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2021년 12월 및 연간 자동차산업 동향(잠정) | |||||||||||||||||||||||||||||||||||||||||||||||||||||||||||||||||||||||||||||||||||||||||||||||||||||||||||||||||||||||||||||||||
---|---|---|---|---|---|---|---|---|---|---|---|---|---|---|---|---|---|---|---|---|---|---|---|---|---|---|---|---|---|---|---|---|---|---|---|---|---|---|---|---|---|---|---|---|---|---|---|---|---|---|---|---|---|---|---|---|---|---|---|---|---|---|---|---|---|---|---|---|---|---|---|---|---|---|---|---|---|---|---|---|---|---|---|---|---|---|---|---|---|---|---|---|---|---|---|---|---|---|---|---|---|---|---|---|---|---|---|---|---|---|---|---|---|---|---|---|---|---|---|---|---|---|---|---|---|---|---|---|---|---|
담당자 | 김영숙 | 담당부서 | 자동차과 | |||||||||||||||||||||||||||||||||||||||||||||||||||||||||||||||||||||||||||||||||||||||||||||||||||||||||||||||||||||||||||||||
연락처 | 044-203-4323 | |||||||||||||||||||||||||||||||||||||||||||||||||||||||||||||||||||||||||||||||||||||||||||||||||||||||||||||||||||||||||||||||||
등록일 | 2022-01-18 | 조회수/추천 | 1,686 | |||||||||||||||||||||||||||||||||||||||||||||||||||||||||||||||||||||||||||||||||||||||||||||||||||||||||||||||||||||||||||||||
내용 |
【 자동차 】
□ (총괄) ‘21년 자동차산업은 전년 대비 생산은 △1.3%, 내수는 △8.5% 감소, 수출대수와 금액은 각각 8.6%, 24.2%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
< 2021년 자동차산업 실적 (단위:만대, 억불, %)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무역협회
□ (생산) 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까지 악재가 겹쳤음에도 불구하고 전년 수준 유지(△1.3%, 346만대)
ㅇ 주요국 국가별 생산순위도 지난해에 이어 5위를 유지하는 등 여러 악조건 속에서 양호한 실적으로 선방
* 한국 생산국 순위 : (‘18-’19) 7위 → (‘20) 5위 → (’21.1-11월 기준) 5위
* 글로벌 자동차 생산국 순위(‘21.1-11월 기준) : (1위) 중국, (2위) 미국, (3위) 일본, (4위) 인도
ㅇ 한편, 글로벌 주요 OEM 업체들은 생산이 대부분 감소하였으나, 공급망 관리 및 생산 차질 최소화 노력 등으로 현대·기아는 증가
* 주요 OEM 생산증감률(‘21.1-11월, %) : (도요타) +8.9, (VW) △6.4, (현대기아) +5.3, (르노닛산) △1.4, (GM) △8.2, (혼다) △6.7, (포드) △3.7
□ (내수) 전년도 역대 최다 판매에 따른 역기저효과* 및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인한 생산 차질 등으로 전년 대비 △8.5% 감소한 173만대
* ‘20년은 역대 최다 내수 판매 기록(1위, 189만대)
ㅇ 베스트 셀링카(승용) TOP5는 모두 국산차가 차지
* 내수 베스트 셀링카 TOP5 : 1위그랜저(89,084대), 2위카니발(73,503대), 3위아반떼(71,036대), 4위쏘렌토(69,934대), 5위쏘나타(63,109대)
- (국산차) 친환경차의 판매 확대(전년 대비 +40.3%)에도 불구하고 출고 적체 현상으로 △10.4% 감소한 142.9만대 판매
- (수입차) 독일계 브랜드 등의 판매 증가로 전년 대비 2.0% 증가한 29.7만대를 판매하였으나, ‘20년 증가율(+9.8%)보다 감소
* ’21년 수입차 국가별 판매 증감률(%) : (일본) △0.1, (미국) △7.2, (독일) +2.2, (스웨덴) +17.6, (영국) △11.2, (프랑스) △17.5, (이탈리아) △3.2 등
ㅇ (연료별) 내연기관차는 △17.0% 감소, 친환경차는 54.5% 증가
[ 연료별 내수판매 현황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수출) 대수는 전년 대비 8.6% 증가한 205만대, 금액은 24.2% 증가한 464.7억불로 ‘12년 이후 9년 만에 대수·금액 모두 증가세로 전환
ㅇ 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 및 글로벌 시장 內 국내 브랜드 점유율 상승 등이 수출 호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
* 글로벌 시장 內 국내 브랜드 점유율(%) : (‘17) 7.4 → (’18) 7.6 → (‘19) 7.9 → (’20) 8.0 → (‘21.1-11월) 8.4
ㅇ (대수) 하이브리드차가 전년 대비 71.0% 증가하는 등 친환경차 수출 대수가 대폭 증가(+50.0%)한 것이 전체 자동차 수출 견인
* 친환경차 수출대수(증감률) : (‘20) 271,327대 → (’21) 406,922대(+50.0%)
* 하이브리드차 수출대수(증감률) : (‘20) 124,503대 → (’21) 212,857대(+71.0%) ㅇ (금액) 친환경차 수출 비중 증가에 따른 수출 품목의 고도화로 전년 대비 24.2% 증가한 464.7억불, ‘14년(484억불) 이후 역대 최고 기록
* 친환경차 수출 비중 : [대수] (‘20) 14.9% → (’21) 20.7%(5.8%p↑, 역대 최고)
[금액] (‘20) 19.1% → (’21) 25.1%(6.0%p↑, 역대 최고) - 이는 ‘19년 대비 8.0% 증가한 수치로 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를 뛰어넘어 코로나 이전 수준 상회
* 수출금액(백만불) 추이 : (‘19) 43,041 → (’20) 37,399 → (’21) 46,466(‘19년 대비 +8.0%)
ㅇ (지역별) 코로나19 기저효과 및 글로벌 수요 회복세 등으로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두 자릿수 증가율 시현
* ’21년 지역별 잠정 수출실적(백만달러, 전년대비) : 북미(20,191, +8.9%), EU(8,150, +37.8%), 동유럽(5,690, +56.4%), 중동(3,987, +12.6%), 중남미(2,107, +69.7%), 아프리카(631, +71.6%), 오세아니아(2,891, +41.6%), 아시아(2,818, +31.9%)
- 또한, 글로벌 시장에서 현대·기아는 판매 순위 TOP3를 달성*하는 등, 주요 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점유율은 상승 흐름** 유지
* 글로벌 시장 내 현대·기아 판매 순위 : (‘20) 5위 → (’21.1-11월) 3위
** 주요 글로벌 시장 내 국내 브랜드 점유율 : [미국] (‘20) 8.5% → (’21) 10.0%(1.5%p↑), [유럽] (‘20.1-11) 7.1% → (’21.1-11) 8.7%(1.6%p↑)
[ 주요 글로벌 시장 내 국내 브랜드 점유율 (단위 : %) ]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전기차 충전편의 혁신기반 마련 렌터카 등 대... |
---|---|
다음글 | ‘22년도 수소전문기업 30개 발굴 ․ 육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