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기업과 함께, 탄소중립을 통한 新르네상스 열어간다” | |||||||||||||||||||||||||||||||||||||||||||||||||||||||||||||||||||||||||||||||||||||||||||||||||||||||||||||||||||||||||||||||
---|---|---|---|---|---|---|---|---|---|---|---|---|---|---|---|---|---|---|---|---|---|---|---|---|---|---|---|---|---|---|---|---|---|---|---|---|---|---|---|---|---|---|---|---|---|---|---|---|---|---|---|---|---|---|---|---|---|---|---|---|---|---|---|---|---|---|---|---|---|---|---|---|---|---|---|---|---|---|---|---|---|---|---|---|---|---|---|---|---|---|---|---|---|---|---|---|---|---|---|---|---|---|---|---|---|---|---|---|---|---|---|---|---|---|---|---|---|---|---|---|---|---|---|---|---|---|---|---|
담당자 | 조우신 | 담당부서 | 산업정책과 | |||||||||||||||||||||||||||||||||||||||||||||||||||||||||||||||||||||||||||||||||||||||||||||||||||||||||||||||||||||||||||||
연락처 | 044-203-4215 | |||||||||||||||||||||||||||||||||||||||||||||||||||||||||||||||||||||||||||||||||||||||||||||||||||||||||||||||||||||||||||||||
등록일 | 2021-12-10 | 조회수/추천 | 5,199 | |||||||||||||||||||||||||||||||||||||||||||||||||||||||||||||||||||||||||||||||||||||||||||||||||||||||||||||||||||||||||||||
내 용 | ||||||||||||||||||||||||||||||||||||||||||||||||||||||||||||||||||||||||||||||||||||||||||||||||||||||||||||||||||||||||||||||||
□ 정부는 12.10일(금) 청와대 본관 충무실에서 「탄소중립 선도기업 초청 전략 보고회」를 개최하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산업‧에너지 탄소중립 대전환 비전과 전략」을 발표
ㅇ 금번 보고회는 탄소중립 비전 선포 1주년을 맞이해, 우리 산업‧에너지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선도기업들을 청와대 본관으로 초청하여 깊은 사의를 표하고 탄소중립을 향한 민‧관 의지를 결집하기 위해 개최
※ 엄중한 코로나19 상황을 고려, 강화된 방역지침 적용 및 외부참석자 최소화
【 산업‧에너지 탄소중립 대전환 비전과 전략 】
□ (배경) 대한민국의 성장*을 이끌었던 산업, 에너지는 탄소중립이란 그간의 발전경로를 완전히 전환하는 도전적 과제에 직면
* 세계 10대 경제대국 성장, 역대 최단기 무역 1조불(21년), 월수출 600억불 달성(21.11월) 등
⇒ 우리 산업의 새로운 시장과 성장경로를 확보*하고, 보다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를 약속하기 위해 탄소중립은 반드시 가야 하는 길
* ①138개국 탄소중립 선언‧지지, ②EU탄소국경조정제 도입, ③민간 RE100‧ESG 확산,
➃전세계 친환경 투자 확대(EU 1조 유로 그린딜 등)에 따른 저탄소 新시장 확대 등 □ (경과) 탄소중립 선언 이후, 정부와 기업은 상시적 소통체계*를 구축,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방안을 치열하게 고민
* ①탄소중립 산업전환위원회(21.4월 출범) → 산업부장관‧상의회장 공동위원장
②산업‧에너지 22개 업종별 협의체(21.2월~), ③간담회‧면담‧행사 등 계기 150회 이상 ⇒ 탄소중립은 우리 경제의 새로운 도약 기회*이나, 그 도전 과정에서 죽음의 계곡과 다윈의 바다**를 건너야 하는 기업의 부담감도 확인
* (기회)주요국과 동등한 출발, (강점)세계 1위 수소차‧친환경선박‧반도체 경쟁력 등
