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5대 유망소비재’新수출유망품목으로 적극 육성 | ||||||||||
---|---|---|---|---|---|---|---|---|---|---|---|
담당자 | 최윤석 | 담당부서 | 무역진흥과 | ||||||||
연락처 | 044-203-4841 | ||||||||||
등록일 | 2019-06-12 | 조회수/추천 | 2,117 | ||||||||
내용 |
□ 최근 신흥국의 소비시장 확대 및 한류 확산, 전자상거래 발달로 인한 수출 채널 다양화 등 기회요인 확대로 우리 소비재 기업들의 해외 진출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
ㅇ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화장품 등 최근 수출 성장세를 시현*하고 있는 5대 유망 소비재를 새로운 수출성장동력으로 적극 육성하기 위해 6.12(수) 개최된 제17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기재부, 산업부, 복지부, 중기부 등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마련한 「소비재 수출 활성화 방안」을 확정하였다고 발표하였음
* 5대 소비재(화장품‧패션의류‧생활유아용품‧의약품‧농수산식품) 수출(’14→’18) : (수출액) 200 → 277억불, (수출비중) 3.5 → 4.6%
ㅇ 금번 대책은 지난 「수출 활력 제고 대책」(3.4.) 이후 발표된「농식품 수출 확대방안」(3.4.), 「수산식품 新수출전략」(3.4.), 「바이오헬스 혁신전략」(5.22.) 등 우리 정부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新수출성장동력 육성 대책의 일환임
□ 정부는 그간 수출활력 촉진단 등에서 화장품, 패션의류 등 소비재 관련 협단체 및 민간 기업의 현장 애로와 의견을 적극 수렴하였으며,
* 수출활력촉진단(1.31~), 중기수출간담회(2.22), 소비재기업 간담회(5.10), 화장품기업 간담회(5.30) 등
ㅇ 관계부처와 수출 유관기관의 가능한 지원 역량을 총 동원해 소비재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수출지원 대책을 마련하였음
ㅇ 금번 대책의 주요 내용과 「7대 핵심과제」는 다음과 같음
첫째, 최근 소비재 수출의 긍정적 모멘텀이 지속 확대 될 수 있도록 소비재 특화 무역금융과 수출 마케팅 지원 등을 적극 강화할 예정임
ㅇ 또한, 해외 대형 유통사 등 잠재 소비재 수입자를 대상으로 현지 원스톱 무역금융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속한 여신 제공을 통해 신규 수출기회가 창출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임
* 수입국 대형 유통사 등을 선정, 금융사절단(정책․민간 금융기관 등) 로드쇼 실시
ㅇ 아울러 우리 기업들이 현지 소비재 유통・판매망 확충에 필요한 자금도 해외사업 금융보험, 해외투자 보험 등 정책 금융을 통해 지원함
ㅇ 또한, 코트라 해외 무역관을 활용해 온라인 플랫폼 판촉전·입점 설명회 및 네트워킹 등 전자상거래에 기반한 현지 판로개척 지원도 병행할 예정임(연 20회)
* △ (북미) 글로벌몰(Amzon, eBay) △ (유럽) 패션 프리미엄몰(Far Fetch, Net-a-Porter)
△ (중국) 비디오커머스(모구지에) △ (일본) 패션몰(ZozoTown) △ (동남아) 모바일 중심(Shopee) 등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대구에서 “제6회 외국인투자 카라반”개최 |
---|---|
다음글 | (해명자료)재생에너지 연계 ESS의 설치 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