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보도/해명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보도/해명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태그, 첨부파일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2021년 12월 및 연간 수출입 동향
담당자 김동기 담당부서 수출입과
연락처 044-203-4042
등록일 2022-01-01 조회수/추천 13,006
내   용
2021년 연간 수출입 동향
- 2021년 연간 수출액, 무역액 모두 사상 최대실적 달성 -
(총괄) ’21 수출 6,445.4달러(+25.8%), 수입6,150.5달러(+31.5%),
무역수지294.9달러13년 연속 흑자
‘21년 수출입의 주요 특징
수출액(6,445달러)은 기존 최고치(’186,049달러)를 약 396달러 상회하며, 3년 만에 사상 최고치 경신과 동시에 수출 플러스 전환
* 수출액(달러) : (‘18)6,049(+5.4%)(‘19)5,422(10.4%)(‘20)5,125(5.5%)(‘21)6,445(+25.8%)
연간 수입도 최초로 6,000달러를 넘으면서 무역액도 사상 최대 규모 달성(12,596달러) 세계 무역순위 9년 만에 8위로 상승
* 무역순위 : (‘07~’09)11(‘10~’11)9(‘12)8(’13~‘20)9(’21)8
반도체석유화학자동차 등 15대 주요 품목 수출이 모두 두 자리 증가했으며, 15품목 플러스’00년 이후 최초(품목의 균형 성장)
반도체(1,280달러)석유화학(551달러) 등 전통 주력산업의 수출은 역대 최고실적을 기록하며 견고한 증가세 시현
* 품목별 증감률(%) : (반도체) +29.0 (일반기계) +10.8, (석유화학) +54.8, (자동차) +24.2, (철강) +37.0
- 바이오헬스이차전지 등의 수출도 연간 최고치를 기록하며 15대 주요 품목 새로운 수출 동력으로 자리 매김(각각 23, 6년 연속 증가)
요 산업에서 시스템 반도체친환경차OLED 등으로 수출 품목의
고도화가 이뤄지는 한편, 화장품농수산식품플라스틱 제품 등 로운 수출품목 두드러진 성장세 (상기 품목 모두 역대 최고치)
구 분
시스템반도체
친환경차
OLED
화장품
농수산식품
플라스틱제품
수출액(달러)
397.6
69.9
145.3
91.9
102.4
114.6
수출 증감률(%)
+31.3
+51.7
+33.2
+21.5
+13.2
+11.3
9대 주요 지역으로 수출이 모두 플러스(‘11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
대부분 지역(중동 제외)이 두 자릿수대 높은 성장세를 나타낸 가운데,
중국미국EU아세안인도 등으로의 수출은 역대 최고 실적
구 분
중 국
아세안
미 국
EU
일 본
중남미
인 도
중 동
CIS
수출액(달러)
1,629
1,089
959
636
301
258
156
156
137
수출 증감률(%)
+22.9
+22.3
+29.4
+33.9
+19.8
+32.4
+30.8
+6.2
+20.1
202112월 수출입 동향
- 2개월 연속 600달러 돌파, 11월의 최고치 재차 경신 -
(총괄) 12월 수출 607.4달러(+18.3%), 수입 613.2달러(+37.4%),
무역수지5.9달러 적자
* 수출 증감률(%):(‘20.12)+12.4(’21.1)+11.4(2)+9.3(3)+16.3(4)+41.2(5)+45.6
(6)+39.7(7)+29.7(8)+34.7(9)+16.9(10)+24.2(11)+32.0(12)+18.3
12월 수출입의 주요 특징
월간 수출은 또 다시 최고치 경신(두 달 연속 600달러대)
10개월 연속 두 자릿수대 높은 수출 증가율 지속(14개월 연속 증가)
- ’2012월이 코로나19 이후 처음 두 자리 증가(+12.4%)한 것에 연이어 20%에 육박하는 성장세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큼
* 12월 수출실적(달러):(‘19)456.7(’20)513.3(+12.4%)(‘21)607.4(+18.3%)
수출단가(+17.4%)와 물량(+0.8%) 모두 증가하며 성장에 기여
주요 품목과 지역에서 기록적인 수출 호조세 지속
(품목) 15대 품목 중 13개 증가하며 성장 모멘텀이 지속되는 가운데, 일반기계바이오헬스가 역대 최고치를 달성하며 12월 수출을 견인
- 반도체석유화학이차전지 등도 역대 12월 수출금액 중 1 기록, 농수산식품화장품 등 유망 신산업 수출도 약진
구 분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농수산식품
화장품
수출액(달러)
127.8
50.3
47.7
19.0
7.4
10.4
7.1
수출 증감률(%)
+35.1
+6.2
+34.3
+7.0
+3.4
+19.8
+4.8
(지역) 중국미국아세안 등 주력 시장으로의 수출이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9대 모든 지역 수출이 증가
* 12월 수출 실적(달러) : (중국) 153.5(+20.8%), (미국)88.0(+22.9%), (아세안) 112.5(+23.2%)
수출 호조에 따라 수입액도 처음으로 600달러를 상회하며 월간 무역 규모 사상 최초로 1,200달러 돌파(1,221달러)
* 무역액 순위(달러) : (‘21.12)1,221, (’21.11)1,178, (’21.10) 1,095, (‘21.7)1,092, (’21.9)1,075
내수회복수출호조로 우리 생산과 연계된 중간재자본재 수입과 겨울철 석유가스 등 가격 상승에 따른 에너지 수입 급증에 기인
* 12월 수입 증감률(%) : (중간재) +43.6, (자본재) +9.5, (원유) +73.8, (석유제품) +177.5, (가스) +97.1
태그
첨부파일 pdf 파일  ★ (보도자료 3보)_21년 연간 및 12월 수출입 동향(11시 엠바고).pdf [3.1 MB]
hwp 파일  ★ (보도자료 3보)_21년 연간 및 12월 수출입 동향(11시 엠바고).hwp [1.5 MB]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