** (죽음의계곡)자금부족 등 → 新기술 상용화 난관, (다윈의바다)기존제품 경쟁 치열 → 시장안착 난관
□ (전략) 지난 1여년 간의 소통과 공감대를 바탕으로 중장기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과제와 정책 방향성을 담은 종합 전략 마련
⇒ 앞으로의 30년을 슬기롭게 준비하기 위한 “논의의 시작점”이며, 산업‧에너지계와 꾸준히 소통하면서 구체화*해 나갈 계획
* 산업‧에너지 분야 법정 기본계획, 부처별 탄소중립 이행계획 등
(전환) 에너지 공급‧전달‧소비 등 全과정을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전환
ㅇ 34년까지 노후 석탄발전 24기 폐지, 민간발전까지 석탄발전 상한제 적용 확대 등을 통해 50년 석탄발전 중단 목표 달성
- 과도기적으로 활용이 불가피한 화석연료 발전에 대해서는
암모니아‧수소의 혼소‧전소*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 암모니아 20% 혼소(30년)‧전소(50년), 수소 50% 혼소(35년)‧전소(50년)
- 30년 신재생e 발전비중 30.2%, 50년 재생e 70% 달성을 목표로 입지‧인허가 혁신, 수용성 제고 등 전방위적 추진으로 재생e 보급 획기적 확대
* 범부처 입지‧인허가 애로해결 체계 구축(22.上), 풍력 전주기 원스톱 지원체계 마련(22년), 재생에너지 이격거리 규제 표준화(22.上), RPS 의무비율 향상(40% 이상) 등
ㅇ 에너지 다소비 사업자를 대상으로 분산에너지 설치를 의무화하고,
통합발전소(VPP)*‧배전망운영자(DSO)** 제도 도입(23년)도 추진 * 중‧소규모 재생e 입찰 중개, ** 배전망 설치·관리, 증설·운영계획 등 체계적 망관리 의무 부담
ㅇ 「에너지공급자 효율향상 의무화 제도*(EERS)」 도입(22년 법 개정 추진), 수요관리 新서비스 시장 창출 지원 등 에너지효율 혁신기반 마련
* 에너지공급자의 사용자 대상 효율투자를 의무화하여 효율 투자 시장 확대
(기반) 에너지 전환 촉진을 위한 인프라 및 시장‧가격 등 기반 구축
ㅇ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응하여 전력 계통망을 선제 확충*하고,
「전력계통 영향평가제도」 도입(22년) 등을 통해 수요 분산 유도 * ‘先계통 보강 後발전설비 구축’ 체계 전환 + NDC상향 반영 계통 보강계획 선제 수립(22.上)
- ESS(1.6GW), 양수발전(1.8GW) 등을 활용한 에너지 저장체계를 구축하고 중장기적으로 에너지 통합시스템(P2G‧P2H‧V2G, 섹터커플링) 확산 추진
ㅇ 급전순위 결정시 환경비용을 반영하는 환경급전을 확대(22년)하고
재생e 발전량 입찰제 도입(23년) 등 변동성 대응 전력시장 제도 마련 - 원가주의 요금체계의 단계적 정착(22년~)을 추진하며, 제주에서 시행중인 주택용 계시별 선택 요금제를 전국으로 확산(22년~)
ㅇ 정부재정‧공기업의 선도적 투자 확대를 통해 민간 부문의 에너지 탄소중립 투자 활성화 유도(25년까지 정부+민간 총 94조원 이상 투자 전망)
- 전기요금 내 기후환경요금과 배출권거래제 간접배출 관리에 따른 이중부담 문제 개선과 탄소가격 부과체계 개편방안 등 검토
(안보) 에너지 수급안정에 만전을 기하며 에너지 新안보 기반 조성
ㅇ 탄소중립 추진 과정에서 안정적 에너지 수급 유지와 가격안정 등 종합적‧선제적 대응을 위한 「자원안보기본법*」 제정 추진
* 자원안보 개념・범위 확대 등 → (現) 석유・가스 중심 (改) 수소・재생e・광물 및 공급망 포괄
ㅇ 기업의 국외감축사업 지원, 탄소중립 신기술 및 해외 청정수소 확보 등 글로벌 탄소중립 에너지통상 협력 강화
ㅇ 사이버 위해요인 점검 대응책을 마련하고, 「에너지안전 기후변화 적응 기본계획」 마련 등 에너지시설의 신규 위기 대응능력 강화
|
||||||||||||||||||||||||||||||||||||||||||||||||||||||||||||||||||||||||||||||||||||||||||||||||||||||||||||||||||||||||||||||||
태그 | ||||||||||||||||||||||||||||||||||||||||||||||||||||||||||||||||||||||||||||||||||||||||||||||||||||||||||||||||||||||||||||||||
첨부파일 |
![]() ![]() ![]() ![]() |
이전글 | 산업부 1차관, 산업단지 방역현장점검 실시 |
---|---|
다음글 | 불합리한 정부 인증제도 33개 정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