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올 여름 안정적인 전력수급 예상 국민불편 없도록 전력수급에 만전 | |||
---|---|---|---|---|
담당자 | 권용균 | 담당부서 | 전력산업과 | |
연락처 | 044-203-5254 | |||
등록일 | 2018-07-05 | 조회수/추천 | 2,014 | |
내용 |
□ 산업부는 ‘18. 7. 5.(목) 국무총리 주재 국정현안조정점검회의에 「여름철 하계수급대책」을 보고했다.
ㅇ 올 여름은 역대 하계수급 이래 최대의 공급여력 확보를 통해 안정적 전력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며,
* 하계 최대전력 수요는 8월 2∼3주에 8,830만kW로 예상되고, 이 시점에서의
ㅇ 예상치 못한 폭염, 대형발전소 불시정지, 송전선로 이상 등 만일의 사태에도 차질이 없도록 681만kW의 추가 예비력을 확보하는 등 수급관리에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 전력수급 전망 ]
□ (최대전력수요:8,830만kW) 올 여름 최대전력수요는 기상청 기상전망* 및 최근 이상기온 등을 고려하여 작년 여름 대비 371만kW 증가된 8,830만kW가 예상된다.
* 올 여름 기상전망 : 기온(6월과 8월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겠고, 7월은 비슷하겠음), 강수량(6월과 7월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8월은 비슷하거나 적겠음)
** 하계 최대전력(만kW) : ('14) 7,605 → ('15) 7,692 → (‘16) 8,518 → (’17) 8,459 □ (최대전력공급:10,071만kW) 최대 전력수요시 공급능력은 원전 정비 감소에 따라 작년 여름대비 572만kW 증가한 10,071만kW로 전망된다.
* 하계 피크시 공급능력(만kW): (‘14) 8,413 → ('15) 8,960 → (‘16) 9,240 → (’17) 9,499
* 동하계 원전 정지: (‘16겨울) 7대 → (’17여름) 8대 → (‘17겨울) 10대 → (’18여름) 6대
□ (최대수요시 예비력 : 1,241만kW) 이에 따라, 예상치 못한 폭염, 대형발전기 불시정지, 송전선로 이상 등 돌발 상황이 없을 경우, 1,241만kW 예비력이 확보되어 안정적인 수급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하계 예비력(만kW) : (‘14년)807 → (‘15년)1,267 → ('16년)721 → (‘17년)1,040
[ 전력수급 대책 ]
□ 산업통상자원부는 하계 전력수급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8.7.9~9. 14.을 「하계 전력수급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ㅇ 한전, 전력거래소, 발전사와 함께 ‘수급대책 상황실’을 설치·운영하여
ㅇ 또한, 비상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추가자원 총 681만kW를 확보하고, 필요시 예비력 단계별로 수급안정화 대책도 적극 실시할 계획이다.
* 추가자원 : 수요감축요청(DR), 석탄발전기 출력상향운전, 전압하향조정 등
□ 한편, 수요감축요청(DR)의 경우 안정적인 기업활동 뒷받침을 위해
ㅇ 예비력이 일정수준(1,000만kW) 이하로 낮아지는 상황에서 전력수요 급증(8,830만kW 초과)이 예상되는 경우에 DR을 실시하고, DR 요청시에도
* DR 요건 : (과거) 목표수요 상회 ☞ (개선) 예비력 상황 고려(1,000만kW 이하)
[ 에너지절약 홍보 ]
□ 공공기관은 노타이 등 복장 간소화, 에너지절약형 실내온도 준수(비전기식 냉방 26℃, 전기식 냉방 28℃), 불필요한 조명 소등, 승용차 요일제 등 기관별 특성에 맞는 자체적인 에너지절약 추진하도록 하고,
* 단, 학교, 대중교통시설, 문화시설, 의료시설, 노인·아동시설 등은 자율적으로 온도관리
ㅇ 산업부, 에너지관리공단 공동으로 공공기관 에너지절약 실태를 점검하여 이행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 또한, 시민단체, 가전매장 등과 협력하여 여름철 에너지절약 문화확산을 위한 국민참여형 캠페인(7~9월)을 전국적으로 전개하는 한편, 연중 상시 실천할 수 있는 ‘스마트한 절전요령’을 전파하기로 했다. |
|||
태그 | ||||
첨부파일 |
![]() ![]() ![]() |
이전글 | (해명자료)전 속도전이 부른 ‘태양광 산사태... |
---|---|
다음글 | (참고자료)제10차 한-인니 에너지포럼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