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보도/해명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보도/해명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태그, 첨부파일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대통령 호주 순방 계기, 한-호 간 핵심 광물 공급망, 탄소중립 기술, 청정수소경제 협력 강화
담당자 박용균 담당부서 구주통상과
연락처 044-203-5664
등록일 2021-12-14 조회수/추천 1,501
내   용
대통령 호주 순방 계기, -호 간
핵심 광물 공급망, 탄소중립 기술, 청정수소경제 협력 강화
 
- 문재인 대통령 참석 -호 핵심 광물 공급망 간담회 개최
-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와 탄소중립 기술 이행계획 및 청정수소경제 협력 MOU,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MOU 체결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문재인 대통령호주 국빈방문(12.12~15) 계기 -호주 양국 간 핵심 광물 공급망, 탄소중립, 청정 수소경제 산업·에너지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행보를 펼침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호주의 주요 핵심광물 기업인이 참석하는 -호 핵심 광물 공급망 간담회에 참여하여 양국 기업간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함
 
-호 정상회담 계기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탄소중립 기술 이행계획 및 청정수소경제 협력 MOU,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MOU 2건의 MOU를 체결하여 기후변화 대응 및 핵심 광물 공급망 구축 협력고도화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함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의 앵거스 테일러(Angus Taylor) 산업에너지저배출장관*과의 면담에서 탄소중립 기술 이행계획 및 청정수소경제 협력 MOU에 따른 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하고, 양국의 민간부문간 협력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을 당부함
 
*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 장관 : Angus Taylor 산업에너지저배출장관, Melissa Price 과학기술장관, Keith Pitt 자원수자원장관 총 3
 
【 ❶ -호 핵심 광물 공급망 간담회
 
문 장관12.14() 16:00~16:40(이하 현지시간 기준) 호주 시드니에서 산업통상자원부, -한 경제협력위원회(Australia Korea Business Council, AKBC),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공동주최- 핵심 광물 공급망 간담회에 참석함
 
< -호주 핵심 광물 공급망 간담회 개요 >
 
 
 
ㅇ 일시 : ‘211214, 오후 16:00~16:40 (현지 시간)
 
ㅇ 장소 : 시드니 샹그릴라 호텔 내 행사장
 
ㅇ 주최 : 산업부, -한 경제협력위원회(AKBC),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ㅇ 참석 :
 
- (한국측) 문재인 대통령,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남영숙 경제보좌관, 강정식 주호주대한민국대사
 
- (호주측) 사이몬 크린(Simon Crean) -한 경제협력위원회(AKBC) 회장, 이안 간델(Ian Gandel) ASM 의장, 스티븐 그로콧(Stephen Grocott) QPM 대표이사, 조 캐더라벡(Joe Kaderavek) 코발트블루 대표이사, 톰 시모어(Tom Seymour) PwC 호주 대표이사
 
현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 손소독, 발열검사 등 철저한 방역조치 하에 진행
 
< 핵심 광물의 중요성 >
 
 
 
핵심 광물은(희소금속을 포함) 니켈, 리튬, 희토류와 같이 경제적·산업적 가치가 크고 수요가 높으나 공급·환경 리스크가 큰 광물을 일반적으로 의미하며, 전기차·이차전지·에너지 등 미래 전략 산업의 필수 소재로 사용
 
핵심 광물의 주요 산업분야별 용도
수요산업
반도체·디스플레이
전기차·에너지
기계·항공·우주·방산
자동차·정유·화학
 
소재·부품
연마제, 타겟, 콘덴서, 폴리실리콘 등
영구자석(전기차, 풍력 모터), 이차전지
경량금속 소재,
초경(超硬)합금
촉매
(질소산화물 등 제거)
 
핵심 광물
희토류(세륨, 란타늄), 탄탈륨, 규소 등
희토류(네오디뮴 등), 리튬, 니켈, 코발트 등
티타늄, 마그네슘,
텅스텐, 몰리브덴 등
백금족(백금, 팔라듐, 로듐 등)
 
대부분의 핵심 광물은 국가별로 매장량 편차가 크고 가격 변동 및 수급 리스크가 큰 바,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이 매우 중요
금번 간담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코로나19가 각국의 생산과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글로벌 공급망의 안정성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었다고 평가하면서,
 
특히 핵심 광물의 안정적인 공급탄소중립을 통한 우리 경제의 성장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며, 풍부한 핵심 광물을 보유한 호주 이차전지 등 관련 산업에서 수요가 많은 우리나라 간에 상호 호혜적 협력이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함
 
