178 - - 67. 1억불 탑 인팩이피엠(주) ▲수출품목 :전기차용배터리부품 ▲수출실적 :1.5억불 ▲담 당 자 :굴주령((070-7776-0571) 공적내용 인팩이피엠(주)는 1996년에 설립하여 자동차 산업 변화 트렌드에 따라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부품 등 고부가가치 아이템을 생산하는 자동차 부품업체임. 과거 자동차 부품 케이블부터 BMA(Battery Module ASSY) 및 BSA(Battery System ASSY) 등 친환경자동차부품을제조하고있는기업임. BMA를 전략 품목으로 선정하고 영업 다각화를 이뤄 매출액 2020년 815억, 2021년 1,829억, 2022년 2,547억 원으로 124%, 39% 증가함으로써 경제발전에 기여함. 고전압 전기 공급과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부품 케이스인 BMA는 아이오닉5, 코나 등 전기차에 장착되는 핵심부품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구동 모터인 BSA는 쏘렌토, 투싼등전기차에장착되는핵심부품임.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코나(SX2e) 수출 사양 등이 있음. 최근 SK ON BEV-Q 및 LG ES TOYOTA 플랫폼 아이템 수주에 성공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글로벌 전기차 BMA 아이템 수주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양 프로젝트 모두 2025년 상반기 양산 예정 으로,지속적인수출액증가를예상하고있음. 2020년5월, 인팩이피엠연구소를설립하여, 높은기술력을확보한고객사와기술협업을 통한 친환경 자동차 부품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미래형 자동차 부품을 개발하고, 무한 정밀의 기술을 통한 품질 경쟁력 확보하여 21세기 종합 자동차부품기업으로의도약을목표로하고있음. 또한, 인팩이피엠은 내부적 경영 및 외부적 지역 발전에 대해서도 매해 인팩人 급여 1% 나눔운동 및 지역 내 MOU 체결하여 장학금을 지급하고 수해 입은 지역주민에게 기부하는 등, 바른 경영으로 모범이 되고 있음. 뿐만 아니라 제천에 신규공장 설립을 통해 제천 산업경제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여 제천시장 감사패 및 제천시 공로상 을 수상하였음. 점차적으로 성장하며, 경영진의 철학 중 ‘사람이 미래다’ 라는 이념으로 서로를아끼며, 더나아가지역발전에도기여하는기업을목표로하고있음. 179 68. 1억불 탑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수출품목 :폴리우레탄 ▲수출실적 :1.3억불 ▲담 당 자 :김효진((02-6190-8715) 공적내용 1959년 신발용 도료, 접착제 제조기업으로 출발한 동성케미컬은 국내에 폴리우레탄 기술이전무하던1970년대폴리우레탄수지자체개발에성공하며관련분야를선도해옴. 폴리우레탄수지를신발솔에적용해신발산업의고급화를일으켰고,국내최초멜라민 레진폼상용화,국내유일무황변TPU제조란성과를이뤄냄.탄탄한기술력을바탕으로 이제는 화학, 신발, 자동차, 포장재, 빌딩∙건축 분야에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제공 하며 동성화인텍의 에너지, 동성티씨에스의 중장비 부품, 제네웰의 의료기기∙코스메틱 사업을아우르는중견기업으로성장함. 매출액은 2020년 2,127억 원, 2021년 3,757억 원, 2022년 5,300억 원으로 최근 3년 동안 매출이 지속적으로 늘면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음. 폴리우레탄 기술을 신발, 자동차, 포장재, 빌딩∙건축등다양한산업에적용하며사업을다각화하고수익성이낮은기존 석유정밀화학 사업을 친환경 기능성 정밀화학 소재 사업으로 전환함. 수출액은 2022년 기준2,941억원으로매출액의56%를구성하고있음.특히글로벌스포츠브랜드제품에 적용되고 있는 신발용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수출액은 전년대비 20% 증가. 친환경고기능소재에대한고객의니즈에선제적으로대응한결과임. 건자재에 적용해 온 열경화성복합소재(SMC, Sheet Mold Compound)는 선박, 자동차 등으로적용분야를확대해전년대비68%,신발,접착제,스포츠용품,자동차에적용되는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ThermoplasticPolyurethane)은중국,동남아에서유럽,북미 시장으로수출을확대해전년대비33%의수출실적이증가함. 동성케미컬은향후지속가능한성장을위해ESG경영을고도화해나가고있음.바이오 플라스틱을 신사업으로 낙점하고 바이오 베이스 원료 사업과 생분해 포장재 사업을 적극추진중임.또한전계열사의소재기술과연구개발역량을결합해이차전지양극 용바인더, 항노화기능성소재 등차세대소재기술개발에도힘을 쏟고있음. 이 밖에 도사회적책임경영을강화하고투명한지배구조를확립해나가고있음. 180 69. 1억불 탑 주식회사 스맥 ▲수출품목 :공작기계, IT ▲수출실적 :1억불 ▲담 당 자 :장동진((055-340-4838) 공적내용 주식회사 스맥은 1989년 삼성중공업 공작기계사업부를 모태로 시작되었으며, 현재 경상남도 김해에서 생산라인을 가동하고 있음. 고품질 Machining center와 CNC 선반, 융복합 장비, 산업용 로봇 등을 개발, 제조하여 국내 영업소와 대리점, 해외 딜러를 통해국내외로판매하고있음. 주식회사 스맥은 국내는 물론 세계 60여 개국을 대상으로 소형 공작기계부터, 중대형 공작기계까지 다양한 라인업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앞으로 기존 사업을 고부가 가치화하고 융복합 장비 및 로봇 산업 등을 미래 승부 사업으로 집중육성하는 한편 반도체, 2차전지 등 신규사업 진출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해나갈것임. 전기차 폐배터리 해체 시 미 방전등의 이유로 인한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폐배터리 재활용 전처리 공정인방전해체로봇자동화 공정기술개발을완료하였으며, 폐배터리 산업에서 확대 적용을 기대하고 있음. 자동화 기술뿐만 아니라 시스템과 모듈의방전상태를확인하고이상발생시대처하는공정도확립할예정임. 주식회사 스맥은 코로나19에의한 힘든 환경 속에서도 ‘21년 매출 약1,300억 원, ’22년 매출1,600억원, ‘23년매출약2,000억원(예상)수준으로50%이상의매출액성장률을 달성하였으며,이는지속적인R&D투자와인재양성을통해서가능했음. 해외법인(미국, 독일, 베트남)의 설립이 완료되고 안정화됨에따라, 해외 매출이 지속적 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현지 서비스 대응을 위한 부품 창고 설립 등을 해나가고 있음. 특히, 국내외 전시회(미국-IMTS, 유럽-EMO, 한국-SIMTOS)를 통해 브랜드 홍보에 박차를가하고있으며,꾸준한해외딜러확보를진행하고있음. 181 - - 70. 1억불 탑 주식회사 코넥 ▲수출품목 :전기차등친환경자동차부품 ▲수출실적 :1억불 ▲담 당 자 :황태진((041-689-0820) 공적내용 ㈜코넥은2003년에설립되어알루미늄다이캐스팅분야최고의전문기업으로서전기차 등친환경자동차부품(전동화,전장,샤시및차체부품)등을생산,납품하고있는중견 제조업체로, 2020년 5월 독일 한독기술협력센터 입주(NRW주), 2020년 6월 신산업 사업재편기업선정, 2020년9월혁신기업국가대표1000 선정, 2021년4월에는월드클래스 플러스 기업에 선정되는 등 R&D 분야에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성장하고 있는 중견업체임. 지속적인기술개발과해외영업활동전개로2019년부터미국TESLA社와거래를시작, 모델 3/Y 및 모델X의 부품, 사이버트럭용 제품 등 사업을 지속 확대, 납품하고 있으며 고객사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 사업 확대를 위해 2023년 하반기부터 미국 텍사스지역에 공장을 설립 중임. 현대차기아 그룹에도 역시 전기차 플랫폼(E-GMP)에 신기술 및 신공법을 적용,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에 핵심부품을 생산 납품하고 있음.2022년에는7천만불수출탑을수상하는등수출주도형중견제조업체임. 국책 연구개발 과제인 프리미엄 전기차용 고성능 구동 모터용 고방열 경량소재 및 적용,검증기술개발(2020.04∼2023.12), 글로벌전기차시장확보를위한지능형금형기술 기반 고냉각성능 (180W/mK)의 파워트레인 일체형 하우징 개발(2021.04∼ 2023.12), 머신러닝기반이종소재마찰교반용접공정최적화알고리즘을적용한3Bar수밀성능의 전기차용 인버터 하우징 사업화 개발(2020.04∼2022.04)을 성공적으로 개발 완료하여 사업화 중에 있으며, 고진공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적용 경량화율 30% 이상 랙하우징 일체I-형프런트서브프레임부품화기술개발(2022.04∼2026.12) 등에참여하고있는등,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부품에서 선도적인 연구개발 투자로 신소재, 신기술 개발에 많은노력을하고있음. 182 - - 71. 1억불 탑 주식회사 코스알엑스 ▲수출품목 :화장품코스메틱 ▲수출실적 :1억불 ▲담 당 자 :윤훈상((010-9550-5977) 공적내용 코스알엑스는글로벌더마코스메틱브랜드로‘미국, 동남아시아, 유럽,중동’등전세계 146여 개 국가에 진출하여 글로벌 뷰티 시장을 공략하고 있음, 2023년 기준 전체매출의 약 80%가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글로벌 종합 쇼핑몰 ‘아마존’의 북미 뷰티 카테고리 베스트셀러제품1위에오르는등글로벌밀리언셀러제품을5품목이상보유하며1억불탑 수출이라는성과를이루어냈음. 특히, 코스알엑스는 MZ세대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을 중심으로 글로벌 마케팅에 집중 공략한결과,브랜드해시태그조회수를기하급수적으로성장시키며누적조회수28억뷰라는 놀라는성과를기록,글로벌팬덤을공고히유지하며해외에서탄탄한경쟁력을구축했음. ‘민감피부를위한저자극스킨케어’라는슬로건아래피부에유해하지않은성분을함유하면서 합리적인 가격대의 고효능 제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더 나은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R&D에 지속 투자하고 있음. 최근 ‘고효능 더마 라인 The RX’를 출시하여 제품 포트 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전 세계 소비자들의 피부 고민에 우수한 품질과 제품력, 합리적인 가격으로지속적인성장을도모하고있음. 코스알엑스는글로벌유통사확장에도꾸준한성장을이루어냈음. 전세계소비자들은 어디 서든만나볼수있도록고객접점확대에노력을기울이며현재미국의대표뷰티유통업체 ‘얼타(ULTA)’의 전 매장을 비롯해 왓슨(Watson), 소시올라, 아마존 스타일 등 오프라인 시장에서코스알엑스의제품을찾아볼수있도록꾸준히글로벌시장의점포수를확대하는 방침을시행하고있음. 2023년 상반기 매출액은 1,930억 원으로 2022년 상반기 대비 138% 성장한 수치로 사상 최고 실적을 기록함. 올해 두 배의 실적으로 마감할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마켓에서 안정적인수출증진을중임. 183 - - 72. 1억불 탑 코오롱플라스틱㈜ ▲수출품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수출실적 :1.3억불 ▲담 당 자 :허덕호((02-3677-3472) 공적내용 코오롱플라스틱은1996년에설립되어 5대 엔지니어링플라스틱(EP) 중폴리옥시메틸렌 (POM), 폴리아미드(PA6, 66)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를 비롯, TPEE, LFT, 복합소재 Composit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국내 유일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전문기업”임. 코오롱플라스틱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자적인 POM 중합 생산공정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며, 2018년 글로벌 화학기업인 바스프와 합작해 단일 부지 기준 세계 최대(연산 15만톤)의생산공장을설립,글로벌경쟁력을갖춤. 중합에서 컴파운드까지 세계 최고 품질의 제품을 기반으로 유럽, 미국, 중국, 인도의 판매법인을 비롯, 전 세계 90여 개국에 판매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매년 수출 매출이 꾸준히증가하며글로벌시장확대에박차를가하고있음. 코오롱플라스틱은글로벌고객의지속가능경영니즈에맞춘친환경원료와공법이적용된 소재,의료용전용소재, 탄소섬유복합소재등지속가능한친환경소재포트폴리오를 확대해글로벌산업트렌드에선제적으로대응해나가고있음. 또한2020년말국내플라스틱업계최초로POM을생산하는김천1공장에글로벌친환경 인증제도인 “ISCC PLUS인증”을 취득하였고, 2023년 6월 말에는 컴파운드 제품을 생산하는김천2공장까지본인증을취득하면서국내플라스틱업계최초로전체사업장에 대해ISCCPLUS인증을취득완료함. 코오롱플라스틱은 플라스틱과 환경이 공존하는지속가능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해양 폐플라스틱재활용원료를활용한플라스틱제품개발및MOU체결등친환경생태계 조성에이바지하고자힘쓰고있음. 184 - - 73. 1억불 탑 피아이첨단소재㈜ ▲수출품목 :폴리이미드(PI)필름,바니쉬,파우더 ▲수출실적 :1억불 ▲담 당 자 :이상현((02-2181-8670) 공적내용 PI첨단소재는 2008년 SKC와 코오롱인더스트리의 합작회사인 SKC코오롱PI(주)로 출범하였으며,2020년대주주변경이후현재사명을사용중.폴리이미드(Polyimide,PI) 필름과 액체 형태의 바니쉬, 분말 형태의 파우더/성형품을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PI 필름세계시장점유율1위기업임. PI필름은상용화된플라스틱중가장뛰어난물성을가진‘슈퍼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분류되며,다양한제품의필수소재로채택되고있음.PI첨단소재제품은주로IT기기의 FPCB용,방열시트용,산업공정용,IT산업용,EV(ElectricVehicle)배터리절연용등으로 활용되고있으며다수의글로벌고객사에게공급되고있음.PI첨단소재의해외매출비중은 2022년기준64.2%로,중화권, 유럽,북미등다양한해외에제품을판매하고있음. PI첨단소재는우수한기술력과제품생산기술을바탕으로글로벌PI필름시장점유율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외 경쟁사대비 월등히 높은생산능력을 갖추고있음. 현재 5250톤 수준인PI필름생산능력을2027년7500톤까지증가하기위한투자를진행할계획임. 또한, EV 및 첨단산업 등에 적극적인 투자를진행하며 종합 첨단소재로 발전해 나가고 있음. 2023년 6월에는 급증하는 EV 시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연 3000톤 규모의 PI 바니쉬 생산라인 투자를 결정 및 공시하였으며, 우주항공 기업들과 MOU를 체결하며신사업을활발히개척중임. PI첨단소재는 활발한 연구개발을 통해 시장이 원하는 제품 그리고 미래를 이끌어갈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이를 위해 2022년 기준 매출액 대비 3.6%를 연구개발비에 투자하고 있으며, 관련 지식재산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이러한 연구개발 성과로 2019년 지식재산경영기업 특허청장상, 2021년 IP R&D 수행 우수기업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2020년민간R&D유공분야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등대기업을 수상하였음. 또한 PI첨단소재의 제품은 2022년에는 산업통 상자원부와KOTRA가선정한세계일류상품에선정되었음. 185 - - 74. 1억불 탑 한국진공㈜ ▲수출품목 :이차전지진공건조설비 ▲수출실적 :1억불 ▲담 당 자 :배재숙((053-591-7720) 공적내용 한국진공(주)는 ‘첨단 기술의 확보가 회사의 미래이며 자산이다’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국내진공기술의태동기인1998년설립이래국내에서진공기술을접목한다양한산업에 필요한기계및장치의국산화에앞장서순수국내기술로수입에의존해오던진공관련 설비를자체개발공급하여국내외기업에공급해왔음. 초장기브라운관진공배기설비및증착설비의국산화에이어LCD및PDP의생산에 사용되는많은진공관련설비국산화에성공함. 또한 자동차 램프 PVD 코팅 설비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공급하였고, 모바일 폰의 외관증착용PVD,CVD설비를개발하여공급함. 2010년이후친환경녹색성장을위한이차전지시장의성장을대비하여이차전지생산에 필요한 진공 건조설비의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기존 Batch형 진공 건조 설비에서 공정 시간의획기적단축및유지보수비용이획기적으로절감된차세대인라인형진공건조설 비를전세계최초로개발및상용화를하여국내대기업의독점공급은물론이고중국, 유럽,미국의이차전지생산업체및자동차생산업체들에많은설비를공급하고있음. 이러한 급격한 성장에 따라 창립 초기 1998년 매출 60억에서 22년 매출 1,200억원으로 무려20배성장할수있었으며현재도매년50%정도성장을지속함. 또한적극적인일자리창출로5년전40명수준의임직원이23년말현재100여명으로 확대될예정임. 한국진공의 이러한 성장 배경에는 미래를 위해 매년 매출의 10% 이상 끊임없는 R&D 투자로신기술개발을진행한결과임.현재도진공코팅, 건조설비외에차세대Item으로 전세계에상용화가되지않은연속형진공브레징설비를개발하고있으며차세대성장 동력으로삼고자끊임없는R&D를지속중임. 186 - - 75. 1억불 탑 한주라이트메탈㈜ ▲수출품목 :알루미늄주물주조품 ▲수출실적 :1.2억불 ▲담 당 자 :백승걸((052-231-1030) 공적내용 한주라이트메탈(주)는 현대자동차 경합금주조 라인을 이관받아 1987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자동차 알루미늄 주조기업으로 현대자동차 DOHC용 엔진 흡기다기관(Intake Manifold)의 국산화와 일체형 개발을 성공하였고, 1998년 도요타자동차 자회사인 중앙 정기로부터 기술과 자본을 제휴 받아 배가된 기술력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여 1999년 100만불규모에서2022년약1억1천만불로지속적인성장을하고있음. 지속적인기술개발과해외영업활동전개로현대차,GM,닛산,포드등다양한완성차에 요구되는경량화부품및전기차부품에대한개발에성공하여독점적인부품을공급한 결과,매출액은2020년1,659억원대비2022년2,325억원으로40%증가함. 주요 수출국으로는 미국을 포함한 미주(82%),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11%), 유럽 지역(7%)으로구성되어있음. 알루미늄주조사업을기반으로 사업다각화등을위해2004년기업부설 연구소를설립 하였고,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다양한 제품 개발 국책 과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재까지 총 58건, 214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아 기술 확보뿐만 아니라 성장동력의 모멘텀을 만들고 있음. 미래 모빌리티 초경량화 부품 솔루션을 제공할 ‘반응고 고압 주조설비의 전자기진동 교반장치’기술을포함한 등록특허 13건,출원특허 2건을보유 하고있음. 최근 한국통상자원부가 주관한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이종기술융합형사업)에서 컨소시엄이 선정되어, 정부지원금 95억원과 현물을 포함한 자체 부담금 46억 원을 합하여 총사업비 141억 원의 대형사업으로 총 12개 기관이 참여하여 2023년 7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세계최초초박형차체및전동화부품개발’을목표로추진하고있음.

      닫기
    • 1204(5조간)무역정책과, 제60회 무역의날 행사 포상부문.hwpx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3. 12. 4.(월) 11:00 < 12.5.(화) 조간 > 배포 2023. 12. 4.(월) 제60회 무역의 날 행사 (포상부문) 담당 부서 무역정책과 책임자 과 장 정상용 (044-203-4020) 담당자 사무관 홍경태 (044-203-4022) 목 차 Ⅰ. 제60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1 Ⅱ. 수상자 명단 5 □ 정부포상 수상자 6 □ 수출의 탑 수상업체 30 Ⅲ. 주요 수상자 공적내용 77 □ 정부포상 수상자 78 □ 수출의 탑 수상업체 112 Ⅰ. 제60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Ⅰ. 제60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1. 무역‧진흥 유공자에 대한 포상 □ 포상개요 ㅇ 정부는 2023.12.5일(화) 서울 코엑스에서 제60회 무역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고, 무역‧진흥 유공자에 대한 포상을 실시함 ㅇ 올해에는 공급망 교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어려운 교역 여건 속에서도 역대 최고의 수출실적을 거둔 무역인들을 격려하기 위해 유공자 총 596명에게 정부포상을 수여함 < 2023년 무역의 날 유공자 포상현황 > 산업훈장 포장 표창 합계 구분 금탑 은탑 동탑 철탑 석탑 계 대통령 총리 산업부장관 전체 4 6 9 9 4 32 31 77 86 370 596 □ 포상현황 ㅇ (기업규모별) 대기업 종사자 65인, 중견기업 종사자 86인, 중소기업 종사자 360인에 대해 포상함. - 전체 포상의 약 75%는 중소·중견기업 종사자에 해당 ㅇ (기타) 무역 유관기관 종사자 85인 外, 단체 2곳 포상함. □ 금년도 포상의 주요 내용 ㅇ 금탑산업훈장의 경우, 중소기업 대표이사 2인, 중견기업 회장 1인, 대기업 대표이사 1인 등 총 4명이 수상함. 구 분 기 업 명 직 위 수상자 비 고 중소기업 ㈜메타바이오메드 대표이사 오 석 송 치과용 의료 원부자재 중소기업 ㈜비엠티 대표이사 윤 종 찬 산업용 피팅․밸브 중견기업 ㈜심텍 회장 전 세 호 인쇄회로 기판 대기업 ㈜엘엑스세미콘 대표이사 손 보 익 반도체 설계 ㅇ 금탑산업훈장 이외에도 592명이 훈ㆍ포장, 대통령ㆍ국무총리ㆍ산업부장관표창을 수상함. ㆍ은탑산업훈장 : 케이지 모빌리티㈜ 대표이사 정용원 등 6명 ㆍ동탑산업훈장 :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대표이사 양국석 등 9명 ㆍ철탑산업훈장 : 삼성에스디아이㈜ 부사장 손미카엘 등 9명 ㆍ석탑산업훈장 : 한국무역보험공사 본부장 박진식 등 4명 ․산업포장 : ㈜현대미포조선 기장 이상신 등 31명 ㆍ대통령표창 : 에스시디디㈜ 대표이사 강병수 등 77명 ㆍ국무총리표창 : 영케미칼㈜ 공장장 박경원 등 86명 ㆍ산업부장관표창 : ㈜피제이켐텍 상무 박영만 등 370명 ㅇ 단체표창은 지역수출 지원을 촉진하여 최우수 광역자치단체로 선정된「충청남도」에게 대통령표창(단체)을 수여하고, -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에 기여하여 최우수 중소기업지원센터로 선정된「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 수출지원센터」에게 대통령표창(단체)을 수여함. 2. 수출의 탑 수여 ㅇ 「수출의 탑」은 ’73년 최초 1억불 수출 달성업체(한일합섬공업)의 출현을 기념하여 수여하기 시작함. ㅇ 올해 수상업체는 1,704개사로 대기업 36개사, 중견기업 113개사, 중소기업 1,555개사임 - 올해 최고의 탑인 300억불탑은 현대자동차(주)가 수상하고, ㈜엘지이노텍 등 74개사가 1억불탑 이상을 수상함. ※ 수상기준 : 당해 기간(’22.7∼’23.6)에 일정단위의 수출실적을 달성한 업체 - ㈜금광텍스타일 등 390개사는 1백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함. ◈ 수출의 탑 수상업체 내역 (단위 : 개사) 탑 종류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합 계 비 고 300억불 1 - - 1 현대자동차(주) 200억불 1 - - 1 기아 주식회사 100억불 1 - - 1 엘지이노텍(주) 60억불 1 - - 1 삼성에스디아이(주) 40억불 - 1 - 1 ㈜엘앤에프 30억불 1 2 - 3 엠코테크놀로지코리아㈜ 등 20억불 - 1 - 1 ㈜에코프로이엠 10억불 4 2 - 6 ㈜경신 등 8억불 1 - - 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7억불 2 1 - 3 (주)세아제강 등 6억불 - 2 - 2 (주)대동 등 5억불 1 3 - 4 ㈜에프앤에프 등 4억불 - 5 - 5 ㈜에스에이엠티 등 3억불 - 3 1 4 (주)휴스틸 등 2억불 2 7 3 12 (주)건화 등 1억불 3 13 13 29 (주)덴티움 등 7천만불 2 7 26 35 (주)넥스틴 등 5천만불 1 11 31 43 (주)강원엔티에스 등 3천만불 3 8 51 62 ㈜노바렉스 등 2천만불 6 13 80 99 (주)다원트레이드 등 1천만불 1 8 157 166 (주)골드크랩 등 7백만불 1 5 132 138 ㈜KLT 등 5백만불 2 5 175 182 (주)강한 등 3백만불 1 6 234 241 (주)금양산업 등 2백만불 1 6 266 273 ㈜경동냉열산업 등 1백만불 - 4 386 390 (주)금광텍스타일 등 총계 36 113 1,555 1,704 Ⅱ. 수상자 명단 정부포상 수상자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1 금탑산업훈장 ㈜엘엑스세미콘 대표이사 손보익 2 금탑산업훈장 ㈜심텍 회장 전세호 3 금탑산업훈장 ㈜메타바이오메드 대표이사 오석송 4 금탑산업훈장 ㈜비엠티 대표이사 윤종찬 5 은탑산업훈장 ㈜포스코퓨처엠 대표이사 김준형 6 은탑산업훈장 케이지 모빌리티(주) 대표이사 정용원 7 은탑산업훈장 남성해운(주) 선장 문판식 8 은탑산업훈장 (주)싱그린FS 대표이사 정호석 9 은탑산업훈장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대표이사 박종환 10 은탑산업훈장 에스트래픽(주) 대표이사 문찬종 11 동탑산업훈장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대표이사 양국석 12 동탑산업훈장 한국진공(주) 대표이사 이인우 13 동탑산업훈장 케이넷(주) 대표이사 서성남 14 동탑산업훈장 (주)포스코인터내셔널 상무보 김원영 15 동탑산업훈장 에이치에스엠(주) 대표이사 문안용 16 동탑산업훈장 삼성물산(주) 그룹장 임건순 17 동탑산업훈장 엑셀리스코리아(주) 사장 박영근 18 동탑산업훈장 동광무역상사(주) 대표이사 이상훈 19 동탑산업훈장 에스케이하이닉스(주) 부사장 김주선 20 철탑산업훈장 삼성에스디아이(주) 부사장 손미카엘 21 철탑산업훈장 세아상역(주) 대표이사 문성미 22 철탑산업훈장 (주)보명금속 대표 홍수식 23 철탑산업훈장 한화솔루션(주) 상무 김운회 24 철탑산업훈장 (주)흥아기연 부장 이승범 25 철탑산업훈장 (주)하나금속 전무 남정도 26 철탑산업훈장 현대삼호중공업(주) 직장 김선 27 철탑산업훈장 한국알프스(주) 책임매니저 신경영 28 철탑산업훈장 태광후지킨(주) 반장 신옥주 29 석탑산업훈장 한국무역보험공사 본부장 박진식 30 석탑산업훈장 (사)한국무역협회 본부장 김병유 31 석탑산업훈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 김윤태 32 석탑산업훈장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처장 정동호 33 산업포장 (주)현대미포조선 기장 이상신 34 산업포장 (주)두맥스 상무이사 김찬균 35 산업포장 (주)동보 과장 변천수 36 산업포장 (주)스누콘 대표이사 박영우 37 산업포장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팀장 염원우 38 산업포장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수석 문정주 39 산업포장 (주)윤성에프앤씨 대표이사 박치영 40 산업포장 (주)텔레칩스 상무 김성재 41 산업포장 (주)마스터 대표이사 김상훈 42 산업포장 (주)현대엘앤씨 상무 김순태 43 산업포장 (주)우신시스템 주임 김용준 44 산업포장 (주)대창식품 이사 김영화 45 산업포장 (주)삼진 지. 에프 상무이사 강종춘 46 산업포장 (주)메리테크 부사장 이광우 47 산업포장 주식회사 포스코 실장 엄기천 48 산업포장 일진전기 주식회사 대표이사 황수 49 산업포장 현대엔지니어링(주) 상무 김동준 50 산업포장 주식회사 포스코엠씨머티리얼즈 사장 김동원 51 산업포장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송경록 52 산업포장 케이로지 주식회사 대표이사 허문구 53 산업포장 삼성전자(주) 상무 양익준 54 산업포장 풍영비나 대표 김영환 55 산업포장 이구산업(주) 반장 김봉운 56 산업포장 뉴코리아진흥(주) 대표이사 홍광희 57 산업포장 한국진공(주) 대리 김기현 58 산업포장 넥센타이어(주) 책임 최병문 59 산업포장 (주)미라콤아이앤씨 전무 이종원 60 산업포장 (주)코인텍 전무이사 용석천 61 산업포장 (주)인터로조 차장 구진형 62 산업포장 (주)이엔플러스 대표이사 최용인 63 산업포장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이사 정상미 64 대통령표창 에스시디디(주) 대표이사 강병수 65 대통령표창 (주)우원 대표이사 조현용 66 대통령표창 아이에스케이바이오 사이언스코리아(주) 사장 정모세 67 대통령표창 (주)에스에이엠티 대표이사 박두진 68 대통령표창 (주)에이에스텍 대표이사 윤종배 69 대통령표창 (주)이노바스복합시설관리 상무 전부기 70 대통령표창 (주)이노와이어리스 부사장 박광호 71 대통령표창 (주)세라젬 조장 김태균 72 대통령표창 (주)그림 대표이사 곽만영 73 대통령표창 (주)이수페타시스 대표이사 최창복 74 대통령표창 피에스케이(주) 상무 강호길 75 대통령표창 린데코리아(주) 계장 윤만섭 76 대통령표창 (주)수산중공업 부사장 신수근 77 대통령표창 성일하이메탈(주) 대표이사 이기웅 78 대통령표창 (주)우신세이프티시스템 부장 조성일 79 대통령표창 (주)로드컴플릿 대표 배정현 80 대통령표창 현대제철(주) 책임매니저 장석운 81 대통령표창 한주라이트메탈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용진 82 대통령표창 (주)유라하네스 책임매니저 김인호 83 대통령표창 (주)종합정밀 직장 정연호 84 대통령표창 한전원자력연료(주) 부장 박호영 85 대통령표창 하이트진로(주) 부장 조성균 86 대통령표창 레이어시스템 대표 김종욱 87 대통령표창 (주)휴온스메디텍 대표이사 천청운 88 대통령표창 (주)유니온 책임 옥정환 89 대통령표창 (주)세아제강 부장 전우현 90 대통령표창 (주)수산씨에스엠 대표 양희준 91 대통령표창 제룡전기(주) 책임매니저 김하은 92 대통령표창 (주)디케이엔지 상무이사 양승윤 93 대통령표창 에스케이하이닉스(주) 팀장 김도형 94 대통령표창 (주)호원 직장 김장곤 95 대통령표창 (주)퓨런티어 상무이사 윤성민 96 대통령표창 (주)러시아 대표이사 이서훈 97 대통령표창 (주)경신 선임매니저 유순배 98 대통령표창 삼양식품(주) 팀장 오승용 99 대통령표창 에이티제이컴퍼니 대표 엄태준 100 대통령표창 (주)메가터치 대표이사 윤재홍 101 대통령표창 (주)영도벨벳 상무 이장열 102 대통령표창 (주)지맥스 팀장 이원석 103 대통령표창 기가비스(주) 과장 김남하 104 대통령표창 (주)디에이치라이팅 전무이사 김동춘 105 대통령표창 (주)쌤시크코스메틱 대표이사 유성혁 106 대통령표창 나이스텍(주) 대표이사 신두국 107 대통령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조성대 108 대통령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장 이강수 109 대통령표창 한국수출입은행 부장 권원협 110 대통령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정순이 111 대통령표창 (주)제일화성 대표이사 임종일 112 대통령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소장 하영옥 113 대통령표창 (주)국제로지스틱 대표이사 나승도 114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팀장 김정수 115 대통령표창 카페24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재석 116 대통령표창 (주)대한항공 팀장 김동훈 117 대통령표창 (주)샴스코 대표이사 김갑주 118 대통령표창 대상 주식회사 부장 김광일 119 대통령표창 (주)포스코인터내셔널 그룹장 김동일 120 대통령표창 남덕물산(주) 대표이사 용환주 121 대통령표창 한국무역보험공사 지사장 양상균 122 대통령표창 (주)영케미칼 회장 윤영현 123 대통령표창 ㈜포스코인터내셔널 부장 임채일 124 대통령표창 재단법인 경주화백컨벤션뷰로 사장 김용국 125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레코 대표이사 김영수 126 대통령표창 (주)화성금속 대표 원일봉 127 대통령표창 (주)삼보산업 대표이사 나무상 128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에이피테크 대표이사 박찬봉 129 대통령표창 충청남도 - 단체 130 대통령표창 인천지방 중소벤처기업청 - 단체 131 대통령표창 (주)제스코통상 이사 이동희 132 대통령표창 (주)알바이오 대표 최경호 133 대통령표창 (주)보부하이테크 대표이사 왕동민 134 대통령표창 (주)휴맥스네트웍스 대표이사 이승재 135 대통령표창 동아알루미늄(주) 회장 라제건 136 대통령표창 경북통상(주) 대표이사 김현규 137 대통령표창 세종기술(주) 대표이사 이시원 138 대통령표창 한국머신툴스(주) 대표이사 서정철 139 대통령표창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주) 대표이사 케네스 민규리 140 대통령표창 (주)서치 대표 문영필 141 국무총리표창 (주)영케미칼 공장장 박경원 142 국무총리표창 (주)모담글로벌네이처 대표이사 고은주 143 국무총리표창 (주)디에스이엔티 대표이사 최병수 144 국무총리표창 (주)신명 대표이사 이상욱 145 국무총리표창 (주)모피언스 대표이사 박병기 146 국무총리표창 (주)에이치알이앤아이 부장 김진필 147 국무총리표창 (주)헤스피마린 대표이사 임지환 148 국무총리표창 농업회사법인 한국한인홍(주) 대표이사 임재화 149 국무총리표창 (주)에스앤씨 코퍼레이션 대표이사 박형준 150 국무총리표창 (주)워너비코스메틱 대표이사 김보민 151 국무총리표창 제닉스(주) 상무이사 박준호 152 국무총리표창 소마상사 대표 문현성 153 국무총리표창 엘지이노텍(주) 팀장 김도형 154 국무총리표창 희성촉매(주) 상무보 김은석 155 국무총리표창 (주)케이지무역 대표 독토바에브 일리아즈 156 국무총리표창 (주)사이버메드 대표이사 김철영 157 국무총리표창 에스파워(주) 대표이사 류승호 158 국무총리표창 (주)제일메디칼 코퍼레이션 회장 박재일 159 국무총리표창 (주)탑코글로벌 대표이사 양승철 160 국무총리표창 (주)엔솔 대표 이미영 161 국무총리표창 (주)강한 대표 정의한 162 국무총리표창 케이지 모빌리티(주) 노동조합 위원장 선목래 163 국무총리표창 비엔스틸라(주) 부장 정병곤 164 국무총리표창 (주)대한이앤씨 회장 이규석 165 국무총리표창 (주)토르 대표이사 장정환 166 국무총리표창 희성전자(주) 사장 이석종 167 국무총리표창 신흥글로벌(주) 상무이사 박유성 168 국무총리표창 삼영잉크 페인트제조(주) 차장 정남준 169 국무총리표창 (주)와이지-원 차장 최경희 170 국무총리표창 주식회사 씨티알에코포징 책임매니저 이동원 171 국무총리표창 (주)에이텍에이피 전무 남궁준 172 국무총리표창 (주)두성테크 차장 김정배 173 국무총리표창 (주)피에프디 대표이사 남궁광 174 국무총리표창 (주)엔캣 대표이사 양진호 175 국무총리표창 다온패브릭 대표 김유현 176 국무총리표창 (주)에스텍시스템 대표이사 이병화 177 국무총리표창 (주)태상 기감 이세도 178 국무총리표창 삼성전자(주) 부장 황은주 179 국무총리표창 현대건설(주) 팀장 임영빈 180 국무총리표창 (주)코센 수석부사장 천성환 181 국무총리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윤용 182 국무총리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송혜숙 183 국무총리표창 (주)렉셀 코리아 대표이사 오정희 184 국무총리표창 (재)창원산업진흥원 차장 최병길 185 국무총리표창 (주)신한은행 센터장 최신철 186 국무총리표창 (주)우리은행 영업본부장 홍응기 187 국무총리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최창열 188 국무총리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장상식 189 국무총리표창 주식회사 마린테크노 대표이사 황재호 190 국무총리표창 (주)케이더블유 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진길원 191 국무총리표창 남성해운(주) 회장 김영치 192 국무총리표창 에코유로파워(주) 대표이사 이종환 193 국무총리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원장 이양일 194 국무총리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차장 이경우 195 국무총리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최강록 196 국무총리표창 (주)쏠리드 대표이사 우영미 197 국무총리표창 주식회사 포스코 상무 김형목 198 국무총리표창 메타 바이오메드 미국법인 법인장 윤은석 199 국무총리표창 재단법인 경상남도 관광재단 대표이사 황희곤 200 국무총리표창 (주)아프로산업 대표 김정순 201 국무총리표창 유니스낵 대표 하이드 하니퍼 202 국무총리표창 북경양자동력무역 유한회사 총경리 신성순 203 국무총리표창 쑤메이다 국제기술무역 유한회사 총경리 후하이징 204 국무총리표창 (주)두손 대표이사 최경용 205 국무총리표창 한-토 자동차 주식회사 이사장 최우영 206 국무총리표창 아이엔티상사 대표이사 손영일 207 국무총리표창 전략물자관리원 팀장 김희준 208 국무총리표창 삼성전자로지텍 주식회사 부장 김생일 209 국무총리표창 (주)아산 성우하이텍 대표이사 박병찬 210 국무총리표창 한국그런포스펌프(주) 이사 손민호 211 국무총리표창 (주)에스엠코어 반장 박점수 212 국무총리표창 (주)신흥정밀 부사장 이장화 213 국무총리표창 오스템올소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병일 214 국무총리표창 (주)금강쿼츠 대표이사 김창길 215 국무총리표창 한국호야전자(주) 대표이사 김인 216 국무총리표창 코스맥스바이오(주) 대표 김철희 217 국무총리표창 에스케이에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사장 강도연 218 국무총리표창 성도하이텍(주) 고문 조준호 219 국무총리표창 (주)신티에스 이사 김연호 220 국무총리표창 시엔에이전기(주) 대표이사 인웅식 221 국무총리표창 (주)제이앤에스 대표이사 김병수 222 국무총리표창 (주)에이아이코리아 사장 김종래 223 국무총리표창 유광무역(주) 회장 최광사 224 국무총리표창 (주)창환단자공업 회장 김환창 225 국무총리표창 (주)세고스 조장 오은순 226 국무총리표창 원창머티리얼 주식회사 대표이사 채영백 2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피제이켐텍 상무 박영만 2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시스템베이스(주) 대표이사 장연식 2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독기술(주) 차장 이병수 2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프엔디 부장 이정민 2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한세라믹 대표이사 강성호 2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일신플랜텍 대표이사 안병헌 2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수원케이엔피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남석 2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블유에프엔 대표이사 박재광 2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더빅코리아 대표이사 김장수 2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치알에스 이사 김주용 2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데크카본 부장 유태두 2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애플티 대표이사 이민근 2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인천폐차사업소 대표이사 박순용 2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스알티 대표이사 손영만 2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블유제이티 대표 전일덕 2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올 이사 이창선 2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해사기술 상무 박한채 2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토마토안경 대표 김승준 2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태하 대표이사 한기용 2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와토코리아 대표이사 유경선 2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노바코리아(주) 대표이사 유동석 2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린텍 부사장 유호정 2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경인정밀기계 부사장 김태훈 2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한팩 대표이사 박인호 2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핌스 상무이사 배성일 2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엘글로벌 대표이사 이창우 2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반장 정인채 2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웰마크(주) 대표이사 정병도 2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디클러스 대표이사 김경은 2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도산업(주) 반장 곽하나 2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테크노스 대표이사 김상윤 2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가야인터내셔널코퍼레이션 대표이사 오정호 2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혜성씨앤씨(주) 상무이사 이희충 2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티엔씨 퍼스트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광복 2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송정 대표이사 송종호 2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니텍상사 대표 임재승 2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금성제어기(주) 대표이사 한형섭 2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도원에이팩스 대표 한봉희 2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비원 대표이사 조범호 2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티진 대표이사 허율 2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아이엘(주) 대표 김시균 2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청안오가닉스 차장 박남열 2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파워 대표이사 이경규 2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인흥산업 대표이사 이선재 2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아라움 대표 김미선 2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싸이몬 대표이사 안재봉 2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삼원기계 대표이사 전순도 2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니온테크㈜ 대표이사 한기정 2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네이처케어 대표 권민찬 2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이엠테크 대표이사 이경복 2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만코푸드 대표 고재유 2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무아스 사장 문철우 2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아이엠 대표이사 양영은 2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우스 책임 임광택 2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프로타이 대표 김부원 2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아오일씰텍 대표이사 노재숙 2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앤디그룹 회장 이철 2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흥아기연 부장 전춘식 2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만 팀장 박광열 2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가파우더시스템(주) 이사 이기택 2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남성해운(주) 상무이사 조인환 2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엘오티베큠 실장 김진섭 2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만 부장 권선용 2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원 팀장 이태호 2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원 전무이사 최남기 2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아알루미늄(주) 차장 박영철 2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마스터 팀장 한완혁 2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모피언스 기술연구소장 이광원 2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이쓰리시스템(주) 수석 차철 2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아알루미늄(주) 부장 이경란 2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사장 한부남 2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알바이오 전무 이항영 2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포스코퓨처엠 부사장 정대헌 3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수산중공업 직장 김성진 3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화성금속 부장 유현진 3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와이앤케이글로벌네트웍스(주) 이사 고민경 3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이피테크 수석 전우남 3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삼호중공업(주) 책임매니저 조상선 3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남경 책임 고병욱 3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로드컴플릿 매니저 김창순 3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녹스 본부장 서영석 3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알멕 총괄사장 박준표 3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그림 부사장 조천우 3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보 이사 서정만 3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알프스(주) 상무이사 이수연 3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보부하이테크 차장 임채영 3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수석 윤경일 3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치에스오토모티브 실장 한소정 3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진화스너공업(주) 부사장 정상희 3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스틸 부장 오동호 3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명 팀장 김영권 3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신세이프티시스템 부장 김안수 3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경북통상(주) 차장 최상락 3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녹스 직장 신충열 3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나이스텍(주) 과장 전진우 3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일평기연 차장 정경숙 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퓨런티어 이사 오승훈 3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텍글로벌 부장 류혜정 3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기가비스(주) 부장 임홍삼 3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하이트진로(주) 차장 이태섭 3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엔에스하이텍(주) 반장 김미귀 3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현대엘앤씨 전문직2급 안성인 3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바이오프로테크 대표이사 김병전 3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라젬 상무 김성국 3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이코더스 대표이사 최새미 3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이씨이아이우방 주식회사 대표 이찬우 3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양식품(주) 팀장 최호준 3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터보파워텍(주) 차장 황성 3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두맥스 부장 전화식 3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나이스텍(주) 부장 유승완 3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천지산업(주) 상무 한만규 3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모텍(주) 사원 이명숙 3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원일전선(주) 차장 박성룡 3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현대미포조선 책임매니저 전성진 3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블유제이티 실장 권수형 3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바노바기 대표이사 반재용 3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에스엠(주) 공장장 문영배 3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피에프디 실장 권야나 3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타임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이재원 3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리얼게인 대표이사 박대영 3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리아나까조(주) 팀장 고영석 3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서치 차장 최세미 3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와이아이테크(주) 이사 신시영 3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블유에프엔 과장 서다영 3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브링코 실장 이형노 3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태흥라인 대표이사 동홍얀 3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창환단자공업 사원 정미선 3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이엠바이오텍 대표 장지영 3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차장 장준민 3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시스템베이스(주) 부장 송승주 3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책임 조봉현 3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바이오로직스 차장 정구영 3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스씨엘 차장 오진근 3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샬롬엔지니어링(주) 팀장 박은정 3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모텍(주) 부장 최형원 3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보명금속 부장 김광일 3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디메카 대표이사 이진 3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명연마 부장 김명기 3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주) 초록원 이사 박종석 3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흥 대표이사 윤효성 3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일신웰스 대리 오승호 3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엘앤엘트레이딩 대표 양진혁 3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토마토안경 과장 순쇼단 3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블루칩코리아컴퍼니 대표 김태환 3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인터원 차장 강보라 3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에프에프코리아(주) 지사장 송민규 3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아제강 과장 최현민 3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세일단조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수권 3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터보파워텍(주) 조장 임창주 3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포시스 대표 이태순 3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세영정보통신(주) 이사 고재완 3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플로우텍 부장 김영호 3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이아이코리아 차장 이광용 3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넥센타이어(주) 상무 김대중 3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닉스 주식회사 과장 안효배 3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양금속공업(주) 과장 유용재 3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후후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정만형 3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진영테크 대표이사 곽봉주 3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포스코 그룹장 이동은 3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엠비스틸 차장 김경선 3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글로쿼드텍 상무 조인영 3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가디뷰이 대표이사 한화란 3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케이엠엑스 전무 김영규 3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플로우텍 대표이사 공도경 3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베이인터내셔널(주) 대표 조인환 3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디파인켐 대표이사 박현진 3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태하 과장 이혜영 3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에스이엔지 부장 권상준 3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득영 과장 김문식 3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마크로케어 공장장 김영규 3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신스윈 실장 양다별 3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원산업(주) 차장 정재은 3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텔레칩스 부사장 송봉기 4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수산씨에스엠 반장 김진우 4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혜성씨앤씨 주식회사 차장 최형구 4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케이렌터카 주식회사 매니저 이상옥 4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제세 대표이사 김동희 4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지디케이화장품(주) 상무 명진승 4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수산씨에스엠 팀장 김성욱 4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원농산 영농조합법인 실장 이연숙 4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우르 대표이사 신중길 4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정화식품(주) 차장 이정훈 4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대표이사 황규관 4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려비철금속(주) 부장 한설웅 4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성무역 대표 박태성 4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제철 주식회사 기장 배지환 4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니온 책임 박성진 4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태림 대표 백명란 4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구일엔지니어링 부사장 이광노 4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쓰리케이에이치 주식회사 대표이사 허선미 4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알지 부장 전진영 4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쿨랜스코리아 주식회사 팀장 임대규 4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원농산 영농조합법인 본부장 박은규 4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득영 대표 이성욱 4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휴맥스네트웍스 본부장 강기원 4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투앤 계장 김운 4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더유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유호완 4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다이나믹오토 대표이사 김현철 4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프알메드코스 대표이사 조진만 4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솔아이엠비 과장 손평원 4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미전선(주) 대표이사 윤성욱 4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메이코더스 이사 김길태 4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레존텍 팀장 박범준 4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웰코 대표 오창희 4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푸드베리 차장 김진륜 4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엠씨케이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병채 4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웨덱스 대표이사 양승구 4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제세 팀장 조성욱 4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미코세라믹스 담당 송현석 4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량산업(주) 과장 장주영 4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누비콤 대리 송주연 4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쿨랜스코리아 주식회사 팀장 이웅희 4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메가터치 상무 지종훈 4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바크로 상무 노성환 4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바다명가 이사 장민석 4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엔솔 대리 김준영 4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아시안푸드컨넥트 대표이사 김효길 4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바크로 대표 김종호 4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싱그린에프에스 팀장 이대범 4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비스타릿 과장 이지예 4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송정 부장 이고려 4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티씨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준호 4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두성테크 차장 이은령 4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조은종묘 주식회사 이사 서주덕 4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엔에스브이 대표이사 윤준호 4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아에스엔에스 부장 손원익 4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알메디텍 부장 정회용 4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에스이엔지 팀장 박무범 4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전무 이철준 4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남경 책임 주형욱 4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무사이 이사 마이클공 4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티씨 주식회사 이사 문대민 4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리얼게인 부장 한일수 4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대표이사 손상열 4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서치라이트에이치앤비 대표 양성영 4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리빙케어 과장 정유진 4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명산업기술(주) 이사 이재영 4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도스코 대리 신은지 4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도산업(주) 팀장 김현영 4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명산업기술(주) 차장 김성봉 4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미전선(주) 부장 이석구 4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마크로케어 이사 한상욱 4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림엠티아이 부장 원경희 4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세양섬유 대표 김영식 4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스엠티 대표이사 한상효 4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영인바이오텍 대표이사 김영호 4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두산에너빌리티(주) 상무 김종봉 4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부장 이득주 4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남동훈 4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고범서 4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김승호 4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방위사업청 담당 임형진 4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관세법인 커스앤 부장 차유석 4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강지숙 4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부장 이봉걸 4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팀장 전태리 4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과장 반선화 4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서수민 4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박중태 4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과장 임재윤 4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과장 이보형 4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충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행정실무관 이윤서 4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수출전문관 신지식 4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대리 고아영 4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구은행 과장 장지훈 4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차장 김주형 4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재단법인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팀장 신미화 4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산은행 부지점장 정명섭 4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화성시수출업무지원센터 대리 임도희 4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재단법인 인천테크노파크 과장 최인구 4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수출입은행 부장 이원균 4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사무원 박원정 4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리 도승주 5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재단법인 경남테크노파크 선임연구원 김미성 5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한은행 센터장 권오헌 5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구은행 센터장 박찬성 5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대리 정원영 5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산은행 부지점장 박진규 5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릴리커버 대표이사 안선희 5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중앙회 대리 유혜선 5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팀장 진형석 5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박주호 5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단법인 한국시험인증산업협회 본부장 오기수 5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차장 정수미 5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원 조민 5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자동차㈜ 책임연구원 김경남 5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주항공 실장 박지헌 5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무역정보통신 차장 원준문 5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한은행 부부장 정진우 5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엔브이텍 주식회사 대표이사 강진희 5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엘에스 일렉트릭 상무 어영국 5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성크린후로텍(주) 부사장 김윤욱 5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다비다 대표이사 이은승 5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동서발전(주) 차장 유상협 5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 윤주한 5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엘지씨엔에스 담당 신재훈 5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이코퍼레이션닷제이피(주) 대표이사 염종순 5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헵시바(주) 대표이사 성차현 5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이희성 5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알리바바코리아 유한회사 과장 김경민 5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큐익스프레스(주) 차장 이용우 5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박희연 5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차장 박지연 5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네오지오 부장 윤지영 5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마존서비시스코리아 유한회사 팀장 한동민 5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대리 류지은 5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스토스 대표 이후정 5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린코스 이사 김성훈 5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땡큐파머 과장 남혜진 5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벤티지 주식회사 대표이사 송형진 5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엠엠(주) 책임매니저 서동진 5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엠엠(주) 부장 서정남 5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프로젝트매니저 최한선 5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세중해운 주식회사 대표이사 한명수 5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티씨쉬핑 대표이사 기영일 5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정동하 5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주동필 5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다이나톤 대표이사 도상인 5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제이제일제당(주) 부장 박지훈 5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관장 이승기 5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처장 양기모 5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한국배수출연합 주식회사 전무 김길동 5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팀장 성기주 5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콘텐츠진흥원 차장 남궁영준 5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홈앤쇼핑 차장 홍기훈 5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승하이켐 대표이사 이병소 5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에이치케이 대표 이진혁 5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광해광업공단 차장 김기주 5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케이어스온(주) 프로젝트매니저 홍윤기 5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포스코 부장 권영무 5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목포대학교 교수 최동오 5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모리타카즈히데 5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박은영 5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상공회의소 관세사 오수희 5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안산상공회의소 사원 이채윤 5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 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책임실무관 프레셀로 가브리엘이그나시오 5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대한화장품협회 부회장 연재호 5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한다운에프에스엘 대표이사 류창열 5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콜마 주식회사 팀장 김용우 5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행정주사 김균우 5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주특별자치도청 사무관 고민정 5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공업주사 강민구 5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강원지방중소벤처기업청 팀장 서식원 5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부산광역시 지방 행정주사 백경수 5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주특별자치도청 지방농업주사보 변재현 5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법무법인(유한) 민 변호사 오수원 5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기아(주) 기아캐나다 법인장 권성원 5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매니저 사라벤수산 5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매니저 김봉화 5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서울메쎄 대표이사 박병호 5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팀장 조원강 5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티에스엠(주) 대표이사 서원준 5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엑스코 팀장 권현칠 5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미래전람 대표이사 문병관 5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실장 최기성 5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시스 대표이사 송석일 5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덕코 시니어 엔지니어 블레센코시 5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오이서포트 대표 우치다토시히토 5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미다스 파마 게엠베하 디렉터 벤야민페터샬케 5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로우카본 대표이사 이철 5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건영테크 주식회사 대표이사 임진영 5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엔제이테크 대표이사 장우길 5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레오 대표이사 어정선 5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모닝바이오 대표 이광용 5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밀리웨이브 대표이사 한영하 5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에이랩 대표이사 이승욱 5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대표이사 박용하 5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권도영알로에 주식회사 대표 권도영 5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엑스바디 대표이사 김미숙 5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엘시시 대표이사 임부택 수출의 탑 수상업체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 현대자동차(주) 장재훈 대기업 300억불탑 2 기아 주식회사 송호성 대기업 200억불탑 3 엘지이노텍(주) 문혁수 대기업 100억불탑 4 삼성에스디아이(주) 최윤호 대기업 60억불탑 5 (주)엘앤에프 최수안 중견기업 40억불탑 6 (주)에코프로비엠 주재환 중견기업 30억불탑 7 SK인천석유화학(주) 최윤석 대기업 30억불탑 8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지종립 중견기업 30억불탑 9 (주)에코프로이엠 박종환 중견기업 20억불탑 10 (주)경신 이승관 대기업 10억불탑 11 (주)포스코퓨처엠 김준형 대기업 10억불탑 12 에스엘(주) 이성엽 중견기업 10억불탑 13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정용원 대기업 10억불탑 14 한국알프스(주) 강동완 중견기업 10억불탑 15 현대로템 주식회사 이용배 대기업 10억불탑 1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해상 대기업 8억불탑 17 (유)스태츠칩팩코리아 김원규 중견기업 7억불탑 18 (주)세아제강 이휘령 대기업 7억불탑 19 엘에스일렉트릭(주) 구자균 대기업 7억불탑 20 (주)대동 김준식 중견기업 6억불탑 21 (주)피엔티 김준섭 중견기업 6억불탑 22 (주)에코프로머티리얼즈 김병훈 중견기업 5억불탑 23 (주)에프앤에프 김창수 중견기업 5억불탑 24 에드워드코리아(주) 윤재홍 대기업 5억불탑 25 주식회사 세아엠앤에스 조규환 중견기업 5억불탑 26 (주)에스에이엠티 박두진 중견기업 4억불탑 27 명화공업(주) 문성준 중견기업 4억불탑 28 주식회사 디엔오토모티브 김인환 중견기업 4억불탑 29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 최창복 중견기업 4억불탑 30 주식회사 티와이엠 김희용 중견기업 4억불탑 31 (주)휴스틸 박훈 중견기업 3억불탑 32 더블유씨피 주식회사 최원근 중소기업 3억불탑 33 에이치라인해운 주식회사 서명득 중견기업 3억불탑 34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김영호 중견기업 3억불탑 35 (주)건화 제영섭 중견기업 2억불탑 36 (주)엠플러스 김종성 중소기업 2억불탑 37 (주)휴맥스네트웍스 이승재 중소기업 2억불탑 38 SK바이오팜(주) 이동훈 대기업 2억불탑 39 남성해운(주) 김용규 중견기업 2억불탑 40 아진산업(주) 서중호 중견기업 2억불탑 41 에이치엘홀딩스 주식회사 김준범 중견기업 2억불탑 42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최칠선 중견기업 2억불탑 43 주식회사 대유이피 양찬유 중견기업 2억불탑 44 주식회사 보림 박광호 중견기업 2억불탑 45 티이엠씨(주) 유원양 중소기업 2억불탑 46 한전원자력연료(주) 최익수 대기업 2억불탑 47 (주)덴티움 서승우 중견기업 1억불탑 48 (주)디에스시 조희선 중견기업 1억불탑 49 (주)디에스시동탄 조희오 중소기업 1억불탑 50 (주)부산케이블앤엔지니어링 또위롱 중소기업 1억불탑 51 (주)비츠로셀 장승국 중소기업 1억불탑 52 (주)실리콘투 김성운 중소기업 1억불탑 53 (주)알멕 신상호 중소기업 1억불탑 54 (주)에이치알이앤아이 박장현 중소기업 1억불탑 55 (주)에이치엘클레무브 윤팔주 중견기업 1억불탑 56 (주)에이치피에스피 김용운 중소기업 1억불탑 57 (주)엘오티베큠 오흥식 중견기업 1억불탑 58 (주)우원기술 김태완 중소기업 1억불탑 59 (주)윤성에프앤씨 박치영 중소기업 1억불탑 60 (주)일지테크 구준모 중견기업 1억불탑 61 (주)텔레칩스 이장규 중견기업 1억불탑 62 (주)현대엘앤씨 김관수 대기업 1억불탑 63 롯데웰푸드(주) 이창엽 대기업 1억불탑 64 산일전기(주) 박동석 중소기업 1억불탑 65 성일하이메탈(주) 홍승표 중소기업 1억불탑 66 엑셀리스코리아(주) 박영근 중견기업 1억불탑 67 인팩이피엠(주) 최장돈 중소기업 1억불탑 68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이만우 중견기업 1억불탑 69 주식회사 스맥 최영섭 중견기업 1억불탑 70 주식회사 코넥 공성황 중견기업 1억불탑 71 주식회사 코스알엑스 전상훈 중소기업 1억불탑 72 코오롱플라스틱(주) 허성 대기업 1억불탑 73 피아이첨단소재(주) 송금수 중견기업 1억불탑 74 한국진공(주) 이인우 중견기업 1억불탑 75 한주라이트메탈(주) 이용진 중견기업 1억불탑 76 (주)IEN한창 장연덕 중소기업 7천만불탑 77 (주)넥스틴 박태훈 중소기업 7천만불탑 78 (주)베스텍 이복선 중소기업 7천만불탑 79 (주)선진코리아 허수영 중소기업 7천만불탑 80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유대연 중소기업 7천만불탑 81 (주)우즈오토코리아 에샤노프바흐티야르 중소기업 7천만불탑 82 (주)월덱스 배종식 중소기업 7천만불탑 83 (주)케이디에프 김영일 중소기업 7천만불탑 84 (주)클래시스 백승한 중소기업 7천만불탑 85 (주)탑코글로벌 양승철 중소기업 7천만불탑 86 (주)태상 김광표 중소기업 7천만불탑 87 (주)태성공업 유계희 중소기업 7천만불탑 88 (주)흥아 정성원 중견기업 7천만불탑 89 기가비스 주식회사 강해철 중소기업 7천만불탑 90 동일금속(주) 오길봉 중소기업 7천만불탑 91 삼신화학공업(주) 오봉균 중견기업 7천만불탑 92 세광인터내셔날네트워크(주) 박경수 중소기업 7천만불탑 93 영화금속(주) 최동윤 중견기업 7천만불탑 94 제룡전기(주) 박종태 중소기업 7천만불탑 95 주식회사 네오셈 염동현 중소기업 7천만불탑 96 주식회사 디앤티 박해일 중소기업 7천만불탑 97 주식회사 어패럴테크 김정욱 중소기업 7천만불탑 98 주식회사 인터로조 노시철 중견기업 7천만불탑 99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강동환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0 주식회사 티르티르 이보희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1 주식회사 펠릭스테크 이명희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2 케이넷(주) 서성남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3 케이비에스미디어(주) 김영삼 대기업 7천만불탑 104 코렉스 오토 트레이드 석로만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5 피엠씨바이오제닉스코리아 주식회사 뎁토시차크라바르티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6 한국해상연료(주) 이창식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7 한국호야전자(주) 김인 중견기업 7천만불탑 108 한일단조공업(주) 박정영 중견기업 7천만불탑 109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양국석 대기업 7천만불탑 110 휴젤(주) 손지훈 중견기업 7천만불탑 111 (주)강원엔티에스 전창열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2 (주)건화이엔지 허용훈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3 (주)고려이노테크 허 혁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4 (주)구일엔지니어링 황성일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5 (주)금호에이치티 김진곤 중견기업 5천만불탑 116 (주)나인벨 최문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7 (주)디에이치라이팅 채희철 중견기업 5천만불탑 118 (주)마스터 김상훈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9 (주)부쉬매뉴팩처링코리아 유승화 중견기업 5천만불탑 120 (주)비엠티 윤종찬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1 (주)빅토리아텍스타일 임정묵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2 (주)성신알에스티 박계출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3 (주)성진아이앤씨 박용흠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4 (주)스마일게이트홀딩스 성준호 중견기업 5천만불탑 125 (주)씨앤씨인터내셔널 배은철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6 (주)알코판넬 김민한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7 (주)엠에스씨 김호석 중견기업 5천만불탑 128 (주)제일 윤홍현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9 (주)지앤비에스에코 박상순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0 (주)케이타운포유 송효민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1 (주)코윈테크 정갑용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2 (주)티앤엘 최윤소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3 (주)파워넷 이돈주 중견기업 5천만불탑 134 (주)한국알스트롬 심진화 중견기업 5천만불탑 135 (주)해광 김한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6 (주)흥국 류명준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7 주식회사 에이씨엠리서치코리아 김영율 중견기업 5천만불탑 138 기산전자(주) 장상환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9 대주전자재료(주) 임일지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0 린데코리아(주) 성백석 대기업 5천만불탑 141 새한해운(주) 이정남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2 서한이앤피(주) 정하식 중견기업 5천만불탑 143 성호해운(주) 박성훈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4 에스엔시스(주) 배재혁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5 에이치엔에스하이텍(주) 김정희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6 에코캡 주식회사 최영천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7 주식회사 레이크머티리얼즈 김진동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8 주식회사 로드컴플릿 배정현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9 주식회사 리버 김명환 중소기업 5천만불탑 150 주식회사 비. 엘. 아이 서경아 중소기업 5천만불탑 151 주식회사 에이피알 김병훈 중견기업 5천만불탑 152 주식회사 히타치에너지코리아 최석환 중견기업 5천만불탑 153 한상인터내셔날(주) 김상철 중소기업 5천만불탑 154 (주)노바렉스 권석형 중견기업 3천만불탑 155 (주)더한인터내셔날 전유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56 (주)덴티스 심기봉 중소기업 3천만불탑 157 (주)동아기업 박경헌 중소기업 3천만불탑 158 (주)디케이엔지 김대기 중소기업 3천만불탑 159 (주)렛잇뷰티 박준성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0 (주)메리테크 장병국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1 (주)미코세라믹스 여문원 중견기업 3천만불탑 162 (주)베스트부품 황대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3 (주)세양 신정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4 (주)스마트공작기계코리아 김종철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5 (주)아이스트로 박형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6 (주)에스이에이 신재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7 (주)에프엠 성석기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8 (주)이노메트리 이갑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9 (주)이노와이어리스 곽영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0 (주)이엔플러스 안영용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1 (주)제이디바이오 김진동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2 (주)지아이엠시스템 김장순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3 (주)지앤드에스인더스트리얼 김스타니슬라브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4 (주)창환단자공업 김환창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5 (주)케이에스티이 이두로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6 (주)클리오 한현옥 중견기업 3천만불탑 177 (주)하나금속 홍상우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8 (주)한성이에스 장욱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9 (주)한중엔시에스 김환식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0 DALEX INTERNATIONAL 리 드미트리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1 ISK바이오사이언스코리아(주) 호리에미키야 대기업 3천만불탑 182 건우메탈(주) 우태구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3 고려비철금속(주) 한설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4 기승공업(주) 송상훈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5 대진기계 곽노근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6 동방에프티엘(주) 정헌석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7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라제건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8 부산카플링 주식회사 노재원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9 삼덕통상(주) 문창섭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0 아시아첨가제(주) 김형웅 대기업 3천만불탑 191 아이쓰리시스템(주) 정한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2 에스아이그룹코리아(유) 에릭 사무엘 중견기업 3천만불탑 193 에스케이렌터카(주) 황일문 대기업 3천만불탑 194 에스트래픽(주) 문찬종 중견기업 3천만불탑 195 엔브이에이치플로어시스템 주식회사 유영진 중견기업 3천만불탑 196 오션브릿지 주식회사 이석규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7 오일허브코리아여수(주) 백종연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8 우성오토콘(주) 민삼환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9 원일전선 주식회사 이찬재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0 원창머티리얼(주) 채영백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1 원텍(주) 김종원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2 주식회사 네오인플럭스 김지훈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3 주식회사 디엠티 양병철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4 주식회사 레어마켓 정혜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5 주식회사 씨티알에코포징 김윤호 중견기업 3천만불탑 206 주식회사 아네시 천영근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7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권순식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8 주식회사 제테마 김재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9 주식회사 카본엑스리사이클링 (김천공장) 이옥란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0 주식회사 파두 남이현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1 주식회사 황조 문병태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2 케이비아이알로이(주) 김병제 중견기업 3천만불탑 213 주식회사 코만 김욱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4 하이콘(주) 황동원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5 한라IMS(주) 지석준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6 (주)S. F. C 홍정구 중소기업 2천만불탑 217 (주)가유 안필이 중소기업 2천만불탑 218 (주)구다이글로벌 천주혁 중소기업 2천만불탑 219 (주)굿띵 이종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0 (주)다원트레이드 이민재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1 (주)데스코 김은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2 (주)동아 HI 정인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3 (주)동양피엘티 전성도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4 (주)두베코 최규대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5 (주)디어유 안종오 대기업 2천만불탑 226 (주)디에스이엔티 최병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7 (주)마녀공장 유근직 중견기업 2천만불탑 228 (주)메가터치 윤재홍 중견기업 2천만불탑 229 (주)미라콤아이앤씨 강석립 대기업 2천만불탑 230 (주)바이오프로테크 박익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1 (주)베리콤 김윤기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2 (주)보명금속 홍수식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3 (주)보부하이테크 왕동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4 (주)비엔씨글로벌 보조로브 파리둔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5 (주)비올 이상진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6 (주)삼아인터내셔날 이균희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7 (주)샤프테크닉스케이 백순석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8 (주)세바 김정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9 (주)스피덴트 안제모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0 (주)아름덴티스트리 이정현 대기업 2천만불탑 241 (주)아스트루멧 조용범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2 (주)아이캠퍼 박순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3 (주)에스디이앤씨 옥부만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4 (주)에스엠코어 최영상 대기업 2천만불탑 245 (주)에이아이코리아 안진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6 (주)에이에스텍 윤종배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7 (주)에이치케이이앤이 김병학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8 (주)에이텍에이피 김경환 중견기업 2천만불탑 249 (주)에코프로에이치엔 김종섭 중견기업 2천만불탑 250 (주)엑소코바이오 조병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1 (주)엑스모토 황민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2 (주)엘케이엔지니어링 이준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3 (주)유니락 유명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4 (주)이노디스 박해신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5 (주)이에스인터네셔널 김성은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6 (주)일신웰스 윤동훈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7 (주)제이피프로페셔널 전재윤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8 (주)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박재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9 (주)케이디파인켐 박현진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0 (주)케이지무역 독토바에브일리아즈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1 (주)코라이인터내셔날 이순오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2 (주)큐에스티아이콘 김은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3 (주)탑글로벌파츠 오민숙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4 (주)태흥라인 동홍얀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5 (주)티에이밸브 김기현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6 (주)퍼즐원스튜디오 이기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7 (주)퓨런티어 배상신 중견기업 2천만불탑 268 (주)플로원 문철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9 (주)한민 김재찬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0 (주)화신볼트산업 정순원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1 shenb Co., Ltd. 강선영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2 나노인텍(주) 박영식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3 대일공업(주) 문상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4 동광무역상사(주) 이상훈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5 동아스틸(주) 조진호 대기업 2천만불탑 276 루에랑(주) 김직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7 린노알미늄(주) 이세영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8 매그날 주식회사 현석정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9 삼성레진(주) 홍영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0 삼양금속공업(주) 서진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1 삼영잉크페인트제조(주) 박기출 중견기업 2천만불탑 282 삼익THK(주) 진영환 중견기업 2천만불탑 283 세영글로벌 주식회사 손태우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4 수성기체산업(주) 조준우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5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모은종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6 에스시디디(주) 강병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7 에이치제이코퍼레이션즈(주) 성현중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8 엔지유인터내셔날(주) 최민석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9 웅진식품(주) 이지호 중견기업 2천만불탑 290 제이에이치화학공업(주) 허제홍 중견기업 2천만불탑 291 주식회사 로한컴퍼니 최환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2 주식회사 성산기업 송인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3 주식회사 신성금속 전백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4 주식회사 싱그린에프에스 정호석 대기업 2천만불탑 295 주식회사 아이플랜트 황용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6 주식회사 에스제이머티리얼즈 표지웅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7 주식회사 에치엠지(HMG) 최학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8 주식회사 이수앱지스 황엽 중견기업 2천만불탑 299 주식회사 이스트웨이홀딩스 리블라디슬랍 예브게니예비치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0 주식회사 인코아 황준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1 주식회사 인터트레이드 엘알라미페리샤자파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2 주식회사 제이앤제이 이주천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3 주식회사 피에프디 남궁광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4 주식회사 화인 전익찬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5 청호나이스(주) 김성태 중견기업 2천만불탑 306 케이엠피 주식회사 이형집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7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주) 케네스민규리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8 코렉스 주식회사 석로만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9 타이요코리아(주) OTA YASUHARU 중소기업 2천만불탑 310 티핏클래스 주식회사 정내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 311 한울생약(주) 한영돈 중소기업 2천만불탑 312 한유에스케이이티에스 박기흥 중견기업 2천만불탑 313 혜성씨앤씨(주) 송영빈 중소기업 2천만불탑 314 희성폴리머(주) 한재동 중견기업 2천만불탑 315 (주)골드크랩 이인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 316 (주)구수중전기 김원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17 (주)그림 곽만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18 (주)나노인터페이스테크놀로지 이죠셉제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19 (주)나린코리아인터내셔널 민병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0 (주)누보 이경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1 (주)다스코 이근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2 (주)다이나테크 공영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3 (주)대석프로토 오판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4 (주)대창공업 홍영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5 (주)데이지크 연정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6 (주)득영 이성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7 (주)러쉬엔터프라이즈 신동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8 (주)러시아 이서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9 (주)리비콘 김경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0 (주)마블프로듀스 전현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1 (주)모피언스 박병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2 (주)미미박스 하형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3 (주)바이비 박진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4 (주)바이오비쥬 양준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5 (주)버블언드 정순덕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6 (주)비에스팜코리아 양광모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7 (주)삐아 박광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8 (주)삼일엘텍 이양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9 (주)스누콘 박영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0 (주)스피드랙 민병오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1 (주)신명 이상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2 (주)신성엠엔에스 조석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3 (주)신스윈 양재부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4 (주)신한세라믹 강성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5 (주)쏠리드 우영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6 (주)씨엔루브 김화야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7 (주)아이브리지닷컴 최유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8 (주)에스씨솔루션케이알 송가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9 (주)에스이엠 정진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0 (주)에스제이엔터프라이즈 김용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1 (주)에어메이저 김영태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2 (주)에이티아이코리아 제갈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3 (주)에이피오토모티브 김명종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4 (주)에코프로에이피 허태경 중견기업 1천만불탑 355 (주)엔알에이치스틸 무하마드아스가르알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6 (주)엠디에이치테크 장순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7 (주)엠아이티 최명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8 (주)엠에스티 이동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9 (주)엠투씨 이해광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0 (주)오브이코스 안정숙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1 (주)오토페르시아 카람바랑기알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2 (주)유연에이에프 안교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3 (주)익스팬더스 장성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4 (주)인터아시아 주성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5 (주)제니어스 이학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6 (주)제이케이글로벌 김경남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7 (주)조이포라이프 하기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8 (주)중원산업 김명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9 (주)지아이텍 이인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0 (주)카츠코리아 이성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1 (주)칸인터내셔널 박규태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2 (주)케이에이치글로벌 정 경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3 (주)케이텍글로벌 채경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4 (주)코마테크놀로지 박성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5 (주)코코 최장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6 (주)크래비스 황준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7 (주)타임인터내셔널 이재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8 (주)태린홀딩스 조서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9 (주)티피엠엔 박도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0 (주)파마리서치바이오 백승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1 (주)평일 김승민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2 (주)포네스 임성빈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3 (주)포벨 김정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4 (주)푸드웨어 신동식 중견기업 1천만불탑 385 (주)풍산디에이케이 안동일 중견기업 1천만불탑 386 (주)프로 강선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7 (주)피앤엘 신관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8 (주)피엘특수강 임재근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9 (주)한국마이콤 오무라 토시오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0 (주)한도 김민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1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윤요현,박서영 중견기업 1천만불탑 392 (주)한바다 김덕종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3 (주)한웅메디칼 김봉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4 (주)현대정밀 오정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5 (주)홀리코리아 독토바에브 다니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6 (주)화성금속 원일봉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7 (주)훈인터내셔널 정승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8 경진단조(주) 고석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9 골드 심동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0 글로벌마린서비스 주식회사 정성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1 나이스텍(주) 신두국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2 농업회사법인 정우식품(주) 이한면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3 다본 주식회사 김현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4 대가파우더시스템(주) 최은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5 대건비철금속(주) 이상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6 대영금속공업(주) 모성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7 동진C&C 우미광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8 두리화장품(주) 이병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9 디앤에이치인터내셔널(주) 홍화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0 먼데이오프 주식회사 강혁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1 (주)메디케어랩스 이두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2 부성스틸(주) 이철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3 브이피에스(주) 현철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4 삼미금속(주) 김경남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5 삼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엄성자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6 서북인터내셔널(주) 이민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7 선라이즈무역 예브그래브스카야 타티아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8 성진종합전기(주) 김정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9 시엔에이전기(주) 인웅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0 씨엔티지 주식회사 김정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1 아이세로미림(주) 임장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2 알제이씨홀딩스 주식회사 엄승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3 에스앤에스밸브(주) 안병헌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4 에스카 주식회사 진홍근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5 에스피씨케이(주) 장진화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6 에이스기계(주) 이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7 에이엠티씨 주식회사 김진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8 에이치디현대글로벌기술서비스(주) 임영호 대기업 1천만불탑 429 에이티제이컴퍼니 엄태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0 에코리빙 주식회사 한영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1 에코폴리텍 주식회사 허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2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강성희 중견기업 1천만불탑 433 와이앤케이글로벌네트웍스(주) 김영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4 와이케이메탈(주) 김민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5 주식회사 이엠비글로벌 김언빈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6 이코리아인더스트리(주) 정태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7 주식회사 경서산업 정철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8 주식회사 골든토드 김경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9 주식회사 긱(GIK CO.,LTD) 이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0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이규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1 주식회사 롬인터네셔널 유리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2 주식회사 리만코리아 김경중 중견기업 1천만불탑 443 주식회사 린텍 이형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4 주식회사 메타스크 황유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5 주식회사 베네코 김태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6 주식회사 브링코 김태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7 주식회사 블랑 양해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8 주식회사 비모뉴먼트 반성연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9 주식회사 성진기계 최재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0 주식회사 세와모터스 김지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1 주식회사 식스트레이드 김항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2 주식회사 애드위너 조양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3 주식회사 에스엘씨 김종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4 주식회사 에이비씨글로벌 허남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5 주식회사 에이피테크 박찬봉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6 주식회사 여수해양 정인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7 주식회사 영도글로발 김태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8 주식회사 오라스 김영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9 주식회사 올리브 서명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0 주식회사 와이엠케이 OGAWA KATSUMI 중견기업 1천만불탑 461 주식회사 이노렉스 이양자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2 주식회사 제로원글로벌 박영일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3 주식회사 제이알오토트레이딩 알제디오마르주디오스만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4 주식회사 지씨엠 정재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5 주식회사 코루파마 베르니두브 로만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6 주식회사 퀴버메딕 우이화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7 주식회사 태하 한기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8 주식회사 피스 신경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9 주연티앤에스 주식회사 이광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0 지더블유인터내셔널(주) 김삼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1 지디케이화장품(주) 김태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2 천지산업(주) 한만오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3 케이티엠(주) 이순오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4 코어엔텍 주식회사 윤석찬 중견기업 1천만불탑 475 테크밸리 주식회사 김한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6 티에스모스트(주) 김춘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7 티지에스파이프(주) 서의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8 피떠불유인터내쇼날(주) 심준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9 하나섬유 신승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80 한국머신툴스(주) 서정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81 (주)KLT 양윤종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2 (주)가온폴리머앤실런트 엄기선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3 (주)글로쿼드텍 장기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4 (주)금광케이엘 김문규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5 (주)누비콤 신동만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6 (주)다다씨앤씨 최민석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7 (주)더블유제이티 전일덕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8 (주)디앤큐국제무역 정초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9 (주)루리텍 이광순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0 (주)메디메카 이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1 (주)바텍엠시스 고영탁 중견기업 7백만불탑 492 (주)베스트디지탈 최병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3 (주)본코스메틱 신인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4 (주)비바웨이브 허재석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5 (주)삼영비앤에프 이선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6 (주)서원양행 이광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7 (주)서일퍼시픽 김계철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8 (주)서치 문영필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9 (주)성진전자 정미경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0 (주)신도피앤지 안도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1 (주)씨엠테크 김현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2 (주)아이지스 김남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3 (주)알케이코퍼레이션 박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4 (주)에스디옵틱스 서청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5 (주)에스제이케미컬 김현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6 (주)에스제이피 송승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7 (주)에스케이에이어드벤스드 김기홍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8 (주)에어레인 하성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9 (주)에이앰티 최종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0 (주)에이플러스엑스 심건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1 (주)영케미칼 윤한성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2 (주)오리엔탈정밀기계 김종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3 (주)오토모빌토탈솔루션 진재웅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4 (주)와토코리아 유경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5 (주)우리비앤비 박상협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6 (주)위드멤스 구황섭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7 (주)유엠트레이딩 이스마이로브 우란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8 (주)윤영테크 이종윤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9 (주)이너프 이월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0 (주)이노맥스 선시욱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1 (주)이앤아이티홀딩스 김현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2 (주)이지디에스 최한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3 (주)이지테크론 하명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4 (주)이화 정윤식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5 (주)익성 이봉직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6 (주)인천폐차사업소 박순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7 (주)인터원 나정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8 (주)일신오토클레이브 김현효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9 (주)일진 마하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0 (주)자비스 김형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1 (주)제이앤씨 배천배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2 (주)제이엘글로벌 정동섭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3 (주)제이와이써키트 이준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4 (주)제이이씨 요한게릿후느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5 (주)제이케이트레이딩코리아 권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6 (주)주영메카트로닉스 이승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7 (주)지엠피콥 최정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8 (주)천지인화 로림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9 (주)코밸 최영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0 (주)퀸스인터네셔널 최윤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1 (주)탑드릴 김정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2 (주)티에이치무역 박희출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3 (주)티엠비스틸 박승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4 (주)파인스킨 서담혜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5 (주)플랜텍 김선태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6 (주)픽플러스 임정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7 (주)해성 용석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8 (주)호강상사 장효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9 (주)후후인터내셔널 정만형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0 경원기계공업(주) 정의화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1 농업회사법인 한국한인홍(주) 임재화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2 다온패브릭 김유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3 대덕에프알디(주) 박현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4 대연화학(주) 김연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5 대천김 주식회사 최현정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6 대천맛김 주식회사 김태복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7 대화제약(주) 김은석 중견기업 7백만불탑 558 덕지산업 주식회사 김종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9 데스틴 파워(주) 오성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0 디에스씨이앤지(주) 이동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1 디엑스앤브이엑스(주) 이용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2 리맥스개발(주) 이두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3 미주정밀(주) 이중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4 성하에스이 주식회사 이상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5 세일단조(주) 김수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6 세지케미칼 주식회사 김희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7 슈퍼센트(주) 공준식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8 신바테크(주) 김공섭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9 아이타즈(주) 정지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0 알에프머트리얼즈(주) 남동우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1 애니솔라(주) 소명섭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2 어반스퀘어(주) 김재우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3 에스 알 씨 주식회사 윤형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4 에스에프에프코리아(주) 토레크리스티안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5 에이치에스엠(주) 문안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6 오씨아이파워 주식회사 장형규 대기업 7백만불탑 577 우신공조(주) 남효우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8 우진물산 주식회사 이수천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9 이일산업(주) 박병재 중견기업 7백만불탑 580 자일자동차(주) 백병수 중견기업 7백만불탑 581 제닉스(주) 배성관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2 조르고무역 이재경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3 주식회사 광명산업 목진영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4 주식회사 그린빌 장탁중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5 주식회사 단디글로벌 이명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6 주식회사 대원단조 하명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7 주식회사 더블유에프엔 박재광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8 주식회사 동남 김성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9 주식회사 바노바기 반재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0 주식회사 바이오템 이영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1 주식회사 스틸앤 김지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2 주식회사 신대양리텍 김형석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3 주식회사 알제이아이 유제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엔 신재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5 주식회사 에어로코텍 최주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6 주식회사 엘가베 김부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7 주식회사 와이케이무역 캠 야쿱코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8 주식회사 유니온모터스 글라스코바올레시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9 주식회사 이스턴에프티씨 이용구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0 주식회사 익태 하은실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1 주식회사 인사이롭 신현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2 주식회사 전진레일테크 전진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3 주식회사 정코리아 정성협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4 주식회사 제이앤코슈 장유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5 주식회사 종합정밀 유귀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6 주식회사 지비즈 이창범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7 주식회사 지에스테크 이명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8 주식회사 코리아나바이오 유학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9 주식회사 코릴 오현규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0 주식회사 크리켐 하상대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1 주식회사 피비코스 박기범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2 주식회사 한미중기 박철규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3 주식회사 현글로벌 김태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4 주식회사 휴온스메디텍 천청운 중견기업 7백만불탑 615 케이에스콤프레샤(주) 윤영석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6 켐솔루션(주) 김영록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7 코마렉스 주식회사 문애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8 태양 3C(주) 황창순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9 (주)SC ISP 서석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0 (주)강한 정의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1 (주)길코퍼레이션 김성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2 (주)노벨리스인터네셔날네트웍스 최한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3 (주)다모아코스메틱 박종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4 (주)달마전자 안해광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5 (주)대일시스템 김광산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6 (주)더아이엠 권영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7 (주)두림 박병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8 (주)듀만 방병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9 (주)디와이폴리머 최창배 대기업 5백만불탑 630 (주)로프캠프 윤강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1 (주)리텍 이형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2 (주)리하온 황재윤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3 (주)모노텍스 장두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4 (주)미주파워텍 김명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5 (주)베스트켐인터내셔널 김천덕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6 (주)비알팜 김석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7 (주)비트라코 백상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8 (주)성보산업 하득룡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9 (주)승건코스메틱스 류수빈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0 (주)신우산업 이정연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1 (주)심스인터내셔널 홍석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2 (주)씨제이피파츠 이경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3 (주)아그네스메디컬 안성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4 (주)아이비코퍼레이션 홍창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5 (주)아이유닉 김미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6 (주)알리 김기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7 (주)에스비이엔지 임민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8 (주)에스에이치트레이딩 신용래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9 (주)에이에프티 최대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0 (주)에이치에스엘시스템 허지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1 (주)에이치케이세미텍 노석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2 (주)엘스브릿지 이지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3 (주)엘앤엘트레이딩 양진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4 (주)엘에이티 박강일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5 (주)엠케이원스틸 김종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6 (주)엠케이케미칼 박철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7 (주)엠텍코퍼레이션 박면구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8 (주)오르비텍 정성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9 (주)온세미 이형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0 (주)우창 박민숙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1 (주)워너비코스메틱 김보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2 (주)유창종합식품 장대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3 (주)이녹스에코엠 오은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4 (주)이원 머티리얼즈 최광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5 (주)이지함화장품 김상명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6 (주)일레븐코퍼레이션 백창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7 (주)전성 연경섭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8 (주)정광 김정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9 (주)제스코통상 이동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0 (주)제이앤선즈코리아 박원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1 (주)제이티 김종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2 (주)제일진공펌프 전찬일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3 (주)지앤이글로벌 김호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4 (주)지오실크 정병국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5 (주)진성무역 박성찬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6 (주)차메디텍 김석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7 (주)청우씨에프씨 한명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8 (주)코디박 이헌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9 (주)터보링크 하현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0 (주)토르 장정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1 (주)트래볼루션 배인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2 (주)티비원 모영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3 (주)티티에스 유우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4 (주)프로세이브 김영만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5 (주)플로우텍 공도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6 (주)피에프네이처 양지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7 (주)하본인터내셔널 윤동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8 (주)하이셈테크놀로지 백윤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9 (주)한국금시장그룹 조태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0 (주)한라글로벌 김재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1 (주)한신인더스 박태종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2 (주)한주 한창복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3 (주)항도에스티 정의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4 (주)해담트레이드 김희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5 (주)헤스피마린 임지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6 (주)협신금속 이장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7 (주)협신하이드로릭 노병무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8 815생활건강 이선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9 이엔엘 인터내셔널 이상윤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0 주식회사 에이치와이지 정다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1 피피아이 파이프 주식회사 이종호 중견기업 5백만불탑 702 강원산업(주) 정우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3 경인리싸이클링(주) 배한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4 경진기전(주) 김영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5 그루포안톨린코리아(유) 에르네스토안톨린아리바 대기업 5백만불탑 706 금월씨푸드 주식회사 안세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7 나가세엔지니어링서비스코리아(주) 김재구 중견기업 5백만불탑 708 농업회사법인 (주)더기반 한원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9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애플리즈 한임섭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0 농업회사법인 (주)현농프레쉬 이나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1 농업회사법인 에버팜 주식회사 임종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2 대동고려삼(주) 최성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3 동구텍 주식회사 김진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4 디에스메탈 주식회사 박상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5 레이어시스템 김종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6 리메세 주식회사 한득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7 벤처메탈스아시아 크리스 정 중견기업 5백만불탑 718 삼주환경산업(주) 노영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9 삼진제약(주) 최용주 중견기업 5백만불탑 720 서진텍스타일(주) 김문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1 선일물산(주) 김태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2 송암시스콤(주) 이지학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3 스페이스다옴(주) 박현정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4 시냅스이미징(주) 김재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5 신성소재(주) 김광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6 아시아마린(주) 백흠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7 아야나앤드컴퍼니 주식회사 한득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8 아이홀랜드아시아(주) 최민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9 알파메디칼 주식회사 이명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0 앤비비네트웍스 주식회사 최형섭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1 에이치비티(주) 김상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2 에이치앤와이코퍼레이션 송화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3 오리시스이앤씨(주) 성마룡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4 요코트레이드 심찬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5 우리와 주식회사 최광용 중견기업 5백만불탑 736 원창진공 주식회사 김미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7 월드비엠씨(주) 조강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8 유나이티드보더스(주) 이존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9 인세미텍 주식회사 이성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0 일평기연 이광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1 주식회사 H. K스틸 김희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2 주식회사 강원수출 함승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3 주식회사 골드필드 조경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4 주식회사 다른 남승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5 주식회사 대인트레이드 송경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6 주식회사 딥웨이브 김신남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7 주식회사 메디안스 강문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8 주식회사 멕스코인터내셔널 정병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9 주식회사 문교 남기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0 주식회사 비마 임진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1 주식회사 비피도 신용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2 주식회사 송정 송종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3 주식회사 스마트랩 백승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4 주식회사 스카이상사 김태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5 주식회사 신광이엔지 서준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6 주식회사 신화 김길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7 주식회사 알바이오 최경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8 주식회사 앤피티아이글로벌 박규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9 주식회사 야다 강은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0 주식회사 에스엔피텍 박창국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1 주식회사 에이랜드 정기남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2 주식회사 에즈원글로벌 민석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3 주식회사 에픽코퍼레이션 김사랑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4 주식회사 엔솔 이미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5 주식회사 엔캣 양진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6 주식회사 엠이케이 문상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7 주식회사 엠지택 이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8 주식회사 예리코코리아 박종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9 주식회사 오디패션 표승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0 주식회사 오션엔텍 송해화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1 주식회사 우리플라 이희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2 주식회사 웰테크글로벌 정진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3 주식회사 제스코 심재은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4 주식회사 제이비앤아이 조병남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5 주식회사 제이에스비 김조슈아정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6 주식회사 지엔 이현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7 주식회사 청정화푸드 김재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8 주식회사 카니어스 함성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9 주식회사 코리아툴파르 오스모나리예바 누르자말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0 주식회사 토리든 권인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1 주식회사 티엠지코리아 김성광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2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조영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3 주식회사 플로닉스 이상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4 주식회사 해농 조명추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5 주식회사 헬로글로벌 김상효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6 주식회사 현대메디텍 송미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7 주신수산식품(주) 김동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8 컨버즈 주식회사 곽종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9 케이에스성선국제(주) 왕이엔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0 케이오토24 주식회사 최승학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1 큐에이치바이오 이해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2 토마토안경 김승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3 패스웨이인터미디에이츠인터내셔날 황일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4 피엑스지어패럴월드와이드(유) 신재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5 하나금속(주) 김덕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6 한미전선 주식회사 성병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7 한일너클프레스(주) 서영대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8 헤베코리아 공규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9 현대코퍼레이션 주식회사 강종구 중소기업 5백만불탑 800 홀섬코리아 이재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801 (유)지호 농업회사법인 송미령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2 (주)가야인터내셔널코퍼레이션 오정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3 (주)금양산업 조 동엽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4 (주)기어세컨드 김민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5 (주)기주 김기태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6 (주)길인터내셔널 김성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7 (주)나바켐 김종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8 (주)대아에스엔에스 손원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9 (주)대진 하태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0 (주)더스탠다드 김성남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1 (주)덕산코트랜 강환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2 (주)덱스터스튜디오 김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3 (주)덴탈맥스 김진동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4 (주)동신하이텍 이성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5 (주)드림코스 강호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6 (주)디엠피테크 김성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7 (주)땡큐파머 남규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8 (주)라벨리 최선웅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9 (주)레보메드 신봉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0 (주)레존텍 박수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1 (주)리얼게인 박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2 (주)마스테코 오주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3 (주)마임테크 CO 신영남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4 (주)메드비 동원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5 (주)메디클러스 김경은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6 (주)메디포인트 이기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7 (주)명정보기술 이명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8 (주)목양기술 허명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9 (주)무사이 이인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0 (주)미라클 박광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1 (주)바로스튜디오 김준형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2 (주)바이오지 동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3 (주)블루칩코리아컴퍼니 김태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4 (주)비더스킨 성준제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5 (주)비씨상사 한경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6 (주)비에이치아이 박윤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7 (주)사이버메드 김철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8 (주)성연상사 박성준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9 (주)성원아이엔디 김호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0 (주)세토파 이도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1 (주)스타팜텍 서광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2 (주)씨에이엘 이준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3 (주)아즈라 이상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4 (주)액션핏 박인후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5 (주)에스더블유 밸브 박정헌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6 (주)에스비케이엔지니어링 고영완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7 (주)에스엠에스바이오 이반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8 (주)에스엠티 이승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9 (주)에스제이엠아이 이재갑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0 (주)에이치알엠 안성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1 (주)에코월드팜 오석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2 (주)에프엘와이인터내셔널 이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3 (주)엔에스브이 윤은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4 (주)엘라이트 이 정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5 (주)영재철강 최익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6 (주)오르비타 심종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7 (주)옵티플렉스 서혁준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8 (주)우림하이테크 노병관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9 (주)원진알미늄 원경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0 (주)원테크엔지니어링 이승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1 (주)원텍솔루션 이인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2 (주)월포트 김대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3 (주)유니메탈 김경욱 중견기업 3백만불탑 864 (주)유니비스코리아 장동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5 (주)유성 양주열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6 (주)유열산업 박병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7 (주)유일무역 김성배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8 (주)이레테크 양준화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9 (주)제넨텍 정기정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0 (주)제론텍 김진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1 (주)제이엠바이오텍 장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2 (주)제이엠테크 이경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3 (주)제이케이알앤알 천인숙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4 (주)지엠디소프트 김현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5 (주)지오엘리먼트 신현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6 (주)지유테크 김성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7 (주)코머신 박은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8 (주)코스코티알 윤경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9 (주)티씨엠에스 신태용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0 (주)티앤에스이앤씨 유영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1 (주)파비스 김종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2 (주)포렌코즈 정춘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3 (주)프로티아 임국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4 (주)하트만 김동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5 (주)한국알테코 조정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6 (주)한국오지케이 박수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7 (주)한국해사기술 신홍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8 (주)한준스펙스인터내셔널 장소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9 (주)한팩 박인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0 (주)헬로우메디 이동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1 (주)홈에디션명진 서철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2 (주)휴온스푸디언스 이충모 중견기업 3백만불탑 893 (주)히스트레이드 한확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4 광성강관공업(주) 박태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한형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6 농업회사법인 (주)초록원 송점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7 농업회사법인 (주)한우물 최정운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8 농업회사법인 정우에프씨(주) 이한면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9 뉴오토정밀 주식회사 문학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0 닥터킴 김기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1 대양스트랩(주) 김동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2 대정테크(주) 정주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3 대한약품공업(주) 이승영 중견기업 3백만불탑 904 디이에프 박희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5 디플러스(주) 김정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6 리오엠엔씨(주) 이영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7 명진텍스타일 황재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8 미농바이오(주) 이충일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9 바임글로벌 주식회사 김종왕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0 부성에버텍(주) 윤성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1 비엘에스 주식회사 김은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2 비오케이메탈 주식회사 방희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3 빌더스켐코리아 김창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4 상진기업(주) 송승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5 서울금속공업(주) 윤재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6 서울인터네셔널 주식회사 백성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7 선진건기 주식회사 최정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8 섬전복 영어조합법인 황상범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9 소마상사 문현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0 슝크카본테크놀로지(유) 최동균 중견기업 3백만불탑 921 시스템베이스(주) 장연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2 신세기메디텍(주) 백승관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3 신흥기업 주식회사 김용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4 씨앤씨코퍼레이션 조은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5 씨에이페이퍼(주) 유창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6 어드밴스드디지털솔루션(주) 박정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7 어빌리티코리아(주) 김진웅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8 에스케이인터내셔널 손성강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9 에스파워 주식회사 류승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0 에이시스 주식회사 김준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1 에이치앤비파마인터내셔널 이상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2 에코클리어 주식회사 정철화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3 엠씨케이 주식회사 김병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4 영남기계(주) 예병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5 오션씨엔아이 주식회사 윤종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6 오스템올소 주식회사 김병일 중견기업 3백만불탑 937 오티씨 주식회사 이준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8 웰너스코리아(주) 정영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9 웰마크(주) 정병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0 유앤씨인터내셔널 유수권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1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황규관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2 유한회사 에스더블유코퍼레이션 이세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3 이소이비 이강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4 이에이오토그룹(주) 김에브제니바디모비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5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김주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6 인셀(주) 정창권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7 재단법인 행복커넥트 이준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8 정우화인(주) 김유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9 정화식품(주) 최규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0 제이에스 트레이딩 김병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1 제이케이엠지코리아 김용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2 주식회사 거성인더스 정창윤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3 주식회사 건웅기계 박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4 주식회사 그래피 심운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5 주식회사 그랜드서플라이 임에브게니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6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김구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7 주식회사 네오테크 고경삼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8 주식회사 누비스코리아 이장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9 주식회사 뉴퐁 이재용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0 주식회사 다스 이춘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1 주식회사 대한오토텍 김대형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2 주식회사 더빅코리아 김장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3 주식회사 데크카본 김광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4 주식회사 도원팩 홍유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5 주식회사 동방미인코리아 조성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6 주식회사 두인 강태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7 주식회사 드림케이텍 도형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8 주식회사 디앰코리아 임은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9 주식회사 디즈글로벌 한바다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0 주식회사 레메디 이레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1 주식회사 만텍 정만협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2 주식회사 미라클넷 최은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3 주식회사 미코명진 이명효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4 주식회사 바다명가 김자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5 주식회사 바이로 노지숙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6 주식회사 브이이에스 김진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7 주식회사 블루망고커머셜 임상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8 주식회사 비엔무역 김대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9 주식회사 비햅틱스 곽기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0 주식회사 삼광 김광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1 주식회사 서원글로벌 윤종만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2 주식회사 세양섬유 김영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3 주식회사 세한 정광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4 주식회사 셀아이콘랩 성민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5 주식회사 송림피앤피 조상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6 주식회사 아이디어브리지 이윤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7 주식회사 아이씨케이(ICK) 이승결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8 주식회사 알비이엔씨 조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9 주식회사 에스앤비 이승지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0 주식회사 에스엔제이 장태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1 주식회사 에스제이 이노텍 송종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2 주식회사 에코프린 강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3 주식회사 에프알메드코스 조진만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4 주식회사 엠제이루스코 박근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5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손상열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6 주식회사 온세계 심성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7 주식회사 용감한미녀들 장세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8 주식회사 위트콘 이황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9 주식회사 유니코리아 김영이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0 주식회사 이로텍스 이성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1 주식회사 이에스이 고형래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2 주식회사 이천 서윤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3 주식회사 제이티에스 정일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4 주식회사 제일유압 정근상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5 주식회사 지티툴링 최성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6 주식회사 짚이엔씨 임종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7 주식회사 초이스툴링 최희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8 주식회사 케이엘글로벌 이창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9 주식회사 케이엠엑스 김성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0 주식회사 케이티알파 조성수 대기업 3백만불탑 1011 주식회사 코라중공업 김행열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2 주식회사 코시스 김우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3 주식회사 크래프트맨 고영남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4 주식회사 클라시아 전정휘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5 주식회사 클레 허영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6 주식회사 태화아이엔씨 최태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7 주식회사 티씨에프씨 진 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8 주식회사 티지와이 최용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9 주식회사 팀코리아 손상범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0 주식회사 포시스 이태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1 주식회사 풋스톤 박두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2 주식회사 피엘코리아무역 부 반 마오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3 주식회사 한스아이앤씨 이한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4 지에스코리아 정써니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5 지에프칼라 유재신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6 진영테크 곽봉주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7 진하무역 김진하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8 진흥식품 성열갑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9 케이케이엘 유한회사 김규광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0 코리아와이에스(주) 유기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1 텍스에드 주식회사 이경선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2 토에이산교 코리아 주식회사 황인걸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3 하나로테크 안승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4 하이젠알앤엠 주식회사 김재학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5 한결메탈 한상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6 한국비앤에이치 주식회사 태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7 한국전광(주) 유해귀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8 한수원케이엔피 주식회사 이남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9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함흥규 중견기업 3백만불탑 1040 해광씨앤아이(주) 정승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41 휴리오 박재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42 (유)영가실업 권종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3 (주)감로파인케미칼 우병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4 (주)경동냉열산업 여성동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5 (주)그레이스클럽 장준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6 (주)글로벡스텍스타일 권혁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7 (주)금호쉽빌딩엔지니어링 오정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8 (주)기전툴 정형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9 (주)남광식품 조선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0 (주)네버엔뷰케어 차은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1 (주)농업회사법인 휴먼웰 석용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2 (주)뉴아이디 박준경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3 (주)대단한형제들 정정엽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4 (주)대주메디테크엔지니어링 김종숙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5 (주)대통무역 조지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6 (주)대한특수강 김성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7 (주)더블윈 유도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8 (주)더블유엘폴리머 서호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9 (주)더존케미칼 김태억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0 (주)도우상사 박성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1 (주)동신이에프 유지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2 (주)동아코퍼레이션 김성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3 (주)동진티아이 이상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4 (주)디에스피미디어 김진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5 (주)레드애로우 김경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6 (주)레드원컴퍼니 엄태국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7 (주)레인보우로보틱스 이정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8 (주)로우템 이상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9 (주)리빙케어 권택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0 (주)마일즈인터내셔널 송은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1 (주)맘스트레져 박용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2 (주)메딕프로코리아 윤부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3 (주)멕트론 김준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4 (주)모먼츠컴퍼니 정윤진 중견기업 2백만불탑 1075 (주)미도화학 김영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6 (주)버드뷰 이웅 중견기업 2백만불탑 1077 (주)비앤에스코리아 차호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8 (주)비에스이엔지 조차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9 (주)삼경이엔씨 김동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0 (주)삼성특수브레이크 피은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1 (주)삼성피팅코퍼레이션 김지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2 (주)상봉코포레이션 김경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3 (주)성일기공 김성묵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4 (주)세민무역 김선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5 (주)세종메디칼 김병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6 (주)솔비트 강화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7 (주)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우종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8 (주)써키트플렉스 윤기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9 (주)씨에스씨 이청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0 (주)씨엔원 정재학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1 (주)씨엘팜 장석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2 (주)씨유스킨 김현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3 (주)씨티에스 이동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4 (주)씨플 조윤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5 (주)아시아오토트레이딩 고근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6 (주)아시안푸드컨넥트 김효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7 (주)아이피아코스메틱 최재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8 (주)아트페이스 안경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9 (주)알가 문상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0 (주)에스비씨원 윤영복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1 (주)에스에스케이 이지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2 (주)에스에스테크 신정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3 (주)에스에이 심완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4 (주)에이원텍 이승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5 (주)에이치앤에이치 김형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6 (주)엔클로니 이경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7 (주)엔트라쥬얼리 이병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8 (주)엘트라글로벌 맹찬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9 (주)엠도씨 이석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0 (주)엠오티 마점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1 (주)올데어코리아 김정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2 (주)와이에이치글로벌 김하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3 (주)우리메카 우용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4 (주)우신스틸 도병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5 (주)원바이오젠 김원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6 (주)원씽 최유미 대기업 2백만불탑 1117 (주)원일산업 이원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8 (주)유지에이프레스 유대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9 (주)유창로보텍 황명숙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0 (주)유티케이 정찬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1 (주)이노하이텍 김동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2 (주)이엘라이즈 김혜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3 (주)이호아이엔씨 김민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4 (주)인포시스콤 정찬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5 (주)잠언의료기 최봉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6 (주)제니아 김성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7 (주)제세 김동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8 (주)제이에이치코프 김연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9 (주)중산기업 정광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0 (주)지브이엑스 김신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1 (주)지성엔지니어링 조훈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2 (주)지에스일렉트로닉스 김찬옥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3 (주)지에스티산업 육영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4 (주)지에스티지 이효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5 (주)지오엠에스 김민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6 (주)지와이씨 서금옥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7 (주)진용엔지니어링 박진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8 (주)진일엠브이씨 백승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9 (주)케이아이씨 신충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0 (주)케이에스엠트레이딩 미로넨코이네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1 (주)케이엠일렉트론 송용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2 (주)케이파워 이경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3 (주)코엔지 김충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4 (주)코웰 김계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5 (주)탑세이프 심영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6 (주)티오엠 하우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7 (주)페이즈 김은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8 (주)하영에스엠씨 이근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9 (주)하이더스 정문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0 (주)하이원플러스 정화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1 (주)한성옵틱스 박현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2 (주)한성테크글로벌 최유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3 (주)한진오토모티브 송미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4 (주)해랑 김연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5 (주)헉스엔지니어링 주정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6 (주)현대건장 임수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7 (주)호이스트코리아 박수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8 코리아가스엔지니어링 강도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9 가루알 윤영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0 경남산업전자 양순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1 고려바이오(주) 김영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2 교촌에프앤비(주) 윤진호 중견기업 2백만불탑 1163 남도전기공업(주) 백민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4 농업회사법인 보령무역 주식회사 정옥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5 농업회사법인 조은종묘(주) 안경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아이엠 양영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7 대동수산 주식회사 임종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8 대성엔터프라이즈(주) 박연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9 대원이엔티(주) 강대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0 더블유에스피 주식회사 임종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1 동신관유리공업 주식회사 서한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2 동양베톤(주) 모영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3 디케이엠 주식회사 이현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4 멤프로 주식회사 권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5 모어랩스코리아 노병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6 민 테이블 민상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7 바이온 주식회사 김병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8 비씨태창산업 유한회사 지영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9 비엠솔루션 김영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0 삼보텍스 박금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1 서도비엔아이(주) 김원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2 선보 윤건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3 성우플랜트 주식회사 박귀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4 세양폴리머(주) 윤성업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5 세종기술 주식회사 이시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6 스킨애플코스메틱 류지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7 스털링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임완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8 신강수산 영어조합법인 임수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9 씨앤엠로보틱스(주) 주묘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0 아시아파인테크 주식회사 모리 쇼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1 아이븐 김명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2 알리코제약(주) 이항구 중견기업 2백만불탑 1193 애트폴리(주) 김재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4 어업회사법인 경영수산 유한회사 최경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5 에스브이테크 황철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6 에스알지엠 김장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7 에스와이티앤엘 주식회사 문양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8 에스티케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김주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9 에이앤피컴퍼니 김수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0 에이치아이티글로벌(주) 이순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1 에이치알메디텍 이현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2 에이텀 한택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3 엘제이인터내셔널 김은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4 엠테크노(주) 김영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5 영어조합법인 마리솔 이상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6 와이아이테크 주식회사 송영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7 우란트레이딩 이스마이로브 우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8 위아글로벌 김상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9 유씨엘(주) 이지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0 인터에쓰유(주) 심현섭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1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이장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2 일신프라스틱(주) 전동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3 일양정밀 김영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4 자유로해운항공(주) 신중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5 제네톡스(주) 안종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6 제이마린 김재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7 제이에스이앤엘 주식회사 류재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8 제이원글로벌 주식회사 정재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9 제이케이이커머스 이정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0 제일머신 주식회사 김지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1 주식회사 가온상사 김윤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2 주식회사 가이오 여동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3 주식회사 게임듀오 최재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4 주식회사 고위더스 이낙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5 주식회사 글로벌탑스 이민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6 주식회사 금성글로벌 배일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7 주식회사 뉴타이어월드 오재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8 주식회사 닷 김주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9 주식회사 더모멘트 안현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0 주식회사 도비즈 염장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1 주식회사 도우엔 황정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2 주식회사 도이프 윤성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3 주식회사 동양정밀가스켓 이기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4 주식회사 동일제약 김세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5 주식회사 동주금속 손동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6 주식회사 디에스원 나한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7 주식회사 디오에프로보틱스 이장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8 주식회사 리브유 정주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9 주식회사 리에스티 김병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0 주식회사 마루 하명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1 주식회사 마스콤 정연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2 주식회사 맥파이테크 신웅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3 주식회사 메이니코코 포미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4 주식회사 메이코더스 최새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5 주식회사 모담글로벌네이처 고은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6 주식회사 목양에프원 이재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7 주식회사 바크로 김종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8 주식회사 브이벨 김채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9 주식회사 비브로 신상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0 주식회사 비스타릿 이정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1 주식회사 비티엔프 수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2 주식회사 세일 최문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3 주식회사 소마 조정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4 주식회사 싼카 조태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5 주식회사 씨스리 김혜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6 주식회사 씨지테크 안중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7 주식회사 아이젤 김범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8 주식회사 아토즈솔루션 박상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9 주식회사 알씨테크 임태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0 주식회사 알토켐 강진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1 주식회사 업스테어스 장영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2 주식회사 에스알티 손영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3 주식회사 에스제이오토모티브 정우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4 주식회사 에스지엘 송진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5 주식회사 에스티케이 김상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6 주식회사 에이빌코리아 노현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7 주식회사 에이치앤제이 노홍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8 주식회사 에이치와이무역 윤진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9 주식회사 에코에너젠 윤종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0 주식회사 엘라스켐 김영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1 주식회사 연화엠텍 김종엽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2 주식회사 와이이오 최원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3 주식회사 요크헤이븐 박봉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4 주식회사 우르 신중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5 주식회사 원강 강태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6 주식회사 원유니버스 고세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7 주식회사 위블링 김성경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8 주식회사 위즈인터내셔날 김재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9 주식회사 이든에프앤씨 김진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0 주식회사 이원 정한교 중견기업 2백만불탑 1281 주식회사 이케이엘 곽대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2 주식회사 이퓨쳐 이기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3 주식회사 지에이스 박규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4 주식회사 캡쳐 윤영복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5 주식회사 케미원스 신현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6 주식회사 케이씨엘 김익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7 주식회사 케이아이티 엄성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8 주식회사 케이팩 강석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9 주식회사 태진mc 차정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0 주식회사 테크피아 정명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1 주식회사 티아이이엘 이창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2 주식회사 포메데시 박기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3 주식회사 하신무역 신원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4 주식회사 하이웰글로벌 김정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5 주식회사 한국폴리텍 최중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6 주식회사 해신 김운봉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7 진진테크 주식회사 오재명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8 청청인터내셔날(주) 신우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9 칸가와코리아(주) 코바야시노보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0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이노베이션 김혜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1 케이테크 김동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2 코리아나까조(주) CHOI JONG MOON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3 코스맥스바이오(주) 김철희 중견기업 2백만불탑 1304 크레스트 정미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5 트레이드웨이즈인터내셔널(주) 사르와르무하마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6 플렉스폼코리아 유한회사 박찬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7 한국나크 주식회사 박준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8 한성정밀 이정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9 한정식품 한상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0 해마수산 영어조합법인 곽상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1 홍무역 정재홍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2 화연물산(주) 김어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3 화이버텍(주) 이택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4 휴비오(주) 이준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5 (주)금광텍스타일 허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16 (주)나노레이 박재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17 (주)나노젠 이성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18 (주)나노하이테크 김병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19 (주)나비텍스타일 조정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0 (주)나우로보틱스 이종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1 (주)다이나믹오토 김현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2 (주)다이아몬드씨푸드 박세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3 (주)다하우스 김다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4 (주)대우경금속 김도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5 (주)대원파사드 계성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6 (주)대정알파 배기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7 (주)대흥소프트밀 김대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8 (주)더유인터내셔널 유호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9 (주)데코엔지니어링 김재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0 (주)동원롤 전우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1 (주)동원엔텍 신승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2 (주)듀이트리 박남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3 (주)듀크린 이경옥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4 (주)디앤씨퓨쳐스 김학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5 (주)디앤푸드 박성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6 (주)디에스브이 오상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7 (주)맛찬들백미식품 양동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8 (주)메드로드 이은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9 (주)메탈팀 김영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0 (주)명진종합건설 이명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1 (주)뮤드메이트 남궁미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2 (주)미라클산업 김영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3 (주)벨르글로벌 이정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4 (주)봉화산업 백준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5 (주)부산어묵 이규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6 (주)부흥 윤효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7 (주)브이엘에프 홍성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8 (주)블루파운틴코리아 이종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9 (주)비나카 정문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0 (주)삼호나노텍 정세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1 (주)서울클릭 이용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2 (주)서치라이트에이치앤비 양성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3 (주)선양인터내셔널 이태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4 (주)성안미크론 심보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5 (주)소트론 정진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6 (주)수산기계이엔지 김성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7 (주)스킨나인코스메틱 김창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8 (주)시트라인터내쇼날 남기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9 (주)신화에프에스 이정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0 (주)싸이몬 안재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1 (주)씨티씨엠에스 김주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2 (주)아라움 김미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3 (주)아마존컨설팅그룹 정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4 (주)아이넥스코리아 최은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5 (주)아이비에스에프에이 이상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6 (주)아이콘비엑스 김현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7 (주)아이티씨 김민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8 (주)아이티씨 문정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9 (주)아이피아이테크 이태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0 (주)어센드코퍼레이션 이신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1 (주)에스브이엠테크 김기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2 (주)에스아이디메디코스 홍상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3 (주)에스앤엠코리아 황성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4 (주)에스에스엘케이에이치 김여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5 (주)에스엔지아이시티 주진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6 (주)에스텍시스템 이병화 중견기업 1백만불탑 1377 (주)에스피에스글로벌 이상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8 (주)에쓰엔티코리아 박희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9 (주)에어로피에치이 문형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0 (주)에이씨엘시스템 문성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1 (주)에이에스이 최규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2 (주)에이치나인 최우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3 (주)에코엘앤씨 윤정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4 (주)에프그라운드 김재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5 (주)에프에스 최명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6 (주)엑세스바이오코리아 이민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7 (주)엔바이로코리아 박성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8 (주)엔케이코퍼레이션 김형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9 (주)엔피코어 한승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0 (주)연합기업 유청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1 (주)영인바이오텍 김영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2 (주)오토네이션 김봉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3 (주)오피솔류션 조웅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4 (주)올담 최병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5 (주)올인닷컴 김찬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6 (주)와이디인터내셔널 고영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7 (주)와이제이글로벌 서국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8 (주)우리회사 박태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9 (주)웰코 오창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0 (주)웰코멧아시아 류용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1 (주)위림 박준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2 (주)위트코 허준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3 (주)유성화학 류창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4 (주)유원플렛폼 황철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5 (주)유진유체 이기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6 (주)이노켐 박선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7 (주)이디야 문창기 중견기업 1백만불탑 1408 (주)이수에코테크 백경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9 (주)이즈람엔터프라이즈 하산 알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0 (주)이지산업 설호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1 (주)이트론 이재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2 (주)인터컴 최태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3 (주)인흥산업 이선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4 (주)제이피에스코스메틱 선일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5 (주)지니텍스솔루션 김도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6 (주)지앤푸드 정태용 중견기업 1백만불탑 1417 (주)지엠더블유 이용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8 (주)지엠티에이 신수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9 (주)창보 김정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0 (주)천명메탈 서호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1 (주)치드케누 이미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2 (주)케이비알 이남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3 (주)케이씨아이 장동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4 (주)케이에이치엔지니어링 이광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5 (주)케이오토트레이더스 기도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6 (주)코리아오일씰텍 노재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7 (주)코아센컴퍼니 배정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8 (주)코코인터내셔날 한방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9 (주)퀀타매트릭스 권성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0 (주)큐리오시스 윤호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1 (주)큐빅스 박용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2 (주)타스코 위성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3 (주)텍스마스타 강석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4 (주)토포실크 신원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5 (주)티앤비인터내셔날 전해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6 (주)틸트프로 민병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7 (주)파즈코리아 노대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8 (주)포투나코퍼레이션 최은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9 (주)프레넬팩토리코리아 김명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0 (주)피닉스엔지니어링 배금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1 (주)픽톤 이병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2 (주)핏투게더 윤진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3 (주)하나웰무역 이동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4 (주)하스코글로벌 정보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5 (주)하이테크디젤 이재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6 (주)한국노텍 권광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7 (주)한국유체기계 유건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8 (주)한맥아이티 최예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9 (주)한미양행 정명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0 (주)한서켐 오민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1 (주)허리우드 홍승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2 (주)현대엘앤씨보닥 박종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3 (주)현대포리텍 김해 심명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4 F&B Solution Company 배일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5 경성무역 김준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6 그레이스인터콤 백승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7 그린기계 최영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8 그린테크교역 노만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9 나노팀 주식회사 최윤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0 나이프플러스(주) 김태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1 네오마(주) 이강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2 노바코리아 주식회사 유동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3 노바트레이드 김드미트리아카드비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4 노벨정밀금속(주) 박진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5 농업회사법인 (주)금하 김봉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6 농업회사법인 (주)한스팜 한만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7 뉴문 네트웍스 이동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8 다원테크 강재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9 대명산업기술(주) 김당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0 대성컴퍼니 오준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1 대신엔터프라이즈(주) 김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2 대유단조 백해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3 대일테크 김규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4 더블유제이팩키징솔류션스코리아(유) 이수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5 데이빗아쿠아시스템 김범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6 도전테크 이무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7 동명테크 김주습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8 동보정밀강관(주) 김경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9 동우T&C 서승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0 디알인터네셔널 백다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1 디에이치씨 문재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2 (주)디와이글로벌네트워크 조영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3 라구 트레이드 이상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4 라이언뷰티(주) 하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5 라이프코어인스트루먼트(주) 임동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6 렉스피드 이영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7 로보링크 주식회사 홍창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8 마스 주식회사 박청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9 마하나임(주) 이상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0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정용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1 모리로쿠 케미칼즈 한국 주식회사 정경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2 모비유 코리아 이혜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3 미래정밀화학 주식회사 장정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4 미르스텐 주식회사 이민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5 바론코리아 박최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6 베이인터내셔널(주) 조인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7 보성ENG 박경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8 비스타 일렉트로닉스 신은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9 비엔피전자 주식회사 김영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0 비엠에스파워 김정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1 비욘드코리아 신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2 비케이에프글로벌 윤창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3 삼성비즈테크 유영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4 삼솔정공 주식회사 전의종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5 삼원기업 정점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6 선샤인 이종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7 성도하이텍 주식회사 정법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8 세븐케이무역 김태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9 세양섬유 손금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0 세영정보통신(주) 이세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1 소니메디 이정복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2 솔루텍코퍼레이션(주) 성기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3 스크랩박스 안지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4 시도테크 곽윤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5 신일제약(주) 홍재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6 신호기업 신철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7 쓰리케이에이치 주식회사 허선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8 씨. 에스 에프(주) 이동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9 주식회사 씨아이알에스그룹코리아 임항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0 아성정밀화학(주) 최병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1 주식회사 아트앤디자인인터내셔널 추혜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2 알루스 주식회사 정종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3 에스더블 트렌드 정주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4 에스더블유(주) 김보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5 에스디스피드(주) 연진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6 에스에프마리나코리아(주) 이욱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7 에스엠스위치 주식회사 왕영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8 에스원테크 석진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9 에스제이테크 장일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0 에이셀테크놀로지스(주) 김형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1 에이치메디칼(주) 한희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2 에이치아이켐 주식회사 서진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3 에이텍(주) 김진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4 에코니 최지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5 에코스마트 주식회사 이현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6 엑스빔테크 주식회사 박창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7 엔지유 수리믹스(주) 최재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8 엠케이프리시젼(주) 민병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9 영원 김영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0 영진산업(주) 나연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1 영창이엔지(주) 이한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2 우진기계 남혁모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3 원그램솔루션 주식회사 김경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4 원농산 영농조합법인 박혜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5 웰바이오 김선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6 위로 이동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7 위케이이앤지 김위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8 위플라이 김민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9 유광무역(주) 최성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0 유니온테크 주식회사 조도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1 유니온테크(주) 한기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2 유성케이엔(주) 최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3 유한회사 예원 강동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4 유한회사 제이엘브리지 장윤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5 이노크리시스템(주) 김상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6 인프로이엔씨(주) 김기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7 (주)일광엠티에스 윤정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8 일신기계제작소 강신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9 재성산업 김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0 쟈스민 무역 아부하디드이야스살렘호레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1 제네시스 솔루션 코리아 조은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2 제네시스에너지솔루션(주) 박건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3 제니텍상사 임재승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4 제이엔에이 트레이딩 주식회사 조지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5 제일에스엘산업 주식회사 장창익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6 주식회사 가람코 손양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7 주식회사 경아로지스틱스 채순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8 주식회사 교동물산 전종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9 주식회사 굿모닝바이오 황의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0 주식회사 그랩실 허 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1 주식회사 글로리어스 오재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2 주식회사 금호조침 김 화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3 주식회사 기베스트 기서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4 주식회사 까사델파로 박철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5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6 주식회사 나우인터내셔널 이영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7 주식회사 네이코 이기동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8 주식회사 다가 박정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9 주식회사 다묘인 이건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0 주식회사 대신에스티에스 홍종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1 주식회사 더넥스트 강희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2 주식회사 동원코퍼레이션 김경동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3 주식회사 디아룩스 남승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4 주식회사 라임(LIME) 박지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5 주식회사 마이커머스 문성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6 주식회사 모윰 김명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7 주식회사 무아스 문철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8 주식회사 미그림 이찬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9 주식회사 미래로드 서정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0 주식회사 바인코리아플러스 이종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1 주식회사 보고신약 남경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2 주식회사 보나쥬르 김다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3 주식회사 비엘엠콘택트 유종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4 주식회사 서현푸드코리아 이수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5 주식회사 성현퍼라이트 장석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6 주식회사 세림정공 이정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7 주식회사 수퍼코스 이유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8 주식회사 스완코스메틱 김영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9 주식회사 시크릿팜 손미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0 주식회사 신영엔지니어링 박 고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1 주식회사 신원인더스트리 권용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2 주식회사 실라서울 신인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3 주식회사 씨마켓 성덕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4 주식회사 씨엠엘글로벌 박재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5 주식회사 씨엠코어 김민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6 주식회사 씨웨이글로벌 강영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7 주식회사 씨케이피앤피 함춘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8 주식회사 아리셀 박순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9 주식회사 아원파트너스 임광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0 주식회사 아이솔루션 박종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1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황윤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2 주식회사 아이투스글로벌 김동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3 주식회사 애니테이프 박성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4 주식회사 액트 박맹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5 주식회사 양명 김보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6 주식회사 얼레디덱 김세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7 주식회사 에끌라두 송지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8 주식회사 에스아이씨 백진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9 주식회사 에스엠티 한상효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0 주식회사 에이에이치엔 안창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1 주식회사 에이월드 이동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2 주식회사 에이치 트레이딩 이혜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3 주식회사 에이티움 장영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4 주식회사 에이티인더스 신승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5 주식회사 엔바이오 고화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6 주식회사 엔클루 김상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7 주식회사 엘브이이코리아 서나함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8 주식회사 엘에프테크 이용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9 주식회사 엘엔에스바이오 윤성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0 주식회사 열성 김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1 주식회사 영신식품 양태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2 주식회사 영트레이딩 김임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3 주식회사 오스코리아 이병장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4 주식회사 오아시스 글로벌 김용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5 주식회사 올도완 심재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6 주식회사 올위메이크이즈 남수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7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티 김윤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8 주식회사 와이티씨글로벌 이윤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9 주식회사 우즈코코스메틱 김도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0 주식회사 웨덱스 양승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1 주식회사 웨이버스 김학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2 주식회사 웨이브트랙 김용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3 주식회사 유티어 황성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4 주식회사 이지코리아 유성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5 주식회사 정광산업 전재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6 주식회사 제이디글로벌 이용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7 주식회사 제이디지 이승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8 주식회사 제이에스피글로벌 박상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9 주식회사 제이엠티 김지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0 주식회사 제트글로벌 윤해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1 주식회사 케이컨 박아나스타시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2 주식회사 케이티알 김창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3 주식회사 케이티앤이 박노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4 주식회사 코리엘 조신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5 주식회사 코솔케 김형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6 주식회사 코스비즈 민석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7 주식회사 쿨파인더 홍민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8 주식회사 키본커머스 오정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9 주식회사 키쿠보 류영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0 주식회사 타이거일렉 이경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1 주식회사 태양글로발 김경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2 주식회사 토니텍 양해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3 주식회사 토모큐브 홍기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4 주식회사 퍼스트글로벌 김사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5 주식회사 폴리팀 왕철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6 주식회사 프로디젠 심수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7 주식회사 피앤씨텍스타일 권기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8 주식회사 하경산업 이동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9 주식회사 한욱21홀딩스 장춘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0 주식회사 해도화학 노승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1 주식회사 해리 여혁종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2 주식회사 해미로 김삼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3 주식회사 혜승물산 이원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4 주식회사 호건에프에이 김명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5 주식회사 화미무역 이강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6 주식회사 후로벨 최귀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7 준무역 박준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8 지맥스정보통신(주) 윤영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9 지엠 인터내셔날 아머르 아바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0 지엠폴리머 박재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1 지와이서울 주식회사 심태웅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2 진양유압 윤종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3 케이시시정공(주) 박덕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4 케이엔티 주식회사 나카무라 쇼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5 케이엠코리아 주식회사 강지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6 콜마유엑스 주식회사 변성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7 큐로테크(주) 이병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8 키테크 정순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9 타이탄리 이동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0 톰스코(주) 최용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1 트라이픽스 주식회사 양원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2 트리톤 주식회사 송상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3 티엔씨퍼스트 주식회사 김광복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4 프로켐 주식회사 구장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5 주식회사 프리메디텍 김종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6 프링커코리아(주) 윤태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7 플랙스카코리아 홍석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8 피닉스 권지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9 피코맥스(주) 송종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700 하늘바다컴퍼니 진아령 중소기업 1백만불탑 1701 주식회사 해솔모터스 알알루스모스타파아흐메드모하메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702 호연테크(주) 진두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703 환인제약(주) 이원범 중견기업 1백만불탑 1704 희운 주식회사 정순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Ⅲ. 