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자동차튜닝부품 기술개발 지원 등 활성화 추진 | ||
---|---|---|---|
담당자 | 배준형 | 담당부서 | 자동차항공과 |
연락처 | 044-203-4321 | ||
등록일 | 2014-04-09 | 조회수/추천 | 2,147 |
내 용 | |||
튜닝부품 기술개발 지원 등 활성화 추진 - 완성차 업체와 동반성장하는 튜닝부품산업 생태계 조성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4월 9일(수), The-K 서울호텔에서 글로벌 튜닝 부품기업 육성과 경쟁력 있는 부품 개발 지원을 위한 「자동차튜닝 부품산업 발전 포럼」을 개최
ㅇ 자동차 튜닝부품관련 국내·외 전문가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외 튜닝 전문가의 초청강연 및 산업부의 “자동차튜닝 부품산업 발전전략” 발표 등 자동차 튜닝부품산업 활성화를 위한 포럼 개최
□ 그간 국토부와 튜닝관련 부처별 역할에 대한 협의를 거쳐 산업부의 정책을 수립·추진하게 됨
ㅇ 국내 완성차(세계5위)와 차 부품산업(수출 세계7위)의 위상과 최근 자동차 튜닝에 대한 관심증가 불구, 국내 튜닝시장은 수입품이 대다수 점유
* ‘13년 세계 자동차 부품 A/S 시장 규모 : 약310조원(튜닝 시장은 약 32%인 98조원)
ㅇ 국내 튜닝시장은 완성차 A/S 시장의 10% 수준인 5천억원 규모로서, 튜닝산업이 고부가가치 신산업으로 성장할 때까지 정책적 지원이 없으면 수입품에 의한 시장잠식이 더욱 가속화할 우려
* 최근 해외 유명 튜닝업체의 국내 진출 러쉬: ABT(아우디 튜닝), 브라부스(벤츠 튜닝), AC 슈니처(BMW 튜닝), 테크아트(포르쉐) 등
□ 산업부는 자동차 튜닝 부품산업의 육성을 통해 국내 튜닝부품업계가 향후 기술중심의 글로벌 강소부품기업으로 성장하는 한편, 튜닝부품 제조·장착기업이 질 좋은 일자리(decent job)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
* 튜닝이 활성화된 유럽의 경우 튜닝 전문가의 연봉은 약10만유로 수준으로서 자동차산업 내에서도 높은 분야
□ 산업부는 자동차 튜닝부품 산업의 육성을 위해 4개 실행과제를 제시
① 튜닝부품 기술개발 지원
- 기존 영세 튜닝부품사는 「고장진단 및 품질개선형 기술개발」, 기술력이 높은 튜닝 제조사와 기존 완성차 납품업체는「고성능 부품기반형 기술개발」지원
② 튜닝산업 활성화 인프라 구축
- 전남(F1 경기장), 대구(남산동 튜닝골목) 등 특성에 맞는 인프라 구축
③ 완성차 업체와 부품업체간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
- 손쉽게 튜닝 적용이 가능한 완성차 차종을 보다 확대하고, 국내 튜닝부품 채택비율도 확대
④ 우수 튜닝부품 내수활성화 및 수출지원
- 우수 튜닝 부품의 수출지원을 위해 전시회 지원 등 글로벌 시장진출 환경 조성 및 온라인 종합 쇼핑몰 민간 개설을 지원
□ 이관섭 산업정책실장은 환영사에서 ‘자동차 튜닝을 교복자율화에 비유하면서 교복자율화 이후 사고의 폭도 넓어지고, 장발로 대표되는 억눌린 욕구의 표출도 오히려 줄어들었다’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자동차 튜닝에 대한 부정적 대중 인식이 전환되기를 희망함
ㅇ 이 차원에서 지자체 등과 협의하여 대중 접근이 용이한 지역 및 유휴시설 등에 다양한 경기장을 구축하여 건전한 레저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노력할 것이라 밝힘
* 예) 인천 영종도 배수로 상단 활용(드래그 경기장), 대구 낙동강 고수부지 활용
ㅇ 자동차 튜닝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해 관련부처와 협업체계를 갖추어 국내 튜닝부품산업의 건전한 생태계 조성에 노력하겠음 |
|||
태그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2014 유통산업연합회 총회 및 운영위원회 ... |
---|---|
다음글 | 산업부 ‘14-’18년 바이오화학기술개발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