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보도/해명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보도/해명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태그, 첨부파일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을 위한 첫 걸음
담당자 노윤길 담당부서 바이오융합산업과
연락처 044-203-4392
등록일 2020-03-23 조회수/추천 2,817
내   용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을 위한 첫 걸음
 
-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 추진위원회 출범 -
 
산업통상자원부(성윤모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최기영 장관), 보건복지부(박능후 장관)가 협력하여 범부처로 시행되는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이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이를 위해 추진위원회, 운영위원회, 사무국, 전문위원회, 5개 정부·출연연*이 컨소시움을 구성하여 긴밀한 협력체계를 통해 시범사업이 차질없이 운영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질병관리본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향후 2년간의 시범사업(‘20∼‘21) 동안 희귀질환자(20년, ’21년 각 5천명) 모집 및 선도사업*과의 연계(20년, ’21년 각 5천명 이상)를 통해 총 2만명 이상의 임상정보와 유전체 데이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울산 1만명 게놈프로젝트 등
 
<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 운영 절차 >
 
 
 
 
희귀질환의 경우 환자의 접근 편의 및 진료 경험 등을 고려하여 전국 16개 희귀질환 협력기관*을 지정하여 희귀질환자의 임상정보 및 검체를 수집한다.
    * 희귀질환 협력기관 붙임 1 참고
 
기존에 임상정보 또는 유전체 데이터가 확보된 사업은 「선도사업 전문위원회」를 구성하여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과의 연계 기준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유전체 데이터는 유전체 분석기관과 국가생명연구자원센터(KOBIC)에서 각각 전장유전체분석* 및 변이 분석**을 통해 생산될 예정이다.
 
   * 전장유전체분석(Whole Genome Sequencing) : 유전체 전체를 분석하는 방법
** 변이(Variant) 분석 : 표준 유전체와 비교하여 다른 염기서열을 확인
 
수집된 임상정보와 생산된 유전체 데이터질병관리본부와 국가생명연구자원센터(KOBIC),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원칙적으로 공유하여 활용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임상분석연구네트워크(CIRN)*을 통해 산·학·연·병 연구자들에게 데이터를 제공하여 다양한 연구를 지원하고, 진단참고용 보고서를 통해 희귀질환 환자의 진단·치료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 Clinical Interpretation Research Network
 
아울러, 해외에 의존하는 유전체 데이터 분석 관련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신약·의료기기 제품 개발 등을 지원하고, 개인건강정보를 연계한 디지털헬스기기 등 관련 서비스 확산 등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민감 정보인 임상정보·유전체 데이터 수집에 따른 개인 정보 유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수집·생산 단계에서 각각의 아이디(ID)* 부여 및 폐쇄망 구축을 통해 데이터 관리에도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 임상정보 ID, 검체 ID, 유전체 ID
 
이러한 내용의 시범사업 추진 계획은 지난 3월 12일에 개최된「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 추진위원회」의 제1차 회의에서 결정되었다.
 
추진위원회* 송시영 위원장(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교수) 비롯한 의료계·학계·산업계·환자단체 등 총 20으로 구성하였다.
   * 추진위원회 위원명단 붙임 2 참고
 
제1차 회의*에서는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 추진위원회 구성·운영 계획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 계획 희귀질환 협력기관 지정 및 운영방안 대해서 보고 및 토론이 있었다.
   * 제1차 추진위원회 회의 개요 및 주요 내용 붙임 3, 4 참고
 
송시영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통해 정밀의료 기반의 의료서비스 제공 및 신약 개발 등이 기대되고, 시범사업 성과 평가 및 각 계 전문가들의 폭넓은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본 사업 구축 계획을 수립할 것이다.”고 밝혔다.
 
□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우리나라도 미국, 영국 등 해외 주요국처럼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선점 효과가 큰 바이오헬스 산업의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태그
첨부파일 pdf 파일  0320 (23일조간) 바이오융합산업과,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pdf [550.1 KB]
hwp 파일  0320 (23일조간) 바이오융합산업과,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hwp [598.5 KB]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