주요수상자 공적내용 정부포상 수상자 공적내용 1. 금탑산업훈장 (주)엘엑스세미콘 / 손보익 대표이사 80 2. 금탑산업훈장 (주)심텍 / 전세호 회장 81 3. 금탑산업훈장 (주)메타바이오메드 / 오석송 대표이사 82 4. 금탑산업훈장 (주)비엠티 / 윤종찬 대표이사 83 5. 은탑산업훈장 (주)포스코퓨처엠 / 김준형 대표이사 84 6. 은탑산업훈장 케이지 모빌리티(주) / 정용원 대표이사 85 7. 은탑산업훈장 남성해운(주) / 문판식 선장 86 8. 은탑산업훈장 (주)싱그린FS / 정호석 대표이사 87 9. 은탑산업훈장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 박종환 대표이사 88 10. 은탑산업훈장 에스트래픽(주) / 문찬종 대표이사 89 11. 동탑산업훈장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 양국석 대표이사 90 12. 동탑산업훈장 한국진공(주) / 이인우 대표이사 91 13. 동탑산업훈장 케이넷(주) / 서성남 대표이사 92 14. 동탑산업훈장 (주) 포스코인터내셔널 / 김원영 상무보 93 15. 동탑산업훈장 에이치에스엠(주) / 문안용 대표이사 94 16. 동탑산업훈장 삼성물산(주) / 임건순 그룹장 95 17. 동탑산업훈장 엑셀리스코리아(주) / 박영근 사장 96 18. 동탑산업훈장 동광무역상사(주) / 이상훈 대표이사 97 19. 동탑산업훈장 에스케이하이닉스(주) / 김주선 부사장 98 20. 철탑산업훈장 삼성SDI / 손미카엘 부사장 99 21. 철탑산업훈장 세아상역(주) / 문성미 대표이사 100 22. 철탑산업훈장 (주)보명금속 / 홍수식 대표 101 23. 철탑산업훈장 한화솔루션(주) / 김운회 상무 102 24. 철탑산업훈장 (주)흥아기연 / 이승범 부장 103 25. 철탑산업훈장 (주)하나금속 / 남정도 전무 104 26. 철탑산업훈장 현대삼호중공업(주) / 김선 직장 105 27. 철탑산업훈장 한국알프스(주) / 신경영 책임매니저 106 28. 철탑산업훈장 태광후지킨(주) / 신옥주 반장 107 29. 석탑산업훈장 한국무역보험공사 / 박진식 본부장 108 30. 석탑산업훈장 (사)한국무역협회 / 김병유 본부장 109 31. 석탑산업훈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김윤태 부사장 110 32. 석탑산업훈장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정동호 처장 111 1. 손보익(孫保翼) 금탑 / (주)엘엑스세미콘 대표이사 ▲ 수출품목 : 반도체 설계 ▲ 수출실적 : 10억불 ▲ 담 당 자 : 이희상 ( ☎ 010-2655-1099 ) 공적내용 상기인은 40년간 시스템반도체 단일 분야에 종사하면서 반도체 개발 초기부터 최근 시스템반도체 기술개발까지, 국내 반도체 全단계(아날로그→디지털→모바일)의 기술 발전에 기여함. 2019년 6.9억불이던 수출을 2022년 10.2억불까지 성장시키며 국내 시스템반도체 팹리스 기업 최초 3년 연속 10억불 수출을 달성하여 국내 기술 중심 수출에 기여함. 2021년에는 매출 중 수출의 비중이 99.1%에 달했고,(1.88조원/1.89조원) 지난 3년간의 수출 비중의 경우 매출액 평균 98%를 기록하며 국내 반도체 팹리스 1등 기업으로서 해당 분야 수출을 주도함. 반도체 분야 국가 핵심기술(2023년 3월 산업통상자원부) 및 국가첨단전략기술(제1차 국가첨단전략산업 육성 기본계획)에 포함된 첨단산업 기술 확보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대에 기여하였으며, 애플, MS, 구글 등, 글로벌 IT 기업으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아(시스템 반도체 팹리스 세계 12위, Display IC 세계 3위) 관련 품목 매출(수출)의 지속적인 증가를 주도함. 1997년 세계 최초 DTV 칩 개발을 시작으로 2014년 UHD TV용 HEVC(고압축) 디코더 및 고화질 변환 칩 개발에 이르기까지 시스템반도체 단일 분야에서 40년간 수공하며 한국 TV 산업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견인하고 세계 최초 북미 모바일 방송수신 칩 개발에 기여함.(2015년 반도체의 날 동탑산업훈장) 2016년 말 700여 명이던 직원 규모를 2022년 말 1,600여 명으로 성장시켰으며, 전체 근무 직원의 평균 연령은 35세로, 최근 3년 간의 채용 중 95%가 30세 미만으로 구성되는 등, 청년 중심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 2. 전세호(全世鎬) 금탑 / (주)심텍 회장 ▲ 수출품목 : 인쇄회로기판(PCB) ▲ 수출실적 : 7억불 ▲ 담 당 자 : 송수진 ( ☎ 043-269-9439 ) 공적내용 상기인은 35년간 적극적인 R&D 투자와 글로벌 마케팅을 진행하여 모바일용 PCB(인쇄회로기판) 제품을 개발 및 양산하여 ㈜심텍을 세계 1위 기업으로 성장시켜 국내 반도체 산업과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함. 1990년 당시 국내 생산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SIMM PCB 독자 기술 국산화에 성공하여 현재 반도체 및 모바일용 PCB 세계 점유율(30%) 1위 기업으로서 국내 기술 진화를 선도함. 기술경쟁력 강화 및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재 국산화 개발 노력으로 PCB 원재료 CCL(동박적층판)의 국내 양산을 위해 LG화학, 두산전자와 3자 공동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이 결과로 일본에서 전량 수입하던 CCL 국산화율은 75% 수준을 달성함.(’22년 말 기준 1,400억 수입 대체 효과 발생) 2004년 개발된 BOC 제품은 세계시장 점유율 40%를 달성하며 세계시장에서의 지위를 높여 수출 증대에 기여하고 있으며, 2008년 개발된 메모리 모듈 PCB, DRAM 패키지용 BOC 기판, 2016년 패턴 매립형 기판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되며 일본, 대만, 중국 등으로 수출시장을 확대함. 글로벌 Big 5 메모리칩 메이커(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키옥시아 등) 및 Big 5 패키징 전문기업(AES, Amkor, JCET 등)을 고객사로 확보하여 3년 연속 매출 1조원, 수출 약 8억불을 달성함. 2022년 매출의 92.6%를 수출로 달성, 해당 분야 수출을 주도하고 주요 수출 품목(PCB)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단일품목으로 11억불 이상 수출 달성에 기여함. 2001년 직원 수 500여 명에서 현재 국내 고용 2,800명으로 20여 년간 460%의 인력 증가와 일자리 창출 공로를 인정받아 2022년 충청북도 고용 우수기업으로 선정됨. 3. 오석송(吳碩松) 금탑 / (주)메타바이오메드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치과용 의료 원부자재 ▲ 수출실적 : 4천만불 ▲ 담 당 자 : 윤종필 ( ☎ 043-230-8881 ) 공적내용 상기인은 치과용 근관 충전재 시장에서 세계 점유율 1위를 달성하고, 세계에서 7번째로 생분해성 봉합사를 개발하는 등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4천만불 수출을 달성하여 한국 의료자재 산업 발전 및 세계 시장 진출에 기여함. 세계일류상품 3종 개발, 105개국 수출, 세계시장점유율 1위 달성(점유율 23%, ’23년 현재) 등의 성과를 바탕으로 전체 매출 대비 높은 수출 비중을 달성하며 ㈜메타바이오메드가 수출중심 강소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 노력을 통해 105개 국가 대상 수출실적을 기록 중으로(아시아 43%, 아메리카 19%, 유럽 16%, 아프리카 9% 등, ’22년 말 기준), 20여 년간 지속적인 수출실적 증가를 달성하여(’07년 1천만불→’16년 3천만불→‘22년 4천만불)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350만 마일, 지구 140바퀴를 거리를 돌며 국제전시회 참가 및 영업활동 전개) 수술용 녹는 실로 알려진 생분해성 봉합사 기술은 현재까지도 전 세계에서 7개 기업만이 생산 가능하며, 항균성 봉합 원사는 세계에서 2번째로 개발에 성공하여 수출 확대를 위한 기술력 확보에 기여함. 중소기업으로서는 이례적으로 공학박사 3명을 포함, 총 35명의 연구원이 기술 개발에 매진하여 국내 특허 69건, 해외 특허 24건을 등록하였고, 봉합사 원료인 글리콜라이드의 국산화 성공(2018년)을 통해 수입대체효과(24억원/년)를 창출하여 소재의 자급화를 완성함. 선도적인 중소수출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기 위해 30여 년간 자체 발굴한 200여 명의 바이어를 국내 전시회에 직접 초청하여 국내 바이오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후배 기업인 육성을 위해 지역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는 등,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함. 4. 윤종찬(尹鍾贊) 금탑 / (주)비엠티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산업용 피팅‧밸브 ▲ 수출실적 : 5천만불 ▲ 담 당 자 : 장성원 ( ☎ 051-780-5151 ) 공적내용 상기인은 35년간 금속 임가공 분야 기술개발에 앞장서며 정밀배관의 이음재(피팅)와 밸브의 국산화, 세계적인 품질기준 충족을 이루었으며, 수출시장 확대와 더불어 국내 산업의 수입대체효과를 창출하였고,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주력 전방 산업 해외수주의 핵심부품을 공급함. 1988년 인원 3명, 연 매출 150만원 기업으로 창업하여 2023년 현재, 연 매출 1,414억, 약 6천만불 수출실적(27개국 대상)을 달성한 기업으로 성장하였음. 이는 전년 대비 수출액 18백만불(44%), 매출액 35억원(31%)의 성장임. 2018년 기존 일본이 선점하던 반도체 가스용 UHP(Ultra High Purity) 피팅·밸브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 국내외 반도체 공장, 조선/해양플랜트, 석유화학, 발전, 항공, 방산 산업 등에 공급하며 수출증진에 기여함.(해당 부품 연 500만불 이상 수출) 2020년 에너지기술 개발 국책과제(산업통상자원부) 수행기업으로 선정, 초고압 수소용 배관 밸브 등의 부품과 시스템 개발을 통해 피팅 밸브, 중고압용 관이음쇠 등을 개발하고 수소 인프라 부품의 국산화를 주도함.(연간 수입대체효과 150억원 이상 발생) 직접 수출 외에도, 국내 반도체(초고순도 피팅), 해양플랜트/조선(초저온 밸브), 석유화학(아이피팅), 발전(매니폴드 밸브) 등, 주력 전방 산업의 핵심부품 공급을 통하여 해외 수주에 기여함. 사우디 아람코, 엑손모빌, 셰브론 등, 23개 글로벌 오일·가스 기업의 정식 공급사로 선정되어 협력 파트너인 국내 플랜트 대기업의 부품 품질을 보증, 해외사업 수주에 직·간접으로 기여함.(원전: UAE 바라카 원전(‘12~) 등 4건, 해양/플랜트: 현대중공업 LNG선 등 148건, 석유화학: 사우디 자푸라 가스 개발 등 31건) 5. 김준형(金俊亨) 은탑 / (주)포스코퓨처엠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이차전지 소재 ▲ 수출실적 : 17억불 ▲ 담 당 자 : 김보민 ( ☎ 02-3457-4474 ) 공적내용 상기인은 지난 37년간 관련 업종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이차전지 소재(양극재·음극재) 통합법인인 포스코퓨처엠을 출범시킴으로써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및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이차전지소재 국산화로 국내 배터리 산업의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에 기여함. 2018년도 포스코ESM(배터리 양극재)과 포스코켐텍(배터리 음극재)의 통합을 주도하여 포스코퓨처엠이라는 통합법인을 출범시킴으로써 기업경쟁력 강화를 통한 이차전지소재사업 진출 및 수출 확대에 기여함. 2019년 이후 포스코퓨처엠의 매출 2.2배(2019년 1.5조원 → 2022년 3.3조원), 수출실적 8.1배(2019년 1.55억불/2,015억원 → 2022년 12.6억불/1조6,380억원)로 각각 성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고, 2022년 美 GM 社와의 14조원 중장기 계약체결 주도를 통해 국내 이차전지 산업의 도약에 기여함. 2023년 3월 배터리 안전성과 에너지밀도가 높은 단결정 양극재를 국내 최초로 양산에 성공하였고, 전구체 생산성을 3.5배 향상할 수 있는 연속 순환 농축 상용화에도 성공하여 수출 확대를 위한 기술력을 확보함. 전구체 제조시스템 국산화에 성공하고(2018년, 수입대체효과 7,975억원/년), 전량 중국에 의존하던 인조흑연 음극재의 국산화에도 성공함.(’23.4월, 수입대체효과 585억원/년) 美 IRA 발효 대응을 위해 배터리 제조 기술 확보 및 국내 생산 확대 추진으로 배터리 양극재 생산공장을 준공(광양 9만톤 규모) 및 건설(포항 10.6만톤) 중이며,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아프리카산 흑연광산 지분투자 및 내재화를 추진함. 6. 정용원(鄭鏞元) 은탑 / 케이지 모빌리티(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자동차 ▲ 수출실적 : 10억불 ▲ 담 당 자 : 강명수 ( ☎ 031-610-1365 ) 공적내용 상기인은 적극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수출 확대를 위한 토레스 등의 맞춤형 신차를 출시함으로써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전년 대비 60.2% 성장한 10억불 수출을 달성하는 데 기여함. 수출 판매 증대를 위하여 기존 차량의 상품성 개선, 신차출시, 해외 소비자 선호 사양 구성 적용 및 적기 생산과 운송기일 준수를 통해 해외 판매를 증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함. 전년 대비 괄목할 만한 수출액 증가(2022년 기준 전년 대비 60.2% 상승한 10.6억불)와 매출액 성장(1조원, 41% 증가)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 활동을 통해 그간 수출이 부진했던 벨기에, 헝가리, 폴란드, 호주 시장 등의 수출실적 개선에 기여함. 금년도 기준, 벨기에 1.44억불(+129.4%), 헝가리 2.21억불(+104.7%), 폴란드 0.48억불(+69.6%)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고, 2018년 호주 시장에 진출한 이래 역대 최고 실적인 1.74억불 수출을 달성하는 등, 꾸준한 수출 확대를 진행 중임. 회생절차 중에도 신기술 개발을 위해 관련 인력 578명을(전체 종업원의 13%) R&D에 배치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비 투입을(’22년 1,201억원 → ’23년 1,645억원) 통해 최근 3년간 109건의 특허 등록을 비롯하여 신차 토레스를 출시(’22.7월)하여 8천만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함. 223개의 1차 협력사, 1,090개의 2차 협력사와 동반성장 및 상생협력 활동을 강화해 왔으며, 성공적인 M&A와 회생절차 종결로 82,000명의 협력사 임직원의 고용 안정화에 기여함. 노사 간 상생 문화를 정착시켜 14년 동안 0건의 쟁의 발생이라는 해당 업계에서 보기 드문 무분규 사업장을 유지함. 7. 문판식(文判植) 은탑 / 남성해운(주) 선장 ▲ 수출품목 : 화물운송업 ▲ 수출실적 : 2억불 ▲ 담 당 자 : 박정우 ( ☎ 02-772-8855 )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2년 실습 항해를 시작으로 약 40년간 오로지 수출의 선봉장인 해기사를 천직으로 삼아 해양 직원으로만 근무하였고, 2001년 이후에는 선장으로서 우수한 해기능력, 안전 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수출 선박의 안전·적기 운항에 기여함. 남성해운(주)은 1953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외항선사로 컨테이너 화물선을 포함한 20대의 선박, 60개 아시아 지역의 주요 물류 기지를 통해 총 46개의 노선을 서비스하며 수출 물류 확보에 기여함. 이를 통해 최근 3년간 2020년 2.2억불, 2021년 3.1억불, 2022년 2.7억불에 달하는 수출 성장에 기여함. 상기인은 1982년 부산해양고등학교 항해과를 졸업한 이후 한진상운에서 실습을 시작하였고, 보창선박 및 천경해운, 청운상사, 부산중앙해운, 새한해운에서 항해사로 근무함. 1994년 이등 항해사로 항해를 시작한 후 현재까지 무사고 경력을 유지하며 우수한 해기능력을 입증함. 2008년 유가 급등으로 급증한 운항경비의 절감을 위해 운항 일정을 고려한 연료유 전환, Port to Port 간 경제속도 운항모델 등을 회사에 제안하여 선박의 안전 운항 및 정시운항, 비용 절감에 기여함. 선장 진급 대상자에게 선장에게 필요한 이론 및 자력도선 교육 등을 적극적으로 이행함으로써 최근 5년 사이에 4명을 선장으로 진급시키는 등, 후배 양성에 크게 공헌함. 8. 정호석(鄭湖錫) 은탑 / (주)싱그린FS 대표이사 ▲ 수출품목 : 가금류 가공업 ▲ 수출실적 : 2천만불 ▲ 담 당 자 : 김준현 ( ☎ 063-861-7568 ) 공적내용 상기인은 베트남의 성수기 기간과 환율 변동에 주목하여 제품 재고 없이 생산량을 모두 판매하는 전략으로 2021년 대비 자본금은 73억 11백만원에서 2022년 8% 증가한 79억 11백만원, 매출액은 2021년 300억 93백만원 대비 2022년 523억 95백만원으로 74% 증가시킴으로써 수출증진을 통한 성장에 기여함.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생산공정의 관리를 통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원료를 수급하기 위해 농가에서부터 엄정한 관리를 거치는 등, 제품 품질 관리를 위한 노력의 결과 2007년 3월 HACCP 인증을 획득하였고, 2023년 현재까지 HACCP 인증을 유지하고 있음. 상기인은 품목 다양화와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기존의 냉동 닭고기 수출에 더하여 새로운 닭고기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기존 베트남 위주의 냉동 닭고기 중심 수출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국가와 품목을 개척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2023년 9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K-food fair 2023에서 가공식품을 선보이며 대한민국 농수산식품의 베트남 수출 확대에 기여함. 당사의 수출실적은 2020년 1,040만불, 2021년 1,746만불, 2022년 2,224만불으로, 3년간 평균 47%라는 높은 성장률을 주도하였으며, 외화가득률 또한 99%로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함. 산업 연수생 기숙사, 생일자 상품권 지급, 동아리 활동 지원, 익산 내 기업 및 협업 근로자 할인 등, 직원 개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함과 동시에 근로자의 복지를 위한 노력도 꾸준히 기울이고 있음. 9. 박종환(朴鍾煥) 은탑 /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이차전지 소재 ▲ 수출실적 : 24억불 ▲ 담 당 자 : 황은성 ( ☎ 054-720-4013 ) 공적내용 상기인은 33년간 배터리, 이차전지 양극소재 분야에 종사하며 양극활물질 개발 및 양산 기술 확보 등을 통해 해당 분야의 수출경쟁력 강화 및 국내 이차전지 해외시장 선점에 기여함. 2020년 2월 ㈜에코프로비엠과 삼성SDI㈜의 합작법인 설립을 총괄하고 지난 3년간 양극소재 공장을 순차적으로 준공한 결과, 국내 최대규모 생산력을 갖추며 양극재 개발 및 양산체계를 확보하는 데 기여함. (2020년 11월 CAM6 年産 3.6만톤, 2021년 10월 CAM7 年産 5.4만톤, 2023년 1월 CAM8 年産 3.6만톤) 급속한 수요 증가에 적기 대응(양산체계 조기 확보)함으로써 수출 성장에 기여하였으며, 사전 설비 검증, 제품 특성 사전 검증, 소재 동질성 평가 Tool 확보 등을 통해 당초 계획 대비 3개월 이상 조기 양산 돌입하는 데 기여함. 2021년 0.5억불의 수출 대비 2022년 2.4억불 수출을 달성하고, 2021년 118억원의 매출실적 대비 2022년 2조원으로 초고속 성장하는 성과 달성에 기여함. 2023년 상반기 수주실적은 13억불로 2022년 상반기 대비 108% 증가하는 성과 달성에 기여함. 연구전담부서 설립과 적극적 기술개발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제품 품질개선을 바탕으로 양극재 공급 단가를 낮추는 데 성공하여 하이니켈계 고용량 양극소재의 세계시장 점유율 향상에 기여함. (전 세계 2.2%, 2022, SNE리서치) 공장설립에 필요한 양극 소재 규격화를 추진하여 안정적인 설비 구축을 통해 공장 시험 운전 기간 단축(2개월→1개월), 2021년 1,500톤/월 생산에서 2022년 1,650톤/월 생산으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기여함. 10. 문찬종(文贊鍾) 은탑 / 에스트래픽(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교통 소프트웨어 ▲ 수출실적 : 3천만불 ▲ 담 당 자 : 신미희 ( ☎ 031-601-3501 ) 공적내용 상기인은 25년간 교통인프라 사업 분야에 종사하며 2013년 삼성SDS의 교통사업 부문을 분리 독립하여 에스트래픽을 설립하고 기존 국내 사업을 확장, 해외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국내 교통 시스템 수출을 개척하는 데 기여함. 수입에 의존하던 회수용 통행권 시스템을 ’94년 국산화하였으며, 해당 기술을 발전시켜 현재 사용되는 하이패스 시스템 구축 및 무정차 스마트 통행료 징수 시스템을 개발 및 상용화하는 데 기여함. 해당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주력 수출 품목으로 전체 수출의 70%를 차지하고 있음. 2004년 경부고속철도 KTX 신호 시스템 사업에 참여하여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수도권 고속철도, SRT 사업 등의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스페인, 프랑스 등의 철도사업에 참여함과 더불어 미국 워싱턴 역무 자동화 설계시스템 구축사업을 수주하는 등, 해당 수출 분야를 개척하는데 기여함.(2019년 수출프론티어기업인증, 산업통상자원부) 최근 3년 수출실적은 2020년 4.3백만불, 2021년 9.5백만불, 2022년 30백만불 순으로 급속 성장하였으며, 2023년 4월 샌프란시스코 철도역무자동화 시스템 수주(향후 5년간 총 610억원 규모)를 통해 향후 수출실적 확보에 기여함. 방글라데시 도로/교통 시스템 수주를 통해(약 454억원 규모) 서남아와 동남아의 추가 시장진출에 기여함. 수출의 핵심기술인 시스템 구축 및 설계, 개발을 위해 연구인력 중심의 인력 구조(근무 인원 중 23% 비중)를 유지 중이며, UAM 등의 신규 모빌리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인 투자를 진행, 국가 교통인프라 기술 발전에 기여함. 11. 양국석(梁國錫) 동탑 /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산업기계 부품 ▲ 수출실적 : 8천만불 ▲ 담 당 자 : 김현지 ( ☎ 061-760-7152 ) 공적내용 상기인은 제철/철강/단조 분야에 약 27년간 종사하며 설비투자와 R&D를 통해 원가 절감 및 기술경쟁력 제고를 통한 수출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매출 및 수출 증대에 기여함. 단조 사업의 특이성을 장점화하고 다양한 산업군의 수출을 목표로 하기 위해 현대제철로부터 분사 결정을 주도하였고, 이후 지속적인 수출 성장을 통해 국내외 산업군의 요구에 부응하는 탁월한 제품을 공급하는 데 기여함. 수출실적의 경우 2020년 35백만불, 2021년 62백만불, 2022년 82백만불 순으로 최근 3년간 꾸준히 성장하는 데 기여함. 주력 사업 분야인 조선·엔진 분야와 관련하여 국내 대형 선박 건조회사와의 거래로 선박 건조 지원을 통해 수출에 간접적으로 기여함. 지속적인 기술개발, 품질개선, 원가 개선을 통해 최근 3개년 동안 2020년 2,379억 -> 2021년 3,499억원 -> 2022년 4,889억원으로 매출 증가를 달성하는 데 기여함. 불법파견 문제의 결과 회사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TF를 구성하였고, 그 결과로 협력사 인력을 직영으로 채용하는 단호한 조치를 하여 그동안 직영과 협력사 간 심리적 거리와 소통의 문제를 해소하여 합리적인 운영에 기여함. 12. 이인우(李仁雨) 동탑 / 한국진공(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진공펌프·압축기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배재숙 ( ☎ 053-591-7720 ) 공적내용 상기인은 1998년 경제위기로 부도에 이른 한국대아진공을 전 직원들과 공동 출자를 주도, 한국진공주식회사를 설립하고 기술 투자와 적극적인 수출을 통해 연간 매출 1,250억원의 기업으로 성장시켜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설립 초기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외 학술 및 연구단체와 협업하여 선진 진공 기술개발에 전력하였고, 동남아 시장을 시작으로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에 기여함.(2002년 산업포장) 모바일 외관 증착용 및 자동차 램프용 코팅 설비의 국산화에 성공하고, 일본 수입에 의존하던 모바일용 이차전지 건조 장치(Vacuum Dryer)를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하여 수입대체효과를 통한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주요 수출국이었던 중국에 국한되지 않고 10여 년 전부터 유럽 시장 수출 확대를 노력하였으며, 5년 전부터 이차전지 생산설비 수요를 예측하고 미국 시장진출에 노력한 결과, 최근 3년간 높은 수출 성장을 기록함. 2007년(이차전지 수출 이전) 495억원이던 매출은 2022년 1,249억원으로 약 2.5배 성장함. 최근 3년 수출실적이 2020년 34백만불, 2021년 46백만불로 성장하고, 2023년 1억불을 기록, 전년 대비 117% 증가하는 데 기여함. 현 주요 수출 품목인 이차전지 관련 Vacuum Dryer 설비는 독보적인 기술로 국내 대기업은 물론 글로벌 이차전지 생산업체에 공급 중임. 2020년 전체 매출 중 수출의 비중이 10%에서 2023년 30%까지 증가하였으며, 금년 내 50%를 초과하여 외화 가득에 기여할 것임. 13. 서성남(徐成南) 동탑 / 케이넷(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통신케이블 ▲ 수출실적 : 7천만불 ▲ 담 당 자 : 서일기 ( ☎ 02-2063-5413 ) 공적내용 상기인은 기업 설립 후, 광통신망 구축에 필수적인 고효율의 Microduct(마이크로관) 및 관류, 토탈 솔루션의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세계의 일류기업들과 함께 경쟁할 수 있는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출 증대에 기여함. 단순 제품 수출이 아닌 엔지니어링 바탕의 컨설팅 영업을 토대로 바이어에게 가장 경제적인 수출을 지원하며 수출시장 다양화(69개국) 및 실적 상승에 기여함. 전년 대비 당해 연도 수출은 140% 상승, 2020년 19.3백만불→2021년 27.9백만불→2022년 67.1백만불로 성장하였고, 매출은 2022년 450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에만 555억원을 달성하는 데 기여함. 2022년 수출/매출 비중 95.1%에서 2023년도 상반기 98.9%를 달성하며 수출 비중 확대 달성에 기여함. 해외수출에 초점을 두며 세계 선두기업들과 경쟁하고자 글로벌 시스템 인증 확보를 위해 노력한 결과, 특허 15건 및 실용신안 5건을 등록함. 글로벌 시스템 인증인 ISO9001, ISO 14001, TL9000을 매해 획득하였고, 해외 UL과 Telcordia 인증을 취득하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함.(글로벌 강소기업 2회 선정) 생산라인 확대 및 신성장산업에 부합하는 생산설비 구축을 통해 하루 컨테이너 출고량이 기존 하루 5~6대 수준에서 총 8대의 컨테이너로 60% 상승, 2022년 기존 노후 생산설비들을 교체하여 관련 생산능력이 투자 전 617,760km에서 1,166,400km로 약 1.88배 증가하는데 기여함. 14. 김원영(金沅永) 동탑 / (주) 포스코인터내셔널 상무보 ▲ 수출품목 : 종합 무역업 ▲ 수출실적 : 95억불 ▲ 담 당 자 : 박용석 ( ☎ 02-759-3080 ) 공적내용 상기인은 철강 제품의 글로벌 시장개척 및 판매 확대를 통해 수출 증대에 기여하였고, 풍력 에너지 관련 수요를 예측하여 신재생에너지용 강재 수출시장 발굴에 기여함. 해외 조선소, 산업기계 제작사, 단압밀, 유통 등, 다양한 고객사를 개발하여 한국산 철강 제품시장을 개척하였고, 철강 본부의 전략 수립을 통하여 전반적인 한국산 철강 제품 판매 및 수출 확대에 기여함. 단순 스테인리스 철강 제품 수출을 고부가가치 제품인 탄소 철강 제품 사업 및 이차전지 사업의 핵심 소재인 동박, 동 스크랩 사업 / 식량 자원 사업 / 화학 원료 사업 등으로 전환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 결과, 2022년 연간 매출 38조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함. 친환경 에너지 시장의 선제적 분석을 통해 포스코産 및 한국産 풍력용 강재 수출의 신시장 개척에 기여하였으며, 풍력 부문 실적은 2022년 매출액 4,835억, 영업이익 89억이며, 2023년 상반기 매출액은 3,381억, 영업이익은 142억을 달성함. 수출실적의 경우 최근 3년간 2020년 68억불, 2021년 99억불, 2022년 95억불로 성장하는 데 기여함. 2023년 3월, 글로벌 풍력 터빈 제작사 Nordex 社와 2023년 상반기 40천톤, 하반기 풍력 타워 제작용 후판 50천톤에 대한 장기공급계약 체결에 기여함. 풍력용 후판의 안정적인 장기 공급을 통해 풍력타워 생산 국내 중소기업이 세계 풍력타워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할 수 있도록 기여함. 15. 문안용(文顔龍) 동탑 / 에이치에스엠(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산업용 기계 ▲ 수출실적 : 8백만불 ▲ 담 당 자 : 문희 ( ☎ 031-984-0295 ) 공적내용 상기인은 45년간 기계 및 부품 수리/제작 분야에 수공하며 꾸준한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수입 기계를 대체하고, 아시아 시장으로의 수출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국내 압출 라미네이팅 기계 분야는 고가의 수입 제품과 열악한 국산 기계로 양분화됨. 이를 타개하고자 라미네이팅 기계의 주요 수출 부품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라미네이팅 기계는 바이어의 개별 요구를 맞추기 위해 주문생산으로 제작되는 특성상 까다로운 요구와 납기일 단축이 수출계약 성사의 쟁점임을 파악하고, 3D 입체 설계 방식을 도입하여 시제품을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주요 수출품의 납기일을 단축시키는 데 성공하였고, 이를 통해 라미네이팅 라인 5개를 14개월 이내에 완성하여 수출하는 데 기여함. 인도네시아 바이어와 20년간 거래하며 쌓인 신뢰를 바탕으로 말레이시아 및 기타 동남아시아 국가로의 수출을 확대 중이며, 2020년 10만불 수준의 수출이 2022년 8.3백만불로 급상승하며 수출기업으로 변신하는 데 기여함. 16. 임건순(任健淳) 동탑 / 삼성물산(주) 그룹장 ▲ 수출품목 : 종합 무역·유통업 ▲ 수출실적 : 39억불 ▲ 담 당 자 : 박정민 ( ☎ 02-2145-2758 ) 공적내용 상기인은 삼성물산에 32년간 재직하며 종합 무역 영업을 담당, 국내산 반도체 설비 및 철강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구주 및 중동 수출 확대에 크게 기여함. 국산 철강 제품의 수출 및 삼국 간 영업을 담당하여 열연류 제품의 수출 규모가 전년도 303천톤(3,965억원)에서 당해년도 489천톤(4,846억원)으로 162% 증가하는 데 기여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른 유럽 Mill의 경쟁력 약화로 인한 유럽 소재 고객들의 역외지역 소싱 확대 움직임을 포착하여 신규 고객을 적극 발굴하였고, 유럽-미국의 세이프가드 쿼터를 활용하여 고가의 한국산 철강 제품의 수출 확대에 기여함. 이란의 원화 결제 시스템 같이 제한적인 영업환경에서 본인의 철강 영업뿐만 아니라 화학, 선박/병원 등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 영업에도 기여함. 국산 철강 제품의 동서남아, 구주, 아중동 및 미주지역 수출 영업을 확대하였으며, 특히 전기강판 수출 영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스터디 그룹을 구성, 담당자별 주요 수출국의 시장조사 및 현지 출장을 통해 판매시장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함. 포스코, 대양금속의 스테인리스 제품을 프랑스와 유럽 고객사 대상 판매하였으며, 국내 중견기업이 생산한 자동차 알로이 휠 제품을 프랑스 자동차부품 유통업체에게 판매하는 데 기여함. 17. 박영근(朴泳謹) 동탑 / 엑셀리스코리아(주) 사장 ▲ 수출품목 : 반도체 부품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김휘철 ( ☎ 031-695-8700 ) 공적내용 상기인은 국내 반도체 제조의 필수 부품인 이온주입기를 공급하는 반도체 장비회사에 근무하며 미국 본사로부터 국내 생산 시설 투자 결정을 주도, 일자리 창출 및 수출에 기여함. 1980년대부터 반도체 부품의 공급 및 서비스를 위해 국내에 지사를 운영 중이던 엑셀리스 본사(美보스턴)를 설득, 국내 생산 시설 투자(570만불 규모)에 기여함. 국내 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에 최신 사양의 반도체 장비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함과 더불어 해외로 직접 수출을 병행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생산설비 완료에 따라 매출은 2021년 679억원에서 2022년 2,196억원으로, 고용인원은 104명에서 145명으로 증가하며 경제 발전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 중국, 대만, 일본 등의 시장을 개척하여 2020년 15백만불이던 수출실적은 2022년 1.7억불로 크게 성장하는 데 기여함. 국내 업체들과의 동반성장을 위해 글로벌 수준의 품질관리시스템에 기반한 각종 스펙과 시스템을 20여 개의 국내 업체 육성에 활용하고 이를 통해 중장기적인 부품 국산화 및 핵심 경쟁력 강화에 기여함. 국내 소싱 및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여 2021년 약 20억원의 국내소싱실적이 2023년 상반기에만 190억원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함. 18. 이상훈(李相勳) 동탑 / 동광무역상사(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종합 무역·유통업 ▲ 수출실적 : 2천만불 ▲ 담 당 자 : 조현동 ( ☎ 051-255-7428 ) 공적내용 상기인은 창사 후 신시장개척 전문무역상사로 30년간 약 3억불을 수출함과 더불어 카자흐 명예 영사로서 한국의 22년도 카자흐 수출 115% 증가에 기여함. 1990년대 신시장인 러시아를 중심으로 시장을 개척하며 자동차 필터 및 윤활유(일본 라이센스 브랜드 미쓰비시, ENEOS)를 수출함. 1994년 수출실적 72,357불을 시작으로 28년간 매년 꾸준히 수출을 성장시켜 2023년 약 27백만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하며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지속적인 해외 마케팅과 영업 현지화 활동을 통해 매년 약 15%의 수출액 증가를 기록 중으로, 최근 3년간 2020년 14백만불, 2021년 18백만불, 2022년 27백만불 수출을 달성함. 러-우 사태로 어려워진 자동차 윤활유 수출 판로를 타개하기 위해 기존 일본 라이센스 제품 대신 국내 협력사와 국산 윤활유 및 브랜드를 개발하여 수출함으로써 해외 라이센스 비용 절감에 기여함. 전문무역상사제도를 건의하여 현재 한국무역협회에서 운영하는 전문무역상사제도가 2010년 정식으로 발족하도록 기여하였고, 부산의 50여 개 사로 구성된 부산 전문무역상사협의회를 구성하여 국내 내수기업의 수출지원에 기여함. 한-러 정상회담 시 경제사절단 참여(2004년)하는 등, 러시아와 CIS 시장개척을 선도한 바를 인정받아 2021년 10월 주한카자흐스탄 명예 영사로 임명되어 양국의 민간외교 및 경제교류에 기여함. 19. 김주선(金柱善) 동탑 / 에스케이하이닉스(주) 부사장 ▲ 수출품목 : 반도체 ▲ 수출실적 : 188억불 ▲ 담 당 자 : 김세형 ( ☎ 031-8093-4643 ) 공적내용 상기인은 최근 메모리 반도체의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기술경쟁력 기반 제품을 통한 시장/수출경쟁력 강화에 기여하였고, 시장점유율과 매출 확대에 기여함. 약 33년간 국내 반도체의 세계시장 개척에 매진하여 국내 전자산업의 글로벌 위상을 대폭 강화하는 데 이바지하였으며, 정확한 시장 분석과 고객 발굴을 통해 HBM 및 고용량 DDR5 제품이 2023년 상반기 압도적인 세계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는 데 기여함. ‘AI용 DRAM은 SK hynix’라는 시장 내 인식 각인을 통한 국내 반도체 산업의 가치를 격상시키는 데 기여함. 전략 거래처와 장기 공급계약 체결을 통해 안정적인 사업 모델 구축과 수출 확대에 기여함. 특히, 주요 고객인 Microsoft를 대상으로 2021년 35억불에서 2022년 50억불로 매출을 확대하였고, nVidia 대상으로는 2021년 매출 8억불에서 2022년 매출 11억불로 매출 증대시키며 수출 확대에 기여함. 2022년의 IT 공급망 내 전반적인 재고 일수 증가와 전방위 수요 경색의 미증유 사태에도 불구하고 적기 시장 대응 전략 수립을 통해 메모리 제품의 매출 ’22년 300억 불 달성 및 시장점유율 20%대 수성에 기여함. 최신 AI 서버 요구 조건에 부합하는 메모리인 HBM과 128GB 이상 DDR5 제품을 조기 개발, 압도적인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고, 국내 기술력이 AI 기술을 선도하는 데 기여함. 세계 최초 HKMG를 적용하여 업계 최고의 사양인 CP LPDDR5X Mobile 제품의 적극적인 판매 확대로 ’23년 상반기 중국 내 모바일 반도체 시장점유율(42%) 1위를 달성하는 데 기여함. 20. 손미카엘(孫미카엘) 철탑 / 삼성SDI 부사장 ▲ 수출품목 : 이차전지 ▲ 수출실적 : 60억불 ▲ 담 당 자 : 이희엽 ( ☎ 010-4515-5393 ) 공적내용 상기인은 수주 확대와 주요 고객과의 조인트벤처 체결을 통해 매출 확대, 수출 성장, 국가 경제 발전, K배터리 위상 제고에 기여함. xEV 및 ESS 배터리 매출실적을 2020년 대비, 2022년에는 두 배에 가까운 193% 규모로 성장하는 데 이바지하였으며, 자동차용 배터리 수주를 지속 확보함으로써 미래의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이바지함. GM/Volvo 등의 신규 고객 발굴을 주도하여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확대함은 물론, 주요 고객과의 J/V 설립을 주도하여 미국 자동차 배터리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는 데 기여함. 이에 따라 당해년도 수출실적은 지지난해 대비 120% 성장하여(2020년 50.6억불 대비 당해년도 60.7억불)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수출 위주의 에너지 부문 2022년 매출은 17.6조원으로 2020년 8.7조원 대비 2배 이상 급성장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탁월한 시장 예측 및 전략적인 기획력을 바탕으로 이차전지 수주 확대를 통한 매출 성장에 기여한 바 있으며, 최근의 실적 발표에서도 ’23년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는 것과 동시에 4분기 연속 매출액 5조원을 돌파함으로써 K배터리 성장을 견인하는 데 기여함. 21. 문성미(文聖美) 철탑 / 세아상역(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의류 ▲ 수출실적 : 12억불 ▲ 담 당 자 : 박현수 ( ☎ 02-2019-8172 ) 공적내용 상기인은 글로벌 의류기업의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전략적인 영업활동을 전개한 결과, 회사의 성장을 성공적으로 견인하며 수출 신장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함. 해외 바이어의 주문을 통한 주문자 제작 방식(OEM)만을 고수해 오던 방식을 탈피하여 의류수출업계 최초로 디자인팀, R&D팀, Technical Design팀을 설립하여 디자인 및 초기 기획 단계부터 제품을 제작하는 생산자 제작 방식(ODM) 시스템을 정립하는 데 이바지함. 의류 제조산업의 수직계열화(원사-원단-봉제 생산시스템)를 달성하며 글로벌 섬유업계의 리더로 확고한 위치를 다지며 자사 수출경쟁력을 높임과 동시에 국내 의류 제조/수출업계의 동반성장에 기여함. 상기인은 수공기간 중 세계적인 의류 브랜드 및 유통업체들을 담당하며 매출 증대 및 사업확장의 기회를 마련하였고, 세아상역만의 전략적인 영업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며 거래처 중 한 곳인 TARGET의 경우 2019년 3억 9천불에서 2021년 6억 1천불까지 매출을 성장시키는 등,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 침체 속에서도 3년간 약 156%의 매출 신장을 기록하는 성과를 이루는 데 크게 이바지함. 저가형 브랜드를 런칭하는 바이어의 신규 니즈에 맞추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소싱을 선제적으로 제안함과 더불어 생산기간의 적극적인 단축과 생산 시설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3년 연속 12억불 수출 달성에 기여함. 2014년에는 아이티에 KOICA와 함께 세아학교를 설립하여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아이티 최고의 종합학교로 성장시킴과 함께 급식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태권도와 한글을 정식 교육과정으로 채택해 한류 문화를 전파하는 데 기여함. 22. 홍수식(洪守植) 철탑 / (주)보명금속 대표 ▲ 수출품목 : 조선기자재 ▲ 수출실적 : 2천만불 ▲ 담 당 자 : 홍무진 ( ☎ 051-266-4101 ) 공적내용 상기인은 1994년 창사 이래 국내 중공업 3사에 20여 년간 조선기자재를 납품하며 누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10년부터 적극적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몰두한 결과, 현재 20여 개 국가에 조선기자재를 수출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지속적인 수출 노력을 바탕으로 2014년 3백만불, 2019년 1천만불, 2022년 2천만불 수출을 달성하여 수출증진에 기여함. 기존 미국 제조사가 독점하던 美 해군 사양 제품을 자체 기술로 3년 만에 개발하여 2018년 첫 수출의 성과를 달성함. 미국 국적의 조선소에 동종업계 최초로 한국산 제품을 납품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미국 조선소에 다른 한국 부품업체들이 진출하는 데 기여함. 美 해군 납품을 계기로 다양한 국내외 해양 프로젝트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2022년 對美 수출 500만불에 이어 2023년 상반기에만 477만불 성과를 달성, 對美 수출 확대에 기여함. 공격적인 해외 진출과 시장다변화를 위해 노력한 결과, 2015년 기준 9개국에 불과했던 수출국은 2022년 캐나다, 이탈리아, 베트남, 카타르, 오만, 인도 등, 20개 국가로 확대됨. 23. 김운회(金雲會) 철탑 / 한화솔루션(주) 상무 ▲ 수출품목 : 태양광·합성수지 ▲ 수출실적 : 34억불 ▲ 담 당 자 : 김진택 ( ☎ 02-729-2612 ) 공적내용 상기인은 국내 최초, 세계 2번째로 XDI 상업화에 성공하여 국내 소재 개발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시장 확대 및 신사업 개발을 통해 수출에 기여함. 생산/판매/신사업/ESG 등의 분야와 국내외 사업장 근무 중 2022년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된 Eco-DEHCH(에코데치, 친환경가소제), CPVC(염소화 폴리염화비닐), CP/TP,(코폴리머/터폴리머) 총 3개 품목의 수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선전에 기여함. 최근 3년 수출실적이 2020년 19.7억불 → 2021년 24억불 → 2022년 31.2억불로 지속 성장하는 데 기여함. 아프리카, 중남미를 포함한 세계 100여 개 이상의 수출국 다변화를 도모하여 수출시장 확대에 기여하였음. 또한, 다이소시아네이트(TDI) 생산량 중 80% 이상을 매년 수출하여 국가 외환 가득과 수출 증대에 기여함. 2020년 78,703톤 수출(전체 판매량 95,886톤), 2021년 94,131톤 수출(전체 판매량 110,874톤), 2022년 76,334톤 수출(전체 판매량 91,279톤) 일본의 수출 규제로 당면한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난관을 근본적으로 타개하기 위해 국가 주도 소부장 육성 사업에 적극 동참, 세계에서 두 번째, 국내 최초 고굴절 렌즈 원료인 XDI(Xylylene diisocyante)를 자체 기술로 상업화에 성공함. 2022년부터 생산 시설을 전면 가동하여 생산량의 98%를 수출함으로써 수출 증가에 기여함. (수출량 증가 2021년 212톤 → 2022년 918톤) 세계 3개 기업만이 생산할 수 있는 크레졸(화학물질)을 개발, 미래산업인 헬스케어 소재 및 케미칼, 고기능/복합소재, 친환경 소재 등의 성장사업 영역을 타겟으로 상업화 준비, 소재 수출경쟁력 강화에 기여함. 24. 이승범(李承範) 철탑 / (주)흥아기연 부장 ▲ 수출품목 : 자동포장기계 ▲ 수출실적 : 2천만불 ▲ 담 당 자 : 강동운 ( ☎ 032-680-7514 ) 공적내용 상기인은 30년간 제약 포장 기계 제작과 수출에 수공하며, 70개국 800여 고객에 포장 기계를 납품하여 수출을 증대시키며 2021년 5천만불 수출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자사 최초 Cartoner(자동포장기기 부품)인 HANA 120을 개발하여 제약 포장 기계의 Line-up(기계 완성품) 판매 및 수출이 가능하도록 기여하였고, 이후 독자 모델 단속, 중속, 고속 제약 포장 기계를 연속으로 개발하여 매출 및 수출 증대에 기여함. HC400 Cartoner 개발 당시, 해외기업들의 특허를 피하고 독자적인 성형 장치를 개발하여 특허를 등록(제10-1245602호)함으로써 이후 수출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함. 바이오 후방산업인 부품/장비 분야의 기술 개발을 주도하여, 글로벌 품질 수준을 달성하고 제약설비의 수입을 대체하는 데 기여함. 국내 메이저 제약회사에서 사용하는 제약용 블리스터와 카톤 기계를 개발 및 제작 납품하여 수입품 대비 제약회사들의 비용을 절감하고 의약품 수출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함. 세계적 제약회사인 노바티스, 사노피, 화이자, 글락소 등, 70개국 800업체에 제약 포장 기계를 수출하여 2020년 5천만불, 2021년 2천 8백만불 수출을 달성하는 데 기여함. 25. 남정도(南廷道) 철탑 / (주)하나금속 전무 ▲ 수출품목 : 압연·압출 제조 ▲ 수출실적 : 3천만불 ▲ 담 당 자 : 정영훈 ( ☎ 032-812-3061 ) 공적내용 상기인은 해외시장 개척 및 최근 말레이시아 동박공장 전기플랜트 공사 계약을 성공적으로 성사시켜 무역역조개선 및 비철금속 분야의 성장에 기여함. 신소재 개발과 전기 플랜트 공사 업무를 총괄하여 특히 SKC 자회사 SK NEXILIS 2차 전지용 동박 생산 공장 증설을 위한 말레이시아 동박 공장 전기 플랜트 공사를 지휘하였고, 해당 공사를 통해 당사 제품 품질과 기술력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폴란드 공장 공사 계약 수주도 성공하는 등, 2022년 매출액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한 1,224억원을 달성하는 데 기여함. 총 18건의 특허와 실용신안을 등록하고 ISO 14001, ISO 9001 인증 취득을 주도했으며, 국내 제련 시장에서 발생하는 생산성 저하와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택트바 개발에 성공하는 등, 기술력 향상을 통해 ㈜하나금속이 우수기술 개발업체로 인정받고 일등상품화 지원사업에 선정되는 데 기여함. 공정 자동화 및 분석 시스템 개선을 통해 원가 절감과 품질 향상을 추진하여 2021년 부적합 발생 건수와 원가를 각각 2011년 대비 70%, 64% 절감함으로써 고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고객사들의 주거래처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함. 주력 상품인 동판/동부스바 판매 증가로 국내 시장 점유율을 높였으며, 대용량 동부스바와 구리 전해 정련용 음극판 국산화에 성공함. 26. 김선(金璿) 철탑 / 현대삼호중공업(주) 직장 ▲ 수출품목 : 선박건조·부품 ▲ 수출실적 : 31억불 ▲ 담 당 자 : 김혜창 ( ☎ 061-460-3540 ) 공적내용 상기인은 약 26년 7개월간 선박 건조에 필요한 용접 기술 연구와 LNG 운반선 화물창 공사 분야에 종사하며 조선·해양산업의 경쟁력 향상과 국가 발전에 기여함. 현대삼호중공업 최초로 LNG 운반선 건조에 참여, 화물창 건조 기술 기획 및 맞춤형 건조 공법을 수립한 결과, 현재는 연 8척의 LNG 운반선 건조 체제를 확고하게 구축하는데 기여함. 선박용 용접 기술 연구자로서 선박 및 해양 구조물에 대한 용접기술 개발, 용접 자동화, 특수 용접사 교육을 통하여 생산 관리 체계를 발전시키고 LNG 운반선 건조 및 수출에 기여하였으며, 일반 상선 및 FPSO 해상설비의 용접 기술도 개발하여 성공적인 수주 및 납품에 기여함. 화물창 보온(CCS) 공기 준수, 화물창 공사 No Leak 연속 달성, 멤브레인시트 피해 최소화 등, 화물창 공사의 부서장으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함. ‘한국형 화물창’ 도입과 관련, 기존 프랑스 GTT사에 의존하던 CCS 공사 기술력을 국내 순수 기술로 대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중으로, 글로벌 LNG 운반선의 독보적 우위 점위 및 가격 경쟁력 확보에 기여함. 27. 신경영(申景榮) 철탑 / 한국알프스(주) 책임매니저 ▲ 수출품목 : 전자기기 부품 ▲ 수출실적 : 10억불 ▲ 담 당 자 : 윤인근 ( ☎ 062-950-2387 ) 공적내용 상기인은 30년간 차재전장품(Automotive Electronics), 통신관련품(Communication), 입력장치(Input device), 컴포넌트(Components) 등의 전자부품산업을 주력으로 우리 생활과 밀접한 생활기기들의 핵심부품을 개발/생산하여 수출을 통한 지역 발전과 성장에 기여함. 상기인은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관리 담당 업무를 수행하며 작업장의 위험요소 제거를 통한 근로자 안전 및 안정적인 근무 조건 조성을 달성하는 데 이바지함. 기존 R&D 센터 증축(100억 투자) 관련 해외자금조달과 해외 신제품에 대한 원가 개선을 통하여 수출품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 국내 수출용 차량의 신제품 라인 구축에 참여하는 등, 10억불 수출실적에 기여함. 생산 계획 부문 팀의 국내담당(수출)으로서 생산과정 개선 활동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과제사항을 발굴 및 해결하여 원가 경쟁력을 확보함과 함께 매출 증대에 기여함. 신제품 라인 구축으로 수출 증대에 기여함. - 2020년 : 마츠다 외 20건 (매출 증대 : 59억원/년) - 2021년 : 볼보 외 13건 (매출 증대 : 100억원/년) - 2022년 : 마츠다 2개 라인 구축 (예상 매출: 약 120억원/년) 28. 신옥주(申沃周) 철탑 / 태광후지킨(주) 반장 ▲ 수출품목 : 가스공급장치 부품 ▲ 수출실적 : 3억불 ▲ 담 당 자 : 신승연 ( ☎ 051-970-6748 ) 공적내용 상기인은 반도체용 전해연마 최초 국산화 기술을 통해 초 청정 제품군 국산화 및 수출실적 3억불을 달성하여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함. 전략 수입에 의존하던 전해연마(Electro-Polished)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반도체 부품 소재 국산화의 첫 발자국을 떼는 데 기여하였고, 이후 UHP(Ultra High Purity products) 부문의 Valve, Regulator, Gas Filter, MGC 등을 차례로 국산화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해당 기술의 집약체로 불리는 IGS(Integrated Gas System)의 국산화까지 성공하여 수입을 대체하는 데 기여함. 생산라인 구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품질 문제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생산현장의 표준화 및 품질안정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입사 초기 10명 남짓의 생산현장직원 중 1인으로 반도체 생산라인의 초기 국산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함. 반도체 장비업계의 바이어가 요구하는 품질 기준검사를 통과함으로써 세계 1위 AMAT, 2위 사인 LAM, 그리고 일본 장비 업체 TEL, HIKE에 반도체 및 LCD 공정 장비에 소요되는 부품 및 기계 모듈을 공급하여 2022년 3억불 수출 달성에 기여함. 현재 세계 20여 개국, 100여 개 고객사에 수출을 진행하고 있으며, 매년 200억 원 이상의 수출 증가를 주도하고 있음. 29. 박진식(朴鎭植) 석탑 / 한국무역보험공사 본부장 ▲ 수출품목 : - ▲ 수출실적 : - ▲ 담 당 자 : 전인수 ( ☎ 02-399-5304 ) 공적내용 상기인은 29년간 무역보험 업무에 종사하면서 무역과 해외투자 촉진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함. 보험·보증 인수심사, 보상, 신용조사 등, 무역보험 실무 경험을 지닌 무역보험 전문가로서 장기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무역보험 운영에 크게 기여함. 수출금융 지원을 위한 최후의 보루로서 보증기관의 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인수심사위원회의 중장기성 금융 종목 심사를 강화하고, 사전보고 양식 표준화 및 보고 시기 명확화를 통해 사전 리스크 리뷰 기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함. 혁신성장 특례인수위원회 운영을 통하여 혁신성장기업, 수출초보기업, 수출급증기업, ESG 우수기업에 대한 특별지원을 활성화함으로써 수출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수출지원을 대폭 강화하는 데 기여함. - 특별지원 실적: (’21) 15건/258억원 → (’22) 17건/377억원 (금액 기준 46.2% 증가) - 특별지원 대상종목 및 대상기업 확대 : (’22.3월) 매입보증(1개사/98억원), ESG 우수기업(2개사/40억원) 전국 18개 영업망을 통한 지역 수출 활성화 경험 및 역량을 바탕으로 ESG 기업 우대 등의 정책금융 지원을 강화하여 지역 주력산업을 적극 육성함. (지역中企 수출 및 해외진출 지원 확대 : (’21) 23.8조원 → (’22) 28.2조원(18.5%↑)) 30. 김병유(金炳猷) 석탑 / (사)한국무역협회 본부장 ▲ 수출품목 : - ▲ 수출실적 : - ▲ 담 당 자 : 김현수 ( ☎ 02-6000-5084 ) 공적내용 상기인은 약 32년간 중소 수출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한중 통상협력 구축, 수출입 동향 및 대내외 무역환경 분석 연구, 청년 무역인력 양성 등에 힘썼으며, 수출중소기업 규제애로 및 금융 애로 타개, 무역현장 상담 지원 등의 활동을 통해 중소 수출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에 기여함. 지역별·업종별·조합별 수출기업 애로 간담회를 연중 수시로 개최하여 이를 통해 도출한 제도개선 과제 200여 건을 산업부 및 원스탑수출지원센터, 국무조정실 등에 건의하여 수출기업과 정부와의 애로타개 소통에 기여함. 무역진흥자금의 이자율 인하, 이차재원을 활용한 긴급융자사업 등을 도입하여 중소 수출기업의 금융애로를 타개하고, 무역지원기관 최초로 디지털 무역상담 플랫폼(TradePro)을 구축하여 채팅과 화상을 통해 중소 수출기업을 위한 무역 인프라 개선에 공헌함. 최신 대내외 수출입 여건을 둘러싼 글로벌 동향 및 전망에 대한 정보를 적시에 기업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수출기업의 글로벌 역량강화를 지원하였으며, ‘2030 무역비전’, ‘우리 수출의 선진국화 지수’ 보고서 등의 작성을 통해 우리 수출구조의 고도화에 기여함. 수출입관리분야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의 최초 개발작업에 참여하여 무역업을 독립 직업군으로 편성하는데 기여하였으며, GTEP, 글로벌청년무역인턴 등의 청년무역인력 대상 교육과정 운영, 특성화고등학생 및 대학생 무역캠프 운영을 통해 무역관심도 제고 및 무역 저변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함. 31. 김윤태(金潤泰) 석탑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 ▲ 수출품목 : - ▲ 수출실적 : - ▲ 담 당 자 : 송희원 ( ☎ 02-3460-7039 ) 공적내용 상기인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으로서 복합위기 극복을 위한 수출 총력 지원, 디지털 무역 기반 조성 등에 기여함. 2022년 하반기 우리 기업의 수출 감소 대응 총력 지원을 위해 ‘수출 더하기 비상대책반’을 구성하고 반장으로서 사업을 진두지휘함. 러-우 사태로 인한 원자재 가격 급증,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봉쇄 등, 해외 복합 이슈 발생에 따른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애로가 증가함에 따라 전사적 역량을 결집, 총력 대응하여 약 157억 달러의 수출 창출에 기여함. 우리 기업의 수출 감소, 물류 대란 등의 애로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테스크 포스를 구축하고 집중 사업을 기획 및 주도함.(2022년 중소 중견기업 8,682개 사 지원) 풍부한 공급망 이슈 대응 경험과 해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2023년 6월 소부장 특별법 개정에 따른 공급망 안정화 총괄기관으로 지정되어 기관 내 ‘소부장산업 공급망센터’를 설치함. 이를 기반으로 공급망 관련 정보수집 및 위기 징조 식별, 대체 수입처 발굴, 공급망 지원데스크 운영 등, 우리 산업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주요 역할을 수행함. 다년간의 해외 무역관 근무 기간 중, 유럽지역 진출을 위한 중소중견기업의 해외마케팅 지원사업을 강화하고, 미주지역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기업의 바이어 발굴 및 한국으로의 투자 진출을 희망하는 투자자를 발굴하여 국내 경제 발전에 기여함. 32. 정동호(鄭東昊) 석탑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처장 ▲ 수출품목 : - ▲ 수출실적 : - ▲ 담 당 자 : 강규원 ( ☎ 055-751-9332 ) 공적내용 상기인은 약 30년간 수출지원기관에 재직 중이며, 글로벌사업처, 수출마케팅사업처, 베이징 수출인큐베이터 등, 중소기업 해외진출지원 사업부서 근무를 통해 중소기업 수출지원 성과 창출에 기여함. 수출액 1,000만불 이상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강소+’ 트랙을 신설하여 바우처 한도를 1.2억원까지 확대 지원하였고, 시중은행과 정책금융기관의 금융 우대, 해외마케팅 사업선정 우대 등의 패키지 지원을 통해 수출혁신 성과 창출을 유도함. 중진공 정책자금 운용의 효율화를 위해 수출금융과 수출사업화 통합 및 시설자금 지원을 추가하였으며, 2023년 기금운용계획 변경을 통한 수출기업 글로벌화 직접융자 1,500억원 증액으로 수출유망기업의 글로벌화 및 수출 위기 극복에 기여함. 수출바우처사업을 기획 및 수행하여 신규사업의 안정적인 정착 및 사업확대를 이끌어 중진공 대표 수출지원사업으로 자리매김하였고, 국정과제 달성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내수기업 수출 기업화 사업을 추진한 바를 인정받아 2017년 12월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표창을 수상함. 최근 3高(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리스크 등의 복합위기 장기화 대응을 위한 중소기업 수출지원체계 고도화를 위해 수출바우처 무역보험 서비스 신설, 수출국·수출품 다변화 지원 확대, 물류바우처 사업 정규화 및 물류비 지원 확대, 중소기업 전용 물류센터 신설, 수출금융 이차보전 신설, 수출중소기업 투자유치 연계 등을 통해 글로벌 불확실성에 대한 선제 대응을 추진함. 수출의 탑 수상업체 공적내용 1. 300억불 탑 현대자동차(주) 112 2. 200억불 탑 기아 주식회사 113 3. 100억불 탑 엘지이노텍(주) 114 4. 60억불 탑 삼성에스디아이(주) 115 5. 40억불 탑 (주)엘앤에프 116 6. 30억불 탑 (주)에코프로비엠 117 7. 30억불 탑 SK인천석유화학(주) 118 8. 30억불 탑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119 9. 20억불 탑 (주)에코프로이엠 120 10. 10억불 탑 (주)경신 121 11. 10억불 탑 에스엘(주) 122 12. 10억불 탑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123 13. 10억불 탑 (주)포스코퓨처엠 124 14. 10억불 탑 한국알프스(주) 125 15. 10억불 탑 현대로템 주식회사 126 16. 8억불 탑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127 17. 7억불 탑 (유)스태츠칩팩코리아 128 18. 7억불 탑 (주)세아제강 129 19. 7억불 탑 엘에스일렉트릭(주) 130 20. 6억불 탑 (주)대동 131 21. 6억불 탑 (주)피엔티 132 22. 5억불 탑 (주)에코프로머티리얼즈 133 23. 5억불 탑 (주)에프앤에프 134 24. 5억불 탑 에드워드코리아(주) 135 25. 5억불 탑 주식회사 세아엠앤에스 136 26. 4억불 탑 (주)에스에이엠티 137 27. 4억불 탑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 138 28. 4억불 탑 주식회사 디엔오토모티브 139 29. 4억불 탑 명화공업(주) 140 30. 4억불 탑 주식회사 티와이엠 141 31. 3억불 탑 더블유씨피 주식회사 142 32. 3억불 탑 에이치라인해운 주식회사 143 33. 3억불 탑 (주)휴스틸 144 34. 3억불 탑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145 35. 2억불 탑 (주)건화 146 36. 2억불 탑 (주)엠플러스 147 37. 2억불 탑 SK바이오팜(주) 148 38. 2억불 탑 남성해운(주) 149 39. 2억불 탑 아진산업(주) 150 40. 2억불 탑 에이치엘홀딩스 주식회사 151 41. 2억불 탑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152 42. 2억불 탑 주식회사 대유이피 153 43. 2억불 탑 주식회사 보림 154 44. 2억불 탑 (주)휴맥스네트웍스 155 45. 2억불 탑 티이엠씨(주) 156 46. 2억불 탑 한전원자력연료(주) 157 47. 1억불 탑 (주)덴티움 158 48. 1억불 탑 (주)디에스시 159 49. 1억불 탑 (주)디에스시동탄 160 50. 1억불 탑 (주)비츠로셀 161 51. 1억불 탑 (주)실리콘투 162 52. 1억불 탑 (주)알멕 163 53. 1억불 탑 (주)에이치알이앤아이 164 54. 1억불 탑 (주)에이치엘클레무브 165 55. 1억불 탑 (주)엘오티베큠 166 56. 1억불 탑 (주)우원기술 167 57. 1억불 탑 (주)윤성에프앤씨 168 58. 1억불 탑 (주)일지테크 169 59. 1억불 탑 (주)텔레칩스 170 60. 1억불 탑 (주)현대엘앤씨 171 61. 1억불 탑 롯데웰푸드(주) 172 62. 1억불 탑 (주)부산케이블앤엔지니어링 173 63. 1억불 탑 산일전기(주) 174 64. 1억불 탑 성일하이메탈(주) 175 65. 1억불 탑 (주)에이치피에스피 176 66. 1억불 탑 엑셀리스코리아(주) 177 67. 1억불 탑 인팩이피엠(주) 178 68. 1억불 탑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179 69. 1억불 탑 주식회사 스맥 180 70. 1억불 탑 주식회사 코넥 181 71. 1억불 탑 주식회사 코스알엑스 182 72. 1억불 탑 코오롱플라스틱(주) 183 73. 1억불 탑 피아이첨단소재(주) 184 74. 1억불 탑 한국진공(주) 185 75. 1억불 탑 한주라이트메탈(주) 186 1. 300억불 탑 현대자동차(주) ▲ 수출품목 : 완성차 및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310.2억불 ▲ 담 당 자 : 주혁기 (  02-3464-2855 ) 공적내용 현대자동차는 1967년 설립 이후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독자적 기술력을 확보하며, 전 세계 자동차 시장 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임. 북미, 유럽, 중국, 인도 등 주요 시장 내 판매 거점, 생산 거점, 기술연구소 및 디자인 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200여 개국 6,200여 개의 판매 네트워크 및 현지 생산 체제를 활용하여 판매 역량을 강화하고 있음. 2022년 투싼, 아반떼, 싼타페 판매 확대와 수익성 개선을 통해 매출액 143조 원, 영업이익 9조 8,000억 원이라는 역대 최고실적을 달성했음. 유럽에서 아이오닉 5와 투싼 PHEV 등 친환경차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했음. 미국에서는 SUV 모델과 제네시스 판매 호조로 시장점유율 5.6%를 기록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음. 현대자동차는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경쟁력 확보에 힘쓰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개발 역량 강화를 통해 전동화 패러다임 전환을 리드하고 있음. 2016년 ‘아이오닉’ 개발을 시작으로 2018년 소형 SUV 전기차 코나 EV를 런칭하였으며, 2020년 최초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를 적용한 브랜드 ‘IONIQ’을 시장에 선보이며 전동화 리더십을 공고히 해왔음. 전용 전기차 모델 ‘IONIQ 5’와 ‘IONIQ 6’은 각각 2022년, 2023년 ‘세계 올해의 자동차(COTY : the Car of The Year)’로 선정되며 글로벌 시장에서 상품성과 안정성을 인정받았음. 현대자동차는 소비자 안전을 위한 제품 품질 강화 및 안전 분야 신기술 개발에 지속 투자하며, 품질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AI 기반 품질 검증 시스템 도입, VR 활용 버츄얼 개발 프로세스 적용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적극적인 품질개선 활동을 지속하고 있음. 이를 바탕으로 제네시스는 2021년, 2022년 2년 연속 신차 품질(IQS), 내구품질(VDS) 지표에서 프리미엄 브랜드 1위를 달성하며 최고 수준의 품질, 안전 기술력을 입증받았음. 현대자동차는 전통적인 완성차 제조에 그치지 않고, 미래항공 모빌리티(Advanced Air Mobility), 목적 기반 차량(Purpose Built Vehicle) 개발에 앞장서며 새로운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선도하고 있음. 2020년 자율주행 합작법인 ‘모셔널’ 설립, 로보틱스 전문기업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 2021년 미국 UAM 독립법인 ‘슈퍼널’을 설립하는 등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함. 2. 200억불 탑 기아 주식회사 ▲ 수출품목 : 자동차 ▲ 수출실적 : 234.8억불 ▲ 담 당 자 : 김지수 (  02-3464-5569 ) 공적내용 기아는 1944년 설립되어 전 세계에 22개 판매법인, 151개 대리점, 4,642개 딜러를 가지고 있으며, 견고한 판매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연 226억 불 수출을 이룬 글로벌 완성차 업체임. 2023년 상반기 글로벌 판매 최대 실적을 경신하였으며, 자동차 제조회사를 넘어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변화하고 있음. 주요 수출 품목은 친환경차를 포함한 RV(76%), 승용(20%) 및 상용 차량(4%)으로 구성되어 있음. 스포티지ᆞ, 쏘렌토 등 글로벌 전역에서 인기가 높은 RV 모델의 최대 생산 및 적기 공급을 통해 수출실적을 크게 확대하였으며, 미래 친환경차 대중화를 선도하기 위해 2027년까지 15개 전기차 차종을 운영하여 소비자들이 모든 세그먼트에서 전기차 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임. 또한 고객에게 차별화된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목적 기반 모빌리티 차량(PBV, Purpose Built Vehicle) 및 서비스 사업을 미래 사업의 한 축으로 삼음으로써 고객 중심 경영체계를 공고히 하고 있음. 품질 향상을 위해 주력한 결과 2023년 미국 J.D. 파워 내구 품질조사(VDS)에서 3년 연속 1위를 달성하며 ‘최우수 일반 브랜드상’을 받은 바 있으며, 영국 오토카 주관 ‘2023 오토카 어워즈’에서 최고의 제조사로 선정됨. 또한 기술개발 노력의 성과로 기아 최초 전용 전기차 모델인 EV6는 ‘2022년 유럽 올해의 차’ 및 ‘2023년 북미 올해의 차’로 선정되었음. 향후 수출 지역별 초고속 충전소와의 전략적 제휴 및 충전 사업자와 파트너십 체결 등 전기차 수출 증대를 위해 글로벌 충전 인프라 확대도 지속할 계획임. 또한 나눔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고자, 전 세계 지역에 기초 인프라를 제공하는 ‘그린라이트 프로젝트’, 교통 약자들에게 차량을 지원하는 ‘초록여행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글로벌 비영리단체인 ‘오션클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해양 정화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데 앞장서고 있음. 3. 100억불 탑 엘지이노텍(주) ▲ 수출품목 : 반도체‧IT‧가전 ▲ 수출실적 : 100.9억불 ▲ 담 당 자 : 김선엽 (  010-6316-7669 ) 공적내용 LG이노텍은 1970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 종합 전자 부품기업으로,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매출 20조 규모 글로벌 소재·부품 전문기업으로 성장함. LG이노텍은 모바일, 자동차, 디스플레이, 반도체, 사물인터넷 등에 적용되는 소재·소자, 부품·모듈을 생산하고 있음. 지난해 기준 19조 6,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18조 6,000억 원의 수출을 달성하며 국가 수출 증대에 기여했음. LG이노텍의 최근 3년 추이를 보면, `20년 8.8조 원, `21년 14.1조 원, `22년 18.6조 원으로 평균 39%의 비약적인 수출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음. 특히 LG이노텍의 `20년~`22년 평균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은 94%로, 대부분의 생산 제품을 글로벌 시장에 수출했음. 이 같은 수출 성과는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폴란드, 멕시코 등 5개 생산법인과 미국, 중국, 일본, 대만, 독일 등 8개 판매 거점을 통해, 글로벌 소재·부품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워왔기에 가능했음. LG이노텍은 국내에서도 6개 연구소와 8개 생산 공장을 운영하며,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 혁신 활동을 지속해 나가고 있음. LG이노텍은 기판소재, 전장부품, 광학솔루션 부문에서 축적한 독보적인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세계가 주목하는 혁신 제품을 지속 선보이고 있음. 더불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진정성 있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을 확대·강화해 나가고 있음. 미래 유망 분야 신규사업 기회를 적극 탐색하고 육성하여,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하는 ‘글로벌 No.1 소재·부품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음. 4. 60억불 탑 삼성에스디아이(주) ▲ 수출품목 : 이차전지소재 (양극재/음극재) ▲ 수출실적 : 60.7억불 ▲ 담 당 자 : 김지운 (  02-3457-4462 ) 공적내용 삼성SDI는 1970년 설립되어 현재 친환경 에너지와 첨단소재를 양대 축으로 전기자동차, IT, ESS(Energy Storage System)용 2차 전지 사업과 반도체, 디스플레이용 전자재료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주요 수출국 비중은 미국 38%, 유럽 30%, 아시아 30% 등으로 글로벌 주요 시장에 모두 진출해 있으며, 2022년 매출 20조 1,241억 원, 영업이익 1조 8,080억 원으로 매출,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를 달성했음. 삼성SDI는 2021년 업계 최초로 배터리 브랜드 'PRiMX(프라이맥스)'를 공개한 바 있음. 'PRiMX'는 'Prime Battery for Maximum Experience'를 함축시킨 이름으로 '최고 품질의 배터리로 고객에게 최상의 경험을 선사한다'라는 뜻임. '최고 안전성을 보유한 품질(Absolute Quality)', '초격차 고에너지 기술(Outstanding Performance)', '초고속 충전 및 초장수명 기술(Proven Advantage)'이라는 세 가지 핵심 키워드를 담고 있음. 삼성SDI는 PRiMX 브랜드를 바탕으로 2022년 업계 최고 수준인 1조 764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며 미래 성장동력인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삼성SDI는 차세대 배터리의 핵심으로 거론되는 전고체 배터리의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해 국내 유일의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셋업을 완료하고 개발 시제품을 생산했음. 또한 중장기 사업 전략을 기반으로 최근 스텔란티스와 JV, GM과 JV를 설립하는 등 시장 성장에 걸맞는 수주와 투자 활동을 지속해 나가고 있음. 삼성SDI의 전 임직원은 '초격차 기술경쟁력', '최고의 품질',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이라는 경영 방침 아래 '2030년 글로벌 Top Tier 회사'를 목표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음. 또한 고객과 협력사. 임직원 등 이해관계자 가치 제고를 위해 ESG 경영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음. 5. 40억불 탑 (주)엘앤에프 ▲ 수출품목 : 양극활물질(리튬이온 배터리 소재) ▲ 수출실적 : 42.9억불 ▲ 담 당 자 : 박성훈 (  053-580-0880 ) 공적내용 엘앤에프는 2000년 LCD용 BLU를 제조, 판매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5년에는 자회사 엘앤에프신소재를 설립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사업을 개시하였음. 엘앤에프는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2006년 LCO 제품을 국내 최초로 양산하였고, 2007년 니켈 함량이 50%인 NCM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하며 양극재 분야의 Global 기술 선도 회사로 자리매김하였음. 엘앤에프는 2011년에 자회사 제이에이치화학공업을 설립하여 양극활물질 기술력의 핵심인 전구체 사업을 개시하였음. 2013년 니켈 함량이 70%인 NCM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하고, 2016년 엘앤에프와 엘앤에프신소재를 합병하여 Global 성장의 기반을 구축하였음. 2020년 니켈 함량이 90%인 NCMA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하였으며 2022년에는 니켈 함량이 92%인 NCMA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하여 뛰어난 기술력을 증명하였고,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였음. 현재 엘앤에프는 왜관공장, 대구공장, 구지1공장, 구지2공장에서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김천에 있는 자회사 제이에이치화학공업에서는 전구체를 생산 중에 있으며, 대구 성서 공단 내 별도의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음.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구지3공장을 건설 중이며 2023년 4분기 가동 예정에 있음. 세계 최고의 기술력, 우수한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2020년 매출 3,561억 원, 2021년 매출 9,708억 원, 2022년 매출 3조 9천억 원을 달성하며 비약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음. 2023년 6월 말 기준 엘앤에프의 종업원은 1,718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31% 증가함. 엘앤에프는 이차전지 소재 사업 강화를 위해 음극재 사업 진출, LFP 사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으며, Closed Loop 구축을 위해 2023년 10월, LS그룹과 합작을 통해 엘에스엘앤에프배터리솔루션을 설립하여 전구체 사업을 강화하였으며, 급격한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Recycling 사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음. 6. 30억불 탑 ㈜에코프로비엠 ▲ 수출품목 : 2차전지용 하이니켈 ▲ 수출실적 : 31.7억불 ▲ 담 당 자 : 최윤영 (  043-713-5667 ) 공적내용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은 주식회사 에코프로의 2차전지소재 사업 부문이 물적분할돼 신설된 회사로 2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 소재 시장을 선도하는 혁신기업임. 주요 제품은 하이니켈 NCA와 NCM 양극활물질로 니켈 함량을 최대화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원가가 높은 코발트를 적게 사용해 안정성을 확대한 제품임. NCA, NCM 양극활물질을 동시에 생산하고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과 같은 모든 배터리 타입에 대응이 가능한 게 특징임. 에코프로비엠의 NCA 양극재는 니켈 함량 80% 이상의 제품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 및 고출력의 성능을 보유하고 있음. 고출력의 장점을 바탕으로 전동공구 시장에서 NCA 제품을 판매해 왔으며 최근 전기차용 배터리에 적용이 확대되며 전기차 시장에서의 성장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최근 3개년 별도 기준 매출액은 지난해 3조 4,153억 원, 2021년 1조 4,861억 원, 2020년 8,552억 원으로 3년간 연평균 81%의 매출 성장율을 기록해 왔음. 기업의 성장과 함께 종업원 수도 증가해 지난해 말 기준 1,278명으로 2021년 말 1,154명 대비 약 10% 증가했음. 수출실적은 2021년 약 8억 5,000만 불, 2022년 약 17억 2,000만 불로 집계됐고 올해에는 약 31억 7,000만 불를 달성할 것으로 보임. 주요 수출국으로는 미국(25%), 헝가리(19%), 중국(13%) 및 기타로 구성돼 있음. 시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능력 확대에 나서고 있으며 지난해 말 기준 연간 18만 톤의 양극활물질 생산능력을 갖추었음. 공동체 발전에도 기여하며 성과 기반의 제도를 통해 모든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차별 없는 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해당하는 보상 체계를 운영하고 있음. 공동복지기금사업단을 운영해 자녀학자금, 의료비 지원 복지포인트, 건강검진 등을 지원하고 있음. 어린이들의 호흡기 등 관련 질환 예방을 위해 초중학교에 미세먼지 알림판을 설치했고 대학생 봉사단 ‘에코브릿지’를 지원해 지역사회 발전을 유도하고 있음. 7. 30억불 탑 SK인천석유화학(주) ▲ 수출품목 :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 ▲ 수출실적 : 33.8억불 ▲ 담 당 자 : 김민재 (  032-570-5176 ) 공적내용 SK인천석유화학은 1969년 국내 세 번째 정유회사로 설립되어 수도권 에너지 공급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으며,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을 통해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함. 주요 제품은 LPG, 휘발유, 경유, 항공유, 선박용 중유 등 석유제품과 PX, 벤젠 등 화학제품임. 2006년 SK그룹에 편입되어 공정 효율화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2013년 독립법인으로 출범함. 2014년 1조 6,000억 원의 투자를 통해 페트병과 합성 섬유 등의 원료가 되는 PX (Paraxylene, 파라자일렌) 생산설비를 갖추고 고부가가치 제품군으로 사업 영역을 다각화했음. 국내 정유/석유화학 회사 중 유일하게 상압증류공정 (CDU, Crude Distillation Unit)과 초경질원유 분리공정(CSU, Condensate Splitter Unit)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으며, 원유 도입 국가를 다변화함으로써 글로벌 시황 변화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차별적 경쟁력을 갖추었음. SK인천석유화학은 2022년 전체 매출액(8조 9,662억 원)의 48.6%인 4조 3,626억 원을 해외에 수출하는 등 매출액의 절반가량을 수출하고 있음. 주요 수출국은 중국과 일본, 대만과 동남아시아 국가 등이며, 미국에도 일부 제품을 수출 중에 있음. Energy Transition에 대응하기 위해 포트폴리오 혁신을 이어가고 있으며, 부생수소 공급을 통한 수도권 수소클러스터 사업 참여, 폐타이어/폐플라스틱 열분해유 Recycle,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 생산 등을 추진 중. 2050년 Net-zero 달성을 위해 공정효율개선, Low Carbon 운영 전략, 친환경 스팀도입, 전력사용 최적화 및 RE100 이행, Green biz를 통한 외부감축사업, CCUS 등 6대 핵심 탄소감축 전략을 수립하여 착실히 이행할 계획에 있음. 8. 30억불 탑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 수출품목 : 반도체 패키징 ▲ 수출실적 : 36억불 ▲ 담 당 자 : 김서정 (  032-728-5393 ) 공적내용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는 1968년 우리나라 기업 최초로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사업(OSAT ; 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 Test)을 시작한 아남반도체가 전신이며 1970년 처음 반도체 제품을 수출하기 시작하여, 1979년 반도체 품목 수출 1억불을 달성,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시작과 성장의 초석이 되었음.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의 송도, 부평 3곳에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2년 12월 말 기준 매출액은 4조 5,420억 원, 수출실적(가득액 기준)은 36억 불, 매출액의 90% 이상을 해외 수출에서 창출하고 있는 반도체 후공정 전문 수출기업임. 광주사업장과 글로벌 R&D 센터 및 자동화된 최첨단 반도체 후공정 생산라인을 보유한 인천 송도사업장 등을 통해 반도체 패키지 설계에서부터 패키징, 테스트에 이르기까지 토털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인천광역시 송도의 앰코 글로벌 R&D 센터에서는 차세대 컴퓨팅, 데이터 센터, 초고속커뮤니케이션,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에 필요한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연구개발(R&D) 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전자 및 반도체 회사들과 함께 5G 안테나 모듈, 양면실장 RF 모듈, 레이저를 이용한 실장 장비 및 공정 개발, 고밀도 리드프레임 패키지 모듈을 세계 최초로 개발함으로써 반도체 후공정 기술력을 세계에 과시하고, 매출 증대 및 수출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음. 9. 20억불 탑 ㈜에코프로이엠 ▲ 수출품목 : 2차전지 소재 ▲ 수출실적 : 24.1억불 ▲ 담 당 자 : 황은성 (  054-720-4013 ) 공적내용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은 하이니켈계 양극소재 제품을 개발/양산화하여 국내 및 해외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에코프로비엠과 고품질, 고성능 원료 확보가 필요한 삼성SDI와의 기술협력을 통해 2020년 2월에 설립된 합작법인으로 하이니켈계 양극소재인 NCA 제품 대량 생산체계를 구축하여 전기차(EV), 전동공구(Power Tool) 등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에서 대한민국을 글로벌 선두 주자로 발돋움시키는 신성장 원천기술을 보유한 핵심소재 기업임. 세계적으로 전동공구 시장의 꾸준한 성장과 전기차(EV) 상용화에 따라 고에너지·고밀도 양극소재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하이니켈(High Nickel)계 양극소재에 대한 시장의 관심과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포항시 영일만 산업단지 내에 위치한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은 세계 최고 기술력으로 하이니켈 이차전지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생산량을 가졌음. (단일 공장 단위 생산량 기준 총 CAPA 12.6만 톤) 또한 설비, 품질 및 물류의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리스크 방지를 위한 사고예방 설계를 반영해 가동 안정성 극대화를 확보한 최첨단 라인을 구성하였음. 2020년 2월 법인 설립 후, 2020년 10월 착공한 첫 번째 공장(CAM6)은 에코프로이엠 기술진과 삼성SDI 연구소 간의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조기 양산에 성공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21년 10월 연산 36,000t 규모로 양극재 공장을 가동하였음. 2021년 10월 착공한 두 번째 공장(CAM7)은 연산 54,000t 규모로 2023년 3분기에 본격 양산 예정이며, 세 번째 공장(CAM8)은 연산 36,000t 규모로 2024년 4분기에 양산 예정에 있음. 10. 10억불 탑 ㈜경신 ▲ 수출품목 : 와이어링하네스, 정션블록, 커넥터 ▲ 수출실적 : 14.2억불 ▲ 담 당 자 : 권우혁 (  032-714-7291 ), 김현학 (  032-714-7133 ) 공적내용 주식회사 경신은 1974년 9월 1일 ‘경신공업’이라는 사명으로 출범하여 주력 제품인 와이어링하네스를 비롯한 커넥터, 정션블록, 친환경 자동차 전장부품인 고전압 와이어링하네스 등을 설계, 개발, 생산, 공급 전 단계에서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2005년 신사옥 및 연구소 건립을 통해 연구기술 개발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고 2010년 ‘경신공업’에서 ‘경신’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본격적인 글로벌화 도약을 준비했음. 1997년 인도 진출을 시작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시작하여 2023년 필리핀 공장 설립까지 국내사업장 6곳(본사, 송도공장, 인천공장, 화성공장, 군산공장, 경주공장) 해외사업장 12곳(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필리핀, 미국, 멕시코)에 진출하여 현재는 국내 1,405명 해외 32,190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매출 2조 5천억 원 기업으로 성장하였음. 그뿐만 아니라 3개년 수출실적이 2020년 9억 6천만 불, 2021년 11억 6천만 불, 2022년 14억 2천만 불을 달성하며 매년 약 22% 증가율을 기록했음. 기존 내연기관차에 적용되었던 와이어링하네스 뿐만 아니라 친환경 자동차 시대에 발맞춰 고전압 와이어링하네스 사업에도 진출하여 전기차 고전압 유닛의 전원과 신호를 연결해 주는 HEV, PHEV, EV 차량의 모터, 인버터 등의 전원공급과 신호를 연결해주는 제품을 개발하여 시대 흐름에 발맞춰 성공적으로 사업 분야를 확장했음. 또한 2013년 송도공장을 설립하면서 정션블록 사업에도 진출하였으며, 친환경 자동차 시대에 맞춰 고전압 정션블록에도 안정적으로 사업 분야를 확장하였음. 이외에도 FPC 모듈,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등 차량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들을 설계부터 공급까지 전 과정에 걸쳐 관여하고 있음. 2024년 주식회사 경신은 창립 50주년을 맞이하며 급변하는 자동차 시장과 예측 불가한 글로벌 시장 흐름에서 제품군의 다양화와 적극적인 해외 투자 및 시장 진출로 50년의 기간 동안 자동차 부품업계에서 꾸준히 성장하여 연평균 성장률 CAGR 6.7%, 2022년 수출액 14억 불 달성이라는 쾌거를 거두었음. 11. 10억불 탑 에스엘(주)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1억불 ▲ 담 당 자 : 황송호 (  053-850-8548 ) 공적내용 에스엘(주)는 글로벌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으로 1954년 회사 설립 후 국내 완성차 외 지엠, 포드, 스텔란티스, 길리, 동풍, 장안, 상해기차 등 해외 완성차까지 고객을 확대하였고 최근 들어 BMW로부터 수주를 받아 양산을 준비하고 있으며 올해 6월 미국 오토모티브 뉴스지가 발표한 세계 100대 자동차부품 기업 중 73위에 올랐음. 회사의 주요 제품은 자동차용 램프(헤드램프, 리어램프 등)와 전동화부품(E-shift, Wireless Charger, Charge Port Door, Flush Door Handle 등), 전기전자부품(BMS;배터리관리시스템, SBCM;사이드 바디 컨트롤 모듈, Built in Cam 등)이 있음. 1980년대부터 수출시장 개척을 위한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현재 미국, 중국, 인도, 폴란드, 브라질 등에 17개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음. 해외 고객 중 지엠과는 오랜 기간 동안 거래하고 있어 신뢰를 받고 있으며, 그 결과로 25년 연속 우수협력사로 선정되었음. 또한,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길리기차, 동풍기차, 상해기차 등 고객에 에스엘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연간 총 수출실적은 2019년 8.1억 불, 2020년 9.2억 불, 2021년 9.3억 불, 2022년 10.1억 불로 매년 상승 추세를 이어가고 있음. 1986년 자동차부품업계 최초로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현재 1,600여 명의 연구원들이 자동차 부품산업의 발전을 위해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그 결과 세계 최초로 보행자 보호를 위한 백업가이드램프, MLA(Micro Lens Array)를 이용한 헤드램프를 양산 적용하였고, 2018년과 2020년에는 신기술 제조공법으로 장영실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음. 12. 10억불 탑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 수출품목 : 자동차,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0.6억불 ▲ 담 당 자 : 강명수 (  031-610-1365 ) 공적내용 케이지모빌리티는 1962년 12월 6일 설립되었으며 독보적인 기술로 소형부터 대형 그리고 밴과 픽업형까지 세그먼트별로 특화된 SUV를 출시하는 등 Full Line-up을 구축하며 SUV 대중화를 선도하고 있음. 또한 최근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EV 전용 플랫폼,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자율주행차, AI 등 모빌리티 기술 분야에 집중하고 있으며 커스터마이징 용품 및 특장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 등을 위해 특장 법인인 케이지 에스앤씨를 설립함. 그리고 고객가치 실현 및 브랜드 확립을 위한 중고차 사업 및 대형 전기버스, 중소형 트럭, 버스 등 종합 상용차 사업을 위해 KGM Commercial(구, 에디슨모터스)을 인수하는 등 신규사업 진출을 통해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발전해 나아가고 있음. 케이지모빌리티의 수출실적은 완성차 기준 2020년 1만 9,436대, 2021년 2만 7,743대 그리고 지난해는 4만 4,994대로 코로나 팬데믹 이후 매년 5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도에도 이런 성장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2022년 출시한 신차 ‘토레스’와 함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뉴 렉스턴, 렉스턴스포츠(수출명 무쏘), 렉스턴 스포츠 칸(수출명 무쏘그랜드), 더 뉴 티볼리의 꾸준한 인기가 판매를 견인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동유럽, 중남미, 호주 시장에서의 판매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 케이지모빌리티가 시장개척에 어려움을 겪던 호주에서 2018년 직영법인 설립 후 2019년 연간 1,636대 판매에서 2021년 2,967대, 2022년에는 5,899대로 판매량이 늘었으며, 이는 직영 판매법인 설립의 효과가 큼. 또한 동유럽 시장에서도 판매가 급증하며 2022년 기준 1만 2,095대를 판매하는 성과를 올렸으며 당사는 이를 기반으로 향후 유럽 직영 법인 설립을 통해 글로벌 판매를 확대할 계획임. 케이지모빌리티는 2022년 9월 케이지그룹의 인수 후 빠른 경영 정상화를 통해 수출이 크게 확대되며, 2023년 상반기 턴어라운드 실적을 달성했고 지속적인 수출 성장세를 바탕으로 디지털 마케팅 활성화 등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는 한편, 유럽 직영 판매법인 설립과 에이전시형 네트워크 및 온라인 판매 등 네트워크 다변화를 추진 중임. 또한 새로운 판매 물량 확대를 위한 지역특화 사양 운영, 신시장 진출 등으로 꾸준히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계획임. 13. 10억불 탑 ㈜포스코퓨처엠 ▲ 수출품목 : 이차전지소재 (양극재/음극재) ▲ 수출실적 : 17.5억불 ▲ 담 당 자 : 김지운 (  02-3457-4462 ) 공적내용 포스코퓨처엠은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모두 생산하는 기업으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성능 향상과 K-배터리 산업 발전을 주도하고 있음. 2010년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재 사업 진출에 이어 2018년 양극재 사업에도 진출하여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동시에 생산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임. 제철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침상코크스를 원료로 한 인조흑연 제조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포스코그룹 내의 리튬과 니켈 전문회사가 있어 음극재, 양극재 등 이차전지 핵심소재의 원료확보를 위한 풀 밸류체인을 갖추고 있음. 포스코퓨처엠은 지속적인 R&D와 전기차 고성능화 및 주요 완성차 기업들의 전기차 라인업 다양화에 대응하여 니켈 비중을 극대화한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양극재를 주력 제품으로 양산하고 있으며, 보급형 전기차에 주로 채용되는 LFP(리튬인산철), 하이망간 양극재까지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계획에 있음. 또한 국내에서는 유일한 흑연계 음극재 생산기업으로 2011년 천연흑연 음극재 국산화에 성공하고, 현재는 인조흑연 음극재까지 양산하여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를 포함하여 글로벌 완성차· 배터리 기업에 공급하고 있음. 특히 인조흑연 음극재는 천연흑연 대비 배터리 충전 속도를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특성이 있어 글로벌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인조흑연의 핵심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자회사 포스코MC머티리얼즈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 원료부터 최종소재까지의 밸류체인을 내재화했음. 향후SiOx(실리콘 산화물), Si-C(실리콘 탄소복합체) 등 실리콘 음극재까지 사업화하고 전고체 배터리용 리튬메탈음극재까지 개발하여 천연흑연· 인조흑연· 저팽창· 실리콘· 리튬 메탈에 이르는 음극재 ‘풀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방침에 있음. 14. 10억불 탑 한국알프스(주) ▲ 수출품목 : 전자부품 ▲ 수출실적 : 10.2억불 ▲ 담 당 자 : 윤인근 (  062-950-2387 ) 공적내용 한국알프스(대표이사 김규남)는 한국의 부품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대명제 아래 1987년 광주광역시에 설립되어, 차재전장품, 통신관련품, 입력장치, 각종 컴포넌트 등의 전자부품 산업을 주력으로 우리 생활과 밀접한 생활기기들의 핵심부품을 개발/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토착형 다국적기업으로 국내 생산 및 해외 수출을 통한 지역 발전과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 당사의 모회사인 일본 ALPSALPINE 그룹 해외 법인 중 유일하게 사내에 일관 대응체제 [영업-제품설계(R&D) - 금형설계 및 가공 - Press 및 Mold - 도장 및 인쇄 - SMT - 조립 - 품질보증 – 출하]를 구축한 가장 경쟁력 있는 현지법인으로서, 고객 및 시장의 니즈에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해외사업 확대 및 21세기 전자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수출은 2022년 10억 불로 전년 대비 114%의 실적을 달성함. 안정된 성능, 품질, 공급능력을 인정받아 각 고객사로부터 주문이 확대되고 주요 수출국으로는 중국(73%), 독일(9%), 일본(7%), 미국 및 기타(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출 품목으로 VCM(H.S Code:Actuator, 8501.10-1000) 등이 있음. 탈탄소 사회, 안전 성능 고도화,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 구축에 부응하기 위하여 , 감동・안전・환경을 의식한 새로운 가치 창조의 제품을 창출로 당사가 보유한 다양한 핵심기술을 적용한 프리미엄 HMI(Human Machine Interface의 기능을 갖춘 차재전장품(Power window switch, 각종 편의기능의 입력장치, Sensing Device 등), 세계에서도 점유율이 높은 Tact switch를 비롯한 Components, 스마트폰의 진화에 공헌하는 액츄에이터 등 고정밀,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한국은 물론 EU, 북미, 중국, 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음. 15. 10억불 탑 현대로템 주식회사 ▲ 수출품목 : 방산물자·철도차량·플랜트 ▲ 수출실적 : 14.7억불 ▲ 담 당 자 : 구태우 (  031-8090-8165 ) 공적내용 현대로템은 1977년 7월 1일 설립되어 철도차량 및 방산물자, 플랜트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종합 중공업 기업임. 세계 52개국에 진출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미국과 폴란드 등 주요 거점에 해외 법인을 설립 운영함. 철도차량 및 방산물자, 플랜트 부문의 수출 확대를 위해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있음. 실제 현대로템은 지난해 8월 폴란드 군비청과 약 4조 5,000억 원(K2 전차 180대) 규모의 K2 전차 수출 계약을 체결했음. 2008년 튀르키예에 K2 전차 기술 수출을 성사한 이후 최초로 완제품 전차 수출에 성공. K2 전차는 기동력과 화력, 방호력이 동급 해외 전차와 비교해 매우 뛰어남. 해외에서 최정상급 전차로 평가받고 있어 향후 추가 수출이 기대됨. 현재 폴란드와 K2 전차 추가 수출계약을 논의하고 있음. 또한 현대로템은 고속철도차량의 첫 수출을 성사시키기 위해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있음. 현대로템은 2008년 세계 4번째로 동력집중식 KTX-산천을 자체 기술로 개발함. 2021년 국내 최초 동력분산식 고속철 ‘KTX-이음’을 성공적으로 영업 운행에 투입했으며, 지난해 영업 최고속도 320km의 EMU-320을 출고했음. 국내에서 쌓은 고속철의 안정적인 트랙레코드를 바탕으로 해외시장에서 첫 고속철 수출을 성사시킬 계획임. 또한 현대로템은 해외 주요 시장에서 대규모 전동차 수주에 성공하였음. 지난 6월 호주 퀸즐랜드 주(州) 정부가 발주한 약 1조 2,000억 원 규모의 전동차 제작 사업을 수주하였음. 현대로템은 세계 38개국에 전동차를 수출했으며, 해외시장 확대를 통해 전동차 수출을 확대할 계획에 있음. 지구온난화로 탄소중립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현대로템은 친환경, 무인화, 자동화 흐름에 대응해 군용 다목적 무인차량(UGV), 스마트 물류솔루션 등을 개발하고 있음. 수소 인프라와 무인무기체계, 스마트물류솔루션 등 미래 고부가가치 사업을 적극 육성해 기술 중심의 수출기업 입지를 다질 계획에 있음. 16. 8억불 탑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수출품목 : 화학섬유, 필터, 필름, 부직포 등 ▲ 수출실적 : 8.4억불 ▲ 담 당 자 : 김흥수 (  02–3279-1115 ) 공적내용 도레이첨단소재는 1972년 7월 회사의 모태인 삼성그룹 제일합섬의 설립과 함께 한국 화학소재산업의 태동기를 이끌며 성장해왔음. 섬유와 필름 사업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과감한 투자를 통하여 탄소섬유, IT 소재, PPS 수지, 수처리 필터에 이르기까지 첨단소재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해 왔으며,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등 해외에 적극 진출하여 글로벌화에도 박차를 가하며 질적, 양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 옴. 최근에는 PPS, 탄소섬유 증설 등 기존 사업확장은 물론,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사업 진출, 수처리 운영관리 사업 진출, 배터리 분리막 사업 진출 등 적극적인 M&A를 통해 친환경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나가고 있음. 이를 통해 작년 2조 7천여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하며 출범 당시보다 6배 이상 성장하였음. 지난 2001년 2억불 수출의 탑을 시작으로 2011년 5억불 수출의 탑 수상에 이번 8억불 탑을 수상하기까지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품질 혁신으로 차별화 제품을 확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오랜 기간 축적된 첨단 기술력과 탁월한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생활 기초소재부터 다양한 산업의 고부가가치 첨단소재를 공급하며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으로써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계획임. 아울러 도레이첨단소재는 인프라 혁신과 사업고도화를 통해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디스플레이, 뉴 모빌리티, 친환경 소재, 수처리 솔루션, 헬스케어 솔루션 등의 신성장 분야에 역량을 집중하여 끊임없는 도전과 기술혁신으로 새로운 가치를 지속 창출하는 한편, ESG 경영을 적극 확대함으로써 전 지구적인 미래 문제 해결에 기여하며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을 위해 일조해 나갈 것임. 17. 7억불 탑 (유)스태츠칩팩코리아 ▲ 수출품목 : 반도체 소자 ▲ 수출실적 : 7.6억불 ▲ 담 당 자 : 임상혁 (  032-340-3012 ) 공적내용 스태츠칩팩코리아는 반도체 외주 조립 및 테스팅 전문업체로 인천광역시 영종도에 위치하여 반도체 제품 제조 및 판매를 위하여 설립한 외국인 투자 기업으로 지난 2014년 경기도 이천에서 인천광역시 영종도로 공장 신설 및 이전하여 현재 가동 중에 있음. 꾸준한 성장 발전으로 올해 7억 불 이상을 달성하여 수출 강국 건설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으며 공자 부지는 약 110,177㎡으로 종업원은 현재 3,000여 명이 근무하고 있음. 1984년도 현대전자 반도체조립사업부를 시작으로 약 39년간 반도체 후공정 및 TEST 서비스 기술을 제공하여 현재 세계 반도체 후공정 3위 업체로 성장하기까지 반도체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최근 반도체 시장은 더욱 효율적이고 고도화된 제품인 3D, Wafer level package, fan out package device 등이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복잡한 디자인, 미세화, 저전력 소비 제품 등 고도화 반도체를 요구하고 있어 이를 충족시킬 만한 5G mmWave, HPC(고성능 컴퓨터),AI, Automotive 등 신흥 애플리케이션 관련 최첨단 Packaging 기술개발을 위해 R&D에 대하여 매년 전체 투자 금액의 10% 이상을 투자함으로써 세계적인 반도체 기술을 확보하는 데 앞장서고 있음. 스태츠칩팩코리아는 향후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차세대 반도체 기술 확보를 위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자율 주행자동차 등 유망 기술과의 결합으로 전자 제품에 들어가는 각종 반도체의 부품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차세대 반도체 제품 기술개발 및 확보로 기존 고객 유치 및 신규 해외 고객을 확보하여 해외시장을 지속적으로 개척해 나가고 있음. 또한 스태츠칩팩코리아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일하기 좋은 직장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지난 2020년 6월 기준 2,339명이었던 직원의 수가 2022년 12월 기준 3,111명으로 증가하여 약 33%의 고용 증가율을 보여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음. 18. 7억불 탑 (주)세아제강 ▲ 수출품목 : 강관 ▲ 수출실적 : 7.3억불 ▲ 담 당 자 : 천지성 (  02-6970-1062 ) 공적내용 1960년 10월 19일 강관 산업의 초석 기업을 세운다는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세아제강은 강관업계 최초 수출을 이뤄내며 한국 강관 산업의 요람으로 자리 잡음. 이로부터 미국, 캐나다, 일본, 베트남, UAE, 이탈리아 등 해외 각국에 생산 판매법인, 사무소 등을 두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성했음. 강관시장에서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강관 외경별 설비 합리화 및 스마트 팩토리 구축, 물류 및 IT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더불어 해상풍력, LNG, 수소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에 사용되는 강관의 우수한 기술력과 연구 인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 자본은 2020년 5,953억 원 대비 2023년 8,290억 원으로 39% 증가, 매출액은 2020년 1조 1,505억 원 대비 2022년 1조 8,018억 원으로 57% 증가함. 주요 수출국이었던 미국에 국한되지 않고 수출 범위를 넓히고자 중동, 동남아시아, 유럽 등의 새로운 시장개척을 시도함에 따라 최근 3개년의 수출실적은 2020년 4.9억 불, 2021년 6.7억 불에 이어 2022년 7.3억 불을 달성, 2020년 대비 약 49%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수출 확대에 기여함. 이러한 고부가가치, 혁신 제품의 제작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R&D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품 제작, 제작 후 설치, 해외 교육을 담당할 기술지원 인원과 생산 현장직 등 지속적인 인력 고용이 필요함. 이는 곧 채용 확대로 이어져 2021년 655명, 2022년 673명에 이어 2023년 6월 말 기준 738명으로 2021년 대비 13%의 채용이 증가했음. ㈜세아제강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음. 협력사와의 상생을 위해 당월 발생 도급 대금을 익월 10일에 100% 현금 또는 어음으로 결제되도록 하는 금융지원과 함께 매년 한국폴리텍대학교와 연계하여 지역인재양성맞춤 산업교육을 진행하는 기술교육지원, 한국폴리텍대학교와 연계한 인재 채용을 지원하고 있음. 또한, 문화예술의 부흥을 위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예술지원금 기부, 저소득 농아인 가정의 따뜻한 겨울나기와 더불어 경제적인 안정을 도모하고자 서울시 농아인협회에서 개최하는 사랑 나눔 행사에 동참, 취약계층 청소년들을 위한 기부 및 도서 기증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음. 19. 7억불 탑 엘에스일렉트릭㈜ ▲ 수출품목 : 전력기기, PLC, 인버터, ESS ▲ 수출실적 : 7.7억불 ▲ 담 당 자 : 권도엽 (  02-2034-4169 ) 공적내용 LS ELECTRIC은 1974년 7월 24일에 설립된 ‘럭키포장’을 모태로 하며, 1987년에 전력기기, 배전반 등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하면서 ‘금성산전’으로 출범하였음. 1995년 ‘LG산전’으로 사명을 변경, 금성계전과 금성기전을 합병하였으며, 이후 LS 그룹으로 분리되며 ‘LS산전’’으로 사명을 변경, 2020년 글로벌 전력·자동화·스마트에너지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해 ‘LS ELECTRIC’으로 새로이 출범했음. LS ELECTRIC은 전력기기 및 시스템 사업과 에너지 최적화를 실현하는 산업자동화, 스마트에너지 사업을 통해 국가 기간산업 전력망, 산업자동화 구축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전력사업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력을 수용가까지 공급하고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전력기기 제품을 생산하며, 주요 제품으로는 중/저압기기, 계량기, 계전기, 개폐기, 배전반, 진단 시스템 등이 있음. 자동화 산업은 각종 전기와 신호체계를 설계하고 운영할 때 생산 현장 제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과 제품으로, 주요 제품으로는 산업용 PLC, 인버터, SERVO(서보), HMI 등이 있음. 이어 스마트그리드, 친환경자동차솔루션, 태양광, HVDC(초고압직류송전) 등을 핵심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해 글로벌 스마트에너지 분야를 선도하고 있음. 현재 총 3,500여 명의 임직원이 안양 본사와 연구소, 청주, 천안, 부산을 비롯한 국내 5개 사업장, 해외 3개 생산거점, 국내외 9개 연구소, 세계 각국 20여 개의 법인, 지사를 운영 중이며 미국 텍사스에 북미 첫 생산거점을 마련해 R&D 센터도 구축할 예정임. 매년 매출액 대비 약 5.5%를 연구개발에 투자 중이며, 현재까지 독자개발 산업용 이더넷 통신프로토콜(RAPIEnet) 국제표준 채택, 세계 최초 메가와트급 ESS 미국 UL 인증, 청주 스마트공장 세계경제포럼(WEF) ‘세계 등대공장’ 선정 등 쾌거를 이뤘음. 2021년 LS ELECTRIC은 국내를 넘어 글로벌 스마트에너지 리더로 도약하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의 가속 성장을 실현할 비전 ‘Drive Change for 2030’을 발표했음. 앞으로 10년 동안 매년 10% 이상 성장하고, 2030년 기준 사업 포트폴리오는 글로벌 사업 비중이 70% 이상, 디지털 신규 비즈니스는 50%를 넘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컴퍼니, 디지털 엔터프라이즈로 진화한다는 목표를 제시했음. 20. 6억불 탑 ㈜대동 ▲ 수출품목 : 농기계 ▲ 수출실적 : 6억불 ▲ 담 당 자 : 윤성근 ( ( 02-3470-7437 ) 공적내용 대동그룹의 모회사인 미래농업 리딩기업 대동(공동대표이사 김준식, 원유현)은 1947년에 설립된 국내 1위 농기계 회사임. 1962년 업체 최초로 동력 경운기를 생산 보급을 시작하고 이후 60~70년대에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도 국내 최초로 보급하며 대한민국의 농업 기계화를 선도해 현재까지도 국내 1위 지위를 놓치지 않고 있음. 80년대부터는 해외 진출을 본격화해 현재 세계 70여 개국에 수출하는 글로벌 농기계 회사로 거듭났음. 2020년 대동은 ‘미래농업 리딩기업’ 비전을 선포했음. 자율작업과 원격조정이 가능한 ‘스마트 농기계’ 새로운 이동 및 운송 수단의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파밍 플랫폼 중심의 ‘스마트팜’ 그리고 농업/비농업 분야의 전문서비스 로봇을 개발하는 로보틱스 미래 사업으로 확정했음. 비전을 위한 최우선 핵심 과제로 농기계 사업의 글로벌화, 스마트화를 위한 양적/질적 성장에 집중했음. 그 결과, 대동은 연결 기준 매출 21년 1조 1,792억 원, 22년 14,637억 원 올리며 창사 이래 2년 연속 매출 1조 돌파라는 역사를 썼음. 올해 상반기도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지속 성장하고 있음. 상반기 수출액이 전년비 18.8% 증가하며 연결 기준 역대 최대 상반기 매출인 약 8,358억 원을 달성했음. 해외에서 제품 및 시장 다변화를 통해 전년비 24.5% 증가한 2만 2,900대의 트랙터를 판매해, 창사 최초로 상반기 트랙터 수출 2만 대 기록과 함께 전년비 2.6% 증가한 8,358억 원의 연결 매출을 달성했음. 대동은 올해 스마트 농기계와 스마트 팜 사업 관련 상품 컨텐츠를 본격 선보이며 ‘애그테크(Agtech)’ 전문 기업 도약의 해로 만들고자 함. 관련해 경작지 작업 경로 생성/추종, 안전감지, 작업기 설정 및 제어, 작업 데이터 관리 등의 자율주행 3단계에 해당하는 자율작업 기술을 자체 개발해 HX트랙터와 DH6135 콤바인에 채택했음. 대동은 이 제품으로 농기계가 자체 생성한 작업 경로를 오차 ±7cm 이내로 벗어나지 않고 직진하면서 선회 시 작업을 제어해야 하는 자율 3단계가 돼야 통과할 수 있는 정부 시험을 합격했음. 대동은 이 제품을 올해 4분기에 출시했음. 또 자율주행 4단계 트랙터를 26년까지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올해 초부터 농업 및 농경지 작업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했음. 21. 6억불 탑 (주)피엔티 ▲ 수출품목 : 코팅기(도포기) ▲ 수출실적 : 6.6억불 ▲ 담 당 자 : 류기완 (  054-469-6915 ) 공적내용 ㈜피엔티는 2003년 Roll To Roll 기계 제작 기술력을 바탕으로 설립한 Roll To Roll 컨버팅 머신 제작 회사임. 창업 이후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Prisim Sheet 생산라인의 국산화 성공”이란 업적을 바탕으로 국내 생산 제조라인의 설비를 제작, 공급을 시작함. 디스플레이 산업의 부흥에 따른 Prism 라인의 시장이 국내외 시장 규모의 확대로 생산량 및 높은 비용에 대한 대기업의 투자 및 국가적인 핵심 산업 개발의 문제로 부각되어 왔음. 이에 2003년 해외 수입 설비의 국산화 연구 투자로 특허 취득, 각종 인증서를 통한 검증 받은 “Prism Line”의 국산화에 성공하여, Prism 산업의 국내 생산시장에 안정화 기술을 제공하기 시작함. 더불어 동박 제조 Line 국산화 개발 성공 및 “교토 의정서”를 바탕으로 하여 2016년부터 2차전지 원소재 가공 설비 제작에 투자와 연구개발을 통해 2차 전지 전 공정 설비라인을 국산화하였고, 2차 전지 시장의 50% 이상 생산설비 국산화와 납품을 실현하게 되었음. ㈜피엔티가 추구하는 것은 사명에서 나타내듯 사람을 중요시하며, 기술을 존중하며, 사람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며, 기업의 이름을 바탕으로 “세계 제조 산업의 생산 현장 및 최종 제품을 사용자도 인정하는 제품을 제작하는 “명품 제작, 세계 No.1”회사로의 도약‧비전을 가지고 있음. 2차전지 산업, IT 소재 산업 등 기반 구축 산업의 원재료 생산 및 임가공 생산설비를 국산화하여 내수 시장의 활성화 및 해외 무역 활동을 통하여 국가 발전에 노력했음. 22. 5억불 탑 ㈜에코프로머티리얼즈 ▲ 수출품목 : 2차전지 ▲ 수출실적 : 5.9억불 ▲ 담 당 자 : 조제욱 (  054-720-2253 ) 공적내용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2017년 4월 26일에 설립되어, 2차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 분야로 운영하는 중소기업임. 구체적으로는 리튬이차전지의 핵심인 양극 소재의 원재료인 전구체를 생산하고 있음. 전기차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양극재의 핵심 소재인 전구체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였음. 특히 전방 산업에서 고성능 하이니켈 전구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품의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음. 최근 3년간 연평균성장률 약 80%로, 지속적인 수출실적 증대가 기대되고 있음. 수출은 주로 간접 수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종 고객은 SK온, 삼성SDI, TMM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중국, 미국, 유럽 등 다양한 해외기업으로 판로를 개척하고 있으며,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맞물려 전 세계 시장으로부터 큰 수요가 예상됨. 19년 넘는 전구체 R&D 업력과 성과로 증명되는 업계 최고의 기술력, Non-China 업체 중 독보적인 하이니켈 전구체 생산능력 및 전구체 국산화의 선도주자라는 강점을 통해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전구체 제조사로 성장이 예상됨. 아울러 원재료 활용(RMP 공정)부터 전구체 생산(CPM 공정)까지 포괄하는 완전히 통합된 하이니켈 전구체 생산체제를 구축한 것이 시장에서 경쟁적인 지위를 갖게 해줄 것으로 보임. 또한 국가를 위해 헌신한 제대군인들을 위한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국가보훈부로부터 ‘2023년 제대군인 고용 우수기업’으로 인증받아 3년간 시중은행 여신 지원 시 금리우대, 관세 조사유예, 방사청 및 지자체 우수기업 선정평가 시 가점부여 등 혜택을 보장받게 되었음. 아울러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을 위한 방안으로 본사가 소재한 경북 포항지역의 인재를 우선적으로 채용하고 타지역 출신 임직원들에 대해서도 주거지원비 등을 지원하여 지역에 주소를 이전하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음. 또한 장애인, 노인, 저소득층 등 지역사회의 소외된 이웃을 위한 다양한 후원 및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음. 23. 5억불 탑 ㈜에프앤에프 ▲ 수출품목 : 의류 ▲ 수출실적 : 5.4억불 ▲ 담 당 자 : 박재윤 (  02-520-0021 ) 공적내용 ㈜에프앤에프(F&F)는 MLB(엠엘비), MLB KIDS(엠엘비 키즈), DISCOVERY EXPEDITION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등의 브랜드를 전개하는 국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글로벌한 경쟁력을 갖춘 패션 전문 회사임. 1992년 패션사업을 시작한 이래 다양한 패션 브랜드를 운영하며 30년간의 패션 비즈니스 노하우를 쌓아온 가운데 2017년 해외시장에 첫발을 내딛음. 프리미엄 스트릿 패션 브랜드 MLB(엠엘비)가 중국 홍콩으로 첫 진출했고, 이어 2019년 중국 본토로 영역을 확장함. 이어 동남아시아 시장으로도 진출해, 동남아시아 수출국이 2022년 4개국에서 2023년 7개국으로 수출 다변화에 기여했음. 그 결과 2023년 상반기 기준, 중화권(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대만) 및 동남아(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캄보디아)에 진출 성공. 2023년 하반기 필리핀과 인도네시아까지 진출 완료했음. 이외에도, 2018년에는 이탈리아 프리미엄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DUVETICA(듀베티카), 2022년에는 테니스 헤리티지 기반의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SERGIO TACCHINI(세르지오 타키니)를 인수하여 유럽, 북미 등으로도 사업 확장하고 있는 중. 최근에는 스트리트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수프라(SUPRA)가 중국 시장진출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며, 새로운 수출 활로가 될 것이라 생각함. 이처럼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오고 있는 ㈜에프앤에프는 2022년 연결 기준 매출액 1조 8,089억 원, 영업이익 5,249억 원, 당기순이익 4,427억 원을 달성. 수출실적은 약 5억 3천만 불로, 전년 동기 대비 84% 신장 기록했음. 이 같은 성과는 디지털화가 미래의 필수 경쟁력이 될 것을 예측하고, 2017년부터 선제적으로 추진해 온 전사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이하 DT) 덕분이라는 분석. 성공적 DT를 위해 전담 조직인 디지털본부를 만들고 인프라 투자를 단행한 결과, 현재는 상품기획, 생산, 물류, 디자인, 마케팅 등 F&F의 패션 비즈니스 전 과정이 DT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 커뮤니케이션 또한 협력업체에서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DT 프로세스 내에서 통합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내 커뮤니케이션용 메신저 도입, 다양한 디지털 업무 협업 툴 적용 등 스마트워크 시스템을 활용한 일하는 방식의 변화도 이끌어내고 있음. 24. 5억불 탑 에드워드코리아(주) ▲ 수출품목 : 진공펌프 ▲ 수출실적 : 5.1억불 ▲ 담 당 자 : 최수철 (  041-520-9342 ) 공적내용 에드워드코리아(주)는 전 세계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화학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전공 펌프 및 진공 시스템을 개발, 공급하고 있음. 미국, EU, 중국, 일본, 대만, 싱가폴 등에 진공펌프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2022년 대비 14%의 수출 성장을 이룸. 에드워드코리아(주)는 지속적 연구개발을 통한 신제품 개발과 이를 통한 협력사의 혁신에 공헌하고, 국내 부품업체와의 협업을 통하여 해외 수입의 70% 이상을 국산화 제품으로 대체하고 원소재의 78% 이상을 국산화하는 등 반도체용 진공펌프의 수입대체효과 창출에 기여함. 특히, 한국에서의 Digitalization 전략을 통해 자동화 라인 등 도입을 위해 80억 원 이상을 투자하고 있음. 해외시장에서 새로운 요구조건에 부응하기 위한 고온, 내부식성 강화, 소형화 및 고효율의 환경친화적인 신기술 펌프를 개발하였고, 최근 초미세 반도체 공정에서 필수적인 장비로서 각광받는 EUV(극자외선 노광장비)의 수소 공정가스 재생기술(HRS, Hydrogen Recovery System), 수소 처리(H2D, Hydrogen Dilution) 기술 개발 도입 등 친환경 방식 기술의 최초 상용화 기술개발을 도입했음. 2022년 7월부터 2023년 6월의 수출실적은 코로나와 국제분쟁 등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자재공급 부족과 물류 공급망의 어려움 속에서도 전년도 대비 약 14% 성장을 이룸. 특히, 대만 1.3억 불, 미국 1.2억 불, 중국 8천만 불, 싱가포르 4천만 불, 벨기에 4천만 불 등을 수출하여 전체 수출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음. 국내 10개 대학과 지속적 산학협력 체제를 구축하였고, 기술력 증진을 위한 지속적 교육을 진행함. 이와 더불어 전 임직원 복지향상을 위한 소통 및 지속적 노력,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등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음. 25. 5억불 탑 주식회사 세아엠앤에스 ▲ 수출품목 : 합금철 ▲ 수출실적 : 5.6억불 ▲ 담 당 자 : 조성각 (  02-6970-0951 ) 공적내용 주식회사 세아엠앤에스는 국내 및 아시아 최초 선진기법의 배소로와 최첨단 탈황, 폐수 환경 설비를 갖춘 회사로 스테인레스강, 특수강 등의 제조에 쓰이는 합금철 중 산화몰리브덴, 페로몰리브덴 및 페로바나듐을 생산하고 있음. 수입에 의존하던 몰리브덴 제품을 당사를 통해 국내 조달에 많은 기여를 해 왔으며 이제는 해외에 판매할 수 있는 수출국으로 탈바꿈할 수 있게 되었음. 지속적인 기술개발, 설비 및 환경 투자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이로 인해 타 경쟁사 대비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었음. 그 결과 지속적인 Global M/S 확대 및 수출 확대를 늘려가고 있으며 2017년 1억불 수출의 탑을 시작으로 2019년 3억 불, 2022년 4억 불 그리고 올해 2024년 5억 불의 수출을 달성할 수 있게 됨. 아울러, Global 몰리브덴 시장에서 약 5%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당사는 원재료를 거의 100% 해외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제품 중 70% 이상 수출하고 있는 수출 주력 기업임. 또한 지속적인 발전과 Global 경쟁력 확보, 입지 강화 및 해외시장 확대를 위해 2025년에 베트남 제2공장 설립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추진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자주 대두되는 ESG 경영 관련 환경분야 투자, 품질보증을 위한 ISO9001 인증서 취득 등의 철저한 준비를 통해 수요가 니즈 충족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26. 4억불 탑 ㈜에스에이엠티 ▲ 수출품목 : 반도체‧IT‧가전 ▲ 수출실적 : 4.2억불 ▲ 담 당 자 : 이승우 (  02-3458-9216 ) 공적내용 ㈜에스에이엠티는 1990년에 설립되어 국내 최대의 반도체 마케팅 전문기업으로 자리 잡으며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디스플레이, 매그나칩반도체 등으로부터 주요 제품을 공급받아, 국내 및 해외의 주요 IT 기업에 공급함으로써 국내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해외 수출을 통해 외화 획득에도 공헌하고 있음. 2011년 대만 SUPREME 사와 공동기업의 형태로 TO-TOP ELECTRONICS 설립하여 중국을 주요 목표시장으로 반도체 및 LCD 판매를 진행하였고. 2021년 TO-TOP ELECTRONICS를 완전 자회사로 전환 후 중국 시장에서의 영업을 확대하여 2022년 매출액 6,352억 원, 순이익 103억 원을 달성하였음. 더 나아가 해외기업들을 유치하여 2019년에 대만계 글로벌 IT 제품 제조사인 리얼텍에 메모리 제품공급을 시작으로, 2020년에는 미디어텍에도 납품을 진행하여, 2022년까지 총 5,113억 원(리얼텍 3,235억, 미디어텍 1,878억)의 수출실적을 기록했음. 당사는 SAMT SG PTE(싱가폴 법인), SAMT VINA(베트남 법인)을 설립하고, 2022년 삼성전자의 동남아시아 반도체 대리점권 계약을 체결하여 현재 베트남 시장을 시작으로 영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SAMT AMERICA를 설립하고 미국 내에서의 삼성전자 반도체 영업을 시작하고 2024년부터 가시적인 성과를 통해 회사 및 국가 공헌에 큰 기여가 될 것이라 확신함. 또한 직원들의 일, 가정 양립 및 기업의 사회적 이미지 개선과 우수인력의 채용, 근로자의 사기 증가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하는 ‘가족친화기업’으로 인증받은 바 있음. 얼어붙은 청년 취업시장에 고용 창출을 위한 신규 인력 채용을 확대하여 매년 신규 인력 고용 규모를 늘려나가고 있으며, 해외 자회사 설립 등을 통해 추가 인력을 지속해서 채용할 계획에 있음. 더불어 푸른나무재단(청소년폭력예방재단), 새말새몸짓(사회현안해결 학문연구 사단법인), 삼성병원 등에 기부활동을 지속하고 있으며, 장애인 운동선수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기업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음. 27. 4억불 탑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 ▲ 수출품목 : 고다층 인쇄회로기판 ▲ 수출실적 : 4억불 ▲ 담 당 자 : 김도균 (  053-610-0376 ) 공적내용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는 1972년에 설립되어 네트워크 장비(스위치, 라우터) 및 서버/스토리지 장비, 슈퍼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초고다층 PCB 전문기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품질을 기반으로 세계적인 네트워크 장비 업체들을 주요 고객으로 하여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이수페타시스 주력인 네트워크 장비 시장은 온라인 비대면 서비스의 일상화로 데이터 전송속도 및 전송용량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고 이로 인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장비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수년간 네트워크, 5G와 같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신규 고객을 개발하였고 안정적인 매출 포트폴리오를 확보하였음. 최근 통신 관련 IT 산업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속적인 미국 및 유럽 중심의 신규고객 개발을 통한 매출 확대에 집중하고 있음. 지난해에는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시장의 수요 확대, Chat GPT로 대변되는 데이터 센터의 성장으로 연결기준 영업이익 1,166억 원(별도 기준 964억원)의 사상 최대 성과를 달성함. 자본금은 2020년 413억 원 대비 올해 632억으로 53% 증가, 매출액 2020년 3,351억 원 대비 2022년 4,972억 원으로 48% 증가, 종업원 수도 2020년 873명에서 2022년 6월 기준 1,052명으로 21% 증가 함으로써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이수페타시스는 현재 약 1,200억 원의 증설 투자를 진행 중에 있음. 2023년 5월 신규공장(4공장) 준공을 완료하였고 내년 하반기부터는 연간 7천억 원 이상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될 것임. 아울러 대구지역에 100명 이상의 고용 창출 및 외주처 포함 중소기업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아울러 다양한 복리후생제도의 운영을 통해서 임직원들에게 일터에 대한 자긍심과 일과 생활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최근에는 구내 임직원들의 편안한 휴식과 식사 공간 개선 등을 위해 복지관을 건설하고 있음. 28. 4억불 탑 주식회사 디엔오토모티브 ▲ 수출품목 : 차량용 방진부품, 차량용 배터리 ▲ 수출실적 : 4.7억불 ▲ 담 당 자 : 김승민 (  055-380-5233 ) 공적내용 주식회사 디엔오토모티브는 종업원 수 1,140명에 달하는 중견기업으로 차량용 방진 부품을 전 세계 11개국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하여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임. 최근 3년간 수출실적은 2020년 3억 4천만 불, 2021년 4억 3천만 불, 2022년 4억 9천만 불의 매출액을 달성하였음. 디엔오토모티브의 방진 사업은 전 세계 10여 개 국가에 생산공장과 테크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현지화를 통한 최적의 원가율을 달성하고 있음. 또한 GM 등 북미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고객의 생산 확대 주문에 부응하기 위해 멕시코에 생산공장을 준공하였으며, 이는 북미 고객에 대한 생산 전초 기지를 구축한 것임. 배터리 사업은 후발 주자인 만큼 우수한 기술 인력을 영입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중이며, 해외 대형 거래처 발굴을 통해 다품종 소량 생산에서 소품종 대량 생산으로 전환하여 생산 효율성 증대와 원가 절감 그리고 품질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음. 현재 전기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그에 맞는 기술개발을 진행 중에 있고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품질향상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전기차는 모터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진동이 심해 소음이 크며, 이로 인해 더 많은 방진 부품과 고성능 품목이 요구됨. 디엔오토모티브는 전기차에 맞는 방진 제품을 자체 개발하여, 테슬라, 리비안, 니오, GM 등 차세대 전기차에 납품하였음. 나아가 자율 주행차 시장에서도 자율주행을 위한 컨트롤러와 센서들이 많이 장착됨에 따라 그러한 부품의 방진을 위한 부품들이 추가로 필요하게 됨에 자율 주행차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해나 갈 계획임. 배터리사업부의 경우 AGM 라인을 추가하여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 중임. 기존 MF 배터리뿐 아니라 AGM을 요구하는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설비투자를 통해 라인을 증설 중에 있음. 2022년 GM Supplier Quality Excellence Award 수상, 2022년 Supplier of the Year for FCA,Supplier Quality Excellence Award 등 수많은 성과를 거두었음. 29. 4억불 탑 명화공업(주) ▲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4.8억불 ▲ 담 당 자 : 박소영 (  031-599-1383 ) 공적내용 명화공업㈜ 1957년 펌프 기술의 기계제조업을 시작하였으며, 이후에도 명화공업은 기계공업의 환경변화를 줄곧 예의주시하며 자동차 부품산업이 동반 성장할 것을 내다보고 1972년 산업용 펌프 사업에서 자동차 부품사업으로 전환했음. 1987년 울산공장은 본격 가동에 들어갔고, 1992년 처음으로 ‘너클'을 처음으로 국산화하는 개발 생산을 이루었음. 또한, 독자개발능력 확보를 위해 1991년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꾸준한 연구개발로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연구 인력 양성사업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2022년부터 3개의 대학과 산학협력을 맺어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 사업을 지원하고, 단순히 기술개발 연구에 그치지 않고 도출해 낸 결과물을 실제 제품 양산에 활용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실무형 인재 양성을 통한 지역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음. 또한,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해외시장 개척에 나선 명화공업은 중국 무석법인 (‘02년), 인도법인 (’07년) 중국 북경법인 (’10년), 멕시코법인 (’15년) 총 4개의 해외법인 설립 운영 중에 있으며, 최근 3개년의 수출실적은 2020년 3억 6천만 불, 2021년 3억 8천만 불, 그리고 2022년 4억 8천만 불을 달성하며 평균 15%의 증가율을 기록하였음. 코로나로 인한 물류 이슈와 반도체 및 각종 원자재의 글로벌 공급망 혼란 등 경영 악화에도 불구하고 고객 요구에 빠르게 대처하여 최근 3년간 4개 사의 신규 고객 유치 및 신규 매출을 창출하는 등 해외시장 개척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북미, 독일 지사에도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미국과 독일 각각 1개 업체로부터 OEM 생산을 진행하면서 해외시장의 고객 니즈에 따라서 유연한 수출 증대 및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음. 최근 스카니아와 계약 체결 후 10월 양산 제품 첫 수출 및 2023년에는 전년 대비 21%의 수출실적을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수출을 증대하고 있음. 30. 4억불 탑 주식회사 티와이엠 ▲ 수출품목 : 농업용 트랙터 등 경작기계 ▲ 수출실적 : 4.2억불 ▲ 담 당 자 : 이상광 (  02-3014-2756 ) 공적내용 주식회사 TYM은 1951년 설립되어 영화 및 무역 분야로 사업을 시작함. 1962년 복건기업과의 합병 이후 기업명을 동양물산기업㈜으로 변경하고 건설사업을 추진함. 1970년대 급격한 사업화로 인한 농촌 인력 공백을 “농업의 기계화”로 메꿀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농기계 업계에 뛰어듦. 이후 1978년 보행 이앙기와 소형 경운기를 개발하면서 본격적으로 농기계 제품생산에 박차를 가함. TYM은 제품의 품질과 기술, 디자인을 넘어 서비스 품질로도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고 있음. TYM-USA(전 TYM 북미 법인)와 브랜슨(Branson)이 하나 된 TYM North America로 통합 출범한 시너지 효과로 지난 2020년부터 올해까지 4년간 '북미 딜러스 초이스 어워드(Dealer's Choice Award)’ 1위에 선정되며 브랜드 경쟁력을 입증했음. 지난 2월에는 미국 남부의 문화, 경제, 교육, 교동의 중심지로 알려진 미국 애틀란타에 신규 사무소를 개설하여 현지의 우수한 인재를 적극 채용하고, 지속적인 글로벌 사업 확장에 힘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또한 사무소 인근에 위치한 농기계 조립 공장 다섯 곳과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운영 중임. 최근 치열해진 자율주행 농기계 경쟁에서 TYM은 ‘농슬라’라 불릴 만한 쾌거를 얻었음. 지난 5월 업계 최초로 트랙터(T130)와 이앙기(GRO-690)의 자율주행 시스템 국가 검정을 동시에 통과한 것. 이는 직진뿐 아니라 자동 선회 및 작업기 제어가 가능한 자율주행 농기계로서, 현재 시범 서비스를 완료하고 2024년 양산 및 출시를 앞두고 있음. 또한 다중 RTK GNSS 시스템 기술을 적용해 정지 오차 2cm, 작업오차 7cm 이내의 정밀 작업이 가능함.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경영 철학을 기반으로, 2021년 업계 최초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선언한 이후 매년 보고서를 발행하며 지속가능한 경영 과제 및 비전, 실행 계획, 성과 관리 등을 구체화하고 있음. 이와 함께 전기 트랙터, 자율주행 시스템을 적용한 트랙터와 이앙기 등 지속가능한 제품을 적극 개발 중에 있음. 케나프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부품 사용, 친환경 도금 방식 농기계 업계 최초 도입 등을 통해 친환경 경영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음. 31. 3억불 탑 더블유씨피 주식회사 ▲ 수출품목 : 2차전지용 분리막 ▲ 수출실적 : 3억불 ▲ 담 당 자 : 백진균 (  043-870-3353 ) 공적내용 더블유씨피(주)는 리튬 계열 2차전지용 분리막의 수요 증가에 맞춰 2016년 10월 충청북도 충주시에 더블유씨피(주)를 설립하였음.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수차례 유상증자를 거쳐 현재의 자본금(13,334백만원)에 이르게 되었음. 당사는 전기자동차 및 2차전지의 수요에 맞춰 대규모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2019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의 시작으로 2020년 하반기부터 당사의 제품을 중국, 유럽, 기타 지역까지 수출이 확대되어 2022년 매출은 2,574억 원을 달성하였음. 증가하는 고객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설비투자를 하고 있으며, 당사의 제품은 독자적인 기술에 의해 개발된 제품으로 우수한 강도와 Low Impedance를 실현하고 있음. 또한 차별화된 생산공정으로 높은 생산성을 보유하고 있음. 규격인증 사업으로는 IATF16949 인증을 취득함으로써 품질경영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ISO14001/ISO45001 인증을 취득하여 환경과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또한 갖추고 있음. 기술개발에 있어서는 기업부설 연구소를 설치하여 분리막의 제조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 중이며, 분리막 제조와 관련된 특허는 국내 58건, 해외 16건이며 현재 출원을 진행 중인 건까지 포함한다면 이후 100건 이상의 특허를 보유할 것으로 예상됨. 연구개발의 활동에서 2차전지의 안정성과 전력량을 높이는 제조 기술개발의 정부 과제 참여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2020년 하반기부터 제품의 직수출이 발생하여, 2022년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2억 8천 6백만 불의 직수출과 간접수출을 포함하여 3억 불을 달성하였음. 세계 각국에서 환경 규제 및 국제유가의 상승으로 배기가스가 저감 되는 친환경 전기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고출력 대형 리튬 2차전지는 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각광을 받고 있음. 32. 3억불 탑 에이치라인해운 주식회사 ▲ 수출품목 : 해상운송서비스 ▲ 수출실적 : 3.2억불 ▲ 담 당 자 : 조성춘 (  02-6020-1856 ) 공적내용 에이치라인해운(주)은 국내외 초우량 화주에게 철광석, 석탄, LNG 등 원자재 및 에너지를 수송하는 국내 최대 전용 선사로 한앤컴퍼니가 2014년 한진해운 전용선 사업부를 영업 양수도 하여 설립된 이후, 2016년 현대상선의 벌크 전용선 사업부를 인수하며 성장하여 왔음. 2023년 상반기 현재 당사는 벌크선 46척, LNG선 6척을 운항하고 있으며, 호주, 캐나다, 브라질, 인도네시아, 카타르, 오만 등에서 철광석과 석탄, LNG 등 산업 필수 원자재 및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운송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음. 설립 초기, 당사는 기존 보유했던 POSCO, 한국전력공사, 현대글로비스, 한국가스공사와의 장기운송계약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안정적인 운항역량을 강화하였음. 이를 기반으로 2017년 세계 최대 원자재 공급업체 Vale와의 장기운송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비즈니스 영역을 해외로 확장하기 시작함. Vale와의 초기 계약은 이후 13척의 추가 장기운송계약의 수주로 이어졌으며 해외시장에서 탁월한 운항역량을 인정받았음. 2019년, 세계 최대 에너지 트레이딩 업체 Vitol의 LNG선 2척을 수주하며 LNG선 신규 계약을 체결, 이는 그동안의 주력 사업인 벌크 사업 외에 LNG선 운항에도 고유의 역량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음. 2020년 말, 세계 최초 LNG 연료 대형 벌크선인 HL ECO, HL GREEN호 도입 후 이후 Petronas, Exxonmobil, QatarEnergy 등 글로벌 기업과의 계약을 체결하여 LNG선 신규 수주를 이끌어 냈고, GLOVIS PCTC 7척을 수주함으로써 탈탄소화 추세에 맞춘 친환경 선박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 IMO(국제해사기구)의 2050년 Net Zero 전략과 매년 강화되는 글로벌 기후변화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는 선대 포트폴리오 다변화 기조 아래, 맞춤형 운송 솔루션, 안정적 운항 서비스 제고를 통해 산업의 본질적 경쟁력 향상에 집중하고 있음. 미래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기회와 화주의 요구를 끊임없이 발굴하여 친환경 해운을 선도해나가며 더욱 깨끗하고, 안전하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Total Solution Provider”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음. 33. 3억불 탑 (주)휴스틸 ▲ 수출품목 : 강관 (ERW PIPE) ▲ 수출실적 : 3.4억불 ▲ 담 당 자 : 홍승현 (  02-828-9144 ) 공적내용 (주)휴스틸은 1967년 설립되어 강관 제조 외길을 걸어온 강관 전문 제조업체로, 1994년 대불공장, 2005년 당진공장 준공에 이어 2015년 대구공장 인수를 통해 연산 ERW 강관 100만 톤과 STS 강관 4만 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한 국내 최고의 강관 메이커임. 미국, 캐나다의 현지 판매법인과 국내 수출팀을 통하여 전 세계에 강관을 수출하며 지난해에는 매출 1조를 달성하였고, 올해는 3억 불 수출을 달성했음. (주)휴스틸은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품질향상을 통해 독자적인 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하며, KS는 물론 일본 산업규격인 JIS와 API 모노그램 및 UL 표시 마크 등의 인증을 획득하였고, DNV, GL, Lloyd 및 ARAMCO 등 유수의 규격도 획득하여 최고 품질의 강관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음. (주)휴스틸의 주력 제품은 북미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높은 그레이드의 송유관과 유정관으로 강관의 용접결함 발생의 억제와 충격인성을 확보하여 품질향상을 이뤄냈고, 기술을 인정받으며 대표 수출품목으로 자리매김함. 최근에는 수출 다변화를 꾀하며 다양한 해외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까다로운 품질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해양플랜트용 강관 생산기술 확보를 통하여 동남아 지역에 해양플랜트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음. (주)휴스틸은 글로벌 종합강관사로의 도약을 위해 약 3,000여억 원의 자금을 들여 창사 이래 최대 투자를 진행 중으로, 미국 휴스턴에 에너지용 강관 생산을 위한 공장과 전라북도 군산에 SAW 대구경강관 생산을 위한 공장 건축이 진행 중에 있음. 군산공장은 2024년 시운전을 시작으로 본격 공장 가동을 앞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주)휴스틸은 대구경 송유관 및 해상풍력 시장까지 진출할 예정. 본 투자가 완료되는 2025년에 (주)휴스틸은 연산 128만 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한 명실상부한 글로벌 종합강관사로 거듭나고 있음. 34. 3억불 탑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 수출품목 : 반도체용 피팅, 밸브, 레귤레이터, MFC, 필터, IGS, Gas Box 외 ▲ 수출실적 : 3억불 ▲ 담 당 자 : 신승연 (  051-970-6748 ) 공적내용 1995년 국내 최초 전해연마 기술개발을 통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UHP Fitting 제품을 시작으로 Valve, Regulator, Gas Filter, MGC, IGS (Integrated Gas System), Gas box, Gas panel, 등을 국산화한 기업으로써 현재 국내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UHP (Ultra High Purity) Market 분야의 시장점유율을 약 95%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동종업계로는 국내에서 No.1 업체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또한 국산화에 의한 국내시장 확대에만 안주하지 않고 수출 확대를 위하여 꾸준히 노력한 결과, 2020년 1억 불에서 올해 수출의 탑 수출실적 3억 불로 성장하는 등 기존시장의 대체 수요 확보 및 신규시장 개척에 주력 해오고 있음. 해외시장 확대의 일환으로 현재 아시아 지역에 수출이 집중되어 있으나, 미국 장비회사 L사, A사로부터 귀사의 제품 승인을 지난 8년간 지속해서 받음으로써 2021년 이후 급격한 수출 증대를 이루고 있음. 향후 중동, 인도, 중남미 지역까지 그 범위를 넓히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고, 현재 신규시장에서의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있음. 앞으로도 태광후지킨은 지속적인 고객의 발굴 및 수요 창출, 신제품 개발을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하여 미개척 지역으로의 진출을 확대하고 있음. 당사는 대만, 일본, 중국 등 해외기업들로부터 브랜드 등록(Vendor Registration)을 통해 해외시장을 공략해왔으며, 국내외 글로벌 기업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한 결과 해외 EPC, End-user 등의 수출을 통해 인지도를 확대해왔음. 이러한 당사의 마케팅 및 업체등록의 노력에 힘입어 해외에서의 당사 브랜드의 인지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에 이르렀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No. 1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를 통해 삼성, LG, SK-Hynix 외 Local 수출에 집중하였던 과거와는 달리 해외 직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이끌어내었음. 신규사업으로 수소충전소, 수소모빌리티에 적용되는 고압 제품을 개발 및 양산함으로써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지역 고객사로부터 2024년부터 가시화된 매출을 일으키고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매출향상을 기대하고 있음. 35. 2억불 탑 (주)건화 ▲ 수출품목 : 조선기자재 및 건설기계 제관부품 ▲ 수출실적 : 2.3억불 ▲ 담 당 자 : 최대근 (  055-240-9123 ) 공적내용 ㈜건화는 조선해양사업부(거제공장)와 건설기계사업부(창원공장)로 구성되어 있고, 건설기계 및 산림장비의 제관 부품, 초대형 선박 블록 등을 주요 생산품으로 하며, 30년 이상의 생산 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기업임.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경영혁신으로 2022년 매출 4,377억 원 창출, 연간 수출 2억 불을 달성했음. 조선해양사업부는 절단부터 도장 및 출하에 이르는 일관생산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조선 3사를 제외하고 국내 최대 규모의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초대형 선박블록 및 해양플랜트 등 선종이나 선형에 제한 없이 선주사의 요구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함. 이는 건화의 경영 철칙인 QCD(품질·가격·납기)경쟁력 확보를 더욱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음. 건설기계사업부는 1998년 IMF 외환위기 이후 불안정한 내수 시장을 넘어 시장의 판로를 국내외로 다변화함. 외부 변수에도 흔들리지 않는 유연성을 확보하고자 해외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여 2000년 일본 굴착기 제조업체에 제관품 공급을 시작으로, 2009년 미국, 2010년 뉴질랜드, 2013년 중국, 2015년 캐나다로 해외 영업을 확장하고 있음. 그 결과 당사는 2015년 수출 1억불 탑을 수상했음. 또한 ㈜건화는 기술혁신 및 생산효율 증대를 위해 끊임없는 교육과 연수를 통하여 VPS 등 세계적인 기업의 생산시스템을 학습하여 건화만의 독창적인 생산시스템을 확립하고, 2000년 이후 뿌리기술전문기업인증, KPIC 인증, 품질경영시스템인증, GL선급공장승인, 월드클래스 300기업 선정 및 성공적 국책 과제 수행 등을 순차적으로 이루어내 고객 만족과 환경 친화 경영시스템을 확립해 나가고 있음. 이와 함께 (주)건화는 협력업체 동반성장 구현, 지역사회 공헌 활동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음. 2021년에는 당사와 협력업체를 모두 아우르는 윤리, 인권, 환경경영 정책을 공표하는 등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ESG 활동을 확대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어, 2022년 VOLVO Group Korea의 공급자 평가에서 Sustainability 부문 최우수 공급업체로 선정되고, 세계적인 ESG 수행 전문 평가 기관들로부터 중견기업 부문 최고 수준의 등급을 인정받는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 36. 2억불 탑 ㈜엠플러스 ▲ 수출품목 : 이차전지 조립 장비 ▲ 수출실적 : 2억불 ▲ 담 당 자 : 최준호 (  031–235-7079 ) 공적내용 ㈜엠플러스는 리튬이온 배터리 전지의 국산화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3년도 설립되었음. 설립 초 FPD용 초음파 Scribe system 개발을 기반으로 하여 2008년 전기차 태동 시기에 GM 볼트에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을 하였던 개발 및 생산업체인 A123 시스템즈 사와 파우치형 조립 장비를 성공적으로 개발, 양산함으로써 이차전지 조립 장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함. SK이노베이션의 주요 파트너를 시작으로 해외공장(중국, 헝가리, 미국) 및 Our Next Energy, Envision AESC 등 유수의 해외 글로벌 고객사에 납품하고 있음. 20년 차의 중견기업인 당사는 본사와 제1, 2공장을 비롯해 R&D 센터와 해외법인 3곳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 연간 1,000억 원에서 3,000억 원으로, 그리고 현재 5,000억 원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음. 엠플러스의 주력 분야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조립공정’과 ‘각형 이차전지 조립공정’ 임. 배터리 셀의 제조공정은 전극 공정 → 조립공정 → 활성 공정 → 기타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그중 두 번째 조립공정 내의 노칭(Notching)→스태킹(Stacking)→탭 웰딩(Tab Welding)→패키징(Packaging)→디게싱(Degassing) 공정의 장비 일체에 대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대형 각형 전지에 대해서도 단자가 한쪽 방향으로만 나와 있는 탑 터미널뿐만 아니라, 양쪽으로 단자가 형성되는 사이드 터미널 타입 각형의 모든 조립 장비를 한꺼번에 공급할 수 있는 턴키(Turn-Key)제작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 독자 개발한 재산을 축적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외 등록된 특허는 69건, 출원 중인 특허는 33건으로 미래 선두 기술 산업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음. 22년 1억 불, 23년 2억 불의 수출실적을 보유한 당사는 전체 매출의 90% 이상이 수출 매출이며, 매년 20% 이상씩 성장하여 2030년 수출 1조 원 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음. 급격한 매출 성장과 함께 임직원 숫자도 지속해서 늘어감에 따라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다양한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을 실천해 나가고 있음. 37. 2억불 탑 SK바이오팜(주) ▲ 수출품목 : 의약품 ▲ 수출실적 : 2.2억불 ▲ 담 당 자 : 신지예 (  031-8093-0205 ) 공적내용 SK바이오팜은 1993년 사업의 태동 이래, 거대한 글로벌 신약 시장을 타깃으로 중추신경계 분야, 특히 뇌전증 분야의 혁신 신약 개발에 집중했음. 국내 최초로 신약 임상 후보 물질 발굴부터 글로벌 임상을 직접 수행했으며, FDA 신약 판매 허가까지 자사에서 진행하여 독자적으로 뇌전증 치료 신약 '세노바메이트'를 개발 및 상업화했음. 2019년 11월 미국 NDA의 승인을 받아 제품명 XCOPRI®로 미국 시장에 출시했으며, 스위스 Angelini社로 기술 이전 및 완제의약품 공급계약을 체결하여, 2021년 3월 유럽 EMA 승인을 받아 제품명 ONTOZRY®로 유럽 시장에도 진출함.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외에도 수면 장애 치료제 솔리암페톨을 기술 수출하였으며 FDA와 EMA의 승인을 획득함으로써 SK바이오팜은 국내 유일 FDA 승인 혁신 신약 2종을 개발한 제조사로써 발돋움하였고,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의 프런티어가 되었음. SK바이오팜은 원재료를 한국에서 캐나다 위탁제조처로 수출하여 완제의약품을 위탁 제조 및 위탁 포장하여 최종 완제품을 생산하고, 현지에서 바로 미국과 유럽 등으로 수출, 판매하는 위탁가공수출 형태로 수출 중임. 원재료 수출 금액과 임가공비용을 제외한 2023년 가득액은 총 $203,728,032.63 US달러를 기록했음. 글로벌 임상 시험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뇌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글로벌 임상을 수행하여, 세노바메이트의 차별화된 발작억제 및 발작완전소실 효과를 확인함. 부작용에 대한 미국 FDA의 Black Box Warning(약물의 심각한 유해 반응 또는 주의 사항에 대해 경고)이 없어 안전성을 확보했고, 주요 경쟁 제품이 하루에 두 번 복용하는 데 비해 SK바이오팜의 '세노바메이트'는 하루 한 번 복용으로 복용 편의성 확보했음. 혁신 신약 출시로 환자와 보호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여 사회적 가치 증대에 기여하고 있음. 또한 지역사회 일원인 기업 시민으로서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지역사회 지원을 필두로 다양한 지자체·사회적 기관 등 내외부 이해관계자들과 협업을 통한 사회공헌활동을 펼쳐가며 공동의 행복 추구하고 있음. 38. 2억불 탑 남성해운(주) ▲ 수출품목 : 컨테이너 운송 ▲ 수출실적 : 2.7억불 ▲ 담 당 자 : 박정우 (  02-772-8855 ) 공적내용 남성해운(주)는 1953년 8월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외항선사로, 70년 이상의 역사와 경험, 고객 중심의 편리한 물류 정보시스템과 아시아 60여 개 주요 물류거점을 바탕으로 한일항로 전문선사의 기반 위에 중국과 동남아 항로를 연계시키는 컨테이너 정기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년 11월 공표한 “BEYOND Shipping, Engineering the Future”라는 캐치프라이즈 아래, 기존의 강점인 Port to Port 서비스 기반으로 한 Extended Logistics 서비스로의 확장, 신사업 진입을 통한 지속 성장, 물류 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에 힘쓰고 있음. 이를 통한 對고객 서비스 혁신 및 내부 운영 효율성 혁신을 바탕으로 최근 3년간의 수출실적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지난 3년간 각 2억 2천만불, 3억 1천만 불, 그리고 2억 7천만 불을 기록하며 약 20%의 수출 성장률을 달성함. 오랜 해상운송 네트워크 경쟁력을 기반 국내외 지역 내륙 거점/운송 인프라와 멀티모달 서비스를 연계한 End-to-End & One-Stop 서비스 제공, IoT 장비 및 물류 플랫폼 도입 등을 통해 고객의 편의성, 접근성과 물류 가시성을 강화하고 보다 긴밀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또한, Cloud 기반의 당사 차세대 코어시스템 ICON+, RPA, Smart Ship 기술 등을 연계하여 디지털화 되어가는 물류 산업의 미래에 적극 대응하고 있음. 동시에 ESG 경영과 국내외 환경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노후 선박 5척을 매각 후 친환경 선박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평균 선령 7년 수준의 젊은 선대를 활용하여 에너지 및 오염물질 규제 준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선박 운영 효율성을 높여 고품질의 해상운송 서비스를 제공함. 더불어 국내 조선소와 국내 금융만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및 국내 중소 기자재 업체의 고용과 매출 확대 등 조선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39. 2억불 탑 아진산업(주) ▲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2.3억불 ▲ 담 당 자 : 홍준호 (  053-859-9158 ) 공적내용 아진산업(주)은 1978년 설립되어 자동차 차체 부품과 전장부품을 개발,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및 해외 주요 완성차 업체에 차체/섀시부품을 공급하고 있음. 글로벌 사업망 확충을 위해 2006년 중국 상해법인 설립을 필두로 2008년 미국 알라바마 법인, 2013년 중국 염성 법인을 설립했음. 해외공장 매출은 설립 이후 매년 13% 이상의 매출 증대를 이루었으며 국내와 해외 생산 CAPA 확충으로 2022년 5,970억 원의 매출과 2,670억 원의 수출실적을 달성했음. 전기자동차, 고효율 자동차 및 친환경 자동차의 수요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하여 2004년부터 친환경 차체 부품의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개발 및 R&D에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으며 160여 건의 차체/전장 관련 지식재산권 특허를 보유 중임. 친환경, 경량화 차체 부품의 핵심 보유 기술로서 하이브리드 탄소 복합재료 접합 및 성형의 최적화 설계기술, 고진공 다이캐스팅 성형, 초고장력강 차체 설계기술 등을 보유하고 중장기 목표로서 친환경 부품 성형기술 세계 1위를 위해 전 임직원이 매진했음. 아진산업은 다양한 인재 육성 및 인재 채용 방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채용프로그램으로 대학생 해외 현장 실습프로그램이 있으며 지역대학들과 산학 협약을 체결하고 졸업 전 6개월간 미국법인에서 실습 후 100% 채용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또한 특성화고 채용/육성 프로그램으로 지역 특성화고 학생을 채용하여 국내 1년 현장실습을 실시하고 실습 기간동안 지역대학교에 “아진금형학과”를 개설하여 학습을 지원, 전문학사로 졸업할 수 있으며 본인 희망 시 4년제 대학 편입하여 학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현재 미국 조지아주에 4,400억 원을 투자하여 전기차 부품공장인 JOON,조지아 공장을 착공 중이며 2024년 상반기 완공 예정임. 현대차 협력 부품기업으로 ‘현대차메타플랜트아메리카’에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동반 진출하였고 완공이 후 본격적인 전기차 부품 양산 예정에 따라 2025년 2조 원 이상의 매출 증대가 예상됨. 40. 2억불 탑 에이치엘홀딩스 주식회사 ▲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2.4억불 ▲ 담 당 자 : 장성훈 (  02–526-0643 ) 공적내용 HL홀딩스는 HL그룹의 기업가치와 주주가치 제고를 선도하는 사업지주회사로서, Mobility Service, Logistics Service, Cold Chain Service 등의 비즈니스를 영위하고 있음. HL홀딩스 비즈니스 핵심은 “연결”로 익숙한 것들을 혁신하고 미지의 것들을 연결하여, 고객의 한계 없는 Higher Life를 실현해 나가고 있음. 2022년 연간 기준 매출 1조 2,533억 원, 영업이익 858억 원을 달성하여 코로나 이후 실적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2022년 기준 전체매출의 약 4,897억 원의 39%가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해외 매출 증대를 위해 자동차 부품 전시회 참가 및 글로벌 전기차 제조사와 협업을 확대하고 있음. 2023년 11월에는 국내 화성센터를 개소하여 기존의 보수용 자동차 부품 유통뿐만 아니라 출고 전 검사 및 재상품화 등의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여 부품 유통을 넘어선 서비스 회사로 사업 모델과 영역을 지속 확대하고 있음. 또한 HL홀딩스는 직원들의 복지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음. 코로나 기간에는 전 직원의 안전을 위해 원격 근무제를 빠르게 도입하였으며 코로나 이후로도 원격 근무제를 지속 운영하여 직원들이 효율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음. 이외에도 출근 및 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운영하는 유연 근무제를 운영하여 직원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음. ESG 경영을 위해 2023년부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체계화하여 탄소 배출량을 집계, 관리하는 노력을 시작하였으며, 향후 협력사들의 참여를 확대하여 기업의 전 밸류체인 상에서 온실가스 저감 활동을 지속해 나갈 예정임. 또한 공급망 ESG 관리의 경우도 다수의 영세한 협력사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다양한 지원 정책들과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채널 확대를 통해 눈높이에 맞는 HL만의 상생 모델을 구축할 계획에 있음. 41. 2억불 탑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2.5억불 ▲ 담 당 자 : 이현주 (  053-610-1446 ) 공적내용 1984년 대구 달성산업단지에서 세계 제일의 자동차 부품 회사를 실현한다는 야심 찬 목표를 가지고 출범하여, 국제 규모의 첨단 자동차 부품 연구 및 생산설비를 갖추고 구동장치, 제동 및 조향장치, 자율주행시스템, 전기차 제어장치 등 자동차 주요 핵심부품 및 모듈을 생산하고 있음. 당사는 수출 비중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으로 주요 수출국인 미주 고객 및 프로그램 신규 창출로 수출 물량 극대화가 되도록 노력하였고, 남미, 동남아, 동구권으로의 고객 및 지역 다변화를 통해 영업 확대를 시도함. 주요 수출국은 미국을 포함한 미주 (60%), 우즈벡을 포함한 동구권 (34%), 독일을 포함한 유럽권 (4%) 및 기타로 구성되어 있음. 주요 고객은 Stellantis, Rivian, Volkswagen, GM, Maserati, Porsche. Daimler Fuso 등이며, 주요 수출 품목은 구동 부품 (57%), 제동/조향 부품 (27%), 그리고 전장 전자/자율주행 부품(16%)으로 구성되어 있음. 당사는 '고객 만족'을 우위에 놓고 가격/디자인/품질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에 초점을 두어 적기 내 공급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 당사가 개발한 자동차 부품,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에 대해 국내 전시회에서 기술력을 검증받음. 이를 새롭게 사업을 시작한 베트남 자동차 Vinfast에 여러 차례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선제 대응 및 차별화된 기술력을 통해 Vinfast 3개 차종에 대해 수주, 프로그램 기간 매출 1,000억 원 규모의 성과를 달성함. 일본 고객사, Daimler Fuso에 기술력,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타 업체(일본)가 공급하던 Halfshaft (차량 구동 시스템)을 당사 제품으로 전환하는 성과를 이뤄 당사 제품이 전기차에 적용되는 계기가 됨. 또한 자동차(승용, SUV, Pick Up Truck) 외에 오프로드/레저 차량 부품사업에 진출했고,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사양을 개발하고 Buyer와 적극적으로 협의하여 세계 굴지의 회사인 Polaris로부터 Alternator(발전기), Brake(제동장치)를 수주하는 성과를 이루었음. 42. 2억불 탑 주식회사 대유이피 ▲ 수출품목 : 차량용 플라스틱 부품 ▲ 수출실적 : 2억불 ▲ 담 당 자 : 성영수 (  070-7775-4206 ) 공적내용 (주)대유이피는 1970년 오성화학공업으로 설립되어 2006년 ㈜신기인터모빌로 상호를 변경하여 사업을 영위하던 중 2022년 대유위니아그룹과 지분거래를 통하여 대유위니아그룹으로 편입되어 ㈜대유이피로 상호를 변경했음. 현대기아차 1차 협력업체로 플로어 콘솔, 인테리어 트림, 칵핏모듈, 프론트 트렁크, 휠 가드, 에어 그릴 셔터 등을 양산 판매 중이며 친환경차 및 미래 차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전동화, 저소음, 지능화, 경량화, 다기능 활용성의 내장 부품으로 다변화하여 향후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플랫폼 전용 내장 부품의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성장하고자 지속적인 기술개발 투자에 노력하고 있음. 2015년 수출탑 1억불 탑 업체로서 주요 수출국으로는 미국 및 유럽 90%, 베트남 1%, 기타 8%로 구성되어 있음. 베트남의 빈패스트와 신규차종 계약으로 인한 직수출 증가를 기대하고 있으며, 푸조, 크라이슬러, 마세라티 등의 세계적인 자동차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는 다국적 자동차 회사인 스텔란티스와 수주거래를 위하여 2023년 협력사 자격을 획득하여 2024년 직수출 거래를 목표로 신규아이템 입찰을 위해 노력을 지속 중이며, 대유위니아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협력하여 글로벌시장 및 현지화 대응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2005년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전체인원의 15%의 전문연구원을 구성하고 있으며 2021년 8건, 2022년 9건의 국내외 특허를 출원하였음. IATF 16949, ISO 45001, ISO 14001 등의 표준인증을 획득함과 동시에 현대기아차에서 주관하는 품질 5스타, 상생협력 5 스타, 납부 5 스타, 신차 품질 최우수 협력사 등을 수상하며 항상 최고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음. 대유위니아그룹 편입 후 신규설비 투자 및 직원고용 등을 통한 제품 내재화의 증가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품질향상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음. 43. 2억불 탑 주식회사 보림 ▲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2.1억불 ▲ 담 당 자 : 최승현 (  041-580-4056 ) 공적내용 주식회사 보림은 1997년에 설립되어 국내 최대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 기아차에 납품하는 2차 공급사임. 자동차 전장부품인 WIRE HARNESS의 제조와 납품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업체로 충남 천안에 본사 및 사업장, 중국의 5개 생산법인, 필리핀의 2개 생산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수출실적은 2020년 1억 2천만 불, 2021년 1억 4천만 불, 2022년 2억 불을 달성했음. 노동집약적인 공정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기업 전반의 성장전략 수립과 미래 동력 발굴을 위해 2002년 중국에 첫 해외 생산법인 설립하였고, 안정적인 인력 수급 및 사업 환경의 다각화를 목표로 2019년에는 필리핀에 진출하여 동남아시아로 사업영토를 확장함. 해외 생산 기반 시설의 투자를 통해 안정된 고객 대응 및 부가적인 원가절감의 노력 등 지속적인 외적 성장과 내실 있는 경영전략을 추진해 나가고 있음. 2022년에는 고객의 해외 판매 실적과 신규차종 수주 등에 힘입어 최대 매출액을 달성함. 더불어 수출단가가 높은 고급 브랜드와 친환경차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수출액 또한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음. 현재 기존 양산 차 외 신차 개발 및 상품성 개선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매출 확대가 예상됨. “가족과 이웃에게 희망을 주는 기업”, “사회에 공헌하는 기업”이라는 경영이념을 실현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지역 특성화 고교와 인재 양성 및 취업 활성화를 위한 협약을 맺고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고 있으며, 인접 대학 장학금을 지원하는 등 지역사회와 동행하는 지속적인 사회공헌활동을 실천하고 있음. 내부적으로는 ‘직원이 먼저 행복해야 고객에 감동을 줄 수 있다’라는 믿음으로 임직원 모두가 일과 삶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복지제도를 운영하며 직원과 회사가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조직문화 조성에 힘쓰고 있음. 44. 2억불 탑 (주)휴맥스네트웍스 ▲ 수출품목 : 무선 통신장비 ▲ 수출실적 : 2.1억불 ▲ 담 당 자 : 김두현 (  031-606-8459 ) 공적내용 휴맥스네트웍스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사업 파트너 및 고객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돕는다’라는 Mission과 ‘모든 사람, 모든 장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세상에서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Broadband 장비의 공급’이라는 Vision 아래 2019년 11월에 26일 설립되었으며, 우수한 글로벌 제조/유통망을 보유한 Top-tier 네트워크/AP 장비 제조/공급업체로써 특히 미국과 일본 등의 해외 주요 통신망 사업자를 대상으로 우수한 납품 실적을 통해 세계 각국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임. 휴맥스네트웍스의 주력사업인 브로드밴드 게이트웨이(Broadband Gateway) 산업은 5G 시장의 본격적인 투자 확대와 함께 초실감 UHC 영상 서비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서비스의 재개와 7세대 와이파이 등 대용량의 대역폭이 필요한 고품질 서비스의 기반 시설 확보를 위한 투자 확대로 인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산업임. 이러한 시장환경에서 미주, 일본, 태국 등 다변화된 지역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동시에 주요 고객인 통신 사업자 각각의 개별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력과 합리적인 공급가격, 총매출의 8%에 이르는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 등의 노력한 결과, 2021년 매출액 1,023억 원에서 2022년 매출액 3,666억 원으로 약 258% 증가시켰으며, 2023년에는 매출액 약 6,000억 원을 예상하고 있음. 종업원 수 또한 2020년 131명에서 2023년 6월 기준 189명으로 44% 증가시킴으로써 국가 경제 발전 및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였음. 최근 휴맥스네트웍스는 휴맥스네트웍스 미국, 일본, 태국법인 설립에 이어 2023년 하반기 유럽법인을 독일에 설립 완료하여 유럽의 통신 사업자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기기 수출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 동시에 인도와 브라질의 브로드밴드 게이트웨이(Broadband Gateway) 신시장 개척에 힘쓰고 있음. 45. 2억불 탑 티이엠씨㈜ ▲ 수출품목 : 산업용 특수 가스 ▲ 수출실적 : 2.6억불 ▲ 담 당 자 : 김규화 (  043-298-3333 ) 공적내용 티이엠씨㈜는 2015년 1월 26일에 설립되어, 반도체 공정용 특수가스를 전문적으로 제조하는 기업임. 가스 합성 및 수전해 기술, 희귀 가스를 추출 및 분리하는 기술, 특수가스를 정제ㆍ혼합ㆍ충전하는 기술을 비롯하여 특수가스 제조의 모든 공정을 내재화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당사는 특수가스 생산에 필요한 Total 기술을 이용하여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하는 특수가스 제조를 국산화하고 있음. 2017년 1월에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 연구개발 체계를 갖추었음. 특히, 특수가스 개발 및 제품 양산화와 관련하여 연구개발과 생산의 연계 활동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음. 원료, 정제, 충전/패키지, 검사/측정까지 전 공정에서 경쟁력과 기술력을 보유한 덕분에 물류대란, 미중 무역 분쟁 등 공급망을 위협하는 상황 속에서도 당사는 반도체 핵심 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었음. 특수가스의 경우 국내 생산량 제로,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으나, 당사의 “추출, 분리, 정제, 분석”까지의 전 프로세스 원천기술 확보와 제조공정 내재화로 진정한 국산화를 실현하여, 글로벌 업체 대비 80% 수준의 투자비 절감 및 국내 반도체 기업에 공급 가능한 최고 수준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였음. 개발 및 공급 전략 수립으로 선제적 기술을 확보하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점에 공급해 상생할 수 있는 모델을 지속적으로 만들어가고 있음. 고객 요구사항에 맞는 제품을 만들기 위하여 ISO9001(품질경영시스템), ISO14001(환경경영시스템), ISO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핵심 전략기술 분야에서 미래 성장 잠재역량을 갖춘 기업을 선정하는 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에 2023년 3월 22일부 선정되었음. 46. 2억불 탑 한전원자력연료㈜ ▲ 수출품목 : 원자력연료 ▲ 수출실적 : 2.7억불 ▲ 담 당 자 : 허지호 (  042-869-3736 ) 공적내용 한전원자력연료(주)는 원자력 연료 설계 및 제조를 동시에 수행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으로 지난 40여 년 동안 원자력 연료 제조 및 설계기술을 국산화하여 고성능·고품질의 연료를 국내 원전은 물론 UAE 원전에도 공급하고 있음. 동시에 아랍에미리트 원자력 발전사(ENEC)에서 핵연료 공급 안정성 확보를 위해 추진하는 핵연료 공장 건설 및 O&M 입찰에 참여하여 수주를 위한 활동을 진행 중임. 고품질의 원자력 연료 제조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피복관, 상‧하단 고정체, 지지격자, 연료봉 스프링 등과 같은 원자력 연료의 핵심부품과 원자력 연료 부품 제조 장비, 사용 후 연료 성능검사 장비, 원자력 연료 공장 건설 관련 기술 등을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중국, 캐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일본 등에 수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출실적을 인정받아 2.4억불의 수출실적을 기록함. 또한 해외사업 경험과 고유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원전 유관기관과 함께 Team Korea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체코 등의 해외 신규원전 플랜트 사업을 수주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음. 원자력 연료는 국제 기술표준과 인허가 요건, 안전 규제 요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되며 개발된 제품은 기계적·수력적·열적 시험을 통해 건전성과 안전성 만족 여부를 엄격히 검증함. 고성능 연료 개발을 위한 R&D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독자 기술 소유권이 확보된 원자력 연료(HIPER) 개발을 완료하고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음. 한전원자력연료의 원자력 연료 설계·제조 역량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원전 운영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원전 이용률 달성에 기여하고 있음. 창립 40주년을 맞이하여 새로운 비전 2035 ‘미래를 위한 원자력, New Global Standard 한전원자력연료’을 수립하여 다가오는 변화의 시대에 맞춰 회사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움. 또한 2035년까지의 경영 목표로 ▲매출액 6,000억 원 달성(해외 매출 비중 30%) ▲K-Taxonomy 선도 원전 연료 기술개발 ▲지속가능경영 실현을 설정하여 추진 중임. 대내외적으로 원자력 산업이 장려되는 상황에서 한전원자력연료는 원자력이 미래와 후대를 위한 에너지원으로 발돋움하도록 주도하는 데 이바지하고, 원자력 연료 분야의 미래 기술‧안전‧품질 등의 새로운 기준으로 도약하여 글로벌 원자력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앞으로도 노력할 것임. 47. 1억불 탑 ㈜덴티움 ▲ 수출품목 : 임플란트‧치과용 의료기기 ▲ 수출실적 : 1.9억불 ▲ 담 당 자 : 박병준 (  070-7098-9126 ) 공적내용 덴티움은 치과 의사와 전문가들이 참여해 2000년 6월에 설립되었음. 임플란트 제품을 주력으로 치과용 의료기기 및 디지털 장비 등을 개발, 생산, 판매하는 기업임. 2003년 유럽 CE 인증을 시작으로 2004년 미국 FDA 등 제품의 안정성을 인정받아 국내 임플란트 시장점유율 2위, 전 세계 점유율 6위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임. 2022년 기준 전체 매출액은 3,558억 원이며, 그중 해외 수출액은 2,853억 원으로 80%가 해외에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수출 비중 중 중국이 약 50% 비중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 동남아시아, 일본, 러시아 등 전 세계 77개국에 임플란트 제품을 수출하고 있음. 덴티움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서 생산 비중의 91%가 자체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제품임. 주력 상품인 임플란트는 국내 최초 SLA 표면 처리 방식의 기술을 개발하여 제품의 높은 안정성을 기반으로 국내 유일 22년 이상의 장기 임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음. 임플란트 장기 생존율에 관한 논문은 SCI급 저널에 게재되며 우수성을 입증받았으며, 논문 내 총 242개의 임상 사례는 엄격한 심사 기준에서 97.9%라는 높은 생존율로 안정성이 입증되었음. 매출액 1조 원 및 글로벌 2위 시장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개발을 추진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장기적인 목표로는 글로벌 생산시스템 수직 계열화를 통해 매출 성장과 글로벌 시장 MS 고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매년 국내/해외 고객 대상으로 대규모 자체 심포지엄 개최하고 있으며, 다양한 임상적 학술지원으로 좋은 제품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음. 48. 1억불 탑 ㈜디에스시 ▲ 수출품목 : 시트프레임 ▲ 수출실적 : 1.1억불 ▲ 담 당 자 : 주윤정 (  031-8067-0104 ) 공적내용 ㈜디에스시는 1979년 4월 20일에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으로써 44년간 자동차 시트의 골격을 구성하는 시트프레임을 전문으로 생산하고 있는 기업임. 그간 축적된 생산 기법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기술 첨단화를 실현하여 기업 경쟁력을 높여왔으며, 국내 자동차 시트프레임 업계의 70%에 해당하는 시장점유율을 확보하는 등 국가 기간산업인 자동차 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음. 국내 자동차 시트프레임 시장을 넘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함에 따라 중국, 터키, 체코 해외 3개국에 4개 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본사인 ㈜디에스시동탄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선진 기술력과 위상을 전 세계에 입증하고 있음. 높은 기술력과 품질수준을 기반으로 고객 다변화 및 현지화 노력에 최선을 다하여 중국,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과 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 유럽, 미주 등으로 수출하고 있음. 그 결과 지속해서 수출액이 증가하여 2016년 7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한 바 있으며, 금년도에는 1억불탑을 신청하게 됨. 기업의 사회공헌에 대한 실천으로써 임직원의 50% 이상이 지역주민들로 구성되어 지역사회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음. 이와 더불어 임직원의 즐거운 회사 생활을 위해 다양한 복지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각종 사내 캠페인 진행을 통해 소통하는 기업문화 또한 정착했음. 49. 1억불 탑 ㈜디에스시동탄 ▲ 수출품목 : 시트프레임 ▲ 수출실적 : 1.8억불 ▲ 담 당 자 : 주윤정 (  031-8067-0104 ) 공적내용 ㈜디에스시동탄은 1979년 4월 20일에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으로, 44년간 자동차 시트의 골격을 구성하는 시트프레임을 전문으로 생산하고 있는 기업인 디에스시그룹의 본사임. ㈜디에스시동탄을 본사로 둔 디에스시그룹은 경주, 광주, 아산 등에 각각 국내 법인이 소재하고 있으며, 국내외 총 25개 공장을 운영하는 글로벌 기업임. 그간 축적된 생산 기법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기술 첨단화를 실현하여 기업 경쟁력을 높여왔으며, 국내 자동차 시트프레임 업계의 70%에 해당하는 시장점유율을 확보하는 등 국가 기간산업인 자동차 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음. 해외 8개국 25개 기업을 대상으로 자동차 부품 수출에 전력을 다한 결과, 2020년도 1억 2백만 불, 2021년 1억 2천 9백만 불, 2022년 1억 8천 2백만 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하며 매년 수출실적 최고치를 경신해 오고 있음. 경영의 핵심 가치인 인재 육성과 세계 일류의 독자적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2001년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기술 및 제품 개발에 혼신의 노력을 다하고 있음. 연구 성과로는 자동차 시트 허리 지지대, 시트 회전 장치 등의 개발을 완료하여 양산 중임. 총 271건의 특허와 21건의 디자인을 포함한 연구개발 실적을 쌓아왔으며, 다수의 특허출원이 심사 중임. 또한 연비 절감 목적의 차량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과 신소재를 이용한 차량용 시트프레임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 상용화를 실현하였으며, 연구개발과 투자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음. 그뿐만 아니라 TS16949 / ISO14001 인증 획득으로 자동차 시트 분야에서 품질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왔으며, 최상의 품질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음. 이와 더불어 임직원의 즐거운 회사 생활을 위해 다양한 복지제도를 시행하고, 각종 사내 캠페인 진행을 통해 소통하는 기업문화를 정착했으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음. 50. 1억불 탑 ㈜비츠로셀 ▲ 수출품목 : 리튬 일차전지 ▲ 수출실적 : 1.1억불 ▲ 담 당 자 : 조희준 (  02-2024-3246 ) 공적내용 ㈜비츠로셀은 1987년 설립되어 35년 이상 리튬 일차전지를 연구, 개발해왔으며 세계 리튬 일차전지 시장(약 7천억 원)의 약 20%를 점유하고 있는 세계 3위, 국내 1위의 리튬 일차전지 및 이차전지 소재 전문 제조업체임. 전 세계 50여 개국 250여개의 고객사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미주, 유럽, 인도, 대한민국 등에서는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음. 2023년 6월 기준 수출 1억 1천만 불, 재무적 성과로는 매출액 1,719억 원, 영업이익 365억 원을 달성하였으며, 2022년 기준 전체매출의 약 80%가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음. 스마트 그리드 및 원격검침기 최적의 전원인 하이브리드 솔루션(리튬 일차전지 & 슈퍼캐패시터) R&D 및 양산을 내재화한 세계 유일한 기업이며, Oil&Gas 분야에 사용되는 고온전지 분야에서도 선도업체들이 사업화에 성공하지 못한 FAT-D 전지(보다 Speedy하고 정확한 Drilling을 가능케 하는 RSS(Rotary Steerable System)이 적용된 Advanced 시추장비에 최적화된 전지) 개발 및 세계 최초로 사업화에 성공함. 앰플전지, 열전지 등 군용 특수전지 시장에서의 영향력도 확대될 전망임. 2008년부터 2022년까지 매출의 성장뿐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2008년 165명의 직원은 2022년 385명으로 약 2.3배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6% 이상, 매년 약 16명의 인력 고용, 설비투자 등을 통해 경제 유발효과를 창출하고 있음. 특히 연구 인력의 경우 2007년 17명에서 2022년 53명으로 3배 이상 증가(*Kota 연구인력 등록 기준)하였음. 2018년 4월부터 당진시에 통합 신축공장(이하 스마트 캠퍼스)을 운영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이전 공장 대비 3배 규모에 생산 CAPA는 2배 이상 증가함. 전 세계 스마트 그리드 시장, 고온전지 시장, 군용 특수전지 시장 등의 성장에 적극 대응하면서, 필름형 전지, 특수목적용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소재 등 신제품에도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음. 지난 7월에는 한국거래소에서 선정하는 코스닥 ‘라이징스타’ 기업에 3년 연속 선정되어 우수한 기술력과 지속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음. 51. 1억불 탑 ㈜실리콘투 ▲ 수출품목 : 화장품, 식음료, 음반 ▲ 수출실적 : 1.3억불 ▲ 담 당 자 : 이승호 (  031-789-3850 ) 공적내용 ㈜실리콘투는 K-Beauty 브랜드 제품을 자사 플랫폼인 'Stylekorean.com'을 통하여 전 세계 150여 개의 국가에 E-Commerce 역직구(Retail) 판매 및 기업 고객에게 수출하고 있음. 해외 지사를 이용한 현지화 사업 및 국내 유통 회사 최초로 AGV(Automated Guided Vehicle) 물류 로봇 시스템을 기반으로 고도화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Retail/Wholesale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임. ㈜실리콘투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투자 지원을 진행하고 있음. 지분 투자한 브랜드의 성장을 돕고, 투자사의 성장에 따른 수혜를 당사가 공유할 수 있기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매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음. 투자 브랜드 회사들은 당사의 투자 이후 높은 매출액 성장을 기록하며, 브랜드 회사의 매출 상승은 스타일코리안 플랫폼 내에서 이루어짐. 당사의 매출 또한 증가하는 효과를 기록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투자 수익 확보도 가능하여 유용한 전략으로 판단했음. 또한 국내 뷰티 업계 최초로 AGV(Automated Guided Vehicle 물류용 자율 주행 로봇) 시스템을 도입하여 국내 브랜드 해외 수출 및 재고관리 향상에 기여함. 현재 일본의 마켓플레이스 큐텐 외 티몰, 라자다 등 다수의 K뷰티 정식 브랜드 관에서 풀필먼트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음. 풀필먼트 서비스를 통해 한 곳에서 주문부터 배송까지 ONE-STOP으로 가능해 신속하고 정확한 물류 서비스를 누릴 수 있으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브랜드사에는 최적의 물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음. 중소기업들이 실제로 가장 갖추기 어려운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했음. 뿐만 아니라 롱테일 비즈니스를 통해 중소 브랜드 사들에게 해외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가능성 있는 브랜드에 소액 지분 투자를 통해 적극적 성장을 도모함으로써 자사의 판매, 물류, 마케팅, IT 시스템을 통한 K-Beauty 브랜드의 해외 퍼블리셔로써의 역할을 수행함. 내부 인력, 물류 센터, 자본 등이 부족해 해외 진출이 어려운 K-Beauty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브랜드 육성을 지원함. 현지 국가에서 원하는 화장품 타입에 맞게 브랜드 소싱과 이에 맞는 소구포인트 분석 후, 국가별 판매 플랫폼에 맞춘 전략을 함께 수립했음. 52. 1억불 탑 ㈜알멕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1억불 ▲ 담 당 자 : 김동하 (  055-276-0408 ) 공적내용 알멕은 알루미늄 압출 전문 업체로 전기차 자체 및 플랫폼 부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현재 폭발적으로 성장 중인 해외의 전기차 시장을 대상으로 공급을 진행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알멕은 1973년 창사 이래 국내 산업 발전에 발맞춰 건축자재에서부터 자동차부품으로 사업을 발전해 왔고 GM Korea 및 쌍용자동차 1차 협력사로는 유일하게 알루미늄 주조, 압출, 가공, 조립, 표면처리 공정까지 일관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다년간의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당사는 2016년부터 전기차용 자동차 부품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였으며, 매년 꾸준한 매출신장세를 시현해 오고 있음. 알멕의 수출실적은 세계적으로 EV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당사의 압출 부문의 EV Components를 중점으로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전체 수출실적은 2021년도 대비 2022년 실적은 89% 증가하였고, 이 중 EV components 분야는 전년 대비 200% 이상 증가하였음. 국내 2차전지 제조사인 LG에너지솔루션 및 SKON에 전기차 배터리 모듈케이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납품된 제품은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인 폭스바겐(Volkswagen), 아우디(Audi), 포르쉐(Porsche), 재규어랜드로버(JLR), 포드(Ford) 등에 공급되고 있음. 2022년에는 미국 NASDAQ 상장사인 Rivian Automotive, Inc의 협력사로 선정되어 전기차 자체 및 플랫폼 관련 대규모 사업을 수주 및 공급 중이며 지속가능한 전기차 플랫폼 제조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음. 2023년 6월 알멕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발판 삼아 500억 규모의 투자 유치 및 4년간 주관한 IPO를 완료하며, 코스닥 상장에 성공했음. 53. 1억불 탑 ㈜에이치알이앤아이 ▲ 수출품목 : 특장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권동욱 (  063-540-5562 ) 공적내용 국내 최초로 사다리차를 개발한 회사로 1990년에 (주)호룡을 설립하였으며, 2022년에 (주)에이치알이앤아이로 사명을 변경하였음. 해외기업과의 기술제휴 및 연구, 개발을 통해 현재의 알루미늄 붐 형태의 고가사다리차를 상용화하였으며, 이후 2002년에는 사람이 탑승하여 고소작업을 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 2013년에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미니 크레인, 2020년에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굴착기를 출시하는 등 기업의 미래 성장동력원을 친환경제품으로 정하고 제품군을 기존 디젤엔진 제품에서 친환경제품으로까지 확대 중에 있음. 1997년에 설립된 기업부설 연구소에서는 내부적으로 수립한 개발로드맵에 따라 자체 연구과제와 정부 R&D 과제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여 현재의 기술력에 안도하거나 안주하지 않고 시대가 필요로 하는 기술을 선제적으로 발굴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등록된 특허권 52종을 보유하고 있음. 해외 현지의 사용 용도, 사용 환경, 선호도 등에 맞는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2020년 1천 4백만 불, 2021년 3천만 불, 2022년 1억만 불의 수출을 하여 연평균 169%의 수출 신장을 이룰 수 있었으며, 글로벌 친환경 지능형 플랫폼 기업으로 변모하기 위해 지속적인 기술개발하고 있는 한편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을 위해 친환경제품의 북미 및 유럽시장 개척을 하고 있음. 또한, ISO9001, ISO14001 인증을 취득하여 제품에 대한 품질뿐만 아니라 환경까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나눔을 실천하기 위해 2014년부터 임직원들과 함께 소년, 소녀 가장에게 매월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연말 불우이웃돕기 성금 기탁, 다문화가정 친정 나들이 후원, 지역축제 후원과 같이 이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고 있음. 여기에 김제 사랑장학재단과 전북대학교에 후원금 및 발전 기금을 기탁하여 지역인재양성에 기여하고 있음. 54. 1억불 탑 ㈜에이치엘클레무브 ▲ 수출품목 : 자동차용 전자부품, 자율주행 솔루션 및 센서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문형락 (  031-5179-8048 ) 공적내용 자율주행 전문기업 HL클레무브는 미래 자율주행 및 자동차 전동화 시장을 선도하고자 지난 2021년 HL만도의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사업부를 분사한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와 전장품 제조기업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의 합병을 통해 설립되었음. 자율주행 및 ADAS에 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핵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차량 전동화에 필수적인 고품질의 자동차 전자부품의 설계 및 제조를 전문으로 하고 있음. HL만도 ADAS 사업부 당시 국내 자율주행 산업의 태동기였던 2014년부터 국내 최초로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ACC, Adaptive Cruise Control)’ 기능에 필요한 장거리 레이다 센서의 국산화를 성공시킨 데 이어 2018년에는 중거리 레이다, 2022년에는 근거리 레이다 독자개발에 성공하면서 자율주행 기능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Full Line-up 레이다를 보유하게 되었음. 여기에 2021년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와의 통합 시너지 효과로 소프트웨어 설계와 제품 개발, 생산으로 이어지는 자율주행과 관련한 완전한 벨류체인을 갖춘 몇 안 되는 회사로 독보적인 경쟁력까지 보유함. 현재는 완전자율주행을 위한 제품 중 하나인 3D 안테나를 적용한 초고성능 레이다 개발에 주력하는 중에 있음. 이렇듯 10년 넘게 자율주행 솔루션 사업을 이어오면서 ‘인지, 판단, 제어’라는 자율주행 구현을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요소 기술을 모두 보유하게 되었으며 2,200건 이상의 특허와 이를 바탕으로 2,000만 개 이상의 ADAS 제품을 공급해 온 독보적인 이력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그 기술력과 경쟁력을 높게 인정받고 있음. HL클레무브는 한국 본사를 중심으로 인도, 중국, 북미 등에도 연구 및 생산 거점을 구축해 지역별 맞춤형 자율주행 기술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며 해외시장을 활발히 개척하고 있음. 특히 자율주행 신흥 시장으로 주목받는 인도를 타겟으로 현지화된 자율주행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 현재 인도 현지 자율주행 시장 1위를 선점 중임. 회사의 수출은 2023년 1억불을 달성하였으며, 최근 3개년 연평균 수출 증가율은 14%로 안정적으로 성장해 왔음. 55. 1억불 탑 ㈜엘오티베큠 ▲ 수출품목 : 반도체 진공펌프 ▲ 수출실적 : 1.8억불 ▲ 담 당 자 : 황진호 (  031-8036-5721 ) 공적내용 ㈜엘오티베큠은 2002년 창립 이래 Dray Vacuum Pump 제품의 개발,제조,판매 및 수리 등 모든 Life Cycle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진공펌프 업체로, 보다 체계적이고 일원화된 관리를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만족을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음. 고객 만족을 위하여 현재 한국 본사 외, 미국과 중국에 현지법인 설립 및 운영 중에 있으며. 당사는 반도체, Display, Solar, General Industry에 사용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DD, HD, RD, LD, GHD Series로 약 44,000대 판매하였고, 대한민국 반도체/디스플레이/태양광 장비 산업의 기반 기술 확보를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건식 진공펌프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국내ㆍ외 총 30여 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2003년 11월 미국으로의 첫 수출을 시작으로 20년간 꾸준히 해외시장 확장을 위하여 노력을 지속한 결과, 현재 해외 반도체, 태양전지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 고객에게 수출을 진행하고 있음. 자사에서 자체 개발한 HD 시리즈의 신규 모델이 해외시장에서 크게 각광을 받으며, 최근 몇 년간 수출실적 증대에 지대한 기여를 하였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수출액 증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해외시장을 꾸준히 개척한 결과, 최근 3개년의 수출실적은 2020년 7천 5백만 불, 2021년 6천 2백만 불, 2022년에는 1억 7천 9백만 불이라는 수출실적을 기록하였음. 사회공헌은 엘오티베큠 자체 사회공헌 단체인 '디딤돌 사회봉사단'을 발족하여 운영 중임. 2021년에는 약 6,000만원을 기부하고, 3월에는 엘오티베큠 자원봉사 단체 '디딤돌 사회봉사단' 발족을 하였고, 지역사회공헌 활동 '일산일천' 독산성 문화재 보호활동을 진행하였음. 2022년에는 연간 1억 2,430만원을 기부하였으며, 2023년 3월에는 지역사회공헌 활동 '일산일천' 독산성 문화재 보호활동을 진행하였고, 5월에는 지역사회공헌 활동 '일산일천' 오산천 환경정화 활동을 진행하였음. 56. 1억불 탑 ㈜우원기술 ▲ 수출품목 : 2차전지 제조장비(Z-Stacking 장비) ▲ 수출실적 : 1.9억불 ▲ 담 당 자 : 정준영 (  010-6373-4575 ) 공적내용 ㈜우원기술은 2015년 창립 이래 2차전지/자동화 장비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이 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였음. 2016년 당사의 주력 제품인 Z-Stacking 장비의 개발을 시작으로 고속 성장을 이루었으며, 2022년에는 최대 수주실적 2,350억 원, 최대 매출실적 1,671억 원, 최대 영업이익 307억 원을 달성함.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매출액 성장률은 104.8%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2022년에는 Notching 장비의 개발을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였음. 또한, 2차전지 정밀부품/금형 사업 수직 계열화를 통해 핵심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2차전지 배터리 팩 사업과 반도체 장비 사업에 진출하여 사업 다각화를 통해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였음. 주력 제품인 Z-Stacking 장비는 2차전지 제조공정 중 스태킹 공정을 수행하는 장비임. 스태킹 공정은 배터리 분리막 양면에 양극재, 음극재를 부착해 층층이 쌓는 공정임. 당사의 Z-Stacking 장비는 분리막을 알파벳 ‘Z’형태로 접어 화재 위험을 줄이고, 독자적인 틸팅 기술로 고속화를 구현하여 분리막 1장에 양극재, 음극재를 붙이는 시간을 장당 1.2초에서 0.35초까지 단축함으로써 생산성을 3배 이상 향상시켰음.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Z-Stacking 장비의 경쟁력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2021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되었으며, 40여 개의 특허를 등록/출원 중임. 외형적인 성장과 함께 기업의 내실을 다지기 위해 품질경영시스템(ISO9001), 메인비즈, 이노비즈, 경기도 일자리 우수기업 인증 등으로 고객사로부터 신뢰받는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른 2차전지 수요 증가로 전방 산업의 공격적인 CAPEX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대규모 수주에 대응하기 위해 본사 포함 3개의 공장과 1개의 R&D CENTER를 보유하고 있음. 추가로 1개의 공장을 신축 중이며 미국, 중국, 헝가리에 해외 법인을 운영 중임. 세계 최고 수준의 Z-Stacking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확보함으로써 모든 경쟁 사업에서 업계 1위 실현을 통해 글로벌 리딩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함. 57. 1억불 탑 ㈜윤성에프앤씨 ▲ 수출품목 : 2차전지 믹싱시스템 ▲ 수출실적 : 1.5억불 ▲ 담 당 자 : 차형진 (  031-350-4513 ) 공적내용 ㈜윤성에프앤씨는 1999년 12월 13일에 설립된 회사로 2차 전지 제조장비의 제작 및 수출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당사의 2022년 매출액은 2,103억원이며 2016년에 5백만불 수출탑과 대통령 표창, 2019년에 3천만불 수출탑, 2020년에 7천만불 수출탑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각각 수상한 경력이 있음. 2022년 외화가득률 99%로 1억 5천만 불 수출을 달성했음.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2차전지 제조설비의 핵심 장비인 PD 믹서를 10여 년 전부터 순수 자체 개발 및 공급해 온 점은 믹싱 시스템 최대 시장점유율 확보를 넘어 수입품의 국산품 대체에도 상당 부분 기여함. 그리고 당사는 2차 전지 교반 장비 시장에서 리더가 되기 위해 연속식 믹싱 시스템, 건식 믹싱 시스템, 전 고체 전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당사가 개발 중인 신개념 전극 물질 혼합 믹싱시스템 CSM(Continus Slurry Mixing, 연속 생산식 슬러리 제조 장치)은 기존 장비 대비 200% 향상된 생산능력, 균등 품질의 슬러리 생산, 구축 비용 절감 및 설비투자 필요 면적 축소 등의 특장점이 있어 전기자동차 보급 속도에 맞춰 대폭 활용될 전망임. 이미 당사는 기존 개발 제품인 이노 믹서를 통해 최근 3년 동안 10배 이상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으며 설계, 장비 제작, 배관공사, 전기공사, 자동제어 및 시운전까지 가능한 EPC 수행 능력과 관리체제를 보유하고 있어 CSM 개발에 따른 추가 수주에 매우 유리한 상황임. 따라서 본 장비가 개발 완료되면 국내 2차전지 대표 제조사의 해외공장 건설 프로젝트는 물론 유럽, 중국 등 해외업체의 발주 물량도 급증할 것이라 예상됨. 최근 2년 동안에는 약 150명 이상의 정규직을 신규 채용하여 경기도 일자리 우수기업에 선정된 바 있으며 정년 초과자(만 60세 이상) 7명을 촉탁직 등으로 지속 근무하게 함으로써 고숙련 노동자의 고용 안정을 도모하고 있음. 또한, 임직원 복지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제도 개선 및 도입을 추진 중에 있음. 58. 1억불 탑 ㈜일지테크 ▲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금형 ▲ 수출실적 : 1.4억불 ▲ 담 당 자 : 한지선 (  053-859-1056 ) 공적내용 ㈜일지테크는 자동차 차체 산업의 미래 성장에 대한 설립자의 확신으로 1986년 11월 ㈜신아기공으로 설립된 자동차 차체용 부품 제조업체임. 이후 1997년에 지금의 ㈜일지테크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1992년 10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대구경북 지역 경제에 대표적인 지역 자동차 부품업체로 자리매김함. ㈜일지테크는 2012년부터 R&D 투자를 지속 확대 및 강화하여 자동차 부품 생산기술의 우수한 개발력을 확보하였음. 대표적인 예로 차체 경량화로 인한 연비 향상, 배기가스 절감, 차체 강도 증가 실현, 금형 기술의 우위를 선점하여 완성차 경량화에 기여하였으며 2014년 고강도 강재 용접재료, 시스템 기술(GPa 급)로 뿌리 기술 전문기업, 2015년 중소기업 육성 발굴 사업으로 기술 혁신형 중소기업(INNO-BIZ)에 선정되었음. 또한 고객이 요구하는 품질(무결점)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정 개선을 통한 생산혁신을 기반으로 한 품질향상 및 생산성 향상에 힘쓴 결과 ISO/TS 16949:2002(15~18sus) 품질시스템 인증 및 2018년 IATF 16949(자동차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음.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 노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수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 2011년 1월 중국 현지법인 북경일지차과기유한공사를 설립한 뒤 2014년 AEO 인증 획득 후 지속 갱신 중이며 업체별 인증수출자 획득과 월드클래스 300 기업에 선정되는 등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로 도약하게 됨. 이 외에도 국내 제2공장과 경주공장 준공으로 매출이 고속 성장하였으며, 중국의 사드 보복 사태와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불안정한 해외시장 위기 속에서 해외영업 다각화 및 FT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출 위기에 대처해 나감. 현대자동차 러시아법인과 550억 원 규모의 기계설비 판매계약(지그, 금형, 로봇)을 체결하였으며 PETERFORM으로부터 약 910억 원 자동화 설비계약을 수주하였음. 특히 2023년 6월부터 미국 앨러바마주의 자동차 차체부품 공장을 인수하여 미국 진출을 시작한 결과 수출량이 크게 증가하여 전년도 수출실적 대비 올해 수출실적을 2배 이상 증가시킴. 59. 1억불 탑 (주)텔레칩스 ▲ 수출품목 : 차량용 시스템 반도체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박찬정 (  02-3017-5720 ) 공적내용 (주)텔레칩스는 1999년 10월에 설립된 반도체 설계 및 제조 전문기업임. Caller ID 칩· MP3 칩에 머무르지 않고 차량용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 진출 후 미국·중국·일본·독일 등 해외시장을 적극 개척하고 있으며 특히 전량 수입하던 차량용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는 정확한 시장 분석 및 기술개발을 통해 국산화에 성공, 공급망 안정화 및 수출 증대로 국가산업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있고 이 덕분에 수출은 2020년 3,600만 달러, 2021년 7,800만 불, 2022년 8,400만 불 그리고 올해는 1억불 수출탑의 성과를 이루고 있음. 2000년대 중반만 해도 자동차 오디오에는 프리스케일(Freescale)·르네사스(Renesas)· NEC·NXP 등 외국산 칩이 주종이었으나 당사는 고객 맞춤형 칩 개발 및 원가절감 노력으로 2007년 4월 현대차에서 양산하는 ‘i30 모델’을 시작으로 현대차그룹에 자동차용 오디오 프로세스 및 모바일 방송 수신칩을 공급해 국산화의 기초를 닦는 성과를 이루었고 또한 JVC, 파이오니아(Pioneer) 등 외국 카오디오업체의 외산 칩 브랜드와의 경쟁에서도 당당히 실력을 인정받아 기존 제품을 대체하는 성과를 거뒀음. 이렇게 차량용 반도체 분야에 진출한 후 현대/기아차 카인포테인먼트의 80% 이상 점유로 수입대체효과를 내고 있으며 해외에 대한 지속적인 마케팅 영업으로 GM, 폭스바겐, 르노, 닛산, 혼다 등의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에 제품공급으로 중국과 일본 중심에서 유럽과 북미로 해외시장 다변화 중임. 주요 제품인 디지털 미디어 프로세서 수출을 통하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반도체,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지털 클러스터, 차량용 MCU까지 진출하고 있고 전 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의 흐름과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자 미국 2023 CES 전시회, 2023 독일 IAA 모빌리티 전시회 등에 참가하여 시장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피드백을 반영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노력 및 바이어와의 활발한 소통을 하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차량용 반도체 기업을 넘어 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주도하는 글로벌 수준의 종합 차량용 반도체 회사로 발돋움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60. 1억불 탑 ㈜현대엘앤씨 ▲ 수출품목 : 필름, 인테리어 스톤, 바닥재 ▲ 수출실적 : 1.5억불 ▲ 담 당 자 : 박상건 (  02-6364-7434 ) 공적내용 ㈜현대L&C는 2014년 7월 설립된 창호, 바닥재, 인테리어스톤 등 종합 건축자재 제조회사로 국내 세종 제조 사업장 및 해외법인(북미, 중국, 유럽, 인도)을 두고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현대백화점 그룹으로 편입된 이후 ‘고객에게 가장 신뢰받는 친환경 토탈 인테리어 기업’ 이라는 비전을 목표로 고객을 위한 C/S 관리 확대 및 품질 전시회 개최, 친환경 페트 필름 제품 개발을 통해 ESG 활동을 추진하고 있음. ㈜현대L&C는 수출 주력 제품 중 가구용 표면 마감 필름을 국내 업계 최초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폐페트병을 수거하여 분쇄 후 재활용한 리사이클 페트를 원료로 제조한 친환경 데코필름을 출시하였음. 해당 기술력과 제품으로 2019년 글로벌 친환경 인증인 GRS 인증을 취득하여, 일본 업체가 점유하고 있는 유럽 시장에 2021년 101억 원, 2022년 106억 원의 재활용 데코필름 판매를 실현했음 (IKEA 등 가구 社). 또한, 건축외장재용 필름 부문에서 기존 일본산 부자재를 국내 가공 기술로 대체하는 데 성공하여, 2022년 약 60억 원의 수입대체효과를 달성함. 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건축외장재용 데코필름은 외국산 대비 우수한 가격 경쟁력으로 2022년 189억 원의 수출을 달성함. 당사는 단순한 매출 촉진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의 트렌드 및 선진 디자인을 파악하여 장래의 수출 확대를 촉진하기 위해서 각종 해외 전시회 참가를 독려하여 글로벌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특히 ‘22년 독일창호전시회, ’23년 독일가구전시회, ‘23년 북미 최대 규모 주방 및 욕실 전시회 (KBIS) 등에 참가하여 당사의 우수한 제품을 해외 고객에게 홍보했으며, 신규 수출 매출 창출에 기여하고 있음. 61. 1억불 탑 롯데웰푸드㈜ ▲ 수출품목: 초콜릿과 초콜릿 과자, 아이스크림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이수호 (  02-3469-3320 ) 공적내용 롯데 그룹의 모기업 롯데웰푸드는 1967년 설립 이래 고객들의 사랑과 신뢰 속에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해 왔음. 롯데웰푸드는 그동안 끊임없는 신제품 개발, 다양한 마케팅 전략과 앞선 유통 방식으로 제과 업계의 정상을 지키며, 미래 식품 기술개발로 국내 식품산업의 선진화, 국제화에 기여하고 있음. 나아가 2022년 롯데푸드와의 합병을 통해 기존의 제과 사업에 HMR, 유지, 육가공 사업이 추가되어 고객 제공 가치를 향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유아층부터 중장년층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대의 고객군을 형성하여 생애주기형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음. 롯데웰푸드는 현재 서울, 양산, 평택, 대전, 등에 17개 대단위 첨단 공장을 갖추고 제과, 제빵, 육가공, 유가공, HMR 등의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음. 또, 중국, 파키스탄, 미얀마, 인도, 싱가폴,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기에 8개국의 글로벌 현지법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현지법인 영업망을 활용한 수출 확대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것임. 2022년 기준 전체 매출액 중 해외 매출은 7,594억 원으로 전체매출의 약 20%의 비중을 차지함. 특히, 해외 수출액은 ‘20년 960억,‘ 21년 1,050억, ‘22년 1,330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임. 그중 주요 수출품목인 빼빼로는 ‘20년 290억, ‘21년 350억, ‘22년 480억 원으로 해외 매출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중. 빼빼로의 주요 수출국은 필리핀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 국가이고 미국, 중동 등 50여 개국에 판매되고 있음. 2023년에는 필리핀 최대 유통채널인 S&R과 MOU를 체결하며 빼빼로를 비롯 캔햄과 분유 및 다양한 K-Food 제품을 지속적으로 수출할 계획임. 롯데웰푸드는 국민들의 건강을 위한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음. 또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경영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검증받을 수 있는 각종 인증을 획득하고 있음. 이와 함께 롯데웰푸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사회공헌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고 국민의 건강과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62. 1억불 탑 ㈜부산케이블앤엔지니어링 ▲ 수출품목 : 알루미늄 전력케이블 ▲ 수출실적 : 1.2억불 ▲ 담 당 자 : 박지은 (  051-717-3908 ) 공적내용 (주)부산케이블앤엔지니어링은 2019년 1월 중국 하북성 당산시 소재한 화통그룹이 100% 출자하여 설립된 알루미늄 및 동 소재의 전력케이블 제조업체임. 부산 강서구 지사과학단지 외국인 투자 지역에 설립되었으며 2023년까지 약 2,200만 불 투자를 이룩하였음. 2024년 추가 생산시설을 구축하여 약 150여 명의 지역 인재 고용은 물론 추가 2,300만 불을 투자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를 꾀하고 있음. 국내에서는 소수의 공급업체에 한하여 공급되고 있는 알루미늄 전력케이블을 생산하는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생산량 대부분을 미국 등 북미 지역으로 수출하고 있음. 2022년에는 자체적으로 알루미늄 로드를 제작하여 아프리카 전역으로 공급 시작하였음. 이와 같은 전폭적인 투자와 성장을 바탕으로 2020년 3천만 불, 2022년 7천만 불 이상의 수출을 달성하였으며 금년 2023년에는 1억만불 수출탑 수상의 쾌거를 달성하였음. 2024년에는 설비 증설을 바탕으로 1,500만 불/월 생산 CAPA를 구축하여 2억만 불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음. 당사의 지속적인 투자, 영업 노하우, 기술개발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미국 발주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내 고객 개발에 끊임없이 투자하고 있음은 물론 EV cable, Wiring Harness, 해저케이블, 광통신 케이블 등 미래 지향형 고부가가치 제품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여 미주, 유럽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음. 미국 內 당사 주력 생산 제품인 알루미늄 전력케이블에 대한 수요가 미국의 노후 전력선 교체 계획에 따라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또한 태양력∙태양열∙풍력∙수력∙지열∙바이오 등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발전소 건립에 따른 신규 수요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넷제로(net-zero) 선언이 확산되며 탄소배출 관련 규제와 정책이 강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국 바이든 정부의「인플레이션 감축법 (Inflation Reduction Act, IRA)」시행으로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이에 따른 고객사의 신재생 에너지 생산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 중임. 또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과 튀르키예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전 세계 원소재 수급에 불균형이 대두되고 있는데 이는 한국산 양질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63. 1억불 탑 산일전기㈜ ▲ 수출품목 : 변압기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이종혁 (  031-319-3043 ) 공적내용 산일전기(주)는 1987년 8월 설립하여 1994년 3월 법인전환 후 변압기 및 리액터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1990년대 후반부터 일본과 중동, 유럽 등지로 거래처를 다변화하여 2009년에는 “1,000만불 수출탑”을 수상하였으며, 그 이후로도 2,000만불 (2013년), 3,000만불(2014년)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음. “세계 1등 품목을 보유한 기업”을 목표로 지난 36년간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는 변압기 제조회사로 성장함. “세계 1등 품목을 보유한 기업”을 목표로 특수용도(조선해양, 신재생 등)의 변압기 기술개발을 위하여 2000년 8월 기업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여 기술개발에 힘쓰고 있음. 수출액은 2020년 2천 6백만 불, 2021년 3천 7백만 불, 2022년 1억 불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174%의 큰 폭의 성장을 이루었음. 2022년 주요 수출국 비중은 미주 51%, 유럽 14%, 아시아 35%이며, 22년 매출액 대비 수출액은 70% 이상임. 전기차 보급이 늘고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가 확대되면서 새로운 전력망 건설 필요성이 커져 변압기 수요 증가로 당사의 미주 수출량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미국의 경우 기존에 설치된 변압기의 70%가 평균 설치 수명인 25년을 초과하면서 교체 수요도 증가하고 있음. 산일전기는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 일본 TMEIC(도시바-미쓰비시 합작법인) 등 글로벌 인버터(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장치) 제조기업을 핵심 고객사로 두고 있음. 최근에는 풍력 발전 회사인 지멘스 에너지, 미국 천연가스 전기 공급회사인 PG&E 등으로 거래처를 확대하여 향우 수출량은 더욱 확대될 전망임. 64. 1억불 탑 성일하이메탈㈜ ▲ 수출품목 : 금, 은, 백금, 팔라듐 등(귀금속) ▲ 수출실적 : 1.5억불 ▲ 담 당 자 : 마대성 (  063-440-7518 ) 공적내용 성일하이메탈(주)는 2000년 2월 21일에 설립되어 1차 비철금속제련 및 금속재생재료를 처리하여 1차 금속(금, 은, 팔라듐, 백금 등)의 제조 및 생산 판매를 주요 영업으로 하고 있음. 오랜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류 기업인 삼성전자와 Recycling Resource Partner Certificate에 선정됨.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 성일하이메탈(주)는 세계 시장에서 2022년 약 1억 4천 9백만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고 이 중 직수출 실적은 1억 4천 7백만 불임. 이는 2021년 대비 총 수출실적 69%의 성장을 이루어 낸 것이며, 5대 시장에 334만 불 기타 시장(태국 등) 1억 4천 4백만 불의 실적을 달성하였음. 화석연료 고갈 및 환경오염과 고유가로 인하여 자원의 무기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세계 각국은 주요 자원 확보에 전력을 쏟고 있는 실정으로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그간 선형경제에서 순환 경제로 전환하는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있음. 기술개발을 위하여 연구 전담 조직을 운영 중이며, 부설 연구소로 인가를 획득해 회수 기술과 관련한 제조 방법 등의 국내 특허 35건과 국외특허 총 4건을 출원 등록하였고, 신규 화합물 제조 사업 부문 신규 화합물인(초산팔라듐)을 23년 양산 진행하여, 9월 신규 매출 실현되었고, 매출 증대에 기대감을 갖고 있음. 고순도의 귀금속 제품 제공을 위하여 품질관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비철금속 제련 및 금속원료 부문 ISO9001/ISO14001을 2017년 최초 취득하여 품질 및 환경 인증 유지 하고 있음. 아울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하기 위하여 삼성전자 베트남사업장에 회수기 설치 및 투자 진행하였으며, 향후 기술개발 및 해외아웃소싱을 통하여 매출수익 증대에 기대감을 가지고 있음. 65. 1억불 탑 ㈜에이치피에스피 ▲ 수출품목 : 반도체 장비 ▲ 수출실적 : 1.2억불 ▲ 담 당 자 : 윤석현 (  070-7706-6070 ) 공적내용 ㈜에이치피에스피는 고압어닐링 반도체 장비 제조를 목적으로 2017년 3월에 설립되었으며, 동년 4월 ㈜풍산으로부터 장비 사업부문을 양수하여 반도체 장비 제조를 시작하였음.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을 선도하며 고객사의 요구에 대응하고 연구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에 지사를 설치하여 운영 중임. ㈜에이치피에스피는 지속적인 연구 활동과 해외시장 판로 확장에 매진하여 아시아, 북미, 유럽의 주요 반도체 제조사에 고압 수소 어닐링장비를 납품하고 있으며, 설립 첫해 수출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수출액 증가를 달성하여 2022년에는 7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으며, 2023년에는 1억불 수출의 탑을 신청하게 되었음. 당사의 핵심 제품인 고압 수소 어닐링 제품은 반도체 트랜지스터 소자 계면 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표로 연구개발하여 제품화되었으며, 최초로 고압 수소 어닐링 효과가 검증된 전 공정 장비로서 글로벌 독점적 기술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최근 반도체 회로 패턴 미세화로 인해 반도체 소자 계면 결함(Interface Defect)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트랜지스터의 성능 개선은 더욱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고압 수소 어닐링 기술은 미세화에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인 고온 공정을 회피하면서, 기존 공정 설계(process architecture)를 변형시키지 않고 트랜지스터 특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제공하고 있으며, 메모리 소자에서도 고유전막을 이용한 트랜지스터나 캐퍼시터의 공정에서도 표면 결함을 치유하여 소자 특성 개선의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음. ㈜에이치피에스피는 향후에도 기술격차를 확대하기 위해 기존 고압 어닐링 기술의 개선뿐만 아니라 고유전막이 사용되는 메모리 소자와 다른 소자의 Application에 적용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술을 추가하고 있으며, 또한 안전을 강화시키는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신기능을 구현한 장비를 출시하여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임. 66. 1억불 탑 엑셀리스코리아㈜ ▲ 수출품목 : 반도체 ▲ 수출실적 : 1.7억불 ▲ 담 당 자 : 이지윤 (  031-695-8700 ) 공적내용 엑셀리스코리아는 1996년 7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 1978년 미국 보스턴에 설립된 나스닥 상장사 Axcelis Technologies의 100% 외국계 투자 법인임. 현재 미국, 한국, 중국을 비롯한 39여 개의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2021년 대비 224,7%의 매출 증가율, 2,196억 4,300만 원의 매출액을 기록한 글로벌 반도체 장비사임. 당사는 2021년 중장기적인 국산화를 통한 경쟁력과 수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 평택에 AAOC(아시아 오퍼레이션 센터)을 설립하였고 이를 통해 고객 서비스와 생산능력을 강화시키고 있음. AAOC는 국내에서 고품질의 안정적인 설비를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보스턴 본사의 다년간 축적된 이온주입기 제조 기술을 국내 생산 기반에 도입하였음. 현재 국내의 소재·부품·장비 업체를 발굴하여 보다 나은 품질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주요 모듈을 보스턴 본사로 역공급하는 판로를 확보하여 경제적인 상생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 또한, 국내의 물류 및 포장 업체 등이 글로벌 공급망에 안정적인 자리매김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국내 업체를 통해 구매된 금액은 2021년 약 20억 원에서 2023년 상반기 약 190억 원 달성, 2023년 총 370억원을 예상하고 있으며, 현재 주요 23개의 국내 업체가 글로벌 공급망에 편입되면서 한국 및 미국에서 제조되는 장비에 국내 부품들이 적용되는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 당해년도 수출실적은 약 1억 6,000만 불로 전년도 대비 약 240%의 증가율을 기록함. 엑셀리스코리아는 지속적인 기술혁신과 고객 중심의 접근으로 무역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향후에는 국내에 R&D 센터와 트레이닝 센터를 설립하여 자부심을 높이고자 하며 이에 대한 추가 투자를 논의할 계획임. 2023년 6월 기준 종업원 수 또한 39.4% 증가하며 국가 경제 발전 및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해피프라이데이 프로그램 운영, 육아휴직 장려, Good Work Place 프로그램 등을 통해 효율적이고 수평적인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며 노사 간 협의를 강화하는 등 직원의 복지를 증진하고 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67. 1억불 탑 인팩이피엠(주) ▲ 수출품목 : 전기차용 배터리 부품 ▲ 수출실적 : 1.5억불 ▲ 담 당 자 : 굴주령 (  070-7776-0571 ) 공적내용 인팩이피엠(주)는 1996년에 설립하여 자동차 산업 변화 트렌드에 따라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부품 등 고부가가치 아이템을 생산하는 자동차 부품업체임. 과거 자동차 부품 케이블부터 BMA(Battery Module ASSY) 및 BSA(Battery System ASSY) 등 친환경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고 있는 기업임. BMA를 전략 품목으로 선정하고 영업 다각화를 이뤄 매출액 2020년 815억, 2021년 1,829억, 2022년 2,547억 원으로 124%, 39% 증가함으로써 경제발전에 기여함. 고전압 전기 공급과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부품 케이스인 BMA는 아이오닉5, 코나 등 전기차에 장착되는 핵심부품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구동 모터인 BSA는 쏘렌토, 투싼 등 전기차에 장착되는 핵심부품임.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코나(SX2e) 수출 사양 등이 있음. 최근 SK ON BEV-Q 및 LG ES TOYOTA 플랫폼 아이템 수주에 성공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글로벌 전기차 BMA 아이템 수주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양 프로젝트 모두 2025년 상반기 양산 예정으로, 지속적인 수출액 증가를 예상하고 있음. 2020년 5월, 인팩이피엠 연구소를 설립하여, 높은 기술력을 확보한 고객사와 기술 협업을 통한 친환경 자동차 부품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미래형 자동차 부품을 개발하고, 무한 정밀의 기술을 통한 품질 경쟁력 확보하여 21세기 종합자동차 부품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음. 또한, 인팩이피엠은 내부적 경영 및 외부적 지역 발전에 대해서도 매해 인팩人 급여 1% 나눔운동 및 지역 내 MOU 체결하여 장학금을 지급하고 수해 입은 지역주민에게 기부하는 등, 바른 경영으로 모범이 되고 있음. 뿐만 아니라 제천에 신규공장 설립을 통해 제천 산업경제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여 제천시장 감사패 및 제천시 공로상을 수상하였음. 점차적으로 성장하며, 경영진의 철학 중 ‘사람이 미래다’ 라는 이념으로 서로를 아끼며, 더 나아가 지역 발전에도 기여하는 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음. 68. 1억불 탑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 수출품목 : 폴리우레탄 ▲ 수출실적 : 1.3억불 ▲ 담 당 자 : 김효진 (  02-6190-8715 ) 공적내용 1959년 신발용 도료, 접착제 제조기업으로 출발한 동성케미컬은 국내에 폴리우레탄 기술이 전무하던 1970년대 폴리우레탄 수지 자체 개발에 성공하며 관련 분야를 선도해 옴. 폴리우레탄 수지를 신발 솔에 적용해 신발 산업의 고급화를 일으켰고, 국내 최초 멜라민 레진폼 상용화, 국내 유일 무황변 TPU 제조란 성과를 이뤄냄. 탄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제는 화학, 신발, 자동차, 포장재, 빌딩∙건축 분야에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며 동성화인텍의 에너지, 동성티씨에스의 중장비 부품, 제네웰의 의료기기∙코스메틱 사업을 아우르는 중견기업으로 성장함. 매출액은 2020년 2,127억 원, 2021년 3,757억 원, 2022년 5,300억 원으로 최근 3년 동안 매출이 지속적으로 늘면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음. 폴리우레탄 기술을 신발, 자동차, 포장재, 빌딩∙건축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며 사업을 다각화하고 수익성이 낮은 기존 석유정밀화학 사업을 친환경 기능성 정밀화학 소재 사업으로 전환함. 수출액은 2022년 기준 2,941억 원으로 매출액의 56%를 구성하고 있음. 특히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제품에 적용되고 있는 신발용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수출액은 전년대비 20% 증가. 친환경 고기능 소재에 대한 고객의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결과임. 건자재에 적용해 온 열경화성복합소재(SMC, Sheet Mold Compound)는 선박, 자동차 등으로 적용 분야를 확대해 전년대비 68%, 신발, 접착제, 스포츠용품, 자동차에 적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은 중국, 동남아에서 유럽, 북미 시장으로 수출을 확대해 전년대비 33%의 수출실적이 증가함. 동성케미컬은 향후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ESG 경영을 고도화해 나가고 있음. 바이오 플라스틱을 신사업으로 낙점하고 바이오 베이스 원료 사업과 생분해 포장재 사업을 적극 추진 중임. 또한 전 계열사의 소재 기술과 연구개발 역량을 결합해 이차전지 양극용 바인더, 항노화 기능성 소재 등 차세대 소재 기술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음. 이 밖에도 사회적 책임 경영을 강화하고 투명한 지배구조를 확립해 나가고 있음. 69. 1억불 탑 주식회사 스맥 ▲ 수출품목 : 공작기계, IT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장동진 (  055-340-4838 ) 공적내용 주식회사 스맥은 1989년 삼성중공업 공작기계사업부를 모태로 시작되었으며, 현재 경상남도 김해에서 생산라인을 가동하고 있음. 고품질 Machining center와 CNC 선반, 융복합 장비, 산업용 로봇 등을 개발, 제조하여 국내 영업소와 대리점, 해외 딜러를 통해 국내외로 판매하고 있음. 주식회사 스맥은 국내는 물론 세계 60여 개국을 대상으로 소형 공작기계부터, 중대형 공작기계까지 다양한 라인업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앞으로 기존 사업을 고부가가치화하고 융복합 장비 및 로봇 산업 등을 미래 승부 사업으로 집중육성하는 한편 반도체, 2차전지 등 신규사업 진출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해나갈 것임. 전기차 폐배터리 해체 시 미 방전등의 이유로 인한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폐배터리 재활용 전처리 공정인 방전 해체 로봇 자동화 공정 기술개발을 완료하였으며, 폐배터리 산업에서 확대 적용을 기대하고 있음. 자동화 기술뿐만 아니라 시스템과 모듈의 방전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발생 시 대처하는 공정도 확립할 예정임. 주식회사 스맥은 코로나19에 의한 힘든 환경 속에서도 ‘21년 매출 약 1,300억 원, ’22년 매출 1,600억 원, ‘23년 매출 약 2,000억 원(예상) 수준으로 50% 이상의 매출액 성장률을 달성하였으며, 이는 지속적인 R&D 투자와 인재 양성을 통해서 가능했음. 해외법인(미국, 독일, 베트남)의 설립이 완료되고 안정화됨에 따라, 해외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현지 서비스 대응을 위한 부품 창고 설립 등을 해나가고 있음. 특히, 국내외 전시회(미국-IMTS, 유럽-EMO, 한국-SIMTOS)를 통해 브랜드 홍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꾸준한 해외 딜러 확보를 진행하고 있음. 70. 1억불 탑 주식회사 코넥 ▲ 수출품목 :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황태진 (  041-689-0820 ) 공적내용 ㈜코넥은 2003년에 설립되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분야 최고의 전문기업으로서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 부품(전동화, 전장, 샤시 및 차체부품) 등을 생산, 납품하고 있는 중견 제조업체로, 2020년 5월 독일 한독기술협력센터 입주(NRW주), 2020년 6월 신산업 사업재편기업 선정, 2020년 9월 혁신기업 국가대표1000 선정, 2021년 4월에는 월드클래스 플러스 기업에 선정되는 등 R&D 분야에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성장하고 있는 중견업체임.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해외 영업활동 전개로 2019년부터 미국 TESLA 社와 거래를 시작, 모델 3/Y 및 모델X의 부품, 사이버트럭용 제품 등 사업을 지속 확대, 납품하고 있으며 고객사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 사업 확대를 위해 2023년 하반기부터 미국 텍사스지역에 공장을 설립 중임. 현대차기아 그룹에도 역시 전기차 플랫폼(E-GMP)에 신기술 및 신공법을 적용,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에 핵심부품을 생산 납품하고 있음. 2022년에는 7천만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수출 주도형 중견 제조업체임. 국책 연구개발 과제인 프리미엄 전기차용 고성능 구동 모터용 고방열 경량소재 및 적용,검증 기술개발(2020.04∼2023.12), 글로벌 전기차 시장 확보를 위한 지능형 금형기술 기반 고냉각성능 (180W/mK)의 파워트레인 일체형 하우징 개발(2021.04∼ 2023.12), 머신 러닝 기반 이종 소재 마찰교반용접 공정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3Bar 수밀성능의 전기차용 인버터 하우징 사업화 개발(2020.04∼2022.04)을 성공적으로 개발 완료하여 사업화 중에 있으며, 고진공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적용 경량화율 30% 이상 랙하우징 일체 I-형 프런트 서브프레임 부품화 기술개발(2022.04∼2026.12) 등에 참여하고 있는 등,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부품에서 선도적인 연구개발 투자로 신소재, 신기술 개발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 71. 1억불 탑 주식회사 코스알엑스 ▲ 수출품목 : 화장품 코스메틱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윤훈상 (  010-9550-5977 ) 공적내용 코스알엑스는 글로벌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로 ‘미국, 동남아시아, 유럽, 중동’ 등 전 세계 146여 개 국가에 진출하여 글로벌 뷰티 시장을 공략하고 있음, 2023년 기준 전체매출의 약 80%가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글로벌 종합 쇼핑몰 ‘아마존’의 북미 뷰티 카테고리 베스트 셀러 제품 1위에 오르는 등 글로벌 밀리언셀러 제품을 5품목 이상 보유하며 1억불 탑 수출이라는 성과를 이루어냈음. 특히, 코스알엑스는 MZ세대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을 중심으로 글로벌 마케팅에 집중 공략한 결과, 브랜드 해시태그 조회수를 기하급수적으로 성장시키며 누적 조회수 28억 뷰라는 놀라는 성과를 기록, 글로벌 팬덤을 공고히 유지하며 해외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구축했음. ‘민감 피부를 위한 저자극 스킨케어’라는 슬로건 아래 피부에 유해하지 않은 성분을 함유하면서 합리적인 가격대의 고효능 제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더 나은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R&D에 지속 투자하고 있음. 최근 ‘고효능 더마 라인 The RX’를 출시하여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전 세계 소비자들의 피부 고민에 우수한 품질과 제품력, 합리적인 가격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음. 코스알엑스는 글로벌 유통사 확장에도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냈음. 전 세계 소비자들은 어디서든 만나볼 수 있도록 고객 접점 확대에 노력을 기울이며 현재 미국의 대표 뷰티 유통업체 ‘얼타(ULTA)’의 전 매장을 비롯해 왓슨(Watson), 소시올라, 아마존 스타일 등 오프라인 시장에서 코스알엑스의 제품을 찾아볼 수 있도록 꾸준히 글로벌 시장의 점포 수를 확대하는 방침을 시행하고 있음. 2023년 상반기 매출액은 1,930억 원으로 2022년 상반기 대비 138% 성장한 수치로 사상 최고 실적을 기록함. 올해 두 배의 실적으로 마감할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마켓에서 안정적인 수출증진을 중임. 72. 1억불 탑 코오롱플라스틱㈜ ▲ 수출품목 : 엔지니어링플라스틱 ▲ 수출실적 : 1.3억불 ▲ 담 당 자 : 허덕호 (  02-3677-3472 ) 공적내용 코오롱플라스틱은 1996년에 설립되어 5대 엔지니어링플라스틱(EP) 중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아미드(PA6, 66)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를 비롯, TPEE, LFT, 복합소재 Composit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국내 유일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전문기업”임. 코오롱플라스틱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자적인 POM 중합 생산공정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며, 2018년 글로벌 화학기업인 바스프와 합작해 단일 부지 기준 세계 최대(연산 15만 톤)의 생산공장을 설립, 글로벌 경쟁력을 갖춤. 중합에서 컴파운드까지 세계 최고 품질의 제품을 기반으로 유럽, 미국, 중국, 인도의 판매법인을 비롯, 전 세계 90여 개국에 판매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매년 수출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며 글로벌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코오롱플라스틱은 글로벌 고객의 지속가능경영 니즈에 맞춘 친환경 원료와 공법이 적용된 소재, 의료용 전용 소재, 탄소섬유 복합소재 등 지속가능한 친환경 소재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글로벌 산업 트렌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고 있음. 또한 2020년 말 국내 플라스틱 업계 최초로 POM을 생산하는 김천1공장에 글로벌 친환경 인증제도인 “ISCC PLUS인증”을 취득하였고, 2023년 6월 말에는 컴파운드 제품을 생산하는 김천2공장까지 본 인증을 취득하면서 국내 플라스틱 업계 최초로 전체 사업장에 대해 ISCC PLUS인증을 취득 완료함. 코오롱플라스틱은 플라스틱과 환경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해양 폐플라스틱 재활용 원료를 활용한 플라스틱 제품 개발 및 MOU 체결 등 친환경 생태계 조성에 이바지하고자 힘쓰고 있음. 73. 1억불 탑 피아이첨단소재㈜ ▲ 수출품목 : 폴리이미드(PI) 필름,바니쉬,파우더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이상현 (  02-2181-8670 ) 공적내용 PI첨단소재는 2008년 SKC와 코오롱인더스트리의 합작회사인 SKC코오롱PI(주)로 출범하였으며, 2020년 대주주 변경 이후 현재 사명을 사용 중.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과 액체 형태의 바니쉬, 분말 형태의 파우더/성형품을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PI 필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임. PI필름은 상용화된 플라스틱 중 가장 뛰어난 물성을 가진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제품의 필수소재로 채택되고 있음. PI첨단소재 제품은 주로 IT 기기의 FPCB용, 방열 시트용, 산업공정용, IT 산업용, EV(Electric Vehicle) 배터리 절연용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다수의 글로벌 고객사에게 공급되고 있음. PI첨단소재의 해외 매출 비중은 2022년 기준 64.2%로, 중화권, 유럽, 북미 등 다양한 해외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PI첨단소재는 우수한 기술력과 제품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PI 필름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외 경쟁사 대비 월등히 높은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음. 현재 5250톤 수준인 PI필름 생산능력을 2027년 7500톤까지 증가하기 위한 투자를 진행할 계획임. 또한, EV 및 첨단산업 등에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하며 종합 첨단소재로 발전해 나가고 있음. 2023년 6월에는 급증하는 EV 시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연 3000톤 규모의 PI 바니쉬 생산라인 투자를 결정 및 공시하였으며, 우주항공 기업들과 MOU를 체결하며 신사업을 활발히 개척 중임. PI첨단소재는 활발한 연구개발을 통해 시장이 원하는 제품 그리고 미래를 이끌어갈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이를 위해 2022년 기준 매출액 대비 3.6%를 연구개발비에 투자하고 있으며, 관련 지식재산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이러한 연구개발 성과로 2019년 지식재산경영기업 특허청장상, 2021년 IP R&D 수행 우수기업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2020년 민간 R&D 유공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등대기업을 수상하였음. 또한 PI첨단소재의 제품은 2022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가 선정한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되었음. 74. 1억불 탑 한국진공㈜ ▲ 수출품목 : 이차전지 진공 건조 설비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배재숙 (  053-591-7720 ) 공적내용 한국진공(주)는 ‘첨단 기술의 확보가 회사의 미래이며 자산이다’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국내 진공기술의 태동기인 1998년 설립 이래 국내에서 진공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산업에 필요한 기계 및 장치의 국산화에 앞장서 순수 국내기술로 수입에 의존해 오던 진공 관련 설비를 자체 개발 공급하여 국내외 기업에 공급해왔음. 초장기 브라운관 진공 배기 설비 및 증착 설비의 국산화에 이어 LCD 및 PDP의 생산에 사용되는 많은 진공 관련 설비 국산화에 성공함. 또한 자동차 램프 PVD 코팅 설비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공급하였고, 모바일 폰의 외관 증착용 PVD,CVD 설비를 개발하여 공급함. 2010년 이후 친환경 녹색성장을 위한 이차전지 시장의 성장을 대비하여 이차전지 생산에 필요한 진공 건조설비의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기존 Batch형 진공 건조 설비에서 공정시간의 획기적 단축 및 유지보수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된 차세대 인라인형 진공 건조설비를 전 세계 최초로 개발 및 상용화를 하여 국내 대기업의 독점 공급은 물론이고 중국, 유럽, 미국의 이차전지 생산업체 및 자동차생산 업체들에 많은 설비를 공급하고 있음. 이러한 급격한 성장에 따라 창립 초기 1998년 매출 60억에서 22년 매출 1,200억원으로 무려 20배 성장할 수 있었으며 현재도 매년 50% 정도 성장을 지속함. 또한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로 5년 전 40명 수준의 임직원이 23년 말 현재 100여 명으로 확대될 예정임. 한국진공의 이러한 성장 배경에는 미래를 위해 매년 매출의 10% 이상 끊임없는 R&D 투자로 신기술 개발을 진행한 결과임. 현재도 진공 코팅, 건조설비 외에 차세대 Item으로 전 세계에 상용화가 되지 않은 연속형 진공 브레징설비를 개발하고 있으며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고자 끊임없는 R&D를 지속 중임. 75. 1억불 탑 한주라이트메탈㈜ ▲ 수출품목 : 알루미늄주물주조품 ▲ 수출실적 : 1.2억불 ▲ 담 당 자 : 백승걸 (  052-231-1030 ) 공적내용 한주라이트메탈(주)는 현대자동차 경합금주조 라인을 이관받아 1987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자동차 알루미늄 주조기업으로 현대자동차 DOHC용 엔진 흡기다기관(Intake Manifold)의 국산화와 일체형 개발을 성공하였고, 1998년 도요타자동차 자회사인 중앙정기로부터 기술과 자본을 제휴 받아 배가된 기술력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여 1999년 100만 불 규모에서 2022년 약 1억 1천만 불로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음.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해외 영업활동 전개로 현대차, GM, 닛산, 포드 등 다양한 완성차에 요구되는 경량화 부품 및 전기차 부품에 대한 개발에 성공하여 독점적인 부품을 공급한 결과, 매출액은 2020년 1,659억 원 대비 2022년 2,325억 원으로 40% 증가함. 주요 수출국으로는 미국을 포함한 미주(82%),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11%), 유럽지역(7%)으로 구성되어 있음. 알루미늄 주조 사업을 기반으로 사업 다각화 등을 위해 2004년 기업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였고,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다양한 제품 개발 국책 과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재까지 총 58건, 214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아 기술 확보뿐만 아니라 성장동력의 모멘텀을 만들고 있음. 미래 모빌리티 초경량화 부품 솔루션을 제공할 ‘반응고 고압 주조설비의 전자기진동 교반장치’ 기술을 포함한 등록 특허 13건, 출원 특허 2건을 보유하고 있음. 최근 한국통상자원부가 주관한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이종기술융합형사업)에서 컨소시엄이 선정되어, 정부지원금 95억원과 현물을 포함한 자체 부담금 46억 원을 합하여 총사업비 141억 원의 대형사업으로 총 12개 기관이 참여하여 2023년 7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세계 최초 초박형 차체 및 전동화부품 개발’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음.

