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설명자료)한전 적자는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과는 무관함(서울경제 한국경제 문화일보 중앙일보 조선비즈 2.28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 |||
---|---|---|---|---|
담당자 | 김은성 | 담당부서 | 전력시장과 | |
연락처 | 044-203-5172 | |||
등록일 | 2020-03-01 | 조회수/추천 | 2,733 | |
내 용 | ||||
1. 기사내용
□ 한전이 재작년부터 대규모 영업적자를 낸 데는 저조한 원전이용률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음(중앙)
□ 한전이 지난해 1조원대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탈원전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됨(서경)
ㅇ 한전이 총선 이후 전기요금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
□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적자 수렁에 빠졌다는 지적이 나옴(한경)
□ 한전, 탈원전 쇼크로 영업손실 1.3조원, 11년내 최악(매경)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산업부의 입장
□ 한전 적자의 원인이 정부의 소위 “탈원전” 정책 때문이라는 보도 내용은 사실과 다름
ㅇ ’19년 원전이용률은 70.6%로 ’18년 대비 4.7%p 상승하였고, 5조원의 영업흑자를 기록했던 ’17년과 비슷한 수준(71.2%)인바, 소위 “탈원전” 정책 때문에 실적이 악화된 것이 아님
- 한전 실적악화는 온실가스 배출권비용, 미세먼지 대책비용 등 기후‧환경 관련 비용의 증가와 신고리원전#4 준공('19.8) 등 신규투자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에 주로 기인함
ㅇ 원전의 정비 및 가동은 원전안전법령상의 기술기준 준수와 안전성에 대한 원안위의 승인 등 관련 절차를 거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부가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님
- 원전을 더 돌렸다면 실적이 개선되었을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안전조치 없이 원전을 계속 가동해야한다는 비현실적인 전제가 필요함
□ 전기요금 조정은 국제유가, 물가, 국민경제 영향, 한전 재무여건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고려해 검토할 예정이며, 전기요금 조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된 바 없음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2020년 2월 수출입 동향 |
---|---|
다음글 | 국가기술표준원, 전자·전기분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