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해명자료) 8.9일 전력예비율은 40%가 아닌 13.9%였으며, 이를 전력수요 예측실패로 단정할 수는 없음(중앙일보 8.12일자 보도에 대한 해명) | |||
---|---|---|---|---|
담당자 | 이선덕 | 담당부서 | 전력산업과 | |
연락처 | 044-203-5159 | |||
등록일 | 2019-08-12 | 조회수/추천 | 812 | |
내용 |
1. 기사내용
□ 전력예비율 최대 40%, 정부의 전력수요 예측 실패로 전기 낭비
ㅇ 올 여름 최대전력수요는 85.9GW로, 올 여름 최대수요 예측치인 89.5~91.3GW에 훨씬 못 미침
□ 지난해에는 탈원전 정책에 따라 원전 가동을 멈추면서 전력수급이 빠듯해졌음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산업부의 입장
(1) 현 전력수급상황 감안시 전력수요 예측실패라고 단정할 수는 없음
* 올 여름 최대 전력수요 전망치: 89.5GW 내외(91.3GW는 혹서 가정 전망치)
ㅇ 전력수급 대책기간(7.8~9.20)이 아직 끝나지 않은 상황이며, 금주의 경우 지난주에 비해 전력수요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8.12(월) 17시기준, 전력수요 8,694만kW(공급예비력 1,017만kW, 예비율11.7%) 기록(8.9(금) 8,540만kW 기록)
(2) 8월 9일 피크시간대 예비율은 40%가 아니라 13.9%임
ㅇ 기사에서 언급한 예비율 40%는 전력설비 용량 기준이므로 이를 전력수급 관리상 예비율로 인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음
* 하계 수급관리는 ‘설비용량’에서 정비·고장 등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활용 불가능한 설비 등을 제외한 ‘공급능력’을 사용
(3) 전력 예비력을 “남아도는 전기”로 표현하는 것은 적절치 않음
ㅇ 공급예비력은 남아도는 전기가 아니라 필요시 전력 공급이 가능한 발전용량 규모를 의미함
* 하계수급 대책기간 중에는 전력수요 변동에 대비하여 공급예비력을 최소 10GW 이상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
(4) 지난해 여름 예비력이 다소 하락한 것은 탈원전과는 무관함
ㅇ 예비력 하락의 원인은 111년만의 폭염* 때문이었으며, 지난해 원전 가동 대수는 전년 대비 오히려 증가하였음
* ’18년 여름 : 폭염일수 31.4일(평년 9.8일), 열대야일수 17.7일(평년 5.1일)
(5) 정부는 남은 올 여름철 전력수급대책 기간 내내 국민들께서 전기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안정적 전력수급 관리에 만전을 다하겠음
※ 문의: 전력산업과 윤요한 과장/이선덕 주무관(044-203-5159)
원전산업정책과 최광준 팀장/김진상 사무관(044-203-5296)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설명자료)신고리 5,6호기 시공사와 주요 ... |
---|---|
다음글 | (설명자료)일본 수출규제 피해를 언론에 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