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보도/해명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보도/해명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태그, 첨부파일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규제프리존을 통해 광주,전남을 에너지신산업의 전진기지로 육성,
담당자 김기열 담당부서 에너지신산업진흥과
연락처 044-203-5391
등록일 2016-05-26 조회수/추천 1,534
내   용

규제프리존을 통해

광주.전남을 에너지신산업의 전진기지로 육성!

 

- 우태희 산업부 2차관, 광주.전남 규제프리존 현장방문 실시 -

 

□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16. 5. 26.(목) 전남 나주 혁신도시에 위치한 한국전력 본사를 방문하여 주요 시설을 둘러보고, 에너지신산업 시장 확대를 위해 한전이 추진 중인 투자 프로젝트*의 진행 현황을 점검했다.


     * 신산업 펀드 조성(1조 원), 전기차 충전소(2,000억 원),  에너지소비 컨설팅 서비스(AMI보급) 보급(2,500억원), 빅데이터센터 개설(500억원), 주파수 조정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1,800억원) 등


 ㅇ 아울러, 지자체, 유관 기관, 광주․전남 지역 에너지신산업 관련 중소기업들이 참석하는 간담회를 개최하여 업계의 애로 및 건의 사항을 청취하고, 에너지신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 행사개요 및 참석자 >

 

- 일시?장소 : 5.26일(목) 10:20~12:00, 전남 나주 한국전력 본사

 

- 주요참석자

 

- (정부) 산업부 제2차관, 광주 경제부시장, 전남 정무부지사

 

- (유관기관) 전남테크노파크 원장,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 (기업) 한국전력, 광주.전남 에너지신산업 관련 중소기업 6개(에너지와 공조, 누리텔레콤, 아이비티, 선강엔지니어링 등)

 

□ 광주․전남은 한전 등 에너지 공공기관의 이전, 기존 주력산업과의 연관성 등을 고려하여 지역전략산업으로 에너지신산업을 선정*했다.


     * 규제프리존 도입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방안(경제관계장관회의, ‘15.12.14) 


 ㅇ 이에 따라 광주는 직류(DC) 배전과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기반으로 하는 전력변환 및 저장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전남은 에너지와 정보통신기술(ICT)를 융합한 마이크로그리드 산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ㅇ 정부는 이러한 지역의 에너지신산업 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입지규제 개선, 수요반응자원시장 등록기준 완화, 에너지자립섬 조성을 위한 허가절차 간소화 등의 규제프리존 특례를 마련하였고, 필요한 재정지원도 병행할 예정이다.


□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인들은 지역 경제의 미래 먹거리로서 에너지신산업의 가능성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표현하며 에너지저장장치(ESS) 관련 성과급(인센티브) 강화 등 추가적인 지원 사항들을 건의했다.


 ㅇ 이에 우태희 차관은 민간의 투자 확대 효과, 신시장 창출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답변했다.


 ㅇ 아울러, 우태희 차관은 광주․전남 지역이 에너지신산업의 전진기지로서 활발한 투자와 규제완화를 통해 다양한 성공모델을 도출하여 전국으로 확산하는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

태그
첨부파일 pdf 파일  0525 (26일석간) 에너지신산업진흥과, 에너지신산업진흥과, 규제프리존 현장방문.pdf [248.2 KB]
hwp 파일  0525 (26일석간) 에너지신산업진흥과, 에너지신산업진흥과, 규제프리존 현장방문.hwp [196.6 KB]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세요?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세요?
  • 담당부서 : 홍보담당관
  • 담당자 : 지재민 주무관
  • 연락처 : 044-203-4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