      닫기
    • 1204(5조간)무역정책과, 제60회 무역의날 행사 포상부문.hwp 미리보기
      미리보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3. 12. 4.(월) 11:00 < 12.5.(화) 조간 > 배포 2023. 12. 4.(월) 제60회 무역의 날 행사 (포상부문) 담당 부서 무역정책과 책임자 과 장 정상용 (044-203-4020) 담당자 사무관 홍경태 (044-203-4022) 목 차 Ⅰ. 제60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1 Ⅱ. 수상자 명단 5 □ 정부포상 수상자 6 □ 수출의 탑 수상업체 30 Ⅲ. 주요 수상자 공적내용 77 □ 정부포상 수상자 78 □ 수출의 탑 수상업체 112 Ⅰ. 제60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Ⅰ. 제60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1. 무역‧진흥 유공자에 대한 포상 □ 포상개요 ㅇ 정부는 2023.12.5일(화) 서울 코엑스에서 제60회 무역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고, 무역‧진흥 유공자에 대한 포상을 실시함 ㅇ 올해에는 공급망 교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어려운 교역 여건 속에서도 역대 최고의 수출실적을 거둔 무역인들을 격려하기 위해 유공자 총 596명에게 정부포상을 수여함 < 2023년 무역의 날 유공자 포상현황 > 산업훈장 포장 표창 합계 구분 금탑 은탑 동탑 철탑 석탑 계 대통령 총리 산업부장관 전체 4 6 9 9 4 32 31 77 86 370 596 □ 포상현황 ㅇ (기업규모별) 대기업 종사자 65인, 중견기업 종사자 86인, 중소기업 종사자 360인에 대해 포상함. - 전체 포상의 약 75%는 중소·중견기업 종사자에 해당 ㅇ (기타) 무역 유관기관 종사자 85인 外, 단체 2곳 포상함. □ 금년도 포상의 주요 내용 ㅇ 금탑산업훈장의 경우, 중소기업 대표이사 2인, 중견기업 회장 1인, 대기업 대표이사 1인 등 총 4명이 수상함. 구 분 기 업 명 직 위 수상자 비 고 중소기업 ㈜메타바이오메드 대표이사 오 석 송 치과용 의료 원부자재 중소기업 ㈜비엠티 대표이사 윤 종 찬 산업용 피팅․밸브 중견기업 ㈜심텍 회장 전 세 호 인쇄회로 기판 대기업 ㈜엘엑스세미콘 대표이사 손 보 익 반도체 설계 ㅇ 금탑산업훈장 이외에도 592명이 훈ㆍ포장, 대통령ㆍ국무총리ㆍ산업부장관표창을 수상함. ㆍ은탑산업훈장 : 케이지 모빌리티㈜ 대표이사 정용원 등 6명 ㆍ동탑산업훈장 :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대표이사 양국석 등 9명 ㆍ철탑산업훈장 : 삼성에스디아이㈜ 부사장 손미카엘 등 9명 ㆍ석탑산업훈장 : 한국무역보험공사 본부장 박진식 등 4명 ․산업포장 : ㈜현대미포조선 기장 이상신 등 31명 ㆍ대통령표창 : 에스시디디㈜ 대표이사 강병수 등 77명 ㆍ국무총리표창 : 영케미칼㈜ 공장장 박경원 등 86명 ㆍ산업부장관표창 : ㈜피제이켐텍 상무 박영만 등 370명 ㅇ 단체표창은 지역수출 지원을 촉진하여 최우수 광역자치단체로 선정된「충청남도」에게 대통령표창(단체)을 수여하고, -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에 기여하여 최우수 중소기업지원센터로 선정된「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 수출지원센터」에게 대통령표창(단체)을 수여함. 2. 수출의 탑 수여 ㅇ 「수출의 탑」은 ’73년 최초 1억불 수출 달성업체(한일합섬공업)의 출현을 기념하여 수여하기 시작함. ㅇ 올해 수상업체는 1,704개사로 대기업 36개사, 중견기업 113개사, 중소기업 1,555개사임 - 올해 최고의 탑인 300억불탑은 현대자동차(주)가 수상하고, ㈜엘지이노텍 등 74개사가 1억불탑 이상을 수상함. ※ 수상기준 : 당해 기간(’22.7∼’23.6)에 일정단위의 수출실적을 달성한 업체 - ㈜금광텍스타일 등 390개사는 1백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함. ◈ 수출의 탑 수상업체 내역 (단위 : 개사) 탑 종류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합 계 비 고 300억불 1 - - 1 현대자동차(주) 200억불 1 - - 1 기아 주식회사 100억불 1 - - 1 엘지이노텍(주) 60억불 1 - - 1 삼성에스디아이(주) 40억불 - 1 - 1 ㈜엘앤에프 30억불 1 2 - 3 엠코테크놀로지코리아㈜ 등 20억불 - 1 - 1 ㈜에코프로이엠 10억불 4 2 - 6 ㈜경신 등 8억불 1 - - 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7억불 2 1 - 3 (주)세아제강 등 6억불 - 2 - 2 (주)대동 등 5억불 1 3 - 4 ㈜에프앤에프 등 4억불 - 5 - 5 ㈜에스에이엠티 등 3억불 - 3 1 4 (주)휴스틸 등 2억불 2 7 3 12 (주)건화 등 1억불 3 13 13 29 (주)덴티움 등 7천만불 2 7 26 35 (주)넥스틴 등 5천만불 1 11 31 43 (주)강원엔티에스 등 3천만불 3 8 51 62 ㈜노바렉스 등 2천만불 6 13 80 99 (주)다원트레이드 등 1천만불 1 8 157 166 (주)골드크랩 등 7백만불 1 5 132 138 ㈜KLT 등 5백만불 2 5 175 182 (주)강한 등 3백만불 1 6 234 241 (주)금양산업 등 2백만불 1 6 266 273 ㈜경동냉열산업 등 1백만불 - 4 386 390 (주)금광텍스타일 등 총계 36 113 1,555 1,704 Ⅱ. 수상자 명단 정부포상 수상자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1 금탑산업훈장 ㈜엘엑스세미콘 대표이사 손보익 2 금탑산업훈장 ㈜심텍 회장 전세호 3 금탑산업훈장 ㈜메타바이오메드 대표이사 오석송 4 금탑산업훈장 ㈜비엠티 대표이사 윤종찬 5 은탑산업훈장 ㈜포스코퓨처엠 대표이사 김준형 6 은탑산업훈장 케이지 모빌리티(주) 대표이사 정용원 7 은탑산업훈장 남성해운(주) 선장 문판식 8 은탑산업훈장 (주)싱그린FS 대표이사 정호석 9 은탑산업훈장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대표이사 박종환 10 은탑산업훈장 에스트래픽(주) 대표이사 문찬종 11 동탑산업훈장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대표이사 양국석 12 동탑산업훈장 한국진공(주) 대표이사 이인우 13 동탑산업훈장 케이넷(주) 대표이사 서성남 14 동탑산업훈장 (주)포스코인터내셔널 상무보 김원영 15 동탑산업훈장 에이치에스엠(주) 대표이사 문안용 16 동탑산업훈장 삼성물산(주) 그룹장 임건순 17 동탑산업훈장 엑셀리스코리아(주) 사장 박영근 18 동탑산업훈장 동광무역상사(주) 대표이사 이상훈 19 동탑산업훈장 에스케이하이닉스(주) 부사장 김주선 20 철탑산업훈장 삼성에스디아이(주) 부사장 손미카엘 21 철탑산업훈장 세아상역(주) 대표이사 문성미 22 철탑산업훈장 (주)보명금속 대표 홍수식 23 철탑산업훈장 한화솔루션(주) 상무 김운회 24 철탑산업훈장 (주)흥아기연 부장 이승범 25 철탑산업훈장 (주)하나금속 전무 남정도 26 철탑산업훈장 현대삼호중공업(주) 직장 김선 27 철탑산업훈장 한국알프스(주) 책임매니저 신경영 28 철탑산업훈장 태광후지킨(주) 반장 신옥주 29 석탑산업훈장 한국무역보험공사 본부장 박진식 30 석탑산업훈장 (사)한국무역협회 본부장 김병유 31 석탑산업훈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 김윤태 32 석탑산업훈장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처장 정동호 33 산업포장 (주)현대미포조선 기장 이상신 34 산업포장 (주)두맥스 상무이사 김찬균 35 산업포장 (주)동보 과장 변천수 36 산업포장 (주)스누콘 대표이사 박영우 37 산업포장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팀장 염원우 38 산업포장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수석 문정주 39 산업포장 (주)윤성에프앤씨 대표이사 박치영 40 산업포장 (주)텔레칩스 상무 김성재 41 산업포장 (주)마스터 대표이사 김상훈 42 산업포장 (주)현대엘앤씨 상무 김순태 43 산업포장 (주)우신시스템 주임 김용준 44 산업포장 (주)대창식품 이사 김영화 45 산업포장 (주)삼진 지. 에프 상무이사 강종춘 46 산업포장 (주)메리테크 부사장 이광우 47 산업포장 주식회사 포스코 실장 엄기천 48 산업포장 일진전기 주식회사 대표이사 황수 49 산업포장 현대엔지니어링(주) 상무 김동준 50 산업포장 주식회사 포스코엠씨머티리얼즈 사장 김동원 51 산업포장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송경록 52 산업포장 케이로지 주식회사 대표이사 허문구 53 산업포장 삼성전자(주) 상무 양익준 54 산업포장 풍영비나 대표 김영환 55 산업포장 이구산업(주) 반장 김봉운 56 산업포장 뉴코리아진흥(주) 대표이사 홍광희 57 산업포장 한국진공(주) 대리 김기현 58 산업포장 넥센타이어(주) 책임 최병문 59 산업포장 (주)미라콤아이앤씨 전무 이종원 60 산업포장 (주)코인텍 전무이사 용석천 61 산업포장 (주)인터로조 차장 구진형 62 산업포장 (주)이엔플러스 대표이사 최용인 63 산업포장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이사 정상미 64 대통령표창 에스시디디(주) 대표이사 강병수 65 대통령표창 (주)우원 대표이사 조현용 66 대통령표창 아이에스케이바이오 사이언스코리아(주) 사장 정모세 67 대통령표창 (주)에스에이엠티 대표이사 박두진 68 대통령표창 (주)에이에스텍 대표이사 윤종배 69 대통령표창 (주)이노바스복합시설관리 상무 전부기 70 대통령표창 (주)이노와이어리스 부사장 박광호 71 대통령표창 (주)세라젬 조장 김태균 72 대통령표창 (주)그림 대표이사 곽만영 73 대통령표창 (주)이수페타시스 대표이사 최창복 74 대통령표창 피에스케이(주) 상무 강호길 75 대통령표창 린데코리아(주) 계장 윤만섭 76 대통령표창 (주)수산중공업 부사장 신수근 77 대통령표창 성일하이메탈(주) 대표이사 이기웅 78 대통령표창 (주)우신세이프티시스템 부장 조성일 79 대통령표창 (주)로드컴플릿 대표 배정현 80 대통령표창 현대제철(주) 책임매니저 장석운 81 대통령표창 한주라이트메탈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용진 82 대통령표창 (주)유라하네스 책임매니저 김인호 83 대통령표창 (주)종합정밀 직장 정연호 84 대통령표창 한전원자력연료(주) 부장 박호영 85 대통령표창 하이트진로(주) 부장 조성균 86 대통령표창 레이어시스템 대표 김종욱 87 대통령표창 (주)휴온스메디텍 대표이사 천청운 88 대통령표창 (주)유니온 책임 옥정환 89 대통령표창 (주)세아제강 부장 전우현 90 대통령표창 (주)수산씨에스엠 대표 양희준 91 대통령표창 제룡전기(주) 책임매니저 김하은 92 대통령표창 (주)디케이엔지 상무이사 양승윤 93 대통령표창 에스케이하이닉스(주) 팀장 김도형 94 대통령표창 (주)호원 직장 김장곤 95 대통령표창 (주)퓨런티어 상무이사 윤성민 96 대통령표창 (주)러시아 대표이사 이서훈 97 대통령표창 (주)경신 선임매니저 유순배 98 대통령표창 삼양식품(주) 팀장 오승용 99 대통령표창 에이티제이컴퍼니 대표 엄태준 100 대통령표창 (주)메가터치 대표이사 윤재홍 101 대통령표창 (주)영도벨벳 상무 이장열 102 대통령표창 (주)지맥스 팀장 이원석 103 대통령표창 기가비스(주) 과장 김남하 104 대통령표창 (주)디에이치라이팅 전무이사 김동춘 105 대통령표창 (주)쌤시크코스메틱 대표이사 유성혁 106 대통령표창 나이스텍(주) 대표이사 신두국 107 대통령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조성대 108 대통령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장 이강수 109 대통령표창 한국수출입은행 부장 권원협 110 대통령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정순이 111 대통령표창 (주)제일화성 대표이사 임종일 112 대통령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소장 하영옥 113 대통령표창 (주)국제로지스틱 대표이사 나승도 114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팀장 김정수 115 대통령표창 카페24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재석 116 대통령표창 (주)대한항공 팀장 김동훈 117 대통령표창 (주)샴스코 대표이사 김갑주 118 대통령표창 대상 주식회사 부장 김광일 119 대통령표창 (주)포스코인터내셔널 그룹장 김동일 120 대통령표창 남덕물산(주) 대표이사 용환주 121 대통령표창 한국무역보험공사 지사장 양상균 122 대통령표창 (주)영케미칼 회장 윤영현 123 대통령표창 ㈜포스코인터내셔널 부장 임채일 124 대통령표창 재단법인 경주화백컨벤션뷰로 사장 김용국 125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레코 대표이사 김영수 126 대통령표창 (주)화성금속 대표 원일봉 127 대통령표창 (주)삼보산업 대표이사 나무상 128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에이피테크 대표이사 박찬봉 129 대통령표창 충청남도 - 단체 130 대통령표창 인천지방 중소벤처기업청 - 단체 131 대통령표창 (주)제스코통상 이사 이동희 132 대통령표창 (주)알바이오 대표 최경호 133 대통령표창 (주)보부하이테크 대표이사 왕동민 134 대통령표창 (주)휴맥스네트웍스 대표이사 이승재 135 대통령표창 동아알루미늄(주) 회장 라제건 136 대통령표창 경북통상(주) 대표이사 김현규 137 대통령표창 세종기술(주) 대표이사 이시원 138 대통령표창 한국머신툴스(주) 대표이사 서정철 139 대통령표창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주) 대표이사 케네스 민규리 140 대통령표창 (주)서치 대표 문영필 141 국무총리표창 (주)영케미칼 공장장 박경원 142 국무총리표창 (주)모담글로벌네이처 대표이사 고은주 143 국무총리표창 (주)디에스이엔티 대표이사 최병수 144 국무총리표창 (주)신명 대표이사 이상욱 145 국무총리표창 (주)모피언스 대표이사 박병기 146 국무총리표창 (주)에이치알이앤아이 부장 김진필 147 국무총리표창 (주)헤스피마린 대표이사 임지환 148 국무총리표창 농업회사법인 한국한인홍(주) 대표이사 임재화 149 국무총리표창 (주)에스앤씨 코퍼레이션 대표이사 박형준 150 국무총리표창 (주)워너비코스메틱 대표이사 김보민 151 국무총리표창 제닉스(주) 상무이사 박준호 152 국무총리표창 소마상사 대표 문현성 153 국무총리표창 엘지이노텍(주) 팀장 김도형 154 국무총리표창 희성촉매(주) 상무보 김은석 155 국무총리표창 (주)케이지무역 대표 독토바에브 일리아즈 156 국무총리표창 (주)사이버메드 대표이사 김철영 157 국무총리표창 에스파워(주) 대표이사 류승호 158 국무총리표창 (주)제일메디칼 코퍼레이션 회장 박재일 159 국무총리표창 (주)탑코글로벌 대표이사 양승철 160 국무총리표창 (주)엔솔 대표 이미영 161 국무총리표창 (주)강한 대표 정의한 162 국무총리표창 케이지 모빌리티(주) 노동조합 위원장 선목래 163 국무총리표창 비엔스틸라(주) 부장 정병곤 164 국무총리표창 (주)대한이앤씨 회장 이규석 165 국무총리표창 (주)토르 대표이사 장정환 166 국무총리표창 희성전자(주) 사장 이석종 167 국무총리표창 신흥글로벌(주) 상무이사 박유성 168 국무총리표창 삼영잉크 페인트제조(주) 차장 정남준 169 국무총리표창 (주)와이지-원 차장 최경희 170 국무총리표창 주식회사 씨티알에코포징 책임매니저 이동원 171 국무총리표창 (주)에이텍에이피 전무 남궁준 172 국무총리표창 (주)두성테크 차장 김정배 173 국무총리표창 (주)피에프디 대표이사 남궁광 174 국무총리표창 (주)엔캣 대표이사 양진호 175 국무총리표창 다온패브릭 대표 김유현 176 국무총리표창 (주)에스텍시스템 대표이사 이병화 177 국무총리표창 (주)태상 기감 이세도 178 국무총리표창 삼성전자(주) 부장 황은주 179 국무총리표창 현대건설(주) 팀장 임영빈 180 국무총리표창 (주)코센 수석부사장 천성환 181 국무총리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윤용 182 국무총리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송혜숙 183 국무총리표창 (주)렉셀 코리아 대표이사 오정희 184 국무총리표창 (재)창원산업진흥원 차장 최병길 185 국무총리표창 (주)신한은행 센터장 최신철 186 국무총리표창 (주)우리은행 영업본부장 홍응기 187 국무총리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최창열 188 국무총리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장상식 189 국무총리표창 주식회사 마린테크노 대표이사 황재호 190 국무총리표창 (주)케이더블유 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진길원 191 국무총리표창 남성해운(주) 회장 김영치 192 국무총리표창 에코유로파워(주) 대표이사 이종환 193 국무총리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원장 이양일 194 국무총리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차장 이경우 195 국무총리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최강록 196 국무총리표창 (주)쏠리드 대표이사 우영미 197 국무총리표창 주식회사 포스코 상무 김형목 198 국무총리표창 메타 바이오메드 미국법인 법인장 윤은석 199 국무총리표창 재단법인 경상남도 관광재단 대표이사 황희곤 200 국무총리표창 (주)아프로산업 대표 김정순 201 국무총리표창 유니스낵 대표 하이드 하니퍼 202 국무총리표창 북경양자동력무역 유한회사 총경리 신성순 203 국무총리표창 쑤메이다 국제기술무역 유한회사 총경리 후하이징 204 국무총리표창 (주)두손 대표이사 최경용 205 국무총리표창 한-토 자동차 주식회사 이사장 최우영 206 국무총리표창 아이엔티상사 대표이사 손영일 207 국무총리표창 전략물자관리원 팀장 김희준 208 국무총리표창 삼성전자로지텍 주식회사 부장 김생일 209 국무총리표창 (주)아산 성우하이텍 대표이사 박병찬 210 국무총리표창 한국그런포스펌프(주) 이사 손민호 211 국무총리표창 (주)에스엠코어 반장 박점수 212 국무총리표창 (주)신흥정밀 부사장 이장화 213 국무총리표창 오스템올소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병일 214 국무총리표창 (주)금강쿼츠 대표이사 김창길 215 국무총리표창 한국호야전자(주) 대표이사 김인 216 국무총리표창 코스맥스바이오(주) 대표 김철희 217 국무총리표창 에스케이에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사장 강도연 218 국무총리표창 성도하이텍(주) 고문 조준호 219 국무총리표창 (주)신티에스 이사 김연호 220 국무총리표창 시엔에이전기(주) 대표이사 인웅식 221 국무총리표창 (주)제이앤에스 대표이사 김병수 222 국무총리표창 (주)에이아이코리아 사장 김종래 223 국무총리표창 유광무역(주) 회장 최광사 224 국무총리표창 (주)창환단자공업 회장 김환창 225 국무총리표창 (주)세고스 조장 오은순 226 국무총리표창 원창머티리얼 주식회사 대표이사 채영백 2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피제이켐텍 상무 박영만 2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시스템베이스(주) 대표이사 장연식 2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독기술(주) 차장 이병수 2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프엔디 부장 이정민 2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한세라믹 대표이사 강성호 2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일신플랜텍 대표이사 안병헌 2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수원케이엔피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남석 2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블유에프엔 대표이사 박재광 2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더빅코리아 대표이사 김장수 2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치알에스 이사 김주용 2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데크카본 부장 유태두 2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애플티 대표이사 이민근 2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인천폐차사업소 대표이사 박순용 2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스알티 대표이사 손영만 2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블유제이티 대표 전일덕 2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올 이사 이창선 2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해사기술 상무 박한채 2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토마토안경 대표 김승준 2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태하 대표이사 한기용 2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와토코리아 대표이사 유경선 2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노바코리아(주) 대표이사 유동석 2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린텍 부사장 유호정 2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경인정밀기계 부사장 김태훈 2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한팩 대표이사 박인호 2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핌스 상무이사 배성일 2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엘글로벌 대표이사 이창우 2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반장 정인채 2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웰마크(주) 대표이사 정병도 2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디클러스 대표이사 김경은 2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도산업(주) 반장 곽하나 2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테크노스 대표이사 김상윤 2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가야인터내셔널코퍼레이션 대표이사 오정호 2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혜성씨앤씨(주) 상무이사 이희충 2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티엔씨 퍼스트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광복 2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송정 대표이사 송종호 2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니텍상사 대표 임재승 2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금성제어기(주) 대표이사 한형섭 2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도원에이팩스 대표 한봉희 2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비원 대표이사 조범호 2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티진 대표이사 허율 2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아이엘(주) 대표 김시균 2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청안오가닉스 차장 박남열 2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파워 대표이사 이경규 2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인흥산업 대표이사 이선재 2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아라움 대표 김미선 2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싸이몬 대표이사 안재봉 2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삼원기계 대표이사 전순도 2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니온테크㈜ 대표이사 한기정 2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네이처케어 대표 권민찬 2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이엠테크 대표이사 이경복 2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만코푸드 대표 고재유 2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무아스 사장 문철우 2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아이엠 대표이사 양영은 2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우스 책임 임광택 2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프로타이 대표 김부원 2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아오일씰텍 대표이사 노재숙 2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앤디그룹 회장 이철 2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흥아기연 부장 전춘식 2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만 팀장 박광열 2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가파우더시스템(주) 이사 이기택 2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남성해운(주) 상무이사 조인환 2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엘오티베큠 실장 김진섭 2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만 부장 권선용 2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원 팀장 이태호 2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원 전무이사 최남기 2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아알루미늄(주) 차장 박영철 2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마스터 팀장 한완혁 2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모피언스 기술연구소장 이광원 2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이쓰리시스템(주) 수석 차철 2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아알루미늄(주) 부장 이경란 2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사장 한부남 2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알바이오 전무 이항영 2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포스코퓨처엠 부사장 정대헌 3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수산중공업 직장 김성진 3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화성금속 부장 유현진 3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와이앤케이글로벌네트웍스(주) 이사 고민경 3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이피테크 수석 전우남 3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삼호중공업(주) 책임매니저 조상선 3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남경 책임 고병욱 3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로드컴플릿 매니저 김창순 3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녹스 본부장 서영석 3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알멕 총괄사장 박준표 3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그림 부사장 조천우 3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보 이사 서정만 3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알프스(주) 상무이사 이수연 3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보부하이테크 차장 임채영 3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수석 윤경일 3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치에스오토모티브 실장 한소정 3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진화스너공업(주) 부사장 정상희 3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스틸 부장 오동호 3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명 팀장 김영권 3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신세이프티시스템 부장 김안수 3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경북통상(주) 차장 최상락 3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녹스 직장 신충열 3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나이스텍(주) 과장 전진우 3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일평기연 차장 정경숙 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퓨런티어 이사 오승훈 3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텍글로벌 부장 류혜정 3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기가비스(주) 부장 임홍삼 3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하이트진로(주) 차장 이태섭 3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엔에스하이텍(주) 반장 김미귀 3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현대엘앤씨 전문직2급 안성인 3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바이오프로테크 대표이사 김병전 3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라젬 상무 김성국 3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이코더스 대표이사 최새미 3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이씨이아이우방 주식회사 대표 이찬우 3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양식품(주) 팀장 최호준 3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터보파워텍(주) 차장 황성 3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두맥스 부장 전화식 3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나이스텍(주) 부장 유승완 3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천지산업(주) 상무 한만규 3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모텍(주) 사원 이명숙 3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원일전선(주) 차장 박성룡 3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현대미포조선 책임매니저 전성진 3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블유제이티 실장 권수형 3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바노바기 대표이사 반재용 3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에스엠(주) 공장장 문영배 3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피에프디 실장 권야나 3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타임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이재원 3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리얼게인 대표이사 박대영 3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리아나까조(주) 팀장 고영석 3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서치 차장 최세미 3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와이아이테크(주) 이사 신시영 3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블유에프엔 과장 서다영 3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브링코 실장 이형노 3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태흥라인 대표이사 동홍얀 3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창환단자공업 사원 정미선 3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이엠바이오텍 대표 장지영 3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차장 장준민 3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시스템베이스(주) 부장 송승주 3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책임 조봉현 3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바이오로직스 차장 정구영 3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스씨엘 차장 오진근 3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샬롬엔지니어링(주) 팀장 박은정 3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모텍(주) 부장 최형원 3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보명금속 부장 김광일 3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디메카 대표이사 이진 3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명연마 부장 김명기 3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주) 초록원 이사 박종석 3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흥 대표이사 윤효성 3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일신웰스 대리 오승호 3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엘앤엘트레이딩 대표 양진혁 3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토마토안경 과장 순쇼단 3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블루칩코리아컴퍼니 대표 김태환 3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인터원 차장 강보라 3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에프에프코리아(주) 지사장 송민규 3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아제강 과장 최현민 3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세일단조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수권 3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터보파워텍(주) 조장 임창주 3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포시스 대표 이태순 3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세영정보통신(주) 이사 고재완 3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플로우텍 부장 김영호 3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이아이코리아 차장 이광용 3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넥센타이어(주) 상무 김대중 3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닉스 주식회사 과장 안효배 3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양금속공업(주) 과장 유용재 3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후후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정만형 3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진영테크 대표이사 곽봉주 3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포스코 그룹장 이동은 3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엠비스틸 차장 김경선 3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글로쿼드텍 상무 조인영 3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가디뷰이 대표이사 한화란 3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케이엠엑스 전무 김영규 3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플로우텍 대표이사 공도경 3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베이인터내셔널(주) 대표 조인환 3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디파인켐 대표이사 박현진 3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태하 과장 이혜영 3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에스이엔지 부장 권상준 3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득영 과장 김문식 3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마크로케어 공장장 김영규 3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신스윈 실장 양다별 3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원산업(주) 차장 정재은 3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텔레칩스 부사장 송봉기 4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수산씨에스엠 반장 김진우 4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혜성씨앤씨 주식회사 차장 최형구 4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케이렌터카 주식회사 매니저 이상옥 4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제세 대표이사 김동희 4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지디케이화장품(주) 상무 명진승 4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수산씨에스엠 팀장 김성욱 4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원농산 영농조합법인 실장 이연숙 4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우르 대표이사 신중길 4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정화식품(주) 차장 이정훈 4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대표이사 황규관 4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려비철금속(주) 부장 한설웅 4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성무역 대표 박태성 4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제철 주식회사 기장 배지환 4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니온 책임 박성진 4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태림 대표 백명란 4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구일엔지니어링 부사장 이광노 4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쓰리케이에이치 주식회사 대표이사 허선미 4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알지 부장 전진영 4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쿨랜스코리아 주식회사 팀장 임대규 4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원농산 영농조합법인 본부장 박은규 4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득영 대표 이성욱 4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휴맥스네트웍스 본부장 강기원 4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투앤 계장 김운 4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더유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유호완 4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다이나믹오토 대표이사 김현철 4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프알메드코스 대표이사 조진만 4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솔아이엠비 과장 손평원 4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미전선(주) 대표이사 윤성욱 4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메이코더스 이사 김길태 4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레존텍 팀장 박범준 4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웰코 대표 오창희 4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푸드베리 차장 김진륜 4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엠씨케이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병채 4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웨덱스 대표이사 양승구 4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제세 팀장 조성욱 4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미코세라믹스 담당 송현석 4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량산업(주) 과장 장주영 4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누비콤 대리 송주연 4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쿨랜스코리아 주식회사 팀장 이웅희 4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메가터치 상무 지종훈 4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바크로 상무 노성환 4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바다명가 이사 장민석 4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엔솔 대리 김준영 4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아시안푸드컨넥트 대표이사 김효길 4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바크로 대표 김종호 4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싱그린에프에스 팀장 이대범 4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비스타릿 과장 이지예 4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송정 부장 이고려 4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티씨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준호 4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두성테크 차장 이은령 4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조은종묘 주식회사 이사 서주덕 4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엔에스브이 대표이사 윤준호 4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아에스엔에스 부장 손원익 4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알메디텍 부장 정회용 4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에스이엔지 팀장 박무범 4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전무 이철준 4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남경 책임 주형욱 4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무사이 이사 마이클공 4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티씨 주식회사 이사 문대민 4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리얼게인 부장 한일수 4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대표이사 손상열 4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서치라이트에이치앤비 대표 양성영 4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리빙케어 과장 정유진 4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명산업기술(주) 이사 이재영 4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도스코 대리 신은지 4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도산업(주) 팀장 김현영 4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명산업기술(주) 차장 김성봉 4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미전선(주) 부장 이석구 4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마크로케어 이사 한상욱 4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림엠티아이 부장 원경희 4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세양섬유 대표 김영식 4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에스엠티 대표이사 한상효 4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영인바이오텍 대표이사 김영호 4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두산에너빌리티(주) 상무 김종봉 4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부장 이득주 4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남동훈 4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고범서 4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김승호 4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방위사업청 담당 임형진 4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관세법인 커스앤 부장 차유석 4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강지숙 4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부장 이봉걸 4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팀장 전태리 4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과장 반선화 4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서수민 4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박중태 4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과장 임재윤 4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과장 이보형 4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충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행정실무관 이윤서 4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수출전문관 신지식 4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대리 고아영 4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구은행 과장 장지훈 4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차장 김주형 4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재단법인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팀장 신미화 4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산은행 부지점장 정명섭 4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화성시수출업무지원센터 대리 임도희 4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재단법인 인천테크노파크 과장 최인구 4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수출입은행 부장 이원균 4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사무원 박원정 4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리 도승주 5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재단법인 경남테크노파크 선임연구원 김미성 5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한은행 센터장 권오헌 5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구은행 센터장 박찬성 5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대리 정원영 5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산은행 부지점장 박진규 5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릴리커버 대표이사 안선희 5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중앙회 대리 유혜선 5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팀장 진형석 5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박주호 5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단법인 한국시험인증산업협회 본부장 오기수 5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산업단지공단 차장 정수미 5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원 조민 5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자동차㈜ 책임연구원 김경남 5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주항공 실장 박지헌 5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무역정보통신 차장 원준문 5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한은행 부부장 정진우 5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엔브이텍 주식회사 대표이사 강진희 5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엘에스 일렉트릭 상무 어영국 5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성크린후로텍(주) 부사장 김윤욱 5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다비다 대표이사 이은승 5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동서발전(주) 차장 유상협 5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 윤주한 5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엘지씨엔에스 담당 신재훈 5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이코퍼레이션닷제이피(주) 대표이사 염종순 5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헵시바(주) 대표이사 성차현 5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이희성 5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알리바바코리아 유한회사 과장 김경민 5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큐익스프레스(주) 차장 이용우 5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박희연 5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차장 박지연 5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네오지오 부장 윤지영 5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마존서비시스코리아 유한회사 팀장 한동민 5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대리 류지은 5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스토스 대표 이후정 5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린코스 이사 김성훈 5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땡큐파머 과장 남혜진 5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벤티지 주식회사 대표이사 송형진 5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엠엠(주) 책임매니저 서동진 5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이치엠엠(주) 부장 서정남 5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프로젝트매니저 최한선 5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세중해운 주식회사 대표이사 한명수 5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티씨쉬핑 대표이사 기영일 5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정동하 5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주동필 5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다이나톤 대표이사 도상인 5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제이제일제당(주) 부장 박지훈 5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관장 이승기 5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처장 양기모 5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한국배수출연합 주식회사 전무 김길동 5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팀장 성기주 5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콘텐츠진흥원 차장 남궁영준 5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홈앤쇼핑 차장 홍기훈 5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승하이켐 대표이사 이병소 5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에이치케이 대표 이진혁 5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광해광업공단 차장 김기주 5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케이어스온(주) 프로젝트매니저 홍윤기 5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포스코 부장 권영무 5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목포대학교 교수 최동오 5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모리타카즈히데 5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박은영 5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상공회의소 관세사 오수희 5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안산상공회의소 사원 이채윤 5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 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책임실무관 프레셀로 가브리엘이그나시오 5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사)대한화장품협회 부회장 연재호 5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한다운에프에스엘 대표이사 류창열 5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콜마 주식회사 팀장 김용우 5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행정주사 김균우 5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주특별자치도청 사무관 고민정 5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공업주사 강민구 5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강원지방중소벤처기업청 팀장 서식원 5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부산광역시 지방 행정주사 백경수 5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주특별자치도청 지방농업주사보 변재현 5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법무법인(유한) 민 변호사 오수원 5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기아(주) 기아캐나다 법인장 권성원 5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매니저 사라벤수산 5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매니저 김봉화 5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서울메쎄 대표이사 박병호 5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팀장 조원강 5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티에스엠(주) 대표이사 서원준 5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엑스코 팀장 권현칠 5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미래전람 대표이사 문병관 5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실장 최기성 5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시스 대표이사 송석일 5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덕코 시니어 엔지니어 블레센코시 5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오이서포트 대표 우치다토시히토 5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미다스 파마 게엠베하 디렉터 벤야민페터샬케 5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로우카본 대표이사 이철 5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건영테크 주식회사 대표이사 임진영 5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엔제이테크 대표이사 장우길 5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레오 대표이사 어정선 5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모닝바이오 대표 이광용 5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밀리웨이브 대표이사 한영하 5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에이랩 대표이사 이승욱 5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대표이사 박용하 5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권도영알로에 주식회사 대표 권도영 5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엑스바디 대표이사 김미숙 5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엘시시 대표이사 임부택 수출의 탑 수상업체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수상내역 1 현대자동차(주) 장재훈 대기업 300억불탑 2 기아 주식회사 송호성 대기업 200억불탑 3 엘지이노텍(주) 문혁수 대기업 100억불탑 4 삼성에스디아이(주) 최윤호 대기업 60억불탑 5 (주)엘앤에프 최수안 중견기업 40억불탑 6 (주)에코프로비엠 주재환 중견기업 30억불탑 7 SK인천석유화학(주) 최윤석 대기업 30억불탑 8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지종립 중견기업 30억불탑 9 (주)에코프로이엠 박종환 중견기업 20억불탑 10 (주)경신 이승관 대기업 10억불탑 11 (주)포스코퓨처엠 김준형 대기업 10억불탑 12 에스엘(주) 이성엽 중견기업 10억불탑 13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정용원 대기업 10억불탑 14 한국알프스(주) 강동완 중견기업 10억불탑 15 현대로템 주식회사 이용배 대기업 10억불탑 1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해상 대기업 8억불탑 17 (유)스태츠칩팩코리아 김원규 중견기업 7억불탑 18 (주)세아제강 이휘령 대기업 7억불탑 19 엘에스일렉트릭(주) 구자균 대기업 7억불탑 20 (주)대동 김준식 중견기업 6억불탑 21 (주)피엔티 김준섭 중견기업 6억불탑 22 (주)에코프로머티리얼즈 김병훈 중견기업 5억불탑 23 (주)에프앤에프 김창수 중견기업 5억불탑 24 에드워드코리아(주) 윤재홍 대기업 5억불탑 25 주식회사 세아엠앤에스 조규환 중견기업 5억불탑 26 (주)에스에이엠티 박두진 중견기업 4억불탑 27 명화공업(주) 문성준 중견기업 4억불탑 28 주식회사 디엔오토모티브 김인환 중견기업 4억불탑 29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 최창복 중견기업 4억불탑 30 주식회사 티와이엠 김희용 중견기업 4억불탑 31 (주)휴스틸 박훈 중견기업 3억불탑 32 더블유씨피 주식회사 최원근 중소기업 3억불탑 33 에이치라인해운 주식회사 서명득 중견기업 3억불탑 34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김영호 중견기업 3억불탑 35 (주)건화 제영섭 중견기업 2억불탑 36 (주)엠플러스 김종성 중소기업 2억불탑 37 (주)휴맥스네트웍스 이승재 중소기업 2억불탑 38 SK바이오팜(주) 이동훈 대기업 2억불탑 39 남성해운(주) 김용규 중견기업 2억불탑 40 아진산업(주) 서중호 중견기업 2억불탑 41 에이치엘홀딩스 주식회사 김준범 중견기업 2억불탑 42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최칠선 중견기업 2억불탑 43 주식회사 대유이피 양찬유 중견기업 2억불탑 44 주식회사 보림 박광호 중견기업 2억불탑 45 티이엠씨(주) 유원양 중소기업 2억불탑 46 한전원자력연료(주) 최익수 대기업 2억불탑 47 (주)덴티움 서승우 중견기업 1억불탑 48 (주)디에스시 조희선 중견기업 1억불탑 49 (주)디에스시동탄 조희오 중소기업 1억불탑 50 (주)부산케이블앤엔지니어링 또위롱 중소기업 1억불탑 51 (주)비츠로셀 장승국 중소기업 1억불탑 52 (주)실리콘투 김성운 중소기업 1억불탑 53 (주)알멕 신상호 중소기업 1억불탑 54 (주)에이치알이앤아이 박장현 중소기업 1억불탑 55 (주)에이치엘클레무브 윤팔주 중견기업 1억불탑 56 (주)에이치피에스피 김용운 중소기업 1억불탑 57 (주)엘오티베큠 오흥식 중견기업 1억불탑 58 (주)우원기술 김태완 중소기업 1억불탑 59 (주)윤성에프앤씨 박치영 중소기업 1억불탑 60 (주)일지테크 구준모 중견기업 1억불탑 61 (주)텔레칩스 이장규 중견기업 1억불탑 62 (주)현대엘앤씨 김관수 대기업 1억불탑 63 롯데웰푸드(주) 이창엽 대기업 1억불탑 64 산일전기(주) 박동석 중소기업 1억불탑 65 성일하이메탈(주) 홍승표 중소기업 1억불탑 66 엑셀리스코리아(주) 박영근 중견기업 1억불탑 67 인팩이피엠(주) 최장돈 중소기업 1억불탑 68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이만우 중견기업 1억불탑 69 주식회사 스맥 최영섭 중견기업 1억불탑 70 주식회사 코넥 공성황 중견기업 1억불탑 71 주식회사 코스알엑스 전상훈 중소기업 1억불탑 72 코오롱플라스틱(주) 허성 대기업 1억불탑 73 피아이첨단소재(주) 송금수 중견기업 1억불탑 74 한국진공(주) 이인우 중견기업 1억불탑 75 한주라이트메탈(주) 이용진 중견기업 1억불탑 76 (주)IEN한창 장연덕 중소기업 7천만불탑 77 (주)넥스틴 박태훈 중소기업 7천만불탑 78 (주)베스텍 이복선 중소기업 7천만불탑 79 (주)선진코리아 허수영 중소기업 7천만불탑 80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유대연 중소기업 7천만불탑 81 (주)우즈오토코리아 에샤노프바흐티야르 중소기업 7천만불탑 82 (주)월덱스 배종식 중소기업 7천만불탑 83 (주)케이디에프 김영일 중소기업 7천만불탑 84 (주)클래시스 백승한 중소기업 7천만불탑 85 (주)탑코글로벌 양승철 중소기업 7천만불탑 86 (주)태상 김광표 중소기업 7천만불탑 87 (주)태성공업 유계희 중소기업 7천만불탑 88 (주)흥아 정성원 중견기업 7천만불탑 89 기가비스 주식회사 강해철 중소기업 7천만불탑 90 동일금속(주) 오길봉 중소기업 7천만불탑 91 삼신화학공업(주) 오봉균 중견기업 7천만불탑 92 세광인터내셔날네트워크(주) 박경수 중소기업 7천만불탑 93 영화금속(주) 최동윤 중견기업 7천만불탑 94 제룡전기(주) 박종태 중소기업 7천만불탑 95 주식회사 네오셈 염동현 중소기업 7천만불탑 96 주식회사 디앤티 박해일 중소기업 7천만불탑 97 주식회사 어패럴테크 김정욱 중소기업 7천만불탑 98 주식회사 인터로조 노시철 중견기업 7천만불탑 99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강동환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0 주식회사 티르티르 이보희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1 주식회사 펠릭스테크 이명희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2 케이넷(주) 서성남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3 케이비에스미디어(주) 김영삼 대기업 7천만불탑 104 코렉스 오토 트레이드 석로만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5 피엠씨바이오제닉스코리아 주식회사 뎁토시차크라바르티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6 한국해상연료(주) 이창식 중소기업 7천만불탑 107 한국호야전자(주) 김인 중견기업 7천만불탑 108 한일단조공업(주) 박정영 중견기업 7천만불탑 109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양국석 대기업 7천만불탑 110 휴젤(주) 손지훈 중견기업 7천만불탑 111 (주)강원엔티에스 전창열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2 (주)건화이엔지 허용훈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3 (주)고려이노테크 허 혁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4 (주)구일엔지니어링 황성일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5 (주)금호에이치티 김진곤 중견기업 5천만불탑 116 (주)나인벨 최문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7 (주)디에이치라이팅 채희철 중견기업 5천만불탑 118 (주)마스터 김상훈 중소기업 5천만불탑 119 (주)부쉬매뉴팩처링코리아 유승화 중견기업 5천만불탑 120 (주)비엠티 윤종찬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1 (주)빅토리아텍스타일 임정묵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2 (주)성신알에스티 박계출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3 (주)성진아이앤씨 박용흠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4 (주)스마일게이트홀딩스 성준호 중견기업 5천만불탑 125 (주)씨앤씨인터내셔널 배은철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6 (주)알코판넬 김민한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7 (주)엠에스씨 김호석 중견기업 5천만불탑 128 (주)제일 윤홍현 중소기업 5천만불탑 129 (주)지앤비에스에코 박상순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0 (주)케이타운포유 송효민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1 (주)코윈테크 정갑용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2 (주)티앤엘 최윤소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3 (주)파워넷 이돈주 중견기업 5천만불탑 134 (주)한국알스트롬 심진화 중견기업 5천만불탑 135 (주)해광 김한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6 (주)흥국 류명준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7 주식회사 에이씨엠리서치코리아 김영율 중견기업 5천만불탑 138 기산전자(주) 장상환 중소기업 5천만불탑 139 대주전자재료(주) 임일지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0 린데코리아(주) 성백석 대기업 5천만불탑 141 새한해운(주) 이정남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2 서한이앤피(주) 정하식 중견기업 5천만불탑 143 성호해운(주) 박성훈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4 에스엔시스(주) 배재혁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5 에이치엔에스하이텍(주) 김정희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6 에코캡 주식회사 최영천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7 주식회사 레이크머티리얼즈 김진동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8 주식회사 로드컴플릿 배정현 중소기업 5천만불탑 149 주식회사 리버 김명환 중소기업 5천만불탑 150 주식회사 비. 엘. 아이 서경아 중소기업 5천만불탑 151 주식회사 에이피알 김병훈 중견기업 5천만불탑 152 주식회사 히타치에너지코리아 최석환 중견기업 5천만불탑 153 한상인터내셔날(주) 김상철 중소기업 5천만불탑 154 (주)노바렉스 권석형 중견기업 3천만불탑 155 (주)더한인터내셔날 전유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56 (주)덴티스 심기봉 중소기업 3천만불탑 157 (주)동아기업 박경헌 중소기업 3천만불탑 158 (주)디케이엔지 김대기 중소기업 3천만불탑 159 (주)렛잇뷰티 박준성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0 (주)메리테크 장병국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1 (주)미코세라믹스 여문원 중견기업 3천만불탑 162 (주)베스트부품 황대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3 (주)세양 신정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4 (주)스마트공작기계코리아 김종철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5 (주)아이스트로 박형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6 (주)에스이에이 신재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7 (주)에프엠 성석기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8 (주)이노메트리 이갑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 169 (주)이노와이어리스 곽영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0 (주)이엔플러스 안영용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1 (주)제이디바이오 김진동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2 (주)지아이엠시스템 김장순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3 (주)지앤드에스인더스트리얼 김스타니슬라브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4 (주)창환단자공업 김환창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5 (주)케이에스티이 이두로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6 (주)클리오 한현옥 중견기업 3천만불탑 177 (주)하나금속 홍상우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8 (주)한성이에스 장욱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79 (주)한중엔시에스 김환식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0 DALEX INTERNATIONAL 리 드미트리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1 ISK바이오사이언스코리아(주) 호리에미키야 대기업 3천만불탑 182 건우메탈(주) 우태구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3 고려비철금속(주) 한설전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4 기승공업(주) 송상훈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5 대진기계 곽노근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6 동방에프티엘(주) 정헌석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7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라제건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8 부산카플링 주식회사 노재원 중소기업 3천만불탑 189 삼덕통상(주) 문창섭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0 아시아첨가제(주) 김형웅 대기업 3천만불탑 191 아이쓰리시스템(주) 정한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2 에스아이그룹코리아(유) 에릭 사무엘 중견기업 3천만불탑 193 에스케이렌터카(주) 황일문 대기업 3천만불탑 194 에스트래픽(주) 문찬종 중견기업 3천만불탑 195 엔브이에이치플로어시스템 주식회사 유영진 중견기업 3천만불탑 196 오션브릿지 주식회사 이석규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7 오일허브코리아여수(주) 백종연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8 우성오토콘(주) 민삼환 중소기업 3천만불탑 199 원일전선 주식회사 이찬재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0 원창머티리얼(주) 채영백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1 원텍(주) 김종원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2 주식회사 네오인플럭스 김지훈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3 주식회사 디엠티 양병철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4 주식회사 레어마켓 정혜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5 주식회사 씨티알에코포징 김윤호 중견기업 3천만불탑 206 주식회사 아네시 천영근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7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권순식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8 주식회사 제테마 김재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 209 주식회사 카본엑스리사이클링 (김천공장) 이옥란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0 주식회사 파두 남이현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1 주식회사 황조 문병태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2 케이비아이알로이(주) 김병제 중견기업 3천만불탑 213 주식회사 코만 김욱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4 하이콘(주) 황동원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5 한라IMS(주) 지석준 중소기업 3천만불탑 216 (주)S. F. C 홍정구 중소기업 2천만불탑 217 (주)가유 안필이 중소기업 2천만불탑 218 (주)구다이글로벌 천주혁 중소기업 2천만불탑 219 (주)굿띵 이종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0 (주)다원트레이드 이민재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1 (주)데스코 김은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2 (주)동아 HI 정인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3 (주)동양피엘티 전성도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4 (주)두베코 최규대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5 (주)디어유 안종오 대기업 2천만불탑 226 (주)디에스이엔티 최병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 227 (주)마녀공장 유근직 중견기업 2천만불탑 228 (주)메가터치 윤재홍 중견기업 2천만불탑 229 (주)미라콤아이앤씨 강석립 대기업 2천만불탑 230 (주)바이오프로테크 박익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1 (주)베리콤 김윤기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2 (주)보명금속 홍수식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3 (주)보부하이테크 왕동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4 (주)비엔씨글로벌 보조로브 파리둔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5 (주)비올 이상진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6 (주)삼아인터내셔날 이균희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7 (주)샤프테크닉스케이 백순석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8 (주)세바 김정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39 (주)스피덴트 안제모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0 (주)아름덴티스트리 이정현 대기업 2천만불탑 241 (주)아스트루멧 조용범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2 (주)아이캠퍼 박순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3 (주)에스디이앤씨 옥부만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4 (주)에스엠코어 최영상 대기업 2천만불탑 245 (주)에이아이코리아 안진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6 (주)에이에스텍 윤종배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7 (주)에이치케이이앤이 김병학 중소기업 2천만불탑 248 (주)에이텍에이피 김경환 중견기업 2천만불탑 249 (주)에코프로에이치엔 김종섭 중견기업 2천만불탑 250 (주)엑소코바이오 조병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1 (주)엑스모토 황민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2 (주)엘케이엔지니어링 이준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3 (주)유니락 유명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4 (주)이노디스 박해신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5 (주)이에스인터네셔널 김성은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6 (주)일신웰스 윤동훈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7 (주)제이피프로페셔널 전재윤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8 (주)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박재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59 (주)케이디파인켐 박현진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0 (주)케이지무역 독토바에브일리아즈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1 (주)코라이인터내셔날 이순오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2 (주)큐에스티아이콘 김은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3 (주)탑글로벌파츠 오민숙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4 (주)태흥라인 동홍얀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5 (주)티에이밸브 김기현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6 (주)퍼즐원스튜디오 이기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7 (주)퓨런티어 배상신 중견기업 2천만불탑 268 (주)플로원 문철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69 (주)한민 김재찬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0 (주)화신볼트산업 정순원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1 shenb Co., Ltd. 강선영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2 나노인텍(주) 박영식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3 대일공업(주) 문상인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4 동광무역상사(주) 이상훈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5 동아스틸(주) 조진호 대기업 2천만불탑 276 루에랑(주) 김직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7 린노알미늄(주) 이세영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8 매그날 주식회사 현석정 중소기업 2천만불탑 279 삼성레진(주) 홍영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0 삼양금속공업(주) 서진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1 삼영잉크페인트제조(주) 박기출 중견기업 2천만불탑 282 삼익THK(주) 진영환 중견기업 2천만불탑 283 세영글로벌 주식회사 손태우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4 수성기체산업(주) 조준우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5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모은종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6 에스시디디(주) 강병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7 에이치제이코퍼레이션즈(주) 성현중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8 엔지유인터내셔날(주) 최민석 중소기업 2천만불탑 289 웅진식품(주) 이지호 중견기업 2천만불탑 290 제이에이치화학공업(주) 허제홍 중견기업 2천만불탑 291 주식회사 로한컴퍼니 최환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2 주식회사 성산기업 송인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3 주식회사 신성금속 전백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4 주식회사 싱그린에프에스 정호석 대기업 2천만불탑 295 주식회사 아이플랜트 황용한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6 주식회사 에스제이머티리얼즈 표지웅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7 주식회사 에치엠지(HMG) 최학민 중소기업 2천만불탑 298 주식회사 이수앱지스 황엽 중견기업 2천만불탑 299 주식회사 이스트웨이홀딩스 리블라디슬랍 예브게니예비치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0 주식회사 인코아 황준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1 주식회사 인터트레이드 엘알라미페리샤자파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2 주식회사 제이앤제이 이주천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3 주식회사 피에프디 남궁광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4 주식회사 화인 전익찬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5 청호나이스(주) 김성태 중견기업 2천만불탑 306 케이엠피 주식회사 이형집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7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주) 케네스민규리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8 코렉스 주식회사 석로만 중소기업 2천만불탑 309 타이요코리아(주) OTA YASUHARU 중소기업 2천만불탑 310 티핏클래스 주식회사 정내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 311 한울생약(주) 한영돈 중소기업 2천만불탑 312 한유에스케이이티에스 박기흥 중견기업 2천만불탑 313 혜성씨앤씨(주) 송영빈 중소기업 2천만불탑 314 희성폴리머(주) 한재동 중견기업 2천만불탑 315 (주)골드크랩 이인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 316 (주)구수중전기 김원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17 (주)그림 곽만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18 (주)나노인터페이스테크놀로지 이죠셉제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19 (주)나린코리아인터내셔널 민병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0 (주)누보 이경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1 (주)다스코 이근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2 (주)다이나테크 공영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3 (주)대석프로토 오판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4 (주)대창공업 홍영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5 (주)데이지크 연정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6 (주)득영 이성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7 (주)러쉬엔터프라이즈 신동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8 (주)러시아 이서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329 (주)리비콘 김경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0 (주)마블프로듀스 전현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1 (주)모피언스 박병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2 (주)미미박스 하형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3 (주)바이비 박진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4 (주)바이오비쥬 양준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5 (주)버블언드 정순덕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6 (주)비에스팜코리아 양광모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7 (주)삐아 박광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8 (주)삼일엘텍 이양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39 (주)스누콘 박영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0 (주)스피드랙 민병오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1 (주)신명 이상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2 (주)신성엠엔에스 조석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3 (주)신스윈 양재부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4 (주)신한세라믹 강성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5 (주)쏠리드 우영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6 (주)씨엔루브 김화야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7 (주)아이브리지닷컴 최유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8 (주)에스씨솔루션케이알 송가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49 (주)에스이엠 정진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0 (주)에스제이엔터프라이즈 김용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1 (주)에어메이저 김영태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2 (주)에이티아이코리아 제갈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3 (주)에이피오토모티브 김명종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4 (주)에코프로에이피 허태경 중견기업 1천만불탑 355 (주)엔알에이치스틸 무하마드아스가르알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6 (주)엠디에이치테크 장순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7 (주)엠아이티 최명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8 (주)엠에스티 이동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359 (주)엠투씨 이해광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0 (주)오브이코스 안정숙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1 (주)오토페르시아 카람바랑기알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2 (주)유연에이에프 안교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3 (주)익스팬더스 장성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4 (주)인터아시아 주성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5 (주)제니어스 이학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6 (주)제이케이글로벌 김경남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7 (주)조이포라이프 하기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8 (주)중원산업 김명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69 (주)지아이텍 이인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0 (주)카츠코리아 이성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1 (주)칸인터내셔널 박규태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2 (주)케이에이치글로벌 정 경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3 (주)케이텍글로벌 채경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4 (주)코마테크놀로지 박성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5 (주)코코 최장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6 (주)크래비스 황준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7 (주)타임인터내셔널 이재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8 (주)태린홀딩스 조서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 379 (주)티피엠엔 박도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0 (주)파마리서치바이오 백승걸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1 (주)평일 김승민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2 (주)포네스 임성빈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3 (주)포벨 김정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4 (주)푸드웨어 신동식 중견기업 1천만불탑 385 (주)풍산디에이케이 안동일 중견기업 1천만불탑 386 (주)프로 강선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7 (주)피앤엘 신관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8 (주)피엘특수강 임재근 중소기업 1천만불탑 389 (주)한국마이콤 오무라 토시오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0 (주)한도 김민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1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윤요현,박서영 중견기업 1천만불탑 392 (주)한바다 김덕종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3 (주)한웅메디칼 김봉조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4 (주)현대정밀 오정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5 (주)홀리코리아 독토바에브 다니엘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6 (주)화성금속 원일봉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7 (주)훈인터내셔널 정승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8 경진단조(주) 고석재 중소기업 1천만불탑 399 골드 심동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0 글로벌마린서비스 주식회사 정성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1 나이스텍(주) 신두국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2 농업회사법인 정우식품(주) 이한면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3 다본 주식회사 김현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4 대가파우더시스템(주) 최은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5 대건비철금속(주) 이상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6 대영금속공업(주) 모성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7 동진C&C 우미광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8 두리화장품(주) 이병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09 디앤에이치인터내셔널(주) 홍화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0 먼데이오프 주식회사 강혁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1 (주)메디케어랩스 이두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2 부성스틸(주) 이철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3 브이피에스(주) 현철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4 삼미금속(주) 김경남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5 삼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엄성자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6 서북인터내셔널(주) 이민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7 선라이즈무역 예브그래브스카야 타티아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8 성진종합전기(주) 김정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19 시엔에이전기(주) 인웅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0 씨엔티지 주식회사 김정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1 아이세로미림(주) 임장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2 알제이씨홀딩스 주식회사 엄승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3 에스앤에스밸브(주) 안병헌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4 에스카 주식회사 진홍근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5 에스피씨케이(주) 장진화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6 에이스기계(주) 이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7 에이엠티씨 주식회사 김진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428 에이치디현대글로벌기술서비스(주) 임영호 대기업 1천만불탑 429 에이티제이컴퍼니 엄태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0 에코리빙 주식회사 한영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1 에코폴리텍 주식회사 허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2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강성희 중견기업 1천만불탑 433 와이앤케이글로벌네트웍스(주) 김영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4 와이케이메탈(주) 김민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5 주식회사 이엠비글로벌 김언빈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6 이코리아인더스트리(주) 정태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7 주식회사 경서산업 정철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8 주식회사 골든토드 김경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 439 주식회사 긱(GIK CO.,LTD) 이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0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이규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1 주식회사 롬인터네셔널 유리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2 주식회사 리만코리아 김경중 중견기업 1천만불탑 443 주식회사 린텍 이형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4 주식회사 메타스크 황유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5 주식회사 베네코 김태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6 주식회사 브링코 김태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7 주식회사 블랑 양해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8 주식회사 비모뉴먼트 반성연 중소기업 1천만불탑 449 주식회사 성진기계 최재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0 주식회사 세와모터스 김지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1 주식회사 식스트레이드 김항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2 주식회사 애드위너 조양래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3 주식회사 에스엘씨 김종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4 주식회사 에이비씨글로벌 허남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5 주식회사 에이피테크 박찬봉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6 주식회사 여수해양 정인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7 주식회사 영도글로발 김태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8 주식회사 오라스 김영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59 주식회사 올리브 서명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0 주식회사 와이엠케이 OGAWA KATSUMI 중견기업 1천만불탑 461 주식회사 이노렉스 이양자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2 주식회사 제로원글로벌 박영일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3 주식회사 제이알오토트레이딩 알제디오마르주디오스만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4 주식회사 지씨엠 정재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5 주식회사 코루파마 베르니두브 로만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6 주식회사 퀴버메딕 우이화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7 주식회사 태하 한기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8 주식회사 피스 신경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 469 주연티앤에스 주식회사 이광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0 지더블유인터내셔널(주) 김삼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1 지디케이화장품(주) 김태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2 천지산업(주) 한만오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3 케이티엠(주) 이순오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4 코어엔텍 주식회사 윤석찬 중견기업 1천만불탑 475 테크밸리 주식회사 김한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6 티에스모스트(주) 김춘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7 티지에스파이프(주) 서의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8 피떠불유인터내쇼날(주) 심준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 479 하나섬유 신승혜 중소기업 1천만불탑 480 한국머신툴스(주) 서정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 481 (주)KLT 양윤종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2 (주)가온폴리머앤실런트 엄기선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3 (주)글로쿼드텍 장기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4 (주)금광케이엘 김문규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5 (주)누비콤 신동만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6 (주)다다씨앤씨 최민석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7 (주)더블유제이티 전일덕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8 (주)디앤큐국제무역 정초 중소기업 7백만불탑 489 (주)루리텍 이광순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0 (주)메디메카 이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1 (주)바텍엠시스 고영탁 중견기업 7백만불탑 492 (주)베스트디지탈 최병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3 (주)본코스메틱 신인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4 (주)비바웨이브 허재석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5 (주)삼영비앤에프 이선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6 (주)서원양행 이광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7 (주)서일퍼시픽 김계철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8 (주)서치 문영필 중소기업 7백만불탑 499 (주)성진전자 정미경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0 (주)신도피앤지 안도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1 (주)씨엠테크 김현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2 (주)아이지스 김남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3 (주)알케이코퍼레이션 박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4 (주)에스디옵틱스 서청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5 (주)에스제이케미컬 김현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6 (주)에스제이피 송승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7 (주)에스케이에이어드벤스드 김기홍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8 (주)에어레인 하성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09 (주)에이앰티 최종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0 (주)에이플러스엑스 심건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1 (주)영케미칼 윤한성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2 (주)오리엔탈정밀기계 김종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3 (주)오토모빌토탈솔루션 진재웅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4 (주)와토코리아 유경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5 (주)우리비앤비 박상협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6 (주)위드멤스 구황섭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7 (주)유엠트레이딩 이스마이로브 우란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8 (주)윤영테크 이종윤 중소기업 7백만불탑 519 (주)이너프 이월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0 (주)이노맥스 선시욱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1 (주)이앤아이티홀딩스 김현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2 (주)이지디에스 최한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3 (주)이지테크론 하명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4 (주)이화 정윤식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5 (주)익성 이봉직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6 (주)인천폐차사업소 박순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7 (주)인터원 나정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8 (주)일신오토클레이브 김현효 중소기업 7백만불탑 529 (주)일진 마하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0 (주)자비스 김형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1 (주)제이앤씨 배천배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2 (주)제이엘글로벌 정동섭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3 (주)제이와이써키트 이준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4 (주)제이이씨 요한게릿후느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5 (주)제이케이트레이딩코리아 권신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6 (주)주영메카트로닉스 이승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7 (주)지엠피콥 최정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8 (주)천지인화 로림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39 (주)코밸 최영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0 (주)퀸스인터네셔널 최윤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1 (주)탑드릴 김정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2 (주)티에이치무역 박희출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3 (주)티엠비스틸 박승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4 (주)파인스킨 서담혜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5 (주)플랜텍 김선태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6 (주)픽플러스 임정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7 (주)해성 용석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8 (주)호강상사 장효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49 (주)후후인터내셔널 정만형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0 경원기계공업(주) 정의화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1 농업회사법인 한국한인홍(주) 임재화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2 다온패브릭 김유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3 대덕에프알디(주) 박현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4 대연화학(주) 김연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5 대천김 주식회사 최현정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6 대천맛김 주식회사 김태복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7 대화제약(주) 김은석 중견기업 7백만불탑 558 덕지산업 주식회사 김종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559 데스틴 파워(주) 오성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0 디에스씨이앤지(주) 이동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1 디엑스앤브이엑스(주) 이용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2 리맥스개발(주) 이두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3 미주정밀(주) 이중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4 성하에스이 주식회사 이상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5 세일단조(주) 김수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6 세지케미칼 주식회사 김희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7 슈퍼센트(주) 공준식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8 신바테크(주) 김공섭 중소기업 7백만불탑 569 아이타즈(주) 정지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0 알에프머트리얼즈(주) 남동우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1 애니솔라(주) 소명섭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2 어반스퀘어(주) 김재우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3 에스 알 씨 주식회사 윤형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4 에스에프에프코리아(주) 토레크리스티안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5 에이치에스엠(주) 문안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6 오씨아이파워 주식회사 장형규 대기업 7백만불탑 577 우신공조(주) 남효우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8 우진물산 주식회사 이수천 중소기업 7백만불탑 579 이일산업(주) 박병재 중견기업 7백만불탑 580 자일자동차(주) 백병수 중견기업 7백만불탑 581 제닉스(주) 배성관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2 조르고무역 이재경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3 주식회사 광명산업 목진영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4 주식회사 그린빌 장탁중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5 주식회사 단디글로벌 이명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6 주식회사 대원단조 하명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7 주식회사 더블유에프엔 박재광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8 주식회사 동남 김성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89 주식회사 바노바기 반재용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0 주식회사 바이오템 이영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1 주식회사 스틸앤 김지훈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2 주식회사 신대양리텍 김형석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3 주식회사 알제이아이 유제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엔 신재일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5 주식회사 에어로코텍 최주원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6 주식회사 엘가베 김부권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7 주식회사 와이케이무역 캠 야쿱코롬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8 주식회사 유니온모터스 글라스코바올레시아 중소기업 7백만불탑 599 주식회사 이스턴에프티씨 이용구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0 주식회사 익태 하은실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1 주식회사 인사이롭 신현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2 주식회사 전진레일테크 전진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3 주식회사 정코리아 정성협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4 주식회사 제이앤코슈 장유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5 주식회사 종합정밀 유귀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6 주식회사 지비즈 이창범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7 주식회사 지에스테크 이명호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8 주식회사 코리아나바이오 유학수 중소기업 7백만불탑 609 주식회사 코릴 오현규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0 주식회사 크리켐 하상대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1 주식회사 피비코스 박기범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2 주식회사 한미중기 박철규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3 주식회사 현글로벌 김태현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4 주식회사 휴온스메디텍 천청운 중견기업 7백만불탑 615 케이에스콤프레샤(주) 윤영석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6 켐솔루션(주) 김영록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7 코마렉스 주식회사 문애진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8 태양 3C(주) 황창순 중소기업 7백만불탑 619 (주)SC ISP 서석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0 (주)강한 정의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1 (주)길코퍼레이션 김성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2 (주)노벨리스인터네셔날네트웍스 최한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3 (주)다모아코스메틱 박종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4 (주)달마전자 안해광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5 (주)대일시스템 김광산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6 (주)더아이엠 권영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7 (주)두림 박병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8 (주)듀만 방병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29 (주)디와이폴리머 최창배 대기업 5백만불탑 630 (주)로프캠프 윤강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1 (주)리텍 이형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2 (주)리하온 황재윤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3 (주)모노텍스 장두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4 (주)미주파워텍 김명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5 (주)베스트켐인터내셔널 김천덕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6 (주)비알팜 김석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7 (주)비트라코 백상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8 (주)성보산업 하득룡 중소기업 5백만불탑 639 (주)승건코스메틱스 류수빈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0 (주)신우산업 이정연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1 (주)심스인터내셔널 홍석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2 (주)씨제이피파츠 이경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3 (주)아그네스메디컬 안성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4 (주)아이비코퍼레이션 홍창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5 (주)아이유닉 김미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6 (주)알리 김기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7 (주)에스비이엔지 임민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8 (주)에스에이치트레이딩 신용래 중소기업 5백만불탑 649 (주)에이에프티 최대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0 (주)에이치에스엘시스템 허지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1 (주)에이치케이세미텍 노석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2 (주)엘스브릿지 이지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3 (주)엘앤엘트레이딩 양진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4 (주)엘에이티 박강일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5 (주)엠케이원스틸 김종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6 (주)엠케이케미칼 박철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7 (주)엠텍코퍼레이션 박면구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8 (주)오르비텍 정성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59 (주)온세미 이형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0 (주)우창 박민숙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1 (주)워너비코스메틱 김보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2 (주)유창종합식품 장대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3 (주)이녹스에코엠 오은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4 (주)이원 머티리얼즈 최광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5 (주)이지함화장품 김상명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6 (주)일레븐코퍼레이션 백창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7 (주)전성 연경섭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8 (주)정광 김정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69 (주)제스코통상 이동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0 (주)제이앤선즈코리아 박원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1 (주)제이티 김종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2 (주)제일진공펌프 전찬일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3 (주)지앤이글로벌 김호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4 (주)지오실크 정병국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5 (주)진성무역 박성찬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6 (주)차메디텍 김석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7 (주)청우씨에프씨 한명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8 (주)코디박 이헌 중소기업 5백만불탑 679 (주)터보링크 하현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0 (주)토르 장정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1 (주)트래볼루션 배인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2 (주)티비원 모영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3 (주)티티에스 유우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4 (주)프로세이브 김영만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5 (주)플로우텍 공도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6 (주)피에프네이처 양지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7 (주)하본인터내셔널 윤동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8 (주)하이셈테크놀로지 백윤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 689 (주)한국금시장그룹 조태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0 (주)한라글로벌 김재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1 (주)한신인더스 박태종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2 (주)한주 한창복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3 (주)항도에스티 정의도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4 (주)해담트레이드 김희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5 (주)헤스피마린 임지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6 (주)협신금속 이장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7 (주)협신하이드로릭 노병무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8 815생활건강 이선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699 이엔엘 인터내셔널 이상윤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0 주식회사 에이치와이지 정다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1 피피아이 파이프 주식회사 이종호 중견기업 5백만불탑 702 강원산업(주) 정우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3 경인리싸이클링(주) 배한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4 경진기전(주) 김영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5 그루포안톨린코리아(유) 에르네스토안톨린아리바 대기업 5백만불탑 706 금월씨푸드 주식회사 안세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7 나가세엔지니어링서비스코리아(주) 김재구 중견기업 5백만불탑 708 농업회사법인 (주)더기반 한원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709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애플리즈 한임섭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0 농업회사법인 (주)현농프레쉬 이나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1 농업회사법인 에버팜 주식회사 임종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2 대동고려삼(주) 최성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3 동구텍 주식회사 김진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4 디에스메탈 주식회사 박상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5 레이어시스템 김종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6 리메세 주식회사 한득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7 벤처메탈스아시아 크리스 정 중견기업 5백만불탑 718 삼주환경산업(주) 노영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19 삼진제약(주) 최용주 중견기업 5백만불탑 720 서진텍스타일(주) 김문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1 선일물산(주) 김태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2 송암시스콤(주) 이지학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3 스페이스다옴(주) 박현정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4 시냅스이미징(주) 김재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5 신성소재(주) 김광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6 아시아마린(주) 백흠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7 아야나앤드컴퍼니 주식회사 한득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8 아이홀랜드아시아(주) 최민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29 알파메디칼 주식회사 이명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0 앤비비네트웍스 주식회사 최형섭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1 에이치비티(주) 김상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2 에이치앤와이코퍼레이션 송화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3 오리시스이앤씨(주) 성마룡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4 요코트레이드 심찬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5 우리와 주식회사 최광용 중견기업 5백만불탑 736 원창진공 주식회사 김미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7 월드비엠씨(주) 조강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8 유나이티드보더스(주) 이존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39 인세미텍 주식회사 이성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0 일평기연 이광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1 주식회사 H. K스틸 김희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2 주식회사 강원수출 함승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3 주식회사 골드필드 조경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4 주식회사 다른 남승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5 주식회사 대인트레이드 송경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6 주식회사 딥웨이브 김신남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7 주식회사 메디안스 강문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8 주식회사 멕스코인터내셔널 정병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749 주식회사 문교 남기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0 주식회사 비마 임진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1 주식회사 비피도 신용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2 주식회사 송정 송종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3 주식회사 스마트랩 백승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4 주식회사 스카이상사 김태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5 주식회사 신광이엔지 서준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6 주식회사 신화 김길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7 주식회사 알바이오 최경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8 주식회사 앤피티아이글로벌 박규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59 주식회사 야다 강은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0 주식회사 에스엔피텍 박창국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1 주식회사 에이랜드 정기남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2 주식회사 에즈원글로벌 민석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3 주식회사 에픽코퍼레이션 김사랑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4 주식회사 엔솔 이미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5 주식회사 엔캣 양진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6 주식회사 엠이케이 문상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7 주식회사 엠지택 이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8 주식회사 예리코코리아 박종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 769 주식회사 오디패션 표승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0 주식회사 오션엔텍 송해화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1 주식회사 우리플라 이희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2 주식회사 웰테크글로벌 정진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3 주식회사 제스코 심재은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4 주식회사 제이비앤아이 조병남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5 주식회사 제이에스비 김조슈아정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6 주식회사 지엔 이현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7 주식회사 청정화푸드 김재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8 주식회사 카니어스 함성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79 주식회사 코리아툴파르 오스모나리예바 누르자말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0 주식회사 토리든 권인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1 주식회사 티엠지코리아 김성광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2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조영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3 주식회사 플로닉스 이상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4 주식회사 해농 조명추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5 주식회사 헬로글로벌 김상효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6 주식회사 현대메디텍 송미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7 주신수산식품(주) 김동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8 컨버즈 주식회사 곽종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89 케이에스성선국제(주) 왕이엔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0 케이오토24 주식회사 최승학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1 큐에이치바이오 이해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2 토마토안경 김승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3 패스웨이인터미디에이츠인터내셔날 황일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4 피엑스지어패럴월드와이드(유) 신재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5 하나금속(주) 김덕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6 한미전선 주식회사 성병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7 한일너클프레스(주) 서영대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8 헤베코리아 공규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 799 현대코퍼레이션 주식회사 강종구 중소기업 5백만불탑 800 홀섬코리아 이재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 801 (유)지호 농업회사법인 송미령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2 (주)가야인터내셔널코퍼레이션 오정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3 (주)금양산업 조 동엽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4 (주)기어세컨드 김민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5 (주)기주 김기태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6 (주)길인터내셔널 김성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7 (주)나바켐 김종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8 (주)대아에스엔에스 손원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09 (주)대진 하태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0 (주)더스탠다드 김성남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1 (주)덕산코트랜 강환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2 (주)덱스터스튜디오 김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3 (주)덴탈맥스 김진동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4 (주)동신하이텍 이성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5 (주)드림코스 강호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6 (주)디엠피테크 김성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7 (주)땡큐파머 남규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8 (주)라벨리 최선웅 중소기업 3백만불탑 819 (주)레보메드 신봉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0 (주)레존텍 박수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1 (주)리얼게인 박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2 (주)마스테코 오주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3 (주)마임테크 CO 신영남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4 (주)메드비 동원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5 (주)메디클러스 김경은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6 (주)메디포인트 이기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7 (주)명정보기술 이명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8 (주)목양기술 허명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29 (주)무사이 이인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0 (주)미라클 박광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1 (주)바로스튜디오 김준형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2 (주)바이오지 동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3 (주)블루칩코리아컴퍼니 김태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4 (주)비더스킨 성준제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5 (주)비씨상사 한경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6 (주)비에이치아이 박윤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7 (주)사이버메드 김철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8 (주)성연상사 박성준 중소기업 3백만불탑 839 (주)성원아이엔디 김호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0 (주)세토파 이도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1 (주)스타팜텍 서광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2 (주)씨에이엘 이준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3 (주)아즈라 이상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4 (주)액션핏 박인후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5 (주)에스더블유 밸브 박정헌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6 (주)에스비케이엔지니어링 고영완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7 (주)에스엠에스바이오 이반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8 (주)에스엠티 이승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49 (주)에스제이엠아이 이재갑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0 (주)에이치알엠 안성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1 (주)에코월드팜 오석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2 (주)에프엘와이인터내셔널 이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3 (주)엔에스브이 윤은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4 (주)엘라이트 이 정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5 (주)영재철강 최익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6 (주)오르비타 심종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7 (주)옵티플렉스 서혁준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8 (주)우림하이테크 노병관 중소기업 3백만불탑 859 (주)원진알미늄 원경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0 (주)원테크엔지니어링 이승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1 (주)원텍솔루션 이인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2 (주)월포트 김대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3 (주)유니메탈 김경욱 중견기업 3백만불탑 864 (주)유니비스코리아 장동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5 (주)유성 양주열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6 (주)유열산업 박병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7 (주)유일무역 김성배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8 (주)이레테크 양준화 중소기업 3백만불탑 869 (주)제넨텍 정기정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0 (주)제론텍 김진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1 (주)제이엠바이오텍 장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2 (주)제이엠테크 이경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3 (주)제이케이알앤알 천인숙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4 (주)지엠디소프트 김현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5 (주)지오엘리먼트 신현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6 (주)지유테크 김성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7 (주)코머신 박은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8 (주)코스코티알 윤경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 879 (주)티씨엠에스 신태용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0 (주)티앤에스이앤씨 유영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1 (주)파비스 김종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2 (주)포렌코즈 정춘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3 (주)프로티아 임국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4 (주)하트만 김동찬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5 (주)한국알테코 조정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6 (주)한국오지케이 박수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7 (주)한국해사기술 신홍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8 (주)한준스펙스인터내셔널 장소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889 (주)한팩 박인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0 (주)헬로우메디 이동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1 (주)홈에디션명진 서철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2 (주)휴온스푸디언스 이충모 중견기업 3백만불탑 893 (주)히스트레이드 한확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4 광성강관공업(주) 박태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한형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6 농업회사법인 (주)초록원 송점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7 농업회사법인 (주)한우물 최정운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8 농업회사법인 정우에프씨(주) 이한면 중소기업 3백만불탑 899 뉴오토정밀 주식회사 문학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0 닥터킴 김기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1 대양스트랩(주) 김동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2 대정테크(주) 정주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3 대한약품공업(주) 이승영 중견기업 3백만불탑 904 디이에프 박희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5 디플러스(주) 김정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6 리오엠엔씨(주) 이영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7 명진텍스타일 황재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8 미농바이오(주) 이충일 중소기업 3백만불탑 909 바임글로벌 주식회사 김종왕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0 부성에버텍(주) 윤성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1 비엘에스 주식회사 김은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2 비오케이메탈 주식회사 방희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3 빌더스켐코리아 김창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4 상진기업(주) 송승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5 서울금속공업(주) 윤재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6 서울인터네셔널 주식회사 백성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7 선진건기 주식회사 최정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8 섬전복 영어조합법인 황상범 중소기업 3백만불탑 919 소마상사 문현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0 슝크카본테크놀로지(유) 최동균 중견기업 3백만불탑 921 시스템베이스(주) 장연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2 신세기메디텍(주) 백승관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3 신흥기업 주식회사 김용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4 씨앤씨코퍼레이션 조은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5 씨에이페이퍼(주) 유창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6 어드밴스드디지털솔루션(주) 박정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7 어빌리티코리아(주) 김진웅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8 에스케이인터내셔널 손성강 중소기업 3백만불탑 929 에스파워 주식회사 류승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0 에이시스 주식회사 김준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1 에이치앤비파마인터내셔널 이상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2 에코클리어 주식회사 정철화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3 엠씨케이 주식회사 김병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4 영남기계(주) 예병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5 오션씨엔아이 주식회사 윤종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6 오스템올소 주식회사 김병일 중견기업 3백만불탑 937 오티씨 주식회사 이준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8 웰너스코리아(주) 정영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39 웰마크(주) 정병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0 유앤씨인터내셔널 유수권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1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황규관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2 유한회사 에스더블유코퍼레이션 이세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3 이소이비 이강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4 이에이오토그룹(주) 김에브제니바디모비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5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김주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6 인셀(주) 정창권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7 재단법인 행복커넥트 이준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8 정우화인(주) 김유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49 정화식품(주) 최규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0 제이에스 트레이딩 김병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1 제이케이엠지코리아 김용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2 주식회사 거성인더스 정창윤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3 주식회사 건웅기계 박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4 주식회사 그래피 심운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5 주식회사 그랜드서플라이 임에브게니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6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김구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7 주식회사 네오테크 고경삼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8 주식회사 누비스코리아 이장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 959 주식회사 뉴퐁 이재용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0 주식회사 다스 이춘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1 주식회사 대한오토텍 김대형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2 주식회사 더빅코리아 김장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3 주식회사 데크카본 김광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4 주식회사 도원팩 홍유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5 주식회사 동방미인코리아 조성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6 주식회사 두인 강태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7 주식회사 드림케이텍 도형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8 주식회사 디앰코리아 임은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69 주식회사 디즈글로벌 한바다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0 주식회사 레메디 이레나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1 주식회사 만텍 정만협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2 주식회사 미라클넷 최은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3 주식회사 미코명진 이명효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4 주식회사 바다명가 김자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5 주식회사 바이로 노지숙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6 주식회사 브이이에스 김진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7 주식회사 블루망고커머셜 임상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8 주식회사 비엔무역 김대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79 주식회사 비햅틱스 곽기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0 주식회사 삼광 김광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1 주식회사 서원글로벌 윤종만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2 주식회사 세양섬유 김영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3 주식회사 세한 정광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4 주식회사 셀아이콘랩 성민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5 주식회사 송림피앤피 조상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6 주식회사 아이디어브리지 이윤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7 주식회사 아이씨케이(ICK) 이승결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8 주식회사 알비이엔씨 조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989 주식회사 에스앤비 이승지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0 주식회사 에스엔제이 장태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1 주식회사 에스제이 이노텍 송종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2 주식회사 에코프린 강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3 주식회사 에프알메드코스 조진만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4 주식회사 엠제이루스코 박근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5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손상열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6 주식회사 온세계 심성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7 주식회사 용감한미녀들 장세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8 주식회사 위트콘 이황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 999 주식회사 유니코리아 김영이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0 주식회사 이로텍스 이성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1 주식회사 이에스이 고형래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2 주식회사 이천 서윤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3 주식회사 제이티에스 정일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4 주식회사 제일유압 정근상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5 주식회사 지티툴링 최성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6 주식회사 짚이엔씨 임종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7 주식회사 초이스툴링 최희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8 주식회사 케이엘글로벌 이창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09 주식회사 케이엠엑스 김성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0 주식회사 케이티알파 조성수 대기업 3백만불탑 1011 주식회사 코라중공업 김행열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2 주식회사 코시스 김우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3 주식회사 크래프트맨 고영남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4 주식회사 클라시아 전정휘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5 주식회사 클레 허영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6 주식회사 태화아이엔씨 최태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7 주식회사 티씨에프씨 진 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8 주식회사 티지와이 최용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19 주식회사 팀코리아 손상범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0 주식회사 포시스 이태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1 주식회사 풋스톤 박두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2 주식회사 피엘코리아무역 부 반 마오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3 주식회사 한스아이앤씨 이한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4 지에스코리아 정써니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5 지에프칼라 유재신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6 진영테크 곽봉주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7 진하무역 김진하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8 진흥식품 성열갑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29 케이케이엘 유한회사 김규광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0 코리아와이에스(주) 유기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1 텍스에드 주식회사 이경선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2 토에이산교 코리아 주식회사 황인걸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3 하나로테크 안승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4 하이젠알앤엠 주식회사 김재학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5 한결메탈 한상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6 한국비앤에이치 주식회사 태지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7 한국전광(주) 유해귀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8 한수원케이엔피 주식회사 이남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39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함흥규 중견기업 3백만불탑 1040 해광씨앤아이(주) 정승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41 휴리오 박재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 1042 (유)영가실업 권종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3 (주)감로파인케미칼 우병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4 (주)경동냉열산업 여성동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5 (주)그레이스클럽 장준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6 (주)글로벡스텍스타일 권혁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7 (주)금호쉽빌딩엔지니어링 오정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8 (주)기전툴 정형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49 (주)남광식품 조선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0 (주)네버엔뷰케어 차은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1 (주)농업회사법인 휴먼웰 석용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2 (주)뉴아이디 박준경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3 (주)대단한형제들 정정엽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4 (주)대주메디테크엔지니어링 김종숙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5 (주)대통무역 조지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6 (주)대한특수강 김성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7 (주)더블윈 유도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8 (주)더블유엘폴리머 서호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59 (주)더존케미칼 김태억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0 (주)도우상사 박성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1 (주)동신이에프 유지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2 (주)동아코퍼레이션 김성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3 (주)동진티아이 이상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4 (주)디에스피미디어 김진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5 (주)레드애로우 김경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6 (주)레드원컴퍼니 엄태국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7 (주)레인보우로보틱스 이정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8 (주)로우템 이상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69 (주)리빙케어 권택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0 (주)마일즈인터내셔널 송은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1 (주)맘스트레져 박용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2 (주)메딕프로코리아 윤부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3 (주)멕트론 김준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4 (주)모먼츠컴퍼니 정윤진 중견기업 2백만불탑 1075 (주)미도화학 김영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6 (주)버드뷰 이웅 중견기업 2백만불탑 1077 (주)비앤에스코리아 차호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8 (주)비에스이엔지 조차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79 (주)삼경이엔씨 김동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0 (주)삼성특수브레이크 피은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1 (주)삼성피팅코퍼레이션 김지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2 (주)상봉코포레이션 김경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3 (주)성일기공 김성묵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4 (주)세민무역 김선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5 (주)세종메디칼 김병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6 (주)솔비트 강화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7 (주)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우종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8 (주)써키트플렉스 윤기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89 (주)씨에스씨 이청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0 (주)씨엔원 정재학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1 (주)씨엘팜 장석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2 (주)씨유스킨 김현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3 (주)씨티에스 이동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4 (주)씨플 조윤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5 (주)아시아오토트레이딩 고근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6 (주)아시안푸드컨넥트 김효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7 (주)아이피아코스메틱 최재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8 (주)아트페이스 안경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099 (주)알가 문상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0 (주)에스비씨원 윤영복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1 (주)에스에스케이 이지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2 (주)에스에스테크 신정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3 (주)에스에이 심완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4 (주)에이원텍 이승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5 (주)에이치앤에이치 김형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6 (주)엔클로니 이경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7 (주)엔트라쥬얼리 이병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8 (주)엘트라글로벌 맹찬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09 (주)엠도씨 이석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0 (주)엠오티 마점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1 (주)올데어코리아 김정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2 (주)와이에이치글로벌 김하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3 (주)우리메카 우용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4 (주)우신스틸 도병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5 (주)원바이오젠 김원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6 (주)원씽 최유미 대기업 2백만불탑 1117 (주)원일산업 이원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8 (주)유지에이프레스 유대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19 (주)유창로보텍 황명숙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0 (주)유티케이 정찬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1 (주)이노하이텍 김동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2 (주)이엘라이즈 김혜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3 (주)이호아이엔씨 김민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4 (주)인포시스콤 정찬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5 (주)잠언의료기 최봉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6 (주)제니아 김성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7 (주)제세 김동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8 (주)제이에이치코프 김연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29 (주)중산기업 정광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0 (주)지브이엑스 김신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1 (주)지성엔지니어링 조훈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2 (주)지에스일렉트로닉스 김찬옥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3 (주)지에스티산업 육영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4 (주)지에스티지 이효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5 (주)지오엠에스 김민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6 (주)지와이씨 서금옥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7 (주)진용엔지니어링 박진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8 (주)진일엠브이씨 백승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39 (주)케이아이씨 신충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0 (주)케이에스엠트레이딩 미로넨코이네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1 (주)케이엠일렉트론 송용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2 (주)케이파워 이경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3 (주)코엔지 김충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4 (주)코웰 김계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5 (주)탑세이프 심영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6 (주)티오엠 하우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7 (주)페이즈 김은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8 (주)하영에스엠씨 이근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49 (주)하이더스 정문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0 (주)하이원플러스 정화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1 (주)한성옵틱스 박현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2 (주)한성테크글로벌 최유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3 (주)한진오토모티브 송미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4 (주)해랑 김연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5 (주)헉스엔지니어링 주정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6 (주)현대건장 임수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7 (주)호이스트코리아 박수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8 코리아가스엔지니어링 강도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59 가루알 윤영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0 경남산업전자 양순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1 고려바이오(주) 김영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2 교촌에프앤비(주) 윤진호 중견기업 2백만불탑 1163 남도전기공업(주) 백민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4 농업회사법인 보령무역 주식회사 정옥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5 농업회사법인 조은종묘(주) 안경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아이엠 양영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7 대동수산 주식회사 임종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8 대성엔터프라이즈(주) 박연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69 대원이엔티(주) 강대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0 더블유에스피 주식회사 임종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1 동신관유리공업 주식회사 서한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2 동양베톤(주) 모영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3 디케이엠 주식회사 이현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4 멤프로 주식회사 권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5 모어랩스코리아 노병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6 민 테이블 민상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7 바이온 주식회사 김병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8 비씨태창산업 유한회사 지영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79 비엠솔루션 김영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0 삼보텍스 박금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1 서도비엔아이(주) 김원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2 선보 윤건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3 성우플랜트 주식회사 박귀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4 세양폴리머(주) 윤성업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5 세종기술 주식회사 이시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6 스킨애플코스메틱 류지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7 스털링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임완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8 신강수산 영어조합법인 임수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89 씨앤엠로보틱스(주) 주묘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0 아시아파인테크 주식회사 모리 쇼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1 아이븐 김명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2 알리코제약(주) 이항구 중견기업 2백만불탑 1193 애트폴리(주) 김재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4 어업회사법인 경영수산 유한회사 최경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5 에스브이테크 황철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6 에스알지엠 김장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7 에스와이티앤엘 주식회사 문양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8 에스티케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김주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199 에이앤피컴퍼니 김수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0 에이치아이티글로벌(주) 이순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1 에이치알메디텍 이현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2 에이텀 한택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3 엘제이인터내셔널 김은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4 엠테크노(주) 김영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5 영어조합법인 마리솔 이상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6 와이아이테크 주식회사 송영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7 우란트레이딩 이스마이로브 우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8 위아글로벌 김상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09 유씨엘(주) 이지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0 인터에쓰유(주) 심현섭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1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이장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2 일신프라스틱(주) 전동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3 일양정밀 김영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4 자유로해운항공(주) 신중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5 제네톡스(주) 안종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6 제이마린 김재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7 제이에스이앤엘 주식회사 류재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8 제이원글로벌 주식회사 정재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19 제이케이이커머스 이정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0 제일머신 주식회사 김지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1 주식회사 가온상사 김윤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2 주식회사 가이오 여동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3 주식회사 게임듀오 최재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4 주식회사 고위더스 이낙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5 주식회사 글로벌탑스 이민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6 주식회사 금성글로벌 배일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7 주식회사 뉴타이어월드 오재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8 주식회사 닷 김주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29 주식회사 더모멘트 안현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0 주식회사 도비즈 염장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1 주식회사 도우엔 황정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2 주식회사 도이프 윤성욱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3 주식회사 동양정밀가스켓 이기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4 주식회사 동일제약 김세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5 주식회사 동주금속 손동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6 주식회사 디에스원 나한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7 주식회사 디오에프로보틱스 이장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8 주식회사 리브유 정주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39 주식회사 리에스티 김병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0 주식회사 마루 하명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1 주식회사 마스콤 정연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2 주식회사 맥파이테크 신웅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3 주식회사 메이니코코 포미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4 주식회사 메이코더스 최새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5 주식회사 모담글로벌네이처 고은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6 주식회사 목양에프원 이재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7 주식회사 바크로 김종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8 주식회사 브이벨 김채윤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49 주식회사 비브로 신상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0 주식회사 비스타릿 이정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1 주식회사 비티엔프 수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2 주식회사 세일 최문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3 주식회사 소마 조정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4 주식회사 싼카 조태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5 주식회사 씨스리 김혜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6 주식회사 씨지테크 안중건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7 주식회사 아이젤 김범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8 주식회사 아토즈솔루션 박상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59 주식회사 알씨테크 임태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0 주식회사 알토켐 강진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1 주식회사 업스테어스 장영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2 주식회사 에스알티 손영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3 주식회사 에스제이오토모티브 정우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4 주식회사 에스지엘 송진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5 주식회사 에스티케이 김상범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6 주식회사 에이빌코리아 노현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7 주식회사 에이치앤제이 노홍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8 주식회사 에이치와이무역 윤진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69 주식회사 에코에너젠 윤종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0 주식회사 엘라스켐 김영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1 주식회사 연화엠텍 김종엽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2 주식회사 와이이오 최원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3 주식회사 요크헤이븐 박봉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4 주식회사 우르 신중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5 주식회사 원강 강태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6 주식회사 원유니버스 고세준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7 주식회사 위블링 김성경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8 주식회사 위즈인터내셔날 김재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79 주식회사 이든에프앤씨 김진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0 주식회사 이원 정한교 중견기업 2백만불탑 1281 주식회사 이케이엘 곽대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2 주식회사 이퓨쳐 이기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3 주식회사 지에이스 박규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4 주식회사 캡쳐 윤영복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5 주식회사 케미원스 신현정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6 주식회사 케이씨엘 김익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7 주식회사 케이아이티 엄성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8 주식회사 케이팩 강석원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89 주식회사 태진mc 차정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0 주식회사 테크피아 정명재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1 주식회사 티아이이엘 이창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2 주식회사 포메데시 박기상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3 주식회사 하신무역 신원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4 주식회사 하이웰글로벌 김정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5 주식회사 한국폴리텍 최중격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6 주식회사 해신 김운봉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7 진진테크 주식회사 오재명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8 청청인터내셔날(주) 신우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299 칸가와코리아(주) 코바야시노보루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0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이노베이션 김혜진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1 케이테크 김동주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2 코리아나까조(주) CHOI JONG MOON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3 코스맥스바이오(주) 김철희 중견기업 2백만불탑 1304 크레스트 정미애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5 트레이드웨이즈인터내셔널(주) 사르와르무하마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6 플렉스폼코리아 유한회사 박찬환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7 한국나크 주식회사 박준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8 한성정밀 이정한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09 한정식품 한상택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0 해마수산 영어조합법인 곽상배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1 홍무역 정재홍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2 화연물산(주) 김어금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3 화이버텍(주) 이택헌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4 휴비오(주) 이준호 중소기업 2백만불탑 1315 (주)금광텍스타일 허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16 (주)나노레이 박재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17 (주)나노젠 이성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18 (주)나노하이테크 김병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19 (주)나비텍스타일 조정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0 (주)나우로보틱스 이종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1 (주)다이나믹오토 김현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2 (주)다이아몬드씨푸드 박세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3 (주)다하우스 김다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4 (주)대우경금속 김도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5 (주)대원파사드 계성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6 (주)대정알파 배기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7 (주)대흥소프트밀 김대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8 (주)더유인터내셔널 유호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29 (주)데코엔지니어링 김재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0 (주)동원롤 전우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1 (주)동원엔텍 신승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2 (주)듀이트리 박남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3 (주)듀크린 이경옥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4 (주)디앤씨퓨쳐스 김학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5 (주)디앤푸드 박성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6 (주)디에스브이 오상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7 (주)맛찬들백미식품 양동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8 (주)메드로드 이은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39 (주)메탈팀 김영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0 (주)명진종합건설 이명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1 (주)뮤드메이트 남궁미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2 (주)미라클산업 김영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3 (주)벨르글로벌 이정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4 (주)봉화산업 백준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5 (주)부산어묵 이규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6 (주)부흥 윤효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7 (주)브이엘에프 홍성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8 (주)블루파운틴코리아 이종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49 (주)비나카 정문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0 (주)삼호나노텍 정세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1 (주)서울클릭 이용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2 (주)서치라이트에이치앤비 양성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3 (주)선양인터내셔널 이태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4 (주)성안미크론 심보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5 (주)소트론 정진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6 (주)수산기계이엔지 김성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7 (주)스킨나인코스메틱 김창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8 (주)시트라인터내쇼날 남기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59 (주)신화에프에스 이정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0 (주)싸이몬 안재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1 (주)씨티씨엠에스 김주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2 (주)아라움 김미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3 (주)아마존컨설팅그룹 정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4 (주)아이넥스코리아 최은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5 (주)아이비에스에프에이 이상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6 (주)아이콘비엑스 김현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7 (주)아이티씨 김민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8 (주)아이티씨 문정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69 (주)아이피아이테크 이태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0 (주)어센드코퍼레이션 이신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1 (주)에스브이엠테크 김기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2 (주)에스아이디메디코스 홍상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3 (주)에스앤엠코리아 황성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4 (주)에스에스엘케이에이치 김여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5 (주)에스엔지아이시티 주진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6 (주)에스텍시스템 이병화 중견기업 1백만불탑 1377 (주)에스피에스글로벌 이상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8 (주)에쓰엔티코리아 박희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79 (주)에어로피에치이 문형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0 (주)에이씨엘시스템 문성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1 (주)에이에스이 최규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2 (주)에이치나인 최우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3 (주)에코엘앤씨 윤정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4 (주)에프그라운드 김재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5 (주)에프에스 최명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6 (주)엑세스바이오코리아 이민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7 (주)엔바이로코리아 박성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8 (주)엔케이코퍼레이션 김형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89 (주)엔피코어 한승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0 (주)연합기업 유청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1 (주)영인바이오텍 김영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2 (주)오토네이션 김봉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3 (주)오피솔류션 조웅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4 (주)올담 최병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5 (주)올인닷컴 김찬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6 (주)와이디인터내셔널 고영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7 (주)와이제이글로벌 서국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8 (주)우리회사 박태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399 (주)웰코 오창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0 (주)웰코멧아시아 류용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1 (주)위림 박준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2 (주)위트코 허준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3 (주)유성화학 류창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4 (주)유원플렛폼 황철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5 (주)유진유체 이기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6 (주)이노켐 박선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7 (주)이디야 문창기 중견기업 1백만불탑 1408 (주)이수에코테크 백경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09 (주)이즈람엔터프라이즈 하산 알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0 (주)이지산업 설호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1 (주)이트론 이재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2 (주)인터컴 최태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3 (주)인흥산업 이선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4 (주)제이피에스코스메틱 선일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5 (주)지니텍스솔루션 김도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6 (주)지앤푸드 정태용 중견기업 1백만불탑 1417 (주)지엠더블유 이용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8 (주)지엠티에이 신수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19 (주)창보 김정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0 (주)천명메탈 서호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1 (주)치드케누 이미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2 (주)케이비알 이남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3 (주)케이씨아이 장동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4 (주)케이에이치엔지니어링 이광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5 (주)케이오토트레이더스 기도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6 (주)코리아오일씰텍 노재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7 (주)코아센컴퍼니 배정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8 (주)코코인터내셔날 한방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29 (주)퀀타매트릭스 권성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0 (주)큐리오시스 윤호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1 (주)큐빅스 박용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2 (주)타스코 위성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3 (주)텍스마스타 강석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4 (주)토포실크 신원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5 (주)티앤비인터내셔날 전해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6 (주)틸트프로 민병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7 (주)파즈코리아 노대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8 (주)포투나코퍼레이션 최은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39 (주)프레넬팩토리코리아 김명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0 (주)피닉스엔지니어링 배금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1 (주)픽톤 이병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2 (주)핏투게더 윤진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3 (주)하나웰무역 이동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4 (주)하스코글로벌 정보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5 (주)하이테크디젤 이재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6 (주)한국노텍 권광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7 (주)한국유체기계 유건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8 (주)한맥아이티 최예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49 (주)한미양행 정명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0 (주)한서켐 오민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1 (주)허리우드 홍승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2 (주)현대엘앤씨보닥 박종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3 (주)현대포리텍 김해 심명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4 F&B Solution Company 배일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5 경성무역 김준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6 그레이스인터콤 백승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7 그린기계 최영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8 그린테크교역 노만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59 나노팀 주식회사 최윤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0 나이프플러스(주) 김태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1 네오마(주) 이강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2 노바코리아 주식회사 유동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3 노바트레이드 김드미트리아카드비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4 노벨정밀금속(주) 박진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5 농업회사법인 (주)금하 김봉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6 농업회사법인 (주)한스팜 한만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7 뉴문 네트웍스 이동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8 다원테크 강재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69 대명산업기술(주) 김당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0 대성컴퍼니 오준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1 대신엔터프라이즈(주) 김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2 대유단조 백해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3 대일테크 김규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4 더블유제이팩키징솔류션스코리아(유) 이수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5 데이빗아쿠아시스템 김범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6 도전테크 이무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7 동명테크 김주습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8 동보정밀강관(주) 김경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79 동우T&C 서승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0 디알인터네셔널 백다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1 디에이치씨 문재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2 (주)디와이글로벌네트워크 조영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3 라구 트레이드 이상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4 라이언뷰티(주) 하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5 라이프코어인스트루먼트(주) 임동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6 렉스피드 이영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7 로보링크 주식회사 홍창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8 마스 주식회사 박청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89 마하나임(주) 이상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0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정용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1 모리로쿠 케미칼즈 한국 주식회사 정경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2 모비유 코리아 이혜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3 미래정밀화학 주식회사 장정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4 미르스텐 주식회사 이민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5 바론코리아 박최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6 베이인터내셔널(주) 조인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7 보성ENG 박경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8 비스타 일렉트로닉스 신은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499 비엔피전자 주식회사 김영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0 비엠에스파워 김정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1 비욘드코리아 신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2 비케이에프글로벌 윤창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3 삼성비즈테크 유영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4 삼솔정공 주식회사 전의종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5 삼원기업 정점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6 선샤인 이종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7 성도하이텍 주식회사 정법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8 세븐케이무역 김태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09 세양섬유 손금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0 세영정보통신(주) 이세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1 소니메디 이정복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2 솔루텍코퍼레이션(주) 성기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3 스크랩박스 안지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4 시도테크 곽윤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5 신일제약(주) 홍재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6 신호기업 신철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7 쓰리케이에이치 주식회사 허선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8 씨. 에스 에프(주) 이동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19 주식회사 씨아이알에스그룹코리아 임항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0 아성정밀화학(주) 최병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1 주식회사 아트앤디자인인터내셔널 추혜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2 알루스 주식회사 정종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3 에스더블 트렌드 정주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4 에스더블유(주) 김보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5 에스디스피드(주) 연진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6 에스에프마리나코리아(주) 이욱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7 에스엠스위치 주식회사 왕영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8 에스원테크 석진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29 에스제이테크 장일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0 에이셀테크놀로지스(주) 김형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1 에이치메디칼(주) 한희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2 에이치아이켐 주식회사 서진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3 에이텍(주) 김진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4 에코니 최지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5 에코스마트 주식회사 이현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6 엑스빔테크 주식회사 박창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7 엔지유 수리믹스(주) 최재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8 엠케이프리시젼(주) 민병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39 영원 김영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0 영진산업(주) 나연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1 영창이엔지(주) 이한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2 우진기계 남혁모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3 원그램솔루션 주식회사 김경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4 원농산 영농조합법인 박혜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5 웰바이오 김선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6 위로 이동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7 위케이이앤지 김위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8 위플라이 김민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49 유광무역(주) 최성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0 유니온테크 주식회사 조도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1 유니온테크(주) 한기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2 유성케이엔(주) 최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3 유한회사 예원 강동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4 유한회사 제이엘브리지 장윤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5 이노크리시스템(주) 김상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6 인프로이엔씨(주) 김기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7 (주)일광엠티에스 윤정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8 일신기계제작소 강신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59 재성산업 김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0 쟈스민 무역 아부하디드이야스살렘호레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1 제네시스 솔루션 코리아 조은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2 제네시스에너지솔루션(주) 박건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3 제니텍상사 임재승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4 제이엔에이 트레이딩 주식회사 조지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5 제일에스엘산업 주식회사 장창익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6 주식회사 가람코 손양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7 주식회사 경아로지스틱스 채순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8 주식회사 교동물산 전종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69 주식회사 굿모닝바이오 황의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0 주식회사 그랩실 허 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1 주식회사 글로리어스 오재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2 주식회사 금호조침 김 화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3 주식회사 기베스트 기서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4 주식회사 까사델파로 박철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5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6 주식회사 나우인터내셔널 이영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7 주식회사 네이코 이기동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8 주식회사 다가 박정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79 주식회사 다묘인 이건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0 주식회사 대신에스티에스 홍종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1 주식회사 더넥스트 강희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2 주식회사 동원코퍼레이션 김경동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3 주식회사 디아룩스 남승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4 주식회사 라임(LIME) 박지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5 주식회사 마이커머스 문성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6 주식회사 모윰 김명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7 주식회사 무아스 문철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8 주식회사 미그림 이찬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89 주식회사 미래로드 서정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0 주식회사 바인코리아플러스 이종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1 주식회사 보고신약 남경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2 주식회사 보나쥬르 김다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3 주식회사 비엘엠콘택트 유종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4 주식회사 서현푸드코리아 이수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5 주식회사 성현퍼라이트 장석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6 주식회사 세림정공 이정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7 주식회사 수퍼코스 이유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8 주식회사 스완코스메틱 김영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599 주식회사 시크릿팜 손미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0 주식회사 신영엔지니어링 박 고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1 주식회사 신원인더스트리 권용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2 주식회사 실라서울 신인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3 주식회사 씨마켓 성덕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4 주식회사 씨엠엘글로벌 박재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5 주식회사 씨엠코어 김민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6 주식회사 씨웨이글로벌 강영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7 주식회사 씨케이피앤피 함춘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8 주식회사 아리셀 박순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09 주식회사 아원파트너스 임광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0 주식회사 아이솔루션 박종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1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황윤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2 주식회사 아이투스글로벌 김동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3 주식회사 애니테이프 박성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4 주식회사 액트 박맹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5 주식회사 양명 김보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6 주식회사 얼레디덱 김세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7 주식회사 에끌라두 송지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8 주식회사 에스아이씨 백진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19 주식회사 에스엠티 한상효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0 주식회사 에이에이치엔 안창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1 주식회사 에이월드 이동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2 주식회사 에이치 트레이딩 이혜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3 주식회사 에이티움 장영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4 주식회사 에이티인더스 신승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5 주식회사 엔바이오 고화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6 주식회사 엔클루 김상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7 주식회사 엘브이이코리아 서나함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8 주식회사 엘에프테크 이용이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29 주식회사 엘엔에스바이오 윤성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0 주식회사 열성 김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1 주식회사 영신식품 양태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2 주식회사 영트레이딩 김임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3 주식회사 오스코리아 이병장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4 주식회사 오아시스 글로벌 김용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5 주식회사 올도완 심재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6 주식회사 올위메이크이즈 남수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7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티 김윤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8 주식회사 와이티씨글로벌 이윤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39 주식회사 우즈코코스메틱 김도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0 주식회사 웨덱스 양승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1 주식회사 웨이버스 김학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2 주식회사 웨이브트랙 김용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3 주식회사 유티어 황성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4 주식회사 이지코리아 유성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5 주식회사 정광산업 전재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6 주식회사 제이디글로벌 이용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7 주식회사 제이디지 이승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8 주식회사 제이에스피글로벌 박상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49 주식회사 제이엠티 김지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0 주식회사 제트글로벌 윤해병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1 주식회사 케이컨 박아나스타시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2 주식회사 케이티알 김창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3 주식회사 케이티앤이 박노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4 주식회사 코리엘 조신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5 주식회사 코솔케 김형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6 주식회사 코스비즈 민석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7 주식회사 쿨파인더 홍민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8 주식회사 키본커머스 오정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59 주식회사 키쿠보 류영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0 주식회사 타이거일렉 이경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1 주식회사 태양글로발 김경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2 주식회사 토니텍 양해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3 주식회사 토모큐브 홍기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4 주식회사 퍼스트글로벌 김사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5 주식회사 폴리팀 왕철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6 주식회사 프로디젠 심수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7 주식회사 피앤씨텍스타일 권기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8 주식회사 하경산업 이동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69 주식회사 한욱21홀딩스 장춘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0 주식회사 해도화학 노승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1 주식회사 해리 여혁종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2 주식회사 해미로 김삼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3 주식회사 혜승물산 이원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4 주식회사 호건에프에이 김명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5 주식회사 화미무역 이강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6 주식회사 후로벨 최귀자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7 준무역 박준혁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8 지맥스정보통신(주) 윤영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79 지엠 인터내셔날 아머르 아바스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0 지엠폴리머 박재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1 지와이서울 주식회사 심태웅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2 진양유압 윤종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3 케이시시정공(주) 박덕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4 케이엔티 주식회사 나카무라 쇼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5 케이엠코리아 주식회사 강지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6 콜마유엑스 주식회사 변성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7 큐로테크(주) 이병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8 키테크 정순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89 타이탄리 이동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0 톰스코(주) 최용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1 트라이픽스 주식회사 양원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2 트리톤 주식회사 송상돈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3 티엔씨퍼스트 주식회사 김광복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4 프로켐 주식회사 구장회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5 주식회사 프리메디텍 김종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6 프링커코리아(주) 윤태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7 플랙스카코리아 홍석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8 피닉스 권지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 1699 피코맥스(주) 송종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 1700 하늘바다컴퍼니 진아령 중소기업 1백만불탑 1701 주식회사 해솔모터스 알알루스모스타파아흐메드모하메드 중소기업 1백만불탑 1702 호연테크(주) 진두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 1703 환인제약(주) 이원범 중견기업 1백만불탑 1704 희운 주식회사 정순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 Ⅲ. 주요수상자 공적내용 정부포상 수상자 공적내용 1. 금탑산업훈장 (주)엘엑스세미콘 / 손보익 대표이사 80 2. 금탑산업훈장 (주)심텍 / 전세호 회장 81 3. 금탑산업훈장 (주)메타바이오메드 / 오석송 대표이사 82 4. 금탑산업훈장 (주)비엠티 / 윤종찬 대표이사 83 5. 은탑산업훈장 (주)포스코퓨처엠 / 김준형 대표이사 84 6. 은탑산업훈장 케이지 모빌리티(주) / 정용원 대표이사 85 7. 은탑산업훈장 남성해운(주) / 문판식 선장 86 8. 은탑산업훈장 (주)싱그린FS / 정호석 대표이사 87 9. 은탑산업훈장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 박종환 대표이사 88 10. 은탑산업훈장 에스트래픽(주) / 문찬종 대표이사 89 11. 동탑산업훈장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 양국석 대표이사 90 12. 동탑산업훈장 한국진공(주) / 이인우 대표이사 91 13. 동탑산업훈장 케이넷(주) / 서성남 대표이사 92 14. 동탑산업훈장 (주) 포스코인터내셔널 / 김원영 상무보 93 15. 동탑산업훈장 에이치에스엠(주) / 문안용 대표이사 94 16. 동탑산업훈장 삼성물산(주) / 임건순 그룹장 95 17. 동탑산업훈장 엑셀리스코리아(주) / 박영근 사장 96 18. 동탑산업훈장 동광무역상사(주) / 이상훈 대표이사 97 19. 동탑산업훈장 에스케이하이닉스(주) / 김주선 부사장 98 20. 철탑산업훈장 삼성SDI / 손미카엘 부사장 99 21. 철탑산업훈장 세아상역(주) / 문성미 대표이사 100 22. 철탑산업훈장 (주)보명금속 / 홍수식 대표 101 23. 철탑산업훈장 한화솔루션(주) / 김운회 상무 102 24. 철탑산업훈장 (주)흥아기연 / 이승범 부장 103 25. 철탑산업훈장 (주)하나금속 / 남정도 전무 104 26. 철탑산업훈장 현대삼호중공업(주) / 김선 직장 105 27. 철탑산업훈장 한국알프스(주) / 신경영 책임매니저 106 28. 철탑산업훈장 태광후지킨(주) / 신옥주 반장 107 29. 석탑산업훈장 한국무역보험공사 / 박진식 본부장 108 30. 석탑산업훈장 (사)한국무역협회 / 김병유 본부장 109 31. 석탑산업훈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김윤태 부사장 110 32. 석탑산업훈장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정동호 처장 111 1. 손보익(孫保翼) 금탑 / (주)엘엑스세미콘 대표이사 ▲ 수출품목 : 반도체 설계 ▲ 수출실적 : 10억불 ▲ 담 당 자 : 이희상 ( ☎ 010-2655-1099 ) 공적내용 상기인은 40년간 시스템반도체 단일 분야에 종사하면서 반도체 개발 초기부터 최근 시스템반도체 기술개발까지, 국내 반도체 全단계(아날로그→디지털→모바일)의 기술 발전에 기여함. 2019년 6.9억불이던 수출을 2022년 10.2억불까지 성장시키며 국내 시스템반도체 팹리스 기업 최초 3년 연속 10억불 수출을 달성하여 국내 기술 중심 수출에 기여함. 2021년에는 매출 중 수출의 비중이 99.1%에 달했고,(1.88조원/1.89조원) 지난 3년간의 수출 비중의 경우 매출액 평균 98%를 기록하며 국내 반도체 팹리스 1등 기업으로서 해당 분야 수출을 주도함. 반도체 분야 국가 핵심기술(2023년 3월 산업통상자원부) 및 국가첨단전략기술(제1차 국가첨단전략산업 육성 기본계획)에 포함된 첨단산업 기술 확보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대에 기여하였으며, 애플, MS, 구글 등, 글로벌 IT 기업으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아(시스템 반도체 팹리스 세계 12위, Display IC 세계 3위) 관련 품목 매출(수출)의 지속적인 증가를 주도함. 1997년 세계 최초 DTV 칩 개발을 시작으로 2014년 UHD TV용 HEVC(고압축) 디코더 및 고화질 변환 칩 개발에 이르기까지 시스템반도체 단일 분야에서 40년간 수공하며 한국 TV 산업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견인하고 세계 최초 북미 모바일 방송수신 칩 개발에 기여함.(2015년 반도체의 날 동탑산업훈장) 2016년 말 700여 명이던 직원 규모를 2022년 말 1,600여 명으로 성장시켰으며, 전체 근무 직원의 평균 연령은 35세로, 최근 3년 간의 채용 중 95%가 30세 미만으로 구성되는 등, 청년 중심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 73 2. 전세호(全世鎬) 금탑 / (주)심텍 회장 ▲ 수출품목 : 인쇄회로기판(PCB) ▲ 수출실적 : 7억불 ▲ 담 당 자 : 송수진 ( ☎ 043-269-9439 ) 공적내용 상기인은 35년간 적극적인 R&D 투자와 글로벌 마케팅을 진행하여 모바일용 PCB(인쇄회로기판) 제품을 개발 및 양산하여 ㈜심텍을 세계 1위 기업으로 성장시켜 국내 반도체 산업과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함. 1990년 당시 국내 생산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SIMM PCB 독자 기술 국산화에 성공하여 현재 반도체 및 모바일용 PCB 세계 점유율(30%) 1위 기업으로서 국내 기술 진화를 선도함. 기술경쟁력 강화 및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재 국산화 개발 노력으로 PCB 원재료 CCL(동박적층판)의 국내 양산을 위해 LG화학, 두산전자와 3자 공동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이 결과로 일본에서 전량 수입하던 CCL 국산화율은 75% 수준을 달성함.(’22년 말 기준 1,400억 수입 대체 효과 발생) 2004년 개발된 BOC 제품은 세계시장 점유율 40%를 달성하며 세계시장에서의 지위를 높여 수출 증대에 기여하고 있으며, 2008년 개발된 메모리 모듈 PCB, DRAM 패키지용 BOC 기판, 2016년 패턴 매립형 기판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되며 일본, 대만, 중국 등으로 수출시장을 확대함. 글로벌 Big 5 메모리칩 메이커(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키옥시아 등) 및 Big 5 패키징 전문기업(AES, Amkor, JCET 등)을 고객사로 확보하여 3년 연속 매출 1조원, 수출 약 8억불을 달성함. 2022년 매출의 92.6%를 수출로 달성, 해당 분야 수출을 주도하고 주요 수출 품목(PCB)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단일품목으로 11억불 이상 수출 달성에 기여함. 2001년 직원 수 500여 명에서 현재 국내 고용 2,800명으로 20여 년간 460%의 인력 증가와 일자리 창출 공로를 인정받아 2022년 충청북도 고용 우수기업으로 선정됨. 74 3. 오석송(吳碩松) 금탑 / (주)메타바이오메드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치과용 의료 원부자재 ▲ 수출실적 : 4천만불 ▲ 담 당 자 : 윤종필 ( ☎ 043-230-8881 ) 공적내용 상기인은 치과용 근관 충전재 시장에서 세계 점유율 1위를 달성하고, 세계에서 7번째로 생분해성 봉합사를 개발하는 등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4천만불 수출을 달성하여 한국 의료자재 산업 발전 및 세계 시장 진출에 기여함. 세계일류상품 3종 개발, 105개국 수출, 세계시장점유율 1위 달성(점유율 23%, ’23년 현재) 등의 성과를 바탕으로 전체 매출 대비 높은 수출 비중을 달성하며 ㈜메타바이오메드가 수출중심 강소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 노력을 통해 105개 국가 대상 수출실적을 기록 중으로(아시아 43%, 아메리카 19%, 유럽 16%, 아프리카 9% 등, ’22년 말 기준), 20여 년간 지속적인 수출실적 증가를 달성하여(’07년 1천만불→’16년 3천만불→‘22년 4천만불)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350만 마일, 지구 140바퀴를 거리를 돌며 국제전시회 참가 및 영업활동 전개) 수술용 녹는 실로 알려진 생분해성 봉합사 기술은 현재까지도 전 세계에서 7개 기업만이 생산 가능하며, 항균성 봉합 원사는 세계에서 2번째로 개발에 성공하여 수출 확대를 위한 기술력 확보에 기여함. 중소기업으로서는 이례적으로 공학박사 3명을 포함, 총 35명의 연구원이 기술 개발에 매진하여 국내 특허 69건, 해외 특허 24건을 등록하였고, 봉합사 원료인 글리콜라이드의 국산화 성공(2018년)을 통해 수입대체효과(24억원/년)를 창출하여 소재의 자급화를 완성함. 선도적인 중소수출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기 위해 30여 년간 자체 발굴한 200여 명의 바이어를 국내 전시회에 직접 초청하여 국내 바이오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후배 기업인 육성을 위해 지역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는 등,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함. 4. 윤종찬(尹鍾贊) 금탑 / (주)비엠티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산업용 피팅‧밸브 ▲ 수출실적 : 5천만불 ▲ 담 당 자 : 장성원 ( ☎ 051-780-5151 ) 공적내용 상기인은 35년간 금속 임가공 분야 기술개발에 앞장서며 정밀배관의 이음재(피팅)와 밸브의 국산화, 세계적인 품질기준 충족을 이루었으며, 수출시장 확대와 더불어 국내 산업의 수입대체효과를 창출하였고,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주력 전방 산업 해외수주의 핵심부품을 공급함. 1988년 인원 3명, 연 매출 150만원 기업으로 창업하여 2023년 현재, 연 매출 1,414억, 약 6천만불 수출실적(27개국 대상)을 달성한 기업으로 성장하였음. 이는 전년 대비 수출액 18백만불(44%), 매출액 35억원(31%)의 성장임. 2018년 기존 일본이 선점하던 반도체 가스용 UHP(Ultra High Purity) 피팅·밸브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 국내외 반도체 공장, 조선/해양플랜트, 석유화학, 발전, 항공, 방산 산업 등에 공급하며 수출증진에 기여함.(해당 부품 연 500만불 이상 수출) 2020년 에너지기술 개발 국책과제(산업통상자원부) 수행기업으로 선정, 초고압 수소용 배관 밸브 등의 부품과 시스템 개발을 통해 피팅 밸브, 중고압용 관이음쇠 등을 개발하고 수소 인프라 부품의 국산화를 주도함.(연간 수입대체효과 150억원 이상 발생) 직접 수출 외에도, 국내 반도체(초고순도 피팅), 해양플랜트/조선(초저온 밸브), 석유화학(아이피팅), 발전(매니폴드 밸브) 등, 주력 전방 산업의 핵심부품 공급을 통하여 해외 수주에 기여함. 사우디 아람코, 엑손모빌, 셰브론 등, 23개 글로벌 오일·가스 기업의 정식 공급사로 선정되어 협력 파트너인 국내 플랜트 대기업의 부품 품질을 보증, 해외사업 수주에 직·간접으로 기여함.(원전: UAE 바라카 원전(‘12~) 등 4건, 해양/플랜트: 현대중공업 LNG선 등 148건, 석유화학: 사우디 자푸라 가스 개발 등 31건) 5. 김준형(金俊亨) 은탑 / (주)포스코퓨처엠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이차전지 소재 ▲ 수출실적 : 17억불 ▲ 담 당 자 : 김보민 ( ☎ 02-3457-4474 ) 공적내용 상기인은 지난 37년간 관련 업종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이차전지 소재(양극재·음극재) 통합법인인 포스코퓨처엠을 출범시킴으로써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및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이차전지소재 국산화로 국내 배터리 산업의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에 기여함. 2018년도 포스코ESM(배터리 양극재)과 포스코켐텍(배터리 음극재)의 통합을 주도하여 포스코퓨처엠이라는 통합법인을 출범시킴으로써 기업경쟁력 강화를 통한 이차전지소재사업 진출 및 수출 확대에 기여함. 2019년 이후 포스코퓨처엠의 매출 2.2배(2019년 1.5조원 → 2022년 3.3조원), 수출실적 8.1배(2019년 1.55억불/2,015억원 → 2022년 12.6억불/1조6,380억원)로 각각 성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고, 2022년 美 GM 社와의 14조원 중장기 계약체결 주도를 통해 국내 이차전지 산업의 도약에 기여함. 2023년 3월 배터리 안전성과 에너지밀도가 높은 단결정 양극재를 국내 최초로 양산에 성공하였고, 전구체 생산성을 3.5배 향상할 수 있는 연속 순환 농축 상용화에도 성공하여 수출 확대를 위한 기술력을 확보함. 전구체 제조시스템 국산화에 성공하고(2018년, 수입대체효과 7,975억원/년), 전량 중국에 의존하던 인조흑연 음극재의 국산화에도 성공함.(’23.4월, 수입대체효과 585억원/년) 美 IRA 발효 대응을 위해 배터리 제조 기술 확보 및 국내 생산 확대 추진으로 배터리 양극재 생산공장을 준공(광양 9만톤 규모) 및 건설(포항 10.6만톤) 중이며,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아프리카산 흑연광산 지분투자 및 내재화를 추진함. 75 6. 정용원(鄭鏞元) 은탑 / 케이지 모빌리티(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자동차 ▲ 수출실적 : 10억불 ▲ 담 당 자 : 강명수 ( ☎ 031-610-1365 ) 공적내용 상기인은 적극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수출 확대를 위한 토레스 등의 맞춤형 신차를 출시함으로써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전년 대비 60.2% 성장한 10억불 수출을 달성하는 데 기여함. 수출 판매 증대를 위하여 기존 차량의 상품성 개선, 신차출시, 해외 소비자 선호 사양 구성 적용 및 적기 생산과 운송기일 준수를 통해 해외 판매를 증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함. 전년 대비 괄목할 만한 수출액 증가(2022년 기준 전년 대비 60.2% 상승한 10.6억불)와 매출액 성장(1조원, 41% 증가)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 활동을 통해 그간 수출이 부진했던 벨기에, 헝가리, 폴란드, 호주 시장 등의 수출실적 개선에 기여함. 금년도 기준, 벨기에 1.44억불(+129.4%), 헝가리 2.21억불(+104.7%), 폴란드 0.48억불(+69.6%)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고, 2018년 호주 시장에 진출한 이래 역대 최고 실적인 1.74억불 수출을 달성하는 등, 꾸준한 수출 확대를 진행 중임. 회생절차 중에도 신기술 개발을 위해 관련 인력 578명을(전체 종업원의 13%) R&D에 배치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비 투입을(’22년 1,201억원 → ’23년 1,645억원) 통해 최근 3년간 109건의 특허 등록을 비롯하여 신차 토레스를 출시(’22.7월)하여 8천만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함. 223개의 1차 협력사, 1,090개의 2차 협력사와 동반성장 및 상생협력 활동을 강화해 왔으며, 성공적인 M&A와 회생절차 종결로 82,000명의 협력사 임직원의 고용 안정화에 기여함. 노사 간 상생 문화를 정착시켜 14년 동안 0건의 쟁의 발생이라는 해당 업계에서 보기 드문 무분규 사업장을 유지함. 7. 문판식(文判植) 은탑 / 남성해운(주) 선장 ▲ 수출품목 : 화물운송업 ▲ 수출실적 : 2억불 ▲ 담 당 자 : 박정우 ( ☎ 02-772-8855 )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2년 실습 항해를 시작으로 약 40년간 오로지 수출의 선봉장인 해기사를 천직으로 삼아 해양 직원으로만 근무하였고, 2001년 이후에는 선장으로서 우수한 해기능력, 안전 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수출 선박의 안전·적기 운항에 기여함. 남성해운(주)은 1953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외항선사로 컨테이너 화물선을 포함한 20대의 선박, 60개 아시아 지역의 주요 물류 기지를 통해 총 46개의 노선을 서비스하며 수출 물류 확보에 기여함. 이를 통해 최근 3년간 2020년 2.2억불, 2021년 3.1억불, 2022년 2.7억불에 달하는 수출 성장에 기여함. 상기인은 1982년 부산해양고등학교 항해과를 졸업한 이후 한진상운에서 실습을 시작하였고, 보창선박 및 천경해운, 청운상사, 부산중앙해운, 새한해운에서 항해사로 근무함. 1994년 이등 항해사로 항해를 시작한 후 현재까지 무사고 경력을 유지하며 우수한 해기능력을 입증함. 2008년 유가 급등으로 급증한 운항경비의 절감을 위해 운항 일정을 고려한 연료유 전환, Port to Port 간 경제속도 운항모델 등을 회사에 제안하여 선박의 안전 운항 및 정시운항, 비용 절감에 기여함. 선장 진급 대상자에게 선장에게 필요한 이론 및 자력도선 교육 등을 적극적으로 이행함으로써 최근 5년 사이에 4명을 선장으로 진급시키는 등, 후배 양성에 크게 공헌함. 80 8. 정호석(鄭湖錫) 은탑 / (주)싱그린FS 대표이사 ▲ 수출품목 : 가금류 가공업 ▲ 수출실적 : 2천만불 ▲ 담 당 자 : 김준현 ( ☎ 063-861-7568 ) 공적내용 상기인은 베트남의 성수기 기간과 환율 변동에 주목하여 제품 재고 없이 생산량을 모두 판매하는 전략으로 2021년 대비 자본금은 73억 11백만원에서 2022년 8% 증가한 79억 11백만원, 매출액은 2021년 300억 93백만원 대비 2022년 523억 95백만원으로 74% 증가시킴으로써 수출증진을 통한 성장에 기여함.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생산공정의 관리를 통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원료를 수급하기 위해 농가에서부터 엄정한 관리를 거치는 등, 제품 품질 관리를 위한 노력의 결과 2007년 3월 HACCP 인증을 획득하였고, 2023년 현재까지 HACCP 인증을 유지하고 있음. 상기인은 품목 다양화와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기존의 냉동 닭고기 수출에 더하여 새로운 닭고기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기존 베트남 위주의 냉동 닭고기 중심 수출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국가와 품목을 개척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2023년 9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K-food fair 2023에서 가공식품을 선보이며 대한민국 농수산식품의 베트남 수출 확대에 기여함. 당사의 수출실적은 2020년 1,040만불, 2021년 1,746만불, 2022년 2,224만불으로, 3년간 평균 47%라는 높은 성장률을 주도하였으며, 외화가득률 또한 99%로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함. 산업 연수생 기숙사, 생일자 상품권 지급, 동아리 활동 지원, 익산 내 기업 및 협업 근로자 할인 등, 직원 개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함과 동시에 근로자의 복지를 위한 노력도 꾸준히 기울이고 있음. 9. 박종환(朴鍾煥) 은탑 /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이차전지 소재 ▲ 수출실적 : 24억불 ▲ 담 당 자 : 황은성 ( ☎ 054-720-4013 ) 공적내용 상기인은 33년간 배터리, 이차전지 양극소재 분야에 종사하며 양극활물질 개발 및 양산 기술 확보 등을 통해 해당 분야의 수출경쟁력 강화 및 국내 이차전지 해외시장 선점에 기여함. 2020년 2월 ㈜에코프로비엠과 삼성SDI㈜의 합작법인 설립을 총괄하고 지난 3년간 양극소재 공장을 순차적으로 준공한 결과, 국내 최대규모 생산력을 갖추며 양극재 개발 및 양산체계를 확보하는 데 기여함. (2020년 11월 CAM6 年産 3.6만톤, 2021년 10월 CAM7 年産 5.4만톤, 2023년 1월 CAM8 年産 3.6만톤) 급속한 수요 증가에 적기 대응(양산체계 조기 확보)함으로써 수출 성장에 기여하였으며, 사전 설비 검증, 제품 특성 사전 검증, 소재 동질성 평가 Tool 확보 등을 통해 당초 계획 대비 3개월 이상 조기 양산 돌입하는 데 기여함. 2021년 0.5억불의 수출 대비 2022년 2.4억불 수출을 달성하고, 2021년 118억원의 매출실적 대비 2022년 2조원으로 초고속 성장하는 성과 달성에 기여함. 2023년 상반기 수주실적은 13억불로 2022년 상반기 대비 108% 증가하는 성과 달성에 기여함. 연구전담부서 설립과 적극적 기술개발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제품 품질개선을 바탕으로 양극재 공급 단가를 낮추는 데 성공하여 하이니켈계 고용량 양극소재의 세계시장 점유율 향상에 기여함. (전 세계 2.2%, 2022, SNE리서치) 공장설립에 필요한 양극 소재 규격화를 추진하여 안정적인 설비 구축을 통해 공장 시험 운전 기간 단축(2개월→1개월), 2021년 1,500톤/월 생산에서 2022년 1,650톤/월 생산으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기여함. 10. 문찬종(文贊鍾) 은탑 / 에스트래픽(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교통 소프트웨어 ▲ 수출실적 : 3천만불 ▲ 담 당 자 : 신미희 ( ☎ 031-601-3501 ) 공적내용 상기인은 25년간 교통인프라 사업 분야에 종사하며 2013년 삼성SDS의 교통사업 부문을 분리 독립하여 에스트래픽을 설립하고 기존 국내 사업을 확장, 해외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국내 교통 시스템 수출을 개척하는 데 기여함. 수입에 의존하던 회수용 통행권 시스템을 ’94년 국산화하였으며, 해당 기술을 발전시켜 현재 사용되는 하이패스 시스템 구축 및 무정차 스마트 통행료 징수 시스템을 개발 및 상용화하는 데 기여함. 해당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주력 수출 품목으로 전체 수출의 70%를 차지하고 있음. 2004년 경부고속철도 KTX 신호 시스템 사업에 참여하여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수도권 고속철도, SRT 사업 등의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스페인, 프랑스 등의 철도사업에 참여함과 더불어 미국 워싱턴 역무 자동화 설계시스템 구축사업을 수주하는 등, 해당 수출 분야를 개척하는데 기여함.(2019년 수출프론티어기업인증, 산업통상자원부) 최근 3년 수출실적은 2020년 4.3백만불, 2021년 9.5백만불, 2022년 30백만불 순으로 급속 성장하였으며, 2023년 4월 샌프란시스코 철도역무자동화 시스템 수주(향후 5년간 총 610억원 규모)를 통해 향후 수출실적 확보에 기여함. 방글라데시 도로/교통 시스템 수주를 통해(약 454억원 규모) 서남아와 동남아의 추가 시장진출에 기여함. 수출의 핵심기술인 시스템 구축 및 설계, 개발을 위해 연구인력 중심의 인력 구조(근무 인원 중 23% 비중)를 유지 중이며, UAM 등의 신규 모빌리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인 투자를 진행, 국가 교통인프라 기술 발전에 기여함. 11. 양국석(梁國錫) 동탑 / 현대아이에프씨 주식회사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산업기계 부품 ▲ 수출실적 : 8천만불 ▲ 담 당 자 : 김현지 ( ☎ 061-760-7152 ) 공적내용 상기인은 제철/철강/단조 분야에 약 27년간 종사하며 설비투자와 R&D를 통해 원가 절감 및 기술경쟁력 제고를 통한 수출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매출 및 수출 증대에 기여함. 단조 사업의 특이성을 장점화하고 다양한 산업군의 수출을 목표로 하기 위해 현대제철로부터 분사 결정을 주도하였고, 이후 지속적인 수출 성장을 통해 국내외 산업군의 요구에 부응하는 탁월한 제품을 공급하는 데 기여함. 수출실적의 경우 2020년 35백만불, 2021년 62백만불, 2022년 82백만불 순으로 최근 3년간 꾸준히 성장하는 데 기여함. 주력 사업 분야인 조선·엔진 분야와 관련하여 국내 대형 선박 건조회사와의 거래로 선박 건조 지원을 통해 수출에 간접적으로 기여함. 지속적인 기술개발, 품질개선, 원가 개선을 통해 최근 3개년 동안 2020년 2,379억 -> 2021년 3,499억원 -> 2022년 4,889억원으로 매출 증가를 달성하는 데 기여함. 불법파견 문제의 결과 회사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TF를 구성하였고, 그 결과로 협력사 인력을 직영으로 채용하는 단호한 조치를 하여 그동안 직영과 협력사 간 심리적 거리와 소통의 문제를 해소하여 합리적인 운영에 기여함. 12. 이인우(李仁雨) 동탑 / 한국진공(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진공펌프·압축기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배재숙 ( ☎ 053-591-7720 ) 공적내용 상기인은 1998년 경제위기로 부도에 이른 한국대아진공을 전 직원들과 공동 출자를 주도, 한국진공주식회사를 설립하고 기술 투자와 적극적인 수출을 통해 연간 매출 1,250억원의 기업으로 성장시켜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설립 초기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외 학술 및 연구단체와 협업하여 선진 진공 기술개발에 전력하였고, 동남아 시장을 시작으로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에 기여함.(2002년 산업포장) 모바일 외관 증착용 및 자동차 램프용 코팅 설비의 국산화에 성공하고, 일본 수입에 의존하던 모바일용 이차전지 건조 장치(Vacuum Dryer)를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하여 수입대체효과를 통한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주요 수출국이었던 중국에 국한되지 않고 10여 년 전부터 유럽 시장 수출 확대를 노력하였으며, 5년 전부터 이차전지 생산설비 수요를 예측하고 미국 시장진출에 노력한 결과, 최근 3년간 높은 수출 성장을 기록함. 2007년(이차전지 수출 이전) 495억원이던 매출은 2022년 1,249억원으로 약 2.5배 성장함. 최근 3년 수출실적이 2020년 34백만불, 2021년 46백만불로 성장하고, 2023년 1억불을 기록, 전년 대비 117% 증가하는 데 기여함. 현 주요 수출 품목인 이차전지 관련 Vacuum Dryer 설비는 독보적인 기술로 국내 대기업은 물론 글로벌 이차전지 생산업체에 공급 중임. 2020년 전체 매출 중 수출의 비중이 10%에서 2023년 30%까지 증가하였으며, 금년 내 50%를 초과하여 외화 가득에 기여할 것임. 13. 서성남(徐成南) 동탑 / 케이넷(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통신케이블 ▲ 수출실적 : 7천만불 ▲ 담 당 자 : 서일기 ( ☎ 02-2063-5413 ) 공적내용 상기인은 기업 설립 후, 광통신망 구축에 필수적인 고효율의 Microduct(마이크로관) 및 관류, 토탈 솔루션의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세계의 일류기업들과 함께 경쟁할 수 있는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출 증대에 기여함. 단순 제품 수출이 아닌 엔지니어링 바탕의 컨설팅 영업을 토대로 바이어에게 가장 경제적인 수출을 지원하며 수출시장 다양화(69개국) 및 실적 상승에 기여함. 전년 대비 당해 연도 수출은 140% 상승, 2020년 19.3백만불→2021년 27.9백만불→2022년 67.1백만불로 성장하였고, 매출은 2022년 450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에만 555억원을 달성하는 데 기여함. 2022년 수출/매출 비중 95.1%에서 2023년도 상반기 98.9%를 달성하며 수출 비중 확대 달성에 기여함. 해외수출에 초점을 두며 세계 선두기업들과 경쟁하고자 글로벌 시스템 인증 확보를 위해 노력한 결과, 특허 15건 및 실용신안 5건을 등록함. 글로벌 시스템 인증인 ISO9001, ISO 14001, TL9000을 매해 획득하였고, 해외 UL과 Telcordia 인증을 취득하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함.(글로벌 강소기업 2회 선정) 생산라인 확대 및 신성장산업에 부합하는 생산설비 구축을 통해 하루 컨테이너 출고량이 기존 하루 5~6대 수준에서 총 8대의 컨테이너로 60% 상승, 2022년 기존 노후 생산설비들을 교체하여 관련 생산능력이 투자 전 617,760km에서 1,166,400km로 약 1.88배 증가하는데 기여함. 14. 김원영(金沅永) 동탑 / (주) 포스코인터내셔널 상무보 ▲ 수출품목 : 종합 무역업 ▲ 수출실적 : 95억불 ▲ 담 당 자 : 박용석 ( ☎ 02-759-3080 ) 공적내용 상기인은 철강 제품의 글로벌 시장개척 및 판매 확대를 통해 수출 증대에 기여하였고, 풍력 에너지 관련 수요를 예측하여 신재생에너지용 강재 수출시장 발굴에 기여함. 해외 조선소, 산업기계 제작사, 단압밀, 유통 등, 다양한 고객사를 개발하여 한국산 철강 제품시장을 개척하였고, 철강 본부의 전략 수립을 통하여 전반적인 한국산 철강 제품 판매 및 수출 확대에 기여함. 단순 스테인리스 철강 제품 수출을 고부가가치 제품인 탄소 철강 제품 사업 및 이차전지 사업의 핵심 소재인 동박, 동 스크랩 사업 / 식량 자원 사업 / 화학 원료 사업 등으로 전환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 결과, 2022년 연간 매출 38조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함. 친환경 에너지 시장의 선제적 분석을 통해 포스코産 및 한국産 풍력용 강재 수출의 신시장 개척에 기여하였으며, 풍력 부문 실적은 2022년 매출액 4,835억, 영업이익 89억이며, 2023년 상반기 매출액은 3,381억, 영업이익은 142억을 달성함. 수출실적의 경우 최근 3년간 2020년 68억불, 2021년 99억불, 2022년 95억불로 성장하는 데 기여함. 2023년 3월, 글로벌 풍력 터빈 제작사 Nordex 社와 2023년 상반기 40천톤, 하반기 풍력 타워 제작용 후판 50천톤에 대한 장기공급계약 체결에 기여함. 풍력용 후판의 안정적인 장기 공급을 통해 풍력타워 생산 국내 중소기업이 세계 풍력타워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할 수 있도록 기여함. 15. 문안용(文顔龍) 동탑 / 에이치에스엠(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산업용 기계 ▲ 수출실적 : 8백만불 ▲ 담 당 자 : 문희 ( ☎ 031-984-0295 ) 공적내용 상기인은 45년간 기계 및 부품 수리/제작 분야에 수공하며 꾸준한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수입 기계를 대체하고, 아시아 시장으로의 수출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국내 압출 라미네이팅 기계 분야는 고가의 수입 제품과 열악한 국산 기계로 양분화됨. 이를 타개하고자 라미네이팅 기계의 주요 수출 부품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라미네이팅 기계는 바이어의 개별 요구를 맞추기 위해 주문생산으로 제작되는 특성상 까다로운 요구와 납기일 단축이 수출계약 성사의 쟁점임을 파악하고, 3D 입체 설계 방식을 도입하여 시제품을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주요 수출품의 납기일을 단축시키는 데 성공하였고, 이를 통해 라미네이팅 라인 5개를 14개월 이내에 완성하여 수출하는 데 기여함. 인도네시아 바이어와 20년간 거래하며 쌓인 신뢰를 바탕으로 말레이시아 및 기타 동남아시아 국가로의 수출을 확대 중이며, 2020년 10만불 수준의 수출이 2022년 8.3백만불로 급상승하며 수출기업으로 변신하는 데 기여함. 16. 임건순(任健淳) 동탑 / 삼성물산(주) 그룹장 ▲ 수출품목 : 종합 무역·유통업 ▲ 수출실적 : 39억불 ▲ 담 당 자 : 박정민 ( ☎ 02-2145-2758 ) 공적내용 상기인은 삼성물산에 32년간 재직하며 종합 무역 영업을 담당, 국내산 반도체 설비 및 철강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구주 및 중동 수출 확대에 크게 기여함. 국산 철강 제품의 수출 및 삼국 간 영업을 담당하여 열연류 제품의 수출 규모가 전년도 303천톤(3,965억원)에서 당해년도 489천톤(4,846억원)으로 162% 증가하는 데 기여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른 유럽 Mill의 경쟁력 약화로 인한 유럽 소재 고객들의 역외지역 소싱 확대 움직임을 포착하여 신규 고객을 적극 발굴하였고, 유럽-미국의 세이프가드 쿼터를 활용하여 고가의 한국산 철강 제품의 수출 확대에 기여함. 이란의 원화 결제 시스템 같이 제한적인 영업환경에서 본인의 철강 영업뿐만 아니라 화학, 선박/병원 등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 영업에도 기여함. 국산 철강 제품의 동서남아, 구주, 아중동 및 미주지역 수출 영업을 확대하였으며, 특히 전기강판 수출 영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스터디 그룹을 구성, 담당자별 주요 수출국의 시장조사 및 현지 출장을 통해 판매시장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함. 포스코, 대양금속의 스테인리스 제품을 프랑스와 유럽 고객사 대상 판매하였으며, 국내 중견기업이 생산한 자동차 알로이 휠 제품을 프랑스 자동차부품 유통업체에게 판매하는 데 기여함. 17. 박영근(朴泳謹) 동탑 / 엑셀리스코리아(주) 사장 ▲ 수출품목 : 반도체 부품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김휘철 ( ☎ 031-695-8700 ) 공적내용 상기인은 국내 반도체 제조의 필수 부품인 이온주입기를 공급하는 반도체 장비회사에 근무하며 미국 본사로부터 국내 생산 시설 투자 결정을 주도, 일자리 창출 및 수출에 기여함. 1980년대부터 반도체 부품의 공급 및 서비스를 위해 국내에 지사를 운영 중이던 엑셀리스 본사(美보스턴)를 설득, 국내 생산 시설 투자(570만불 규모)에 기여함. 국내 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에 최신 사양의 반도체 장비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함과 더불어 해외로 직접 수출을 병행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생산설비 완료에 따라 매출은 2021년 679억원에서 2022년 2,196억원으로, 고용인원은 104명에서 145명으로 증가하며 경제 발전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 중국, 대만, 일본 등의 시장을 개척하여 2020년 15백만불이던 수출실적은 2022년 1.7억불로 크게 성장하는 데 기여함. 국내 업체들과의 동반성장을 위해 글로벌 수준의 품질관리시스템에 기반한 각종 스펙과 시스템을 20여 개의 국내 업체 육성에 활용하고 이를 통해 중장기적인 부품 국산화 및 핵심 경쟁력 강화에 기여함. 국내 소싱 및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여 2021년 약 20억원의 국내소싱실적이 2023년 상반기에만 190억원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함. 18. 이상훈(李相勳) 동탑 / 동광무역상사(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종합 무역·유통업 ▲ 수출실적 : 2천만불 ▲ 담 당 자 : 조현동 ( ☎ 051-255-7428 ) 공적내용 상기인은 창사 후 신시장개척 전문무역상사로 30년간 약 3억불을 수출함과 더불어 카자흐 명예 영사로서 한국의 22년도 카자흐 수출 115% 증가에 기여함. 1990년대 신시장인 러시아를 중심으로 시장을 개척하며 자동차 필터 및 윤활유(일본 라이센스 브랜드 미쓰비시, ENEOS)를 수출함. 1994년 수출실적 72,357불을 시작으로 28년간 매년 꾸준히 수출을 성장시켜 2023년 약 27백만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하며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지속적인 해외 마케팅과 영업 현지화 활동을 통해 매년 약 15%의 수출액 증가를 기록 중으로, 최근 3년간 2020년 14백만불, 2021년 18백만불, 2022년 27백만불 수출을 달성함. 러-우 사태로 어려워진 자동차 윤활유 수출 판로를 타개하기 위해 기존 일본 라이센스 제품 대신 국내 협력사와 국산 윤활유 및 브랜드를 개발하여 수출함으로써 해외 라이센스 비용 절감에 기여함. 전문무역상사제도를 건의하여 현재 한국무역협회에서 운영하는 전문무역상사제도가 2010년 정식으로 발족하도록 기여하였고, 부산의 50여 개 사로 구성된 부산 전문무역상사협의회를 구성하여 국내 내수기업의 수출지원에 기여함. 한-러 정상회담 시 경제사절단 참여(2004년)하는 등, 러시아와 CIS 시장개척을 선도한 바를 인정받아 2021년 10월 주한카자흐스탄 명예 영사로 임명되어 양국의 민간외교 및 경제교류에 기여함. 19. 김주선(金柱善) 동탑 / 에스케이하이닉스(주) 부사장 ▲ 수출품목 : 반도체 ▲ 수출실적 : 188억불 ▲ 담 당 자 : 김세형 ( ☎ 031-8093-4643 ) 공적내용 상기인은 최근 메모리 반도체의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기술경쟁력 기반 제품을 통한 시장/수출경쟁력 강화에 기여하였고, 시장점유율과 매출 확대에 기여함. 약 33년간 국내 반도체의 세계시장 개척에 매진하여 국내 전자산업의 글로벌 위상을 대폭 강화하는 데 이바지하였으며, 정확한 시장 분석과 고객 발굴을 통해 HBM 및 고용량 DDR5 제품이 2023년 상반기 압도적인 세계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는 데 기여함. ‘AI용 DRAM은 SK hynix’라는 시장 내 인식 각인을 통한 국내 반도체 산업의 가치를 격상시키는 데 기여함. 전략 거래처와 장기 공급계약 체결을 통해 안정적인 사업 모델 구축과 수출 확대에 기여함. 특히, 주요 고객인 Microsoft를 대상으로 2021년 35억불에서 2022년 50억불로 매출을 확대하였고, nVidia 대상으로는 2021년 매출 8억불에서 2022년 매출 11억불로 매출 증대시키며 수출 확대에 기여함. 2022년의 IT 공급망 내 전반적인 재고 일수 증가와 전방위 수요 경색의 미증유 사태에도 불구하고 적기 시장 대응 전략 수립을 통해 메모리 제품의 매출 ’22년 300억 불 달성 및 시장점유율 20%대 수성에 기여함. 최신 AI 서버 요구 조건에 부합하는 메모리인 HBM과 128GB 이상 DDR5 제품을 조기 개발, 압도적인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고, 국내 기술력이 AI 기술을 선도하는 데 기여함. 세계 최초 HKMG를 적용하여 업계 최고의 사양인 CP LPDDR5X Mobile 제품의 적극적인 판매 확대로 ’23년 상반기 중국 내 모바일 반도체 시장점유율(42%) 1위를 달성하는 데 기여함. 20. 손미카엘(孫미카엘) 철탑 / 삼성SDI 부사장 ▲ 수출품목 : 이차전지 ▲ 수출실적 : 60억불 ▲ 담 당 자 : 이희엽 ( ☎ 010-4515-5393 ) 공적내용 상기인은 수주 확대와 주요 고객과의 조인트벤처 체결을 통해 매출 확대, 수출 성장, 국가 경제 발전, K배터리 위상 제고에 기여함. xEV 및 ESS 배터리 매출실적을 2020년 대비, 2022년에는 두 배에 가까운 193% 규모로 성장하는 데 이바지하였으며, 자동차용 배터리 수주를 지속 확보함으로써 미래의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이바지함. GM/Volvo 등의 신규 고객 발굴을 주도하여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확대함은 물론, 주요 고객과의 J/V 설립을 주도하여 미국 자동차 배터리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는 데 기여함. 이에 따라 당해년도 수출실적은 지지난해 대비 120% 성장하여(2020년 50.6억불 대비 당해년도 60.7억불)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수출 위주의 에너지 부문 2022년 매출은 17.6조원으로 2020년 8.7조원 대비 2배 이상 급성장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탁월한 시장 예측 및 전략적인 기획력을 바탕으로 이차전지 수주 확대를 통한 매출 성장에 기여한 바 있으며, 최근의 실적 발표에서도 ’23년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는 것과 동시에 4분기 연속 매출액 5조원을 돌파함으로써 K배터리 성장을 견인하는 데 기여함. 21. 문성미(文聖美) 철탑 / 세아상역(주) 대표이사 ▲ 수출품목 : 의류 ▲ 수출실적 : 12억불 ▲ 담 당 자 : 박현수 ( ☎ 02-2019-8172 ) 공적내용 상기인은 글로벌 의류기업의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전략적인 영업활동을 전개한 결과, 회사의 성장을 성공적으로 견인하며 수출 신장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함. 해외 바이어의 주문을 통한 주문자 제작 방식(OEM)만을 고수해 오던 방식을 탈피하여 의류수출업계 최초로 디자인팀, R&D팀, Technical Design팀을 설립하여 디자인 및 초기 기획 단계부터 제품을 제작하는 생산자 제작 방식(ODM) 시스템을 정립하는 데 이바지함. 의류 제조산업의 수직계열화(원사-원단-봉제 생산시스템)를 달성하며 글로벌 섬유업계의 리더로 확고한 위치를 다지며 자사 수출경쟁력을 높임과 동시에 국내 의류 제조/수출업계의 동반성장에 기여함. 상기인은 수공기간 중 세계적인 의류 브랜드 및 유통업체들을 담당하며 매출 증대 및 사업확장의 기회를 마련하였고, 세아상역만의 전략적인 영업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며 거래처 중 한 곳인 TARGET의 경우 2019년 3억 9천불에서 2021년 6억 1천불까지 매출을 성장시키는 등,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 침체 속에서도 3년간 약 156%의 매출 신장을 기록하는 성과를 이루는 데 크게 이바지함. 저가형 브랜드를 런칭하는 바이어의 신규 니즈에 맞추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소싱을 선제적으로 제안함과 더불어 생산기간의 적극적인 단축과 생산 시설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3년 연속 12억불 수출 달성에 기여함. 2014년에는 아이티에 KOICA와 함께 세아학교를 설립하여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아이티 최고의 종합학교로 성장시킴과 함께 급식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태권도와 한글을 정식 교육과정으로 채택해 한류 문화를 전파하는 데 기여함. 22. 홍수식(洪守植) 철탑 / (주)보명금속 대표 ▲ 수출품목 : 조선기자재 ▲ 수출실적 : 2천만불 ▲ 담 당 자 : 홍무진 ( ☎ 051-266-4101 ) 공적내용 상기인은 1994년 창사 이래 국내 중공업 3사에 20여 년간 조선기자재를 납품하며 누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10년부터 적극적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몰두한 결과, 현재 20여 개 국가에 조선기자재를 수출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지속적인 수출 노력을 바탕으로 2014년 3백만불, 2019년 1천만불, 2022년 2천만불 수출을 달성하여 수출증진에 기여함. 기존 미국 제조사가 독점하던 美 해군 사양 제품을 자체 기술로 3년 만에 개발하여 2018년 첫 수출의 성과를 달성함. 미국 국적의 조선소에 동종업계 최초로 한국산 제품을 납품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미국 조선소에 다른 한국 부품업체들이 진출하는 데 기여함. 美 해군 납품을 계기로 다양한 국내외 해양 프로젝트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2022년 對美 수출 500만불에 이어 2023년 상반기에만 477만불 성과를 달성, 對美 수출 확대에 기여함. 공격적인 해외 진출과 시장다변화를 위해 노력한 결과, 2015년 기준 9개국에 불과했던 수출국은 2022년 캐나다, 이탈리아, 베트남, 카타르, 오만, 인도 등, 20개 국가로 확대됨. 23. 김운회(金雲會) 철탑 / 한화솔루션(주) 상무 ▲ 수출품목 : 태양광·합성수지 ▲ 수출실적 : 34억불 ▲ 담 당 자 : 김진택 ( ☎ 02-729-2612 ) 공적내용 상기인은 국내 최초, 세계 2번째로 XDI 상업화에 성공하여 국내 소재 개발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시장 확대 및 신사업 개발을 통해 수출에 기여함. 생산/판매/신사업/ESG 등의 분야와 국내외 사업장 근무 중 2022년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된 Eco-DEHCH(에코데치, 친환경가소제), CPVC(염소화 폴리염화비닐), CP/TP,(코폴리머/터폴리머) 총 3개 품목의 수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선전에 기여함. 최근 3년 수출실적이 2020년 19.7억불 → 2021년 24억불 → 2022년 31.2억불로 지속 성장하는 데 기여함. 아프리카, 중남미를 포함한 세계 100여 개 이상의 수출국 다변화를 도모하여 수출시장 확대에 기여하였음. 또한, 다이소시아네이트(TDI) 생산량 중 80% 이상을 매년 수출하여 국가 외환 가득과 수출 증대에 기여함. 2020년 78,703톤 수출(전체 판매량 95,886톤), 2021년 94,131톤 수출(전체 판매량 110,874톤), 2022년 76,334톤 수출(전체 판매량 91,279톤) 일본의 수출 규제로 당면한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난관을 근본적으로 타개하기 위해 국가 주도 소부장 육성 사업에 적극 동참, 세계에서 두 번째, 국내 최초 고굴절 렌즈 원료인 XDI(Xylylene diisocyante)를 자체 기술로 상업화에 성공함. 2022년부터 생산 시설을 전면 가동하여 생산량의 98%를 수출함으로써 수출 증가에 기여함. (수출량 증가 2021년 212톤 → 2022년 918톤) 세계 3개 기업만이 생산할 수 있는 크레졸(화학물질)을 개발, 미래산업인 헬스케어 소재 및 케미칼, 고기능/복합소재, 친환경 소재 등의 성장사업 영역을 타겟으로 상업화 준비, 소재 수출경쟁력 강화에 기여함. 24. 이승범(李承範) 철탑 / (주)흥아기연 부장 ▲ 수출품목 : 자동포장기계 ▲ 수출실적 : 2천만불 ▲ 담 당 자 : 강동운 ( ☎ 032-680-7514 ) 공적내용 상기인은 30년간 제약 포장 기계 제작과 수출에 수공하며, 70개국 800여 고객에 포장 기계를 납품하여 수출을 증대시키며 2021년 5천만불 수출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자사 최초 Cartoner(자동포장기기 부품)인 HANA 120을 개발하여 제약 포장 기계의 Line-up(기계 완성품) 판매 및 수출이 가능하도록 기여하였고, 이후 독자 모델 단속, 중속, 고속 제약 포장 기계를 연속으로 개발하여 매출 및 수출 증대에 기여함. HC400 Cartoner 개발 당시, 해외기업들의 특허를 피하고 독자적인 성형 장치를 개발하여 특허를 등록(제10-1245602호)함으로써 이후 수출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함. 바이오 후방산업인 부품/장비 분야의 기술 개발을 주도하여, 글로벌 품질 수준을 달성하고 제약설비의 수입을 대체하는 데 기여함. 국내 메이저 제약회사에서 사용하는 제약용 블리스터와 카톤 기계를 개발 및 제작 납품하여 수입품 대비 제약회사들의 비용을 절감하고 의약품 수출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함. 세계적 제약회사인 노바티스, 사노피, 화이자, 글락소 등, 70개국 800업체에 제약 포장 기계를 수출하여 2020년 5천만불, 2021년 2천 8백만불 수출을 달성하는 데 기여함. 25. 남정도(南廷道) 철탑 / (주)하나금속 전무 ▲ 수출품목 : 압연·압출 제조 ▲ 수출실적 : 3천만불 ▲ 담 당 자 : 정영훈 ( ☎ 032-812-3061 ) 공적내용 상기인은 해외시장 개척 및 최근 말레이시아 동박공장 전기플랜트 공사 계약을 성공적으로 성사시켜 무역역조개선 및 비철금속 분야의 성장에 기여함. 신소재 개발과 전기 플랜트 공사 업무를 총괄하여 특히 SKC 자회사 SK NEXILIS 2차 전지용 동박 생산 공장 증설을 위한 말레이시아 동박 공장 전기 플랜트 공사를 지휘하였고, 해당 공사를 통해 당사 제품 품질과 기술력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폴란드 공장 공사 계약 수주도 성공하는 등, 2022년 매출액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한 1,224억원을 달성하는 데 기여함. 총 18건의 특허와 실용신안을 등록하고 ISO 14001, ISO 9001 인증 취득을 주도했으며, 국내 제련 시장에서 발생하는 생산성 저하와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택트바 개발에 성공하는 등, 기술력 향상을 통해 ㈜하나금속이 우수기술 개발업체로 인정받고 일등상품화 지원사업에 선정되는 데 기여함. 공정 자동화 및 분석 시스템 개선을 통해 원가 절감과 품질 향상을 추진하여 2021년 부적합 발생 건수와 원가를 각각 2011년 대비 70%, 64% 절감함으로써 고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고객사들의 주거래처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함. 주력 상품인 동판/동부스바 판매 증가로 국내 시장 점유율을 높였으며, 대용량 동부스바와 구리 전해 정련용 음극판 국산화에 성공함. 26. 김선(金璿) 철탑 / 현대삼호중공업(주) 직장 ▲ 수출품목 : 선박건조·부품 ▲ 수출실적 : 31억불 ▲ 담 당 자 : 김혜창 ( ☎ 061-460-3540 ) 공적내용 상기인은 약 26년 7개월간 선박 건조에 필요한 용접 기술 연구와 LNG 운반선 화물창 공사 분야에 종사하며 조선·해양산업의 경쟁력 향상과 국가 발전에 기여함. 현대삼호중공업 최초로 LNG 운반선 건조에 참여, 화물창 건조 기술 기획 및 맞춤형 건조 공법을 수립한 결과, 현재는 연 8척의 LNG 운반선 건조 체제를 확고하게 구축하는데 기여함. 선박용 용접 기술 연구자로서 선박 및 해양 구조물에 대한 용접기술 개발, 용접 자동화, 특수 용접사 교육을 통하여 생산 관리 체계를 발전시키고 LNG 운반선 건조 및 수출에 기여하였으며, 일반 상선 및 FPSO 해상설비의 용접 기술도 개발하여 성공적인 수주 및 납품에 기여함. 화물창 보온(CCS) 공기 준수, 화물창 공사 No Leak 연속 달성, 멤브레인시트 피해 최소화 등, 화물창 공사의 부서장으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함. ‘한국형 화물창’ 도입과 관련, 기존 프랑스 GTT사에 의존하던 CCS 공사 기술력을 국내 순수 기술로 대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중으로, 글로벌 LNG 운반선의 독보적 우위 점위 및 가격 경쟁력 확보에 기여함. 27. 신경영(申景榮) 철탑 / 한국알프스(주) 책임매니저 ▲ 수출품목 : 전자기기 부품 ▲ 수출실적 : 10억불 ▲ 담 당 자 : 윤인근 ( ☎ 062-950-2387 ) 공적내용 상기인은 30년간 차재전장품(Automotive Electronics), 통신관련품(Communication), 입력장치(Input device), 컴포넌트(Components) 등의 전자부품산업을 주력으로 우리 생활과 밀접한 생활기기들의 핵심부품을 개발/생산하여 수출을 통한 지역 발전과 성장에 기여함. 상기인은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관리 담당 업무를 수행하며 작업장의 위험요소 제거를 통한 근로자 안전 및 안정적인 근무 조건 조성을 달성하는 데 이바지함. 기존 R&D 센터 증축(100억 투자) 관련 해외자금조달과 해외 신제품에 대한 원가 개선을 통하여 수출품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 국내 수출용 차량의 신제품 라인 구축에 참여하는 등, 10억불 수출실적에 기여함. 생산 계획 부문 팀의 국내담당(수출)으로서 생산과정 개선 활동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과제사항을 발굴 및 해결하여 원가 경쟁력을 확보함과 함께 매출 증대에 기여함. 신제품 라인 구축으로 수출 증대에 기여함. - 2020년 : 마츠다 외 20건 (매출 증대 : 59억원/년) - 2021년 : 볼보 외 13건 (매출 증대 : 100억원/년) - 2022년 : 마츠다 2개 라인 구축 (예상 매출: 약 120억원/년) 28. 신옥주(申沃周) 철탑 / 태광후지킨(주) 반장 ▲ 수출품목 : 가스공급장치 부품 ▲ 수출실적 : 3억불 ▲ 담 당 자 : 신승연 ( ☎ 051-970-6748 ) 공적내용 상기인은 반도체용 전해연마 최초 국산화 기술을 통해 초 청정 제품군 국산화 및 수출실적 3억불을 달성하여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함. 전략 수입에 의존하던 전해연마(Electro-Polished)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반도체 부품 소재 국산화의 첫 발자국을 떼는 데 기여하였고, 이후 UHP(Ultra High Purity products) 부문의 Valve, Regulator, Gas Filter, MGC 등을 차례로 국산화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해당 기술의 집약체로 불리는 IGS(Integrated Gas System)의 국산화까지 성공하여 수입을 대체하는 데 기여함. 생산라인 구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품질 문제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생산현장의 표준화 및 품질안정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입사 초기 10명 남짓의 생산현장직원 중 1인으로 반도체 생산라인의 초기 국산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함. 반도체 장비업계의 바이어가 요구하는 품질 기준검사를 통과함으로써 세계 1위 AMAT, 2위 사인 LAM, 그리고 일본 장비 업체 TEL, HIKE에 반도체 및 LCD 공정 장비에 소요되는 부품 및 기계 모듈을 공급하여 2022년 3억불 수출 달성에 기여함. 현재 세계 20여 개국, 100여 개 고객사에 수출을 진행하고 있으며, 매년 200억 원 이상의 수출 증가를 주도하고 있음. 29. 박진식(朴鎭植) 석탑 / 한국무역보험공사 본부장 ▲ 수출품목 : - ▲ 수출실적 : - ▲ 담 당 자 : 전인수 ( ☎ 02-399-5304 ) 공적내용 상기인은 29년간 무역보험 업무에 종사하면서 무역과 해외투자 촉진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함. 보험·보증 인수심사, 보상, 신용조사 등, 무역보험 실무 경험을 지닌 무역보험 전문가로서 장기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무역보험 운영에 크게 기여함. 수출금융 지원을 위한 최후의 보루로서 보증기관의 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인수심사위원회의 중장기성 금융 종목 심사를 강화하고, 사전보고 양식 표준화 및 보고 시기 명확화를 통해 사전 리스크 리뷰 기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함. 혁신성장 특례인수위원회 운영을 통하여 혁신성장기업, 수출초보기업, 수출급증기업, ESG 우수기업에 대한 특별지원을 활성화함으로써 수출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수출지원을 대폭 강화하는 데 기여함. - 특별지원 실적: (’21) 15건/258억원 → (’22) 17건/377억원 (금액 기준 46.2% 증가) - 특별지원 대상종목 및 대상기업 확대 : (’22.3월) 매입보증(1개사/98억원), ESG 우수기업(2개사/40억원) 전국 18개 영업망을 통한 지역 수출 활성화 경험 및 역량을 바탕으로 ESG 기업 우대 등의 정책금융 지원을 강화하여 지역 주력산업을 적극 육성함. (지역中企 수출 및 해외진출 지원 확대 : (’21) 23.8조원 → (’22) 28.2조원(18.5%↑)) 30. 김병유(金炳猷) 석탑 / (사)한국무역협회 본부장 ▲ 수출품목 : - ▲ 수출실적 : - ▲ 담 당 자 : 김현수 ( ☎ 02-6000-5084 ) 공적내용 상기인은 약 32년간 중소 수출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한중 통상협력 구축, 수출입 동향 및 대내외 무역환경 분석 연구, 청년 무역인력 양성 등에 힘썼으며, 수출중소기업 규제애로 및 금융 애로 타개, 무역현장 상담 지원 등의 활동을 통해 중소 수출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에 기여함. 지역별·업종별·조합별 수출기업 애로 간담회를 연중 수시로 개최하여 이를 통해 도출한 제도개선 과제 200여 건을 산업부 및 원스탑수출지원센터, 국무조정실 등에 건의하여 수출기업과 정부와의 애로타개 소통에 기여함. 무역진흥자금의 이자율 인하, 이차재원을 활용한 긴급융자사업 등을 도입하여 중소 수출기업의 금융애로를 타개하고, 무역지원기관 최초로 디지털 무역상담 플랫폼(TradePro)을 구축하여 채팅과 화상을 통해 중소 수출기업을 위한 무역 인프라 개선에 공헌함. 최신 대내외 수출입 여건을 둘러싼 글로벌 동향 및 전망에 대한 정보를 적시에 기업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수출기업의 글로벌 역량강화를 지원하였으며, ‘2030 무역비전’, ‘우리 수출의 선진국화 지수’ 보고서 등의 작성을 통해 우리 수출구조의 고도화에 기여함. 수출입관리분야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의 최초 개발작업에 참여하여 무역업을 독립 직업군으로 편성하는데 기여하였으며, GTEP, 글로벌청년무역인턴 등의 청년무역인력 대상 교육과정 운영, 특성화고등학생 및 대학생 무역캠프 운영을 통해 무역관심도 제고 및 무역 저변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함. 31. 김윤태(金潤泰) 석탑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 ▲ 수출품목 : - ▲ 수출실적 : - ▲ 담 당 자 : 송희원 ( ☎ 02-3460-7039 ) 공적내용 상기인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으로서 복합위기 극복을 위한 수출 총력 지원, 디지털 무역 기반 조성 등에 기여함. 2022년 하반기 우리 기업의 수출 감소 대응 총력 지원을 위해 ‘수출 더하기 비상대책반’을 구성하고 반장으로서 사업을 진두지휘함. 러-우 사태로 인한 원자재 가격 급증,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봉쇄 등, 해외 복합 이슈 발생에 따른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애로가 증가함에 따라 전사적 역량을 결집, 총력 대응하여 약 157억 달러의 수출 창출에 기여함. 우리 기업의 수출 감소, 물류 대란 등의 애로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테스크 포스를 구축하고 집중 사업을 기획 및 주도함.(2022년 중소 중견기업 8,682개 사 지원) 풍부한 공급망 이슈 대응 경험과 해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2023년 6월 소부장 특별법 개정에 따른 공급망 안정화 총괄기관으로 지정되어 기관 내 ‘소부장산업 공급망센터’를 설치함. 이를 기반으로 공급망 관련 정보수집 및 위기 징조 식별, 대체 수입처 발굴, 공급망 지원데스크 운영 등, 우리 산업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주요 역할을 수행함. 다년간의 해외 무역관 근무 기간 중, 유럽지역 진출을 위한 중소중견기업의 해외마케팅 지원사업을 강화하고, 미주지역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기업의 바이어 발굴 및 한국으로의 투자 진출을 희망하는 투자자를 발굴하여 국내 경제 발전에 기여함. 32. 정동호(鄭東昊) 석탑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처장 ▲ 수출품목 : - ▲ 수출실적 : - ▲ 담 당 자 : 강규원 ( ☎ 055-751-9332 ) 공적내용 상기인은 약 30년간 수출지원기관에 재직 중이며, 글로벌사업처, 수출마케팅사업처, 베이징 수출인큐베이터 등, 중소기업 해외진출지원 사업부서 근무를 통해 중소기업 수출지원 성과 창출에 기여함. 수출액 1,000만불 이상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강소+’ 트랙을 신설하여 바우처 한도를 1.2억원까지 확대 지원하였고, 시중은행과 정책금융기관의 금융 우대, 해외마케팅 사업선정 우대 등의 패키지 지원을 통해 수출혁신 성과 창출을 유도함. 중진공 정책자금 운용의 효율화를 위해 수출금융과 수출사업화 통합 및 시설자금 지원을 추가하였으며, 2023년 기금운용계획 변경을 통한 수출기업 글로벌화 직접융자 1,500억원 증액으로 수출유망기업의 글로벌화 및 수출 위기 극복에 기여함. 수출바우처사업을 기획 및 수행하여 신규사업의 안정적인 정착 및 사업확대를 이끌어 중진공 대표 수출지원사업으로 자리매김하였고, 국정과제 달성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내수기업 수출 기업화 사업을 추진한 바를 인정받아 2017년 12월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표창을 수상함. 최근 3高(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리스크 등의 복합위기 장기화 대응을 위한 중소기업 수출지원체계 고도화를 위해 수출바우처 무역보험 서비스 신설, 수출국·수출품 다변화 지원 확대, 물류바우처 사업 정규화 및 물류비 지원 확대, 중소기업 전용 물류센터 신설, 수출금융 이차보전 신설, 수출중소기업 투자유치 연계 등을 통해 글로벌 불확실성에 대한 선제 대응을 추진함. 수출의 탑 수상업체 공적내용 1. 300억불 탑 현대자동차(주) 112 2. 200억불 탑 기아 주식회사 113 3. 100억불 탑 엘지이노텍(주) 114 4. 60억불 탑 삼성에스디아이(주) 115 5. 40억불 탑 (주)엘앤에프 116 6. 30억불 탑 (주)에코프로비엠 117 7. 30억불 탑 SK인천석유화학(주) 118 8. 30억불 탑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119 9. 20억불 탑 (주)에코프로이엠 120 10. 10억불 탑 (주)경신 121 11. 10억불 탑 에스엘(주) 122 12. 10억불 탑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123 13. 10억불 탑 (주)포스코퓨처엠 124 14. 10억불 탑 한국알프스(주) 125 15. 10억불 탑 현대로템 주식회사 126 16. 8억불 탑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127 17. 7억불 탑 (유)스태츠칩팩코리아 128 18. 7억불 탑 (주)세아제강 129 19. 7억불 탑 엘에스일렉트릭(주) 130 20. 6억불 탑 (주)대동 131 21. 6억불 탑 (주)피엔티 132 22. 5억불 탑 (주)에코프로머티리얼즈 133 23. 5억불 탑 (주)에프앤에프 134 24. 5억불 탑 에드워드코리아(주) 135 25. 5억불 탑 주식회사 세아엠앤에스 136 26. 4억불 탑 (주)에스에이엠티 137 27. 4억불 탑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 138 28. 4억불 탑 주식회사 디엔오토모티브 139 29. 4억불 탑 명화공업(주) 140 30. 4억불 탑 주식회사 티와이엠 141 31. 3억불 탑 더블유씨피 주식회사 142 32. 3억불 탑 에이치라인해운 주식회사 143 33. 3억불 탑 (주)휴스틸 144 34. 3억불 탑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145 35. 2억불 탑 (주)건화 146 36. 2억불 탑 (주)엠플러스 147 37. 2억불 탑 SK바이오팜(주) 148 38. 2억불 탑 남성해운(주) 149 39. 2억불 탑 아진산업(주) 150 40. 2억불 탑 에이치엘홀딩스 주식회사 151 41. 2억불 탑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152 42. 2억불 탑 주식회사 대유이피 153 43. 2억불 탑 주식회사 보림 154 44. 2억불 탑 (주)휴맥스네트웍스 155 45. 2억불 탑 티이엠씨(주) 156 46. 2억불 탑 한전원자력연료(주) 157 47. 1억불 탑 (주)덴티움 158 48. 1억불 탑 (주)디에스시 159 49. 1억불 탑 (주)디에스시동탄 160 50. 1억불 탑 (주)비츠로셀 161 51. 1억불 탑 (주)실리콘투 162 52. 1억불 탑 (주)알멕 163 53. 1억불 탑 (주)에이치알이앤아이 164 54. 1억불 탑 (주)에이치엘클레무브 165 55. 1억불 탑 (주)엘오티베큠 166 56. 1억불 탑 (주)우원기술 167 57. 1억불 탑 (주)윤성에프앤씨 168 58. 1억불 탑 (주)일지테크 169 59. 1억불 탑 (주)텔레칩스 170 60. 1억불 탑 (주)현대엘앤씨 171 61. 1억불 탑 롯데웰푸드(주) 172 62. 1억불 탑 (주)부산케이블앤엔지니어링 173 63. 1억불 탑 산일전기(주) 174 64. 1억불 탑 성일하이메탈(주) 175 65. 1억불 탑 (주)에이치피에스피 176 66. 1억불 탑 엑셀리스코리아(주) 177 67. 1억불 탑 인팩이피엠(주) 178 68. 1억불 탑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179 69. 1억불 탑 주식회사 스맥 180 70. 1억불 탑 주식회사 코넥 181 71. 1억불 탑 주식회사 코스알엑스 182 72. 1억불 탑 코오롱플라스틱(주) 183 73. 1억불 탑 피아이첨단소재(주) 184 74. 1억불 탑 한국진공(주) 185 75. 1억불 탑 한주라이트메탈(주) 186 1. 300억불 탑 현대자동차(주) ▲ 수출품목 : 완성차 및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310.2억불 ▲ 담 당 자 : 주혁기 (  02-3464-2855 ) 공적내용 현대자동차는 1967년 설립 이후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독자적 기술력을 확보하며, 전 세계 자동차 시장 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임. 북미, 유럽, 중국, 인도 등 주요 시장 내 판매 거점, 생산 거점, 기술연구소 및 디자인 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200여 개국 6,200여 개의 판매 네트워크 및 현지 생산 체제를 활용하여 판매 역량을 강화하고 있음. 2022년 투싼, 아반떼, 싼타페 판매 확대와 수익성 개선을 통해 매출액 143조 원, 영업이익 9조 8,000억 원이라는 역대 최고실적을 달성했음. 유럽에서 아이오닉 5와 투싼 PHEV 등 친환경차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했음. 미국에서는 SUV 모델과 제네시스 판매 호조로 시장점유율 5.6%를 기록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음. 현대자동차는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경쟁력 확보에 힘쓰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개발 역량 강화를 통해 전동화 패러다임 전환을 리드하고 있음. 2016년 ‘아이오닉’ 개발을 시작으로 2018년 소형 SUV 전기차 코나 EV를 런칭하였으며, 2020년 최초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를 적용한 브랜드 ‘IONIQ’을 시장에 선보이며 전동화 리더십을 공고히 해왔음. 전용 전기차 모델 ‘IONIQ 5’와 ‘IONIQ 6’은 각각 2022년, 2023년 ‘세계 올해의 자동차(COTY : the Car of The Year)’로 선정되며 글로벌 시장에서 상품성과 안정성을 인정받았음. 현대자동차는 소비자 안전을 위한 제품 품질 강화 및 안전 분야 신기술 개발에 지속 투자하며, 품질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AI 기반 품질 검증 시스템 도입, VR 활용 버츄얼 개발 프로세스 적용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적극적인 품질개선 활동을 지속하고 있음. 이를 바탕으로 제네시스는 2021년, 2022년 2년 연속 신차 품질(IQS), 내구품질(VDS) 지표에서 프리미엄 브랜드 1위를 달성하며 최고 수준의 품질, 안전 기술력을 입증받았음. 현대자동차는 전통적인 완성차 제조에 그치지 않고, 미래항공 모빌리티(Advanced Air Mobility), 목적 기반 차량(Purpose Built Vehicle) 개발에 앞장서며 새로운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선도하고 있음. 2020년 자율주행 합작법인 ‘모셔널’ 설립, 로보틱스 전문기업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 2021년 미국 UAM 독립법인 ‘슈퍼널’을 설립하는 등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함. 2. 200억불 탑 기아 주식회사 ▲ 수출품목 : 자동차 ▲ 수출실적 : 234.8억불 ▲ 담 당 자 : 김지수 (  02-3464-5569 ) 공적내용 기아는 1944년 설립되어 전 세계에 22개 판매법인, 151개 대리점, 4,642개 딜러를 가지고 있으며, 견고한 판매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연 226억 불 수출을 이룬 글로벌 완성차 업체임. 2023년 상반기 글로벌 판매 최대 실적을 경신하였으며, 자동차 제조회사를 넘어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변화하고 있음. 주요 수출 품목은 친환경차를 포함한 RV(76%), 승용(20%) 및 상용 차량(4%)으로 구성되어 있음. 스포티지ᆞ, 쏘렌토 등 글로벌 전역에서 인기가 높은 RV 모델의 최대 생산 및 적기 공급을 통해 수출실적을 크게 확대하였으며, 미래 친환경차 대중화를 선도하기 위해 2027년까지 15개 전기차 차종을 운영하여 소비자들이 모든 세그먼트에서 전기차 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임. 또한 고객에게 차별화된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목적 기반 모빌리티 차량(PBV, Purpose Built Vehicle) 및 서비스 사업을 미래 사업의 한 축으로 삼음으로써 고객 중심 경영체계를 공고히 하고 있음. 품질 향상을 위해 주력한 결과 2023년 미국 J.D. 파워 내구 품질조사(VDS)에서 3년 연속 1위를 달성하며 ‘최우수 일반 브랜드상’을 받은 바 있으며, 영국 오토카 주관 ‘2023 오토카 어워즈’에서 최고의 제조사로 선정됨. 또한 기술개발 노력의 성과로 기아 최초 전용 전기차 모델인 EV6는 ‘2022년 유럽 올해의 차’ 및 ‘2023년 북미 올해의 차’로 선정되었음. 향후 수출 지역별 초고속 충전소와의 전략적 제휴 및 충전 사업자와 파트너십 체결 등 전기차 수출 증대를 위해 글로벌 충전 인프라 확대도 지속할 계획임. 또한 나눔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고자, 전 세계 지역에 기초 인프라를 제공하는 ‘그린라이트 프로젝트’, 교통 약자들에게 차량을 지원하는 ‘초록여행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글로벌 비영리단체인 ‘오션클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해양 정화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데 앞장서고 있음. 3. 100억불 탑 엘지이노텍(주) ▲ 수출품목 : 반도체‧IT‧가전 ▲ 수출실적 : 100.9억불 ▲ 담 당 자 : 김선엽 (  010-6316-7669 ) 공적내용 LG이노텍은 1970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 종합 전자 부품기업으로,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매출 20조 규모 글로벌 소재·부품 전문기업으로 성장함. LG이노텍은 모바일, 자동차, 디스플레이, 반도체, 사물인터넷 등에 적용되는 소재·소자, 부품·모듈을 생산하고 있음. 지난해 기준 19조 6,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18조 6,000억 원의 수출을 달성하며 국가 수출 증대에 기여했음. LG이노텍의 최근 3년 추이를 보면, `20년 8.8조 원, `21년 14.1조 원, `22년 18.6조 원으로 평균 39%의 비약적인 수출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음. 특히 LG이노텍의 `20년~`22년 평균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은 94%로, 대부분의 생산 제품을 글로벌 시장에 수출했음. 이 같은 수출 성과는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폴란드, 멕시코 등 5개 생산법인과 미국, 중국, 일본, 대만, 독일 등 8개 판매 거점을 통해, 글로벌 소재·부품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워왔기에 가능했음. LG이노텍은 국내에서도 6개 연구소와 8개 생산 공장을 운영하며,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 혁신 활동을 지속해 나가고 있음. LG이노텍은 기판소재, 전장부품, 광학솔루션 부문에서 축적한 독보적인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세계가 주목하는 혁신 제품을 지속 선보이고 있음. 더불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진정성 있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을 확대·강화해 나가고 있음. 미래 유망 분야 신규사업 기회를 적극 탐색하고 육성하여,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하는 ‘글로벌 No.1 소재·부품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음. 4. 60억불 탑 삼성에스디아이(주) ▲ 수출품목 : 이차전지소재 (양극재/음극재) ▲ 수출실적 : 60.7억불 ▲ 담 당 자 : 김지운 (  02-3457-4462 ) 공적내용 삼성SDI는 1970년 설립되어 현재 친환경 에너지와 첨단소재를 양대 축으로 전기자동차, IT, ESS(Energy Storage System)용 2차 전지 사업과 반도체, 디스플레이용 전자재료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주요 수출국 비중은 미국 38%, 유럽 30%, 아시아 30% 등으로 글로벌 주요 시장에 모두 진출해 있으며, 2022년 매출 20조 1,241억 원, 영업이익 1조 8,080억 원으로 매출,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를 달성했음. 삼성SDI는 2021년 업계 최초로 배터리 브랜드 'PRiMX(프라이맥스)'를 공개한 바 있음. 'PRiMX'는 'Prime Battery for Maximum Experience'를 함축시킨 이름으로 '최고 품질의 배터리로 고객에게 최상의 경험을 선사한다'라는 뜻임. '최고 안전성을 보유한 품질(Absolute Quality)', '초격차 고에너지 기술(Outstanding Performance)', '초고속 충전 및 초장수명 기술(Proven Advantage)'이라는 세 가지 핵심 키워드를 담고 있음. 삼성SDI는 PRiMX 브랜드를 바탕으로 2022년 업계 최고 수준인 1조 764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며 미래 성장동력인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삼성SDI는 차세대 배터리의 핵심으로 거론되는 전고체 배터리의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해 국내 유일의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셋업을 완료하고 개발 시제품을 생산했음. 또한 중장기 사업 전략을 기반으로 최근 스텔란티스와 JV, GM과 JV를 설립하는 등 시장 성장에 걸맞는 수주와 투자 활동을 지속해 나가고 있음. 삼성SDI의 전 임직원은 '초격차 기술경쟁력', '최고의 품질',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이라는 경영 방침 아래 '2030년 글로벌 Top Tier 회사'를 목표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음. 또한 고객과 협력사. 임직원 등 이해관계자 가치 제고를 위해 ESG 경영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음. 5. 40억불 탑 (주)엘앤에프 ▲ 수출품목 : 양극활물질(리튬이온 배터리 소재) ▲ 수출실적 : 42.9억불 ▲ 담 당 자 : 박성훈 (  053-580-0880 ) 공적내용 엘앤에프는 2000년 LCD용 BLU를 제조, 판매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5년에는 자회사 엘앤에프신소재를 설립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사업을 개시하였음. 엘앤에프는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2006년 LCO 제품을 국내 최초로 양산하였고, 2007년 니켈 함량이 50%인 NCM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하며 양극재 분야의 Global 기술 선도 회사로 자리매김하였음. 엘앤에프는 2011년에 자회사 제이에이치화학공업을 설립하여 양극활물질 기술력의 핵심인 전구체 사업을 개시하였음. 2013년 니켈 함량이 70%인 NCM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하고, 2016년 엘앤에프와 엘앤에프신소재를 합병하여 Global 성장의 기반을 구축하였음. 2020년 니켈 함량이 90%인 NCMA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하였으며 2022년에는 니켈 함량이 92%인 NCMA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하여 뛰어난 기술력을 증명하였고,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였음. 현재 엘앤에프는 왜관공장, 대구공장, 구지1공장, 구지2공장에서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김천에 있는 자회사 제이에이치화학공업에서는 전구체를 생산 중에 있으며, 대구 성서 공단 내 별도의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음.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구지3공장을 건설 중이며 2023년 4분기 가동 예정에 있음. 세계 최고의 기술력, 우수한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2020년 매출 3,561억 원, 2021년 매출 9,708억 원, 2022년 매출 3조 9천억 원을 달성하며 비약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음. 2023년 6월 말 기준 엘앤에프의 종업원은 1,718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31% 증가함. 엘앤에프는 이차전지 소재 사업 강화를 위해 음극재 사업 진출, LFP 사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으며, Closed Loop 구축을 위해 2023년 10월, LS그룹과 합작을 통해 엘에스엘앤에프배터리솔루션을 설립하여 전구체 사업을 강화하였으며, 급격한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Recycling 사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음. 6. 30억불 탑 ㈜에코프로비엠 ▲ 수출품목 : 2차전지용 하이니켈 ▲ 수출실적 : 31.7억불 ▲ 담 당 자 : 최윤영 (  043-713-5667 ) 공적내용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은 주식회사 에코프로의 2차전지소재 사업 부문이 물적분할돼 신설된 회사로 2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 소재 시장을 선도하는 혁신기업임. 주요 제품은 하이니켈 NCA와 NCM 양극활물질로 니켈 함량을 최대화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원가가 높은 코발트를 적게 사용해 안정성을 확대한 제품임. NCA, NCM 양극활물질을 동시에 생산하고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과 같은 모든 배터리 타입에 대응이 가능한 게 특징임. 에코프로비엠의 NCA 양극재는 니켈 함량 80% 이상의 제품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 및 고출력의 성능을 보유하고 있음. 고출력의 장점을 바탕으로 전동공구 시장에서 NCA 제품을 판매해 왔으며 최근 전기차용 배터리에 적용이 확대되며 전기차 시장에서의 성장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최근 3개년 별도 기준 매출액은 지난해 3조 4,153억 원, 2021년 1조 4,861억 원, 2020년 8,552억 원으로 3년간 연평균 81%의 매출 성장율을 기록해 왔음. 기업의 성장과 함께 종업원 수도 증가해 지난해 말 기준 1,278명으로 2021년 말 1,154명 대비 약 10% 증가했음. 수출실적은 2021년 약 8억 5,000만 불, 2022년 약 17억 2,000만 불로 집계됐고 올해에는 약 31억 7,000만 불를 달성할 것으로 보임. 주요 수출국으로는 미국(25%), 헝가리(19%), 중국(13%) 및 기타로 구성돼 있음. 시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능력 확대에 나서고 있으며 지난해 말 기준 연간 18만 톤의 양극활물질 생산능력을 갖추었음. 공동체 발전에도 기여하며 성과 기반의 제도를 통해 모든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차별 없는 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해당하는 보상 체계를 운영하고 있음. 공동복지기금사업단을 운영해 자녀학자금, 의료비 지원 복지포인트, 건강검진 등을 지원하고 있음. 어린이들의 호흡기 등 관련 질환 예방을 위해 초중학교에 미세먼지 알림판을 설치했고 대학생 봉사단 ‘에코브릿지’를 지원해 지역사회 발전을 유도하고 있음. 7. 30억불 탑 SK인천석유화학(주) ▲ 수출품목 :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 ▲ 수출실적 : 33.8억불 ▲ 담 당 자 : 김민재 (  032-570-5176 ) 공적내용 SK인천석유화학은 1969년 국내 세 번째 정유회사로 설립되어 수도권 에너지 공급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으며,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을 통해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함. 주요 제품은 LPG, 휘발유, 경유, 항공유, 선박용 중유 등 석유제품과 PX, 벤젠 등 화학제품임. 2006년 SK그룹에 편입되어 공정 효율화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2013년 독립법인으로 출범함. 2014년 1조 6,000억 원의 투자를 통해 페트병과 합성 섬유 등의 원료가 되는 PX (Paraxylene, 파라자일렌) 생산설비를 갖추고 고부가가치 제품군으로 사업 영역을 다각화했음. 국내 정유/석유화학 회사 중 유일하게 상압증류공정 (CDU, Crude Distillation Unit)과 초경질원유 분리공정(CSU, Condensate Splitter Unit)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으며, 원유 도입 국가를 다변화함으로써 글로벌 시황 변화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차별적 경쟁력을 갖추었음. SK인천석유화학은 2022년 전체 매출액(8조 9,662억 원)의 48.6%인 4조 3,626억 원을 해외에 수출하는 등 매출액의 절반가량을 수출하고 있음. 주요 수출국은 중국과 일본, 대만과 동남아시아 국가 등이며, 미국에도 일부 제품을 수출 중에 있음. Energy Transition에 대응하기 위해 포트폴리오 혁신을 이어가고 있으며, 부생수소 공급을 통한 수도권 수소클러스터 사업 참여, 폐타이어/폐플라스틱 열분해유 Recycle,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 생산 등을 추진 중. 2050년 Net-zero 달성을 위해 공정효율개선, Low Carbon 운영 전략, 친환경 스팀도입, 전력사용 최적화 및 RE100 이행, Green biz를 통한 외부감축사업, CCUS 등 6대 핵심 탄소감축 전략을 수립하여 착실히 이행할 계획에 있음. 8. 30억불 탑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 수출품목 : 반도체 패키징 ▲ 수출실적 : 36억불 ▲ 담 당 자 : 김서정 (  032-728-5393 ) 공적내용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는 1968년 우리나라 기업 최초로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사업(OSAT ; 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 Test)을 시작한 아남반도체가 전신이며 1970년 처음 반도체 제품을 수출하기 시작하여, 1979년 반도체 품목 수출 1억불을 달성,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시작과 성장의 초석이 되었음.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의 송도, 부평 3곳에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2년 12월 말 기준 매출액은 4조 5,420억 원, 수출실적(가득액 기준)은 36억 불, 매출액의 90% 이상을 해외 수출에서 창출하고 있는 반도체 후공정 전문 수출기업임. 광주사업장과 글로벌 R&D 센터 및 자동화된 최첨단 반도체 후공정 생산라인을 보유한 인천 송도사업장 등을 통해 반도체 패키지 설계에서부터 패키징, 테스트에 이르기까지 토털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인천광역시 송도의 앰코 글로벌 R&D 센터에서는 차세대 컴퓨팅, 데이터 센터, 초고속커뮤니케이션,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에 필요한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연구개발(R&D) 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전자 및 반도체 회사들과 함께 5G 안테나 모듈, 양면실장 RF 모듈, 레이저를 이용한 실장 장비 및 공정 개발, 고밀도 리드프레임 패키지 모듈을 세계 최초로 개발함으로써 반도체 후공정 기술력을 세계에 과시하고, 매출 증대 및 수출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음. 9. 20억불 탑 ㈜에코프로이엠 ▲ 수출품목 : 2차전지 소재 ▲ 수출실적 : 24.1억불 ▲ 담 당 자 : 황은성 (  054-720-4013 ) 공적내용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은 하이니켈계 양극소재 제품을 개발/양산화하여 국내 및 해외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에코프로비엠과 고품질, 고성능 원료 확보가 필요한 삼성SDI와의 기술협력을 통해 2020년 2월에 설립된 합작법인으로 하이니켈계 양극소재인 NCA 제품 대량 생산체계를 구축하여 전기차(EV), 전동공구(Power Tool) 등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에서 대한민국을 글로벌 선두 주자로 발돋움시키는 신성장 원천기술을 보유한 핵심소재 기업임. 세계적으로 전동공구 시장의 꾸준한 성장과 전기차(EV) 상용화에 따라 고에너지·고밀도 양극소재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하이니켈(High Nickel)계 양극소재에 대한 시장의 관심과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포항시 영일만 산업단지 내에 위치한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은 세계 최고 기술력으로 하이니켈 이차전지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생산량을 가졌음. (단일 공장 단위 생산량 기준 총 CAPA 12.6만 톤) 또한 설비, 품질 및 물류의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리스크 방지를 위한 사고예방 설계를 반영해 가동 안정성 극대화를 확보한 최첨단 라인을 구성하였음. 2020년 2월 법인 설립 후, 2020년 10월 착공한 첫 번째 공장(CAM6)은 에코프로이엠 기술진과 삼성SDI 연구소 간의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조기 양산에 성공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21년 10월 연산 36,000t 규모로 양극재 공장을 가동하였음. 2021년 10월 착공한 두 번째 공장(CAM7)은 연산 54,000t 규모로 2023년 3분기에 본격 양산 예정이며, 세 번째 공장(CAM8)은 연산 36,000t 규모로 2024년 4분기에 양산 예정에 있음. 10. 10억불 탑 ㈜경신 ▲ 수출품목 : 와이어링하네스, 정션블록, 커넥터 ▲ 수출실적 : 14.2억불 ▲ 담 당 자 : 권우혁 (  032-714-7291 ), 김현학 (  032-714-7133 ) 공적내용 주식회사 경신은 1974년 9월 1일 ‘경신공업’이라는 사명으로 출범하여 주력 제품인 와이어링하네스를 비롯한 커넥터, 정션블록, 친환경 자동차 전장부품인 고전압 와이어링하네스 등을 설계, 개발, 생산, 공급 전 단계에서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2005년 신사옥 및 연구소 건립을 통해 연구기술 개발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고 2010년 ‘경신공업’에서 ‘경신’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본격적인 글로벌화 도약을 준비했음. 1997년 인도 진출을 시작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시작하여 2023년 필리핀 공장 설립까지 국내사업장 6곳(본사, 송도공장, 인천공장, 화성공장, 군산공장, 경주공장) 해외사업장 12곳(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필리핀, 미국, 멕시코)에 진출하여 현재는 국내 1,405명 해외 32,190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매출 2조 5천억 원 기업으로 성장하였음. 그뿐만 아니라 3개년 수출실적이 2020년 9억 6천만 불, 2021년 11억 6천만 불, 2022년 14억 2천만 불을 달성하며 매년 약 22% 증가율을 기록했음. 기존 내연기관차에 적용되었던 와이어링하네스 뿐만 아니라 친환경 자동차 시대에 발맞춰 고전압 와이어링하네스 사업에도 진출하여 전기차 고전압 유닛의 전원과 신호를 연결해 주는 HEV, PHEV, EV 차량의 모터, 인버터 등의 전원공급과 신호를 연결해주는 제품을 개발하여 시대 흐름에 발맞춰 성공적으로 사업 분야를 확장했음. 또한 2013년 송도공장을 설립하면서 정션블록 사업에도 진출하였으며, 친환경 자동차 시대에 맞춰 고전압 정션블록에도 안정적으로 사업 분야를 확장하였음. 이외에도 FPC 모듈,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등 차량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들을 설계부터 공급까지 전 과정에 걸쳐 관여하고 있음. 2024년 주식회사 경신은 창립 50주년을 맞이하며 급변하는 자동차 시장과 예측 불가한 글로벌 시장 흐름에서 제품군의 다양화와 적극적인 해외 투자 및 시장 진출로 50년의 기간 동안 자동차 부품업계에서 꾸준히 성장하여 연평균 성장률 CAGR 6.7%, 2022년 수출액 14억 불 달성이라는 쾌거를 거두었음. 11. 10억불 탑 에스엘(주)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1억불 ▲ 담 당 자 : 황송호 (  053-850-8548 ) 공적내용 에스엘(주)는 글로벌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으로 1954년 회사 설립 후 국내 완성차 외 지엠, 포드, 스텔란티스, 길리, 동풍, 장안, 상해기차 등 해외 완성차까지 고객을 확대하였고 최근 들어 BMW로부터 수주를 받아 양산을 준비하고 있으며 올해 6월 미국 오토모티브 뉴스지가 발표한 세계 100대 자동차부품 기업 중 73위에 올랐음. 회사의 주요 제품은 자동차용 램프(헤드램프, 리어램프 등)와 전동화부품(E-shift, Wireless Charger, Charge Port Door, Flush Door Handle 등), 전기전자부품(BMS;배터리관리시스템, SBCM;사이드 바디 컨트롤 모듈, Built in Cam 등)이 있음. 1980년대부터 수출시장 개척을 위한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현재 미국, 중국, 인도, 폴란드, 브라질 등에 17개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음. 해외 고객 중 지엠과는 오랜 기간 동안 거래하고 있어 신뢰를 받고 있으며, 그 결과로 25년 연속 우수협력사로 선정되었음. 또한,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길리기차, 동풍기차, 상해기차 등 고객에 에스엘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연간 총 수출실적은 2019년 8.1억 불, 2020년 9.2억 불, 2021년 9.3억 불, 2022년 10.1억 불로 매년 상승 추세를 이어가고 있음. 1986년 자동차부품업계 최초로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현재 1,600여 명의 연구원들이 자동차 부품산업의 발전을 위해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그 결과 세계 최초로 보행자 보호를 위한 백업가이드램프, MLA(Micro Lens Array)를 이용한 헤드램프를 양산 적용하였고, 2018년과 2020년에는 신기술 제조공법으로 장영실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음. 12. 10억불 탑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 수출품목 : 자동차,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0.6억불 ▲ 담 당 자 : 강명수 (  031-610-1365 ) 공적내용 케이지모빌리티는 1962년 12월 6일 설립되었으며 독보적인 기술로 소형부터 대형 그리고 밴과 픽업형까지 세그먼트별로 특화된 SUV를 출시하는 등 Full Line-up을 구축하며 SUV 대중화를 선도하고 있음. 또한 최근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EV 전용 플랫폼,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자율주행차, AI 등 모빌리티 기술 분야에 집중하고 있으며 커스터마이징 용품 및 특장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 등을 위해 특장 법인인 케이지 에스앤씨를 설립함. 그리고 고객가치 실현 및 브랜드 확립을 위한 중고차 사업 및 대형 전기버스, 중소형 트럭, 버스 등 종합 상용차 사업을 위해 KGM Commercial(구, 에디슨모터스)을 인수하는 등 신규사업 진출을 통해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발전해 나아가고 있음. 케이지모빌리티의 수출실적은 완성차 기준 2020년 1만 9,436대, 2021년 2만 7,743대 그리고 지난해는 4만 4,994대로 코로나 팬데믹 이후 매년 5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도에도 이런 성장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2022년 출시한 신차 ‘토레스’와 함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뉴 렉스턴, 렉스턴스포츠(수출명 무쏘), 렉스턴 스포츠 칸(수출명 무쏘그랜드), 더 뉴 티볼리의 꾸준한 인기가 판매를 견인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동유럽, 중남미, 호주 시장에서의 판매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 케이지모빌리티가 시장개척에 어려움을 겪던 호주에서 2018년 직영법인 설립 후 2019년 연간 1,636대 판매에서 2021년 2,967대, 2022년에는 5,899대로 판매량이 늘었으며, 이는 직영 판매법인 설립의 효과가 큼. 또한 동유럽 시장에서도 판매가 급증하며 2022년 기준 1만 2,095대를 판매하는 성과를 올렸으며 당사는 이를 기반으로 향후 유럽 직영 법인 설립을 통해 글로벌 판매를 확대할 계획임. 케이지모빌리티는 2022년 9월 케이지그룹의 인수 후 빠른 경영 정상화를 통해 수출이 크게 확대되며, 2023년 상반기 턴어라운드 실적을 달성했고 지속적인 수출 성장세를 바탕으로 디지털 마케팅 활성화 등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는 한편, 유럽 직영 판매법인 설립과 에이전시형 네트워크 및 온라인 판매 등 네트워크 다변화를 추진 중임. 또한 새로운 판매 물량 확대를 위한 지역특화 사양 운영, 신시장 진출 등으로 꾸준히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계획임. 13. 10억불 탑 ㈜포스코퓨처엠 ▲ 수출품목 : 이차전지소재 (양극재/음극재) ▲ 수출실적 : 17.5억불 ▲ 담 당 자 : 김지운 (  02-3457-4462 ) 공적내용 포스코퓨처엠은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모두 생산하는 기업으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성능 향상과 K-배터리 산업 발전을 주도하고 있음. 2010년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재 사업 진출에 이어 2018년 양극재 사업에도 진출하여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동시에 생산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임. 제철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침상코크스를 원료로 한 인조흑연 제조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포스코그룹 내의 리튬과 니켈 전문회사가 있어 음극재, 양극재 등 이차전지 핵심소재의 원료확보를 위한 풀 밸류체인을 갖추고 있음. 포스코퓨처엠은 지속적인 R&D와 전기차 고성능화 및 주요 완성차 기업들의 전기차 라인업 다양화에 대응하여 니켈 비중을 극대화한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양극재를 주력 제품으로 양산하고 있으며, 보급형 전기차에 주로 채용되는 LFP(리튬인산철), 하이망간 양극재까지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계획에 있음. 또한 국내에서는 유일한 흑연계 음극재 생산기업으로 2011년 천연흑연 음극재 국산화에 성공하고, 현재는 인조흑연 음극재까지 양산하여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를 포함하여 글로벌 완성차· 배터리 기업에 공급하고 있음. 특히 인조흑연 음극재는 천연흑연 대비 배터리 충전 속도를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특성이 있어 글로벌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인조흑연의 핵심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자회사 포스코MC머티리얼즈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 원료부터 최종소재까지의 밸류체인을 내재화했음. 향후SiOx(실리콘 산화물), Si-C(실리콘 탄소복합체) 등 실리콘 음극재까지 사업화하고 전고체 배터리용 리튬메탈음극재까지 개발하여 천연흑연· 인조흑연· 저팽창· 실리콘· 리튬 메탈에 이르는 음극재 ‘풀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방침에 있음. 14. 10억불 탑 한국알프스(주) ▲ 수출품목 : 전자부품 ▲ 수출실적 : 10.2억불 ▲ 담 당 자 : 윤인근 (  062-950-2387 ) 공적내용 한국알프스(대표이사 김규남)는 한국의 부품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대명제 아래 1987년 광주광역시에 설립되어, 차재전장품, 통신관련품, 입력장치, 각종 컴포넌트 등의 전자부품 산업을 주력으로 우리 생활과 밀접한 생활기기들의 핵심부품을 개발/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토착형 다국적기업으로 국내 생산 및 해외 수출을 통한 지역 발전과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 당사의 모회사인 일본 ALPSALPINE 그룹 해외 법인 중 유일하게 사내에 일관 대응체제 [영업-제품설계(R&D) - 금형설계 및 가공 - Press 및 Mold - 도장 및 인쇄 - SMT - 조립 - 품질보증 – 출하]를 구축한 가장 경쟁력 있는 현지법인으로서, 고객 및 시장의 니즈에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해외사업 확대 및 21세기 전자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수출은 2022년 10억 불로 전년 대비 114%의 실적을 달성함. 안정된 성능, 품질, 공급능력을 인정받아 각 고객사로부터 주문이 확대되고 주요 수출국으로는 중국(73%), 독일(9%), 일본(7%), 미국 및 기타(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출 품목으로 VCM(H.S Code:Actuator, 8501.10-1000) 등이 있음. 탈탄소 사회, 안전 성능 고도화,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 구축에 부응하기 위하여 , 감동・안전・환경을 의식한 새로운 가치 창조의 제품을 창출로 당사가 보유한 다양한 핵심기술을 적용한 프리미엄 HMI(Human Machine Interface의 기능을 갖춘 차재전장품(Power window switch, 각종 편의기능의 입력장치, Sensing Device 등), 세계에서도 점유율이 높은 Tact switch를 비롯한 Components, 스마트폰의 진화에 공헌하는 액츄에이터 등 고정밀,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한국은 물론 EU, 북미, 중국, 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음. 15. 10억불 탑 현대로템 주식회사 ▲ 수출품목 : 방산물자·철도차량·플랜트 ▲ 수출실적 : 14.7억불 ▲ 담 당 자 : 구태우 (  031-8090-8165 ) 공적내용 현대로템은 1977년 7월 1일 설립되어 철도차량 및 방산물자, 플랜트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종합 중공업 기업임. 세계 52개국에 진출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미국과 폴란드 등 주요 거점에 해외 법인을 설립 운영함. 철도차량 및 방산물자, 플랜트 부문의 수출 확대를 위해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있음. 실제 현대로템은 지난해 8월 폴란드 군비청과 약 4조 5,000억 원(K2 전차 180대) 규모의 K2 전차 수출 계약을 체결했음. 2008년 튀르키예에 K2 전차 기술 수출을 성사한 이후 최초로 완제품 전차 수출에 성공. K2 전차는 기동력과 화력, 방호력이 동급 해외 전차와 비교해 매우 뛰어남. 해외에서 최정상급 전차로 평가받고 있어 향후 추가 수출이 기대됨. 현재 폴란드와 K2 전차 추가 수출계약을 논의하고 있음. 또한 현대로템은 고속철도차량의 첫 수출을 성사시키기 위해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있음. 현대로템은 2008년 세계 4번째로 동력집중식 KTX-산천을 자체 기술로 개발함. 2021년 국내 최초 동력분산식 고속철 ‘KTX-이음’을 성공적으로 영업 운행에 투입했으며, 지난해 영업 최고속도 320km의 EMU-320을 출고했음. 국내에서 쌓은 고속철의 안정적인 트랙레코드를 바탕으로 해외시장에서 첫 고속철 수출을 성사시킬 계획임. 또한 현대로템은 해외 주요 시장에서 대규모 전동차 수주에 성공하였음. 지난 6월 호주 퀸즐랜드 주(州) 정부가 발주한 약 1조 2,000억 원 규모의 전동차 제작 사업을 수주하였음. 현대로템은 세계 38개국에 전동차를 수출했으며, 해외시장 확대를 통해 전동차 수출을 확대할 계획에 있음. 지구온난화로 탄소중립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현대로템은 친환경, 무인화, 자동화 흐름에 대응해 군용 다목적 무인차량(UGV), 스마트 물류솔루션 등을 개발하고 있음. 수소 인프라와 무인무기체계, 스마트물류솔루션 등 미래 고부가가치 사업을 적극 육성해 기술 중심의 수출기업 입지를 다질 계획에 있음. 16. 8억불 탑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수출품목 : 화학섬유, 필터, 필름, 부직포 등 ▲ 수출실적 : 8.4억불 ▲ 담 당 자 : 김흥수 (  02–3279-1115 ) 공적내용 도레이첨단소재는 1972년 7월 회사의 모태인 삼성그룹 제일합섬의 설립과 함께 한국 화학소재산업의 태동기를 이끌며 성장해왔음. 섬유와 필름 사업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과감한 투자를 통하여 탄소섬유, IT 소재, PPS 수지, 수처리 필터에 이르기까지 첨단소재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해 왔으며,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등 해외에 적극 진출하여 글로벌화에도 박차를 가하며 질적, 양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 옴. 최근에는 PPS, 탄소섬유 증설 등 기존 사업확장은 물론,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사업 진출, 수처리 운영관리 사업 진출, 배터리 분리막 사업 진출 등 적극적인 M&A를 통해 친환경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나가고 있음. 이를 통해 작년 2조 7천여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하며 출범 당시보다 6배 이상 성장하였음. 지난 2001년 2억불 수출의 탑을 시작으로 2011년 5억불 수출의 탑 수상에 이번 8억불 탑을 수상하기까지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품질 혁신으로 차별화 제품을 확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오랜 기간 축적된 첨단 기술력과 탁월한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생활 기초소재부터 다양한 산업의 고부가가치 첨단소재를 공급하며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으로써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계획임. 아울러 도레이첨단소재는 인프라 혁신과 사업고도화를 통해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디스플레이, 뉴 모빌리티, 친환경 소재, 수처리 솔루션, 헬스케어 솔루션 등의 신성장 분야에 역량을 집중하여 끊임없는 도전과 기술혁신으로 새로운 가치를 지속 창출하는 한편, ESG 경영을 적극 확대함으로써 전 지구적인 미래 문제 해결에 기여하며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을 위해 일조해 나갈 것임. 17. 7억불 탑 (유)스태츠칩팩코리아 ▲ 수출품목 : 반도체 소자 ▲ 수출실적 : 7.6억불 ▲ 담 당 자 : 임상혁 (  032-340-3012 ) 공적내용 스태츠칩팩코리아는 반도체 외주 조립 및 테스팅 전문업체로 인천광역시 영종도에 위치하여 반도체 제품 제조 및 판매를 위하여 설립한 외국인 투자 기업으로 지난 2014년 경기도 이천에서 인천광역시 영종도로 공장 신설 및 이전하여 현재 가동 중에 있음. 꾸준한 성장 발전으로 올해 7억 불 이상을 달성하여 수출 강국 건설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으며 공자 부지는 약 110,177㎡으로 종업원은 현재 3,000여 명이 근무하고 있음. 1984년도 현대전자 반도체조립사업부를 시작으로 약 39년간 반도체 후공정 및 TEST 서비스 기술을 제공하여 현재 세계 반도체 후공정 3위 업체로 성장하기까지 반도체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최근 반도체 시장은 더욱 효율적이고 고도화된 제품인 3D, Wafer level package, fan out package device 등이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복잡한 디자인, 미세화, 저전력 소비 제품 등 고도화 반도체를 요구하고 있어 이를 충족시킬 만한 5G mmWave, HPC(고성능 컴퓨터),AI, Automotive 등 신흥 애플리케이션 관련 최첨단 Packaging 기술개발을 위해 R&D에 대하여 매년 전체 투자 금액의 10% 이상을 투자함으로써 세계적인 반도체 기술을 확보하는 데 앞장서고 있음. 스태츠칩팩코리아는 향후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차세대 반도체 기술 확보를 위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자율 주행자동차 등 유망 기술과의 결합으로 전자 제품에 들어가는 각종 반도체의 부품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차세대 반도체 제품 기술개발 및 확보로 기존 고객 유치 및 신규 해외 고객을 확보하여 해외시장을 지속적으로 개척해 나가고 있음. 또한 스태츠칩팩코리아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일하기 좋은 직장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지난 2020년 6월 기준 2,339명이었던 직원의 수가 2022년 12월 기준 3,111명으로 증가하여 약 33%의 고용 증가율을 보여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음. 18. 7억불 탑 (주)세아제강 ▲ 수출품목 : 강관 ▲ 수출실적 : 7.3억불 ▲ 담 당 자 : 천지성 (  02-6970-1062 ) 공적내용 1960년 10월 19일 강관 산업의 초석 기업을 세운다는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세아제강은 강관업계 최초 수출을 이뤄내며 한국 강관 산업의 요람으로 자리 잡음. 이로부터 미국, 캐나다, 일본, 베트남, UAE, 이탈리아 등 해외 각국에 생산 판매법인, 사무소 등을 두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성했음. 강관시장에서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강관 외경별 설비 합리화 및 스마트 팩토리 구축, 물류 및 IT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더불어 해상풍력, LNG, 수소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에 사용되는 강관의 우수한 기술력과 연구 인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 자본은 2020년 5,953억 원 대비 2023년 8,290억 원으로 39% 증가, 매출액은 2020년 1조 1,505억 원 대비 2022년 1조 8,018억 원으로 57% 증가함. 주요 수출국이었던 미국에 국한되지 않고 수출 범위를 넓히고자 중동, 동남아시아, 유럽 등의 새로운 시장개척을 시도함에 따라 최근 3개년의 수출실적은 2020년 4.9억 불, 2021년 6.7억 불에 이어 2022년 7.3억 불을 달성, 2020년 대비 약 49%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수출 확대에 기여함. 이러한 고부가가치, 혁신 제품의 제작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R&D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품 제작, 제작 후 설치, 해외 교육을 담당할 기술지원 인원과 생산 현장직 등 지속적인 인력 고용이 필요함. 이는 곧 채용 확대로 이어져 2021년 655명, 2022년 673명에 이어 2023년 6월 말 기준 738명으로 2021년 대비 13%의 채용이 증가했음. ㈜세아제강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음. 협력사와의 상생을 위해 당월 발생 도급 대금을 익월 10일에 100% 현금 또는 어음으로 결제되도록 하는 금융지원과 함께 매년 한국폴리텍대학교와 연계하여 지역인재양성맞춤 산업교육을 진행하는 기술교육지원, 한국폴리텍대학교와 연계한 인재 채용을 지원하고 있음. 또한, 문화예술의 부흥을 위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예술지원금 기부, 저소득 농아인 가정의 따뜻한 겨울나기와 더불어 경제적인 안정을 도모하고자 서울시 농아인협회에서 개최하는 사랑 나눔 행사에 동참, 취약계층 청소년들을 위한 기부 및 도서 기증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음. 19. 7억불 탑 엘에스일렉트릭㈜ ▲ 수출품목 : 전력기기, PLC, 인버터, ESS ▲ 수출실적 : 7.7억불 ▲ 담 당 자 : 권도엽 (  02-2034-4169 ) 공적내용 LS ELECTRIC은 1974년 7월 24일에 설립된 ‘럭키포장’을 모태로 하며, 1987년에 전력기기, 배전반 등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하면서 ‘금성산전’으로 출범하였음. 1995년 ‘LG산전’으로 사명을 변경, 금성계전과 금성기전을 합병하였으며, 이후 LS 그룹으로 분리되며 ‘LS산전’’으로 사명을 변경, 2020년 글로벌 전력·자동화·스마트에너지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해 ‘LS ELECTRIC’으로 새로이 출범했음. LS ELECTRIC은 전력기기 및 시스템 사업과 에너지 최적화를 실현하는 산업자동화, 스마트에너지 사업을 통해 국가 기간산업 전력망, 산업자동화 구축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전력사업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력을 수용가까지 공급하고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전력기기 제품을 생산하며, 주요 제품으로는 중/저압기기, 계량기, 계전기, 개폐기, 배전반, 진단 시스템 등이 있음. 자동화 산업은 각종 전기와 신호체계를 설계하고 운영할 때 생산 현장 제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과 제품으로, 주요 제품으로는 산업용 PLC, 인버터, SERVO(서보), HMI 등이 있음. 이어 스마트그리드, 친환경자동차솔루션, 태양광, HVDC(초고압직류송전) 등을 핵심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해 글로벌 스마트에너지 분야를 선도하고 있음. 현재 총 3,500여 명의 임직원이 안양 본사와 연구소, 청주, 천안, 부산을 비롯한 국내 5개 사업장, 해외 3개 생산거점, 국내외 9개 연구소, 세계 각국 20여 개의 법인, 지사를 운영 중이며 미국 텍사스에 북미 첫 생산거점을 마련해 R&D 센터도 구축할 예정임. 매년 매출액 대비 약 5.5%를 연구개발에 투자 중이며, 현재까지 독자개발 산업용 이더넷 통신프로토콜(RAPIEnet) 국제표준 채택, 세계 최초 메가와트급 ESS 미국 UL 인증, 청주 스마트공장 세계경제포럼(WEF) ‘세계 등대공장’ 선정 등 쾌거를 이뤘음. 2021년 LS ELECTRIC은 국내를 넘어 글로벌 스마트에너지 리더로 도약하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의 가속 성장을 실현할 비전 ‘Drive Change for 2030’을 발표했음. 앞으로 10년 동안 매년 10% 이상 성장하고, 2030년 기준 사업 포트폴리오는 글로벌 사업 비중이 70% 이상, 디지털 신규 비즈니스는 50%를 넘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컴퍼니, 디지털 엔터프라이즈로 진화한다는 목표를 제시했음. 20. 6억불 탑 ㈜대동 ▲ 수출품목 : 농기계 ▲ 수출실적 : 6억불 ▲ 담 당 자 : 윤성근 ( ( 02-3470-7437 ) 공적내용 대동그룹의 모회사인 미래농업 리딩기업 대동(공동대표이사 김준식, 원유현)은 1947년에 설립된 국내 1위 농기계 회사임. 1962년 업체 최초로 동력 경운기를 생산 보급을 시작하고 이후 60~70년대에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도 국내 최초로 보급하며 대한민국의 농업 기계화를 선도해 현재까지도 국내 1위 지위를 놓치지 않고 있음. 80년대부터는 해외 진출을 본격화해 현재 세계 70여 개국에 수출하는 글로벌 농기계 회사로 거듭났음. 2020년 대동은 ‘미래농업 리딩기업’ 비전을 선포했음. 자율작업과 원격조정이 가능한 ‘스마트 농기계’ 새로운 이동 및 운송 수단의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파밍 플랫폼 중심의 ‘스마트팜’ 그리고 농업/비농업 분야의 전문서비스 로봇을 개발하는 로보틱스 미래 사업으로 확정했음. 비전을 위한 최우선 핵심 과제로 농기계 사업의 글로벌화, 스마트화를 위한 양적/질적 성장에 집중했음. 그 결과, 대동은 연결 기준 매출 21년 1조 1,792억 원, 22년 14,637억 원 올리며 창사 이래 2년 연속 매출 1조 돌파라는 역사를 썼음. 올해 상반기도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지속 성장하고 있음. 상반기 수출액이 전년비 18.8% 증가하며 연결 기준 역대 최대 상반기 매출인 약 8,358억 원을 달성했음. 해외에서 제품 및 시장 다변화를 통해 전년비 24.5% 증가한 2만 2,900대의 트랙터를 판매해, 창사 최초로 상반기 트랙터 수출 2만 대 기록과 함께 전년비 2.6% 증가한 8,358억 원의 연결 매출을 달성했음. 대동은 올해 스마트 농기계와 스마트 팜 사업 관련 상품 컨텐츠를 본격 선보이며 ‘애그테크(Agtech)’ 전문 기업 도약의 해로 만들고자 함. 관련해 경작지 작업 경로 생성/추종, 안전감지, 작업기 설정 및 제어, 작업 데이터 관리 등의 자율주행 3단계에 해당하는 자율작업 기술을 자체 개발해 HX트랙터와 DH6135 콤바인에 채택했음. 대동은 이 제품으로 농기계가 자체 생성한 작업 경로를 오차 ±7cm 이내로 벗어나지 않고 직진하면서 선회 시 작업을 제어해야 하는 자율 3단계가 돼야 통과할 수 있는 정부 시험을 합격했음. 대동은 이 제품을 올해 4분기에 출시했음. 또 자율주행 4단계 트랙터를 26년까지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올해 초부터 농업 및 농경지 작업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했음. 21. 6억불 탑 (주)피엔티 ▲ 수출품목 : 코팅기(도포기) ▲ 수출실적 : 6.6억불 ▲ 담 당 자 : 류기완 (  054-469-6915 ) 공적내용 ㈜피엔티는 2003년 Roll To Roll 기계 제작 기술력을 바탕으로 설립한 Roll To Roll 컨버팅 머신 제작 회사임. 창업 이후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Prisim Sheet 생산라인의 국산화 성공”이란 업적을 바탕으로 국내 생산 제조라인의 설비를 제작, 공급을 시작함. 디스플레이 산업의 부흥에 따른 Prism 라인의 시장이 국내외 시장 규모의 확대로 생산량 및 높은 비용에 대한 대기업의 투자 및 국가적인 핵심 산업 개발의 문제로 부각되어 왔음. 이에 2003년 해외 수입 설비의 국산화 연구 투자로 특허 취득, 각종 인증서를 통한 검증 받은 “Prism Line”의 국산화에 성공하여, Prism 산업의 국내 생산시장에 안정화 기술을 제공하기 시작함. 더불어 동박 제조 Line 국산화 개발 성공 및 “교토 의정서”를 바탕으로 하여 2016년부터 2차전지 원소재 가공 설비 제작에 투자와 연구개발을 통해 2차 전지 전 공정 설비라인을 국산화하였고, 2차 전지 시장의 50% 이상 생산설비 국산화와 납품을 실현하게 되었음. ㈜피엔티가 추구하는 것은 사명에서 나타내듯 사람을 중요시하며, 기술을 존중하며, 사람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며, 기업의 이름을 바탕으로 “세계 제조 산업의 생산 현장 및 최종 제품을 사용자도 인정하는 제품을 제작하는 “명품 제작, 세계 No.1”회사로의 도약‧비전을 가지고 있음. 2차전지 산업, IT 소재 산업 등 기반 구축 산업의 원재료 생산 및 임가공 생산설비를 국산화하여 내수 시장의 활성화 및 해외 무역 활동을 통하여 국가 발전에 노력했음. 22. 5억불 탑 ㈜에코프로머티리얼즈 ▲ 수출품목 : 2차전지 ▲ 수출실적 : 5.9억불 ▲ 담 당 자 : 조제욱 (  054-720-2253 ) 공적내용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2017년 4월 26일에 설립되어, 2차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 분야로 운영하는 중소기업임. 구체적으로는 리튬이차전지의 핵심인 양극 소재의 원재료인 전구체를 생산하고 있음. 전기차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양극재의 핵심 소재인 전구체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였음. 특히 전방 산업에서 고성능 하이니켈 전구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품의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음. 최근 3년간 연평균성장률 약 80%로, 지속적인 수출실적 증대가 기대되고 있음. 수출은 주로 간접 수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종 고객은 SK온, 삼성SDI, TMM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중국, 미국, 유럽 등 다양한 해외기업으로 판로를 개척하고 있으며,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맞물려 전 세계 시장으로부터 큰 수요가 예상됨. 19년 넘는 전구체 R&D 업력과 성과로 증명되는 업계 최고의 기술력, Non-China 업체 중 독보적인 하이니켈 전구체 생산능력 및 전구체 국산화의 선도주자라는 강점을 통해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전구체 제조사로 성장이 예상됨. 아울러 원재료 활용(RMP 공정)부터 전구체 생산(CPM 공정)까지 포괄하는 완전히 통합된 하이니켈 전구체 생산체제를 구축한 것이 시장에서 경쟁적인 지위를 갖게 해줄 것으로 보임. 또한 국가를 위해 헌신한 제대군인들을 위한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국가보훈부로부터 ‘2023년 제대군인 고용 우수기업’으로 인증받아 3년간 시중은행 여신 지원 시 금리우대, 관세 조사유예, 방사청 및 지자체 우수기업 선정평가 시 가점부여 등 혜택을 보장받게 되었음. 아울러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을 위한 방안으로 본사가 소재한 경북 포항지역의 인재를 우선적으로 채용하고 타지역 출신 임직원들에 대해서도 주거지원비 등을 지원하여 지역에 주소를 이전하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음. 또한 장애인, 노인, 저소득층 등 지역사회의 소외된 이웃을 위한 다양한 후원 및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음. 23. 5억불 탑 ㈜에프앤에프 ▲ 수출품목 : 의류 ▲ 수출실적 : 5.4억불 ▲ 담 당 자 : 박재윤 (  02-520-0021 ) 공적내용 ㈜에프앤에프(F&F)는 MLB(엠엘비), MLB KIDS(엠엘비 키즈), DISCOVERY EXPEDITION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등의 브랜드를 전개하는 국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글로벌한 경쟁력을 갖춘 패션 전문 회사임. 1992년 패션사업을 시작한 이래 다양한 패션 브랜드를 운영하며 30년간의 패션 비즈니스 노하우를 쌓아온 가운데 2017년 해외시장에 첫발을 내딛음. 프리미엄 스트릿 패션 브랜드 MLB(엠엘비)가 중국 홍콩으로 첫 진출했고, 이어 2019년 중국 본토로 영역을 확장함. 이어 동남아시아 시장으로도 진출해, 동남아시아 수출국이 2022년 4개국에서 2023년 7개국으로 수출 다변화에 기여했음. 그 결과 2023년 상반기 기준, 중화권(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대만) 및 동남아(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캄보디아)에 진출 성공. 2023년 하반기 필리핀과 인도네시아까지 진출 완료했음. 이외에도, 2018년에는 이탈리아 프리미엄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DUVETICA(듀베티카), 2022년에는 테니스 헤리티지 기반의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SERGIO TACCHINI(세르지오 타키니)를 인수하여 유럽, 북미 등으로도 사업 확장하고 있는 중. 최근에는 스트리트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수프라(SUPRA)가 중국 시장진출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며, 새로운 수출 활로가 될 것이라 생각함. 이처럼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오고 있는 ㈜에프앤에프는 2022년 연결 기준 매출액 1조 8,089억 원, 영업이익 5,249억 원, 당기순이익 4,427억 원을 달성. 수출실적은 약 5억 3천만 불로, 전년 동기 대비 84% 신장 기록했음. 이 같은 성과는 디지털화가 미래의 필수 경쟁력이 될 것을 예측하고, 2017년부터 선제적으로 추진해 온 전사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이하 DT) 덕분이라는 분석. 성공적 DT를 위해 전담 조직인 디지털본부를 만들고 인프라 투자를 단행한 결과, 현재는 상품기획, 생산, 물류, 디자인, 마케팅 등 F&F의 패션 비즈니스 전 과정이 DT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 커뮤니케이션 또한 협력업체에서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DT 프로세스 내에서 통합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내 커뮤니케이션용 메신저 도입, 다양한 디지털 업무 협업 툴 적용 등 스마트워크 시스템을 활용한 일하는 방식의 변화도 이끌어내고 있음. 24. 5억불 탑 에드워드코리아(주) ▲ 수출품목 : 진공펌프 ▲ 수출실적 : 5.1억불 ▲ 담 당 자 : 최수철 (  041-520-9342 ) 공적내용 에드워드코리아(주)는 전 세계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화학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전공 펌프 및 진공 시스템을 개발, 공급하고 있음. 미국, EU, 중국, 일본, 대만, 싱가폴 등에 진공펌프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2022년 대비 14%의 수출 성장을 이룸. 에드워드코리아(주)는 지속적 연구개발을 통한 신제품 개발과 이를 통한 협력사의 혁신에 공헌하고, 국내 부품업체와의 협업을 통하여 해외 수입의 70% 이상을 국산화 제품으로 대체하고 원소재의 78% 이상을 국산화하는 등 반도체용 진공펌프의 수입대체효과 창출에 기여함. 특히, 한국에서의 Digitalization 전략을 통해 자동화 라인 등 도입을 위해 80억 원 이상을 투자하고 있음. 해외시장에서 새로운 요구조건에 부응하기 위한 고온, 내부식성 강화, 소형화 및 고효율의 환경친화적인 신기술 펌프를 개발하였고, 최근 초미세 반도체 공정에서 필수적인 장비로서 각광받는 EUV(극자외선 노광장비)의 수소 공정가스 재생기술(HRS, Hydrogen Recovery System), 수소 처리(H2D, Hydrogen Dilution) 기술 개발 도입 등 친환경 방식 기술의 최초 상용화 기술개발을 도입했음. 2022년 7월부터 2023년 6월의 수출실적은 코로나와 국제분쟁 등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자재공급 부족과 물류 공급망의 어려움 속에서도 전년도 대비 약 14% 성장을 이룸. 특히, 대만 1.3억 불, 미국 1.2억 불, 중국 8천만 불, 싱가포르 4천만 불, 벨기에 4천만 불 등을 수출하여 전체 수출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음. 국내 10개 대학과 지속적 산학협력 체제를 구축하였고, 기술력 증진을 위한 지속적 교육을 진행함. 이와 더불어 전 임직원 복지향상을 위한 소통 및 지속적 노력,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등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음. 25. 5억불 탑 주식회사 세아엠앤에스 ▲ 수출품목 : 합금철 ▲ 수출실적 : 5.6억불 ▲ 담 당 자 : 조성각 (  02-6970-0951 ) 공적내용 주식회사 세아엠앤에스는 국내 및 아시아 최초 선진기법의 배소로와 최첨단 탈황, 폐수 환경 설비를 갖춘 회사로 스테인레스강, 특수강 등의 제조에 쓰이는 합금철 중 산화몰리브덴, 페로몰리브덴 및 페로바나듐을 생산하고 있음. 수입에 의존하던 몰리브덴 제품을 당사를 통해 국내 조달에 많은 기여를 해 왔으며 이제는 해외에 판매할 수 있는 수출국으로 탈바꿈할 수 있게 되었음. 지속적인 기술개발, 설비 및 환경 투자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이로 인해 타 경쟁사 대비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었음. 그 결과 지속적인 Global M/S 확대 및 수출 확대를 늘려가고 있으며 2017년 1억불 수출의 탑을 시작으로 2019년 3억 불, 2022년 4억 불 그리고 올해 2024년 5억 불의 수출을 달성할 수 있게 됨. 아울러, Global 몰리브덴 시장에서 약 5%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당사는 원재료를 거의 100% 해외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제품 중 70% 이상 수출하고 있는 수출 주력 기업임. 또한 지속적인 발전과 Global 경쟁력 확보, 입지 강화 및 해외시장 확대를 위해 2025년에 베트남 제2공장 설립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추진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자주 대두되는 ESG 경영 관련 환경분야 투자, 품질보증을 위한 ISO9001 인증서 취득 등의 철저한 준비를 통해 수요가 니즈 충족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26. 4억불 탑 ㈜에스에이엠티 ▲ 수출품목 : 반도체‧IT‧가전 ▲ 수출실적 : 4.2억불 ▲ 담 당 자 : 이승우 (  02-3458-9216 ) 공적내용 ㈜에스에이엠티는 1990년에 설립되어 국내 최대의 반도체 마케팅 전문기업으로 자리 잡으며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디스플레이, 매그나칩반도체 등으로부터 주요 제품을 공급받아, 국내 및 해외의 주요 IT 기업에 공급함으로써 국내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해외 수출을 통해 외화 획득에도 공헌하고 있음. 2011년 대만 SUPREME 사와 공동기업의 형태로 TO-TOP ELECTRONICS 설립하여 중국을 주요 목표시장으로 반도체 및 LCD 판매를 진행하였고. 2021년 TO-TOP ELECTRONICS를 완전 자회사로 전환 후 중국 시장에서의 영업을 확대하여 2022년 매출액 6,352억 원, 순이익 103억 원을 달성하였음. 더 나아가 해외기업들을 유치하여 2019년에 대만계 글로벌 IT 제품 제조사인 리얼텍에 메모리 제품공급을 시작으로, 2020년에는 미디어텍에도 납품을 진행하여, 2022년까지 총 5,113억 원(리얼텍 3,235억, 미디어텍 1,878억)의 수출실적을 기록했음. 당사는 SAMT SG PTE(싱가폴 법인), SAMT VINA(베트남 법인)을 설립하고, 2022년 삼성전자의 동남아시아 반도체 대리점권 계약을 체결하여 현재 베트남 시장을 시작으로 영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SAMT AMERICA를 설립하고 미국 내에서의 삼성전자 반도체 영업을 시작하고 2024년부터 가시적인 성과를 통해 회사 및 국가 공헌에 큰 기여가 될 것이라 확신함. 또한 직원들의 일, 가정 양립 및 기업의 사회적 이미지 개선과 우수인력의 채용, 근로자의 사기 증가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하는 ‘가족친화기업’으로 인증받은 바 있음. 얼어붙은 청년 취업시장에 고용 창출을 위한 신규 인력 채용을 확대하여 매년 신규 인력 고용 규모를 늘려나가고 있으며, 해외 자회사 설립 등을 통해 추가 인력을 지속해서 채용할 계획에 있음. 더불어 푸른나무재단(청소년폭력예방재단), 새말새몸짓(사회현안해결 학문연구 사단법인), 삼성병원 등에 기부활동을 지속하고 있으며, 장애인 운동선수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기업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음. 27. 4억불 탑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 ▲ 수출품목 : 고다층 인쇄회로기판 ▲ 수출실적 : 4억불 ▲ 담 당 자 : 김도균 (  053-610-0376 ) 공적내용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는 1972년에 설립되어 네트워크 장비(스위치, 라우터) 및 서버/스토리지 장비, 슈퍼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초고다층 PCB 전문기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품질을 기반으로 세계적인 네트워크 장비 업체들을 주요 고객으로 하여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이수페타시스 주력인 네트워크 장비 시장은 온라인 비대면 서비스의 일상화로 데이터 전송속도 및 전송용량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고 이로 인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장비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수년간 네트워크, 5G와 같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신규 고객을 개발하였고 안정적인 매출 포트폴리오를 확보하였음. 최근 통신 관련 IT 산업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속적인 미국 및 유럽 중심의 신규고객 개발을 통한 매출 확대에 집중하고 있음. 지난해에는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시장의 수요 확대, Chat GPT로 대변되는 데이터 센터의 성장으로 연결기준 영업이익 1,166억 원(별도 기준 964억원)의 사상 최대 성과를 달성함. 자본금은 2020년 413억 원 대비 올해 632억으로 53% 증가, 매출액 2020년 3,351억 원 대비 2022년 4,972억 원으로 48% 증가, 종업원 수도 2020년 873명에서 2022년 6월 기준 1,052명으로 21% 증가 함으로써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이수페타시스는 현재 약 1,200억 원의 증설 투자를 진행 중에 있음. 2023년 5월 신규공장(4공장) 준공을 완료하였고 내년 하반기부터는 연간 7천억 원 이상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될 것임. 아울러 대구지역에 100명 이상의 고용 창출 및 외주처 포함 중소기업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아울러 다양한 복리후생제도의 운영을 통해서 임직원들에게 일터에 대한 자긍심과 일과 생활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최근에는 구내 임직원들의 편안한 휴식과 식사 공간 개선 등을 위해 복지관을 건설하고 있음. 28. 4억불 탑 주식회사 디엔오토모티브 ▲ 수출품목 : 차량용 방진부품, 차량용 배터리 ▲ 수출실적 : 4.7억불 ▲ 담 당 자 : 김승민 (  055-380-5233 ) 공적내용 주식회사 디엔오토모티브는 종업원 수 1,140명에 달하는 중견기업으로 차량용 방진 부품을 전 세계 11개국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하여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임. 최근 3년간 수출실적은 2020년 3억 4천만 불, 2021년 4억 3천만 불, 2022년 4억 9천만 불의 매출액을 달성하였음. 디엔오토모티브의 방진 사업은 전 세계 10여 개 국가에 생산공장과 테크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현지화를 통한 최적의 원가율을 달성하고 있음. 또한 GM 등 북미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고객의 생산 확대 주문에 부응하기 위해 멕시코에 생산공장을 준공하였으며, 이는 북미 고객에 대한 생산 전초 기지를 구축한 것임. 배터리 사업은 후발 주자인 만큼 우수한 기술 인력을 영입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중이며, 해외 대형 거래처 발굴을 통해 다품종 소량 생산에서 소품종 대량 생산으로 전환하여 생산 효율성 증대와 원가 절감 그리고 품질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음. 현재 전기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그에 맞는 기술개발을 진행 중에 있고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품질향상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전기차는 모터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진동이 심해 소음이 크며, 이로 인해 더 많은 방진 부품과 고성능 품목이 요구됨. 디엔오토모티브는 전기차에 맞는 방진 제품을 자체 개발하여, 테슬라, 리비안, 니오, GM 등 차세대 전기차에 납품하였음. 나아가 자율 주행차 시장에서도 자율주행을 위한 컨트롤러와 센서들이 많이 장착됨에 따라 그러한 부품의 방진을 위한 부품들이 추가로 필요하게 됨에 자율 주행차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해나 갈 계획임. 배터리사업부의 경우 AGM 라인을 추가하여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 중임. 기존 MF 배터리뿐 아니라 AGM을 요구하는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설비투자를 통해 라인을 증설 중에 있음. 2022년 GM Supplier Quality Excellence Award 수상, 2022년 Supplier of the Year for FCA,Supplier Quality Excellence Award 등 수많은 성과를 거두었음. 29. 4억불 탑 명화공업(주) ▲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4.8억불 ▲ 담 당 자 : 박소영 (  031-599-1383 ) 공적내용 명화공업㈜ 1957년 펌프 기술의 기계제조업을 시작하였으며, 이후에도 명화공업은 기계공업의 환경변화를 줄곧 예의주시하며 자동차 부품산업이 동반 성장할 것을 내다보고 1972년 산업용 펌프 사업에서 자동차 부품사업으로 전환했음. 1987년 울산공장은 본격 가동에 들어갔고, 1992년 처음으로 ‘너클'을 처음으로 국산화하는 개발 생산을 이루었음. 또한, 독자개발능력 확보를 위해 1991년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꾸준한 연구개발로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연구 인력 양성사업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2022년부터 3개의 대학과 산학협력을 맺어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 사업을 지원하고, 단순히 기술개발 연구에 그치지 않고 도출해 낸 결과물을 실제 제품 양산에 활용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실무형 인재 양성을 통한 지역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음. 또한,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해외시장 개척에 나선 명화공업은 중국 무석법인 (‘02년), 인도법인 (’07년) 중국 북경법인 (’10년), 멕시코법인 (’15년) 총 4개의 해외법인 설립 운영 중에 있으며, 최근 3개년의 수출실적은 2020년 3억 6천만 불, 2021년 3억 8천만 불, 그리고 2022년 4억 8천만 불을 달성하며 평균 15%의 증가율을 기록하였음. 코로나로 인한 물류 이슈와 반도체 및 각종 원자재의 글로벌 공급망 혼란 등 경영 악화에도 불구하고 고객 요구에 빠르게 대처하여 최근 3년간 4개 사의 신규 고객 유치 및 신규 매출을 창출하는 등 해외시장 개척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북미, 독일 지사에도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미국과 독일 각각 1개 업체로부터 OEM 생산을 진행하면서 해외시장의 고객 니즈에 따라서 유연한 수출 증대 및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음. 최근 스카니아와 계약 체결 후 10월 양산 제품 첫 수출 및 2023년에는 전년 대비 21%의 수출실적을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수출을 증대하고 있음. 30. 4억불 탑 주식회사 티와이엠 ▲ 수출품목 : 농업용 트랙터 등 경작기계 ▲ 수출실적 : 4.2억불 ▲ 담 당 자 : 이상광 (  02-3014-2756 ) 공적내용 주식회사 TYM은 1951년 설립되어 영화 및 무역 분야로 사업을 시작함. 1962년 복건기업과의 합병 이후 기업명을 동양물산기업㈜으로 변경하고 건설사업을 추진함. 1970년대 급격한 사업화로 인한 농촌 인력 공백을 “농업의 기계화”로 메꿀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농기계 업계에 뛰어듦. 이후 1978년 보행 이앙기와 소형 경운기를 개발하면서 본격적으로 농기계 제품생산에 박차를 가함. TYM은 제품의 품질과 기술, 디자인을 넘어 서비스 품질로도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고 있음. TYM-USA(전 TYM 북미 법인)와 브랜슨(Branson)이 하나 된 TYM North America로 통합 출범한 시너지 효과로 지난 2020년부터 올해까지 4년간 '북미 딜러스 초이스 어워드(Dealer's Choice Award)’ 1위에 선정되며 브랜드 경쟁력을 입증했음. 지난 2월에는 미국 남부의 문화, 경제, 교육, 교동의 중심지로 알려진 미국 애틀란타에 신규 사무소를 개설하여 현지의 우수한 인재를 적극 채용하고, 지속적인 글로벌 사업 확장에 힘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또한 사무소 인근에 위치한 농기계 조립 공장 다섯 곳과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운영 중임. 최근 치열해진 자율주행 농기계 경쟁에서 TYM은 ‘농슬라’라 불릴 만한 쾌거를 얻었음. 지난 5월 업계 최초로 트랙터(T130)와 이앙기(GRO-690)의 자율주행 시스템 국가 검정을 동시에 통과한 것. 이는 직진뿐 아니라 자동 선회 및 작업기 제어가 가능한 자율주행 농기계로서, 현재 시범 서비스를 완료하고 2024년 양산 및 출시를 앞두고 있음. 또한 다중 RTK GNSS 시스템 기술을 적용해 정지 오차 2cm, 작업오차 7cm 이내의 정밀 작업이 가능함.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경영 철학을 기반으로, 2021년 업계 최초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선언한 이후 매년 보고서를 발행하며 지속가능한 경영 과제 및 비전, 실행 계획, 성과 관리 등을 구체화하고 있음. 이와 함께 전기 트랙터, 자율주행 시스템을 적용한 트랙터와 이앙기 등 지속가능한 제품을 적극 개발 중에 있음. 케나프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부품 사용, 친환경 도금 방식 농기계 업계 최초 도입 등을 통해 친환경 경영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음. 31. 3억불 탑 더블유씨피 주식회사 ▲ 수출품목 : 2차전지용 분리막 ▲ 수출실적 : 3억불 ▲ 담 당 자 : 백진균 (  043-870-3353 ) 공적내용 더블유씨피(주)는 리튬 계열 2차전지용 분리막의 수요 증가에 맞춰 2016년 10월 충청북도 충주시에 더블유씨피(주)를 설립하였음.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수차례 유상증자를 거쳐 현재의 자본금(13,334백만원)에 이르게 되었음. 당사는 전기자동차 및 2차전지의 수요에 맞춰 대규모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2019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의 시작으로 2020년 하반기부터 당사의 제품을 중국, 유럽, 기타 지역까지 수출이 확대되어 2022년 매출은 2,574억 원을 달성하였음. 증가하는 고객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설비투자를 하고 있으며, 당사의 제품은 독자적인 기술에 의해 개발된 제품으로 우수한 강도와 Low Impedance를 실현하고 있음. 또한 차별화된 생산공정으로 높은 생산성을 보유하고 있음. 규격인증 사업으로는 IATF16949 인증을 취득함으로써 품질경영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ISO14001/ISO45001 인증을 취득하여 환경과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또한 갖추고 있음. 기술개발에 있어서는 기업부설 연구소를 설치하여 분리막의 제조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 중이며, 분리막 제조와 관련된 특허는 국내 58건, 해외 16건이며 현재 출원을 진행 중인 건까지 포함한다면 이후 100건 이상의 특허를 보유할 것으로 예상됨. 연구개발의 활동에서 2차전지의 안정성과 전력량을 높이는 제조 기술개발의 정부 과제 참여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2020년 하반기부터 제품의 직수출이 발생하여, 2022년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2억 8천 6백만 불의 직수출과 간접수출을 포함하여 3억 불을 달성하였음. 세계 각국에서 환경 규제 및 국제유가의 상승으로 배기가스가 저감 되는 친환경 전기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고출력 대형 리튬 2차전지는 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각광을 받고 있음. 32. 3억불 탑 에이치라인해운 주식회사 ▲ 수출품목 : 해상운송서비스 ▲ 수출실적 : 3.2억불 ▲ 담 당 자 : 조성춘 (  02-6020-1856 ) 공적내용 에이치라인해운(주)은 국내외 초우량 화주에게 철광석, 석탄, LNG 등 원자재 및 에너지를 수송하는 국내 최대 전용 선사로 한앤컴퍼니가 2014년 한진해운 전용선 사업부를 영업 양수도 하여 설립된 이후, 2016년 현대상선의 벌크 전용선 사업부를 인수하며 성장하여 왔음. 2023년 상반기 현재 당사는 벌크선 46척, LNG선 6척을 운항하고 있으며, 호주, 캐나다, 브라질, 인도네시아, 카타르, 오만 등에서 철광석과 석탄, LNG 등 산업 필수 원자재 및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운송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음. 설립 초기, 당사는 기존 보유했던 POSCO, 한국전력공사, 현대글로비스, 한국가스공사와의 장기운송계약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안정적인 운항역량을 강화하였음. 이를 기반으로 2017년 세계 최대 원자재 공급업체 Vale와의 장기운송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비즈니스 영역을 해외로 확장하기 시작함. Vale와의 초기 계약은 이후 13척의 추가 장기운송계약의 수주로 이어졌으며 해외시장에서 탁월한 운항역량을 인정받았음. 2019년, 세계 최대 에너지 트레이딩 업체 Vitol의 LNG선 2척을 수주하며 LNG선 신규 계약을 체결, 이는 그동안의 주력 사업인 벌크 사업 외에 LNG선 운항에도 고유의 역량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음. 2020년 말, 세계 최초 LNG 연료 대형 벌크선인 HL ECO, HL GREEN호 도입 후 이후 Petronas, Exxonmobil, QatarEnergy 등 글로벌 기업과의 계약을 체결하여 LNG선 신규 수주를 이끌어 냈고, GLOVIS PCTC 7척을 수주함으로써 탈탄소화 추세에 맞춘 친환경 선박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 IMO(국제해사기구)의 2050년 Net Zero 전략과 매년 강화되는 글로벌 기후변화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는 선대 포트폴리오 다변화 기조 아래, 맞춤형 운송 솔루션, 안정적 운항 서비스 제고를 통해 산업의 본질적 경쟁력 향상에 집중하고 있음. 미래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기회와 화주의 요구를 끊임없이 발굴하여 친환경 해운을 선도해나가며 더욱 깨끗하고, 안전하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Total Solution Provider”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음. 33. 3억불 탑 (주)휴스틸 ▲ 수출품목 : 강관 (ERW PIPE) ▲ 수출실적 : 3.4억불 ▲ 담 당 자 : 홍승현 (  02-828-9144 ) 공적내용 (주)휴스틸은 1967년 설립되어 강관 제조 외길을 걸어온 강관 전문 제조업체로, 1994년 대불공장, 2005년 당진공장 준공에 이어 2015년 대구공장 인수를 통해 연산 ERW 강관 100만 톤과 STS 강관 4만 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한 국내 최고의 강관 메이커임. 미국, 캐나다의 현지 판매법인과 국내 수출팀을 통하여 전 세계에 강관을 수출하며 지난해에는 매출 1조를 달성하였고, 올해는 3억 불 수출을 달성했음. (주)휴스틸은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품질향상을 통해 독자적인 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하며, KS는 물론 일본 산업규격인 JIS와 API 모노그램 및 UL 표시 마크 등의 인증을 획득하였고, DNV, GL, Lloyd 및 ARAMCO 등 유수의 규격도 획득하여 최고 품질의 강관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음. (주)휴스틸의 주력 제품은 북미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높은 그레이드의 송유관과 유정관으로 강관의 용접결함 발생의 억제와 충격인성을 확보하여 품질향상을 이뤄냈고, 기술을 인정받으며 대표 수출품목으로 자리매김함. 최근에는 수출 다변화를 꾀하며 다양한 해외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까다로운 품질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해양플랜트용 강관 생산기술 확보를 통하여 동남아 지역에 해양플랜트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음. (주)휴스틸은 글로벌 종합강관사로의 도약을 위해 약 3,000여억 원의 자금을 들여 창사 이래 최대 투자를 진행 중으로, 미국 휴스턴에 에너지용 강관 생산을 위한 공장과 전라북도 군산에 SAW 대구경강관 생산을 위한 공장 건축이 진행 중에 있음. 군산공장은 2024년 시운전을 시작으로 본격 공장 가동을 앞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주)휴스틸은 대구경 송유관 및 해상풍력 시장까지 진출할 예정. 본 투자가 완료되는 2025년에 (주)휴스틸은 연산 128만 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한 명실상부한 글로벌 종합강관사로 거듭나고 있음. 34. 3억불 탑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 수출품목 : 반도체용 피팅, 밸브, 레귤레이터, MFC, 필터, IGS, Gas Box 외 ▲ 수출실적 : 3억불 ▲ 담 당 자 : 신승연 (  051-970-6748 ) 공적내용 1995년 국내 최초 전해연마 기술개발을 통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UHP Fitting 제품을 시작으로 Valve, Regulator, Gas Filter, MGC, IGS (Integrated Gas System), Gas box, Gas panel, 등을 국산화한 기업으로써 현재 국내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UHP (Ultra High Purity) Market 분야의 시장점유율을 약 95%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동종업계로는 국내에서 No.1 업체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또한 국산화에 의한 국내시장 확대에만 안주하지 않고 수출 확대를 위하여 꾸준히 노력한 결과, 2020년 1억 불에서 올해 수출의 탑 수출실적 3억 불로 성장하는 등 기존시장의 대체 수요 확보 및 신규시장 개척에 주력 해오고 있음. 해외시장 확대의 일환으로 현재 아시아 지역에 수출이 집중되어 있으나, 미국 장비회사 L사, A사로부터 귀사의 제품 승인을 지난 8년간 지속해서 받음으로써 2021년 이후 급격한 수출 증대를 이루고 있음. 향후 중동, 인도, 중남미 지역까지 그 범위를 넓히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고, 현재 신규시장에서의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있음. 앞으로도 태광후지킨은 지속적인 고객의 발굴 및 수요 창출, 신제품 개발을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하여 미개척 지역으로의 진출을 확대하고 있음. 당사는 대만, 일본, 중국 등 해외기업들로부터 브랜드 등록(Vendor Registration)을 통해 해외시장을 공략해왔으며, 국내외 글로벌 기업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한 결과 해외 EPC, End-user 등의 수출을 통해 인지도를 확대해왔음. 이러한 당사의 마케팅 및 업체등록의 노력에 힘입어 해외에서의 당사 브랜드의 인지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에 이르렀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No. 1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를 통해 삼성, LG, SK-Hynix 외 Local 수출에 집중하였던 과거와는 달리 해외 직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이끌어내었음. 신규사업으로 수소충전소, 수소모빌리티에 적용되는 고압 제품을 개발 및 양산함으로써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지역 고객사로부터 2024년부터 가시화된 매출을 일으키고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매출향상을 기대하고 있음. 35. 2억불 탑 (주)건화 ▲ 수출품목 : 조선기자재 및 건설기계 제관부품 ▲ 수출실적 : 2.3억불 ▲ 담 당 자 : 최대근 (  055-240-9123 ) 공적내용 ㈜건화는 조선해양사업부(거제공장)와 건설기계사업부(창원공장)로 구성되어 있고, 건설기계 및 산림장비의 제관 부품, 초대형 선박 블록 등을 주요 생산품으로 하며, 30년 이상의 생산 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기업임.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경영혁신으로 2022년 매출 4,377억 원 창출, 연간 수출 2억 불을 달성했음. 조선해양사업부는 절단부터 도장 및 출하에 이르는 일관생산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조선 3사를 제외하고 국내 최대 규모의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초대형 선박블록 및 해양플랜트 등 선종이나 선형에 제한 없이 선주사의 요구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함. 이는 건화의 경영 철칙인 QCD(품질·가격·납기)경쟁력 확보를 더욱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음. 건설기계사업부는 1998년 IMF 외환위기 이후 불안정한 내수 시장을 넘어 시장의 판로를 국내외로 다변화함. 외부 변수에도 흔들리지 않는 유연성을 확보하고자 해외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여 2000년 일본 굴착기 제조업체에 제관품 공급을 시작으로, 2009년 미국, 2010년 뉴질랜드, 2013년 중국, 2015년 캐나다로 해외 영업을 확장하고 있음. 그 결과 당사는 2015년 수출 1억불 탑을 수상했음. 또한 ㈜건화는 기술혁신 및 생산효율 증대를 위해 끊임없는 교육과 연수를 통하여 VPS 등 세계적인 기업의 생산시스템을 학습하여 건화만의 독창적인 생산시스템을 확립하고, 2000년 이후 뿌리기술전문기업인증, KPIC 인증, 품질경영시스템인증, GL선급공장승인, 월드클래스 300기업 선정 및 성공적 국책 과제 수행 등을 순차적으로 이루어내 고객 만족과 환경 친화 경영시스템을 확립해 나가고 있음. 이와 함께 (주)건화는 협력업체 동반성장 구현, 지역사회 공헌 활동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음. 2021년에는 당사와 협력업체를 모두 아우르는 윤리, 인권, 환경경영 정책을 공표하는 등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ESG 활동을 확대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어, 2022년 VOLVO Group Korea의 공급자 평가에서 Sustainability 부문 최우수 공급업체로 선정되고, 세계적인 ESG 수행 전문 평가 기관들로부터 중견기업 부문 최고 수준의 등급을 인정받는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 36. 2억불 탑 ㈜엠플러스 ▲ 수출품목 : 이차전지 조립 장비 ▲ 수출실적 : 2억불 ▲ 담 당 자 : 최준호 (  031–235-7079 ) 공적내용 ㈜엠플러스는 리튬이온 배터리 전지의 국산화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3년도 설립되었음. 설립 초 FPD용 초음파 Scribe system 개발을 기반으로 하여 2008년 전기차 태동 시기에 GM 볼트에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을 하였던 개발 및 생산업체인 A123 시스템즈 사와 파우치형 조립 장비를 성공적으로 개발, 양산함으로써 이차전지 조립 장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함. SK이노베이션의 주요 파트너를 시작으로 해외공장(중국, 헝가리, 미국) 및 Our Next Energy, Envision AESC 등 유수의 해외 글로벌 고객사에 납품하고 있음. 20년 차의 중견기업인 당사는 본사와 제1, 2공장을 비롯해 R&D 센터와 해외법인 3곳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 연간 1,000억 원에서 3,000억 원으로, 그리고 현재 5,000억 원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음. 엠플러스의 주력 분야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조립공정’과 ‘각형 이차전지 조립공정’ 임. 배터리 셀의 제조공정은 전극 공정 → 조립공정 → 활성 공정 → 기타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그중 두 번째 조립공정 내의 노칭(Notching)→스태킹(Stacking)→탭 웰딩(Tab Welding)→패키징(Packaging)→디게싱(Degassing) 공정의 장비 일체에 대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대형 각형 전지에 대해서도 단자가 한쪽 방향으로만 나와 있는 탑 터미널뿐만 아니라, 양쪽으로 단자가 형성되는 사이드 터미널 타입 각형의 모든 조립 장비를 한꺼번에 공급할 수 있는 턴키(Turn-Key)제작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 독자 개발한 재산을 축적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외 등록된 특허는 69건, 출원 중인 특허는 33건으로 미래 선두 기술 산업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음. 22년 1억 불, 23년 2억 불의 수출실적을 보유한 당사는 전체 매출의 90% 이상이 수출 매출이며, 매년 20% 이상씩 성장하여 2030년 수출 1조 원 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음. 급격한 매출 성장과 함께 임직원 숫자도 지속해서 늘어감에 따라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다양한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을 실천해 나가고 있음. 37. 2억불 탑 SK바이오팜(주) ▲ 수출품목 : 의약품 ▲ 수출실적 : 2.2억불 ▲ 담 당 자 : 신지예 (  031-8093-0205 ) 공적내용 SK바이오팜은 1993년 사업의 태동 이래, 거대한 글로벌 신약 시장을 타깃으로 중추신경계 분야, 특히 뇌전증 분야의 혁신 신약 개발에 집중했음. 국내 최초로 신약 임상 후보 물질 발굴부터 글로벌 임상을 직접 수행했으며, FDA 신약 판매 허가까지 자사에서 진행하여 독자적으로 뇌전증 치료 신약 '세노바메이트'를 개발 및 상업화했음. 2019년 11월 미국 NDA의 승인을 받아 제품명 XCOPRI®로 미국 시장에 출시했으며, 스위스 Angelini社로 기술 이전 및 완제의약품 공급계약을 체결하여, 2021년 3월 유럽 EMA 승인을 받아 제품명 ONTOZRY®로 유럽 시장에도 진출함.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외에도 수면 장애 치료제 솔리암페톨을 기술 수출하였으며 FDA와 EMA의 승인을 획득함으로써 SK바이오팜은 국내 유일 FDA 승인 혁신 신약 2종을 개발한 제조사로써 발돋움하였고,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의 프런티어가 되었음. SK바이오팜은 원재료를 한국에서 캐나다 위탁제조처로 수출하여 완제의약품을 위탁 제조 및 위탁 포장하여 최종 완제품을 생산하고, 현지에서 바로 미국과 유럽 등으로 수출, 판매하는 위탁가공수출 형태로 수출 중임. 원재료 수출 금액과 임가공비용을 제외한 2023년 가득액은 총 $203,728,032.63 US달러를 기록했음. 글로벌 임상 시험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뇌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글로벌 임상을 수행하여, 세노바메이트의 차별화된 발작억제 및 발작완전소실 효과를 확인함. 부작용에 대한 미국 FDA의 Black Box Warning(약물의 심각한 유해 반응 또는 주의 사항에 대해 경고)이 없어 안전성을 확보했고, 주요 경쟁 제품이 하루에 두 번 복용하는 데 비해 SK바이오팜의 '세노바메이트'는 하루 한 번 복용으로 복용 편의성 확보했음. 혁신 신약 출시로 환자와 보호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여 사회적 가치 증대에 기여하고 있음. 또한 지역사회 일원인 기업 시민으로서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지역사회 지원을 필두로 다양한 지자체·사회적 기관 등 내외부 이해관계자들과 협업을 통한 사회공헌활동을 펼쳐가며 공동의 행복 추구하고 있음. 38. 2억불 탑 남성해운(주) ▲ 수출품목 : 컨테이너 운송 ▲ 수출실적 : 2.7억불 ▲ 담 당 자 : 박정우 (  02-772-8855 ) 공적내용 남성해운(주)는 1953년 8월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외항선사로, 70년 이상의 역사와 경험, 고객 중심의 편리한 물류 정보시스템과 아시아 60여 개 주요 물류거점을 바탕으로 한일항로 전문선사의 기반 위에 중국과 동남아 항로를 연계시키는 컨테이너 정기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년 11월 공표한 “BEYOND Shipping, Engineering the Future”라는 캐치프라이즈 아래, 기존의 강점인 Port to Port 서비스 기반으로 한 Extended Logistics 서비스로의 확장, 신사업 진입을 통한 지속 성장, 물류 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에 힘쓰고 있음. 이를 통한 對고객 서비스 혁신 및 내부 운영 효율성 혁신을 바탕으로 최근 3년간의 수출실적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지난 3년간 각 2억 2천만불, 3억 1천만 불, 그리고 2억 7천만 불을 기록하며 약 20%의 수출 성장률을 달성함. 오랜 해상운송 네트워크 경쟁력을 기반 국내외 지역 내륙 거점/운송 인프라와 멀티모달 서비스를 연계한 End-to-End & One-Stop 서비스 제공, IoT 장비 및 물류 플랫폼 도입 등을 통해 고객의 편의성, 접근성과 물류 가시성을 강화하고 보다 긴밀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또한, Cloud 기반의 당사 차세대 코어시스템 ICON+, RPA, Smart Ship 기술 등을 연계하여 디지털화 되어가는 물류 산업의 미래에 적극 대응하고 있음. 동시에 ESG 경영과 국내외 환경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노후 선박 5척을 매각 후 친환경 선박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평균 선령 7년 수준의 젊은 선대를 활용하여 에너지 및 오염물질 규제 준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선박 운영 효율성을 높여 고품질의 해상운송 서비스를 제공함. 더불어 국내 조선소와 국내 금융만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및 국내 중소 기자재 업체의 고용과 매출 확대 등 조선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39. 2억불 탑 아진산업(주) ▲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2.3억불 ▲ 담 당 자 : 홍준호 (  053-859-9158 ) 공적내용 아진산업(주)은 1978년 설립되어 자동차 차체 부품과 전장부품을 개발,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및 해외 주요 완성차 업체에 차체/섀시부품을 공급하고 있음. 글로벌 사업망 확충을 위해 2006년 중국 상해법인 설립을 필두로 2008년 미국 알라바마 법인, 2013년 중국 염성 법인을 설립했음. 해외공장 매출은 설립 이후 매년 13% 이상의 매출 증대를 이루었으며 국내와 해외 생산 CAPA 확충으로 2022년 5,970억 원의 매출과 2,670억 원의 수출실적을 달성했음. 전기자동차, 고효율 자동차 및 친환경 자동차의 수요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하여 2004년부터 친환경 차체 부품의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개발 및 R&D에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으며 160여 건의 차체/전장 관련 지식재산권 특허를 보유 중임. 친환경, 경량화 차체 부품의 핵심 보유 기술로서 하이브리드 탄소 복합재료 접합 및 성형의 최적화 설계기술, 고진공 다이캐스팅 성형, 초고장력강 차체 설계기술 등을 보유하고 중장기 목표로서 친환경 부품 성형기술 세계 1위를 위해 전 임직원이 매진했음. 아진산업은 다양한 인재 육성 및 인재 채용 방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채용프로그램으로 대학생 해외 현장 실습프로그램이 있으며 지역대학들과 산학 협약을 체결하고 졸업 전 6개월간 미국법인에서 실습 후 100% 채용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또한 특성화고 채용/육성 프로그램으로 지역 특성화고 학생을 채용하여 국내 1년 현장실습을 실시하고 실습 기간동안 지역대학교에 “아진금형학과”를 개설하여 학습을 지원, 전문학사로 졸업할 수 있으며 본인 희망 시 4년제 대학 편입하여 학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현재 미국 조지아주에 4,400억 원을 투자하여 전기차 부품공장인 JOON,조지아 공장을 착공 중이며 2024년 상반기 완공 예정임. 현대차 협력 부품기업으로 ‘현대차메타플랜트아메리카’에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동반 진출하였고 완공이 후 본격적인 전기차 부품 양산 예정에 따라 2025년 2조 원 이상의 매출 증대가 예상됨. 40. 2억불 탑 에이치엘홀딩스 주식회사 ▲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2.4억불 ▲ 담 당 자 : 장성훈 (  02–526-0643 ) 공적내용 HL홀딩스는 HL그룹의 기업가치와 주주가치 제고를 선도하는 사업지주회사로서, Mobility Service, Logistics Service, Cold Chain Service 등의 비즈니스를 영위하고 있음. HL홀딩스 비즈니스 핵심은 “연결”로 익숙한 것들을 혁신하고 미지의 것들을 연결하여, 고객의 한계 없는 Higher Life를 실현해 나가고 있음. 2022년 연간 기준 매출 1조 2,533억 원, 영업이익 858억 원을 달성하여 코로나 이후 실적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2022년 기준 전체매출의 약 4,897억 원의 39%가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해외 매출 증대를 위해 자동차 부품 전시회 참가 및 글로벌 전기차 제조사와 협업을 확대하고 있음. 2023년 11월에는 국내 화성센터를 개소하여 기존의 보수용 자동차 부품 유통뿐만 아니라 출고 전 검사 및 재상품화 등의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여 부품 유통을 넘어선 서비스 회사로 사업 모델과 영역을 지속 확대하고 있음. 또한 HL홀딩스는 직원들의 복지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음. 코로나 기간에는 전 직원의 안전을 위해 원격 근무제를 빠르게 도입하였으며 코로나 이후로도 원격 근무제를 지속 운영하여 직원들이 효율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음. 이외에도 출근 및 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운영하는 유연 근무제를 운영하여 직원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음. ESG 경영을 위해 2023년부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체계화하여 탄소 배출량을 집계, 관리하는 노력을 시작하였으며, 향후 협력사들의 참여를 확대하여 기업의 전 밸류체인 상에서 온실가스 저감 활동을 지속해 나갈 예정임. 또한 공급망 ESG 관리의 경우도 다수의 영세한 협력사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다양한 지원 정책들과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채널 확대를 통해 눈높이에 맞는 HL만의 상생 모델을 구축할 계획에 있음. 41. 2억불 탑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2.5억불 ▲ 담 당 자 : 이현주 (  053-610-1446 ) 공적내용 1984년 대구 달성산업단지에서 세계 제일의 자동차 부품 회사를 실현한다는 야심 찬 목표를 가지고 출범하여, 국제 규모의 첨단 자동차 부품 연구 및 생산설비를 갖추고 구동장치, 제동 및 조향장치, 자율주행시스템, 전기차 제어장치 등 자동차 주요 핵심부품 및 모듈을 생산하고 있음. 당사는 수출 비중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으로 주요 수출국인 미주 고객 및 프로그램 신규 창출로 수출 물량 극대화가 되도록 노력하였고, 남미, 동남아, 동구권으로의 고객 및 지역 다변화를 통해 영업 확대를 시도함. 주요 수출국은 미국을 포함한 미주 (60%), 우즈벡을 포함한 동구권 (34%), 독일을 포함한 유럽권 (4%) 및 기타로 구성되어 있음. 주요 고객은 Stellantis, Rivian, Volkswagen, GM, Maserati, Porsche. Daimler Fuso 등이며, 주요 수출 품목은 구동 부품 (57%), 제동/조향 부품 (27%), 그리고 전장 전자/자율주행 부품(16%)으로 구성되어 있음. 당사는 '고객 만족'을 우위에 놓고 가격/디자인/품질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에 초점을 두어 적기 내 공급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 당사가 개발한 자동차 부품,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에 대해 국내 전시회에서 기술력을 검증받음. 이를 새롭게 사업을 시작한 베트남 자동차 Vinfast에 여러 차례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선제 대응 및 차별화된 기술력을 통해 Vinfast 3개 차종에 대해 수주, 프로그램 기간 매출 1,000억 원 규모의 성과를 달성함. 일본 고객사, Daimler Fuso에 기술력,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타 업체(일본)가 공급하던 Halfshaft (차량 구동 시스템)을 당사 제품으로 전환하는 성과를 이뤄 당사 제품이 전기차에 적용되는 계기가 됨. 또한 자동차(승용, SUV, Pick Up Truck) 외에 오프로드/레저 차량 부품사업에 진출했고,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사양을 개발하고 Buyer와 적극적으로 협의하여 세계 굴지의 회사인 Polaris로부터 Alternator(발전기), Brake(제동장치)를 수주하는 성과를 이루었음. 42. 2억불 탑 주식회사 대유이피 ▲ 수출품목 : 차량용 플라스틱 부품 ▲ 수출실적 : 2억불 ▲ 담 당 자 : 성영수 (  070-7775-4206 ) 공적내용 (주)대유이피는 1970년 오성화학공업으로 설립되어 2006년 ㈜신기인터모빌로 상호를 변경하여 사업을 영위하던 중 2022년 대유위니아그룹과 지분거래를 통하여 대유위니아그룹으로 편입되어 ㈜대유이피로 상호를 변경했음. 현대기아차 1차 협력업체로 플로어 콘솔, 인테리어 트림, 칵핏모듈, 프론트 트렁크, 휠 가드, 에어 그릴 셔터 등을 양산 판매 중이며 친환경차 및 미래 차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전동화, 저소음, 지능화, 경량화, 다기능 활용성의 내장 부품으로 다변화하여 향후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플랫폼 전용 내장 부품의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성장하고자 지속적인 기술개발 투자에 노력하고 있음. 2015년 수출탑 1억불 탑 업체로서 주요 수출국으로는 미국 및 유럽 90%, 베트남 1%, 기타 8%로 구성되어 있음. 베트남의 빈패스트와 신규차종 계약으로 인한 직수출 증가를 기대하고 있으며, 푸조, 크라이슬러, 마세라티 등의 세계적인 자동차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는 다국적 자동차 회사인 스텔란티스와 수주거래를 위하여 2023년 협력사 자격을 획득하여 2024년 직수출 거래를 목표로 신규아이템 입찰을 위해 노력을 지속 중이며, 대유위니아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협력하여 글로벌시장 및 현지화 대응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2005년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전체인원의 15%의 전문연구원을 구성하고 있으며 2021년 8건, 2022년 9건의 국내외 특허를 출원하였음. IATF 16949, ISO 45001, ISO 14001 등의 표준인증을 획득함과 동시에 현대기아차에서 주관하는 품질 5스타, 상생협력 5 스타, 납부 5 스타, 신차 품질 최우수 협력사 등을 수상하며 항상 최고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음. 대유위니아그룹 편입 후 신규설비 투자 및 직원고용 등을 통한 제품 내재화의 증가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품질향상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음. 43. 2억불 탑 주식회사 보림 ▲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2.1억불 ▲ 담 당 자 : 최승현 (  041-580-4056 ) 공적내용 주식회사 보림은 1997년에 설립되어 국내 최대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 기아차에 납품하는 2차 공급사임. 자동차 전장부품인 WIRE HARNESS의 제조와 납품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업체로 충남 천안에 본사 및 사업장, 중국의 5개 생산법인, 필리핀의 2개 생산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수출실적은 2020년 1억 2천만 불, 2021년 1억 4천만 불, 2022년 2억 불을 달성했음. 노동집약적인 공정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기업 전반의 성장전략 수립과 미래 동력 발굴을 위해 2002년 중국에 첫 해외 생산법인 설립하였고, 안정적인 인력 수급 및 사업 환경의 다각화를 목표로 2019년에는 필리핀에 진출하여 동남아시아로 사업영토를 확장함. 해외 생산 기반 시설의 투자를 통해 안정된 고객 대응 및 부가적인 원가절감의 노력 등 지속적인 외적 성장과 내실 있는 경영전략을 추진해 나가고 있음. 2022년에는 고객의 해외 판매 실적과 신규차종 수주 등에 힘입어 최대 매출액을 달성함. 더불어 수출단가가 높은 고급 브랜드와 친환경차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수출액 또한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음. 현재 기존 양산 차 외 신차 개발 및 상품성 개선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매출 확대가 예상됨. “가족과 이웃에게 희망을 주는 기업”, “사회에 공헌하는 기업”이라는 경영이념을 실현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지역 특성화 고교와 인재 양성 및 취업 활성화를 위한 협약을 맺고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고 있으며, 인접 대학 장학금을 지원하는 등 지역사회와 동행하는 지속적인 사회공헌활동을 실천하고 있음. 내부적으로는 ‘직원이 먼저 행복해야 고객에 감동을 줄 수 있다’라는 믿음으로 임직원 모두가 일과 삶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복지제도를 운영하며 직원과 회사가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조직문화 조성에 힘쓰고 있음. 44. 2억불 탑 (주)휴맥스네트웍스 ▲ 수출품목 : 무선 통신장비 ▲ 수출실적 : 2.1억불 ▲ 담 당 자 : 김두현 (  031-606-8459 ) 공적내용 휴맥스네트웍스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사업 파트너 및 고객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돕는다’라는 Mission과 ‘모든 사람, 모든 장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세상에서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Broadband 장비의 공급’이라는 Vision 아래 2019년 11월에 26일 설립되었으며, 우수한 글로벌 제조/유통망을 보유한 Top-tier 네트워크/AP 장비 제조/공급업체로써 특히 미국과 일본 등의 해외 주요 통신망 사업자를 대상으로 우수한 납품 실적을 통해 세계 각국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임. 휴맥스네트웍스의 주력사업인 브로드밴드 게이트웨이(Broadband Gateway) 산업은 5G 시장의 본격적인 투자 확대와 함께 초실감 UHC 영상 서비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서비스의 재개와 7세대 와이파이 등 대용량의 대역폭이 필요한 고품질 서비스의 기반 시설 확보를 위한 투자 확대로 인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산업임. 이러한 시장환경에서 미주, 일본, 태국 등 다변화된 지역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동시에 주요 고객인 통신 사업자 각각의 개별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력과 합리적인 공급가격, 총매출의 8%에 이르는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 등의 노력한 결과, 2021년 매출액 1,023억 원에서 2022년 매출액 3,666억 원으로 약 258% 증가시켰으며, 2023년에는 매출액 약 6,000억 원을 예상하고 있음. 종업원 수 또한 2020년 131명에서 2023년 6월 기준 189명으로 44% 증가시킴으로써 국가 경제 발전 및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였음. 최근 휴맥스네트웍스는 휴맥스네트웍스 미국, 일본, 태국법인 설립에 이어 2023년 하반기 유럽법인을 독일에 설립 완료하여 유럽의 통신 사업자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기기 수출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 동시에 인도와 브라질의 브로드밴드 게이트웨이(Broadband Gateway) 신시장 개척에 힘쓰고 있음. 45. 2억불 탑 티이엠씨㈜ ▲ 수출품목 : 산업용 특수 가스 ▲ 수출실적 : 2.6억불 ▲ 담 당 자 : 김규화 (  043-298-3333 ) 공적내용 티이엠씨㈜는 2015년 1월 26일에 설립되어, 반도체 공정용 특수가스를 전문적으로 제조하는 기업임. 가스 합성 및 수전해 기술, 희귀 가스를 추출 및 분리하는 기술, 특수가스를 정제ㆍ혼합ㆍ충전하는 기술을 비롯하여 특수가스 제조의 모든 공정을 내재화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당사는 특수가스 생산에 필요한 Total 기술을 이용하여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하는 특수가스 제조를 국산화하고 있음. 2017년 1월에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 연구개발 체계를 갖추었음. 특히, 특수가스 개발 및 제품 양산화와 관련하여 연구개발과 생산의 연계 활동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음. 원료, 정제, 충전/패키지, 검사/측정까지 전 공정에서 경쟁력과 기술력을 보유한 덕분에 물류대란, 미중 무역 분쟁 등 공급망을 위협하는 상황 속에서도 당사는 반도체 핵심 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었음. 특수가스의 경우 국내 생산량 제로,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으나, 당사의 “추출, 분리, 정제, 분석”까지의 전 프로세스 원천기술 확보와 제조공정 내재화로 진정한 국산화를 실현하여, 글로벌 업체 대비 80% 수준의 투자비 절감 및 국내 반도체 기업에 공급 가능한 최고 수준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였음. 개발 및 공급 전략 수립으로 선제적 기술을 확보하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점에 공급해 상생할 수 있는 모델을 지속적으로 만들어가고 있음. 고객 요구사항에 맞는 제품을 만들기 위하여 ISO9001(품질경영시스템), ISO14001(환경경영시스템), ISO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핵심 전략기술 분야에서 미래 성장 잠재역량을 갖춘 기업을 선정하는 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에 2023년 3월 22일부 선정되었음. 46. 2억불 탑 한전원자력연료㈜ ▲ 수출품목 : 원자력연료 ▲ 수출실적 : 2.7억불 ▲ 담 당 자 : 허지호 (  042-869-3736 ) 공적내용 한전원자력연료(주)는 원자력 연료 설계 및 제조를 동시에 수행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으로 지난 40여 년 동안 원자력 연료 제조 및 설계기술을 국산화하여 고성능·고품질의 연료를 국내 원전은 물론 UAE 원전에도 공급하고 있음. 동시에 아랍에미리트 원자력 발전사(ENEC)에서 핵연료 공급 안정성 확보를 위해 추진하는 핵연료 공장 건설 및 O&M 입찰에 참여하여 수주를 위한 활동을 진행 중임. 고품질의 원자력 연료 제조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피복관, 상‧하단 고정체, 지지격자, 연료봉 스프링 등과 같은 원자력 연료의 핵심부품과 원자력 연료 부품 제조 장비, 사용 후 연료 성능검사 장비, 원자력 연료 공장 건설 관련 기술 등을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중국, 캐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일본 등에 수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출실적을 인정받아 2.4억불의 수출실적을 기록함. 또한 해외사업 경험과 고유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원전 유관기관과 함께 Team Korea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체코 등의 해외 신규원전 플랜트 사업을 수주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음. 원자력 연료는 국제 기술표준과 인허가 요건, 안전 규제 요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되며 개발된 제품은 기계적·수력적·열적 시험을 통해 건전성과 안전성 만족 여부를 엄격히 검증함. 고성능 연료 개발을 위한 R&D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독자 기술 소유권이 확보된 원자력 연료(HIPER) 개발을 완료하고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음. 한전원자력연료의 원자력 연료 설계·제조 역량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원전 운영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원전 이용률 달성에 기여하고 있음. 창립 40주년을 맞이하여 새로운 비전 2035 ‘미래를 위한 원자력, New Global Standard 한전원자력연료’을 수립하여 다가오는 변화의 시대에 맞춰 회사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움. 또한 2035년까지의 경영 목표로 ▲매출액 6,000억 원 달성(해외 매출 비중 30%) ▲K-Taxonomy 선도 원전 연료 기술개발 ▲지속가능경영 실현을 설정하여 추진 중임. 대내외적으로 원자력 산업이 장려되는 상황에서 한전원자력연료는 원자력이 미래와 후대를 위한 에너지원으로 발돋움하도록 주도하는 데 이바지하고, 원자력 연료 분야의 미래 기술‧안전‧품질 등의 새로운 기준으로 도약하여 글로벌 원자력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앞으로도 노력할 것임. 47. 1억불 탑 ㈜덴티움 ▲ 수출품목 : 임플란트‧치과용 의료기기 ▲ 수출실적 : 1.9억불 ▲ 담 당 자 : 박병준 (  070-7098-9126 ) 공적내용 덴티움은 치과 의사와 전문가들이 참여해 2000년 6월에 설립되었음. 임플란트 제품을 주력으로 치과용 의료기기 및 디지털 장비 등을 개발, 생산, 판매하는 기업임. 2003년 유럽 CE 인증을 시작으로 2004년 미국 FDA 등 제품의 안정성을 인정받아 국내 임플란트 시장점유율 2위, 전 세계 점유율 6위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임. 2022년 기준 전체 매출액은 3,558억 원이며, 그중 해외 수출액은 2,853억 원으로 80%가 해외에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수출 비중 중 중국이 약 50% 비중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 동남아시아, 일본, 러시아 등 전 세계 77개국에 임플란트 제품을 수출하고 있음. 덴티움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서 생산 비중의 91%가 자체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제품임. 주력 상품인 임플란트는 국내 최초 SLA 표면 처리 방식의 기술을 개발하여 제품의 높은 안정성을 기반으로 국내 유일 22년 이상의 장기 임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음. 임플란트 장기 생존율에 관한 논문은 SCI급 저널에 게재되며 우수성을 입증받았으며, 논문 내 총 242개의 임상 사례는 엄격한 심사 기준에서 97.9%라는 높은 생존율로 안정성이 입증되었음. 매출액 1조 원 및 글로벌 2위 시장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개발을 추진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장기적인 목표로는 글로벌 생산시스템 수직 계열화를 통해 매출 성장과 글로벌 시장 MS 고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매년 국내/해외 고객 대상으로 대규모 자체 심포지엄 개최하고 있으며, 다양한 임상적 학술지원으로 좋은 제품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음. 48. 1억불 탑 ㈜디에스시 ▲ 수출품목 : 시트프레임 ▲ 수출실적 : 1.1억불 ▲ 담 당 자 : 주윤정 (  031-8067-0104 ) 공적내용 ㈜디에스시는 1979년 4월 20일에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으로써 44년간 자동차 시트의 골격을 구성하는 시트프레임을 전문으로 생산하고 있는 기업임. 그간 축적된 생산 기법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기술 첨단화를 실현하여 기업 경쟁력을 높여왔으며, 국내 자동차 시트프레임 업계의 70%에 해당하는 시장점유율을 확보하는 등 국가 기간산업인 자동차 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음. 국내 자동차 시트프레임 시장을 넘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함에 따라 중국, 터키, 체코 해외 3개국에 4개 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본사인 ㈜디에스시동탄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선진 기술력과 위상을 전 세계에 입증하고 있음. 높은 기술력과 품질수준을 기반으로 고객 다변화 및 현지화 노력에 최선을 다하여 중국,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과 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 유럽, 미주 등으로 수출하고 있음. 그 결과 지속해서 수출액이 증가하여 2016년 7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한 바 있으며, 금년도에는 1억불탑을 신청하게 됨. 기업의 사회공헌에 대한 실천으로써 임직원의 50% 이상이 지역주민들로 구성되어 지역사회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음. 이와 더불어 임직원의 즐거운 회사 생활을 위해 다양한 복지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각종 사내 캠페인 진행을 통해 소통하는 기업문화 또한 정착했음. 49. 1억불 탑 ㈜디에스시동탄 ▲ 수출품목 : 시트프레임 ▲ 수출실적 : 1.8억불 ▲ 담 당 자 : 주윤정 (  031-8067-0104 ) 공적내용 ㈜디에스시동탄은 1979년 4월 20일에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으로, 44년간 자동차 시트의 골격을 구성하는 시트프레임을 전문으로 생산하고 있는 기업인 디에스시그룹의 본사임. ㈜디에스시동탄을 본사로 둔 디에스시그룹은 경주, 광주, 아산 등에 각각 국내 법인이 소재하고 있으며, 국내외 총 25개 공장을 운영하는 글로벌 기업임. 그간 축적된 생산 기법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기술 첨단화를 실현하여 기업 경쟁력을 높여왔으며, 국내 자동차 시트프레임 업계의 70%에 해당하는 시장점유율을 확보하는 등 국가 기간산업인 자동차 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음. 해외 8개국 25개 기업을 대상으로 자동차 부품 수출에 전력을 다한 결과, 2020년도 1억 2백만 불, 2021년 1억 2천 9백만 불, 2022년 1억 8천 2백만 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하며 매년 수출실적 최고치를 경신해 오고 있음. 경영의 핵심 가치인 인재 육성과 세계 일류의 독자적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2001년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기술 및 제품 개발에 혼신의 노력을 다하고 있음. 연구 성과로는 자동차 시트 허리 지지대, 시트 회전 장치 등의 개발을 완료하여 양산 중임. 총 271건의 특허와 21건의 디자인을 포함한 연구개발 실적을 쌓아왔으며, 다수의 특허출원이 심사 중임. 또한 연비 절감 목적의 차량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과 신소재를 이용한 차량용 시트프레임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 상용화를 실현하였으며, 연구개발과 투자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음. 그뿐만 아니라 TS16949 / ISO14001 인증 획득으로 자동차 시트 분야에서 품질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왔으며, 최상의 품질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음. 이와 더불어 임직원의 즐거운 회사 생활을 위해 다양한 복지제도를 시행하고, 각종 사내 캠페인 진행을 통해 소통하는 기업문화를 정착했으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음. 50. 1억불 탑 ㈜비츠로셀 ▲ 수출품목 : 리튬 일차전지 ▲ 수출실적 : 1.1억불 ▲ 담 당 자 : 조희준 (  02-2024-3246 ) 공적내용 ㈜비츠로셀은 1987년 설립되어 35년 이상 리튬 일차전지를 연구, 개발해왔으며 세계 리튬 일차전지 시장(약 7천억 원)의 약 20%를 점유하고 있는 세계 3위, 국내 1위의 리튬 일차전지 및 이차전지 소재 전문 제조업체임. 전 세계 50여 개국 250여개의 고객사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미주, 유럽, 인도, 대한민국 등에서는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음. 2023년 6월 기준 수출 1억 1천만 불, 재무적 성과로는 매출액 1,719억 원, 영업이익 365억 원을 달성하였으며, 2022년 기준 전체매출의 약 80%가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음. 스마트 그리드 및 원격검침기 최적의 전원인 하이브리드 솔루션(리튬 일차전지 & 슈퍼캐패시터) R&D 및 양산을 내재화한 세계 유일한 기업이며, Oil&Gas 분야에 사용되는 고온전지 분야에서도 선도업체들이 사업화에 성공하지 못한 FAT-D 전지(보다 Speedy하고 정확한 Drilling을 가능케 하는 RSS(Rotary Steerable System)이 적용된 Advanced 시추장비에 최적화된 전지) 개발 및 세계 최초로 사업화에 성공함. 앰플전지, 열전지 등 군용 특수전지 시장에서의 영향력도 확대될 전망임. 2008년부터 2022년까지 매출의 성장뿐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2008년 165명의 직원은 2022년 385명으로 약 2.3배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6% 이상, 매년 약 16명의 인력 고용, 설비투자 등을 통해 경제 유발효과를 창출하고 있음. 특히 연구 인력의 경우 2007년 17명에서 2022년 53명으로 3배 이상 증가(*Kota 연구인력 등록 기준)하였음. 2018년 4월부터 당진시에 통합 신축공장(이하 스마트 캠퍼스)을 운영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이전 공장 대비 3배 규모에 생산 CAPA는 2배 이상 증가함. 전 세계 스마트 그리드 시장, 고온전지 시장, 군용 특수전지 시장 등의 성장에 적극 대응하면서, 필름형 전지, 특수목적용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소재 등 신제품에도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음. 지난 7월에는 한국거래소에서 선정하는 코스닥 ‘라이징스타’ 기업에 3년 연속 선정되어 우수한 기술력과 지속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음. 51. 1억불 탑 ㈜실리콘투 ▲ 수출품목 : 화장품, 식음료, 음반 ▲ 수출실적 : 1.3억불 ▲ 담 당 자 : 이승호 (  031-789-3850 ) 공적내용 ㈜실리콘투는 K-Beauty 브랜드 제품을 자사 플랫폼인 'Stylekorean.com'을 통하여 전 세계 150여 개의 국가에 E-Commerce 역직구(Retail) 판매 및 기업 고객에게 수출하고 있음. 해외 지사를 이용한 현지화 사업 및 국내 유통 회사 최초로 AGV(Automated Guided Vehicle) 물류 로봇 시스템을 기반으로 고도화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Retail/Wholesale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임. ㈜실리콘투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투자 지원을 진행하고 있음. 지분 투자한 브랜드의 성장을 돕고, 투자사의 성장에 따른 수혜를 당사가 공유할 수 있기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매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음. 투자 브랜드 회사들은 당사의 투자 이후 높은 매출액 성장을 기록하며, 브랜드 회사의 매출 상승은 스타일코리안 플랫폼 내에서 이루어짐. 당사의 매출 또한 증가하는 효과를 기록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투자 수익 확보도 가능하여 유용한 전략으로 판단했음. 또한 국내 뷰티 업계 최초로 AGV(Automated Guided Vehicle 물류용 자율 주행 로봇) 시스템을 도입하여 국내 브랜드 해외 수출 및 재고관리 향상에 기여함. 현재 일본의 마켓플레이스 큐텐 외 티몰, 라자다 등 다수의 K뷰티 정식 브랜드 관에서 풀필먼트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음. 풀필먼트 서비스를 통해 한 곳에서 주문부터 배송까지 ONE-STOP으로 가능해 신속하고 정확한 물류 서비스를 누릴 수 있으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브랜드사에는 최적의 물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음. 중소기업들이 실제로 가장 갖추기 어려운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했음. 뿐만 아니라 롱테일 비즈니스를 통해 중소 브랜드 사들에게 해외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가능성 있는 브랜드에 소액 지분 투자를 통해 적극적 성장을 도모함으로써 자사의 판매, 물류, 마케팅, IT 시스템을 통한 K-Beauty 브랜드의 해외 퍼블리셔로써의 역할을 수행함. 내부 인력, 물류 센터, 자본 등이 부족해 해외 진출이 어려운 K-Beauty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브랜드 육성을 지원함. 현지 국가에서 원하는 화장품 타입에 맞게 브랜드 소싱과 이에 맞는 소구포인트 분석 후, 국가별 판매 플랫폼에 맞춘 전략을 함께 수립했음. 52. 1억불 탑 ㈜알멕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1억불 ▲ 담 당 자 : 김동하 (  055-276-0408 ) 공적내용 알멕은 알루미늄 압출 전문 업체로 전기차 자체 및 플랫폼 부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현재 폭발적으로 성장 중인 해외의 전기차 시장을 대상으로 공급을 진행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알멕은 1973년 창사 이래 국내 산업 발전에 발맞춰 건축자재에서부터 자동차부품으로 사업을 발전해 왔고 GM Korea 및 쌍용자동차 1차 협력사로는 유일하게 알루미늄 주조, 압출, 가공, 조립, 표면처리 공정까지 일관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다년간의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당사는 2016년부터 전기차용 자동차 부품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였으며, 매년 꾸준한 매출신장세를 시현해 오고 있음. 알멕의 수출실적은 세계적으로 EV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당사의 압출 부문의 EV Components를 중점으로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전체 수출실적은 2021년도 대비 2022년 실적은 89% 증가하였고, 이 중 EV components 분야는 전년 대비 200% 이상 증가하였음. 국내 2차전지 제조사인 LG에너지솔루션 및 SKON에 전기차 배터리 모듈케이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납품된 제품은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인 폭스바겐(Volkswagen), 아우디(Audi), 포르쉐(Porsche), 재규어랜드로버(JLR), 포드(Ford) 등에 공급되고 있음. 2022년에는 미국 NASDAQ 상장사인 Rivian Automotive, Inc의 협력사로 선정되어 전기차 자체 및 플랫폼 관련 대규모 사업을 수주 및 공급 중이며 지속가능한 전기차 플랫폼 제조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음. 2023년 6월 알멕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발판 삼아 500억 규모의 투자 유치 및 4년간 주관한 IPO를 완료하며, 코스닥 상장에 성공했음. 53. 1억불 탑 ㈜에이치알이앤아이 ▲ 수출품목 : 특장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권동욱 (  063-540-5562 ) 공적내용 국내 최초로 사다리차를 개발한 회사로 1990년에 (주)호룡을 설립하였으며, 2022년에 (주)에이치알이앤아이로 사명을 변경하였음. 해외기업과의 기술제휴 및 연구, 개발을 통해 현재의 알루미늄 붐 형태의 고가사다리차를 상용화하였으며, 이후 2002년에는 사람이 탑승하여 고소작업을 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 2013년에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미니 크레인, 2020년에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굴착기를 출시하는 등 기업의 미래 성장동력원을 친환경제품으로 정하고 제품군을 기존 디젤엔진 제품에서 친환경제품으로까지 확대 중에 있음. 1997년에 설립된 기업부설 연구소에서는 내부적으로 수립한 개발로드맵에 따라 자체 연구과제와 정부 R&D 과제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여 현재의 기술력에 안도하거나 안주하지 않고 시대가 필요로 하는 기술을 선제적으로 발굴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등록된 특허권 52종을 보유하고 있음. 해외 현지의 사용 용도, 사용 환경, 선호도 등에 맞는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2020년 1천 4백만 불, 2021년 3천만 불, 2022년 1억만 불의 수출을 하여 연평균 169%의 수출 신장을 이룰 수 있었으며, 글로벌 친환경 지능형 플랫폼 기업으로 변모하기 위해 지속적인 기술개발하고 있는 한편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을 위해 친환경제품의 북미 및 유럽시장 개척을 하고 있음. 또한, ISO9001, ISO14001 인증을 취득하여 제품에 대한 품질뿐만 아니라 환경까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나눔을 실천하기 위해 2014년부터 임직원들과 함께 소년, 소녀 가장에게 매월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연말 불우이웃돕기 성금 기탁, 다문화가정 친정 나들이 후원, 지역축제 후원과 같이 이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고 있음. 여기에 김제 사랑장학재단과 전북대학교에 후원금 및 발전 기금을 기탁하여 지역인재양성에 기여하고 있음. 54. 1억불 탑 ㈜에이치엘클레무브 ▲ 수출품목 : 자동차용 전자부품, 자율주행 솔루션 및 센서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문형락 (  031-5179-8048 ) 공적내용 자율주행 전문기업 HL클레무브는 미래 자율주행 및 자동차 전동화 시장을 선도하고자 지난 2021년 HL만도의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사업부를 분사한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와 전장품 제조기업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의 합병을 통해 설립되었음. 자율주행 및 ADAS에 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핵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차량 전동화에 필수적인 고품질의 자동차 전자부품의 설계 및 제조를 전문으로 하고 있음. HL만도 ADAS 사업부 당시 국내 자율주행 산업의 태동기였던 2014년부터 국내 최초로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ACC, Adaptive Cruise Control)’ 기능에 필요한 장거리 레이다 센서의 국산화를 성공시킨 데 이어 2018년에는 중거리 레이다, 2022년에는 근거리 레이다 독자개발에 성공하면서 자율주행 기능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Full Line-up 레이다를 보유하게 되었음. 여기에 2021년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와의 통합 시너지 효과로 소프트웨어 설계와 제품 개발, 생산으로 이어지는 자율주행과 관련한 완전한 벨류체인을 갖춘 몇 안 되는 회사로 독보적인 경쟁력까지 보유함. 현재는 완전자율주행을 위한 제품 중 하나인 3D 안테나를 적용한 초고성능 레이다 개발에 주력하는 중에 있음. 이렇듯 10년 넘게 자율주행 솔루션 사업을 이어오면서 ‘인지, 판단, 제어’라는 자율주행 구현을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요소 기술을 모두 보유하게 되었으며 2,200건 이상의 특허와 이를 바탕으로 2,000만 개 이상의 ADAS 제품을 공급해 온 독보적인 이력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그 기술력과 경쟁력을 높게 인정받고 있음. HL클레무브는 한국 본사를 중심으로 인도, 중국, 북미 등에도 연구 및 생산 거점을 구축해 지역별 맞춤형 자율주행 기술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며 해외시장을 활발히 개척하고 있음. 특히 자율주행 신흥 시장으로 주목받는 인도를 타겟으로 현지화된 자율주행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 현재 인도 현지 자율주행 시장 1위를 선점 중임. 회사의 수출은 2023년 1억불을 달성하였으며, 최근 3개년 연평균 수출 증가율은 14%로 안정적으로 성장해 왔음. 55. 1억불 탑 ㈜엘오티베큠 ▲ 수출품목 : 반도체 진공펌프 ▲ 수출실적 : 1.8억불 ▲ 담 당 자 : 황진호 (  031-8036-5721 ) 공적내용 ㈜엘오티베큠은 2002년 창립 이래 Dray Vacuum Pump 제품의 개발,제조,판매 및 수리 등 모든 Life Cycle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진공펌프 업체로, 보다 체계적이고 일원화된 관리를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만족을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음. 고객 만족을 위하여 현재 한국 본사 외, 미국과 중국에 현지법인 설립 및 운영 중에 있으며. 당사는 반도체, Display, Solar, General Industry에 사용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DD, HD, RD, LD, GHD Series로 약 44,000대 판매하였고, 대한민국 반도체/디스플레이/태양광 장비 산업의 기반 기술 확보를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건식 진공펌프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국내ㆍ외 총 30여 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2003년 11월 미국으로의 첫 수출을 시작으로 20년간 꾸준히 해외시장 확장을 위하여 노력을 지속한 결과, 현재 해외 반도체, 태양전지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 고객에게 수출을 진행하고 있음. 자사에서 자체 개발한 HD 시리즈의 신규 모델이 해외시장에서 크게 각광을 받으며, 최근 몇 년간 수출실적 증대에 지대한 기여를 하였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수출액 증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해외시장을 꾸준히 개척한 결과, 최근 3개년의 수출실적은 2020년 7천 5백만 불, 2021년 6천 2백만 불, 2022년에는 1억 7천 9백만 불이라는 수출실적을 기록하였음. 사회공헌은 엘오티베큠 자체 사회공헌 단체인 '디딤돌 사회봉사단'을 발족하여 운영 중임. 2021년에는 약 6,000만원을 기부하고, 3월에는 엘오티베큠 자원봉사 단체 '디딤돌 사회봉사단' 발족을 하였고, 지역사회공헌 활동 '일산일천' 독산성 문화재 보호활동을 진행하였음. 2022년에는 연간 1억 2,430만원을 기부하였으며, 2023년 3월에는 지역사회공헌 활동 '일산일천' 독산성 문화재 보호활동을 진행하였고, 5월에는 지역사회공헌 활동 '일산일천' 오산천 환경정화 활동을 진행하였음. 56. 1억불 탑 ㈜우원기술 ▲ 수출품목 : 2차전지 제조장비(Z-Stacking 장비) ▲ 수출실적 : 1.9억불 ▲ 담 당 자 : 정준영 (  010-6373-4575 ) 공적내용 ㈜우원기술은 2015년 창립 이래 2차전지/자동화 장비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이 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였음. 2016년 당사의 주력 제품인 Z-Stacking 장비의 개발을 시작으로 고속 성장을 이루었으며, 2022년에는 최대 수주실적 2,350억 원, 최대 매출실적 1,671억 원, 최대 영업이익 307억 원을 달성함.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매출액 성장률은 104.8%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2022년에는 Notching 장비의 개발을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였음. 또한, 2차전지 정밀부품/금형 사업 수직 계열화를 통해 핵심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2차전지 배터리 팩 사업과 반도체 장비 사업에 진출하여 사업 다각화를 통해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였음. 주력 제품인 Z-Stacking 장비는 2차전지 제조공정 중 스태킹 공정을 수행하는 장비임. 스태킹 공정은 배터리 분리막 양면에 양극재, 음극재를 부착해 층층이 쌓는 공정임. 당사의 Z-Stacking 장비는 분리막을 알파벳 ‘Z’형태로 접어 화재 위험을 줄이고, 독자적인 틸팅 기술로 고속화를 구현하여 분리막 1장에 양극재, 음극재를 붙이는 시간을 장당 1.2초에서 0.35초까지 단축함으로써 생산성을 3배 이상 향상시켰음.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Z-Stacking 장비의 경쟁력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2021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되었으며, 40여 개의 특허를 등록/출원 중임. 외형적인 성장과 함께 기업의 내실을 다지기 위해 품질경영시스템(ISO9001), 메인비즈, 이노비즈, 경기도 일자리 우수기업 인증 등으로 고객사로부터 신뢰받는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른 2차전지 수요 증가로 전방 산업의 공격적인 CAPEX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대규모 수주에 대응하기 위해 본사 포함 3개의 공장과 1개의 R&D CENTER를 보유하고 있음. 추가로 1개의 공장을 신축 중이며 미국, 중국, 헝가리에 해외 법인을 운영 중임. 세계 최고 수준의 Z-Stacking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확보함으로써 모든 경쟁 사업에서 업계 1위 실현을 통해 글로벌 리딩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함. 57. 1억불 탑 ㈜윤성에프앤씨 ▲ 수출품목 : 2차전지 믹싱시스템 ▲ 수출실적 : 1.5억불 ▲ 담 당 자 : 차형진 (  031-350-4513 ) 공적내용 ㈜윤성에프앤씨는 1999년 12월 13일에 설립된 회사로 2차 전지 제조장비의 제작 및 수출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당사의 2022년 매출액은 2,103억원이며 2016년에 5백만불 수출탑과 대통령 표창, 2019년에 3천만불 수출탑, 2020년에 7천만불 수출탑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각각 수상한 경력이 있음. 2022년 외화가득률 99%로 1억 5천만 불 수출을 달성했음.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2차전지 제조설비의 핵심 장비인 PD 믹서를 10여 년 전부터 순수 자체 개발 및 공급해 온 점은 믹싱 시스템 최대 시장점유율 확보를 넘어 수입품의 국산품 대체에도 상당 부분 기여함. 그리고 당사는 2차 전지 교반 장비 시장에서 리더가 되기 위해 연속식 믹싱 시스템, 건식 믹싱 시스템, 전 고체 전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당사가 개발 중인 신개념 전극 물질 혼합 믹싱시스템 CSM(Continus Slurry Mixing, 연속 생산식 슬러리 제조 장치)은 기존 장비 대비 200% 향상된 생산능력, 균등 품질의 슬러리 생산, 구축 비용 절감 및 설비투자 필요 면적 축소 등의 특장점이 있어 전기자동차 보급 속도에 맞춰 대폭 활용될 전망임. 이미 당사는 기존 개발 제품인 이노 믹서를 통해 최근 3년 동안 10배 이상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으며 설계, 장비 제작, 배관공사, 전기공사, 자동제어 및 시운전까지 가능한 EPC 수행 능력과 관리체제를 보유하고 있어 CSM 개발에 따른 추가 수주에 매우 유리한 상황임. 따라서 본 장비가 개발 완료되면 국내 2차전지 대표 제조사의 해외공장 건설 프로젝트는 물론 유럽, 중국 등 해외업체의 발주 물량도 급증할 것이라 예상됨. 최근 2년 동안에는 약 150명 이상의 정규직을 신규 채용하여 경기도 일자리 우수기업에 선정된 바 있으며 정년 초과자(만 60세 이상) 7명을 촉탁직 등으로 지속 근무하게 함으로써 고숙련 노동자의 고용 안정을 도모하고 있음. 또한, 임직원 복지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제도 개선 및 도입을 추진 중에 있음. 58. 1억불 탑 ㈜일지테크 ▲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금형 ▲ 수출실적 : 1.4억불 ▲ 담 당 자 : 한지선 (  053-859-1056 ) 공적내용 ㈜일지테크는 자동차 차체 산업의 미래 성장에 대한 설립자의 확신으로 1986년 11월 ㈜신아기공으로 설립된 자동차 차체용 부품 제조업체임. 이후 1997년에 지금의 ㈜일지테크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1992년 10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대구경북 지역 경제에 대표적인 지역 자동차 부품업체로 자리매김함. ㈜일지테크는 2012년부터 R&D 투자를 지속 확대 및 강화하여 자동차 부품 생산기술의 우수한 개발력을 확보하였음. 대표적인 예로 차체 경량화로 인한 연비 향상, 배기가스 절감, 차체 강도 증가 실현, 금형 기술의 우위를 선점하여 완성차 경량화에 기여하였으며 2014년 고강도 강재 용접재료, 시스템 기술(GPa 급)로 뿌리 기술 전문기업, 2015년 중소기업 육성 발굴 사업으로 기술 혁신형 중소기업(INNO-BIZ)에 선정되었음. 또한 고객이 요구하는 품질(무결점)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정 개선을 통한 생산혁신을 기반으로 한 품질향상 및 생산성 향상에 힘쓴 결과 ISO/TS 16949:2002(15~18sus) 품질시스템 인증 및 2018년 IATF 16949(자동차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음.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 노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수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 2011년 1월 중국 현지법인 북경일지차과기유한공사를 설립한 뒤 2014년 AEO 인증 획득 후 지속 갱신 중이며 업체별 인증수출자 획득과 월드클래스 300 기업에 선정되는 등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로 도약하게 됨. 이 외에도 국내 제2공장과 경주공장 준공으로 매출이 고속 성장하였으며, 중국의 사드 보복 사태와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불안정한 해외시장 위기 속에서 해외영업 다각화 및 FT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출 위기에 대처해 나감. 현대자동차 러시아법인과 550억 원 규모의 기계설비 판매계약(지그, 금형, 로봇)을 체결하였으며 PETERFORM으로부터 약 910억 원 자동화 설비계약을 수주하였음. 특히 2023년 6월부터 미국 앨러바마주의 자동차 차체부품 공장을 인수하여 미국 진출을 시작한 결과 수출량이 크게 증가하여 전년도 수출실적 대비 올해 수출실적을 2배 이상 증가시킴. 59. 1억불 탑 (주)텔레칩스 ▲ 수출품목 : 차량용 시스템 반도체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박찬정 (  02-3017-5720 ) 공적내용 (주)텔레칩스는 1999년 10월에 설립된 반도체 설계 및 제조 전문기업임. Caller ID 칩· MP3 칩에 머무르지 않고 차량용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 진출 후 미국·중국·일본·독일 등 해외시장을 적극 개척하고 있으며 특히 전량 수입하던 차량용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는 정확한 시장 분석 및 기술개발을 통해 국산화에 성공, 공급망 안정화 및 수출 증대로 국가산업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있고 이 덕분에 수출은 2020년 3,600만 달러, 2021년 7,800만 불, 2022년 8,400만 불 그리고 올해는 1억불 수출탑의 성과를 이루고 있음. 2000년대 중반만 해도 자동차 오디오에는 프리스케일(Freescale)·르네사스(Renesas)· NEC·NXP 등 외국산 칩이 주종이었으나 당사는 고객 맞춤형 칩 개발 및 원가절감 노력으로 2007년 4월 현대차에서 양산하는 ‘i30 모델’을 시작으로 현대차그룹에 자동차용 오디오 프로세스 및 모바일 방송 수신칩을 공급해 국산화의 기초를 닦는 성과를 이루었고 또한 JVC, 파이오니아(Pioneer) 등 외국 카오디오업체의 외산 칩 브랜드와의 경쟁에서도 당당히 실력을 인정받아 기존 제품을 대체하는 성과를 거뒀음. 이렇게 차량용 반도체 분야에 진출한 후 현대/기아차 카인포테인먼트의 80% 이상 점유로 수입대체효과를 내고 있으며 해외에 대한 지속적인 마케팅 영업으로 GM, 폭스바겐, 르노, 닛산, 혼다 등의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에 제품공급으로 중국과 일본 중심에서 유럽과 북미로 해외시장 다변화 중임. 주요 제품인 디지털 미디어 프로세서 수출을 통하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반도체,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지털 클러스터, 차량용 MCU까지 진출하고 있고 전 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의 흐름과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자 미국 2023 CES 전시회, 2023 독일 IAA 모빌리티 전시회 등에 참가하여 시장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피드백을 반영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노력 및 바이어와의 활발한 소통을 하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차량용 반도체 기업을 넘어 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주도하는 글로벌 수준의 종합 차량용 반도체 회사로 발돋움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60. 1억불 탑 ㈜현대엘앤씨 ▲ 수출품목 : 필름, 인테리어 스톤, 바닥재 ▲ 수출실적 : 1.5억불 ▲ 담 당 자 : 박상건 (  02-6364-7434 ) 공적내용 ㈜현대L&C는 2014년 7월 설립된 창호, 바닥재, 인테리어스톤 등 종합 건축자재 제조회사로 국내 세종 제조 사업장 및 해외법인(북미, 중국, 유럽, 인도)을 두고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현대백화점 그룹으로 편입된 이후 ‘고객에게 가장 신뢰받는 친환경 토탈 인테리어 기업’ 이라는 비전을 목표로 고객을 위한 C/S 관리 확대 및 품질 전시회 개최, 친환경 페트 필름 제품 개발을 통해 ESG 활동을 추진하고 있음. ㈜현대L&C는 수출 주력 제품 중 가구용 표면 마감 필름을 국내 업계 최초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폐페트병을 수거하여 분쇄 후 재활용한 리사이클 페트를 원료로 제조한 친환경 데코필름을 출시하였음. 해당 기술력과 제품으로 2019년 글로벌 친환경 인증인 GRS 인증을 취득하여, 일본 업체가 점유하고 있는 유럽 시장에 2021년 101억 원, 2022년 106억 원의 재활용 데코필름 판매를 실현했음 (IKEA 등 가구 社). 또한, 건축외장재용 필름 부문에서 기존 일본산 부자재를 국내 가공 기술로 대체하는 데 성공하여, 2022년 약 60억 원의 수입대체효과를 달성함. 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건축외장재용 데코필름은 외국산 대비 우수한 가격 경쟁력으로 2022년 189억 원의 수출을 달성함. 당사는 단순한 매출 촉진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의 트렌드 및 선진 디자인을 파악하여 장래의 수출 확대를 촉진하기 위해서 각종 해외 전시회 참가를 독려하여 글로벌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특히 ‘22년 독일창호전시회, ’23년 독일가구전시회, ‘23년 북미 최대 규모 주방 및 욕실 전시회 (KBIS) 등에 참가하여 당사의 우수한 제품을 해외 고객에게 홍보했으며, 신규 수출 매출 창출에 기여하고 있음. 61. 1억불 탑 롯데웰푸드㈜ ▲ 수출품목: 초콜릿과 초콜릿 과자, 아이스크림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이수호 (  02-3469-3320 ) 공적내용 롯데 그룹의 모기업 롯데웰푸드는 1967년 설립 이래 고객들의 사랑과 신뢰 속에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해 왔음. 롯데웰푸드는 그동안 끊임없는 신제품 개발, 다양한 마케팅 전략과 앞선 유통 방식으로 제과 업계의 정상을 지키며, 미래 식품 기술개발로 국내 식품산업의 선진화, 국제화에 기여하고 있음. 나아가 2022년 롯데푸드와의 합병을 통해 기존의 제과 사업에 HMR, 유지, 육가공 사업이 추가되어 고객 제공 가치를 향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유아층부터 중장년층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대의 고객군을 형성하여 생애주기형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음. 롯데웰푸드는 현재 서울, 양산, 평택, 대전, 등에 17개 대단위 첨단 공장을 갖추고 제과, 제빵, 육가공, 유가공, HMR 등의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음. 또, 중국, 파키스탄, 미얀마, 인도, 싱가폴,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기에 8개국의 글로벌 현지법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현지법인 영업망을 활용한 수출 확대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것임. 2022년 기준 전체 매출액 중 해외 매출은 7,594억 원으로 전체매출의 약 20%의 비중을 차지함. 특히, 해외 수출액은 ‘20년 960억,‘ 21년 1,050억, ‘22년 1,330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임. 그중 주요 수출품목인 빼빼로는 ‘20년 290억, ‘21년 350억, ‘22년 480억 원으로 해외 매출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중. 빼빼로의 주요 수출국은 필리핀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 국가이고 미국, 중동 등 50여 개국에 판매되고 있음. 2023년에는 필리핀 최대 유통채널인 S&R과 MOU를 체결하며 빼빼로를 비롯 캔햄과 분유 및 다양한 K-Food 제품을 지속적으로 수출할 계획임. 롯데웰푸드는 국민들의 건강을 위한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음. 또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경영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검증받을 수 있는 각종 인증을 획득하고 있음. 이와 함께 롯데웰푸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사회공헌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고 국민의 건강과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62. 1억불 탑 ㈜부산케이블앤엔지니어링 ▲ 수출품목 : 알루미늄 전력케이블 ▲ 수출실적 : 1.2억불 ▲ 담 당 자 : 박지은 (  051-717-3908 ) 공적내용 (주)부산케이블앤엔지니어링은 2019년 1월 중국 하북성 당산시 소재한 화통그룹이 100% 출자하여 설립된 알루미늄 및 동 소재의 전력케이블 제조업체임. 부산 강서구 지사과학단지 외국인 투자 지역에 설립되었으며 2023년까지 약 2,200만 불 투자를 이룩하였음. 2024년 추가 생산시설을 구축하여 약 150여 명의 지역 인재 고용은 물론 추가 2,300만 불을 투자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를 꾀하고 있음. 국내에서는 소수의 공급업체에 한하여 공급되고 있는 알루미늄 전력케이블을 생산하는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생산량 대부분을 미국 등 북미 지역으로 수출하고 있음. 2022년에는 자체적으로 알루미늄 로드를 제작하여 아프리카 전역으로 공급 시작하였음. 이와 같은 전폭적인 투자와 성장을 바탕으로 2020년 3천만 불, 2022년 7천만 불 이상의 수출을 달성하였으며 금년 2023년에는 1억만불 수출탑 수상의 쾌거를 달성하였음. 2024년에는 설비 증설을 바탕으로 1,500만 불/월 생산 CAPA를 구축하여 2억만 불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음. 당사의 지속적인 투자, 영업 노하우, 기술개발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미국 발주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내 고객 개발에 끊임없이 투자하고 있음은 물론 EV cable, Wiring Harness, 해저케이블, 광통신 케이블 등 미래 지향형 고부가가치 제품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여 미주, 유럽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음. 미국 內 당사 주력 생산 제품인 알루미늄 전력케이블에 대한 수요가 미국의 노후 전력선 교체 계획에 따라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또한 태양력∙태양열∙풍력∙수력∙지열∙바이오 등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발전소 건립에 따른 신규 수요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넷제로(net-zero) 선언이 확산되며 탄소배출 관련 규제와 정책이 강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국 바이든 정부의「인플레이션 감축법 (Inflation Reduction Act, IRA)」시행으로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이에 따른 고객사의 신재생 에너지 생산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 중임. 또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과 튀르키예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전 세계 원소재 수급에 불균형이 대두되고 있는데 이는 한국산 양질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63. 1억불 탑 산일전기㈜ ▲ 수출품목 : 변압기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이종혁 (  031-319-3043 ) 공적내용 산일전기(주)는 1987년 8월 설립하여 1994년 3월 법인전환 후 변압기 및 리액터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1990년대 후반부터 일본과 중동, 유럽 등지로 거래처를 다변화하여 2009년에는 “1,000만불 수출탑”을 수상하였으며, 그 이후로도 2,000만불 (2013년), 3,000만불(2014년)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음. “세계 1등 품목을 보유한 기업”을 목표로 지난 36년간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는 변압기 제조회사로 성장함. “세계 1등 품목을 보유한 기업”을 목표로 특수용도(조선해양, 신재생 등)의 변압기 기술개발을 위하여 2000년 8월 기업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여 기술개발에 힘쓰고 있음. 수출액은 2020년 2천 6백만 불, 2021년 3천 7백만 불, 2022년 1억 불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174%의 큰 폭의 성장을 이루었음. 2022년 주요 수출국 비중은 미주 51%, 유럽 14%, 아시아 35%이며, 22년 매출액 대비 수출액은 70% 이상임. 전기차 보급이 늘고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가 확대되면서 새로운 전력망 건설 필요성이 커져 변압기 수요 증가로 당사의 미주 수출량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미국의 경우 기존에 설치된 변압기의 70%가 평균 설치 수명인 25년을 초과하면서 교체 수요도 증가하고 있음. 산일전기는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 일본 TMEIC(도시바-미쓰비시 합작법인) 등 글로벌 인버터(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장치) 제조기업을 핵심 고객사로 두고 있음. 최근에는 풍력 발전 회사인 지멘스 에너지, 미국 천연가스 전기 공급회사인 PG&E 등으로 거래처를 확대하여 향우 수출량은 더욱 확대될 전망임. 64. 1억불 탑 성일하이메탈㈜ ▲ 수출품목 : 금, 은, 백금, 팔라듐 등(귀금속) ▲ 수출실적 : 1.5억불 ▲ 담 당 자 : 마대성 (  063-440-7518 ) 공적내용 성일하이메탈(주)는 2000년 2월 21일에 설립되어 1차 비철금속제련 및 금속재생재료를 처리하여 1차 금속(금, 은, 팔라듐, 백금 등)의 제조 및 생산 판매를 주요 영업으로 하고 있음. 오랜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류 기업인 삼성전자와 Recycling Resource Partner Certificate에 선정됨.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 성일하이메탈(주)는 세계 시장에서 2022년 약 1억 4천 9백만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고 이 중 직수출 실적은 1억 4천 7백만 불임. 이는 2021년 대비 총 수출실적 69%의 성장을 이루어 낸 것이며, 5대 시장에 334만 불 기타 시장(태국 등) 1억 4천 4백만 불의 실적을 달성하였음. 화석연료 고갈 및 환경오염과 고유가로 인하여 자원의 무기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세계 각국은 주요 자원 확보에 전력을 쏟고 있는 실정으로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그간 선형경제에서 순환 경제로 전환하는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있음. 기술개발을 위하여 연구 전담 조직을 운영 중이며, 부설 연구소로 인가를 획득해 회수 기술과 관련한 제조 방법 등의 국내 특허 35건과 국외특허 총 4건을 출원 등록하였고, 신규 화합물 제조 사업 부문 신규 화합물인(초산팔라듐)을 23년 양산 진행하여, 9월 신규 매출 실현되었고, 매출 증대에 기대감을 갖고 있음. 고순도의 귀금속 제품 제공을 위하여 품질관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비철금속 제련 및 금속원료 부문 ISO9001/ISO14001을 2017년 최초 취득하여 품질 및 환경 인증 유지 하고 있음. 아울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하기 위하여 삼성전자 베트남사업장에 회수기 설치 및 투자 진행하였으며, 향후 기술개발 및 해외아웃소싱을 통하여 매출수익 증대에 기대감을 가지고 있음. 65. 1억불 탑 ㈜에이치피에스피 ▲ 수출품목 : 반도체 장비 ▲ 수출실적 : 1.2억불 ▲ 담 당 자 : 윤석현 (  070-7706-6070 ) 공적내용 ㈜에이치피에스피는 고압어닐링 반도체 장비 제조를 목적으로 2017년 3월에 설립되었으며, 동년 4월 ㈜풍산으로부터 장비 사업부문을 양수하여 반도체 장비 제조를 시작하였음.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을 선도하며 고객사의 요구에 대응하고 연구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에 지사를 설치하여 운영 중임. ㈜에이치피에스피는 지속적인 연구 활동과 해외시장 판로 확장에 매진하여 아시아, 북미, 유럽의 주요 반도체 제조사에 고압 수소 어닐링장비를 납품하고 있으며, 설립 첫해 수출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수출액 증가를 달성하여 2022년에는 7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으며, 2023년에는 1억불 수출의 탑을 신청하게 되었음. 당사의 핵심 제품인 고압 수소 어닐링 제품은 반도체 트랜지스터 소자 계면 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표로 연구개발하여 제품화되었으며, 최초로 고압 수소 어닐링 효과가 검증된 전 공정 장비로서 글로벌 독점적 기술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최근 반도체 회로 패턴 미세화로 인해 반도체 소자 계면 결함(Interface Defect)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트랜지스터의 성능 개선은 더욱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고압 수소 어닐링 기술은 미세화에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인 고온 공정을 회피하면서, 기존 공정 설계(process architecture)를 변형시키지 않고 트랜지스터 특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제공하고 있으며, 메모리 소자에서도 고유전막을 이용한 트랜지스터나 캐퍼시터의 공정에서도 표면 결함을 치유하여 소자 특성 개선의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음. ㈜에이치피에스피는 향후에도 기술격차를 확대하기 위해 기존 고압 어닐링 기술의 개선뿐만 아니라 고유전막이 사용되는 메모리 소자와 다른 소자의 Application에 적용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술을 추가하고 있으며, 또한 안전을 강화시키는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신기능을 구현한 장비를 출시하여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임. 66. 1억불 탑 엑셀리스코리아㈜ ▲ 수출품목 : 반도체 ▲ 수출실적 : 1.7억불 ▲ 담 당 자 : 이지윤 (  031-695-8700 ) 공적내용 엑셀리스코리아는 1996년 7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 1978년 미국 보스턴에 설립된 나스닥 상장사 Axcelis Technologies의 100% 외국계 투자 법인임. 현재 미국, 한국, 중국을 비롯한 39여 개의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2021년 대비 224,7%의 매출 증가율, 2,196억 4,300만 원의 매출액을 기록한 글로벌 반도체 장비사임. 당사는 2021년 중장기적인 국산화를 통한 경쟁력과 수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 평택에 AAOC(아시아 오퍼레이션 센터)을 설립하였고 이를 통해 고객 서비스와 생산능력을 강화시키고 있음. AAOC는 국내에서 고품질의 안정적인 설비를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보스턴 본사의 다년간 축적된 이온주입기 제조 기술을 국내 생산 기반에 도입하였음. 현재 국내의 소재·부품·장비 업체를 발굴하여 보다 나은 품질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주요 모듈을 보스턴 본사로 역공급하는 판로를 확보하여 경제적인 상생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 또한, 국내의 물류 및 포장 업체 등이 글로벌 공급망에 안정적인 자리매김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국내 업체를 통해 구매된 금액은 2021년 약 20억 원에서 2023년 상반기 약 190억 원 달성, 2023년 총 370억원을 예상하고 있으며, 현재 주요 23개의 국내 업체가 글로벌 공급망에 편입되면서 한국 및 미국에서 제조되는 장비에 국내 부품들이 적용되는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 당해년도 수출실적은 약 1억 6,000만 불로 전년도 대비 약 240%의 증가율을 기록함. 엑셀리스코리아는 지속적인 기술혁신과 고객 중심의 접근으로 무역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향후에는 국내에 R&D 센터와 트레이닝 센터를 설립하여 자부심을 높이고자 하며 이에 대한 추가 투자를 논의할 계획임. 2023년 6월 기준 종업원 수 또한 39.4% 증가하며 국가 경제 발전 및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해피프라이데이 프로그램 운영, 육아휴직 장려, Good Work Place 프로그램 등을 통해 효율적이고 수평적인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며 노사 간 협의를 강화하는 등 직원의 복지를 증진하고 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67. 1억불 탑 인팩이피엠(주) ▲ 수출품목 : 전기차용 배터리 부품 ▲ 수출실적 : 1.5억불 ▲ 담 당 자 : 굴주령 (  070-7776-0571 ) 공적내용 인팩이피엠(주)는 1996년에 설립하여 자동차 산업 변화 트렌드에 따라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부품 등 고부가가치 아이템을 생산하는 자동차 부품업체임. 과거 자동차 부품 케이블부터 BMA(Battery Module ASSY) 및 BSA(Battery System ASSY) 등 친환경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고 있는 기업임. BMA를 전략 품목으로 선정하고 영업 다각화를 이뤄 매출액 2020년 815억, 2021년 1,829억, 2022년 2,547억 원으로 124%, 39% 증가함으로써 경제발전에 기여함. 고전압 전기 공급과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부품 케이스인 BMA는 아이오닉5, 코나 등 전기차에 장착되는 핵심부품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구동 모터인 BSA는 쏘렌토, 투싼 등 전기차에 장착되는 핵심부품임.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코나(SX2e) 수출 사양 등이 있음. 최근 SK ON BEV-Q 및 LG ES TOYOTA 플랫폼 아이템 수주에 성공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글로벌 전기차 BMA 아이템 수주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양 프로젝트 모두 2025년 상반기 양산 예정으로, 지속적인 수출액 증가를 예상하고 있음. 2020년 5월, 인팩이피엠 연구소를 설립하여, 높은 기술력을 확보한 고객사와 기술 협업을 통한 친환경 자동차 부품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미래형 자동차 부품을 개발하고, 무한 정밀의 기술을 통한 품질 경쟁력 확보하여 21세기 종합자동차 부품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음. 또한, 인팩이피엠은 내부적 경영 및 외부적 지역 발전에 대해서도 매해 인팩人 급여 1% 나눔운동 및 지역 내 MOU 체결하여 장학금을 지급하고 수해 입은 지역주민에게 기부하는 등, 바른 경영으로 모범이 되고 있음. 뿐만 아니라 제천에 신규공장 설립을 통해 제천 산업경제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여 제천시장 감사패 및 제천시 공로상을 수상하였음. 점차적으로 성장하며, 경영진의 철학 중 ‘사람이 미래다’ 라는 이념으로 서로를 아끼며, 더 나아가 지역 발전에도 기여하는 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음. 68. 1억불 탑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 수출품목 : 폴리우레탄 ▲ 수출실적 : 1.3억불 ▲ 담 당 자 : 김효진 (  02-6190-8715 ) 공적내용 1959년 신발용 도료, 접착제 제조기업으로 출발한 동성케미컬은 국내에 폴리우레탄 기술이 전무하던 1970년대 폴리우레탄 수지 자체 개발에 성공하며 관련 분야를 선도해 옴. 폴리우레탄 수지를 신발 솔에 적용해 신발 산업의 고급화를 일으켰고, 국내 최초 멜라민 레진폼 상용화, 국내 유일 무황변 TPU 제조란 성과를 이뤄냄. 탄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제는 화학, 신발, 자동차, 포장재, 빌딩∙건축 분야에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며 동성화인텍의 에너지, 동성티씨에스의 중장비 부품, 제네웰의 의료기기∙코스메틱 사업을 아우르는 중견기업으로 성장함. 매출액은 2020년 2,127억 원, 2021년 3,757억 원, 2022년 5,300억 원으로 최근 3년 동안 매출이 지속적으로 늘면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음. 폴리우레탄 기술을 신발, 자동차, 포장재, 빌딩∙건축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며 사업을 다각화하고 수익성이 낮은 기존 석유정밀화학 사업을 친환경 기능성 정밀화학 소재 사업으로 전환함. 수출액은 2022년 기준 2,941억 원으로 매출액의 56%를 구성하고 있음. 특히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제품에 적용되고 있는 신발용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수출액은 전년대비 20% 증가. 친환경 고기능 소재에 대한 고객의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결과임. 건자재에 적용해 온 열경화성복합소재(SMC, Sheet Mold Compound)는 선박, 자동차 등으로 적용 분야를 확대해 전년대비 68%, 신발, 접착제, 스포츠용품, 자동차에 적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은 중국, 동남아에서 유럽, 북미 시장으로 수출을 확대해 전년대비 33%의 수출실적이 증가함. 동성케미컬은 향후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ESG 경영을 고도화해 나가고 있음. 바이오 플라스틱을 신사업으로 낙점하고 바이오 베이스 원료 사업과 생분해 포장재 사업을 적극 추진 중임. 또한 전 계열사의 소재 기술과 연구개발 역량을 결합해 이차전지 양극용 바인더, 항노화 기능성 소재 등 차세대 소재 기술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음. 이 밖에도 사회적 책임 경영을 강화하고 투명한 지배구조를 확립해 나가고 있음. 69. 1억불 탑 주식회사 스맥 ▲ 수출품목 : 공작기계, IT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장동진 (  055-340-4838 ) 공적내용 주식회사 스맥은 1989년 삼성중공업 공작기계사업부를 모태로 시작되었으며, 현재 경상남도 김해에서 생산라인을 가동하고 있음. 고품질 Machining center와 CNC 선반, 융복합 장비, 산업용 로봇 등을 개발, 제조하여 국내 영업소와 대리점, 해외 딜러를 통해 국내외로 판매하고 있음. 주식회사 스맥은 국내는 물론 세계 60여 개국을 대상으로 소형 공작기계부터, 중대형 공작기계까지 다양한 라인업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앞으로 기존 사업을 고부가가치화하고 융복합 장비 및 로봇 산업 등을 미래 승부 사업으로 집중육성하는 한편 반도체, 2차전지 등 신규사업 진출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해나갈 것임. 전기차 폐배터리 해체 시 미 방전등의 이유로 인한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폐배터리 재활용 전처리 공정인 방전 해체 로봇 자동화 공정 기술개발을 완료하였으며, 폐배터리 산업에서 확대 적용을 기대하고 있음. 자동화 기술뿐만 아니라 시스템과 모듈의 방전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발생 시 대처하는 공정도 확립할 예정임. 주식회사 스맥은 코로나19에 의한 힘든 환경 속에서도 ‘21년 매출 약 1,300억 원, ’22년 매출 1,600억 원, ‘23년 매출 약 2,000억 원(예상) 수준으로 50% 이상의 매출액 성장률을 달성하였으며, 이는 지속적인 R&D 투자와 인재 양성을 통해서 가능했음. 해외법인(미국, 독일, 베트남)의 설립이 완료되고 안정화됨에 따라, 해외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현지 서비스 대응을 위한 부품 창고 설립 등을 해나가고 있음. 특히, 국내외 전시회(미국-IMTS, 유럽-EMO, 한국-SIMTOS)를 통해 브랜드 홍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꾸준한 해외 딜러 확보를 진행하고 있음. 70. 1억불 탑 주식회사 코넥 ▲ 수출품목 :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 부품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황태진 (  041-689-0820 ) 공적내용 ㈜코넥은 2003년에 설립되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분야 최고의 전문기업으로서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 부품(전동화, 전장, 샤시 및 차체부품) 등을 생산, 납품하고 있는 중견 제조업체로, 2020년 5월 독일 한독기술협력센터 입주(NRW주), 2020년 6월 신산업 사업재편기업 선정, 2020년 9월 혁신기업 국가대표1000 선정, 2021년 4월에는 월드클래스 플러스 기업에 선정되는 등 R&D 분야에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성장하고 있는 중견업체임.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해외 영업활동 전개로 2019년부터 미국 TESLA 社와 거래를 시작, 모델 3/Y 및 모델X의 부품, 사이버트럭용 제품 등 사업을 지속 확대, 납품하고 있으며 고객사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 사업 확대를 위해 2023년 하반기부터 미국 텍사스지역에 공장을 설립 중임. 현대차기아 그룹에도 역시 전기차 플랫폼(E-GMP)에 신기술 및 신공법을 적용,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에 핵심부품을 생산 납품하고 있음. 2022년에는 7천만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수출 주도형 중견 제조업체임. 국책 연구개발 과제인 프리미엄 전기차용 고성능 구동 모터용 고방열 경량소재 및 적용,검증 기술개발(2020.04∼2023.12), 글로벌 전기차 시장 확보를 위한 지능형 금형기술 기반 고냉각성능 (180W/mK)의 파워트레인 일체형 하우징 개발(2021.04∼ 2023.12), 머신 러닝 기반 이종 소재 마찰교반용접 공정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3Bar 수밀성능의 전기차용 인버터 하우징 사업화 개발(2020.04∼2022.04)을 성공적으로 개발 완료하여 사업화 중에 있으며, 고진공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적용 경량화율 30% 이상 랙하우징 일체 I-형 프런트 서브프레임 부품화 기술개발(2022.04∼2026.12) 등에 참여하고 있는 등,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부품에서 선도적인 연구개발 투자로 신소재, 신기술 개발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 71. 1억불 탑 주식회사 코스알엑스 ▲ 수출품목 : 화장품 코스메틱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윤훈상 (  010-9550-5977 ) 공적내용 코스알엑스는 글로벌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로 ‘미국, 동남아시아, 유럽, 중동’ 등 전 세계 146여 개 국가에 진출하여 글로벌 뷰티 시장을 공략하고 있음, 2023년 기준 전체매출의 약 80%가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글로벌 종합 쇼핑몰 ‘아마존’의 북미 뷰티 카테고리 베스트 셀러 제품 1위에 오르는 등 글로벌 밀리언셀러 제품을 5품목 이상 보유하며 1억불 탑 수출이라는 성과를 이루어냈음. 특히, 코스알엑스는 MZ세대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을 중심으로 글로벌 마케팅에 집중 공략한 결과, 브랜드 해시태그 조회수를 기하급수적으로 성장시키며 누적 조회수 28억 뷰라는 놀라는 성과를 기록, 글로벌 팬덤을 공고히 유지하며 해외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구축했음. ‘민감 피부를 위한 저자극 스킨케어’라는 슬로건 아래 피부에 유해하지 않은 성분을 함유하면서 합리적인 가격대의 고효능 제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더 나은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R&D에 지속 투자하고 있음. 최근 ‘고효능 더마 라인 The RX’를 출시하여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전 세계 소비자들의 피부 고민에 우수한 품질과 제품력, 합리적인 가격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음. 코스알엑스는 글로벌 유통사 확장에도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냈음. 전 세계 소비자들은 어디서든 만나볼 수 있도록 고객 접점 확대에 노력을 기울이며 현재 미국의 대표 뷰티 유통업체 ‘얼타(ULTA)’의 전 매장을 비롯해 왓슨(Watson), 소시올라, 아마존 스타일 등 오프라인 시장에서 코스알엑스의 제품을 찾아볼 수 있도록 꾸준히 글로벌 시장의 점포 수를 확대하는 방침을 시행하고 있음. 2023년 상반기 매출액은 1,930억 원으로 2022년 상반기 대비 138% 성장한 수치로 사상 최고 실적을 기록함. 올해 두 배의 실적으로 마감할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마켓에서 안정적인 수출증진을 중임. 72. 1억불 탑 코오롱플라스틱㈜ ▲ 수출품목 : 엔지니어링플라스틱 ▲ 수출실적 : 1.3억불 ▲ 담 당 자 : 허덕호 (  02-3677-3472 ) 공적내용 코오롱플라스틱은 1996년에 설립되어 5대 엔지니어링플라스틱(EP) 중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아미드(PA6, 66)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를 비롯, TPEE, LFT, 복합소재 Composit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국내 유일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전문기업”임. 코오롱플라스틱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자적인 POM 중합 생산공정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며, 2018년 글로벌 화학기업인 바스프와 합작해 단일 부지 기준 세계 최대(연산 15만 톤)의 생산공장을 설립, 글로벌 경쟁력을 갖춤. 중합에서 컴파운드까지 세계 최고 품질의 제품을 기반으로 유럽, 미국, 중국, 인도의 판매법인을 비롯, 전 세계 90여 개국에 판매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매년 수출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며 글로벌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코오롱플라스틱은 글로벌 고객의 지속가능경영 니즈에 맞춘 친환경 원료와 공법이 적용된 소재, 의료용 전용 소재, 탄소섬유 복합소재 등 지속가능한 친환경 소재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글로벌 산업 트렌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고 있음. 또한 2020년 말 국내 플라스틱 업계 최초로 POM을 생산하는 김천1공장에 글로벌 친환경 인증제도인 “ISCC PLUS인증”을 취득하였고, 2023년 6월 말에는 컴파운드 제품을 생산하는 김천2공장까지 본 인증을 취득하면서 국내 플라스틱 업계 최초로 전체 사업장에 대해 ISCC PLUS인증을 취득 완료함. 코오롱플라스틱은 플라스틱과 환경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해양 폐플라스틱 재활용 원료를 활용한 플라스틱 제품 개발 및 MOU 체결 등 친환경 생태계 조성에 이바지하고자 힘쓰고 있음. 73. 1억불 탑 피아이첨단소재㈜ ▲ 수출품목 : 폴리이미드(PI) 필름,바니쉬,파우더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이상현 (  02-2181-8670 ) 공적내용 PI첨단소재는 2008년 SKC와 코오롱인더스트리의 합작회사인 SKC코오롱PI(주)로 출범하였으며, 2020년 대주주 변경 이후 현재 사명을 사용 중.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과 액체 형태의 바니쉬, 분말 형태의 파우더/성형품을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PI 필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임. PI필름은 상용화된 플라스틱 중 가장 뛰어난 물성을 가진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제품의 필수소재로 채택되고 있음. PI첨단소재 제품은 주로 IT 기기의 FPCB용, 방열 시트용, 산업공정용, IT 산업용, EV(Electric Vehicle) 배터리 절연용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다수의 글로벌 고객사에게 공급되고 있음. PI첨단소재의 해외 매출 비중은 2022년 기준 64.2%로, 중화권, 유럽, 북미 등 다양한 해외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PI첨단소재는 우수한 기술력과 제품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PI 필름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외 경쟁사 대비 월등히 높은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음. 현재 5250톤 수준인 PI필름 생산능력을 2027년 7500톤까지 증가하기 위한 투자를 진행할 계획임. 또한, EV 및 첨단산업 등에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하며 종합 첨단소재로 발전해 나가고 있음. 2023년 6월에는 급증하는 EV 시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연 3000톤 규모의 PI 바니쉬 생산라인 투자를 결정 및 공시하였으며, 우주항공 기업들과 MOU를 체결하며 신사업을 활발히 개척 중임. PI첨단소재는 활발한 연구개발을 통해 시장이 원하는 제품 그리고 미래를 이끌어갈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이를 위해 2022년 기준 매출액 대비 3.6%를 연구개발비에 투자하고 있으며, 관련 지식재산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이러한 연구개발 성과로 2019년 지식재산경영기업 특허청장상, 2021년 IP R&D 수행 우수기업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2020년 민간 R&D 유공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등대기업을 수상하였음. 또한 PI첨단소재의 제품은 2022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가 선정한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되었음. 74. 1억불 탑 한국진공㈜ ▲ 수출품목 : 이차전지 진공 건조 설비 ▲ 수출실적 : 1억불 ▲ 담 당 자 : 배재숙 (  053-591-7720 ) 공적내용 한국진공(주)는 ‘첨단 기술의 확보가 회사의 미래이며 자산이다’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국내 진공기술의 태동기인 1998년 설립 이래 국내에서 진공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산업에 필요한 기계 및 장치의 국산화에 앞장서 순수 국내기술로 수입에 의존해 오던 진공 관련 설비를 자체 개발 공급하여 국내외 기업에 공급해왔음. 초장기 브라운관 진공 배기 설비 및 증착 설비의 국산화에 이어 LCD 및 PDP의 생산에 사용되는 많은 진공 관련 설비 국산화에 성공함. 또한 자동차 램프 PVD 코팅 설비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공급하였고, 모바일 폰의 외관 증착용 PVD,CVD 설비를 개발하여 공급함. 2010년 이후 친환경 녹색성장을 위한 이차전지 시장의 성장을 대비하여 이차전지 생산에 필요한 진공 건조설비의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기존 Batch형 진공 건조 설비에서 공정시간의 획기적 단축 및 유지보수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된 차세대 인라인형 진공 건조설비를 전 세계 최초로 개발 및 상용화를 하여 국내 대기업의 독점 공급은 물론이고 중국, 유럽, 미국의 이차전지 생산업체 및 자동차생산 업체들에 많은 설비를 공급하고 있음. 이러한 급격한 성장에 따라 창립 초기 1998년 매출 60억에서 22년 매출 1,200억원으로 무려 20배 성장할 수 있었으며 현재도 매년 50% 정도 성장을 지속함. 또한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로 5년 전 40명 수준의 임직원이 23년 말 현재 100여 명으로 확대될 예정임. 한국진공의 이러한 성장 배경에는 미래를 위해 매년 매출의 10% 이상 끊임없는 R&D 투자로 신기술 개발을 진행한 결과임. 현재도 진공 코팅, 건조설비 외에 차세대 Item으로 전 세계에 상용화가 되지 않은 연속형 진공 브레징설비를 개발하고 있으며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고자 끊임없는 R&D를 지속 중임. 75. 1억불 탑 한주라이트메탈㈜ ▲ 수출품목 : 알루미늄주물주조품 ▲ 수출실적 : 1.2억불 ▲ 담 당 자 : 백승걸 (  052-231-1030 ) 공적내용 한주라이트메탈(주)는 현대자동차 경합금주조 라인을 이관받아 1987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자동차 알루미늄 주조기업으로 현대자동차 DOHC용 엔진 흡기다기관(Intake Manifold)의 국산화와 일체형 개발을 성공하였고, 1998년 도요타자동차 자회사인 중앙정기로부터 기술과 자본을 제휴 받아 배가된 기술력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여 1999년 100만 불 규모에서 2022년 약 1억 1천만 불로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음.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해외 영업활동 전개로 현대차, GM, 닛산, 포드 등 다양한 완성차에 요구되는 경량화 부품 및 전기차 부품에 대한 개발에 성공하여 독점적인 부품을 공급한 결과, 매출액은 2020년 1,659억 원 대비 2022년 2,325억 원으로 40% 증가함. 주요 수출국으로는 미국을 포함한 미주(82%),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11%), 유럽지역(7%)으로 구성되어 있음. 알루미늄 주조 사업을 기반으로 사업 다각화 등을 위해 2004년 기업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였고,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다양한 제품 개발 국책 과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재까지 총 58건, 214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아 기술 확보뿐만 아니라 성장동력의 모멘텀을 만들고 있음. 미래 모빌리티 초경량화 부품 솔루션을 제공할 ‘반응고 고압 주조설비의 전자기진동 교반장치’ 기술을 포함한 등록 특허 13건, 출원 특허 2건을 보유하고 있음.

