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설명자료)금번 RPS 의무비율 상향으로 인한 전기요금에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 |||
---|---|---|---|---|
담당자 | 김범수 | 담당부서 | 재생에너지정책과 | |
연락처 | 044-203-5362 | |||
등록일 | 2021-10-07 | 조회수/추천 | 1,480 | |
내용 |
1. 보도내용
□ RPS의무비율이 올해 9%에서 ‘26년 25%로 대폭 상향되며 RPS비용이 수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ㅇ 이로 인해 전기요금 인상 압박이 커져 전기요금 인상은 불가피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산업부의 입장
□ 금번 의무공급비율 상향은 ‘22년부터 적용되며, 이에 따른 RPS비용 정산 및 요금에의 반영은 차년도에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요금에는 ’23년부터 영향 예정
□ 단기적으로 의무공급비율 확대에 따른 비용 증가 요인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전기요금내 RPS 비용의 비중, 신재생 발전단가 하락 등으로 전기요금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ㅇ 전기요금에는 국제연료가격 등 다양한 증가․감소 요인이 공존하고 있으며, 전기요금 중 RPS 비용 비중은 4%(‘21년 기준)임을 고려시, 전기요금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ㅇ 또한, 향후 신재생에너지 기술혁신과 규모의 경제로 인한 발전단가 인하에 따라 단위 이행비율당 RPS 이행비용의 감소 요인도 있음
- 예를 들어, 태양광 입찰시장의 평균 낙찰가도 ‘17년 18.3만원/MWh에서 ’21년(상반기) 13.6만원/MWh로 지난 4년간 26%가 하락하였음
* 태양광 낙찰 평균가(/Mwh) : (‘17) 183,097원 → (’18) 177,012원 → (‘19) 163,273원 → (’20) 147,561 → (‘21) 136,129
□ 향후 기술개발과 사업간 경쟁 촉진 및 RPS 정산방식의 효율화 등을 통해 RPS 비용을 절감해 나갈 계획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사이즈코리아센터 이제 메타버스로 찾아오세요 |
---|---|
다음글 | (설명자료)탄소중립위가 산업부의 검토의견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