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8월 수출입 동향
- ’22. 9. 1.(목) 배포 -
※ 자세한 내용은 첨부자료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총괄) 8월 수출은 566.7억달러(+6.6%), 수입은 661.5억달러(+28.2%),
무역수지는 △94.7억달러 적자를 기록
* 최근 月 수지(억 달러) : (‘22.4월)△24.8 → (5월)△16.0 → (6월)△24.9 → (7월)△48.0 → (8월)△94.7
◈ 8월 수출입의 주요 특징
➊ 수출액은 기존 8월 최고실적(’21.8월, 532억 달러)을 30억 달러 가량
상회하는 566.7억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8월 최고실적 경신
* 역대 8월 수출액(억 달러) : (1위)566.7(‘22.8월) → (2위)531.7(‘21.8월) → (3위)511.8(‘18.8월)
ㅇ 러·우 전쟁 장기화, 주요국 통화긴축 정책, 전년동월 높은 기저
(+34.7%)에도 불구하고 수출은 6.6% 증가하며 22개월 연속 증가
➋ ①15대 주요 품목 중 6개, ②9대 지역 중 6개 지역 수출이 증가
ㅇ 석유제품·자동차·철강·이차전지 수출은 역대 8月 최고실적을 경신
* 수출 증감률(%) : (석유제품)113.6, (자동차)35.9, (철강)2.8, (이차전지)35.7, (반도체)△7.8, (석유화학)△11.7
- 반도체 수출은 글로벌 수요약화, 가격하락 등 영향으로 감소
ㅇ 아세안·미국·EU 등 주요시장 수출은 증가세를 유지했으며, 인도·
중동 등 신흥시장도 증가세 계속
* 수출 증감률(%) : (아세안)21.7, (미국)13.7, (EU)7.3, (인도)27.1, (중국)△5.4, (중남미)△4.1
- 對중국 수출은 중국의 성장세 회복 지연 등 영향으로 소폭 감소
했으며, 對중남미 수출도 글로벌 경제둔화 여파로 감소
➌ 원유·가스·석탄 등 ①에너지원, ②반도체(+26.1%)와 수산화리튬, 니켈-
코발트 수산화물을 포함한 ③정밀화학원료(+82.8%) 등의 원부자재 수입이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 수입액 기록
* 월별 수입액 추이(억달러) : (‘22.4월)603.3 → (5월)631.9 → (6월)601.8 → (7월)653.7 → (8월)661.5
ㅇ 특히, 에너지 수입액은 전년동월(96.6억달러)比 88.6억달러 증가한
185.2억달러(+91.8%)로 수입 증가세를 주도하며 적자 발생에 영향
➍ 수입증가세가 수출증가율을 상회하면서 △94.7억 달러 무역적자 발생
→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은 日·伊 등도 전년비 무역수지 악화*
* 무역수지 변화(조엔, 억유로) : (日)(‘21.1~7월)1.2 → (’22.1~7월)△9.4, (伊)(‘21.上)287 → (’22.上)△130
|
수출 566.7억달러(+6.6%), 수입 661.5억달러(+28.2%) |
□ (수출) 8월 수출은 전년동월(532억 달러)비 +6.6% 증가한 566.7억달러
* ‘22.8월 조업일수는 24.0일로 전년(’21.8월) 대비 +1.0일, 전월(‘22.7월) 대비 +0.5일
ㅇ 일평균 수출은 전년동월(23.1억 달러)비 +2.2% 증가한 23.6억달러
【 월별 수출액 추이(억달러) 】 |
|
【 월별 수출증감률 추이(%) 】 |

|

|
□ (수입) 8월 수입은 전년동월(516억 달러)비 +28.2% 증가한 661.5억달러
ㅇ 일평균 수입은 전년동월(22.4억 달러)비 +22.9% 증가한 27.6억달러
【 월별 수입액 추이(억달러) 】 |
|
【 월별 수입 증감률 추이(%) 】 |

