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친환경차 개발·보급 중장기(’21~’25) 기본계획 발표 | |||
---|---|---|---|---|
담당자 | 안재훈 | 담당부서 | 자동차과 | |
연락처 | 044-203-4322 | |||
등록일 | 2021-02-23 | 조회수/추천 | 1,556 | |
내용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월 23일(화)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 국무회의를 통해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2021~2025)”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 수립 배경 및 의의 】 □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은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친환경차의 확산과 자동차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산업부가 5년 단위로 수립·시행하는 기본계획으로서, ㅇ 지난해부터 산학연 전문가 포럼(70여명)의 논의와 관계부처 협의를 거쳤으며, 지난 2월 18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논의한바 있음 □ 금번 기본계획은 ▴2025년까지의 친환경차 개발 및 보급 전략을 법정계획으로 확정함으로써 범정부적인 이행력을 확보하는 한편, ㅇ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혁신 전략, ▴차량 전주기 친환경성 평가 등 실질적인 탄소중립 기반을 선제적으로 마련하는 데에 의의가 있음 【 비전 및 전략 】 □ 3차 기본계획 기간(’16~’20) 중 친환경차 보급·수출 지속 증가하였음 * 누적보급(’16→’20년) : 24만대 → 82만대(3.6배) / 수출(’16→’20년) : 7.8만대 → 28만대(3.5배) * ’20년 전기차 수출 세계 4위, 수소차 보급 세계 1위, 전기차 보급 세계 8위 기록 ㅇ 그러나, ▴충전 애로, ▴짧은 주행거리·중대형 차량 미출시, ▴높은 차량가격 등은 여전히 친환경차 확산 가속화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으며, ㅇ 2050 탄소중립이 자동차산업의 新 패러다임으로 대두하고, 연평균 28% 성장이 예상되는 친환경차 시장(’25년 年 2,800만대) 선점을 위한 글로벌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임 □ 이러한 여건 속에서 이번 4차 기본계획의 비전을 “21년 친환경차 대중화 원년”, “25년 친환경차 중심 사회·산업생태계 구축”으로 설정하고, ㅇ ① 친환경차 확산을 가속화하는 사회시스템 구축, ② 기술혁신을 통해 탄소중립시대 개척, ③탄소중립 산업생태계로 전환 가속화를 3대 추진전략으로 도출하였음 ㅇ 특히, 탄소중립시대를 열어가기 위해 자동차 전주기 온실가스 평가체계(LCA*), 배터리 전수명 품질 적합성 기준 도입을 선제적으로 검토하고, 그린메탄, 그린수소 등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혁신기술을 새롭게 추진하기로 하였음 * Life Cycle Assessment : ▲ 연료·전기의 생산·사용 ▲ 생산, 폐기·재활용 등 자동차 순환 |
|||
태그 | ||||
첨부파일 |
![]() ![]() ![]() ![]() |
이전글 | 오타와 그룹, 세계무역기구(WTO)에서의 보... |
---|---|
다음글 |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5개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