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당자서미주
- 담당부서통상정책총괄과
- 연락처044-203-5625
- 등록일2015-09-25
- 조회수1,332
-
첨부파일
한-캐 FTA 발효 후 8개월, 그 결과는?
- 수출∙수입 모두 하락 -
- 하락 요인은 캐나다 달러 하락, 엔저 등 -
□ 한-캐 교역현황
한-캐 수출입 현황
(단위: 달러)
자료원: KITA, KO TRA 밴쿠버 무역관
○ 한-캐 FTA 발표 후, 올해 7월 기준 한국의 캐나다 수출∙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하락함.
- 대캐나다 수출은 ’14년(1~7월) 30억 달러에서 ‘15년(1~7월) 28억 달러로 6% 하락함.
- 대캐나다 수입은 ’14년(1~7월) 32억 달러에서 ‘15년(1~7월) 24억 달러로 21.4% 하락함.
○ 전년동기대비 수출입 증가율만을 비교한다면, 일정 패턴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한국과 캐나다 각국의 기타국 수출 현황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함.
- 같은 기간 한국의 수출과 수입이 각각 4.9%, 15.5% 감소하고, 캐나다의 수출과 수입은 각각 12.5%, 6.7% 감소했음을 고려할때 한국의 대캐나다 수출은 평균 수준인 것으로 분석
캐나다의 기타 국가 교역 현황
(단위: 달러)
자료원: 캐나다 통계청, KOTRA 밴쿠버 무역관
○ FTA 발효 이후 한국의 대캐나다 대내외적 수출실적 하락 요인은 아래와 같이 분석됨.
- 캐나다 통상정책 다변화로 인한 기타 경쟁 국가(아시아, 유럽 등)와의 무역거래 증가
- 기타 경쟁국가의 캐나다 시장점유율 증가 추세
· 지난 5년간 미국·중국·멕시코산 수입은 지속 증가
· 수출 증가율 면에서 우리나라는 경쟁국(5~10%) 대비 낮은 수준 보임.
- 엔저로 인해 올해 상반기 일본의 수출물량 증가율은 우리나라를 앞서기 시작함.
· 우리 기업 수출량은 2년째 감소인 반면, 일본은 올해부터 회복세
- 경기불황에 따른 전체 캐나다 수출입 감소
· 캐나다 5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2분기 경제성장률 -0.5% 예상)
· 위협요인: (내부요인) 상품 가격 급락, 수출 둔화 등 / (외부요인) 중국의 주가하락과 경제성장률 부진, 그리스 재정위기, 예상에 못 미치는 부진한 실적의 미국경제
- 유가 하락으로 인한 캐나다 달러 하락: 캐나다 달러 약세는 수출 증대로 이어져 제조업에 활기를 줄 것으로 예상됐으나 실상은 경제 전반에 걸친 부진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석유산업(캐나다 GDP의 10%)의 위축으로 연방 정부 등 공공 재정도 타격, 세수 감소 등으로 인한 재정 손실 규모는 50억 달러 이상일 것으로 분석
· 캐나다 기업,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자본지출 연기 및 구조조정 단행 중
기업심리 둔화 등으로 설비투자 부진 지속 ⇒ 우리 제품 수출 부정적 영향
· 현재 캐나다 달러는 미달러당 75.87센트에 거래(2004년 8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 2015년 말까지 미화 대비 73센트선, 2016년 말 70센트선 예상
· 저유가로 하락세 보여온 캐나다 달러는 원자재 가격마저 떨어지며 약세 국면
○ 한-캐 수출∙수입 10대 주요 품목
- 한-캐 FTA 발효 후 캐나다 및 BC주의 주요 수출입 품목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높음.