|

|
□ (무역수지) 8월 무역수지는 △94.7억달러 적자
【 8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백만달러, %, 관세청) 】 |
구 분 |
2021년 |
2022년 |
8월 |
5월 |
6월 |
7월 |
8월 |
수 출 |
53,165(+34.7) |
61,591(+21.4) |
57,690(+5.3) |
60,566(+9.2) |
56,672(+6.6) |
|
(일평균) |
2,300(+23.1) |
2,678(+10.8) |
2,622(+14.9) |
2,577(+13.9) |
2,361(+2.2) |
수 입 |
51,581(+44.0) |
63,191(+31.9) |
60,177(+19.3) |
65,371(+21.8) |
66,146(+28.2) |
무역수지 |
+1,584 |
△1,600 |
△2,487 |
△4,805 |
△9,474 |
□ (품목) 자동차·석유제품·철강 등 6대 주요 품목은 수출이 증가
ㅇ (증가 품목) 6개 품목 중 4개는 두 자릿수대 증가하며 상승세 지속
- 철강(20개월)과 석유제품(18개월)은 장기간 수출 증가세
ㅇ (감소 품목) 반도체·석유화학·디스플레이·무선통신 등의 품목 수출은
글로벌 수요둔화 등 영향으로 감소
【 8월 15대 주요 품목별 수출액(억달러) 및 증감률(%) 】 |
구 분 |
반도체 |
석유화학 |
일반기계 |
자동차 |
철 강 |
석유제품 |
디스플레이 |
차부품 |
수출액 |
107.8 |
44.0 |
38.4 |
41.2 |
32.4 |
65.7 |
18.3 |
18.1 |
증감률 |
△7.8 |
△11.7 |
+2.4 |
+35.9 |
+2.8 |
+113.6 |
△5.7 |
+14.5 |
구 분 |
바이오헬스 |
무선통신 |
컴퓨터 |
섬 유 |
선 박 |
가 전 |
이차전지 |
합 계 |
수출액 |
12.3 |
13.2 |
11.5 |
9.3 |
12.1 |
6.1 |
9.4 |
566.7 |
증감률 |
△0.02 |
△20.7 |
△30.0 |
△0.9 |
△25.8 |
△8.6 |
+35.7 |
+6.6 |
□ (지역) 9대 주요지역 가운데 中·중남미 등을 제외한 6개 지역 수출 증가
ㅇ (증가 지역) 아세안·미국·EU 등 주요 수출시장과 중동·인도로의
수출은 증가세 계속
- 對미국 수출은 24개월 연속, 對아세안·인도는 18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이어감
ㅇ (감소 지역)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긴축정책 등에 따른 경제성장 둔화
영향으로 중국·중남미·CIS 수출은 감소
【 8월 9대 주요 지역별 수출액(억달러) 및 증감률(%) 】 |
구 분 |
중 국 |
미 국 |
E U |
아세안 |
일 본 |
수출액 |
131.3 |
87.6 |
54.0 |
108.6 |
25.8 |
증감률 |
△5.4 |
+13.7 |
+7.3 |
+21.7 |
+2.2 |
구 분 |
중남미 |
인 도 |
중 동 |
CIS |
총 계 |
수출액 |
22.3 |
16.3 |
13.4 |
8.6 |
566.7 |
증감률 |
△4.1 |
+27.1 |
+7.8 |
△10.6 |
+6.6 |
수출액은 역대 8월 중 최고실적인 567억 달러 기록
ㅇ ‘22.8월 수출액은 기존 8월 최고 실적(’21.8월, 531억 달러)을 약 30억
달러 상회하는 566.7억 달러를 기록하며 기존 8월 최고치 경신
* 역대 8월 수출액(억 달러) : (1위)566.7(‘22.8월) → (2위)531.7(‘21.8월) → (3위)511.8(‘18.8월)
- 일평균 수출액은 전년비 +2.2% 증가한 23.6억 달러 기록
* 8월은 하계휴가 영향으로 다른 달에 비해 일평균 수출액이 낮은 경향
ㅇ ‘21.3월 이후 18개월 연속으로 해당 월의 역대 1위 수출액을 기록하며, 8월 누계 수출액도 사상 최대실적(전년비 560억 달러 증가)
* 역대 8월 누적 수출액(억 달러) : (1위)4,678(‘22년) → (2위)4,118(‘21년) → (3위)3,997(‘18년)
【 연도별 8월 총 수출액(억달러) 】 |
|
【 연도별 8월 일평균 수출액 추이(억달러) 】 |

