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7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85.6억불, 수입 91.0억불 | |||
---|---|---|---|---|
담당자 | 김현동 | 담당부서 | 전자전기과 | |
연락처 | 044-203-4343 | |||
등록일 | 2018-08-16 | 조회수/추천 | 2,642 | |
내용 |
(총괄 및 특징)
□‘18.7월 정보통신기술 수출액은 185.6억 달러, 수입액은 91.0억 달러, 수지는 94.6억 달러로 잠정 집계
ㅇ 이는 ‘16.12월 이후 20개월 연속 두 자릿 수 증가율(’17.7월 대비 18.2% 증가)이며, 정보통신기술 3대 주력품목인 반도체·디스플레이·휴대폰이 43개월만(’14.12월)에 동반 증가를 기록
※ ’14.12월 수출 현황(억불, %) : (반도체) 58.0(11.8↑), (디스플레이) 29.4(0.9↑), (휴대폰) 20.2(21.1↑)
※ ICT 수출 증감률 추이(%) : (’18.2월) 11.6→(3월) 17.4→(4월) 10.6→(5월) 20.1→(6월) 20.4→(7월) 18.2 (수출 현황)
□품목별 실적 및 특징
ㅇ(반도체 : 104.7억 달러, 30.2%↑) 수요(서버 및 스마트폰 등) 증가 지속 등으로 3개월 연속 100억불대 기록 및 22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
※ 수출 증감률(%) : (’18.3월) 44.3 → (4월) 36.6 → (5월) 43.4 → (6월) 37.5 → (7월) 30.2 ※ D램 현물가격(4Gb, $):(’18.3월)4.63 → (4월)4.44 → (5월)4.13 → (6월)4.07 → (7월)3.99
ㅇ(디스플레이 : 25.1억 달러, 2.6%↑) 액정표시장치(LCD)패널 경쟁 심화 속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수요 확대에 힘입어 8개월만에 증가 전환
※ 수출 증감률(%) : (’18.3월)△14.7→(4월)△13.5→(5월)△18.1→(6월)△8.5→(7월)2.6 ※OLED 수출 증감률(%) :(’18.3월)1.7→(4월)△0.4→(5월)△18.2→(6월)13.5→(7월)43.8
ㅇ(휴대폰:13.5억 달러, 6.8%↑)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출 호조 등으로 3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수출 증감률(%) : (’18.3월)△17.8 →(4월)△42.2→(5월) 4.5→(6월) 3.5→(7월) 6.8 ※ 완제품 수출 증감률(%):(’18.3월)2.0→(4월)△55.2→(5월)75.7→(6월)71.4→(7월)38.6
ㅇ(컴퓨터 및 주변기기 : 9.3억불, 10.0%↑) 컴퓨터(1.0억불, 6.3%↑) 및 주변기기(8.2억불, 10.5%↑) 동시 증가로 수출 증가세 지속
※ 수출 증감률(%) : (’18.3월)60.4→ (4월)23.6→ (5월)28.0→ (6월)47.2→ (7월)10.0 ※SSD 수출 증감률(%) : (’18.3월)90.6 → (4월)12.2 → (5월)12.5 → (6월)48.9 → (7월)△4.0
□ 지역별 실적 및 특징
ㅇ(중국(홍콩포함) : 101.6억불, 26.1%↑) 반도체(72.7억불, 41.2%↑), 컴퓨터 및 주변기기(4.1억불, 26.2%↑) 수출 호조세로 3개월 연속 100억 달러대 기록 ※대(對) 중국 수출액(억 달러) : (’18.3월)103.2 →(4월)94.2 →(5월)103.9 →(6월)108.8 →(7월)101.6
ㅇ(미국 : 17.0억 달러, 19.2%↑) 반도체(4.9억 달러, 35.3%↑), 휴대폰(5.1억 달러, 38.1%↑) 등 수출 확대로 3개월 두 자릿수 증가율 기록
※對 미국 수출액(억불): (’18.3월) 17.8 →(4월)15.1 →(5월)17.6 →(6월)19.1 →(7월)17.0 ㅇ(베트남 : 22.5억 달러, 10.8%↑) 디스플레이(8.6억 달러, 41.7%↑)를 중심으로 증가해, 20억 달러 대 재진입
ㅇ(EU : 9.5억 달러, 9.9%↑)반도체(1.8억 달러, 14.8%↑), 휴대폰(0.8억 달러, 3.4%↑) 등 수출 확대로 9개월 연속 증가
ㅇ(일본 : 3.9억불, 26.3%↑)반도체(1.3억불, 28.2%↑), 컴퓨터 및 주변기기(0.6억불, 80.8%↑)등 주력 품목 수출 확대에 힘입어 증가 전환
(수입 현황)
□ 품목별 실적 및 특징
ㅇ(반도체 : 38.9억 달러, 15.1%↑) 메모리반도체(13.3억 달러, 45.3%↑) 및 시스템반도체(19.3억불, 0.5%↑) 동시 증가
ㅇ(디스플레이 : 5.7억 달러, 16.8%↑) 액정표시장치(LCD)패널(4.1억 달러, 26.3%↑)은 증가했지만, 부분품(1.3억불, △14.4%)은 감소
ㅇ(컴퓨터 및 주변기기 : 10.5억불, △3.1%) 컴퓨터(5.1억 달러, △10.6%) 및 주변기기(5.4억 달러, 5.3%↑) 동시 증가
ㅇ(휴대폰 : 8.4억 달러, 1.6%↑) 완제품(3.4억 달러, 8.3%↑)은 증가했지만, 부분품(5.0억 달러, △2.5%) 감소
□ 지역별 실적 및 특징
ㅇ(중국(홍콩포함) : 34.3억 달러, 3.2%↑)반도체(11.0억 달러, △5.1%), 휴대폰(3.5억 달러, △1.4%)은 감소, 디스플레이(2.7억 달러, 26.3%↑)는 증가
ㅇ(일본 : 9.1억 달러, 0.3%↑) 정보통신응용기반기기(2.7억 달러, 21.4%↑)를 중심으로 증가
ㅇ(미국 : 6.6억 달러, △8.3%) 반도체(3.0억 달러, △6.7%)를 중심으로 감소
ㅇ(베트남 : 7.0억 달러, 18.5%↑) 휴대폰(4.3억 달러, 14.3%↑), 디스플레이(0.8억 달러, 230.2%↑)를 중심으로 증가 (수지 현황)
□ 정보통신기술(ICT) 수지는 94.6억 달러 흑자를 기록
ㅇ중국(홍콩 포함, 67.3억 달러)·베트남(15.6억 달러)·미국(10.5억 달러)·EU(4.0억 달러) 등 주요국에 대해 흑자 기조를 지속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해명자료) 탈원전 리스크 불거진 한전, 적... |
---|---|
다음글 | (설명자료)정부, 日 주도 CPTPP 가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