      닫기
  • 「2021년 제58회 무역의 날」포상 후보자 공개검증 2021-10-01

    「2021년 제58회 무역의 날」포상 후보자 공개검증   1. 추천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2. 포상 목적     ○ 무역의 날 58주년을 맞이하여 수출의 확대 및 질적 고도화, 신시장 개척 등에 공헌한 유공자에 대한 포상을 수여   3. 포상일시 : `21. 12. 03(금) (잠정)   4. 포상후보자 명단 및 공적요약 : 첨부파일 참조   5. 기타사항     ○ 국민들의 의견 수렴을 위해 포상 후보자 및 예비 후보자의 주요공적을 공개하오니,        동 사항에 대해 의견이 있으신 경우 `20. 10. 16(토)까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담당자: 김성훈 ...

    >알림·뉴스>포상공개검증

    • 2021년 제58회 무역의날 유공자 공개검증명단.xlsx 미리보기
      미리보기

      『제58회 무역의 날』유공자 포상 후보자 공개검증 1. 포상추천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2. 포상배경 ○ 무역의 날 58주년을 맞이하여 수출의 확대 및 질적 고도화, 신시장 개척 등에 공헌한 유공자에 대한 포상을 수여 3. 포상예정일 : 2020.12. 3(잠정) 4. 포상 후보자( * 성명 가나다순 ) 연번 소속 직위 성명 공적내용 담당자 1 티오케이첨단재료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기태 상기인은 약 35년간 반도체 Lithography 공정에 사용되는 Photoresist 분야의 선도자로 임해오며, 토쿄오카공업의 집행임원 겸 당사 대표이사로 국내 반도체 메이커의 해외 양산체제의 구축과 차세대 공정개발에 필요한 적기공급 등에 직접적으로 수출증대에 기여함. 오푸른 2 한국알프스 (주) 사장 강동완 상기인은 한국알프스 ㈜ 대표이사로서 1987년 사원으로 입사하여 제조, 기술, 영업 등 각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바탕으로 회사 발전에 공헌하였으며, 현재 당사는 지역 내 견실한 중견기업으로서 수출 확대, 신규 고용 창출 그리고 지역 경제발전에 기여함. 오푸른 3 주식회사 성창엠앤알 대표 강래훈 상기인은 약 19년 3개월동안 국내에 원재료를 수급하는 공급라인과 중국현지에 영업총책임회사를 설립하여 판매라인을 체계적으로 유지관리하며, 중국정부의 스크랩류 등의 수입제한조치에 상응하여 재생금속 및 재생플라스틱류의 한국산 제품으로 수출증대에 기여함. 오푸른 4 (주) 호원 반장 강병일 상기인은 약 16년동안 신차 자동차 부품 생산라인에서 생산 안정화 및 품짐 유지 직무를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기업 수출실적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업무 능률 향상에 크게 이바지하였고 세심한 품질검사를 통한 품질향상에도 높게 기여함. 오푸른 5 청우중공업주식회사 실장 강보경 상기인은 약 6년 4개월동안 발주 및 자재입 실장으로 근무하면서 CG합성보등 철골자재 확보와 산업플랜트 생산자재의 원할한 공급 및 원자절감 등 수출증대에 주도적 역할 수행하여 사천공장 매입 확장. 연간 고용인원,생산유발액,지역세수 증대 등 지역협력사와 연관기업체의 선순환 활성화등 국가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6 포스코재팬 주식회사 실장 강석원 상기인은 약 26년 5개월동안 지속적인 고객사 개발 등 한국産 철강 판매 및 수출 저변 확대에 기여하였으며(판매액 : 20.상 338→20.하 332→21.상 382억엔), 우수 기술력의 중소기업 제품 일본 수출을 지원,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함(동아製 17.5, 융진/대주製 24.5억엔). 오푸른 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팀장 강영석 상기인은 18년간 당사의 제조, 개발 전반의 기술 업무를 담당하며 소재, 부품, 장비 산업의 국산화 육성을 주도하였고 매엽식 세정 공정 전환 및 품질 분임조 활동으로 반도체 수율, 품질 향상을 하여 반도체 수출 증대에 기여함. 오푸른 8 (주)흥아기연 부사장 강은식 상기인은 34년 3개월동안 설계팀장으로서는 각종 제약용 포장기계 기술 개발과 품질 향상에 앞장서는 역할을 했으며, 연구소장으로는 정부사업을 통한 신제품 개발로 회사의 주력 제품인 블리스터 및 카토너 기계를 개발하여 수출하도록 기여하여 회사 매출 증대에 기여함. 김민경 9 한창기업 (주) 대표이사 강장수 상기인은 약 32년 8개월동안 생산관리와 경영관리를 체계화하여 효율적인 생산관리와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경영시스템 구축에 기여하며, 해외거래처를 개척하고 신뢰를 확보하여 꾸준히 수출을 증대와 생산, 품질, 자금 등 회사운영 제반 업무를 주도하여 금년 미화1,285만불 수출실적을 거두는데 기여함. 10 주식회사 동일공사 사원 강정원 상기인은 약 33년 4개월동안 자동차 내부부품 가공 및 품질 확인 등 오랜 기간동안 회사를 위해 노력하였으며,생산된 자동차 부품은 체코, 슬로바키아, 북미지역 등으로 수출되어 무역증대에 기여함. 11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사무원 강주원 상기인은 2018년 8월 1일부터 현재까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경기지역본부 근무 중이며 수출바우처사업(성장바우처 내수기업 지원사업, 수출초보기업 지원사업, 수출유망기업 지원사업)을 수행하면서 453개 기업의 지원을 통해 8,928억원의 수출성과 달성에 기여함. 김민경 12 세현홀딩스 (주) 대리 강지영 상기인은 2012년부터 무역 관련 회사에 종사하면서 다양한 경험과 경력 등을 통해 2018년 세현홀딩스 (주)에 입사를 하여, 수출과 관련된 업무를 원할하게 진행하여, 수출 500만불 이상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함. 13 태영산업주식회사 대표 강태기 상기인은 1993년도부터 국내 오토바이 헬멧을 OEM 방식으로 생산해오다 현재 자사브랜드 Onek 승마헬멧을 개발하여 미국,유럽 11개국에 수출을 하고있으며 한국에 위상을 높이고 수출 강대국에 기여함. 오푸른 14 (주) 와이디어 대표이사 강하늘 상기인은 약 9년 1개월 간 IT기술과 패션 산업의 융합을 통해 해외 소비자에게 직접 패션 상품을 수출하는 등 혁신적인 사업 구조와 노하우로 당해년도 수출실적이 전년도에 비해 240% 증가한 $6,700,706을 달성하는 등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함. 15 (주)서린메디케어 상무이사 강형욱 상기인은 2017년 주식회사 서린메디케어 해외영업팀에 부장으로 입사하여 수출 실적을 2배로 올렸고, 9년차에 3백만불을 달성하는데 기여했으며 코로나 19로 인한 펜데믹 상황에서 매출 악화의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창사 이래 최고의 수출 실적을 올리고 있으며, 특히 당사의 수출 불모지인 일본 시장을 개척하여 신제품의 조기 정착 및 매출 확대에 기여함. 16 주식회사 코엑스 전무 강호연 상기인은 32년 이상을 무역 및 전시컨벤션 업계의 발전을 위하여 힘써왔으며, 베트남 빈증 전시장 위탁운영으로 K-MICE 수출 및 전시컨벤션사업의 글로벌화, 유관 협단체와의 원활한 소통으로 중소 전시주최자와의 상생 발전에 기여함. 17 (주) 수산씨에스엠 사원 고기현 상기인은 1995년도에 입사하여 2010년 유압드릴 라인을 구성했으며 현재 유압드릴은 전체 매출의 28%의 비중을 차지하며 영업양수도한 SD드릴을 사내에 정착하는데 기여하여 시너지 효과 극대화로 2018년 대비 2019년 매출액 112% 증가에 기여함. 18 희성피엠텍 (주) 차장 고성관 상기인은 2012년 희성피엠텍 (주)에 입사하여 재직기간 중 백금족 귀금속에 대한 신규 거래선인 ScotiaMocatta 사를 발굴함으로써 BASF Metals Japan Limited 사에 의존하던 수출 거래선의 이원화를 확립하여 수출실적 증대에 기여함. 19 (주) 부미 대표이사 고승범 상기인은 약 31년 10개월동안 간접수출로 진행되던 스파이널 튜브 제품외에 회사에서 생산중인 전 제품군(프레스제품,가공제품)을 직접수출로 진행하였으며 현재 수출국(거래업체)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중으로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20 주식회사 리메드 대표이사 고은현 상기인은 1987년도 우리나라 최초의 초음파진단기 제조회사인 메디슨의 해외 영업 사원으로 근무를 시작하여 수십 차례의 의료기기 전시회를 기획하였고, 해외 대리점을 30개에서 40여개 이상으로 확대하고 독일 바이어를 비롯 OEM/ODM등의 바이어 다수 발굴을 통한 해외 매출 확대에 기여함. 오푸른 21 (주)신티에스 상무 고재준 상기인은 2012년 ㈜ 신티에스 영업팀에 입사후 창의력과 개척정신을 바탕으로 기술혁신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 당사의 다운 의류 생산, 키즈 제품 생산 및 텐트 생산 등을 안정화 시켰고, 당사가 2021년에 총 매출 약 1억불의 수출 실적을 거두는데 크게 기여함. 22 삼성바이오에피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고한승 상기인은 약 20년 11개월동안 바이오의약품 국내생산 확대로 수출의 증대 및 질적 고도화를 이루었고, 적극적인 R&D 투자를 통해 우리나라 차세대 전략산업인 바이오 산업의 발전에 기여한 바가 크며, 한국바이오협회장으로 활동하며 K-바이오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기여함. 23 아이씨케미칼 과장 공충식 상기인은 약 26년 10개월동안 발효용 소포제,태양광소재,석유화학 중간체등 파인케미칼을 해외의 유수기업에 수출할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생산하여 당해연도 수출실적 1000만불을 달성하는 등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이철호 24 주식회사허니스트 대표이사 곽기성 상기인은 약 5년 1개월동안 코로나 팬데믹 사태로 인해 세계적인 위기 속에서 의약외품 , 의료기기 제조업 허가를 빠르게 획득하고, 지역 인재 채용과 설비에 투자하여 손소독제 수출을 시작하는 등 기업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성공함과 동시에 우수한 K-방역 제품을 세계에 알리는데 기여함. 25 주식회사 비햅틱스 대표이사 곽기욱 상기인은 약 6년 3개월동안 주식회사 비햅틱스를 창업하여 수년의 연구개발을 통해 웨어러블 햅틱 기술을 상용화한 세계 최초의 제품 TactSuit를 출시하였고, 적극적 해외진출을 통해 매년 2배의 매출 및 수출성장을 창출하는데 기여함. 26 (주) 셀트라존 과장 곽초아 상기인은 약 11년 5개월간 독일 하노버 전시회,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주요 전시회 참가하여 신규 거래처 발굴 및 해외대리점 업체 관리하여 수출진행하고, 코로나 관련 신규 제품 판매로 매출 증대에 기여함. 전현식 27 한국도심공항 주식회사 본부장 곽호종 상기인은 약 25년 3개월간 부산신항, 평택항, 인천공항 배후물류부지에 5개의 물류센터 운영 활성화에 일조, 국내 중소수출입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며, 특히 2019년 칼트상용화주터미널을 국내 1호로 지정 및 운영 개시하여 항공화물 보안성 제고, 여객기 화물운송 활성화에 기여함. 28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구은아 상기인은 약 13년 6개월간 KOTRA에서 근무중으로 현재 공사의 글로벌B2B 디지털 플랫폼(buyKOREA)운영과 관련한 전략수립, 고도화, 온오프라인 사업 연계 마케팅 발굴 등 디지털 무역 전환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여 수출의 디지털 전환과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기여함. 김민경 29 주식회사 제일트레이딩 대표이사 권기창 상기인은 인도산 제설염, 중국산 염화칼슘 등 제일 트레이딩의 주요 제품 수입과 관련하여 계약 및 제품의 선적항 인스팩션 간 직접 상대국 거래처 방문 및 협의, 선적지 제품 검수 등을 진행하여 해당 제품들이 아무 문제없이 국내 수입되어 정상 유통 가능하게 하는데 기여함. 30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사무원 권도연 상기인은 약 11년 9개월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울산지역본부에 근무하며 수출바우처, 해외지사화, 무역사절단 등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역 중소기업의 해외 시장진출 및 수출역량 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업무지원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의 수출 증대에 기여함. 31 중앙렌탈(주) 대표이사 권도현 상기인은 약 10년간 전시업에 종사하면서 전시산업발전에 기여하였으며,특히 한국전시서비스업협회 이사와 한국렌탈협회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전시용역 사업이 전시사업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전시렌탈분야 발전에 기여함. 전현식 32 주식회사 사람인에이치에스 팀장 권수연 상기인은 약 12년 11개월간 국내 및 해외 대규모/소규모 채용박람회 개최를 통해 국내 무역업계의 인재 재용을 지원하고 있으며, 국내 및 해외 취업의 일자리 창출 및 취업알선을 통해 무역업계 인력난과 청년 실업 해소에 기여함. 33 (주)상원기계 대표이사 권순목 상기인은 한국의 공업이 낙후한 80년대 초기부터 사업을 시작, 연구 개발하는 회사로 많은 기술들을 연구 개발하여 한국의 산업 발전과 환경산업기술의 발전 및 미세먼지 저감과 에너지 절감에 크게 공헌하였고 국산화한 설비들을 수출로 연결함으로 수출역군으로서 국가발전에도 크게 기여함. 오푸른 34 (주) 영림원소프트랩 대표이사 권영범 상기인은 약 42년 6개월간 영림원소프트랩을 창업하여 지속적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기술력과 서비스 경쟁력을 갖춘 국내 대표적 ERP 전문기업으로 성장시켰으며, 클라우드 ERP SystemEver를 개발하여 일본, 인도네시아에 수출하는 등 ERP분야 수출경쟁력 제고에 기여함. 35 비욘드어스 주식회사 본부장 권영현 상기인은 약 9년 10개월간 국내 중소화장품제조업체의 마스크팩 상품을 가지고 마스크팩 시장이 없었던 아마존에서 마켓플레이스에서 시장 창출 및 아마존 뷰티카테고리 전체 판매 9위, 2021년 현재까지 약 5년간 facial mask 카테고리에서 마스크팩 판매 1위를 달성하는데 기여함. 전현식 36 메타폴라 아로마 주식회사 대표이사 권오역 상기인은 약 25년간 무역업으로 창업하여 한국상품의 수출을 위해 다양한 경로의 수출처를 개발하고 특히 미국 화장품시장에서 네일케어시장에 바디로션, 핸드크림, 풋케어 제품을 수출하였고 한국 소금의 장점을 살려 특별한 가공을 통해 북미 양념시장에 진출하여 매년 수출실적을 높이는데 기여함. 전현식 37 주식회사 유원인터내셔널 대표이사 권재환 상기인은 2013년 회사를 설립, 기계설비류, 자재류 등을 수입하며 회사를 성장시켰으며, 특히20년에는 약 4백달러 수준의 성과적인 수출을 통해 방역산업을 주도하는 기업으로 세계 여러 각국에 K방역의 우수함을 알리는 데 기여함. 김민경 38 멤프로 주식회사 대표이사 권혁 상기인은 2015년도 입사하여 본래 경쟁사의 Probe Needle 제품이 중국/대만의 시장 점유율을 대부분 차지 하고 있었던 상황인데, 단납기 및 경쟁력 있는 단가와 고품질의 Probe Needle을 개발하여, 최신 공정 기술 확보에 성공, 제품 개발국인 중국/대만/베트남/싱가폴/필리핀에 수출을 시작하여, 무역 역조 개선에 기여함. 이철호 39 주식회사 우주글로벌 대표 길경택 상기인은 약 12년 1개월동안 (주) 우주글로벌 설립 및 대표이사로 재직하며 제품 개발 및 생산, 수출에 기여하며 한국섬유수출입협회 공로상 수상 및 수출마케팅활동과 태평양물산과 친환경 제품 개발 프로젝트 MOU 체결하여 제품활성화 및 친환경 패브릭 특허출원에 기여함. 이철호 40 주식회사 큐로드 대표이사 길호웅 상기인은 ㈜큐로드를 2020년에 상시근로자 225명, 매출 138억원의 기업으로 성장시키고 게임 및 온라인서비스 운영, QA, 마케팅 등의 사업 경쟁력을 강화, 국내뿐만 아닌 해외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아 약 35억 원을 수출함으로써 경제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 이철호 41 엔케이수산 (주) 계장 김가원 상기인은 2018년 3월 입사 후 첫 수출 업무를 주도적으로 수행하여 올해 수출 천만 불 달성까지도 늘 원료 수입에서 생산 발주, 수출 선적, 수출 서류 관리까지 업무 전반을 수행하고 관리하며 수출 증대에 기여함. 오푸른 42 용산화학 (주) 상무이사 김강현 상기인은 약 7년 4개월간 무수말레인산 및 유도품의 수출 확대를 위한 부단한 노력을 통해 어려운 코로나 시기에서도 2020년 당사 최대 실적인 수출 5,000만불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함. 김민경 43 주식회사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 파트장 김건욱 상기인은 2015년부터 게임업계 근무 경력을 바탕으로 2018년 스마일게이트에 입사하여 선행기획파트장으로서 수출을 주도하고 있는 게임 ‘에픽세븐’ 의 글로벌 출시 전략수립 및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여 회사가 1억불 수출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함. 전현식 44 주식회사 씨엠에스랩 과장 김경남 상기인은 4년 11개월간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셀퓨전씨, 수이스킨브랜드의 신규 시장 개척을 통해 해외 판로를 확보하여 약 20개국 시장 진출과 20년 700만불 수출의 탑 수상을 달성하며 매출 성장에 기여함. 45 중국광저우선학무역 대표 김경덕 상기인은 2003년부터 한중무역에 종사하고 있으며 일신무역의 쿠쿠총판을 시작으로 2010년 원세라테크, 2015년 삼보도자기등 업체들의 중국내 총판으로 활동하면서 중국내 각종 유통체널과 전시회에 참석하여 제품의 현지화에 기여함. 46 벨금속공업 (주) 대리 김경목 상기인은 2016년에 입사하여 도금 처리 과정 중 산 처리 전극단으로 기존 사용되어 오던 니켈 판을 납판으로 대치하는 방법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니켈의 수요량을 대폭적으로 줄여 원가를 절감 및 벨금속 생산부에서 근무하는 동안 수많은 제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불필요한 공정 등을 대폭 줄이는데 기여함. 전현식 47 (주) 애드테크 사원 김경순 상기인은 약 14년 4개월간 신규 개발품에 대하여 선행평가시 문제점을 검출하여 전개하고 개선하는 등 공정승인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2017년에 품질 인증을 위해 실시한 현장 평가를 우수한 성적으로 마치도록 라인 관리자들과 협의해 생산자들을 이끌어 조직 공헌에 기여함. 48 주식회사 크레진 대표이사 김경웅 상기인은 약 29년 10개월간 품질 및 환경경영시스템, 생산라인의 POP, ERP시스템의 구축으로 시스템경영을 위한 초석을 다지고, 인재육성을 통한 R&BD 역량강화로, 해외시장 개척을 위하여 각종 박람회,전시회 등을 통하여 해외고객 확보 및 수출 300만불 달성에 크게 기여함. 전현식 49 (주) 다우빔 대표이사 김경중 상기인은 약 21년 5개월간 국내 최초로 반도체 웨이퍼용 실리콘 잉곳 슬라이싱용 빔제품을 개발하고 LG금속 근무시 프로텍트 담당업무를 수행하였으며 퇴사 후 주식회사 다우빔을 설립하여 20여년이 넘는 기간 운영에 기여함. 50 (주) 대구은행 과장 김경한 상기인은 약 11년 7개월간 외환업무에 대한 탁월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수출실적 증대, 신규 업체 발굴 및 금융거래 편의 증대를 위한 마케팅 강화 및 업무지원 노력으로 지역은행의 영업권역 한계를 극복하고 수출기업 육성 및 국가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함. 오푸른 51 삼양식품 (주) 과장 김경호 상기인은 약 2017년에 삼양식품 ㈜에 이직하여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인도 등 담당 국가의 수출액을 2017년 3,746만불에서 2020년 4,788만불로 27% 성장에 기여하였고, 특히 신개척 시장인 인도 등 서남아 국가에서 2017년 47만불에서 2020년 574만불로 12배 이상의 성장에 기여함. 김민경 52 유진통신공업 (주) 부장 김경훈 상기인은 약 3년 1개월간 수출 관련된 제품 생산은 물론 포장, 물류에 이르기까지 세계 모든 유진 제품을 사용하는 바이어들이 실질적으로 원하는바를 만족시켜 주는 시스템을 만드는데 기여하여 2021년 6월 말에 일본 바이어(DAIKO TSUSAN CO. LTD)로부터 수주를 받는데 기여함. 53 (주) 코리아나화장품 상무 김관덕 상기인은 약 27년 9개월간 (주)코리아나화장품 중국법인 법인장으로서, 2021년 同社 해외법인 사상 최고 매출액과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하는데 기여하였고, 대한민국 화장품의 품질력과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가브랜드를 해외에 널리 알리는 것에 기여함. 오푸른 54 주식회사 포스코 부사장 김광수 상기인은 약 36년 5개월간 대기업 최초로 ‘수출물류 합작배선 플랫폼’을 구축, 선박 부족과 해운운임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수출을 지원함으로써 대중소기업 ‘수출 물류 상생’ 모델 제시 및 국가 수출 위기 극복에 기여함. 55 한국알프스 (주) 상무이사 김규남 상기인은 1998년 한국알프스㈜에 입사한 이래, 제품(부품) 설계와 영업활동을 통하여 회사의 매출증대와 세계 최초의 곡면형 스마트폰 개발 및 카메라모듈의 핵심부품인 액추에이터의 안정적인 공급하여 고객사의 제품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출증대에 기여함. 56 (주) 휴비딕 부장 김규도 상기인은 약 11년 8개월간 본랜 전시회를 통한 해외시장 시장 진출 방식에서 해외시장의 직접 진입을 통한 바이어 발굴, 시장 분석 및 조사등에 있어서 다양한 제반환경을 구성하여 일본, 미국 인큐베이터를 시작을 일본 현지 법인확대등을 통한 수출확대 및 무역 역조에 기여함. 57 인탑스주식회사 대표이사 김근하 상기인은 약 17년 2개월간 CMF기술 개발을 통한 무용제 코팅 장치 자체개발 성공하여 100%이상의 수출증대 실적 달성, 2020년 경북형 스마트 시범공장 구축 및 산단R&D과제 진행등 스마트팩토리 고도화를 통해 신성장산업의 제조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기여함. 58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팀장 김근호 상기인은 약 22년 5개월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 근무하면서 중국시안 수출인큐베이터 신규개소 및 현지진출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수출바우처사업 관리기관 역할수행을 통한 수출바우처사업을 안정화하였고, 국제협력팀장으로 근무하면서 APEC 등 국제협력을 추진하는등 중소기업 해외진출활성화에 기여함. 오푸른 59 (주) 한국무역정보통신 차장 김기동 전자무역기반시설 운영의 실무담당자로서 약 12년7개월간 국가무역 발전을 위해 전자무역서비스의 안정적 운영과 확산에 기여하였으며, 외상수출채권 중복매입 방지 한도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여 도입하고 시행함으로써 무역금융사기 방지의 국가적 과제를 시스템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반 마련에 기여함. 60 에스엠에이치 주식회사 팀장 김기영 상기인은 35년 이상의 플랜트 설계 경력을 통해 국가기간산업의 발전 공헌을 하였으며, 난이도가 높은 일본수출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2020년 1천만불 수출탑을 수상했고 2021년 2천만불 수출을 달성에 기여함. 전현식 61 주식회사 제놀루션 대표이사 김기옥 상기인은 2006년 ㈜ 제놀루션을 창립하고 본래 해외 핵산추출 제품이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핵산 추출 제품을 자체 개발하여 최신 공정 기술확보에 성공, 전세계 50여개국에 수출하여 코로나 19검사에 일조하였으며,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함. 62 에스엠스틸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기호 상기인은 스테인리스 후판이라는 신규사업을 20년 7월 론칭하면서 신규채용 266명 중 청년채용인원을 120명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공장 완공 첫해인 20년 수출은 170만불, 21년 상반기에는 380만불을 수출하였고 고용위기지역인 군산에서의 고용증가에 기여함. 63 (주)제이비피코리아 차장 김나현 상기인은 입사 당시 8명 임직원이 현재의 30명으로 확장되기까지 약 5년간 원만한 노사관계 및 업무환경을 통해 회사가 안정적으로 성장 및 녹십자웰빙, 파마리서치, 동방 등 관계사들과 동반성장이 가능하도록 비영업적 부문의 업무를 총괄하여 수출을 통한 국가 발전에 기여함. 64 (주) 경연전람 상무이사 김대영 상기인은 1999년 7월 입사이래 해양, 군수, 산업안전, 전자, 부품, 소재, 화학, 플랜트, 물류산업 등 연간 10여개의 무역 전시회(B2B)를 개최하여 관련기업의 꾸준한 기술발전과 해외 시장확대 및 수출을 지원하였고 국내 전시산업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함. 65 주식회사 대명 주임 김대용 2017년부터 현재까지 4년동안 무역부의 주임으로서 근무하고 있으며 매년 실시되고 있는 국제신선농산물 박람회인 AFL(ASIA FRUIT LOGISTICA)에 2019년 회사의 주축으로 참여하며 국내농산물의 우수성을 현지 바이어들에게 전달하고 수출 확대에 기여함. 66 애터미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대현 상기인은 약 12년 2개월간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생활소비재 등을 전 세계 20개국에 수출하여 2020년 수출실적 3억불을 달성하고 전 세계 회원 1,500만 명을 보유하는 등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전현식 67 (주)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대표이사 김덕준 상기인은 약 33년 2개월간 세계표준을 만드는 핵심기술력으로 환경친화적인 신제품을 개발하고 글로벌네트워크구축을 강화하여 적극적인 해외시장을 공략한 결과, 당해년도 수출 1억불을 달성하여 대한민국 국가 경쟁력강화, 세계환경보호 및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68 윈럭스 팀장 김도엽 상기인은 약 5년 10개월간 본래 간접수출 의존도가 절대적인 윈럭스에서 해외전시회, 무역사절단, 해외지사화 사업, 자체 해외출장 등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워 직접수출을 일궈내고 지속적으로 수출액 증대에 크게 기여함. 전현식 69 에이치엠티 (주) 이사 김동공 2007년도에 에이치엠티(주)에 입사하여 14년간 반도체관련 총괄업무를 맡고 있으며, 에이치엠티(주)에서 수출관련부서와 협업하여 수출품목의 공급 및 배송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들을 총괄하며 수출 증대에 기여함. 70 (주)아이글로벌 대표이사 김동규 상기인은 약 6년 1개월간 반도체 장비 및 부품의 국산화 제품 또는 고객이 필요한 제품에 대한 맞춤 개발로 일본 시장 개척하고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낮은 일본의 많은 고객사의 요구사항에 맞는 품질과 신뢰를 구축하고,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수의 일본 반도체 FAB에 높은 수출실적에 기여함. 71 주식회사 삼보에스앤티 차장 김동균 상기인은 2010년에 주식회사 삼보에스앤티 사원으로 입사하여 3년간 수출입 품목 다변화에 힘쓰며 지속적으로 신규 아이템을 발굴하였고, 무엇보다 고철처리될 제품들을 절단, 그라인딩등의 가공을 통해 제품 본연의 기능을 살려냄으로써 고철이 아닌, 제품으로 수출을 하도록 기여하여 2018년 당사의 천만 불 수출 실적 달성에 기여함. 이철호 72 ㈜ 한진휴에프 대표이사 김동수 상기인은 약 29년 4개월간 화학산업의 초창기를 개척하였으며, 고품질 프리미엄 식품 등을 수입하여 웰빙 먹거리를 만드는 데 기여하였고, 다양한 수입 고급 와인을 국내에 제공하여 와인시장 확대에 기여하고, 고기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수입하여 자동차, 전기 전자 경량화 및 산업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73 삼양식품 (주) 이사 김동찬 상기인은 2016년 12월 입사후 2017년 익산공장장으로 발령을 받아 당시 증가하는 수출 물량에 대응하기 위하여 라인을 신규설치 및 재배치하고 Utility 설비 증설, 물류 창고 보완을 통하여 생산 공급 능력을 20% 이상 향상 시켰으며, 이를 통하여 당사의 2017년 1억불 수출의탑, 2018년 2억불 수출의탑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74 에이치엠티 (주) 이사 김동현 상기인은 2007년 에이치엠티 (주)에 입사하여 해외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수시로 해외 출장을 통해 업체를 개발하고 2019년에는 수출 1000만불을 달성했으며 2020년이후 부가가치가 높은 server 제품등을 개발하여 수출 확대에 기여함. 75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부장 김만호 상기인은 해외 플랜트 건설산업 분야에서 약 27년간 무역 진흥에 이바지하였고, 신규 시장인 러시아에서 정유 및 석유화학 공장 건설 수주에 기여하여 대한민국 업체로서의 EPC 경쟁력을 제고하였고, 또한 국내 플랜트 기자재 공급업체들의 러시아 진출 기회 확대에 기여함. 76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팀장 김명관 상기인은 약 23년 8개월간 수출바우처, 지역수출마케팅사업 등 다양한 수출지원사업을 통해 592개 중소기업의 수출을 지원하여 743백만 달러(한화 8,927억원)의 수출성과를 이루었으며 사회적 가치활동도 적극 추진하여 국가발전에 기여함. 전현식 77 (주) 대명연마 대표이사 김명묵 상기인은 ㈜ 대명연마의 대표이사로 26년간 모범적인 기업경영을 통해, 연매출 105억 달성과, 500만불 수출의 탑 달성, 고용창출우수기업 선정 등 국가경제 발전 및 연마지 산업발전에 기여함. 오푸른 78 아이앤비코리아 대표 김명숙 상기인은 약 3년 11개월간 공기정화살균기를 개발하여 30개국에 10백만불을 수출하였고, 9백만불의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하고 28건의 특허 출원과 기술개발로 영국 Radic8사와 라이센스계약을 체결하여 기술료를 받았으며, 원자재의 80%를 국내에서 조달하여 448명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 79 위드시스템 (주) 대표이사 김명준 상기인은 2002년 3월 위드시스템(주)를 설립하여, LCD 모듈 TESTER 기기를 개발, 제조하는 전문기업으로 4년만에 26명의 근로자로 50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고 2017년에 매출액 347억, 근로자 60명, 2019년에 매출액 409억, 2021년 현재 근로자 72명의 중소기업으로 성장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 오푸른 80 녹차원 (주) 차장 김명진 상기인은 약 3년 7개월간 다류식품 해외시장개척 및 수출증대, 수입 제품 매출 확대, 전체 매출 관리 및 바이어별 미수관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 관계의 다리역할을 수행하여 수출액이 전년도 대비 50%이상 상승하는데 기여함. 81 (주)에이스바이옴 대표이사 김명희 상기인은 프로바이오틱스 건강기능식품회사인 (주)에이스바이옴의 대표이사로, 국내 건강기능식품 원료 최초로 기술 수출을 성사 시키고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이고 혁신적인 건강기능식품을 공급하며 전 세계에 한국 건강기능식품 산업의 위상을 높이는 데에 기여함. 82 주식회사 아이엠씨 이사 김문석 상기인은 2018년 1월 주식회사 아이엠씨 연구소에 입사한 이래 기업부설연구소 설립부터 시작하여, 연구소가 정상적으로 연구 개발하도록 조직하고 체계를 잡았으며 샘플 작업 및 기술 개발을 통해 다양한 아이템을 만들었고, 고객들의 요구에 맞는 제품을 제작하여 2018년 전무했던 수출실적을 2019년 700만불에 달하는 수출 실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함. 83 주식회사 오크라인터내셔날 대표이사 김민규 상기인은 2014년에 (주)오크라인터내셔날을 설립하고 할랄시장의 진입을 위해 세계 3대 할랄인 인도네시아 MUI 할랄을 취득하여 상품을 수출하였고, 중소기업의 좋은제품을 발굴하여 인도네시아 시장진입이 용이하도록 할랄취득을 같이 진행하며 자체 제품을 수출하는데 기여함. 전현식 8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부장 김민상 상기인은 2011년부터 오스템임플란트에 근무하면서 지속적인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신규 개발등을 통해 기업 발전에 이바지하였으며, 핵심부품 국산화, 협력업체와의 상생협력, 지역사회 청년 채용 및 장애인 채용등을 통해 사회공헌과 국가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85 (주)쏠택 대리 김민지 상기인은 2017년 쏠택 설립과 함께 영업팀으로 입사하여, 2017년 당해 12월 (주)쏠택이 3백만불 탑을 수상하는 데 공헌하는데 기여했으며, 중국 시장에 형성된 적절한 단가를 분석하여 매출 증진에 힘썼고, 자동차용 WIRE HARNESS 뿐만 아니라 새로운 품목 판매에도 힘써 50여 개의 중국 판매처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매출 성장과 무역시장 활성화에 기여함. 이철호 86 주식회사 오크라인터내셔날 과장 김민진 상기인은 2017년에 자사에 입사하여 2018~2019년에 이슬람국가 시장에 K-FOOD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할랄떡볶이를 개발하였으며 2018년에 1천만 달러의 수출 실적을 거두는데 기여함. 87 (주) 마미엘 부장 김민호 상기인은 2011년 3월 7일 영업부 입사하여 지속적인 신규 거래처 발굴, 자사 제품 홍보, 당사 제품 적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지원으로 최종 제품승인과 제품양산 부품계약 및 Hansol Technics(Thailand) 수출계약과 수출증가에 크게 기여함. 88 신양테크놀러지 대표 김백인 상기인은 2003년 신양테크놀러지를 창립하여 필름 테이프 가공류 업계에서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필름 및 테이프를 정밀 가공하여 최신기술 확보에 성공, 품질이 인증된 원단을 해외지사에 수출함으로하여 무역 실적 개선에 기여함. 89 (주) 코리녹스 부장 김병관 상기인은 2009년 입사 후 탁월한 현장 지휘 역량을 발휘하여 전전년도 수출실적 USD23, 214천불,전년도 USD 21,826 천불, 당해년도 USD 30,800천불 최근 3개년 수출실적 USD 75,840천불 달성에 크게 기여하였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함. 이철호 90 레이저쎌 주식회사 상무이사 김병록 상기인은 약 17년 3개월간 세계 최초로 면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리플로우 시스템 (LSR : Laser Selective Reflow) 개발을 주도하고 성공, 이에 따라 회사가 년 300만불 수출 달성에 핵심적으로 기여함. 전현식 91 현대제철주식회사 실장 김병진 상기인은 약 21년 6개월동안 제철소의 철강 생산 핵심 설비인 고로 내부의 냉각 사고 및 노하부 설비 보수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고출선비 조업 기술 구축을 목표로 조업 안정화 기술 개발 및 최적 제선 조업 패턴 기술을 정립하여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함. 92 주식회사 모비딕 대표이사 김병훈 상기인은 약 27년 4개월간 AutoPC를 자체개발하여 국내최초 상용화에 성공, 기술력을 인정받아 품질이 가장 까다로운 일본에 차량용디지털방송수신기를 공급하여 수출 진흥에 기여함. 93 주식회사 스타비젼 대표이사 김병희 상기인은 약 22년 9개월간 K-뷰티 OLENS의 “세계화&지역화” 목표를 위해 해외 시장 투자 및 개척을 적극적으로 실행, 코로나19의 어려운 환경 속에서 해외 수출 성과가 명확히 나타나면서 시장 속 브랜드의 차별성과 우수한 품질을 증명,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기여함. 전현식 94 (주)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본부장 김보민 상기인은 약 16년 11개월간 40개국 50개의 파트너를 통해 자사의 분자진단제품과 관련 시약들을 소개하고, 판매하는 해외영업 마케팅 부분을 맡고 있으며, 2020~2021년 400% 이상의 성장을 이루어 $2,000 만불 이상의 수출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오푸른 95 주식회사 이노팩코리아 부장 김보현 상기인은 21년 9개월간 제품개발 및 마케팅을 최우선시 하여, 중저가의 중국상품과 고가의 일본상품들에 비해 경쟁력있는 가격과 고 퀄리티 국제인증 제품을 제조하여, 해외 신규바이어와의 거래성사에 기여함. 오푸른 96 (주) 비엔 주임 김복자 상기인은 2013년 회사 창립 후 초기 직원으로 시작해 현재까지 현장관리 및 생산업무를 담당하고 있고 자사 및 OEM등 다양한 제품 생산 경험과 리더쉽을 바탕으로 최근 지속적인 일본 제품 생산 및 수출을 통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함. 97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대표이사 김봉준 상기인은 2011년 09월 다산씨엔텍을 설립하여 R&D연구소와 CGMP 인증 화장품 제조공장, 영업망을 토대로 차별화된 인체줄기세포배양액 함유 기능성 화장품 및 미용기기 개발 및 국내외 판매를 통해 K-Beauty의 위상과 국가 수출에 기여함. 김민경 98 샬롬엔지니어링(주) 대표이사 김봉택 상기인은 대표이사직을 34년간 수행하면서 특허경영을 위한 초기 연구소 설립 및 연구개발 집중 투자로 69건의 철도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60여종의 신제품 개발하여 한국철도 기술 발전 및 2020년 6,622천불을 수출하여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함. 99 주식회사 이룸팩토리 대표이사 김상권 상기인은 2016년 11월에 ㈜이룸팩토리를 설립하여 부평국가산업단지에서 화장품 제조업을 영위하며 K뷰티의 산업의 발전과 해외 시장개척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노력하며 기여함. 100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김상래 상기인은 7년 7개월간 기획조정실, 정책협력실, 글로벌연수실, 부산지역본부 등 다양한 부서에서 근무하며 한국무역협회의 연간 사업과 예산계획을 수립하는 업무를 담당하였으며 근무기간 중 총 3개의 해외지부(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중국 성도, UAE 두바이) 개소 등으로 우리나라 중소ㆍ중견기업의 신흥유망시장 개척에 기여함. 101 주식회사 테크온 대표이사 김상봉 상기인은 약 14년 7개월 간 FPCB 보호필름, WPC(Wireless Power Consortium,무선충전기) 등 기술개발로 30% ~ 50% 원감절감을 가능하며 타사대비 가격 경쟁력에서도 우위를 확보에 기여함. 오푸른 102 주식회사 이수이엔지 대표이사 김상수 상기인은 약 30년 8개월간 본래 제약제품이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자동포장기계 제품을 자체개발하여 특허 등록 제10-1618336 주사제충전장치 수출무역에 기여함. 103 (주) 녹십자웰빙 대표이사 김상현 상기인은 영양주사제 사업에 더불어 건강기능식품 및 천연물의약품 R&D로의 사업을 확장하여 영업이익은 작년에 비해 약 5.8% 증가했으며 매출액 또한 약 191억 증가하는데 기여함. 김민경 104 (주)금정 대리 김상환 상기인은 1999년 금정에 입사하여 생산팀의 일원으로 2001년도 신규 아이템 에폭시수지용 경화 촉진제(HI -54K) 안정화에 기여 수출 주력제품 안착으로 금정의 성장에 기여함. 105 (주)유알지 본부장 김상희 상기인은 약 5년 7개월간 고객을 향한 첫 마음을 잊지 않고, 기본과 원칙을 충실히 지키며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의 개척과 수출 증대를 통해 대한민국 뷰티 산업을 성장시키는데 기여함. 106 (주)티디엠 대표이사 김선미 상기인은 약 28년 8개월간 카자흐스탄과 미국 Medinus의 새로운 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였으며, 광주지역의 의료기기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하였고 광주지역이 의료기기산업 메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산업 발전에 기여함. 이철호 107 제이와이오토텍 주식회사 부장 김선태 상기인은 약 5년 5개월간 본래 유럽에서 당사 생산품의 점유율이 5%도 안되는 상황에서유럽 현지 점유율을 약 30%이상 올렸으며, 이에 한국에서 수입받음에 따라국가 수출발전에 기여함. 108 인텔로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선태 상기인은 약 8년 4개월간 적극적인 해외 시장 개척 및 해외 수출 주도, 동남아, 남미, 중동시장 개척, 우수 의료기기 개발 및 해외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림, 우수 제품을 통해 한국 브랜드 가치 향상시키는데 기여함. 전현식 109 주식회사 가영산업 대표 김성 상기인은 2016년도에 플라스틱 수출입, 2018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재생플라스틱 원료 수출, 아크릴 원료 수출을 시작하며 매년 수출실적을 향상시켜 2021년에는 이에 300만불 수출탑을 신청하게되었으며, 관련수출분야에 크게 기여함. 이철호 110 (주) 바이오포트코리아 대표이사 김성구 상기인은 약 16년 9개월간 우리나라 전통음식을 서구인의 입맛에 맞게 개발하여 수출함으로써 한국의 맛을 세계로 널리 알리고 당해년도 수출실적 1천만불을 달성하는 등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111 희창물산 (주) 이사 김성묵 상기인은 약 29년간 전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한 농수산식품 수출산업의 견인차 역할, 2021년 무역의 날 1억불 수출탑 수상을 위한 수출실적 달성, 해외신시장을 개척하여 미국,캐나다인 주력시장외 20여국 이상의 해외신규시장 개척에 기여함. 이철호 112 (주) 이코니 팀장 김성수 상기인은 현재 폴더블 기기의 커버 윈도우 소재로 사용되어지는 CPI 필름을 UTG 소재로 대체하기 위한, 가공, 화학 강화공정의 기술을 개발하여 UTG 생산시의 원가절감 및 생산성 수율을 확보에 기여함. 오푸른 113 (주) 경우시스테크 부장 김성준 상기인은 11년간 자체 생산설비와 인력을 기반으로 수주에 따른 출하에 문제가 없도록 능률, 효율, 다기능화율, 납기준수율, 생산불량 유출을 관리하여 대폭 개선하였으며 ISO 9001/14001, IATF 16949인증의 모든 요구사항에 맞춰 생산을 진행하고 기업 발전에 기여함. 전현식 114 피씨엘(주) 대표이사 김소연 상기인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 감염증 진단제를 개발하여 다수의 글로벌 시장에 진입하여 전 세계인의 국민건강 향상 및 일상생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우수 의료기기 보급 노력 활동으로 의료진의 니즈를 파악하여 현장 상황에 적시에 보급하는데 기여함. 115 (주)킴즈메드 대표이사 김송희 상기인은 회사를 설립한 지 3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20~30%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다국적 기업의 경쟁제품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며 판매 영역을 넓혀감으로서 여러 국가와의 무역이 진행되도록 하였고 백만불 수출의 탑을 신청할 만큼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함. 116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원 김수경 상기인은 약 6년간 부산지원단 유관기관 네트워크 관리 일환으로 주요기업과 지자체 그리고 공사와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여 지원단 운영부분의 핵심 역할 수행에 기여함. 117 주식회사 디에이치엘코리아 팀장 김수민 상기인은 약 15년 4개월간 DHL KOREA 와 KTNET 의 업무제휴를 추진하여 전자상거래기업들이 손쉽게 수출신고를 하고, DHL 운송까지 한번에 진행할 수 있도록 전자상거래업체의 수출업무 단순화에 기여함. 118 씨피켐주식회사 대표이사 김승호 상기인은 약 8년 9개월간 국내에선 유일하게 목재방부제 원재료로 사용되는 탄산동을 생산하고 있으며 현재는 목재방부제 최대 소비지역인 미국, 유럽에 직수출하여 무역실적 개선에 기여함. 119 주식회사 진메탈코리아 과장 김승희 상기인은 약 3년 2개월간 탁월한 업무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본사와 바이어와의 수입 수출 업무에 관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수출에 관한 은행업무 네고를 하자없이 진행하여 회사이익의 증대에 기여함. 120 주식회사 발코 대표이사 김신대 상기인은 약 25년간 무역 업체를 신규 설립하여 수출 실적을 해마다 큰 폭으로 신장시키며, 해외에 국산 밸브류를 널리 알리고 수출 증대에 기여함. 이철호 121 현대삼호중공업 (주) 수석매니저 김신우 상기인은 1996년도에 입사하여 의장1부 부서장으로서 1DOCK 의장 공사 공정 준수에 앞장서서 회사의 모든 성과 달성의 기반 마련으로 당사가 동종업계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지닌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122 일성신약(주) 주임 김아름 상기인은 2014년 일성신약(주)에 입사하여 약 6년 10개월 간 일본 수출용 CMO 사업에 참여하여, 제품이 일본 품질 시스템에 준하도록 품질 보증체계를 확립하는데 기여함. 전현식 123 주식회사 이기엔터프라이즈 대리 김양진 상기인은 금번 100만불 수출달성에 있어 생산라인 괸리 및 당사의 생산 라인 중 미싱파트의 대리로서 강한 책임감으로 나머지 직원들의 모범이 되며, 솔선수범하는 모습으로 기업성장에 기여함. 김민경 124 국립외교원 부장 김양희 상기인은 무역위원회 위원(‘18.2.1~’21.1.31)으로 3년간 재임하면서, 해외로부터 들어오는 덤핑 물품에 대한 관세부과 결정, 지재권 침해행위 및 원산지 표시위반 등 불공정무역행위에 대한 시정조치 등을 통해 국내 피해기업을 구제함으로써 국내산업 보호에 큰 기여함. 125 주식회사 두성테크 차장 김연희 상기인은 약 15년 4개월간 주요 고객사 Market Share 추가확보를 통한 매출증대, 고객 영업활동, 생산지 승인일정 간소화,대체자재 제안을 통한 원가절감, 협력사 동반성장 교육 및 신뢰를 기반한 프로세스 확립으로 회사의 경쟁력 및 안정화에 기여함. 126 켐솔루션 (주) 사장 김영록 상기인은 약 23년 4개월간 유통전문회사로 해외수출이 척박한 전남에서 꾸준한 노력으로 94.24% 성장하였으며 수출지향적 국가정책에 기여함. 127 아이피텍주식회사 대표이사 김영백 상기인은 94년 당시 수입에만 의존해 오던 난방기기용 점화기 시장에 고주파형 점화트랜스를 개발하여 80%의 수입 대체에 성공하여 국익에 기여함. 128 희성피엠텍(주) 부장 김영범 상기인은 약 16년2개월간 지속적인 스멜터·산화로 공정과 전처리 공정 등 생산라인의 신설과 증설, 끊임없는 공정 기술개발을 통해 생산 원가절감 및 다양한 TFT활동, 주요부품 국산화 등을 주도하여 생산성과 제품 품질 향상 및 생산 환경 개선, 에너지 절감 등으로 이어져 회사 발전과 7억불 수출 달성에 크게 기여함. 129 갑산개발 (주) 대표 김영석 상기인은 2001년도에 입사하여 신선하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HMR제품과 밀키트제품 등을 통하여 한국식품을 부담없이 간편하게 즐길 수 있고, 김치로 대표되는 발효식품과 식물성재료로 개발되는 비건 푸드를 개발하여 한국식품의 우수성을 알리며 회사발전과 국가 수출실적 증대에 기여함. 130 와이앤제이커넥트 대표 김영신 상기인은 1995년도에 입사하여 한국 제품의 호주 수출 확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2,300평 규모의 자사 대형창고를 구축하면서 KOTRA와는 유통망 협업사업 등을 통해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음. 한국제품을 현지 시장에 접목해서 호주내에서 K-Food을 널리 알리는데 기여함. 131 (주) 케지티 대표 김영신 상기인은 1998년도에 입사하여 방범 및 방화와 디자인 쪽에서 사용되고 있는 불투명 및 투명망입유리, 코팅유리 등을 수입하여 30~40%까지 에너지절감에 기여하였고, 15년간 한국수입협회 유리분과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현재까지 한국-동남아국가들간의 판유리 사업을 개척하고 이들 나라와의 교역량 증가에 기여함. 132 세호마린솔루션즈(주) 대표이사 김영원 상기인은 약 33년 6개월간 디젤 추진 운항선을 LNG/LPG 추진선으로 개조하는 신 시장 도래를 예측하고 19년부터 약 2년간 글로벌 선주사 방문, 시장 조사 등을 통하여 운항선 LNG DF 개조 시장 수요를 파악하고 국내 LNG DF 추진선 개조 협의체를 구성하여 마케팅을 전개함에 기여함. 133 제네랄일렉트릭인터내셔날인코포레이티드 사장 김영제 상기인이 약 14년간 대표하고 있는 GE Korea는 여러가지 GE Business Unit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경제에 기여하며 주한미국상공회의소의 이사이자 항공 및 국방 위원회 공동회장으로 한국과 미국의 비즈니스 교류에도 많은 노력을 기여함. 이철호 134 주식회사 엘엑스판토스 팀장 김영훈 상기인은 E-COMMERCE 수출입 물류사업에 18년 종사하면서 국내최초로 전자상거래 수출신고시행 및 신규거래 프로세스를 개발/보급 하였고 중소벤처기업부 온라인수출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300개 이상 지원업무를 수행하며 국가 수출 활성화에 기여함. 김민경 135 중소기업중앙회 과장 김예민 상기인은 해외전시회 및 수출상담회 참여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수출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수출컨소시엄사업의 담당자로, 2016년 무역촉진부에 입사한 이래 현재까지 약 6년간 성실한 업무 수행을 통해 참여 중소기업의 수출증대에 기여함. 136 (주) 쎄믹스 과장 김용한 상기인은 2010년 입사하여 10여년간 생산업무 효율을 개선하고 제품의 성능향상과 고객사의 요구에 부합되는 제품을 제작함으로 우수한 성능의 Wafer Prober 생산을 통해 당사의 매출성장과 수출증대에 큰 성과를 거두고, 전문 엔지니어 양성에 크게 기여함. 이철호 137 주식회사 코코베네 대표이사 김용현 상기인은 개인 수출회사를 4년 이상 경영하다가,법인전환 지금까지 6년동안, 특수 프라이팬, 웍팬을 개발, 수출유망중소기업 및 전문무역상사로 선정되며, 2019년 수출의 탑 1백만불탑을 수상, 2020년도에 수출실적 1천만불 달성, 국가 무역수지 개선에 획기적으로 기여함. 138 주식회사 화림테크 대표이사 김욱춘 상기인은 약 3년 4개월간 알루미늄 시장 불모지인 대한민국의 이미지를 개선하고자 해외 활동을 꾸준히 하고 있으며, 수출국 다원화와 수출품 다원화를 통해 무역진흥에 노력을 하며 무역실적 향상에 이바지하고, 자신의 해외인프라를 활용하여 당사 및 타업체들의 수출 실적 증대에 기여함. 139 현대엔지니어링 (주) 상무 김원옥 상기인은 1988년도 입사하여 현재 현대엔지니어링 플랜트사업본부의 수행사업부장(상무)으로 재직기간 동안 국내외 다수의 대형 사업 수주 및 성공적인 수행을 통해 국가 기간산업인 플랜트 산업의 진흥과 발전, 국가의 대외 위상 강화와 수출 증대에 크게 기여함. 오푸른 140 주식회사 두성테크 차장 김윤식 상기인은 2010년 12월 ~ 2021년 08월 두성테크 구매팀으로 입사하여 고객사인 삼성전자 스마트폰 생산에 필요한 부품제조 관련 원자재 조달, 신규 거래처 발굴 진행 통하여 경쟁력 있는 단가 확보 및 원자재 조달 안정화함에 기여함. 전현식 141 주식회사 프라임테크 대표 김윤주 상기인은 ㈜프라임테크를 2015년에 설립하여 자외선 살균기 개발 단계부터 다양한 해외 바이어 발굴활동에 참여하며 다양한 국가로의 수출을 실현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함. 오푸른 142 주식회사 씨젠 이사 김윤지 상기인은 2001년 11월 ㈜씨젠에 연구원으로 입사 후 다중 PCR 검사 시약의 기반 기술개발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의료시장에 한국 기술력을 알리고 분자진단 시장 활성화에 따른 10억$ 수출 실적 달성에 기여함. 전현식 143 주식회사 창대핫멜시트 과장 김은초롱 상기인은 2012년 12월 입사하여, 현재까지 해외영업 업무를 약 9년간 투철한 장인정신과 노사갈등의 문제점을 즉시 해소하고, 갈등의 원인을 제거함으로 노사관계의 양립화를 실현하며 항상 솔선수범하는 성실한 근무태도로 맡은 바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며 기업의 이익창출에 기여함. 전현식 144 (주) 지오코리아 대표이사 김인택 상기인은 2011년 창업이래 2년차에 직수출860만불을 달성하는등 수출에 정진하였으나, 2013년 이른바 아베노믹스로 인한 급격한 엔화하락 및 일본 극우세력의 집요한 방해 등으로 큰 위기를 맞았지만 철저한 현지인 시장에 맞는 마케팅으로 1000만불 수출을 달성에 기여함. 이철호 145 갓바위식품 (주) 회장 김일현 상기인은 1996년 조미김 단일 품목으로 시작하여 2005년부터 해외시장으로 폭을 넓혔으며 건강한 먹거리, 최고의 품질 경영으로 대한민국 수출확대에 기여함. 146 (주) 아인스글로벌 대표 김장배 상기인은 고무산업 분야에 오랜동안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무 관련 공장의 생산설비와 시험기 분야에 새로운 기술이 접목된 자동화 설비 등을 소개하고 수출함으로서 한국업체의 해외공장에서도 한국내 본사와 똑같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 할 수 있게 기여함. 오푸른 147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부장 김장훈 상기인은 17년 간 창의력과 개척정신을 바탕으로 기술혁신을 위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한편, 혁신리더로서 원가절감 및 품질향상을 위한 다양한 혁신활동의 최선봉에서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 당사가 국내 최대의 자동차용 안전밸트 개발 및 양산 MAKER로서 자리잡는데 기여함. 전현식 148 (주) 애드테크 대리 김재문 상기인은 구매개발팀으로 입사하여 14년부터 19년까지 창고 자재 관리를 담당하여 사내 원자재, 재공품, 반제품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원가 산정 및 생산 투입을 적시에 이루게끔하여 회사 전반 이익 향상에 기여함. 이철호 149 녹차원 (주) 대표이사 김재삼 상기인은 10년 이상 사회적 책임 공헌 기업으로 책임 운영, 30개국 이상 수출 시장 개척 확대를 통한 국위 선양, 4개 공장의 지방 분산 배치 통한 지방 경제 활성화 및 고용 창출, 15년 이상 녹차 영농 조합 판로 개척 통한 80여 농가 생계 및 소득에 기여함. 전현식 150 주식회사 두민 대표이사 김재영 상기인은 본래 전지설비 제품이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이차전지를 자체 조립 설비.설계.생산.개발하여 최신공정기술 확보에 성공, 제품개발국인 미국.중국등 에 역수출을 시작하여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151 삼성바이오에피스 주식회사 본부장 김재우 상기인은 바이오시밀러 사업 초기부터 혁신적인 운영을 통해 자사 제품의 조기 출시를 이뤄냈고, 적극적인 시장확보로 유럽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했으며, 국외생산에 의존하던 상황을 타개하고 국내생산을 확대함으로써, 국가적 부가가치 증대와 바이오 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함. 전현식 152 (주) 한라글로벌 대표 김재우 상기인의 다년간 쌓아온 자동차부품의 전문적인 노하우로 한라글로벌의 사업 시작 6개월만에 3백만불을 달성, 10개국 이상의 바이어들과의 활발한 거래와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수출 증대에 기여함. 전현식 153 (주) 신티에스 이사 김재학 상기인은 ㈜신티에스의 디자인 연구소에서 발열장갑의 원천기술과 특허로 디자인 개발 기술 및 관련생산 기술과 특허 보유하는데 기여하며, 이를 바탕으로 수출향상에 기여함. 김민경 154 (주) 태진다이텍 대표이사 김정만 상기인은 자동차 부품 제조 전문 기업에 근무하면서 성장 전략 달성을 위해 자동차산업을 포함한 연관 산업의 성장에 일조할 수 있었으며 원천 및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해 국산화율 증가와 이와 관련된 산업의 동반성장이 가능하도록 기여함. 오푸른 155 (주) 서플러스글로벌 대표이사 김정웅 상기인은 2000년 (주)서플러스글로벌을 설립한 이후 반도체 중고장비의 수출입을 통해 외화 획득에 큰 기여를 했으며, 해외 중고장비 수입으로 연간 100억 이상의 외화절감으로 국가경제에 기여함 15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부사장 김정태 추천인은 NAND 시장개척을 통한 자사 매출 및 수익 성장으로 사업 경쟁력 확보에 큰 공헌을 하였으며, 최근 불확실한 시장 환경에서 IT 산업 변화의 적기 파악 및 의사 결정을 통한 고객 대응력 강화와 매출 확보 지속으로 국가 수출 확대에 크게 기여함. 157 (주) 나이스디앤비 차장 김정화 상기인은 중소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수출지원을 위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해외바이어 발굴지원, 수출상담회매칭지원, 화상상담회매칭지원, 서비스무역 해외수출판로개척 지원으로 무역진흥에 기여함. 오푸른 158 주식회사 나경 부사장 김정훈 상기인은 본래 필리핀, 베트남, 인도 등의 동남아 시장에 국한되어 있던 수출시장을 미주, 유럽으로까지 확대하여 당사가 2020년 7백만 달러의 수출 실적을 거두는데 크게 기여함. 159 주식회사 리얼코코글로벌 대표이사 김정훈 상기인은 본사 자사몰 및 해외오픈 플랫폼에서 여성패션의류 판매를 통하여, 일본, 중국, 싱가폴, 대만 등 B2C 전자상거래 수출 시장을 개척하는데 기여함. 160 윈스타 패키징 코퍼레이션 대표이사 김정희 상기인은 1994년 필리핀에 주재원으로 파견근무를 시작으로 필리핀에서 수출입 담당책임자로서 현지 직원들과 함께 유기적인 수출입 통관업무 진행을 맡았고, 현재는 현지에 4개 법인을 운영하며 무역 진흥에 기여함. 161 (주) 우신시스템 직장 김종길 상기인은 총 수공기간 35년 4개월 간 세계 각지로 출장을 다니면서 세계 유수의 자동차 메이커들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함으로써, 당사가 2015년 1억불 수출을 달성하는 데에 기여함. 오푸른 162 KLP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 김종선 무역위원회 위원(‘18.3.2~’21.3.1)으로 3년간 재임하면서, 해외 덤핑 물품에 대한 관세부과 결정, 지재권 침해행위 및 원산지 표시위반 등 불공정무역행위에 대한 시정조치 등을 통해 국내 피해기업을 구제함으로써 국내산업 보호 및 공정무역환경 조성에 큰 기여함. 163 (주) 지에스리테일 본부장 김종수 상기인은 GS리테일 상품개발본부 본부장 및 해외사업 간사임원으로서 GS리테일 플랫폼 및 해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대한민국 우수 중소기업 제품의 해외시장 판로개척 및 수출확대에 기여함. 김민경 164 주식회사 엔에이치농협무역 본부장 김종수 상기인은 투철한 사명의식과 프로정신으로 우리 한국농산물 수출확대만이 미래 한국농업이 나아갈 길임을 주지하여 우리 농산물 수출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 및 농업기반 마련에 헌신하였고, NH농협무역 수출성장의 중심에 서서 2020년 1억 4천만불 달성에 크게 기여함. 165 (주) 펠릭스테크 대표이사 김종오 상기인은 2008년 세계최초로 자동차의 디젤엔진용 단조피스톤을 개발하고 양산에 성공하였으며 현재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지키며 무역진흥에 기여함. 김민경 166 대원엠티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종원 1998년 부터 대원공작기계 대표를 역임하여 수출 및 국내외 영업 뿐만 아니라 해외사업장 및 제조공장 까지 영업 및 지원과 관리를 하여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2천만불 수출실적을 창출해는데 기여함. 이철호 167 한국썸벧(주) 과장 김종찬 상기인은 국내 판매에만 국한되어 있던 시장을 해외로 확대하였으며 수출 100만불 달성 이후 3년만인 20년도에 200만불을 초과 달성하였으며 지속적인 바이어 확보를 통해 수출활로개척 및 수출매출 증대에 크게 기여함. 오푸른 168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장 김준규 상기인은 해외 트렌드 조사로 기업의 차년도 전략수립에 기여하고, 무역사기사례 수집 및 매뉴얼 작성 등 무역사기 예방활동을 전개하고, 네이버, 다음과 뉴스 제휴로 기업의 정보접근성을 제고하는 등 시의성 있는 해외시장뉴스 생산 및 전파를 통해 기업의 해외진출에 기여함. 전현식 169 (주)보뚜슈퍼푸드 대표이사 김준범 상기인은 신시장 개척을 통한 기업경영 및 수출전담 물류 관리 시스템 도입에 성공, 건강식품 제품을 개발하여 무역 매출 증대 및 발전에 기여함. 170 (주) 피엔티 대표이사 김준섭 상기인은 2003년 (주)피엔티를 창업하여 2005년부터 롤투롤장비 국산화로 수입대체를 시현하였고, 특히 2019년에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된 이차전지제조용 광폭·고속 코터,프레스,슬리터는 세계최초로 개발·양산하여, 전세계로 수출함으로써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함. 171 주식회사 엑심베이 대표이사 김준헌 상기인은 한국 기업의 해외결제 서비스 연동 및 유지를 위한 개발 및 IT자원의 중복 및 반복 투자, 상시 운영 비용을 절감하여 기업의 비용 절감과 건전성에 기여함. 172 터보파워텍 (주) 과장 김준호 2007년 터보파워텍(주)에 입사 이래 14년간 설계분야에서 근무하며 당사의 신청분기(2020년 7월~2021년 6월)동안 수출 1,218만불(137억)을 달성하는 등 회사 성장과 무역 진흥에 크게 기여함. 오푸른 173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예원 대표이사 김중옥 대한민국의 전통식품인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를 활용한 가공식품을 수출, 건강식품으로 해조류의 위상을 높이며 풍부한 해조류 자원을 활용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고용창출에 기여함. 이철호 174 (주)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주임 김지열 회사수출업무의 마무리 출하를 담당하며 빈틈없는 꼼꼼함과 치밀함으로 수출 출하 작업을 수행해냄으로써 해외고객만족도 향상 및 회사의 수출경쟁력강화에 기여함. 175 주식회사 라오가닉 대표이사 김지운 상기인은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신규 브랜드 「포엘리에」를 런칭하여,베트남 시장을 확장하여, 누적 수출실적 1.3천만불을 달성하여, 국가산업 및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함. 176 세종특별자치시청 주무관 김지현 상기인은 2018년 4월 임용 이후 기업지원 분야에서 열정적인 자세로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여 다양한 수출지원사업을 추진하며 성과를 내었으며, 중소기업 발전과 지역경제 및 수출 활성화에 기여함. 오푸른 177 (주) 에너텍 과장 김진명 상기인은 2008년 입사하여 품질 및 분석파트의 팀원으로써 산화-환원의 테르밋 반응에 위한 합금철의 제조 방법 등을 포함한 다수의 특허개발에 참여하여 회사 발전에 기여함. 178 주식회사 리트빅 연구소장 김진복 상기인은 당사내 제품 개발 및 기술 관련 서비스를 총괄하여 국내,외 매출 증대에 기여하였으며,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 고객사에 납품할수 있도록 기여함. 이철호 179 희성촉매 주식회사 기감 김진수 상기인은 2000년 11월에 희성촉매㈜ 입사하여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개발 업무를 진행 하였으며, 끊임없는 노력으로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촉매 기술 개발을 통해 대기 환경 개선에 기여함. 180 주식회사 이즈앤트리 대표 김진우 상기인은 첫 제품 출시부터 제품기획에 관여하여 약 90% 이상 제품출시에 직접적인 관여를 하여 해외매출 신장과 무역진흥에 기여함. 181 주식회사 대하 대표이사 김진운 상기인은 신규제품의 지속적 개발 및 품질 관리로 양질의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함으로서,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우위을 확보하는데 기여함. 182 주식회사 미코바이오메드 이사 김진평 상기인은 코로나19 펜데믹 상황에서 자사 분자진단 키트 판매를 위해 국내/외 고객 확보 및 계약 수주 등 K-방역에 위상을 높이는데 무역일꾼으로 기여함. 전현식 183 에스 앤 에스 랑카 글러브 DIRECTOR 김창우 상기인은 약 24년 1개월간 생산제품(공업용 고무장갑) 개선 및 합리적 가격 조정을 통해 인도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생산 라인을 확장하여 기존의 생산량보다 1.5배 더 생산하게 해 수출에 기여함. 오푸른 184 (주) 엘에스텍 대표이사 김철 상기인은 (주)엘에스텍 대표이사로서 25년 이상의 무역 노하우와 해외 파트너쉽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글로벌 수출 강소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투자와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으로 우수한 국산 제품의 수출 실적 확대를 기여함. 185 (주) 티에스이 대표이사 김철호 상기인은 반도체산업 분야에서 35년 6개월 간 재직하며, 반도체 산업분야의 발전에 기여, 특히 반도체 테스트 장비 분야에서 기술개발과 품질향상을 도모, 꾸준한 수출증대를 이룩하여 글로벌시장에서 대한민국의 반도체산업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함. 오푸른 186 바디텍메드(주) 차장 김태겸 2009년 3월 30일 입사하여 5년 동안 연구개발에 참여하여 Troponin I, CK-MB, Myoglobin과 D-Dimer 제품개발을 완료하였고, 2014년 보직변경으로 해외영업을 시작, 유럽시장 개척 및 남미 매출 확대의 노력으로 매출향상에 기여함. 김민경 187 (주) 아이패밀리에스씨 대표이사 김태욱 상기인은 오랫동안 영위하던 웨딩서비스업에서 축적된 고객 경험 및 콘텐츠 제작 능력을 발휘하여 색조메이크업 분야에 과감하게 도전하여 `롬앤`이라는 브랜드를 의미있게 성장시키고 코로나 환경 속에서도 급격한 매출 및 수출 성장을 이루어내어 국위선양에 기여함. 188 주식회사 신흥 차장 김태한 상기 공적인은 2010년 8월 (주)신흥에 입사한 이래 현재까지 11년간 책임감과 솔선수범하는 자세로 자기가 맡은바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며 기존업무 프로세스에 안주하지 않고, 계속적인 개선등으로 Top board 생산성 향샹 및 불량율 개선으로 당사가 수출실적 삼백만불 달성 및 당사이익 전년대비 51% 증가에 기여함. 김민경 189 부산식품공사 대표 김태형 상기인은 1990년부터 한국에서 한국식품류 및 한국주류를 직수입하여 한인업소에 도소매 공급해왔으며, 진로소주 판매로 얻어진 수익금으로 지난 2008년과 2011년에 한인 상공회관 건립 기금으로 총 100,000홍콩달러를 기부하는 등 무역진흥에 기여함. 190 명지대학교 교수 김태황 피추천인은 무역구제학회를 이끌면서 무역구제 현안과 제도 개선의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학술대회와 정책 세미나의 주제를 기획하고 국제통상과 국제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주제의 전문 학술논문을 50여편 발표(게재)하여 전공 학문과 국가 정책 발전에 기여함. 191 (주)유알지 본부장 김태훈 물류본부 본부장으로 재임하여 부서 내 업무 프로세스 구축, 서비스 개선, 재고 관리, 창고 운영을 안정적으로 수행함. 회사에 폭발적인 주문 수량이 들어왔을 때도 적기에 출고를 내보낼 수 있도록 시스템을 장착하여 수출 실적에 기여함. 192 주식회사 마르페 대표이사 김택연 상기인은 ㈜마르페를 설립하여 편리하면서도 기술력이 향상된 슬링 시스템을 직접 개발하여 더 이상 수입품에 의존하지 않도록 하여 병원, 재활센터, 요양원 등에서 좋은 품질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게 국가발전에 기여함. 오푸른 193 주식회사 유니트레이드 대리 김하늬 상기인은 2016년 11월 입사이래, 회사의 수출기반 확립을 위해, KOTRA, 무역협회, 중소기업벤처부, 기술보증기금 등 정부기관과의 협업 및 수출지사화 사업추진의 주체로서, 당사가 2016년 이래 매년 30-200%의 초고속성장을 이루는데, 일등공신 역할에 기여함. 194 주식회사 와이엠텍 과장 김학봉 상기인은 2014년 당사에 입사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제조 현장의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성실함 및 책임감을 바탕으로 현장을 점검하고 생산 설비의 개선과 노사 화합, 수출 납기 준수로 회사의 신뢰성 확보에 기여함. 195 한국무역보험공사 팀장 김학성 상기인은 2000년에 한국무역보험공사 입사 이후 프로젝트 금융 업무를 담당하며, 특히 신북방 지역 해외자원개발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지원하였으며, 저유가 시대 도래 이후 위기에 봉착한 해외자원개발 프로젝트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기여함. 196 아이씨케미칼 차장 김한룡 상기인은 발효용 소포제, 태양광소재, 석유화학 중간체등 아이씨케미칼을 해외의 유수기업에 수출할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생산하여 당해연도 수출실적 1000만불을 달성하는 등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197 주식회사 루소 대표이사 김항성 상기인은 부단한 기술개발 및 공정개선을 통해 재활용 복합소재 고급화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선진국 재활용 플라스틱 강제조항을 극복하고 수출증대에 기여함. 198 삼성물산(주) 부서장 김해영 상기 공적인은 2003년 삼성물산에 입사한 이래 18년간 석유화학 제품의 해외 수출 영업을 맡아 한국산 제품의 해외시장 판매 및 국내 제조자의 안정적 생산에 기여함. 199 주식회사 지오뷰 대표이사 김현도 상기인은 2005년 3월에 ㈜지오뷰를 창업했으며 “기술최상주의로 객관적인 해양정보를 제공” 하고자 2006년 당사 부설 해양탐사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2007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해양탐사 연구를 국가연구기관 및 대학연구소, 기업체와의 공동연구개발로 우수한 기술력을 축척하여 국내 해양조사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 김민경 200 (주) 마녀공장 대표이사 김현수 한국 화장품을 전세계 여러나라(일본, 러시아, 중국, 미국, 인도네시아 등)에 판매를 통한 한국 전통 화장 브랜드로서의 매출 및 인지도 확산시키고 해당 국가의 선호 제품 및 이에 맞는 제품을 제안하며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201 주식회사 벡스코 대표이사 김현수 상기인은 2005년 7월 (주)벡스코에 입사한 이래 다양한 무역전시회 개최와 다년간 해외바이어, 국내 기업간 상담회를 성황리에 개최하여 국내기업의 해외판로개척 및 수출 확대에 일조하고 마이스산업의 정착과 관련산업의 육성 발전 및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함. 김민경 202 주식회사 씨젠 부장 김현정 상기인은 2005년 7월 제품관리 사원으로 입사하여 16년 간 생산성 향상 및 품질 안정화를 위한 생산 활동을 해왔으며 전 세계 COVID-19 팬데믹을 대응함에 있어 진단시약이 고객에게 신속하고 안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10억$ 수출실적 달성에 기여함. 203 주식회사 니텍스제침 과장 김현주 상기인은 1992년 당시 동양정밀(現 니텍스제침) 관리과에 입사하여 경리업무를 담당하며 기업 전반적이 업무를 익히게 되면서 기업 내의 여러 문제점을 발견하면서 개선하고 보강하며 기업 발전에 기여함. 204 비엠스틸 (주) 대표이사 김현창 상기인은 31년간의 업력을 바탕으로 최근 글로벌시장 가격변화 상황 속 기회를 발견하여 본래 제3국의 제품이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철강제품(빌레트)를 중국으로 수출하여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205 (사)한국무역협회 본부장 김현철 상기인은 1990년 한국무역협회 입사 이후 무역업계의 해외마케팅지원 및 국가전자무역인프라 구축, 전자상거래확산 등을 통해 중소기업 수출활성화 및 무역진흥과 코로나 팬데믹에 대응, 신속히 비대면 해외마케팅지원체계를 수립, 수출기업 지원에 기여함. 206 ㈜ 한미에프쓰리 부장 김현태 상기인은 본래 외국의 모닌, 다빈치 등의 제품이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과일음료 베이스 및 한국 치킨에 사용되는 원료들을 해외의 업체에 맞게 제품을 자체개발하여 동남아, 중국, 미주 등에 약 15개국 이상 수출을 하여 무역 수출에 기여함. 오푸른 207 한국산업단지공단 주임 김현표 상기인은 간담회, 내방 및 현장 방문 등을 통해 국가산업단지 입주기업체 경영 애로를 해소하고, 공장설립지원센터 운영을 통한 서류 무료 대행으로 제조업 창업을 지원 및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관리체계 개선 및 입지 관련 제도개선으로 산단 활성화에 기여함. 208 (주) 에이치에스오토모티브 대표이사 김형석 상기인은 (주)HS Automotive 의 대표이사로서, 중동지역, 러시아, 우크라이나, 러시아, 마주로 등 꾸준한 바이어 발굴과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며 생활용품, 배터리 등을 많은 양은 아니나 중고자동차와 함께 수출하여 수출에 기여함. 209 주식회사 삼보에스앤티 대표이사 김형조 상기인은 무역업 및 국내 고철을 매집하여 제강사에 납품하고 있으며 이를 결합하여 수출한 결과 천만불 달성하는등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210 코리아피티지 (주) 전무이사 김형주 상기인은 내수 및 수출 영업을 총 책임지고 직접 해외 신규시장 발굴, 인증획득 및 영업망 구축을 통해 수출을 확대하여 14년 3천만불, 15년 5천만불, 16년 7천만불 수출탑 3년 연속 수상과 2021년 수출실적 1억불 초과 달성으로 회사와 국가발전에 크게 기여함. 이철호 211 한국무역보험공사 본부장 김호일 상기인은 28년 넘게 무역보험 업무에 종사하면서 남다른 열정과 추진력, 리더쉽으로 무역과 해외투자 촉진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와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212 중소벤처기업부 행정사무관 김회중 상기인은 민간 기업에서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2018년 입직 후, 중소기업을 위한 다양한 수출지원 프로그램을 기업의 눈높이와 입장에서 새로이 발굴하고, 발전시켜 해당기간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저변 확대 및 수출 증가, 위기극복(코로나19) 과정에 크게 기여함. 213 주식회사 아시안푸드컨넥트 대표이사 김효길 상기인은 한국 식품을 12개국에 수출하고 있으며,한국 식품의 세계화를 위해 기여하고 있고, 특히 제품과 기술력이 있지만 해외의 판로를 찾지 못해 내수에만 머무르고 있는 중소 식품 제조사를 대신하여 해외에 홍보하고 영업하여 중소기업 수출 증진에 기여함. 김민경 214 (주) 코스알엑스 대리 김효정 상기인은 2018년도 유럽시장 정식 진출을 위한, EU 화장품 CPNP 등록 완료, K-Beauty 브랜드로서, 영국/북유럽/서유럽/동유럽 주요 오프라인 판매 리테일 및 온라인 입점등을 통하여 수출 매출 확대에 기여함. 215 (주) 대호 대표이사 김후기 상기인은 차량용 안전벨트 부품 중 핵심부품에 대한 공정기술을 확보 (특허)하여 이를 기반으로원가경쟁력과 우수한 품질경쟁력으로 수출을 시작하여 (주)대호의 수출실적 향상에 기여함. 216 주식회사에이치케이스틸 대표이사 김희권 상기인은 2001년 철강 냉간압연업체 (주) 에이치케이스틸을 설립. 자동차안전벨트 스프링소재를 개발, 2014년부터 글로벌회사인 AUTOLIV 루마니아, AUTOLIV 태국, 프랑스 CGR 등에 수출을 시작하여 수출실적향상에 기여함. 217 주식회사 코리나무역 이사 김희영 상기인은 2017년~2019년, 3년 동안 100여 개사에게 부산중소기업 수출 지원을 위한 수출컨소시엄 운영 및 무역업무 지원을 위한 컨설팅을 진행하고, 신시장 개척(유럽지역)을 위한 수출업무 Flow 표준화 정립 및 해외사업 총괄에 기여함. 전현식 218 성문일렉트로닉스 (주) 대리 김희주 상기인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산화로 개발된 Rotary DIP Switch를 가지고 적극적인 바이어 발굴, 관리를 통하여 제품개발국인 유럽, 미주, 중국 등 전세계에 역수출을 시작하여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219 동주산업 (주) 사장 나국민 상기인은 동주산업이 세계적인 제철설비업체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롤 초크 부문 미개척 세계 시장에서 일류 제철소들과 성공적으로 계약을 성사시키고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기여함. 220 위드시스템 (주) 대리 나동흠 상기인은 2013년10월05일 위드시스템(주) 회사 제조기술팀에 신입사원으로 입사를 하여 MULTI FUNCTION TEST 검사기등을 생산, 해당제품은 OLED 시장에서 좋은반응을 보여 매출 및 수출 증가에 기여함. 221 삼성전자(주) 차장 남경아 상기인은 수출/수입 업무 전과정을 자동화하여 국가 전자 무역시스템을 선진화하고 고도화 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국가 무역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 함. 전자무역 XML전자문서 표준화 지침 에 의거 XML표준 전자문서 개발 참여 및 국내 표준화 활동에 적극 참여함. 222 (주) 송이산업 이사 남경우 상기인은 제주도 특산품 화산송이를 주원료로 개발한 제품을 10여개국에 수출진성 해외바이어 직접 발굴로 향후 수출실적 증가 예상, 제주 수출기업 이미지 제고OEM, ODM, 중계무역 수출 등 다양한 거래루트 활용으로 수출 및 이익 증가 및코로나19에도 수출 증가에 기여함 223 (주) 한솔아이엠비 차장 남대현 상기인은 (주)한솔IMB 생산부서에서 0%로의 불량률을 위해 불철주야 생산성 향상 및 직원들에게 철저한 제품교육과 소통으로 업무에 임하고 있으며 특히 수출품 납기에 기여함. 오푸른 224 주식회사 에이치앤에스 대표이사 남동진 상기인은 수입 일변도의 방열소재의 국산화 주도를 필두로 2차전지 및 가전 사업의 대한민국 수출경쟁력 확보에 기여하였으며 지속적이고 과감한 기술개발 투자로 소재부품 산업의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과 혁신기술의 내재화을 통한 기술보국에 기여함. 225 투테크주식회사 대표이사 남의조 상기인은 잉크 같은 소모품 없이 인쇄하여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인쇄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국제특허 등록하였으며 기술 종주국으로 세계적으로 신시장을 개척하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 226 (주)메피온 대표이사 남중혁 상기인은 적극적으로 해외 시장을 개척하여 2020년 수출실적 백만 불을 달성하는 성과를 이뤄 당사의 기업가치를 높이고 나아가 한국 의료기기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함. 전현식 227 주식회사 인아웃오토메이션 대표이사 남창열 상기인은 저속, 불량률 많은 생산, 수동 포장 마스크 설비를 정밀, 고속, 자동 포장 개발에 참여하여 최신공정 기술 확보에 성공, 싱가포르에 수출을 시작하여 무역 역조 개선에 기여함. 김민경 228 신포메탈(주) 대표 노대훈 신포메탈(주)를 2016년 창립하고 2020년 연 매출 240억을 달성하기까지 자본, 기술, 설비 등 여러 가지 제약사항을 정면으로 부딪쳐 고용인원 창출, 매출의 극대화로 인한 기업의 성장, 협력 업체들과의 기술개발, 수출의 증대를 이루며 기업 성장에 기여함. 229 주식회사 위드닉스 대표이사 노만응 상기인은 전기전자공학 석사학위 취득 후, 삼성전자에서 10년 이상을 연구개발한 엔지니어 출신 기업인으로, 2003년 (주)위드닉스를 설립하고 전기전자 제품의 개발 및 생산에 집중하여 홍콩과 일본에 수출하고 있으며, 2020년 수출액 1백만불 달성에 기여함. 230 홍일산업 (주) 대표이사 노승용 상기인은 2006년 9월 회사 설립 이래로 신소재 및 신제품 개발을 통해 친환경 및 고품질 제품으로 산업용, 농업용 등 호스 전문제조업체로 성장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발전 시키는데 기여함. 231 (주) 창성에이스산업 상무이사 노형석 상기인은 24년간 신청기업에 재직하면서 해외기술영업팀 소속으로 해외인증 및 해외 마케팅 업무를 주도적으로 진행하며 수출기반을 조성하고 수출을 신장시킴으로써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기업의 성장과 기술 개발의 해외진출에 기여함. 전현식 232 메디멕스 델 노르테 대표 디에고 아르만도 라모스 에스타비요 상기인은 한국 제약무역 진흥 및 한국 의약품을 수입·공급함으로써 멕시코 의약품 부족문제 완화에 기여하고, 멕시코 제약·의료기기 유통사 메디멕스(Medimex) CEO로서 KOTRA의 지원을 받아 한국기업과 협력에 기여함. 전현식 233 (주)씨에이치씨랩 본부장 라종범 상기인은 생산 본부장으로서 생산공정, 효율적 인력운영, 자동화 공정도입, 품질 안정화, 나아가 신제품 개발 등을 통해 매출 증진 및 수출 확장에 기여함. 234 대경이앤씨 (주) 전무이사 류문열 상기인은 오랜기간동안 동종업체의 품질관리 및 검사관의 경력을 가진 품질관리 전문가로 생산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품질불량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아가 공장의 총책임자인 공장장으로 품질향상과 생산성 향상에 공헌하여 당사의 수출증대에 기여함. 김민경 235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류승민 상기인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시컨벤션 인프라 확충 기획에 기여하였고, 서울 국제교류복합지구 잠실 스포츠·MICE 복합공간 조성사업의 민간투자사업화에 기여함. 잠실 스포츠·MICE 복합공간 조성 민간투자사업 실행조직 구성에 기여함. 236 (주) 동성화인텍 대표이사 류완수 상기인은 LNG 화물창용 보냉재 제작업체인 (주)동성화인텍에 근무하며 고부가가치선박인 LNG운반선/LNG추진선用 단열재의 개발/개선 통해 국내조선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회사 실적 개선에 기여함. 오푸른 237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본부장 류재원 상기인은 2017년 마드리드무역관장으로서 유관기관 협력사업을 추진하여 2019년 국빈방문 경제외교 사업의 초석을 마련하였고, 2020년 무역투자데이터본부장으로서 무역투자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완성하고, 해외전시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는 등 무역진흥사업의 디지털 전환에 기여함. 238 주식회사 무계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차장 류한웅 상기인은 2018년 무계바이오를 입사하여 적극적인 품질 개선 및 해외 바이어를 영입하여 국내판매만 영위하는 자사의 제품을 기술혁신을 통해 액상혼합 비료를 개발완료하 해외에 일본, 중국제품보다 경쟁력 있는 품질, 가격으로 국내 최초로 유기질 비료를 수출하는데 기여함. 239 주식회사 케이텍글로벌 차장 류혜정 상기인은 포화상태인 기존 마켓에서 벗어나 당사에서 시도 해 본 적이 없는 미국과 멕시코를 공략, 2021년 20만불의 첫 성과를 이루어 무역 진흥에 기여함. 240 유한회사 한포 대표이사 류홍치 상기인은 다년간의 해외 경험으로 부직포, 물티슈 등을 제조, 판매하여 큰 폭으로 성장, 2020년 인도로의 부직포 제조 설비 수출을 통해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241 한국산업단지공단 과장 류희옥 상기인은 국가산업단지 관리기관인 한국산업단지공단에 근무하는 동안 국가산업단지 산업용지의 효율적인 관리 및 기업 관련 규제 등 기업의 중점애로사항을 발굴.해결하여 기업성장을 지원하고 일자리창출지원사업을 진행하여 기업의 효율적인 인력수급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함. 김민경 242 쓰촨 스타 홈쇼핑 Project Manager 리 앙 상기인은 쓰촨성 스타 홈쇼핑에서 재직하며 여러 품목부문에서 해외 고품질의 제품을 소싱하고 중국 내수시장에 유통해왔으며, 이를 통해 중국에 새로운 국제적 자원과 정보를 소개하고 국민 생활 향상에 기여함. 243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명지훈 상기인은 현재까지 무역마스터 인력 175명을 배출하고 그 중 162명을 취업시켜 취업률 92.6%를 달성했으며,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 및 제주한라대학교와 산학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무역인력양성에 기여함. 244 (주)마오테크놀러지 대표이사 모경택 상기인은 혁신적인 브랜드 경영으로 자체 브랜드의 수출 역량 강화시켰고, 브랜드 전략기획실의 총 책임자로 브랜드의 총괄기획 및 운영방안, 수출 마케팅의 기초 수립 등 전반적인 해외 공략 브랜딩 마케팅 및 경영 실현에 기여함. 245 (주)탑텍코리아 대표이사 모상훈 상기인은 금형개발 및 공정 단순화를 끊임없이 추진하여 금형 제작 경쟁력을 확보하였고, 금형 제작이 취약한 지역인 베트남과 멕시코에 법인을 설립하여 글로벌 경쟁할 수 있는 역량을 다져 한국 금형 기술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하였고, 가격 경쟁력을 통해 수출증대에 기여함. 전현식 246 (주) 마오테크놀러지 전무이사 모세은 상기인은 지속적인 해외 파트너들과의 화상 시스템을 활용한 소통으로 코로나 이전보다 더 원활한 소통 환경을 구축하여 기업 수출 역량을 강화하였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수출 시스템을 구축하여 무역 진흥에 기여함. 전현식 247 세중해운 주식회사 지점장 문동현 상기인은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수출 확대 기반을 위한, 안정적인 유럽 해외 물류 거점의 교두보 역할 및 공급망 확대를 위한 물류 거점 역할을 성실히 추진하여 우리 기업들의 물류 경쟁력 재고에 기여함. 248 주식회사탑프라 공장장 문민근 상기인은 국내 최초로 실리콘폴리머 공장을 건설하여, 1천2백억원의 수입대체 효과 달성하여 원가 절감 및 수출이익 극대화에 기여함. 또한 해외근무 경험을 기반으로 신규 고객사 발굴 및 국가별 제품 특성, 기호를 기반으로 신제품 연구에 기여함. 249 케이비에스미디어주식회사 사장 문보현 상기인은 KBS콘텐츠의 해외비즈니스를 담당하며, 한류를 주도해온 KBS미디어의 사장로서, 방송콘텐츠 수출을 통해 외화 획득 및 대한민국 브랜드 가치를 높이며, 한류 수출 효과를 통해 국민경제 및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함. 250 엘지이노텍 (주) 전무이사 문혁수 상기인은 카메라 모듈과 3D인식모듈의 기술혁신과 제조경쟁력을 통해 카메라모듈 세계 1등의 지위를 확보했으며, 연속줌의 차세대 글로벌 프리미엄 시장을 선점하여 IT 부품의 수출과 국가 소재부품산업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함. 김민경 251 (주) 행성사 법인장 문희춘 상기인은 행성 인도네시아 법인장으로 근무하면서 1998년 매출액 연 50억대비 2008년 매출액 연 450억으로 9배 신장하였고, 행성 태국 법인장으로 근무하면서 2008년 매출액 연 60억 대비 연 600억으로 10배 신장하며 무역 진흥에 기여함. 전현식 25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민성현 상기인은 KOTRA 로스앤젤레스 물류사업 전담직원으로 400개사에 달하는 대한민국 중소기업의 현지 물류지원 사업의 실무를 총괄하며 해당 업무의 전문성을 갖추고 이를 적절히 활용하여 현지 판로 개척을 위한 기업의 물류지원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며 무역 진흥에 기여함. 253 윤성산업(주) 과장 민수진 상기인은 입사이래 생산현장 작업일정관리 및 제품수출에 따르는 무역업무에 종사하면서 P/O 접수 및 수출일정 관리, 수출신고관련업무, 수출 후 제반관리 등을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입사당시 30% 내외의 당사 수출실적을 2014년 1,000만불 수출의 탑 수상에 기여 함. 전현식 254 주식회사 바이오넷 대표이사 민스티븐상원 상기인은 자사공장설립 및 MES 국책과제 선정으로 스마트 공장 설립완료, 2020년 코로나 사태 이후 국내/해외 환자감시장치 공급을 통한 보건분야에 공헌하였고, 신제품 개발계획을 통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의료환자관리 시스템 솔루션 개발중, 이후 북미대륙 진출에 공헌하며 무역 진흥에 기여함. 오푸른 255 (사)한국무역협회 부장 박강표 상기인은 2001년 입사 후 무역협회 전북지부, 싱가포르지부, 국제협력팀 등을 거치면서 21년간 국제협력 및 무역업계의 해외시장 개척을 지원하여 왔으며 2019년부터 무역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툴인 Mytrade 서비스를 개발하여 무역업체의 해외진출에 기여함. 256 (주) 에스피씨 이사 박경식 상기인은 2020년부터 현재까지 이테크건설에서 수행중인 베트남 바리어붕따우성에 위치한 HSVC (효성비나케미칼)의 PP5 / OL1 화학단지 신설 현장에서 쓰이는 배관용 자재들에 대하여 약24만불정도의 자재를 납품진행 완료하여 전체 프로젝트 공기에 차질이 없도록 기여함. 김민경 257 (주) 진산아이티 대표이사 박귀희 상기인은 일본, 미국 회사들로부터 전량수입하던 반도체와 세라믹소결 장비의 핵심부품 등을 국내업체 국산화 Project에 참여, 품질이 검증된 원재료 업체를 수배 후, 원부자재인 알루미나 분말 등을 대기업사 등에 공급, 100% 수입에 의존하던 부품의 국산화에 성공에 기여함. 258 한국유타카전자주식회사 대표이사 박기범 창업후 약 20년 동안 2차 전지 Battery 보호 회로 IC 개발및 영업 활동을 통하여국내 2차 전지 및 스마트폰 산업 발전에 일조를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반도체 전자부품 수출 증대에기여함. 오푸른 259 (주) 애드테크 대표 박기용 상기인은 회사의 창업자로서 자동차 공조 부품 전문 업체로 발돋움하기 위한 초석을 닦고 애(愛)+몽(夢)이라는 애드테크 가치 및 전략 수립에 기여함.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장려하기 위한 직원교육 및 개선 활동을 장려하고 내수 중심에서 수출 중심의 매출 구조를 구현하는데 기여함. 260 에스엠상선 주식회사 대표이사 박기훈 상기인은 코로나19로 인한 물류대란으로 피해를 입는 국내 수출기업들을 위해 2021년 8월 현재까지 총 14척의 임시선박을 투입하였으며, 무역협회와의 MOU 체결로 국내 중소기업들에게 우선적으로 화물을 선적할 수 있는 선복을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해외수출에 기여함. 이철호 261 주식회사 나라테크 대표이사 박노현 상기인은 코로나 19라는 어려운 시기속에서도 새로운 방식의 신규 해외 시장개척 및 적극적인 신규 고객선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해외영업활동으로 꾸준한 매출액 증대, 고용인원 증대로 수출액 3000만불 달성에 기여함 262 주식회사 미래기연 상무 박노훈 상기인은 (주)미래기연 입사이래 사내의 생산원가절감을 위한 기술개발과 공정개선을 주도하면서 생산관리 및 원가관리시스템의 정착에 앞장섰고, 특히 엄격한 품질검사 및 협력사와의 협조적인 관계유지를 총괄하여 회사의 성장과 매출확대에 크게 기여함. 263 주식회사 다른 대표이사 박도근 상기인은 세계 각국의 한국 대표 음식인 떡볶이와 한식을 알리기 위해 한국 농산물을 이용한 떡볶이 소스 개발 및 수출에 이바지 하였으며 현재 (2021년 7월 기준) 7개국 97개 해외 매장을 보유하며 성공적인 해외 진출에 기여함. 오푸른 264 주식회사피에스디이 대표이사 박동석 상기인은 약 25년간 반도체 설계 분야에 종사하며 10건의 특허출원, 장비 개발, 수출을 통하여 당해년도 533만불 수출실적과 최근 3년간 수출 평균신장율 97.37%을 달성하고, 다양한 국가시책에 적극 부응하고 사회 봉사활동 참여로 국가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265 주식회사 원진포리머 차장 박동수 상기인은 회사의 생산 파트 팀장으로 재직중이며, 생산 및 재고에 관련된 업무에 대한 책임을 두루 지고 있으며, 또한, 용기 금형 제작 및 품질 관리에도 책임을 지며 수출 증대에 기여함. 이철호 266 서울항공화물 (주) 대표이사 박무자 상기인은 1982년 11월 대표이사로 취임하여 약 40년간 수출물류 중심의 서비스를 기획/제공하고 있고, 특히, 항공화물 콘솔, 해상화물 콘솔, 공항업무 대행 서비스와 국내외 항공사 170여개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가격경쟁력과 양질의 고객서비스 체계를 마련하며 기여함. 전현식 267 (주) 멀티텍 파트장 박미경 상기인은 2009년 입사하여 현재 당사 노광파트장으로 성실하게 근무중이며, 상기인의 꾸준한 생산성향상 노력과 노사화합기여로 인하여, 상기인이 입사할 당시 연매출 약16억원의 작은 기업에서 올해 1천만불 수출의 탑을 신청하는 등의 (주)멀티텍 성장에 기여함. 268 해성 인터내셔널 대표 박미령 상기인은 해외거래처들과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거래하며, 국내에서 제조후 발생된 잉여자원인 재활용자원을 재활용처리한 뒤 다시 해외의 제조업체에게 이를 고정적으로 수출하는데 기여함. 이철호 269 한국비철(주) 부장 박미정 상기인은 현재 한국인 근로자 14명, 외국인 근로자 8명을 포함하여 총 22명의 종업원으로 중국, 필리핀, 미국 등 밧데리 생산업체등에 금속소재를 생산하여 납품하는 업체로 2006년 12월 15일자로 입사, 현재까지 15년 6개월간 총무업무 및 영업, 수출입 업무를 통해 수출증대에 기여함. 270 (주)트레드링스 대표이사 박민규 상기인은 수출입 물류 시장의 디지털화에 앞장서며 중소 중견 기업의 수출입 환경 개선과 경쟁력 강화, 수출입 IT 신기술 개발 및 도입을 통해 업무 효율성 증대, 청년 물류 전문 인력 양성 및 신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 271 (주) 수양켐텍 대표이사 박범호 상기인은 끊임없는 경영혁신과 신제품 개발에 따른 기술 경쟁력 확보를 통해서 각종 화학첨가제를 국산화로 대체시킨 결과 당해년도 수출 540만불을 달성하는 등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오푸른 272 주식회사 플라이업 대표이사 박병규 상기인은 디스플레이, 반도체 검사 장비 및 부분품의 대외 수출 총괄, 정부지원사업을 통해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하여 수출에 이바지하였으며, 꾸준한 연구, 기술 개발 투자 및 마케팅으로 수출 판로를 개척하고 회사 역량을 강화하였으며 수출 증대에도 크게 기여함. 이철호 273 (주) 서플러스글로벌 전무이사 박병도 상기인은 2001년 ㈜서플러스글로벌에 입사한 이래 현재까지 20년간 수출입, 국내해외영업 및 마케팅 업무 및 운영총괄의임무를 성실히 수행하여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성과창출에 기여함. 김민경 274 주식회사 메디언스 대표이사 박상재 상기인은 2013년 설립 이후 지속적인 매출성장, 수출확대 및 고용확대 중에 있으며, 미국으로의 원료성 제품, 완제품의 수출, 일본으로의 간접수출을 포함하여 70만불까지 수출을 증대하고 있으며 최근3년 수출증가율이 37%에 이르고 있고, 고용증가율이 18% 증가에 기여함. 275 (주)지에쓰아이 대표이사 박상혁 상기인은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국내 중소 제조기업들을 적극 발굴하였고, 해외시장 개척 및 수출시장 다변화에 공헌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대한민국 소재-부품 산업의 발전에 기여함. 276 주식회사보백씨엔에스 팀장 박서현 상기인은 해외법인 설립이후 수출업무를 도맡아 하여 당해년도 수출실적을 달성했으며 매출증대와 해외사업을 지원하여 납품등을 차질없이 수행, 수출노선을 개척하는등 원가절감에도 기여함. 277 주식회사 테크로스 사장 박석원 상기인은 세계 일류상품 개발, 해외 시장개척 및 다변화로 BWMS시장에서 수년간 전세계 MS 1위를 유지하며 조선해운 산업에서 대한민국이 세계 1위 기술국가임을 전 세계 고객들로부터 인정받는 등 국가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크게 기여함. 김민경 278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박선경 상기인은 2001년부터 동향분석팀, 전자무역센터, 홍보실, 국제협력실, 상하이지부 등에서 근무하며 우리 기업의 수출마케팅과 해외시장개척을 위해 헌신하였으며, 2020년부터 혁신생태계실 실장으로 근무하며 한국 스타트업의 혁신성장과 해외진출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총괄, 무역진흥에 기여함. 오푸른 279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팀장 박성태 상기인은 1997년 12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 입사이후 국제협력처, 글로벌사업처, 두바이수출BI, 해외직판사업처 등에 근무하면서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화, 전자상거래 수출시장진출 지원하였고, 해외 유관기관과 협력을 강화하는 등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활성화에 기여함. 280 위시컴퍼니 (주) 대표 박성호 상기인은 2012년 위시컴퍼니(주)를 설립, 자사 브랜드를 포함한 타 중소기업 화장품의 해외 판매를 위한 크로스보더 커머스 Wishtrend.com을 개설하고 자체 제작 콘텐츠 마케팅 채널인 Wishtrend TV를 통해 국내 화장품의 해외 역직구와 수출에 기여함. 281 리드원메디칼 대표 박성효 상기인은 리드원메디칼의 대표로서 고주파,저주파자극기 제품이 일본 시장에서 자리 잡고자 품질등 고객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2018년 KGMP(의료기기제조및품질관리기준적합인정서), ISO13485(품질경영시스템)인증을 획득하는 등 수출 증대와 무역진흥에 기여함. 282 주식회사 지티지메디칼 대표이사 박세환 상기인은 모기업으로 부터 능력에 대해 인정받아 분사창업을 통해 수출실적 달성을 통한 외화수익을 창출하였으며, 또한 사회적 이슈인 청년 고용난에 대한 해결을 위해 청년층 신규채용으로 국가의 공공이익을 창출하였으며, 국가발전에 기여함. 오푸른 283 주식회사 태하 주임 박수훈 상기인은 2017년 4월에 당사 생산기술2부에 입사하여, 지속적인 생산 공정의 업무 개선을 통해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여 당사의 매출액 향상과 기술력 향상에 기여함. 284 (주) 이씨이십일 대리 박슬 상기인은 한국무역협회 파견근무자로 5년 5개월간 68회 이상의 온오프라인 융합 해외 바이어 마케팅 사업을 통해 66개국의 바이어 1,696개사를 발굴, 중소수출기업 5천여개사와 만 육천여 건의 상담주선을 통해 우리 수출기업의 수출 기회 제공 및 수출실적 향상에 기여함. 285 한국콘텐츠진흥원 본부장 박승룡 상기인은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사업본부장으로서 K-콘텐츠 화상상담회, 온:한류 축제, 국산 실감콘텐츠 유네스코 전시 등의 사업을 기획, 수행하여 콘텐츠기업의 해외진출, 해외 한류 소비자 기반 확대, 연관 산업 성장 견인, 국산 실감콘텐츠의 우수성 국내외 홍보 등에 기여함. 전현식 286 주식회사 스틸마일스톤 대표이사 박승미 상기인은 국내 철스크랩 자급률이 80%를 넘어가는 시점부터 잉여 철스크랩이 생길 것을 예측하여, 2017년부터 수출시장을 개척하고 업계 내 수출 선도 기업의 지위를 확보하였고, 특히 2021년 1월 10년 만에 재개방된 중국 철스크랩 시장을 개척 및 수출에 기여함. 287 주식회사 브러쉬뱅크 대표이사 박승주 상기인은 대표 기간 산업 분야인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산업 세정공정에서 사용되는 브러시를 전문 제조 및 판매하는 중소기업으로 국내 최초로 제품을 국산화하여 산업 발전에 기여함.또한 해외수출을 확대하면서 국가 발전에도 작게 나마 기여함. 288 에이치엠엠(주) 팀장 박승준 상기인은 최근 해상물류난 극심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민/관 협동 수출입물류 종합대응센터 초대 구성원으로 참여여하여 임시수출선박 투입, 중소화주 전용 선복지원, 농수산식품 전용 선복지원 등을 통한 물동난의 획기적 개선에 기여함. 오푸른 289 한국정밀공업(주) 대표이사 박실재 자동차부품, 건설가설재용 부품등 냉간단조 업계의 우수한 회사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현재 현대.기아 르노삼성등 국내 자동차산업의 부품에 들어가는 BOLT.NUT, SCREW등 은 시트,벨트 부분에 사용되는 중요한 부품으로 사용되어 무역진흥에 기여함. 290 주식회사 대미 이사 박언미 상기인은 2000년 10월 설립된 화학제품 및 자동차부품의 제조 업체인 (주)대미 임원이사로서 산업의 근간인 제조업에 대한 긍지와 투철한 사명감을 갖고, 지속적인 친환경 기술개발과 경영으로 산학연 연계사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기업의 재무관리를 충실히 수행하여 기업발전과 수출에 기여함. 291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박영규 상기인은 한-캄보디아 FTA, 한-우즈베키스탄 FTA, 한-메르코수르 TA 협상 등에서 상품분과에 소속되어 상품협정문을 초안하고 협상에 참여하여 협상결과가 국익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기여함. 김민경 292 주식회사 그라젬 대표이사 박영금 상기인은 2020년 국내의 대표적인 이커머스인 네이버, 쿠팡 및 스킨알엑스와 싱가폴, 미국, 일본 및 중국 등 4개국의 대표적 이커머스인 아마존, 타오바오 및 쇼피 등을 통하여 수출 판매를 진행하여 2020년 글로벌 직접수출 실적 액 320 백만원을 포함하여 총 매출액 362 백만원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293 주식회사 제이에스씨 대표이사 박용춘 상기인은 내수 위주의 기업을 인수하여 수출 전문 회사로 성장시켰고 기술 개발 과 해외 마케팅에 전념하여 매년 수출 실적을 향상 시켜 국가 경쟁력 발전에 기여함. 294 (주) 아이패밀리에스씨 차장 박윤아 상기인은 코로나로 인해 침체되어 있는 시장 경제 활성화 및 색조 전문 브랜드 롬앤의 성공적인 론칭으로 해외 시장 개척에 성공하여 국가 브랜드를 재고하였음. 또한 소비자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기부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과 무역 진흥에 기여함. 이철호 295 주식회사 대호그린 대표 박윤호 주식회사 대호그린 대표 박윤호는 방역용소독기를 특허 개발하여 국내외에 판매하고 있는 바, 대한민국 방역산업의 발전과 전염병 예방에 노력 및 수출에 기여함. 296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장 박은아 상기인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입사 이후 국내 및 해외무역관 근무를 통해 우리 중소기업의 수출국가 및 수출품목 다변화와 수출확대에 기여함. 297 (주)케이디파인켐 회장 박재윤 상기인은 KD파인켐 대표이사로서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 개발사업 참여로 인한 사회적 공헌 및 해외시장 개척, 해외사업망 확충을 통해 수출실적 등에 크게 기여함. 298 주식회사 제이커코리아 감사 박재형 상기인은 국내 생산기업이 없어 해외 다국적기업이 수년간 독점판매해 오던 한국전력 납품 지상변압기용 핵심부품과 동등의 기능과 품질을 가진 외국 제품을 런칭해 외국제품간 가격경쟁으로 약 30%가격 인하, 외화유출감소와 국산 전력기자재 역수출로 K-POWER우수성 전파에 기여함. 299 주식회사 포스코인터내셔널 그룹장 박정서 상기인은 철강 제품 글로벌 판매 확대 및 철강 수출 불모지였던 인도/동남아/서남아/중동 지역 등 글로벌 신시장 개척 및 수출 상권을 확대하고 현재,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인 풍력PJT를 수주하여 철강 수출 증대에 기여함. 300 희창물산 (주) 차장 박정우 해외수출을 위한 수출공장 등록을 통하여 수출상품의 품질향상과 위생관리에 만전을 다 하였고 (등록시설 : HACCP, EU, 중국, 베트남, 러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에콰도르) - 해외시장에 맞는 맞춤형 브랜드 개발을 통하여 수출증대에 기여함 301 주식회사 태강리싸이텍 대표이사 박종헌 상기인은 당사의 생산시설투자와 전자폐기물의 재활용을 높이고 인쇄회로기판에 포함된 유가금속 및 희귀금속의 효율적인 회수기술시스템 갖추어 환경보존과 수출에 기여함. 전현식 302 주식회사 태하 과장 박주용 상기인은 2017년에 당사 기술영업에 입사하여 해외영업 담당자로서 해외 전시회 참가, 온라인 마케팅(Youtube 및 Linkedin)을 통해 당세 제품을 해외에 널리 알려 해외 매출 증대에 기여하고, 한국의 기술을 널리 알리고 무역 발전에 기여함. 303 넥센타이어 (주) 책임 박진광 넥센타이어 창녕공장 물류운영팀에 근무하며 매년 해당 공장의 출고 생산성 향상 및 물류비용 절감 / 설비 효율화 향상에 기여함. 304 ㈜ 터보코리아 대표이사 박창훈 상기인은 세계경제위기와 저가 경쟁업체의 증가로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 안정적인 환리스크 관리,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로 꾸준한 수출실적을 달성하여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함. 305 (주)파크 인터네셔널 대표 박채운 상기인은 파크인터네셔널을 창업하여 중소기업의 식품을 동남아로 수출하는 등 대한민국의 중소기업 식품 수출 성장에 기여함. 306 동진정공 (주) 부장 박태건 상기 본인은 유압 실린더, 산업용 PUMP의 신제품 개발 및 다수의 품질개선활동 (최근 실적; 19년 107건, 20년 130건) 및 다수의 품질개선 활동을 진행하고IATF 16949(2016) ,ISO14001(2015), ISO45001(2018) 인증을 획득하여 무역 진흥에 기여함. 오푸른 307 고성무역 대표 박태성 재생원료의 질과 종류를 다양화하여 구매자 및 해당 산업에서 폭넓게 사용가능한 제품을 생산해 당사의 매출향상과 직,간접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고, 구매자의 니즈 충족 및 수출 확대에 기여함. 308 나이스텍 (주) 수석 박현규 해당 사원은 2014년 7월 나이스텍(주) 입사하여 디스플레이 소재를 개발하여 해외 시장 개척에 주력 하고 제품영업 주력하여 연간 수출액 300만불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함. 309 미즈바이베이지 대표 박현정 상기인은 여성패션의류를 자체 디자인하고 생산한 제품을 수출을 함으로 k-fashion을 알리고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함. 310 (주) 태진다이텍 대리 박현주 상기인은 수출관련 전체 매출의 60%이상을 차지하는 제조업의 해외영업직무를 맡으며 해외출장 포함, 외국 바이어 관리 및 전반적인 수출업무를 진행해 현재의 원활한 수출이 이루어지는데 기여함. 이철호 311 (주) 현진케미칼 대표이사 박형서 상기인은 PROTECT FILM, PU FOAM DOUBLE SIDED TAPE 제품을 자체 개발하여 최신공정기술 확보와 생산개발 기간을 간소화 제품의 품질,가격, 생산리드 타임을 최소화하여 전년대비 눈부신 매출향상 및 수출증대에 기여함. 전현식 312 주식회사 에스앤씨코퍼레이션 대표이사 박형준 국내 다양한 화학 원료 제품들의 경쟁력과 높은 품질을 해외에 널리 알리고자 다양한 창의적인 제품 소개 및 신규 용도 개발을 통해 해외수출 판로개척을 넓혀가고 있으며 2015년도에 백만불 수출의 탑, 2020도에 삼백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여 기업위상 제고에 기여함. 전현식 31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팀장 박효림 외국인 환자 유치 및 의료해외진출의 기반이 되는 외국의료인 연수사업을 통해 ’07년부터 시작하여 현재 총 32개국 900여명 이상의 외국 의료인에게 우수한 한국 의료기술을 전파하고 한국 의료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함. 전현식 314 주식회사 덕양에코 대표 배명환 상기 공적인은 1999년 (주)덕양 경리팀에 입사한 이래 현재까지 22년 간 투철한 장인정신과 솔선수범하는 성실한 근무태도로 맡은 바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였고. 창의력과 개척정신을 바탕으로 기술혁신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 당사가 2017년 (주)덕양에코 펌프사업부를 창설하여, 2021년 55만 달러의 수출 실적을 거두는데 크게 기여함. 김민경 315 ㈜ 현대미포조선 수석엔지니어 배민권 상기인은 현대미포조선에서 25년 이상 근무하면서 신기술 개발에 지속 노력해 왔으며, 변화하는 조선시장과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맞선 선제적 대응으로 한국 조선산업이 일본, 중국과 차별적 우위를 유지하는데 기여함 316 한국진공 (주) 과장 배재숙 상기인은 자사의 영업 및 수출입 업무를 전담하여 17년 이상을 온 힘을 다해 업무를 수행, 전력을 다하여 왔으며, 자사의 수출성장과 회상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317 주식회사 대덕에이엠티 대표이사 배정희 크린룸 설비의 다변화로 신제품을 개발하여 2010년도 중국시장에 본격적으로 수출을 시작하고. 2016년 부터 베트남 시장에 진출하는데 크게 기여함. 오푸른 318 주식회사 제이앤씨 대표이사 배천배 상기인은 자동차 용접지그 분야에 있어 다년간의 경력과 경험을 통한 확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매출 실적향상에 기여하였으며, 영업 및 연구소 인력 확충을 통한 에너지 절약형 특허와 해외 마케팅을 통한 신시장 개척을 통해 국위 선양에 기여함. 오푸른 319 주식회사비엔이코리아 대표이사 백규현 상기인은 2012년 (주)비엔이코리아를 설립하고, 설립 이후 치과케미칼 재료파트의 관련 제품을 연구/제조 하여, 10여년의 시간동안 내수와 수출에 기여함 오푸른 320 (주) 경우시스테크 차장 백상기 2018년 입사 이후, KIGIS 해외사업 총괄로서, 자사 솔루션인 ‘중장비 지능형 접근경보시스템’ (제품명 IPAS)의 글로벌 사업화에 기여함. 3년간 총 22개국의 23개 딜러 발굴에 앞장섰으며, 3년 누적 해외매출 250만불을 달성에 기여함. 321 주식회사 미래기연 차장 백상종 상기인은 2013년 당 사에 입사한 이래 현재까지 생산현장에서 근무하면서 70대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설비의 제조 및 설치 현장에 직접 임하여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작업에 적시대응함은 물론 공정 및 부품개선에 적극적으로 아이디어를 개진하여 수출증대에 기여함. 322 주식회사 월드지앤에스 대표 백상협 상기인은 2017년 11월에 입사하여 수출 실무, 상품 소싱, 해외 매출처 관리 등 전반적인 업무능력을 습득해 2019년 10월 대표이사로 취임한 이후 다져진 업무 능력을 통해 수출 증대에 기여함. 323 주식회사 포스코인터내셔널 실장 백승돈 미얀마 가스전 생산운영의 책임자로 첫가스 생산에서부터 2018년 현장 재직시까지 804bcf(LNG 환산 15백만톤) 천연가스를 생산하였고, 국내 해양자원 개발과 생산운영 기술 향상에 큰 기여함. 324 (주) 세고스 조장 백운자 독자 모델의 경박 단소화 기술, 뿌리기술의 직접적 기여로, 프리미어급 가전 제품의 국산화 성공으로, 고품질 고 신뢰성 부품 생산, 공급을 통해 당사 고객사인 전방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추구로 국내 가전시장의 제품 경쟁력을 높여 수입 대체를 이루게 하는데 크게 기여함. 325 제너셈 주식회사 상무이사 백정민 한국 반도체 장비 산업의 상대적 미개척 분야인 남미의 브라질 및 멕시코 시장에 국산 반도체 장비의 공급 및 수출 확대에 기여한 바가 크며 특히 납품 후 철저한 고객 서비스 및 관리를 통하여 한국 장비 메이커에 대한 호의적인 이미지 확립과 지속적인 수출규모 확대에 기여함. 326 (주) 도루코 사장 백학기 상기인은 본래 Gillette 등 선진 면도기 기업이 시장 점유율을 장악하고 있었던 시기에 고강도 면도날 및 Sludge free 면도기 기술 확보에 성공하여 제품개발국인 미국 및 유럽 등에 역 수출하며 무역 증진 및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김민경 327 피에스케이홀딩스 (주) 차장 백화석 2010년부터 반도체 Package 공정에서 TSV, FOPLP 전용의 Descum 설비를 비롯해 Reflow 및 Bonding 공정에 사용되는 Non-Flux Reflow 장비의 국산화에 성공하여 전량 수입 대체를 이끌어 국내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에 기여함. 328 한화솔루션㈜ 부장 변성준 specialty 신제품(전선용복합수지)의 초기 해외 판촉을 통해 해당 사업의 글로벌 Top Tier 위상의 초석을 다지고, 2019년부터 범용제품 PVC의 증설 물량 판매를 포함, 수출 2천억 원을 달성했으며 아시아 외 중동,아프리카,남미까지 판매 채널 다변화에 기여함. 329 성은케미칼 대표 변윤환 상기인은 본래 ABS 컴파운드 제품이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소형 가전 제품을 자체 개발하여 고객사 테스트 및 기술 지원을 통해 HIPS 컴파운드 대체재로 개발에 성공, 기존 사용 중인 로컬 제품을 대체하여 수출을 시작, 무역 역조 개선에 기여함. 전현식 330 주식회사 이노렉스테크놀러지 본부장 변준수 상기인은 중국에서 생산 공급받던 자동차용 LOGO LAMP를 국산화 개발 성공하여 수출하는데 기여하였고, 자동차용 HEAD LAMP 용 BULB 대체로 LED TYPE MODULE 개발에 적용하여 무역 진흥에 기여함. 331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팀장 복덕규 2009년 kotra 아세안지역전문가 임명 이후, 12년간 1만명 이상 우리 기업인 대상 강연, 신남방특별위원회 민간자문 위원 활동, 정부와 협력하여 인니와 베트남 지역 신남방비지니스 센터 설치 지원, 스마트시티, 할랄 등 아세안 시장개척 노력 및 신남방정책 홍보에 기여함. 332 주식회사 원진포리머 과장 서경훈 상기인은 2017년 입사 후 품질관리 부서에서 QC 업무를 하면서, 제품에 대한 높은 이해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품질 불만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하며 수출증대에 기여함. 333 주식회사보백씨엔에스 대표이사 서동조 상기인은 법인설립이후 단기간에 해외법인을 3군데나 설립, 운영하여 단기간에 수출 1000만불이상을 달성하여 사회에 이바지하고 국가수출진흥에 기여함. 전현식 334 주식회사 금산몰 대표 서병훈 소공인 글로벌 기업화와 소공인 인지도 상승을 위한 지역 상생 기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관행적 제조구조를 탈피하여 제조별 표준화 공정을 수립하고 다품종 소량생산방식을 구축하여 30여개의 품목 다양화를 통해 국내외 바이어의 맞춤형 수요확보와 11개국 이상에 수출에 기여함. 335 영도비철공업사 대표 서봉우 상기인은 비철금속 재활용 스크랩을 가공처리하여,제강용 슬러거 부자개를 생산 및 판매하였고, .혼합된 비철그목 스크랩을 친환경 공정기술로 가공처리하여 수출및 내수시장을 개척하여 환경과 수출 증대에 기여함. 김민경 336 주식회사 창대핫멜시트 대표이사 서삼상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아크릴 PSA, TWINKLE, PREMIUN GLITTER, AURORA등 다양한 기술 경쟁력 확보에 힘입어 2021년 55,182백만원의 매출 신장을 달성하는 등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이철호 337 주식회사탑프라 부장 서영호 상기인은 (주)탑프라 품질팀(4년)과 영업팀(6년)에 약 10년 근무하며 국내 판매에 국한되던 실리콘실란트 제품을 약 20개국 이상에 수출하고 중소기업 해외인증 취득 및 국내 중소기업 수출 성장에 기여함. 338 주식회사 이천 대표이사 서윤성 상기 본인은 이천수산 대표이사에 취임하여 내수시장 확대에 기여하였고, 주식회사 이천을 설립하여 수출에 매진하여 외국에 대한민국의 최상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함. 김민경 339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주) 부장 서재오 상기인은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주)의 재무 및 IR 팀장으로서 당사가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자금 확보와 내부 원가시스템 구축 및 ERP 시스템 개발에 참여하여 당사가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데 기여함. 김민경 340 한창기업 (주) 공장장 서정요 제품개발, 품질향상에 매진하여 제품의 우수성을 해외에 알려 대량 수출의 물길을 여는데 기여하였고, .자동화 기계를 지속적으로 up-grade하여 생산성향상과 원가절감을 꾀하여 부가가치증대에도 크게 기여함. 341 (주) 바이오포트코리아 부장 서정호 상기인은 (주)바이오포트코리아 생산부 부장으로서 자사에서 생산하여 수출하는 제품들이 정해진 기간내에 우수한 품질로 생산되어 선적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 수출증대에 기여함. 342 (주) 나노엔텍 부장 서종원 상기인은 2007년 7월 당사에 입사, 현재까지 14년 간 당사 체외진단키트 생산의 운영과 공정개선 업무를 수행해 온 전문가이며, 관련분야의 폭넓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공정 및 불량률 개선, 생산운영관리분야의 업무를 수행하여 당사의 수출증진에 크게 기여함. 343 삼양금속공업 (주) 대표이사 서진민 1981년 부터 인본경영과 행복경영을 바탕으로 타에 모범이 되는 기업운영을 하였으며, 당해년도 수출실적을 달성하는 등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344 주식회사 코스만 차장 서하얀 상기인은 주로 국내 내수용을 판매하는 자사 주력제품인 1,2-Hexanediol, 1,3-Propanediol 등 화장품 원료에 대한 중국 및 인도네시아 등 해외시장 개척의 실무자로, 해외박람회 참가 및 수출 확대를 통해 근무회사의 매출 증대에 기여함. 345 오로타다 주식회사 대표 서현보 상기인은 본래 바스프 제품이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TDI 제품을 강한 도전정신과 영업능력으로 시장 확대 및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이철호 346 주식회사 세현글로벌 과장 서현승 수산물 수출로 인하여 어민과의 공생관계로 발전하여 어촌계의 판로개척에 도움을 주었으며, 어민들이나 어촌계에서 어려워하는 수출의 장벽을 넘을수 있도록 서로 협력하여 코로나로 인하여 힘든 경제 상황에서 중국과 계약을 체결하는 등, 수출 증대에 크게 기여함. 347 (주)한드림넷 대표이사 서현원 상기인은 네트워크 통신장비 제조사인 ㈜한드림넷의 대표이사로서, 보안 기능을 탑재한 네트워크 스위치를 세계 최초로 출시하여, 국산 제품에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였고, 국내를 포함해 세계 11개국, 3만여 고객사를 확보하는 등 글로벌 정보보안 강화에 기여함. 348 (주) 한국실리콘앤리소스 상무이사 서호준 상기인은 2009년 입사하여 당사에 근무한 11년 이전에도 동종업계에서 수입 수출의 경험이 풍부하여 거래처 발굴에 항상 노력하는 비철금속 합금 업계에 인지도가 높은 신뢰도 있는 전문가로써, 국내시장의 공금 과잉의 알루미늄 합금을 해외시장 개척에 힘쓰고 수출하는데 크게 기여함. 349 현대제철주식회사 실장 석윤종 피 추천인은 현대제철 형강류 영업담당임원으로서 형강제품 수출 최전선에서 회사와 국가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과 수입산 국산 대체에 공헌이 크며, 기간산업인 철강산업 혁신 및 효율적 수출 전략 수립에 기여하여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전현식 350 주식회사 미래기연 대표 선우종현 상기인은 국내 대기업의 관련분야에서 실무자 및 임원으로 근무했던 경험을 토대로, 수요처별 요구사양에 1:1 대응하기 위한 자체설계역량의 강화와, 설비의 제작,시공 수행능력향상 및 전문성 확보를 주도함과 동시에 해외시장개척을 이끌어 수출실적의 증대에 크게 기여함. 오푸른 351 주식회사 이노팩코리아 주임 선종순 상기인은 당사의 제품의 검수 및 기존 제품의 품질 유지를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으며, 새로 입사하는 직원들의 생산 업무 교육 및 전체적인 봉제부서의 관리를 담당하여 매출 상승에 기여함. 352 (주) 나눔테크 과장 섭용강 상기인은 자동심장충격기를 개발 및 수출하여 2016년~2021년 중국합자회사 설립 및 중국수입의료기기 3등급인증 취득, 2016년~2021년 대만 현지화 생산 구축 및 영업관리, 2017년~2021년 원부자재수입관련 12억원 상당한 원가절감효과, 2021년~2022년 대만시장 100만불 및 중국시장 916만불 수주에 기여함. 353 (주) 인터버드 사장 성낙복 상기인은 해외의 반도체 관련 전시회에 참여하여 해외 광고 서비스 계약을 성사시키며, 글로벌 서비스의 품질개선에 이바지하고, 연구개발을 통해 2권의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 2021년 부산형 히든테크 지원사업의 총책임자로 당사의 시제품 연구개발에 기여함. 354 터보파워텍 (주) 반장 성정석 상기인은 2010년 터보파워텍(주) 입사 이래 고온/고압 내열강이 적용된 발전터빈 부품의 정밀 조립/용접 공정을 담당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였으며, 국산화 개발을 통한 수입 대체 효과 및 역수출에 크게 기여함. 전현식 355 (주) 맥스피드 팀장 손병찬 상기 공적인은 지난 15년간 포워딩 기업인 맥스피드에 근무하며, 국내 화주의 원활한 수출 지원 및 물류 주체인 수출화주, 운송사, 창고 등의 정보화 추진을 통해 우리나라 물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함. 김민경 356 희창물산 (주) 부장 손성락 상기인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한국 농수산식품 수출산업의 견인차역할 수행에 기여하고 해외신시장 개척활동(주력시장외 20여국 이상의 해외신규시장 개척)에 기여함. 357 주식회사 세레스에프엔디 대표이사 손재민 상기인은 개업이래 인도, 일본, 브라질, 러시아 등의 다수 해외 바이어 발굴에 노력하고 있으며,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판로 확대 및 면역억제제 원료의약품 제품군에 대한 지속적 연구개발에 매진함으로써, 29년 축적한 탁월마케팅력을 바탕으로 한 수출증대에 기여함. 358 위시컴퍼니 (주) 수석매니저 손혜진 상기인은 위시컴퍼니 트레이트랩, 아시아퍼시픽마켓 담당 부서 재직 중 아시아, 미국, 유럽을 포함한 시장 확장에 성공, 매년 평균 50% 이상의 수출 성장과 국가 별 로컬 파트너쉽과 판매 관리를 통한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인지도 개선에 기여함. 35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부장 손희권 법인 27개국 및 그 외 딜러 67개국 허가 진행 및 획득, 글로벌 인허가 200건 이상 획득, 대한민국 최초 일본 인허가 획득, 식약처 주최 가이드라인 협의체 참석 및 ISO국제표준 및 국내표준 전문위원 활동 및 의료기기 전문가를 육성하여 수출에 기여함. 360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팀장 송나영 상기인은 2019년 8월부터 현재까지 수출마케팅지원사업을 운영하며 일본수출규제, 코로나19 등 수출위기 상황에서 비대면 수출상담회 개최 등 지속적인 해외시장개척 방식으로의 전환노력 및 수출자금 연계지원 등 애로해결을 통해 중소기업의 수출확대 및 성장에 기여함. 전현식 361 주식회사 앤써 대표이사 송달호 상기인은 앤써 설립이후 해양/육상플랜트, 압력탱크, 산업기계 등의 분야에서 꾸준한 기술개발을 통하여 기술력을 인정받아 국내.외 기업들에 당사의 제품을 공급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 하였으며, 지속적인 해외시장개척을 통하여 해외시장 다변화 및 외화획득에 기여함. 김민경 362 (주)제이앤에스글로벌 대표 송미령 신선농산물과 가공식품을 수출국 여건에 맞게 개발하여 우리 농수산식품의 미개척지인 브라질 등 15여개 국가로 수출을 확대함으로써 농가소득과 중소기업 매출향상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며, 코로나 상황에서도 수출이 200% 증가하는 등 무역 진흥에 기여함. 363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원 송민주 상기인은 글로벌 현안 이슈 조사, 공사의 대표적인 수출 전망 자료 제시, CEO 대중매체 강연 지원 등을 통해 기업 의사결정 수립에 이바지했으며, 정부 수출대책회의 개최 지원으로 정부와 기업의 소통창구를 마련함으로써 수출기업 애로 해소에 기여함. 364 혜성씨앤씨주식회사 대표이사 송영빈 통신케이블을 전문 생산하는 중소기업 이지만 세계시장을 목표로 발전해야 한다는 송영빈대표의 굳은 신념과 경영철학이 R&D와 해외 네트웍이 조화를 이루며 국내보다 해외 수출이 많은 보국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이철호 365 (주)파크 인터네셔널 이사 송요한 상기인은 파크인터네셔널에 입사하여 사업초기 태국 현지에 파견되어 현지 영업망 확보에 도움이 되어 태국 식품 수출에 기여함. 전현식 366 주식회사 마일즈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송은선 상기인은 대한민국 브랜드로 대한민국에서 제조한 제품으로 다양한 아이템 개발과 디자인, 생산, 마케팅 업무 수행에 노력을 아끼지 않았으며 다국적 수출 증대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여 수출증가 향상에 크게 기여함. 367 대산모델 대표 송재혁 상기인은 자동차의 품질 발전에 있어 중요한 검사구 제품들을 30년간 제작하고 있는 업체를 경영하고 있으며, 최근 기존 제품에 3D프린터와 기술 융합을 통해 가볍고, 효율적인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규 해외 시장 진출 및 신기술 개발과 함께 수출액 증가에 기여함. 368 (주) 경문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송종운 상기인은 2006년 8월1일 (주)경문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여 현재까지 15년간 주변기기제조의 외길을 걸으며, 그간 수많은 기술개발 및 디자인개발등 진행하면서 산업 발전과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함. 이철호 369 (주)제이에이치인프라 대표 송종호 1. 2006년 (주)제이이이치인프라 창업으로 수출입의 다각화로 국내 IT 유통 사업발전에 기여함. 2. 국내 IT 부품 특히 서버 기반의 부품 중에 불용 제품을 수출함으로 인하여 자원의 손실을 막는데 기여함. 오푸른 370 (주) 와이지-원 부사장 송지한 상기인은 정밀 절삭공구 제조업체인 YG-1에 15년간 재직하며 엔드밀 분야 세계 1위 점유율을 달성하는 등의 성장을 도모하며 크게 기여함. 371 비엠스틸 (주) 대리 송혜진 상기인은 비엠스틸(주)의 해외무역 업무 담당자로서 본래 제3국의 제품이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철강제품(빌레트)를 중국으로 수출하여 계약체결부터 이행까지 수출 무역업부 전반을 담당하여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오푸른 372 주식회사 하나은행 차장 송효숙 하나은행 외환상품섹션에 근무하면서 전자무역서비스인 내국신용장 및 구매확인서 전자화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Paperless 무역송금 및 외상수출채권(O/A)매입 활성화 추진에 적극 협조하였고, 무역결제프로세스 전자화에 크게 기여함. 김민경 373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송희몽 KOTRA에서 해외취업업무를 담당하며 전대미문의 코로나 19 상황으로 인한 물리적 해외취업 장벽에도 불구하고, 양질의 일자리 발굴(2020년 총 3,007건 발굴, 795명 해외취업성사) 및 국가 전체 해외취업 실적 기여도에서 역대 최우수 성과(18%) 달성에 기여함. 374 피닉스 그룹 회장 수레시 추카팔리 상기인은 하이데라바드 지역에 건설, 부동산, 에너지 등 22개 계열사를 확보한 피닉스 그룹 회장이자, 한국 명예총영사로 300만평 이상 IT 경제특구 단지를 건설, 한국과 합작법인 설립, R&D센터 유치하는 등 한국기업의 해외진출 및 인도 바이어와의 신뢰구축에 기여함. 전현식 375 주식회사 씨아이메디컬 대표이사 시미즈 키요토 치과 진료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제품중의 하나인 「충진용 복합 레진」을 한국 기업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그 밖의 치과재료·기기 등을 꾸준히 수입하여 최근에는 뷰티헬스케어 분야 B2B사업확대로 K-뷰티제품 수입 및 수출에 기여함. 전현식 376 주식회사 지에이치엘 회장 신기영 상기인은 2012년부터 해외 시장을 개척하여 국가브랜드 제고, 신기술제품 수출과 고용 창출을 통한 지역사외에 모범을 보이는 등 국가산업발전과 무역 진흥에 기여함. 377 주식회사 린텍 부장 신동남 현재까지 중소기업에 근무하면서 수출업무를 전담하였고, 중소기업의 수출확대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특히 현재 근무하고 있는 (주)린텍에 11년 넘게 근무하면서 수출을 전담하고 수출확대를 위해 주도적인 역활을 수행하여 회사성장과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함. 이철호 378 주식회사 마이벨로 차장 신동명 상기인은 당사의 수출초기 입사하여 회사의 수출입시스템과 수출확대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이로 인하여 당사는 수출/수입 시스템의 안정화 및 사파른 수출성장에 기여함. 379 비엔스틸라 ㈜ 직장 신동철 상기인은 1999년 비엔스틸라(주)에 근무하며 훌륭한 직무 수행 능력으로 칼라강판 생산기술, 품질향상에 기여하여 수출 증대에 크게 기여함. 이철호 380 나이스텍 (주) 대표이사 신두국 2005년 나이스텍(주) 설립 대표이사로 재직하여 회사를 경영하였으며 2015년부터 해외시장 개척을 진행하여 미국, 대만, 중국, 일본 4개국 수출에 기여함, 또한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매년 총매출액의 30%이상을 수출하는데 기여함. 381 주식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 부장 신상길 당사에서 제조 및 생산되는 화장품의 원료 관리 및 제품 생산 시 투입되는 원재료의 혼합을 통한 벌크 완성 업무 수행, 제조 과정에서 cGMP 기준에 적합한 절차에 따른 제조 생산 역할 수행, 제조 공정 시스템 확립 및 선진화, 장기근속 직원을 통해 수출 증대에 기여함. 전현식 382 한국무역보험공사 지사장 신상일 상기인은 우리나라 중소·중견 수출기업이 대외 무역거래에서 노출되는 환율 변동 위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환위험관리 정보와 환변동보험을 적극 지원하여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중소·중견 수출기업의 건전한 환위험 관리 문화 정착 및 무역진흥에 크게 기여함. 오푸른 383 주식회사 자트인사이트 본부장 신상현 상기인은 일본 파트너사와의 지속적인 거래와 20년도 일본 지사 설립 및 매출총괄을 진행함으써 18년도에 매출 18억, 수출 133만불에 대비해 20년도에 113억, 수출 768만불에 이르는 연 평균 약200%의 성장율을 달성하게되는 매출증가 및 수출증가에 크게 기여함. 이철호 384 주식회사신스틸 대표이사 신승곤 동부제철, 동국제강, 포스코, 포스코대우, 등 국내 유수기업들과의 협력, 해외 거래처의 장기 거래로 신뢰 향상, 수출중동 등 시장 개척을 통한 신규 업체 발굴로 수출 실적 향상에 기여함. 385 (주) 풍산 과장 신승관 상기인은 사우디 주재 4년동안 품질과 가격의 우수함을 바탕으로 사우디 국방부와의 신뢰를 통해 사우디 내 미국과 유럽탄약업체에서 독점하던 시장에 최초로 풍산을 주요 탄약공급업체로 대체하였고, 금년 사우디와의 역대최대수출계약체결에 있어 무역 개선과 동시에 국위선양에 기여함. 김민경 386 콜마비앤에이치(주) 상무 신영재 상기 공적인은 95년부터 26년간 오로지 화장품, 식품, 제약분야에 일생을 바쳐 근무하며 세계적인 K-뷰티, K-푸드의 눈부신 성과와 위상을 만든 1세대 산업 공로자로 국가 화장품, 식품, 제약산업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으며 당사 수출 2억불 달성에 크게 기여함. 오푸른 387 주식회사 알로이스 부사장 신정관 안드로이드 OS기반의 방송 서비스 스마트 박스(OTT, Hybrid) 제품 출시와 자체 미디어플레이어 ‘MYTV Online’를 통한 경쟁사 제품들과의 차별화된 제품으로 해외 시장 개척에 따른 고속 성장과 국가 브랜드 제고, 고용 창출 및 방송서비스 산업 활성화 기여함. 김민경 388 (주) 티엔아이 대표이사 신종배 상기인은 2007년 3월 8일에 (주)티엔아이를 설립한 이래로 산업핵심기술인 전선 내피원단(초절전 해저 케이블 용도)를 개발하였고, 전선류 생산에 있어서 내피 및 외피를 섬유 원단으로 대체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여 매출 및 경영을 개선하는 성과와 무역 진흥에 기여함. 389 주식회사 피앤피바이오팜 대표이사 신항철 성장인자 안정화, 단백질 발현공학 기술을 개발하여 다수의 특허를 보유 중이며, 이를 바탕으로 “라이징 스타 어워드“를 수상. 창립 이래 처음으로 2020년에 10만불 이상 수출액을 달성하여 수출 저변확대에 기여함. 전현식 390 블루포션게임즈 주식회사 대표이사 신현근 상기인은 2018년 미스터블루(주)로부터 물적분할을 통해 블루포션게임즈 주식회사를 설립하여 게임사업의 전문성과 독자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였으며, 자체 제작한 모바일게임 [에오스 레드]로 해외 게임 시장에서 성과를 창출하여 문화 콘텐츠 수출 확대에 기여함. 김민경 391 (주) 진올바이오테크놀러지 부장 신현호 2007년부터 바이오/생명공학 분야 해외영업 담당 업무를 수행해 오고 있으며, 2018년 현 ㈜ 진올바이오테크놀러지에 입사 2019년부터 현재까지 높은 매출 실적을 기록했으며, 작년 100만불 수출의 탑에 이어 올해 300만불 수출 증대에 기여함. 오푸른 392 (주) 세신유나이티드 대표이사 신호성 상기인은 수입 제품으로 일관된 국내 핸드피스 시장을 국산인 세신 제품으로 대체함과 국제 네일 시장에 국산 제품을 수출하며 산업 기술의 국산화와 해외 제품의 가격 인상을 방지할 수 있는 대안 기업으로서 의료기기 및 네일 산업 발전에 기여함. 393 주식회사 유라하네스 책임매니저 신호진 2003년12월 입사하여 중국파견을 통해 현지법인의 조속한 안정화에 일조, 국위선양에 공이 있으며 현재 담당하고 있는 생산관리팀에서는 생산리드타임 단축 및 베트남 지역 신규 법인 추진을 통한 생산 기반 확대를 통하여 수출 증대 및 회사와 국가발전에 기여함. 394 주식회사 유앤아이원 대표이사 신희준 상기인은 무역상사 유앤아이원을 설립하여, 한국산 쌀음료 및 농수산 식품의 수출 시장 확대, 5년만에 수출실적 1천만불 달성 함으로 수출 증대에 기여함. 395 (주) 씨엔에이 대리 심문섭 상기인은 적극적인 해외시장 공략을 하기위해 원산지인증수출자 및 EU-REACH 등록, 상표권등록을 취득하여 칠백만불이상을 달성하는 등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전현식 396 주식회사 케이씨트레이드 대표 심민섭 상기인은 중고차 수출 무역 업무에 있어 전산화 및 체계화에 힘써왔으며, 직접판매(직수출) 판로를 개척하여 작은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수출량 제고에 기여함. 397 주식회사 세경 부사장 심승보 상기인은 새롭게 터키시장을 발굴하여 터키 제철소에 국내 원료 및 설비등을 수출에 성공하였고 국내 제조사에서 사용하지 않는 노후된 중고설비도 터키업체에 수출하여 서로 WIN-WIN 할수있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무역 진흥에 기여함. 398 한국산업단지공단 대리 심원기 상기인은 산업단지 중소기업 지원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의 성장·발전에 기여하였으며, 특히 2020년도부터 코로나19 비상대응 업무를 겸업하면서 중소기업의 어려운 대외환경 속에서 기업지원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여 중소기업의 수출활로 개척에 기여함. 399 재원산업 (주) 대표이사 심재원 상기인은 본래 일본을 비롯하여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전자, 반도체 용제제품을 자체 분리, 정제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에 성공하여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제 불황 속에서도 전년 대비 29% 수출실적 증가를 이루는 등 국가경제 발전에 중추적인 성공에 기여함. 400 주식회사 제스코 대표이사 심재은 제스코를 운영하면서 정전 척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발할 수 있도록 기술 발전에 정진하였으며 해외 시장을 개척하고 바이어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2016년 100만 불, 2020년 300만 불의 수출 달성하는 등 반도체 산업에 기여함. 401 주식회사 에스이아이엘 부장 심재진 상기인은 에스이아이엘의 무역부 수출팀을 만들고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한 여러 신규 제품들을 개발하여 수출 활성화에 기여함. 전현식 402 주식회사 엠티에스 대표 안명길 상기인은 포스코, 현대제철, SK에너지 제조설비 보전 및 공정개선, 밸브공급 및 정비 등의 업무를 총괄하며, 설비 성능개선 및 국산화 등 국내 관련 기술경쟁력 강화에 기여하였으며,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등 수출확대를 통해 국내 수출증대에도 기여함. 403 영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장 안문현 생산기술팀에 재직하면서 자동화기계 제작 기술개발, 원가절감 등 회사 성장과 해외 수출에 기여하였꼬, 수출용 자동화 장비 해외설치, 시운전 등 해외 바이어들에게 기술력을 인정받는 등 수출 1,000만불 달성과 무역 증대에 기여함. 404 주식회사 바이컴 대표이사 안상기 상기인은 해외 기업 VOKERO등이 절대적인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디지탈 무선인터컴 제품을 자체개발하여 인터컴제품외에 헤드셋일체형인터컴과 인터컴전용 헤드셋, 헬맷용 인터컴등을 개발하여 미국공공시설등에 수출중에 있으며 유럽으로도 수출을 확대하는데 기여함. 오푸른 405 (주)동보 과장 안상일 상기인은 1999년 10월 당사의 자동차 부품 정밀가공 부문 생산현장으로 입사하여 CNC 및 MCT 설비를 이용한 초정밀 Gear 제품 생산에 매진, 절삭가공 기술뿐만 아니라 설비 운용기술를 연마하여 고품질의 제품 생산과 불량율 최소화 및 생산량 극대화에 기여함. 406 (주) 마미엘 대표이사 안상준 수년간 국내대형해외생산법인 부품공급개발에 주력하였고, 1999년 11월입사, 개발팀, 기술연구소장, 반도체사업부 총괄업무 담당해 거래처 확대와 수출액 증대에 기여함. 407 에스카테크 (주) 대표이사 안성규 상기인은 1995년 에스카통상이라는 개인사업자에서 에스카테크(주)의 법인사업자 대표이사로서, 20년 이상의 파트너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YAGEO 브랜드를 기반으로 시작하여 국내외 대기업 및 유수의 업체들의 전자부품 수출 영역을 확대하여 수출 상승에 기여함. 이철호 408 KYK김영귀환원수 (주) 이사 안재한 KYK김영귀환원수(주)의 안재한 이사는 해외 영업의 업무를 수행하며, 전자상거래 수출시장 개척과 온/오프라인 영업 활동, 해외 마케팅 활동을 통해 외화 획득에 기여하였으며, 무역 진흥과 국민 생활 향상에 기여함. 409 전략물자관리원 연구원 안재형 상기인은 전략물자 수출통제 제도 이행 지원을 위한 전략물자 전문판정 및 고객지원 업무, 전략물자수출입고시 [별표 2] 이중용도품목의 이해도 제고를 위한 품목해설서 발간사업, 원활한 기관 운영을 위한 경영평가, 감사 등의 업무를 수행해 무역안보 강화에 기여함. 410 주식회사 앨텍 대표이사 안주헌 본인은 광통신용 핵심부품인 글래스 비구면렌즈를 국내최초로 국내기업과 공동으로 개발에 성공하였고, 첨단양산기술을 도입하여 그간 100% 수입에 의존한 제품을 수입대체하였고 이는 수출 증대에 크게 기여함. 전현식 411 세계화학공업 (주) 대표이사 안창덕 상기인은 2004년부터 세계화학공업(주)의 대표이사로서 전자산업체에 테이프를 가공 및 수출하였고, 신제품 개발과 수출 시장 개척으로 대한민국 무역 진흥에 기여함. 412 주식회사 현대홈쇼핑 책임 안혜옥 상기인은 중소기업 우수상품을 기획 발굴하고 관련 컨텐츠와 함께 해외시장에 수출하는 방식을 통해 신규시장 개척, 국가 수출실적 증대, 중소기업 협력사와의 상생협력 및 동반성장에 기여함. 이철호 413 이지스코 주식회사 대표이사 안호갑 상기인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일본 제품이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글라스등의 기판을 흡착하는 정전척을 자체기술로 개발하여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장비에 핵심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OLED 디스플레이 뿌리 기술, 산업 발전에 기여함. 414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팀장 안희재 수출 유망기업 및 수출 다각화 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 추출 초보기업 및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기술성 및 사업성이 우수한 중소기업의 정책자금을 추진하여 수출 증대에 기여함. 415 (주)영산글로넷 상무 양국진 상기인은 지난 13년 5개월 동안 영산그로넷의 모잠비크 법인장으로 재직하며 2,000만 달러 이상의 수출을 달성하고 20년 국산 코로나 PCR 진단키트 기부를 통해 총 30만 달러의 K-방역의 수출과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기여함. 이철호 416 주식회사 보고통상 이사 양근배 탄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술 개발과 정확한 공정 관리, 품질관리로 매출 증대와 수출 확대, 판로 개척에 기여하였고.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더 나은 서비스로 대응하고자 하는 자세로 보다 고품질의 제품을 수출하는 것에 기여함. 전현식 417 (재)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차장 양명배 상기인은 국산의료기기의 수출 활성화를 위해 베트남 시장개척단 운영 및 해외 바이어 수출상담회 개최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국내외 의료기기전시회에 공동관을 조성하여 2019년 3,531만불, 2021년 789만불 수출계약 달성에 기여함. 418 (주) 이코니 대표이사 양병재 상기인은 신사업(UTG) 연구개발 및 사업화시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양산적용에 성공하였으며 수출 실적 향상에 기여함. 전현식 419 기가비스주식회사 부장 양선호 상기인은 해외 경쟁사(이스라엘, 일본)가 선도하고 있던 PCB AOI 광학검사 설비의 불모지에서 해외 기업에 수많은 Field Test 검증을 통하여 경쟁사 대비 품질에 우수함을 입증하여 유수의 해외 고객사에 설비를 판매 함으로써 기존 수출탑 수여 활동에 기여함. 오푸른 420 주식회사 동일공사 이사 양승덕 상기인은 제조물류본부 본부장으로써 당사에 제조부터 제품확인, 자재물류까지 관리하여 자동차부품 제조의 전반을 지위, 관리하며 수출납품을 위해 최선을 다하여 무역활동에 기여함. 421 (주) 우신시스템 수석연구원 양승욱 상기인은 1994년 입사 이후 26년 8개월간 끊임없는 기술개발 및 국내외 자동차 사들로부터 신뢰관계를 유지하여 2014년 볼보사 아시아 최초 파트너로서 천만달러 납품계약을 성공리에 완수하였고, 2015년 수출 1억 7백만불을 달성하는 등 수출 증대에 기여함. 이철호 4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아이엠 대표이사 양영은 20여년 이상 수출분야에 종사 하면서, 해외 출장을 통해 구축한 튼튼한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수출 전선에서 최선을 다한 결과, 2014년 1개국 위주 수출에서 2021년 8월 현재 5개국 수출이라는 큰 성과를 올려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423 에치에스켐 (주) 대표이사 양재영 상기인은 2001년 에치에스켐(주)에 입사하여 해외제품에 의존하던 도료용 첨가제 시장에서 국내기술로 제품 개발에 성공하여 국내 시장에 공급하면서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여 50개국의 해외시장에 수출하면서 무역발전에 크게 기여함. 오푸른 424 한국산업단지공단 주임 양지우 상기인은 2009년부터 산단공 대구지역본부에 재직하면서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사업의 적극적 수행을 통해 대구지역의 기계, 섬유, 자동차 등의 산업발전과 글로벌 시장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업지원사업 특히 중소기업의 규제 개선 및 기업애로발굴 및 해결에 기여함. 425 홍일산업 (주) 과장 양지현 상기인은 신규 거래선 발굴에 힘써 2020년도에 1백만불 수출의 탑을 받게 된지 1년만에 3백만불 수출의 탑을 신청 할 수 있게 수출 증대에 크게 기여함. 426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대표이사 양지혜 상기인은 기초화장품 제조 전문기업인 ㈜피에프네이처 대표로서 우수한 기술력과 품질수준을 바탕으로 소재 개발부터 제품 개발까지 체계적인 토털 서비스 제공을 통해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등 수출국 특성에 맞는 화장품을 개발하여 매출성장 및 수출활성화에 기여함. 427 (주) 세현정공 과장 양현 상기인은 30여년 간 생산성 향상 및 공정 개선을 통해 고객이 만족하는 제품 생산 활동을 해왔으며, 매출 신장과 수출실적 달성에 기여함. 428 미즈바이베이지 대리 엄수정 다양한 여성복을 전개 및 수출하여 매달 수출 금액을 달성할 수 있도록 기여하였고, 해외 온라인 입점사들에게 입점 요청을 넣어 수출 증대에 기여함. 김민경 429 (주)스마트라이트솔루션스 대표 엄완식 유럽 온라인 판매 플렛폼을 만들어서 다양한 한국회사의 유럽 진출에 진출 방법 컨설팅, 규 제/규격에 대한 지원, 유럽 현지 물류, 세금 부분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유럽 진출을 가능케해 출 증대에 기여함. 전현식 430 LH Brands GmbH CEO 에아빈 헷트케 상기인은 한국산 화장품 불모지 독일에 처음으로 한국산 화장품을 수입, 유통하였고, 현재까지 유럽 1위의 화장품 체인점 더글라스 등에 다수 한국 화장품브랜드 36개사의 제품을 유통시킴과 동시에 직영매장 5개소를 운영하며 대한 국가 수출발전에 기여함. 431 (주) 세라젬 본부장 여순이 상기인은 탁월한 조직관리와 영업성과로 국내 B2C 신규 사업을 성공적으로 적용시키고 고객중심의 체험 모델을 적립하여 글로벌 진출 신규모델적용 및 헬스케어 분야 발전, 매출증대에 크게 기여함. 전현식 432 한전원자력연료(주) 과장 연정환 상기인은 해외 첫 수출 원전인 UAE 바라카원전에 고품질의 원자력연료를 제조하여 최초 수출하는데 기여하고,한-UAE간 원자력분야 청년인력 양성을 위한 인턴쉽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 등 원자력연료의 수출 경쟁력 향상 및 국제 교류 분야에서 원자력산업 수출증대에 기여함. 433 주식회사 선명 대표이사 염보선 상기인은 2016년 베트남 수출을 시작으로 4년 8개월 동안 매 해 수출의 증대를 가져왔고, 2021년 380만불을 달성하여 대한민국 수출 증진에 기여함. 434 (주) 시안 대표이사 염성준 상기인은 27년 6개월동안 창호 제작, 시공, PVC 압출 제조에 종사하며 더 좋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개발하여 해외에 한국 PVC 창호의 우수함을 알려 수출 증대에 이바지하였으며 지역 사회와 불우 이웃의 복지를 위해 지속적인 사회환원에 기여함. 이철호 435 (주)수일개발 대표이사 염윤희 상기인은 1981년 ㈜수일개발을 설립한 이래 40년 4개월 간 당뇨병치료기기 인슐린자동공급기(인슐린 펌프)를 세계최초로 상용화하여 많은 당뇨환자들을 질병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여 국민보건향상과 한국의료기기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제품개선에도 기여함. 전현식 436 더마바이오텍 주식회사 대표이사 염종경 상기인은 6년 9개월 간 화장품 분야에서 오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민감성 피부의 개선을 위한 화장품을 높은 수준의 품질로 개발하여 중국 시장에 수출함으로써 수출증대에 기여함. 437 주식회사 에어리얼 코리아 대표이사 예민해인 수출전문기업 법인 설립하였고,11년 11개월 간 정부의 신남방 정책에 부응한 시장의 다변화 기여 및 최근 3년간 연평균 성장율 383.42% 달성에 기여함. 438 하나머티리얼즈(주) 대표이사 오경석 상기인은 35년 9개월 간 수출증대에 기여하였으며 노동시간단축 우수사업장, 2020년 청년친화강소기업선정, 장애인고용우수기업 선정등 일자리 질 개선 노력을 인정받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 이철호 439 창원기술정공 대표 오병후 상기인은 창원기술정공 설립이래 34년 3개월간 꾸준한 연구개발과 설비투자를 통해 제품의 국산화 및 기술향상으로 수출증대를 이끌어내고, 한국군수품수출협회 설립, 경남수출클럽, 창원방산중소기업협의회 회장, 한국국방외교협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며 지역 중소기업의 해외 수출판로 개척에 기여함. 오푸른 440 (주) 녹십자웰빙 본부장 오상수 상기인은 생산 및 관리부문에 근무하면서 21년 1개월간 전문의약품인 태반주사제 라이넥 품목의 품질개선과 제조공정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고 차별화된 제조공정 기술을 확보하는데 성공, 수출 증대에 크게 기여함. 441 매일식품 주식회사 대표이사 오상호 상기인은 1998년 매일식품공업(주)에 입사하여, 23년 7개월 간 영업, 경영 관련 전반적인 업무를 진행하였으며, 사무자동화와 전산화를 통해 보다 빠른 영업 대응과 경영 관련 혁신 활동 진행에 참여하여 수출 증대에 기여함. 442 주식회사 저스템 연구원 오승준 상기인은 코로나19 대만 입국 금지에 따라 해외 고객사 업무 대응을 할 수 없는 위기에 봉착하였을 때 대만 업무 담당자로 지정되어 보다 강화된 국내외 검역에 의한 불편을 감내하고 4년 1개월 간 장기적인 해외 출장 업무를 수행하며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지속적인 수주 향상에 기여함. 443 (주)대우건설 현장소장 오영필 해외에 첫 발을 디딘 후 25년 7개월 간 중동 및 아프리카 여러 국가에서 19년 동안 많은 해외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어떠한 어려움과 난관도 극복하며 최선의 결과를 창출하여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였으며 대우건설의 해외 공사 수주에 중요한 초석이 됐음에 기여함. 전현식 444 신원정공 이사 오완신 상기인은 당사에 근무하며, 4년 2개월 간 공정 프로세스 개선 및 IATF 16949 품질인증을 통하여, 수출 직거래를 위한 생산력 및 품질 수준을 향상 시켰으며, 미국 해외영업을 통하여 수주를 받는 것에 크게 기여함. 또한 해외 금형제작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매니지먼트하였음. 445 코오롱화이버 주식회사 대표이사 오용석 상기인은 코오롱화이버(주)의 대표이사로서 35년 7개월 간 코오롱화이버(주)의 분사과정(Spin-Off)을 이끌고, 투자를 적극 유치하여 생산라인을 증설하였으며,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수출을 확대하여 회사의 안정적인 이익창출과 국가 수출실적 증진에 큰 기여를 함. 전현식 446 더로터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오유진 제주연꽃잎의 효능적 특허를 인정받아 제주 브랜드로는 처음으로 미주 및 유럽의 K뷰티 시장에 수출했고 전년대비 수출 400% 증가, 고용인원 100%증가등 실질적 성과를 이루었으며. JTP공동논문상 수상, 유효성분 특허출원등 지속적인 연구개발에 기여함. 447 미포영어조합법인 대표이사 오인석 상기인은 11년 1개월 간 자숙해삼과 건조해삼 생산으로 지역 농어민 소득증대에 기여하고 일자리 창출에 힘써왔으며해삼 가공기계 현대화 및 생산라인 자동화 장치를 구축하여 고품질 해삼제품 생산을 통해 수출증대에 기여함. 448 농업회사법인 (주) 신우에프에스 대표이사 오재준 상기인은 9년 4개월 간 신공장 신축, 생산의 자동화 및 품질의 향상, 공격적 해외시장 개발등 거래선 다변화, 바이어와 직거래를 통하여 수출량 확대로 지역경기 활성화와 인근지역 인력 창출에 기여함. 449 대한조선주식회사 기감(을) 오재희 약 24년 11개월간 조선업계에 몸 담아오며 매사 솔선수범하는 자세로 생산직 직책자 역할을 수행하였고, 생산현장 최전방에서 작업능률 향상 및 안전작업 환경 개선, 다수의 설계개선 등 회사 생산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생산 공정 안정화에도 힘쓰는 등 회사에 크게 기여함. 450 (주)덕진기업 사원 오정아 피추천인은 11년 간 생산업무시 꼼꼼한 업무처리와 생산기술 향상에 도움이 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적극 제시함으로써 불량율을 낮추고 제품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대외신임도 향상에 기여함. 이철호 451 (주) 카운텍 부장 오택근 상기인은 13년 11개월 간 포장기계의 생산을 바탕으로 조립 시간 단축, 국내/외 AS에 대한 신속하고 친절한 서비스 정신을 통해 카운텍의 높이는데 기여, 품질개선, 전 공정의 사전 검수제도, 재발방지업무 등을 통해 납기일을 단축하는데 기여함. 452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 주무관 온대현 4년 9개월 간 경남 및 인천 수출지원센터 주무관으로, 지역 수출 증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데 기여하고 수출지원사업 신청률 증가를 위해 시책 설명회 안내, 보도자료 배포 등 홍보를 강화하였으며 수출확대 워크숍 및 수출지원협의회 개최를 통해 해외마케팅 교육 및 찾아가는 수출상담회를 실시하면서 수출 확대에 기여함. 453 금호미쓰이화학주식회사 대표이사 온용현 상기인은 41년 6개월 간 폴리우레탄의 원료 MDI를 생산하는 기업의 대표이사로서 제품 품질 개선과 생산성 향상으로 적극적인 글로벌 시장 확장을 통해 수출을 가속화하였으므로, 한국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함. 454 벨금속공업 (주) 대리 온혜성 강한 책임감과 적극적인 활동과 근면 성실을 바탕으로 탁월한 업무추진력과 생산성 향상 및 해외시장 개척에 많은 공헌을 하며 수출 증대에 기여함. 455 아일렉스 남아공 CEO 요하네스 크리스티안 스톨츠 상기인은 신규 제품 판매 비즈니스 개발을 담당자로, 한국 코로나 테스트 키트 제품을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수입하여, 한국 코로나 키트 제품의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제품 교육, 제품 판매 후 지원 및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며 수출 증대에 기여함. 오푸른 456 (주) 성일에스아이엠 대표이사 우창수 상기인은 공장가공배관 및 고주파벤딩 전문제작기업의 대표로서 공장가공배관분야의 독자적인 기술개발성공과 동시에 글로벌 수출경쟁력 확보를 통해 수출 확대 및 공장가공 배관산업의 선도 기업으로 성장하여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함. 457 주식회사 메디코슨 대표이사 원철희 상기인은 2019년 6월 창립하여 자본금 2.3억원, 종업원 15명의 기업을 운영. 2020년 110만달러, 2021년 71만달러 수출을 기록, ”AXION“, ”DUOLIF“등을 개발 하여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 함. 오푸른 458 나이프플러스 (주) 대표이사 유경석 상기인은 2014년 12월 나이프플러스(주) 설립하여, 기술개발과 설비투자를 통해 최고의 품질을 자랑하는 2차전지 금형가공업체로의 도약을 이루었으며, 일자리창출 우수기업, 가족친화 인증기업, 뿌리기업 등 사회적 책임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회사발전에 기여함. 459 (주)에이스엔지니어링 대표이사 유대연 상기인은 에이스엔지니어링의 질적, 양적 성장을 일구는 데 노력한 결과, 국내 굴지의 대기업 등과 ESS 독점 공급을 하며, 국내 ESS업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 2016년, 한국 최초로 신재생에너지 컨테이너 제품으로 해외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데 기여함. 오푸른 460 주식회사 강동그룹 대표이사 유동관 ㈜강동그룹 유동관대표는 병리와 관련된 사업분야의 영역을 넓히고 다양한 분야의 병리/분자진단 전문시약 및 연구기자재를 제조하여 K-바이오산업 활성화에 기여함. 이철호 461 넥센타이어 (주) 수석 유동훈 리옹지점 산하 프랑스, 이베리아 영업을 총괄하면서 Down Stream을 통한 Retail 판매 활성화를 통해동지역에서 괄목한 만한 매출 성장을 달성하여 한국산 제품 판매 확대 및 브랜드 인지도 향상에 크게 기여함. 전현식 462 (주) 아이젠 실장 유명재 상기인은 ㈜아이젠의 경영총괄을 맡고 있으며 창업주 유병기 전대표이사의 예기치 못한 작고 후 회사의 경영전반을 빠르게 안정시킴과 동시에 적극적인 수출전략을 통해 2020년 전년대비 94% 수출매출(180억원) 성장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463 삼양금속공업 (주) 차장 유미숙 2014년 삼양금속공업(주), 해외영업부로 입사한 이후 2014년 직수출 167만불, 2019년 416만불, 2020년 627만불을 달성하였고 브라질의 PETROBRAS 외 세계주요 메이저사에 VENDOR 등록에 성공하며 수출 증대에 기여함. 464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과장 유민우 입사이래, 14년 6개월 간한국기계전(한국산업대전), 한국국제기계박람회, 국제자동화정밀기기전 등 국제 무역 전시회 개최 업무를 수행하며 국내 기계류 업체에게 폭넓은 마케팅 기회를 제공하고 해외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개최 등을 통해 관련 업종의 수요창출 및 수출확대에 기여함. 465 금성제지기계 (주) 과장 유선열 상기인은 2007년에 당사에 입사한 이래 당사의 품질팀과 설계팀에서 근무하며 품질 향상과 신제품 개발에 앞장서는 역할을 수행하여 당사 상품성 개선에 공헌하였음은 물론 최근 해외영업 기술영업직을 수행하며 인도 등 신규 시장으로의 수주를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함. 오푸른 466 (주)덱 스코윈 대표이사 유승범 상기인은 포터블 엑스레이 제품의 연구 개발을 통한 기술력으로 미국,일본 등 각국의 수출하며 매년 수출 실적이 성장하는 등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467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유승진 상기인은 한국무역협회의 온라인 역직구 플랫폼 Kmall24 운영을 비롯한 각종 온라인 수출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역량 강화에 기여함. 468 SAVA Ltd 대표 유신 알렉세이 상기인은 한국 브랜드 ‘Kerona’의 핵심적이고 중요한 고객이며, 한국과의 비즈니스 관계를 유지, 강화 및 확장하기 위해 상호 노력 중이며 국내업체 Paseko의 파트너로써 국내 생산된 제품의 러시아 진출 및 점유율 확대를 위해 노력 중이며, 현재 Paseko의 러시아 매출 증대에 기여함. 김민경 469 인천상공회의소 차장 유영석 상기인은 2005년 인천상공회의소 입소 이래 국제 통상 업무를 맡아 추진하였으며, 특히 FTA와 해외마케팅을 통해 인천지역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지역 경제 발전과 무역 증진에 기여함. 470 주식회사 신세계파워큅 대표 유윤상 본인은 1985년 부터 현재까지 (36여년간) 건설기계 기술개발, 제품개발 및 해외수출에 많은 기여를 해왔습니다. 15여년간 기업체에서의 제품개발 및 수출기여와 21여년 간 회사창립으로 기초건설기계 및 관련부품의 해외시장개척 및 수출에 많은 기여함. 이철호 471 주식회사 엘케이엔지니어링 이사 유재석 (주)엘케이엔지니어링에서 기술영업부를 이끌며 정전척 기술개발을 위해 노력하여, 제품 국산화를 통한 수입대체효과를 통해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이철호 472 유진통신공업 (주) 대리 유정현 여러 제품의 개발 업무와 트렁크케이블, 그리고 특성 맞추기 까다로운 TWB-500, 400시리즈의 개발 DATA관리를 책임지며 글로벌 기업인 미국의 AMPHENOL RF SOLUTION팀에 수출 하는데 기여함. 473 주식회사 아이바닥 대표이사 유제학 상기인은 본래 PVC타일 제품이 국내 바닥재 시장점유율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러버타일 제품을 자체개발하여 다양한 제품과 높은 품질력 확보에 성공, 세계 선진국인 미국에 역수출을 시작하여 중국등 세계 여러 국가에 수출하며 무역역조에 기여함. 474 주식회사 올릭스글로벌 대표이사 유창남 본인은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서 1년에 4개월에서 많게는 6개월 동안 해외전시회와 출장을 다니며 수출역군으로서 활동을 하고 있고, 다양한 국가에 바이어들을 확보하고 성장시키기 위해서 밤낮 가리지 않고 고객대응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수츨증대에 기여함. 475 디와이오토 (주) 대표이사 유태길 상기인은 총 38여 년 간 자동차 산업 및 관련 부품산업에 몸담으며 국내 자동차산업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기까지 많은 공헌을 기여함. 이철호 476 (주)동보 상무이사 유현상 상기인은 무역학 전공을 바탕으로 2000년 2월 당사의 경력 사원(과장)으로 입사하여 구매부서장, 영업부서장을 담당하면서 고객사와 협력사로부터 매년 원가절감에 크게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내 및 해외영업을 통해 매출 극대화와 수출 신장에 지대하게 기여함. 477 (주)덕인 부장 유희준 상기인은 수입물품의 대리점을 통한 물품의 구매로 인하여, 원자재 비용 증가, 납기 불안정과 같은 생산공정에 있어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기존의 악조건을 탈피하여, 직접 수입에 관한 토대를 마련하고 납기 협의를 통한 생산공정에 있어 가속화하는데 기여함. 478 아이씨케미칼 대표 윤강훈 상기인은 2004년 당사를 설립하여 17년동안 회사발전을 위해 투철한 사명감을 갖고 남다른 노력과 창의성을 발휘하여 연간 1,000만불 이상의 수출을 하고 국내 여러 산업분야 기업에 계면활성제를 제조하여 납품하는데 기여함. 479 (주)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대표이사 윤경원 상기인은 당사의 대표이사로써 바이오신약 개발과 기술수출, 분자진단제품 및 동물용 항생제대체재의 국내외 영업 등을 총괄하면서 탁월한 성과를 이루어 냈으며, COVID-19 진단키트의 해외 수출을 위한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총괄하여, 2000만불이상 수출달성에 기여함. 480 주 케냐 대한민국 대사관 팀장 윤구 본인은 2000년 7.1일자로 코트라 나이로비 무역관에 현지직원으로 입사하여 21년 동안 중소기업의 대 케냐 시장진출에 기여함. 2016년 케냐 정상 방문과 2018년 총리 방문 지원, KSP사업 5년간 성공적 지원, EIPP사업 신규 발굴 등 양국간 경협사업에 기여함. 이철호 481 주식회사 솔레온 대표이사 윤기훈 상기인은 창업 이래 9만불에 그쳤던 수출 실적을 품질과 원산지를 중시한 천연추출물의 다각화를 통해 1년 만에 27만불 이상 끌어올렸으며 이후 주요 화장품원료 해외전시회에 참여하며 해마다 전년 대비 2배 이상의 수출 실적을 이뤄내 화장품 원료 해외시장 개척에 기여함. 오푸른 482 현대삼호중공업 (주) 직장 윤병태 현대삼호중공업 내업생산부분 가공부 절단 팀장으로서 작업 방법 및 기술 개선 등을 통하여 생산 공정/안전 개선, 품질 향상, 원가 절감에 이바지함으로써 조선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함. 이철호 483 에스엔패션그룹 주식회사 이사 윤시영 해외매출극대화를 위해 직접 해외몰을 구축하였으며 결과 2017년 대비 2020년 수출이 무려 1000%증가에 기여함으로써 당해년도 수출 1000만달러 달성하는등 국사산업발전에 기여함. 오푸른 484 가루알 대표 윤영진 본인은 당 GALUAL 이라는 선박무역업체를 설립함에 있어, 한국의 조선강국으로써의 위상과 한국부품의 기술력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널리 알려 지기를 바라는 목표로 당사를 키워나가고 있으므로 기여함. 485 (주) 선경화성 사원 윤은빈 상기인은 2018년 7월 입사 이래로 재직중인 현재까지 (주)선경화성에서 일어나는 수출입 및 외화관리를 전담하여 당사 수출실적 증대에 기여함. 오푸른 486 주식회사 프라임테크 과장 윤은혜 상기인은 해외 현지 근무를 통해 갖추게 된 외국어 능력과 탁월한 의사소통 능력을 바탕으로 (주)프라임테크의 첫 제품인 브이레이 개발 단계부터 생산, 유통, 수출, 마케팅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미국, 홍콩, 일본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데 기여함. 487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과장 윤정하 상기인은 해외 공동진출 중소기업이 사전계약의 부재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고 정당한 성과를 지급받도록 하는 성과공유제 확산사업, 대기업이 출자한 상생협력기금을 통한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사업을 거쳐 현재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지원사업을 통해 매년 1천여 중소기업 지원에 기여함. 488 일성신약(주) 대표 윤종욱 상기인은 2014년 8월 일성신약(주)에 입사하여 경영 제반에 대한 관리 및 여러가지 신규 사업 수행을 하였으며, 2019년 3월부터 대표이사로 승진하여 전전년도 US$7,261,183 전년도 US$10,662,146 당해년도 US$9,998,471로써 급성장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전현식 489 주식회사 대원코프 대표이사 윤종원 상기인은 2009년 2월 주식회사 대원코프에 입사하여 해외영업에 기여하고자 유럽,중동,동남아시아 등 12개 나라에 방문하여 Buyer 들과 접촉하여 2009년 부터 12년 동안 주식회사 대원코프 수출 실적에 기여함. 490 대진금속주식회사 상무 윤주범 상기인은 2001년 입사이래 21년간 수출용자동차 포장용 STEEL BOX 및 STEEL PALLET의 제품 개발과 해외 시장개척에 이바지 하였으며, 2019년에는 간접수출 뿐만 아니라, 체코로 직수출의 활로를 개척하며 회사의 발전 및 수출 증대에 기여함. 491 주식회사 포바이포 대표이사 윤준호 상기인은 AI기반 딥러닝 화질개선솔루션 PIXELL을 자체 개발하여 화질개선 및 복원기술을 확보하며,차별화된 고품질 콘텐츠 제작서비스를 제공하고 메타버스 산업을 위한 글로벌 콘텐츠 제작사로 발돋움 하기 위한 다양한 실감형 디지털 콘텐츠의 수출활동에 크게 기여함. 492 (주) 영동테크 대표이사 윤찬헌 상기인은 1988년 3월 21일 세화기계 창업이래 2002년 (주)영동테크로 법인전환하여 현재까지 33년을 유공압제품 국산화 개발 및 자체기술개발을 통해 수입대체 및 굴삭기부품 시장 확대에 기여함. 493 (주)엘엑스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윤춘성 상기 공적인은 LX인터내셔널 대표이사로 재직 중으로, K-방역 등 해외 수출시장 신규 개척 및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통한 안정적 에너지 공급 등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인재양성 및 사회 공헌을 통해 국가 발전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함. 494 미래바이오팜(주) 대표이사 윤호경 상기인은 코로나로진단키트제품을 OEM으로 자체개발하여 최신공정기술 확보에 성공하여,수출지역인 우즈베킨스탄에 수출시작하여 무역역조에 기여함.대표로서 러시아에 유아용화장품,베트남에 유산균프로바이어를 수출하고자 기여함. 김민경 495 주식회사 저스템 상무 윤희용 상기인은 2018년 12末 Micron社 9.6억 첫 수출을 시작으로, 2019년 백만불수출탑, 2020년 천만불 수출탑수상, 2021년 약 2,000만불달성 및 고객과의 신뢰향상 및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Justem의 수출유망중소기업으로의 성장에 크게 기여함. 오푸른 496 비코산 대표 응우옌 득 꾸이옌 상기인은 동 업계에서 25년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2007년 Vikosan사를 설립하며 정식적인 원부자재 수입을 진행하였고 주요 해외 거래처는 한국이며 최근 3년간 매년 500만불 이상의 원자재를 한국에서 수입하고 있어 한국 수출에 지대한 기여함. 497 ㈜ 중앙백신연구소 대리 이가연 상기인은 각 국 거래처와의 정기 미팅 이외에 신규 거래처 발굴에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2021년 신규 거래처와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특히 베트남 한 곳의 거래처에서 2021년 한 해 400만불 이상의 제품판매 및 구매주문을 받는데 기여함. 498 중소벤처기업부 전문관 이가형 상기인은 중소기업 수출지원 사업을 운영하며 우리기업의 수출애로 해소와 수출증대를 도모하고, 수출동향 모니터링 및 분석을 통해 중소기업 수출지원 정책 개발에 기여함. 499 (주)엘엑스인터내셔널 상무 이강녕 상기인은 1996년 LX인터내셔널(구 LG상사)에 입사한 이래 26년간 해외진출사업 일선에서 활동하며, 중국 내몽고 탄광 및 석탄화학분야 사업부문의 대중국 영업, 마케팅, 투자사업을 담당하며 우수한 한국 제품과 기술의 중국시장 진출 및 무역수지 확대에 기여함. 500 주식회사 심원테크 대표이사 이강섭 상기인은 2007년 (주)엠에스오토텍 그룹사인 (주)심원에 입사하여 심원의 사업구조를 개편하고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끊임없는 영업활동을 통해 다수의 해외 고객사(미국 Tesla 등)와의 계약을 성사시키며 수출증대에 기여함. 김민경 501 주식회사 진메탈코리아 대표이사 이강일 국내 이급자재철강 중국 및 동남아시아시장에 적극적으로 수출 하여 당해년도에도 천만불 이상 수출 실적을 달성하여 국가 수출 증대에 기여함. 502 (주)심텍 상무이사 이강혁 글로벌 ERP구축, 선진화 생산관리 MES개발,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의 핵심인 eCIM구축, 지능화 제약반영 생산스케쥴링 시스템구축, 클라우드 기반의 글로벌 영업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업무시스템 개발 구축 및 클라우드 기반 협업 IT인프라 사전구축하며 수출 증대에 기여함. 503 (주) 오스템 부장 이건진 2020년 코로나 기간 중, 글로벌 공급망 붕괴 및 생산제품의 물류에 큰 어려움에도, 중국내 네트워크를 활용한 부품조달과 효율적 인사관리로 공장을 가동하고, 해외 고객사와 긴밀한 업무조율을 통하여 적기에 제품공급, 전년대비 75% 이상의 수출 실적달성 기여함. 전현식 504 세아상역(주) 총괄수석 이경옥 상기인은 세아상역에서 26년간 근무하며 경쟁력 있는 글로벌 원자재 공급처들을 발굴해내고, 자체 원사공장과 원단공장 설립을 주도하여 업계 최초 ‘수직계열화 생산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안정적인 원자재 공급망을 마련하여 매출 확대와 수출증대에 기여함. 505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본부장 이계열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에서 20년간 수출마케팅분야 실무와 업무총괄로서, 중소기업의 국내외 마케팅 지원업무를 성실히 수행하여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중소기업의 판로확대에 기여함. 이철호 506 한미반도체주식회사 전무이사 이광열 상기인은 제조공정의 효율성과 생산성 극대화로 반도체 제조장비의 국제경쟁력 강화에 이바지 하였고, 40여년간 다수의 특허 출원 및 제안 활동 등을 통해 제조공정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시켜 당사 반도체 장비 수츨 증대에 기여함. 507 주식회사 파우게임즈 대표이사 이광재 상기인은 중소게임개발사 대표이사로 자체 개발엔진을 활용한 MMORPG 게임을 개발하여 대만 홍콩 마카오 시장으로의 성공적인 런칭을 시작으로 170국 대상 글로벌 시장까지 런칭 완료하여 K-게임 산업의 우수성을 알렸으며 게임 컨텐츠 서비스의 해외시장 수출 개선에 기여함. 508 (주) 승화일렉트론 대표이사 이광훈 상기인은 국가재난 상황에도 수입제품의 국산화 및 우수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역수출 실적을 달성하는 등 산업발전에 기여하였으며 코로나19 등 극복을 위한 노력 및 지역사회 공헌에도 힘씀으로써 대한민국 경제 재활성화에 크게 기여함. 509 글로컬라이즈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국경 상기인은 미국 미들베리 통번역 석사를 취득 후 넷플릭스 미국법인에서 영상번역가로 활동하던 중 하도급 거래와 번역도구 없이 거래되는 열악한 국내 시장에 다국어 번역시스템(특허출원)이 제공되는 번역플랫폼을 개발하여, 2018년 부터 현재까지 약 $806만 수출에 기여함. 510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주) 부장 이근섭 상기인은 켄코아에에어로스페이스(주)의 조립생산팀의 팀장으로서 근무 하며 2015년에 당사에 입사하여 B777 날개 구조물 조립사업을 성공적으로 개발 및 양산 하여 KT-100 항공구 완제기 조립사업 개발 완료 및 회사 조립사업분야 안정화에 기여함. 김민경 511 (주)대창 대표이사 이길상 상기인은 1989년 대창금형(주) 창업, 1989년 ㈜대창 설립, 2000년 태국 대창하이테크를 설립하며 글로벌 대창의 기반을 확립했으며, 21년 06월 그룹매출 15.3천만불, (주)대창수출 5.9천만불(수출비중 55%)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512 (주)쎄미콤 대리 이다희 상기인은 수출입 담당자 로서 코로나19로 부품수급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도 고객에게 원활이 부품이 공급 될수 있도록노력을 하였고 수출증대에 기여함. 김민경 513 (주) 수산중공업 유럽지사장 이대현 상기인은 아시아/대양주 시장 해외영업 권역장 및 유럽지사장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시장 친화적이며 적극적인 해외마케팅 영업을 통해수출확대에 기여함. 오푸른 514 스템코 (주) 대표이사 이도 히데오 상기인은 30년 간 TORAY(주)와 스템코(주)에서 ‘첨단기술로 미래를 창조하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 COF의 기술력/품질확보 및 신시장 개척에 매진해왔으며, 5년간 매출 47%성장, 고객만족도 1위 달성에 기여함. 515 주식회사 딘소 부장 이도연 한국 카고크레인 러시아 시장 판매에 기여하였고 러시아 전체 판매 1위 달성. 코로나 진단키트 러시아 판매와 인증서 발급에 기여하며 국가 발전에 기여함. 전현식 516 유테크 대표 이동덕 2005년 유테크 설립 및 대표2012년 중국 심양에 유테크 지사 설립2012년 100만 불 수출의 탑 수상 2020년 충청북도지사 자랑스러운 충북 기업인 수상현재 청원구 중소기업회장을 역임하며 중소기업 활동 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함. 오푸른 517 주식회사 태화칼파씰 이사 이동석 중국조선시장 개발을 위해 제품 개발, 설계비팅 등 여러 과정을 통해 등록 공급하고 있으며, 개발중 진행된 신규 공정은 특허를 취득하였으며 생산현장 및 사무 개선 목적으로 스마트 팩토리 산업을 연개하여 수주부터 출하에 이르기까지 전체 시스템 체계 확립에 기여함. 518 글로리트렌드 대표 이명현 상기인은 20년이상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의 의료기기와 반도체 수출에 이바지 하는데 기여하였으며, 코트라 타이베이무역관의 중소기업 지사화사업 참여하여 우수중소기업의 대만 현지 진출에 기여함. 김민경 519 (주) 한솔아이엠비 과장 이무현 상기인은 (주)한솔IMB 생산부서에서 0%로의 불량률을 위해 불철주야 생산성 향상 및 직원들에게 철저한 제품교육과 소통으로 업무에 임하고 있으며 특히 수출품 납기를 위해 매진하고 있습니다. “제품은 회사의 얼굴” 이라는 각오로 선적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에 기여함. 오푸른 520 영어조합법인 태경식품 부장 이민배 영어조합법인 태경식품에서 2012년부터 생산과 물류를 담당하여 수출에 큰이바지를 하였고수출물류가 잘 수출될 수 있도록 조절 및 생산량 조절 등으로 수출에 크게 기여함. 이철호 521 (주)서북통상 팀장 이민지 상기인은 2017년 (주)서북통상에 입사하여 해외마케팅 및 해외영업 업무를 진행하며 대한민국에서 수출되는 중고차량들의 전반적인 품질개선과 바이어 발굴 및 판매 운영관리하였고 2015년 ㈜서북통상의 인천지사를 설립하여 더 전문적이며, 효율적으로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2016년 수출실적 798만불 달성하는데 기여함. 522 (주) 나눔테크 부소장 이병석 상기인은 의료기기 기술개발, 국제 인허가, 위험관리, 소프트웨어 설계/검증, 사용적합성, 임상평가, 설계/ 개발 절차 개선, IoT 통신 시스템 개발로 무역 증진에 기여함. 오푸른 523 엔케이수산 (주) 대표이사 이봉희 상기인은 본래 내수 시장만을 대상으로 회사를 운영해왔으나, 시장 확대의 필요성을 느끼고, 2018년 3월 수출을 첫 시작해, 미국 기름치 시장 및 싱가폴, 일본, 베트남 등 황새치 시장을 꾸준히 개척하여 당해년도 수출실적 1천만불을 달성하는 등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이철호 524 (주) 카운텍 대표이사 이부한 ㈜ 카운텍 대표 이 부한은 내부 시스템을 개선하고, 고객이 요구하는 제품 제작 관련해 업체를 직접 찾고 업무 협약을 맺어 수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여함. 수출액이 향상될 수 있도록 대리점에 의존하던 전시회를 직접 참석하는 구조로 변경하여 카운텍을 알리는데 기여함. 525 주식회사디씨엠 부장 이상구 2001년 9월부터 현재까지 ㈜디씨엠에 근무하면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자세로 거래선을 확보하여 매진한 결과 매출 증진과 수출 200 만불 달성에 기여함. 이철호 526 중소기업중앙회 과장 이상언 상기인은 2010년 10월 중소기업중앙회에 입사하여 중소기업 경영애로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건의사항을 발굴하고 중소기업 금융애로 해소, 중소기업 수출지원 사업, 청렴문화 확산 및 협동조합 활성화 지원사업을 담당하여 중소기업 수출 증가 및 고용확대에 크게 기여함. 김민경 527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이상윤 상기인은 우리 중소기업의 한류를 활용한 제품 브랜드 제고 및 해외 진출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해외 최대 규모의 산업-문화 융합 박람회인 ‘한류박람회(KBEE)’를 담당하여 2012년부터 2020년까지 총 해외 15개 지역에서 1,600개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에 기여함. 528 주식회사 파인인터네셔널 대표 이서령 2018년 8월 (주)파인인터네셔널 법인을 설립하고, 대표이사로서 활동하며 국내 브랜드의 화장품을 수출 공급하는 온라인 플랫폼 및 오프라인 인프라를 구축하여 태국, 베트남 외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마케팅 플랫폼 및 물류 서비스 전문기업으로 성장에 기여함. 김민경 529 전략물자관리원 연구원 이서진 상기인은 수출통제 정책 연구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효율적인 수출통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자료 생산 및 축적 등 이론적 근거 마련하여 국내 정책 및 제도 개선사항 도출, 개선 방안 모색, 국내 수출기업 수출통제 및 제재 이행, 통상마찰로 인한 애로사항 해결에 기여함. 530 주식회사 비앤에이치 코스메틱 부장 이성수 상기인은 입사 후 10년 가까이 물류 팀장을 담당하여 수출입/재고관리/반품관리/유통관리 등 전반적인 수출에 필요한 SCM업무를 문제 없이 진행하여, 수출액 $18,000,000이상 달성함에 있어 물류 SCM과 매출에 크게 기여함. 53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사 이성일 상기인은 2003년 6월에 입사 한 이후 18년간 기술 개발 및 신제품 개발을 추진하였으며 이를 통한 수출 증대 및 국제 경제력 제고를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신기술 확보 및 신제품 개발은 회사가 글로벌 자동자 전장부품 개발 메이커사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532 영어조합법인 태경식품 대표이사 이성찬 상기인은 2009년3월1일부터 태경식품의 대표로서 기업을 운영하며 투철한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직원들을 이끄는 리더십으로 대표로써의 직무에 최선을 다해 왔으며, 합리적인 사고와 솔선수범하는 자세까지 갖추어 일하는 직원들에게 까지 모범이 되며 수출증대에 기여함. 전현식 533 주식회사 에프엔에스리테일 실장 이세명 상기 공적인은 2014년 ㈜에프엔에스리테일에 입사한 이래 현재까지 5년 간 꾸준한 자기개발과 투철한 도전정신으로 맡은 업무에 강한 책임감을 가지고 성실히 수행하였으며, 2019년 130만 불, 2020년 300만 불, 2021년 상반기 120만 불 수출 실적 달성에 기여함. 오푸른 534 (주) 케이더블유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이송희 상기인(상기기업)은 한국 이커머스 셀러들이 수출물량이 항공특송으로 집중되어 현지나 중국 셀러들에 비해 물류 경쟁력을 갖지 못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물류상황에서 물류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기여함. 535 (주) 에스와이나노텍 대표이사 이수욱 상기인은 기존 소결 부품 밸브가이드를 동합금 소재 부품으로 개발함으로써 내수 및 수출을 통해서 현대차 (울산/아산),기아차(화성) 인도 직수출 공급 함 으로써 하이브리드용 자동차의 연비향상 및 공정기술 확보 및 무역 역조개선에 기여함. 536 (주) 진영LDM 이사 이수정 상기인은 경영부문 총괄 직무를 맡아 회사성장에 따른 혁신과 개선활동의 리더로서 회사의 미래비전을실현하는데 성과를 보여 특히 조직안정과 활성화, IT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공장화, 해외마케팅 전략수립경영인프라 개선 등 1천만불 수출탑을 수상하는데 있어 폭넓게 기여함. 537 주식회사 동신폴리켐 차장 이수희 위 사람은 현재 당사 생산팀의 현장 책임자로 21년 동안 폴리카보네이트 쉬트 압출 분야에 종사 하면서 축적된 노하우로 작업방법 및 공정개선 등, 노사화합에 앞장서 어려운 시기가 있을 때 마다 현장 직원들의 결속력을 다지는데 앞장서 기여함. 538 주식회사 광양이엔에스 이사 이순창 2016년 5월에 입사하여 현재까지 5년동안 상기인은 뛰어난 업무능력과 회화실력으로 당사의 해외 시장 개척 활동에 앞장섰으며 현재까지도 해외 에이전트 및 신규 거래처를 계속해서 발굴해 나가고 있으며 새로운 품목들을 발굴하여 회사 성장에 기여함. 전현식 539 (주)에스디씨아이티 차장 이승우 상기인은 무역협회에서 무역진흥자금, 무역의날 포상, 용역및무체물 시스템, 간접수출 실적 자동연동을 개발 KITA.NET, 무역통계 등 무역정보 제공사이트 원활한 유지 관리 및 시스템을 개선하여 무역의날 포상 신청에 편의성을 제공하여 수출지원 개선에 기여함. 김민경 540 삼양금속공업 (주) 과장 이승재 상기인은 2013년 입사 후 전체 공정에 대한 생산관리 매뉴얼을 지속적으로 재정립하여 회사의 품질 문제 발생률을 0.1%이하로 낮추는데 기여하고 관 이음쇠 제작시 납을 넣어 성형하는 공정에서 납을 사용하지 않고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맨드렐(Mandrel) 방식의 성형 기술 개발에 참여하여 3배 이상의 생산성 향상을 이루는데 기여함. 541 ㈜ 네오제넥스 대표이사 이영배 상기인은 제약회사 수출부서에서의 근무 경력을 발판 삼아 회사를 창립하였고 23년 이상 한 분야에서 부단히 노력한 결과 창립 7년만에 홍콩/마카오,필리핀,예멘,이란,벨라루스,우즈베키스탄,칠레,페루 등 신시장을 개척하여 3백만불 수출 달성에 기여함. 542 삼금공업 (주) 대표이사 이영수 1988년 2월8일 중소기업 삼금공업(주)에 입사하여 33년간 자동차부품 개발 및 품질향상에 전념하여,“자동차호스용 Fitting류” 3종(Brake,Fuel,Power-steeing)을 자체기술개발 로 국산화, 양산화에 성공으로 국내자동차 부품업계에 크나 큰 변화에 기여함. 전현식 543 (주)투엔티플러스 대표 이영진 상기인은 본래 중국시장 중심의 제품디자인수출을 다변화 하고자 유럽인들의 취향과 니즈를 연구하여 영국에 수출함으로서 제품디자인분야 백만불 수출과 신시장 개척에 기여함. 이철호 544 LG전자 일본법인 법인대표 이영채 8~90년대 소니, 파나소닉 등으로 대표되던 전자 산업의 메카 일본 본토에서 끈기와 열정을 바탕으로 발전한 한국의 기술력을 널리 알리며, 수출 개척을 통해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함. 545 현대자동차 (주) 본부장 이영택 ‘84년 현대자동차 입사 후, 20년 이상 해외에 근무하면서 신흥시장 생산거점 구축 및 완성차/부품 해외 판매 확대 통한 해외시장 개척에 기여함. 신남방정책의 대표 사례로 인니 시장에서 친일본계 내연기관 중심 자동차 세제를 전기차 중심 자동차 사치세율로 개정 주도하여 수출증대에 기여함. 전현식 546 고모텍 (주) 실장 이영호 상기인은 2011년 9월 14일 당사에 입사하여 2013년 01월 16일로 퇴사하고 2015년 7월 20일 재입사하여 지금까지 근무중에 있으며 수출 증대에 기여함. 이철호 547 주식회사 프레시스 농업회사법인 과장 이용 2018년 수출 100만불 달성, 2019년 호주 포도 첫 선박 수출, 2019년 딸기 수출 시작, 2020년 미얀마 감귤 첫 수출, 2020년 홍콩 제주 계란 첫 수출, 2020년 수출 370만불 달성에 기여하며 수출증대에 기여함. 548 동진정공 (주) 직장 이용호 상기인은 공정개선, 생산성 향상, 핵심 인재로 성장하였으며, 주기적으로 제품 확인 및 자주 검사를 수행하여 품질 인정, 생산수량 증대에 기여함. 오푸른 549 (주) 젬마코리아 대표이사 이우종 상기인은 기존 시장에 없던 멀티이온아이저 제품을 자체개발하여 경쟁력 있는 기술 및 특허 확보에 성공, 중국을 시작으로 무역시장 개척에 기여함. 제품의 첫 시작부터 국내에서 생산하여, 5대 무역국가 외에도 수출 개시에 기여함. 김민경 550 이지스코 주식회사 책임연구원 이원준 상기인은 본래 일본제품이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흡착척 제품을 국책과제사업과 업체 간 협업을 통해 최신공정기술 확보에 성공하여 디스플레이 특수부품의 국산화에 기여함. 전현식 551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대리 이원훈 입사이후 해외시장 개척에 과감히 도전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 입사 3년만에 호주, 미국, 캄보디아, 인도, 아랍에미레이트등 신규 시장 개척을 통한 활발한 수출이 진행 중이며, 당해년도 오백만불이상을 달성하여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552 주식회사 셀코스 과장 이유석 LG화학, 삼성전자 등 많은 기업체와 대학교, 연구소에 납품하는 제품 및 중국, 멕시코, 슬로바키아, 독일 등에 수출하는 OLED, SPUTTER, R&D용 진공 증착 설비의 전장 설계 및 PLC Program 제어를 통해 해외 무역 수지 개선에 기여함. 전현식 553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대리 이유진 상기 공적인은 2016년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에 입사한 이래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사업인 ‘대중소기업 파트너십 지원사업’과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지원사업’을 운영하며 연평균 12개 대기업의 중소기업 수출지원사업을 지원하여 1,992개 중소기업의 수출 증대에 기여함. 전현식 554 한국산업단지공단 대리 이유진 상기인은 ‘10년 5월 한국산업단지공단 입사하여 산업단지 관리업무, 기업지원사업, 산단대개조 및 스마트그린산단사업을 수행하며 산업단지 특화산업 성장을 위해 다양한 업무를 적극 수행하여 산업 발전에 노력에 기여하였으며, 특히 항공부품 중소기업 직수출 환경 조성에 기여함. 전현식 555 애터미 주식회사 실장 이윤근 건강기능식품, 생활용품 등의 제품을 기획·생산하는 담당자로 재직하며, 50여가지 이상의 제품을 직접 기획하여 전 세계 20개 국으로 수출해 현지 시장을 개척하는데 기여함. 556 서경브레이징 이사 이융재 상기인은 지난 28년동안 서경브레이징이라는 한 회사에서 기술개발에 전력을 기울여 현재 서경브레이징이 브레이징 분야에 있어서 세계최고의 회사로 성장시키고 수출증대에 큰 공헌 을 하여 회사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함. 전현식 557 재단법인경남테크노파크 팀장 이은균 상기인은 2018년부터 (재)경남테크노파크 ‘항공산업지원단’의 책임자로, 해외 고객 대상 맞춤형 타깃마케팅 및 B2B 상담회(총 19회)를 주관하여, 경남 항공부품업체 총 21개사가 1,911백만불 수주에 기여함. 558 (재) 충청남도경제진흥원 과장 이은명 상기인은 (재)충청남도경제진흥원에 2013년 6월 입사한 이래 다양한 해외 마케팅 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함으로서 충청남도 중소(수출)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및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함. 559 (주)피오씨코리아 대표이사 이응훈 최초로 현장진단검사 시스템을 도입, 한두방울의 혈액으로 2~3분내에 검사결과를 보고하여 의사의 진료시간단축, 환자 대기시간 단축, 미숙신생아의 생존률 증가에 기여함. 병원의 음압병실, 중환자실, 응급실등에 24시간 서비스를 제공하여 코로나 환자 24시간 진료에 기여함. 560 (주)상원기계 생산기장 이인성 국내,외 많은 Project의 대기환경처리설비 업무를 수행함으로 미세먼지저감과 대기환경개선에 기여하였으며 중국, 멕시코, 인도네시아 등 의 해외 Project에 참여하여 설비 수출에 많은 기여하였고, 코로나19 사태에도 현장 직원들 안전과 건강을 보살피며 회사 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561 주식회사 벤튼 대표 이장원 달팽이점액여과물 함유와 유해논란 성분을 배제하여 시너지를 일으킬수 있는 성분 주목,예로부터 동의보감에서 특유의 항염증 치료에 효과적인 벌독을 제품에 접목하여 벤튼에 시그니처 라인 기획 미국등 해외수출 시작으로 K-뷰티 브랜드로서 발돋음하며 한국 우수성 알림 기여함. 562 주식회사 야베스재팬 대표이사 이재성 우리나라 혁신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100개사의 일본 최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마쿠아케 입점·판매를 지원함으로서, 국가 수출저변 확대와 스타트업의 글로벌화를 통한 국가 미래 경쟁력 강화, 국가 브랜드 이미지 개선에 적극 기여함. 김민경 563 (주)S-Tech 차장 이재식 상기인은 ㈜S-TECH(이하 에스테크)의 최고 선임 설계 책임자로서 2009년 7월에 입사한 후 2021년 8월까지 12년 1개월 여의 근무기간 동안 주력 장비 설계 및 고객 요청에 따른 최적화 모델을 개발하며 세계 시장에서 에스테크가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함. 이철호 564 주식회사 창대핫멜시트 이사 이재일 03년 12월 창대핫멜시트를 입사하여 핫멜시트에 관한 기본 지식을 배양하였습니다. 핫멜트에 관련하여 기본부터 착실히 배워나갔으며 생산의 총괄을 담당하는 책임자로 생산의 전반을 관리, 작업대비 최고의 생산성을 위해 효율적인 업무를 배정하며 회사 발전에 기여함. 오푸른 565 (주) 에이훠스트 부장 이재정 2013년 (주)에이훠스트 영업부 차장으로 입사하여 영업팀장으로 업무를 수행해 오면서 상당한 노하우를 축적하여 왔으며, BUYER의 오더에 맞춰 꾸준히 제품을 Develop하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기한내에 잘 납품할 수 있도록 업무를 하면서 회사의 매출신장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함. 전현식 566 주식회사 제이에이치베이직홀딩스 대표이사 이재호 상기인은 감국추출액을 이용헌 건강마스크를 개발 및 판매하여 전년도 30만불이었던 수출실적을 금년 290만불로 비약적으로 늘어날수 있도록 수출시장 확대에 기여함. 567 (주) 원케미칼 대표이사 이정국 상기인은 (주)원케미칼 대표이사로서 1997년 11월 원케미칼이라는 개인사업장을 창업이후, 2010년 (주)원케미칼로 법인 전환하면서 화재등의 어려운 역경을 극복하고 꾸준한 수출을 통해 회사 중기업으로 성장 발전토록 기여함. 568 (주) 스몰랩 대표이사 이정규 2009년에 ㈜스몰랩에 입사, 2013년 1월 대표이사로 취임하며 “마이크로니들”을 통한 전세계 시장 1위를 목표로 내수 및 수출 시장 개척/개발에 최선을 다하여 작년도 100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으며 금년도에는 700만불 수출의 탑에 도달하도록 역량을 기여함. 569 (사)한국무역협회 실장 이정수 상기인은 1993년 무역협회에 입사한 이래 무역아카데미, 화주사무국, 경기남부지역본부, 남북교역실 등에 근무하면서 매사에 솔선수범하는 자세로 무역업계 지원업무를 수행하였으며, 특히 9년간의 무역아카데미 근무를 통해 무역인력 양성에 크게 기여함. 570 (주) 신우산업 대표이사 이정연 상기인은 2014년 대표이사로 취임 후 섬유 시장 수요를 다방면으로 조사한 결과 ,2019년부터 수출 주력 상품 개발로 방향을 전환 하여 이집트에 주력할 만한 상품 포말 블랙 염색 원단을 꾸준히 수출하는데 기여함. 571 (주)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사장 이정우 글로벌칩메이커를 고객사로 확보하여 해외 매출처 다변화 및 매출 확대 등 해외신규시장 개척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회사의 수출확대 및 국가수출신장에 기여함. 전현식 572 (주) 리브스메드 대표이사 이정주 상기인은 외과치료기기 시장에서 다국적회사가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시장에서 세계 최초로 첨단기기의 성능을 저비용으로 개발함으로써, 선진국의 주요수출품목인 치료기기 시장의 무역수지개선과 국산 의료기기산업의 저변확대에 기여함. 573 롯데렌탈 (주) 팀장 이정준 상기인은 2006년부터 해외 수출 바이어에게 양질의 중고차 판매차량 공급 및 온라인 중고차 수출 플랫폼을 통한 판매채널 개척을 통해 중고차 수출산업 성장에 기여함. 574 주식회사 디엘에이치아이 대표이사 이정학 상기인은 석유화학 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주요 장치는 50% 이상 유럽에서 생산되었으나, 기존 생산했던 배열회수보일러(HRSG)의 경험 및 낮은 용접 불량률(0.5% 미만)과 높은 수준의 품질경영을 바탕으로 수주를 했으며, 매년 300억 이상의 수출을 기여함. 김민경 575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장 이정훈 VIP의 해외 순방 경제사절단을 활용한 경제외교, FTA 활용지원센터 활용률 확대, 지사화 참가기업 해외시장 진출 지원 등을 통한 해외 마케팅 수행으로 주요국과의 협력 강화 및 우리기업의 신시장 진출 확대에 기여함. 576 주식회사 미정데코 총괄관 이제선 상기인은 3년간 근무하며 DECO FILM 품을 자체생산하여 신기술공정기술 확보에 성공, 제품개발국인 터키,루마니아에 역수출을 시작하여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전현식 577 (주) 수산씨에스엠 대리 이종명 상기인은 6년간 근무하며 2018년 대비 2019년 매출액 112% 증가에 기여하였는데, 특히 유압드릴의 수출 비중을 대폭 증가 시켰으며 유압드릴은 전체 매출의 2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담당 아이템인 유압크롤러드릴은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하여 수출증대에 기여함. 578 (주)비전팩솔루션 대표이사 이종성 상기인은 29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주)비전팩솔루션 대표이사로 근무하며, 대만 반도체 업체 TSMC향 반도체 부품포장 Aluminium pouch용 Aluminium foil 개발 및 수출과 일본 업체가 장악 중인 대만 Top coated 감열지 및 PVDC Coat 시장 진출에 기여함. 이철호 579 주식회사 디에스엔프라 대표이사 이종열 상기인은 2011년 10월 (주)디에스엔프라를 설립하였으며, 현재 13억원의 자본금으로 무역 산업에 기여하고 있고, 2021년 7월 말 현재 총근로자는 23명이며(외국인근로자 포함), 2020년 10,015백만원의 매출실적을 달성하며 무역 진흥에 기여함 전현식 580 주식회사탑프라 대표이사 이종엽 상기인은 (주)탑프라 창업멤버로 2000.03월에 탑프라 설립하여, 수입에 의존하였던 카트리지를 국산화 및 수출하고 국내 최초 실란트 용기제조부터 실란트 제조, 충진까지 3개 운영체제를 통합으로 운영하여 당해 수출1천만불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581 재단법인 강릉과학산업진흥원 센터장 이종영 상기인은 14년간 수출 증대를 높이기 위해 산업의 특성과 소재, 완제품까지 지속적인 신규시장 창출을 위한 기업지원으로 수출 네트워킹 구축 및 바이어 발굴, 수출지원제도 활용 등을 추진하여 기업 매출 증대에 기여함 김민경 58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리 이종호 상기인은 6년간 근무하며 20년 2월부터 KOTRA 혁신성장본부 소재부품장비팀에서 근무 시작하였고, 국내기업의 코로나19대응을 위한 사업을 집중 추진하며 소재부품장비 수출 마케팅 사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신시장 개척에 적극 기여함 583 비아이피주식회사 부장 이종훈 상기인은 2004년 중소조선기자재 업체인 폐사의 계열사에 신입사원으로 입사하였으며 현재 조선기자재 영업 분야의 기술적 노하우와 영업력을 쌓아 현재 국내영업부 부장으로서 회사발전에 기여함. 584 주식회사 프랙 대표이사 이좌진 상기인은 7년 이상 무역회사 프랙을 경영하며 수출경쟁력을 바탕으로 외화획득 및 국가경제 발전에 공헌하고수출시장을 개척을 통한 매출성장을 이루어내어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하였고, 현재도 국내 제조사와 지속적인 상생협력 등을 통하여 수출증대를 통한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함. 전현식 585 주식회사 동신폴리켐 계장 이준 상기인은 폴리카보네이트 업체에서 해외영업 담당으로 3년7개월간 근무하며, 각종 무역사절단, 무역박람회, 지사화사업 등 해외바이어 발굴 및 수출을 위해 힘썼으며, 실제로도 3년동안 수출실적을 꾸준히 향상시키며 무역 증진에 기여함 오푸른 586 주식회사무학 과장 이준규 상기인은 7년간 근무하는 중 해외영업을 주로 하며 2015년 실적 USD 327,608에서 2020년 USD 7,186,829로 5년 동안 매년 성장시켜 연평균 85% 성장국가별 시장 분석을 통한 신제품 개발 참여로 실적 증가에 기여하였고, 신규 거래 국가 및 거래처 발굴에도 기여함 587 주식회사 플라이업 차장 이준영 상기인은 8년간 ㈜플라이업의 대외 수출 담당 및 정부지원사업 과제책임자로 디스플레이, 반도체 검사 장비 및 부분품의 대외 수출 업무를 담당하여 수출 신장에 이바지 하였으며, 수출 판로를 개척하고 회사 역량을 강화하였으며 수출 증대에도 기여함. 588 주식회사 엘케이엔지니어링 대표이사 이준호 상기인은 반도체 부품 제조 산업에 20년 이상 종사하며, 외국에 의존하던 핵심 부품인 정전척의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원가절감을 이루어내는 등 산업경제 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589 주식회사 써니스코파 팀장 이지균 상기인은 2013년 써니스코파에 입사하여 꾸준한 노력으로 당사의 특수 물전사지를 미국 아마존, 이베이등 직 소매시장에 판매해서 연 수출 200만불 이하이던 회사의 수출 실적을 불과 2~3년만에 300만불대로 끌어 올리는데 지대한 기여함. 590 한국수출입은행 팀장 이지언 상기인은 25년간의 근무기간 중 수출입은행 경협 부서에 장기 근무하며 개발도상국과의 다수 협력사업을 지원하였고,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는 보건의료분야 긴급프로그램차관을 설계, 신속하게 지원함으로써 주요 협력국의 보건위기 극복에 기여하는 한편, 개도국 보건의료 수출기반을 구축에 기여함. 591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장 이지훈 상기인은 18년간 근무하며 중국지역 20번째로 하얼빈무역관을 개설 후 현지 시장에 적합한 뉴채널 마케팅 모델을 개발하고,대사관 및 선양총영사관, 현지 성시 정부와 긴밀한 협업을 통해 문화와 상품을 연결한 융복합 대형사업을 적극 추진해 흑룡강성이라는 신시장에 우리 기업의 무역투자 교류 확대에 기여함 오푸른 592 주식회사 씨엠에스랩 대표이사 이진수 상기인은 2015년 메디컬 뷰티 전문 기업 씨엠에스랩의 대표이사로 취임 후 화장품 연구소 설립, 브랜드 유통채널 리빌딩 및 적극적인 해외 시장 개척 및 중국 시장 공략 등 글로벌 no.1 메디컬 뷰티 기업으로서 성장하는데 기여함. 593 나이스텍 (주) 이사 이진학 상기인은 2008년 2월 나이스텍 생산팀 생산직 사원으로 입사하여 현재까지 회사가 수출하는 제품의 생산 과 품질, 원자재 조달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성실한 자세로 제품생산과 품질관리에 힘써 나이스텍 수출 300만불 달성에 크게 기여함. 594 (주) 디케이엔지 과장 이진희 상기 공적인은 2011년 (주)디케이엔지 입사이후 전문적인 해외무역/수출입업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회사 수출업무를 전적으로 담당하여 회사내의 수출무역 표준화를 이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원산지 증명,수출선적, L/C관리 등의 완벽한 업무처리로 회사수출증대에 기여함 595 (주) 코리녹스 과장 이창길 상기인은 10년간 근무하며 해외영업 및 관리 업무에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여 당해년도 수출실적 30,800천불 달성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대한민국 스테인리스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함 오푸른 596 아메스산업 (주) 대표이사 이창배 상기인은 초음파 Flip Chip 공정에 사용되는 Bonder를 국산화 개발하여 거의 전량 일본(TDK/Panasonic)업체로 부터의 수입 대체에 성공하여 국내기업의 해외 법인에서 사용되는 Flip Chip Bonder의 90% 이상으로 적용 생산에 기여함 597 주식회사 스텍 대표이사 이창석 상기인은 자동차 도장 대체 Color PPF 개발을 통해 자동차 도장 공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혁신적으로 줄임으로 환경문제개선과 세계 80여개국의 수출을 통해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598 (주) 에스씨엘 부사장 이창섭 상기인은 7년간 (주)에스씨엘의 수출업무를 총괄하면서 2019년 977만달러였던 수출액을 2021년 1,333만달러를 달성, 36%의 수출 신장에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599 (주)케이비비 대표이사 이창식 상기인은 약 8년간 무역업,임업 경영하며 직전 3개년 (2018-2020) 원자재류의 연평균 직수입 약500만불을 달성하였고 섬유패션과 자동차 시트 등 고부가가치 품목화, 베트남 직수출시작, 전국 최대규모 산양삼 재배허가 등의 성과를 내며 무역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600 주식회사 더파운더즈 대표 이창주 상기인은 근무 4년동안 동남아시아 기후에 맞는 스킨케어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마케팅 및 투자를 통해, 수출 시작한 지 2년차에 약 470%의 직수출 성장을 이뤄내며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601 원일금속 (주) 팀장 이춘호 상기인은 금속산업에서 15년간 근무하며 국내및해외에서 고려아연과 Nyrtar사에서 대부분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아연합금 시장에서 당사만이 생산할 수 있는 특수 아연합금 제품 생산에 매진하여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견인하여 5대 시장인 베트남 특수합금 시장에 진출하는데 기여함. 602 씨엠에이씨지엠코리아 (주) 소장 이태수 상기 공적인은 지난 13년간 부산의 해상 수출입 물류 현장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선사 업무의 전산화와 전자무역 이용 활성화를 이끌었으며, 물류 주체인 포워더, 창고, 운송사 간 시스템 연계 등을 적극 추진하여 국내 수출기업 대상 경쟁력 있는 서비스 제공에 기여함 6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선임연구원 이태훈 상기인은 2013년 9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입사 이후 7년 11개월동안 근속하면서 국내외 자원개발에 필요한 우수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고 국내외 석유가스 자원개발 사업 발전에 크게 기여함 604 희성피엠텍 (주) 대표이사 이하동 상기인은 지난 5년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백금족 금속의 수입의존도를 줄이고, 국내에서 폐기되거나 해외로 반출되는 귀금속 함유 폐촉매를 국내에서 정제·회수하고자 귀금속 회수 정제 기술을 개발하였고, 영업활동과 개발투자를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7억불 수출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함 이철호 605 스위스포트코리아 ㈜ 본부장 이학민 본인은 31년간 우리나라 수출입업무의 최전선인 인천공항에서 우리나라를 입출항하는 여러 외항사들의 조업업무를 담당하며 효율적이고 신속한 화물조업업무를 수행하고, 특히 화물조업업무 관련 해외의 우수사례 (상용화주)등을 국내 업무에 접목시켜 우리나라 무역 발전에 기여함. 606 신성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파트장 이한원 상기인은 생산관리팀 사출 총괄로써 생산성 향상을 위해 설비 관리, 인재육성에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으며, 당사 사업의 근간이되는 사출 및 금형관리를 시작으로 전기자동차 배터리 부품 생산 자동화를 통해 매출 및 수출 신장에 큰 기여함. 이철호 607 (주)포텍 팀장 이혁재 상기인은 18여년간 다양한 해외영업 분야에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영업부에 영업총괄 이사로 입사하여 해외 시장의 개척을 통한 신규 거래처 및 수출품목 확대로 수출실적 상승에 기여함. 608 한진철관(주) 대표이사 이형석 상기인은 23년동안 근무하며 제조업체로서의 자체 경쟁력을 강화시켰고, 전체 사용 소재 중 국산 원자재의 비율을 크게 확대(2012년 40%에서 2021년 현재 80%)하여 이를 통해 강관업계 내 국산 원자재 사용에 대한 인식 전환을 선도하는 등 혁신 지향적인 기업 문화 정착 및 상생협력 추진 등을 통해 국가발전에 기여함. 609 주식회사 린텍 대표이사 이형주 상기인은 19년간 린텍의 대표이사로서 반도체 핵심부품의 국산화를 위해 노력하고, 매년 매출 및 수출성장을 달성하였고, 전년대비 수출 2배 성장과 매년 신규고용창출을 통해 국가 및 지역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함 610 위드시스템 ㈜ 과장 이형호 2013년 11월 01일 위드시스템(주) 기술영업팀에 입사하여 7년9개월 동안 근무하면서 회사의 발전이 곧 나의 발전이라는 일념으로 고객의 영업망 구축 및 마케팅 활동을 지속하였으며, 또한 베트남 해외법인 설립 당시 신규 시장 발굴을 위해 약 1개월 정도 참여하여하여 수출 증대에 기여함. 이철호 611 주식회사 나라테크 과장 이혜영 상기인은 지난 7년간 TRACK ROLLER 및 HOSE 제품을 나라테크의 1등/2등 효자수출제품으로 만들었으며,성실하고 책임감 있는 근무 태도로 신규 고객발굴과 신시장 개척에 많은 노력을 한 결과 당사 수출실적 3000만불 달성에 기여함 612 동진정공 (주) 대표이사 이호길 상기인은 31년간 쌓은 탄탄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대, 기아, 두산 등 국내 굴지의 기업을 비롯하여 VOLVO, HITACHI 등 해외 및 글로벌 기업에도 당사 제품을 납품하여 해외 시장 개척 및 사원 복지에 관심을 가지고 이천만불 수출 실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613 (주) 에이훠스트 부장 이홍근 상기인은 (주)에이훠스트 베트남공장 생산관리 부장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에 모두 능통하여 직원들과 유대관계가 뛰어나고 조직 장앙력이 탁월하여 본사와 공장간 제품 생산을 위한 조율 및 협력을 원활히 하여 2019년 4,428만불 수출 실적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함 614 (주) 세라젬 본부장 이효용 상기인은 제품 품질개선과 R&D 강화를 통해 기업 성장을 주도하고, 제품 개발 및 제조생산 총괄 책임자로 의료기기 국가 수출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함. 615 이지스코 주식회사 상무이사 이효웅 상기인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일본 제품이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글라스등의 기판을 흡착하는 정전척을 자체기술로 개발하여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장비에 핵심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OLED 디스플레이 뿌리 기술, 산업 발전에 기여함. 616 피에스케이 주식회사 부사장 이희권 상기인은 26년간 반도체산업분야에 종사하면서 피에스케이의 1997년 상장을 주관하여 한일 합자법인에서 대한민국 단독법인으로 전환을 이끌어 내었고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는 해외법인의 체계화 및 안정화를 통해 피에스케이의 수출 증대에 기여함. 617 벨금속공업 (주) 사장 이희평 상기인은 지난 37년동안 계속해서 동남아, 미국 등 해외시장을 개척하였고, 국가 산업에 도움이 되는 MADE IN KOREA로 브랜드 “BELL”을 만드는데 기여함. 618 주식회사 삼보에스앤티 대리 임대엽 상기인은 3년간 국내 생철압축, 캔압축, 스텐압축, 파지 및 비급 파이프를 매집하여 인도네시아, 인도, 베트남, 파키스탄 및 두바이에 수출하여 18년 천만불 수출탑 달성하는등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이철호 619 (주)성일이노텍 대표이사 임민자 상기인은 지난 15년간 매년 매출성장을 이뤄냈으며, 인재육성 및 기업성과를 향상 시키기 위하여 항상 노력해온 결과 20년 인재육성형 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고 2019년 2천만불을 시작으로, 현재 코로나19로 인하여 어려운 상황에서도 수출금액 약 2천7백만불 수출실적을 올리는데 기여함. 620 ㈜ 희망노트사 대표이사 임방호 상기인은 44년간 탄탄한 기술력과 노하우을 바탕으로 스케치북외 지제 문구류를 제조, 유통하고 현재 대만, 일본, 중국등으로 문구제품을 수출하여 전년대비 13%의 성장을 이루었으며 기업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621 주식회사 가리미 대표 임복남 상기인은 지난 19년간 김밥김, 스시노리 등 제품 수출에 있어 국가 및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국가 다변화 및 신시장 개척 노력 등을 통해 유럽, 미국 등 신시장 바이어 발굴로 수출액 증대에 기여함 62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Specialist 임수정 상기인은 3년간 지식재산센터(IP-DESK)업무를 전담하며 국내기업 맞춤형 상담 제공, 후속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지원 및 신규 사업을 수행하여 수출성약을 도출하는 등 한국 상품의 인도시장 개척 및 진출 확대에 기여함. 김민경 623 ㈜ 삼성텍 대표이사 임용택 상기인은 16년간 기술개발에 대한 열정으로 다수의 국가 R&D 지원사업 개발투자유치(국가사업 4개) 및 전년대비 100%가 넘는 수출 증진(2020년 수출액 기준)을 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신규고용창출을 지속적으로 늘려 기업, 지역경제 나아가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함. 624 주식회사 플라즈맵 대표이사 임유봉 2014년 KAIST 연구원 창업으로 시작하여 세계 최초로 개발된 멸균제 직분사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의료 기기 시장에서 저온 플라즈마 멸균기의 인증과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플라즈마 분야의 지속적인 기술혁신과 독자적인 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국가 산업발전에 기여함. 이철호 625 이구산업(주) 부장 임은철 상기인은 당사에 19년간 근무하며 자금조달, 수입설비결제. 2천만불수출탑. 수입설비 관세환급, 원자재조달. 친환경 전기차시장 진입 판매확대에 기여함 . 626 샬롬엔지니어링(주) 부장 임재천 해외영업팀에 11년 근무하면서 해외 신시장 개척을 위한 노력, 해외 박람회 참가를 위한 기획 및 전시, 영문 제품 설명서 및 해외 홍보 동영상 제작, 해외 수요처와 긴밀한 협력관계 구축과 신속한 대응 등으로 수출 거점 확보 및 수출 증대에 기여함 627 ㈜ 제일화성 대표 임종일 상기인은 27년간 국내기업을 타켓으로 한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미주유럽 및 일본에서 전량 수입되고 있던 전기전자 정밀화학 소재를 국산화함으로써 국내 대기업 및 중국기업에 수출을 할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김민경 628 (주)헤스피마린 대표이사 임지환 2017년 4월 21일 법인설립 이후 해양플랜트와 선박신조관련하여 서비스 사업을 기반으로 외국계기업으로 사업지원서비스 공급을 시작하여, 첫해 60만불 수출을 달성, 2018년도 117만불 수출을 달성, 2019년도 238만불 수출을 달성, 당해년도 312만불 수출을 달성함으로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629 주식회사신스틸 법인장 임지훈 17년간 철강가공수출업체에 종사하면서 철강 수출 확대에 기여하고있으며 2007년 5월부터 (주)신스틸 입사 및 2년 후 해외(태국)에 진출하여 신규 시장을 개척하였으며, 그로 인해 태국 내 공장 설립을 완료하고, 2021년도 총 20여개의 글로벌 가전 업체와 거래에 기여함. 김민경 630 한국알프스 (주) 차장 임칠섭 상기인은 1995년 당사에 입사하여 26년간 신제품 라인 구축 및 원가개선을 통한 생산성향상으로 수출증대, 근무환경을 개선하였을 뿐 아니라, 협력사의 설비 및 기술지원으로 상생협력/동반성장을 도모하였고 안전보건과 환경시스템 개선으로 무역 진흥에 기여함. 김민경 631 글로벌컴스(주) 부사장 임한섭 상기 공적인은 2004년 글로벌컴스(주)에 임원으로 회사설립 이래 현재까지 17년 간 국제식품소재전을 기획하여 1,500여 기업의 판로개척과 미국,일본 중국소재전에 공동관을 구성 운영함으로서 100여개 기업의 수출확대에 기여하였고, 2004년부터 년 10여개국 이상의 해외공동관 전시를 진행함으로서 우리기업의 수출확대에 기여함 632 경상북도청 주무관 임흥식 상기인은 18년 3개월 동안 통상분야의 전문인력으로 재직하면서 중소기업 통상지원시책을 수립하여 중소기업의 수출증진을 도모하여 왔고, 특히 중소기업의 수출비중을 2006년 14.6%에서 2020년 약 30% 정도로 2배 가까이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수출증진에 기여함 633 ㈜ 한미에프쓰리 대표이사 장덕철 상기인은 본래 원자재 수입하여 상품을 제조하는 내수기업이었으나 수출을 위해 상표등록과 수출전용 제품을 개발 및 런칭하여 2014년 첫수출을 시작으로 현재 북비,아시아,오세아니아,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에 수출하여 무역적자 개선에 기여함. 634 (주)마오테크놀러지 공장장 장문교 끊임 없는 공정개선으로 자체 브랜드의 수출 역량 강화와 원가 절감에 성공하였고, 생산관리부의 총 책임자로 생산관리 시스템 총괄기획 및 운영방안, 수출 마케팅의 기초 수립 등 경쟁력 있는 경영을 하였으며, 내부 구성원들의 인재 배양 및 역량 강화를 통해 수출 증진에 기여함 이철호 635 주식회사 셀코스 부장 장문규 상기인은 10년 넘는 시간동안 구매 업무 확린, 구매처 다변화 및 이원화 달성, 직접 수입 추진을 통해 원활한 무역수지개선에 기여하였고, 일본산 핵심 부품 수출 규제에 맞서 기존 일본산 부품들에 대한 다변화, 국산화 업무 추진하였으며 2021년 간이정액 환급 업무를 추진하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기여함 오푸른 636 주식회사 니텍스제침 공장장 장병은 장병은 부장은 2008년 12월에 입사하여 2019년 생산부 총책임자로 임명되어 2019년 당 해부터 생산량 목표달성 및 불량율 감소로 품질향상과 생산량 증대에 많은 기여를 하고 수출증대에 기여함. 637 퍼시픽엑스코리아주식회사 부장 장상훈 상기인은 미국업체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트랜스미션 부품을 국내 현지개발, 공정최신화, 고객승인을 받아 양산에 이르러 우수한 품질유지 및 회사성장 및 수출실적 확대를 하는데에 기여 하였으며, 현재 부품 사용국인 미국에 역수출을 하는데에 크게 기여함 638 (주)금정 대리 장성진 상기인은 (주)금정 해외영업팀에 입사하여 약 5년간 해외마케팅업무를 주로 맡았고, 능숙한 영어실력을 바탕으로 10개국 이상의 국가들을 두루 다니며 회사 제품을 설명하고 판매하는데 기여함. 639 Weihai Xieda Supply Chain Management Co., Ltd. 대표 장양 상기인은 약 7년간 2011년-2013년 중국 산동성 웨이하이시의 위해시시대광장한국관에 경영관리팀 팀장, 2014년-2017년 위해시한국상품경영판매협회 비서실 실장, 2018-2021년 위해협다이오 책임자를 역임하며, 차별화된 디자인과 품질의 한국제품 홍보에 앞장섰고 한국 중소 화장품기업들의 수출증대(천만불대)에 크게 기여함. 640 (주)엠. 티. 아이 대표 장영석 상기인은 지난 20년간 화합이라는 경영이념을 가지고 일정 크기로 Slitting되어 납품이 되며, 냉장고/자동차 등에 사용되던 Ni-Zn 강판을 수출하며 국내에만 머물던 시장을 부단한 노력과 전략적인 접근을 통해 해외까지 확장하여 무역 역조에 기여함 전현식 641 오스템임플란트 일본법인 대표이사 장영환 상기인은 지난 22년의 재직기간 중 2017년1월 대표발령후 4년간의 CAGR이 31%로 성장시켰고, 장기 적자 누적되던 재정상태도 2018년부터 흑자로 돌려 4년간 흑자 경영에 기여하였을 뿐 아니라 코로나 상황에서도 채용을 계속 늘리며 한국 제품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기여함 642 (주) 경우시스테크 대표이사 장용준 상기인은 22년간 ’중장비 지능형 접근경보시스템’(제품명 IPAS)에 사용되는 핵심 요소기술인 UWB(초광대역 무선통신) 기술을 국내 업계 최초(2017)로 상품화에 적용하여 국내 산업현장 보급 및 글로벌 사업화에 성공하여, KIGIS 브랜드명으로 누적 250만불 수출실적 달성에 기여함. 643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상무이사 장우성 2013년 입사 이후 국내 및 해외 영업총괄담당으로 근무하면서 해외 판로개척 및 영업활동에 매진하였고 직무교육 및 적응교육을 실시하여 후진양성에 힘써 위성통신 안테나 시장 세계 점유율 1위 달성에 이바지하여 회사 성장 및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함 644 주식회사 비전월드 대표이사 장윤석 상기인은 (주)비전랜드가 실적 저조로 포기한 원단 해외 사업부를 인수하여 비전월드를 신규 창업 재기 함으로서사장 될 뻔한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신제품 개발, 천연 염료를 활용한 천연 염색등의 기술을 보존 및 추가 개발하여수출액을 획기적으로 늘려 무역액 증가에 기여함 645 주식회사 백터네이트코리아 이사 장윤진 상기인은 2012년 회사 설립 초기에 입사하여 전반적인 비즈니스 운영지원, 인/아웃바운드 및 물류 관리를 도맡아 백터네이트 수출 입지를 다지는데 큰 기여를 하였고, 창조적 마케팅과 유통 프로세스, 혁신적 제품 기술로 경쟁력있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는데 기여함. 646 ㈜ 일산 책임 장종설 상기인은 당사의 전체적인 수출/입 관련 업무 프로세스를 총괄하며 해외 수출액 증대를 위하여 대체소재,신기능성 소재 개발부터 국내 원자재 Soucing 및 해외 영업까지 전체의 제품의 SCM 전 과정을 진두 지휘하여수출액 일천만 불 달성에 크게 기여함. 김민경 647 (주) 코리안프렌즈 대표이사 장준성 상기인은 7년간 무역 불모지 중동에 한국을 알리기 위해 각고의 노력하였고, 현지 인플루언서들과의 파트너쉽으로 한국문화 수출과 브랜드 수출을 함께 소개함으로 국가브랜드 이미지 상승을 사명으로 삼아 회사를 이끌며, 무역수출에 크게 기여함. 김민경 648 켐카리스 대표 장지화 양질의 바이어를 확보하여 발수제, 유연제, 심색제 등 국산 섬유 가공 약품의 해외 시장을 개발하고, 비불소계 발수제 같은 해외의 유력업체들이 선점한 제품을 국내 섬유 조제 제조 업체와 대체 상품 개발에 성공하여 해외 시장 진출에 기여함. 오푸른 649 (주)유니코어텍 이사 장창식 상기인은 자동차 와이어하네스 제조 관련 20년 노하우로 와이어하네스 제작관련 설비 제작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여 세르비아외 7개국에 수출을 하여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650 ㈜ 유일 대표이사 장철광 12년간 각자 대표로써 영업과 경영의 꾸준한 노력으로 자동화기계 및 설비 제작과 시공을 주업으로 창업한 이래 현재까지 LINE 자동화 및 물류 자동화 설비 분야의 독자적 기술개발 노력으로 끊임없는 시장 다변화와 시장개척에 기여함 651 주식회사 동신폴리켐 사장 장현봉 상기인은 28년간 국내 최초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제조·판매하는 (주)동신폴리켐을 경영하며, 국내시장과 해외시장 개척에 힘써 왔으며,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실행하여 태국,베트남,영국 등지로 수출하여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전현식 652 케이훼어스 (주) 부장 장현태 본인은 17년간 전시 전문회사에 근무하며,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전시회를 기획,운영을 해왔으며 이를 통해 전시산업 발전뿐 아니라 해당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 했으며 특히, ICT분야 전문전시회를 통해 국내 ICT 중소기업의 판로개척 및 마케팅기회 확대에 기여함. 653 ㈜ 네오엑스포 대표이사 장화윤 상기인은 지난 28년간 1993년 국제공장자동화전시회에서 전시회 업무시작하여 부천국제만화축제 기획담당자, 부산국제수산무역EXPO 기획 및 1회 전시회 진행하였고, 2007에 (주)네오엑스포를 설립 및 DENTEX(치과개원및경영정보박람회)를 주최하여 치과기자재산업 발전에 기여함. 654 ㈜ 씨엔에이 대리 전계환 상기 공적인은 2010년 1월 ㈜씨엔에이 제조현장직 사원으로 입사하여 11년 간 생산성 향상 및 제품의 품질 안정화를 통해 고객이 만족하는 제품 생산 활동을 해왔으며 수출증대에 기여함. 655 (주) 비엔 대표 전무성 상기인은 일반적인 화장품 개발이 아닌 특수시장에 적합한 컨셉이 명확한 필링제품 및 화장품 특수 제품을 개발하여 다양한 제품들이 수출될 수 있도록 기여함. 김민경 656 지에스건설 (주) 책임 전상재 지난 25년간 대한민국 플랜트 엔지니어링 건설업계에 종사하면서 대만 CPC RFCC, 이집트 E-LAB, 터키 Izmir DHP, 중국 Shantou LPG Terminal, 이란 ICIIC LAB, 이란 사우스파스 가스전 9, 10단계 프로젝트의 구매 담당자로서 해외 정유/석유화학 플랜트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에 이바지하며 해외 시장 개척에 기여함. 657 희성촉매 주식회사 상무 전성일 상기인은 1991년 1월에 희성촉매㈜ 입사하여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생산 및 품질관리 업무를 진행 하였으며, 끊임없는 노력으로 변화하는 국제 규격을 만족하는 자동차 촉매를 세계 최고의 품질로 양산하는데 기여함 658 ㈜ 밀알오토캠프 대표이사 전승주 상기인은 17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밀알오토캠프의 대표이사로서, 외시장 개척, 국가 브랜드 제고, 협력업체와의 상생, 품질관리 노력, 고용창출과 사회봉사, 수출업체 교류 등에 앞장서고 있고 한국산 자동차 부품을 세계에 알리고 수출하는데 기여함. 659 위해성세국제복무유한공사 총경리 전양준 상기인은 지난 7년간 웨이하이시 조선족기업가협회 회장으로서 “한국상품 시내 전문전시장(면세점)”을 설치하고 국제 전자상거래 방식을 이용하여 한국의 우수상품을 중국 내수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크게 기여함. 660 주식회사 대흥정밀 대표이사 전제항 신기술인 순차이송금형(progressive die) 기술을 접목시켜 금형 설계부터 시작해 프레스양산까지 사업영역을 점진적으로 확장하며 세계가 인정하는 금형 제작 기술로 해외시장을 선도하여 당해년도 수출실적을 1천만불을 달성하여 국가발전에 기여함. 661 주식회사 문화뱅크 대표이사 전중하 상기인은 21년간 전시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고 지방 전시산업 태동기인 1999년 대구에서 전시전문회사를 설립하여 다양한 국제 산업전 등의 행사를 직접 기획주최하여 지역산업 발전 및 일자리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해외 행사를 통한 무역 활성화 및 수출성과 달성에도 기여함. 이철호 662 성이바이오(주) 대표이사 전통규 상기인은 30년간 의약품시장에 종사하며 2017년부터 약 220억원을 투자하여 식품(HACCP), 건강기능식품(GMP) 및 의약품(KGMP)을 생산하는 성이바이오㈜를 설립하여 지속적인 연구 및 채용인원 증가는 물론, 다양한 마케팅 채널을 통해 수출을 시도하여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전현식 663 두산중공업 ㈜ 상무 전하용 상기인은 지난 29년간 근무하며 본사의 영업부서와 해외영업지점 일선 등 약 17년여간 중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주된 다수의 프로젝트 입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약 90억불 규모의 발전·담수플랜트 건설공사수주 성과를 이루어 냄으로써 한국 플랜트의 대외 수출에 중대한 일익에 기여함 664 (주)유알지 대표이사 전희형 상기인은 가장 신뢰받고 존경받고 사랑받는 기업, 고객, 기업, 사원이 함께 발전하는 기업 이념을 토대로 창업하여 샹프리를 전 세계 52개국에 진출시키고, 프리미엄 K-뷰티 이미지를 구축하는 화장품 브랜드로 성장시키고 발전시키는데 기여함. 전현식 665 (재)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수석연구원 정경호 상기인은 11년간 산업계 무역기술장벽 애로해소를 통한 수출확대에 크게 기여, 무역기술장벽 대응 시스템 구축과 발전에 민간 및 산업계의 핵심적 역할 수행, 무역기술장벽 정책개발과 산업계 지원에 헌신적 역할 수행, 무역기술장벽 홍보 및 확산에 기여함 오푸른 666 에스엔패션그룹 주식회사 상무 정기열 상기인은 11년간 제조현장의 디지컬화를통한 스마트 팩토리화로 폭팍절인 수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국가발전에 기여함동시에 늘어난 매출로 인해 고용창출에도 많은 기여함 667 ㈜ 대림엠티아이 부장 정남수 상기 유공자는 (주)대림엠티아이의 영업부와, 가공사업부의 팀장으로 투철한 사명감과 리더십으로 당사 자동차 부품 제조 기술 발전에 공헌 하였으며, 창의적이고 지속적인 공정 개선으로 안정적 품질을 바탕으로 한 회사의 지속적인 수출 및 매출 증대에 기여함 668 주식회사 켐트리 과장 정대영 상기인은 2016년도에 회사 무역팀으로 입사 후 폐식용유 수출 등 새로운 제품 및 국가로의 수출에 기여하였고, 현재 1명뿐인 무역팀에서 수출계약, 수출일정(선박,작업일,배차), 수출서류작성, 대금회수의 업무를 맡아 무역 증대에 기여함 669 우암신소재 (주) 대표이사 정동관 상기인은 수입품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던 반도체 부품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국내 유수 기업에 납품하였고 최근에는 해외로 수출하기 시작하며 국내 반도체 부품 산업 강화에 기여함. 670 주식회사 비아이티 대표이사 정병권 상기인은 프로그램 엔지니어 및 경영자로 26년 이상 연간 100개 이상 생산효율증대를 위한 자동화시스템 개발을 수행해 왔고, 이러한 과정에 축적된 기술력으로 세계 유수 기업에 장비 수출을 통하여 대한민국 무역증대에 기여함 671 영도산업 (주) 과장 정병주 영도산업은 수소모빌리티산업의 핵심인 수소가스연료전지 양산용 밸브개발에 세계 최초 성공해 BMW등 세계 완성차 업체들과 협업하면서 글로벌강소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는데 상기인은 이 과정에서 국내최초 TUV SUD(EU 인증기관)의 인증취득 후 EU수출판로 개척에 기여함. 672 (주)해피라이프 회장 정보헌 상기인은 지난 3년간 본래 마스크 시장에서 세계시장점유율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중국산 마스크 제품들 사이에서 국산 KF마스크 제품을 자체개발 및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 각지로 수출하여 한국 K-방역물품 수출 증대에 기여함 673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정봉원 7년간 중소기업과 전세계 400개사 이상의 바이어와 미팅을 주선하고, 슬로바키아에 한국 화장품의 정기적 판로를 개척하고, 우리 자동차부품 기업이 글로벌 완성차 기업과 8억불 이상 수출계약을 체결하는데 기여함. 674 ㈜ 두크 대표 정상용 상기인은 20년간의 펌프분야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시장 개척을 위한 과감한 R&D투자 및 해외 수출 전진기지 설립으로(상해,중국) 한국 브랜드로 경쟁력 있는 가격을통해서 글로벌 무대로 매출 확대에 기여함. 오푸른 675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정순혁 상기인은 지사화 전담 직원으로 약 14년 8개월 간 대한민국 수출기업의 현지시장 진출을 지원하였고,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매칭율 높은 화상상담 및 신규사업을 추진하여 대한민국 수출 확대에 기여함 676 이데미쯔전자재료한국 주식회사 부사장 정승렬 상기인은 우수한 일본의 OLED재료가 국내기업에 원활히 제공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는 한편, 해당OLED재료로 생산하는 OLED패널Maker에 적극적인 기술지원과 협업으로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의 OLED디스플레이 강국이 되는 것이 기여함. 677 엔디씨코리아 주식회사 차장 정승용 상기인은 어려운 한일관계가 지속되는 기간 중에서도납기관리, 품질문제 대응을 전담하며, 생산기술 부문에서는 스포트용접 공정 개발, 신제품 개발에 전담 또는 참여하여삼백만불 수출달성에 기여함. 전현식 678 하이트론즈 솔루션스 대표 정승화 상기인은 2008년 Hitrons Solutions를 설립하고 중소기업의 미국 수출 컨설팅과 전략수립을 전문으로 하여 중소기업청장상을 수상하였고, 특히 전자식 비데 제품을 통해 지난 10여년간 약 170억원 이상의 한국 중소기업 수출 실적에 기여함. 679 주식회사 나라테크 과장 정승환 상기인은 매년 생산성 향상 및 출고제품 불량 제로화를 달성하여 고객사의 신뢰를 얻었으며, CNC가공방법 및 TOOL개선으로 낭비 요소를 제거하여 추가 설비의 투자 없이 매출 증대를 이룰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회사의 3000만불수출 달성에 기여함 이철호 680 디씨엠주식회사 대표이사 정연택 상기인은 1987년 대표이사로 취임한 후 기존 단추, 폴리백 제품 제조업에서 1991년 Laminate 강판 철강제조업으로 업종전환하여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기술개발 및 시장개척으로 회사 및 국가 경쟁력 발전에 기여함. 681 주식회사 더말코리아 대표이사 정연호 창업이래 K-Beauty 사업의 역군으로 자사 생산제품을 전세계 30여 개국에 수출을 하고 있으며 5대양 6대주에 K-Beauty를 알리기 위해 연구개발, 첨단 생산 시설에 아낌없이 투자해 왔고, 특히 미국 마마존에서 마스크팩 판매 1위라는 위업 달성에 기여함. 682 에이치엠티 (주) 대표이사 정용훈 상기인은 2007년 에이치엠티(주)를 창업하여 세계최고의 반도체 유통 / 수출 전문기업으로 거듭나기위하여 지속적인 인재개발과 교육을 통해 창업 1년여만에 100만불 수출 달성! 매출 100억 달성하였으며, 지난 18~19년도에는 1000만불 달성하여 국가발전에 기여함 오푸른 683 주식회사 아썸닉스 대표이사 정우열 상기인은 2020년 3월 (주)아썸닉스를 창립하여 미국, 일본이 선제 시장점유하고 있던 TEST PIN 제품을 자체개발하였고 20여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체설계기술을 적용하여 기술혁신을 위한 부단한 노력을 통해 중국, 싱가폴 등에 91만불 수출 실적에 기여함 전현식 684 셀포원 주식회사 대표이사 정원태 상기인은 지난 18년간 천연 소재 구강케어 R&D 개발하여 국내 천연치약 1위 시장 점유율 및 특허기술력으로 임산부용 치약(4종) 기능성치약(6종) 어린이치약(2종) 제품을 자체개발하여 동남아 지역(중국,인도네시아,베트남) 및 CIS지역(벨라루스) 수출을 하게되어 외화획득에 기여함. 685 (주)뉴로시스 대표이사 정윤갑 상기인은 꾸준한 신제품 개발에 따른 기술 경쟁력 확보를 통해서 업소용 냉장고 PCB콘트롤러를 국산화로 대체 시킨 결과 당해 연도 수출 실적 519만불을 달성하는 등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함 오푸른 686 씨제이올리브영 주식회사 상무이사 정윤규 상기인은 씨제이올리브영 주식회사 CEO이자 글로벌사업부장을 역임하고 있고 2020년 1년여간 올리브영은 전세계 150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K뷰티의 글로벌 영향력 및 수출 확대를 위한 기반에 기여함. 김민경 687 ㈜ 이화 대표이사 정윤식 상기인은 열교환기 및 핀 튜브를 전문적으로 생산 하며, 30년 정도의 기술 축적. 국내 중소기업으로는 드물게 포스코 및 현대 중공업 등 제품을 납품에 기여하였고, 단일 종목에 중점적인 투자 진행을 하며 향후 해외 수출 시장 확대를 위해 기여함 오푸른 688 주식회사 블루웨일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정의석 상기인은 2020년 02월 02일 주식회사 블루웨일 인터내셔널 대표이사직으로 근무하며 다양한 해외 국가에 원자재 수출 그리고 국내에서 수급이 부족한 원자재를 수입하는 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2년간 150만불, 1700만불 수출을 달성하여 국가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689 고모텍 (주) 사원 정재남 상기인 정재남은 2009년 8월 1일에 당사에 입사하여 12년째 빅홈바DOOR를 생산한는 양산 조립라인의 핵심인물이며, 비록 높은 직책을 맡은적이 없지만 모든 직원의 멘토 역할을 하며 성실히 맡은 바 업무를 철저하게 해내며 LG전자 4-level 달성에 기여함 690 주식회사 한국애보트진단 대표이사 정재호 판데믹 하에서 코로나 신속항원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생산시설 확충을 통해 대량 생산에 성공하여 5억불 이상의 코로나 신속항원진단키트를 전 세계로 수출함. 경제 침체 속에서 한국의 헬스케어 산업을 부흥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세계보건향상에 기여함. 691 ㈜ 아산 성우하이텍 부사장 정재호 상기인은 생산성향상을 통한 성우하이텍 무역 수출증대에 기여하였고, 해외수출 품목 원가 절감을 통한 매출 극대화 및 수출 경쟁력 확보하였으며, 협력사 동반 성장을 통한 이윤 창출 및 기술/가격 경쟁력 확보위 사항들을 통해 수출증대에 기여함. 오푸른 692 창성정밀주식회사 대표이사 정종호 상기인은 30년간 금형산업에 종사하며 복합 금형 공정 제어기술로 뿌리기술 전문기업으로 지정, 뿌리산업발전에 기여하였고, 4차산업혁명에 대비, 공장 스마트화로 MES 통합관리 시스템도입 매출향상 및 원가절감에 기여하며 지역경제 및 무역증진에 기여함 오푸른 693 유한회사 비알엠 대표이사 정종화 상기인은 34년간 알루미늄 재질의 에어탱크를 위한 용접 자동화 및 제어기술을 개발하여 1인당 연간 4만개의 생산이 가능케 하였고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대형버스용 와이퍼 링케이지 부품을 국내 최초 국산화 하여 완성차 업체화 독점계약으로 무역 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694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주무관 정지희 상기인은 약 4년간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조정협력과 수출지원센터에서 수출업무를 담당하며 지역 내 중소기업 수출지원을 위해 적극 노력하였고, 수출유망중소기업 지정, 글로벌 강소기업 지정사업, 해외규격인증 획득지원사업 등을 맡아 중소기업의 수출역량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 지원을 하며 무역 발전에 기여함 695 ㈜ 나노엔텍 대표이사 정찬일 상기인은 20여년간 (주)나노엔텍 대표로써 Bio-MEMS 기술 기반으로 국내 최초 랩온어칩 상용화에 성공, 끊임없는 기술개발로 생명공학 및 체외진단의료기기 전문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이끌었으며, 관련 제품으로 3천만불 이상의 수출 달성에 크게 기여함 696 ㈜ 정금강업 대표이사 정창엽 상기인은 지난 8년간 철강시장에서 해외고객 개발에 성공, 베트남 및 인도에 철강제품 수출을 시작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함. 이철호 697 주식회사 에스비엔티 대표이사 정태상 상기인은 13년간 재직하며 2013년 처음 위탁가공 수출을 시작하여 단순파이프의 수출보다는 가공된 건설기자재 완성품 및 각종 건설용 기자재 부품을 수출하여 부가율을 높이는쪽으로 주력하고 2014년 수출 100만불탑, 2015년 수출 800만불탑을 수상하였으며 2022년에는 천만불 이상 수출을 목표로 하며, 수출증대에 기여함. 전현식 698 주식회사성우하이텍 차장 정태식 상기인은 2007년 입사한 이래 당사의 경영기획팀 해외수출/수입 물류그룹 그룹장으로서 차체부품의 해외수출 증대에 기여하였으며 (17년 5억불 수출탑 수상), FTA 적용 및 인증수출자 취득 등 FTA활용도 향상에 크게 기여함. 699 농업회사법인 ㈜ 참옻들 대표이사 정태영 상기인은 15년간 주식회사 참옻들의 대표로서 민속식품인 옻을 무독화시켜 해외시장에 새로운 한류식품으로 소개하였으며, 창업 이후 10개의 특허를 개발하여 등록하며 한식의 세계화에 일익을 담당하는데 기여함 김민경 700 주식회사 핌스 사장 정해균 상기인은 38년간의 경력을 바탕으로 F Mask 제작 기술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2019년 매출 378억원으로 성장하고 2020년 405억원 매출을 달성하는데 기여하였을 뿐 아니라, 성공적인 IPO를 통하여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한국 제조업의 이미지를 업그레이드 시키는데 기여함 이철호 701 주식회사 오버노드 이사 정현군 상기인은 2018년 ㈜오버노드를 창업 이래 4년간 이사로 재직하며 데이터 분석 솔루션 기획/개발, 컨설팅 및 교육 사업을 통해 국내 기업의 온라인 수출 산업 확대 및 해외 매출 향상과 수익률 개선에 적극적으로 기여함 김민경 702 한국남동발전 ㈜ 차장 정현록 상기인은 16년간 재직하며 유연탄 국제시황대비 3년 누적(’18~’20년) 8천억원 절감 및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친환경탄 도입으로 국민들에게 저렴하고 깨끗한 전기를 공급하는데 기여하였으며, 유관기관과의 협력강화를 통해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함. 오푸른 703 (주) 재영 차장 정현수 상기인 입사 이래 5년간 2015년말 회사 전체 수출실적이 3,129천미불에서 2020년말 10,808천미불로 실적증대됨에 있어 해외영업 실무자 로서 결정적 기여를 하였고 수출국가 15개국이상 확대함에 기여함 704 ㈜ 부산은행 대리 정현수 상기인은 입사 이래 6년간 남산동지점, 온천동금융센터, 덕계지점에 근무하면서 수출입 업체에 적시성 높은 금융서비스를 지원하였으며, 담보 중심의 평가가 아닌 기술력과 신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금융지원을 함으로써 거래기업체의 질적 성장 및 해외 진출에 가요험 김민경 705 ㈜ 정금강업 회장 정형욱 상기인은 22년간 대기업이 주도하던 철강시장에서 해외고객 개발에 성공, 인도에 수출을 시작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함. 706 (사)한국무역협회 과장 정혜선 상기인은 입사 이래 약 8년 간 총 41건의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으며, 2건의 사례집을 공동집필하여 업계에 배포하는 등 창의력과 개척정신을 바탕으로 우리 기업의 FTA 활용 전략 마련 및 보호무역주의 리스크 관리 등 통상현안 대응능력 제고에 기여함. 707 ㈜ 일륭금속 전무이사 정호섭 상기인은 1993년 일륭금속에 입사하여 하드웨어 단조공법을 통해 볼트(BOLT), 너트(NUT), 리벳(RIVET)등 금속제조 및 판매업 사업을 영위하는데 많은 노력을 하였으며, 국내 부품소재 및 자동차부품 산업의 전문 생산기업으로성장시키는데 기여함 이철호 708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수출전문위원 정홍기 상기인은 36년간 근무하며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상담, 온라인 쇼핑몰 입점 지원을 제공하였고 수출로 이어질 수 있는 화장품 등 생활용품 기업 지원과 자동차 부품 기업의 전시회 참가 지원 등 약 250회 상담을 통해 우리 기업의 수출 확대에 크게 기여함 709 한국산업단지공단 과장 정희목 상기인은 11년간 근무하며 지자체 및 한국무역협회 등의 수출유관기관과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수출상담회 및 시장개척단을 정례화하였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판로개척 및 수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함. 710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조경진 상기인은 12년간 국내 유망 ICT기업의 수출마케팅 및 신성장산업 분야 글로벌화 지원을 위한 전략수립 및 사업추진, 혁신기술분야 및 혁신 인프라 분야 해외진출 확대 등에 기여함 711 주식회사 비앤에이치 코스메틱 과장 조광래 상기인은 근무 7년간 중국 시장을 담당하여 수출을 진행하였고, 입사 이후 매년 1.5배 이상의 성장을 이루어 입사 초기 10억원대의 중국 매출을 현재 120억 이상 규모로 개선하여 기여함. 전현식 712 충청북도청 지방전문경력관 나군 조규선 상기인은 충북도 국제통상분야 전문직공무원으로 임용된 이래 26년 동안 충청북도의 중소·중견기업의 안정적인 수출환경과 원활한 수출활동을 도모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책사업을 펼치며, 충북경제 4% 실현을 위해 노력하며, 수출진흥에 크게 기여함. 713 주식회사 슈퍼어썸 대표이사 조동현 조동현 슈퍼어썸 대표는 7년간 전세계에 모바일 게임 20여종을 서비스하며 전년도 수출 실적 250만불 이상을 기록, 지속적으로 기업의 성장에 이바지하였으며, 더 나아가 우리나라 게임 소프트웨어와 우리나라 캐릭터 해외 진출에 크게 기여함. 714 ㈜ 바이오포트코리아 부장 조명기 상기인은 (주)바이오포트코리아 품질관리부장으로서 10년간 우리나라의 많은 제품들이 수출될 수 있도록 자사 및 각제조사에서 제품이 위생적이고 우수한품질의 제품이 생산될 수 있도록 많은 부문에 걸친 노력을 하며 수출증대에 기여함. 715 주식회사 인더케그 이사 조민 상기인은 재직기간 4년동안 세계 최초 상업용 수제맥주 기기 제조사로 성장하였고 21년 본격 해외사업을 시작하여 중국과 150만 USD 규모의 계약을 협의 11만 USD 선주문 수주로 선그 50%를 기지급 받았으며 일본, 베트남과 기기를 활용한 수제맥주 사업을 협의하는것에 기여함 716 ㈜ 한솔아이엠비 대표이사 조상인 상기인은 35년간 근무하며 직원들의 복지향상 및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할뿐아니라 기업리더로서 직원들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수 있도록 지원하여 전세계 수출시장 개척을 위하여 지속적인 지원으로 수출 700만불 달성에 기여함. 717 (주) 리템엘앤씨 대표이사 조석현 상기인은 12년간 매년 매출액의 4-5%를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사무용품과 가정용품을 자체개발함으로써 국제 디자인상을 매년 여럿 수상하였으며 코스트코 등 대형 유통사에 발주할 뿐 아니라 전세계 32개국에 수출하는 등 수출과 매출 증진에 기여함. 718 주식회사 동일공사 대표이사 조성민 상기인은 19년간의 노하우를 통해 가스사출 기술을 보유하여 현대/기아 자동차 점유율 55%를 자사에서 제조하여 납품하고 있으며, 제조한 자동차 부품을 체코, 슬로바키아 등에 수출하여 무역활동에 기여함 719 ㈜ 조이시티 대표이사 조성원 상기인은 약 20년동안 프리스타일, 건쉽배틀 등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는 게임의 개발 및 서비스를 진두지휘하며 한국 게임의 글로벌화를 이끌고, 무역액 증대에 크게 기여함. 720 주식회사 크레망 대표 조성현 상기인은 약 6년동안 국내 중소기업 의약외품를 세계 각지(4개국)에 3,745,256US$ 수출하였으며, 수출증가율 1,536%, 무역수지개선 100%, 신시장 개척 400% 증가 실적을 이뤘으며, K-방역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데 기여함. 721 주식회사 울트라마스크 대표이사 조성환 상기인은 6년동안 화장품 분야에서 고객 지향 경영을 경영관과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해외 고객사들에게 우수한 한국의 소비재들을 소개하고, 자부심을 가지고 무역업무에 힘썼으며, 대한민국의 대표수출국인 미국, 중국, 일본을 벗어나 신흥국 시장을 개발하고 발굴하는데 기여함. 오푸른 722 플라텍 주식회사 대표이사 조영재 상기인은 플라텍주식회사를 설립하여 9년간 고가의 열전도개스켓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가공품,열전도젤시트등을 국산화하여 국내 반도체 소재 부품의 경쟁력을 확보하였고, 세계적인 메모리반도체 제조회사인 SK하이닉스반도체의 동반 성장 협력사로 국산화를 통한 원가 절감에 기여함. 723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처장 조우주 상기인은 25년간 해외직접지원체계 구축, 온라인수출통합플랫폼 구축 등 온라인수출 지원체계를 현정부 국정과제에 반영하여 추진하여 중소기업의 디지털 활용 수출지원에 기여함 72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기성 조원섭 상기인은 입사 이래 36년동안 한국 최고의 자동차 안전부품 업체를 넘어 글로벌 선진 대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우수 수출기업으로 발돋움하는데 기여함. 김민경 725 (주)상원기계 책임 조일환 상기인은 17년간 대기환경처리설비 업무를 수행함으로 미세먼지저감과 대기환경개선에 기여하였으며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 의 해외 Project에 참여하여 설비 수출에 많은 기여함. 이철호 726 주식회사 영창에코 대표이사 조재영 상기인은 8년간 인솔 제품이 끊임없이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수 있도록 인솔 관련 특허, 실용실안, 디자인, 상표 등의 다양한 지적재산권 획득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정부 과제를 통해 연구 개발에 중점을 두어 신제품 개발 및 수출에 기여함. 727 (주)흥아기연 부장 조정식 상기인은 28년 4개월 근속하면서 블리스터와 카토너 기계 개발, 생산 참여로 흥아기연 매출신장의 공을 세웠고, 2020년 매출 : 551억, 2021년 매출 : 700억 (예상)2014년 3천만불 수출탑, 2016년 월드클래스300기업 선정등 수출 실적에 기여함. 728 ㈜ 두크 차장 조준래 상기인은 12년간 제품생산 자재구매 생산스케쥴 관리등을 통해 바이어 오더 수주 등록 이후 제품이 원활이 생산, 출하되고 제품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함. 오푸른 729 주식회사 일레븐전자 이사 조태연 상기인은 일본, 필리핀, 베트남, 중국등 Global Group에 반도체용 Film과 장비를 현지에 적재적소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해외영업을 강화함으로써 매출 및 수출증대에 기여함. 730 대지정공(주) 전무 조항우 1989년에 대지정공에 입사하여 고 부가가치 신제품 개발과 신시장 개척을 위해 끈임없이 노력. 다양한 특허 획득과 신시장과의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대지정공의 성장과 대한민국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함. 731 주식회사 와이엠텍 연구소장 조현길 상기인은 직류 릴레이 연구개발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로 당사의 매출과 수출에 크게 기여했으며 특히 당사의 핵심기술인 양방향 직류 릴레이를 개발하여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와 해외로의 수출을 이행하며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함. 732 에스지인터네셔널 대표자 조형도 상기인은 코로나가 시작 되었던 2020년에 한지를 필터로 사용한 공산품 마스크를 (벨라 프리미엄 한지 마스크) 직접 제조하여 마스크가 부족했던 시기에 미국 아마존(US Amazon)과 홍콩으로 수출하여 K-방역에 기여함. 733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에스아이 대표이사 조형식 상기인은 기존 인빌딩 site 국소에 추가적인 cable 설치없이 이동통신 LTE 및 5G 기지국 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MIMO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SC-MIMO 제품 및 Combiner PRO 제품을 개발, 생산, 수출하여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오푸른 734 ㈜ 맬콤인터네셔널 대표이사 주겸목 상기인은 중국인민공화국 국적으로 2015년 국내 법인 ㈜맬콤인터네셔널을 설립하여 2019년 하반기부터 중국으로 첫 수출 시작 3년만 에 42백만불 수출 실적을 달성하여 국내 수출 실적 향상에 기여함. 735 인터아시아 대표 주성호 상기인은 해외에 한류 붐이 조성되기 시작한 초기부터 현재까지 15년간 K-POP음반 등 한류 상품을 해외에 소개하고 수출 되도록 노력하여 전세계에 한류가 확산되도록 기여함. 736 ㈜ 엘에스화장품 부장 주재훈 상기인은 2020년 90만 불 대비 2021년 170만 불로 수출실적 779%의 고속 성장을 위해 힘썼으며, 주요 수출국으로는 러시아, 베트남, 중국, 인도로 , 해당 무역 역조 개선에 3년간 크게 기여함. 737 (주) 한국무역정보통신 부장 주충연 상기인은 국가전자무역기반 구축업무에 참여하였으며 전자무역, 전자통관 등 전자정부시스템 수출사업 발굴, 수행, 사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총 13건 320억원 규모 수출)함으로써 정부의 무역원활화 정책 이행과 무역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여 무역진흥에 크게 기여함. 738 (주)심텍 차장 지영진 상기인은 21년간 심텍의 자동인쇄 라인 SET-UP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으며, TPM 활동을 통해 공정의 3정 5S를 시작으로 회사의 생산성 및 품질향상에 기여함. 한공정의 관리자로서 업무지식 및 작업에 필요한 스킬을 부하직원들에 전수하는 멘토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함. 739 비엔스틸라(주) 사원 지홍배 해외영업팀으로 입사하여 3년간 거래처 관리와 고객의 납기에 맞추어 문제없이 업무 진행하였으며,앞선 업무가 제품의 전반적인 이해도와 상충하여 적재적소의 원부자재 구매와 공정계획 업무를 진행하며 수출 증대에 기여함. 김민경 740 주식회사 세나트레이딩 대표이사 진교형 상기인은 13년간 중고차, 폐차등 폐자원을 리사이클링하여 개발도상국등으로 수출함으로 고 부가가치 창출 및 국가가 환경 정책 사업인 디젤 차량 감소에 기여 함. 중고차수출을 비대면 온라인 사업으로 개편하여, 중고차 진단 및 점검 시스템을 도입함으로 한국 중고차 이미지 향상에 기여함. 741 제이와이오토텍 주식회사 대표이사 진준우 상기인은 7년간 휠가드용 신슐레이터 부품에 코팅하는 기술을 특허인증을 받아자동차 부품에 적용하였고,국내 다수 차종에 적용하였고,추가적으로 제품을 폴란드.멕시코등에 수출하여 수출무역의 국가발전에 기여함. 이철호 742 (주)보광아이엔티 대표이사 차순자 당사는 40년 동안 대구지역을 기반으로 섬유제조 및 패션업을 하면서 섬유산업의 혁신인프라를 구축, 기능성 섬유를 활용한 전문 제품을 각 분야에 생산·보급하여 군납 및 대학병원 등으로 국내외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해외수출시장을 개척, 섬유패션산업 발전에 기여함. 743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주무관 차우건 상기인은 3년간 기업인출입국지원(자가격리면제 3558명/3.4억불, 예방접종1,429명), 유망 수출기업 발굴(글로벌강소기업 51개사/4.7억불, 수출유망중소기업235개사/2.1억불) 등 적극적인 기업지원을 통해 경지 중소기업 수출성과 증진에 기여함. 이철호 744 휴마시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차정학 상기인은 31년간 Humasis COVID-19 Ag Test 런칭, COVID-19 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동시 진단이 가능한 Humasis COVID-19 / Flu Ag Combo Test 를 런칭하며 COVID-19 Pendemic 상황에 맞서 국제 공증 보건과 전염병 확산에 신속히 대응하여 ,K-방역, K-진단시장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함. 745 (주)씨에이치씨랩 대표이사 차형철 상기인은 국내최초로 Class II, Class III 급의 생물안전작업대의 개발에 성공하여, 해외 의존도 감소, 국내 기술 경쟁력 향상, 외화 절감, 시장 확대 등의 효과 뿐만 아니라 국가 생물 안전 기술 발전에 기여함. 김민경 746 주식회사 케이텍글로벌 대표이사 채경환 상기인은 2002년 열교환기 주요 부품을 생산하는 케이텍 글로벌을 설립하여 세계 여러 시장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고, 끊임없는 기술 및 생산 기술의 개발로 자본금 5억의 수출이 매출의 90%를 차지하는 데에 기여함. 747 주식회사 아이엠이인터내셔날 대표이사 채규리 상기인은 3년간 의료 교류가 적은 스리랑카에 K-방역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시장 개척을 하여 짧은 시간내 한국산 PCR TEST를 등록함과 판매를 함을 통해 K-방역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기여함. 748 주식회사 신명유압 대표이사 채성완 상기인은 37년간 장기적 투자와 안목으로 유압실린더 기술의 선두주자 역할을 하면서 신기술 및 신성장 동력의 아이템을 연구·개발하여 그동안 수입에 의존하던 유압실린더 부품을 국산화에 성공하여 수출 제고에 기여함. 749 대창정밀 대표 채창완 상기인은 대창정밀을 창업하여, 현재 7년간 경영하고 있으며, 일본에 공장 자동화 부품을 수출하고 일본 수출에 기술적, 비지니스 관계 유지에 어려움을 이겨 내면서 지속적으로 수출에 기여함. 전현식 750 주식회사 티에이치엔 회장 채철 상기인은 1986년 7월 기술보국, 인재중시를 사훈으로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인 (주)티에이치엔을 설립하였고, 연구개발과 품질경영을 중시하며 투자와 혁신을 통해 대한민국의 대표 중견기업으로 성장시키며 2021년 수출 3.4억불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함. 전현식 751 주식회사 이노렉스테크놀러지 대표이사 채희철 상기인은 약 40년 동안 자동차용 조명 한 분야에만 집중하며 수입대체 국산화, 업계 최초 해외 진출, 매출, 수출, 국내 1위, 업계 최초 수출 3천만불을 달성하는 등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함. 752 실드 주식회사 대표이사 최경진 상기인은 기존의 가설 방음벽 시스템과 차별성 있는 저주파 흡음형 방음벽, 경량화 방음벽 등을 통해 싱가포르 가설 방음벽 시장에 진출하여 국산 제품 초기 수출에 성공에 기여함. 75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포항웰빙푸드 대표이사 최규열 상기인은 해외 바이어와 상담을 적극적으로 시작하여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수출에 성공하였으며, 특히 루마니아에는 세계의 굴지 대형마트인 카르프 매장 입점에 성고하였고 미국 한남 체인에도 지속적으로 진출하며 수출 발전에 기여함. 754 (주)스마트코퍼레이션 대표이사 최기석 상기인은 21년간 한 분야에 종사하며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신제품 출시, 구객만족에 노력을 기울여 매출액 증대 및 수출 실적 상승을 이루었고 환경보전과 더불어 국가 산업의 발전에 기여함. 755 내일시스템 (주) 상무 최기성 상기인은 중국시장 분석과 시장에 대한 흐름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적재적소에 필요한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당사 수출 증가에 막대한 영향을 기여함. 이철호 756 한국표준협회 센터장 최동근 상기인은 21년간 APEC 등 7건의 다자간 공동연구 프로젝트 제안 및 총괄 책임자로 제안·수행해, 국가위상을 제고하고 국제적 무역기술장벽 해소에 기여함. 757 ㈜ 한남하이텍 대표이사 최만묵 상기인은 지난 40여년동안 다국적기업인 미국 3M사가 거의 독점한 아크릴폼 테이프를 다년간 꾸준한 연구,개발로한 결과, 우수한 품질로 수출하여 산업 발전에 기여함. 전현식 758 신성델타테크 (주) 파트장 최민호 상기인은 약 15년간 근속하고 노동조합인 사우회 회장을 6년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가전3공장 제조팀에서 FDR 활동과 개선 보고회를 이끌며 생산성 향상 및 기술력 제고에 크게 이바지 하여 수출 실적에 기여함. 759 ㈜ 세현정공 이사 최백용 상기인은 30년 간 제품의 품질 관리 및 안정화를 통해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제품 생산 활동을 통한 기업 이미지 개선과 매출 신장 및 수출 실적 달성에 기여함. 760 제룡전기 (주) 팀장 최범현 상기인은 13년 간 환경 오염이 우려되는 지중용 유입변압기를 대체 할 수 있는 고체절연변압기를 꾸준히 수출해왔으며, 코로나로 침체된 시장에서 주력제품인 변압기의 수출을 대폭 증가시켜 직수출로 최근 3년간 평균 신장률 1221%를 달성해 대한민국 수출 증대에 기여함. 761 주식회사 청안오가닉스 대표이사 최병선 상기인은 10년간 건강기식품과 화장품을 생산 개발하여 일본, 싱가폴, 미국, 태국 등 해외 오픈마켓 판매에 성공하였으며, 마켓별 언어 능통자를 배치하여 각 국가별 매출신장에 기여함. 762 주식회사 이노팩코리아 대표이사 최병수 상기인은 2008년 첫 수출을 시작으로 첫해 30만불의 매출을 달성한 이래, 2021년 현재 약 30배 이상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으며, 미국에 물류센터를 운영하여 기존 바이어의 활성화 및 신규 바이어 발굴을 통해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 763 주식회사 덴티스 공장장 최상용 상기인은 기업 경영 중 내재화에 성공, 지속적 매출성장과 고용 확대, 경쟁력 강화를 위한 ‘3030 혁신활동’과 ‘코로나19 위기극복전략’ 전개, 20년 코스닥 상장, 코로나로 부진했던 수출 전년 상반기 대비 80여개국 $138십만불로 188% 달성하며 수출증대에 23년간 기여함. 764 주식회사 청담글로벌 대표이사 최석주 상기인은 6년간 국내 여러 브랜드의 화장품 및 생활 소비재 등을 중국시장 및 동남아시장으로의 진출을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컨설팅과 마케팅 및 유통까지의 토탈솔루션 제공하였고, 다양한 판매 채널을 구축하여 글로벌 유통 IT기업으로 한국 수출실적에 기여함. 765 (주)포텍 반장 최성근 당사의 주력제품인 검안용굴절력 측정기의 광학헤드 공정 담당자로서 제조공정에서 탁월한 업무지식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업무지식과 책임감있는 자세가 계측기로서의 본질인 측정값 안정화를 위한 아이디어 제시 및 수행으로 제품의 소프트웨어 개선에 기여함 전현식 766 주식회사 고그린라이프 팀장 최성욱 상기인은 5년간 품질과 생산 책임자로 입사일 기준 생산성 200% 상승과 제품 불량률 100% 감소, 수출납기를 90일에서 45일로 단축하 등 으로 납기 단축과 고객 만족도 향상을 도모하여 기업의 매출 및 수출 이익 증대에 기여함. 767 주식회사 탄탄 이사 최성후 상기인은 3년간 6mm ~ 100mm의 두께로 적은 풀양과 종이로 스트르폼을 대체할 수 있는 paper honeycomb machine에 대한 해외 마케팅 및 영업, 또한 쇼케이스 개최 등 많은 영업잠재 기업 및 계약 체결로 인하여 상품 수출에 기여함. 768 주식회사 엠씨넥스 상무이사 최수욱 상기인은 22년간 고객의 Needs와 시장의 Trend를 파악하여 적극적인 영업활동과 판로 개척을 통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신규 수주 및 공급을 체결하여 매출 신장 및 수출 확대로 회사와 국가 무역 진흥에 기여함. 오푸른 769 ㈜ 부원식품 이사 최승덕 상기인은 16년간 수출에 대해 적극적인 노력으로 기업의 수출탑 100만불을 일구어 내는데 모든 공을 세웠으며 미국, 일본, 베트남 등 직수출을 일구어 내며 현재까지 수출을 유지하며 기여함. 770 (주)윈시스템즈 상무 최윤섭 상기인은 2009년 (주)윈시스템즈 국내영업팀에 입사한 이래 현재까지 12년동안 맡은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근면 성실한 태도로 근무하고 적극적인 아이디어 개진과 실현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으로 회사가 성장하고 수출 실적 확대에 크게 기여함. 김민경 771 (주)티앤엘 대표이사 최윤소 상기인은 23년간 본래 해외제품이 독점을 하고 있었던 창상피복재 제품들을 자체개발하여 최신공정기술 확보에 성공하였으며 제품개발국인 미국,영국, 독일 등에 역수출을 시작하여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함. 772 ㈜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센터장 최윤혁 상기인은 18년간 핵산 추출, 증폭 시약, 단백질 관련 연구용 시약 등의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코로나 19 발생에 따른 진단제품, 원료소재 및 추출제품을 개발, 출시 및 대량생산을 통하여 하여 분자진단 사업부문의 수출 성장에 기여함. 오푸른 773 (주)덕인 대리 최은혜 상기인은 6년간 국내 및 국외에 납품되는 장비 제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업무를 하였고, 인터넷 홍보(e-카탈로그 및 홈페이지 업데이트), 해외 홍보와 지속적인 해외 거래처 관리 및 신규업체 발굴등을 통해 수출 증대에 기여함. 이철호 774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팀장 최인 상기인은 전 세계 1~2위를 다투는 장비업체의 매출을 80~90% 이상 차지하고 있던 미국 소재의 Ichor, UCT사의 제품을 보다 우수한 품질과 단가 경쟁력이 높은 당사의 제품으로 대체 개발에 성공하여 무역 매출 신장에 10년간 크게 기여함. 775 주식회사 아이피아코스메틱 대표이사 최재근 상기인은 국내 내수시장에서의 오프라인 유통만 차지하고 있던 판매시장을 수출로 전환하여 5년만에 수출 백만불을 돌파하여, 매년 놀라운 수출액 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중소기업 수출성장과 고용촉진에 크게 기여함. 김민경 776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최재훈 상기인은 전시사업, 외국인 투자유치, 지방소재 중소기업 밀착지원 업무를 통하여 우리기업의 수출애로를 해소하고, 코로나19 기간을 포함하여 브라질 상파울루무역관에서 6년 주재 근무를 통해 어려운 대외 환경에도 불구하고 고객사의 수출확대에 기여함. 777 ㈜ 한미에프쓰리 차장 최정문 상기인은 본래 내수 제품 생산으로 수출경험이 없던 환경에서 수출을 위한 브랜드 상표등록 및 수출 제품기획, 해외영업을 직접 진행하여 첫 수출에 성공하며 무역수지를 개선하였고, 특히 한국 프랜차이즈 해외진출 및 현지 한식업에 원활한 원료공급 협업을 통해 한식 세계화에 기여함. 778 주식회사애드위너 차장 최정환 상기인은 미국 제품이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Paint Protection Film 제품을 자체 개발하는데 큰 기여를 하여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수출을 시작하였으며, 2020년에는 연매출 약 68억원을 달성하며 수출 성장에 기여함. 779 기가비스 주식회사 부장 최종균 상기인은 2012년 기가비스 제작팀에 입사하여 현재까지 9년간 설비품질 안정화 및 생산성 향상을 통한 고객만족 및 공정감사 직분으로 원가절감 하였으며, PCB 기판의 결함을 수정하는 AOR 설비를 개발하여 수출 실적 증대에 기여함. 780 주식회사 화인특장 대표이사 최종석 상기인은 해외 프로젝트 추진 및 판로 개척을 위하여 기업 대표로서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인 바 2021년새로운 몽골 바이어를 발굴하여 소방차를 계약하는 등 신시장 개척에 기여함. 781 희성전자 (주) 부사장 최종식 상기인은 디스플레이 산업 분야로 1998년 BLU 국산화를 시작으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원가 및 기술 경쟁력을 확보, 이를 기반으로 매출 증대 및 글로벌 생산 기지를 확대하여 초우량 전자부품 기업으로의 글로벌 성장에 기여함. 782 케이 브랜즈 트레이딩 대표 최종진 상기인은 뉴질랜드 최초로 K뷰티 브랜드 토니모리를 현지 최대 백화점인 Farmers 입점을 성사시킨 후에도 현지 고객층을 대상으로 현장 마케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뷰티 인플루언서들과의 협업을 통한 SNS 마케팅을 진행하여 뉴질랜드에서 K뷰티 인지도 개선 및 수출 확대에 기여함. 783 ㈜ 호원 상무이사 최준혁 상기인은 경영지원본부 원가관리 실장으로 직원들과 동고동락하며 2009년부터 터키 현대자동차와의 부품계약을 체결하여 직접수출에 길을 열고, 3천만불 수출탑, 2010년 5천만불 수출탑, 2013년 일억불 수출탑, 2014년 이억불 수출탑을 수여하는데 크게 기여함. 784 한국가스공사 차장 최중식 상기인은 해외자원개발사업 관련 법무지원을 통하여 사업의 내실화 및 성공적 추진을 돕고 안정적 해외사업 역량강화에 기여하였으며, 장기적인 천연가스 수급의 안정성 확보를 통해 수출 확대에 기여함. 785 주식회사 경신 차장 최진 상기인은 2001년 1월 제품원가팀으로 입사하여 20년동안 경신의 성장에 기여하였고 2010년 6월부터~2011년 9월까지 인도주재원으로 근무하였으며, 복귀 후 수입품 국산화, 전동화품목 수익성확대를 담당하였고 협력사 동반성장을 위한 상생협력 시스템 개선을 통해 수출 증대에 기여함. 786 주식회사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 팀장 최진원 상기인은 스마일게이트메가포트 모바일사업1실 모바일사업2팀 팀장으로서 수출을 주도하고 있는 게임 ‘에픽세븐’ 의 서비스 개발 및 운영, 장애관리 총괄을 수행하여 회사가 1억불 수출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함. 787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최진형 상기인은 해외 3개 무역관 근무(러시아어권)와 KOTRA 본사 조사팀, 국무총리실 파견을 통해 자원개발, 전략사업, 환경 및 ESG와같은 주요 산업 정보를 심층보고함으로써 러시아 및 CIS지역 현지 산업 정보 전파에 기여함. 788 희성촉매 주식회사 대표이사 최창학 상기인은 자동차 정화용 촉매 장치를 개발해 국산화 하고,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로 환경오염 방지에 이바지하였으며, 자동차사의 해외진출시 각정 환경규제로 인한 수출문제를 기술의 우위로 인해 해결함으로써 수출증대에 기여함. 789 영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회장 최태원 상기인은 자동차 부품 조립용 자동화설비의 국산화 개발을 통해 수입대체, 수출천만불을 달성하는 등 국내 자동차산업 발전에 이바지하였으며, 전기자동차용 E-COMP, 2차전지용 조립/검사설비를 통해 유럽 신규 거래처 발굴 및 수출에 기여함. 790 동화글로벌 주식회사 대표 최필규 상기인은 회사설립 이후 국내수산가공품을 발굴, 개발하여 해외수출에 이바지하였으며, 현재는 수산가공품이외에 국내의 가공식품 전반을 발굴하여 바이어의 특성에 맞는 제품개발에 주력하여 수출 확대에 기여함. 791 ㈜ 비엔 상무이사 최학렬 상기인은 개발 전담부서의 총 책임을 맡으며 기술 개발 및 비엔의 모든 제품의 상품 개발을 책임지고 있으며, 핵심 원료 정제기술을 개발하여 고기능, 고품질의 전문가용 화장품을 개발함으로써 활발한 해외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여 제품 수출에 기여함. 792 화성시수출업무지원센터 과장 최한수 상기인은 화성시 중소기업 수출확대를 위한 신규 지원사업를 개발하고 운영하였으며, 내수중심기업 및 수출초보기업을 위한 무역업무 컨설팅 및 해외 바이어와의 교신을 직접 지원하여 관내 중소기업들이 실질적인 수출성과를 달성하는데 기여함. 793 주식회사 케이티이 대표이사 최형석 상기인은 지역인재 발굴과 기술개발에 투자하여 사회 발전에 이바지 하였으며, 복지시설을 운영하고 무역진흥을 위해 수출증대에 주력하여 2020년 자본금 13.26억 원, 종업원수 110명, 연 매출액 537.7억 원을 달성 등 수출 확대에 기여함. 794 주식회사 엠앤씨이노베이션 대표이사 최희영 상기인은 2013년 마이스 인 창업 이래 국내수출업체의 해외 판로 개척 및 신시장개척을 위해 해외바이어와의 1:1 수출상담회를 통해 국내업체의 해외 수출 활성화에 기여함. 795 ㈜ 이노시엠 부사장 추기호 상기인은 MLCC 제조용 장비 적층기 개발 성공을 통해 일본산 수입장비 대체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매출액신장 및 매출이익 극대화 와 업무 프로세서 시스템화 및 스마트 공장 구축을 통해 수출 성장에 기여함. 796 ㈜ 쎄믹스 이사 탁현주 상기인은 14년간 고객과 연구소 간의 기술적인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신규, 잠재 고객사를 발굴함으로써 당사의 수출실적 증대 성과를 거두는데 이바지하였으며, 고객사에 대한 기술적 지원과 피드백을 통해 제품개발과 성능 개선에 노력하여 수출 확대에 기여함. 797 주식회사 크리켐 대표 하상대 상기인은 buyKOREA(KOTRA운영) 해외 바잉오퍼 및 해외거래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서, 거래선 및 판매국가를 지속 늘여가고 있으며, 신규 판매국가로는 이태리, 폴란드, 라오스, 에콰도르, 우즈베키스탄, UAE 등 다양한 국가에 대한 판매를 증진에 기여함. 798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계장 하세준 상기인은 2018년부터 코트라 도쿄무역관에서 서비스 해외거점 지원 사업을 담당하여 한국의 서비스 분야(교육, 혁신서비스, 콘텐츠, IT 등) 기업의 일본 진출을 위해 기여함. 799 루브리타코리아 대표 하호성 상기인은 특수 윤활유의 해외 시장을 개척하고자 하는 열정으로 중국, 베트남 시장을 중심으로 자동차, 철강, 베어링 제조사에 직접 연락, 미팅, 기술자료 및 제품을 소개하고 한국 제품의 우수성을 부각하여 현재 유럽 지역까지로의 수출 확대에 기여함. 800 ㈜ 비에이치아이인터내셔날 대표이사 하홍이 상기인은 젖병소독기(유팡)제품에 대한 인식 및 점유율이 전무하다고 할수 있는 세계시장을 상대로 마켓팅을 하여 현재는 북미, 남미 시장을 포함, 15여 개국에서 수출하고 안정적으로 브랜딩하는 것에 기여함. 801 (주)코스텍시스 대표이사 한규진 상기인은 일본에서 전량수입하는 고방열 소재인 ‘Super-CMC’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자체개발 성공하고 5G 통신용,시스템 반도체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RF 세라믹 패키지등에 적용, 제품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다수의 글로벌 기업에 직접수출로 무역진흥에 기여함. 802 영농조합법인 무지개농장 대표이사 한만응 상기인은 2007년 대한민국 최초 국내산 계란을 해외(홍콩, 싱가포르)로 수출을 시작하였고 13년간의 지속적인 수출 노력으로 2020년 신선계란 수출 US$1,287,223를 달성하여 신선계란 수출의 기초를 만들고 해외 신시장을 선도적으로 개척하는 데 기여함. 803 제너셈 주식회사 대표이사 한복우 상기인은 BCU(Battery Control Unit) 제조에 Laser Cutting 기술을 적용시킨 장비를 대량 납품 함으로써 레이저 마킹 에 국한되었던 장비의 스펙트럼이 넓어지는 계기를 마련하여 반도체 후공정 자동화장비 산업 수출 발전에 기여함. 804 주식회사 더피쉬 과장 한상은 상기인은 ㈜더피쉬 연구원으로서 기술개발 및 18년 3만 불, 19년 50만 불, 20년 103만 불, 21년 상반기 143만 불 수출을 거양하고 무수동면 광어 수출 등 한국 수산물의 유통혁신과 신 시장 개척을 통한 한국 수산업 발전과 수출증대에 기여함. 805 ㈜ 두크 부장 한상혁 상기인은 세계 30여개국으로 수출 국가 확장 및 3개년간 수출금액 200% 신장 시켰으며, 해외 현지법인에서의 근무와 사업을 일구었던 다양한 경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기업의 수출확대에 기여함. 806 ㈜ 현대미포조선 기장 한석봉 상기인은 입사 이래, 26년간 철의장 의장 분야를 담당하며 적극적인 개선활동과 품질관리를 통해 당사가 세계일류기업으로 성장하고 대한민국이 조선 수출 강국이 되는데 현장 일선에서 기여함. 807 비아이피주식회사 조장 한수곤 상기인은 약 7년간 생산부서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생산팀 조장으로서 생산 가동률과 제품의 품질 향상과 새로운 제품의 개발에 앞장서고 유럽에서 요구되는 CE MARK까지 획득하며 수출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함. 808 ㈜ 세고스 과장 한수정 상기인은 제조라인의 효율화 운영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작업자의 제품 조립 시간 20% 단축이라는 생산성 향상 도출에 기여하여 전년대비 24% 매출성장을 이루었으며,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에 국내 가전업체의 해외 경쟁력 향상에도 크게 기여함. 809 한국머신툴스(주) 대표이사 한승배 상기인은 27년간 국산 공작기계 분야의 해외 수출시장 개척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수입대체 효과 창출 등제반 분야에서 무역수지 개선 및 한국 공작기계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함. 810 ㈜ 카운텍 부장 한욱호 상기인은 2017년 2월에 ㈜카운텍 해외영업팀에 입사한 이래 적극적이고 진취적으로 해외 영업 업무에 임하면서 기존 수출액을 30%가량 성장시키고, 2021년 수출실적 2000만불 수출 실적을 거두는데 크게 기여함. 811 대한상공회의소 차장 한은숙 상기인은 상공회의소 원산지증명서(e-CO) 발급절차를 상대국 관련기관에 적극 소개함으로써 이해도를 높이고, 기업이해외에서 통관애로 발생 시 신속히 처리하고, 비관세장벽에 대한 애로사항을 정부에 적극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발급기관 공신력 강화 및 수출활용 증대에 기여함. 812 ㈜ 나노엔텍 부장 한인희 상기인은 해외영업지원파트에서 수출관련 무역업무 전반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로서, 능동적이고 진취적인 자세로 발주 생산 및 출하일정 조율, 고객사 대응등의 세부업무까지 꼼꼼히 통합관리하여 회사의 수출 발전에 기여함. 813 갑산개발 (주) 팀장 한재덕 상기인은 22년동안 근태 우수사원으로 지각 및 결근이 단 한번도 없는 성실함을 기반으로 300만불 수출기업을 현재 2000만불이상의 수출기업으로 성장시킴에 있어서 기업의 수출 성장에 기여함. 814 ㈜ 수산중공업 사원 한재봉 상기인은 수출포장업무, 내수포장 업무를 성실히 하며 크레인 생산라인에서 배운 실무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포장재의 개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포장재 원가절감을 통해 회사의 수출 발전에 기여함. 815 (주) 녹십자웰빙 부장 한정엽 상기인은 MKT 및 관리부문에서 크게 활약하여 국내외 전문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판매 및 유통을 크게 향상시켰고 세부적인 관리 시스템 도입하여 수출 증대에 크게 기여함. 816 삼성전자(주) 실장 한진만 상기인은 DRAM 및 NAND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상품기획팀장/마케팅팀장/전략마케팅실장을 두루 역임하며 제품 기획 단계부터 판매까지 통섭적으로 총괄하여,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시장 불확실성에도 불구 20년 메모리 총수출액 474억불 달성에 기여함. 817 ㈜ 대림엠티아이 조장 한철 상기인은 외국인 근로자로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겸비하고 있으며 빠른 적응 및 습득능력으로 냉간단조품 생산을 위한 소재관리, 절단이력관리, 품질관리에 탁월한 업무능력을 보유하여 원할한 제품생산 및 수출 실적에 기여함. 818 한국노블가스(주) 부장 한충희 상기인은 한국노블가스(주)에 입사하여 일본이 독점하고있던 특수가스 시장에 경쟁력있는 제품을 소싱, 다변화 하는데 이바지 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해외시장의 진출하여 여러국가에 특수가스를 수출하는데 기여함. 819 주식회사 이노렉스테크놀러지 본부장 한헌수 상기인은 2018년 영업담당으로 입사하여 국내, 외 고객사 와의 비즈니스 관계 활성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여 공급 물량 확대를 추진하여 2019년 3천만 달러의 수출 실적 달성에 기여함. 820 이지돔코리아 대표 한흥현 상기인은 전문직 디자이너로서 R&D부서에서 디자인연구원으로 근무하고 디자인 전문회사를 창업하여 30여 년간 국내 중소기업의 제품디자인 개발 분야의 발전과 제조업 성공에 힘썼으며, 신규 품목개발 및 고객사의 요구에 부응하는 맞춤형 부품 개발을 통해 수출 성장에 기여함. 821 ㈜ 제이아이테크 이사 함석우 상기인은 회사 창립부터 공장 가동까지 전과정을 전담하면서 개발된 기술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힘썼으며, 소재 국산화를 통한 일본 수출 규제와 같은 대외 악재에 대한 대응력 강화하며 수출 성장에 기여함. 822 ㈜ 제이아이테크 대표이사 함석헌 상기인은 유피케미칼 및 한솔케미칼의 프리커서 연구원으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2014년 4월 제이아이테크 법인을 설립, 반도체용 초고순도 precursor 제조사업을 시작하여 침체기의 군산지역의 고용창출 및 수출 확대에 기여함. 8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설악산그린푸드 대표이사 함승우 상기인은 코로나 19 상황에서도 가정간편식(HMR)을 통한 마케팅 차별화를 성공적으로 이끌며, 미국 수출과 대만 시장을 개척하는데 기여함. 824 ㈜ 함창 대표이사 함영빈 상기인은 28년동안 남다른 주인정신과 솔선수범의 자세로 임직원들에게 귀감이 되고. 국내에서 산업용 기기 제조, 열병합발전 등에 주력하여 왔으며,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을 통해 성장 동력 마련에 크게 기여함. 825 주식회사 에버코스 전무이사 함태훈 상기인은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제품개발과 대체원료 발굴을 통한 원가 절감으로 세계시장 진출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정부정책사업에 적극 동참하여 창조적 기여를 함과 동시에 지역사회 고용창출 및 수출 성장에 기여함. 826 청우중공업주식회사 대표이사 허성옥 상기인은 건축자재 철강구조물 생산 시작으로 CG합성보등 건축용 철골자재 특허실용권을 확보, 지역세수 증대 등 지역협력사와 연관기업체의 선순환 활성화등 국가발전에 이바지하였으며, 각종 산업플랜트를 수출하여 지속적인 수출 확대로 외화획득에 기여함. 827 청우중공업주식회사 전무이사 허영식 상기인은 CG합성보등 건축용 철골자재 특허실용권을 확보, 산업플랜트 생산공장 확보 등 국내외 수요와 수출확장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였고 사천공장 매입 확장과 지역협력사와 연관기업체의 선순환 활성화등 국가발전에 기여함. 828 ㈜ 엘에스화장품 대표이사 허용기 상기인은 제품의 품질, 가격, 생산리드타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격적인 투자와 마케팅활동으로 2021년 기준 수출실적 170만 불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며 코스메틱 전반적인 시장 활성화와 국내 중소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기여함. 829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기술이사 허웅 상기인은 실시간 피드백 심폐소생술마네킹 및 시스템과 비대면 심폐소생술 교육 시스템 개발에 힘썼으며, 수입 제품 대체를 위해 제품 국산화와 부품 개선을 통해 원가 절감에 기여함. 830 ㈜ 에너텍 부장 허정욱 상기인은 해양운송의 물류상황 및 컨테이너 내 제품 포장에 이르기까지 제조의 전 과정을 생산팀장으로서 관리하고 제품의 품질 향상 및 거래처 확장, 매출증대에 이바지 하였으며, 원가절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회사의 발전과 그에 따른 수출매출 증진에 기여함. 831 넥서스파마 주식회사 회장 현창훈 상기인은 25년간 종사한 제약업계에서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제품개발 및 조직혁신을 제시하여, 매년 2배 이상의 수출에 따른 매출 상승률을 이끌어냈으며 글로벌코슈메슈티컬 기업으로 자리매김하여 바이오-의료부분 선정에 기여함. 832 주식회사 이즈앤트리 대리 형초롱 상기인은 2017년 연 USD2.7만불이었던 직수출실적을 다양한 해외시장 개척 및 마케팅 활동을 통해 2020년 USD116만불로 성장시키며 해외시장 확장과 브랜드 인지도 상승에 기여함. 833 주식회사 이기엔터프라이즈 대표이사 홍기용 상기인은 100만불 수출달성에 이바지하였으며 당사의 대표이사로서 미국과의 소통과 현재의 어려운 물류대란 속에서도 수출일정을 놓지지 않기 위해 노력하며 수출 확장에 기여함. 834 ㈜ 멀티텍 팀장 홍무경 상기인은 ㈜ 멀티텍 영업 총괄 팀장으로, 영업팀은 진두 지휘하여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활동으로, 매년 (주)멀티텍의 수출실적이 큰 폭으로 성장하는 것에 기여함. 835 주식회사 복스트라 대표이사 홍석민 상기인은 ㈜ 복스트라의 창업자 이자 대표이사로서, 국내 제품의 수출에 지속 힘을 쏟아 회사가 작년 1천만불, 금년 2천만불 수출의 탑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수출업무에 기여함. 836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대표이사 홍석진 상기인 국내 반도체장비 업계 최초 Developer Recycle 장비, Chemical 공급장비(Chemical 탱크로리와 ACQC간 자동체결장치 기술을 독자적인 기술로 연구개발하여 반도체 수출시장에 큰 기여함. 837 주식회사 엔에이치농협무역 법인장 홍석호 상기인은 2020년 미국 LA 농협아메리카 발령이후 대한민국 농산물 수출 확대와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헌신해 왔으며 이를 통해 농가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함. 838 주식회사 원진포리머 대표이사 홍성원 상기인은 수출 증진 및 신기술, 신제품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매년 20%의 매출 신장 및 편리하고 안정적인 제품으로 해외 시장에서 인정 받는데 크게 기여함. 839 주식회사 진메탈코리아 팀장 홍성일 상기인은 탁월한 업무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현장관리수행하며 수출,수입 업무도 같이 진행 두 업무를 병합하여 효울적인 현장관리 ,수출제품의 품질관리와 재고관리의 역량을 발휘하여 회사이익과 수출 실적 증대에 기여함. 840 주식회사 리메드 사장 홍성필 상기인은 비침습적 우울증용 자기장 치료기를 상용화하여 국민복지 향상에 이바지하였으며, 독일의 Zimmer 등 해외 유수 글로벌 의료기기 업체에 ODM으로 공급하기 시작하며 수출 비중을 총 매출의 80% 이상으로 높여 기업 및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841 콜마비앤에이치㈜ 부장 홍수영 상기인은 현재 고객사의 해외 수출을 위해 각 국가의 현지 식약처에 건강기능식품 제품등록을 추진하는 RA팀의 팀장 임. 2013년 4월에 입사하여 해외 수출을 위해 해외 식약처 제품등록 업무를 맡아 수행하였으며 수출용 현지 맞춤형 제품 개발에 기여함 842 비티인터내셔널 대표 홍순욱 상기인은 2015년에 비티인터내셔널을 오픈하여 일반 냉연 철판과 도금제 냉연 철판을 인도네시아의 LG 전자, SANKEN , SHARP 전자에 공급하여 2020년도부터 금년 6월 까지 300만불을 초과 달성하여 수출증대에 기여함. 843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조장 홍지승 상기인은 2004년 입사 후 17년 재직을 하고 있으며, 반도체 관련 설비 및 장비를 국산화 기여를 하였고 회사 시제품 및 제작을 연구원들과 호흡을 맞추며 진행하였고 현장의 원가절감 방안을 지속적으로 제안을 하여 개선하였으며, 생산성 향상에 많은 기여함. 844 (주)S-Tech 사원 홍지훈 상기인은 2017년 12월 1일에 입사 후 현재까지 근무 하면서 당사 반자동용접기 및 3차원 측정기 도입 및 활용에 적극 앞장 섰을 뿐만 아니라, 생산 관리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아이디어를 냄으로써 생산량 향상에 크게 기여함. 845 ㈜ 이앤에치 대표이사 황규익 상기인은 미세먼지 차단기술 접목시켜 국내 부직포 산업발전에 기여하였으며 당사의 앞선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최근 5개년간 매년 2백만불의 수출실적을 꾸준히 이루고 있으며 당사 신공법 차징기술인 플라즈마 코팅기술을 통해 해외 에어필터 시장에서 국가 수출발전에 기여함. 846 ㈜ 재담미디어 대표이사 황남용 상기인은 한국 웹툰의 글로벌 히트작 제작을 목표로 사업 전개하였고, 추계재담아카데미를 운영하여 신진작가, 웹툰PD 양성 등에 힘썼으며, 다양한 장르의 우수 웹툰 콘텐츠 기획, 개발. 제작 및 웹툰 수출 다각화에 기여함. 847 (주)현대정밀 대표이사 황대진 상기인은 코로나사태로 인한 수출매출이 급감하던 시기 기존 수출품의 수출경쟁력 확보와 함께 E-HINGE 신제품 신규개발을 통한 수출액 증대에 있어 수출사업을 진두지휘하여 당사의 수출액 증대에 기여함. 848 신성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부장 황석기 상기인은 당사 기술연구소 개발 팀장 직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국책과제 참여 및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특허 출원 준비를 통해 지속적인 매출 및 수출성장을 위해 기여함. 849 ㈜ 부산은행 대리 황선용 상기인은 부사은행의 마산지점, 부전동금융센터, 금사공단지점에 근무하면서 꾸준한 자기개발을 기반으로 수출입 업체에 금융서비스를 지원하였으며, 현장 중심의 자세로 거래기업에 수시 방문하며 기업 현황을 고려한 선제적인 여신 및 외환 지원에 기여함. 850 신성델타테크 (주) 부장 황성빈 상기인은 1996년 입사하여, 24년간 근속하고 있으며 현재 가전2사업부 개발팀 팀장으로 끊임없는 자기개발과 노력으로 당사의 수출실적 증대와 회사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며, 판매의 급증에 따라 고객사 해외 Local 생산기지에 부품을 납품해 수출 성장에 기여함. 851 주식회사 휴마테크 대표이사 황윤식 상기인은 '휴마아이’라는 자체 브랜드로 국내 개인용 공기질측정기 부문 시장을 선도하고, 또한 해외에서도 각 국에 상표등록과 함께 자체브랜드 마케팅을 통한 해외시장 개척에 기여함. 852 크라운수산 주식회사 대표이사 황윤찬 상기인은 당사 임직원들과 함께 해외 수산물 가공업체에 냉동수산물 수츨 증대를 위해서 지난 수년간의 노화우를 바탕으로 해외 수출시장의 개척,발굴하여 작년 일본 수산물 가공업체에 200만불의 수산재료를 공급하는데 기여함. 853 주식회사 윌테크 대표이사 황인섭 상기인은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사람중시 인재 경영을 목표로 직원 복지를 위해 아낌없이 노력하며, 직원과 함께 위기를 기회로 바꾸어 기업 성장에 기여함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통해 고객의 Needs를 파악하고 제안함으로써 고객의 신뢰를 얻으며 지역 경제 발전 및 수출 증대에 기여함. 854 ㈜ 산수금속 상무이사 황정순 상기인은 주식회사 산수금속의 총괄업무와 해외영업부에 입사한 이래 현재까지 12년 5개월 동안 회사의 모든 업무에 솔선수범하며 회사명을 만들고, 로고도 직접 디자인하며 회사의 발전과 수출 증대에 기여함. 855 하이트진로 (주) 상무 황정호 상기인은 2001년 하이트진로 (주)에 입사하여 구매팀에서 팀장을 역임하였고, 2014년 생산안전본부 임원에 부임하여 수출 생산설비 확충 및 품질 향상에 많은 성과를 냈으며, 해외시장에서 과일소주의 가능성을 판단하여 판매 동력에 불을 지펴 2020년 수출 1억불 달성에 기여함. 856 주식회사 아시아비엔씨 대표 황종서 상기인은 화장품 분야에서 탁월한 추진력과 뛰어난 소통능력을 기초로 한국의 중소기업 색조 화장품 브랜드의 해외 수출 판로를 중국, 일본, 베트남 등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으로 확대하여 역량을 인정받고 외화 획득과 K-BEAUTY산업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함. 857 주식회사 서진악세스 대표이사 황준호 상기인은 해외 마케팅 활동을 통하여 신시장을 개척하고, 해외 각 국가의 바이어와 협업하여 국내 우수한 농수산품을 연구 및 개발하여 수출 한 결과, 2020년도 19억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여 회사발전에 기여함. 858 ㈜ 뉴필 대표이사 황지수 상기인은 10년차 화장품 연구개발 및 제조 전문기업의 대표로서 2020년 기준 매출 214억, 수출 1300억원 실적 달성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 및 지역 경제 활성화, 무역수지 개선 및 고용 창출에 기여한 공이 있으며, 미주지역 신시장 개척 및 판로를 확보하였으며, 러시아 및 CIS 권역 국가 판로 개척에 기여함. 859 ㈜ 중앙백신연구소 차장 황지윤 상기인은 동물용의약품 생물학적제제(백신)를 수출을 위한 GMP의 기틀을 마련하고, 성장시킴으로써 아시아, 중동, 남미 등의 수출시장 확대에 기여함. 860 주식회사 코엑스 차장 황진욱 상기인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신남방 주요 국가 등지에서 국내 소비재 기업들의 수출확대에 기여하고자, 현지 전시회를 직접 기획 및 개최하였으며, 지난 3년간 국내 1,200여 소비재기업들의 수출판로 개척에 기여함. 861 에쓰-오일 ㈜ 대표이사 후세인 알 카타니 상기인은 뛰어난 리더십을 바탕으로 에쓰오일이 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5조원)를 한 석유화학 복합시설을 성공적으로 가동하고, 코로나 상황 하에서도 7조 규모의 후속 투자를 차질없이 추진함으로써 국가 수출경쟁력 제고 및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함.

