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보도/해명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보도/해명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태그, 첨부파일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2022년6월 및 상반기 수출입 동향
담당자 허유석 담당부서 수출입과
연락처 044-203-4043
등록일 2022-07-01 조회수/추천 7,898
내   용

20226월 수출입 동향


 

수출 577.3달러(+5.4%), 수입 602.0달러(+19.4%)


 

1

 

6월 수출입 개요


 

(수출) 6월 수출은 전년동월(548억 달러)+5.4% 증가한 577.3달러

 

* ‘22.6월 조업일수는 22.0일로 전년(’21.6) 대비 2.0, 전월(‘22.5) 대비 1.0

 

일평균 수출은 전년동월(22.8억 달러)+15.0% 증가26.2달러

 

월별 수출액 추이(달러)

 

월별 수출증감률 추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58b65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78pixel, 세로 23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5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8pixel, 세로 230pixel


 

(수입) 6월 수입은 전년동월(504억 달러)+19.4% 증가한 602.0달러

 

일평균 수입은 전년동월(21.0억 달러)대비 +30.2% 증가한 27.4달러

 

월별 수입액 추이(달러)

 

월별 수입 증감률 추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40c001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22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40c001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8pixel, 세로 223pixel


 

(무역수지) 6월 무역수지 24.7달러 적자

6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백만달러, %, 관세청)

구 분

2021

2022

6

3

4

5

6

수 출

54,779(+39.7)

63,780(+18.8)

57,858(+12.9)

61,510(+21.3)

57,731(+ 5.4)

 

(일평균)

2,282(+36.8)

2,773(+24.0)

2,462(+15.4)

2,674(+10.7)

2,624(+15.0)

수 입

50,429(+40.9)

63,587(+27.8)

60,323(+18.5)

63,220(+32.0)

60,203(+19.4)

무역수지

+4,350

+193

2,465

1,710

2,472

 


(품목) 반도체·석유제품 등 15대 주요 품목 중 6개 수출 플러스 달성

 

(증가 품목) 석유제품·바이오두 자릿수 증가율을 달성했으며,
반도체(24개월 연속), 철강(18개월) 등은 장기간 수출 증가세 유지

 

* 그 외 품목 연속증가 : (바이오헬스)7개월, (무선통신)5개월

 

(감소 품목) 선박·일반기계·자동차 9개 품목은 전년동월비 감소

 

‘22.615대 주요 품목별 수출액(달러) 및 증감률(%)

 

구 분

반도체

석유화학

일반기계

자동차

철 강

석유제품

디스플레이

차부품

수출액

123.5

45.8

41.5

39.3

32.8

54.8

15.7

18.8

증감률

+10.7

0.4

11.7

2.7

+5.4

+81.7

5.9

3.8

구 분

바이오헬스

무선통신

컴퓨터

섬 유

선 박

가 전

이차전지

합 계

수출액

13.8

11.6

15.6

10.2

12.5

6.4

7.9

577.3

증감률

+3.8

+10.6

+9.6

9.2

36.0

15.5

2.6

+5.4


 

(지역) 9대 지역 가운데 CIS·중국 등을 제외한 6개 지역 수출 증가

 

(증가 지역) 아세안·인도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나간
가운데, 미국·일본·중동·EU수출 플러스 계속

 

* 지역 연속증가 : (미국)22개월, (아세안·인도)16개월, (일본)15개월

 

(감소 지역) 4개월 연속 감소한 CIS에 더해 중국·중남미수출 감소

 

* 6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수출 감소율 : (러시아)64.9%, (우크라이나)72.3%

 

‘22.69대 주요 지역별 수출액(달러) 및 증감률(%)

 

구 분

중 국

미 국

E U

아세안

일 본

수출액

129.7

97.8

53.3

102.5

26.5

증감률

0.8

+12.2

+2.4

+16.7

+2.2

구 분

중남미

인 도

중 동

CIS

총 계

수출액

23.2

14.3

14.3

7.4

577.3

증감률

8.3

+22.5

+8.1

44.6

+5.4



태그
첨부파일 pdf 파일  220701 수출입과 22년 6월 및 상반기 수출입 동향.pdf [2.4 MB]
hwp 파일  220701 수출입과 22년 6월 및 상반기 수출입 동향.hwp [981.0 KB]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