- 수출 10대 품목: 자동차, 무선통신기기, 자동차부품, 타이어, 철강제품, 철강제품, 냉장고 등
- 수입 10대 품목: 유연탄, 동광, 염화칼륨, 우라늄, 원목, 목재펄프, 건축기계류, 돼지고기 등
한-캐 10대 품목 수출입 비중
자료원: KITA자료 활용, KOTRA 밴쿠버 무역관
한-BC주 10대 품목 수출입 현황
자료원: 캐나다 통계청, KOTRA 밴쿠버 무역관
○ 2015년 7월 기준, 한-캐 수출입이 대폭 증가한 품목
- 수출
· FTA 최대 수혜품목인 자동차, 타이어 수출은 대폭 증가
· 건설경기 회복세에 따라 건축기자재 및 철강제품 수요 증가
- 수입
· 돼지고기 수입량은 캐나다 달러 가치 하락 및 국내 구제역 여파로 증가
· 무관세 혜택으로 바닷가재 수입 대폭 증가
한국의 대캐나다 수출(2015년 1~7월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
품목 |
수출금액 |
증가율 |
순위 |
품목 |
수출금액 |
증가율 |
1 |
자동차(3000㏄초과) |
205,838 |
86.2 |
11 |
기계부품 |
7,843 |
43.2 |
2 |
타이어 |
51,268 |
37 |
12 |
진단시약 |
7,405 |
8.2 |
3 |
다리와 교량 |
38,695 |
328.9 |
13 |
에폭시수지 |
5,728 |
323.2 |
4 |
핵산 |
31,281 |
132.8 |
14 |
면 |
5,249 |
24.9 |
5 |
전동축 |
25,979 |
13.3 |
15 |
비행기 부분품 |
4,920 |
35.8 |
6 |
콘크리트 펌프 |
25,051 |
32.0 |
16 |
공기조절기 부분품 |
4,202 |
161.0 |
7 |
부타디엔 |
20,095 |
2.9 |
17 |
사출식 압축식 기계 |
4,164 |
71,513.8 |
8 |
전동기와 발전기 |
10,726 |
53.4 |
18 |
편직물 |
3,406 |
30.2 |
9 |
밸브부분품 |
9,795 |
33.7 |
19 |
대게 |
3,346 |
168.8 |
10 |
용접용 절강 연결구 |
7,868 |
80.8 |
20 |
스텐리스강 연결구 |
3,168 |
76.1 |
한국의 대캐나다 수입(2015년 1~7월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
품목 |
수입금액 |
증가율 |
순위 |
품목 |
수입금액 |
증가율 |
1 |
도로공사용 기계 |
47,009 |
414.5 |
11 |
온도조절기 |
5,758 |
1,481.3 |
2 |
동물 원피 |
39,600 |
313.1 |
12 |
사료 |
4,953 |
48.7 |
3 |
유채유 |
37,218 |
112.0 |
13 |
귀리 |
4,677 |
221.2 |
4 |
단백질 농축물 |
20,869 |
36.3 |
14 |
감자 |
4,456 |
92.8 |
5 |
우라늄 |
19,806 |
95,396.4 |
15 |
신문판지와 웨이스트 |
4,283 |
69.7 |
6 |
바닷가재 |
18,192 |
13.4 |
16 |
돼지고기 |
4,163 |
16.3 |
7 |
정지형 변환기 |
16,456 |
1,885.5 |
17 |
회전목마 |
3,467 |
463.0 |
8 |
니켈 |
11,941 |
25.6 |
18 |
혼합기, 반죽기 |
3,459 |
507.2 |
9 |
토목공사기계 |
7,178 |
637.8 |
19 |
실험실용시약 |
3,065 |
16.9 |
10 |
백금 |
6,806 |
58.8 |
20 |
뼈없는 쇠고기 |
2,931 |
163.0 |
자료원: KITA, KOTRA 밴쿠버 무역관
□ 시사점
○ 2015년 7월 기준, 한-캐 교역액(28억 달러)은 한국 전체 교역량(3143억 달러)의 약 1/100 수준임.
○ 한-캐 FTA 발효 후 2015년 7월 기준, 한-캐 무역규모는 전년 대비 약 10억 달러 하락함.
- 캐나다 경기 침체 및 유가하락으로 인한 캐나다화 가치 하락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
- 캐나다 중앙은행은 아직 경제가 회복되지 않았으며 2016년 중반 이후 캐나다 경제가 완전히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
· 올해 캐나다 경제성장률은 1.6%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
○ 우리 기업 수출도 2016년 상반기 이후 점진적으로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한-캐 FTA 발효 이후 양국의 무역은 아직까지 10대 주요 품목에 집중돼 있으나, 비주류 제품들의 대캐나다 수출도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우리 기업은 향후 다양한 품목에서의 무관세 혜택을 이용, 강점 가진 분야를 부단히 발굴해야 할 것이며, 이와 더불어 현지에 맞는 제품 진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할 것임.
자료원: KITA, 캐나다 통계청, KOTRA 밴쿠버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