|
|

|
수출 증가율은 22개월 연속 증가세 유지
ㅇ ’21.8월 수출은 당시 기준 역대 8월 최고실적을 기록하는 등 기저
효과*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22.8월 수출은 전년동월비 +6.6% 증가
* 수출액·증가율 : (‘21.8월)531.7억 달러/+34.7% → (’22.8월)566.7억 달러/+6.6%
ㅇ 러·우 전쟁 장기화, 주요국의 강력한 통화긴축 정책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 우리 수출은 ’20.11월 이후 22개월 연속 증가세 지속
- 다만, 지난 6월 이후 한 자릿수 수출 증가율이 계속되는 추세
* 수출 증가율 추이(%) : (4월)+12.9 → (5월)+21.4 → (6월)+5.3 → (7월)+9.2 → (8월)+6.6
- 21개월 수출 플러스는 역대 3번째로 긴 기간(1위 62개월, 2위 26개월)
【 2000년 이후 장기간 수출 연속 증가 기간 】 |
‘02.7~’07.8월 |
‘09.11~’11.12월 |
‘20.11~’22.8월 |
‘16.11~’18.3월 |
‘07.10~’08.10월 |
62개월 (1위) |
26개월 (2위) |
22개월(3위) |
17개월 (4위) |
13개월 (5위) |
무역·수출 증가세에 기반해 역대 처음으로 무역순위 7위 달성
ㅇ 우리 수출·수입액 모두 8월까지 역대 최대기록을 각각 경신했으며,
무역액도 역대 최고실적인 9,603억 달러를 기록
* 8월 누계 무역액(억 달러) : (1위)9,603(‘22년) → (2위)8,028(‘21년) → (3위)7,545(‘18년)
ㅇ 우리나라 ’22.上 무역액 순위는 역대 가장 높은 순위인 7위로 도약
- 그간 최고기록이었던 수출 6위를 ‘18년 이후 다시 회복하는 한편,
독일·일본·프랑스 등보다 높은 수출증가세(+15.6%)를 기록
* ‘22.上 수출증감률(전년비, $환산, %) : (독일)+2.4, (일본)+1.0, (프랑스)+8.2, (이탈리아)+10.9
- 상반기 에너지·원자재 가격 급등 영향으로 수입도 +26.3% 증가하며
수입 순위도 9위를 기록했으나, 이는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은 독일·일본·프랑스 등의 주요 국가도 유사한 상황
* ‘22.上 수입증감률(전년비, $환산, %) : (독일)+14.7, (알본)+21.3, (프랑스)+17.6, (이탈리아)+30.6
ㅇ 한국은 ‘22.상반기 기준 △104억불 규모의 무역적자가 발생했으나,
무역 상위 10개국 중 무역흑자는 중국·독일·네덜란드 3개국만 기록
- 다만, 중국 外 독일·네덜란드의 무역흑자 규모는 전년비 감소
* 무역수지 변화(‘21.上→’22.上, 억 달러) : (독일)1,197→366, (네덜란드)454→314
【 주요국, 우리나라 수출액 순위(WTO) 】 |
|
【 주요국, 우리나라 무역액 순위(WTO)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