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설명자료)‘탄소중립에 따른 기업 자산손실 영향평가 방법론 개발 연구용역’은 규제 아닌 지원 목적 | |||
---|---|---|---|---|
담당자 | 강희경 | 담당부서 | 산업환경과 | |
연락처 | 044-203-4249 | |||
등록일 | 2023-05-18 | 조회수/추천 | 1,265 | |
내 용 | ||||
<보도 주요내용>
5.18.(목) 서울경제「‘탄소 다배출’ 철강고로 자산가치 확 깎인다」에서는 정부가 ‘탄소중립에 따른 기업 자산손실 영향평가 방법론 개발 연구’ 용역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자산에 패널티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고 보도하였습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입장>
정부는 동 연구용역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자산의 가치를 의도적으로 깎아 패널티를 부여하는 제도를 도입할 계획이 없습니다.
동 연구용역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제50조(자산손실 위험의 최소화 등)에 따라 탄소중립 이행이 기존 자산가치의 하락 등 기업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사업의 조기 전환 등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
||||
태그 | ||||
첨부파일 |
![]() ![]() ![]() |
이전글 | 동남아 국가들과 온실가스 국외감축 본격 추진 |
---|---|
다음글 | (참고자료)「여름철 전력수급 대책」 수립 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