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보도/해명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보도/해명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태그, 첨부파일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설명자료)한전 적자는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과는 무관함(서울경제 한국경제 문화일보 중앙일보 조선비즈 2.28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담당자 김은성 담당부서 전력시장과
연락처 044-203-5172
등록일 2020-03-01 조회수/추천 2,733
내   용
정부는 인위적으로 원전이용률을 조정할 수 없으며, '19년 원전이용률은 5조원 영업흑자를 기록했던 '17년 수준으로 상승한 바, 한전 적자는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과는 무관함
 
전기요금 조정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검토된 바 없음
 
◇ 2월 28일자 중앙일보 <한전, 1조3,566억원 적자... 11년 만에 최악 실적>, 서울경제 < 한전 작년 영업손실 1.3조, 금융위기 이후 최대 적자 >, 한국경제 <원전 1% 더 돌리면 1,900억원 수익↓, 한전, 3년새 ‘부실 덩어리’ 추락 >, 매일경제 < 한전, 탈원전 쇼크... 영업손실 1.3조원 ‘11년내 최악’ > 기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1. 기사내용
 
한전이 재작년부터 대규모 영업적자를 낸 데는 저조한 원전이용률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음(중앙)
 
한전이 지난해 1조원대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탈원전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됨(서경)
 
ㅇ 한전이 총선 이후 전기요금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적자 수렁에 빠졌다는 지적이 나옴(한경)
 
□ 한전, 탈원전 쇼크로 영업손실 1.3조원, 11년내 최악(매경)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산업부의 입장
 
한전 적자의 원인이 정부의 소위 “탈원전” 정책 때문이라는 보도 내용은 사실과 다름
 
’19년 원전이용률 70.6%로 ’18년 대비 4.7%p 상승하였고, 5조원의 영업흑자를 기록했던 ’17년과 비슷한 수준(71.2%)인바, 소위 “탈원전” 정책 때문에 실적이 악화된 것이 아님
 
- 한전 실적악화는 온실가스 배출권비용, 미세먼지 대책비용기후‧환경 관련 비용의 증가신고리원전#4 준공('19.8) 등 신규투자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에 주로 기인함
 
원전의 정비 및 가동은 원전안전법령상의 기술기준 준수와 안전성에 대한 원안위의 승인 등 관련 절차를 거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부가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님
 
- 원전을 더 돌렸다면 실적이 개선되었을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안전조치 없이 원전을 계속 가동해야한다는 비현실적인 전제가 필요함
 
전기요금 조정은 국제유가, 물가, 국민경제 영향, 한전 재무여건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고려해 검토할 예정이며, 전기요금 조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된 바 없음
태그
첨부파일 pdf 파일  (설명자료)한전 적자는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과는 무관함(서울경제 한국경제 문화일보 중앙일보 조선비즈 2.28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pdf [239.5 KB]
hwp 파일  (설명자료)한전 적자는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과는 무관함(서울경제 한국경제 문화일보 중앙일보 조선비즈 2.28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hwp [31.2 KB]

보도/해명 이전글 다음글 입니다.
이전글 2020년 2월 수출입 동향
다음글 국가기술표준원, 전자·전기분야의...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