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2013년 외국인 직접투자(FDI) 동향 | ||
---|---|---|---|
담당자 | 위승복 | 담당부서 | 투자유치과 |
연락처 | |||
등록일 | 2014-01-28 | 조회수/추천 | 5,989 |
내 용 | |||
2013년 외국인 직접투자(FDI) 동향 -외국인 직접투자는 신고145.5억불, 도착96.8억불-
1. 외국인 직접투자 개황
ㅇ ‘13년도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엔저로 인한 일본투자 위축,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대비 다소 감소하였으나, 지난 5년간의 추세치와 비교해서는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함.
ㅇ 신고기준 FDI금액은 145.5억불로, 전년 동기(162.9억불) 대비 10.7% 감소하였으나, 최근 5년 평균치(132.4억불)에 비해서는 9.9% 증가함.
ㅇ 도착기준 FDI금액은 96.8억불로, 전년 동기(106.9억불) 대비 9.4% 감소하였으나, 최근 5년 평균치(75.7억불)에 비해서는 27.9% 증가함.
2. 부문별 동향(신고기준)
ㅇ (국가별) 미국(35.3억불, 4.1%↓), 일본(26.9억불, 40.8%↓)은 감소한 반면 유럽권의 투자는 증가(48.0억불, 76.9%↑)하였음.
ㅇ (업종별) 서비스업(98.5억불, 2.6%↑) 투자는 증가하였으나, 제조업 중심의 투자국인 일본의 투자가 감소하면서 제조업 투자(46.5억불, 23.8%↓)는 감소함.
ㅇ (대상별) 인수합병형 투자(49.8억불, 32.8%↑)는 증가한 반면 그린필드(95.7억불, 23.7%↓) 형태의 투자는 감소하였음.
3. 13년도 외국인 투자의 주요특징
ㅇ 엔저 등으로 일본기업의 대한투자가 위축됨에 따라 한국투자도 감소*하였음. 다만, 전년도까지 신고한 일본의 투자는 대부분 차질 없이 이행중**임.
* 한국의 전체 외투 감소금액(17.4억불) < 일본의 對韓투자 감소금액(18.5억불) ** ‘13년 일본의 한국투자 금액 : 신고(26.9억불), 도착(28.7억불)
ㅇ 전체적인 투자 감소에도 불구하고 인수합병형 투자가 유입되면서 서비스업 분야의 투자는 증가세를 유지함.
* 생명보험 회사 인수, 저축은행 인수, 문화 컨텐츠 서비스업 인수 등
ㅇ 이와 함께 에너지 솔루션, 디스플레이, 화학소재 등 첨단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의 한국투자도 지속되고 있어 한국의 창조경제 구현을 뒷받침 할 것으로 기대됨.
* 에너지솔루션(獨 G社 1.2억불), 디스플레이(日 N社 3.3억불), 자동차 부품(日 D社 1.1억불, 美 J社 1억불), 첨단화학소재(佛 S社 1억불, 日 D社, 0.8억불) 4. 금년도 외국인 투자유치 여건 및 추진계획
ㅇ 양적완화 종료, 엔저 등 불안요인은 있으나 경기회복 국면과 세일즈 외교 등 정부의 투자유치 의지 등을 고려할 때 금년도 외국인 직접투자는 전년보다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ㅇ 정부는 지난 1월 9일 발표한 외국인투자 활성화 방안*을 차질 없이 이행하는 한편, 기 유치한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하여 투자가 조기에 실현되도록 유도할 계획임.
* 글로벌기업 헤드쿼터 및 R&D센터 등 유치확대, 정책의 예측가능성 제고 및 규제개선, 외국인 정주여건 개선, 일자리 창출형으로 인센티브 개편 등
ㅇ 또한, 투자유치 프로젝트 집중관리, 일본ㆍ미국 등 주요 투자국에 대한 한국투자 설명회 개최 등 외국인 투자가 확대되도록 유치활동을 강화할 예정임. |
|||
첨부파일 |
![]() ![]() ![]() ![]() |
이전글 | 산업부 장관, UAE를 방문하여 에너지·자... |
---|---|
다음글 | 산업부, 중부유럽 국가와 경제협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