      닫기
  • 14년도 무역의날(포상부문) 2014-12-04

    □ 포상 개요 ㅇ정부는 12.05(금) COEX에서 개최한 제51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 글로벌 금융위기 등 어려운 대외여건 하에서 수출 증대에 매진하고 있는 무역인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사기를 앙양하기 위해 유공자 742명(2개단체 포함)에게 포상을 실시함   < 2014년 무역의 날 유공자 포상현황 > 산업훈장 산업 포장 표창 합계 구분 금탑 은탑 동탑 철탑 석탑 계 대통령 총리 산업부장관 전체 5 (5) 5 (5) 9 (9) 10 (10) 9 (11) 38 34 (37) 81 (85) 89 (93) 500 (500) 742 (755)   ● 주 1) (    ) : 2013년 포상 수량      □ 부문별 포상현황   ㅇ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참고자료

    • 1204 (5일조간) 무역정책과, '14년도 무역의날(포상부문).pdf 미리보기
      미리보기

      http://www.motie.go.kr 보 도 자 료 2014년 12월 5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무역정책과 조영태 과장(044-203-4020), 김용운 사무관(044-203-4024) 조현진 주무관(044-203-4027) 제51회 무역의 날 행사 보 도 자 료 (포상부문) 2014. 12. 5 산업통상자원부 목 차 Ⅰ. 제51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 1 Ⅱ. 수상자 명단 ············································································ 8 □ 정부포상 수상자 ··································································· 9 □ 수출의 탑 수상업체 ··························································· 37 Ⅲ. 주요 수상자 공적내용 ······················································ 92 □ 정부포상 수상자 ································································· 93 □ 수출의 탑 수상업체 ························································· 132 Ⅰ. 제51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 2 - Ⅰ. 제51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1. 무역진흥유공자에 대한 포상 □ 포상 개요 ㅇ정부는 12.05(금) COEX에서 개최한 제51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 글로벌 금융위기 등 어려운 대외여건 하에서 수출 증대에 매진하고 있는 무역인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사기를 앙양하기 위해 유공자 742명(2개단체 포함)에게 포상을 실시함 < 2014년 무역의 날 유공자 포상현황 > 산업훈장 산업 포장 표창 합계 구분 금탑은탑동탑철탑석탑 계 대통령 총리 산업부 장관 전체 5 (5) 5 (5) 9 (9) 10 (10) 9 (11) 38 34 (37) 81 (85) 89 (93) 500 (500) 742 (755) ● 주 1) ( ) : 2013년 포상 수량 □ 부문별 포상현황 ㅇ 일반유공 포상 - 대기업대표자 7명, 중견기업대표자 16명, 중소기업대표자 228명, 대기업종업원 30명, 중견기업종업원 36명, 중소기업종업원 243명, 해외바이어․新시장개척 등 수출지원 유공자 180명 및 2개 단체(광역지자체)를 포상함. - 3 - □ 금년도 포상의 주요 내용 ㅇ 일반유공 포상 ․대 기 업 : 엘지디스플레이(주) 사장 한상범 지에스칼텍스(주) 부회장 허진수 ․중견기업 : (주)녹십자 사장 조순태 ․중소기업 : (주)흥아기연 대표이사 강신영 (주)호원 대표이사 양진석 - 이 외에도 무역발전에 기여한 무역인의 공로를 인정하여 ․(주)일진 대표이사 강문철 등 5명에게 은탑산업훈장, ․(주)케이씨텍 대표이사 주재동 등 9명에게 동탑산업훈장, ․(주)시몬느 대표이사 박은관 등 10명에게 철탑산업훈장, ․상신이엔지(주) 대표이사 김완규 등 9명에게 석탑산업훈장, ․디에스알제강(주) 부사장 김현철 등 34명에게 산업포장을 수여함. ․서보산업(주) 이사 윤경희 등 79명에게 대통령표창을 수여함. - 지역수출 지원을 촉진하여 최우수 광역자치단체로 선정된「울산 광역시」, 에게 대통령표창(단체)을 수여하고, -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에 기여하여 최우수 중소기업청으로 선정된 「경기중소기업청 수출지원센터」에게 대통령표창(단체)을 수여함 - 5 - - ◈ 무역의 날 일반유공 포상내역 훈 격 수 상 자 금탑산업훈장 엘지디스플레이(주) 사장 한상범 (주)녹십자 사장 조순태 (주)호원 대표이사 양진석 (주)흥아기연 대표이사 강신영 지에스칼텍스(주) 부회장 허진수 은탑산업훈장 (주)일진 대표이사 강문철등 동탑산업훈장 (주)케이씨텍 대표이사 주재동등 철탑산업훈장 (주)시몬느 대표이사 박은관등 석탑산업훈장 상신이엔지(주) 대표이사 김완규등 산업포장 디에스알제강(주) 부사장 김현철등 대통령표창 서보산업(주) 이사 윤경희등 국무총리표창 (주)SIMPAC 차장 김강욱등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삼호중공업(주) 반장 최광민등 계 총742명(2개단체포함) ※일반유공수상자명단:별책 2. 수출의 탑 수여 ㅇ「수출의 탑」은 ’73년 처음으로 1억불 수출 달성업체(한일합섬 공업)의 출현을 기념하여 수여하기 시작함. ㅇ 금년도 수상업체는 작년 1,526개사보다 45개사 감소한 1,481개사로 대기업 57개사, 중견기업 97개사, 중소기업 1,327개사임 - 최고의 탑인 750억불탑은 삼성전자(주)가 수상하고, (주)스마일 게이트엔터테인먼트 등 95개사가 1억불탑 이상을 수상함. ※ 수상기준:당해기간(’13.7~’14.6)에수출의탑단위의수출실적을 달성한업체 ※기존최고수출의탑:650억불(삼성전자(주),2011년) - 6 - - ◈ 수출의 탑 수상업체 내역 탑 종류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합 계 비 고 750억불 1     1 삼성전자㈜ 100억불 2     2 SK하이닉스㈜ 등 50억불 1     1 엘지이노텍㈜ 40억불 1     1 현대제철㈜ 10억불 1 1   2 한세실업㈜ 등 9억불   1   1 (주)유라코퍼레이션 8억불 1     1 (주)경신 6억불 3 1   4 ㈜엘지하우시스 등 5억불 1 2   3 ㈜드림텍 등 4억불 3 1   4 ㈜토비스 등 3억불 6 4   10 ㈜화승앨앤에이 등 2억불 4 9 4 17 ㈜마봉 등 1억불 6 27 15 48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등 7천만불 3 6 32 41 ㈜세원전자 등 5천만불 4 5 43 52 ㈜장원테크 등 3천만불 4 8 75 87 알펙㈜ 등 2천만불 2 9 81 92 ㈜현대포리텍 등 1천만불 5 9 180 194 ㈜제이비코퍼레이션 등 5백만불 5 7 251 263 ㈜바이포유 등 3백만불 3 3 220 226 ㈜나이스맥 등 1백만불 1 4 426 431 ㈜비룡 등 총계 57 (89) 97 (63) 1327 (1374) 1481 (1526)   (단위:개사) *( )는전년도수상업체현황/수출의탑수상업체:별책 - 7 - - Ⅱ. 수상자 명단 - 8 - - 정부포상 수상자 - 9 - -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1 금탑산업훈장 엘지디스플레이(주) 사장 한상범 2 금탑산업훈장 (주)녹십자 사장 조순태 3 금탑산업훈장 지에스칼텍스(주) 부회장 허진수 4 금탑산업훈장 (주)흥아기연 대표이사 강신영 5 금탑산업훈장 (주)호원 대표이사 양진석 6 은탑산업훈장 (주)일진 대표이사 강문철 7 은탑산업훈장 (주)포스코 대표이사 부사장 장인환 8 은탑산업훈장 (주)에스에이치팩 상무 김홍규 9 은탑산업훈장 현대글로비스(주) 대표이사 김경배 10 은탑산업훈장 (주)대주기계 대표이사 이재형 11 동탑산업훈장 (주)한영산업 대표이사 한웅 12 동탑산업훈장 (주)케이씨텍 대표이사 주재동 13 동탑산업훈장 대산엠엠에이(주) 대표이사 조재용 14 동탑산업훈장 SK하이닉스(주) 상무 권영길 15 동탑산업훈장 현대제철(주) 부사장 김영환 16 동탑산업훈장 (주)코다코 대표이사 인귀승 17 동탑산업훈장 (주)동보 상무이사 박남옥 18 동탑산업훈장 (주)네오씨티알 상무이사 황영철 19 동탑산업훈장 (주)우조하이텍 대표이사 이상복 20 철탑산업훈장 (주)케이피씨 대표이사 김진용 21 철탑산업훈장 현대중공업(주) 기장 박치상 22 철탑산업훈장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대표이사 조석래 23 철탑산업훈장 (주)시몬느 대표이사 박은관 24 철탑산업훈장 (주)케이에스피 전무이사 이찬구 25 철탑산업훈장 신라엔지니어링(주) 부장 이금재 26 철탑산업훈장 (주)동보 계장 이구진 27 철탑산업훈장 (주)에이치비테크놀러지 대표이사 문성준 28 철탑산업훈장 (주)영우디에스피 대표이사 박금성 - 10 - - 29 철탑산업훈장 (주)신안천사김 대표이사 권동혁 30 석탑산업훈장 한국무역협회 상무이사 이재출 31 석탑산업훈장 한국조폐공사 사장 김화동 32 석탑산업훈장 현대자동차(주) 부사장 임탁욱 33 석탑산업훈장 상신이엔지(주) 대표이사 김완규 34 석탑산업훈장 (주)광명전기 상무이사 김대중 35 석탑산업훈장 전진켐텍(주) 대표이사 신명진 36 석탑산업훈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 함정오 37 석탑산업훈장 한국수출입은행 부장 김영수 38 석탑산업훈장 (주)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대표이사 김덕준 39 산업포장 (주)현대미포조선 기원 지용술 40 산업포장 디에스알제강(주) 부사장 김현철 41 산업포장 파워카본테크놀로지(주) 대표이사 서원배 42 산업포장 한화케미칼(주) 상무 이점우 43 산업포장 삼성물산(주) 부장 김응선 44 산업포장 남양공업(주) 팀장 이수재 45 산업포장 신라엔지니어링(주) 이사 이상대 46 산업포장 영일엔지니어링(주) 이사 정덕연 47 산업포장 (주)쎄트렉아이 수석 연구원 이훈구 48 산업포장 (주)케이에스피 상무이사 윤준상 49 산업포장 벨금속공업(주) 계장 최종천 50 산업포장 한국무역협회 실장 최원호 51 산업포장 (주)씨제이오쇼핑 대표이사 이해선 52 산업포장 디지랜드 대표 박재동 53 산업포장 LF Asia & LF Beauty 회장 Gerard Raymond (제라드 레이몬드) 54 산업포장 엘앤피코스메틱(주) 대표이사 박선희 55 산업포장 엘지 전자 이란 판매법인 상무 정연채 - 11 - - 56 산업포장 주 상하이 총영사관 영사 황충조 57 산업포장 (주)엑스포럼 대표이사 신현대 58 산업포장 (주)대우건설 본부장 최연국 59 산업포장 한국광해관리공단 단장 김봉섭 60 산업포장 (주)제성아이엔티 대표 최혜원 61 산업포장 에스에이에스(주) 대표이사 박현철 62 산업포장 (주)센트랄 사원 장순득 63 산업포장 (주)에이앤아이 대표이사 박병해 64 산업포장 신진에스티에이(주) 대표이사 문창호 65 산업포장 주식회사 앤시스 대표이사 전철호 66 산업포장 (주)브라운와이코리아 대표이사 염태선 67 산업포장 단국대학교 교수 정윤세 68 산업포장 성균관대학교 교수 박명섭 69 산업포장 (주)효진오토테크 대표이사 김기영 70 산업포장 현대엔지니어링(주) 현장소장 김수민 71 산업포장 선린전자(주) 대표이사 배동찬 72 산업포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실장 오재호 73 대통령표창 한국무역협회 실장 이진호 74 대통령표창 한화케미칼(주) 매니저 안우영 75 대통령표창 (주)녹십자 이사 이우진 76 대통령표창 코스타 인터내셔날 대표 김주연 77 대통령표창 (주)우진아이엔에스 회장 홍평우 78 대통령표창 (주)프라코 사장 전학관 79 대통령표창 한국조폐공사 팀장 정우원 80 대통령표창 현대제철(주) 부장 홍종철 81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 대표이사 이태희 82 대통령표창 희성촉매 주식회사 부장 이상범 83 대통령표창 (주)케이씨텍 팀장 이종관 84 대통령표창 서보산업(주) 이사 윤경희 85 대통령표창 효성전기(주) 차장 정지원 - 12 - - 86 대통령표창 (주)한국몰드 상무 고민성 87 대통령표창 (주)애드테크 차장 이영혜 88 대통령표창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상무이사 이원의 89 대통령표창 명성공업(주) 전무 김영천 90 대통령표창 (주)한영산업 과장 마영미 91 대통령표창 태창금속산업(주) 과장 조혜자 92 대통령표창 (주)한도 부장 임재영 93 대통령표창 (주)일산전자 과장 이동협 94 대통령표창 (주)흥아기연 부장 장동보 95 대통령표창 (주)삼흥 이사 김유대 96 대통령표창 (주)우신시스템 직장 엄태근 97 대통령표창 영일엔지니어링(주) 차장 장성호 98 대통령표창 한양소재(주) 사원 박상길 99 대통령표창 (주)수산중공업 사원 김명선 100 대통령표창 (주)태봉 부장 권종성 101 대통령표창 아이피알포럼(주) 회장 맹청신 102 대통령표창 NEOTECH 대표 이원재 103 대통령표창 에프엘스미스 막 기어 아게 사장 Simon Jensen (사이몬 옌센) 104 대통령표창 ShangHai ShengYing Food Co.,Ltd 회장 Zhang Ying Ji (張英姬 장영희) 105 대통령표창 현대중공업 아테네 지사 지사장 노재민 106 대통령표창 한국무역협회 부장 김일산 107 대통령표창 울산화주물류협의회 회장 김태용 108 대통령표창 한국무역협회 실장 박철용 109 대통령표창 삼성에스디에스(주) 그룹장 김수명 110 대통령표창 KTNET 차장 이은병 111 대통령표창 중소기업청 사무관 신재경 - 13 - - 112 대통령표창 한국무역협회 팀장 성백웅 113 대통령표창 현대엔지니어링(주) 사업담당 중역 김원옥 114 대통령표창 두산중공업(주) 상무 김대수 115 대통령표창 한국무역보험공사 부장 안홍준 116 대통령표창 한국무역보험공사 부장 김양규 117 대통령표창 세방전지(주) 본부장 원성연 118 대통령표창 아이비지양행 대표이사 한영상 119 대통령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장 이영선 120 대통령표창 한일후지코리아(주) 대표이사 이배명 121 대통령표창 (주)이림전자 대표이사 정재덕 122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케이푸드 농업회사법인 대표이사 박경운 123 대통령표창 (주) 슈피겐코리아 대표이사 김대영 124 대통령표창 (주)에이엔웨이브 (ANWave) 사장 윤명섭 125 대통령표창 (주)파이프라인 대표이사 이문호 126 대통령표창 (주)성진실업 대표이사 이상형 127 대통령표창 우수전자산업(주) 대표이사 염동흔 128 대통령표창 (주)드림엔지니어링 대표이사 유재훈 129 대통령표창 (주) 켐온 대표이사 백영림 130 대통령표창 (주)에이스정밀 대표이사 권오복 131 대통령표창 유한회사 포스인터내셔널 대표이사 김복기 132 대통령표창 (주)경남무역 대표이사 남길우 133 대통령표창 (주)판타룩스 대표이사 이윤철 134 대통령표창 휴롬엘에스 (주) 대표이사 송해복 135 대통령표창 와이제이링크주식회사 대표이사 박순일 136 대통령표창 (주)디엘티 대표 조혜원 137 대통령표창 (주)에센 대표이사 윤문섭 138 대통령표창 (주)씨앤투스이지스 대표이사 하춘욱 139 대통령표창 (주)위드텍 대표이사 유승교 140 대통령표창 케이엠씨아이 대표 이정현 - 14 - - 141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대표이사 나혁휘 142 대통령표창 디에스알제강(주) 실장 이경기 143 대통령표창 (주) 케이테코 대표이사 박종권 144 대통령표창 (주)바론시스템 대표이사 박기범 145 대통령표창 (주)성신신소재 대표이사 임병문 146 대통령표창 (주)가야ESC 대표이사 윤병국 147 대통령표창 (주)엠티 대표이사 하영민 148 대통령표창 (주)일산전자 대표이사 하재기 149 대통령표창 (주)쎄미콤 대표이사 이현희 150 대통령표창 울산광역시   울산 광역시 151 대통령표창 경기중소기업청   경기 중소기업청 152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한국에스티에스 대표이사 강현대 153 대통령표창 한국인삼한인홍 주식회사 대표이사 임재화 154 국무총리 표창 SK하이닉스(주) 장비 엔지니어 장광덕 155 국무총리 표창 (주)SIMPAC 차장 김강욱 156 국무총리 표창 신한은행 디지털중앙금융센터 센터장 정민호 157 국무총리 표창 (주)현대미포조선 부장 이상기 158 국무총리 표창 현대삼호중공업(주) 부장 심학무 159 국무총리 표창 현대위스코(주) 부장 최창현 160 국무총리 표창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주) 반장 김해수 161 국무총리 표창 한미반도체주식회사 이사 유정수 162 국무총리 표창 서진산업(주) 공장장 강병혁 163 국무총리 표창 (주)서흥 팀장 김민수 164 국무총리 표창 희성촉매 주식회사 기감 이현섭 165 국무총리 표창 (주)이녹스 그룹장 이수열 166 국무총리 표창 선린전자(주) 사장 유병수 167 국무총리 표창 한국후꼬꾸(주) 이사 이영 168 국무총리 표창 (주)금강쿼츠 부장 이재윤 - 15 - - 169 국무총리 표창 (주)세림지엠티 상무이사 김한석 170 국무총리 표창 (주)세고스 팀장 전병훈 171 국무총리 표창 대량산업(주) 전무이사 박승희 172 국무총리 표창 (주) 솔테크 사장 박상현 173 국무총리 표창 윌테크놀로지(주) 부장 박종일 174 국무총리 표창 완도물산 이사 최인녕 175 국무총리 표창 (주)와이티에스 사장 홍상표 176 국무총리 표창 고려인삼연구(주) 상무이사 원동렬 177 국무총리 표창 (주)우진기계 연구소장 남혁모 178 국무총리 표창 (주)메카트로 부장 조상훈 179 국무총리 표창 승진산업(주) 부장 류인환 180 국무총리 표창 (주)에스에이치팩 반장 김경호 181 국무총리 표창 (주)휴롬 사원 한주란 182 국무총리 표창 (주)동성산업 생산팀장 정진형 183 국무총리 표창 (주)위드텍 차장 김혜영 184 국무총리 표창 (주)진성전자 사원 이승훈 185 국무총리 표창 21세기기업(주) 반장 김동욱 186 국무총리 표창 농업회사법인 아시아종묘(주) 전무이사 허강석 187 국무총리 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장 김병삼 188 국무총리 표창 기무사령부 소령 김원남 189 국무총리 표창 한국무역협회 과장 송광옥 190 국무총리 표창 테라노바 CEO 명세봉 191 국무총리 표창 대봉식품 대표 이경수 192 국무총리 표창 FTN VIETNAM CO.LTD. 법인장 전현수 193 국무총리 표창 한전KPS(주) 인도 지사장 구능모 194 국무총리 표창 삼성물산(주) 아크라사 무소장 이범순 195 국무총리 표창 한국무역보험공사 자카르타 지사 지사장 이도열 196 국무총리 표창 (주)나라디자인 대표이사 박창균 - 16 - - 197 국무총리 표창 (주)서울메쎄아이디 대표이사 박병호 198 국무총리 표창 배화여자대학교 국제무역과 교수 김재성 199 국무총리 표창 이베이코리아 상무이사 나영호 200 국무총리 표창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센터장 이전국 201 국무총리 표창 한국의류산업협회 부장 이재길 202 국무총리 표창 (사)한샘코퍼레이션 대표이사 장순재 203 국무총리 표창 관세청 주무관 서주원 204 국무총리 표창 기술보증기금 차장 김건 205 국무총리 표창 (주)우리은행 기업 지점장 이봉우 206 국무총리 표창 덕일산업(주) 대표이사 유기덕 207 국무총리 표창 두산중공업(주) 상무 김영일 208 국무총리 표창 한국무역협회 차장 송송이 209 국무총리 표창 삼해상사(주) 대표이사 김덕술 210 국무총리 표창 타워벨교역 대표 안종남 211 국무총리 표창 한국광물자원공사 처장 이무영 212 국무총리 표창 뉴코리아진흥(주) 대표이사 홍광희 213 국무총리 표창 3G CORPORATION 대표 안병락 214 국무총리 표창 (주)비젼스케이프 대표 김태원 215 국무총리 표창 (주)부영정공 대표이사 최정혁 216 국무총리 표창 (주)올웨이즈 대표이사 이종진 217 국무총리 표창 (주)에이치투 대표이사 조경현 218 국무총리 표창 (주)원봉 대표이사 김영돈 219 국무총리 표창 (주)대성산업포장산업 대표이사 김선광 220 국무총리 표창 (주)일성에프에이 대표이사 이성수 221 국무총리 표창 동방침구제작소 대표이사 김근식 222 국무총리 표창 온누리타이어(주) 대표이사 김순영 223 국무총리 표창 (주)엘앤디트레이딩 대표이사 한석규 224 국무총리 표창 씨에스케이(주) 부장 최승근 225 국무총리 표창 대창HRSG(주) 대표이사 손창길 - 17 - - 226 국무총리 표창 승진산업(주) 대표이사 정호진 227 국무총리 표창 대하테크원(주) 대표이사 황철호 228 국무총리 표창 제이씨케미칼주식회사 대표 윤사호 229 국무총리 표창 (주)일야 대표이사 강정훈 230 국무총리 표창 주식회사씨티네트웍스 대표이사 이재성 231 국무총리 표창 (주)클래스원 대표이사 이재원 232 국무총리 표창 (주)세코닉스 대표이사 박원희 233 국무총리 표창 네덱(주) 대표이사 황세준 234 국무총리 표창 디케이락㈜ 대표이사 노은식 235 국무총리 표창 (주)모터월드 대표이사 정석종 236 국무총리 표창 경기지방중소기업청 주무관 박신옥 237 국무총리 표창 (주)신라하이텍 대표이사 천봉수 238 국무총리 표창 (주)동성산업 이사 안찬병 239 국무총리 표창 극동일렉콤(주) 회장 이종기 240 국무총리 표창 (주)세림화이버 대표이사 한상순 241 국무총리 표창 (주)연우 팀원 박억수 242 국무총리 표창 (주) 울프 대표이사 이상찬 2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삼호중공업(주) 반장 최광민 2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에스케이(주) 상무이사 양금옥 2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덴소코리아오토모티브(주) 상무 신동길 2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부대우전자(주) 부장 이상엽 2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성우하이텍 부장 김기용 2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모비스(주) 차장 김도용 2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아제강 차장 박창민 2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아산성우하이텍 차장 이성춘 2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성지산업(주) 부장 박만식 2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기아자동차(주) 전무 송호성 2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위스코(주) 주임 이두용 2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부대우전자(주) 사원 김조운 2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심텍 반장 유영희 - 18 - - 2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모비스(주) 주임 전춘배 2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상보 회장 김상근 2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나전 대표이사 김진우 2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아에스티(주) 대표이사 박찬일 2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서흥 대표이사 양주환 2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센트랄 대리 최정길 2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 본부장 박성동 2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풍전비철 부사장 송동수 2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팬코 이사 박병희 2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나전 상무이사 윤시탁 2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녹스 그룹장 송인철 2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디알액시온 차장 이형섭 2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티세미콘 팀장 이부훈 2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신산업 차장 박재석 2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두성테크 이사 이진희 2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림제약(주) 부장 권성진 2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상보 부장 이재영 2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티세미콘 반장 박수현 2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신산업 사원 김순환 2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이씨케미칼주식회사 대리 황수봉 2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케이씨(주) 부장 조현준 2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과장 장영일 2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센트랄씨엠에스 차장 박문배 2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나켐상사 해외 영업과장 이경숙 2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오영 차장 최정호 2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무등 부장 노전균 2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경하이테크 차장 백홍규 2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산동금속공업(주) 연구소장 장석수 2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경북통상(주) 부장 안준희 2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파인텍 전무이사 박창욱 - 19 - - 2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한쥬얼테크(주) 이사 김제선 2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창성에이스산업 차장 강성윤 2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양산기 과장 김경일 2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오이솔루션 상무 권창순 2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중선박기계주식회사 상무 강영근 2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지엔에스트레이딩 부장 설보근 2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디씨뉴매틱 차장 정규만 2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일성에프에이 부장 유민재 2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엠메카닉스(주) 이사 최정한 2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 케이테코 차장 김홍기 2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앤시스 이사 김효정 2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대상이엔지 팀장 박재희 2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네오플램 과장 노선주 2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딜리 부장 김동률 3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연 이사 김우현 3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데카텍 이사 허이호 3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파나시아 과장 정웅기 3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창이엔지주식회사 이사 김영덕 3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위드시스템(주) 과장 윤경철 3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나인더스트리 연구소장 윤신일 3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성아이엔티 이사 이승찬 3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무진기연 과장 이동철 3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스지헬스케어 부장 구자희 3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스틸앤피플 대리 유미선 3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강림중공업(주) 차장 박문식 3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샘코 차장 김성효 3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승산산업(주) 상무이사 김현섭 3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리아에프티(주) 전 무 권영렬 3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바디텍메드(주) 차장 구연수 3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바론시스템 부장 문득수 - 20 - - 3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나노시스템 이사 양희황 3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아이티(주) 상무 조광호 3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성화물산(주) 이사 최현태 3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원정밀공업(주) 이사 이태복 3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림산업(주) 차장 왕채혁 3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21세기기업(주) 과장 김지수 3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덕산실업(주) 경영기획 팀장 이우용 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성광 이사 김승락 3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l주l디케이에스코리아 회장 양준헌 3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상일 수출팀장 이상민 3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은창 부장 이정환 3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쿨랜스코리아(주) 연구소 소장 박재성 3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수산중공업 차장 안진우 3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위더스코퍼레이션 과장 이진경 3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모엔지니어링(주) 사장 강용식 3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케미스타주식회사 부장 김영탁 3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라 INC(주) 대리 김정혜 3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이구산업(주) 차장 변혁배 3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원전자 전무이사 이광진 3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비트 이사 권호성 3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리수산 부장 김형석 3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종파마텍 팀장 박무흠 3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에스밸브(주) 전무이사 이상선 3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인목 상무이사 이태호 3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피앤테크 부장 강동규 3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몰드(주) 팀장 송창근 3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DCF TREK 대리 이연규 3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터보파워텍(주) 차장 김철범 3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라텍 전무이사 황현덕 - 21 - - 3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방침구제작소 차장 김택수 3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네추럴에프앤피 과장 문지영 3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아테크(KOREA TECH) 과장 김용태 3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호인더스트리 상무이사 유봉기 3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케이디씨 팀장 최세정 3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장암칼스(주) 과장 김희정 3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디케이 계장 박현숙 3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성진흥 대리 안세영 3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유메디칼시스템 과장 유준상 3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성산산업(주) 부장 천현순 3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하이비젼시스템 전무이사 이성제 3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광하이테크 과장 박병준 3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연기계(주) 본부장 최범림 3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비테크 이사 주성필 3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티에스 이사 박태규 3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아시아종묘(주) 차장 엄수영 3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제논 차장 이수연 3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일 E.P.S. 금형 부장 김한수 3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동남 차장 김종수 3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아테크 부장 양승탁 3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원켐텍 부장 오경균 3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월드중공업(주) 부사장 홍한식 3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협진커넥터(주) 차장 배명석 3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스틸 부장 허진수 3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피엠에스 공장장 정다영 3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피텍(주) 책임 연구원 박동해 - 22 - - 3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도산업(주) 책임 연구원 신진오 3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광명전기 이사 김홍석 3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가엠엔티 과장 김경란 3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영성 과장 이정민 3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한열교환기공업 부장 신영준 3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진성전자 부장 문상훈 3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치팅코리아 관리소장 김철순 3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스켐 상무이사 최명기 3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태봉 연구소장 정인선 3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아모센스 책임 연구원 이동훈 3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명패브릭 과장 김영숙 3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레이크머티리얼즈 상무이사 송창호 3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흥글로벌(주) 부장 유용준 3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미륭산업 팀장 김원주 3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일엠텍(주) 과장 유현석 3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케이엠제이 주식회사 주임 고영숙 3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아이 이사 석희재 3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아미코스메틱 팀장 박상호 3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업카이트(주) 팀장 배석원 3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조이시티 팀장 김경태 3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S. M TECH 부장 송선호 3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은산업(주) 주임 박정은 3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방엔터프라이즈 과장 이은미 3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우신에너지(주) 이사 김기철 3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파마켐 주임 김종선 3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우이엔씨 주식회사 전무이사 이재열 - 23 - - 3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프로미스 주식회사 수석 연구원 권기진 3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영플랜트(주) 이사 박정근 3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금강쿼츠 차장 정용권 4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창금속산업(주) 반장 홍일의 4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고스 과장 김영일 4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스씨엘 반장 이은주 4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영우디에스피 과장 오시창 4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본성 반장 김부자 4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중선박기계주식회사 기장 최상열 4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지에스이하이테크(주) 팀장 이민우 4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몰드 차장 임형주 4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은산업(주) 연구소장 조휘정 4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네추럴에프앤피 부장 김동신 4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원봉 책임 연구원 이동연 4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윤성산업(주) 부장 박 주곤 4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네일에이스 사원 신복례 4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휴롬엘에스 (주) 사원 이미경 4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디케이락(주) 반장 김동호 4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정우식품(주) 주임 김현주 4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오영 주임 김병일 4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 솔테크 계장 이한옥 4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디피 팀장 서관석 4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영플랜트(주) 과장 이영석 4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일엠텍(주) 차장 정장영 4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화인코(주) 부장 김흥수 4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율촌 주임 서현민 - 24 - - 4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승산산업(주) 사원 윤옥순 4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도 직장 이용교 4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장암칼스(주) 기선 신정범 4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쎄미콤 과장 강경훈 4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모텍(주) 과장 박형섭 4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후꼬꾸(주) 반장 문병만 4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성진흥 대리 김태형 4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극동일렉콤(주) 블록장 백철호 4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터보파워텍(주) 조장 허창준 4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파나시아 상무이사 김영운 4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애드테크 조장 박세자 4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명성공업(주) 기원 이채열 4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하테크원(주) 부장 박대성 4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라텍 부장 송창섭 4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씨엠에이글로벌 사원 박경숙 4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지엔에스트레이딩 대리 서동진 4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가람전자(주) 상무이사 이정기 4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우이엔씨 주식회사 부장 우종만 4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다원체어스 과장 이지석 4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대상이엔지 주임 장용준 4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원켐텍 공장장 조현철 4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월드중공업(주) 전무이사 송정희 4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필코아 조장 안옥진 4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티에스 부장 백형윤 4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헌트피앤아이 부장 안승열 4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엔에스브이 과장 우경하 4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도산업(주) 반장 하진오 - 25 - - 4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알티코퍼레이션 과장 신영모 4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동스프링 반장 제상훈 4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메디멕스코리아 과장 최영식 4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비아이피(주) 기성 염수권 4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디유티코리아 팀장 손병기 4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덕진기업 사원 정은경 4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진전지 반장 권문구 4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하실업(주) 과장 이경민 4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아테크 차장 김준섭 4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진 차장 여현구 4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한세라믹 팀장 차정애 4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퀄맥스시험기술(주) 부장 박영진 4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미팜 과장 유제남 4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아모센스 조장 이선화 4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일 E.P.S. 금형 공장장 명금선 4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니테크 대리 이주환 4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쿨랜스코리아(주) 대리 이현우 4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케이엠제이 주식회사 공장장 이성만 4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신피그먼트 대표이사 장성숙 4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리메드 대표이사 이근용 4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디.에스 스프링 대표 이광하 4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드림시스 대표이사 조국현 4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루바니 & 루바니 대표이사 박주현 4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삼우 대표 조동환 4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 필링크 대표이사 이민창 4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지엘켐 오창공장 대표 이원민 4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진글러브 주식회사 대표 이상돈 - 26 - - 4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일테크 대표 김규태 4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한회사 금호기계 대표이사 김영환 4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나노인텍(주) 대표이사 박영식 4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스콜라스(주) 대표이사 김선철 4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컴버스테크 대표이사 이돈원 4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김준규 4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김철희 4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상공회의소 과장 정일 4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션어스(주) 대표이사 김창수 4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씨이십일 과장 이동훈 4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케이씨 대표이사 박용순 4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석원 상무 서정인 4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로아 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원희정 4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라젬 상무 전병희 4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디맨드 퍼시픽 주식회사 대표이사 박인근 4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METS 사장 권원구 4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즈코 피이와이 리미티드 대표 염사성 4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제 컴파니 대표이사 하윤상 4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보람지과기고분유한공사 이사장 전병덕 4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Advanced International Freight Inc. 사장 조욱 4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ASUNG SDN BHD 대표이사 김윤성 4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노르딕 회장 Herbjørn Hansson( 허비요른 핸슨) 4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호벨 홀딩스 회장 JOEL SELVANA YAGAM (조엘 - 27 - - 셀바나야감) 5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옹가네 재팬 사장 Okamoto Akihiro(오 카모토 아키히로) 5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엘코에너지 Deputy GM Yehezkei Mor (예헤즈켈 모르) 5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맥선 부장 서회준 5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LG전자 아르헨티나법인 법인장 윤태봉 5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슈트스타 가먼트 대표이사 조현오 5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효성 인터내셔널 홍콩 법인장 김용태 5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팔도 러시아 판매법인 법인장 황재호 5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스페코 과장 김창현 5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포스코 법인장 권해건 5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Guangdong Yihua Department store Co. Ltd 부총재 Su Weibing( 수웨이빙) 5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타이어 네덜란드법인 법인장 송호범 5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프랑스국제전시협회한국대통령표창부 대표 김선의 5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무역협회 차장 정귀일 5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엑스 팀장 김한주 5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전시산업진흥회 과장 박희승 5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디엑스씨 회장 김성준 5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송연 5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벡스코 팀장 원효희 5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킨텍스 실장 송남운 5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케이훼어스(주) 부장 이준우 - 28 - - 5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쥐앤비 인터내셔널 사장 태준환 5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현지 과장 이영광 5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진흥공단 팀장 박종효 5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심플렉스인터넷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재석 5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외환은행 차장 박미숙 5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시아나항공 차장 윤선범 5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경기대학교 부교수 김현지 5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전략물자관리원 선임연구원 정용진 5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무역협회 과장 김희영 5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케이바이오 대표이사 최혁준 5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부산울산지방중소기업청 사무원 이영민 5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진흥공단 부장 이창돈 5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진흥공단 과장 우 철 5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진흥공단 과장 이석환 5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용보증기금 업무팀장 황규대 5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용보증기금 팀장 이남하 5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진흥공단 차장 이종욱 5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진흥공단 과장 조병훈 5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대리 홍영순 5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하나은행 RM부장 강병삼 5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한은행 광교 대기업금융센터 기업 지점장 박명환 5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산은행 과장 서아담 5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구은행 지점장 최복용 5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외환은행 삼성타운지점 지점장 박창욱 5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협은행 과장 정기상 - 29 - - 5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국민은행 대리 이보애 5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과장 김동완 5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과장 김재두 5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아써키트 부회장 이광원 5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원주시 직위 없음 이숙영 5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춘천시 팀장 박철한 5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광주광역시 주무관 (지방 행정주사보) 한소리 5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광주광역시 행정주사보 이소연 5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삼흥 차장 김주관 5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인천광역시 실무관 강홍일 5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주특별자치도청 지방 행정주사 고선애 5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충북지방중소기업청 주무관 장석원 5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경남지방중소기업청 수출지원센터 주무관 김영태 5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 수출지원센터 주무관 안수진 5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부산울산지방중소기업청 행정주사 권혁선 5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전북지방중소기업청 주무관 김태선 5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충북지방중소기업청 주무관 이원석 5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JVM 차장 최재호 5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평화엔지니어링 전무 이권명 5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건설 부장 임군빈 5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보템 연구소장 김동철 5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동서발전(주) 팀장 장재혁 - 30 - - 5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테크노피아 대표이사 박재세 5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이윤정 5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씨인터내셔날 대표이사 김분희 5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무역협회 과장 박기임 5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상공회의소 과장 김해균 5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지에스에너지(주) 차장 이재혁 5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광산기공 대표이사 이종구 5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지식재산전략원 선임연구원 김규태 5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맥 대표이사 박종택 5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관세법인 스카이브릿지 부대표 장영훈 5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무역협회 FTA무역종합지원센터 행정 사무관 박상국 5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강동구관세사사무소 대표 강동구 5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무역정보통신 팀장 엄기석 5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광명에스지 이사 박동진 5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쎄코 부장 황영준 5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지에스이하이테크(주) 대표이사 전윤희 5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시디디(주) 대표이사 강병수 5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일변압기(주) 대표 안용길 5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양연마(주) 대표이사 금용조 5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카트로 대표이사 김희동 5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티씨 대표이사 박찬화 5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일흥 사장 유선남 5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포산업(주) 대표이사 박재혁 5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플럭스라이트(주) 대표이사 이활 5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엔겔기계(주) 사장 로버트 보딩바우어 - 31 - - 5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어업회사법인 제주수협유통 주식회사 대표이사 양귀웅 5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글로벌신화 대표이사 우인식 5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치케이 대표이사 이재봉 5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진산업 대표 노홍일 5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진엘리베이터(주) 대표이사 박유현 5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에스밸브(주) 대표이사 이용면 5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치팅코리아 대표이사 최진수 5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경식품 대표 이성찬 6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브이디제이 대표이사 윤영철 6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센트랄씨엠에스 대표이사 설상훈 6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본성 대표이사 이미아 6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디에이케이코리아 대표이사 안동일 6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세진기술산업(주) 대표이사 장병익 6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스모와이어 대표이사 김성식 6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케이케이글로벌(주) 대표이사 이왕녕 6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리아에프티(주) 대표이사 회장 오원석 6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스코 대표이사 이기원 6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가테크 대표이사 정춘호 6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이씨에스몰드 대표 전진오 6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치피엠글로벌 대표이사 방시영 6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동남 대표이사 안병선 6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미프렉시블 대표이사 방건호 6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성중공업 대표이사 권오을 6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닉스 대표이사 윤정민 6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기씨앤에프 대표이사 노은숙 - 32 - - 6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치케이씨 대표이사 한성민 6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엠파트너 대표이사 이병세 6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디씨뉴매틱 대표이사 김화동 6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엔에스메탈 대표이사 김도섭 6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기연(주) 대표이사 박종남 6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엔텍에코뷰 대표 최철수 6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종파마텍 상무이사 이상호 6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리얼 대표이사 김덕호 6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제이이 주식회사 대표이사 유호묵 6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울타리 대표이사 김영환 6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진철강산업(주) 대표이사 유재왕 6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레즈무역 사장 박성근 6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위더스코퍼레이션 대표 김용섭 6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윤성산업(주) 대표이사 정윤동 6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나켐상사 대표이사 전재홍 6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현진스포텍 대표이사 이해연 6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다원체어스 대표이사 이규윤 6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레이크머티리얼즈 대표이사 김진동 6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 애니룩스 대표 고예름 6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광진윈텍 대표이사 신규진 6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인아 대표이사 오경승 6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마텍 사장 김성훈 6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헌트피앤아이 대표이사 박대선 6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라이온켐텍 대표 박희원 6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와이티에스 대표이사 남성국 6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스엘에스컴퍼니 대표이사 김수경 6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현수산(주) 대표이사 정문성 - 33 - - 6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성덕테크윈 대표이사 정수옥 6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은창 대표이사 박희석 6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성중공업 대표이사 신정환 6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이실리콘(주) 대표이사 정서영 6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하이로닉 대표이사 이진우 6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아이 대표이사 하정기 6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서울엔지니어링 대표이사 박승규 6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나이스맥 대표이사 박태규 6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앤에이치인터내셔널(주) 대표이사 최욱규 6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상륜 대표이사 김승래 6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비어드히시브스 대표이사 김기태 6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녹스 대표이사 오권석 6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흥 대표이사 김건우 6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치디에스 대표이사 김주흥 6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창대핫멜시트 대표 서삼상 6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파인에코 대표이사 김현옥 6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강수산영어조합법인 대표 임수근 6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유테크(주) 대표이사 백영현 6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로라코리아주식회사 대표이사 홍순영 6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득영 대표이사 이성욱 6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퀄맥스시험기술(주) 대표이사 최종국 6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동시스템 대표이사 이수형 6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엠테크 대표이사 김현수 6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피켐(주) 대표이사 김승호 6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재오토테크(주) 대표이사 이강호 6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웨이브텍 대표이사 이승모 6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보스킨 대표이사 장태순 - 34 - - 6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이비피코리아 대표이사 임홍석 6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성정밀(주) 대표이사 신순태 6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케이에스엠 대표이사 김종석 6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오메모리 대표이사 박진현 6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아이엠텍 대표이사 이재석 6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엠엘지컴텍 대표이사 홍석진 6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청풍산기 대표이사 이배규 6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조이시티 대표이사 조성원 6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S. M TECH 대표 전인호 6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지엔에스이엔지 대표이사 정원희 6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일에너테크(주) 대표이사 정연길 6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나라산업 대표이사 장용호 6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창비에스 회장 김장만 6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성정공(주) 대표이사 이기송 6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백암화학(주) 대표이사 권현달 6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명패브릭 사장 최옥희 6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광금속 대표이사 방태용 6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벨금속공업(주) 사장 이희평 6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지엔테크 대표이사 이승희 6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성화물산(주) 대표이사 김철영 6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리주월드 대표이사 박인령 6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아이티메탈 대표이사 BAEK HYUNG MYUNG( 백형명) 6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C&P 대표이사 박경민 6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엔비코퍼레이션 대표이사 이기백 6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필로시스 대표이사 최인환 - 35 - - 6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다이테크 대표이사 이미화 6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앤씨글로벌 대표이사 송영철 6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영중전기(주) 대표이사 김영도 6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창환단자공업 대표이사 김환창 7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한쥬얼테크(주) 대표이사 이경석 7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산성앨엔에스 대표이사 김진구 7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오리엔탈 검사개발 대표이사 박세철 7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여의시스템 대표이사 성명기 7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시큐어플랫폼즈테크놀로지(주) 대표이사 박동호 7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옥서스 대표이사 이태수 7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그린산업 대표이사 조병국 7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서플러스글로벌 대표이사 김정웅 7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성광기업(주) 대표이사 최병호 7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창이엔지주식회사 대표이사 윤흥수 7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엔에스브이 대표이사 윤은중 7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디유티코리아 대표이사 정용채 7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l주l디케이에스코리아 대표이사 양종덕 7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라 INC(주) 대표 김동호 7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상일 대표이사 이창우 7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팩키지 반장 송승호 7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주)세화농산 대표이사 송달연 7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성도엠씨 대표이사 김교수 7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박스코 대표이사 김호성 7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도담엠에스 대표이사 조재영 7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성진트레이드 대표이사 최경진 7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치엠인터내셔날 대표 송효민 7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앙공업주식회사 대표이사 김태헌 - 36 - - 7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평화 대표이사 김정웅 7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위드시스템(주) 대표이사 김명준 7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피비알케미칼 대표이사 배진성 7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영성 대표이사 조영규 7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정화실업(주) 대표이사 이인호 7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프엔지에스 대표이사 박 찬 7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그린가온(주) 대표이사 김석하 7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알에프에이치아이씨(주) 대표이사 조덕수 7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송산특수엘리베이터 사장 김운영 7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남하이텍 사장 최만묵 7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엠텍 창원지점 대표이사 정승규 7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삼송 대표이사 이형찬 7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스타우프코리아유한회사 대표이사 김명성 7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부삼 대표이사 김재열 7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남우석 7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나드 대리 김태희 7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모 대표이사 김승준 7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동일 대표이사 정의권 7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디엔컴퍼니 대표 윤재춘 7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디케이엔지 대표이사 김대기 - 37 - - 수출의 탑 수상업체 - 38 - - 신청탑 업체명 대표자명 전년도 수출액 금년도 수출액 신장율 (%) HS1 품목명 750억불탑 삼성전자(주) 권오현 69951736 78503702 12% 메모리반도체 100억불탑 SK하이닉스(주) 박성욱 9575216 12624931 32% 메모리반도체 100억불탑 현대모비스(주) 정명철 9374869 10213942 9% 자동차부품 50억불탑 엘지이노텍(주) 이웅범 5173097 5505262 6% 전자기기 40억불탑 현대제철(주) 박승하 3001763 4286267 43% 철강 10억불탑 한세실업(주) 이용백 1195062 1299403 9% 의류 10억불탑 (주)현대케피코 박상규 982482 1123574 14% 자동제어기 9억불탑 (주)유라코퍼레이션 엄병윤 805605 935043 16% 기타전선 8억불탑 (주)경신 이승관 774080 882851 14% 기타전선 6억불탑 (주)엘지하우시스 오장수 590462 662691 12% 플라스틱깔개 및 벽피복 6억불탑 세방전지(주) 임동준 392815 608678 55% 연축전지 6억불탑 (주)세아제강 이휘령 587062 606925 3% 철강 6억불탑 애경유화(주) 부규환 451169 606268 34% 기타정밀화학 원료 5억불탑 (주)드림텍 김영호 480635 573084 19% 무선통선기기 5억불탑 한국니토옵티칼(주) 김홍인 539523 541916 0.4% 기타광학기기 부품 5억불탑 (주)시몬느 박은관 403421 504978 25% 가죽제가방 4억불탑 (주)토비스 김용범, 하희조 407371 496041 22% 액정디바이스 4억불탑 고려해운주식회사 박정석 435668 483074 11% 윤활제 4억불탑 (주)아이마켓코리아 박병주 235092 436369 86% 기타기계류부 품 4억불탑 세메스(주) 문주태 54342 409463 653% 반도체제조용 장비 3억불탑 (주)화승알앤에이 백대현 359003 391463 9% 기타고무제품 3억불탑 (주)온코퍼레이션 이종원 263231 378900 44% 방송용 통신기기 수출의 탑 1억불이상 수상업체 현황 (천불) - 39 - - 3억불탑 (주)코리아써키트 이광원 404387 367958 -9% 인쇄회로 3억불탑 한국파워트레인(주) 김상태 276743 365557 32% 자동차부품 3억불탑 (주)화신 정호, 정서진 186666 365530 96% 자동차부품 3억불탑 주식회사성우하이텍 이명근 외1명 253365 328935 30% 자동차부품 3억불탑 현대위스코(주) 윤준모 305415 323724 6% 자동차부품 3억불탑 금호미쓰이화학(주) 박찬구 282201 320074 13% 기타합성수지 3억불탑 (주)풍인무역 박영표 303090 314324 4% 브라우스 3억불탑 덴소코리아 일렉트로닉스(주) 김경섭 274527 309567 13% 자동차부품 2억불탑 (주)마봉 이경호 163114 289743 78% 기타석유제품 2억불탑 (주)지엔에스트레이딩 조병오 166464 282512 70% 침구이불 2억불탑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문태윤 254622 277065 9% 자동차부품 2억불탑 대산엠엠에이(주) 조재용, 나카야마 히로시 157853 276935 75% 메타아크릴산 메틸 2억불탑 (주)서원인텍 김재윤 134400 253541 89% 기타유선전송 장치 2억불탑 (주)센트랄 강태룡 157214 251005 60% 자동차부품 2억불탑 (주)팬코 이건후 242278 246364 2% 언더셔츠 2억불탑 (주)비에이치 이경환 83492 232032 178% 인쇄회로 2억불탑 (주)레노바시스템 앤매트리얼 이명숙 181888 226678 25% 액정디바이스 2억불탑 (주)대유신소재 박용길, 정찬봉 163365 215063 32% 자동차부품 2억불탑 (주)엠씨넥스 민동욱 129577 214170 65% 전자기기부품 2억불탑 (주)엘앤에프신소재 이봉원 199745 212433 6% 기타정밀화학 원료 2억불탑 대동공업(주) 김준식 180535 211946 17% 기타자동차 2억불탑 (주)호원 양진석 126458 210454 66% 자동차부품 2억불탑 서진산업(주) 강홍기 179191 207196 16% 자동차부품 2억불탑 (주)대한솔루션 권회현 170955 205024 20% 자동차부품 2억불탑 남양공업(주) 홍성종 197577 203825 3% 자동차부품 - 40 - - 1억불탑 (주)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 양동기 32425 190906 489% 온라인 게임 서비스 1억불탑 (주)와이솔 김지호 94850 171696 81% 기타개별소자 반도체 1억불탑 (주)녹십자 허일섭, 조순태, 이병건 96250 167075 74% 의약품 1억불탑 (주)부강샘스 이성진 41869 161522 286% 진공청소기 1억불탑 주식회사파인텍 강원일 75585 154937 105% 경보신호기 부품 1억불탑 씨유테크(주) 백영현 160839 153808 -4% 프로세스와 콘트롤러 1억불탑 루미마이크로(주) 김용원 89033 153702 73% 기타조명기기 1억불탑 코웰전자 주식회사 조규범 73996 148157 100% 전자기기부품 1억불탑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 이태희 93354 138654 49%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케이씨텍 고석태 50646 137325 171%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1억불탑 (주)프라코 이재하 121947 135749 11% 자동차부품 1억불탑 (유)삼송 이형찬 130253 131888 1%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세코닉스 박원희 74829 131825 76% 광학렌즈 1억불탑 (주)네패스디스플레이 이병구 29466 129838 341% 기타무선통신 기기부품 1억불탑 (주)남선알미늄 김시중, 이상일 99950 129177 29%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제이앤티씨 장상욱 73438 127131 73% 연결부품 1억불탑 (주)이오테크닉스 성규동 83334 125572 51% 금속절삭가공 기계 1억불탑 (주)우성엠엔피 박찬호 87655 123285 41% 기타무선통신 기기부품 1억불탑 태성전장(주) 김춘식 89989 122385 36% 연결부품 1억불탑 (주)코렌스 조용국 78279 119310 52%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에이티세미콘 김진주 49500 117417 137% 집적회로 반도체부품 - 41 - - 1억불탑 (주)유니크 안정구 85333 116624 37%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원익머트리얼즈 이건종 88483 116516 32% 철강재용기 1억불탑 (주)일진 강문철 92168 116370 26% 자동차부품 1억불탑 우리산업(주) 김명준 85265 115897 36% 소형직류전동 기 1억불탑 (주)도루코 홍주식 114713 115642 1% 기타생활용품 1억불탑 DK유아이엘(주) 김상주 75878 115313 52% 기타무선통신 기기부품 1억불탑 남양금속(주) 김승천 87755 113689 30% 불꽃점화식내 연기관 1억불탑 (주) 화인베스틸 장인화 7402 112863 1425% 철및비합금강 L형강 1억불탑 (주)블루콤 김종규 36608 111235 204% 기타무선통신 기기부품 1억불탑 (주)현진스포텍 이해연 84676 110842 31% 편직물 1억불탑 (주)오영 정홍기 78384 110739 41% 염료 1억불탑 유신정밀공업(주) 송경식 77275 108730 41%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코다코 인귀승 77451 107874 39% 자동차부품 1억불탑 동아에스티(주) 박찬일 95397 107547 13% 제약 1억불탑 (주)풍전비철 한정건 53162 107012 101% 알루미늄괴 1억불탑 (주)에이스테크놀로지 구관영 54996 106765 94% 기타무선통신 기기부품 1억불탑 (주)에이치비테크놀러지 문성준 20 106467 520575% 칼라TV부품 1억불탑 (주)대동시스템 이중아 95121 106011 11% 기타전선 1억불탑 대의테크(주) 채의숭 6017 104788 1641% 자동차부품 1억불탑 금강공업(주) 이범호 79372 104181 31% 기타금형 1억불탑 디에스알제강(주) 홍하종 91249 104018 14% 철및비합금강 와이어로프 1억불탑 코나아이(주) 조정일 70323 102996 46% 프로세스와 콘트롤러 1억불탑 코리아에프티(주) 오원석 85222 101660 19%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광진기계 정기범 ,권오철 96229 101374 5% 자동차부품 - 42 - - 1억불탑 (주)상보 김상근 84985 100864 19% 광학렌즈 1억불탑 휴롬엘에스 (주) 송해복 76248 100128 31% 믹서 1억불탑 (주)이엠텍 창원지점 정승규 170004 100016 -41% 스피커 - 43 - -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신청탑 1 삼성전자(주) 권오현 대기업 750억불탑/무역의날 2 SK하이닉스(주) 박성욱 대기업 100억불탑/무역의날 3 현대모비스(주) 정명철 대기업 100억불탑/무역의날 4 엘지이노텍(주) 이웅범 대기업 50억불탑/무역의날 5 현대제철(주) 박승하 대기업 40억불탑/무역의날 6 한세실업(주) 이용백 중견기업 10억불탑/무역의날 7 (주)현대케피코 박상규 대기업 10억불탑/무역의날 8 (주)유라코퍼레이션 엄병윤 중견기업 9억불탑/무역의날 9 (주)경신 이승관 대기업 8억불탑/무역의날 10 (주)엘지하우시스 오장수 대기업 6억불탑/무역의날 11 세방전지(주) 임동준 대기업 6억불탑/무역의날 12 (주)세아제강 이휘령 대기업 6억불탑/무역의날 13 애경유화(주) 부규환 중견기업 6억불탑/무역의날 14 (주)드림텍 김영호 중견기업 5억불탑/무역의날 15 한국니토옵티칼(주) 김홍인 대기업 5억불탑/무역의날 16 (주)시몬느 박은관 중견기업 5억불탑/무역의날 17 (주)토비스 김용범, 하희조 중견기업 4억불탑/무역의날 18 고려해운주식회사 박정석 대기업 4억불탑/무역의날 19 (주)아이마켓코리아 박병주 대기업 4억불탑/무역의날 20 세메스(주) 문주태 대기업 4억불탑/무역의날 21 (주)화승알앤에이 백대현 중견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2 (주)온코퍼레이션 이종원 중견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3 (주)코리아써키트 이광원 대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4 한국파워트레인(주) 김상태 대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5 (주)화신 정호, 정서진 중견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6 주식회사성우하이텍 이명근 외1명 대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7 현대위스코(주) 윤준모 대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8 금호미쓰이화학(주) 박찬구 대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9 (주)풍인무역 박영표 중견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제 51회 수출의 탑 수상업체 - 44 - - 30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주) 김경섭 대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31 (주)마봉 이경호 대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2 (주)지엔에스트레이딩 조병오 중소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문태윤 대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4 대산엠엠에이(주) 조재용, 나카야마 히로시 대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5 (주)서원인텍 김재윤 중소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6 (주)센트랄 강태룡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7 (주)팬코 이건후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8 (주)비에이치 이경환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9 (주)레노바시스템앤매트리얼 이명숙 중소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0 (주)대유신소재 박용길, 정찬봉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1 (주)엠씨넥스 민동욱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2 (주)엘앤에프신소재 이봉원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3 대동공업(주) 김준식 대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4 (주)호원 양진석 중소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5 서진산업(주) 강홍기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6 (주)대한솔루션 권회현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7 남양공업(주) 홍성종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8 (주)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 양동기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49 (주)와이솔 김지호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0 (주)녹십자 허일섭, 조순태, 이병건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1 (주)부강샘스 이성진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2 주식회사파인텍 강원일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3 씨유테크(주) 백영현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4 루미마이크로(주) 김용원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5 코웰전자 주식회사 조규범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6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 이태희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 45 - - 57 (주)케이씨텍 고석태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8 (주)프라코 이재하 대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9 (유)삼송 이형찬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0 (주)세코닉스 박원희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1 (주)네패스디스플레이 이병구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2 (주)남선알미늄 김시중, 이상일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3 (주)제이앤티씨 장상욱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4 (주)이오테크닉스 성규동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5 (주)우성엠엔피 박찬호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6 태성전장(주) 김춘식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7 (주)코렌스 조용국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8 (주)에이티세미콘 김진주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9 (주)유니크 안정구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0 (주)원익머트리얼즈 이건종 대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1 (주)일진 강문철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2 우리산업(주) 김명준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3 (주)도루코 홍주식 대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4 DK유아이엘(주) 김상주 대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5 남양금속(주) 김승천 대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6 (주) 화인베스틸 장인화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7 (주)블루콤 김종규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8 (주)현진스포텍 이해연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9 (주)오영 정홍기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0 유신정밀공업(주) 송경식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1 (주)코다코 인귀승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2 동아에스티(주) 박찬일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3 (주)풍전비철 한정건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4 (주)에이스테크놀로지 구관영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5 (주)에이치비테크놀러지 문성준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6 (주)대동시스템 이중아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7 대의테크(주) 채의숭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 46 - - 88 금강공업(주) 이범호 대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9 디에스알제강(주) 홍하종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0 코나아이(주) 조정일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1 코리아에프티(주) 오원석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2 (주)광진기계 정기범 , 권오철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3 (주)상보 김상근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4 휴롬엘에스 (주) 송해복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5 (주)이엠텍 창원지점 정승규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6 (주)세원전자 이명기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97 (주)티엘비 백성현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98 한일후지코리아(주) 이배명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99 한중선박기계주식회사 최영욱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0 (주)대한금속 류명기 중견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1 (주)휴롬 김재원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2 나노스(주) 이해진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3 (주) 켐온 백영림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4 (주)일산전자 하재기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5 대창HRSG(주) 손창길, 손무현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6 주식회사 휴메이드 김철호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7 (주)일야 강정훈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8 (주)유텍솔루션 전제헌 중견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9 미원화학주식회사 정규식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0 (주)씨앤투스이지스 하춘욱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1 브리티쉬아메리칸 토바코코리아제조(주) 가이앤드류멜드럼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2 영신금속공업(주) 이정우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3 (주)맥스앤마이티 김상엽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4 (주)연우 기중현 중견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5 (주)아산성우하이텍 이명근 외 1인 대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6 인창전자(주) 유근수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7 (주)지오네트웍 백영걸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 47 - - 118 (주)디알액시온 이효건, 이태훈 중견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9 (주)보림 박광호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0 주식회사 일흥 유용남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1 유한회사 포스인터내셔널 김복기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2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나혁휘 중견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3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허광호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4 태양연마(주) 금용조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5 (주)피제이전자 김명욱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6 (주)이녹스 장경호 중견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7 협진커넥터(주) 박진우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8 주식회사 유에이치 송영권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9 동양산업(주) 전말선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0 동서공업(주) 유시훈 대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1 안전공업(주) 손주환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2 (주)하이스틸 엄정근 대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3 에스엔유프리시젼(주) 박희재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4 (주)인터폴리머 차원호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5 (주)동화이십일 임홍택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6 선린전자(주) 배동찬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7 (주)장원테크 장현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38 (주)피엔엠코리아 주석찬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39 오션어스(주) 김창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0 (주)본성 이미아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1 (주)지성글로벌 이경호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2 (주)티노스 이상락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3 엘베스트지에이티주식회사 구재필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4 한국와이퍼(주) 이경국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5 화이트산업(주) 윤통한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6 한국엔겔기계(주) 피터노이만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 48 - - 147 주식회사 브이디제이 윤영철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8 (주)신호인더스트리 이필진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9 (주)솔루에타 조재위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0 주식회사 솔라파크코리아 박현우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1 알에프에이치아이씨(주) 조덕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2 중앙공업주식회사 김태헌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3 한일내장(주) 박충기 중견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4 (주)세경하이테크 이영민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5 강림인슈(주) 시명선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6 (주)네오씨티알 백낙림 중견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7 (주)나전 김진우 중견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8 (주)에스에이치팩 이종원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9 (주)아스트 김희원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0 (주)경남무역 남길우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1 (주)동신포리마 오동혁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2 (주)에이에스티 오세혁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3 한국고요써모시스템(주) 니시무라 아키라 대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4 한국후꼬꾸(주) 권순묵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5 대원정밀공업(주) 황선경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6 (주)인터벡스테크놀로지 백승진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7 우신에너지(주) 엄문경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8 (주)원봉 김영돈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9 (주)테스 주숭일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0 (주)신성솔라에너지 이완근 중견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1 (주)엔유씨전자 김종부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2 (주)서흥 양주환 중견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3 (주)오케이에프 이연한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4 (주)대의인티어 채록 대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5 (주)상아프론테크 이상원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6 (주)씨엔씨글로벌솔루션 최용선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7 신라엔지니어링(주) 신용문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 49 - - 178 화남전자(주) 강성옥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9 (주)정우비나 오병철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0 (주)비츠로셀 장승국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1 테스트코(주) 오춘식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2 (주)프로텍 최승환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3 (주)한국에스케이에프씰 허용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4 동원시스템즈(주) 조점근 대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5 한국조폐공사 김화동 대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6 미래코리아 한동권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7 (주)스카이미디어 소동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8 성보공업(주) 오정석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9 알펙(주) 김철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0 가나스텐레스 이 안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1 (주)에이앤아이 박병해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2 (주) 슈피겐코리아 김대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3 (주)노루페인트 김수경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4 일신전자(주) 박상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5 (주)대주기계 이재형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6 한국에머슨프로세스 매니지먼트마린솔루션즈(주) 프랜시스코엔젤 푸마레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7 주식회사 케이에스엠 김종석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8 (주)레이언스 현정훈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9 에스에이에스(주) 박현철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0 코리아피티지(주) 김기준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1 (주)성백문코리아 문수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2 (주)동아엘텍 박재규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3 에스폼알파(주) 김준년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4 우경MIT 이환덕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5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성상엽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6 (주)동원앤피플 김태현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7 (주)우신산업 서중호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 50 - - 208 신화정밀(주) 조승현 대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9 (주)쎄트렉아이 김병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0 (주)에이치투 조경현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1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황인용 대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2 (주)데카텍 이병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3 한국마쯔다니(주) 유태균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4 광명산업(주) 임승운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5 주식회사정진넥스텍 김용담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6 (주)센트랄DTS 도영민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7 (주)더블유게임즈 김가람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8 케이피티(주) 조창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9 고모텍(주) 윤일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0 (주)퍼시스 이종태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1 (주) 씨에스텍 김진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2 케미스타주식회사 김동범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3 (주)가야ESC 윤병국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4 (주)우진산전 김영창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5 로체시스템즈(주) 박기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6 (주)한영산업 한웅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7 (주)씨엠에스 김애란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8 디케이락(주) 노은식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9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조석래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0 (주)투에이치 최정훈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1 에스탱크엔지니어링(주) 김진태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2 (주)씨앤와이테크 박찬식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3 (주)펠릭스테크 김종오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4 (주) 유니테크 이성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5 (주)오이솔루션 박용관, 추안구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6 (주)티아이에스코리아 유영성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7 (주)영창기업사 김성준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8 (주)에스티아이 김정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 51 - - 239 (주)네오플램 박창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0 주식회사 이맥스아이엔시 오경규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1 (주)동성중공업 신정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2 메이플세미컨덕터(주) 박용포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3 (주)콜러노비타 카밍래리위엔 대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4 (주)한미프렉시블 방건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5 일양화학(주) 김광중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6 (주)루트로닉 황해령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7 (주)실크로드시앤티 박민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8 (주)아모스 이은성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9 (주)유지인트 배진기, 이현우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0 (주)케이에스피 조병구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1 효성전기(주)제2공장 정진근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2 우성파워텍(주) 정정훈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3 우수전자산업(주) 염동흔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4 삼성발레오써멀시스템스(주) 고호곤, MAZOYER SEBASTIEN 대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5 산일전기(주) 박동석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6 (주)화진 조만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7 한국산노프코(주) 손경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8 (주)흥아기연 강신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9 주식회사 광진윈텍 신규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0 덕일산업(주) 유기덕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1 (주)지니틱스 손종만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2 극동일렉콤(주) 이종기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3 타이코마린써비스코리아(주) 부산지점 장성필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4 (주)마르시스 박용규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5 (주)경안전선 김명일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6 주식회사 케이푸드 농업회사법인 박경운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 52 - - 267 신광정공(주) 김만경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8 (주)씨이에스 김상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9 (주)태웅메디칼 신경민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0 주식회사 딜리 최근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1 (주)부광금속 방태용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2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정인용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3 (주)위솔루션 전재홍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4 오케이에프(주) 이상신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5 대한공조(주) 김석주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6 주식회사디젠 한무경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77 (주)현대포리텍 김광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78 유니셈(주) 김형균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79 (주)코리녹스 오권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0 한국신에츠실리콘(주) 타게다 카즈미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1 (주)창환단자공업 김환창, 권오천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2 (주)세고스 박윤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3 씨에스케이(주) 김형극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4 (주)웨이브텍 이승모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5 두성산업(주) 천영우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6 신한쥬얼테크(주) 이경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7 (주)이랜드월드패션사업부 김중헌 대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8 (주)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 지 김덕준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9 (주)와이티에스 남성국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0 선도전기(주) 전동준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1 세광인터내셔날네트워크(주) 박경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2 (주)지.비라이트 이인환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3 (주)화인써키트 유인종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4 (주)대하전선 하병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5 (주)성진실업 이상형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6 제이씨케미칼주식회사 윤사호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7 (주)신안천사김 권동혁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 53 - - 298 (주)하나 서재원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9 씨제이포디플렉스(주) 최병환 대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0 주식회사 샘코 이창우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1 (주)테팩스 강태익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2 (주)에이엔웨이브 (ANWave) 윤명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3 (주)센트랄씨엠에스 설상훈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4 (주)이오메모리 박진현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5 일양약품(주) 김동연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6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심호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7 (주)정주산업통상 정평룡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8 알티전자(주) 이교진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9 (주)대원에프엔씨 정대근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0 (주)나노 신동우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1 (주)평화 김정웅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2 (주)에이치피엠글로벌 방시영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3 아이원스(주) 이문기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4 (주)에이앤지테크놀로지 김형종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5 루미리치주식회사 김하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6 (주)유디피 안정근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7 (주)영우디에스피 박금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8 (주)극동엠이에스 홍현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9 바디텍메드(주) 최의열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0 (주)디에이취엠씨영암지점 서호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1 세원금속(주) 이정희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2 (주)대영케미칼 김영규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3 (주)효진오토테크 김기영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4 (주)아이엠텍 이재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5 삼민화학공업(주) 임정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6 (주)하이비젼시스템 최두원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7 (주)재무상사 김병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8 (주)성원기업 정종태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 54 - - 329 (주)디오 김진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0 (주)제이티콥 김준태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1 나투라미디어(주) 윤화중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2 주식회사 쎄코 김현중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3 한국초전도체주식회사 정민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4 에스에이치엠(주) 박현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5 (주)DCF TREK 박권일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6 (주)듀링 고진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7 영일특수금속(주) 박한상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8 영화테크(주) 엄준형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9 (주)나라산업 장용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0 승산산업(주) 유선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1 실버엘리베이터코리아 서은교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2 주식회사 앤시스 전철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3 경동제약(주) 류덕희, 이병석, 류기성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4 (주)테키스트 김춘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5 (주)인아 오경승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6 (주)에스앤비인터내셔널 오동환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7 서울산업(주) 김을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8 (주)영텍 이현건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9 (주) 아이엠티 인코퍼레이션 정의용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0 개나리벽지(주) 김훈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1 (주)한국몰드 고일주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2 (주)메카트로 김희동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3 (주)로보스타 김정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4 (주)케이디에이 박명종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5 (주)모터세븐 박성임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6 (주)동양화공기계 하기영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7 농업회사법인 (주)농우바이오 정용동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8 (주)캔코마케팅 귄기홍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 55 - - 359 (주)셀맥인터내셔날 김성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0 (주)뉴빛 신기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1 (주)비젼텔 유태욱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2 (주)비엠티 윤종찬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3 주식회사 창대핫멜시트 서삼상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4 (주)제이에스테크 한흥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5 (주)피엔제이케미칼 우진오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6 주식회사 광양훼더 심상형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7 케이엠씨아이 이정현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8 (주)제이비월드코퍼레이션 이미경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69 주식회사 이노폴 윤범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0 (주)대창비에스 김장만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1 (주)백운섬유 백운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2 (주)풍신 박동운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3 (주)삼원프라스틱 우영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4 (주)대정고분자산업 배덕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5 (주)엠지에스 채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6 (주)조이시티 조성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7 한국댓와일러(주) 임단오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8 동국성신(주) 강신우외 1명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9 주식회사엘티에스 박홍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0 (주)모토웨어 황영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1 오페(주) 함영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2 서울냉열주식회사 안민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3 (주)세림지엠티 임조홍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4 (주)에이블유 조근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5 일진에이테크(주) 손의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6 (주)에스오엠 윤승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7 인그리디언코리아(유) 구자규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8 범진아이엔디 (주) 박정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9 (주)케이피씨 김진용 대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 56 - - 390 (주)도도액티브코리아 서강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1 (주) 케이테코 박종권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2 대지정공(주) 조효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3 (주)영진하이텍 김영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4 (주)젠픽스인터내셔날 유진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5 (주)엠씨엠 이기형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6 (주)광명전기 이재광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7 (주)예스텔레콤 이창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8 네덱(주) 황세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9 (주)엠씨에스로직 남상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0 (주)크레템 김호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1 (주)디알젬 박정병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2 주식회사 케이디에프 김정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3 영일엔지니어링(주) 이창은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4 (주)해성기공 문일섭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5 (주)드림엔지니어링 유재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6 호산이엔지(주) 정병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7 (주)네이처리퍼블릭 정운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8 (주)디엘티 조혜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9 (주)제성아이엔티 최혜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0 (주)대명패브릭 최옥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1 상신이엔지(주) 김완규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2 엔텍이앤씨(주) 최근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3 대영씨엔이(주) 노세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4 씨앤텍(주) 박한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5 (주)한국알피엠 양대섭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6 코리아고꾸사이(주) 마쯔모토 시게루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7 신현수산(주) 정문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8 (주)메가테크 정춘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9 하이텍전자(주) 문호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0 (주)세흥 김건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 57 - - 421 (주)판타룩스 이윤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2 (주)쎄미콤 이현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3 신진에스티에이(주) 문창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4 주식회사 세하전자통신 유해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5 주식회사캐스탑 정병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6 (주)이노플렉스 이철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7 (주)선택인터내셔날 양재창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8 한국석유공업(주) 김병집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9 주식회사 인터트레이드 자파엘알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0 (주)제이시스메디칼 강동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1 (주)삼성금속 김숙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2 (주)진성테크템 김성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3 한국비철 조성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4 온누리타이어(주) 김순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5 (주)윈시스템즈 김명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6 (주)우진종합상사 김동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7 (주)이랜드리테일 김연배 대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8 (주)피타소프트 허현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9 일진기계(주) 전영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0 (주)팬케미칼 박재덕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1 (주)인크룩스 이민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2 (주)엠티 하영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3 주식회사 한유에너지 박기흥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4 백암화학(주) 권현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5 (주)포콘스 정락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6 에스앤에스금속주식회사 양주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7 (주)비젼스케이프 김태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8 한국정밀주식회사 손출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9 삼인코퍼레이션(주) 황대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0 (주)우진아이엔에스 홍평우 대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1 (주)다이테크 이미화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 58 - - 452 (주)한성 한상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3 (주)세진통상 이은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4 (주)디엠씨테크 안응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5 (주)코와이어 황재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6 와이제이링크주식회사 박순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7 동방침구제작소 김근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8 (주)에스엘비 남민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9 (주)금강쿼츠 김창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0 (주)애니클로 송동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1 호산물산(주) 이필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2 (주)소닉스 손영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3 (주)엔에스 이세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4 (주)미코씨엔씨 류종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5 빛기술(주) 박정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6 (주)코라이 이광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7 (주)싸이맥스 김성강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8 닛켄인터내셔널코리아(주) 김경태외1명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9 (주)신도기연 박웅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0 (주)용신피혁 홍대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1 효성전기(주) 정진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2 (주)에프와이디 한주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3 (주)유진로봇 신경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4 기석무역 구성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5 아진인터내셔널(주) 현종묵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6 주식회사 엔에스메탈 김도섭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7 (주)파이프라인 이문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8 (주)켐포트 김영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9 (주)트리스 임국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0 (주)에치케이씨 한성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1 (주)이앤씨글로벌 송영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2 (주)삼보산업 나무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 59 - - 483 대원정밀 안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4 청보산업(주) 안상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5 (주)다다코리아 전민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6 (주)바론시스템 박기범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7 (주)광덕에이앤티 김 용 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8 유전공업(주) 류재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9 (주)탭코리아 임준국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0 플럭스라이트(주) 이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1 덕산실업(주) 이범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2 (주)해정 김태정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3 주식회사 티씨씨통상 두진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4 (주)디와이티 김영건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5 (주) 에이치와이티씨 김육중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6 디와이엘엔제이(주) 김 태 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7 (주)티케이씨 박용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8 (주)머큐리 임채병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9 (주) 케이산업 이학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0 아르네코리아주식회사 이성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1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장동규 대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2 쓰리알이앤씨주식회사 박지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3 금정공업(주) 제슨 알란 대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4 (주)케이티씨 박찬화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5 (주)엘앤디트레이딩 한석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6 아이디피(주) 노현철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7 스타우프코리아유한회사 김명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8 (주)텔콘 임진훈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9 에스아이티(주) 전제중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0 주식회사 씨엠에이글로벌 김영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1 (주)상일 이창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2 산동금속공업(주) 배선봉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3 (주)비젼사이언스 오인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 60 - - 514 (주)씨디씨뉴매틱 김화동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5 (주)동양산기 김두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6 한림제약(주) 김재윤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7 (주)에스씨민이노베이션 김상대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8 성화물산(주) 김철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9 성신양회(주) 김영찬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0 에치에스켐(주) 양재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1 에이시디(주) 유승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2 (주)스틸라이프 박광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3 펌텍코리아 (주) 이도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4 경동산업(주) 여휘동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5 (주)지펙케이앤엠 이승헌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6 (주)에이치에스오토모티브 김형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7 (주)우조하이텍 이상복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8 (주)에스엘에스컴퍼니 김수경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9 윤성산업(주) 정윤동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0 유니돔(주) 송대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1 주식회사 한국에스티에스 강현대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2 (주)코만 김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3 화신특수강 주식회사 조윤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4 경원산업(주) 허금자, 김경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5 (주)진성전자 임규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6 3G CORPORATION 안병락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7 (주)해광요업 오순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8 (주)코스켐 최재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9 (주)삼진 JMC 정태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0 한스바이오메드(주) 황호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1 (주)한도 김정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2 에이스산업(주) 윤용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3 태영산업 주식회사 진윤숙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4 (주)라이콤 김성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 61 - - 545 (주)제이디엔디텍 주영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6 (주)코스모와이어 김성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7 (주)이젝스 유창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8 (주)대연 김영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9 갑산개발(주) 김명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0 우림글로벌텍스(주) 임형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1 (주)비하임 곽영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2 (주)터보맥스 이기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3 주식회사씨티네트웍스 이재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4 주식회사 휴먼스캔 임성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5 (주)이노터치테크놀로지 김종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6 (주)제일벽지 정지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7 (주)탑밸브 하갑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8 (주)알앤에프케미칼 박동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9 스칸젯매크론(주) 김대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60 (주)에스엠플라텍 김영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61 (주)위드텍 유승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62 (주)여의시스템 성명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3 일신실업(주) 김유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4 (주)세기콘트롤 고윤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5 (주)바이포유 장재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6 (주)솔머퓨처 공동준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7 (주)더비트 김경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8 (주)에센 윤문섭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9 주식회사엠엑스앤 황만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0 팸텍(주) 김재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1 (주)알엠시스 김도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2 영백씨엠(주) 홍순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3 (주)제일기연 김한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4 에이케이앤엠엔바이오팜(주) 김갑진 대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5 (주)기흥무역 오복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 62 - - 576 다온물산(주) 남성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7 (주)티아이 하정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8 (주)호두 이해룡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9 세진기술산업(주) 장병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0 서보산업(주) 이범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1 씨트론(주) 어성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2 (주)웰프랜드 이영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3 (주)제이에스피브이 이정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4 (주)래딕스 민광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5 주식회사 태성테크 민규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6 엔브이에이치오토파트(주) 이성희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7 주식회사 티앤지 설종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8 성창정밀화학 김창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9 화성화학(주) 류경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0 삼진기계 강경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1 (주)에이엘피 정현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2 (주)올웨이즈 이종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3 이알텍 주식회사 조현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4 주식회사 지이티 이동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5 (주)에스지헬스케어 김정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6 (주)일성에프에이 이성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7 (주)이노테크 이희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8 유엠메카닉스(주) 홍순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9 삼일씨티에스(주) 최종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솔 박채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1 (주)에이스정밀 권오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2 (주) 링커스인터내셔널 김형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3 윌테크놀로지(주) 이병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4 주식회사 제이앤드에프 이영섭, 이원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5 (주)지멕스 김현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6 (주)씨케이솔루션 김유곤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 63 - - 607 (주)일광폴리머 이은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8 (주)에이티앤에스 김진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9 주식회사건화이엔지 허용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0 (주)진주햄 박정진, 박경진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1 (주)코마텍 김성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2 한양소재(주) 박팔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3 (주)만텍 조정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4 (주)이엔씨테크놀로지 이성원, 장남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5 동우이엔씨 주식회사 이재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6 (주) 한독테크 김진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7 태창금속산업(주) 이영학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8 오션스카이주식회사 신규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9 (주)한국에프엠 박용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0 주식회사 대명티에스 김재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1 오에스밸브(주) 이용면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2 (주)세림화이버 한상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3 (주)케어플러스원 김도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4 (주)비아텍 전용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5 (주)금화전선 박병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6 알파디스플레이(주) 안동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7 (주) 덕신하우징 이수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8 필텍 김부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9 (주)삼화에이스 김학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0 (주)펠리테크 김종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1 (주)밀알제이앤피 서성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2 (주)휘일 유태승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3 (주)동성산업 임진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4 (주)아이피케이 박미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5 (주)에스비텍 허종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6 주식회사 노나텍 김봉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7 (주)에치엠알 홍명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 64 - - 638 (주)네오인플럭스 김지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9 (주)코스메카코리아 조임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0 (주)에스에이치테크놀로지 김장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1 서경팜(주) 성창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2 (주)우성에프앤티 구홍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3 (주) 뉴티스 주동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4 (주)탑드릴 김정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5 엔테크놀로지(주) 홍순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6 (주)대동아이텍 주동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7 청호나이스(주) 이석호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8 (주)메디트 장진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9 (주)득영 이성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0 동일정밀공업(주) 강인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1 (주)흥화 이시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2 유경제어(주) 이명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3 에이티아이(주) 안두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4 (주)스웨코 이경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5 (주)비에스오토파트 함훈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6 (주)경남무역 신종식 대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7 (주)글로벌신화 우인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8 대한특수금속(주) 조옥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9 (주)청풍산기 이배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0 (주)이츠웰 박효맹 대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1 (주)해성금속 노동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2 (주)에프엔지에스 박 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3 (주)신동아 김기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4 (주)퍼시픽하베스트 박도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5 (주)조향메탈 김판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6 (주)우원기계 조명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7 (주)엘리온 정태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8 (주)와이제이콥스메디칼 박채윤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 65 - - 669 신진정공(주) 김재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0 피티케이(주) 박기범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1 (주)하이로닉 이진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2 (주)일렘테크놀러지 박익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3 (주)와이에스테크 김윤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4 (주)정아유압 곽 창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5 (주)에이앰티 최종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6 세일피에스(주) 곽기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7 (주)녹원씨엔아이 최직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8 송암글로벌(주) 이성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9 마노주식회사 조규옥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0 (주)여수룬 김종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1 주식회사 성진트레이드 최경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2 (주) 세윤 황용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3 (주)브라운와이코리아 염태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4 (주)싸이닉스 이주봉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5 주식회사 비에프에스 이범열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6 (주)지코코리아 나윤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모 김승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8 미르특장 추병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9 (주)원일사 심의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0 주식회사 오토웰 심의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1 (주)일도교역 방찬종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2 주식회사 레이크머티리얼즈 김진동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3 (주)백조씽크 조화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4 주식회사광천김 김재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5 (주)알루폼스코리아 송영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6 태강자원 박종헌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7 (주)바로 임경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8 (주)엠엠티오토모티브 박해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 66 - - 699 (주)유스틸 이치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0 (주)이림전자 정재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1 주식회사 아린 심종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2 (주)동아이엔지 강병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3 한독기술(주) 심상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4 (주)한일오닉스 황윤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5 (주)아이커머 서정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6 에스아이티 이은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7 유진철강산업(주) 유재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8 (주)뉴트리바이오텍 권진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9 (주)신명유압 채성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0 (주) 울프 이상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1 (주)에스씨엘 이상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2 (주)동해기계항공 양창학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3 주식회사 한바다 김덕종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4 세종산업(주) 신요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5 동방전기공업(주) 양태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6 에이스기계(주) 이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7 주식회사필로시스 최인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8 부국철강(주) 이상학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9 (주)케이에이치라이텍 박태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0 대원케미칼주식회사 구자균, 박흥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1 (주)윌인코 김선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2 파이즈브라더즈(주) AHMAD FAIZ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3 (주)이레코리아 강석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4 포엔사 박지암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5 (주)애드테크 박기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6 화인폴리머주식회사 이철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7 (주)명산 김판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8 (주)우리수산 김장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9 (주)파라 권미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 67 - - 730 (주)라온코퍼레이션 강윤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1 (주)뉴프라임 차경숙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2 (주)크린랩 전기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3 (주)동남테크 유영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4 (주)아미코스메틱 이경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5 (주)코츠 김용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6 (주)동강금속 양일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7 (주)세양 박준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8 (주)성용하이테크 이한중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9 고려인삼연구(주) 신왕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0 에스와이패널(주) 홍영돈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1 (주)텐스틸 안태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2 (주)두림테크 이호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3 (주)동림유화 서봉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4 (주)서울화장품 한광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5 주식회사 에스디케이 김동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6 (주)한남하이텍 최만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7 미래통상 추경옥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8 주식회사 윈텍스 고인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9 (주)아이에스켐 박우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0 에스피텍(주) 김종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1 (주)신진 문장화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2 세라테크 서원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3 (주)무진기연 조성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4 어업회사법인 제주수협유통 주식회사 양귀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5 (주)코미팜 문성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6 미래씰텍(주) 이충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7 (주)바넷앤컴퍼니 HIMANSHU.N.S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8 (주)디오도노 지숙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9 (주)케이인터내셔날 이근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0 (주)제스코 이기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 68 - - 761 (주)다원시스 박선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2 (주)잇츠스킨 임병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3 (주)이지바이오 지원철 대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4 바다중공업(주) 김양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5 (주)미륭산업 김홍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6 (주)일품 호원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7 (주)칸인터내셔널 박의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8 NR 지엔씨 진정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9 (주)에이패스 서재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0 (주)동일디자인 박민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1 주식회사 아모센스 김병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2 (주)플러스케미칼 박원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3 가람전자(주) 배수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4 우영유압(주) 채경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5 (주)덕성산업 이균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6 월드콤파운드(주) 강도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7 전일기계공업(주) 전승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8 솔테크놀로지(주) 한한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9 세비아인터내셔널(주) 차상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0 (주)협동엔터프라이즈 이 월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1 (주)엔아이비 강황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2 주식회사 아이에스에이 김용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3 (주)씨넷 류윤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4 (주)케이앤씨코퍼레이션 김정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5 하나머티리얼즈(주) 서원교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6 풍기인삼중앙회(주) 이증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7 파워카본테크놀로지(주) 서원배 대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8 지비엠주식회사 김정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9 (주)신한세라믹 강성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0 고산티엠(주) 손병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1 (주)지에이씨(GAC) 공조 김동룡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 69 - - 792 우주기전(주) 김민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3 에스시디디(주) 강병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4 (주)오리엔탈 검사개발 박세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5 한스틸파워텍(주) 한상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6 (주)고운세상코스메틱 안건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7 농업회사법인 아시아종묘(주) 류경오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8 광양의류산업 최재갑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9 (주)명지피앤피 김성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0 씨앤에이치인터내셔널(주) 최욱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1 (주)대우볼트 강희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2 (주)제이씨에스몰드 전진오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3 (주)치팅코리아 최진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4 주식회사 인덕 김주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5 (주) 에스엠티이엔지 이병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6 세화레더(주) 오진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7 (주)코스탈파워 김의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8 제이원코리아 김병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9 (주)네오세라믹 장재봉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0 한국인삼한인홍 주식회사 임재화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1 (주)이노 진정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2 (주) 젠한국 이현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3 (주)대성포장산업 김선광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4 에스제이이 주식회사 유호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5 GGM 이영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6 주식회사앱스필 김동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7 (주)엠시스 고남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8 (주)맘모스제과 신영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9 (주)동원홈푸드 신영수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20 (주)디아테크 최태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21 비비씨(주) 강연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 70 - - 822 (주)스피덴트 안제모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23 (주)하나모터스 박병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24 (주) 동형티이엠 김진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25 (주)나이스맥 박태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26 주식회사 이니텍 김종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27 삼경교역 김주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28 (주)로얄블루인터내셔날 김명준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29 (주)세미즈 김진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0 (주)대마 정재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1 (주)폴리텍스 김명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2 한보기공(주) 임종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3 (주)산성앨엔에스 김진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4 (주)에스엠이네트웍스 김동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5 주식회사 대상이엔지 강우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6 주식회사 디스 윤선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7 (주) 지에스디 최상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8 (주)NY 상사 최운학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9 (주)해탐테크놀로지 정일동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0 씨피켐(주) 김승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1 (주)윈텍 최경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2 (주)대동스프링 박두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3 민트메디칼 이윤자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4 (주)파사드인 김희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5 주식회사동일 정의권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6 (주)에스에프이 손호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7 (주)우리엔지니어링 이문효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8 (주)와이제이씨 배지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9 (주)탑아이엔디 이창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0 코스모스유니온(주) 신병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1 지에스볼트(주) 문하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2 (주)대현 신현균 중견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 71 - - 853 (주)천호테크 김정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4 한국동지무역(주) 이도형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5 승진전자산업(주) 박재범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6 (주)한세이엔시 김상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7 에스엘이엠씨(주) 김도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8 (주)판도라티비 김경익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9 유일에너테크(주) 정연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0 (주)준코퍼레이션 윤준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1 (주) 씨티이앤씨 전인학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2 주식회사 원재산업 정현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3 (주)쎄이텍인터내셔날 박석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4 (주)제이씨리소시즈 김현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5 (주)아이겐만테크놀로지 강준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6 주식회사 헌트피앤아이 박대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7 (주)디팜스테크 권오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8 고운전기(주) 이규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9 엠텍 백영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0 (주)부미랑코퍼레이션 신상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1 (주)엘디케이 임대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2 (주)파이크 백병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3 (주)광진기계 진용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4 신한네트웍스 주식회사 이호종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5 (주)메디엔인터내셔날 안판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6 (주)지티씨 이원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7 (주)니즈원 김상종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8 에스에스오트론(주) 신계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9 (주)광명이엔지 정윤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0 세화오토텍 김보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1 (주)에스엠케이 김도형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2 주식회사 파인에코 김현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3 (주)태영씨엔티 인재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 72 - - 884 케이케이글로벌(주) 이왕녕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5 주식회사 우딘 정운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6 (주)에이치엘옵틱스 김현국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7 이피코 송형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8 (주)더레즈무역 박성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9 (주)광명에스지 김원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0 (주)코스 최영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1 (주)위더스팩 전헌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2 (주)한성중공업 권오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3 (주)현대화이바 이영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4 (주)닥터스텍 김원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5 (주)제이디솔루션 제영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6 (주)삼신금속 강금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7 신성텍스타일주식회사 한용해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8 메카니칼토탈솔루션(주) 황광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9 (주)일진러버테크 권해극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0 우광교역(주) 김성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1 (주)에이에프씨 정찬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2 (주)에미리 ZHAO YUXI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3 승진산업(주) 정호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4 서울우유협동조합 송용헌 대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5 (주)케이앤케이 강원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6 (주)현대정밀 황대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7 퀄맥스시험기술(주) 최종국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8 삼건세기(주) 강정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9 (주)디에스티 박종대, 김대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0 에이치씨피 주식회사 성기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1 (주)헬리코리아 민경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2 액션스포츠이큅먼트코리아(주) 이상정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3 다원이엔지 우영관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4 주식회사 디오션 김경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 73 - - 915 디와이홀딩스(주) 여주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6 경도화학공업(주) 신철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7 (주)디케이엔지 김대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8 (주)케이피티 이재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9 신생공업(주) 신경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0 (주)창성에이스산업 이의용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1 (주)남도화학 김수웅, 김기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2 (주)다산중공업 강남국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3 (주) 클래시스 정성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4 세창엔터프라이즈(주) 이상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5 (주)뉴맨코포레이션 황승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6 (주)텍포러스 이재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7 성도케미칼(주) 박종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8 (주)헵스켐 최근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9 에스씨엘 이상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0 SMIS CORP 김명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1 에이치앤에스티공장 조원동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2 진양공업(주) 한영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3 (주)아이티메탈 BAEK HYUNG MYUNG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4 에스이에스티(주) 김만종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5 주식회사 나노엠에스이 이명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6 신창이엔지주식회사 윤흥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7 (주)성덕테크윈 정수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8 이에스글로벌주식회사 최상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9 (주)광산하이텍 김광향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0 시큐어플랫폼즈테크놀로지(주) 박동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1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이규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2 (주) 제이티 이상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3 한국엔오에프메탈코팅스(주) 김수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4 (주)신영 문철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5 (주)비앤에스미디어 백윤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 74 - - 946 주식회사 듀링플러스 이병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7 건영산업(주) 유덕술, 유영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8 (주)제이비피코리아 임홍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9 (주)경진금형 박조홍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0 글로벌마케팅네트웍스(주) 장영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1 (주)메디스 박지형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2 (주)휴먼전자엔씨 채기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3 피에이치지 주식회사 김종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4 영어조합법인 제주테우 김용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5 (주)폴앤와이 김영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6 (주)우창 김미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7 (주)인성피앤비 오혜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8 씨아이즈(주) 최해용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9 (주)삼일폴리머 송영봉 대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0 (주)대한콜크 김영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1 (주)피비알케미칼 배진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2 (주)파란해 장경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3 (주)에이치더블유아이 안광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4 삼본무역 주식회사 이정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5 비엘테크(주) 배진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6 (주)21세기 김성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7 맨텍(주) 김기웅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8 (주)보명금속 홍수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9 (주)디에스코텍 이삼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0 (주)한성지티 권형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1 (주)케이엠아이 김종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2 두루포징(주) 송양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3 (주)유진엠에스 은종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4 한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제훈 중견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5 (주)기민 류종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6 주식회사 코디에스 박찬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 75 - - 977 우성진공기술(주) 이원종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8 (주)로터스인터내셔날컴퍼니 이정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9 (주)탑에이테크놀로지 김대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0 (주)거산기계 박용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1 (주)네오피엠씨 배민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2 엔엠텍코리아(주) 박철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3 (주)보부하이테크 왕동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4 (주)에이티에스 백경만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5 (주)엔씨켐 이창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6 원방드라이보드(주) 조재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7 (주)클래스원 이재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8 (주)클립컴 손종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9 지에스이하이테크(주) 전윤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0 아우트리거 김성해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1 명원(주) 이종윤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2 (주)대금지오웰 이승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3 주식회사 지오택 문성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4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이기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5 (주)디카팩 전영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6 (주)케이엔테크 김용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7 (주)비티비코리아 정동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8 라미화장품(주) 박혜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9 대진산업 임영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0 에인에이(주) 김현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1 (주)한샘디지텍 송상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2 (주)퀸-아트 황태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3 (주)한빛향료 김기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4 파미셀(주) 김현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5 S & M TECHNOLOGY 손형길 대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6 비디코리아(주) 장명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7 용원기계공업(주) 문형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 76 - - 1008 엘앤피코스메틱(주) 박선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9 진우텍스 안덕준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0 (주)한국마린산업 박천만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1 (주)삼민산업 이해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2 (주)에스제이엔터프라이즈 김용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3 (주)드림테크놀로지 이미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4 (주)옵토웰 양계모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5 에스디코리아 주식회사 김점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6 (주)터보링크 하현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7 태영산업 정영곤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8 l주l디케이에스코리아 양종덕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9 고려인삼과학(주) 이창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0 한국알루미나(주) 황태일 중견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1 (주)케이텍글로벌 채경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2 주식회사 에이시엠 무다사르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3 일진기계산업사 전광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4 큐덱스(주) 최태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5 주식회사 린도 송문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6 주식회사 유니퍼트 김영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7 (주)원인터내셔날 유병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8 농업회사법인(유)미와미 이완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9 아이러브뷰티 서동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0 (주)레드자이언트 엄제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1 한국이엠(주) 이관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2 (주)서일 서강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3 한국파이프콘베어(주) 이상만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4 (주)범양크린텍 안성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5 (주)메닉스 이상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6 (주)유라텍 신우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7 대진산업 노홍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8 (주)비알티코퍼레이션 신무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 77 - - 1039 (주)필코아 김승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0 (주)지엔에스이엔지 정원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1 주식회사 케이제이씨 박정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2 (주)청우메디칼 이일권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3 (주)금우산기 정경효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4 (주)하드커널 이제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5 (주)대명크라샤 이태준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6 영진엘리베이터(주) 박유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7 미즈온(주) 이동건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8 (주)박스코 김호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9 경신아이텍컴퍼니 김종윤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50 (주)리오에프앤디 김재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51 (주)비룡 이원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2 (주)제이알통상 김영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3 엔알텍(주) 남경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4 티티엠(주) 최유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5 (주)엠에스티 이동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6 영남기계 예인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7 신흥통상 서진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8 퓨쳐라이트주식회사 조성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9 씨에스앤피(주) 채준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0 반석정밀공업(주) 이승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1 (주)화신이앤비 선윤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2 주식회사 이엠넥스 최영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3 (주) 알엠테크 한문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4 세아씰텍(주) 김준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5 풍원상사 임미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6 (주)동양특수주강 이성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7 (주)비에스글로벌코리아 김윤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8 (주)벨룩스 박기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9 에이스팜홀딩스(주) 정영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78 - - 1070 동재오토테크(주) 이강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1 에스에스브이 주식회사 이광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2 원일 ENG 전영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3 (주)송산특수엘리베이터 김기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4 (주)동성 서길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5 (주)트레이드원상사 최혜령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6 태성정밀(주) 신순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7 (주)다원체어스 이규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8 대영전기(주) 백서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9 제일화학(주) 장동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0 수림산업(주) 오수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1 (주)동해기계항공 딘소에두와르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2 (주)현진테크 노종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3 (주)민진 기근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4 (주)네추럴에프앤피 문원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5 (주)비투케이 박성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6 신아솔루션코포레이션(주) 주윤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7 지덕산업 주식회사 정광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8 (주)파이프퀸 정경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9 (주)승창 박승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0 (주)지엔테크 이승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1 아이실리콘(주) 정서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2 (주)청우씨에프씨 한명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3 (주)코텍 황동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4 (주)씨리얼 김덕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5 (주)엔에스케미컬 김남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6 주식회사삼원에프앤씨 김한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7 대동산전주식회사 전해옥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8 주광TECH 주광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9 (주)에이치엠인터내셔날 송효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0 C&P 박경표, 박경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79 - - 1101 코젠코리아(주) 하교석, 코바야시요시아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2 아이씨이아이우방 주식회사 이정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3 (주)동신기계 박대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4 주식회사 알로드 이규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5 (주)제이앤씨 배천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6 (주)와우텍 이병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7 (주)두루셀텍 이준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8 (주)영일 이근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9 주식회사 엔텍에코뷰 최철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0 (주)솔라메이트 하창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1 (주)신진화학 문창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2 (주)농업과기술 안무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3 (주)영선알미늄 한영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4 바스코 주상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5 한국후지필터 주식회사 심일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6 (주)에스디케이 이동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7 에이치케이이엔지(주) 이민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8 유니테크 송치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9 (주)은창 박희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0 (주)HM금속 서홍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1 (주)현송 강희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2 싸토리우스코리아바이오텍(주) 김덕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3 (주)스타메드 신경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4 월드중공업(주) 손창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5 주식회사 유에이치텍 임지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6 비케이엔터프라이즈 김봉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7 (주)한성솔루텍 박병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8 (주)수연피엔제이시스템 국형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9 신아물산(주) 이우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0 (주)에스에이치이엔비 강선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80 - - 1131 (주)준코포레이션 정준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2 (주)윈하이텍 변천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3 (주)카르마코리아 조대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4 성광제약(주) 김동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5 (주)투에스글로벌 권순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6 (주)플로원 문철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7 컴박스테크놀러지 김철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8 (주)코렉스 이호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9 (주)한신인더스 박태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0 (주)모터월드 정석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1 비코즈트레이드(주) 이종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2 (주)에스엔에스에너지 김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3 호운상사(주) 김병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4 주식회사 와이에스티 고영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5 (주)탑프라 이승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6 (주)서도금속 이재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7 (주)우림 김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8 (주)스킨아리랑 임건화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9 (주)앤써 송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0 (주)대동티엘 강동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1 (주)지티지코리아 김태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2 황도영어조합법인 장민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3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양승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4 (주)에스더블유글로벌 박영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5 주식회사 만상 박경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6 (주)에스지인터내셔널 구상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7 (주)에스브이씨 이영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8 우리테크 양재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9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박승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0 (주)한일텍스타일머신 강시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1 (주)신한기공 김영모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81 - - 1162 안동무역주식회사 최휴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3 (주)코카즈 정승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4 (주)해우 여인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5 (주)세현전자 지문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6 (주)포라시아 이철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7 한국컴퓨터재생센터(주) 구자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8 (주)부성엔지니어링 김경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9 주식회사 태익 정선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0 (주)한국미농 허만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1 (주) 솔테크 최혜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2 이레엔지니어링 윤정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3 (주)현기아(hyunkia co., ltd) 김광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4 (주)에스앤에이치코퍼레이션 서상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5 (주)세기씨앤에프 노은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6 (주)한빛단조 박정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7 (주)뷰테크코리아 김선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8 (주)디앤씨툴 서상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9 (주)금진 김진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0 (주)브이원텍 김선중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1 (주)듀만 방병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2 (주)디엔컴퍼니 윤재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3 씨티지글로벌(주) 정진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4 주식회사제이엘티 심익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5 (주)라파스 정도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6 (주)유케이비 김진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7 캐이플러스 오용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8 (주)용호 정세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9 (주)센텍 이응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0 (주)인성정보 원종윤 중견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1 신성압착단자 김준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2 에스케이아이 이상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82 - - 1193 경진부로아(주) 문재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4 대원인물(주) 최도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5 (주)한진전자산업 오을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6 (주)그린오션상사 손근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7 (주)트리코스 박미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8 (주)현대포장 박찬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9 (주)지에이치에프 박지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0 (주)렉스틸 김영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1 화성시스텍 (주) 김주송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2 (주)엠엘지컴텍 홍석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3 (주)도담엠에스 조재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4 한국기연(주) 박종남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5 (주)노바렉스 권석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6 에스엠오토모티브 장일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7 크래프트코리아 차주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8 매일식품(주) 오무, 오상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9 칼무역 이정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0 신성식품주식회사 신노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1 (주)우림 진선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2 이에스트레이딩 (주) 정은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3 UNIQUE CORPORATION Tassawar H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4 위더스코퍼레이션 김용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5 (주)이츠디스플레이 김남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6 (주)위캔글로벌 김준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7 제이산타피아 하갑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8 신영중전기(주) 김영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9 에스티제이슨(주) 박희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0 케이제이알로이(주) 김찬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1 주식회사 젝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문선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2 (주)라코 엄주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3 주식회사 명성 최용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83 - - 1224 (주)코닉스 윤정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5 (주)인스킨 권순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6 주식회사 부삼 김재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7 (주)옥서스 이태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8 (주)남창 남주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9 모비딕메로(주) 신상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0 주식회사 인선 강석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1 (주)글로벌텍 이원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2 (주)헤드라인 이호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3 (주)립멘 서윤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4 (주)엠티지 김동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5 (주)에스엔디파워닉스 최승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6 (주)에치디에스 김주흥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7 아바스트레이딩 ABBAS KHAN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8 (주)에픽시스템즈 이완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9 (주)우신모터스 조종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0 유승플랜트(주) 조현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1 (주)보성물산 고안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2 (주)에스비엔티 정태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3 (주)케이엔비코퍼레이션 이기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4 (주)대우전선 이영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5 (주)한동 이원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6 21세기메디칼(주) 신미향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7 한라 INC(주) 김동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8 경성인물 윤병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9 엠도글로벌(주) 장동슈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0 케어캠프(주) 김창현 대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1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박상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2 (주)신농 신광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3 (주)태성케이텍 김용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4 유일정공(주) 함강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84 - - 1255 코프마코리아(주) 염규승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6 미로브러쉬 최중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7 대진기계 곽노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8 (주) 애니룩스 고예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9 (주)대황 김향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0 (주)케미렉스 박진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1 (주)우성앤에프 배병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2 (주)청하기계 정석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3 (주)나비스트 안남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4 농업회사법인 (주)세화농산 송달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5 주식회사에이피피 강방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6 (주)엔에스브이 윤은중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7 (주)한성씨알에스 박태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8 (주)한길밸브 문성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9 (주) 우수컨버팅 김한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0 (주)우성금속 임종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1 성광기업(주) 최병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2 (주)에너테크 박훈양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3 (주)삼창 유철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4 서림수산 진석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5 제이앤제이(주) 정윤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6 현대공조(주) 남기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7 주식회사 에스엔피 박태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8 주식회사 세림물산 고종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9 주식회사 가나아이앤티 이상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0 (주)영풍씨엠씨 김달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1 페이웨이(주) 곽정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2 하이텍코리아 주식회사 배종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3 (주) 로보로보 장창남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4 (주)울타리 김영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5 (주)디에이케이코리아 안동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85 - - 1286 주식회사신흥기계 박정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7 (주)그린트레이딩코리아 최종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8 카이로 정춘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9 주식회사 티엔비트레이딩 최정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0 휴먼스화공(주) 송민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1 경인전자산업 이해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2 정수금속 강정남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3 티에스티(주) 고봉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4 (주)비비테크 성열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5 넥스트주식회사 신호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6 (주)한성비씨씨 정영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7 (주)로고스바이오시스템스 정연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8 주식회사 나노시스템 이형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9 (유) GEO코포레이션 권병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0 대하테크원(주) 황철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1 주식회사 지씨이 김윤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2 와이스틸(주) 정현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3 (주)윈하우스 곽재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4 (주)그린산업 조병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5 케스트다이아몬드(주) 민경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6 주식회사 제논 김한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7 동원정밀 정태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8 폰시스템(주) 최현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9 (주)티엠티엔지니어링 장세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0 오로라코리아주식회사 홍순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1 S. M TECH 전인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2 주식회사 에이스나노켐 이종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3 삼일식품(주) 전영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4 (주)케미랜드 이범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5 주)현민인터내셔날 지용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6 프로미스 주식회사 정문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86 - - 1317 신진메딕스(주) 이관행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8 영신열기공업(주) 이상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9 (주)디케이엠 김영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0 (주)드림텍 김홍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1 이큐맥슨제약(주) 김리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2 (주)이엘통상 최대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3 (주)디에스피 이삼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4 (주)삼원기연 최상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5 미정데코 이제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6 (주)피스코 김호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7 주식회사 드림티엔에스 주현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8 (주)디오시스엠엔엠 이동채외 1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9 정일정밀 정현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0 태멘테크 임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1 (주)유나켐상사 전재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2 (주)씨엠테크 김현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3 (주)모빅스 이인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4 동아소노텍(주) 장경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5 (주)상륜 김승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6 황도 김진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7 (주)신성테크놀로지 한형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8 (주)지엠피쥬얼리 정인환, 이상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9 리주월드 박인령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0 (주)한성냉열 정동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1 (주)에이치케이 이재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2 주식회사 에이치디 팩 임광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3 (주)위자드랩 정영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4 (주)오토시스 강성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5 삼원플라텍(주) 이나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6 (주)소야그린텍 박재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7 (주)링크무역 유가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87 - - 1348 디젤파트너스코리아 김봉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9 엠트리 주식회사 박세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0 (주)서로푸드 이윤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1 신광정보통신(주) 김종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2 피엠에스 배영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3 (주)글로벌푸드 허남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4 (주)케이디랩 이규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5 성경식품 이경수 외1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6 (주)맑은산 이재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7 (주)SY 이노베이션 조승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8 우진인터내셔날 구우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9 양산기공(주) 이문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0 (주)코라 장상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1 (주)성도엠씨 김교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2 (주)진원메디칼 김병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3 (주) DH전장 최윤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4 (주)디에이치아이 이태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5 (주)이엠에스 박남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6 지성전기공업사 김지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7 가이아인터내셔널 박정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8 율산기업 박재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9 동서기공 이태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0 (주)국제이엔지 김홍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1 (주)에스엔비지티 최신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2 (주)마코시스 박헌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3 (주)유창공조산업 유창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4 (주)헬스원 한상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5 (주)서울엔지니어링 박승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6 (주)영남메탈 김상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7 태경식품 이성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8 주식회사 네오크레마 김재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88 - - 1379 (주)태흥 주두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0 (주)케미즈 김성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1 (주)위마인터내셔널 장석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2 덕양폐차산업(주) 고화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3 (주)한특모터스 정봉화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4 (주)한얼싸이언스 심봉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5 (주)선인 이효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6 (주)리노아이엔티 김동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7 주식회사 진우정공 이영섭, 이원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8 (주)태극이엔텍 윤희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9 유일몰드텍(주) 유제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0 (주)정민통상 정준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1 제논전장(주) 김웅일, 조영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2 (주)그린환경 유재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3 구오기업 김한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4 (주)참케어 이동화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5 (주)큐알온텍 김종옥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6 주식회사 포켄스 구본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7 금영수산 조찬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8 수광산업(주) 이준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9 (주)매직픽스 임송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0 태성정공(주) 이기송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1 (주)성우산업 성창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2 (주) 유엠즈 조재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3 콤비 최승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4 (유)정원산업기계 장선옥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5 (주)비씨엘 권인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6 디젤서비스코리아 노영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7 데코마린 조정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8 삼일변압기(주) 안용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9 메디멕스코리아 최영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89 - - 1410 주)프리모오토모티브 노흥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1 (주)정광기업 윤순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2 금강티에스(주) 서상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3 피스인터내셔널 장대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4 인터아시아 주성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5 (주)앤에프인터네셔널 박은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6 신안통상 주민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7 (주)이노셈코리아 최운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8 (주)마크로인그레디언트 심우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9 (주)이원켐텍 유창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0 (주)반석에스티씨 김위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1 제일 E.P.S. 금형 유영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2 현대 HEESPA 김근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3 쇼오에이물산 민영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4 (주)에이엠티솔루션 유원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5 (주)피케이엘앤에스 박성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6 (주)다윈프릭션 조정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7 (주)지맥스 송영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8 제일엠텍(주) 김해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9 용마산업 (주) 김철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0 (주)코리아후지팩킹 이종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1 (주)동원고려인삼 김수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2 (주)럭스랜드 김효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3 실텍트레이딩 상재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4 윈윈체어마이스터코리아(주) 전재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5 하나조침 변용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6 디지피티앤아이(주) 박태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7 (주)엠투아이코퍼레이션 김정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8 태극엔지니어링 김학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9 (주) 카파아이엔티 손삼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0 화인코(주) 임건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90 - - 1441 주식회사 동동수산 이제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2 (주)한스마린 한봉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3 (주)디아이씨 이현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4 코리아트(KoreArt) 김성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5 (주)테일러팜스 장기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6 삼일제약(주) 허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7 (주)디엠라이트 김동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8 미래기술 김시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9 신강수산영어조합법인 임수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0 에이엠코퍼레이션 은상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1 화성세탁기 고창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2 유한실버 이주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3 대일몰드텍(주) 김낙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4 (주)아이니 김미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5 메닉스 박명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6 (주)제이티 김종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7 (주)스카이상사 김태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8 (주)카펠로스카이 이동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9 사우스폴 코퍼레이션 김경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0 (주)코리아아이엔디 강현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1 삼일산업 조형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2 (주)서일 채양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3 (주)웨이퍼펩 남성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4 케이엠제이 주식회사 최희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5 (주)디지털후로 방극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6 주식회사화인글로벌 김영모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7 (주)글로벌엔지니어링 신건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8 마음코퍼레이션 김윤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9 미래SMT 하영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0 (주)신화코스메틱 김상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1 (주)남양냉동식품 이금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91 - - 1472 교촌에프앤비(주) 권원강 중견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3 대한사료(주) 이상민 중견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4 대동고려삼(주) 최성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5 (주) 아이펙 강승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6 (주)비락 최성기 중견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7 (주)장자동화 김미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8 아이케이지코리아 김인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9 (주)오토마 김은광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80 (주)보스킨 장태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81 케이투레이저시스템(주) 김명수, 김영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 92 - - Ⅲ. 주요수상자 공적내용 - 93 - - 정부포상 수상자 공적내용 - 94 - - 1. 한상범(韓相範) 금탑산업훈장/ 엘지디스플레이주식회사 사장 수출품목 : LCD. 반도체 수출실적 : 1,663,393만불(전년대비 -7%감소) 담 당 자 : 박미나(( 02-3777-1984) 공적내용 상기인은 32년이상 IT핵심 부품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계에 종사하며 제품 및 장비 개발, 생산 공정, 영업/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를 모두 경험한 IT업계 최고의 전문가로, 볼모지였던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세계 1위로 성장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 으며 또한 현장에 소통을 더한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LG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분야 에서 확실한 글로벌 일등기업으로 자기매김하는데 공헌하였음 상기인은 2000년 초반 LG반도체에서 공정기술개발그룹을 이끌고 있던 당시 샤프 도시 바 히타치 마쓰시타 등 주요 일본 기업들이 10년이상 앞서가고 있던 LCD시장에 구원 투수로 투입되어 제품의 기술과 생산을 총괄하는 생산기술센터장, 패널센터장등을 역 임하며 FPR3D, Oxide TFT를 적용한 WRGB OLED 등 디스플레이 분야 첨단 제품개 발과 해외에 의존하던 주요 핵심장비들의 국산화를 위해 기여하였음 엔지니어 출신의 CEO로 제품의 기술개발부터 고객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전분야를 두 루 섭렵한 전문가로서 95년 사업시작 당시 매출액 15억원 수준의 LG디스플레이가 2013 년 27조 330억원의 매출액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2012년 1월 CEO취임 이후 디스플레이업계에서 전무후무한 9분기 연속 흑자행진이라는 성공신화를 만들어냄 또한 CEO로서 매년 약 3~4조원의 과감한 시설투자와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우수 R&D 인재채용, 그리고 협력사의 경쟁력이 곧 우리의 경쟁력이라는 신념을 바탕 으로 협력사와 공동개발을 통한 장비 국산화, 협력사에 생산력 극대화 기술 및 경영기 법 전수, 자금지원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협력사들과의 동반성장 문화 확산에 앞장서 고 있음 - 95 - - 2. 허진수(許進秀) 금탑산업훈장/ 지에스칼텍스(주) 부회장 수출품목 : 석유 에너지수급 및 에너지 소외계층 지원, 수입선 다변화와 대규모 투자로 석유산업 발전 과 무역수지 개선을 통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담 당 자 : 김명곤(( 02-2005-6563)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6년 입사하여 29년째 지에스칼텍스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국제금융, 소매, 방향족 영업 및 중국지역 근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음. 이후 2001년 경영전략본부장, 2005년 생산본부장을 역임했으며, 2009년 석유화학사업본부장 겸 경영지원본부장을 거쳐 2012년 정유영업본부 및 경영지원본부를 총괄하였음. 이후 2013년에는 대표이사로 선임된 이후로는 품질향상 및 기술개발, 시설경쟁력 제고 등을 통하여 국제시장에서높은 수출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함 석유제품을 국내 최대 수출 주력품목으로 육성하는데 기여함. 세계적 수준의 시설경쟁 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수출증대를 추진한 결과, 지에서칼텍스는 `2011년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정유업계 최초 200억불을 수상한데 이어 다음해인 2012년에는 무역최고 등 위인 250억불 수출탑을 수상하는데 기여함 석유제품 수출지역 다변화, 세계최고 수준의 기술과 제품의 품질은 자유무역협정 (FTA) 등 시장상황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며 수출지역 다변화 전략과 도전적인 해외영업활동을 전개할 수 잇는 발판이 마련하였으며, 그 결과 현재 50여개국에 석유 제품을 수출하고 있음. 특히 중국, 호주 등거대한 소비시장이 밀집된 역내 아시아태평 양 지역으로의 수출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동시에, 수출지역 다변화 차원에서 필리 핀과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가 및북미남미 유럽 및아프리카 등 역외수출을 적극적으 로 확대하는데 기여함 협력사와의 동반자적 관계를 바탕으로 상호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공정거 래 4대 가이드라인 운영, 결제대금 현금지급, 납품단가 조정, 협력사 지원 등와 같은 협력사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다양한 상생협력활동들을 실행하고 있음 - 96 - - 3. 조순태(趙淳泰) 금탑산업훈장/ (주) 녹십자 사장 수출품목 :백신 수출실적 : 16,707만불(전년대비 73%증가) 담 당 자 : 조재훈(( 031-260-9236) 공적내용 상기인은 81년 12월 녹십자 공채 신입사원으로 입사, 탁월한 업무수행 능력을 인정받 아 98년 영업본부장의 직책을 맡으며 녹십자 영업부문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였고 98년 3월 상무로 승진한 뒤 부사장을 거쳐 2010년이후 녹십자 사장으로서 대표이사직 을 역임 중 연구개발 중심 경영을 통해 백신과혈액제제뿐만 아니라희귀질환 치료제 등 국민건강에꼭필요한 신약개발에 앞장서며 국가보건에 기여함 녹십자는 지난 1983년에 세계 세번째 B형간형 백신 개발 성공을 시작으로 1988년 세 계 치초 신증출혈열 백신, 1993년 세계 두 번째 수두백신, 2009년 국내 최초로 독감백 신 및 신종플루백신을 개발하며 보건안보에 앞장서고 있음. 세계적인 혈액분획제제 및 유전자재조합제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세 번쨰 유전자재조합 혈우병A치료제인 ` 그린진 에프`를 개발했으며, 세계 두 번째로 희귀질환인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 에 개발에 성공한 바 있음 특히 세계적인 독점을 깨고 지난 2012년 출시 `헌터라제`는 유사한 기전의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고가의약품의 국 산화에 따른 국가 보험재정에 기여하고 있음. 또한, 이 질환 치료제의 선택권 확보 및 안정적인 공급을 통한삶의질 향상에 기여함 현재 전세계 약 50여개국에 생학적 제제(백신, 핵액제제)를 수출하고 있으며, 2013년 7 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전년대비 약 74%성장한 16,753만불을 수출하여 대한민국 의약 품 수출증진에 기여하였음. 또한 2009년 국내 최초 계절 독감을 개발하여 이를 필두로 13년 말 범미보건기구의 의약품입찰에서 수두백신 1천 7백만달러 규모의 입찰 전량을 수주하는 등백신수출을 확대하여 국가 의약산업 발전에 기여함 - 97 - - 4. 양진석(梁珍錫) 금탑산업훈장/ (주)호원 대표이사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21,065만불(전년대비 66%증가) 담 당 자 : 김용근(( 062-944-8311) 공적내용 상기인은 1992년 12월 광주광역시에 자동차 차체 부품 전문기업을 설립하여 수차례에 걸친 유상증자 및 외부투자자의 자본 참여 등으로 13년 말 자본금 138억이며, 끊임없 는 기술 개발 및 품질 향상, 시설투자 등을 통하여 국내 최고 수준의 자동차 차체부품 업체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호원은 꾸준한 성장과 매출처 다각화를 통해 터키공장은 2011년 2천1백만불에서 2013 년 3천3백만불로 매출규모가 크게 신장되었고, 향후 1년이내인 2015년에는 1억5백만불 의 매출 물량이 확보되어 초기 해외진출 이후 5배이상의 괄목할 만한 성장실적이예상 되어 지며, 국내공장 수출 물량증대로 이어져 2011년 26백만불, 2012년 28백만불, 2013 65백만불 규모의직수출 수출실적을 달성하는 등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상기인은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시행하여 자동차 제조와 관련된 11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지속적으로 특허출원 2건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투자와 품질향상, 신시장 개척 등을 통해 품질 및 기 술 경쟁력을 발판에 힘입어 현대기아자동차 협력업체 품질 평가지수에서 업체 최고등 급인 품질 5스타 인증을획득하여 산업발전에 기여함 상기인은 2007년 지역적인 매출 한계를 극복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통한 글로벌 부품 수출확대 및 미래성장 신 동력 확보를 목표로 하여 터키를 중심으로 한 유럽시장에 진 출함에 기여함. 또한 2013년 5월 한-터키간 FTA가 본격 발효됨에 따라 터키시장에 세 계 유수의 글로벌 자동차 MARER에 부품공급을 할 수 있는 중장기 글로벌 경쟁력을 구축함과 동시에 해외 신시장 진출을 통해 초기 시장을 선점함으로써 자동차 부품 수 출 다각화와 수입대체효과를 크게거둘 수 있을거라예상되어짐 - 98 - - 5. 강신영 (姜信英) 금탑산업훈장/ (주)흥아기연 대표이사 수출품목 :포장기계 수출실적 : 31,160(전년대비 120%증가) 담 당 자 : 전호일(( 032-680-7510) 공적내용 상기인은 1970년 12월 1일 창업후 1981년 7월 흥아기계을 설립하여 자동성형접착포장 기제조업을 시작하였고, 1984년 국내시장 1위는 물론, 1992년 (주)흥아기연으로 법인전 환하여 1998년 10월 한국포장기계협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할 당시 매출대비 수출 56% 비중으로 두각을 보였으며, 2세대 승계로 2002년 대표이사로 취임하여 투명한 기업을 강조한 바 2004년 납세자의날 철탑산업훈장을받은 이후 몇차례 성실납세관련 수상실 적이 있음 2012년 3월 경기도 산업혁신클러스터 협의회 연합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 재포장기계 업계 세계 5위의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여 70%이상 수출기업임 상기인은 2007년 실적이 전무하였던 중국시장의 경우 현지 밀착접근을 통해 현재 100 억이상 하는시장으로 성장시켰음. 독일, 이탈리아의 경쟁업체들이 독식하였던 중국시장 을 국내의 우수제품을 바탕으로 중국시장을 분석하여, 현지에서 고객과 소통하고 업체 의 요구를 신속히 반영하여 중국시장에서 회사의활로는 넓히고 입지를굳혀 시장점유 율을 60%이상 끌어올리는효과를 가져와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함 중남미시장 또한 제약생산기계 수출은 전무한 미개척 지역으로 수출자체가 없었던 불 모지나 다름없었으나, 이러한 시장이 진정한 상권이 될 수 있다고 판단, 수출을 크게 확대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고 현지 관련업체에 대해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접촉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기 시작하여, 생산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우수성 을 알리고 관심을 유도하는 방법 등으로 1년여이상의 시간과 노력을 들여 수출 불모지 였던 중남미 시장에서 멕시코에 Bliste line 10여대를 팔아 한국 포장기계에 대한 우수 성을알리는 등 지속적으로 시장 확대하는데 기여함 - 99 - - 6. 장인환(張仁煥) 은탑산업훈장/ (주) 포스코 대표이사 부사장 수출품목 : 철강 수출실적 : 1,109,252만불(전년대비 -4%감소) 담 당 자 : 오상원(( 02-3457-0717)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1년 포항종합제철소에 입사하여 88년부터~93년까지 도쿄지점 주재원으로 근무하면서 일본 후지우라 물류센터 설립에 기여, 일본 철강회사의 선진 물류기법을 벤치마킹하여 일본내 철강제품 판매 기반을 확대하는데 기여하였으며, 98~01년도에는 방콩사무소장으로 근무하면서 동남아 최초 철강제품 가공센터 POSCO-TBPC 설립을 지원하였음. `01~06년도까지 자동차가전 수출 팀장/실장으로 근무, 06년부터 09년까지 냉연마케팅 담당임원으로 근무하였으며, 이 기간동안 해외 가공센터에 투자를 본격화함. 2013년부 터는 탄소강사업본부/철강사업본부 대표이사 부사장으로 취임하게 되면서 생산조직인 양 제철소와 판매조직인 마케팅본부를 하나의 부문으로 개편하여 생산과 판매가 유기 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고객사에 더 나은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 제공을 하였음 안정적인 고수익 판매 인프라 강화를 위한 생산법인 및 가공센터을 구축하여 `08년 10 개국 26개사에서 `14년 15개국 46개사로 확장되었음. 또한 중국, 베트남 브라질, 인도 등 해외 성장시장 선점을 위해 로컬 철강사와 전략적 제휴 및합작투자를 실시하였음. 성장성이 우수한 7대 전략산업향 판매확대를 통한 국내 주요 수요산업의 수출 경쟁력 을 강화하도록 노력한 결과 판매량이 `13년 1,631만톤에서 `14년 1,758만톤으로 늘어남. 또한 기술수익성 기반 World Premium 판매 확대로 차별화 경쟁력 강화시켜 판매량 `08년 1,615톤에서`14년 10,161천톤으로 확대됨. 그 결과 경쟁밑 대비 우수한 제품 기술력을 기반으로 가격 경쟁력을 갖춘 제품으로서 국내 고객사 제품이 해외시장에서의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국가경제발전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함 - 100 - - 7. 김경배(金京培) 은탑산업훈장/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수출품목 :물류 해운업, 트레이딩, 선박사업 분야에 종사하면서 물류영역 확대를 통하여 새로운 수출 성장 동력을 마련하여 40억불의 수출을 달성하는 등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담 당 자 : 김병윤(( 02-2054-8241) 공적내용 상기인은 1990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졸업하고, 현대건설, 현대모비스, 현대자동차 그 리고 현재 글로비스에 이르기까지 총 24년 8개월의 근무경력을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력을 통해 쌓은 경영 전반엔 걸친 실무능력, 국제시장 정세 및 흐름에 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의 수출확대와 해외시장 진출에 역량을 발휘하였음. 상기인은 2009년 대표이사로 부임한 이후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의 수출실적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듭 2010년 14,072만불, 2011년 21,848만불, 2012년 30,476만불, 2013년 40,657만불을 달성하였음. KD부품 수출, 트레이딩, 완성차 및 화물 해상운송 사업을 통 해 2000년대 후반부터 불어 닥친 세계 경제의 불황에도 매년 10억불이상 수출실적을 증대시켜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으로의 기반을 다지는데 기여함. 전주KD센터 구축을 통해 터키 칼산 및 중국 사천지역의 자동차KD부품공급을 확대하 는 등KD사업을 통해 발주에서포장, 운송은물론 현지에서의내륙운송 및보관, JIT 납입 등 KD물류에 대한 종합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현지 공장생산성 향상에 기여, 아 울러 중국, 인도 등 해외 부품 협력사로부터 부품을 수급하여 세계 각지 공장에 공급 하는 글로벌 소싱의 도입을 통해 해외 현지공장의 원가 경쟁력증대에 기여함 상기인의 노력으로 해외에 총 23개 해외법인은 2013년에 해외 현지 매출 25억 4,331만 불(약 2조 7,850억원)을 달성하였고, 2014년 상반기에는 13억 6,177만불(약 1조 4,296억 원)을 달성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북경 현대차 공장의 완성차 판매를 위해 북경 중도 글로비스 사업을 개시하였고, 유럽 브레머하펜 사무소를 설립하여 수출입 화물을 직접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 으며, 사천글로비스 합자계약을 체결, 멕시코법인 설립 등 지속적으로 해외 시장 확대 에 기여함 - 101 - - 8. 강문철(姜文喆) 은탑산업훈장/ (주)일진 대표이사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수출실적 : 11,637만불(전년대비 26%증가) 담 당 자 : 차재우(( 054-770-7412) 공적내용 상기인은 39년간 자동차 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30여년을 현대 기아 자동차의 구매 부서에서 근무하면서 새로운 부품업체의 발굴과 해외업체와의 기술제휴 지원을 통한 기술 자립기반 구축, 부품국산화를 통한 원가절감과 외화낭비의 방지, 부품업체의 해외 진출지원 등에 기여, 2007년 일진 대표이사로 부임하여 고객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지속 적인 신시장, 신제품 개발결과 국내 샤시부품 점유율(70%)1위 업체로 도약하는데 기여 함 일진은 1997년에 인도법인을 설립을 시작으로 2002년 중국 북경법인, 2005년 유럽 슬 로바키아법인, 2012년 중국 염성법인 및 미국 그리어 공장을 설립하여 세계 각국에 수 출하고 있음. CABJ아이템은 세계 최초로 개발된 기술로 그 기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1월 제 52주차 장영실상을 수상하였음 신시장, 신제품 개발에 노력한 결과 2011년 매 출 1,843억원, 2012년 2,023억원, 2013년 2,185억원을 기록하여 지속 성장 중임. 해외법인 은 2013년 매출기준북경일진, 3,389억원, 일진인도 1,289억원, 일진슬로바키아 1,778억원, 일진미국 118억원 매출을올려㈜일진을포함하여 총 8,759억원의 매출을 달성함. 2013년에는 Chlysler사. TATA사 및 GM사에 Ball Joint, Door Checker, CABJ 제품을 295억원을 수주하였고, 4월에는 물류 자동창고를 신축하여 제조공간을 확보하고, 창고 운영 전사시스템을 도입하여 선입선출 및 적정재고를 실시간으로운영함 또한 매년 매출액의 5%이상을 지속적으로 설비 투자하여 전공정 자동화를 구축하고 생산성 향상 뿐만 아니라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환경 오염물질을 감소시켜 녹색경영 실현함 - 102 - - 9. 김홍규(金洪圭) 은탑산업훈장/ (주) 에스 에이치 팩 상무 수출품목 :건설기계장비 수출실적 : 5,524만불(전년대비 79%증가) 담 당 자 : 조명제(( 051-831-3838)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5년 2월 공업용 크롬 도금품을 수주 생산하는 신흥멕기공업사에 입사하여 자동차 현가장치의 Shock Absorber 용 피스톤로드 생산을 시작으로 일본의 Fuji크롬 과 기술제휴로 다각적으로 노력한 결과 상공부로부터 자동차 부품계열화에 지정되었 고, 87년에 수출지게차 및 중장비용 유압실린더 로드 및 특장차용 실린더 Ass`y 개발 생산으로 매출 신장을 이루었고 2001년에는 부산소재 녹산 국가 산업단지내 녹산공장 으로 신축 이전하여 실린더 제조전문공장으로서 토대를 마련하는데 일조를 하였으며 전사적자원관리(ERP)를 개발, 도입하여 현재까지 유지 관리하고 있으며 2013년 SCM 등을 추가 개발하여 제품생산에 기여함. 