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참고자료) 한-캐나다 산업장관, 핵심광물 공급망, 첨단산업 투자 등 경제협력 강화 논의 | ||||||||||||
---|---|---|---|---|---|---|---|---|---|---|---|---|---|
담당자 | 김민수 | 담당부서 | 미주통상과 | ||||||||||
연락처 | 044-203-5653 | ||||||||||||
등록일 | 2022-09-25 | 조회수/추천 | 652 | ||||||||||
내 용 | |||||||||||||
□ 산업통상자원부 이창양 장관은 정상 캐나다 순방 계기, 9.23(금) 오타와 쉐라톤 호텔에서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ISED*) François-Philippe Champagne 장관과 오찬을 갖고, 양국간 공급망‧산업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하였다.
* ISED : Innovation, Science and Economic Development Canada
□ 이 장관과 Champagne 장관은 국제적 공급망 위기, 기술패권 경쟁 심화 등 변화하는 경제환경 속에서 양국간 기술‧투자협력 등이 지속 강화되고 있는 점을 평가하고,
ㅇ 전기차 배터리‧소재 등 핵심산업 분야에서 캐나다에 투자‧진출하는 한국 기업들도 늘고 있는바, 한국의 우수한 산업‧기술과 캐나다의 풍부한 자원 등이 결합할 경우, 양국간 공급망 협력 강화 등 동반 상승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에 공감하였다.
ㅇ 특히, 전기차 배터리 등에 사용되는 핵심광물 분야의 경우, 미국의 IRA(인플레이션감축법) 등으로 인해 양국의 협력 수요가 많은 만큼, 양국 정부가 협력 확대를 적극 모색하기로 하였다.
ㅇ 또한, 양국 산업장관은 반도체, 원전기술, 신재생에너지, 그린철강,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잠재적 협력 기회가 존재한다는 점에 공감하고, 이를 위해서도 긴밀히 논의해 나가기로 하였다.
□ 한편, 이 장관과 Champagne 장관은 오찬에 앞서 한-캐 산업기술혁신 파트너십 업무협약 체결식에 함께 임석하였다.
ㅇ 동 업무협약은 양국 산업기술 연구개발(R&D) 전담기관(韓: 산업기술진흥원(KIAT), 캐: 국립연구위원회(NRC)간 공동 연구개발(R&D) 활성화를 위해 기존 업무협약을 확대, 갱신하는 것으로,
* '22년 기준 양자, 다자 총 21개 과제 지원('17년 4개, '18년 3개, '19년 7개, '20년 4개, '21년 3개)
- 기존 3개 협력분야(헬스케어, 첨단소재, 친환경에너지)에 더하여 신규 협력분야(디지털전환 및 AI)를 추가하기로 하였다.
ㅇ 한-캐 양국은 금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향후 핵심산업분야 공동 연구개발(R&D) 확대 등 양자간 산업기술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
태그 | |||||||||||||
첨부파일 |
![]() ![]() ![]() |
이전글 | 통상교섭본부장,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양자... |
---|---|
다음글 | 한-우루과이 수소 등 에너지 신산업 협력 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