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무더위에도 차질 없이 전력수급 관리 | ||||
---|---|---|---|---|---|
담당자 | 조민웅 | 담당부서 | 전력산업정책과 | ||
연락처 | 044-203-3886 | ||||
등록일 | 2023-05-26 | 조회수/추천 | 1,604 | ||
내 용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와 한전, 전력거래소 등 전력 유관기관은 5. 26.(금) 여름철 전력수급 준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또한, 이른 더위에도 전력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기 위해, 7월이 아닌 6월 마지막 주부터 ‘여름 전력수급 대책기간’을 조기에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산업부와 전력 유관기관은 6. 26.(월)부터 “전력수급 종합상황실”을 합동 운영하고, 24시간 집중 상황관리 체제에 돌입할 계획이다.
*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 기간 : (작년) 7. 4.~9. 8일 → (올해) 6. 26.~9. 15일
통상 여름철 전력수요는 기온이 높고, 산업체가 여름휴가에서 복귀하는 8월 둘째 주 경에 최고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기온 추세와 기상전망을 감안할 때, 올해 여름에는 전력피크가 7월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난 5. 16.(화) 서울 최고기온이 31.2℃까지 올라가면서 전년보다 1주일 앞서 30℃를 돌파*한 바 있다. 또한, 5. 23.(화) 기상청에서 발표한 3개월 기상전망에 따르면,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덥고 습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여름에도 ‘118년 만의 6월 열대야’ 등 때 이른 폭염이 발생하면서, 전력피크가 이례적으로 7월 첫째 주에 발생하기도 했다.
* 전년도 서울 최고기온 30℃ 돌파 시점 : ‘22. 5. 23일 30.7℃
산업부 이호현 전력정책관은 이날 회의에서 “국민들께서 전력사용에 불편함 없으시도록 정부와 전력 유관기관은 발생 가능한 모든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라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전력 유관기관에 “8월뿐만 아니라, 7월에도 전력피크가 발생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발전용 연료 사전확보, 전력설비 특별 점검 등 여름철 전력수급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산업부는 6월 15일 전후로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
|||||
태그 | |||||
첨부파일 |
![]() ![]() ![]() |
이전글 | 한국-독일 민관, 에너지 정책 교류 위해 한... |
---|---|
다음글 | 첨단산업 전력 공급방안 마련 본격 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