에스에이치팩은 일본에 한정하여 수출하였으나 2006년말 미국수출을 필두로 2014년 현 재 미국, 일본, 유럽, 중국 등 세계각지에 수출을 하고 있으며, 수출규모도 2009년 5백 만불, 2012년 1800만불, 2013년 3000만불, 2014년 5500만불의 실적을 달성하는데 생산, 구매자재, 전산, 개발 등에서 수장 또는 일원으로서 최선을 다하여 좋은결과를 도출하 여 양질의 제품을 수출함으로써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상기인은 2006년말 미국수출을 하기위해 구매자재팀의 임원으로서 양질의 제품을 적기 에 납품하기 위해 협력사들에 대한 지원 및 관리를 체계화하였고, 수입원자재의 국산 화에도 열정을 가지고 임하여 소정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2008년 생산임원을 맡으면서 생산라인을 소형, 중형, 대형라인으로 분리하여 잡체인지를 보다 수월하게 했으며, 별 도의 수출라인을 구성하여수출전선에 이실린더를 개발하여건설장비 세계 1위업체인캐 타필라 및JLG,ALTEC 등의 세계 유수의건설장비업체 수출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함. - 103 - - 10. 이재형(李在亨) 은탑산업훈장/ (주) 대주기계 대표이사 수출품목 : 압축공기청정시스템부문 수출실적 : 4,490만불(전년대비 98%증가) 담 당 자 : 김준섭(( 053-601-7012)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7년 Compressor 및 관련 장비를 전문으로 하는 (주)대주기계를 설립하였 고,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매출을 바탕으로 1996년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으며, 현재 국내외 압축공기청정시스템부문 부동의 1위 기업으로 성장시켜왔음. 공장 자동화 설비 와 각종 공정에 필수 동력원인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Air Compressor와 Air Cleening System을 제공하고 있으며, 맞춤형 용량 제어 시스템 공급을 통해 국내외 유수 기업의 제품 경쟁력 제고, 생산성 향상 및 비용절감에 기여함 대주기계의 주력 제품인 압축공기청정시스템(CDA System)분야에서 국내시장 약 35%, 세계시장 약 6%정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상기인은 이에 그치지 않고 해외시 장개척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2013년 기준 매출액 560억원에 수출액은 420억으로 해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75%에 달해 외화획득에 기여함 또한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여 기술경쟁력을 확보 및 강화에 주력하였음. 기술 개발의 노력은 고객사의 생산성 향상과 에너지 사용절감 기여로 나타났고, 에너지 사 용절감을 통해 국가 산업 발전에도 기여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음 LG디스플레이의 경우 CDA System을 공급하여 3%이상의 수율 향상을 통한 월 450억원, 무중단 가동 을 실현함으로써 월 17억원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달성함과 동시에 질소가스 사용량 70%를 개선하여 월 51억원의 운영비 절감을 달성하였음. 또한 특허 등록 33건, 실용신 안 등록 3건 및 해외특허 출원 1건을포함하여 총 11건의특허를 출원 중에 있음. 기술개발과 해외시장 개척활동을 바탕으로 전년대비 22,593천불에서 44,900천불 99%신 장세보였으며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 104 - - 11. 권영길(權英吉) 동탑산업훈장/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상무 수출품목 : 반도체 수출실적 : 1,262,493만불(전년대비 31%증가) 담 당 자 : 김세형(( 02-3459-5428) 공적내용 상기인은 SK하이닉스에 28년 1개월 재직기간 동안 줄곧 반도체 수출업무에 종사하면 서 반도체수출증대에 기여한 바가 크고특히 08년 ~ 12년 상해법인 법인장 역임 13년~ 현재 대만법인 법인장으로서 중화권 수출 확대에노력하여 국가수출 증대와 산업 발전 에 기여하였음 세계 IT 시장의 중심이 된 중화권의 주요 IT고객인 Lenovo, Huawel Asuss, Acer HTC 및 모바일 신흥 기업 등의 고객 담당 및 기술 지원 등을 통해 고객별 특성 및 시장트랜드를 사전에파악 Timeto Market 전략으로 고객과의 사업관계뿐만 아니라 동반 협업 관계로 발전을 꾀하여 13년도 전체매출은 12년 29억불 대비48% 성장한 44 억불을 달성하였음 또한 스마트폰 출시로메모리 시장의 주요 구매 수요가 PC에서Mobile DRAM으로 전 환되어 이에 기존 PC 메모리에 치중된 산업을 Mobile 및 NAND 응용복합제품으로 확 대를 추진하였음 연간 eMMC 매출 6억불 달성에 기여 14년초 대만지역 최초 128GB SSD제품 판매 CIS 제품 판매 전략으로 12년 2천 4백만불이던 매출을 13년 4천 9백만 불로 확대 기여하였음 세계적인 PC OEM인 Asus Acer와의 전략적 공급 계약 체결 등을 통한 No.1 메모리 공급업체로 자리를 공고히 했으며Nand 응용제품 판매 확대로 당사 전략 추진중 Asus 와의 2013년 3억 5천만불 매출 달성하였고 Mobile DRAM 및 Nand Flash 판매 비중을 11년 4%에서 14년 39%수준까지 확대하였음 상기인은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사회 공헌활동 유도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 역사회 기여 및 현지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한국 기업 문화 전파 및 현지화 정착에 크 게 공헌하였음. - 105 - - 12. 조재용(趙宰庸) 동탑산업훈장/ 대산엠엠에이 주식회사 대표이사 수출품목 : 석유화학 수출실적 : 27,693만불(전년대비 75%증가) 담 당 자 : 김경림(( 02-840-0911) 공적내용 상기인은 89년 현대석유화학에 입사하여 98년부터 중국 상해에 근무하면서 중국 시장 개척에 앞장섰으며, 현대석유화학이 호남석유화학에 인수된 이후에도 중국 가흥/상해 등에서 총 경리를 역임하며 2013년까지 약 15년간 석유화학 제품의 중국 판매 확장에 최전선에서 진두지휘 하였음. 이후 14년 대산 MMA의 대표이사로 역임하며 영업활동 에 주력하여 수출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과 향상을 위해힘쓰고 있음 대산 MMA의 주 제품인 MMA, MAA, PMMA, HEMA 등은 TV LCD, LED의 도광 판의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HEMA의 경우 국내 사용량의 100% 모두 수입 에 의존하던 것을 대산 MMA제품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13년 기준 수입에 대한 국내 수요를 대체한 금액은 2655억원임. 또한 대산 MMA의 PMMA 제품은 고도기술 세액감면을 받을 정도로 높은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으며, 이러한 높은 기술력을 통해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요한 원료 공 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지속적인 가격절감을 통해 LED TV의보급화에큰 공헌을 하였음 대산 MMA에 부임이후 가장 큰 수출처인 중국 거래처와의 관계를 돈독히 하고 고객 과 밀접한 관계를 이끌어 왔고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대산 MMA는 국내 수요저하에 도 불구하고 대외 수출을 통해 성장동력을찾을 수 있었음 이로 인해안정적이고 지속 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11년 수출액은 610억원 12년 수출액은 875억원 13년에는 1945억으로서 매우 가파른 신장세를보여 외화획득에 이바지함 - 106 - - 13. 김영환(金榮煥) 동탑산업훈장/ 현대제철주식회사 부사장 수출품목 : 철강 수출실적 : 428,626만불(전년대비 42%증가) 담 당 자 :황보배(( 02-3464-6206)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4년 현대제철에 입사해 30년동안 해외 수출업무에 종사하면서 현대제철의 수출 확대와 해외 시장개척의 기반을 다졌고, 그 결과 회사가 명실상부한 세계 1위의 H형강 수출업체로 성장하는데 기여하였음. 국내 철강 경기의 부진으로 위기에 봉착했 을 때마다 상기인은 해외 시장개척을 위해 노력한 결과 87년 H형강 공장 증설과 수출 확대, 90년 스테인레스공장 신설과 시장 개척으로 한국산 스테인레스에 대한 위상 제 고, 98년 IMF 당시 중화권 등 신흥시장 확보, 07년 이후 열연, 후판 등 신제품 수출 시장 개척 등에 기여함 87년 H형강 공장 신설 이후 수출담당으로 재직하면서 볼모지였던 H형강 해외시장을 국내 최초로 개척하였고 그결과H형강 세계 수출 1위, 연간 38개국을 대상으로 120만 톤 수출이라는 성과를 달성하였음. 특히 신규격 개발을 통한 시장 주도형 수출로 전세 계 철강업체 중 최고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였고, INCH H형강을 개발하여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시장에 신규 진입했고, 일본산 제품이 독점하고 있던 동남아 시장을 개척하는데 기여함 90년도에 스테인리스 냉연공장 건설에 맞춰 수출담당으로서 중국, 터키, 유럽 등 신시 장을 개척하였고 특히 중국, 터키 등 스테인레스 불모지 개척에 전력투구해 전체 생산 량의 30%이상을 수출하는데 성과를 달성하였음 이로 인해 그동안 일본산 중심인 해외 시장에서 한국산 스테인레스를 전 세계를알리고 위상을높이는데 기여함 상기인은 6개의 철강제품을 세계일류상품 반열에올려놓았으며, 이중 H형강은 세계수 출 1위라는 결과를 달성하였음. 세계일류상품 및 신시장 개척을 통하여 10여년 만에 800%성장한 40억불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 107 - - 14. 인귀승(印貴承) 동탑산업훈장/ (주) 코다코 대표이사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10,787만불(전년대비 39%증가) 담 당 자 : 오상호(( 041-411-3145) 공적내용 상기인은 고등학교를 졸업 후, 대림자동차공업(주), 한국컴퓨터와 동양노즐공업에 재직 하다가 1997년에 자동차 부품을 만드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회사인 (주)협성다이캐스 팅을 설립하였으며, 2000년에 (주)코다코로 변경함과 동시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 음. 회사 창립 초기에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을 이용한 자동차 소재부품 생산에 주력하여 Value Body, Ball/Roller 알루미늄 베어링 하우징, 다오차용 연로제어장치인 Solenoid 하우징 등을 개발하여 자동차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 였으며, 세계적인 자동차회사인인 미국의 Chrysler, Ford, GM의 자동차 부품을 생산, 공급하는 Borg Warner Automotive외에 다수의 국내외 고객에 수출하는 자동차부품 전문회사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국내 최초로 듀얼클러치트랜스미션 일체형 밸브바디 및 액츄에이터 바디를 개발하여 FIAAT에 공급하는 성과를 실현해 대내외적으로 기술력을 인정, 다종 부품을 한 개의 부품으로 모듈화하는 핵심기술 국산화에 성공하여 연간 60억원이상의 수입대체 효과를 달성하였을뿐만 아니라 동력전달장치인 핸들의 조향력 증대를 위한 Gear Box, Rack Housing을 개발, 상용화에 성공하였음. 또한 QS-9000인증와 ISO/TS-16949 품질시스 템 인증서를획득하여 해외시장 개척의 발판을 구축하는데 기여함 신기술 개발와 신제품 개발로회사 창립 당시에는 매출액이 50억원 규모에 불과하였으 나 2010년 매출액 1천억원을 돌파한 이후 2012년처음으로 매출액 2천억원을 돌파하여 2913년에는 매출 2,182억원으로 매출실적을 달성하여 40배이상의 가파른 성장을 달성 하는데 기여함 - 108 - - 15. 주재동(朱在東) 동탑산업훈장/ (주) 케이씨텍 대표이사 수출품목 :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장비 수출실적 : 13,732만불(전년대비 171%증가) 담 당 자 : 임재우(( 031-670-8102) 공적내용 상기인은 30여년의 경력과 국내 장비산업의 침체 속에서도 공격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고객과의 공동개발을 주도하여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통한 매출 향상을 이끌어 내 었으며, 수출활성화를 위한 해외네트워크 구축에 매진하였고, 또한 기업의 사업전략을 지식재산경영, 연구개발전략과 연계하여 실질적인 기업경영에 활용될 수 있게 하는 지 식재산경영 플래닝 프로세스를 마련하였음. 케이씨텍은 1987년에 설립하여 2013년 12월말 현재 인원수 433명에 자본금 167억, 매 출액 연결기준 2,841억, 별도기준 2,195억의 중견기업이며 Gas 캐비넷 설비를 시작으로 디스플레이, 반도체용 공정 장비를 생산하고 있으며, 해외 자회사 2곳과곳의 해외고객 대응센터를 통하여a/s 및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있음. 현재는 중국, 대만,싱가폴 등 중 화권에 국한된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나, 시장개척단 파견, 해외전시회 참가. 해외 잡지 게재, 해외인증 취득 등의 시장개척 활동을 진행하여 2013년 기준 매출액의 50% 이상을 수출달성하고 있음 최근 3개년을 보면 11년 192백만불, 12년 115백만불, 13년 219백만불의 매출을 기록하 였으며, 11년 44백만불, 12년 22백만불, 13년 110백만불의 수출을 달성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기술이 곧 경쟁력이라는 신념 아래 고객 맞춤형 신제품 개발과 품질 안정화에 힘썼으 며, 매출의 13%이상을 R&D투자로 지출하며, 꾸준한 연구개발을 진행한 결과 국내 100%수입품이었던 반도체용 CMP(화학적 기계적 연마장치)개발을 성공하여 국내시장 을점유율을 끌어올리고 당사가 성장하는데 기여함 - 109 - - 16. 박남옥(朴南玉) 동탑산업훈장/ (주)동보 상무이사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15,957만불(전년대비 23%증가) 담 당 자 : 이기출(( 032-812-2357) 공적내용 상기인은 1976년 7월 1일에 경리직 사원으로 입사하여 현재는 재무, 회계, 금융 등을 담당하는 임원으로서, 대외적으로 1973년 1차 오일 쇼크, 1978년 2차오일 쇼크로 어려 운 시기를 겪는 과정에서 회사의 살림살이를 도맡아 긴축 경영으로 난관을 극복하고 당사가 품질 유지를 위해 설비 및 기술력을 유지하는데 기여함 지속적인 설비 투자와 중장기 전략으로 신규 공장 설립을 추진해 왔고, cnc, mct 등의 자동차 부품 절삭가공에 필요한 기계설비의 신규 투자는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시켰으 며, 2공장, 경주공장,아산공장 등의 신규공장설립으로 매출신장과 수출증대에 기여함 상기인은 2022년 전사전 자원관리(ERP)시스템을 도입하면서 회계분야의 책임자로서 시스템이 안정화되고 정착될 수 있도록 Input 사항과 Output 사항을 일일이 점검하고, 이후 개선사항이나보완 사항에 대해서는 전산팀에 개발 의뢰하여 회계분야뿐만 아니 라 생산, 인사노무 분야에서도 사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기여함 또한 당사가 2011년에는 IBK기업은행으로부터 수출강소기업 Plus 500에 선정되었고, 한국수출입은행으로부터 한국형 히든 챔피언 육성사업 대상기업을 선정, 또한 2010년 5천만불 수출의 탑, 2011년 7천만불 수출의 탑, 2012년 1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는데 일조하였음 - 110 - - 17. 이상복(李相福) 동탑산업훈장/ (주)우조하이텍 대표이사 수출품목 :폴리우레탄 수출실적 : 10,422만불(전년대비 250%증가) 담 당 자 : 어봉용(( 043-853-7207) 공적내용 상기인은 사업 초기에 자본 및 생산인력, 생산설비 등의 제조기반 여건이 부족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를 적극적인 연구개발 및 우수한 기술인력 확보를 통해 극복하여 비록 규모는 작지만 안정된 품질의 제품으로 거래선을 확대하여 회사를 운영하던 중 (주)우조하이텍의 사업기반 확대를 통한 안정적인 생산, 공급을 위해 2010년 2월 충북 충주시 소재 첨단산업단지로 본사 및 공장을 신축 이전하여 공장이전 전 2009년 매출 54억원에서 2013년 347억원으로 4년간 540%이상의 매출신장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상기인은 2010년 5월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우수한 기술 인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2008년 한국원자력기술로부터 원자로 운반에필요한 특수 단열 우레탄 폼에 대한 제품 개발을 의뢰받는 등 매년 정부과제를 진행,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 등의 상당한 실적 을 기록하여 국내 폴리우레탄시스템 원료의 개발 및 기술력 향상에 기여하였음 또한 폴리우레탄 폼 시스템으로 대체되는 기술을 개발하여 해외인증을 획득하였으며 기술개 발을 바탕으로 일본 미쯔비시 LNG선박탱크보냉재를 연 3~4척이상 진행될 계획임. 또한 상기인은 지속적인 우수인력 확보 및끊임없는 연구개발 등을 통해 고객사로부터 품질 및 기술력에 대한 인정을 받고 있으며, ISO9001 / 14001, 벤처기업 인증, 기술혁 신형 중소기업 선정,NK인증 등의각종 인등을획득하는데 기여함. 직접 해외 신규거래선 개척 및 해외전시회참관 등의 적극적인 해외 마케팅을 통해 전 년도 수출실적이 297만불에서 당해연도 수출실적이 1천42만불의 수출실적을 기록하여 전년대비 250%이상 신장되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 111 - - 18. 황영철(黃永鐵) 동탑산업훈장/ 주식회사 네오씨티알 상무이사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5,588만불(전년대비 36%증가) 담 당 자 : 배지은(( 055-520-0264)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3년 생산사원으로 (주)센트랄에 입사하여 31년이상 생산관리에 몸 담으며, 사원에서 이사를거치고 (주)센트랄에서Aftermarket 수출 전문 법인 (주)네오씨티알을 설립함과 동시에 상무이사(공장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31년동안 센트랄 그룹에서 쌓은 업무 능력과 현장 경험,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규법인 (주)네오씨티알의 생산기반 확립 에 앞장서며 설립 초년도 80억 수출달성을 2012년 650억, 2013년 860억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함 2011년 4월 자본금 40억으로 시작한 (주)네오씨티알은 순수 Aftermarket수출을 전문으 로 설립된 신규 법인이며, 설립 초년도 80억 수출을 시작으로 2012년 650억 2013년 860억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당해연도 1000억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음. 3000여이상 다품종 소량 생산이라는Aftermarket 시장의 생산악조건 속에서도혁신적 인 생산 System을 확립하여 전세계 300명 바이어에 90%이상 적시에 제품을 공급함으 로서 CTR의 세계속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또한 다품종 소량생산임에도 적절한 생산sytem도입으로 인해 수출은 매년증대할것으로예상되어짐. 매년 생산 및 매출신장 40%를 목표로 2015년 매출 1400억, 2016년 매출 2000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현재 생산라인 능력에 안주하지 않고 신규 라인 증설 및 재고 관리 등에도 힘쓴결과 매달 120만개 생산, 공급중인 능력을 2015년 150만개, 2016년 200만개 공급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여함 - 112 - - 19. 한웅(韓雄) 동탑산업훈장/ (주) 한영산업 대표이사 수출품목 : 해양플랜트 수출실적 : 3,594만불(전년대비 455%증가) 담 당 자 : 정민주(( 061-469-0791) 공적내용 상기인은 대표이사로 부임 후 한영산업이 대형 철구조물의 제작, 가공, 조립, 포장, 이 동, 선적까지 One-stop System을 구축하였으며, 세계 최고 기업들과의 원활한 입출항 조건을 갖추어 한영산업만의 Load Out System으로 제작장에서 반출되어 항만에서 이 루어지는 대조립으로 공기 단축을 하며, 차별화된 품질로서 해상운송에 적합한 접안시 설의 여건을 갖추고 있어 최적의 입지여건, 물류비용 절감효과, 공사기간의 단축, 최고 의 품질 및안전확보 등 기술력 및 시설유치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생산성 향 상을 통하여 국가발전에 기여함 (주)한영산업은 조선블록, 해양구조물, 산업용 운반기계 및 플랜트를 전문적으로 생산 하여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고용 창출을 통한 경제에 기여함과 더불어 건실한 기업 을 자리매김하였으며, 국내시장와 조선업계 시장악화로 해외시장으로 관심을 돌려 여 러건의 해외공사를 진행함으로써활로를 개척함 2012년 10월에는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여, 당사의 신성장 동력사업이 될 풍력타 워 개발 프로젝트 및 해양 플랜트 기자재 개발 프로젝트 진행 등의 기업 R&D 활동에 지원하며,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서를 취득하였음 위와 같은 노력 으로 2011년 조선블럭 5,738천불, 2011년 9월 호주 BMA/벡텔사의 Shiploader 신규 프 로젝트 9,030천불 수주 등간접수출로 경제발전에 기여함 해외시장 개척을 위하여 서울사무소를 개설하여 해외 마케팅 및 홍보활동으로 개척활 동에 힘써왔으며 미국기계학회에서 주관하는 ASME STAMP(고압탱크 제작을 위한 인증서)를 취득하였으며, 이로 인해 기술력 향상에 기여함 - 113 - - 20. 김진용(金鎭瑢) 철탑산업훈장/ 주식회사 케이피씨 대표이사 수출품목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수출실적 : 1,716만불(전년대비 166%증가) 담 당 자 : 임성기(( 031-343-6021) 공적내용 상기인은 1997년 5월에 입사하여 정전척(EXC)와 가스분산전극의 국내기술로 개발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1998년 전자동 세정기의 개발에 기여하였음. 2002년 반도체 기술향상 에 기여하여 국무총리 표창장을 수상하였으며, 2005년 LCD용 세정장비의 높은 기술력 과 경쟁력을 통한 세계 일류상품에 선정되는데 기여하였음. 상기인은 대표이사로 취임 이후 2012년 4월부터 2013년 3월 지속적인 연구개발 활동의 결과로 주 제품인 IR OVEN의 제조기술에 관련된 히터방열판의 국산화를 이루어냈으 며, 국산활동을 통한 매년 약 4억에 달하는 일본 수입 방열판을 국내 기술로 제작하여 중국으로 IR OVEN 수출향상에 기여함. 중국진출의 영업을 강화하기 위해 2015년 중 국 현지 C/S활동을 위한 지사의 설립을 추진 계획하는 등 향후 거대한 중국시장 진출 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계획 중임. 또한 부설연구소 운영을 지원하여 특허등록 27건, 출원 8건 등 총 35건의 기술관련 재 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품질, 환경, 안전 향상을 위한 ISO 9001&14001, KOSHA 18001 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여 운영하고 있음, 또한 제품의 중국시장 진출 품목에 대 하여 CE MARK를 획득하여 품질 & 안전인증을 구축하였으며, 2011년부터 국내 판매 품목에 대하여 약 200건에 달하는 위험기계안전인증 및 S-MARK 안전인증 등 제품에 대한 품질, 안전에 대하여 고려하여 판매중임. 그 결과 취임이후 매출액은 2011년 약 231억, 2012년 168억 2013년 327억으로 증가하 였으며, 2013년에는 최대매출과 함께 최대 수출실적 17백만불을 달성하였음. - 114 - - 21. 박치상(朴治相) 철탑산업훈장/ 현대중공업 (주) 기장 수출품목 : 선박 수출실적 : 1,696,845만불(전년대비 54%증가) 담 당 자 : 장효진(( 052-203-2148)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5년 입사이후 선박내의 기장관철 분야를 담당하였으며, 1993년 생산조장 으로 근무하면서 다양한 선종에서의 실력을 인정받아 1994년에 우수사원상을 수상하였 음. 2003년 생산반장으로 직책을 맡으면서 기장관철 업무에서 다양한 방면으로 가장 빠르고 품질높은 선박을건조하기 위해납기 준수에 대한 이미지 제고에 기여함 대형PE를 하면서 해당구역의 PACKAGE UNIT 제작의 효율화를 위한 표준서를 정립 하여 사외업체의 제작능력 향상에 기여하였고, 제작단계에서 사외업체를 방문하여 설 계상의 문제점, 생산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설계단계에서 검토가 불가한 선주 코멘트 사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인도시점에 발생할 수 있는 작동상의 문제점, 진동보 강 등을 사전에피드백하여 선박의 적기 인도에 기여함. 10,000TEU이상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시에 고질적인 문제가 되어오던 PACKAGE UNIT의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해 제작중인 업체를 수시로 방문하여 문제가 되는 다양 한 사례를 해결하는데 앞장서 품질 향상 및 업체의 제작능력 향상에 기여하였음. 특히 나 업체에서 제작한 UNIT의 문제점에 대해서 해결책을 제시하고 업체 작업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전체적인 품질향상 및 공기절감에 기여함 또한 선박 건조시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작업 및 반복되는 작업을 최소화 하기 위한 다 양한 개선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AIR INTAKE JOINT 방식개선, EXH, GAS BLOWER UNIT 설치방식을 개선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달성하였고, 드릴선에서 반복 되고 있는 스트레이너에 알류미늄이 고착되어 펌프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새로운 타 입의 스트레이너적용과 용해를 쉽게하는 화학약품의 개발에 참여하여 실제 고착되는 물질의 샘플 채취 및 작업 주기 등의 정보를 연구소 측에 피드백하여 선박의 품질 향 상에 기여함 - 115 - - 22. 조석래(趙錫來) 철탑산업훈장/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대표이사 수출품목 : LED 수출실적 : 3,539만불(전년대비 282%증가) 담 당 자 : 박재홍(( 062-958-2713) 공적내용 상기인은 2013년 취임한 이래 전략사업으로 부상한 LED 모듈사업의특화를 위하여 기 존 장성지역에서 LED모듈 부문만을 광주로 이전하여, 생산 및 품질의 안정화함으로써 LED모듈사업의 역량을 강화하였음 더불어 해외시장의 판매확대를 위해 중국 천진에 제조 판매 법인을 설립함으로써 그 기반을 다지는데 기여하였음 또한 대외적으로 관세 청이 주관한 FTA활용 성공사례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음 백열 램프사업부문의 경우 세계적으로 공용화된 제품으로 창사이래 일본을 시작으로 꾸준히 성장세를 기록하여 현재에는 약 15개국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수출 실적 또한 2011년 천만불을 초과하여 2013년 현재에는 백열 램프시장의 둔화세에도 불구하 고 인도 412만불을 비롯하여 유럽지역 141만불 등 천만불을 초과 달성하는데 기여함. 더불어 GLOBAL CAR MAKER공급을 위한 아이템별 품범 등록이 확대됨에 따라 향 후 지속적인 수출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음. LED모듈시장에서 후발주자였던 금호에이치티는 2009년 LED모듈사업을 본격화하면서 적극적인 시설투자와 함께 당시 12명에 불과했던 연구 인력을 현재는 39명으로 증원함 으로써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총 8건의 특허와 5 건의 다자인 등록을 완료하였으며, 추가로 6건의 특허를 출원 중에 있음. 또한 산업통 상자원부에서 주최하는 총 5건의 국책 과제를 수행 완료 및 성공하여 국가 산업 발전 에 기여함 - 116 - - 23. 박은관(朴殷寬) 철탑산업훈장/ (주) 시몬느 대표이사 수출품목 :핸드백 수출실적 : 50,497만불(전년대비 25%증가) 담 당 자 : 박종원(( 031-420-0312) 공적내용 상기인은 명품핸드백 시장진출을 위해 1987년 자본금 1억원에 15명의 직원으로 설립하 여 1980년대 후반 OEM저가 제품제조로 형성되었던 아시아 제조시장에 고가의 디자이 너 명품핸드백을 유도 및 착근시키고, 현재 국내 3개법인과 3개 국가, 5개생산 현지법 인에 312명의 한국직원과 2만5천여명의 현지직원으로 안정적인 생산능력, 우수한 제품 품질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여 미국 명품핸드백의 ODM 시장점유율 25~30%차 지하는 세계 1위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였음 회사의 창립 당시, 봉제업은 전반적으로 사양산업의 길로 접어들고 있었고, 국내 핸드 백 제조업은저가품 수출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해외시장에서 가격경쟁력 이 외에 지속적인 경쟁력을 가지기 힘든 상황이었음, 그러나 설립 초기부터 당시 국내 핸 드백 시장의 추세를 따르지않고 고가품 위주의 수출전략으로 세계시장 개척에 힘써왔 음. 초기 시장 진출을 OEM으로 시작하였지만, 1990년대 중국 공장 및 인도네시아공장을 설립하면서 제조자 개발 생산 방식인 ODM 방식을 시작 및 체계화시킴으로써 지속적 인 부가가치 창출로 고성장, 고부가가치 패션산업으로 전환시켰음 또한 2000년 초 중 반까지 유럽 명품 브랜드인 LVHM와의 거래 계약, 25개 브랜드들의 제품 공급을 통한 시장확대로 성장기조를 유지하였고, 핸드백 연구개발 기능을 한국 본사에 집중하여 제 품 및 소재개발 및 기획기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였으며, 생산은 중국, 인도네시아, 그 리고 베트남으로 생산법인을 확장 및 이전 등 국가적 경쟁우위 요소를 통해 품질경쟁 력과 가격경쟁력을 해외시장의 눈높이에 맞춤으로 12년 6월말 기준 53천만달러, 13년 6월말 기준 70천만달러, 14년 6월말 기준 87천만달러 수출매출을 시현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 117 - - 24. 이찬구(李燦求) 철탑산업훈장/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전무이사 수출품목 : 포장재 수출실적 : 3,291만불(전년대비 18%증가) 담 당 자 : 장경화(( 031-463-4177)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2년 평사원으로 입사 이후 회사의 인사관리 및 재무관리 담당임원을 겸 임하였으며, 회사의 법인전환 업무를 총괄하며 경영관리 담당임원으로 재직 현재까지 32년동안 재직하면서 인사관리, 재무관리, 영업관리 등 경영전반에 기여하였으며, 신제 품 개발 및 품질관리병행으로 회사가 국내외 연포장시장에서 실적을 달성하는데 기여 함 레토르트 파우치, 스파우트 파우치 및 각종 유연 식품 포장재와 특수 방습 방청 포장 재를 생산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도 철저한 품질관리로 그 수요를 충족시켜 주고 있으며. 월간 4억 2천만장 이상의 순수 자체 생산 능력을 갖춘 최고수준의 레토 르트 파우치 설비와 사파우트 파우치 설비, 동종업계 최고의 시험설비, 이를 통하여 생 산된 제품들은 전수검사를 통한 철저한 품질 관리와끊임없는 기술개발 및 품질 개선 등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는데 기여함 국산화에 성공하여 방산물자로 지정될 정도로 레토르트 포장재 생산기술을 인정받았으 나 식품 및 제과 대기업의 연포장기업 수직계열화로 국내시장에서의 성장에 한계를 느 껴 해외시장 개척에 노력하였으며, 해외 식품기업에 레토르트 포장재 공급한 이래 기 술력을 인정받아 하인즈,델몬트, 네슬레 등에메이져기업에 공급을 하여 기여하였음 또한회사가 법인전환 업무를 총관 관리하여 회사가 수출주도형기업으로 비약적인 발전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한국수출보험공사를 통한환변도보험에 가입하여환차 손을 최소화 함에따라손실을줄일 수 있도록 기여함 - 118 - - 25. 이금재(李金載) 철탑산업훈장/ 신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장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5,075만불(전년대비 109%증가) 담 당 자 : 이병재(( 041-422-2021)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8년 국내 최초의 자동차프레스금형을 전문 제작하는 기업에 창립초기 사 원으로 입사하여합작사인 일본 금형업체의 선진기술의습득을 위한 부단한노력을 통 하여 국내 자동차 프레스금형 제조의 선두 주자로서 우뚝 서는데 앞장섰으며, 생산직 간부인 조장, 반장, 직장을 거쳐 현재 생산부장으로 근무하면서, 현재까지 26년동안 자 동차용 프레스외판금형 제조부문에서 국내 최고의 기술을 가진 장인으로 성장함은 물 론 40회 5백만불탑, 45회 1천만불탑, 49회 2천만불탑 등을 수상 후 불과 2년만에 수출 실적 5천만불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상기인은 생산라인의 일일 점검 및 주간, 월간 점검을 통한 개선점 파악 및 개선을 실 시하고, 팀원들의 분임조 활동을 제안, 실행하여 생산력 증대를 도모하였으며, 생산계 획을 통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공정관리로 생산력 향상을 유도하였음 또한 지속적인 생산공정 개선과피드백을 통한 원가절감 및 생산량 증대로 매출증대에 기여하고 나아 가 대고객 만족과 감동을 이루어 신뢰도 향상에 기여함 또한 현장직원들의안전과건강에 관심을 크게 가져안전보호구착용을솔선수범하였으 며, 프레스계단 미끄럼 방지테이프부착, 철판에 의한베임을막기 위한손목보호대 지급 등안전생활화에 앞장서안전한 일터조성에 기여함 상기인은 생산팀의 수장으로서 신입사원 및 직무 재 배치자에 대한 생산 실무교육을 전담하여 인력의 고부가가치화는 물론 금형 생산기술 선진화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공 장혁신운동으로 3정 5S활동과 현장작업자의아이디어를 제안제도로흡수하여 지난 3년 간 50여건의 개선 제안에 대한 검토 분석에 따른 시행으로 공정의 간소화하여 생산성 과 품질 향상에 기여함 - 119 - - 26. 이구진(李邱鎭) 철탑산업훈장/ (주)동보 계장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15,957만불(전년대비 23%증가) 담 당 자 : 이기출(( 032-812-2357)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9년에 생산직 사원으로 입사하여 25년이상을 자동차 엔진 및 변속기 부품 의 절삭가공분야에서 순련된 기능인으로 성장, 현재는 생산부 생산 3계의 책임자로서 리더십과 품질개선 및 원가절감에 매진하고 있음. 또한 생산현장에서 CNC, MCT 등의 절삭가공 기계 설비를 통해 자동차 부품을 생산해 오면서 절삭가공 기술에 대한 전문 역량을습득하여 품질향상과 생산성증대에 기여함 생산성 향상과 업무 개선을 위해 제안을 생활화하여 작업방법개선, 품질향상, 작업환경 개선 에너지절감, 안전개선 등의 제안을 지금까지 100건이상 제출하여 1.7억의 원가절 감을 유형효과로 가져왔으며, 공정개선, 생산성 향상을 위한 문제점 발생시 적극적인 사고로 대응하고 항상 도전하는 자세를 갖추고 있음. 지속적인 개선과 회사의 성장을 위해 25년간 분위조 활동으로 2.4억의 원가절감을 가져왔고, ISO/TS1949 품질경영시스 템,환경경영시스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에도 공장환경개선과혁신을 통해 기여함 수년간의 경험과 노하우로 전문성을 확보, 기술역량을 갖췄으며 고객사 A/S제품에 대 한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납기 준수 대처 능력이 탁월하여 고객 만족도 향상 실 현함. 또한 25년동안 자동차 부품 생산에 전념해 오면서 직접 수출 제품 및 로컬을 통한 간 접수출제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여 수출증대 및 품질향상,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0년도 수출을 시작으로 2010년 5천만불 탑, 2011년 7천만불 탑 2012년 1억불 탑을 수상하는데 기여함 - 120 - - 27. 문성준(文聖畯) 철탑산업훈장/ (주) 에이치비테크놀러지 대표이사 수출품목 : LCD부품 수출실적 : 10,646만불(전년대비 520%증가) 담 당 자 : 김태영(( 041-532-730) 공적내용 상기인은 LCD 부품업계 CEO로서, 삼성, 제이피 모간 체이스 은행. 튜브인베스트먼트 등 기업경영에 관한 경력을 쌓아 에이치비테크놀러지 대표이사로 부임이후 관련부품, 장비부분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산업의 수직계열화 및 해외시장 개척으로 1억불이상 수 출실적을 달성하는 등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당사는 세계 최대크기 도광판 레이져패터닝 가공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도광판 압출 → 경면가공 → 레이져가공 공정을 수직계열화하여, 공정간 시너지효과를 통해 삼성전 자의 핵심 협력업체로 성장하였으며, 2002년 국내 최초 5세대 LCD용 AOI장비를 개발, 2002년, 2004년에는 대만 Innolux, AUO 등에 장비 공급을 하였음. 2010년 SUB Micro AOI을 세계 최초로 개발, AMOLED 양산용 IN Line AOI 세계 최초 개발 등 현재 AMOLED 양산업체의 최대 공급자로써 디스플레이 장비업계의 선두주자로 확고함 자 리매김을 하였으며, 디스플레이산업에 기여함 상기인은 장비 및 기술개발을 통하여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서 중국, 일본 등의 지역에 서 지역 에이젠트와 계약을 체결, 해외시장 매출 증대를 위해 노력해왔고, 중국 소주시 에 2014년 설립을 계획중이며, 이를 통하여 마케팅활동에 집중할 계획. 그간 해외시장 개척활동의결과로 당해연도 1억불이라는 수출실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또한 협력업체와의 동반서장을 위해 주기적으로 협력업체와의 간담회를 개최, 협력업 체의 애로사항이나 당사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검토, 반영하여 지원하여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함. - 121 - - 28. 박금성(朴錦成) 철탑산업훈장/ (주)영우디에스피 대표이사 수출품목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수출실적 : 2,289만불(전년대비 435%증가) 담 당 자 : 김영주(( 031-322-4871) 공적내용 상기인은 서울인덕대학 기계설계학과 출신으로 미래산업 기술연구소에 입사하여 반도 체와 디스플레이 장비 개발업무를 수행하면서 산업흐름에 대한 이해와 기술적 경험을 쌓고 이후 2004년 2월 16일 영우디에스피를 설립하였음. 기술성과 사업성을 인정받아 창업투자회사로부터 투자유치에 성공하였으며, 안정적인 자금을 기반으로 하여 기술개 발에 전념하였고 그 결과 수입에 의존하던 디스플레이 장비를 대체하게 되었으며, 이 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국등지에 수출하는데 기여함 산업트랜드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메카트로닉스에 대한오랜 경력을 지닌 상기인은 고 객사의 기술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장비를 제공함으로써, 당사의 성장와 장비 국산화에 기여하였음. 또한 LCD에 이은 OLED의 성공적 진입뿐만아니라 산업의트랜 드가 LCD에서 첨단 OLED로 중심이동 할 때 기술개발에 매진한 결과 OLED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는데 기여하였음 또한 신속하면서도 고객이 원하는 품질관리를 적시에 하기 위하여 중국에 현지 사무소 를 설치운영 중에 있으며, 현지에서 채용된직원과 국내파견 연구원이 함께하고 있음. 또한 해외시장 진출확대를 위해 일본과 대만으로 확대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음. 그 결과 전년대비 4.2백만불에서 22백만불로 435%의 신장세를 보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 여함. - 122 - - 29. 권동혁(權東赫) 철탑산업훈장/ (주) 신안천사김 대표이사 수출품목 : 김 수출실적 : 2,516만불(전년대비 458%증가) 담 당 자 : 하용식(( 061-246-7312) 공적내용 상기인은 2012년 3월 자본금 5억원으로 (주)신안천사김을 설립하였음 2013년 3월 공장 신축 및 가동, 전통식품인 김을 가공하여, 2013년 미국 3백4십만불, 캐나다 42만불 수 출 3백만불 수출의탑을 수상하였으며, 2014년 현재 미국 1천9백만불, 캐나다 4백5십만 불, 영국 32만불,멕시코 18만불로 25백만불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조미김 외에 김밥김과 김자반으로 품목을 확대하고 미국과 캐나다 외에 영국, 멕시코 로 수출국가를 확대하였으며 세계적인 식품으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USDA, NOP인증을 취득하고, Kosher 인증을 신청하고 매년 SGS HACCP 인증 갱신을 통해 생산설비와 생산기술의 품질을 확보하는데 기여함 김유통업을 시작으로 건강식품으로서의 김의 가치와 가공식품으로의 맛과 품질을 확보 하기 위해 가공공장의 기계설비를 식품회사와 함께 제작 및 협의하며 시너지 효과를 이루었으며, 일찍이 국내시장이 아닌 해외시장에서의 품질인증과 기호를 파악하여 인 증을 취득하였고, 해외전시회 및 박람회에 참가하여 해외시장을 점차적으로 확대하였 음. 원재료의 확보에 유리한 곳에 2013년 식품공장을완공하여 지역의 경제 발전과 고용창 출에 기여하고, 안정적인 품질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유통망을 확보한 COSTCO WHOLESALE에 납품을 통해 국내 식품가공기술의 품질과 안정성을 인정받고, 전통식 품인 김을 세계적인건강식품으로 인식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음. - 123 - - 30. 김화동(金華東) 석탑산업훈장/ 한국조폐공사 사장 수출품목 : 화폐 수출실적 : 5,030만불(전년대비 17%증가) 담 당 자 : 김현진(( 042-870-1172) 공적내용 상기인은 취임 후 5만원권 발행과 더불어 디지털 스마트 결제 확산이라는 시대적 변화 속에 주력사업인 화폐사업이 축소되면서 사업의 근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 여 새로운 성장엔진 발굴, 신시장 개척과 신기술 개발이라는 방향을 설정, 해외 수출을 위해노력함. 한국조폐공사는 1970년 처음 수출을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전 세계 30여개국에 주화, 은행권, 은행권 용지, 여권, NID카드, 특수잉크, 안료, 기념주화, 메달 등을 수출, 약 4 억 5천불의 외화를 획득하였음. 또한 독자적인 기술개발을 위하여 기술연구원을 설립,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한 결과 용지, 잉크, 디자인, 조각기술 및 인쇄와 주화 제조 기술 등의 전통적보안기술뿐만아니라 IT기술의 발전에 발맞추어 전자여권과 전자주 민증에 소용되는 COS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CC인증을 획득하는 등 화폐 제조기술과 더불어 신분증 제반기술까지도 자체적으로 개발함 수출품목의 다양성 확보를 통한 수출시장 확대를 위해, 보안잉크를 비롯한 전자주민증 과 같은 최첨단 보안제품으로부터 부가가치가 높은 은행권 제조 및 기술수출은 물론, 반제품 및 다품종 소량생산제품으로까지 수출대상 품목을 하였으며, 아울러 집중 마케 팅 전략 수립, 대리인 확충, 정기적 고객방문 및 초청, 외교통상부, KOTRA, 현지 종합 상사 및 대리인과의 상호협조체제 구축을 통해 기존시장 유지와 신규시장 개척을 위해 노력함. 이러한 결과로 당해연도 지역별 수출실적은 리비아 1,103만불, 태국 943만불, 페루 935 만불, 중국 833만불, 인도네이사618만불, 스위스 244만불 등 총 5,030만불의 실적으로 창립이래 최고 성과를 달성하였으며, 단순한 수출금액의 증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무역수지에서도 1,572만불의 흑자 및 외화가득율 31%을 기록하였음. - 124 - - 31. 임탁욱(任鐸旭) 석탑산업훈장/ 현대자동차(주) 부사장 수출품목 : 자동차 수출실적 : 2,297,630만불(전년대비 5%증가) 담 당 자 : 명민식(( 02-3464-2504)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2년 현대자동차 수출업무부에 입사하여 현재까지 33년간 완성차 수출 및 수출기획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33년간의 재직기간 중 절반에 달하는 16년 동 안 해외거점 주재원 및 법인장으로서, 수출 최일선에서 기록적인 판매 확대에 기여함 중동/동구 팀장으로 재직하면서 정확한 판단력과 신속한 업무 추진력을 발휘 우수한 딜러를 지속적으로 영입하고 영업망 확장을 통해 당사가 신흥시장의 강자로서 자리매 김하는데 기여하였으며 1997년~2001년에는 유럽 법인의 완성차 판매 담당 주재원으로 서, 시장점유율 향상을 위해 소형차 집중 판매 전략을 추진함과 동시에 투싼, 싼타페 등 고부가차종의 수출을증대하였음 2001년 기아자동차로 전보 후에는 2012년까지 미국, 영국, 호주, 러시아 등 세계 각 거 점의 법인장으로서 기아자동차의 기록적 판매 신장을 주도하며 수출 증대 및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위상 제고에 큰 공헌을 함 2012년 현대자동차 유럽 법인장으로 재임 중 에는 유로 2012 후원 등 공격적 마케팅으로 연간 총 44.4만대를 판매 전년 대비+10% 의 놀라운 판매신장률을 기록하였고 2013년에는 해외영업본부장으로 부임한 후에는 글 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경험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트렌트에 맞는 차종 출 시 및탄력적 가격운영전략으로 해외선적 401.7만대를 달성함 또한 모던 프리미엄이라는 가치 아래 회사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주력하여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업체인 인터브랜드에서 선정하는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서 43위를 차지, 사상 처음으로 50위권 내에 진입하는 쾌거를 이룸과 동시에, 자동차 메이커 중 가장 빠 르게 성장하는브랜드로서 입지를 공고히 함 - 125 - - 32. 김완규(金完圭) 석탑산업훈장/ 상신이엔지 주식회사 대표이사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1,450만불(전년대비 337%증가) 담 당 자 : 강지영(( 053-355-7465)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2년 상신브레이크 근무시절 자동차 브레이크에 관한 각종 지식을 습득하 여 1991년 청우이엔지를창립 시트 라이닝 자동화라인 개발 등브레이크 패드 생산 자 동화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2006년 상신브레이크와 합작법인인 상신이엔지를 설립하 여 그 후 자동차 브레이크용 소음방지판 공급장치 등 10여개의특허를 보유하는 등 국 내 자동차 브레이크 생산 시장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2012년 675만불, 2013년 786만불, 에 이어 14년 100만불 수출실적을 달성 최근 3년간 약 100만불이상 증가하여 국가 경 제 발전에 기여함 상기인은 신규 해외시장을 발굴하기 위해 해마다 정기적으로 중국에서 개최되는 해외 마찰재 박람회에 참가하고 잇으며 이와 같은 꾸준한 노력의 성과로 개발 제품 설비에 대한 성능 및 기술력 등 호평받았으며 일본, 중국 등에서 매년 신규거래선이 발생, 2013년 재팬브레이크 태국, 2014년 중국 청도성박기전, 후레이커선 등과 활발히 교류가 이루어지는데 기여함 또한 기업부설연구소 설립을 시작으로 본사인 상신브레이크와 협력하여 각종기술 및 품질향상을 위한 다양한 특허출원을 하여 국내외 10여개의 특허를 보유중임. 또한 국 책과제인 리타더 사업을 진행 중이며 일본의 YAMAKI ENG의 다이나모 기술을 교육 받아 국내 장비로 접목시키기위해 끊임없이 기술개발과 품질향상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126 - - 33. 김대중(金大中) 석탑산업훈장/ (주) 광명전기 상무 수출품목 : 전기장비 수출실적 : 1,615만불(전년대비 227%증가) 담 당 자 : 유관형(( 02-2240-8183) 공적내용 상기인은 입사 후 설계, 생산현장, 품질관리, 기술 등 공장의 전 분야를 경험하며 제기 된 문제점을 개선하고 품질향상에 기여하였으며, 그동안 수작업에 의존하던 생산방식 을 기계화, 자동화함으로써 생산 공정의 개선으로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였고 해외의 생산 기술을 도입하여 제품에접목시키는 등 생산성증대에 기여함 80년대 전기업계의 생산시설이 열악하여 기계화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고 사람에 의 존한 생산 방식이 주를 이루던 시기에 판금가공설비를 국내 최초로 도입하여 자동화하 였으며, 친환경 도료를 사용하고 환경설비를 설치하여 대기 및 수질오염을 방지하는데 기여하였고 공장을 안산으로 이전하면서 기초적인 기계화 설비를 본격적인 라인 자동 화를 구현하여 중량물 작업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함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하였고, 제조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 안정성을 극대화한MCSG제품을 개발하고MCSM에 기반한 25.8KV 가스절연개폐장치 를 추가 개발하는 데에 생산 책임자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가스절연개폐장치 개발에 참아하여 녹색기술 인증, 녹색기술 제품인증을 획득함으로써 기존 제품의 설치 면적을 1/20로 축소하는 등 건축 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여 원가절감 및 장영실상을 수 상하는데 기여함 또한 독일의 SIEMENS 사와 기술 제휴를 통하여 개발, 수행하였던 제품을 100% 국산화하는 데에 성공함으로써 수입 대체효과를거뒀음 또한 중국현지에 파견근무를 경험삼아 중국 현지 전력설비, 전력시장의 환경 분석 등 의 업무를 담당하여 2013년 총 수출금액의 70%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지역 수출에 기여 하였으며, 공장장으로서 전 수출물량의 설계, 생산, 자재, 품질 등 직접 관리, 감독하고 납기를 준수하여 고객사로부터 인정받아 발주처 국내 신축 공장 프로젝트를 추가 수주 하는데 기여함 - 127 - - 34. 신명진(申明振) 석탑산업훈장/ 전진켐텍 (주) 대표이사 고무약품 수입, 국내 고무산업 생산성 향상과 안정적 공급, 수입업과 상생협력을 통해 국내수급안정화 및 무역활성화에 기여함 담 당 자 : 백승진(( 02-7013-2464) 공적내용 상기인은 주로 수입에 의존하는 국제 주요 원자재인 천연고무의 국내 선두 수입업자 로, 우수한 품질성과 저렴하고 시장경쟁성이 있는 단가로 국내에 수입하여 국내 타이 어, 자동차 고무부품, 신발, 고무벨트 생산업체에 공급함으로써 국내 고무산업의 생산 성 향상은 물론 안정적인 공급과 나아가 국내 천연고무를 원자재로 사용되는 모든 분 야의 산업발전에 기여함 1980년 당시에는 국내에서는 거의 80%이상 말레이시아산 천연고무만을 수입하여 사용 하였으나 국내최초로 태국 및 인도네시아 천연고무를 국내 관련업체에 소개하고 공급 함으로써 수입선다변화와저렴한 원료구입을 가능하게 하는데 역할을 함 국내 금호타이어, 한국타이어 및 넥센타이어를 비롯한 주요 자동차 고무제품 생산업 체인 평화산업과 화승R&A에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공급과 동시에 세계 선두기업들의 향후 생산방향과 고무약품의 새로운 개발 및 중단 상품을 미리 통보함으로써 적정한 재고관리 및 구매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산업 생산성증대 및 고무산업 발전에 기여함 상기인은 한국수입협회 부회장, 이사, 분과위원회연합장을 거쳐 현재 자문단의장직에 재임하고 있으면서 국내 무역 발전을 위한 무역정책에 적극 동참하여 오고 있음. 또한 각국 대사관의 대사, 상무관들과의 정기적인 유대강화 및 상호협조를 위한 간담회 등 을 개최하고 있으며, 수입업체들의 상호협력 및 동종 수입업체들의 정보교류의 장을 활성화하여 수입대체효과 향상 및 수출증대를 위한 기반인 수입의 정책 마련 등 무역 환경 조성에 기여함 - 128 - - 35. 함정오(全炳錫) 석탑산업훈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 글로벌기업과 협력관계 구축, 대중소 동반진출지원, CSR활동, 온오프라인 연계 등을 통하여 기업 해외진출활성화 및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담 당 자 : 이승수(( 02-3460-7875)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5년 KOTRA입사이래 29년동안 기획조정실 예산부장, IT전자산업팀장, 베 이징무역관, 기획조정실장, 중국지역본부장 등을 역임하면서 수출마케팅, 투자유치, 중 국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관계 구축, 대중소, 동반진출 지원, CSR활동 등을 통해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활성화를 통해 국가 수출확대에 기여함 중국지역본부장으로 근무하면서 주로 현지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특화사업을 수행, 징 동상청, 해피고 등 중국의 온/오프라인 유통망 공략사업을 통해 한국 제품의 중국내수 시장 진입 가속화에 기여하였음 글로벌 기업 협력 대표사업인 글로벌파트너링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위리기업과 중국의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등 다양한 해욈 마케팅활동을 통해 전체 수출 5천 5백억불 달성에 기여함 또한 2006.10월 한국전자전과 연계, Philps 등 세계적인 IT글로벌 바이어 및 EMS 전문 대형 바이어 30여개사를 초청, 국내 2000여개 IT완제품 및 부품생산 중소기업과 연결 하는 수출 상담회를 개최하고, 2007년 6월에는 노키아 등 연간 매출액 1억불이상이 주 를 이루는 대형 바이어 60여개 사를 초청하여 480건의 수출상담회를 개최하는 등 대규 모 수출상담회를 통해 총 548백만불의 수출상담 실적을 기록함 상기인은 한-중 CSR 포럼, 허난성 새마을 운동 지원 사업, 장쑤성 환경학교 지원활동 등을 통해 중국 내 우리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선도해왔으며, 이를 통해 우리기업을 위 한 지속가능한 수출환경 조성에 기여함 - 129 - - 36. 김영수(金榮秀) 석탑산업훈장/ 한국수출입은행 부장 국가 전략산업 수주확대 및 해외시장 개척에 기여하고 중소 중견기업 자금난 해소 및 수출증대에힘써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담 당 자 : 최윤선(( 02-3779-6127) 공적내용 상기인은 85년 한국수출입은행에 입행한 이래 29년 1개월간 재직하는 동안 자금부, 경 제협력기금부, 국제금융부, 외환업무실, 무역금융부, 선박금융부, 플랜트금융부 등 다양 한 분야에서 수출신용기관 및 대외경제협력기금 수탁기관인 한국수출입은행 업무를 수 행함. 또한 홍콩사무소에서 근무한 경력와 업무 수행기간 동안 적극적인 업무추진과 탁월한 리더쉽을 발휘하여 장기, 저리의 안정적 외화자금조달, 대외경제협력기금 수탁 업무의 기반 최초 구축, 아국기업의 해외시장 개척 및 수출확대,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기업화 및 자금난 해소 등 당행의 업무 발전에 크게 기여함 다수의 해외프로젝트 지원 경험을 바탕으로 시중은행이 지원하기 어려운 신흥시장 중 심의 고위험 대규모 해외 프로젝트에 대한 적극적인 금융지원으로 아국의 선박 및 해 외건설 플랜트의 수주증대에 기여하였고, 우량 수출 중소 중견기업을 적극 발굴하여 소요자금을 적기에 지원함으로써 중소 중견기업의 수출증대에 기여하였음 또한 수입자 금대출, 수입신용장 등을 통해 국가 경제적으로 장기 안정적인 확보 또는 적기 수입이 필수적인 원유, 천연가스,광물자원,곡물, 항공기 등의안정적 조달을 지원하였음 상기인은 선박금융부 및 플랜트금융부에 근무하면서 선박, 해외 건설, 플랜트 등 주요 수출산업 부문에 대해 상업금융이 감당하기 어려운 중장기거액 위주의 적극적 금융지 원을 통해 세계 선박시장 및 건설 플랜트 시장에서 국내기업의 수주경쟁력 제고에 기 여함 금융지원과 동시에 정치적 위험 등 위험이높은 신흥국가 관련효율적 진출을 위한 정 보제공 및 주요 EPC 고객기업 대상 수주전략회의 개최 등 비금융서비스 제공을 통해 중동시장 위주의 수주구조에서 벗어나 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 앞 우리 기업의 수주확대에 기여함. - 130 - - 37. 김덕준(金德俊) 석탑산업훈장/ (주)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대표이사 수출품목 : 반도체장비 수출실적 : 2,639만불(전년대비 128%증가) 담 당 자 :황태진(( 031-371-2232) 공적내용 상기인은 약 14년동안 반도체 장비업계에서 근무경험을 바탕으로 2001년 (주)글로벌스 탠다드테크놀로지를 설립하였음. 설립이후 본사신축, 공장신축 및 확장, 뛰어난 기술력 과 연구능력을 인정받아코스닥시장에 상장하는데 기여함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의 매출액은 11년 406억, 12년 627억, 13년 789억으로 연평균 25이상을 성장, 이익부문 또한 11년 23억, 12년 54억, 13년 50억원으로 고부가가치제품 생산을 통한 이익률 확보에 성공하였으며, 또한 최근 3년간 수출실적 11년 4백만불, 12 년 7백만불, 13년 25백만불로 매년증가하였음. 2004년에는 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 환경에너지와 온도조절분야에서의 기술을 확보 등 지속적인 기술 개발에 힘써온 결과 반도체장비의 제조기술과 관련된 특허등록 32건, 실용신안등록 5건 등 총 39건의 기술관련 재산권을 보유하였으며, 2007년에는 기술품 질의 향상을 위해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하였음. 반도체/FPD시장의 글로벌화에 따라 향후 수출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 하고 있으며, 이에 맞춰 적극적인 해외 마케팅 활동와 국내 및 해외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해 일본 및 북미 파운더리업체에 신제품을 납품중임. 또한 글로벌 시장을 본격적으 로 공략하기 위해 GSTAmerica와 GST China를 설립운영중임. - 131 - - 38. 이재출(李在出) 석탑산업훈장/ 한국무역협회 상무이사 한국무역협회 고객서비스본부장, 경영관리본부장 등을 역임하면서 기업의 무역현장애로타개, 서비스정신 및 공익적 기반 확충을 통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담 당 자 : 윤정열(( 02-6600-5084)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5년 한국무역협회에 입사하여 28년동안 산업연구팀장, 충북지역본부장, 경 영기획팀장 등을 역임하며 무역부국이라는 신념하에 무역업계 지원을 위해노력하였음 2011년 고객서비스본부장으로서 수출기업현장 방문, 지방 무역업계와의 간담회 개최 등을 통해 수출애로를 발굴 검토하였고, e-Biz지원본부장을 역임하며 중소기업의 온라 인을 통한 해외마케팅 강화 및 업계 Needs에 부합하는 무역정보 개발 및 제공에 기여 함 2012년부터 현재까지 경영관리 본부장을 역임하며 무역업계 대내외 환경변화에 다 라 조직의 변화와혁신을 지속적으로 도모함 2011년 고객서비스본부장을 역임하며 수출분위기 확산을 위해 무역의 날 포상 추천 및 수상업체 기념사업 등을 추진하였으며 또한 매월 이달의 무역인상 시상, 한빛회 지원 등을 통해 수출 선도기업을 발굴하였음 현장수요에 부응하는 컨설팅체제 확립을 위해 Trade SOS 및 Trade Inchbator를 확대 개편하였으며, 연간 현장컨설팅 14,500건이상, 전문컨설팅 8,000건이상 제공하며 무역업계 애로해소를 위해 종합무역컨설팅 제도를 운영함 무역협회 12개 지부를 총괄하며, 지방 현자의 업계현안 수렴 및 지원사업 발굴에 노력 하였고 해외마케팅 지원, 지역 대학생 및 무역업계 임직원의 무역실무교욱, 무역정보 제공 등을 위해 본 지부 협력사업을 운영하여 지방무역활성화를 통해 지역간 균형발전 에 기여함 - 132 - - 수출의 탑 수상업체 공적내용 - 133 - - - 134 - - 1. 750억불, 삼성전자(주) / 대표이사 권오현(權五鉉) ▲ 수출품목 : TV 및휴대폰용 디스플레이 패널 ▲ 수출실적 : 7,850,370만불 (전년도 대비 12%증가) ▲ 담 당 자 : 이성영 (☎ 031-277-0428 ) 공적내용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 생산/판매법인 등 총 220여개의 거점을 보유하고 연간 200조 원 이상의 매출 총액을창출하는 글로벌 IT기업으로, 스마트폰 및태블릿의 판매호조, 생활가전 프리미엄 제품의 선진국 판매 증가, 반도체의 첨단 공정 전환 확대, 초대형 TV 라인업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는 세계 일류기업임. 유럽 및 신흥국의 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어려운 무 역환경 속에서도 휴대폰, 스마트폰, TV, 냉장고, DRAM, NAND Flash, SSD 등 세계 1위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2006년 이후 8년 연속 TV전체, FPTV, LCD TV 세계 1위이고, IM(Information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s : 휴대폰, 통신시 스템, 컴퓨터)부문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DS부문 (Device Solution : 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LSI)은 압도적인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메모리 1위의절대 위상을 이어가고 있음. 생활가전 부문에서는 셰프컬렉션과 같은 프리미엄 카테고리 구축으로 최고 품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연말 미국과 유럽 성수기에 당사의 성수기 프로모션 강화 및 중 국 내 보급형 전략제품 라인업 강화로 판매를 확대하고 있음. 무선 및 TV 부문에서는 UHD TV 도입 및 OLED 기술 향상으로 하이엔드 스마트폰 및 테블릿 제품군을 확대 하고, 북미 등 60"이상 초대형 TV 라인업 강화하고 있으며, 반도체 부문에서는 개량형 이중 포토 노광 기술, 초박형 유전막 형성 기술 등의 혁신적인 기술을 동시 적용하여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해 경주하고 있음. 해외 스마트폰/태블릿 판매량 증가 및 마케팅비용 효율화 등으로 작년 7월부터 금년 6월까지의 수출실적이 785억불에 달했으며, 이는 전년 699억불 대비 작년 대비 12.2% 증가한 수치임. 당사는 첨단 기술과 경쟁력 있는 제품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리드 해 나가고, 고객에게새로운 가치제공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진할 계획임. - 135 - - 2. 100억불, SK하이닉스(주) / 대표이사 박성욱(朴星昱) ▲ 수출품목 :메모리반도체(DRAM,Nand Flash) ▲ 수출실적 : 1,262,493만불(전년도 대비 32%증가) ▲ 담 당 자 : 김세형(☎ 02-3459-5428) 공적내용 디지털 세상에서 반도체가 IT산업의 기반이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가운데 SK하이닉스는 그 역할을 다하고 있음. 반도체의 성능은 단순한 부품을 넘어 IT제품의 성능을 구분 짓기까지 하는데, 당사는 모바일과 컴퓨팅 등 각종 IT기기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DRAM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CIS와 같은 시스템 반도 체 등을 생산하는 기업임. 1984년 국내 최초로 16Kb SRAM을 시험 생산한 이래, 세계 최초, 최소, 최고속, 최 저전압의 혁신적인 반도체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며 세계 메모리반도체 2위의 반도체 회사로 성장해 왔음. 오늘날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현대인에게 친숙한 기기가 된 것처 럼, 영화에서나 등장하던 새로운 IT기기가 앞으로도 끊임없이 생활 속으로 들어올 것 임. 새로운 디지털 제품의 등장은 반도체의 영역과 수요를 점차 확장시키고 있으며, 당 사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를 읽고 앞서 대비함으로써 해외 경쟁사 대비 견고한 실적을 달성해 왔음. 2013년 기준 당사는 세계 DRAM 시장의 약 27%, 낸드플래시 14%의 점 유율을 기록했으며, 글로벌 메모리 시장 2위를 차지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증명해왔음. 수출실적은 당해년도 1,262,493만불로 전년도 957,521만불 대비 31.9% 신장하였음. 이것 은 SK하이닉스 IT기기의 변화에 따른 모바일 메모리 시장 확대로 인한 고부가 가치 제품의 판매 확대 및 전략적 고객 마케팅에따른 유량 IT 기업점유율강화 등이 주요 하였기때문임. 과거 어려운 경영 여건에도 불구하고 매출액과 영업이익에서 큰 성과를 거둘 수 있 었던 것은 우호적인 메모리 가격 상황과 출하량 증가도 주요하였지만, 수익성 위주의 제품 판매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원가 개선노력에집중한결과임. - 136 - - 3. 100억불, 현대모비스(주) / 대표이사 정명철(鄭明哲)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021,394만불(전년도 대비 9%증가) ▲ 담 당 자 : 최호용(☎ 02-2018-6718) 공적내용 현대모비스는 2015년 "Global Top Quality"를 달성하기 위하여 "무결점 품질 구현", "고객 감동체계 확보", "글로벌 표준 프로세스 정립" 및 "협력사와 품질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하여 지속적인 품질향상 활동으로 전 세계 고객들에게 최고의 제품을 개발, 생 산 및 공급함으로써 고객 감동을 극대화하고 있는 기업임. 현대모비스 품질경영은 "고 객만족을 최우선"으로 완벽 품질을 달성하고자 다양한 고객의 소리를 실시간으로 모니 터링하여 개선해 나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종합 상황실을운영 중에 있음. 적극적 해외 투자를 통해 매년 수출역량을 강화해왔는데, 올해 중국 베이징 3공장 모듈 생산규모를 34만대로 증설하였으며 연간 30만대 규모인 장쑤 3모듈 공장도 완공 해 1분기부터 가동에 들어갔음. 앞서 지난해 9월 완공한 터키 공장에서도 양산을 시작 했고, 미국 오하이오 모듈공장에서 공급 중인 크라이슬러 섀시모듈 누적 생산대수는 지난해 100만대를 돌파했음. 이에 따라 GM과 폭스바겐, BMW 등 외국 자동차 업체에 대한 수출 실적이 2009년 5억3천만 달러에서 2010년 11억 7천만 달러, 2011년 18억 2 천만 달러, 2012년 22억 6천만 달러로 해마다 가파른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금년 에는 30억 달러돌파가 기대되고 있음. 또한 친환경 자동차 핵심 부품의 연구 개발 및 생산과 품질관리 능력을 갖추고, 현 대 / 기아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친환경 자동차에 핵심 부품(구동 모터, 시동발전기, 전 력변환장치 및 배터리 팩)을 공급하고 있음. 향후에도 당사는 독자적 설계역량을 강화 하고 프로세스표준화를 더해 지속적으로 글로벌 경쟁력을강화할 계획임. 또한 당사는안전을 위한 기술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 지능형 헤드램프, 능동형 안 전벨트, 차선유지지원 시스템 등 자동차에 IT와 전기/전자 기술이 융합된 첨단부품을 적용하여 자동차가 스스로 위험에 대처하고 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며, 다양한 유형의 교통사고를 분석해 고객의안전을 최대한 담보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들어가고 있음. - 137 - - 4. 50억불, 엘지이노텍(주) / 대표이사 이웅범(李雄範) ▲ 수출품목 : 전자산업용 LED, 모바일,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차량 부품 등 ▲ 수출실적 : 550,526만불(전년도 대비 6%증가) ▲ 담 당 자 :오법민(☎ 02-3777-0158) 공적내용 엘지이노텍(주)는 1970년 창립 이래 소재 및 부품 산업의 기술 발전을 선도해온 대 표적인 최첨단 소재 및 부품 기업으로, 매년 연평균 25%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음. 당 해년도 직수출총액은 283,146만불인데, 이 중 5대 시장 (중국, 미국, 일본, 홍콩, 싱가 폴)의 직수출액은 262,696만불로 전체 비중의 93%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타 시장은 20,450만불의 실적을 기록함. 품목별로는 전자산업용 그 밖의 기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당사는 카메라 모듈사업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적용되는 초슬림, 고화소 카 메라 모듈을 공급하여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스마트TV, 웨어러블 컴퓨터에 도 적용하여 그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음. 또한 차량용 전장부품사업에서 기존 자동차 부터 전기차, 스마트카 등에 장착되는 모터와 센서, 통신모듈, 파워모듈, 카메라모듈, LED조명모듈 등을 선보이며 안전과 편의성을 높여가고 있음. 조향 및 제동장치용 모 터와 센서는 국내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음. 아울러 LED사업에서 친환경 조명으로 주목 받고 있는 LED조명의 핵심인 LED칩과 패키지를 국내외 조명 업체에 공급하고 있으며, 세계 4대 LED 기업으로서 글로벌 시 장 선두 그룹을 형성하고 있음. 기판소재사업에서는 스마트폰, 노트북PC, 올인원PC 등 IT기기의 핵심 부품인 터치스크린 패널과 반도체 패키지용 기판 등을 개발하며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음. 또한,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 패널은 세계 최고의 성능을 확보 해 기술력을 입증한 바 있음. 한편, 본사를 제외한 각 사업장 별로 어린이 집을 설치하여 임직원들의 자녀를 맡겨 안심하고 근무할 수 있는 복지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Refresh 휴가, 장기근속휴가 등 일과삶의균형을꾀할 수 있도록 다양한휴가 및복지 제도를운영 중임. - 138 - - 5. 40억불, 현대제철(주) / 대표이사 박승하(朴承夏) ▲ 수출품목 : 철및비합금강H형강, 용융아연도강판 ▲ 수출실적 : 428,626만불 (전년도 대비 43%증가) ▲ 담 당 자 :황보배(☎ 02-3464-6206) 공적내용 현대제철은 지난 1953년 한국 최초의 철강회사로 탄생한 이래 한국철강산업의 중추 적 역할을 수행하여 발전을 거듭해 왔으며, 조강생산능력은 2,400만 톤으로 세계 10위 권에 속하는 종합철강회사로 자리매김하였음. 2013년 12월, 현대하이스코 당진공장과 순천공장을 인수해 제선에서 제강, 연주를 거쳐 열연강판 생산뿐 아니라 하공정 제품 인냉연강판까지 생산하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일관제철소로거듭나고 있음. 당사는 자연 상태의 철광석으로부터 완성품인 자동차, 다시 재활용 원료인 철 스크 랩에 이르는 자원 순환형 그룹체계를 세계 최초로 완성하였음. 순환 고리는 조강생산 을 시작으로 열연강판 및 냉연강판 제조(현대제철), 완성차 생산(현대/기아자동차), 폐 차 처리(자동차 리사이클링센터)로 이어지며, 여기서 나온 철스크랩은 기존 전기로 중 심의 자원순환 고리를 통해 철근 및 H형강으로 만들어져 토목 및 건설공사에 사용되 고, 이들폐건설자재가 또다시 철 스크랩으로 재활용 되는형태임 주요 생산제품은 H형강, 철근 등 봉형강류, 열연 및 냉연강판, 후판 등 판재류, 주강 품, 중기계, 압연롤, STS 등으로 제품 구성에 있어 세계 최고의 포트폴리오를 자랑하 고 있으며, 매출액은 2012년 14조 1,287억원, 2013년 12조 8,142억원이며, 금년 매출액 은 16조 3천억 원이 예상됨. 산업통상자원부가 세계시장 점유율 5위 및 5% 이내이면 서 수출규모 500만불 이상, 혹은 세계시장 규모가 5,000만불 이상인 제품을 기준으로 선정하는 세계일류상품을 국내 철강업계중 가장 많은 6개 제품(H형강, 압연롤, 무한궤 도, 선미주강품, 부등변부등후앵글, 강널말뚝)을보유함으로써 수출확대를 통한 국제무 역수지 개선과 대한민국의 국가적 위상을드높이고 있음. 국내 및 해외고객의 원천 경쟁력을 강화하고 동반 성장하기 위해 기술지원, 교육훈 련, 해외고객 기술 교류회 등 다양한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고객과의 간담회를 통한 고객의 불만사항 요구사항 청취 등 대중소 상생협력 실천을 위해노력하고 있음. - 139 - - 6. 10억불, (주)현대케피코 / 대표이사 박상규(朴尙圭) ▲ 수출품목 : 자동제어기,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12,357만불 (전년도 대비 14%증가) ▲ 담 당 자 :윤수영(☎ 031-450-9254) 공적내용 1987년 설립된 현대케피코는 자동차 전자제어시스템의 핵심부품을 개발 및 생산하며 그 위상을 확고히 다지고 있는 국내 제1의 자동차 전자제어시스템 전문기업임. 그간 해외선진기술사인 독일 로버트보쉬와 합작관계를 유지하며 선진기술 노하우를 습득해 오다, 2012년 보쉬와의 사업 분할 후 현대자동차 단독경영체제로 새롭게 출범하여 기 술자립의 초석을 마련하였고, 2013년 연결회계기준 약 1조 6,670억 원의 매출을 달성해 꾸준한 매출신장을 이룩하고 있음. 당사는 2013년 매출 1조 6,670억을 달성하며 전년대비 약 10%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 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나갔고, 당해 연도 직/간접수출을 포함해 약 11억 2천 4백 불의 수출 실적을 기록해 전년도 대비 14% 수출실적이 신장되는 성과를 달성함. 1992년 설립된 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전체 인원(국내직원 기준)의 약 22%인 260명 의 연구원이 자동차 전자제어시스템 관련 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그 결과 레버타입 스로틀포지션 센서, 흡기 매니폴드 모듈 시스템, LPI 엔진용 연료분사기 등을독자 개 발하여 양산함. 아울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 지원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2011년 현대자동차그룹 부품 계열사 최초로 개발 프로 세스 역량 성숙도 모델인 CMMI 레벨 4 인증을획득함. 또한 1996년 ISO 9002, 1998년 QS9000/ISO 9001, 2004년 ISO/TS 16949, 2007년 현 대기아차 품질 5스타 인증획득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품질체계를 확립하고 있으며 이에 더해 ‘글로벌 통합 GQMS’라는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해 제품 개발에서부터 구매, 생 산, 납품, 고객 애프터서비스까지 품질관리 전 부문에 대한 품질정보 공유와 품질 개선 관리를활발히 추진 중에 있음. - 140 - - 7. 10억불, 한세실업(주) / 대표이사 이용백(李龍伯) ▲ 수출품목 :편직물 ▲ 수출실적 : 129,940만불 (전년도 대비 9%증가 ) ▲ 담 당 자 : 박성철(☎ 02-3779-0812) 공적내용 한세실업은 1982년 창립 이래, 베트남, 인도네시아, 니카라과, 과테말라, 미얀마에 해 외법인과 뉴욕의 R&D 센터에서 의류 생산 및 디자인을 하고 있는 글로벌 패션 기업 으로, 2013년 매출액은 1조 1,747억 원을 달성하였음. 단순 생산만 하는 것을 넘어서 원단 소재에서부터 트렌드 분석, 디자인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자체 기획하고 개발하 여, 고객사가 선택하도록 하는 제안형 ODM(제조자 개발 생산) 시스템을 통하여 패션 트렌드 리더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글로벌 패션기업임. 한국 본사의 영업력 및 원부자재 개발 및 공급능력을 기반으로 해외 생산법인을 성 공적으로 운영하고 있음. 1986년 사이판을 첫 시작으로 현재 베트남, 인도네시아, 니카 라과, 과테말라, 미얀마에 11개 법인을 보유 중. 사이판의 경우 쿼터 제한과 관세가 없 어 수출환경이 매우 좋았으나 해당 정부에서 허가를 내주지 않아 진출이 어려웠던 상 황에서, 3년 동안 포기하지 않고 노력한 끝에 결국 첫 해외 법인을 세웠음. 이 영향으 로 한국의 다른 의류 수출업체들도 뒤따라 진출 할 수 있는 기반이 되어 한국의 의류 수출산업이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 또한 당사는 해외 진출 법인들의 현지 친화 정책에 성공하여 한국 기업의 이미지를 향상시켰고 우호적인 투자 환경을 만들었음. 협력업체의 통합과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매해 국내 상주 업체 및 해외에 진출한 국 내 업체와 함께 하는 간담회를 개최하여, 최근 시장과 바이어의 동향 및 비전, 품질관 리 및 상생경영 현황을 공유하고 있음. 또한 현재 국내에서 경쟁력이 약화된 관련 업 체 혹은 해외로 확장하고 싶으나 그 방법을 모르고 초기 자본이 부족한 업체들을 위 해, 당사의 베트남 진출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지에서 사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고 있음. - 141 - - 8. 9억불, (주)유라코퍼레이션 / 대표이사 엄병윤(嚴秉潤)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점화용와이어링세트 등) ▲ 수출실적 : 93,504만불 (전년도 대비 16%증가 ) ▲ 담 당 자 :백스라(☎ 070-7878-1035 ) 공적내용 (주)유라코퍼레이션은 자동차의 각 기관을 연결해주는 자동차 점화용 와이어링세트 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1993년 설립 이래 22년간의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경영혁신 으로 당해년도 자본금 34 억원, 종업원 1,862명, 매출액 1조 884억원의 견실한 기업으 로 성장함. 국내 9개 공장(청주/경주/평택청북/평택진위/유라R&D센터/팔탄기술연구소/ 화성장안/광주물류센터/서산물류센터)과 해외 7개국(중국/슬로바키아/세르비아/튀니지/ 체코/러시아/베트남)에 23개 사업장을 중심으로 기술 자립화와 국제적 코스트 경쟁력 확보로 우리나라 자동차부품산업의 글로벌화에 앞장서는 중소기업으로 발전함 당사는 기술개발 및 경영혁신 활동을 시작하였는데, 1997년 100PPM(품질혁신운동프 로그램)으로 혁신활동을 시작하여 1998년 Single PPM 인증 및 혁신활동과 2001년 6시 그마 경영혁신활동의 도입을 계기로 붐을 조성함. 그 이후 품질혁신활동은 전 공정 내 품질의 안정화로 이어지게 되어, 완성품 불량률이 2006년부터는 0 PPM으로 관리됨. 그 결과 2003년 중소기업최초 6시그마 혁신상, 2004년 Single PPM 대통령상, 2006년 품질경영상을 수상하며 2009년 한국품질 대상을 수상함. 당사는 중국을 현지화 전략의 시작점으로 하여 슬로바키아, 세르비아, 튀니지, 체코, 러시아, 베트남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였으며, 그 외에 이집트, 인도, 말레이시아 등으로 수출지역 다변화 전략 또한활발히 전개 하고 있으며 총수출 실적은 2013년도 805,605 천불, 2014년 935,043천불을 달성하며점진적인 수출증대를 이룸. 당사는 경영정보 공유를 통한 열린 경영 실천으로 2002년 “신노사문화 우수기업”으 로 선정된 이래 2005년 노사문화대상, 2009년과 2012년 노사 문화 우수기업으로 선정 되는 등 화합하는 노사로서의 기업문화를 정착함.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이 세계 제일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자동차부품산업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임직원 과 협력업체를 이끌어 투명경영을 실천으로 품질과 기술력에서 경쟁력 있는회사로 성 장하며 국가에 기여함. - 142 - - 9. 8억불, (주)경신 / 대표이사 이승관(李承冠) ▲ 수출품목 : 와이어하네스,커넥터 등 ▲ 수출실적 : 88,285만불 (전년도 대비 14%증가 ) ▲ 담 당 자 : 이영호(☎ 032-714-7291) 공적내용 ㈜경신은 1974년 국내 자동차 배선의 효시로 출발한 이래 경영이념인 신뢰 받는 일 류기업의 구현을 목표로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어오고 있음. 국내 제일의 와이어 링 하네스 기술을 바탕으로 전자, 커넥터, 친환경 제품의 개발을 통해 미래의 지속가능 경영을 지향하고 있으며, 고객 및 협력업체와의 상생협력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여 세 계일류 기업으로 더욱 성장하고자노력하고 있음 2013년 국내 매출1조를 달성하며 전년대비 약4%의 성장을 이룸. 2013년 7월 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42,273만불의 직수출과 46,011만불의 간접수출액을 기록하며 8억 불을돌파하였으며 전년도대비 신장률은 14%의 성과를올림. 신규 사업 기반 강화를 위해 송도 신공장을 설립 하였고 캄보디아에 생산법인을 설 립함으로써 W/H 기반 사업에도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음. 또한 스미토모와 협력을 통 해 전자 및 커넥터 사업의 자립능력을 키우고 있으며, 제품 설계부터 생산까지 전 부 문의 품질 경쟁력을 향상 시키고자꾸준한 투자와 연구개발의범위를 확대하고 있음. 친환경 기술개발 및 사업을 통한 지속가능경영의 강화 및 기후변화, 에너지 고갈 등 의 글로벌 이슈가 증가함에 따라 경신은 온실가스 감축활동과 친환경부품 개발, 에너 지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폐기물 발생 최소화를 통해 제조과정에서부터 청정생산을 바탕으로 인류의환경보존에 역량을강화하고 있음. - 143 - - 10. 6억불, (주)세아제강 / 대표이사 이휘령(李輝寧) ▲ 수출품목 : 유정용 / 가스정용의 철강제 케이징 ▲ 수출실적 : 60,692만불 (전년도 대비 3%감소 ) ▲ 담 당 자 : 기영준(☎ 02-6970-1066) 공적내용 세아제강은 1960년 부산철관공업으로 창업 이래 꾸준한 발전을 거듭하여, ‘기술력과 신뢰를 바탕으로 21세기 세계시장의 주역이 되는 기업’이라는 비전을 향해 끊임없이 달려가고 있는 업체임. 5대 시장인 중국, 미국, 일본, 홍콩, 싱가포르 판매가 85%로 외 화 획득 및 수출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고, 특히 미국으로의 강관 수출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룩하였으며, 그 수출량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음. 이러한 실적을 통하여 다 른 철강기업들의 미국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는데 기여하였음. 철강업에 종사하여 수출확대와 무역진흥을 위해 심열을 기울였으며 지속적인 성장하 고 있는데, 원재료의 구매처를 다양화 하여 수입의 성장에도 이바지하고 있으며 수입 수출의 지속적인 성장을 통하여 국가의 무역진흥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당사는 창업 이후 지속적인 연구 개발 활동의 결과로 당사의 주력 제품인 강관 및 용접관련 제조기술에 관련된 상표 3건, 특허등록 12건, 실용신안등록 1건, 의장등록 1 건등 총 17건의 기술관련 재산권을 보유하고 있고, 26건의 해외상표 등록을 통하여 수 출증대를 지속적으로 추진, POSCO와 공동개발로 OCTG 제품(SEAH-90 및 1% Cr 강)을 개발하여 미국 유정용 파이프 시장(CASING 및 TUBING)에서의 최상급 수준의 제품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음. - 144 - - 11. 6억불, 세방전지(주) / 대표이사 임동준(林東準) ▲ 수출품목 : 연축전지 ▲ 수출실적 : 60,867만불 (전년도 대비 55%증가) ▲ 담 당 자 : 이우행(☎ 02-3451-6249 ) 공적내용 세방전지는 1952년에 설립된 종합 연축전지 전문회사로써 60여년 가까이 쌓아온 기 술력과 신용을 토대로 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자동차용 축전지와 산업용 축전지를 생 산하고 있는 세계 5대 연축전지 종합 메이커 업체임. 1970년대 첫 수출을 시작하여 1996년 국내 축전지업계 최초로 1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으며, 2008년 3억불 수출 의 탑 수상, 2010년 4억불 수출의 탑 수상에 이어 2011년 5억불 수출 실적을 달성하여 우리나라 배터리 수출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을뿐만 아니라 세계축전지 시장에 서 우리나라가 대표적인 고품질의축전지 수출 국가로 인식되는데 기여한 바가큼. 2004년 국내 최초로 환경마크를획득한 산업용 전지 개발하였고 2005년에는 국내 최 초의 HEV(Hybrid Electric Vehicle)용 납축전지를 개발하는 쾌거를 이루어 내는 등 지 속적으로 세계 최고 축전지 메이커로의 도약을 준비함과 동시에, 다가올 친환경 시대 의 실현을 위한 태양광, 풍력, 친환경 연료전지 시스템 등 클린 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또한, 2010년에는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받았으 며 탄소 배출량 절감에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지구 환경 보존에 기여하는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음. 신제품으로 개발된 AGM 전지는 연비개선에 있어 비용대비 효율이 가장 높은 ISS(Idle Stop-Start)용으로 국내 자동차 메이커인 현대, 기아 자동차에 공급하여 당사 제품이 장착된 자동차가 수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까다로운 품질관리로 정평이 나있 는 독일의 세계적인 자동차 메이커인 VolksWagen와도 국내 축전지 업계 최초로 납품 을 시작하여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았음. 일본시장의 경우 지속적인 시장개척을 통하 여 세계적인 건설 중장비 제조메이커인 Komatsu, Sumitomo Nacco, Nichiyu로부터 높 은 품질 수준을 인정받아,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일본 전동 지게차 업계에 최초의 수입 전지로서납품을 개시하여 수출증대 및 산업발전에 기여함 - 145 - - 12. 6억불, 애경유화(주) / 대표이사 부규환(夫圭煥) ▲ 수출품목 : 무수프탈산과 가소제(플라스틱 제품의 주요 원료) ▲ 수출실적 : 60,626만불 (전년도 대비 34%증가) ▲ 담 당 자 : 현창수(☎ 02-850-2088 ) 공적내용 1970년 10월 설립된 애경유화는 무수프탈산과 가소제(플라스틱 제품의 주요 원료)생 산을 시작으로 주력제품 분야에 있어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선도 기업으로서, 지속 적인 설비투자와 수출지향 마케팅을 통한 전 세계 시장 확대하는데노력중임. 금년에는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적인 경기불황, 환율 및 석유화학 제품의 단가 하락 에도 불구 아프리카, 남미 등 지속적인 신규시장 개척을 통해 6억 626만불 수출을 달 성함으로써 매년 고도의 수출신장을 달성하고 있음. 특히 중국의 경기성장 저하 및 자 체 생산량 확대 등을 사전 예측하여 2004년 70%에 달했던 중국 수출 의존도를 개선하 기 위한노력을 지속 실행한결과, 당해년도는 그 비중을 16%까지 감소시켰고 대신 전 세계 다양한 시장을 개척하여 수출액을 지속 확대하고 있음.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Neo-T를 비롯한 각종 친환경 가소제를 개발하 여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자체 기술을 통한 바이오디젤(경유 대체) 생산으로 친환경 기업으로서의 입지를굳건히 하고 있음. 또한 바이오디젤 생산 시 부산물로 발생하는 글 리세린을 정제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기존 동남아에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고순도 정 제 글리세린을 생산, 국내 수입품을 대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국으로 수출을 진행 하여 2013년 3월 가동 이후 총 4,800톤을 수출 약 380만불의 외화획득에 기여하고 있음.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 및 친환경 에너지 개발과 관련된 국가의 바이오 에너지 정책과 장기적인 방향을 공유하여 2007년부터 시작된 바이오 디젤사업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그 결과 2013년 7월 대만에 바이오 디젤 약 2,500톤(약 269만 불)을 수출하는 실적을 이뤄내기도 했음. 이런 바이오 에너지의 활용 및 가능성을 더 높이고 장기적인 사업 영위를 위해 2013년도에는 정제 글리세린 설비를완공하여 현재 100% 가동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전량 동남아 지역 수입에 의존하던 정제 글리세린의 국내 시장을 당사 원료로 대체하는 등 바이오 에너지 사업의 고리를 하나로묶어 바이 오 에너지 기업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음. - 146 - - 13. 6억불, (주)엘지하우시스 / 대표이사 오장수(吳長洙) ▲ 수출품목 : 플라스틱깔개 및벽피복, 기타플라스틱제품 ▲ 수출실적 : 66,269만불 (전년도 대비 12%증가) ▲ 담 당 자 : 이동한(☎ 02-6930-1571 ) 공적내용 LG하우시스는 에너지효율 향상과 친환경 부문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을 공급하 고 IT 소재 등 고기능 소재 및 부품 사업의 성장 동력 확보를 통해, 미국과 중국을 중 심으로 한 글로벌 시장에서 도약하고 있음. 친환경, 에너지 세이빙 분야의 앞선 기술력 과 우수한 디자인 역량을 바탕으로 시장 선도 제품 확대와 IT 소재 등 고기능 소재솔 루션 제공을 통해 해외 시장에서의브랜드파워를강화해 나가고 있음. 중국시장에서는 R&D, 디자인, 생산, 영업 등 모든 부문의 현지 거점을 확보해 철저 한 현지화 전략을 펼치며 세계 최대 건설시장인 중국을 글로벌 최대 시장으로 육성하 기 위해 사업역량을 집중하고 있고, 미국시장에서도 고광택시트, 자동차원단, 인조대리 석, 바닥재, 기능성 점착필름 등 전략 제품 중심으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노 력하고 있음. 미국 시장에서 높은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고광택 시트를 키우고, 동시에 2011년 조지아주 고든카운티에 완공한 천연 석영을 원료로 한 엔지니어드 스톤 ‘비아 테라(Viatera)’ 생산공장을 바탕으로 고급 인조대리석인 엔지니어드 스톤 시장을 공략 해 나가고 있음. LG하우시스는 해외 신흥시장 진출에 본격적으로 가속도를 내기 위해 해외 건자재 전시회에도 적극 참가하고 있으며, 올해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도모텍스 아시아, 미 국 라스베가스 KBIS 전시회, 독일 뉘른베르크 전시회 등 전략시장에서 열린 전시회를 비롯해 터키, 이란 등 신흥시장의 전시회까지참가하고 있음. - 147 - - 14. 5억불, 한국니토옵티칼(주) / 대표이사 김홍인(金洪仁) ▲ 수출품목 : 기타광학기기부품, 기타주철 ▲ 수출실적 : 54,191만불 (전년도 대비 0%증가) ▲ 담 당 자 : 구자권(☎ 031-680-4184 ) 공적내용 1999년에 설립된 한국니토옵티칼은 2001년 ISO9001인증 및 벤처기업 등록, 2003년에 서 2006년까지는 어연공장, 현곡공장 준공 및 전공정 도입, 2012년부터 2013년까지는 2 년 연속 매출 1조원 달성에 달성하여 중소기업청으로부터벤처 1조기업에 선정되는 등 세계적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음. 생산제품으로는 세계일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용 일본 본 사로부터 외자유치를 받아 설비투자(도포기, 권치기, 해권기, 건조기, 예열기, 두께측정 기, LAMINATOR 등)를 진행하고, 그러한 기기들을 이용하여 POLARIZING FILM(편 광필름), ITO FILM, 보호필름 등 국내 대기업의 보세공장으로 수출하여 세계로 수출 되는 한국제조의 TFT-LCD, LED용 편광필름의 품질이 세계 제1의 수준이 되는데 기 여하였음. 중국, 일본, 홍콩, 슬로바키아, 대만 시장 개척을 위해 기여함으로써 국가발전과 지역 발전에 기여함. 2011년 1억 7천만불, 2012년 6억 3천만불, 2013년 6억 3백만불의 성과 를 달성하였고, 2013년 12월에는 신규편광필름 공정 및 ITO필름 공정을 2400억원을 투 자 도입하여 연간 고용효과 220명, 수입대체효과 3000억원을 창출하여 한국경제에 공 헌하였음. 품질을 위하여 개발 노력하여 고객사로부터 2005년 삼성전자 경쟁력향상 우수회사상 수상, 2007년 협력사 6시그마 최우수상, SC혁신활동 최우수상, 협력사 종합포상대상 수 상, BEST SUPPLIER최우수상 수상, 2008품질우수 협력업체 우수상, 2012 우수협력회 사 등으로 선정되며 국가산업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음. - 148 - - 15. 5억불, (주)드림텍 / 대표이사 김영호(金永浩) ▲ 수출품목 : 기타무선통신기기, 기타전자응용기기 ▲ 수출실적 : 57,308만불 (전년도 대비 19%증가) ▲ 담 당 자 : 이태오(☎ 041-589-4617 ) 공적내용 드림텍은 1998년 설립(자본금 10억 원) 이후 핸드폰의 주요부품인 Sub-PBA(인쇄회 로)를 주축으로 자동차 LED 전장 전자부품, 생활가전 TSP(터치스크린패널) 등을 개발 및 제조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그 동안의 축적된 제조공정 및 설계 및 개발 기술로 정보통신관련 국내 전자부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과 산업발전에 기 여하여 2013년도 회계기준 매출액 6,692억원을 달성하였음. 또한, 최근에는 신성장동력 사업으로 자동차 LED전장 사업에도 진출하였음. 당사의 직수출실적은 2013년 6월 41,959만불, 2014년 6월 46,869만불로 전년대비 총 12%의 신장률을 보였음. 당해년도 국가별/품목별 수출실적은 휴대폰용 Sub-PBA제품 을포함하여 중국을 비롯한 5대시장 46%, 기타 5대시장을 제외한 전 지역은 54%의 실 적을보임. 최근 세계 휴대폰 시장이 스마트폰으로 재편됨에 따라 관련 산업의 활황으로 동사의 주력사업인 휴대폰용 전자부품(KEY-PBA,근접센서,조도센서 등)의 매출량 증가 추세 에 있고, 늘어나는 생산량 증대를 위한 설비투자와 인력확보 등으로 국가 산업 경쟁력 확보와 고용창출에 기여를 하고 있음. 또한 정보통신 사업 및 자동차 전장 LED등 사업 다변화 및 글로벌 시장에 조기 진 입과안정화를 위해 연구개발 인력 및 관련 핵심 연구/개발 인력 확보를 위해힘씀. 이 에 따른 노력으로 정기적인 해외 전시회(전자부품 산업전시회)를 통해 선진 기술 및 시장 동향을파악하고, 사업의 다각화를 추진함. 또한 사업 상품화를 위한완성품 시연 회를 개최함으로써 신규 국내외 바이어를 발굴하기 위한 홍보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에는베트남 신규시장 진출을 위해노력하고 있음. - 149 - - 16. 5억불, (주)시몬느 / 대표이사 박은관(朴殷寬) ▲ 수출품목 : 가죽제가방 ▲ 수출실적 : 50,497만불 (전년도 대비 25%증가) ▲ 담 당 자 : 박종원(☎ 031-420-0312 ) 공적내용 시몬느는 패션과 핸드백이라는 단어가 다소 낯설었던 1987년 6월 1억 원의 자본금과 15명의 직원으로 본사를 창업하였고,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력과 장인정신을 토 대로 전 세계 고급 핸드백 브랜드와 거래를 쌓으며 업계에서 ´마이더스의 손´ 이라는 호칭을얻으며승승장구함. 당사는 글로벌 경기침체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베트남 현지에 해외공장 2곳을 증설 하며 생산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품질관리를 위한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명품핸드 백 이라는 네임밸류에 걸맞은 완벽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음. 이러한 적극적인 투자 및 노력의 결과로 2013년 6월말 기준 40,342만불, 2014년 6월말 기준 50,497만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함. 축적된 역량과 끊임없는 기술개발, 신규시장 진 출계획 및 바이어 발굴 등에 힘입어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며 이러한 오더의 증가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으로 베트남에 신공장을 중축하여 규모의 확장 및 제조업체를 뛰어 넘어 명실상부 글로벌 패션브랜드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음. 본사는 유럽의 명품브랜드 및 미국의 디자이너컬렉션 라인을아시아 최초로 유치함. 명품브랜드아시아 제조시장의 문을처음으로열었으며, 나아가 OEM 방식을탈피하여 단순한 위탁가공이 아닌 디자인과 소재까지 제안하는 ODM 이라는 새로운 생산 패러 다임을 만든 최초의 회사임. 디자인 및 소재 분야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였고, 그 결과 물로 지난 26년간 15만개 이상의 디자인 패턴을 제작하였으며, 유럽과 미국, 아시아, 나아가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에 이르는 방대한 자재소싱 능력을 보유하게 되었음. 자재입고부터 완제품 생산, 품질검수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부문별로 세분화된 자체검 수 시스템은 바이어를 신뢰하게 만드는큰 원동력임. - 150 - - 17. 4억불, (주)토비스 / 대표이사 김용범(金龍範), 하희조(河喜朝) ▲ 수출품목 : 액정디바이스, 데이터디스플레이 ▲ 수출실적 : 49,604만불 (전년도 대비 22%증가) ▲ 담 당 자 : 김태수(☎ 032-712-5112 ) 공적내용 토비스는 ‘인류가 존재하는 한 영원히 함께 갈 전자기기 중의 하나는 영상기기’라는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보다 편리하고, 보다 진보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영상기기를 연 구, 개발하여 인류의 발전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세계 속의 초일류 디스플레이 회 사로 나아가고자 1998년 설립되었음. 이 후 디스플레이 기기의 연구. 개발. 판매에 매 진한 결과 LCD 관련분야인 산업용 모니터와 휴대폰 모듈에서 세계 최고의 수준을 인 정받고 있음. 2006년도 매출액이 269억원에 불과했지만 매년 성장을 거듭하여 2013년 에는 4,728억원의 매출로 비약적인 성장을했음. 산업용 모니터 시장은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대기업의 진입가능성이 낮은 틈새시장 이며,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제품 설계능력과 제품의 신뢰성 구현이 가장 중요한 사 업 요소이기 때문에 신규업체가 진입하기 어려운 진입장벽이 존재하기에 7~8개 소수 업체가 전 세계 물량의 80% 이상을 공급하는 과점시장의 형태를 보이고 있음. 당사 설립 이전에 이미 국내 및 해외의 여러 기업들이 해당 사업을 영위하고 있었지만 설립 16년 만에 글로벌 2위의 위치를 확보 할 수 있었음. 이는 시장 지배적 위치에 있는 슬 롯머신 완성품 업체들과의 지속적인 관계개선 활동 및 Curved LCD, Button-deck 등 의 혁신 제품을 통해 신규시장을 창출함과 동시에 신규 거래선을 개척하는 계기가 되 었음. 또한 당사는 2003년 당시 LG전자가 휴대폰용 TTF-LCM을 일본으로부터 전량 수입 하던 것을 최초로 국산화하여, 해당 분야의 선두 주자로서 국내 LG디스플레이, 일본의 SHARP,HITACHI 등 글로벌 대기업들과 함께 LG전자의휴대폰 Display 주요 공급업 체로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음. 또한 2008년 이후 글로벌 메이저 업체인 일본 SONY, Kyocera, Sharp 그리고 국내 LG디스플레이로 고객 다변화를 추진했고, 공급 규모도 확대 중임. - 151 - - 18. 4억불, ㈜아이마켓코리아 / 대표이사 박병주(朴炳州) ▲ 수출품목 : 기타기계류부품, 기타전선 ▲ 수출실적 :$ 43,637만불 (전년도 대비 86%증가) ▲ 담 당 자 : 김엄지(☎ 02-3708-8237) 공적내용 ㈜아이마켓코리아는 2000년 12월 산업재 B2B 전자상거래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MRO(유지, 보수,운영)품목의 구매관리와 전략구매컨설팅 및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하 는 전자상거래 업체임. 2012년 미국법인 설립을 시작으로 2013년 시안법인과 베트남법 인을 설립하며 해외 시장 개척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음. 2011년 말 기준 누적수출금 액은 80,300만불였으며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연 평균 15% 이상의 매출액 증가를 보 이며 다양한 산업군의 4,200여 고객사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당사는 주요 산업 자재의 Local 생산 및 Global Maker 조달 기반이 취약한 점을 파 악/반영하여 Local 파트너 발굴, 한국 및 중국 광조우 소싱을 통해 Global 소싱 최적화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하고 기업용 자재의 아웃소싱 서비스 도입을 통해 직접 원가 절 감 뿐만 아니라 절감 효과도 도모하여 TCO 관점에서 절감효과 극대화를 비춰주고 있 음. 사업 설립년도부터 2001년 MRO 구매 서비스 개시, 국내 MRO e마켓 사상 첫 수 출하고 2005년 협력사 평가관리 시스템, Smart-i 개발, 2006년 VOC 관리 시스템, Smile-i개발, 2008년 해외 글로벌 구매시스템, e-Glocal 오픈, 2009년 전자동 소싱시스 템A-Match 개발 등등 지속적인 사업확장과 기술개발이 이루어짐. 당사는 현재 전 세계 13개국의 27개 고객사 해외법인에 수출하며 해외 법인 주재원 파견 및 전문 인력을 통한 현지 구매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중에 있음. 2009년 연 방조달청의 적격업체 판단 심사기준인 GSA를 통과하면서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 으며, 글로벌 소싱 강화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선진 해외 유통사와의 제휴를 바탕으로 해외 수출 판로를 개척함. 고객사로부터 전략구매 컨설팅을 통해 개선포인트 로파악된 비핵심 구매업무를 이관받아 품목에 따른 통합 구매 및 적절한 대체재적용 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 하고 고객사의 경쟁력을높이는 데 기여함. - 152 - - 19. 4억불, 세메스(주) / 대표이사 문주태(文周泰) ▲ 수출품목 : 반도체제조용장비,평판 디스플레이 ▲ 수출실적 :$ 40,946만볼 (전년도 대비 653%증가) ▲ 담 당 자 :남진모(☎ 041-620-8100 ) 공적내용 ㈜세메스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부문에서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기술 및 신 제품 개발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서 지난 2011년 1억불 수출탑을 수상한데 이어올해는 국내 장비업계 최초로 미국과 중국에 자체 개발한 비메모리 장비를 수출함. 당사는 반 도체/디스플레이/LED 전공정 및 후공정 핵심장비를 생산하며 반도체 공정장비의 총체 적인솔루션을 제공함. 공정 미세화와 3D Nand 및 Flexible 기술의 선행개발을 통해 차세대 반도체와 디스 플레이의 前공정의 핵심장비 개발과 원천·요소기술을 확보함. KLA-Tencor 등 해외 기업이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반도체 後공정의 검사/계측기 분야도 삼성과의 연계를 통해 Macro/ARS/SPM 양산화를 이루어내는 등 국산화 및 점진적인 시장창출 에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또한 자체 연구소 설립 및 Open Innovation을 통한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여 기술 내재화 및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오픈이노베이션 확대 및 차세대 선행/애로기술 확보 를 위한 산학과제의 확대 운영을 진행함. 해외시장 개척으로는 美에 이어 中 시안에 법인을 설립하여 시장확판의 교두보를 마련하였으며 올해는 국내 장비업계 최초로 매 출 1조원돌파를 통해 글로벌탑10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음. 당사는 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실천하여 정기 협력사 경영자간담회를 통해 협력사 VOC청취 및 상생협력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우수 협력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또한 협력사의 공정한 하도급거래 보장과컨설팅 지원을 통해 상호윈윈할 수 있는 올 바르고 모범적인 협력업체육성, 발전을 위해노력하고 있음. - 153 - - 20. 4억불, 고려해운주식회사 / 대표이사 박정석(朴廷錫) ▲ 수출품목 :윤활제, 기타배전및제어기 ▲ 수출실적 : 48,307만불 (전년도 대비 11%증가) ▲ 담 당 자 : 문창민(☎ 02-311-6016) 공적내용 고려해운주식회사는 1954년창립 이래 해운 산업의 선두 주자로서 60년간축적된 경 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특히 반세기에 걸친 해운 물 류부문의 지속적인 고부가 가치 창출을 통한 고품질 서비스 제공과 무사고 안전 운항 으로 해운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해왔으며, 부산항, 울산항 등의 발전에도 이바지 하여 무역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에 일조하고 있음. 현재 한일, 한중, 동남아, 인도, 중동 항로 등 주요 항로에서 국내외 유수의 선사들과 공동 운항 체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폐사의 아시아 주요 항로에서의 다양한 전략적 제휴 및 공동운항 체제 강화를 통해 외국적 산사의 부산항 정기 기항을 적극 적으로 유도하고 부산항을 아시아 권역의 중심 항으로 발전시켜왔음. 또한 해외 법인 및 분공사, 사무소 설립 등을 통해 각 지역에 물류 거점을 확대하며 해외투자 활성화 와 외화 획득에 큰 기여를 하고 있음. 이와 같이 지속적인 신규항로 개발과 견실하고 내실 있는 경영의 정착을 바탕으로 국내외 해운업계에서 모법적인 선사로귀감이 되고 있으며, 지난 60년 동안 한국해운산업의 성장, 발전과 함께하면서 국가와 지역발전 및 경쟁력을높이는데 이바지하고 있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해운업계의 불황 속에서도 지난 6년 동안 비약적인 성장을 이 루하며 수출 증진에 기여해왔으며, 매출액은 2005년 4천억대에서 2013년 1조원 이상으 로 증가하였고, 물동량은 2005년 80만 TEU(Twenty-foot equivalentunits)에서 2013년 160만 TEU로 증가하였음. 특히 해운업계에서는 유례없는 29년 연속 흑자를 시현하며, 안정적인 수출실적 증진을 기록하고 있음. 아시아 역내 최고의 선사로서 2013년까지 인천항 4년 연속 연간 물동량 1위를, 울산항 물동량 규모 전체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부산항에서는 가장항차 수가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사로 국내항만에서활발히 수 출증대활동에힘쓰고 있음. - 154 - - 21. 3억불,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주) / 대표이사 김경섭(金敬燮) ▲ 수출품목 : 자동차 계기판 ▲ 수출실적 : 30,956만불 (전년도 대비 13%증가) ▲ 담 당 자 : 최도연(☎ 055-220-9140) 공적내용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는 38년의 오랜 역사를 가진 국내 최고의 자동차 계기판 제 조기업임. 품질과 기술우선 정책을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펼친 결과 급변하는 대내외적 경제환경의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하였고, 사회적 책임에 따른 일자리 창출과 공헌활 동 등에 적극참여하여 성실한 기업문화 정착에 공헌함. 로컬수출을 포함한 총 수출액은 2011년 약 1.2억불, 2012년 약 2.7억불, 2013년은 약 3.1억불로 매년 10% 이상의 수출신장률을 보이고 있어 수출주도산업의 국가경제성장 에 지대한 공을 세우고 있음. 2013년 이후에도 각종 신제품과, 신규 거점 설립과 더불 어 주요수출국인 중국, 일본, 미국 등지에서 대외무역 증대로 2억불, 3억불 전망을 앞 둠. 사업 다각화를꾸준히 추진한결과 최첨단안전장비HeadUp display 및 스마트키를 개발하는 등 향후 10년간 회사를 이끌어갈 신 성장 동력의 기반을 구축함. 현재는 국 내 최고급 자동차에 그 기술이 고스란히 적용되어 국산기술의 한층 레벨 업된 자동차 가 해외시장에 판매되고 국가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킴. 차선이탈방지 시스템(LDWS)은 선진기술 도입으로 일본 본사 개발품의 국내자동차 적용계획 수립이 완료되었고 Head Up Display(HUD)는 국내 최초로 양산화에 성공하여 2012년부터 국내 최고급차종(에 쿠스,K9)에 채택된 첨단안전장치로서 자동차 앞유리창에내비게이션, 차간거리등운 전자의편의 정보를 영사하여 운행 중에도 방해 없이 전방에 시전을 고정한 채로 드라 이빙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차후 신규개발차종에도 지속적인 채용이 검토되고 있어 수익구조 개선 및브랜드 가치상승에 상당한효과를거둘것으로예상됨. 글로벌 생산기지 확장으로 중국을 시작해 해외 신 공장을 설립하여 유럽에는 폴란드 법인, 체코공장, 슬로바키아공장에 직접 납입을 추진하며 연간 40만대규모의 생산 공장 운영 중 - 155 - - 22. 3억불, ㈜코리아써키트 / 대표이사 이광원(李珖遠) ▲ 수출품목 : 전자회로기판(PCB) ▲ 수출실적 : 36,795만불 (전년도 대비 9% 감소) ▲ 담 당 자 : 김기현(☎ 031-436-5528 ) 공적내용 1972년 설립된 코리아써키트는 지난 42년간 오직 전자회로기판(PCB)라는 한 분야에 집중하여 국내 PCB산업 성장 동력에 한 축을 이루고 있으며, 현재는 세계 최고의 PCB 시장조사기관인 Prismark에서 발간한‘2013년 전자산업보고서’에서 세계 PCB그룹 2위로 Rank된 영풍그룹의 전자계열사로 세계 일류 IT기업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Micron, SanDisk 등을 고객사로 둔 글로벌 IT산업을 선도하는 전자부품분야 최고의 기업임. 주요 제품으로는 최신 스마트폰, Tablet PC, 컴퓨터 등에 내장되는 HDI, 메모 리모듈,SSD, CSP, PoP, FCCSP 등이 있음. 금년 수출실적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세계 일류의 전자회로기판(PCB) 제조업체라는 명성에 걸맞게 PCB 수출이 256,046천불이며, 지역별 수출실적은 중국에서 7,086만불, 홍콩에서 5,950만불, 싱가포르에서 498만불, 미국에서 135만불, 일본에서 88만불, 기타 시장에서는 11,847만불(베트남, 푸에르토리코, 인도, 말레이시아, 대만, 이스라엘, 프랑 스, 몰타, 브라질, 필리핀 등)로 전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음. 전 매출 약 90%가 수출을 통해 이루어져 국가 수출 진흥에 기여하고 있음. 선행적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우수한 품질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여 품질경영에 있어서도 혁신적인 노력을 하여 왔으며, 특히 품질관리를 위한 현장사원 자격인증 제도를 도입하여 체계적인 교육으로 품질 향상 및 전문성 신장을 도모하고, 사외직무 전문교육의 폭넓은 지원을 통해 1인 1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인재육성에 심 혈을 기울이고 있음. 이런 노력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모비스 등으로부터 최 고 품질 기업으로 인정을 받았으며, 2년 연속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에서 대통령상 을 수상하기도 하였음. 이러한 노력들을 통하여 전 세계에 수출하는 전자제품에 초일 류적인 부품을 제공하여 부품산업의 수출증대효과에 크게 이바지하였음. - 156 - - 23. 3억불, 현대위스코(주) / 대표이사 윤준모(尹駿模) ▲ 수출품목 : 자동차 엔진, 동력 전달장치 ▲ 수출실적 : 32,372만불 (전년도 대비 6%증가) ▲ 담 당 자 : 최우영(☎ 055-280-1765 ) 공적내용 1974년 10월 창원공업으로 설립한 현대위스코는 자동차의 엔진과 동력 전달장치 등 자동차 핵심부분에 들어가는 단조부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로, 자동차의 기본 이 되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단조 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한편 이를 기반으 로 엔진, 미션부품도 가공, 조립하는 생산체제를 갖추어 자동차 부품전문기업으로 발돋 움하고 있음. 현대차 그룹의 계열사로서 주요 매출이 현대/기아차, 현대파워텍, 현대다이모스, 현대 위아 등 그룹사와 한국 GM등 국내시장에 치중하였으나, 2009년부터는 수출 전담조직 을 구축하여 해외시장을 개척하여 해외직수출이 급격히늘어나고 있음. 단조부문의 최고의 설계와 기술력으로 독자 설계뿐만 아니라 정밀금형을 자체 제작 하고 있으며, 단조금형 생산에 필요한 자동화 설비(EDM, Machining Center, 고속가공 기 등)를 구축하고 있음. 또한, CAD/CAM/CAE 운영을 통한 최고의 설계 능력 및 모 델링으로 사전 제품 검증 및 3차원 측정을 하고, 금형 스캐닝으로 첨단 고속가공 기술 을 한층 발전시키는 등 첨단의 금형기술을보유하고 있음. 오늘날 자동차 주요 관심이 소음진동(NVH)을 줄이는 것임을 감안하여 소음진동 (NVH) 개선을 위해 부품 경량화를 추진 중이며 이 일환으로 샤프트류의 중공 단조기 술을 개발해 2011년부터 양산하고 있고, 차량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단조기술과 알 루미늄 Wheel 단조기술을 국내 최초로 적용하고자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이러한 기술과 노력을 바탕으로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 기존의 내수중심의 사업구조 에서 탈피하여 해외시장 판매를 통한 수출기업화 강화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고 있음. 이를 위하여 북미시장 중심의 수출을 멕시코, 태국, 독일, 이탈리아 등 아 시아 및 유럽 지역으로 시장을 다변화하고 있고, 해외시장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단조제품에서 고부가가치품인 가공, 조립제품으로의 품목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음. - 157 - - 24. 3억불, 주식회사성우하이텍 / 대표이사 이명근(李命根)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32,893만불 (전년도 대비 30%증가) ▲ 담 당 자 :강승호(☎ 070-7477-5216) 공적내용 1977년 성우금속 이름으로 설립되어 동차부품(Sub-KD, 반제품상태의 차체부품)을 주력으로 프레스설비장비, 금형 설비장비, 로봇 및 용접 설비장비, 원자재(코일), 소모 품 등 다양한 제품을 중국, 체코, 인도, 러시아, 우즈벡, 브라질 등의 국가로 수출하고 있음. 매출액 3.1조원(13년 연결 매출기준, 개별 매출기준 9,371억원)을 기록했으며, 국 내에는 성우몰드(금형공장), 아산성우, 지사공장, 코일센터 등을 설립하여 운영중이고 해외에는 1998년 인도를 시작으로 중국 무석, 북경,염성, 심양, 연태, 체코,슬로바키아, 인도,러시아, 우즈벡 등많은 해외법인들을 설립 및운영 중에 있음. 1998년 자동차 차체업체로는 최초로 인도 첸나이에 진출하여 현지 자동차 회사와 합 작으로 TSAL이라는 법인을 설립하여 성공적으로운영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글로벌 경 영의 발판을 마련하였음. 세계 유수의 자동차메이커들의 각축장이 된 중국에서 2002년 8월 상해, 2002년 10월 북경, 2006년 12월 염성에 각각 100% 단독 출자하여 현지 법인 을 설립하였으며 국내에서 검증받은 안정적인 공장운영 기법 및 선진기술을 바탕으로 완성차의 품질확보 및 가격경쟁력을 높이는데 일조하였음. 또한, 체코의 현지공장은 대 규모 투자를 통해 현지인들로부터 매우 우호적인 기업으로 인식되고 있어 한국의 위상 을 세계 속에 과시하여 국위를 선양하고 있음. 또한 2012년 선진 자동차 기술의집약체 인 독일에 자동차 부품회사인 WMU를 인수하였고, 현재 WMU를 발판으로 BMW 등 글로벌 업체에 공급을 준비 중에 있으며, 2014년에는 기아자동차 멕시코 프로젝트에 참 여가 확정되어 현재멕시코 현지에 법인설립 및 공장건축을 준비 중에 있음. 기술개발 관련하여 2002년 국내 최초 TWB레이저 용접기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여 양산에 적용하였고, 금형에 의한 프레스 성형과는 달리 롤러에 의한 다단성형인 ROLL FORM´G 제조기술을 개발하여 양산에 적용시킴으로서 범퍼 중량 및 부품수를 획기적 으로 감소시켜 자동차 부품의 경량화에 크게 기여하였음. 이러한 신기술을 적용하여 충돌시 안전도 향상은 물론 자원 및 제조원가절감과 완성차 경량화를 통한 연비향상 효과를 가져왔음. - 158 - - 25. 3억불, 한국파워트레인(주) / 대표이사 김상태(金相太) ▲ 수출품목 : 자동차 동력장치(토크컨버터) ▲ 수출실적 : 36,555만불 (전년도 대비 32%증가) ▲ 담 당 자 : 이정아(☎ 053-260-3008) 공적내용 1993년에 설립된 한국파워트레인은 세계 최고의 기술 실현을 목표로 매출액 대비 약 10% 이상의 과감한 연구개발 투자로 기술혁신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독자적 기술 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차량 경량화에 의한 탑재성 및 성능 향상, 연비 및 승차감 향상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토크컨버터의 초소형/고성능 설계기술 및 신개념의 댐퍼설계기 술을 확보하고 있음. 끊임없는 신기술을 개발을 통해 국내에서는 유일한 토크컨버터 제조업체가 되었고, 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2 ~ 3위 수준을점하고 있음. 현재 본사를 포함한 총 4개의 사업장과 수원 연구소, 그리고 미국 디트로이트에 Sales Office를 운용 중이고, 미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세계 20개국, 18개 회사, 80개 공장에 당사의 토크컨버터 및 엔진풀리, 기타 자동변속기용 부품을 공급하여 당해년도 수출실적은 약 3억 7천만불을 달성하였음.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 제일의 변속 기 제조 MAKER인 ZF의 미국 및 중국 공장에 당사의 토크컨버터를 공급 개시하여 당해년도 약 2,400만불의 실적을 달성하였고, 또한 내년도인 2015년에는 MASTER 수 출 1천억을, 2016년에는 1천 5백억원을 목표로 수출업무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국내에서는 독자설계능력을 갖추지 못하여 수입에 의존하거나, 비싼 로열티를 지불 하고 설계기술을 도입하기도 하고, 단순 생산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던 오토트랜스 미 션의 핵심 동력장치인토크컨버터를 국내 자동차 부품 업계 최초로 국산 및 자동화 개 발에 성공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외 완성차 및 트랜스미션 메이커에 전량 공급함으로 써독점적인 시장우위를 확보하고 있음. - 159 - - 26. 3억불, (주)화승알앤에이 / 대표이사 백대현(白大鉉) ▲ 수출품목 : 자동차용웨더스트립 ▲ 수출실적 : 39,146만불 (전년도 대비 9%증가) ▲ 담 당 자 : 박재우(☎ 055-370-3213) 공적내용 화승알앤에이는 자동차용웨더스트립(문을닫았을때 비와물, 먼지 등이 실내로 들어 오지 못하도록 문과 차체 사이에 꼭 맞게 마련된 탄성 고무), 호스 등 자동차용 고무 부품 및 조선 기자재를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2009년 3,760억원, 2010년 5,157억원, 2011년 6,308억원, 2012년 6,612억원, 2013년 6,554억원으로꾸준한 성장을 계 속하고 있음. 국산 자동차의 품질 및 브랜드 이미지 상승에 따른 수출 경쟁력이 강화됨에 따라, 완성차 업체의 해외현지 생산판매 전략 강화와 발맞추어 완성차업체와 해외 동반진출 하였고, 미국, 중국, 인도에 4개의 현지 법인 및 독일, 미국에 영업/설계 해외사무소를 설립 및 운영하여 다임러크라이슬러, GM, BMW, 폭스바겐, 볼보 등 굴지의 국외 자동 차Maker에 우수한 품질의 자동차 부품을직접납품하였음.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의 세계 일류 상품화를 추진하여 당사 제품의 신시장 개척 및 수출 확대에 큰 힘을 쏟은 결과, 현재 생산제품 분야에서는 국내 시장의 점유율 1위, 세계시장 점유율에서는 9위를 차지하고 있음. 또한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는 우리나라 대일 무역적자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는 부품 · 소재분야 품목 중 하나인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을 3년안에 세계시장점유율 5위 이내로 진입이 전망되는 수출주 력 상품으로 인정하였고, 자동차용 고무부품 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현재 세계일류상품 으로 2008년 12월에 선정하였음. 미국 조지아 공대에 화승 Lab 설치(2011년 3월 5일)하여 미래 기술 및 글로벌 기술 경쟁력 구축하고 있으며, 방산 국책과제를 통한 KHP용(한국형 헬기사업) 자기 밀폐형 연료탱크 국산화 개발을 성공하여 우수 방산업체로 인정받았음. - 160 - - 27. 3억불, 금호미쓰이화학(주)/ 대표이사 박찬구(朴贊求) ▲ 수출품목 : 기타합성수지, 기타석유화학제품 ▲ 수출실적 : 32,007만불 (전년대비 13%상승) ▲ 담 당 자 : 김혜원(☎ 02-6961-3762) 공적내용 금호미쓰이화학은 1989년 금호석유화학과 일본 미쓰이화학이 합작 설립한 회사로 자 동차 내장재, 냉장고 건축자재, 합성섬유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폴리우레탄 핵심원료인MDI(화학제품)를 생산하고 있음. 지난 1992년에 2만톤을 시작으로 2005년 생산규모를 6만 5천톤으로 확대한 뒤, 2009 년에 증설하여 15만 톤의 생산능력 구축하였고, 2012년 5만톤 증설을 통해 20만톤 체 제를 확립하였음. 이로써 아시아 지역을 비롯한 해외 시장의 자동차 및 가전 제품 산 업 성장에따른폴리우레탄 수요증가에맞춰 주원료인MDI를 적기에 공급하였음. 당사의 원천기술은 일본 합작사인 미쓰이화학에서 20여년전 전수받은 기술로써 대량 생산체제에는 투자비 과다, 반응시간 지연 등 아시아를 넘어 세계 각지의 고객들을 만 족시키는 데는 제조 방식으로부터의 한계가 있었음. 이에 따라 원천 기술을 뛰어 넘는 최고 수준의 품질, 제품 안정성, 고객에맞춘 특수 등급 및친환경 제품 개발로 경쟁사 진입을 차단하는데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성과를 가시화했음. 또한 독자적인 신 제조공 법(고속반응 기술)개발 및 공정 개선을 통한 고품질, 저비용 생산 체제를 확립하여 경 쟁사 대비 생산성을 증대하고 글로벌 원가 경쟁력에서도 우위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대한 계기를 마련하였음. 글로벌MDI메이커의 중국내증설완료에따라 2014년 초부터 중국 시장 공급과잉 여파가 글로벌 시장으로 전이되어 세계 MDI 가격 하락세가 현실화 되고 있으나, 당사 는 수출 지역별 탄력적인운영과 제품별 차별화를 통해 전년대비 약 13%의 수출 성장 을 이룩했음. 당사의 전체 매출 중 수출 비중은 50%를 상회하며, 이 중 2013년 50%에 가까웠던 중국 비중을 2014년 15%대까지 낮춤과 동시에 터키, 브라질, 타이완, 유럽, 미주/아프리카 등 지역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여탄력적으로운영하고 있음. - 161 - - 28. 3억불, (주)화신 / 대표이사 정호(鄭晧), 정서진(鄭瑞鎭)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샤시 모듈부품) ▲ 수출실적 : 36,553만불 (전년대비 96%증가) ▲ 담 당 자 : 최준희(☎ 054-330-5132) 공적내용 화신은 한국자동차 산업의 태동과 함께 하고 있는 회사로 1975년 7월 본격적인 자동 차 부품 전문생산업체로 기틀을 마련하고, 현가장치 및 차체 부품을 주요 생산품으로 하여 샤시 부품 등 고품질의 부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생산시설을 완비하였으며, 국내 외 완성차 자동차 업체 및 부품 업체를 상대로 샤시와 바디 부품류 등을 생산, 공급하 는 자동차부품 전문 생산업체임. 화신은 설립 이후 39년 동안 국내 완성차 업체와 상 생 및 협력을 통해 국내 3개 법인과 해외 4개 법인을포함한 총 7개회사 모두 자동차 부품산업 외길의 경영을 해왔으며, 국가 자동차산업 발전에혼신을 다하고 있음. . 2002년부터 국내 완성차 업체와 함께 동반 해외 진출하여 해외공장의 초기 품질확보 에 큰 기여를 한 결과, 해외 진출한 국내 완성차 업체의 품질 및 브랜드 가치가 증가 함에 따라 당사 제품의 해외 수출이 증가하였고 국내 완성차의 매출 의존도를 줄였음. 또한 판매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매출처 확보를 노력해온 결과 2012년도 1.38억불 당해년도 3.1억불의직수출을 달성하였음. 제품의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해 1987년 화신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고, 현재 160여명의 연구 인력과 최첨단 고기능 시험 장비를 갖추고 관련 제품의 성능 평가 및 품질보증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술정보 제공에서 기술인력 양성에 이르기까지 다 양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초 경량화 부품양산을 위한 Aluminum Hot Air Forming공법과 Hot Press Forming공법을 국내 최초로 개발에 성공하여 특허 및 양산 차종에 적용하고 있으며, 샤시 및 Body Part 부분의 전장화 연구에도 힘쓴 결과 국내 54건, 국외 9건의특허출원과 국내 113건, 국외 7건의특허를보유하고 있음. 부품소재 기술개발사업, 자동차 부품기반 기술개발 사업, 산업기술 개발사업 등 다수의 국책 과제를 매년 참여하고 있고, 일본 자동차 샤시 전문 부품업체인 F-tech, Y-tech 등 해외 선진사 부품업체들과의 기술교류를 통해 신기술 개발의 정보교환 및 상호 해 외사업 협력을 추진하고 있음. - 162 - - 29. 3억불, ㈜풍인무역 / 대표이사 박영표(朴永杓) ▲ 수출품목 :브라우스, 여성바지스커트 ▲ 수출실적 : 31,432만불 (전년대비 4%증가) ▲ 담 당 자 : 신동원(☎ 02-2067-0345) 공적내용 풍인무역은 25년 간 우븐과 니트를 동시에 생산해 온 수출 회사로서, 세계 유명 여 성 브랜드를 생산하여 해외 바이어로부터 그 품질과 디자인을 인정받고 있음. 현재 서 울 본사에 약 370명이 근무하고 있고,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 총 6개의 자체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11,000명의직원을 두고 있음. JC PENNEY, MACY’S, KOHL´S, ANN TAYLOR 등 미국 20여 개백화점 및 의류 브랜드에 생산 전량을 수출하고 있고, 매년 20%이상의 지속적인 성장을 하여 2013년 금융감독원 공시 매출액 및순이익 부문에서 2년 연속 국내 1000대 기업으로 선정되었 음. OEM(주문자 상표 부착품) ORDER만을 진행하는 타사와 달리 ODM(제조업자 개발 생산 방식)의 중요성을 미리 인식하고 자체 R&D 부서를운영하면서,컬러와 원단특성, 디자인을 바이어에게 제안하여 새로운 제품을 제작하는 등 OEM에서 ODM 회사로 진 화해 가고 있음. 또한 베트남 하노이와 호치민에 해외사무소를 설립하여 본사와 해외 법인의 원활한 의사 소통 및 지속적인 생산 관리를 통해 품질 향상에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JCPENNEY QUALITY AWARD, KOHL´S EXCLUSIVE VENDOR, MACY’S 5 STAR AWARD 등을 수상하며 고객들로부터 인정받는 정상급 의류수출 벤더로 자리매김하였음. 유행에 민감한 패션업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즌 별로 미국, 유럽에서의 트렌드 조 사를 실시하는 등 우븐사업과 니트사업에서의 경험을 모아 바이어에게 원스탑 서비스 를 제공하고 있음. 이러한 서비스는 신규 바이어 유치를 위한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활 용되고 있으며, 서비스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향후 미국과 유럽에 디자인 센터의 오픈 을 계획하고 있음. 이러한 노력으로 2013년 의류수출 부문에서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섬유패션인 대상을 수상하였고, 2014년 포브스 글로벌 경영부문 최고경영자 대상을 수 상하여회사와 국가의 위상을높이는데 이바지함. - 163 - - 30. 3억불, ㈜온코퍼레이션 / 대표이사 이종원(李鍾源) ▲ 수출품목 : FLAT TV ▲ 수출실적 : 37,890만불 (전년대비 44%증가) ▲ 담 당 자 : 정순복 (☎ 064-728-7044) 공적내용 온코퍼레이션은 중국에서 제조, 미국에서 FLAT TV를 판매하는 수출업체로 계속적 인 두 자릿수 성장률로 2014년 매출 4,552억을 달성하였음. 2013년 7월 본사 및 연구소 를 제주 첨단과학 단지로 이전하여 지역투자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직원들의 업무 환경을 끌어올려 일하기 좋은 기업을 만드는데 앞장서고 있음. 현재 미국 내 높은 브 랜드 인지도로 2013년 미국 TV시장 점유율에서 6위를 차지하였고, 향후 5년 이내 수 출 10억불(매출 1조) 달성과 한국 500대 기업(2013년 기준 매출순위 808위) 진입을 목 표로 하고 있음.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최대 유통업체들과 거래하여 RCA 독자 브랜드로 LCD, LED, PDP 등의 평판TV와 DLED TV를 세계 최대 대형 할인점인 WALMART, 미국 최대 가전 판매업체인 BEST BUY를 비롯하여 COSTCO, SEARS, KMART 등 유수 업체들과거래하고 있음. 2011년 1월 기업 부설연구소 설립과 2014년 2월에 디자인 연구소를 설립하여, 신제품 개발과 성능향상에노력하고 있으며, 고효율 LED BLU 제품개발 및저탄소 DLED TV 를 개발하여 상품화를 통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최근 판매와 소비자 니즈에 따라 Smart TV의 개발 및 생산 기술 확보를 통한 시장수요에 대응하고자노력하고 있음. 구매력이 높고 실용적인 구매 시장에서 기술과 가격이 어느 정도 표준화가 되면서 브랜드 가치는 점점 더 중요해 지고 있는 상황인데, 미국에서 높은 인지도의 RCA BRAND 라이센스 획득하여, 성공적인 TV유통업체 진입에 성공하였고 매년 대형 유통 업체 및 매장 수를 늘려가고 있음. 또한 세계최대가전 박람회 CES에 매년 참가하여 세계 각국의 바이어와 교류하며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는데, 2014년 CES에서 RCA TV 는 55“, 65”, 84“ 4K UHD Smart TV와 IPTV 등 새로운 디자인의 다양한 프리미엄 제품군과 ROKU TV, DVD COMBO, BD COMBO를 지원하는 새로운 디자인의 레귤 러 제품군을 선보여 기업 및 국가이미지 제고에도큰 이바지를 하였음. - 164 - - 31. 2억불,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대표이사 문태윤(文泰允) ▲ 수출품목 : 자동차 전장 부품 ▲ 수출실적 : 27,706만불(전년대비 9%증가) ▲ 담 당 자 : 이용운 (☎ 044-270-6273) 공적내용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는 전 세계 36개국 Continental Automotive AG의 아시아 중심 거점으로써 한국의 자동차 부품 사업을 이끌어 가는 회사임. 당사는 1979 년 4월에 만도기계(주) 설립을 시작으로, 1995년 8월 (주)한라일렉트로닉스, 1999년 3월 독일 Mannesmann VDO AG, 2001년 5월 독일 씨멘스 브이디오 오토모티브, 2007년 12월 독일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그룹으로 편입되면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해왔음. 주력 제품은 자동차 부품인 인스트루먼트 클러스터, 자동 온도조절기, 그리고 각종 핵심 센서류 등임. 대다수가 자동차 전장 최첨단 부품으로 선진 기술 및 높은 수준의 연구개발 능력에 의해 생산된 제품이며,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유수의 자동차 업체 에 동시에 공급되는 제품들임. 모든 제품에 대한 자체 연구 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무직의 50% 이상이 연 구개발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음. 그리고 인스트루먼트 클러스터의 연구개발 능력은 전 세계적으로 입증되어 콘티넨탈 아시아 연구개발 거점으로 육성 발전되고 있음. 또한 최근 최첨단 자동차 계기판인 Head Up Display (항공기처럼 자동차 유리판에 각종 정 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최신 계기판)사업을 시작하여 국내 자동차 선도 기업으로써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음. 수출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수출입 선진 기업으로써 외화 획득을 통한 국 내 경제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고, 관세 및 무역 행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무 역 행정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음. 주요 수출국은 미국, 유럽, 중국, 호주, 동남아 시아, 일본 등으로 세계 경제 주요블럭 모두를 수출 대상으로운영하고 있고, 특히 최 근 지속적으로 발효되고 있는 대규모 FTA에 발맞춰 추가적인 수출 활로 개척을 위한 지속적인노력을 경주하고 있음. - 165 - - 32. 2억불, (주)엘앤에프신소재 / 대표이사 이봉원(李奉源) ▲ 수출품목 :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소재 ▲ 수출실적 : 21,243만불(전년대비 6%증가) ▲ 담 당 자 : 최현철 (☎ 054-979-8858) 공적내용 엘앤에프신소재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소재 산업의 불모지인 우리나라에 2005 년 양극소재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창업 9년 만에 세계 시장 TOP3 그룹에 진입하였 음. 기존 대비 원가 혁신 소재인NCM계 양극소재를 세계 선두급(국내 최초)으로 양산 성공하여, 2011년에는 양극소재부문 세계시장 3위, 2012년에는 양극소재부문 세계시장 2위, 2013년에는 양극소재부문 세계시장 공동 1위를 차지하며 2014년에는 월드클래스 300 기업 선정되었음.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양극소재)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4대 핵심소재 중 에 원가(제조원가의 약 30%이상)와 성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소재로, 양극소재 산업의 세계시장 규모는 현재 3조원에서, 2020년도에 20조원으로 6배 이상 성장할 전망임. 또한 양극소재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산업은 미래 핵심 친환경/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스마트폰, 노트북, 전동기구, 로봇, 의료기기 등 다양한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관련 시장 선점을 위해 전 세계 유수 의 국가들과 글로벌 기업들이 진입 각축전을 보이고 있음.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엘앤에 프신소재는 괄목할만한 성장과능력으로 세계시장에서 우뚝서고 있음. 2007년 원가혁신 소재인,NCM계 양극소재를 세계 선두급(국내 최초)으로 양산 성공한 것을 시작으로, 중대형용 양극소재 시장의 성장을염두하여 2010년 국제자동차시스템의 개 발과 품질규격 요구사항인 TS16949를 획득하였으며, 2011년에는 국내 최초로 스피넬계 (LMO 양극소재) 제품을 이차전지의 발원지인 일본 중대형전지업체로 직수출을 하였음. 그 이후에도 2007년 4월에는 ISO 14001, ISO 9001을획득, 2011년 1월에는 부품소재전문 기업 선정, 2011년 12월에는 녹색기술인증 획득, 2012년 4월에는 INNOBIZ 인증 획득, 2012년 11월에는 동반성장위원장상을 수상하는 등 품질 및 기술개발노력을 해왔음. - 166 - - 33. 2억불, (주)엠씨넥스 / 대표이사 민동욱(閔東郁) ▲ 수출품목 : 초소형카메라모듈 ▲ 수출실적 : 21,417만불(전년대비 65%증가) ▲ 담 당 자 : 최영근 (☎ 070-8630-6810 ) 공적내용 엠씨넥스는 2004년 CCM기술을 기반으로 설립한 영상 전문기업으로서 초소형 카메 라모듈 분야에 대한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자동차용 카메라모 듈, 블랙박스용 카메라모듈, USB카메라모듈, 로봇용 카메라모듈, CCTV용 카메라모듈, Home DVR, 3D카메라모듈, 휴대폰용엑츄에이터 등각 사업 영역을 확장하여 매출액 과 수익률의 지속적인 신장을 계획하고 있음. 휴대폰 카메라모듈의 경우 8M를 넘어서는 13M, 16M 고화소 모듈과 초소박 제품을 선행 개발하여 생산하고 있음.특히 자동차용 카메라모듈은VGA급 제품으로서 자동차 의 전방과 후방을 모니터로 볼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MEGA화소급 제품도 개발하여 상용화되고 있음. 개발 초기에 화질에 중점을 두고 CCD(전하결합소자) 제품 으로 개발을 시작하였으나, 이후 가격경쟁력 강화를 위해 생산원가가 낮은 CMOS(상 보형금속산화반도체) 제품으로 개발하여 업계를 선도해 나가고 있음. 또한 차선이탈경 보카메라(LDWS), 통신핸들조향연계 후방카메라(CAN), 졸음방지(DSM 카메라), 나이 트 비젼 등 단순 VIEWING 기능을 넘어선 SENSING기능이 추가된 카메라모듈로 진 출을 준비하고 있음. 휴대폰 시장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업체 간 치열한 경쟁 및 중국업체들의 시장입지 확대로 일부 업체들은 사업부진이 심화되고 있 는 실정임. 이에 따라 당사는 시장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적극적인 시장 공략과 영 업을 진행함. 국내 삼성전자와 글로벌 업체인 중국의 ZTE, OPPO, FOXCCON, 일본의 교세라, NEC 등에 프리미엄 스마트폰부터 보급형 피처폰까지 라인업을 다양화하여 카 메라 모듈을 공급하였고, 다각화 된 고객사들과 중국 Local 시장을 선도해 가며 시장 시장점유율을 강화해 나가고 있음. 특히, 최근 글로벌 업체인 삼성전자에 공급을 통한 매출 신장을 공고히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국내시장과 신흥시장의 균형 있는 성장을 통해 시장점유율 확대 및 이익률 성장을 이어 나갈 계획임. - 167 - - 34. 2억불, (주)비에이치 / 대표이사 이경환(李庚桓) ▲ 수출품목 : 연성인쇄회로기판 ▲ 수출실적 : 23,203만불(전년대비 178%증가) ▲ 담 당 자 : 김대영 (☎ 032-510-2608 ) 공적내용 비에이치는 첨단 IT산업 핵심부품인 연성인쇄 회로기판(FPCB)과 그 응용부품을 제 조 및 공급하는 전문회사로, 1999년에 ㈜범환플렉스로 설립되어, 2001년에 ㈜비에이치 플렉스를 거쳐, 2006년에 사업의 다각화 및 새로운 기업이미지 창출을 위해 ‘㈜비에이 치’로 상호를 변경함. 제조 공정의 안정화를 통해 발전하기 시작하여 현재 40um 수준 인 Fine Pattern(미세회로)인 LCD 모듈, PDP Drive용 FPCB와 고도의 기술력인 IVH(Interstitial Via Hole) 및 HDI(High Density Interconnector)를 채용한 고부가가치 Rigid Flexible PCB(연성 인쇄배선 회로 기판)제품이 당사의 주력 생산제품임. 우수한 제품생산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본과 대만 등, 유수의 IT업체로의 수출은 물론 국내 대 기업에납품을 하고 있으며, 중견 FPCB 전문 제조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연성PCB(FPCB) 산업의 경우 다품종 소량 생산, 자동화의 어려움, 제품의 다양성, 생산인력의 높은 이직률 등의 어려운 여건으로 인하여 불량률이 타 산업에 비하여 상 대적으로 높은 상황임. 따라서 낮은 불량률 관리를 위하여 지속적인 설비 및 인력관리 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 중숙련도가높은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많은 역량을 집중하 고 있음. 국내 최대 고객인 삼성계열 회사와 LG전자계열 회사와의 거래 경험, 그리고 2004년 부터 지속되고 있는 일본 고객사와의 거래 경험을 바탕으로 구로다, 마쓰시다, 후시덴, 파나소닉, 오므론, 소니커뮤니케이션사 등과 현재 일부 초도양산 납품과 견적, 샘플 진 행 승인 및 추진 중에 있으며, 일부 업체와 추가적으로 영업이 확대될 예정임. 이러한 시장 개척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해외 영업 라인을 구축하고 일본 주요 업체인 JDI, 히타치, 교세라, 소니 등의 업체로 영역을 확대하는 마케팅 전략을 병행 추진하고 있습 음. 또한 북미향 고객사와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스마트폰 및 일반 휴대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태블릿 PC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확보에 주력하고 있음. - 168 - - 35. 2억불, (주)레노바시스템앤매트리얼 / 대표이사 이명숙(李明淑) ▲ 수출품목 : 액정디바이스,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 수출실적 :$ 22,668만불(전년대비 25%증가) ▲ 담 당 자 : 임연선 (☎ 02-558-8167 ), 공적내용 ㈜레노바시스템앤매트리얼은 2001년 11월 설립되어 액정디바이스, 평판 디스플레이 제 조용 장비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임. 2012년부터 일본 전자회사 LCD GLASS제품을 국 내기업에 임가공하여 중국현지 제조공장에 공급하는 임가공무역을 지속적으로 하고있 으며, 전자회의 공정에 필요 한 우수한 검사장비 및 REPAIR 장치를 중국 및 일본 공 장에 국내 제조사와 협력하여 공급 판매를 하고 있음. 첨단 기술 산업에서 제조 공정의 수율 향상, 비용 절감, 품질 향상, 그리고 자동화, 에 너지절약화에 크게 공헌하고 있으며, 반도체, FPD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 제조 장비 사업, 소재 사업, 컴포넌트 사업의 연구 개발, 제조, 수출입, 판매, 응용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일본업체보다 빠른 납기를 통하여 중간 가공공정의 국내생 산을 가능케함. LCD 생산공정에 필요한 양산장비의 생산기술은 국내업체들이 상당한 기술 경쟁력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우수한 업체의 양산 장비를 일본 LCD제조사나 중국 Module업체 에게 공급 판매하고 있음. 주요 취급 장비는 LCD공정 중 검사 장비, Repair 장비, Marking 장비, ITO 성막 장비 등이며, 그 외에 Module공정의 점등검사 장비, Cellrepair장비 등을 취급함. 한국의 좋은 인적자원 및 공장설비를 활용하여 임가공 무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한 국인의 특징인 SPEED경영을 활용하여 임가공무역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노력중. 당 사는 국내에서의 성공적인 가공무역실적과노하우를 기반으로 더 큰 도약을 위해 중국 시장을 진출할 계획을 수립하고 점차적인 준비 중에 있으며, 신규 사업으로 대형화되 고 있는 LCD광고판이나, 산업용 및 의료용, 화상회의용 등의 사용되는 고화질, 대형 LCDModule판매 사업도병행할 계획임 - 169 - - 36. 2억불, 남양공업(주) / 대표이사 홍성종(洪聖鍾)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20,383만불(전년대비 3%증가) ▲ 담 당 자 : 이홍직 (☎ 031-494-2222) 공적내용 남양공업(주)는 1969년 5설립된 자동차부품 전문 기업으로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 크 드럼, 허브 등의 제동장치 및 스티어링 컬럼, 인터메드 샤프트, EPS 부품, 기어박스 부품 등의 조향장치가 주요 생산품목임. 2003년 중국 현지법인인 강소남양을 설립하여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고, 중국 내 유수의 부품사들과 경쟁을 벌임. 세 계화를 위한 노력의 결과로 현재는 GM사의 전 세계 공장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BMW사로부터 조향제품인 스티어링 칼럼을 수주하여 2016년부터 공급할 계획이며, 약 10년간 약730만대의물량을 공급할 계획에 있음. 2014년에는 BMW사의 수주를 계기로 독일에 현지 사무소를 설립하였고, 유럽시장 대응 및 개척을 위해폴란드에 현지 생산법인 설립을 추진 중. 남양공업(주)의 최근 매 출액은 2010년 2,755억원에서 2013년 3,883억원으로 성장을 하였으며, 경기침체. 원화강 세 등 어려운 대외 경제여건 속에서도 성장을 지속하고 있음. 당사는 기술개발과 품질 향상만이 지속성장을 위한 밑바탕임을 인식하고 꾸준히 기술 개발과 품질향상에 주력함. 신제품에 적용한 주요기술로는 한번의 조작으로 어퍼틸트 (상하조정)와 텔레스코픽(전후조정)을 동시에 조정이 가능하도록 고정 및 해제하는 기 술과 에너지 절약을 위해 스티어링의 몸체를 기존의 철강재나 알루미늄에서 신소재인 마그네슘으로 적용하고 최적화하는 기술 등임. 특히 한 개의 레버로 틸트 및 텔레스코 픽을 동시에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은 세계특허 획득 및 신기술포럼 대상을 수상하였으 며, 신기술(KT)마크를 인증하는 등 기술적인 인정을 받음. 이 제품은 NF소나타에 적 용을 시작으로 그랜져, 산타페, 그랜드카니발 등에 적용되어 현대기아자동차의 품질력 확보 및 수출증대에 기여함. 협력사의육성과 동반성장을 위하여 2005년부터 협력사의 생산 및 품질관리 수준을 외 부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정밀진단 하는 협력사 기초 다지기 프로그램을 실시함. 2007년 까지 3년간 외부전문가의 지도로 협력사에 생산,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함. - 170 - - 37. 2억불, ㈜팬코 / 대표이사 이건후(李建候) ▲ 수출품목 :언더셔츠 ▲ 수출실적 :$ 24,636만불(전년대비 2%증가) ▲ 담 당 자 : 박진숙 (☎ 02-2210-8734 ) 공적내용 (주) 팬코는 1984년 설립 후 줄곧 의류 수출의 외길을 걸어온 섬유수출 전문기업으 로 창사 이래 까다로운 일본 의류시장 개척에 주력한 결과 2013년에는 일본시장에서만 2억불 이상의 수출 실적을 기록함. 또한 중국과 베트남에 최신 버티컬 공장(편직, 염색 및 봉제 일괄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여 품질과 납기에서의 혁신을 달성하였으며 축척 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본, 미주 및 국내 바이어의 다양한 니즈에 신속 정확하게 대 응함으로써높은평가를받고 있음. 수출실적은 일본을 상대로 니트섬유 단일 아이템을 가지고 이루어낸 것이어서 특별 한 의미가 있는데, 창업 이듬 해인 1985년 155만불을 시작으로 1995년 5천만불, 2008년 에는 1억불을돌파하여 불과 1년 만인 2009년 창립 25주년을맞이하여 1억 5천만 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함. 이후 유니클로를 비롯한 일본 대표 바이어의 오더 증가로 2013년 에는 전년대비 30% 증가한 약 2억 3천만불의 실적을 기록하였으며 현재는 미국과 유 럽 시장 진출을 통해빠른 시일내에 3억불 수출을 달성 할것으로예상하고 있음. 당사의 조직 역량 증대를 통한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는 설비 경쟁력과 더불어 지 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이러한 전사적 노력과 더불어 R&D 팀을 주 축으로 기능성 스포츠 원단과 친환경 원단, WELL-BEING 원단 및 각종 후 가공제와 조직변형을 이용한 BRAND-NEW 원단 개발을 추진 중이며 해외 유수 박람회와 시장 조사를 통해트렌드를 선도하는 상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음. 또한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해외 현지 생산체제를 구축하는 데 공격적으로 재 투자하여 현재 중국과 베트남에 6개의 현지 생산 기지를 갖춘 뒤 편직, 염색, 봉제를 일괄하는 생산체제의 수직계열화, 즉 버티칼(vertical)체제를 완성함으로써 명실공히 세 계최고 수준의 니트의류 전문기업의 위상을갖춤. - 171 - - 38. 2억불, ㈜센트랄 / 대표이사 강태룡(姜泰龍)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25,101만불(전년대비 60%증가) ▲ 담 당 자 : 신종민 (☎ 055-278-0518) 공적내용 ㈜센트랄은 1971년 한국센트랄 자동차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지속적으로 성장, 발 전하여 현재는 자본금 760억원, 종업원 462명에 이르고 있는 기업임. 1973년 국내최초 로 조향장치부품을 국산화하여 생산하였으며, 1990년에는 신기술개발에 대한 의지를 담아 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1994년 전세계 어떤 기업들도 주목하지 않았던 한국자동 차 부품을 FORD 등 글로벌 자동차기업에 선도적으로 수출하면서 국내 자동차부품기 업의 위상을 높여왔으며, 지속적인 신기술 개발과 경쟁력 있는 신제품 출시로 그 인지 도를 쌓아온 결과 당해년도에는 80%이상을 수출하며 3,194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함, 특 히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이 24%에 이를 만큼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중국, 북미 등 세계가 주목하는 자동차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음. 최근 중국 시장의 중요성이높아짐에 따라 센트랄은 2012년 중국 장가항에 해외공장을 신설 운영 중에 있음. 당사는 당해년도 3,194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하고 있으며 주요시장을 중심으로 보면 자동차산업이 가장 활발한 중국시장에서 최근 3년간 평균 87.5% 성장(129억원 → 453 억원)하였으며, 북미시장에서 3년 평균 16.9% (834억원 → 1,140억원) 성장함. 당사는 지속적인 신기술 개발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여. 전체 제품 중 신제품이 차지하 는 매출액비중은 2010년 10.0%, 2011년 8.0%, 2012년 12.6%, 2013년에는 16.3% 로 지 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최근 개발 완료한 알루미늄 컨트롤 암 및 OTR (국내최 초 기술개발)은 4년간 해외고객을 대상으로 763억원의 수주실적을 올림. CABJ 제품은 4년간 약 758억원의 수주실적을 달성하며 2014년에 사업화에 성공한 하이브리드 스테 빌라이저 링크는 이미 913억원의 수주에 성공했으며,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산업 부 우수신기술상, 녹색기술 인증을획득하였음. - 172 - - 39. 2억불, 대산엠엠에이(주)/대표이사 조재용(趙宰庸), 나카야마 히로시 ▲ 수출품목 :메타아크릴산메틸,폴리메탄아크릴산메틸 ▲ 수출실적 :$ 27,694만불(전년대비 75%증가) ▲ 담 당 자 : 김경림 (☎ 02-840-0911 ) 공적내용 대산엠엠에이(주)는 2006년 롯데케미칼(구 호남석유화학)과 미쯔비시레이온의 50대 50, 즉 조인트 벤처 투자로 설립된 기업으로 미쯔비시레이온의 기술력과 롯데케미칼의 원료공급을 통해 기능성 석유화학 제품인 MMA와 PMMA, MAA, HEMA등을 생산하 여 판매하고 있는 기업임. 2006년 당시 국내 수입물량을 대체하기 위해 설립하였으나, 2014년 현재는 해외 수 출을 통해 외화획득에 주력하고 더욱 적극적인 수출 활동을 통해 수출처의 다변화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매년 수출실적이 신장되고 있음. 2011년 수출액 은 610억이었으나 2012년 875억, 증설 이후인 2013년에는 1,945억으로서 매우 가파른 신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2013년 수출처를 살펴보면 중국 539억을 비롯하여 아시아에 서의 수출 실적이 1,478억으로써 수출 총액의 76%를 차지하는 등의 성과를 보임. 그 외 유럽에 208억, 미국 127억 그리고 중동, 남미, 오세아니아, 아프리카까지 전 세계에 걸쳐 대산MMA의 제품이 채택되고 있음. 주력 상품인 PMMA 제품은 고도기술 세액감면을받을 정도로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요한 원료 공급원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 으며 지속적인 가격 절감을 통해 LED TV의 보급화에 큰 공헌을 해옴. 당사는 기술도 입을 통해 2013년 2-Hydroxyehylmethacrylate(HEMA)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하여 기존 에 국내에서 전량 일본으로부터 수입되던 HEMA 제품을 대산 MMA가 대체 가능하게 되었으며, 2014년 국내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임. 또한 한국의 TV 산업이 세계 1위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LED, LCD TV의 주원료 인 도광판을 국내에서 자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LG DISPLAY, 제일모직 등의 디 스플레이 사업 최상위의 업체가 세계 무대에서 선전할 수 있도록 원가 경쟁력의 기반 을 만듬. 또한 고급 자동차의 도료로 쓰이는 MAA, HEMA의 생산을 통해 수입분을 대체하고 현대, 기아차로 대표되는 자동차 산업에도 일정부분 기여함. - 173 - - 40. 2억불, 서진산업(주) / 대표이사 강홍기(康弘基)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다이캐스팅금형 ▲ 수출실적 :$ 20,720만불(전년대비 16%증가) ▲ 담 당 자 : 최진형 (☎ 031-428-2649) 공적내용 서진산업(주)는 1966년 자전거 프레임을 생산하는 서울강업사를 시작으로 하여 1972년 현재의 서진산업(주) 법인명으로 변경하면서 기아, 현대자동차 1차 협력업체로 등록하여 현재에 이르기 까지 약 48년간 자동차 차체 및 샤시 전문업체로서 자동차 부품산업 외 길을 걸어온 뚝심있는 기업으로서 해외 유수의 동종유사 업체와 경쟁하며 부단한 기술 개발과 생산성향상을 통해 국내 차량의 품질향상에 기여한건실한 중견기업으로 성장함. 수출실적은 주로 OEM을 통한 LOCAL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년도 총 수출실 적은 1.8억불이며 당해년도에는 15.6% 증가한 2.1억불의 총수출실적을 달성하였고 이에 당사는 이중 금형 전문화를 통해 약 1천만불 정도의 금형직수출 성과를 달성하였음. 당사는 품질등급 극대화 및납기 준수를 통하여 내외부 고객으로부터절대적인 믿음과 신뢰를 통해 수출비중을 향상할 것이며 금형부분의 수출비중을 높이고자 2천톤 Mech Press 장비의 도입 및 금형 CAPA 증대를 위한 시설투자 및 인적지원을 중장기전략으 로 수립하여 진행중임. 당사는 1987년 기술연구소를 설립한 이래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한 부단한 연구개발의 결과로 고장력강 적용 FRT LOWER ARM 개발을 통한 중량 10% 절감 및 원가 10% 절감, 이종재질의접합기술을 통한 중량개선 및 원가절감, 고장력강튜블러 CTBA 개발 기술력 확보 및 Hybrid Frame 개발의 연구개발 실적을 이루었으며 최근 HBF(Hot Blow Forming)공법개발로 고강성 부품개발에 착수함. 이러한 기술개발을 통 자동차품 질향상을 위한 당사의 노력이 결실을 맺어 현대기아자동차 기술력평가에서 최고등급인 기술 5STAR를 획득하였으며 품질부문에서는 당사뿐만 아니라 당사의 2차,3차 협력사 까지 품질개선 및 원가의식을 함양하고 품질개선을 이루고자 자체 품질평가제도인 SQ 품질인증제도를 도입, 품질 Level Up을 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전사 통합품질시스템을 도입하여 다수공정을 통합하여 실시간으로 가시화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운영중임. - 174 - - 41. 2억불, (주)지엔에스트레이딩 / 대표이사 조병오(趙柄五) ▲ 수출품목 : TV 모니터용 부품/에어컨, 세탁기 부품 ▲ 수출실적 :$ 28,251만불(전년대비 70%증가) ▲ 담 당 자 : 이수형(☎ 031-303-8873 ) 공적내용 ㈜지엔에스트레이딩은 TV 모니터용 부품/에어컨, 세탁기 부품 생산공급업체로서 2003년 창업이후 11년간 삼성전자의 구매대행 사업을 영위해 오면서 경쟁력있는 회사 들을 발굴하여 삼성전자에 거래가 될 수 있도록 소개하고, 당사와 거래 중인 협력사에 서 생산중인 부품들을 해외 고객사에 수출판매 지원으로 거래 협력사는물론 당사에도 상당한 매출 성장으로 이루어짐. 당사의 최근 3년간의 매출실적은 2011년 1,795억원, 2012년 2,010억, 2013년 3,500억원, 2014년에는 4,000억원의 매출예상으로 3전년 대비 2 배 이상의 매출성장을예상됨. 당사는 창업이후 11년간 지속적인 부품 소싱 및 업체 발굴 활동과 우수 협력회사와 의 품질문제 프로세스의 개선 활동 결과로 해외 고객사에 양질의 제품을 경쟁력있게 수출함. 이로 인해 10% 가량 의 수출가격 수익율 향상(3.8% → 4.2%)과 12% 가량의 물량증가를 이룸. 또한 해외 산업/부품/설비 전시회에참관과 경쟁력 있는 부품 및 바이어 발굴을 위한 매년 5개국 이상의 현지출장을 통해, 당사홍보 및 국내 우수협력업체의 제품 소개를 직 접적으로 진행하고 있어 하반기부터알제리를 비롯하여 동남아지역과,아르헨티나, 미국 지역의 수출물량이 10%이상 증가 할 것으로 보이며, 2015년부터 수단지역 고객사 (MWO)와 최종 협의 단계에 있어 수출이 성공적으로잘 성사될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175 - - 42. 2억불, (주)호원 / 대표이사 양진석(梁珍錫)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기타철강금속제품 ▲ 수출실적 :$ 21,045만불(전년대비 66%증가) ▲ 담 당 자 : 김용근(☎ 062-944-8311 ) 공적내용 (주)호원은 1992년 12월광주광역시에 자동차 차체 부품 전문기업을 설립하여끊임없 는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 과감한 시설투자 등을 통하여 국내 최고 기술의 자동차 차 체부품 업체로 성장함. 부품수출 확대 및 미래 신동력 확보를 위하여 2007년 7월 터키 에 자동차 차체부품 전문화 공장을 설립하였으며, 2010년 10월부터 터키현대자동차에 차체부품 전량을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인접국가에서 부품을 수입해 생산하 던 현대자동차가 상기인의 터키공장과 국내공장에서 직접 구입으로 안정적인 부품조달 이 가능하게 되었고회사의 수출은큰폭으로 신장됨. 당사 해외 시장 개척 첫 시발으로 HOWON OTOMOTIV을 설립하여 는 2007년 10 월부터 터키 코자엘리 이즈밋시에 56,641㎡규모의 차체부품 전량을 공급할 수 있는 양 산체계를 마련함. 이로인해 인도 등 인접국가로 부터 부품을 들여와 생산해오던 터키 현지 현대자동차는 상기인의 터키 1공장과 국내공장에서 생산한 부품을 직접 구입하여 안정적인 양산체계를 유지 할 수 있게 됨. 이러한 안정화는 현지공장의 성장동력 확보 뿐만 아니라 국내공장 반제품(CKD) 수출증대로 이어져 해외공장 진출에 따른 수입대 체효과 및 지역 협력업체 동반성장에 크게 기여하는 계기를 마련함. 또한, 성공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통해 2011년 현대자동차 해외우수 협력사로 선정되었 으며, 13년 5월 상공회의소 주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로 광주시민대상 수상, 2013년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의 “히든챔피언"과 한국산업은행의 “글로벌스타”, 14년 한국산업단지공단“글로벌창의우수기업”에 선정. 협력업체 동반성장 및안정적인 부품 공급에 기여하여 현대기아차올해의 우수 협력사로 선정됨. - 176 - - 43. 2억불, (주)대한솔루션 / 대표이사 권해현(權會鉉)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에틸렌중합체필름 ▲ 수출실적 :$ 20,502만불(전년대비 20%증가) ▲ 담 당 자 : 김현석(☎ 032-810-1740 ) 공적내용 (주)대한솔루션은 1983년 창사이래 자동차용 NVH(Noise Vibration Harshness)관련 System Engining 설계, 개발 및 제조하는 자동차부품 전문회사임. 당사는 2006년 1억 불 수출탑 수상 후에도 적극적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고객사와의 해외동반 진출 및 해 외시장의 영업망 확대노력을 통하여 전년 대비직접수출 8%, 고객사를 통한간접수출 은 28% 수출실적 성장을 이뤄냄. 자동차 개발 초기단계부터 진단, 시험, 처방, 설계 및 제품생산에 이르기까지의 경영 을 기본으로 하여 최고의 품질과 고객만족을 지향하고, 차량 소음 감소를 위해 품질경 영시스템을 기본으로 유지, 개선하고 있으며 서스펜션 시스템의 충격, 진동완화 부품인 SpringAids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100% 국산화시켜 산업발전에 기여함. 당사는 협력사의 매입채무 대금 결제시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준수하고 하도급 대금의 기한내 결제 및 현금 결제를 통하여 정부정책중 하나인 협력사와의 동 반 성장 및 상생협력을 이루고자 노력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협력사에 대해서는 우선 자금지원을 통하여 지속적인 협력체계가 굳건히 지속될 수 있 도록노력하고 있음. 또한 적극적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2004년 미국 알라바마주에 현지법인 대한 솔루션 ALABAMA.,LLC와 2009년 미국 조지아주에 현지법인 대한솔루션 GEORGIA.,LLC를 설립함. 이뿐만 아니라 해외에 진출해 있는 현지 법인에게 지술지원의 대가로 로열티 수익을 수수하여 외화회득에 기여하고 있음. - 177 - - 44. 2억불, ㈜마봉 / 대표이사 이경호(李敬鎬) ▲ 수출품목 : 기타석유제품, 경유 ▲ 수출실적 :$ 28,974만불(전년대비 78%증가) ▲ 담 당 자 : 이상철(☎ 02-783-9850 ) 공적내용 ㈜마봉은 아스팔트와 같은 석유제품을 수출하고 있는 기업으로, 2011년에 처음으로 수출 1억 7백만불을 달성하여 1억불 수출탑을 수령하였으며, 2013년 6월부터 2014년 6 월 까지는 2억 8천만불을 달성함. 이는 아스팔트 및 석유화학제품의 대중국 수출을 통 해 일궈낸 성과임. 당사는 현재 주력사업인 아스팔트 수출 외에 좀 더 큰 대형 비즈니스를 기획하고자, 정유제품과 석유화학제품의 수출 및 해외 비즈니스를 위해 관련 산업 해외 컨퍼런스에 매년 참가를 하여 회사를 알림과 동시에 산업을 리딩해 나가는 회사들과 접촉을 끊임 없이 해 오고 있음. 그 결과 올해는 일본의 정유사 및 싱가포르의 세계적인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 메이저사로부터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승인을 받았으며, 소규모 수출을 성공하는 쾌거를 이룸. 중국 상해 사무소를 필두로 하여, 작년부터는 중국 전지역뿐만 아니라 무역 및 운송범위를 동남아시아까지 확대하고 있으며, 아시아 최대의 아스팔트 및 석유화학제품트레이더로 성장함. 당사의 대표이사 이경호는 1984년 외국적 선사 항해사를 시작으로 선장으로 하선한 15년의 해운산업 경력과 아스팔트 해외수출, 3국 trading의 11년 경력 등 만 29년간 해 운과 무역업에 종사한 해운-무역 전문가로 (주)자원산업에 선박운항팀장으로 입사하여 그 이듬해 상해지사장으로 임명되면서 해외영업 및 Trading을 본격적으로 시작함. 중국 상해 사무소를 필두로 하여, 작년부터는 중국 전 지역뿐만 아니라 무역 및 운 송범위를 동남아시아까지 확대하고 있으며, 아시아 최대의 아스팔트 및 석유화학제품 트레이더로 성장하고 있음. 당사는 매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이면에 리스크 관리 경 영활동을 끊임없이 해옴과 동시에 성장과 리스크 관리를 병행 하면서 지금까지 탄탄하 게꾸려온 기업으로서 향후 더욱 성장하며 글로벌 기업이 되기 위해노력함. - 178 - - 45. 2억불, (주)대유신소재 / 대표이사 박용길(朴贊求), 정찬봉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플라스틱금형 ▲ 수출실적 :$ 21,506만불(전년대비 32%증가) ▲ 담 당 자 : 지윤환(☎ 031-352-4915) 공적내용 ㈜ 대유신소재는 2001년 스티어링 휠 및 알루미늄 휠을 생산하여 현대, 기아, GM에 부품을 공급하는 자동차 부품, 플라스틱 금형 제조업체임. 당사는 해외시장 개척을 위 하여 중국 북경에 가죽감싸기 공정 및 발포 공정을 설치 운영 중에 있고, 유럽시장의 확보를 위하여 미국진출을 계획중임. 해외법인 설립을 통한 해외 수출시장 교두보 확보,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확 보, 일본시장 개척을 위하여 미쯔비시 자동차에 알루미늄 휠 수출, 중국 현지공장 설립 하여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함. 현재 가죽감싸기 공장을 북경에 운영 중 에 있으며, 지속적인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음. 해외에서 평가되는 국내 자동차 부품업 체의 우수성을 보여주고, 알루미늄 휠의 최초 국내 도입이라는 자부심아래 지속적인 품질개발 및 신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음. 이후 ISO/TS16949 품질경영시스템,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OHSAS18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전사적인 품 질혁신운동 개최 등 품질개선을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를 추진함. 또한 국내 자동차사 인 현대, 기아자동차 및 GM자동차에 알루미늄 휠 제품 및 스티어링휠 제품을 생산하 여납품하는회사로 국내 최초로알루미늄휠을 생산 판매하였음. 당사는 녹색경영을 실천하여 2012년 온실가스 목표관리업체 지정에 따라 온실가스 배 출량 감소 및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해 시스템을 마련하였으며, 매년 약 10%정도의 온실가스 저감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 전개해 나가고 있으며, 2007년과 2012년 에너지 진단을 통하여 시설을 개선하여 에너지절감을 위하여노력하고 있음. - 179 - - 46. 2억불, 대동공업(주) / 대표이사 김준식(金俊植) ▲ 수출품목 : 기타자동차 ▲ 수출실적 :$ 21,195만불(전년대비 17%증가) ▲ 담 당 자 :송진향(☎ 02-3470-7449 ) 공적내용 대동공업(주)는 1947년에 설립되어 생산제품으로는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경운기, 다기통디젤엔진, UTV 등등 이며 자본금 230억원의 기업임. 해외지사는 남경법인, 네덜 란드 법인, WILSON법인 등을 가지고 있음. 당사는 지난 2007년도 국내 농기계 업계 최초로 1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한 이래, world class 300으로 선정됨. 최근 3년간 연도 별 수출 실적은 2012년 19,360만불, 2013년 18,053만불, 2014년 21,194만불 등으로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보여옴. 가스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고압분사 제어 기술, 배기가스 재순환 및 후처리 기술, 연료 소모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소 최적화 기술, 엔진 관련 어플리케이션 부품 의 매칭 알고리즘 통합제어 기술 및 트랜스밋션HST전자제어 기술(e-HST)개발, 차량 운전자의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샤시부모달 해석 기술과캐빈 등 마운팅 시 스템 기술 등 핵심기술을 개발함. 이외에도 품질향상을 위한 제품을 개발하였는데, 특 히 유기농 제품이 증가되는 세계적인 농업 추세에 따라 多품종의 농작품을 수확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 중이며, 기술연구소에서는 지속적인 친환경디젤엔진(TIER4) 개발 및 신제품개발로 연구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친환경적인 제품개발과 품질보증체계에 입 각해 미환경청(EPA)인증, 유럽ECC인증, ISO9001, ISO14001 등 각종 국제공인인증서를 획득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으로 최상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노력함. 당사는 북미의 경우 전문딜러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전략제품(UTV/엔진) 판매네트워 크 구축하고, 북미 전 지역 대응가능한 제품 포트폴리오 완비, 핵심기술 적용 제품 및 전문업체 협력 등을 통한 동반성장을 통해 개척을 하려 하였음. 유럽의 경우는 다양한 마케팅 활동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쌓고 동유럽 물류기지를 활용한 납기 및 고객 서비 스를 강화 하는 등의 전략으로 시장을 개척함. 아시아는 합작회사 사업을 통한 중국시 장 진입, 아시아에 특화된 사업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서 판로를 넓히는 등 국가와 지역 별로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등 해외 수출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함. - 180 - - 47. 2억불, (주)서원인텍 / 대표이사 김재윤(金載潤) ▲ 수출품목 : 기타유선전송장치,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 수출실적 :$ 25,354만불(전년대비 89%증가) ▲ 담 당 자 : 김숙경(☎ 031-428-9730 ) 공적내용 ㈜서원인텍은 기타유선전송장치 및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을 생산, 공급하는 기업으 로 2차전지 보호회로를 제조하여 LG화학에 공급하고 휴대폰 부자재 및 액세서리를 삼 성전자에 공급하는 업체임. 당사는 1983년에 설립하여 사업초기 삼성전자에 프린터 및 냉장고에 들어가는 특수고 무제품 등을 납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00년 대 초반에는 휴대폰 부자재 및 키패 드를 삼성전자에 공급하여 회사가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고, 2006년도부터는 2차전지 보호회로, 와이브로 등의 신규사업에 집중 투자, 2007년도 12월에는 코스닥 시장에 상 장을 하게 됨. 현재 회사는 총 매출액의 포지션이 신규사업 및 휴대폰 부품사업의 성 장으로 인해 제2의 도약기를맞이하고 있음. 기술 및 품질 향상을 위해 서원인텍 중앙연구소를 설립한뒤 전자 및 통신분야의 전 문가들로 구성하고 핵심기술 및 정보통신 시장을 주도할 역량을 키워가기 위해 매년 매출액 대비 5%이상의 R&D투자를 시행하고 있으며, 연구소와 사업부서간의 긴밀한 업무연계를 통해 고객의 니즈에 발빠르게 대응함. 당사는 품질경영시스템을 만들고 수익창출을 통한 내실경영과 책임경영정착, 대외신인 도 제고를 위해 시스템을운영하는 등 품질경영을 위한움직임을보이고 있음. - 181 - - 48. 1억불, (주)원익머트리얼즈 / 대표이사 이건종(李建宗) ▲ 수출품목 : 철강재용기, 기타정밀화학원료 ▲ 수출실적 :$ 11,652만불 (전년대비 32%증가) ▲ 담 당 자 : 양창현 (☎ 043-210-4457 ) 공적내용 ㈜원익머트리얼즈는 철강재용기 및 기타정밀화학원료 생산업체로, 설립 이래 중국 시 안에 현지법인을 설립하여운영중이며, 푸장(Fujing), 크레딧캠, SK하이닉스 우시(Woxi), 에코(Eaco) 등 중국의 여러 관련 기업과 거래하는 등 중국시장을 확대 개척하고, 중국 (BOE), 일본 굴지의 전자제품 생산 기업인 도시바와 거래를 하며 일본 시장 개척의 발 판을 마련함. 특히, 미국의 산업용 가스/반도체회사인Voltaix사와 2007년독점공급계약 을맺고 2011년 장기독점공급계약을 체결하면서 미국 시장 진출의교두보를 마련함. 당사는 “2020년 매출 9000억, 시장점유율 30%의 국내 증착종합소재 TOP1"이라는 비전을 올해 설정하고 국내 특수가스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향후 Chemical 시장 진 입 및 수출을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반도체 제조용 가스를 개발, 공급하여 현재 해외 여러 국가 및 기업과거래를 계약하고 있음. 현재 국내 거래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향후 반도체 제조용 가스 뿐만 아닌 종합 소재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나아가, 지속적인 해 외 시장 개척 활동을 통해 매출 안정성을 꾀하고 향후 2020년 시장점유율 30% 확대를 이룩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노력함. 에너지 절감 사업에도 일조하여 규정 온도를 준수하고, 에너지 절감 및 환경 보호 차원에서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음. 또한 직원의 안전을 최우선시하여 작업간 반드 시 작업복 및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하고 규정하는 등 안전문제에 초점을 둠. 또한 꾸 준한 무역을 통해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는데, 반도체 제조용 가스를 해외(미국,중 국,일본 등)로 수출하여 설립 이래로꾸준한 수출 성장곡선을 만들어감. - 182 - - 49. 1억불, 대의테크(주) / 대표이사 채의숭(採義崇)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0,479만불 (전년대비 1,641%증가) ▲ 담 당 자 :강희원 (☎ 032-810-3711) 공적내용 대의테크(주)는 자동차 부품 생산공급업체로서 자동차 내장재 플라스틱 사출을 제조 하여 납품하고 있는 기업으로 한국지엠과 긴밀한 상생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공동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해 당사의 개발부 및 품질부를 운영하여 품질향상을 경 영목표로 운영 중에 있음. 공동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해 당사의 개발부 및 품질부 를운영하여 품질향상을 경영목표로운영 중임 당사는 한국지엠을 통해 유럽 및 북미에 완성차 기준으로 수출활동을 하고, 단품으 로는 직수출로 호주, 멕시코, 스페인 등에 납품하며 향후 글로벌 지엠과 더 많은 나라 에 수출을 하고자노력하고 있음. 글로벌시장에서 중국을 경제성장을 예측하여 2005년부터 중국 연태에 직접 투자를 하 여 대규모 자동차내장재 생산거점을 확보하여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실질적 매출성장도 매년증가함. 또한 상생협력을 통해 일자리 창출 및 생상능력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며, 예전 대우 자동차의 부도사태를 단기내에 극복하여 현재의 한국지엠과 외형성장 ( 매출 2009년 396억, 2010년 630억, 2011년 834억, 2012년 998억, 2013년 1,308억)과 일자리 창출, 그 리고 품질향상 (각종 국내외 인증-품질시스템 운영) 등을 통해 자동차 소재분야에 국 내 일류제품개발을 위해노력중임. 수출실적으로는 국내뿐만 아니라 호주 , 멕시코, 스페인 등의 자동차내장재를 직수 출을 통해 판로를 개척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을 경제성장을 예측하여 2005년부터 중국 연태에 직접 투자를 하여 대규모 자동차내장재 생산거점을 확보하고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실질적 매출성장도 매년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183 - - 50. 1억불, 남양금속(주) / 대표이사 김승천(金承天) ▲ 수출품목 : 불꽃점화식내연기관,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1,369만불 (전년대비 30%증가) ▲ 담 당 자 : 석봉식 (☎ 053-610-7538) 공적내용 남양금속(주)는 1987년 자동차 소재 메이커인 일본 Hitachi금속(주) 및 종합무역상사 인 일본 마루베니 상사(주)와 대우그룹의 자본 및 기술 합작으로 설립되었음. 자동차용 특수소재 제조전문업체로서 Hitachi Metal의 기술 연구소와 연계하여 제품내구테스트, 제품 설계에 대해 공동 작업을 통한 시너지효과를얻으며 성장함. 당사는 ISO/TS 16949 인증을 통한 관리체계 혁신과 기반기술 및 첨단기술을 융합한 신기술 개발로 자동차의 고성능 저연비 시대에 대응한 강인, 박육, 내열 주철소재의 개 발을 실현하였으며, 미국의 Ford, GM 및 Daimler Chrysler 등의 Big3에는 물론, 유럽 의 Volvo, Fiat 일본의 Suzuki, Nissan, Mazda, Honda 등 주요 자동차 메이커에 핵심 부품 공급업체로 지정 되는 등 비약적인 발전을거듭하고 있음. 또한 세계 자동차 주물 부품 시장에서의 Leader가 되기 위해 R&D투자를 진행하여 연구 개발에 필요한 CAD System, 개발 단계에서 실제 주조시의 제품 결함을 예측 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하는응고 해석 장치NOVA Cast도 도입하고 최신 설비를 통해 제품 설계단계에서 설계 오류로 인한 시행착오를 방지하여 원가 절감과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있음. 현재 일본 Mazda자동차에 납품 되는 J36 FR/RR Knuckle부품에 대해 멕시코 현지 가공업체 Kawada Mexico와 직접 계약을 체결해서 연간 660만 달러 규모의 직수출을 2013년 하반기 부터 진행하고 있음. 기존Hitachi Metal의 해외 영업소를 통한 수주활 동에서 한발 더 나아갔으며 또한 올해 초부터 Suzuki Motors Thailand와 계약을 통해 Suzuki YLA차량의 Front Knuckle을 직수출함. 또한 팽창하는 Turbor Charger시장의 부품 국산화율이 낮은 현실에서 당사는 Turbor charger부품 주물 소재를 개발하여 현 재 일본 Mitsubishi차량에 장착 될 수 있도록 수출을 주도 하였고 이러한 기술력과 경 험을 통해 국내 Turbor Charge 주물 부품의 국산화 비율을높이는데 주력함. - 184 - - 51. 1억불, (주)케이씨텍 / 대표이사 고석태(金萬洙) ▲ 수출품목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반도체제조용장비 ▲ 수출실적 :$ 13,733만불 (전년대비 171%증가) ▲ 담 당 자 : 김태형 (☎ 055-370-7711) 공적내용 ㈜케이씨텍은 1987년 설립되어 Gas캐비넷 설비와 디스플레이, 반도체용 공정 장비를 생산하는 기업임. 당사는 국내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장비업계의 1세대 주자이며, 30년 가까이 R&D기술개발 및 수출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는데 창업 초기를 제외한 25년 이 상 영업흑자를 기록하였고, 지속적인 성장과 고용창출을 통하여 지역경제 및 국내 산 업발전에 기여하였음. 최근 3년간 매출액 ´11년 192,070백만원, ´12년 115,299백만원, ´13년 219,452백을 기록 하였으며, ´11년 44,386백만원, ´12년 22,324백만원, ´13년 110,239백만원의 수출을 달성 하여, 이에´12년 대비´13년 394%의 수출 신장세를 기록하였음. 기술이 곧 경쟁력이라는 신념아래 고객맞춤형 신제품 개발과 품질안정화에 힘썼으 며, 매출의 13% 이상을 R&D투자로 지출하며 꾸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고, 대중 소기업 동반 성장을 위한 고객과의 공동 개발을 추진하여, 국내 100% 수입품이었던 반 도체용 CMP(화학적 기계적 연마장치) 개발을 성공하며 국내 시장점유율을올리고 있 음. 이후 케이씨텍 협의회를 구성해 당사 메이저 협력업체 10여개를 발굴하여 품질안 정화를 위한활동을 진행함. 침체된 국내 장비업계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추진하였으며, 고객 맞춤형 기술개발을 통해 매출의 50%이상을 수출로 달성하여 전년대비 400% 가까이의 수출 신장세를 보이며, 신기술 개발 참여 및 특허 장려를 통해 다수의 지식재산권 확 보하여 해외 진출시 국제 지재권 분쟁의 소지를 사전에 차단하는데 주력함. 해외자회 사 2곳과 6곳의 해외고객대응센터를 통하여A/S 및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있는데, 현재 는 중국, 대만, 싱가폴 등 중화권에 국한된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시장개척단 파견, 해 외전시회 참가, 해외잡지 게재, 해외인증 취득 등의 시장개척 활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며,점차 그범위를넓혀나가고 있음. - 185 - - 52. 1억불, (주)네패스디스플레이 / 대표이사 이병구(李柄九) ▲ 수출품목 :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 수출실적 :$ 12,984만불 (전년대비 341%증가) ▲ 담 당 자 : 김남천 (☎ 043-240-0221 ) 공적내용 ㈜네패스디스플레이는 2010년에 설립되어 핸드폰 터치스크린패널 생산 및 기타무선 통신기기부품을 생산 공급하는 기업으로 매출액은 2012년 316억, 2013년 1,120억이고, 2014년 매출액은 1,200억 수준으로 기대됨. 당사 수출액은 2011년 205억원, 2012년 292 억원에서 2013년 1075억원으로 실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함. 2013년은 삼성전자의 1차 공급자로 등록된 후 수주량이 급증하면서 매출액이 급상승하게 되었고, 지역별 수출액 은베트남이 1105억, 중국이 128억, 인도가 41억원임. 당사가 생산하는 터치스크린패널은 스크린에 사용자가 터치하는 위치를 파악하여 전 자신호를 전달하는 장치로 Glass 또는 Film에 가로축, 세로축을 형성한 후 이를 배치 하는 방식에 따라 G1F, GFF, GF1, GG, G1 으로 나뉘어 지는데, 이 중 G1 방식은 하 나의 Glass 에 가로축과 세로축을 동시에 형성한 것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미세패턴 형성에 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나 원가절감/베젤리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서 4.7" G1 방식 모델 제품화를 시도하여 성공함. 터치스크린패널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로 수출되어 중저가 보급형 스마트폰에 장착되 면서 갤럭시 메가, 갤럭시 S4 액티브 미니, 갤럭시 Grand2 등에 당사의 터치스크린패 널이 장착됨. 업체별 주류 모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되면서도 부드럽 고 정확한 터치가 가능하게 되었고 터치스크린패널 생산시 미세먼지로 인한 수율저조 를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인 개선활동과 제조혁신 TFT를 조직하여운영하고 있음. 수출은 모두 삼성전자 해외법인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2012년 말 삼성광통신에서 삼 성전자의 1차 공급자로 등록된 후 수주량이 급증하면서 수출액도 크게 증가하게 되었 고, 현재 2014년 하반기부터는 삼성전자에만 의존하지 않고 해외고객사 발굴을 위해 중국시장 프로모션을 계획하고 있음. 최근 중국 영업담당자를 신규로 충원하였고, 적극 적인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 추가로 인원을충원할 계획에 있음. - 186 - - 53. 1억불,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 / 대표이사 이태희(李泰熙)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3,865만불 (전년대비 49%증가) ▲ 담 당 자 :송성수 (☎ 070-7093-6323 ) <공적내용>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는 광주광역시에 본사를 둔 자동차 부품 생산 업체로서 주생 산품으로는 자동차 연료탱크모듈, 페달, 서스펜션, 자동차 차체 샤시류 및 선루프 프레 임가공품이며, 국내 및 해외의 완성자동차 생산업체에 최고의 품질의 제품을 생산, 공 급하는회사임. 이태희 대표이사는 2001년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의 전신인 주식회사 동희산업에 입 사이후 자동차 부품 생산에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2004년 9 월 설립된 동희하이테크 로 발령받아 근무해 오고 있으며 자동차 업계의 품질경영 흐름에 맞게 TS16949 품질 경영 시스템을 도입, 인증받아 체계적으로 고품질의 자동차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 반을 마련함. 특히 설립이후 단 한건의 산재사고도 발생되지 않을 만큼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한 경영을 추구하였으며, 노사화합을 이끌어 내어 노동조합이 없는 사업장으로 최 고의 생산성을 발휘하는 공장으로 운영됨. 좋은 작업환경과 노사화합의 성과는 높은 생산성과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게 되어 당사는 해마다 전년 실적을 상회하는 매출실 적을 달성하고 있음. 기술개발측면에서는 자동차업계 품질 규격인 TS16949 품질경영 시스템을 도입, 품질경영을 실현하고 있고 생산자동화시스템(POP), 품질정보시스템 (DQIS),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RP)등을 적용관리를 하고 있음. 2013년도부터 도장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으로 도장품질 고도화관리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번에 생산통합 관리시스템(MES)을 도입 적용하게 되어 생산효율 및 품질 향상이 기대됨. 당사는 유럽, 미국 및 일본 등 세계 메이저 완성차 업체와의 거래를 위해 활발한 영 업활동을 실시하고 있으며, 2011년 8월부터 FTA원산지 관리시스템(GTS)을 구축하고, 수출관련 업무개선 및 관련업무 전문가 양성 등에 힘쓰는 등 수출시장의 다변화를 꾀 하고 있음. - 187 - - 54. 1억불, 휴롬엘에스 (주) / 대표이사 송해복(宋海復) ▲ 수출품목 :믹서, 기타가정용전자부품 ▲ 수출실적 :$ 10,013만불 (전년대비 31%증가) ▲ 담 당 자 : 김준형 (☎ 055-720-1780) 공적내용 휴롬엘에스(주)는 가정용전자믹서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최고의 소형가전회사로 서 입지를 다지며,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하면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였음. 지 난 35년 동안 착즙분야만을 연구 개발한 회사로 녹즙기 및 원액기를 세계최초로 개발 하고 제조한 세계최고의착즙기기 전문회사로서 50여개 협력사와거래를 하고 있음. 세계 유일의 특허기술 (SST™, 저속착즙기술)을 기반하여 재료가 지닌 자연 그대로 의 진한 맛과 영양을 그대로 보존하여 영양 그대로를 제공하는 혁신 기술로 원액기라 는 가전제품을 탄생시킨 휴롬엘에스는 지난해 10월 모든 면에서 진보된 제2세대 원액 기를 출시함. 새로워진 2세대 휴롬(HH Series)은 기존 원액기 시장의 1세대 착즙기술 제품과는 달리 더욱 진화된 2세대 저속착즙기술로 착즙량은높이고 찌꺼기는 감소시키 는 등의 개선을 함. 이러한 기술개발에 대한 열정을 바탕으로 세계 30여개국에 특허출원 및 인증을 획득 하였으며 4대 국제발명품전(스위스, 미국, 러시아, 독일) 금상 4회 수상, 2010년 대한민 국 식품환경발명전 대상 수상, 2010년 서울 국제발명전 준그랑프리상 수상 외 각종 기 관 및 단체에서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음. 2008년 6명이었던 연구소 인원을 현 재 30명 이상으로 연구개발 및 품질향상에힘을쏟고 있음. 현재 휴롬엘에스는 13억 인구의 중국시장을 제2의 내수시장으로삼겠다는 계획을 갖 고 공격적인 행보를 펼치고 있는데, 현지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신제품 라인을 확충 하고, 중국 도문에 중국 제2공장을 신설하여 생산, 출고, 유통까지 가능하도록 준비를 마침. 또한, R&D 투자를 더욱 강화해 2014년을 중국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뿐만 아 니라 해외영업본부의 인력 확충은물론 경영진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수출실적 향상 에노력하고 있음. - 188 - - 55. 1억불, ㈜와이솔 / 대표이사 김지호(金知澔) ▲ 수출품목 : 기타개별소자반도체, 무선중계기 ▲ 수출실적 :$ 17,170만불 (전년대비 81%증가) ▲ 담 당 자 : 장종현 (☎ 070-7837-2813) 공적내용 ㈜와이솔은 2008년 6월 24일 설립되어 개별소자반도체 및 무선중계기 생산업체로서 2008년 설립이후 매년 2배에 달하는 성장율을 보이고 있으며, 매년 20% 이상의 개발 및 생산인력을충원하는 등 산학협력을 통하여 고용창출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는 기업 임. ´13년 기준 전 세계 SAW시장에서 당사는 시장점유율 3위를 차지하고 있음. 중국 의 경우´14년 시장규모 1,200억(예상)으로 당사´13년 기준 매출액 200억임.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 노력으로 SAW CSP 소형화로 시장 M/S 확대 및 모듈화로 Embedded을 실현하였고, RF 부품군 모듈화 기술 확보로 소형화 직접화에 따른 시장 Trend를 맞추어 모듈화 부품의 매출 대폭 신장하였으며, Connectivity 관련 제품의 모 듈화 기술 및 SOC업체와의 기술협력으로 Connectivity total solution을 확보하여 신규 사업군 확대 예정임. 당사는 핸드폰에 반드시 탑재 필요한 SAW-Filter를 생산하는 국 내유일 제조업체이며, 외국(일본)업체와 경쟁을 통해 국내 지적재산권 확보 및 Global 수출을 통한 외화획득으로 국가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SAW필터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당사가 보유한 박막공정기술을 발전시켜 기존 제품 의 성능 및 제조 기술 향을꾀하며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다양한 무선통신용 부품으 로 확대 할 수 있는 제조기술을 확보함. RF모듈 부문에서는 퀄컴/인텔/브로드컴 등 System on Chip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컨소시엄 구축 등 대외 협력 강화 및 기술을 확보함. SAW 원천기술 확보는 우수한 경쟁력을 기반으로 양질의 핸드폰 부품 공급 가능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 욕구를 충족하였고, 이는 내수경제를 활성화 유발 및 전체 국민경제의 선순환을 만드는데 기여함. 또한 협력회사의 자발적인 개선활동을 통 한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우수/부진 업체에 대해 차별화 관리를 위해 주기적으로평가 및 지원을 실시하여 당사 및 협력회사의 상호발전 및 관계증진을 도모하는 등 경영적 인 부분에서도새로운 시도를보임. - 189 - - 56. 1억불, 씨유테크(주) / 대표이사 백영현(白永鉉) ▲ 수출품목 : 프로세스와콘트롤러,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 수출실적 :$ 15,381만불 (전년대비 4% 감소) ▲ 담 당 자 : 김동진 (☎ 070-4340-7966) 공적내용 씨유테크㈜는 무선통신기기 부품 생산분야로서 FPCB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여 판매 하는 SMT A´SSY 전문기업 설립 후, 삼성디스플레이에 MOBILE용 FPCB ASS’Y납 품을 시작으로 사업을 전개함. 설립초기 투자대비 매출수량의 부족으로 적자를 기록하 였으나, 현재는 생산CAPA에 비준하는 제품매출로 정상적인 해외공장을 운영하고 있 음. 최근 3년간 연도별 직수출실적은 2011년 79백만불, 2012년 126백만불, 2013년 129백 만불로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2014년 계획 150,000천불을 위해 최선의 경 영을 다하고 있음. 2012년에는 중국법인의 생산증가로 인하여, 해외직수출이 2011년 대 비 37.3% 증가를 기점으로 매년 1억불 이상의 수출실적을 기록하고 있어 향후 타 해 외법인 설립 시 당사의 수출실적은 더욱증가할것으로 기대됨. 당사는 약 10년 가까이삼성MOBILE사업과 더불어 기술력을키워왔으며MOBLIE 의 DISPLAY부 구동 FPCB실장 기술은 TFT에서 현재 스마트폰에 적용중인 OLED 기술로 진화하였고 현재는 TABLET, SMART WATCH등 생산제품이 다양화 되고 있 음. 또한 기술개발을 위한 자체 개발PROCESS를 도입하여 실행하고 있는데 품질방침, 환경방침, 고객헌장 등을 제정하여 운용하고 있음. 이후 고객사의 높은 품질기준에 부 응하기 위하여 2012년 11월 TS16949 국제품질경영 시스템 인증을획득하였음. 해외시장 개척의 측면에서 고객사의 해외공장 직납요청, 당사의 해외시장 진출등의 목적으로 2010년 5월 중국 DONGGUAN에 자본금 5백만불을 투자하여 신우전자유한공 사를 설립한 후, 삼성디스플레이 DONGGUAN공장에 SMT실장제품을 직납하게 되었 으며, 물량은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임. 중국 동관의 해외법인을 필두로 삼성디스플 레이의 상생 협력사로서 추후 베트남 시장의 진출을 검토 중이며 당사 투자자인 UKC HOLDINGS는 글로벌법인으로 세계 여러 곳에 현지법인이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당사 도 해외진출을 적극적으로검토 중에 있음. - 190 - - 57. 1억불, (주)이오테크닉스 / 대표이사 성규동(成圭棟) ▲ 수출품목 : 금속절삭가공기계, 반도체제조용장비 ▲ 수출실적 :$ 12,557만불 (전년대비 51%증가) ▲ 담 당 자 : 성오준 (☎ 031-420-2806) 공적내용 ㈜이오테크닉스는 1989년 설립이래 최첨단 분야인 레이저 응용기술 개발에 전념하여 반도체, PCB, Display 등 첨단 디지털기기와 기타 초미세 가공생산 기술부분에서 세계 를 선도하는 역할을 해오는 기업으로 반도체 레이저마킹 분야에서 세계시장을 석권한 데 이어 웨이퍼마커, Glass 마커, Trimmer, Deflasher, PCB Via hole driller, Display 응용장비등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시장에 진입하고 있는바, 명실상부한 초일류 레이 저응용기기업체 로 도약하고 있음. 해외지사는 미국,싱가폴 , 대만, 중국천진,베트남에 법인을 두고 있으며, 그 외 일본, 중국 상해,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태국,필리핀,인도에 지사를 두고 있고, 대부분 현지인 력을 통한 직접 운영 중에 있음. 매출액은 1989년 설립이래로 꾸준하게 상승하여 2005 년 644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으며, 2013년은 매출 2,000억 초과 달성하였고 국내외 여 러 산업에서 레이저 기기 사용 수요가증가하면서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함. 설립 초기부터회사의 모든 역량을 기술개발에집중해왔고, 마침내 반도체 레이저마 킹 분야에서 DPSS 레이저를 세계 최초로 적용하여 세계 반도체 마킹시장을 선도해옴. 또한 CSP웨이퍼마커에서도독창적인 기술로 세계 최고의 품질경쟁력을 지니고 있음. - 191 - - 58. 1억불, (주)우성엠엔피 / 대표이사 박찬호(朴贊鎬) ▲ 수출품목 :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 수출실적 :$ 12,329만불 (전년대비 41%증가) ▲ 담 당 자 : 장동훈 (☎ 032-680-9709 ) 공적내용 ㈜우성엠엔피는 1999년 3월 설립된 휴대폰 케이스 사출 및 조립 전문회사로서 한화 통신, 대우통신, 세원텔레콤, LG전자와 협력업체로 지내며 쌓은 기술력과 신용을 토대 로 국내 최고 수준의 휴대폰 케이스 사출 및 조립을 하고 있는 기업임. 당사는 해외시 장으로 직접 제품을 수출하지는 않으나, LG전자 MC사업부에 납품을 함으로써 LG전 자의 해외시장 개척활동에 기여를 하고 있음. 부설연구소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KSA9001 / ISO9001과 KSA14001 / ISO14001 인증을 받았으며 특허권도 취득함. 이외 에도 자체 Audit 실시와 LG전자 합리화 컨설팅 등 품질향상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 고 있는결과 LG전자 EMS(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 전문업체로서 괄목할 만 한 성장을 이루며 성장함. 이후 2008년에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INNO-BIZ) 인증도 취득하였으며, 2010년에는 평택공장 설립, 2011년 평택공장 증설 및 Robot Coating Line을 신설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꾸준한 투자를 실시함. 빠르게 변화하는 스마트폰 특성으로 인해 사출성형, 도장의 선행기술을 발전시켜 설 계단계에서부터 적용, 원가/생산성/품질의 Global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2010년에는 평택공장을 설립하였고, 2011년에는 평택공장의 증설 및 Robot Coating Line을 신설하 여 금형 제작부터 ‘사출 -> 표면처리 -> 후공정 -> Sub Assembly -> Folder Assy -> 검사 -> 납품’ 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한 곳에서 이루어지도록 일괄생산 시스템 을 구축하여 물류 이동거리를 단축시켰고 납품 소요시간도 줄이는 효과를 얻음. 또한 사출공정의 무인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해 생산성 역시 30%가량 향상시키는 등 LG전자 의 생산 계획에 맞게 제품을 공급하는데 기여함. LG전자 및 여러 협력업체들과 합심 하여 기술개발 및 국내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쓰고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생산기 술력, 품질 등의 향상을 위해노력함 - 192 - - 59. 1억불, 동아에스티(주) / 대표이사 박찬일(黃午榮) ▲ 수출품목 :물, 의약품 ▲ 수출실적 :$ 10,755만불 (전년대비 13%증가) ▲ 담 당 자 :홍종호 (☎ 02-920-8873) 공적내용 동아에스티(주)는 ‘32년 창업, ‘67년부터 제약업계 1위로 대한민국 대표 제약기업으로 자리매김해온 업체로 80년넘는 역사 위에새로운 역사를써나가기 위해, 국내를넘어 세 계적인 제약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한 혁신 신약 개발과 글로벌 경영체제 구축을 목적으로 지주회사 전환을결정하고‘13년 3월 1일을 기준으로 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에 스티, 동아제약으로 분할됨. 당사는 글로벌 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시장 별로특화된 현지화 전략을펼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미국 법인인 DAC, 브라질 법인인 DAP, 인도연락사무소, 중국법인인 소주동아를운영하여 해외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함. ‘77년 연구소 설립 이후 지속적 투자와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제약사 최고의 경쟁력을 구축해 왔으며 그 결과 ‘02년 당사 자체개발 1호 신약인 위염치료제 스티렌 발매에 이어‘05년 국내 최초의 발기부전 치료제 자이데나‘11년 기능성 소화불량증 치 료제 모티리톤을 성공적으로 선보여 국내 제약시장에서 신약 개발 성공 스토리를 이어 가고 있으며합성신약, 천연물신약, 개량신약 분야에서 글로벌 신약이 될 수 있는 파이 프라인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음. 이와 같이 당사는 국내시장 성장둔화에 대비해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수출을 확대해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제약기업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계획임 또한 글로벌 리서치 네트워크 구축, 임상 강화 등을 통해 글로벌 R&D 역량을 제고 하고, 조직 및 프로세스를 혁신하여 글로벌 사업 역량을강화하는 한편, 인재를 육성할 계획으로 지속적인 해외매출 성장을 이루고 세계각국의 등록서류 요구에 대응하기 위 해 당사는 인도 등의 글로벌 현지시장에서 해외임상을 진행하고 있음. 나아가 차세대 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하여 일본 및 유럽시장을 목표로 항암제, 혈압약 및 항증진제 를 개발하고 있으며, 자이데나, 당뇨병치료제 등의 중국시장 진출을 추진 중에 있음. - 193 - - 60. 1억불, 코나아이(주) / 대표이사 조정일(趙丁一) ▲ 수출품목 : 프로세스와콘트롤러, 기타집적회로반도체 ▲ 수출실적 :$ 10,300만불 (전년대비 46%증가) ▲ 담 당 자 :강병훈 (☎ 02-2168-9864 ) 공적내용 코나아이(주)는 1998년 3월 설립한 기업으로 스마트카드(Smart Card ; IC Chip이 내 장된 카드) 관련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업체로서 스마트카드의 핵심기술인 자바 (JAVA)오픈 플랫폼 기반의 IC Chip OS(Operation System ; 운영체제)인 COS(Chip Operating System ; 칩운영체제)를 자체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스마트카드 전문 기 업임. 당사는 국가발전을 위해 2010년 31,996천불, 2011년 50,229천불, 2012년 39,105천 불, 2013년 93,198천불의 수출실적을쌓고 있는 글로벌한 기업임. 당사는 스마트카드의 전 구성요소와 관련되어 그 동안 축적된 핵심기술을 향후 지속 적인 연구 개발투자를 통해 더욱 더 발전시켜 국내뿐아니라 전 세계 스마트카드 시장 의 기술선도기업으로거듭남과 동시에 국내에 기 확보되어 있는 인프라의 지속적인 확 장과 더불어 이와 연계된 각종 부가응용서비스 개발 및 공급을 통해 다양한형태의 신 규사업을 추진할 계획을 세우는 것과 동시에 대용량 USIM카드, 대용량 스마트 SD카 드 개발, TSM,보안서버 등 신기술 개발을 향하여 지속적인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지난 2007년 태국 전자주민증 1차 사업을 수주함에 따라 2007년 말 부터 2008년 말 까지 약 2600만장의 스마트카드 공급을 수행한 바 있으며, 2009년 6월 267억원(약 2600 만장)규모의 2차 사업을 수주하고 2009년 4분기부터 시작된 2차사업 공급물량의 납품 은 공급을 완료함. 또한 2008년 8월에 설립한 중국 현지법인인 북경심걸과 기유한공사 (지분율100%)를 통해 중국 시장 진출도 본격 추진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 미국, 인도 등 인구 거대국들의 IC Chip카드Migration이 본격화되며 금융카드분야의 성장률이 높 을것으로예상됨에따라 해외시장에 역량을집중하고 있음. - 194 - - 61. 1억불, DK유아이엘(주) / 대표이사 김상주(金相珠) ▲ 수출품목 :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 수출실적 :$ 11,531만불 (전년대비 52%증가) ▲ 담 당 자 : 김상종 (☎ 031-940-1513) 공적내용 DK유아이엘(주)은 1982년 설립되어 스마트폰 부품을 중심으로 각종 전자부품을 전 문 개발, 생산하는 제조기업으로 자본금 56.9억원, 해외법인 포함 약 3,000명의 임직원 이 근무하고 있는 기업임. 당사는 급변하는 휴대폰 시장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자부품 개발부터 양산에 이르기까지 일괄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생산성 극대화와 글로벌 고객사 대응 최적화를 위해 중국천진, 베트남 하노이에각각 생산법인을보유중임. 이를 기반 으로 2014년 삼성전자와 엘지전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부품을 집중 공급하며 새로운 성장기를 구가하고 있음. 특히 삼성전자의갤럭시S4, S5와갤럭시노트3, 그리고 엘지전 자G3 등 플래그쉽 모델위주 부품 공급으로 신뢰받는 부품 협력사로거듭남. 생산 품목 측면에서도 Keypad 단일 품목에서 벗어나 Side Key, Flip Case, 부자재, Touch Pen 등으로 다각화하여 사업저변을 한층 더 공고히 다지고 있으며, 그 결과 매출액은 키패 드시장 정체에도 불구하고 2011년 연결기준 1,497억원에서 작년 1,575억원으로 105% 증가함. 특히 2013년에는 매출액 2,863억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을 달성함. 이와 같은 성장추세를 지속하기 위해 품목 측면에서는 비휴대폰 계열 전자부품 다각화에 매 진하고 있으며 영업 측면에서는 인도사무소 개설을 통해 중남미 소재 고객사까지 아우 를 수 있는 대응기반을 마련함. 한편 글로벌 기업들의 베트남 진출Rush와 발맞추어 2010년, 베트남 하노이 박닌성에 대규모 생산법인을 마련하여 수출역군으로서의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여 2014년 현재 월평균매출 1천만달러 이상의 대형 법인으로 거듭남. 인도사무소 개설을 통해 천진법 인-베트남법인-인도사무소를 아우르는 사업 BELT를 구축하여 전자제품 생산의 심장 부인 동남아 시장을 폭넓게 Cover가능한 영업력을 확보하였으며, 대량생산체제 가동으 로 고객이 원하는 품질과 수량을 충족하는 제품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 춤. 당사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앞으로도 기업의 성장과 함께 수출기업으로서의 소임 을 다하려 함. - 195 - - 62. 1억불, (유)삼송 / 대표이사 이형찬(李炯燦)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3,189만불 (전년대비 1%증가) ▲ 담 당 자 : 전경아 (☎ 02-6901-7916 ) 공적내용 (유)삼송은 자동차용 안전벨트를 생산하는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로 자동차용 안전제 품(안전벨트, 사고분석해석, 유아용카시트)분야의 전문업체로 인정받음. 2011년도 매출 실적 1,555억, 2012년도 1,967억, 2013년도 1,910억원 달성. 2014년도에는 약 2000억원의 매출액 달성을 위해 전진하고 있음. 당사는 해외영업과 생산을 강화하기 위해 2001년 중국 현지법인, 2006년 인도 현지 법인(공장)을 설립하였으며 2007년 유럽 판매법인으로 체코법인을 설립하였음. 또한 창 업 후 기업 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 적극적인 연구개발투자와 신기술력 확보, 디자인 개발,안전시험장비를 구축함. 이러한 노력의 결과 제조기술 관련 특허등록 20건, 실용실안등록 2건, 의장등록2건 등 총 24건의 기술관련 재산권을보유하고 있으며, ISO9001인증, QS9000인증, ISO14000인 증, ISO/TS 16949:2002 인증을획득함. 또한 수출시장 개척을 위해 해외관련 산업전시회에 지속적으로 참가하여 아시아부터 유럽에 이르기까지 해외법인 설립과 투자에 힘을 쏟고 있음. 현재 중국, 인도, 체코 현 지 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현지출장을 통해 브라질, 러시아, 터키 등 세계 각지에 투자 및 공장설립을검토 중에 있음. 당사는 유수의 해외 부품업체의 경쟁력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에서 유일하게 안전벨 트 개발에 앞장서고 있음. 작년 전 세계 판매수 4,100,000대 중 자사의안전벨트가 35% 의 비중을 차지하여 자동차산업 내수시장 확대에 기여함. 현재 대기업인 현대, 기아, 르노삼성등과 함께 자동차관련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차세대 자동차산업의 안 전, 기능, 전자제어 등 연구개발 및 제품양산에도참여하고 있음. - 196 - - 63. 1억불, 금강공업(주) / 대표이사 이범호(李凡虎) ▲ 수출품목 : 기타금형, 철및비합금강용접강관(중소) ▲ 수출실적 :$ 10,418만불 (전년대비 31%증가) ▲ 담 당 자 : 박윤희 (☎ 02-3415-4180 ) 공적내용 금강공업(주)은 1979년 8월 설립하여 대한민국 가설산업체 최초 자체 기술로 개발된 콘크리트 타설용 알루미늄폼 및 특수폼을 해외에 수출함. 주요 품목인 알루미늄폼과 시스템거푸집은 국내 현장에서조차 외국제품을 수입하여 사용하던 품목이었으나 국내 최초로 생산에 성공하며 성장함. 이범호 현 대표이사는 2005년 경영지원본부장 및 해외영업본부장을 겸직하면서 건설 용 가설재와 철강 파이프의 국내 시장은 포화 상태라고 판단, 상대적으로 가설재 산업 의 기반이 취약한 동남아시아로의 해외시장 진출 필요성을 인식, 해외시장 전문가를 해외영업부장으로 영입하는 등 해외 수출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시작함. 이후 2007 년 말레이시아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동남아시아 시장의 전초기지 역할을 다지고, 2008 년부터 알루미늄 폼 수출을 시작, 2009년에는 회사설립 이래 최고 매출액인 3천만불 수출을 달성하는 성과를 보임. 금액상으로는 수출 주력업체 대비 미미한 수준이지만, 대한민국 가설산업 최초의거푸집 수출이라는 기념비적인 업적을 세움. 당사는 해외시장 진출 및 수출을 위한 전략구축 및 신제품 개발, 기술 향상을 위하 여 2005년 기술연구소를 설립, 꾸준한 기술개발과 제품 국산화로 국내 건설현장에서 호평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자신감을 발판으로 성공적인 해외시장 진출 성과를 이뤄내었음. 신흥 시장을 개척한지 불과 4년만에 7천만불 수출을 달성 하였고, 올해는 1억불을 달성하며 국내 기술력의 성장을 입증함. - 197 - - 64. 1억불, (주)에이치비테크놀러지 / 대표이사 문성준(文聖畯) ▲ 수출품목 : 칼라TV부품, 기타계측기 ▲ 수출실적 :$ 10,647만불 (전년대비 520,575%증가) ▲ 담 당 자 : 김태영 (☎ 041-532-8730) 공적내용 ㈜에이치비테크놀로지는 1997년 설립초기 반도체 후공정 장비를 시작으로 국내최초 LCD용 AOI 검사장비 국산화에 성공하였고, 2012SUS 세계최초 플렉시블 AMOLED용 초미세 AOI 장비를 공급함으로서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업계의 선두 기업으로 거듭남. 당사 사업부는 부품소재사업부와 장비사업부 2개의 사업부로 운영중임. 부품소재사업 부는 삼성전자의 핵심 협력사로서 세계 최대크기 도광판 레이져패터닝 가공기술을 보 유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 멕시코로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 장비사업부는 TFT-LCD 검사장비를 제조, 수출하고 있으며 2세대~8세대까지 전 세대 장비를 안정적으로 공급 하고 있음. 주요 수출국은 중국, 대만, 일본이며 국내외 검사장비 총 누적납품대수는 293대, 2013년기준AOI검사장비 세계시장 36%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기술개발을 위하여 부설연구소를 운영, 총 54여명의 연구인력이 근무하고 있으며(전 체 관리인력중 26% 차지) 기술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비를 투자함. 그 결과 장비사업부는 많은 정부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최근 "55인치 고해상도 AMOLED TV패널 나노미터급 불량 검사장비 개발" 정부과제를 1차년도 수행하고 있 으며, 이 과제를 통해 개발되는 차세대 0.2um 검출력 AMOLED 광학검사장비는 2017 년 160억원, 2018년 240억원, 2019년 320억원 매출을 달성할것으로예상함.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중국, 일본 등 해외지역 local Agent와 계약을 체결, 해외시장 매출 증대를 위해 노력해왔고, 2014년 중국 소주시 내 대표처 설립을 목표로(연락사무 소) 준비중임. 이를 통하여 중국시장에서 마케팅, 홍보활동을강화할 계획에 있음. 이러 한 해외시장 개척활동의 결과로 중국의 유수 TV Maker인 Skyworth 社와 도광판 공 급 계약이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의 SONY 社 에서도 당사의 기술력을 인정, 제품 개 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특히 장비사업부의 TFT LCD 검사장비는 BOE, TIANMA, CENTURY, CSOT社 등의 Global 디스플레이 업체들로부터 기술력을 인정 받아올 하반기 대량의 수주가예상됨 - 198 - - 65. 1억불, (주)제이앤티씨 / 대표이사 장상욱(張相旭) ▲ 수출품목 : 연결부품,안전유리 ▲ 수출실적 :$ 12,713만불 (전년대비 73%증가) ▲ 담 당 자 : 최순진 (☎ 031-354-2590) 공적내용 ㈜제이앤티씨는 1996년 11월 설립, 현재 주요 매출품은커넥터, 강화글라스이며 2013년 커넥터 1,363억, 강화글라스 244억 총 1,607억의 매출액을 달성함. 현재(2014. 7월 기준)자 본금 21,032(백만원), 종업원수 700명, 중국QINGDAOJNTC 해외법인을 가지고 있음. 최근 3년간 수출액은 2011년 85,011(백만원), 2012년 115,025(백만원), 2013년 120,672(백 만원) 으로 2013년 총매출액 1607억에서 수출액이 차지하는 부분은 75%(120,670백만 원)임. 사업별 수출비중은커넥터 98,230백만원(82%),강화글라스 22,440백만원순임. 또한 끊임없는 자동화 기술 개발을 통해 휴대폰커넥터 자동조립·검사·포장 시스템을 개발하여, 1996년 창립 이래 현재 매출액 1,607억을 달성하는 중견기업으로 성장함. 당 사의 산업은 크게 부품산업(커넥터,강화유리), 에너지사업(탄소나노필터)으로 업태를 분 류하고 있으며, 부품산업인 커넥터, 강화유리를 통한 전체 매출액의 70~80% 수출을 하 고 있어서 무역진흥에 기여도가 크고 추가로 에너지사업에 대한 기술성공에 따른 신규 양산설비 투자를 예정하고 있음. 또한 도요타, 현대자동차, GS칼텍스 등 국내외 기업들 과 협력으로 신규매출(수출)증대가 이뤄질것으로예상됨. 당사와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수백여개 기업들과의 유기적인 비즈니스 협업과 고객사와의 상생협력 및 동반성장 수행 과정을 통해 신규시장 개척 및커넥터,강화글라스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 커넥터사업부는 생산량의 증대, 품질향상, LOSS율 저하를 위해 자동화 설비를 갖추 고 있으며, 지속적인 설비 투자를 하고 있음. 특히 2013년커넥터 설비투자(60억), 사출 성형기(38대), 프레스기(23대)를 보유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약 70%의 가동율을 지님. 신규 투자부분인 강화글라스사업부는 2012년부터 양산을 시작하여 현재 갤럭시 S4 모 델 SDC사의 90% 이상 물량 진행함으로 높은 생산 수율 확보 및 고정적 매출액을 달 성하고 있으며 고객사의물량증가 요청에따른 지속적인 설비 투자를 진행 중임. 당사는 높은 기술력으로 해외수출에도 경쟁력을 가지고 지속적인 시장개척과 수출증가 를 하고 있으며, 기존 중국시장에서베트남, 인도 등 신시장 수출이증대되고 있음. - 199 - - 66. 1억불,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 대표이사 양동기(楊東起) ▲ 수출품목 :온라인게임서비스 ▲ 수출실적 :$ 19,091만불 (전년대비 489%증가) ▲ 담 당 자 : 이원선 (☎ 031-600-8289 ) 공적내용 (주)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는 전 세계 4억명 이상의 게이머들이 즐기는 온라인 FPS 게임 ‘CrossFire’를 개발한 글로벌 온라인 게임 회사로서, 2002년 6월 11일 설립 이래 전 사원이혼연일체로 단결하여 세계 1위 FPS게임‘CrossFire’를 개발함. 당사는 설립 이후 5년간 매년 200% 이상의높은 매출 신장률을 이뤄냈으며, 게임 개 발에서 시작한 사업 영역을 핵심 연계 사업인 퍼블리싱 및 투자부문으로 확장하여 미 국, 중국, 동남아 등의 해외 거점을 마련하는 등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2013 년 매출은 총 3,760억원(연결회계 기준)을 기록했으며 이 중 90%이상은 콘텐츠 직접 수출과 글로벌 현지 서비스를 통해 이뤄짐. 또한 제작한 게임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중국 현지로 출국하여 시장전문가 및 중국 유저들과 함께 현지화 작업을 진행함. 2008 년 현지화 작업을 할 당시, 게임업계의 ‘현지화’ 개념이란 국내에서 개발한 게임을 수 출국 언어로 바꾸는 단순 번역 작업수준에 불과하였음. 당사는 개발자들과 현지 협력 업체, 그리고 현지 유저들의 의견에 항상 귀를 기울이는 노력으로 기존 중국 온라인게 임의 유료결제 시스템을 탈피, 파격적으로 무료서비스 제공을 실시하여, 상해, 북경과 같은 세계적인 도시에서부터 산간오지까지 게임 유저의 PC사양이 천차만별인 중국의 상황에서 게임사양을 대폭 낮추는 최적화 작업을 수행 하여 유저들의 게임 접근성을 높이는 성과를보임. 또한 온라인 FPS게임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네트워크 상태를 한국 수준으로 올리기 위해 게임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는 서버연결 방식을 전면 개편, 게임현지화 작업 을 성공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중국 문화와 중국인들의 정서에 맞는콘텐츠를 지속적 으로 개발함. 이러한 노력을 통해 중국 유저들의 마음을 완전히 사로잡을 수 있었고, ‘Cross Fire’는 중국의 국민게임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었음. - 200 - - 67. 1억불, (주)블루콤 / 대표이사 김종규 ▲ 수출품목 :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전동기부품 ▲ 수출실적 :$ 11,124만불 (전년대비 204% 감소) ▲ 담 당 자 : 김현중 (☎ 032-810-0512) 공적내용 ㈜블루콤은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 제조기업으로 주요 사업은 휴대폰용 마이크로 스 피커와 리니어 진동모터, 블루투스헤드셋 등 휴대폰 부품 및엑세서리임. 1990년 삼부 커뮤닉스 설립을 시작으로 1991년 10월 법인명을㈜블루콤으로 전환한 뒤 중국 천진에 생산공장, 베트남법인(해외2공장)을 설립하여 가동을 시작하였고(현 임대공장) 2015년 까지 공장을 신축할예정임. LG전자에 ODM형식으로 납품하는 넥밴드형 블루투스 스트레오 헤드셋 제품인 HBS-700을 시작으로 HBS-730,750,800,900 등의 모델들의 라인업을 갖추었으며 각기 다른 특성화를 통해 매번 신제품 출시때마다 새로운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음. 최근 수 출기록으로는 2012년~13년 3천 6백만불, 2013년~14년 6월까지 1억1천1백만불의 수출실 적을 달성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함. 기술개발 분야로는 블루투스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스피커, 휴대폰스피커, TV스피커, 리니어 진동모터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 양산하고 있으며, 2013년 세계시장에서 새로운 강호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 내수시장 진입을 시작으로 현재는 샤오미, 신쉰 등의 중국 내수업체로 수출을 진행하고 있음. 또한 기존 미주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 내수시장에 눈을 돌려 13억 중국인들이 사용 할 스마트폰의 스피커, 리니어 진동모터를 수출하게 되는 등 해외시장에서도 대량수출 을 통해 당사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이는 LG전자와 샤오미의 성장에힘입어 모바일 완성품기계와 연계가 가능한 기능을 추가하며 또 하나의 웨어러블 플랫폼으로의 발돋 움이 기대됨. - 201 - - 68. 1억불, (주)오영 / 사장 정홍기(鄭洪基) ▲ 수출품목 :염료 ▲ 수출실적 :$ 11,074만불 (전년대비 41%증가) ▲ 담 당 자 : 김정훈 (☎ 02-834-5050) 공적내용 ㈜오영은 1981년 설립 당시부터 선유용 반응성 염료 한 분야에만 집중해 온 기업으 로, 기존 수입에 의존했던 반응성 염료를 고품질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국산화에 성공, 국내 염료시장 활성화에 크게 기여함. 당사는 ‘외산 반응성 염료의 국산화’ 라는 가치 로 반응성염료 생산을 시작하며 선진 제품의 복제를 통해 초기 기술을 확보하고 우수 한 해외의 염료제품을 가져와 분석하고, 복제하는 과정을 거치며 생산 기술력을 습득 함. 또한 신제품의 연구개발, 제품품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하여, 1988년 중 앙연구소 설립, 1993년 시화공단에 제2공장 신설하여, 명실상부한 반응성염료 국내 1위 업체로 자리매김함. 창업이후 지속적인 연구 개발 활동의 결과로 당사의 주 제품인 반 응성염료의 제조에 관련된 기술관련 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6년 INNOBIZ 인증 을획득, 현재 정부기술개발사업에도 적극적으로참여하고 있음. 또한 수출시장 개척을 위하여 영문, 중문 팜플렛을 제작, 해외 관련 산업 전시회에 참가하여 지속적인 제품홍보 및 바이어 발굴을 진행하고 있음. 특히 세계적으로 유명 한 중국염료산업전시회에 참가하여 제품의 품질에 대하여 호평을 받고 있으며, 긍정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는바 지속적으로 수출물량이증가 할것으로 기대됨. 또한 OEM 생산수출이아닌 90%이상 자체브랜드로 수출하여, 대한민국 무역수지 개선 에 기여하고 있음. 수출액 중 약 7%를 차지하는 Local 수출제품은, 국가중점산업인 섬 유산업의 핵심적인 원부자재로 사용되어, 수출 섬유제품 생산 시 수입원부자재가 아닌 국산원부자재를 이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수출 섬유제품의 가격경쟁력 확보에도 노력함. 이를 통해 대한민국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하고 있음. - 202 - - 69. 1억불, (주)풍전비철 / 대표이사 한정건(韓炡鍵) ▲ 수출품목 :알루미늄괴,아연괴 ▲ 수출실적 :$ 10,701만불 (전년대비 101%증가) ▲ 담 당 자 : 김영섭 (☎ 070-4161-3525 ) 공적내용 ㈜풍전비철은 아영, 동, 황동, 알루미늄, 주석 등 주요 비철금속을 합금하여 국내 철 강사 및 산업현장에 공급하는 기업으로 친환경기술을 30년간 이어오며 새로운 성장동 력을 마련하고자알루미늄합금공장 설립 및 기계금속 부품생산을병행운영함. 적재적소의 인원관리로특허등록 3개, 제품표준화를 통한 품질향상, 영업팀의활발한 해외활동 지원으로 인도네시아 사라나스틸,아프리카 케냐의빅토리메탈, 남미브라질의 아르실로미탈 등과 적극적인 비즈니스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있음. 싱가포르, 대만, 방글 라데시,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 시장 확보를 위해 협의 중이며, 북남미, 유럽 등 해외 유수의 제강사들로부터샘플 제공을 의뢰받아 품질테스트 중에 있음. 비철금속 공업은 관련효과가 높은 소재형 산업으로 건설업, 기계공업, 전기전자산업, 항공산업 등 1970년대 말부터 성장기반이 조성된 선진국에 비하면 국내의 경우 원칙 없는 처리체계로 어려움이 있었음. 당사는 이러한 처리체계를 구체화하여 국내 관련산 업으로의 수입대체효과를 거둠. 특히 당사 아연제품의 경우 아연드로스 등의 각종 아 연산업 부산물과 폐기물 등을 원자재로 아연잉곳을 생산하며, 알루미늄의 경우 알루미 늄선, 샤시, 휠, 기계철, 인쇄판, 절삭칩 등으로알루미늄잉곳을 생산함. 또한 유가폐기물의 재활용방안 및 고부가가치를 위한 기술개발에 꾸준한노력을 기 울이고 있음. 국내 최초로 갈바륨 도금강판용 모합금을 생산 공급하여 도금회사의 품 질향상과 원가절감에 기여하고 있고, 아시아 지역을 넘어 아프리카 시장으로의 수출을 도모하여 신시장에서 한국제품을알리고 있음. 국내에서 생산되지않아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일부 비철제품의 경우 비철금속 스크 랩을 이용한 제품을 생산하여 국내 관련업체에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음. 또한 세계적인 종합 비철금속 재활용업체로 부상하기 위하여 국외 공인규격 및특허의 지속 적인획득을 위하여꾸준히노력하고 있음. - 203 - - 70. 1억불, (주)현진스포텍 / 대표이사 이해연(李海兗) ▲ 수출품목 :편직물, 기타종이제품 ▲ 수출실적 :$ 11,084만불 (전년대비 31%증가) ▲ 담 당 자 : 김선영 (☎ 070-4163-1510) 공적내용 ㈜현진스포텍은 1987년 3월, 모터싸이클용 장갑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설립함. 2005년 격변하는 기업환경과 세계화의 거친물결 속에서좀 더 미래지향적인 기업이미지를 제 고하기 위해회사명을㈜현진상역에서㈜현진스포텍으로 전환하였음. 1993년부터 2008년까지 중국내 생산인력 약 5,000명 규모의 생산공장을운영하였으나 당시 주력 수출국가인 미국으로 수출하는 데 있어쿼터제한을 받아 이를 해결할필요가 있었고, 또한 중국 내 규제강화 및 인건비가 상승하여 중국에서의 공장 운영에 제약이 있다고 판단함.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2003년 다른 경쟁업체보다 선도적으로베트남 북쪽에 위치한 하이증성에 해외직접투자를 하여새로운 공장 2곳을 추가로 설립함. 이후 2011년도에는 천만불 이상의 해외직접투자를 추가 실행하여 베트남 내 제 3공 장까지 건립하였으며, 현재 총 3곳의 베트남 현지공장에서 연간 장갑 생산물량 2천만 켤레, 의류 생산물량 300만벌로 당당하게 업계 1위의 생산량을 구축함. 또한 당사는 베 트남에 제 4공장 설립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더 많은 생산량을 확보하여 매출을 계속하여증대시켜 나갈 계획에 있음. 당사는 해외 생산현장에서 엄격한 품질관리 및 새로운 최신 설비를 통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대형 ROLL 전사기와 DIGITAL 전사기를 설치하여 BUYER의 샘플요청에 즉시 대응하는 체제를 구축함. 현재 당사가 생산하는 주력 아이템인 모터 싸이클용 장갑, 바지 및 산업용 의류 외에도 차량정비용 장갑, 스키/스노우보드 장갑, 자전거용, 요트용, 소방용, 등산용, 골프용, 경찰/군인용 특수장갑 등 세계시장에 다양한 종류의 장갑 아이템을 수출하고 있으며 서핑용보드 바지 등 매년 신규아이템에도 투 자하여, 신규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이를 통해 매년 대폭적인 매출신 장을 도모하고 있음. - 204 - - 71. 1억불, (주)코렌스 / 대표이사 조용국(趙鏞國)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1,931만불 (전년대비 52%증가) ▲ 담 당 자 : 김현태 (☎ 055-371-6732 ) 공적내용 ㈜코렌스는 1990년 7월에 설립되어 EGR 쿨러(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국내최초 로 개발, 상용화한 기업임. EGR쿨러는 자동차 엔진내 연료의 연소과정에서배출되는 일산화탄소(CO), 매연(PM), 질소 산화물(NOx) 등 유해물질을 획기적으로 저감하는 장 치. 디젤엔진에서 발생하는 입자물질(매연)과 질소산화물(NOx)은 스모그발생 및 인체 의 폐암, 폐질환과 산성비 유발을 통한 토양오염을 일으키는 주요 물질인데, 엔진에 장 착되는 EGR Module는 매연물질 및 질소산화물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로써 디젤엔 진이 가솔린엔진보다 더깨끗한배기가스를배출 시키도록 하는 핵심기술임. 당사에서 자체개발한 혁신적인 Wavy Fin형 EGR Cooler는 자동차산업의 본고장인 유럽에서도 인정을 받아 BMW에 입성을 하였으며, 현재 Euro5/6용 EGR Module은 70%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Ford, Cummins, Lombardini, VW과 같은 유럽 메이 커에 수출함으로써 국위선양 및 국부창출에도 기여함 당사는 각 엔진마다 상이한 조건을 분석하여 최적사양의 EGR Cooler를 설계하는 기 술 및 데이타를 보유하여 고객사 요구조건을 분석하고 엔진별 최적화 설계를 제공함으 로써 고객으로부터 기술만족도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있으며, 원가경쟁력이 뛰어 난 사양을 제공하여 국내뿐만아니라 해외에도 수출을 하고 있음. 1998년에는 R&D 센터를 설립, 친환경사업이 미래의 주도적 사업이될 수 있다는 판 단에 EGR Cooler의 본격 개발에 착수하여 마침내 ‘소형 디젤엔진용 일체형 EGR Tube’를 개발, 독자기술에 의한 국산화에 성공하였음. 특히 2011년도 이후 BMW, Ford, GM, Lombardini, VW, PSA, Chrysler 등 세계 굴지의 완성차 업체로부터 매주 치열하고 당당한 수주 경쟁을 통해 괄목할 만한 성장을보임. - 205 - - 72. 1억불, 디에스알제강(주) / 대표이사 홍하종(洪廈宗) ▲ 수출품목 : 철및비합금강와이어로프, 철및비합금강강선 ▲ 수출실적 :$ 10,402만불 (전년대비 14%증가) ▲ 담 당 자 : 최윤근 (☎ 02-3420-3613 ) 공적내용 DSR 제강은 와이어 및 와이어 로프 전문제조 기업으로 글로벌 경제위기와 소재산업 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매출향상을 이루었음. 특히 당사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 은오프쇼어용 극태물 로프 수출실적의 경우 2013년 7월~2014년 6월 기준 778만불, 자동 차용오일템퍼트 와이어의 수출실적은 816만불로 매년높은 매출 성장을보이고 있음. 1998년 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국내 최초의 극태물 와이어 로프를 자체 개발하여 생산 안정화를 이끌어 냄. 이를 바탕으로 한 우수한 품질을 앞세워 자체브랜드 개발에 박차 를 가해 POWERMAX, POWERFLEX 등의 다양한 자체 브랜드 제품을 개발했으며 확 대되는 국제 지적재산 분쟁에 대비하여 유럽,남미,오세아니아 등 대륙별 주요거점 국 가의 상표권을획득함. 이후 자체 기술력과 브랜드로 전 세계 200여개국 이상에 수출을 이뤄내고 해를거듭할수록 향상된 실적을 나타낼 수 있는강한 기업으로 성장함. 이러한노력들은 세계유수의 품질, 시스템, 선급 인증기관인 ISO, QS, API, NK, JIS, KS, DNV, LLOYD, ABS, CSI 등으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았고 이러한 성과를 바탕 으로 2011년 율촌공장 설립을 통해 국내 최초의 극태물 와이어 로프의 자체 개발 브랜 드인 POWERMAX 개발에 성공하여 생산 안정화를 이뤄냈음. 현재는 세계 최고 수준 의오프쇼어 플랜트 제작 업체들에 공급 중에 있음. 당사는 현대 삼성 등 국내 오프쇼어 플랜트 제작 업체 뿐 아니라, 유럽의 아킬레스, 브라질 페트로브라스 등 다양한 인증기관의 기자재 공급자 인증자격을 획득하여 세계 시장에 당사 브랜드와 더불어 대한민국 기술력을 널리 알리고 있음. 또한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한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해 1990년대 후반부터 매년 연 4회 이상 세계 유수 의 와이어 및 와이어 로프 관련 전시회에 꾸준히 참여 중이며 2014년에도 독일 Wire Tube, 미국 OTC, 네덜란드 Offshore Energy, 중국 Wire Show 등에 참여하여 업계의 호평을 이끌어내어 차후 오프쇼어 관련 전시회도 꾸준히 발굴하고 점점 그 규모를 확 대할 계획임. - 206 - - 73. 1억불, (주)부강샘스 / 대표이사 이성진(李盛晉) ▲ 수출품목 : 진공청소기 ▲ 수출실적 :$ 16,152만불 (전년대비 286%증가) ▲ 담 당 자 : 유현종 (☎ 032-814-1760) 공적내용 ㈜부강샘스는 1978년 설립하여 36년간 자동차 핵심 부품을 비롯해 다국적 기업의 전 자부품 및 첨단 디지털 제품을 생산해왔으며, 2007년 의사출신 이성진 대표가 ‘환경을 개선하고 예방해 더욱 건강한 삶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라는 새로운 신념아래 기존 시장에는없었던침구살균청소기”레이캅“을 출시하여 국내외 시장을 개척해왔음. 현재 생산중인 제품 레이캅은 실내 침구류 등에 서식하는 집먼지 진드기의 사체나 배설물 등이 미세먼지와 결합되어 알레르기의 주원인이 되는 ‘하우스더스트’를 효과적 으로 제거해 가정에서 손쉽게 침구류를 청소,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제품으로, 전 세 계 20개국 이상의 고객들로부터 사랑받으며 현재까지 약 300만대 이상 판매고를 올리 며 글로벌 건강가전으로 자리매김함. 2010년에는 세계 20여개국 수출을 통해 2010 세 계일류상품에 등재되었으며, 현재 무역협회, 중소기업청 등 유관기관의(지사화사업, 수 출인큐베이터 사업 등) 수출지원 정책을 적극 활용해 올해 1억 6천만 달러의 수출실적 을 달성하는쾌거를 이룸. 또한 당사는 최적의 침구청소 기술력 구현을 위한 연구 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 고 있음. 현재 레이캅 기술연구소를 통해 선행기술 개발과 품질 향상 및 관리를 위한 각종 테스트 등을 실시하고 있음. 특히 레이캅 기술연구소에서는 국내특허 4건, 유럽을 포함한 6개국의 해외특허를 출원, 등록했으며 실용신안 11건, 상표권 12건(해외 포함), 의장권 24건(해외포함)을 출원, 등록함. 이를 통해 2000년 Single PPM 대통령상을 수 상하는 등 우수한 생산 품질을 유지하고 있음. 현재 프랑스 소비자협회에서 주관하는 프랑스 소비자 선정 우수상품으로 선정, 일본 SHUFUNO TOMO DIRECT의 10대베스트 히트상품 선정 및 영국 최대 유력 일간지 인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지에서 선정한 영국 10대 청소기에 선정되어 다이슨, 아이로봇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당당히 대한민국 대표 가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 207 - - 74. 1억불, (주)광진기계 / 대표이사 정기범(鄭基範), 권오철(權五轍)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0,137만불 (전년대비 5%증가) ▲ 담 당 자 : 김준구 (☎ 041-421-4015) 공적내용 (주)광진기계는 1993년 차량용 창문계폐기 등의 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한 외부감사 대상 중견기업임. 당사는 2010년 매출액 1,000억 달성 이후 2011년 1,285억, 2012년 1,490억, 2013년 1,583억으로 꾸준한 외형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2011년 5천만불 수출의 탑 수상, 2012년 7천만불 수출의 탑 수상, 2013년 9천만불 수출을 달성하는 등 의 수출성장세를보이며 지속발전함. Quarter Glass Regulator, Frameless Regulator, Regulator Snap-Fit carrier Plate, Plastic regulator 등의 신기술을 개발하였고 Plastic Door Module, Clamp의 Extrusion 공법 등의 신공법들도 개발하였음. 또한 선행개발 연구를 통하여 세계최초로 보급형 Power Tail Gate를 개발 완료하였고, 국내 최초로는 Invisible Sliding Door를 개발하 는쾌거를 이룸. 또한 자동차 도어 시스템 분야의 핵심기술 및 독자 기술력, 경험이 풍 부한 연구인력을 기반으로 최신 평가설비를 갖춘 사내 부설연구소를 운영하며 고객의 요구사항에 발빠르게 대응하여 고객지향적 제품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당사는 축적된 다양한 시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유럽 시장에 진출하여 유럽 시장의 제일큰 고객인VOLKSWAGEN을 고객으로 확보함으로서 유럽 시장 진출의 발판으로 삼고 Global Top1의 Window regulator supplier 로서 국내 업체가 통과하기 까다로운 일본 Carmaker와 Business 협의 중이며, 현재견적 제출 및 기술회의를 진행중임. 자동차 산업은 대표적인 국가 기반산업이며, 당사가 생산하는 자동차 부품이 전 세 계에서 판매됨으로써 (주)광진기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자동차 기술에 대한 위상을 올 리는데 기여함. 이를 통해 소비자 만족에서부터 관련 부품산업 전후방 산업까지 동반 성장을 견인하며 성장함. 또한 윈도우레귤레이터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우선 우수 연구 인력의 유치와 더불어 해외공장의직원을 육성하기 위해 매년 당사 및 국내 공장에서벤치마킹 및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 208 - - 75. 1억불, (주)일진 / 대표이사 강문철(姜文喆)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1,637만불 (전년대비 26%증가) ▲ 담 당 자 : 차재우(☎ 054-770-7412 ) 공적내용 (주)일진은 1986년 1월 동아산업으로 시작하여 현대자동차에 Strut Bar 가공품을 납 품하는 기업으로 2008년 (주)일진으로 상호 변경하여 현재까지 자동차 샤시부품인 Ball Joint, Tie Rod End, Stabilizer Link, Door Checker, Corner Module, Hybrid Arm 등 을 세계 유수의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는 자동차 샤시 전문 기업임. 현재 460여명 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해외수출을 강화하기 위해 중국, 인도, 슬로바키아, 미국 에 공장을 두고 세계각국에 수출하고 있음. 당사는 2003년 이후 해외고객사의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주요 거점별(중국, 미국, 유 럽) 내 영업사무소를 설립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으며, 북경, 슬로바키아, 미국, 인도에 해외공장을 설립하여 현지 생산체제를 구축함. 이러한 투자를 통해 2011년 6천 만불, 2012년 7천만불, 2013년 9천만불, 2014년 1억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함으로써 최근 3년간꾸준한 수출증가세를보였음.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지속적인 시장환경 및 동향을 분석하여 해외 신시장 개척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고객 요구에 부합된새로운 상품 개발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고기 능성의새로운아이템을 이용한 매출증대에 힘쓰고 있음. 미래 시장의 요구를 만족하는 경량화 신상품 개발 부분으로는 스틸과탄소복합소재를 함께 적용한 하이브리드 부품, 그 리고 고강도복합소재 개발 등을 통하여 세계 일류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노력하고 있음.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으로는 협력사 동반성장을 위해 지속적인 Level Up 활동을 시 행, 진행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QMS 전산시스템을 도입하여 품질안정화에 기여하기 위해 실시간 정보전달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음. 현재는 환경적 측면에서 각종 대기 오염 물질을 유발하는 자동차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 위해 경량화 신상품인 Aluminum 소재를 적용한 Lower Control Arm을 자체 설계 개발하여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앞장서고 있음. - 209 - - 76. 1억불,(주)남선알미늄 / 대표이사 김시중(金時重), 이상일(李相日)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알루미늄구조물 ▲ 수출실적 :$ 12,918만불 (전년대비 29%증가) ▲ 담 당 자 :백주현 (☎ 053-610-5113) 공적내용 (주)남선알미늄은 1947년 남선경금속공업사로 시작하여 국내 알루미늄 산업을 선도 해온 기업으로서 주택용 섀시에서 빌딩용 커튼월, 각종 산업용 구조재 등 다양한 분야 의 압출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알루미늄 전문기업임. 2008년 11월에는 자동차 부품 및 내장재를 생산하는 대우라이프㈜를 인수하여 사업다각화를 통한 산업아이템별 국내시 장을 선도하는 중견기업임. 당사는 캐나다, 중국, 괌, 동남아 등의 지역에 창호소재 및 알루미늄 구조물을 수출 하고 있으며, 2014년 직수출 실적은 14,141천불, 플라스틱 범퍼를 수출하여 전년대비 로컬수출 실적은 35% 신장하여 2014년 총 수출액 115,026천불 실적을 달성함. 특히 알루미늄 소재의 창호재와 자동차용 범퍼제품은 해외에서도 품질을 인정받아 지 속적으로 수출물량이증가추세에 있으며,창호부문의 경우 미국,캐나다, 일본, 동남아 등 을 중심으로 창호소재 수출과 함께 캄보디아, 괌, 스리랑카, 필리핀, 앙골라 등으로 국가 및거래선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창호완제품의 수출량 확대를 위해노력하고 있음. 당사의 경우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제품 및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음. 특히알루미 늄사업부는 동종업계 최초로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창호뿐만아니라각종 구조물 등을 개발하여 끊임없이 신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자동차 사업부 역시 기술연구소를 보유하 고 있으며 차량용범퍼의강도,안정성, 경량화 등의 기술 및 품질을 향상시켜 경쟁업체 보다 우위를 선점하게 되었고, 자동화 기계에 투자하여 생산성 또한 크게증가함. 또한 당사는 해외사업팀, 수출팀을 별도로 구성하여 해외시장 활로 개척에 노력하고 있는데 주로 캐나다, 일본, 중국 등의 국가에서는 꾸준히 실적을 달성하고 있으며, 2014년알제리에서 대규모창호공사수주를 달성, 해외사업의 영역을 확대시키고 있음. - 210 - - 77. 1억불, (주)프라코 / 대표이사 이재하(李在夏)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3,575만불 (전년대비 11%증가) ▲ 담 당 자 : 이영석 (☎ 031-369-8505) 공적내용 (주)프라코는 1967년 대한페인트잉크주식회사의 플라스틱사업부로 출범하여 완구와 조화를 생산/수출하였으며, 1980년 기아자동차의 자동차부품을 생산/납품함으로써 자동 차 부품산업에 진출함. 이후 1989년 독립법인으로 출범하여 자동차부품전문업체로 성 장해왔음. 회사의 주력생산제품은 플라스틱자동차부품과 금형이며, 플라스틱자동차부품 (범퍼 및필러류 등)은 체코, 슬로바키아 등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수출하고 자동차금형 의 경우는 인도, 러시아, 이란, 터키 등에 수출하며 높은 수출실적을 올렸음. 수출실적 은 2011년 1,217억원 2012년 1,430억원 2013년 1,432억원이며 주요 수출처는 터키의 FARPLAS사, 이란의 PLASCOKAR사에 PRIDE 132 FRT/RR BPR 등을 수출 납품하 였음. 유럽으로의 자동차부품 수출이 주요 타겟 시장이며, 미국, 일본, 인도, 터키 등의 비유럽국가에 대한 금형수출부문을 중점 확대하고 있음. 당사는 세계수준의 자동차부품생산 기술을 확보하기 위하여 세계 각국의 우수업체들 과의 기술제휴를 통하여 기술습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비용절감 및 품질향상을 통 하여 국내외 시장개척에 최선을 다하고 있음. 현재 당사에서 보유한 기술로는 GIM Bumper System, Thinall Bumper 기술, Plastic Back Beam, Invisible PAB Door 등이 있는 반면, 지속적인 품질향상을 위하여 완성차업체에서 추진중인 CS 10000, RS 10000과 같은 주요 품질혁신운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자체적으로도 품질전담조직 을운영하여 적극적인 품질향상에힘쓰고 있음. 1970년대 이전 완구와 조화를 미주에 수출한 이래, 1980년대 자동차부품산업에 진출 하면서 해외시장에 대한 수출은 지속적으로 진행. 이후 1990년 후반 국내완성차업체들 의 해외진출 시, 동반협력 부품공급사로서 해외동반진출을 추진하였고, 이후 이러한 경 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해외공장을 건설하는 등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도모하여 현재는 해외현지공장이 있는 체코 외에 일본, 터키, 인도, 이란, 말레이시아 등 중동/아 시아의 여러 자동차관련업체에 수출을 확대하고 있음. - 211 - - 78. 1억불, (주)유니크 / 대표이사 안정구(安定求)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시계부품 ▲ 수출실적 :$ 11,662만불 (전년대비 37%증가) ▲ 담 당 자 : 김경태 (☎ 055-340-2155) 공적내용 ㈜유니크는 자동차 자동변속기 제어용 유압 솔레노이드밸브, 자동차용 시계, 시가라 이터 및 파워아울렛 등을 전문 생산하는 기업으로 2013년도 기준 수출실적은 직수출 10,858천불, 로컬 등 기타수출 74,476천불, 합계 85,334천불을 달성하였고, 당해년도 수 출실적은 직수출 10,342천불, 로컬 등 기타수출 106,282천불, 합계 116,624천불을 달성 함. 2012년 4월 ‘12년 World Class 300 프로젝트 대상기업으로 선정된 원동력을 바탕 으로 수출의 확대 및 질적 고도화, 녹색성장을 위한 기술영역의 확대 등 세계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의 국가 경쟁력강화를 위하여 지속적인노력을 하고 있음. 대외적으로 2002년 8월 중국 청도 현지에 원자재 임가공처 확보 및 중국시장 판로 개척을 위한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현재 정상 가동 중에 있으며, 임가공비 절감 및 직 접 수출증대에 의한 수익성 향상도 함께 도모할 수 있게 되었으며, 해외 우수기업 벤 치마킹 프로그램을 연 2회 꾸준히운영하여 선진 해외업체 탐방 및 산업시찰을 지속적 으로 시행하고 있음 (일본, 중국, 대만 선진업체 연수 및 시찰). 국내시장 점유율 1위 제품을 넘어, 세계시장 점유율 1위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기술부문(R&D) 투자를 실시하고 있으며,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의 상 생협력, 동반성장을 기반으로 한 수출 증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국제 경쟁력 제고 를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음. 또한 품질혁신을 위한 품질관리 기법들을 협력사 에 전파하여, 동반성장의 기반이될 협력사 품질 경쟁력을 제고시킴. - 212 - - 79. 1억불, (주)이엠텍 / 대표이사 정승규(鄭承奎) ▲ 수출품목 : 스피커 ▲ 수출실적 :$ 10,002만불 (전년대비 41% 감소) ▲ 담 당 자 :황인성 (☎ 055-710-6016) 공적내용 ㈜이엠텍은 전기, 전자기기 및 이에 해당하는 부품 개발 및 제조기업으로서 2001년 1월 18일에 설립되었으며 2007년 5월 2일 한국거래소가 개설하는 코스닥시장에 동종업 계 최초로 상장됨. 주요 품목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향 부문을 담당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와 다이나믹 리시버를 개발,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유통 되고 있는 스마트폰(삼성,엘지 등)에 당사에서 제조한 부품이 사용되고 있음. 당사는 스피커에 대한 해석기술을 기반으로 제품 개발기간을 단축시키고 다양한 휴 대 단말기에 대응 가능한 마이크로스피커 및 리시버 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기 술 진입장벽이 높은 스피커 모듈부분의당사 산업부분도 기술적인 우위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는회사만이 살아남을 수 있어서 우수 연구인재 개발 및 기술력 확대에 주력하 고 있음. 기술력 확대의 결과로 기존 62개 특허(국제특허 5건 포함) 외에 2013년 14건, 2014년 11건의 특허를 등록하였으며 국내외 출원중인 특허는 총 213건(국제특허 49건 포함)으로 다양한 연구 개발활동에집중하고 있음. 마이크로 스피커 시장의 성장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음향 부품전문 업체로의 지 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새로운 개념의 신제품을 준비하여, 또 한번의 시장 부흥을 위해 매진하고 있음. 최대 고객인 삼성전자 및 LG전자의 제품은 기술적인 노하우를 바탕으 로 판매조직상 특별한 대체 요인 없이 고객의 신제품개발 일정과 맞추어 지속적인 신 모델 대응으로 꾸준한 동반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개념 제품을 자 체 개발하여 고객에게 제시하는 시장까지 확대됨. 당사의 전방산업인 이동통신단말기 산업은 이동통신기술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적용 된 단말기를 양산해내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신규 교체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 음. 당사의 2013년도 12월말 기준 세계 스마트폰 시장예상점유율은 9.7%로, 고객사를 선별하고 초기 개발단계부터 고객사의 신뢰감을 얻어서 이를 기반으로 개발 범위 및 마케팅을넓혀가는 방법으로새로운 시장을 개척해나가고 있음. - 213 - - 80. 1억불, 우리산업(주) / 대표이사 김명준(金明俊) ▲ 수출품목 : 소형직류전동기, 전동기부품 ▲ 수출실적 :$ 11,590만불(전년대비 36%증가) ▲ 담 당 자 :송윤석 (☎ 031-201-6537 ) 공적내용 우리산업(주)은 자동차 핵심부품인 ACTUATOR, 클러치 코일, 컨트롤 헤드, 레지스 터 등을 생산하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높은 시장 점유율을 기록 중인 기업으로 자동차 공조용 핵심 전장품 개발에 주력해왔으며 국내 시장을 시작으로 해외 시장 진출을 진 행함. 당사는 미래 기술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기술개발을 꾸준히 진행해 왔으며, 일부 괄 목할 만한 성과를 도출하게 되었는데, 초창기 디젤차량용 보조 난방용 히터에서 시작 하여 친환경 전기자동차의 메인 난방히터 개발을 하였고 이에 2010년에 지식경제부에 서NET 신기술 인증을획득 하였고 현재 당사의 핵심 미래아이템으로 성장하게됨. 또한 당사의 주요품목인 ACTUATOR의 기술력을 한단계 올려, 점차 조용한 엔진을 탑재한 차량을 하는 흐름에 맞추어 저소음, 저중량의 ACTUATOR를 개발하는 것에 전념하여 이제는 세계 최고의 조용한 ACTUATOR를 개발하여 미국에 납품중임. 또한 별도로 충남에 선행개발팀이라는 양산개발이아닌 미래 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와 정부 사업에만 참여하는 별도의 조직을 운영하여 품질향상을 위하여 매주 별도의 품질회의 및각종 품질향상운동을 전개하고 있음. 2003년부터 본격적인 해외시장 공략과 글로벌 소싱을 위하여 중국, 인도, 태국, 북미 및 슬로바키아에 해외법인을 설립하였으며 북미 DELPHI 수출을 시작으로 고품질을 인정받아 매해 지속적으로 수출성장을 이루고 북미시장에 편중되어 있던 수출시장에서 탈피하여 GM,VALEO,DENSO 등 까다로운 유럽자동차 시장에도 직수출을 시작하여 해외 시장 확대를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음. - 214 - - 81. 1억불, 주식회사 파인텍 / 대표이사 강원일(姜元一) ▲ 수출품목 : 경보신호기부품, 기타컴퓨터부품 ▲ 수출실적 :$ 15,494만불 (전년대비 105%증가) ▲ 담 당 자 :윤영태 (☎ 031-900-9712 ) 공적내용 (주)파인텍은 2008년 11월 19일 설립된 디스플레이 소재 전문업체로서, "고객, 인재. 기술을 중시하는 기업"의 기업이념을 바탕으로 LCD 디스플레이에 필수적인 부품인 BLU(Back Light Unit), TSP(Touch Screen Panel)과 LCD모듈을 생산하고 있으며, 삼 성전자의 협력업체로서거의 전량을 공급 중인 기업임. 중소형 디스플레이 소재에서 벗어나, 대형 BLU 소재인 광학필름(패턴필름, 복합필 름)을 개발 완료하여 원천적인 기술로 새로운 시장을 형성해 나아가는 중임. 또한 ISO 9001/14001 및 TS16949등의 인증을 취득하여 품질 및 환경시스템을 구축하여 품질에 대한 기준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생산 공정에 대한 자동화로 생산성 및 품질력을 향상 시키고 있음. 생산거점을 중국 및 해외에서 국내로의 일부 귀환 정책을 펼쳐 본사 건 물이 위치한 일산테크노타운 7층에 1공장을 설립하여 국내 생산거점을 마련하였고 약 20억여원의 국내 설비 투자 및 약 80여명의 국내 고용창출을 이뤄내며, 국내 U턴기업 으로 경기도와U턴기업MOU를 체결함. 중국 천진, 동관, 연대와 베트남 하남성, 총 4곳의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중국내 시장 및 세계 시장으로의 진출에 교두보를 확보하여 한국 휴대폰을 세계 일류 상품으로 만 든 숨은 공신임. 2008년 설립 이후 급속한 성장으로 2010년 28백만불, 2011년 44백만 불, 2012년 46백만불, 2013년 1426백만불의 실적을 이룸. 2011년 3천만불 수출의탑 수상 이후, 2012년 498백만불, 2013년 756백만불, 2014년 1,549백만불의 수출 실적을 달성하였으며, 계속적으로 수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원천기술을 바탕으로한 기술력과 품질력으로 국내 삼성전자 외에 중국 BOE사와 Truly 사, 일본의JDI 등과도납품 계약을 체결하여거래처 다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세계 일류 수준의 디스플레이 부품을 해외업체에 납품하고 있음. 신규사업의 광학필름 은 대형 디스플레이 영역까지 확대하여 수입대체효과 및 수출증대가예상됨. - 215 - - 82. 1억불, 루미마이크로(주) / 대표이사 김용원(金容元) ▲ 수출품목 : 기타조명기기, 기타개별소자반도체 ▲ 수출실적 :$ 15,370만불 (전년대비 73%증가) ▲ 담 당 자 :황준호 (☎ 031-210-1917) 공적내용 루미마이크로(주)는 2002년 설립된 LED 전문 개발/제조 전문업체로서, 10여년간 LED 패키지 관련 분야에서 쌓인 기술력의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특허 출원한 백 색광원으로 LCD Backlight용 고휘도 LED 및 카메라폰 용 플래쉬 LED, 조명용 LED, 자동차용 LED,항공기 계기판용 LED, 모듈세트 등을 제조하고 있는 국내 최고 수준의 LED 전문 개발/제조 전문업체임. 당사는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을 위해 연구개발(R&D) 역량을 극대화함은 물론 제조 원가를 절감하여 경쟁업체와의 가격경쟁력 우위 및 불량률 최소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특허/프로그램 출원등록 20건 이상, 자체기술개발 수행, 정부출연 개발과제 수행등의 연구개발(R&D)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함. 그 결과 2011년 5월에는 지식경제부 기술표준 원 한국인정기구(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로부터 미국 에너지스타 LED조명 국제공인시험기관 자격을획득하고 2012년 미국 국제특허취득 및 지식경제부 로부터 우수제조기술연구센터(ATC)로 선정됨. 백색LED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Engineer와 반도체 제조 기술자들이 모여 세계 최고 수준의 휘도와 고품질의 신뢰성을 지향하는 고효율 고연색성 LED 패키지 개발/생산에 성공하여 이를 바탕으로 전원공급장치(SMPS) 내장형 LED TUBE를 개발 하는데 성공하고 이후 2013년 고효율 HI 고연색성 LED 패키지를 개발/생산에 성공하 여 또 한번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 신뢰성을 자랑함. 당사는 매출 증대를 위하여 고출력 조명용 백색 LED의 주요시장으로 부각될 일본, 중국, 미주 등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 해외 법인 설립을 이용한 판로 확보를 추진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에서먼저 품질과 기술력을 인정받으면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 함과 동시에 주요한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는 금호전기, 동부(국내) 및 일본 Endo조명 등을 통해 일본에 전량 수출 판매하고 있음. - 216 - - 83. 1억불, 태성전장(주) / 대표이사 김춘식(金春植) ▲ 수출품목 : 연결부품, 동제권선용전선 ▲ 수출실적 :$ 12,239만불(전년대비 36%증가) ▲ 담 당 자 :황선구 (☎ 041-560-0807) 공적내용 태성전장㈜은 1970년 08월 01일 설립된회사로서, Intelligent BatterySensor(지능 전 지 센서), Battery Sensor(전지 센서), Sensor Cable(센서 케이블), Wiring Harness, Battery Cable(전지 케이블), Spark Plug Cable 등의 자동차부품사업부를 비롯하여, Pvc, Pe, Po, TPE Compound 등의 소재 사업부로 사업 영역을 넓혀가고 있고 전사업 부가 ISO/TS16949, ISO14001 및 6 SIGMA를 기초한 품질 경영 시스템의 정착으로 불 량률"0"을 유지하고 있음. "신기술"을 최우선 목표로 내걸고 연구소 설립이래 꾸준한 연구 개발 노력의 결과로 태성전장 만의 축적된 노하우(Khow-How)기술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제조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의 성장과 더불어 진정한 경쟁력을 갖춘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으로 거듭 날 수 있도록 연구 개발의 과감한 투자와 우수한 인재 유치를 계속하고 있음. 또한 최 고 품질의 제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ISO/TS 16949:2002를 기반으로 하는 품질경영 시 스템을 수립/운영하여"고객만족" 및"현장경영"을 통하여 경쟁력을강화하고 적극적인 행동혁신을 진행함. 현재 선행개발 품목으로 개발진행중에 있는 부분으로는 대 전류 전원 자동 차단장치 로 자동차끼리 차량충돌이나 품목간 과부하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며 배터리 상태 인식 기능을 통합하고 원가절감을 위한배터리 센서를 통합하는 부품임. 또한 기존의 수입품목이었던 품목인션트, 배터리 센서(Battery Sensor)용 MG Core, 배터리 센서(Battery Sensor)용 온도센서, 대전류 차단장치용래치 릴레이 국산화를 통 해 수입대체효과를 누리며 수출증대 효과를 가져옴. 기존에 자동차 배터리 부품분야 외에도 소재사업부를 신설하여 플라스틱 가공기술로 전공정 및 제품의 무연화, PVC대 체 물질개발, PVC 대체물 생산업체 최초로 전 생산공정의 정보화 시스템 구축을 통해 친환경 위주의 제품개발에 주력함. - 217 - - 84. 1억불, (주)에이스테크놀로지 / 대표이사 구관영(丘琯煐) ▲ 수출품목 :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캠코더 ▲ 수출실적 :$ 10,677만불 (전년대비 94%증가) ▲ 담 당 자 : 최봉근 (☎ 032-458-1519 ) 공적내용 ㈜에이스테크놀로지는 1980년 7월 회사를 설립하였으며, 카폰안테나를 기반으로 해 외에 10개의 지사를 두고 있으며, IT기술을 기반으로 차량용 전장 사업과 방산용 안테 나 사업 등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무선통신용 안테나 및 RF 필터, 중계기를 기반으로 RRH와 IT융합기술 등 첨단 기 술력까지 아우르며 기술개발을 통하여 수출에 이바지 하고 있음. 1990년대 중반까지 수입에 의존하던 무선통신장비인 안테나를 개발하여 수입 대체 효과를 보여 주고 있으 며, 카폰을 시작으로 무선호출기, PCS, W-CDMA 기술에서 WIMAX, LTE기술에 이 르기까지 통신 기지국용 안테나 및 RF장비부품의 개발과 생산으로 불모지와 다름없었 던 대한민국내의 무선 이동통신사업에 앞장서왔음. 1990년대 중반을 시점으로 미국의 AT&T와 계약을 통해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였 으며, 글로벌 통신회사인 ERICSSON, NOKIA, ALCATEL LUCENT, HUAWEI 등과 활발한 거래를 진행하고 있으며, 2000년 12월 Ericsson社 TMA Project Partner로 선 정되고, 제3국 시장 개척을 활발히 진행중임. 최근 인도의 Reliance Jio Infocomm Limited사와 활발한 거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일본 및 미국 시장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계획으로 신규시장 개척활동을펼치고 있음. 설립이후 매년 매출액의 약 9%를 R&D에 투자하고 있으며, 해외의 우수한 인재를 확보함으로 빠르게 진화하는 무선통신업계의 기술을 선점하고, 글로벌 기술력을 강화 하고 있으며, 2010년 영국의 AXIS와 WTL사를 인수함으로 우수한 기술 인프라를 구 축하였음. 국내 최대 규모이며, 세계 7위 규모의 CR CHAMBER를 구축함으로서 업계 최초 0.8Ghz~100Ghz의 넓은 대역의 주파수 측정이 가능하여 정밀한 실험환경과 품질 향상을 이룸으로 고객 신뢰성을 확보함. 올해 인도시장의 활발한 거래로 회사 최초 1 억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함 - 218 - - 85. 1억불, (주)에이티세미콘/ 대표이사 김진주(金鎭宙) ▲ 수출품목 :집적회로반도체부품, 반도체제조용장비 ▲ 수출실적 :$ 11,742만불 (전년대비 137%증가) ▲ 담 당 자 : 유광현 (☎ 031-645-7553) 공적내용 에이티세미콘은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를 제공하는 글로벌 반도체 후공정 업체분 야에서 SK Hynix의 최대 협력업체로서 수많은 반도체 Package 기술 및 TEST 기술 개발에 성공하여 널리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온 기업임. 2014년 반도체 패키징 전문업 체 세미텍(주)와의 합병으로 반도체 Packaging에서부터 반도체 TEST까지 일괄 Turn Key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성공하여 종합 반도체 후공정업체로 도약에 성공함. 당사는 국내 유일의 종합 후공정반도체 업체로꾸준한 해외거래처 개척활동을 지속 하고 2000년대 중반부터 미국의 Foveon, On-semiconductor 등과 지속적으로 거래를 진행하였으며, 일본의 후지쯔나 샤프 등업체들의 물량을 대량으로 수주하여 국내 반도 체 수출에 일조함. 또한 2013년들어 일본 소니전자, 2014년 들어 택우사 등과의 거래계 약 달성에 성공하여 지속적으로 해외거래처를 증가시키고 있는 등 일본, 미국 뿐만 아 니라 중국, 대만 등 세계 주요 반도체 시장 개척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음. 당사는 창업이후 지속적인 품질개선 활동으로 2002년 ISO-9000, 2004년 QS-9000, 2006년 TS-16949, 2007년 ISO-14001, 2011년 OHSAS-18001 등의 품질인증서를 획득 하고 이외에도 내부 품질 감사 제도를 운영하여 품질 개선을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 음. 또한 2005년에는 벤처기업 및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을 받으며 기술 및 경영 혁신 운동을 전개해 2012년벤처천억기업에 선정되어 국내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고 있 음을 증명함. 또한 기술력을 강화하기 위해 2005년 기업부설 연구소를 설치하여, Packaging 및 TEST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객지원에힘쓰고 있음 - 219 - - 86. 1억불, (주)상보/ 대표이사 김상근(金相根) ▲ 수출품목 :광학렌즈 ▲ 수출실적 :$ 10,086만불 (전년대비 19%증가) ▲ 담 당 자 : 박세준 (☎ 02-3270-6377) 공적내용 ㈜상보는 1977년 설립이래, 탄탄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주요 생산품목은 LCD광학필름, 중소형 BLU시트,윈도우필름, 산업재필름 등이며, 신규 사업은 CNT투 명전극 필름, 그래핀, 염료감응 태양전지(DSSC)등이 있음. 당사는 17백만불 수출실적을 거두었던 2004년 이후 매년 약 21.4%의 수출 성장세를 보이며 2013년 1억1백만불의 수 출실적을 달성하는 등 괄목할만한 수출성과를 달성함 당사는 첨단 광학필름을 일본의 샤프(Sharp), 대만의 AUO, 중국의 BOE, 하이센스, TCL 등에 제품을 공급하는 등 전세계 유수의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또한, 윈도우 필름은 에너지 절감효과와 안전성을 인증 받아 전세계 주요 공항, 호텔, 쇼핑센 터, 은행, 주거시설 등에 설치, 시공되고 있음. 설립이후 38년간 축적된 "Roll to Roll" 기술 및 혁신적인 "Direct Mould"기술을 바 탕으로 LCD, LED TV에 들어가는 첨단 광학필름을 국내외 대형 고객사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특히 지난 2008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신복합 광학시트"는 프리즘시트와 보 호시트의 2장 구조를 1장으로 통합하여 제품의 슬림화와 공정수율을 향상시킨 광학필 름으로서, 대면적 디스플레이 업계의 글로벌표준화 제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음. 이에 대한 결과로 2011년 세계 최초로 "감압식 CNT 투명전극 필름" 양산화에 성공 하였으며, 2013년 세계 최초로 정전식 개발을 완료하고 정부의 미래산업 선도기술개발 사업인 "그래핀 응용 하이 배리어 복합필름 기술개발"사업의 국책 프로첵트 주관기업 으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식품포장재, 진공단열재, PV용은 물론 플렉서블 OLED Display 등에폭넓게 적용할 계획에 있음. 이에 상보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적 용을 통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ITO 소재를 대체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대를 이끌어 가려는 움직임을 보임. 최근에는 World Class 300 육성대상기업 선정, 2013 코 스닥 히든챔피언 선정 등 정부 및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유망 중견기업으로 적극 추 천받고 있어 향후 성장이 기대됨 - 220 - - 87. 1억불, (주)녹십자/ 대표이사 허일섭, 조순태(趙淳泰), 이병건 ▲ 수출품목 : 의약품 ▲ 수출실적 :$ 16,708만불 (전년대비 74%증가) ▲ 담 당 자 : 조재훈(☎ 031-260-9236) 공적내용 ㈜녹십자는 지난 1983년에 세계 세 번째 B형간염 백신 개발 성공을 시작으로 1988년 세계 최초 신증후출혈열 백신, 1993년 세계 두 번째 수두백신, 2009년 국내 최초로 독 감백신 및 신종플루백신을 개발하며 보건안보에 앞장서고 있는 기업으로 현재 전세계 약 50여개국에 생물학적 제제(백신, 혈액제제)를 수출하고 있으며, 2013년 7월부터 2012년 6월 까지 전년대비 약 74% 성장한 16,753만불 수출하여 대한민국 의약품 수출 증진에 기여를 하고 있음. 녹십자는 세계적인 혈액분획제제 및 유전자재조합제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세 번째 유전자재조합 혈우병A 치료제인 ‘그린진 에프’를 개발했으며, 세계 두번째로 희귀 질환인 헌터증후군 치료제‘헌터라제’에 개발하여, 고가의약품의 국산화에 성공함 또한 1993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수두 백신을 개발하고, 2009년에는 국내 최초 계절 독감을 개발 하여 2013년 말 범미보건기구(PAHO)의 의약품 입찰에서 2014 공급분 수 두백신 1천7백만달러 규모의 입찰 전량을 수주한 데 이어 범미보건기구의 2014년 남반 구 계절독감 입찰에서 약 2천3백만달러 규모의 독감백신을 수주하였고, 2014년 북반구 1천 5백만 달러 수주하여백신 수출을 확대하고 있음. 현재 6천9백만달러 규모의 태국적십자혈액분획제제 플랜트를 수출한 녹십자는 혈액분 획제제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음. 국내 제약기업 중 생물학적제제 플랜트 수출은 최초임 - 221 - - 88. 1억불, (주) 화인베스틸/ 대표이사 장인화(張仁華) ▲ 수출품목 : 철및비합금강L형강 ▲ 수출실적 :$ 11,286만불 (전년대비 1,425%증가) ▲ 담 당 자 : 이수형 (☎ 031-303-8873) 공적내용 화인베스틸은 트러스 부재, 조선용 및 철탑용 형강에 들어가는 앵글을 생산하는 업 체로서 과거 일본 수입제품에 의존하고 있던 조선용형강의 개발 및 성공적인 국내 조 선소 납품을 통해 수입 대체 효과와 함께 국내 조선소의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함. 2014년 당사는 1억 1천만불 이상의 수출 실적을 달성하였으며, 이 실적의 대부분이 과 거 국내 조선소에서 일본 제품을 수입하던 부분으로 수입 대체효과를 이룸. 당사의 주요 생산품인 부등변 부등후 형강(Inverted-Angle)은 양변의 길이와 두께가 달라 제품이 압연 후 냉각되는 과정에서 제어하기 힘든 변화가 생겨서 생산 자체가 까 다롭고 생산시 불량률이 높아 한국, 일본 등에서도 소수의 업체만 생산하고 있는 제품 인데, 이런 위험성이 높은 제품을 기회로 삼아 기술적 진입장벽이 오히려 큰 장점이 될 수 있다고 여기며 제품개발에 온 힘을 쏟아 압연 소재를 POSCO와 협력개발하여 조기에 다양한강종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함. 중국산 저가 제품과 저환율을 배경으로 저가 정책이 가능해진 일본 형강 업체의 틈에 서 해외 수출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압연소재를 공급하고 있는 POSCO 와의 협력을 통해 후판 및 형강의 Package 영업으로 난관을 극복해 가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 개발 된저온용형강을 무기로 중국조선소 시장의 공략을 본격화 하고 있음. - 222 - - 89. 1억불, (주)세코닉스 / 대표이사 박원희(朴元羲) ▲ 수출품목 :광학렌즈 ▲ 수출실적 :$ 13,183만불 (전년대비 76%증가) ▲ 담 당 자 : 임용규 (☎ 031-860-1006) 공적내용 ㈜세코닉스는 1988년 12월에 일본 세키노스사와 합작으로 국내 최초로 첨단 전자기 기의 렌즈를 생산하는 업체로서 당시 자체기술력없이 단순 임가공만을 하였던 상황에 서 국내 광학분야의 원천기술은 미약하고일본부품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기존 렌즈보 다 나은 기술개발에 성공하며 지금에 이름. 당시 렌즈 제조업체들이 구면이아닌 비구면형태의 렌즈가 가능하다는 생각조차 하 고 있지않았을때 자체 설립연구소를 통해 CCD/CMOS 센서용 플라스틱 비구면렌즈 개발을 성공하였으며, 제품구성도 단품렌즈에서 조립품으로 확장시키면서 PC카메라, 프로젝션용 TV렌즈,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등 다양한 광학렌즈제품을 생산하며 성장 함. 이중 프로젝션용 TV렌즈는 전 세계적으로 미국과 일본의 두 업체에서만 독점으로 생산하던 제품이었으나, 2000년 산업자원부“부품소재 기술개발기업“으로 선정되어 2년 간의 기술 개발 후 국산화에 성공하였고, 현재 모바일용 카메라 렌즈의 초고화소제품 13M, 16M렌즈를 개발, 생산하고 있음. 기술개발을 위해서 설립한 광기술연구소는 초창기에는 CD나 CD롬에 들어가는 광 픽업용 렌즈개발 및 양산기술에 주력해오다가, 2002년에는 미국과 일본에 의존하던 프 로젝션TV용 렌즈를 최초로 자체 개발하여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기업에 납품을 하 였으며, 같은해 11월에는 대기업과 협력하여 33만 화소급 모바일폰용 카메라 렌즈 (VGA급)를 국내최초로 개발하여 납품함. 이에 그치지 않고 현재는 2M(Full HD), 8M, 13M, 16M이상의 초고화소급카메라를 개발하여 생산하고 있으며 2013년 모바일폰내장 형 PICO프로젝터를 제품화하고 차량용 Back View Camera를 개발해서 양산화 하였으 며, 초대형용 PDPcontrast 향상 Film을 개발함. 당사는 2011년 직수출로만 45,013천불의 실적을 올렸으며 2012년에는 31,489천불로 잠시 주춤하였으나 이후에 다시 성장세를 회복하여 2013년 74,830천불, 2014년 현재 131,824천불 달성하는 등 수출실적을증대시킴. - 223 - - 90. 1억불, 유신정밀공업(주) / 대표이사 송경식(李東兒)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0,873만불 (전년대비 41%증가) ▲ 담 당 자 : 김성윤(☎ 032-850-8295) 공적내용 유신정밀공업(주)는 1975년 12월에 설립한 자동차 프레스 산업 전문업체로서, 중국과 인도, 폴란드의 각 지사와 공장을 가지고 있으며 자본금은 10억원, 2013년도 매출액 약 1600억원을 기록하였음. 주요 제품군은 자동차의 완충역할을 하는 프레스를 이용한 자 동차 부품들로써 스냅링, 디스크 스프링, 드라이브 플레이트, 와샤, 호스클램프 등이 있 으며, 거의 모든 제품군을 수출하고 있음. 해외 업체를 중심으로 중국, 일본, 북미, 유 럽 등으로 수출하며 최근 3년간의 수출 실적은 직수출로만 2012년 약 320억, 2013년 약 400억이었음. 올해는 북미와 중국의 수출액이 가장 많으며, 총 수출액의 60% 이상 인 500억을넘기며직수출에힘을쏟고 있음 유신정밀공업(주)의 주요 제품군인 스냅링, 디스크 스프링, 드라이브 플레이트, 와샤, 호스클램프 등은 엔진과 미션부분을 구성하는 완충 및 연결제품으로 구성품이 빠지지 않게 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등 자동변속기의 SUB 부품인데 이는 기존에 전량 수입에 의존해왔음. 자체생산을 위한 신기술개발을 시작으로 차별화 및 특화된 기술 경영, 품 질 경영을 실행하며 2001년북미의 TRW 부품공급업체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해외진출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이미 국내에서는 현대, 기아, 지엠 등에 그 기술력을 인정받음. 또한 ISO 9001 국제규격인증, QS9000 품질국제규격인증을 획득하였으며, 고품질, 원가 절감의 신 제조공법 적용으로 2004년 대통령 직속 중소기업특별위원회로부터 기술부문 대상을 수여받는 등 기술적인 부분에서 해외에서도 기술적 경쟁력을갖춤. 유신정밀공업(주)는 중국, 인도, 폴란드 등에 법인을 두어 각 지역의 시장 개척에 큰 힘을쏟고 있으며, 신규 해외 고객 유치를 통해 매년 수출 매출을 증가시키고 있음. 특 히 성장세가 높은 중국 시장에 영업소를 설치(상해)하여 중국 시장의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고 있으며 신규 고객 발굴에힘쓰고 있음. - 224 - - 91. 1억불, (주)코다코/ 대표이사 인귀승(印貴承)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0,787만불 (전년대비 39%증가) ▲ 담 당 자 :오상호 (☎ 041-411-3145) 공적내용 ㈜코다코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공법을 이용하여, 자동차 엔진 부품을 생산 및 가 공하는 전문 업체로 1986년 설립이후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바탕으로 한 품질 개선을 위해노력하며 국내외 고객확보를 통해빠르게 성장함. 당사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분야에서 특화된 기술 개발은 물론, 자동차 관련 부품 국산화를 위한 신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1998년 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 현재까 지 운영하고 있음. 연구소의 실적을 바탕으로 고품질을 기본으로 생산성 향상을 꾀하 고, 고부가가치 부품을 개발, 생산할 수 있는 연구개발체계를 확립하여운영함. 또한 다이캐스팅 소재 업체 최초로 미국의 최고 자동차 업체 3사에서 요구하는 QS-9000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이외에도 아시아 최초로 ISO/TS-16949 품질시스템 인 증서를획득하여 명실상부 국내 최고의 다이캐스팅 전문업체로 인정받음. 당사는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주조 기술 개발을 위한 체계적 인재육성 시스템 및 관 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내외의 고객들로부터 기술과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을 수 있 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인 결과, 양질의 제품을 생산으로, 고객의 신뢰를 얻으며 신규 고객 확보와 매출증대를 이루어냄. 회사 설립 초기 미국의 자동차 부품 조립 업체인 BorgWarner사를 주요 고객으로 삼아, 해외 시장 개척의 발판을 마련하며 현재는 미국 의 Seneca 지역의 공장을 비롯하여, Monaco 공장, 독일의 Markdorf 공장, 중국의 Beijing 공장, 총 5개의 공장에 자동차 엔진 부품을 공급하고 있음. - 225 - - 92. 1억불, (주)대동시스템 / 대표이사 이중아(李重兒) ▲ 수출품목 : 기타전선,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0,601만불(전년대비11%증가) ▲ 담 당 자 : 서승훈(☎ 032-850-9610) 공적내용 ㈜ 대동시스템은창업이래 국가의 기간산업인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과 함께 성 장, 끊임없는 기술 개발과 품질향상 및 가격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진하는 기업으로, 국내 자동차용 CONTROL CABLE(제어장치 전선) 생산공급의 확실한 선두주자로서 자동차 부품산업의 선도적 역할을 주도하고 있음. 당사는 공급하는 제품의 가격과 품질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단순화, 공용화, 표준화 활동을 추진하였으며, Al-Tube(윅셔너리)를 대체하는 Glassyarn(유리섬유)와 같은 대 체소재의 개발을 통하여, 완성차 회사와 함께 연 7억원 이상의 VA/VE(비용대비 가치 효용성)효과를 보임. 신기술개발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수밀구조용 이너케이블, 수밀 구조CAP등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기술개발을 통하여 높은 내구수명을 요구하는 북미 자동차업계 회사의 모든 요구조건을 만족시켰으며, GM, CHRYSLER 등에 성공적으로 당사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수출증대에 기여하였고, 특히 국내 GM으로부터는 2008 년~2009년 Supplier of the Year Award를 2년 연속 수상하며 성공적인 제품공급을 해 옴. 국내공장 및 해외공장에서 썬루프 케이블 생산 기반 구축을 통한 썬루프 케이블 Global 납품 실현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지속적으로 Global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 여가고 있음. 이에 대한 결과로 직수출 부문 매출은 2011년말 340억원 대비 2013년말 현재 440억원으로 약 29%의 매출신장을 달성하였으며, 현재에도 지속적인 해외고객 계 약체결을 통한 매출증가 및 고객 다변화를 실현하고 있음. 또한 해외 도입에 의존해오던 CABLE TYPE의 창문 조절기를 1988년 국산화하는데 성공하고 1989년 자동차부품 우수 국산화 기업 대통령 표창을 수상한 바 있으며, CONTROL CABLE(조절장치 전선) 분야에서 독자적 제조 기술 및 제품 설계능력으로 제품 품질을 한층 더 향상시켜 국내 자동차 품질수준을 세계적 품질수준으로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음. - 226 - - 93. 1억불, 코웰전자 주식회사 / 대표이사 조규범(趙圭范) ▲ 수출품목 : 기타중전(heavy electric)기기부품, 센서 ▲ 수출실적 :$ 14,816만불 (전년대비 100%증가) ▲ 담 당 자 : 박윤희(☎ 031-429-1650) 공적내용 코웰전자는 1997년에 설립되어 휴대폰 및 초소형 카메라모듈을 개발하여 휴대폰업계 및 전자회사에 판매하는 기업으로 홍콩 및 중국 광동성 동관시에 별도의 법인이 운영 되어 있어 홍콩법인은 물류, 자금을 담당하고, 중국법인은 홍콩법인의 자회사로 생산을 담당하고 한국법인은 중국법인에서 생산된 제품을 국내에 판매하는데 주력하고 있으 며, 시작 개척 상황에따라 해외 판매도 진행하고 있음. 당사는 카메라 모듈 및 그 부품을 수출, 수입하여 판매하는 업체로 홍콩에 판매하는 물품은 카메라 모듈의 부품이며, 특히 2014년부터는 중국 연태 지역에도 당사의 물품 을 수출하고 있으며, 거래액은 8월 기준 약 800만불 이후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당사는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 중이며, 당해년도에도 금형 및 장비 구입 등을 위해 약 10억원가량 예산을 집행할 예정임. 또한 해외 시장 개척에도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홍콩 및 로칼 거래에만 편중되었던 거래선도 중국까 지 확대되어 금년도 수출지역은홍콩, 중국(연태), 로칼거래 등으로 확대되었음. 주요 고객사인 엘지전자의 1차 협력업체로 선정되어 이미 그 실력을 인정받았으며 우 리나라의 기반산업인 통신산업에 이바지한다는 자부심으로 더욱 매진하고 있음. 또한 최근 3년간 당사는 매출액이꾸준히 성장하였으며, 전년대비 7천3백만불에서 1억4천 만불으로 100%신장세를보였음. 이에따른 일자리창출, 해외 수출증대 등으로 국가 경 제 발전 및 전세계에 대한민국을 널리알리는 데에 앞장서고 있음. - 227 - - 94. 1억불, 코리아에프티(주) / 대표이사 오원석(吳元錫)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자동차 수리부속 ▲ 수출실적 :$ 10,166 만불 (전년대비 19%증가) ▲ 담 당 자 : 조재익(☎ 070-7093-1757) 공적내용 코리아에프티(주)는 1996년 07월 설립되어 지난 20여 년간 친환경 자동차부품 연구 와 국산화 개발에 주력하여 미국,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던 Carbon Canister 연료부품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하였음. 자동차 경량화 Concept에 맞는 플라스 틱 소재를 사용한 Plastic Filler Neck 연료부품도 자체기술로 개발하여 자동차연료부 품 전문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음. 당사는 본사인 안성공장을 거점으로 하여 국내 공도공장과 경주공장을 설립하였으며,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강화와 현지화 전략을 위하여 2003년 07월 중국베이징 법인설 립을 시작으로 2006년 06월 인도 첸나이, 2007년 09월 폴란드 자브제에 각각의 현지법 인을 설립하여 동남부아시아, 중부유럽의 해외사업망을 구축함. 매출액 실적은 1999년도 114억원, 2012년도 1,339억원, 2013년도 1,412억원(해외법인 매 출 포함)으로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 활동의 결과로 현재 출원된 실용신안 21건, 국내특허33건), 해외특허 6건 등 총 60건으로 기술관련 지적재 산권을 보유하고 있음. 또한, 품질/환경 경영을 위하여 각종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고, 2010년에는 중소기업 발굴육성사업에 선정되어 경영혁신형중소기업으로 인증됨. 당사는 기술력과 제품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과 도약을 위한 현지화 전 략을 수립하여 현재 동부아시아(중국), 남부아시아(인도), 중부유럽(폴란드) 등에 진출 하여 경쟁력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2017년 이내 해외 생산시설을 전략적 거점으로 하 여 해외 자동차회사 신규거래 개발로 매출 3000억원을 달성할것으로 기대됨. 또한, 글로벌 시장점유율을높이기 위하여KOTRA에서 주관하는 해외사절단 활동에도 참여하여 금년 2월과 3월 임직원 5명을 사절단으로 파견하는 등 적극적으로 해외시장 개척활동을 진행 중임. - 228 - - 95. 1억불, (주)도루코 / 대표이사 홍주식(洪周湜) ▲ 수출품목 : 일회용면도기 ▲ 수출실적 :$ 11,564만불 (전년대비 1%증가) ▲ 담 당 자 : 김자영(☎ 02-3475-5610) 공적내용 ㈜도루코는 1955년 8월에 설립이후 일회용 면도기 제조를 주력사업으로 국내 일회용 면도기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해옴. 구 동양경금속공업사가 당사 창업의 근간 이 되며 이후 경금속공업에서 파생되어 일회용 면도기를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생산하 며 국내뿐만이아니라 해외 130개국에 수출하는브랜드파워를 지닌 기업임. 당사는 제품 연구개발 분야에 약 15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하여 TG날 개발, 세계최초 6중날 개발에 성공했고 연구개발 후 현재 세계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해외시장에 진출, 현재 Carrefour / Walgreen / Sainsbury 등 미국, 유럽의 대형 유통 채널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온라인 시장에도 성공적으로 진입하여 DollarShave Club /Amazon.Com / E-commercer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 음. 해외시장 진출과 더불어 수출도 매년 성장세에 있어 당해년도 북미 2,000만불, 유 럽지역 4,262만불,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4,073만불 등 1억불이 넘는 실적을 올림. 1995년 멕시코 2005년 중국 상해법인과 미국 법인, 2008년 베트남 법인, 2010년 영국 법인을 설립하며 글로벌 기업로써의 기반을 다짐. 당사는 내년 1억5천만불 수출이 기대되며, 이는 당해년도 수출 대비 약30% 이상의 성 장세이고 2020년까지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10%로 정하고 보다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 출을 위해서 증가하는 세계 시장의 수요에 안정적인 제품 공급과 혁신적인 상품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닫기
    • 1204 (5일조간) 무역정책과, '14년도 무역의날(포상부문).hwp 미리보기
      미리보기

