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지경부장관, 대국민 담화문 발표 | |||||||||||||||||||||||||||||||||||||||||||||||||||||||||||||||||||||||||||||||||||
---|---|---|---|---|---|---|---|---|---|---|---|---|---|---|---|---|---|---|---|---|---|---|---|---|---|---|---|---|---|---|---|---|---|---|---|---|---|---|---|---|---|---|---|---|---|---|---|---|---|---|---|---|---|---|---|---|---|---|---|---|---|---|---|---|---|---|---|---|---|---|---|---|---|---|---|---|---|---|---|---|---|---|---|---|
담당자 | 이은경 | 담당부서 | 전력계통과 | |||||||||||||||||||||||||||||||||||||||||||||||||||||||||||||||||||||||||||||||||
연락처 | ||||||||||||||||||||||||||||||||||||||||||||||||||||||||||||||||||||||||||||||||||||
등록일 | 2011-01-12 | 조회수/추천 | 4,625 | |||||||||||||||||||||||||||||||||||||||||||||||||||||||||||||||||||||||||||||||||
내 용 | ||||||||||||||||||||||||||||||||||||||||||||||||||||||||||||||||||||||||||||||||||||
□ 계속되는 한파로 인해 1월 10일, 오전 12시 최대전력수요가 7,184만kW를 기록하면서 이번 겨울들어 3번째 최고기록을 경신 ㅇ 이날 최대전력시 공급능력은 7,591만kW, 예비전력은 407만kW(예비율 5.7%)까지 떨어져 비상수준(예비전력 400만kW미만)에 근접 <‘10∼’11년 최대전력수요 동향 >
< 연도별 최대전력수요 추이 >
□ 겨울철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원인은 이상한파에 따른 난방수요 증가 및 경기회복에 따른 산업용 전력소비 증가 등임 ① 난방수요는 전체 전력수요의 24%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기온풍기, 전기판넬(바닥전기장판), 전기히터 등의 보급 확대로 매년 증가 추세 * 난방수요 : (‘03∼’04겨울) 825만kW → ('09∼'10겨울) 1,675kW (850만kW 증가) * 난방수요 비중(%) : 전기온풍기 51.1%, 전기히터 16.7%, 바닥전기난방 21.8% 등 ㅇ 타에너지 대비 저렴한 전기요금, 사용편의성 등으로 등유ㆍ가스난방이 지속적으로 전기난방으로 전환 * 가격 : ‘04년 대비 도시가스ㆍ등유 가격은 45% 인상된 반면, 전기요금 13% 인상 * 소비 : '04년 대비 전기는 49% 증가, 도시가스 28% 증가, 등유는 55% 감소 ㅇ 이에 따라, 석유, 도시가스, 석탄 등 타에너지 대비 전력의 소비 비중도 증가 추세 * 에너지 구성비 추이 : 전력 (‘02년) 14.9% → (’09년) 18.6% 석유 (‘02년) 59.9% → (’09년) 53.8% 도시가스 (‘02년) 9.1% → (’09년) 10.6% 석탄 (‘02년) 13.5% → (’09년) 13.1% ② 경기회복에 따라 산업용 전력소비량(전체 판매량의 54% 차지)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 산업용 전력수요 증가율 >
□ 올 동절기 최대전력수요는 최대 7,250만kW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ㅇ -10℃ 이하의 이상한파 지속시 7,250만kW를 상회하여 예비전력이 400만kW 미만으로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예비전력 부족시 예상되는 피해 ㅇ 예비전력이 부족해지면 전력 주파수 및 전압조정이 어려워져 전기품질에 민감한 산업의 경우 피해 발생 가능 ㅇ 예비전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대용량 발전소(100만kW급 원전 등)가 불시에 고장을 일으킬 경우, 일부지역이 정전될 우려 ㅇ 특히, 예비전력이 100만kW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우선순위에 따라 전력공급이 중단될 가능성이 있음 * 실제로 ‘09.12월 폭설시, 프랑스 등에서는 예비전력 부족 및 송전선로 고장 등으로 일부 지역에 대한 전력공급을 강제로 차단한 사례 발생
□ 지식경제부는 발전소 건설, 발전기 정비일정 조정 등을 통해 공급능력을 최대한으로 확충하고, 부하관리를 통해 피크수요를 억제하는 등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노력 ㅇ (공급능력 확충) 발전소 건설, 발전기 정비일정 조정 등을 통해 지난해 동계 대비 352만kW 추가 확보 ㅇ (수요관리) 전력수요 피크시 수요감축량을 당초 150만kW에서 200만kW로 확대 ㅇ (에너지 절약 홍보) 적정 난방온도(20℃ 이하) 준수, 전열기 사용자제 등 개인의 자발적 전기절약 실천을 이끌어낼 수 있는 홍보 시행(‘10.12∼’11.1) - (공공기관)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전열기 사용금지, 실내 적정난방온도 준수 등 에너지절약 실천을 의무화하고, 이행여부를 실태점검(1.7~1.31 80개 공공기관 대상) - (민간 대형건물) 백화점, 호텔 등 대형건물에 대해서는 적정 난방온도(20℃ 이하) 준수 요청 ㅇ 지식경제부, 전력거래소, 한전, 발전회사 등이 참여하는 「전력수급대책본부」를 운영하여 비상상황에 대응(‘10.12.6 ∼’11.2.25) □ 계속되는 혹한으로 예비전력이 400만kW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기수립된 단계적 조치계획을 시행
□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서는 공급능력 확충에 한계가 있는 만큼, 국민들의 자발적인 에너지절약이 필요
|
||||||||||||||||||||||||||||||||||||||||||||||||||||||||||||||||||||||||||||||||||||
첨부파일 |
![]() ![]() ![]() ![]() |
이전글 | 국내 개발 스테인리스강, 국제표준 등록 |
---|---|
다음글 | 지식경제 사이버홍보관, ‘새단장’으로 이용자 만족도 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