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보도/해명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보도/해명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태그, 첨부파일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3020 완성을 위한 마지막 퍼즐 해상풍력
담당자 정대환 담당부서 신재생에너지보급과
연락처 044-203-5372
등록일 2018-06-26 조회수/추천 5,036
내   용

3020 완성을 위한 마지막 퍼즐 해상풍력!
-“해상풍력 산업화 전략 포럼 및 사업설명회”개최 -
 
산업통상자원부는 6.26.(화) 과학기술회관(서울 역삼동)에서 산업계, 학계와 지방자치단체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상풍력 산업화 전략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17.12월)”에서 제시한 전체 신규 설비용량 48.7GW 중 12GW를 차지하는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큰 그림을 보여주는 자리가 되었다.
 
백운규 장관은 격려사를 통해 정부가 에너지전환을 선언한 지 1년이 지난 이 시점에, 풍력산업의 성공적 확산을 논의하고 에너지전환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면서 전략산업을 육성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ㅇ 아울러,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12GW 규모의 해상풍력 보급 확대와 연계하여 해상풍력 산업화 촉진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및 일자리 창출 전략이 필요하다며,
 
지자체가 발굴‧제안한 입지 위주로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고,
 
지역주도 단지조성 및 조선해양산업 연계 전략으로 지역경제 발전과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업화를 촉진할 수 있는 선순환체계 구축을 강조했다.
 
이러한 해상풍력 산업화를 통해서 조선·해양·철강 등 유관산업과 지역경제의 활성화로 일자리 창출도 유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해상풍력발전의 단계적 추진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중소규모(~500MW) 해상풍력 보급과, 실적(Track Record) 확보, 풍력산업 공급체계 구축과 조선․해양산업과의 융복합화 전략을 추진하고,
 
ㅇ 중장기적으로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여, 동북아 ‘슈퍼 그리드(Super-Grid)’ 연계 등 차세대 기술혁신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과 해양플랜트 수출 산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해상풍력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선 풍력단지 조성, 후 사업자 개발방식」을 통해 사업지연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제거함으로써 민간투자(PF)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발굴·제안한 사업에 대해서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추가 부여하는 방안도 논의했으며,
 
ㅇ 이 경우, 100M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운영할 경우 지자체와 지역 주민에게 매년 약 20~30억 원의 추가 혜택이 주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이날 진행한 “해상풍력 산업화전략 포럼”에서는 “해상풍력과 조선해양산업 융합 추진전략”에 대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원장 임춘택)의 발표가 있었다.
 
한반도의 공간적, 시간적, 기술개발 단계 및 풍력산업 시장 성숙도를 감안한 단계적 단지개발 및 시장조성 전략을 제시했으며,
 
독일의 융합 사례를 통해 국내 풍력산업과 조선해양산업의 융합 가능성과 추진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ㅇ 또한, 5개 광역지자체는 “지자체 중심의 해상풍력 발전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태그
첨부파일 pdf 파일  0626(27일 조간) 신재생에너지보급과, 대규모해상풍력 빅피쳐 그리.pdf [502.8 KB]
hwp 파일  0626(27일 조간) 신재생에너지보급과, 대규모해상풍력 빅피쳐 그리.hwp [32.3 KB]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