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2020년 5월 수출입 동향 | ||||||||||||||||||||||||||||||||||||||||||||||||||||||||||||||||||||||||||||||||||||||||||||||||||||||||||||||||||||||||||||
---|---|---|---|---|---|---|---|---|---|---|---|---|---|---|---|---|---|---|---|---|---|---|---|---|---|---|---|---|---|---|---|---|---|---|---|---|---|---|---|---|---|---|---|---|---|---|---|---|---|---|---|---|---|---|---|---|---|---|---|---|---|---|---|---|---|---|---|---|---|---|---|---|---|---|---|---|---|---|---|---|---|---|---|---|---|---|---|---|---|---|---|---|---|---|---|---|---|---|---|---|---|---|---|---|---|---|---|---|---|---|---|---|---|---|---|---|---|---|---|---|---|---|---|---|---|
담당자 | 한주현 | 담당부서 | 수출입과 | ||||||||||||||||||||||||||||||||||||||||||||||||||||||||||||||||||||||||||||||||||||||||||||||||||||||||||||||||||||||||||
연락처 | 044-203-4041 | ||||||||||||||||||||||||||||||||||||||||||||||||||||||||||||||||||||||||||||||||||||||||||||||||||||||||||||||||||||||||||||
등록일 | 2020-06-01 | 조회수/추천 | 6,112 | ||||||||||||||||||||||||||||||||||||||||||||||||||||||||||||||||||||||||||||||||||||||||||||||||||||||||||||||||||||||||||
내용 |
□ (수출) 5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23.7% 감소한 348.6억달러로 전월 감소폭(△25.1%)보다 소폭 개선
* 수출 증감률(%):(’19.5)△9.8→(6)△13.8→(7)△11.1→(8)△14.0→(9)△11.9→(10)△15.0→(11)△14.5→(12)△5.3→(‘20.1)△6.6→(2)+3.6→(3)△1.4→(4)△25.1→(5)△23.7
ㅇ 5월 수출은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세계 경기 위축과 글로벌 수요 급감 및 전년동기대비 △1.5일 조업일수 부족한 영향 등으로 감소
□ (수입) 5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21.1% 감소한 344.2억달러
ㅇ 원유(△68.4%)・석탄(△36.1%)・가스(△9.1%) 등 에너지 수입의 감소가 5월 전체 수입하락을 주도 하였으나, 반도체제조장비(167.8%) 등 반도체 관련 수입은 증가
□ (무역수지) 5월 무역수지는 4.4억달러 흑자
ㅇ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한 지난달과 비교해서, 수출(△17억달러)에 비해 수입(△35억달러) 규모가 상대적으로 더 줄면서 1개월만에 흑자 전환
* 수입중 가장 많이 감소한 품목은 원유(△12억달러)로서, 도입 단가가 감소하였기 때문
ㅇ 수입이 상대적으로 적게 줄었지만, 반도체 제조장비를 포함한 자본재 수입은 9.1% 증가 → 우리 기업들의 정상적인 생산활동이 지속되고 있음을 반증
□ (지역) 코로나19 여파로 미국(△29.3%)・EU(△25.0%)・아세안(△30.2%) 등지역으로의 수출은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는 반면,
ㅇ 對중국 수출은 한 자릿수대 감소율(△2.8%)을 기록하였고,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증가(4.0%)하며 회복되는 추세
* 對中 수출(억달러, %):(‘20.2)88.3(△7.4)→(3)106.8(△6.6)→(4)102.0(△17.9)→(5)107.1(△2.8)
* 5.1~25일 對中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반도체)28.8(34.1), (컴퓨터)2.6(12.9), (철강)2.9(4.8)
ㅇ 對中 수출이 코로나19 이전의 수준으로 복귀한 것과 같이 미국 등 다른 국가도 同 사태가 진정되면 정상 수준으로 회복 기대
* 對中 일평균 수출(억달러, %):(‘19.5)4.8→(’20.4)4.6→(‘20.5)5.0(전년비+4.0, 전월비+7.4)
□ (품목) 수입국의 경기변동에 가장 빠르게 반응하는 자동차(△54.1%), 차부품(△66.7%), 섬유(△43.5%) 등이 이번달 부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同 품목들은 수입국의 경기 회복시 반등할 것으로 기대
* 3개 품목이 총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0%에 불과하나, 5월 전체 수출 감소분(△108.5억달러)의 36.5%(39.6억달러)를 차지
ㅇ 이 외에도 석유제품은 단가(유가하락)와 물량(국내기업의 정기보수 규모 확대)이 동시에 감소하며 큰 폭으로 하락(△69.9%)
ㅇ 반면 글로벌 리서치 기관들의 세계 시장 하향 전망에도, 반도체는 18개월만에 총수출과 일평균 모두 플러스로 전환하며 선전
*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전망(‘19.12→’20.3, %) : (Gartner) 12.5→△0.9, (IHS) 5.5→2.5
ㅇ 또한 진단키트 등 방역제품에 대한 선호로 바이오헬스는 큰 폭으로 상승(+59.4%)했고, 비대면 경제활성화로 컴퓨터(+82.7%)도 호조세를 보이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유망산업으로 부각됨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올해 표준 혁신역량 강화에 3,258억원 투... |
---|---|
다음글 | (설명자료)정부는 올 여름철 안정적 전력수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