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보도/해명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보도/해명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태그, 첨부파일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제9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담당자 임경섭 담당부서 소재부품장비총괄과
연락처 044-203-4911
등록일 2022-03-03 조회수/추천 2,250
내   용

 

9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소부장 R&D2.3조원 투자 등, ‘22년 소부장 시행계획확정

󰋻43개 소부장 으뜸기업 및 5개 특화단지에 대한 지원정책 실행

󰋻미래형 자동차 등 미래 신산업신소재 관련 협력사업 5건 승인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문승욱)3.3() 1030분 정부서울청사에서 9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개최하여 6건의 안건을 논의·확정하였다고 밝혔음

 

 

< 9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개요 >

 

 

 

(일시/장소) ’22.3.3() 10:3011:40 / 정부서울청사

 

(참석) 경제부총리(위원장), 산업부 1차관, 관계부처 장차관, 민간위원

 

(안건) 기업간 협력사업(모델) 승인에 관한 건
2022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시행계획
2차 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 지원방안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세부 지원계획
GVC 재편대응 특별위원회 경과 및 향후 계획
소재부품수급대응지원센터 지원성과 및 운영계획


 

이번 제9차 소부장 경쟁력위는 금년 들어 처음 개최된 것으로,

먼저, 그간의 추진성과와 범부처 차원의 2022년 소부장 정책의 추진방향을 담은 2022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심의의결

 

그리고, 소부장 으뜸기업과 특화단지세계 최고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기업 및 첨단산업 협력단지로 육성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지원방안이 심도 깊게 논의됨

 

아울러, 미래형 자동차 소재부품 등 미래 신산업신소재 공급망을 선점하기 위한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사업 5건도 신규 추진하기로 함

 

 

박진규 1차관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안정적인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구축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언급하며,

 

기존 첨단기술 중심 소부장의 범위를 넘어 요소와 같은 범용품과 석유, 가스 등 에너지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쳐 외부충격에 흔들림 없는 공급망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힘

 

이번 회의에서 논의·확정한 안건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2022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시행계획


 
소부장경쟁력강화 시행계획소부장특별법에 따라 매년 수립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간의 진행상황과 향후 정책방향으로 구성됨


<그간의 진행상황>

 

소부장 핵심 품목의 공급안정성이 크게 개선

 

불산액, 극자외선(EUV) 레지스트 등 일본 수출규제 3대품목*은 국내생산 확대 등으공급안정성을 제고하고, 100대 품목에 대해서도 변화, 신증설투자, 인수합병 등 다각적 방식을 통해 대일본 수입액 비중 크게 감소(’1930.9% ’2124.9%, 6%p)

 

* (불산) A사 불산액 생산능력 2배 확대, B사 불화수소 국내생산 성공
(극자외선(EUV) 레지스트) C사 자체 기술확보, D사 개발 및 생산시설 투자 유치, 벨기에 E사 다변화 등
(불화 폴리이미드) F사 생산·수출 본격화, G사 공장신설 테스트 및 대체소재(UTG) 투입

 

아울러, 핵심 소부장 연구개발에 3.7조원을 투입하여, 1년여만(~‘20) 매출 3,306억원, 투자 4,451억원, 특허 1,280건을 달성하였으며, 성과는 시간경과에 따라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산업 생태계 내 연대와 협력확산을 통한 소부장 기업의 성장

 

핵심전략기술에 특화한 으뜸기업 43개사 강소기업 120개사, 스타트업 40개사 선정(~’22.1) 및 지원하고, 소부장 기업에 투자하는 1.6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21.12)하여, 소부장 기업의 성장이 가시화*

 

* 매출액 증가율(19.21.): (전체 상장기업) 9.8% vs. (소부장 상장기업) 15.7%
시장가치(19.721.10): 으뜸기업 시총 11.333.5조원, 중소중견 1조원클럽 1332

 

또한, 협력모델 45건이 추진되는 등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이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융합혁신지원단, 대학소부장 기술전략 자문단 등 연구소·대학 등의 다양한 주체들이 연구개발·사업화 단계에 걸쳐 소부장 기업지원에 참여

 

* (테스트베드) 15개 공공연 중심 총403종장비 구축, 기술개발 제품 실증지원(2,510억원)
(신뢰성 향상) 40개 연구소·TP참여 기술개발 제품 성능향상 등 1,505개사 지원(630억원)
(양산성능평가) 수요기업의 양산라인에서 개발제품 평가, 399개 과제 지원(1,150억원)

 

첨단산업 협력단지 도약의 기반 마련 및 범부처 협업체계 고도화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핵심산업의 가치사슬이 집적된 5개 특화단지를 지정(’21.2)하고, 국내첨단산업 투자 유치 거점첨단투자지구의 제도적 기반도 완비(‘21.12)

 

* 반도체(경기) 탄소소재(전북), 이차전지(충북), 디스플레이(충남), 정밀기계(경남)

아울러, 급변하는 국제적 공급망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공급망 재편 특별위원회신설(’21.11)하여 주요국 대응전략, 우리 산업 대응방향 심층검토 등 추진 중

 

소부장 정책의 성과가 본격화된 만큼 금년에 구체적 성과도출 노력을 강력히 추진하는 한편, 친환경·디지털 산업전 등에 대응한 미래 성장역량도 적극 확충해 나갈 계획

 

 


태그
첨부파일 pdf 파일  (별첨2) 제2차 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 지원방안.pdf [426.9 KB]
pdf 파일  (별첨1) 2022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시행계획.pdf [1.2 MB]
pdf 파일  0302(3석간 12시엠바고)소재부품장비총괄과, 제9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위원회 개최.pdf [688.9 KB]
hwp 파일  0302(3석간 12시엠바고)소재부품장비총괄과, 제9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위원회 개최.hwp [58.9 KB]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