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보도/해명

  • 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보도/해명 제목,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등록일, 조회/추천, 내용, 태그, 첨부파일 상세페이지 표 입니다
제목 (참고자료)「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
담당자 주세형 담당부서 조선해양플랜트과
연락처 044-203-4332
등록일 2016-10-31 조회수/추천 3,666
내   용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마련



□ 정부는 ‘16. 10. 31(금) 7시 30분,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일호 경제부총리 주재로 개최된 ‘제6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 10.31(월) 07:30~08:30, 정부서울청사 19층 영상회의실


 ㅇ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확정․발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주 요 내 용 >




1. 현 수주절벽 대응을 위한 11조원 규모, 250척 이상 선박 발주


    󰋮 ’18년까지 7.5조원 규모의 군함, 경비정 등 공공선박 63척 이상 조기 발주


    󰋮 ’20년까지 3.7조원의 자금*을 활용하여 75척 발주 지원

        * 2.6조원 선박신조지원프로그램, 1조원 에코쉽 펀드, 1천억원 여객선 현대화 펀드


    󰋮 ’20년까지 금융지원*을 통해 중소형선박 115척 신조 발주 지원

        * 대출 상환기간 연장(10→15년), 담보 인정비율 상향(60→70%)


2.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한 고강도 자구노력과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한 핵심역량 집중


    󰋮 ’18년까지 조선 3社 건조설비 23%, 인력 32% 감축


    󰋮 조선 3社는 사별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핵심역량에 집중하고 유망 신산업 발굴


    󰋮 대우조선해양은 상선 등 경쟁력 있는 부문을 중심으로 효율화하고, 산은의 대우조선 민영화, M&A 등 산업재편 추진



3.경쟁력 우위 부문에 대한 집중 지원으로 고부가가치화, 경쟁력 열위 부문에 대한 역량 보완

      ➡ 5년간 민관공동 R&D 7,500억원 투자, 전문인력 6,600명 양성 


    󰋮 대형선종(컨테이너선, 탱커, LNG․LPG선) 세계시장 점유율을 65→75% 이상 확대


    󰋮 2,400억원을 투입하여 ‘20년까지 ICT 융합을 통한 스마트 선박 및 스마트 조선소 핵심기술 확보


    󰋮 업계공동 출자로 ’17년 상반기 중 해양플랜트 설계 전문회사 설립 및 설계 전문인력 800명 이상 양성


    󰋮 중소형 선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10종의 표준선형 개발  



4.조선산업(Ship Building Industry)을 年1,000억달러 규모의 선박서비스 산업을 포함하는 고부가 선박산업(Ship Industry)으로 육성


    󰋮 사업재편 자금 등 2.7조원을 활용, 대형선박 수리자급률을 1.3→10%이상 확대


    󰋮 3대 해양플랜트 유지․보수 핵심기술* 개발 및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 가상 유지․보수 시뮬레이션, 원격관리시스템, 해체․철거 기술


    󰋮 LNG벙커링 사업 법적 허용 및 민관 공동 SPC설립으로 시장 개척


   구조조정에 따른 보완대책으로 조선 밀집지역 경제활성화 대책 마련


     ※ 별도 보도자료 배포



태그
첨부파일 hwp 파일  (산업부 보도참고자료)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hwp [395.3 KB]
pdf 파일  (산업부 보도참고자료)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pdf [2.2 MB]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