ㅇ 또한 양국 기업간의 다양한 협력이 진행되는 점*을 평가하고, 양국 기업간 협력이 확대될 수 있도록 정부간 협의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힘
 
* 주요사례: 국내기업 A는 호주 QPM사 지분 7.5%(120억원) 인수, ‘23년말부터 향후 10년간 니켈 연간 7천톤, 코발트 연간 7백톤 등 수입 예정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호주 기업인들은 양국 기업 간에 광물자원 분야에서 오랜 기간 상당한 신뢰를 쌓아왔다는 점을 언급하며, 양국간 물류 체계도 원활한 점을 강조하면서 향후 한국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를 희망함
 
【 ❷ 산업통상자원부-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 간 MOU
 
한편, 문 장관12.13() 09:30~10:40(이하 현지시간 기준)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한-호 정상회담 직후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와 탄소중립 기술 이행계획 및 청정수소경제 협력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을 위한 2건의 MOU를 체결
 
탄소중립 기술 이행계획 및 청정수소경제 협력 MOU-호 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기술 상용화 및 청정 수소경제 발전을 위한 전주기 협력을 위해 체결된 것임
 
- 양국의 2050 탄소중립과 상향된 2030 NDC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양국 정부와 산연 간 협력이 긴요함에 따라, 수소공급망·CCUS·저탄소철강 등 탄소중립 핵심기술 전반에서 연구개발·실증·상용화 등 민관 공동 프로젝트를 활성화할 계획
- 아울러, MOU‘19년에 체결된 -호주 수소협력의향서(LOI) 구체화하여 청정수소 공급망구축, 청정수소 인증 등 제도, 수소 발전·수송 분야 인프라 구축, 수소 전문인력양성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명시함으로써 양국의 수소경제 협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임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MOU양국간 핵심 광물 교역, 투자확대 등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체결된 것으로
 
- 양국 정부, 기업, 연구기관, 금융기관 등이 참여하는 핵심 광물 실무그룹을 통해 양국 간 광물개발·생산 등 분야에서 공동 투자, 연구개발 프로젝트 등을 발굴하는 등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임
 
【 ❸ 호주 산업에너지저배출장관 면담
 
문 장관은 12.14() 13:30-14:00 시드니에서 앵거스 테일러(Angus Taylor) 호주 산업에너지저배출장관과 면담을 진행함
 
호주 정부는 한국과의 탄소중립 기술 협력을 위해 10년간 5천만 호주달러를 투자할 것이며, 한국 정부 또한 국내 예산절차에 따라 상응하는 규모를 매칭할 계획임
 
ㅇ 양국 장관은 ‘22년 플래그십(Flagship) 프로젝트로 수소공급망CCUS저탄소철강을 3개 분야를 지정하고,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와 관련하여 정부예산 54억원(3년간 수소 30억원CCUS 24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임
 
이에 양 부처는 ‘22년 초 동 MOU에 따른 탄소중립기술 운영그룹* 1차 회의를 개최하고 동 계기에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병행하여 기업간 협력을 촉진하기로
 
* -호주 에너지자원협력위원회(‘80-’21.7월 기간중 30회 개최) 산하에 신설(국장급)
 
아울러, 문 장관은 수소가 2050년 한국 최종에너지 소비의 3분의 1 차지하는 핵심 에너지원으로 부상할 것을 강조하며,
 
ㅇ 수소 활용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보급경험을 갖춘 한국과 향후 청정수소 생산 강국이 될 호주 간에 청정수소 공급망·수소 활용 인프라 구축 등 협력을 강화하여 양국 수소경제 발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함
 
ㅇ 더불어, CCUS 기술 조기 상용화를 위해 호주와 CCUS 프로젝트 협력 강화 및 기술교류를 희망하며, 향후 대규모 공동 프로젝트도 진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함
 
한편, 문 장관은 우리 기업기관이 호주와의 수소CCUS 협력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호주정부가 양국 산업 발전과 민간투자 활성화 차원에서 제도인프라(수소충전소 네트워크 등) 등 적극적인 지원을 검토해줄 것을 당부
태그
첨부파일 pdf 파일  1214(15조간)구주통상과, 한-호 간 핵심 광물 공급망, 탄소중립 기술, 청정수소경제 협력 강화.pdf [488.6 KB]
hwp 파일  1214(15조간)구주통상과, 한-호 간 핵심 광물 공급망, 탄소중립 기술, 청정수소경제 협력 강화.hwp [43.5 KB]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