      http://www.motie.go.kr 보 도 자 료 2014년 12월 5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무역정책과 조영태 과장(044-203-4020), 김용운 사무관(044-203-4024) 조현진 주무관(044-203-4027) 제51회 무역의 날 행사 보 도 자 료 (포상부문) 2014. 12. 5 산업통상자원부 목 차 Ⅰ. 제51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1 Ⅱ. 수상자 명단 8 □ 정부포상 수상자 9 □ 수출의 탑 수상업체 37 Ⅲ. 주요 수상자 공적내용 92 □ 정부포상 수상자 93 □ 수출의 탑 수상업체 132 Ⅰ. 제51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Ⅰ. 제51회 무역의 날 포상 개요 1. 무역진흥유공자에 대한 포상 □ 포상 개요 ㅇ정부는 12.05(금) COEX에서 개최한 제51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 글로벌 금융위기 등 어려운 대외여건 하에서 수출 증대에 매진하고 있는 무역인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사기를 앙양하기 위해 유공자 742명(2개단체 포함)에게 포상을 실시함 < 2014년 무역의 날 유공자 포상현황 > 산업훈장 산업 포장 표창 합계 구분 금탑 은탑 동탑 철탑 석탑 계 대통령 총리 산업부장관 전체 5 (5) 5 (5) 9 (9) 10 (10) 9 (11) 38 34 (37) 81 (85) 89 (93) 500 (500) 742 (755) 주 1) ( ) : 2013년 포상 수량 □ 부문별 포상현황 ㅇ 일반유공 포상 - 대기업대표자 7명, 중견기업대표자 16명, 중소기업대표자 228명, 대기업종업원 30명, 중견기업종업원 36명, 중소기업종업원 243명, 해외바이어․新시장개척 등 수출지원 유공자 180명 및 2개 단체(광역지자체)를 포상함. □ 금년도 포상의 주요 내용 ㅇ 일반유공 포상 ․대 기 업 : 엘지디스플레이(주) 사장 한상범 지에스칼텍스(주) 부회장 허진수 ․중견기업 : (주)녹십자 사장 조순태 ․중소기업 : (주)흥아기연 대표이사 강신영 (주)호원 대표이사 양진석 - 이 외에도 무역발전에 기여한 무역인의 공로를 인정하여 ․(주)일진 대표이사 강문철 등 5명에게 은탑산업훈장, ․(주)케이씨텍 대표이사 주재동 등 9명에게 동탑산업훈장, ․(주)시몬느 대표이사 박은관 등 10명에게 철탑산업훈장, ․상신이엔지(주) 대표이사 김완규 등 9명에게 석탑산업훈장, ․디에스알제강(주) 부사장 김현철 등 34명에게 산업포장을 수여함. ․서보산업(주) 이사 윤경희 등 79명에게 대통령표창을 수여함. - 지역수출 지원을 촉진하여 최우수 광역자치단체로 선정된「울산광역시」, 에게 대통령표창(단체)을 수여하고, -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에 기여하여 최우수 중소기업청으로 선정된 「경기중소기업청 수출지원센터」에게 대통령표창(단체)을 수여함 ◈ 무역의 날 일반유공 포상내역 -- 훈 격 수 상 자 금탑산업훈장 엘지디스플레이(주) 사장 한상범 (주)녹십자 사장 조순태 (주)호원 대표이사 양진석 (주)흥아기연 대표이사 강신영 지에스칼텍스(주) 부회장 허진수 은탑산업훈장 (주)일진 대표이사 강문철 등 동탑산업훈장 (주)케이씨텍 대표이사 주재동 등 철탑산업훈장 (주)시몬느 대표이사 박은관 등 석탑산업훈장 상신이엔지(주) 대표이사 김완규 등 산업포장 디에스알제강(주) 부사장 김현철 등 대통령표창 서보산업(주) 이사 윤경희 등 국무총리표창 (주)SIMPAC 차장 김강욱 등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삼호중공업(주) 반장 최광민 등 계 총 742명(2개 단체 포함) ※ 일반유공 수상자 명단 : 별책 2. 수출의 탑 수여 ㅇ「수출의 탑」은 ’73년 처음으로 1억불 수출 달성업체(한일합섬공업)의 출현을 기념하여 수여하기 시작함. ㅇ 금년도 수상업체는 작년 1,526개사보다 45개사 감소한 1,481개사로 대기업 57개사, 중견기업 97개사, 중소기업 1,327개사임 - 최고의 탑인 750억불탑은 삼성전자(주)가 수상하고,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등 95개사가 1억불탑 이상을 수상함. ※ 수상기준 : 당해 기간(’13.7~’14.6)에 수출의 탑 단위의 수출실적을 달성한 업체 ※ 기존 최고 수출의 탑 : 650억불(삼성전자(주), 2011년) ◈ 수출의 탑 수상업체 내역 (단위 : 개사) 탑 종류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합 계 비 고 750억불 1     1 삼성전자㈜ 100억불 2     2 SK하이닉스㈜ 등 50억불 1     1 엘지이노텍㈜ 40억불 1     1 현대제철㈜ 10억불 1 1   2 한세실업㈜ 등 9억불   1   1 (주)유라코퍼레이션 8억불 1     1 (주)경신 6억불 3 1   4 ㈜엘지하우시스 등 5억불 1 2   3 ㈜드림텍 등 4억불 3 1   4 ㈜토비스 등 3억불 6 4   10 ㈜화승앨앤에이 등 2억불 4 9 4 17 ㈜마봉 등 1억불 6 27 15 48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등 7천만불 3 6 32 41 ㈜세원전자 등 5천만불 4 5 43 52 ㈜장원테크 등 3천만불 4 8 75 87 알펙㈜ 등 2천만불 2 9 81 92 ㈜현대포리텍 등 1천만불 5 9 180 194 ㈜제이비코퍼레이션 등 5백만불 5 7 251 263 ㈜바이포유 등 3백만불 3 3 220 226 ㈜나이스맥 등 1백만불 1 4 426 431 ㈜비룡 등 총계 57 (89) 97 (63) 1327 (1374) 1481 (1526)   * ( )는 전년도 수상업체 현황 / 수출의 탑 수상업체 : 별책 Ⅱ. 수상자 명단 정부포상 수상자 번호 수상내역 업체명 직위 성명 1 금탑산업훈장 엘지디스플레이(주) 사장 한상범 2 금탑산업훈장 (주)녹십자 사장 조순태 3 금탑산업훈장 지에스칼텍스(주) 부회장 허진수 4 금탑산업훈장 (주)흥아기연 대표이사 강신영 5 금탑산업훈장 (주)호원 대표이사 양진석 6 은탑산업훈장 (주)일진 대표이사 강문철 7 은탑산업훈장 (주)포스코 대표이사 부사장 장인환 8 은탑산업훈장 (주)에스에이치팩 상무 김홍규 9 은탑산업훈장 현대글로비스(주) 대표이사 김경배 10 은탑산업훈장 (주)대주기계 대표이사 이재형 11 동탑산업훈장 (주)한영산업 대표이사 한웅 12 동탑산업훈장 (주)케이씨텍 대표이사 주재동 13 동탑산업훈장 대산엠엠에이(주) 대표이사 조재용 14 동탑산업훈장 SK하이닉스(주) 상무 권영길 15 동탑산업훈장 현대제철(주) 부사장 김영환 16 동탑산업훈장 (주)코다코 대표이사 인귀승 17 동탑산업훈장 (주)동보 상무이사 박남옥 18 동탑산업훈장 (주)네오씨티알 상무이사 황영철 19 동탑산업훈장 (주)우조하이텍 대표이사 이상복 20 철탑산업훈장 (주)케이피씨 대표이사 김진용 21 철탑산업훈장 현대중공업(주) 기장 박치상 22 철탑산업훈장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대표이사 조석래 23 철탑산업훈장 (주)시몬느 대표이사 박은관 24 철탑산업훈장 (주)케이에스피 전무이사 이찬구 25 철탑산업훈장 신라엔지니어링(주) 부장 이금재 26 철탑산업훈장 (주)동보 계장 이구진 27 철탑산업훈장 (주)에이치비테크놀러지 대표이사 문성준 28 철탑산업훈장 (주)영우디에스피 대표이사 박금성 29 철탑산업훈장 (주)신안천사김 대표이사 권동혁 30 석탑산업훈장 한국무역협회 상무이사 이재출 31 석탑산업훈장 한국조폐공사 사장 김화동 32 석탑산업훈장 현대자동차(주) 부사장 임탁욱 33 석탑산업훈장 상신이엔지(주) 대표이사 김완규 34 석탑산업훈장 (주)광명전기 상무이사 김대중 35 석탑산업훈장 전진켐텍(주) 대표이사 신명진 36 석탑산업훈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 함정오 37 석탑산업훈장 한국수출입은행 부장 김영수 38 석탑산업훈장 (주)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대표이사 김덕준 39 산업포장 (주)현대미포조선 기원 지용술 40 산업포장 디에스알제강(주) 부사장 김현철 41 산업포장 파워카본테크놀로지(주) 대표이사 서원배 42 산업포장 한화케미칼(주) 상무 이점우 43 산업포장 삼성물산(주) 부장 김응선 44 산업포장 남양공업(주) 팀장 이수재 45 산업포장 신라엔지니어링(주) 이사 이상대 46 산업포장 영일엔지니어링(주) 이사 정덕연 47 산업포장 (주)쎄트렉아이 수석 연구원 이훈구 48 산업포장 (주)케이에스피 상무이사 윤준상 49 산업포장 벨금속공업(주) 계장 최종천 50 산업포장 한국무역협회 실장 최원호 51 산업포장 (주)씨제이오쇼핑 대표이사 이해선 52 산업포장 디지랜드 대표 박재동 53 산업포장 LF Asia & LF Beauty 회장 Gerard Raymond(제라드 레이몬드) 54 산업포장 엘앤피코스메틱(주) 대표이사 박선희 55 산업포장 엘지 전자 이란 판매법인 상무 정연채 56 산업포장 주 상하이 총영사관 영사 황충조 57 산업포장 (주)엑스포럼 대표이사 신현대 58 산업포장 (주)대우건설 본부장 최연국 59 산업포장 한국광해관리공단 단장 김봉섭 60 산업포장 (주)제성아이엔티 대표 최혜원 61 산업포장 에스에이에스(주) 대표이사 박현철 62 산업포장 (주)센트랄 사원 장순득 63 산업포장 (주)에이앤아이 대표이사 박병해 64 산업포장 신진에스티에이(주) 대표이사 문창호 65 산업포장 주식회사 앤시스 대표이사 전철호 66 산업포장 (주)브라운와이코리아 대표이사 염태선 67 산업포장 단국대학교 교수 정윤세 68 산업포장 성균관대학교 교수 박명섭 69 산업포장 (주)효진오토테크 대표이사 김기영 70 산업포장 현대엔지니어링(주) 현장소장 김수민 71 산업포장 선린전자(주) 대표이사 배동찬 72 산업포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실장 오재호 73 대통령표창 한국무역협회 실장 이진호 74 대통령표창 한화케미칼(주) 매니저 안우영 75 대통령표창 (주)녹십자 이사 이우진 76 대통령표창 코스타 인터내셔날 대표 김주연 77 대통령표창 (주)우진아이엔에스 회장 홍평우 78 대통령표창 (주)프라코 사장 전학관 79 대통령표창 한국조폐공사 팀장 정우원 80 대통령표창 현대제철(주) 부장 홍종철 81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 대표이사 이태희 82 대통령표창 희성촉매 주식회사 부장 이상범 83 대통령표창 (주)케이씨텍 팀장 이종관 84 대통령표창 서보산업(주) 이사 윤경희 85 대통령표창 효성전기(주) 차장 정지원 86 대통령표창 (주)한국몰드 상무 고민성 87 대통령표창 (주)애드테크 차장 이영혜 88 대통령표창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상무이사 이원의 89 대통령표창 명성공업(주) 전무 김영천 90 대통령표창 (주)한영산업 과장 마영미 91 대통령표창 태창금속산업(주) 과장 조혜자 92 대통령표창 (주)한도 부장 임재영 93 대통령표창 (주)일산전자 과장 이동협 94 대통령표창 (주)흥아기연 부장 장동보 95 대통령표창 (주)삼흥 이사 김유대 96 대통령표창 (주)우신시스템 직장 엄태근 97 대통령표창 영일엔지니어링(주) 차장 장성호 98 대통령표창 한양소재(주) 사원 박상길 99 대통령표창 (주)수산중공업 사원 김명선 100 대통령표창 (주)태봉 부장 권종성 101 대통령표창 아이피알포럼(주) 회장 맹청신 102 대통령표창 NEOTECH 대표 이원재 103 대통령표창 에프엘스미스 막 기어 아게 사장 Simon Jensen (사이몬 옌센) 104 대통령표창 ShangHai ShengYing Food Co.,Ltd 회장 Zhang Ying Ji (張英姬 장영희) 105 대통령표창 현대중공업 아테네 지사 지사장 노재민 106 대통령표창 한국무역협회 부장 김일산 107 대통령표창 울산화주물류협의회 회장 김태용 108 대통령표창 한국무역협회 실장 박철용 109 대통령표창 삼성에스디에스(주) 그룹장 김수명 110 대통령표창 KTNET 차장 이은병 111 대통령표창 중소기업청 사무관 신재경 112 대통령표창 한국무역협회 팀장 성백웅 113 대통령표창 현대엔지니어링(주) 사업담당 중역 김원옥 114 대통령표창 두산중공업(주) 상무 김대수 115 대통령표창 한국무역보험공사 부장 안홍준 116 대통령표창 한국무역보험공사 부장 김양규 117 대통령표창 세방전지(주) 본부장 원성연 118 대통령표창 아이비지양행 대표이사 한영상 119 대통령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장 이영선 120 대통령표창 한일후지코리아(주) 대표이사 이배명 121 대통령표창 (주)이림전자 대표이사 정재덕 122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케이푸드 농업회사법인 대표이사 박경운 123 대통령표창 (주) 슈피겐코리아 대표이사 김대영 124 대통령표창 (주)에이엔웨이브 (ANWave) 사장 윤명섭 125 대통령표창 (주)파이프라인 대표이사 이문호 126 대통령표창 (주)성진실업 대표이사 이상형 127 대통령표창 우수전자산업(주) 대표이사 염동흔 128 대통령표창 (주)드림엔지니어링 대표이사 유재훈 129 대통령표창 (주) 켐온 대표이사 백영림 130 대통령표창 (주)에이스정밀 대표이사 권오복 131 대통령표창 유한회사 포스인터내셔널 대표이사 김복기 132 대통령표창 (주)경남무역 대표이사 남길우 133 대통령표창 (주)판타룩스 대표이사 이윤철 134 대통령표창 휴롬엘에스 (주) 대표이사 송해복 135 대통령표창 와이제이링크주식회사 대표이사 박순일 136 대통령표창 (주)디엘티 대표 조혜원 137 대통령표창 (주)에센 대표이사 윤문섭 138 대통령표창 (주)씨앤투스이지스 대표이사 하춘욱 139 대통령표창 (주)위드텍 대표이사 유승교 140 대통령표창 케이엠씨아이 대표 이정현 141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대표이사 나혁휘 142 대통령표창 디에스알제강(주) 실장 이경기 143 대통령표창 (주) 케이테코 대표이사 박종권 144 대통령표창 (주)바론시스템 대표이사 박기범 145 대통령표창 (주)성신신소재 대표이사 임병문 146 대통령표창 (주)가야ESC 대표이사 윤병국 147 대통령표창 (주)엠티 대표이사 하영민 148 대통령표창 (주)일산전자 대표이사 하재기 149 대통령표창 (주)쎄미콤 대표이사 이현희 150 대통령표창 울산광역시   울산 광역시 151 대통령표창 경기중소기업청   경기 중소기업청 152 대통령표창 주식회사 한국에스티에스 대표이사 강현대 153 대통령표창 한국인삼한인홍 주식회사 대표이사 임재화 154 국무총리 표창 SK하이닉스(주) 장비 엔지니어 장광덕 155 국무총리 표창 (주)SIMPAC 차장 김강욱 156 국무총리 표창 신한은행 디지털중앙금융센터 센터장 정민호 157 국무총리 표창 (주)현대미포조선 부장 이상기 158 국무총리 표창 현대삼호중공업(주) 부장 심학무 159 국무총리 표창 현대위스코(주) 부장 최창현 160 국무총리 표창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주) 반장 김해수 161 국무총리 표창 한미반도체주식회사 이사 유정수 162 국무총리 표창 서진산업(주) 공장장 강병혁 163 국무총리 표창 (주)서흥 팀장 김민수 164 국무총리 표창 희성촉매 주식회사 기감 이현섭 165 국무총리 표창 (주)이녹스 그룹장 이수열 166 국무총리 표창 선린전자(주) 사장 유병수 167 국무총리 표창 한국후꼬꾸(주) 이사 이영 168 국무총리 표창 (주)금강쿼츠 부장 이재윤 169 국무총리 표창 (주)세림지엠티 상무이사 김한석 170 국무총리 표창 (주)세고스 팀장 전병훈 171 국무총리 표창 대량산업(주) 전무이사 박승희 172 국무총리 표창 (주) 솔테크 사장 박상현 173 국무총리 표창 윌테크놀로지(주) 부장 박종일 174 국무총리 표창 완도물산 이사 최인녕 175 국무총리 표창 (주)와이티에스 사장 홍상표 176 국무총리 표창 고려인삼연구(주) 상무이사 원동렬 177 국무총리 표창 (주)우진기계 연구소장 남혁모 178 국무총리 표창 (주)메카트로 부장 조상훈 179 국무총리 표창 승진산업(주) 부장 류인환 180 국무총리 표창 (주)에스에이치팩 반장 김경호 181 국무총리 표창 (주)휴롬 사원 한주란 182 국무총리 표창 (주)동성산업 생산팀장 정진형 183 국무총리 표창 (주)위드텍 차장 김혜영 184 국무총리 표창 (주)진성전자 사원 이승훈 185 국무총리 표창 21세기기업(주) 반장 김동욱 186 국무총리 표창 농업회사법인 아시아종묘(주) 전무이사 허강석 187 국무총리 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장 김병삼 188 국무총리 표창 기무사령부 소령 김원남 189 국무총리 표창 한국무역협회 과장 송광옥 190 국무총리 표창 테라노바 CEO 명세봉 191 국무총리 표창 대봉식품 대표 이경수 192 국무총리 표창 FTN VIETNAM CO.LTD. 법인장 전현수 193 국무총리 표창 한전KPS(주) 인도 지사장 구능모 194 국무총리 표창 삼성물산(주) 아크라사무소장 이범순 195 국무총리 표창 한국무역보험공사 자카르타 지사 지사장 이도열 196 국무총리 표창 (주)나라디자인 대표이사 박창균 197 국무총리 표창 (주)서울메쎄아이디 대표이사 박병호 198 국무총리 표창 배화여자대학교 국제무역과 교수 김재성 199 국무총리 표창 이베이코리아 상무이사 나영호 200 국무총리 표창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센터장 이전국 201 국무총리 표창 한국의류산업협회 부장 이재길 202 국무총리 표창 (사)한샘코퍼레이션 대표이사 장순재 203 국무총리 표창 관세청 주무관 서주원 204 국무총리 표창 기술보증기금 차장 김건 205 국무총리 표창 (주)우리은행 기업 지점장 이봉우 206 국무총리 표창 덕일산업(주) 대표이사 유기덕 207 국무총리 표창 두산중공업(주) 상무 김영일 208 국무총리 표창 한국무역협회 차장 송송이 209 국무총리 표창 삼해상사(주) 대표이사 김덕술 210 국무총리 표창 타워벨교역 대표 안종남 211 국무총리 표창 한국광물자원공사 처장 이무영 212 국무총리 표창 뉴코리아진흥(주) 대표이사 홍광희 213 국무총리 표창 3G CORPORATION 대표 안병락 214 국무총리 표창 (주)비젼스케이프 대표 김태원 215 국무총리 표창 (주)부영정공 대표이사 최정혁 216 국무총리 표창 (주)올웨이즈 대표이사 이종진 217 국무총리 표창 (주)에이치투 대표이사 조경현 218 국무총리 표창 (주)원봉 대표이사 김영돈 219 국무총리 표창 (주)대성산업포장산업 대표이사 김선광 220 국무총리 표창 (주)일성에프에이 대표이사 이성수 221 국무총리 표창 동방침구제작소 대표이사 김근식 222 국무총리 표창 온누리타이어(주) 대표이사 김순영 223 국무총리 표창 (주)엘앤디트레이딩 대표이사 한석규 224 국무총리 표창 씨에스케이(주) 부장 최승근 225 국무총리 표창 대창HRSG(주) 대표이사 손창길 226 국무총리 표창 승진산업(주) 대표이사 정호진 227 국무총리 표창 대하테크원(주) 대표이사 황철호 228 국무총리 표창 제이씨케미칼주식회사 대표 윤사호 229 국무총리 표창 (주)일야 대표이사 강정훈 230 국무총리 표창 주식회사씨티네트웍스 대표이사 이재성 231 국무총리 표창 (주)클래스원 대표이사 이재원 232 국무총리 표창 (주)세코닉스 대표이사 박원희 233 국무총리 표창 네덱(주) 대표이사 황세준 234 국무총리 표창 디케이락㈜ 대표이사 노은식 235 국무총리 표창 (주)모터월드 대표이사 정석종 236 국무총리 표창 경기지방중소기업청 주무관 박신옥 237 국무총리 표창 (주)신라하이텍 대표이사 천봉수 238 국무총리 표창 (주)동성산업 이사 안찬병 239 국무총리 표창 극동일렉콤(주) 회장 이종기 240 국무총리 표창 (주)세림화이버 대표이사 한상순 241 국무총리 표창 (주)연우 팀원 박억수 242 국무총리 표창 (주) 울프 대표이사 이상찬 2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삼호중공업(주) 반장 최광민 2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에스케이(주) 상무이사 양금옥 2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덴소코리아오토모티브(주) 상무 신동길 2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부대우전자(주) 부장 이상엽 2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성우하이텍 부장 김기용 2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모비스(주) 차장 김도용 2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아제강 차장 박창민 2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아산성우하이텍 차장 이성춘 2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성지산업(주) 부장 박만식 2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기아자동차(주) 전무 송호성 2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위스코(주) 주임 이두용 2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부대우전자(주) 사원 김조운 2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심텍 반장 유영희 2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모비스(주) 주임 전춘배 2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상보 회장 김상근 2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나전 대표이사 김진우 2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아에스티(주) 대표이사 박찬일 2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서흥 대표이사 양주환 2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센트랄 대리 최정길 2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 본부장 박성동 2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풍전비철 부사장 송동수 2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팬코 이사 박병희 2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나전 상무이사 윤시탁 2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녹스 그룹장 송인철 2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디알액시온 차장 이형섭 2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티세미콘 팀장 이부훈 2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신산업 차장 박재석 2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두성테크 이사 이진희 2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림제약(주) 부장 권성진 2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상보 부장 이재영 2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티세미콘 반장 박수현 2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신산업 사원 김순환 2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이씨케미칼주식회사 대리 황수봉 2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케이씨(주) 부장 조현준 2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과장 장영일 2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센트랄씨엠에스 차장 박문배 2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나켐상사 해외 영업과장 이경숙 2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오영 차장 최정호 2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무등 부장 노전균 2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경하이테크 차장 백홍규 2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산동금속공업(주) 연구소장 장석수 2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경북통상(주) 부장 안준희 2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파인텍 전무이사 박창욱 2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한쥬얼테크(주) 이사 김제선 2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창성에이스산업 차장 강성윤 2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양산기 과장 김경일 2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오이솔루션 상무 권창순 2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중선박기계주식회사 상무 강영근 2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지엔에스트레이딩 부장 설보근 2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디씨뉴매틱 차장 정규만 2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일성에프에이 부장 유민재 2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엠메카닉스(주) 이사 최정한 2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 케이테코 차장 김홍기 2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앤시스 이사 김효정 2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대상이엔지 팀장 박재희 2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네오플램 과장 노선주 2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딜리 부장 김동률 3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연 이사 김우현 3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데카텍 이사 허이호 3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파나시아 과장 정웅기 3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창이엔지주식회사 이사 김영덕 3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위드시스템(주) 과장 윤경철 3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나인더스트리 연구소장 윤신일 3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성아이엔티 이사 이승찬 3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무진기연 과장 이동철 3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스지헬스케어 부장 구자희 3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스틸앤피플 대리 유미선 3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강림중공업(주) 차장 박문식 3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샘코 차장 김성효 3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승산산업(주) 상무이사 김현섭 3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리아에프티(주) 전 무 권영렬 3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바디텍메드(주) 차장 구연수 3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바론시스템 부장 문득수 3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나노시스템 이사 양희황 3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아이티(주) 상무 조광호 3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성화물산(주) 이사 최현태 3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원정밀공업(주) 이사 이태복 3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림산업(주) 차장 왕채혁 3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21세기기업(주) 과장 김지수 3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덕산실업(주) 경영기획팀장 이우용 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성광 이사 김승락 3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l주l디케이에스코리아 회장 양준헌 3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상일 수출팀장 이상민 3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은창 부장 이정환 3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쿨랜스코리아(주) 연구소 소장 박재성 3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수산중공업 차장 안진우 3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위더스코퍼레이션 과장 이진경 3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모엔지니어링(주) 사장 강용식 3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케미스타주식회사 부장 김영탁 3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라 INC(주) 대리 김정혜 3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이구산업(주) 차장 변혁배 3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원전자 전무이사 이광진 3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비트 이사 권호성 3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리수산 부장 김형석 3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종파마텍 팀장 박무흠 3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에스밸브(주) 전무이사 이상선 3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인목 상무이사 이태호 3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피앤테크 부장 강동규 3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몰드(주) 팀장 송창근 3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DCF TREK 대리 이연규 3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터보파워텍(주) 차장 김철범 3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라텍 전무이사 황현덕 3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방침구제작소 차장 김택수 3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네추럴에프앤피 과장 문지영 3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아테크(KOREA TECH) 과장 김용태 3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호인더스트리 상무이사 유봉기 3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케이디씨 팀장 최세정 3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장암칼스(주) 과장 김희정 3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디케이 계장 박현숙 3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성진흥 대리 안세영 3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유메디칼시스템 과장 유준상 3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성산산업(주) 부장 천현순 3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하이비젼시스템 전무이사 이성제 3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광하이테크 과장 박병준 3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연기계(주) 본부장 최범림 3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비테크 이사 주성필 3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티에스 이사 박태규 3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아시아종묘(주) 차장 엄수영 3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제논 차장 이수연 3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일 E.P.S. 금형 부장 김한수 3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동남 차장 김종수 3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아테크 부장 양승탁 3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원켐텍 부장 오경균 3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월드중공업(주) 부사장 홍한식 3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협진커넥터(주) 차장 배명석 3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스틸 부장 허진수 3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피엠에스 공장장 정다영 3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피텍(주) 책임 연구원 박동해 3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도산업(주) 책임 연구원 신진오 3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광명전기 이사 김홍석 3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가엠엔티 과장 김경란 3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영성 과장 이정민 3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한열교환기공업 부장 신영준 3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진성전자 부장 문상훈 3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치팅코리아 관리소장 김철순 3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스켐 상무이사 최명기 3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태봉 연구소장 정인선 3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아모센스 책임 연구원 이동훈 3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명패브릭 과장 김영숙 3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레이크머티리얼즈 상무이사 송창호 3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흥글로벌(주) 부장 유용준 3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미륭산업 팀장 김원주 3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일엠텍(주) 과장 유현석 3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케이엠제이 주식회사 주임 고영숙 3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아이 이사 석희재 3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아미코스메틱 팀장 박상호 3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업카이트(주) 팀장 배석원 3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조이시티 팀장 김경태 3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S. M TECH 부장 송선호 3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은산업(주) 주임 박정은 3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방엔터프라이즈 과장 이은미 3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우신에너지(주) 이사 김기철 3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파마켐 주임 김종선 3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우이엔씨 주식회사 전무이사 이재열 3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프로미스 주식회사 수석 연구원 권기진 3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영플랜트(주) 이사 박정근 3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금강쿼츠 차장 정용권 4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창금속산업(주) 반장 홍일의 4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고스 과장 김영일 4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스씨엘 반장 이은주 4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영우디에스피 과장 오시창 4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본성 반장 김부자 4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중선박기계주식회사 기장 최상열 4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지에스이하이테크(주) 팀장 이민우 4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몰드 차장 임형주 4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은산업(주) 연구소장 조휘정 4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네추럴에프앤피 부장 김동신 4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원봉 책임 연구원 이동연 4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윤성산업(주) 부장 박 주곤 4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네일에이스 사원 신복례 4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휴롬엘에스 (주) 사원 이미경 4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디케이락(주) 반장 김동호 4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정우식품(주) 주임 김현주 4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오영 주임 김병일 4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 솔테크 계장 이한옥 4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디피 팀장 서관석 4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영플랜트(주) 과장 이영석 4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일엠텍(주) 차장 정장영 4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화인코(주) 부장 김흥수 4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율촌 주임 서현민 4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승산산업(주) 사원 윤옥순 4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도 직장 이용교 4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장암칼스(주) 기선 신정범 4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쎄미콤 과장 강경훈 4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고모텍(주) 과장 박형섭 4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후꼬꾸(주) 반장 문병만 4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성진흥 대리 김태형 4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극동일렉콤(주) 블록장 백철호 4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터보파워텍(주) 조장 허창준 4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파나시아 상무이사 김영운 4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애드테크 조장 박세자 4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명성공업(주) 기원 이채열 4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하테크원(주) 부장 박대성 4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라텍 부장 송창섭 4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씨엠에이글로벌 사원 박경숙 4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지엔에스트레이딩 대리 서동진 4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가람전자(주) 상무이사 이정기 4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우이엔씨 주식회사 부장 우종만 4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다원체어스 과장 이지석 4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대상이엔지 주임 장용준 4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원켐텍 공장장 조현철 4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월드중공업(주) 전무이사 송정희 4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필코아 조장 안옥진 4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티에스 부장 백형윤 4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헌트피앤아이 부장 안승열 4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엔에스브이 과장 우경하 4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도산업(주) 반장 하진오 4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알티코퍼레이션 과장 신영모 4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동스프링 반장 제상훈 4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메디멕스코리아 과장 최영식 4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비아이피(주) 기성 염수권 4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디유티코리아 팀장 손병기 4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덕진기업 사원 정은경 4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진전지 반장 권문구 4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하실업(주) 과장 이경민 4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아테크 차장 김준섭 4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진 차장 여현구 4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신한세라믹 팀장 차정애 4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퀄맥스시험기술(주) 부장 박영진 4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미팜 과장 유제남 4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아모센스 조장 이선화 4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일 E.P.S. 금형 공장장 명금선 4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니테크 대리 이주환 4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쿨랜스코리아(주) 대리 이현우 4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케이엠제이 주식회사 공장장 이성만 4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우신피그먼트 대표이사 장성숙 4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리메드 대표이사 이근용 4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디.에스 스프링 대표 이광하 4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드림시스 대표이사 조국현 4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루바니 & 루바니 대표이사 박주현 4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삼우 대표 조동환 4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 필링크 대표이사 이민창 4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지엘켐 오창공장 대표 이원민 4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진글러브 주식회사 대표 이상돈 4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일테크 대표 김규태 4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한회사 금호기계 대표이사 김영환 4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나노인텍(주) 대표이사 박영식 4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스콜라스(주) 대표이사 김선철 4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컴버스테크 대표이사 이돈원 4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김준규 4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김철희 4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상공회의소 과장 정일 4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션어스(주) 대표이사 김창수 4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씨이십일 과장 이동훈 4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케이씨 대표이사 박용순 4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석원 상무 서정인 4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로아 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원희정 4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라젬 상무 전병희 4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디맨드 퍼시픽 주식회사 대표이사 박인근 4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METS 사장 권원구 4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즈코 피이와이 리미티드 대표 염사성 4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제 컴파니 대표이사 하윤상 4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보람지과기고분유한공사 이사장 전병덕 4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Advanced International Freight Inc. 사장 조욱 4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ASUNG SDN BHD 대표이사 김윤성 4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노르딕 회장 Herbjørn Hansson(허비요른 핸슨) 4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호벨 홀딩스 회장 JOEL SELVANAYAGAM (조엘 셀바나야감) 5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옹가네 재팬 사장 Okamoto Akihiro(오카모토 아키히로) 5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엘코에너지 Deputy GM Yehezkei Mor (예헤즈켈 모르) 5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맥선 부장 서회준 5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LG전자 아르헨티나법인 법인장 윤태봉 5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슈트스타 가먼트 대표이사 조현오 5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효성 인터내셔널 홍콩 법인장 김용태 5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팔도 러시아 판매법인 법인장 황재호 5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스페코 과장 김창현 5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포스코 법인장 권해건 5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Guangdong Yihua Department store Co. Ltd 부총재 Su Weibing(수웨이빙) 5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타이어 네덜란드법인 법인장 송호범 5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프랑스국제전시협회한국대통령표창부 대표 김선의 5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무역협회 차장 정귀일 5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엑스 팀장 김한주 5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전시산업진흥회 과장 박희승 5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디엑스씨 회장 김성준 5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송연 5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벡스코 팀장 원효희 5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킨텍스 실장 송남운 5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케이훼어스(주) 부장 이준우 5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쥐앤비 인터내셔널 사장 태준환 5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현지 과장 이영광 5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진흥공단 팀장 박종효 5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심플렉스인터넷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재석 5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외환은행 차장 박미숙 5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시아나항공 차장 윤선범 5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경기대학교 부교수 김현지 5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전략물자관리원 선임연구원 정용진 5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무역협회 과장 김희영 5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비케이바이오 대표이사 최혁준 5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부산울산지방중소기업청 사무원 이영민 5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진흥공단 부장 이창돈 5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진흥공단 과장 우 철 5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진흥공단 과장 이석환 5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용보증기금 업무팀장 황규대 5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용보증기금 팀장 이남하 5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진흥공단 차장 이종욱 5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소기업진흥공단 과장 조병훈 5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대리 홍영순 5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하나은행 RM부장 강병삼 5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한은행 광교 대기업금융센터 기업 지점장 박명환 5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산은행 과장 서아담 5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구은행 지점장 최복용 5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외환은행 삼성타운지점 지점장 박창욱 5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협은행 과장 정기상 5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국민은행 대리 이보애 5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과장 김동완 5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과장 김재두 5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아써키트 부회장 이광원 5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원주시 직위 없음 이숙영 5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춘천시 팀장 박철한 5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광주광역시 주무관 (지방 행정주사보) 한소리 5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광주광역시 행정주사보 이소연 5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삼흥 차장 김주관 5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인천광역시 실무관 강홍일 5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제주특별자치도청 지방 행정주사 고선애 5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충북지방중소기업청 주무관 장석원 5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경남지방중소기업청 수출지원센터 주무관 김영태 5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 수출지원센터 주무관 안수진 5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부산울산지방중소기업청 행정주사 권혁선 5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전북지방중소기업청 주무관 김태선 5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충북지방중소기업청 주무관 이원석 5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JVM 차장 최재호 5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평화엔지니어링 전무 이권명 5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현대건설 부장 임군빈 5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보템 연구소장 김동철 5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동서발전(주) 팀장 장재혁 5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테크노피아 대표이사 박재세 5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과장 이윤정 5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씨인터내셔날 대표이사 김분희 5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무역협회 과장 박기임 5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상공회의소 과장 김해균 5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지에스에너지(주) 차장 이재혁 5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광산기공 대표이사 이종구 5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지식재산전략원 선임연구원 김규태 5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맥 대표이사 박종택 5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관세법인 스카이브릿지 부대표 장영훈 5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무역협회 FTA무역종합지원센터 행정 사무관 박상국 5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강동구관세사사무소 대표 강동구 5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무역정보통신 팀장 엄기석 5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광명에스지 이사 박동진 5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쎄코 부장 황영준 5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지에스이하이테크(주) 대표이사 전윤희 5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시디디(주) 대표이사 강병수 5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일변압기(주) 대표 안용길 5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양연마(주) 대표이사 금용조 5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카트로 대표이사 김희동 5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티씨 대표이사 박찬화 5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일흥 사장 유선남 5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삼포산업(주) 대표이사 박재혁 5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플럭스라이트(주) 대표이사 이활 5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엔겔기계(주) 사장 로버트 보딩바우어 5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어업회사법인 제주수협유통 주식회사 대표이사 양귀웅 5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글로벌신화 대표이사 우인식 5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치케이 대표이사 이재봉 5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진산업 대표 노홍일 5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영진엘리베이터(주) 대표이사 박유현 5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에스밸브(주) 대표이사 이용면 5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치팅코리아 대표이사 최진수 5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경식품 대표 이성찬 6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브이디제이 대표이사 윤영철 6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센트랄씨엠에스 대표이사 설상훈 6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본성 대표이사 이미아 6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디에이케이코리아 대표이사 안동일 6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세진기술산업(주) 대표이사 장병익 6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스모와이어 대표이사 김성식 6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케이케이글로벌(주) 대표이사 이왕녕 6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코리아에프티(주) 대표이사 회장 오원석 6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스코 대표이사 이기원 6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메가테크 대표이사 정춘호 6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이씨에스몰드 대표 전진오 6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치피엠글로벌 대표이사 방시영 6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동남 대표이사 안병선 6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미프렉시블 대표이사 방건호 6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성중공업 대표이사 권오을 6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닉스 대표이사 윤정민 6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기씨앤에프 대표이사 노은숙 6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치케이씨 대표이사 한성민 6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엠파트너 대표이사 이병세 6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디씨뉴매틱 대표이사 김화동 6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엔에스메탈 대표이사 김도섭 6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국기연(주) 대표이사 박종남 6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엔텍에코뷰 대표 최철수 6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종파마텍 상무이사 이상호 6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리얼 대표이사 김덕호 6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에스제이이 주식회사 대표이사 유호묵 6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울타리 대표이사 김영환 6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진철강산업(주) 대표이사 유재왕 6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더레즈무역 사장 박성근 6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위더스코퍼레이션 대표 김용섭 6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윤성산업(주) 대표이사 정윤동 6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유나켐상사 대표이사 전재홍 6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현진스포텍 대표이사 이해연 6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다원체어스 대표이사 이규윤 6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레이크머티리얼즈 대표이사 김진동 6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 애니룩스 대표 고예름 6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광진윈텍 대표이사 신규진 6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인아 대표이사 오경승 6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마텍 사장 김성훈 6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헌트피앤아이 대표이사 박대선 6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라이온켐텍 대표 박희원 6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와이티에스 대표이사 남성국 6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스엘에스컴퍼니 대표이사 김수경 6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현수산(주) 대표이사 정문성 64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성덕테크윈 대표이사 정수옥 64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은창 대표이사 박희석 64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동성중공업 대표이사 신정환 64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아이실리콘(주) 대표이사 정서영 64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하이로닉 대표이사 이진우 64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티아이 대표이사 하정기 65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서울엔지니어링 대표이사 박승규 65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나이스맥 대표이사 박태규 65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앤에이치인터내셔널(주) 대표이사 최욱규 65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상륜 대표이사 김승래 65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비어드히시브스 대표이사 김기태 65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리녹스 대표이사 오권석 65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세흥 대표이사 김건우 65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치디에스 대표이사 김주흥 6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창대핫멜시트 대표 서삼상 65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파인에코 대표이사 김현옥 66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강수산영어조합법인 대표 임수근 66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유테크(주) 대표이사 백영현 66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오로라코리아주식회사 대표이사 홍순영 66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득영 대표이사 이성욱 6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퀄맥스시험기술(주) 대표이사 최종국 66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동시스템 대표이사 이수형 66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씨엠테크 대표이사 김현수 66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씨피켐(주) 대표이사 김승호 66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동재오토테크(주) 대표이사 이강호 66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웨이브텍 대표이사 이승모 67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보스킨 대표이사 장태순 67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제이비피코리아 대표이사 임홍석 67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성정밀(주) 대표이사 신순태 67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케이에스엠 대표이사 김종석 67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오메모리 대표이사 박진현 67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아이엠텍 대표이사 이재석 67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엠엘지컴텍 대표이사 홍석진 67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청풍산기 대표이사 이배규 67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조이시티 대표이사 조성원 67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S. M TECH 대표 전인호 68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지엔에스이엔지 대표이사 정원희 68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일에너테크(주) 대표이사 정연길 68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나라산업 대표이사 장용호 68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창비에스 회장 김장만 68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태성정공(주) 대표이사 이기송 68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백암화학(주) 대표이사 권현달 68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대명패브릭 사장 최옥희 68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부광금속 대표이사 방태용 68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벨금속공업(주) 사장 이희평 68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지엔테크 대표이사 이승희 69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성화물산(주) 대표이사 김철영 69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리주월드 대표이사 박인령 69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아이티메탈 대표이사 BAEK HYUNG MYUNG(백형명) 69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C&P 대표이사 박경민 69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케이엔비코퍼레이션 대표이사 이기백 69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필로시스 대표이사 최인환 69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다이테크 대표이사 이미화 69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앤씨글로벌 대표이사 송영철 69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영중전기(주) 대표이사 김영도 69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창환단자공업 대표이사 김환창 70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한쥬얼테크(주) 대표이사 이경석 70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산성앨엔에스 대표이사 김진구 70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오리엔탈 검사개발 대표이사 박세철 7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여의시스템 대표이사 성명기 70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시큐어플랫폼즈테크놀로지(주) 대표이사 박동호 70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옥서스 대표이사 이태수 70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그린산업 대표이사 조병국 70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서플러스글로벌 대표이사 김정웅 70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성광기업(주) 대표이사 최병호 70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신창이엔지주식회사 대표이사 윤흥수 71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엔에스브이 대표이사 윤은중 71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디유티코리아 대표이사 정용채 71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l주l디케이에스코리아 대표이사 양종덕 7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한라 INC(주) 대표 김동호 71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상일 대표이사 이창우 71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국팩키지 반장 송승호 7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주)세화농산 대표이사 송달연 71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성도엠씨 대표이사 김교수 71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박스코 대표이사 김호성 7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도담엠에스 대표이사 조재영 7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성진트레이드 대표이사 최경진 7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이치엠인터내셔날 대표 송효민 7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중앙공업주식회사 대표이사 김태헌 7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평화 대표이사 김정웅 7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위드시스템(주) 대표이사 김명준 7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피비알케미칼 대표이사 배진성 72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영성 대표이사 조영규 7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정화실업(주) 대표이사 이인호 72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에프엔지에스 대표이사 박 찬 7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그린가온(주) 대표이사 김석하 7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알에프에이치아이씨(주) 대표이사 조덕수 73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송산특수엘리베이터 사장 김운영 73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한남하이텍 사장 최만묵 733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이엠텍 창원지점 대표이사 정승규 734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유)삼송 대표이사 이형찬 735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스타우프코리아유한회사 대표이사 김명성 736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 부삼 대표이사 김재열 737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남우석 738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코나드 대리 김태희 739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모 대표이사 김승준 740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식회사동일 대표이사 정의권 741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디엔컴퍼니 대표 윤재춘 742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주)디케이엔지 대표이사 김대기 수출의 탑 수상업체 수출의 탑 1억불이상 수상업체 현황 (천불) 신청탑 업체명 대표자명 전년도 수출액 금년도 수출액 신장율 (%) HS1 품목명 750억불탑 삼성전자(주) 권오현 69951736 78503702 12% 메모리반도체 100억불탑 SK하이닉스(주) 박성욱 9575216 12624931 32% 메모리반도체 100억불탑 현대모비스(주) 정명철 9374869 10213942 9% 자동차부품 50억불탑 엘지이노텍(주) 이웅범 5173097 5505262 6% 전자기기 40억불탑 현대제철(주) 박승하 3001763 4286267 43% 철강 10억불탑 한세실업(주) 이용백 1195062 1299403 9% 의류 10억불탑 (주)현대케피코 박상규 982482 1123574 14% 자동제어기 9억불탑 (주)유라코퍼레이션 엄병윤 805605 935043 16% 기타전선 8억불탑 (주)경신 이승관 774080 882851 14% 기타전선 6억불탑 (주)엘지하우시스 오장수 590462 662691 12% 플라스틱깔개 및 벽피복 6억불탑 세방전지(주) 임동준 392815 608678 55% 연축전지 6억불탑 (주)세아제강 이휘령 587062 606925 3% 철강 6억불탑 애경유화(주) 부규환 451169 606268 34% 기타정밀화학원료 5억불탑 (주)드림텍 김영호 480635 573084 19% 무선통선기기 5억불탑 한국니토옵티칼(주) 김홍인 539523 541916 0.4% 기타광학기기부품 5억불탑 (주)시몬느 박은관 403421 504978 25% 가죽제가방 4억불탑 (주)토비스 김용범, 하희조 407371 496041 22% 액정디바이스 4억불탑 고려해운주식회사 박정석 435668 483074 11% 윤활제 4억불탑 (주)아이마켓코리아 박병주 235092 436369 86% 기타기계류부품 4억불탑 세메스(주) 문주태 54342 409463 653% 반도체제조용장비 3억불탑 (주)화승알앤에이 백대현 359003 391463 9% 기타고무제품 3억불탑 (주)온코퍼레이션 이종원 263231 378900 44% 방송용 통신기기 3억불탑 (주)코리아써키트 이광원 404387 367958 -9% 인쇄회로 3억불탑 한국파워트레인(주) 김상태 276743 365557 32% 자동차부품 3억불탑 (주)화신 정호, 정서진 186666 365530 96% 자동차부품 3억불탑 주식회사성우하이텍 이명근 외1명 253365 328935 30% 자동차부품 3억불탑 현대위스코(주) 윤준모 305415 323724 6% 자동차부품 3억불탑 금호미쓰이화학(주) 박찬구 282201 320074 13% 기타합성수지 3억불탑 (주)풍인무역 박영표 303090 314324 4% 브라우스 3억불탑 덴소코리아 일렉트로닉스(주) 김경섭 274527 309567 13% 자동차부품 2억불탑 (주)마봉 이경호 163114 289743 78% 기타석유제품 2억불탑 (주)지엔에스트레이딩 조병오 166464 282512 70% 침구이불 2억불탑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문태윤 254622 277065 9% 자동차부품 2억불탑 대산엠엠에이(주) 조재용, 나카야마 히로시 157853 276935 75% 메타아크릴산메틸 2억불탑 (주)서원인텍 김재윤 134400 253541 89% 기타유선전송장치 2억불탑 (주)센트랄 강태룡 157214 251005 60% 자동차부품 2억불탑 (주)팬코 이건후 242278 246364 2% 언더셔츠 2억불탑 (주)비에이치 이경환 83492 232032 178% 인쇄회로 2억불탑 (주)레노바시스템 앤매트리얼 이명숙 181888 226678 25% 액정디바이스 2억불탑 (주)대유신소재 박용길, 정찬봉 163365 215063 32% 자동차부품 2억불탑 (주)엠씨넥스 민동욱 129577 214170 65% 전자기기부품 2억불탑 (주)엘앤에프신소재 이봉원 199745 212433 6% 기타정밀화학원료 2억불탑 대동공업(주) 김준식 180535 211946 17% 기타자동차 2억불탑 (주)호원 양진석 126458 210454 66% 자동차부품 2억불탑 서진산업(주) 강홍기 179191 207196 16% 자동차부품 2억불탑 (주)대한솔루션 권회현 170955 205024 20% 자동차부품 2억불탑 남양공업(주) 홍성종 197577 203825 3%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 양동기 32425 190906 489% 온라인 게임 서비스 1억불탑 (주)와이솔 김지호 94850 171696 81% 기타개별소자반도체 1억불탑 (주)녹십자 허일섭, 조순태, 이병건 96250 167075 74% 의약품 1억불탑 (주)부강샘스 이성진 41869 161522 286% 진공청소기 1억불탑 주식회사파인텍 강원일 75585 154937 105% 경보신호기 부품 1억불탑 씨유테크(주) 백영현 160839 153808 -4% 프로세스와 콘트롤러 1억불탑 루미마이크로(주) 김용원 89033 153702 73% 기타조명기기 1억불탑 코웰전자 주식회사 조규범 73996 148157 100% 전자기기부품 1억불탑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 이태희 93354 138654 49%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케이씨텍 고석태 50646 137325 171%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1억불탑 (주)프라코 이재하 121947 135749 11% 자동차부품 1억불탑 (유)삼송 이형찬 130253 131888 1%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세코닉스 박원희 74829 131825 76% 광학렌즈 1억불탑 (주)네패스디스플레이 이병구 29466 129838 341%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1억불탑 (주)남선알미늄 김시중, 이상일 99950 129177 29%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제이앤티씨 장상욱 73438 127131 73% 연결부품 1억불탑 (주)이오테크닉스 성규동 83334 125572 51% 금속절삭가공기계 1억불탑 (주)우성엠엔피 박찬호 87655 123285 41%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1억불탑 태성전장(주) 김춘식 89989 122385 36% 연결부품 1억불탑 (주)코렌스 조용국 78279 119310 52%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에이티세미콘 김진주 49500 117417 137% 집적회로 반도체부품 1억불탑 (주)유니크 안정구 85333 116624 37%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원익머트리얼즈 이건종 88483 116516 32% 철강재용기 1억불탑 (주)일진 강문철 92168 116370 26% 자동차부품 1억불탑 우리산업(주) 김명준 85265 115897 36% 소형직류전동기 1억불탑 (주)도루코 홍주식 114713 115642 1% 기타생활용품 1억불탑 DK유아이엘(주) 김상주 75878 115313 52%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1억불탑 남양금속(주) 김승천 87755 113689 30% 불꽃점화식내연기관 1억불탑 (주) 화인베스틸 장인화 7402 112863 1425% 철및비합금강L형강 1억불탑 (주)블루콤 김종규 36608 111235 204%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1억불탑 (주)현진스포텍 이해연 84676 110842 31% 편직물 1억불탑 (주)오영 정홍기 78384 110739 41% 염료 1억불탑 유신정밀공업(주) 송경식 77275 108730 41%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코다코 인귀승 77451 107874 39% 자동차부품 1억불탑 동아에스티(주) 박찬일 95397 107547 13% 제약 1억불탑 (주)풍전비철 한정건 53162 107012 101% 알루미늄괴 1억불탑 (주)에이스테크놀로지 구관영 54996 106765 94%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1억불탑 (주)에이치비테크놀러지 문성준 20 106467 520575% 칼라TV부품 1억불탑 (주)대동시스템 이중아 95121 106011 11% 기타전선 1억불탑 대의테크(주) 채의숭 6017 104788 1641% 자동차부품 1억불탑 금강공업(주) 이범호 79372 104181 31% 기타금형 1억불탑 디에스알제강(주) 홍하종 91249 104018 14% 철및비합금강와이어로프 1억불탑 코나아이(주) 조정일 70323 102996 46% 프로세스와 콘트롤러 1억불탑 코리아에프티(주) 오원석 85222 101660 19%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광진기계 정기범 ,권오철 96229 101374 5% 자동차부품 1억불탑 (주)상보 김상근 84985 100864 19% 광학렌즈 1억불탑 휴롬엘에스 (주) 송해복 76248 100128 31% 믹서 1억불탑 (주)이엠텍 창원지점 정승규 170004 100016 -41% 스피커 제 51회 수출의 탑 수상업체 번호 회사명 대표자명 기업구분 신청탑 1 삼성전자(주) 권오현 대기업 750억불탑/무역의날 2 SK하이닉스(주) 박성욱 대기업 100억불탑/무역의날 3 현대모비스(주) 정명철 대기업 100억불탑/무역의날 4 엘지이노텍(주) 이웅범 대기업 50억불탑/무역의날 5 현대제철(주) 박승하 대기업 40억불탑/무역의날 6 한세실업(주) 이용백 중견기업 10억불탑/무역의날 7 (주)현대케피코 박상규 대기업 10억불탑/무역의날 8 (주)유라코퍼레이션 엄병윤 중견기업 9억불탑/무역의날 9 (주)경신 이승관 대기업 8억불탑/무역의날 10 (주)엘지하우시스 오장수 대기업 6억불탑/무역의날 11 세방전지(주) 임동준 대기업 6억불탑/무역의날 12 (주)세아제강 이휘령 대기업 6억불탑/무역의날 13 애경유화(주) 부규환 중견기업 6억불탑/무역의날 14 (주)드림텍 김영호 중견기업 5억불탑/무역의날 15 한국니토옵티칼(주) 김홍인 대기업 5억불탑/무역의날 16 (주)시몬느 박은관 중견기업 5억불탑/무역의날 17 (주)토비스 김용범, 하희조 중견기업 4억불탑/무역의날 18 고려해운주식회사 박정석 대기업 4억불탑/무역의날 19 (주)아이마켓코리아 박병주 대기업 4억불탑/무역의날 20 세메스(주) 문주태 대기업 4억불탑/무역의날 21 (주)화승알앤에이 백대현 중견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2 (주)온코퍼레이션 이종원 중견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3 (주)코리아써키트 이광원 대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4 한국파워트레인(주) 김상태 대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5 (주)화신 정호, 정서진 중견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6 주식회사성우하이텍 이명근 외1명 대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7 현대위스코(주) 윤준모 대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8 금호미쓰이화학(주) 박찬구 대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29 (주)풍인무역 박영표 중견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30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주) 김경섭 대기업 3억불탑/무역의날 31 (주)마봉 이경호 대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2 (주)지엔에스트레이딩 조병오 중소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문태윤 대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4 대산엠엠에이(주) 조재용, 나카야마 히로시 대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5 (주)서원인텍 김재윤 중소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6 (주)센트랄 강태룡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7 (주)팬코 이건후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8 (주)비에이치 이경환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39 (주)레노바시스템앤매트리얼 이명숙 중소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0 (주)대유신소재 박용길, 정찬봉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1 (주)엠씨넥스 민동욱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2 (주)엘앤에프신소재 이봉원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3 대동공업(주) 김준식 대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4 (주)호원 양진석 중소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5 서진산업(주) 강홍기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6 (주)대한솔루션 권회현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7 남양공업(주) 홍성종 중견기업 2억불탑/무역의날 48 (주)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 양동기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49 (주)와이솔 김지호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0 (주)녹십자 허일섭, 조순태, 이병건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1 (주)부강샘스 이성진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2 주식회사파인텍 강원일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3 씨유테크(주) 백영현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4 루미마이크로(주) 김용원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5 코웰전자 주식회사 조규범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6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 이태희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7 (주)케이씨텍 고석태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8 (주)프라코 이재하 대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59 (유)삼송 이형찬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0 (주)세코닉스 박원희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1 (주)네패스디스플레이 이병구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2 (주)남선알미늄 김시중, 이상일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3 (주)제이앤티씨 장상욱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4 (주)이오테크닉스 성규동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5 (주)우성엠엔피 박찬호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6 태성전장(주) 김춘식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7 (주)코렌스 조용국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8 (주)에이티세미콘 김진주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69 (주)유니크 안정구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0 (주)원익머트리얼즈 이건종 대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1 (주)일진 강문철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2 우리산업(주) 김명준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3 (주)도루코 홍주식 대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4 DK유아이엘(주) 김상주 대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5 남양금속(주) 김승천 대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6 (주) 화인베스틸 장인화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7 (주)블루콤 김종규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8 (주)현진스포텍 이해연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79 (주)오영 정홍기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0 유신정밀공업(주) 송경식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1 (주)코다코 인귀승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2 동아에스티(주) 박찬일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3 (주)풍전비철 한정건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4 (주)에이스테크놀로지 구관영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5 (주)에이치비테크놀러지 문성준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6 (주)대동시스템 이중아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7 대의테크(주) 채의숭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8 금강공업(주) 이범호 대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89 디에스알제강(주) 홍하종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0 코나아이(주) 조정일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1 코리아에프티(주) 오원석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2 (주)광진기계 정기범 , 권오철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3 (주)상보 김상근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4 휴롬엘에스 (주) 송해복 중소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5 (주)이엠텍 창원지점 정승규 중견기업 1억불탑/무역의날 96 (주)세원전자 이명기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97 (주)티엘비 백성현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98 한일후지코리아(주) 이배명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99 한중선박기계주식회사 최영욱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0 (주)대한금속 류명기 중견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1 (주)휴롬 김재원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2 나노스(주) 이해진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3 (주) 켐온 백영림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4 (주)일산전자 하재기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5 대창HRSG(주) 손창길, 손무현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6 주식회사 휴메이드 김철호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7 (주)일야 강정훈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8 (주)유텍솔루션 전제헌 중견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09 미원화학주식회사 정규식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0 (주)씨앤투스이지스 하춘욱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1 브리티쉬아메리칸 토바코코리아제조(주) 가이앤드류멜드럼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2 영신금속공업(주) 이정우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3 (주)맥스앤마이티 김상엽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4 (주)연우 기중현 중견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5 (주)아산성우하이텍 이명근 외 1인 대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6 인창전자(주) 유근수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7 (주)지오네트웍 백영걸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8 (주)디알액시온 이효건, 이태훈 중견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19 (주)보림 박광호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0 주식회사 일흥 유용남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1 유한회사 포스인터내셔널 김복기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2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나혁휘 중견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3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허광호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4 태양연마(주) 금용조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5 (주)피제이전자 김명욱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6 (주)이녹스 장경호 중견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7 협진커넥터(주) 박진우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8 주식회사 유에이치 송영권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29 동양산업(주) 전말선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0 동서공업(주) 유시훈 대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1 안전공업(주) 손주환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2 (주)하이스틸 엄정근 대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3 에스엔유프리시젼(주) 박희재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4 (주)인터폴리머 차원호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5 (주)동화이십일 임홍택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6 선린전자(주) 배동찬 중소기업 7천만불탑/무역의날 137 (주)장원테크 장현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38 (주)피엔엠코리아 주석찬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39 오션어스(주) 김창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0 (주)본성 이미아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1 (주)지성글로벌 이경호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2 (주)티노스 이상락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3 엘베스트지에이티주식회사 구재필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4 한국와이퍼(주) 이경국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5 화이트산업(주) 윤통한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6 한국엔겔기계(주) 피터노이만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7 주식회사 브이디제이 윤영철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8 (주)신호인더스트리 이필진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49 (주)솔루에타 조재위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0 주식회사 솔라파크코리아 박현우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1 알에프에이치아이씨(주) 조덕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2 중앙공업주식회사 김태헌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3 한일내장(주) 박충기 중견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4 (주)세경하이테크 이영민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5 강림인슈(주) 시명선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6 (주)네오씨티알 백낙림 중견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7 (주)나전 김진우 중견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8 (주)에스에이치팩 이종원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59 (주)아스트 김희원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0 (주)경남무역 남길우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1 (주)동신포리마 오동혁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2 (주)에이에스티 오세혁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3 한국고요써모시스템(주) 니시무라 아키라 대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4 한국후꼬꾸(주) 권순묵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5 대원정밀공업(주) 황선경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6 (주)인터벡스테크놀로지 백승진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7 우신에너지(주) 엄문경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8 (주)원봉 김영돈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69 (주)테스 주숭일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0 (주)신성솔라에너지 이완근 중견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1 (주)엔유씨전자 김종부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2 (주)서흥 양주환 중견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3 (주)오케이에프 이연한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4 (주)대의인티어 채록 대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5 (주)상아프론테크 이상원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6 (주)씨엔씨글로벌솔루션 최용선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7 신라엔지니어링(주) 신용문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8 화남전자(주) 강성옥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79 (주)정우비나 오병철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0 (주)비츠로셀 장승국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1 테스트코(주) 오춘식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2 (주)프로텍 최승환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3 (주)한국에스케이에프씰 허용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4 동원시스템즈(주) 조점근 대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5 한국조폐공사 김화동 대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6 미래코리아 한동권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7 (주)스카이미디어 소동수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8 성보공업(주) 오정석 중소기업 5천만불탑/무역의날 189 알펙(주) 김철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0 가나스텐레스 이 안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1 (주)에이앤아이 박병해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2 (주) 슈피겐코리아 김대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3 (주)노루페인트 김수경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4 일신전자(주) 박상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5 (주)대주기계 이재형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6 한국에머슨프로세스 매니지먼트마린솔루션즈(주) 프랜시스코엔젤푸마레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7 주식회사 케이에스엠 김종석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8 (주)레이언스 현정훈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199 에스에이에스(주) 박현철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0 코리아피티지(주) 김기준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1 (주)성백문코리아 문수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2 (주)동아엘텍 박재규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3 에스폼알파(주) 김준년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4 우경MIT 이환덕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5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성상엽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6 (주)동원앤피플 김태현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7 (주)우신산업 서중호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8 신화정밀(주) 조승현 대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09 (주)쎄트렉아이 김병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0 (주)에이치투 조경현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1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황인용 대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2 (주)데카텍 이병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3 한국마쯔다니(주) 유태균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4 광명산업(주) 임승운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5 주식회사정진넥스텍 김용담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6 (주)센트랄DTS 도영민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7 (주)더블유게임즈 김가람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8 케이피티(주) 조창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19 고모텍(주) 윤일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0 (주)퍼시스 이종태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1 (주) 씨에스텍 김진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2 케미스타주식회사 김동범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3 (주)가야ESC 윤병국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4 (주)우진산전 김영창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5 로체시스템즈(주) 박기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6 (주)한영산업 한웅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7 (주)씨엠에스 김애란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8 디케이락(주) 노은식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29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조석래 중견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0 (주)투에이치 최정훈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1 에스탱크엔지니어링(주) 김진태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2 (주)씨앤와이테크 박찬식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3 (주)펠릭스테크 김종오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4 (주) 유니테크 이성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5 (주)오이솔루션 박용관, 추안구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6 (주)티아이에스코리아 유영성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7 (주)영창기업사 김성준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8 (주)에스티아이 김정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39 (주)네오플램 박창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0 주식회사 이맥스아이엔시 오경규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1 (주)동성중공업 신정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2 메이플세미컨덕터(주) 박용포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3 (주)콜러노비타 카밍래리위엔 대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4 (주)한미프렉시블 방건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5 일양화학(주) 김광중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6 (주)루트로닉 황해령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7 (주)실크로드시앤티 박민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8 (주)아모스 이은성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49 (주)유지인트 배진기, 이현우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0 (주)케이에스피 조병구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1 효성전기(주)제2공장 정진근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2 우성파워텍(주) 정정훈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3 우수전자산업(주) 염동흔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4 삼성발레오써멀시스템스(주) 고호곤, MAZOYER SEBASTIEN 대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5 산일전기(주) 박동석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6 (주)화진 조만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7 한국산노프코(주) 손경호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8 (주)흥아기연 강신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59 주식회사 광진윈텍 신규진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0 덕일산업(주) 유기덕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1 (주)지니틱스 손종만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2 극동일렉콤(주) 이종기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3 타이코마린써비스코리아(주)부산지점 장성필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4 (주)마르시스 박용규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5 (주)경안전선 김명일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6 주식회사 케이푸드 농업회사법인 박경운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7 신광정공(주) 김만경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8 (주)씨이에스 김상혁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69 (주)태웅메디칼 신경민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0 주식회사 딜리 최근수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1 (주)부광금속 방태용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2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정인용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3 (주)위솔루션 전재홍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4 오케이에프(주) 이상신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5 대한공조(주) 김석주 중소기업 3천만불탑/무역의날 276 주식회사디젠 한무경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77 (주)현대포리텍 김광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78 유니셈(주) 김형균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79 (주)코리녹스 오권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0 한국신에츠실리콘(주) 타게다 카즈미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1 (주)창환단자공업 김환창, 권오천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2 (주)세고스 박윤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3 씨에스케이(주) 김형극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4 (주)웨이브텍 이승모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5 두성산업(주) 천영우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6 신한쥬얼테크(주) 이경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7 (주)이랜드월드패션사업부 김중헌 대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8 (주)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김덕준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89 (주)와이티에스 남성국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0 선도전기(주) 전동준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1 세광인터내셔날네트워크(주) 박경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2 (주)지.비라이트 이인환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3 (주)화인써키트 유인종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4 (주)대하전선 하병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5 (주)성진실업 이상형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6 제이씨케미칼주식회사 윤사호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7 (주)신안천사김 권동혁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8 (주)하나 서재원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299 씨제이포디플렉스(주) 최병환 대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0 주식회사 샘코 이창우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1 (주)테팩스 강태익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2 (주)에이엔웨이브 (ANWave) 윤명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3 (주)센트랄씨엠에스 설상훈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4 (주)이오메모리 박진현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5 일양약품(주) 김동연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6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심호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7 (주)정주산업통상 정평룡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8 알티전자(주) 이교진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09 (주)대원에프엔씨 정대근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0 (주)나노 신동우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1 (주)평화 김정웅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2 (주)에이치피엠글로벌 방시영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3 아이원스(주) 이문기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4 (주)에이앤지테크놀로지 김형종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5 루미리치주식회사 김하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6 (주)유디피 안정근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7 (주)영우디에스피 박금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8 (주)극동엠이에스 홍현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19 바디텍메드(주) 최의열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0 (주)디에이취엠씨영암지점 서호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1 세원금속(주) 이정희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2 (주)대영케미칼 김영규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3 (주)효진오토테크 김기영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4 (주)아이엠텍 이재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5 삼민화학공업(주) 임정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6 (주)하이비젼시스템 최두원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7 (주)재무상사 김병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8 (주)성원기업 정종태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29 (주)디오 김진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0 (주)제이티콥 김준태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1 나투라미디어(주) 윤화중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2 주식회사 쎄코 김현중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3 한국초전도체주식회사 정민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4 에스에이치엠(주) 박현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5 (주)DCF TREK 박권일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6 (주)듀링 고진성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7 영일특수금속(주) 박한상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8 영화테크(주) 엄준형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39 (주)나라산업 장용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0 승산산업(주) 유선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1 실버엘리베이터코리아 서은교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2 주식회사 앤시스 전철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3 경동제약(주) 류덕희, 이병석, 류기성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4 (주)테키스트 김춘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5 (주)인아 오경승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6 (주)에스앤비인터내셔널 오동환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7 서울산업(주) 김을식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8 (주)영텍 이현건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49 (주) 아이엠티 인코퍼레이션 정의용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0 개나리벽지(주) 김훈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1 (주)한국몰드 고일주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2 (주)메카트로 김희동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3 (주)로보스타 김정호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4 (주)케이디에이 박명종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5 (주)모터세븐 박성임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6 (주)동양화공기계 하기영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7 농업회사법인 (주)농우바이오 정용동 중견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8 (주)캔코마케팅 귄기홍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59 (주)셀맥인터내셔날 김성철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0 (주)뉴빛 신기섭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1 (주)비젼텔 유태욱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2 (주)비엠티 윤종찬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3 주식회사 창대핫멜시트 서삼상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4 (주)제이에스테크 한흥수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5 (주)피엔제이케미칼 우진오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6 주식회사 광양훼더 심상형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7 케이엠씨아이 이정현 중소기업 2천만불탑/무역의날 368 (주)제이비월드코퍼레이션 이미경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69 주식회사 이노폴 윤범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0 (주)대창비에스 김장만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1 (주)백운섬유 백운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2 (주)풍신 박동운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3 (주)삼원프라스틱 우영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4 (주)대정고분자산업 배덕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5 (주)엠지에스 채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6 (주)조이시티 조성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7 한국댓와일러(주) 임단오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8 동국성신(주) 강신우외 1명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79 주식회사엘티에스 박홍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0 (주)모토웨어 황영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1 오페(주) 함영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2 서울냉열주식회사 안민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3 (주)세림지엠티 임조홍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4 (주)에이블유 조근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5 일진에이테크(주) 손의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6 (주)에스오엠 윤승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7 인그리디언코리아(유) 구자규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8 범진아이엔디 (주) 박정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89 (주)케이피씨 김진용 대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0 (주)도도액티브코리아 서강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1 (주) 케이테코 박종권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2 대지정공(주) 조효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3 (주)영진하이텍 김영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4 (주)젠픽스인터내셔날 유진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5 (주)엠씨엠 이기형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6 (주)광명전기 이재광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7 (주)예스텔레콤 이창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8 네덱(주) 황세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399 (주)엠씨에스로직 남상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0 (주)크레템 김호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1 (주)디알젬 박정병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2 주식회사 케이디에프 김정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3 영일엔지니어링(주) 이창은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4 (주)해성기공 문일섭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5 (주)드림엔지니어링 유재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6 호산이엔지(주) 정병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7 (주)네이처리퍼블릭 정운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8 (주)디엘티 조혜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09 (주)제성아이엔티 최혜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0 (주)대명패브릭 최옥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1 상신이엔지(주) 김완규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2 엔텍이앤씨(주) 최근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3 대영씨엔이(주) 노세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4 씨앤텍(주) 박한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5 (주)한국알피엠 양대섭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6 코리아고꾸사이(주) 마쯔모토 시게루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7 신현수산(주) 정문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8 (주)메가테크 정춘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19 하이텍전자(주) 문호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0 (주)세흥 김건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1 (주)판타룩스 이윤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2 (주)쎄미콤 이현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3 신진에스티에이(주) 문창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4 주식회사 세하전자통신 유해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5 주식회사캐스탑 정병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6 (주)이노플렉스 이철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7 (주)선택인터내셔날 양재창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8 한국석유공업(주) 김병집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29 주식회사 인터트레이드 자파엘알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0 (주)제이시스메디칼 강동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1 (주)삼성금속 김숙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2 (주)진성테크템 김성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3 한국비철 조성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4 온누리타이어(주) 김순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5 (주)윈시스템즈 김명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6 (주)우진종합상사 김동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7 (주)이랜드리테일 김연배 대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8 (주)피타소프트 허현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39 일진기계(주) 전영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0 (주)팬케미칼 박재덕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1 (주)인크룩스 이민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2 (주)엠티 하영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3 주식회사 한유에너지 박기흥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4 백암화학(주) 권현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5 (주)포콘스 정락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6 에스앤에스금속주식회사 양주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7 (주)비젼스케이프 김태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8 한국정밀주식회사 손출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49 삼인코퍼레이션(주) 황대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0 (주)우진아이엔에스 홍평우 대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1 (주)다이테크 이미화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2 (주)한성 한상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3 (주)세진통상 이은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4 (주)디엠씨테크 안응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5 (주)코와이어 황재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6 와이제이링크주식회사 박순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7 동방침구제작소 김근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8 (주)에스엘비 남민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59 (주)금강쿼츠 김창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0 (주)애니클로 송동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1 호산물산(주) 이필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2 (주)소닉스 손영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3 (주)엔에스 이세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4 (주)미코씨엔씨 류종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5 빛기술(주) 박정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6 (주)코라이 이광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7 (주)싸이맥스 김성강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8 닛켄인터내셔널코리아(주) 김경태외1명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69 (주)신도기연 박웅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0 (주)용신피혁 홍대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1 효성전기(주) 정진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2 (주)에프와이디 한주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3 (주)유진로봇 신경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4 기석무역 구성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5 아진인터내셔널(주) 현종묵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6 주식회사 엔에스메탈 김도섭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7 (주)파이프라인 이문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8 (주)켐포트 김영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79 (주)트리스 임국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0 (주)에치케이씨 한성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1 (주)이앤씨글로벌 송영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2 (주)삼보산업 나무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3 대원정밀 안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4 청보산업(주) 안상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5 (주)다다코리아 전민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6 (주)바론시스템 박기범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7 (주)광덕에이앤티 김 용 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8 유전공업(주) 류재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89 (주)탭코리아 임준국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0 플럭스라이트(주) 이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1 덕산실업(주) 이범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2 (주)해정 김태정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3 주식회사 티씨씨통상 두진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4 (주)디와이티 김영건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5 (주) 에이치와이티씨 김육중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6 디와이엘엔제이(주) 김 태 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7 (주)티케이씨 박용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8 (주)머큐리 임채병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499 (주) 케이산업 이학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0 아르네코리아주식회사 이성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1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장동규 대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2 쓰리알이앤씨주식회사 박지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3 금정공업(주) 제슨 알란 대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4 (주)케이티씨 박찬화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5 (주)엘앤디트레이딩 한석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6 아이디피(주) 노현철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7 스타우프코리아유한회사 김명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8 (주)텔콘 임진훈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09 에스아이티(주) 전제중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0 주식회사 씨엠에이글로벌 김영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1 (주)상일 이창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2 산동금속공업(주) 배선봉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3 (주)비젼사이언스 오인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4 (주)씨디씨뉴매틱 김화동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5 (주)동양산기 김두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6 한림제약(주) 김재윤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7 (주)에스씨민이노베이션 김상대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8 성화물산(주) 김철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19 성신양회(주) 김영찬 중견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0 에치에스켐(주) 양재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1 에이시디(주) 유승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2 (주)스틸라이프 박광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3 펌텍코리아 (주) 이도훈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4 경동산업(주) 여휘동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5 (주)지펙케이앤엠 이승헌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6 (주)에이치에스오토모티브 김형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7 (주)우조하이텍 이상복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8 (주)에스엘에스컴퍼니 김수경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29 윤성산업(주) 정윤동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0 유니돔(주) 송대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1 주식회사 한국에스티에스 강현대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2 (주)코만 김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3 화신특수강 주식회사 조윤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4 경원산업(주) 허금자, 김경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5 (주)진성전자 임규혁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6 3G CORPORATION 안병락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7 (주)해광요업 오순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8 (주)코스켐 최재환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39 (주)삼진 JMC 정태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0 한스바이오메드(주) 황호찬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1 (주)한도 김정배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2 에이스산업(주) 윤용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3 태영산업 주식회사 진윤숙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4 (주)라이콤 김성준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5 (주)제이디엔디텍 주영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6 (주)코스모와이어 김성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7 (주)이젝스 유창현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8 (주)대연 김영식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49 갑산개발(주) 김명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0 우림글로벌텍스(주) 임형규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1 (주)비하임 곽영철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2 (주)터보맥스 이기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3 주식회사씨티네트웍스 이재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4 주식회사 휴먼스캔 임성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5 (주)이노터치테크놀로지 김종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6 (주)제일벽지 정지성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7 (주)탑밸브 하갑용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8 (주)알앤에프케미칼 박동일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59 스칸젯매크론(주) 김대곤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60 (주)에스엠플라텍 김영길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61 (주)위드텍 유승교 중소기업 1천만불탑/무역의날 562 (주)여의시스템 성명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3 일신실업(주) 김유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4 (주)세기콘트롤 고윤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5 (주)바이포유 장재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6 (주)솔머퓨처 공동준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7 (주)더비트 김경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8 (주)에센 윤문섭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69 주식회사엠엑스앤 황만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0 팸텍(주) 김재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1 (주)알엠시스 김도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2 영백씨엠(주) 홍순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3 (주)제일기연 김한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4 에이케이앤엠엔바이오팜(주) 김갑진 대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5 (주)기흥무역 오복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6 다온물산(주) 남성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7 (주)티아이 하정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8 (주)호두 이해룡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79 세진기술산업(주) 장병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0 서보산업(주) 이범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1 씨트론(주) 어성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2 (주)웰프랜드 이영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3 (주)제이에스피브이 이정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4 (주)래딕스 민광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5 주식회사 태성테크 민규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6 엔브이에이치오토파트(주) 이성희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7 주식회사 티앤지 설종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8 성창정밀화학 김창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89 화성화학(주) 류경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0 삼진기계 강경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1 (주)에이엘피 정현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2 (주)올웨이즈 이종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3 이알텍 주식회사 조현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4 주식회사 지이티 이동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5 (주)에스지헬스케어 김정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6 (주)일성에프에이 이성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7 (주)이노테크 이희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8 유엠메카닉스(주) 홍순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599 삼일씨티에스(주) 최종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솔 박채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1 (주)에이스정밀 권오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2 (주) 링커스인터내셔널 김형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3 윌테크놀로지(주) 이병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4 주식회사 제이앤드에프 이영섭, 이원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5 (주)지멕스 김현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6 (주)씨케이솔루션 김유곤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7 (주)일광폴리머 이은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8 (주)에이티앤에스 김진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09 주식회사건화이엔지 허용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0 (주)진주햄 박정진, 박경진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1 (주)코마텍 김성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2 한양소재(주) 박팔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3 (주)만텍 조정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4 (주)이엔씨테크놀로지 이성원, 장남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5 동우이엔씨 주식회사 이재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6 (주) 한독테크 김진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7 태창금속산업(주) 이영학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8 오션스카이주식회사 신규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19 (주)한국에프엠 박용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0 주식회사 대명티에스 김재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1 오에스밸브(주) 이용면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2 (주)세림화이버 한상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3 (주)케어플러스원 김도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4 (주)비아텍 전용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5 (주)금화전선 박병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6 알파디스플레이(주) 안동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7 (주) 덕신하우징 이수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8 필텍 김부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29 (주)삼화에이스 김학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0 (주)펠리테크 김종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1 (주)밀알제이앤피 서성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2 (주)휘일 유태승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3 (주)동성산업 임진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4 (주)아이피케이 박미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5 (주)에스비텍 허종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6 주식회사 노나텍 김봉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7 (주)에치엠알 홍명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8 (주)네오인플럭스 김지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39 (주)코스메카코리아 조임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0 (주)에스에이치테크놀로지 김장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1 서경팜(주) 성창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2 (주)우성에프앤티 구홍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3 (주) 뉴티스 주동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4 (주)탑드릴 김정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5 엔테크놀로지(주) 홍순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6 (주)대동아이텍 주동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7 청호나이스(주) 이석호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8 (주)메디트 장진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49 (주)득영 이성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0 동일정밀공업(주) 강인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1 (주)흥화 이시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2 유경제어(주) 이명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3 에이티아이(주) 안두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4 (주)스웨코 이경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5 (주)비에스오토파트 함훈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6 (주)경남무역 신종식 대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7 (주)글로벌신화 우인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8 대한특수금속(주) 조옥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59 (주)청풍산기 이배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0 (주)이츠웰 박효맹 대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1 (주)해성금속 노동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2 (주)에프엔지에스 박 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3 (주)신동아 김기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4 (주)퍼시픽하베스트 박도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5 (주)조향메탈 김판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6 (주)우원기계 조명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7 (주)엘리온 정태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8 (주)와이제이콥스메디칼 박채윤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69 신진정공(주) 김재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0 피티케이(주) 박기범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1 (주)하이로닉 이진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2 (주)일렘테크놀러지 박익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3 (주)와이에스테크 김윤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4 (주)정아유압 곽 창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5 (주)에이앰티 최종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6 세일피에스(주) 곽기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7 (주)녹원씨엔아이 최직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8 송암글로벌(주) 이성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79 마노주식회사 조규옥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0 (주)여수룬 김종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1 주식회사 성진트레이드 최경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2 (주) 세윤 황용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3 (주)브라운와이코리아 염태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4 (주)싸이닉스 이주봉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5 주식회사 비에프에스 이범열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6 (주)지코코리아 나윤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모 김승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8 미르특장 추병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89 (주)원일사 심의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0 주식회사 오토웰 심의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1 (주)일도교역 방찬종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2 주식회사 레이크머티리얼즈 김진동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3 (주)백조씽크 조화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4 주식회사광천김 김재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5 (주)알루폼스코리아 송영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6 태강자원 박종헌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7 (주)바로 임경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8 (주)엠엠티오토모티브 박해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699 (주)유스틸 이치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0 (주)이림전자 정재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1 주식회사 아린 심종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2 (주)동아이엔지 강병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3 한독기술(주) 심상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4 (주)한일오닉스 황윤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5 (주)아이커머 서정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6 에스아이티 이은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7 유진철강산업(주) 유재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8 (주)뉴트리바이오텍 권진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09 (주)신명유압 채성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0 (주) 울프 이상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1 (주)에스씨엘 이상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2 (주)동해기계항공 양창학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3 주식회사 한바다 김덕종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4 세종산업(주) 신요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5 동방전기공업(주) 양태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6 에이스기계(주) 이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7 주식회사필로시스 최인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8 부국철강(주) 이상학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19 (주)케이에이치라이텍 박태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0 대원케미칼주식회사 구자균, 박흥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1 (주)윌인코 김선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2 파이즈브라더즈(주) AHMAD FAIZ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3 (주)이레코리아 강석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4 포엔사 박지암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5 (주)애드테크 박기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6 화인폴리머주식회사 이철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7 (주)명산 김판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8 (주)우리수산 김장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29 (주)파라 권미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0 (주)라온코퍼레이션 강윤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1 (주)뉴프라임 차경숙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2 (주)크린랩 전기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3 (주)동남테크 유영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4 (주)아미코스메틱 이경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5 (주)코츠 김용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6 (주)동강금속 양일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7 (주)세양 박준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8 (주)성용하이테크 이한중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39 고려인삼연구(주) 신왕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0 에스와이패널(주) 홍영돈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1 (주)텐스틸 안태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2 (주)두림테크 이호경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3 (주)동림유화 서봉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4 (주)서울화장품 한광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5 주식회사 에스디케이 김동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6 (주)한남하이텍 최만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7 미래통상 추경옥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8 주식회사 윈텍스 고인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49 (주)아이에스켐 박우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0 에스피텍(주) 김종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1 (주)신진 문장화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2 세라테크 서원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3 (주)무진기연 조성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4 어업회사법인 제주수협유통 주식회사 양귀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5 (주)코미팜 문성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6 미래씰텍(주) 이충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7 (주)바넷앤컴퍼니 HIMANSHU.N.S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8 (주)디오도노 지숙희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59 (주)케이인터내셔날 이근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0 (주)제스코 이기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1 (주)다원시스 박선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2 (주)잇츠스킨 임병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3 (주)이지바이오 지원철 대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4 바다중공업(주) 김양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5 (주)미륭산업 김홍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6 (주)일품 호원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7 (주)칸인터내셔널 박의용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8 NR 지엔씨 진정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69 (주)에이패스 서재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0 (주)동일디자인 박민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1 주식회사 아모센스 김병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2 (주)플러스케미칼 박원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3 가람전자(주) 배수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4 우영유압(주) 채경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5 (주)덕성산업 이균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6 월드콤파운드(주) 강도형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7 전일기계공업(주) 전승훈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8 솔테크놀로지(주) 한한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79 세비아인터내셔널(주) 차상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0 (주)협동엔터프라이즈 이 월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1 (주)엔아이비 강황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2 주식회사 아이에스에이 김용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3 (주)씨넷 류윤기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4 (주)케이앤씨코퍼레이션 김정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5 하나머티리얼즈(주) 서원교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6 풍기인삼중앙회(주) 이증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7 파워카본테크놀로지(주) 서원배 대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8 지비엠주식회사 김정민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89 (주)신한세라믹 강성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0 고산티엠(주) 손병권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1 (주)지에이씨(GAC) 공조 김동룡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2 우주기전(주) 김민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3 에스시디디(주) 강병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4 (주)오리엔탈 검사개발 박세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5 한스틸파워텍(주) 한상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6 (주)고운세상코스메틱 안건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7 농업회사법인 아시아종묘(주) 류경오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8 광양의류산업 최재갑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799 (주)명지피앤피 김성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0 씨앤에이치인터내셔널(주) 최욱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1 (주)대우볼트 강희준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2 (주)제이씨에스몰드 전진오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3 (주)치팅코리아 최진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4 주식회사 인덕 김주현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5 (주) 에스엠티이엔지 이병상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6 세화레더(주) 오진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7 (주)코스탈파워 김의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8 제이원코리아 김병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09 (주)네오세라믹 장재봉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0 한국인삼한인홍 주식회사 임재화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1 (주)이노 진정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2 (주) 젠한국 이현자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3 (주)대성포장산업 김선광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4 에스제이이 주식회사 유호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5 GGM 이영식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6 주식회사앱스필 김동환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7 (주)엠시스 고남제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8 (주)맘모스제과 신영철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19 (주)동원홈푸드 신영수 중견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20 (주)디아테크 최태호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21 비비씨(주) 강연복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22 (주)스피덴트 안제모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23 (주)하나모터스 박병웅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24 (주) 동형티이엠 김진욱 중소기업 5백만불탑/무역의날 825 (주)나이스맥 박태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26 주식회사 이니텍 김종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27 삼경교역 김주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28 (주)로얄블루인터내셔날 김명준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29 (주)세미즈 김진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0 (주)대마 정재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1 (주)폴리텍스 김명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2 한보기공(주) 임종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3 (주)산성앨엔에스 김진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4 (주)에스엠이네트웍스 김동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5 주식회사 대상이엔지 강우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6 주식회사 디스 윤선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7 (주) 지에스디 최상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8 (주)NY 상사 최운학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39 (주)해탐테크놀로지 정일동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0 씨피켐(주) 김승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1 (주)윈텍 최경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2 (주)대동스프링 박두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3 민트메디칼 이윤자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4 (주)파사드인 김희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5 주식회사동일 정의권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6 (주)에스에프이 손호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7 (주)우리엔지니어링 이문효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8 (주)와이제이씨 배지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49 (주)탑아이엔디 이창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0 코스모스유니온(주) 신병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1 지에스볼트(주) 문하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2 (주)대현 신현균 중견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3 (주)천호테크 김정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4 한국동지무역(주) 이도형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5 승진전자산업(주) 박재범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6 (주)한세이엔시 김상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7 에스엘이엠씨(주) 김도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8 (주)판도라티비 김경익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59 유일에너테크(주) 정연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0 (주)준코퍼레이션 윤준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1 (주) 씨티이앤씨 전인학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2 주식회사 원재산업 정현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3 (주)쎄이텍인터내셔날 박석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4 (주)제이씨리소시즈 김현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5 (주)아이겐만테크놀로지 강준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6 주식회사 헌트피앤아이 박대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7 (주)디팜스테크 권오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8 고운전기(주) 이규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69 엠텍 백영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0 (주)부미랑코퍼레이션 신상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1 (주)엘디케이 임대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2 (주)파이크 백병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3 (주)광진기계 진용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4 신한네트웍스 주식회사 이호종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5 (주)메디엔인터내셔날 안판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6 (주)지티씨 이원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7 (주)니즈원 김상종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8 에스에스오트론(주) 신계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79 (주)광명이엔지 정윤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0 세화오토텍 김보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1 (주)에스엠케이 김도형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2 주식회사 파인에코 김현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3 (주)태영씨엔티 인재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4 케이케이글로벌(주) 이왕녕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5 주식회사 우딘 정운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6 (주)에이치엘옵틱스 김현국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7 이피코 송형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8 (주)더레즈무역 박성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89 (주)광명에스지 김원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0 (주)코스 최영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1 (주)위더스팩 전헌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2 (주)한성중공업 권오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3 (주)현대화이바 이영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4 (주)닥터스텍 김원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5 (주)제이디솔루션 제영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6 (주)삼신금속 강금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7 신성텍스타일주식회사 한용해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8 메카니칼토탈솔루션(주) 황광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899 (주)일진러버테크 권해극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0 우광교역(주) 김성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1 (주)에이에프씨 정찬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2 (주)에미리 ZHAO YUXI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3 승진산업(주) 정호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4 서울우유협동조합 송용헌 대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5 (주)케이앤케이 강원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6 (주)현대정밀 황대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7 퀄맥스시험기술(주) 최종국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8 삼건세기(주) 강정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09 (주)디에스티 박종대, 김대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0 에이치씨피 주식회사 성기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1 (주)헬리코리아 민경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2 액션스포츠이큅먼트코리아(주) 이상정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3 다원이엔지 우영관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4 주식회사 디오션 김경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5 디와이홀딩스(주) 여주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6 경도화학공업(주) 신철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7 (주)디케이엔지 김대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8 (주)케이피티 이재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19 신생공업(주) 신경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0 (주)창성에이스산업 이의용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1 (주)남도화학 김수웅, 김기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2 (주)다산중공업 강남국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3 (주) 클래시스 정성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4 세창엔터프라이즈(주) 이상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5 (주)뉴맨코포레이션 황승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6 (주)텍포러스 이재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7 성도케미칼(주) 박종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8 (주)헵스켐 최근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29 에스씨엘 이상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0 SMIS CORP 김명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1 에이치앤에스티공장 조원동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2 진양공업(주) 한영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3 (주)아이티메탈 BAEK HYUNG MYUNG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4 에스이에스티(주) 김만종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5 주식회사 나노엠에스이 이명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6 신창이엔지주식회사 윤흥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7 (주)성덕테크윈 정수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8 이에스글로벌주식회사 최상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39 (주)광산하이텍 김광향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0 시큐어플랫폼즈테크놀로지(주) 박동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1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이규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2 (주) 제이티 이상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3 한국엔오에프메탈코팅스(주) 김수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4 (주)신영 문철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5 (주)비앤에스미디어 백윤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6 주식회사 듀링플러스 이병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7 건영산업(주) 유덕술, 유영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8 (주)제이비피코리아 임홍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49 (주)경진금형 박조홍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0 글로벌마케팅네트웍스(주) 장영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1 (주)메디스 박지형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2 (주)휴먼전자엔씨 채기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3 피에이치지 주식회사 김종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4 영어조합법인 제주테우 김용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5 (주)폴앤와이 김영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6 (주)우창 김미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7 (주)인성피앤비 오혜경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8 씨아이즈(주) 최해용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59 (주)삼일폴리머 송영봉 대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0 (주)대한콜크 김영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1 (주)피비알케미칼 배진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2 (주)파란해 장경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3 (주)에이치더블유아이 안광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4 삼본무역 주식회사 이정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5 비엘테크(주) 배진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6 (주)21세기 김성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7 맨텍(주) 김기웅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8 (주)보명금속 홍수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69 (주)디에스코텍 이삼복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0 (주)한성지티 권형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1 (주)케이엠아이 김종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2 두루포징(주) 송양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3 (주)유진엠에스 은종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4 한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제훈 중견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5 (주)기민 류종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6 주식회사 코디에스 박찬중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7 우성진공기술(주) 이원종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8 (주)로터스인터내셔날컴퍼니 이정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79 (주)탑에이테크놀로지 김대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0 (주)거산기계 박용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1 (주)네오피엠씨 배민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2 엔엠텍코리아(주) 박철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3 (주)보부하이테크 왕동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4 (주)에이티에스 백경만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5 (주)엔씨켐 이창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6 원방드라이보드(주) 조재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7 (주)클래스원 이재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8 (주)클립컴 손종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89 지에스이하이테크(주) 전윤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0 아우트리거 김성해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1 명원(주) 이종윤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2 (주)대금지오웰 이승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3 주식회사 지오택 문성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4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이기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5 (주)디카팩 전영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6 (주)케이엔테크 김용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7 (주)비티비코리아 정동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8 라미화장품(주) 박혜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999 대진산업 임영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0 에인에이(주) 김현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1 (주)한샘디지텍 송상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2 (주)퀸-아트 황태옥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3 (주)한빛향료 김기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4 파미셀(주) 김현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5 S & M TECHNOLOGY 손형길 대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6 비디코리아(주) 장명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7 용원기계공업(주) 문형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8 엘앤피코스메틱(주) 박선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09 진우텍스 안덕준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0 (주)한국마린산업 박천만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1 (주)삼민산업 이해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2 (주)에스제이엔터프라이즈 김용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3 (주)드림테크놀로지 이미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4 (주)옵토웰 양계모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5 에스디코리아 주식회사 김점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6 (주)터보링크 하현천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7 태영산업 정영곤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8 l주l디케이에스코리아 양종덕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19 고려인삼과학(주) 이창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0 한국알루미나(주) 황태일 중견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1 (주)케이텍글로벌 채경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2 주식회사 에이시엠 무다사르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3 일진기계산업사 전광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4 큐덱스(주) 최태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5 주식회사 린도 송문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6 주식회사 유니퍼트 김영훈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7 (주)원인터내셔날 유병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8 농업회사법인(유)미와미 이완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29 아이러브뷰티 서동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0 (주)레드자이언트 엄제식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1 한국이엠(주) 이관섭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2 (주)서일 서강우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3 한국파이프콘베어(주) 이상만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4 (주)범양크린텍 안성원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5 (주)메닉스 이상수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6 (주)유라텍 신우철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7 대진산업 노홍일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8 (주)비알티코퍼레이션 신무호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39 (주)필코아 김승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0 (주)지엔에스이엔지 정원희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1 주식회사 케이제이씨 박정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2 (주)청우메디칼 이일권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3 (주)금우산기 정경효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4 (주)하드커널 이제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5 (주)대명크라샤 이태준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6 영진엘리베이터(주) 박유현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7 미즈온(주) 이동건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8 (주)박스코 김호성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49 경신아이텍컴퍼니 김종윤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50 (주)리오에프앤디 김재영 중소기업 3백만불탑/무역의날 1051 (주)비룡 이원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2 (주)제이알통상 김영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3 엔알텍(주) 남경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4 티티엠(주) 최유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5 (주)엠에스티 이동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6 영남기계 예인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7 신흥통상 서진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8 퓨쳐라이트주식회사 조성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59 씨에스앤피(주) 채준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0 반석정밀공업(주) 이승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1 (주)화신이앤비 선윤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2 주식회사 이엠넥스 최영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3 (주) 알엠테크 한문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4 세아씰텍(주) 김준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5 풍원상사 임미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6 (주)동양특수주강 이성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7 (주)비에스글로벌코리아 김윤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8 (주)벨룩스 박기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69 에이스팜홀딩스(주) 정영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0 동재오토테크(주) 이강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1 에스에스브이 주식회사 이광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2 원일 ENG 전영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3 (주)송산특수엘리베이터 김기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4 (주)동성 서길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5 (주)트레이드원상사 최혜령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6 태성정밀(주) 신순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7 (주)다원체어스 이규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8 대영전기(주) 백서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79 제일화학(주) 장동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0 수림산업(주) 오수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1 (주)동해기계항공 딘소에두와르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2 (주)현진테크 노종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3 (주)민진 기근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4 (주)네추럴에프앤피 문원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5 (주)비투케이 박성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6 신아솔루션코포레이션(주) 주윤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7 지덕산업 주식회사 정광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8 (주)파이프퀸 정경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89 (주)승창 박승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0 (주)지엔테크 이승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1 아이실리콘(주) 정서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2 (주)청우씨에프씨 한명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3 (주)코텍 황동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4 (주)씨리얼 김덕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5 (주)엔에스케미컬 김남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6 주식회사삼원에프앤씨 김한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7 대동산전주식회사 전해옥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8 주광TECH 주광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099 (주)에이치엠인터내셔날 송효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0 C&P 박경표, 박경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1 코젠코리아(주) 하교석, 코바야시요시아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2 아이씨이아이우방 주식회사 이정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3 (주)동신기계 박대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4 주식회사 알로드 이규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5 (주)제이앤씨 배천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6 (주)와우텍 이병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7 (주)두루셀텍 이준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8 (주)영일 이근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09 주식회사 엔텍에코뷰 최철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0 (주)솔라메이트 하창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1 (주)신진화학 문창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2 (주)농업과기술 안무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3 (주)영선알미늄 한영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4 바스코 주상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5 한국후지필터 주식회사 심일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6 (주)에스디케이 이동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7 에이치케이이엔지(주) 이민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8 유니테크 송치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19 (주)은창 박희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0 (주)HM금속 서홍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1 (주)현송 강희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2 싸토리우스코리아바이오텍(주) 김덕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3 (주)스타메드 신경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4 월드중공업(주) 손창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5 주식회사 유에이치텍 임지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6 비케이엔터프라이즈 김봉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7 (주)한성솔루텍 박병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8 (주)수연피엔제이시스템 국형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29 신아물산(주) 이우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0 (주)에스에이치이엔비 강선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1 (주)준코포레이션 정준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2 (주)윈하이텍 변천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3 (주)카르마코리아 조대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4 성광제약(주) 김동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5 (주)투에스글로벌 권순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6 (주)플로원 문철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7 컴박스테크놀러지 김철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8 (주)코렉스 이호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39 (주)한신인더스 박태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0 (주)모터월드 정석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1 비코즈트레이드(주) 이종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2 (주)에스엔에스에너지 김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3 호운상사(주) 김병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4 주식회사 와이에스티 고영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5 (주)탑프라 이승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6 (주)서도금속 이재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7 (주)우림 김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8 (주)스킨아리랑 임건화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49 (주)앤써 송달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0 (주)대동티엘 강동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1 (주)지티지코리아 김태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2 황도영어조합법인 장민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3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양승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4 (주)에스더블유글로벌 박영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5 주식회사 만상 박경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6 (주)에스지인터내셔널 구상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7 (주)에스브이씨 이영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8 우리테크 양재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59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박승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0 (주)한일텍스타일머신 강시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1 (주)신한기공 김영모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2 안동무역주식회사 최휴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3 (주)코카즈 정승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4 (주)해우 여인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5 (주)세현전자 지문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6 (주)포라시아 이철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7 한국컴퓨터재생센터(주) 구자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8 (주)부성엔지니어링 김경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69 주식회사 태익 정선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0 (주)한국미농 허만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1 (주) 솔테크 최혜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2 이레엔지니어링 윤정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3 (주)현기아(hyunkia co., ltd) 김광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4 (주)에스앤에이치코퍼레이션 서상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5 (주)세기씨앤에프 노은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6 (주)한빛단조 박정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7 (주)뷰테크코리아 김선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8 (주)디앤씨툴 서상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79 (주)금진 김진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0 (주)브이원텍 김선중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1 (주)듀만 방병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2 (주)디엔컴퍼니 윤재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3 씨티지글로벌(주) 정진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4 주식회사제이엘티 심익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5 (주)라파스 정도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6 (주)유케이비 김진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7 캐이플러스 오용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8 (주)용호 정세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89 (주)센텍 이응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0 (주)인성정보 원종윤 중견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1 신성압착단자 김준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2 에스케이아이 이상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3 경진부로아(주) 문재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4 대원인물(주) 최도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5 (주)한진전자산업 오을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6 (주)그린오션상사 손근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7 (주)트리코스 박미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8 (주)현대포장 박찬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199 (주)지에이치에프 박지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0 (주)렉스틸 김영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1 화성시스텍 (주) 김주송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2 (주)엠엘지컴텍 홍석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3 (주)도담엠에스 조재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4 한국기연(주) 박종남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5 (주)노바렉스 권석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6 에스엠오토모티브 장일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7 크래프트코리아 차주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8 매일식품(주) 오무, 오상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09 칼무역 이정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0 신성식품주식회사 신노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1 (주)우림 진선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2 이에스트레이딩 (주) 정은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3 UNIQUE CORPORATION Tassawar H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4 위더스코퍼레이션 김용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5 (주)이츠디스플레이 김남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6 (주)위캔글로벌 김준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7 제이산타피아 하갑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8 신영중전기(주) 김영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19 에스티제이슨(주) 박희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0 케이제이알로이(주) 김찬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1 주식회사 젝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문선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2 (주)라코 엄주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3 주식회사 명성 최용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4 (주)코닉스 윤정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5 (주)인스킨 권순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6 주식회사 부삼 김재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7 (주)옥서스 이태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8 (주)남창 남주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29 모비딕메로(주) 신상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0 주식회사 인선 강석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1 (주)글로벌텍 이원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2 (주)헤드라인 이호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3 (주)립멘 서윤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4 (주)엠티지 김동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5 (주)에스엔디파워닉스 최승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6 (주)에치디에스 김주흥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7 아바스트레이딩 ABBAS KHAN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8 (주)에픽시스템즈 이완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39 (주)우신모터스 조종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0 유승플랜트(주) 조현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1 (주)보성물산 고안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2 (주)에스비엔티 정태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3 (주)케이엔비코퍼레이션 이기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4 (주)대우전선 이영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5 (주)한동 이원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6 21세기메디칼(주) 신미향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7 한라 INC(주) 김동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8 경성인물 윤병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49 엠도글로벌(주) 장동슈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0 케어캠프(주) 김창현 대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1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박상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2 (주)신농 신광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3 (주)태성케이텍 김용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4 유일정공(주) 함강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5 코프마코리아(주) 염규승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6 미로브러쉬 최중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7 대진기계 곽노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8 (주) 애니룩스 고예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59 (주)대황 김향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0 (주)케미렉스 박진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1 (주)우성앤에프 배병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2 (주)청하기계 정석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3 (주)나비스트 안남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4 농업회사법인 (주)세화농산 송달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5 주식회사에이피피 강방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6 (주)엔에스브이 윤은중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7 (주)한성씨알에스 박태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8 (주)한길밸브 문성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69 (주) 우수컨버팅 김한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0 (주)우성금속 임종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1 성광기업(주) 최병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2 (주)에너테크 박훈양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3 (주)삼창 유철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4 서림수산 진석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5 제이앤제이(주) 정윤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6 현대공조(주) 남기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7 주식회사 에스엔피 박태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8 주식회사 세림물산 고종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79 주식회사 가나아이앤티 이상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0 (주)영풍씨엠씨 김달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1 페이웨이(주) 곽정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2 하이텍코리아 주식회사 배종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3 (주) 로보로보 장창남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4 (주)울타리 김영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5 (주)디에이케이코리아 안동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6 주식회사신흥기계 박정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7 (주)그린트레이딩코리아 최종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8 카이로 정춘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89 주식회사 티엔비트레이딩 최정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0 휴먼스화공(주) 송민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1 경인전자산업 이해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2 정수금속 강정남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3 티에스티(주) 고봉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4 (주)비비테크 성열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5 넥스트주식회사 신호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6 (주)한성비씨씨 정영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7 (주)로고스바이오시스템스 정연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8 주식회사 나노시스템 이형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299 (유) GEO코포레이션 권병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0 대하테크원(주) 황철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1 주식회사 지씨이 김윤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2 와이스틸(주) 정현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3 (주)윈하우스 곽재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4 (주)그린산업 조병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5 케스트다이아몬드(주) 민경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6 주식회사 제논 김한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7 동원정밀 정태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8 폰시스템(주) 최현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09 (주)티엠티엔지니어링 장세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0 오로라코리아주식회사 홍순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1 S. M TECH 전인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2 주식회사 에이스나노켐 이종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3 삼일식품(주) 전영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4 (주)케미랜드 이범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5 주)현민인터내셔날 지용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6 프로미스 주식회사 정문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7 신진메딕스(주) 이관행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8 영신열기공업(주) 이상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19 (주)디케이엠 김영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0 (주)드림텍 김홍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1 이큐맥슨제약(주) 김리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2 (주)이엘통상 최대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3 (주)디에스피 이삼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4 (주)삼원기연 최상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5 미정데코 이제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6 (주)피스코 김호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7 주식회사 드림티엔에스 주현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8 (주)디오시스엠엔엠 이동채외 1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29 정일정밀 정현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0 태멘테크 임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1 (주)유나켐상사 전재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2 (주)씨엠테크 김현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3 (주)모빅스 이인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4 동아소노텍(주) 장경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5 (주)상륜 김승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6 황도 김진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7 (주)신성테크놀로지 한형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8 (주)지엠피쥬얼리 정인환, 이상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39 리주월드 박인령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0 (주)한성냉열 정동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1 (주)에이치케이 이재봉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2 주식회사 에이치디 팩 임광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3 (주)위자드랩 정영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4 (주)오토시스 강성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5 삼원플라텍(주) 이나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6 (주)소야그린텍 박재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7 (주)링크무역 유가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8 디젤파트너스코리아 김봉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49 엠트리 주식회사 박세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0 (주)서로푸드 이윤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1 신광정보통신(주) 김종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2 피엠에스 배영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3 (주)글로벌푸드 허남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4 (주)케이디랩 이규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5 성경식품 이경수 외1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6 (주)맑은산 이재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7 (주)SY 이노베이션 조승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8 우진인터내셔날 구우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59 양산기공(주) 이문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0 (주)코라 장상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1 (주)성도엠씨 김교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2 (주)진원메디칼 김병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3 (주) DH전장 최윤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4 (주)디에이치아이 이태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5 (주)이엠에스 박남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6 지성전기공업사 김지홍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7 가이아인터내셔널 박정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8 율산기업 박재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69 동서기공 이태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0 (주)국제이엔지 김홍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1 (주)에스엔비지티 최신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2 (주)마코시스 박헌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3 (주)유창공조산업 유창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4 (주)헬스원 한상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5 (주)서울엔지니어링 박승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6 (주)영남메탈 김상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7 태경식품 이성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8 주식회사 네오크레마 김재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79 (주)태흥 주두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0 (주)케미즈 김성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1 (주)위마인터내셔널 장석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2 덕양폐차산업(주) 고화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3 (주)한특모터스 정봉화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4 (주)한얼싸이언스 심봉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5 (주)선인 이효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6 (주)리노아이엔티 김동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7 주식회사 진우정공 이영섭, 이원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8 (주)태극이엔텍 윤희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89 유일몰드텍(주) 유제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0 (주)정민통상 정준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1 제논전장(주) 김웅일, 조영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2 (주)그린환경 유재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3 구오기업 김한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4 (주)참케어 이동화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5 (주)큐알온텍 김종옥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6 주식회사 포켄스 구본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7 금영수산 조찬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8 수광산업(주) 이준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399 (주)매직픽스 임송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0 태성정공(주) 이기송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1 (주)성우산업 성창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2 (주) 유엠즈 조재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3 콤비 최승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4 (유)정원산업기계 장선옥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5 (주)비씨엘 권인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6 디젤서비스코리아 노영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7 데코마린 조정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8 삼일변압기(주) 안용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09 메디멕스코리아 최영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0 주)프리모오토모티브 노흥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1 (주)정광기업 윤순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2 금강티에스(주) 서상헌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3 피스인터내셔널 장대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4 인터아시아 주성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5 (주)앤에프인터네셔널 박은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6 신안통상 주민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7 (주)이노셈코리아 최운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8 (주)마크로인그레디언트 심우범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19 (주)이원켐텍 유창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0 (주)반석에스티씨 김위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1 제일 E.P.S. 