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운항선박 실증을 위한 성능실증센터 준공 2022-11-03
4TEU 연안 항로용 컨테이너선인 ’마카게‘ 실증 □ 산업부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자율운항선박과 같은 디지털 전환에 따라 다가올 미래 선박시장은 기술경쟁력을 가진 우리 조선산업에는 새로운 기회의 장이라고 말하며, 2026년까지 선원이 승선하지 않고 원격제어로 운항이 가능한 자율운항선박(IMO 3단계)의 상용화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해명
^^&&^^ 문화체육관광부 보 도 자 료 보도 일시 2022. 11. 3.(목) 11:00
닫기^^&&^^ 문화체육관광부 보 도 자 료 보도 일시 2022. 11. 3.(목) 11:00
닫기^^&&^^ 문화체육관광부 보 도 자 료 보도 일시 2022. 11. 3.(목) 11:00
닫기바다의 미래를 주도할 자율운항선박 개발 프로젝트 본격 착수 2020-06-17
발족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통합사업단을 발족하고 사업을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ㅇ 동 사업은 미래 조선·해운산업을 업그레이드할 자율운항선박의 사업화 실현을 위해 양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6년간 약 1,600억원을 투입하여 추진한다. ※ 사업개요 ㅇ 사업명 :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ㅇ 사업기간 및 규모 : 2020∼2025년 / 총 사업비 1,603.2억 원(국비 1,196.64억 원) ㅇ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해명
^^&&^^ - 1 - 보 도 자 료 http://www.motie.go.kr 2020년 6월 18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6.17(수) 오전 11시 이후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20. 6. 17.(수) 담당부서 산업통상자원부 조선해양플랜트과 해양수산부 스마트해상물류추진단 담당과장 이상준 과장(044-203-4330) 담 당 자 이재익 사무관(044-203-4332) 정준호 단장(044-200-6205) 장석준 사무관(044-200-6202) 바다의 미래 주도할 자율운항선박 개발 본격 착수 - 2025년까지 기술개발, 성능실증센터 구축, 중형급 상선 실증 등 추진 - -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통합사업단」 발족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통합사업단을 발족하고 사업을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ㅇ 동 사업은 미래 조선·해운산업을 업그레이드할 자율운항선박의 사업화 실현을 위해 양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올해부터 2025년 까지 6년간 약 1,600억원을 투입하여 추진한다. ※사업개요 ㅇ사업명: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사업 ㅇ사업기간및규모:2020∼2025년/총사업비1,603.2억원(국비1,196.64억원) ㅇ추진부처:산업통상자원부,해양수산부공동추진 ㅇ사업내용: 자율운항선박핵심기술(운항자율+시스템자율)을개발하고, 체계적인 실증을통한조기상용화기반마련 ㅇ[주요과제]4개분야13개세부과제 - ①지능형항해시스템,②기관자동화시스템,③자율운항선박성능실증센터 구축및실증,④운용기술및표준화기술개발등 - 2 - □ 자율운항선박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센서 등을 융합하여, 선원의 의사결정을 지능화·자율화된 시스템이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닫기^^&&^^ - 1 - 보 도 자 료 http://www.motie.go.kr 2020년 6월 18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6.17(수) 오전 11시 이후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20. 6. 17.(수) 담당부서 산업통상자원부 조선해양플랜트과 해양수산부 스마트해상물류추진단 담당과장 이상준 과장(044-203-4330) 담 당 자 이재익 사무관(044-203-4332) 정준호 단장(044-200-6205) 장석준 사무관(044-200-6202) 바다의 미래 주도할 자율운항선박 개발 본격 착수 - 2025년까지 기술개발, 성능실증센터 구축, 중형급 상선 실증 등 추진 - -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통합사업단」 발족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통합사업단을 발족하고 사업을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ㅇ 동 사업은 미래 조선·해운산업을 업그레이드할 자율운항선박의 사업화 실현을 위해 양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올해부터 2025년 까지 6년간 약 1,600억원을 투입하여 추진한다. ※사업개요 ㅇ사업명: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사업 ㅇ사업기간및규모:2020∼2025년/총사업비1,603.2억원(국비1,196.64억원) ㅇ추진부처:산업통상자원부,해양수산부공동추진 ㅇ사업내용: 자율운항선박핵심기술(운항자율+시스템자율)을개발하고, 체계적인 실증을통한조기상용화기반마련 ㅇ[주요과제]4개분야13개세부과제 - ①지능형항해시스템,②기관자동화시스템,③자율운항선박성능실증센터 구축및실증,④운용기술및표준화기술개발등 - 2 - □ 자율운항선박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센서 등을 융합하여, 선원의 의사결정을 지능화·자율화된 시스템이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닫기바다 위 4차 산업혁명, 자율운항선박 개발 프로젝트 본격 착수 2019-10-30
개발한다. ③ 개발된 기술의 검·인증 및 실증을 위해 울산 고늘지구에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며, 이 센터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Track-Record를 확보한다. * 울산시 동구 고늘지구, 1,200m2 규모(예정),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결과물 실증, 개조선박 테스트, 자율운항선박 시운전 등 수행 < 성능실증센터 역할 및 조감도 > ④ 원격관리, 안전운항, 사고대응 등 자율운항선박 운용기술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술이 국제 표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개발 초기부터 IMO(국제해사기구), ISO ...
