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설명자료)’21.3월 이후 ‘한국원전산업이 올스톱 한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며, 정부는 보완대책(’18.6~) 등을 통해 핵심 생태계의 경쟁력 유지 등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음(조선일보 5.18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 |||
---|---|---|---|---|
담당자 | 유의택 | 담당부서 | 원전산업정책과 | |
연락처 | 044-203-5325 | |||
등록일 | 2020-05-18 | 조회수/추천 | 3,177 | |
내 용 | ||||
1. 기사내용
□ 신고리 #5·6 주요 설비 납품이 완료되는 내년 3월 이후에는 원전 생태계가 완전히 붕괴되며, 한국원전산업이 올스톱하게 됨
ㅇ 원전 생태계가 붕괴되면 美 차세대원전 수출 등 세계를 주도할 기회를 날리게 될 수도 있음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산업부의 입장
□ ’21.3월 이후 ‘한국원전산업이 올스톱 한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ㅇ 에너지전환 이후에도 원전은 향후 60여년 동안 운영되기 때문에, 관련 유지·보수 시장 등은 지속 유지될 전망임
* 원전 기수 전망 : (’20) 24기 → (’24) 26기 → (’30) 18기 → (’40) 14기
ㅇ 한편, ’20년대 후반부터는 원전해체 시장도 본격 확대될 전망임
* 해체 시장 규모 : 2.2조원(‘20년대) → 7조원(’30년대) → 3.9조원(‘40년대)
□ 정부는 보완대책(’18.6~)의 차질 없는 추진을 통해, 핵심 생태계의 경쟁력 유지 및 업계의 사업전환 등을 지원해 나가겠음
ㅇ (R&D) 원자력R&D 3,000억원 확대(’13~’17 대비 ’18~’22), 해체·안전 예타 추진(산업부-과기부 공동, ’20년)을 통해 경쟁력 강화 추진
ㅇ (경영애로 해소) 원전기업 대상 대출 금리 감면*, 보증보험을 통한 추가 대출*, 국내․외 인증비용** 등 지원
* 한수원 및 두산중공업 협력사에 최대 3.3%p 대출금리 감면
** 담보 소진 업체들에게 보증보험(SGI서울보증)을 통해 제1금융권 추가 대출 지원
*** 국내·외 인증 취득·유지 비용 지원 확대 (’18년 13억원→’19년 22억원)
ㅇ (사업전환) 자금, 기술, 제도 등의 패키지 지원을 통해 원전중소기업들의 사업전환을 유도
* (자금) 에너지혁신성장 펀드(’20.上)를 통한 사업전환 자금 지원
* (기술) 업체 旣보유 기술 활용, 신산업 진출을 위한 컨설팅 등 지원
* (제도) 개정 기활법(’19.8) 활용, 해체 등 분야로 진출을 위한 세제 등 지원
□ 또한, 정부는 대형원전 뿐만 아니라 기자재, 중소형 원전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우리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음
* (대형) 주요 원전도입국과 정부간 고위급 협의 및 맞춤형 경협패키지 지원 등
* (기자재 등) 무역사절단 파견, 해외바이어 초청, 해외수주정보 제공 등
* (중소형) 사우디와 SMART 원전에 대한 표준설계인가(‘20.6∼) 및 건설MOU추진 등
※ 문의: 서기웅 원전산업정책과장(044-203-5310)/유의택 사무관(5325)김진 원전수출진흥과장(5330) / 임태섭 사무관(5332)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2020년 중견기업 상생혁신 사업 추진 |
---|---|
다음글 | (설명자료)대부분의 신재생에너지보급지원사업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