금형 유영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2 현대 HEESPA 김근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3 쇼오에이물산 민영숙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4 (주)에이엠티솔루션 유원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5 (주)피케이엘앤에스 박성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6 (주)다윈프릭션 조정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7 (주)지맥스 송영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8 제일엠텍(주) 김해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29 용마산업 (주) 김철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0 (주)코리아후지팩킹 이종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1 (주)동원고려인삼 김수웅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2 (주)럭스랜드 김효성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3 실텍트레이딩 상재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4 윈윈체어마이스터코리아(주) 전재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5 하나조침 변용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6 디지피티앤아이(주) 박태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7 (주)엠투아이코퍼레이션 김정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8 태극엔지니어링 김학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39 (주) 카파아이엔티 손삼호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0 화인코(주) 임건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1 주식회사 동동수산 이제훈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2 (주)한스마린 한봉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3 (주)디아이씨 이현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4 코리아트(KoreArt) 김성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5 (주)테일러팜스 장기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6 삼일제약(주) 허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7 (주)디엠라이트 김동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8 미래기술 김시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49 신강수산영어조합법인 임수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0 에이엠코퍼레이션 은상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1 화성세탁기 고창오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2 유한실버 이주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3 대일몰드텍(주) 김낙영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4 (주)아이니 김미경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5 메닉스 박명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6 (주)제이티 김종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7 (주)스카이상사 김태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8 (주)카펠로스카이 이동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59 사우스폴 코퍼레이션 김경현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0 (주)코리아아이엔디 강현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1 삼일산업 조형석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2 (주)서일 채양묵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3 (주)웨이퍼펩 남성열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4 케이엠제이 주식회사 최희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5 (주)디지털후로 방극준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6 주식회사화인글로벌 김영모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7 (주)글로벌엔지니어링 신건섭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8 마음코퍼레이션 김윤정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69 미래SMT 하영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0 (주)신화코스메틱 김상용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1 (주)남양냉동식품 이금춘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2 교촌에프앤비(주) 권원강 중견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3 대한사료(주) 이상민 중견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4 대동고려삼(주) 최성근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5 (주) 아이펙 강승원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6 (주)비락 최성기 중견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7 (주)장자동화 김미희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8 아이케이지코리아 김인기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79 (주)오토마 김은광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80 (주)보스킨 장태순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1481 케이투레이저시스템(주) 김명수, 김영철 중소기업 1백만불탑/무역의날 Ⅲ. 주요수상자 공적내용 정부포상 수상자 공적내용 1. 한상범(韓相範) 금탑산업훈장/ 엘지디스플레이주식회사 사장 수출품목 : LCD. 반도체 수출실적 : 1,663,393만불(전년대비 -7%감소) 담 당 자 : 박미나(  02-3777-1984) 공적내용 상기인은 32년이상 IT핵심 부품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계에 종사하며 제품 및 장비 개발, 생산 공정, 영업/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를 모두 경험한 IT업계 최고의 전문가로, 볼모지였던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세계 1위로 성장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또한 현장에 소통을 더한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LG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확실한 글로벌 일등기업으로 자기매김하는데 공헌하였음 상기인은 2000년 초반 LG반도체에서 공정기술개발그룹을 이끌고 있던 당시 샤프 도시바 히타치 마쓰시타 등 주요 일본 기업들이 10년이상 앞서가고 있던 LCD시장에 구원투수로 투입되어 제품의 기술과 생산을 총괄하는 생산기술센터장, 패널센터장등을 역임하며 FPR3D, Oxide TFT를 적용한 WRGB OLED 등 디스플레이 분야 첨단 제품개발과 해외에 의존하던 주요 핵심장비들의 국산화를 위해 기여하였음 엔지니어 출신의 CEO로 제품의 기술개발부터 고객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전분야를 두루 섭렵한 전문가로서 95년 사업시작 당시 매출액 15억원 수준의 LG디스플레이가 2013년 27조 330억원의 매출액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2012년 1월 CEO취임 이후 디스플레이업계에서 전무후무한 9분기 연속 흑자행진이라는 성공신화를 만들어냄 또한 CEO로서 매년 약 3~4조원의 과감한 시설투자와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우수 R&D 인재채용, 그리고 협력사의 경쟁력이 곧 우리의 경쟁력이라는 신념을 바탕으로 협력사와 공동개발을 통한 장비 국산화, 협력사에 생산력 극대화 기술 및 경영기법 전수, 자금지원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협력사들과의 동반성장 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음 2. 허진수(許進秀) 금탑산업훈장/ 지에스칼텍스(주) 부회장 수출품목 : 석유 에너지수급 및 에너지 소외계층 지원, 수입선 다변화와 대규모 투자로 석유산업 발전과 무역수지 개선을 통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담 당 자 : 김명곤(  02-2005-6563)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6년 입사하여 29년째 지에스칼텍스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국제금융, 소매, 방향족 영업 및 중국지역 근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음. 이후 2001년 경영전략본부장, 2005년 생산본부장을 역임했으며, 2009년 석유화학사업본부장 겸 경영지원본부장을 거쳐 2012년 정유영업본부 및 경영지원본부를 총괄하였음. 이후 2013년에는 대표이사로 선임된 이후로는 품질향상 및 기술개발, 시설경쟁력 제고 등을 통하여 국제시장에서 높은 수출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함 석유제품을 국내 최대 수출 주력품목으로 육성하는데 기여함. 세계적 수준의 시설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수출증대를 추진한 결과, 지에서칼텍스는 `2011년 무역의 날`기념식에서 정유업계 최초 200억불을 수상한데 이어 다음해인 2012년에는 무역최고 등위인 250억불 수출탑을 수상하는데 기여함 석유제품 수출지역 다변화, 세계최고 수준의 기술과 제품의 품질은 자유무역협정(FTA) 등 시장상황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며 수출지역 다변화 전략과 도전적인 해외영업활동을 전개할 수 잇는 발판이 마련하였으며, 그 결과 현재 50여개국에 석유제품을 수출하고 있음. 특히 중국, 호주 등 거대한 소비시장이 밀집된 역내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의 수출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동시에, 수출지역 다변화 차원에서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가 및 북미 남미 유럽 및 아프리카 등 역외수출을 적극적으로 확대하는데 기여함 협력사와의 동반자적 관계를 바탕으로 상호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공정거래 4대 가이드라인 운영, 결제대금 현금지급, 납품단가 조정, 협력사 지원 등와 같은 협력사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다양한 상생협력 활동들을 실행하고 있음 3. 조순태(趙淳泰) 금탑산업훈장/ (주) 녹십자 사장 수출품목 : 백신 수출실적 : 16,707만불(전년대비 73%증가) 담 당 자 : 조재훈(  031-260-9236) 공적내용 상기인은 81년 12월 녹십자 공채 신입사원으로 입사, 탁월한 업무수행 능력을 인정받아 98년 영업본부장의 직책을 맡으며 녹십자 영업부문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였고 98년 3월 상무로 승진한 뒤 부사장을 거쳐 2010년이후 녹십자 사장으로서 대표이사직을 역임 중 연구개발 중심 경영을 통해 백신과 혈액제제 뿐만 아니라 희귀질환 치료제 등 국민건강에 꼭 필요한 신약개발에 앞장서며 국가보건에 기여함 녹십자는 지난 1983년에 세계 세번째 B형간형 백신 개발 성공을 시작으로 1988년 세계 치초 신증출혈열 백신, 1993년 세계 두 번째 수두백신, 2009년 국내 최초로 독감백신 및 신종플루백신을 개발하며 보건안보에 앞장서고 있음. 세계적인 혈액분획제제 및 유전자재조합제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세 번쨰 유전자재조합 혈우병A치료제인 `그린진 에프`를 개발했으며, 세계 두 번째로 희귀질환인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에 개발에 성공한 바 있음 특히 세계적인 독점을 깨고 지난 2012년 출시 `헌터라제`는 유사한 기전의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고가의약품의 국산화에 따른 국가 보험재정에 기여하고 있음. 또한, 이 질환 치료제의 선택권 확보 및 안정적인 공급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 현재 전세계 약 50여개국에 생학적 제제(백신, 핵액제제)를 수출하고 있으며,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전년대비 약 74%성장한 16,753만불을 수출하여 대한민국 의약품 수출증진에 기여하였음. 또한 2009년 국내 최초 계절 독감을 개발하여 이를 필두로 13년 말 범미보건기구의 의약품입찰에서 수두백신 1천 7백만달러 규모의 입찰 전량을 수주하는 등 백신수출을 확대하여 국가 의약산업 발전에 기여함 4. 양진석(梁珍錫) 금탑산업훈장/ (주)호원 대표이사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21,065만불(전년대비 66%증가) 담 당 자 : 김용근(  062-944-8311) 공적내용 상기인은 1992년 12월 광주광역시에 자동차 차체 부품 전문기업을 설립하여 수차례에 걸친 유상증자 및 외부투자자의 자본 참여 등으로 13년 말 자본금 138억이며, 끊임없는 기술 개발 및 품질 향상, 시설투자 등을 통하여 국내 최고 수준의 자동차 차체부품 업체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호원은 꾸준한 성장과 매출처 다각화를 통해 터키공장은 2011년 2천1백만불에서 2013년 3천3백만불로 매출규모가 크게 신장되었고, 향후 1년이내인 2015년에는 1억5백만불의 매출 물량이 확보되어 초기 해외진출 이후 5배이상의 괄목할 만한 성장실적이 예상되어 지며, 국내공장 수출 물량증대로 이어져 2011년 26백만불, 2012년 28백만불, 2013 65백만불 규모의 직수출 수출실적을 달성하는 등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상기인은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시행하여 자동차제조와 관련된 11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지속적으로 특허출원 2건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투자와 품질향상, 신시장 개척 등을 통해 품질 및 기술 경쟁력을 발판에 힘입어 현대기아자동차 협력업체 품질 평가지수에서 업체 최고등급인 품질 5스타 인증을 획득하여 산업발전에 기여함 상기인은 2007년 지역적인 매출 한계를 극복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통한 글로벌 부품 수출확대 및 미래성장 신 동력 확보를 목표로 하여 터키를 중심으로 한 유럽시장에 진출함에 기여함. 또한 2013년 5월 한-터키간 FTA가 본격 발효됨에 따라 터키시장에 세계 유수의 글로벌 자동차 MARER에 부품공급을 할 수 있는 중장기 글로벌 경쟁력을 구축함과 동시에 해외 신시장 진출을 통해 초기 시장을 선점함으로써 자동차 부품 수출 다각화와 수입대체효과를 크게 거둘 수 있을거라 예상되어짐 5. 강신영 (姜信英) 금탑산업훈장/ (주)흥아기연 대표이사 수출품목 : 포장기계 수출실적 : 31,160(전년대비 120%증가) 담 당 자 : 전호일(  032-680-7510) 공적내용 상기인은 1970년 12월 1일 창업후 1981년 7월 흥아기계을 설립하여 자동성형접착포장기제조업을 시작하였고, 1984년 국내시장 1위는 물론, 1992년 (주)흥아기연으로 법인전환하여 1998년 10월 한국포장기계협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할 당시 매출대비 수출 56%비중으로 두각을 보였으며, 2세대 승계로 2002년 대표이사로 취임하여 투명한 기업을 강조한 바 2004년 납세자의 날 철탑산업훈장을 받은 이후 몇차례 성실납세관련 수상실적이 있음 2012년 3월 경기도 산업혁신클러스터 협의회 연합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포장기계 업계 세계 5위의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여 70%이상 수출기업임 상기인은 2007년 실적이 전무하였던 중국시장의 경우 현지 밀착접근을 통해 현재 100억이상 하는시장으로 성장시켰음. 독일, 이탈리아의 경쟁업체들이 독식하였던 중국시장을 국내의 우수제품을 바탕으로 중국시장을 분석하여, 현지에서 고객과 소통하고 업체의 요구를 신속히 반영하여 중국시장에서 회사의 활로는 넓히고 입지를 굳혀 시장점유율을 60%이상 끌어 올리는 효과를 가져와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함 중남미시장 또한 제약생산기계 수출은 전무한 미개척 지역으로 수출자체가 없었던 불모지나 다름없었으나, 이러한 시장이 진정한 상권이 될 수 있다고 판단, 수출을 크게 확대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고 현지 관련업체에 대해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접촉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기 시작하여, 생산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우수성을 알리고 관심을 유도하는 방법 등으로 1년여이상의 시간과 노력을 들여 수출 불모지였던 중남미 시장에서 멕시코에 Bliste line 10여대를 팔아 한국 포장기계에 대한 우수성을 알리는 등 지속적으로 시장 확대하는데 기여함 6. 장인환(張仁煥) 은탑산업훈장/ (주) 포스코 대표이사 부사장 수출품목 : 철강 수출실적 : 1,109,252만불(전년대비 -4%감소) 담 당 자 : 오상원(  02-3457-0717)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1년 포항종합제철소에 입사하여 88년부터~93년까지 도쿄지점 주재원으로 근무하면서 일본 후지우라 물류센터 설립에 기여, 일본 철강회사의 선진 물류기법을 벤치마킹하여 일본내 철강제품 판매 기반을 확대하는데 기여하였으며, 98~01년도에는 방콩사무소장으로 근무하면서 동남아 최초 철강제품 가공센터 POSCO-TBPC 설립을 지원하였음. `01~06년도까지 자동차가전 수출 팀장/실장으로 근무, 06년부터 09년까지 냉연마케팅 담당임원으로 근무하였으며, 이 기간동안 해외 가공센터에 투자를 본격화함. 2013년부터는 탄소강사업본부/철강사업본부 대표이사 부사장으로 취임하게 되면서 생산조직인 양 제철소와 판매조직인 마케팅본부를 하나의 부문으로 개편하여 생산과 판매가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고객사에 더 나은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 제공을 하였음 안정적인 고수익 판매 인프라 강화를 위한 생산법인 및 가공센터을 구축하여 `08년 10개국 26개사에서 `14년 15개국 46개사로 확장되었음. 또한 중국, 베트남 브라질, 인도 등 해외 성장시장 선점을 위해 로컬 철강사와 전략적 제휴 및 합작투자를 실시하였음. 성장성이 우수한 7대 전략산업향 판매확대를 통한 국내 주요 수요산업의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노력한 결과 판매량이 `13년 1,631만톤에서 `14년 1,758만톤으로 늘어남. 또한 기술수익성 기반 World Premium 판매 확대로 차별화 경쟁력 강화시켜 판매량 `08년 1,615톤에서 `14년 10,161천톤으로 확대됨. 그 결과 경쟁밑 대비 우수한 제품 기술력을 기반으로 가격 경쟁력을 갖춘 제품으로서 국내 고객사 제품이 해외시장에서의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국가경제발전 및 산업발전에 기여함 7. 김경배(金京培) 은탑산업훈장/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수출품목 : 물류 해운업, 트레이딩, 선박사업 분야에 종사하면서 물류영역 확대를 통하여 새로운 수출 성장 동력을 마련하여 40억불의 수출을 달성하는 등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담 당 자 : 김병윤(  02-2054-8241) 공적내용 상기인은 1990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현대건설, 현대모비스, 현대자동차 그리고 현재 글로비스에 이르기까지 총 24년 8개월의 근무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력을 통해 쌓은 경영 전반엔 걸친 실무능력, 국제시장 정세 및 흐름에 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의 수출확대와 해외시장 진출에 역량을 발휘하였음. 상기인은 2009년 대표이사로 부임한 이후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의 수출실적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듭 2010년 14,072만불, 2011년 21,848만불, 2012년 30,476만불, 2013년 40,657만불을 달성하였음. KD부품 수출, 트레이딩, 완성차 및 화물 해상운송 사업을 통해 2000년대 후반부터 불어 닥친 세계 경제의 불황에도 매년 10억불이상 수출실적을 증대시켜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으로의 기반을 다지는데 기여함. 전주KD센터 구축을 통해 터키 칼산 및 중국 사천지역의 자동차 KD부품공급을 확대하는 등 KD사업을 통해 발주에서 포장, 운송은 물론 현지에서의 내륙 운송 및 보관, JIT납입 등 KD물류에 대한 종합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현지 공장생산성 향상에 기여, 아울러 중국, 인도 등 해외 부품 협력사로부터 부품을 수급하여 세계 각지 공장에 공급하는 글로벌 소싱의 도입을 통해 해외 현지공장의 원가 경쟁력 증대에 기여함 상기인의 노력으로 해외에 총 23개 해외법인은 2013년에 해외 현지 매출 25억 4,331만불(약 2조 7,850억원)을 달성하였고, 2014년 상반기에는 13억 6,177만불(약 1조 4,296억원)을 달성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북경 현대차 공장의 완성차 판매를 위해 북경 중도 글로비스 사업을 개시하였고, 유럽 브레머하펜 사무소를 설립하여 수출입 화물을 직접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사천글로비스 합자계약을 체결, 멕시코법인 설립 등 지속적으로 해외 시장 확대에 기여함 8. 강문철(姜文喆) 은탑산업훈장/ (주)일진 대표이사 수출품목 : 자동차 부품 수출실적 : 11,637만불(전년대비 26%증가) 담 당 자 : 차재우(  054-770-7412) 공적내용 상기인은 39년간 자동차 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30여년을 현대‧기아 자동차의 구매부서에서 근무하면서 새로운 부품업체의 발굴과 해외업체와의 기술제휴 지원을 통한 기술 자립기반 구축, 부품국산화를 통한 원가절감과 외화낭비의 방지, 부품업체의 해외진출지원 등에 기여, 2007년 일진 대표이사로 부임하여 고객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신시장, 신제품 개발결과 국내 샤시부품 점유율(70%)1위 업체로 도약하는데 기여함 일진은 1997년에 인도법인을 설립을 시작으로 2002년 중국 북경법인, 2005년 유럽 슬로바키아법인, 2012년 중국 염성법인 및 미국 그리어 공장을 설립하여 세계 각국에 수출하고 있음. CABJ아이템은 세계 최초로 개발된 기술로 그 기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1월 제 52주차 장영실상을 수상하였음 신시장, 신제품 개발에 노력한 결과 2011년 매출 1,843억원, 2012년 2,023억원, 2013년 2,185억원을 기록하여 지속 성장 중임. 해외법인은 2013년 매출기준 북경일진, 3,389억원, 일진인도 1,289억원, 일진슬로바키아 1,778억원, 일진미국 118억원 매출을 올려 ㈜일진을 포함하여 총 8,759억원의 매출을 달성함. 2013년에는 Chlysler사. TATA사 및 GM사에 Ball Joint, Door Checker, CABJ 제품을 295억원을 수주하였고, 4월에는 물류 자동창고를 신축하여 제조공간을 확보하고, 창고운영 전사시스템을 도입하여 선입선출 및 적정재고를 실시간으로 운영함 또한 매년 매출액의 5%이상을 지속적으로 설비‧투자하여 전공정 자동화를 구축하고 생산성 향상 뿐만 아니라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환경 오염물질을 감소시켜 녹색경영 실현함 9. 김홍규(金洪圭) 은탑산업훈장/ (주) 에스 에이치 팩 상무 수출품목 : 건설기계장비 수출실적 : 5,524만불(전년대비 79%증가) 담 당 자 : 조명제(  051-831-3838)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5년 2월 공업용 크롬 도금품을 수주‧생산하는 신흥멕기공업사에 입사하여 자동차 현가장치의 Shock Absorber 용 피스톤로드 생산을 시작으로 일본의 Fuji크롬과 기술제휴로 다각적으로 노력한 결과 상공부로부터 자동차 부품계열화에 지정되었고, 87년에 수출지게차 및 중장비용 유압실린더 로드 및 특장차용 실린더 Ass`y 개발 생산으로 매출 신장을 이루었고 2001년에는 부산소재 녹산 국가 산업단지내 녹산공장으로 신축 이전하여 실린더 제조전문공장으로서 토대를 마련하는데 일조를 하였으며 전사적자원관리(ERP)를 개발, 도입하여 현재까지 유지‧관리하고 있으며 2013년 SCM등을 추가 개발하여 제품생산에 기여함. 에스에이치팩은 일본에 한정하여 수출하였으나 2006년말 미국수출을 필두로 2014년 현재 미국, 일본, 유럽, 중국 등 세계각지에 수출을 하고 있으며, 수출규모도 2009년 5백만불, 2012년 1800만불, 2013년 3000만불, 2014년 5500만불의 실적을 달성하는데 생산, 구매자재, 전산, 개발 등에서 수장 또는 일원으로서 최선을 다하여 좋은결과를 도출하여 양질의 제품을 수출함으로써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상기인은 2006년말 미국수출을 하기위해 구매자재팀의 임원으로서 양질의 제품을 적기에 납품하기 위해 협력사들에 대한 지원 및 관리를 체계화하였고, 수입원자재의 국산화에도 열정을 가지고 임하여 소정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2008년 생산임원을 맡으면서 생산라인을 소형, 중형, 대형라인으로 분리하여 잡체인지를 보다 수월하게 했으며, 별도의 수출라인을 구성하여수출전선에 이실린더를 개발하여 건설장비 세계 1위업체인 캐타필라 및 JLG, ALTEC 등의 세계 유수의 건설장비업체 수출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함. 10. 이재형(李在亨) 은탑산업훈장/ (주) 대주기계 대표이사 수출품목 : 압축공기청정시스템부문 수출실적 : 4,490만불(전년대비 98%증가) 담 당 자 : 김준섭(  053-601-7012)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7년 Compressor 및 관련 장비를 전문으로 하는 (주)대주기계를 설립하였고,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매출을 바탕으로 1996년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으며, 현재 국내외 압축공기청정시스템부문 부동의 1위 기업으로 성장시켜왔음. 공장 자동화 설비와 각종 공정에 필수 동력원인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Air Compressor와 Air Cleening System을 제공하고 있으며, 맞춤형 용량 제어 시스템 공급을 통해 국내외 유수 기업의 제품 경쟁력 제고, 생산성 향상 및 비용절감에 기여함 대주기계의 주력 제품인 압축공기청정시스템(CDA System)분야에서 국내시장 약 35%, 세계시장 약 6%정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상기인은 이에 그치지 않고 해외시장개척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2013년 기준 매출액 560억원에 수출액은 420억으로 해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75%에 달해 외화획득에 기여함 또한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여 기술경쟁력을 확보 및 강화에 주력하였음. 기술개발의 노력은 고객사의 생산성 향상과 에너지 사용절감 기여로 나타났고, 에너지 사용절감을 통해 국가 산업 발전에도 기여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음 LG디스플레이의 경우 CDA System을 공급하여 3%이상의 수율 향상을 통한 월 450억원, 무중단 가동을 실현함으로써 월 17억원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달성함과 동시에 질소가스 사용량 70%를 개선하여 월 51억원의 운영비 절감을 달성하였음. 또한 특허 등록 33건, 실용신안 등록 3건 및 해외 특허 출원 1건을 포함하여 총 11건의 특허를 출원 중에 있음. 기술개발과 해외시장 개척활동을 바탕으로 전년대비 22,593천불에서 44,900천불 99%신장세 보였으며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11. 권영길(權英吉) 동탑산업훈장/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상무 수출품목 : 반도체 수출실적 : 1,262,493만불(전년대비 31%증가) 담 당 자 : 김세형(  02-3459-5428) 공적내용 상기인은 SK하이닉스에 28년 1개월 재직기간 동안 줄곧 반도체 수출업무에 종사하면서 반도체수출증대에 기여한 바가 크고 특히 08년 ~ 12년 상해법인 법인장 역임 13년~ 현재 대만법인 법인장으로서 중화권 수출 확대에 노력하여 국가수출 증대와 산업 발전에 기여하였음 세계 IT 시장의 중심이 된 중화권의 주요 IT고객인 Lenovo, Huawel Asuss, Acer HTC 및 모바일 신흥 기업 등의 고객 담당 및 기술 지원 등을 통해 고객별 특성 및 시장 트랜드를 사전에 파악 Time to Market 전략으로 고객과의 사업관계 뿐만 아니라 동반 협업 관계로 발전을 꾀하여 13년도 전체매출은 12년 29억불 대비48% 성장한 44억불을 달성하였음 또한 스마트폰 출시로 메모리 시장의 주요 구매 수요가 PC에서 Mobile DRAM으로 전환되어 이에 기존 PC 메모리에 치중된 산업을 Mobile 및 NAND 응용복합제품으로 확대를 추진하였음 연간 eMMC 매출 6억불 달성에 기여 14년초 대만지역 최초 128GB SSD제품 판매 CIS 제품 판매 전략으로 12년 2천 4백만불이던 매출을 13년 4천 9백만불로 확대 기여하였음 세계적인 PC OEM인 Asus Acer와의 전략적 공급 계약 체결 등을 통한 No.1 메모리 공급업체로 자리를 공고히 했으며 Nand 응용제품 판매 확대로 당사 전략 추진중 Asus와의 2013년 3억 5천만불 매출 달성하였고 Mobile DRAM 및 Nand Flash 판매 비중을 11년 4%에서 14년 39%수준까지 확대하였음 상기인은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사회 공헌활동 유도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 기여 및 현지 사회공헌 활동을 통한 한국 기업 문화 전파 및 현지화 정착에 크게 공헌하였음. 12. 조재용(趙宰庸) 동탑산업훈장/ 대산엠엠에이 주식회사 대표이사 수출품목 : 석유화학 수출실적 : 27,693만불(전년대비 75%증가) 담 당 자 : 김경림(  02-840-0911) 공적내용 상기인은 89년 현대석유화학에 입사하여 98년부터 중국 상해에 근무하면서 중국 시장 개척에 앞장섰으며, 현대석유화학이 호남석유화학에 인수된 이후에도 중국 가흥/상해 등에서 총 경리를 역임하며 2013년까지 약 15년간 석유화학 제품의 중국 판매 확장에 최전선에서 진두지휘 하였음. 이후 14년 대산 MMA의 대표이사로 역임하며 영업활동에 주력하여 수출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과 향상을 위해 힘쓰고 있음 대산 MMA의 주 제품인 MMA, MAA, PMMA, HEMA 등은 TV LCD, LED의 도광판의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HEMA의 경우 국내 사용량의 100% 모두 수입에 의존하던 것을 대산 MMA제품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13년 기준 수입에 대한 국내 수요를 대체한 금액은 2655억원임. 또한 대산 MMA의 PMMA 제품은 고도기술 세액감면을 받을 정도로 높은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으며, 이러한 높은 기술력을 통해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요한 원료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지속적인 가격 절감을 통해 LED TV의 보급화에 큰 공헌을 하였음 대산 MMA에 부임이후 가장 큰 수출처인 중국 거래처와의 관계를 돈독히 하고 고객과 밀접한 관계를 이끌어 왔고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대산 MMA는 국내 수요저하에도 불구하고 대외 수출을 통해 성장동력을 찾을 수 있었음 이로 인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11년 수출액은 610억원 12년 수출액은 875억원 13년에는 1945억으로서 매우 가파른 신장세를 보여 외화획득에 이바지함 13. 김영환(金榮煥) 동탑산업훈장/ 현대제철주식회사 부사장 수출품목 : 철강 수출실적 : 428,626만불(전년대비 42%증가) 담 당 자 : 황보배(  02-3464-6206)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4년 현대제철에 입사해 30년동안 해외 수출업무에 종사하면서 현대제철의 수출 확대와 해외 시장개척의 기반을 다졌고, 그 결과 회사가 명실상부한 세계 1위의 H형강 수출업체로 성장하는데 기여하였음. 국내 철강 경기의 부진으로 위기에 봉착했을 때마다 상기인은 해외 시장개척을 위해 노력한 결과 87년 H형강 공장 증설과 수출확대, 90년 스테인레스공장 신설과 시장 개척으로 한국산 스테인레스에 대한 위상 제고, 98년 IMF 당시 중화권 등 신흥시장 확보, 07년 이후 열연, 후판 등 신제품 수출 시장 개척 등에 기여함 87년 H형강 공장 신설 이후 수출담당으로 재직하면서 볼모지였던 H형강 해외시장을 국내 최초로 개척하였고 그 결과 H형강 세계 수출 1위, 연간 38개국을 대상으로 120만톤 수출이라는 성과를 달성하였음. 특히 신규격 개발을 통한 시장 주도형 수출로 전세계 철강업체 중 최고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였고, INCH H형강을 개발하여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시장에 신규 진입했고, 일본산 제품이 독점하고 있던 동남아 시장을 개척하는데 기여함 90년도에 스테인리스 냉연공장 건설에 맞춰 수출담당으로서 중국, 터키, 유럽 등 신시장을 개척하였고 특히 중국, 터키 등 스테인레스 불모지 개척에 전력투구해 전체 생산량의 30%이상을 수출하는데 성과를 달성하였음 이로 인해 그동안 일본산 중심인 해외시장에서 한국산 스테인레스를 전 세계를 알리고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함 상기인은 6개의 철강제품을 세계일류상품 반열에 올려놓았으며, 이중 H형강은 세계수출 1위라는 결과를 달성하였음. 세계일류상품 및 신시장 개척을 통하여 10여년 만에 800%성장한 40억불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14. 인귀승(印貴承) 동탑산업훈장/ (주) 코다코 대표이사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10,787만불(전년대비 39%증가) 담 당 자 : 오상호(  041-411-3145) 공적내용 상기인은 고등학교를 졸업 후, 대림자동차공업(주), 한국컴퓨터와 동양노즐공업에 재직하다가 1997년에 자동차 부품을 만드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회사인 (주)협성다이캐스팅을 설립하였으며, 2000년에 (주)코다코로 변경함과 동시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음. 회사 창립 초기에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을 이용한 자동차 소재부품 생산에 주력하여 Value Body, Ball/Roller 알루미늄 베어링 하우징, 다오차용 연로제어장치인 Solenoid 하우징 등을 개발하여 자동차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으며, 세계적인 자동차회사인인 미국의 Chrysler, Ford, GM의 자동차 부품을 생산, 공급하는 Borg Warner Automotive외에 다수의 국내외 고객에 수출하는 자동차부품 전문회사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국내 최초로 듀얼클러치트랜스미션 일체형 밸브바디 및 액츄에이터 바디를 개발하여 FIAAT에 공급하는 성과를 실현해 대내외적으로 기술력을 인정, 다종 부품을 한 개의 부품으로 모듈화하는 핵심기술 국산화에 성공하여 연간 60억원이상의 수입대체 효과를 달성하였을뿐만 아니라 동력전달장치인 핸들의 조향력 증대를 위한 Gear Box, Rack Housing을 개발, 상용화에 성공하였음. 또한 QS-9000인증와 ISO/TS-16949 품질시스템 인증서를 획득하여 해외시장 개척의 발판을 구축하는데 기여함 신기술 개발와 신제품 개발로 회사 창립 당시에는 매출액이 50억원 규모에 불과하였으나 2010년 매출액 1천억원을 돌파한 이후 2012년 처음으로 매출액 2천억원을 돌파하여 2913년에는 매출 2,182억원으로 매출실적을 달성하여 40배이상의 가파른 성장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15. 주재동(朱在東) 동탑산업훈장/ (주) 케이씨텍 대표이사 수출품목 :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장비 수출실적 : 13,732만불(전년대비 171%증가) 담 당 자 : 임재우(  031-670-8102) 공적내용 상기인은 30여년의 경력과 국내 장비산업의 침체 속에서도 공격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고객과의 공동개발을 주도하여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통한 매출 향상을 이끌어 내었으며, 수출활성화를 위한 해외네트워크 구축에 매진하였고, 또한 기업의 사업전략을 지식재산경영, 연구개발전략과 연계하여 실질적인 기업경영에 활용될 수 있게 하는 지식재산경영 플래닝 프로세스를 마련하였음. 케이씨텍은 1987년에 설립하여 2013년 12월말 현재 인원수 433명에 자본금 167억, 매출액 연결기준 2,841억, 별도기준 2,195억의 중견기업이며 Gas 캐비넷 설비를 시작으로 디스플레이, 반도체용 공정 장비를 생산하고 있으며, 해외 자회사 2곳과 곳의 해외고객대응센터를 통하여 a/s 및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있음. 현재는 중국, 대만, 싱가폴 등 중화권에 국한된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나, 시장개척단 파견, 해외전시회 참가. 해외잡지 게재, 해외인증 취득 등의 시장개척 활동을 진행하여 2013년 기준 매출액의 50%이상을 수출달성하고 있음 최근 3개년을 보면 11년 192백만불, 12년 115백만불, 13년 219백만불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며, 11년 44백만불, 12년 22백만불, 13년 110백만불의 수출을 달성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기술이 곧 경쟁력이라는 신념 아래 고객 맞춤형 신제품 개발과 품질 안정화에 힘썼으며, 매출의 13%이상을 R&D투자로 지출하며, 꾸준한 연구개발을 진행한 결과 국내 100%수입품이었던 반도체용 CMP(화학적 기계적 연마장치)개발을 성공하여 국내시장을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당사가 성장하는데 기여함 16. 박남옥(朴南玉) 동탑산업훈장/ (주)동보 상무이사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15,957만불(전년대비 23%증가) 담 당 자 : 이기출(  032-812-2357) 공적내용 상기인은 1976년 7월 1일에 경리직 사원으로 입사하여 현재는 재무, 회계, 금융 등을 담당하는 임원으로서, 대외적으로 1973년 1차 오일 쇼크, 1978년 2차오일 쇼크로 어려운 시기를 겪는 과정에서 회사의 살림살이를 도맡아 긴축 경영으로 난관을 극복하고 당사가 품질 유지를 위해 설비 및 기술력을 유지하는데 기여함 지속적인 설비 투자와 중장기 전략으로 신규 공장 설립을 추진해 왔고, cnc, mct 등의 자동차 부품 절삭가공에 필요한 기계설비의 신규 투자는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시켰으며, 2공장, 경주공장, 아산공장 등의 신규공장설립으로 매출신장과 수출증대에 기여함 상기인은 2022년 전사전 자원관리(ERP)시스템을 도입하면서 회계분야의 책임자로서 시스템이 안정화되고 정착될 수 있도록 Input 사항과 Output 사항을 일일이 점검하고, 이후 개선사항이나 보완 사항에 대해서는 전산팀에 개발 의뢰하여 회계분야 뿐만 아니라 생산, 인사노무 분야에서도 사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기여함 또한 당사가 2011년에는 IBK기업은행으로부터 수출강소기업 Plus 500에 선정되었고, 한국수출입은행으로부터 한국형 히든 챔피언 육성사업 대상기업을 선정, 또한 2010년 5천만불 수출의 탑, 2011년 7천만불 수출의 탑, 2012년 1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는데 일조하였음 17. 이상복(李相福) 동탑산업훈장/ (주)우조하이텍 대표이사 수출품목 : 폴리우레탄 수출실적 : 10,422만불(전년대비 250%증가) 담 당 자 : 어봉용(  043-853-7207) 공적내용 상기인은 사업 초기에 자본 및 생산인력, 생산설비 등의 제조기반 여건이 부족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를 적극적인 연구개발 및 우수한 기술인력 확보를 통해 극복하여 비록 규모는 작지만 안정된 품질의 제품으로 거래선을 확대하여 회사를 운영하던 중 (주)우조하이텍의 사업기반 확대를 통한 안정적인 생산, 공급을 위해 2010년 2월 충북 충주시 소재 첨단산업단지로 본사 및 공장을 신축 이전하여 공장이전 전 2009년 매출 54억원에서 2013년 347억원으로 4년간 540%이상의 매출신장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상기인은 2010년 5월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우수한 기술 인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2008년 한국원자력기술로부터 원자로 운반에 필요한 특수 단열 우레탄 폼에 대한 제품개발을 의뢰받는 등 매년 정부과제를 진행,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 등의 상당한 실적을 기록하여 국내 폴리우레탄시스템 원료의 개발 및 기술력 향상에 기여하였음 또한 폴리우레탄 폼 시스템으로 대체되는 기술을 개발하여 해외인증을 획득하였으며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일본 미쯔비시 LNG선박 탱크 보냉재를 연 3~4척이상 진행될 계획임. 또한 상기인은 지속적인 우수인력 확보 및 끊임없는 연구개발 등을 통해 고객사로부터 품질 및 기술력에 대한 인정을 받고 있으며, ISO9001 / 14001, 벤처기업 인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선정, NK인증 등의 각종 인등을 획득하는데 기여함. 직접 해외 신규거래선 개척 및 해외전시회 참관 등의 적극적인 해외 마케팅을 통해 전년도 수출실적이 297만불에서 당해연도 수출실적이 1천42만불의 수출실적을 기록하여 전년대비 250%이상 신장되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18. 황영철(黃永鐵) 동탑산업훈장/ 주식회사 네오씨티알 상무이사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5,588만불(전년대비 36%증가) 담 당 자 : 배지은(  055-520-0264)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3년 생산사원으로 (주)센트랄에 입사하여 31년이상 생산관리에 몸 담으며, 사원에서 이사를 거치고 (주)센트랄에서 Aftermarket 수출 전문 법인 (주)네오씨티알을 설립함과 동시에 상무이사(공장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31년동안 센트랄 그룹에서 쌓은 업무 능력과 현장 경험,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규법인 (주)네오씨티알의 생산기반 확립에 앞장서며 설립 초년도 80억 수출달성을 2012년 650억, 2013년 860억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2011년 4월 자본금 40억으로 시작한 (주)네오씨티알은 순수 Aftermarket수출을 전문으로 설립된 신규 법인이며, 설립 초년도 80억 수출을 시작으로 2012년 650억 2013년 860억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당해연도 1000억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음. 3000여이상 다품종 소량 생산이라는 Aftermarket 시장의 생산 악조건 속에서도 혁신적인 생산 System을 확립하여 전세계 300명 바이어에 90%이상 적시에 제품을 공급함으로서 CTR의 세계속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또한 다품종 소량생산임에도 적절한 생산sytem도입으로 인해 수출은 매년 증대할 것으로 예상되어짐. 매년 생산 및 매출신장 40%를 목표로 2015년 매출 1400억, 2016년 매출 2000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현재 생산라인 능력에 안주하지 않고 신규 라인 증설 및 재고 관리 등에도 힘쓴결과 매달 120만개 생산, 공급중인 능력을 2015년 150만개, 2016년 200만개 공급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여함 19. 한웅(韓雄) 동탑산업훈장/ (주) 한영산업 대표이사 수출품목 : 해양플랜트 수출실적 : 3,594만불(전년대비 455%증가) 담 당 자 : 정민주(  061-469-0791) 공적내용 상기인은 대표이사로 부임 후 한영산업이 대형 철구조물의 제작, 가공, 조립, 포장, 이동, 선적까지 One-stop System을 구축하였으며, 세계 최고 기업들과의 원활한 입출항 조건을 갖추어 한영산업만의 Load Out System으로 제작장에서 반출되어 항만에서 이루어지는 대조립으로 공기 단축을 하며, 차별화된 품질로서 해상운송에 적합한 접안시설의 여건을 갖추고 있어 최적의 입지여건, 물류비용 절감효과, 공사기간의 단축, 최고의 품질 및 안전확보 등 기술력 및 시설유치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생산성 향상을 통하여 국가발전에 기여함 (주)한영산업은 조선블록, 해양구조물, 산업용 운반기계 및 플랜트를 전문적으로 생산하여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고용 창출을 통한 경제에 기여함과 더불어 건실한 기업을 자리매김하였으며, 국내시장와 조선업계 시장악화로 해외시장으로 관심을 돌려 여러 건의 해외공사를 진행함으로써 활로를 개척함 2012년 10월에는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여, 당사의 신성장 동력사업이 될 풍력타워 개발 프로젝트 및 해양 플랜트 기자재 개발 프로젝트 진행 등의 기업 R&D 활동에 지원하며,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서를 취득하였음 위와 같은 노력으로 2011년 조선블럭 5,738천불, 2011년 9월 호주 BMA/벡텔사의 Shiploader 신규 프로젝트 9,030천불 수주 등 간접수출로 경제발전에 기여함 해외시장 개척을 위하여 서울사무소를 개설하여 해외 마케팅 및 홍보활동으로 개척활동에 힘써왔으며 미국기계학회에서 주관하는 ASME STAMP(고압탱크 제작을 위한 인증서)를 취득하였으며, 이로 인해 기술력 향상에 기여함 20. 김진용(金鎭瑢) 철탑산업훈장/ 주식회사 케이피씨 대표이사 수출품목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수출실적 : 1,716만불(전년대비 166%증가) 담 당 자 : 임성기(  031-343-6021) 공적내용 상기인은 1997년 5월에 입사하여 정전척(EXC)와 가스분산전극의 국내기술로 개발하는데 기여하였으며, 1998년 전자동 세정기의 개발에 기여하였음. 2002년 반도체 기술향상에 기여하여 국무총리 표창장을 수상하였으며, 2005년 LCD용 세정장비의 높은 기술력과 경쟁력을 통한 세계 일류상품에 선정되는데 기여하였음. 상기인은 대표이사로 취임 이후 2012년 4월부터 2013년 3월 지속적인 연구개발 활동의 결과로 주 제품인 IR OVEN의 제조기술에 관련된 히터방열판의 국산화를 이루어냈으며, 국산활동을 통한 매년 약 4억에 달하는 일본 수입 방열판을 국내 기술로 제작하여 중국으로 IR OVEN 수출향상에 기여함. 중국진출의 영업을 강화하기 위해 2015년 중국 현지 C/S활동을 위한 지사의 설립을 추진‧계획하는 등 향후 거대한 중국시장 진출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계획 중임. 또한 부설연구소 운영을 지원하여 특허등록 27건, 출원 8건 등 총 35건의 기술관련 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품질, 환경, 안전 향상을 위한 ISO 9001&14001, KOSHA 18001 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여 운영하고 있음, 또한 제품의 중국시장 진출 품목에 대하여 CE MARK를 획득하여 품질 & 안전인증을 구축하였으며, 2011년부터 국내 판매 품목에 대하여 약 200건에 달하는 위험기계안전인증 및 S-MARK 안전인증 등 제품에 대한 품질, 안전에 대하여 고려하여 판매중임. 그 결과 취임이후 매출액은 2011년 약 231억, 2012년 168억 2013년 327억으로 증가하였으며, 2013년에는 최대매출과 함께 최대 수출실적 17백만불을 달성하였음. 21. 박치상(朴治相) 철탑산업훈장/ 현대중공업 (주) 기장 수출품목 : 선박 수출실적 : 1,696,845만불(전년대비 54%증가) 담 당 자 : 장효진(  052-203-2148)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5년 입사이후 선박내의 기장관철 분야를 담당하였으며, 1993년 생산조장으로 근무하면서 다양한 선종에서의 실력을 인정받아 1994년에 우수사원상을 수상하였음. 2003년 생산반장으로 직책을 맡으면서 기장관철 업무에서 다양한 방면으로 가장 빠르고 품질 높은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 납기 준수에 대한 이미지 제고에 기여함 대형PE를 하면서 해당구역의 PACKAGE UNIT 제작의 효율화를 위한 표준서를 정립하여 사외업체의 제작능력 향상에 기여하였고, 제작단계에서 사외업체를 방문하여 설계상의 문제점, 생산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설계단계에서 검토가 불가한 선주 코멘트 사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인도시점에 발생할 수 있는 작동상의 문제점, 진동보강 등을 사전에 피드백하여 선박의 적기 인도에 기여함. 10,000TEU이상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시에 고질적인 문제가 되어오던 PACKAGE UNIT의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해 제작중인 업체를 수시로 방문하여 문제가 되는 다양한 사례를 해결하는데 앞장서 품질 향상 및 업체의 제작능력 향상에 기여하였음. 특히나 업체에서 제작한 UNIT의 문제점에 대해서 해결책을 제시하고 업체 작업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전체적인 품질향상 및 공기 절감에 기여함 또한 선박 건조시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작업 및 반복되는 작업을 최소화 하기 위한 다양한 개선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AIR INTAKE JOINT 방식개선, EXH, GAS BLOWER UNIT 설치방식을 개선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달성하였고, 드릴선에서 반복되고 있는 스트레이너에 알류미늄이 고착되어 펌프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 새로운 타입의 스트레이너적용과 용해를 쉽게하는 화학약품의 개발에 참여하여 실제 고착되는 물질의 샘플 채취 및 작업 주기 등의 정보를 연구소 측에 피드백하여 선박의 품질 향상에 기여함 22. 조석래(趙錫來) 철탑산업훈장/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대표이사 수출품목 : LED 수출실적 : 3,539만불(전년대비 282%증가) 담 당 자 : 박재홍(  062-958-2713) 공적내용 상기인은 2013년 취임한 이래 전략사업으로 부상한 LED 모듈사업의 특화를 위하여 기존 장성지역에서 LED모듈 부문만을 광주로 이전하여, 생산 및 품질의 안정화함으로써 LED모듈사업의 역량을 강화하였음 더불어 해외시장의 판매확대를 위해 중국 천진에 제조‧판매 법인을 설립함으로써 그 기반을 다지는데 기여하였음 또한 대외적으로 관세청이 주관한 FTA 활용 성공사례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음 백열 램프사업부문의 경우 세계적으로 공용화된 제품으로 창사이래 일본을 시작으로 꾸준히 성장세를 기록하여 현재에는 약 15개국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수출 실적 또한 2011년 천만불을 초과하여 2013년 현재에는 백열 램프시장의 둔화세에도 불구하고 인도 412만불을 비롯하여 유럽지역 141만불 등 천만불을 초과 달성하는데 기여함. 더불어 GLOBAL CAR MAKER공급을 위한 아이템별 품범 등록이 확대됨에 따라 향후 지속적인 수출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음. LED모듈시장에서 후발주자였던 금호에이치티는 2009년 LED모듈사업을 본격화하면서 적극적인 시설투자와 함께 당시 12명에 불과했던 연구 인력을 현재는 39명으로 증원함으로써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총 8건의 특허와 5건의 다자인 등록을 완료하였으며, 추가로 6건의 특허를 출원 중에 있음. 또한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최하는 총 5건의 국책 과제를 수행 완료 및 성공하여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함 23. 박은관(朴殷寬) 철탑산업훈장/ (주) 시몬느 대표이사 수출품목 : 핸드백 수출실적 : 50,497만불(전년대비 25%증가) 담 당 자 : 박종원(  031-420-0312) 공적내용 상기인은 명품핸드백 시장진출을 위해 1987년 자본금 1억원에 15명의 직원으로 설립하여 1980년대 후반 OEM저가 제품제조로 형성되었던 아시아 제조시장에 고가의 디자이너 명품핸드백을 유도 및 착근시키고, 현재 국내 3개법인과 3개 국가, 5개생산 현지법인에 312명의 한국직원과 2만5천여명의 현지직원으로 안정적인 생산능력, 우수한 제품품질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여 미국 명품핸드백의 ODM 시장점유율 25~30%차지하는 세계 1위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였음 회사의 창립 당시, 봉제업은 전반적으로 사양산업의 길로 접어들고 있었고, 국내 핸드백 제조업은 저가품 수출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해외시장에서 가격경쟁력 이외에 지속적인 경쟁력을 가지기 힘든 상황이었음, 그러나 설립 초기부터 당시 국내 핸드백 시장의 추세를 따르지 않고 고가품 위주의 수출전략으로 세계시장 개척에 힘써왔음. 초기 시장 진출을 OEM으로 시작하였지만, 1990년대 중국 공장 및 인도네시아공장을 설립하면서 제조자 개발 생산 방식인 ODM 방식을 시작 및 체계화시킴으로써 지속적인 부가가치 창출로 고성장, 고부가가치 패션산업으로 전환시켰음 또한 2000년 초 중반까지 유럽 명품 브랜드인 LVHM와의 거래 계약, 25개 브랜드들의 제품 공급을 통한 시장확대로 성장기조를 유지하였고, 핸드백 연구개발 기능을 한국 본사에 집중하여 제품 및 소재개발 및 기획기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였으며, 생산은 중국, 인도네시아, 그리고 베트남으로 생산법인을 확장 및 이전 등 국가적 경쟁우위 요소를 통해 품질경쟁력과 가격경쟁력을 해외시장의 눈높이에 맞춤으로 12년 6월말 기준 53천만달러, 13년 6월말 기준 70천만달러, 14년 6월말 기준 87천만달러 수출매출을 시현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24. 이찬구(李燦求) 철탑산업훈장/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전무이사 수출품목 : 포장재 수출실적 : 3,291만불(전년대비 18%증가) 담 당 자 : 장경화(  031-463-4177)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2년 평사원으로 입사 이후 회사의 인사관리 및 재무관리 담당임원을 겸임하였으며, 회사의 법인전환 업무를 총괄하며 경영관리 담당임원으로 재직 현재까지 32년동안 재직하면서 인사관리, 재무관리, 영업관리 등 경영전반에 기여하였으며, 신제품 개발 및 품질관리 병행으로 회사가 국내외 연포장시장에서 실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레토르트 파우치, 스파우트 파우치 및 각종 유연 식품 포장재와 특수 방습 방청 포장재를 생산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도 철저한 품질관리로 그 수요를 충족시켜주고 있으며. 월간 4억 2천만장 이상의 순수 자체 생산 능력을 갖춘 최고수준의 레토르트 파우치 설비와 사파우트 파우치 설비, 동종업계 최고의 시험설비, 이를 통하여 생산된 제품들은 전수 검사를 통한 철저한 품질 관리와 끊임없는 기술개발 및 품질 개선 등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는데 기여함 국산화에 성공하여 방산물자로 지정될 정도로 레토르트 포장재 생산기술을 인정받았으나 식품 및 제과 대기업의 연포장기업 수직계열화로 국내시장에서의 성장에 한계를 느껴 해외시장 개척에 노력하였으며, 해외 식품기업에 레토르트 포장재 공급한 이래 기술력을 인정받아 하인즈, 델몬트, 네슬레 등에 메이져기업에 공급을 하여 기여하였음 또한 회사가 법인전환 업무를 총관 관리하여 회사가 수출주도형기업으로 비약적인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한국수출보험공사를 통한 환변도보험에 가입하여 환차손을 최소화 함에 따라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기여함 25. 이금재(李金載) 철탑산업훈장/ 신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장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5,075만불(전년대비 109%증가) 담 당 자 : 이병재(  041-422-2021)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8년 국내 최초의 자동차프레스금형을 전문 제작하는 기업에 창립초기 사원으로 입사하여 합작사인 일본 금형업체의 선진기술의 습득을 위한 부단한 노력을 통하여 국내 자동차 프레스금형 제조의 선두 주자로서 우뚝 서는데 앞장섰으며, 생산직 간부인 조장, 반장, 직장을 거쳐 현재 생산부장으로 근무하면서, 현재까지 26년동안 자동차용 프레스외판금형 제조부문에서 국내 최고의 기술을 가진 장인으로 성장함은 물론 40회 5백만불탑, 45회 1천만불탑, 49회 2천만불탑 등을 수상 후 불과 2년만에 수출실적 5천만불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상기인은 생산라인의 일일 점검 및 주간, 월간 점검을 통한 개선점 파악 및 개선을 실시하고, 팀원들의 분임조 활동을 제안, 실행하여 생산력 증대를 도모하였으며, 생산계획을 통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공정관리로 생산력 향상을 유도하였음 또한 지속적인 생산공정 개선과 피드백을 통한 원가절감 및 생산량 증대로 매출증대에 기여하고 나아가 대고객 만족과 감동을 이루어 신뢰도 향상에 기여함 또한 현장직원들의 안전과 건강에 관심을 크게 가져 안전보호구 착용을 솔선수범하였으며, 프레스계단 미끄럼 방지테이프부착, 철판에 의한 베임을 막기 위한 손목보호대 지급 등 안전생활화에 앞장서 안전한 일터조성에 기여함 상기인은 생산팀의 수장으로서 신입사원 및 직무 재 배치자에 대한 생산 실무교육을 전담하여 인력의 고부가가치화는 물론 금형 생산기술 선진화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공장혁신운동으로 3정 5S활동과 현장작업자의 아이디어를 제안제도로 흡수하여 지난 3년간 50여건의 개선 제안에 대한 검토 분석에 따른 시행으로 공정의 간소화하여 생산성과 품질 향상에 기여함 26. 이구진(李邱鎭) 철탑산업훈장/ (주)동보 계장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15,957만불(전년대비 23%증가) 담 당 자 : 이기출(  032-812-2357)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9년에 생산직 사원으로 입사하여 25년이상을 자동차 엔진 및 변속기 부품의 절삭가공분야에서 순련된 기능인으로 성장, 현재는 생산부 생산 3계의 책임자로서 리더십과 품질개선 및 원가절감에 매진하고 있음. 또한 생산현장에서 CNC, MCT 등의 절삭가공 기계 설비를 통해 자동차 부품을 생산해 오면서 절삭가공 기술에 대한 전문역량을 습득하여 품질향상과 생산성 증대에 기여함 생산성 향상과 업무 개선을 위해 제안을 생활화하여 작업방법개선, 품질향상, 작업환경개선 에너지 절감, 안전개선 등의 제안을 지금까지 100건이상 제출하여 1.7억의 원가절감을 유형효과로 가져왔으며, 공정개선, 생산성 향상을 위한 문제점 발생시 적극적인 사고로 대응하고 항상 도전하는 자세를 갖추고 있음. 지속적인 개선과 회사의 성장을 위해 25년간 분위조 활동으로 2.4억의 원가절감을 가져왔고, ISO/TS1949 품질경영시스템, 환경경영시스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에도 공장환경개선과 혁신을 통해 기여함 수년간의 경험과 노하우로 전문성을 확보, 기술역량을 갖췄으며 고객사 A/S제품에 대한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납기 준수 대처 능력이 탁월하여 고객 만족도 향상 실현함. 또한 25년동안 자동차 부품 생산에 전념해 오면서 직접 수출 제품 및 로컬을 통한 간접수출제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여 수출증대 및 품질향상,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0년도 수출을 시작으로 2010년 5천만불 탑, 2011년 7천만불 탑 2012년 1억불 탑을 수상하는데 기여함 27. 문성준(文聖畯) 철탑산업훈장/ (주) 에이치비테크놀러지 대표이사 수출품목 : LCD부품 수출실적 : 10,646만불(전년대비 520%증가) 담 당 자 : 김태영(  041-532-730) 공적내용 상기인은 LCD 부품업계 CEO로서, 삼성, 제이피 모간 체이스 은행. 튜브인베스트먼트 등 기업경영에 관한 경력을 쌓아 에이치비테크놀러지 대표이사로 부임이후 관련부품, 장비부분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산업의 수직계열화 및 해외시장 개척으로 1억불이상 수출실적을 달성하는 등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당사는 세계 최대크기 도광판 레이져패터닝 가공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도광판 압출 → 경면가공 → 레이져가공 공정을 수직계열화하여, 공정간 시너지효과를 통해 삼성전자의 핵심 협력업체로 성장하였으며, 2002년 국내 최초 5세대 LCD용 AOI장비를 개발, 2002년, 2004년에는 대만 Innolux, AUO 등에 장비 공급을 하였음. 2010년 SUB Micro AOI을 세계 최초로 개발, AMOLED 양산용 IN Line AOI 세계 최초 개발 등 현재 AMOLED 양산업체의 최대 공급자로써 디스플레이 장비업계의 선두주자로 확고함 자리매김을 하였으며, 디스플레이산업에 기여함 상기인은 장비 및 기술개발을 통하여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서 중국, 일본 등의 지역에서 지역 에이젠트와 계약을 체결, 해외시장 매출 증대를 위해 노력해왔고, 중국 소주시에 2014년 설립을 계획중이며, 이를 통하여 마케팅활동에 집중할 계획. 그간 해외시장 개척활동의 결과로 당해연도 1억불이라는 수출실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또한 협력업체와의 동반서장을 위해 주기적으로 협력업체와의 간담회를 개최, 협력업체의 애로사항이나 당사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검토, 반영하여 지원하여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함. 28. 박금성(朴錦成) 철탑산업훈장/ (주)영우디에스피 대표이사 수출품목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수출실적 : 2,289만불(전년대비 435%증가) 담 당 자 : 김영주(  031-322-4871) 공적내용 상기인은 서울인덕대학 기계설계학과 출신으로 미래산업 기술연구소에 입사하여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장비 개발업무를 수행하면서 산업흐름에 대한 이해와 기술적 경험을 쌓고 이후 2004년 2월 16일 영우디에스피를 설립하였음. 기술성과 사업성을 인정받아 창업투자회사로부터 투자유치에 성공하였으며, 안정적인 자금을 기반으로 하여 기술개발에 전념하였고 그 결과 수입에 의존하던 디스플레이 장비를 대체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국등지에 수출하는데 기여함 산업트랜드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메카트로닉스에 대한 오랜 경력을 지닌 상기인은 고객사의 기술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장비를 제공함으로써, 당사의 성장와 장비국산화에 기여하였음. 또한 LCD에 이은 OLED의 성공적 진입뿐만 아니라 산업의 트랜드가 LCD에서 첨단 OLED로 중심이동 할 때 기술개발에 매진한 결과 OLED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는데 기여하였음 또한 신속하면서도 고객이 원하는 품질관리를 적시에 하기 위하여 중국에 현지 사무소를 설치 운영 중에 있으며, 현지에서 채용된 직원과 국내파견 연구원이 함께하고 있음. 또한 해외시장 진출확대를 위해 일본과 대만으로 확대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음. 그 결과 전년대비 4.2백만불에서 22백만불로 435%의 신장세를 보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29. 권동혁(權東赫) 철탑산업훈장/ (주) 신안천사김 대표이사 수출품목 : 김 수출실적 : 2,516만불(전년대비 458%증가) 담 당 자 : 하용식(  061-246-7312) 공적내용 상기인은 2012년 3월 자본금 5억원으로 (주)신안천사김을 설립하였음 2013년 3월 공장신축 및 가동, 전통식품인 김을 가공하여, 2013년 미국 3백4십만불, 캐나다 42만불 수출 3백만불 수출의탑을 수상하였으며, 2014년 현재 미국 1천9백만불, 캐나다 4백5십만불, 영국 32만불, 멕시코 18만불로 25백만불을 달성하는데 기여함. 조미김 외에 김밥김과 김자반으로 품목을 확대하고 미국과 캐나다 외에 영국, 멕시코로 수출국가를 확대하였으며 세계적인 식품으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USDA, NOP인증을 취득하고, Kosher 인증을 신청하고 매년 SGS HACCP 인증 갱신을 통해 생산설비와 생산기술의 품질을 확보하는데 기여함 김유통업을 시작으로 건강식품으로서의 김의 가치와 가공식품으로의 맛과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가공공장의 기계설비를 식품회사와 함께 제작 및 협의하며 시너지 효과를 이루었으며, 일찍이 국내시장이 아닌 해외시장에서의 품질인증과 기호를 파악하여 인증을 취득하였고, 해외전시회 및 박람회에 참가하여 해외시장을 점차적으로 확대하였음. 원재료의 확보에 유리한 곳에 2013년 식품공장을 완공하여 지역의 경제 발전과 고용창출에 기여하고, 안정적인 품질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유통망을 확보한 COSTCO WHOLESALE에 납품을 통해 국내 식품가공기술의 품질과 안정성을 인정받고, 전통식품인 김을 세계적인 건강식품으로 인식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음. 30. 김화동(金華東) 석탑산업훈장/ 한국조폐공사 사장 수출품목 : 화폐 수출실적 : 5,030만불(전년대비 17%증가) 담 당 자 : 김현진(  042-870-1172) 공적내용 상기인은 취임 후 5만원권 발행과 더불어 디지털 스마트 결제 확산이라는 시대적 변화 속에 주력사업인 화폐사업이 축소되면서 사업의 근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새로운 성장엔진 발굴, 신시장 개척과 신기술 개발이라는 방향을 설정, 해외 수출을 위해 노력함. 한국조폐공사는 1970년 처음 수출을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전 세계 30여개국에 주화, 은행권, 은행권 용지, 여권, NID카드, 특수잉크, 안료, 기념주화, 메달 등을 수출, 약 4억 5천불의 외화를 획득하였음. 또한 독자적인 기술개발을 위하여 기술연구원을 설립,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한 결과 용지, 잉크, 디자인, 조각기술 및 인쇄와 주화 제조기술 등의 전통적 보안기술뿐만 아니라 IT기술의 발전에 발 맞추어 전자여권과 전자주민증에 소용되는 COS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CC인증을 획득하는 등 화폐 제조기술과 더불어 신분증 제반기술까지도 자체적으로 개발함 수출품목의 다양성 확보를 통한 수출시장 확대를 위해, 보안잉크를 비롯한 전자주민증과 같은 최첨단 보안제품으로부터 부가가치가 높은 은행권 제조 및 기술수출은 물론, 반제품 및 다품종 소량생산제품으로까지 수출대상 품목을 하였으며, 아울러 집중 마케팅 전략 수립, 대리인 확충, 정기적 고객방문 및 초청, 외교통상부, KOTRA, 현지 종합상사 및 대리인과의 상호협조체제 구축을 통해 기존시장 유지와 신규시장 개척을 위해 노력함. 이러한 결과로 당해연도 지역별 수출실적은 리비아 1,103만불, 태국 943만불, 페루 935만불, 중국 833만불, 인도네이사618만불, 스위스 244만불 등 총 5,030만불의 실적으로 창립이래 최고 성과를 달성하였으며, 단순한 수출금액의 증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무역수지에서도 1,572만불의 흑자 및 외화가득율 31%을 기록하였음. 31. 임탁욱(任鐸旭) 석탑산업훈장/ 현대자동차(주) 부사장 수출품목 : 자동차 수출실적 : 2,297,630만불(전년대비 5%증가) 담 당 자 : 명민식(  02-3464-2504)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2년 현대자동차 수출업무부에 입사하여 현재까지 33년간 완성차 수출 및 수출기획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33년간의 재직기간 중 절반에 달하는 16년 동안 해외 거점 주재원 및 법인장으로서, 수출 최일선에서 기록적인 판매 확대에 기여함 중동/동구 팀장으로 재직하면서 정확한 판단력과 신속한 업무 추진력을 발휘 우수한 딜러를 지속적으로 영입하고 영업망 확장을 통해 당사가 신흥시장의 강자로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하였으며 1997년~2001년에는 유럽 법인의 완성차 판매 담당 주재원으로서, 시장점유율 향상을 위해 소형차 집중 판매 전략을 추진함과 동시에 투싼, 싼타페 등 고부가차종의 수출을 증대하였음 2001년 기아자동차로 전보 후에는 2012년까지 미국, 영국, 호주, 러시아 등 세계 각 거점의 법인장으로서 기아자동차의 기록적 판매 신장을 주도하며 수출 증대 및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위상 제고에 큰 공헌을 함 2012년 현대자동차 유럽 법인장으로 재임 중에는 유로 2012 후원 등 공격적 마케팅으로 연간 총 44.4만대를 판매 전년 대비+10%의 놀라운 판매신장률을 기록하였고 2013년에는 해외영업본부장으로 부임한 후에는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경험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트렌트에 맞는 차종 출시 및 탄력적 가격 운영전략으로 해외선적 401.7만대를 달성함 또한 모던 프리미엄이라는 가치 아래 회사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주력하여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업체인 인터브랜드에서 선정하는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서 43위를 차지, 사상 처음으로 50위권 내에 진입하는 쾌거를 이룸과 동시에, 자동차 메이커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로서 입지를 공고히 함 32. 김완규(金完圭) 석탑산업훈장/ 상신이엔지 주식회사 대표이사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수출실적 : 1,450만불(전년대비 337%증가) 담 당 자 : 강지영(  053-355-7465)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2년 상신브레이크 근무시절 자동차 브레이크에 관한 각종 지식을 습득하여 1991년 청우이엔지를 창립 시트 라이닝 자동화라인 개발 등 브레이크 패드 생산 자동화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2006년 상신브레이크와 합작법인인 상신이엔지를 설립하여 그 후 자동차 브레이크용 소음방지판 공급장치 등 10여개의 특허를 보유하는 등 국내 자동차 브레이크 생산 시장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2012년 675만불, 2013년 786만불,에 이어 14년 100만불 수출실적을 달성 최근 3년간 약 100만불이상 증가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상기인은 신규 해외시장을 발굴하기 위해 해마다 정기적으로 중국에서 개최되는 해외 마찰재 박람회에 참가하고 잇으며 이와 같은 꾸준한 노력의 성과로 개발 제품 설비에 대한 성능 및 기술력 등 호평받았으며 일본, 중국 등에서 매년 신규거래선이 발생, 2013년 재팬브레이크 태국, 2014년 중국 청도성박기전, 후레이커선 등과 활발히 교류가 이루어지는데 기여함 또한 기업부설연구소 설립을 시작으로 본사인 상신브레이크와 협력하여 각종기술 및 품질향상을 위한 다양한 특허출원을 하여 국내외 10여개의 특허를 보유중임. 또한 국책과제인 리타더 사업을 진행 중이며 일본의 YAMAKI ENG의 다이나모 기술을 교육받아 국내 장비로 접목시키기위해 끊임없이 기술개발과 품질향상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33. 김대중(金大中) 석탑산업훈장/ (주) 광명전기 상무 수출품목 : 전기장비 수출실적 : 1,615만불(전년대비 227%증가) 담 당 자 : 유관형(  02-2240-8183) 공적내용 상기인은 입사 후 설계, 생산현장, 품질관리, 기술 등 공장의 전 분야를 경험하며 제기된 문제점을 개선하고 품질향상에 기여하였으며, 그동안 수작업에 의존하던 생산방식을 기계화, 자동화함으로써 생산 공정의 개선으로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였고 해외의 생산 기술을 도입하여 제품에 접목시키는 등 생산성 증대에 기여함 80년대 전기업계의 생산시설이 열악하여 기계화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고 사람에 의존한 생산 방식이 주를 이루던 시기에 판금가공설비를 국내 최초로 도입하여 자동화하였으며, 친환경 도료를 사용하고 환경설비를 설치하여 대기 및 수질오염을 방지하는데 기여하였고 공장을 안산으로 이전하면서 기초적인 기계화 설비를 본격적인 라인 자동화를 구현하여 중량물 작업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함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하였고, 제조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 안정성을 극대화한 MCSG제품을 개발하고 MCSM에 기반한 25.8KV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추가 개발하는 데에 생산 책임자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가스절연개폐장치 개발에 참아하여 녹색기술 인증, 녹색기술 제품인증을 획득함으로써 기존 제품의 설치 면적을 1/20로 축소하는 등 건축 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여 원가절감 및 장영실상을 수상하는데 기여함 또한 독일의 SIEMENS 사와 기술 제휴를 통하여 개발, 수행하였던 제품을 100% 국산화하는 데에 성공함으로써 수입 대체효과를 거뒀음 또한 중국현지에 파견근무를 경험삼아 중국 현지 전력설비, 전력시장의 환경 분석 등의 업무를 담당하여 2013년 총 수출금액의 70%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지역 수출에 기여하였으며, 공장장으로서 전 수출물량의 설계, 생산, 자재, 품질 등 직접 관리, 감독하고 납기를 준수하여 고객사로부터 인정받아 발주처 국내 신축 공장 프로젝트를 추가 수주하는데 기여함 34. 신명진(申明振) 석탑산업훈장/ 전진켐텍 (주) 대표이사 고무약품 수입, 국내 고무산업 생산성 향상과 안정적 공급, 수입업과 상생협력을 통해 국내수급안정화 및 무역활성화에 기여함 담 당 자 : 백승진(  02-7013-2464) 공적내용 상기인은 주로 수입에 의존하는 국제 주요 원자재인 천연고무의 국내 선두 수입업자로, 우수한 품질성과 저렴하고 시장경쟁성이 있는 단가로 국내에 수입하여 국내 타이어, 자동차 고무부품, 신발, 고무벨트 생산업체에 공급함으로써 국내 고무산업의 생산성 향상은 물론 안정적인 공급과 나아가 국내 천연고무를 원자재로 사용되는 모든 분야의 산업발전에 기여함 1980년 당시에는 국내에서는 거의 80%이상 말레이시아산 천연고무만을 수입하여 사용하였으나 국내최초로 태국 및 인도네시아 천연고무를 국내 관련업체에 소개하고 공급함으로써 수입선다변화와 저렴한 원료구입을 가능하게 하는데 역할을 함 국내 금호타이어, 한국타이어 및 넥센타이어를 비롯한 주요 자동차 고무제품 생산업체인 평화산업과 화승R&A에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공급과 동시에 세계 선두기업들의 향후 생산방향과 고무약품의 새로운 개발 및 중단 상품을 미리 통보함으로써 적정한 재고관리 및 구매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산업 생산성 증대 및 고무산업 발전에 기여함 상기인은 한국수입협회 부회장, 이사, 분과위원회연합장을 거쳐 현재 자문단의장직에 재임하고 있으면서 국내 무역 발전을 위한 무역정책에 적극 동참하여 오고 있음. 또한 각국 대사관의 대사, 상무관들과의 정기적인 유대강화 및 상호협조를 위한 간담회 등을 개최하고 있으며, 수입업체들의 상호협력 및 동종 수입업체들의 정보교류의 장을 활성화하여 수입대체효과 향상 및 수출증대를 위한 기반인 수입의 정책 마련 등 무역환경 조성에 기여함 35. 함정오(全炳錫) 석탑산업훈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사장 글로벌기업과 협력관계 구축, 대중소 동반진출지원, CSR활동, 온오프라인 연계 등을 통하여 기업 해외진출 활성화 및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담 당 자 : 이승수(  02-3460-7875)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5년 KOTRA입사이래 29년동안 기획조정실 예산부장, IT전자산업팀장, 베이징무역관, 기획조정실장, 중국지역본부장 등을 역임하면서 수출마케팅, 투자유치, 중국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관계 구축, 대중소, 동반진출 지원, CSR활동 등을 통해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국가 수출확대에 기여함 중국지역본부장으로 근무하면서 주로 현지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특화사업을 수행, 징동상청, 해피고 등 중국의 온/오프라인 유통망 공략사업을 통해 한국 제품의 중국내수시장 진입 가속화에 기여하였음 글로벌 기업 협력 대표사업인 글로벌파트너링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위리기업과 중국의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등 다양한 해욈마케팅 활동을 통해 전체 수출 5천 5백억불 달성에 기여함 또한 2006.10월 한국전자전과 연계, Philps 등 세계적인 IT글로벌 바이어 및 EMS 전문 대형 바이어 30여개사를 초청, 국내 2000여개 IT완제품 및 부품생산 중소기업과 연결하는 수출 상담회를 개최하고, 2007년 6월에는 노키아 등 연간 매출액 1억불이상이 주를 이루는 대형 바이어 60여개 사를 초청하여 480건의 수출상담회를 개최하는 등 대규모 수출상담회를 통해 총 548백만불의 수출상담 실적을 기록함 상기인은 한-중 CSR 포럼, 허난성 새마을 운동 지원 사업, 장쑤성 환경학교 지원활동 등을 통해 중국 내 우리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선도해왔으며, 이를 통해 우리기업을 위한 지속가능한 수출환경 조성에 기여함 36. 김영수(金榮秀) 석탑산업훈장/ 한국수출입은행 부장 국가 전략산업 수주확대 및 해외시장 개척에 기여하고 중소‧중견기업 자금난 해소 및 수출증대에 힘써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담 당 자 : 최윤선(  02-3779-6127) 공적내용 상기인은 85년 한국수출입은행에 입행한 이래 29년 1개월간 재직하는 동안 자금부, 경제협력기금부, 국제금융부, 외환업무실, 무역금융부, 선박금융부, 플랜트금융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출신용기관 및 대외경제협력기금 수탁기관인 한국수출입은행 업무를 수행함. 또한 홍콩사무소에서 근무한 경력와 업무 수행기간 동안 적극적인 업무추진과 탁월한 리더쉽을 발휘하여 장기, 저리의 안정적 외화자금조달, 대외경제협력기금 수탁업무의 기반 최초 구축, 아국기업의 해외시장 개척 및 수출확대, 중소중견기업의 수출기업화 및 자금난 해소 등 당행의 업무 발전에 크게 기여함 다수의 해외프로젝트 지원 경험을 바탕으로 시중은행이 지원하기 어려운 신흥시장 중심의 고위험 대규모 해외 프로젝트에 대한 적극적인 금융지원으로 아국의 선박 및 해외건설 플랜트의 수주증대에 기여하였고, 우량 수출 중소 중견기업을 적극 발굴하여 소요자금을 적기에 지원함으로써 중소 중견기업의 수출증대에 기여하였음 또한 수입자금대출, 수입신용장 등을 통해 국가‧경제적으로 장기 안정적인 확보 또는 적기 수입이 필수적인 원유, 천연가스, 광물자원, 곡물, 항공기 등의 안정적 조달을 지원하였음 상기인은 선박금융부 및 플랜트금융부에 근무하면서 선박, 해외 건설, 플랜트 등 주요 수출산업 부문에 대해 상업금융이 감당하기 어려운 중장기거액 위주의 적극적 금융지원을 통해 세계 선박시장 및 건설 플랜트 시장에서 국내기업의 수주경쟁력 제고에 기여함 금융지원과 동시에 정치적 위험 등 위험이 높은 신흥국가 관련 효율적 진출을 위한 정보제공 및 주요 EPC 고객기업 대상 수주전략회의 개최 등 비금융서비스 제공을 통해 중동시장 위주의 수주구조에서 벗어나 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 앞 우리기업의 수주확대에 기여함. 37. 김덕준(金德俊) 석탑산업훈장/ (주)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대표이사 수출품목 : 반도체장비 수출실적 : 2,639만불(전년대비 128%증가) 담 당 자 : 황태진(  031-371-2232) 공적내용 상기인은 약 14년동안 반도체 장비업계에서 근무경험을 바탕으로 2001년 (주)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를 설립하였음. 설립이후 본사신축, 공장신축 및 확장, 뛰어난 기술력과 연구능력을 인정받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는데 기여함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의 매출액은 11년 406억, 12년 627억, 13년 789억으로 연평균 25이상을 성장, 이익부문 또한 11년 23억, 12년 54억, 13년 50억원으로 고부가가치제품생산을 통한 이익률 확보에 성공하였으며, 또한 최근 3년간 수출실적 11년 4백만불, 12년 7백만불, 13년 25백만불로 매년 증가하였음. 2004년에는 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 환경에너지와 온도조절분야에서의 기술을 확보 등 지속적인 기술 개발에 힘써온 결과 반도체장비의 제조기술과 관련된 특허등록 32건, 실용신안등록 5건 등 총 39건의 기술관련 재산권을 보유하였으며, 2007년에는 기술품질의 향상을 위해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하였음. 반도체/FPD시장의 글로벌화에 따라 향후 수출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에 맞춰 적극적인 해외 마케팅 활동와 국내 및 해외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해 일본 및 북미 파운더리업체에 신제품을 납품중임. 또한 글로벌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하기 위해 GST America와 GST China를 설립 운영중임. 38. 이재출(李在出) 석탑산업훈장/ 한국무역협회 상무이사 한국무역협회 고객서비스본부장, 경영관리본부장 등을 역임하면서 기업의 무역현장 애로타개, 서비스정신 및 공익적 기반 확충을 통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 담 당 자 : 윤정열(  02-6600-5084) 공적내용 상기인은 1985년 한국무역협회에 입사하여 28년동안 산업연구팀장, 충북지역본부장, 경영기획팀장 등을 역임하며 무역부국이라는 신념하에 무역업계 지원을 위해 노력하였음 2011년 고객서비스본부장으로서 수출기업현장 방문, 지방 무역업계와의 간담회 개최 등을 통해 수출애로를 발굴 검토하였고, e-Biz지원본부장을 역임하며 중소기업의 온라인을 통한 해외마케팅 강화 및 업계 Needs에 부합하는 무역정보 개발 및 제공에 기여함 2012년부터 현재까지 경영관리 본부장을 역임하며 무역업계 대내외 환경변화에 다라 조직의 변화와 혁신을 지속적으로 도모함 2011년 고객서비스본부장을 역임하며 수출분위기 확산을 위해 무역의 날 포상 추천 및 수상업체 기념사업 등을 추진하였으며 또한 매월 이달의 무역인상 시상, 한빛회 지원 등을 통해 수출 선도기업을 발굴하였음 현장수요에 부응하는 컨설팅체제 확립을 위해 Trade SOS 및 Trade Inchbator를 확대 개편하였으며, 연간 현장컨설팅 14,500건이상, 전문컨설팅 8,000건이상 제공하며 무역업계 애로해소를 위해 종합무역컨설팅 제도를 운영함 무역협회 12개 지부를 총괄하며, 지방 현자의 업계현안 수렴 및 지원사업 발굴에 노력하였고 해외마케팅 지원, 지역 대학생 및 무역업계 임직원의 무역실무교욱, 무역정보 제공 등을 위해 본‧지부 협력사업을 운영하여 지방무역활성화를 통해 지역간 균형발전에 기여함 수출의 탑 수상업체 공적내용 1. 750억불, 삼성전자(주) / 대표이사 권오현(權五鉉) ▲ 수출품목 : TV 및 휴대폰용 디스플레이 패널 ▲ 수출실적 : 7,850,370만불 (전년도 대비 12% 증가) ▲ 담 당 자 : 이성영 (☎ 031-277-0428 ) 공적내용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 생산/판매법인 등 총 220여개의 거점을 보유하고 연간 200조원 이상의 매출 총액을 창출하는 글로벌 IT기업으로, 스마트폰 및 태블릿의 판매 호조, 생활가전 프리미엄 제품의 선진국 판매 증가, 반도체의 첨단 공정 전환 확대, 초대형 TV 라인업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는 세계 일류기업임. 유럽 및 신흥국의 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어려운 무역환경 속에서도 휴대폰, 스마트폰, TV, 냉장고, DRAM, NAND Flash, SSD 등 세계 1위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2006년 이후 8년 연속 TV전체, FPTV, LCD TV 세계 1위이고, IM(Information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s : 휴대폰, 통신시스템, 컴퓨터)부문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DS부문(Device Solution : 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LSI)은 압도적인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메모리 1위의 절대 위상을 이어가고 있음. 생활가전 부문에서는 셰프컬렉션과 같은 프리미엄 카테고리 구축으로 최고 품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연말 미국과 유럽 성수기에 당사의 성수기 프로모션 강화 및 중국 내 보급형 전략제품 라인업 강화로 판매를 확대하고 있음. 무선 및 TV 부문에서는 UHD TV 도입 및 OLED 기술 향상으로 하이엔드 스마트폰 및 테블릿 제품군을 확대하고, 북미 등 60"이상 초대형 TV 라인업 강화하고 있으며, 반도체 부문에서는 개량형 이중 포토 노광 기술, 초박형 유전막 형성 기술 등의 혁신적인 기술을 동시 적용하여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해 경주하고 있음. 해외 스마트폰/태블릿 판매량 증가 및 마케팅비용 효율화 등으로 작년 7월부터 금년 6월까지의 수출실적이 785억불에 달했으며, 이는 전년 699억불 대비 작년 대비 12.2% 증가한 수치임. 당사는 첨단 기술과 경쟁력 있는 제품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리드해 나가고,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제공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진할 계획임. 2. 100억불, SK하이닉스(주) / 대표이사 박성욱(朴星昱) ▲ 수출품목 : 메모리반도체(DRAM, Nand Flash) ▲ 수출실적 : 1,262,493만불(전년도 대비 32% 증가) ▲ 담 당 자 : 김세형(☎ 02-3459-5428) 공적내용 디지털 세상에서 반도체가 IT산업의 기반이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가운데 SK하이닉스는 그 역할을 다하고 있음. 반도체의 성능은 단순한 부품을 넘어 IT제품의 성능을 구분 짓기까지 하는데, 당사는 모바일과 컴퓨팅 등 각종 IT기기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DRAM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CIS와 같은 시스템 반도체 등을 생산하는 기업임. 1984년 국내 최초로 16Kb SRAM을 시험 생산한 이래, 세계 최초, 최소, 최고속, 최저전압의 혁신적인 반도체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며 세계 메모리반도체 2위의 반도체 회사로 성장해 왔음. 오늘날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현대인에게 친숙한 기기가 된 것처럼, 영화에서나 등장하던 새로운 IT기기가 앞으로도 끊임없이 생활 속으로 들어올 것임. 새로운 디지털 제품의 등장은 반도체의 영역과 수요를 점차 확장시키고 있으며, 당사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를 읽고 앞서 대비함으로써 해외 경쟁사 대비 견고한 실적을 달성해 왔음. 2013년 기준 당사는 세계 DRAM 시장의 약 27%, 낸드플래시 14%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글로벌 메모리 시장 2위를 차지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증명해왔음. 수출실적은 당해년도 1,262,493만불로 전년도 957,521만불 대비 31.9% 신장하였음. 이것은 SK하이닉스 IT기기의 변화에 따른 모바일 메모리 시장 확대로 인한 고부가 가치 제품의 판매 확대 및 전략적 고객 마케팅에 따른 유량 IT 기업 점유율 강화 등이 주요하였기 때문임. 과거 어려운 경영 여건에도 불구하고 매출액과 영업이익에서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우호적인 메모리 가격 상황과 출하량 증가도 주요하였지만, 수익성 위주의 제품 판매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원가 개선 노력에 집중한 결과임. 3. 100억불, 현대모비스(주) / 대표이사 정명철(鄭明哲)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021,394만불(전년도 대비 9% 증가) ▲ 담 당 자 : 최호용(☎ 02-2018-6718) 공적내용 현대모비스는 2015년 "Global Top Quality"를 달성하기 위하여 "무결점 품질 구현", "고객 감동체계 확보", "글로벌 표준 프로세스 정립" 및 "협력사와 품질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하여 지속적인 품질향상 활동으로 전 세계 고객들에게 최고의 제품을 개발, 생산 및 공급함으로써 고객 감동을 극대화하고 있는 기업임. 현대모비스 품질경영은 "고객만족을 최우선"으로 완벽 품질을 달성하고자 다양한 고객의 소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개선해 나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종합 상황실을 운영 중에 있음. 적극적 해외 투자를 통해 매년 수출역량을 강화해왔는데, 올해 중국 베이징 3공장 모듈 생산규모를 34만대로 증설하였으며 연간 30만대 규모인 장쑤 3모듈 공장도 완공해 1분기부터 가동에 들어갔음. 앞서 지난해 9월 완공한 터키 공장에서도 양산을 시작했고, 미국 오하이오 모듈공장에서 공급 중인 크라이슬러 섀시모듈 누적 생산대수는 지난해 100만대를 돌파했음. 이에 따라 GM과 폭스바겐, BMW 등 외국 자동차 업체에 대한 수출 실적이 2009년 5억3천만 달러에서 2010년 11억 7천만 달러, 2011년 18억 2천만 달러, 2012년 22억 6천만 달러로 해마다 가파른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금년에는 30억 달러 돌파가 기대되고 있음. 또한 친환경 자동차 핵심 부품의 연구 개발 및 생산과 품질관리 능력을 갖추고, 현대 / 기아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친환경 자동차에 핵심 부품(구동 모터, 시동발전기, 전력변환장치 및 배터리 팩)을 공급하고 있음. 향후에도 당사는 독자적 설계역량을 강화하고 프로세스 표준화를 더해 지속적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임. 또한 당사는 안전을 위한 기술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 지능형 헤드램프, 능동형 안전벨트, 차선유지지원 시스템 등 자동차에 IT와 전기/전자 기술이 융합된 첨단부품을 적용하여 자동차가 스스로 위험에 대처하고 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며, 다양한 유형의 교통사고를 분석해 고객의 안전을 최대한 담보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들어가고 있음. 4. 50억불, 엘지이노텍(주) / 대표이사 이웅범(李雄範) ▲ 수출품목 : 전자산업용 LED, 모바일,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차량 부품 등 ▲ 수출실적 : 550,526만불(전년도 대비 6% 증가) ▲ 담 당 자 : 오법민(☎ 02-3777-0158) 공적내용 엘지이노텍(주)는 1970년 창립 이래 소재 및 부품 산업의 기술 발전을 선도해온 대표적인 최첨단 소재 및 부품 기업으로, 매년 연평균 25%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음. 당해년도 직수출총액은 283,146만불인데, 이 중 5대 시장 (중국, 미국, 일본, 홍콩, 싱가폴)의 직수출액은 262,696만불로 전체 비중의 93%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타 시장은 20,450만불의 실적을 기록함. 품목별로는 전자산업용 그 밖의 기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당사는 카메라 모듈사업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적용되는 초슬림, 고화소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여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스마트TV, 웨어러블 컴퓨터에도 적용하여 그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음. 또한 차량용 전장부품사업에서 기존 자동차부터 전기차, 스마트카 등에 장착되는 모터와 센서, 통신모듈, 파워모듈, 카메라모듈, LED조명모듈 등을 선보이며 안전과 편의성을 높여가고 있음. 조향 및 제동장치용 모터와 센서는 국내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음. 아울러 LED사업에서 친환경 조명으로 주목 받고 있는 LED조명의 핵심인 LED칩과 패키지를 국내외 조명 업체에 공급하고 있으며, 세계 4대 LED 기업으로서 글로벌 시장 선두 그룹을 형성하고 있음. 기판소재사업에서는 스마트폰, 노트북PC, 올인원PC 등 IT기기의 핵심 부품인 터치스크린 패널과 반도체 패키지용 기판 등을 개발하며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음. 또한,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 패널은 세계 최고의 성능을 확보해 기술력을 입증한 바 있음. 한편, 본사를 제외한 각 사업장 별로 어린이 집을 설치하여 임직원들의 자녀를 맡겨 안심하고 근무할 수 있는 복지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Refresh 휴가, 장기근속휴가 등 일과 삶의 균형을 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휴가 및 복지 제도를 운영 중임. 5. 40억불, 현대제철(주) / 대표이사 박승하(朴承夏) ▲ 수출품목 : 철및비합금강H형강, 용융아연도강판 ▲ 수출실적 : 428,626만불 (전년도 대비 43% 증가) ▲ 담 당 자 : 황보배(☎ 02-3464-6206) 공적내용 현대제철은 지난 1953년 한국 최초의 철강회사로 탄생한 이래 한국철강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여 발전을 거듭해 왔으며, 조강생산능력은 2,400만 톤으로 세계 10위권에 속하는 종합철강회사로 자리매김하였음. 2013년 12월, 현대하이스코 당진공장과 순천공장을 인수해 제선에서 제강, 연주를 거쳐 열연강판 생산뿐 아니라 하공정 제품인 냉연강판까지 생산하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일관제철소로 거듭나고 있음. 당사는 자연 상태의 철광석으로부터 완성품인 자동차, 다시 재활용 원료인 철 스크랩에 이르는 자원 순환형 그룹체계를 세계 최초로 완성하였음. 순환 고리는 조강생산을 시작으로 열연강판 및 냉연강판 제조(현대제철), 완성차 생산(현대/기아자동차), 폐차 처리(자동차 리사이클링센터)로 이어지며, 여기서 나온 철스크랩은 기존 전기로 중심의 자원순환 고리를 통해 철근 및 H형강으로 만들어져 토목 및 건설공사에 사용되고, 이들 폐건설자재가 또다시 철 스크랩으로 재활용 되는 형태임 주요 생산제품은 H형강, 철근 등 봉형강류, 열연 및 냉연강판, 후판 등 판재류, 주강품, 중기계, 압연롤, STS 등으로 제품 구성에 있어 세계 최고의 포트폴리오를 자랑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2012년 14조 1,287억원, 2013년 12조 8,142억원이며, 금년 매출액은 16조 3천억 원이 예상됨. 산업통상자원부가 세계시장 점유율 5위 및 5% 이내이면서 수출규모 500만불 이상, 혹은 세계시장 규모가 5,000만불 이상인 제품을 기준으로 선정하는 세계일류상품을 국내 철강업계중 가장 많은 6개 제품(H형강, 압연롤, 무한궤도, 선미주강품, 부등변부등후 앵글, 강널말뚝)을 보유함으로써 수출확대를 통한 국제무역수지 개선과 대한민국의 국가적 위상을 드높이고 있음. 국내 및 해외고객의 원천 경쟁력을 강화하고 동반 성장하기 위해 기술지원, 교육훈련, 해외고객 기술 교류회 등 다양한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고객과의 간담회를 통한 고객의 불만사항 요구사항 청취 등 대중소 상생협력 실천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6. 10억불, (주)현대케피코 / 대표이사 박상규(朴尙圭) ▲ 수출품목 : 자동제어기,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112,357만불 (전년도 대비 14% 증가) ▲ 담 당 자 : 윤수영(☎ 031-450-9254) 공적내용 1987년 설립된 현대케피코는 자동차 전자제어시스템의 핵심부품을 개발 및 생산하며 그 위상을 확고히 다지고 있는 국내 제1의 자동차 전자제어시스템 전문기업임. 그간 해외선진기술사인 독일 로버트보쉬와 합작관계를 유지하며 선진기술 노하우를 습득해오다, 2012년 보쉬와의 사업 분할 후 현대자동차 단독경영체제로 새롭게 출범하여 기술자립의 초석을 마련하였고, 2013년 연결회계기준 약 1조 6,670억 원의 매출을 달성해 꾸준한 매출신장을 이룩하고 있음. 당사는 2013년 매출 1조 6,670억을 달성하며 전년대비 약 10%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나갔고, 당해 연도 직/간접수출을 포함해 약 11억 2천 4백 불의 수출 실적을 기록해 전년도 대비 14% 수출실적이 신장되는 성과를 달성함. 1992년 설립된 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전체 인원(국내 직원 기준)의 약 22%인 260명의 연구원이 자동차 전자제어시스템 관련 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그 결과 레버타입 스로틀 포지션 센서, 흡기 매니폴드 모듈 시스템, LPI 엔진용 연료분사기 등을 독자 개발하여 양산함. 아울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 지원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2011년 현대자동차그룹 부품 계열사 최초로 개발 프로세스 역량 성숙도 모델인 CMMI 레벨 4 인증을 획득함. 또한 1996년 ISO 9002, 1998년 QS9000/ISO 9001, 2004년 ISO/TS 16949, 2007년 현대기아차 품질 5스타 인증획득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품질체계를 확립하고 있으며 이에 더해 ‘글로벌 통합 GQMS’라는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해 제품 개발에서부터 구매, 생산, 납품, 고객 애프터서비스까지 품질관리 전 부문에 대한 품질정보 공유와 품질 개선 관리를 활발히 추진 중에 있음. 7. 10억불, 한세실업(주) / 대표이사 이용백(李龍伯) ▲ 수출품목 : 편직물 ▲ 수출실적 : 129,940만불 (전년도 대비 9% 증가 ) ▲ 담 당 자 : 박성철(☎ 02-3779-0812) 공적내용 한세실업은 1982년 창립 이래, 베트남, 인도네시아, 니카라과, 과테말라, 미얀마에 해외법인과 뉴욕의 R&D 센터에서 의류 생산 및 디자인을 하고 있는 글로벌 패션 기업으로, 2013년 매출액은 1조 1,747억 원을 달성하였음. 단순 생산만 하는 것을 넘어서 원단 소재에서부터 트렌드 분석, 디자인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자체 기획하고 개발하여, 고객사가 선택하도록 하는 제안형 ODM(제조자 개발 생산) 시스템을 통하여 패션 트렌드 리더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글로벌 패션기업임. 한국 본사의 영업력 및 원부자재 개발 및 공급 능력을 기반으로 해외 생산법인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음. 1986년 사이판을 첫 시작으로 현재 베트남, 인도네시아, 니카라과, 과테말라, 미얀마에 11개 법인을 보유 중. 사이판의 경우 쿼터 제한과 관세가 없어 수출환경이 매우 좋았으나 해당 정부에서 허가를 내주지 않아 진출이 어려웠던 상황에서, 3년 동안 포기하지 않고 노력한 끝에 결국 첫 해외 법인을 세웠음. 이 영향으로 한국의 다른 의류 수출업체들도 뒤따라 진출 할 수 있는 기반이 되어 한국의 의류 수출산업이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 또한 당사는 해외 진출 법인들의 현지 친화 정책에 성공하여 한국 기업의 이미지를 향상시켰고 우호적인 투자 환경을 만들었음. 협력업체의 통합과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매해 국내 상주 업체 및 해외에 진출한 국내 업체와 함께 하는 간담회를 개최하여, 최근 시장과 바이어의 동향 및 비전, 품질관리 및 상생경영 현황을 공유하고 있음. 또한 현재 국내에서 경쟁력이 약화된 관련 업체 혹은 해외로 확장하고 싶으나 그 방법을 모르고 초기 자본이 부족한 업체들을 위해, 당사의 베트남 진출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지에서 사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고 있음. 8. 9억불, (주)유라코퍼레이션 / 대표이사 엄병윤(嚴秉潤)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점화용와이어링세트 등) ▲ 수출실적 : 93,504만불 (전년도 대비 16% 증가 ) ▲ 담 당 자 : 백스라(☎ 070-7878-1035 ) 공적내용 (주)유라코퍼레이션은 자동차의 각 기관을 연결해주는 자동차 점화용 와이어링세트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1993년 설립 이래 22년간의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경영혁신으로 당해년도 자본금 34 억원, 종업원 1,862명, 매출액 1조 884억원의 견실한 기업으로 성장함. 국내 9개 공장(청주/경주/평택청북/평택진위/유라R&D센터/팔탄기술연구소/화성장안/광주물류센터/서산물류센터)과 해외 7개국(중국/슬로바키아/세르비아/튀니지/체코/러시아/베트남)에 23개 사업장을 중심으로 기술 자립화와 국제적 코스트 경쟁력 확보로 우리나라 자동차부품산업의 글로벌화에 앞장서는 중소기업으로 발전함 당사는 기술개발 및 경영혁신 활동을 시작하였는데, 1997년 100PPM(품질혁신운동프로그램)으로 혁신활동을 시작하여 1998년 Single PPM 인증 및 혁신활동과 2001년 6시그마 경영혁신활동의 도입을 계기로 붐을 조성함. 그 이후 품질혁신활동은 전 공정 내 품질의 안정화로 이어지게 되어, 완성품 불량률이 2006년부터는 0 PPM으로 관리됨. 그 결과 2003년 중소기업최초 6시그마 혁신상, 2004년 Single PPM 대통령상, 2006년 품질경영상을 수상하며 2009년 한국품질 대상을 수상함. 당사는 중국을 현지화 전략의 시작점으로 하여 슬로바키아, 세르비아, 튀니지, 체코, 러시아, 베트남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였으며, 그 외에 이집트, 인도, 말레이시아 등으로 수출지역 다변화 전략 또한 활발히 전개 하고 있으며 총수출 실적은 2013년도 805,605천불, 2014년 935,043천불을 달성하며 점진적인 수출증대를 이룸. 당사는 경영정보 공유를 통한 열린 경영 실천으로 2002년 “신노사문화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이래 2005년 노사문화대상, 2009년과 2012년 노사 문화 우수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화합하는 노사로서의 기업문화를 정착함.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이 세계 제일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자동차부품산업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임직원과 협력업체를 이끌어 투명경영을 실천으로 품질과 기술력에서 경쟁력 있는 회사로 성장하며 국가에 기여함. 9. 8억불, (주)경신 / 대표이사 이승관(李承冠) ▲ 수출품목 : 와이어하네스, 커넥터 등 ▲ 수출실적 : 88,285만불 (전년도 대비 14% 증가 ) ▲ 담 당 자 : 이영호(☎ 032-714-7291) 공적내용 ㈜경신은 1974년 국내 자동차 배선의 효시로 출발한 이래 경영이념인 신뢰 받는 일류기업의 구현을 목표로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어오고 있음. 국내 제일의 와이어링 하네스 기술을 바탕으로 전자, 커넥터, 친환경 제품의 개발을 통해 미래의 지속가능경영을 지향하고 있으며, 고객 및 협력업체와의 상생협력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여 세계일류 기업으로 더욱 성장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2013년 국내 매출1조를 달성하며 전년대비 약4%의 성장을 이룸. 2013년 7월 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42,273만불의 직수출과 46,011만불의 간접수출액을 기록하며 8억불을 돌파하였으며 전년도대비 신장률은 14%의 성과를 올림. 신규 사업 기반 강화를 위해 송도 신공장을 설립 하였고 캄보디아에 생산법인을 설립함으로써 W/H 기반 사업에도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음. 또한 스미토모와 협력을 통해 전자 및 커넥터 사업의 자립능력을 키우고 있으며, 제품 설계부터 생산까지 전 부문의 품질 경쟁력을 향상 시키고자 꾸준한 투자와 연구개발의 범위를 확대하고 있음. 친환경 기술개발 및 사업을 통한 지속가능경영의 강화 및 기후변화, 에너지 고갈 등의 글로벌 이슈가 증가함에 따라 경신은 온실가스 감축활동과 친환경부품 개발, 에너지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폐기물 발생 최소화를 통해 제조과정에서부터 청정생산을 바탕으로 인류의 환경 보존에 역량을 강화하고 있음. 10. 6억불, (주)세아제강 / 대표이사 이휘령(李輝寧) ▲ 수출품목 : 유정용 / 가스정용의 철강제 케이징 ▲ 수출실적 : 60,692만불 (전년도 대비 3%감소 ) ▲ 담 당 자 : 기영준(☎ 02-6970-1066) 공적내용 세아제강은 1960년 부산철관공업으로 창업 이래 꾸준한 발전을 거듭하여, ‘기술력과 신뢰를 바탕으로 21세기 세계시장의 주역이 되는 기업’이라는 비전을 향해 끊임없이 달려가고 있는 업체임. 5대 시장인 중국, 미국, 일본, 홍콩, 싱가포르 판매가 85%로 외화 획득 및 수출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고, 특히 미국으로의 강관 수출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룩하였으며, 그 수출량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음. 이러한 실적을 통하여 다른 철강기업들의 미국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는데 기여하였음. 철강업에 종사하여 수출확대와 무역진흥을 위해 심열을 기울였으며 지속적인 성장하고 있는데, 원재료의 구매처를 다양화 하여 수입의 성장에도 이바지하고 있으며 수입 수출의 지속적인 성장을 통하여 국가의 무역진흥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당사는 창업 이후 지속적인 연구 개발 활동의 결과로 당사의 주력 제품인 강관 및 용접관련 제조기술에 관련된 상표 3건, 특허등록 12건, 실용신안등록 1건, 의장등록 1건등 총 17건의 기술관련 재산권을 보유하고 있고, 26건의 해외상표 등록을 통하여 수출증대를 지속적으로 추진, POSCO와 공동개발로 OCTG 제품(SEAH-90 및 1% Cr 강)을 개발하여 미국 유정용 파이프 시장(CASING 및 TUBING)에서의 최상급 수준의 제품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음. 11. 6억불, 세방전지(주) / 대표이사 임동준(林東準) ▲ 수출품목 : 연축전지 ▲ 수출실적 : 60,867만불 (전년도 대비 55% 증가) ▲ 담 당 자 : 이우행(☎ 02-3451-6249 ) 공적내용 세방전지는 1952년에 설립된 종합 연축전지 전문회사로써 60여년 가까이 쌓아온 기술력과 신용을 토대로 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자동차용 축전지와 산업용 축전지를 생산하고 있는 세계 5대 연축전지 종합 메이커 업체임. 1970년대 첫 수출을 시작하여 1996년 국내 축전지업계 최초로 1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으며, 2008년 3억불 수출의 탑 수상, 2010년 4억불 수출의 탑 수상에 이어 2011년 5억불 수출 실적을 달성하여 우리나라 배터리 수출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세계 축전지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대표적인 고품질의 축전지 수출 국가로 인식되는데 기여한 바가 큼. 2004년 국내 최초로 환경마크를 획득한 산업용 전지 개발하였고 2005년에는 국내 최초의 HEV(Hybrid Electric Vehicle)용 납축전지를 개발하는 쾌거를 이루어 내는 등 지속적으로 세계 최고 축전지 메이커로의 도약을 준비함과 동시에, 다가올 친환경 시대의 실현을 위한 태양광, 풍력, 친환경 연료전지 시스템 등 클린 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또한, 2010년에는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받았으며 탄소 배출량 절감에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지구 환경 보존에 기여하는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음. 신제품으로 개발된 AGM 전지는 연비개선에 있어 비용대비 효율이 가장 높은 ISS(Idle Stop-Start)용으로 국내 자동차 메이커인 현대, 기아 자동차에 공급하여 당사 제품이 장착된 자동차가 수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까다로운 품질관리로 정평이 나있는 독일의 세계적인 자동차 메이커인 VolksWagen와도 국내 축전지 업계 최초로 납품을 시작하여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았음. 일본시장의 경우 지속적인 시장개척을 통하여 세계적인 건설 중장비 제조메이커인 Komatsu, Sumitomo Nacco, Nichiyu로부터 높은 품질 수준을 인정받아,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일본 전동 지게차 업계에 최초의 수입전지로서 납품을 개시하여 수출증대 및 산업발전에 기여함 12. 6억불, 애경유화(주) / 대표이사 부규환(夫圭煥) ▲ 수출품목 : 무수프탈산과 가소제(플라스틱 제품의 주요 원료) ▲ 수출실적 : 60,626만불 (전년도 대비 34% 증가) ▲ 담 당 자 : 현창수(☎ 02-850-2088 ) 공적내용 1970년 10월 설립된 애경유화는 무수프탈산과 가소제(플라스틱 제품의 주요 원료)생산을 시작으로 주력제품 분야에 있어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선도 기업으로서, 지속적인 설비투자와 수출지향 마케팅을 통한 전 세계 시장 확대하는데 노력중임. 금년에는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적인 경기불황, 환율 및 석유화학 제품의 단가 하락에도 불구 아프리카, 남미 등 지속적인 신규시장 개척을 통해 6억 626만불 수출을 달성함으로써 매년 고도의 수출신장을 달성하고 있음. 특히 중국의 경기성장 저하 및 자체 생산량 확대 등을 사전 예측하여 2004년 70%에 달했던 중국 수출 의존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 실행한 결과, 당해년도는 그 비중을 16%까지 감소시켰고 대신 전 세계 다양한 시장을 개척하여 수출액을 지속 확대하고 있음.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Neo-T를 비롯한 각종 친환경 가소제를 개발하여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자체 기술을 통한 바이오디젤(경유 대체) 생산으로 친환경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고 있음. 또한 바이오디젤 생산 시 부산물로 발생하는 글리세린을 정제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기존 동남아에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고순도 정제 글리세린을 생산, 국내 수입품을 대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국으로 수출을 진행하여 2013년 3월 가동 이후 총 4,800톤을 수출 약 380만불의 외화획득에 기여하고 있음.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 및 친환경 에너지 개발과 관련된 국가의 바이오 에너지 정책과 장기적인 방향을 공유하여 2007년부터 시작된 바이오 디젤사업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그 결과 2013년 7월 대만에 바이오 디젤 약 2,500톤(약 269만불)을 수출하는 실적을 이뤄내기도 했음. 이런 바이오 에너지의 활용 및 가능성을 더 높이고 장기적인 사업 영위를 위해 2013년도에는 정제 글리세린 설비를 완공하여 현재 100% 가동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전량 동남아 지역 수입에 의존하던 정제 글리세린의 국내 시장을 당사 원료로 대체하는 등 바이오 에너지 사업의 고리를 하나로 묶어 바이오 에너지 기업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음. 13. 6억불, (주)엘지하우시스 / 대표이사 오장수(吳長洙) ▲ 수출품목 : 플라스틱깔개 및 벽피복, 기타플라스틱제품 ▲ 수출실적 : 66,269만불 (전년도 대비 12% 증가) ▲ 담 당 자 : 이동한(☎ 02-6930-1571 ) 공적내용 LG하우시스는 에너지효율 향상과 친환경 부문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을 공급하고 IT 소재 등 고기능 소재 및 부품 사업의 성장 동력 확보를 통해,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시장에서 도약하고 있음. 친환경, 에너지 세이빙 분야의 앞선 기술력과 우수한 디자인 역량을 바탕으로 시장 선도 제품 확대와 IT 소재 등 고기능 소재 솔루션 제공을 통해 해외 시장에서의 브랜드 파워를 강화해 나가고 있음. 중국시장에서는 R&D, 디자인, 생산, 영업 등 모든 부문의 현지 거점을 확보해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펼치며 세계 최대 건설시장인 중국을 글로벌 최대 시장으로 육성하기 위해 사업역량을 집중하고 있고, 미국시장에서도 고광택시트, 자동차원단, 인조대리석, 바닥재, 기능성 점착필름 등 전략 제품 중심으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미국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고광택 시트를 키우고, 동시에 2011년 조지아주 고든카운티에 완공한 천연 석영을 원료로 한 엔지니어드 스톤 ‘비아테라(Viatera)’ 생산공장을 바탕으로 고급 인조대리석인 엔지니어드 스톤 시장을 공략해 나가고 있음. LG하우시스는 해외 신흥시장 진출에 본격적으로 가속도를 내기 위해 해외 건자재 전시회에도 적극 참가하고 있으며, 올해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도모텍스 아시아, 미국 라스베가스 KBIS 전시회, 독일 뉘른베르크 전시회 등 전략시장에서 열린 전시회를 비롯해 터키, 이란 등 신흥시장의 전시회까지 참가하고 있음. 14. 5억불, 한국니토옵티칼(주) / 대표이사 김홍인(金洪仁) ▲ 수출품목 : 기타광학기기부품, 기타주철 ▲ 수출실적 : 54,191만불 (전년도 대비 0% 증가) ▲ 담 당 자 : 구자권(☎ 031-680-4184 ) 공적내용 1999년에 설립된 한국니토옵티칼은 2001년 ISO9001인증 및 벤처기업 등록, 2003년에서 2006년까지는 어연공장, 현곡공장 준공 및 전공정 도입, 2012년부터 2013년까지는 2년 연속 매출 1조원 달성에 달성하여 중소기업청으로부터 벤처 1조기업에 선정되는 등 세계적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음. 생산제품으로는 세계일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용 일본 본사로부터 외자유치를 받아 설비투자(도포기, 권치기, 해권기, 건조기, 예열기, 두께측정기, LAMINATOR 등)를 진행하고, 그러한 기기들을 이용하여 POLARIZING FILM(편광필름), ITO FILM, 보호필름 등 국내 대기업의 보세공장으로 수출하여 세계로 수출되는 한국제조의 TFT-LCD, LED용 편광필름의 품질이 세계 제1의 수준이 되는데 기여하였음. 중국, 일본, 홍콩, 슬로바키아, 대만 시장 개척을 위해 기여함으로써 국가발전과 지역발전에 기여함. 2011년 1억 7천만불, 2012년 6억 3천만불, 2013년 6억 3백만불의 성과를 달성하였고, 2013년 12월에는 신규편광필름 공정 및 ITO필름 공정을 2400억원을 투자 도입하여 연간 고용효과 220명, 수입대체효과 3000억원을 창출하여 한국경제에 공헌하였음. 품질을 위하여 개발 노력하여 고객사로부터 2005년 삼성전자 경쟁력향상 우수회사상 수상, 2007년 협력사 6시그마 최우수상, SC혁신활동 최우수상, 협력사 종합포상대상 수상, BEST SUPPLIER최우수상 수상, 2008품질우수 협력업체 우수상, 2012 우수협력회사 등으로 선정되며 국가산업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음. 15. 5억불, (주)드림텍 / 대표이사 김영호(金永浩) ▲ 수출품목 : 기타무선통신기기, 기타전자응용기기 ▲ 수출실적 : 57,308만불 (전년도 대비 19% 증가) ▲ 담 당 자 : 이태오(☎ 041-589-4617 ) 공적내용 드림텍은 1998년 설립(자본금 10억 원) 이후 핸드폰의 주요부품인 Sub-PBA(인쇄회로)를 주축으로 자동차 LED 전장 전자부품, 생활가전 TSP(터치스크린패널) 등을 개발 및 제조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그 동안의 축적된 제조공정 및 설계 및 개발 기술로 정보통신관련 국내 전자부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과 산업발전에 기여하여 2013년도 회계기준 매출액 6,692억원을 달성하였음. 또한, 최근에는 신성장동력사업으로 자동차 LED전장 사업에도 진출하였음. 당사의 직수출실적은 2013년 6월 41,959만불, 2014년 6월 46,869만불로 전년대비 총 12%의 신장률을 보였음. 당해년도 국가별/품목별 수출실적은 휴대폰용 Sub-PBA제품을 포함하여 중국을 비롯한 5대시장 46%, 기타 5대시장을 제외한 전 지역은 54%의 실적을 보임. 최근 세계 휴대폰 시장이 스마트폰으로 재편됨에 따라 관련 산업의 활황으로 동사의 주력사업인 휴대폰용 전자부품(KEY-PBA,근접센서,조도센서 등)의 매출량 증가 추세에 있고, 늘어나는 생산량 증대를 위한 설비투자와 인력확보 등으로 국가 산업 경쟁력 확보와 고용 창출에 기여를 하고 있음. 또한 정보통신 사업 및 자동차 전장 LED등 사업 다변화 및 글로벌 시장에 조기 진입과 안정화를 위해 연구개발 인력 및 관련 핵심 연구/개발 인력 확보를 위해 힘씀. 이에 따른 노력으로 정기적인 해외 전시회(전자부품 산업전시회)를 통해 선진 기술 및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사업의 다각화를 추진함. 또한 사업 상품화를 위한 완성품 시연회를 개최함으로써 신규 국내외 바이어를 발굴하기 위한 홍보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베트남 신규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16. 5억불, (주)시몬느 / 대표이사 박은관(朴殷寬) ▲ 수출품목 : 가죽제가방 ▲ 수출실적 : 50,497만불 (전년도 대비 25% 증가) ▲ 담 당 자 : 박종원(☎ 031-420-0312 ) 공적내용 시몬느는 패션과 핸드백이라는 단어가 다소 낯설었던 1987년 6월 1억 원의 자본금과 15명의 직원으로 본사를 창업하였고,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력과 장인정신을 토대로 전 세계 고급 핸드백 브랜드와 거래를 쌓으며 업계에서 ´마이더스의 손´ 이라는 호칭을 얻으며 승승장구함. 당사는 글로벌 경기침체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베트남 현지에 해외공장 2곳을 증설하며 생산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품질관리를 위한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명품핸드백 이라는 네임밸류에 걸맞은 완벽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음. 이러한 적극적인 투자 및 노력의 결과로 2013년 6월말 기준 40,342만불, 2014년 6월말 기준 50,497만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함. 축적된 역량과 끊임없는 기술개발, 신규시장 진출계획 및 바이어 발굴 등에 힘입어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며 이러한 오더의 증가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으로 베트남에 신공장을 중축하여 규모의 확장 및 제조업체를 뛰어넘어 명실상부 글로벌 패션브랜드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음. 본사는 유럽의 명품브랜드 및 미국의 디자이너 컬렉션 라인을 아시아 최초로 유치함. 명품브랜드 아시아 제조시장의 문을 처음으로 열었으며, 나아가 OEM 방식을 탈피하여 단순한 위탁가공이 아닌 디자인과 소재까지 제안하는 ODM 이라는 새로운 생산 패러다임을 만든 최초의 회사임. 디자인 및 소재 분야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였고, 그 결과물로 지난 26년간 15만개 이상의 디자인 패턴을 제작하였으며, 유럽과 미국, 아시아, 나아가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에 이르는 방대한 자재소싱 능력을 보유하게 되었음. 자재입고부터 완제품 생산, 품질검수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부문별로 세분화된 자체검수 시스템은 바이어를 신뢰하게 만드는 큰 원동력임. 17. 4억불, (주)토비스 / 대표이사 김용범(金龍範), 하희조(河喜朝) ▲ 수출품목 : 액정디바이스, 데이터디스플레이 ▲ 수출실적 : 49,604만불 (전년도 대비 22% 증가) ▲ 담 당 자 : 김태수(☎ 032-712-5112 ) 공적내용 토비스는 ‘인류가 존재하는 한 영원히 함께 갈 전자기기 중의 하나는 영상기기’라는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보다 편리하고, 보다 진보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영상기기를 연구, 개발하여 인류의 발전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세계 속의 초일류 디스플레이 회사로 나아가고자 1998년 설립되었음. 이 후 디스플레이 기기의 연구. 개발. 판매에 매진한 결과 LCD 관련분야인 산업용 모니터와 휴대폰 모듈에서 세계 최고의 수준을 인정받고 있음. 2006년도 매출액이 269억원에 불과했지만 매년 성장을 거듭하여 2013년에는 4,728억원의 매출로 비약적인 성장을 했음. 산업용 모니터 시장은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대기업의 진입가능성이 낮은 틈새시장이며,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제품 설계능력과 제품의 신뢰성 구현이 가장 중요한 사업 요소이기 때문에 신규업체가 진입하기 어려운 진입장벽이 존재하기에 7~8개 소수 업체가 전 세계 물량의 80% 이상을 공급하는 과점시장의 형태를 보이고 있음. 당사 설립 이전에 이미 국내 및 해외의 여러 기업들이 해당 사업을 영위하고 있었지만 설립 16년 만에 글로벌 2위의 위치를 확보 할 수 있었음. 이는 시장 지배적 위치에 있는 슬롯머신 완성품 업체들과의 지속적인 관계개선 활동 및 Curved LCD, Button-deck 등의 혁신 제품을 통해 신규시장을 창출함과 동시에 신규 거래선을 개척하는 계기가 되었음. 또한 당사는 2003년 당시 LG전자가 휴대폰용 TTF-LCM을 일본으로부터 전량 수입하던 것을 최초로 국산화하여, 해당 분야의 선두 주자로서 국내 LG디스플레이, 일본의 SHARP, HITACHI 등 글로벌 대기업들과 함께 LG전자의 휴대폰 Display 주요 공급업체로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음. 또한 2008년 이후 글로벌 메이저 업체인 일본 SONY, Kyocera, Sharp 그리고 국내 LG디스플레이로 고객 다변화를 추진했고, 공급 규모도 확대 중임. 18. 4억불, ㈜아이마켓코리아 / 대표이사 박병주(朴炳州) ▲ 수출품목 : 기타기계류부품, 기타전선 ▲ 수출실적 : $ 43,637만불 (전년도 대비 86% 증가) ▲ 담 당 자 : 김엄지(☎ 02-3708-8237) 공적내용 ㈜아이마켓코리아는 2000년 12월 산업재 B2B 전자상거래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MRO(유지, 보수, 운영)품목의 구매관리와 전략구매 컨설팅 및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업체임. 2012년 미국법인 설립을 시작으로 2013년 시안법인과 베트남법인을 설립하며 해외 시장 개척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음. 2011년 말 기준 누적수출금액은 80,300만불였으며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연 평균 15% 이상의 매출액 증가를 보이며 다양한 산업군의 4,200여 고객사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당사는 주요 산업 자재의 Local 생산 및 Global Maker 조달 기반이 취약한 점을 파악/반영하여 Local 파트너 발굴, 한국 및 중국 광조우 소싱을 통해 Global 소싱 최적화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하고 기업용 자재의 아웃소싱 서비스 도입을 통해 직접 원가 절감 뿐만 아니라 절감 효과도 도모하여 TCO 관점에서 절감효과 극대화를 비춰주고 있음. 사업 설립년도부터 2001년 MRO 구매 서비스 개시, 국내 MRO e마켓 사상 첫 수출하고 2005년 협력사 평가관리 시스템, Smart-i 개발, 2006년 VOC 관리 시스템, Smile-i개발, 2008년 해외 글로벌 구매시스템, e-Glocal 오픈, 2009년 전자동 소싱시스템 A-Match 개발 등등 지속적인 사업확장과 기술개발이 이루어짐. 당사는 현재 전 세계 13개국의 27개 고객사 해외법인에 수출하며 해외 법인 주재원 파견 및 전문 인력을 통한 현지 구매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중에 있음. 2009년 연방조달청의 적격업체 판단 심사기준인 GSA를 통과하면서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으며, 글로벌 소싱 강화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선진 해외 유통사와의 제휴를 바탕으로 해외 수출 판로를 개척함. 고객사로부터 전략구매 컨설팅을 통해 개선포인트로 파악된 비핵심 구매업무를 이관 받아 품목에 따른 통합 구매 및 적절한 대체재적용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 하고 고객사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함. 19. 4억불, 세메스(주) / 대표이사 문주태(文周泰) ▲ 수출품목 : 반도체제조용장비, 평판 디스플레이 ▲ 수출실적 : $ 40,946만볼 (전년도 대비 653% 증가) ▲ 담 당 자 : 남진모(☎ 041-620-8100 ) 공적내용 ㈜세메스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부문에서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기술 및 신제품 개발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서 지난 2011년 1억불 수출탑을 수상한데 이어 올해는 국내 장비업계 최초로 미국과 중국에 자체 개발한 비메모리 장비를 수출함. 당사는 반도체/디스플레이/LED 전공정 및 후공정 핵심장비를 생산하며 반도체 공정장비의 총체적인 솔루션을 제공함. 공정 미세화와 3D Nand 및 Flexible 기술의 선행개발을 통해 차세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의 前공정의 핵심장비 개발과 원천·요소기술을 확보함. KLA-Tencor 등 해외 기업이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반도체 後공정의 검사/계측기 분야도 삼성과의 연계를 통해 Macro/ARS/SPM 양산화를 이루어 내는 등 국산화 및 점진적인 시장창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또한 자체 연구소 설립 및 Open Innovation을 통한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여 기술내재화 및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오픈이노베이션 확대 및 차세대 선행/애로기술 확보를 위한 산학과제의 확대 운영을 진행함. 해외시장 개척으로는 美에 이어 中 시안에 법인을 설립하여 시장확판의 교두보를 마련하였으며 올해는 국내 장비업계 최초로 매출 1조원 돌파를 통해 글로벌 탑10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음. 당사는 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실천하여 정기 협력사 경영자간담회를 통해 협력사 VOC청취 및 상생협력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우수 협력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또한 협력사의 공정한 하도급거래 보장과 컨설팅 지원을 통해 상호 윈윈할 수 있는 올바르고 모범적인 협력업체 육성,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20. 4억불, 고려해운주식회사 / 대표이사 박정석(朴廷錫) ▲ 수출품목 : 윤활제, 기타배전및제어기 ▲ 수출실적 : 48,307만불 (전년도 대비 11% 증가) ▲ 담 당 자 : 문창민(☎ 02-311-6016) 공적내용 고려해운주식회사는 1954년 창립 이래 해운 산업의 선두 주자로서 60년간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특히 반세기에 걸친 해운 물류부문의 지속적인 고부가 가치 창출을 통한 고품질 서비스 제공과 무사고 안전 운항으로 해운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해왔으며, 부산항, 울산항 등의 발전에도 이바지 하여 무역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에 일조하고 있음. 현재 한일, 한중, 동남아, 인도, 중동 항로 등 주요 항로에서 국내외 유수의 선사들과 공동 운항 체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폐사의 아시아 주요 항로에서의 다양한 전략적 제휴 및 공동 운항 체제 강화를 통해 외국적 산사의 부산항 정기 기항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부산항을 아시아 권역의 중심 항으로 발전시켜왔음. 또한 해외 법인 및 분공사, 사무소 설립 등을 통해 각 지역에 물류 거점을 확대하며 해외투자 활성화와 외화 획득에 큰 기여를 하고 있음. 이와 같이 지속적인 신규항로 개발과 견실하고 내실 있는 경영의 정착을 바탕으로 국내외 해운업계에서 모법적인 선사로 귀감이 되고 있으며, 지난 60년 동안 한국해운산업의 성장, 발전과 함께하면서 국가와 지역발전 및 경쟁력을 높이는데 이바지하고 있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해운업계의 불황 속에서도 지난 6년 동안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하며 수출 증진에 기여해왔으며, 매출액은 2005년 4천억대에서 2013년 1조원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물동량은 2005년 80만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s)에서 2013년 160만 TEU로 증가하였음. 특히 해운업계에서는 유례없는 29년 연속 흑자를 시현하며, 안정적인 수출실적 증진을 기록하고 있음. 아시아 역내 최고의 선사로서 2013년까지 인천항 4년 연속 연간 물동량 1위를, 울산항 물동량 규모 전체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부산항에서는 가장 항차 수가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사로 국내항만에서 활발히 수출증대 활동에 힘쓰고 있음. 21. 3억불,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주) / 대표이사 김경섭(金敬燮) ▲ 수출품목 : 자동차 계기판 ▲ 수출실적 : 30,956만불 (전년도 대비 13% 증가) ▲ 담 당 자 : 최도연(☎ 055-220-9140) 공적내용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는 38년의 오랜 역사를 가진 국내 최고의 자동차 계기판 제조기업임. 품질과 기술우선 정책을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펼친 결과 급변하는 대내외적 경제환경의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하였고, 사회적 책임에 따른 일자리 창출과 공헌활동 등에 적극 참여하여 성실한 기업문화 정착에 공헌함. 로컬수출을 포함한 총 수출액은 2011년 약 1.2억불, 2012년 약 2.7억불, 2013년은 약 3.1억불로 매년 10% 이상의 수출신장률을 보이고 있어 수출주도산업의 국가경제성장에 지대한 공을 세우고 있음. 2013년 이후에도 각종 신제품과, 신규 거점 설립과 더불어 주요수출국인 중국, 일본, 미국 등지에서 대외무역 증대로 2억불, 3억불 전망을 앞둠. 사업 다각화를 꾸준히 추진한 결과 최첨단 안전장비 Head Up display 및 스마트키를 개발하는 등 향후 10년간 회사를 이끌어갈 신 성장 동력의 기반을 구축함. 현재는 국내 최고급 자동차에 그 기술이 고스란히 적용되어 국산기술의 한층 레벨 업 된 자동차가 해외시장에 판매되고 국가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킴. 차선이탈방지 시스템(LDWS)은 선진기술 도입으로 일본 본사 개발품의 국내자동차 적용계획 수립이 완료되었고 Head Up Display(HUD)는 국내 최초로 양산화에 성공하여 2012년부터 국내 최고급차종(에쿠스, K9)에 채택된 첨단 안전장치로서 자동차 앞유리 창에 내비게이션, 차간거리등 운전자의 편의 정보를 영사하여 운행 중에도 방해 없이 전방에 시전을 고정한 채로 드라이빙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차후 신규개발차종에도 지속적인 채용이 검토되고 있어 수익구조 개선 및 브랜드 가치상승에 상당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됨. 글로벌 생산기지 확장으로 중국을 시작해 해외 신 공장을 설립하여 유럽에는 폴란드 법인, 체코공장, 슬로바키아공장에 직접 납입을 추진하며 연간 40만대규모의 생산 공장 운영 중 22. 3억불, ㈜코리아써키트 / 대표이사 이광원(李珖遠) ▲ 수출품목 : 전자회로기판(PCB) ▲ 수출실적 : 36,795만불 (전년도 대비 9% 감소) ▲ 담 당 자 : 김기현(☎ 031-436-5528 ) 공적내용 1972년 설립된 코리아써키트는 지난 42년간 오직 전자회로기판(PCB)라는 한 분야에 집중하여 국내 PCB산업 성장 동력에 한 축을 이루고 있으며, 현재는 세계 최고의 PCB 시장조사기관인 Prismark에서 발간한 ‘2013년 전자산업보고서’에서 세계 PCB그룹 2위로 Rank된 영풍그룹의 전자계열사로 세계 일류 IT기업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Micron, SanDisk 등을 고객사로 둔 글로벌 IT산업을 선도하는 전자부품분야 최고의 기업임. 주요 제품으로는 최신 스마트폰, Tablet PC, 컴퓨터 등에 내장되는 HDI, 메모리모듈, SSD, CSP, PoP, FCCSP 등이 있음. 금년 수출실적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세계 일류의 전자회로기판(PCB) 제조업체라는 명성에 걸맞게 PCB 수출이 256,046천불이며, 지역별 수출실적은 중국에서 7,086만불, 홍콩에서 5,950만불, 싱가포르에서 498만불, 미국에서 135만불, 일본에서 88만불, 기타시장에서는 11,847만불(베트남, 푸에르토리코, 인도, 말레이시아, 대만, 이스라엘, 프랑스, 몰타, 브라질, 필리핀 등)로 전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음. 전 매출 약 90%가 수출을 통해 이루어져 국가 수출 진흥에 기여하고 있음. 선행적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우수한 품질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여 품질경영에 있어서도 혁신적인 노력을 하여 왔으며, 특히 품질관리를 위한 현장사원 자격인증 제도를 도입하여 체계적인 교육으로 품질 향상 및 전문성 신장을 도모하고, 사외 직무 전문 교육의 폭넓은 지원을 통해 1인 1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인재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 이런 노력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모비스 등으로부터 최고 품질 기업으로 인정을 받았으며, 2년 연속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기도 하였음. 이러한 노력들을 통하여 전 세계에 수출하는 전자제품에 초일류적인 부품을 제공하여 부품산업의 수출증대 효과에 크게 이바지하였음. 23. 3억불, 현대위스코(주) / 대표이사 윤준모(尹駿模) ▲ 수출품목 : 자동차 엔진, 동력 전달장치 ▲ 수출실적 : 32,372만불 (전년도 대비 6% 증가) ▲ 담 당 자 : 최우영(☎ 055-280-1765 ) 공적내용 1974년 10월 창원공업으로 설립한 현대위스코는 자동차의 엔진과 동력 전달장치 등 자동차 핵심부분에 들어가는 단조부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로, 자동차의 기본이 되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단조 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한편 이를 기반으로 엔진, 미션부품도 가공, 조립하는 생산체제를 갖추어 자동차 부품전문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음. 현대차 그룹의 계열사로서 주요 매출이 현대/기아차, 현대파워텍, 현대다이모스, 현대위아 등 그룹사와 한국 GM등 국내시장에 치중하였으나, 2009년부터는 수출 전담조직을 구축하여 해외시장을 개척하여 해외 직수출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음. 단조부문의 최고의 설계와 기술력으로 독자 설계뿐만 아니라 정밀금형을 자체 제작하고 있으며, 단조금형 생산에 필요한 자동화 설비(EDM, Machining Center, 고속가공기 등)를 구축하고 있음. 또한, CAD/CAM/CAE 운영을 통한 최고의 설계 능력 및 모델링으로 사전 제품 검증 및 3차원 측정을 하고, 금형 스캐닝으로 첨단 고속가공 기술을 한층 발전시키는 등 첨단의 금형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오늘날 자동차 주요 관심이 소음진동(NVH)을 줄이는 것임을 감안하여 소음진동(NVH) 개선을 위해 부품 경량화를 추진 중이며 이 일환으로 샤프트류의 중공 단조기술을 개발해 2011년부터 양산하고 있고, 차량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단조기술과 알루미늄 Wheel 단조기술을 국내 최초로 적용하고자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이러한 기술과 노력을 바탕으로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 기존의 내수중심의 사업구조에서 탈피하여 해외시장 판매를 통한 수출기업화 강화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고 있음. 이를 위하여 북미시장 중심의 수출을 멕시코, 태국, 독일, 이탈리아 등 아시아 및 유럽 지역으로 시장을 다변화하고 있고, 해외시장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단조제품에서 고부가가치품인 가공, 조립제품으로의 품목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음. 24. 3억불, 주식회사성우하이텍 / 대표이사 이명근(李命根)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32,893만불 (전년도 대비 30% 증가) ▲ 담 당 자 : 강승호(☎ 070-7477-5216) 공적내용 1977년 성우금속 이름으로 설립되어 동차부품(Sub-KD, 반제품상태의 차체부품)을 주력으로 프레스설비장비, 금형 설비장비, 로봇 및 용접 설비장비, 원자재(코일), 소모품 등 다양한 제품을 중국, 체코, 인도, 러시아, 우즈벡, 브라질 등의 국가로 수출하고 있음. 매출액 3.1조원(13년 연결 매출기준, 개별 매출기준 9,371억원)을 기록했으며, 국내에는 성우몰드(금형공장), 아산성우, 지사공장, 코일센터 등을 설립하여 운영중이고 해외에는 1998년 인도를 시작으로 중국 무석, 북경, 염성, 심양, 연태, 체코, 슬로바키아, 인도, 러시아, 우즈벡 등 많은 해외법인들을 설립 및 운영 중에 있음. 1998년 자동차 차체업체로는 최초로 인도 첸나이에 진출하여 현지 자동차 회사와 합작으로 TSAL이라는 법인을 설립하여 성공적으로 운영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글로벌 경영의 발판을 마련하였음. 세계 유수의 자동차 메이커들의 각축장이 된 중국에서 2002년 8월 상해, 2002년 10월 북경, 2006년 12월 염성에 각각 100% 단독 출자하여 현지 법인을 설립하였으며 국내에서 검증받은 안정적인 공장운영 기법 및 선진기술을 바탕으로 완성차의 품질확보 및 가격경쟁력을 높이는데 일조하였음. 또한, 체코의 현지공장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현지인들로부터 매우 우호적인 기업으로 인식되고 있어 한국의 위상을 세계 속에 과시하여 국위를 선양하고 있음. 또한 2012년 선진 자동차 기술의 집약체인 독일에 자동차 부품회사인 WMU를 인수하였고, 현재 WMU를 발판으로 BMW 등 글로벌 업체에 공급을 준비 중에 있으며, 2014년에는 기아자동차 멕시코 프로젝트에 참여가 확정되어 현재 멕시코 현지에 법인설립 및 공장건축을 준비 중에 있음. 기술개발 관련하여 2002년 국내 최초 TWB레이저 용접기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여 양산에 적용하였고, 금형에 의한 프레스 성형과는 달리 롤러에 의한 다단성형인 ROLL FORM´G 제조기술을 개발하여 양산에 적용시킴으로서 범퍼 중량 및 부품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자동차 부품의 경량화에 크게 기여하였음. 이러한 신기술을 적용하여 충돌시 안전도 향상은 물론 자원 및 제조원가절감과 완성차 경량화를 통한 연비향상 효과를 가져왔음. 25. 3억불, 한국파워트레인(주) / 대표이사 김상태(金相太) ▲ 수출품목 : 자동차 동력장치(토크컨버터) ▲ 수출실적 : 36,555만불 (전년도 대비 32% 증가) ▲ 담 당 자 : 이정아(☎ 053-260-3008) 공적내용 1993년에 설립된 한국파워트레인은 세계 최고의 기술 실현을 목표로 매출액 대비 약 10% 이상의 과감한 연구개발 투자로 기술혁신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독자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차량 경량화에 의한 탑재성 및 성능 향상, 연비 및 승차감 향상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토크컨버터의 초소형/고성능 설계기술 및 신개념의 댐퍼설계기술을 확보하고 있음. 끊임없는 신기술을 개발을 통해 국내에서는 유일한 토크컨버터 제조업체가 되었고, 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2 ~ 3위 수준을 점하고 있음. 현재 본사를 포함한 총 4개의 사업장과 수원 연구소, 그리고 미국 디트로이트에 Sales Office를 운용 중이고, 미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세계 20개국, 18개 회사, 80개 공장에 당사의 토크컨버터 및 엔진풀리, 기타 자동변속기용 부품을 공급하여 당해년도 수출실적은 약 3억 7천만불을 달성하였음.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 제일의 변속기 제조 MAKER인 ZF의 미국 및 중국 공장에 당사의 토크컨버터를 공급 개시하여 당해년도 약 2,400만불의 실적을 달성하였고, 또한 내년도인 2015년에는 MASTER 수출 1천억을, 2016년에는 1천 5백억원을 목표로 수출업무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국내에서는 독자설계능력을 갖추지 못하여 수입에 의존하거나, 비싼 로열티를 지불하고 설계기술을 도입하기도 하고, 단순 생산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던 오토트랜스 미션의 핵심 동력장치인 토크컨버터를 국내 자동차 부품 업계 최초로 국산 및 자동화 개발에 성공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외 완성차 및 트랜스미션 메이커에 전량 공급함으로써 독점적인 시장우위를 확보하고 있음. 26. 3억불, (주)화승알앤에이 / 대표이사 백대현(白大鉉) ▲ 수출품목 :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 수출실적 : 39,146만불 (전년도 대비 9% 증가) ▲ 담 당 자 : 박재우(☎ 055-370-3213) 공적내용 화승알앤에이는 자동차용 웨더스트립(문을 닫았을 때 비와 물, 먼지 등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문과 차체 사이에 꼭 맞게 마련된 탄성 고무), 호스 등 자동차용 고무 부품 및 조선 기자재를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2009년 3,760억원, 2010년 5,157억원, 2011년 6,308억원, 2012년 6,612억원, 2013년 6,554억원으로 꾸준한 성장을 계속하고 있음. 국산 자동차의 품질 및 브랜드 이미지 상승에 따른 수출 경쟁력이 강화됨에 따라, 완성차 업체의 해외현지 생산판매 전략 강화와 발맞추어 완성차업체와 해외 동반진출하였고, 미국, 중국, 인도에 4개의 현지 법인 및 독일, 미국에 영업/설계 해외사무소를 설립 및 운영하여 다임러크라이슬러, GM, BMW, 폭스바겐, 볼보 등 굴지의 국외 자동차 Maker에 우수한 품질의 자동차 부품을 직접 납품하였음.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의 세계 일류 상품화를 추진하여 당사 제품의 신시장 개척 및 수출 확대에 큰 힘을 쏟은 결과, 현재 생산제품 분야에서는 국내 시장의 점유율 1위, 세계시장 점유율에서는 9위를 차지하고 있음. 또한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는 우리나라 대일 무역적자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는 부품 · 소재분야 품목 중 하나인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을 3년 안에 세계시장 점유율 5위 이내로 진입이 전망되는 수출주력 상품으로 인정하였고, 자동차용 고무부품 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현재 세계일류상품으로 2008년 12월에 선정하였음. 미국 조지아 공대에 화승 Lab 설치(2011년 3월 5일)하여 미래 기술 및 글로벌 기술 경쟁력 구축하고 있으며, 방산 국책과제를 통한 KHP용(한국형 헬기사업) 자기 밀폐형 연료탱크 국산화 개발을 성공하여 우수 방산업체로 인정받았음. 27. 3억불, 금호미쓰이화학(주)/ 대표이사 박찬구(朴贊求) ▲ 수출품목 : 기타합성수지, 기타석유화학제품 ▲ 수출실적 : 32,007만불 (전년대비 13%상승) ▲ 담 당 자 : 김혜원(☎ 02-6961-3762) 공적내용 금호미쓰이화학은 1989년 금호석유화학과 일본 미쓰이화학이 합작 설립한 회사로 자동차 내장재, 냉장고 건축자재, 합성섬유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폴리우레탄 핵심원료인 MDI(화학제품)를 생산하고 있음. 지난 1992년에 2만톤을 시작으로 2005년 생산규모를 6만 5천톤으로 확대한 뒤, 2009년에 증설하여 15만 톤의 생산능력 구축하였고, 2012년 5만톤 증설을 통해 20만톤 체제를 확립하였음. 이로써 아시아 지역을 비롯한 해외 시장의 자동차 및 가전 제품 산업 성장에 따른 폴리우레탄 수요 증가에 맞춰 주원료인 MDI를 적기에 공급하였음. 당사의 원천기술은 일본 합작사인 미쓰이화학에서 20여년전 전수받은 기술로써 대량 생산체제에는 투자비 과다, 반응시간 지연 등 아시아를 넘어 세계 각지의 고객들을 만족시키는 데는 제조 방식으로부터의 한계가 있었음. 이에 따라 원천 기술을 뛰어 넘는 최고 수준의 품질, 제품 안정성, 고객에 맞춘 특수 등급 및 친환경 제품 개발로 경쟁사 진입을 차단하는데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성과를 가시화했음. 또한 독자적인 신 제조공법(고속반응 기술)개발 및 공정 개선을 통한 고품질, 저비용 생산 체제를 확립하여 경쟁사 대비 생산성을 증대하고 글로벌 원가 경쟁력에서도 우위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대한 계기를 마련하였음. 글로벌 MDI 메이커의 중국 내 증설 완료에 따라 2014년 초부터 중국 시장 공급과잉 여파가 글로벌 시장으로 전이되어 세계 MDI 가격 하락세가 현실화 되고 있으나, 당사는 수출 지역별 탄력적인 운영과 제품별 차별화를 통해 전년대비 약 13%의 수출 성장을 이룩했음. 당사의 전체 매출 중 수출 비중은 50%를 상회하며, 이 중 2013년 50%에 가까웠던 중국 비중을 2014년 15%대까지 낮춤과 동시에 터키, 브라질, 타이완, 유럽, 미주/아프리카 등 지역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음. 28. 3억불, (주)화신 / 대표이사 정호(鄭晧), 정서진(鄭瑞鎭)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샤시 모듈부품) ▲ 수출실적 : 36,553만불 (전년대비 96%증가) ▲ 담 당 자 : 최준희(☎ 054-330-5132) 공적내용 화신은 한국자동차 산업의 태동과 함께 하고 있는 회사로 1975년 7월 본격적인 자동차 부품 전문생산업체로 기틀을 마련하고, 현가장치 및 차체 부품을 주요 생산품으로 하여 샤시 부품 등 고품질의 부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생산시설을 완비하였으며, 국내외 완성차 자동차 업체 및 부품 업체를 상대로 샤시와 바디 부품류 등을 생산, 공급하는 자동차부품 전문 생산업체임. 화신은 설립 이후 39년 동안 국내 완성차 업체와 상생 및 협력을 통해 국내 3개 법인과 해외 4개 법인을 포함한 총 7개 회사 모두 자동차 부품산업 외길의 경영을 해왔으며, 국가 자동차산업 발전에 혼신을 다하고 있음. . 2002년부터 국내 완성차 업체와 함께 동반 해외 진출하여 해외공장의 초기 품질확보에 큰 기여를 한 결과, 해외 진출한 국내 완성차 업체의 품질 및 브랜드 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당사 제품의 해외 수출이 증가하였고 국내 완성차의 매출 의존도를 줄였음. 또한 판매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매출처 확보를 노력해온 결과 2012년도 1.38억불 당해년도 3.1억불의 직수출을 달성하였음. 제품의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해 1987년 화신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고, 현재 160여명의 연구 인력과 최첨단 고기능 시험 장비를 갖추고 관련 제품의 성능 평가 및 품질보증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술정보 제공에서 기술인력 양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초 경량화 부품양산을 위한 Aluminum Hot Air Forming공법과 Hot Press Forming공법을 국내 최초로 개발에 성공하여 특허 및 양산차종에 적용하고 있으며, 샤시 및 Body Part 부분의 전장화 연구에도 힘쓴 결과 국내 54건, 국외 9건의 특허출원과 국내 113건, 국외 7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부품소재 기술개발사업, 자동차 부품기반 기술개발 사업, 산업기술 개발사업 등 다수의 국책 과제를 매년 참여하고 있고, 일본 자동차 샤시 전문 부품업체인 F-tech, Y-tech 등 해외 선진사 부품업체들과의 기술교류를 통해 신기술 개발의 정보교환 및 상호 해외사업 협력을 추진하고 있음. 29. 3억불, ㈜풍인무역 / 대표이사 박영표(朴永杓) ▲ 수출품목 : 브라우스, 여성바지스커트 ▲ 수출실적 : 31,432만불 (전년대비 4% 증가) ▲ 담 당 자 : 신동원(☎ 02-2067-0345) 공적내용 풍인무역은 25년 간 우븐과 니트를 동시에 생산해 온 수출 회사로서, 세계 유명 여성 브랜드를 생산하여 해외 바이어로부터 그 품질과 디자인을 인정받고 있음. 현재 서울 본사에 약 370명이 근무하고 있고,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 총 6개의 자체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11,000명의 직원을 두고 있음. JC PENNEY, MACY’S, KOHL´S, ANN TAYLOR 등 미국 20여 개 백화점 및 의류 브랜드에 생산 전량을 수출하고 있고, 매년 20%이상의 지속적인 성장을 하여 2013년 금융감독원 공시 매출액 및 순이익 부문에서 2년 연속 국내 1000대 기업으로 선정되었음. OEM(주문자 상표 부착품) ORDER만을 진행하는 타사와 달리 ODM(제조업자 개발생산 방식)의 중요성을 미리 인식하고 자체 R&D 부서를 운영하면서, 컬러와 원단특성, 디자인을 바이어에게 제안하여 새로운 제품을 제작하는 등 OEM에서 ODM 회사로 진화해 가고 있음. 또한 베트남 하노이와 호치민에 해외사무소를 설립하여 본사와 해외 법인의 원활한 의사 소통 및 지속적인 생산 관리를 통해 품질 향상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JCPENNEY QUALITY AWARD, KOHL´S EXCLUSIVE VENDOR, MACY’S 5 STAR AWARD 등을 수상하며 고객들로부터 인정받는 정상급 의류수출 벤더로 자리매김하였음. 유행에 민감한 패션업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즌 별로 미국, 유럽에서의 트렌드 조사를 실시하는 등 우븐사업과 니트사업에서의 경험을 모아 바이어에게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이러한 서비스는 신규 바이어 유치를 위한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서비스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향후 미국과 유럽에 디자인 센터의 오픈을 계획하고 있음. 이러한 노력으로 2013년 의류수출 부문에서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섬유패션인 대상을 수상하였고, 2014년 포브스 글로벌 경영부문 최고경영자 대상을 수상하여 회사와 국가의 위상을 높이는데 이바지함. 30. 3억불, ㈜온코퍼레이션 / 대표이사 이종원(李鍾源) ▲ 수출품목 : FLAT TV ▲ 수출실적 : 37,890만불 (전년대비 44% 증가) ▲ 담 당 자 : 정순복 (☎ 064-728-7044) 공적내용 온코퍼레이션은 중국에서 제조, 미국에서 FLAT TV를 판매하는 수출업체로 계속적인 두 자릿수 성장률로 2014년 매출 4,552억을 달성하였음. 2013년 7월 본사 및 연구소를 제주 첨단과학 단지로 이전하여 지역투자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직원들의 업무환경을 끌어올려 일하기 좋은 기업을 만드는데 앞장서고 있음. 현재 미국 내 높은 브랜드 인지도로 2013년 미국 TV시장 점유율에서 6위를 차지하였고, 향후 5년 이내 수출 10억불(매출 1조) 달성과 한국 500대 기업(2013년 기준 매출순위 808위)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음.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최대 유통업체들과 거래하여 RCA 독자 브랜드로 LCD, LED, PDP 등의 평판TV와 DLED TV를 세계 최대 대형 할인점인 WALMART, 미국 최대 가전 판매업체인 BEST BUY를 비롯하여 COSTCO, SEARS, KMART 등 유수 업체들과 거래하고 있음. 2011년 1월 기업 부설연구소 설립과 2014년 2월에 디자인 연구소를 설립하여, 신제품 개발과 성능향상에 노력하고 있으며, 고효율 LED BLU 제품개발 및 저탄소 DLED TV를 개발하여 상품화를 통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최근 판매와 소비자 니즈에 따라 Smart TV의 개발 및 생산 기술 확보를 통한 시장수요에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구매력이 높고 실용적인 구매 시장에서 기술과 가격이 어느 정도 표준화가 되면서 브랜드 가치는 점점 더 중요해 지고 있는 상황인데, 미국에서 높은 인지도의 RCA BRAND 라이센스 획득하여, 성공적인 TV유통업체 진입에 성공하였고 매년 대형 유통업체 및 매장 수를 늘려가고 있음. 또한 세계최대가전 박람회 CES에 매년 참가하여 세계 각국의 바이어와 교류하며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는데, 2014년 CES에서 RCA TV는 55“, 65”, 84“ 4K UHD Smart TV와 IPTV 등 새로운 디자인의 다양한 프리미엄 제품군과 ROKU TV, DVD COMBO, BD COMBO를 지원하는 새로운 디자인의 레귤러 제품군을 선보여 기업 및 국가이미지 제고에도 큰 이바지를 하였음. 31. 2억불,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대표이사 문태윤(文泰允) ▲ 수출품목 : 자동차 전장 부품 ▲ 수출실적 : 27,706만불(전년대비 9% 증가) ▲ 담 당 자 : 이용운 (☎ 044-270-6273) 공적내용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는 전 세계 36개국 Continental Automotive AG의 아시아 중심 거점으로써 한국의 자동차 부품 사업을 이끌어 가는 회사임. 당사는 1979년 4월에 만도기계(주) 설립을 시작으로, 1995년 8월 (주)한라일렉트로닉스, 1999년 3월 독일 Mannesmann VDO AG, 2001년 5월 독일 씨멘스 브이디오 오토모티브, 2007년 12월 독일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그룹으로 편입되면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해왔음. 주력 제품은 자동차 부품인 인스트루먼트 클러스터, 자동 온도조절기, 그리고 각종 핵심 센서류 등임. 대다수가 자동차 전장 최첨단 부품으로 선진 기술 및 높은 수준의 연구개발 능력에 의해 생산된 제품이며,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유수의 자동차 업체에 동시에 공급되는 제품들임. 모든 제품에 대한 자체 연구 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무직의 50% 이상이 연구개발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음. 그리고 인스트루먼트 클러스터의 연구개발 능력은 전 세계적으로 입증되어 콘티넨탈 아시아 연구개발 거점으로 육성 발전되고 있음. 또한 최근 최첨단 자동차 계기판인 Head Up Display (항공기처럼 자동차 유리판에 각종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최신 계기판)사업을 시작하여 국내 자동차 선도 기업으로써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음. 수출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수출입 선진 기업으로써 외화 획득을 통한 국내 경제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고, 관세 및 무역 행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무역 행정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음. 주요 수출국은 미국, 유럽, 중국, 호주, 동남아시아, 일본 등으로 세계 경제 주요 블럭 모두를 수출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고, 특히 최근 지속적으로 발효되고 있는 대규모 FTA에 발맞춰 추가적인 수출 활로 개척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 32. 2억불, (주)엘앤에프신소재 / 대표이사 이봉원(李奉源) ▲ 수출품목 :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소재 ▲ 수출실적 : 21,243만불(전년대비 6% 증가) ▲ 담 당 자 : 최현철 (☎ 054-979-8858) 공적내용 엘앤에프신소재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소재 산업의 불모지인 우리나라에 2005년 양극소재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창업 9년 만에 세계 시장 TOP3 그룹에 진입하였음. 기존 대비 원가 혁신 소재인 NCM계 양극소재를 세계 선두급(국내 최초)으로 양산 성공하여, 2011년에는 양극소재부문 세계시장 3위, 2012년에는 양극소재부문 세계시장 2위, 2013년에는 양극소재부문 세계시장 공동 1위를 차지하며 2014년에는 월드클래스300 기업 선정되었음.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양극소재)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4대 핵심소재 중에 원가(제조원가의 약 30%이상)와 성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소재로, 양극소재 산업의 세계시장 규모는 현재 3조원에서, 2020년도에 20조원으로 6배 이상 성장할 전망임. 또한 양극소재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산업은 미래 핵심 친환경/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스마트폰, 노트북, 전동기구, 로봇, 의료기기 등 다양한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관련 시장 선점을 위해 전 세계 유수의 국가들과 글로벌 기업들이 진입 각축전을 보이고 있음.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엘앤에프신소재는 괄목할만한 성장과 능력으로 세계시장에서 우뚝서고 있음. 2007년 원가 혁신 소재인, NCM계 양극소재를 세계 선두급(국내 최초)으로 양산 성공한 것을 시작으로, 중대형용 양극소재 시장의 성장을 염두하여 2010년 국제자동차시스템의 개발과 품질규격 요구사항인 TS16949를 획득하였으며, 2011년에는 국내 최초로 스피넬계(LMO 양극소재) 제품을 이차전지의 발원지인 일본 중대형전지업체로 직수출을 하였음. 그 이후에도 2007년 4월에는 ISO 14001, ISO 9001을 획득, 2011년 1월에는 부품소재전문기업 선정, 2011년 12월에는 녹색기술인증 획득, 2012년 4월에는 INNOBIZ 인증 획득, 2012년 11월에는 동반성장위원장상을 수상하는 등 품질 및 기술개발 노력을 해 왔음. 33. 2억불, (주)엠씨넥스 / 대표이사 민동욱(閔東郁) ▲ 수출품목 : 초소형 카메라모듈 ▲ 수출실적 : 21,417만불(전년대비 65% 증가) ▲ 담 당 자 : 최영근 (☎ 070-8630-6810 ) 공적내용 엠씨넥스는 2004년 CCM기술을 기반으로 설립한 영상 전문기업으로서 초소형 카메라모듈 분야에 대한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자동차용 카메라모듈, 블랙박스용 카메라모듈, USB카메라모듈, 로봇용 카메라모듈, CCTV용 카메라모듈, Home DVR, 3D 카메라모듈, 휴대폰용 엑츄에이터 등 각 사업 영역을 확장하여 매출액과 수익률의 지속적인 신장을 계획하고 있음. 휴대폰 카메라모듈의 경우 8M를 넘어서는 13M, 16M 고화소 모듈과 초소박 제품을 선행 개발하여 생산하고 있음. 특히 자동차용 카메라모듈은 VGA급 제품으로서 자동차의 전방과 후방을 모니터로 볼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MEGA화소급 제품도 개발하여 상용화되고 있음. 개발 초기에 화질에 중점을 두고 CCD(전하결합소자) 제품으로 개발을 시작하였으나, 이후 가격경쟁력 강화를 위해 생산원가가 낮은 CMOS(상보형금속산화반도체) 제품으로 개발하여 업계를 선도해 나가고 있음. 또한 차선이탈경보카메라(LDWS), 통신핸들조향연계 후방카메라(CAN), 졸음방지(DSM 카메라), 나이트 비젼 등 단순 VIEWING 기능을 넘어선 SENSING기능이 추가된 카메라모듈로 진출을 준비하고 있음. 휴대폰 시장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업체 간 치열한 경쟁 및 중국업체들의 시장입지 확대로 일부 업체들은 사업부진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임. 이에 따라 당사는 시장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적극적인 시장 공략과 영업을 진행함. 국내 삼성전자와 글로벌 업체인 중국의 ZTE, OPPO, FOXCCON, 일본의 교세라, NEC 등에 프리미엄 스마트폰부터 보급형 피처폰까지 라인업을 다양화하여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였고, 다각화 된 고객사들과 중국 Local 시장을 선도해 가며 시장 시장점유율을 강화해 나가고 있음. 특히, 최근 글로벌 업체인 삼성전자에 공급을 통한 매출 신장을 공고히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국내시장과 신흥시장의 균형 있는 성장을 통해 시장점유율 확대 및 이익률 성장을 이어 나갈 계획임. 34. 2억불, (주)비에이치 / 대표이사 이경환(李庚桓) ▲ 수출품목 : 연성인쇄 회로기판 ▲ 수출실적 : 23,203만불(전년대비 178% 증가) ▲ 담 당 자 : 김대영 (☎ 032-510-2608 ) 공적내용 비에이치는 첨단 IT산업 핵심부품인 연성인쇄 회로기판(FPCB)과 그 응용부품을 제조 및 공급하는 전문회사로, 1999년에 ㈜범환플렉스로 설립되어, 2001년에 ㈜비에이치플렉스를 거쳐, 2006년에 사업의 다각화 및 새로운 기업이미지 창출을 위해 ‘㈜비에이치’로 상호를 변경함. 제조 공정의 안정화를 통해 발전하기 시작하여 현재 40um 수준인 Fine Pattern(미세회로)인 LCD 모듈, PDP Drive용 FPCB와 고도의 기술력인 IVH(Interstitial Via Hole) 및 HDI(High Density Interconnector)를 채용한 고부가가치 Rigid Flexible PCB(연성 인쇄 배선 회로 기판)제품이 당사의 주력 생산제품임. 우수한 제품생산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본과 대만 등, 유수의 IT업체로의 수출은 물론 국내 대기업에 납품을 하고 있으며, 중견 FPCB 전문 제조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연성PCB(FPCB) 산업의 경우 다품종 소량 생산, 자동화의 어려움, 제품의 다양성, 생산인력의 높은 이직률 등의 어려운 여건으로 인하여 불량률이 타 산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상황임. 따라서 낮은 불량률 관리를 위하여 지속적인 설비 및 인력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 중 숙련도가 높은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많은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 국내 최대 고객인 삼성계열 회사와 LG전자계열 회사와의 거래 경험, 그리고 2004년부터 지속되고 있는 일본 고객사와의 거래 경험을 바탕으로 구로다, 마쓰시다, 후시덴, 파나소닉, 오므론, 소니커뮤니케이션사 등과 현재 일부 초도양산 납품과 견적, 샘플 진행 승인 및 추진 중에 있으며, 일부 업체와 추가적으로 영업이 확대될 예정임. 이러한 시장 개척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해외 영업 라인을 구축하고 일본 주요 업체인 JDI, 히타치, 교세라, 소니 등의 업체로 영역을 확대하는 마케팅 전략을 병행 추진하고 있습음. 또한 북미향 고객사와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스마트폰 및 일반 휴대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확보에 주력하고 있음. 35. 2억불, (주)레노바시스템앤매트리얼 / 대표이사 이명숙(李明淑) ▲ 수출품목 : 액정디바이스,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 수출실적 : $ 22,668만불(전년대비 25%증가) ▲ 담 당 자 : 임연선 (☎ 02-558-8167 ), 공적내용 ㈜레노바시스템앤매트리얼은 2001년 11월 설립되어 액정디바이스,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임. 2012년부터 일본 전자회사 LCD GLASS제품을 국내기업에 임가공하여 중국현지 제조공장에 공급하는 임가공무역을 지속적으로 하고있으며, 전자회의 공정에 필요 한 우수한 검사장비 및 REPAIR 장치를 중국 및 일본 공장에 국내 제조사와 협력하여 공급 판매를 하고 있음. 첨단 기술 산업에서 제조 공정의 수율 향상, 비용 절감, 품질 향상, 그리고 자동화, 에너지 절약화에 크게 공헌하고 있으며, 반도체, FPD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 제조 장비 사업, 소재 사업, 컴포넌트 사업의 연구 개발, 제조, 수출입, 판매, 응용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일본업체보다 빠른 납기를 통하여 중간 가공공정의 국내생산을 가능케함. LCD 생산공정에 필요한 양산장비의 생산기술은 국내업체들이 상당한 기술 경쟁력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우수한 업체의 양산 장비를 일본 LCD제조사나 중국 Module업체 에게 공급 판매하고 있음. 주요 취급 장비는 LCD공정 중 검사 장비, Repair 장비, Marking 장비, ITO 성막 장비 등이며, 그 외에 Module공정의 점등검사장비, Cell repair장비 등을 취급함. 한국의 좋은 인적자원 및 공장설비를 활용하여 임가공 무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한국인의 특징인 SPEED경영을 활용하여 임가공무역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노력중. 당사는 국내에서의 성공적인 가공무역실적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더 큰 도약을 위해 중국시장을 진출할 계획을 수립하고 점차적인 준비 중에 있으며, 신규 사업으로 대형화되고 있는 LCD광고판이나, 산업용 및 의료용, 화상회의용 등의 사용되는 고화질, 대형 LCD Module판매 사업도 병행할 계획임 36. 2억불, 남양공업(주) / 대표이사 홍성종(洪聖鍾)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 20,383만불(전년대비 3%증가) ▲ 담 당 자 : 이홍직 (☎ 031-494-2222) 공적내용 남양공업(주)는 1969년 5설립된 자동차부품 전문 기업으로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드럼, 허브 등의 제동장치 및 스티어링 컬럼, 인터메드 샤프트, EPS 부품, 기어박스 부품 등의 조향장치가 주요 생산품목임. 2003년 중국 현지법인인 강소남양을 설립하여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고, 중국 내 유수의 부품사들과 경쟁을 벌임. 세계화를 위한 노력의 결과로 현재는 GM사의 전 세계 공장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BMW사로부터 조향제품인 스티어링 칼럼을 수주하여 2016년부터 공급할 계획이며, 약 10년간 약730만대의 물량을 공급할 계획에 있음. 2014년에는 BMW사의 수주를 계기로 독일에 현지 사무소를 설립하였고, 유럽시장 대응 및 개척을 위해 폴란드에 현지 생산법인 설립을 추진 중. 남양공업(주)의 최근 매출액은 2010년 2,755억원에서 2013년 3,883억원으로 성장을 하였으며, 경기침체. 원화강세 등 어려운 대외 경제여건 속에서도 성장을 지속하고 있음. 당사는 기술개발과 품질 향상만이 지속성장을 위한 밑바탕임을 인식하고 꾸준히 기술개발과 품질향상에 주력함. 신제품에 적용한 주요기술로는 한번의 조작으로 어퍼틸트(상하조정)와 텔레스코픽(전후조정)을 동시에 조정이 가능하도록 고정 및 해제하는 기술과 에너지 절약을 위해 스티어링의 몸체를 기존의 철강재나 알루미늄에서 신소재인 마그네슘으로 적용하고 최적화하는 기술 등임. 특히 한 개의 레버로 틸트 및 텔레스코픽을 동시에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은 세계특허 획득 및 신기술포럼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신기술(KT)마크를 인증하는 등 기술적인 인정을 받음. 이 제품은 NF소나타에 적용을 시작으로 그랜져, 산타페, 그랜드카니발 등에 적용되어 현대기아자동차의 품질력 확보 및 수출 증대에 기여함. 협력사의 육성과 동반성장을 위하여 2005년부터 협력사의 생산 및 품질관리 수준을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정밀진단 하는 협력사 기초 다지기 프로그램을 실시함. 2007년 까지 3년간 외부전문가의 지도로 협력사에 생산,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함. 37. 2억불, ㈜팬코 / 대표이사 이건후(李建候) ▲ 수출품목 : 언더셔츠 ▲ 수출실적 : $ 24,636만불(전년대비 2%증가) ▲ 담 당 자 : 박진숙 (☎ 02-2210-8734 ) 공적내용 (주) 팬코는 1984년 설립 후 줄곧 의류 수출의 외길을 걸어온 섬유수출 전문기업으로 창사 이래 까다로운 일본 의류시장 개척에 주력한 결과 2013년에는 일본시장에서만 2억불 이상의 수출 실적을 기록함. 또한 중국과 베트남에 최신 버티컬 공장(편직, 염색 및 봉제 일괄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여 품질과 납기에서의 혁신을 달성하였으며 축척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본, 미주 및 국내 바이어의 다양한 니즈에 신속 정확하게 대응함으로써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 수출실적은 일본을 상대로 니트섬유 단일 아이템을 가지고 이루어낸 것이어서 특별한 의미가 있는데, 창업 이듬 해인 1985년 155만불을 시작으로 1995년 5천만불, 2008년에는 1억불을 돌파하여 불과 1년 만인 2009년 창립 25주년을 맞이하여 1억 5천만 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함. 이후 유니클로를 비롯한 일본 대표 바이어의 오더 증가로 2013년에는 전년대비 30% 증가한 약 2억 3천만불의 실적을 기록하였으며 현재는 미국과 유럽 시장 진출을 통해 빠른 시일 내에 3억불 수출을 달성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당사의 조직 역량 증대를 통한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는 설비 경쟁력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이러한 전사적 노력과 더불어 R&D 팀을 주축으로 기능성 스포츠 원단과 친환경 원단, WELL-BEING 원단 및 각종 후 가공제와 조직변형을 이용한 BRAND-NEW 원단 개발을 추진 중이며 해외 유수 박람회와 시장 조사를 통해 트렌드를 선도하는 상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음. 또한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해외 현지 생산체제를 구축하는 데 공격적으로 재투자하여 현재 중국과 베트남에 6개의 현지 생산 기지를 갖춘 뒤 편직, 염색, 봉제를 일괄하는 생산체제의 수직계열화, 즉 버티칼(vertical)체제를 완성함으로써 명실공히 세계최고 수준의 니트의류 전문기업의 위상을 갖춤. 38. 2억불, ㈜센트랄 / 대표이사 강태룡(姜泰龍)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 25,101만불(전년대비 60%증가) ▲ 담 당 자 : 신종민 (☎ 055-278-0518) 공적내용 ㈜센트랄은 1971년 한국센트랄 자동차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하여 현재는 자본금 760억원, 종업원 462명에 이르고 있는 기업임. 1973년 국내최초로 조향장치부품을 국산화하여 생산하였으며, 1990년에는 신기술개발에 대한 의지를 담아 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1994년 전세계 어떤 기업들도 주목하지 않았던 한국자동차 부품을 FORD 등 글로벌 자동차기업에 선도적으로 수출하면서 국내 자동차부품기업의 위상을 높여왔으며, 지속적인 신기술 개발과 경쟁력 있는 신제품 출시로 그 인지도를 쌓아온 결과 당해년도에는 80%이상을 수출하며 3,194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함, 특히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이 24%에 이를 만큼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중국, 북미 등 세계가 주목하는 자동차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음. 최근 중국 시장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센트랄은 2012년 중국 장가항에 해외공장을 신설 운영중에 있음. 당사는 당해년도 3,194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하고 있으며 주요시장을 중심으로 보면 자동차산업이 가장 활발한 중국시장에서 최근 3년간 평균 87.5% 성장(129억원 → 453억원)하였으며, 북미시장에서 3년 평균 16.9% (834억원 → 1,140억원) 성장함. 당사는 지속적인 신기술 개발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여. 전체 제품 중 신제품이 차지하는 매출액비중은 2010년 10.0%, 2011년 8.0%, 2012년 12.6%, 2013년에는 16.3% 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최근 개발 완료한 알루미늄 컨트롤 암 및 OTR (국내최초 기술개발)은 4년간 해외고객을 대상으로 763억원의 수주실적을 올림. CABJ 제품은 4년간 약 758억원의 수주실적을 달성하며 2014년에 사업화에 성공한 하이브리드 스테빌라이저 링크는 이미 913억원의 수주에 성공했으며,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산업부 우수신기술상, 녹색기술 인증을 획득하였음. 39. 2억불, 대산엠엠에이(주)/대표이사 조재용(趙宰庸), 나카야마 히로시 ▲ 수출품목 : 메타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탄아크릴산메틸 ▲ 수출실적 : $ 27,694만불(전년대비 75%증가) ▲ 담 당 자 : 김경림 (☎ 02-840-0911 ) 공적내용 대산엠엠에이(주)는 2006년 롯데케미칼(구 호남석유화학)과 미쯔비시레이온의 50대50, 즉 조인트 벤처 투자로 설립된 기업으로 미쯔비시레이온의 기술력과 롯데케미칼의 원료공급을 통해 기능성 석유화학 제품인 MMA와 PMMA, MAA, HEMA등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는 기업임. 2006년 당시 국내 수입물량을 대체하기 위해 설립하였으나, 2014년 현재는 해외 수출을 통해 외화획득에 주력하고 더욱 적극적인 수출 활동을 통해 수출처의 다변화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매년 수출실적이 신장되고 있음. 2011년 수출액은 610억이었으나 2012년 875억, 증설 이후인 2013년에는 1,945억으로서 매우 가파른 신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2013년 수출처를 살펴보면 중국 539억을 비롯하여 아시아에서의 수출 실적이 1,478억으로써 수출 총액의 76%를 차지하는 등의 성과를 보임. 그 외 유럽에 208억, 미국 127억 그리고 중동, 남미, 오세아니아, 아프리카까지 전 세계에 걸쳐 대산 MMA의 제품이 채택되고 있음. 주력 상품인 PMMA 제품은 고도기술 세액감면을 받을 정도로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요한 원료 공급원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지속적인 가격 절감을 통해 LED TV의 보급화에 큰 공헌을 해옴. 당사는 기술도입을 통해 2013년 2-Hydroxyehylmethacrylate(HEMA)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하여 기존에 국내에서 전량 일본으로부터 수입되던 HEMA 제품을 대산 MMA가 대체 가능하게 되었으며, 2014년 국내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임. 또한 한국의 TV 산업이 세계 1위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LED, LCD TV의 주원료인 도광판을 국내에서 자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LG DISPLAY, 제일모직 등의 디스플레이 사업 최상위의 업체가 세계 무대에서 선전할 수 있도록 원가 경쟁력의 기반을 만듬. 또한 고급 자동차의 도료로 쓰이는 MAA, HEMA의 생산을 통해 수입분을 대체하고 현대, 기아차로 대표되는 자동차 산업에도 일정부분 기여함. 40. 2억불, 서진산업(주) / 대표이사 강홍기(康弘基)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다이캐스팅금형 ▲ 수출실적 : $ 20,720만불(전년대비 16%증가) ▲ 담 당 자 : 최진형 (☎ 031-428-2649) 공적내용 서진산업(주)는 1966년 자전거 프레임을 생산하는 서울강업사를 시작으로 하여 1972년 현재의 서진산업(주) 법인명으로 변경하면서 기아, 현대자동차 1차 협력업체로 등록하여 현재에 이르기 까지 약 48년간 자동차 차체 및 샤시 전문업체로서 자동차 부품산업 외길을 걸어온 뚝심있는 기업으로서 해외 유수의 동종유사 업체와 경쟁하며 부단한 기술개발과 생산성향상을 통해 국내 차량의 품질향상에 기여한 건실한 중견기업으로 성장함. 수출실적은 주로 OEM을 통한 LOCAL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년도 총 수출실적은 1.8억불이며 당해년도에는 15.6% 증가한 2.1억불의 총수출실적을 달성하였고 이에 당사는 이중 금형 전문화를 통해 약 1천만불 정도의 금형 직수출 성과를 달성하였음. 당사는 품질등급 극대화 및 납기 준수를 통하여 내외부 고객으로부터 절대적인 믿음과 신뢰를 통해 수출비중을 향상할 것이며 금형부분의 수출비중을 높이고자 2천톤 Mech Press 장비의 도입 및 금형 CAPA 증대를 위한 시설투자 및 인적지원을 중장기전략으로 수립하여 진행중임. 당사는 1987년 기술연구소를 설립한 이래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한 부단한 연구개발의 결과로 고장력강 적용 FRT LOWER ARM 개발을 통한 중량 10% 절감 및 원가 10% 절감, 이종재질의 접합기술을 통한 중량개선 및 원가절감, 고장력강 튜블러 CTBA 개발 기술력 확보 및 Hybrid Frame 개발의 연구개발 실적을 이루었으며 최근 HBF(Hot Blow Forming)공법개발로 고강성 부품개발에 착수함. 이러한 기술개발을 통 자동차품질향상을 위한 당사의 노력이 결실을 맺어 현대기아자동차 기술력평가에서 최고등급인 기술 5STAR를 획득하였으며 품질부문에서는 당사뿐만 아니라 당사의 2차,3차 협력사 까지 품질개선 및 원가의식을 함양하고 품질개선을 이루고자 자체 품질평가제도인 SQ 품질인증제도를 도입, 품질 Level Up을 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전사 통합품질시스템을 도입하여 다수공정을 통합하여 실시간으로 가시화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중임. 41. 2억불, (주)지엔에스트레이딩 / 대표이사 조병오(趙柄五) ▲ 수출품목 : TV 모니터용 부품/에어컨, 세탁기 부품 ▲ 수출실적 : $ 28,251만불(전년대비 70%증가) ▲ 담 당 자 : 이수형(☎ 031-303-8873 ) 공적내용 ㈜지엔에스트레이딩은 TV 모니터용 부품/에어컨, 세탁기 부품 생산공급업체로서 2003년 창업이후 11년간 삼성전자의 구매대행 사업을 영위해 오면서 경쟁력있는 회사들을 발굴하여 삼성전자에 거래가 될 수 있도록 소개하고, 당사와 거래 중인 협력사에서 생산중인 부품들을 해외 고객사에 수출판매 지원으로 거래 협력사는 물론 당사에도 상당한 매출 성장으로 이루어짐. 당사의 최근 3년간의 매출실적은 2011년 1,795억원, 2012년 2,010억, 2013년 3,500억원, 2014년에는 4,000억원의 매출예상으로 3전년 대비 2배 이상의 매출성장을 예상됨. 당사는 창업이후 11년간 지속적인 부품 소싱 및 업체 발굴 활동과 우수 협력회사와의 품질문제 프로세스의 개선 활동 결과로 해외 고객사에 양질의 제품을 경쟁력있게 수출함. 이로 인해 10% 가량 의 수출가격 수익율 향상(3.8% → 4.2%)과 12% 가량의 물량증가를 이룸. 또한 해외 산업/부품/설비 전시회에 참관과 경쟁력 있는 부품 및 바이어 발굴을 위한 매년 5개국 이상의 현지출장을 통해, 당사홍보 및 국내 우수협력업체의 제품 소개를 직접적으로 진행하고 있어 하반기부터 알제리를 비롯하여 동남아지역과, 아르헨티나, 미국지역의 수출물량이 10%이상 증가 할 것으로 보이며, 2015년부터 수단지역 고객사(MWO)와 최종 협의 단계에 있어 수출이 성공적으로 잘 성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42. 2억불, (주)호원 / 대표이사 양진석(梁珍錫)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기타철강금속제품 ▲ 수출실적 : $ 21,045만불(전년대비 66%증가) ▲ 담 당 자 : 김용근(☎ 062-944-8311 ) 공적내용 (주)호원은 1992년 12월 광주광역시에 자동차 차체 부품 전문기업을 설립하여 끊임없는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 과감한 시설투자 등을 통하여 국내 최고 기술의 자동차 차체부품 업체로 성장함. 부품수출 확대 및 미래 신동력 확보를 위하여 2007년 7월 터키에 자동차 차체부품 전문화 공장을 설립하였으며, 2010년 10월부터 터키현대자동차에 차체부품 전량을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인접국가에서 부품을 수입해 생산하던 현대자동차가 상기인의 터키공장과 국내공장에서 직접 구입으로 안정적인 부품조달이 가능하게 되었고 회사의 수출은 큰 폭으로 신장됨. 당사 해외 시장 개척 첫 시발으로 HOWON OTOMOTIV을 설립하여 는 2007년 10월부터 터키 코자엘리 이즈밋시에 56,641㎡규모의 차체부품 전량을 공급할 수 있는 양산체계를 마련함. 이로인해 인도 등 인접국가로 부터 부품을 들여와 생산해오던 터키 현지 현대자동차는 상기인의 터키 1공장과 국내공장에서 생산한 부품을 직접 구입하여 안정적인 양산체계를 유지 할 수 있게 됨. 이러한 안정화는 현지공장의 성장동력 확보뿐만 아니라 국내공장 반제품(CKD) 수출증대로 이어져 해외공장 진출에 따른 수입대체효과 및 지역 협력업체 동반성장에 크게 기여하는 계기를 마련함. 또한, 성공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통해 2011년 현대자동차 해외우수 협력사로 선정되었으며, 13년 5월 상공회의소 주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로 광주시민대상 수상, 2013년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의 “히든챔피언"과 한국산업은행의 “글로벌스타”, 14년 한국산업단지공단 “글로벌 창의우수기업”에 선정. 협력업체 동반성장 및 안정적인 부품공급에 기여하여 현대기아차 올해의 우수 협력사로 선정됨. 43. 2억불, (주)대한솔루션 / 대표이사 권해현(權會鉉)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에틸렌중합체필름 ▲ 수출실적 : $ 20,502만불(전년대비 20%증가) ▲ 담 당 자 : 김현석(☎ 032-810-1740 ) 공적내용 (주)대한솔루션은 1983년 창사이래 자동차용 NVH(Noise Vibration Harshness)관련 System Engining 설계, 개발 및 제조하는 자동차부품 전문회사임. 당사는 2006년 1억불 수출탑 수상 후에도 적극적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고객사와의 해외동반 진출 및 해외시장의 영업망 확대 노력을 통하여 전년 대비 직접수출 8%, 고객사를 통한 간접수출은 28% 수출실적 성장을 이뤄냄. 자동차 개발 초기단계부터 진단, 시험, 처방, 설계 및 제품생산에 이르기까지의 경영을 기본으로 하여 최고의 품질과 고객만족을 지향하고, 차량 소음 감소를 위해 품질경영시스템을 기본으로 유지, 개선하고 있으며 서스펜션 시스템의 충격, 진동완화 부품인 Spring Aids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100% 국산화시켜 산업발전에 기여함. 당사는 협력사의 매입채무 대금 결제시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준수하고 하도급 대금의 기한 내 결제 및 현금 결제를 통하여 정부정책중 하나인 협력사와의 동반 성장 및 상생협력을 이루고자 노력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협력사에 대해서는 우선 자금지원을 통하여 지속적인 협력체계가 굳건히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 또한 적극적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2004년 미국 알라바마주에 현지법인 대한 솔루션 ALABAMA.,LLC와 2009년 미국 조지아주에 현지법인 대한솔루션 GEORGIA.,LLC를 설립함. 이뿐만 아니라 해외에 진출해 있는 현지 법인에게 지술지원의 대가로 로열티 수익을 수수하여 외화회득에 기여하고 있음. 44. 2억불, ㈜마봉 / 대표이사 이경호(李敬鎬) ▲ 수출품목 : 기타석유제품, 경유 ▲ 수출실적 : $ 28,974만불(전년대비 78%증가) ▲ 담 당 자 : 이상철(☎ 02-783-9850 ) 공적내용 ㈜마봉은 아스팔트와 같은 석유제품을 수출하고 있는 기업으로, 2011년에 처음으로 수출 1억 7백만불을 달성하여 1억불 수출탑을 수령하였으며, 2013년 6월부터 2014년 6월 까지는 2억 8천만불을 달성함. 이는 아스팔트 및 석유화학제품의 대중국 수출을 통해 일궈낸 성과임. 당사는 현재 주력사업인 아스팔트 수출 외에 좀 더 큰 대형 비즈니스를 기획하고자, 정유제품과 석유화학제품의 수출 및 해외 비즈니스를 위해 관련 산업 해외 컨퍼런스에 매년 참가를 하여 회사를 알림과 동시에 산업을 리딩해 나가는 회사들과 접촉을 끊임없이 해 오고 있음. 그 결과 올해는 일본의 정유사 및 싱가포르의 세계적인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 메이저사로부터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승인을 받았으며, 소규모 수출을 성공하는 쾌거를 이룸. 중국 상해 사무소를 필두로 하여, 작년부터는 중국 전지역뿐만 아니라 무역 및 운송범위를 동남아시아까지 확대하고 있으며, 아시아 최대의 아스팔트 및 석유화학제품 트레이더로 성장함. 당사의 대표이사 이경호는 1984년 외국적 선사 항해사를 시작으로 선장으로 하선한 15년의 해운산업 경력과 아스팔트 해외수출, 3국 trading의 11년 경력 등 만 29년간 해운과 무역업에 종사한 해운-무역 전문가로 (주)자원산업에 선박운항팀장으로 입사하여 그 이듬해 상해지사장으로 임명되면서 해외영업 및 Trading을 본격적으로 시작함. 중국 상해 사무소를 필두로 하여, 작년부터는 중국 전 지역뿐만 아니라 무역 및 운송범위를 동남아시아까지 확대하고 있으며, 아시아 최대의 아스팔트 및 석유화학제품 트레이더로 성장하고 있음. 당사는 매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이면에 리스크 관리 경영활동을 끊임없이 해옴과 동시에 성장과 리스크 관리를 병행 하면서 지금까지 탄탄하게 꾸려온 기업으로서 향후 더욱 성장하며 글로벌 기업이 되기 위해 노력함. 45. 2억불, (주)대유신소재 / 대표이사 박용길(朴贊求), 정찬봉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플라스틱금형 ▲ 수출실적 : $ 21,506만불(전년대비 32%증가) ▲ 담 당 자 : 지윤환(☎ 031-352-4915) 공적내용 ㈜ 대유신소재는 2001년 스티어링 휠 및 알루미늄 휠을 생산하여 현대, 기아, GM에 부품을 공급하는 자동차 부품, 플라스틱 금형 제조업체임. 당사는 해외시장 개척을 위하여 중국 북경에 가죽감싸기 공정 및 발포 공정을 설치 운영 중에 있고, 유럽시장의 확보를 위하여 미국진출을 계획중임. 해외법인 설립을 통한 해외 수출시장 교두보 확보,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확보, 일본시장 개척을 위하여 미쯔비시 자동차에 알루미늄 휠 수출, 중국 현지공장 설립하여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함. 현재 가죽감싸기 공장을 북경에 운영 중에 있으며, 지속적인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음. 해외에서 평가되는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의 우수성을 보여주고, 알루미늄 휠의 최초 국내 도입이라는 자부심아래 지속적인 품질개발 및 신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음. 이후 ISO/TS16949 품질경영시스템,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OHSAS18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전사적인 품질혁신운동 개최 등 품질개선을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를 추진함. 또한 국내 자동차사인 현대, 기아자동차 및 GM자동차에 알루미늄 휠 제품 및 스티어링휠 제품을 생산하여 납품하는 회사로 국내 최초로 알루미늄휠을 생산 판매하였음. 당사는 녹색경영을 실천하여 2012년 온실가스 목표관리업체 지정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및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해 시스템을 마련하였으며, 매년 약 10%정도의 온실가스 저감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 전개해 나가고 있으며, 2007년과 2012년 에너지 진단을 통하여 시설을 개선하여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음. 46. 2억불, 대동공업(주) / 대표이사 김준식(金俊植) ▲ 수출품목 : 기타자동차 ▲ 수출실적 : $ 21,195만불(전년대비 17%증가) ▲ 담 당 자 : 송진향(☎ 02-3470-7449 ) 공적내용 대동공업(주)는 1947년에 설립되어 생산제품으로는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경운기, 다기통디젤엔진, UTV 등등 이며 자본금 230억원의 기업임. 해외지사는 남경법인, 네덜란드 법인, WILSON법인 등을 가지고 있음. 당사는 지난 2007년도 국내 농기계 업계 최초로 1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한 이래, world class 300으로 선정됨. 최근 3년간 연도별 수출 실적은 2012년 19,360만불, 2013년 18,053만불, 2014년 21,194만불 등으로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옴. 가스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고압분사 제어 기술, 배기가스 재순환 및 후처리 기술, 연료 소모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소 최적화 기술, 엔진 관련 어플리케이션 부품의 매칭 알고리즘 통합제어 기술 및 트랜스밋션 HST전자제어 기술(e-HST)개발, 차량 운전자의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샤시부모달 해석 기술과 캐빈 등 마운팅 시스템 기술 등 핵심기술을 개발함. 이외에도 품질향상을 위한 제품을 개발하였는데, 특히 유기농 제품이 증가되는 세계적인 농업 추세에 따라 多품종의 농작품을 수확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 중이며, 기술연구소에서는 지속적인 친환경디젤엔진(TIER4) 개발 및 신제품개발로 연구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친환경적인 제품개발과 품질보증체계에 입각해 미환경청(EPA)인증, 유럽ECC인증, ISO9001, ISO14001 등 각종 국제공인인증서를 획득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으로 최상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함. 당사는 북미의 경우 전문딜러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전략제품(UTV/엔진) 판매네트워크 구축하고, 북미 전 지역 대응가능한 제품 포트폴리오 완비, 핵심기술 적용 제품 및 전문업체 협력 등을 통한 동반성장을 통해 개척을 하려 하였음. 유럽의 경우는 다양한 마케팅 활동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쌓고 동유럽 물류기지를 활용한 납기 및 고객 서비스를 강화 하는 등의 전략으로 시장을 개척함. 아시아는 합작회사 사업을 통한 중국시장 진입, 아시아에 특화된 사업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서 판로를 넓히는 등 국가와 지역별로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등 해외 수출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함. 47. 2억불, (주)서원인텍 / 대표이사 김재윤(金載潤) ▲ 수출품목 : 기타유선전송장치,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 수출실적 : $ 25,354만불(전년대비 89%증가) ▲ 담 당 자 : 김숙경(☎ 031-428-9730 ) 공적내용 ㈜서원인텍은 기타유선전송장치 및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을 생산, 공급하는 기업으로 2차전지 보호회로를 제조하여 LG화학에 공급하고 휴대폰 부자재 및 액세서리를 삼성전자에 공급하는 업체임. 당사는 1983년에 설립하여 사업초기 삼성전자에 프린터 및 냉장고에 들어가는 특수고무제품 등을 납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00년 대 초반에는 휴대폰 부자재 및 키패드를 삼성전자에 공급하여 회사가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고, 2006년도부터는 2차전지 보호회로, 와이브로 등의 신규사업에 집중 투자, 2007년도 12월에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을 하게 됨. 현재 회사는 총 매출액의 포지션이 신규사업 및 휴대폰 부품사업의 성장으로 인해 제2의 도약기를 맞이하고 있음. 기술 및 품질 향상을 위해 서원인텍 중앙연구소를 설립한 뒤 전자 및 통신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하고 핵심기술 및 정보통신 시장을 주도할 역량을 키워가기 위해 매년 매출액 대비 5%이상의 R&D투자를 시행하고 있으며, 연구소와 사업부서간의 긴밀한 업무연계를 통해 고객의 니즈에 발 빠르게 대응함. 당사는 품질경영시스템을 만들고 수익창출을 통한 내실경영과 책임경영정착, 대외신인도 제고를 위해 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품질경영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48. 1억불, (주)원익머트리얼즈 / 대표이사 이건종(李建宗) ▲ 수출품목 : 철강재용기, 기타정밀화학원료 ▲ 수출실적 : $ 11,652만불 (전년대비 32% 증가) ▲ 담 당 자 : 양창현 (☎ 043-210-4457 ) 공적내용 ㈜원익머트리얼즈는 철강재용기 및 기타정밀화학원료 생산업체로, 설립 이래 중국 시안에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운영중이며, 푸장(Fujing), 크레딧캠, SK하이닉스 우시(Woxi), 에코(Eaco) 등 중국의 여러 관련 기업과 거래하는 등 중국시장을 확대 개척하고, 중국(BOE), 일본 굴지의 전자제품 생산 기업인 도시바와 거래를 하며 일본 시장 개척의 발판을 마련함. 특히, 미국의 산업용 가스/반도체 회사인 Voltaix사와 2007년 독점공급계약을 맺고 2011년 장기 독점공급계약을 체결하면서 미국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함. 당사는 “2020년 매출 9000억, 시장점유율 30%의 국내 증착종합소재 TOP1"이라는 비전을 올해 설정하고 국내 특수가스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향후 Chemical 시장 진입 및 수출을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반도체 제조용 가스를 개발, 공급하여 현재 해외 여러 국가 및 기업과 거래를 계약하고 있음. 현재 국내 거래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향후 반도체 제조용 가스 뿐만 아닌 종합 소재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나아가, 지속적인 해외 시장 개척 활동을 통해 매출 안정성을 꾀하고 향후 2020년 시장점유율 30% 확대를 이룩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노력함. 에너지 절감 사업에도 일조하여 규정 온도를 준수하고, 에너지 절감 및 환경 보호 차원에서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음. 또한 직원의 안전을 최우선시하여 작업간 반드시 작업복 및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하고 규정하는 등 안전문제에 초점을 둠. 또한 꾸준한 무역을 통해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는데, 반도체 제조용 가스를 해외(미국,중국,일본 등)로 수출하여 설립 이래로 꾸준한 수출 성장 곡선을 만들어감. 49. 1억불, 대의테크(주) / 대표이사 채의숭(採義崇)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 10,479만불 (전년대비 1,641% 증가) ▲ 담 당 자 : 강희원 (☎ 032-810-3711) 공적내용 대의테크(주)는 자동차 부품 생산공급업체로서 자동차 내장재 플라스틱 사출을 제조하여 납품하고 있는 기업으로 한국지엠과 긴밀한 상생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공동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해 당사의 개발부 및 품질부를 운영하여 품질향상을 경영목표로 운영 중에 있음. 공동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해 당사의 개발부 및 품질부를 운영하여 품질향상을 경영목표로 운영 중임 당사는 한국지엠을 통해 유럽 및 북미에 완성차 기준으로 수출활동을 하고, 단품으로는 직수출로 호주, 멕시코, 스페인 등에 납품하며 향후 글로벌 지엠과 더 많은 나라에 수출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글로벌시장에서 중국을 경제성장을 예측하여 2005년부터 중국 연태에 직접 투자를 하여 대규모 자동차내장재 생산거점을 확보하여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실질적 매출성장도 매년 증가함. 또한 상생협력을 통해 일자리 창출 및 생상능력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며, 예전 대우자동차의 부도사태를 단기내에 극복하여 현재의 한국지엠과 외형성장 ( 매출 2009년 396억, 2010년 630억, 2011년 834억, 2012년 998억, 2013년 1,308억)과 일자리 창출, 그리고 품질향상 (각종 국내외 인증-품질시스템 운영) 등을 통해 자동차 소재분야에 국내 일류제품개발을 위해 노력중임. 수출실적으로는 국내 뿐만 아니라 호주 , 멕시코, 스페인 등의 자동차 내장재를 직수출을 통해 판로를 개척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을 경제성장을 예측하여 2005년부터 중국 연태에 직접 투자를 하여 대규모 자동차내장재 생산거점을 확보하고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실질적 매출성장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50. 1억불, 남양금속(주) / 대표이사 김승천(金承天) ▲ 수출품목 : 불꽃점화식내연기관,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 11,369만불 (전년대비 30% 증가) ▲ 담 당 자 : 석봉식 (☎ 053-610-7538) 공적내용 남양금속(주)는 1987년 자동차 소재 메이커인 일본 Hitachi금속(주) 및 종합무역상사인 일본 마루베니 상사(주)와 대우그룹의 자본 및 기술 합작으로 설립되었음. 자동차용 특수소재 제조전문업체로서 Hitachi Metal의 기술 연구소와 연계하여 제품 내구테스트, 제품 설계에 대해 공동 작업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얻으며 성장함. 당사는 ISO/TS 16949 인증을 통한 관리체계 혁신과 기반기술 및 첨단기술을 융합한 신기술 개발로 자동차의 고성능 저연비 시대에 대응한 강인, 박육, 내열 주철소재의 개발을 실현하였으며, 미국의 Ford, GM 및 Daimler Chrysler 등의 Big3에는 물론, 유럽의 Volvo, Fiat 일본의 Suzuki, Nissan, Mazda, Honda 등 주요 자동차 메이커에 핵심부품 공급업체로 지정 되는 등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음. 또한 세계 자동차 주물 부품 시장에서의 Leader가 되기 위해 R&D투자를 진행하여 연구 개발에 필요한 CAD System, 개발 단계에서 실제 주조시의 제품 결함을 예측 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하는 응고 해석 장치 NOVA Cast도 도입하고 최신 설비를 통해 제품 설계단계에서 설계 오류로 인한 시행착오를 방지하여 원가 절감과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있음. 현재 일본 Mazda자동차에 납품 되는 J36 FR/RR Knuckle부품에 대해 멕시코 현지 가공업체 Kawada Mexico와 직접 계약을 체결해서 연간 660만 달러 규모의 직수출을 2013년 하반기 부터 진행하고 있음. 기존 Hitachi Metal의 해외 영업소를 통한 수주 활동에서 한발 더 나아갔으며 또한 올해 초부터 Suzuki Motors Thailand와 계약을 통해 Suzuki YLA차량의 Front Knuckle을 직수출함. 또한 팽창하는 Turbor Charger시장의 부품 국산화율이 낮은 현실에서 당사는 Turbor charger부품 주물 소재를 개발하여 현재 일본 Mitsubishi차량에 장착 될 수 있도록 수출을 주도 하였고 이러한 기술력과 경험을 통해 국내 Turbor Charge 주물 부품의 국산화 비율을 높이는데 주력함. 51. 1억불, (주)케이씨텍 / 대표이사 고석태(金萬洙) ▲ 수출품목 :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반도체제조용장비 ▲ 수출실적 : $ 13,733만불 (전년대비 171% 증가) ▲ 담 당 자 : 김태형 (☎ 055-370-7711) 공적내용 ㈜케이씨텍은 1987년 설립되어 Gas캐비넷 설비와 디스플레이, 반도체용 공정 장비를 생산하는 기업임. 당사는 국내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장비업계의 1세대 주자이며, 30년 가까이 R&D기술개발 및 수출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는데 창업 초기를 제외한 25년 이상 영업흑자를 기록하였고, 지속적인 성장과 고용창출을 통하여 지역경제 및 국내 산업발전에 기여하였음. 최근 3년간 매출액 ´11년 192,070백만원, ´12년 115,299백만원, ´13년 219,452백을 기록하였으며, ´11년 44,386백만원, ´12년 22,324백만원, ´13년 110,239백만원의 수출을 달성하여, 이에 ´12년 대비 ´13년 394%의 수출 신장세를 기록하였음. 기술이 곧 경쟁력이라는 신념 아래 고객 맞춤형 신제품 개발과 품질안정화에 힘썼으며, 매출의 13% 이상을 R&D투자로 지출하며 꾸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고, 대중소기업 동반 성장을 위한 고객과의 공동 개발을 추진하여, 국내 100% 수입품이었던 반도체용 CMP(화학적 기계적 연마장치) 개발을 성공하며 국내 시장 점유율을 올리고 있음. 이후 케이씨텍 협의회를 구성해 당사 메이저 협력업체 10여개를 발굴하여 품질안정화를 위한 활동을 진행함. 침체된 국내 장비업계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추진하였으며, 고객 맞춤형 기술개발을 통해 매출의 50%이상을 수출로 달성하여 전년대비 400% 가까이의 수출 신장세를 보이며, 신기술 개발 참여 및 특허 장려를 통해 다수의 지식재산권 확보하여 해외 진출시 국제 지재권 분쟁의 소지를 사전에 차단하는데 주력함. 해외자회사 2곳과 6곳의 해외고객대응센터를 통하여 A/S 및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있는데, 현재는 중국, 대만, 싱가폴 등 중화권에 국한된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시장개척단 파견, 해외전시회 참가, 해외잡지 게재, 해외인증 취득 등의 시장개척 활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며, 점차 그 범위를 넓혀나가고 있음. 52. 1억불, (주)네패스디스플레이 / 대표이사 이병구(李柄九) ▲ 수출품목 :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 수출실적 : $ 12,984만불 (전년대비 341% 증가) ▲ 담 당 자 : 김남천 (☎ 043-240-0221 ) 공적내용 ㈜네패스디스플레이는 2010년에 설립되어 핸드폰 터치스크린패널 생산 및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을 생산 공급하는 기업으로 매출액은 2012년 316억, 2013년 1,120억이고, 2014년 매출액은 1,200억 수준으로 기대됨. 당사 수출액은 2011년 205억원, 2012년 292억원에서 2013년 1075억원으로 실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함. 2013년은 삼성전자의 1차 공급자로 등록된 후 수주량이 급증하면서 매출액이 급상승하게 되었고, 지역별 수출액은 베트남이 1105억, 중국이 128억, 인도가 41억원임. 당사가 생산하는 터치스크린패널은 스크린에 사용자가 터치하는 위치를 파악하여 전자신호를 전달하는 장치로 Glass 또는 Film에 가로축, 세로축을 형성한 후 이를 배치하는 방식에 따라 G1F, GFF, GF1, GG, G1 으로 나뉘어 지는데, 이 중 G1 방식은 하나의 Glass 에 가로축과 세로축을 동시에 형성한 것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미세패턴 형성에 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나 원가절감/베젤리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서 4.7" G1 방식 모델 제품화를 시도하여 성공함. 터치스크린패널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로 수출되어 중저가 보급형 스마트폰에 장착되면서 갤럭시 메가, 갤럭시 S4 액티브 미니, 갤럭시 Grand2 등에 당사의 터치스크린패널이 장착됨. 업체별 주류 모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되면서도 부드럽고 정확한 터치가 가능하게 되었고 터치스크린패널 생산시 미세먼지로 인한 수율저조를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인 개선활동과 제조혁신 TFT를 조직하여 운영하고 있음. 수출은 모두 삼성전자 해외법인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2012년 말 삼성광통신에서 삼성전자의 1차 공급자로 등록된 후 수주량이 급증하면서 수출액도 크게 증가하게 되었고, 현재 2014년 하반기부터는 삼성전자에만 의존하지 않고 해외고객사 발굴을 위해 중국시장 프로모션을 계획하고 있음. 최근 중국 영업담당자를 신규로 충원하였고, 적극적인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 추가로 인원을 충원할 계획에 있음. 53. 1억불,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 / 대표이사 이태희(李泰熙)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 13,865만불 (전년대비 49% 증가) ▲ 담 당 자 : 송성수 (☎ 070-7093-6323 ) <공적내용>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는 광주광역시에 본사를 둔 자동차 부품 생산 업체로서 주생산품으로는 자동차 연료탱크모듈, 페달, 서스펜션, 자동차 차체 샤시류 및 선루프 프레임가공품이며, 국내 및 해외의 완성자동차 생산업체에 최고의 품질의 제품을 생산, 공급하는 회사임. 이태희 대표이사는 2001년 주식회사 동희하이테크의 전신인 주식회사 동희산업에 입사이후 자동차 부품 생산에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2004년 9 월 설립된 동희하이테크로 발령받아 근무해 오고 있으며 자동차 업계의 품질경영 흐름에 맞게 TS16949 품질경영 시스템을 도입, 인증받아 체계적으로 고품질의 자동차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 특히 설립이후 단 한건의 산재사고도 발생되지 않을 만큼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한 경영을 추구하였으며, 노사화합을 이끌어 내어 노동조합이 없는 사업장으로 최고의 생산성을 발휘하는 공장으로 운영됨. 좋은 작업환경과 노사화합의 성과는 높은 생산성과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게 되어 당사는 해마다 전년 실적을 상회하는 매출실적을 달성하고 있음. 기술개발측면에서는 자동차업계 품질 규격인 TS16949 품질경영시스템을 도입, 품질경영을 실현하고 있고 생산자동화시스템(POP), 품질정보시스템(DQIS),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RP)등을 적용관리를 하고 있음. 2013년도부터 도장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으로 도장품질 고도화관리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번에 생산통합관리시스템(MES)을 도입 적용하게 되어 생산효율 및 품질 향상이 기대됨. 당사는 유럽, 미국 및 일본 등 세계 메이저 완성차 업체와의 거래를 위해 활발한 영업활동을 실시하고 있으며, 2011년 8월부터 FTA원산지 관리시스템(GTS)을 구축하고, 수출관련 업무개선 및 관련업무 전문가 양성 등에 힘쓰는 등 수출시장의 다변화를 꾀하고 있음. 54. 1억불, 휴롬엘에스 (주) / 대표이사 송해복(宋海復) ▲ 수출품목 : 믹서, 기타가정용전자부품 ▲ 수출실적 : $ 10,013만불 (전년대비 31% 증가) ▲ 담 당 자 : 김준형 (☎ 055-720-1780) 공적내용 휴롬엘에스(주)는 가정용전자믹서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최고의 소형가전회사로서 입지를 다지며,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하면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였음. 지난 35년 동안 착즙분야만을 연구 개발한 회사로 녹즙기 및 원액기를 세계최초로 개발하고 제조한 세계최고의 착즙기기 전문회사로서 50여개 협력사와 거래를 하고 있음. 세계 유일의 특허기술 (SST™, 저속착즙기술)을 기반하여 재료가 지닌 자연 그대로의 진한 맛과 영양을 그대로 보존하여 영양 그대로를 제공하는 혁신 기술로 원액기라는 가전제품을 탄생시킨 휴롬엘에스는 지난해 10월 모든 면에서 진보된 제2세대 원액기를 출시함. 새로워진 2세대 휴롬(HH Series)은 기존 원액기 시장의 1세대 착즙기술 제품과는 달리 더욱 진화된 2세대 저속착즙기술로 착즙량은 높이고 찌꺼기는 감소시키는 등의 개선을 함. 이러한 기술개발에 대한 열정을 바탕으로 세계 30여개국에 특허출원 및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4대 국제발명품전(스위스, 미국, 러시아, 독일) 금상 4회 수상, 2010년 대한민국 식품환경발명전 대상 수상, 2010년 서울 국제발명전 준그랑프리상 수상 외 각종 기관 및 단체에서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음. 2008년 6명이었던 연구소 인원을 현재 30명 이상으로 연구개발 및 품질향상에 힘을 쏟고 있음. 현재 휴롬엘에스는 13억 인구의 중국시장을 제2의 내수시장으로 삼겠다는 계획을 갖고 공격적인 행보를 펼치고 있는데, 현지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신제품 라인을 확충하고, 중국 도문에 중국 제2공장을 신설하여 생산, 출고, 유통까지 가능하도록 준비를 마침. 또한, R&D 투자를 더욱 강화해 2014년을 중국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뿐만 아니라 해외영업본부의 인력 확충은 물론 경영진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수출실적 향상에 노력하고 있음. 55. 1억불, ㈜와이솔 / 대표이사 김지호(金知澔) ▲ 수출품목 : 기타개별소자반도체, 무선중계기 ▲ 수출실적 : $ 17,170만불 (전년대비 81% 증가) ▲ 담 당 자 : 장종현 (☎ 070-7837-2813) 공적내용 ㈜와이솔은 2008년 6월 24일 설립되어 개별소자반도체 및 무선중계기 생산업체로서 2008년 설립이후 매년 2배에 달하는 성장율을 보이고 있으며, 매년 20% 이상의 개발 및 생산인력을 충원하는 등 산학협력을 통하여 고용창출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는 기업임. ´13년 기준 전 세계 SAW시장에서 당사는 시장점유율 3위를 차지하고 있음. 중국의 경우 ´14년 시장규모 1,200억(예상)으로 당사 ´13년 기준 매출액 200억임.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 노력으로 SAW CSP 소형화로 시장 M/S 확대 및 모듈화로 Embedded을 실현하였고, RF 부품군 모듈화 기술 확보로 소형화 직접화에 따른 시장 Trend를 맞추어 모듈화 부품의 매출 대폭 신장하였으며, Connectivity 관련 제품의 모듈화 기술 및 SOC업체와의 기술협력으로 Connectivity total solution을 확보하여 신규 사업군 확대 예정임. 당사는 핸드폰에 반드시 탑재 필요한 SAW-Filter를 생산하는 국내유일 제조업체이며, 외국(일본)업체와 경쟁을 통해 국내 지적재산권 확보 및 Global 수출을 통한 외화획득으로 국가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SAW필터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당사가 보유한 박막공정기술을 발전시켜 기존 제품의 성능 및 제조 기술 향을 꾀하며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다양한 무선통신용 부품으로 확대 할 수 있는 제조기술을 확보함. RF모듈 부문에서는 퀄컴/인텔/브로드컴 등 System on Chip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컨소시엄 구축 등 대외 협력 강화 및 기술을 확보함. SAW 원천기술 확보는 우수한 경쟁력을 기반으로 양질의 핸드폰 부품 공급 가능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 욕구를 충족하였고, 이는 내수경제를 활성화 유발 및 전체 국민경제의 선순환을 만드는데 기여함. 또한 협력회사의 자발적인 개선활동을 통한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우수/부진 업체에 대해 차별화 관리를 위해 주기적으로 평가 및 지원을 실시하여 당사 및 협력회사의 상호발전 및 관계증진을 도모하는 등 경영적인 부분에서도 새로운 시도를 보임. 56. 1억불, 씨유테크(주) / 대표이사 백영현(白永鉉) ▲ 수출품목 : 프로세스와 콘트롤러,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 수출실적 : $ 15,381만불 (전년대비 4% 감소) ▲ 담 당 자 : 김동진 (☎ 070-4340-7966) 공적내용 씨유테크㈜는 무선통신기기 부품 생산분야로서 FPCB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여 판매하는 SMT A´SSY 전문기업 설립 후, 삼성디스플레이에 MOBILE용 FPCB ASS’Y납품을 시작으로 사업을 전개함. 설립초기 투자대비 매출수량의 부족으로 적자를 기록하였으나, 현재는 생산CAPA에 비준하는 제품매출로 정상적인 해외공장을 운영하고 있음. 최근 3년간 연도별 직수출실적은 2011년 79백만불, 2012년 126백만불, 2013년 129백만불로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2014년 계획 150,000천불을 위해 최선의 경영을 다하고 있음. 2012년에는 중국법인의 생산증가로 인하여, 해외직수출이 2011년 대비 37.3% 증가를 기점으로 매년 1억불 이상의 수출실적을 기록하고 있어 향후 타 해외법인 설립 시 당사의 수출실적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당사는 약 10년 가까이 삼성 MOBILE사업과 더불어 기술력을 키워 왔으며 MOBLIE의 DISPLAY부 구동 FPCB실장 기술은 TFT에서 현재 스마트폰에 적용중인 OLED 기술로 진화하였고 현재는 TABLET, SMART WATCH등 생산제품이 다양화 되고 있음. 또한 기술개발을 위한 자체 개발PROCESS를 도입하여 실행하고 있는데 품질방침, 환경방침, 고객헌장 등을 제정하여 운용하고 있음. 이후 고객사의 높은 품질기준에 부응하기 위하여 2012년 11월 TS16949 국제품질경영 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음. 해외시장 개척의 측면에서 고객사의 해외공장 직납요청, 당사의 해외시장 진출등의 목적으로 2010년 5월 중국 DONGGUAN에 자본금 5백만불을 투자하여 신우전자유한공사를 설립한 후, 삼성디스플레이 DONGGUAN공장에 SMT실장제품을 직납하게 되었으며, 물량은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임. 중국 동관의 해외법인을 필두로 삼성디스플레이의 상생 협력사로서 추후 베트남 시장의 진출을 검토 중이며 당사 투자자인 UKC HOLDINGS는 글로벌법인으로 세계 여러 곳에 현지법인이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당사도 해외진출을 적극적으로 검토 중에 있음. 57. 1억불, (주)이오테크닉스 / 대표이사 성규동(成圭棟) ▲ 수출품목 : 금속절삭가공기계, 반도체제조용장비 ▲ 수출실적 : $ 12,557만불 (전년대비 51% 증가) ▲ 담 당 자 : 성오준 (☎ 031-420-2806) 공적내용 ㈜이오테크닉스는 1989년 설립이래 최첨단 분야인 레이저 응용기술 개발에 전념하여 반도체, PCB, Display 등 첨단 디지털기기와 기타 초미세 가공생산 기술부분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역할을 해오는 기업으로 반도체 레이저마킹 분야에서 세계시장을 석권한데 이어 웨이퍼마커, Glass 마커, Trimmer, Deflasher, PCB Via hole driller, Display 응용장비등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시장에 진입하고 있는바, 명실상부한 초일류 레이저 응용기기업체 로 도약하고 있음. 해외지사는 미국, 싱가폴 , 대만, 중국천진, 베트남에 법인을 두고 있으며, 그 외 일본, 중국 상해,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태국,필리핀,인도에 지사를 두고 있고, 대부분 현지인력을 통한 직접 운영 중에 있음. 매출액은 1989년 설립이래로 꾸준하게 상승하여 2005년 644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으며, 2013년은 매출 2,000억 초과 달성하였고 국내외 여러 산업에서 레이저 기기 사용 수요가 증가하면서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함. 설립 초기부터 회사의 모든 역량을 기술개발에 집중해 왔고, 마침내 반도체 레이저마킹 분야에서 DPSS 레이저를 세계 최초로 적용하여 세계 반도체 마킹시장을 선도해 옴. 또한 CSP 웨이퍼마커에서도 독창적인 기술로 세계 최고의 품질경쟁력을 지니고 있음. 58. 1억불, (주)우성엠엔피 / 대표이사 박찬호(朴贊鎬) ▲ 수출품목 :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 수출실적 : $ 12,329만불 (전년대비 41% 증가) ▲ 담 당 자 : 장동훈 (☎ 032-680-9709 ) 공적내용 ㈜우성엠엔피는 1999년 3월 설립된 휴대폰 케이스 사출 및 조립 전문회사로서 한화통신, 대우통신, 세원텔레콤, LG전자와 협력업체로 지내며 쌓은 기술력과 신용을 토대로 국내 최고 수준의 휴대폰 케이스 사출 및 조립을 하고 있는 기업임. 당사는 해외시장으로 직접 제품을 수출하지는 않으나, LG전자 MC사업부에 납품을 함으로써 LG전자의 해외시장 개척활동에 기여를 하고 있음. 부설연구소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KSA9001 / ISO9001과 KSA14001 / ISO14001 인증을 받았으며 특허권도 취득함. 이외에도 자체 Audit 실시와 LG전자 합리화 컨설팅 등 품질향상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결과 LG전자 EMS(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 전문업체로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며 성장함. 이후 2008년에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INNO-BIZ) 인증도 취득하였으며, 2010년에는 평택공장 설립, 2011년 평택공장 증설 및 Robot Coating Line을 신설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꾸준한 투자를 실시함. 빠르게 변화하는 스마트폰 특성으로 인해 사출성형, 도장의 선행기술을 발전시켜 설계단계에서부터 적용, 원가/생산성/품질의 Global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2010년에는 평택공장을 설립하였고, 2011년에는 평택공장의 증설 및 Robot Coating Line을 신설하여 금형 제작부터 ‘사출 -> 표면처리 -> 후공정 -> Sub Assembly -> Folder Assy -> 검사 -> 납품’ 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한 곳에서 이루어지도록 일괄생산 시스템을 구축하여 물류 이동거리를 단축시켰고 납품 소요시간도 줄이는 효과를 얻음. 또한 사출공정의 무인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해 생산성 역시 30%가량 향상시키는 등 LG전자의 생산 계획에 맞게 제품을 공급하는데 기여함. LG전자 및 여러 협력업체들과 합심하여 기술개발 및 국내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쓰고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생산기술력, 품질 등의 향상을 위해 노력함 59. 1억불, 동아에스티(주) / 대표이사 박찬일(黃午榮) ▲ 수출품목 : 물, 의약품 ▲ 수출실적 : $ 10,755만불 (전년대비 13% 증가) ▲ 담 당 자 : 홍종호 (☎ 02-920-8873) 공적내용 동아에스티(주)는 ‘32년 창업, ‘67년부터 제약업계 1위로 대한민국 대표 제약기업으로 자리매김해온 업체로 80년 넘는 역사 위에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기 위해,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제약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한 혁신 신약 개발과 글로벌 경영체제 구축을 목적으로 지주회사 전환을 결정하고 ‘13년 3월 1일을 기준으로 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에스티, 동아제약으로 분할됨. 당사는 글로벌 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시장별로 특화된 현지화 전략을 펼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미국 법인인 DAC, 브라질 법인인 DAP, 인도연락사무소, 중국법인인 소주동아를 운영하여 해외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함. ‘77년 연구소 설립 이후 지속적 투자와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제약사 최고의 경쟁력을 구축해 왔으며 그 결과 ‘02년 당사 자체개발 1호 신약인 위염치료제 스티렌 발매에 이어 ‘05년 국내 최초의 발기부전 치료제 자이데나 ‘11년 기능성 소화불량증 치료제 모티리톤을 성공적으로 선보여 국내 제약시장에서 신약 개발 성공 스토리를 이어가고 있으며 합성신약, 천연물신약, 개량신약 분야에서 글로벌 신약이 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음. 이와 같이 당사는 국내시장 성장둔화에 대비해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수출을 확대해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제약기업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계획임 또한 글로벌 리서치 네트워크 구축, 임상 강화 등을 통해 글로벌 R&D 역량을 제고하고, 조직 및 프로세스를 혁신하여 글로벌 사업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인재를 육성할 계획으로 지속적인 해외매출 성장을 이루고 세계 각국의 등록서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는 인도 등의 글로벌 현지시장에서 해외임상을 진행하고 있음. 나아가 차세대 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하여 일본 및 유럽시장을 목표로 항암제, 혈압약 및 항증진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자이데나, 당뇨병치료제 등의 중국시장 진출을 추진 중에 있음. 60. 1억불, 코나아이(주) / 대표이사 조정일(趙丁一) ▲ 수출품목 : 프로세스와 콘트롤러, 기타집적회로반도체 ▲ 수출실적 : $ 10,300만불 (전년대비 46% 증가) ▲ 담 당 자 : 강병훈 (☎ 02-2168-9864 ) 공적내용 코나아이(주)는 1998년 3월 설립한 기업으로 스마트카드(Smart Card ; IC Chip이 내장된 카드) 관련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업체로서 스마트카드의 핵심기술인 자바(JAVA)오픈 플랫폼 기반의 IC Chip OS(Operation System ; 운영체제)인 COS(Chip Operating System ; 칩운영체제)를 자체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스마트카드 전문 기업임. 당사는 국가발전을 위해 2010년 31,996천불, 2011년 50,229천불, 2012년 39,105천불, 2013년 93,198천불의 수출실적을 쌓고 있는 글로벌한 기업임. 당사는 스마트카드의 전 구성요소와 관련되어 그 동안 축적된 핵심기술을 향후 지속적인 연구 개발투자를 통해 더욱 더 발전시켜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 스마트카드 시장의 기술선도기업으로 거듭남과 동시에 국내에 기 확보되어 있는 인프라의 지속적인 확장과 더불어 이와 연계된 각종 부가응용서비스 개발 및 공급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신규사업을 추진할 계획을 세우는 것과 동시에 대용량 USIM카드, 대용량 스마트 SD카드 개발, TSM, 보안서버 등 신기술 개발을 향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지난 2007년 태국 전자주민증 1차 사업을 수주함에 따라 2007년 말 부터 2008년 말 까지 약 2600만장의 스마트카드 공급을 수행한 바 있으며, 2009년 6월 267억원(약 2600만장)규모의 2차 사업을 수주하고 2009년 4분기부터 시작된 2차사업 공급물량의 납품은 공급을 완료함. 또한 2008년 8월에 설립한 중국 현지법인인 북경심걸과 기유한공사(지분율100%)를 통해 중국 시장 진출도 본격 추진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 미국, 인도 등 인구 거대국들의 IC Chip카드 Migration이 본격화되며 금융카드분야의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해외시장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 61. 1억불, DK유아이엘(주) / 대표이사 김상주(金相珠) ▲ 수출품목 :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 수출실적 : $ 11,531만불 (전년대비 52% 증가) ▲ 담 당 자 : 김상종 (☎ 031-940-1513) 공적내용 DK유아이엘(주)은 1982년 설립되어 스마트폰 부품을 중심으로 각종 전자부품을 전문 개발, 생산하는 제조기업으로 자본금 56.9억원, 해외법인 포함 약 3,000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기업임. 당사는 급변하는 휴대폰 시장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자부품 개발부터 양산에 이르기까지 일괄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생산성 극대화와 글로벌 고객사 대응 최적화를 위해 중국 천진, 베트남 하노이에 각각 생산법인을 보유중임. 이를 기반으로 2014년 삼성전자와 엘지전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부품을 집중 공급하며 새로운 성장기를 구가하고 있음. 특히 삼성전자의 갤럭시S4, S5와 갤럭시노트3, 그리고 엘지전자G3 등 플래그쉽 모델위주 부품 공급으로 신뢰받는 부품 협력사로 거듭남. 생산 품목 측면에서도 Keypad 단일 품목에서 벗어나 Side Key, Flip Case, 부자재, Touch Pen 등으로 다각화하여 사업저변을 한층 더 공고히 다지고 있으며, 그 결과 매출액은 키패드시장 정체에도 불구하고 2011년 연결기준 1,497억원에서 작년 1,575억원으로 105% 증가함. 특히 2013년에는 매출액 2,863억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을 달성함. 이와 같은 성장추세를 지속하기 위해 품목 측면에서는 비휴대폰 계열 전자부품 다각화에 매진하고 있으며 영업 측면에서는 인도사무소 개설을 통해 중남미 소재 고객사까지 아우를 수 있는 대응기반을 마련함. 한편 글로벌 기업들의 베트남 진출Rush와 발맞추어 2010년, 베트남 하노이 박닌성에 대규모 생산법인을 마련하여 수출역군으로서의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여 2014년 현재 월평균매출 1천만달러 이상의 대형 법인으로 거듭남. 인도사무소 개설을 통해 천진법인-베트남법인-인도사무소를 아우르는 사업 BELT를 구축하여 전자제품 생산의 심장부인 동남아 시장을 폭넓게 Cover가능한 영업력을 확보하였으며, 대량생산체제 가동으로 고객이 원하는 품질과 수량을 충족하는 제품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춤. 당사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앞으로도 기업의 성장과 함께 수출기업으로서의 소임을 다하려 함. 62. 1억불, (유)삼송 / 대표이사 이형찬(李炯燦)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 13,189만불 (전년대비 1% 증가) ▲ 담 당 자 : 전경아 (☎ 02-6901-7916 ) 공적내용 (유)삼송은 자동차용 안전벨트를 생산하는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로 자동차용 안전제품(안전벨트, 사고분석해석, 유아용카시트)분야의 전문업체로 인정받음. 2011년도 매출실적 1,555억, 2012년도 1,967억, 2013년도 1,910억원 달성. 2014년도에는 약 2000억원의 매출액 달성을 위해 전진하고 있음. 당사는 해외영업과 생산을 강화하기 위해 2001년 중국 현지법인, 2006년 인도 현지법인(공장)을 설립하였으며 2007년 유럽 판매법인으로 체코법인을 설립하였음. 또한 창업 후 기업 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 적극적인 연구개발투자와 신기술력 확보, 디자인 개발, 안전시험장비를 구축함. 이러한 노력의 결과 제조기술 관련 특허등록 20건, 실용실안등록 2건, 의장등록2건 등 총 24건의 기술관련 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ISO9001인증, QS9000인증, ISO14000인증, ISO/TS 16949:2002 인증을 획득함. 또한 수출시장 개척을 위해 해외관련 산업전시회에 지속적으로 참가하여 아시아부터 유럽에 이르기까지 해외법인 설립과 투자에 힘을 쏟고 있음. 현재 중국, 인도, 체코 현지 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현지출장을 통해 브라질, 러시아, 터키 등 세계 각지에 투자 및 공장설립을 검토 중에 있음. 당사는 유수의 해외 부품업체의 경쟁력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에서 유일하게 안전벨트 개발에 앞장서고 있음. 작년 전 세계 판매수 4,100,000대 중 자사의 안전벨트가 35%의 비중을 차지하여 자동차산업 내수시장 확대에 기여함. 현재 대기업인 현대, 기아, 르노삼성등과 함께 자동차관련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차세대 자동차산업의 안전, 기능, 전자제어 등 연구개발 및 제품양산에도 참여하고 있음. 63. 1억불, 금강공업(주) / 대표이사 이범호(李凡虎) ▲ 수출품목 : 기타금형, 철및비합금강용접강관(중소) ▲ 수출실적 : $ 10,418만불 (전년대비 31% 증가) ▲ 담 당 자 : 박윤희 (☎ 02-3415-4180 ) 공적내용 금강공업(주)은 1979년 8월 설립하여 대한민국 가설산업체 최초 자체 기술로 개발된 콘크리트 타설용 알루미늄폼 및 특수폼을 해외에 수출함. 주요 품목인 알루미늄폼과 시스템거푸집은 국내 현장에서조차 외국제품을 수입하여 사용하던 품목이었으나 국내최초로 생산에 성공하며 성장함. 이범호 현 대표이사는 2005년 경영지원본부장 및 해외영업본부장을 겸직하면서 건설용 가설재와 철강 파이프의 국내 시장은 포화 상태라고 판단, 상대적으로 가설재 산업의 기반이 취약한 동남아시아로의 해외시장 진출 필요성을 인식, 해외시장 전문가를 해외영업부장으로 영입하는 등 해외 수출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시작함. 이후 2007년 말레이시아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동남아시아 시장의 전초기지 역할을 다지고, 2008년부터 알루미늄 폼 수출을 시작, 2009년에는 회사설립 이래 최고 매출액인 3천만불 수출을 달성하는 성과를 보임. 금액상으로는 수출 주력업체 대비 미미한 수준이지만, 대한민국 가설산업 최초의 거푸집 수출이라는 기념비적인 업적을 세움. 당사는 해외시장 진출 및 수출을 위한 전략구축 및 신제품 개발, 기술 향상을 위하여 2005년 기술연구소를 설립, 꾸준한 기술개발과 제품 국산화로 국내 건설현장에서 호평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자신감을 발판으로 성공적인 해외시장 진출 성과를 이뤄내었음. 신흥 시장을 개척한지 불과 4년만에 7천만불 수출을 달성 하였고, 올해는 1억불을 달성하며 국내 기술력의 성장을 입증함. 64. 1억불, (주)에이치비테크놀러지 / 대표이사 문성준(文聖畯) ▲ 수출품목 : 칼라TV부품, 기타계측기 ▲ 수출실적 : $ 10,647만불 (전년대비 520,575% 증가) ▲ 담 당 자 : 김태영 (☎ 041-532-8730) 공적내용 ㈜에이치비테크놀로지는 1997년 설립초기 반도체 후공정 장비를 시작으로 국내최초 LCD용 AOI 검사장비 국산화에 성공하였고, 2012SUS 세계최초 플렉시블 AMOLED용 초미세 AOI 장비를 공급함으로서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업계의 선두 기업으로 거듭남. 당사 사업부는 부품소재사업부와 장비사업부 2개의 사업부로 운영중임. 부품소재사업부는 삼성전자의 핵심 협력사로서 세계 최대크기 도광판 레이져패터닝 가공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 멕시코로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 장비사업부는 TFT-LCD 검사장비를 제조, 수출하고 있으며 2세대~8세대까지 전 세대 장비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음. 주요 수출국은 중국, 대만, 일본이며 국내외 검사장비 총 누적납품대수는 293대, 2013년기준 AOI 검사장비 세계시장 36%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기술개발을 위하여 부설연구소를 운영, 총 54여명의 연구인력이 근무하고 있으며(전체 관리인력중 26% 차지) 기술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비를 투자함. 그 결과 장비사업부는 많은 정부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최근 "55인치 고해상도 AMOLED TV패널 나노미터급 불량 검사장비 개발" 정부과제를 1차년도 수행하고 있으며, 이 과제를 통해 개발되는 차세대 0.2um 검출력 AMOLED 광학검사장비는 2017년 160억원, 2018년 240억원, 2019년 320억원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함.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중국, 일본 등 해외지역 local Agent와 계약을 체결, 해외시장 매출 증대를 위해 노력해왔고, 2014년 중국 소주시 내 대표처 설립을 목표로(연락사무소) 준비중임. 이를 통하여 중국시장에서 마케팅, 홍보활동을 강화할 계획에 있음. 이러한 해외시장 개척활동의 결과로 중국의 유수 TV Maker인 Skyworth 社와 도광판 공급 계약이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의 SONY 社 에서도 당사의 기술력을 인정,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특히 장비사업부의 TFT LCD 검사장비는 BOE, TIANMA, CENTURY, CSOT社 등의 Global 디스플레이 업체들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아 올 하반기 대량의 수주가 예상됨 65. 1억불, (주)제이앤티씨 / 대표이사 장상욱(張相旭) ▲ 수출품목 : 연결부품, 안전유리 ▲ 수출실적 : $ 12,713만불 (전년대비 73% 증가) ▲ 담 당 자 : 최순진 (☎ 031-354-2590) 공적내용 ㈜제이앤티씨는 1996년 11월 설립, 현재 주요 매출품은 커넥터, 강화글라스이며 2013년 커넥터 1,363억, 강화글라스 244억 총 1,607억의 매출액을 달성함. 현재(2014. 7월 기준)자본금 21,032(백만원), 종업원수 700명, 중국 QINGDAO JNTC 해외법인을 가지고 있음. 최근 3년간 수출액은 2011년 85,011(백만원), 2012년 115,025(백만원), 2013년 120,672(백만원) 으로 2013년 총매출액 1607억에서 수출액이 차지하는 부분은 75%(120,670백만원)임. 사업별 수출비중은 커넥터 98,230백만원(82%), 강화글라스 22,440백만원 순임. 또한 끊임없는 자동화 기술 개발을 통해 휴대폰 커넥터 자동조립·검사·포장 시스템을 개발하여, 1996년 창립 이래 현재 매출액 1,607억을 달성하는 중견기업으로 성장함. 당사의 산업은 크게 부품산업(커넥터,강화유리), 에너지사업(탄소나노필터)으로 업태를 분류하고 있으며, 부품산업인 커넥터, 강화유리를 통한 전체 매출액의 70~80% 수출을 하고 있어서 무역진흥에 기여도가 크고 추가로 에너지사업에 대한 기술성공에 따른 신규양산설비 투자를 예정하고 있음. 또한 도요타, 현대자동차, GS칼텍스 등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으로 신규매출(수출) 증대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됨. 당사와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수백여개 기업들과의 유기적인 비즈니스 협업과 고객사와의 상생협력 및 동반성장 수행 과정을 통해 신규시장 개척 및 커넥터, 강화글라스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 커넥터사업부는 생산량의 증대, 품질향상, LOSS율 저하를 위해 자동화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지속적인 설비 투자를 하고 있음. 특히 2013년 커넥터 설비투자(60억), 사출성형기(38대), 프레스기(23대)를 보유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약 70%의 가동율을 지님. 신규 투자부분인 강화글라스사업부는 2012년부터 양산을 시작하여 현재 갤럭시 S4 모델 SDC사의 90% 이상 물량 진행함으로 높은 생산 수율 확보 및 고정적 매출액을 달성하고 있으며 고객사의 물량 증가 요청에 따른 지속적인 설비 투자를 진행 중임. 당사는 높은 기술력으로 해외수출에도 경쟁력을 가지고 지속적인 시장개척과 수출증가를 하고 있으며, 기존 중국시장에서 베트남, 인도 등 신시장 수출이 증대되고 있음. 66. 1억불,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 대표이사 양동기(楊東起) ▲ 수출품목 : 온라인게임서비스 ▲ 수출실적 : $ 19,091만불 (전년대비 489% 증가) ▲ 담 당 자 : 이원선 (☎ 031-600-8289 ) 공적내용 (주)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는 전 세계 4억명 이상의 게이머들이 즐기는 온라인 FPS 게임 ‘CrossFire’를 개발한 글로벌 온라인 게임 회사로서, 2002년 6월 11일 설립 이래 전 사원이 혼연일체로 단결하여 세계 1위 FPS게임 ‘CrossFire’를 개발함. 당사는 설립 이후 5년간 매년 200% 이상의 높은 매출 신장률을 이뤄냈으며, 게임 개발에서 시작한 사업 영역을 핵심 연계 사업인 퍼블리싱 및 투자부문으로 확장하여 미국, 중국, 동남아 등의 해외 거점을 마련하는 등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2013년 매출은 총 3,760억원(연결회계 기준)을 기록했으며 이 중 90%이상은 콘텐츠 직접 수출과 글로벌 현지 서비스를 통해 이뤄짐. 또한 제작한 게임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중국 현지로 출국하여 시장전문가 및 중국 유저들과 함께 현지화 작업을 진행함. 2008년 현지화 작업을 할 당시, 게임업계의 ‘현지화’ 개념이란 국내에서 개발한 게임을 수출국 언어로 바꾸는 단순 번역 작업수준에 불과하였음. 당사는 개발자들과 현지 협력업체, 그리고 현지 유저들의 의견에 항상 귀를 기울이는 노력으로 기존 중국 온라인게임의 유료결제 시스템을 탈피, 파격적으로 무료서비스 제공을 실시하여, 상해, 북경과 같은 세계적인 도시에서부터 산간오지까지 게임 유저의 PC사양이 천차만별인 중국의 상황에서 게임사양을 대폭 낮추는 최적화 작업을 수행 하여 유저들의 게임 접근성을 높이는 성과를 보임. 또한 온라인 FPS게임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네트워크 상태를 한국 수준으로 올리기 위해 게임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는 서버연결 방식을 전면 개편, 게임현지화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중국 문화와 중국인들의 정서에 맞는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함. 이러한 노력을 통해 중국 유저들의 마음을 완전히 사로잡을 수 있었고, ‘Cross Fire’는 중국의 국민게임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었음. 67. 1억불, (주)블루콤 / 대표이사 김종규 ▲ 수출품목 : 기타무선통신기기부품, 전동기부품 ▲ 수출실적 : $ 11,124만불 (전년대비 204% 감소) ▲ 담 당 자 : 김현중 (☎ 032-810-0512) 공적내용 ㈜블루콤은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 제조기업으로 주요 사업은 휴대폰용 마이크로 스피커와 리니어 진동모터, 블루투스 헤드셋 등 휴대폰 부품 및 엑세서리임. 1990년 삼부커뮤닉스 설립을 시작으로 1991년 10월 법인명을 ㈜블루콤으로 전환한 뒤 중국 천진에 생산공장, 베트남법인(해외2공장)을 설립하여 가동을 시작하였고(현 임대공장) 2015년까지 공장을 신축할 예정임. LG전자에 ODM형식으로 납품하는 넥밴드형 블루투스 스트레오 헤드셋 제품인 HBS-700을 시작으로 HBS-730,750,800,900 등의 모델들의 라인업을 갖추었으며 각기 다른 특성화를 통해 매번 신제품 출시때마다 새로운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음. 최근 수출기록으로는 2012년~13년 3천 6백만불, 2013년~14년 6월까지 1억1천1백만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함. 기술개발 분야로는 블루투스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스피커, 휴대폰스피커, TV스피커, 리니어 진동모터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 양산하고 있으며, 2013년 세계시장에서 새로운 강호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 내수시장 진입을 시작으로 현재는 샤오미, 신쉰 등의 중국내수업체로 수출을 진행하고 있음. 또한 기존 미주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 내수시장에 눈을 돌려 13억 중국인들이 사용할 스마트폰의 스피커, 리니어 진동모터를 수출하게 되는 등 해외시장에서도 대량수출을 통해 당사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이는 LG전자와 샤오미의 성장에 힘입어 모바일 완성품기계와 연계가 가능한 기능을 추가하며 또 하나의 웨어러블 플랫폼으로의 발돋움이 기대됨. 68. 1억불, (주)오영 / 사장 정홍기(鄭洪基) ▲ 수출품목 : 염료 ▲ 수출실적 : $ 11,074만불 (전년대비 41% 증가) ▲ 담 당 자 : 김정훈 (☎ 02-834-5050) 공적내용 ㈜오영은 1981년 설립 당시부터 선유용 반응성 염료 한 분야에만 집중해 온 기업으로, 기존 수입에 의존했던 반응성 염료를 고품질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국산화에 성공, 국내 염료시장 활성화에 크게 기여함. 당사는 ‘외산 반응성 염료의 국산화’ 라는 가치로 반응성염료 생산을 시작하며 선진 제품의 복제를 통해 초기 기술을 확보하고 우수한 해외의 염료제품을 가져와 분석하고, 복제하는 과정을 거치며 생산 기술력을 습득함. 또한 신제품의 연구개발, 제품품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하여, 1988년 중앙연구소 설립, 1993년 시화공단에 제2공장 신설하여, 명실상부한 반응성염료 국내 1위업체로 자리매김함. 창업이후 지속적인 연구 개발 활동의 결과로 당사의 주 제품인 반응성염료의 제조에 관련된 기술관련 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6년 INNOBIZ 인증을 획득, 현재 정부기술개발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또한 수출시장 개척을 위하여 영문, 중문 팜플렛을 제작, 해외 관련 산업 전시회에 참가하여 지속적인 제품홍보 및 바이어 발굴을 진행하고 있음. 특히 세계적으로 유명한 중국염료산업전시회에 참가하여 제품의 품질에 대하여 호평을 받고 있으며, 긍정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는바 지속적으로 수출물량이 증가 할 것으로 기대됨. 또한 OEM 생산수출이 아닌 90%이상 자체브랜드로 수출하여, 대한민국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하고 있음. 수출액 중 약 7%를 차지하는 Local 수출제품은, 국가중점산업인 섬유산업의 핵심적인 원부자재로 사용되어, 수출 섬유제품 생산 시 수입원부자재가 아닌 국산원부자재를 이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수출 섬유제품의 가격경쟁력 확보에도 노력함. 이를 통해 대한민국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하고 있음. 69. 1억불, (주)풍전비철 / 대표이사 한정건(韓炡鍵) ▲ 수출품목 : 알루미늄괴, 아연괴 ▲ 수출실적 : $ 10,701만불 (전년대비 101% 증가) ▲ 담 당 자 : 김영섭 (☎ 070-4161-3525 ) 공적내용 ㈜풍전비철은 아영, 동, 황동, 알루미늄, 주석 등 주요 비철금속을 합금하여 국내 철강사 및 산업현장에 공급하는 기업으로 친환경기술을 30년간 이어오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고자 알루미늄 합금공장 설립 및 기계금속 부품생산을 병행 운영함. 적재적소의 인원관리로 특허등록 3개, 제품 표준화를 통한 품질향상, 영업팀의 활발한 해외활동 지원으로 인도네시아 사라나스틸, 아프리카 케냐의 빅토리메탈, 남미 브라질의 아르실로미탈 등과 적극적인 비즈니스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있음. 싱가포르, 대만, 방글라데시,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 시장 확보를 위해 협의 중이며, 북남미, 유럽 등 해외 유수의 제강사들로부터 샘플 제공을 의뢰받아 품질 테스트 중에 있음. 비철금속 공업은 관련효과가 높은 소재형 산업으로 건설업, 기계공업, 전기전자산업, 항공산업 등 1970년대 말부터 성장기반이 조성된 선진국에 비하면 국내의 경우 원칙 없는 처리체계로 어려움이 있었음. 당사는 이러한 처리체계를 구체화하여 국내 관련산업으로의 수입대체효과를 거둠. 특히 당사 아연제품의 경우 아연드로스 등의 각종 아연산업 부산물과 폐기물 등을 원자재로 아연잉곳을 생산하며, 알루미늄의 경우 알루미늄선, 샤시, 휠, 기계철, 인쇄판, 절삭칩 등으로 알루미늄 잉곳을 생산함. 또한 유가 폐기물의 재활용방안 및 고부가가치를 위한 기술개발에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국내 최초로 갈바륨 도금강판용 모합금을 생산 공급하여 도금회사의 품질향상과 원가절감에 기여하고 있고, 아시아 지역을 넘어 아프리카 시장으로의 수출을 도모하여 신시장에서 한국제품을 알리고 있음.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아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일부 비철제품의 경우 비철금속 스크랩을 이용한 제품을 생산하여 국내 관련업체에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음. 또한 세계적인 종합 비철금속 재활용업체로 부상하기 위하여 국외 공인규격 및 특허의 지속적인 획득을 위하여 꾸준히 노력하고 있음. 70. 1억불, (주)현진스포텍 / 대표이사 이해연(李海兗) ▲ 수출품목 : 편직물, 기타종이제품 ▲ 수출실적 : $ 11,084만불 (전년대비 31% 증가) ▲ 담 당 자 : 김선영 (☎ 070-4163-1510) 공적내용 ㈜현진스포텍은 1987년 3월, 모터싸이클용 장갑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설립함. 2005년 격변하는 기업환경과 세계화의 거친 물결 속에서 좀 더 미래지향적인 기업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회사명을 ㈜현진상역에서 ㈜현진스포텍으로 전환하였음. 1993년부터 2008년까지 중국 내 생산인력 약 5,000명 규모의 생산공장을 운영하였으나 당시 주력 수출국가인 미국으로 수출하는 데 있어 쿼터제한을 받아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었고, 또한 중국 내 규제강화 및 인건비가 상승하여 중국에서의 공장 운영에 제약이 있다고 판단함.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2003년 다른 경쟁업체보다 선도적으로 베트남 북쪽에 위치한 하이증성에 해외직접투자를 하여 새로운 공장 2곳을 추가로 설립함. 이후 2011년도에는 천만불 이상의 해외직접투자를 추가 실행하여 베트남 내 제 3공장까지 건립하였으며, 현재 총 3곳의 베트남 현지공장에서 연간 장갑 생산물량 2천만 켤레, 의류 생산물량 300만벌로 당당하게 업계 1위의 생산량을 구축함. 또한 당사는 베트남에 제 4공장 설립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더 많은 생산량을 확보하여 매출을 계속하여 증대시켜 나갈 계획에 있음. 당사는 해외 생산현장에서 엄격한 품질관리 및 새로운 최신 설비를 통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대형 ROLL 전사기와 DIGITAL 전사기를 설치하여 BUYER의 샘플요청에 즉시 대응하는 체제를 구축함. 현재 당사가 생산하는 주력 아이템인 모터싸이클용 장갑, 바지 및 산업용 의류 외에도 차량정비용 장갑, 스키/스노우보드 장갑, 자전거용, 요트용, 소방용, 등산용, 골프용, 경찰/군인용 특수장갑 등 세계시장에 다양한 종류의 장갑 아이템을 수출하고 있으며 서핑용 보드 바지 등 매년 신규 아이템에도 투자하여, 신규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이를 통해 매년 대폭적인 매출신장을 도모하고 있음. 71. 1억불, (주)코렌스 / 대표이사 조용국(趙鏞國) ▲ 수출품목 : 자동차부품 ▲ 수출실적 : $ 11,931만불 (전년대비 52% 증가) ▲ 담 당 자 : 김현태 (☎ 055-371-6732 ) 공적내용 ㈜코렌스는 1990년 7월에 설립되어 EGR 쿨러(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국내최초로 개발, 상용화한 기업임. EGR 쿨러는 자동차 엔진 내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CO), 매연(PM), 질소 산화물(NOx) 등 유해물질을 획기적으로 저감하는 장치. 디젤엔진에서 발생하는 입자물질(매연)과 질소산화물(NOx)은 스모그발생 및 인체의 폐암, 폐질환과 산성비 유발을 통한 토양오염을 일으키는 주요 물질인데, 엔진에 장착되는 EGR Module는 매연물질 및 질소산화물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로써 디젤엔진이 가솔린엔진보다 더 깨끗한 배기가스를 배출 시키도록 하는 핵심기술임. 당사에서 자체개발한 혁신적인 Wavy Fin형 EGR Cooler는 자동차산업의 본고장인 유럽에서도 인정을 받아 BMW에 입성을 하였으며, 현재 Euro5/6용 EGR Module은 70%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Ford, Cummins, Lombardini, VW과 같은 유럽 메이커에 수출함으로써 국위선양 및 국부창출에도 기여함 당사는 각 엔진마다 상이한 조건을 분석하여 최적사양의 EGR Cooler를 설계하는 기술 및 데이타를 보유하여 고객사 요구조건을 분석하고 엔진별 최적화 설계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으로부터 기술만족도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있으며, 원가경쟁력이 뛰어난 사양을 제공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수출을 하고 있음.

      닫기
더보기

정책·정보 ( 0 건)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

예산·법령 ( 8 건)

더보기

민원참여( 0 건)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

직원검색 ( 0 건)

직원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테이블 입니다
이름 직위 부서 전화번호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

소개( 0 건)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