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정부, 로봇산업 글로벌 4대강국으로 키운다” | |||||||||||||||||||||||||||||||||||||||
---|---|---|---|---|---|---|---|---|---|---|---|---|---|---|---|---|---|---|---|---|---|---|---|---|---|---|---|---|---|---|---|---|---|---|---|---|---|---|---|---|
담당자 | 허정민 | 담당부서 | 기계로봇과 | |||||||||||||||||||||||||||||||||||||
연락처 | 044-203-4316 | |||||||||||||||||||||||||||||||||||||||
등록일 | 2019-03-22 | 조회수/추천 | 4,301 | |||||||||||||||||||||||||||||||||||||
내용 |
□ 정부는 3월 22일(금) 대구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로봇산업 산·학·연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로봇산업을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로봇산업 육성전략 보고회’를 개최했다.
ㅇ 이번 행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중앙정부 차원의 “로봇산업 발전방안”을, 대구시는 “로봇산업 선도도시 추진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ㅇ 산업부는 로봇산업 글로벌 4대 강국 달성을 위해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확대 보급, ▲4대 서비스로봇 분야 집중 육성, ▲로봇산업 생태계 강화 등 3대 정책과제를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 ➊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확대 보급 】
□ 우리나라는 제조로봇 활용도*에서 세계 1위이나, 제조로봇 산업은 전자전기, 자동차 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 우리나라 제조업 종사자 1만명당 로봇활용대수(로봇밀도)는 710대(세계평균 85대) ** 업종(로봇 보급대수): 전자전기(141,691대), 자동차(87,417대) vs 뿌리(4,112대), 섬유(2,504대)
ㅇ 그러나, 뿌리, 섬유, 식·음료와 같이 근로환경이 열악하고 인력부족 해소가 필요한 분야에서는 로봇 활용이 저조한 상황으로 정부는 이와 같이, 제조혁신이 시급한 분야를 중심으로 제조로봇을 집중적으로 보급하기로 했다.
ㅇ 특히, 정부는 로봇과 스마트공장을 접목하여 전통 제조업을 되살리는 동력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ㅇ 정부는 먼저 제조로봇 보급 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표준 활용모델 개발*, 활용인력 교육을 함께 지원한다.
* 표준모델 : 도입가능 로봇제품, 해당공정용 설계도, 기술표준 요구사항, 로봇 운영방법, 동영상 매뉴얼 등을 포함하는 안내서
ㅇ 이와 함께, 뿌리, 섬유, 식·음료 등을 중심으로 제조로봇 7,560대를 선도 보급하고, 이를 계기로 민간이 자율적으로 큰 부담 없이 로봇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임대(렌탈), 빌림(리스) 서비스도 도입할 계획이다.
【 제조로봇 보급·확산 계획 】
【 ➋ 4대 서비스로봇 분야 집중 육성 】
□ 서비스로봇 산업은 아직 시장초기 단계로 향후 산업이 급성장*이 예상되고 있으며, 최근 우리 기업이 복강경 수술로봇을 상용화하고, 배설지원 로봇으로 일본 시장에 진출하는 등 서비스로봇 분야에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서비스로봇 시장 전망(국제로봇연맹): (’17) 86억 달러 → (’21) 202억 달러(년 약 24%성장)
ㅇ 정부는 수익성과 성장성을 고려하여 돌봄, 의료, 물류, 착용형(웨어러블) 등 유망 서비스로봇 분야를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ㅇ 먼저, ‘20년부터 총 3천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해 4대 서비스로봇 분야 기술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여가기로 했다.
* 비즈니스창출형 서비스로봇시스템 개발사업(‘20∼’26, 예타중)
ㅇ 또한, “사람을 위한 로봇산업”이라는 모토하에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로봇을 집중 보급하여 포용국가 실현을 앞당길 방침이다.
ㅇ 이에 따라, 돌봄로봇을 10개 지자체와 협력하여 중증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5,000대를 보급하는 등 4대 서비스로봇 총 1만 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해명자료) 지열발전을 현 정부 에너지전환정... |
---|---|
다음글 | (해명자료) 포항지열 발전이 2003년부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