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보도/해명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보도/해명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태그, 첨부파일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스마트 무인기 유망 비즈니스 모델 선점에 나선다
담당자 이상은 담당부서 자동차항공과
연락처 044-203-4321
등록일 2016-05-25 조회수/추천 1,803
내   용

스마트 무인기 유망 비즈니스 모델 선점에 나선다 !

 

- 드론을 활용한 전력설비점검, 택배 분야 시범사업 착수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무인기(드론)을 활용한 전력설비 점검, 택배 등 2개 분야의 시범사업을 착수한다.


   * 시장창출형 로봇보급사업 공모(‘16.2.25)에 신청한 드론 분야 8개 연합체(컨소시엄) 중 최종적으로 2개 (한국전력공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를 선정 (’16.5.25)


 ㅇ ‘전력설비 점검’ 사업은 드론이 사람을 대신해 전봇대 위의 전선․애자 등 각종 전력설비를 촬영해 실시간으로 파손 및 이상 여부를 확인해 정전․화재 등을 예방하는 과제이며,  


   * ‘16년에 충북 증평변전소 등 배전설비 진단실습장에서 우선 검증한 후, ’17년부터 실제 배전 선로에 투입할 계획


 ㅇ ‘택배’ 사업은 도서․산간 등 배송이 어려운 지역에 대하여 의약품․ 구호품 등 긴급 물품의 배송을 실증하는 과제다.


   * ‘규제프리존’인 전남 고흥(도서지역) 및 드론 시범사업 전용공역이 위치한 강원 영월(산간지역)에서 운영할 계획


□ 전력설비 점검을 위하여 해외 전력회사들이 드론을 활용하는 사례가 있으나 대체로 수동 조작이거나 대형 철탑 단위의 적용이며, 


 ㅇ 금번 과제처럼 자동비행과 3차원 지도 작성(mapping)에 기반한 소형 전봇대 단위의 전력설비 자동 점검 시스템의 구현은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모델이다.


   * 전봇대(배전용) 기자재는 철탑(송전용)보다 크기가 작아 미세 균열 등을 적출하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영상장비 및 근접 촬영 등 고난이도 기술이 필요함


□ 무인기(드론) 택배와 관련하여 해외 사례는 여전히 이착륙 부분이 대부분 수동 원격 조종으로 이루어진 데 반해, 


 ㅇ 이번 과제는 이륙→비행→배송→귀환까지의 배송 전 과정을 완전 자동으로 추진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에 도전하고 있다.


   * 물품을 탑재한 드론이 반경 약 10km 거리의 목적지로 20분간 자율비행한 후 배송장소 지상 1m 상공까지 접근하여 물품을 내려놓은 뒤 출발지로 귀환


□ 이번 시범사업은 드론 활용이 효과적이고 성공 비즈니스 창출이 유망한 전력설비점검 및 택배 분야에서 서비스 수요기관(한국전력공사․우정사업본부)과 드론 제조기업, 정보기술(IT) 기업이 연합체(컨소시엄)의 협업 형태로 참여하여 ‘16.5월부터 ’17.4월까지 약 1년간 진행할 예정이며, 


 ㅇ 초기 4개월간 기존 드론을 사업목표에 적합하게 개조․개선한 후, ‘16.9월부터 본격적으로 현장에 투입해 성능 검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 정부는 무인기(드론)을 19대 미래성장동력의 하나로 지정하여 신산업 발전을 지원하고 있으며, 최근(‘16.5.18) 개최된 제5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도 드론 관련 규제 개선을 발표한 바 있다.


 ㅇ 산업부 관계자는 “규제 완화에 이어 사업모델 발굴을 위한 실증사업이 더해짐으로써 드론을 활용한 초기 시장 창출에 박차가 가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평가하고, 


 ㅇ “앞으로도 유망 수요 분야로의 활용 확대를 위해 실증사업, 기술개발, 연관산업과의 융합, 테스트베드 구축 등을 집중 추진하여 드론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발전하도록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태그
첨부파일 pdf 파일  0525 (26일조간) 자동차항공과, 무인기 전력설비감시,물품배송 실증사업 착수.pdf [399.5 KB]
hwp 파일  0525 (26일조간) 자동차항공과, 무인기 전력설비감시,물품배송 실증사업 착수.hwp [983.0 KB]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