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부,‘17년 실시한 에너지총조사 결과 발표 | |||
---|---|---|---|---|
담당자 | 고현태 | 담당부서 | 에너지자원정책과 | |
연락처 | 044-203-5129 | |||
등록일 | 2018-09-21 | 조회수/추천 | 2,234 | |
내용 |
□ 산업통상자원부는 ‘17년 실시한 에너지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ㅇ 산업부는 업종・용도별 에너지소비 구조의 특성과 변화요인 등을 조사하기 위해 ‘81년 이후 매 3년마다 에너지총조사를 실시
ㅇ 이번 조사 결과는 약 40,000개의 부문별 최종소비자 표본을 대상으로 ‘16년 한 해 동안의 에너지 소비 현황을 조사
□ ‘16년 우리나라 수요부문 전체 에너지소비는 ’13년 200,347천toe*대비 연평균 2.4% 증가한 215,419천toe이다.
* toe(석유환산톤) : 원유 1톤이 갖는 열량(1toe = 107 kcal)
① 산업 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13~’16년 기간 동안 연평균 3.0% 증가했으며,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3년 59.4%에서 ’16년 60.4%로 소폭 상승했다.
ㅇ 산업부문 소비량의 대부분(95.8%)을 차지하는 제조업에서 석유화학 원료인 납사, 유연탄 등의 소비 증가로 에너지 소비가 증가
ㅇ 에너지원별로 보면, ‘13년에 비해 천연가스 소비는 난방용 소비 감소로 연평균 2.2% 감소한 반면, 기타 에너지원의 소비는 고르게 증가
② 수송 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13~’16년 기간 동안 연평균 3.6% 증가하였으며,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3년 20.1%에서 ’16년 20.8%로 소폭 상승했다. ㅇ 원유․연료가격 하락 및 수송실적의 증가로 인해 육상운송업을 제외한 항공, 수상, 철도 등 나머지 업종에서 모두 소비량이 증가
* 원유수입가격(USD/bbl) : ('13년) 108.3 → (‘16년) 41.1 (연평균 △27.6%) * 경유 소비자가격(원/ℓ) : ('13년) 1,729.6 → (‘16년) 1,182.5 (연평균 △11.9%)
ㅇ 다만, ‘16년도 자가용 승용차의 대당 연료소비량(중형 휘발유차량 기준)은 연비향상 등으로 ’13년 대비 소폭 감소 * 대당 연료소비량(ℓ/대) : ('13년) 1,203.8 → (‘16년) 1,203.0 (△0.8ℓ)
③ 상업․공공 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13~’16년 기간 동안 연평균 1.5% 증가하였으며,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년 9.5%에서 ’16년 9.2%로 소폭 감소했다.
ㅇ ’13년에 비해 ‘16년 겨울철 난방용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도시가스 소비량이 ’13~‘16년 기간 동안 연평균 1.0% 감소하여 전체 소비량 증가폭이 둔화 * 난방도일 : ('13년) 2,908.0 → (‘16년) 2,589.7 (△10.9%)
ㅇ 사업체당 에너지소비가 가장 많은 업종은 공공서비스*이며, 에너지원단위가 가장 높은 업종은 숙박․음식업인 것으로 나타남. * 공공서비스는 행정, 교육, 보건, 수도업 포함
④ 가정 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13~’16년 기간 동안 연평균 2.0% 감소하였으며,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년 11.0%에서 ’16년 9.6%로 감소했다.
ㅇ 상업․공공과 마찬가지로 겨울철 난방용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도시가스 소비량이 ’13~‘16년 기간 동안 연평균 3.6% 감소하여 전체 소비량이 감소
ㅇ 가구당 에너지소비는 2인 이하 가구 수의 증가로 ‘10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 * 가구당(toe/가구) : (‘10년) 1.253 → (‘13년) 1.202 → (‘16년) 1.078 (연평균 △3.6%)
⑤ 2,000toe이상 소비하는 대형건물의 경우 대형화로 인해 업체당 에너지소비는 증가했으나, 건물의 에너지효율 수준을 나타내는 면적당 에너지소비량은 고효율기기 보급 등 에너지효율 정책의 영향으로 감소 * 업체당 에너지소비는 '13년 2,540toe, '16년 2,660toe로 연평균 1.6% 증가
□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총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장기 에너지수요전망과 중장기 에너지정책 개발 등에 적극 활용하고,
ㅇ 공공기관의 정보를 국민과 함께 공유하고 이를 통해 소통의 폭을 넓히기 위해 에너지총조사를 통해 수집된 마이크로데이터를 공개해 기업, 연구기관, 일반국민 등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2017년도 에너지총조사 보고서」는 9월 21일, 마이크로데이터(통계원시자료)는 일반인의 사용편의를 위한 매뉴얼을 마련하여 금년 말 에너지통계포털(www.kesis.net)과 한국에너지공단(netis.energy.or.kr)을 통해 공개할 예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무역위원회, 대만․이탈리아산 스테인리스 스틸... |
---|---|
다음글 | ‘제품안전 파수꾼’한국제품안전관리원(KIP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