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에너지전환을 선도하는 16대 에너지기술분야 도출 | ||||||||||||||||||||||||||||||||||||||||||||||||||||||||||||||||||||||||||||||||||||||||||||||||||
---|---|---|---|---|---|---|---|---|---|---|---|---|---|---|---|---|---|---|---|---|---|---|---|---|---|---|---|---|---|---|---|---|---|---|---|---|---|---|---|---|---|---|---|---|---|---|---|---|---|---|---|---|---|---|---|---|---|---|---|---|---|---|---|---|---|---|---|---|---|---|---|---|---|---|---|---|---|---|---|---|---|---|---|---|---|---|---|---|---|---|---|---|---|---|---|---|---|---|---|
담당자 | 정대환 | 담당부서 | 에너지기술과 | ||||||||||||||||||||||||||||||||||||||||||||||||||||||||||||||||||||||||||||||||||||||||||||||||
연락처 | 044-203-5381 | ||||||||||||||||||||||||||||||||||||||||||||||||||||||||||||||||||||||||||||||||||||||||||||||||||
등록일 | 2019-11-18 | 조회수/추천 | 5,044 | ||||||||||||||||||||||||||||||||||||||||||||||||||||||||||||||||||||||||||||||||||||||||||||||||
내 용 |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11월 18일(월) 14시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및 「에너지 기술개발 로드맵」에 대한 대국민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ㅇ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은 ‘에너지법 제11조’에 근거, 향후 10년간(’19~’28)의 에너지기술개발 비전과 목표, R&D 투자전략과 제도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법정 기본계획이다.
ㅇ 이번 공청회에는 산·학·연 전문가 및 시민단체 등 300여명이 참석하여 계획과 로드맵 주요 내용에 대한 질의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안) 주요내용 >
□ “에너지전환과 신산업 선도를 위한 에너지기술 강국 도약”을 중장기 에너지기술개발 비전으로 설정하고,
ㅇ 이러한 비전과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정책목표 달성에 필요한 16대 에너지 중점기술 분야를 제시하였다.
< 16대 에너지 중점기술 분야 >
□ 에너지 중점기술의 성공적인 개발과 확산을 위해,
ㅇ 16대 중점기술을 대상으로 분야별 세부 이행방안을 담은 로드맵을 수립(별첨2), 총 50개의 추진과제(별첨3)를 도출하였으며,
ㅇ 향후 에너지 R&D 투자 확대와 더불어 중점기술 분야에 90% 이상을 집중 지원할 예정이다.
□ ①대형·장기 프로젝트, ②실증연구, ③안전관리, ④보급연계 중심으로 에너지 기술개발 체계를 개편하여,
ㅇ 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분야에 국가적 역량을 결집한 대형·중장기 플래그쉽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ㅇ 수요-공급기업이 공동 연구하고, 공급기업이 개발한 제품을 수요기업이 실증·검증, 구매하는 수요연계형 R&D를 강화한다.
* 수요기업 주관 R&D 참여비중 : (’18) 8.2%→ (’24) 20%→ (’30) 30%
ㅇ 신기술 조기 실증, 시험·인증 인프라 구축에 투자를 확대하고,
ㅇ R&D 全주기 안전관리를 강화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예정이다.
* (기획) 안전조치 이행방안 마련 / (평가) 안전관리 적정성 평가 신설 / (관리) 현장실태조사 실시, 수행기관의 위험성평가 의무화
ㅇ 또한, 시험·평가기술 개발 및 기술기준 제정을 위한 ‘Post R&D’를 도입하여, 기술개발 성과의 보급과 확산을 강화한다.
* BIPV 예시 : (’19) 기술개발 → (‘20~‘22) 제도 마련(표준·인증기준, 보급지원사업 반영 등) → (‘21~‘22) 실증연구 → (‘22~) 공공부문 우선 적용
□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은 인사말을 통해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과 로드맵의 차질 없는 이행을 통해 기술혁신에 기반한 에너지전환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산업부는 공청회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반영하여, 오는 12월 국가과학기술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을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재생에너지 사용인정제도」 시범사업 실시를 ... |
---|---|
다음글 | 산업부-전국 7개 경제자유구역청, 경제자유구... |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세요?
- 담당부서 : 홍보담당관
- 담당자 : 지재민 주무관
- 연락처 : 044-203-4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