>알림·뉴스>보도자료>보도/해명
^^&&^^ - 1 - 보 도 자 료 2019년 10월 31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0.30(수) 오전 11시 이후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19. 10. 30(수) 담당부서 산업통상자원부 조선해양플랜트과 해양수산부 해운정책과 담당과장 윤성혁 과장(044-203-4330) 담 당 자 이재익 사무관(044-203-4332) 이시원 과장(044-200-5710) 임경은 서기관(044-200-5725) 이종호 주무관(044-200-5723) 바다 위 4차 산업혁명, 자율운항선박 개발 프로젝트 본격 착수 -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예타 통과 (20~25년, 총 1,603억원 규모) - - 2030년 자율운항선박 시장 50% 선점을 위한 기반 마련 추진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하였다고 밝혔다. ㅇ 이 사업은 조선·해운산업의 친환경·스마트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하기 위해 양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2020년부터 2025년까지 6년간 총 1,603억 원을 투입하여 추진한다. ※사업개요 ㅇ사업명: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사업 ㅇ사업기간및규모:2020∼2025년/총사업비1,603.2억원(국비1,196.64억원) ㅇ추진부처:산업통상자원부,해양수산부공동추진 ㅇ사업내용: 자율운항선박핵심기술(운항자율+시스템자율)을개발하고, 체계적인 실증을통한조기상용화기반마련 ㅇ[주요과제]4개분야13개세부과제 - ①지능형항해시스템,②기관자동화시스템,③자율운항선박성능실증센터 구축및실증,④운용기술및표준화기술개발등 - 2 - □ 자율운항선박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 업혁명 관련 요소기술이 집약된 미래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ㅇ 이 사업에서는 IMO(국제해사기구) Level 3 수준의 자율운항선박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완전무인선박(Level 4) 이전의 부분 자율 단계에 해당된다. *IMO자율화등급:(Level1)선원의사결정지원,(Level2)선원승선,원격제어 가능, (Level 3) 최소인원 승선, 원격제어, 장애 예측·진단 등 기관 자동화, (Level4)완전무인자율운항
닫기^^&&^^ - 1 - 보 도 자 료 2019년 10월 31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0.30(수) 오전 11시 이후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19. 10. 30(수) 담당부서 산업통상자원부 조선해양플랜트과 해양수산부 해운정책과 담당과장 윤성혁 과장(044-203-4330) 담 당 자 이재익 사무관(044-203-4332) 이시원 과장(044-200-5710) 임경은 서기관(044-200-5725) 이종호 주무관(044-200-5723) 바다 위 4차 산업혁명, 자율운항선박 개발 프로젝트 본격 착수 -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예타 통과 (20~25년, 총 1,603억원 규모) - - 2030년 자율운항선박 시장 50% 선점을 위한 기반 마련 추진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하였다고 밝혔다. ㅇ 이 사업은 조선·해운산업의 친환경·스마트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하기 위해 양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2020년부터 2025년까지 6년간 총 1,603억 원을 투입하여 추진한다. ※사업개요 ㅇ사업명: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사업 ㅇ사업기간및규모:2020∼2025년/총사업비1,603.2억원(국비1,196.64억원) ㅇ추진부처:산업통상자원부,해양수산부공동추진 ㅇ사업내용: 자율운항선박핵심기술(운항자율+시스템자율)을개발하고, 체계적인 실증을통한조기상용화기반마련 ㅇ[주요과제]4개분야13개세부과제 - ①지능형항해시스템,②기관자동화시스템,③자율운항선박성능실증센터 구축및실증,④운용기술및표준화기술개발등 - 2 - □ 자율운항선박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 업혁명 관련 요소기술이 집약된 미래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ㅇ 이 사업에서는 IMO(국제해사기구) Level 3 수준의 자율운항선박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완전무인선박(Level 4) 이전의 부분 자율 단계에 해당된다. *IMO자율화등급:(Level1)선원의사결정지원,(Level2)선원승선,원격제어 가능, (Level 3) 최소인원 승선, 원격제어, 장애 예측·진단 등 기관 자동화, (Level4)완전무인자율운항
닫기2020년도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2020-02-18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0-103호2020년도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2020년도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붙임과 같이 공고하오니 관련 기술개발을 추진하고자 하는 기업은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020. 2. 18.산업통상자원부장관
>예산·법령>고시·공고>공고
해당 파일은 미리보기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닫기해당 파일은 미리보기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닫기해당 파일은 미리보기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닫기해당 파일은 미리보기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닫기2021년도 조선해양산업기술개발사업(자율운항선박)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2021-02-19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1-140호2021년도 조선해양산업기술개발사업(자율운항선박)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조선해양산업기술개발사업 중 자율운항선박 분야의 2021년도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1년 2월 19일산업통상자원부장관
>예산·법령>고시·공고>공고
해당 파일은 미리보기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닫기'24년도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교육훈련 분야) 신규 지원분야 수요조사 공고 2022-11-24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 제2022-833호 2024년도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교육훈련분야)신규 지원분야 수요조사 공고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17조에 따라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의 2024년도 신규 지원분야 발굴을 위한 수요조사를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2년 11월 24일산업통상자원부장관
>예산·법령>고시·공고>공고
해당 파일은 미리보기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닫기해당 파일은 미리보기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닫기이름 | 직위 | 부서 | 전화번호 |
---|---|---|---|
이주노 | 서기관 | 조선해양플랜트과 | 044-203-4331 |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 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일반적인 단어로 검색해보세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