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보도/해명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보도/해명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태그, 첨부파일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 나왔다
담당자 변재택 담당부서 원전환경과
연락처 044-203-5341
등록일 2022-07-20 조회수/추천 2,607
내   용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 나왔다

 

- 고준위 방폐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최초의 기술 청사진 마련 -

- 104개 요소기술과 343개 세부기술 확보에 1.4조원 투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이창양, 이하 산업부”)720()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에 따른 기술개발 후속조치로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이하 “R&D 로드맵”)공개하였다.

 

산업부는 이번 R&D 로드맵을 공개하면서, 의견수렴을 위한 토론회 서울에서 개최하였다.

 

 

<R&D 로드맵 토론회 개요>

 

 

일시/장소 : ‘22.7.20(), 14:00~17:00 / 서울 더케이호텔

주최/주관 : 산업통상자원부 / 에너지기술평가원 및 원자력환경공단 공동

후원 : 한국공학한림원

 

내용 : R&D 로드맵 주요내용 발표, 로드맵 초안에 대한 참석자 토의청중 Q&A

 

R&D 로드맵고준위 방폐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최초의 기술확보 청사진으로, 정부는 앞으로 로드맵에 제시된 일정에 따라 차질없이 필요한 기술을 차근차근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 75새정부 에너지 정책방향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안보 강화 등을 위해 원전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혔다.

 

특히, 원전 정책의 기본전제안전 확보인 만큼, 이번에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을 최초로 수립실행함으로써 국민의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한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이번 R&D 로드맵을 통해,

유럽연합 택소노미 등 국제적 차원의 원전 활용도를 제고하는 정책 추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적 역량속도감 있게 축적하고,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과학적 합리성기술적 타당성을 기반으로 추진함으로써, 국민적 신뢰를 제고하는 한편,

 

향후,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저장시스템과 기술의 국내외 시장 진출 확대의 계기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D 로드맵(’23’60)운반, 저장, 부지, 처분 등 고준위 방폐물 관리 4대 핵심분야에 대해 전문가들이 상세하게 분석한 요소기술, 국내 기술수준, 기술개발 일정방법, 소요 재원 등을 담고 있다

 

R&D 로드맵 마련을 위해, 산업부는 지난 3월부터 운반저장, 부지, 처분 등 3개 분과구성하고,

 

- 각 분야별 국내 최고 수준의 산연 전문가 35으로 R&D
로드맵 전문가 검토그룹을 운영 중이다.

 

 

<R&D 로드맵(’23’60) 주요 내용>

 

 

(추진방향) 37년의 고준위 관리정책과 연계하여 분야별 특성을 고려

 

(기술식별 결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안전관리에 필요한 핵심기술로
104개 요소기술과 이를 보다 구체화한 343개 세부기술 도출

 

<핵심기술 식별 결과>

구분

운반

저장

부지

처분

합계

요소기술

10

20

28

46

104

세부기술

35

73

95

140

343

 

(기술수준) 국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기술은 미국스웨덴핀란드 등
최고 선도국 대비 운반 84%, 저장 80%, 부지 62%, 처분 57% 수준

 

(기술확보) 요소기술 104개 중에서 22국내 기술기 확보되었고, 49개 기술개발 중이며, 나머지 33개 기술개발 필요

<분야별 요소기술 확보 일정>

고준위 기본계획 일정

부지선정(Y+13)

중간저장(Y+20)

영구처분(Y+37)

 

분야

확보

미확보

기술확보 일정

운반저장

7

23

 

 

 

 

 

(`37)

 

 

 

 

부지

9

19

 

 

 

 

(`29)

 

 

 

 

 

처분

6

40

 

 

 

 

 

 

(`55)

 

 

 

 

(예산) '22년까지 4,000억원 기투자, 향후 방폐기금 1.4조원* 투자소요

 

* R&D9,002억원, 연구용 지하연구시설 구축에 4,936억원 소요 전망

 

산업부 박일준 2차관은 토론회에서 과학적 합리성에 기반한 안전관리 기술 확보를 통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게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국민과 지역사회 모두가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R&D 로드맵을 기반으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과학계가 책임 있게 기술 확보에 나서 줄 것을 당부했다.

앞으로, 산업부는 분야별 후속 토론회, 해외 전문기관 자문 등 추가적인 의견수렴을 거쳐 R&D 로드맵을 수정보완하여 금년 하반기 확정할 예정이며,

 

특히, 핀란드프랑스 등 선도국 IAEA, OECD/NEA 등의 국제기구와 협력하여 R&D 로드맵을 철저하게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R&D 로드맵 추가 의견수렴 계획>

 

 

후속 토론회 : 부지처분분야 7.28() 대전 / 운반저장분야 8.4() 부산

해외 전문기관 자문 : 핀란드 POSIVA, 프랑스 ANDRA (7~9)

 

산업부는 R&D 로드맵 마련과 병행,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처분을 위한 절차방식일정, 유치지역 지원, 전담조직 신설 등을 담은 특별법 마련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태그
첨부파일 pdf 파일  (별첨3) R&D 로드맵(안) 주요내용.pdf [6.7 MB]
pdf 파일  (별첨2) R&D 로드맵(안) 기술정의서 요약표.pdf [244.7 KB]
pdf 파일  (별첨1)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안).pdf [2.5 MB]
pdf 파일  0720(21조간)원전환경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 나왔다.pdf [883.1 KB]
hwp 파일  0720(21조간)원전환경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 나왔다.hwp [1.9 MB]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